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2025년 03월 21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5년 03월 14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주주총회 소집공고
2. 장소
단순 오기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13(안양동), 안양과천상공회의소 5층 대회의실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33(안양동), 안양과천상공회의소 5층 대회의실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03월  14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휴센텍
대 표 이 사 : 이 병 경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268, 410호

(전   화) 070-7826-0518

(홈페이지)http://hucentech.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 표 이 사 (성  명) 이 병 경

(전  화) 070-7826-051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2조 및 회사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제10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님들께

금융감독원 전자문서(http://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http://www.hucentech.com) 전자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5년 03월 31일(월)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안양로 133(안양동), 안양과천상공회의소 5층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① 영업보고

② 감사보고

③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④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안건

○    제1호 의안 : 제10기(2024.01.01 ~ 2024.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1조 상호

-     제4조 공고방법

-     제6조 1주의 금액

-     부칙

○    제3호 의안 : 주식병합 승인의 건

○    제4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     제4-1호 의안 : 사내이사 손재열 선임의 건

○    제5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의 건

○    제6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 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03월 21일 09시 ~ 2025년 0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다. 본인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참석자 지참물 안내

- 직접행사 : 신분증 지참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서명 또는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의 신분증사본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최종원
(출석률: 33%)
권재현
(출석률: 33%)
이지현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01회차 24.02.07 1호 안건 : 2023년(제9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02회차 24.03.14 1호 보고 : 2023년(제9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1호 안건 :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
2호 안건 : 전자투표 시행의 건 - -
03회차 24.03.25 1호 안건 : 이사회규정 개정의 건 - -
2호 안건 : 감사규정 개정의 건 - -
3호 안건 : 투자심의위원회운영규정 개정의 건 - -
4-1호 안건 :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 -
4-2호 안건 : 제3자배정 유상증자의 건 - -
04회차 24.06.17 1호 안건 : 상환전환우선주(RCPS) 전환가액 조정의 건

찬성
05회차 24.09.02 1호 안건 : 리튬플러스 3회차 신주인수권부사채 행사 여부 결정의 건 찬성
06회차 24.11.07 1호 안건 : 제3자배정 유상증자 납입일 변경의 건 찬성
07회차 24.12.13 1호 안건 : 정기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2,000,000 24,000 24,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제3자배정유상증자 (주)큰솔
(최대주주)
납입일 : 2024년 04월 02일 25 15.38

(*) 상기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말(2022년) 매출총액 대비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개요
(1) 산업의 특성
① 방위산업의 정의
방위산업은 국가 방위를 위하여 군사적으로 소요되는 물자의 생산과 개발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넓은 뜻으로는 무기, 탄약 등 직접적인 전투 기구 뿐만 아니라 피복, 군량 등 비전투용 일반 방산물자까지도 포함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국방력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총포, 탄약, 함정, 항공기, 전자기기, 미사일 등 무기장비의 생산과 개발을 담당하는 산업의 총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군수산업(軍需産業)으로 해석되었으나 전쟁 개념이 방위전 개념으로 발전하면서 방위산업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② 방위산업의 특징
방위산업은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전략산업이면서도 안보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국방의 중추적 산업입니다. 최근 들어 대부분의 무기들이 첨단화, 시스템화 되면서산업간의 융복합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위한 투자규모 역시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첨단기술이 결집되고 대규모 자본이 투하되며, 고도의 지식집약적 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수요자가 정부이기 때문에 그 어느 산업분야보다도 정부 투자와 정책에 의해 산업발전의 속도와 경쟁력이 결정되는 대표적인 정부주도형 산업입니다.

