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03 월    13 일


회   사   명 : (주)제일바이오
대 표 이 사 : 강 동 일, 조 영 민 (각자대표)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83번길 131(목내동)

(전   화)031-427-2861

(홈페이지)http://www.cheilbio.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강 동 일, 조 영 민

(전  화) 031-427-286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6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정관 제20조의 규정에 의하여 제3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 제2항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일 시 : 2025 년 3 월 31 일(월) 오전 9시 00분

2.장 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산단로83번길 131(목내동) 본사 강당

3.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 사 보 고

2) 영 업 보 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 1 호 의안 : 제 36기(2024년 1월1일~12월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신규 이사 선임의 건(사내이사 후보자 이병익)

제 3 호 의안 : 신규 감사 선임의 건(감사후보자 김정찬)

제 4 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승인의 건( 15억원 )

제 5 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승인의 건( 1억원 )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점과 지점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 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한국예탁결제원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관리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3월 21일 9시 ~ 2025년 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인증서를 이용하여 전자투표관리시스템에서 주주 본인 확인 후 의결권 행사

-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직접행사 : 신분증(외국인의 경우 투자 등록증, 운전면허증,여권) 지참
대리행사 :
1) [개인] 주주본인 위임장, 주주본인 신분증(사본가능), 대리인 신분증
2) [법인] 주주본인 위임장, 법인인감증명서 1부, 대리인 신분증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 위임인의 성명,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 위임인의 날인(인감날인)
 - 대리인의 성명, 생년월일
 - 위임인이 대리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 인감증명서(개인/법인)
     *상기 개인정보는 주주 확인을 위해 필요하며, 타 용도로 활용하거나 별도 수집/        보관하지 않습니다.

※ 상기 준비물 미지참시 주주총회장에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 참고사항
주주총회 기념품은 지급하지 않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신남식
(출석률: 50%)
박상민
(출석률: 86%)
찬 반 여 부
1 2024-02-08 신규이사 후보 선정의 건 찬성 찬성
2 2024-03-13 제35기 결산 확정에 관한 건 - 찬성
3 2024-03-13 제35기 정기 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4 2024-05-27 대표이사 신규 선임의 건 찬성 찬성
5 2024-08-20 제36기 반기 결산 실적 보고의 건 (보고사항) - -
6 2024-09-25 주식회사 성신바이오와의 합병계약 체결의건 찬성 찬성
7 2024-10-28 주식회사 성신바이오와의 소규모합병승인의 건 - 찬성
8 2024-11-14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9 2024-11-14 제36기 3분기 결산 실적의 보고의 건 (보고사항) - -
10 2024-12-02 주주총회에 갈음하는 합병경과 보고 및 공고 승인의 건 - 찬성
11 2024-12-02 타법인 주식 취득 승인의 건 - 찬성
12 2024-12-16 주주명부 기준일 설정의 건 찬성 찬성
13 2024-12-31 대표의사 선임의 건 찬성 찬성
14 2024-12-31 동성회계법인 기초잔액감사 진행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500,000 48,000 24,000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천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매입
(주)성신바이오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모))
2024.01~11
1,106,490 7.96

※ 당기 중 당사의 특수관계자인 (주)성신바이오와의 합병으로 인해 특수관계가 종료되었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천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성신바이오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모))
매입
2024.01~11
1,106,490
7.96

※ 당기 중 당사의 특수관계자인 (주)성신바이오와의 합병으로 인해 특수관계가 종료되었습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업계 개황

