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5년 3월 13일 | ||
회 사 명 : |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황정태 | |
본 점 소 재 지 : |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회원구 자유무역4길 61 | |
(전 화) 055-224-0500 | ||
(홈페이지) http://www.bumhanfuelcell.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상무 | (성 명) 김형석 |
(전 화) 055-224-05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기 정기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365조 및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하여 당사의 제6기(2024.01.01 ~ 2024.12.31)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생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1. 일시 : 2025년 3월 28일(금) 오전 9시
2. 장소 : 경남 창원시 성산구 중앙대로84번길 3(상남동), 범한빌딩 지하 1층 소극장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이해관계자 거래보고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결의사항
1) 제1호 의안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아래 가, 나 중 하나의 방법을 선택)
가. 주주총회 참석
주주님께서는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해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아래의 구분에 따라 준비물을 지참하시어 참석하시기 바랍니다.
1) 직접행사 : 신분증
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나. 전자투표
당사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금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으며, 전자투표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1)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2)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3월 18일 오전 9시 ~ 2025년 3월 27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단, 시작일은 9시부터, 마감일은 17시까지 가능)
3) 본인 인증 방법 : 증권용/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 인증, PASS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4)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황대식 (출석률: 100%) |
조점제 (출석률: 100%) |
정점자 (출석률: 100%) |
박상준 (출석률: 90%) |
최동호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24년 제01차 | '24.01.10 | 1. 내부회계관리자 지정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
'24년 제02차 | '24.01.26 | 1. 신주인수권 상실 처리의 건(상장 주관사)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03차 | '24.02.14 | 1. 제5기 재무제표 및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 | - | - | - | |||
'24년 제04차 | '24.02.23 | 1. 부동산 매수 승인의 건(대원동 공장)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05차 | '24.02.28 | 1. 제5기 정기주주총회 개최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전자투표제도 도입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기업은행 시설자금 차입 및 담보제공의 건 (대원동 공장)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06차 | '24.03.12 | 1. 제5기 정기주주총회 의안 일부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07차 | '24.03.22 | 1. 지점 설치의 건(대원동) | 찬성 | 찬성 | 찬성 | - | |
'24년 제08차 | '24.03.28 | 1. 의장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대표이사 변경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09차 | '24.03.29 | 1. 이사회 운영규정 개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 이해관계자 거래 총액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3. 특수관계자 임대차계약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10차 | '24.05.30 | 1. 산업은행 운영자금 대환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4년 제11차 | '24.06.17 | 1. 특수관계자 대여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 | 찬성 |
'24년 제12차 | '24.09.30 | 1. 신한은행 차입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13차 | '24.10.04 | 1. 특수관계자 대여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14차 | '24.11.08 | 1. 범한퓨얼셀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15차 | '24.12.09 | 1. 제6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관련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기준일 설정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 수소에너지네트워크 제1회 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인수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16차 | '24.12.13 | 1. 특수관계자 대여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4년 제17차 | '24.12.20 | 1. 이해관계자 거래총액 승인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주1) | 최동호 사내이사의 임기가 만료됨에 따라 2024년 3월 28일에 개최된 제5기 정기주주총회에서 기타비상무이사로 선임되었습니다. |
주2) | 2024년 6월 7일 박상준 기타비상무이사가 일신상의 이유로 사임하였습니다.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 위원회 |
황대식(위원장) 조점제 정점자 |
'24.01.10 | 1. 내부회계관리자 지정 승인의 건 | 가결 |
'24.02.14 | 1. 제5기(2023년) 기말 재무제표 검토 승인의 건 | 가결 | ||
2.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서 작성의 건 | 가결 | |||
3.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및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감사위원회의 의견서 작성의 건 |
가결 | |||
[보고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 - | |||
'24.02.14 | 1. 감사보수, 감사시간, 감사에 필요한 인력에 관한 사항에 대한 승인의 건 |
가결 | ||
2. 감사인 선정기준 각 항목에 대한 검토 승인의 건 | 가결 | |||
3. 감사인 선임의 건 | 가결 | |||
[보고사항] 외부 감사인과의 대면회의 결과 | - | |||
'24.02.23 | 1. 부동산 매수 승인의 건(대원동) | 가결 | ||
'24.05.08 | 1. 1분기 재무제표 검토 승인의 건 | 가결 | ||
'24.07.25 | 1. 반기 재무제표 검토 승인의 건 | 가결 | ||
'24.11.07 | 1. 3분기 재무제표 검토 승인의 건 | 가결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3 | 3,500 | 54 | 18 | - |
기타비상무이사 | 1 | - | - | - |
주1)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제5기 정기주주총회('24.03.28)에서 승인된 제6기(2024년) 이사 전체의 보수한도 총액이며, 미등기이사에 대한 보수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
주2) | 상기 '지급총액'은 2024년의 지급총액이며, '1인당 평균 지급액'은 지급총액을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
주3) | 당사는 기타비상무이사에게 보수를 지급하고 있지 않습니다.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단기대여① | 범한산업㈜ (최대주주) |
'23.10~'24.04 | 100 | 32.8 |
단기대여② | '24.06~'25.06 | 50 | 16.4 | |
단기대여③ | '24.08~'25.08 | 50 | 16.4 | |
단기대여④ | '24.10~'25.10 | 100 | 32.8 | |
단기대여⑤ | '24.12~'25.12 | 60 | 19.7 |
주1) | 상기 '비율'은 2023년 매출총액(305억원) 대비 거래금액의 비율이며, 10% 이상의 금액에 해당하는 단일 거래를 기재하였습니다. | ||||||||||||||||||||||||||||||||
주2) |
상기 대여의 대여기간은 모두 대여일로부터 1년이며, 약정이자는 연 4.6%입니다.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범한산업㈜ (최대주주) |
단기대여, 상표권 사용료 등 | '24.01 ~ '24.12 | 271 | 88.9 |
범한메카텍㈜ (최대주주의 특수관계인) |
부동산 임대 등 | '24.01 ~ '24.12 | 68 | 22.3 |
주) | 상기 '비율'은 2023년 매출총액(305억원) 대비 거래금액의 비율이며, 거래상대방과의 거래총액이 5% 이상에 해당하는 거래상대방을 기재하였습니다.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
잠수함용 연료전지의 주요 시장은 국내 잠수함정 시장입니다. 주요 수요자는 잠수함정을 건조하는 국내 조선사이며, 최종 수요자는 해군 및 방위력 개선사업의 수행과 군수품 조달 및 방위산업 육성 임무를 담당하는 방위사업청과 국방에 필요한 무기 및 국방과학기술에 대한 기술적 조사, 연구, 개발 및 시험 임무를 담당하는 국방과학연구소 등으로, 잠수함정 사업은 주로 정부와의 계약을 통해 대부분의 매출을 창출합니다.
