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금융위원회 / 한국거래소 귀중






2025년 02월 24일
권 유 자: 성 명: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주 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477(정자동)
전화번호: 02-746-4773
작 성 자: 성 명: 양지민
부서 및 직위: 회계팀 책임매니저
전화번호: 02-479-9230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요약>


1.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가. 권유자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나. 회사와의 관계 본인
다. 주총 소집공고일 2025년 02월 24일 라. 주주총회일 2025년 03월 25일
마. 권유 시작일 2025년 02월 27일 바. 권유업무
     위탁 여부
미위탁
2.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가. 권유취지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사 정족수 확보
나. 전자위임장 여부 해당사항 없음 (관리기관) -
(인터넷 주소) -
다. 전자/서면투표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관리기관) 삼성증권
(전자투표 인터넷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인터넷/모바일 동일)
3. 주주총회 목적사항
□ 재무제표의승인
□ 이사의선임
□ 감사위원회위원의선임
□ 이사의보수한도승인


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에 관한 사항


1. 권유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보통주 54,431 0.15 본 인 -

※ 상기 권유자의 소유주식은 자기주식이므로 의결권이 제한됨

- 권유자의 특별관계자에 관한 사항

성명
(회사명)
권유자와의
관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소유 비율 회사와의
관계
비고
에이치디현대
주식회사
최대주주 보통주 13,403,537 37.18 최대주주 -
아산사회
복지재단
기타 보통주 395,236 1.10 기타 -
아산나눔
재단
기타 보통주 203,872 0.57 기타 -
정기선 계열회사 임원 보통주 156 0.00 계열회사 임원 -
- 14,002,801 38.85 - -



2. 권유자의 대리인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대리인 (의결권 수임인)

성명
(회사명)
주식의
종류
소유
주식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박현준 보통주 0 직  원 직  원 -
류희준 보통주 332 직  원 직  원 -
김민수 보통주 0 직  원 직  원 -



나.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업무 대리인

성명
(회사명)
구분 주식의
종류
주식
소유수
회사와의
관계
권유자와의
관계
비고
- 해당사항없음 - - - - -


3. 권유기간 및 피권유자의 범위


가. 권유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일
권유 시작일 권유 종료일 주주총회일
2025년 02월 24일 2025년 02월 27일 2025년 03월 25일 2025년 03월 25일


나. 피권유자의 범위

주주 전체(2024년 12월 31일 기준)


II.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의 취지


1. 의결권 대리행사의 권유를 하는 취지

원활한 주주총회 진행을 위해 필요한 의사 정족수 확보



2. 의결권의 위임에 관한 사항


가.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전자위임장)

전자위임장 수여 가능 여부 해당사항 없음
전자위임장 수여기간 -
전자위임장 관리기관 -
전자위임장 수여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나. 서면 위임장으로 의결권을 위임하는 방법


□ 권유자 등이 위임장 용지를 교부하는 방법

피권유자에게 직접 교부 O
우편 또는 모사전송(FAX) O
인터넷 홈페이지 등에 위임장 용지를 게시 O
전자우편으로 위임장 용지 송부 O
주주총회 소집 통지와 함께 송부
(발행인에 한함)
O


- 위임장용지 교부 인터넷 홈페이지

홈페이지 명칭 인터넷 주소 비고
HD현대일렉트릭 www.hd-hyundaielectric.com -


- 전자우편 전송에 대한 피권유자의 의사표시 확보 여부 및 확보 계획

이메일 또는 전화 등 적절한 방법으로 전자우편을 통하여 위임장 용지 및 참고서류를
받는다는 의결권 피권유자의 의사표시를 확보할 예정임


□ 피권유자가 위임장을 수여하는 방법

- 위임장 접수처
   ·주      소 :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75 (계동, 현대빌딩) 12층
                     HD현대일렉트릭 재정팀 (우편번호 03058)
   ·전화번호 : 02-746-4773
   ·팩스번호 : 02-746-4380
- 우편 접수 여부 : 가능
- 접수 기간 : 2025년 2월 27일 ~ 3월 25일 제8기 정기주주총회 개시 전


다. 기타 의결권 위임의 방법

-


3. 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의 직접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주주총회 일시 및 장소

일 시 2025년  03월  25일    오후  3시
장 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분당수서로477, HD현대 글로벌R&D센터 1층 아산홀


나. 전자/서면투표 여부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전자투표 가능 여부 전자투표 가능
전자투표 기간 2025년 3월 15일 오전 9시 ~ 2025년 3월 24일 오후 5시
전자투표 관리기관 삼성증권
인터넷 홈페이지 주소 https://vote.samsungpop.com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본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결권 행사 가능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본인인증)

-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 서면투표에 관한 사항

서면투표 가능 여부 해당사항 없음
서면투표 기간 -
서면투표 방법 -
기타 추가 안내사항 등 -


다. 기타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행사와 관련한 사항

- 주주총회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III.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1호 의안) 제8기(2024.1.1~2024.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 전 연결ㆍ별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hd-hyundaielectric.com, 홈페이지→투자정보→IR자료→감사보고서)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연결ㆍ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연결 재무상태표

연결 재무상태표
제 8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7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 8(당) 기말 제 7(당)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2,763,741 1,972,953
 Ⅱ. 비유동자산 1,031,804 937,207
자      산      총      계 3,795,545 2,910,160
부                        채

 Ⅰ. 유동부채 2,001,079 1,497,429
 Ⅱ. 비유동부채 286,949 355,701
부      채      총      계 2,288,028 1,853,130
자                        본

 Ⅰ. 자본금 180,236 180,236
 Ⅱ. 자본잉여금 401,837 401,837
 Ⅲ. 자본조정 (15,241) (15,241)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19,079 84,689
 Ⅴ. 이익잉여금 815,876 396,621
 Ⅵ. 비지배지분 5,730 8,888
자      본      총      계 1,507,517 1,057,030
부  채  및  자  본  총  계 3,795,545 2,910,160



-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8(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 8(당) 기 제 7(전) 기
I. 매출액 3,322,349 2,702,799
II. 매출원가 2,277,784 2,092,381
III. 매출총이익 1,044,565 610,418
IV. 판매비와관리비 375,594 295,200
V. 영업이익 668,971 315,218
VI. 금융수익 146,140 66,008
VII. 금융비용 153,022 110,203
VIII. 기타영업외수익 13,266 67,401
IX. 기타영업외비용 25,256 27,815
X. 지분법이익(손실) (27) (92)
X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650,072 310,517
XII. 법인세비용 151,662 51,061
XIII. 당기순이익(손실) 498,410 259,456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501,567 259,153
   비지배지분 (3,157) 303
XIV. 기타포괄손익 24,052 (15,598)
XV. 총포괄이익(손실)의 귀속 522,462 243,858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525,619 243,555
   비지배지분 (3,157) 303
XVI.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주당이익(손실)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3,935 7,200


- 연결 자본변동표

연결 자본변동표
제 8(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백만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비지배
지분
총   계
2023.01.01 (전기초) 180,236 401,833 (15,241) 83,844 171,908 8,589 831,169
  당기순손익 - - - - 259,153 303 259,45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44 - - 44
  파생상품평가손익 - - - 393 - - 393
  해외사업환산손익 - - - 2,275 - - 2,275
  보험수리적손익 - - - - (16,444) - (16,444)
  배당금 지급 - - - - (17,996) - (17,996)
  종속기업의 주식선택권 소멸 - 4 - - - (4) -
  유형자산재평가 손익 - - - (1,866) - - (1,866)
  연결범위의 변동 - - - (1) - - (1)
2023.12.31 (전기말) 180,236 401,837 (15,241) 84,689 396,621 8,888 1,057,030
2024.01.01 (당기초) 180,236 401,837 (15,241) 84,689 396,621 8,888 1,057,030
  당기순손익 - - - - 501,567 (3,157) 498,4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26 - - 26
  파생상품평가손익 - - - (1,041) - - (1,041)
  해외사업환산손익 - - - 35,404 - - 35,404
  보험수리적손익 - - - - (10,337) - (10,337)
  배당금 지급 - - - - (75,584) - (75,584)
  연결범위의 변동 - - - - 3,604 - 3,604
  기타 - - - - 5 - 5
2024.12.31 (당기말) 180,236 401,837 (15,241) 119,078 815,876 5,731 1,507,517



