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2025년 3월 11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 주주총회소집공고 |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 2025년 3월 11일 |
3. 정정사항 |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주주총회소집공고 제출일 공고일 |
기재사항 정정 기재사항 정정 |
2025년 3월 10일 2025년 3월 10일 |
2025년 3월 11일 2025년 3월 11일 |
III.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재무제표 승인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기본주당순이익(손실) 희석주당순이익(손실) |
오기 정정 오기 정정 |
24 24 |
25 25 |
III.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이사의 선임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성학경 사외이사 후보자] [이지웅 사외이사 후보자] |
오기 정정 오기 정정 |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사내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
주주총회소집공고
2025 년 03 월 11일 | ||
회 사 명 : | 코닉오토메이션(주) | |
대 표 이 사 : | 김 혁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화성시 동탄산단 9길 23-12 8층 | |
(전 화) 031-831-4400 | ||
(홈페이지) http://www.kornic.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이사 | (성 명) 구본준 |
(전 화) 031-831-44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4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4조에 의거 제4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와 당사 정관 26조에 의거하여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한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시 : 2025년 03월 26일 (수) 오전 9시 00분
2. 장소 : 경기도 화성시 동탄산단9길 23-12, 8층 본점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의 감사보고
- 영업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안건
제 1호 의안 : 제4기(2024.01.01. ~ 2024.12.31.)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제 3호 의안 : 이사 선임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김 혁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내이사 김호정 선임의 건
제3-3호 의안 : 사외이사 성학경 선임의 건
제3-4호 의안 : 사외이사 이지웅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 감사 선임
제4-1호 의안 : 감사 김태용 선임의 건
제 5호 의안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 6호 의안 :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님께서는 금번 주주총회에 참석 또는 전자투표시스템을 통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상법」 제 368 조의 4 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5년 03월 14일 오전 9시~2025년 03월 25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 시간 이용 가능 단, 시작일은 09 시부터, 마감일은 17 시까지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증권용 ·범용 공동인증서 인증, 카카오 인증, PASS 앱 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행사
라. 수정 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기권으로 처리
6. 경영 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국민은행 증권대행팀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등 기재, 인감날인),
주주인감증명서 1부, 대리인의 신분증
2025년 3월 11일
코닉오토메이션㈜
대표이사 김 혁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사외이사 이상환 (출석률: 100%) |
사외이사 최경철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3.13 | 제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투자재무위원회 | [위원장] 이상환 사외이사 [위 원] 최경철 사외이사 [위 원] 김 혁 사내이사 |
2024.08.26 | 지분 투자의 건 | 가결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이사 | 2 | 2,000 | 36 | 18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반도체 산업
(가) 시장의 특징
2024년 전 세계 반도체시장이 오랜 침체기를 딛고 본격적인 성장세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는 내년 반도체 시장 매출이 13.1% 증가한 5880억 달러(약 757조 원)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메모리 부문에서만 전년 대비 매출이 약 40% 증가한 1300억 달러(약 167조 4000억 원)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시장조사기관 트렌드포스 역시 2024년 D램 수요가 약 13% 증가할 것이며, 인텔 코어 울트라와 서버 시장이 각각 12.4% 및 17.3%씩 성장해 시장 분위기를 되살릴 것으로 관측했다.
반도체 시장의 전망치가 상향 전망되는 이유는 인공지능(AI)과 자율주행차 등 신산업 분야에서 기술 발전이 본격화되면서 관련 기업들의 첨단 반도체 수요도 늘어날 가능성이 유력하기 때문이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한국 반도체기업도 실적 회복 기회를 노리고 있는 만큼 신산업 분야 성장에 온전한 수혜를 볼 수 있을지 시험대에 놓일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시장 조사기관 IDC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글로벌 반도체시장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12%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메모리반도체 매출은 40% 이상 줄었다.
세계 경제성장 둔화와 금리 인상에 따른 소비 위축이 스마트폰과 PC 등 전자제품 수요 감소로 이어지면서 글로벌 주요 반도체기업 실적에도 악영향을 미쳤다.
그러나 IDC에 따르면 2024년 세계 반도체시장 매출 총합은 전년 대비 20% 증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되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IDC는 "스마트폰과 PC 수요가 안정화되는 동시에 인공지능과 슈퍼컴퓨터, 자동차 등 분야에서 전 세계적으로 수요가 늘어나며 장기간 안정적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2024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인공지능과 자동차 시장, 그리고 첨단 시스템반도체 파운드리 분야를 중심으로 성장에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됐다. 우선 자동차 시장에서 자율주행 기능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이 고도화되며 본격적으로 다양한 차량용 반도체 수요 증가를 이끌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다. 인공지능 기술 탑재가 스마트폰과 PC, 웨어러블 기기 등으로 확산되며 소비자들에 대중화되는 시기도 2024년을 기점으로 할 것이라는 예측이 이어졌다.
