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 년 05 월 16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메디젠휴먼케어 | |
대 표 이 사 : | 신동직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송파구 정의로7길 6, PNS홈즈타워 6층 | |
(전 화) 02-555-9806 | ||
(홈페이지)http://www.medizencare.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대표이사 | (성 명) 신동직 |
(전 화) 02-555-9806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3기 임시) |
임시주주총회 소집 통지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9조에 근거하여 제13기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4년 05월 31일 (금요일)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서울시 송파구 정의로7길 6, PNS홈즈타워 6층 본점 회의실
3.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사외이사 신규 선임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5. 임시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 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4년 05월 16일
주식회사 메디젠휴먼케어
대표이사 신 동 직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 여부 |
사외이사 | 비고 |
---|---|---|---|---|---|
지혜구 (출석률 : 0%) |
|||||
찬반여부 | |||||
1 | 2024.02.27 | 제1호 의안 제1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사내이사 신동직 재선임의 건 제3호 의안 이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감사보수 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정관의 일부 변경의 건 |
가결 | 불참 | - |
2 | 2024.04.16 | 제1호 의안 사외이사 신규선임의 건 | 가결 | 불참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1)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500 | - | - |
(*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2인을 포함한 총 3인의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구분
디지털헬스케어는 건강관련 서비스와 의료 IT가 융합된 종합 의료 서비스입니다. 국내외 각 기관별 디지털헬스케어에 대한 정의는 세부적 차이가 존재하지만, 디지털 기술과 융합된 종합의료서비스를 의미한다는 것은 공통적입니다. 디지털헬스케어는 IT 기술과의 융합을 통해 기존 의료시스템 이 환자의 치료에만 초점을 맞춘 대응적·사후적 관리와 달리 치료뿐만 아니라 미래 예측을 통한 질병 예방까지, 환자 개개인의 고유한 특성에 적합한 맞춤의학(Personalized)을 제공하는 것을 궁극적 목표로 합니다.
구분 | 출처 | 정의 |
국외 |
WHO (2020) |
- 디지털헬스케어는 건강 분야에 ICT를 사용하는 eHealth 용어에 기원을 둠 - eHealth(mHealth포함)분야를 비롯한 빅데이터, 유전체학,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컴퓨터과학 분야를 포함 |
미국
FDA (2020) |
- 디지털헬스케어의 범위는 모바일 헬스케어, 건강 정보기술, 웨어러블 기기, 원격의료와 원격진료, 개인맞춤형 의료 - 디지털헬스 기술은 헬스케어와 관련된 플랫폼, 소프트웨어, 센서 등에 사용되는 기술임 |
|
Wikipedia (2020) |
- 헬스, 헬스케어, 생활, 사회 속에 디지털 기술이 융합된 형태로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의료의 정밀화 및 개인맞춤형을 지향함 - 관련 기술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솔루션, 서비스로 구성되며, 원격의료, 웨어러블 디바이스, 가상현실 등이 포함 |
|
국내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
- 광의의 개념: ICT기술이 적용된 모든 헬스케어 분야 - 협의의 개념: 모바일헬스케어, 원격의료, 인공지능 등이 포함되는 헬스케어 분야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
- 의료와 ICT 융합을 디지털헬스케어로 정의 - 디지털헬스는 e헬스, u헬스, 모바일헬스케어, 스마트헬스케어 등을 모두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 |
*출처 : 한국보건산업진흥원 디지털헬스 산업 분석 및 전망연구(2020)
표1. 디지털헬스케어의 정의
2. 산업의 특성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생태계는 복잡하고 상호 의존적인 구조로, 다양한 구성원들이 서로 연결되어 전체 시스템의 효율성과 혁신을 추진하며 각 구성원은 특정한 역할을 수행하여 환자의 건강 개선과 더 나은 의료 접근성을 목표로 합니다. 수요자인 환자와 일반인은 최종적으로 이 생태계의 서비스와 제품을 사용하며, 그들의 필요와 피드백은 산업의 방향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들은 웨어러블 디바이스, 모바일 앱, 온라인 건강관리 플랫폼 등을 통해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개인화된 건강관리 및 의료 서비스를 받게 됩니다. 수요자가 공급자에게 정보를 제공하여 혁신적인 제품과 서비스 개발에 참여하게 됩니다. 이를 바탕으로 공급자는 헬스케어 데이터 분석, 개인 맞춤 의료 솔루션 개발, 그리고 질병 예측 및 관리를 위한 정밀의료를 제공함으로써 디지털헬스케어 생태계의 핵심을 이룹니다.
