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4년 03월 12 일 | ||
회 사 명 : | (주)퀄리타스반도체 | |
대 표 이 사 : | 김 두 호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331번길 8 본사 609호 | |
(전 화) 02-555-3305 | ||
(홈페이지)http://www.q-semi.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 사 | (성 명) 유 승 환 |
(전 화) 02-555-3305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7기 정기) |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4조에 의하여 제7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다 음 - |
1. 일 시: 2023년 3월 29일(금) 오전 9시
2. 장 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331번길 8 킨스타워 (7층 대강당)
(※ 주차공간이 협소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바랍니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③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④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 안건
○ 제1호 의안: 제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제3호 의안: 사내이사 중임의 건
- 제3-1호 의안 : 김두호 사내이사 선임 (중임)
- 제3-2호 의안 : 최광천 사내이사 선임 (중임)
○ 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5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제6호 의안: 임원 퇴직금 규정 변경의 건
4.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소집통지서와 함께 우편으로 발송될 서면투표용지를 활용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주주는 의결권 행사에 관한 서면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하여 회의의 전일(2024.03.28(목) 18시 도착분에 한)까지 회사에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보내실곳: 우편번호 13558,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성남대로 331번길 8 킨스타워 609호, 주주총회 업무 담당자)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서면투표는 기권으로 간주합니다.
또한 위임장에 의겨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의결권 대리행사에 관한 사항은 DART에 공시된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참고서류” 및 당사 홈페이지(www.q-semi.com)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5항 단서규정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행사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시: 신분증
- 대리행사 시: 위임장(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신분증
7. 기타사항
-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와 당사 정관 제24조에 의거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주차공간이 협소하여, 별도의 주차권이 제공되지 않으니 대중교통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 의결권행사가 필요하신 주주님께서는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와 관련하여, 별도의 기념품 등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2024년 3월 12일 |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대표이사 김 두 호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서준혁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3-02-16 | 1. 제6기 사업연도에 대한 제무제표 승인의 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3. 제6기 정기주주총회 개최 소집의 건 |
찬성 |
2 | 2023-03-15 | 1. 준비금의 자본전입의 건 2. 코스닥 시장 상장 동의의 건 |
찬성 |
3 | 2023-03-21 | 1. 지멘스 멘토 PowerPro/Questa 라이선스 구매 건 | 찬성 |
4 | 2023-03-28 | 1. 기업은행 차입의 건 | 찬성 |
5 | 2023-05-19 | 1. Keysight MSOV334A 오실로스코프 장비 구매의 건 2. 주식매수선택 취소의 건 |
찬성 |
6 | 2023-07-25 | 1. 기업은행 차입의 건 2. 마이너스 통장 한도 설정 |
찬성 |
7 | 2023-08-21 | 1. 본점 이전의 건 | 찬성 |
8 | 2023-08-25 | 1. 사내 주요 규정 개정 안건 | 찬성 |
9 | 2023-09-06 | 1.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 발행의 건 | 찬성 |
10 | 2023-09-20 | 1. 우선배정의 건 | 찬성 |
11 | 2023-12-19 | 1. 정기예금 담보가입의 건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500 | - | - | - |
주1) 상기 인원 수는 2023년 말 기준 사외이사 인원수입니다.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시장의 특성
(가) 반도체 IP 시장 규모 및
성장성
반도체 IP 산업은 ①기술집약적 산업, ②활용 분야가 확대되고 있는 산업, ③경기변동 및
수요변화에 비탄력적인 산업 ④ 기술 수명이 긴 산업 등의 특징을 가집니다. 반도체 IP는 고도의 반도체 SoC 설계기술을 기반으로 SoC 개발업체에 기술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집약적 산업이며, 당사의 주력 제품인 초고속 인터페이스 IP는 초고속 인터커넥트를 위한 회로 설계 기술과 초미세 반도체 공정 회로 설계
및
검증 기술과 같은 고난이도 기술을 필요로 하는 고부가가치 제품입니다.
수요-공급 간 예측 오류로 인해 공급과잉이 발생하는 메모리 반도체와는 달리 주문형 생산의 특징으로 인해 시장에 대한 변동성이 상대적으로 낮으며, 광범위한 적용 분야, 높은 설계 기술 요구 등으로 수요 변화에 비교적 탄력적인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반도체 IP시장은 반도체 IP 업체가 IP 코어를 개발하여 반도체 칩 제조업체에 라이센스를 부여하는 공급사슬을 형성하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기술 수명이 길기 때문에 개발 기간이 오래 걸리지만 양산 제품을 출시하면 10년 이상 매출을 시현할 수 있습니다.