이러한 인공지능 서비스는 기술 개발 및 운영을 담당하는 기업들의 서버 및 슈퍼컴퓨터 투자 확대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반도체 판매 증가에 기여할 수 있다. IDC는 "앞으로 인공지능을 활용한 혁신적 신기술이 꾸준히 개발되며 소비자용 제품과 기업용 데이터서버 분야에서 모두 반도체 수요가 늘어나는 효과를 낼 것"이라고 바라봤다.
또한, 가트너에 따르면 2024년 전 세계 반도체 매출 규모가 6,240억 달러에 달하며, 2023년과 비교할 때 16.8% 성장할 것으로 가트너가 전망했다. 2025년에는 2024년 보다 15.5% 성장한 약 7,210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메모리 시장이 2024년에 두 자릿수 성장을 하며, 모든 유형의 반도체 칩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망] |
(단위: 십억달러, %) |
![]() |
[글로벌 반도체 시장 성장률 전망] |
출처) 가트너 (23년 12월)
(나) 수요의 변동요인
가트너가 지난해 2900만대였던 전 세계 AI 탑재 PC 및 생성형 AI 탑재 스마트폰 출하량이 2024년 말까지 2억9500만대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했다.
[전 세계 AI PC 및 생성형 AI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
(단위: 천대, %) |
![]() |
[전 세계 AI PC 및 생성형 AI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 |
출처) 가트너(24년 2월)
가트너에서 정의하는 AI PC는 디바이스에서 AI 작업을 최적화하고 가속화하도록 설계된 전용 AI 가속기 또는 코어, 신경 처리 장치(NPU), 가속 처리 장치(APU) 또는 텐서 처리 장치(TPU)가 장착된 PC다. 가트너는 2024년 말까지 2억4000만 대의 생성형 AI 스마트폰과 5450만대의 AI PC가 출하될 것으로 예측했으며, 이는 각각 2024년 일반 및 프리미엄 스마트폰의 22%, 전체 PC의 22%를 차지할 전망이다.
한편 스마트폰 시장은 9분기 연속 감소 후 2023년 4분기에 처음으로 성장세를 기록한 바 있다. 2024년에는 전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이 전년 대비 4.2% 성장하여 총 12억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AI PC 및 스마트폰의 수요 증가에 따라 글로벌 테크업체와 더불어 PC 및 스마트폰 제조업체가 반도체 주문을 확대하는 경우 대규모 장치산업 구조를 유지하고 있는 IDM 및 Foundry 업체의 영업 및 재무실적에긍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해당 반도체 제조업체들은 설비투자 적극적으로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다) 성장성
반도체 산업 중에서도 회사가 영위하는 제어SW는 반도체 장비 산업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 산업은 지속적으로 고도화하는 반도체 소자업체의 반도체 공정기술을 효율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반도체 장비의 개발을 위하여 원천기술의 확보는 물론 계속적인 연구개발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장비 시장은 주요 고객인 IDM 및 Foundry의 디바이스 기술이 극미세화 고집적화 되고, 새로워지는 공정을 뒷받침하기 위한 장비가 함께 개발되지 않으면 안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 초정밀가공기술, 초청정기술, 제어기술, 운용 SW 기술 등 최첨단 기술이 집약된 전형적인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인만큼, 반도체 SW는 대규모 시설 투자에 의한 양산보다는 숙련된 인적자원에 의하여 최종 수요자인 반도체 IDM 및 Foundry 혹은 반도체 장비 생산업체의 요구사양에 맞게 SW를 개발합니다.
또한,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의 폐쇄적인 사업 생태계의 특성으로 인하여 성능과 안정성을 입증 시에 제품의 적용 실적 및 성능 실적으로 판단하게 됩니다. 이런 제조사의 폐쇄적인 환경 때문에 신규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장비 국제표준 규격 통신 SW 회사는 제품 적용실적을 확보하지 못할 경우 진입하기 매우 힘든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폐쇄적인 반도체/디스플레이 제조사들은 새로운 제품을 적용하는 것보다 이미 검증이 된 제품을 최우선으로 라인에 적용 하며 기술적인 어려움은 물론이고 폐쇄적인 산업 생태계로 인해 신기술 적용 및 신생 업체의 진입 장벽이 높은 것이 현실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SW의 기술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동사의 소프트웨어을 선택할 수밖에 없고, 의존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이에 반도체 장비회사의 입장에서는 SW 역량을 내재화하기 보다는 전문 개발업체인 동사와의 협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2) 스마트팩토리 산업
[2차전지 소재시장]
(가) 시장의 특징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전기차 침투율이 2022년 10%(20년 4%)에 달하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배터리 수요 및 판매량도 연일 최고치를 경신 중입니다. 그리고 한국의 배터리 기업들은 기술경쟁력과 공격적인 투자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국내 3사의 글로벌 시장점유율은 20년 26%, 21년 30.5%, 22년 23.1%를 달성하며 주춤한 모양새였으나 23년 1분기 49%를 달성하면서 지속성장이 전망됩니다.
