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3  월    13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삼양홀딩스
대 표 이 사 : 엄 태 웅 , 이 영 준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3길 31, 연지동

(전   화) 02-740-7111

(홈페이지) http://www.samyang.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재무기획팀장 (성  명) 이 현 수

(전  화) 02-740-7114


주주총회 소집공고


임시주주총회(제2종 종류주 종류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18조에 의거하여 임시주주총회(제2종 종류주 종류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시 : 2025년 3월 28일(금) 오전 10시 30분

2. 장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33길 31(연지동), (주)삼양홀딩스 1층 강당

3. 회의 목적사항
1) 보고사항 : 감사 보고


2) 의결 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2호 의안 : 제2종 종류주식 전환권 부여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등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 등을 당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당사의 본ㆍ지점, ㈜KEB하나은행 증권대행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직접 의결권을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을 통해서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하나은행 증권대행부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 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하나은행 증권대행부(02-368-5800)로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2) 대리인을 통한 간접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 신분증, 주주의 인감증명서 또는 신분증 사본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유관희
(출석률 : 100%)
이용모
(출석률 : 100%)
이준영
(출석률 : 100%)
남판우
(출석률 : 100%)
찬 반 여 부
제1회 2024.02.06 ① 제73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와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② 제73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권한 주주총회 위임의 건
③ 제7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④ Samyang Holdings USA, LLC. 유상증자 참여의 건
⑤ 해외 계열사 차입금 지급보증의 건
⑥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승인의 건
ㆍ(보고) 제73기 영업 보고
ㆍ(보고) 감사위원회 사항 보고
ㆍ(보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사항 보고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
제2회 2024.03.14 ㆍ(보고) 감사위원회의 별도 및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 - - - -
제3회 2024.03.22 ① 대표이사 선임의 건
②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③ ESG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4회 2024.05.03 ① (주)삼양홀딩스 제94회 무보증 공모사채 발행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5회 2024.05.31 ㆍ(보고) 제74기 1분기 영업 보고
ㆍ(보고) 감사위원회 사항 보고
ㆍ(보고) ESG위원회 사항 보고
-
-
-
-
-
-
-
-
-
-
-
-
제6회 2024.06.10 ① (주)엔씨켐 주식 취득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제7회 2024.08.07 ① Samyang Biopharm Hungary 차입금 지급보증 약정 연장의 건
ㆍ(보고) 제74기 반기 영업 보고
ㆍ(보고) 감사위원회 사항 보고
찬성
-
-
찬성
-
-
찬성
-
-
찬성
-
-
제8회 2024.11.04 ㆍ(보고) 제74기 3분기 영업 보고
ㆍ(보고) 감사위원회 사항 보고
ㆍ(보고) ESG위원회 사항 보고
-
-
-
-
-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유관희 (사외이사)
이용모 (사외이사)
이준영 (사외이사)
남판우 (사외이사)
2024.02.06 ① 제73기 정기주주총회 목적사항 심의
ㆍ(보고) 제73기 결산보고서 적정성 검토 보고
ㆍ(보고) 이사회 결의사항 감사 보고
ㆍ(보고) 2024년 그룹 정기감사 계획안 및 2024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계획안 보고
ㆍ(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가결
-
-
-
-
2024.03.14 ① 2023년 내부감시장치 가동 현황 평가
② 별도 및 연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적정성 평가 및 심의
③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확정
가결
가결
가결
2024.05.31 ㆍ(보고) 검토보고서 적정성 검토 보고
ㆍ(보고) 이사회 결의사항 감사 보고
-
-
2024.08.07 ① 외부감사인 비감사용역 계약 승인의 건
ㆍ(보고) 검토보고서 적정성 검토 보고
ㆍ(보고) 이사회 결의사항 감사 보고
가결
-
-
2024.11.04 ① 2025년도 내부감사 계획안 심의의 건
ㆍ(보고) 검토보고서 적정성 검토 보고
ㆍ(보고) 2024년도 내부감사 결과 보고
ㆍ(보고) 내부회계관리규정 개정 보고
ㆍ(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업무지침 개정 보고
가결
-
-
-
-
ESG위원회 엄태웅 (사내이사)
유관희 (사외이사)
이용모 (사외이사)
이준영 (사외이사)
남판우 (사외이사)
2024.03.22 ① ESG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2024.05.31 ㆍ(보고) 2024년 ESG 주요 추진 과제 진행 현황
① 2023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중대 이슈 선정의 건
② 공급망 ESG 관리 정책 제정의 건
-
가결
가결
2024.11.04 ㆍ(보고) 국내 ESG 규제 현황
ㆍ(보고) 2024년 ESG 평가 결과 보고
① ESG 경영 정책 제정의 건
-
-
가결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엄태웅 (사내이사)
유관희 (사외이사)
이용모 (사외이사)
이준영 (사외이사)
남판우 (사외이사)
2024.02.06 ① 감사위원이 되는 이사 후보자 추천의 건 가결
2024.03.22 ①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4 8,000,000,000 234,000,000 58,500,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출자 종속기업 2024-02-06 79 3.66
출자 종속기업 2024-02-15 56 2.59
출자 종속기업 2024-03-29 28 1.30
출자 종속기업 2024-06-25 28 1.30

※ 상기 비율은 직전 사업년도(2023년) 매출액 대비 거래금액의 비율임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삼양사 매출 2024.1.1 ~ 2024.12.31 265 12.27
(주)삼양사 매입 2024.1.1 ~ 2024.12.31 81 3.75

※ 상기 비율은 직전 사업년도(2023년) 매출액 대비 거래금액의 비율임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식품 부문
식품소재산업은 생활필수품이라는 산업특성상 수요탄력성이 낮고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으나 주원재료로 사용되는 옥수수 및 원당, 원맥 등 거의 대부분을 해외로부터 수입하고 있어, 국제 곡물가, 해상운임료 및 환율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대규모 시설투자가 필요한 자본집약적 산업특성을 가지고 있어, 신규 진입에 대한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영업활동에 있어서는 소비자와의 거래(B2C)가 아닌 실수요업체와의 직거래(B2B)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신규 진입장벽이 높은 관계로 타 산업에 비해 안정적인 판매선 확보가 용이한 편입니다.