[대한민국 해군 잠수함정 현황] |
사업명 |
운용 함정 |
특징 |
장보고-Ⅰ |
장보고함, 최무선함, 이종무함, |
- 톤수 1,200톤급 / 길이 56m - 최대속력 22kts (40km/h) - 항속거리 약 21,000km - 승조원 40여명 - 어뢰, 기뢰, 잠대함유도탄 |
장보고-Ⅱ |
손원일함, 안중근함, 윤봉길함, |
- 톤수 1,800톤급 / 길이 65m - 최대속력 20kts (37km/h) - 항속거리 약 22,000km - 승조원 40여명 - 어뢰, 기뢰, 잠대함유도탄 - 공기불요추진체계(AIP) 탑재 (연료전지 모듈 - 독일 지멘스 제작) |
장보고-Ⅲ |
도산안창호함, 안무함, 신채호함, 추가로 6척 건조예정(Batch Ⅱ, Ⅲ) |
- 톤수 3,000톤급 / 길이 83m - 최대속력 20kts (37km/h) - 항속거리 약 22,000km - 승조원 50여명 - 어뢰, 기뢰, 잠대함유도탄 - 공기불요추진체계(AIP) 탑재 (연료전지 모듈 - 당사 제작) |
출처 : 대한민국 해군 |
2) 건물용 연료전지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은 현재까지는 경제성이 온전히 확보되지 않아 법규 등에 따른 의무화시장, 정부지원사업 크게 두 종류의 시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요 수요자는 건물을 소유하고 있는 소유자, 공공기관 등입니다. 법규 등에 따른 의무화시장의 경우 주요 대상건물은 규제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가 존재하는 정부, 지자체 등의 공공기관 및 환경영향 평가 대상 민간건물 등이고, 정부지원사업의 경우 규제 적용 건물을 제외한 주택, 건물입니다.
구분 |
형태 |
내용 |
법규 등에 따른 시장 |
공공 |
[공공기관 설치의무화 제도] |
[제로에너지건축물(ZEB) 인증] 국가, 지자체 등의 공공기관이 신축, 증축 또는 개축하는 건축 연면적 500㎡ 이상의 건축물 및 30세대 이상의 공공 공동주택에 대해 신재생에너지를 활용하여 일정 비율('24년, 20%) 이상의 에너지자립률 인증을 받도록 의무화 |
||
[녹색건축(G-SEED) 인증] 국가, 지자체 등의 공공기관이 신축, 증축 또는 개축하는 건축 연면적 3천㎡ 이상의 건축물에 대해 신재생에너지 이용을 심사기준에 포함하여 인증을 받도록 의무화 |
||
민간 |
민간건축물에 대한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비율은 주거용/비주거용 및 규모에 따라 현재 각 지자체에서 제시하고 있음.('24년 기준 서울 주거용 9.5~10.5%, 비주거용 12.5~14.5% / 부산 주거용 7~9%, 비주거용 9~11%) |
|
정부 |
주택지원 |
신재생에너지원을 주택에 설치할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지원 |
건물지원 |
신재생에너지원을 건물에 설치할 경우 설치비의 일부를 정부가 보조지원 |
|
융복합 사업 |
신재생에너지원융합과 구역복합 등을 만족하는 성과 통합형 지원 사업으로, 태양광, 풍력 등 상호보완이 가능한 에너지원 설비를 특정 지역의 주택, 공공, 상업(산업) 건물 등에 설치하여 전기와 열을 공급하는 사업 |
|
확대기반 조성사업 |
지역특성에 맞는 환경친화적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하여 에너지 수급여건 개선 및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고자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설비 설치사업을 지원 |
건물용 연료전지는 생산된 전기를 소비하여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고 동시에 부생열을 활용하여 건물에 열 생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나, 경제성 측면에서 높은 전기발전 효율의 달성과 양질의 온수 생산에 대한 기술 극복, 수소연료전지 시스템 원가 경쟁력 향상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3) 수소충전소
수소충전소 시장은 현재 수소차 충전 인프라 확대를 위한 정책적 지원에 힘입어 확대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를 660기로 늘릴 계획으로, 이를 위한 다양한 정책적 지원과 민관협력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민관협력의 일환으로 탄생한 수소충전소 사업컨소시엄이 현재 수소충전소 구축시장의 주요 주체이며, 그 외 각 지자체와 학교, 연구원 등이 고객으로 존재합니다. 각 컨소시엄은 공기업뿐만 아니라 수소밸류체인 내 각 사업자(에너지 공급사, 완성차 기업, 정유사 등)가 참여하고 있으며, 참여자는 지속적으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정유사, LPG 공급사가 수소충전 인프라 시장에 참여함에 따라 기존 주유소 부지에 수소충전소가 결합되는 형태의 수소충전소 보급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중장기적으로 휘발유, 경유, LPG, 전기, 수소까지 공급이 가능한 융복합 에너지 스테이션이 설립될 예정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 수소경제 시장
수소위원회에 따르면 전방시장인 수소경제의 시장 규모는 빠르게 확대되어 2050년에 이르러 전세계적으로 수소는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18%를 차지하고, 4억 대의 승용차와 2천만 대의 상용차가 활용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수소경제의 시장 규모는 전세계적으로 2.5조 달러(약 2,940조 원)에 이르고, 3천만 명에 달하는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측되며, 한국에서도 70조 원의 시장 규모와 60만 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예상됩니다.
