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기 보 고 서





                                   (제 22 기 3분기)

사업연도 2023년 01월 01일 부터
2023년 09월 30일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23 년  11 월  14 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주권상장법인


면제사유발생 :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LG전자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배 두 용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트윈타워

(전  화) 02-3777-1114

(홈페이지) https://www.lge.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회계담당           (성  명) 이 홍 수

(전  화) 02-3777-3432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이미지: 확인서

확인서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2. 회사의 연혁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3. 자본금 변동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4. 주식의 총수 등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5. 정관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연결회사의 보고부문인 사업본부는 서로 다른 제품과 용역을 제공하는 전략적 사업단위입니다. 각 사업은 서로 다른 기술과 마케팅전략에 따라 별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각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
습니다.

사업부문 약 칭 주요 생산 및 판매 제품 유형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A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등
Home Entertainment HE TV, Audio, 홈뷰티기기 등
Vehicle component Solutions VS 자동차 부품 등
Business Solutions BS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LG이노텍㈜와 그 종속기업 이노텍 카메라모듈, 기판소재 등
기타부문 기타 설비 제작 등


H&A사업부문의 주요 제품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이며, 건조기, 정수기, 공기청정기 등 건강ㆍ위생ㆍ스마트가전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H&A사업부문의 제22기 3분기(이하 생략) 매출액은 234,646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약 38.4%를 차지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인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의 매출액은 177,562억원으로 H&A사업부문 매출액의 약 7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Steel, Resin, Copper 등이 주요 원재료이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HE사업부문과 BS사업부문은 TV, Audio, 모니터, PC,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등 주로 영상 및 관련기기들을 생산ㆍ판매하며, 양 개 사업부문의 매출액은 142,181억원으로 전체 매출액 대비 약 23.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인 영상기기의 매출액은 119,093억원으로 양 개 사업부문 매출액 대비 83.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LCD 모듈 및 Chip 등이 주요 원재료이며, 멕시코, 폴란드, 인도네시아, 중국 등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텔레매틱스, AV, AVN 등 차량용 부품을 생산ㆍ판매하는 VS사업부문의 매출액은 75,545억원이며, 매출 비중은 약 12.4%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LCD 패널, Chip 등 이며, 주요 생산지는 한국, 베트남, 중국, 오스트리아 등입니다. LG이노텍의 주요 제품은 카메라모듈 등이며, 매출액은 130,467억원 그리고 매출 비중은 21.3%입니다. 주요 원재료는 Image Sensor, Lens, Actuator 등이며, 주요 생산지는 한국, 중국, 베트남입니다.

연결회사는 금융담당 주관하에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하며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인 외환관리규칙에 의거 영업활동으로 인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며, 잔여위험 축소를 위하여 파생상품 활용 시 매월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으며,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위해, 해외 연결회사 간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 및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 관리를 위해, 세계 3대 채권보험사 및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11,352,977백만원이며, 보험한도 및 담보금액은 27,186,546백만원입니다. 유동성위험 관리를 위해 국내외 신용평가기관으로부터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연결회사는 생활가전 및 영상기기 분야에서는 저소비 전력, 소비자 편의성 증대 및 친환경 프리미엄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로봇, 차량용 부품 등 신규 사업분야에서는 고성능, 고효율, 스마트 기능의 차세대 혁신 기술 및 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본부 산하 연구소는 단기간내 출시되는 제품 및 기술을 집중 개발하고, CTO부문에서는 중장기적인 핵심기술을 선행 연구 개발하고 있으며, 매년 약 3조원 이상의 연구개발비를 지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에 힘입어 2023년 9월말 기준 국내 24,955건, 해외 65,261건의 등록된 특허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EU를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시행중인 유해물질 규제를 충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글로벌 폐가전 회수처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020년 413,067톤, 2021년 445,254톤, 2022년에 468,490톤을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매년 감축하고 있습니다.

(단위 : tCO2-eq, TJ)

구분

제21기 (2022년)

제20기 (2021년)

제19기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661,295 723,782 898,592
에너지 사용량 13,375 14,116 15,210

주)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사업장내 환경오염물질의 저감을 위해 2010년부터 본사 통합 운영을 통해 국내 생산사업장 및 연구소에 대한 환경 및 안전보건에 대한 통합인증을 완료하였으며, 녹색기업 사업장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탄소중립 2030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등 친환경 활동을 펼치는 동시에 물 사용량 감축, 재활용률 확대 등의 친환경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다우존스에서 발표하는 2022년 지속가능경영지수 평가에서 ESG 경영 상위 10%를 선정하는 DJSI 월드 지수에 11년 연속 편입되었으며, 2022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에서도 환경부문 A 등급을 받았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주요 제품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제/상품이며,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가. 주요 제품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목 구체적 용도 주요상표 등 제 22 기 3분기
매출액 비율
H&A 제품/상품/기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가정용 전기제품, 냉난방기기 및 핵심부품

LG, DIOS, TROMM, LG SIGNATURE, LG SIGNATURE KITCHEN SUITE, CordZero, 오브제컬렉션, WHISEN, PuriCare, 에어로타워 등

234,646 38.4
HE 제품/상품/기타

TV, Audio, 뷰티기기 등

영상기기, 멀티미디어, 뷰티케어 등

LG SIGNATURE, XBOOM,
Pra.L, TONE Free 등
100,749 16.5
VS 제품/상품/기타 텔레매틱스, AV, AVN,
모터, 인버터, 컨버터 등
차량용 통신 및 멀티미디어, 전기자동차 부품 등 - 75,545 12.4
BS 제품/상품/기타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정보 전달 및 호텔 TV 등 LG, 그램, 시네빔 등 41,432 6.8
이노텍 제품/상품/기타 Optics Solution 등 Camera Module 등 - 130,467 21.3
기타 (*)
제품/상품/기타 설비, 부문간 내부거래 등 생산설비 등 - 28,398 4.6
합계 611,237 100

(*) '기타'의 매출액은 '기타부문'의 매출액과 사업부문간 내부거래 상계액을 합산한 순액입니다.

나. 주요 제품 가격변동 현황


냉장고/세탁기의 평균 판매 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4.8%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3.8% 하락하였습니다. 에어컨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8.4% 하락하였으나,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5.7% 상승하였습니다.


TV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4.5% 하락하였으나,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7.7% 하락하였습니다.


모니터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0.5%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4.8% 하락하였습니다. 사이니지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10.3%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8.1% 하락하였습니다.

카메라모듈의 평균 판매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31.6% 상승하였으며,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4.6% 상승하였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3.1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주요 원재료는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원/부자재이며,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가. 주요 원재료 현황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품   목 구체적 용도 제 22 기 3분기
매입액
비율 주요 매입처
H&A Steel H&A제품 철판물 12,679 12.7 ㈜포스코
Resin H&A제품 사출물 6,429 6.4 ㈜LG화학
Copper 열교환기 G/Tube 용 3,503 3.5 Golden Dragon, Naile
기타
77,555 77.4
부문계 100,166 100.0
HE LCD 모듈 TV Display 24,557 38.8 엘지디스플레이㈜, BOE
Chip TV 부품 3,156 5.0 Realtek, Media Tek
기타
35,523 56.2
부문계 63,236 100.0
VS Display 패널 AV, AVN용 자재 7,080 14.3 엘지디스플레이㈜
Chip 텔레매틱스, AV, AVN용 자재 3,602 7.3 NXP, Qualcomm 등
기타
38,682 78.4
부문계 49,364 100.0
BS LCD 모듈 Display 6,514 61.1 엘지디스플레이㈜, BOE
기타
4,154 38.9
부문계 10,668 100.0
이노텍 Image Sensor 광학 원재료 34,642 39.9 Sony, ST Micro 등
Lens 광학 원재료 9,307 10.7 Largan, Genius 등
Actuator 광학 원재료 23,373 26.9 Alps, Mitsumi 등
기타
19,581 22.5
부문계 86,903 100.0

주1) 비율은 각 부문별 원재료 매입액에서 품목이 차지하는 비율입니다.
주2) 엘지디스플레이㈜, ㈜LG화학은 LG계열 소속 회사 입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변동 현황


H&A 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Steel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22.8%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11.8% 하락하였습니다. Resin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21.7%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10.9% 하락하였습니다. Copper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42.6%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5.6% 하락하였습니다.

LCD TV 패널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25.0% 하락하였으나,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18.3% 하락하였습니다. TV 및 AV 부품용 Chip의 경우, 2022년은 2021년 대비 44.5%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15.3% 하락하였습니다.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주요 부품인 Display 패널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32.8%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0.3% 상승하였습니다. Chip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41.8% 상승하였고,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18.2% 상승하였습니다.


카메라모듈의 주요 원재료인 Image Sensor의 평균가격은 2022년은 2021년 대비 42.1% 상승하였으며, 2023년 3분기는 2022년 대비 17.8% 상승하였습니다.


3.2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은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을 연결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단위 : 천 대, 천 개, 천 시트)
사업부문 품목 주요 생산지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H&A 냉장고 한국, 인도, 중국, 멕시코 7,087 9,430 9,137
세탁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13,022 16,306 15,008
에어컨 한국, 인도, 중국, 태국 9,732 12,385 11,056
HE 영상기기 등 한국, 멕시코, 폴란드,
브라질, 인도네시아
20,649 27,293 27,458
VS 텔레매틱스, AV, AVN, 전기차부품 등 한국, 중국, 베트남,
 오스트리아
29,031 35,767 35,414
BS 모니터 중국 4,831 6,433 6,344
이노텍 카메라모듈 한국, 중국, 베트남 626,712 769,122 584,058

주1) 생산능력 산출기준
     - H&A, HE, VS, BS : 이론 시간당 생산수량 × 일 작업시간 × 작업일수 × 목표 효율
     - 이노텍 : 시간당 평균 생산수량 ×1일 평균가동시간 ×월평균가동일수 × 당기간 월수
     * H&A, HE, VS, BS부문의 일 작업시간은 국가별 법규에 따른 정규 작업시간을 반영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천 대, 천 개, 천 시트)
사업부문 품목 주요 생산지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H&A 냉장고 한국, 인도, 중국, 멕시코 7,531 9,774 11,523
세탁기 한국, 중국, 태국, 미국 11,826 13,739 16,031
에어컨 한국, 인도, 중국, 태국 9,371 11,916 12,207
HE 영상기기 한국, 브라질, 폴란드,
멕시코, 인도네시아
15,258 22,152 26,520
VS 텔레매틱스, AVN,
AV, 전기차부품 등
한국, 중국, 베트남,
 오스트리아
29,341 32,150 31,597
BS 모니터 중국 4,597 6,440 8,099
이노텍 카메라모듈 한국, 중국, 베트남 272,647 437,432 407,407


(2)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단위 : 천 대, 천 개, 천 시트, %)
사업부문 품목 제 22 기 3분기
생산 능력 수량
제 22 기 3분기
실제 생산 수량
평균가동률
H&A 냉장고 7,087 7,531 106.3
세탁기 13,022 11,826 90.8
에어컨 9,732 9,371 96.3
HE 영상기기 20,649 15,258 73.9
VS 텔레매틱스, AV, AVN,
전기차부품 등
29,031 29,341 101.1
BS 모니터 4,831 4,597 95.2
이노텍 카메라모듈 626,712 272,647 43.5


다. 주요 사업장 현황

(1) 주요 국내사업장 현황

사업장 주소 비고
LG트윈타워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28 LG전자

국내자회사
LG서울역빌딩 서울특별시 중구 후암로 98 LG서울역빌딩
LG사이언스파크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중앙10로 10
가산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1
서초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양재대로11길 19
양재 R&D 캠퍼스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 38
LG디지털파크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엘지로 222
칠러/ESS사업장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가곡리 760
인천 캠퍼스 인천광역시 서구 경명대로 322번길
LG퓨처파크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 168
LG스마트파크 LG스마트파크1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성산패총로 170
LG스마트파크2 : 경상남도 창원시 성산구 완암로 84
본사/R&D 캠퍼스 서울특별시 강서구 마곡 중앙10로 30 이노텍
안산 R&D 캠퍼스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한양대학로 55
구미1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7길 50-9
구미1A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수출대로9길 66
구미2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221
구미3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옥계2공단로 174
구미4공장 경상북도 구미시 산호대로 77
광주공장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산단5번로 26
평택 진위공장 경기도 평택시 진위면 진위2산단로 111
파주공장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 휴암로 570
파주C7공장 경기도 파주시 월롱면 엘지로 245


(2) 주요 해외생산법인 현황

지역 주소
미주 멕시코 멕시칼리/레이노사/몬테레이/산후안델리오(LGITMX)/실라오, 브라질 마나우스,
미국 테네시/헌츠빌
유럽 폴란드 므와바/브로츠와프(LGEWR, LGITPO), 오스트리아 비젤버그/비너노이슈타트,
슬로바키아 크르소비체
중동 및 아프리카 이집트 텐스오브라마단시티,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남아프리카 더반
아시아 인도 노이다/푸네, 태국 라영, 베트남 하이퐁(LGEVH, LGITVH), 인도네시아 자카르타/찌까랑
중국 태주, 남경(LGENT, LGEPN, LGENV), 진황도, 천진
러시아 루자


(3) 유형자산 증감현황


(단위 : 억원)
구분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기말장부가액
토지 29,655 745 357 30,043
건물 및 구축물 70,850 7,136 4,927 73,059
기계장치 34,569 7,039 8,594 33,014
공구와기구 및 비품 10,057 3,660 3,756 9,961
기타 13,187 10,232 2,001 21,418
합계 158,318 28,812 19,635 167,495

주1) 당기증감은 연결회사의 유형자산 순증감액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2)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 판단이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주3) 유형자산의 담보제공 내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29. 우발상황」을 참조 바랍니다.

라. 설비 등의 신설, 매입 계획
(1) 2023년 진행중인 투자 현황


(단위 : 억원)
사업부문 투자대상 자산 투자효과 투자계획 기 투자액
H&A

건물, 금형, 공구와 기구 등

생산능력향상 등 9,793 4,066
HE

건물, 금형, 기계장치 등

생산능력향상 등 3,246 1,424
VS

금형, 기계장치 등

신모델개발/연구개발 등 7,998 5,730
BS

금형, 기계장치 등

생산능력향상 등 873 491
기타

건물, 기계장치, 연구개발 등

신모델개발/생산성향상,
연구개발/인프라투자 등
31,429 16,670
합   계 53,339 28,382

주) 상기 투자액은 향후 기업여건 및 시장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4.1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1) 유형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구 분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재화의 판매 587,199 586,641 798,765 719,475
용역의 제공 16,857 23,680 28,207 12,890
임대수익 등 7,181 5,777 7,701 6,715
합 계
611,237 616,098 834,673 739,080

주) MC 및 태양광 사업 중단으로 인한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액 기준입니다.

(2) 부문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H&A 제품/상품/기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 234,646 235,109 298,955 271,105
HE 제품/상품/기타 TV, AV, 뷰티기기 등 100,749 112,350 157,267 172,191
VS 제품/상품/기타 자동차 부품 등 75,545 62,536 86,496 67,005
BS 제품/상품/기타 모니터, PC, 사이니지 등 41,432 48,411 60,903 54,767
이노텍 제품/상품/기타 카메라모듈 등 130,467 130,439 195,922 149,500
기타 및 내부거래 제거 28,398 27,253 35,130 24,512
합  계 611,237 616,098 834,673 739,080

주) MC 및 태양광 사업 중단으로 인한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액 기준이며, 제22기 조직 기준으로 제21기 및 제20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3) 주요 품목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품목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냉장고/세탁기/에어컨 177,562 180,064 228,246 209,044
영상기기 119,093 135,908 186,330 197,094

주) 제/상품 매출액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4) 지역별 매출실적

(단위 : 억원)
지역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대한민국 234,835 239,804 332,873 275,046
북미 150,710 144,237 197,448 172,404
유럽 88,810 87,104 119,977 118,603
아시아 59,158 62,528 78,436 66,088
중남미 23,616 24,367 32,089 32,848
중동 및 아프리카 26,671 27,025 33,572 27,747
중국 19,542 20,274 26,395 26,009
CIS 7,895 10,759 13,883 20,335
합계 611,237 616,098 834,673 739,080

주) 지역별 매출액은 연결회사가 소재한 지역별 매출액이며, MC 및 태양광 사업 중단으로 인한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액입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① 한국

구분 판매경로 소비
소매 BEST SHOP, 시스템전문점 최종 소비자
유통사(양판점, 대형마트)
온라인
납품


② 해외

판매경로 소비
직수출 Massmerchant, Distributor, Buying Group,
Independent, 일반 Buyer
최종 소비자
LG전자 해외
현지 판매법인


(2)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단위 : %)
구분 판매경로 비중
내수매출 소매 59.0
납품 41.0
100.0
해외매출 직수출 41.3
해외종속기업 매출 58.7
100.0

주1) 내수매출은 대한민국 내에서 판매되는 제ㆍ상품 매출의 비중입니다.
주2) 해외종속기업 내수매출은 현지 시장환경에 적합한 경로를 통해 거래하고 있습니다.

(3) 판매방법 및 조건
① 한국

구분 유통망 결제조건 비용분담
B2C o BEST SHOP전문점
   (전문점/하이프라자)

o 결제수단: 현금
o 수금기한
  - BEST SHOP(전문점) 30일

 - BEST SHOP(하이프라자) 익월 15일

 - BEST SHOP(하이프라자 백화점)
     익익월 1일
o 담보평가액 100%내 여신 적용
   (하이프라자는 신용여신 적용)

o Interior 지원
   - 공사비용 일부 분담
o 판촉지원
   - Catalogue, POP 등 판촉물 지원
   - 판촉비 지원
o 유통사(양판점/대형마트) 개별 계약에 따름 o 원칙적으로 비용분담 계약은 존재
   하지 않으나, 사안별 상호 합의 하에
   판촉지원이 이루어질 수 있음
o 온라인(전문점)

o 결제수단: 현금
o 수금기한: 온라인전문점 30일

o 담보평가액 100%내 여신 적용

o 판촉지원: 판촉비 지원
B2B o 시스템 전문점
o 납품 전문점
o 기타 납품
개별 계약에 따름 해당사항 없음


② 해외
일반거래선은 직거래방식(은행의 지급보증이 있는 신용장 방식) 또는 현지 해외법인을 통하여 거래하며, 거래선별로 개별 계약에 따라 결제조건 및 비용부담이 결정됩니다.

(4) 판매전략

① 한국: 제품 차별화를 통한 적극적인 마케팅 전략 구사 및 BEST SHOP, 백화점, 양판점뿐만 아니라 인터넷, 홈쇼핑 등 다양한 유통 채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영업의 실행력을 극대화하여 당사 디지털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높이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② 해외: 글로벌 핵심역량 제고를 통해 제품의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여 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선진국 시장을 중심으로 확고한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힘써 판매 증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5) 주요매출처
연결회사의 주요 매출처는 Best Buy, HOME DEPOT, LOWE'S 등 입니다. 2023년 3분기 주요 10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연결회사 매출액의 29.7% 수준입니다.

4.2 수주상황


연결회사는 완성차 업체에 차종별 제품 및 차량용 부품을 개발, 생산 및 납품하고 있으나, 계약 물량이 확정되어 있지 않고 대내외적인 경제환경 변화와 그에 따른 자동차 수요 변화를 정확히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수주물량, 수주잔고 등 별도 수주상황을 관리하지 않고 있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5.1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재무위험관리는 주로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에 대해 전사 각 사업주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재무구조 개선 및 자금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금융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업의 원가 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재무위험 관리활동은 주로 연결회사의 금융담당이 주관하고 있으며 각 사업주체와 긴밀한 협조 하에 전사 통합적인 관점에서 재무위험 관리정책 수립 및 재무위험 식별, 평가, 헷지 등의 실행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담당 산하에 미국 뉴저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중국 북경, 싱가포르 등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함으로써(센터별 2~5명의 담당자) 전 세계적 경영활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해외 종속기업의 금융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함으로써 해외 종속기업의 사업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재무위험 관리정책의 재정비, 재무위험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재무위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와 관련된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가액 및 순손익과 차입금 세부 내역에 대한 정보는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5. 범주별 금융상품 및 12. 차입금」에 각각 기재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통화의 환율변동위험에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통화는 미국 달러, 유로가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 운영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는 외환위험의 측정과 관리 방법의 원칙 등을 규정하고 있는 연결회사의 외환관리규칙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연결회사의 일반적인 영업활동에서 비롯되는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우선적으로 일치시켜 외환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파생상품 등을 통한 효율적 외환위험 축소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 적용하고 있으며, 매월 외환위험의 변동 및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연결회사의 화폐성 자산ㆍ부채에 대해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2022.12.31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미국달러/원 81,124 (81,124) 20,926 (20,926)
유로/원 26,596 (26,596) (18,480) 18,480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써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변동성 축소와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자율 변동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포인트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예금 및 변동금리부 차입금으로부터 9개월 간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2022. 9.30
1%p 상승시 1%p 하락시 1%p 상승시 1%p 하락시
이자수익 60,774 (60,774) 56,729 (56,729)
이자비용 12,788 (12,788) 9,191 (9,191)


3) 가격위험


연결회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 NASDAQ, NYSE 주가지수 및 Austrian Traded Index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이 연결회사의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법인세효과 반영 전)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 하에 주가지수가 3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지 수 2023. 9.30 2022.12.31
30% 상승시 30% 하락시 30% 상승시 30% 하락시
KOSDAQ 4,497 (4,497) 4,277 (4,277)
NASDAQ 233 (233) 701 (701)
NYSE 2,246 (2,246) 2,360 (2,360)
Austrian Traded Index 208 (208) 148 (148)


상기 시장위험과 관련된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의 평가 등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9,425 - (4,582) - 3,979 (73) 28,749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2 125,486 (52,917) 82 435 49 73,497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60,441 - - - (28,453) 1,376 33,364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297 - (845) 167 (2,697) 1,517 439


(2) 신용위험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관된 전사신용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세계 3대 채권보험사(Euler Hermes, Atradius, Coface) 및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험 및 담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내부 신용평가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11,352,977백만원(2022년 말: 8,447,643백만원)이며, 동 채권은 27,186,546백만원(2022년 말: 25,823,363백만원) 상당의 보험한도 및 담보 내에서 적절하게 부보되어 위험관리되고 있으므로, 연결회사에 노출된 신용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이 차감된 장부금액으로신용위험의 최대 노출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사와 4개 해외 금융센터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가능한 자금관리 및 유동성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적정규모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과 Committed Line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발생 가능한 자금경색에 따른 유동성위험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말 현재 국내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로부터 AA를 부여받고 있으며,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로부터 BBB, Moody's로부터 Baa2 등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국내외 금융시장을 통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부채의 연도별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매입채무 10,848,196 10,848,196 - - -
차입금 15,175,747 2,956,747 2,273,383 5,975,463 3,970,154
리스부채 1,265,416 327,467 263,415 413,666 260,868
기타지급채무 4,129,017 3,980,326 80,773 61,671 6,247
기타금융부채 8,049 4,692 1,679 1,342 336
합 계 31,426,425 18,117,428 2,619,250 6,452,142 4,237,605


상기 현금흐름은 명목가액 기준으로 연결회사가 지급하여야 하는 가장 빠른 만기일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 중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금융부채 중 통화선도계약에 대한 부채는 계약상 만기가 파생상품의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 공정가치 3,664백만원이 1년 미만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생상품 계약은 만기보다는 순공정가치 기준으로 관리됩니다. 이자율과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 위험회피를 위한 파생상품은 관련된 차입금의 현금흐름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제3자 기업을 위해 제공한 금융보증계약한도의 연도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금융보증계약 46,000 46,000 - - -

금융보증계약은 보증의 최대금액을 보증이 요구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기간에 배분하였습니다.

5.2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보고기간 말 현재 연결회사가 체결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계약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
연결회사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투입변수는 할인율 및 환율이며,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자산 부채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 1,017
 통화스왑계약 229,382 15,770
 이자율스왑계약 43,269 2,067
 소계 272,651 18,854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통화선도계약 1,904 3,664
 통화스왑계약 12,505 -
 이자율스왑계약 3,172 -
 풋옵션계약 1,423 3,355
 소계 19,004 7,019
합 계 291,655 25,873


나.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

(1)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연결회사는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계약별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계약처 계약금액
 (단위: 백만)
계약환율 지급이자율
(%)
위험회피
종류
계약시작일 계약만기일 장부금액
자산 부채
통화스왑 우리은행 등 USD 1,014
(USD/KRW)
1,067.9
~ 1,319.3
1.88 ~ 4.56 현금흐름
위험회피
2017.10.23
~ 2023. 9. 5
2025. 4.23
 ~ 2031. 7.28
204,282 4,415
CITI BANK EUR 95
(EUR/KRW)
1,312 3.84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2. 7.15 2028. 1.14 5,241 -
CITI BANK JPY 11,000
(JPY/KRW)
10.0 4.06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3. 4. 4 2029. 4. 4 - 11,355
DBS SGD 140
 (SGD/KRW)
859.3 1.21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0. 7. 9 2024. 1. 9 19,859 -
이자율스왑 우리은행 등 KRW 1,186,821
/ USD 226
- 2.75 ~ 4.70 현금흐름
위험회피
2014. 1. 3
~ 2023. 8.30
2024. 1. 3
~ 2032.11.16
43,269 2,067
통화선도 Commerzbank 등 USD 70
(USD/EUR)
1.075
~ 1.076
- 공정가치
위험회피
2023. 9.20 2023.12.29 - 1,017

스왑계약의 수취이자율은 차입금의 연이자율과 동일합니다.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2. 차입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계정 장부금액 가치변동
(세후 손익기준)
통화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차입금 1,720,825 (76,987)
이자율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차입금 1,421,713 (9,348)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계정 장부금액 가치변동
(세전 손익기준)
통화선도 공정가치위험회피 외화위험 - 1,008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파생상품
가치변동
(세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당기손익
재분류금액
(세후)
기타포괄손익
인식액
(세후)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잔액
통화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76,987 이자비용 및
외환차이
(79,284) (2,297) 33,348
이자율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9,348 이자비용 (9,859) (511) 29,902
구 분 위험회피종류 파생상품
가치변동
(세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위험회피 효과적
(세전)
위험회피 비효과적
(세전)
통화선도 공정가치위험회피 (1,008) 외환차이 (1,008) -


연결회사는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현금흐름 할인모형을 가치평가기법으로 활용하여 금융기관 등에서 평가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 특유 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에서 발생하는 손익은 계약기간 만료일까지 위험회피대상 자산 및 부채에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익과 상쇄됩니다.

(2)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① 통화선도계약, 통화스왑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
연결회사는 환율변동 및 이자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종속기업이 체결중인 통화선도거래 내역과 통화선도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기 중 인식한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매입 매도 평가이익(손실) 거래이익(손실)
통화선도 436,768 439,178 (750) (26,111)
통화스왑 - - 12,505 2,041
이자율스왑 - - (705) -


② 주식매입계약
연결회사는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Stock Option이 부여된 직원에 대한 Put Option 부여에 따라 파생상품부채 4,151백만원을 인식하였고,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동 계약에 대한 파생상품거래손익은 없습니다.

다. 옵션계약

연결회사의 주식 취득과 관련한 주요 옵션계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LG-MRI LL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MRI)

계약일

2014.01.29

만기일

2019년 이후 행사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사업활동 촉진

계약내용 및 조건

성공적 사업운영 상황에서, 중대한 계약 위반이 발생하고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또는 LG전자가 MRI의 역량을 충분히 흡수한 경우, MRI는 Put Option을 보유하고 당사는 Call Option을 보유하며, Put / Call Option 행사 시 당사는 MRI 주식을 인수해야 함

계약금액

옵션행사 직전, MRI의 3개년 평균 EBITDA x 8 (cash-free and debt-free basis with working capital adjustment)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주) 2017년 12월 12일 LG-MRI LLC 합작계약서를 부분 갱신하였으며, 옵션행사 금액 산출 시 사용되는 EBITDA 계산에 대한 상세 내용을 조정하였습니다.

2)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와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Lufthansa Technik AG

계약일

2018.10.23

만기일

2019.05.21(JV설립)이후 합작계약(JVA) 종료 시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JV계약 종료 시, 합작계약으로 설립된 법인인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와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의 지분에 대해, 계약 종료의 책임이 없는 당사자는 계약 종료의 책임이 있는 당사자에 대해, 상대방 지분을 20~25%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보유한 지분을 20~25% 할증된 가격으로 팔 수 있는 권리(Put)를 갖게 됨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계약 종료 시점에 당사자간 합의를 통해 산출하며, 공정가치에 합의를 못하는 경우, 제3의 회계법인을 통해 공정가치 산정 후 가장 가까운 2개 값을 평균하여 공정가치 도출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3)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Lufthansa Technik AG

계약일

2018.10.23

만기일

2019.05.21(JV설립)이후 설립 5주년 시점부터 행사가능

계약 체결 목적

LG전자가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의 지분 과반수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합작계약으로 설립된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가 독자 항공인증 가능 시, Lufthansa Technik AG는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의 보유지분 2%를 LG전자에 매각(Put/Call)해야 함

계약금액

Lufthansa Technik AG가 LG전자보다 지분 1%를 더 보유함으로써 추가 투자하게된 비용 총계에 12개월 EURIBOR+2% 이자를 적용한 가격에,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와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의 지분 1%의 공정가치 차이를 반영하여 산정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4) Alphonso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주주간 계약서(Shareholders' Agreement)

거래상대방

Alphonso Inc. 주요 주주

계약일

2020.12.19

만기일

2026.8.15 (마지막 회차 옵션 행사에 따른 정산 시한)

계약 체결 목적

Zenith Electronics LLC의 Alphonso Inc. 지분 100%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Alphonso Inc.의 주주는 보유하고 있는 Alphonso Inc.주식을 2024년부터 3년간 3회에 걸쳐 공개매수(Tender Offer)절차에 따라 아래 계약금액으로 Zenith Electronics LLC에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신청기간 및 매도 한도는 다음과 같음

- 1년차 : 2024년 3월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33%
 - 2년차 : 2025년 3월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66%
 - 3년차 : 2026년 3월 31일부터 20 영업일 이내 보유주식의 100%

계약금액

인수 시점의 Alphonso Inc. 회사 가치에 따라 산정된 주당가격 또는 그 이후에 결정되는 공정가격 중 높은 가격으로 정하며, 공정가격은 Alphonso Inc. 이사회 결의로 정함. 이사회에서 정하지 못한 경우, Alphonso Inc. 주요 주주측 이사와 Zenith Electronics LLC측 이사가 각각 선임한 회계법인이 합의하여 산출함. 두 회계법인이 산정한 공정가격의 차이가 10% 이내일 경우에는 평균값으로 정하고, 그 차이가 10% 초과시에는 제 3의 회계법인을 통해 평가를 받아 3개 중 가장 근접한 2개 공정가치의 평균값으로 정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IPO시 옵션계약 종료


5) LG Magna e-Powertrain Co., Ltd.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Magna Metalforming GmbH

계약일

2020. 12. 23

만기일

JV설립(2021.7.1) 후 합작계약 종료 시까지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계약 당사자 일방의 중대 의무 위반 시, 비 위반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또는 비 위반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단, 특정 경업금지의무 위반 시에는, Magna Metalforming GmbH가 위반 당사자인 경우는 당사가 Magna Metalforming GmbH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10~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할 수 있는 권리를 갖고, 당사가 위반 당사자인 경우에는 Magna Metalforming GmbH가 보유중인 지분을 당사에게 공정가치의 10~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교착상태 또는 경영권 변동 발생 시, 통지를 받은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에 인수(Call)하거나 또는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 보유.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해당 시점에 당사자들이 각자 선임한 회계법인의 공정가치 평가액의 평균액으로 산정함. 단, 그 편차가 10% 이상인 경우, 제3의 회계법인을 통해 공정가치 산정 후 가장 가까운 2개 값을 평균하여 공정가치를 도출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6) Rinse, Inc.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우선주 신주인수계약서

거래상대방

Rinse, Inc.

계약일

2021.09.16

만기일

2024.09.16 (옵션1과 옵션2 중 최장 시한)

계약 체결 목적

사업 파트너십 구축

계약내용 및 조건

옵션1. 당사는 2022년 9월 16일까지 기 합의된 가격으로 우선주 취득에 대한 권리를 보유

옵션2. 당사는 2024년 9월 16일까지 당사를 통한 신규고객 1명 유치 시 고객 1명당 보통주 100주를 기 합의된 가격으로 취득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

계약금액

옵션1. $8.0M 규모 / 옵션2.$0.3M 규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주) 옵션1은 상기 기한 내에 전량 행사되었습니다.

7) Cybellum Technologies Ltd.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주주간 계약서 (Shareholders Agreement)

거래상대방

구주인수계약(Share Purchase Agreement) 체결일인 2021년 9월 17일 기준,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인 창업자 및 스톡옵션(Stock Option) 보유자

계약일

2021.11.01

만기일

옵션 행사 기한 또는 IPO 시

계약 체결 목적

Cybellum Technologies Ltd. 지분 100% 확보

계약내용 및 조건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인 창업자(이하 '창업자') 및 스톡옵션 보유자는 2021년부터 7년간 3회에 걸쳐 당사에게 구주인수계약 체결시 보유하고 있는 주식(이하 '주식') 또는 스톡옵션(이하 '스톡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Put옵션)를 가지고 있으며, 당사는 미행사 된 잔여 주식을 매수할 수 있는 권리(Call옵션)를 가지고 있음

- 1회차 :
[Put 옵션] 2024년 11월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5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4년 12월 1일부터 30일 이내, 3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2회차 :
[Put 옵션] 2026년 11월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9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6년 12월 1일부터 30일 이내, 5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3회차 :
[Put 옵션] 2028년 11월 1일부터 30일 이내, 주식 또는 스톡옵션의 100%까지 매도 가능
[Call 옵션] 2028년 12월 1일부터 30일 이내, 7년차 Put 옵션에서 행사되지 않은 잔여 주식 또는 스톡옵션 매수 가능
 
 ※ 기타 Put / Call 옵션 발생 조건
 [Put 옵션]
 -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사업 종료시/ 청산시 또는 지분 50% 이상이 관계자가 아닌 제3자에게 양도되는 경우, 창업자는 해당 시점 30일 이내에 보유 주식의 100%까지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IPO 시 주당가격이,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이하로 산정되는 경우, 창업자는 보유 주식의 100%까지 인수 시점의 주당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창업자 중 1인 이상이 Put 옵션을 행사하는 경우, 스톡옵션 보유자도 동일 조건으로 스톡옵션을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Cybellum Technologies Ltd.가 창업자를 임의로 해고하거나 창업자가 계약상 인정된 사유로 사직하는 경우, 창업자는 고용 만료 120일 이내에 보유 주식의 100%까지 Call 옵션 가격으로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Call 옵션]
 -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가 본인의 귀책으로 해고되는 경우와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가(창업자인 경우에는 계약상 인정되지 않은 사유로) 사직하는 경우, 당사는 창업자 또는 스톡옵션 보유자의 보유 주식 또는 스톡옵션을 고용 만료 120일 이내의 해당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80%로 보유 주식의 100%까지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스톡옵션에 대한 위 Put/Call 옵션은 스톡옵션 보유자가 스톡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획득한 경우(vested)에만 가능.

계약금액

[Put 옵션]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또는 옵션 행사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95% 중 높은 가격
[Call 옵션] 구주인수계약에 따른 구주의 주당 가격 또는 옵션 행사 시점에 결정되는 공정가격의 105% 중 높은 가격
※ 공정가격은 Cybellum Technologies Ltd.와 당사 간 합의한 가격으로 정하며, 합의되지 않을 경우, 당사와 Cybellum Technologies Ltd. 창업자(최소 한 명 이상)가 승인한 독립적인 가치평가 법인을 선임하여 공정가격을 정함.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IPO시 옵션계약 종료


8) 피트니스캔디 주식에 대한 옵션

구분

내용

계약의 명칭

합작계약서(JVA)

거래상대방

에스엠엔터테인먼트

계약일

2021.12.30

만기일

JV설립(2022.5.19) 후 합작계약 종료 시까지 행사 가능

계약 체결 목적

합작사 상호간의 의무 담보

계약내용 및 조건

- 교착상태 발생 시, 당사는 상대방 지분을 공정가치에 인수(Call)하거나, 상대방은 자신의 지분을 당사에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짐

- 계약 당사자 일방의 중대 의무 위반 시, 비 위반 당사자는 상대방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인된 가격으로 인수(Call)하거나 또는 비 위반 당사자의 지분을 공정가치의 20% 할증된 가격으로 매각(Put)할 수 있는 권리 보유

계약금액

합작법인 지분의 공정가치는 당사자들이 공동으로 선임한 회계법인을 통해 도출

결제 방법

현금

중도상환 가능여부 및 상환조건

없음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6.1 경영상의 주요계약

연결회사가 체결한 경영상의 비경상적인 주요계약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계약상대방 항목 내용
구글 계약목적 및 내용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
체결시기 및 기간 2014.11.05 / 특허 출원일로 부터 20년간
기타 주요 내용 기존 특허 및 향후 10년간 출원될 특허를 대상으로 함

기타 상표권 라이센스 계약 등은 다음과 같으며, 계약상 기밀에 해당하는 사항은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구 분 관련 사업부문/제품 기술 등 제공처 기술 등 사용처
기술사용 가전, 통신기기 Qualcomm Incorporated 등 연결회사
기술제공 가전, 통신기기 연결회사 Panasonic Corporation 등


6.2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연결회사는 지속적인 고객가치 창출 및 시장선도를 위해 고성장 분야의 신상품 개발과 핵심부품 및 핵심기술 역량 확보에 역점을 두고 아래와 같은 분야를 중심으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장을 주도하고 있는 세탁기, 냉장고 및 에어컨과 같은 주력 사업분야는 저소비전력 / 소비자의 편의성 증대 등 친환경 / 프리미엄 제품 개발을 통한 시장 리더십을 유지/강화하며, 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홈 뷰티 기기, 오브제컬렉션(공간 인테리어 가전) 등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한 신제품을 개발, 상용화하는 등  R&D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것입니다.

특히, 전세계가 직면한 뉴노멀 시대로의 변화와 개인 및 환경 안전에 대한 관심 증대 등으로 신규 시장으로서의 성장 잠재력이 풍부한 홈 영역에서의 통합 솔루션 및 스마트 가전, 평안하고 안전한 공간을 만들 수 있는 혁신적인 제품 및 기술 등의 신사업 영역 R&D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자사의 최신 제품, 서비스, 기술이 총집결된 스마트 홈인 LG ThinQ Home(판교소재)이 그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단순 모델 하우스가 아니라 자사 직원이 실제로 거주하면서 리빙 데이터까지 수집/분석하는 리빙 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냉난방, 환기, 조명 그리고 보안 기능을 비롯한 다양한 스마트 홈서비스가 모두 인공지능 기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통합 제어/관리되는 Total Home Solution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Home Appliance의 영역에서 나아가 Home자체의 개념을 바꾸는 새로운 차원을 여는 도전이 R&D의 역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TV, 세탁기, 냉장고 등 주력사업 분야에서는 선택과 집중을 통해 '일등제품' 개발 및 핵심 기술역량 강화를 우선적으로 추진할 예정으로 LG 올레드(OLED) TV, 롤러블 TV, 8K TV, webOS 스마트 TV, 무선 AV 전송 솔루션, 5G 등 Global 핵심 Business 트렌드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차별화 기술과 플랫폼을 선제적으로 준비하여 시장을 선도할 계획입니다.

로봇, 차량용 인포테인먼트(텔레매틱스, 내비게이션, 디스플레이) 제품, 스마트카 및 모빌리티 서비스 등 신규 사업분야는 기존 보유 핵심 역량을 바탕으로 고성능, 고효율, 스마트 기능의 혁신 제품을 개발하여 사업 확대 중이며, AR HUD와 같은 차세대 혁신 기술/제품 개발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만의 인공지능 기술이 적용된 제품과 서비스 브랜드인 'ThinQ'를 중심으로 기존 제품기술과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컨버전스, 로봇 등의 기술을 접목해 집안은 물론 집 밖에서도 공간의 경계 없이(Seamless) 통합적 인공지능 경험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특히 자사는 외부 개발자들을 위해 ThinQ 플랫폼을 오픈하며 생태계를 확대해 가고 있으며, 자사의 인공지능 비전인 진화(Evolve), 연결(Connect), 개방(Open)의 큰 틀 안에서, 꾸준히 진화하는 디지털 전환(DX) 및 모든 가전과 기기들이 상호 연결된 플랫폼을 향해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고객이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빅데이터 기반 차세대 인공지능(AI)이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해 선제적으로 특정 작업을 제안하거나 수행할 수 있도록 알려주는 '앰비언트 컴퓨팅(Ambient Computing) 플랫폼' 구축을 목표로 AI 원천기술 고도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2020년에 런칭한 당사의 제품 및 서비스를 통합하는 플랫폼인 'LG ThinQ' 앱은 런칭 이후 다양한 가전과 기기들이 상호 협력하고, 더 효율적인 방식으로 고객에게 맞춤화된 환경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가전 구매 이후에도 SW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를 지속 제공하는 "UP가전"이라는 새로운 가전 패러다임을 세계 최초로 구현하여, 제품 판매에서 고객과의 관계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고객이 제품을 사용하는 전 기간에 걸쳐 안심, 편리, 재미라는 가치를 느낄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케어하며, 고객의 삶과의 새로운 소통을 형성해 늘 새 것 같고 쓸수록 더 편리해지며 똑똑해지는 제품 경험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사업 대응 및 글로벌 R&D협력 강화를 위해 북미, 유럽, 일본, 인도 등 전략지역에서 현지 R&D 체제를 구축하며 글로벌 R&D 역량을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술의 지향점이 지속가능성이라는 목표에 기반을 둔 ESG 기반 지침에 착수했습니다. 이를 통해, 전 세계 소비자는 물론 업계 동료들로부터 인정받고 존경받는 글로벌 기업으로 나아가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조직
각 사업본부 산하에는 1~2년 내에 시장에 출시할 제품ㆍ기술을 개발하는 연구소와 개발팀이 있으며, 보다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핵심기술을 선행개발하는 CTO부문 산하 연구소로 구분하여 체계적으로 운영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의 약 20개의 연구소를 통해서 제품 및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활동을 통해 LG 전자만의 독창적인 기술확보와 기업전반에 응용 가능한 공통 핵심기술을 강화하고 미래를 위한 성장엔진 조기발굴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서초, 양재, 가산, 인천, 창원, 마곡 등의 R&D 조직을 비롯하여, 미국, 일본, 중국, 인도, 유럽 등지의 해외 연구개발 조직은 긴밀한 협력체계를 통해서 제품 개발 및 기초기술 연구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연구소 현황

연구소 현황


주) 상세한 해외 연구개발 조직(법인) 현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 일반사항, (1) 연결대상 종속기업 현황」을 참조 바랍니다.

다. 연구개발비용
연결회사의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 22기 3분기 제 21기 제 20 기
연구개발비용 계 3,075,591 4,036,969 3,572,135
(정부보조금) (11,848) (14,896) (16,581)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3,063,743 4,022,073 3,555,554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1,847,308 2,397,333 2,092,951
제조원가
916,841 1,415,613 1,271,665
개발비(무형자산)
299,594 209,127 190,938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5.0% 4.8% 4.8%

(*) 정부보조금을 차감하기 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으며, 중단사업부문의 연구개발비용은 제외한 기준입니다.

라. 연구개발실적
연결회사의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건)
사업부문 제 22기 3분기 제 21기 제 20기
H&A 20 39 27
HE 11 12 19
VS 1 1 2
BS 7 15 17
이노텍 5 11 12
기타 9 9 15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실적(상세)' 참조


7. 기타 참고사항


가. 회사의 상표, 고객관리 정책
LG전자는 'Life's Good'이라는 브랜드 철학을 바탕으로 고객에게 최고의 경험과 감동을 주고, 고객의 삶이 더 가치 있는 삶이 되도록 만들기 위하여 항상 노력합니다.

2023년 LG 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재정립, 즉 신규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아이코닉 브랜드 요소 (Visual Identity, Tone of Voice)를 개발하였습니다. 'Life's Good'에 담긴 깊은 의미를 풀고 LG Red 색상과 심볼 '미래의 얼굴'을 젊고 역동적으로 재해석하여, LG전자만의 따뜻함과 Humanity, 고객 중심의 혁신을 담아 내기 위한 Emotionally Intelligent Design 철학과 요소를 만들었습니다. 나아가 신규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젊고 역동적인 브랜드 요소를 적극 활용한 글로벌 Life's Good 캠페인을 통해 젊은 고객을 포함한 전 세대와의 소통 기회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2021년 수립한 중장기 ESG 지향점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과 변화의 의지를 표명하고 고객의 신뢰를 받는 브랜드로서 입지를 강화해 나가고 있습니다.


초(超)프리미엄 가전 통합 브랜드인 'LG 시그니처(LG SIGNATURE)'는 2016년 한국, 미국의 성공적인 런칭 이후 유럽, 아시아 등으로 확산하며 글로벌 프리미엄 브랜드로서의 입지를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이태리의 프리미엄 가구 브랜드인 Molteni&C社와의 파트너십 체결, 영국 프리미엄 트랜드 매거진 MONOCLE社와의 2020년부터의 브랜디드 콘텐츠 통한 파트너십 외, 글로벌의 다양한 디자이너, 아티스트 및 와인 평론가 등과의 협업을 통해 차별화된 프리미엄 마케팅을 지속적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프리미엄 고객의 눈높이에 맞춘 브랜드 헤리티지 구축을 위해 2022년 새롭게 오픈한 LG아트센터 서울의 'LG SIGNATURE 홀' 네이밍 스폰서로서 주요 기획공연 타이틀 스폰서 특별전시 및 VIP고객 케어활동 운영 등 문화예술 스폰서십 기반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꾸준히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연결회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2023년 9월말 기준으로 총 24,955건, 해외 65,261건의 등록된 특허권이 있으며, 이 중 주요 특허권의 상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종류 취득일 내용 근거법령 취득소요인력/기간 상용화 여부 및 매출기여도
특허권 2021.04.15 카메라 장치 및 이미지 생성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39년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5명/1년 11개월 상용화 단계
2020.08.18 렌즈 구동 모터용 탄성부재 및 렌즈 구동용 모터에 대한 특허로 2037년 8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명/3년 1개월 상용화 단계
2011.02.22 LTE 제어 신호 송신 방법에 대한 특허로,
2028년 6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0명/3년 8개월 상용화 단계, 통신기기 제조사 대상 Cross License로 활용
2013.04.23 고화질 동영상 디코딩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8년 8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명/6년 1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2009.06.02 디지털TV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4년 9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1명/4년 9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2009.12.15 레퍼런스 픽쳐를 이용한 동영상 코딩 방법에 관한 특허로, 2026년 7월까지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3명/6년 10개월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중

연결회사는 상기의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 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스마트폰, 디지털 TV 등에 관한 특허로 회사의 주력 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2014년 11월 LG전자와 구글은 광범위한 사업/기술 영역에서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여, 기존 특허는 물론 향후 10년간 출원하는 특허까지, 출원일로부터 20년간 포괄적으로 공유합니다.
이 외에 차세대 통신 표준, 새로운 멀티미디어 코덱 관련 특허들은 회사의 신사업 진출 시 사업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고유의 디자인을 보호하기 위한 다수의 디자인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 환경 관련 규제사항


연결회사는 사업활동에서 발생하는 환경부담을 줄이기 위해 제품과 사업장에 대한 환경 관련 규제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1) 제품 내 유해물질 관리

연결회사는 EU를 비롯한 미국, 중국, 일본, 한국 등에서 시행중인 유해물질 규제(RoHS*)를 만족하는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인체 위해성 및 환경오염을 유발시킬 수 있는 독성물질에 대해 지속적으로 대체 기술ㆍ부품을 개발하여 제품에 적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염화비닐수지(Polyvinyl Chloride, PVC), 브롬계 난연제(Brominated Flame Retardants, BFRs), 염소계 난연제(Chlorinated Flame Retardants, CFRs) 등과 같이 현재 규제 대상은 아니나 생태계에 유해한 물질에 대해서도 안전성 및 신뢰성 테스트를 통해 점진적으로 대체해 나가고 있습니다.

*RoHS(Restriction of the use of Hazardous Substances in EEE) : 전기전자제품 내 유해물질 사용 제한을 위한 규제로, 납, 카드뮴, 수은, 6가크롬, 브롬계난연제(PBBs, PBDEs), 프탈레이트(DEHP, DBP, BBP, DIBP) 사용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2) 폐전기전자제품 관리 정책
연결회사는 WEEE(Waste Electrical and Electronic Equipment) 규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각 규제 지역별 특성 및 요구사항에 최적화된 폐가전 회수 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제품 설계 단계부터 재활용 가능률을 향상시키는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에서는 지역 특성에 맞는 폐가전 회수처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환경보전 및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에 기여하고 있으며, 글로벌 폐가전 회수처리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2020년에 413,067톤, 2021년에 445,254톤, 2022년에 468,490톤을 처리하였습니다. 글로벌 54개 국가, 89개 지역의 소비자들에게 회수ㆍ처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신규 지역에 대해서도 규제 분석 및 대상 국가의 정부, 산업단체들과 의견을 교환하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등 적법한 대응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폐전자제품을 회수하여 전국의 리사이클링센터에서 친환경적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자원순환법에 따라 폐전자제품의 재활용 의무를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자원순환법: 제품의 설계생산단계에서 유해물질 사용제한 등을 유도하고, 폐기 시 적정한 재활용 등을 통해 제품의 환경친화성을 일정기준 이상 보장하기 위한 제도로서, 「전기ㆍ전자제품 및 자동차의 자원순환에 관한 법률」에 의거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되고 있습니다.


(3) 온실가스 배출 관리

연결회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제42조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량과 에너지 사용량에 대해 DNV GL Business Assurance Korea Ltd.의 제3자 검증 후, 배출량 명세서를 정부에 적기 제출하고, 이해관계자에게 공개하고 있습니다. 정부에 신고된 국내 사업장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tCO2-eq, TJ)

구분

제21기 (2022년)

제20기 (2021년)

제19기 (2020년)

온실가스 배출량 661,295 723,782 898,592
에너지 사용량 13,375 14,116 15,210

주1)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환경부의 적합성 평가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2015년 1월부터 시행한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관리 대상 기업으로, 2022년12월 기준 LG전자 국내 5개 생산사업장(평택, 평택칠러, 구미 A1, 창원 LG스마트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2), LG마그나 인천 캠퍼스와 4개 연구소(서초 R&D 캠퍼스, 양재 R&D 캠퍼스, 사이언스파크, 가산 R&D 캠퍼스)는 국제 에너지경영시스템 인증(ISO50001)을 완료하였습니다. 회사는 체계적인 에너지 관리 시스템 구축 및 감축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할 계획입니다.


(4) 사업장 내 환경

연결회사는 사업장 내 발생되는 환경오염물질의 저감, 자원의 효율적 이용, 환경경영체계 구축을 통해 환경 보전 및 지속가능한 사회발전이 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있습니다. 2010년부터 국내 사업장은 환경, 안전, 보건에 대한 보다 효율적인 관리를위해 환경경영시스템(ISO14001) 및 안전보건경영시스템(ISO45001) 인증을 본사로 통합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국내 모든 생산사업장 및 연구소에 대한 통합인증을 완료 하였습니다. 또한, 대기, 수질분야의 환경오염물질 배출 항목에 대해서 사내 환경관리규칙에 따라 법적 배출허용농도보다 강화된 내부관리기준을 설정하여 배출량을 관리하고 있으며, 발생되는 폐기물은 최대한 재활용하여 자원순환형 사회구축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경경영체계에 입각한 관리를 통해 환경개선에 크게 기여하는 사업장을 대상으로 환경부에서 지정하는 녹색기업 지정제도에 참여 중이며, 녹색기업 사업장(LG전자 : 구미 A1, 창원 LG스마트파크1, 창원 LG스마트파크2 / 이노텍 : 구미1, 1A)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라. 환경 관련 신사업 및 인증사항

(1) 친환경 기업 인정 현황

회사는 2009년 1월 국내 업계 최초로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발표하고, 지속적인 저탄소 그린 경영 전략을 전개하고 있으며, 기업의 저탄소 경영성과 공개 프로그램인 CDP(Carbon Disclosure Project)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 2022년 탄소 정보공개 및 저감 성과가 우수한 국내 기업으로 선정되어 CDP Korea로부터 탄소경영섹터 아너스(선택소비재)를 수상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회사는 인도에서 고효율 냉장고 판매를 통해 UN으로부터 2018년 6만 2천톤, 2019년 39만 3천톤의 탄소배출권(CER: Certified Emission Reduction, 공인인증감축량)을 발급받는 등, 이 사업을 통해 총 56만5천톤(누적)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하였습니다. 특히, 회사는 탄소중립 2030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재생에너지 확대 등 친환경 활동을 펼치는 동시에 물 사용량 감축, 재활용률 확대 등의 친환경 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회사는 다우존스에서 발표하는 2022년 지속가능경영지수 평가에서 ESG 경영 상위 10%를 선정하는 DJSI 월드 지수에 11년 연속 편입되었으며, 2022년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ESG 평가에서도 환경부문A 등급을 받았습니다.


(2) 녹색기술 인증

연결회사는 정부가 2010년부터 시행하기 시작한 '녹색기술 인증' 제도에서 가전, TV 및 모니터 등에 대한 녹색기술 인증을 4건 보유하고 있습니다. 녹색기술 인증은 온실가스 감축, 에너지 이용 효율화, 청정에너지 등의 사회ㆍ경제활동의 전 과정에 걸쳐 에너지와 자원을 절약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온실가스 및 오염물질의 배출을 최소화하는 기술에 대한 인증으로, 기술의 우수성 뿐만 아니라 녹색성까지 고려하는 인증 제도입니다.

또한, 녹색기술 인증을 받은 기술을 실제로 적용하여 상용화한 제품에 인증 마크를 부여하는 '녹색기술제품 확인' 제도에서 연결회사는 8건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녹색기술 인증 현황>

인증번호 기술명칭 인증일자 유효기간

GT-18-00455

Control IC 내부 X-capacitor 방전 기능을 적용한 TV 대기전력 절감 기술

2018.05.17

2024.05.16

GT-21-01185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신개념 인버터 에어컨 기술

2021.07.29

2024.07.28

GT-22-01317

안면인식 기반 PC용 부재인식 대기전력 저감기술

2022.01.20

2025.01.19

GT-23-01774

PC모니터용 자동 에너지절감 영상모드 설정 및 운용 기술

2023.09.14

2026.09.13


<녹색기술제품 확인 현황>

확인번호 제품명 확인일자 유효기간

GTP-20-01955

대기전력저감 울트라 HD TV

2020.10.15

2024.05.16

GTP-21-02508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고효율 인버터 에어컨

2021.07.29

2024.07.28

GTP-21-02509

축관통 하부압축 스크롤 압축기를 적용한 고효율 인버터 에어컨

2021.07.29

2024.07.28

GTP-22-02846

대기전력저감 울트라 HD TV

2022.03.17

2024.05.16

GTP-23-03326

대기전력저감 울트라 HD TV

2023.01.26

2024.05.16

GTP-23-03342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3.01.26

2025.01.19

GTP-23-03346

대기전력 저감형 노트북

2023.01.26

2025.01.19

GTP-23-03812

소비전력 절감형 모니터

2023.09.14

2026.09.13


마. 사업부문별 시장여건 및 영업개황

- H&A(Home Appliance & Air Solution)

(1) 산업의 특성
H&A부문은 Home Appliance, Air Solution 제품과 가전 부품 Solution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Home Appliance는 냉장고ㆍ세탁기ㆍ오븐ㆍ식기세척기ㆍ청소기ㆍ전자레인지 가전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최근 건조기ㆍ의류 및 신발 관리기ㆍ정수기 등의 위생/건강 가전 및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과 연계된 스마트 가전 등으로 그 영역이 확대하고 있습니다. Home Appliance 산업의 경쟁 구도는 지역별로 현지의 강한 경쟁사가 존재하고 기술 혁신이 쉽지 않은 분야로 경쟁 강도가 지속 상승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사들도 사업영역 다각화 및 신규 사업 진출을 통하여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은 스탠드형/ 벽걸이형 에어컨ㆍ공기청정기ㆍ제습기 등의 가정용 제품과 상업용 에어컨ㆍ중앙 공조 시스템을 비롯한 산업용 냉난방 공조기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BECON(Building Energy Control) Cloud를 활용하여 고객의 에너지 사용 환경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효율적인 에너지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은 궁극적으로 관련된 제품 및 시스템 등 모든 일련의 과정을 관리하는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지향하는 부문으로서, 다양한 분야의 역량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야 하는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성장성
Home Appliance는 냉장고ㆍ세탁기 등 기본 백색가전 제품의 경우 시장 성장률이 낮으나, 스마트 가전ㆍ건조기ㆍ정수기ㆍ청소기ㆍ의류 및 신발 관리기ㆍ가정용 식물재배기 등 신사업의 경우 Life Style의 변화 및 COVID-19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됨에 따라 성장 잠재력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의 가정용 에어컨은 수요가 정체되고 있으나, 상업용 에어컨의 경우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추세이며, 통합 에너지 솔루션 제공 및 고객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에너지 절감 관점에서 주목을 받고 있어 새로운 성장 영역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Home Appliance는 필수재 성향이 높은 제품으로 경기 변동에 민감하지 않아 수요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글로벌 시장 수요의 감소 영향으로 제조업 전반에 걸쳐 성장이 둔화되고 있습니다. Air Solution의 상업용 에어컨과 냉난방 공조기 사업은 건설 경기 변동에 민감하고, 가정용 에어컨은 계절적 특성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나, 인버터, 에너지 고효율, 공기청정 기능 등을 갖춘 신제품이 지속 출시되면서 시장 확대가 예상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글로벌 원자재 및 환율의 변동성은 사업에 지속적인 Risk 요인이 되고 있으며 작년 하반기 이후 높은 인플레이션에 따른 각국 정부 당국의 금리 인상과 그에 따른 경기 침체 Risk로 가전 수요가 위축되고 있습니다.

H&A본부는 양극화되는 수요 대응 및 유연한 글로벌 생산지 운영을 통해 글로벌 원자재 및 환율의 변동성에 민첩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럽 국가를 선두로 다양한 국가에서 에너지 정책 및 규제 변화가 생겨나며 고효율 제품에 대한 새로운 시장 기회가 창출되고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사업 환경에서 대두되고 있는 ESG 경영 패러다임에 적극 대응하기 위하여, H&A본부는 'LG 전자 2030 탄소중립' 선언에 맞춰 사업장 별 에너지 감축을 추진하고 있으며, 친환경제품 강화를 통해 자원 낭비를 최소화하여 미래 세대에게 보다 나은 삶을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체의 특성이나 성별, 나이, 지식에 관계없이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가전 제품의 '접근성'을 개선하여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H&A본부는 인류와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ESG 경영 활동을 지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주요 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2015년부터 시장점유율 자료가 입수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Home Appliance는 핵심 부품 기술에 기반한 대용량ㆍ고효율 중심의 제품 차별화 및 지역 적합형 제품 개발 역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Global 가전 시장의 판도를 바꾸어 온 상품기획과 R&D 역량을 바탕으로 경쟁사를 압도하는 최고의 혁신 제품과 신규 Category 제품 개발, 브랜드 투자를 통해 성장 동력을 꾸준히 이어갈 것입니다.

Air Solution은 차별화된 기술과 디자인을 통해 가정용 에어컨, 공기청정기 등 Aircare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상업용 에어컨은 글로벌 생산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생산 혁신과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하는 Technology Leadership을 바탕으로 확고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칠러ㆍ스마트 그리드ㆍESCO(Energy Service Company)등 에너지 절감과 관련된 통합 에너지 솔루션을 통해 초대형 빌딩, 산업 시설에 이르는 다양한 환경에서 고객의 요구에 맞는 최적의 공조 솔루션 및 통합 에너지 제어ㆍ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H&A본부는 2022년 'UP가전'을 한국시장에 출시하여 '쓸수록 사용자에게 맞추어 업그레이드 되는 가전'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2023년 8월에는 개인 맞춤형 가전제품과 다양한 생활 서비스를 결합한 UP가전 2.0을 선보이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래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실시간 고객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 맞춤형 제품/ 서비스를 지속 발굴하여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고, 또 다른 한편으로는 사업운영 효율을 극대화 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성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제조 관점에서는 가전 생산기지인 창원 스마트파크가 국내 가전 업계 최초의 등대공장(세계경제포럼 WEF 선정)으로 선정되어 자동화ㆍ정보화ㆍ지능화를 포괄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지능형 자율 공장 시스템으로 인정 받고 있습니다. 창원 스마트파크의 성공 사례를 바탕으로2023년에는 미국 테네시 공장이 한국 기업이 해외에 세운 공장 중 최초의 등대공장으로 선정되며 해외 생산지의 생산 혁신 경쟁 또한 꾸준히 앞장서 나가고 있습니다.

- HE(Home Entertainment)

(1) 산업의 특성
HE부문은 TV, AV 제품 등의 멀티미디어 영상 음향 기기와 홈뷰티 케어 기기를 생산ㆍ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지식 및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 분야이며, Display 및 음향 관련 최첨단 기술과 이를 상용화할 종합적인 하드웨어 Integration 기술을 필수로 하며, 더 나아가 "데이터, 네트워크, AI 기반의 디지털" 시대를 선도할 최신 S/W 플랫폼과 차별화된 UX(User Experience) 구현 기술의 확보가 중요한 경쟁요소인 산업 분야입니다.  

(2) 성장성
2022년 TV 시장수요는 경기 침체 확대 및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해 전년 고성장 대비 성장율이 둔화되었습니다. 2023년 상반기는 글로벌 경제 침체 및 금리 인상으로
 인해 수요 회복이 부진하였으며 하반기부터 대부분의 지역에서 전년비 수요 회복이 이루어 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TV와 퀀텀 나노셀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QNED TV 프리미엄 제품 중심으로 High-end 브랜드 이미지 구축과 제품 차별화를 통해  질적 성장 및 수익성 개선에 주력하고 있으며, OLED TV와  QNED TV를 통해 프리미엄 제품 판매를 지속 확대하여 TV 프리미엄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10년 연속 1등의 OLED TV 리더십 기반 LG OLED TV의 확실한 우위 및 차별화 소구를 통해 고객 가치를  개선하고, 고객 사용 경험 확대를 통해 고객 경험 만족도를 제고하여 고객이 인정하는 최고의 OLED TV로 2023년에도 자리 매김하여 OLED TV 1등을 지속하겠습니다. 또한, 스마트 TV의 Home Entertainment 기능 확대  트렌드에 대응하여, 자체 플랫폼(webOS) 기능 향상과 함께 OTT 서비스 업체 및 클라우드 게이밍 업체 등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차별화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AV 사업은 시장 내 성장 제품인 퍼스널 오디오 제품군으로의 포트폴리오 전환과 브랜드 인지도 개선 활동을 지속 진행하고 주력 판매 제품인  사운드바와 TV의 연동성  및 차별화 기능 대응으로 판매 확대하여 사업 건전성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홈뷰티사업은 뷰티 디바이스에 대한 고객 관심과 사용률이 증가되고 있어 지속 성장이 예측됩니다. Wi-Fi를 통해 수집된 고객의 사용 데이터를 기반으로 스마트한 홈케어 경험을 제공함으로써 프리미엄 가치를 높이고 있습니다. 주력 채널은 2534 고객이 성장을 견인하는 D2C사업과 온라인채널로, 새로운 고객경험을 위한 다양한 컨텐츠 커머스 전략을 실행하여 성장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수출 비중이 높아 환율과 세계 경기 변화에 민감합니다. 팬데믹 기간  중 유동성 과다로 인한 인플레이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미-중 갈등 등의 국제 불안 및 글로벌 경기 침체 우려가 여전히 지속 중이며, 이로 인한 가계 실질 소득 감소 및 소비 심리 위축으로 TV 수요는 여전히 부진한 상황 입니다.

인플레이션 둔화세에 따라 각국의 통화 긴축 정책 종료가 예상되고, 원자재/ 에너지 공급 불안정도 해소 중이므로 TV 수요는 서서히 회복될 것으로 기대되나, 글로벌 금융 시장의 변동성 및 로컬 환율 악화 등의 요인으로 수요 예측의 불확실성이 병존하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2022년은 에너지 및 곡물 가격 인상에 따른 인플레이션으로 선진국 경기 악화, 달러 가치 상승에 따른 환율 리스크로 신흥국 부채 증가 및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침체와 엔데믹 이후 고객 소비 행태 변화로 TV 수요가 역성장 하였습니다. 2023년에도 금리 인상 및 글로벌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 부진이 상반기까지 지속되었으나, 하반기부터는 대부분의 지역에서 수요 회복이 예상됩니다.
2023년도는 고객들의 가격 민감도가 높아지면서 Trade-down 추세가 심화되어 프리미엄 TV 수요와 OLED TV 시장의 성장세도 소폭 둔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당사는 OLED TV를 중심으로 한 프리미엄 TV의 성장 전략을 지속 전개하면서 OLED TV 판매의 '질적 성장' 추진을 통해서 프리미엄 수요를 견인하고자 합니다. 자발광(SELF-LIT) 디바이스인 OLED TV 뿐만 아니라 고색재현 기술에 기반한 QNED TV와 나노셀 TV(NanoCell TV)를 필두로 하고 라이프스타일 스크린 신모델 출시를 통해 프리미엄 LCD TV 시장 확대를 주도하고, SW 중심으로의 사업 체질 변화를 가속화 하여 TV사업의 지속 성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2023년에도 OLED 종주 브랜드 및 10년 (2013년~2022년) 연속 OLED TV 1등 업체로서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기반으로 고객 경험 만족도를 제고하여 고객이 인정하는 최고의 OLED TV로 지속 자리 매김하고, 프리미엄 LCD TV인 퀀텀 나노셀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QNED TV 판매도 확대하여 프리미엄 LCD TV에 대한 고객가치도 동반 제공하고자 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비고
TV
(OLED TV포함)
16.5% 16.7% 18.5% 세계시장점유율
(금액기준)

주1) OMDIA (舊, IHS Technology)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자사는 Home Entertainment 관련 변화하는 고객의 요구를 충족하는 Total Solution Provider로서 업계에서의  위상을 공고히 해 왔습니다.

먼저 주력 사업인 TV는 고객의 잠재 니즈 충족, Pain Point 해결 등 고객 만족을 목표로 차별화 된 시장 선도 제품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내놓고 있습니다. OLED TV는 세계 최초로 출시 한 후 월 페이퍼 TV, 롤러블 TV 및 벽에 완전히 블렌딩되는 갤러리 TV 등 공간 관점에서의 고객 경험 혁신 제품과 디스플레이 및 SoC 기술이 진화된 OLED evo 라인업을 확대하며 댁내 종합 Entertainment Device로서 다양한 고객 수요를 충족하고 있으며, 2023년 세계 최초 무선 OLED TV 출시를 통해 기술 혁신과 함께 OLED 전용칩 6세대 알파9 프로세서의 화질/음질 경쟁력, 42 ~ 97형(inch)까지의 다양한 라인업 기반으로 프리미엄 시장을 지속 주도하고 있습니다.

OLED TV 뿐만 아니라 퀀텀과 나노의 장점을 결합해 LCD 제품군 중 가장 진화한 디스플레이 기술이 적용된 QNED TV 제공을 통해 LCD TV에 대한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히고 있으며, 독자적인 스마트 TV 플랫폼인 webOS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UX와 오픈파트너십과 함께 더 확장된  AI 서비스로 고객에게 컨텐츠 중심의 개인화된 새로운 사용 경험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HW 중심에서 경험과 서비스 중심으로 사업 체질 변화를 가속화하고 광고와 컨텐츠를 통한 플랫폼 사업 매출을 확대해나갈 예정입니다.

2021년 StanbyME를 출시하여 새로운 폼팩터와 함께 모바일 연동 / 세로 모드 / 배터리 / 터치 등을 통해 다양한 시청 환경에서 나를 위해 맞춰주는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을 제공하였으며, 2022년 Pose(포제)를 신규 출시하여 OLED 오브제 디자인의 차별화된 댁 내 공간의 사용 경험 및 고객 경험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2022년 하반기에는 42인치 벤더블 게이밍 OLED TV FLEX(플렉스)를 출시하여 OLED만이 가능한 폼팩터의 혁신과 함께 게임에 최적화된 기능과 UX/UI 적용을 통해 차별화된 최고의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다양한 고객의 경험을 충족시키는 초대형 OLED 및 라이프 스타일 스크린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AV 사업은 현재 주력 사업인 사운드바를 포함한 홈오디오 분야와 지속적인 수요 확대가 기대되는 무선헤드셋과 무선스피커의 퍼스널오디오 분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사운드바는 자사 TV와 완벽한 디자인 매칭, 단일 제품처럼 사용하기 편리한 UI, 사용 공간 최적화 설치 편의성을 통한 통합적 사용 경험과 세계 최초 상방향 센터 채널을 포함한 선도적인 음향 솔루션으로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무선스피커에서는 고출력 사운드 경쟁력을 기반으로 다양한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고출력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자사 독자 솔루션인 360 사운드와 360 라이팅을 결합한 공감각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무선헤드셋은 편안한 착용감을 경쟁 우위로 하여 음질, 통화, 디자인의 핵심 경쟁력을 강화하는 동시에 세계 최초 돌비 애트모스 입체음향, Plug&Wireless, UVnano 등 새로운 차별화 경험을 통해서 퍼스널 오디오 시장에서의 선점 기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홈뷰티사업은 시장의 흐름을 주도하고 있는 안티에이징 기능의 상품 라인업으로 온라인 뿐 아니라 오프라인에서도 직접 체험하고 효능을 실감할 수 있도록 뷰티클래스, 백화점 내 이벤트 체험공간, 라이브클래스 등으로 고객들에게 다양한 경험요소를 전달하고 신뢰를 쌓아 프리미엄 홈뷰티 브랜드의 위상을 공고히 하며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VS(Vehicle component Solutions)

(1) 산업의 특성
VS부문은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텔레매틱스ㆍ디스플레이 오디오ㆍ내비게이션) , 전기자동차용 구동부품(모터ㆍ인버터 등), 자율주행 부품, 자동차 램프 및 보안용 SW를 생산ㆍ판매하는 부문입니다.
자동차 부품 산업은 품질과 안전을 최우선시하고 공급 부품에 대한 높은 신뢰성과 기존 사업 경험을 요구하는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자원의 선행 투입이 필요하고 사업화에 장기간이 소요되므로 개발 초기 단계부터 완성차 업체와 장기간 긴밀한 협력 관계를 유지해야 하는 산업입니다.