2) 화학 부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자동차, 전기전자 등의 전방산업의 수요가 확대될 때 동반 성장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부문의 경량화 추세에 맞춰 소재가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 제품으로 대체되고 있어 자동차 1대당 사용량 증가가 기대됩니다.

이온교환수지 산업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한 대규모 장치산업이며, 수처리 용도를 기본으로 하여 식품, 의약, 반도체, 촉매, 수소차 연료전지필터 등 다양한 응용분야로 사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화학 및 전자산업이 발달한 국가일수록 수요가 많고, 신규용도 개발 및 기존 제품 개선을 통해 새로운 수요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의 아셉틱 방식 음료 OEM은 PET 용기에 음료를 제조 충전합니다. 아셉틱 방식은 전공정이 무균상태로 관리되고 상온에서 충전되므로 내용물의 맛과 영양소 보존력이 우수하며 산도가 낮아 변질되기 쉬운 혼합차, 밀크커피와 같은 중성음료제품에 주로 사용됩니다. 아셉틱 PET는 용기 경량화 및 비용절감, 자유로운 용기 디자인을 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아셉틱 방식 음료 OEM  사업을 위해서는 PET병 제조설비 외에도 음료 배합기, 살균 설비, 무균 충전 설비 등에 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이와 같은 대규모 초기 투자비는 신규 업체에 높은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아셉틱 시스템은 최첨단의 시스템입니다. 안정적인 아셉틱 설비 운영을 위해서는 고난도의 운영 기술력 확보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의 PET 용기 산업은 식음료 산업을 전방산업으로, 석유화학 산업을 후방산업으로 두고 있는 B2B 중간재 산업입니다. 중간재의 특성상 전방산업의 경기에 밀접한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식음료 제품은 기후, 경기 변동 및 소비자 선호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소비재로 다양성 및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PET 용기 산업은 짧은 납기의 주문생산 체제가 확립되어 있는 다품종/다규격의 주문생산형 산업입니다. 또한 PET 용기 산업의 전방산업인 음료 산업은 여름철 수요 집중이 뚜렷합니다. 전체 음료 판매의 절반 가량이 여름철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음료의 중간재인 PET병 또한계절 사업으로 음료보다 1~2개월 가량 앞서는 3~9월이 성수기입니다.

삼양에코테크의 PET 재활용 산업은 친환경적인 플라스틱 재활용 산업으로서, 지자체/사설 선별장을 통해 수거된 압축 PET을 투입하여 Flake를 생산하고, 추가 가공을통해 R-Chip을 생산합니다. R-Chip은 페트병 제병업체 또는 섬유 제조업체에, Flake 제조공정 부산물은 화학적 재활용 업체에 판매되어 수요기반이 견고합니다.

케이씨아이의 생활용품(샴푸, 린스, 화장품 등)원재료 소재산업은 제품이 갖는 경기변동이 타업종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덜 민감합니다. 향후 큰 변동없는 완만한 성장과안정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되며 해외시장에서는 다국적 기업과의 경쟁이 예상되나, 신흥시장(중국, 인도, 아프리카)의 생성과 당사의 품질개발로 인한 경쟁력 강화에 따라 세계시장 점유율은 점차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BPA의 주용도는 PC원료 및 에폭시수지의 원료로 사용됩니다. PC는 주로 전자기기,OA기기, 자동차, 기계부품 등의 용도에 사용되며, 에폭시수지는 금속의 부식방지를 위한 내면코팅, 전기전자 부품, 건축용 자재 등의 용도에 사용됩니다.

3) 의약 부문
의약 산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의 특성상 의약품 허가, 제조, 유통 등의 모든 과정이 엄격히 관리 및 통제되고 있으며 약사법, 마약관리법, 우수 의약품 제조 및품질관리기준(KGMP) 및 우수의약품유통관리기준(KGSP) 등 많은 법적규제 외에도 대체조제, 포괄수가제, 약제비적정화방안, 실거래가약가인하, 사용량약가연계제도 등 다양한 정부 정책의 영향을 받습니다.

4) 기타 부문
IT서비스 산업은 최적의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제고시키고, IT Trend에 맞는 새로운 기술을 접목하여 사업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며, 정보 기술을 기반으로 기존산업과 융합화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 식품 부문

제당산업은 성숙기 산업으로 성장성이 낮아 업계간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지만, 고객맞춤형 제품 개발 및 새로운 판매경로 개척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전분당 산업은 당류 저감화 트렌드로 기능성 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알룰로스, 프리바이오틱스 등의 기능성 소재를 중심으로 Specialty 전용공장 건설, 글로벌 사업 확대 등 미래 수익원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제분산업과 유지사업은 내수산업이며, 시장 성장률은 정체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2) 화학 부문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산업 기준으로 보았을 때는 자동차, 전기전자 등의 전방산업의 수요가 확대될 때 동반 성장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자동차부문의 경량화 추세에 맞춰 소재가 고기능 플라스틱 소재 제품으로 대체되고 있어 자동차 1대당 사용량 증가가 기대됩니다.