③ 구성 요소
국내 무기체계와 관련된 직접적 구성 요소는 방산업체, 국방과학연구소, 방위사업청,각 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아래 그림과 같이 군이 소요 요청한 무기체계를 획득하는데 있어 유기적인 관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산업체의 역할은 방위사업청과의 계약을 통하여 무기체계를 생산/납품하는 역할 및 연구개발의 주관업체로서 무기체계를 개발하거나,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연구개발시 시제품 제작업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방위사업청은 각 군에서 요구하는 무기체계 조달을 위해 연구개발과 양산에 대한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방과학연구소는 각군에서 소요되는 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④ 방산물자/방산업체

방위산업에 소요되는 물자는 타 분야의 물자에 비해 성능의 고도화가 특히 중요하여,광범위한 분야의 기술개발을 요하게 되어 지상, 지하, 항공우주, 수중, 온도, 습도, 충격 등 복잡한 환경하에서도 파손, 변질되지 않고 규격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신뢰도, 가용도 및 정비상태 또한 매우 높은 수준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방산물자들을 정부에서는 군 전용품의 품질보증 및 안정적인 조달원 확보를 위하여 방산물자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총포, 화력, 유도무기, 항공기, 함정, 전차/장갑차, 탄약, 통신 및 전자장비 등의 물자를 주요 방산물자로 그 외의 방산물자를 일반 방산물자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방산물자 지정 현황]                                                                                  

구분 완제품 부품
유도 46 508 554
탄약 117 111 228
항공 23 201 224
화력 51 123 174
함정 49 111 160
통신전자 86 69 155
기동 44 87 131
화생방 20 13 33
광학 및 기타 52 21 73
488 1244 1732

자료 : 한국방위산업진흥회(2024년 11월 19일 기준)

열거된 주요 방산물자는 대부분 복합, 정밀기술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그 방산물자를 생산하는 업체를 방산업체라고 정의합니다. 방산업체는 주요 방산물자 및 방위사업청장 지정물자를 생산하는 주요 방산업체와 그 외의 품목을 생산하는 일반 방산업체로 구분됩니다.


분야 주요방산업체 일반방산업체
화력(8) 두원중공업,SG솔루션,현대위아,SNT모티브,다산기공 ,SNT다이내믹스,씨앤지(7) 진영정기(1)
탄약(9) 삼양화학공업,삼양정밀화학,세아항공방산소재,풍산,풍산FNS,한일단조공업,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7) 고려화공,동양정공 (2)
기동(14) 기아,HD현대인프라코어,두산에너빌리티,삼정터빈,삼주기업,평화산업,현대트랜시스,현대로템,LS엠트론,STX엔진,시공사,엠엔씨솔루션(12) 광림,신정개발특장차(2)
항공유도(16) 다윈프릭션,대한항공,쎄트렉아이,퍼스텍,한국항공우주산업,한국화이바,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단암시스템즈,코오롱데크컴퍼지트,덕산넵코어스,데크카본,캐스(13) 성진테크윈,유아이헬리콥터,화인정밀(3)
함정(8) 강남,한화오션,SK오션플랜트,한국특수전지,HJ중공업,HD현대중공업,효성중공업(7) 스페코(1)
통신전자(16) 지티앤비,비츠로밀텍,한화시스템,연합정밀,이오시스템,대영에스텍,휴니드테크놀러지스,현대제이콤,빅텍,우리별 (10) 삼영이엔씨,아이쓰리시스템,인소팩,이화전기공업,미래엠텍,티에스택 (6)
화생방(3) 한컴라이프케어,SG생활안전,HKC(3) (0)
기타(9) 대양전기공업,동인광학,삼양컴텍,우경광학,유텍,아이펙 (6) 대명,대신금속,은성사(3)
계 (83) 65개 18개

자료 :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24년 01월 11일 기준)

한국방위산업진흥회 홈페이지를 참고로 할 때 총84개 업체가 방산업체로 지정되어 국내 방위산업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방산물자의 지정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의 협의를 거쳐 방위사업청장이 그 권한을 가집니다.


(2) 산업의 성장성
①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의 전망

21세기 이후 방위산업에 대한 환경은 기존의 안보유지를 위한 '소비적 산업'이 아닌 수출산업화와 민군기술활용을 통한 '생산적 산업'으로 변화 되고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방위산업은 경제상황과 복지수요 증가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국방예산과 생산은 감소하고 수출 및 M&A는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국방비는 감소세 또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국방비 중 획득 예산은 지속적으로 상승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② 국내 방위산업 시장의 전망

국방예산은 크게 방위력개선비와 전력운영비로 구분됩니다. 방위력개선비는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화력, 함정, 항공기 등의 전력화 예산이며, 전력운영비는 주로 인건비, 급식, 피복, 정보화, 군수지원 및 교육 훈련 등에 소요되는 예산입니다. 방산업체의 매출액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방예산은 방위력개선비 및 전력운영비 내의 정비예산입니다.