(A)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시장
반도체 IP 시장조사 전문기관 IPnest에 따르면 세계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시장은 2021년 기준 13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연평균 16.1%의 가파른 성장률을 보이면서, 2026년까지 2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표준규격별로는 PCIe와 DDR 규격의 점유율이 동일한 22%로 가장 큰 비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Ethernet 및
Die-to-die 인터페이스가 18%, USB 15%, MIPI 10%로 상위 5위까지의 표준규격이 전체 시장의 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달러) |
|
출처: IPnest,“IPnest Forecast Interface IP Category Growth to $2.5B in 2025”, 2022년 7월 |
초고속 인터페이스 IP의 성장이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는 이유는 초미세 공정에서 Hardmacro IP의 가격이 급상승하기 때문입니다. Hardmacro 가격을 결정짓는 주요 요소로는 시제품 제작 비용, EDA Tool 비용, 설계 비용 등이 있는데, 초미세 반도체 공정에서 이러한 비용이 급격하게 증가함에 따라 Hardmacro 인터페이스 IP의 가격도 동반 상승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초미세 공정에 맞는 Hardmacro IP를 개발하는 것이 기업의 부가가치를 높이는 사업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B) 하이엔드 인터페이스 IP 시장
하이엔드(High-end) 인터페이스 IP는 PCIe, DDR, Ethernet 및
Die-to-die 인터페이스 규격의 IP들과 같이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들로, 이들의 시장은 전체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시장보다 더욱 폭발적인 연평균 20.8%의 성장률이 기대됩니다.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 데이터 센터, AI
및
스토리지와 같은 데이터 중심(Data Centric) 산업 부문에서 초고속 인터페이스 IP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DDR 계열(DDR, GDDR, LPDDR, HBM 등), PCIe 계열(PCIe, CXL 등), Ethernet
및Die-to-die 계열(100G SERDES, UCIe 등)과 같은 하이엔드 인터페이스 IP가 전체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단위 : 백만달러) |
|
출처: IPnest,“IPnest Forecast Interface IP Category Growth to $2.5B in 2025”, 2022년 7월 |
시장 추정 기간 PCIe와 DDR 표준규격의 시장은 동일하게 22%, Ethernet 및
Die-to-die 시장은 19%의 연평균 성장률이 전망되고 있으며, 당사는 Multi-level Signaling SERDES 기술을 적용한 PCIe 6.0과 Ethernet용 100G SERDES를 기반으로 더 빠른 성장을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는 데이터 센터, 스토리지, 유무선 네트워킹
및
AI 애플리케이션 응용 분야에서 넓은 대역폭을 요구하는 동시에 초고속 인터페이스를 위한 PCIe, Ethernet, SERDES 등의 기술 수요가 높은 것에 기인합니다. 1M, 10M, 100M, 1G 등 낮은 전송속도의 Ethernet보다는 50G
및
100G SERDES와 같은 높은 전송속도의 IP들이 부가가치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이끌어나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광통신 부품 시장 규모 및
성장성
당사는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및
Design Service를 제공하고 있으며, 이를 근간으로 하는 초고속 인터커넥트의 토털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광통신용 SoC와 이를 탑재한 광통신 모듈까지 사업을 확장해나가고 있습니다. 당사의 초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은 크게 데이터 센터와 디스플레이 응용분야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AR/VR
및
자동차 분야로도 확대될 전망입니다.
데이터 센터 내부 인터커넥트를 위해 사용되는 유선 케이블의 형태로는 트랜시버, AOC(Active Optical Cable), DAC(Direct Attach Copper) 형태가 대표적입니다. 당사는 AOC 모듈의 핵심이 되는 채널당 50Gb/s급 Optical Front-End(OFE) IC와 Retimer IC를 개발 및
제품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IC를 적용한 AOC 제품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달러) |
|
출처: Allied Market Research,“ACTIVE OPTICAL CABLE MARKET - Global Opportunity Analysis and Industry Forecast, 2021-2028”, 2021년 5월 |
(2) 시장 규모 및 전망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하여 반도체 산업은 인공지능,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가상현실, 자율주행 등을 구현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반도체 기술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은 인공지능 컴퓨팅을 위한 지능형 반도체 시대로 급격한 패러다임 전환시기를 맞고 있으며, 이를 위해 국가별, 글로벌 기업별로 차세대 반도체인 지능형 반도체의 연구개발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서비스 성장에 따른 지능형 ICT 융합 제품 수요도 증가하여 반도체 시장은 지능형 반도체 중심으로 재편될 것으로 전망되며, 고성능, 저전력, 초경량 등 지속적인 성능 향상과 더불어 생산비용 절감 노력은 기존 반도체에 대한 대체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2000년대 모바일 폰의 대중화와 더불어 발전한 컴포넌트 반도체는 2010년대 스마트폰 혁명에 의한 AP 등의 시스템반도체로 발전하였으며, 2020년 이후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 시대에서는 이러한 시스템반도체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부각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글로벌 반도체 시장은 2020년 기준 $474B 규모로 전망되며, 이중 시스템반도체 시장은 $270B(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2배 이상)로 추정됩니다. 시스템반도체 시장은 향후 AI, IoT, 자율주행차 등 4차 산업혁명을 위한 핵심부품으로 지속 성장 전망됩니다
(단위: 십억달러) |
|
출처: WSTS(2020.12), IC Insights 및 수출입은행 |
반도체 IP 중에서도 초고속 인터페이스 IP는 SoC를 개발하는데 있어 필수재의 성격을 띠며, 모바일, 디스플레이, 인공지능, 자동차 등 모든 응용분야에서 SoC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초고속 인터페이스 IP가 시스템 반도체 및
