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 년 12 월 12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오상헬스케어 | |
대 표 이 사 : | 강철훈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안양천동로 132 | |
(전 화) 031-460-0300 | ||
(홈페이지) https://www.osanghc.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관리총괄임원 | (성 명) 유병열 |
(전 화) 031-460-03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9기 임시) |
제29기 임시주주총회 소집통지(공고)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제29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4년 12월 27일 (금)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안양천동로 132 오상헬스케어빌딩 6층 오상홀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안건》 감사 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정관 일부 개정의 건 제2호 의안 :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 600억원을 감액하여 이익잉여금으로 전입 제3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제4호 의안 :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개정의 건 4.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5. 임시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주 본인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주 및 대리인의 신분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후 주주의 인감증명서 지참) 2024년 12월 12일 주식회사 오상헬스케어 |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윤여민 (출석률: 100%) |
안종남 (출석률: 100%) |
한상욱 (출석률: 44%) |
안상환 (출석률: 100%) |
이종민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4.01.11 | 1.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 발행의 건 2. 신주인수권 부여의 건 |
찬성 | 찬성 | - | 찬성 | |
2 | 2024.02.16 | (보고사항) 금융상품 등 가입 1. 관계회사 등과의 거래 승인의 건 2. 종속회사의 이사와 회사간 거래 승인의 건 3. 사업계획 승인의 건 4. 규정 제개정의 건 |
찬성 | 찬성 | - | 찬성 | |
3 | 2024.02.28 | 1. 종속회사임원의 보수한도 승인의 건 2. 타법인 지분 투자의 건 (Z사) 3. 타법인 지분 투자의 건 (K사)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4 | 2024.03.06 | (보고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사항)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평가 1. 제28기 현금배당 결정의 건 2. 제28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3. 제28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4. 제28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및 안건 승인의 건 5.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6. 타법인 지분 투자의 건 |
찬성 | 찬성 | - | 찬성 | |
5 | 2024.03.29 | (보고사항) 금융상품 투자 (보고사항) 사내이사 겸직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6 | 2024.04.30 | (보고사항) 금융상품 투자의 건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7 | 2024.06.17 | (보고사항1) 금융상품 투자의 건 (보고사항2)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평가 계획의 건 1. 자기주식 취득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8 | 2024.09.24 | (보고사항1) 투자회사 지분 매각의 건 (보고사항2) 자기주식 취득 결과 보고의 건 부의안건 1. 관계회사 거래 승인의 건 부의안건 2. 사업 중단 법인 청산 및 세무 대리계약 체결의 건 부의안건 3. 규정 개정의 건 부의안건 4. 자기주식 처분의 건 |
찬성 | 찬성 | - | 찬성 | 찬성 |
9 | 2024.11.18 | 1.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기준일 설정의 건 2. 지점 폐지의 건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사외이사)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내부거래위원회 | 안상환,한상욱 | 2024.02.16 | 1. 관계회사등과의 거래 승인의 건 2. 종속회사의 이사와 회사간 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안상환, 한상욱 | 2024.04.30 | 1. 위원장 선출의 건 (강철훈) | 가결 | |
안상환, 한상욱 | 2024.09.24 | 1. 관계회사 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
투자재무심의위원회 | 안종남, 안상환 | 2024.02.28 | 1. 타법인 지분 투자의 건 (Z사) 2. 타법인 지분 투자의 건 (K사) |
가결 |
안종남, 안상환 | 2024.03.06 | 1. 타법인 지분 투자의 건 | 가결 | |
안종남, 이종민 | 2024.04.30 | 1. 위원장 선출의 건 (이종민) | 가결 | |
안종남, 이종민 | 2024.06.17 | 1. 자기주식 취득의 건 | 가결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윤여민, 한상욱 | 2024.03.06 | 1. 사외이사 후보 추천의 건 (이종민) | 가결 |
감사위원회 | 안상환, 안종남, 한상욱 | 2024.03.06 | (보고안건) 제28기 현금배당 보고의 건 (보고안건) 제28기(2023.01.01~2023.12.31)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보고의 건 (보고안건) 제28기(2023.01.01~2023.12.31 영업보고서 보고의 건 (보고안건)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1.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에 대한 평가 보고서 제출의 건 2.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서 및 내부감시장치에 대한 의견서 제출의 건 |
가결 |
안상환, 안종남, 한상욱 | 2024.03.29 | 1. 제28기 외부감사인 평가의 건 | 가결 | |
안상환, 안종남, 한상욱 | 2024.06.17 | (보고안건) 세무자문계약 체결의 건 (보고안건)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평가 계획의 건 |
가결 | |
안상환, 안종남, 한상욱 | 2024.08.13 | (보고안건) 경정청구업무 용역 계약 체결의 건 1. 29기 외부감사 계약 변경의 건 |
가결 | |
안상환, 안종남, 한상욱 | 2024.09.24 | (보고안건) 규정 개정의 건 1. 사업 중단 법인 청산 및 세무 대리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
안상환, 안종남, 한상욱 | 2024.11.28 | 1. 30기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 가결 |
※ 이사회 내 위원회 구성원에는 사외이사만 기재하였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5명 | 3,000 | 160 | 32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제28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 총원에 대한 보수한도 승인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당사의 주요 사업 영역은 체외진단 의료기기 제조 및 판매이며, 2019년도까지 주요 매출은 생화학진단 분야였습니다. 2020년 코로나19 팬더믹 발발 직후 코로나19 분자진단키트 중심의 분자진단 분야를 시작으로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중심의 면역진단 분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였으며, 이에 코로나19 진단키트 매출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동사는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축적한 경험과 사업 확장세를 바탕으로 생화학진단, 분자진단, 면역진단 등 전방위적인 체외진단 분야에서 관련 매출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의료산업은 특성상 경기흐름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환자 수, 그리고 그에 따른 의료품 및 의료기기의 수요에 의하여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산업입니다. 대다수의 제품은 경기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미미하며, 인플루엔자, 코로나19 검사 제품과 같은 일부 제품의 경우, 환경적 요인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코로나19를 제외한 전 세계 진단 시장규모는 2020년 약 797억달러에서 2022년 약 978억달러로 연평균 약 9.1% 증가하였으며, 향후 2027년에는 약 1,163억달러로 연평균 약 4.2% 성장이 예상됩니다. 한편, 전 세계 코로나19 진단 시장규모는 2020년 약 202억달러에서 2022년 약 326억달러로 연평균 약 27.1% 성장하였으나, 향후 2027년에는 약 237억달러로 연평균 약 6.2%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코로나19를 통하여 자가진단(신속 항원진단 테스트, 혈당측정기, 콜레스테롤 검사 등)에 대한 일반인들의 인식이 상승한 것과 더불어, 수많은 국가의 정부, 보건복지부 등에서 질병의 관찰, 감시 및 예방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였습니다. 그 결과 코로나19 진단 시장규모가 점차 감소하고 있는 추세인 것과 달리, 전체 진단 시장규모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코로나19 및 비코로나19 진단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 ||
(단위: 백만USD) | ||
|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가) 혈당측정기
현대인의 식습관 변화와 인구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당뇨병 환자수는 2021년 약 5억명에서 2030년 약 6억명 이상으로 현저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글로벌 당뇨 관련 체외진단 시장규모는 2021년 약 172달러에서 2026년 약 283억달러로 연평균 약 3.0%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 중 혈당측정기가 43.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약 76억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혈당측정기 시장규모는 2021년 약 76억달러에서 2026년 약 88억달러로 연평균 약 3.0%의 성장이 예상되며, 특히 일회용 혈당스트립의 소비량은 연간 10~15%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혈당측정기 시장은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 환자 증가라는 가장 기본적인 인구 구조적 변화에 따른 성장도 있겠지만, 의료 의식 개선과 정부 예방 관리 기준 강화에 따른 당뇨 확진 수치 하향 조정 등 치료에서 예방으로의 전 세계적인 의료 패러다임 변화가 시장의 성장동력으로 작용하여 보다 유동적인 성장을 이끌 것으로 전망됩니다.