동물약품업계는 전방산업인 축산업의 성장발전과 궤를 같이하여 왔습니다. 축산업은 다시 경제성장과 이에 따른 국민소득증대에 비례하여 발전하여 왔습니다. 특히 축산물이 냉동이나 선도유지 등을 위하여 매우 까다로운 유통관리가 필요하므로 국가 간 교역이 활발하지 않다는 점이 각 나라마다 독자적인 내수산업으로 성장 발전하게 되는 구조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돼지고기는 장기간 유통과정에서 부패되거나 변질되기 쉽기 때문에 근거리 인접 국간에는 교역이 가능하나 원거리 국가 간에는 교역이 어렵습니다.
 우리나라는 70년대 초까지 축산물 수요가 많지 않아서 동물약품산업 역시 화이자 등 외국계회사가 완제품을 수입, 판매하는 정도에 불과하였습니다. 그러다가 1970년대 중반 이후 괄목할만한 경제성장으로 육류수요가 증대하였습니다. 공급측면에서도산업화의 영향으로 기업형 축산업의 발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대단위 축산업의 발전은 이에 상응한 동물약품의 공급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왜냐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물약품이란 치료의 목적보다는 성장촉진이나 질병 예방 등 과학적 관리형 축산업 운용에 더욱 필요한 생산재이기 때문입니다. 1970년대 중반 축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함에 따라 한국계 동물약품회사가 활발하게 설립되었습니다.
 이후 우리나라 축산업은 1980년대 말까지 급속 성장기 1990대 중반까지 완만한 성장기 1990년대 중반 이후 성숙기에 접어 들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특기할 사항은 이와 같이 내수가 성숙기에 접어든 상황에서 2000년부터 소고기 수입자유화가 시행되고 2001년부터 닭고기 수입자유화가 시행되었습니다. 수입자유화가 국내 축산업 사료제조업 동물약품업계에 미치는 영향 및 현상은 대략 다음과 같습니다.

 - 소고기는 수입산 품목이 가격 경쟁력이 높습니다. 소고기 대량 생산국에서는 육우를 대량 방목하여 키우다가 도살하기 직전 몇 개월만 곡류사료를 먹여 키웁니다. 우리나라와 같이 국토가 좁은 나라에서는 송아지 때부터 곡류사료를 먹여 키워야 하므로 생산 코스트가 높습니다.

 - 돼지고기는 원거리 국가간 교역이 용이치 않습니다. 따라서 수입 자유화의 효과가 소고기처럼 크지 않습니다.

- 닭고기는 대량생산국이나 우리나라와 같은 소규모 생산국이나 병아리부터 곡류사료를 먹여 키우므로 생산코스트의 차이 즉 가격 경쟁력의 우월이 뚜렷하지 않습니다.

- 광우병, 구제역, 조류독감,ASF등의 질병 발병은 국가간 축산품의 교역을 현격하게 줄어들게 만듭니다. 이러한 질병들의 발생은 육류소비를 줄이는 효과를 가져오지만 동시에 수입산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이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육종 별로 복합적인 환경하에서 동물약품업계는 종합적으로 수입 자유화에 따른 악영향을 크게 받지는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왜냐하면 동물약품은 소고기보다는 주로 양계 및 양돈에 사용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물약품업계와는 달리 사료업계는 소고기 수입자유화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2) 업계 특성
동물약품업계는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인체의약품과 마찬가지로 국내업계의 역사는 일천하지 않으나 자체가 원료를 개발하는데 주력해 오지 못하고 거의 다 수입 원료를 가공하거나 완제품을 수입 유통하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시각에서 볼 때 영세한 국내의 인체의약품업계가 자체로 신약을 개발하는 것이 막대한 소요 자금과 기술 인력 면에서 어렵듯이 동물약품업계 역시 영세한 입장에서 그나마 손쉽게 조그만 이익이라도 볼 수 있는 수입가공유통업을 외면하고 자체 원료개발에 힘쓰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습니다.

 - 동물약품업체 약 800여개 이상, 이 중에서 발효, 백신, 진단키트 등 특정 분야나 특정 자체개발 기능성 효소에 특화 하여 틈새시장에 전문화하는 업체는 최근에 설립된 일부 벤처회사를 포함하여 소수에 불과하며 대부분이 여러 가지 외국산제품을 수입 유통하는 회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즉 장기적 기업 비젼 면에서 자기 위치를 정하고 전진하는 기업이 드물다는 것입니다. 적어도 현재까지 업계의 수익구조는 얼마나 수익성 좋은 외국산 제품을 잘 도입하여 국내에 판매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 전방산업인 축산업의 정체와 수입자유화 등의 영향으로 축산업과 사료업이 구조조정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동물약품업계 역시 이러한 구조조정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구조조정의 여건과 기본 방향은 한마디로 국제적인 경쟁상태에서 영세업체가 정리되고 일류를 중심으로 시장 질서가 재편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비록 시장질서가 국제적 경쟁상태에서 일류가 선도하는 방향으로 재편된다 해도 외국계 회사가 직접 국내에 진출하여 유통망을 확보하고 양축가 대리점, 사료공장 등을 대상으로 영업을 직접 하기에는 진출 코스트가 과다하여 비경제적이라 보여집니다. 따라서 외국사는 현재와 같이 자사제품을 수입 유통하는 전략적 제휴선을 확보하여 시장을 공략하는 형태로 사업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국내에서 유통망을 확고하게 다지고 있는 몇 개의 선도 업체가 이러한 전략적 파트너로서 더욱 부각될 것입니다.
 