(2) 성장성
차량 내 통신 수요 및 통신 보안 중요도 증가와 IT 기기 사용 확대, 그리고 각국 정부의 환경 규제 정책과 보조금 지원, 혁신적이고 편리한 차량용 램프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증가로 자사 사업 영역인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제품과 보안 SW, 친환경 전기차 부품, 그리고 차량용 램프 시장의 고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변동, 정부규제, 보조금 지원 규모 변동 등이 자동차 시장 수요에 영향을 미치며, 자동차 부품 사업은 완성차 업체의 매출 실적, 지역별 차량 판매량 변동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인포테인먼트 제품의 경우, 차량용 5G/V2X 관련 Connectivity 기능 확대와 통신 수요 증가로 텔레매틱스 시장 성장이 예상되고,  스마트폰 연계 요구 확대와 계기판, 디스플레이 제품들의 통합/대형화 등으로 디스플레이 오디오 및 내비게이션 시장의 성장이 기대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비고
텔레매틱스

23.8%

23.3%

24.2% 세계시장점유율
(금액기준)
AV/AVN

11.8%

11.7%

11.0%

주) Strategy Analytics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텔레매틱스 영역에서는 통신 역량 및 차량용 5G 기술 선제 대응 등 차별화된 기술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 지위를 유지하고 있고, 디스플레이 오디오/내비게이션 영역에서는 당사 디스플레이 및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하여 제품 차별화 노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BS(Business Solutions)

(1) 산업의 특성
BS부문은 모니터, 노트북, PC 등의 IT 제품과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ID) 제품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모니터는 PC 및 스트리밍 기기의 성능향상과 소비 컨텐츠의 다양화 및 고화질화에 따라 대형화 및 고해상도로 시장이 전환 되고 있으며, 다양한 고객 Needs에 부합하여 게이밍 모니터, 스마트 모니터 등의 프리미엄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PC는 그래픽 성능 향상, 경량화, 배터리 용량 확대 등으로 성능향상과 더불어 모빌리티가 강화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데스크톱에서 노트북으로의 수요 이동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IT 기업과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속적인 시장 선도 제품 개발이 사업의 중요한 요소입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에서는 B2B Commercial 제품인 모니터사이니지와 호텔 TV 등을 생산ㆍ판매하고  있으며, 패널 등의 Display 관련 기술과 소프트웨어 Integration 기술 등이 중요한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입니다. 또한 지속적인 거래 관계 유지를 위해 고객과의 파트너쉽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한 경쟁 요소이기도 합니다.

모니터사이니지는 QSR (Quick Service Restaurant) 중심으로 성장하였으나, 현재는 기업/교육/방송/병원 등 다양한 산업군별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LED제품이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향후 비디오월 등 기존 LCD 제품과 경쟁하며 공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모니터는 그래픽 칩셋의 고성능화, 게임 엔진 그래픽 수준 향상으로 고사양 게이밍 모니터 수요는 꾸준히 증가될 것으로 예상되며, PC 노트북 시장의 성장은 단기적으로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되나 초슬림/초경량 중심의 시장은 성장 전망되며, 특히 팬데믹 기간 동안 늘어난 저가 PC 교체 주기에 맞춰 2025년 이후 고사용 PC 수요 증가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산업은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LED 사이니지 시장의 빠른 성장이 예상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모니터는 중국 중심 생산 오퍼레이션, 모듈 의존도 및 B2B 비중이 높은 사업이며, 글로벌 경기 변화에 민감합니다. 모듈가 하락 및 POST-COVID-19 영향으로 B2C 시장의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예상되나, 프리미엄 시장의 성장으로  성장의 기회 또한 있습니다. PC는 B2C/B2B 필수 소비재로 거시경제 지표에는 영향을 상대적으로 적게 받는 대신 핵심 부품의 외부 의존도가 높아 반도체, 배터리, 디스플레이 등 부품 산업의 변동에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산업은 프로젝트 비중이 높아 정부/기업의 투자와 관련이 있어 글로벌 경기 지표 악화 시 매출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기는 하나, 일반 소비재 산업과는 달리, 산업군별 물량의 비중이 큰 지역에서는 경기 변동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덜 받기도 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2022년 IT 시장은 엔데믹/인플레이션으로 인한 글로벌 경기 침체와 지정학적 리스크 영향으로 등으로 시장 수요가 감소 되었습니다. 2023년은 상반기 침체 이후 하반기부터 커머셜 시장 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있으나 대내ㆍ외의 변수가 많아 시장 회복에는 좀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3년 디지털 사이니지 시장은 인플레이션 및 환율 악화 등 글로벌 경기침체 영향으로 성장세가 소폭 둔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나, 변화하는 시장 트렌드에 맞춰 주력 버티컬(기업/리테일/호텔)에서 사업기회를 적극 발굴하고, 교육/방송/VP 등 다양한 버티컬의 수요창출을 통해 대응하고 있습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비고
모니터 7.8% 8.1% 7.7% 수량기준
사이니지 21.9% 20.1% 21.0% 수량기준

주1) 모니터는 IDC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주2) 사이니지는 모니터사이니지와 TV사이니지이며, OMDIA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일본시장을 제외한 회사의 추정치입니다.

(5) 회사의 경쟁우위 요소

모니터 사업은 고객 가치에 기반하여 OLED 게이밍, 스마트 모니터 등 프리미엄 제품 및 컨텐츠소비 고객 대응 제품을 지속 확대하고 있으며, 의료용/ 클라우드 디바이스를 신규 사업화하여 B2B 사업 기회 영역을 지속 발굴, 확대 하고 있습니다. PC 사업은 당사가 세계 최초로 경량 17형(inch) 노트북을 출시한 이후 지속 증가하는 대화면 수요를 공략하기 위해 16형(inch), 17형(inch) 경량 노트북 라인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프리미엄 윈도우 노트북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판매를 확대 하고 있습니다.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사업은 성장하는 사이니지 시장에서 차별화된 시장 선도 제품을 기획ㆍ개발ㆍ출시하고 있으며, 다양한 솔루션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하드웨어의 스펙 우위점을 지속 유지하고 고객이 필요로 하는 기능의 빠른 접목을 통해 차별적 요소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점차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호텔 TV는 자체개발 솔루션을 비롯하여 자사의 독자 플랫폼인 webOS를 기반으로 차별화된 UX를 제공하여 보다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호텔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크루즈 및 헬스케어 등 신규 시장 진입도 본격적으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 이노텍

(1) 산업의 특성
카메라모듈(Camera Module) 산업은 고부가가치의 기술 집약적 산업이며 카메라모듈의 성능이 완제품의 경쟁력으로 직결되어 첨단기술 및 고객의 요구변화에도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소비자가 즉각적인 차이를 느낄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은 새로운 기능에 대한 니즈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니즈에 대응하여 제품화 할 수 있는 개발 / 제조 역량이 요구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모바일 기기의 고성능화 및 복합화에 힘입어 카메라모듈 시장도 확대되어 왔습니다. 모바일 기기의 하드웨어 차별화가 어려워 시장 성장 정체가 전망되고 있지만 카메라모듈은 고화소, 줌, 3D인식모듈 등 새로운 어플리케이션의 등장에 따라 산업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차량용 카메라는 자율주행 기술의 발전에 따라 카메라 성능 고도화와 탑재 카메라 수의 증가로 차량용 카메라모듈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카메라모듈은 수출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해외시장의 경기변동, 첨단기술과 고객의 요구 변화에 영향을 받으며, 이외 원자재 가격, 환율 및 국내 경기 변동에도 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

카메라 모듈 시장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스마트폰 시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글로벌 경기 침체의 영향으로 수요부진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며, 2022년 큰 폭의 역성장 이후 2024년부터 성장세로 전환하여 점차 COVID-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율주행차는 현재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ADAS)이 주류이나, 제도 정비 및 규제 개선에 따라 본격적인 자율주행(AD) 시장이 개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제품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 2023년 3분기 2022년 2021년 비고
모바일 카메라모듈 28.7% 29.7% 25.8% 세계시장점유율
(금액기준)

주) 모바일 카메라모듈은 TSR (Techno Systems Research) 등의 연간 발표자료를 기준으로 한 회사의 추정치 입니다.


(5)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

회사는 꾸준한 연구개발과 시장 선도 제품 출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략고객과의 파트너십을 지속 강화하고 차별화 전략 제품을 기반으로 시장을 선도하겠습니다.

바.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1) 사업부문별 매출, 영업이익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구분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H&A 매출액 234,646 38.4 235,109 38.5 298,954 35.8 271,104 36.7
 외부고객 매출 234,269 38.3 234,945 38.5 298,691 35.8 270,779 36.7
 내부고객 매출 377 0.1 164 0.0 263 0.0 325 0.0
영업이익 21,234 65.6 11,104 34.3 11,359 32.0 22,143 54.6
HE 매출액 100,749 16.5 112,350 18.4 157,267 18.8 172,191 23.3
 외부고객 매출 100,716 16.5 112,302 18.4 157,199 18.8 172,096 23.3
 내부고객 매출 33 0.0 48 0.0 68 0.0 95 0.0
영업이익 4,346 13.4 1,129 3.5 54 0.2 10,911 26.9
VS 매출액 75,545 12.4 62,536 10.2 86,496 10.4 67,005 9.1
 외부고객 매출 75,545 12.4 62,536 10.2 86,496 10.4 67,003 9.1
 내부고객 매출 - 0.0 - 0.0 - - 2 0.0
영업이익(손실) 1,277 3.9 1,394 4.3 1,696 4.8 (9,364) -23.1
BS 매출액 41,432 6.8 48,411 7.9 60,903 7.3 54,767 7.4
 외부고객 매출 41,372 6.8 48,376 7.9 60,859 7.3 54,725 7.4
 내부고객 매출 60 0.0 35 0.0 44 0.0 42 0.0
영업이익 478 1.5 1,030 3.2 252 0.7 3,218 7.9
이노텍 매출액 130,467 21.3 130,439 21.3 195,922 23.5 149,500 20.2
 외부고객 매출 126,290 20.6 126,494 20.7 190,771 22.9 144,128 19.5
 내부고객 매출 4,177 0.7 3,945 0.6 5,151 0.6 5,372 0.7
영업이익 3,471 10.7 11,016 34.0 12,706 35.8 12,594 31.0
기타 매출액 28,398 4.6 27,253 4.5 35,131 4.2 24,513 3.3
 외부고객 매출 33,045 5.4 31,445 5.1 40,657 4.8 30,349 4.0
 내부고객 매출 (4,647) -0.8 (4,192) -0.6 (5,526) -0.6 (5,836) -0.7
영업이익 1,554 4.9 9,144 28.3 9,443 26.5 1,078 2.7
합계 매출액 611,237 100.0 616,098 100.8 834,673 100.0 739,080 100.0
 외부고객 매출 611,237 100.0 616,098 100.8 834,673 100.0 739,080 100.0
 내부고객 매출 - 0.0 - 0.0 - - - -
영업이익 32,360 100.0 34,817 107.6 35,510 100.0 40,580 100.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1)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 부문간 매출액은 독립된 당사자 간의 거래조건에 따라 회계처리하였습니다.
주2) 각 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비용은 각 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비용은 배부기준(매출액, 인원수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부하였습니다.
주3) 기타부문은 보고부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영업부문과 영업부문에 대한 지원활동 및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부서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4) 에너지사업 중단으로 인한 매출을 제외한 계속영업 매출액 기준이며, 제22기 조직 기준으로 제21기 및 제20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2) 사업부문별 자산, 부채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제 22 기 3분기말 제 21 기말 제 20 기말
자산 비율 부채 비율 자산 비율 부채 비율 자산 비율 부채 비율
H&A 278,314 45.0 135,495 36.0 255,889 46.4 130,419 39.9 242,391 45.3 128,272 38.4
HE 149,829 24.2 103,897 27.6 133,793 24.3 93,014 28.5 136,201 25.5 96,387 28.9
VS 100,505 16.2 117,676 31.2 90,324 16.4 108,088 33.1 80,501 15.1 99,737 29.9
BS 55,895 9.0 39,747 10.5 51,320 9.3 36,124 11.1 48,773 9.1 33,831 10.1
이노텍 115,008 18.6 70,578 18.7 97,936 17.8 55,278 16.9 77,414 14.5 44,271 13.3
기타 및 내부거래 제거 등 (80,520) -13.0 (90,613) -24.0 (77,701) -14.2 (96,282) -29.5 (50,465) -9.5 (68,664) -20.6
합 계 619,031 100 376,780 100 551,561 100 326,641 100 534,815 100 333,834 10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1) 각 부문의 자산, 부채는 부문간 내부거래 제거 전 내역입니다.
주2) 각 부문별 귀속이 명확한 자산, 부채는 각 부문에 직접 귀속시키고, 귀속여부가 불분명한 자산, 부채는 배부기준(매출액, 인원수 등)에 따라 적절히 배부하였습니다.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요약연결재무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2023년 9월말) (2022년 12월말) (2021년 12월말)
[유동자산] 32,624,135 27,488,228 27,487,763
 ㆍ현금및현금성자산 8,112,196 6,322,360 6,051,516
 ㆍ매출채권 10,827,856 8,216,512 8,166,459
 ㆍ재고자산 9,948,466 9,388,808 9,754,018
 ㆍ기타유동자산 3,735,617 3,560,548 3,515,770
[비유동자산] 29,278,957 27,667,913 25,993,715
 ㆍ유형자산 16,749,478 15,831,838 14,700,784
 ㆍ무형자산 2,685,920 2,454,830 2,443,249
 ㆍ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3,003,565 3,963,550 5,149,244
 ㆍ투자부동산 95,740 101,877 370
 ㆍ기타비유동자산 6,744,254 5,315,818 3,700,068
자산총계 61,903,092 55,156,141 53,481,478
[유동부채] 25,114,951 22,332,549 23,619,899
[비유동부채] 12,563,042 10,331,595 9,763,546
부채총계 37,677,993 32,664,144 33,383,445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20,544,048 18,992,108 17,230,643
 ㆍ자본금 904,169 904,169 904,169
 ㆍ주식발행초과금 3,088,179 3,088,179 3,088,179
 ㆍ이익잉여금 16,755,249 15,834,021 14,433,587
 ㆍ기타포괄손익누계액 (98,528) (749,534) (1,106,614)
 ㆍ기타자본구성요소 (105,021) (84,727) (88,678)
[비지배지분] 3,681,051 3,499,889 2,867,390
자본총계 24,225,099 22,491,997 20,098,033

(2023.01.01~
2023.09.30)
(2022.01.01~
2022.12.31)
(2021.01.01~
 2021.12.31)
매출액 61,123,669 83,467,318 73,907,984
영업이익 3,235,965 3,550,972 4,057,997
계속영업 당기순이익 1,225,741 2,007,504 2,781,119
중단영업 당기순손익 1,304 (144,381) (1,366,147)
당기순이익 1,227,045 1,863,123 1,414,972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1,018,771 1,196,442 1,031,710
보통주 계속영업 기본 및 희석
주당순이익 (단위:원)
5,647 7,441 13,305
보통주 중단영업 기본 및 희석
주당순손익 (단위:원)
7 (801) (7,580)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단위:개) 145 144 135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 제 20기는 태양광 사업의 종료에 따라 재작성하였습니다.

나. 요약재무정보
요약재무정보는 별도재무제표이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2023년 9월말) (2022년 12월말) (2021년 12월말)
[유동자산] 11,736,209 9,119,623 10,613,206
 ㆍ현금및현금성자산 2,640,099 1,941,615 2,012,229
 ㆍ매출채권 5,670,018 3,971,617 5,016,382
 ㆍ재고자산 1,461,235 1,523,327 1,649,010
 ㆍ기타유동자산 1,964,857 1,683,064 1,935,585
[비유동자산] 20,925,786 19,593,191 18,980,318
 ㆍ유형자산 5,827,528 6,007,599 6,424,785
 ㆍ무형자산 1,905,842 1,715,271 1,758,718
 ㆍ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9,112,769 9,004,775 8,914,917
 ㆍ기타비유동자산 4,079,647 2,865,546 1,881,898
자산총계 32,661,995 28,712,814 29,593,524
[유동부채] 13,317,976 12,060,574 13,657,848
[비유동부채] 7,799,724 6,763,211 7,045,421
부채총계 21,117,700 18,823,785 20,703,269
[자본금] 904,169 904,169 904,169
[주식발행초과금] 3,088,179 3,088,179 3,088,179
[이익잉여금] 7,547,576 5,890,737 4,940,12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7,190 38,763 (9,396)
[기타자본구성요소] (32,819) (32,819) (32,819)
자본총계 11,544,295 9,889,029 8,890,255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원가법 원가법 원가법

(2023.01.01~
2023.09.30)
(2022.01.01~
2022.12.31)
(2021.01.01~
 2021.12.31)
매출액 22,115,216 27,791,746 27,115,307
영업이익 996,711 110,787 626,594
계속영업 당기순이익 1,759,725 1,023,370 481,281
중단영업 당기순손익 394 (168,407) (1,394,819)
당기순이익(손실) 1,760,119 854,963 (913,538)
보통주 계속영업 기본 및 희석
주당순이익 (단위:원)
9,769 5,679 2,668
보통주 중단영업 기본 및 희석
주당순손익 (단위:원)
2 (936) (7,746)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 제 20기는 태양광 사업의 종료에 따라 재작성하였습니다.

2. 연결재무제표

2-1. 연결 재무상태표

연결 재무상태표

제 22 기 3분기말 2023.09.30 현재

제 21 기말          2022.12.31 현재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말

제 21 기말

자산

   

 유동자산

32,624,135

27,488,228

  현금및현금성자산

8,112,196

6,322,360

  단기금융상품

146,523

171,046

  매출채권

10,827,856

8,216,512

  기타수취채권

654,694

602,782

  기타금융자산

118,010

7,823

  유동재고자산

9,948,466

9,388,808

  당기법인세자산

177,431

215,722

  계약자산

941,374

704,039

  기타유동자산

1,693,355

1,846,221

  매각예정분류자산

4,230

12,915

 비유동자산

29,278,957

27,667,913

  장기금융기관예치금

75,717

75,180

  장기매출채권

418,822

143,209

  장기기타수취채권

1,813,198

787,793

  장기기타금융자산

498,319

411,158

  유형자산

16,749,478

15,831,838

  무형자산

2,685,920

2,454,830

  이연법인세자산

2,502,674

2,452,091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3,003,565

3,963,550

  투자부동산

95,740

101,877

  순확정급여자산

651,869

771,233

  계약자산

474,476

364,643

  기타비유동자산

309,179

310,511

 자산총계

61,903,092

55,156,141

부채

   

 유동부채

25,114,951

22,332,549

  매입채무

10,848,196

8,212,419

  단기차입금

2,475,371

2,287,518

  리스부채

296,802

303,969

  기타지급채무

3,980,255

4,551,554

  기타금융부채

4,692

10,237

  당기법인세부채

227,966

250,575

  유동충당부채

1,023,909

1,480,805

  계약부채

2,029,806

1,443,977

  기타 유동부채

4,227,954

3,791,495

 비유동부채

12,563,042

10,331,595

  장기차입금

10,790,609

8,757,669

  리스부채

818,316

792,266

  기타지급채무

148,418

136,509

  기타금융부채

21,192

10,428

  이연법인세부채

34,577

46,801

  순확정급여부채

104,841

86,220

  비유동충당부채

406,916

288,130

  장기계약부채

63,411

47,212

  기타 비유동 부채

174,762

166,360

 부채총계

37,677,993

32,664,144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20,544,048

18,992,108

  자본금

904,169

904,169

  주식발행초과금

3,088,179

3,088,179

  이익잉여금(결손금)

16,755,249

15,834,021

  기타포괄손익누계액

(98,496)

(750,372)

  매각예정분류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2)

838

  기타자본구성요소

(105,021)

(84,727)

 비지배지분

3,681,051

3,499,889

 자본총계

24,225,099

22,491,997

부채와 자본 총계

61,903,092

55,156,141

2-2. 연결 손익계산서

연결 손익계산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매출액

20,709,340

61,123,669

21,176,765

61,609,810

매출원가

15,697,860

46,056,242

16,131,316

45,607,560

매출총이익

5,011,480

15,067,427

5,045,449

16,002,250

판매비와관리비

4,014,820

11,831,462

4,298,892

12,520,549

 판매비

2,480,788

7,251,664

2,705,259

8,073,256

 관리비

494,438

1,441,788

455,646

1,321,277

 연구개발비

637,316

1,847,308

609,068

1,743,804

 서비스비

402,278

1,290,702

528,919

1,382,212

영업이익(손실)

996,660

3,235,965

746,557

3,481,701

금융수익

312,157

1,016,921

316,451

796,868

금융비용

283,446

1,006,016

239,993

791,110

지분법이익(손실)

(266,873)

(1,060,122)

(302,277)

(441,637)

기타영업외수익

484,927

1,677,079

1,042,343

2,557,918

기타영업외비용

594,417

1,894,946

1,127,106

2,497,62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649,008

1,968,881

435,975

3,106,111

법인세비용(수익)

163,604

743,140

135,608

890,400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485,404

1,225,741

300,367

2,215,711

중단영업당기순이익(손실)

(142)

1,304

36,064

(140,247)

당기순이익(손실)

485,262

1,227,045

336,431

2,075,464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385,415

1,018,771

122,729

1,542,385

 비지배지분

99,847

208,274

213,702

533,079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보통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139

5,654

682

8,563

   계속영업 보통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140

5,647

481

9,341

   중단영업 보통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

7

201

(778)

  우선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151

5,691

694

8,600

   계속영업 우선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152

5,684

493

9,378

   중단영업 우선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

7

201

(778)

2-3.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당기순이익(손실)

485,262

1,227,045

336,431

2,075,464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197,932

739,904

1,311,257

2,951,175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76,556

36,728

200,651

605,178

  관계기업의 재측정요소에 대한 지분

21

(594)

(1,886)

54,51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30)

3,828

(4,728)

(21,078)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재측정요소 제외)에 대한 지분

50,939

80,306

143,744

251,439

  현금흐름위험회피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8,092

(2,808)

34,114

119,529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세후기타포괄손익)

65,954

622,444

939,362

1,941,593

총포괄손익

683,194

1,966,949

1,647,688

5,026,639

총 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552,718

1,699,139

1,336,515

4,297,707

 비지배지분

130,476

267,810

311,173

728,932

2-4. 연결 자본변동표

연결 자본변동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비지배지분

자본 합계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이익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매각예정분류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자본구성요소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합계

2022.01.01 (기초자본)

904,169

3,088,179

14,433,587

(1,118,913)

12,299

(88,678)

17,230,643

2,867,390

20,098,033

당기순이익(손실)

0

0

1,542,385

0

0

0

1,542,385

533,079

2,075,464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0

0

597,367

2,163,533

(5,578)

0

2,755,322

195,853

2,951,175

연차배당

0

0

(153,915)

0

0

0

(153,915)

(71,857)

(225,772)

종속기업에 대한 소유주지분의 변동

0

0

0

0

0

3,141

3,141

(6,796)

(3,655)

2022.09.30 (기말자본)

904,169

3,088,179

16,419,424

1,044,620

6,721

(85,537)

21,377,576

3,517,669

24,895,245

2023.01.01 (기초자본)

904,169

3,088,179

15,834,021

(750,372)

838

(84,727)

18,992,108

3,499,889

22,491,997

당기순이익(손실)

0

0

1,018,771

0

0

0

1,018,771

208,274

1,227,045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0

0

29,362

651,876

(870)

0

680,368

59,536

739,904

연차배당

0

0

(126,905)

0

0

0

(126,905)

(101,223)

(228,128)

종속기업에 대한 소유주지분의 변동

0

0

0

0

0

(20,294)

(20,294)

14,575

(5,719)

2023.09.30 (기말자본)

904,169

3,088,179

16,755,249

(98,496)

(32)

(105,021)

20,544,048

3,681,051

24,225,099

2-5. 연결 현금흐름표

연결 현금흐름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377,349

2,634,754

 당기순이익(손실)

1,227,045

2,075,464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4,003,145

1,545,835

 이자의 수취

293,563

102,535

 이자지급(영업)

(384,293)

(267,738)

 배당금수취(영업)

12,821

102,152

 법인세의 납부(환급)

(774,932)

(923,494)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209,328)

(2,204,742)

 금융기관예치금의 감소

117,941

9,432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116,177

135,766

 기타금융자산의 회수 및 처분

36,234

77,359

 유형자산의 처분

38,876

84,197

 무형자산의 처분

4,210

126,790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회수 및 처분

0

1,977

 매각예정분류자산의 처분

13,358

301,283

 사업양도

0

39,060

 금융기관예치금의 증가

(169,248)

(6,110)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1,135,659)

(133,517)

 기타금융자산의 취득

(78,760)

(151,499)

 유형자산의 취득

(2,506,808)

(2,196,755)

 무형자산의 취득

(617,248)

(439,688)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취득

(28,401)

(53,037)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513,093

571,668

 차입금의 증가

4,970,504

3,447,094

 비지배지분과의 거래

63,717

21

 차입금의 상환

(3,018,094)

(2,390,966)

 리스부채의 상환

(274,906)

(250,230)

 배당금의 지급 등

(228,128)

(234,251)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108,722

456,103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1,789,836

1,457,783

기초의 매각예정분류자산으로 분류된 현금및현금성자산

0

58,371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6,322,360

6,051,516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112,196

7,567,670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제 22 기 3분기 : 2023년 09월 30일 현재
제 21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LG전자


1. 일반사항 :

LG전자주식회사(이하 "회사" 또는 "지배기업")는 2002년 4월 1일을 기준일로 분할 전LG전자㈜의 전자 및 정보통신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어 2002년 4월 22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우선주 일부가 주식예탁증서의 형태로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회사의본점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보통주식 지분 중 33.7%를 소유한 ㈜LG가 회사에 대한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지분은 기관투자자, 해외투자자 및 소액주주 등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회사와 그 종속기업(이하 '연결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냉장고ㆍ세탁기ㆍ청소기 등주요 생활가전제품과 가정용ㆍ상업용 에어컨을 생산ㆍ판매하는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본부, TV와 디지털 Media 제품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Home Entertainment 사업본부, 자동차 부품을 설계ㆍ제조하는 Vehicle component Solutions 사업본부, 모니터, PC,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 광학솔루션사업, 기판소재사업, 전장부품사업을 영위하는 엘지이노텍 등 5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종속기업은 144개('주석 1(1)' 참조)이며,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은 21개('주석 11' 참조)입니다.

(1) 연결대상 종속기업 현황

지역 소재지 종속기업 2023.9.30 2022.12.31 결산월 주요사업 지배관계 근거
지배
지분율
비지배
지분율
지배
지분율
비지배
지분율
대한민국 대한민국 ㈜하이프라자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도,소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에이스냉동공조㈜ 100.0% - 100.0% - 12월 공기조화장치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하이엠솔루텍㈜ 100.0% - 100.0% - 12월 기타 일반 기계 및 장비 수리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하이케어솔루션㈜ 100.0% - 100.0% - 12월 용역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하이텔레서비스 100.0% - 100.0% - 12월 콜센터 및 텔레마케팅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엘지이노텍㈜(*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매 사실상 지배력
대한민국 이노위드㈜(*1) 40.8% 59.2% 40.8% 59.2% 12월 용역서비스 사실상 지배력
대한민국 ㈜하누리 100.0% - 100.0% - 12월 사업시설 유지관리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지케이더블유라이팅시스템즈코리아 주식회사 70.0% 30.0% 70.0% 30.0%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51.0% 49.0% 51.0% 49.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한민국 ㈜하이비차저(*5) 60.0% 40.0% 60.0% 40.0% 12월 전기변환 장치 제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중국 LG Electronics (China) Co., Ltd(LGECH)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Chin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Co., Ltd.(LGERD) 100.0% - 100.0% -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Air-Conditioning(Shandong) Co., Ltd.(LGEQA)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HK LIMITED(LGEHK)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Huizhou) Inc.(LGEHZ) 80.0% 20.0% 80.0% 20.0%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LGENT) 70.0% 30.0% 70.0% 30.0%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Nanjing Vehicle Components Co.,Ltd.(LGENV)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Qinhuangdao) Co.,LTD(LGEQH) 100.0% - 100.0% - 12월 주물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Shenyang) Inc(LGESY) 78.9% 21.1% 78.9% 21.1%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LGETA) 80.0% 20.0% 80.0% 20.0%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Nanjing LG Panda Appliances Co., Ltd(LGEPN) 70.0% 30.0% 70.0% 30.0%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LGETR)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QINGGONGLIAN ELECTRICAL INSTALLATION ENGINEERING CO.,LTD. 80.0% 20.0% 80.0% 20.0% 12월 에어컨 설치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Innotek Yantai Co.,Ltd.(LGITYT)(*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매 사실상 지배력
중국 LG Innotek Trading (Shanghai) Co.,Ltd.(LGITSH)(*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판매 사실상 지배력
중국 ZKW Lighting Systems (Dalian) Co. Ltd.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국 LG Magna Nanjing e-Powertrain Vehicle Components Co., Ltd. 51.0% 49.0% 51.0% 49.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시아 호주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LGEAP)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LGEIL)(*4) 100.0% - 100.0% - 3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일본 LG Japan Lab. Inc.(LGJL) 100.0% - 100.0% -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일본 LG Electronics Japan, Inc.(LGEJP)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말레이시아 LG Electronics (M) Sdn. Bhd(LGEML)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필리핀 LG Electronics Philippines Inc.(LGEPH)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싱가포르 LG Electronics Singapore Pte.Ltd.(LGESL)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대만 LG Electronics Taiwan Taipei Co., Ltd.(LGETT)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태국 LG Electronics (Thailand) Company Limited(LGETH)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 LG Soft India Private Limited.(LGSI)(*4) 100.0% - 100.0% - 3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네시아 P.T. LG Electronics Indonesia(LGEIN)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필리핀 LG Electronics Pasig Inc.(*3) 38.0% 62.0% 38.0% 62.0% 12월 부동산 사실상 지배력
인도네시아 PT. LG Innotek Indonesia(LGITIN)(*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매 사실상 지배력
대만 LG Innotek (Taiwan) Co., Ltd.(LGITTW)(*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판매 사실상 지배력
베트남 LG Innotek Vietnam Hai Phong Co.,Ltd.(LGITVH)(*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매 사실상 지배력
베트남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LGEVH)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네시아 PT. LG Electronics Service Indonesia(LGEID) 99.8% 0.2% 99.8% 0.2%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필리핀 HI-M SOLUTEK PHILIPPINES INC.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베트남 HI-M SOLUTEK VIETNAM CO., LTD.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 Alphonso Labs Private Limited(*4) 55.7% 44.3% 56.1% 43.9% 3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네시아 PT LGE INDONESI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LGERC) 100.0% - 100.0% -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일본 Cybellum Technologies Ltd. 69.2% 30.8% 69.2% 30.8% 12월 자동차 보안 솔루션 개발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베트남 LG Electronics Development Vietnam Company Limited (LGEDV) 100.0% - 100.0% -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인도네시아 PT HI-M SOLUTEK INDONESIA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유럽 네덜란드 LG Electronics Benelux Sales B.V.(LGEBN)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독일 LG Electronics Deutschland GmbH(LGEDG)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스페인 LG Electronics Espana S.A.(LGEE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네덜란드 LG Electronics European Holding B.V.(LGEEH) 100.0% - 100.0% - 12월 유럽지주회사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네덜란드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LGESC) 100.0% - 100.0% - 12월 용역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프랑스 LG Electronics France S.A.S(LGEF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그리스 LG ELECTRONICS HELLAS SINGLE MEMBER SA (LGEH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이탈리아 LG Electronics Italia S.P.A.(LGEI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라트비아 LG Electronics Latvia LTD(LGELA)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헝가리 LG Electronics Magyar K.F.T.(LGEMK)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폴란드 LG Electronics Mlawa Sp. z.O.O.(LGEMA)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스웨덴 LG Electronics Nordic AB(LGESW)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폴란드 LG Electronics Polska Sp. Z.O.O(LGEPL)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포르투갈 LG Electronics Portugal S.A.(LGEPT)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영국 LG Electronics U.K. LTD(LGEUK)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폴란드 LG Electronics Wroclaw Sp. z.O.O.(LGEWR)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핀란드 LG Electronics Finland Lab Oy(LGEFL) 100.0% - 100.0% -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폴란드 LG Innotek Poland Sp. z.o. o.(LGITPO)(*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매 사실상 지배력
독일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 (LGEVG) 100.0% - 100.0% - 12월 자동차 부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오스트리아 ZKW Holding GmbH 70.0% 30.0% 70.0% 30.0% 12월 지주회사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오스트리아 ZKW Group GmbH 70.0% 30.0% 70.0% 30.0%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오스트리아 ZKW Elektronik GmbH(*6) - -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오스트리아 ZKW Lichtsysteme GmbH(*6)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오스트리아 ZKW Austria Immobilien Holding GmbH 70.0% 30.0% 70.0% 30.0% 12월 지주회사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오스트리아 ZKW Austria Immobilien GmbH 70.0% 30.0% 70.0% 30.0% 12월 부동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슬로바키아 ZKW Slovakia s.r.o.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체코 KES - kabelove a elektricke systemy spol. s.r.o.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체코 ZKW Automotive Engineering CZ s.r.o. 70.0% 30.0% 70.0% 30.0%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폴란드 KES Poland Sp.z o.o.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폴란드 HI-M SOLUTEK POLAND Sp. z o.o.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헝가리 ACE R&A Hungary Limited Liability Company 100.0% - 100.0% - 12월 공기조화장치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영국 Alphonso UK Limited 55.7% 44.3% 56.1% 43.9% 12월 광고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그리스 Alphonso Hellas S.A. 55.7% 44.3% 56.1% 43.9% 12월 광고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헝가리 LG Magna e-Powertrain Hungary Ltd. 51.0% 49.0% - -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독일 HI-M SOLUTEK Germany GmbH 100.0% - -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북미 미국 LG Electronics Alabama Inc.(LGEAI)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캐나다 LG Electronics Canada, Inc.(LGECI)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멕시코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LGEM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멕시코 LG Electronics Reynosa, S.A. De C.V.(LGER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Electronics U.S.A., Inc.(LGEU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Zenith Electronics LLC(Zenith) 100.0% - 100.0% - 12월 R&D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Innotek USA, Inc.(LGITUS)(*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판매 사실상 지배력
멕시코 LG Innotek Mexico SA DE CV(LGITMX)(*1) 40.8% 59.2% 40.8% 59.2% 12월 전기전자 부품 생산 및 판매 사실상 지배력
미국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LGEVU) 100.0% - 100.0% - 12월 자동차 부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EUS Power, LLC 100.0% - 100.0% - 12월 태양광발전사업 투자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Electronics Fund I LLC 100.0% - 100.0% - 12월 신기술사업 투자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Technology Ventures LLC 100.0% - 100.0% - 12월 용역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Electronics New Jersey, LLC 100.0% - 100.0% - 12월 부동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ZKW Lighting Systems USA, Inc.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멕시코 ZKW Mexico Inmobiliaria, S.A. de C.V. 70.0% 30.0% 70.0% 30.0% 12월 부동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멕시코 ZKW Mexico, S.A. de C.V. 70.0% 30.0% 70.0% 30.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Magna e-Powertrain USA Inc. 51.0% 49.0% 51.0% 49.0% 12월 자동차 부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Alphonso Inc. 55.7% 44.3% 56.1% 43.9% 12월 광고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Innotek Fund I LLC(*1) 40.8% 59.2% 40.8% 59.2% 12월 신기술사업 투자 사실상 지배력
미국 Cybellum Technologies USA, Inc 69.2% 30.8% 69.2% 30.8% 12월 자동차 보안 솔루션 개발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LG Electronics Fund Ⅱ LLC 100.0% - 100.0% - 12월 신기술사업 투자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NOVA Prime Fund I, LP. 100.0% - 100.0% - 12월 신기술사업 투자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NOVA Prime Ventures LLC 100.0% - 100.0% - 12월 용역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미국 NOVA Prime Ventures GP LLC 100.0% - 100.0% - 12월 용역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멕시코 HI-M SOLUTEK MEXICO S DE RL DE CV. 100.0% - 100.0% - 12월 기타 일반 기계 및 장비 수리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멕시코 LG Magna e-Powertrain Mexico S.A. DE C.V. 51.0% 49.0% 51.0% 49.0% 12월 자동차 부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남미 아르헨티나 LG Electronics Argentina S.A.(LGEAR)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콜롬비아 LG Electronics Colombia Limitada(LGECB)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브라질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LGEBR)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온두라스 LG Electronics Honduras S.de R.L.(*2) 20.0% 80.0% 20.0% 80.0% 12월 전자제품 판매 사실상 지배력
칠레 LG Electronics Inc Chile Limitada(LGECL)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파나마 LG Electronics Panama, S.A.(LGEPS)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페루 LG Electronics Peru S.A.(LGEPR)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베네수엘라 LG Electronics Venezuela, S.A.(LGEVZ)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파나마 LG Consulting Corp.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과테말라 LG Electronics Guatemala, S.A.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중동 및
아프리카
앙골라 LG Electronics Angola Limitada(LGEAO)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및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요르단 LG Electronics Levant - Jordan(LGELF)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랍에미리트 LG Electronics Africa Logistics FZE(LGEAF)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알제리 LG Electronics Algeria SARL(LGEAS) 70.0% 30.0% 70.0% 30.0%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랍에미리트 LG Electronics Dubai FZE(LGEDF)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이집트 LG Electronics Egypt S.A.E(LGEEG)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랍에미리트 LG Electronics Gulf FZE(LGEGF)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랍에미리트 LG Electronics Middle East Company FZCO (LGEME)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모로코 LG Electronics Morocco S.A.R.L.(LGEMC)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나이지리아 LG Electronics Nigeria Limited(LGENI)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튀니지 LGENAF Service Company SARL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랍에미리트 LG Electronics Overseas Trading FZE(LGEOT)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남아프리카공화국 LG Electronics S.A. (Pty) Ltd.(LGESA)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튀르키예 LG Electronics Ticaret A.S.(LGETK)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사우디아라비아 LG-Shaker Co.Ltd.(LGESR) 51.0% 49.0% 51.0% 49.0% 12월 전자제품 생산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사우디아라비아 LG Electronics Saudi Arabia LLC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아랍에미리트 HI M SOLUTEK HVAC SERVICE AND MAINTENANCE LLC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이집트 HI-M.SOLUTEK LLC 100.0% - 100.0% - 12월 서비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이스라엘 Cybellum Technologies Ltd. 69.2% 30.8% 69.2% 30.8% 12월 자동차 보안 솔루션 개발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기타지역 카자흐스탄 LG Electronics Almaty Kazakhstan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LGEAK)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러시아 LG Electronics RUS, LLC(LGERA)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우크라이나 LG Electronics Ukraine(LGEUR) 100.0% - 100.0% - 12월 전자제품 판매 의결권의 과반수 보유

(*1) 중간지배기업인 엘지이노텍 주식회사에 대한 연결회사의 유효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이나, 나머지 주주의 지분율이 매우 낮고 넓게 분산되어 있으며, 과거 주주총회에서의 의결 양상 등을 고려하여 연결회사가 엘지이노텍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에 대해 사실상 지배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주석 3.2' 참조).
(*2) 유효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이나, 주주간 약정에 의해 이사회 구성원의 과반수를 임명하거나 해임할 수 있는 능력이 있으므로 사실상 지배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3) 유효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이나, 영업 및 재무활동이 연결회사에 의존하므로 관련활동을 지시할 수 있는 사실상의 힘을 보유하고 변동이익에 노출되어 있다고 보아 사실상 지배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4) 결산월이 3월로 지배기업과 다르나, 보고기간말 기준 직전 9개월 회계기간의 재무제표를 이용하여 연결재무제표에 반영하였습니다.
(*5)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애플망고에서 ㈜하이비차저로 상호 변경하였습니다.

(*6)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ZKW Group GmbH 자회사인 ZKW Lichtsysteme GmbH 가 ZKW Elektronik GmbH 를 흡수합병 하였습니다.

(2) 주요 종속기업의 재무정보(내부거래 제거 전)

- 2023년

(단위: 백만원)
종속기업 2023.9.30 2023년 3분기
3개월 누적
자산 부채 자본 매출(*) 순손익 매출(*) 순손익
엘지이노텍㈜ 10,014,974 6,396,926 3,618,048 4,657,962 101,298 12,733,432 142,690
LG Electronics U.S.A., Inc.(LGEUS) 6,695,758 4,563,199 2,132,559 3,618,446 (43,381) 10,541,891 279,936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LGESC) 1,385,664 1,340,894 44,770 159,091 (5,084) 568,173 2,930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LGEIL) 1,689,647 861,040 828,607 840,613 50,930 2,655,790 206,274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LGEVH) 1,996,351 990,356 1,005,995 1,249,128 33,213 3,849,083 117,984
LG Electronics Mlawa Sp. z.O.O.(LGEMA) 1,302,796 657,448 645,348 853,408 9,933 2,659,416 101,193
Zenith Electronics LLC(Zenith) 1,748,892 200,918 1,547,974 56,850 25,840 192,392 95,055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LGEBR) 1,662,955 382,415 1,280,540 418,488 (14,378) 1,186,697 68,754
㈜하이프라자 1,126,337 904,401 221,936 656,672 18,723 1,864,284 9,776
LG Innotek Vietnam Hai Phong Co.,Ltd.(LGITVH) 2,190,670 1,430,611 760,059 1,531,517 48,260 3,047,907 61,327
ZKW Lichtsysteme GmbH 920,861 534,433 386,428 197,073 7,897 632,009 18,189
LG Electronics (China) Co., Ltd(LGECH) 957,219 879,514 77,705 74,044 9,503 227,672 51,273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LGETA) 1,054,850 603,443 451,407 434,450 5,280 1,600,526 89,960
ZKW Group GmbH 1,517,889 1,124,618 393,271 33,730 9,742 110,676 15,436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LGETR) 683,422 492,710 190,712 348,006 13,635 988,584 40,062
LG Electronics (Thailand) Company Limited(LGETH) 610,141 358,998 251,143 342,523 20,647 1,242,074 46,091
P.T. LG Electronics Indonesia(LGEIN) 1,055,671 481,835 573,836 740,109 12,979 2,156,746 65,822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LGENT) 746,564 474,261 272,303 489,387 (2,409) 1,526,916 46,610
Nanjing LG Panda Appliances Co., Ltd(LGEPN) 548,198 358,062 190,136 269,717 8,439 832,690 34,755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1,320,756 528,802 791,954 288,594 25,962 788,064 33,014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LGEVG) 1,042,437 879,693 162,744 751,062 (9,837) 2,430,761 31,534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LGEVU) 687,338 641,114 46,224 1,018,075 1,244 2,622,195 8,543


- 2022년

(단위: 백만원)
종속기업 2022.12.31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자산 부채 자본 매출(*) 순손익 매출(*) 순손익
엘지이노텍㈜ 8,668,015 5,103,994 3,564,021 5,251,983 260,642 12,674,686 664,375
LG Electronics U.S.A., Inc.(LGEUS) 5,175,281 3,440,999 1,734,282 4,009,815 140,195 11,662,707 213,766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LGESC) 1,412,658 1,373,709 38,949 150,670 (6,697) 378,858 5,358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LGEIL) 1,523,699 556,451 967,248 834,871 56,931 2,584,401 194,350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LGEVH) 1,678,486 774,694 903,792 1,231,862 63,409 3,293,445 153,006
LG Electronics Mlawa Sp. z.O.O.(LGEMA) 1,393,374 716,461 676,913 924,251 12,420 3,104,928 83,655
Zenith Electronics LLC(Zenith) 1,522,384 156,209 1,366,175 53,371 19,120 143,395 43,968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LGEBR) 1,454,426 381,366 1,073,060 481,675 48,472 1,198,602 37,789
㈜하이프라자 1,100,730 890,713 210,017 713,720 30,006 2,093,049 (1,019)
LG Innotek Vietnam Hai Phong Co.,Ltd.(LGITVH) 1,481,701 824,286 657,415 1,241,941 55,745 2,879,245 94,548
ZKW Lichtsysteme GmbH 804,505 455,362 349,143 196,629 (7,842) 562,406 (24,024)
LG Electronics (China) Co., Ltd(LGECH) 831,948 805,071 26,877 79,435 1,975 221,654 18,611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LGETA) 889,028 477,274 411,754 452,016 24,883 1,505,130 76,525
ZKW Group GmbH 1,321,195 963,742 357,453 33,910 19,275 110,271 44,962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LGETR) 643,568 446,437 197,131 372,713 3,778 1,173,482 35,396
LG Electronics (Thailand) Company Limited(LGETH) 731,763 302,625 429,138 281,912 23,422 1,155,888 79,800
P.T. LG Electronics Indonesia(LGEIN) 992,779 347,483 645,296 939,247 26,983 2,500,155 79,106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LGENT) 607,866 327,387 280,479 580,295 27,198 1,894,078 73,493
Nanjing LG Panda Appliances Co., Ltd(LGEPN) 540,815 351,526 189,289 275,079 7,778 841,413 28,773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1,149,468 386,948 762,520 221,664 14,352 532,824 (8,236)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LGEVG) 824,112 699,934 124,178 732,037 (22,160) 1,736,716 3,302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LGEVU) 524,952 513,793 11,159 643,496 (1,161) 1,291,555 2,612

(*) 중단사업과 관련된 매출은 제외하였습니다.

(3) 비지배지분이 보고기업에 중요한 종속기업 정보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

1) 비지배지분이 보유한 소유지분율과 누적비지배지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비지배지분이 보유한 소유지분율 59.2% 59.2%
누적비지배지분 2,711,806 2,593,209


2) 비지배지분에 귀속된 분기순손익과 배당금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비지배지분에 배분된 분기순이익(손실)

80,668 140,649 183,295 472,033

비지배지분에 귀속된 배당금

- 58,147 - 42,034


3) 비지배지분이 보고기업에 중요한 종속기업의 요약연결재무상태표(내부거래 제거전)

(단위: 백만원)
과 목 2023.9.30 2022.12.31
자산 총계 11,500,819 9,793,618
 유동자산 5,669,595 4,713,796
 비유동자산 5,831,224 5,079,822
부채 총계 7,057,822 5,527,825
 유동부채 4,602,627 4,270,417
 비유동부채 2,455,195 1,257,408
자본 총계 4,442,997 4,265,793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4,442,997 4,265,793
 비지배지분 - -


4) 비지배지분이 보고기업에 중요한 종속기업의 요약연결포괄손익계산서(내부거래 제거 전)  

(단위: 백만원)
과 목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매출액 4,763,581 13,046,652 5,388,446 13,043,860
분기순이익(손실) 129,098 214,447 302,068 775,929
기타포괄이익(손실) 36,498 60,966 102,112 215,958
총포괄이익(손실) 165,596 275,413 404,180 991,887


5) 비지배지분이 보고기업에 중요한 종속기업의 요약연결현금흐름표(내부거래 제거전)  

(단위: 백만원)
과 목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988,319 686,17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455,232) (1,402,276)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08,245 547,492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9,629 16,119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250,961 (152,495)
기초의 매각예정분류자산에 포함된 현금및현금성자산 - 58,371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577,908 565,874
분기말의 매각예정분류자산에 포함된 현금및현금성자산 - -
분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828,869 471,750


(4) 종속기업에 대한 유의적인 제약

1) 연결회사의 자산 사용 및 부채 상환에 대한 유의적인 제약

이집트, 알제리, 러시아 및 카자흐스탄 등에 위치한 종속기업이 보유한 현금 및 단기금융상품 등은 해당 국가의 외환규제를 받습니다. 따라서, 해당 국가의 현금 및 단기금융상품의 외부 반출에 대한 제약이 존재합니다.

2) 연결회사의 자산 사용 및 부채 상환을 제약할 수 있는 비지배지분 방어권이 일부의 종속기업에서 존재합니다.

(5) 종속기업 지분 변동

1)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Cybellum Technologies USA, Inc와 관련하여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에 따른 지분율 변동효과로 비지배지분이 9백만원 증가하였습니다.

2)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Alphonso Inc.와 관련하여 행사된 주식매수선택권 및 비지배지분에 대한 공개매입 약정에 따른 지분율 변동효과로 비지배지분이 342백만원 감소하였습니다.


(6)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연결재무제표의 작성대상 범위에 포함된 회사

종속기업 사유 소재지 지배
지분율
결산월 주요사업
LG Magna e-Powertrain Hungary Ltd. 신설 헝가리 51.0% 12월 자동차부품 생산 및 판매
HI-M SOLUTEK Germany GmbH 신설 독일 100.0% 12월 서비스


(7)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연결재무제표의 작성대상 범위에 제외된 회사

종속기업 사유 소재지
ZKW Elektronik GmbH 피합병 오스트리아


(8) 지배력 상실 관련 손익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된 지배력 상실 관련 손익은 없습니다.

2. 중요한 회계정책 :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연결회사의 2023년 9월 30일로 종료하는 9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2.1.1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1) 2023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신규로 적용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행사가격 조정 조건이 있는 금융부채 평가손익 공시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2023년 9월 30일 현재 제ㆍ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기준서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보고기간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으로 인한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2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판단 :

추정과 판단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역사적 경험 및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미래 사건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기타 요소에 기초합니다.

3.1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연결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무력분쟁 및 러시아에 대한 국제제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국내 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매출의 감소나 지연, 기존 채권의 회수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연결회사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2023년 연차재무제표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무력분쟁에 따른 불확실성의 변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무력분쟁으로 인하여 연결회사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궁극적인 영향은 현재 예측할 수 없습니다.

보고기간말 이후의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에 조정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익인식

기계제작, 설치용역 제공거래를 포함한 일부 거래에 대하여 그 수행의무 완료까지의 진행률을 측정하여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합니다. 동 거래의 완료를 위한 총원가를 추정하여 진행률을 측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정을 수반한 수익금액 측정 요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영업권 등의 손상차손

정기적으로 영업권 등의 손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금액은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또는 사용가치의 계산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산은 추정에 근거하여 이루어집니다.

(3) 법인세

보고기간말 현재까지의 영업활동의 결과로 미래에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법인세효과를 추정하여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래 실제 법인세 부담액은 인식한 관련 자산ㆍ부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예상한 법인세 효과가 확정된 시점의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자산ㆍ부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5) 충당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품질보증수리 등과 관련한 충당부채를 계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충당부채는 과거 경험 등에 기초한 추정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6) 순확정급여부채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달라질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의 순원가(이익)를 결정하는데 적용되는 가정은 할인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할인율은 확정급여채무의 정산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의 추정 현금 유출액의 현재가치를 결정할 때 적용되어야 하는 이자율을 나타냅니다. 연금이 지급되는 통화로 표시되고 관련 연금부채의 기간과 유사한 만기를 가진 우량 회사채 수익률을 고려하여 적절한 할인율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와 관련된 다른 주요한 가정들은 현재의 시장상황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7) 개발비

프로젝트의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자산화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별 회수가능액은 예상 판매 수량 및 단가, 추정 영업손익에 근거한 사용가치의 계산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8) 리스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거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또는 종료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연결회사는 리스이용자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에 있고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만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의 판단에 따라 리스기간을 다시 평가합니다.

3.2 연결회사의 회계정책 적용을 위한 중요한 판단

연결회사는 보유 지분율 및 나머지 주주의 지분분포와 과거 주주총회에서의 의결 양상 등을 고려하여 사실상의 지배력을 판단하고 있습니다.


4. 부문별 정보 :

연결회사의 보고부문인 사업본부는 서로 다른 제품과 용역을 제공하는 전략적 사업단위입니다. 각 사업은 서로 다른 기술과 마케팅전략에 따라 별도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제조 및 판매하고 있는 각 사업본부별 주요 제품은 다음과 같으며, 비교표시된 전기의 정보는 당기와 동일한 기준에 따라 표시하고 있습니다.

보고부문 약칭 주요 제품 유형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A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청소기 등
Home Entertainment HE TV, Audio, 뷰티기기 등
Vehicle component Solutions VS 자동차 부품 등
Business Solutions BS 모니터, PC,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 등
엘지이노텍㈜와 그 종속기업 이노텍 카메라모듈, 기판소재, 모터/센서 등
기타부문 기타 설비제작 등


(1) 부문별 매출액 및 영업이익(손실) 등에 관한 정보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3개월)
H&A HE VS BS 이노텍 기타(*1) 합 계
매출액 7,457,382 3,568,569 2,503,546 1,330,918 4,763,581 1,085,344 20,709,340
 외부고객 매출 7,443,294 3,568,073 2,503,546 1,328,444 4,610,110 1,255,873 20,709,340
 내부고객 매출 14,088 496 - 2,474 153,471 (170,529) -
영업이익(손실)(*2) 504,486 110,741 134,902 (20,547) 183,431 83,647 996,660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237,182 84,983 135,290 33,045 250,809 49,654 790,963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누적)
H&A HE VS BS 이노텍 기타(*1) 합 계
매출액 23,464,611 10,074,914 7,554,500 4,143,221 13,046,652 2,839,771 61,123,669
 외부고객 매출 23,426,960 10,071,580 7,554,500 4,137,210 12,628,903 3,304,516 61,123,669
 내부고객 매출 37,651 3,334 - 6,011 417,749 (464,745) -
영업이익(손실)(*2) 2,123,375 434,606 127,737 47,793 347,135 155,319 3,235,965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703,183 260,615 413,466 96,184 718,546 148,222 2,340,216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3개월)
H&A HE VS BS 이노텍 기타(*1) 합 계
매출액 7,472,901 3,712,135 2,345,403 1,429,226 5,388,446 828,654 21,176,765
 외부고객 매출 7,464,201 3,710,311 2,345,403 1,427,636 5,251,995 977,219 21,176,765
 내부고객 매출 8,700 1,824 - 1,590 136,451 (148,565) -
영업이익(손실)(*2) 229,840 (55,446) 96,147 (14,374) 444,908 45,482 746,557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228,014 95,001 126,455 28,475 212,471 45,785 736,201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누적)
H&A HE VS BS 이노텍 기타(*1) 합 계
매출액 23,510,948 11,235,027 6,253,645 4,841,136 13,043,860 2,725,194 61,609,810
 외부고객 매출 23,494,538 11,230,244 6,253,643 4,837,674 12,649,354 3,144,357 61,609,810
 내부고객 매출 16,410 4,783 2 3,462 394,506 (419,163) -
영업이익(손실)(*2) 1,110,390 112,856 139,414 103,020 1,101,565 914,456 3,481,701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661,547 282,866 396,907 82,886 614,429 134,728 2,173,363

(*1) 기타부문은 보고부문의 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영업부문과 영업부문에 대한 지원활동 및 연구개발활동을 수행하는 부서 그리고 내부거래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부문 간 매출은 독립된 당사자 간의 거래조건에 따라 회계처리합니다.
(*2) 영업이익(손실)을 구성하지 않는 기타 손익 항목은 최고영업의사결정자가 부문 별로 구분하여 검토하지 아니하므로 별도 기재하지 아니하였습니다.

(2) 부문별 자산 및 부채

(단위: 백만원)
보고부문 2023.9.30 2022.12.31
자산 부채 자산 부채
H&A 27,831,385 13,549,499 25,588,868 13,041,861
HE 14,982,862 10,389,741 13,379,291 9,301,351
VS 10,050,532 11,767,550 9,032,375 10,808,828
BS 5,589,491 3,974,701 5,131,988 3,612,383
이노텍 11,500,819 7,057,822 9,793,618 5,527,825
소 계(*) 69,955,089 46,739,313 62,926,140 42,292,248
기타 및 내부거래 (8,051,997) (9,061,320) (7,769,999) (9,628,104)
합 계 61,903,092 37,677,993 55,156,141 32,664,144

(*) 보고부문의 자산ㆍ부채 금액은 내부거래 제거 전이며, 공통 자산과 부채를 부문별 영업에 근거해 배부한 후의 금액입니다.

(3) 지역별 비유동자산

(단위: 백만원)
지역 비유동자산(*)
2023.9.30 2022.12.31
대한민국 13,101,457 12,396,828
중국 910,386 912,927
아시아 1,849,220 1,588,895
북미 2,090,542 1,943,272
유럽 1,034,764 996,680
중남미 130,728 118,280
중동 및 아프리카 299,700 290,662
러시아 등 114,341 141,001
합 계 19,531,138 18,388,545

(*) 유형자산, 무형자산 및 투자부동산 금액의 합계입니다.

(4)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연결회사 매출액 중 10%이상을 차지하는 단일 고객으로부터의 수익은 이노텍 부문 등의 수익 9,908,812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기간: 10,748,766백만원)입니다


5. 범주별 금융상품 :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2023.9.30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현금및현금성자산 8,112,196 - - - 8,112,196
금융기관예치금 222,240 - - - 222,240
매출채권 8,655,101 2,124,079 - 467,498 11,246,678
기타수취채권 2,467,892 - - - 2,467,892
기타금융자산 등 - 136,179 217,201 272,651 626,031
합 계 19,457,429 2,260,258 217,201 740,149 22,675,037
금융부채 2023.9.30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매입채무 10,848,196 - - 10,848,196
차입금 13,265,980 - - 13,265,980
리스부채 - - 1,115,118 1,115,118
기타지급채무 4,128,673 - - 4,128,673
기타금융부채 - 7,019 18,865 25,884
합 계 28,242,849 7,019 1,133,983 29,383,851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2022.12.31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현금및현금성자산 6,322,360 - - - 6,322,360
금융기관예치금 246,226 - - - 246,226
매출채권 6,951,954 1,241,667 - 166,100 8,359,721
기타수취채권 1,390,575 - - - 1,390,575
기타금융자산 - 118,926 111,728 188,327 418,981
합 계 14,911,115 1,360,593 111,728 354,427 16,737,863
금융부채 2022.12.31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매입채무 8,212,419 - - 8,212,419
차입금 11,045,187 - - 11,045,187
리스부채 - - 1,096,235 1,096,235
기타지급채무 4,688,063 - - 4,688,063
기타금융부채 - 10,787 9,878 20,665
합 계 23,945,669 10,787 1,106,113 25,062,569


(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관련 이익(손실) 2023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수익 308,390 - - - 308,390
외환차이 577,375 63,951 - - 641,326
대손상각비 (13,090) - - - (13,090)
매출채권처분손실 (632) (36,842) - - (37,474)
배당금수익 - 289 969 - 1,258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741) - (741)
파생상품손익(당기손익) - - 26,189 - 26,189
중단영업분기순손익 (51) - - - (51)
세후 공정가치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 3,828 - - 3,828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 4,044 4,044
금융부채 관련 이익(손실) 2023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비용 (415,346) - 11,212 (404,134)
외환차이 (672,277) - 80,687 (591,590)
파생상품손익(당기손익) - (39,209) - (39,209)
중단영업분기순손익 11 - - 11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6,852) (6,852)
기타 (2,535) - - (2,535)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관련 이익(손실) 2022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수익 116,729 - - - 116,729
외환차이 1,496,838 231,868 - - 1,728,706
대손상각비 (8,028) - - - (8,028)
매출채권처분손실 (148) (13,419) - - (13,567)
배당금수익 - 249 2,567 - 2,81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5,181 - 5,181
파생상품손익(당기손익) - - 71,060 - 71,060
중단영업분기순손익 4,482 - 16 - 4,498
세후 공정가치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 (21,078) - - (21,078)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 99,336 99,336
금융부채 관련 이익(손실) 2022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비용 (218,103) - (35,366) (253,469)
외환차이 (1,858,708) - 208,433 (1,650,275)
파생상품손익(당기손익) - (98,778) - (98,778)
중단영업분기순손익 (21,770) (24) (116) (21,910)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20,193 20,193
기타 (2,388) - - (2,388)


6.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

(1) 보고기간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의 채권액과 대손충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채권액 대손충당금 장부금액 채권액 대손충당금 장부금액
유동성 매출채권 10,934,155 (106,299) 10,827,856 8,304,434 (87,922) 8,216,512
비유동성 매출채권 418,822 - 418,822 143,209 - 143,209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663,888 (9,194) 654,694 613,069 (10,287) 602,782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813,300 (102) 1,813,198 787,876 (83) 787,793


(2)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대손상각비(환입) 채권 제각 기타 분기말

유동성 매출채권

87,922 14,076 (8,622) 12,923 106,299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0,287 (974) (46) (73) 9,194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83 13 - 6 102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대손상각비(환입) 채권 제각 기타 분기말
유동성 매출채권 85,523 8,997 (1,224) 5,501 98,797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1,717 (994) (1) 644 11,366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14 (3) - 13 124


(3) 보고기간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의 연령별 채권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유동성
매출채권
비유동성
매출채권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합 계 유동성
매출채권
비유동성
매출채권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합 계
연체되지 않은 채권 9,577,080 418,822 565,385 1,807,685 12,368,972 6,954,213 143,209 564,917 786,090 8,448,429
연체되었으나 개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채권
   
6개월 이하 956,411 - 66,289 4,504 1,027,204 1,091,603 - 21,524 1,347 1,114,474
7-12개월 55,707 - 10,819 736 67,262 57,554 - 11,033 81 68,668
12개월 초과 105,095 - 8,209 375 113,679 45,712 - 6,126 358 52,196
소 계 1,117,213 - 85,317 5,615 1,208,145 1,194,869 - 38,683 1,786 1,235,338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 239,862 - 13,186 - 253,048 155,352 - 9,469 - 164,821
합 계 10,934,155 418,822 663,888 1,813,300 13,830,165 8,304,434 143,209 613,069 787,876 9,848,588


(4) 연결회사는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금융기관의 매출채권담보부차입 계약을 통해 일부 매출채권을 할인 하였습니다. 이 거래는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연결회사가 금융기관에 해당 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므로 구상권이 있는 거래에 해당하여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 하였습니다('주석 12' 참조). 보고기간말 현재 할인한 매출채권 잔액은 54,928백만원(2022년 말 : 41,026백만원)입니다.


7. 기타금융자산 및 기타금융부채 :

(1) 기타금융자산 및 기타금융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기타금융자산:
 파생금융자산 291,655 194,04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36,179 118,92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88,495 106,006
합 계 616,329 418,981
유동항목 118,010 7,823
비유동항목 498,319 411,158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기타금융부채:
 파생금융부채 25,873 20,550
 금융보증부채 11 115
합 계 25,884 20,665
유동항목 4,692 10,237
비유동항목 21,192 10,428


(2)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자산 부채 자산 부채
유동성 파생금융상품:
 통화선도계약 1,904 4,681 2,402 10,122
 통화스왑계약 39,308 - 4,504 -
 이자율스왑계약 3,301 - 555 -
소 계 44,513 4,681 7,461 10,122
비유동성 파생금융상품:
 통화스왑계약 202,579 15,770 143,185 6,357
 이자율스왑계약 43,140 2,067 43,403 806
 옵션계약 1,423 3,355 - 3,265
소 계 247,142 21,192 186,588 10,428
합 계 291,655 25,873 194,049 20,550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은 '주석 32'에 기재하고 있습니다.

(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29,425 - (4,582) - 3,979 (73) 28,749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89,501 18,013 (1,667) - 834 749 107,430
합 계 118,926 18,013 (6,249) - 4,813 676 136,179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60,441 - - - (28,453) 1,376 33,364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60,781 19,050 - 1,600 - 7,490 88,921
채무증권 - 2,889 (2,889)  - - - -
합 계 121,222 21,939 (2,889) 1,600 (28,453) 8,866 122,285


(4)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362 125,486 (52,917) 82 435 49 73,497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105,011 15,239 (3,822) (2,082) (1,176) 695 113,865
채무증권 633 500 - - - - 1,133
합 계 106,006 141,225 (56,739) (2,000) (741) 744 188,495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기타 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2,297 - (845) 167 (2,697) 1,517 439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71,221 26,318 (15,674) (1,767) 7,878 2,423 90,399
채무증권 - 633 - - - - 633
합 계 73,518 26,951 (16,519) (1,600) 5,181 3,940 91,471


8. 재고자산 :

보고기간말 현재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취득원가 평가충당금 장부금액 취득원가 평가충당금 장부금액
제품 및 상품 5,577,020 (144,391) 5,432,629 5,582,184 (182,917) 5,399,267
재공품 862,904 (17,860) 845,044 604,495 (15,473) 589,022
원재료 및 저장품 3,544,577 (169,247) 3,375,330 3,342,626 (223,151) 3,119,475
기타의 재고자산 364,750 (69,287) 295,463 358,168 (77,124) 281,044
합  계 10,349,251 (400,785) 9,948,466 9,887,473 (498,665) 9,388,808


9.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

(1) 계약자산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미청구공사

860,139 639,024
 (차감: 대손충당금) (4,096) (4,170)

반품회수권

107,582 126,522

계약이행원가 등

452,225 307,306
합 계 1,415,850 1,068,682
유동항목 941,374 704,039
비유동항목 474,476 364,643


(2) 계약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예상 거래선장려금 1,128,925 739,990
예상 고객 환불 212,947 221,652
고객충성제도 106,966 113,625
보증용역 제공 170,732 136,636
초과청구공사 등 473,647 279,286
합 계 2,093,217 1,491,189
유동항목 2,029,806 1,443,977
비유동항목 63,411 47,212


(3) 계약부채에 대해 인식한 수익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의 계약부채 잔액 중 당기에 인식한 수익:

 초과청구공사 등

210,472 175,169
 고객충성제도 67,714 66,211

 보증용역 제공

40,260 35,326

합 계

318,446 276,706

전기에 이행한 수행의무에 대해 당기에 인식한 수익

21,304 11,363


(4) 장기 계약 중 미이행 부분

보고기간말 현재, 이행되지 않았거나 부분적으로 이행되지 않은 수행의무에 배분된 거래가격 총액은 1,129,658백만원(2022년 말: 1,584,092백만원)이며, 최장 2031년 내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수행의무가 최초 예상 존속기간이 1년 이내인 계약의 일부인 건은 실무적 간편법을 사용하여 제외하였습니다.

(5)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연결회사가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인식한 손상환입금액은 74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손상 519백만원)이며, 계약이행원가에 대하여 인식한 상각금액 등은 127,783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56,774백만원)입니다.

10.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

(1) 유형자산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순장부금액 15,831,838 14,700,784
 취득 2,693,199 2,673,983
 매각예정분류자산에서 재분류 - 14
 매각예정분류자산으로 재분류 (107) (52,524)
 대체 (58) (3,977)
 처분 등 (47,547) (78,743)
 감가상각비 (1,963,450) (1,852,834)
 손상차손(*) (25,613) (120,955)
 환산외환차이 261,216 748,744
분기말 순장부금액 16,749,478 16,014,492

(*) 2022년 3분기 누적기간 에너지 사업부문 영업의 중단에 따른 유형자산의 손상차손 93,134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유형자산 감가상각비가 포함되어 있는 계정과목과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매출원가 1,484,406 1,394,038
 판매비 211,610 198,038
 관리비 137,905 118,279
 연구개발비 88,302 73,845
 서비스비 26,726 26,745
 기타영업외비용 14,446 22,324
계속영업 소계 1,963,395 1,833,269
중단영업 55 19,565
합 계 1,963,450 1,852,834


(3) 유형자산에 포함된 사용권자산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순장부금액 1,207,052 1,035,377
 취득 297,518 414,792
 대체 - (3,977)
 처분 등 (17,398) (48,450)
 감가상각비 (296,961) (284,929)
 환산외환차이 31,064 69,560
분기말 순장부금액 1,221,275 1,182,373


상기 사용권자산 전대리스와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리스료 수익은 4,545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4,765백만원)입니다.


(4) 무형자산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순장부금액 2,454,830 2,443,249
 취득 349,329 277,845
 내부개발에 의한 취득 299,594 163,807
 매각예정자산으로 재분류 - (33)
 대체 (111) (150,516)
 처분 등 (51,429) (58,595)
 무형자산상각비 (387,456) (363,705)
 손상차손(*) (3,649) (26,570)
 환산외환차이 24,812 49,887
분기말 순장부금액 2,685,920 2,335,369

(*) 2022년 3분기 누적기간 에너지 사업부문 영업의 중단에 따른 무형자산의 손상차손 309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5) 무형자산상각비가 포함되어 있는 계정과목과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매출원가 274,558 262,437
 판매비 15,732 12,631
 관리비 42,826 36,235
 연구개발비 50,915 48,464
 서비스비 3,348 2,644
 기타영업외비용 42 17
계속영업 소계 387,421 362,428
중단영업 35 1,277
합 계 387,456 363,705


11.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

(1)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내역

1)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장부금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관계기업 2,952,076 3,909,200
공동기업 51,489 54,350
합  계 3,003,565 3,963,550


2) 관계기업 투자내역

(단위: 백만원)
관계기업 2023.9.30 2022.12.31
취득원가 순자산가액 미실현이익 장부금액 취득원가 순자산가액 미실현이익 장부금액
엘지디스플레이㈜ 679,218 2,769,464 (92,433) 2,677,031 679,218 3,744,719 (98,205) 3,646,514
에릭슨엘지㈜ 12,649 64,678 - 64,678 12,649 65,982 - 65,982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101,961 62,658 (993) 61,665 101,961 57,094 (1,655) 55,439
CCP-LGE OWNER, LLC(*) 11,652 9,971 - 9,971 11,652 9,977 - 9,977
㈜로보티즈(*) 9,000 8,641 - 8,641 9,000 8,668 - 8,668
㈜아크릴(*) 2,000 1,046 - 1,046 2,000 751 - 751
㈜로보스타 88,112 78,269 (2,149) 76,120 88,112 79,202 (2,312) 76,890
㈜에임퓨처 800 1,172 - 1,172 800 959 - 959
미래에셋LG전자신성장투자조합1호 28,023 26,669 - 26,669 28,023 26,880 - 26,880
Rinse, Inc.(*) 18,184 15,381 - 15,381 18,184 17,140 - 17,140
SideChef Group Limited 7,702 - - 7,702 - - -
-
㈜더웨이브톡 2,000 - - 2,000 - - -
-
합 계 961,301 3,037,949 (95,575) 2,952,076 951,599 4,011,372 (102,172) 3,909,200

(*) 결산시점 차이로 인하여 2023년 8월 31일 현재의 재무제표를 사용하였습니다.

