증권발행실적보고서
금융감독원장 귀하 | 2025년 7월 16일 |
회 사 명 : |
부광약품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이제영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7(대방동) |
(전 화) 02 - 828 - 8114 | |
(홈페이지) http:// www.bukwang.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기획부 상무 (성 명) 김 민 규 |
(전 화) 02 - 828 - 8114 | |
Ⅰ. 발행개요
1. 기업개요
상장구분 | 기업규모 | 업종구분 |
---|---|---|
유가증권 | 대기업 | 의료용 물질 및 의약품 제조업 |
2. 발행 개요
(단위 : 원) |
구분 | 발행총액 | 비고 |
---|---|---|
기타 | 89,270,550,000 | 주주배정 후 실권주 일반공모 유상증자 |
Ⅱ. 청약 및 배정에 관한 사항
1. 청약 및 납입일정
구분 | 청약개시일 | 청약종료일 | 납입기일 |
---|---|---|---|
우리사주조합 | 2025년 07월 08일 | 2025년 07월 08일 | 2025년 07월 16일 |
주주배정 | 2025년 07월 08일 | 2025년 07월 09일 | 2025년 07월 16일 |
일반공모 | 2025년 07월 11일 | 2025년 07월 14일 | 2025년 07월 16일 |
2. 인수기관별 인수금액
(단위 : 원) |
인수기관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비 율(%) | 비 고 |
---|---|---|---|---|
NH투자증권(주) | - | - | - | - |
계 | - | - | - | - |
주) 본 유상증자는 잔액인수 방식으로 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가 우리사주조합 청약, 구주주청약(초과청약 포함) 후 발생한 실권주에 대하여 일반공모 청약을 실시하였으며, 청약결과 인수기관이 자기계산으로 인수하는 주식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
3. 청약 및 배정현황
(단위 : 원, 주, %) |
구 분 | 최초 배정 | 청약 현황 | 최종 배정 현황 | |||||||
---|---|---|---|---|---|---|---|---|---|---|
수량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건수 | 수량 | 금액 | 비율 | |
우리사주조합 | 6,042,000 | 20.0 | 1 | 211,346 | 624,527,430 | 0.1 | 1 | 211,346 | 624,527,430 | 0.7 |
신주인수권 증서 청약 | 24,168,000 | 80.0 | 23,516 | 21,122,634 | 62,417,383,470 | 4.5 | 23,516 | 21,122,634 | 62,417,383,470 | 69.9 |
초과청약 | - | - | 18,979 | 3,861,409 | 11,410,463,595 | 0.8 | 18,979 | 3,861,409 | 11,410,463,595 | 12.8 |
실권주 일반공모 | - | - | 5,196 | 440,807,728 | 1,302,586,836,240 | 94.6 | 4,748 | 5,014,611 | 14,818,175,505 | 16.6 |
계 | 30,210,000 | 100 | 47,692 | 466,003,117 | 1,377,039,210,735 | 100 | 47,244 | 30,210,000 | 89,270,550,000 | 100 |
4. 일반투자자 배정방식별 배정현황
구분 | 배정수량(주) | 비중(%) | 균등방식 유형 |
---|---|---|---|
균등방식 | - | - | - |
비례방식 | 5,014,611 | 100.0 | - |
계 | 5,014,611 | 100.0 | - |
5. 기관투자자 의무보유확약기간별 배정현황
(단위 : 주, %) |
확약기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ㆍ 중개업자 |
연기금,운용사(고유)은행,보험 | 기타 | 거래 실적 유 |
거래 실적 무 |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수량 | 비중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미확약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Ⅲ. 유상증자 전후의 주요주주 지분변동
[유상증자 전후의 최대주주등의 지분변동] | |||
(기준일 : | 2025년 07월 16일 | ) | (단위 : 주,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본 건 증자 전 | 본 건 증자 후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OCI홀딩스 주식회사 | 본인 | 보통주 | 7,747,934 | 11.32 | 16,878,791 | 17.11 |
총 발행주식 수 | 68,454,671 | 100.00 | 98,664,671 | 100.00 |
주1) '본 건 증자 전' 주식수와 지분율은 신주배정기준일인 2025년 06월 02일 기준이며, '본 건 증자 후' 주식수와 지분율은 본 보고서 제출일인 2025년 07월 16일 기준입니다.