[2차전지 소재별 국가점유율] |
(단위: %) |
![]() |
2차전지 소재별 국가점유율 |
출처) SNE리서치(21년)
한국의 배터리 산업은 시장점유율과 생산능력, 기술경쟁력, 품질경쟁력 측면에서 세계 적으로 강점을 가지고 있으나 유일하게 부족한 점이 원자재와 소재단의 역내 밸류체인 미확보입니다. 한국 배터리 산업을 완성시켜줄 중요한 요소는 소재 국산화입니다. 그리고 향후 벤더 다변화(높은 대중국 의존도 완화), 고성능/고품질 한국산 소재 수요 증가, 미중분쟁에 따른 소재단의 정치적 리스크 해소(탈중국화)라는 3가지 이 유에서 배터리 소재 국산화는 피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합니다.
배터리 시장의 우상향 성장성은 견고하며, K배터리와 K소재간의 협력은 지속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전망] |
(단위: GWh) |
![]() |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 규모 전망 |
출처) SNE리서치(22년)
(나) 수요의 변동요인
글로벌 전기차 및 배터리 시장은 국제유가 상승, 각 국의 환경정책 등과 맞물려 급성장이 전망되며 이에 따른 수요 증가가 예상됩니다. 코로나19로 일반 승용차 판매 및 수출이 부진한 사이에도 전기차 시장은 급성장하면서 각 국의 경쟁도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내연기관차 비중이 높던 주요 완성차 기업들도 점차 전기차 비중을 늘리고 주요 시장에 전기차 공장 건설을 추진하는 등 내연기관 비중이 점차 축소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배터리 수요 중 전기차 비중] |
(단위: %) |
![]() |
배터리 수요 중 전기차 비중 |
출처) BloombergNEF(22년)
최근 미국은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발표, "미국 내에서 전기차나 배터리를 조립하는 차"에 한정해 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는등 자국 내 전기차 생산 기지를 확보하고 공급망 재편을 추진하고 있으며, 국내 배터리 소재 회사들도 주요 완성차 업체와 합작회사 설립 등 Capex 증설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 중심 공급망 변화에 따른 국내 배터리 체인] |
![]() |
배터리 체인 변화 |
출처) 산업자료(22년)
(다) 성장성
2차전지가 전기차 생산 목적으로 주로 납품되기 때문에, 현재 2차전지 산업은 배터리가 전기차에서 얼마나 효율적으로 구동될 수 있는가, 즉 전기차의 주행거리를 늘리거나 고온 또는 저온 환경에서도 안정성이 유지되는지 등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2차전지 원천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으로 2차전지 소재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양극재는 2차전지 원가의 약 40-45% 가량 차지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이에 양극재 소재업체들은 수율을 향상시키고 품질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전략을 취하고, 2차전지 시장 내에서 양극재 시장의 성장률이 뛰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글로벌 2차전지 양극재 시장 전망] |
(단위: 천톤) |
![]() |
2차전지 양극재 시장 전망 |
출처) SNE리서치(20년)
SNE리서치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2차전지용 양극재 시장 규모는 2018년부터 2025년까지 7개년간 연평균 33.3%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국내의 양극재 공급업체인 포스코케미칼, 에코프로비엠, 엘앤에프 등의 국내 양극재 공급업체들의 Capex 증설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물류산업 시장]
(가) 시장의 특징
최근의 물류 시스템은 이커머스 시장의 발달에 따라 과거 소품종·대량 출고 형태에서 다품종·소량 출고 형태로 바뀌고 있습니다. 소비자의 구매 편의성, 접근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도심내 편의점 등이 크게 증가하여 물류창고의 소분 단위의 출고가 증가하였으며, 온라인 쇼핑의 큰 증가에 따라 개별 포장 단위의 출고 또한 크게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개별 상품의 신속한 분류 및 포장, 출고가 물류 산업의 매우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으며 물류 로봇시스템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국내 이커머스 거래액 규모] |
(단위: 조원) |
![]() |
국내 이커머스 거래액 |
출처) 통계청, 한국온라인쇼핑협회
[국내 택배 물동량 규모] |
(단위: 만 박스, %) |
![]() |
국내 택배시장 물동량 |
출처) 한국통합물류협회
물류 로봇시스템(Logistics Robot System)은 제조 및 유통 과정, 대형 건물 등에서 원재료, 재공품(work in process), 부품, 상품 등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물품의 이송, 핸들링, 포장, 분류, 배송 등을 수행하는 로봇 자동화 시스템입니다. 이러한 물류 로봇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AGV(무인 이송차 또는 무인 운반차)로 대표되는 물류 로봇과 이를 운영·관리하는 RMS(로봇 관제 시스템, Robot Management System)으로 구성됩니다.