3) 공동기업 투자내역

(단위: 백만원)
공동기업 2023.9.30 2022.12.31
취득원가 순자산가액 미실현이익 장부금액 취득원가 순자산가액 미실현이익 장부금액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14,718 16,639 (237) 16,402 14,718 18,368 (264) 18,104
EIC PROPERTIES PTE LTD. 9,636 19,370 - 19,370 9,636 18,518 - 18,518
LG-MRI LLC 516 1,255 - 1,255 516 1,289 - 1,289
Neolite ZKW Lightings PVT Ltd. - - - - - - - -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43,148 5,678 - 5,678 34,342 7,117 - 7,117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43,014 3,974 - 3,974 32,817 4,468 - 4,468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CO., LTD 1,856 2,268 - 2,268 1,535 1,797 - 1,797
Alluto LLC 2,095 392 - 392 2,095 401 - 401
㈜피트니스캔디 5,610 2,150 - 2,150 4,233 2,656 - 2,656
합 계 120,593 51,726 (237) 51,489 99,892 54,614 (264) 54,350


(2)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현황

1) 관계기업 현황

기업명 소재지 결산월 지분율(%) 관계기업과의 관계의 성격
엘지디스플레이㈜ 대한민국 12월 37.9 디스플레이 제품의 생산 및 공급
에릭슨엘지㈜ 대한민국 12월 25.0 통신기기 및 네트워크 솔루션 제품의 공급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일본 12월 49.0 Data Storage 제품의 생산 및 공급
CCP-LGE OWNER, LLC(*1) 미국 12월 71.0 태양광발전사업
㈜로보티즈(*2) 대한민국 12월 7.5 퍼스널 로봇 제조 및 판매
㈜아크릴(*2) 대한민국 12월 13.6 소프트웨어개발 및 판매
㈜로보스타 대한민국 12월 33.4 산업용 로봇 제조 및 판매
㈜에임퓨처(*2) 대한민국 12월 11.7 인공지능 솔루션의 제공
미래에셋LG전자신성장투자조합1호 대한민국 12월 50.0 신기술사업 투자
Rinse, Inc. 미국 12월 23.3 세탁서비스
SideChef Group Limited(*2) 홍콩 12월 16.9 스마트 키친 컨텐츠 서비스 제공
㈜더웨이브톡(*2) 대한민국 12월 3.9 미생물 센서 공동 개발 용역 제공

(*1) 지분율이 50%를 초과하나 주주간 약정에 따라 연결회사가 지배력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므로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2) 지분율이 20% 미만이나 피투자회사의 이사회에서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2) 공동기업 현황

연결실체가 공동지배력을 보유하고 있는 모든 공동약정들은 별도의 회사를 통하여 구조화되었으며, 공동약정에 대하여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들이 약정의 순자산에 대한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하여 공동기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업명 소재지 결산월 지분율(%) 공동기업과의 관계의 성격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터키 12월 50.0 에어컨 제품 생산 및 공급
EIC PROPERTIES PTE LTD. 싱가포르 12월 38.2 부동산 임대
LG-MRI LLC 미국 12월 50.0 디지털 디스플레이 생산 및 공급
Neolite ZKW Lightings PVT Ltd. 인도 3월 26.0 자동차부품 생산 및 판매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독일 12월 49.0 항공부품 생산 및 판매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독일 12월 49.0 항공부품 생산 및 판매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CO., LTD 중국 12월 35.0 전자제품 판매
Alluto LLC(*) 미국 12월 51.0 자동차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피트니스캔디(*) 한국 12월 51.0 미디어 컨텐츠 제작 및 판매

(*) 지분율이 50%를 초과하나 주주간 약정에 따라 연결회사가 공동지배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공동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3)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변동 내역

1) 관계기업 투자 장부금액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장부금액 3,909,200 5,099,208
취득 7,702 31,154
대체 2,000 -
지분법이익(손실) (1,041,531) (431,836)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84,454 305,859
배당/감자/청산 등 투자자산의 회수 (11,250) (100,773)
관계기업지분율변동 909 414
환산외환차이 592 1,986
분기말 장부금액 2,952,076 4,906,012


2) 공동기업 투자 장부금액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장부금액 54,350 50,036
취득 20,699 21,883
지분법이익(손실) (18,591) (9,801)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4,742) 94
배당/감자/청산 등 투자자산의 회수 (317) (540)
환산외환차이 90 321
분기말 장부금액 51,489 61,993


(4) 보고기업에 중요한 관계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엘지디스플레이㈜와 그 종속기업

(단위: 백만원)
과 목 2023.9.30 2022.12.31
자산 총계 37,537,732 35,686,019
유동자산 10,506,293 9,444,035
비유동자산 27,031,439 26,241,984
부채 총계 28,647,540 24,366,792
유동부채 14,559,786 13,961,520
비유동부채 14,087,754 10,405,272
자본 총계 8,890,192 11,319,227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7,306,600 9,879,589
비지배지분 1,583,592 1,439,638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매출액 4,785,287 13,934,914 6,771,355 18,850,153
분기순이익(손실) (775,398) (2,627,268) (774,031) (1,101,784)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분기순이익(손실) (720,025) (2,791,928) (789,512) (1,174,075)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127,471 218,939 365,985 794,042
총포괄이익(손실) (592,554) (2,572,989) (423,527) (380,033)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상기 관계기업으로부터 수령할 배당금은 없습니다(2022년: 88,156백만원).

(5) 보고기업에 중요한 관계기업의 요약재무정보 금액을 지분의 장부금액으로 조정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엘지디스플레이㈜와 그 종속기업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9,879,589 13,118,855
 분기순이익(손실) (2,791,928) (1,174,075)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 218,939 794,042
 배당 - (232,580)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7,306,600 12,506,242
 연결회사 지분율 37.9% 37.9%
분기말 지분 해당액 2,769,464 4,740,315
 미실현이익(손실) (92,433) (99,898)
분기말 장부금액 2,677,031 4,640,417


(6) 개별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손익 중 연결회사의 지분 해당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관계기업 공동기업 관계기업 공동기업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분기순이익(손실) 10,665 10,075 (7,236) (18,621) 5,215 13,030 (7,389) (10,072)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2,769 1,468 (132) (4,739) 1,118 4,896 2,025 93
총포괄이익(손실) 13,434 11,543 (7,368) (23,360) 6,333 17,926 (5,364) (9,979)


(7) 지분법적용의 중지로 인하여 인식하지 못한 누적 미반영 지분은 없습니다.

(8) 시장성 있는 관계기업 보유 지분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명 2023.9.30
종목구분 보유주식수
(단위: 주)
주당시장가격
(단위: 원)
시장가치
(단위: 백만원)
장부금액
(단위: 백만원)
엘지디스플레이㈜ 관계기업 135,625,000 13,110 1,778,044 2,677,031
㈜로보스타 관계기업 3,256,500 31,000 100,952 76,120
㈜로보티즈 관계기업 961,550 26,400 25,385 8,641
기업명 2022.12.31
종목구분 보유주식수
(단위: 주)
주당시장가격
(단위: 원)
시장가치
(단위: 백만원)
장부금액
(단위: 백만원)
엘지디스플레이㈜ 관계기업 135,625,000 12,450 1,688,531 3,646,514
㈜로보스타 관계기업 3,256,500 18,650 60,734 76,890
㈜로보티즈 관계기업 961,550 22,500 21,635 8,668


12. 차입금 :

(1) 차입금 장부금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유동성 차입금:
 단기차입금 693,961 885,911
 유동성장기차입금 1,044,113 506,782
 유동성사채 737,297 894,825
소 계 2,475,371 2,287,518
비유동성 차입금:
 장기차입금 5,686,571 4,584,578
 사채 5,104,038 4,173,091
소 계 10,790,609 8,757,669
합 계 13,265,980 11,045,187


(2) 차입금 상세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차입처 최장 만기일 연이자율(%)
2023.9.30
장부금액
2023.9.30 2022.12.31
단기차입금 원화 산업은행 등 - 5.11 ~ 6.58 32,900 100,051
외화 Citibank 등(*) - 3.16 ~19.50 661,061 785,860
장기차입금 원화 한국수출입은행 등 2035. 1. 9 2.21 ~ 5.13 3,862,259 2,725,893
외화 한국수출입은행 등 2031. 7.28 0.67 ~ 7.93 2,868,425 2,365,467
사채 원화 무보증 공모사채 2036. 5. 4 1.59 ~ 4.44 3,350,000 3,390,000
무보증 사모사채 2041. 2. 9 1.99 ~ 5.15 1,830,000 1,230,000
외화 무보증 사모사채 2029. 3. 5 4.74 ~ 7.14 608,170 258,765
보증 사모사채 2026.10.26 6.36 67,240 198,485
 차감 : 사채할인발행차금 (14,075) (9,334)
합 계 13,265,980 11,045,187

(*) 보고기간말 현재 외화 단기차입금은 매출채권 담보부 단기차입금 54,928백만원(2022년 말: 41,026백만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일부 차입금의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이자율스왑과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주석 32' 참조).

한편, 보증 사모사채의 원금 및 이자에 대해 신한은행으로부터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29' 참조).

13. 리스부채 :

(1) 리스부채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리스부채

 유동 296,802 303,969
 비유동 818,316 792,266
합 계 1,115,118 1,096,235


(2) 연결손익계산서에 인식한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32,533 26,233

 단기리스료(매출원가 및 판매비와 관리비 등에 포함)

39,121 39,765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매출원가 및 판매비와 관리비 등에 포함)

21,736 21,223
 리스부채 측정치에 포함되지 않는 변동리스료(판매비와 관리비 등에 포함) 74,854 82,586
계속영업 소계 168,244 169,807
중단영업 13 813
합 계 168,257 170,620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는 '주석 10'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3)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단기리스 및 소액리스자산 등을 포함하여 리스와 관련된 총 지출액은 439,982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418,825백만원)입니다.


14. 퇴직급여제도 :

14.1 확정급여제도

(1) 순확정급여부채 산정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4,055,960 3,787,030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66,982 152,566
소 계 4,122,942 3,939,596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4,669,970) (4,624,609)
순확정급여부채(자산) (547,028) (685,013)


(2) 연결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금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당기근무원가 298,158 318,506
순이자원가 (27,265) 5,031
운영관리원가 2,550 2,260
종업원급여에 포함된 총 비용 273,443 325,797


(3) 총 비용을 포함하고 있는 계정과목과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매출원가 125,201 130,434
 판매비 48,264 74,734
 관리비 25,881 27,750
 연구개발비 49,677 58,977
 서비스비 22,534 25,232
 기타영업외비용 1,879 -
계속영업 소계 273,436 317,127
중단영업 7 8,670
합 계 273,443 325,797


(4)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금액 3,939,596 4,252,726
 당기근무원가 298,158 318,506
 이자원가 153,066 90,578
 재측정요소:

 - 재무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45,529) (852,871)
 퇴직급여지급액 (229,037) (382,425)
 기타(*) 6,688 14,141
분기말금액 4,122,942 3,440,655

(*) 기타는 환율변동효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5) 사외적립자산 공정가치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금액 4,624,609 4,056,627
 이자수익 180,331 85,547
 사외적립자산 재측정요소 3,333 (27,714)
 사용자의 기여금 103,800 2,020
 퇴직급여지급액 (240,287) (374,892)
 운영관리원가 (2,550) (2,260)
 기타(*) 734 1,195
분기말금액 4,669,970 3,740,523

(*) 기타는 환율변동효과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6)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구 분 2023.9.30 2022.12.31
연결회사의 가중평균 할인율 5.5% 5.3%
연결회사의 가중평균 미래임금상승률 5.9% 5.9%


보고기간말 현재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에 적용된 할인율의 범위는 0.5% 내지 10.0%(2022년 말: 0.5% 내지 10.9%)이며, 미래임금상승률의 범위는 1.0% 내지 10.0%(2022년 말: 1.0% 내지 10.0%)입니다.

(7)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분석

(단위: 백만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1%p 증가시 1%p 감소시
할인율 (355,038) 409,939
임금상승률 416,805 (377,251)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되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여러 가정이 서로 관련되어 변동할 수 있습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

14.2 확정기여제도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하여 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13,492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11,523백만원)입니다.

15. 충당부채 :


보고기간말 현재 충당부채의 내역과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판매보증
충당부채
복구
충당부채
소송
충당부채 등
합 계
기초 장부금액 1,556,634 36,374 175,927 1,768,935
 충당부채 순전입액(*) 800,850 14,101 163,470 978,421
 사용액 (1,305,906) (1,527) (31,853) (1,339,286)
 환산외환차이   15,781 300 6,674 22,755
분기말 장부금액 1,067,359 49,248 314,218 1,430,825
유동항목 959,452 9,534 54,923 1,023,909
비유동항목 107,907 39,714 259,295 406,916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판매보증
충당부채
복구
충당부채
소송
충당부채 등
합 계
기초 장부금액 2,767,091 50,480 165,438 2,983,009
 충당부채 순전입액(*) 675,685 (10,270) 32,084 697,499
 사용액 (1,774,971) (4,966) (27,572) (1,807,509)
 환산외환차이   49,393 639 17,511 67,543
분기말 장부금액 1,717,198 35,883 187,461 1,940,542
유동항목 1,574,896 10,669 31,208 1,616,773
비유동항목 142,302 25,214 156,253 323,769

(*) 순전입액은 전입액에서 환입액을 차감하여 산출하였습니다.

16. 납입자본 :

(1) 자본금 내역

보고기간말 현재 보통주식과 우선주식의 총 수권주식수는 600,000,000주입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발행주식수(주) 주당금액(원) 자본금 발행주식수(주) 주당금액(원) 자본금
보통주   163,647,814            5,000        818,239   163,647,814            5,000        818,239
우선주    17,185,992            5,000          85,930    17,185,992            5,000          85,930
합 계   180,833,806          904,169   180,833,806          904,169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발행한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으며 배당은 보통주식에 대한 배당보다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연 1%를 금전으로 추가 배당받게 되며, 주식배당의 경우 이를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잔여재산분배에 대해서는 보통주와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상환 및 전환에 대해서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주식발행초과금은 3,088,179백만원입니다. 2002년 4월 1일자 회사분할에 따라 분할회사로부터 인수한 순자산의 장부가액 2,815,707백만원에서 회사의 자본금 783,961백만원과 회사로 이전된 자본조정 155,593백만원을 차감한  1,876,153백만원을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2005년 및 2006년 중 유상증자(LG IBMPC㈜ 합병)와 전환권행사로 인하여 액면을 초과하여 납입된 331,766백만원을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하였으며, 2011년 중 유상증자로 인하여 액면을 초과하여 납입된 880,260백만원을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하였습니다.

17. 이익잉여금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법정적립금(*1) 259,302 246,609
임의적립금 5,504,430 4,539,499
미처분이익잉여금(*2) 10,991,517 11,047,913
합 계 16,755,249 15,834,021

(*1) 법정적립금은 전액 이익준비금이며, 상법의 규정에 따라, 회사는 자본금의 50%에 달할 때까지 현금에 의한 이익배당액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동 이익준비금은 현금으로 배당할 수 없으나 자본전입 또는 결손보전이 가능합니다.
(*2) 2022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배당금 126,905백만원은 2023년 3월 27일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원안대로 승인되어 2023년 4월 중 지급되었습니다(2022년 지급액: 153,915백만원).

18.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 대한 지분
143,331 63,025
현금흐름위험회피 59,475 61,39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3,500) (17,096)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287,802) (857,691)
소 계 (98,496) (750,372)
매각예정분류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2) 838
소 계 (32) 838
합 계 (98,528) (749,534)


19. 기타자본구성요소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자기주식(*1) (44,893) (44,893)
전환사채의 전환권 대가 9,891 9,891
자기주식처분이익 2,183 2,183
연결실체 내 자본거래 등(*2) (72,202) (51,908)
합 계 (105,021) (84,727)

(*1) 보고기간말 현재 지배기업은 자기주식으로 보통주 763,176주와 우선주 4,693주(2022년 말: 보통주 763,176주와 우선주 4,693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임직원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하거나 처분할 예정입니다.
(*2) 연결회사 내 지분처분손익, 지분율 변동으로 인한 투자차액 등이며, 관련 이연법인세 효과가 차감된 금액입니다.

20. 매출액 :

(1) 매출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재화의 판매

19,830,076 58,719,880 20,460,268 58,664,098

 용역 및 기타

620,433 1,685,689 523,731 2,367,950
소 계 20,450,509 60,405,569 20,983,999 61,032,048
기타 원천으로부터의 수익:
 임대 수익 등 258,831 718,100 192,766 577,762
계속영업 소계 20,709,340 61,123,669 21,176,765 61,609,810
중단영업                    54               1,116              38,855            351,664
합 계        20,709,394        61,124,785        21,215,620        61,961,474


(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주요 제품별 :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22,759,362 22,941,932

 TV/AV 등

10,064,448 11,222,637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

7,552,701 6,251,371

 모니터/PC 등  

4,138,070 4,838,594
 카메라모듈 등 13,040,732 13,043,567
 기타(*1) 2,850,256 2,733,947
주요 지리적 시장(*2):

 대한민국

22,794,257 23,420,412

 북미

15,063,858 14,417,482

 아시아

5,900,895 6,248,096

 유럽

8,876,857 8,706,539

 중남미

2,361,432 2,436,436

 중동 및 아프리카

2,666,461 2,701,510

 중국

1,953,737 2,027,399

 러시아 등

788,072 1,074,174
수익 인식시기:

 한 시점에 이전

57,458,297 58,606,677

 기간에 걸쳐 이전

2,947,272 2,425,371
                       합 계 60,405,569 61,032,048

(*1) 기타는 설비 제작 및 내부거래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지리적 시장별 매출액은 연결회사가 소재한 지역별 매출액입니다.


(3) 총 계약수익과 총 계약원가의 추정치 변동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VS본부 및 기타 부문의 원가 변동 요인이 있어 보고기간 말 현재 진행 중인 계약의 총 계약수익과 총 계약원가가 변동되었고, 이에 따라 2023년 3분기 누적기간과 보고기간말 이후 기간의 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총 계약수익
추정의 변동
총 계약원가
추정의 변동
이익(손실)에 미치는 영향
2023년 3분기 누적 보고기간말 이후

VS본부

19,014 6,734 11,091 1,189

기타

52,355 65,633 (13,187) (91)

합 계

71,369 72,367 (2,096) 1,098


21. 비용의 성격별 분류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제품 및 재공품 등의 변동 (1,158,314) (324,932) (988,551) (893,999)
 원재료 및 상품 등의 사용액 13,930,539 37,603,806 14,224,246 37,881,428
 종업원급여 2,506,364 7,363,075 2,381,526 7,302,046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790,963 2,340,216 736,201 2,173,363
 광고선전비 392,460 1,008,346 357,212 994,678
 판매촉진비 119,498 358,203 106,923 316,616
 운반비 642,964 1,987,291 984,378 3,104,677
 지급수수료 1,281,091 3,685,686 1,219,977 3,335,652
 기타비용 1,207,115 3,866,013 1,408,296 3,913,648
계속영업 소계(*) 19,712,680 57,887,704 20,430,208 58,128,109
중단영업 162 (679) 66,492 510,506
합 계 19,712,842 57,887,025 20,496,700 58,638,615

(*)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연구개발비 및 서비스비를 합한 금액입니다.


22. 일반영업비용(판매비, 관리비, 연구개발비 및 서비스비)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급여 999,803 2,923,480 935,288 2,763,560
 퇴직급여 67,969 211,859 68,632 319,933
 복리후생비 233,355 696,465 217,484 670,928
 운반비 637,200 1,971,159 976,669 3,081,045
 지급임차료 20,299 60,689 22,277 61,900
 지급수수료 916,961 2,643,379 851,854 2,401,756
 감가상각비 159,869 468,431 144,752 416,914
 무형자산상각비 38,714 112,821 34,211 99,974
 광고선전비 392,460 1,008,346 357,212 994,678
 판매촉진비 119,498 358,203 106,923 316,616
 경상연구개발비 86,370 241,938 97,923 252,757
 서비스활동비 134,794 506,395 264,004 549,986
 대손상각비 6,136 13,989 6,602 9,586
 기타 201,392 614,308 215,061 580,916
계속영업 소계 4,014,820 11,831,462 4,298,892 12,520,549
중단영업 157 796 22,622 164,962
합 계 4,014,977 11,832,258 4,321,514 12,685,511


23. 금융수익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이자수익  117,113  308,390   55,634  116,729
 외환차이  182,855  693,206  252,051  655,219
 파생상품이익 12,189   15,325     8,766   24,920
계속영업 소계 312,157 1,016,921  316,451  796,868
중단영업 - - - 2,529
합 계 312,157 1,016,921  316,451 799,397


24. 금융비용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이자비용 140,065  404,134   99,266  253,469
 외환차이 128,251  559,498 128,942  502,438
 파생상품손실       897     2,375     2,863    19,248
 매출채권처분손실   13,026    37,474     7,939    13,567
 기타     1,207     2,535       983     2,388
계속영업 소계 283,446 1,006,016 239,993  791,110
중단영업 - - - 16,209
합 계 283,446 1,006,016 239,993 807,319


25. 기타영업외수익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배당금수익 - 1,258 - 2,816
 외환차이 454,521 1,545,672 994,558 2,209,470
 파생상품이익 5,611 11,315 14,535 55,001
 유형자산처분이익 2,653 8,161 10,301 17,658
 무형자산처분이익 338 555 120 17,460
 매각예정분류자산 처분이익 55 3,781 65 188,875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이익 276 733 11,614 12,534
 기타 21,473 105,604 11,150 54,104
계속영업 소계 484,927 1,677,079 1,042,343 2,557,918
중단영업 23 92 80,854 97,014
합 계 484,950 1,677,171 1,123,197 2,654,932


26. 기타영업외비용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외환차이 511,920 1,615,798 1,060,615 2,247,290
 파생상품손실 5,466 37,285 17,503 88,391
 유형자산처분손실 1,357 6,661 6,217 13,265
 유형자산손상차손 5,026 24,631 7,250 27,021
 무형자산처분손실 19,996 43,138 9,993 21,907
 무형자산손상차손 432 3,649 2,621 26,261
 매각예정분류자산 처분손실 - - - 10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실 324 1,474 - 7,353
 기타 49,896 162,310 22,907 66,035
계속영업 소계 594,417 1,894,946 1,127,106 2,497,629
중단영업 89 121 3,878 117,591
합 계 594,506 1,895,067 1,130,984 2,615,220


27. 주당순손익 :


연결회사는 희석성 잠재적 보통주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기본주당순손익과 희석주당순손익은 동일합니다.

(1)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보통주 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348,447 920,981 110,824 1,394,633
 보통주 계속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348,575 919,801 78,208 1,521,436
 보통주 중단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128) 1,180 32,616 (126,803)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단위:주) 162,884,638 162,884,638 162,884,638 162,884,638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2,139 5,654 682 8,563
 계속영업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2,140 5,647 481 9,341
 중단영업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1) 7 201 (778)


(2)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우선주 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36,968 97,790 11,905 147,752
 우선주 계속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36,982 97,666 8,464 161,127
 우선주 중단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14) 124 3,441 (13,375)
가중평균 유통우선주식수 (단위:주) 17,181,299 17,181,299 17,181,299 17,181,299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2,151 5,691 694 8,600
 계속영업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2,152 5,684 493 9,378
 중단영업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1) 7 201 (778)


28. 현금흐름 관련 정보 :

연결회사는 현금흐름표의 작성에 있어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간접법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분기순이익 1,227,045 2,075,464
조정 항목: 5,791,167 4,788,297
 이자손익 95,744 136,740
 외환차이 126,286 41,721
 파생상품관련손익 13,020 27,718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1,963,395 1,833,269
 무형자산상각비 387,421 362,428
 유ㆍ무형자산처분손익 41,083 54
 퇴직급여 286,928 328,650
 충당부채 인식액 966,881 631,078
 법인세비용 743,140 890,400
 지분법손익 1,060,122 441,637
 기타 105,728 27,819
 중단영업 1,419 66,78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1,788,022) (3,242,462)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2,016,280) (1,111,325)
 기타수취채권의 감소(증가) (401,664) 414,126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303,687) (598,636)
 계약자산의 감소(증가) (308,010) (197,527)
 기타자산의 감소(증가) 257,564 (314,368)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2,071,653 749,177
 기타지급채무의 증가(감소) (613,784) (512,833)
 충당부채의 감소 (1,339,286) (1,807,509)
 계약부채의 증가(감소) 546,062 204,742
 기타부채의 증가(감소) 425,452 (47,233)
 퇴직급여 지급액 (9,690) (19,056)
 사외적립자산의 증가 (96,352) (2,020)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5,230,190 3,621,299


(2)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재무
현금흐름
기타 변동으로 인한 효과 분기말
신규 외환차이 상각 등 환율변동
차입금 5,977,271 1,217,316 - 112,165 - 117,893 7,424,645
사채 5,067,916 735,094 - 35,966 2,359 - 5,841,335
리스부채 1,096,235 (274,906) 258,350 (1,908) 3,181 34,166 1,115,118
기타지급채무 119,068 - - 7,098 - 4,137 130,303
합 계 12,260,490 1,677,504 258,350 153,321 5,540 156,196 14,511,401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재무
현금흐름
기타 변동으로 인한 효과 분기말
신규 외환차이 상각 등 환율변동
차입금 4,329,597 1,496,640 - 198,223 - 170,749 6,195,209
사채 5,601,956 (440,512) - 79,444 2,083 - 5,242,971
리스부채 955,422 (250,230) 343,554 339 2,025 59,634 1,110,744
기타지급채무 111,345 - - 10,223 - 13,311 134,879
합 계 10,998,320 805,898 343,554 288,229 4,108 243,694 12,683,803


(3) 현금의 유입ㆍ유출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건설중인유형자산의 본계정 대체 1,124,284 1,345,379
건설중인무형자산의 본계정 대체 247,518 271,312
차입금의 유동성 대체 1,338,115 1,106,050
유형자산 취득 관련 미지급금 366,744 392,214
무형자산 취득 관련 미지급금 10,904 16,024
사용권자산의 취득 297,518 414,792


(4) 양도한 사업의 자산 및 부채

- 차량용 무선충전 사업의 양도

1) 연결회사는 2022년 10월 4일 기준으로 무선충전(차량용) 사업을 주식회사 비에이치이브이에스에 양도하였습니다.

2) 사업양도의 총처분대가 및 양도한 사업의 자산ㆍ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총처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116,696
 금융기관예치금 20,000
 기타지급채무 (18,745)
 기타부채 (10,000)
소 계 107,951
양도한 사업의 자산:
 유형자산 57
 무형자산 12,207
 계약자산 1,677
소 계 13,941


29. 우발상황 :


(1)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유형자산(토지, 건물) 일부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 담보설정금액은 80,480백만원(2022년 말: 199,236백만원),제공된 자산의 장부금액은 124,484백만원(2022년 말: 172,889백만원)입니다. 또한, 연결회사가 임차한 토지에 대한 임대인의 채무를 보증할 목적으로 연결회사의 건물을 토지 임대인의 채권자인 신한은행 등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으며, 동 계약의 담보설정금액은 14,400백만원(2022년 말: 14,400백만원), 제공된 자산의 장부금액은 4,574백만원(2022년 말: 5,165백만원)입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와 국내종속기업 등은 이행보증 등과 관련하여 서울보증보험㈜ 등으로부터 422,483백만원(2022년 말: 412,039백만원)의 지급보증을 제공받고있습니다. 회사는 2022년 말 신한은행으로부터 보증부 사모사채의 원금 EUR 100백만 및 이자에 대해 지급보증을 제공 받았으며 이는 당분기말 현재 종료되었습니다.또한, 엘지이노텍㈜은 신한은행으로부터 보증부 사모사채의 원금 US$ 50백만(2022년 말: US$ 50백만) 및 이자에 대해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구매기업을 위해 하나은행에 46,000백만원(2022년 말: 46,000백만원)을 한도로 대위변제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4)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다수의 소송, 분쟁 및 규제기관 조사 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동 소송 등의 최종 결과 및 영향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으며,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연결회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관계기업인 엘지디스플레이㈜는 여러 건의 특허관련 소송에 피소된 상태이며, 담합혐의에 대한 관계기관의 조사 및 민사 소송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동 결과에 따라 연결회사의 지분법손익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상기 피소된 소송 및 진행중인 조사와 관련하여 연결회사가 개별적으로 책임을 부담하지는 않습니다.

30. 약정사항 :

(1)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신한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7,414,835백만원(2022년 말: 7,130,413백만원)을 한도로 당좌차월약정 및 무역금융 등의 대출약정을 맺고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의 회수와 관련하여 하나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5,195,752백만원(2022년 말: 5,792,793백만원)을 한도로 채권 양도거래 약정을 맺고 있습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매입채무의 대금지급과 관련하여 신한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1,412,900백만원(2022년 말: 1,409,200백만원)을 한도로 전자방식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계약 및 상생 결제 방식의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4)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신한은행 등과 기업어음약정 60,000백만원(2022년 말: 68,000백만원)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5) 자산 취득을 위한 약정


보고기간말 현재 발생하지 아니한 자산의 취득을 위한 약정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2022.12.31
유형자산 615,881 674,211
무형자산 40,171 27,539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47,059 68,871
합 계 703,111 770,621


상기 약정 이외에 Alphonso Inc.의 비지배주주가 보유하는 주식 및 주식매입선택권으로 발행될 주식과 관련하여, 종속기업인 Zenith Electronics LLC(Zenith)는 일정 시점에 공정가치 기준으로 공개 매입을 약정하였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이러한 약정에 대하여 '기타지급채무'로 인식하였습니다.

또한,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비지배주주가 보유하는 주식 및 주식매입선택권으로 발행될 주식과 관련하여, 지배기업이 일정 시점에 공정가치 기준으로 매입을 약정하였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이러한 약정에 대하여 '기타지급채무'및 '기타금융부채'로 인식하였습니다.

(6) 운용리스 약정 - 리스 제공자

1)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가전렌탈사업 및 부동산임대와 관련하여 해지불능 운용리스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계약에 따른 미래 최소리스료 수취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3년 이하
3년 초과~
4년 이하
4년 초과 합 계
가전렌탈 248,249 125,847 50,953 8,092 - 433,141
부동산임대 5,304 5,311 5,311 5,300 1,423 22,649
합계 253,553 131,158 56,264 13,392 1,423 455,790


2) 동 운용리스계약과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리스료 수익은 366,123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448,370백만원)입니다.


(7) 금융리스 약정 - 리스 제공자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리스의 리스총투자 및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2022.12.31
리스총투자(*) 리스순투자 리스총투자(*) 리스순투자
1년이내 99,892 71,458 34,976 25,768
1년 초과 2년이내 102,317 78,837 35,453 27,832
2년 초과 3년이내 98,519 80,239 34,943 29,016
3년 초과 4년이내 101,967 89,226 34,337 30,147
4년초과 156,446 147,738 56,137 53,336
합계 559,141 467,498 195,846 166,099

(*) 리스총투자에 반영한 무보증 잔존가치는 없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리스의 미실현 이자수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23. 9.30 2022.12.31
리스총투자 559,141 195,846
리스순투자 467,498 166,099
미실현이자수익 91,643 29,747


3) 금융리스 계약과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수익은 322,420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103,533백만원) 이며, 리스순투자의 금융수익 14,017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2,919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8) 특허권, 상표권 등 라이선스 계약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는 다음과 같은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구 분 관련 사업부문/제품 제공처 사용처
기술사용 전 제품 Qualcomm Incorporated 등 회사
기술제공 회사 Panasonic Corporation 등
상표사용 전 제품 ㈜LG 회사
상표사용 자동차 부품 Magna International Inc. 회사


31. 특수관계자 :

(1) 2023년 및 2022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연결회사와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거래 내역 및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로부터 발생한 채권채무의 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수익ㆍ비용 거래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3년 3분기 누적
수익거래 비용거래
매출 기타 매입 기타(*5)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2,656 - 2,656 - 125,064 125,064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425,231 91,417 516,648 2,314,600 3,144 2,317,744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및 그 종속기업 181 - 181 66,149 180 66,329
㈜아크릴 - - - - 1,640 1,640
㈜로보티즈 - - - - 15 15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18 - 18 14,094 2,771 16,865
SideChef Group Limited - - - - 1,193 1,193
소 계 425,430 91,417 516,847 2,394,843 8,943 2,403,786
공동기업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67,363 - 67,363 143,646 13 143,659
EIC PROPERTIES PTE LTD. - - - - 878 878
LG-MRI LLC 15,853 - 15,853 22,060 - 22,060
LG-LHT Passenger Solution GmbH 495 - 495 - - -
소 계 83,711 - 83,711 165,706 891 166,597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92,919 2,412 95,331 105,466 553,919 659,385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119 - 119 595 16,016 16,611
㈜LG경영개발원 33 - 33 244 70,137 70,381
㈜LG스포츠 14 16 30 - 12,503 12,503
LG Holdings Japan Co., Ltd. 1 - 1 - 4,597 4,597
소 계 93,086 2,428 95,514 106,305 657,172 763,477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1,038,347 48,383 1,086,730 2,019,498 3,689 2,023,187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41,487 1,846 43,333 36,619 4,890 41,509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677 1,686 2,363 534 197 731
㈜에이치에스애드 및 그 종속기업(*4) 6,366 - 6,366 251 374,451 374,702
자이씨앤에이㈜ 및 그 종속기업 15,118 - 15,118 7,742 129,623 137,365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및 그 종속기업 13,029 - 13,029 3,451 80,243 83,694
소 계
1,115,024 51,915 1,166,939 2,068,095 593,093 2,661,188
합 계 1,719,907 145,760 1,865,667 4,734,949 1,385,163 6,120,112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2년 3분기 누적
수익거래 비용거래
매출 기타 매입 기타(*5)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395 - 395 - 129,835 129,835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626,566 51,105 677,671 3,013,805 984 3,014,789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및 그 종속기업 306 - 306 65,548 14,081 79,629
㈜아크릴 - - - - 1,123 1,123
㈜로보티즈 - - - - 2 2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62 - 62 14,213 1,285 15,498
소 계 626,934 51,105 678,039 3,093,566 17,475 3,111,041
공동기업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53,152 - 53,152 143,998 11 144,009
EIC PROPERTIES PTE LTD. - - - - 617 617
LG-MRI LLC - - - 30,890 - 30,890
소 계 53,152 - 53,152 174,888 628 175,516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105,787 536 106,323 122,461 471,141 593,602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3) 1,950 186 2,136 7,116 45,787 52,903
㈜LG경영개발원 830 - 830 83 50,978 51,061
㈜LG스포츠 23 21 44 280 9,704 9,984
LG Holdings Japan Co., Ltd. 35 - 35 - 4,842 4,842
소 계 108,625 743 109,368 129,940 582,452 712,392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기업 656,430 2,353 658,783 1,050,471 290 1,050,761
㈜LX인터내셔널 및 그 종속/관계기업(*2) 8,451 1,179 9,630 1,711,058 2,015,882 3,726,940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23,102 9 23,111 28,833 4,464 33,297
㈜엘엑스하우시스 및 그 종속/관계기업(*2) 2,665 372 3,037 1,670 385 2,055
㈜엘엑스세미콘(*2) 25,905 2,012 27,917 9,664 719 10,383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1,966 1 1,967 404 130 534
㈜지투알 및 그 종속기업(*4) 6,609 - 6,609 33 350,812 350,845
㈜엘엑스엠엠에이(*2) 29 - 29 - - -
자이씨앤에이㈜ 및 그 종속기업(*3) 3,001 20 3,021 853 140,388 141,241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및 그 종속기업(*3) 14,329 - 14,329 2,727 45,788 48,515
소 계
742,487 5,946 748,433 2,805,713 2,558,858 5,364,571
합 계 1,531,593 57,794 1,589,387 6,204,107 3,289,248 9,493,355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 '특수관계자 공시'의 특수관계자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일한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입니다.
(*2) ㈜엘엑스홀딩스 및 그 계열사는 독립경영에 따라 2022년 6월 21일 계열분리되었습니다.
(*3) 22년 1분기 ㈜디앤오의 종속회사 지분매각으로 연결제외된 회사의 거래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4) 2023년 7월 1일 '㈜지투알'은 종속회사인 '에이치에스애드', '엘베스트'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에이치에스애드'로 변경하였습니다.
(*5) 기타에는 사용권자산 취득금액 및 리스부채의 이자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및 채무의 주요 잔액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3.9.30
채권 채무
매출채권 대여금 기타 매입채무 차입금 기타(*3)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729 - 30,069 30,798 - - 10,910 10,910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183,385 1,000,000 253,253 1,436,638 400,525 - 61,550 462,075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및 그 종속기업 - - 3 3 44,148 - 1 44,149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 - - - 9 - 10,694 10,703
소 계 183,385 1,000,000 253,256 1,436,641 444,682 - 72,245 516,927
공동기업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8,695 - - 8,695 16,238 - 8 16,246
EIC PROPERTIES PTE LTD. - - - - - - 109 109
LG-MRI LLC
3,995 - 2,182 6,177 1,871 - 131 2,002
소 계 12,690 - 2,182 14,872 18,109 - 248 18,357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36,884 - 1,846 38,730 11,326 - 228,851 240,177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14 - 1,000 1,014 21 - 7,400 7,421
㈜LG경영개발원 5 - - 5 - - 1,722 1,722
㈜LG스포츠 1 - - 1 - - 706 706
LG Holdings Japan Co., Ltd. - - 5,158 5,158 - - - -
소 계 36,904 - 8,004 44,908 11,347 - 238,679 250,026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294,057 - 298,613 592,670 538,496 - 59,711 598,207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1,018 - 317 1,335 6,085 - 837 6,922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65 - 193 258 26 - 181 207
㈜에이치에스애드 및 그 종속기업(*2) 55 - 773 828 2,302 - 225,941 228,243
자이씨앤에이㈜ 및 그 종속기업 7,653 - 1,701 9,354 - - 58,103 58,103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및 그 종속기업
1,815 - 451 2,266 484 - 17,658 18,142
소 계 304,663 - 302,048 606,711 547,393 - 362,431 909,824
합 계 538,371 1,000,000 595,559 2,133,930 1,021,531 - 684,513 1,706,044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2.12.31
채권 채무
매출채권 대여금 기타 매입채무 차입금 기타(*3)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47 - 25,658 25,705 - - 16,188 16,188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199,241 - 72,374 271,615 671,987 - 69,040 741,027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및 그 종속기업 - - - - 62,357 - 209 62,566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42 - - 42 705 - 8,743 9,448
소 계 199,283 - 72,374 271,657 735,049 - 77,992 813,041
공동기업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6,462 - - 6,462 13,194 - 5 13,199
EIC PROPERTIES PTE LTD. - - - - - - 80 80
LG-MRI LLC
- - - - 6,181 - 5 6,186
소 계 6,462 - - 6,462 19,375 - 90 19,465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41,031 - 122 41,153 12,261 - 193,311 205,572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76 - 1,000 1,076 21 - 8,401 8,422
㈜LG경영개발원 3 - - 3 - - 1,604 1,604
㈜LG스포츠 1 - - 1 - - 619 619
LG Holdings Japan Co., Ltd. - - 5,673 5,673 - - - -
소 계 41,111 - 6,795 47,906 12,282 - 203,935 216,217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228,341 - 199,102 427,443 505,905 - 55,240 561,145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881 - 18 899 1,347 - 896 2,243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75 - 340 415 27 - 182 209
㈜지투알 및 그 종속기업(*2) 34 - 897 931 829 - 192,616 193,445
자이씨앤에이㈜ 및 그 종속기업 1,802 - - 1,802 - - 82,172 82,172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및 그 종속기업
3,251 - 18 3,269 403 - 10,536 10,939
소 계 234,384 - 200,375 434,759 508,511 - 341,642 850,153
합 계 481,287 - 305,202 786,489 1,275,217 - 639,847 1,915,064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 '특수관계자 공시'의 특수관계자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일한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입니다.
(*2) 2023년 7월 1일 '㈜지투알'은 종속회사인 '에이치에스애드', '엘베스트'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에이치에스애드'로 변경하였습니다.
(*3) 기타는 리스부채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3)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자금거래 등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3년 3분기 누적
배당금 수익 배당금
지급
현금 출자
(감자) 등
자금대여 거래 자금차입 거래(*1)
대여 회수 차입 상환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 38,566 - - - - 20,736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엘지디스플레이㈜(*2) - - - 1,000,000 - - -
에릭슨엘지㈜
11,250 - - - - - -
LG-MRI LLC 317 - - - - - -
CCP-LGE OWNER, LLC 1 - - -
-
-
-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 - 8,805 - - - -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 - 10,197 - - - -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 - 320 - - - -
㈜피트니스캔디 - - 1,377 - - - -
소 계 11,568 - 20,699 1,000,000 - - -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 - - - - - 121
㈜디앤오 - - - - - 409 1,130
소 계 - - - - - 409 1,251
합 계 11,568 38,566 20,699 1,000,000 - 409 21,987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2년 3분기 누적
배당금 수익 배당금
지급
현금 출자
(감자) 등
자금대여 거래 자금차입 거래(*1)
대여 회수 차입 상환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 46,830 - - - - 20,760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엘지디스플레이㈜ 88,156 - - - - - -
에릭슨엘지㈜
8,250 - - - - - -
LG-MRI LLC 540 - - - - - -
CCP-LGE OWNER, LLC 28 - - - - - -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 - 9,496 - - - -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 - 9,496 - - - -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CO., LTD - - 341 - - - -
Rinse, Inc.  - - 11,154 -  -  -  -
미래에셋LG전자신성장투자조합1호 2,362 - 18,023 - - - -
소 계 99,336 - 48,510 - - - -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 - - - - 204 53
㈜디앤오 - - - - - 3,219 448
소 계 - - - - - 3,423 501
합 계 99,336 46,830 48,510 - - 3,423 21,261

(*1) 자금차입 거래에는 리스부채 원금의 차입 및 상환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엘지디스플레이㈜와 1,000,000백만원 한도의 대여금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동 대여금 관련하여 담보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1,000,000백만원이 실행되어 장기대여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2)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단기급여

9,833 10,259

퇴직급여

1,568 1,160
기타장기급여 2 2
합 계 11,403 11,421


상기의 주요 경영진은 연결회사의 계획, 운영 및 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주요 임원입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자금조달 등을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담보는 없습니다.

(4)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잔액에 대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32. 위험관리 :

32.1 재무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재무위험관리는 주로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에 대해 전사 각 사업주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재무구조 개선 및 자금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금융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업의 원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재무위험 관리활동은 주로 연결회사의 금융담당이 주관하고 있으며 각 사업주체와 긴밀한 협조 하에 전사 통합적인 관점에서 재무위험 관리정책 수립 및 재무위험 식별, 평가, 헷지 등의 실행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금융담당 산하에 미국 뉴저지,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중국 북경, 싱가포르 등 4개의 해외 금융센터를 운영함으로써 전 세계적 경영활동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재무위험을 선제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해외 종속기업의 금융기능을 통합하여 수행함으로써 해외 종속기업의 사업 경쟁력 제고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재무위험 관리정책의 재정비, 재무위험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재무위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와 관련된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가액 및 순손익과 차입금 세부 내역에 대한 정보는 '주석 5' 및 '주석 12'에 각각 기재하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통화의 환율변동위험에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통화는 미국 달러, 유로가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 운영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외환위험관리는 외환위험의 측정과 관리 방법의 원칙 등을 규정하고 있는 연결회사의 외환관리규칙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연결회사의 일반적인 영업활동에서 비롯되는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우선적으로 일치시켜 외환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파생상품 등을 통한 효율적 외환위험 축소 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 적용하고 있으며, 매월 외환위험의 변동 및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연결회사의 화폐성 자산ㆍ부채에 대해 원화의 환율이 10%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미국달러/원 81,124 (81,124) 20,926 (20,926)
유로/원 26,596 (26,596) (18,480) 18,480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변동성 축소와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내부자금 공유 확대를 통해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자율 변동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포인트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예금 및 변동금리부 차입금으로부터 9개월 간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9.30
1%p 상승시 1%p 하락시 1%p 상승시 1%p 하락시
이자수익 60,774 (60,774) 56,729 (56,729)
이자비용 12,788 (12,788) 9,191 (9,191)


3)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

가.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는 파생상품

연결회사는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 및 공정가치위험회피를 위하여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계약별 주요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계약처 계약금액
 (단위: 백만)
계약환율 지급이자율
(%)
위험회피
종류
계약시작일 계약만기일 장부금액
자산 부채
통화스왑 우리은행 등 USD 1,014
(USD/KRW)
1,067.9
~ 1,319.3
1.88 ~ 4.56 현금흐름
위험회피
2017.10.23
~ 2023. 9. 5
2025. 4.23
 ~ 2031. 7.28
204,282 4,415
CITI BANK EUR 95
(EUR/KRW)
1,312 3.84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2. 7.15 2028. 1.14 5,241 -
CITI BANK JPY 11,000
(JPY/KRW)
10.0 4.06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3. 4. 4 2029. 4. 4 - 11,355
DBS SGD 140
 (SGD/KRW)
859.3 1.21 현금흐름
위험회피
2020. 7. 9 2024. 1. 9 19,859 -
이자율스왑 우리은행 등 KRW 1,186,821
/ USD 226
- 2.75 ~ 4.70 현금흐름
위험회피
2014. 1. 3
~ 2023. 8.30
2024. 1. 3
~ 2032.11.16
43,269 2,067
통화선도 Commerzbank 등 USD 70
(USD/EUR)
1.075
~ 1.076
- 공정가치
위험회피
2023. 9.20 2023.12.29 - 1,017

스왑계약의 수취이자율은 차입금의 연이자율과 동일합니다('주석 12' 참조).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대상 장부금액 가치변동
(세후 손익기준)
통화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차입금 1,720,825 (76,987)
이자율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차입금 1,421,713 (9,348)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대상 장부금액 가치변동
(세전 손익기준)
통화선도 공정가치위험회피 외화위험 - 1,008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파생상품
가치변동
(세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당기손익
재분류금액
(세후)
기타포괄손익
인식액
(세후)
기타포괄손익
누계액 잔액
통화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76,987 이자비용 및
외환차이
(79,284) (2,297) 33,348
이자율스왑 현금흐름위험회피 9,348 이자비용 (9,859) (511) 29,902
(단위: 백만원)
구 분 위험회피종류 파생상품
가치변동
(세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위험회피 효과적
(세전)
위험회피 비효과적
(세전)
통화선도 공정가치위험회피 (1,008) 외환차이 (1,008) -


나.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① 통화선도계약, 통화스왑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

연결회사는 환율변동 및 이자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체결중인통화선도거래 내역과 통화선도계약, 통화스왑계약 및 이자율스왑계약과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매입 매도 평가손익 거래손익
통화선도 436,768 439,178 (750) (26,111)
통화스왑 - - 12,505 2,041
이자율스왑 - - (705) -


② 주식매입계약

연결회사는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Stock Option이 부여된 직원에 대한 PutOption 부여에 따라 파생상품부채 4,151백만원을 인식하였고,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동 계약에 대한 파생상품거래손익은 없습니다.

4) 가격위험

연결회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및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 NASDAQ, NYSE 주가지수 및 Austrian Traded Index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이 연결회사의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법인세효과 반영 전)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 하에 주가지수가 3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지 수 2023.9.30 2022.12.31
30% 상승시 30% 하락시 30% 상승시 30% 하락시
KOSDAQ 4,497 (4,497) 4,277 (4,277)
NASDAQ 233 (233) 701 (701)
NYSE 2,246 (2,246) 2,360 (2,360)
Austrian Traded Index 208 (208) 148 (148)


상기 시장위험과 관련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및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평가 및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주석 7'에 기재하고 있습니다.

(2) 신용위험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관된 전사신용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세계 3대 채권보험사(Euler Hermes, Atradius, Coface) 및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와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최소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험 및 담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내부 신용평가기준에 따라 엄격하게 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매출채권 잔액은 11,352,977백만원(2022년 말: 8,447,643백만원)이며, 동 채권은 27,186,546백만원(2022년 말: 25,823,363백만원) 상당의 보험한도 및 담보 내에서 적절하게 부보되어 위험관리되고 있으므로, 연결회사에 노출된 신용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이 차감된 장부금액으로신용위험의 최대노출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회사는 유동성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사와 4개 해외 금융센터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가능한 자금관리 및 유동성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적정규모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은행, 신한은행 및 SC은행과 Committed Line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발생 가능한 자금경색에 따른 유동성위험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말 현재 국내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로부터 AA를 부여받고 있으며,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로부터 BBB, Moody's로부터 Baa2 등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국내외 금융시장을 통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부채의 연도별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매입채무 10,848,196 10,848,196 - - -
차입금 15,175,747 2,956,747 2,273,383 5,975,463 3,970,154
리스부채 1,265,416 327,467 263,415 413,666 260,868
기타지급채무 4,129,017 3,980,326 80,773 61,671 6,247
기타금융부채 8,049 4,692 1,679 1,342 336
합 계 31,426,425 18,117,428 2,619,250 6,452,142 4,237,605


상기 현금흐름은 명목가액 기준으로 연결회사가 지급하여야 하는 가장 빠른 만기일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 중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금융부채 중 통화선도계약에 대한 부채는 계약상 만기가 파생상품의 현금흐름의 시기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이지 않기 때문에 그 공정가치 3,664백만원이 1년 미만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파생상품 계약은 만기보다는 순공정가치 기준으로 관리됩니다. 이자율과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한 파생상품은 관련된 차입금의 현금흐름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제3자 기업을 위해 제공한 금융보증계약한도의 연도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금융보증계약 46,000 46,000 - - -


금융보증계약은 보증의 최대금액을 보증이 요구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기간에 배분하였습니다.

32.2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위험관리는 건전한 자본구조의 유지를 통한 주주이익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최적 자본구조 달성을 위해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 등의 재무비율을 매월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재무구조 개선방안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의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부채(A) 37,677,993 32,664,144
자본(B) 24,225,099 22,491,997
현금및현금성자산(C) 8,112,196 6,322,360
차입금 및 리스부채(D) 14,381,098 12,141,422
부채비율(A/B) 155.5% 145.2%
순차입금비율((D-C)/B) 25.9% 25.9%


32.3 공정가치 추정

(1)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유동 비유동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공정가치로 인식된 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등 91,078 91,078 126,123 126,12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출채권 2,124,079 (*1) - -
 기타금융자산 - - 136,179 136,179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자산 26,932 26,932 245,719 245,719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8,112,196 (*1) - -
 금융기관예치금 146,523 (*1) 75,717 75,717
 매출채권 8,622,078 (*1) 33,023 33,023
 기타수취채권 654,694 (*1) 1,813,198 1,627,077
[기타 자산]
 매출채권 81,699 (*1) 385,799 385,799
금융자산 합계 19,859,279   2,815,758
[공정가치로 인식된 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 3,664 3,664 3,355 3,355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부채 1,017 1,017 17,837 17,837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매입채무 10,848,196 (*1) - -
 차입금 2,475,371 (*1) 10,790,609 10,287,348
 기타지급채무 3,980,255 (*1) 148,418 146,167
[기타 부채]
 리스부채 296,802 (*2) 818,316 (*2)
 기타금융부채 11 (*3) - -
금융부채 합계 17,605,316   11,778,535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유동 비유동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공정가치로 인식된 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2,764 2,764 108,964 108,96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출채권 1,241,667 (*1) - -
 기타금융자산 - - 118,926 118,926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자산 5,059 5,059 183,268 183,268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6,322,360 (*1) - -
 금융기관예치금 171,046 (*1) 75,180 75,180
 매출채권 6,947,457 (*1) 4,497 4,497
 기타수취채권 602,782 (*1) 787,793 782,537
[기타 자산]
 매출채권 27,388 (*1) 138,712 138,712
금융자산 합계 15,320,523   1,417,340
[공정가치로 인식된 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 7,522 7,522 3,265 3,265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부채 2,600 2,600 7,163 7,163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매입채무 8,212,419 (*1) - -
 차입금 2,287,518 (*1) 8,757,669 7,872,873
 기타지급채무 4,551,554 (*1) 136,509 134,603
[기타 부채]
 리스부채 303,969 (*2) 792,266 (*2)
 기타금융부채 115 (*3) - -
금융부채 합계 15,365,697   9,696,872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등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과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장부금액을 측정하고 있으며, 공정가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 측정치

1)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

공정가치란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을 의미합니다. 공정가치 측정은 측정일에 현행 시장 상황에서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의 가격을 추정하는 것으로, 연결회사는 공정가치 평가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관측 가능하지 않은 변수는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 및 부채를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수준 1: 활성시장에서 공시되는 가격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자산이나 부채의 경우 동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수준 1'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가 '수준 1'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등입니다.
- 수준 2: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한 정보에 해당하면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수준 2'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2'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파생상품입니다.
- 수준 3: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불가능한 정보에 해당하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3'으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3'으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시장성없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입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거래소, 판매자, 중개인, 산업집단, 평가기관 또는 감독기관을 통해 공시가격이 용이하게 그리고 정기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그러한 가격이 독립된 당사자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한 실제 시장거래를 나타낸다면, 이를 활성시장으로 간주합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공시되는 시장가격은 보고기간말 종가입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수준 1'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준1'에 포함된 상품들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상장된 지분상품 등으로 구성됩니다.

연결회사는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로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 때, 해당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관측가능하다면 해당상품은 '수준 2'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준 3'에 포함된 자산 및 부채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합니다.

2)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기타금융자산 등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8,749 - 107,430 136,179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73,497 19,004 124,700 217,201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272,651 - 272,651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7,019 - 7,019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18,854 - 18,854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기타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9,425 - 89,501 118,92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2 5,722 105,644 111,728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188,327 - 188,327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10,787 - 10,787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9,763 - 9,763


상기 공정가치 금액은 전액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입니다.

①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로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공정가치 금액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2023.9.30 2022.12.31
자산 기타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9,004 5,722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272,651 188,327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7,019 10,787 현금흐름 할인모형 및 이항모형 할인율 및 환율주가 및 변동성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18,854 9,76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②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 분류된 자산과 부채는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할인율 등을 투입변수로 고려하여 현금흐름할인기법 등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3)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의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른 수준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 - 75,717 75,717
비유동성 매출채권 - - 418,822 418,822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 1,627,077 1,627,07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 - 10,287,348 10,287,348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 - 146,167 146,167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 - 75,180 75,180
비유동성 매출채권 - - 143,209 143,209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 782,537 782,53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 - 7,872,873 7,872,873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 - 134,603 134,603


①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수준 2'로 분류된 항목은 없습니다.

②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수준 3'으로 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등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유의적이지만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유의적이지만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의 범위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75,717 75,717 75,180 75,180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0.1% ~ 1.8%
비유동성 매출채권 418,822 418,822 143,209 143,209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5.3% ~ 7.0%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813,198 1,627,077 787,793 782,537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1.5% ~ 11.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10,790,609 10,287,348 8,757,669 7,872,87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4.0% ~ 6.2%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148,418 146,167 136,509 134,60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4.3% ~ 5.5%


33. 사업결합 :

(1) 연결회사는 EV 충전 사업의 진출을 위하여 2022년 10월 31일자로 ㈜하이비차저의 지분 60.0%를 인수하였으며, 동 종속회사는 2022년 12월 31일자로 ㈜스필로부터 EV 충전 사업부문을 인수하였습니다.

회계처리 요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이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25,772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계상액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267
매출채권(*1) 3,455
기타자산 215
비유동자산  
 유형자산 342
 무형자산 9,133
 기타자산 172
유동부채  
매입채무 1,464
기타지급채무 1,860
차입금 830
비유동부채  
차입금 617
기타부채 230
이연법인세부채 1,909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공정가치 6,674
비지배지분 4,000
영업권(*2) 23,098

(*1) 매출채권의 공정가치는 약정상 총액과 동일합니다.
(*2)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23,098백만원의 영업권은 연결회사와 ㈜하이비차저의 영업을 결합하여 발생하는 매출 증대 등에 따른 것이며, 영업권은 세무상 손금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사업결합과 관련하여 발생한 취득관련 직접원가 322백만원은 모두 발생시점에 비용처리하였습니다.

34. 매각예정분류자산 :

(1) 매각예정으로 분류한 자산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1) 2022.12.31(*2)
매각예정분류자산  
 토지 679 554
 건물 3,337 3,106
 기계장치 206 100
 기타유형자산 8 7
 기타자산 - 9,148
합 계 4,230 12,915

(*1) 보고기간말 현재 매각 절차가 진행 중이며, 2023년 내에 매각이 완료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2)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기타자산, 건물의 매각 절차가 완료되었고, 연결회사가 보유 중인 토지 및 건물 등의 매각 절차가 진행 중입니다.


(2) 매각예정분류자산은 최초 분류하기 직전에 순공정가치로 측정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유형자산 손상차손은 없습니다.


(3) 매각예정으로 분류한 기타자본항목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32) 838


35. 중단영업 :

연결회사는 전사적 자원효율화를 통해 핵심사업으로 역할을 집중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여 미래 성장 신사업 준비를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자 2022년 중 에너지 사업부문의 영업을 중단하였습니다.

(1) 중단영업손익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 1,116 351,664
영업이익(손실) 1,795 (158,84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766 (193,099)
법인세비용 462 (52,852)
세후순이익(손실) 1,304 (140,247)


(2)중단영업으로부터 발생한 현금흐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953) (99,770)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2 448,632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951 (348,862)


4. 재무제표

4-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제 22 기 3분기말 2023.09.30 현재

제 21 기말          2022.12.31 현재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말

제 21 기말

자산

   

 유동자산

11,736,209

9,119,623

  현금및현금성자산

2,640,099

1,941,615

  단기금융상품

140,000

170,969

  매출채권

5,670,018

3,971,617

  기타수취채권

532,899

495,175

  기타금융자산

32,493

840

  유동재고자산

1,461,235

1,523,327

  당기법인세자산

16,354

2,102

  계약자산

653,918

430,444

  기타유동자산

589,193

583,534

 비유동자산

20,925,786

19,593,191

  장기금융기관예치금

687

490

  장기매출채권

415,382

138,712

  장기기타수취채권

1,176,963

163,543

  장기기타금융자산

374,288

314,992

  유형자산

5,827,528

6,007,599

  무형자산

1,905,842

1,715,271

  이연법인세자산

1,322,014

1,490,211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9,112,769

9,004,775

  투자부동산

81,600

86,792

  순확정급여자산

456,982

517,329

  계약자산

174,512

78,752

  기타비유동자산

77,219

74,725

 자산총계

32,661,995

28,712,814

부채

   

 유동부채

13,317,976

12,060,574

  매입채무

6,372,603

5,428,176

  단기차입금

1,789,562

1,073,908

  리스부채

35,150

65,979

  기타지급채무

1,779,913

2,055,049

  기타금융부채

6,059

6,581

  당기법인세부채

14,515

14,515

  유동충당부채

560,590

1,061,515

  계약부채

616,715

497,668

  기타 유동부채

2,142,869

1,857,183

 비유동부채

7,799,724

6,763,211

  장기차입금

7,397,016

6,472,122

  리스부채

41,876

50,530

  기타지급채무

11,722

7,723

  기타금융부채

47,266

36,358

  순확정급여부채

0

0

  비유동충당부채

184,113

85,455

  계약부채

6,353

4,695

  기타 비유동 부채

111,378

106,328

 부채총계

21,117,700

18,823,785

자본

   

 자본금

904,169

904,169

 주식발행초과금

3,088,179

3,088,179

 이익잉여금(결손금)

7,547,576

5,890,737

 기타포괄손익누계액

37,190

38,763

 기타자본구성요소

(32,819)

(32,819)

 자본총계

11,544,295

9,889,029

부채와 자본 총계

32,661,995

28,712,814

4-2. 손익계산서

손익계산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매출액

7,412,751

22,115,216

6,871,632

22,062,878

매출원가

5,283,466

15,945,653

5,195,207

15,727,815

매출총이익

2,129,285

6,169,563

1,676,425

6,335,063

판매비와관리비

1,744,859

5,172,852

1,906,856

5,517,848

 판매비

935,405

2,686,240

1,031,492

3,085,886

 관리비

196,151

580,122

170,876

534,060

 연구개발비

449,041

1,278,538

423,636

1,224,588

 서비스비

164,262

627,952

280,852

673,314

영업이익(손실)

384,426

996,711

(230,431)

817,215

금융수익

162,366

525,529

142,814

335,614

금융비용

187,765

656,597

126,284

362,530

기타영업외수익

637,094

2,199,689

545,670

1,726,720

기타영업외비용

324,240

966,594

576,929

1,236,797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671,881

2,098,738

(245,160)

1,280,222

법인세비용(수익)

107,043

339,013

(86,616)

277,830

계속영업당기순이익

564,838

1,759,725

(158,544)

1,002,392

중단영업당기순손실

(131)

394

31,833

(164,105)

당기순이익(손실)

564,707

1,760,119

(126,711)

838,287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보통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3,135

9,771

(705)

4,652

   계속영업 보통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3,136

9,769

(882)

5,563

   중단영업 보통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

2

177

(911)

  우선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3,148

9,809

(692)

4,690

   계속영업 우선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3,149

9,807

(869)

5,601

   중단영업 우선주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

2

177

(911)

4-3.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당기순이익(손실)

564,707

1,760,119

(126,711)

838,287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60,885

22,052

166,433

524,798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57,640

23,625

154,394

463,76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331)

869

(4,405)

(20,023)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

       

  현금흐름위험회피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6,576

(2,442)

16,444

81,056

총포괄손익

625,592

1,782,171

39,722

1,363,085

4-4.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이익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자본구성요소

자본 합계

2022.01.01 (기초자본)

904,169

3,088,179

4,940,122

(9,396)

(32,819)

8,890,255

당기순이익(손실)

0

0

838,287

0

0

838,287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0

0

463,765

61,033

0

524,798

연차배당

0

0

(153,915)

0

0

(153,915)

2022.09.30 (기말자본)

904,169

3,088,179

6,088,259

51,637

(32,819)

10,099,425

2023.01.01 (기초자본)

904,169

3,088,179

5,890,737

38,763

(32,819)

9,889,029

당기순이익(손실)

0

0

1,760,119

0

0

1,760,119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이익(손실)

0

0

23,625

(1,573)

0

22,052

연차배당

0

0

(126,905)

0

0

(126,905)

2023.09.30 (기말자본)

904,169

3,088,179

7,547,576

37,190

(32,819)

11,544,295

4-5.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22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제 21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3분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314,709

240,997

 당기순이익(손실)

1,760,119

838,287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1,491,407)

(685,333)

 이자의 수취

76,014

19,760

 이자지급(영업)

(208,423)

(167,896)

 배당금수취(영업)

1,375,449

435,143

 법인세의 납부(환급)

(197,043)

(198,964)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938,261)

(31,178)

 금융기관예치금의 감소

89,901

333

 기타수취채권의 감소

48,714

56,997

 기타금융자산의 회수 및 처분

4,972

29,678

 유형자산의 처분

9,073

332,277

 무형자산의 처분

549

123,546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회수 및 처분

61,852

13,540

 매각예정분류자산의 처분

0

263,441

 사업양도

0

38,360

 금융기관예치금의 증가

(134,095)

0

 기타수취채권의 증가

(1,051,801)

(54,604)

 기타금융자산의 취득

(13,621)

(62,461)

 유형자산의 취득

(325,366)

(327,213)

 무형자산의 취득

(519,496)

(354,742)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취득

(108,943)

(90,33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318,656

(367,133)

 차입금의 증가

2,516,342

1,378,836

 차입금의 상환

(1,015,232)

(1,530,397)

 배당금의 지급

(126,905)

(153,915)

 리스부채의 상환

(55,549)

(61,657)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3,380

1,453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698,484

(155,861)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1,941,615

2,012,229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2,640,099

1,856,368

5. 재무제표 주석


제 22 기 3분기 : 2023년  9월 30일 현재
제 21 기         : 2022년 12월 31일 현재
LG전자주식회사


1. 일반사항 :

LG전자주식회사(이하 "회사")는 2002년 4월 1일을 기준일로 분할 전 LG전자㈜의 전자 및 정보통신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설립되어 2002년 4월 22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우선주 일부가 주식예탁증서의 형태로 런던증권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습니다. 회사의 본점은 대한민국의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보통주식 지분 중 33.7%를 소유한 ㈜LG가 회사에 대한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며, 나머지 지분은 기관투자자, 해외투자자 및 소액주주 등이 소유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은 냉장고ㆍ세탁기ㆍ청소기 등 주요 생활가전제품과 가정용ㆍ상업용 에어컨을 생산ㆍ판매하는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사업본부, TV와 디지털 Media 제품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Home Entertainment 사업본부, 자동차 부품을 설계ㆍ제조하는 Vehicle component Solutions 사업본부, 모니터, PC, 인포메이션디스플레이 등을 생산ㆍ판매하는 Business Solutions 사업본부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보고기간말 현재 창원, 평택 및 구미 등에 제품 및 핵심부품 생산을 위한 제조시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중요한 회계정책 :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회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2023년 9월 30일로 종료하는 9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요약분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되는 사항이 모두 포함되지 않았으므로 전기말 연차재무제표와 함께 이해해야 합니다.  
 
2.1.1 회계정책과 공시의 변경

(1) 2023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신규로 적용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행사가격 조정 조건이 있는 금융부채 평가손익 공시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요약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2023년 9월 30일 현재 제ㆍ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기준서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약정사항이 있는 비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또한, 기업이 보고기간말 후에 준수해야하는 약정은 보고기간말에 해당 부채의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보고기간 이후 12개월 이내 약정사항을 준수해야하는 부채가 보고기간말 현재 비유동부채로 분류된 경우 보고기간 이 후 12개월 이내 부채가 상환될 수 있는 위험에 관한 정보를 공시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으로 인한 요약분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2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판단 :
 
추정과 판단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역사적 경험 및 합리적이라고 판단되는 미래 사건에 대한 기대를 포함한 기타 요소에 기초합니다.
 
3.1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회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간 무력분쟁 및 러시아에 대한 국제제재가 지속되고 있으며 이에국내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매출의 감소나 지연, 기존 채권의 회수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회사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2023년 연차재무제표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요약분기재무제표 작성 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러시아-우크라이나 무력분쟁에 따른 불확실성의 변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러시아-우크라이나 무력분쟁으로 인하여 회사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궁극적인 영향은 현재 예측할 수 없습니다.
 
보고기간말 이후의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에 조정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수익인식
 
기계제작, 설치용역 제공거래를 포함한 일부 거래에 대하여 그 수행의무 완료까지의 진행률을 측정하여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합니다. 동 거래의 완료를 위한 총원가를추정하여 진행률을 측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정을 수반한 수익금액 측정 요소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2) 영업권 등의 손상차손
 
정기적으로 영업권 등의 손상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금액은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또는 사용가치의 계산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계산은 추정에 근거하여 이루어집니다.
 
(3) 법인세
 
보고기간말 현재까지의 영업활동의 결과로 미래에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법인세효과를 추정하여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미래 실제 법인세 부담액은 인식한 관련 자산ㆍ부채와 일치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는 예상한 법인세 효과가 확정된 시점의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자산ㆍ부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4)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적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5) 충당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품질보증수리 등과 관련한 충당부채를 계상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충당부채는 과거 경험 등에 기초한 추정에 근거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6) 순확정급여부채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보험수리적 방식에 의해 결정되는 다양한 요소들에 따라달라질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의 순원가(이익)를 결정하는데 적용되는 가정은 할인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할인율은 확정급여채무의 정산 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의 추정 현금 유출액의 현재가치를 결정할 때 적용되어야 하는 이자율을 나타냅니다. 연금이 지급되는 통화로 표시되고 관련 연금부채의 기간과 유사한 만기를 가진 우량 회사채 수익률을 고려하여 적절한 할인율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와 관련된 다른 주요한 가정들은 현재의 시장상황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7) 개발비
 
프로젝트의 기술적 실현가능성 및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가능한 경우에 한하여 자산화하고 있으며 정기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프로젝트별 회수가능액은 예상 판매 수량 및 단가, 추정 영업손익에 근거한 사용가치의 계산에 기초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8) 리스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경영진은 연장선택권을 행사하거나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경제적 유인이 생기게 하는 관련되는 사실 및 상황을 모두 고려합니다. 연장선택권의 대상 기간(또는 종료선택권의 대상 기간)은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만 리스기간에 포함됩니다.
 
회사는 리스이용자가 통제할 수 있는 범위에 있고 리스기간을 산정할 때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적인 사건이 일어나거나 상황에 유의적인 변화가 있을 때에만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또는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지의 판단에 따라 리스기간을 다시 평가합니다.