 - 연결 현금흐름표

연결 현금흐름표
제 8(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 8(당) 기 제 7(전)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1,033,722 (22,439)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1,115,121 19,440
2. 이자의 수취 13,371 5,690
3. 이자의 지급 (26,152) (36,943)
4. 배당금의 수취 5 5
5. 법인세의 지급 (68,623) (10,631)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143,186) (93,295)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517,933) 118,221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21,071 925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Ⅰ+Ⅱ+Ⅲ+Ⅳ+Ⅴ) 393,674 3,412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76,098 172,686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569,772 176,098



-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제 8(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7(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1. 연결대상기업의 개요
(1) 지배기업의 개요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구, 현대일렉트릭앤에너지시스템 주식회사)(이하    "지배기업")는 2017년 4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HD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구, 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에서 인적분할의 방법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주요 사업목적은 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저압전동기,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전력변환 및 에너지저장장치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이며, 본점 소재지는 경기도 성남시입니다.

당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주요 주주는 HD현대㈜(37.18%), 국민연금관리공단(7.66%)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종속기업의 현황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재무제표 작성대상에 속한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기업명 소재지 결산월 주요 영업활동 소유지분율(%)
당기말 전기말
HD Hyundai Electric Hungary Kft. 헝가리 12월 기술개발연구업 100.00 100.00
HD Hyundai Electric Switzerland Ltd. 스위스 12월 기술개발연구업 100.00 100.00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중국 12월 배전반 제조 및 판매업 100.00 100.00
HD Hyundai Electric Shanghai Ltd. 중국 12월 기술개발연구업 100.00 100.00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미국 12월 산업용 전기제품 제조 및 판매업 100.00 100.00
HD Hyundai Electric America Corporation 미국 12월 변압기 판매업 100.00 100.00
HD Hyundai Electric Arabia L.L.C. 사우디아라비아 12월 고객지원서비스업 100.00 100.00
HD현대플라스포㈜ 대한민국 12월 전력변환장치 제조업 61.84 61.84
㈜여천에너지(*1) 대한민국 12월 태양광발전사업 100.00 100.00
대불그린1호 주식회사(*2) 대한민국 12월 태양광발전사업 100.00 -
HD Hyundai Electric Europe GmbH(*3) 독일 12월 변압기 판매업 100.00 -

(*1) 간접소유를 포함한 지분율입니다.
(*2) 당기 중 24년 12월 1심 승소 판결에 따라 대불그린1호㈜를 종속기업으로 편입하였습니다.
(*3) 당기 중 신규출자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3) 연결대상범위의 변동
당기와 전기 중 연결대상범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
당기 중 신규로 연결재무제표의 작성대상회사에 속한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기업명 사유
대불그린1호 주식회사 신규 취득
HD Hyundai Electric Europe GmbH 신규 설립


② 전기
전기 중  연결재무제표의 작성대상회사에서 제외된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속기업명 사유
HDENE Power Solution India Private Ltd. 청산


(4)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
당기와 전기 중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

(단위:백만원)
종속기업명 자산 부채 자본 매출 당기순손익
HD Hyundai Electric Hungary Kft. 7,262 290 6,972 3,667 95
HD Hyundai Electric Switzerland Ltd. 3,659 2,466 1,193 4,657 211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177,229 119,381 57,848 152,442 11,269
HD Hyundai Electric Shanghai Ltd. 6,343 893 5,450 2,865 180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420,903 174,920 245,983 375,690 70,929
HD Hyundai Electric America Corporation 1,311,867 1,278,756 33,111 893,010 15,020
HD Hyundai Electric Arabia L.L.C. 3,403 403 3,000 8,197 465
HD현대플라스포㈜ 23,871 13,036 10,835 13,363 (6,938)
㈜여천에너지 1,914 2,040 (126) - (46)
대불그린1호 주식회사 9,791 10,222 (431) - -
HD Hyundai Electric Europe GmbH 21,640 21,190 450 - (8)

② 전기

(단위:백만원)
종속기업명 자산 부채 자본 매출 당기순손익
HD Hyundai Electric Hungary Kft. 7,133 237 6,896 2,770 (247)
HD Hyundai Electric Switzerland Ltd. 1,640 727 913 3,841 19
HD Hyundai Electric China Co.,Ltd. 148,577 107,372 41,205 107,412 (8,016)
HD Hyundai Electric Shanghai Ltd. 5,145 421 4,724 2,241 38
HD Hyundai Power Transformers USA, Inc. 346,898 198,186 148,712 285,857 37,729
HD Hyundai Electric America Corporation 561,468 546,624 14,844 633,592 6,835
HD Hyundai Electric Arabia L.L.C. 2,455 259 2,196 8,058 840
HD현대플라스포㈜ 32,600 14,827 17,773 34,255 885
㈜여천에너지 1,862 1,942 (80) - (19)


(5) 비지배지분

당기말 현재 주요 종속기업의 비지배지분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구 분 HD현대플라스포㈜
당기말 전기말
비지배지분율 38.16% 38.16%
순자산 10,835 17,773
비지배지분의 장부금액 5,730 8,888
당기순손익 (6,938) 885
비지배지분에 배분된 당기순손익 (2,647) 338
영업활동현금흐름 (3,836) 4,983
투자활동현금흐름 (638) (887)
재무활동현금흐름 (1,805) 1,197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6,279) 5,293



2. 재무제표 작성기준

지배기업과 그 종속기업(이하 "연결실체")은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제5조1항 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는 2025년 2월 4일자 이사회에서 승인되었으며, 2025년 3월 25일자 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입니다.


(1) 측정기준

연결재무제표는 아래에서 열거하고 있는 연결재무상태표의 주요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유형자산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파생상품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확정급여부채


(2)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연결실체 내 개별기업의 재무제표는 각 개별기업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인 기능통화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재무제표는 지배기업의기능통화 및 표시통화인 대한민국의 통화(원화, KRW)로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3) 추정과 판단
①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 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다음 보고기간 이내에 중요한 조정이 발생할 수 있는 유의한 위험이 있는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석사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석 12 : 관계기업투자 - 연결실체가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여부
- 주석 14, 15 : 손상검사 -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의 회수가능성을 포함한 회수가능가액 추정의 주요 가정
- 주석 18 : 확정급여채무의 측정 - 보험수리적 가정
- 주석 19, 38 :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 자원의 유출가능성과 금액에 대한 가정
- 주석 27 : 진행률에 따른 수익인식, 총계약원가의 추정
- 주석 32 : 이연법인세자산의 인식 - 차감할 일시적차이와 세무상 결손금의 사용
- 주석 33 : 리스기간 - 연장선택권의 행사가능성이 상당히 확실한지 여부
- 주석 37 : 매출채권과 기타채권의 기대신용손실 측정 - 가중평균손실률을 결정하기 위한 주요 가정

② 공정가치 측정

연결실체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을 요구하고 있는 바, 연결실체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 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유의적인 평가 문제를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연결실체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구 분 투입변수의 유의성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연결실체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석 14: 유형자산
 - 주석 15: 무형자산
 - 주석 37: 금융상품

3. 회계정책의 변경

아래에서 기술하고 있는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에 시행되는기준서와 개정사항 및 기타 회계정책의 변경내용 적용을 제외하고 연결실체는 당기
및 비교표시된 전기 재무제표에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공표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은 기준서, 해석서, 개정사항을 조기 적용한 바 없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발생하는 리스부채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사항은 판매자-리스이용자가 판매후리스 거래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측정 시 판매자-리스이용자가 계속 보유하는 사용권에 대해서는 어떠한 차손익도 인식하지 않도록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이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분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의 개정사항은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분류에 대한 다음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의미

- 연기할 수 있는 권리가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해야 함

- 유동성 분류는 기업의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

- 기업이 자신의 지분상품을 이전하여 부채를 결제할 수 있는 조건은 그 옵션을 지분

상품으로 분류하고 동 옵션을 복합금융상품의 자본 요소로서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 하는 경우라면, 유동ㆍ비유동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또한, 기업이 차입약정으로 인해 발생한 부채를 비유동부채로 분류하고,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기업의 권리가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약정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 이를 공시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이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의 개정은 공급자금융약 정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그러한 약정에 대한 추가 공시를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의 공시 요구사항은 연결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및 유동성위 험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동 개정사항이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중요한 회계정책

연결실체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 기술되어 있으며,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계정책의 변경을 제외하고는, 당기 및 비교 표시된 전기의 연결재무제표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연결실체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업부문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8호 '영업부문'에 따른 보고부문이 단일부문에 해당하므로 별도의 사업부문별 정보를 공시하지 않았습니다.