[혈당측정기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
(단위: 백만USD, %) |
구분 | 2021 | 2026F | 2021~2026F CAGR |
---|---|---|---|
시장규모 | 7,573 | 8,800 | 3.0%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지역별로는 주요 시장인 북미와 유럽(독일, 프랑스, 영국, 이태리, 스페인) 시장이 각각 44%와 30%로 전 세계 시장의 약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를 이어 일본이 7% 그리고 기타 국가들이 1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당뇨 환자의 증가 및 의료 의식 개선으로 아시아-태평양 시장의 혈당측정기 수요 및 성장세가 급증하고 있으나, 당뇨 환자에 대한 정부 차원의 지원 프로그램 및 급여 적용 확대 등 개선된 시스템으로 인하여 선진 시장에서의 혈당측정기 사용량이 아직까지는 현저히 높은 것으로 분석됩니다.
[지역별 혈당측정기 시장 점유율(2021년)] | ||
(단위: %) | ||
|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나) HbA1c 당화혈색소 측정기
전 세계 HbA1c 당화혈색소 측정기 시장규모는 2022년 약 18억 7,400만달러에서 2027년 약 24억 6,000만달러로 연평균 약 5.6%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 중 POC HbA1c 당화혈색소 측정기 시장규모는 전체 POCT 시장의 약 3%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HbA1c는 POCT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제품입니다.
[HbA1c 당화혈색소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
(단위: 백만USD, %) |
구분 | 2022 | 2027F | 2022~2027F CAGR |
---|---|---|---|
HbA1c POC | 653 | 950 | 7.8% |
HbA1c LAb | 1,221 | 1,510 | 4.3% |
합계 | 1,874 | 2,460 | 5.6%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POC HbA1c 주요 시장은 전체 혈당 관련 POC 시장의 7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북미와 유럽 시장입니다. 북미와 유럽 시장규모는 현재 수준에서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예상되나, 당뇨 인구가 급증하고 있는 아시아 지역이 가장 빠르게 성장 중인 시장으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지역별 POC HbA1c 시장 점유율(2021년)] | ||
(단위: %) | ||
|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동사의 POC HbA1c는 보로네이트 친화성(Boronate affinity) 기술을 사용하는 기기로 일반적으로 습식 방식이라고 하며, 건식 방식의 면역분석(Immunoassay) 기술의 제품보다 더 뛰어난 정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테스트당 가격은 건식 방식 테스트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대형장비를 이용한 HPLC(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법과 대형 생화학 분석장비를 이용한 HbA1c 측정기는 현재 병원 및 랩에서 주로 사용(약 80% 이상)되고 있지만, POC 검사법이 간단해지고 품질은 안정화되면서 약국이나 병원이 아닌 장소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도록 법규를 마련 중인 국가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전세계 POC HbA1c 측정기 시장규모는 2022년 약 6억 5,300만 달러이며, 연평균 약 7.8% 성장하여 2027년까지 약 9억 5,000만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특히 동사의 Clover A1c와 같은 측정법인 결합 친화도(Affinity binding) 방식을 사용하는 제품군의 성장이 두드러질 것으로 예상되어 시장 확대 기회가 많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다) 콜레스테롤
2022년 전 세계 콜레스테롤 측정기 시장규모는 약 4억 4,000만 달러로 추정됩니다. 최근 심혈관계 질병의 원인인 고혈압, 비만, 당뇨 등 만성질환의 증가와 삶의 질 향상으로 인하여 콜레스테롤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콜레스테롤 테스트 시장은 연평균 약 2.6% 이상 성장하여 2028년에는 시장규모가 약 5억 1,0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 콜레스테롤 테스트 시장규모 전망] | ||
(단위: 백만USD, %) | ||
|
||
출처: Future Market Insights 2022 |
고령화로 인한 고지혈증, 이상지질혈증, 그리고 당뇨병과 심장 질환 관련 질병이 증가함에 따라 콜레스테롤 측정 시장도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정부는 국민들을 대상으로 콜레스테롤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진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약회사는 약물 섭취 후 고객의 콜레스테롤 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용도로, 그리고 보험회사 또한 고객 모니터링 서비스에 활용하고 있어 향후 개인 건강관리 시장과 콜레스테롤 시장이 동반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면역진단
코로나19 진단을 제외한 전 세계 면역진단 시장규모는 2022년 약 282억달러에서 2027년 약 310억달러로 연평균 약 2.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 세계 면역진단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 ||
(단위: 백만USD, %) | ||
|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코로나19는 신속 면역진단을 포함한 현장진단 시장의 변화를 이끌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인하여 병원으로 밀집되는 인구를 분산시켜 빠른 검사를 가능케 하고, 의료기관에 접근이 쉽지 않은 개발도상국 및 오지에서도 검사가 가능한 POC 테스트 시장이 더욱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질병과 안전에 대한 관심은 의료 패러다임이 질병을 예방 및 예측, 개인 맞춤형으로 변화하도록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질환별 OTC 자가진단 시장규모 추이 및 전망] |