[2050년 수소경제 전망] |
구 분 |
글로벌 |
국내 |
시장규모 |
2.5조 달러(약 2,940조 원) |
70조 원 |
고용창출 효과 |
3천만 명 |
60만 명 |
최종 에너지 소비량 비중 |
18% |
20% |
수소 차량 |
승용 4억 대, |
승용 7백만 대, |
전체 발전량 비중 |
9% |
10% |
연간 CO2 감축 효과 |
60억 톤 |
1.5억 톤 |
출처 : 수소위원회 Hydrogen scaling up |
이와 같은 수소경제의 성장에 따라 전세계 수소에너지 수요는 2015년 8EJ(Exa Joule)에서 2050년 78EJ로 급속한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단위: EJ) |
|
2)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
국방부는 해상에서 지상표적을 정밀타격할 수 있도록 대형 잠수함(3,000~4,000t급)을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무장 탑재능력과 잠항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고 있으며, 2021년 4월 개최된 제135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 장보고-III Batch-II 후속함 3척에 대한 건조계획을 발표하여 총 사업비 약 3조 4,100억 원을 책정한 바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는 장보고-II(KSS-II)급 잠수함 9척과 장보고-III(KSS-III)급 국산 잠수함 9척(건조 예정 포함)의 연료전지모듈 교체 시장이 있습니다. 2023년 8월 개최된 제156회 방위사업추진위원회에서는 장보고-II급 연료전지 잠수함의 노후장비를 최신 국산화 장비로 교체하는 성능개량 사업계획을 발표하여 총 사업비 약 8,000억 원을 책정한 바 있으며, 장보고-III급 잠수함에서도 연료전지 모듈의 교체주기(5~8년) 도래에 따른 후속 군수 지원 매출이 꾸준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잠수함용 연료전지 시장은 세계 각국의 해군에서 연료전지 잠수함 도입을 계획하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독일 연료전지의 경우 2006년 상용화 이후 약 15년간 잠수함 40척분의 연료전지모듈이 80대 설치되어 운영되었습니다. 214급(장보고-II) 잠수함은 1,800톤급 AIP(공기불요추진체계) 잠수함으로, AIP 잠수함 중 세계에서 보급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며, 연안 및 근해 작전용으로 꾸준한 수요가 예상되어 대형 잠수함에 비해 시장규모가 상대적으로 큽니다. 최근에는 캐나다 CPSP 사업과 같이 3,000톤 이상의 대형 잠수함에도 연료전지 잠수함이 본격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국내외 잠수함용 AIP 잠수함 시장에서 연료전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60%로 추정되며, 연료전지의 기술 우위로 인해 비중은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3) 건물용 연료전지
국내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은 정부의 지원사업에 힘입어 2018년 이후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매년 신재생에너지 의무화 비율을 높이고, 의무대상을 확대하면서 의무화시장(법규 등에 따른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이며, 최근 각 지자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수소도시(울산, 안산, 전주, 완주, 삼척, 평택, 남양주, 보령, 당진, 광양, 포항 등) 조성사업으로 인해 성장세는 더욱 강해질 전망입니다. 시장 규모(수출 제외)는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상 2022년 8,500억 원에서 2040년 12.6조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
4) 수소충전소
수소차 보급 및 수소산업 성장에 가장 큰 걸림돌은 제반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우리나라 수소차 보급속도는 세계 1위로, 주요국과 비교했을 때 가장 빠르나 충전소 1기당 수소차 대수는 미국 다음으로 가장 많아 수소충전소가 매우 부족한 실정입니다.
이로 인해 정부 차원에서 수소충전소 구축 인허가 특례 제정, 전략적 배치계획 수립 등 입지 선정 지원책을 마련하고 있으며, 평가·안전기준 등 각종 규제 개선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정부 정책의 노선이 수소 인프라 확대에 초점이 맞춰지면서 수소산업의 성장을 저해했던 인프라 부족 문제가 점차 해소될 전망입니다.
정부의 수소충전소 확대 전략은 기존 기체수소충전소에서 최근 액화수소충전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이는 수소버스 및 수소트럭 등 상용차 중심의 수소차 보급을 확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향후 액화수소충전소를 위주로 시장이 성장할 전망입니다.
정부는 2030년 수소충전소 누적 구축 660기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2040년에는 1,200기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다양한 분야에서의 수소 활용을 위해서 지속적으로 수소충전소 구축사업을 진행 중이며, 매년 추가 예산 확보 및 법률과 규제를 개정 중에 있습니다. 이에 따라 향후 수소충전소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위 : 기) |
|
(단위 : 기) |
|
(3)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은 경기보다는 정책적 요인에 의해 더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의 경우 군 당국의 잠수함 건조, 정비 계획 및 수소연료전지 채택 계획에 따라서 매출 규모가 결정되고 있습니다.
한편, 건물용 연료전지 및 수소충전소는 현재 산업 성장기로 과거 경기변동에 따른 매출 규모의 추이 파악이 어렵습니다. 정부에서는 신재생에너지를 새로운 성장동력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지원정책이나 파리협약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정책 등 신재생에너지 및 연료전지의 보급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정책을 꾸준히 발표, 집행하고 있기 때문에 향후 경기변동과 관계없이 건물용 연료전지 및 수소충전소의 꾸준한 성장세가 지속될 전망입니다.
(4) 산업의 계절성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의 경우 군 당국의 공기불요추진체계 잠수함에 대한 건조 계획에 따라 수요가 발생되고 있으며, 잠수함의 건조 일정에 따라 매출액이 인식되고 있어 계절성에 의한 영향이 적습니다.
건물용 연료전지 매출은 정부지원사업의 승인 시기로 인해 2022년까지는 4분기 비중이 높았으나 2023년부터 의무화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을 하면서 매출의 계절성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반면, 수소충전소의 경우에는 정부지원사업의 특성상 하반기에 수주가 주로 이루어지며, 공사에 평균 10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5) 시장 경쟁여건 등
1)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
잠수함용 연료전지 상용화 기술 보유국은 현재 독일과 대한민국뿐입니다. 지금의 경쟁 구도는 2강 체계이나 프랑스에서 개발을 진행하고 있어, 향후 개발에 성공할 경우 경쟁 국가가 될 수 있습니다. 프랑스는 2019년 프로토타입으로 18일간의 실증 운전에 성공하였다고 언론에 공개하였으나, 실제 함에서 진행한 것이 아니므로 기술적인 부분에서는 잠수함 적용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해야 할 것으로 보이며, 이후 추가적인 실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2) 건물용 연료전지
2019년 1월에 정부가 발표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의 양대 축으로 수소차와 함께 연료전지가 대두되면서 연료전지 산업이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신재생에너지 건물지원사업, 공공기관 신재생에너지 설치 의무화 제도, 신재생에너지 건축물 인증 제도 등 신재생에너지를 건물에 적용하는 친환경 건축물 관련 제도를 점차 시행함에 따라 그동안 가정용과 발전용 위주였던 국내 연료전지 시장이 건물용까지 더욱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쟁시장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후발주자임에도 납품처 및 제품 다각화, 품질 및 성능 개선, 원가절감, 철저한 사후관리를 통해 시장점유율을 확보해 나가고 있습니다.