(2) 연결

1) 비지배지분
비지배지분은 취득일에 피취득자의 식별가능한 순자산에 대해 인식한 금액 중 현재의 지분상품의 비례적 몫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2) 내부거래제거
연결실체 내의 거래, 이와 관련된 잔액, 수익과 비용, 미실현손익은 연결재무제표 작성시 모두 제거하고 있습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지분법피투자기업과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실현이익 중 연결실체의 몫은 제거하고 있으며, 미실현손실은 자산손상의 증거가 없다면 미실현이익과 동일한 방식으로 제거하고 있습니다.

(3) 현금및현금성자산

연결실체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4)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이동평균법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타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착품은 개별법에 의한 취득원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5) 비파생금융자산

① 인식 및 최초측정
매출채권과 발행 채무증권은 발행되는 시점에 최초로 인식됩니다. 다른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연결실체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인식됩니다.

② 분류 및 후속측정
1) 금융자산 - 사업모형평가
연결실체는 사업이 관리되는 방식과 경영진에게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금융자산의 포트폴리오 수준에서 보유되는 사업 모형의 목적을 평가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거래에서 제3자에게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거래는 매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연결실체의 사업모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흐름수취 목적 연결실체는 변압기 등의 제조 및 판매 사업에서 발생하는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융상품의 사업모형 목적은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의 원금과 원금에 대한 이자수익의 수취입니다.
매도목적 연결실체는 유동성관리를 위해 채무증권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석 37참조).


2) 금융자산 -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평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에 대한 지급만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평가할 때, 연결실체는 해당 상품의 계약조건을 고려합니다. 금융자산이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 계약조건 때문에 해당 금융상품의 존속기간에 걸쳐 생길 수 있는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의 지급만으로 구성되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이를 평가할 때 연결실체는 다음을 고려합니다.
- 현금흐름의 금액이나 시기를 변경시키는 조건부 상황
- 변동 이자율 특성을 포함하여 계약상 액면 이자율을 조정하는 조항
- 중도상환특성과 만기연장특성
- 특정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대한 연결실체의 청구권을 제한하는 계약조건


③ 상계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에 대한 회계정책 정보는 주석 37(6)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파생금융상품

파생상품과 위험회피회계에 대한 회계정책과 위험관리 활동에 대한 정보는 주석 20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금융자산의 손상

① 금융상품과 계약자산
연결실체는 다음 자산의 기대신용손실에 대해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서 정의된 계약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

연결실체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 보고기간말에 신용위험이 낮다고 결정된 채무증권
- 최초 인식 이후 신용위험(즉, 금융자산의 기대존속기간동안에 걸쳐 발생할 채무불이행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기타 채무증권과 은행예금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항상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연결실체는 다음과 같은 경우 금융자산에 채무불이행이 발생했다고 고려합니다.
- 채무자가 연결실체가 소구활동을 하지 않으면, 연결실체에게 신용의무를 완전하게 이행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
- 금융자산의 연체일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②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
매 보고기간말에, 연결실체는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채무증권의 신용이 손상되었는지 평가합니다. 금융자산의 추정미래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은 신용이 손상된 것입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이 손상된 증거는 다음과 같은 관측 가능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 발행자나 차입자의 유의적인 재무적 어려움
- 채무불이행이나 연체와 같은 계약 위반
- 차입자의 재무적 어려움에 관련된 경제적이나 계약상 이유로 당초 차입조건의 불가피한 완화
- 차입자의 파산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그 밖의 재무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짐
-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산에 대한 활성시장 소멸

③ 재무상태표 상 신용손실충당금의 표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및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합니다. 계약자산을 포함한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과 관련된 손상차손은 중요성을 고려하여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별도로 표시하지않고 '판매비와관리비'또는 '기타영업외비용'에 표시하였습니다.


④ 제각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전체 또는 일부의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있는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합리적인 기대가 없는 경우 해당 자산을 제거합니다. 연결실체는 제각한 금액이 유의적으로 회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각된 금융자산은 만기가 된 금액에 대한 연결실체의 회수 절차에 따라 회수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8) 유형자산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으며, 토지는 최초 인식 후에 재평가일의 공정가치에서 이후의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을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 유형자산은 자산의 취득원가에서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에 대하여 아래에 제시된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해당 자산에 내재되어 있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 형태를 가장 잘 반영한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추정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구 분 추정내용연수
건물 25~50년 차량운반구 5~14년
구축물 20~45년 공기구비품 3~20년
기계장치 5~42년


후속지출은 해당 지출과 관련된 미래 경제적 효익이 연결실체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자본화하고 있습니다.


(9) 무형자산

무형자산은 최초 인식할 때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사용 가능한 시점부터 잔존가치를 영("0")으로 하여 아래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예측가능하지 않아 당해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평가하고 상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의 추정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개발비, 특허권 5~10년
기타무형자산 5~10년
회원권 비한정
상표권 비한정
영업권 비한정


(10) 정부보조금
자산관련 보조금의 경우, 연결실체는 비유동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사용해야 한다는 기본조건이 부과된 정부보조금을 수령하고 있으며,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수익관련 보조금의 경우, 연결실체는 정부보조금을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 원가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기간에 걸쳐 관련 비용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1) 투자부동산
투자부동산은 취득 시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으며,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건물 40년


(12) 비금융자산의 손상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에 대한 손상차손은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자산 각각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 말에 자산에 대해 과거기간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합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없습니다.


(13)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연결실체는 고객이 대가를 지급하기 전이나 지급기일 전에 연결실체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의 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그 계약에 대해 수취채권으로 표시한 금액이 있다면 이를 제외하고 계약자산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계약자산은 연결실체가 고객에게 이전한 재화나 용역에 대해 그 대가를 받을 권리입니다.


연결실체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기 전에 고객이 대가를 지급하거나 연결실체가 대가(금액)를 받을 무조건적인 권리(수취채권)를 갖고 있는 경우에 연결실체는 지급받은 때나 지급받기로 한 때(둘 중 이른시기)에 그 계약을 계약부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계약부채는 연결실체가 고객에게서 받은 대가 또는 지급받을 권리가 있는 대가(금액)에 상응하여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연결실체의 의무입니다. 연결실체는 한 계약에서 발생한 계약자산과 계약부채는 상계하여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14) 비파생금융부채

연결실체는 계약상 내용의 실질과 금융부채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를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와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에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15) 종업원급여

확정급여부채는 매년 독립적인 계리사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으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16) 충당부채

① 하자보수충당부채
연결실체는 공사에 대한 하자보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과거의 하자보수경험에 따른일정금액을 하자보수충당부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② 판매보증충당부채
연결실체는 출고한 제품과 관련하여 보증수리기간 내의 경상적인 부품수리 등에 충당하기 위하여 판매보증충당부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③ 공사손실충당부채
연결실체는 계약상 의무의 이행에 필요한 회피 불가능한 원가가 그 계약에서 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경제적 효익을 초과하는 계약에 대해서 경제적 효익을 초과하는 원가에 해당하는 금액을 공사손실충당부채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발생원가에는 특정 계약에 직접 관련된 원가와 계약활동 전반에 귀속될 수 있는 공통원가로 실제조업도에 기초하여 배부된 고정 및 변동간접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7) 온실가스 배출권
연결실체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권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에서 무상으로 할당받은 배출권과 유상으로 매입한 배출권으로 구성됩니다. 무상할당 배출권은 영(0)으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매입 배출권은 매입원가에 취득에 직접 관련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그 밖의 원가를 가산하여 취득원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8) 리스
1) 리스이용자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최초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연결실체는 증분차입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합니다.


