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5 년 3 월 7 일
권 유 자: 성 명: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
주 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
전화번호: 032-820-3400
작 성 자: 성 명: 이현삼
부서 및 직위: 부사장
전화번호: 032-820-3400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요약>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가. 권유자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 나. 회사와의 관계 본인
다. 주총 소집공고일 2025년 03월 07일 라. 주주총회일 2025년 03월 25일
마. 권유 시작일 2025년 03월 15일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미위탁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가. 권유취지 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의결정족수확보
나. 전자위임장 여부 해당사항 없음 (관리기관) -
(인터넷 주소) -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관리기관) 삼성증권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http://vote.samsungpop.com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재무제표의승인
□ 정관의변경
□ 이사의선임
□ 이사의보수한도승인
□ 감사의보수한도승인


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1. 권유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 보통주 0 0 본인 -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권유자와의
관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 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이건복 임원 보통주 30,500 0.27 임원 -
이현삼 임원 보통주 13,000 0.12 임원 -
- 43,500 0.39 - -


2. 권유자의 대리인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
주식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유병호 보통주 0 직원 직원 -
박민호 보통주 0 직원 직원 -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성명
(회사명)
구분 주식의
종류
주식
소유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 해당사항없음 - - - - -



3. 권유기간 및 피권유자의 범위


가. 권유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권유 시작일 권유 종료일 주주총회일
2025년 03월 07일 2025년 03월 15일 2025년 03월 24일 2025년 03월 25일


나. 피권유자의 범위

2024년 12월 31일 기준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 전체


I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1. 의결권 대리행사의 권유를 하는 취지

주주총회의 원활한 진행을 위한 의결정족수확보


2. 의결권의 위임에 관한 사항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해당사항 없음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
전자위임장 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O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O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O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O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
(발행인에 한함)
O


- 위임장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홈페이지 명칭 인터넷 주소 비고
해성에어로보틱스 홈페이지 http://www.haisung.co.kr 홍보센터 -> 공지사항에 게제


- 전자우편 전송에 대한 피권유자의 의사표시 확보 여부 및 확보 계획

이메일 또는 전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전자우편을 통하여 위임장 용지 및 참고서류를
받는다는 의결권 피권유자의 의사표시를 확보할 예정임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 위임장 접수처 : (21699)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 경영관리팀
   전화번호 : 032-820-3400
   팩스번호 : 032-817-7154
- 우편 접수 여부: 가능
- 접수기간 : 2025년 3월 15일 ~ 2025년 3월 24일, 제28기 정기주주총회 개시 전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


3.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의 직접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일 시 2025년 3월 25일 오전 9시
장 소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 해성에어로보틱스 본점 4층 회의실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기간 2025년 3월 15일 오전9시  ~
2025년 3월 24일 오후 5시까지
전자투표 관리기관 삼성증권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vote.samsungpop.com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기간 중 24시간 이용가능
(단, 마지막 날인 3월 24일은 17시까지만 가능)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서면투표 가능 여부 해당사항 없음
서면투표 기간 -
서면투표 방법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주주총회장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드립니다.


III.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당해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1) 영업개황


당사의 주요제품군은 승강기용 감속기(엘리베이터용, 에스컬레이터용)와 산업용 감속기(기어드모터, 기어박스, 싸이클로이드 감속기등) 그리고 제조로봇용 감속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산업용 감속기는 제철, 화학계열의 제조회사에 특화된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으며, 로봇용 감속기는 향후 성장성 전망이 양호하여 기술개발과 양산체제 구축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4년 매출액은 14,938백만원으로 전년대비 1,255백만원 증가하였으며, 이는 로봇용 감속기의 매출발생에 따른 매출구조의 다변화 효과로 판단됩니다.
2025년에는 매출확대를 위하여 엘리베이터 권상기(Gearless) 및 산업용 감속기(Gear Box)와 로봇용 감속기 등 제품의 다변화를 통한 매출구조의 편중을 개선시키고자 다양한 판로로 영업활동을 계획할 예정입니다.