3) 수소충전소
기체수소충전소 구축시장에는 다수의 경쟁업체가 있어 가격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후발주자로 기체수소충전소 구축사업에 진입하였으나 모기업의 수소압축기 국산화를 통해서 가격경쟁력을 높이고, 고장률 낮은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시장지배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기존의 기체수소충전소와 함께 2024년부터 액화수소충전소로 사업영역을 확장하였습니다. 액화수소충전소는 핵심부품인 액화수소펌프의 높은 기술장벽과 공정 설계의 복잡성으로 인해 시장진입이 매우 어렵습니다. 당사는 일본 스미토모상사그룹으로부터 일본 및 미국에서 검증된 초고압 액화수소펌프를 도입하고, 독자적으로 공정을 설계하여 최적화된 액화수소충전소를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향후 모회사 범한산업㈜와 계열회사 범한메카텍㈜와의 협력을 통해 액화수소충전소 핵심부품을 내재화하여 기술, 원가 및 품질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6) 회사의 경쟁우위
1) 사업의 안정성
당사는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을 독일에 이어 세계 두 번째로 개발하여 국내 독점 납품하는 중이며, 한정된 시장규모 및 보수적인 시장, 특허 이슈 등을 이유로 향후 경쟁업체의 진입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판단됩니다. 꾸준한 유지보수와 창정비 및 교체 수요가 발생할 예정으로, 안정적인 실적 기반을 마련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향후 장보고-II급 잠수함 9척에 탑재되어 있는 연료전지 모듈의 국산화 교체, 연료전지 잠수함의 해외 수출 가능성, 구축 완료된 수소충전소에 대한 C/S 매출 등으로 실적 기반은 더욱 탄탄해질 수 있습니다.
또한, 운영자금 측면에서도 안정성이 있습니다. 건물용 연료전지의 경우 장비 납품 단계부터 시운전 및 설치공사 등 진척도에 따라 판매대금을 회수하고 있으며, 잠수함용 연료전지와 수소충전소 사업은 고객의 요구에 맞추어 납품하는 장기 프로젝트성 사업으로, 계약 체결 시점부터 사업진척도에 따라 판매대금이 지속적으로 안분되어 회수되므로 자금 운영에 여유가 있습니다.
2) 사업의 확장성
당사는 잠수함용 연료전지 사업의 안정성을 바탕으로 성장성이 높은 건물용/발전용/수소버스용/선박용/건설기계용 연료전지, 수소충전소, 무인잠수정 등의 사업에 보다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가혹한 해양·전투환경에서 요구되는 내충격성·고출력·고밀도·방수·방폭·방진 등의 특수한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난이도의 잠수함용 PEMFC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다른 수소모빌리티로의 사용확장성이 높습니다.
특히, 수소모빌리티 중 수소버스와 선박의 연구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시장 진출을 위해 2024년 2월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129,890.7㎡의 대규모 공장부지 및 건축물 등을 1,100억 원에 인수한 바 있습니다.
3) 사업 시너지
당사는 수소 분야에서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각 사업들은 사업 간 및 계열사 간 시너지가 존재하도록 철저한 준비를 통해서 사업을 착수하였습니다. 먼저 잠수함용 및 건물용 연료전지의 경우 인력 및 장비의 활용 측면에서 상호보완적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사업 사이클이 상이한 연료전지 사업을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인력 및 장비의 효율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연료전지의 제품 수익성과 핵심부품 조달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2023년 10월 출자를 통해 범한머티리얼즈㈜를 설립하였습니다. 범한머티리얼즈를 통해 잠수함용 MEA를 내재화할 계획이며, 향후 건물용 및 모빌리티용 등 다양한 수소연료전지 및 수전해설비에 활용할 수 있는 핵심부품을 조달할 계획입니다.
또한 향후 계열회사와의 협업을 통해서 수소전기버스용 연료전지 사업에서 시너지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유하고 있는 대용량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하여 수소전기버스용 연료전지를 개발(범한자동차 협업)하고 배터리 파워팩을 내재화(범한유니솔루션 협업)하여 향후 2년 이내 수소버스용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 및 출시할 계획입니다.
기체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의 경우 모회사인 범한산업㈜의 자체 수소압축기 개발 등의 형태로 큰 시너지를 내고 있습니다. 기체수소충전소에서 수소압축기는 재료비의 약 50%를 차지할 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며, 입찰경쟁 시스템 하에서 원가 우위를 확보할 수 있는 핵심요소입니다. 당사는 모회사의 우수한 기술력을 바탕으로 하는 수소압축기 내재화를 통하여 가격경쟁력 및 품질경쟁력 모두를 확보할 수 있습니다. 향후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사업계획에 따라 액화수소충전소의 핵심부품은 모회사인 범한산업㈜와 계열회사인 범한메카텍㈜와의 협력을 통해 내재화할 계획입니다.
4) 보유 기술의 우수성
당사는 핵심기술 인수 및 자체 연구개발을 통해 사업에 필요한 충분한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으며, 군수용 연료전지, 건물용 연료전지, 수소충전소와 관련하여 다수의 특허를 출원하였습니다. 잠수함용 연료전지의 경우 가혹한 해양·전투환경에서 요구되는 내충격성·고출력·고밀도·방수·방폭·방진 등의 특수한 조건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고난이도의 잠수함용 PEMFC 기술을 바탕으로 세계 두 번째로 상용화에 성공하였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효율을 자랑하고 있습니다.
건물용 연료전지의 경우 제품 다각화, 품질 및 성능 개선을 통해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10kW 제품(개질수소 타입)에 대한 신규 인증을 통해 국내 최고 발전효율 40.1%를 달성, 2024년 2월 재인증을 통해 6kW 제품(개질수소 타입)에 대해 국내 최고 발전효율 39.9%를 달성하였으며, 2023년 11월 신규 인증을 통해 순수수소 건물용 연료전지 10kW 시스템에 대해 국내 최고 발전효율 56.9%를 달성한 바 있습니다. 차세대 연료전지인 SOFC의 경우 2023년 세계 두 번째로 캐스케이드 방식의 3kW SOFC hot box를 개발하여 장기운전 평가를 완료하였습니다. 2025년에는 캐스케이드 방식의 10kW SOFC 시스템 제작 및 장기운전 평가를 완료하고, 3kW SOFC 시제품 제작 및 인증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수소충전소의 경우 국내 최초로 수소버스용, 수소화물차용 및 수소트램용 대용량 수소충전소를 구축한 이력이 있습니다. 적합한 하드웨어 선정 및 우수한 설계기술을 바탕으로 운영사에서 요구했던 성능을 100% 발휘하는 시설을 공급하고 있고, 고장률이 낮은 수소충전소를 구현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장 예방과 대응 시스템을 갖추고 핵심부품을 자체 제작하고 있기 때문에 철저한 사후관리가 가능합니다.