연결실체는 다양한 외부 재무 정보에서 얻은 이자율에서 리스의 조건과 리스자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조정을 하고 증분차입이자율을 산정합니다.


연결실체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내인 단기리스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에 대하여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하지 않는 실무적 간편법을 선택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이러한 리스에 관련된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법에 따라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2) 리스제공자
리스제공자로서 연결실체는 리스약정일에 리스가 금융리스인지 운용리스인지 판단합니다.

각 리스를 분류하기 위하여 연결실체는 리스가 기초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는지를 전반적으로 판단합니다. 이 평가 지표의 하나로 연결실체는 리스기간이 기초자산의 경제적 내용연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지 고려합니다.


연결실체는 운용리스료로 받는 리스료를 '매출액'의 일부로써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 기준에 따라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19) 수익

연결실체가 제공하는 다양한 재화와 용역의 수행의무 및 수익인식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재화나 용역의 특성 및 수행의무 이행시기
연결실체는 발전→송전→배전→소비(부하)에 이르는 전력공급 과정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 솔루션을 제작ㆍ공급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매출 유형은 크게 표준품 공급계약, 복합요소 수주계약 및 Turn-key 수주계약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표준품 공급계약의 경우 단일 수행의무로 구성되며, 복합요소 수주계약 및 Turn-key 수주계약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약 내에 여러가지 제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수의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우 전력공급 과정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 솔루션을 제작ㆍ공급하고 있어 일반적인 계약의 경우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에 해당하지 않아 한 시점에 이행되는 수행의무로 보아 수익을 인식합니다.

수행의무 이행시기는 연결실체가 보유한 자산이 고객에게 이전되어 고객의 통제를 받는 시기이며, 지급청구권, 소유권, 물리적 점유,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의 이전, 고객의 인수여부를 통제 이전의 지표로 하여 수행의무 이행시기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출의 경우 주로 CIF, FOB, DDP 등의 Incoterms 조건으로 이전되며 국내 매출의 경우 고객에게 물리적으로 이전되는 시기에 수행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한편 연결실체의 수주계약은 고객에게 제시받은 조건에 따라 맞춤 제작되고 있는 수주산업의 특성상 기업 자체에는 대체 용도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개별 계약 내에 고객이나 다른 당사자의 사유로 계약을 종료하는 경우 이미 진행을 완료한 부분에 대해서는 투입한 원가 및 예상 이익을 청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는 계약에 한해서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한 시점에 수익을 인식합니다.


수행의무를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경우에는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고객에게 이전할 때 연결실체의 수행정도를 나타내는 진행율 측정방법에 따라 이행시기를 결정합니다. 만약 수행정도를 합리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발생원가의 범위 내에서 수행 정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설계와 원재료 구매, 생산, 시운전 등을 제공하는 계약으로써 건조공정이 매우 다양하여 과다한 원가를 들이지 않고는 산출법을 적용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행의무의 이행에 예상되는 총 투입물 대비 수행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기업의 투입물에 기초하여 수익을 인식하는 투입법이 기업의 수행정도를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아 원가를 투입하는 시점을 이행시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② 보증의 성격 및 기간
연결실체는 제품 및 계약에 따라 기간이 상이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품 납품 후 24개월에서 48개월 정도의 보증을 제공합니다. 연결실체가 제공하는 보증은 일정기간부여된 보증기간이 지나면 유상 AS로 전환됩니다. 제공되는 보증은 합의된 규격에 제품이 부합한다는 확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수행의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③ 거래가격 산정방법
연결실체의 표준품 공급계약의 경우 단일 수행의무로 볼 수 있어 거래가격을 배분할 필요가 없으나, 복합요소 수주계약 및 Turn-key 수주계약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약 내에 여러가지 제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수의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각각의 수행의무에 거래가격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거래가격 배분시 개별판매가격을 기준으로 배분하는 시장평가 조정 접근법을 우선으로 적용하며, 만약 개별판매가격이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행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예상되는 원가를 예측하고 여기에 적절한 이윤을 더하는 예상원가 이윤가산 접근법을 통해 별도로 구분되는 수행의무에 총 계약금액을 배분하여 거래가격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상기 두 가지 방법으로 거래가격을 배분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총 거래가격에서 다른 재화나 용역의 관측 가능한 개별 판매가격 합계를 차감하여 추정한 가격을 배분하는 잔여접근법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④ 변동대가의 추정
연결실체는 연결실체의 귀책사유 또는 발주처의 요구로 발생하는 설계변경 및 추가 작업에 의한 공사변경과 납기지연 및 조건미달을 이유로 하는 지연배상금 및 고객의 판매를 장려하기 위한 매출할인, 판매장려금 등으로 인하여 고객에게서 받을 대가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매출할인, 판매장려금 등의 경우 이미 인식한 누적 수익금액 중 유의적인 부분을 되돌리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금액까지만 변동대가를 거래가격에 포함하며 지연배상금의 경우 연결실체는 계약조건에 의하여 발생된 예상금액을계약가에서 차감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20) 금융수익과 비용

금융수익은 투자로부터의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외환이익,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이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배당수익은 주주로서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비용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외환손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손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에 대한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 법인세
필라 2 법률에 따라 납부하는 글로벌최저한세는 기업회계기준서 제 1012호 '법인세'의 적용대상 법인세입니다. 연결실체는 최저한세의 영향으로 인한 이연법인세 회계처리에 대한 일시적인 의무 완화를 적용하고 발생하는 시점에 당기법인세로 회계처리 하였습니다.


(22) 미적용 제ㆍ개정 기준서

연결재무제표 발행승인일 현재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아 연결실체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기준서 및 해석서의 제ㆍ개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적 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연결실체는 비교 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개정사항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 결제일에 제거되는 금융부채와 전자지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결제되는 금융부채를 결제일 전에 제거하기 위한 회계정책 선택(특정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을 도입하는 것을 명확히 함

- ESG 및 유사한 특성이 있는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지침

- 비소구 특성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함

- 우발특성이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공시사항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공시 요구사항을 도입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금융자산의 분류 및 이와 관련된 공시사항에 대한 개정사항만을 조기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현재 개정사항을 조기 적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결제되는 금융부채의 제거에 관한 개정사항과 관련하여, 연결실체는 영업 중인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모든 주요 전자지급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행 실무에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와 결제일 이전에 해당 금융부채를 제거하는 회계정책 선택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금융자산의 경우 현금 흐름에 대한 권리가 소멸될 때 그에 상응하는 금융자산이 제거되는지, 금융부채의 경우 결제일에 해당 금융부채가 제거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표,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다른 모든 지급시스템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ESG 연계 특성 및 유사한 우발특성을 포함하는 금융자산과 비소구금융 및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에 대한 개정사항의 영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수행한 최초 평가를 바탕으로 개정사항이 연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평가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③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기준서간 요구사항의 일관성을 제고하고,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히 하여, 이해가능성을 개선하고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이 발표되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 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연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hd-hyundaielectric.com, 홈페이지→투자정보→IR자료→감사보고서)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별도 재무제표

  - 별도 재무상태표

별도 재무상태표
제 8 (당)기말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7 (전)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단위:백만원)
과                        목 제 8(당)기말 제 7(전)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2,043,563 1,592,427
Ⅱ. 비유동자산 900,073 867,049
자      산      총      계 2,943,636 2,459,476
부                        채