[국가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치]

동물약품산업이 국가 경제에서 차지하는 위치는 시장 규모 면에서는 미미합니다. 그러나 축산업 기반의 한 축을 형성하고 있어 만일 동물약품산업 없이는 축산업도 존재할 수 없는 필수불가결의 산업입니다.


3) 수급 상황
2023년 동물약품 시장 규모는 약 1조 3천 2백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약 5.7% 감소한 모습입니다. 이는 우리나라 축산업의 시장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것이며, 이후에도 유사한 수요규모를 나타낼 것입니다. 공급측면에서 수요의 대부분을 국내생산이 커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있습니다. 그러나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국내생산의 대부분이 외국산 원료의 가공품입니다.  

동물약품의 수요는 일반경제의 변동과 무관하지는 않으나 상관관계가 밀접하지는 않습니다. 즉 간혹 일시적 축산물 생산의 과잉이나 과소 현상에 따른 수요의 기복은 있으나 경기변동 사이클이 크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최근에는 해외시장이 동물용의약품 업계의 큰 화두로 떠오르고 있으며, 수출이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한단계 성장 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4) 자원조달 상황
업계의 대부분 회사가 주요 원재료를 해외에서 조달하고 있습니다. 원재료 자체가 고도기술제품으로 특허가 되어 있는 재료들입니다. 대개 다국적 정밀화학 회사나 제약회사가 공급선입니다. 자체의 원료를 생산하는 회사의 경우 생산직에서 마케팅, 영업, 연구직에 이르기까지 고급 인력이 필요합니다. 고난도의 생산기술이 요구되고 판매단계에서도 구매처들에게 제품 효능 등에 대한 교육과 기술지도를 병행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5) 경쟁상황
업계는 어떤 유형의 사업구조를 가지느냐에 따라 진입의 난이도가 다릅니다. 단순 수입유통이라면 수입선을 잘 물색하여 제품에 맞는 유통망과 인력을 갖추면 진입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다국적 기업인 수입선들이 국내에서 이미 유통망과 기술력, 자금력을 확보한 대형회사를 통하여 국내 유통을 하고자 하므로 신규로 진출하기는 쉽지 않습니다. 동물약품은 인체의약품과 달리 일반소비재가 아니므로 판매처도 사료 제조업자나 대단위 축산농가 등 특정한 기업체입니다. 따라서 광고 등의 마케팅 기법보다는 효능과 원가 경쟁력 축산지도 등을 바탕으로 한 시장밀착형 마케팅이 유효합니다.

6) 향후 전망

축산물의 수요는 급속한 성장기를 지났으나 아직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 이유는 국내 축산물 1인당 소비량이 선진국과 비교하면 아직도 낮은편으로 잠재적 성장 가능성이 양호하다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최근 몇 년간의 축산업 정체는 업계가 성장 사이클 상 성숙기를 맞이한 이유도 있으나 국가경제적 구조조정의 영향도 적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동물약품이 주로 많이 사용되는 양돈의 경우 최근 아프리카 돼지열병(ASF)으로 내수시장이 주춤하고 있습니다. 또한 조류독감(AI)의 발병으로 소비자들에게 막연한 불안감을 조성하여 소비심리 위축을 불러왔고, 그로 인한 소비 감소가 돈가의 생산성, 경제성에 영향을 주어 동물약품업계에 그 영향이 미치고 있습니다. 한우사육은 2000년부터 수입자유화의 영향을 받고 있어 이에 따라 관련 사료업계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위와 같은 복잡한 축산업의 환경 하에서 동물약품업계는 우리나라 경제구조조정이 마무리되면 점진적인 성장을 재개할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사료업계의 구조조정이 일어난다면 자연히 동물약품 업계도 구조조정을 거쳐야 할지도 모릅니다. 구조조정의 양태는 한마디로 대규모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면서 영세업체들은 정리되는 형태입니다. 업계 일각에서는 상위 10위권 업체를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선도업체들의 다국적기업과의 경쟁 면에서는 아직 국내업체들 대부분이 독자적 원료나 효소제를 한 종류라도 개발하지 못한 상황이므로 요원하다 하겠습니다. 원료 개발이나 특정 생물공학 프로젝트의 수행을 위하여 소요되는 자금에 비하여 대부분 업체의 내부 유보금이나 연간 현금흐름 창출능력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동물약품업계가 외국산 원료의 단순 가공 판매수준을 벗어나 다국적기업과 겨룰 수 있는 수준이 되기 위하여 생물공학 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투자가 필요합니다.이를 실천하는 기업은 어려운 가운데에도 국제적 수준의 기업으로 성장하여 비좁은 국내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도약할 수 있을 것이며 그렇지 못한 기업은 장기적 비전이 불투명하다 하겠습니다.
 환경친화적인 축산을 위한 요구가 증대할 것입니다.  항생제피해나 축산배설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이거나 회피할 수 있는 제제들에 대한 수요가 증대할 것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발효를 기반으로 하는 동물약품을 연구개발 제조 판매하고 있으며 제품제형화와 일반사료첨가제 사업에 대한 연구개발성과를 상업화하고 있는 중입니다. 동물약품산업과 당사가 동 산업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개괄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동물약품 산업과 당사의 포지셔닝