파운드리 산업의 핵심 인프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IP 시장조사 전문기관 IPnest에 따르면 세계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시장은 2021년 기준 13억 달러 규모로 추정되며, 연평균 16.1%의 가파른 성장률을 보이면서, 2026년까지 27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표준규격별로는 PCIe와 DDR 규격의 점유율이 동일한 22%로 가장 큰 비중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Ethernet 및
Die-to-die 인터페이스가 18%, USB 15%, MIPI 10%로 상위 5위까지의 표준규격이 전체 시장의 8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하이엔드(High-end) 인터페이스 IP는 기술적 난이도가 높은 고부가가치 제품들로, 이들의 시장은 전체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시장보다 더욱 폭발적인 연평균 20.8%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관계 및 계절성 등
(1) 경기변동과의 관계
반도체 산업은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반 산업이며, 경기 변동이 전반적인 반도체 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인해 당사의 사업에 간접적인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영위하는 반도체 설계 및
인터커넥트 분야는 인프라 구축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어 경기 변동에 비교적으로 덜 민감한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기반 기술로 사용되기 때문에, 반도체 산업은 경기변동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는 자동차, 컴퓨터, 스마트폰, 가전제품, 의료 기기 등 거의 모든 전자 제품에 탑재되고 있어, 전방 수요의 증감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경기가 호황일 때, 기업과 소비자들은 더 많은 제품을 구매하고 투자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반도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며, 반도체 산업도 호황을 누릴 수 있습니다. 반면, 경기가 불황일 때는 기업과 소비자들이 소비와 투자를 줄이려는 경향이 있어 반도체 수요가 감소하고, 반도체 산업의 성장이 둔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반도체 산업은 기술 혁신의 주기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되거나 새로운 제품이 출시될 때, 반도체 수요가 급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5G 통신이나 인공지능, 자율주행 등 신기술이 상용화되면서 관련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반도체 산업은 기술이 고도화되면서 기술적 배타성으로 인해 국가의 전략적 자원 요소로 부상하였습니다. 또한 반도체가 국방산업에 깊게 관여하게 되어 안보와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게 되었으며, 이로 인해 국제 정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 요인들로 인해 최근 반도체 산업의 경기 변동은 다양하고 복잡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도체 산업이 전반적으로 경기 변동 및
외부요인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당사가 영위하는 반도체 설계
및
인터커넥트 분야는 반도체 산업의 인프라 기술에 해당하기 때문에, 비교적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는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설계는 일반적으로 2년에서 5년 정도의 장기 프로젝트로 진행되며, 따라서 현재의 경기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기보다는 미래 예측되는 수요에 따라 움직이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설계 산업은 기술 혁신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은 분야이기 때문에 기업들은 기술 경쟁력에서 뒤쳐지지 않기 위해 경기가 좋지 않은 시기에도 반도체 설계기술 개발에 대한 수요 및
투자를 지속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메모리 반도체와 달리 반도체 설계 분야는 주문형 생산의 특징을 가지고 있어 수요-공급 예측 오류로 인한 공급과잉 문제가 상대적으로 적게 발생합니다. 또한, 반도체 설계 분야는 광범위한 적용 분야와 높은 설계 기술 요구 사항 등으로 인해 수요 변화에 비교적 탄력적으로 대처할 수 있음에 따라,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덜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 계절적 요인
일반적으로 반도체 산업은 계절적 특성을 가지는 전자제품의 수요에 따라 어느 정도 영향을 받으나, 당사가 영위하는 초고속 인터커넥트 사업은 반도체 생태계에서 인프라 산업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어 전방산업의 중장기 수요
및
투자 계획에 가장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단기적 요인인 계절적 요인과 직접적인 관련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반도체 IP 라이센싱 사업은 실물의 제품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별도의 재고없이 롱테일(Long-Tail) 형태의 비즈니스가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게 됩니다.
반도체 공정의 수명은 10년 이상으로 매우 길고, 응용 분야에 따라 SoC가 주로 사용하는 공정이 달라 노후 공정에서도 지속적인 SoC 개발이 이루어지므로, 개발된 반도체 IP 제품에 대해 지속적으로 라이센싱 수익이 발생합니다.
전력소모 절감이 중요한 모바일 분야와 극한의 고성능을 필요로 하는 인공지능 분야의 SoC는 FinFET 공정에서도 최선단의 5nm 이하 공정으로 가장 많이 개발됩니다.
최근 부각되고 있는 차량용 분야는 안전성과 극한의 동작환경에 대한 신뢰성이 중시되므로, 최선단 공정보다는 28nm~5nm 정도의 공정으로 많이 개발되는 추세입니다.
디스플레이 분야는 개별 부품의 가격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FinFET보다는 다소 가격대가 낮은 45nm, 28nm 등 CMOS 공정이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초기 공정에서 IP를 확보하는 전략을 추구하고 있으며, 모바일/인공지능 분야에서 SoC 개발업체에 라이센싱하여 양산이력을 확보하고, 이후 다른 분야에서도 지속적인 수익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2년에도 2010년대 초반에 개발된 anm 공정에서 MIPI D-PHY IP를 라이센싱하였으며, 2010년대 중반에 개발된 bnm, cnm 공정에서도 지속적인 반도체 IP 라이센싱 수익을 거두고 있습니다.