물류 로봇 시스템을 활용 분야 중심으로 구분하면 공장 물류용, 물류 창고용, 일반 옥내용, 옥외 배달용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공장 물류용은 원료·재공품·최종 제품 등의 공장내 이동 또는 차량 등에 적재, 생산 공정상 공구/소모품 등의 공급 등을 담당하며, 물류창고용은 주로 오더 피킹(order picking)을 목적으로 상품 등의 상·하역, 이송, 핸들링, 분류, 포장, 출고 및 재고 관리 등을 담당합니다. 일반 옥내용은 병원 및 호텔, 사무실, 공공장소 등 대형건물에서 물품의 운반에 활용됩니다. 옥외 배달용은 AGV, 드론 등을 이용한 택배 서비스 또는 운송용 AMR(Autonomous Mobile Robot)을 이용한 화물 운송 등에 활용됩니다.
[물류 로봇의 사용 예시] |
![]() |
물류 로봇의 활용 예 |
출처) 산업자료(21년)
현재까지 많이 사용되는 AGV는 대표적인 물류 이송 로봇의 하나로써, 자체 동력을 바탕으로 사람이 조작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하며, 바닥의 정의된 경로 또는 완전한 자율로 움직이는 무인 이송 로봇입니다. 기본적으로 레일(RGV, Rail Guided Vehicle)이나 유도선을 따라 이동하거나 비전 유도 및 위치 추적 기술의 발전에 따라 표식(Landmark)이나 실내 GPS, 생성된 지도(Map)를 기반으로 이동하여, 자동화된 창고 혹은 생산 공정에서 제품 혹은 부품의 이송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특히, 컴퓨터에 의해 무선 혹은 비접촉 방식으로 데이터를 송·수신하여 제품 이송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AGV를 이용한 자동 물류 시스템은 일반 제조 환경에서뿐만 아니라, 창고/물류센터, 병원/요양시설, 호텔/공항/공공 장소 등 비제조 환경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그 응용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특정 거리를 기준으로 물품의 반복적 이동, 안정적인 적재물의 일반적인 운송, 2개 이상의 이동에 따른 공정, 물품의 위치 파악이 중요한 공정 등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습니다.
(나) 수요변동 요인
물류센터 투자에 대한 직접적인 수요는 3PL 전문업체와 유통업체에서 창출됩니다. 따라서 이커머스 거래액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위 업체들의 신규 물류센터 증축 또는 고도화에 대한 니즈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온라인 풀필먼트 역량을 가지고 있는 유통 경쟁업체들간의 치킨게임이 지속되고 있어, 대형 기업을 선두로 하는 물류 설비 투자는 지속될 전망입니다. 또한 물류 또는 유통 전문업체 뿐만 아니라 일반 제조업체나 의료업체도 풀필먼트를 내재화하는 움직임이 있습니다.
[국내 물류센터 시장 현황 및 전망] |
(단위: 제곱미터, %) |
![]() |
국내 물류센터 시장 전망 |
출처: CBRE (22년 2월)
이에 글로벌 부동산 리서치 전문업체인 CBRE는 국내에 2022년에 수도권에만 신규 공급 예정인 물류센터의 부지의 크기가 6백만 제곱미터 수준일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다) 성장성
최근의 물류 시장은 단순 컨베이어와 기계장치로 이루어진 시스템이 아닌, 무선 기술, 이동 및 제어 기술, IoT, 인공지능 등 ICT에 대한 기술 비중이 증가하는 등 혁신 신기술의 융복합화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물류 로봇은 운영(통제, 관제, 물류 작업 상황 변화에 따른 프로그램 조정, HW/SW 유지보수 등)을 위한 시스템과 다수의 물류 로봇을 동시에 관리 및 감독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RMS(Robot Management System)라 불리는 물류 로봇의 현장 작업을 위한 체계가 곧 로봇이 수행하는 작업의 성과를 좌우합니다. 주문 분석, 최적화된 동선을 산출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하고 기존 WMS와의 연동을 통해 전체 시스템을 통해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이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형태의 솔루션, 즉 기업용 RMS의 개발과 보급 또한 필요합니다.