구분방식 내용 생산제품 기능 비고 관련회사
일반제제원료 발효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 변화시켜 특유한 최종산물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이용하여,특정의 미생물을 개량, 대량으로 증식시켜 최종생산물을 대량 생산하는 방법 효소제, 효배양제,유산균 면역물질,유기태미량광물질 성장촉진,소화촉진,질병예방,환경개선 환경친화적축산업 발전에 기여 당사(액상 및고상), 이지바이오(고상), BASF, 제일제당
항생제 성장촉진,질병예방 및 치료 항생제 과다 사용에 따른 내성증대 등 건강과 환경 파괴 심각 당사, 제일제당, 종근당
합성 각종 화학물질을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합성하는 방법 항생제 상동 상동 LG

기능과 용도 면에서 볼 때 동물약품은 치료제, 예방제, 기능성첨가제를 통칭하는 개념입니다. 기능성첨가제는 소화촉진, 성장촉진, 환경개선 등의 기능을 하는 것입니다.

참고로 항생제는 실제치료 용도보다 성장촉진용으로 다량 사용되고 있습니다. 매출규모 면에서 치료제나 예방제의 비중보다 기능성첨가제의 비중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축산용 동물이 질병에 걸리면 치료하는 것보다 도살하는 것이 경제적이기 때문입니다.

한국의 동물약품 산업은 인체의약품산업과 마찬가지로 기술면에서 매우 취약한 상태에 있습니다. 한국 동물약품산업 원료의 수입의존도가 거의 100%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예를 들어 순수 우리기술로 개발된 원료가 당사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0% 정도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수입원료를 가공한 것입니다. 여타 회사의 경우 거의100%가 수입원료 가공 제품이거나 수입상품입니다. 일반제제원료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발효와 합성방식이 있습니다. 어떤 특정 기능의 제제를 만드는 방법으로 이론적으로는 두 가지 방식 다 이용될 수 있습니다. 양적인 면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항생제는 발효나 합성법 모두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효소제나 유산균제등 비항생제 계열의 환경친화적인 원료는 주로 발효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발효란 미생물이 자신의 효소로 유기물을 분해 변화시켜 항생물질, 면역물질 등 특유한 물질을 만들어내는 현상을 말합니다. 발효의 원리를 이용하면 특정의 미생물을 개량, 대량으로 증식시켜 동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특정 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은 프랑크라는 사람이 실험 도중 우연히 푸른 곰팡이가 면역물질 페니실린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푸른곰팡이를 대량으로 증식시켜 페니실린을 생산하게 된 것입니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생명공학이라 함은 대별하여 유전자조작과 발효로 분리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조작은 단백질 구조 분석을 바탕으로 물질을 인조 변형하거나 질병 원인 등을 분석하는 것입니다. 유전자조작에 의하여 특정물질을 개발하였다 해도 이를 대량생산하기 위하여는 발효설비를 이용하여야 합니다.

동물약품을 만드는 원리나 방법은 식품이나 의약품을 만드는 것과 동일합니다. 어떤 기능을 가진 물질을 발효를 통하여 동물약품용이나 식품 의약품용으로 만들 수 있습니다. 다만 동물약품 보다는 식품이 식품보다는 의약품이 물질 순도가 현격하게 높아야 합니다. 즉 정제 비용이나 기술이 현격하게 차이가 납니다.