(단위: 백만USD, %) |
질환 | 2022 | 2027F | CAGR (2022~2027F) |
||
---|---|---|---|---|---|
시장규모 | 점유율 | 시장규모 | 점유율 | ||
Glucose(Self) | 8,274 | 34% | 8,500 | 29% | 1% |
Gulucose(Continuous) | 8,240 | 33% | 14,000 | 46% | 11% |
Pregnancy | 966 | 4% | 1,047 | 3% | 2% |
Coagulation | 86 | 0% | 92 | 0% | 1% |
Fecal Occult Blood | 284 | 1% | 408 | 1% | 8% |
Drugs of Abuse | 48 | 0% | 52 | 0% | 2% |
H. Pylori | 7 | 0% | 7 | 0% | 0% |
HIV | 17 | 0% | 28 | 0% | 10% |
Other Infectious Disease (Inc. Covid-19) |
6,621 | 27% | 6,065 | 20% | -2% |
Cholesterol | 18 | 0% | 21 | 0% | 3% |
Urinalysis | 30 | 0% | 34 | 0% | 3% |
Other (TSH, Allergy, Autoimmune, etc.) |
113 | 1% | 148 | 1% | 6% |
Total | 24,704 | 100% | 30,402 | 100% | 4%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특히 2022년 기준 전 세계 신속 면역진단 시장은 코로나19가 81%, 인플루엔자가 10%로 두 질병이 91%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는 한동안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코로나19와 인플루엔자를 동시에 검사할 수 있는 키트에 대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동사는 해당 시장을 주요 목표 시장으로 공략할 계획입니다.
[전 세계 신속 면역진단 시장 병원체별 점유율] |
(단위: %) |
병원체 | 점유율 |
---|---|
인플루엔자 | 10% |
HIV | 1% |
STD | 1% |
간염 | 1% |
말라리아 | 1% |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 | 1% |
대장균 | 1% |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 1% |
코로나19 | 81% |
기타 | 2% |
출처: Kalorama Information 2022 |
(마) 분자진단
전 세계 분자진단 시장규모는 2022년 약 186억달러에서 2027년 약 169억달러로 연평균 약 10% 역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분자진단 및 면역진단을 포함한 전체 코로나19 진단 시장규모가 2022년 약 325억달러에서 2027년 약 237억달러로 연평균 약 6%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점이 반영된 결과입니다.
2000년대까지 생화학진단 및 면역진단이 전체 체외진단 시장에서 약 49%를 차지하였으며, 그 중 분자진단은 약 4%에 불과하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에는 코로나19 펜데믹 등으로 인해 분자진단 분야는 23%로 점유율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점유율 상승은 주로 감염성 질환 분야에서 발생했습니다. 감염성 질환 분야의 경우, 빠른 시간 내에 대량의 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높은 정확도와 신뢰할 수 있는 결과를 제공해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실시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활용한 분자진단 검사가 진단의 신속성과 높은 정확성으로 큰 폭의 시장 점유율을 확장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체외진단 분야별 시장 점유율 변화 추이] | ||
(단위: %) | ||
|
||
출처: The Worldwide Market for In Vitro Diagnostic Tests, 15th Edition 2022 |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체외진단(IVD, In Vitro Diagnostics)은 혈액/체액/침 등 인체에서 유래한 물질을 이용해 몸 밖에서 신속하게 병을 진단하는 기술로, 그 결과를 토대로 환자의 치료 및 약물 처방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체외진단은 환자 치료의 필수적이고 전문화된 요소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개인 맞춤형 치료를 제공하는 현대 정밀 의학 분야에서 그 중요도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체외진단 분야에서 당사는 모든 질병을 간단하게 측정할 수 있는 세상을 실현하고자 "Technology for Everyone"을 기업의 목표로 설립되어, 생화학진단, 면역진단, 분자진단 제품을 개발/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종속회사인 OSANG LLC는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미국 유통과 산하 종속기업 OSANG DO BRASIL LIMITADA의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OSANG DO BRASIL LIMITADA는 브라질 유통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생화학진단은 생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인체 내의 혈액 등을 분석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진단법의 하나로써 당사의 자가혈당측정기, POCT HbA1c 측정기, POCT 콜레스테롤 측정기 제품들은 생화학진단 사업영역에 포함됩니다.
면역진단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검사방법으로 당사의 SelexOn 등 진단기기와 코로나19 자가진단키트 등 진단키트 제품이 해당됩니다. 해당 진단 방식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면역진단기기를 이용한 정량 측정 검사(심장 질환, 암 질환, 호르몬 질환 등)와 기기가 필요하지 않은 육안으로 결과를 해석할 수 있는 정성 측정 검사(코로나19 등 호흡기 감염 검사, 뎅기열 검사 등)로 구분됩니다.