Ⅰ. 유동부채 1,263,866 1,096,592
Ⅱ. 비유동부채 269,873 347,131
부      채      총      계 1,533,739 1,443,723
자                        본

Ⅰ. 자본금 180,236 180,236
Ⅱ. 자본잉여금 399,806 399,806
Ⅲ. 자본조정 (15,241) (15,241)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66,025 67,041
Ⅴ. 이익잉여금 779,071 383,911
자      본      총      계 1,409,897 1,015,753
부  채  및  자  본  총  계 2,943,636 2,459,476


 - 별도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제 8(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단위:백만원)
과                        목 제 8(당)기 제 7(전)기
I. 매출액 2,993,583 2,293,237
II. 매출원가 2,034,653 1,747,444
III. 매출총이익 958,930 545,793
IV. 판매비와관리비 302,090 237,122
V. 영업이익 656,840 308,671
VI. 금융수익 138,893 59,774
VII. 금융비용 147,380 98,228
VIII. 기타영업외수익 11,306 68,865
IX. 기타영업외비용 28,988 21,906
X.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630,671 317,176
XI. 법인세비용 149,596 59,692
XII. 당기순이익 481,075 257,484
XIII. 기타포괄손익 (11,352) (17,872)
XIV. 총포괄손익 469,723 239,612
XV. 주당손익

기본주당손익(단위:원) 13,366 7,154

 - 별도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8(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단위:백만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이익잉여금 총 계
2023.01.01 (당기초) 180,236 399,806 (15,241) 68,469 160,867 794,137
 당기순손익



257,484 257,484
  파생상품평가손익


394
39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44
44
  유형자산 재평가손익


(1,866)
(1,866)
  보험수리적손익



(16,444) (16,444)
  배당금 지급



(17,996) (17,996)
2023.12.31 (당기말) 180,236 399,806 (15,241) 67,041 383,911 1,015,753
2024.01.01 (당기초) 180,236 399,806 (15,241) 67,041 383,911 1,015,753
 당기순손익



481,075 481,075
  파생상품평가손익


(1,041)
(1,04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익



26
26
  유형자산 재평가손익



(10,337) (10,337)
  보험수리적손익



6 6
  배당금 지급



(75,585) (75,585)
2024.12.31 (당기말) 180,236 399,806 (15,241) 66,026 779,070 1,409,897


 - 별도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8(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단위:백만원)
과                        목 제 8(당)기 제 7(전)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775,513 (64,917)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824,842 (38,789)
2. 이자의 수취 8,766 5,841
3. 이자의 지급 (23,372) (29,524)
4. 배당금의 수취 4 5
5. 법인세의 지급 (34,727) (2,450)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108,997) (81,344)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426,658) 114,777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70 492
Ⅴ.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Ⅰ+Ⅱ+Ⅲ+Ⅳ) 239,928 (30,992)
Ⅵ.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7,312 118,304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327,240 87,312


-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제 8 기(당기) 2024년 1월 1일부터
                     2024년 12월 31일까지
제 7 기(전기) 2023년 1월 1일부터
                     2023년 12월 31일까지
      처분예정일 : 2025년 3월 25일 처분확정일 : 2024년 3월 26일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단위:백만원)
과          목 제 8(당)기 제 7(전)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769,713
382,111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342,519
141,071
 2. 분기배당
      주당배당금
       보통주 : 24년 3분기 (중간배당) 1,100원
(43,551)
-
 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처분이익 6
-
 4. 보험수리적손익 (10,336)
(16,444)
 5. 당기순이익 481,075
257,484
Ⅱ.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
-
 1. 연구 및 인력개발준비금 -
-
 2. 임의적립금 -
-
합계(Ⅰ+Ⅱ)
769,713
382,111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168,266
39,592
 1. 이익준비금 15,297
3,599
 2. 배당금
     주당배당금
       보통주 : 당기말 4,250원
                   전기말 1,000원
152,969
35,993
Ⅳ.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601,447
342,519


 - 별도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제 8(당)기  2024년 12월 31일 현재
제 7(전)기  2023년 12월 31일 현재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


1. 회사의 개요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이하 "당사")는 2017년 4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HD한국조선해양 주식회사에서 인적분할의 방법으로 설립되었습니다. 주요 사업목적은 변압기, 고압차단기, 회전기, 저압전동기, 배전반, 중저압차단기, 전력변환 및 에너지저장장치 등의 제조 및 판매 등이며, 본점 소재지는 경기도 성남시입니다.

당기말 현재 당사의 주요 주주는 HD현대㈜(37.18%), 국민연금관리공단(7.66%)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는 주식회사등의외부감사에관한법률 제5조 1항 1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재무제표를 작성하였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지배기업, 관계기업의 투자자 또는 공동기업의 참여자가 투자자산을 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 직접적인 지분 투자에 근거한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2025년 2월 4일자 이사회에서 승인되었으며, 2025년 3월 25일자주주총회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입니다.

(1) 측정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아래에서 열거하고 있는 재무상태표의 주요 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유형자산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파생상품
-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확정급여부채


(2)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인 기능통화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기능통화 및 표시통화인 대한민국의 통화(원화, KRW)로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3) 추정과 판단
①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 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당사의 위험관리와 기후관련 약정과의 일관성 여부와 관련하여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다음 보고기간 이내에 중요한 조정이 발생할 수 있는 유의한 위험이 있는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석사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석 12, 15 : 손상검사 - 종속기업투자주식 및 무형자산의 회수가능성을 포함한 회수가능액 추정의 주요 가정
- 주석 18 : 확정급여채무의 측정 -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 주석 19, 36 : 충당부채와 우발부채 - 자원의 유출 가능성과 금액에 대한 가정
- 주석 25 : 진행률에 따른 수익인식, 총계약원가의 추정
- 주석 30 : 이연법인세자산의 인식 - 차감할 일시적차이와 세무상 결손금의 사용
- 주석 31 : 리스기간 - 연장선택권의 행사가능성이 상당히 확실한지 여부
- 주석 35 : 매출채권과 기타채권의 기대신용손실 측정 - 가중평균손실률을 결정하기 위한 주요 가정

② 공정가치 측정

당사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 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 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의적인 평가 문제를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당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구 분 투입변수의 유의성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당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아래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석 12: 종속기업투자
- 주석 15: 무형자산
- 주석 34: 금융상품

3. 회계정책의 변경

아래에서 기술하고 있는 2024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에 시행되는기준서와 개정사항 및 기타 회계정책의 변경내용 적용을 제외하고 당사는 당기 및 비교표시된 전기 재무제표에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공표되었으나 시행되지 않은 기준서, 해석서, 개정사항을 조기 적용한 바 없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판매후리스에서 발생하는 리스부채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사항은 판매자-리스이용자가 판매후리스 거래에서 생기는 리스부채 측정 시 판매자-리스이용자가 계속 보유하는 사용권에 대해서는 어떠한 차손익도 인식하지 않도록 요구사항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분류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의 개정사항은 부채의 유동ㆍ비유동 분류에 대한 다음의 요구사항을 명확히 합니다.

-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의미

- 연기할 수 있는 권리가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해야 함

- 유동성 분류는 기업의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음

- 기업이 자신의 지분상품을 이전하여 부채를 결제할 수 있는 조건은 그 옵션을 지분

상품으로 분류하고 동 옵션을 복합금융상품의 자본 요소로서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 하는 경우라면, 유동ㆍ비유동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


또한, 기업이 차입약정으로 인해 발생한 부채를 비유동부채로 분류하고,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기업의 권리가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약정사항을 준수하는지 여부에 따라 좌우되는 경우 이를 공시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공급자금융약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의 개정은 공급자금융약 정의 특성을 명확히 하고 그러한 약정에 대한 추가 공시를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의 공시 요구사항은 재무제표이용자가 공급자금융약정이 기업의 부채와 현금흐름 및 유동성위 험의 노출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입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중요한 회계정책
당사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른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아래 기술되어 있으며,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계정책의 변경을 제외하고는, 당기및 비교 표시된 전기의 재무제표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별도재무제표에서의 종속기업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에 대해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하였습니다.