당사는 동물약품 산업분야 중 발효분야에 순수 외국사를 제외하고 업계 최대의 시설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식품이나 의약품분야로 발전할 수 있는 기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여기서 말하는 식품이나 의약품 분야는 수입원료의 단순 가공의 활동이 아니라 원료를 개발 생산하는 수준을 의미합니다.

참고로 최근 설립되고 있는 대다수의 생명공학 벤처들도 농업분야 및 인체분야로 나누어져 있겠으나 근본적으로는 미생물과 단백질 구조를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위 표에서 정리된 범주 안에서 어느 특정 제품에 특화하는 사업구조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이러한 생명공학 벤처들은 현재 연구개발 단계에 있으므로 아직은 실험실 파일롯 설비 수준에서 실험제품만 생산하는 단계에 있고 양산을 위한 대형 발효 설비를 갖추고 있는 회사는 없습니다. 당사는 순수 외국회사를 제외하고 국내 최대의 발효설비를 보유하고 실제로 순수 우리 기술에 의하여 개발된 원료를 생산 판매 수출해오고 있다는 점에서 생명공학분야의 선도적인 입장에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사업부분은 한국표준사업분류표상 동물약품제조업(D21230) 단일 사업 부문으로 구분됩니다

(2) 시장점유율

현재 국내의 동물용의약품 업계는 완제품 제조업체를 비롯하여 완제품 수입업체, 원재료 제조업체 등 약 1,311개 업체로 구성되어있습니다. 이 중 연 매출액이 100억원을 넘는 업체 수는 많지 않습니다. 2023년 동물약품의 시장규모는 약 1조 3천 2백억원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2012년부터는 동물약품협회에서 VPDP 자료가 제공되지 않아, 각 회사별 점유율은 산출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3) 시장의 특성

동물약품 내수시장의 구성은 유통구조 형태로 보면 사료회사시장과 판매점(필드;동물병원 포함)시장으로 구성된다고 할 수 있고, 축종별로 보면 양돈, 양계, 축우, 수산 그리고 반려동물 시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유통구조에 따른 시장의 수요자의 구성 및 특성을 살펴보면 사료회사시장의 경우 기능성첨가제들로 판매하여 사료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유통경로는 사료공장은 제조사에서 직접 공급하고 축산농가는 가축병원을 통하여 최종 소비자인 축산농가에 공급하는 유통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동물약품시장은 크게 사료공장과 축산농가로 이원화 되어있으며, 전체적으로 계절에 따른 경기 변동성은 낮으며, 가축의 질병 발생율은 환절기 시기에 가장 높고 동절기에는 대체로 낮게 나타나는 편입니다.