4. 범주별 금융상품 :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2023.9.30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현금및현금성자산 2,640,099 - - - 2,640,099
금융기관예치금  140,687 - - - 140,687
매출채권 5,403,245    226,404 -     455,751 6,085,400
기타수취채권 1,709,862 - - - 1,709,862
기타금융자산 등 - 66,752 105,291 244,440 416,483
합 계 9,893,893 293,156 105,291 700,191  10,992,531
금융부채 2023.9.30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매입채무 6,372,603 - - 6,372,603
차입금 9,186,578 - - 9,186,578
리스부채             - -  77,026 77,026
기타지급채무 1,791,635 - - 1,791,635
기타금융부채 - 24,506 28,819  53,325
합 계 17,350,816 24,506 105,845 17,481,167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2022.12.31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현금및현금성자산 1,941,615  -  -  - 1,941,615
금융기관예치금 171,459  -  -  - 171,459
매출채권 3,655,793 290,274  - 164,262 4,110,329
기타수취채권 658,718  -  -  - 658,718
기타금융자산  - 61,531 95,151 159,150 315,832
합 계 6,427,585 351,805 95,151 323,412 7,197,953
금융부채 2022.12.31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매입채무 5,428,176  -  - 5,428,176
차입금 7,546,030  -  - 7,546,030
리스부채 -  - 116,509 116,509
기타지급채무 2,062,772  -  - 2,062,772
기타금융부채  - 24,641 18,298 42,939
합 계 15,036,978 24,641 134,807 15,196,426


(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관련 이익(손실) 2023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수익 80,994 - - - 80,994
외환차이 328,703 - - - 328,703
대손상각비 (3,078) - - - (3,078)
매출채권처분손실 - (523) - - (523)
배당금수익 - 189 969 - 1,158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17) - (17)
중단영업분기순손익 (52) - - - (52)
세후 공정가치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 869 - - 869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 5,553 5,553
기타 (9,628) - - - (9,628)
금융부채 관련 이익(손실) 2023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비용 (257,711) - 37,268 (220,443)
외환차이 (415,641) - 75,853 (339,788)
파생상품손익(당기손익) - (2,350) - (2,350)
중단영업분기순손익 11 -    - 11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7,995) (7,995)
기타 (9,549) - 1,017 (8,532)
(단위: 백만원)
금융자산 관련 이익(손실) 2022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수익 21,793 - - - 21,793
외환차이 926,380 - - - 926,380
대손상각비 (1,988) - - - (1,988)
매출채권처분손실 - (996) - - (996)
배당금수익 - 188 311 - 499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 - 11,235 - 11,235
중단영업분기순손익 3,263 - - - 3,263
세후 공정가치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 (20,023) - - (20,023)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 93,401 93,401
기타 (265) - - - (265)
금융부채 관련 이익(손실) 2022년 3분기 누적

상각후
원가측정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기타 합 계
이자비용 (138,415) - (11,145) (149,560)
외환차이 (1,062,326) - 177,387 (884,939)
파생상품손익(당기손익) - (24,784) - (24,784)
중단영업분기순손익 (21,175) - (19) (21,194)
세후 파생상품손익(기타포괄손익) - - (12,345) (12,345)
기타 - - (432) (432)


5.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 :

(1) 보고기간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의 채권액과 대손충당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채권액 대손충당금 장부금액 채권액 대손충당금 장부금액
유동성 매출채권 5,711,520 (41,502) 5,670,018 4,007,881 (36,264) 3,971,617
비유동성 매출채권 415,382 - 415,382 138,712 - 138,712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538,376 (5,477) 532,899 502,754 (7,579) 495,175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176,977 (14) 1,176,963 163,555 (12) 163,543


(2) 대손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대손상각비(환입) 채권 제각 등 분기말
유동성 매출채권 36,264 5,238 - 41,502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7,579 (2,102) - 5,477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2 2 - 14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대손상각비(환입) 채권 제각 등 분기말
유동성 매출채권 35,656 3,796 - 39,452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9,308 (1,102) - 8,206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2 - - 12


(3) 보고기간말 현재 매출채권 및 기타수취채권의 연령별 채권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유동성
매출채권
비유동성
매출채권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합 계
연체되지 않은 채권 5,019,367 415,382 473,482 1,171,512 7,079,743
연체되었으나 개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채권

 6개월 이하 298,194 - 57,393 4,783 360,370
 7-12개월 29,998 - 354 676 31,028
 12개월 초과 290,933 - 1,630 6 292,569
소 계 619,125 - 59,377 5,465 683,967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 73,028 - 5,517 - 78,545
합 계 5,711,520 415,382 538,376 1,176,977 7,842,255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유동성
매출채권
비유동성
매출채권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합 계
연체되지 않은 채권 3,451,748 138,712 489,228 162,480 4,242,168
연체되었으나 개별적으로
손상되지 않은 채권

6개월 이하 220,774 - 4,267 1,071 226,112
7-12개월 25,030 - 220 3 25,253
12개월 초과 239,510 - 1,432 1 240,943
소 계 485,314 - 5,919 1,075 492,308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 70,819 - 7,607 - 78,426
합 계 4,007,881 138,712 502,754 163,555 4,812,902


(4) 회사는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금융기관의 매출채권담보부차입 계약을 통해 일부 매출채권을 할인 하였습니다. 이 거래는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 회사가 금융기관에 해당 금액을 지급할 의무를 부담하므로 구상권이 있는 거래에 해당하여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 하였습니다('주석 11' 참조). 보고기간말 현재 할인한 매출채권 잔액은 54,928백만원(2022년 말 : 41,026백만원)입니다.


6. 기타금융자산 및 기타금융부채 :

(1) 기타금융자산 및 기타금융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기타금융자산:
 파생금융자산 244,440 159,43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66,752 61,53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95,589 94,866
합 계 406,781 315,832
유동항목 32,493 840
비유동항목 374,288 314,992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기타금융부채:
 파생금융부채 42,342 31,804
 금융보증부채 10,983 11,135
합 계 53,325 42,939
유동항목 6,059 6,581
비유동항목 47,266 36,358


(2)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자산 부채 자산 부채
유동성 파생금융상품:
 통화선도계약 - - 285 135
 통화스왑계약 32,364 - - -
 이자율스왑계약 129 - 555 -
소 계 32,493 - 840 135
비유동성 파생금융상품:
 통화스왑계약 185,372 15,769 129,781 6,357
 이자율스왑계약 26,575 2,067 28,814 806
 풋옵션계약 - 24,506 - 24,506
소 계 211,947 42,342 158,595 31,669
합 계 244,440 42,342 159,435 31,804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은 '주석 31'에 기재하고 있습니다.


(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18,271 - (1,562) - 339 17,048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43,260 7,277 (1,667) - 834 49,704
합 계 61,531 7,277 (3,229) - 1,173 66,752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48,150 - - - (27,429) 20,721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28,385 13,275 - 1,600 - 43,260
합 계 76,535 13,275 - 1,600 (27,429) 63,981


(4)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장부금액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분기말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70,841 3,115 (875) (2,000) (17) 71,064
채무증권 24,025 500 - - - 24,525
            합 계 94,866 3,615 (875) (2,000) (17) 95,589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취득 처분 대체 평가손익 분기말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72,285 10,305 (15,181) (24,992) 11,235 53,652
채무증권 - 633 - 23,392 - 24,025
            합 계 72,285 10,938 (15,181) (1,600) 11,235 77,677


7. 재고자산 :

보고기간말 현재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취득원가 평가충당금 장부금액 취득원가 평가충당금 장부금액
제품 및 상품 771,558 (25,625) 745,933 804,526 (34,844) 769,682
재공품 69,307 (1,699) 67,608 46,453 (893) 45,560
원재료 및 저장품 583,003 (45,635) 537,368 654,016 (56,763) 597,253
기타의 재고자산 168,193 (57,867) 110,326 176,381 (65,549) 110,832
합 계 1,592,061 (130,826) 1,461,235 1,681,376 (158,049) 1,523,327


8.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

(1) 계약자산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미청구공사

641,985 419,764
 (차감: 대손충당금) (4) (4)

반품회수권

1,050 987

계약이행원가 등

185,399 88,449
합 계 828,430 509,196
유동항목 653,918 430,444
비유동항목 174,512               78,752


(2) 계약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예상 거래선장려금

75,659 68,205

예상 고객 환불

36,053 14,614

고객충성제도

58,120 56,474

보증용역 제공

15,176 20,909

초과청구공사 등

438,060 342,161
합 계 623,068 502,363
유동항목 616,715 497,668
비유동항목 6,353 4,695


(3) 계약부채에 대해 인식한 수익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의 계약부채 잔액 중 당기에 인식한 수익:
 초과청구공사 등 295,621 302,161
 고객충성제도 38,989 35,224
 보증용역 제공 6,148 4,396
합 계 340,758 341,781

전기에 이행한 수행의무에 대해 당기에 인식한 수익

2,949 1,531


(4) 장기 계약 중 미이행 부분

보고기간말 현재, 이행되지 않았거나 부분적으로 이행되지 않은 수행의무에 배분된 거래가격 총액은 905,602백만원(2022년 말 : 1,356,919백만원)이며, 최장 2031년 내에 완료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수행의무가 최초 예상 존속기간이 1년 이내인 계약의 일부인 건은 실무적 간편법을 사용하여 제외하였습니다.

(5)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회사가 미청구공사에 대하여 인식한 손상금액은 1백만원이며(2022년 3분기 누적 : 없음), 계약이행원가에 대하여 인식한 상각금액 등은 78,026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25,639백만원)입니다.

9.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
 
(1) 유형자산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순장부금액 6,007,599 6,424,785
 취득 333,660 429,033
 매각예정분류자산으로 재분류 - (44,167)
 대체 (58) (3,357)
 처분 등 (11,068) (303,688)
 감가상각비 (486,781) (507,541)
 손상차손(*) (15,824) (91,414)
분기말 순장부금액 5,827,528 5,903,651

(*) 2022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에너지 사업부문 영업의 중단에 따른 유형자산의 손상차손 75,629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유형자산 감가상각비가 포함되어 있는 계정과목과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매출원가 363,631 377,907
 판매비                       28,338 29,342
 관리비                       46,312 38,743
 연구개발비                       28,445 32,976
 서비스비                       14,645 14,040
 기타영업외비용                        5,401 1,101
계속영업 소계                     486,772 494,109
중단영업                              9 13,432
합 계 486,781 507,541


(3) 유형자산에 포함된 사용권자산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순장부금액 115,297 121,844
 취득 24,903 43,903
 대체 - (3,357)
 처분 등 (5,825) (2,014)
 감가상각비 (58,232) (63,238)
분기말 순장부금액 76,143 97,138


상기 사용권자산 전대리스와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리스료 수익은 4,504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6,044백만원)입니다.


(4) 무형자산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순장부금액 1,715,271 1,758,718
 취득 294,550 243,102
 내부개발에 의한 취득 256,010 110,805
 매각예정분류자산으로 재분류 - (33)
 대체 (111) (127,962)
 처분 등 (35,733) (43,640)
 무형자산상각비 (322,554) (304,037)
 손상차손 (1,591) (25,360)
분기말 순장부금액 1,905,842 1,611,593


(5) 무형자산상각비가 포함되어 있는 계정과목과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매출원가 245,778 232,769
 판매비 8,040 7,022
 관리비 25,939 20,803
 연구개발비 40,330 40,437
 서비스비 2,425 1,854
 기타영업외비용 7 2
계속영업 소계 322,519 302,887
중단영업 35 1,150
합 계 322,554 304,037


10.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

(1)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내역

(단위: 백만원)
종목구분 기업명 소재지 결산월 지분율(%) 장부금액
2023.9.30 2022.12.31
종속기업 LG Electronics U.S.A., Inc.(LGEUS) 미국 12월 100.0 955,542 955,542
엘지이노텍㈜(*5) 대한민국 12월 40.8 541,538 541,538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대한민국 12월 51.0 388,661 388,661
ZKW Holding GmbH 오스트리아 12월 70.0 349,482 349,482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LGEIL) 인도 3월 100.0 311,746 311,746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LGEBR) 브라질 12월 100.0 270,631 270,631
LG Electronics Mlawa Sp. z.O.O.(LGEMA) 폴란드 12월 100.0 214,091 214,091
LG Electronics Nanjing Vehicle Components Co.,Ltd.(LGENV) 중국 12월 100.0 180,349 180,349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LGETA) 중국 12월 70.0 161,331 161,331
LG Electronics European Holding B.V.(LGEEH) 네덜란드 12월 100.0 148,551 148,551
㈜하이프라자 대한민국 12월 100.0 136,459 136,459
Cybellum Technologies Ltd. 이스라엘 12월 69.2 133,162 133,162
PT LGE Indonesi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LGERC)(*1) 인도네시아 12월 100.0 121,467 63,237
LG Electronics Egypt S.A.E(LGEEG) 이집트 12월 100.0 110,245 110,245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LGETR) 중국 12월 90.0 97,608 97,608
P.T. LG Electronics Indonesia(LGEIN) 인도네시아 12월 100.0 94,118 94,118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LGEVH) 베트남 12월 100.0 84,784 84,784
LG Electronics Wroclaw Sp. z.O.O.(LGEWR) 폴란드 12월 100.0 70,014 70,014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LGEMS) 멕시코 12월 100.0 68,721 68,721
LG Electronics (Shenyang) Inc(LGESY) 중국 12월 56.3 62,033 62,033
LG Electronics (Thailand) Company Limited(LGETH) 태국 12월 100.0 55,578 55,578
LG Electronics Fund I LLC(*1)(*3) 미국 12월 100.0 54,191 56,264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LGEAP) 호주 12월 100.0 50,664 50,664
LG Electronics Ticaret A.S.(LGETK) 튀르키예 12월 100.0 47,320 47,320
LG Electronics RUS, LLC(LGERA) 러시아 12월 100.0 43,645 43,645
LG Electronics (Huizhou) Inc.(LGEHZ)(*6) 중국 12월 45.0 41,984 41,984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LGENT)(*6) 중국 12월 45.0 38,744 38,744
LG Electronics Panama, S.A.(LGEPS) 파나마 12월 100.0 36,492 36,492
ZKW Austria Immobilien Holding GmbH 오스트리아 12월 70.0 35,640 35,640
㈜하이비차저(*1)(*7) 대한민국 12월 60.0 35,040 27,840
LG Electronics S.A. (Pty) Ltd.(LGESA) 남아프리카공화국 12월 100.0 30,175 30,175
Nanjing LG Panda Appliances Co., Ltd(LGEPN)(*6) 중국 12월 50.0 26,614 26,614
LG Electronics Peru S.A.(LGEPR) 페루 12월 100.0 25,043 25,043
LG Electronics Air-Conditioning(Shandong) Co., Ltd.(LGEQA) 중국 12월 100.0 20,615 20,615
LG Soft India Private Limited.(LGSI) 인도 3월 100.0 20,105 20,105
LG Electronics Fund II LLC(*1) 미국 12월 100.0 13,534 9,669
NOVA Prime Fund I, LP(*1) 미국 12월 100.0 11,305 2,802
LG Electronics Development Vietnam Company Limited(LGEDV)(*2) 베트남 12월 100.0 1,868 -
기타       167,058 167,058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대한민국 12월 37.9 3,480,623 3,480,623
㈜로보스타 대한민국 12월 33.4 88,112 88,112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일본 12월 49.0 52,124 52,124
에릭슨엘지㈜ 대한민국 12월 25.0 38,834 38,834
미래에셋LG전자신성장투자조합1호 대한민국 12월 50.0 28,023 28,023
Rinse, Inc. 미국 12월 23.3 18,184 18,184
㈜로보티즈(*4) 대한민국 12월 7.5 9,000 9,000
SideChef Group Limited(*2)(*4) 홍콩 12월 15.4 7,702 -
㈜더웨이브톡(*4) 대한민국 12월 3.7 2,000 -
㈜아크릴(*4) 대한민국 12월 13.6 2,000 2,000
㈜에임퓨처(*4) 대한민국 12월 11.7 800 800
공동기업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1) 독일 12월 49.0 43,148 34,343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1) 독일 12월 49.0 43,014 32,817
Arcelik-LG Klima Sanayi ve Ticaret A.S.(LGEAT) 튀르키예 12월 50.0 27,711 27,711
EIC PROPERTIES PTE LTD. 싱가포르 12월 38.2 7,881 7,881
㈜피트니스캔디(*1) 대한민국 12월 51.0 5,610 4,233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CO., LTD(*1) 중국 12월 35.0 1,855 1,535
합 계


9,112,769 9,004,775

(*1)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2)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신규 취득하였습니다.
(*3)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투자금 일부를 회수하였습니다.
(*4) 지분율이 20% 미만이나 피투자회사의 이사회에서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5) 엘지이노텍㈜에 대한 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이나, 나머지 주주의 지분율이 매우 낮고 넓게 분산되어 있으며, 과거 주주총회에서의 의결 양상 등을 고려하여 엘지이노텍㈜에 대해 사실상 지배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6) 직접 보유하고 있는 지분율은 과반 미만이나 종속기업의 보유지분을 고려하면 피투자회사에 대하여 지배력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피투자회사를 종속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7)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애플망고에서 ㈜하이비차저로 상호 변경하였습니다.

(2)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장부금액 9,004,775 8,914,917
 취득 108,943 90,330
 대체 2,000 -
 처분 등(*) (2,949) (13,259)
분기말 장부금액 9,112,769 8,991,988

(*) 2022년 3분기 누적기간 중 관계기업인 미래에셋LG전자신성장투자조합1호에 대한 유상감자로 회수한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시장성 있는 종속기업, 관계기업 투자 내역

기업명 2023.9.30
종목구분 보유주식수
(단위: 주)
주당시장가격
(단위: 원)
시장가치
(단위: 백만원)
장부금액
(단위: 백만원)
엘지디스플레이㈜ 관계기업 135,625,000 13,110 1,778,044 3,480,623
엘지이노텍㈜ 종속기업 9,653,181 244,500 2,360,203 541,538
㈜로보스타 관계기업 3,256,500 31,000 100,952 88,112
㈜로보티즈 관계기업 961,550 26,400 25,385 9,000
기업명 2022.12.31
종목구분 보유주식수
(단위: 주)
주당시장가격
(단위: 원)
시장가치
(단위: 백만원)
장부금액
(단위: 백만원)
엘지디스플레이㈜ 관계기업 135,625,000 12,450 1,688,531 3,480,623
엘지이노텍㈜ 종속기업 9,653,181 252,500 2,437,428 541,538
㈜로보스타 관계기업 3,256,500 18,650 60,734 88,112
㈜로보티즈 관계기업 961,550 22,500 21,635 9,000


11. 차입금 :


(1) 차입금 장부금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유동성 차입금:
 단기차입금 794,568 311,266
 유동성장기차입금 257,697 187,715
 유동성사채 737,297 574,927
소 계 1,789,562 1,073,908
비유동성 차입금:
 장기차입금 2,988,007 2,591,454
 사채 4,409,009 3,880,668
소 계 7,397,016 6,472,122
합 계 9,186,578 7,546,030


(2) 차입금 상세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차입처

최장
만기일

연이자율(%)
2023.9.30
장부금액
2023.9.30 2022.12.31
단기차입금 외화 LG Electronics U.S.A., Inc. 등(*) - 4.15 ~ 17.20 794,568 311,266
장기차입금 원화 한국수출입은행 등 2035. 1. 9 2.49 ~ 4.97 2,137,250 1,825,893
외화 한국수출입은행 등 2031. 7. 28 0.67 ~ 7.13 1,108,454 953,276
사채 원화 무보증 공모사채 2036. 5. 4 1.62 ~ 4.44 2,820,000 3,090,000
무보증 사모사채 2041. 2. 9 2.66 ~ 5.15 1,730,000 980,000
외화 무보증 사모사채 2029. 3. 5 4.74 ~ 7.14 608,170 258,765
보증 사모사채 2023. 2. 24 3M EURIBOR+0.75 - 135,120
      차감 : 사채할인발행차금 (11,864) (8,290)
합 계 9,186,578 7,546,030

(*) 보고기간말 현재 외화 단기차입금은 매출채권 담보부 단기차입금 54,928백만원(2022년 말 : 41,026백만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일부 차입금의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이자율스왑과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주석 31' 참조).


12. 리스부채 :


(1) 리스부채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리스부채

유동 35,150 65,979
비유동 41,876 50,530
합 계 77,026 116,509


(2) 손익계산서에 인식한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2,950 2,649

 단기리스료(매출원가 및 판매비와 관리비 등에 포함)

21,294 19,049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매출원가 및 판매비와 관리비 등에 포함)

11,763 11,201
계속영업 소계 36,007 32,899
중단영업 11 1,099
합 계 36,018 33,998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는 '주석 9'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3)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단기리스 및 소액리스자산 등을 포함하여 리스와 관련된 총 지출액은 91,026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95,435백만원)입니다.

13. 퇴직급여제도 :

13.1 확정급여제도

(1) 순확정급여부채 산정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3,040,183 2,937,364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3,497,165) (3,454,693)
순확정급여부채(자산) (456,982) (517,329)


(2) 손익계산서에 반영된 금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당기근무원가 205,990 233,007
순이자원가 (20,564) 2,151
운영관리원가 1,858 1,659
종업원급여에 포함된 총 비용 187,284 236,817


(3) 총 비용을 포함하고 있는 계정과목과 금액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계속영업:

 매출원가 87,729 110,453
 판매비 26,079 31,596
 관리비 17,729 19,874
 연구개발비 36,826 46,385
 서비스비 17,090 19,890
 기타영업외비용 1,826 -
계속영업 소계 187,279 228,198
중단영업 5 8,619
합 계 187,284 236,817


(4) 확정급여채무 현재가치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금액 2,937,364 3,268,721
당기근무원가 205,990 233,007
이자원가 113,808 68,805
재측정요소:

- 재무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손익 (30,672) (657,766)
퇴직급여지급액 (186,307) (338,237)
분기말금액 3,040,183 2,574,530


(5) 사외적립자산 공정가치의 변동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금액 3,454,693 3,168,810
이자수익 134,372 66,654
사외적립자산 재측정요소 877 (22,469)
사용자의 기여금 100,000 -
퇴직급여지급액 (190,919) (330,832)
운영관리원가 (1,858) (1,659)
분기말금액 3,497,165 2,880,504


(6)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구 분 2023.9.30 2022.12.31
할인율 5.4% 5.3%
미래임금상승률 6.0% 6.0%


(7)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분석

(단위: 백만원)
구 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1%p 증가시 1%p 감소시
할인율 (253,050) 290,312
임금상승률 304,101 (268,433)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되었으나, 실무적으로는 여러 가정이 서로 관련되어 변동할 수 있습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되었습니다.


13.2 확정기여제도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하여 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8,064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7,109백만원)입니다.


14. 충당부채 :

보고기간말 현재 충당부채의 내역과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판매보증
충당부채
복구
충당부채
소송
충당부채 등
합 계
기초 장부금액 1,079,839 9,360 57,771 1,146,970
 충당부채 순전입액(*) 503,090 112 88,944 592,146
 사용액 (987,772) (711) (5,930) (994,413)
분기말 장부금액 595,157 8,761 140,785 744,703
유동항목 547,645 6,494 6,451 560,590
비유동항목 47,512 2,267 134,334 184,113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판매보증
충당부채
복구
충당부채
소송
충당부채 등
합 계
기초 장부금액 2,279,025 10,460 62,899 2,352,384
 충당부채 순전입액(*) 367,102 427 21,665 389,194
 사용액 (1,480,764) (1,364) (22,181) (1,504,309)
분기말 장부금액 1,165,363 9,523 62,383 1,237,269
유동항목 1,108,199 8,046 17,531 1,133,776
비유동항목 57,164 1,477 44,852 103,493

(*) 순전입액은 전입액에서 환입액을 차감하여 산출하였습니다.


15. 납입자본 :

(1) 자본금 내역

보고기간말 현재 보통주식과 우선주식의 총 수권주식수는 600,000,000주입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발행주식수(주) 주당금액(원) 자본금 발행주식수(주) 주당금액(원) 자본금
보통주 163,647,814 5,000 818,239 163,647,814 5,000 818,239
우선주 17,185,992 5,000 85,930 17,185,992 5,000 85,930
합 계 180,833,806   904,169 180,833,806   904,169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발행한 우선주는 의결권이 없으며 배당은 보통주식에 대한 배당보다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연 1%를 금전으로 추가 배당받게 되며, 주식배당의 경우 이를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잔여재산분배에 대해서는 보통주와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상환 및 전환에 대해서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주식발행초과금은 3,088,179백만원입니다. 2002년 4월 1일자 회사분할에 따라 분할회사로부터 인수한 순자산의 장부가액 2,815,707백만원에서 회사의 자본금 783,961백만원과 회사로 이전된 자본조정 155,593백만원을 차감한 1,876,153백만원을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2005년 및 2006년 중유상증자(LG IBMPC㈜ 합병)와 전환권행사로 인하여 액면을 초과하여 납입된 331,766백만원을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하였으며, 2011년 중 유상증자로 인하여 액면을 초과하여 납입된 880,260백만원을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처리하였습니다.

16. 이익잉여금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법정적립금(*1) 259,302 246,609
임의적립금 5,504,430 4,539,499
미처분이익잉여금(*2) 1,783,844 1,104,629
합 계 7,547,576 5,890,737

(*1) 법정적립금은 전액 이익준비금이며, 상법의 규정에 따라, 회사는 자본금의 50%에 달할 때까지 현금에 의한 이익배당액의 10% 이상을 이익준비금으로 적립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동 이익준비금은 현금으로 배당할 수 없으나 자본전입 또는 결손보전이 가능합니다.
(*2) 2022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배당금 126,905백만원은 2023년 3월 27일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원안대로 승인되어 2023년 4월 중 지급되었습니다(2022년 지급액 : 153,915백만원).

17.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현금흐름위험회피 46,369 48,81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9,179) (10,048)
합 계 37,190 38,763


18. 기타자본구성요소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자기주식(*) (44,893) (44,893)
전환사채의 전환권 대가 9,891 9,891
자기주식처분이익 2,183 2,183
합 계 (32,819) (32,819)

(*) 보고기간말 현재 자기주식으로 보통주 763,176주와 우선주 4,693주(2022년 말 : 보통주 763,176주와 우선주 4,693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임직원에게 성과급으로 지급하거나 처분할 예정입니다.


19. 매출액 :

(1) 매출액의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재화의 판매

6,743,335 20,343,690 6,333,393 19,518,792

 용역 및 기타

418,054 1,086,978 352,984 1,981,622
소 계 7,161,389 21,430,668 6,686,377 21,500,414

기타 원천으로부터의 수익:

 임대 수익 등 251,362 684,548 185,255 562,464
계속영업 소계 7,412,751 22,115,216 6,871,632 22,062,878
중단영업 31 413 21,770 150,620
합 계 7,412,782 22,115,629 6,893,402 22,213,498


(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주요 제품별:

 냉장고/세탁기/에어컨 등

12,136,852 11,553,102

 TV/AV 등

2,623,652 2,963,681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등

3,082,124 2,644,932

 모니터/PC 등  

1,976,416 2,091,697
 기타(*) 1,611,624 2,247,002
내수/수출:

 내수

7,871,221 7,940,779

 수출

13,559,447 13,559,635
수익 인식시기:

 한 시점에 이전

18,786,892 19,212,548

 기간에 걸쳐 이전

2,643,776 2,287,866
합 계 21,430,668 21,500,414

(*) 기타는 설비 제작 및 내부거래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3) 총 계약수익과 총 계약원가의 추정치 변동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기타 부문의 원가 변동 요인이 있어 보고기간말 현재 진행 중인 계약의 총 계약수익과 총 계약원가가 변동되었고, 이에 따라 2023년 3분기누적기간과 보고기간말 이후 기간의 손익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총 계약수익
추정의 변동
총 계약원가
추정의 변동
이익(손실)에 미치는 영향
2023년 3분기 누적 보고기간말 이후
66,261 73,367 (8,303) 1,197


20. 비용의 성격별 분류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제품 및 재공품 등의 변동 (69,909) (15,025) 18,288 7,489
원재료 및 상품 등의 사용액 4,023,053 11,753,765 3,795,992 11,057,379
종업원급여 1,156,249 3,476,399 1,085,204 3,693,852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259,280 807,202 263,033 795,893
광고선전비 217,892 528,573 179,076 464,646
판매촉진비 36,074 109,183 33,293 107,239
운반비 186,301 621,025 374,444 1,195,128
지급수수료 622,788 1,765,857 552,283 1,586,887
기타비용 596,597 2,071,526 800,450 2,337,150
계속영업 소계(*) 7,028,325 21,118,505 7,102,063 21,245,663
중단영업 143 (130) 57,513 357,954
합 계 7,028,468 21,118,375 7,159,576 21,603,617

(*) 매출원가, 판매비, 관리비, 연구개발비 및 서비스비를 합한 금액입니다.


21. 일반영업비용(판매비, 관리비, 연구개발비 및 서비스비)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급여 433,823 1,274,350 403,718 1,214,118
 퇴직급여 51,671 160,983 42,010 245,928
 복리후생비 85,736 244,322 74,487 263,738
 운반비 182,964 612,053 369,254 1,179,165
 지급임차료 8,524 25,533 6,349 22,459
 지급수수료 475,724 1,348,627 419,703 1,195,785
 감가상각비 41,031 121,059 38,733 115,101
 무형자산상각비 26,415 76,734 23,887 70,116
 광고선전비 217,892 528,573 179,076 464,646
 판매촉진비 36,074 109,183 33,293 107,239
 경상연구개발비 85,175 214,391 84,711 194,405
 서비스활동비 33,368 242,562 159,785 239,657
 대손상각비 2,499 5,186 1,469 3,127
 기타 63,963 209,296 70,381 202,364
계속영업 소계 1,744,859 5,172,852 1,906,856 5,517,848
중단영업 105 851 17,120 145,075
합 계 1,744,964 5,173,703 1,923,976 5,662,923


22. 금융수익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이자수익 36,378 80,994 10,078 21,793
외환차이 123,704 441,345 131,750 311,904
기타 2,284 3,190 986 1,917
계속영업 소계 162,366 525,529 142,814 335,614
중단영업 - - - 1,921
합 계 162,366 525,529 142,814 337,535


23. 금융비용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이자비용 78,699 220,443 55,366 149,560
외환차이 101,245 414,281 69,156 209,360
매출채권처분손실 152 523 377 996
기타 7,669 21,350 1,385 2,614
계속영업 소계 187,765 656,597 126,284 362,530
중단영업 - - - 15,208
합 계 187,765 656,597 126,284 377,738


24. 기타영업외수익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배당금수익 404,927 1,382,057 15,940 406,064
 외환차이 225,535 791,181 513,919 1,087,496
 파생상품이익 722 1,093 663 14,504
 유형자산처분이익 2,064 4,363 1,348 5,393
 무형자산처분이익 338 338 120 17,141
 매각예정분류자산처분이익 - - - 182,423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처분이익
- - 281 28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이익
- - 11,485 11,485
 기타 3,508 20,657 1,914 1,933
계속영업 소계 637,094 2,199,689 545,670 1,726,720
중단영업 24 105 80,263 94,736
합 계 637,118 2,199,794 625,933 1,821,456


25. 기타영업외비용 :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계속영업:



 외환차이 254,305 815,281 548,800 1,112,076
 파생상품손실 - 3,443 4,150 39,288
 유형자산처분손실 32 944 3,158 5,199
 유형자산손상차손 4,768 14,843 2,812 14,960
 무형자산처분손실 12,699 35,502 4,903 15,907
 무형자산손상차손 429 1,591 2,161 25,360
 매각예정분류자산처분손실 - - - 10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실
- 17 - 250
 기타 52,007 94,973 10,945 23,651
계속영업 소계 324,240 966,594 576,929 1,236,797
중단영업 89 121 915 98,918
합 계 324,329 966,715 577,844 1,335,715


26. 주당순손익 :


회사는 희석성 잠재적 보통주가 존재하지 아니하므로 기본주당순손익과 희석주당순손익은 동일합니다.

(1)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보통주 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510,630 1,591,591 (114,816) 757,717
 보통주 계속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510,749 1,591,235 (143,611) 906,164
 보통주 중단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119) 356 28,795 (148,447)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단위:주) 162,884,638 162,884,638 162,884,638 162,884,638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3,135 9,771 (705) 4,652
 계속영업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3,136 9,769 (882) 5,563
 중단영업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1) 2 177 (911)


(2)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구 분 2023년 3분기 2022년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우선주 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54,077 168,528 (11,895) 80,570
 우선주 계속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54,089 168,490 (14,933) 96,228
 우선주 중단영업분기순이익(손실) (단위:백만원) (12) 38 3,038 (15,658)
가중평균 유통우선주식수 (단위:주) 17,181,299 17,181,299 17,181,299 17,181,299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3,148 9,809 (692) 4,690
 계속영업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3,149 9,807 (869) 5,601
 중단영업 우선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단위:원/주) (1) 2 177 (911)


27. 현금흐름 관련 정보 :

회사는 현금흐름표의 작성에 있어서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을 간접법으로 표시하고 있으며,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분기순이익 1,760,119 838,287
조정 항목: 838,715 1,338,468
 이자손익 139,449 127,767
 외환차이 76,630 35,783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486,772 494,108
 무형자산상각비 322,519 302,887
 유ㆍ무형자산처분손익 31,745 (1,428)
 퇴직급여 195,343 235,307
 충당부채 인식액 591,954 321,553
 배당금수익 (1,382,057) (406,064)
 법인세비용 339,013 277,830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처분손익 - (281)
 기타 37,831 (95,087)
 중단영업 (484) 46,09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2,330,122) (2,023,801)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1,929,428) (578,511)
 기타수취채권의 감소(증가) (156,091) 573,562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23,887 (86,568)
 계약자산의 감소(증가) (301,067) (89,876)
 기타자산의 감소(증가) 127,520 (107,879)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861,192 231,458
 기타지급채무의 증가(감소) (269,711) (334,591)
 충당부채의 감소 (994,413) (1,504,309)
 계약부채의 증가(감소) 120,704 74,133
 기타부채의 증가(감소) 290,737 (186,705)
 퇴직급여 지급액 (10,900) (14,515)
 사외적립자산의 증가 (92,552)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268,712 152,954


(2)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기초 재무현금흐름 기타 변동으로 인한 효과 분기말
신규 외환차이 상각 등
차입금 3,090,435 844,231 - 105,606 - 4,040,272
사채 4,455,595 656,879 - 32,091 1,741 5,146,306
리스부채 116,509 (55,549) 15,408 117 541 77,026
합 계 7,662,539 1,445,561 15,408 137,814 2,282 9,263,604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년 3분기 누적
기초 재무현금흐름 기타 변동으로 인한 효과 분기말
신규 외환차이 상각 등
차입금 2,579,101 353,959 - 150,978 - 3,084,038
사채 5,044,160 (505,520) - 66,986 1,756 4,607,382
리스부채 119,620 (61,657) 39,701 337 220 98,221
합 계 7,742,881 (213,218) 39,701 218,301 1,976 7,789,641


(3) 현금의 유입ㆍ유출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건설중인유형자산의 본계정 대체 92,123 82,730
건설중인무형자산의 본계정 대체 169,727 210,610
차입금의 유동성 대체 957,587 672,655
유형자산 취득 관련 미지급금 37,474 42,684
무형자산 취득 관련 미지급금 10,887 15,934
사용권자산의 취득 24,903 43,852


(4) 양도한 사업의 자산 및 부채


- 차량용 무선충전 사업의 양도

1) 회사는 2022년 10월 4일 기준으로 무선충전(차량용) 사업을 주식회사 비에이치이브이에스에 양도하였습니다.

2) 사업양도의 총처분대가 및 양도한 사업의 자산ㆍ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총처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116,696
 금융기관예치금 20,000
 기타지급채무 (18,745)
 기타부채 (10,000)
소 계 107,951
양도한 사업의 자산:
 유형자산 57
 무형자산 12,207
 계약자산 1,677
소 계 13,941


28. 우발상황 :
 
(1)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이행보증 등과 관련하여 서울보증보험㈜ 등으로부터 347,311백만원(2022년 말 : 321,191백만원)의 지급보증을 제공 받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2022년 말 신한은행으로부터 보증부 사모사채의 원금 EUR 100백만 및 이자에 대해 지급보증을 제공 받았으며 이는 당분기말 현재 종료되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그 종속기업을 위하여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는 금액은 4,069,699백만원(2022년 말 : 3,885,483백만원)이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지급보증대상회사 지급보증처 지급보증액(*)
2023.9.30 2022.12.31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LGESC) Citi 등 876,467 899,851
LG Electronics U.S.A., Inc.(LGEUS) Citi 등 638,780 601,968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LGEBR) Chubb 등 456,314 515,655
LG Electronics (China) Co., Ltd(LGECH) Citi 등 310,439 297,145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LGEMS) Scotiabank 등 290,436 252,479
ZKW Group GmbH 한국수출입은행 284,344 270,240
LG Electronics Peru S.A.(LGEPR) Scotiabank 등 210,348 197,674
LG Electronics Mlawa Sp. z.O.O.(LGEMA), LG Electronics Polska Sp. Z.O.O.(LGEPL), LG Electronics Wroclaw Sp. z.O.O.(LGEWR) Citi 등 175,962 165,718
LG Electronics Inc Chile Limitada(LGECL) Scotiabank 등 106,134 104,600
LG Electronics Morocco S.A.R.L.(LGEMC) Citi 등 100,801 93,262
LG Electronics Algeria SARL(LGEAS) Citi 등 94,501 89,026
LG Electronics Colombia Limitada(LGECB) Citi 등 82,418 64,935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LGEVG) SMBC 등 78,195 -
LG Electronics Almaty Kazakhstan Limited Liability Partnership(LGEAK) Citi 53,792 50,692
LG Electronics Saudi Arabia LLC(LGESJ) JPM 등 53,774 -
LG Electronics (M) Sdn. Bhd(LGEML) Citi 40,401 38,076
LG Electronics Mlawa Sp. z.O.O.(LGEMA) ING 35,543 33,780
LG Electronics Egypt S.A.E(LGEEG) Credit Agricole 등 32,835 38,648
LG Electronics Ticaret A.S.(LGETK) Citi 등 31,814 32,118
LG Electronics Italia S.P.A.(LGEIS) Intesa 28,434 27,024
PT.LGE Indonesi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LGERC) Citi 등 25,551 -
LG Electronics S.A. (Pty) Ltd.(LGESA) Citi 등 25,158 26,692
기타해외종속기업 Citi 등 37,258 85,900
합 계   4,069,699 3,885,483

(*) 보고기간말 지급보증을 제공하는 금액으로, 일부 약정의 경우 보증채무 이행 등에 발생하는 부대비용을 포함하여 지급하는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구매기업을 위해 하나은행에 46,000백만원(2022년 말 : 46,000백만원)을 한도로 대위변제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4) 회사는 분할신설회사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의 분할기일인 2021년 7월 1일 기준의 채무금액에 대하여 연대보증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5)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다수의 소송, 분쟁 및 규제기관 조사 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동 소송 등의 최종 결과 및 영향은 합리적으로예측할 수 없으며, 회사의 경영진은 회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9. 약정사항 :

(1)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신한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860,496백만원(2022년 말 : 849,259백만원)을 한도로 당좌차월약정 및 무역금융 등 대출약정을 맺고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매출채권의 회수와 관련하여 하나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2,794,604백만원(2022년 말 : 2,777,572백만원)을 한도로 채권 양도거래 약정을 맺고 있습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매입채무의 대금지급과 관련하여 신한은행 등 다수의 금융기관과 1,160,000백만원(2022년 말 : 1,160,000백만원)을 한도로 전자방식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계약 및 상생 결제 방식의 외상매출채권 담보대출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4) 자산 취득을 위한 약정

보고기간말 현재 발생하지 아니한 자산의 취득을 위한 약정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유형자산 248,952 248,722
무형자산 39,651 27,255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80,684 108,816
합 계 369,287 384,793


보고기간말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식 및 주식매입선택권으로 발행될 주식과 관련하여, 일정 시점에 공정가치 기준으로 매입을 약정하였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이러한 약정에 대하여 '기타금융부채'로 인식하였습니다('주석 6' 참조).

(5) 운용리스 약정 - 리스 제공자

1)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가전렌탈사업 및 부동산임대와 관련하여 해지불능 운용리스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계약에 따른 미래 최소리스료 수취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1년 이하 1년 초과~2년 이하 2년 초과~3년 이하 3년 초과~4년 이하 4년 초과 합 계
가전렌탈 242,406 121,201 47,221 6,905 - 417,733
부동산임대 4,524 4,524 4,524 4,516 1,212 19,300
합계 246,930 125,725 51,745 11,421 1,212 437,033


2) 동 운용리스계약과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리스료 수익은 362,689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446,002백만원)입니다.


(6) 금융리스 약정 - 리스 제공자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리스의 리스총투자 및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리스총투자(*) 리스순투자 리스총투자(*) 리스순투자
1년이내 97,708 69,952 34,637 25,550
1년 초과 2년이내 100,145 77,239 35,114 27,598
2년 초과 3년이내 96,356 78,553 34,604 28,766
3년 초과 4년이내 99,820 87,453 33,999 29,881
4년초과 150,826 142,554 55,174 52,466
합계 544,855 455,751 193,528 164,261

(*) 리스총투자에 반영한 무보증 잔존가치는 없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리스의 미실현 이자수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리스총투자 544,855 193,528
리스순투자 455,751 164,261
미실현이자수익 89,104 29,267


3) 금융리스 계약과 관련하여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인식한 수익은 311,697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102,866백만원) 이며, 리스순투자의 금융수익 13,764백만원(2022년 3분기 누적 : 2,917백만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7) 특허권, 상표권 등 라이선스 계약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다음과 같은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구 분 관련 사업부문/제품 제공처 사용처
기술사용 전 제품 Qualcomm Incorporated 등 회사
기술제공 회사 Panasonic Corporation 등
상표사용 전 제품 ㈜LG 회사


30. 특수관계자 :


(1) 2023년 및 2022년 3분기 누적기간 중 회사와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거래 내역 및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로부터 발생한 채권ㆍ채무의 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수익ㆍ비용 거래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3년 3분기 누적
수익거래 비용거래
매출 기타 매입 기타(*4)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2,616 - 2,616 - 98,005 98,005
종속기업 엘지이노텍㈜ 244,204 9,577 253,781 62,809 841 63,650
㈜하이프라자 1,245,383 10,179 1,255,562 15,126 14,349 29,475
LG Electronics U.S.A., Inc. 4,145,595 15,391 4,160,986 7,187 75,133 82,320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 1,662,107 224 1,662,331 105,203 17,213 122,416
LG Electronics Mlawa Sp. z.O.O. 666,176 79 666,255 2,349 5,455 7,804
LG Electronics Canada, Inc. 456,501 14 456,515 1 12,391 12,392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 320,326 1,612 321,938 3,605 26,974 30,579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 299,529 327 299,856 501,602 559 502,161
LG Electronis Reynosa, S.A. De C.V. 199,323 66 199,389 957 2,096 3,053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 137,511 11,162 148,673 97,639 75,245 172,884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 233,655 33,689 267,344 5,219 3,415 8,634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 159,406 57 159,463 159 3,415 3,574
LG Electronics Nanjing Vehicle Components Co.,Ltd. 156,670 - 156,670 7,012 2,365 9,377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 145,396 124 145,520 1,450 2,304 3,754
P.T. LG Electronics Indonesia 172,267 2,672 174,939 374,360 691 375,051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 181,759 11,438 193,197 4,674 48,338 53,012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 291,922 262 292,184 - 2,325 2,325
LG Electronics RUS, LLC 51,206 1,334 52,540 305 2,969 3,274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 121,369 91 121,460 451,244 565 451,809
LG Electronics U.K. Ltd 130,673 50 130,723 5,482 11,651 17,133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 67,203 3,105 70,308 256,022 476 256,498
LG Electronics Almaty Kazakhstan 87,120 174 87,294 - 480 480
LG Electronics Colombia Ltda. 31,457 79 31,536 - 464 464
하이케어솔루션㈜ 34,652 - 34,652 197,237 38,732 235,969
종속기업 기타 2,443,036 91,685 2,534,721 273,463 522,808 796,271
소 계 13,684,446 193,391 13,877,837 2,373,105 871,254 3,244,359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309,143 91,417 400,560 165,823 3,115 168,938
Hitachi-LG Data Storage Inc. 및 그 종속기업 181 - 181 38,055 180 38,235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7 - 7 14,051 1,075 15,126
㈜로보티즈 - - - - 15 15
㈜아크릴 - - - - 1,640 1,640
SideChef Group Limited - - - - 1,193 1,193
소 계 309,331 91,417 400,748 217,929 7,218 225,147
공동기업 LG-LHT Passenger Solution GmbH 495 - 495 - - -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87,632 2,412 90,044 73,952 339,206 413,158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22 - 22 - 11,135 11,135
㈜LG경영개발원 33 - 33 141 47,589 47,730
㈜LG스포츠 5 16 21 - 12,503 12,503
LG-MRI LLC 15,853 - 15,853 - - -
소 계 103,545 2,428 105,973 74,093 410,433 484,526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785,879 34,576 820,455 213,470 17 213,487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17,974 1,846 19,820 4,728 1,890 6,618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625 1,686 2,311 - 37 37
㈜에이치에스애드 및 그 종속기업(*3) 104 - 104 54 188,784 188,838
자이씨앤에이㈜ 및 그 종속기업 15,118 - 15,118 - 15,191 15,191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및 그 종속기업 2,252 - 2,252 447 72,230 72,677
소 계 821,952 38,108 860,060 218,699 278,149 496,848
합 계 14,922,385 325,344 15,247,729 2,883,826 1,665,059 4,548,885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2년 3분기 누적
수익거래 비용거래
매출 기타 매입 기타(*4)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386 - 386 - 103,066 103,066
종속기업 엘지이노텍㈜ 176,991 12,557 189,548 83,041 866 83,907
㈜하이프라자 1,425,944 11,133 1,437,077 6,842 12,245 19,087
LG Electronics U.S.A., Inc. 4,342,798 10,950 4,353,748 4,571 57,462 62,033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 1,170,822 712 1,171,534 134,364 47,373 181,737
LG Electronics Mlawa Sp. z.O.O. 574,797 2,818 577,615 2,097 1,515 3,612
LG Electronics Canada, Inc. 608,016 21 608,037 - 10,321 10,321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 364,629 1,417 366,046 272 23,677 23,949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 299,566 - 299,566 531,221 1,261 532,482
LG Electronis Reynosa, S.A. De C.V. 286,194 603 286,797 1,633 43 1,676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 137,799 79,900 217,699 3,412 61,989 65,401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 237,059 18,419 255,478 530 3,892 4,422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 219,264 10 219,274 - 3,319 3,319
LG Electronics Nanjing Vehicle Components Co.,Ltd. 202,963 - 202,963 5,397 593 5,990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 179,876 1,309 181,185 528 2,163 2,691
P.T. LG Electronics Indonesia 200,752 529 201,281 442,641 173 442,814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 133,074 2,180 135,254 1,341 23,033 24,374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 121,218 36 121,254 - 1,308 1,308
LG Electronics RUS, LLC 93,938 1,707 95,645 - 4,798 4,798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 91,349 183 91,532 367,389 1 367,390
LG Electronics U.K. Ltd 95,246 20 95,266 10,747 12,724 23,471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 70,373 7,029 77,402 187,871 1 187,872
LG Electronics Almaty Kazakhstan 71,016 24 71,040 - 185 185
LG Electronics Colombia Ltda. 43,709 33 43,742 - 713 713
하이케어솔루션㈜ 42,486 175 42,661 198,328 29,123 227,451
종속기업 기타 2,195,973 68,081 2,264,054 189,660 465,561 655,221
소 계 13,385,852 219,846 13,605,698 2,171,885 764,339 2,936,224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533,771 51,104 584,875 167,674 984 168,658
Hitachi-LG Data Storage Inc.(HLDS) 및 그 종속기업 306 - 306 33,550 14,081 47,631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55 - 55 14,091 565 14,656
㈜로보티즈 - - - - 2 2
㈜아크릴 - - - - 1,123 1,123
소 계 534,132 51,104 585,236 215,315 16,755 232,070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102,508 536 103,044 92,772 282,934 375,706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745 186 931 1,470 25,717 27,187
㈜LG경영개발원 24 - 24 45 37,844 37,889
㈜LG스포츠 4 21 25 280 9,704 9,984
소 계 103,281 743 104,024 94,567 356,199 450,766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345,824 2,352 348,176 237,237 77 237,314
㈜LX인터내셔널 및 그 종속기업(*2) 4,993 1,179 6,172 165,921 975,005 1,140,926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2,349 9 2,358 2,552 275 2,827
㈜엘엑스하우시스 및 그 종속/관계기업(*2) 2,077 77 2,154 1,670 385 2,055
㈜엘엑스세미콘(*2) 1,410 2,012 3,422 6,490 19 6,509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1,924 1 1,925 16 26 42
㈜지투알 및 그 종속기업(*3) 1,193 - 1,193 4 148,500 148,504
㈜엘엑스엠엠에이(*2) 5 - 5 - - -
자이씨앤에이㈜ 2,857 20 2,877 - 29,799 29,799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2,052 - 2,052 255 38,259 38,514
소 계 364,684 5,650 370,334 414,145 1,192,345 1,606,490
합 계 14,388,335 277,343 14,665,678 2,895,912 2,432,704 5,328,616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 '특수관계자 공시'의 특수관계자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일한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입니다.
(*2) ㈜엘엑스홀딩스 및 그 계열사는 독립경영에 따라 2022년 6월 21일 계열분리되었습니다.
(*3) 2023년 7월 1일 '㈜지투알'은 종속회사인 '에이치에스애드', '엘베스트'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에이치에스애드'로 변경하였습니다.
(*4) 기타에는 사용권자산 취득금액 및 리스부채의 이자비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 및 채무의 주요 잔액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3.9.30
채권 채무
매출채권 대여금 기타 매입채무 차입금 기타(*3)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729 - 26,769 27,498 - - 10,516 10,516
종속기업 엘지이노텍㈜ 91,498 - 47,278 138,776 24,087 - 14,872 38,959
㈜하이프라자 176,809 - 31,048 207,857 - - 335 335
LG Electronics U.S.A., Inc. 425,645 - - 425,645 - 739,640 19,086 758,726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 436,974 - 13 436,987 771,834 - 2,122 773,956
LG Electronics Mlawa Sp. z.O.O. 130,970 - 3 130,973 679,449 - 1,090 680,539
LG Electronics Canada, Inc. 67,517 - - 67,517 - - 1,425 1,425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 25,297 - - 25,297 - - - -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 99,008 - 124 99,132 416,708 - 144 416,852
LG Electronis Reynosa, S.A. De C.V. 26,832 - - 26,832 206,177 - 97 206,274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 579,482 - 89,257 668,739 - - 19,176 19,176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 71,757 - 194 71,951 1,894 - 615 2,509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 21,999 - - 21,999 - - 481 481
LG Electronics Nanjing Vehicle Components Co.,Ltd. 52,960 - 15,116 68,076 32,929 - 1,321 34,250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 49,319 - 12 49,331 887 - 373 1,260
P.T. LG Electronics Indonesia 18,027 - 549 18,576 569,358 - 5 569,363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 218,997 - 690 219,687 - - 6,226 6,226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 314,918 - - 314,918 - - 344 344
LG Electronics RUS, LLC 61,649 - 94,156 155,805 - - 307 307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 31,181 - 91 31,272 228,778 - 78 228,856
LG Electronics U.K. Ltd 78,517 - 12 78,529 - - 1,603 1,603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 23,272 - 1,265 24,537 258,261 - 55 258,316
LG Electronics Almaty Kazakhstan 54,848 - 121 54,969 - - 67 67
LG Electronics Colombia Ltda. 57,980 - 39 58,019 - - 34 34
하이케어솔루션㈜ 7,675 - - 7,675 - - 27,306 27,306
종속기업 기타 1,142,447 - 110,522 1,252,969 841,907 - 150,206 992,113
소 계 4,265,578 - 390,490 4,656,068 4,032,269 739,640 247,368 5,019,277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126,918 1,000,000 72,919 1,199,837 48,458 - 55,219 103,677
Hitachi-LG Data Storage Inc. 및 그 종속기업 - - 3 3 35,230 - - 35,230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 - - - 9 - 9,939 9,948
소 계 126,918 1,000,000 72,922 1,199,840 83,697 - 65,158 148,855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29,507 - 240 29,747 3,828 - 133,677 137,505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1 - - 1 - - 4,643 4,643
㈜LG경영개발원 5 - - 5 - - 1,293 1,293
㈜LG스포츠 - - - - - - 706 706
LG-MRI LLC 3,995 - - 3,995 - - - -
소 계 33,508 - 240 33,748 3,828 - 140,319 144,147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223,589 - 297,666 521,255 95,665 - 52,718 148,383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2 - 232 234 634 - 725 1,359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61 - 193 254 - - 77 77
㈜에이치에스애드 및 그 종속기업(*2) 29 - - 29 - - 172,726 172,726
자이씨앤에이㈜ 및 그 종속기업 7,653 - 1,701 9,354 - - 13,923 13,923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및 그 종속기업 153 - 433 586 10 - 16,488 16,498
소 계 231,487 - 300,225 531,712 96,309 - 256,657 352,966
합 계 4,658,220 1,000,000 790,646 6,448,866 4,216,103 739,640 720,018 5,675,761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2.12.31
채권 채무
매출채권 대여금 기타 매입채무 차입금 기타(*3)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40 - 25,679 25,719 - - 36,103 36,103
종속기업 엘지이노텍㈜ 68,885 - 2,594 71,479 19,173 - 40,323 59,496
㈜하이프라자 161,725 - 31,486 193,211 - - 738 738
LG Electronics U.S.A., Inc. 186,946 - 391 187,337 - - 21,403 21,403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 242,321 - 46 242,367 441,896 - 5,224 447,120
LG Electronics Mlawa Sp. z.O.O. 122,867 - 2,029 124,896 963,473 - 85 963,558
LG Electronics Canada, Inc. 19,915 - - 19,915 - - 3,295 3,295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 52,543 - - 52,543 - 270,240 1,293 271,533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 59,015 - 1 59,016 251,558 - 267 251,825
LG Electronis Reynosa, S.A. De C.V. 25,549 - 593 26,142 280,239 - 345 280,584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Europe GmbH 450,231 - 50,246 500,477 - - 14,859 14,859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 49,088 - 465 49,553 2,067 - 54 2,121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 37,919 - - 37,919 - - 324 324
LG Electronics Nanjing Vehicle Components Co.,Ltd. 81,831 - 8,622 90,453 12,436 - 788 13,224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 55,802 - 45,810 101,612 166 - 175 341
P.T. LG Electronics Indonesia 18,299 - 42 18,341 600,451 - 313 600,764
LG Electronics Vehicle Components U.S.A., LLC. 181,025 - 4,005 185,030 - - 7,370 7,370
LG Electronics Mexico S.A. DE C.V. 114,261 - 122 114,383 - - 167 167
LG Electronics RUS, LLC 56,453 - 96,728 153,181 - - 2,774 2,774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 19,268 - 52 19,320 192,577 - 235 192,812
LG Electronics U.K. Ltd 49,217 - 3,515 52,732 - - 693 693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 15,562 - 1,108 16,670 235,284 - 47 235,331
LG Electronics Almaty Kazakhstan 102,409 - 1 102,410 - - 11 11
LG Electronics Colombia Ltda. 56,730 - 66 56,796 - - 38 38
하이케어솔루션㈜ 7,065 - - 7,065 - - 27,358 27,358
종속기업 기타 805,761 - 46,167 851,928 806,423 - 165,147 971,570
소 계 3,040,687 - 294,089 3,334,776 3,805,743 270,240 293,326 4,369,309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및 그 종속기업 90,972 - 86,788 177,760 59,550 - 58,078 117,628
Hitachi-LG Data Storage Inc. 및 그 종속기업 - - - - 48,640 - 2,551 51,191
㈜로보스타 및 그 종속기업 81 - - 81 1,968 - 14,411 16,379
소 계 91,053 - 86,788 177,841 110,158 - 75,040 185,198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및 그 종속기업 29,344 - 275 29,619 4,128 - 215,754 219,882
㈜디앤오 및 그 종속기업 98 - - 98 - - 4,879 4,879
㈜LG경영개발원 4 - - 4 - - 1,086 1,086
㈜LG스포츠 - - - - - - 1,146 1,146
소 계 29,446 - 275 29,721 4,128 - 222,865 226,993
기타(*1) ㈜LG화학 및 그 종속/공동기업 142,886 - 178,691 321,577 97,771 - 105,846 203,617
㈜LG유플러스 및 그 종속기업 173 - 260 433 89 - 266 355
㈜LG생활건강 및 그 종속기업 483 - 71 554 - - 226 226
㈜지투알 및 그 종속기업(*2) 29 - - 29 - - 166,136 166,136
자이씨앤에이㈜ 7,719 - - 7,719 - - 33,396 33,396
㈜에스앤아이코퍼레이션 1,575 - - 1,575 - - 16,118 16,118
소 계 152,865 - 179,022 331,887 97,860 - 321,988 419,848
합 계 3,314,091 - 585,853 3,899,944 4,017,889 270,240 949,322 5,237,451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24호 '특수관계자 공시'의 특수관계자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으나,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동일한 대규모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입니다.
(*2) 2023년 7월 1일 '㈜지투알'은 종속회사인 '에이치에스애드', '엘베스트'를 흡수합병하고 사명을 '㈜에이치에스애드'로 변경하였습니다.
(*3) 기타는 리스부채가 포함된 금액입니다.

3)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자금거래 등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3년 3분기 누적
배당금
수익
배당금
지급
현금 출자
(감자) 등
자금대여 거래 자금차입 거래(*1)
대여 회수 차입 상환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 38,566 - - - - 20,736
종속기업
엘지이노텍㈜ 40,061 - - - - - -
LG Electronics Fund I LLC - - (2,073) - - - -
LG Electronics Fund Ⅱ LLC - - 3,865 - - - -
NOVA Prime Fund I, LP - - 8,503 - - - -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 - - - - - 3,636
PT.LGE Indonesi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 - 58,230 - - - -
LG Electronics U.S.A., Inc. - - - - - 706,790 -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 - - - - - - 266,948
NanJing LG-Panda Appliances Co., Ltd. 18,868 - - - - - -
LG Electronics Thailand Co., Ltd. 227,920 - - - - - -
LG Electronics Huizhou Ltd. 5,381 - - - - - -
LG Electronics Middle East Co., Ltd. 12,996 - - - - - -
LG Electronics Singapore PTE LTD. 25,359 - - - - - -
LG Soft India Private Limited. 13,014 - - - - - -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 26,982 - - - - - -
LG Electronics (Tianjin) Appliances Co., Ltd. 39,379 - - - - - -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 30,174 - - - - - -
LG Electronics Mlawa Sp. z.O.O. 181,228 - - - - - -
P.T. LG Electronics Indonesia 175,776 - - - - - -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 39,047 - - - - - -
LG Electronics Canada, Inc. 66,378 - - - - - -
LG ELECTRONICS INDIA PRIVATE LIMITED 378,551 - - - - - -
Taizhou LG Electronics Refrigeration Co., Ltd. 44,172 - - - - - -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 44,376 - - - - - -
㈜하이비차저 - - 7,200 - - - -
소 계 1,369,662 - 75,725 - - 706,790 270,584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2) - - - 1,000,000 - - -
에릭슨엘지㈜ 11,250 - - - - - -
소 계 11,250 - - 1,000,000 - - -
공동기업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 - 8,805 - - - -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 - 10,197 - - - -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 - 320 - - - -
㈜피트니스캔디 - - 1,377 - - - -
소 계 - - 20,699 - - - -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 - - - - - 121
㈜디앤오 - - - - - 409 830
소 계
- - - - - 409 951
합 계 1,380,912 38,566 96,424 1,000,000 - 707,199 292,271
(단위: 백만원)
구 분 회사명 2022년 3분기 누적
배당금
수익
배당금
지급
현금 출자
(감자) 등
자금대여 거래 자금차입 거래(*1)
대여 회수 차입 상환
유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LG - 46,830 - - - - 20,760
종속기업

엘지이노텍㈜ 28,960 - - - - - -
LG Electronics Fund I LLC - - 1,202 - - - -
LG Electronics Fund Ⅱ LLC - - 7,975 - - - -
LG Electronics RUS, LLC 156,663 - - - - - -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 - - - - - - 4,320
LG Electronics Nanjing New Technology co.,LTD 24,252 - - - - - -
NanJing LG-Panda Appliances Co., Ltd. 18,574 - - - - - -
LG Electronics Thailand Co., Ltd. 34,104 - - - - - -
LG Electronics Huizhou Ltd. 5,650 - - - - - -
LG ELECTRONICS AUSTRALIA PTY LIMITED 26,757 - - - - - -
LG Electronics European Shared Service Center B.V. - - - - - 266,948 266,948
LG Electronics Japan, Inc. 13,578 - - - - - -
LGE INDONESIA RESEARCH AND DEVELOPMENT CENTER - - 27,802 - - - -
소 계 308,538 - 36,979 - - 266,948 271,268
관계기업 엘지디스플레이㈜ 88,156 - - - - - -
에릭슨엘지㈜ 8,250 - - - - - -
Rinse, Inc - - 11,154 - - - -
미래에셋LG전자신성장투자조합1호 2,362 - 18,023 - - - -
소 계 98,768 - 29,177 - - - -
공동기업 LG-LHT Aircraft Solutions GmbH - - 9,496 - - - -
LG-LHT Passenger Solutions GmbH - - 9,496 - - - -
GUANGDONG SMART LIFE TECHNOLOGY - - 341 - - - -
소 계 - - 19,333 - - - -
기타 특수관계자 ㈜엘지씨엔에스 - - - - - 204 53
㈜디앤오 - - - - - 3,219 163
소 계 - - - - - 3,423 216
합 계 407,306 46,830 85,489 - - 270,371 292,244

(*1) 자금차입 거래에는 리스부채 원금의 차입 및 상환 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엘지디스플레이㈜와 1,000,000백만원 한도의 대여금 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동 대여금 관련하여 담보를 제공받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현재 1,000,000백만원이 실행되어 장기대여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2)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단기급여

9,833 10,259

퇴직급여

1,568 1,160

기타장기급여

2 2
합 계 11,403 11,421


상기의 주요 경영진은 회사의 계획, 운영 및 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주요 임원입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채무에 대한 지급보증 제공 내역은 '주석 28'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4)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자금조달 등을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담보는 없습니다.

(5) 보고기간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잔액에 대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31. 위험관리 :

31.1 재무위험관리

회사의 재무위험관리는 주로 시장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에 대해 전사 각 사업주체가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경영성과를 창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동시에 재무구조 개선 및 자금운영의 효율성 제고를 통해 금융비용을 절감함으로써 사업의 원가경쟁력 제고에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재무위험 관리활동은 주로 회사의 금융담당이 주관하고 있으며 각 사업주체와 긴밀한 협조 하에 전사 통합적인 관점에서 재무위험 관리정책 수립 및 재무위험 식별, 평가, 헷지 등의 실행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매년 정기적으로 재무위험 관리정책의 재정비, 재무위험 모니터링 등을 통해 재무위험으로부터 발생할 수 있는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와 관련된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가액 및 순손익과 차입금 세부 내역에 대한 정보는 '주석 4' 및 '주석 11'에 각각 기재되어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회사는 전 세계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다양한 통화의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가 노출되어 있는 주요통화는 미국 달러, 유로가 있습니다.

회사의 외환위험관리의 목표는 환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손익 변동을 최소화 함으로써 안정적인 사업 운영의 기반을 제공하는데 있습니다.

회사의 외환위험관리는 외환위험의 측정과 관리 방법의 원칙 등을 규정하고 있는 회사의 외환관리규칙에 의거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 규칙에 따라 회사의 일반적인 영업활동에서 비롯되는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를 우선적으로 일치시켜 외환위험 노출을 최소화하고, 잔여 위험에 대해서는 파생상품 등을 통한 효율적 외환위험 축소방안을 지속적으로 검토, 적용하고 있으며, 매월 외환위험의 변동 및 헷지 결과를 점검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목적의 파생상품 거래는 금지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기능통화 이외의 주요 외화로 표시된 회사의 화폐성 자산ㆍ부채에 대해 기능통화가 미국달러 및 유로 대비 10%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미국달러/원 28,000 (28,000) 2,095 (2,095)
유로/원 19,307 (19,307) (18,368) 18,368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변동성 축소와 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제고하는 데 있습니다.

회사는 외부차입금 최소화 및 보유 예금의 최적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주기적으로 국내외 금리동향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이자율 변동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포인트 변동하는 경우를 가정할 때 예금 및 변동금리부 차입금으로부터 9개월간 발생하는 이자수익과 이자비용의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9.30
1%p 상승시 1%p 하락시 1%p 상승시 1%p 하락시
이자수익 19,800 (19,800) 13,922 (13,922)
이자비용 2,934 (2,934) 2,906 (2,906)


3)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 파생계약의 상세내역

가.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는 파생상품

회사는 이자율 및 환율 변동에 따른 현금흐름위험회피를 위하여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파생계약별 주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위험회피수단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계약처 계약금액
(단위: 백만)
계약환율 지급이자율
(%)
계약시작일 계약만기일 장부금액
자산 부채
통화스왑 KEB하나은행 등 USD 1,194 1,067.9 ~ 1,319.3 1.88 ~ 4.56 2017.10.23
    ~ 2023. 9. 5
2024. 4.19
 ~ 2031. 7.28
       192,637          4,414
CITI BANK EUR 95 1,312 3.84 2022. 7.15 2028. 1.14            5,241 -
CITI BANK JPY 11,000 10.0 4.06 2023. 4. 4 2029. 4. 4 - 11,355
DBS SGD 140 859.3 1.21 2020. 7. 9 2024. 1. 9 19,858 -
이자율스왑 우리은행 등 KRW 1,086,821 - 2.75 ~ 4.53 2014. 1. 3
    ~ 2023. 2.14
2024.  1. 3
    ~ 2032.11.16
26,704 2,067

스왑계약의 수취이자율은 차입금의 연이자율과 동일합니다('주석 11' 참조).


② 위험회피항목의 주요 내역

(단위: 백만원)
구 분 대상 장부금액 가치변동
(세후 손익기준)
통화스왑 차입금 1,975,032 (81,660)
이자율스왑 차입금 1,017,250 (2,411)


③ 위험회피회계 적용 결과

(단위: 백만원)
구 분 파생상품
가치변동
(세후 손익기준)
당기손익 인식
계정과목
당기손익
재분류금액
(세후)
기타포괄손익
인식액
(세후)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잔액
통화스왑
81,660 이자비용 및
외환차이
(80,192) 1,468 29,133
이자율스왑 2,411 이자비용 (6,321) (3,910) 17,235


나. 위험회피회계가 적용되지 않는 파생상품

① 통화선도계약
회사는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체결중인 통화선도거래 내역과 통화선도계약 관련하여 2023년 3분기누적기간 중 인식한 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매입 매도 평가손익 거래손익
통화선도 - - - (2,350)


② 주식매입계약
회사는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주주 및 Stock Option이 부여된 직원에 대한 Put Option 부여에 따라 파생상품부채 24,506백만원을 인식하였고, 2023년 3분기 누적기간 중 동 계약에 대한 파생상품거래손익은 없습니다.


4) 가격위험

회사는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보유 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공개시장에서 거래되고 있으며, KOSDAQ, NASDAQ, NYSE 주가지수에 관련되어 있습니다.

상장주식 관련 주가지수의 상승 또는 하락이 회사의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법인세효과 반영 전)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이 분석은 다른 변수들은 일정하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상장주식은 과거 해당 지수와의 상관관계에 따라 움직인다는 가정 하에 주가지수가 30% 증가 또는 감소한 경우를 분석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지수 2023.9.30 2022.12.31
30% 상승시 30% 하락시 30% 상승시 30% 하락시
KOSDAQ 4,497 (4,497) 4,277 (4,277)
NASDAQ 233 (233) 456 (456)
NYSE 1,884 (1,884) 1,679 (1,679)


상기 시장위험과 관련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평가 및 장부금액의 변동내역은 '주석 6'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2) 신용위험

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일관된 전사신용정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매출채권에 대해서는 한국무역보험공사(K-SURE) 및 서울보증보험(Coface 재보험사)과 통합 채권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거래선에 대한 보험사별 신용 평가를 준용하여 보험부보를 실행함으로써 매출채권 신용위험을 최소화하고 있습니다.또한, 보험 및 담보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매출채권에 대해서도 내부 신용평가기준에따라 엄격하게 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종속기업에 대한 매출채권을 제외한 잔액은 1,861,324백만원(2022년 말 : 1,105,906백만원)이며, 동 채권은 2,894,456백만원(2022년 말 : 2,970,803백만원) 상당의 보험한도 내에서 적절하게 부보되어 위험관리되고 있으므로, 회사에 노출된 신용위험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금융자산 장부금액은 손상차손이 차감된 장부금액으로 신용위험의 최대노출금액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유동성위험

회사는 유동성위험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현금흐름 및 유동성 계획 등에 대해 주기적으로 예측하고 이에 따른 대응방안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특히 본사와 4개 해외 금융센터와의 유기적인 협력을 통해 글로벌 금융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가능한 자금관리 및 유동성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적정규모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국민은행, 신한은행 및 SC은행과 Committed Line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발생 가능한 자금경색에 따른 유동성위험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또한, 보고기간말 현재 국내신용평가기관인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로부터 AA를 부여받고 있으며, 국제신용평가기관인 Standard & Poors로부터 BBB, Moody's로부터 Baa2 등 투자적격등급을 부여받고 있어, 국내외 금융시장을 통해 적기에 자금조달이 가능합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부채의 연도별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매입채무 6,372,603 6,372,603 - - -
차입금 10,621,614 2,079,989 961,982 3,841,005 3,738,638
리스부채 82,302 37,678 19,909 17,882 6,833
기타지급채무 1,791,635 1,779,913 100 11,622 -
기타금융부채 24,508 - 12,254 9,803 2,451
합 계 18,892,662 10,270,183 994,245 3,880,312 3,747,922


상기 현금흐름은 명목가액 기준으로 회사가 지급하여야 하는 가장 빠른 만기일에 근거하여 작성되었으며, 원금 및 이자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자율과 환율변동에 따른 현금흐름 위험회피를 위한 파생상품은 관련된 차입금의 현금흐름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보고기간말 현재 종속기업 및 제3자 기업을 위해 제공한 금융보증계약한도의 연도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1년 미만 2년 이하 5년 이하 5년 초과
금융보증계약 4,115,699 4,115,699 - - -


종속기업 및 제3자 기업에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보증의 최대금액을 보증이 요구될 수 있는 가장 이른 기간에 배분하였습니다.