(3) IT 인프라 사업
(가) 시장의 특징
정보통신기술(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의 발전과 인공지능(AI), 사물인터넷(IoT), 로봇기술, 드론, 자율주행, Metaverse 등이 주도하는 4차산업 시대에 있어, IT 네트워크 인프라 수요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IT 서비스시장 규모] |
(단위: 조원, %) |
구분 | 2021년 실적 | 2022년 전망 | 2023년 전망 | CAGR |
---|---|---|---|---|
시장규모 | 20.0 | 22.2 | 23.0 | - |
성장률 | 6.3% | 10.9% | 3.2% | 7.2% |
출처) Gartner(22년 4월)
IT서비스와 관련한 국내의 시장 규모는 2022년에 22조원으로, 전년 대비 약 10.9%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신규 시스템 구축보다 기존 시스템 운영효율화 및 업그레이드에 투자가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AI 빅데이터 분석, 블록체인, 클라우드, 엔터프라이즈 모빌리티, IoT 등 신기술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전통적으로 각 네크워크 장비별로 특정 기능에 특화된 제품들이 전문성을 가지고 발전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네트워크 스위치에 보안기능을 탑재한 제품으로 발달되어 전문성은 증대시키고 추가 기능에 대한 요구들을 수용하는 융합의 시대입니다. 회사의 취급 제품인 부하분산 스위치 (ADC Switch) 도 아래와 같이 보안 모듈을 탑재하여 네트워크 및 보안의 융합에 적절히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스위치(ADC, Application Delivery Controller)는 서버의 부하분산 역할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빠르게 원하는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4차 산업혁명과는 별개로 2020년 초반부터 전 세계적으로 유행하고 있는 COVID-19로 인해 생활의 패턴은 재택교육, 원격교육 등으로 바뀌었고 소비의 패턴은 온라인구매, 배달음식 등 기본적인 패러다임이 바뀌었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자의 접근성을 증대시켜주는 솔루션 및 원격접속에 따른 보안장비에 대해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수요 주체에 따라 크게 기업 시장과 통신사업자 시장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네트워크 장비는 음성통신 및 유무선 인터넷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비로서 데이터 트래픽의 수요 증가에 힘입어 성장해 왔습니다. 초기 네트워크 장비시장은 은행과 기업, 공공부문의 정보화 수요를 토대로 성장하였으며, 이후 가정으로까지 인터넷이 확산되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나) 수요의 변동요인
한국IDC에서 지난 5월 '국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IT인프라 시장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하이퍼스케일러의 지속적인 신규 데이터센터 확장과 공공 및 금융 기관의 클라우드로의 전환이 이어지면서 국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IT인프라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내 대기업이 클라우드로의 전환을 꾸준히 추진하는 과정에서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의 투자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나, 안정적인 컴퓨팅 성능 확보, 정부 규제 준수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프라이빗 클라우드를 도입하면서 해당 시장에 대한 IT인프라 투자 규모도 성장하는 추세입니다.
[국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IT 인프라 시장 전망] |
(단위: 십억원) |
![]() |
국내 프라이빗 클라우드 IT인프라 시장 전망 |
출처) IDC(22년 3월)
(다) 성장성
세계 경제침체로 네트워크 장비시장은 부진을 겪기도 하였으나, 최근 스마트폰으로 촉발된 무선 데이터의 폭발적인 성장, 스마트TV 등 방송과 통신 산업의 융합뿐만 아니라, 전 산업에 걸친 지속적인 IT 컨버전스에 따른 네트워크 고도화로 네트워크 장비 산업은 꾸준한 성장 기회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전송장비는 데이터 트래픽을 전기적·광학적 방식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장비로서 하나의 회선을 분할하여 개별적으로 독립된, 복수의 신호들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다중화 기술이 중요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스마트폰의 확산에 따른 무선통신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은 향후 태블릿PC와 같은 새로운 융합형 멀티미디어 단말기의 보급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컴퓨팅, M2M 등으로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세계적인 트래픽의 증가는 무선에만 국한되지 않고 유선에서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는데, 인터넷 비디오의 수요 확대와 IPTV, 스마트TV 등 방송통신융합 서비스의 출현이 주요 동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EasyCluster (반도체 설비 제어 SW)
EasyCluster는 반도체 / FPD / LED / Solar / MEMS / Stand-alone / In-Line 등의 Process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솔루션이며 EasyCTC, EayGEM, EasyTMC, EasyPMC 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EasyCTC : 전체 설비의 통합 제어와 스케줄링 솔루션
- EasyGEM : Fab 자동화를 담당하는 Host와의 통신 솔루션
- EasyTMC : Transfer Module 제어 솔루션
- EasyPMC : Process Module 제어 솔루션
해당 솔루션은 지난 26년간 전 세계 6,300 Copy 이상 설치되어 안정성 및 효율성을 인정받았으며, 당사는 지속적으로 기존 솔루션들을 Upgrade 하고 선제적으로 고객 Needs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2) K-LAS (실험실 자동화 시스템 : 소재 분석 및 검사 자동화)
K-LAS(Lab Automation System)는 실험실 자동화 시스템으로 분말 및 액체류 소재 분석 및 검사에 특화된 자동화 솔루션입니다.