dnm, enm 공정 반도체 IP 제품의 사용빈도는 아직 낮지만, 초기 공정일수록 IP License Fee 가격이 높아 고부가가치의 매출이 발생하고 있으며, 시간이 지나면서 bnm, cnm 제품에 비해 더욱 높은 수익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초고속 인터커넥트(Interconnect) 기술은 둘 이상의 개체가 방대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상호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첨단 ICT 기술의 확산과 더불어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에 따라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인터커넥트, 즉 “상호연결”은 둘 이상의 전자 장치 또는 네트워크 간의 물리적 혹은 논리적 연결 및
연결을 설정하는 행위를 의미하며, 이를 통해 전자기기들은 서로의 데이터를 공유하고 긴밀하게 연동되어 동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인터커넥트 중에서도 수백Mb/s 이상의 전송속도를 가지는 것을 초고속 인터커넥트로 분류할 수 있으며, 광대역 인터넷을 비롯하여, USB, HDMI와 같은 일반적인 기기 간 연결, 더 좁게는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기기 내부의 통신에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초고속 인터커넥트를 위한 반도체 회로를 초고속 인터페이스(High-speed Interface, HSI) 회로라고 부르며, 반도체 IP 시장에서는 주로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혹은 SERDES IP라는 카테고리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초고속 인터커넥트 기술 중 초고속 인터커넥트 반도체 설계 기술과 초미세 반도체 공정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바탕으로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및
Design Service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의 대표적인 분야인 인공지능, 모바일, 자율주행,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ICT 기술이 출현하여 시스템 반도체 산업에서 초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이 부각되고 있는 상황에서 향후 시장이 크게 개화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초고속 인터커넥트에 집중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초미세 반도체 공정인 FinFET 공정에 설계
및
검증 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최첨단 반도체 공정에서의 개발
및
양산이력을 확보하여, 이후 GAAFET 등 계속하여 최첨단 반도체 공정에서 사업을 전개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IP(Intellectual Property, 지적재산권)는 SoC(System On Chip),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SP(Application Specific Standard Product)와 같은 반도체 IC 제품의 일부로 포함되는 부분회로에 대한 지적재산권을 의미하며,설계도면, 사용설명서, 동작특성 검증결과 등 사용에 필요한 모든 정보를 포함합니다. IP 라이센싱 사업은 SoC 등을 설계하는 고객사에게 인터페이스 IP를 제공하는 사업으로, 고객사의 수요에 따른 인터페이스 부분회로를 설계하여 설계도면, 사용설명서,동작특성 검증결과 등을 포함한 지적재산권을 부여하고 대가를 받는 사업입니다.
고객사는 당사가 개발한 인터페이스 IP를 사용함에 따라 직접 인터페이스 IP를 개발할 필요 없이, 고객사가 설계하고 있는 SoC 등에 검증 완료된 IP를 사용함으로써 자체적으로 IP를 개발하는데 필요한 인력과 비용, 개발기간을 절감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반도체 IP 중 인터페이스 IP인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 IP, Display Chipset IP,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IP, Multi-level Signaling SERDES IP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SoC 개발사 및
디자인하우스 등을 대상으로 IP 라이센싱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20년부터 지속적으로 다수의 IP를 양산함에 따라 안정적인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초고속 인터커넥트(Interconnect) 기술은 둘 이상의 개체가 방대한 데이터를 전달하는 상호연결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첨단ICT 기술의 확산과 더불어 폭증하는 데이터 트래픽(Data Traffic)에 따라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초고속 인터커넥트 기술이 연결하는 거리에 따라 동작하는 환경과 요구하는 특성이 달라지기 때문에, 이를 규정하는 다양한 규격이 배포되었으며, 응용분야에서 요구하는 전송속도의 상향에 맞추어 주기적으로 규격의 업데이트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출처 : 당사 내부 자료
당사가 보유한 초고속 인터커넥트의 핵심기술인 서데스(SERDES) 기술은 SoC 내부의 저속 병렬 데이터를 직렬화 하여 하나의 채널에서 초고속으로 전송하는 기술로 USB, HDMI, Displayport, MIPI, PCIe, Ethernet 등 대부분의 규격에 적용되고 있는 기술로 현재 대부분의 초고속 인터커넥트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
출처 : 당사 내부 자료
당사에서는 서데스(SERDES) 회로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설립하여, 초고속 인터커넥트를 위한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제품을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Box-to-box, On-board, Die-to-die와 같은 단거리 응용분야를 중심으로 초고속 인터커넥트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가. 주요 제품 설명
구분 |
IP |
제품설명 |
초고속 인터페이스 IP 라이센싱 |
MIPI IP | - MIPI Alliance에서 제정한 대표적인 인터페이스 규격으로 모바일 AP와 카메라를 연결하는 카메라 CSI, 그리고 모바일 AP와 디스플레이 기기를 연결하는 DSI, 그리고, 두 가지 인터페이스에서 실제로 전송을 수행하는 D-PHY와 C-PHY를 들 수 있습니다. - 당사는 MIPI IP에 대한 전문성과 설계 및 검증 경험을 바탕으로, 다양한 초미세 FinFET 반도체 공정에 풍부한 양산 이력을 가진 다수 MIPI IP를 확보하고 있으며, 이 IP들을 파운드리를 이용하는 고객, 즉 SoC 개발업체에 라이센싱하고 있습니다. |