![]() |
그림1. 디지털헬스케어 산업 생태계 |
2020년 세계 100대 디지털 헬스 기업 목록(Global Digital Health 100)에 따르면, 미국(31개)과 영국(27개) 기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 디지털헬스케어 스타트업의 누적 투자액 Top 100에서 미국 스타트업이 72개로 대부분을 이루고 있으며, 영국과 인도 스타트업이 각각 4개로 뒤를 잇고 있습니다. 한국 스타트업은 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러한 분포를 통해 세계 디지털 헬스 시장이 주로 미국과 영국 기업을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미국의 디지털 헬스 기업은 대부분 환자 관리 분야, 즉 치료와 모니터링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 기업의 상품이나 서비스는 주로 공급자(59.0%)와 개인 소비자(36.6%)에 의해 구매되며, 최종 사용자는 개인 소비자(60.7%)와 공급자(47.9%)가 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미국 의료시스템의 특성을 반영하는 것으로, 자가 치료 및 관리가 많은 것이 특징입니다. 이는 한국 시장과 비교했을 때 더욱 두드러진 차이를 보입니다.
국내시장의 경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연구에 따르면, 바이오헬스 분야의 14대 대표 융합기술을 활용하는 한국 기업/기관 1,148개 중 555개 업체가 융합기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중 빅데이터(32.2%), 유전자 기술(14.8%), 바이오센서(12.9%), 모바일(12.8%) 기술을 활용하는 비율이 높습니다.
헬스분석 산업은 현재 디지털 헬스 시장에서 주목받는 분야로, 유전체학, 정밀의료, 그리고 데이터 분석을 포괄합니다. 이 산업은 아직 초기 단계에 있지만, 빠른 성장이 기대되는 분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체 분석은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정밀의학으로 변화함에 따라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정밀의학은 개인의 유전적, 환경적, 생활습관적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의료를 지향하며, 이에 따라 유전체 분석 시장은 향후 안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가트너의 Hype Cycle for Healthcare Provider 2020 보고서에 따르면, 정밀의료와 유전자 의료는 각각 태동기와 거품제거기 단계에 있으며, 안정기까지는 약 5~10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는 해당 기술들이 성숙하고 널리 채택되기까지 일정 기간이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유전체는 개체의 전체 유전자를 포함하는 완전한 DNA 또는 RNA 모음으로서 개체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합니다. 유전체 정보는 유전 현상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된 생물학적 작용과 작동 과정을 밝혀 과학적, 의학적, 산업적 효용 가치를 창출하는데 필수적인 정보로써, 유전체 분석은 21세기 의약 및 바이오산업을 이끌어 갈 핵심기술로서 유전정보 해독 기술을 응용하여 생물의 형성 및 발달 과정, 생명현상 유지와 관련된 모든 기능의 최소 단위인 유전체 정보를 분석/획득하고, 나아가 의학적, 산업적으로 유용한 정보를 선별, 가공하고, 이를 활용한 서비스를 제공함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분석 시장의 주요 부문은 진단 분야이며,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로는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시퀀싱(Sequencing) 등이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시퀀싱 기술은 전통적인 연구개발 중심의 시장을 넘어, 소비자 직접 의뢰(Direct-to-Consumer, DTC) 유전자 검사와 같이 소비자를 대상으로 하는 상업적 시장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는 소비자들이 자신의 유전정보에 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새로운 서브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이러한 트렌드는 유전체 분석 기술의 상업적 활용 가능성을 크게 확장하고 있습니다.