(2) 시장의 특성


당사는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별 주요 시장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주요 목표시장

승강기용

권상기

- 국내외 Elevator& Escalator 부품공급 업체

- 해외시장은 중국, 일본, 베트남, 동남아시아, 중동 등을 대상으로 Elevator의 글로      벌 회사와 유지보수 업체

- 입체주차기 설비업체 및 유지보수 업체

로봇용

감속기

- 국내 산업용로봇 제조업체

- 해외시장은 중국을 Target으로 하고 일본, 유럽 등으로 판매 활동 범위를 확장

- 해외시장 대상으로는 중국 및 일본 등 Global 로봇 제조회사

- 국내외 산업용로봇 유지보수업체

- 국내외 고정밀 Cycloid 감속기 판매업체

산업용

감속기

- 제철/철강 산업체 (ex. POSCO, 현대제철 등)
 - 섬유산업업체 이동설비 (ex. 도레이케미칼, 효성 등)

- 화학, 정유업체외, 원료교반장치 (ex. 롯데케미칼, 현대케미칼 등)

- 환경분야의 수처리 교반장치 (수질, 폐기물 등)

- 기타 하역 및 운반 기계용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신규사업 등의 내용

주력사업인 승강기용 권상기의 안정적인 성장과 더불어 한 단계 도약을 위한 신 성장 Item의 발굴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장기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응용제품의 시장 확장성이 높은 신기술제품인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사업을 2004년부터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사업 시작과 동시에 응용기술로 산업용 Cycloid 감속기와 풍력발전기용 Yaw & Pitch Drive 및 선박용 Turning Gear 등 응용제품을 개발하여 신규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당사가 유일하게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의 양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 판매하며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전망


당사는 로봇용 감속기 시장을 향후 회사의 성장을 위한 주요 목표 Target 시장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수직 다관절 로봇의 각 관절(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에는 Cycloid 곡선을 갖는 고강성, 고정밀 Cycloid 감속기가 대부분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국제로봇연맹(IFR)의 보고서(프랑크프르트, 25년 1월 22일)에 따르면 산업용 로봇설비의 세계시장 가치는 사상최고인 165억달러에 도달했고, 미래수요는 수많은 기술혁신과 시장의 힘, 새로운 비즈니스 분야에 대해 주도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또한, 국제로봇연맹(IF) 'World Robotics 2024'에 따르면 전 세계에서 4,281,585대가 운영되고 있으며, 이는 10% 증가한 수치이고 연간 설치 대수는 3년 연속 50만대를 넘어. 지역별로는 2023년 새로 배치된 모든 로봇의 70%가 아시아, 17%가 유럽, 10%가 미주에 설치되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2023년도 연간 설치 수치는 전년대비 2% 감소한 541,302대로 역사상 두번째로 높은 수치이며, 2024년도 세계 경제는 최저점을 기록하였고, 2025년도부터 성장이 가속화된다고 가정하면서 그 성장이 2026년, 2027년도에도 지속된다면 연 평균 4%대의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대차대조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결손금처리계산서)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 전 별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5년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haisung.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8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7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자              산



Ⅰ. 유동자산
18,463,746,100
19,525,786,354
현금및현금성자산 8,034,407,736
8,913,900,520
단기금융상품 2,000,000,000
2,978,976,988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046,455,942
3,018,538,754
매출채권 2,310,113,343
1,725,055,343
기타유동금융자산 23,207,041
60,677,612
당기법인세자산 52,186,160
56,980,640
재고자산 2,991,651,537
2,699,733,775
기타유동자산 5,724,341
71,922,722
Ⅱ. 비유동자산
23,768,425,911
24,128,147,644
유형자산 23,731,250,192
24,083,019,907
무형자산 8,015,787
16,651,151
기타비유동금융자산 29,159,932
28,476,586
자   산   총   계
42,232,172,011
43,653,933,998
부              채



Ⅰ. 유동부채
2,006,634,291
2,262,301,912
매입채무 1,315,467,778
1,523,616,649
기타유동금융부채 579,985,155
543,899,467
기타유동부채 78,377,290
158,295,807
충당부채 32,804,068
36,489,989
Ⅱ. 비유동부채
757,236,101
1,501,396,234
퇴직급여부채 41,398,885
778,775,764
기타비유동금융부채 14,374,518
21,157,772
이연법인세부채 701,462,698
701,462,698
부   채   총   계
2,763,870,392
3,763,698,146
자              본