이온교환수지 범용 일반수처리의 경우 대체재(RO, EDI 등) 및 친환경 영향으로 성장세 둔화되고 있으나, RO, EDI를 이온수지와 함께 Solution 기술 영업하는 사업으로 Transformation 진행되고 있으며, 고부가 프리미엄 분야인 초순수, 원자력, 촉매용 수지 등의 고부가가치 제품의 경우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의 PET 사업에 대한 수요는 전방산업인 식음료 산업의 경기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전방산업인 국내 음료시장은 견조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성장원인은 1인 가구 증가, 온라인 판매 활성화, 대형 음료사들의 다양한 신제품 출시를 통한 점유율 경쟁을 들 수 있으며 향후에도 역시 견조한 성장세가 유지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국내 아셉틱 방식 음료 OEM 산업은 삼양패키징에서 국내 최초로 아셉틱 PET 음료 사업을 2007년 시작하여 진입 시장을 다각화하면서 성장해 왔으며, 향후에도 아셉틱 방식 음료 OEM  산업은 우수한 품질경쟁력 및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삼양에코테크의 재활용 사업은 소비자의 환경 보호 의식 강화, 정부 정책의 변화('30년 재활용 플라스틱 의무사용비율 30% 적용)에 따라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BPA(비스페놀-A)는 PC(Polycarbonate) 및 에폭시수지(Epoxy Resin) 시황에 따라 유동적이지만, 점진적으로 소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케이씨아이의 주사업분야인 폴리머 및 계면활성제 생활용품(샴푸, 린스, 화장품 등) 원재료 소재산업은 선진국의 경우 시장의 성숙단계 진입에 따라 수요 증가율은 둔화되나 새로운 제품의 대체로 인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 및 후진국의 경우에는 관련 산업이 성장단계에 있어 향후 시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전방산업인 퍼스널케어(화장품) 산업의 높은 성장성과 시장 환경을 볼때, 향후 퍼스널케어 원재료 소재 시장 역시 성장을 이어 나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고부가가치, 고품질 제품 생산으로 해외 시장에서 케이씨아이의 제품 인지도가 제고됨에 따라 세계시장 점유율과 함께 수출 실적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3) 의약 부문

국내 제약시장은 약 400여개의 국내 제약사와 약 50여개의 다국적 제약사들이 29조원대의 국내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으며, 계속되는 고령화 추세와 더불어 약 10%대 성장률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많은 제약사들이 개량신약, 신약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신성장 동력을 발굴하기 위한 노력과 우수한 경쟁력을 확보하여 국내 시장을 탈피해 해외 시장에 진출하려는 노력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해외 제약시장 규모는 약 1조 4,820억 달러로 연평균 3~6%의 꾸준한 증가세로 2027년에는 1조 9,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항암제는 향후 5년간 100개 이상의 신약이 출시될 것으로 예상되며 글로벌 항암제 시장 규모는 1,930억 달러에서 연평균 13~16% 증가하여 2027년에는 3,77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기타 부문
국내 IT 서비스 시장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기술 전반의 발전으로 지속적으로 성장할 예정이며 2024년 국내 시장은 약 16조, 2025년까지 약 17조의 시장규모로 성장이 예측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1) 식품 부문
소재 사업의 제품 수요는 다양한 여러 소비재의 기초소재로 사용되어, 특정 소비재의수요 변동에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또한 원료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국제 곡물가 및 환율변동 등 외부 요인에 의한 영향을 받습니다.

2) 화학 부문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경기는 주요 수요처인 전기전자 및 자동차산업과 흐름을 같이 합니다. 또한 석유화학제품을 주원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유가와 연동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이온교환수지는 주요 수요처인 화학 및 전자산업 경기 변동 및 해당 국가별 GDP 성장율에 민감합니다.

삼양패키징의 PET 용기 부문과 Aseptic 방식 음료 OEM 부문은 전방산업인 음료산업이 국내 경기변동에 노출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품목별로 차이가 있으나, 일상생활의 근간인 식생활과 맞닿아 있어 필수소비재의 성향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에 전반적으로 수요의 소득탄력성 및 가격탄력성이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국내 경기변동에 따른 음료시장 및 패키징시장의 갑작스런 위축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삼양에코테크의 재활용 사업은 단기적으로 후방산업은 계절에 따른 영향을, 전방산업은 음료 및 섬유산업의 경기 영향을 받습니다. 중장기적으로는 플라스틱 재활용품의 수요 대비 공급 부족이 예상되므로 경기변동성이 매우 낮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BPA는 PC(Polycarbonate)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며, 엔지니어링플라스틱의 경기와 마찬가지로 전기전자 및 자동차산업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케이씨아이의 주사업분야인 폴리머 및 계면활성제(화장품원료 및 생활용품원료)는 소비재 산업으로 생활에 꼭 필요한 생활용품 원료이므로 경기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상대적으로 적으며, 또한 케이씨아이의 제품은 화장품 및 생활용품의 원료로서 계절에 따른 수요량의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3) 의약 부문
의약산업은 특성상 경기변동에 비교적 비탄력적입니다. 일반의약품의 경우 경기변동과 계절적 요인에 다소 영향을 받는 편이나, 전문의약품의 경우 경기변동 요인보다는 정책적 요인 등에 더 민감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적 특성 중 2년마다 적용되는 실거래가 약가 인하 제도에 따라 의약품의 약가 인하 적용을 받습니다.