현대사회의 개인 맞춤형 정밀의료, 개인 건강관리 등에 대한 need와 예방의학 및 보편적 건강보장으로의 의료 패러다임의 변화(paradigm shift)로 인해 유전체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제고되고 있으며, 유전체 정보에 대한 개인의 접근성이 높아짐에 따라 유전정보(Big-Data)를 활용한 다양한 사업 분야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유전체 분석 산업은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비용(Sequencing 비용) 감소, 관련 규제 개선, 국가 주도 대규모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 등과 고령화에 따른 건강관리에 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지속해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장유전체(Whole genome) 분석 비용은 2010년대 초까지는 개인이 부담하기 어려운 수준이었으나 기술의 발전에 따라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2년에 Illumina의 경우 200달러, Ultima Genomics의 경우 100달러로 낮출 수 있다고 주장하는 등 개인이 충분히 부담할 수 있는 수준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 |
그림1. 유전체 분석 비용의 감소 |
3. 경기 변동의 특성
유전체 분석 산업은 건강 및 보건과 관련된 산업으로 경기 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낮습니다. 시장의 1차 수요자인 의료기관은 제품의 안전성 및 신뢰성을 우선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기술에 대한 신뢰성이 검증된 제품을 선택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에 따라 제품의 가격 탄력성은 비탄력적이며, 경기 변동보다는 제품에 대한 브랜드와 인지도가 매우 중요한 산업입니다. 유전체 분석 산업은 헬스케어 산업, 건강기능식품 산업, 코스메슈티컬 산업 등 다른 산업군과의 산업융합을 통하여 다양한 신산업을 창출하고, 시장의 다변성을 리딩하는 중심적인 산업으로 크게 경기 변동적인 요인이 개입되지 않는 것이 특징입니다. 다만, 건강검진의 필수적인 검사항목이 아니라는 점에서 유전자검사의 중요성이 알려지지 못하여,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3년 동안 질병 예측을 통한 사전적 예방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는 추세에 따라 유전자검사 시장은 평균적으로 20% 이상의 성장세가 나타나고 있어 유전체 분석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당사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는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에서 2015년부터 2023년까지 실시한 유전자 검사 정확도 평가에서 최고등급인 A등급을 연속으로 인증을 받았으며, 자체 기술인 Gene Network System에 의해 특정 질병, 질병과 질병 간의 상호작용을 AI Deep learning 기번으로 분석해 가장 많은 유전자 검사 항목 구축에 대한 R&D 기술력을 보유하여 검사항목 신고 수에서 국내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질병관리청 자료). 또한 2022년 12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많은 211종의 항목을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질병과 관련된 유전자 검사를 수행하려면 검사 대상 질병과 유전자의 근거자료를 질병관리청에 제출하고 최종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2023년 12월 기준, 당사는 유전자 검사항목에 대하여 국내 유전자 검사 기관 중 가장 많은 951건을 질병관리청에 신고등록을 하였습니다. 당사의 타사 대비 차별적 기술 우위성은 당사의 자체의 특허기술인 Multiplex genotyping technique과 Gene Network System을 활용한 Customized open array based SNP Chip Assay 등과 같은 차별화된 기법과 특화된 분석시약 조합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타사보다 분석 시간 단축 및 단가 절감(국내외 특허 출원 중)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빅데이터 기반으로 자체 개발한 카테고리별 맞춤형 알고리즘을 통하여 최상의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국내외 유전체 알고리즘 특허 및 지적재산권을 30여개 이상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베트남, 태국, 몽골, 튀르키예 등에 진출하고 있으며 최근 호주와 멕시코 대기업과 협력사업 협상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도네시아 합작법인은 연구소 설립과 인허가를 완료하여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말레이시아를 기반으로 태국, 싱가폴에 연구소가 포함된 합작법인 설립을 추진하여 해외 현지 시장에 직접 진출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대형 전문 피부과, 화장품 기업 및 제약회사 등과 협력으로 한국인과 동양인에 적합한 유전자 분석을 통한 맞춤 화장품 사업을 위한 기초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대상 웰라이프와의 협력사업을 통해 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포함한 포괄적인 개인 맞춤 헬스케어 플랫폼 사업의 준비가 완료되었습니다.