31.2 자본위험관리


회사의 자본위험관리는 건전한 자본구조의 유지를 통한 주주이익의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최적 자본구조 달성을 위해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 등의 재무비율을 매월 모니터링하여 필요한 경우 적절한 재무구조 개선방안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의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부채(A)         21,117,700         18,823,785
자본(B)         11,544,294           9,889,029
현금및현금성자산(C)           2,640,099           1,941,615
차입금 및 리스부채(D)           9,263,604           7,662,539
부채비율(A/B) 182.9% 190.4%
순차입금비율((D-C)/B) 57.4% 57.9%


31.3 공정가치 추정

(1)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유동 비유동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공정가치로 인식된 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등 - - 105,291 105,29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출채권 226,404 (*1) - -
 기타금융자산 - - 66,752 66,752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자산 32,493 32,493 211,947 211,947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2,640,099 (*1) - -  
 금융기관예치금 140,000 (*1) 687 687
 매출채권 5,373,660 (*1) 29,585 29,585
 기타수취채권 532,899 (*1) 1,176,963 1,055,097
[기타 자산]
 매출채권 69,954 (*1) 385,797 385,797
금융자산 합계 9,015,509
1,977,022
[공정가치로 인식된 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 - - 24,506 24,506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부채 - - 17,836 17,836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매입채무 6,372,603 (*1) - -
 차입금 1,789,562 (*1)
7,397,016 6,907,152
 기타지급채무 1,779,913 (*1) 11,722 9,621
[기타 부채]
 리스부채 35,150 (*2) 41,876 (*2)
 기타금융부채 6,059 (*3) 4,924 (*3)
금융부채 합계 9,983,287
7,497,880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유동 비유동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공정가치로 인식된 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285 285 94,866 94,866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출채권 290,274 (*1) - -
 기타금융자산 - - 61,531 61,531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자산 555 555 158,595 158,595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1,941,615 (*1) - -
 금융기관예치금 170,969 (*1) 490 490
 매출채권 3,655,793 (*1) - -
 기타수취채권 495,175 (*1) 163,543 149,780
[기타 자산]
 매출채권 25,550 (*1) 138,712 138,712
금융자산 합계 6,580,216
617,737
[공정가치로 인식된 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 135 135 24,506 24,506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부채 - - 7,163 7,163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매입채무 5,428,176 (*1) - -
 차입금 1,073,908 (*1) 6,472,122 5,638,608
 기타지급채무 2,055,049 (*1) 7,723 5,955
[기타 부채]
 리스부채 65,979 (*2) 50,530 (*2)
 기타금융부채 6,446 (*3) 4,689 (*3)
금융부채 합계 8,629,693
6,566,733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등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과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장부금액을 측정하고 있으며, 공정가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 측정치

1)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

공정가치란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을 의미합니다. 공정가치 측정은 측정일에 현행 시장 상황에서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의 가격을 추정하는 것으로, 회사는 공정가치 평가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관측 가능하지 않은 변수는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 및 부채를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수준 1: 활성시장에서 공시되는 가격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자산이나 부채의 경우 동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수준 1'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1'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이 있습니다.
- 수준 2: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한 정보에 해당하면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수준 2'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2'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파생상품이 있습니다.
- 수준 3: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불가능한 정보에 해당하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3'으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3'으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시장성없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 입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거래소, 판매자, 중개인, 산업집단, 평가기관 또는 감독기관을 통해 공시가격이 용이하게 그리고 정기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그러한 가격이 독립된 당사자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한 실제 시장거래를 나타낸다면, 이를 활성시장으로 간주합니다.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공시되는 시장가격은 보고기간말 종가입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수준 1'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준 1'에 포함된 상품들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상장된 지분상품으로 구성됩니다.

회사는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로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때, 해당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하다면 해당상품은 '수준 2'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준 3'에 포함된 자산 및 부채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합니다.

2)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기타금융자산 등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7,048 - 49,704 66,752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 105,291 105,291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244,440 - 244,440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24,506 - 24,506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17,836 - 17,836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기타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8,271 - 43,260 61,531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285 94,866 95,151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159,150 - 159,150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24,641 - 24,641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7,163 - 7,163


상기 공정가치 금액은 전액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입니다.

①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로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공정가치 금액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2023.9.30 2022.12.31
자산 기타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285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244,440
159,150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135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24,506 24,506 이항모형 주가 및 변동성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17,836
7,16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②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 분류된 자산과 부채는 시장성없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할인율 등을 투입변수로 고려하여 현금흐름할인기법 등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3)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의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른 수준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 - 687 687
비유동성 매출채권 - - 415,382 415,382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 1,055,097 1,055,09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 - 6,907,152 6,907,152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 - 9,621 9,621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 - 490 490
비유동성 매출채권 - - 138,712 138,712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 149,780 149,780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 - 5,638,608 5,638,608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 - 5,955 5,955


①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수준 2'로 분류된 항목은 없습니다.

②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수준 3'으로 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등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9.30 2022.12.31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유의적이지만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유의적이지만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의 범위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687 687 490 490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할인율 0.10%
비유동성 매출채권 415,382 415,382 138,712 138,712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할인율 5.3%~7.0%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176,963 1,055,097 163,543 149,780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4.4%~5.3%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7,397,016 6,907,152 6,472,122 5,638,608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4.3%~6.2%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11,722 9,621 7,723 5,955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할인율 4.38%~4.78%


32. 중단영업 :

회사는 전사적 자원효율화를 통해 핵심사업으로 역할을 집중하고, 재무구조를 개선하여 미래 성장 신사업 준비를 위한 재원을 확보하고자 2022년 중 에너지 사업부문 영업을 중단하였습니다.

(1) 중단영업손익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매출액 413 150,620
영업이익(손실) 543 (207,33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527 (224,802)
법인세비용(수익) 133 (60,697)
세후순이익(손실) 394 (164,105)


(2) 중단영업으로부터 발생한 현금흐름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년 3분기 누적 2022년 3분기 누적
영업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4,231) (296,075)
투자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288 441,090
재무활동으로 인한 순현금흐름 3,943 (145,015)


6. 배당에 관한 사항


가.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는 주주가치 제고를 기본 원칙으로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미래의 전략적 투자, 재무구조(Cash Flow 등),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배당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2년 1월 26일, 3년간(2021사업연도~2023사업연도) 연결 재무제표 기준 당기순이익(일회성 비경상 이익 제외)의 20% 이상을 주주에게 환원하는 중장기 배당정책을 공시하였습니다.

2022년 사업년도에 대한 연간 배당금은 1,269억원(주당 배당금 보통주 700원, 우선주 750원)으로, 2023년 1월 26일 이사회 결의 이후 '현금ㆍ현물배당결정' 공시를 통해 안내하였고, 2023년 3월 27일 제21기 정기주주총회의 승인을 거쳐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상기 당사의 배당정책은 분기 실적설명회 자료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시하고 있습니다. 연간 배당 규모는 매년 1월 이사회에서 결정한 후, 정기주주총회 소집공고 전 공시를 통하여 주주에게 안내하고 있으며, 최종적으로 정기주주총회 결정 후 1개월 내에 주주에게 지급합니다.


나. 최근 3사업연도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주식의 종류 당기 전기 전전기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주당액면가액(원) 5,000 5,000 5,000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1,018,771 1,196,442 1,031,710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1,760,119 854,963 -913,538
(연결)주당순이익(원) 5,654 6,640 5,725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126,905 153,915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10.6 14.9
현금배당수익률(%) 보통주 - 0.79 0.63
우선주 - 1.75 1.37
주식배당수익률(%) 보통주 - - -
우선주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보통주 - 700 850
우선주 - 750 900
주당 주식배당(주) 보통주 - - -
우선주 - - -

주1) (연결)당기순이익은 연결당기순이익의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귀속분이며, (연결)주당순이익은 연결당기순이익의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보통주기본주당순이익입니다.
주2) (연결)현금배당성향은 연결당기순이익의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귀속분에 대한 현금배당총액의 백분율입니다.
주3) 현금배당수익률은 당해 배당과 관련된 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주주명부폐쇄일 2매매거래일 전부터 과거 1주일간의 거래소시장에서 형성된 최종가격의 산술평균가격에 대한 1주당 배당금의 백분율입니다.
주4) 회사가 발행한 우선주는 이익배당우선주입니다.

다.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연속 배당횟수 평균 배당수익률
분기(중간)배당 결산배당 최근 3년간 최근 5년간
- 21 0.83 0.95

주) 연속 배당횟수 및 평균 배당수익률은 가장 최근 확정된 정기주주총회인 제21기(전기) 보통주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제22기(당기)에는 분기(중간)배당을 지급하지 아니하였습니다.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지분증권 발행 실적이 없습니다.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1)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발행회사 증권종류 발행방법 발행일자 권면(전자등록)총액 이자율 평가등급
(평가기관)
만기일 상환
여부
주관회사
LG전자 회사채 사모 2023.02.03 130,380 SOFR+1.6 -. 2028.02.03 미상환 CReDIT AGRICOLE CORPORATE AND INVESTMENT BANK
LG전자 회사채 공모 2023.03.07 140,000 4.03 AA
 (NICE, 한기평)
2026.03.07 미상환 한국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LG전자 회사채 공모 2023.03.07 290,000 4.35 AA
 (한신평, NICE)
2028.03.07 미상환 한국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LG전자 회사채 공모 2023.03.07 150,000 4.59 AA
 (한신평, 한기평)
2030.03.07 미상환 한국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LG전자 회사채 공모 2023.03.07 120,000 4.84 AA
 (한신평, NICE)
2033.03.07 미상환 한국투자증권, 하이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대우
LG전자 회사채 사모 2023.05.31 130,000 5.15% AA
 (한신평, NICE)
2038.05.31 미상환 KB증권
LG전자 회사채 사모 2023.09.05 197,895 SOFR+1.37 - 2029.03.05 미상환 DBS BANK LTD.
LG이노텍 전자단기사채 사모 2023.01.03 90,000 4.16 A1
(한기평, 한신평, NICE)
2023.04.03 상환 KB증권
LG이노텍 전자단기사채 사모 2023.01.09 30,000 4.16 A1
(한기평, 한신평, NICE)
2023.04.07 상환 KB증권
LG이노텍 전자단기사채 사모 2023.04.13 95,000 3.9 A1
(한기평, 한신평, NICE)
2023.06.28 상환 NH투자증권
LG이노텍 회사채 공모 2023.02.14 80,000 3.76 AA-
(한기평, 한신평, NICE)
2025.02.14 미상환 신한투자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LG이노텍 회사채 공모 2023.02.14 180,000 3.77 AA-
(한기평, 한신평, NICE)
2026.02.14 미상환 신한투자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LG이노텍 회사채 공모 2023.02.14 140,000 3.98 AA-
(한기평, 한신평, NICE)
2028.02.14 미상환 신한투자증권, KB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1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1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10,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1.10 5,000 5.00 A2+(한신평, NICE) 2023.01.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01 5,000 4.8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2.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1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1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14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15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14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28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28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28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2.28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02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02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02 5,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02 20,000 4.70 A2+(한신평, NICE) 2023.03.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2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2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10,000 4.36 A2+(한신평, NICE) 2023.03.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0 A2+(한신평, NICE) 2023.03.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2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3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3.15 5,000 4.55 A2+(한신평, NICE) 2023.04.13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03 5,000 4.4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4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5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20,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4.17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4.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1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1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02 20,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5.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1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1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1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1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1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22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8,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23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5.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3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15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3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15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5.31 20,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2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01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6.0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15 5,000 4.30 A2+(한신평, NICE) 2023.06.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6.30 20,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0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0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0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03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1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7.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7.31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8.01 20,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8.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8.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8.28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8.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8.2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8.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8.2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8.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8.29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8.14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8.3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0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2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2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2,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2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6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7 상환 -
하이프라자 기업어음증권 사모 2023.09.15 5,000 4.20 A2+(한신평, NICE) 2023.09.27 상환 -
합  계 - - - 2,958,275 - - -  - -


(2) 채무증권 종류별 미상환잔액

1)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 연결회사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사모 - - - - - - - - -
합계 - - - - - - - - -


- LG전자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사모 - - - - - - - - -
합계 - - - - - - - - -


- 하이프라자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사모 - - - - - - - - -
합계 - - - - - - - - -


2)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 연결회사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400,000 400,000
합계 - - - - - - 400,000 400,000


- LG전자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 이노텍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400,000 400,000
합계 - - - - - - 400,000 400,000


3) 회사채 미상환 잔액

- 연결회사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600,000 410,000 650,000 190,000 700,000 1,230,000 270,000 4,050,000
사모 137,490 80,000 300,000 187,240 318,960 381,720 400,000 1,805,410
합계 737,490 490,000 950,000 377,240 1,018,960 1,611,720 670,000 5,855,410


- LG전자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600,000 270,000 470,000 190,000 560,000 1,160,000 270,000 3,520,000
사모 137,490 - 300,000 100,000 318,960 381,720 400,000 1,638,170
합계 737,490 270,000 770,000 290,000 878,960 1,541,720 670,000 5,158,170


- 이노텍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140,000 180,000 - 140,000 70,000 - 530,000
사모 - 80,000 - 87,240 - - - 167,240
합계 - 220,000 180,000 87,240 140,000 70,000 - 697,240


4)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15년이하
15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5)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
사모 - - - - - - - - - -
합계 - - - - - - - - - -


(3) 사채관리계약 주요내용 및 충족여부 등
사채관리계약 이행현황기준일은 이행현황 판단 시 적용한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적정의견)이 표명된 가장 최근의 재무제표의 작성기준일인 2023년 9월 30일,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은 공시서류작성기준일인 2023년 9월 30일이며,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은 2023년 6월 30일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여 사채관리회사에 제출한 최근의 제출일자입니다.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71-3회 무보증사채
2013.10.18 2023.10.18 90,000 2013.10.07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5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해당사항 없음
이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73-4회 무보증사채
2014.01.24 2024.01.24 120,000 2014.01.14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5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해당사항 없음
이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74-3회 무보증사채
2014.05.29 2024.05.29  210,000 2014.05.19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74-4회 무보증사채
2014.05.29 2029.05.29    60,000 2014.05.19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5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해당사항 없음
이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77-3회 무보증사채
2015.02.02 2025.02.02 210,000 2015.01.21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77-4회 무보증사채
2015.02.02 2030.02.02 100,000 2015.01.21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5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해당사항 없음
이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79-3회 무보증사채
2016.09.06 2023.09.06 130,000 2016.08.25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79-4회 무보증사채
2016.09.06 2026.09.06 150,000 2016.08.25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5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해당사항 없음
이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83-2회 무보증사채
2017.04.28 2024.04.28 130,000 2017.04.18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83-3회 무보증사채
2017.04.28 2027.04.28 70,000 2017.04.18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4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해당사항 없음
이행현황 해당사항 없음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91-1회 무보증사채
2018.05.28 2025.05.28 60,000 2018.05.15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1-2회 무보증사채
2018.05.28 2028.05.28 200,000 2018.05.15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1-3회 무보증사채
2018.05.28 2033.05.28 90,000 2018.05.15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4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지배구조변경 제한(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이행현황 이행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93-1회 무보증사채
2019.02.21 2024.02.21 50,000 2019.02.11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3-2회 무보증사채
2019.02.21 2026.02.21 60,000 2019.02.11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3-3회 무보증사채
2019.02.21 2029.02.21 280,000 2019.02.11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3-4회 무보증사채
2019.02.21 2034.02.21 110,000 2019.02.11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4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지배구조변경 제한(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이행현황 이행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95-1회 무보증사채
2020.02.25 2027.02.25 120,000 2020.02.13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5-2회 무보증사채
2020.02.25 2030.02.25 130,000 2020.02.13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5-3회 무보증사채
2020.02.25 2035.02.25 50,000 2020.02.13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4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지배구조변경 제한(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이행현황 이행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98-1회 무보증사채
2021.05.04 2026.05.04 120,000 2021.04.22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8-2회 무보증사채
2021.05.04 2028.05.04 70,000 2021.04.22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8-3회 무보증사채
2021.05.04 2031.05.04 230,000 2021.04.22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98-4회 무보증사채
2021.05.04 2036.05.04 110,000 2021.04.22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4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지배구조변경 제한(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이행현황 이행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작성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채권명 발행일 만기일 발행액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사채관리회사
LG전자㈜
 제100-1회 무보증사채
2023.03.07 2026.03.07 140,000 2023.02.22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100-2회 무보증사채
2023.03.07 2028.03.07 290,000 2023.02.22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100-3회 무보증사채
2023.03.07 2030.03.07 150,000 2023.02.22 한국증권금융
LG전자㈜
 제100-4회 무보증사채
2023.03.07 2033.03.07 120,000 2023.02.22 한국증권금융
(이행현황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재무비율 유지현황 계약내용 부채비율(연결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이행현황 이행(155.5%)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계약내용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
합계액이 직전 회계년도 자기자본의 400% 이하 등
이행현황 이행(0.6%)
자산처분 제한현황 계약내용 한 회계년도에 총액 20조원 이상 자산처분 제한
이행현황 이행(170,647백만원)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계약내용 지배구조변경 제한(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이행현황 이행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이행현황 2023.09.07 제출


사채관리회사의 조직 및 연락처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채관리회사

조직

연락처

한국증권금융

신탁부문

02-3770-8556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1)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구 분 회차 납입일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회사채
(녹색채권)
제98-1회 2021.05.04 시설자금
(친환경 건축물 건설)
120,000 시설자금
(친환경 건축물 건설)
120,000 -
회사채
(녹색채권)
제98-2회 2021.05.04 시설자금
(친환경 건축물 건설)
70,000 시설자금
(친환경 건축물 건설)
70,000 -
회사채 제98-3회 2021.05.04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200,000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200,000 -
회사채 제98-3회 2021.05.04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3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30,000 -
회사채 제98-4회 2021.05.04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20,000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20,000 -
회사채 제98-4회 2021.05.04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9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90,000 -
회사채 제100-1회 2023.03.07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110,000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110,000 -
회사채 제100-1회 2023.03.07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3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30,000 -
회사채 제100-2회 2023.03.07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200,000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200,000 -
회사채 제100-2회 2023.03.07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9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90,000 -
회사채 제100-3회 2023.03.07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40,000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40,000 -
회사채 제100-3회 2023.03.07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11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110,000 -
회사채 제100-4회 2023.03.07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50,000 채무상환자금
(회사채 상환)
50,000 -
회사채 제100-4회 2023.03.07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7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70,000 -
회사채 제101회 2023.05.31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130,000 운영자금
(자재구매대금 등)
130,000 -

주) 2021.05.04 발행된 제98-1회 및 제98-2회 회사채는 ESG채권(녹색채권)으로 LG 사이언스파크 내 LG전자 연구시설 4개 동을 친환경 건축물로 건설하기 위하여 발행되었으며, 당초 계획대로 LG 사이언스파크 건설 비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내역은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한국거래소의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에 게시된 ESG채권 사후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 재무제표 재작성

(1) 연결회사는 태양광 패널 사업의 경쟁심화 및 지속적인 사업부진과 내부자원 효율화를 통한 핵심사업으로의 역량 집중 및 사업구조 개선을 위하여 2022년 6월 30일부로 태양광 패널 사업의 영업을 중단하였습니다. 중단사업의 모든 손익 항목을 '중단영업당기순손익'의 단일 계정으로 재분류하여 표시하고, 비교표시되는 과거 손익계산서를 재작성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결손익계산서

(단위: 백만원)
과목 2021년 2020년
재작성 전 재작성 후 재작성 전 재작성 후
매출액 74,721,629 73,907,984 58,057,908 57,176,170
영업손익 3,863,774 4,057,997 3,905,108 3,843,38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3,545,395 3,838,896 3,343,346 3,314,648
계속영업당기순손익 2,564,833 2,781,119 2,746,936 2,722,658
중단영업당기순손익 (1,149,861) (1,366,147) (683,146) (658,868)
당기순손익 1,414,972 1,414,972 2,063,790 2,063,79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2) 별도손익계산서

(단위: 백만원)
과목 2021년 2020년
재작성 전 재작성 후 재작성 전 재작성 후
매출액 27,778,047 27,115,307 24,735,750 24,043,651
영업손익 446,426 626,594 1,294,345 1,294,357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633,144 911,509 1,866,231 1,897,760
계속영업당기순손익 278,074 481,281 1,630,868 1,653,906
중단영업당기순손익 (1,191,612) (1,394,819) (419,319) (442,357)
당기순손익 (913,538) (913,538) 1,211,549 1,211,549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2) 연결회사는 휴대폰 사업 경쟁심화 및 지속적인 사업부진으로 인한 사업구조 개선과 내부자원 효율화를 통해 핵심사업으로의 역량 집중을 위하여 2021년 7월 31일부로 MC사업부문의 영업을 중단하였습니다. 중단사업의 모든 손익 항목을 '중단영업당기순손익'의 단일 계정으로 재분류하여 표시하고, 비교표시되는 과거 손익계산서를 재작성하였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연결손익계산서

(단위: 백만원)
과목 2020년
재작성 전 재작성 후
매출액 63,262,046 58,057,908
영업손익 3,194,987 3,905,108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2,455,643 3,343,346
계속영업당기순손익 2,063,790 2,746,936
중단영업당기순손익 - (683,146)
당기순손익 2,063,790 2,063,790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2) 별도손익계산서

(단위: 백만원)
과목 2020년
재작성 전 재작성 후
매출액 28,435,323 24,735,750
영업손익 746,991 1,294,34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1,292,372 1,866,231
계속영업당기순손익 1,211,549 1,630,868
중단영업당기순손익 - (419,319)
당기순손익 1,211,549 1,211,549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

(1) EV 충전 사업의 진출을 위하여 2022년 10월 31일 자로 ㈜애플망고의 지분 60.0%를 인수하였으며, 동 종속회사는 2022년 12월 31일자로 ㈜스필로부터 EV 충전 사업부문을 인수하였습니다.

회계처리 요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이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25,772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계상액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267
매출채권(*1) 3,455
기타자산 215
비유동자산
 유형자산 342
 무형자산 9,133
 기타자산 172
유동부채
매입채무 1,464
기타지급채무 1,860
차입금 830
비유동부채
차입금 617
기타부채 230
이연법인세부채 1,909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공정가치 6,674
비지배지분 4,000
영업권(*2) 23,098

(*1) 매출채권의 공정가치는 약정상 총액과 동일합니다.
(*2)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23,098백만원의 영업권은 연결회사와 ㈜애플망고의 영업을 결합하여 발생하는 매출 증대 등에 따른 것이며, 영업권은 세무상 손금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사업결합과 관련하여 발생한 취득관련 직접원가 322백만원은 모두 발생시점에 비용처리하였습니다.

2022년 10월 31일(취득일)부터 연결손익계산서에 포함된 ㈜애플망고에서 발생한 매출액 및 당기순손실은 각각 654백만원 및 353백만원이며, 만일 ㈜애플망고와 ㈜스필이 2022년 1월 1일부터 연결재무제표 작성 대상에 포함되었을 경우, 연결손익계산서에 계상되었을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조정 전 금액 조정 조정 후 금액
매출액 83,467,318 21,284 83,488,602
당기순이익 1,863,123 2,879 1,866,002


(2) 차량용 무선충전 사업의 양도

1) 회사는 2022년 10월 4일 기준으로 무선충전(차량용) 사업을 주식회사 비에이치이브이에스에 양도하였습니다.

2) 사업양도의 총처분대가 및 양도한 사업의 자산ㆍ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총처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116,696
 금융기관예치금 20,000
 기타지급채무 (18,745)
 기타부채 (10,000)
소 계 107,951
양도한 사업의 자산:
 유형자산 57
 무형자산 12,207
 계약자산 1,677
소 계 13,941


(3) 단말 생산 사업의 양도

1) 회사는 2021년 12월 6일 기준으로 Inspur LG Digital Mobile Communications Co., Ltd.(LGEYT)와 Qingdao LG Inspur Digital Communication Co., Ltd.(LGEQD)의 단말 생산 사업을 Langchao社에 양도하였습니다.

2) 사업양도의 총처분대가 및 양도한 사업의 자산ㆍ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총처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9,351
양도한 사업의 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8,656
 기타수취채권 2,599
 유형자산 2,741
 기타자산 34
소 계 14,030
양도한 사업의 부채:
 기타지급채무 322
 이연법인세부채 1,491
 기타부채 20
소 계 1,833
외화환산: 7,799
비지배지분: 3,162


(4) CEM(Chemical Electronic Material) 사업의 양도

1) 연결회사는 2021년 11월 1일 기준 CEM 사업을 ㈜LG화학에 양도하였습니다.

2) 사업양도의 총처분대가 및 양도한 사업의 자산ㆍ부채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총처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572,356
 기타수취채권 26,513
 기타지급채무 (1,123)
소 계 597,746
양도한 사업의 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4,376
 매출채권 213,565
 기타수취채권 5,474
 재고자산 78,601
 유형자산 184,443
 무형자산 1,053
 당기법인세자산 2
 이연법인세자산 40
 계약자산 73
 기타자산 3,093
소 계 490,720
양도한 사업의 부채:
 매입채무 130,119
 리스부채 400
 기타지급채무 32,687
 충당부채 2,383
 계약부채 81
 기타부채 6,097
소 계 171,767
외화환산: 3,439
비지배지분: 9,644


(5) 연결회사는 2021년 11월 1일 자로 차량 보안 기술 확보를 위하여 Cybellum Technologies Ltd.과 그 종속기업들의 지분 69.6%를 인수하였습니다.

회계처리 요약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금 액
이전대가  
현금및현금성자산 109,558
기타지급채무(*1) 48,048
기타금융부채(*1) 4,151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의 계상액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5,168
매출채권(*2) 237
기타자산 92
비유동자산
 유형자산  1,039
 무형자산 58,018
 기타자산 265
유동부채
매입채무 및 기타지급채무 2,114
기타부채 1,216
비유동부채
기타지급채무 169
기타부채 958
이연법인세부채 13,344
식별가능한 순자산의 공정가치 47,018
비지배지분(*3) 4,348
영업권(*4) 119,087

(*1) 연결회사는 Cybellum Technologies Ltd.의 비지배지분과 Stock Option이 부여된 직원에 대하여 Put Option 부여에 따라 사업결합 시점에 동 의무를 금융부채로 인식하였습니다.
(*2) 매출채권의 공정가치는 약정상 총액과 동일합니다.
(*3) 비지배지분 4,348백만원은  Cybellum Technologies Ltd.가 발행한 주식매입선택권에 대하여 사업결합 시점에 공정가치로 재평가한 금액입니다.
(*4) 사업결합에서 발생한 119,087백만원의 영업권은 연결회사와  Cybellum Technologies Ltd.와 그 종속기업의 영업을 결합하여 발생하는 매출 증대 등에 따른 것이며, 영업권은 세무상 손금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사업결합과 관련하여 발생한 취득관련 직접원가 2,250백만원은 모두 발생시점에 비용처리하였습니다.

2021년 11월 1일(취득일)부터 연결손익계산서에 포함된 Cybellum Technologies Ltd.와 그 종속기업에서 발생한 매출액 및 당기순손실은 각각 668백만원 및 2,875백만원이며, 만일 Cybellum Technologies Ltd.와 그 종속기업이 2021년 1월 1일부터 연결재무제표 작성 대상에 포함되었을 경우, 연결손익계산서에 계상되었을 매출액 및 당기순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조정 전 금액 조정 조정 후 금액
매출액 74,721,629 1,584 74,723,213
당기순이익 1,414,972 (4,721) 1,410,251


(6) 회사는 2021년 7월 1일자로 전기차 부품 사업을 물적분할하고, 분할 신설회사인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의 지분 49%를, 캐나다 Magna International Inc.사의 계열회사인 오스트리아 Magna Metalforming GmbH사에게 2021년 7월 28일 자로 매각하였습니다. 회사의 분할 진행 경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분할방법 물적분할
분할회사 LG전자 주식회사(분할존속회사)
엘지마그나이파워트레인㈜(분할신설회사)
주주총회승인 2021년 3월 24일
분할기일 2021년 7월 1일


회사는 동 분할로 인하여 감소하는 순자산 장부금액으로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원가를 결정하였으며, 분할로 인하여 이전된 순자산 장부금액과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원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금액

자산


 유동자산

291,108

  현금 및 현금성자산

91,500

  매출채권 및 기타유동채권

123,456

  재고자산

76,152

 비유동자산

602,309

  장기매출채권 및 기타비유동채권

10,022

  종속기업투자

20,385

  유형자산

516,685

  무형자산

53,882

  기타비유동자산

1,335

자산총계

893,417

부채


 유동부채

127,578

  매입채무 및 기타유동채무

76,663

  기타의유동부채

50,915

 비유동부채

3,759

부채총계

131,337
이전한순자산금액(종속기업투자주식) 762,080


-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에 해당하는 사항은 없으며,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29. 우발상황」을 참조 바랍니다.

-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1)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상 강조사항 및 핵심감사사항

사업연도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 22 기
3분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제 21 기 해당사항 없음 핵심감사사항은 우리의 전문가적 판단에 따라 당기 연결재무제표감사에서 가장 유의적인 사항들입니다. 해당 사항들은 연결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감사의 관점에서 우리의 의견형성 시 다루어졌으며, 우리는 이런 사항에 대하여 별도의 의견을 제공하지는않습니다.
 
가.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등 평가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연결회사는 ZKW Holding GmbH와 그 종속기업 등으로 구성된 현금창출단위(이하 "ZKW")에 전기 중 손상차손 6,914억원을 인식하였으며, 당기에도 징후가 식별되어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손상이 인식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손상평가 수행 시 ZKW가과거 수립했던 사업계획 대비 당기 실적이 제반 경제상황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으며, 사용가치 평가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연결회사가 수행한 사용가치 평가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감사절차 수행 시 가치평가 전문가를 감사팀에 포함하였습니다.
- 손상평가 관련 연결회사의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의 이해
- 손상평가를 위한 사업계획 추정 및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연결회사가 적용한 가치평가모델에 대해 질문과 검토 및 전기 대비 일관성 평가
- 연결회사가 활용한 독립적인 외부전문가의 객관성 및 적격성 확인
- 전기 손상평가에 사용된 ZKW의 사업계획과 당기 실적을 비교함으로써 경영진의 사업계획 추정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
- ZKW의 향후 현금흐름에 대해 이해하고, 향후 현금흐름 추정이 경영진이 승인한 사업계획과 일치하는지 검증
- 할인율, 성장률 등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을 동종업계 내의 외부 벤치마크 및 ZKW의 과거 재무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그 적절성 평가
- 가치평가모델에 적용된 유의적 가정들이 어느 정도까지 변동되는 경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지 고려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

나. GM 리콜 충당부채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연결회사는 General Motors Company(이하 "GM")에 공급했던 전기차 배터리 결함으로, 전기 중 GM의 자발적 리콜 결정에 따라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충당부채 14,294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당기 중 정산 지급이 이루어져 해당 충당부채가 3,632억원으로 감소하였으나, 관련 추정요소의 변동이 발생함에 따라 당기말 잔액 추정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 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연결회사의 GM 리콜 충당부채 인식 및 측정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과 관련된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에 대한 이해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판단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충당부채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가정의 산출과 계산내역에 대한 검토
제 20 기 감사의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항으로서 이용자는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3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3은 경영진이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이 기업의 생산 능력과 고객에 대한 주문 이행능력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설명합니다.

핵심감사사항은 우리의 전문가적 판단에 따라 당기 연결재무제표감사에서 가장 유의적인 사항들입니다. 해당 사항들은 연결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감사의 관점에서 우리의 의견 형성 시 다루어졌으며, 우리는 이런 사항에 대하여 별도의 의견을 제공하지는않습니다.


가. 영업권 등 손상평가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연결회사는 전기말 현재 ZKW Holding GmbH와 그 종속기업 등으로 구성된 현금창출단위(이하 "ZKW")에 영업권 305,172백만원이 계상되어 당기에 손상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 당기 중 영업권 등을 포함한 관련 손상차손 691,352백만원을 인식하였습니다. 손상평가 수행 시 ZKW가 과거 수립했던 사업계획 대비 당기 실적이 유의적으로 하락하였으며, 사용가치 평가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연결회사가 수행한 사용가치 평가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감사절차 수행 시 가치평가 전문가를 감사팀에 포함하였습니다.

- 손상평가 관련 연결회사의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의 이해

- 손상평가를 위한 사업계획 추정 및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연결회사가 적용한 가치평가모델에 대해 질문과 검토 및 전기 대비 일관성 평가

- 연결회사가 활용한 독립적인 외부전문가의 객관성 및 적격성 확인

- 전기 손상평가에 사용된 ZKW의 사업계획과 당기 실적을 비교함으로써 경영진의 사업계획 추정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

- ZKW의 향후 현금흐름에 대해 이해하고, 향후 현금흐름 추정이 경영진이 승인한 사업계획과 일치하는지 검증

- 할인율, 성장률 등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을 동종업계 내의 외부 벤치마크 및 ZKW의 과거 재무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그 적절성 평가

- 가치평가모델에 적용된 유의적 가정들이 변동되는 경우 손상차손이 어느 정도 변동할 수 있는지 고려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

 

나. MC 사업본부 중단영업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연결회사는 당기 중 Mobile Communications(이하 "MC") 사업을 종료하고 관련 손익을 중단영업으로 구분 표시하였으며, 전기 손익계산서 및 관련 주석 등을 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에 따라 다시 표시하였습니다. 중단영업으로 표시된 MC사업의 재무정보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고, 중단영업 구분에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연결회사의 중단영업 표시와 공시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 중단영업 구분 및 표시와 관련된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에 대한 이해

- 중단영업 구분에 사용된 유의적 판단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부문별 정보의 구분 및 집계와 관련된 전산 통제 테스트

- 원천 정보의 사업부 귀속 정확성에 대한 수용-거부 테스트

- 공통비의 배분 등 조정사항에 대한 이해 및 검토

- 중단영업의 표시와 공시사항의 합리성에 대한 확인


다. GM 리콜 충당부채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연결회사는 General Motors Company(이하 "GM")에 공급했던 전기차 배터리 결함으로, 당기 중 GM의 자발적 리콜 결정에 따라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714,722백만원을 당기비용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해당 금액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며 추정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 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연결회사의 GM 리콜 충당부채 인식 및 측정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과 관련된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에 대한 이해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판단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충당부채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가정의 산출과 계산내역에 대한 검토


(2) 별도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보고서상 강조사항 및 핵심감사사항

사업연도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 22 기
3분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제 21 기 해당사항 없음 핵심감사사항은 우리의 전문가적 판단에 따라 당기 재무제표감사에서 가장 유의적인사항들입니다. 해당 사항들은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감사의 관점에서 우리의 의견형성 시 다루어졌으며, 우리는 이런 사항에 대하여 별도의 의견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가. 종속기업투자 손상평가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회사는 ZKW Holding GmbH 등(이하 "ZKW")의 지분을 70% 보유하여 종속기업으로 분류하며 전기 중 손상차손 5,287억원을 인식하였고, 당기에도 징후가 식별되어 평가를 수행하였으나 손상이 인식되지는 않았습니다. 그러나 손상평가 수행 시 ZKW가과거 수립했던 사업계획 대비 당기 실적이 제반 경제상황의 영향으로 하락하였으며, 사용가치 평가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회사가 수행한 사용가치 평가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감사절차 수행 시 가치평가 전문가를 감사팀에 포함하였습니다.
- 손상평가 관련 회사의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의 이해
- 손상평가를 위한 사업계획 추정 및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회사가 적용한 가치평가모델에 대해 질문과 검토 및 전기 대비 일관성 평가
- 회사가 활용한 독립적인 외부전문가의 객관성 및 적격성 확인
- 전기 손상평가에 사용된 ZKW의 사업계획과 당기 실적을 비교함으로써 경영진의 사업계획 추정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
- ZKW의 향후 현금흐름에 대해 이해하고, 향후 현금흐름 추정이 경영진이 승인한 사업계획과 일치하는지 검증
- 할인율, 성장률 등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을 동종업계 내의 외부 벤치마크 및 ZKW의 과거 재무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그 적절성 평가
- 가치평가모델에 적용된 유의적 가정들이 어느 정도까지 변동되는 경우 손상이 발생할 수 있는지 고려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
 
나. GM 리콜 충당부채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회사는 General Motors Company(이하 "GM")에 공급했던 전기차 배터리 결함으로, 전기 중 GM의 자발적 리콜 결정에 따라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충당부채 14,294억원을 계상하였습니다. 당기 중 정산 지급이 이루어져 해당 충당부채가 3,632억원으로 감소하였으나, 관련 추정요소의 변동이 발생함에 따라 당기말 잔액 추정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 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회사의 GM 리콜 충당부채 인식 및 측정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과 관련된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에 대한 이해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판단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충당부채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가정의 산출과 계산내역에 대한 검토
제 20 기 감사의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사항으로서 이용자는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3에 주의를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3은 경영진이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이 기업의 생산 능력과 고객에 대한 주문 이행능력에 미칠 수 있는 영향과 관련한 불확실성을 설명합니다.

핵심감사사항은 우리의 전문가적 판단에 따라 당기 재무제표감사에서 가장 유의적인 사항들입니다. 해당 사항들은 재무제표 전체에 대한 감사의 관점에서 우리의 의견 형성 시 다루어졌으며, 우리는 이런 사항에 대하여 별도의 의견을 제공하지는 않습니다.

가. 종속기업투자 손상평가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회사는 ZKW Holding GmbH 등(이하 "ZKW")의 지분을 70% 보유하여 종속기업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ZKW 지분에 대한 장부금액은 당기 중 인식한 손상차손 528,719백만원이 차감된 385,122백만원입니다. 손상평가 수행 시 ZKW가 과거 수립했던 사업계획 대비 당기 실적이 유의적으로 하락하였고, 사용가치 평가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회사가 수행한 사용가치 평가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우리는 이와 같은 감사절차 수행 시 가치평가 전문가를 감사팀에 포함하였습니다.

- 손상평가 관련 회사의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의 이해

- 손상평가를 위한 사업계획 추정 및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회사가 적용한 가치평가모델에 대해 질문과 검토 및 전기 대비 일관성 평가

- 회사가 활용한 독립적인 외부전문가의 객관성 및 적격성 확인

- 전기 손상평가에 사용된 ZKW의 사업계획과 당기 실적을 비교함으로써 경영진의 사업계획 추정의 적절성에 대해 평가

- ZKW의 향후 현금흐름에 대해 이해하고, 향후 현금흐름 추정이 경영진이 승인한 사업계획과 일치하는지 검증

- 할인율, 성장률 등 가치평가모델의 유의적 가정을 동종업계 내의 외부 벤치마크 및 ZKW의 과거 재무정보와 비교함으로써 그 적절성 평가

- 가치평가모델에 적용된 유의적 가정들이 변동되는 경우 손상차손이 어느 정도 변동할 수 있는지 고려하기 위하여 이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수행


나. MC 사업본부 중단영업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회사는 당기 중 Mobile Communications(이하 "MC") 사업을 종료하고 관련 손익을 중단영업으로 구분 표시하였으며, 전기 손익계산서 및 관련 주석 등을 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에 따라 다시 표시하였습니다. 중단영업으로 표시된 MC사업의 재무정보가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고, 중단영업 구분에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회사의 중단영업 표시와 공시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 중단영업 구분 및 표시와 관련된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에 대한 이해

- 중단영업 구분에 사용된 유의적 판단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부문별 정보의 구분 및 집계와 관련된 전산 통제 테스트

- 원천 정보의 사업부 귀속 정확성에 대한 수용-거부 테스트

- 공통비의 배분 등 조정사항에 대한 이해 및 검토

- 중단영업의 표시와 공시사항의 합리성에 대한 확인


다. GM 리콜 충당부채


핵심감사사항으로 결정한 이유

회사는 General Motors Company(이하 "GM")에 공급했던 전기차 배터리 결함으로, 당기 중 GM의 자발적 리콜 결정에 따라 부담할 것으로 예상되는 714,722백만원을 당기비용으로 인식하였습니다. 해당 금액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며 추정에 유의적인 경영진의 판단이 수반되는 점을 고려하여 핵심 감사 항목에 포함하였습니다.


감사에서 다루어진 방법

우리는 회사의 GM 리콜 충당부채 인식 및 측정에 대한 감사절차를 다음과 같이 수행하였습니다.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과 관련된 회계정책 및 내부통제에 대한 이해

- 충당부채의 인식 및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판단에 대한 경영진의 검토 및 승인 등 내부통제 테스트

- 충당부채 측정에 사용된 유의적 가정의 산출과 계산내역에 대한 검토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최근 3사업연도의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단위 : 백만원, %)
구     분 계정과목 채권 총액 대손충당금 대손충당금
설정율
제 22 기
3분기말
매출채권 11,352,977 106,299 0.9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663,888 9,194 1.4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813,301 103 0.0
합 계 13,830,166 115,596 0.8
제 21 기말 매출채권 8,447,643 87,922 1.0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613,069 10,287 1.7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787,876 83 0.0
합 계 9,848,588 98,292 1.0
제 20 기말 매출채권 8,277,060 85,523 1.0
유동성 기타수취채권 500,773 11,717 2.3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672,017 114 0.0
합 계 9,449,850 97,354 1.0


(2) 최근 3사업연도의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 22 기 3분기 제 21 기 제 20 기
기초금액 98,292 97,354 131,780
대손상각비(환입) 13,115 5,503 (22,457)
채권제각 (8,668) (2,749) (9,114)
기타 12,857 (1,816) (2,855)
기말금액 115,596 98,292 97,354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1) 기타는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및 연결범위 변동 등으로 발생한 금액입니다.
 

(3) 매출채권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서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하며, 채권의 연령 분석 및 과거의 대손경험률을 토대로 추산한 대손예상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대손경험률은 전년 기준월말 매출채권 잔액에 대하여 1년간 발생한 경과기간별 실제 대손발생액을 근거로 산정합니다.
연결회사는 채무자의 부도 및 파산 등의 사유로 개별적으로 손상된 채권을 사고채권으로 분류합니다. 사고채권은 회생채권 및 기타 사고채권으로 구분되며 회생채권은 예상 변제금액을 고려하여 손상평가를 수행하고, 기타 사고채권은 담보의 종류 및 금액을 고려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며, 사고채권의 대손충당금 설정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충당금 설정률
회생채권 변제기일 확정 전 50.0%
변제기일 확정 후 현재가치평가
기타 사고채권 담보범위내 채권가액 0.0%
담보범위 초과액 100.0%

사고채권은 법률적인 청구권이 소멸하거나, 회수불능으로 확정되는 요건을 갖추는 경우에 채권을 장부에서 제각처리합니다.
 
(4) 보고기간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6월 이하

6월 초과

1년 이하

1년 초과

3년 이하

3년 초과

금액 10,885,277 120,140 133,014 214,546 11,352,977
구성비율 95.9 1.0 1.2 1.9 100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최근 3사업연도의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계정과목 제 22 기 3분기말 제 21 기말 제 20 기말
H&A 제품 및 상품 2,364,856 2,412,103 2,648,178
재공품 64,403 66,143 50,208
원재료 및 저장품 773,628 931,839 979,323
기타의 재고자산 103,441 89,358 86,570
소 계 3,306,328 3,499,443 3,764,279
HE 제품 및 상품 945,729 689,901 863,535
재공품 75,880 63,529 39,909
원재료 및 저장품 594,569 534,651 693,678
기타의 재고자산 112,038 104,317 118,413
소 계 1,728,216 1,392,398 1,715,535
VS 제품 및 상품 606,107 552,129 507,209
재공품 155,735 67,645 58,534
원재료 및 저장품 1,144,856 1,029,136 915,496
기타의 재고자산 28,212 18,639 11,311
소 계 1,934,910 1,667,549 1,492,550
BS 제품 및 상품 446,596 390,237 646,460
재공품 23,878 26,452 22,244
원재료 및 저장품 204,808 238,929 306,395
기타의 재고자산 39,235 37,501 35,634
소 계 714,517 693,119 1,010,733
이노텍 제품 및 상품 934,583 1,232,645 799,799
재공품 524,655 365,078 281,052
원재료 및 저장품 652,141 379,975 308,136
기타의 재고자산 77 - -
소 계 2,111,456 1,977,698 1,388,987
기타부문 제품 및 상품 134,758 122,252 198,902
재공품 493 175 21,781
원재료 및 저장품 5,328 4,945 71,414
기타의 재고자산 12,460 31,229 89,837
소 계 153,039 158,601 381,934
합  계 제품 및 상품 5,432,629 5,399,267 5,664,083
재공품 845,044 589,022 473,728
원재료 및 저장품 3,375,330 3,119,475 3,274,442
기타의 재고자산 295,463 281,044 341,765
합 계 9,948,466 9,388,808 9,754,018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16.1% 17.0% 18.2%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6.4 6.6 6.4

주) 제22기 조직기준으로 제21기, 제20기를 재작성하였습니다.

(2) 재고자산의 실사내역 등

1) 실사일자
   - 6월 1일부터 30일 및 12월 1일부터 31일 중 매년 2회 재고자산 실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실사일자가 재무상태표일 이외의 날에 행하여진 경우에는 실사일자와 기말시점
      간의 재고자산 변동내역은 해당기간 재고의 입출고 내역의 확인을 통해 재무상
      태표일 기준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합니다.

[주요 국내사업장 2023년 상반기 실사 현황]

구분 실사일자 입회자
LG전자 인천 2023.6.19 -
창원 2023.6.26 / 6.28 / 6.30 -
평택(LG디지털파크) 2023.6.26 / 6.29 / 6.30 -
구미 2023.6.23 / 6.26 / 6.30 -
이노텍 구미 2023.6.29 / 6.30 -
광주 2023.6.30 -
평택 2023.6.30 -
파주 2023.6.30 -


2) 실사방법
   - 사내보관재고 : 전수조사 실시를 기본으로 하며, 일부 중요성이 작은 품목의
                            경우 표본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 사외보관재고 : 제3자 보관재고, 운송중인 재고에 대해서는 전수로 물품보유
                            확인서 징구 및 표본조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 외부감사인은 매년 말 재고실사에 입회하여, 표본을 추출하여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필요시 재고실사 입회)

3)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시가를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3년 9월 30일) (단위 : 백만원)
계정과목 취득원가 보유금액 당기평가손실 기말잔액
제품 및 상품 5,577,020 5,577,020 (144,391) 5,432,629
재공품 862,904 862,904 (17,860) 845,044
원재료 및 저장품 3,544,577 3,544,577 (169,247) 3,375,330
기타의 재고자산 364,750 364,750 (69,287) 295,463
합계 10,349,251 10,349,251 (400,785) 9,948,466

[ ()안은 부(-)의 금액입니다. ]

주) 당기평가손실 금액은 기말 현재 재고자산 평가충당금 잔액입니다.

(3) 재고자산 담보제공여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수주계약 현황

보고기간말 현재 계약수익금액이 최근 사업연도 연결 및 별도 재무제표상 매출액의 5% 이상인 수주계약은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1)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유동 비유동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공정가치로 인식된 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등 91,078 91,078 126,123 126,12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출채권 2,124,079 (*1) - -
 기타금융자산 - - 136,179 136,179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자산 26,932 26,932 245,719 245,719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8,112,196 (*1) - -
 금융기관예치금 146,523 (*1) 75,717 75,717
 매출채권 8,622,078 (*1) 33,023 33,023
 기타수취채권 654,694 (*1) 1,813,198 1,627,077
[기타 자산]
 매출채권 81,699 (*1) 385,799 385,799
금융자산 합계 19,859,279
2,815,758
[공정가치로 인식된 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 3,664 3,664 3,355 3,355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부채 1,017 1,017 17,837 17,837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매입채무 10,848,196 (*1) - -
 차입금 2,475,371 (*1) 10,790,609 10,287,348
 기타지급채무 3,980,255 (*1) 148,418 146,167
[기타 부채]
 리스부채 296,802 (*2) 818,316 (*2)
 기타금융부채 11 (*3) - -
금융부채 합계 17,605,316
11,778,535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유동 비유동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공정가치로 인식된 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기타금융자산 2,764 2,764 108,964 108,96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매출채권 1,241,667 (*1) - -
 기타금융자산 - - 118,926 118,926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자산 5,059 5,059 183,268 183,268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6,322,360 (*1) - -
 금융기관예치금 171,046 (*1) 75,180 75,180
 매출채권 6,947,457 (*1) 4,497 4,497
 기타수취채권 602,782 (*1) 787,793 782,537
[기타 자산]
 매출채권 27,388 (*1) 138,712 138,712
금융자산 합계 15,320,523   1,417,340
[공정가치로 인식된 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기타금융부채 7,522 7,522 3,265 3,265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기타금융부채 2,600 2,600 7,163 7,163
[상각후원가로 인식된 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매입채무 8,212,419 (*1) - -
 차입금 2,287,518 (*1) 8,757,669 7,872,873
 기타지급채무 4,551,554 (*1) 136,509 134,603
[기타 부채]
 리스부채 303,969 (*2) 792,266 (*2)
 기타금융부채 115 (*3) - (*3)
금융부채 합계 15,365,697   9,696,872

(*1)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등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리스부채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과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장부금액을 측정하고 있으며, 공정가치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으므로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 측정치

1)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

공정가치란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하면서 수취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면서 지급하게 될 가격을 의미합니다. 공정가치 측정은 측정일에 현행 시장 상황에서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의 가격을 추정하는 것으로, 연결회사는 공정가치 평가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관측 가능하지 않은 변수는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 및 부채를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따라 다음과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 수준 1: 활성시장에서 공시되는 가격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자산이나 부채의 경우 동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수준 1'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가 '수준 1'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등입니다.
- 수준 2: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한 정보에 해당하면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는 '수준 2'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2'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파생상품입니다.
- 수준 3: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하여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시장에서 관측불가능한 정보에 해당하면 동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수준 3'으로 분류됩니다. 공정가치 '수준 3'으로 분류되는 자산이나 부채는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입니다.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보고기간말 현재 고시되는 시장가격에 기초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거래소, 판매자, 중개인, 산업집단, 평가기관 또는 감독기관을 통해 공시가격이 용이하게 그리고 정기적으로 이용가능하고, 그러한 가격이 독립된 당사자 사이에서 정기적으로 발생한 실제 시장거래를 나타낸다면, 이를 활성시장으로 간주합니다.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금융자산의 공시되는 시장가격은 보고기간말 종가입니다. 이러한 상품들은 '수준 1'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준1'에 포함된 상품들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된 상장된 지분상품으로 구성됩니다.

연결회사는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아니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에 대하여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로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활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 상황에 근거하여 가정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평가기법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기업특유정보를 최소한으로 사용합니다. 이 때, 해당상품의 공정가치 측정에 요구되는 모든 유의적인 투입변수가관측가능하다면 해당상품은 '수준 2'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만약 하나 이상의 유의적인 투입변수가 관측가능한 시장정보에 기초한 것이 아니라면 해당 상품은 '수준 3'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수준 3'에 포함된 자산 및 부채는 현금흐름할인기법을 사용합니다.

2)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의 공정가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기타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8,749 - 107,430 136,179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73,497 19,004 124,700 217,201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272,651 - 272,651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7,019 - 7,019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18,854 - 18,854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기타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29,425 - 89,501 118,926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362 5,722 105,644 111,728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188,327 - 188,327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 10,787 - 10,787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 9,763 - 9,763


상기 공정가치 금액은 전액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입니다.

①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로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공정가치 금액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2023. 9.30 2022.12.31
자산 기타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19,004 5,722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272,651 188,327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부채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7,019 10,787 현금흐름 할인모형 및 이항모형 할인율 및 환율, 주가 및 변동성
 위험회피목적파생상품 18,854 9,76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②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 분류된 자산과 부채는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및 채무증권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할인율 등을 투입변수로 고려하여 현금흐름할인기법 등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3)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의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른 수준별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 - 75,717 75,717
비유동성 매출채권 - - 418,822 418,822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 1,627,077 1,627,07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 - 10,287,348 10,287,348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 - 146,167 146,167
(단위: 백만원)
구 분 2022.12.31 합 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 - 75,180 75,180
비유동성 매출채권 - - 143,209 143,209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 - 782,537 782,53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 - 7,872,873 7,872,873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 - 134,603 134,603


①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2'의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수준 2'로 분류된 항목은 없습니다.

②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수준 3'으로 분류된 항목의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등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2023. 9.30 2022.12.31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유의적이지만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유의적이지만
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의 범위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자산 비유동성 금융기관예치금 75,717 75,717 75,180 75,180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0.1% ~ 1.8%
비유동성 매출채권 418,822 418,822 143,209 143,209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5.3% ~ 7.0%
비유동성 기타수취채권 1,813,198 1,627,077 787,793 782,537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1.5% ~ 11.7%
부채 비유동성 차입금 10,790,609 10,287,348 8,757,669 7,872,87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4.0% ~ 6.3%
비유동성 기타지급채무 148,418 146,167 136,509 134,603 현금흐름 할인모형 할인율 및 환율 할인율 4.3% ~ 5.5%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

사업연도 감사인 감사의견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22기 3분기제22기  반기
제22기 1분기
삼일회계법인 예외사항 없음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 -
제21기  연간
제21기 3분기
제21기  반기
제21기 1분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 가.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등 손상평가
나. GM 리콜 충당부채
제20기  연간
제20기 3분기
제20기  반기
제20기 1분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COVID-19 영향 가. 영업권 등 손상평가
나. MC 사업본부 중단영업
다. GM 리콜 충당부채

주1) 감사대상 종속기업은 제21기, 제20기 모두 회계감사인으로부터 적정의견을 받았습니다.
주2)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세부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참조 바랍니다.

- 별도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의 감사의견

사업연도 감사인 감사의견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22기 3분기제22기  반기
제22기 1분기
삼일회계법인 예외사항 없음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 -
제21기  연간
제21기 3분기
제21기  반기
제21기 1분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 가. 종속기업투자 손상평가
나. GM 리콜 충당부채
제20기  연간
제20기 3분기
제20기  반기
제20기 1분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예외사항 없음
COVID-19 영향 가. 종속기업투자 손상평가
나. MC 사업본부 중단영업
다. GM 리콜 충당부채

주)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세부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을 참조 바랍니다.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시간)
사업연도 감사인 내 용 감사계약내역 실제수행내역
보수 시간 보수 시간
제22기
(당기)
삼일회계법인 - 분ㆍ반기재무제표 검토
-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
5,154 52,382 3,091 31,418
제21기
(전기)
삼일회계법인 - 분ㆍ반기재무제표 검토
-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
4,306 45,274 4,306 45,436
제20기
(전전기)
삼일회계법인 - 분ㆍ반기재무제표 검토
- 별도 및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 내부회계관리제도에 대한 감사
3,140 33,000 3,140 33,747

주1) 제22기 감사계약내역의 보수는 연간 총보수 계약액이며, 시간은 계약시점의 총 추정 감사(검토 포함) 시간입니다. 실제수행내역의 보수는 2023년 9월 30일까지 실제 지급된 누적 금액이며, 시간은 3분기 검토까지 소요된 누적 시간입니다.
주2) 제21기 감사계약내역의 보수는 연간 총보수 계약액이며, 시간은 계약시점의 총 추정 감사(검토 포함) 시간입니다. 실제수행내역의 보수는 실제 지급된 감사보수 및 소요시간이며,「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18조의 규정에 의한 외부감사 실시내용 상의 투입시간 44,386시간에, 영문보고서 관련 업무 등 1,050시간을 합산한 시간입니다.
주3) 제20기 감사계약내역의 보수는 연간 총보수 계약액이며, 시간은 계약시점의 총 추정 감사(검토 포함) 시간입니다. 실제수행내역의 보수는 실제 지급된 감사보수 및 소요시간이며,「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제18조의 규정에 의한 외부감사 실시내용 상의 투입시간 32,737시간에, 영문보고서 관련 업무 등 1,010시간을 합산한 시간입니다.

- 제 22 기 중간기간 검토 및 연말 감사 기간

구 분 1분기 검토 반기 검토 3분기 검토
연 결 2023.04.08~2023.05.15 2023.07.10~2023.08.11 2023.10.10~2023.11.14
별 도 2023.04.08~2023.05.15 2023.07.10~2023.08.11 2023.10.10~2023.11.14

주) 상기 검토 기간은 감사계획, 전산감사 및 중간감사 등을 제외한 일정입니다.

다. 회계감사인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연도 계약체결일 용역내용 용역수행기간 용역보수 비고
제22기
(당기)
2023.06 세무자문 용역 2023년 7월 ~ 2024년 6월 85 -
2023.06 세무자문 용역 2023년 6월 ~ 2023년 12월 35 -
2023.03 세무자문 용역 2023년 3월 ~ 2024년 3월 170 -
2023.01 세무자문 용역 2023년 1월 ~ 2023년 12월 65 -
제21기
(전기)
2022.12 세무자문 용역 2022년 12월~2023년 1월 130 -
2022.12 세무자문 용역 2022년 12월~2023년 12월 36 -
2022.11 세무자문 용역 2022년 11월~2023년 3월 650 -
2022.05 세무자문 용역 2022년 5월~10월 8.2 -
2022.02 세무자문 용역 2022년 2월~12월 220 -
제20기
(전전기)
2021.12 세무자문 용역 2021년 12월~완료시 220 -
2021.08 세무자문 용역 2021년 8월~9월 80 -
2021.06 관세 점검 지원 컨설팅 2021년 6월~11월 30 -
2021.03 세무자문 용역 2021년 3월~2023년 12월 150 -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일자 참석자 방식 주요 논의 내용
1 2023.01.26 회사측 : 감사위원회 위원 4명,
            CFO 외 2명
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1명
대면회의 -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회계감사 진행 경과
- 그룹감사 및 기말 감사절차 진행 경과
- 감사인의 독립성 등
2 2023.02.21 회사측 : 감사위원회 위원 4명,
            CFO 외 2명
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2명
대면회의 -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진행 경과
3 2023.04.25 회사측 : 감사위원회 위원 4명,
            CFO 외 2명
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1명
대면회의 - 2023년 연간 통합감사 수행계획 및
  감사위원회 커뮤니케이션 일정
- 핵심감사사항의 소개 및 논의
-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 진행 경과
- 감사인의 독립성 등
4 2023.07.25 회사측 : 감사위원회 위원 4명,
            CFO 외 3명
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2명
대면회의 - 핵심감사사항에 대한 회계감사 진행 경과
-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 진행 경과
- 그룹감사 진행 경과 등
5 2023.10.27 회사측 : 감사위원회 위원 4명,
            CFO 외 3명
감사인 : 업무수행이사 외 2명
대면회의 -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진행 경과
- 중간재무제표에 대한 검토 진행 경과
- 그룹감사 진행 경과 등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VII. 주주에 관한 사항


1. 주주에 관한 사항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LG 최대주주 본인 의결권 있는 주식 55,094,582 33.67 55,094,582 33.67 -
권봉석 계열회사 임원 의결권 있는 주식 9,876 0.01 9,876 0.01 -
조주완 계열회사 임원 의결권 있는 주식 2,373 0.00 5,373 0.00 장내매수
의결권 있는 주식 55,106,831 33.67 55,109,831 33.68 -
의결권 없는 주식 - - - - -

주1) 2023년 9월 30일 기준 주주의 주식 소유현황입니다.
주2) 계열회사 임원은 당사 등기임원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3) 지분율은 주식의 종류별 발행주식수 대비 비율입니다.

- 최대주주의 개요


(1) 최대주주의 기본정보

명 칭 출자자수
(명)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성명 지분(%) 성명 지분(%) 성명 지분(%)
㈜LG 100,897 구 광모 15.95 - - 구 광모 15.95
권 봉석 - - - - -

주1) 상기 출자자수 및 지분율은 2022년 12월 31일 기준입니다.
주2) 지분율은 보통주 발행주식수 대비 비율입니다.

[대표이사, 업무집행자 및 최대주주의 변동 내역]

변동일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성명 지분(%) 성명 지분(%) 성명 지분(%)
2018.06.29 구 광모 6.24 - - - -
2018.11.01 구 광모 15.00 - - 구 광모 15.00
2020.06.25 구 광모 15.95 - - 구 광모 15.95
2022.01.07 권 봉석 - - - - -

주1) 2018년 5월 20일 구본무 대표이사가 별세로 인해 퇴임하였으며, 2018년 6월 29일 이사회를 통해 구 광모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2) 2018년 11월 1일 최대주주(㈜LG)의 변경 전 최대주주 본인(故구본무)의 별세에 의한 주식 상속으로 최대주주가 구 광모 대표이사로 변경되었습니다.
주3) 2020년 6월 25일 최대주주인 구 광모 대표이사가 주식 상속으로 지분을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주4) 2021년 11월 10일 권영수 대표이사가 사임하였으며, 2022년 1월 7일 권봉석 대표이사가 신규 선임되었습니다.
주5) 변동일은 증권시장에서 주식 등을 매매한 경우 그 결제일입니다.
주6) 지분율은 보통주 발행주식수 대비 비율입니다.


(2) 최대주주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LG
자산총계 29,633,677
부채총계 3,399,491
자본총계 26,234,186
매출액 7,185,987
영업이익 1,941,380
당기순이익 2,115,750

주) ㈜LG의 2022년 12월말 기준 연결재무제표 금액입니다.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당사 최대주주인 ㈜LG는 1947년 1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1970년 2월 13일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LG는 지주회사로서 2023년 9월말 현재 LG전자㈜, ㈜LG화학, ㈜LG유플러스 등 9개 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LG의 주 수입원은 배당수익, 상표권 사용수익, 임대수익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최대주주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특정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최대주주 변동현황
공시대상기간동안 최대주주의 변동은 없었습니다.