[국방예산 추이]

(단위 : 조원)
회계연도 2025년 2024년 2023년
정부재정 497.6 449.5 446.2
국방비 총액 61.2 59.4 57
전력운영비 43.4 41.8 40.1
방위력개선비 17.8 17.6 16.9

<자료 : 대한민국국방부, 한국방위산업진흥회>

지난 과거 3년간의 대한민국 국방예산의 추이를 살펴보면 국방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25년도 국방비 중 전력운영비는 43.4조원(전년대비 약 3.7%증가), 방위력개선비는 17.8조원(전년대비 약 1.1%증가)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방위산업의 수요는 국가의 안보정책과 국제정세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타 산업과는 달리 경기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국방부의 향후 전력증강계획을 토대로 연도별 및 단계별 심의를 거쳐 추진되는 계획산업입니다. 합동전략목표기획서(JSOP) 에서 향후 20년간의 전력증강계획을 매년 수립하며, 국방중기계획서에서는 향후 5년간의 대상사업 및 잠정예산을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방위산업은 향후 사업계획의 대부분이 미리 계획되어 정해져 있으며, 국가를 방위하는데 필요한 무기, 장비 및 기타 물자를 생산하는 산업으로써 군이라는 안정적인 고객이 존재하고 선발업체의 우월적 입지 확보에 따른 제한경쟁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국방예산과 관련되기 때문에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경기변동과 연관이 적어 안정적인 매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남북한 대치 등 국가안보적 필요에 의해 방위산업의 규모를 경기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없으므로 경기 침체 및 세수 감소에도 전력 유지를 위해 무기체계 소요는 지속 발생하게 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① 시장의 안정성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전략산업이기에 타 민수산업과 비교하여 제품특성과 생산방식, 수요 및 공급 등 다양한 관점에서 상당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산제품은 고도의 정밀도/신뢰성을 충족하기 위한 특정시설과 첨단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민수분야에 비해 연구개발에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고 개발기간 또한 장기간 소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일반 민수산업 대비 방위산업의 독특한 특성과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환경이 맞물려 국내 방위산업은 정부 주도 하에 육성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생산에 막대한 투하자본이 소요되고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 쌍방 독과점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산업체는 실발생원가를 중심으로 원가를 보상받는 등 혜택을 부여 받고 있습니다.

② 경쟁상황

ⅰ) 세계 방위산업

세계 방위산업 시장(SIPRI 국제무기거래 기준(2012년 ~ 2016년))에서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독일이 전체 무기시장의 74%를 점유하고 있는 바,  방위산업은 다른 국가들의 경우 진입장벽이 높음을 실감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또한, 세계 100대 방산업체 중 미국업체가 전체 판매량의 57% 수준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와 고도의 기술 및 정밀성이 요구되는 자본ㆍ기술 집약적인 산업으로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과 양산, 기존의 사업수행 실적 등을 감안할 때 세계 방위산업의 독과점적인 시장구도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유지될 것입니다.

ⅱ) 국내 방위산업

우리나라 방위산업은 정부와 방위산업체간 쌍방독과점적 특성으로 1970년대 방산물자 지정 및 방산원가 제도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큰 변화없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40여년간 내수 위주의 독과점적 시장구조가 정착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민수산업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제품 기획, 개발, 생산, 판매되지만, 방위산업은 수요자가 정부로 사실상 유일하며 공급자 또한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정부는 1984년 방위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전문성 있는 업체를 선정해 그 업체만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완성장비 기준의 전문화 및 부품기준의 계열화 업체를 지정하고 수의계약 형태로 조달함에 따라 국내방위산업은 품목별로 독과점적인 시장구도를 형성하였습니다.