향후 지속적인 한국인을 포함해 동양인과 백인 대상의 유전체 DB 확충과 질병관련 정밀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신약후보 물질 발굴을 위해 노력할 것이며 축적된 다양한 유전체 분석 기술, 빅데이터 뱅킹에 구축된 데이터를 AI 및 IT 기업과의 협업을 통하여 개인별 맞춤 스마트 헬스케어(웨어러블 디바이스, EHR-derived 케어시스템 등)와 헬스케어 메타버스 (MetaGenVerse, 상표등록 완료)를 개발하여 상용화함으로써 파생 사업으로 확장하고자 합니다.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M-CHECK (MY GENOME CHECK)
개인별 질병 발생 예측 유전체 분석 서비스인 M-CHECK(MY GENOME CHECK)은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유전체를 분석하여 유전적 질병발생 위험도를 측정한 후, 결과에 따라 운동, 식이, 생활습관 등 각 개인의 환경요인 조절 방법을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M-CHECK 서비스는 현재 약 140종류의 질병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며, 질병관리청 허가사항에 따라 항목이 추가되고 있습니다.
2) Lifegene (PGA-personal genome analysis)
Lifegene은 소비자가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직접 검사를 받아 볼 수 있는 유전자 검사입니다. 2022년 DTC인증제도가 완성되어 웰니스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국내 규제를 기준으로 하는 DTC 서비스 개발 이후 항목 확대를 예상하여 운동유전체, 영양유전체, 소아·청소년 유전체 분석과 개발을 마쳤습니다. 질병 항목을 확대하는 것은 2025년부터 미성년자 검사 확대는 2024년부터 가이드라인이 마련될 예정으로 당사는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완성된 다양한 유전체 검사 서비스를 제공 예정입니다.
3) TELOCHECK (Telomere length measurement & Telomerase-activating genes)
TELOCHECK는 노화의 지표로 알려진 텔로미어 길이를 측정하고 텔로미어 길이 연장에 관여하는 효소인 텔로머라아제 효소 활성과 관련된 유전자변이를 분석하여 생체나이를 예측하는 검사입니다. 텔로미어는 사람의 염색체 끝부분에 존재하는 단순 반복 염기서열 부위로서, 수명 · 노화 및 다양한 질병과의 관련성이 알려져 있으며 텔로미어 길이가 짧아질수록 세포가 노화되어 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이 발생 된다는 것이 알려져 있습니다. 일정한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검사할 경우 검사 대상자의 노화 및 건강상태 변화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자체 개발한 ‘생체나이 계산 알고리즘’과 한국인 대상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신뢰도 높은 검사 결과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및 특성
1) 유전자 검사시장
연구를 제외한 유전체 분석시장(유전자검사) 시장은 규제로 인한 행위 주체로서 의료기관과 소비자로 구분되면 검사 목적에 따라 또는 규제에 따라 진단, 예측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유전체분석시장의 경우 시약 및 제조 관련 사항 그리고 연구용역들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는 시장은 그림1과 같이 구분할 수 있습니다.
![]() |
그림1. 유전자 검사의 목적별, 행위별 구분 |
현재는 진단을 위한 검사가 예측 검사보다 시장규모가 크나 질병 감수성 검사가 의료기관이 아닌 소비자가 직접 수행이 가능하게 되면 더 높은 성장을 예상
할 수 있습니다.
세계 유전자 검사시장은 2022
년
82
억
달러로 추산되었으며, 2032
년까지
173
억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되며, 2023년부터 2032년까지 예측기간 동안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 7.80%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표1. 글로벌 유전자 검사시장 규모 |
질병의 위험을 예측하고 맞춤 치료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전체 분석은 기술의 발달과 검사 비용의 감소로 인하여 지속해서 시장 규모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유전체 분석 기술은 건강정보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어 많은 연구 협력과 주목할 만한 투자를 창출하여 헬스케어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은 유전자 검사시장의 성장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산전진단 저널(Prenatal Diagnosis Journal) 2021년 3월호의 데이터에 따르면, 코로나19 팬데믹은 산전 유전자 검사에 대한 임산부의 결정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환자의 출생 전 유전자 검사에 대한 접근 및 사용도 전염병의 영향을 받았습니다. 코로나19는 유전자 검사시장에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더욱이, 지난 몇 년간 기술 발전의 증가로 인해 시장 확장을 위한 여러 기회를 열었습니다. 만성질환의 유병률 증가와 틈새 치료 영역을 위한 맞춤형 테스트 키트의 개발이 시장의 급속한 성장을 돕고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암 부담과 예방 진단 및 맞춤형 의학에 대한 전 세계 인구의 인식 증가는 암과 관련된 유전자검사 시장의 성장을 이끄는 주요 요인입니다. 미국 암학회(American Cancer Society)에 따르면 2021년에 미국에서 약 189만 명의 새로운 암 발병과 60만 명의 암 사망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국제암연구소(IARC)에 따르면 새로운 암 발병률은 2040년까지 3,020만 명에 이를 것으로 추산됩니다.