(2) 현금및현금성자산

당사는 취득일로부터 만기일이 3개월 이내인 투자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3)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이동평균법으로 결정하고 있으며,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타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만, 미착품은 개별법에 의한 취득원가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4) 비파생금융자산

① 인식 및 최초측정
매출채권과 발행 채무증권은 발행되는 시점에 최초로 인식됩니다. 다른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는 당사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인식됩니다.

② 분류 및 후속측정
1) 금융자산 - 사업모형평가
당사는 사업이 관리되는 방식과 경영진에게 정보가 제공되는 방식을 가장 잘 반영하기 때문에 금융자산의 포트폴리오 수준에서 보유되는 사업 모형의 목적을 평가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는 거래에서 제3자에게 금융자산을 이전하는 거래는 매도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당사의 사업모형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흐름수취 목적 당사는 변압기 등의 제조 및 판매 사업에서 발생하는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금융상품의 사업모형 목적은 만기가 도래하는 채권의 원금과 원금에 대한 이자수익의 수취입니다.
매도목적 당사는 유동성관리를 위해 채무증권 포트폴리오를 보유하고 있습니다(주석35참조).


2) 금융자산 -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이루어져 있는지에 대한 평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에 대한 지급만으로 이루어져 있는지를 평가할 때, 당사는 해당 상품의 계약조건을 고려합니다. 금융자산이 계약상 현금흐름의 시기나 금액을 변경시키는 계약조건을 포함하고 있다면, 그 계약조건 때문에 해당 금융상품의 존속기간에 걸쳐 생길 수 있는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의 지급만으로 구성되는지를 판단해야 합니다.


이를 평가할 때 당사는 다음을 고려합니다.
- 현금흐름의 금액이나 시기를 변경시키는 조건부 상황
- 변동 이자율 특성을 포함하여 계약상 액면 이자율을 조정하는 조항
- 중도상환특성과 만기연장특성
- 특정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현금흐름에 대한 당사의 청구권을 제한하는 계약조건

③ 상계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에 대한 회계정책 정보는 주석 35(6)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파생금융상품

파생상품과 위험회피회계에 대한 회계정책과 위험관리 활동에 대한 정보는 주석 20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금융자산의 손상
① 금융상품과 계약자산
당사는 다음 자산의 기대신용손실에 대해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서 정의된 계약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

당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로 측정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제외하고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 보고기간말에 신용위험이 낮다고 결정된 채무증권
- 최초 인식 이후 신용위험(즉, 금융자산의 기대존속기간동안에 걸쳐 발생할 채무불이행 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기타 채무증권과 은행예금

매출채권과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항상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당사는 다음과 같은 경우 금융자산에 채무불이행이 발생했다고 고려합니다.
- 채무자가 당사가 소구활동을 하지 않으면, 당사에게 신용의무를 완전하게 이행하지 않을 것 같은 경우
- 금융자산의 연체일수가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우

②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
매 보고기간말에, 당사는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는 금융자산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채무증권의 신용이 손상되었는지 평가합니다. 금융자산의 추정미래현금흐름에 악영향을 미치는 하나 이상의 사건이 발생한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은 신용이 손상된 것입니다.

금융자산의 신용이 손상된 증거는 다음과 같은 관측 가능한 정보를 포함합니다.
- 발행자나 차입자의 유의적인 재무적 어려움
- 채무불이행이나 연체와 같은 계약 위반
- 차입자의 재무적 어려움에 관련된 경제적이나 계약상 이유로 당초 차입조건의 불가피한 완화
- 차입자의 파산가능성이 높아지거나 그 밖의 재무구조조정 가능성이 높아짐
- 재무적 어려움으로 인해 해당 금융자산에 대한 활성시장 소멸

③ 재무상태표 상 신용손실충당금의 표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및 계약자산에 대한 손실충당금은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에서 차감합니다. 계약자산을 포함한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과 관련된 손상차손은 중요성을 고려하여 포괄손익계산서에서 별도로 표시하지않고 '판매비와관리비'또는 '기타영업외비용'에 표시하였습니다.


④ 제각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전체 또는 일부의 회수에 대한 합리적인 기대가 있는지에 대해 개별적으로 평가하고, 합리적인 기대가 없는 경우 해당 자산을 제거합니다. 당사는 제각한 금액이 유의적으로 회수할 것이라는 기대를 갖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제각된 금융자산은 만기가 된 금액에 대한 당사의 회수 절차에 따라 회수활동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7) 유형자산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으며, 토지는 최초 인식 후에 재평가일의 공정가치에서 이후의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재평가는 보고기간말에 자산의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와 중요하게 차이가 나지 않도록주기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그 외 유형자산은 자산의 취득원가에서잔존가치를 차감한 금액에 대하여 아래에 제시된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해당 자산에 내재되어 있는 미래 경제적 효익의 예상 소비 형태를 가장 잘 반영한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추정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구 분 추정내용연수
건물 25~50년 차량운반구 5~14년
구축물 20~45년 공기구비품 3~20년
기계장치 5~42년


후속지출은 해당 지출과 관련된 미래 경제적 효익이 당사로 유입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자본화하고 있습니다.

(8) 무형자산

무형자산은 최초 인식할 때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사용 가능한 시점부터 잔존가치를 영("0")으로 하여 아래의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만, 일부 무형자산에 대해서는 이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기간이 예측가능하지 않아 당해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것으로 평가하고 상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의 추정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소프트웨어 5년
개발비, 특허권 5년 및 7년
기타무형자산 비한정
상표권 비한정


(9) 정부보조금

자산관련 보조금의 경우, 당사는 비유동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사용해야 한다는 기본조건이 부과된 정부보조금을 수령하고 있으며, 해당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수익관련 보조금의 경우, 당사는 정부보조금을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 원가를 비용으로 인식하는 기간에 걸쳐 관련 비용에서 차감하는 방법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0) 투자부동산
투자부동산은 취득 시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며, 최초 인식 후에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투자부동산의 추정 내용연수는 다음과 같으며,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구 분 추정내용연수
건물 40년


(11) 비금융자산의 손상

회수가능액은 개별 자산별로, 또는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회수가능액은 사용가치와 순공정가치 중 큰 금액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용가치는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에서 창출될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현금흐름을 화폐의 시간가치 및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조정되지 아니한 자산의 특유위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적절한 할인율로 할인하여 추정합니다.


자산이나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며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에 대한 손상차손은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자산 각각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 말에 자산에 대해 과거기간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합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없습니다.

(12)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당사는 고객이 대가를 지급하기 전이나 지급기일 전에 당사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의 이전을 수행하는 경우에, 그 계약에 대해 수취채권으로 표시한 금액이 있다면 이를 제외하고 계약자산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계약자산은 당사가 고객에게 이전한 재화나 용역에 대해 그 대가를 받을 권리입니다.


당사가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기 전에 고객이 대가를 지급하거나 당사가 대가(금액)를 받을 무조건적인 권리(수취채권)를 갖고 있는 경우에 당사는 지급받은 때나 지급받기로 한 때(둘 중 이른시기)에 그 계약을 계약부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계약부채는 당사가 고객에게서 받은 대가 또는 지급받을 권리가 있는 대가(금액)에 상응하여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당사의 의무입니다. 당사는 한 계약에서 발생한 계약자산과 계약부채는 상계하여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13) 비파생금융부채

당사는 계약상 내용의 실질과 금융부채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를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와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계약의 당사자가 되는 때에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있습니다.

(14) 종업원급여

확정급여부채는 매년 독립적인 계리사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으로 계산되고 있습니다.