4) 기타 부문
IT 부문은 경기변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경기활성화시 투자가 높고, 경기침체시 투자가 적음), 계절적 요인은 크게 반영되지 않습니다.

4. 경쟁요소

1) 식품 부문

설탕은 고감미료 등 대체감미료의 시장잠식 위협이 상존하고 있는 가운데 판매채널 유지 및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전분당은 수입전분의 시장 잠식, 출산율 저하에 따른 내수시장 정체 속에서도 삼양사는 자체개발한 효소로 당류 저감화 소재 산업의 핵심 제품인 알룰로스를 생산, 차세대 당류라는 의미에 '넥스위트' 브랜드를 개발하며 국내 알룰로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바이오틱스 및 알룰로스 전용 공장 건설을 통해, 국내 및 글로벌 사업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제분사업은 용도와 고객의 니즈에 적합하도록, Spec 맞춤형 제품 판매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주원료인 밀가루와 부원료인 유지 등을 미리 배합하여 간편하게 조리해 먹을 수 있는 프리믹스(Pre-mix)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유지사업은 내수경기 침체 지속으로 경영여건이 어려운 가운데 업체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됩니다. 마가린, 쇼트닝, 식용유 등 가공유지 외에 초콜릿, 이스트, 통조림, 냉동생지 등 제과제빵 전문상품도 공급하며 Total Service For Bakery Ingredients 체제구축을 위해 연구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2) 화학 부문
계열회사인 삼양화성에서 생산하는 Polycarbonate Resin(PCR)을 인수하여 상품으로 재판매하거나 컴파운드 제품 생산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TPEE를 생산해 TPEE Resin과 컴파운드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중에는 LG화학, 롯데케미칼이 동종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COVESTRO, SABIC, TEIJIN 등 글로벌기업이 주요 경쟁업체입니다.

초순수수지와 같은 반도체 산업에 사용되는 고부가 이온교환수지 제품의 경우 기술 및 서비스 경쟁이 심화되고 있고, 범용제품의 경우 원가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성장을 위해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지속적인 품질 향상을 지향하고 국내 유일의 제조업체의 장점을 살려 차별화된 고객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의 PET 용기 산업의 경쟁요인은 유연한 공급대응력, 원가경쟁력, 그리고 고객과의 밀접한 파트너십입니다. 음료 산업은 계절성이 뚜렷하고 변동성이 심하여 PET 용기 산업은 짧은 납기의 주문생산 체제가 확립되어 있고 유연한 공급대응력을 확보해야 합니다. 공급대응력의 확보는 단순히 공급력의 절대 크기뿐만 아니라 설비 운영의 효율성이 갖추어져 있어야 합니다. PET병은 식음료사 부자재 중 원가비중이 가장 높은 품목으로 끊임없는 원가절감을 필요로 합니다. 또한 PET 용기 산업에는 고객 선점 효과가 존재합니다. 고객에 먼저 진입한 용기업체는 오랜 학습효과를 통해고객의 라인에 최적화된 PET병을 공급할 수 있으며 신제품을 개발하면서 해당 고객만의 독자적인 금형을 보유하게 되므로 이에 안정적인 수급을 가장 중요시하는 식음료 업체들은 되도록 공급선을 바꾸지 않으려고 합니다.

삼양에코테크의 Flake와 R-Chip의 품질수준 및 환경관련 품질인증 보유 여부가 핵심 경쟁력입니다. 삼양에코테크는 국내 최고의 품질관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환경관련 품질인증을 조기 취득하여 경쟁우위를 확보할 예정입니다.

BPA는 기존 경쟁사들이 투자를 통해 생산능력을 확대함에 따라 공급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케이씨아이는 자체 연구소의 기술개발에 의한 가격경쟁력 제고 및 고품질 정책을 바탕으로 신규 거래선 개척 및 기존거래처를 관리하여 수출증대를 통한 세계시장 점유율 확대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2001년 1월 코스닥 상장 이후, 다국적기업인 P&G, 로레알, 유니레버사 등과 지속적으로 거래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너지 효과로 다른 다국적기업 및 기타 관련 업체에도 대량 판매가 전망됩니다. 또한 퍼스널케어 산업을 포함하여 화학산업 전반에 걸쳐 친환경 트렌드의 영향으로 천연원료를 사용하거나 자연 분해 가능한 친환경 원료의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신제품의 개발로 인한 수요증가로 이루어 지며 새로운 경쟁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3) 의약 부문
삼양홀딩스(舊 삼양바이오팜)는 보건복지부에서 인증하는 '혁신형 제약기업'에 선정되었으며, 유럽 및 일본 의약품생산설비 기준에 적합한 제조시설에서 항암제 원료 및 완제품을 엄격한 품질테스트를 거쳐 국내ㆍ외 완제 의약사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술용 봉합사, 미용성형용 리프팅 실, 고분자 필러 등의 미국 및 유럽 시장으로의 수출을 확대하고, 항암제 CMO/CDMO 사업 확장을 통해 해외 수출 계약을 추진하는 등 수출 확대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4) 기타 부문
IT 서비스 산업은 완전 경쟁시장이며 진입의 난이도가 낮아 경쟁이 높고, 가격/기술력/우수인재 확보가 산업의 경쟁요인입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징
삼양홀딩스는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자금조달 시 최저 차입금리 및 만기 분산 등을 고려하였고, 회사의 영업 및 투자활동에 필요한 자금의 선제적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양홀딩스 바이오팜그룹은 영업활동으로부터 유입된 자금을 통하여 경상적 지출에 대응하고 있으며, 해외법인 투자 또는 제조시설 증설에 대해서는 간접금융을 일부 활용하여 자금을 조달하고 있습니다.
삼양사는 회사채 발행과 USANCE 거래를 통해 자금을 조달하고 있으며 차입금리를최소화하여 회사의 영업 및 투자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은 국내 금융기관 차입 및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였으며 안정적인 영업활동 현금흐름을 바탕으로 차입금을 상환할 예정입니다.