Ⅰ. 자본금 5,570,399,500
5,455,628,500
Ⅱ. 자본잉여금 34,957,571,482
34,947,404,822
Ⅲ. 기타자본구성요소 2,678,999,656
2,711,570,656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9,161,493)
(32,758,745)
Ⅴ. 결손금 (3,719,507,526)
(3,191,609,381)
자   본   총   계
39,468,301,619
39,890,235,852
부채와자본총계
42,232,172,011
43,653,933,998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Ⅰ.매출액 14,938,117,848 13,683,022,145
Ⅱ.매출원가 12,552,211,087 11,984,406,956
Ⅲ.매출총이익 2,385,906,761 1,698,615,189
판매비와관리비 3,101,621,877 3,193,869,169
Ⅳ.영업이익(손실) (715,715,116) (1,495,253,980)
금융수익 877,052,986 808,411,886
금융비용 700,565,024 462,301,416
기타영업외수익 36,229,026 370,856,658
기타영업외비용 24,900,017 14
Ⅴ.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527,898,145) (778,286,866)
법인세비용 - -
Ⅵ.당기순이익(손실) (527,898,145) (778,286,866)
Ⅶ.기타포괄손익 13,597,252 (130,676,469)
1.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
2.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13,597,252 (130,676,469)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3,597,252 (134,032,750)
토지재평가 - 3,356,281
Ⅷ.총포괄이익(손실) (514,300,893) (908,963,335)
Ⅸ.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손실) (48) (71)
희석주당순이익(손실) (48) (71)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자  본
잉여금
자 본
조 정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  익
잉여금
총   계
I. 2023.01.01(기초자본) 5,424,161,500 34,805,940,212 2,751,691,725 101,274,005 (2,413,322,515) 40,669,744,927
당기순이익(손실) - - - - (778,286,866) (778,286,866)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 - - (134,032,750) - (134,032,750)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22,025,000 152,874,150 (43,477,350) - - 131,421,800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9,442,000 (11,409,540) - - - (1,967,540)
토지재평가 - - 3,356,281 - - 3,356,281
II. 2023.12.31(기말자본) 5,455,628,500 34,947,404,822 2,711,570,656 (32,758,745) (3,191,609,381) 39,890,235,852
III. 2024.01.01(기초자본) 5,455,628,500 34,947,404,822 2,711,570,656 (32,758,745) (3,191,609,381) 39,890,235,852
당기순이익(손실) - - - - (527,898,145) (527,898,145)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 - - 13,597,252 - 13,597,252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16,500,000 114,462,100 (32,571,000) - - 98,391,100
전환우선주의 보통주 전환 98,271,000 (104,295,440) - - - (6,024,440)
IV. 2024.12.31(기말자본) 5,570,399,500 34,957,571,482 2,678,999,656 (19,161,493) (3,719,507,526) 39,468,301,619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8 기 (2024년 01월 0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27 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8(당) 기 제 27(전) 기
Ⅰ.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13,270,433)
1,005,282,206
1.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1,274,840,775)
633,655,039
가.당기순이익(손실) (527,898,145)
(778,286,866)
나.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1,329,627,578
1,048,771,025
다.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2,076,570,208)
363,170,880
2.이자 수취 347,712,066
373,189,717
3.이자 지급 -
-
4.배당금 수취 9,063,796
9,846,090
5.법인세 환급(납부) 4,794,480
(11,408,640)
Ⅱ.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3,029,589)
3,880,600,129
1.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8,167,407,871
12,595,642,285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8,978,976,988
4,963,054,795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9,188,430,883
3,157,230,490
매각예정자산의 처분 -
4,467,500,000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 -
7,857,000
2.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8,240,437,460)
(8,715,042,156)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8,000,000,000)
(2,978,976,988)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9,464,702,861)
(5,291,915,154)
유형자산의 취득 (775,734,599)
(433,410,014)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증가 -
(10,740,000)
Ⅲ.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84,053,924
125,973,142
1.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99,000,000
132,150,000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99,000,000
132,150,000  
2.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4,946,076)
(6,176,858)  
신주발행비 (6,633,340)
(2,695,740)  
리스부채의 상환 (8,312,736)
(3,481,118)  
Ⅳ.현금및현금성자산관련환율변동효과
22,753,314
(83,975,306)
Ⅴ.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가(감소)(Ⅰ+Ⅱ+Ⅲ+Ⅳ)
(879,492,784)
4,927,880,171
Ⅵ.기초의현금및현금성자산
8,913,900,520
3,986,020,349
Ⅶ.기말의현금및현금성자산
8,034,407,736
8,913,900,520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안)
제 28(당)기 2024년 01월 01일 부터 제 27(전)기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4년 12월 31일 까지 2023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5년 03월 25일
처리확정일 2024년 03월 25일
회사명 :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 (단위 : 원)
구분 제 28(당)기 제 27(전)기
I.미처리결손금
3,719,507,526
3,191,609,381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3,191,609,381
2,413,322,515
2.당기순손실 527,898,145
778,286,866
II.결손금처리액
-
-
1.자본잉여금 결손보전금 -
-
III.차기이월결손금
3,719,507,526
3,191,609,381