주2) 본 건 증자 전 보통주식수 : 68,454,671주
주3) 본 건 증자 후 보통주식수 : 98,664,671주
Ⅳ. 증권교부일 등
- 주권 상장 및 유통 예정일 : 2025년 07월 28일(월)
Ⅴ. 공시 이행상황
구 분 | 공고일자 | 공고방법 |
---|---|---|
신주 발행 및 배정기준일(주주확정일) 공고 |
2025년 03월 31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bukwang.co.kr) |
모집가액 확정의 공고 | 2025년 07월 04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bukwang.co.kr) |
실권주 일반공모 청약공고 | 2025년 07월 10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bukwang.co.kr) NH투자증권㈜ 홈페이지 (http://www.nhqv.com) |
실권주 일반공모 배정공고 | 2025년 07월 15일 |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bukwang.co.kr) NH투자증권㈜ 홈페이지 (http://www.nhqv.com) |
2. 증권신고서
가.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증권신고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5년 03월 28일 | 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초 제출 |
2025년 04월 11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자진 정정 |
2025년 04월 25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자진 정정 |
2025년 05월 08일 | [기재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2025년 1분기 분기보고서 제출 등에 따른 정정 |
2025년 05월 29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
2025년 07월 04일 | [발행조건확정]증권신고서(지분증권)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
3. 투자설명서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
서면문서 : | 부광약품(주) → 서울특별시 동작구 상도로7(대방동) |
NH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
[투자설명서 제출 및 정정 연혁] |
제출일자 | 문서명 | 비고 |
---|---|---|
2025년 05월 23일 | 투자설명서(지분증권) | 최초 제출 |
2025년 05월 29일 | [발행조건확정]투자설명서(지분증권) | 1차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
2025년 07월 04일 | [발행조건확정]투자설명서(지분증권) | 최종 발행가액 확정에 따른 정정 |
Ⅵ. 조달된 자금의 사용내역
1. 자금조달 내용
(단위 : 원, 주) |
구분 | 주식 구분 |
신고서상 발행예정총액 |
실제 조달금액 | 비고 | ||
---|---|---|---|---|---|---|
발행가액 | 수 량 | 발행총액 | ||||
모집 | 보통주 | 89,270,550,000 | 2,955 | 30,210,000 | 89,270,550,000 | - |
계 | 89,270,550,000 | 2,955 | 30,210,000 | 89,270,550,000 | - | |
매출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총 계 | 89,270,550,000 | 2,955 | 30,210,000 | 89,270,550,000 | - |
2. 자금의 사용목적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
84,500,000,000 | - | 4,770,550,000 | - | - | - | 89,270,550,000 |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할 예정인 약 구백억원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구체적으로 기존 제조설비 확장 및 설비 도입, 제조설비 신규 취득 등과 관련하여 84,500백만원을 사용할 예정이며 당사 제제개발 등 R&D 운영자금 목적으로 4,771백만원을 집행할 계획입니다.
[ 자금사용 우선순위] | |
(단위 : 백만원) |
우선순위 | 자금 용도 | 세부 내용 | 자금의 사용 시기 | 금액 | |
---|---|---|---|---|---|
1 | 시설자금 | 제조시설 확장 및 생산능력 증가 | 기존 생산능력 10억정에서 증축을 통해 15억정으로 생산능력 증대 | '25년 ~ '27년 | 34,000 |
최신 생산설비 도입 | 최신의 내용고형제 생산설비 도입 및 공정 효율성 극대화 |
'25년 ~ '27년 | 11,000 | ||
자동화 시스템 도입 | 스마트 팩토리 개념을 적용한 자동화 시스템 도입 |
'25년 ~ '28년 1Q | 4,500 | ||
제조설비 신규 취득 | 공장 인수 및 신규 제조설비, 영업권 등 무형자산 취득 | '25년 | 35,000 | ||
2 | 운영자금 | 신규제제 개발 및 기존제제 개선연구 | 시장 경쟁력이 있는 신제품, 신제형 개발 및 기존제제 개선 |
'25년 ~ '28년 1Q | 13,200 |
합성신약 연구 | 당사의 합성신약 연구연략 및 국내외 병원 등과의 협력을 통한 혁신신약 개발 |
'25년 ~ '28년 1Q | 4,330 | ||
개발과제 도입 | 외부 업체와의 공동개발, 제제기술이전 등 협력을 통해 제품 개발 | '25년 ~ '28년 1Q | 4,720 | ||
적응증 추가 임상연구 |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연구계획 수립 및 실행 |
'25년 ~ '28년 1Q | 4,193 | ||
연구개발 설비투자 | 자체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위해 연구 개발에 필요한 설비확충에 적극 투자 |
'25년 ~ '28년 1Q | 3,689 | ||
기타운영자금 | 인건비 및 기타 필수 운영비용 | '25년 ~ '28년 1Q | 15,625 | ||
3 | 타법인 취득자금 |
Contera Pharma 출자자금 | Contera Pharma의 CP-012 및 CP-102 연구개발자금 지원을 위한 지분투자 | '25년 ~ '28년 1Q | 90,723 |
출처 : 당사 제시 주1) 시설자금중 제조시설 확장이나 설비 도입의 경우 현 시점에서 규모가 어느정도 확정되었으나 제조설비 신규 취득이나 당사가 기재한 R&D 관련 운영자금은 향후 당사가 진행하는 임상 결과에 따라 변동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에 본 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금액을 상회하는 자금사용목적을 기재하였으며 본 증자를 통해 조달하는 자금을 우선순위에 따라 사용하고 부족분에 대해서는 다른 자금조달(예컨대 한도대 400억원 및 보유현금 100~300억원, 최대주주 대상 3자배정 400~600억원 등) 방안을 통해 조달할 계획입니다. |
당사는 이와 같은 내용을 이사회를 통해 충분히 논의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3월 28 일 예정된 이사회의 소집을 당사 정관에 따라 이사회 회의 3일전에 각 이사에게 통지하였으며 3월 26일 진행된 주주총회 이후 개최된 이사회에서 각 이사분들에게 관련사항을 설명드렸습니다. 이후 3월 28일 금요일 오전 9시 유상증자 결의를 위한 이사회를 개회하고 참석 이사 5인의 전원 만장일치로 유상증자 안건을 결의하였습니다.
※ 공모 규모 및 증자 필요성에 대한 검토
①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생산능력 확장 필요성
당사가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본업에서의 현금흐름 확장이 필수적입니다. 하지만 당사는 당사 내용고형제제 생산능력의 한계로 당사의 공급량이 시장 수요에 따라가지 못하기에 당사 매출액 성장에 있어서 근본적인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시설자금 집행을 통해 생산능력을 확충하여 고질적인 공급부족 문제를 빠른 시일 내에 해소하고자 합니다.