다. 주식의 분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라.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주)
성명 성별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
여부
담당
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최대주주와의
관계
재직기간 임기
만료일
의결권
있는 주식
의결권
없는 주식
조주완 1962.10 사장 사내이사 상근 대표이사, CEO, 경영위원회 위원장, ESG위원회 위원 연세대(석사) 5,373 - 계열회사 임원 35년 2025.03.24
배두용 1966.02 부사장 사내이사 상근 대표이사, CFO, 경영위원회 위원,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에릭슨LG이사(`19.01~), George Washingt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2024.03.24
권봉석 1963.09 부회장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기타 비상무 이사, 경영위원회 위원, 사외이사추천위원회 위원 ㈜LG시너지팀/전무, ㈜LG전자 대표이사/사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9,876 - 계열회사 임원 1년 2025.03.24
강수진 1971.05 감사위원회 위원 사외이사 비상근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ESG위원회 위원, 감사위원회 위원 (現)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법무법인 율촌/로고스 변호사, 공정거래위원회 송무담당관, 대전/서울/수원지방검찰청 검사, Harva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2024.03.24
류충렬 1971.01 감사위원회 위원 사외이사 비상근 감사위원회 위원장,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ESG위원회 위원 (現)KAIST 금융전문대학원 회계학 부교수, (現)한국회계기준원 공시개선 전문위원회 위원장, (現)한국공정거래학회 이사, (現)예금보험공사 자문위원, Queen's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2025.03.24
서승우 1964.11 감사위원회 위원 사외이사 비상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ESG위원회 위원 (現)서울대 전기공학부 교수, (現)서울대 지능형車 IT센터장, (現)대한전자공학회 회장, (現)국토교통부 자율주행차 시범운행지구위원회 위원장, 미국 스탠포드대 CARS 방문교수, LG전자 미래기술포럼 기술자문, 서울대학교 정보보안센터장 - - 계열회사 임원 1년 미만 2026.03.27
이상구 1962.03 감사위원회 위원 사외이사 비상근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장, 내부거래위원회 위원, ESG위원회 위원, 감사위원회 위원 (現)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 한국전자거래학회장,
Northwestern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4년 2025.03.24
류재철 1967.03 사장 미등기 상근 H&A사업본부장 Illinois대(석사) 2,349 - 계열회사 임원 34년 -
박일평 1963.01 사장 미등기 상근 사이언스파크 대표 Harman International/VP, Columbia대(박사) 1,750 - 계열회사 임원 6년 -
김병훈 1971.02 부사장 미등기 상근 CTO 서울대(박사) 106 - 계열회사 임원 15년 -
김영락 1966.09 부사장 미등기 상근 한국영업본부장 워싱턴대(석사) 264 - 계열회사 임원 31년 -
박형세 1966.04 부사장 미등기 상근 HE사업본부장 Indiana대(석사) 2,476 - 계열회사 임원 29년 -
백승태 1966.01 부사장 미등기 상근 리빙솔루션사업부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202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오세기 1966.05 부사장 미등기 상근 H&A연구센터장 KAIST(박사) 302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유원 1962.09 부사장 미등기 상근 홍보/대외협력센터장 경희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윤태봉 1964.08 부사장 미등기 상근 북미지역대표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1,822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은석현 1967.03 부사장 미등기 상근 VS사업본부장 LG마그나 이사(`22.01~), 보쉬코리아 영업매니지먼트/상무,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4년 -
이삼수 1970.01 부사장 미등기 상근 CSO 서울대(석사) 137 - 계열회사 임원 15년 -
이재성 1963.08 부사장 미등기 상근 에어솔루션사업부장 하이엠솔루텍 이사(`21.03~), 부산대(석사) 2,043 40 계열회사 임원 35년 -
이재웅 1970.09 부사장 미등기 상근 법무그룹장 조지타운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미만 -
이천국 1968.05 부사장 미등기 상근 유럽지역대표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이철배 1969.09 부사장 미등기 상근 CX센터장 KAIST(석사) 964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장익환 1965.11 부사장 미등기 상근 BS사업본부장 경북대 449 - 계열회사 임원 33년 -
정규황 1966.04 부사장 미등기 상근 중남미지역대표 McGill대(석사) 1,850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정기현 1974.02 부사장 미등기 상근 플랫폼사업센터장 Meta, Google, UC Berkeley(MBA),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정대화 1963.10 부사장 미등기 상근 생산기술원장 로보스타 이사(`21.03~), FCS CTO/전무, Washington대(박사) 400 - 계열회사 임원 4년 -
정수화 1968.05 부사장 미등기 상근 장비기술센터장 UIUC(석사) 1,197 - 계열회사 임원 31년 -
정연채 1963.08 부사장 미등기 상근 고객가치혁신부문장 하이텔레서비스 이사(`22.03~), 한국외대 - - 계열회사 임원 1년 -
곽도영 1968.03 전무 미등기 상근 냉장고사업담당 한양대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동욱 1970.03 전무 미등기 상근 CTO B2B선행기술센터장 NHN엔터테인먼트 페이코사업본부장/총괄이사, 네이버 검색/포털개발센터장/이사, 플랫폼본부장/이사, KAIS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5년 -
김병열 1966.11 전무 미등기 상근 생산혁신센터장 고려대 466 - 계열회사 임원 31년 -
김상용 1964.09 전무 미등기 상근 미국HA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523 - 계열회사 임원 34년 -
김양순 1965.02 전무 미등기 상근 부품솔루션사업부장 부경대 - - 계열회사 임원 33년 -
김원범 1966.12 전무 미등기 상근 CHO Washington대(석사) 415 - 계열회사 임원 32년 -
김종용 1966.08 전무 미등기 상근 한국B2C그룹장 하이프라자 이사(`22.03~),성균관대 243 - 계열회사 임원 3년 -
김종필 1964.04 전무 미등기 상근 품질경영센터장 동아대 277 - 계열회사 임원 33년 -
김진경 1968.01 전무 미등기 상근 SIC센터장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박사) 500 - 계열회사 임원 33년 -
박상호 1968.04 전무 미등기 상근 글로벌경영관리그룹장 경북대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박인성 1969.02 전무 미등기 상근 CTO SW센터장 Microsoft/Principal Engineer, Purdue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9년 -
박평구 1967.09 전무 미등기 상근 안전환경그룹장 Ohio주립대(석사) 500 - 계열회사 임원 31년 -
박희욱 1966.02 전무 미등기 상근 H&A상품기획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백기문 1968.05 전무 미등기 상근 ID사업부장 한국외대(석사) 326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서영재 1967.09 전무 미등기 상근 IT사업부장 UIUC(석사) 402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송성원 1968.07 전무 미등기 상근 브라질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153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신석홍 1968.12 전무 미등기 상근 TV해외영업그룹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235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오세천 1963.10 전무 미등기 상근 홍보담당 LG CNS홍보담당/상무, 중앙대 173 - 계열회사 임원 6년 -
왕철민 1965.02 전무 미등기 상근 글로벌오퍼레이션센터장 부산대 730 - 계열회사 임원 35년 -
우종진 1966.02 전무 미등기 상근 BS연구소장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3년 -
유병헌 1965.10 전무 미등기 상근 정도경영센터장 Washington대(석사) 271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유성준 1964.12 전무 미등기 상근 노경담당 하누리 이사(`19.03~), Cornell대(석사) 171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윤대식 1967.07 전무 미등기 상근 대외협력담당 중앙대 276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이동선 1968.01 전무 미등기 상근 중국법인장 서울대(석사) 258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이상용 1967.06 전무 미등기 상근 VS연구소장 Texas Instruments/Director,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박사) - - 계열회사 임원 9년 -
이상우 1970.11 전무 미등기 상근 TV사업운영센터장 George Washington대(석사) 267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이석우 1970.08 전무 미등기 상근 북미이노베이션센터장 미국 국립표준기술원/부국장, 백악관 사물 인터넷부문 혁신연구위원, Millennial Net/CTO, MI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이일환 1965.01 전무 미등기 상근 중아지역대표 부산대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이재현 1967.09 전무 미등기 상근 H&A글로벌생산그룹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245 - 계열회사 임원 31년 -
이정석 1973.01 전무 미등기 상근 글로벌마케팅센터장 Northwestern대(석사) 500 - 계열회사 임원 13년 -
이충환 1967.10 전무 미등기 상근 아시아지역대표 Washingt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이현욱 1968.03 전무 미등기 상근 키친솔루션사업부장 부산대(박사) 250 - 계열회사 임원 31년 -
임병대 1969.02 전무 미등기 상근 미국법인 산하 Sycracuse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장진혁 1972.12 전무 미등기 상근 한국온라인그룹장 SK플래닛 11번가, Ohio주립대 - - 계열회사 임원 3년 -
정재철 1966.12 전무 미등기 상근 HE연구소장 경북대(석사) 409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정필원 1968.09 전무 미등기 상근 TV해외영업그룹장 한국외대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조병하 1969.02 전무 미등기 상근 HE플랫폼사업담당 삼성전자/VP, George Mas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조휘재 1967.08 전무 미등기 상근 CTO IP센터장 연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진심원 1966.03 전무 미등기 상근 에어솔루션연구소장 KAIST(석사) 169 - 계열회사 임원 31년 -
최성봉 1970.02 전무 미등기 상근 빌트인/쿠킹사업담당 연세대(석사) 130 - 계열회사 임원 26년 -
허재철 1965.10 전무 미등기 상근 한국B2B그룹장 한양대 - - 계열회사 임원 3년 -
황성걸 1971.03 전무 미등기 상근 디자인경영센터장 홍익대 산업디자인학 교수, Percentile/대표, Motorola코리아/소비자경험디자인센터장, 연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황원용 1970.10 전무 미등기 상근 VS오퍼레이션그룹장 MI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Jaime de Jaraiz 1967.04 상무 미등기 상근 스페인법인장 휴스턴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강길성 1971.03 상무 미등기 상근 세무담당 하누리 감사(`21.03~), 에이스냉동공조 감사(`20.03~), 에릭슨엘지 감사(`21.03~), 기획재정부, 국민경제자문회의, 서울시립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6년 -
강석판 1967.03 상무 미등기 상근 TV제품개발담당 산하 경북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1년 -
강성진 1977.01 상무 미등기 상근 사업기획담당 Columbia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미만 -
강승원 1967.07 상무 미등기 상근 아시아경영관리담당 Thunderbird대(석사) 497 - 계열회사 임원 19년 -
강진용 1971.01 상무 미등기 상근 신뢰성/개발품질담당 경상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공성배 1971.01 상무 미등기 상근 PRI 검사기술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곽정호 1970.02 상무 미등기 상근 HE선행연구담당 포항공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1년 -
구지영 1979.07 상무 미등기 상근 CX전략담당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권순욱 1974.01 상무 미등기 상근 에어솔루션미주/유럽/CIS영업담당 한국외대 300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권순일 1970.10 상무 미등기 상근 평택안전환경/지원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권혁진 1976.12 상무 미등기 상근 LSR고객연구소장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7년 -
김건우 1976.04 상무 미등기 상근 플랫폼사업센터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김건욱 1972.10 상무 미등기 상근 iLab장 연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김경남 1969.04 상무 미등기 상근 몬테레이생산법인장 성균관대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김경락 1973.07 상무 미등기 상근 Display개발리더 서경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김남수 1969.11 상무 미등기 상근 업무혁신담당 산하 Bost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김동원 1967.01 상무 미등기 상근 H&A기반기술연구소장 KAIS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김동필 1966.08 상무 미등기 상근 B2B아시아사업담당 인하대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김명수 1969.01 상무 미등기 상근 워터케어사업담당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김명욱 1970.02 상무 미등기 상근 IT개발담당 산하 경북대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민수 1969.11 상무 미등기 상근 사이언스파크기술전략담당 UIUC(석사) 218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사녕 1971.08 상무 미등기 상근 걸프법인장 동아대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김상렬 1970.07 상무 미등기 상근 설비기술담당 경북대(석사) 157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석규 1976.03 상무 미등기 상근 선행생산기술연구소장 연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김선형 1970.01 상무 미등기 상근 한국HE마케팅담당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김성재 1968.07 상무 미등기 상근 필리핀법인장 연세대 157 - 계열회사 임원 27년 -
김성호 1969.07 상무 미등기 상근 BS마케팅담당 한국Microsoft, Harva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8년 -
김승종 1971.04 상무 미등기 상근 VS PMO 중앙대(석사) 86 - 계열회사 임원 20년 -
김영수 1972.03 상무 미등기 상근 리빙솔루션연구소장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김용국 1973.11 상무 미등기 상근 전략법무담당 ㈜LG법무팀/책임, George Tow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김용석 1975.03 상무 미등기 상근 경영전략담당 MI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2년 -
김용진 1974.04 상무 미등기 상근 생산기술담당 경북대 71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김우섭 1969.02 상무 미등기 상근 대외협력담당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김운태 1965.01 상무 미등기 상근 베트남생산담당 부산대 359 - 계열회사 임원 33년 -
김의도 1971.07 상무 미등기 상근 카자흐스탄법인장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김이권 1965.09 상무 미등기 상근 H&A경영관리담당 에이스냉동공조 이사(19.03~), Thunderbird대(석사) 1,500 - 계열회사 임원 20년 -
김일욱 1973.05 상무 미등기 상근 리빙솔루션연구소 산하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김재승 1967.10 상무 미등기 상근 H&A해외영업그룹장 연세대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김재일 1975.09 상무 미등기 상근 푸네생산법인장 부경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김종호 1972.02 상무 미등기 상근 칠레법인장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김주용 1969.06 상무 미등기 상근 VS경영관리담당 Bost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김진규 1970.01 상무 미등기 상근 LED사업담당 LG디스플레이/부장, 성균관대 - - 계열회사 임원 8년 -
김찬수 1971.03 상무 미등기 상근 플랫폼개발담당 고려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김창민 1970.01 상무 미등기 상근 H&A품질경영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철 1970.09 상무 미등기 상근 부품솔루션생산담당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김철민 1977.04 상무 미등기 상근 AV사업담당 산하 Harman International, Media Group, 부산대(학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미만 -
김태년 1969.04 상무 미등기 상근 HE생산담당 영남대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태완 1971.02 상무 미등기 상근 세탁기사업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김태훈 1973.05 상무 미등기 상근 이집트법인장 아주대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김학현 1969.08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법인(HE)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김혁기 1975.06 상무 미등기 상근 프랑스법인장 한양대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김형수 1970.08 상무 미등기 상근 독일법인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2,650 - 계열회사 임원 28년 -
김효은 1976.12 상무 미등기 상근 브랜드매니지먼트담당 P&G/VP, 연세대 250 - 계열회사 임원 1년 -
남혜성 1975.01 상무 미등기 상근 홈뷰티사업담당 아모레퍼시픽, 삼양사, 성균관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노규찬 1972.07 상무 미등기 상근 BS로봇사업담당 KAIS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노도엽 1970.11 상무 미등기 상근 인사담당 Rutgers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노숙희 1972.08 상무 미등기 상근 H&A브랜드커뮤니케이션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노영남 1966.04 상무 미등기 상근 러시아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노영호 1970.03 상무 미등기 상근 북미빌더 서울대 - - 계열회사 임원 24년 -
류승호 1971.11 상무 미등기 상근 ID개발담당 포항공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류안동 1976.08 상무 미등기 상근 TV해외영업그룹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186 - 계열회사 임원 19년 -
문병헌 1970.10 상무 미등기 상근 VS생산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민동선 1971.12 상무 미등기 상근 BS북미영업담당 한국외대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민홍기 1977.05 상무 미등기 상근 VS경영전략담당 ㈜LG자동차부품팀, ㈜LG경영전략팀, 서울대 - - 계열회사 임원 3년 -
박근직 1964.05 상무 미등기 상근 찌비뚱생산법인장 영남대 - - 계열회사 임원 12년 -
박동선 1973.07 상무 미등기 상근 Software Platform 연구소 산하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0년 -
박상현 1970.09 상무 미등기 상근 미국서비스법인장 인하대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박영은 1970.11 상무 미등기 상근 고객가치혁신CS전략/지원담당 한국외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박용호 1972.01 상무 미등기 상근 태국생산법인장 동아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박재성 1971.04 상무 미등기 상근 시스템수도권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박정원 1972.01 상무 미등기 상근 H&A글로벌생산그룹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박종선 1973.08 상무 미등기 상근 VS연구소 산하 경북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박종원 1965.06 상무 미등기 상근 H&A개발품질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255 - 계열회사 임원 33년 -
박준성 1972.06 상무 미등기 상근 에어솔루션마케팅담당 서강대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박준은 1970.09 상무 미등기 상근 VS연구소 산하 고려대(석사) 255 - 계열회사 임원 22년 -
박충현 1971.12 상무 미등기 상근 경영관리담당 ㈜LG전자팀, 아주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박태인 1967.10 상무 미등기 상근 H&A인공지능가전PMO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박형우 1972.03 상무 미등기 상근 AV사업담당 포항공대(박사) 119 - 계열회사 임원 21년 -
반병선 1968.05 상무 미등기 상근 유럽경영관리담당 Bost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배정현 1971.02 상무 미등기 상근 SAC사업담당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백선필 1970.07 상무 미등기 상근 HE상품기획담당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백승민 1974.08 상무 미등기 상근 로봇선행연구소장 성균관대(박사) 1,375 - 계열회사 임원 15년 -
백찬 1966.10 상무 미등기 상근 베트남생산법인장 인하대 - - 계열회사 임원 31년 -
백태권 1968.08 상무 미등기 상근 마그렙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변효식 1968.12 상무 미등기 상근 키친솔루션생산담당 부산대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서동명 1969.04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경영관리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서영무 1972.04 상무 미등기 상근 마나우스생산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서정원 1969.06 상무 미등기 상근 업무혁신담당 KAIS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서흥규 1971.08 상무 미등기 상근 EV충전사업담당 ㈜LG기획팀, Tufts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4년 -
손대기 1971.06 상무 미등기 상근 전략유통담당 고려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9년 -
손진석 1970.02 상무 미등기 상근 해외법인관리담당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손창우 1977.06 상무 미등기 상근 테네시생산법인장 고려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손태익 1970.05 상무 미등기 상근 어플라이언스중아영업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송계영 1966.03 상무 미등기 상근 키친솔루션연구소장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송시용 1979.12 상무 미등기 상근 생산시스템솔루션담당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송영한 1969.09 상무 미등기 상근 IP사업개발담당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송익환 1971.05 상무 미등기 상근 베트남법인장 한국외대 508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송준명 1971.10 상무 미등기 상근 H&A경영전략담당 Duke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6년 -
송홍성 1968.01 상무 미등기 상근 LED개발담당 디스플레이, 경북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신동훈 1968.04 상무 미등기 상근 한국영업경영관리담당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30년 -
신정은 1980.05 상무 미등기 상근 B2B선행기술센터 산하 게이오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3년 -
신현재 1966.04 상무 미등기 상근 키친솔루션연구소 산하 경북대(석사) 157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신효식 1969.08 상무 미등기 상근 IT개발담당 산하 한양대 - - 계열회사 임원 24년 -
심상보 1968.02 상무 미등기 상근 IR담당 Stanfo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안경모 1973.05 상무 미등기 상근 UX연구소장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안득수 1968.11 상무 미등기 상근 TV해외영업그룹 산하 연세대(석사) 169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안혁성 1970.11 상무 미등기 상근 북미AS 명지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양정휴 1974.05 상무 미등기 상근 SoC기반기술연구소장 서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양희구 1972.12 상무 미등기 상근 제조S&P센터장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엄위상 1972.11 상무 미등기 상근 SW공학연구소장 광주과기원(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여인관 1965.03 상무 미등기 상근 B2B선행기술센터 산하 고려대(석사) 1,600 - 계열회사 임원 34년 -
여창욱 1971.05 상무 미등기 상근 B2B중남미사업담당 한양대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오상훈 1971.05 상무 미등기 상근 H&A SCM담당 성균관대 55 - 계열회사 임원 13년 -
오성훈 1968.04 상무 미등기 상근 H&A부품품질담당 인하대(석사) 570 - 계열회사 임원 24년 -
오승진 1974.01 상무 미등기 상근 한국전략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8년 -
오재윤 1971.01 상무 미등기 상근 H&A전력전자/제어연구소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오해진 1978.05 상무 미등기 상근 VS북미법인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오혜원 1971.05 상무 미등기 상근 TV해외영업그룹 산하 제일기획, LG경영연구원, 한국외대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우덕구 1969.04 상무 미등기 상근 VS품질경영담당 성균관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우람찬 1978.01 상무 미등기 상근 플랫폼사업센터 산하 KAIST(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7년 -
원종화 1973.06 상무 미등기 상근 ID해외영업담당 연세대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유시목 1969.12 상무 미등기 상근 HE모듈구매담당 Aalto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유재섭 1967.01 상무 미등기 상근 고객가치혁신육성지역서비스담당 하이텔레서비스 이사(`21.03~),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2년 -
윤성일 1972.12 상무 미등기 상근 키친솔루션마케팅담당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이강원 1971.02 상무 미등기 상근 TV SW개발담당 KAIST(석사) 106 - 계열회사 임원 13년 -
이길노 1972.05 상무 미등기 상근 H&A HR담당 전북대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이동언 1970.10 상무 미등기 상근 튀르키예법인장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이동훈 1969.12 상무 미등기 상근 CTO HR담당 연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이민 1971.07 상무 미등기 상근 HE CX담당 삼성전자/상무, Southern California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이범섭 1968.10 상무 미등기 상근 영국법인장 홍익대 6 - 계열회사 임원 24년 -
이범철 1966.11 상무 미등기 상근 사업개선담당 Thunderbird대(석사) 229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이병훈 1969.06 상무 미등기 상근 온라인오픈마켓가전담당 고려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7년 -
이상봉 1971.06 상무 미등기 상근 온라인종합몰담당 부산대 - - 계열회사 임원 9년 -
이석수 1970.08 상무 미등기 상근 iLab 산하 고려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이석수 1967.12 상무 미등기 상근 SIC센터 산하 경북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4년 -
이성진 1969.01 상무 미등기 상근 렌탈케어링영업담당 하이케어솔루션 이사(`22.03~), SK매직, SK네트웍스, 듀크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이소연 1975.08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네시아개발담당 전북대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이승규 1965.02 상무 미등기 상근 광학연구소장 서울대(석사) 555 700 계열회사 임원 36년 -
이승기 1973.11 상무 미등기 상근 전지장비기술센터장 KAIST(박사) 318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이용찬 1975.04 상무 미등기 상근 모듈기술담당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이윤석 1969.09 상무 미등기 상근 HE북미영업담당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이재승 1971.06 상무 미등기 상근 H&A구매담당 Aalto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이재천 1969.02 상무 미등기 상근 VS오퍼레이션그룹 산하 LS Automotive, Mckinsey, Dell, 카이스트(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미만 -
이정두 1973.11 상무 미등기 상근 이태리법인장 서강대 6 - 계열회사 임원 24년 -
이정희 1970.02 상무 미등기 상근 HE경영관리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이종호 1973.06 상무 미등기 상근 RAC사업담당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이준성 1972.03 상무 미등기 상근 C&M표준연구소 산하 연세대(박사) 730 - 계열회사 임원 1년 -
이준행 1977.08 상무 미등기 상근 ID CX담당 MI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이춘택 1967.09 상무 미등기 상근 에어솔루션생산담당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1년 -
이충섭 1974.07 상무 미등기 상근 미래투자담당 현대카드/이사, 크레딧스위스/부문장,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이태진 1969.02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네시아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이한욱 1975.09 상무 미등기 상근 VS SW개발담당 서울대(박사) 116 - 계열회사 임원 17년 -
이향은 1978.05 상무 미등기 상근 H&A CX담당 성신여대 조교수, 서울대 (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이현규 1969.06 상무 미등기 상근 금융담당 하이텔레서비스 감사(`20.03~), 하이엠솔루텍 감사(`19.03~), 조지워싱턴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이현진 1973.12 상무 미등기 상근 노이다생산법인장 창원대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이형일 1972.05 상무 미등기 상근 TV제품개발담당 경북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임광훈 1976.12 상무 미등기 상근 HE경영전략담당 MI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임기용 1973.08 상무 미등기 상근 캐나다법인장 연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임대진 1970.04 상무 미등기 상근 BS연구소 산하 Syracuse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임병록 1973.03 상무 미등기 상근 사업법무담당 Northwestern대(석사) 242 - 계열회사 임원 8년 -
임상무 1968.06 상무 미등기 상근 호주법인장 Washington대(석사) 320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임정수 1971.01 상무 미등기 상근 H&A렌탈케어링/구독사업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장보영 1972.08 상무 미등기 상근 H&A기술전략담당 NANYANG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장석진 1974.12 상무 미등기 상근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장 서울시립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장석호 1966.07 상무 미등기 상근 IT개발담당 Thunderbird대(석사) 376 - 계열회사 임원 33년 -
장정훈 1970.11 상무 미등기 상근 홍보담당 산하 중앙일보/부장,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장진호 1973.05 상무 미등기 상근 IP경영담당 조지워싱턴(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9년 -
장차규 1967.05 상무 미등기 상근 어플라이언스북미영업담당 한양대 - - 계열회사 임원 30년 -
장태진 1969.11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서비스담당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전홍걸 1971.06 상무 미등기 상근 VS연구소 산하 연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전홍주 1969.10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정대희 1971.10 상무 미등기 상근 Dishwasher사업담당 동아대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정상호 1973.09 상무 미등기 상근 냉장고사업담당 산하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정성한 1972.11 상무 미등기 상근 태국법인장 한국외대 - - 계열회사 임원 12년 -
정수진 1973.03 상무 미등기 상근 브랜드커뮤니케이션담당 Loro Piana, L'Oreal Korea, 삼성전자, 성균관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미만 -
정순호 1976.08 상무 미등기 상근 H&A디지털커머스담당 NIKE,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정연욱 1971.12 상무 미등기 상근 사우디법인장 Thunderbird대(석사) 319 - 계열회사 임원 23년 -
정영학 1970.05 상무 미등기 상근 레반트법인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정욱준 1970.11 상무 미등기 상근 H&A디자인연구소장 중앙대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정원진 1970.12 상무 미등기 상근 BS경영전략담당 ㈜LG기획팀, 성균관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4년 -
정인식 1967.05 상무 미등기 상근 마곡안전환경/지원담당 George Washington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정재웅 1969.10 상무 미등기 상근 고객가치혁신한국서비스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정재훈 1971.06 상무 미등기 상근 땅그랑생산법인장 Aalto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정진우 1971.08 상무 미등기 상근 H&A Global생산담당 산하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정호중 1969.06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SW연구소장 광운대(석사) 267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제영호 1969.03 상무 미등기 상근 C&M표준연구소장 부산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4년 -
조봉수 1980.08 상무 미등기 상근 AI빅데이터담당 포항공대 - - 계열회사 임원 9년 -
조서린 1971.02 상무 미등기 상근 VS HR담당 Cornell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조성구 1968.04 상무 미등기 상근 HE디자인연구소장 서울대 153 - 계열회사 임원 29년 -
조성태 1971.08 상무 미등기 상근 VS한국영업담당 고려대 - - 계열회사 임원 14년 -
조정범 1976.09 상무 미등기 상근 DX전략담당 맥킨지, 미시건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년 -
조청대 1970.09 상무 미등기 상근 시스템지역담당 인하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조협 1969.09 상무 미등기 상근 커머셜지역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지형섭 1970.10 상무 미등기 상근 인도법인(H&A)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차현승 1971.01 상무 미등기 상근 AV사업담당 산하 숭실대 - - 계열회사 임원 16년 -
최규남 1970.12 상무 미등기 상근 솔루션사업담당 USC(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최봉현 1969.04 상무 미등기 상근 HE품질경영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97 - 계열회사 임원 26년 -
최승윤 1965.06 상무 미등기 상근 HE구매담당 인하대 - - 계열회사 임원 33년 -
최윤호 1967.12 상무 미등기 상근 소자재료연구소장 Northwestern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8년 -
최진학 1963.11 상무 미등기 상근 H&A아웃소싱사업담당 서강대 25 - 계열회사 임원 17년 -
최활수 1973.03 상무 미등기 상근 어플라이언스유럽/CIS영업담당 성균관대 - - 계열회사 임원 24년 -
하건호 1974.12 상무 미등기 상근 청소기사업담당 부산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한은정 1980.04 상무 미등기 상근 인공지능연구소 산하 Amazon(US), UCLA(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한창희 1972.03 상무 미등기 상근 BS HR담당 Minnesota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허순재 1968.08 상무 미등기 상근 멕시코법인장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192 - 계열회사 임원 29년 -
허정찬 1968.09 상무 미등기 상근 글로벌물류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252 - 계열회사 임원 31년 -
허정호 1975.02 상무 미등기 상근 에어솔루션중아/아시아영업담당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2년 -
홍성표 1966.01 상무 미등기 상근 SW플랫폼연구소장 서울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33년 -
홍성혁 1970.03 상무 미등기 상근 HE SCM담당 부산대 - - 계열회사 임원 27년 -
홍순열 1968.10 상무 미등기 상근 에어케어사업담당 부산대 - - 계열회사 임원 29년 -
홍지삼 1966.06 상무 미등기 상근 커머셜기업1담당 부산대 171 - 계열회사 임원 32년 -
홍진기 1968.02 상무 미등기 상근 SCM담당 충남대 - - 계열회사 임원 18년 -
황금식 1971.05 상무 미등기 상근 ID해외영업담당 산하 건국대 - - 계열회사 임원 5년 -
황상문 1972.01 상무 미등기 상근 TV기구/LCM개발담당 창원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황용순 1970.12 상무 미등기 상근 어플라이언스아시아영업담당 성균관대 - - 계열회사 임원 23년 -
황원재 1981.05 상무 미등기 상근 PRI 제조/개발DX솔루션담당 KAIST(석사) - - 계열회사 임원 15년 -
황재우 1964.05 상무 미등기 상근 북미경영관리담당 충북대 - - 계열회사 임원 34년 -
황종하 1971.09 상무 미등기 상근 경영전략담당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6년 -
강용석 1972.07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SIC센터 산하 연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1년 -
김영재 1976.11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로봇선행연구소 산하 Stanford대(박사) 200 - 계열회사 임원 4년 -
김용태 1972.02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플랫폼개발담당 산하 경북대(박사) 90 - 계열회사 임원 27년 -
서한별 1978.05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C&M표준연구소 산하 서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5년 -
윤영우 1970.01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C&M표준연구소 산하 연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5년 -
임효준 1974.03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SW플랫폼연구소 산하 서울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차병호 1977.05 수석연구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VS연구소 산하 포드모터, 시놉시스 INC, Southern California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1년 -
김수연 1980.01 수석전문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H&A디자인연구소 산하 Aalto대(舊Helsinki경제대)(석사) - - 계열회사 임원 20년 -
우정훈 1983.02 수석전문위원(상무) 미등기 상근 H&A사업본부 산하 Columbia대(박사) - - 계열회사 임원 2년 -

주1) 2023년 9월 30일 기준 주식소유현황입니다.
주2) 최대주주와의 관계는 「금융회사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3조 제1항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3) 2023년 9월 30일 기준 등기임원의 타회사 등기임원 겸직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성명 상근여부 겸직현황
회사명 직위(상근여부)
권봉석 비상근 ㈜LG 대표이사 (상근)
㈜LG전자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LG화학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LG에너지솔루션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이상구 비상근 ㈜SK가스 사외이사 (비상근)
류충렬 비상근 ㈜흥국화재 사외이사 (비상근)
한국회계학회 등기임원 (부회장 / 비상근)


나. 직원의 현황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2. 임원의 보수 등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1. 대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회사는 LG계열회사인 엘지디스플레이㈜에 대하여 OLED 사업 경쟁력 강화 및 운영자금 목적으로 1,000,000백만원을 대여하기로 2023년 3월 27일 이사회에서 결의하였고, 2023년 3월 30일 650,000백만원, 2023년 4월 20일 350,000백만원을 대여하였습니다. 2년 거치 1년 분할 상환 조건이며, 이자율은 6.06%입니다. 또한, 부수적인 거래로서 금전대여 금액 및 이자에 상응하는 엘지디스플레이㈜ 소유의 토지 및 건물에 대한 담보를 설정하였습니다.

회사가 종속기업의 원활한 자금조달을 목적으로 차입금 등에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는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3년 9월 30일)
(단위 : 백만원)
회사명 관계 목적 보증기간 한도액 보증처 사용액
시작일 만기일 기초 증가 감소 기말
LGEAK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16 2024.04.14 50,692 3,100 - 53,792 CITI 6,755
LGEA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0.01 2023.10.07 89,026 5,475 - 94,501 CITI 등 -
LGEB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18.10.24 2025.02.02 515,655 - 59,341 456,314 CHUBB 등 286,849
LGECB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09.30 2024.07.12 64,935 17,483 - 82,418 CITI 등 30,459
LGECH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01 2024.04.06 297,145 13,294 - 310,439 CITI 등 -
LGECL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0.31 2024.07.31 104,600 1,534 - 106,134 Scotiabank 등 29,469
LGEEG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30 2024.05.22 38,648 - 5,813 32,835 Credit Agricole 등 -
LGEH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21 2023.11.20 13,512 705 - 14,217 CITI 14,189
LGEIL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11 2024.06.10 429 23 - 452 CITI -
LGEI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1.31 2024.01.31 27,024 1,410 - 28,434 Intesa -
LGEMC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01 2024.07.16 93,262 7,539 - 100,801 CITI 등 6,546
LGEML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06 2024.03.31 38,076 2,325 - 40,401 CITI -
LGEM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11 2024.06.17 252,478 37,958 - 290,436 BBVA 등 22,992
LGEP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7.13 2024.08.31 197,674 12,674 - 210,348 Scotiabank 등 36,137
LGESA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08 2024.08.31 26,692 - 1,534 25,158 CITI 등 -
LGESC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04.03 2025.03.02 899,851 - 23,384 876,467 CITI 등 27,409
LGES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3.15 2024.03.14 8,595 546 - 9,141 SABB -
LGETK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20 2024.09.30 32,118 - 304 31,814 HSBC 등 -
LGESJ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2.22 2024.02.28 - 53,774 - 53,774 JPM 등 20,165
LGEVG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26 2024.07.31 - 78,195 - 78,195 JPM 등 28,434
LGEU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18.02.26 2030.02.26 601,968 36,812 - 638,780 CITI 등 309,367
LGEMM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22 2024.05.31 63,365 - 49,917 13,448 BBVA -
LGEMA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8.01 2024.07.30 33,780 1,763 - 35,543 ING -
LGEMA/PL/W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0.10 2024.07.30 165,718 10,244 - 175,962 CITI 등 -
LGERC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8.16 2024.08.16 - 25,551 - 25,551 CITI 등 -
ZKW Group GmbH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08.31 2025.09.01 270,240 14,104 - 284,344 KEXIM 284,344
합계 3,885,483 324,509 140,293 4,069,699 - 1,103,115

주1) 회사의 채무보증에 대하여 종속기업이 회사에 제공한 담보는 없습니다.
주2) 종속기업의 효과적인 자금조달을 위하여 금융기관의 요청에 따른 본사 채무보증 요구 또는 차입이자비용 절감이 가능할 경우 본사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효과가 궁극적으로 본사의 이익에 부합하므로, 본사의 경영 건전성을 해칠 우려가 없는 신용공여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주3) 회사는 국내외 종속기업을 위한 채무보증 제공 件당 1,000억원 이상일 경우 이사회 승인 후 집행하고 있으며, 1,000억원 미만은 경영위원회 위임 등 내부 재량권 규정에 따라 집행하고 있습니다.
주4) 회사는 동 채무보증의 대가로 종속기업별 채무보증 만기, 일반적인 신용공여 조건의 이율 등을 감안하여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으며,  2023년 3분기 중 1,055백만원의 수수료를 청구하였고, 2023년 9월말 현재 126백만원을 미수취하였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단위 : 백만원)
거래상대방 관계 거래종류 거래대상물 거래목적 거래일자 거래금액 비고 거래조건
LGERC 계열회사 자산양도 기계장치 연구효율화를 위한 IT 설비 이전 2023.02.19 24 2022.11.24 이사회 승인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한도 내 거래이며, 거래이익 1백만원 거래일자에 현금지급
LGEIN 계열회사 자산양도 기계장치 생산효율화를 위한 생산설비 이전 2023.06.16 1,499 2022.11.24 이사회 승인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한도 내 거래이며, 거래이익 92백만원 거래일자 30일내 현금지급
LGEIL 계열회사 자산양도 기계장치 생산효율화를 위한 생산설비 이전 2023.07.06 374 2022.11.24 이사회 승인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한도 내 거래이며, 거래이익 90백만원 거래일자 45일내 현금지급
LGEIN 계열회사 자산양도 기계장치 생산효율화를 위한 생산설비 이전 2023.07.05 105 2022.11.24 이사회 승인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한도 내 거래이며, 거래이익 181백만원 거래일자 30일내 현금지급
LGEIN 계열회사 자산양도 기계장치 생산효율화를 위한 생산설비 이전 2023.09.03 507 2022.11.24 이사회 승인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한도 내 거래이며, 거래이익 181백만원 거래일자 30일내 현금지급
LGETH 계열회사 자산양도 기계장치 생산효율화를 위한 생산설비 이전 2023.09.30 296 2022.11.24 이사회 승인한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총액한도 내 거래이며, 거래이익 272백만원 거래일자 30일내 현금지급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최근사업연도 매출액의 5% 이상에 해당하는 대주주와의 영업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자세한 내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5. 재무제표 주석, 31. 특수관계자」를 참조 바랍니다.

(단위 : 백만원)
법인명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내용 거래금액
LG Electronics U.S.A., Inc.(LGEUS) 계열회사 매출, 매입 등 2023.01.01~09.30 TV, 냉장고 등 전자제품 매출, 매입 등 4,243,306
(주)하이프라자 계열회사 매출, 매입 등 2023.01.01~09.30 TV, 냉장고 등 전자제품 매출, 매입 등 1,285,037
LG Electronics Vietnam Hai Phong Co., Ltd(LGEVH) 계열회사 매출, 매입 등 2023.01.01~09.30 TV, 냉장고 등 전자제품 매출, 매입 등 1,784,747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신고일자 제 목 신고내용 신고사항의
 진행상황
2017.07.26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1. 채무자 : LG Electronics do Brasil Ltda.
2. 채권자 : ① Chubb Group (Federal Insurance Company, Westchester Fire Insurance Company)
                ② AIG Asia Pacific Insurance Pte. Ltd
3. 채무보증금액 : 552,043,576,288원
4. 채무보증기간 : 보증보험증권을 발행하는 날부터 소송 종결 시까지
2023.10.24일부로
본사 채무보증 종료
(해당 자회사의
신용으로 보증)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가. 중요한 소송사건 등
- LG전자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다수의 소송, 분쟁 및 규제기관 조사 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동 소송 등의 최종 결과 및 영향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으며,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연결회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 이노텍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의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소송 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동 소송 등의 최종 결과 및 영향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으며, 회사의 경영진은 회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연결회사의 관계기업의 소송이 존재하며, 이의 진행 결과에 따라 연결회사의 지분법손익은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연결회사가 개별적으로 책임을 부담하지는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29. 우발상황」을 참조바랍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연결회사의 재무상태 및 영업실적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개별적인 채무보증계약은없으며, 보고기간말 현재 일반적인 채무보증 잔액은 2022년말 102건, 5,274,085백만원에서 107건, 5,610,749백만원으로 336,665백만원 증가하였으며, 이는 연결실체 내 회사간 채무보증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채무보증 상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LG전자
지배회사의 종속회사에 대한 채무보증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23년 9월 30일)
(단위 : 백만원)
회사명 관계 목적 보증기간 한도액 보증처 사용액
시작일 만기일 기초 증가 감소 기말
LGEAK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16 2024.04.14 50,692 3,100 - 53,792 CITI 6,755
LGEA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0.01 2023.10.07 89,026 5,475 - 94,501 CITI 등 -
LGEB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18.10.24 2025.02.02 515,655 - 59,341 456,314 CHUBB 등 286,849
LGECB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09.30 2024.07.12 64,935 17,483 - 82,418 CITI 등 30,459
LGECH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01 2024.04.06 297,145 13,294 - 310,439 CITI 등 -
LGECL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0.31 2024.07.31 104,600 1,534 - 106,134 Scotiabank 등 29,469
LGEEG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30 2024.05.22 38,648 - 5,813 32,835 Credit Agricole 등 -
LGEH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21 2023.11.20 13,512 705 - 14,217 CITI 14,189
LGEIL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11 2024.06.10 429 23 - 452 CITI -
LGEI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1.31 2024.01.31 27,024 1,410 - 28,434 Intesa -
LGEMC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01 2024.07.16 93,262 7,539 - 100,801 CITI 등 6,546
LGEML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06 2024.03.31 38,076 2,325 - 40,401 CITI -
LGEM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1.11 2024.06.17 252,478 37,958 - 290,436 BBVA 등 22,992
LGEP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7.13 2024.08.31 197,674 12,674 - 210,348 Scotiabank 등 36,137
LGESA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08 2024.08.31 26,692 - 1,534 25,158 CITI 등 -
LGESC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04.03 2025.03.02 899,851 - 23,384 876,467 CITI 등 27,409
LGES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3.15 2024.03.14 8,595 546 - 9,141 SABB -
LGETK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4.20 2024.09.30 32,118 - 304 31,814 HSBC 등 -
LGESJ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2.22 2024.02.28 - 53,774 - 53,774 JPM 등 20,165
LGEVG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26 2024.07.31 - 78,195 - 78,195 JPM 등 28,434
LGEUS 계열회사 운영자금 2018.02.26 2030.02.26 601,968 36,812 - 638,780 CITI 등 309,367
LGEMM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6.22 2024.05.31 63,365 - 49,917 13,448 BBVA -
LGEMA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8.01 2024.07.30 33,780 1,763 - 35,543 ING -
LGEMA/PL/WR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10.10 2024.07.30 165,718 10,244 - 175,962 CITI 등 -
LGERC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3.08.16 2024.08.16 - 25,551 - 25,551 CITI 등 -
ZKW Group GmbH 계열회사 운영자금 2022.08.31 2025.09.01 270,240 14,104 - 284,344 KEXIM 284,344
합계 3,885,483 324,509 140,293 4,069,699 - 1,103,115

주) 회사는 종속회사의 차입금 등에 대한 채무보증의 대가로 종속기업별 채무보증 만기, 일반적인 신용공여 조건의 이율 등을 감안하여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회사는 구매기업을 위해 하나은행에 46,000백만원(2022년 말: 46,000백만원)을 한도로 대위변제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또한, ZKW Group GmbH는 종속회사인 ZKW Lighting Systems (Dalian) Co., Ltd에 CNY 245백만(보증기간: 2017.06.21~채무상환시) 및 ZKW Mexico S.A. de C.V. 등에 USD 44백만(보증기간: 2017.01.12~채무상환시)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엘지마그나 이파워트레인㈜는 종속기업인 LG Magna e-Powertrain USA Inc.에 USD 10백만, LG Magna Nanjing e-Powertrain Vehicle Components Co., Ltd.에 USD 25백만, CNY 440백만, LG Magna e-Powertrain Mexico S.A. DE C.V.에 USD 89백만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노텍
이노텍의 종속회사에 대한 채무보증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회사명 관계 목적 채무보증처 채무보증한도 사용액 채무보증기간
기초 증감 기말 최초시작일 최장만기일
LGITVH 해외종속기업 운영자금 외 Vietcombank Haiphong Branch 외 838,192 (79,052) 759,140 309,304 2021.07.28 2028.05.11
LGITYT 해외종속기업 운영자금 외 HSBC, Qingdao Branch 60,450 (30,864) 29,586 - 2023.07.13 2024.07.13
LGITPO 해외종속기업 운영자금 외 PKO BANK POLSKI S.A. 외 82,961 (1,769) 81,192 27,093 2021.05.12 2024.11.15
LGITMX 해외종속기업 운영자금 외 KEB Hana Bank Panama Branch 외 117,732 116,801 234,533 100,860 2020.08.28 2028.04.20
LGITTW 해외종속기업 운영자금 외 HSBC 1,267 78 1,345 - 2022.10.31 2023.10.31
LGITUS 해외종속기업 운영자금 외 Shinhan Bank 25,346 1,550 26,896 6,724 2021.08.05 2024.08.05
합계 1,125,948 6,743 1,132,691 443,981 -

주) 회사는 채무보증의 대가로 종속기업별 채무보증 만기, 일반적인 신용공여 조건의 이율 등을 감안하여 수수료를 수취하고 있으며, 공시기준일 현재 333백만원을 미수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라. 그밖의 우발채무 등
그 밖의 우발채무 등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29. 우발상황 및 30. 약정사항」을 참조 바랍니다.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XI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2. 계열회사 현황(상세)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기보고서에 기재하지 않으며, 사업보고서에 기재할 예정입니다.

4. 연구개발실적(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년도 사업부문 주요성과 내                  용
2023 H&A 유럽시장 겨냥한
에너지 고효율 가전 라인업 강화
 ('23.08)
최고 수준의 에너지 효율을 갖춘 다양한 생활가전 신제품을 앞세워 유럽시장 공략을 강화함.
2023년 9월 1일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3에서 '넷제로 하우스(Net-Zero House)'를 테마로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식기세척기 등 유럽시장을 겨냥한 다양한 고효율 가전 신제품을 전시함.
 
 유럽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2030년까지 에너지 소비와 러시아산 화석연료 의존도를 줄이고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자는 '리파워EU(REPowerEU)' 계획을 지난해 선언했음.
 
 이러한 변화에 따라 유럽 내 고객들의 고효율 전기제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크게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당사는 인버터 모터와 컴프레서 등 차별화된 핵심부품 기술력을 기반으로 유럽 고효율 가전시장을 공략한다는 전략임.
 
 이번에 선보이는 LG 드럼 세탁기는 가장 높은 에너지 효율 등급인 A등급보다 약 40% 효율이 더 높음. 해양 생태계 보호를 위한 미세플라스틱 케어 코스도 장점임. LG 세탁기만의 차별화된 6모션으로 섬세한 세탁을 구현해 세탁 효과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세탁 과정에서 옷감의 마찰로 생기는 미세플라스틱을 최대 60% 감소시킴.
 
 건조기 신제품은 에너지 효율 등급이 A+++로 시장에 출시된 제품 중 가장 높은 수준임. 이 제품은 지구온난화지수(GWP)가 3에 불과한 차세대 친환경 냉매 R290을 적용했음.
 
 냉장고 신제품은 최고 에너지 등급인 A보다 20% 정도 뛰어난 효율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췄음. 당사 동급 모델 중 최저 소음인 29dB의 저소음도 장점임.
 
넷제로 하우스 전시존에서 고효율 가전뿐만 아니라 가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절약하는 '홈 에너지 플랫폼(Home Energy Platform)'도 선보임. 관람객은 LG씽큐(ThinQ) 앱을 통해 편리하게 가전을 제어하고, 에너지 저장 및 소비량을 모니터링하는 체험을 할 수 있음.
 
 공기열원 히트펌프(AWHP; Air to Water Heat Pump) 방식의 고효율 냉난방시스템으로 에너지 소비량을 대폭 줄이고,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 중 사용하고 남은 전력은 가정용 ESS 시스템에 저장할 수 있는 모습도 볼 수 있음.
 
 당사가 별도로 마련한 빌트인 전시존에도 LG 프리미엄 가전만의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고 에너지 효율을 높인 인스타뷰 오븐, 식기세척기, 후드 일체형 인덕션, 상냉장 하냉동 냉장고 등 다양한 빌트인 신제품을 전시함.
IFA 2023서
'LG 시그니처 세탁건조기' 공개
 ('23.08)
2023년 9월부터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23에서 'LG 시그니처(LG SIGNATURE) 세탁건조기'를 공개함.
 
 이 제품은 대용량 드럼 세탁기와 인버터 히트펌프 방식의 건조기를 융합했음. 세탁 및 건조 용량은 각각 25kg, 13kg임. 제품 하단에는 섬세한 의류나 기능성 의류는 물론 속옷, 아이옷 등을 분리 세탁 할 수 있는 4kg 용량의 미니워시도 탑재했음.
 
 당사는 "세탁 후 세탁물이 자동으로 건조기로 옮겨졌으면 좋겠다", "건조기를 사용하고 싶지만 설치할 공간이 없다" 등 고객 목소리에 귀 기울였음. 그 결과 세탁ㆍ건조에 대한 다양한 니즈를 반영해 기존에 없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신제품을 개발했음.
 
 ■ 공간 효율 높이고 건조 위해 세탁물 옮기는 과정 없앤 차별화된 고객 경험
 
 고객은 한 대의 제품으로 세탁과 건조를 한 번에 해결해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세탁실이 좁아 세탁기와 건조기를 한 군데에 설치하기 어려웠던 페인포인트(Pain Point, 고객이 불편을 느끼는 지점)을 해결함. 당사가 소비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수용성 조사에서 '공간 효율'이 신제품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중요한 가치로 평가됐음.
 
 세탁기와 건조기를 상하 직렬로 배치했을 때와 비교해 상부 수납공간을 추가로 확보할 수 있는 것도 장점임. 세탁실의 창문 활용도 자유로워짐.
 
 또 세탁이 끝나면 알아서 건조를 시작해 세탁기에서 건조기로 세탁물을 옮기는 가사노동을 없애줌. 외출할 때도 매우 유용함. 고객은 외출하기 전, 제품에 세탁물을 넣고 원하는 시간에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를 통해 세탁건조를 시작함. 집에 돌아오면 보송하게 건조까지 마무리된 세탁물을 꺼내 정리하기만 하면 됨.
 
 ■ 히트펌프 방식 건조에 인공지능 DD모터까지 갖춘 혁신적인 세탁건조기
 
 신제품은 히터 방식의 건조기와 세탁기를 결합했던 과거의 일체형 제품과는 차원이 다른 혁신적인 세탁건조기임.
 
 기존 제품이 대중화되지 못한 주된 원인은 건조 성능임. 드라이기로 젖은 머리카락을 말리듯 고온의 열풍으로 옷감을 건조시키는 방식이라 옷감이 쉽게 손상되는 한계가 있었음. 이외에도 건조 시간이 오래 걸리고 옷감 먼지를 제거할 수 없는 점 등이 아쉬운 부분이었음.
 
 당사는 건조기를 필수가전 반열에 올리는 데 기여한 일등공신이자 기존 제품의 페인 포인트를 해결한 인버터 히트펌프 방식의 건조 기술을 신제품에 적용했음. 이를 위해 세탁건조기 전용 히트펌프 건조 모듈까지 새롭게 자체 개발했음.
 
 인버터 히트펌프 방식의 건조는 냉매를 순환시켜 발생한 열을 활용해 빨래가 머금고 있는 수분만 빨아들이는 저온 제습 방식으로 동작해 옷감보호에 유리함. 여기에 모터의 속도를 조절해 상황에 따라 필요한 만큼만 작동하는 인버터 기술까지 적용해 에너지 효율이 높음. 즉, 히터 방식의 건조 대비 전기 사용량이 줄고 건조 성능을 높이는 데 최적임.
 
 이 제품은 당사 세탁기와 건조기의 상징인 인공지능 DD모터를 탑재했음. 내부 드럼의 회전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해 LG 세탁가전만의 차별화된 6모션 세탁과 건조를 구현함. 또 의류 재질, 건조도 등을 정밀하게 감지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접목해 제품 본연의 성능을 향상시켰음.
 
 ■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기존에 없던 고객 경험으로 超프리미엄 가치 제공
 
 당사는 超프리미엄 가전 'LG 시그니처'가 추구하는 핵심가치인 '기술의 미학'을 신제품에 고스란히 담았음. 고급스러운 미니멀리즘 디자인 속에 기존에 없던 고객 경험을 가득 채웠음.
 
 고객은 '스마트 터치 도어' 기능을 통해 도어의 특정 부분을 살짝 터치하거나 음성만으로 편리하게 도어를 열 수 있음. 제품 전면의 7인치 와이드 LCD 화면은 세탁기, 건조기, 미니워시의 모든 기능을 통합 제어함. 화면 내 직관적인 UI와 다양한 음성인식 기능은 누구나 쉽게 제품을 사용하도록 가전제품의 접근성을 높이는 ESG 경영 기조와 맞닿아 있음.
 
 신제품은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지속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으로 출시됨.
디자인ㆍ기능 모두 잡은 안마의자
'힐링미 오브제컬렉션 아르테' 출시
 ('23.08)
당사가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과 정교한 안마 기능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선사하는 안마의자 '힐링미 오브제컬렉션 아르테'를 9일 출시함.
 
 LG 힐링미 오브제컬렉션 아르테(모델명: MH21)는 라운지체어 디자인으로 어떠한 공간에도 잘 어울리는 가구형 안마의자임. 부드러운 곡선형 외관과 코지 베이지, 클레이 브라운 2종의 오브제컬렉션 컬러로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함.
 
 힐링미 오브제컬렉션 아르테는 상ㆍ하ㆍ좌ㆍ우뿐만 아니라 앞뒤까지 6방향으로 움직이는 안마볼로 주무르기, 지압, 두드리기 등 손마사지와 유사한 6가지 핸드모션(Hand Motion) 입체안마를 구현했음.
 
 신제품은 7가지 맞춤 안마 코스를 제공함. 각 코스는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목과 어깨 위주로 주물러 주는 운전자 모드 ▲등과 엉덩이 위주로 주물러 주는 직장인 모드 등이 있음.
 
 고객이 안마 범위와 동작, 위치, 속도, 강도를 직접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내마음 코스'도 특징임.
 
 당사는 고객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도록 제품에 무선 리모컨을 적용했음. 자석이 내장된 리모컨은 의자 옆면에 손쉽게 탈부착할 수 있어 편리함. 고객이 온전히 안마에 집중하면서 마음을 편안히 할 수 있도록 저소음으로 설계되었으며, 표준 코스 기준 소음은 약 35데시벨(dB) 수준으로 밤에도 조용한 휴식이 가능함. 내장된 블루투스 스피커를 통해 안마 중에 편안하게 음악을 감상할 수 있음.
예술 작품 같은 LCD 액자형 에어컨인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아트쿨 출시
 ('23.06)
예술 작품을 걸어놓은 듯한 인테리어 효과를 주는 LCD 액자형 에어컨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아트쿨'을 20일 출시함.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아트쿨은 국내 최초로 27인치 LCD 화면 '커버 스크린'을 탑재한 신개념 인테리어 에어컨임. 세련된 우드 프레임 디자인을 더해 마치 액자나 예술작품과 같은 인테리어 오브제 역할을 함. 설치 시 노출되는 배관을 가릴 수 있는 배관커버가 함께 제공돼 더욱 깔끔한 공간 인테리어 연출이 가능함.
 
 고객은 취향에 따라 나만의 액자, 명화, 명상 등 다양한 테마의 커버 스크린을 고를 수 있음. LG씽큐 앱 내 나만의 액자 메뉴를 통해 가족사진 등 최대 20장의 사진을 10초에서 5분까지 선택한 간격으로 바꿀 수 있음.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는 차분한 느낌의 영상과 함께 하단 스피커를 통해 조용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명상 테마를 고르면 됨.
 
 휘센 아트쿨은 지난 CES 2023에서 美 디자인 전문매체 '얀코디자인(Yanko Design)'으로부터 "에어컨이 아닌 액자를 연상시키는 아름다운 디자인의 제품"이라는 호평과 함께 CES 2023 최고 제품(Best of CES 2023)으로 선정되기도 했음.
 
 에어컨의 현재 상태와 에너지 모니터링 등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테마도 있음. 디지털 액자로만 사용 시, 월 전기요금은 1,000원 수준(하루 8시간 사용 기준)임.
 
 휴대폰의 미러링 기능을 통해 유튜브 등 영상을 LCD 화면으로 공유해 감상할 수 있음.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아트쿨은 LG UP가전 라인업임. 구매 후에도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에서 새로운 기능과 그림을 추가함. NHN벅스와 협업해 7월 중 음악을 감상하는 서비스도 제공할 예정임.
 
 신제품은 휘센 에어컨의 차별화된 냉방 성능과 위생관리 기능을 그대로 적용했음.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뛰어난 냉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자랑함. 냉방면적은 22.8제곱미터(7평형)로, 좌ㆍ우ㆍ아래 3방향으로 공간 전체를 냉방함. 바람을 좌ㆍ우로 보내 사람과 직접 닿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집 안 전체는 시원하게 유지하는 '간접 바람' 기능도 유용함.
 
 '자동 청정관리' 기능을 통해 ▲필터에 서식할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극세필터+(1단계) ▲열교환기 세척(2단계) ▲AI건조(3단계) ▲UV LED 팬살균(4단계) 등 단계별로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꼼꼼하고 깨끗하게 관리함. 고객이 원할 때마다 에어컨 내부 팬과 필터를 직접 청소하는 '셀프 청정관리'도 장점임.
 
당사 홈페이지의 라이브방송 '엘라쇼'에서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가격은 출하가 기준 설치환경에 따라 288~300만원으로, 7월 중 프리미엄 스탠드 에어컨 휘센 타워(18평형, 베이지)와 함께 2in1 모델로도 출시됨. 당사는 보다 많은 고객이 휘센 아트쿨을 체험할 수 있도록 2023년 6월 23일부터 7월 6일까지 서울 여의도 '더현대 서울' 백화점에서 팝업스토어도 운영하였음.
 
 한편 당사는 올해 출시한 가정용 에어컨 전 제품에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기존 R410A 대비 1/3~1/4 수준인 R32 냉매를 적용해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는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 조성을 위한 것으로,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동급 최고 제습 성능 갖춘 2023년형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 출시
 ('23.06)
동급 최강의 제습 성능은 물론 오브제컬렉션 컬러로 디자인 감각을 더한 2023년형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를 출시함.
 
 신제품은 휘센 제습기만의 차별화된 핵심부품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강력한 제습 성능을 갖췄음.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는 냉매를 압축하는 실린더가 2개여서 한 번에 보다 많은 냉매를 압축할 수 있기 때문에 제습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높음.
 
 신제품은 전력량 1kWh당 16리터 제품은 3.2리터, 20리터 제품은 2.81리터의 습기를 흡수함. 이는 한국에너지공단에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등록돼 판매되고 있는 동급 용량의 제습기 중 제습 효율이 가장 뛰어남.
 
 LG 휘센 제습기는 신제품 3종과 지난해 출시해 판매중인 5종 등 총 8종 모두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임. 매일 평균 5.7시간씩 스마트 제습모드를 사용(한국에너지공단 월간 에너지비용 기준)할 경우 월 전기료는 약 8,000원(20리터 제품)과 약 6,000원(16리터 제품)에 불과함.
 
 또 당사가 시험인증기관인 부산테크노파크와 함께 실험한 결과 20리터 신제품을 저소음 제습모드로 작동할 경우 쾌속 제습모드 대비 약 47%의 소비전력 저감효과가 있음.
 
 신제품은 LG 휘센 제습기 중 첫 번째 UP가전임. 또 전문가가 엄선한 오브제컬렉션 컬러인 카밍 베이지, 클레이 브라운을 적용해 어떤 인테리어와도 조화를 이룸.
 
 신제품은 휘센 제습기만의 차별화된 성능과 위생관리 기능은 그대로 계승함. LG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에 적용된 UV나노(UVnano) 기능은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UV LED로 살균함. 이 기능은 TUV라인란드의 시험 결과 팬에 붙을 수 있는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에 99.9%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LG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는 실내 습도를 감지해 자동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제습', 장마철에 덥고 습한 실내를 빠르게 제습하는 '쾌속 제습', 더욱 조용하게 작동하는 '저소음 제습', 젖은 신발과 옷장 틈새를 건조하는 '집중 건조' 등 상황에 맞춰 사용하는 다양한 제습모드를 갖췄음.
 
 고객은 스마트폰의 LG 씽큐(LG ThinQ) 앱과 연동해 언제 어디서든 제습기 상태와 실내 습도 등을 확인하고 제품을 제어할 수 있음.
2023년형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 출시
 ('23.05)
당사가 설치 편의성을 높이고 위생 기능은 더욱 강화한 2023년형 창호형 에어컨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를 출시함.
 
 당사는 창문 높이가 높아 창호형 에어컨 설치가 어려웠던 고객을 위해 설치키트를 확대했음. 기존 105cm~150cm 높이의 창호에 설치 가능했던 제품을 240cm의 대형 창까지 다양한 높이의 창호에 설치 가능하도록 했음.
 
 2022년 처음 선보인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는 공기 흡입구를 전면에 배치해 실내 돌출이 거의 없어 블라인드나 커튼 사용이 가능해 큰 호응을 얻은 바 있음. 고객이 마감키트를 옵션으로 선택하면 제품 상ㆍ하단에 노출되는 설치키트를 가려 더욱 깔끔한 공간 인테리어를 연출함.
 
 신제품은 열교환기에서 발생하는 응축수를 받아주는 클린 바스켓을 항균 처리해 수분을 위생적으로 관리함. 새로운 클린 바스켓은 당사가 국가공인시험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과 함께 시험한 결과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에 99.9%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한편, 에어컨 사용 후 청결을 위한 건조기능도 'AI건조+'로 업그레이드 됐음. 당초 에어컨 사용이 종료되면 건조기능이 자동으로 실행되어 20분~35분 가량이 소요됐음. 이번 신제품은 건조 시간을 최단 15분까지 줄일 수 있도록 건조 풍량을 3단계로 확대하고 고객 선택의 폭을 넓혔음.
 
 조용하면서도 시원한 바람을 원하는 고객을 위해 저소음모드에서 풍향을 5단계로 선택하는 '저소음+' 기능을 추가했음.
 
 2022년에 출시한 휘센 창호형 에어컨의 차별화된 성능은 그대로 계승했음.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는 창원 LG스마트파크에서 직접 생산하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임. 냉매를 압축하는 실린더가 2개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냉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남.
 
 신제품은 뛰어난 제습 효과로 장마철에도 유용함. 20리터 대용량 제습기보다도 큰 최대 34리터(1일 제습 용량)의 제습 성능을 갖춰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 실내를 쾌적하게 함.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의 시험 결과 실내로 비가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는 것을 입증 받았음.
 
 당사는 창호형 에어컨 전 제품에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기존 R410A 대비 1/3~1/4 수준인 R32 냉매를 적용해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는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원하는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하는 UP가전임. 당사는 신제품에 적용된 '저소음+', 'AI건조+' 기능을 지난해 출시한 창호형 에어컨에도 추후 업그레이드로 제공할 계획임.
2023년형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냉장고 출시
 ('23.05)
냉장고 도어를 틈새가 없도록 부드럽게 닫아주는 '오토 클로징' 기능을 탑재한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냉장고 신제품 27종을 18일부터 순차 출시함. 고객이 냉장고 상단 도어를 닫히기 직전까지만 밀면 큰 소리나 충격 없이 도어가 자동으로 부드럽게 닫힘. 이를 통해 문이 덜 닫혀 전기 사용량이 늘고 음식이 상할 수 있는 부분까지 예방함.
 
 신제품은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당사는 기존 UP가전 냉장고에도 고객이 설정한 시간 동안 냉장고 문이 열려 있으면 씽큐 앱으로 알림을 주는 '문 열림 알림 시간 설정' 등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신기능을 지속 선보이고 있음.
 
 LG 냉장고의 차별화된 핵심부품인 '인버터 리니어 컴프레서' 탑재도 장점임. 모터가 회전 대신 직선운동을 하는 리니어 컴프레서는 동력을 전달하는 과정에서 에너지 손실이 적어 일반 컴프레서보다 에너지 효율이 뛰어남. 신제품 27개 모델 중 13개 모델이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임.
 
 신제품 상단에는 LCD 화면을 적용해 냉장고 설정 상태를 쉽게 볼 수 있으며 냉장실, 냉동실의 온도 조절 등 버튼을 통해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음. LCD 화면을 통해 냉장고에 탑재된 정수기 필터 교체 시기도 알려줌.
 
 당사는 신제품의 오른쪽 상단 도어에 거울로도 활용할 수 있는 미러 글라스 디자인을 적용했음. 이 도어에는 당사 냉장고만의 차별화된 기능인 노크온이 적용돼 도어를 두 번 두드리면 냉장고 문을 열지 않고도 내부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음.
 
 고객은 칵테일, 위스키, 커피, 레몬에이드 등에 활용하는 50mm 크기의 고급스러운 원형(圓形) 얼음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를 즐길 수 있는 얼음정수기, 노크온 등 취향에 따라 제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LG 씽큐 앱으로 스마트케어+ 기능을 사용하면 인공지능이 고객 사용 패턴을 분석, 새벽 시간 등 사용이 적은 시간에는 절전모드로 알아서 동작함.
 
신제품의 메탈 재질에 색채 연구소 미국 팬톤컬러연구소(Pantone Color Institute)와 협업해 만든 크림 화이트, 크림 그레이 등 신규 컬러를 추가했음. 전문가가 엄선한 오브제컬렉션 컬러로 어떤 인테리어와도 어울림.
다목적 보관으로 활용도 높인
'LG 디오스 김치톡톡' 신제품 출시
 ('23.05)
김치 외에도 다양한 식재료를 더욱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는 'LG 디오스 김치톡톡' 김치냉장고 신제품을 순차적으로 출시함. 이번 신제품은 스탠드식 53종, 뚜껑식 12종 등 총 65종임.
 
 잎채소, 복숭아, 수박, 주류 등 11가지 식재료 및 식품을 맞춤 보관하는 '다목적 보관 모드'를 491리터 용량의 스탠드식 신제품에 처음 적용해 김치냉장고의 활용도를 대폭 높였음. 더 나은 고객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고객들의 김치냉장고 사용패턴을 분석했음. 그 결과 김장철인 겨울철을 제외하고 많은 고객들이 김치냉장고의 각 칸을 김치 보관이 아닌 야채/과일 혹은 쌀/잡곡 보관, 냉동 등의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파악했고, 이를 토대로 더욱 다양한 식재료를 최적으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는 '다목적 보관 모드'를 개발하게 됐음.
 
 당사는 MZ세대 직원의 의견도 신제품에 적극 반영했음. H&A사업본부가 프리미엄 생활가전에 젊은 세대의 감성을 불어넣기 위해 2ㆍ30대 직원으로 구성해 운영 중인 사내 커뮤니티 '엠지트(MZ들의 아지트'의 줄임말)'를 대상으로 김치냉장고에 바라는 추가 기능을 조사했음. 해당 조사에서 가장 선호하는 기능으로 뽑힌 '맥주/소주 보관'은 실제 신제품에 적용됐음.
 
 고객은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 앱에 김치냉장고를 등록하고 좌ㆍ우칸, 중칸, 하칸을 보관하려는 식재료에 맞춰 맞춤형 모드로 선택할 수 있음. 좌ㆍ우칸은 음료나 주류를 보관하는 칸으로, 중ㆍ하칸은 잎채소, 복숭아, 수박과 같은 야채나 과일을 보관하는 칸으로 활용 가능함.
 
 스탠드식 신제품은 구매 한 후에도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당사는 UP가전의 장점을 살려 향후 324리터 용량의 제품까지도 다목적 보관 모드를 추가할 뿐 아니라 해당 모드에서 선택 가능한 식재료 수를 지속 늘려갈 계획임.
 
 신제품은 기존 LG 디오스 김치톡톡 만의 장점을 그대로 이어받았음. ▲위쪽칸의 좌우 공간을 분리해 공간 활용성을 높인 '다용도 분리벽' ▲시원한 김치맛을 살려주는 유산균 '류코노스톡'을 최대 57배까지 늘려주는 'New 유산균김치+' ▲LG 씽큐 앱으로 포장김치 바코드를 찍고 제조일자를 입력하면 제조사와 제조일자에 맞춰 김치를 알아서 맛있게 익히고 보관하는 '인공지능 맞춤보관' 등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신제품 중 491리터 8종, 324리터 5종 등 13종의 경우, 냉장고의 냉기를 만드는 냉동 사이클의 효율을 극대화하고, 단열효과가 우수한 소재를 적용해 이달부터 강화된 김치냉장고 에너지소비효율등급 기준 1등급을 만족함.
동급 최경량, 강력한 흡입력 겸비
'LG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A9S' 출시
 ('23.04)
동급 최경량의 가벼운 무게에 강력한 흡입력을 겸비한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A9S' 신제품을 최근 출시했음.
 
고객들이 더욱 편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신제품 무게를 줄였음. 동급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중 가장 가벼운 약 2.47kg임. 당사는 핵심부품인 스마트 인버터 모터 무게를 20% 정도 줄이는 등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기존 모델보다 무게를 약 130g 줄였음. 신제품은 무게는 확 줄었지만 흡입력은 더욱 강력함. 신제품의 최대 흡입력은 250W로 기존보다 약 13% 강해졌음. 한편 이번 신제품과 무게는 동일하면서도 최대 흡입력은 280W인 제품도 출시 예정임.
 
 한국생산성본부와 함께 1,300명의 고객을 대상으로 최근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고객들은 가장 써보고 싶은 부가기능으로 '스팀 물걸레'를 꼽았음. 이 같은 조사에 따라 당사는 안심 스팀 물걸레 흡입구를 또 한번 업그레이드하였음. 신제품은 상황 별로 필요에 따라 세 가지 물걸레 모드를 선택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고객은 ▲스팀 물걸레 온도가 약 60도로 바닥에 굳은 초콜릿이나 고깃 기름 같은 잘 닦이지 않는 오염까지 일반 물걸레보다 수월하게 제거하는 '안심 스팀 물걸레' ▲안심 스팀 물걸레보다 10도 정도 낮지만 더 오랜 시간 넓은 공간을 청소하는 '온수 물걸레' ▲물을 데우지 않고 사용하는 '물걸레'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음.
 
청소기와 올인원타워의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고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신제품에 2.3인치 LCD 화면을 적용했으며, 올인원타워는 무선청소기 충전과 액세서리 보관은 물론 먼지통 비움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신개념 거치대임.
 
 고객은 LG 씽큐 앱뿐만 아니라 LCD 화면을 보면서 청소기에서 직접 다양한 옵션을 맞춤형으로 설정할 수 있음. 전원을 켰을 때 초기 흡입력 모드, 물걸레 모드 종류와 물 공급량, 배터리 수명 연장 모드 등을 미리 설정해두면 사용할 때마다 설정을 변경하지 않아도 돼 편리함. 신제품은 기존과 같이 고객이 손쉽게 청소기를 관리할 수 있도록 마이크로 필터, 먼지통 필터, 배기 필터 분리뿐만 아니라 이번에는 먼지통까지 분리해 물로 세척할 수 있도록 했음.
 
 LG 코드제로 A9S와 올인원타워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원하는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이 제품은 전문가가 엄선한 오브제컬렉션 컬러인 카밍 베이지, 카밍 그린, 에센스 그라파이트 색상으로 어떤 인테리어와도 조화를 이룸. 신제품은 세계적 권위의 디자인 상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 본상을 수상하며 디자인 우수성도 인정받았음.
소형창에도 손쉽게 설치할 수 있는
2023년형 LG 휘센 이동식 에어컨 출시
 ('23.04)
소형부터 대형까지 다양한 창호에 설치할 수 있고 오브제컬렉션 컬러로 디자인 감각을 더한 2023년형 '휘센 이동식 에어컨'을 출시함.
 
신제품은 소형 설치키트를 구매할 경우 높이 56~102센티미터의 소형창에도 설치 가능함. 이로써 고객은 창이 작아 에어컨을 쓸 수 없었던 곳에서도 이동식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게 됐음. 기존 LG 휘센 이동식 에어컨은 89~252센티미터의 창호에 설치할 수 있었음.
 
 이 제품은 전문가가 엄선한 오브제컬렉션 컬러인 카밍 베이지를 적용해 어떤 인테리어와도 조화를 이룸.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를 흰색 바탕 안으로 숨긴 히든 디스플레이도 깔끔함을 더함.
 
 인공지능이 제품 내부 습기 제거를 위한 최적의 건조 조건을 설정해주는 자동건조 기능은 'AI건조+'로 더욱 편리해졌음. 신제품은 고객이 건조 풍량을 3단계로 선택할 수 있음. 풍량을 강하게 하면 건조 시간이 짧아짐. 풍량을 약하게 하면 건조 시간은 늘어나지만 소음이 줄어듬. 남은 건조시간은 디스플레이에 표시해줌.
 
 신제품은 기존 휘센 이동식 에어컨의 차별화된 성능을 그대로 계승했음. 냉매를 압축하는 실린더가 2개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냉방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남. 하루 4시간 사용 시 기존 정속형 모델(LW-C062PEW)보다 에너지를 최대 29% 절약함. 또, 하루 최대 44리터의 제습 성능을 갖춰 장마철 등 습도가 높을 경우 실내를 쾌적하게 제습함.
 
 이동식 에어컨 신제품은 냉방면적에 따라 23제곱 미터와 26제곱 미터 중 선택할 수 있으며 카밍 베이지, 화이트 2가지 색상임.
터치로 편리해진 'LG 트롬 워시타워' 신제품 출시
 ('23.04)
사용은 더욱 편리해지고 디자인은 한결 심플해진 일체형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 신제품 출시.
 
신제품은 중앙의 조작부인 '퀵 컨트롤(Quick Control)'에 4.3인치 풀터치 LCD 디스플레이를 적용한 차세대 워시타워임. 버튼으로 조작하던 기존 방식보다 훨씬 직관적이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워시타워를 손쉽게 조작하도록 신제품을 디자인했음. 세탁ㆍ건조 코스, 옵션 등 여러 개의 버튼을 없애 깔끔한 디자인을 완성했음. 고객은 화면을 터치해 원하는 코스와 옵션을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음. 조작뿐만 아니라 화면을 통해 제품의 상태, 추천코스 등 필요한 정보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어 세탁이 더욱 쉬워짐.
 
 당사는 워시타워 중앙의 조작부를 분리형 제품보다 약 100mm 높게 설계했음. 고객은 조작부가 낮은 일반 드럼세탁기처럼 허리를 숙이거나 상단 건조기 조작을 위해 손을 멀리 뻗지 않아도 편안하게 세탁건조기 조작이 가능함.
 
 신제품의 '자동세제함 플러스'는 한층 업그레이드됐음. LCD 화면에서 원하는 세제를 선택한 후 세탁을 시작하면, 워시타워가 세탁물의 재질, 무게, 오염도 등을 감지해 적정량의 세제를 투입해줌. 섬유유연제통에도 고객의 필요에 따라 유아세제 등 또 하나의 세제통으로 변경할 수 있음. 또한 자주 사용하는 서로 다른 세제를 두 개의 세제함에 구분해 넣을 수 있음. 인공지능 DD모터를 탑재한 워시타워는 딥러닝을 이용해 의류 재질을 인식한 후 당사만의 세탁ㆍ건조방법인 6모션 중 최적의 모션을 선택해 옷감 손상을 최소화함.
 
 워시타워의 '건조준비' 기능은 세탁이 끝나면 바로 건조를 시작할 수 있도록 세탁 종료 시간을 감안해 건조기의 컴프레서는 미리 가동을 시작함. 건조기를 미리 예열하기 때문에 일반 건조기를 사용할 때보다 건조시간이 줄어듬.
 
트롬 세탁기에 이어 4월 중 워시타워에도 '미세플라스틱 케어 코스' 업그레이드를 제공함. UP가전 고객이라면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신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 이번 업그레이드는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컴팩트 안마의자 'LG 힐링미 파타야' 출시
 ('23.04)
좁은 거실이나 방에서도 사용 가능한 컴팩트 안마의자 '힐링미 파타야'를 출시.
 
 LG 「힐링미 파타야」는 프리미엄 안마의자인 「힐링미 타히티」 대비 높이는 약 14cm 줄어든 113cm, 폭은 약 6cm 슬림해진 74cm로 좁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한 컴팩트 디자인이 장점임. 특히 안마의자 뒷면과 벽 사이에 5cm의 공간만 있으면 안마의자를 최대로 눕힐 수 있어 공간활용도가 높음.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도록 고급스러운 오브제컬렉션 컬러인 코지 브라운을 신제품에 적용했음.
 
 LG 힐링미 파타야는 크기는 줄었지만 안마 성능은 프리미엄 안마의자와 대등한 수준임. 신제품은 상하좌우뿐만 아니라 앞뒤까지 6방향으로 움직이는 안마볼로 주무르기, 지압, 두드리기 등 손마사지와 유사한 7가지 핸드모션(Hand Motion) 입체안마를 구현했음.
 
 신제품은 힐링미 안마의자의 다양한 편의기능도 그대로 계승했음. 당사는 고객이 편안한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최대 158도까지 조절할 수 있는 무중력 모드를 탑재했음. 고객 맞춤형 안마코스인 '마이 코스'도 편리함. 리모컨을 통해 안마 부위, 강도, 속도 등을 취향에 따라 설정하면 각자 저장해둔 맞춤코스를 이용할 수 있음. 최대 3개까지 저장 가능함.
 
 고객이 온전히 안마에 집중하면서 편안히 쉴 수 있도록 신제품을 저소음으로 설계했음. 표준 코스 기준 약 35데시벨(dB)로 조용한 도서관보다 낮은 수준임. 고객의 등, 허리, 종아리까지 따뜻하게 해주는 온열시트, 안마를 받으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스피커도 적용했음.
「LG 스타일러 슈케이스ㆍ슈케어」
출시
 ('23.03)
당사가 31일 차세대 프리미엄 신발관리 솔루션 'LG 스타일러 슈케이스ㆍ슈케어'를 출시하고, 신제품만의 F.U.N(First: 최고의, Unique: 차별화된, New: 세상에 없던)한 고객경험 알리기에 나섬.
 
 LG 스타일러 슈케이스ㆍ슈케어는 지난해 IFA에서 처음 공개된 이후 명품 운동화나 한정판 신발 등을 더욱 돋보이게 보관하고 즐기는 동시에 최적의 방법으로 관리하는 새로운 솔루션으로 주목 받아왔음.
 
 LG 스타일러 슈케이스는 나만의 소중한 신발을 최적의 습도로 제대로 보관하고 예술 작품처럼 감상하는 신개념 신발 보관 전시함임. 내부에는 은은한 조명이 켜지고 받침대는 턴테이블처럼 360도로 회전해 백화점 부띠끄(boutique)의 진열장처럼 신발을 더 고급스럽고 돋보이게 해줌.
 
 함께 출시되는 LG 스타일러 슈케어는 운동화나 구두 등은 물론 골프화, 축구화 등 기능성 신발과 자주 신는 데일리 슈즈까지 당사의 차별화된 혁신기술로 맞춤 관리해주는 프리미엄 신발관리기임. 이 제품은 의류관리기 대명사 'LG 스타일러' 특허 기술인 트루스팀(TrueSteam), 미세한 습기와 냄새까지 제거하는 제오드라이필터(Zeo-Dry filter) 등 신발관리에 최적화된 혁신기술을 탑재함.
 
 신제품은 에센스 화이트, 에센스 그라파이트, 크림 로제, 크림 옐로우 총 4가지 오브제컬렉션 컬러로 출시됨. 가격은 출하가 기준 슈케이스 39만원, 슈케어 149만원임.
 
 당사는 투명창을 제외한 신제품 외관에 재생플라스틱을 적용함. 이는 폐기물의 자원화와 순환 경제를 추구함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프리미엄 디자인에 가성비 갖춘
「LG 휘센 타워II」에어컨 출시
 ('23.03)
당사가 휘센 타워의 프리미엄 라인업 중 디자인은 더욱 심플하면서 가격 부담을 줄인 'LG 휘센 타워II' 를 28일 출시함.
 
 'LG 휘센 타워II' 는 기존 휘센 타워 에어컨 전면의 원형 토출구를 없앤 미니멀한 디자인이 특징임. "제품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거실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도록 에어컨 전면이 보다 깔끔했으면 좋겠다"는 고객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함.
 
 이를 위해 작동 시 무드조명과 각종 정보전달을 표시하는 서클라이팅을 디지털 방식으로 구현함. 고객은 기존 휘센 타워I과 새로운 휘센 타워II 디자인을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
 
 당사는 휘센 타워II 에어컨을 디럭스ㆍ스페셜ㆍ히트 등 3개 모델로 출시함. 고객이 일부 편의기능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가격 옵션을 넓힘. 고객은 휘센 타워의 프리미엄 디자인을 적용한 투인원(2 in 1) 에어컨을 300만원대 초반부터 구입할 수 있음. 투인원 모델 기준 휘센 타워II 「디럭스」의 출하가는 315 ~ 360만 원, 「스페셜」의 출하가는 360 ~ 405만원임. 가격 부담을 더욱 줄인 휘센 타워II 「히트」는 상반기 내 추가로 선보일 예정임.
 
 또 당사는 2023년형 휘센 스탠드 에어컨 전 제품에 지구온난화지수(GWP)가 기존 R410A 대비 1/3~1/4 수준인 R32 냉매를 적용해 환경보호에 앞장섬. 이는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LG 휘센 타워II는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따라 꼼꼼하고 깨끗하게 관리해주는 '자동 청정관리' ▲고객이 원할 때마다 제품을 열어 에어컨 내부 팬을 모두 직접 청소할 수 있는 '셀프 청정관리' ▲ 실내 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집에 있는 반려동물이 덥지 않도록 냉방을 켜주거나 LG 씽큐 앱 알람을 주는 '펫케어 모드' ▲에어컨이 실내환경에 맞춰 운전하는 '스마트케어' 등 휘센 타워의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그대로 계승함.
 