- 재무제표 주석

제 28 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27 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1. 일반사항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구, 주식회사 해성티피씨, 이하 "회사"라 함)는 1997년 3월 3일 동력전달장치, 감속기, 기계부품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24년 3월에 주식회사 해성티피씨에서 해성에어로보틱스 주식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였습니다. 회사는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에 본사 및 제조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1년 4월 21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되었으며, 당기말 현재 수차례의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이후 납입자본금은 5,570백만원입니다.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주주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주)
주주명 주식수 지분율
(주)티피씨 3,653,336 32.79%
기타 7,487,463 67.21%
합 계 11,140,799 100.00%


(주) 당기말 현재 우선주는 전부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전기말) (단위: 주)
주주명 보통주 우선주 주식수 지분율
(주)티피씨 4,320,000 - 4,320,000 39.59%
티에스 우리-충남 11호 턴어라운드투자조합 1,252,978 - 1,252,978 11.48%
기타 4,447,870 890,409 5,338,279 48.93%
합 계 10,020,848 890,409 10,911,257 100.00%

2. 중요한 회계정책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기 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을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과 공시

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가 2024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보고기간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 공시


공급자 금융약정을 적용하는 경우,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 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그리고 유동성위험익스포저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도록 공급자금융약정에 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판매후리스에서 생기는 리스부채를 후속적으로 측정할 때 판매자-리스이용자가 보유하는사용권 관련 손익을 인식하지 않는 방식으로 리스료나 수정리스료를 산정합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기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회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통화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고 다른 통화와 교환이 가능하지 않다면 현물환율을 추정하며관련 정보를 공시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실무에서 제기된 의문에 대응하고 새로운 요구사항을 포함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과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가 개정되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주요 개정내용은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는 동 개정으로 인한 재무제표의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2) 재무제표 작성기준

1) 측정기준

재무제표는 금융상품 등 아래의 회계정책에서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재무제표는 회사의 기능통화이면서 표시통화인 "원(KRW)"으로 표시되고 있으며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원(KRW)" 단위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3) 외화환산

기능통화로 외화거래를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에 거래일의 외화와 기능통화 사이의 현물환율을 외화금액에 적용하여 기록하며, 보고기간말 화폐성 외화항목은 마감환율로 환산하며,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화폐성항목의 결제시점에 생기는 외환차이와 화폐성항목의 환산에 사용한 환율이 회계기간 중 최초로 인식한 시점이나 전기의 재무제표 환산시점의 환율과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외환차이는 그 외환차이가 생기는 회계기간의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는 외환차이 등은 기타포괄손익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

회사는 보유현금과 요구불예금,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다만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하고 있으며, 금융회사의 요구에 따라 즉시 상환하여야 하는 당좌차월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요소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

1)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이나 매도는 매매일 또는 결제일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상품의 최초 인식시점에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의 특성에 따라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은 최초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으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이 아닌 경우 당해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금융자산을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하는 경우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지정이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하거나, 그에 따른 평가손익 등을 인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인식과 측정상의 불일치를 제거하거나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지정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으로부터 획득한 배당금과 이자수익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채무증권 중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 및 매도 사업모형으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이나 단기간 내 매도할 목적이 아닌 지분증권 중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상품은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최초인식 후에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배당수익 및 손익으로 직접 인식되는 화폐성자산에 대한 외환차이를 제외하고는 자본의 기타포괄손익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누적손익은 해당 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만,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에서 발생한 누적평가손익은 처분시 해당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외화로 표시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공정가치는 해당 외화로 측정되며 보고기간말 현재 환율로 환산합니다. 공정가치 변동분 중 상각후원가의 변동으로 인한 환산차이에서 발생한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기타 변동은 자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 평가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은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최초 인식 후에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이자수익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인식합니다.

(라) 금융자산의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고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할 때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않고이전하지도 아니한 경우, 회사가 금융자산을 통제하고 있지도 않다면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금융자산을 계속 통제하고 있다면 그 양도자산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계속하여 인식하고, 관련 부채를 함께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금융자산(채무상품)의 기대신용손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제외한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상품은 매 보고기간 말에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손실충당금의 측정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여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이나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구 분

손실충당금

Stage 1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경우(주)

12개월 기대신용손실: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내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2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3

신용이 손상된 경우


(주) 보고기간 말 신용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음

최초 인식 시점에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에 대하여 최초 인식 후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누적변동분만을 손실충당금으로 계상합니다.