2008년말 정부는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든 국내업체가 국방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동안 유지되어 왔던 전문화,계열화 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능력 있는 업체들이 제한 없이 국방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5)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주변국의 군사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립적인 국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에상응하는 무기체계 획득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자국이 스스로 주변국의 위협에 상응하는 무기체계 획득이 불가능할 시 방위산업 선진국의 주도하에 필요한 무기체계를 획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 방위산업의 중요한 경쟁요인은 기술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 방위산업 시장의 판도를 보더라도 미국을 기준으로 선진권 이하의 국가들이 방산기술의 축적을 통해 상대적 격차를 좁히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기술력 외의 경쟁요인은 가격으로써 획득 예정인 무기체계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무기체계가 다수 존재한다면 경제성 논리에 의하여 구매가 이루어 집니다.

국내 방위산업 시장의 주요 경쟁요인은 기술과 가격이며, 국내 방산업체들도 타 산업분야의 민수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원가절감 노력과 기술개발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완성장비 기준의 전문화 및 부품기준의 계열화 업체를 지정하여 독과점적인 시장구도를 유지해 왔습니다. 이러한 보호,육성 위주의 정책구도 아래 국내 방위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분야가 개방화 자율화를 거치며 보호,육성책이 폐지되어 무한 경쟁구도가 형성된 것에 비해 국가의 보호를 받으면서 특혜를 입는 산업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며 방위산업에도 시장경제 논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어 2008년 말 전문화, 계열화 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전문화, 계열화 제도가 폐지되고 복수업체 연구개발 제도가 신설되며, 방산물자 복수업체 지정 등 우리나라 방위산업의 정책과 제도는 지속적으로 경쟁을 확대, 강화하는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있으며 현재 방위산업은 자유 경쟁시장으로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경쟁시장으로 진입하면서 국내 방산업체들간의 경쟁은 연구개발 사업의 수주분야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중복투자, 전력화 일정 단축, 개발 Know-how 등의 요인으로 개발사업을 수행한 업체가 양산사업까지 수행하면서 각 군에 무기체계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군에 최종 납품하는 양산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사업의 수주가 선행 되어야 합니다.

연구개발사업의 업체선정은 각 방산업체들의 제안서를 평가하여 수행업체를 선정하게 됩니다. 제안서 평가시 일정비율로 기술점수 및 가격점수의 가중치를 두어 기술측면과 가격측면을 동시에 평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산업체들은 전문화,계열화 제도 아래 영위하였던 전문 분야 뿐만 아니라 사업영역 확장을 위하여 타 분야의 진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주요 제품은 크게 1)군용, 2)민수용으로 크게 2가지로 분류되며, 군용제품은 사용 목적에 따라 1) 유도무기, 2)항공전자, 3) 과학화 훈련체계, 4)전술통신체계, 5)기타제품으로 다시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군용제품

① 유도무기: 유도무기란 발사된 후 내부 장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유도 지령에 의하여 경로나 속도를 수정하여 목표물에 도달하는 무기로 정의됩니다. 비유도 무기의 경우, 목표 하나를 파괴하는데 수백에서 수천 발이 필요했지만 유도무기의 경우, 단 몇 발 만으로도 목표물을 정교하게 파괴할 수 있습니다.


a) 다연장 로켓용 유도제어컴퓨터

당사는 한국 육군의 유도무기 중 다연장로켓(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종류인 다연장로켓의 중요 부품인 GCU를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GCU는 지대지 로켓에 탑재되며 관성센서와 GPS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사일의 속도 및 방향을 계산하여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미사일 날개 제어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여 미사일 목표물을 정밀타격 가능케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② 항공전자: 항공전자란, 항공과 전자의 합성어로 항공기에 탑재되는 전자장비를 칭합니다. 항공전자시스템은 항공기에 탑재된 전자장비들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운영되는 상태를 항공기 조종사에게 그 데이터를 시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으로 정의되며, 항공기에 탑재되는 항공전자시스템은 항공기가 운용되는 특수적인 조건과 전기전자 시스템이 운용되는 환경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둘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어, 이 두 개념을 함께 고려하여 정의됩니다.