(15) 충당부채

① 하자보수충당부채
당사는 공사에 대한 하자보수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과거의 하자보수경험에 따른 일정금액을 하자보수충당부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② 판매보증충당부채
당사는 출고한 제품과 관련하여 보증수리기간 내의 경상적인 부품수리 등에 충당하기 위하여 판매보증충당부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③ 공사손실충당부채
당사는 계약상 의무의 이행에 필요한 회피 불가능한 원가가 그 계약에서 받을 것으로예상되는 경제적 효익을 초과하는 계약에 대해서 경제적 효익을 초과하는 원가에 해당하는 금액을 공사손실충당부채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발생원가에는 특정 계약에 직접 관련된 원가와 계약활동 전반에 귀속될 수 있는 공통원가로 실제조업도에 기초하여 배부된 고정 및 변동간접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16) 온실가스 배출권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권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에서 무상으로 할당받은 배출권과 유상으로 매입한 배출권으로 구성됩니다. 무상할당 배출권은 영(0)으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매입 배출권은 매입원가에 취득에 직접 관련되어 있고 정상적으로 발생하는 그 밖의 원가를 가산하여 취득원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7) 리스
1) 리스이용자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최초 측정합니다.  일반적으로 당사는 증분차입이자율을 할인율로 사용합니다.


당사는 다양한 외부 재무 정보에서 얻은 이자율에서 리스의 조건과 리스자산의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조정을 하고 증분차입이자율을 산정합니다.


당사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내인 단기리스와 소액 기초자산 리스에 대하여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를 인식하지 않는 실무적 간편법을 선택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리스에 관련된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법에 따라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2) 리스제공자
리스제공자로서 당사는 리스약정일에 리스가 금융리스인지 운용리스인지 판단합니다.

각 리스를 분류하기 위하여 당사는 리스가 기초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하는지를 전반적으로 판단합니다. 이 평가 지표의 하나로 당사는 리스기간이 기초자산의 경제적 내용연수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지 고려합니다.


당사는 운용리스료로 받는 리스료를 '매출액'의 일부로써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 기준에 따라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18) 수익

당사가 제공하는 다양한 재화와 용역의 수행의무 및 수익인식 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재화나 용역의 특성 및 수행의무 이행시기
당사는 발전→송전→배전→소비(부하)에 이르는 전력공급 과정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 솔루션을 제작ㆍ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 유형은 크게 표준품 공급계약, 복합요소 수주계약 및 Turn-key 수주계약 등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표준품 공급계약의 경우 단일 수행의무로 구성되며, 복합요소 수주계약 및 Turn-key 수주계약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약 내에 여러가지 제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수의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전력공급 과정 전 단계에 필요한 다양한 전기전자기기 및 에너지 솔루션을 제작ㆍ공급하고 있어 일반적인 계약의 경우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에 해당하지 않아 한 시점에 이행되는 수행의무로 보아 수익을 인식합니다.

수행의무 이행시기는 당사가 보유한 자산이 고객에게 이전되어 고객의 통제를 받는 시기이며, 지급청구권, 소유권, 물리적 점유,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의 이전, 고객의 인수여부를 통제 이전의 지표로 하여 수행의무 이행시기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수출의 경우 주로 CIF, FOB, DDP 등의 Incoterms 조건으로 이전되며 국내 매출의 경우 고객에게 물리적으로 이전되는 시기에 수행의무를 이행한 것으로 판단합니다.


한편 당사의 수주계약은 고객에게 제시받은 조건에 따라 맞춤 제작되고 있는 수주산업의 특성상 기업 자체에는 대체 용도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개별 계약 내에 고객이나 다른 당사자의 사유로 계약을 종료하는 경우 이미 진행을 완료한부분에 대해서는 투입한 원가 및 예상 이익을 청구할 수 있다는 내용이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는 계약에 한해서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한 시점에 수익을 인식합니다.

수행의무를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경우에는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고객에게 이전할 때 당사의 수행정도를 나타내는 진행율 측정방법에 따라 이행시기를 결정합니다. 만약 수행정도를 합리적으로 측정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발생원가의 범위 내에서 수행 정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계와 원재료 구매, 생산, 시운전 등을 제공하는 계약으로써 건조공정이 매우 다양하여 과다한 원가를 들이지 않고는 산출법을 적용하기 위한 정보를 얻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수행의무의 이행에 예상되는 총 투입물 대비 수행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기업의 투입물에 기초하여 수익을 인식하는 투입법이 기업의 수행정도를 충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고 보아 원가를 투입하는 시점을 이행시기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② 보증의 성격 및 기간
당사는 제품 및 계약에 따라 기간이 상이하긴 하지만 일반적으로 제품 납품 후 24개월에서 48개월 정도의 보증을 제공합니다. 당사가 제공하는 보증은 일정기간 부여된보증기간이 지나면 유상 AS로 전환됩니다. 제공되는 보증은 합의된 규격에 제품이 부합한다는 확신을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별도의 수행의무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③ 거래가격 산정방법
당사의 표준품 공급계약의 경우 단일 수행의무로 볼 수 있어 거래가격을 배분할 필요가 없으나, 복합요소 수주계약 및 Turn-key 수주계약의 경우에는 하나의 계약 내에 여러가지 제품과 용역을 공급하는 다수의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각각의 수행의무에 거래가격을 배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거래가격 배분시 개별판매가격을 기준으로 배분하는 시장평가 조정 접근법을우선으로 적용하며, 만약 개별판매가격이 시장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 수행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예상되는 원가를 예측하고 여기에 적절한 이윤을 더하는 예상원가 이윤가산 접근법을 통해 별도로 구분되는 수행의무에 총 계약금액을 배분하여 거래가격을 산정하고 있습니다. 만약 상기 두 가지 방법으로 거래가격을 배분할 수 없는 상황에서는 총 거래가격에서 다른 재화나 용역의 관측 가능한 개별 판매가격 합계를 차감하여 추정한 가격을 배분하는 잔여접근법을 제한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④ 변동대가의 추정
당사는 당사의 귀책사유 또는 발주처의 요구로 발생하는 설계변경 및 추가 작업에 의한 공사변경과 납기지연 및 조건미달을 이유로 하는 지연배상금 및 고객의 판매를 장려하기 위한 매출할인, 판매장려금 등으로 인하여 고객에게서 받을 대가가 변동될 수있습니다. 매출할인, 판매장려금 등의 경우 이미 인식한 누적 수익금액 중 유의적인부분을 되돌리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금액까지만 변동대가를 거래가격에 포함하며 지연배상금의 경우 당사는 계약조건에 의하여 발생된 예상금액을 계약가에서 차감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9) 금융수익과 비용

금융수익은 투자로부터의 이자수익, 배당금수익,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외환이익,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이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자수익은 기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배당수익은 주주로서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비용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외환손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상품에 대한 손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에 대한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기간의 경과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0) 법인세
필라 2 법률에 따라 납부하는 글로벌최저한세는 기업회계기준서 제 1012호 '법인세'의 적용대상 법인세입니다. 당사는 최저한세의 영향으로 인한 이연법인세 회계처리에 대한 일시적인 의무 완화를 적용하고 발생하는 시점에 당기법인세로 회계처리 하였습니다.


(21)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회계기준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현재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아 당사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기준서 및 해석서의 제ㆍ개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 개정 - 교환가능성 결여

기업이 다른 통화와의 교환가능성을 평가하는 방법과 교환 가능성 결여 시 현물환율을 결정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가 개정되었습니다. 또한 이 개정사항은 교환가능성이 결여된 통화가 기업의 재무성과, 재무상태 및 현금흐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또는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재무제표 이용자가 이해할 수 있는 정보를 공시하도록 요구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2025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적 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을 적용할 때 당사는 비교 정보를 재작성하지 않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당사의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및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금융상품의 분류 및 측정 개정사항은 다음을 포함합니다.