한편, 매출채권, 계약자산, 리스채권 등에 대해서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는 간편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대신용손실은 일정 범위의 발생 가능한 결과를 확률가중한 값으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반영하고, 보고기간 말에 과거사건, 현재 상황과 미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예측에 대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반영해 측정합니다.

3) 금융부채

금융부채는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부채의 최초 인식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또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해당 금융부채의발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비용은 최초 측정시 공정가치에 차감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발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는 다음의 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최초인식 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의 경우, 양도자산을 상각후원가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상각후원가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며, 양도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독립적으로 측정된 공정가치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보증부채(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 제외)와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하기로 한약정은 기대신용손실모형에 따른 손실충당금과 최초인식금액에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다) 금융부채의 제거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는 소멸한 경우(즉,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고 있습니다. 기존 차입자와 대여자가 실질적으로 다른 조건으로 채무상품을 교환하거나 기존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 최초의 금융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금융부채를 인식하고 있으며,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의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

회사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상계하고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5) 부채와 자본의 분류

채무상품과 지분상품은 계약의 실질 및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 또는 자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총평균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순실현가능가치는 통상적인 영업과정의 예상 판매가격에서 예상되는 추가 완성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서 매 후속기간에 순실현가능가치를 재평가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판매시 관련된 수익을 인식하는 기간에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을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며,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 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 금액의 차감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7)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고 최초 인식 이후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원가는 관세 및 환급불가능한 취득 관련 세금을 가산하고 매입할인과 리베이트 등을 차감한 구입가격,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와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데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최초 인식 이후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토지는 최초 인식 후에 재평가일의 공정가치에서 이후의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 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감가상각방법을 적용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구        분 내  용  연  수 감가상각방법
건물 50년 정액법
기계장치 15년 정액법
차량운반구 6년 정액법
공구와기구 6년 정액법
비품 6년 정액법
시설장치 15년 정액법
사용권자산 리스기간 정액법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을 통하여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않을 때 제거하고 있으며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평가된 자산을 매각하는 경우 자본에 계상된 재평가잉여금은 이익잉여금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8) 무형자산

회사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의 원가를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최초 인식 후에 무형자산은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1) 개별취득

개별 취득하는 무형자산의 원가는 구입가격(매입할인과 리베이트를 차감하고 수입관세와환급받을 수 없는 제세금을 포함)과 자산을 의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2) 내용연수 및 상각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경우 상각대상금액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내용연수동안 정액법으로 배분하고 있습니다. 상각대상금액은 잔존가치를 차감하여 결정하고 있으며, 잔존가치는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제3자가 자산을 구입하기로 한 약정이 있거나, 무형자산의 활성시장이 있어 잔존가치를 그 활성시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활성시장이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0)으로 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상각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구분 내용연수 상각방법
산업재산권 5년 정액법
소프트웨어 6년 정액법


3) 무형자산의 제거

무형자산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으로부터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며 무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이나 손실은 순매각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하고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9) 차입원가

회사는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는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 원가의 일부로 자본화하고 있으며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하여 차입한 자금에 한하여 회계기간동안 그 차입금으로부터 실제 발생한 차입원가에서 당해 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생긴 투자수익을차감한 금액을 자본화가능차입원가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목적으로 자금을 차입하고 이를 적격자산의 취득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자산관련 지출액에 자본화이자율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결정하고 있으며, 자본화이자율은 회계기간에 존재하는 기업의 차입금(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특정 목적으로 차입한 자금 제외)에서 발생된 차입원가를 가중평균하여 산정하며 회계기간동안 자본화한 차입원가는 당해 기간동안 실제 발생한 차입원가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10) 정부보조금

회사는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의 준수와 보조금 수취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정부보조금을 인식하고 있으며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의 정부대여금의 효익은 정부보조금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수익관련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원가와 대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기준에 따라 정부보조금을 수익으로 인식하며, 자산관련 정부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결정할 때 차감하여 표시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감가상각비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미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에 대한 보전 또는 향후의 관련원가 없이 회사에 제공되는 즉각적인 금융지원으로 수취하는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을 수취할 권리가 발생하는 기간에 수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자산을 정부보조금으로 수취하는 경우 비화폐성자산의 공정가치를 평가하여 보조금과 자산 모두를 그 공정가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상환의무가 발생하게 된 정부보조금은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1) 리스

리스는 리스제공자가 대가와 교환하여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일정기간 동안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는 계약입니다. 회사는 계약의 약정시점에, 계약 자체가 리스인지, 계약이 리스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합니다.