분자진단 검사는 검체에서 추출한 핵산(DNA/RNA)을 직접 검사하며,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기반으로 검사와 감염 질환을 확인하는 분야입니다. 특히 분자진단은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잠재적 가치와 시장성이 높은 분야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생화학 진단 |
혈당측정기 | 당사는 2002년부터 개인이 병원을 방문하지 않고 스스로 자신의 혈당을 측정하고 관리할 수 있는 휴대용 혈당측정기 및 스트립을 제조 및 판매하고 있으며, 2003년 국내 기업 최초로 미국 FDA 인증을 취득한 바 있습니다. 본 제품은 혈당측정기에 일회용 소모품인 스트립을 삽입한 후 손 끝에서 채취한 혈액을 주입하여 혈당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사용되며, 주로 의료기상이나 약국, 온라인 병원 등에서 판매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뇨 전문 내과 및 일반 병의원의 내원 환자와 입원 환자를 대상으로 검사하는 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당화혈색소 측정기 |
당사는 2008년부터 POCT (현장진단)용 HbA1c(당화혈색소) 측정기 및 소모품 카트리지를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포터블 형식의 소형 현장진단 기기로 테스트 방법이 간단하여 대형 의료장비 사용이 어려운 의원, 보건소, 소형 병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의 대형 장비로 측정할 때에는 환자가 검사 결과를 오래 기다려야 한다는 단점이 존재하나, 당사의 제품은 측정 시간도 5분으로 짧아 환자들의 번거로움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당사의 POC HbA1c 제품은 보로네이트친화성 크로마토그래피(Boronate affinity chromatography) 방식으로 당화혈색소 값을 측정합니다. 최근에는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에 따라 동물용 제품도 출시하여 국내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 |
콜레스테롤/간질환 측정기 |
당사는 2009년 콜레스테롤 측정기(Lipid Pro 제품)와 2013년 간질환 측정기(Pioneer 제품)를 국내 최초로 출시하여 현재까지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콜레스테롤의 세부 항목인 4가지 종류(콜레스테롤(TC), 중성지방(TG), 좋은 콜레스테롤(HDL), 나쁜 콜레스테롤(LDL))의 테스트를 모두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간질환 측정기는 간세포에 존재하는 효소인 AST와 ALT를 동시에 측정하며, 이 수치의 변화를 통해 간질환 여부를 진단할 수 있습니다. | |
면역진단 | 당사는 국내 주요 사망 원인인 암, 심장질환(심근경색, 협심증 등)을 조기에 진단하고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등과 공동개발 및 기술이전을 통하여 면역진단기기 "SelexOn"을 개발하였습니다. 2014년부터 국내 및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등으로 판매하고 있으며, 현재 심장 질환, 암, 갑상선 질환, 감염성질환, 기타 질환 등에 대한 진단키트의 개발이 완료되었습니다. 당사 제품은 POCT(현장진단) 제품으로 기존 병원용 대형 장비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측정이 간편하고 빠르며, 휴대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습니다. 또한 육안비색을 통한 정성검사와 리더를 통한 정밀 정량 검사가 가능하여 차별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 상황에서 면역 진단키트의 급격한 시장 확대에 대응하고자 자동화 설비를 도입하여 진단키트의 대량 양산 체제를 갖추었습니다. | |
분자진단 | 당사의 분자진단 제품은 Real Time PCR 기반의 기술로 정확하고 신속한 분석이 가능하며, 내인성 질병인자와 외인성 감염체에 의한 감염 질환을 진단합니다. 제품 라인업으로 조직적합성항원(HLA) 검사, 자궁경부암 바이러스(HPV), 성매개질환(STD), 폐결핵검사(TB), 열대성 질환(말라리아, 댕기, 치쿤구니야) 등이 있으며, 특히 HLA 진단시약은 세계적인 기술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해외 시장 매출이 매년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의 전 세계적 유행과 관련하여 당사는 그간 축적된 감염성 질환 바이러스의 DNA, RNA를 추출, 증폭하는 Real Time PCR을 신속히 개발하여, 미국 FDA로부터 긴급사용승인(EUA)을 국내 최초로 획득하였습니다. 코로나19 제품으로 인하여 당사의 분자진단 사업에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코로나19 제품뿐만 아니라, HLA, HPV, STD 등 제품에 대한 문의 및 업무 협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
(2) 시장점유율
체외진단 의료기기는 생명과 관련되는 영역이며, 체외진단 검사가 의료기관이나 전문검진센터 등에서 이루어지곤 합니다. 이처럼 의료기관에서 분석기기와 진단시약, 진단키트 등의 체외진단 의료기기와 관련하여 높은 기술 및 품질 수준을 요구하기 때문에 오랜 기간 신뢰성을 확보한 진단회사들이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는 등 유무형의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또한 국민의 건강권 보호를 목적으로 각국 정부는 의료기기 판매 전 임상시험, 품목허가, 보험 등재 등의 여러 안전장치를 만들어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체외진단 제품 역시 이와 같은 의료기기 판매 전 인증 절차를 획득한 이후 판매가 가능합니다. 국내 식약처, 미국 FDA와 같은 의료기기 인증 담당기관의 허가를 받아야 하며, 이를 위한 제품의 임상 평가 단계부터 보험 등재까지의 기간은 짧게는 수 개월에서 길게는 2~3년까지 소요됩니다. 이로 인하여 제품 등록 절차 및 소요 기간, 비용 등 역시 신규 진입 업체들에게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Frost & Sullivan에 따르면, 2020년 기준 Roche, Abbott, Danaher, Thermo Fisher 등 글로벌 체외진단 기업 상위 4개사가 전체 체외진단 시장의 약 44.7%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또한 글로벌 Top 10 체외진단 기업들이 전체 체외진단 시장에서 약 65.2%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체외진단 시장은 거대 글로벌 기업들의 시장 장악력이 크며 유무형의 진입장벽 또한 상대적으로 높다고 업계는 판단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산업의 특성 및 경기변동과의 연관성, 계절적 요인 및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체외진단 제품은 주기적으로 발생하는 감염성 질환 진단 제품, 지속적인 진단 수요가있는 제품, 높은 정확도를 확보하고 있는 제품들의 경우, 라이프사이클이 보다 긴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정확도 및 진단 편의성을 확보하는 등의 영향으로 체외진단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장기화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변동이나 계절적 영향을 받지 않지만, 일부 특정 시기에 급격히 발생하는 인플루엔자와 같은 수요나 모기 매개질환에 대한 계절적 수요는 있을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 및 웰빙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확산, 주요 국가들의 보건의료 정책 등으로 인한 의료서비스 수요 증가, 감염성 질환을 포함한 질병의 증가, 치료에서 예방 및 진단으로의 의료 트렌드 변화 등 요인들로 인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시장 성장 및 기술 발전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신종 질병의 출현, 감염 질병의 유행과 인구고령화로 조기진단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에서 진단과 예방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질환의 조기진단이나 예후, 치료 후 사후관리 등이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또한 전 세계적으로 진단 분석 기술이 발달하고 의료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디지털 헬스케어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는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패러다임의 변화 속에서 체외진단 제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전체 의료 시장 내 비중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시장 조사기관인 Markets and markets는 체외진단 시장 성장과 관련하여 노인 인구 증가, 만성 질환, 호흡기 감염 확산, 인체 면역 결핍증 및 성병 등의 확산을 시장의 안정적인 주요 성장 요인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A) 생화학진단
① 휴대용 혈당측정기
당뇨병이란 우리 몸에서 에너지로 사용되어야 하는 포도당이 소변으로 빠져 나온다 하여 이름이 붙여진 병으로, 혈액 속의 포도당 수치가 정상인보다 높은 상태를 말합니다. 음식을 섭취하면 위장관에서 소화된 후 포도당으로 바뀌어 혈액 속으로 흡수됩니다. 혈액 속에 들어간 포도당을 혈당이라고 하며, 혈당은 세포로 이동되어 우리가 활동하는데 필요한 에너지로 쓰이게 됩니다. 당뇨병은 인슐린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거나, 분비가 되더라도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그 결과, 세포로 들어가지 못한 포도당이 혈액 내에 계속 쌓이게 되면서 고혈당을 일으킵니다.