5) 보유 인력의 전문성
당사는 수소연료전지 및 미래사업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국내 최고 수준의 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인력들은 15년 이상의 해당 분야 경력을 지니고 있으며, 국내 최초 수소충전소 구축, 세계 두 번째 잠수함용 연료전지 개발, 세계 두 번째 건설기계용 연료전지 개발 등 국내 최고 전문가로서의 이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인력의 충원과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복리후생제도와 직무발명보상제도의 운영 및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등의 방법으로 당사의 성장과 임직원의 이해관계를 일치시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당사는 세계적으로 가속화되고 있는 수소산업 시장을 선점하고 성장 기회를 극대화하고자 2019년 12월 31일에 범한산업㈜의 수소연료전지 사업부를 물적분할하여 설립되었습니다. 당사는 독자개발 또는 기술이전을 통해 획득한 원천기술을 기반으로 잠수함용 연료전지, 건물용 연료전지, 수소충전소 구축 사업으로 사업을 확장해왔습니다.
지난 2024년은 ①장보고-III Batch-II 3번함용 연료전지 모듈 납품계약을 체결 ②고성능 액화수소펌프를 독점공급받아 인천공항 내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계약을 체결 ③수소모빌리티 시장 진출을 위해 1,100억 원 규모의 공장을 인수 ④자회사 범한머티리얼즈㈜를 통해 잠수함용 연료전지의 핵심부품인 막전극접합체(MEA) 기술을 확보하는 등 당사에게 뜻깊은 한 해였습니다. 고환율 및 원자재 가격 상승기조 지속 등 대외적 경영 환경은 어려웠지만, 2024년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은 작년 대비 약 18% 증가한 360억 원을, 영업이익은 31억 원(흑자전환)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①장보고-III Batch-II 3번함용 연료전지 모듈 납품계약 반영 ②매출액 증가에 따른 고정비 부담 감소의 영향으로 판단됩니다.
당사의 2024년 말 기준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의 비중은 약 15%로, 2024년에도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전념해왔습니다. 그 결과 ①장보고-II(KSS-II)급 잠수함 9척에 대한 성능개량 사업의 일환으로, 연료전지를 국산화 개발하여 함연동 체계적합성 시험을 통과 ②'수출형 잠수함용 연료전지모듈 개조개발' 국책과제에 주관기관으로 선정 ③선박용 암모니아 기반 수소연료전지 시스템(50kW)의 육상 시운전을 완료('25년 해상 시운전 예정) ④건물용 연료전지 6kW 시스템의 KS 재인증을 통해 국내 최고 발전효율(39.9%)을 달성 ⑤국내 최초로 수소트램용 수소충전소를 구축하여 실증을 완료하는 등의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차세대 연료전지/수전해전지인 SOFC/SOEC 개발과제를 포함하여 9개의 국책과제를 수행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수소버스용 PEMFC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5년에는 그동안의 연구개발 성과 및 사업제휴를 통해서 ①장보고-III급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예비용-전투교체품) 수주 ②장보고-II급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국산화 교체) 수주 ③액화수소충전소에 대한 추가수주 ④순수수소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 수주를 기대하고 있으며, 관련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은 현재 전액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지만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과 수소충전소의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해외 대형 잠수함의 경우 캐나다 CPSP(사업규모 70조 원) 및 폴란드 ORKA(사업규모 3.4조 원)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잠수함 체계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 중소형 잠수함 시장 진출을 위해 '수출형 잠수함용 연료전지모듈 개조개발' 국책과제를 주관하여 모듈 소형화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수소충전소의 경우 해외수출에 용이한 패키지 형태의 수소충전소를 개발하여 실증 중이며, 최근 중국 우한퓨처에너지 및 말레이시아 MSCA와 MOU를 체결하는 등 해외 파트너사를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탄소중립이 글로벌 패러다임으로 급부상하였습니다. 수소경제의 이행은 불가피한 글로벌 트렌드로, 2025년에는 탈탄소 움직임이 더욱 활발해지면서 수소산업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기술, 원가 및 품질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기존 사업을 견고히 하는 한편,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사업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향후 수소버스용 및 선박용 연료전지, 발전용 연료전지 등으로 사업 범위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수소연료전지 사업부문을 단일 사업부문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III. 경영참고사항-1. 사업의 개요-가. 업계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사업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잠수함용 연료전지와 건물용 연료전지 5kW, 6kW 및 10kW 제품(개질수소 타입), 수소충전소(기체·액화 타입)를 제조·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존 제품의 기술, 원가 및 품질 경쟁력을 강화하는 한편, 당사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여 신성장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연구개발에 전념하고 있습니다. 특히 2024년에는 그동안의 연구개발 성과 및 사업제휴를 통해서 인천공항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계약을 체결할 수 있었습니다. 2025년에는 ①장보고-III급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예비용-전투교체품) 수주 ②장보고-II급 잠수함용 연료전지 모듈(국산화 교체) 수주 ③액화수소충전소에 대한 추가수주 ④순수수소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 수주를 기대하고 있으며, 관련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1) 제품군 다각화 전략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장보고-III급 잠수함용]
당사는 2018년부터 대한민국 해군 장보고-Ⅲ(KSS-III) 사업의 3,000톤급 이상 차세대 잠수함에 수소연료전지 모듈을 독점 납품하고 있습니다. 향후 수주 예정인 장보고-III Batch-III 잠수함 3척에 대한 연료전지의 수익성 및 성능을 더욱 개선하기 위해 2024년부터 수출형 잠수함 관련 국책과제를 수행함으로써 수소연료전지 모듈의 원가를 줄이고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수출형 잠수함과 관련해서는 아래 '(3) 해외시장 판매 전략' 부분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장보고-II급 잠수함용]
당사는 2020년부터 대한민국 해군이 운용 중인 장보고-II(KSS-II)급 잠수함 9척에 탑재되어 있는 연료전지 모듈의 국산화 개발 국가과제를 수행해 왔습니다. 해당 과제는 2024년 8월부로 완료되었으며, 2025년부터 해군으로부터의 수주가 예상됩니다. 장보고-II급 잠수함은 1,800톤급 AIP 잠수함으로, AIP 잠수함 중 세계에서 보급률이 가장 높은 것으로 추정되며, 연안 및 근해 작전용으로 수요가 많아 대형 잠수함에 비해 시장규모가 상대적으로 큽니다. 당사는 해당 국산화 개발을 통해 장보고-II급 잠수함용 연료전지에 대한 국내 수주뿐만 아니라 해외수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무인잠수정]
무인잠수정과 관련해서는 2022년에 대잠정찰용 무인잠수정 수중장기체류 에너지원 응용개발을 완료하여 시제품을 납품하였으며, 약 3년간의 체계개발과 전력화 과정을 거쳐 2030년부터 사업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무인잠수정은 전투용, 기뢰 탐색용 등 다양한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수중 밀폐형 연료전지 기술은 현재까지 당사의 독점 분야입니다. 당사는 잠수함 및 무인잠수정용 연료전지를 통해 확보한 핵심기술을 바탕으로 선박용 연료전지로 그 분야를 확대하고자 합니다.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선박용]
선박용 연료전지 시장은 아직 개화되지 않은 시장으로, 향후 다양한 형태의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다방면으로 연구개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선박용 연료전지 관련 연구개발 현황]
구 분 | 내 용 |
2022년 03월 | 소형 선박용 25kW 수소연료전지 개발 및 운항 실증 |
2022년 10월 | 5MW급 선박용 액화수소 연료전지 DNV 선급 인증 |
2023년 12월 | 암모니아 기반 연료전지 시스템(50kW) 및 액화수소 연료전지 시스템(300kW) DNV 선급 인증(2025년 해상 실증 예정) |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수소버스용]
또한, 당사는 보유하고 있는 대용량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기술을 활용하여 수소전기버스용 연료전지를 개발(계열회사 범한자동차 협업)하고, 배터리 파워팩을 내재화(계열회사 범한유니솔루션 협업)하여 향후 2년 이내 수소버스용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개발 및 출시할 계획입니다.