이러한 공급부족 문제는 하나의 영리기업으로서의 이해관계를 넘어서 국민건강 증진의 측면에서도 큰 문제입니다. 당사의 경우 당사가 1년간 생산하는 정제(tablet)에서 퇴장방지의약품이 약 6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가 겪고 있는 심각한 공급부족 문제로 인해 국민이 반드시 필요로 하는 국가필수의약품과 퇴장방지의약품의 공급에도 큰 차질이 발생하였고 이는 수 차례 언론,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약사회 등 기관에서 이슈가 된 바 있습니다. 당사는 국민건강증진 차원에서도 자금조달을 통한 생산능력 확보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당사의 공급 문제는 최근에 당면한 이슈가 아닌 최근 3개년간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온 이슈 입니다. 이러한 생산설비 확충의 필요성은 이미 수년 전부터 인식하고 있었으나, 2022년과 2023년 연속된 적자와 운영자금 부족, 그리고 800억 원 규모의 차입 등 재무적 제약으로 인해 당장의 운영효율성 개선에 집중이 필요하여 즉각적인 설비 투자나 유상증자 추진은 어려운 상황이었습니다. 특히 2023년에는 영업적자 발생으로 인해 영업현금흐름이 마이너스로 전환되었고 약 800억 원 규모의 신규 차입이 이루어지면서 재무활동현금흐름으로 763억 원이 유입되었지만 2024년 자회사 Contera Pharma 투자자의 풋옵션 행사로 인해 677억 원이 유출되었습니다. 또한 2023~2024년에는 당사가 진행한 JM-010 임상으로 인해 임상개발에 따른 현금 유출이 증가하여 생산설비 확장을 위한 자금 확보가 여의치 않게 되었습니다. 다만 25년 하반기부터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가 예정되어 있어 생산설비 부족에 따른 성장 여력 한계가 더욱 시급한 이슈로 부각됨에 따라 더 이상 생산설비 확충 이슈를 미룰 수 없다고 판단하였고 이와 맞물려 2024년 흑자 전환을 계기로 경영이 안정화됨에 따라, 생산 역량 강화와 기업가치 제고를 위하여 유상증자를 결정하였습니다.
당사는 생산능력 확보를 통해 공급부족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면 매출성장의 근본적인 한계요인이 제거되어 매출액 및 수익성 개선으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로 인해 증가되는 현금흐름을 R&D 및 신규제제 개발 등 성장성이 높은 분야에 투자하여 기업의 유기적 성장을 가속화할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구축할 계획입니다. 궁극적으로 이는 당사의 기업가치 제고 및 배당여력 확대 등 주주환원으로 이어질 것으로 당사는 기대하고 있습니다.
② 자금조달의 필요성
당사는 현재 약 1,200억원 자체 현금을 보유중이나 이를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자금사용목적 재원으로 활용할 경우 보유 현금은 약 200억원으로 축소됩니다. 이 경우 통제불가능한 외부 변수, 예컨데 (1) 금융권의 차입금 만기 상환 요청(현재 당사는 26년 만기 도래하는 차입금 800억원 보유 중), (2) 건강심사평가원 등 규제기관의 규제 강화로 인한 영업현금흐름 축소, (3) 예상치 못한 연구개발비 증가 등이 발생 시 유동성 부족이 발생하여, 이에 대응하기 위한 추가 조달이 필요하게 됩니다. 또한 당사가 영위하는 의약산업 및 연구개발은 미래 불확실성이 존재하기에 운영자금 목적으로 일정 수준의 현금 보유량을 유지하는 것은 제약회사의 필수적인 경영 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가 본 증권신고서 자금사용목적에 기재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외부 조달이 수반되어야 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③ 채무증권 및 금융권 조달의 한계
한편, 당사의 경우 업종 특성에 따른 영업현금흐름의 변동성(의약산업 고유 위험, 임상비용 증가 등)으로 인해 일반 제조업에 비해 신용등급이 낮게 평가되어 회사채 등 채무증권을 통한 자금 조달이 용이하지 않은 상황입니다. 또한 2023년 약 800억 규모 신규 차입을 실행할 당시 당사 보유 유형자산을 담보로 제공한 바 있기에 금융권 차입을 위한 추가 담보 제공 여력이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추가적인 차입 시 차입이 원할하지 않을 뿐더러, 차입이 가능하더라도 조달비용 상승으로 인해 당사의 재무부담은 가중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 경우 당사가 생산능력 확장을 통해 추가로 확보된 영업현금흐름을 재원으로 R&D 등 성장성 높은 분야에 투자하고자 하는 성장전략은 추진력을 잃게 될 우려가 존재합니다.
④ 유상증자의 필요성
결론적으로 당사는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 방향으로 판단하게 되었습니다.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모집할 자금의 1순위 사용처는 시설자금이며 주로 생산능력 확대 및 제조설비 신규 취득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당사가 시설자금으로 사용할 것으로 예상되는 규모는 약 845억원 수준입니다.