현재는 2차전지 핵심 소재인 양극재 품질 검사에 최적화된 솔루션으로 에코프로비엠, 에코프로이엠, LG화학, L&F, 포스코퓨처엠 등 국내 대부분의 양극재 소재 회사들에 납품되고 있습니다.
소재 분석을 위한 전처리부터 로봇과 물류 시스템을 활용한 분석 공정을 Full 자동화하여 시장에서 혁신적인 솔루션으로 품질 고도화를 위한 필수 제품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향후 양극재뿐 아니라 음극재, 전구체, 전해액 등 배터리의 他핵심 소재로의 시장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K-MAS (물류 이송 자동화 시스템)
K-MAS(Material-handling Automation System)는 물류 이송 자동화 시스템으로 Logistics4.0에 맞춰 Material-handling 자동화를 통해 작업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게 해주는 솔루션입니다. AGV, ETV 및 다관절 로봇 등을 활용하여 고객의 최신 요구에 대응하며 기존의 고전적인 컨베이어와 리프트 등도 사업 범주에 포함 됩니다.
CJ대한통운 및 쿠팡 물류센터에 AGV 기반의 풀필먼트 자동화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AGV기반의 풀필먼트 자동화 시스템은 당일 배송 및 물동량 증가 트랜드에 따라 24시간 Full로 운영될 수 있으며, 기존의 컨베이어 물류 방식에 비해 물품 수요에 따라 최적의 Path로 빠르게 조정 및 편성할 수 있어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운용 효율성을 장점으로 하여 향후 물류 산업의 표준으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른 매출 확대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4) IT인프라 서비스
당사는 2013년 ADC 분야에서 Global 인지도 및 제품의 안정성, 성능이 탁월한 Radware와 총판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해당 제품의 공급, 설치 및 유지관리 서비스를 지원하고 또한 네트워크 보안 이슈가 많이 부각 되는 시장환경에 맞추어 2017년부터 Efficient iP 파트너 계약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맞게 네트워크 스위치 및 보안제품에 대한 Total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성장했습니다.
IT 인프라사업 부문을 신설한 2013년도부터 올해까지 해당 제품군의 판매 실적은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기존 국내 Radware 파트너사의 시장을 흡수하여 국내 판매 40% 가량을 당사에서 공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 공급한 고객사별로 유지보수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하고 추가적인 솔루션 공급을 통해 매출 신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 주요 품목 및 용역 |
---|---|
제어SW | EasyCluster, EDA 등 |
스마트팩토리 | 자동화 설비 및 솔루션 등 |
로봇물류 | 제조 및 유통물류 공장 자동화 |
IT인프라 | 네트워크장비, 보안장비 등 |
(2)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03월 18일 전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4 기 2024. 12. 31 현재 |
제 3 기 2023.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4 기 | 제 3 기 |
---|---|---|
자 산 | ||
유동자산 | 27,860,527,881 | 28,987,935,774 |
현금및현금성자산 | 11,161,882,850 | 4,641,841,400 |
단기금융상품 | 1,000,000,000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3,124,916,483 |
매출채권 | 8,895,235,949 | 7,643,771,223 |
기타수취채권 | 284,218,543 | 1,638,367,130 |
기타자산 | 1,120,478,949 | 4,162,629,982 |
당기법인세자산 | 44,918,599 | - |
재고자산 | 5,353,792,991 | 7,776,409,556 |
비유동자산 | 11,366,191,575 | 13,657,523,52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054,599,000 | 2,016,968,5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127,400,000 | 3,723,363,810 |
기타수취채권 | 209,746,946 | 131,840,632 |
기타자산 | 39,724,867 | 4,586,008 |
유형자산 | 4,178,179,729 | 4,186,863,730 |
무형자산 | 1,671,847,928 | 1,775,447,807 |
사용권자산 | 972,254,152 | 989,528,950 |
이연법인세자산 | 1,112,438,953 | 828,924,087 |
자 산 총 계 | 39,226,719,456 | 42,645,459,298 |
부 채 | ||
유동부채 | 10,294,343,600 | 13,754,947,311 |
매입채무 | 3,734,617,166 | 3,396,901,634 |
기타지급채무 | 1,955,466,875 | 1,656,346,792 |
당기법인세부채 | - | 278,490,499 |
충당부채 | 97,489,119 | 43,163,422 |
기타부채 | 4,020,701,279 | 7,969,398,768 |
리스부채 | 486,069,161 | 410,646,196 |
비유동부채 | 2,817,718,963 | 2,716,818,516 |
순확정급여부채 | 2,077,609,215 | 1,752,903,440 |
충당부채 | 36,820,017 | 69,913,842 |
기타부채 | 206,754,015 | 306,197,921 |
리스부채 | 496,535,716 | 587,803,313 |
부 채 총 계 | 13,112,062,563 | 16,471,765,827 |
자 본 | ||
납입자본 | 28,379,045,337 | 27,270,876,442 |
자본금 | 4,206,508,600 | 4,150,322,200 |
주식발행초과금 | 24,172,536,737 | 23,120,554,242 |
결손금 | (2,344,546,827) | (3,011,965,767) |
기타자본구성요소 | 787,140,714 | 1,359,357,75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706,982,331) | 555,425,043 |
자 본 총 계 | 26,114,656,893 | 26,173,693,471 |
부 채 와 자 본 총 계 | 39,226,719,456 | 42,645,459,298 |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3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 기 | 제 3 기 |
---|---|---|
매출액 | 55,510,910,029 | 27,347,504,225 |
매출원가 | 48,606,658,786 | 17,334,944,543 |
매출총이익 | 6,904,251,243 | 10,012,559,682 |
판매비와관리비 | 6,858,817,778 | 8,170,000,949 |
영업이익(손실) | 45,433,465 | 1,842,558,733 |
기타수익 | 333,712,731 | 133,856,576 |
기타비용 | 124,329,360 | 18,223,442 |
금융수익-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 344,163,927 | 244,132,950 |
금융수익-기타 | 687,305,171 | 346,286,311 |