a) 다기능시현기용 제어보드 및 그래픽 회로카드

다기능시현기는 제트엔진 고등 훈련기와 경 공격기에 장착되어 비행 데이터와 임무 수행 상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제트 경 공격기로서의 무기선택과 그 제어를 다양하게 해주는 다기능 시현기입니다. 현재 군에서는 고등훈련기의 전방과 후방 좌석에 장착되어 항공통신을 통하여 각종 비행 데이터 및 임무 수행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조종사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항공 시스템의 통신 오류 및 기타 오류 발생시 IMDC(Integrated Mission/Display Computer)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체계업체인 한화시스템(주)의 국산화에 참여하여 다기능시현기의 부품인 제어보드 및 그래픽 회로카드 조립 체 2종을 2012년부터 납품하고 있습니다.

b) 초등훈련기용 항공 정보 계기용 디지털 전시기 회로카드조립체

초등훈련기의 전투기 조종실에는 비행 중 조종사가 필요로 하는 레이더, 전자광학장비 등의 영상 정보는 물론 비행정보, 내부 시스템, 엔진, 항법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기호, 그래프 및 숫자로 변환하여 전시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디지털 전시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중 전자식 계기 중 엔진 계기용 디지털 전시기는 엔진 작동 상태를 지시하면서 엔진 회전계, 연료 압력계, 윤활 압력계, 실린더(Cylinder) 온도계, 연료 유량계, 저압 압축기 회전계(N1), 배기가스 온도계, 고압 압축기 회전계(N2) 등의 정보를 시현하며, 항공 정보 계기용 디지털전시기는 항공기의 여러 가지 비행 상태 즉, 고도, 속도, 자세 등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디지털 전시기로 자세계,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등의 정보를 시현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당사가 체계업체인 한화시스템(주)에 납품하는 부품은 제어용 회로카드조립체이며, 2010년부터 초기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현재 양산하고 있습니다.

c) 무인기 항법 제어 컴퓨터

무인기는 조종사 없이 원격 조종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르거나 비행체 스스로 주위 환경을 인식하는 비행로봇입니다. 당사는 (주)한화를 통하여 무인기의 핵심 모듈인 항법제어용 컴퓨터의 제어보드 등 회로카드 조립체 5종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③ 과학화 훈련체계: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군대는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시뮬레이션 훈련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과학화 훈련체계는 현재 빠르게 성장하는 방위산업 분야입니다. 당사는 군 과학화 훈련(시뮬레이션 훈련)중 실제 운용장비를 실제 환경에서 운용하면서, 가상의 타격효과를 표현하는 실 기동 시뮬레이션(Live Simulation) 사업 분야에 진출하였습니다.

④ 전술통신체계: 군 전술통신체계란 군의 실시간 지휘 통제를 제공하는 통신체계를 뜻하며, 통상 유선, 무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장비 및 시스템을 뜻합니다. 현대전에서는 통신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높아 짐에 따라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를 유/무선,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a) 전술통신체계 연동장치용 회로카드 조립체

당사는 전술통신체계 연동장치의 회로카드조립체인 주 제어반 등 총 5종의 회로카드조립체와 배선장치 2종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⑤ 기타제품:

a) 열상 카메라용 주 제어보드 등 다품종

열상카메라의 부품이 되는 주 제어보드, 근접센서보드 등 이와 관련한 전자보드 11종을 주관업체인 이오시스템(주)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사업명 생산개시일 품목
유도무기 지대지미사일A 2014.03 - 항법보드 등 4종
- 배선조립체 등 3종
다연장로켓 2014.03 - 유도조종컴퓨터, FCU
기타 - -
항공전자 초등훈련기용 전자식계기 2012.05 - 중대급 통제기 등 14종
고등훈련기용 다기능시현기 2012.03 - 제어보드 등 보드 2종
무인기 2015.10 - 제어보드 등 보드 7종
기타 - -