본 증자를 진행하게된 배경과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자금사용목적 내역은 아래 기재된 내용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시설자금 상세 내역
[1순위: 제조시설 확장 및 생산능력 증대]
현재 당사의 내용고형제 생산시설은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추가 설비 도입이 어려운 상황이며, 이로 인해 생산량 증가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 완제품 창고를 철거한 후 해당 부지에 제조동을 수평으로 증축하여, 부족한 생산 공간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번 증축을 통해 기존 제조시설의 활용도를 극대화하고, 연간 생산능력을 현재의 10억 정에서 15억 정 이상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를 통해 증가하는 수요에 대응할 뿐만 아니라, 향후 신제품 개발 시 생산능력 부족으로 인한 기회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 산출근거)
(1) 생산능력(단위 : 백만원)
사업 부문 |
품 목 | 사업소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의약품 및 의약외품 | 나정 | 안산공장 | 6,461 | 21,535 | 25,905 | 31,205 |
당의정 | 314 | 1,253 | 1,177 | 960 | ||
필름코팅정 | 20,345 | 59,699 | 72,208 | 96,796 | ||
캡슐제 | 6,440 | 18,515 | 27,415 | 35,295 | ||
과립제 | 1,002 | 3,898 | 4,184 | 5,240 | ||
주사제 | 340 | 11,525 | 11,887 | 15,920 | ||
내용액제 | 376 | 1,641 | 3,451 | 2,608 | ||
외용액제 | 873 | 3,720 | 5,487 | 6,826 | ||
연고제 | 621 | 3,969 | 2,506 | 5,837 | ||
기타제형 | 104 | 75 | 914 | 885 | ||
의약외품 | 1,273 | 5,106 | 14,493 | 12,045 | ||
합 계 | 38,149 | 130,936 | 169,627 | 213,617 |
출처 : 당사 제시 1) 산출기준 : 출하가 * 생산량 2) 산출방법 : 평균가동시간 가정 시 생산능력 3) 평균가동시간 |
사업부문 | 사업소 |
1일평균 가동시간 |
월평균 가동일수 |
25년 1분기 가동일수 |
25년 분기 가동시간 |
---|---|---|---|---|---|
의약품 및 의약외품 |
안산공장 | 8.0 | 19 | 58 | 464 |
사업부문 |
사업소 |
1일평균 가동시간 |
월평균 가동일수 |
24년 가동일수 |
24년 가동시간 |
---|---|---|---|---|---|
의약품 및 의약외품 |
안산공장 | 8.0 | 20 | 245 | 1,960 |
출처 : 당사 제시 |
(2) 생산실적(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2025년 1분기 |
2024년 | 2023년 | 2022년 |
---|---|---|---|---|---|---|
의약품 및 의약외품 |
나정 |
안산공장 |
8,012 | 26,704 | 25,646 | 30,893 |
당의정 | 389 | 1,554 | 1,165 | 950 | ||
필름코팅정 | 25,228 | 74,027 | 71,486 | 95,828 | ||
캡슐제 | 7,986 | 22,959 | 27,141 | 34,942 | ||
과립제 | 1,243 | 4,833 | 4,142 | 5,188 | ||
주사제 | 421 | 14,291 | 11,768 | 15,761 | ||
내용액제 | 466 | 2,035 | 3,416 | 2,582 | ||
외용액제 | 1,083 | 4,613 | 5,432 | 6,758 | ||
연고제 | 770 | 4,922 | 2,481 | 5,779 | ||
기타제형 | 129 | 93 | 905 | 876 | ||
의약외품 | 1,579 | 6,331 | 14,348 | 11,925 | ||
합 계 | 47,306 | 162,362 | 167,930 | 211,482 |
출처 : 당사 제시 1) 산출기준 : 출하가 * 실제 생산량 |
(3) 2025년 1분기 및 2024년 가동률(단위 : 시간)
사업부문 | 사업소 | 2025년 1분기 가동가능시간 |
2025년 1분기 실제가동시간 |
2025년 1분기 평균가동률 |
---|---|---|---|---|
의약품 및 의약외품 | 안산공장 | 464 | 576 | 124% |
사업부문 | 사업소 | 2024년 가동가능시간 |
2024년 실제가동시간 |
2024년 평균가동률 |
---|---|---|---|---|
의약품 및 의약외품 | 안산공장 | 1,960 | 2,426 | 124% |
출처 : 당사 제시 ※ 가동가능시간 : 당분기 근무일수 X 8시간 ※ 실제가동시간 : 초과근무를 포함한 분기 실제가동시간 |
이번 증축 과정에서 5층 규모의 제조동을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사전 검토 결과 층수 및 최고높이 제한에 대한 별다른 규제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따라서, 계획대로 증축이 진행될 경우 기존 대비 약 50% 이상의 생산능력 증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수평증축 후 조감도] |
![]() |
수평증축 후 예상 조감도 |
자료: 당사 제공 |
(4) 건축비 내역
1) 세부 내용 : 공사기간 약 3년(단위 : 백만원)
건축면적(평) | 시공비(평당) | 합계 공사비 | 설계, 감리 외 | 합계금액 |
---|---|---|---|---|
2,880 | 11.5 | 33,000 | 1,000 | 34,000 |
구분 | 내용 | 사용예정기간 |
총 투자 예정금액 |
금번 유상증자 사용 금액 |
---|---|---|---|---|
건축 | 설계 | 25년4월~26년3월 | 600 | 600 |
공사계약금 (30%) | 26년4월~26년6월 | 10,000 | 10,000 | |
공사 기성 (40%) | 26년7월~26년9월 | 2,600 | 2,600 | |
26년10월~26년12월 | 2,600 | 2,600 | ||
27년1월~27년3월 | 2,600 | 2,600 | ||
27년4월~27년6월 | 2,600 | 2,600 | ||
27년7월~27년9월 | 2,600 | 2,600 | ||
공사 잔금 (30%) | 27년10월~27년12월 | 10,400 | 10,400 | |
합계 | 34,000 | 34,000 |
자료: 당사 제공 |
2) 건축내용
구분 | 수평 증축 | 기존 제조동 | 합산 | 공장 합산 | 비고 |
---|---|---|---|---|---|