기술의 발달로 의사들은 더 정확한 검사를 수행할 수 있고 한 번에 여러 유전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많은 국가에서는 시장 승인을 부여하여 이러한 새로운 접근 방식의 시장 침투를 촉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만성질환에 대한 부담 증가와 기술 발전 및 맞춤형 의료에 대한 성향이 결합하여 예측기간 동안 유전자 검사시장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전자 검사는 암이 가족 내에서 발생 여부와 암 가족력이 있는 개인의 향후 암 발병과 관련된 위험 요소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화학요법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에게 유전자검사를 실시하여 치료에 저항하는 종양에 후천적 돌연변이가 있는지 확인합니다.
시장분석기관인 Straits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연평균
15.1%
성장률을 보이며 한국의 경우
14.6%
성장을 예상합니다
. 특성 검사와 건강 및 웰니스 분야는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개인은 점점 더 자신의 건강과 웰빙을 향상시키기 위해 개인화된 정보를 찾고 있습니다.
![]() |
표1. 국내 유전자 검사시장 규모 |
2) 건강검진 시장 (의료기관 유전자 검사시장)
- 국내 질병예측 유전체 검사시장 특수성
2022년 국민건강검진통계 연보에 따르면 국내 종합 건강검진 수검자의 수는 약 2천 2백만 명으로 전체 건강검진 대상자 중에 75.4%가 건강검진을 받았습니다. 전년 대비 수검자 수는 약 1백만 명이 늘어나 수검률은 매년 지속해서 증가하고 있습니다.
![]() |
그림1. 2016년~2021년 건강검진별 수검률 현황 |
보고에 의하면 국내 인구의 노령화와 출산율 저하의 원인으로 경제활동 인구의 건강검진 수검자 수는 2천만 명을 기점으로 점차 감소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그러나 평균 기대수명의 증가에 따라 고령자들의 개인종합 건강검진과 국가검진 수검자들은 증가하며 수검자들의 건강한 노후 추구
,
유전체검사의 홍보와 보편화
,
검사 비용의 하락 등
으로 저가의 기업체 건강검진 유전체검사와는 달리 중고가의 검사패키지 보급률이 향상되어 관련 시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국민건강검진통계 연보(2022)에 의하면 직장 건강검진 가입자 수는 약 1,500만 명으로 이들 중 의료기관 의뢰 질병 발생 예측 유전체검사 선택 대상의 수검자는 1천만 명으로 일부 기업과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피부양자 건강검진의 실례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를 볼 때 총 460만 명의 피부양자 인구도 잠재 검사대상자로 추가될 수 있습니다.
![]() |
표1. 국민건강검진 수검자 수와 직장 건강검진 대상자 수 비율 |
3) DTC 유전자 검사시장 현황 및 전망
- 국내 DTC 유전자 검사시장
한국바이오협회의 유전체기업협의회 보고서에 따르면 16년~18년까지 DTC 누적 검사자 수는 4만 명으로 추정되며 항목 확대 등 관련 법이 개정되면 2021년에는 연간 약 10만 명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6년도에 국내에서 유전자검사는 12개 항목에 대해 서비스가 가능하였고 이후 2019년도부터 2021년도까지 총 3년 동안은 진행된 1차~3차까지의 DTC 유전자검사 시범사업을 통해 허용 항목수가 70개까지 확대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당사를 포함한 기술력이 우수한 상위 기업들이 보건복지부고시 제2022-43호에 의해 검사역량에 대한 인증을 받아 69개 항목에 대해 2023년 12월 30일까지 서비스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았습니다. 또한, 2023년 인증제를 시행하여 기존 12개 항목에서 100여 가지 검사항목으로 확대가 되어 다양한 소비자의 관심을 충족할 서비스를 제공할 발판이 마련되었습니다.