혈당측정기는 당뇨병을 예방하거나 혹은 당뇨병 환자들이 평소에 당뇨를 관리하기 위해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개인이 스스로 자신의 혈당 수치를 측정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당뇨병 환자의 엄격한 혈당 관리를 위해 매우 중요한 기기입니다. 바이오 센서(테스트 스트립)는 혈당을 측정하기 위한 1회용 소모품이지만, 혈당 측정과 관련된 핵심 기술이 적용된 제품입니다.
당뇨에 대해 보험이 적용되는 선진국의 경우에는 당뇨 환자가 하루 5번 정도의 측정을 하고 있고, 보험이 적용되지 않아 개인 비용으로 측정기기 구매를 부담해야 하는 대부분의 개발도상국의 경우에는 하루 1~2회 측정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혈당측정기는 다른 체외진단기기에 비하여 측정기당 높은 소모품 소진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 진입 초기에 시장 점유율 확보에 성공하면, 혈당스트립 매출은 안정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입니다.
위와 같은 특징으로 혈당측정기 시장에서 혈당측정기보다는 매 측정 시마다 소모품으로 사용되는 혈당스트립의 시장규모가 크고 그 성장률도 높은 경향이 있습니다. 실제로 Global Info Research 2020의 자료에 따르면, 혈당측정기 시장 전체에서 측정기 시장 점유율이 13.35%, 스트립 시장 점유율이 86.65%로 혈당스트립의 시장규모가 측정기 시장보다 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자가혈당측정기 시장은 일반적인 시장의 경기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이것은 현재 자가혈당측정기 시장의 70% 이상이 유럽과 미국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시장이 건강에 대한 투자를 아끼지 않는 선진국형 소비 패턴을 따르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자가혈당측정기의 경우, 날씨나 계절에 상관없이 일년 내내 사용하는 제품이므로 계절적인 경기변동 요인은 거의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자가혈당측정기는 비교적 단순한 구조의 기기로서 잔고장이 없고 수명은 상당히 긴 편이며, 보통 1만회 이상의 사용에도 기계에 하자가 없도록 제작됩니다. 이에 따라 제품의 수명이 다하여 교체하기 보다는 성능이 향상된 신제품의 출시에 맞춰 새로운 제품을 구입하려는 소비 심리가 지배적입니다.
반면, 소모품인 혈당스트립의 경우에는 24개월의 유효기간을 보장하지만, 보험 적용이 용이한 대부분의 선진국 소비자들은 적어도 한 달에 2박스(한 박스당 50개입)씩 소비하고 있고, 보험 적용이 어려워 개인 비용으로 구매를 부담하는 개발도상국 소비자들은 한 박스를 길게는 2개월 정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소비자들의 제품 소비 주기는 국가별, 교육 수준, 그리고 생활 수준별로 차별화되어 있습니다. 향후에는 1형 당뇨 환자에 적합한 연속혈당측정기(CGM)의 확대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술의 발달과 함께 지속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② POC 당화혈색소(HbA1c) 측정기
혈액 속의 적혈구에는 혈색소(헤모글로빈)라는 중요한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혈중 포도당은 혈색소의 일부와 결합을 하는데, 이렇게 혈색소에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를 당화혈색소(HbA1c)라고 부릅니다. 당화혈색소는 혈당이 높은 정도와 적혈구가 포도당에 노출된 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지난 2~3개월 동안의 혈당 조절 상태를알려주는 지표로 작용합니다. 평균적으로 2~3개월 기간을 대상으로 하는 이유는 적혈구 수명이 2~3개월이기 때문입니다.
휴대용 혈당측정기는 측정 시점의 혈당수치를 나타내지만, HbA1c 측정기는 최근 3개월 간의 평균적인 혈당값을 나타내므로 정확한 데이터가 산출됩니다. 또한 3개월에 한 번 측정하기 때문에 자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해소될 수 있어, 당뇨병 확진 판단의 근거로 자주 사용됩니다.
POC HbA1c 시장은 일반적인 시장의 경기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다만, 병원 및 의원에서 사용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코로나19 팬데믹의 특수한 상황에서 병원 외래 진료 방문자 수가 급격히 감소하면서 검사 자체가 이루어지지 않아 일시적으로 판매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POC HbA1c 측정기는 2만회 정도(수명이 제일 짧은 부품 순환 팬 기준)까지 사용 가능하지만, 대략 4~5년 정도 사용하면 사용 환경에 따라 노후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부품에서 고장이 발생하는 빈도가 높아집니다. 이 때는 비용 측면에서 수리보다는 신규 기기로 무상 또는 할인된 가격(50% 인하)으로 교체를 하는게 일반적입니다. 소모품인 테스트 카트리지(바이오센서)의 경우에는 유효기간이 18개월로 소비처 납품 후를 기준으로 한 박스(테스크 카트리지 10개입)당 평균 소모기간은 6개월입니다. 한편, 현재로서는 POC HbA1c 측정기를 대체할 만한 경쟁 제품은 없는 상태입니다.
③ 콜레스테롤/간질환 측정기
콜레스테롤이란 스테로이드 화합물의 일종이며, 동물 세포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기본 물질입니다. 인체의 기능을 정상으로 유지하고 인체의 세포를 만드는데 필수적인 지방질 중 하나입니다.