건축면적(㎟) | 1,900 | 5,638 | 11,067 | ||
연면적(㎟) | 9,500 | 13,674 | 23,174 | 36,612 | |
건폐율(%) | - | - | - | 54% | 법률기준 70% 이하 |
연면적(%) | - | - | - | 171% | 법률기준 300% 이하 |
자료: 당사 제공 |
[2순위: 최신 생산설비 도입]
증축된 제조동에는 최신의 내용고형제 생산설비를 도입하여 생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품질 관리 수준을 향상시킬 계획입니다. 최신 생산설비를 도입함으로써 기존 대비 생산 속도를 향상시키고,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품질 이슈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할 예정입니다. 또한, 고속 생산이 가능하면서도 균일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정제 타정기 및 코팅 설비 등을 적용하여 생산 안정성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도입되는 최신 설비는 국제적인 의약품 제조 기준(GMP)을 준수하며, 이를 통해 제품의 품질 균일성 확보 및 생산 공정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최신 생산설비 도입을 통해 공정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생산 원가 절감과 더불어 높은 품질의 제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금번 유상증자 자금 중 안산공장 생산투자 현황](단위: 라인, 대, 개, 백만원)
시설명 | 내용 | 수량 | 사용예정월 | 총 투자 예정금액 |
금번 유상증자 사용 금액 |
---|---|---|---|---|---|
(1)생산설비 | 칭량설비 | 2 | 27년 11월 | 300 | 300 |
연합기 | 4 | 28년1월 | 800 | 800 | |
건조기 | 6 | 28년 1월 | 720 | 720 | |
혼합기 | 2 | 28년 1월 | 300 | 300 | |
타정기 | 4 | 28년 2월 | 2,400 | 2,400 | |
코팅기 | 3 | 28년 2월 | 1,350 | 1,350 | |
선별기 | 3 | 28년 3월 | 1,200 | 1,200 | |
병포장라인 | 3 | 28년3월 | 3,600 | 3,600 | |
소계 | 10,670 | 10,670 | |||
(2)시험설비 | 기타(저울 외) | 1 | 27년 10월 | 330 | 330 |
합계 | 11,000 | 11,000 |
자료: 당사 제공 |
[3순위: 자동화 시스템 도입]
당사는 제조 공정의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품질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스마트 팩토리 개념을 적용한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제조 공정의 자동화율을 높이고,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생산성 향상과 품질 관리 강화를 동시에 실현하고자 합니다. 최신 자동화 기술을 적용하여 생산 공정을 표준화하고, 인적 개입을 최소화함으로써 공정의 일관성과 안정성을 극대화할 예정입니다. 특히, 자동 계량 및 혼합 시스템, 자동 정제 이송 및 포장 시스템을 도입하여 공정 효율성을 개선하고자 합니다. 생산 공정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할 수 있는 MES(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시스템을 도입하여 설비 가동률을 최적화하고, 문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사전에 방지하고, 보다 체계적인 품질 관리를 실현할 것입니다. 자동화 시스템을 도입함으로써 제조 공정의 변수를 최소화하고, 일관된 품질을 유지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것입니다. 이를 통해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극대화하여 원가 절감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습니다.
[금번 유상증자 자금 중 안산공장 자동화시스템 투자 현황](단위: 백만원)
구분 | 대상 | 사용예정월 |
총 투자 예정 금액 |
금번 유상증자 사용예정금액 |
---|---|---|---|---|
STEP.1 데이터기반 생산관리기반구축 |
공정 주요 설비 및 인자 (설비관리기능도입) |
2026년 1월 | 1,500 | 1,500 |
STEP.2 시스템기반 생산성 향상 |
전 제형/공정/설비 확대 전개(생산 관리 기능 도입) |
2028년 12월 | 3,000 | 3,000 |
합계 | 4,500 | 4,500 |
자료: 당사 제공 |
[4순위: 제조설비 신규 취득]
당사가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 예정인 자금 35,000백만원은 제조설비와 영업권 취득에 사용할 계획입니다. 이를 통해 당사의 부족한 생산능력을 보완하고 당사가 미래 전략품목군으로 설정한 다수의 품목을 확보하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부가적으로,향상되는 생산능력과 확보되는 제품을 바탕으로 CDMO사업 진출, 수출 활성화 등의사업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가 취득 대상으로 설정한 제조설비는 완제 의약품 제조시설(내용고형제)을 보유하고 국내 시장이 큰 순환기, 당뇨, 호흡기, 정신과, 소화기 영역에서 다수 품목의 제조 허가권을 보유하면서 적정한 거래 가격 범위인 제조설비(영업권 포함)입니다. 이 외에 부가적으로 CDMO 사업을 영위하고 있거나 수출사업을 보유한 매물(제조설비 및 영업권)이 있다면 당사와의 시너지 효과를 위해 우선적으로 확보하고자 합니다.
[자금사용 세부내역](단위 : 백만원)
구분 | 목적 | 자금사용 시기 | 사용내역 | 금액 |
---|---|---|---|---|
시설자금 | 제조설비 신규 취득 | 25년4월~25년12월 | 공장 인수 및 신규 제조설비, 영업권 등 무형자산 취득 | 35,000 |
총 계 | 35,000 |
자료: 당사 제공 |
(2) 운영자금 상세 내역
당사는 금번 유상증자를 통하여 모집되는 납입자금 15,495백만원을 당사의 Organic R&D, 즉 부광약품 자체의 연구개발 활동에 사용할 계획이며 자금 사용목적 별로 분류하면 신규제제 개발 및 기존제제의 개선연구, 합성신약연구, 외부 개발과제의 도입, 임상개발 및 연구개발을 위한 설비투자입니다. 본 증자를 통해 조달되는 자금을 아래 우선순위에 따라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입니다.