리스이용자 및 리스제공자는 리스계약이나 리스를 포함하는 계약에서 계약의 각 리스요소를 리스가 아닌 요소(이하 '비리스요소')와 분리하여 리스로 회계처리합니다. 다만, 회사는리스이용자로서의 회계처리에서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비리스요소를 리스요소와 분리하지 않고 각 리스요소와 관련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회사는 리스개시일에 기초자산을 사용할 권리를 나타내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료를 지급할 의무를 나타내는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다만 회사는 단기리스와 소액기초자산리스에 대하여 리스이용자의 인식, 측정 및 표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예외규정을 선택하였습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에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 감가상각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재무상태표에 '유형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며 그 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지급한 리스료를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 리스기간의 변경,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의 행사여부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재무상태표에 '기타유동금융부채'또는 '기타비유동금융부채'로 분류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와 소액자산리스의 경우 예외 규정을 선택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12)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하고,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로서 최선의 추정치를 구할 때에는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으며 할인율은 부채의 고유한 위험과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세전 이율이며 이할인율에 반영되는 위험에는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고려된 위험은 반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현재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 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충분하고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미래사건을 감안하여 충당부채 금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자산의 예상처분이익은 충당부채를 측정하는 데 고려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회사가 의무를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 자산으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 충당부채 금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며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최초 인식과 관련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3) 수익

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고객과의 모든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 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⑤ 수행의무 이행 시 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수행의무의 식별

회사는 승강기용 권상기와 감속기 등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① 고객이 재화나 용역 그 자체에서 효익을 얻거나 고객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다른 자원과 함께 하여 그 재화나 용역에서 효익을 얻을 수 있고, ②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기로 하는 약속을 계약 내의 다른 약속과 별도로 식별해 낼 수 있다면 구별되는 별도의 수행의무로 식별합니다. 회사는 일반적으로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아 제품을 제조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2)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재화의 판매에 따른 수익은 자산을 이전하여 수행의무를 이행할 때 인식하고 있으며,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는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이전하는 시점에 이행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통제 이전의 지표로 다음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① 기업은 자산에 대해 현재 지급청구권이 있다
② 고객에게 자산의 법적 소유권이 있다
③ 기업이 자산의 물리적 점유를 이전하였다
④ 자산의 소유에 따른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이 고객에게 있다
⑤ 고객이 자산을 인수하였다


3) 변동대가

회사는 계약에서 약속한 대가에 변동금액이 포함된 경우에 고객에게 약속한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고 그 대가로 받을 권리를 갖게 될 금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가는 할인(discount), 리베이트, 환불, 공제(credits), 가격할인(price concessions), 장려금(incentives), 성과보너스, 위약금이나 그 밖의 비슷한 항목 때문에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계약자산은 기업이 고객에게 이전한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그 대가를 받을 기업의 권리이며, 계약부채는 기업이 고객에게서 이미 받은 대가(또는 지급기일이 된 대가)에 상응하여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기업의 의무로 정의됩니다. 회사는 한 계약에서 발생한 계약자산과 계약부채는 상계하여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14)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단기종업원급여는 임금, 사회보장분담금,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유급연차휴가 또는 유급병가 등과 같은 단기유급휴가,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지급될 이익분배금과 상여금 및 현직종업원을 위한 비화폐성급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이 회계기간에 근무용역을 제공한 때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단기종업원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을 이미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후 미지급비용으로 인식하며, 이미 지급한 금액이해당 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 초과액 때문에 미래 지급액이 감소하거나 현금이 환급되는 만큼을 선급비용으로 인식하며,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 따라 해당 급여를 자산의 원가에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퇴직급여

회사는 퇴직급여제도로서 확정급여제도와 확정기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정기여제도는 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확정급여제도의 순확정급여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관련 확정급여채무를 직접 결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사외적립자산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를차감한 금액이며,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적인 보험계리법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급여가 지급될 통화로 표시되고 관련 확정급여부채의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시장수익률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원가 중 근무원가와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순이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되는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부의 순확정급여부채인 순확정급여자산은 제도로부터 환급받거나 제도에 대한 미래 기여금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경제적효익의 현재가치의 합계를 한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급여를 과거근무용역에 귀속시키는 확정급여제도를 새로 도입하거나 기존의 확정급여제도에서 과거근무용역에 대하여 지급해야 하는 급여를 변경하는 경우 발생하는 과거근무원가는 제도개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채의 변동금액으로 측정하고 즉시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5) 자산손상