 신제품은 매월 일정 금액을 내면 초기 구입비용 부담 없이 에어컨을 이용할 수 있고, 연 1회 전문가 관리와 점검까지 받을 수 있는 '렌탈/케어십 서비스'로도 이용할 수 있음.
 
 LG 휘센 에어컨 렌탈 상품은 플래티넘과 스탠다드로 구성돼있음. 스탠다드는 ▲제품 외관 청소 ▲냉매, 실외기 등 성능 점검 ▲필터오염상태 점검 및 세척, 교체(공기청정기능 포함 제품) 등 서비스를 제공함. 플래티넘은 여기에 제품을 분해한 뒤 스팀 등 전문장비를 이용해 열교환기, 냉방팬 등 제품의 보이지 않는 곳까지 세척하는 서비스가 추가됨.
대용량 820리터대
'무드업 냉장고' 출시
 ('23.03)
당사가 터치만으로 냉장고 색상을 바꿔 분위기까지 업그레이드 할 수 있는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MoodUp)'의 대용량 신제품을 23일 출시하며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힘.
 
 당사는 무드업 냉장고의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원하지만 기존 600리터대보다 넉넉한 대용량이 필요한 고객을 위해 826·829(노크온) 리터의 신제품을 라인업에 추가함. 빌트인 타입을 원하는 고객은 기존 607ㆍ610(노크온) 리터 제품을 선택하면 됨.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은 냉장고 색상과 공간 분위기를 바꾸고 싶을 때 LG 씽큐(LG ThinQ) 앱에서 원하는 컬러를 선택하기만 하면 되는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컬러를 바꾸기 위해 패널을 교체하고 추가 비용까지 지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앴음. 폐기되는 패널이 없기 때문에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됨.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은 구입 후에도 새로운 색상, 음원을 비롯해 신규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당사는 이번 신모델 출시와 함께 무드업 냉장고를 더욱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아티스트 컬렉션 ▲컬러 톤 미세 조절 ▲주변 밝기 센서 미세 조절 ▲노크온 패널 컬러 설정 등 신규 업그레이드 기능 4가지를 선보임.
 
 당사는 '아티스트 컬렉션' 기능을 위해 김선우, 문형태, 하태임 등 무드업에 어울리는 7명의 인기 작가들과 협업했음. 이 기능은 무드업 냉장고에 작가의 작품을 모티브로 한 컬러, 효과, 음악을 적용해 집안 공간을 예술작품으로 바꾸는 특별한 고객경험을 선사함.
 
 '컬러 톤 미세조절'은 고객이 도어 컬러의 톤을 21단계로 설정할 수 있는 신기능으로, 집안 분위기를 섬세하게 조절할 수 있음. 냉장고 주변 밝기 감지 센서를 20단계까지 조절할 수 있는 '주변 밝기센서 미세조절', 컬러 모드 사용 중에는 매직스페이스 내부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노크온 패널 컬러 설정' 기능도 편리함. 아티스트 컬렉션과 노크온 패널 컬러 설정은 신모델에 먼저 선보이며, 이외 기능들도 4월 중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임.
시스템 에어컨, 美 냉동공조협회
'퍼포먼스 어워드' 6년 연속 수상
 ('23.03)
당사가 미국냉동공조협회(AHRI; Air-Conditioning, Heating & Refrigeration Institute)가 수여하는 '퍼포먼스 어워드(Performance Award)'를 6년 연속 수상하며 시스템 에어컨 등 냉난방공조 솔루션의 품질과 기술력을 인정받음.
 
 AHRI는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 등 분야별 지정시험기관을 통해 각 제조사의 제품을 제품군별로 무작위 선정, 제품의 실제 성능이 실제 사양과 부합하는지 엄격하게 평가함. 평가 대상이 된 모든 제품이 최근 3년 연속으로 1차 성능평가를 통과해야만 제품군 단위로 수여되는 퍼포먼스 어워드를 받을 수 있음. 당사는 2018년부터 매년 이 상을 수상하며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입증하고 있음. AHRI는 1953년 출범한 협회로 350여 개 글로벌 에어컨 제조업체가 가입해 있음. 제품 성능을 철저하게 평가하기로 유명해 소비자들의 신뢰가 높음.
 
 이번 퍼포먼스 어워드를 수상한 제품은 ▲대용량 시스템 에어컨(VRF; Variable Refrigerant Flow) ▲공랭식 냉각시스템(ACCL; Air Cooled Chillers) ▲수랭식 냉각시스템(WCCL; Water Cooled Chillers) ▲소형 단일 냉난방기(USHP; Unitary Small Heat Pump) ▲실내 팬 코일 에어컨(Room Fan-coil Air Contidioners) ▲상업용 일체형 냉난방기(PTHP; Packaged Terminal Heat Pump) ▲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ERV; Energy Recovery Ventilators) 등 7개 제품군임.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평가 대상으로 선정된 67개 제품이 모두 성능 평가를 통과한 바 있음. 지난해 6개 제품군이 이 상을 수상했고, 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ERV)가 새롭게 추가되면서 수상 제품군이 7개로 늘었음.
 
 대용량 시스템 에어컨(VRF)의 당사 대표제품인 멀티브이(Multi V)는 건물의 크기, 특징, 용도에 따라 최적의 냉난방을 구현함. 이 제품은 독자 개발한 고효율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성능과 에너지효율이 우수하고, 실내외 온도뿐 아니라 습도까지 자동으로 감지해 절전효과를 높이면서 더욱 쾌적하게 냉방함. 또 바깥 기온이 영하 30도인 환경에서도 안정적으로 작동해 겨울철 기온이 크게 낮아지는 북미 지역에서 인기가 높음.
 
 공랭식 냉방시스템의 대표제품인 인버터 스크롤 칠러(Inverter Scroll Chiller)는 앞선 인버터 기술을 적용한 고효율 제품으로 설치면적이 1.6제곱미터(m2)에 불과해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용이함. 수랭식 냉각시스템은 중대형 빌딩의 중앙공조, 지역 냉/난방, 발전소 등의 공정 냉각용으로 사용됨.
 
 이번에 처음으로 퍼포먼스 어워드를 수상한 당사 에너지 회수형 환기장치(LG ERV)는 실내 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필터를 거친 깨끗한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해 줌. 전열교환기를 탑재해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 손실을 대폭 줄여줘 냉난방비 절감에 도움이 됨. 시스템 에어컨과 연동해 최적의 운전모드로 실내 공기질을 효과적으로 관리해 줌.
 
당사는 차별화된 기술력을 바탕으로 북미 상업용 에어컨 시장에서 10년 이상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음.
14인용 디오스 식기세척기 출시
 ('23.01)
최대 110개 식기를 한 번에 세척할 수 있는 14인용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식기세척기 신제품을 26일 출시함. 당사는 내부 컵 선반을 키우는 등 고객이 기존 제품 대비 더 많은 식기를 세척할 수 있도록 신제품을 개발했음.
 
 빌트인 타입의 신제품은 바닥에서부터 제품 하단 높이가 10센티미터(cm)임. 최근 주방 수납 공간을 늘리기 위해 인테리어 할 때 바닥과 만나는 벽의 하단부를 장식 몰딩으로 두르는 '걸레받이' 부분을 낮게 시공하는 고객이 많아지고 있음. 당사는 이러한 트렌드를 반영해 전체적인 주방 인테리어와 제품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제품 하단 높이를 기존 대비 5cm 줄였음.
 
 당사는 제품 하단 높이가 15cm인 12인용 제품을 출시한 가운데 이번에 10cm인 14인용 신제품을 추가해 인테리어에 따른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힘.
 
 신제품은 구매 후에도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전기 사용량을 표준 코스 대비 약 20% 줄이는「에너지 절감 코스」▲소음을 표준 코스 대비 3데시벨(dB) 줄이는 「야간조용+ 코스」▲세척 종료음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업그레이드가 지속 제공됨.
 
 신제품은 LG 디오스 식기세척기만의 차별점인 트루스팀, 트루건조 등을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그대로 계승했음.
 
 물을 100도(℃)로 끓여 만든 트루스팀은 식기를 위생적으로 세척하는 데 탁월함. 당사가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인터텍 등과 실험한 결과 고온살균 및 스팀 옵션을 적용해 표준코스로 세척할 경우 대장균, 장염 비브리오균과 같은 식중독 원인균, 노로바이러스, A형 간염 바이러스 등 유해 세균과 바이러스 총 28종을 99.999% 제거했음.
 
 트루건조 기능은 ▲수냉식 응축 건조 ▲자동 문열림 건조 ▲외부 공기를 이용한 열풍 건조 등 차별화된 기술을 집약해 탁월한 건조 성능을 발휘함. 특히 자동 문 열림 후 열풍 건조는 에어필터를 거친 외부 공기로 만든 뜨거운 바람이 식기에 남은 습기를 보송하게 말려줌. 습기를 머금은 더운 공기는 바로 외부로 배출돼 더욱 쾌적한 건조가 가능함.
 
 또 LG 디오스 식기세척기는 국내 제조사 제품 가운데 유일하게 연수장치를 적용해 세척수의 석회질을 줄여 물 얼룩을 감소시킴.
 
 LG 디오스 식기세척기는 LG 씽큐 앱으로 세척 현황과 같은 제품 상태를 확인하는 것은 기본이고 30회 이상 사용했을 때 통살균을 제안해 고객이 보다 청결하게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 또 제품에 문제가 있을 때 스마트 진단을 통해 간편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방법을 안내함.
 
 신제품은 LG 오브제컬렉션 색상인 네이처 베이지 컬러로 출시되며 가격은 출하가 기준 204만원임.
2023년형 '휘센 타워에어컨' 출시
 ('23.01)
당사가 2023년형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타워에어컨' 신제품을 19일 출시함.
 
 이번 신제품은 에어컨을 관리하는 자동 청정관리 기능을 더욱 강화했음. 집에 혼자 남아있는 반려동물까지 배려하는 '펫케어모드' 등으로 에어컨 사용은 더욱 편리해졌음.
 
 ■ 강력하고 간편한 자동ㆍ셀프 청정관리로 더욱 깨끗한 에어컨 관리
 
 당사는 수분이 많이 생기는 열교환기 뒷면에 항균 처리된 클린 케이스를 적용했음. 기존 열교환기에 남은 수분을 제거하는 자동 건조 기능과 함께 에어컨 내부 위생을 더욱 깨끗하게 관리하도록 했음. 당사가 국가공인시험기관인 KOTITI 시험연구원과 함께 시험한 결과 새로운 클린 케이스는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에 대해 99.9% 항균 효과가 있음.
 
 LG 휘센 타워의 자동 청정관리는 클린 케이스를 더해 7단계로 더욱 강력해짐. 신제품은 ▲극세필터의 먼지를 알아서 청소하는 필터클린봇(1단계) ▲필터에 서식할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극세필터+(2단계) ▲한국공기청정협회 CAC(Certification Air Conditioner) 인증 공기청정+(3단계) ▲클린 케이스(4단계) ▲열교환기 세척(5단계) ▲AI건조+(6단계) ▲UV LED 팬살균(7단계) 등 단계별로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알아서 꼼꼼하고 깨끗하게 관리해줌.
 
 빈틈 없는 자동관리와 함께 고객이 원할 때마다 제품을 열어 에어컨 내부에 있는 4개의 팬을 모두 직접 청소할 수 있는 '셀프 청정관리'도 장점임.
 
 ■ 펫케어모드, 한쪽바람, 외출절전 등 휘센 타워만의 차별화된 고객경험 선사
 
 또 당사는 더운 여름철 집에 홀로 남은 반려 동물을 위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펫케어모드' 기능을 신제품에 적용함. 이 기능은 실내 온도가 설정값에 도달하면 반려 동물이 덥지 않도록 냉방을 켜주거나 LG 씽큐 앱을 통해 원격으로 에어컨을 가동할 수 있도록 알려줌.
 
 LG 휘센 타워에어컨의 '와이드케어냉방'은 찬 바람을 벽 쪽으로 보내 사람에게 직접 바람이 닿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집 안 전체를 시원하게 유지시켜 줌. 신제품은 이 바람을 양쪽뿐만 아니라 왼쪽, 오른쪽 한 방향으로만 내보내는 '한쪽바람' 기능이 추가됨. 바람이 직접 닿는 것을 원하지 않는 고객에게 유용함.
 
 에어컨이 스스로 실내환경에 맞춰 운전하는 '스마트케어'도 편리함. 이 기능은 ▲더울 때는 쾌속 냉방 ▲시원해지면 쾌적 냉방 ▲쾌적 냉방이 유지되면 절전 ▲공기질이 나쁠 때는 공기청정 ▲운전 중 실내 습도가 70% 이상 10분간 지속되면 제습 기능으로 알아서 동작함.
 
 2023년형 LG 휘센 타워의 최고급 라인업인 럭셔리 제품은 레이더 센서로 사람의 움직임과 유무를 감지함. '외출절전' 기능은 거실에 사람이 없으면 에어컨이 알아서 최대냉방모드인 아이스쿨파워 대비 최대 72%까지 전기를 아껴줘 짧은 외출 시에도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음.
 
 신제품 24종 가격은 출하가 기준 345만원~760만원임. 색상은 카밍 베이지, 크림 그레이, 크림 화이트, 카밍 그린 등 4종임.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알파 출시
 ('23.01)
당사가 탈취 성능을 대폭 높여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2023년형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알파'를 17일 출시함.
 
 이번 신제품은 탈취 성능을 한층 높인 'G필터'를 탑재했음. 당사가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와 함께 시험한 결과 암모니아, 초산, 아세트 알데히드 3종의 유해가스에 대해 신제품의 누적 정화량이 기존 제품(모델명: AS352NSHA) 대비 2.5배 이상 많았음.
 
 당사는 공기청정기의 고객 페인포인트(Pain Point, 고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찾기 위해 구매고객 1,000명을 대상으로 자체 조사를 실시했음. 그 결과 고객 70% 이상이 보다 강력한 탈취 성능을 원한다는 것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차세대 필터인 G필터를 개발했음.
 
 당사는 신제품에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절전 기능인 '인공지능+' 기능도 적용했음. 이 기능은 실내 공기질이 '좋음' 상태로 5~10분 지속되면 내부 팬을 끄고 디스플레이 밝기는 낮추는 등 최저 소비전력으로 운전함. 공기질이 '나쁨'으로 바뀌면 다시 일반모드로 동작함.
 
 신제품은 기존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알파만의 차별화된 청정 성능은 그대로 계승했음. 두 개의 클린부스터가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최대 9미터(m)까지 보내줘 공간을 빠르게 청정함. 또 집안 공기 관리가 필요한 곳에 인공지능센서를 놓아두면 공기청정기만 사용할 때보다 약 5분 더 빠르게 오염된 공기를 감지한 후 해당 공간을 청정함.
 
 이 제품은 구매 후에도 원하는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예를 들어, 새롭게 반려동물을 키우는 고객이 펫 기능을 다운받고 펫 전용 필터로 교체하면 펫모드라는 새로운 특화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펫모드가 필요 없어져 일반모드로 전환하려면 필터 교체와 함께 설정을 바꾸면 됨.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알파 신제품은 청정면적 기준 114㎡와 66㎡으로 출시됨. 네이처 그린, 네이처 샌드베이지, 네이처 클레이 브라운, 네이처 클레이 핑크, 네이처 클레이 민트 등 5가지 오브제컬렉션 색상을 갖춰 집안 어느 공간에 놓아도 조화를 이룸. 출하가는 149만~197만원임.
 
 한편, 당사는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플러스도 출시하며 UP가전 대상 제품을 확대함. 신제품은 업그레이드를 통해 알림 멜로디를 기본음에서 변경할 수 있음. 당사는 연내 플러스 모델에도 펫모드 업그레이드를 적용할 계획임.
 
 LG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플러스 신제품은 크리미 스노우 색상에 청정면적 59㎡~100㎡의 다양한 라인업을 갖췄으며 출하가는 99만9천원~131만9천원임.
국내 최대 21kg 용량
트롬 건조기ㆍ워시타워 출시
 ('23.01)
당사가 많은 양의 빨래와 부피가 큰 이불을 한 번에 건조할 수 있는 국내 최대 용량의 LG 트롬 건조기와 트롬 워시타워를 이달 중 출시함.
 
 당사는 공간 인테리어 가전 LG 오브제컬렉션 라인업을 포함한 7종의 트롬 건조기와 8종의 원바디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 신제품을 선보임. 건조 용량은 21kg으로 국내 가정용 건조기 가운데 가장 큼.
 
 특히 LG 트롬 워시타워 신제품(대표 모델명: W21EGH)은 하단 세탁기와 상단 건조기가 각각 25kg, 21kg 용량으로 구성돼 국내 가정용 제품 중 최대임. 트롬 건조기와 워시타워 모두 기존 20kg 용량의 트롬 건조기와 워시타워 보다 건조 용량은 더 커졌지만 제품 외관 크기는 동일해 공간 활용도가 높음.
 
 이번 신제품도 LG 트롬 건조기의 차별화된 6모션 건조와 딥러닝 AI 등 뛰어난 기술력은 그대로 계승했음. LG 트롬 건조기의 6모션은 털기, 펴주기, 널기, 휘날리기, 살랑이기, 뒤집기 등 자연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방법과 유사한 최적의 동작을 구현해 옷감이 받는 자극과 건조 시간도 줄여줌.
 
 당사가 국제 공인시험인증기관인 인터텍(Intertek)과 실험한 결과 6모션이 적용된 트롬 건조기의 수축완화코스는 기존 벨트식 건조기(모델명: RH17VTS)의 표준코스 보다 옷감 수축을 줄여주는 것으로 나타났음. 나일론 소재의 바람막이 점퍼는 평균 54%, 아동용 혼방 티셔츠는 평균 21%, 반팔 면 티셔츠는 평균 9% 수준으로 옷감 수축이 줄어들었음. 또 인공지능건조코스는 기존 건조기(모델명: RH17VTS)의 표준코스 대비 건조 시간이 18% 감소했음.
 
 또 당사는 가전업계 최초로 글로벌 안전과학회사인 UL로부터 '딥러닝 인공지능 검증(Deep Learning AI Verification)' 인증서를 받은 바 있음. 트롬 세탁건조가전에 적용된 딥러닝 AI DD(Direct Drive)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음. 이 기술은 딥러닝을 이용해 의류 재질을 인식한 후 당사만의 세탁ㆍ건조방법으로 동작함.
 
 당사는 구입 후에도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LG UP가전 세탁기와 워시타워에 '미세플라스틱 케어 코스'를 연내 업그레이드로 제공할 예정임. 세탁 시 발생하는 미세플라스틱 배출량을 줄여 환경을 보호하는 등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HE 세계 최초 무선 올레드 TV 출시
 ('23.7)
세계 최초 무선 올레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M(LG SIGNATURE OLED M, 모델명: 97M3)'을 출시함. 지난 10년간 쌓아온 독보적 올레드 기술력과 디자인 혁신을 기반으로 올레드 TV 중 가장 큰 97형 올레드 TV에 세계 최초 4Kㆍ120Hz 무선 전송 기술을 더해 초대형 프리미엄 TV 시장 내 리더십을 더욱 강화함.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전원을 제외한 모든 선(線)을 없앤 유일한 무선 올레드 TV임. 당사는 초대형 TV에 콘솔기기, 셋톱박스 등 다양한 외부기기를 연결해 사용하는 고객들의 TV 주변 복잡한 연결선에 대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무선 AV 전송 솔루션을 개발했음.
 
 별도 수납장이나 유선 연결용 박스를 활용해 주변기기를 정리하는 기존의 방식을 넘어 고객들은 전원을 제외한 연결선 없이 깔끔한 공간에서 초대형 스크린을 몰입감있게 즐길 수 있음.
 
 이 제품은 97형(화면 대각선 약 245센티미터) 올레드 TV와 약 10미터(화면 정면 기준) 내에서 4K(3,840×2,160) 해상도?120Hz 주사율의 고화질 영상을 무선으로 전송해 주는 '제로 커넥트 박스(Zero Connect Box)'로 구성됨.
 
 제로 커넥트 박스는 ▲HDMI 2.1 ▲USB ▲RF ▲LAN 포트 ▲블루투스 등을 지원해 콘솔기기, 셋톱박스 등 다양한 주변기기를 연결할 수 있음. 내장된 안테나는 놓는 위치에 따라 송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음. 또 장애물을 인식해 최적의 전파 송ㆍ수신 경로를 설정하는 알고리즘을 탑재했음.
 
 당사 독자 기술로 완성한 무선 AV 전송 솔루션은 기존 와이파이6(Wi-fi 6E) 대비 최대 3배 이상 빠른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함. 특히 무선 환경에서도 돌비(Dolby)의 최신 영상기술 돌비비전(Dolby Vision)와 입체 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모두 지원함.
 
 벽걸이 설치 시 TV 전체가 벽에 밀착하는 갤러리 디자인은 무선 기술로 보다 완벽해졌음. TV 본체에 연결했던 주변기기를 거실 내 소파 옆이나 협탁 아래 등에 설치된 제로 커넥트 박스에 연결하면 화면 주변에는 별도의 수납장을 둘 필요가 없음. 한층 깔끔해진 공간은 초대형 올레드 TV 화면의 몰입감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거실 내 TV와 가구 배치도 자유로워짐.
'1:1 홈PT부터 화상회의까지 맞춤형 고객경험 강화' LG TV 전용 카메라 출시
 ('23.06)
홈트레이닝을 비롯한 자기계발 수요가 늘어나는 등 고객의 니즈가 세분화되는 점에 주목해 스마트 TV 내 관련 콘텐츠를 확대하는 한편, 이들과 시너지를 내 학습 효과를 높이는 LG TV 전용 카메라 'LG 스마트 캠(모델명: VC23GA)'을 출시함.
 
 LG 스마트 캠은 풀HD (1,920 x 1,080) 고해상도 촬영을 지원하고 듀얼 마이크를 탑재했음. LG 스마트 TV 독자 플랫폼인 webOS에 최적화해 TV 본체와 연결하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음.
 
 webOS 애플리케이션 가운데 홈트레이닝, 댄스 강습 플랫폼을 이용하는 고객들은 스마트 캠을 이용해 본인의 동작과 코칭 영상을 동시에 보면서 배울 수 있어 더 효과적임. '플렉시트(FlexIt)' 플랫폼 사용자는 LG 스마트 캠의 카메라와 마이크를 활용해 원격으로 1:1 개인 강습도 받을 수 있음.
 
 집에서 화상회의를 할 때도 유용함. LG TV에 스마트 캠을 연결해 대형 화면에서 회의 자료와 참여자 영상을 동시에 볼 수 있어 편리함. 스마트 캠을 사용하지 않을 때는 내장된 커버로 카메라 렌즈를 차단해 해킹 피해를 방지함.
 
 이 제품은 최근 출시한 LG 스탠바이미 Go 등 라이프스타일 TV를 비롯해 2022년 이후 출시한 모든 LG 스마트 TV와 사용할 수 있음. LG TV와 일체감 있는 얇은 디자인을 적용해 TV 화면부 상단에 깔끔하게 설치됨.
 
 LG 스마트 캠은 현재 온라인브랜드샵(LGE.COM)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 미국에 이어 유럽과 아시아 등 해외 지역에 순차적으로 출시할 계획임. 국내 출하가는 14만 2천원임.
'무선으로 즐기는 250W 강력 사운드' 포터블 파티스피커 LG 엑스붐 출시
 ('23.06)
내장 배터리를 탑재해 어디서나 강력한 사운드를 즐기는 포터블 파티스피커 'LG 엑스붐'을 국내시장에 출시함.
 
 LG 엑스붐(모델명: XL7S)은 엔데믹 이후 늘어나는 단체 모임, 야외 행사 등에 최적화된 포터블 스피커임. 강력한 사운드와 이동 편의성을 두루 갖춰 파티룸, 댄스스튜디오, 워크숍 장소 등 실내는 물론 펜션, 야외 공연장 등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음.
 
 이 제품은 20시간 연속 재생 가능한 내장 배터리(음량 50% / 음장 및 라이팅 효과 Off 기준)가 가장 큰 장점임. 스피커 상단 손잡이와 아래쪽 바퀴를 이용하면 여행용 캐리어처럼 간편하게 갖고 다닐 수 있음. 야외 환경을 고려해 IPX4 생활방수등급도 지원함.
 
 LG 엑스붐은 고음용 트위터 2개, 저음용 우퍼 1개 등 2.1 채널에 최대 250W의 강력한 사운드를 구현함. 특히 8인치 대형 우퍼는 드럼, 베이스 기타 등 저음 사운드를 더욱 풍부하게 표현함.
 
 모바일 기기에서 LG 엑스붐 앱을 이용하면 음악 비트에 맞춰 변하는 우퍼 조명의 색상과 점멸 패턴을 바꾸거나, 스피커 상단에 있는 픽셀 조명으로 40자 이내의 영어 텍스트나 캐릭터 애니메이션도 보여줘 흥겨운 파티 분위기도 연출할 수 있음.
 
 USB와 블루투스로 모바일 기기와 연결하면 스마트폰 등에서 듣던 음악을 강력한 사운드로 이어서 즐길 수 있고, 마이크와 기타를 연결하면 다양한 행사나 버스킹 공연 진행도 가능함.
 
 LG 엑스붐은 사양에 따라 XL7S(최대출력 250W / 20시간 재생 배터리 탑재), XL5S(최대출력 200W / 12시간 재생 배터리 탑재) 2가지 모델로 출시되며, 26일부터 온라인브랜드샵(LGE.COM)에서 구입 가능함. 출하가는 각각 64만 9천원과 44만 9천원임.
신개념 포터블 스크린
'스탠바이미 Go' 출시
 ('23.05)
원하는 곳 어디든 이동하며 즐길 수 있는 신개념 포터블 스크린 'LG 스탠바이미(StanbyME) Go'를 출시함.
 
 LG 스탠바이미 Go(모델명: 27LX5)는 무선 프라이빗 스크린 'LG 스탠바이미'와 함께 고객이 TV 시청을 즐기는 공간의 경험을 확장하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스크린임. 거실, 침실 등 기존 실내 공간뿐만 아니라 공원, 캠핑장 등 야외에서도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고 싶은 고객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해 이동 편의성을 강화했음.
 
 화면과 스탠드, 스피커 등을 모두 탑재한 일체형 디자인의 제품은 레디백 스타일의 여행 가방을 닮음. 케이스 상단에는 손잡이가 있어 들고 이동하기 편리함. 내부에는 리모컨, 전원 케이블 등 액세서리도 보관할 수 있음. 내장 배터리를 탑재해 전원 연결 없이 최장 3시간 동안 사용 가능함. 또 미국 국방성 내구성 테스트(Military Standard)의 11개 항목(저압 2종, 고온 2종, 저온 2종, 먼지, 진동, 염무, 충격, 낙하)을 통과해 내구성도 탁월함.
 
 별도의 조립이나 설치 과정 없이 케이스를 여닫기만 해도 화면이 켜지고 꺼짐. 27형 터치 화면은 ▲위로 최대 90도까지 기울이는 틸트(Tilt) ▲시계 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하는 로테이팅(Rotating) ▲최대 18cm 내 높낮이 조절 등을 지원함. 고객은 시청 환경에 따라 화면을 가로 또는 세로로 돌리거나 테이블 모드 등으로 이용할 수 있음.
 
화면을 눕혀 사용하는 테이블 모드에 특화된 게임과 테마 스킨 등 색다른 콘텐츠를 기본 제공함. 화면을 터치하며 체스, 틀린그림찾기 등 보드게임을 하거나 전용 스킨을 적용해 나만의 디지털 턴테이블로 음악을 감상하는 레트로(retro)한 이색 경험도 즐김.
 
 제품에 탑재된 20와트(W) 출력의 스피커는 자동으로 화면 모드에 맞춘 최적의 음향을 화면 앞쪽으로 발산해 소리가 보다 또렷하게 들림. 돌비社의 최신 영상기술 돌비비전(Dolby Vision)과 입체 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지원해 몰입감 넘치는 시청 경험을 즐길 수 있는 것도 특징임.
 
 다양한 편의 기능도 갖췄음.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webOS를 탑재하고 에어플레이와 화면 미러링 등을 지원해 iOS 및 안드로이드 OS 기기와 간편하게 화면을 공유할 수 있음. 또 음성인식을 지원해 집에서 요리, 청소 등을 하거나 캠핑 중 텐트를 설치하는 등 야외 활동 중에도 음성만으로 채널 변경, 음향 조절, 콘텐츠 검색 등이 간편함.
미세 초음파 클렌저
「LG 프라엘 워시멜로」 출시
 ('23.05)
여름철 피부관리에 최적화한 미세 초음파 클렌저 「LG 프라엘 워시멜로」를 출시함.
 
 「LG 프라엘 워시멜로」는 제품 헤드에 달린 브러시로 얼굴 피부를 부드럽게 문질러 세안하는 제품임. 피지 분비량이 많고 자외선 차단제를 자주 사용하는 여름에 특히 효과적임.
 
 브러시는 1초당 약 37만회 진동하는 미세 초음파로 피부 각질층을 흔드는 효과를 내 모공 세정 효과가 뛰어나고 피부자극은 적음. 회오리 모양으로 배열된 브러시 돌기는 피부와 접촉면이 넓어 보다 꼼꼼하게 세안할 수 있음.
 
 'P&K 피부 임상연구센터'가 성인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실험 결과에 따르면 「LG 프라엘 워시멜로」로 1회 세안시 모공 속 피지 덩어리인 화이트헤드와 블랙헤드가 손세안 했을 때보다 약 2.9배 줄었고, 과잉피지는 약 1.6배 줄었음. 피부결은 약 2배 개선됐고 피부 장벽 손상은 약 8.9배 감소했음.
 
 특히 이 제품은 세안 후 사용하는 기초 화장품 흡수에도 효과적임.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화장품 흡수 실험에서 워시멜로를 사용했을 때 고농축 기초 화장품인 앰플(ampule) 흡수율이 손세안 대비 5배 이상 높았음.
 
 「LG 프라엘 워시멜로」는 최대 1m 수심에서 30분까지 견딜 수 있는IPX7(Ingress Protection) 방수등급을 지원해 샤워 중에 사용하거나 세안 후 물로 세척할 수 있음. 국제표준규격(ISO10993)의 안정성 시험과 미국 FDA 규격도 통과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이 제품은 피부 민감도에 맞춰 진동 강도를 4단계로 조절 가능함. 길이와 무게가 각각 10.8cm와 180g에 불과하며 한 번 충전으로 최대 5개월(1일 1회 70초 모드 사용 기준) 사용할 수 있어 여행할 때 휴대하기도 편함.
올레드 TV와 찰떡궁합
「LG 사운드바」 출시
 ('23.03)
2023년형 LG 올레드 TV에 최적화한 사운드바를 출시하고 차원 높은 디자인과 몰입감으로 새로운 고객경험을 제시함.
 
 LG 사운드바 신제품(모델: SC9S)은 LG 올레드 에보(대상 모델: 55/65/77형, C2 / C3)와 함께 설치할 때 공간 활용도가 높음. 이 사운드바는 LG 올레드 에보 C 시리즈와 연결하는 전용 거치대가 함께 제공됨. 이를 통해 TV와 사운드바를 연결하기 위한 별도 시공 절차가 필요 없고 연결선도 깔끔히 정리됨.
 
 당사는 올해 출시된 LG 올레드 TV와 LG QNED TV(모델명: QNED85 / QNED80)에 최적화된 맞춤형 입체 사운드를 구현하는 '와우 오케스트라(WOW Orchestra)' 기능을 처음 적용함. 와우 오케스트라 기능은 TV와 사운드바 스피커를 동시에 활용해 풍부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제공함.
 
 신제품은 전면 스피커 3개, 중저음을 내는 서브우퍼 1개, 업파이어링 스피커 3개 등 3.1.3 채널에 최대 출력 400W를 지원함. 특히 당사가 2022년 세계 최초로 적용한 3개 업파이어링 스피커는 이번 모델에서 더욱 업그레이드돼 한층 풍부하고 정교한 입체 음향을 구현함.
 
 중앙에 위치한 업파이어링 스피커는 TV 아래 사운드바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TV 화면 중앙에서 나오는 것처럼 생생하게 들려줌. TV 크기가 점차 커지면서 화면 중앙부와 사운드바 간 거리가 멀어져 생기는 이질감을 줄이고 사실감을 높임.
 
 신제품은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 아이맥스 인핸스드(IMAX ENHANCED), DTS:X 등 다양한 사운드 솔루션들을 탑재해 집에서도 영화관처럼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음. 특히 콘솔 게임기를 연결해 게임을 즐길 때 4K 화질과 120Hz 주사율의 고화질 게임 콘텐츠를 매끄럽고 끊김 없이 재생함. 사운드바 조작도 간편함. webOS 홈화면 사운드바 메뉴에서 TV 리모컨으로 사운드바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음악, 영화, 스포츠 등 사운드 모드나 음량 등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
 
 한편 당사는 이번 신제품을 포함한 LG 사운드바에 재활용 플라스틱과 재생 포장재를 적용하는 등 환경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음. 신제품은 글로벌 인증기관인 UL과 SGS로부터 재활용 소재 사용 인증도 획득했음.
무선 이어폰 'LG 톤프리 핏'
원밀리언 에디션 출시
 ('23.03)
당사가 스포츠 특화 무선 이어폰 'LG 톤프리 핏'의 스페셜 에디션을 출시함.
 
 이번 스페셜 에디션은 역동적인 안무로 명성이 높은 인기 댄스크루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와 협업해 만든 제품임.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는 전세계 댄스 유튜브 채널 가운데 구독자수가 가장 많은 약 2,600만 명에 달할 정도로 GenZ로부터 인기가 높음.
 
 LG 톤프리 핏 원밀리언 에디션은 기존 톤프리 핏 제품의 장점인 스포츠 특화 기능에 원밀리언 댄스 스튜디오의 역동적인 이미지를 디자인으로 구현해 적용했음.
 
 이 제품은 귓바퀴 모양의 지지대를 적용해 격한 운동 중에도 안정적인 착용감을 제공함. IP67 등급의 방진/방수 기능을 갖춰 운동 중 땀이 흐르거나 비에 맞아도 사용할 수 있음. UV(자외선) LED로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등 유해 세균을 99.9% 제거해 주는 기능을 탑재해 땀, 먼지 등으로 오염되기 쉬운 이어폰을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음.
 
 제품 케이스에는 원밀리언의 로고와 부스트 블루와 부스트 라임의 투톤 색상, 우레탄 손잡이를 적용해 스포티한 느낌을 강조함.
10년 혁신으로 더 완벽해진
2023년형 LG 올레드 TV 출시
 ('23.03)
당사는 더 밝고 선명해진 올레드 에보(OLED evo)를 앞세워 다양한 폼팩터와 40형 대부터 90형 대에 이르는 업계 최다 라인업을 갖춘 올레드 TV를 이달 13일부터 국내 및 해외 시장에 순차 출시함. (출시 모델은 국가별로 다를 수 있음)
 
 ■ 올레드 名家 10년 혁신…진화한 올레드 에보(OLED evo)로 프리미엄 시장 선도
 
 올해 LG 올레드 TV는 ▲더 밝고 선명해진 올레드 에보(G/C시리즈) ▲합리적인 사양으로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힌 B/A시리즈 ▲복잡한 연결선을 없앤 M시리즈 ▲롤러블, 8K 등 최고의 기술 혁신이 담긴 R/Z시리즈 등 총 7개 시리즈 29개 모델로 구성됨.
 
 당사는 '밝기 향상 기술(Brightness Booster Max)'을 기반으로 더 밝고 선명해진 LG 올레드 에보(83/77/65/55G3)를 먼저 출시함. 세계 최대 크기인 97형(대각선 약 246센티미터) 신제품도 연내 출시 예정임.
 
 65형 올레드 에보(모델명: 65G3)의 경우 같은 화면 크기의 일반 올레드 TV 대비 최대 70% 가량 밝고, 기존 동급 제품 대비 빛 반사와 화면 비침 현상이 줄었음.
 
 LG 올레드 에보는 업계 유일의 올레드 TV 전용 인공지능(AI) 화질/음질 엔진인 알파9 프로세서 6세대를 탑재했음. 제작자의 의도까지 분석하는 업스케일링(Upscaling)은 더욱 진화했고 다이내믹 톤 맵핑 프로(Dynamic Tone mapping Pro)는 각 장면을 구역별로 세분화해 HDR(High Dynamic Range) 효과와 밝기를 세밀하게 조절함.
 
 인공지능 음향 기술은 2채널 음원을 가상의 9.1.2채널로 변환해 더 풍성한 음향을 자랑함. 또 처음으로 탑재한 와우 오케스트라(WOW Orchestra) 기능은 LG 사운드바와 맞춤형 입체 사운드를 구현함.
 
 당사는 게이밍 TV라는 새로운 시장을 창출한 48형과 세계 최소 42형(대각선 약 106센티미터)을 포함한 LG 올레드 에보(83/77/65/55/48/42C3)도 잇따라 출시함.
 
 이 밖에도 당사는 자발광(自發光, Self-Lit) 올레드 화질을 원하는 고객의 선택 폭을 넓혀주는 일반형 올레드 TV(모델명: 77/65/55B3, 77/65/55/48A3)도 순차 출시함.
 
 또 세계 최초 4Kㆍ120Hz 무선 전송 솔루션을 탑재한 'LG 시그니처 올레드 M(모델명: 97M3)'도 연내 출시하며 독보적인 올레드 시장 내 리더 지위를 공고히 할 계획임.
 
 ■ 'LG QNED' 앞세워 초대형 프리미엄 LCD TV 경험 지속 확대
 
 당사는 자발광(自發光) 올레드 TV를 필두로 미니 LED를 탑재한 QNED 에보(evo), QNED 등을 앞세워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함.
 
 특히 해상도(8K/4K), 크기(86/75/65형) 및 사양 등에 따라 3개 시리즈 8개 모델로 구성된 LG QNED 에보를 중심으로 초대형 프리미엄 LCD TV 시장 공략을 지속 강화함.
 
 LG QNED 에보는 미니 LED 광원과 독자 고색재현(WCG: Wide Color Gamut) 기술인 '퀀텀닷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를 적용한 프리미엄 LCD TV임. 퀀텀닷(Quantum Dot)과 나노셀(Nanocell) 물질을 동시에 활용하는 퀀텀닷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는 정확하면서도 풍부한 색을 표현해줌.
 
 ■ 계정별로 나만의 화면을 구성하는 마이홈 등 개인화 맞춤 webOS 경험 확대
 
 당사는 올해 TV 사업의 새로운 비전을 '싱크 투 유, 오픈 투 올(Sync to You, Open to All)’로 정립했음. '개인의 취향과 라이프스타일에 맞춘 탁월한 시청 경험을 누구나 자유로이 누릴 수 있도록 한다’는 의미로 제품 개발부터 구매 및 사용에 이르는 모든 과정에서 고객 경험에 집중한다는 뜻임.
 
 이를 위해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인 webOS는 올해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한층 더 강화했음. webOS23을 탑재한 LG 스마트 TV 신제품은 방송 화면이 아닌 홈 화면으로 시작함.
 
 홈 화면에서부터 개인 맞춤형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계정별로 나만의 화면을 구성하는 마이홈(My Home) ▲쉽고 빠르게 원하는 콘텐츠만 골라 보는 퀵카드(Quick Card) ▲콘텐츠는 물론, 연관 TV 기능도 추천하는 AI 컨시어지 ▲나만의 맞춤 TV 화질 모드를 구성하는 맞춤 화면 설정(AI Picture Wizard) 등 다양한 편의 기능도 새롭게 적용됨.
 
 다양한 기기 간 경계를 넘어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CDX(Cross Device eXperience) 경험도 강화함. webOS 23을 탑재한 LG 스마트 TV는 새로운 스마트 홈 IoT 연동 표준인 매터(Matter)를 지원하는 다양한 스마트 기기들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음. 또 애플 홈킷(HomeKit) 및 에어플레이 2(AirPlay 2)를 지원하고, 아마존 알렉사(Alexa) 등을 탑재해 TV의 활용도도 높였음.
 
 당사는 남녀노소, 장애 여부와 관계 없이 누구나 쉽게 사용 가능하고 지속되는 스크린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제품 접근성도 대폭 강화했음.
 
 올해 LG 스마트 TV는 시각장애인 및 고령자를 위한 리모컨 배우기 기능과 청각장애인을 위한 수어 화면 크기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 TV를 생산할 때 드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줄이고 재활용 플라스틱과 컬러잉크를 사용하지 않는 등 친환경을 위한 노력도 지속하고 있음.
더 밝아진 LG 프로빔 프로젝터,
예술경험에도 최적
 ('23.02)
비즈니스 공간에 특화한 프로젝터 'LG 프로빔' 신제품을 국내 시장에 본격 출시함. 최근 미술관, 박물관 등 문화체험공간에서 영상을 활용한 콘텐츠 관람이 늘어나면서 뛰어난 화질과 초대형 화면으로 예술작품을 구현할 수 있는 고성능 프로젝터 수요도 함께 커지고 있음.
 
 당사가 이번에 출시하는 LG 프로빔 신제품(모델명: BU70QGA)은 회의실뿐만 아니라 미디어아트 상영에도 최적화된 제품임. 이 제품은 4K 고해상도와 3,000,000:1 압도적인 명암비를 갖췄음. 최대 7,000 안시 밝기로 당사의 프로젝터 가운데 가장 밝음.
 
 신제품은 가로나 세로로 최대 9대를 연결해 파노라마 영상 등을 구현함. 특히 당사가 이 제품에 처음 탑재한 '엣지 블렌딩' 기능은 여러 대의 프로젝터를 함께 사용할 때 각각의 화면이 겹치는 부분의 색이 왜곡되는 현상을 줄여 하나의 장면처럼 자연스럽게 보여줌.
 
 신제품은 탑재된 카메라를 통해 빛을 투사하는 벽의 곡률, 면적 등을 인식해 초점과 화면크기 등을 자동으로 최적화함. 미술관, 박물관 등 곡면벽이 많은 건축물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한편 당사는 지금까지 사이니지 제품 위주로 적용해온 B2B 제품 관리 솔루션을 프로젝터 제품에도 처음 적용해 서비스 고객만족도를 높임. 사용 중 이상을 발생했을 경우 제품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가 이를 실시간으로 감지해 신속히 조치되도록 도움.
 
 또한 여러 장소에 설치된 프로빔을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어 편리함. 예를 들어 프랜차이즈 회사 고객은 각 매장에서 LG 프로빔 신제품을 통해 상영하고 있는 영상이나 상품 정보를 일괄 수정할 수 있음. 제품 관리 서비스는 유료 가입 고객에게 제공됨.
얼굴 라인 케어하는
'LG 프라엘 더마쎄라' 출시
 ('23.01)
당사가 정교한 초음파 기술을 기반으로 얼굴 라인을 케어하는 뷰티기기 신제품 'LG 프라엘 더마쎄라'를 10일 출시함.
 
 'LG 프라엘 더마쎄라(모델명: BLQ1)'는 집에서도 편리하게 턱밑, 이마, 눈 주변, 볼 주변 등 처지기 쉬운 얼굴 부위의 탄력을 관리하는 제품임. 헤드 부위를 피부에 밀착시킨 뒤 버튼을 터치하면 피부 3mm 아래 부위에 초음파가 정확하고 균일하게 조사(照射)돼 콜라겐을 생성함.
 
 'LG 프라엘 더마쎄라'는 고객이 원하는 부위에 초음파를 정밀하고 균일하게 제어하는 기술을 적용해 피부 탄력 개선 효과와 안정성에 장점이 있음.
 
 초음파를 정확하게 제어하지 못하면 원하지 않는 피부 부위까지 자극해 통증을 동반한 불편함을 줄 수 있음. 당사는 이 같은 고객 페인 포인트(Pain Point,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정밀한 제어 기술력으로 개선했음.
 
 더마쎄라는 피부탄력 관리 효과가 탁월함. P&K 피부임상연구센터가 성인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피부 개선 실험 결과에 따르면 주 1회씩 4주 동안 더마쎄라를 사용하여 턱밑과 이마 피부 탄력을 각각 34.8%과 29.8%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음.
 
 당사는 포항공대와 산학협력을 통해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적용했음. 피부에 닿는 헤드 크기와 손잡이 두께는 물론 제품 무게(280g)와 길이(20cm) 등은 한 손으로 들고 사용하기에 편리함. 당사는 주 1회 제품 사용을 권장하며 사용 부위와 피부 타입에 따라 회당 초음파 샷(Shot) 최대 300회를 제공함. 기본 제공되는 카트리지는 초음파 샷을 3만회 가량 사용 가능하며 이후 추가로 구입할 수 있음.
 
 더마쎄라는 프라엘 제품 가운데 처음으로 와이파이를 탑재해 'LG 프라엘 케어앱'과 연동한 새로운 고객경험을 제공함. 스마트폰 앱에서 초음파 샷 잔여 횟수, 권장 사용 주기, 얼굴 부위별 사용 가이드 등은 물론 피부 유형 진단, 추천 화장품 등 다양한 정보도 확인할 수 있음.
 
 또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를 적용해 헤드가 올바른 사용 각도를 벗어난 경우 초음파 조사를 스스로 멈추고 음성으로 정확한 사용 방법을 알려줌.
 
 당사는 피부에 직접 닿는 뷰티기기 특성을 고려해 UV LED 살균 크래들도 제공함. 충전과 동시에 헤드 부위의 대장균, 포도상구균 등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는 균을 99.99% 이상 제거함.
LG 올레드 TV, 주변기기 연결선 없애 공간의 자유로움 찾았다
 ('23.01)
당사가 CES 2023 개막을 앞두고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프레스 콘퍼런스 현장에서 올레드 10년의 기술과 디자인을 집약한 LG 시그니처 올레드 M(LG SIGNATURE OLED M, 97M3)을 처음 공개함.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현존 최대 크기인 97형(화면 대각선 약 245센티미터) 올레드 TV에 세계 최초로 4K(3,840×2,160) 해상도ㆍ120Hz 주사율 규격의 영상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 솔루션을 탑재했음.
 
 ■ 세계 최초 4Kㆍ120Hz 무선 전송 솔루션 탑재 'LG 시그니처 올레드 M'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TV 본체와 약 10미터(화면 정면 기준) 내에서 4Kㆍ120Hz 고화질 영상의 무선 전송이 가능한 '제로 커넥트 박스(Zero Connect Box)'로 구성됨. 제로 커넥트 박스는 ▲HDMI 2.1 ▲USB ▲RF ▲LAN 포트 ▲블루투스 등을 지원해 콘솔 기기, 사운드 바 등 다양한 주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AV 전송박스임.
 
 예를 들어 주변 기기와 연결된 제로 커넥트 박스는 소파 옆에 두고 TV를 벽이나 전용 스탠드와 함께 설치하면 스크린 주변에 전원을 제외한 모든 선(線)이 사라져 TV가 설치된 주변 공간을 깔끔하게 정리할 수 있음. 복잡한 주변 기기를 화면과 분리 보관해 고객이 원하는 데로 거실 내 인테리어를 바꾸거나 TV와 가구를 재배치할 때도 수월함.
 
 기존에도 주변 기기를 TV에 직접 연결하는 대신 별도의 연결용 박스를 활용하는 경우가 있었음. 하지만 이 경우 연결용 박스는 다시 TV와 유선으로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TV 주변을 깔끔하게 연출하기 위해서는 주변 기기를 보관할 수납장이 추가로 필요함. 신제품은 거실 공간 인테리어를 고민하는 고객들의 이러한 번거로움을 해결했음.
 
 당사 독자 기술로 완성한 무선 AV 전송 솔루션은 기존 와이파이6(Wi-fi 6E) 대비 최대 3배 이상 빠른 속도로 대용량 데이터를 전송함. 특히 무선 환경에서도 영상ㆍ음향기술 전문브랜드 돌비(Dolby)의 영상기술 돌비비전(Dolby Vision)와 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모두 지원함.
 
 제로 커넥트 박스는 놓는 위치에 따라 안테나의 송신 방향을 조절할 수 있음. 또 장애물을 실시간으로 인식하고 최적의 전파 송ㆍ수신 경로를 설정해주는 알고리즘을 탑재해 TV 본체와 박스 사이에 사람이 움직이며 전파를 가로막을 때에도 끊김 없이 부드러운 영상을 즐길 수 있음.
 
 이 밖에도 당사는 4Kㆍ120Hz 무선 전송 기술을 탑재한 83/77형 올레드 TV도 선보일 예정임.
 
 ■ 세상에 없던 TV 시청 경험을 제공해 온 LG 올레드 TV
 
 LG 시그니처 올레드 M은 LG 올레드 10년의 기술과 디자인 혁신을 고스란히 담아냈음. 이 제품은 ▲패널 뒤에 얇은 강화유리 한 장만을 붙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TV(2016년) ▲두께 4mm가 채 안 되는 월페이퍼(Wallpaper) LG 시그니처 올레드 W(2017) ▲세계 최초 8K 올레드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8K(2019) ▲세계 최초 롤러블(Rollable) TV인 LG 시그니처 올레드 R(2020) 등에 이어 당사가 5번째로 선보이는 LG 시그니처 올레드 TV임.
 
 이 제품은 차별화된 기술과 디자인 혁신을 인정받아 ▲내장기술(Embedded Technologies) ▲영상디스플레이(Video Display) 부문에서 각각 美 소비자기술협회(CTA)가 시상하는 CES 혁신상(CES 2023 Innovation Awards)을 받았음.
VS GM '인포테인먼트ㆍ텔레매틱스 분야 최우수 공급사'로 선정
 ('23.03)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 GM(General Motors Co.)으로부터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전장부품의 우수성을 인정받음. 당사는 최근 GM이 주최한 '제 31회 올해의 공급사 시상식(31st Annual Supplier of the Year Awards)'에서 '인포테인먼트 및 텔레매틱스 분야 최우수 공급사'로 선정되는 영예를 안았음.
 
 이번 수상은 뛰어난 제품 경쟁력뿐 아니라 코로나19를 겪으며 반도체 부족, 완성차 업체의 생산라인 가동 중단 등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당사가 부품을 적기 공급하며 함께 위기를 극복하고자 노력한 바를 인정받은 것이라 더 큰 의미가 있음.
 
 GM은 매년 구매, 엔지니어링, 품질, 제조, 물류 분야의 공급사 성과를 평가함. 그 중 기술 혁신성, 품질 우수성 등으로 GM의 사업성과에 크게 기여한 회사를 올해의 공급사로 선정해 포상하고 있음.
 
 당사는 이번 수상을 포함해 총 6번에 걸쳐 GM 올해의 공급사에 선정됐음. 2014년 올해의 공급사 선정을 시작으로 2016년과 2022년에 품질 우수성을 인정받아 오버드라이브상(Overdrive Award)을, 2017년과 2020년에는 차량 성능과 고객경험 향상에 기여해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받음.
 
 당사는 전장사업을 담당하는 VS사업본부 출범 이전인 2006년부터 GM에 텔레매틱스 모듈을 공급하기 시작하면서 공고한 협력관계를 구축해왔음. 이후 ▲2016년 출시된 전기차 '쉐보레(Chevrolet) 볼트(Bolt) EV'에 핵심부품 11종 공급 ▲프리미엄 브랜드 '캐딜락(Cadillac)'에 세계 최초 플라스틱 올레드(P-OLED) 기반 '디지털 콕핏(Digital Cockpit)' 시스템 공급 등 GM과 함께 혁신적인 차량 내 경험을 만들고 있음.
 
 앞서 당사는 2022년 11월 GM과 中 자동차 제조사 상하이자동차(SAIC Motor)의 합작회사인 상하이GM(SAIC-GM)으로부터 올해의 우수 공급사로 선정되기도 했음.
 
 당사는 고객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해 기존 자동차 산업에서 볼 수 없던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제안해 차별화된 가치를 만들고 있음. 특히 자동차의 중심이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로 이동하는 최근 트렌드에 맞춰 사람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인 소프트웨어 기반 HMI(Human-Machine Interface) 솔루션을 완성차 업체에 선제적으로 제안하며 혁신 파트너로서의 입지를 다지고 있음.
 
 당사는 지난 10년간 꾸준히 사업을 고도화하는 노력을 기울인 결과, 2022년 연간 영업이익이 처음으로 흑자를 기록하며 턴어라운드에 성공한 바 있음. 축적된 전장 사업의 수주잔고는 2022년말 기준 80조 원을 상회하며 지속 확대 중임.
BS 한국 브랜드 최초 폴더블 노트북
'LG 그램 폴드' 출시
 ('23.09)
올해로 10년 차를 맞은 초경량ㆍ프리미엄 노트북의 대명사 'LG 그램(gram)'의 기술과 디자인 혁신을 고스란히 담아낸 'LG 그램 폴드(Fold)'를 출시함.
 
 한국 브랜드 최초의 폴더블(Foldable) 노트북 'LG 그램 폴드(모델명: 17X90R)'는 그램의 초경량ㆍ대화면의 정체성을 계승하고, 화면을 접었다 펼치는 자유로움을 더해 고객에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 경험을 제시함.
 
 LG 그램 폴드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얇고, 구부리기 용이한 자발광(自發光) 올레드의 강점을 활용했음. 화면을 펼쳤을 때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9.4mm로 얇고 완전히 펼치면 17형 대화면(대각선 길이 약 43cm), 화면을 접으면 12형(대각선 길이 약 31cm)임.
 
 당사는 접으면 12형 노트북, 펼치면 17형 태블릿, 전자책 등 다양하게 변환되는 폼팩터에 맞춰 최적의 UI/UX 및 다양한 주변 기기와의 연결성 등을 강화했음.
 
 예를 들어 좁은 공간에서 화면을 접어 사용할 때는 아래 화면에 가상 키보드를 활성화하고 노트북으로 이용함. 또 가상 키보드가 익숙하지 않으면 아래 화면에 블루투스 키보드를 올려놓고 노트북과 연결해 사용함. 이 경우 아래 화면은 자동으로 꺼짐.
 
 노트북을 가로로 세워 책처럼 화면 가운데를 살짝 접으면 자동으로 화면이 회전되고 비율이 조절돼 이북(e-book)이나 문서를 읽기도 편리함. 태블릿처럼 터치 펜으로 필기하거나 그림을 그리기도 하고, 키보드나 마우스 없이도 화면 터치만으로 화면을 켤 수 있음.
 
 또 노트북을 펼쳐 세로로 세우면 하나의 모니터로도 사용함. 이때 화면을 상하로 분할하면 영상을 보며 동시에 편집 작업을 하는 유튜버나 여러 작업을 동시에 띄워 놓고 검토하는 디자이너에게 유용함.
 
 LG 그램 폴드는 4:3 화면비의 17형 QXGA+(1,920×2,560) 고해상도 올레드 터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 OLED의 장점인 압도적인 명암비와 블랙 표현은 물론, 디지털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9.5% 충족해 색 표현도 풍부하고 자연스러움.
 
 인텔의 최신 13세대 프로세서와 최신 저전력 메모리를 적용해 성능도 뛰어남. 제품에 내장된 3개의 스테레오 스피커는 화면 전환에 따라 자동으로 왼쪽, 오른쪽을 파악해 최적의 소리를 전달함. 돌비사의 최신 입체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도 지원함.
 
 최대 17형 대화면과 72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도 본체 무게가 약 1,250그램에 불과해 휴대성도 탁월함. 화면이 접히는 힌지(Hinge) 부위는 내구성 검증을 위해 3만 번에 이르는 접힘 테스트를 통과했음.
프리미엄 홈 시네마를 위한 초대형
'LG 마이크로 LED' 출시
 ('23.09)
집에서도 초대형 화면으로 프리미엄 홈 시네마를 즐기고 싶은 고객을 위한 마이크로 LED 신제품을 출시함.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에서 열린 영상가전 전시회 'CEDIA 2023'에서 118형 'LG 매그니트(MAGNIT)' 마이크로 LED 신제품(모델명: LSAL006)을 처음 공개했음. 북미를 시작으로 한국 등 글로벌 국가에 순차 출시함.
 
 당사는 ▲비즈니스 공간에 최적화된 올인원 타입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전용 ▲설치와 관리가 편리한 전원공급장치(PSU) 분리형 등 상업용 공간에 최적화한 마이크로 LED 라인업을 지속 확대한 데 이어, 프리미엄 홈 시네마 고객을 위한 제품도 기존 136형 모델을 포함해 2종으로 늘렸음.
 
 이 제품은 118형(대각선 길이 약 3미터) 크기의 화면에 4K(3,840×2,160) 해상도를 지원해 한쪽 벽면을 가득 채우는 몰입감 넘치는 초대형 스크린 경험을 제공함. 독자 디스플레이 표면 처리 기술을 적용해 어떤 각도에서 바라보더라도 색을 또렷하게 보여줌. 표면에 적용한 블랙 코팅은 블랙 색상을 깊고 풍부하게 표현해 초대형 화면의 몰입감을 한층 높여줌. 특히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自發光) 디스플레이 특유의 뛰어난 명암비와 색 재현력은 물론, 화면 전체를 균일한 밝기로 표현해 통일감 있는 자연스러운 화질을 구현함.
 
 제품에 탑재된 6세대 인공지능(AI) 알파9 프로세서는 영상 제작자의 의도까지 분석해 화면 노이즈를 조절하고, 장면 속 인물의 얼굴, 사물, 글자, 배경 등을 인식해 보다 자연스럽고 입체감 있는 화질을 보여줌. 화면 좌우에 탑재된 스피커는 각각 최대 4.2채널 입체음향에 50와트(W) 출력을 냄. 고품질 음원을 손실 없이 재생하는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를 지원해 집에서도 영화관처럼 풍부한 음향을 즐길 수 있음.
 
 다양한 편의 기능도 갖췄음. 독자 스마트 TV 플랫폼 webOS를 기반으로 유튜브, 디즈니플러스, 애플TV 등 OTT 서비스를 초대형 화면으로 즐길 수 있음. 또, 에어플레이(Airplay) 2와 미라캐스트(Miracast) 등을 지원해 iOS 및 안드로이드 OS 기기와 편리하게 화면을 공유함. 4개의 HDMI 2.1 포트를 탑재하고 와이사(WiSA) Ready, 블루투스 등 다양한 무선 연결도 지원함.
 
 제품의 설치 환경과 고객의 건강도 고려했음. 美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전자파 적합성 규제 기준에 따라 주거 공간 전자파 인증(EMC Class B)을 받았고 英 표준협회(BSI)에서 규정한 난연성 평가 테스트(BS476 Part7)에서 'Class 1' 등급을 획득했음. 청색광 방출량을 줄여 글로벌 규격 인증기관인 獨 TUV 라인란드(Rheinland)로부터 '아이컴포트(Eye Comfort)' 인증도 받았음.
 
 당사는 프리미엄 오디오 브랜드 뱅앤올룹슨(Bang & Olufsen, 이하 B&O)과 협업해 LG 매그니트의 몰입감 넘치는 화질과 B&O의 프리미엄 사운드를 동시에 경험할 수 있는 홈 시네마 공간도 조성할 계획임.
비즈니스 공간에 최적화한
올인원 타입 LG 마이크로 LED 출시
 ('23.08)
비즈니스 공간에 최적화한 올인원 타입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 올인원(모델명: LAAA)'을 글로벌 시장에 출시하며 다양한 공간 맞춤형 디스플레이 솔루션을 확대함. LG 매그니트 올인원은 136형 초대형 화면,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 스피커를 '올인원' 형태로 내장한 첫 마이크로 LED 제품임.
 
 이 제품은 기업의 디지털 전환과 엔데믹 이후 증가하는 비즈니스 미팅 수요에 최적화했음. 자발광(自發光) 디스플레이만의 압도적 화질을 갖췄고, 회의실 등 업무 공간에 최적화된 디자인과 편의 기능을 강화했음. 특히 컨트롤러와 스피커가 내장돼 설치와 사용이 편함. 전원, HDMI 포트 등 입력 단자가 화면부 아래에 배치돼 외부 기기 연결이 수월함. 연결된 선들은 화면 밑 테두리 안쪽에 감출 수 있어 주변 공간도 깔끔함.
 
 프레젠테이션 타이머 기능과 사이니지의 화면 보호 모드에서 회의 주제 등 고객이 원하는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도 유용함. 함께 제공되는 매직리모컨에도 회의 특화 기능이 탑재됐음. 마우스 커서를 움직이는 것처럼 사이니지를 간편하게 조작하거나 회의 중 레이저 포인터로 활용할 수 있음. 리모컨의 프리즈(FREEZE) 버튼을 눌러 공유 화면을 고정한 채 PC에서 추가 작업도 가능함.
 
 LG 매그니트 올인원은 화질도 강점임. 독자 디스플레이 표면 처리 기술을 적용해 다양한 각도에서도 색을 왜곡 없이 선명하고 정확하게 보여줌. 디스플레이 표면에는 블랙 코팅을 입혀 깊고 풍부하게 검정 색상을 표현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높음.
 
 제품의 설치 환경과 고객의 안전도 고려했음. 美 연방통신위원회(FCC)의 전자파 적합성 규제 기준에 따라 상업 공간전자파 적합 인증(EMC Class A)을 받았고, 英 표준협회(BSI)에서 규정한 난연성 평가 테스트(BS476 Part7)에서 테스트 시간 동안 발화점으로부터 165mm 이상 번지지 않는 'Class 1' 등급을 획득했음.
 
 당사는 압도적 화질을 제공하는 마이크로 LED 사이니지 「LG 매그니트」를 2020년에 처음 출시한 데 이어 ▲콘텐츠 제작자들을 위한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제품(모델명: LBAF) ▲스마트 TV 플랫폼 webOS를 탑재한 136형 홈 시네마 제품(모델명: LSAD) ▲화면부와 전원 공급장치를 분리해 다양한 공간에 설치 가능한 제품(모델명: LSAQ) 등 공간 맞춤형 라인업을 지속 확대하고 있음.
디지털 취약계층 정보접근성 높인
LG 키오스크 출시
 ('23.07)
당사가 누구나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키오스크 신제품을 선보임. 이번에 선보인 키오스크(모델명: 27KC3PJ)는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을 대폭 개선한 것이 특징임.
 
 정보접근성은 장애인이나 고령자 등 개인이 시각이나 청각 등 신체적, 인지적 제약에 의한 불편함 없이 서비스나 제품을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함. 키오스크 보급이 늘면서 디지털 취약계층의 정보접근성에 관심이 증가하는 추세임.
 
 LG 키오스크는 무인솔루션 전문업체 한국전자금융과 한국향 전용 UX를 개발해 ▲보다 큰 글씨와 선명한 화면을 보여주는 '저시력자 모드' ▲휠체어를 이용하거나 신장이 작은 고객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요 메뉴를 화면 아래쪽에 배치한 '저자세 모드'를 제공함.
 
 올 하반기부터는 촉각(tactile) 키패드를 활용한 '음성 메뉴 안내 모드'를 지원하는 키오스크를 국내 프랜차이즈 매장에 설치할 예정임. 촉각 키패드를 활용하면 빛을 전혀 지각하지 못할 정도로 시각에 장애가 있는 전맹(全盲) 고객도 음성 메뉴 안내에 따라, 키패드의 방향키를 눌러 메뉴를 찾아 주문하고 결제 하면 됨.
 
 셀프 주문 및 결제솔루션을 탑재한 LG 키오스크는 통상 22형 또는 24형 키오스크들과 달리 27형(대각선 길이 약 68센티미터) 터치스크린을 적용해 시인성이 높음. 화면을 터치하는 곳과 센서가 반응하는 부분이 일치해 터치감과 반응속도도 뛰어남. 마이크로소프트의 임베디드 전용 운영체제 윈도우10 IoT(Windows 10 IoT Enterprise)를 적용해 별도 PC 연결 없이도 작동됨.
 
 한편 당사와 한국전자금융은 키오스크의 정보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지난 1월 '장애인 차별 금지법' 시행령 개정 이전부터 지속적인 노력을 함께 기울여 왔음. 실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지정 시험평가기관인 한국접근성평가연구원에서 진행한 '정보접근성 준수 우선구매 검증용 접근성 평가'에서 우수한 평가를 받았음. 이를 토대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최종 검증 심사를 통해 키오스크 부문 「우선구매대상 지능정보제품 검증서」를 취득하였음. 키오스크 제품 및 키오스크 제조 기업 최초임. 검증서 발급 제품은 국가기관 등의 우선구매 대상임.
 
 지난해에는 자발적으로 외부 컨설팅 기관과 함께 두 차례에 걸쳐 총 77개 항목에 대한 기술성 및 사용자 진단평가를 진행하기도 했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따르면, 국내 키오스크는 2022년 기준 약 45만대가 보급된 것으로 추정됨.
더 똑똑해진 'LG 클로이 서브봇'
 ('23.04)
성능과 고객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킨 LG 클로이 서브봇(LG CLOi ServeBot)을 선보임. LG 클로이 서브봇은 ▲LG 클로이 가이드봇 ▲LG 클로이 캐리봇 ▲LG 클로이 UV-C봇 등 당사의 주요 로봇 라인업 중 하나임.
 
 2020년 1세대, 2021년 2세대에 이은 이번 3세대 LG 클로이 서브봇은 '더욱 신뢰할 수 있는 서빙 전문가'를 표방함.
 
 6개의 바퀴에 독립 서스펜션을 적용해 국밥, 라면 및 음료 등 액체가 담긴 음식을 싣고도 불규칙한 매장 바닥 환경에서 안정적으로 주행함. 급정거나 급출발, 떨림으로 인한 국물 넘침 현상을 최소화했음.
 
 라이다 센서와 3D 카메라가 공간을 인식하고, 자동문도 스스로 통과할 수 있어 주행영역이 대폭 확대됐음. AP 없이 로봇간 통신이 가능해 10대 이상의 로봇도 동일 공간에서 동시에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음. 완전 충전 시 11시간 연속 주행 가능하며, LG 클로이 서브봇 최초로 자동/수동 겸용 충전 방식을 도입했음.
 
 고객 지향 기능은 더욱 다양해졌음. 특히 서빙이라는 본연의 임무에 충실하고매장의 효율적 운영을 돕는 서비스를 대폭 강화했음.
 
 기존 제품(500400mm) 대비 트레이(444532mm)가 넓어졌고 40kg까지 담을 수 있어, 식기가 무거운 양식부터 가짓수가 많은 한식까지 다양한 종류와 많은 양을 손쉽게 옮길 수 있음. 매장환경이나 배송 물품에 맞게 트레이 높이를 조절하거나 뺄 수도 있음. 트레이 무게 감지가 가능하며 고객이 음식을 내리면 출발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이동함. 반대로 트레이의 식기가 가득 차면 퇴식구로 알아서 움직임.
 
 메뉴판, 주문서, 계산서, 필기도구 등 주문관련 도구 수납이 가능한 다용도 포켓과 테이블 청소와 정리도구 수납에 적합한 매니저 전용 수납 공간을 마련했고, 음료를 안전하게 서빙할 수 있는 전용 컵홀더도 옵션으로 장착할 수 있음.
 
 최종 고객인 매장 방문 손님을 즐겁게 하는 기능도 다양함. CMS(customer Management System)가 탑재되어 모바일 앱으로도 손쉽게 콘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음. 10인치 디스플레이를 통해 대기 고객들에게는 각종 홍보영상과 메뉴 안내를, 자리가 나면 테이블까지 에스코트를 제공함. 원하는 형태의 안드로이드 어플리케이션 탑재도 가능함.
역대 가장 얇은 'LG 그램' 노트북
신제품 출시
 ('23.03)
당사의 초경량 프리미엄 노트북 'LG 그램(gram)'이 더 얇고 가벼워짐.
 
 LG 그램 신제품(모델명: 15Z90RT)의 두께는 역대 그램 가운데 가장 얇은 10.9mm에 불과함. 같은 화면 크기의 그램보다 4.4mm 더 줄었음. 무게는 990g으로 15.6형(대각선 길이 39.6cm) 대화면을 탑재하고도 1kg을 넘지 않음. 가벼운 무게와 날렵한 디자인은 가방에 넣고 휴대하기에도 편함.
 
 제품 외관 소재는 가벼우면서도 강도가 뛰어나 우주선이나 경주용 자동차 등에 많이 사용되는 '마그네슘합금'을 적용해 내구성이 뛰어남.
 
인텔 최신 13세대 프로세서를 탑재해 고화질 영상 및 이미지 편집 작업 시 쾌적함. 최신 4세대 저장장치(SSD)는 물론, 기존 제품(LPDDR4X) 대비 성능은 40% 향상되고 소비 전력은 20% 줄인 최신 저전력 메모리(LPDDR5)를 탑재하는 등 성능도 탁월함.
 
 신제품은 FHD(1920×1080)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 OLED 장점인 압도적인 명암비와 블랙 표현은 물론, 디지털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100% 충족해 색 표현이 풍부하고 자연스러움. 패널에는 빛 반사와 눈부심을 줄여주는 '눈부심 방지&저반사(AGLR, Anti-Glare & Low Reflection)' 코팅을 적용함.
 
 또 최대 5와트(W)의 강력한 사운드를 출력하는 스마트 앰프와 입체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지원함. 고객이 노트북을 사용하는 어떤 공간에서도 풍부한 입체 음향을 즐길 수 있음.
 
 색상은 넵튠블루, 화이트 2가지임. 넵튠블루 색상의 제품 먼저 출시됨. 국내 출하가는 224만 원(i5/16GB/256GB/OS 탑재 기준)이며 사양별로 다름.
 
 LG 그램은 올해로 출시 10년 차임. ▲세련된 디자인을 극대화한 'LG 그램 스타일(gram Style)' ▲한층 더 업그레이드된 성능의 'LG 그램' ▲2in1 폼팩터의 '그램 360' 등 혁신을 이어가며 고객에게 새로운 초경량 노트북 경험을 계속 전달할 계획임.
LG 그램, 초경량ㆍ대화면에 디자인 혁신까지 새로운 고객 경험 선보인다
 ('23.01)
2014년 국내 노트북 제조사 최초로 무게가 1kg 미만인 980g 초경량 노트북 'LG 그램'을 선보였으며, 이후 대용량 배터리, 대화면, 고성능 등 고객들의 목소리를 적극 반영, 혁신을 거듭하며 초경량 프리미엄 노트북 시장을 선도해 왔음.
 