시장분석기관인 StraitsResearch의 조사에 따르면 국내의 유전자검사 시장은 건강 및 웰니스에 중점을 두는 부문과 소비자 직접 검사시장 모두에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성 검사는 건강 및 웰니스 분야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며, 예측 및 영양 관련 검사는 소비자 직접 검사시장에서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 |
표1. 국내 소비자 유전자 검사시장 규모 |
4) 맞춤영양시장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arizton에 따르면 2020
년부터
2026
년까지 전체 맞춤 영양시장은
16.53%
성장하며 그 중 유전자검사 기반 맞춤 식품시장은
22.61%
증가하고 스포츠영양유전체 시장은
19.99%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습니다.
![]() |
표1. 맞춤영양 글로벌시장 규모 |
맞춤형 영양시장은 식이 보조제 및 기능성 식품 및 음료, 스포츠 영양유전학, 유전자검사 기반 정보제공으로 제품 카테고리를 나눌 수 있습니다. 식이 보충제는 미네랄, 비타민, 허브 또는 기타 식물, 아미노산, 추출물, 농축물, 대사 산물 등의 조합과 같은 하나 이상의 영양분을 포함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보충제는 관절염이나 골다공증과 같은 여러 가지 건강 문제의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습니다.
오늘날의 영양학은 개별적으로 맞는 식품을 선별하여 생리적 활성이 있는 기능성 물질을 찾아내고 생리 활성을 과학적으로 규명하여 특정 질병의 예방에 식품을 이용하는데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각 개인의 유전자 다양성을 해석함으로써 질병에 대한 원인 유전자를 발견하고 약제 및 식이요법에 대한 효능과 부작용을 밝혀 의료뿐만 아니라 획기적인 치료제 개발과 질병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영양소 섭취의 권장량은 주로 성별과 나이를 고려하여 그 외의 요인들에 대해서는 획일화하여 적용하는 ‘one-size-fit all’ 방식에 의해 정해질 수밖에 없었고, 개인의 유전적 차이는 고려되지 않은 시스템이었습니다. 그러나 ‘one-size fits all’에서 ‘one-size fits most’로 영양권장 기준이 변화할 것이고, 건강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DTC 유전자 검사서비스와 영양 유전체학이 부각되어 개인맞춤형 영양이 소비자에게 제공될 것입니다.
미국 IFTF (Institute for the Future)의 NCNG (New Consumer, New Genetics) 프로그램의 보고서에서는 개인맞춤형 영양권장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정부와 전문기관이 이를 받아들이게 되면, 정부와 대기업은 당뇨병이나 고혈압과 같이 식생활과 관련된 질병 관리에 소요되는 경제적 부담이 의료비 예산보다 커짐에 따라 경제적으로 더욱 효과적인 개인맞춤형 제품과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산업적인 관점에서 바라볼 때 맞춤 영양의 사업 영역은 유전자 검사와 그 결과에 따른 적합한 식품 및 건강보조제 추천, 적합한 식습관을 위한 프로그램 제공, 그리고 적합한 맞춤형 식품과 건강보조제의 제조와 판매까지 아우르고 있습니다. 맞춤 영양 서비스의 내용은 유전자 검사와 그에 대한 해석, 유전자 검사결과에 근거한 질병에 대한 감수성 평가, 식이 지침 제공의 3가지로 구성됩니다. 맞춤 영양 서비스가 대중들에게 제공될 수 있는 형태에 대해 DTC (direct-to-consumer) 형태, 개업의(開業醫)를 통한 서비스, 여러 분야를 통합한 건강관리팀에 의한 서비스 등 3가지 방안이 있습니다.
소비자가 유전자 검사로부터 얻은 정보에 따라 관련 제품을 구매할지를 조사한 결과 소비자의 1/3이 개인 맞춤 영양 제품을 구매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American Lifestyle Survey’에 따르면 75%의 응답자가 개인 영양 정보 진단에 다소 혹은 매우 관심이 있으며 자신의 유전정보에 맞는 식품을 섭취하고 싶다고 답했고 그 중, 40%는 건강관리를 위해 그 정보를 기꺼이 제품 제조 혹은 서비스 제공 회사에 공개하겠다고 답변한 결과도 있습니다.