PCIe IP | - PCIe(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press) 규격은 PC와 주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직렬 인터커넥트 기술로, 향후 CXL, UCIe 등과 같은 규격에서 PCIe 규격의 PHY 또는 컨트롤러 규격을 그대로 채용하는 등 적용 영역이 점차 넓어질 전망입니다. -PCIe PHY IP는 Hardmacro IP로, 공정 특성에 절대적인 영향을 받으므로 각 공정 노드에 독립된 PHY IP를 별도로 개발하여야 하며, 당사는 cnm, dnm 공정의 PCIe 4.0 PHY IP를 라이센싱하고 있으며, PCIe에 대한 종합적인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더욱 큰 부가 가치를 창출해나갈 계획입니다. |
|
디스플레이 칩셋 인터페이스 IP |
- 영상매체 시청의 중심이 Laptop, Tablet PC, Smartphone 등 Mobile 기기로 이동하면서, 디스플레이 패널 제품이 다변화됨에 따라 응용분야별, 고객사별 최적화의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에 탑재되는 Display Chipset 또한 새로운 성장동력을 얻고 있습니다. - 당사는 TCON(Timing Controller) 인터페이스 IP와 Intra-Panel 인터페이스 IP를 양산하고 있으며, 고화질 영상데이터 전송을 위한 초고속 인터페이스의 IP의 확보가 디스플레이 칩셋 개발에 중요한 과제로 부각됨에 따라 SoC 탑재 이력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
|
Multi-Level Signaling SERDES PHY IP |
- 유선 인터커넥트 환경에서 일반적인 디지털 통신은 단위 시간에 0, 1 중 하나의 값을 전송하는 NRZ(Non-Return-to-Zero) 방식이었으나, 단위 시간에 0, 1, 2, 3 중 하나의 값을 전송하는 PAM4(Pulse Amplitude Modulation 4-level) 방식과 같은 Multi-Level Signaling을 통해 대역효율을 개선하는 기술이 초고속 인터페이스 규격에 채택되기 시작했습니다. - 당사는 초고속 Multi-Level Signal SERDES IP로 100G SERDES PHY와 PCIe 6.0 PHY를 개발하고 있으며, 각각의 IP가 목표로 하는 응용분야에 따라 아날로그 회로 방식과 DSP 방식으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
IP Design Service |
IP 설계 (아날로그, 디지털), IP Test Chip 개발, IP Test Chip 검증 및 IP 기술지원 서비스 |
- (IP 설계) 당사는 가장 핵심 경쟁력인 고경력 회로 설계 엔지니어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아날로그/디지털 회로 설계, Full-custom Layout 설계, Back-end 설계 및
신뢰성 시뮬레이션 검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IP Test Chip 개발) 당사는 반도체 공정의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 Hardmacro IP의 기능 및
신뢰성 개선을 목적으로 IP 검증을 위한 제한적 용도의 IC인 IP Test Chip을 개발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IP 기술지원) 당사는 초고속 인터페이스 규격과 공정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SoC 개발업체를 대상으로 수요처의 요구사항을 분석하고 상세한 IP 동작조건 및 SoC 개발일정을 협의하는 IP 기술지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
(5) 조직도
![]() |
조직도 |
※ 조직도는 2023년 12월 31일 기준입니다.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Ⅲ.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아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이 감사진행 중인 재무제표로 감사과정 및 주주총회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으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및 주석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정기주주총회 1주 전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게시 예정인 당사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 |
제7(당)기말 2023년 12월 31일 현재 | |
제6(전)기말 2022년 12월 31일 현재 | |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 (단위: 원) |
과 목 |
제7(당)기말 |
제6(전)기말 |
자 산 | ||
I. 유동자산 | 33,386,607,421 | 7,920,067,303 |
현금및현금성자산 | 25,534,952,631 | 5,060,046,864 |
매출채권 | 1,153,926,155 | 709,199,400 |
계약자산 | 3,064,830,753 | 138,081,798 |
기타금융자산 | 1,606,253,699 | 1,024,717,707 |
기타유동자산 | 1,993,947,313 | 972,643,574 |
당기법인세자산 | 32,696,870 | 15,377,960 |
II. 비유동자산 | 7,325,066,057 | 6,209,562,95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42,295,698 | 5,919,600 |
유형자산 | 4,013,016,847 | 2,770,300,768 |
사용권자산 | 2,115,115,750 | 1,781,880,011 |
무형자산 | 414,483,336 | 123,311,137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368,546,996 | 477,972,464 |
기타비유동자산 | 371,607,430 | 364,086,472 |
이연법인세자산 | - | 686,092,500 |
자 산 총 계 |
40,711,673,478 | 14,129,630,255 |
부 채 | ||
I. 유동부채 | 10,643,760,255 | 6,651,754,265 |
단기차입금 | 5,000,000,000 | - |
유동성장기부채 | - | 27,700,000 |
계약부채 | 1,024,361,987 | 2,633,675,508 |
유동리스부채 | 713,424,610 | 469,797,724 |
유동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890,971,241 |
기타금융부채 | 2,817,351,597 | 1,718,592,070 |
기타유동부채 | 624,573,605 | 688,861,642 |
충당부채 | 464,048,456 | 222,156,080 |
II. 비유동부채 | 2,345,412,719 | 11,462,043,966 |
상환전환우선주부채 | - | 8,640,660,778 |
비유동리스부채 | 1,129,674,563 | 903,871,501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71,350,000 | 483,720,000 |
충당부채 | 585,885,075 | 351,377,649 |
순확정급여부채 | 458,503,081 | 1,082,414,038 |
부 채 총 계 | 12,989,172,974 | 18,113,798,231 |
자 본 | ||
I. 자본금 | 5,453,920,000 | 57,530,000 |
II. 주식발행초과금 | 38,026,216,104 | 251,341,476 |
III. 기타자본항목 | 840,145,282 | 3,547,255,415 |
IV. 결손금 | (16,597,780,882) | (7,840,294,867) |
자 본 총 계 | 27,722,500,504 | (3,984,167,976)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40,711,673,478 | 14,129,630,255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7(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12월 31일까지 | |