[건물용 연료전지 - 개질수소]
건물용 연료전지는 2023년부터 시장점유율 확보를 위해 시장 주력제품인 10kW 연료전지를 통해 의무화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였습니다. 향후 신규스택 및 흑연분리판 개발, 원자재 대체품 검토 등을 통해 기존 제품을 개선하고 원가를 절감하여 시장점유율을 더욱 확보하고자 합니다.
차세대 수소연료전지인 SOFC의 경우 4년 전부터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2023년 세계 두 번째로 캐스케이드 방식의 3kW SOFC hot box를 개발하여 장기운전 평가를 완료하였습니다. 2025년에는 캐스케이드 방식의 10kW SOFC 시스템 제작 및 장기운전 평가를 완료하고, 3kW SOFC 시제품 제작 및 인증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SOFC는 우선적으로 건물용으로 출시하여 건물용 연료전지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할 계획이며, 향후 발전용 연료전지 시장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건물용 연료전지 - 순수수소]
2023년 11월에는 순수수소 건물용 연료전지 시스템(5kW, 10kW)를 개발하였으며, 특히 10kW 시스템은 인증 당시 국내 최고 발전효율 56.9%를 달성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를 바탕으로 50kW까지 제품군을 확대하여 현재 각 지자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수소도시(울산, 안산, 전주, 완주, 삼척, 평택, 남양주, 보령, 당진, 광양, 포항 등) 조성사업에 참여하고자 영업활동을 진행 중입니다. 향후 정부의 수소경제 로드맵에 따라 수소 공급을 위한 수소 인프라가 확대되면 궁극적으로 순수수소 건물용 연료전지가 건물의 보편적인 발전시스템으로 적용되고, 발전소 등 대규모 발전용으로 그 활용범위가 확대될 것입니다.
[수소충전소 - 기체수소]
수소충전소의 경우 환경부에서 발표한 '수소충전소 전략적 배치계획'에 따른 발주량 대비 실제 발주량의 미달과, 수주실적을 쌓기 위한 신규경쟁업체의 원가 이하 입찰로 인해 2022년부터 수주경쟁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수소충전소의 원가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지고 상황으로, 당사는 모회사에서 2022년 개발한 수소압축기(재료비의 약 50%)뿐만 아니라 디스펜서(충전기, 재료비의 약 10%) 등의 부품 개발을 통해 수익성을 더욱 확보하고자 합니다.
[수소충전소 - 액화수소]
수소충전소에 대한 2023년 정부보조금 예산의 81%가 액화수소충전소에 편성되는 등 정부의 수소충전소 확대 전략이 액화수소충전소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존의 시장점유율을 회복하고, 시장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기존의 기체수소를 이용하는 충전소에서 2023년부터 액화수소충전소로 사업영역을 확장하고자 노력해 왔습니다. 그 일환으로 일본 스미토모상사그룹과의 MOU 체결을 통해 일본 및 미국에서 검증된 초고압 액체수소펌프를 독점 공급받는 등 액화수소충전소 핵심부품 공급사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첫 액화수소충전소 구축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추가 수주를 위한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향후 모회사 범한산업㈜와 계열회사 범한메카텍㈜와의 협력을 통해 액화수소충전소 핵심부품을 내재화하여 기술, 원가 및 품질경쟁력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수소충전소 - 기타]
이외에도 수소트램용 이동식 수소충전시스템을 개발하여 실증을 완료하였으며, 디스펜서(충전기) 및 수소충전소 패키지(수출용)를 실증 중에 있습니다. 또한, 수소카고바이크, 수소지게차 등 다양한 모빌리티를 위한 실내 수소충전 시스템과 수전해설비를 활용한 그린수소충전소 등에 대한 연구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 MOU를 통한 파트너사 확대 전략
현재 수소연료전지 및 수소충전소 산업은 전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당사의 강점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는 주요 파트너와의 협력을 통해 시장 경쟁에 적극 대처하고 있습니다.