동물약품시장에서의 수요의 변동요인은 주로 축산업의 변동에 따르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 경기상황과 축산업의 상황이 그 궤를 같이 하듯이 동물약품시장도 축산업과 그 궤를 같이 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 또한 시장의 변화에 따라 제품별 특성을 다각화 하여 생산 및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해당사항 없습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제36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의 III.경영의 참고사항 1.사업의 개요. 나.회사의        현황 참조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        산서(안)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 제36(당)기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검토가 완료되기 전 재무제표        이므로,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 및 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재무제표에 대한 자세한 주석     사항은 향후 공시될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36(당)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35(전)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원)
과목 제 36(당) 기 제 35(전) 기
자산        -
유동자산   27,384,394,148   28,024,020,861
현금및현금성자산 12,953,530,858   11,768,531,663  -
유동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1,200,000,000   8,254,741,351  
유동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5,103,503,118   -  
매출채권 2,542,936,934   2,272,032,585  
대손충당금(외상매출금) (110,051,528)   (209,653,046)  
미수금 1,470,306,970   1,763,861,054  
미수수익 7,168,274   88,776,220  
선급금 41,145,620   340,983,753  
대손충당금(선급금) -   (217,462,650)  
선급비용 11,433,160   13,148,064  
부가세대급금 25,692,890   -  
당기법인세자산 87,766,480   83,151,730  
재고자산 4,032,283,011   3,858,388,298  
반품자산 18,678,361   7,521,839  
비유동자산   7,842,424,079   5,679,990,237
장기금융상품 -   4,650,324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2,000,000   2,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490,543,247   493,097,01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0,400,000   10,4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 8,981,050   15,430,050  
유형자산 6,218,226,789   4,659,263,712  
무형자산 889,946,074   15,000,000  
확정급여자산 222,326,919   480,149,133  
자산총계   35,226,818,227   33,704,011,098
부채        
유동부채   3,607,021,545   1,981,557,048
매입채무 193,693,734   991,778,728  
미지급금 2,086,140,838   376,578,120  
미지급비용 55,698,762   48,850,490  
예수금 706,921,800   37,810,590  
선수금 251,486,193   253,200,463  
반품부채 66,006,971   9,317,546  
계약부채 225,433,830   220,280,079  
유동리스부채 21,639,417   43,741,032  
비유동부채   310,802,979   331,024,350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13,185,568   29,599,455  
리스부채 50,573,012   153,914,889  
이연법인세부채 247,044,399   147,510,006  
부채총계   3,917,824,524   2,312,581,398
자본        
자본금 14,564,532,000   14,564,532,000  
자본잉여금 13,445,617,115   13,445,617,115  
기타자본구성요소 (6,169,717,083)   (6,523,566,555)  
이익잉여금 9,468,561,671   9,904,847,140  
자본총계   31,308,993,703   31,391,429,700
부채와자본총계   35,226,818,227   33,704,011,098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36(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5(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6(당) 기 제 35(전) 기
매출액 13,907,823,693 9,822,857,534
매출원가 10,689,140,302 7,493,798,009
매출총이익 3,218,683,391 2,329,059,525
판매비와관리비 4,280,426,643 4,346,993,694
영업손익 (1,061,743,252) (2,017,934,169)
기타수익 470,641,439 93,136,816
기타비용 308,633,987 277,957,536
금융수익 508,892,809 761,784,197
금융비용 20,521,182 23,079,988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11,364,173) (1,464,050,680)
법인세비용 - (18,279,210)
당기순이익 (411,364,173) (1,445,771,470)
기타포괄손익 (24,921,296) (194,241,909)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24,921,296) (194,241,909)
총포괄손익 (436,285,469) (1,640,013,379)
주당손익    
기본 및 희석주당손익 (15) (54)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36(당) 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35(전) 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36(당) 기 제 35(전) 기
처분예정일: 2025년 3월 31일 처분확정일: 2024년 3월 29일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5,892,732,432

6,329,017,90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6,329,017,901
  7,968,325,491

 재측정요소 (24,921,296)   (194,241,909)
 재평가적립금
  705,789
 당기순손실 (411,364,173)   (1,445,771,470)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5,892,732,432
6,329,017,901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  병  익 1950.08.10 사내이사 신규선임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  병  익 (주)남전물산 대표이사 1981 - 1983
1983 - 1988
1988 - 1999
1999 - 2023
녹십자수의약품 생산계장
성원화학 기획부장
대양동물약품 이사
(주)남전물산 대표이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  병  익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다양하고 많은 업계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가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많은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이사회에서 추천함.


확인서

이미지: 이사후보확인서_이병익-1

이사후보확인서_이병익-1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  정  찬 1972.03.03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  정  찬 변호사 2007 - 2012
2012 - 2016
2016 - 2020
2020 - 현재
경희법무법인 변호사
동천법률사무소 변호사
법무법인 동천 대표변호사
법률사무소 미라클 대표변호사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없음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폭넓은 법무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전문가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이사회에서 추천함


확인서

이미지: 감사후보확인서_김정찬-1

감사후보확인서_김정찬-1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0(명)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5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    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658백만원,
최고한도액 15억원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억원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6백만원
최고한도액 1억원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5년 03월 24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에 따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 전(2025년 03월 24일)에 전자 공시시스템과 회사 홈페이지에 각각 공시 및 게재할 예정입니다.
           -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회사 홈페이지 : http://www.cheilbio.com

※ 해당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당사는 제36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에 있어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에 해당사실이 없습니다.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정기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상법 제 368조의4)를 도입하였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를 통해 귀중한의결권을 행사 하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1)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시스템 인터넷 주소
-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

(2)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5년 03월 21일 09시 ~ 2025년 03월 30일 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3) 인증수단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 별로 의결권 행사
- 인증수단의 종류 :  공동인증서 및 민간인증서
                             (K-VOTE에서 사용 가능한 인증서 한정)

(4)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