금융비용 | 133,507,153 | 164,504,15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152,778,781 | 2,384,106,974 |
법인세비용(수익) | 128,782,962 | 47,011,796 |
당기순이익(손실) | 1,023,995,819 | 2,337,095,178 |
기타포괄손익 | (1,618,984,253) | 301,886,329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356,576,879) | (655,150,35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 (1,262,407,374) | 957,036,681 |
총포괄이익(손실) | (594,988,434) | 2,638,981,507 |
주당이익(손실) | ||
기본주당순이익(손실) | 25 | 56 |
희석주당순이익(손실) | 25 | 56 |
<자 본 변 동 표>
제 4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3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납입자본 | 기타자본구성요소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합 계 |
---|---|---|---|---|---|
전기초(2023.1.1) |
23,836,812,063 | 3,617,621,977 | (401,611,638) | (4,693,910,593) | 22,358,911,809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 | - | - | - | 2,337,095,178 | 2,337,095,178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655,150,352) | (655,150,35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 - | - | 957,036,681 | - | 957,036,681 |
주식매수선택권 | - | 346,450,886 | - | - | 346,450,886 |
전환사채의 전환권 행사 등 | 3,434,064,379 | (2,604,715,110) | - | - | 829,349,269 |
전기말(2023.12.31) | 27,270,876,442 | 1,359,357,753 | 555,425,043 | (3,011,965,767) | 26,173,693,471 |
당기초(2024.1.1) |
27,270,876,442 | 1,359,357,753 | 555,425,043 | (3,011,965,767) | 26,173,693,471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 | - | - | - | 1,023,995,819 | 1,023,995,819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356,576,879) | (356,576,879)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익 | - | - | (1,262,407,374) | - | (1,262,407,374) |
주식매수선택권 | - | (572,217,039) | - | - | (572,217,039)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1,108,168,895 | - | - | - | 1,108,168,895 |
당기말(2024.12.31) | 28,379,045,337 | 787,140,714 | (706,982,331) | (2,344,546,827) | 26,114,656,893 |
<현 금 흐 름 표> | |
제 4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
제 3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
(단위 : 원) |
과 목 | 제 4 기 | 제 3 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210,051,896 | 336,764,514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2,359,726,190 | 285,037,300 |
이자의 수취 | 316,742,395 | 300,754,666 |
이자의 지급 | (8,985,744) | (37,085,365) |
법인세 부담액 | (457,430,945) | (211,942,087)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244,690,571 | (802,714,740)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 9,884,927,849 | 37,128,704,261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 16,000,000,000 |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 1,414,309,345 | 615,332,566 |
유형자산의 처분 | 546,929 | 508,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8,470,071,575 | 20,512,863,695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 (5,640,237,278) | (37,931,419,001)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1,000,000,000 | 10,000,000,000 |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 400,000,000 | 1,316,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4,007,324,231 | 20,829,191,599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 | 1,999,663,810 |
유형자산의 취득 | 214,770,927 | 2,036,974,172 |
무형자산의 취득 | 18,142,120 | 1,749,589,420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00,694,827) | (2,180,292,831)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입액 | 783,436,655 |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418,225,055 | - |
주식선택권 행사 | 365,211,600 | -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 유출액 | (984,131,482) | (2,180,292,831) |
단기차입금의 상환 | 418,225,055 | 1,674,634,482 |
리스부채의 상환 | 564,543,127 | 502,341,349 |
신주발행비 지급 | 1,363,300 | 3,317,00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265,993,810 | (42,592,19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6,520,041,450 | (2,688,835,247)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4,641,841,400 | 7,330,676,647 |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11,161,882,850 | 4,641,841,400 |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
제 4 기 :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
제 3 기 :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 기 | 제 3 기 |
---|---|---|
I. 미처리결손금 | (2,344,546,827) | (3,011,965,767)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3,011,965,767) | (4,693,910,593) |