과학화

훈련체계

과학화훈련체계 등 2014.01 - 중대급 통제기 등 14종
전술통신체계 전술통신체계 연동장치 등 2015.12 - 주 제어반 등 보드 7종
방산기타 열상카메라 2016.11 - 근접센서 등 보드 11종
기타 - -


(2)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은 군 보안관계상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정부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방위산업 관련업체의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관련 업체간 과도한 경쟁을 예방하고 방위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하여 방위산업의 전문화 및계열화 규정을 시행하였습니다. 이 규정은 사실상 국가 안보산업에 대한 독과점적인 시장지위를 보장하는 규정으로 2009년 폐지 되었지만 현재까지도 방위산업에는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정부는 현재에도 방위산업 물자 국산화 의지, 방위산업의 중복투자 방지를 위하여 사업조정제도2, 위 전문화 및 계열화 규정 폐지에 대한 보완책 마련으로 방산물자 및 방산기업 지정제도3을 유지하고 있어 방위 산업 각 분야의 진입장벽은 여전히 높습니다. 나아가, 방위산업 특유의 보안 문제가 얽혀있고 방위사업청의 제품 개발부터 양산까지 통산적으로 10년이 걸리는 점을 비추어 보았을 때 방위사업청의 체계업체 또는 부품 개발 업체 변경은 제품이나 기술력에 큰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 한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방위사업청의 수주를 받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설비투자 및 고도의 복합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나, 수주를 받기 전에 이러한 설비와 기술을 갖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때가 많습니다.

나아가, 방위산업은 수요독점적인 성격과 쌍방독점적인 성격이 혼재되어 있는 시장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의 대부분의 품목에서 정부 또는 군이 유일한 수요자의 위치에서 ‘소수의 방산업체’가 공급자가 되는 수요독점의 시장이 형성 되고, 일부 방위산업 품목에서는 공급자가 제한되기 때문에 쌍방 독점형태의 시장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방위산업은 다수의 공급자와 다수의 수요자가 존재하는 민수시장처럼 완전 경쟁시장이 형성될 수는 없으며 완전 경쟁시장의 원리를 적용하기 어려워 수요자 위주의 일방적인 시장구조에서 벗어 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독점적이고 전문적인 특성은 방위산업이 타 산업 대비 높은 진입장벽을 보유하게 만든 대신에 안정적인 사업으로 평가 받는데 일조하였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은 군 보안관계상 기재를 생략합니다.