[R&D 연구개발자금 사용계획](단위: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1) 신규제제 개발 및 기존제제 개선연구 |
365 | 784 | 789 | 1,419 | 1,047 | 820 | 2,038 | 1,334 | 1,231 | 1,324 | 992 | 1,057 | 13,200 |
(2) 합성신약연구 |
199 | 383 | 382 | 267 | 517 | 567 | 317 | 187 | 187 | 1,037 | 187 | 100 | 4,330 |
(3) 개발과제 도입 |
1,210 | 100 | 925 | 100 | - | 320 | 450 | 645 | 590 | 230 | 80 | 70 | 4,720 |
(4) 적응증추가 임상연구 |
5 | 10 | 65 | 463 | 462 | 463 | 462 | 450 | 450 | 450 | 450 | 463 | 4,193 |
(5) 연구개발 설비투자 |
823 | 123 | 186 | 340 | 360 | 111 | 406 | 500 | 389 | 75 | 196 | 180 | 3,689 |
합계 | 2,602 | 1,400 | 2,347 | 2,589 | 2,386 | 2,281 | 3,673 | 3,116 | 2,847 | 3,116 | 1,905 | 1,870 | 30,132 |
[1순위: 신규제제 개발 및 기존제제 개선연구]
당사는 당사 제조처에 대한 시설투자와 제조설비 신규 취득을 통해 확충되는 생산역량을 활용하여 다양한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하고자 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해 신제품을 확보하고자 적극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당사 연구소의 약물전달시스템 연구역량을 활용해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증대시키거나 부작용감소 또는 약효증대를 꾀할 수 있는 제어방출제제, 서방제제, 다층정, 장용정 및 장기지속형주사제 등 시장 경쟁력이 있는 새로운 제형개발에 대한 연구를 진행중입니다. 당사는 당사에서 이미 시판중인 약물에 대해서도 생산성과 수익성 향상 및 우수한 품질관리 유지 등을 목적으로 제제 개선, 제조공정 변경, 품질개선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신제품 개발 및 기존제제 개선연구 목적으로 2025년 2분기부터 3년간 총 13,20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 신규제제 개발 및 기존제제 개선연구 세부 사용계획]단위: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1) 신규제제 개발 |
178 | 631 | 683 | 756 | 747 | 820 | 1,239 | 1,103 | 1,206 | 1,094 | 740 | 1,057 | 10,254 |
(2) 제제개선 연구 | 187 | 153 | 106 | 663 | 300 | - | 799 | 231 | 25 | 230 | 252 | - | 2,946 |
합계 | 365 | 784 | 789 | 1,419 | 1,047 | 820 | 2,038 | 1,334 | 1,231 | 1,324 | 992 | 1,057 | 13,200 |
자료: 당사 제공 (1) 장기지속형 주사제, 복용편의성 개선 서방제제 등의 개량신약 및 제네릭 개발을 위한 연구 (2) 제제개선, 제조 공정변경, 품질개선 등을 위한 제제연구 |
[2순위: 합성신약 연구]
당사는 당사 연구소 합성신약팀의 신약 약물디자인, 약물합성, 공정개선, 약효평가 및 ADME 연구역량과 국내외 병원, 대학 및 협력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혁신신약을 개발 중입니다. 당사는 합성신약연구 목적으로 2025년 2분기부터 3년간 총 4,33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1) BUK-001 | 199 | 196 | 195 | 80 | 330 | 330 | 130 | - | - | 800 | - | - | 2,260 |
(2) BUK-003 | - | 187 | 187 | 187 | 187 | 237 | 187 | 187 | 187 | 237 | 187 | 100 | 2,070 |
합계 | 199 | 383 | 382 | 267 | 517 | 567 | 317 | 187 | 187 | 1,037 | 187 | 100 | 4,330 |
자료: 당사 제공 (1) BUK-001 : USP30을 저해하여 미토파지를 활성화함으로써 뇌신경세포를 보호하는 기전의 파킨슨질환 치료제 (2) BUK-003 : 항암제 |
[3순위: 개발과제 도입]
당사는 당사가 판매할 수 있는 제품을 빠르게 확보하기 위해 당사 고유의 연구개발 활동 이외에도 외부 업체와의 공동개발, 제제기술 이전 등 협력을 통해서도 제품을 개발 중입니다. 당사는 외부의 개발과제 도입이나 공동개발 참여 등의 목적으로 2025년 2분기부터 3년간 총 4,720백만원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 개발과제 도입 세부 사용계획](단위: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1) 개발과제 도입 |
1,210 | 100 | 925 | 100 | - | 320 | 450 | 645 | 590 | 230 | 80 | 70 | 4,720 |
합계 | 1,210 | 100 | 925 | 100 | - | 320 | 450 | 645 | 590 | 230 | 80 | 70 | 4,720 |
자료: 당사 제공 (1) 대상제품 : 파킨슨병 제제, 소화기제제, 고지혈증 개량신약, 고지혈증 복합제 등 |
[4순위: 적응증 추가 임상연구]
당사는 당사가 기존에 발매한 제품의 매출과 Life Cycle을 연장하기 위해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연구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본 임상연구 추진시 약 5년간 80억원 이상의 자금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며 당사는 유상증자를 통해 확보되는 납입자금에서 총 4,193백만원을 2025년 2분기부터 3년간 본 적응증 추가 임상연구를 위해 사용할 계획입니다.