재고자산,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하는 계약자산과 계약을 체결하거나 이행하기 위해 든 원가에서 생기는 자산, 이연법인세자산, 종업원급여에서 생기는 자산, 금융자산,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투자부동산, 매각예정비유동자산 등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손상은 아래의 방법으로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 및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에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장부금액과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그 외의 자산은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개별 자산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며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은 자산 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더 많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며, 손상차손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재평가모형에 따라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는 경우 재평가되는 자산의 손상차손은 재평가 감소액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손상검사 목적상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은 사업결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의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각 현금창출단위에 취득일로부터 배분되고 있습니다. 영업권이 배분된 현금창출단위에 대해서는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영업권을 포함한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과 회수가능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은 우선 현금창출단위에 배분된 영업권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다른 자산에 각각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영업권을 제외한 자산에 대해 과거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징후가 있는 경우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 없으며, 손상차손환입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재평가모형에 따라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재평가증가액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환입은 현금창출단위를 구성하는 자산들(영업권 제외)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며, 영업권에 대해 인식한 손상차손은 후속기간에 환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16) 법인세

법인세비용(수익)은 당기법인세비용(수익)과 이연법인세비용(수익)으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는 수익이나 비용으로 인식하여 당기손익에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 회계기간 또는 다른 회계기간에 자본에 직접 가감되는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와이연법인세는 자본에 직접 가감하고 있습니다.


1) 당기법인세

당기법인세는 회계기간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대하여 납부할(환급받을) 법인세액이며,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은 과세당국이 제정한 법규에 따라 납부할(환급받을) 법인세를 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회계기간의 이익(손실)으로서 포괄손익계산서의 손익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당기 및 과거기간의 당기법인세부채(자산)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및 세법)을 사용하여, 과세당국에 납부할(과세당국으로부터 환급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 및 과거기간의 당기법인세 중 납부되지 않은 부분을 부채로 인식하며, 과거기간에 납부하여야 할 금액을 초과해서 납부하였다면 그 초과금액은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과거 회계기간의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소급공제가 가능한 세무상결손금과 관련된 혜택은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이연법인세

회사는 모든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영업권을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와 자산ㆍ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가 사업결합거래가 아니고 거래 당시의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거래인 경우 및 종속기업ㆍ지점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그리고 공동약정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지배기업ㆍ투자자 또는 참여자가 일시적차이의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연법인세부채는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모든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자산이나 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거래로 사업결합거래가 아니고 거래 당시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거래인 경우 및  종속기업ㆍ지점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그리고 공동약정투자지분과 관련된 모든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지 않거나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경우에는 이연법인세자산은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미사용 세무상결손금과 세액공제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그 범위 안에서 이월된 미사용 세무상결손금과 세액공제에 대하여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은 매 보고기간말에 검토하며 이연법인세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혜택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않다면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액시키고 감액된 금액은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면 그 범위 내에서 환입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및 세법)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회계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할인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하여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채를 상계하고 있습니다.


(17) 주당이익

회사는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보통주에 귀속되는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특정 회계기간의 당기순손익을 그 기간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있으며, 보통주에 귀속되는 금액은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 각각의 금액에서 자본으로 분류된 우선주에 대한 세후우선주 배당금, 우선주 상환시 발생한 차액 및 유사한 효과를 조정한 금액입니다.

희석주당이익은 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18) 중요한 회계추정 및 판단

재무제표의 작성시 경영진은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자산, 부채, 수익, 비용의 장부금액 및 우발부채의 금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판단과 추정 및 가정을 하여야 합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이러한 추정치는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 및 추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며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나 향후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실제 결과와는 중요하게 다를 수도 있습니다.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추정에 관련된 공시와는 별도로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가장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이 내린 판단 및 미래에 대한 가정과 보고기간말의 추정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중요한 조정을 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금융상품에 대한 활성시장이 없는 경우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으며, 평가기법은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된 당사자 사이의 최근거래를 사용하는 방법,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른 금융상품의 현행 공정가치를 참조하는 방법, 현금흐름할인방법과 옵션가격결정모형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주기적으로 평가기법을 조정하며 관측가능한 현행 시장거래의 가격을 사용하거나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 등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과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2) 이연법인세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 및 세법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회계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추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정치는 미래의 실제 법인세부담과 다를 수 있습니다.