제6(전)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 (단위: 원) |
과 목 |
제7(당)기 |
제6(전)기 |
I. 영업수익 | 10,774,541,164 | 10,789,274,729 |
II. 영업비용 | 21,960,973,895 | 14,460,301,517 |
III. 영업손실 | (11,186,432,731) | (3,671,026,788) |
금융수익 | 362,558,576 | 473,863,562 |
금융비용 | 1,048,336,116 | 1,445,476,428 |
기타수익 | 4,425,566,499 | 2,263,962,217 |
기타비용 | 46,837,254 | 17,246,688 |
IV.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7,493,481,026) | (2,395,924,125) |
법인세비용 | 615,024,613 | (114,849,654) |
V. 당기순손실 | (8,108,505,639) | (2,281,074,471) |
VI. 기타포괄손익 | (648,980,376) | (71,727,142)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요소 | (648,980,376) | (71,727,142) |
VII. 총포괄손실 | (8,757,486,015) | (2,352,801,613) |
VIII. 주당손익 | ||
기본주당순손실 | (960) | (355) |
희석주당순손실 | (960) | (355) |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 |
제7(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12월 31일까지 | |
제6(전)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 (단위: 원) |
과 목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결손금 | 자본총계 |
2022.01.01(전기초) |
55,865,000 | 205,296,114 | 1,418,194,424 | (5,487,493,254) | (3,808,137,716) |
상환전환우선주의 전환 | 1,665,000 | 46,045,362 | - | - | 47,710,362 |
전환권대가 | - | - | 295,459,850 | - | 295,459,850 |
주식보상비용 | - | - | 280,319,013 | - | 280,319,013 |
상환전환우선주의 발행 | - | - | 1,553,282,128 | - | 1,553,282,128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손실 |
- | - | - | (2,281,074,471) | (2,281,074,471) |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요소 |
- | - | - | (71,727,142) | (71,727,142) |
총포괄손익 합계 | - | - | - | (2,352,801,613) | (2,352,801,613) |
2022.12.31(전기말) | 57,530,000 | 251,341,476 | 3,547,255,415 | (7,840,294,867) | (3,984,167,976) |
2023.01.01(당기초) |
57,530,000 | 251,341,476 | 3,547,255,415 | (7,840,294,867) | (3,984,167,976) |
유상증자 | 927,000,000 | 29,002,869,036 | - | - | 29,929,869,036 |
무상증자 | 4,095,300,000 | (4,118,861,498) | - | - | (23,561,498) |
상환전환우선주의 전환 | 324,090,000 | 12,855,593,059 | (3,043,606,352) | - | 10,136,076,707 |
주식보상비용 | - | 336,496,219 | - | 336,496,219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50,000,000 | 35,274,031 | - | - | 85,274,031 |
총포괄손익: | - | ||||
당기순손실 |
- | - | - | (8,108,505,639) | (8,108,505,639) |
확정급여제도 재측정요소 |
- | - | - | (648,980,376) | (648,980,376) |
총포괄손익 합계 | - | - | - | (8,757,486,015) | (8,757,486,015) |
2023.12.31(당기말) | 5,453,920,000 | 38,026,216,104 | 840,145,282 | (16,597,780,882) | 27,722,500,504 |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 |
제7(당)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12월 31일까지 | |
제6(전)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12월 31일까지 | |
주식회사 퀄리타스반도체 | (단위: 원) |
과 목 |
제7(당)기 |
제6(전)기 | ||
I.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1,267,798,428) | 322,045,552 | ||
영업활동에서창출된현금흐름 | (11,164,219,828) | 261,134,101 | ||
이자의 수취 | 51,328,791 | 99,976,733 | ||
이자의 지급 | (137,588,481) | (25,632,742) | ||
법인세의 납부 | (17,318,910) | (13,432,540) | ||
II.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709,045,692) | (3,314,974,844)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33,823,194,448 | 3,614,753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33,708,617,548) | (31,055,689)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 | 3,000,000,000 |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165,000,000) | (4,000,000,000) | ||
보증금의 감소 | 409,800,000 | 130,040,000 | ||
보증금의 증가 | (505,514,180) | (300,000,000) | ||
유형자산의 취득 | (2,351,402,505) | (2,082,709,054) | ||
유형자산의 처분 | 3,500,000 | - | ||
무형자산의 취득 | (353,148,658) | (34,864,854) | ||
선급리스료의 증가 | (13,237,610) | -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151,380,361 | - | ||
III.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4,436,770,691 | 4,968,464,035 | ||
유상증자 | 31,518,000,000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50,000,000 | -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5,000,000,000 | -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 (1,600,000,000)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27,700,000) | (33,240,000) | ||
상환전환우선주부채의 발행 | - | 6,998,052,608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 | 50,000,000 | ||