6.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1. 식품 부문
식품산업의 특성상 원료를 가공하여 판매하기 때문에, 식품 관련 법규의 규제를 받습니다. 그 중에서도 식품위생법, 식품안전기본법 등이 공통적으로 해당이 되고, 제당, 전분당, 제분, 유지 등 산업과 그 제품에 따라, 축산물위생관리법, 건강기능식품법 등의 법규에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법  규 주요 내용 소관부처
식품위생법

- 식품으로 인하여 생기는 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식품 영양의 질적 향상을 도모

-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와 용기ㆍ포장 취급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

위생관리법

- 축산물의 위생적인 관리와 그 품질의 향상을 도모
- 가축의 사육ㆍ도살ㆍ처리와 축산물의 가공ㆍ유통 및 검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표시

광고법

- 식품 등에 대하여 올바른 표시ㆍ광고를 하도록 하여 소비자의 알 권리를 보장

- 식품 등의 표시ㆍ광고 방법, 부당한 표시 또는 광고의 내용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

안전관리

특별법

- 수입식품 등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품질의 향상을 도모

- 수입식품 등의 수입 전, 통관, 유통 단계와 영업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건강기능

식품법

- 건강기능식품의 안전성 확보 및 품질향상과 건전한 유통ㆍ판매를 도모

- 건강기능식품의 기준 및 규격, 검사, 제조기준과 영업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2. 화학 부문
화학물질과 관련된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의 수입 및 제조 시에는해당 화학물질을 국가에 사전 등록 후에 취급할 수 있도록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규제가 존재합니다. 또한 화학물질관리법을 통해서 화학물질 취급시설의 안전기준 준수, 취급하고자 하는 유해화학물질에 대한 영업허가, 화학 사고 발생 시 사업장 외부에 미치는 영향 범위를 파악하도록 한 장외영향평가, 화학 사고 최소화를 위한 안전관리계획서인 위해관리계획 등을 규제 및 관리감독받고 있습니다. 기타 화학물질 외 정부 규제사항으로는 대기, 수질, 폐기물 등 환경관련 법률, 건축물에 대한 소방관련 법률, 작업자 및 시설에 대한 안전관련 법률 등을 적용받고 있습니다.
PET 용기 부문 및 Aseptic 방식 음료 OEM 부문은 식음료 산업의 연관 산업인 만큼 식품 관련 법규의 규제를 받습니다. 주요 관련 법규로는 식품위생법, 축산물 위생관리법 등에 관한 법률이 해당됩니다.

법  규 주요 내용 소관부처
식품위생법

- 식품으로 인하여 생기는 위생상의 위해를 방지하고 식품 영양의 질적 향상을 도모

- 식품, 식품첨가물, 기구와 용기ㆍ포장 취급 등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축산물

위생관리법

- 축산물의 위생적인 관리와 그 품질의 향상을 도모
- 가축의 사육ㆍ도살ㆍ처리와 축산물의 가공ㆍ유통 및 검사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영업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3. 의약 부문
의약 산업은 국민의 건강과 생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산업의 특성상 많은 법적규제 외에도 다양한 정부정책의 영향을 받습니다.

법규 주요 내용 소관부처
약사법

- 약사(藥事)에 관한 일들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기여

- 약사(藥師) 및 한약사 자격과 면허, 약국과 조제, 의약품 등의 제조, 수입, 판매업 및 취급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허가취소ㆍ업무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 마약ㆍ향정신성의약품ㆍ대마 및 원료물질의 취급ㆍ관리를 적정하게 함으로써 그 오용 또는 남용으로 인한 보건상의 위해를
방지하여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

- 마약류 등의 취급제한, 마약류 취급자의 허가, 마약류의 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시, 허가 등의 취소와 업무정지, 과징금 등의 행정처분 또는 자격정지,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기기법

- 의료기기의 제조ㆍ수입 및 판매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의료기기의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하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

- 의료기기의 제조, 수입, 수리, 판매, 임대업 및 취급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 시 시정명령과 허가 등의 취소·업무의 정지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식품의약품안전처
국민건강보험법

- 국민의 질병ㆍ부상에 대한 예방ㆍ진단ㆍ치료ㆍ재활과 출산ㆍ사망 및 건강증진에 대하여 보험급여를 실시함으로써
국민보건 향상과 사회보장 증진에 이바지

- 가입자, 국민건강보험공단, 보험급여,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험료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시, 업무정지, 과징금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보건복지부
의료법

- 모든 국민이 수준 높은 의료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국민의료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을 보호하고 증진

- 의료인 자격과 면허, 의료행위의 제한, 의료기관, 의료광고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시, 허가 취소, 자격정지, 과징금 등의 행정처분 또는 과태료, 벌금, 징역 등의 처분