파트너사 | 협력 시기 | 협력 내용 |
Chart Industries, INC (미국) |
2023년 04월 | - 액화수소 사업의 전략적 협력 |
Elcogen AS |
2023년 10월 | - SOFC 및 SOEC 제품 상용화 |
Sumitomo Corp.Korea / Sumitomo Shoji Machinex Co,.Ltd (일본) |
2024년 03월 | - 수소산업밸류체인 전반적 협력 - 초고압 액화수소펌프 독점 공급 |
우한퓨처에너지 (중국) |
2024년 11월 | - 우한시 내 상용차용 수소충전소 구축 |
MSCA (말레이시아) |
2024년 11월 | - 수소기반도시 개발 - 수소에너지 사이클 시스템(HECS) - 수소충전 인프라 R&D 실증 프로젝트 |
3) 해외시장 판매 전략
당사는 내수중심 판매를 진행해왔으나 내수시장의 수요한계로 해외시장으로 판매를 확장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여 국내외 방위산업전시회, 상담회, 현지업체와의 컨택, 파트너사와의 협력을 통해 당사에 대한 대외 인지도 향상과 제품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군수용]
대한민국의 연료전지 잠수함 개발 성공으로 인해 최근 캐나다, 폴란드, 인도, 인도네시아, 필리핀, 사우디아라비아 등에서 잠수함용 연료전지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해외 대형 잠수함의 경우 캐나다 CPSP(사업규모 70조 원) 및 폴란드 ORKA(사업규모 3.4조 원)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잠수함 체계업체와 협력하고 있으며, 향후 해외 중소형 잠수함 시장 진출을 위해 '수출형 잠수함용 연료전지모듈 개조개발' 국책과제를 주관하여 모듈 소형화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모빌리티용 연료전지 - 선박용]
당사는 크루즈선 등 다양한 상선의 주추진동력이 되는 5MW급 이상의 액화수소 연료전지에 대해 지난 2022년 10월 노르웨이 선급인 DNV로부터 국내 최초로 AIP(Approval In Principle)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현재 유럽 선주를 대상으로 삼성중공업과 공동마케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수소충전소]
수소충전소의 경우 국내에서의 실적을 바탕으로 중국과 UAE/오만 등 중동국가 및 태국/말레이시아/인도네시아/인도 등 동남아 진출을 위해 노력 중입니다. 당사는 수소산업으로의 전환 및 확장을 모색하는 외국 국영기업과 대기업을 중심으로 컨택 및 대응하고 있으며, 최근 해외에서 직접 문의와 방문이 이어지고 있어 영업 대응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해외수출에 용이한 패키지 형태의 수소충전소를 개발하여 실증 중이며, 국가 및 고객별 상황과 요구사항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는 데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4) 조직도
![]() |
조직도_범한퓨얼셀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제1호 의안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본 공시의 'III. 경영참고사항'-'1. 사업의 개요'-'나. 회사의 현황을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 아래의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는 외부감사 전 재무제표이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재무제표는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http://www.bumhanfuelcell.com)에 공시 예정인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1) 연결 재무제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 |
제 06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05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회사명 : 범한퓨얼셀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제 06(당) 기 | 제 05(전) 기 | ||
---|---|---|---|---|
자산 | ||||
유동자산 | 89,960,936,132 | 89,028,471,835 | ||
현금및 현금성자산 |
9,597,330,739 | 26,732,903,682 | ||
단기금융상품 | 13,540,000,000 | 15,540,000,000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123,426,313 | - |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2,641,171 | 52,086,808 | ||
매출채권및 기타채권 |
41,546,156,818 | 19,237,510,767 | ||
재고자산 | 15,681,993,763 | 16,502,039,884 | ||
계약자산 | 5,907,377,657 | 9,255,732,584 | ||
기타유동자산 | 1,348,156,541 | 1,241,192,490 | ||
당기법인세자산 | 203,853,130 | 467,005,620 | ||
비유동자산 | 230,073,438,469 | 34,607,202,774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4,631,120,712 | 3,106,676,688 |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5,000,000,000 | 5,000,000,000 | ||
매출채권및 기타채권 |
1,592,826,643 | 3,488,929,712 | ||
계약자산 | 6,751,710,516 | 3,899,943,010 | ||
유형자산 | 204,563,515,965 | 13,690,611,413 | ||
사용권자산 | 1,104,322,103 | 1,322,226,049 | ||
무형자산 | 5,237,080,919 | 2,717,946,432 | ||
기타비유동자산 | 90,000,839 | 143,666,897 | ||
이연법인세자산 | 1,102,860,772 | 1,237,202,573 | ||
자산총계 | 320,034,374,601 | 123,635,674,609 | ||
부채 | ||||
유동부채 | 43,079,940,709 | 10,647,873,408 | ||
매입채무및 기타채무 |
5,371,911,477 | 4,928,089,163 | ||
계약부채 | 9,793,211,879 | - | ||
단기차입금 | 11,000,000,000 | 5,000,000,000 | ||
리스부채 | 120,622,837 | 167,760,713 | ||
전환사채 | 11,160,112,344 |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3,866,398,569 | - | ||
충당부채 | 106,929,682 | 103,861,462 | ||
기타유동부채 | 1,660,753,921 | 448,162,070 | ||
비유동부채 | 93,347,618,615 | 7,091,183,701 | ||
매입채무및 기타채무 |
1,353,846,167 | 2,582,830,425 | ||
장기차입금 | 90,090,000,000 | 3,090,000,000 | ||
리스부채 | 959,925,040 | 1,049,391,932 | ||
순확정급여부채 | 909,093,229 | 338,532,920 | ||
기타비유동부채 | 34,754,179 | 30,428,424 | ||
부채총계 | 136,427,559,324 | 17,739,057,109 | ||
자본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81,817,250,422 | 103,901,830,055 | ||
자본금 | 4,380,500,000 | 4,380,500,000 | ||
기타불입자본 | 92,538,196,924 | 92,513,424,251 |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77,844,800,953 | - | ||
이익잉여금 | 7,053,752,545 | 7,007,905,804 | ||
비지배지분 | 1,789,564,855 | 1,994,787,445 | ||
자본총계 | 183,606,815,277 | 105,896,617,500 | ||
부채및자본총계 | 320,034,374,601 | 123,635,674,609 |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06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05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회사명 : 범한퓨얼셀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 (단위 : 원) |
과 목 | 제 06(당) 기 | 제 05(전) 기 | ||
---|---|---|---|---|
매출 | 36,046,537,662 | 30,515,676,816 | ||
매출원가 | 29,939,775,462 | 32,195,235,691 | ||
매출총이익 | 6,106,762,200 | (1,679,558,875) | ||
판매비와관리비 | 4,207,783,721 | 3,560,813,055 | ||
영업이익(손실) | 1,898,978,479 | (5,240,371,930) | ||
금융손익 | (1,899,143,199) | 2,027,873,291 | ||
금융수익 | 1,994,996,195 | 2,423,159,251 | ||
금융원가 | 3,894,139,394 | 342,699,960 | ||
기타의대손상각비 | - | 52,586,000 | ||
기타영업외손익 | 450,204,780 | (133,979,122) | ||
기타영업외수익 | 562,080,526 | 184,032,426 | ||
기타영업외비용 | 111,875,746 | 318,011,548 | ||
법인세비용 차감전순이익(손실) |
450,040,060 | (3,346,477,761) | ||
법인세비용(수익) | 133,041,801 | (915,797,965) | ||
당기순이익(손실) | 316,998,259 | (2,430,679,796)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522,220,849 | (2,375,467,241) | ||
비지배지분 | (205,222,590) | (55,212,555) | ||
기타포괄손익 | 77,368,426,845 | (42,821,966) | ||
후속적으로 당기 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