리스부채의 상환 | (486,941,603) | (446,348,573) | ||
신주발행비 등 | (1,616,587,706) | - | ||
IV. 현금의 증가 | 20,459,926,571 | 1,975,534,743 | ||
V. 기초의 현금 | 5,060,046,864 | 3,017,256,441 | ||
VI. 외화표시현금의 환율변동효과 | 14,979,196 | 67,255,680 | ||
VII. 기말의 현금 | 25,534,952,631 | 5,060,046,864 |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제 7(당)기 | 2023년 1월 1일 부터 | 제 6(전)기 | 2022년 1월 1일 부터 |
2023년 12월 31일 까지 | 2022년 12월 31일 까지 | ||
처리예정일 | 2024년 03월 29일 | 처리확정일 | 2023년 03월 31일 |
(단위 : 원) |
과 목 | 당기 | 전기 | ||
Ⅰ. 미 처 리 결 손 금 | (16,597,780,882) | (7,840,294,867) | ||
1. 전 기 이 월 미처리결손금 | (7,840,294,867) | (5,487,493,254) | ||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648,980,376) | (71,727,142) | ||
3. 당기순손실 | (8,108,505,639) | (2,281,074,471) | ||
Ⅱ. 이익잉여금 처분액 | - | - | - |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6,597,780,882) | (7,840,294,86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주석사항은 3월 21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별도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1조 (주식매수선택권)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한 경우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
제11조 (주식매수선택권)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3년 이상 재임한 경우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3년내에 사망하거나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한 자는 그 행사기간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할 수 있다. |
우수인재확보 목적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두호 | 1981.06.14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본인 | 이사회 |
최광천 | 1983.10.03 | 사내이사 | 해당없음 | 특수관계인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두호 | 퀄리타스반도체 대표이사 | 2017.02 ~ 현재 2016.01 ~ 2016.07 2015.02 ~ 2015.12 2011.03 ~ 2015.01 |
現 퀄리타스반도체 대표이사 한국신용정보원 기술정보부 선임조사역 전국은행연합회 기술정보부 과장 삼성전자 반도체사업부 책임연구원 |
해당없음 |
최광천 | 퀄리타스반도체 AE개발팀장 | 2017.02 ~ 현재 2014.03 ~ 2017.01 |
現 퀄리타스반도체 AE 개발팀장 삼성전자 System LSI 사업부 책임연구원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김두호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최광천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김두호 사내이사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자 김두호는 (주)퀄리타스반도체의 현재 대표이사로써 반도체 IP 사업분야 및 회사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견인해왔으며, 회사 조직에 대한 높은 이해를 바탕으로 회사의 지속성장과 발전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하는바, 사내이사로써 재선임을 추천합니다. [최광천 사내이사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사내이사 후보자 최광천은 (주)퀄리타스반도체의 최초 창업자 2인 중 한 명으로, 삼성전자에서 초고속 인터페이스 IP의 개발 및 사업화를 진행했던 풍부한 경험과 지식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IP산업 분야 및 회사전반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회사의 성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사내이사로써 재선임을 추천합니다. |
확인서
![]() |
확인서_김두호_사내이사 |
![]() |
확인서_최광천_사내이사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32백만원 |
최고한도액 | 1,50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5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백만원 |
최고한도액 | 5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기타 주주총회의 목적사항
가. 의안 제목
임원퇴직금 지급 규정 개정의 건
나. 의안의 요지
DC형 퇴직연금 도입에 따른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개정
다. 변경(안)
변경 전 | 변경 후 | 개정사유 | ||||||||||||||||||
제 1 조
(목적
)
이 규정은 ㈜퀄리타스반도체(이하
“회사
”라 함
) 임원의 퇴직금 산정과 지급에 관한 사항을 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
(현행과 동일)
|
|
||||||||||||||||||
제2 조
(적용 범위
)
본 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는 임원이라 함은 임원으로서 회사의 경영에 실질적으로 참여하는 아래의 자를 말한다.
①당사의 회장, 사장
, 부사장
, 이사장
, 대표이사
, 전무이사
, 상무이사
, 감사로서 상근인 이사회의 구성원 전원
|
제2 조
(적용 범위
)
본 규정의 적용대상이 되는 임원이라 함은 등기 임원 중 상근 임원을 의미하며, 임원에 준하는 대우를 받더라도 별도의 계약에 의하여 업무를 제공하는 자는 그 별도의 계약에서 특별히 정하지 않는 한
, 본 규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
적용 대상이 되는 임원을 명확히 하기 위함.
|
||||||||||||||||||
제3 조
(지급사유
)
본 규정의 퇴직금은 근속기간 만 1년 이상의 임원이 다음 각 호에 사유로 퇴직하는 경우에 지급한다
.
① 임기만료 퇴임
② 사임
③ 재임 중 사망
④ 퇴직
⑤ 기타 이에 준하는 사유로 면직할 경우
⑥ 장기요양 등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한 사유로 인한 퇴직급여 중간정산
|
제3 조
(지급사유
)
본 규정의 퇴직금은 재임기간 만 1년
이상의 임원이 퇴임하는 경우에 지급한다. 만약
, 임원의 재임기간이
1년 미만이고
, 회사에서 임원에 대하여 납부한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이 있다면
, 위 금액은 회사로 귀속시킨다
.
|
지급 내용을 정리하고, 1년미만 재임 시 회사로 귀속되는 내용을 추가함
.
|
||||||||||||||||||
(신설)
|
제4조
(재임기간의 계산
)
①기간은 등기임원으로 재임한 기간으로 한다.