보건복지부
제약산업 육성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

- 제약산업의 체계적인 육성ㆍ지원과 혁신성 증진 및 국제협력 강화를 통하여 제약산업의 발전기반을 마련하고 외국 제약기업의
국내투자유치환경을 조성하여 제약산업이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추도록 함으로써 국민의 건강증진과 국가 경제의 발전에 이바지

- 제약산업 육성ㆍ지원, 혁신형제약기업의 인증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시, 징역, 벌금, 과태료 등의 처분

보건복지부
의료기기산업 육성 및
혁신의료기기 지원법

- 의료기기산업을 육성ㆍ지원하고 혁신의료기기의 제품화를 촉진하는 등 그 발전기반을 조성함으로써
의료기기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국민의 건강증진, 일자리 창출 및 국가경제의 발전에 이바지

- 의료기기산업 육성ㆍ지원, 혁신형의료기기업의 인증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 규정 위반시, 징역, 벌금 등의 처분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4. 기타 부문
IT 부문은 SW진흥법, 정보통신보호법, 대기업 공공 참여제한 제도 등 관련 법규의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지주회사(持株會社, Holding Company)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 지배를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서 크게 순수지주회사와 사업지주회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순수지주회사는 어떠한 사업활동도 하지 않고,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지배하는 자회사들로부터 받는 배당금을 주된 수입원으로 합니다. 사업지주회사는 직접 어떠한 사업활동을 수행함과 동시에 다른 회사를 지배하기 위하여 주식을 소유하는 회사입니다.
지주회사의 장점으로는 기업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증대시켜 시장으로부터 적정한 기업가치를 평가 받음으로써 주주의 가치를 높이고, 독립적인 경영 및 객관적인 성과 평가를 가능케 함으로써 책임경영을 정착시키며, 사업부문별 특성에 맞는 신속하고 전문적인 의사결정이 가능한 체제를 확립하여 사업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전문화된 사업역량에 기업의 역량을 집중함으로써 경영위험의 분산 등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

- 식품 부문

식품 부문은 헬스 앤 웰니스(Health & Wellness) 트렌드에 맞춰 스페셜티 소재 사업을 고도화하고 해외 판로 개척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특히 전 세계적으로 당류 저감 소재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글로벌 수요에 대응 가능한 생산능력을 갖추고자 울산에 알룰로스 공장을 준공하고, 수요가 높은 국가를 중심으로 인허가를 선도적으로 진행해 시장 선점에 나서고 있습니다.


아울러 난소화성말토덱스트린, 프락토올리고당 등 프리바이오틱스 소재의 해외 진출을 가속화해 글로벌 식품업체와 파트너십을 맺고 신제품을 공동 개발하는 등 식품 소재 사업 역량을 키우고 있습니다.


식자재유통 사업은 냉동생지 시장에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생산성 향상과 제품 라인업 확대를 위해 냉동생지 공장 증설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식자재유통 브랜드 서브큐의 자사몰을 운영해 유통/물류비를 절감하는 한편, 충성 고객 확보에 주력해 온라인 판매 역량을 높이고 있습니다.


B2C 분야에서는 알룰로스를 사용한 제로 칼로리 숙취해소음료 '상쾌환 부스터 제로'를 출시해 숙취해소제품 시장에서 제로 트렌드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고객 니즈에 맞는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할 방침입니다.


- 화학 부문

화학 부문은 반도체 및 퍼스널 케어 소재를 중심으로 스페셜티 사업을 확대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미국 케미컬 기업 버든트(Verdant)를 통해 퍼스널케어 사업의 글로벌 비중을 높이는 한편, KCI는 퍼스널 케어 사업 포트폴리오를 강화해 수익성을 제고했습니다. 앞으로도 양사간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해 신규 고객사를 지속 발굴할 계획입니다.


삼양엔씨켐은 국내 최대 반도체 포토레지스트(PR) 소재 전문기업으로서 뛰어난 품질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PR용 소재와 Wet-Chemical 등 주요 반도체 소재를 국내외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향후 차세대 반도체 소재 개발에 주력해 기업가치를 지속적으로 높일 방침입니다.


워터 솔루션 사업은 국내외 원자력과 반도체용 초순수 제품 판매를 확대해 수익성을 높였으며, 범용 시장에서의 수요 감소에 대비해 고부가가치 제품 중심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전환하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사업은 모빌리티 및 전기전자제품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수익성이 높은 반도체, 배터리,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스페셜티 제품군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 의약ㆍ바이오 부문

의약바이오 부문은 적극적인 글로벌 시장 확대를 통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사업은 글로벌 생산 거점인 헝가리 법인의 생분해성 봉합사의 생산 capacity를 확대하고 있으며 신사업인 미용성형실 '크로키' 및 고분자 필러 '라풀렌'도 신규 거래처 확보 등의 성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의약 사업은 내수 항암제 '제넥솔', '페메드 S'의 지위 공고화로 1위의 위상을 유지하고 있으며, 글로벌 GMP 인증을 받은 항암주사제 생산시설을 바탕으로 국내외 CDMO 사업을 확대 중에 있습니다.
신약 사업은 다양한 조직으로 전달 가능한 독자적 핵산 전달체 기술을 확보 및 확장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LG화학의 비독점 기술이전 계약 체결, 진코어와의 공동연구계약을 체결하였고, 글로벌 유수 제약사와 파트너링을 진행중입니다. 또한, KBEA 2024에서 '가장 유망한 세포유전자치료제 파이프라인상'을 수상하여, 자체 약물 전달체인 SENS의 우수성을 입증 받았습니다.