현대인의 식습관 변화, 운동부족, 수명연장으로 인한 노령화, 비만, 스트레스 등으로 콜레스테롤 수치가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심혈관 질환의 주요 인자인 콜레스테롤 관리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POC 콜레스테롤 측정 시장은 일반적인 시장의 경기 변동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당사 POC 측정기는 1만회 정도 사용가능 하고 소모품인 스트립의 경우에는 유효기간이 12개월입니다. 소비처 납품 후 기준으로 한 박스(스트립 10개입)당 소비 기간은대부분 10개월 이내입니다. 한편, 현재로서는 콜레스테롤 측정기를 대체할 만한 경쟁 제품은 없는 상태입니다
(B) 면역진단
면역진단은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원-항체반응(Antigen-antibody reaction)의 원리를 이용하여 각종 질병에 의해 생성된 질병 표지자(항원 또는 항체)를 검출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시스템으로, 현재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체외진단 방법입니다.
바이오 산업의 발전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인체 건강에 관련된 제품 및 관련 산업의 특성상 경기흐름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의료 수요 및 관련 연구개발 분야 수요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에 가계 지출 및 국민 총생산의 변화, 경기 변동 및 계절적 요인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습니다.
신제품 개발에 지속적인 연구비 투자와 일정한 연구기간 및 개발 완료 후 임상 및 인증 절차 등 등이 필요함에 따라 타 산업보다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비교적 긴 편입니다. 특히 감염성 질환 진단키트의 경우는 새로운 변종이 생기면 그것을 잡아 낼 수 있는 새로운 키트가 개발되지만, 주기적으로 발병하는 병원체의 특성상 기존의 키트도 계속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이 시장에 들어올 때까지는 제품의 수명은 지속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당사 POCT 면역진단기기는 약 2만회 정도 테스트가 가능합니다. 유효기간은 12개월로, 소비처 납품 후를 기준으로 한 박스(테스트 스트립 20개입)당 소진기간은 보통 6개월 이내입니다. 경쟁 제품으로는 체내진단을 기반으로 둔 검사와 같이 진단방식의 변화를 들 수 있지만, 체내진단은 신체 내부의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적 움직임을 보며 진단한다는 점에서 당사의 제품 원리와 차이가 있습니다. 일부 암 질환에서는 체내진단 방식의 대체제가 등장할 수 있으나, 체외진단에 비해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한정적입니다. 현재로서는 분자진단이 감염병 질환에 있어 일부 면역진단 시장을 대체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대체하기 보다는 기술적으로 상호보완하면서 같이 성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C) 분자진단
분자진단은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사람의 혈액, 타액 등에서 병원체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DNA, RNA를 추출 및 증폭하여 병원체의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진단기술입니다. 체외진단 검사 중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분야로 중합 효소 연쇄 반응(PCR,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기반으로 인체 유래 검체로부터 내인성 질병 인자(종양인자, 각종 유전적 질환의 인자) 선별 또는 예방을 목적으로 한 검사와 외인성 감염체 세균, 곰팡이 바이러스 등)에 의한 감염 질환을 확인 가능하며, 높은 민감도와 특이도로 잠재적 가치와 시장성이 매우 높습니다.
분자진단 시장은 특성상 경기흐름과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환자 수, 그리고 그에 따른 진단시약의 수요에 의해 경기변동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 업종입니다. 또한 가계 지출 및 국민총생산의 변화, 경기변동의 영향은 크지 않다고 할수 있습니다. 당사는 크게 감염성 질환, 유전성 질환을 대상으로 분자진단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제품은 경기변동으로 인한 영향이 미미하며, 코로나19 검사 제품과 같은 일부 제품의 경우, 환경적 요인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나) 규제 환경
전 세계적으로 최적의 치료를 위한 진단 또는 질병 예방의 필요성과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으며, 의료비용 절감 또는 의료서비스의 효율성 측면에서 진단 분야가 각국의 보건의료 정책의 초점이 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의 제품군이 속해있는 체외진단 의료기기의 경우,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GMP) 인증을 필수적으로 획득해야 하는 등 다른 산업에 비하여 규제가 심한 편입니다.
미국의 경우, 의료기기 수입 시에 반드시 미국 FDA(식품의약국)의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으며, 유럽의 경우에도 CE인증을 획득한 업체로부터의 수입만을 허가하고 있습니다. 각국은 저마다 자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하여 강력한 규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자가혈당기를 제외한 다른 POCT 제품은 미국 FDA 승인과 더불어 CLIA Waiver(CLIA 면제 허가)를 받아야 미국에 판매가 가능하며, 이는 임상을 포함해서 최소 1년 이상이 소요됩니다.
일반적으로 당사에서 신제품 개발이 완료되면 제품 출시 전에 MSDF(한국 식약처) 인증을 획득해 수출 허가를 받고 미국 FDA와 유럽 CE 인증을 받습니다. 이후 별도의 제품 인증 시스템이 있는 국가를 제외하고는 미국 FDA와 유럽 CE 인증으로 각 국가별 제품 등록을 진행합니다.
제품 등록에는 짧게는 한달에서 길게는 1년까지 걸리기 때문에 타 산업과 달리 제품 개발부터 판매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약 3년~5년)이 소요된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전 세계 각국 주요 의료기기 인증 현황] |
국가명 |
인증 명칭 |
---|---|
캐나다 |
Health Canada |
브라질 |
ANVISA |
러시아 |
GOST |
중국 |
CFDA |
멕시코 |
NOM |
당사의 전 제품은 의료기기로 분류되어 『의료기기법』에 따라 국내 식약처로부터 품목 허가를 획득하였으며, 위 법에 따라 제조공정과 관련된 부분은 품질관리를 위하여 GMP 인증 등을 획득하였습니다. 아울러 판매 및 유통과 관련된 규제로는 의료기기법의 시행규칙인 보건복지부령 『의료기기 유통 및 판매질서 유지에 관한 규칙』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의 공정거래 및 공정경쟁을 따르도록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생화학진단
1) 신규 혈당측정기 출시
혈당측정기 시장은 크게 일반 소비자용(OTC)과 전문가용(POC) 시장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동사의 혈당측정기 제품은 대다수가 일반 소비자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일반 소비자용 시장 내 동사의 신제품인 GluNEO H는 적혈구 용적률 범위를 10~70% 범위까지 확장한 제품입니다. 해당 제품은 현재 개발이 완료되어 국내 인증을 취득하였으며, 국가별 인증 후 당사의 글로벌 유통망을 통해 판매할 예정입니다.