②재임기간은임용일로부터 달력에 의하여 년으로 계산하며, 1년 미만의 단수가 있을 때에는 일할 계산한다
.
|
재임기간 산정방법을 정의함.
|
||||||||||||||||||
(신설)
|
제5조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
)
회사는 회사가 운영하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따라 임원에게 퇴직금을 지급하고, 임원은 회사가 운영하는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가입하며
, 임원은 회사의
‘확정기여형퇴직연금제도규약
’의 적용을 받는다.
|
조문 번호 변경.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따른 적용내용 추가함.
|
||||||||||||||||||
제4조
(임원의 퇴직금 산정 및 지급
)
① 임원의 퇴직금은 아래 식에 따른다.
-
퇴직금 = 평균임금
X 재임연수
X 지급률
② 제1항의 평균 임금은 퇴직일 기준으로
3개월간의 급여총액을
3등분한 금액과 퇴직발령일로 부터
소급하여 1년 이내에 지급한 연봉계약서상에 정기상여금
(인센티브 등은 제외
)을
12등분한 금액을
합한 것을 말한다.
③ 제1항의 재임연수는 등기임원으로 재직한 기간을 의미하여
, 기간 계산에 있어
1년 미만의 단수가
있는 경우 일할 계산한다.
④ 임원퇴직금의 지급률은 다음과 같다.
1.
대표이사, 회장
, 사장
200%
2. 부사장, 전무이사 200%
3. 상기 1, 2 및 감사를 제외한 모든 임원 150%
4. 감사 100%
|
제6조
(임원의 퇴직금 산정 및 지급
)
①
임원에 대한 매 해 회사의 확정기여형 퇴직연금 부담금은 퇴직금 산출기준액에 기준지급율을 곱한 금액으로 하며, 회사는 이를 납부한다
.
②
퇴직금 산출기준액은 회사와 임원이 체결한 임원 위촉계약서에 따라서, 1년 동안
(매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를 의미한다
.) 지급한 보수액
(임원 위촉계약서에서 보수로 명시된 특정 금액을 의미하며
, 상여금
, 인센티브 등을 제외한다
.)을
12등분한 금액으로 한다
.
③
임원퇴직금의 기준지급률은 다음과 같다.
1.
대표이사 200%
2. 이사 200%
3. 감사 100%
|
조문 번호 변경.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따른 용어를 정리함
.
|
||||||||||||||||||
제5조
(지급제한
)
업무와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거나 회사의 명예나 신용을 훼손하거나 손실을 초래하는 귀책사유로 인하여 파면, 면직요구
, 해임 권고 또는 징계 면직 상당의 결정통보를 받은 자에 대하여는 퇴직금을 감액 또는 지급하지 아니한다
.
|
제7조
(지급제한
)
업무와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대한 과실에 의한 불법행위로 금고 이상의 형을 받거나 회사의 명예나 신용을 훼손하거나 손실을 초래하는 귀책사유로 인하여 파면, 면직요구
, 해임
, 해임 권고 또는 징계면직 상당의 결정통보를 받은 자에 대하여는 이사회의 결정에 따라서
, 퇴직금을 감액 또는 지급하지 아니한다
. 만약
,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의 운영으로 이미 퇴직금을 지급받는 경우에는 회사 이사회가 정한 금액을 즉시 회사에 즉시 반환한다
.
|
조문 번호 변경 및 퇴직연금제도 운영에 따라 기지급된 퇴직금 반환 문구 추가함.
|
||||||||||||||||||
제6조
(사망자의 퇴직금 지급
)
임원의 사망으로 인하여 퇴직한 자의 퇴직금은 유족에게 지급할 수 있으며, 유족보상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임원을 피보험자로 한 보험계약의 보험금으로 대신하여 지급할 수 있다
.
|
제8조
(사망자의 퇴직금 지급
)
임원의 사망으로 인하여 퇴직한 자의 퇴직금은 유족에게 지급할 수 있으며, 유족보상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임원을 피보험자로 한 보험계약의 보험금으로 대신하여 지급할 수 있다
.
|
조문 번호 변경
|
||||||||||||||||||
제7조
(규정의 개폐
)
본 규정은 정관의 일부로서 존재함으로 규정의 개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서만 가능하다
|
제9조
(규정의 개폐
)
본 규정은 정관의 일부로서 존재함으로 규정의 개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서만 가능하다
|
조문 번호 변경
|
||||||||||||||||||
부 칙
|
||||||||||||||||||||
제1조
(시행일
)
이 규정은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득한 후 2024년
4월
1일부터 시행한다
.
|
제1조
(시행일
)
이 규정은 주주총회에서 승인을 득한 후 2024년
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
|
주주총회 일로 변경
|
||||||||||||||||||
제2조
(경과규정
)
이 규정은 시행 이전에 선임된 임원에 대해서도 적용한다
제정일자 : 2020년
4월
1일
개정일자 : 2022년 6월 13일
|
제2조
(경과규정
)
이 규정은 시행 이전에 선임된 임원에 대해서도 소급하여 적용하며, 회사는 개정 규정의 시행일 현재 재임 중인 임원의 과거 재임기간도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의 가입기간에 포함하여,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에 따른 부담금을 지급한다
.
단
, 퇴직금을 미리 정산한 기간은 확정기여형 퇴직연금제도의 가입기간에게 제외한다
.
|
퇴직연금제도 도입에 따른 경과규정의 적용을 명확히 하기 위함.
|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4.03.21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 전인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회사 홈페이지(www.q-semi.com)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에 제출된 사업보고서를 활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가능한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개최하고자 노력하였으나, 정기주주총회 안건의 세부내용 확정 및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를 위한 일정 등을 고려하여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4년 3월 29일에 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