(5) 조직도

이미지: 250106_조직도

250106_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 전 재무제표입니다. 2024년도 결산실적에 대한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에 따라서 변경될 수 있으며, 상세한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걸처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0기 2024. 12. 31 현재
제 09기 2023. 12. 31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10 기 제 09 기
자산    
Ⅰ. 유동자산 39,487,013,742 30,539,847,525
 현금및현금성자산 13,881,549,611 6,139,470,34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유동) 439,088,946 599,100,411
  기타유동금융자산 12,605,346,000 10,208,861,000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1,067,217,429 2,692,688,385
  유동계약자산 1,242,180,579 861,862,178
  유동재고자산 9,418,232,735 8,533,812,799
  당기법인세자산 82,373,900 73,265,010
  기타유동자산 751,024,542 1,430,787,402
Ⅱ. 비유동자산 12,314,854,531 6,844,254,408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비유동채권 461,401,969 367,251,78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60,436,996 357,893,734
  투자부동산 1,836,601,000 1,710,126,751
  유형자산 4,016,475,359 3,057,337,214
  무형자산 799,388,334 719,250,000
  리스사용권자산 720,319,933 -
  기타비유동자산 406,744,716 632,394,928
  이연법인세자산 3,713,486,224 -
자산총계 51,801,868,273 37,384,101,933
부채    
Ⅰ. 유동부채 8,650,443,742 13,419,670,485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967,980,053 1,426,426,992
  유동상환전환우선주부채 1,886,564,147 3,718,918,378
  유동파생상품부채 2,420,161,010 4,050,954,598
  유동계약부채 39,011,791 1,050,106,359
  유동리스부채 189,445,814 194,204,125
  기타유동부채 509,521,469 381,979,321
  유동충당부채 2,637,759,458 2,597,080,712
Ⅱ. 비유동부채 845,135,450 873,342,174
  장기기타채무 및 기타비유동채무 175,235,074 243,940,947
  기타비유동부채 92,102,251 86,210,936
  비유동충당부채 62,647,599 28,941,874
  비유동리스부채 515,150,526 514,248,417
부채총계 9,495,579,192 14,293,012,659
자본    
Ⅰ. 자본금 9,964,927,200 8,029,443,400
Ⅱ. 자본잉여금 61,334,095,829 56,378,426,519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60,623,744) (60,623,744)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28,932,110,204) (41,256,156,901)
자본총계 42,306,289,081 23,091,089,274
부채와 자본총계 51,801,868,273 37,384,101,933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0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09 기 (2023.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0 기 제 09 기
Ⅰ. 매출액 21,813,322,677 16,254,001,186
Ⅱ. 매출원가 15,661,418,419 12,940,716,670
Ⅲ. 매출총이익(손실) 6,151,904,258 3,313,284,516
Ⅳ. 판매비와관리비 2,983,790,443 5,681,812,765
Ⅴ. 영업이익(손실) 3,168,113,815 (2,368,528,249)
  기타수익 3,619,317,022 99,908,192
  기타비용 66,533,587 656,076,687
  금융수익 3,514,378,507 1,291,192,539
  금융비용 1,624,715,284 12,721,309,794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8,610,560,473 (14,354,813,999)
  법인세비용 (3,713,486,224) -
Ⅶ. 당기순이익(손실) 12,324,046,697 (14,354,813,999)
VIII. 총포괄이익(손실) 12,324,046,697 (14,354,813,999)
IX. 주당손익    
  기본주당이익(손실) 134 (179)
  희석주당이익(손실) 126 (179)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0 기 (2024.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제 09 기 (2023. 01. 01 부터 2024. 12. 31 까지)
(단위 : )
과 목 제 10 기 제 09 기
Ⅰ. 미처리결손금 (28,939,110,204) (41,263,156,90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결손금) (41,263,156,901) (26,908,342,902)
 당기순이익(손실) 12,324,046,697 (14,354,813,999)
합계 (28,939,110,204) (41,263,156,901)
Ⅱ. 결손금처리액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28,939,110,204) (41,263,156,901)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1조 (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휴센텍” 라 한다. 영문으로는 Hucentech Co., Ltd.라 표기한다.
제1조 (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솔디펜스”라 한다. 영문으로는 SolDefense Co., Ltd. 라 표기한다.
-. 사명변경에 따른 개정
제4조 (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 hucentech.co.kr)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한국경제신문에 한다.
제4조 (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 soldefense25.com)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한국경제신문에 한다.
-. 사명변경에 따른 개정
제6조 (1주의 금액) 주식 1주의 금액은 금 100원으로 한다.
제6조 (1주의 금액) 주식 1주의 금액은 금 500원으로 한다.
-. 주식병합으로 인한 액면가 변경

제1조 (최초의 영업연도)

당 회사의 최초의 영업연도는 회사설립일로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2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7년 7월 24일부터 시행한다.


제3조 (시행일)

이 정관은 유니맥스정보시스템 주식회사와의 합병등기일로부터 그 효력이 발생한다.


제4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8년 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5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 8조의2, 제 14조, 제 16조 및 제 19조의 개정 규정은 ?주식, 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령이 시행되는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6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6월 11일부터 시행한다.


제7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8월 9일부터 시행한다.


제8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0년 3월 30일부터 시행한다.


제9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5월 20일부터 시행한다.


제10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7월 22일부터 시행한다.


제1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11월 03일부터 시행한다.


제12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4년 0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13조 (감사 선임에 관한 적용례)

제45조제3항·제5항의 개정규정(선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이후 선임하는 감사부터 적용한다.


제 14조 (감사 해임에 관한 적용례)

제45조제4항·제5항의 개정규정(해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 규정에 따라 선임된 감사를 해임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제1조 (최초의 영업연도)

당 회사의 최초의 영업연도는 회사설립일로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2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7년 7월 24일부터 시행한다.