병원과 같은 전문가용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적혈구 용적률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병원에서 사용하는 EMR(Electronic Medical Record, 전자의무기록) 시스템과 연동 가능한 유/무선 데이터 전송 기능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동사는 전문가용 혈당측정기 출시를 통하여 기기당 스트립 사용빈도가 높은 전문가용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2) CGMS(연속혈당측정기) 개발
기존의 채혈식 혈당측정 방식은 정확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채혈에 수반되는 환자의 통증, 측정의 번거로움, 체내의 연속적인 혈당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데 한계가 있어 CGM(Continuous Glucose Monitor, 연속혈당측정기) 시스템 개발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초기 CGM 제품은 기존 혈당측정기 대비 높은 가격과 제품 장착 후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과정을 거쳐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측정값에서의 시간 지연이 발생합니다. 동사는 이러한 기존의 한계를 극복하겠다는 의지로 2017년부터 연속혈당측정기 연구를 수행해 왔으며, 2020년 이후부터는 제품의 안정적인 양산과 판매 등을 위해서 관련 업체들과 협력 관계를 꾸준히 확장해 오고 있습니다. 관련 연구 과정에서 정부 지원 사업에도 선정되어 기존 업체와 차별화되고 더 경쟁력 있는 미래 신기술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연속혈당측정 기술과 자동화 한 양산 기술을 보유한 미국 벤처기업에 투자를 진행했고, 향후 센서 제조 시스템의 구축, 글로벌 임상, 인허가를 통해 연속혈당측정 시장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3) 당화혈색소측정기의 미국 FDA CLIA Waiver 및 당뇨진단 복합기 개발
POC HbA1c 시장에서 미국 단일 시장은 전 세계 시장의 40~50%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POC 제품을 미국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미국 FDA 인증 뿐만 아니라, CLIA Waiver를 획득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POC HbA1c 제품 중 Siemens의 DCA, Abbott의Afinion 등 소수의 제품만이 미국 CLIA Waiver 획득 후 미국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동사는 미국 FDA CLIA Waiver와 유럽 CE IVDR의 품질, 성능 및 사용성 기준들을 목표로 하여 자체 연구기술을 활용한 당화혈색소 측정기 신제품을 개발중이며 미국 CLIA Waiver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동시에 당뇨 관련 멀티 마커(HbA1c, ACR, CRP, GA)들을 측정할 수 있는 당뇨진단 복합기 개발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4) 신규 생화학진단 측정기 개발
콜레스테롤과 간 질환 제품군의 경우, 현재 독립적으로 구분되어 있는 제품 라인을 하나로 통합하고 만성 질환 아이템을 차례로 추가하여 현장진단 검사 플랫폼 방식을 표방한 만성 질환 복합 모니터링 측정 시스템 형태로 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동사에서 개발하고자 하는 신규 만성 질환 복합 모니터링 측정 시스템은 현장진단 검사의 장점을 살려 사용자가 장소에 상관없이 손쉽게 사용 가능한 수많은 질병을 하나의 측정 시스템에서 검사할 수 있도록 개발될 예정이며, 검사실 장비와 동등한 성능을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콜레스테롤 등을 관리할 수 있는 마커와 만성 신장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마커, 만성 간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마커, 당뇨 질환을 관리할 수 있는 마커 등을 순차적으로 적용 및 구현되도록 개발할 예정입니다.
(나) 분자진단
1) 기존 개발 제품에 대한 인허가 확대
과거 분자진단 제품군이 RUO(Research Use Only, 연구용 제품), LDT(Laboratory Developed Test, 검사실 자체 개발 검사)란 명목으로 비허가 제품의 사용이 보편화 되었으나, 최근 국내/외 관련 규정의 강화로 허가 범주에 포함시키려는 움직임이 강해지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동사 역시 다양한 기개발 제품을 임상적 성능 평가 및 인허가 프로세스를 진행함으로써 기존보다 안전성, 유효성 측면에서 한층 개선된 제품 라인업을 추가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향후에는 고정 매출처 확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기존 제품에 대한 기술적 격차 확보
현재 동사의 분자진단 제품군은 시장에서 유사 제품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고,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하기 위한 기술 격차 확보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과거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다양한 기회 요소를 찾고, 이에 대한 대응 전략을 차근차근 수립해 가고 있습니다.
코로나19 당시 전 세계으로 분자진단 검사를 위한 핵산 추출 시약류의 공급 물량이 부족했으며, 이에 동사는 핵산 추출 과정이 간소화되거나 생략 가능한 핵산 증폭 시약류 개발 필요성을 느끼고 해당 분야의 연구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또한 코로나19 당시 전 세계 물류 대란으로 인한 분자진단 제품의 유통체인(콜드체인 필수)이 붕괴된 바 있으며, 이에 동사는 상온 유통이 가능한 형태로의 시약 공급이 가능하도록 관련 연구개발을 진행 중입니다. 특히 분자진단 전문 검사 인력의 부족으로 검사 지연 및 검사 결과가 불확실했던 점을 복기하여 비숙련자도 검사 가능한 분자진단 시약 형태로의 연구개발에도 힘쓰고 있습니다.
3) POC-MDX(현장형 분자진단) 개발
분자진단 기술은 핵산을 분석하는 기술로써 감염병 검사 및 내인성 질환을 검사하는데 가장 정확한 진단 기술이지만, 고가의 장비들과 숙련된 전문 인력이 필요하고 결과가 나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이러한 여건 때문에 대형 병원이나 전문 검사소를 제외하고는 검사를 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소형 병원이나 진료소에서 실험 전문 인력 없이 더 정확한 진단을 적시에 내릴 수 있도록 검체의 추출, 증폭 및 결과의 판독까지 현장에서 빠르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이에 동사는 장비의 크기, 검사 속도, 전문 실험 인력이 필요 없는 정도의 사용자 편의성을 최적화한 POC-MDx 장비를 개발 중이며, 이를 위해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미국 벤처기업에 투자하였습니다. 호흡기 감염병, 성매개 감염병 및 약물 저항성 등 분자진단 유전자 표지자들을 하나의 시스템에서 측정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며, 개발이 완료되면 POC-MDx 장비로 향후 미국 등을 포함한 글로벌 시장으로 진출할 계획입니다.