[당사 임상개발과제 세부 사용계획](단위: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① 적응증 추가를 위한 임상연구 | 5 | 10 | 65 | 463 | 462 | 463 | 462 | 450 | 450 | 450 | 450 | 463 | 4,193 |
합계 | 5 | 10 | 65 | 463 | 462 | 463 | 462 | 450 | 450 | 450 | 450 | 463 | 4,193 |
자료: 당사 제공 (1) 대상제품 : CNS영역 질환 치료제 |
[5순위: 연구개발 설비투자]
당사는 당사 자체 연구개발 기능 강화를 위해 연구개발에 필요한 설비와 인력 확충에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목적으로 하는 신규제제 개발, 합성신약연구 등을 적시에 수행하기 위해서는 당사 연구소의 설비에 대해서 지속적인 확충과 보완 및 유지보수가 필요합니다. 당사는 2025년 2분기부터 3년간 총 3,689백만원을 제제연구설비, 분석연구설비 및 합성신약연구설비를 확충하거나 보완 및 유지보수하는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합니다.
[당사 제제, 분석 및 합성신약연구 장비구입 세부 사용계획](단위: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① 제제/분석연구 설비 | 123 | 123 | 106 | 300 | 360 | 75 | 406 | 200 | 353 | 75 | 196 | 180 | 2,497 |
② 합성신약연구 설비 | 700 | 80 | 40 | 36 | 300 | 36 | 1,192 | ||||||
합계 | 823 | 123 | 186 | 340 | 360 | 111 | 406 | 500 | 389 | 75 | 196 | 180 | 3,689 |
자료: 당사 제공 (1) 제제/분석연구 설비 : 유동층과립기, 3층정타정기, 롤러컴팩터, 캡슐충전기, LC-MS/MS (불순물 분석용), HPLC, 용출기, UPLC 등 (2) 합성신약연구 설비 : LC-MS/MS (혈중흡수/ADME 측정용), MPLC 등 |
[6순위: 기타 운영자금]
[필수운영자금 사용 계획](단위 :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① 인건비 | 1,002 | 1,002 | 1,052 | 1,158 | 1,158 | 1,181 | 1,181 | 1,250 | 1,250 | 1,250 | 1,250 | 1,250 | 13,984 |
②PV/PMS/RMP 비용 | 40 | 41 | 33 | 93 | 62 | 23 | 31 | 107 | 43 | 43 | 34 | 108 | 658 |
관리비 및 기타 운영자금 | 114 | 123 | 93 | 70 | 53 | 98 | 62 | 72 | 53 | 103 | 68 | 77 | 984 |
합계 | 1,157 | 1,165 | 1,178 | 1,321 | 1,273 | 1,302 | 1,274 | 1,429 | 1,346 | 1,396 | 1,352 | 1,435 | 15,625 |
자료: 당사 제공 (1) 당사보유 총 54명의 전문 연구개발 인력을 2028년 초 68명까지 점진적으로 증가계획 (2) 관련 법령과 규정에 따라 의약품은 발매 이후에도 지속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에대한 관리가 필요. 현재 판매중인 약물과 앞으로 발매될 수종의 제품에 대해서 PV (Pharmacovigilance, 약물감시), PMS (Post-marketing Surveillance, 시판후조사), RMP (Risk Management Plan, 위해성관리계획) 활동 수행 예정 |
(3)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상세내역
금번 유상증자를 통해 유입되는 자금을 시설자금 및 운영자금에 우선 집행 한 이후에도 잔여 조달액이 발생하고, 당사 자회사인 Conetra Pharma의 임상결과와 자금조달계획이 예상치 못한 변수로 인해 변경되어 당사의 자금지원이 불가피하게 필요하게 될 경우, 당사의 Contera Pharma 임상지원 목적으로 출자를 단행할 수 있습니다. Contera Pharma는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신경질환 치료제 개발사로 파킨슨병 환자의 아침무동증을 적응증으로 하는 CP-012에 대해 영국에서 임상 1b상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Contera Pharma는 2021년부터 자체 RNA 치료제 플랫폼 구축을 시작하였으며, 희귀 신경질환을 적응증으로 내부에서 5건 이상의 신규 후보물질을, 영국 Vernalis 社와의 협력을 통해 1건의 후보물질을 개발하였습니다. 이 중 1건은 IND enabling study 단계에 도달했으며, 개발에 상당한 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Contera Pharma는 RNA 치료제들의 임상시험 진입을 목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타법인증권 취득자금-Contera Pharma 출자자금 사용계획](단위 : 백만원)
구분 | 2025 | 2026 | 2027 | 2028 | 합계 |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2분기 |
3분기 |
4분기 |
1분기 |
||
(1) CP-012 연구개발비 |
525 | 750 | 750 | 5,625 | 5,625 | 5,625 | 5,625 | 5,625 | 5,625 | 5,625 | 5,625 | - | 47,025 |
(2) CP-102 연구개발비 | 420 | 315 | 1,001 | 1,001 | 1,001 | 1,001 | 1,001 | 1,001 | 2,670 | 2,670 | 2,670 | 2,670 | 17,418 |
(3) 인건비, 관리비용 등 |
1,950 | 1,500 | 1,500 | 2,370 | 2,370 | 2,370 | 2,370 | 2,370 | 2,370 | 2,370 | 2,370 | 2,370 | 26,280 |
합계 | 2,895 | 2,565 | 3,251 | 8,996 | 8,996 | 8,996 | 8,996 | 8,996 | 10,66 | 10,66 | 10,66 | 5,040 | 90,723 |
자료: 당사 제공 |
① CP-012 (아침 무동증 치료제)
CP-012는 파킨슨병 환자들의 야간 운동불능과 이른 아침 OFF (약효소실) 증상을 해결하기 위해 특별히 설계된 레보도파와 카르비도파의 독점적 지연방출 제형입니다. 이 제형은 약물이 지연 방출(4-6시간)되며, 맥박성 방출 프로파일을 통해 약효가 점진적으로 발현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이러한 특징은 파킨슨병 환자들이 경험하는 특정 시간대의 증상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Contera Pharma는 개발 초기 단계인 2015년에는 EUROSTAR 보조금 하에 미니정 제형을 개발하였고, 2017년에는 해당 제형의 프로토타입을 완성하고 특허 1건을 출원했습니다. 이후 2022년부터 BDD와 협력하여 CP-012를 개발하였으며, 2023년에는 건강한 자원자를 대상으로 BDD 제형을 이용한 1상 시험을 시작했습니다. 2024년에는 임상 1a 시험을 완료하고, 현재 임상 1b상이 진행중이며 2025년 2분기 결과 확인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임상 1b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임상 2/3상으로의 진행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5년 2분기부터 3년간 47,025 백만원의 개발 비용을 사용할 계획입니다.