제3조 (시행일)

이 정관은 유니맥스정보시스템 주식회사와의 합병등기일로부터 그 효력이 발생한다.


제4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8년 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5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 8조의2, 제 14조, 제 16조 및 제 19조의 개정 규정은 ?주식, 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령이 시행되는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6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6월 11일부터 시행한다.


제7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8월 9일부터 시행한다.


제8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0년 3월 30일부터 시행한다.


제9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5월 20일부터 시행한다.


제10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7월 22일부터 시행한다.


제1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3년 11월 03일부터 시행한다.


제12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4년 0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13조 (감사 선임에 관한 적용례)

제45조제3항·제5항의 개정규정(선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이후 선임하는 감사부터 적용한다.


제14조 (감사 해임에 관한 적용례)

제45조제4항·제5항의 개정규정(해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 규정에 따라 선임된 감사를 해임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제 15 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5 년 03 월 31 일부터 시행한다. 단, 제 6 조 (1 주의 금액) 개정은 액면병합 기준일(효력발생일)부터 적용하기로 한다

-. 시행일 수정


※ 기타 참고사항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주식병합 승인의 건


나. 의안의 요지

적정 유통 주식 수 유지를 통한 주가 안정화 및 기업 가치 제고

1. 주식병합 내용 : 기명식 보통주 1주의 금액 100원을 500원으로 액면병합

구분 병합 전 병합 후 비고
1주당 액면가액 100 500 1 : 5
발행주식총수 보통주식(주) 155,778,305 23,155,661 5 : 1
종류주식(주) - -
자본금 11,577,830,500 11,577,830,500


2. 주식병합 일정

구분 일정
주식(액면)병합 이사회 결의일 2025년 03월 14일
주주총회일 2025년 03월 31일
주식병합공고일 2025년 04월 01일
채권자이의제출기간 2025년 04월 01일 ~ 2025년 05월 08일
권리배정 기준일 (신주배정 기준일) 2025년 05월 08일
액면병합 기준일 (신주의 효력발생일) 2025년 05월 09일
매매거래정지 예정기간 2025년 05월 07일 ~ 2025년 05월 26일
신주의 상장예정일 2025년 05월 27일


3. 단수주 처리방법
주식병합 후 발생하는 1주 미만의 단주는 거래정지 기준 종가를 기준으로 계산하여 현금으로 지급 예정

4. 기타사항
-. 본 건은 기업가치가 유지되는 '주식병합'으로 자본금이 감소되는 '감자'가 아님
-. 상기 병합 내용과 일정은 관련 법규의 적용 및 관계기관과의 협의 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기타 세부사항 및 일정들은 대표이사에게 위임함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손재열 1968.01.27 사내이사 - 해당사항없음 -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손재열 (주)휴센텍 전무 24.10 ~ 현재 (주)휴센텍 연구소장 해당사항
없음
(주)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 상무 20.11 ~ 22.12 무기체제 연구개발 및 사업/조직관리
(주)한화 상무 05.10 ~ 20.11 무기체제 연구개발 및 사업관리
국방과학연구소 90.03 ~ 01.10 대지유도무기체계 연구개발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손재열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손재열 사내이사 후보자]
방산 산업과 관련한 경력을 통해 풍부한 업무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적임자로 판단됨.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손재열)

확인서(손재열)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 ( 2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65,251,050
최고한도액 2,0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2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6,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5년 03월 21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정기주주총회 1주일 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s://www.hucentech.com)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당사 홈페이지 이용 시, 사업보고서는 'IR/PR-공지사항'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정기주주총회는
2025년 03월 31일(월) 오전 9시 실시예정이며,  향후 정기주주총회에서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대해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스템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 참고사항

◆  당사는 코스닥협회의 '주총분산 자율준수 프로그램'에 참여하였습니다.

◆  정관 일부 변경의 건에는 상호변경(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변경전 : (주)휴센텍              변경후 : (주)솔디펜스

◆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 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03월 21일 09시 ~ 2025년 0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단, 시작일은 0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다. 본인인증 방법은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페이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