(다) 형광 기술 기반 고감도 면역진단기 개발
동사는 기존의 면역진단기기 SelexOn에서 성능 및 품질이 개선된 2차 모델(형광 입자 기반)인 QFIS를 개발 중입니다. 개발이 완료되면 형광 면역진단기기인 QFIS로 만성질환, Vitamin D, 감염병, 염증, 패혈증 등 분야에서 국내, 유럽, 미국, 중남미 등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계획입니다. 동사는 혈액 내 바이오마커를 빠르고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한 현장진단형 체외진단 플랫폼을 개발하기 위하여 보편적인 형광 기술을 뛰어넘는 고성능의 형광 신소재를 도입하였습니다.
|
(라) 바이오 헬스케어 사업 진출
당사는 1996년 설립 이후 혈당/당화혈색소/콜레스테롤 등 생화학진단 분야에서 면역진단, 분자진단 등 연관 분야로 계속하여 사업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고객의 니즈에 맞는 다양한 체외진단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으며,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에 높은 실적을 달성하는 원동력이 되었습니다.
코로나19가 엔데믹에 들어선 현재 코로나 이후를 대비하기 위하여 당사는 기존의 체외진단 분야에 더하여 바이오 헬스케어로 사업을 확장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신성장 산업 동력의 발굴과 육성' 및 '기존 사업의 시너지 창출'을 모토로 삼아 2023년 국내 바이오 헬스케어 선도기업인 유한양행과 MOU를 체결하여 상호 협력하기로 하였습니다. 그 첫 시작으로 2023년 유한양행의 수액제 전문 자회사인 와이즈메디에 투자하여 2대주주로 등극하였으며, 와이즈메디 신공장 증설 물량을 시작으로, 기존 해외 영업망을 활용한 의약품 수출 사업까지 확대할 계획입니다.
영양수액을 시작으로 향후 기능성 건기식 등 다양한 분야의 투자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안정적인 사업구조를 갖춘 토탈 헬스케어 기업으로 거듭날 예정입니다.
(5)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41조(대표이사등의 선임) 이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대표이사 1명, 사장, 부사장, 전무이사 및 상무이사 약간 명을 선임할 수 있다. |
제41조(대표이사등의 선임) ① 대표이사는 이사회에서 선임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1명 이상을 선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이사회는 수인의 대표이사가 공동으로 회사를 대표할지 각자 회사를 대표할지 결정한다. |
대표이사 등 선임 기준 명확화 |
제52조(분기배당과 중간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른 분기배당 또는 '상법' 제 462조의3에 따른 중간배당을 할 수 있다. 다만, 분기배당은 한국거래소 상장일로부터 시행하고, 그 이전까지는 중간배당을 시행한다. ② 분기배당은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시행하며,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중간배당은 사업연도 중 1회에 한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 일자의 주주에게 시행하며, 구체적인 방법등에 관해서는 상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⑤ 중간배당은 직전 결산기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가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 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 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 3. 관련 법령에서 정하는 미실현이익 4. 직전 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5. 직전 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 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 준비금 6. 중간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 ⑥ 제1항의 분기배당과 중간배당은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⑦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과 중간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
제52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른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④ ~ ⑤ [삭제] ④ 제1항의 분기배당은 기준일 전에 발행한 주식에 대하여 동등배당한다. ⑤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
중간배당 |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 임직원들의 사기 진작과 핵심인력 유지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강철훈 | 등기임원(대표이사) | 사장 / 경영 총괄 | 보통주 | 50,000주 |
정철희 | 미등기임원 | 상무 / 해외영업 본부장 | 보통주 | 20,000주 |
OOO 외 54명 | - | 직원 | 보통주 | 82,000주 |
총( 57 )명 | - | - | 보통주 | 총(152,000 )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행사시점에 신주발행 / 자기주식 교부 방식 중 회사에서 결정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 152,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부여 가격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일을 기준으로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 규정을 준용 (부여일 전일부터 과거2개월, 1개월, 1주간의 매일의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최종 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의 산술평균) |
행사 기간 : 2027.12.27 ~2029.12.26 (재직기간 3년 / 행사기간 2년) |
기타 조건의 개요 |
부여일 이후 선택권의 행사 전에 다음과 같이 자본 또는 주식 발행사항에 변동이있는 경우에는 행사 가격 또는 수량을 조정할 수 있다. (무상 증자, 주식 분할, 주식 병합, 자본 감소, 이익 소각, 상환주식 상환 등)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14,489,416주 |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 이내 | 기명식 보통주 | 2,173,412주 | 1,784,412주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024년 | - | - | - | - | - | - | - |
2023년 | 2023.03.30 | 48명 | 보통주 | 178,000주 | - | 21,000주 | 157,000주 |
2022년 | 2022.03.30 | 28명 | 보통주 | 167,000주 | - | 55,000주 | 112,000주 |
계 | - | 총(76)명 | 보통주 | 총(345,000)주 | 총(0 )주 | 총(76,000)주 | 총(269,000)주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1.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건
-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 600억원을 감액하여 이익잉여금으로 전입
(의안의 요지)
안정적인 주주환원 재원 확보를 위해 상법 제461조의 2(준비금 감소)에 의거하여 회사의 자본준비금(주식발행초과금) 중 약 600억원 감액하여 이익잉여금으로 전입하고자 함.
※ 본건 자본준비금 감액 및 이익잉여금 전입의 목적은 배당가능이익을 확보하는 것으로, 중기 주주환원정책 실행의 일환입니다.
※ 자본준비금 감액으로 증가하는 배당가능이익은 약 600억원이며, 관련법에 의거하여 약 600억원은 향후 비과세 배당금 재원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2. 임원 퇴직금 지급규정 개정의 건
(의안의 요지)
퇴직금 지급 취지에 부합하도록 '1년 미만 근무 임원에 대한 지급 조항' 삭제
규정 | 현행 | 개정 |
제4조 (재임년수의 |
1. 재임기간은 임원 선임일부터 근무 종료일 까지로 한다 2. 1년 미만의 기간은 월할계산하고, 1개월 미만의 기간은 1개월로 계산한다 3. 재임기간이 1년 미만이라도 월할계산한다. 4. 임원이 연임하였을 경우 퇴직으로 보지 않고 |
1. [좌동] 2. [좌동] 3. [삭제] 3. 임원이 연임하였을 경우 퇴직으로 보지 않고 합산해서 계산한다. |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DART, https://dart.fss.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 해당 주주총회장은 주차공간이 협소하오니 대중교통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