- 기타 부문

IT부문은 IT Trend에 맞는 새로운 기술을 접목시켜 업무의 효율성과 사업의 부가가치를 향상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회사입니다. 주요 고객으로는 공공/제조/금융 부문에 I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 및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도입에 따른 연결대상 종속회사와 주요자회사가 영위하는 공시대상 사업부문별 구분입니다.

사업부문 회사명 한국표준산업분류 주요재화 및 용역
지주사업 삼양홀딩스 64992 지주회사
식품부문 삼양사 10810, 10413, 10512, 10520, 46201,
46311, 46321, 46329, 46443 등
설탕, 전분당, 유지, 밀가루, 유가공품, 육가공품,
소스, 화장품 등
삼양에프앤비 56123 패밀리레스토랑, 브런치 카페
화학부문 삼양사 20202, 20491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이온교환수지, 합성수지제품,
컬럼스페이서, 유기절연막, 터치패널용 소재
삼양패키징 22232 PET병, 아셉틱
케이씨아이 20421 폴리머, 양이온계면활성제, 메틸클루세스, MPC유도체 등
Verdant Specialty Solutions US 20421 계면활성제 제조
Verdant Specialty Solutions GmbH 20421 계면활성제 제조
Verdant Specialty Solutions Halifax Limited 20421 계면활성제 제조
Verdant Specialty Solutions Kimya Ticaret VE S.A. Sirketi
20421 계면활성제 제조
Verdant Energy Solutions 20421 계면활성제 제조
Paraflow Energy Solutions 20421 계면활성제 연구개발
삼남석유화학 20111 TPA (Terephthalic Acid)
삼양화성 20202, 20129 PCR (Polycarbonate Resin)
삼양이노켐 20119 BPA (Bisphenol A), ISB(Isosorbide)
삼양엔씨켐 20499 반도체, 전자, 산업용 고순도 고기능 정밀합성 Chemical
삼양에코테크 38322 비금속류 원료 재생업
삼양공정소료(상해)유한공사 20202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삼양EP헝가리 20202 엔지니어링플라스틱
삼양EP베트남 20202 엔지니어링플라스틱
기타부문 삼양홀딩스 21101, 21210, 21300, 70113 항암제, 패취제, 의료용구, 항암제원료
삼양데이타시스템 62021 정보통신
Samyang Holdings USA 64992 지주회사
Samyang Biopharm USA 70113 의약품연구
Samyang Biopharm Hungary 21300 의료용구
Samyang Specialty Solutions 64992 지주회사
Verdant Specialty Solutions Global Holding Corp 64992 지주회사
Deforest Holdings 64992 지주회사
Verdant Reactor Holdings 64992 지주회사
Verdant Reactor Real Estate 68222 부동산


2. 시장점유율

(단위 : %)
부 문 품 목 '24.1.1 ~ 12.31 '23.1.1 ~ 12.31 '22.1.1 ~ 12.31
식 품 제당 32 32 32
전분, 전분당 28 28 28
밀가루 10 10 10
화 학 PCR 16 16 16
PET BOTTLE 29 29 31
Pet-Flake, R-Chip 8 4 -
이온수지 38 35 34
BPA 16 16 16
기 타 페메드에스주 1000mg 46 43 40
제넥솔주 100mg 50 54 55


3. 시장의 특성


1) 식품부문

제당산업은 1950년대 말 삼양사, CJ제일제당, 대한제당의 3사 체제로 정비된 이후 신규진입 사업자 없이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원료인 원당은 호주, 과테말라, 태국 등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전분당 산업은 우리사, 대상, 사조 CPK, CJ제일제당의 4개사가 경쟁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원료인 옥수수는 주로 미국, 남미, 유럽 등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제분산업은 대한제분, CJ제일제당, 사조동아원 등의 업체가 경쟁하고 있으며, 최근 밀가루를 자가생산 하고자 제분공장을 신설하는 업체들이 늘어남에 따라 국내 밀가루 사업의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원료인 원맥은 미국, 호주, 캐나다 등에서수입하고 있습니다.

유지산업의 경우 마가린, 쇼트닝은 롯데푸드를 합병한 롯데웰푸드와 경쟁하고 있으며 대두유 등은 오뚜기, 동서 등의 업체와 경쟁하고 있습니다. 업체간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신제품 개발을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원료인 유지 원유는 주로 아르헨티나, 말레이시아, 캐나다 등에서 수입하고 있습니다.

2) 화학부문
엔지니어링플라스틱 부문은 전방산업인 TV, 핸드폰 및 자동차 시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수익성 개선을 위해 영업, 연구개발, 생산 등 전 부문이 밀접하게 협업하고 있습니다.

이온교환수지의 수급은 전세계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Dupont, LanXess,
Purolite 등의 다국적 기업과 중국, 인도의 후발업체들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의 아셉틱 방식 음료 OEM 산업을 위해서는 PET 용기 설비 외에도 음료 배합기, 살균 설비, 무균 충전기 등에 대한 막대한 투자가 필요합니다. 아셉틱 방식 음료 OEM  산업에 신규 진입을 위해서는 완벽한 무균 충전 설비 운영 기술을 확보함은 물론 막대한 생산설비 구축 비용을 들여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높은 초기 투자비용은 아셉틱 방식 음료 OEM 산업의 신규 진입을 어렵게 합니다.