- 결제일에 제거되는 금융부채와 전자지급시스템을 사용하여 결제되는 금융부채를 결제일 전에 제거하기 위한 회계정책 선택(특정 요건이 충족되는 경우)을 도입하는 것을 명확히 함

- ESG 및 유사한 특성이 있는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을 평가하는 방법에 대한 추가적인 지침

- 비소구 특성을 구성하는 것이 무엇인지와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명확히 함

- 우발특성이 있는 금융상품에 대한 공시사항과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에 대한 추가적인 공시 요구사항을 도입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금융자산의 분류 및 이와 관련된 공시사항에 대한 개정사항만을 조기 적용할 수도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개정사항을 조기 적용하지 않을 계획입니다.


전자지급시스템을 통해 결제되는 금융부채의 제거에 관한 개정사항과 관련하여, 당사는 영업 중인 다양한 국가에서 사용되는 모든 주요 전자지급시스템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현행 실무에 중요한 변화가 발생하는지 여부와 결제일이전에 해당 금융부채를 제거하는 회계정책 선택을 적용할 수 있는 조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평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자산의 경우 현금 흐름에 대한 권리가 소멸될 때 그에 상응하는 금융자산이 제거되는지, 금융부채의 경우 결제일에 해당 금융부채가 제거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수표, 신용카드, 직불카드 등 다른 모든 지급시스템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ESG 연계 특성 및 유사한 우발특성을 포함하는 금융자산과 비소구금융 및 계약상 연계된 금융상품에 대한 개정사항의 영향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수행한 최초 평가를 바탕으로 개정사항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아직 평가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③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

기준서간 요구사항의 일관성을 제고하고, 불명확한 부분을 명확히 하여, 이해가능성을 개선하고자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Volume 11이 발표되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K-IFRS 최초 채택 시 위험회피회계 적용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제거 손익, 실무적용지침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리스부채의 제거 회계처리와 거래가격의 정의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사실상의 대리인 결정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7호 '현금흐름표': 원가법


이 개정사항은 2026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조기 적용이 허용되며 그 사실은 공시되어야 합니다. 이 개정사항은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hd-hyundaielectric.com, 홈페이지→투자정보→IR자료→감사보고서)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선임


2호 의안) 이사 선임의 건
         - 제2-1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 (후보 김영기)
          - 제2-2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후보 전순옥)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영기

1966.03.06

사내이사

-

-

이사회

전순옥

1953.05.05

사외이사

-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총 (2)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영기

HD현대일렉트릭

사장

2019

HD현대일렉트릭 전력기기부문장 겸 R&D부문장

없 음

2020~2024 HD현대일렉트릭 전력사업본부장
2024~현재 HD현대일렉트릭 사장

전순옥

전태일 기념관
관장

2003~2012

참여성노동복지센터 대표

없 음

2012~2016 제19대 국회의원
2017~2018 소상공인 연구원 이사장
2022~현재 전태일 이소선 장학재단 상임이사
2024~현재 전태일 기념관 관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영기 해당사항 없음
전순옥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전순옥 사외이사 후보자

1. 직무수행 계획 개요

본인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이하 “회사”)의 사외이사로서 제반 법령 및 회사의 정관과 사외이사로서의 기본윤리를 준수하고, 직무수행계획에 따라 아래와 같이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여 회사의 발전과 기업가치를 증진시키고 고용창출과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으로서의 직무수행 계획

본인은, 노동사회학 박사로서 현재 전태일 이소선 장학재단 상임이사, 전태일 기념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과거 참여성노동복지센터 대표, 제 19대 국회의원 및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 소상공인 연구원을 역임하였습니다.노사관계 전문가로서 노사관계 직무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주주 전체 및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노력하는 한편, 감사위원회의 위원으로서 앞서 언급한 전문성과 경험을 살려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충실히 감사하고, 이사회 및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감사위원으로서 의무를 다하여 회사의 ESG경영을 포함한 전반적인 경영활동에 대한 감독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 기본윤리 준수

본인은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이사회의 감독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기여하고,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회사의 업무집행이 적법하고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감시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 사유

1. 김영기 사내이사 후보자(신규 선임)

본 후보자는 미국 텍사스대 공학석사 학위를 받았으며, HD현대일렉트릭에 입사하여 전력기기 연구소를 시작으로 제품개발, 영업, 생산 등을 두루 거쳐 전력기기부문장 겸 R&D부문장, 전력사업본부장을 역임하였으며 2024년 11월 당 사의 사장으로 승진하였음. HD현대일렉트릭의 주요 부문을 두루 거친 전문가로서 당 사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당 사의 기업가치 증진에 기여할 것이라고 판단되어 추천함.


2. 전순옥 사외이사 후보자(재선임)

본 후보자는 노동사회학 박사로서 현재 전태일 이소선 장학재단 상임이사, 전태일 기념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과거 참여성노동복지센터 대표, 제19대 국회의원 및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 소상공인 연구원을 역임하였음.

또한 지난 3년간 HD현대일렉트릭 ESG위원회 및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노사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전문성이 요구되는 각종 안건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조언하였음.

이와 같이 전순옥 사외이사 후보자는 노사관계 전문가로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어 당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회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고 회사의 경영에 대한 감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추천함.

확인서

이미지: 후보확인서(사내이사 김영기)

후보확인서(사내이사 김영기)

이미지: 후보확인서(사외이사 전순옥)

후보확인서(사외이사 전순옥)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3호 의안)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사외이사인 감사위원 1명)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전순옥

1953.05.05

사외이사

-

-

사외이사후보

추천위원회

총 (1)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전순옥

전태일 기념관
관장

2003~2012

참여성노동복지센터 대표

없 음

2012~2016 제19대 국회의원
2017~2018 소상공인 연구원 이사장
2022~현재 전태일 이소선 장학재단 상임이사
2024~현재 전태일 기념관 관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전순옥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전순옥 사외이사 후보자

1. 직무수행 계획 개요

본인은 에이치디현대일렉트릭 주식회사(이하 “회사”)의 사외이사로서 제반 법령 및 회사의 정관과 사외이사로서의 기본윤리를 준수하고, 직무수행계획에 따라 아래와 같이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여 회사의 발전과 기업가치를 증진시키고 고용창출과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2. 사외이사 및 감사위원으로서의 직무수행 계획

본인은, 노동사회학 박사로서 현재 전태일 이소선 장학재단 상임이사, 전태일 기념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과거 참여성노동복지센터 대표, 제 19대 국회의원 및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 소상공인 연구원을 역임하였습니다. 노사관계 전문가로서 노사관계 직무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주주 전체 및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노력하는 한편, 감사위원회의 위원으로서 앞서 언급한 전문성과 경험을 살려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충실히 감사하고, 이사회 및 위원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감사위원으로서 의무를 다하여 회사의 ESG경영을 포함한 전반적인 경영활동에 대한 감독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3. 기본윤리 준수

본인은 이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이사회의 감독기능이 활성화되도록 기여하고, 경영진으로부터 독립적인 지위에서 회사의 업무집행이 적법하고 적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감시하겠습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의 추천 사유

- 전순옥 사외이사 후보자(재선임)

본 후보자는 노동사회학 박사로서 현재 전태일 이소선 장학재단 상임이사, 전태일 기념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며, 과거 참여성노동복지센터 대표, 제19대 국회의원 및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 소상공인 연구원을 역임하였음.

또한 지난 3년간 HD현대일렉트릭 ESG위원회 및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으로서 노사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과 통찰력을 바탕으로 전문성이 요구되는 각종 안건을 심도있게 검토하고 조언하였음.

이와 같이 전순옥 사외이사 후보자는 노사관계 전문가로서 충분한 지식과 경험을 갖추고 있어 당사의 주요 의사결정에 참여함으로써 회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수 있고 회사의 경영에 대한 감독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추천함.

확인서

이미지: 감사위원후보확인서(사외이사 전순옥)

감사위원후보확인서(사외이사 전순옥)

※ 기타 참고사항

재선임 후보자(전순옥)의 최근 3개년 이사회 출석률 :
2023년 100%, 2024년 100%, 2025년 현재까지 100%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3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억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3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4.6억원
최고한도액 20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