당기순이익(손실) | 1,023,995,819 | 2,337,095,178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56,576,879) | (655,150,352) |
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2,344,546,827) | (3,011,965,76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자본준비금의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나. 의안의 요지
상법 제461조의2에 의거하여, 회사에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한 범위 내에서 주주총회 결의로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할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금액 중 자본준비금 80억원을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여 중장기 배당 재원을 안정적으로 확충하고, 이를 통해 지속적인 주주환원정책을 실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 상법 제461조의2
제461조의2(준비금의 감소) 회사는 적립된 자본준비금 및 이익준비금의 총액이 자본금의 1.5배를 초과하는 경우에 주주총회의 결의에 따라 그 초과한 금액 범위에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을 감액할 수 있다. |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 혁 | 1961.11.05 | 미해당 | 해당없음 | 계열회사 임원 | 이사회 |
김호정 | 1972.01.19 | 미해당 | 해당없음 | 계열회사 임원 | 이사회 |
성학경 | 1960.11.21 | 해당 | 해당없음 | - | 이사회 |
이지웅 | 1964.02.12 | 해당 | 해당없음 | - | 이사회 |
총 ( 4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 혁 | 기업인 | 14.01~17.08 17.09∼19.11 19.11∼현재 |
세메스 연구소장 APS 연구소장 코닉오토메이션 대표이사 |
- |
김호정 | 기업인 | 11.05∼현재 | 코닉오토메이션 제어SW 사업부장 | - |
성학경 | 기업인 | 93.03~21.12 22.01~현재 23.07~현재 |
삼성전자 글로벌기술센터 영상디스플레이사업부 전무 소부장기술융합포럼 운영위원장 소부장기술융합연구조합 이사장 |
- |
이지웅 | 기업인 | 12.01~19.05 19.06~23.02 23.03~현재 |
칩얼라이브 사업 및 개발총괄 디파인 개발총괄 칩얼라이브 CEO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 혁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김호정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성학경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이지웅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성학경 사외이사 후보자] 본인은 소부장기술융합연구조합 이사장으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겠습니다. 1. 주주가치를 증대시키고 회사의 성장과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사회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2. 본인은 이사회의 다양성을 제고하고 독립적인 직무 수행을 통해 회사의 투명성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3. 회사의 이익을 보호하고 나아가 회사 경영의 건전성을 확보하는데 독립적인 지위에서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를 다하겠습니다. [이지웅 사외이사 후보자] 본인은 엔지니어링 기반의 개발 및 사업화 전문가로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사외이사로서의 직무를 성실히 수행하겠습니다. 1. 주주가치를 증대시키고 회사의 성장과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이사회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적극적으로 지원하겠습니다. 2. 본인은 이사회의 다양성을 제고하고 독립적인 직무 수행을 통해 회사의 투명성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3. 회사의 이익을 보호하고 나아가 회사 경영의 건전성을 확보하는데 독립적인 지위에서 선량한 관리자로서의 의무를 다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성학경 사외이사 후보자] 현재 소부장기술융합연구조합 이사장으로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분야의 전문 지식과 회사에 대한 깊은 이해,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량과 경험을 활용하여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사안에 대한 합리적인 조언과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이지웅 사외이사 후보자] 현재 칩얼라이브 대표이사로서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분야의 전문 지식과 회사에 대한 깊은 이해, 경험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량과 경험을 활용하여 회사의 주요 의사결정사안에 대한 합리적인 조언과 판단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사외이사 후보자로 추천합니다. [김 혁 사내이사 후보자] 기업 경영 및 기업성장에 필요한 해당 분야 전문가로 추천합니다. [김호정 사내이사 후보자] 기술 개발 및 기업성장에 필요한 해당 분야 전문가로 추천합니다. |
확인서
![]() |
확인서_김 혁 |
![]() |
확인서_김호정 |
![]() |
확인서_성학경 |
![]() |
확인서_이지웅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태용 | 1964.06.15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태용 | 기업인 | 11.06~23.01 23.02~24.06 24.08~현재 |
씽크풋 대표이사 휴피스 사업개발 리더 오렌더 해외사업 담당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태용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다년간 사업 운영 및 기술 개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당사의 경영 현안에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판단되어 감사로 추천합니다 |
확인서
![]() |
확인서_김태용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2)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0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2)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71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8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5년 03월 18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전까지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kornic.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