스포츠와 운동 성과는 영양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으며, 동일한 음식, 영양소, 보충제에 대해 개인마다 다르게 반응합니다. 건강보조식품과 적절한 양의 영양 섭취는 개인의 신체적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운동 인구의 맞춤형 영양은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따른 식이 권장 사항을 목표로 하여 건강, 신체 구성 및 운동 루틴을 최적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영양 계획은 다양한 전략에 대해 구체적이고 독특한 반응을 통해 개별 운동선수에 맞춤화될 수 있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운동유전체
운동 유전체와 관련한 DTC 유전자 검사 서비스는 스포츠와의 연계를 통하여 관련 산업이 증가하여 향후 유전체 분석 기반의 큰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 시장의 경우 엘리트 체육 인구 150만 명, 생활체육 인구 400만 명, 유아청소년 체육 교실 가입자 100만 명과 다이어트 적용 가능한 인구를 포함해 운동 유전체 잠재적 고객은 700만 명으로 추정됩니다. 따라서 DTC 운동 유전자 검사를 통해 다양한 운동 관련 DB가 구축되고 개인 맞춤형 시스템이 개발됨으로써 이를 기반으로 한 상용화가 진행될 것입니다.
유전체 분석 기술이 더욱 빠르고, 정확하고, 저렴하며 더 많은 분야로 확대되어 스포츠 과학의 미래가 유전학, 후성유전학 및 유전자 도핑에 점점 더 깊이 관여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사람은 인종, 유전적 요인, 후천적 환경이 각각 다르므로 운동 또한 개인의 유전자에 따른 운동능력도 다르게 나타납니다. 또한 유전자는 신체 부상과도 관련이 있기에 부상 유전자를 분석하여 사전에 부상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는 개인의 운동능력을 극대화 시키며, 유아청소년들의 올바른 성장 발달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국내 스포츠산업이 첨단산업과 융·복합화를 통해 미래 성장산업 가운데 하나로 대두되면서 국가 차원에서 스포츠산업 육성 정책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ICT 산업을 포함한 첨단산업과 융·복합화되어 다양한 상품개발을 목표로 바이오 기술과 스포츠가 접목해 운동 재활 및 치료, 부상 예방 등의 기술개발과 스포츠의 나노기술 접목을 통해 스포츠 용품 및 장비에 활용이 가능한 신소재 개발 등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다양한 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습니다.
2) 영양유전체
사전적 질병 예방 차원에서 영양 유전체학의 궁극적인 목표는 유전자의 개별적 차이에 근거를 둔 식품을 개발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영양 유전체학이 발전함에 따라 과학자들은 개인의 유전정보에 근거하여 더욱 개인화된 영양권장을 할 수 있고, 정부의 영양지침서도 특정 질환 위주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의사들은 환자들의 치료 및 질병 예방 차원에서 개인 맞춤형 영양권장을 더욱 활용하게 될 것이며, 실제로 해외의 일부 권위 있는 의사들은 당뇨, 고지혈증, 고혈압, 유당불내증, 셀리악병 등의 환자들에 대한 영양권장을 환자들에게 맞게 개인별 맞춤 식품으로 시행하고 있습니다. 맞춤 식품은 일반 식품이나 건강 기능성 식품의 카테고리에 들지 않는 완전히 새로운 유형의 식품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에 맞는 적절한 health claim 수준을 찾는 노력과 이 식품들이 유통되는 채널과 시장 유형에 대한 개발이 있어야 할 것입니다. 또 하나 해결해야 할 과제로 지적 재산권의 보호 문제가 있습니다. 유전자와 식품의 상호작용에 대해 밝혀진 것을 특허로 보호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미국인 다수가 본인의 유전정보를 기꺼이 공개할 것이라고 대답하고 있지만, 다른 민족성을 가진 나라에서도 본인의 개인적인 유전정보 공개에 대해 거부감을 가지지 않을 수 있을지가 미지수로 남습니다.