② CP-102 (카나반병 치료제)
CP-102는 희귀 신경계질환인 카나반병 치료를 위해 설계된 새로운 ASO (Anti-Sense Oligonucleotide) 제제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Contera의 파이프라인 확장의 일환으로 2021년에 시작되었습니다. Contera Pharma는 2021년 3분기부터 CP-102의 개발을 진행했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2023년 3분기에는 비인간 영장류(NHP)를 대상으로 한 기전 증명(Proof of Mechanism, POM)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습니다. 2024년에는 NHP를 대상으로 한 용량 범위 탐색(Drug Range Finding, DRF) 실험을 시작하여 2025년 비임상 후보물질을 도출하였습니다. CP-102의 주요 장점으로는 ASO가 카나반병과 같은 단일 유전자 질환을 치료하는 데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입증되었다는 점, 임상 개선과의 상관관계는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하지만 좋은 바이오마커인 뇌척수액(CSF) 내 NAA(N-acetylaspartate) 수치가 존재한다는 점, 그리고 CP-102는 연 3~4회 정도의 주사로 치료가 가능하여 환자에게 부담을 덜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타법인증권 취득에 사용될 자금은 3순위로 우선순위가 낮으며 1순위 및 2순위로 조달할 규모가 본 증자규모를 초과함에 따라 당사가 금번 자금조달을 타법인증권 취득으로 활용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예상치 못한 1순위, 2순위 자금사용처 변동으로 인해 타법인증권 취득으로 자금이 사용되게 될 경우 이는 자회사의 CP-012 임상목적 연구개발비로 집행될 예정입니다. 이 경우 당사가 진행한 연구개발 전략이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고 신약 개발에 실패하거나 지연될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유사한 사례로 당사가 과거 임상 진행한 파이프라인 중 JM-010은 2024년 5월 위약군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오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임상이 종료된 바 있습니다.
Ⅶ. 신주인수권증서 발행내역
신주인수권증서 발행내역
(단위 : 주) |
청구일 | 발행시기 | 청구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 | 2025년 06월 02일 | 국민은행 | 명의개서대행기관 | 24,135,781 |
계 | 24,135,781 |
신주인수권증서에 의한 청약내역
(단위 : 주) |
청약일 | 청약자 | 발행회사와의 관계 | 주식수 |
---|---|---|---|
2025년 07월 09일 | 한국예탁결제원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 | 21,122,634 |
2025년 07월 09일 | 한국예탁결제원 (초과청약) |
- | 3,861,409 |
2025년 07월 09일 | 직접청약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
- | - |
2025년 07월 09일 | 직접청약 (초과청약) |
- | - |
계 | 24,984,043 |
주) 상기 청약일은 구주주청약일의 종료일임(구주주 청약일 : 2025년 07월 08일 ~ 2025년 07월 09일)
Ⅷ. 실권주 처리내역
1.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및 단수주
(단위 : 주) |
신주인수권증서 배정 단수주 | 우리사주 배정 실권주 | 신주인수권증서 청약 실권주 | 실권주 및 단수주 총계 |
---|---|---|---|
32,219 | 5,830,654 | 3,013,147 | 8,876,020 |
주) 신주인수권증서 배정 단수주 : 발행예정주식수 30,210,000주에서 우리사주조합 우선 배정 6,042,000주를 차감한 후, 발행된 신주인수권증서 24,135,781주를 차감한 단수주 |
2. 실권주 및 단수주 처리 내역: 초과청약 배정 후 일반공모 청약 진행
(단위 : 주) |
실권주 및 단수주 | 초과청약 주식수 | 초과청약 배정비율 | 비고 |
---|---|---|---|
8,876,020 | 3,861,409 | 100% | 초과청약 배정 후 실권주 5,014,611주는 일반공모 청약 진행 |
3. 초과청약 배정 후 단수주 처리 내역(단수주 일반공모)
(단위: 주) |
일반공모 주식수 | 일반공모 청약주식수 | 일반공모 청약 경쟁률 |
---|---|---|
5,014,611 | 440,807,728 | 87.90 :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