3) 확정급여채무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험수리적 가정은 퇴직급여의 궁극적인 원가를 결정하는 여러가지 변수들에 대한 최선의 추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퇴직전이나 퇴직후의 사망률, 이직률, 신체장애율 및 조기퇴직률, 할인율 및 미래의 임금과 급여 수준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가정에 따라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민감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2025년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haisung.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 2 조 (목적) 당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동력전달장치 및 기계부품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2.  자동차부품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3.  자동화 시스템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4.  감속기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5.  로봇 및 풍력발전기 관련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6.  플랜트 설비관련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7.  부동산 임대업

8.  사족로봇, 협동로봇, 초정밀지향마운트시스템 제조, 판매 및 수출입

9.  로봇 부품 제조 및 판매업

10.  로봇 자동화 기계, 설비 제조 및 판매업

11.  산업용, 연구용, 군사용, 전문서비스용 로봇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제작, 판매 및 수출입, 임대 , 가공 및 용역업

12.  항공, 우주 관련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수출입, 개발, 제작, 임대, 가공 및 용역업

13.  항공관련 제품 제조,판매 및 수출입

14.  인공지능 음향, 음성, 이미지 인식 및 분석 장비 제조, 판매, 수출입

15.  쌍안경, 단안경, 현미경, 야시경, 거리측정기, 속도측정기, 열화상기기 등 각종 광학기기, 부품, 및 관련 장비의 제조, 도소매 및 수출입

16.  로봇 관련 콘텐츠 서비스 사업

17.  정보처리시스템의 개발, 판매, 유지보수 사업

18.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생산설비의 제조, 판매, 유지보수 사업

19.  유무선 원격자동 계측 및 제어시스템 제조, 판매, 유지보수 사업20. 전력변환장치의 개발, 제조, 유지보수 사업

21.  시각 데이터 (이미지/비디오)를 활용한 기술

개발 및 서비스업

22.  의료용 기기 제조, 판매

23.  군수품 제조, 판매

24.  위 부대사업 일체

제 2 조 (목적) 당 회사는 다음 사업을 경영함을 목적으로 한다.

1. 동력전달장치 및 기계부품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2. 자동차부품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3. 자동화 시스템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4. 감속기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5. 로봇 및 풍력발전기 관련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6. 플랜트 설비관련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

7. 부동산 임대업

8. 로봇 부품 제조 및 판매업

9. 로봇 자동화 기계, 설비 제조 및 판매업

10. 산업용, 연구용, 군사용, 전문서비스용 로봇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개발제작, 판매 및 수출입, 임대 , 가공 및 용역업

11.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생산설비의 제조, 판매, 유지보수 사업

12. 위 부대사업 일체

사업목적변경
(중복사항 정리 및 미영위사업목적 일부삭제)

(부칙)


( 시행일 )

개정 2001. 06. 15

개정 2005. 08. 23

개정 2008. 06. 13

개정 2009. 05. 04

개정 2009. 07. 22

개정 2012. 03. 21

개정 2013. 03. 29

개정 2014. 01. 01
개정 2015. 07. 15

개정 2016. 11. 30

개정 2018. 03. 13

개정 2018. 11. 07

개정 2020. 03. 27

개정 2022. 03. 22

개정 2024. 03. 25

(부칙)


( 시행일 )

개정 2001. 06. 15

개정 2005. 08. 23

개정 2008. 06. 13

개정 2009. 05. 04

개정 2009. 07. 22

개정 2012. 03. 21

개정 2013. 03. 29

개정 2014. 01. 01
개정 2015. 07. 15

개정 2016. 11. 30

개정 2018. 03. 13

개정 2018. 11. 07

개정 2020. 03. 27

개정 2022. 03. 22

개정 2024. 03. 25

개정 2025. 03. 25

 

1. 이 정관은 2025. 3. 25일부터 시행한다.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
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의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정훈 1963.07.17 사내이사 - 최대주주의 임원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당해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정훈 (주)티피씨 대표이사 2022.3 ~ 현재
2012.12 ~ 현재
1998.12 ~ 현재

해성에어로보틱스(주) 대표이사
(주)고리 대표이사
(주)티피씨 대표이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당사의 최대주주인 티피씨의 대표이사이자 현재 해성에어로보틱스의 대표이사로써, 회사에 대한 깊은 이해와 폭 넓은 경험을 바탕으로 합리적이고 효과적인 의사결정을 통해 회사의 경쟁력 및 기업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된되어 추천합니다.


확인서

이미지: 보고자가 서명(날인)한 확인서_2025.03.07

보고자가 서명(날인)한 확인서_2025.03.07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



(전 기) (단위: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09
최고한도액 2,000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백만원)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


(전 기) (단위: 백만원)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4
최고한도액 200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