미래의 식품시장에서 세분화(segmentation)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공감하는 사안이며, 문제는 시장을 어떤 기준을 사용하여 어떠한 방법으로 세분화 할 것인가에 있습니다. 포장 단위에 의한 세분화, 연령별, 질환별로 세분화하여 고령 소비자를 위한 맞춤 영양 식품, 유아 발달단계에 따른 맞춤 영양 식품, 당뇨 환자용 맞춤 영양 식품 등 집단 맞춤형 식품 개발도 가속화 될 것입니다. 코로나의 대유행은 맞춤형 영양 시장의 성장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건강 문제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건강 보조 식품에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는 개인별 영야에 대한 수요을 일으 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글로벌 맞춤형 영양 시장 규모는 2021년 103억 달러에서 2030년 380억 달러 규모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맞춤형 영양은 음식과 유전자가 서로 어떻게 상호 작용을 하는지 분석하여 개인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식단과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하여 현재 국내에서는 여러 종류의 건강기능식품을 나누어 섞어 담아 포장 판매하는 소분 사업이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시행되고 있으며 식약처에 따르면 2024년 6월까지 법 개정을 마무리 할 계획입니다. DTC 유전자 검사의 활성화는 유전체 DB 구축을 통하여 더욱더 정밀한 맞춤형 식품을 개발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소비자들이 대량 생산되는 규격이 정해진 제품보다 나만을 위한, 내 몸에 꼭 맞는 맞춤 구두, 맞춤 정장에 더 고가를 지불 할 용의가 있듯이, 나에게 꼭 맞는 개인별 맞춤 식품은 미래 식품산업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입니다.
3) 유아청소년
소아 유전체 관련하여 DTC 유전자 검사를 통한 사전적 질병 예측 및 치료가 가장 활발한 분야는 희귀 질환 및 난치성 질환 진단과 치료 분야입니다. 캔자스의 소아머시병원 클리닉(Children`s Mercy Hospitals and Clinics)의 연구진은 심각하게 아픈 아기의 질환을 신속하게 진단하기 위해 아이들의 전체 유전체 정보를 활용하여 사전에 질병을 예측하고 실제 치료까지 진행한 사례가 저널 ‘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을 통하여 발표되었습니다. 현재 DTC 유전자 검사를 통하여 소아의 유전체를 확보하여 유전체 시퀀싱(Whole Genome Sequencing; WGS) 방식으로 임상에 활용한 사례로 신경 운동 질환에 대한 사전적 질환 예측을 통하여 14세 쌍둥이의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조기에 발견했으며, 다른 사례로는 심각한 염증성 장염 질환이 있지만, 정확히 진단받지 못한 환자에게 유전적 원인이 있음을 확인하여 골수이식을 통해 치료를 진행하였습니다. 유전체 스크리닝을 통해 질병을 파악하고 치료된 대표적인 사례로 니콜라스 볼커가 있으며, 국내에서도 소아의 희귀성 장 질환을 유전체 분석을 통하여 밝혀내었고, 자가면역반응을 조절하는 유전자 ‘CTLA4’에 돌연변이가 일어난 것이 원인임을 확인한 연구팀은 CTLA4의 역할을 보완할 수 있는 약물을 투여함으로써 치료를 하였습니다.
현재 해외시장에서는 소아 유전체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데, 운동 유전체와 연계하여 소아의 유전체를 분석하여 개인별 맞춤 엘리트 스포츠 정보를 제공 및 선택할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하고, 소아에게 맞춤형 건강보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미국에서 소아의 건강보험 가입률은 2016년 기준으로 사보험 약 60%의 가입률을 기록하고 있으며, 공공보험은 약 35%의 가입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보험 가입률은 서서히 우상향을 나타내고 있으며, 보험 비가입률은 보험 가입률에 비하면 현저하게 줄어들고 있는데 약 4% 수준까지 기록하고 있습니다. 향후 국내에서 DTC 유전자 검사에 대한 규제가 완화되면 올바른 성장 발달을 위한 대형병원 성장 클리닉, 대형 보험회사, 영유아 복지센터, 영유아 건강검진 기관 등과의 협업을 통하여 지속적인 거래처를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
4.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 와의 관계 |
추천인 |
---|---|---|---|---|---|
조휘식 | 661202 | 여 | 부 | 해당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조휘식 | 1991.02 ~ 2005.01 2005.01 ~ 2023.12 |
전) 한국증권업협회 등록관리팀 팀장 전)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부 부장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조휘식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경영에 필요한 관련 분야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의 지속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을 기초로 독립적인 위치에 있어야 함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업무진행에 있어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립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이사회를 통하여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할 것입니다. 3. 직무수행 및 의사결정 기준 본 후보자는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경영진의 직무 수행을 감독하고, 고객 및 주주, 이해관계자 모두를 위한 합리적인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업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 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는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하여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함. |
확인서
![]() |
확인서_사외이사 조휘식_240516_날인본 |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