PET 용기 산업은 삼양패키징을 포함한 5개의 대형 용기업체가 경쟁하는 시장과 중소 용기업체들이 경쟁하는 시장으로 이원화되어 있습니다. 삼양패키징을 포함한 대형 용기업체는 PET 용기산업 공급물량의 60% 수준을 공급하고 있으며, 주로 음료, 주류 시장 내 대형 수요처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삼양에코테크의 제병용 R-Chip은 유럽 시장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어, 수출 판매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섬유용 R-Chip은 중국 제품의 국내 시장 진입에 따라 가격 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BPA는 페놀 가격은 안정적이나 아세톤 가격은 상승하여, 원료비 부담이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국내 경쟁사들의 증설로 인해 BPA의 공급 물량이 일부 증가하였으나, 에폭시수지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그 원료인 BPA의 수익성이 개선되었습니다.

삼양화성에서 생산하는 Polycarbonate Resin(PCR)을 인수하여 상품으로 재판매하거나 컴파운드 제품 생산의 원료로 사용하고 있으며 TPEE를 생산해 TPEE Resin과 컴파운드 제품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기업 중에는 LG화학, 롯데케미칼이 동종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COVESTRO, SABIC, TEIJIN 등 글로벌기업이 주요 경쟁업체입니다.

케이씨아이의 생활용품 및 화장품 시장은 현재 국내시장보다 세계시장에서 더 넓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케이씨아이는 세계시장의 점유율을 높이는 영업활동을 강화하여 수출이 지속적인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품질을 바탕으로 하는 영업 전략으로 다국적기업들의 품질 인증 기준에 부합하도록 기술 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3) 의약부문
대부분의 국내 제약사는 연구개발 능력 및 투자금액이 선진국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특허가 만료되는 제품의 제네릭(복제약) 의약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어 다른 산업에 비해 경쟁이 치열한 상황입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도 글로벌 신약들의 특허만료와 각국의 약제비 억제정책 강화 등에 따라 제네릭의약품 비중 강화의 흐름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경영 전략 측면에서는 신약 연구 개발에 투입되는 비용이 증가함과 동시에 다양한 바이오텍들과의 인수합병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기업과 대학, 연구소 등이 공조하는 '오픈이노베이션'이 활성화되는 추세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신규사업과 차세대 성장동력사업에 대한 선정 및 투자검토를 계속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최우선적으로 국가 신성장동력 영역, 그 외 미래사업 후보들 중에서 구체적인 사업화 대상들을 신중히 검토하고 있습니다. 급변하는 외부 상황에 따른 불확실성, 협상 타결 여부, 당사자 간 약정 준수 등 여러 변수에 따라 사업화 대상과 시기가 가변적일 수 있습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7조③ (주식의 종류)
<신설>
제7조③ (주식의 종류)
회사는 주주총회(필요한 경우 종류주주총회 포함)의 특별결의를 거쳐 기발행된
종류주식에 대하여 전환의 청구 기간 동안 주주의 청구에 따라 보통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거나, 그러한 전환의 청구 기간이 만료됨과 동시에
보통주식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항 본문의 주주총회에서 전환의 조건,
전환의 청구 기간,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와 내용 등을 정한다.
제2종 종류주식에
보통주로의 전환권 부여
<신설> 제7조의4 (전환주식)
①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할 경우 보통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주식을
이사회의 결의에 의하여 발행할 수 있다.
②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되는 신주식의 발행가액은 전환 전의 주식의
발행가액으로 하며, 전환조건,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수와 내용은
종류주식 발행을 위한 이사회의 결의에서 정한다.
③ 전환을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은 전환권을 행사할 수 있는 날로부터
10년 이내의 범위에서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전환기간 내에 전환권이
행사되지 아니하는 종류주식은 전환기간 만료일에 전환되는 것으로 정할 수 있다.

제2종 종류주식에
보통주로의 전환권 부여
제9조의3 (신주의 배당기산일)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사업년도의
직전 사업년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제9조의3 (동등배당)
회사는 배당기준일 현재 발행(전환된 경우를 포함한다.)된 동종주식에 대하여
발행일에 관계 없이 모두 동등하게 배당한다.
신주배당기준일 관련
규정 개정
부칙
① 이 정관은 제71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한 날부터 시행한다.
2022년 3월 30일 개정
부칙
① 이 정관은 제7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하는 즉시 시행한다.
2025년 3월 28일 개정
-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제2호 의안

가. 의안 제목

제2종 종류주식 전환권 부여 승인의 건


나. 의안의 요지


1. 배경
삼양홀딩스 제2종 종류주식은 거래량 부족으로 2024년 7월 관리종목으로 지정되었고, 2024년 하반기에 상장폐지 거래량 기준을 약간 상회하여 상장을 유지하였지만, 다시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거나 거래량 부족에 따른 비정상적 가격 변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제2종 종류주식에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하여 제2종 종류주식 투자자를 보호하는 동시에, 마찬가지로 보통주의 발행주식총수 확대를 통하여 보통주의 유동성도 제고하고자 합니다.

2. 전환권 관련 사항
1) 전환권 행사 기간 : 2025.4.1 ~ 2025.7.31

2) 전환 비율 : 제2종 종류주식 1주당 보통주식 1주

3) 전환권 행사 방법 : 행사기간 내 주주의 전환 청구, 행사기간 만료 후 자동 전환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5년 03월 20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DART-정기공시」(http://dart.fss.or.kr) 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DART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samyang.com → 투자정보 →공고)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