재평가잉여금 | 77,844,800,953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476,374,108) | (52,253,772)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의 법인세 |
- | 9,431,806 | ||
당기총포괄이익(손실) | 77,685,425,104 | (2,473,501,762)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77,890,647,694 | (2,418,289,207) | ||
비지배지분 | (205,222,590) | (55,212,555) |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순이익 | 61 | (277) | ||
희석주당순이익 | 61 | (277) |
(2) 별도 재무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 06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 |
제 05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회사명 :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06(당) 기 | 제 05(전) 기 | ||
---|---|---|---|---|
자산 | ||||
유동자산 | 85,691,756,710 | 85,052,202,008 | ||
현금및 현금성자산 |
9,009,473,257 | 26,629,846,699 | ||
단기금융상품 | 13,540,000,000 | 15,540,000,000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123,426,313 | - | ||
매출채권및 기타채권 |
38,434,165,232 | 15,418,492,923 | ||
재고자산 | 15,681,993,763 | 16,502,039,884 | ||
계약자산 | 5,907,377,657 | 9,255,732,584 | ||
기타유동자산 | 811,774,748 | 1,239,637,938 | ||
당기법인세자산 | 183,545,740 | 466,451,980 | ||
비유동자산 | 231,158,075,170 | 36,181,612,963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4,631,120,712 | 3,106,676,688 |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5,000,000,000 | 5,000,000,000 | ||
종속기업 투자 | 4,950,000,000 | 4,950,000,000 | ||
매출채권및 기타채권 |
1,585,479,641 | 3,364,376,324 | ||
계약자산 | 6,751,710,516 | 3,899,943,010 | ||
유형자산 | 203,706,511,985 | 10,708,295,018 | ||
사용권자산 | 863,163,099 | 1,053,506,021 | ||
무형자산 | 2,477,227,606 | 2,717,946,432 | ||
기타비유동자산 | 90,000,839 | 143,666,897 | ||
이연법인세자산 | 1,102,860,772 | 1,237,202,573 | ||
자산총계 | 316,849,831,880 | 121,233,814,971 | ||
부채 | ||||
유동부채 | 41,298,504,172 | 10,330,353,150 | ||
매입채무및 기타채무 |
4,755,329,507 | 4,907,272,772 | ||
계약부채 | 9,793,211,879 | - | ||
단기차입금 | 11,000,000,000 | 5,000,000,000 | ||
전환사채 | 11,160,112,344 |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3,866,398,569 | - | ||
리스부채 | 84,508,860 | 131,646,736 | ||
충당부채 | 106,929,682 | 103,861,462 | ||
기타유동부채 | 532,013,331 | 187,572,180 | ||
비유동부채 | 93,104,327,574 | 6,867,316,991 | ||
매입채무및 기타채무 |
1,353,846,167 | 2,582,830,425 | ||
장기차입금 | 90,090,000,000 | 3,090,000,000 | ||
리스부채 | 745,062,049 | 825,525,222 | ||
순확정급여부채 | 880,665,179 | 338,532,920 | ||
기타비유동부채 | 34,754,179 | 30,428,424 | ||
부채총계 | 134,402,831,746 | 17,197,670,141 | ||
자본 | ||||
자본금 | 4,380,500,000 | 4,380,500,000 | ||
기타불입자본 | 92,538,196,924 | 92,513,424,251 | ||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
77,844,800,953 | - | ||
이익잉여금 | 7,683,502,257 | 7,142,220,579 | ||
자본총계 | 182,447,000,134 | 104,036,144,830 | ||
부채및자본총계 | 316,849,831,880 | 121,233,814,971 |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 06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05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회사명 :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 06(당) 기 | 제 05(전) 기 | ||
---|---|---|---|---|
매출 | 36,046,537,662 | 30,515,676,816 | ||
매출원가 | 29,939,775,462 | 32,195,235,691 | ||
매출총이익 | 6,106,762,200 | (1,679,558,875) | ||
판매비와관리비 | 2,961,268,532 | 3,366,564,313 | ||
영업이익(손실) | 3,145,493,668 | (5,046,123,188) | ||
금융손익 | (2,070,738,640) | 2,022,617,225 | ||
금융수익 | 1,794,004,473 | 2,410,722,245 | ||
금융원가 | 3,864,743,113 | 335,519,020 | ||
기타의대손상각비 | - | 52,586,000 | ||
기타영업외손익 | 75,942,559 | (133,444,468) | ||
기타영업외수익 | 183,323,751 | 184,019,580 | ||
기타영업외비용 | 107,381,192 | 317,464,048 | ||
법인세비용 차감전순이익(손실) |
1,150,697,587 | (3,156,950,431) | ||
법인세비용(수익) | 133,041,801 | (915,797,965) | ||
당기순이익(손실) | 1,017,655,786 | (2,241,152,466) | ||
기타포괄손익 | 77,368,426,845 | (42,821,966) | ||
후속적으로 당기 손익으로 재분류 되지 않는 항목 |
||||
재평가잉여금 | 77,844,800,953 | -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476,374,108) | (52,253,772) |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의 법인세 |
- | 9,431,806 | ||
당기총포괄이익(손실) | 78,386,082,631 | (2,283,974,432) |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순이익 | 119 | (261) | ||
희석주당순이익 | 119 | (261) |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 | |||
제 06(당)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 제 05(전)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
2024년 12월 31일까지 | 2023년 12월 31일까지 | ||
처분예정일 | 2025년 03월 28일 | 처분확정일 | 2024년 03월 28일 |
범한퓨얼셀 주식회사 | (단위 : 원) |
구 분 | 제 06(당) 기 | 제 05(전) 기 | ||
---|---|---|---|---|
I. 미처분이익잉여금 | 7,683,502,257 | 7,142,220,579 | ||
전기이월미처분 이익잉여금 |
7,142,220,579 | 9,426,195,011 | ||
당기순이익(손실) | 1,017,655,786 | (2,241,152,466)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효과 |
(476,374,108) | (42,821,966) | ||
II. 임의적립금 등의 이입액 |
- | - | ||
III.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 | ||
IV. 차기이월미처분 이익잉여금 |
7,683,502,257 | 7,142,220,579 |
(3)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참고).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기 : 제7기, 2025년)
이사의 수(사외이사수) | 6명(3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500,000,000원 |
(전기 : 제6기, 2024년)
이사의 수(사외이사수) | 7명(3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791,875,410원 |
최고한도액 | 3,500,000,000원 |
※ 기타 참고사항
상기 이사의 보수한도액은 미등기이사의 보수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5년 03월 20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2025년 03월 20일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의 홈페이지 게시판(http://www.bumhanfuelcell.com/communication.php)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사업보고서의 경우 주주총회의 결과에 따라 변동사항이 있거나 오기, 누락사항이 있을 시에 정정공시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정기주주총회 집중개최일을 피해 주주총회를 개최하고자 하였으나,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수령일 및 이사의 참석 일정을 검토 조정한 결과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5년 3월 28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