 2023년형 LG 그램은 한층 업그레이드된 성능은 물론, 완전히 새로워진 디자인을 앞세워 고객들에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함.
 
 ■ LG 그램 10년의 혁신…새롭게 선보이는 프리미엄 디자인 'LG 그램 스타일'
 
 2023년 처음 선보이는 LG 그램 스타일(LG gram Style, 모델명: 16Z90RS, 14Z90RS)은 초경량 프리미엄 노트북 그램의 정체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세련된 디자인은 한층 극대화한 제품임.
 
 제품 외관에는 빛의 각도나 보는 방향에 따라 다채롭게 색이 변하는 오로라 화이트 색상과 코닝사의 고릴라 글라스(Gorilla® Glass) 소재를 적용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음. 또 키보드 아래 공간에는 사용자가 터치할 때만 LED 불빛으로 드러나는 히든 터치패드를 탑재해 깔끔함.
 
 신제품은 그램 최초로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 대표모델인 'LG 그램 스타일 16'은 16:10 화면비의 16형 WQHD+(3200×2000) 고해상도 OLED 디스플레이를 채택했음. 0.2ms 응답속도와 최대 120Hz 주사율을 지원해 빠르게 전환되는 영상도 매끄럽고 선명하게 표현함.
 
 OLED의 장점인 압도적인 명암비와 블랙 표현은 물론, 디지털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100% 충족해 색 표현도 풍부하고 자연스러움. 패널에는 빛 반사와 눈부심을 줄여주는 AGLR(Anti-Glare & Low Reflection)를 적용했음.
 
 LG 그램 스타일은 16형과 14형 2종으로 출시됨. 국내 출하가는 LG 그램 스타일 16의 경우 274만 원(i5/16GB/256GB/OS 탑재 기준), LG 그램 스타일 14는 249만 원(i5/16GB/256GB/OS 탑재 기준)임.
 
 ■ 더욱 업그레이드된 성능과 휴대성을 갖춘 23년형 'LG 그램'
 
 2023년형 LG 그램 신제품(모델명: 17Z90R, 16Z90R)은 성능과 휴대성을 한층 더 업그레이드했음.
 
 신제품은 16:10 화면비의 WQXGA(2,560×1,600) 해상도 IPS 디스플레이와 엔비디아(NVIDIA)의 고성능 노트북용 외장 그래픽카드(Geforce RTX™ 3050 Laptop GPU)를 탑재했음. 사용환경에 따라 31Hz부터 최대 144Hz까지 자동으로 주사율을 전환하는 VRR(가변주사율, Variable Refresh Rate)도 지원해 역동적인 게임을 즐기거나 고화질 영상 편집 시에도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
 
 2023년형 그램 노트북 전 모델은 인텔의 최신 13세대 프로세서와 최신 저전력 메모리를 적용했음. 또 최대 5와트(W) 출력의 스마트 앰프와 입체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처음으로 지원함. 충전 어댑터의 부피와 무게는 전작 대비 각각 46%, 24% 가량 낮춰 휴대하기에도 편리함.
 
 LG 그램 16의 출하가는 244만 원(i5/16GB/256GB/OS 탑재 기준), LG 그램 17은 259만 원(i5/16GB/256GB/OS 탑재 기준)이며 세부모델별로 다름.
이노텍

GM향 BEV3 3.6kW DC-DC 컨버터

- GM의 신규 전기차 플랫폼 BEV3용 3.6kW Standalone Type DC-DC 컨버터 양산

JLR향 PJT 3건 양산
1) mHEV(Mild Hybrid) DC-DC
2) eARC(Electric Anti Roll control) DC-DC
3) BEM (Battery Electric Module)

- JLR의 DC-DC Application 2종 및 신규 모델인 BEM 양산

자율주행용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

- 자율주행 대응을 위한 퀄컴칩 기반 2세대 '5G-V2X 통신모듈' 개발

- 기존 대비 차량과 사물간(V2X·Vehicle to Everything) 원거리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4배 이상
   (35→150Mbps) 개선 함

자계 강건화 EPS 센서(TAS) 개발

- Global 최고 수준 MFI(Magnet Field Immunity)성능의 자기식 TAS(Torque Angle Sensor)

 개발로 차세대 전기차 대상 센서 시장 선점 기대

GM BEV3 복합모듈용 2.2kW DC-DC 컨버터 (HV/LV 2종) - GM의 신규 전기차 플랫폼 BEV3용 복합모듈에 적용되는 2.2kW Integrated Type DC-DC  컨버터 양산
기타 6G 테라헤르츠 대역
실외 500m 무선 데이터 송수신 쾌거
 ('23.09)
당사가 미래사업의 유력 기반기술로 평가받는 6G 통신분야 선행 연구개발에서 글로벌 최고 수준의 기술 리더십을 입증함.
 
최근 서울 마곡 LG사이언스파크 일대에서 시험 주파수를 할당받아 진행한 6G 테라헤르츠(THz) 대역 무선 데이터 전송 테스트에서 도심지역으로는 세계 최장거리 수준인 실외 500미터(m)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함. 테스트는 지난 11일부터 25일까지 2주간 LG유플러스와 공동 진행했음.
 
이번 성과는 지난해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실외 320m 거리 6G 무선 송수신에 성공한 이후 1년만에 얻은 쾌거임. 당시 당사는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다채널 전력 증폭기 ▲저잡음 수신신호 증폭기 ▲적응형 빔포밍 솔루션 등 6G 핵심 송수신 장비를 공동 개발한 바 있는데, 최근 성능 최적화 등을 거쳐 이들 장비의 무선 전송 출력을 50% 이상 추가 향상시켰음.
 
 또한 이번 결과는 도심 지역 고출력 기지국의 기준간격에 해당하는 500m 거리 무선 송수신에 성공한 것뿐 아니라 ▲건물과 건물 ▲건물과 지상 단말 ▲지상 단말간 등의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에 기반한 테스트를 진행하며 6G의 활용성을 검증한 것이라 의미가 더욱 큼. 실내ㆍ외를 포함한 도심 전반 환경에서 6G 테라헤르츠 통신 상용화에 한 발 더 다가섰다는 의미임.
 
6G는 몰입형 실감 콘텐츠 전송, 초저지연/고신뢰 전송, 통신-AI 결합, 통신-센싱 결합 등이 가능해 자율주행, 모빌리티, 메타버스,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등 LG전자가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음. 오는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께 상용화가 예상되는 만큼 선행 연구개발 단계부터 기술력을 축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당사는 2019년 카이스트(KAIST)와 국내 최초 6G 산학협력 연구센터인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국내외 우수 대학과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6G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음.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키사이트(Keysight Technologies Inc.) 등과도 6G 핵심기술 R&D 협력 벨트를 구축,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특히 당사는 지난 2021년부터 미국통신산업협회(ATIS)가 주도하는 6G 기술단체 넥스트 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에서는 국내 기업 가운데 유일하게 의장사로 활동하며 6G 통신기술의 활용 사례 발굴 및 기술적 요구사항 제정 프로젝트를 총괄하고 있음. 한편 당사는 내달 LG유플러스와 공동 주최하는 'LG 6G Tech Festa' 행사에서 그간의 다양한 6G 통신기술 분야 개발 성과들을 발표할 예정임.
마인드 웰니스 솔루션 '브리즈' 출시
 ('23.07)
스트레스나 불면에 시달리는 고객을 위한 마인드 웰니스 솔루션 '브리즈(brid.zzz)'를 새롭게 선보임.
 
 브리즈는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 조절을 유도하는 콘텐츠를 제공해 안정적인 컨디션을 만들어 주는 마인드 웰니스 솔루션임. 고객에게 산들바람(breeze) 같은 상쾌함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담은 이름임. 당사는 2023년초 미국 CES 2023에서 수면케어 솔루션으로 브리즈를 최초 공개한 후, 제품 업데이트 과정에서 마인드 웰니스 솔루션으로 확장했음.
 
 브리즈는 뇌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귀 모양에 맞춰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무선 이어셋과 뇌파 조절 유도 콘텐츠를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됨.
 
 차별화된 뇌파 감지 기술을 기반으로 뇌파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사용자의 상태를 측정하고, 스마트폰에 기록된 생활 데이터와 연계해 안정과 숙면에 최적화된 솔루션을 제공하는 방식임. 사용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더욱 개인화된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
 
 브리즈에는 좌뇌와 우뇌에 각각 들려주는 주파수의 차이를 이용해 상황에 맞는 적절한 뇌파를 유도하는 뇌파동조 원리가 적용됐음. 예를 들어, 깊은 수면 상태에 해당하는 2Hz 대역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해 왼쪽 귀와 오른쪽 귀에 2Hz 주파수 차이가 나는 소리를 들려주는 방식임.
 
 특히 고정된 주파수를 반복해 들려주는 스태틱 바이노럴 비트(Static Binaural Beat)와 함께 당사가 자체 연구개발한 다이내믹 바이노럴 비트(Dynamic Binaural Beat)를 제공함. 실시간으로 바뀌는 사용자의 상태에 맞는 적절한 주파수 소리로 안정, 숙면에 적합한 뇌파를 유도할 수 있다는 게 장점임.
 
 애플리케이션은 '마인드케어'와 '슬립케어' 모드로 나뉨. 필요한 모드에 따라 안정 및 숙면을 유도하는 주파수의 소리, 또 이와 함께 들을 수 있는 90여종의 콘텐츠가 구비돼 있음. 루시드폴 등 국내외 아티스트들이 작곡한 자장가, ASMR 사운드 등임.
 
 업무, 학업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마인드케어' 모드를 활성화하면 심리적 안정 상태를 나타내는 알파파를 유도하는 사운드와 호흡 가이드로 긴장, 불안 상태를 이완해 줄 수 있음. 브리즈는 긴장·불안 등으로 사용자의 심리 상태를 세분화해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함.
 
 '슬립케어' 모드는 수면 상태에 나타나는 세타파와 델타파를 유도해 깊은 잠에 들도록 도와 줌. ▲비 내리는 숲 속 풀벌레 소리 ▲졸졸 흐르는 숲 속의 작은 시냇물 ▲비 오는 늦은 밤 골목길 등 취향에 맞는 분위기도 고를 수 있음. 수면 상황을 확인할 수 있는 그래프도 보여줌.
 
 당사는 앞서 고려대학교, 분당서울대병원과 각각 임상실험을 진행해 이 같은 효과를 확인했음. 브리즈 착용 시 스트레스 호르몬으로 불리는 코르티솔 측정치가 유의미하게 감소하고, 잠들기까지 걸리는 시간ㆍ수면 중 깬 시간 등이 감소하는 것이 확인됐음.
LG전자 SW공인시험소
국제표준규격 시험기관 글로벌 인증
 ('23.07)
당사가 가전에 탑재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과 신뢰성을 분석, 평가하는 데 있어 세계적 수준의 공신력을 갖췄음을 인정받았음.
 
 당사가 CTO부문 산하에 운영중인 SW공인시험소는 최근 글로벌 인증기관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가전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지정시험기관(Appointed Lab.)으로 인증을 받았음. TUV 라인란드로부터 가전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분야 지정시험기관 인증을 받은 것은 당사가 처음임.
 
 당사는 이번 인증을 통해 향후 새롭게 개발하는 다양한 스마트가전의 소프트웨어 안전 요구사항과 기능의 설계평가를 국제표준규격(IEC 60730-1, IEC 60335-1) 기반 시험을 거쳐 자체적으로 분석, 평가할 수 있게 됐음.
 
 이는 고객에게 안전하고 뛰어난 제품을 적기에 공급하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음. 당사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는 LG 생활가전의 제품 경쟁력에 가전 소프트웨어 품질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까지 더하며 가전 사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당사는 전 사업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역량을 결합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기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음. 이러한 가운데 자체 운영하고 있는 시험기관이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돼 전사적 소프트웨어 역량 강화에도 더욱 속도가 날 전망임.
 
 당사 SW공인시험소는 지난해 6월에도 TUV 라인란드로부터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기능안전 지정시험기관으로 인증받은 바 있음. 또 이에 앞서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전기ㆍ전자제품 소프트웨어 기능안전 및 품질측정 테스트의 공인시험자격을 획득하는 등 지속적으로 소프트웨어 품질 분야에서 대외적 공신력을 높여가고 있음.
글로벌 6G 통신기술 단체 의장사 연임
 ('23.06)
당사가 글로벌 6G 통신기술 단체 의장사로 선정됨.
 
 당사 CTO부문에서 근무중인 이기동 박사는 최근 미국통신산업협회(ATIS)가 주도하는 6G 기술단체 넥스트 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 이하 NGA)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s) 분과 워킹그룹 의장으로 최종 선정되었음.
 
 당사는 지난 2021년 첫 선정에 이어 오는 2025년 5월까지 의장사를 연임하게 되었음. 당사가 확보하고 있는 기술 리더십과 의장사로서 글로벌 참여사들의 협업을 이끌어 온 지난 2년간의 경험이 두루 높게 평가받은 결과임.
 
 당사는 NGA가 수립하는 로드맵에 기반해 6G의 다양한 활용 사례를 발굴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기술적 요구사항을 제정하는 프로젝트를 총괄함. 국내뿐 아니라 아시아권 기업을 통틀어 보더라도 NGA 의장사로 활동하고 있는 기업은 당사가 유일함.
 
 NGA는 지난 2020년 창립돼 美 3대 이동통신사를 비롯해 통신장비,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0여 개 업체가 6G 기술 주도권 선점을 위해 참여하고 있음. 당사가 맡은 어플리케이션 분과 외에도 기술(Technology), 국가 로드맵(National 6G Roadmap) 등을 포함해 총 6개 분과로 구성돼 있음. 당사 외에도 퀄컴, 노키아, 에릭슨, 마이터 등 글로벌 통신기술을 선도하는 업체와 기관들이 NGA의 의장사를 맡았음.
 
 이번 선정은 당사가 미래 기반기술로 평가받는 6G 분야 선행 연구개발에서 글로벌 리더십을 인정받은 것이라 의미가 있음. 6G는 자율주행, 모빌리티, 메타버스, 스마트홈, 스마트팩토리 등 당사가 미래 먹거리로 육성하고 있는 다양한 분야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음. 6G 기술은 오는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께 상용화를 예상하고 있어, 선행 연구개발 단계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며 기술력을 축적하는 것이 매우 중요함.
 
 당사는 2019년 카이스트(KAIST)와 국내 최초 6G 산학협력 연구센터인 'LG전자-KAIST 6G 연구센터' 설립을 시작으로 국내외 우수 대학과 산학 협력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6G 원천기술을 확보하고 있음.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키사이트(Keysight Technologies Inc.) 등 국내외 연구기관과 선행 시험기기 업체들과도 폭넓게 협업하고 있음.
 
 특히 지난해 9월에는 獨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을 활용해 도심 셀 반경 커버리지 이상인 실외 320미터(m) 통신 전송에 성공하는 등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음.
글로벌 제조업계 최초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체계 준수기업 인정
 ('23.04)
당사가 소스코드가 공개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는 소프트웨어 공급망 단계에서 업계 최고 수준의 보안 관리체계 및 역량을 갖추고 있음을 인정받았음.
 
 당사는 최근 미국 비영리단체 리눅스재단(Linux Foundation)의 오픈체인(OpenChain) 프로젝트가 규정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보안 관리체계 국제표준(ISO/IEC DIS 18974)' 준수 기업으로 인정받았음. 오픈체인 프로젝트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의 사용권 준수 및 보안 취약점 관리를 위한 기업들의 자발적 협의체임.
 
 당사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에 있어 ▲내부 보안정책 수립 ▲보안정책의 주기적 업데이트 ▲보안 테스트를 위한 각종 툴 사용 여부 등 오픈체인 프로젝트가 규정한 30여 개 보안인증 요건을 모두 충족했음.
 
 이 인증을 획득한 것은 국내는 물론이고 글로벌 제조업계를 통틀어 당사가 유일함. 당사가 내ㆍ외부 소프트웨어 공급망에서 보안취약점 등에 대응하기 위해 갖추고 있는 역량과 관리 체계가 세계적 수준이라는 방증임.
 
 당사는 생활가전과 TV는 물론이고 전장, B2B 등 전 영역에서 소프트웨어 역량을 결합하며 플랫폼, 콘텐츠/서비스, 솔루션 등의 Non-HW 영역으로 사업 포트폴리오를 고도화하는 데 속도를 내고 있음. 이러한 가운데,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공급망의 보안 및 안정성 측면에서 글로벌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하게 돼 사업 경쟁력 강화에 더욱 속도가 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실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공급망 보안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는 추세임. 올 초 글로벌 보안 기업 시놉시스(Synopsys)가 발표한 '2023 오픈소스 보안 리스크 보고서(2023 OSSRA Report)'에 따르면 소프트웨어 개발에 활용되는 오픈소스 중 81% 가량이 보안 취약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소스코드가 공개돼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임. 소프트웨어 개발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생태계 확장 측면에서도 유리해 서비스 및 플랫폼 개발에 폭넓게 사용됨.
 
 한편 당사는 지난 2019년 국내 최초로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국제표준(ISO/IEC 5230)' 준수 기업으로 인정받은 바 있음. 앞서 지난 2014년부터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도구인 '포스라이트(FOSSLight: 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Light)'를 자체 개발해 운영하고 있으며, 재작년인 2021년부터는 이를 외부의 개발자들에게 공개하는 등 국내ㆍ외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생태계 활성화에 기여하고 있음.
'2023 에너지스타 어워드' 최고상 수상
 ('23.03)
가전제품을 통한 환경보호와 에너지 절감 측면에서의 탁월한 성과를 인정받아 '2023 에너지스타 어워드(2023 ENERGY STAR Award)'의 최고상인 「지속가능 최우수상(Sustained Excellence Award)」을 수상함. 에너지스타 어워드는 美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A)과 에너지부(Department of Energy, DOE)가 1993년부터 매년 발표하는 환경 및 에너지 분야 최고 권위의 상임.
 
 당사는 2012년 '올해의 파트너상(ENERGY STAR Partner of the Year)'을 처음 수상한 이후 올해까지 10번째 에너지스타 어워드 수상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음. 지속적인 에너지스타 인증 제품 출시와 에너지 절약을 위한 각종 캠페인을 펼치며 북미를 포함한 글로벌 기후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노력을 인정받은 것임.
 
 당사는 2022년 한 해 북미에서 6초에 1대씩 에너지스타 인증 제품을 판매함. 지난해 판매된 전체 에너지스타 인증 제품들은 수명기간 동안 370만 톤 이상의 온실가스(CO2) 배출을 줄이는 효과를 냄. 이는 727,696대의 자동차가 수명기간 동안 배출하는 온실가스 총량과 맞먹으며, 71만 명 이상이 거주하는 미국의 수도 워싱턴 D.C.의 모든 가정이 2년간 배출하는 온실가스량과도 비슷함. 또한, 당사가 지난해 판매한 에너지스타 인증 세탁기와 식기세척기는 제품 수명기간 동안 1,300억 리터 이상의 물을 절약할 수 있고 이는 올림픽 규격 수영장 약 53,000개를 채울 수 있는 양임. 이처럼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과 더불어 당사의 에너지스타 인증 제품 판매 매출은 2022년 43억 달러로 2021년 39억 달러 대비 10% 가량 늘었음.
 
 한편 당사는 ESG 경영을 실천하기 위해 환경을 고려한 제품과 서비스를 개발한다는 전략 과제 하에 다양한 환경 친화적 활동을 추진하고 있음.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로는 ▲제품 생산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2017년 대비 50% 감축 ▲TV,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에어컨, 모니터 등 주요 제품군의 사용단계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2020년 대비 20% 저감 ▲2021년부터 2030년까지 재활용 플라스틱 누적 사용량 60만 톤 달성 등이 있음.
스마트홈 플랫폼 『LG ThinQ』 비전 제시 "핵심가치는 진화ㆍ연결ㆍ개방"
 ('23.03)
당사가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의 핵심가치로 '진화ㆍ연결ㆍ개방'을 꼽으며, 고객이 누릴 수 있는 진정한 스마트홈의 청사진을 제시함. 고객이 미처 생각하지 못한 편리함을 스스로 찾아서 발전하는 스마트홈을 만들고 외부와도 적극 협력한다고 밝힘.
 
 당사는 2023년 3월 20일부터 4일간 서울 여의도 콘래드 호텔에서 열린 글로벌 표준 연합 CSA(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의 정례회의에 참석해 LG 씽큐의 비전을 소개하고 스마트홈 플랫폼의 경쟁력을 부각함. 회의에는 당사를 비롯한 주요 가전업체와 애플, 아마존, 구글 등 글로벌 플랫폼 회사 및 IoT 기업이 참석함.
 
 CSA는 스마트홈 생태계 확장을 위해 개방형 통신 표준인 '매터(Matter)'를 개발하고 표준화하는 단체로, 당사가 의장사로 활동하고 있음.
 
 20일 기조연설 연사로 나선 당사 플랫폼사업센터 정기현 부사장은 내ㆍ외부 공간의 경계를 허무는 진정한 스마트홈 경험이 무엇이며, 이를 어떻게 더 고도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발표함.
 
 정 부사장은 "가까운 미래엔 LG 씽큐가 고객 생활패턴을 학습하고 개개인의 특성에 맞춘 최상의 스마트홈 환경을 조성해 고객 삶의 자유도를 높여줄 것"이고 "나아가 집, 직장, 휴가지에서까지 나를 챙겨주는 똑똑한 동반자 역할로 발전시킬 것"이라며 LG 씽큐가 실시간으로 고객이 인지하지 못한 부분까지 알아서 챙기는 스마트홈의 미래 모습을 제시함.
 
 예를 들어, 가전과 IoT 기기 등 집 전체의 에너지 사용량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조절해 알아서 에너지를 절약함. 또 고객이 가전이나 IoT 기기를 새로 구입하면 기존 집에 설치된 LG 가전이 이를 자동으로 인식해 LG 씽큐에 연동시킴. 고객은 LG 씽큐에 별도로 제품등록을 하지 않아도 쉽고 편리하게 스마트홈을 누릴 수 있음.
 
 LG 씽큐를 B2B 영역까지 확대하면, 매일 출근하는 사무실이나 휴가 때 놀러 가는 숙박시설에서 별도의 조작 없이도 에어컨이 사용자를 알아보고 취향에 맞는 온도와 풍량을 자동으로 설정해 주는 미래도 가능함.
 
 ■ LG 씽큐의 핵심가치 『진화ㆍ연결ㆍ개방』
 
 정 부사장은 이날 LG 씽큐의 핵심가치로 ‘진화ㆍ연결ㆍ개방’을 강조하고 진정한 스마트홈 경험을 위해 LG 씽큐가 나아갈 방향을 제시함.
 
 LG 씽큐는 '앰비언트 컴퓨팅(ambient computing)' 기술을 통해 끊임없이 '진화'하며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함. 당사는 LG 씽큐에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한 AI 챗봇 서비스, 맞춤형 서비스 강화를 위한 AI 기반 음성 ID(Voice ID) 기술 등의 적용을 검토하고 있음.
 
 또 고객이 설정한 에너지 목표 사용량에 맞춰 알아서 가전과 IoT 기기를 제어하는 기술 등 AI 기반의 에너지 관리 기능들도 더욱 고도화함. 궁극적인 목표는 LG 씽큐가 우리 주변에 공기처럼 존재해 고객이 다양한 기기와 기술을 인식하지 않아도 개개인 특성에 맞춘 최상의 환경을 제공하는 것임.
 
 당사는 스마트홈의 사용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LG 씽큐의 '연결성'을 강화하고 있음. 고객은 LG 씽큐에 애플 홈킷, 아카라(Aqara), 헤이홈(Hejhome) 등의 IoT 기기들뿐 아니라 '매터' 인증을 받은 기기들을 연결해 LG 가전과 함께 손쉽게 제어ㆍ관리함. LG 씽큐뿐 아니라 스마트 TV 플랫폼인 'webOS 23'도 '매터' 인증을 받아 고객들은 webOS 23이 탑재된 LG TV를 허브로 삼고 집 안의 다양한 가전 및 IoT 기기들을 언제 어디서나 제어할 수 있음.
 
 당사는 '개방성'을 강조한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을 적극 추진해 LG 씽큐의 편의성과 범용성을 지속 높여왔음. LG 씽큐는 구글 어시스턴트, 아마존 알렉사 등 AI 플랫폼을 지원하며, 구글 캘린더(일정)/서드파티 앱(메모ㆍ날씨)/T맵(교통)/현대차ㆍ기아의 커넥티드 카 서비스(차량) 등과 연동돼 고객이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정보도 제공함. 이 외에도 콘텐츠 플랫폼 등 다양한 분야의 업체들과 손잡고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전국 서비스센터에 청각장애인 위한 디지털휴먼 수어 안내 도입
 ('23.03)
당사가 장애인 고객의 서비스 접근성을 높이고 '모두에게 편리한 제품과 서비스'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노력에 속도를 냄.
 
 당사는 최근 전국 130여 개 서비스센터 내 고객 접수용 키오크스에 청각장애인을 위한 디지털휴먼 수어 서비스 도입을 완료함. 재작년 서비스 수어(手語)상담센터 도입에 이어 고객 접수용 키오스크에서도 디지털휴먼 수어 안내를 제공함.
 
 서비스센터를 방문한 고객은 입구에 설치된 키오스크를 통해 서비스 접수 방법을 안내받을 수 있는데, 이때 수어 안내가 함께 제공됨. 계속해서 수어로 안내를 받고자 하는 청각장애인 고객은 화면 아래 수어 버튼을 눌러 나오는 디지털휴먼의 수어 안내를 따라 편리하게 서비스를 접수할 수 있음.
 
 당사가 도입한 디지털휴먼 수어 서비스는 수어 손짓뿐 아니라 디지털 안내원의 얼굴 표정, 몸짓 등 비언어적 요소를 결합해 제공하는 형태임. 종합적인 접근성을 고려해 수어 외 문자, 음성 서비스도 병행함. 문자 혹은 수어만으로 안내하는 것에 비해 빠르고 정확한 정보 전달이 장점임.
 
 디지털휴먼의 수어 안내를 받아 접수를 마친 고객은 이어 전문 수어상담사와 화상으로 소통하는 수어상담센터 이용 방법 또한 안내받을 수 있음. 당사는 재작년 10월부터 제품 지식을 갖춘 전문 수어상담사가 장애인 고객을 화상으로 응대하는 수어상담센터를 운영중임. 이전에는 청각장애인이 서비스를 받아보기 위해서는 휴대폰이나 종이에 글을 적어 서비스 엔지니어와 소통하거나 수어 통역이 가능한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야 했음.
 
 당사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 소속 장애인자문단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각장애인은 제품 증상을 설명하거나 수리 내용을 이해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어 서비스센터 방문을 주저하는 경우가 있어왔던 것으로 나타났음.
 
 최근 당사 송파서비스센터를 방문한 한 청각장애인은 "입구에 들어서자마자 디지털휴먼의 수어가 보여 안심이 됐고, 상세한 안내가 만족스러웠다"며 "상담 데스크에서도 전문 수어 상담사 연결이 가능해 비장애인과 동일한 서비스를 불편함 없이 받게 돼 기쁘다"고 감사의 뜻을 전하기도 했음.
 
 당사는 서비스와 제품 접근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시니어 고객들을 위한 가전 매뉴얼이나 전담 상담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은 물론이고 ▲서비스 수어상담센터 ▲제품 수어ㆍ영상ㆍ음성 설명서 ▲점자스티커 ▲장애인자문단 운영 등도 지속 확대하고 있음.
 
 당사는 고객들의 서비스 경험을 차별화하고 있는 점을 인정받아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뽑은 소비자 불만 자율해결 우수 사업자로 선정되기도 했음.
CES 2023서 스마트 수면케어 솔루션
'브리즈' 공개
 ('23.01)
당사가 현지시간 5일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ㆍIT 전시회 'CES 2023'에서 스마트 수면케어 솔루션 '브리즈(brid.zzz)'를 선보임.
 
 브리즈는 고객이 편히 잠들 수 있도록 수면을 유도하고 잠이 든 고객의 수면 상태를 실시간 분석 및 관리하며 숙면을 도와줌. 브리즈에는 '고객에게 산들바람(breeze)과 같이 상쾌한 아침을 맞게 한다'는 의미가 담겨있음.
 
 ■ 자체 연구 개발한 뇌파동조 사운드 통해 실시간 고객 수면케어
 
 브리즈는 뇌파를 측정하고 수면케어 사운드를 들려주는 전용 무선이어셋과 고객의 수면 데이터를 분석해 수면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앱으로 구성됨.
 
 귀 형상에 맞춰 인체공학적으로 디자인된 무선이어셋은 잠을 자는 동안에도 안정적이고 편안한 착용감을 제공함. 뿐만 아니라 6g(한쪽 기준)의 가벼운 무게로 오랜 시간 착용해도 부담이 없음.
 
 이어셋을 충전ㆍ보관하는 케이스는 UVnano 기능을 지원해 제품을 청결하게 유지, 관리해줌. UVnano는 유해 세균을 줄여주는 'UV(자외선)' LED와 자외선 파장 단위인 '나노미터(nanometer)'의 합성어임.
 
 브리즈는 '뇌파동조 사운드'를 포함, 루시드폴 등 국내외 아티스트들이 직접 작곡한 '자장가', 자연의 소리와 같은 'ASMR(Autonomous Sensory Meridian Response)' 등 다양한 음원으로 고객의 수면을 케어함. 브리즈에는 80여 개의 사운드가 기본 내장돼 있으며 고객이 즐겨 듣는 음악이나 유튜브 영상 등에 뇌파동조 사운드를 더해 재생하는 것도 가능함.
 
 특히 뇌파동조 사운드의 경우, 왼쪽 뇌와 오른쪽 뇌에 각각 다른 주파수를 들려줌으로써 주파수 차이를 이용해 잠이 들게 하거나 특정 수면 상태로 전환을 촉진하는 뇌파를 유도함. 깊은 수면 상태에서는 0.5~3Hz의 뇌파가 흐른다고 알려져 있는데 이에 해당하는 2Hz의 뇌파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왼쪽 귀에 100Hz, 오른쪽 귀에 98Hz 혹은 102Hz의 주파수 소리를 들려주는 원리임. 이를 통해 고객이 깊은 수면에 들어갈 수 있도록 도움.
 
 브리즈는 기존 고정된 주파수를 반복 들려주는 스태틱 바이노럴 비트(Static Binaural Beat)와 이번에 당사가 자체 연구개발한 '다이내믹 바이노럴 비트(Dynamic Binaural Beat)' 등의 뇌파동조 사운드를 제공함.
 
 특히 다이내믹 바이노럴 비트는 주파수가 실시간 변하는 것이 특징임. 브리즈는 차별화된 뇌파 감지 기술을 기반으로 고객의 뇌파를 모니터링하고 수면 상태에 맞춰 최적의 주파수를 들려주며 숙면을 도와줌.
 
 ■ 수면 패턴 분석하고 스스로 학습하며 개인 맞춤형 수면케어 솔루션 제공
 
 브리즈는 고객의 수면 데이터를 분석하고 스스로 학습한 후 더 나은 수면 패턴을 제안함. 또 최적의 수면 패턴에 기반한 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며 수면의 질을 보다 향상시켜줌.
 
 브리즈에는 뇌파 감지 센서가 탑재돼 있다. 고객의 뇌파를 실시간 감지해 잠들기 직전 의식이 남아있는 상태인 '입면단계'와 수면단계에 해당하는 '렘(REM; Rapid Eye Movement) 수면', '얕은 수면'과 '깊은 수면', '수면 중 깸' 등 단계별 수면 패턴을 보다 정교하게 측정함.
 
 브리즈는 고객의 수면 자세와 수면 중 뒤척임 횟수를 포함해 취침 및 기상 시간 등의 정보도 기록함. 또 앱이 설치된 스마트폰으로 하루 동안의 걸음 수 등 생활 데이터를 수집함. 이처럼 브리즈는 수면 패턴을 비롯해 생활환경 등 다양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개인 맞춤형 수면케어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임.
 
 예를 들어, 하루 2만 보 이상 걷는 등 활동량이 많은 날에는 육체 피로회복을 돕는다고 알려진 깊은 수면 상태로 조기 진입하고 오래 유지될 수 있도록 케어해줌.
 
 브리즈는 당사가 신사업을 육성하고 새로운 시장으로 개척하기 위해 운영 중인 CIC(Company in company, 사내독립기업) 가운데 슬립웨이브 컴퍼니(SleepWave Company)가 기획 출시한 혁신 모델임.
 
 슬립웨이브 컴퍼니는 고객 페인 포인트(Pain Point,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사전에 파악하기 위해 2022년 10월부터 지난달 말까지 1,000여 명의 체험단을 운영하며 다양한 의견을 적극 경청했음. 향후 개선이 필요한 부분은 제품에 반영해 이르면 2023년 상반기 브리즈를 국내부터 출시할 예정임.


년도 사업부문 주요성과 내                  용
2022 H&A CES 2023서 超프리미엄 가전
 'LG 시그니처' 2세대 공개
 ('22.12)
超프리미엄 가전 시장 확대를 위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선사하는 'LG 시그니처(LG SIGNATURE)' 2세대 라인업을 CES 2023에서 선보임.
 
 2016년 초프리미엄 가전 LG 시그니처를 처음 선보인 후 7년만에 2세대 제품을 공개하는 것으로, 고객이 가전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제품에 차별화된 혁신기술을 더했으며, 디자인 핵심 요소인 CMF(ColorㆍMaterialsㆍFinish, 색상ㆍ재질ㆍ마감)를 더욱 강조해 고급스러운 미니멀리즘 디자인을 완성함.
 
 LG 시그니처 2세대 라인업은 기술 혁신으로 이룬 압도적인 성능, 본질에 충실한 정제된 디자인,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직관적인 사용성이라는 기존 1세대의 철학을 계승해 한 단계 더 발전시킴.
 
 당사는 2023년 1월 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ㆍIT 전시회 CES 2023에 '가전, 그 이상의 삶을 경험하다(Live Beyond)'를 주제로 LG 시그니처존을 마련하고 LG 시그니처 2세대 제품 5종을 처음 선보일 예정임.
 
 전시장 방문 고객은 문을 열지 않고도 냉장고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인스타뷰를 처음으로 양쪽 도어에 적용한 「듀얼 인스타뷰 냉장고」, 7인치 터치 LCD 적용해 더욱 편리해진 「세탁기」와 「건조기」, 실시간으로 요리상태와 에너지 사용량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 인스타뷰를 적용한 「후드 겸용 전자레인지」, 내부 카메라를 통해 음식물을 인식하고 요리가 완성될 때까지 자동으로 조리 온도와 시간 등 설정 값을 조절해주는 「더블 슬라이드인 오븐」 등 혁신적인 LG 시그니처 2세대 제품들을 경험할 수 있음.
 
 당사는 이번 LG 시그니처존을 이탈리아 명품 가구 브랜드인 몰테니앤씨(Molteni&C)와 협업하여 LG 시그니처 2세대 제품뿐만 아니라 에어컨, 가습공기청정기, 올레드 TV 등 기존 출시된 LG 시그니처 제품과 고급스러운 명품 가구를 활용해 조화롭게 꾸민 거실, 세탁실, 주방 등의 공간을 통해 프리미엄 라이프스타일도 제시함.
ThinQ UP' 앞세워 UP가전
글로벌 확대
 ('22.12)
2023년 초 미국을 시작으로 UP가전을 글로벌로 확대 출시할 예정이며,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UP가전의 해외 브랜드는 'ThinQ UP(씽큐 업)'임.
 
 당사는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 앱을 이용하는 고객이 많은 국가에 우선 UP가전을 선보일 방침임. LG 씽큐 앱을 사용하면 UP가전의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100% 누릴 수 있기 때문임.
 
 우선 2023년부터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SIGNATURE KITCHEN SUITE), LG 스튜디오(LG STUDIO)와 같은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을 포함해 미국에서 출시되는 주요 생활가전을 UP가전으로 출시할 예정임.
 
 국내에서 큰 인기를 얻은 업그레이드 콘텐츠는 물론 미국 고객의 제품 사용패턴, 라이프스타일 등을 분석하고 고객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개발한 콘텐츠 등을 업그레이드로 지속 제공할 계획임.
 
 2023년 1월 5일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ㆍIT 전시회 'CES 2023'에서 LG 씽큐 앱에서 터치만으로 제품 컬러를 바꿀 수 있는 무드업 냉장고를 포함한 다양한 UP가전을 선보일 예정임. 관람객들은 LG전자 전시관에서 LG 씽큐 앱을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을 직접 체험해볼 수 있음.
 
 ■ 출시 1년 맞는 LG UP가전, 국내 시장서 의미 있는 성과 거둬
 
 당사는 올 1월 국내 가전시장에 'UP가전'이라는 새로운 화두를 던짐. 고객이 가전제품을 구매한 후에도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기능을 지속 추가해 나에게 점점 더 맞는 제품을 만들어가는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한다는 개념임.
 
 UP가전 선포 후 현재까지 세탁기, 건조기, 냉장고, 식기세척기 등 총 24종의 UP가전을 출시했고 120개 이상의 업그레이드 콘텐츠를 배포함.
 
 지난 1년간 의미있는 성과도 거뒀음. 고객이 LG 씽큐 앱에 제품을 연동하는 등록율이 지난해 대비 10%p(포인트)나 증가했고 LG 씽큐 앱에 UP가전을 연동시킨 고객 가운데 절반이 업그레이드로 신기능을 제품에 추가함. 이는 고객들이 LG 씽큐 앱을 통해 UP가전을 보다 스마트하고 편리하게 쓸 수 있다는 인식 자체가 확산되고 있음을 의미함.
 
 ■ 6천 건 넘는 고객 아이디어 경청해 업그레이드 콘텐츠로 개발
 
 고객이 LG 씽큐 앱 내 'UP가전 아이디어 제안'과 각종 이벤트를 통해 제안한 업그레이드 아이디어는 6천 건이 넘음. 당사가 올해 배포한 업그레이드 콘텐츠 중 고객이 제안한 아이디어를 기반으로 개발한 것은 절반 이상임.
 
 당사는 냉장고에서 정수기처럼 물을 정량으로 편리하게 출수할 수 있게 해달라는 고객의 제안을 적극 경청해 올해 출시한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냉장고에 '정수 정량 출수'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함. 고객이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에서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으면 250밀리리터(ml), 500ml, 1리터(L) 물을 손쉽게 정량으로 출수할 수 있음.
 
 최근 스타일러에 추가된 '니트 가디건 관리코스'도 고객의 의견을 반영한 업그레이드 콘텐츠 중 하나임. 기존 의류관리기는 니트 가디건을 걸어 동작시키면 옷걸이 때문에 코스 종료 후 어깨가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었는데, 가디건과 같은 의류를 섬세하게 관리하고 싶다는 고객의 의견을 반영해 별도 스타일링 코스와 전용 옷걸이를 개발함. 이 코스는 요즘같이 니트류를 많이 입는 계절에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함.
 
 이처럼 UP가전은 고객에게 단순한 제품 사용경험을 넘어 F.U.N(First: 최고의, Unique: 차별화된, New: 세상에 없던)경험을 제공함. 가전의 실사용자인 고객이 제품을 쓰면서 아쉬웠던 부분들을 UP가전이 해결해주고 있는 것임.
일년 내내 사용하는
'휘센 사계절에어컨' 출시
 ('22.12)
날씨 변화에 맞춰 일년 내내 사용하는 '휘센 사계절에어컨' 신제품을 출시함.
 
 LG 휘센 사계절에어컨(대표 모델명: FW20SDNBA2)은 차별화된 냉방 성능과 온풍, 청정, 제습 기능을 모두 갖춘 올인원 제품임. 한파, 환절기, 폭염, 황사, 장마철 등의 날씨와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사계절 내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미세먼지가 많고 쌀쌀한 환절기나 겨울 한파에도 집안을 따뜻하고 쾌적하게 관리해줌. 온풍 모드와 옵션인 청정 기능을 활용하면 필터를 거친 따뜻한 청정 바람이 실내 공간을 빠르게 데워줌.
 
 이 제품은 실외가 영하까지 내려가는 추운 겨울에도 따뜻한 바람을 내보냄. 또 고객이 LG 씽큐(LG ThinQ) 앱과 연동시킨 후 예약 설정을 활용하면 새벽이나 퇴근 후 귀가할 때에도 실내 공간을 원하는 온도로 미리 맞출 수 있음.
 
 여름을 시원하게 보낼 수 있는 휘센 에어컨의 강력하고 쾌적한 냉방 성능은 그대로 계승함. 이 제품은 4개의 냉각팬에서 강력하고 시원한 바람을 에어컨 정면 방향으로 내보내는 「4X집중냉방」 모드, 바람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좌우 4개의 에어가드가 찬 바람을 벽 쪽으로 보내 사람에게 직접 바람이 닿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집 안 전체를 시원하게 유지시켜 주는 「와이드케어냉방」 모드 등을 갖췄음.
 
 또 이 제품은 20리터(L) 용량 제습기 6대를 동시 작동시키는 것과 동일한 수준의 제습 성능을 갖춰 습도가 높고 꿉꿉한 장마철에도 실내를 보송보송하게 해줌.
 
 LG 휘센 사계절에어컨은 냉방뿐만 아니라 온풍모드에서도 에너지효율이 뛰어남. 특히 차별화된 핵심부품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적용한 '히트펌프(Heat Pump)' 기술로 온풍 사용 시 전기료 걱정을 줄여줌. 에어컨 냉방은 냉매를 활용해 실내에서 열을 흡수한 후 실외기로 열을 방출하는데, 이를 거꾸로 구동시키는 히트펌프 방식은 전기로 열풍을 만드는 기존 히터 방식 대비 안전하고 에너지효율이 높음.
 
 편리하고 강력한 위생 기능도 장점임. 신제품은 필터에 붙을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극세필터+」, 한국공기청정협회 CAC(Certification Air Conditioner) 인증 「공기청정+」, 열교환기에 붙은 먼지와 세균을 물로 세척하는 「열교환기 세척」, 에어컨 내부 습기를 자동으로 말려주는 「AI건조+」, 99.99% 「UV LED 팬 살균」 등을 갖췄음.
 
LG 휘센 사계절에어컨은 20형 모델 기준 냉방면적과 난방면적이 각각 65.9제곱미터, 43.3제곱미터임.
공간 맞춤형 공기청정 솔루션
'에어페어 2022'에서 공개
 ('22.12)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제 공기산업박람회 '에어페어(Air Fair) 2022'에 참가해 다양한 공간 맞춤형 공기청정 솔루션을 선보임.
 
 이번 박람회에서 192제곱미터 규모의 전시관에 고객이 머무르는 다양한 장소에 따라 공간별 맞춤형 솔루션을 제안함. 공기청정 성능뿐만 아니라 고객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혁신적인 디자인과 기능을 갖춘 융복합 제품도 함께 전시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주거용 솔루션」은 거실과 침실을 중심으로 최적의 제품을 보여줌. 국내 스탠드형 에어컨 최초로 실내공기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UL 그린가드 골드(GREENGUARD GOLD) 인증을 받은 '휘센 타워 에어컨', 제품 내부에 투명한 날개인 에어가드를 탑재해 바람의 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하는 '1방향(way) 시스템 에어컨', 공기청정 성능은 물론 정화한 공기를 희망 온도에 맞춰 원하는 풍량과 방향으로 보내주는 공기청정팬 '에어로타워', 나만의 맞춤 디자인과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신개념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에어로퍼니처' 등 다양한 솔루션을 제시함.
 
 「업무용 솔루션」으로는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깨끗하게 관리해주는 5단계 청정관리 기능을 적용한 '4방향(way) 시스템 에어컨', 청정 면적 158제곱미터로 넓은 실내공기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는 '대형 공기청정기', 빌딩이나 시설물 내부 공기의 온도와 습도를 동시에 제어하는 환기시스템인 '실외공기전담공조시스템(DOAS)', 에어컨과 공기청정 제품들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제어할 수 있는 'ACP(Advanced Control Platform) 중앙제어기' 등을 전시함.
 
 「상업용 솔루션」은 한국공기청정협회(KACA; Korea Air Cleaning Association) CA(Clean Air) 인증을 받은 '원형 시스템 에어컨', 두 개의 클린부스터가 깨끗하게 정화된 공기를 최대 9미터까지 보내줘 공간을 빠르게 청정하는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 알파' 등을 선보임.
 
 이 밖에도 「이동공간 솔루션」으로 자동차 안, 독서실 등의 공간에서 유용한 퓨리케어 미니 공기청정기를 전시함. 이 제품은 한국공기청정협회로부터 소형 공기청정기 CA인증과 미세먼지 센서 CA인증을 모두 받았음.
CES2023서 빌트인 타입 최대 용량 721L 냉장고 공개
 ('22.12)
당사가 1월 5일 美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하는 CES 2023에서 앞툭튀를 최소화한 디자인과 넉넉한 수납을 모두 갖춘 대용량 빌트인 타입 냉장고 신제품을 공개함.
 
 신제품은 빌트인 타입 냉장고 가운데 업계 최대인 721리터(L) 용량임. 빌트인 타입 냉장고 용량이 700리터를 넘는 것은 이 제품이 처음이며, LG전자는 이번 신제품을 내년 4월 미국에 먼저 출시함.
 
 당사는 냉장고 외관 크기를 기존 제품(모델명: LRFVC2406S)과 동일하게 유지하면서 식품 보관 용량을 약 10% 키웠음. 내부 공간 활용도를 극대화하기 위해 냉기가 지나가는 유로(流路)를 재설계하고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 등 냉장고 핵심부품의 구조도 개선했음.
 
 당사는 신제품에 새로운 타입의 얼음 기능인 '미니 큐브드(Mini cubed)'를 추가했음. 이 얼음은 크기가 가로 1.7cm, 세로 2.3cm, 높이 0.8cm여서 음료가 담긴 병이나 컵에 넣기 편리함. 고객은 아이스티(Iced tea)나 과일 음료에 어울리는 미니 큐브드, 칵테일, 위스키, 커피, 레몬에이드 등에 활용하는 50mm 크기의 고급스러운 원형(圓形) 얼음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 슬러쉬(Slush) 음료와 어울리는 조각얼음 '크러시드(Crushed)', 가장 기본적인 정육면체 각얼음 '큐브드' 등 총 4종류의 얼음 가운데 취향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
 
 또 이 제품의 오른쪽 상단 도어에는 거울로도 사용하는 미러 글러스 디자인에 LG전자 냉장고만의 차별화된 '노크온' 기능이 더해짐. 해당 도어 전체를 미러 글라스로 마감해 디자인이 깔끔하고 고급스러울 뿐만 아니라 도어를 노크하면 안쪽 조명이 켜져 보관중인 음식물의 종류와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신제품은 LG전자 냉장고의 차별화된 성능과 위생 기능은 그대로 계승함. '24시간 자동정온' 기능은 냉장실 내부의 온도변화를 ±0.5도(℃) 이내로 유지시켜 냉장칸에 있는 음식을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함. 또 '도어쿨링+' 기능은 냉장칸 맨 위쪽에서 나오는 강력한 냉기로 냉장고 도어까지 고르게 냉각시킴.
 
 UV나노(UVnano) 기능도 장점임. 주기적으로 UV(자외선) LED을 사용해 물이 나오는 출수구에 있을 수 있는 세균을 최대 99.99% 없앰. 고객이 언제든지 직접 버튼을 눌러 추가로 살균할 수도 있음. 이 기능은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가 시험한 결과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을 99.99% 제거함. UV나노는 UV LED와 자외선의 파장단위인 나노미터(Nanometer)를 합성한 용어임.
신개념 전자식 마스크 ‘LG 퓨리케어 마스크’ 출시
 ('22.12)
신개념 전자식 마스크 'LG 퓨리케어 마스크'를 출시함.
 
 2021년 홍콩을 시작으로 올해까지 대만, 베트남, 스페인 등 총 23개 국가에 전자식 마스크를 선보인 데 이어 이번에 국내 본격 출시함. 그동안 국내에서는 전자식 마스크 관련 안전기준이 없었음.
 
 당사는 지난해 규제샌드박스를 신청해 국가기술표준원이 「전자식 마스크 예비안전기준」을 제정했음. 신제품은 이를 통과한 공산품(工産品) 전자식 마스크로 질병관리청의 「마스크 착용 방역지침 준수 명령 및 과태료 부과 업무 안내서」에 따라 실내외에서 일반 마스크 대신 사용할 수 있음.
 
 이 제품은 국내 최초로 한국공기청정협회로부터 EM(Electrical Mask, 전자식 마스크) 인증을 획득했음. 한국공기청정협회는 착용시 마스크 안쪽 공기가 얼마나 새는 지를 나타내는 '누설률', 마스크 내외부 압력차를 측정한 '흡기저항', 0.02~2마이크로미터(μm) 크기 입자(염화나트륨)를 걸러주는 '필터 성능' 소음 등의 항목을 평가해 인증서를 부여했음.
 
 당사는 퓨리케어 마스크를 얼굴 구조에 맞춘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설계해 편안한 착용감과 함께 코와 턱 주변의 공기 누출을 최소화했음. 또 피부가 민감한 고객을 위해 마스크와 얼굴이 닿는 부위인 '페이스 가드'에 피부 자극을 최소화한 의료용 실리콘 소재를 적용했음. 페이스 가드는 필요 시 교체 가능함.
 
 LG 퓨리케어 마스크는 좌우에 각각 공기가 지나가는 팬이 있음. 들숨과 날숨을 감지하는 호흡센서로 운동 시 호흡량에 따라 두 개의 팬 속도를 알아서 조절해 마스크를 거치는 공기의 유입량을 제어함. 또 고성능 필터를 탑재해 실내는 물론, 가벼운 운동 등 야외 활동에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이 실험한 결과 이 필터가 0.01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를 99.999% 제거했음. 이 필터는 한 달에 한 번 교체하면 됨.
 
 신제품은 사용 편의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을 갖췄음. 마스크에는 마이크와 스피커가 내장돼 있어 사용자가 마스크를 내리거나 목소리를 높일 필요 없이 다른 사람과 원활한 대화를 나눌 수 있음. 또 고객은 LG 씽큐(LG ThinQ) 앱을 활용해 배터리 잔량, 필터 교체 시기 등을 확인할 수 있음. 운동 중에 땀이 나거나 물이 튀어도 걱정 없는 IPX 4등급의 생활방수 성능을 갖췄음.
 
 LG 퓨리케어 마스크는 USB-C타입 포트나 케이스를 활용해 2시간 완충 시 최대 8시간 동안 사용할 수 있음. 부속품을 포함한 제품 무게는 123그램(g)으로 계란 2개 정도의 수준이며, 크리미 화이트와 오션 블랙 색상으로 출시됨. 당사는 자원 재활용률을 높이기 위해 제품 포장박스는 표백하지 않은 종이로 만들었음.
 
 별도 판매하는 살균충전 케이스는 UV나노(UVnano) 기능을 갖춰 마스크 표면과 페이스 가드를 향해 6개의 UV(자외선) LED를 내보냄. 이에 빛이 닿는 부분의 황색포도상구균, 표피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녹농균, 대장균을 99.99% 살균함. 또 마스크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등 자주 사용하는 물건도 UV LED가 닿는 부분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신개념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출시
 ('22.12)
나만의 맞춤 디자인과 다양한 편의 기능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신개념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에어로퍼니처'를 출시함.
 
 신제품은 방마다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추세에 맞춰 인테리어와 편의성까지 고려하는 고객을 위한 융복합 공기청정기임. 테이블로 활용 가능한 컴팩트한 디자인으로 고객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침실, 서재 등 다양한 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이 제품은 하단이 360도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의 원통형 디자인이며, 상단은 원형과 트랙형 두 가지 타입의 테이블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음. 고객이 카밍 크림 화이트, 카밍 크림 옐로우, 카밍 크림 로제 등 오브제컬렉션 색상 3종을 활용해 제품 구매 시 위아래 동일 색상이나 각각 다른 색상으로 조합하는 등 집안 인테리어와 어울리는 나만의 맞춤형 디자인을 선택할 수 있음. 특히 테이블, 필터커버 등 별도 판매하는 액세서리를 조합하면 선택 가능한 모델수는 18종 이상임.
 
 이 제품은 차별화된 편의 기능과 청정 성능을 갖췄음. 테이블 하단에는 공간의 분위기를 바꿀 수 있는 무드 조명이 있으며, 상단에는 스마트폰이나 무선 이어폰 등을 무선충전할 수 있음. 또 이 제품은 구입 후에도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음.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에어로퍼니처는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UV LED로 살균해 유해세균을 99.99% 제거하는 UV나노(UVnano) 기능, 항바이러스ㆍ항균 효과는 물론 극초미세먼지를 비롯해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등 5대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공기청정 필터를 탑재했음. 청정면적은 19.8제곱미터(약 6평)임.
 
 당사는 에어로퍼니처 외관 재질을 폐전자기기에서 추출해 만든 재생 플라스틱으로 제작했음. 이는 폐기물의 자원화와 순환 경제를 추구함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LG 코드제로 무선·로봇 청소기, 업계 최초 'UL 그린가드 골드' 인증 획득
 ('22.11)
코드제로 무선청소기와 로봇청소기가 글로벌 청소기 업계 최초로 실내공기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UL 그린가드 골드(GREENGUARD GOLD)' 인증을 받았음.
 
 이번 인증으로 당사의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와 A9, 인공지능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R9, 신개념 청소기 거치대 올인원타워 등 다양한 청소기 제품군이 글로벌 안전과학회사인 UL솔루션즈(UL Solutions)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의 안전성에 최고 등급을 받으며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임을 입증했음.
 
 UL 그린가드는, UL솔루션즈가 제품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방출량을 엄격하게 측정해 부여하는 실내공기질 안전성 인증임. 기준치 이상의 유기화합물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집중력과 생산성 저하는 물론 새집증후군 유발, 천식과 알레르기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이번 인증은 UL 그린가드 인증의 최고 등급으로 더욱 강화된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방출량 기준치를 충족시켜야 받을 수 있음. 가정, 사무실 등 일반 환경뿐만 아니라 공기질에 민감한 어린이, 노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학교, 의료시설 등 실내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쓸 수 있음.
 
 당사는 흡입된 먼지나 오염물질이 배출되지 않도록 청소기 제품군에 강력한 미세먼지 차단 시스템을 적용하고 있음.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와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R9은 먼지 흡입과 동시에 터보 싸이클론에서 만든 회오리로 공기와 먼지를 분리하고, 금속망 필터, 마이크로 필터, 고성능 배기필터를 통해 청소기 내부로 들어온 미세먼지가 배출 되지 않도록 도와줌. 이 제품들은 구입 후에도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 라인업임.
 
 당사의 신개념 청소기 거치대인 올인원타워는 항균 소재의 먼지 봉투, 모터 보호 필터, 고성능 배기 필터 등 3단계 미세먼지 차단 시스템으로 청소기에 빨아들인 먼지가 밖으로 새지 않도록 도움. 이 제품은 무선청소기 충전과 액세서리 보관은 물론 먼지통 비움까지 한 번에 할 수 있어 편리함.
 
 당사는 '모두의 더 나은 삶(Better Life for All)'라는 ESG 지향점 아래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대하고 모두에게 편리한 제품 및 서비스 개발을 지향하고 있음. 당사는 올해 7월 LG 휘센 타워 에어컨이 국내 스탠드형 에어컨 최초로, 지난해에는 LG 휘센 듀얼베인 시스템 에어컨이 업계 최초로 UL 그린가드 골드 인증을 획득한 바 있음.
작은 주방에 쉽게 설치하는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6인용 식기세척기' 출시
 ('22.11)
작은 주방에도 설치 가능한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6인용 식기세척기' 신제품을 출시함.
 
 이번 신제품은 컴팩트한 크기에 오브제컬렉션 컬러와 디자인을 적용해 인테리어와 조화를 이루는데 중점을 뒀음. 특히 설거지 양이 적은 1~2인 가구나 주방이 협소해 비교적 부피가 큰 12인용 식기세척기 설치가 어려운 고객에게 유용함.
 
 당사가 국내 창원에서 직접 생산하는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6인용 식기세척기는 매력적인 디자인뿐만 아니라 강력한 세척과 건조 성능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이 제품은 하단의 듀얼 세척날개와 뒷면까지 3중으로 분사되는 34개의 고압 물살로 식기를 구석구석 깨끗하게 세척함. 내부 습기는 상단 배출구로 내보내면서 뜨거운 바람을 이용한 열풍건조로 세척 후 식기에 남은 습기를 보송하게 말려줌.
 
 신제품은 뛰어난 위생 성능과 다양한 편의 기능도 두루 갖췄음. 당사가 국내 전문 인증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Korea Testing&Research Institute) 등과 실험한 결과 이 제품의 고온살균 코스를 적용했을 때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세레우스, 녹농균이 99.999% 제거됐음.
 
 당사는 고객이 더 편리하게 식기세척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신제품에 2단 분리형 선반을 적용했음. 상단 선반을 분리하면 큰 냄비와 프라이팬 수납도 가능해 다양한 크기의 식기와 조리도구까지 세척할 수 있음.
고성능 AI엔진 탑재한
휘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출시
 ('22.10)
앞선 인공지능(AI) 기술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휘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 '멀티브이 아이(MultiV i)'를 출시함.
 
 LG 휘센 상업용 시스템에어컨은 대형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를 연결해 사용하는 제품임. 주로 사무실, 학교, 상가, 아파트, 의료ㆍ숙박 시설 등 중대형 건물에서 4계절 냉난방 용도로 쓰임.
 
 신제품은 스마트폰이나 컴퓨터에 쓰이는 중앙처리장치(AP, Application Processor) 기반의 고성능 AI엔진 소프트웨어를 탑재했음.
 
 이 제품은 AI엔진을 통해 한 공간에 있는 여러 대의 실내기를 각각 자동 제어해 해당 전체 공간의 온도를 균일하게 유지시켜주는 'AI 실내공간케어', 사용자가 설정한 에너지 목표 사용량에 맞춰 알아서 운전하는 'AI 에너지 맞춤제어', 사람이 없을 땐 알아서 절전하고 상황에 따라 냉방 세기를 조절해 실내를 쾌적하게 해주면서 전기료까지 아낄 수 있는 'AI 스마트케어' 등 차별화된 인공지능 기능을 제공함.
 
 또 이 제품은 'AI 스마트 진단' 기능을 활용하면 스마트폰으로 냉난방성능, 냉매, 통신, 센서, 부품 등 실외기의 제품 상태를 실시간으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음.
 
 신제품의 에너지 효율은 기존 모델인 '멀티브이 슈퍼5(Multi V Super5)' 대비 16마력 동급 기준 최대 7.2% 높아졌음. 또 24마력 동급 기준 제품의 설치 면적과 무게는 각각 13%, 10% 줄었음. 에너지소비효율은 1등급임.
 
 멀티브이 아이는 멀티브이 슈퍼5의 차별화된 장점을 그대로 계승했음. 시스템에어컨의 심장인 인버터 컴프레서 등 핵심 부품에 독자 개발한 다양한 신기술이 적용돼 냉난방 성능과 효율이 뛰어남. 또한 이 제품은 온도뿐만 아니라 습도에 따라서도 최적으로 냉방 운전하기 때문에 에너지를 절약하고 더 쾌적한 실내공기를 유지해줌.
 
 휘센 시스템에어컨만의 인공지능 품질도 독보적임. 당사는 지난해 시스템에어컨 업계 최초로 한국표준협회로부터 인공지능 품질인증인 'AI+(에이아이플러스) 인증'을 획득하며 제품에 탑재된 인공지능 기술의 신뢰성을 인정받은 바 있음.
 
 유지 보수와 관리 기능도 편리함. 서비스 엔지니어가 직접 방문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별도 시스템에 접속한 후 원격으로 소프트웨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음. 스마트폰의 LG 씽큐(LG ThinQ) 앱을 통해 외부에서 냉방과 난방 기능을 사용할 수 있고 전력 소비량, 실내 온도 및 습도 등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음.
올인원타워로 더 편리해진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 출시
 ('22.10)
신개념 청소기거치대 '올인원타워'를 결합한 프리미엄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 신제품을 출시함.
 
 신제품은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에 적용돼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올인원타워를 로봇청소기에도 도입했음. 코드제로 R9 전용 올인원타워는 로봇청소기의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우고 UVC(자외선) LED로 먼지봉투 속에 쌓인 먼지 표면의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신개념 충전거치대임.
 
 LG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이 청소를 끝내고 올인원타워로 복귀하면 고객이 별도로 먼지통을 분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먼지통을 비워줌. 올인원타워의 UVC LED 기능은 로봇청소기의 충전이 시작되면 자동으로 작동함.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LG UP가전 라인업임. 당사는 향후 추가될 신기능 중 기존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에도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기능은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임.
 
 신제품은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의 차별화된 성능과 편리함은 그대로 계승했음. LG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은 약 300만 장의 사물 이미지를 학습한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실내 공간과 장애물을 더 정확하게 인지함.
 
 이 제품은 LG 씽큐 앱을 이용해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인 클로바와 연결하면 음성으로도 로봇청소기를 제어할 수 있음.
 
 고객은 LG 씽큐 앱에서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과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M9을 연동해 스마트 페어링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음.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R9이 진공 청소를 끝낸 후 코드제로 오브제컬렉션 M9이 알아서 물걸레 청소를 진행해 편리함.
'스팀 건조'로 차별화된 고객경험
제공하는 LG 스타일러 신제품 출시
 ('22.09)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스팀 건조' 코스를 갖춘 'LG 스타일러 오브제컬렉션' 신제품을 출시함
 
 신제품에 처음 적용된 '스팀 건조' 코스는 셔츠 등 소량의 의류를 간편하게 말리는 데 유용한 스타일러의 건조 기능에 LG전자만의 독자기술인 트루스팀(TrueSteam)을 이용해 섬세하게 건조하면서 구김까지 줄여줌. 새로운 스팀 건조 코스는 인버터 히트펌프를 이용한 저온제습방식으로 와이셔츠나 티셔츠 등 의류를 건조한 뒤, 스팀을 미세하게 분사해 구김을 완화시킨다. 트루스팀은 탈취와 살균에도 효과적임.
 
 당사는 올 2월 선보인 차세대 스타일러부터 적용된 '듀얼 트루스팀'을 활용해 스팀 건조 코스를 구현했음 듀얼 트루스팀은 물을 끓여 스팀을 만드는 히터를 기존 1개에서 2개로 나눠서 스팀 분사량을 보다 정교하게 조절함 캐시미어나 실크 고급 의류를 관리하는 코스는 1단 히터만 사용해 스팀량을 미세하게 조절하면서 옷감을 섬세하게 관리함. 신제품은 니트 가디건 관리 코스, 스마트케어 등 신기능도 이용할 수 있음 니트 가디건 관리 코스는 옷이 옷걸이에서 바닥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등 최적 알고리즘으로 구현했다. 신제품과 함께 제공되는 스타일러 라운드 옷걸이와 함께 사용하면 됨.
 
 스마트케어는 날씨, 시간 등 상황에 따라 스타일러가 알아서 최적으로 동작하는 기능임 ▲미세먼지 맞춤 ▲습도 맞춤 ▲조용히 기능을 켜고 끌 수 있음. 미세먼지 맞춤 기능은 미세먼지가 ‘매우 나쁨’ 이상일 때 무빙행어를 더 강하게 동작시킴. 습도 맞춤은 습도가 80% 이상일 때 건조시간을 늘려 의류를 더 보송하게 관리해줌 또 고객이 원하는 시간대에 ‘조용히’를 켜면, 해당 시간에는 작동 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최소화해 야간에 특히 유용함.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이다. 당사는 또 2월 출시된 UP가전 스타일러를 대상으로 이번에 선보인 스팀 건조 등 신기능을 추가하는 업그레이드를 제공할 예정임.
터치로 색상과 분위기 바꾸는 냉장고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 출시
 ('22.09)
고객이 LG 씽큐 앱에서 원하는 컬러를 선택하면 냉장고 색상은 물론 공간 분위기까지 바뀌는 'LG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무드업(MoodUp)'이 국내 출시됨.
 
 당사가 이달 초 IFA 2022에서 처음 공개한 이 제품은 최신 가전 트렌드인 공간가전과 UP가전을 결합해 기존에 없던 '무드업' 기능을 적용해 차원이 다른 고객경험을 선사하며 관람객들의 주목을 받은 바 있음. 신제품은 노크온 기능 유무에 따른 상냉장 하냉동 냉장고 2종, 김치 냉장고 등 총 3종이다. 제품의 기본 색상은 룩스 그레이(상칸)와 룩스 화이트(하칸)로 도어 조명이 꺼져 있을 때도 글라스 및 자연 암석의 고급스런 재질감이 주방의 품격을 높여준다. 냉장고와 김치 냉장고를 세트로 구성하면 하나의 제품처럼 조화를 이루며, 무드업 기능을 연동시킬 수 있음.
 
 
 고객은 신제품에 세계적인 색채 연구소인 미국 팬톤컬러연구소(Pantone Color Institute)와 협업해 만든 오브제컬렉션 컬러를 포함해 도어 상칸 22종, 하칸 19종의 색상 중 원하는 것을 골라 적용할 수 있음. LG 디오스 오브레컬렉션 무드업은 고객이 제품 색상을 바꾸고 싶을 경우 패널을 교체하고 추가 비용까지 지불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앴음. 컬러를 바꿔도 폐기되는 패널이 없어 환경보호에도 도움이 됨. 고객은 당사의 스마트홈 플랫폼인 LG 씽큐(LG ThinQ) 앱을 통해 무드업 기능을 다양하게 즐길 수 있음.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고 싶을 때는 '힐링 테마'를, 바쁜 일상 속에서 잠시 랜선 여행을 떠나고 싶을 땐 '공간 테마'를, 계절에 따른 집 안 분위기를 연출하려면 '계절 테마'를 고르면 됨.
 
 상냉장 하냉동 냉장고에는 블루투스 스피커를 탑재했음. 제품에 탑재돼 있는 69개 음원은 물론 스마트폰, 태블릿 등 스마트기기와 연결해 다양한 음악을 무드업 컬러와 함께 즐길 수 있음. 또 ▲음성만으로 냉장고 문을 열 수 있는 '음성인식' ▲음료의 풍미를 살려주는 고급스러운 원형(圓形) 얼음인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 등 LG전자 프리미엄 냉장고의 차별화된 기능도 갖췄음.
 
 당사가 고객 1만3천 명의 냉장고 사용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여름철 기준 냉장고 문을 일 평균 19.4회, 많게는 41.3회 열고 닫았음. 41.3회를 기준으로 도어 조명이 1일 약 11시간 점등될 경우 전기요금은 기존 동급 냉장고보다 한 달에 2,700원 가량(누진세 적용 제외) 추가될 수 있음. 이는 작은 방에 켜두는 50W 전구 하나를 하루 10시간 정도 사용하는 수준임. 한국에너지공단의 효율관리기자재의 운용규정에 따른 신제품의 에너지소비효율은 2등급임.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임. 당사는 도어 색상 및 테마, 음원, 신규 기능 등을 업그레이드로 지속 제공할 계획임. 또 다양한 브랜드, 아티스트와의 콜라보레이션 테마도 선보일 예정임.
IFA 2022에서
'LG 스타일러 슈케이스ㆍ슈케어' 공개
 ('22.08)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차세대 프리미엄 신발관리 솔루션 'LG 스타일러 슈케이스·슈케어'를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IFA 2022에서 선보임. 당사는 MZ세대 고객들 사이에서 명품 운동화나 한정판 등의 신발을 수집하고 SNS 등에 공유하며 개성을 표현하는 문화가 확산되는 가운데 신발을 더욱 돋보이게 보관하고 즐기는 동시에 최적의 방법으로 관리해주는 솔루션을 원한다는 점에 주목했음.
 
 LG 스타일러 슈케이스와 슈케어는 이처럼 발끝까지 스타일을 신경 쓰는 고객에게 쾌적한 상태로 신발을 관리, 늘 보송보송한 신발을 신을 수 있는 새로운 슈라이프 경험을 선사함. 특히 당사는 혁신 제품의 기획부터 출시 후 개선까지 참여하는 고객자문단 '엘업(L.UP)'과 함께 스타일러 슈케이스와 슈케어를 개발했음. 또 엘업과 함께 제품 실사용 테스트를 진행하고, 고객 페인포인트(Pain Point, 고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찾아 이를 제품에 반영했음. 당사는 2019년부터 밀레니얼, X세대, 베이비부머 등 다양한 세대로 구성한 엘업(당시 「신(新)가전 고객자문단」)을 운영하고 있음. 엘업은 당사의 새로운 생활가전 제품을 기획하기 위해 자유롭게 아이디어를 제안하고 구체화하는 과정에 참여하며 제품 컨셉과 디자인도 평가하고 있음.
 
 스타일러 슈케이스는 나만의 소중한 신발을 최적의 습도와 온도로 제대로 보관하고 예술 작품처럼 감상할 수 있는 신개념 보관전시함임. 내부에는 은은한 조명이 켜지고 받침대는 턴테이블처럼 360도로 회전시킬 수 있어 백화점 부띠끄(boutique)의 진열장처럼 신발을 더 고급스럽고 돋보이게 해줌. 이 제품은 다양한 형태로 설치할 수 있는 모듈형 타입임. 함께 선보이는 프리미엄 신발관리기 스타일러 슈케어 위에 설치하면 하나의 제품처럼 매끄러운 일체형 디자인으로 쓸 수 있음. 또 슈케이스를 최대 4개까지 하나의 전원으로 연결할 수 있어 위로 쌓거나 일렬로 배치하면 나만의 특별한 신발 전시관이 됨.
 
 당사의 프리미엄 신발관리기 스타일러 슈케어는 운동화나 구두 등은 물론 골프화, 축구화 등 기능성 신발과 자주 신는 데일리 슈즈까지 온 가족의 다양한 신발을 당사만의 혁신기술로 맞춤 관리해줌.
 
 이 제품은 의류관리기 대명사 'LG 스타일러'의 특허 받은 스팀 기술을 그대로 계승했음. 물을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을 업계 유일하게 갖춰 신발 바깥쪽은 물론 안쪽까지 꼼꼼하게 살균·탈취함. 신발 종류나 소재에 맞춰 스팀 분사량을 세밀하게 조절해 신발은 손상되지 않도록 하면서 무좀균, 유해물질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신발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당사는 신발에 남아있는 미세한 습기와 냄새까지 제거하기 위해 신발 관리에 최적화된 신기술인 '제오드라이필터(Zeo-Dry filter)'를 개발해 제품에 적용했음. 이 필터는 다양한 분야에서 제습 및 탈취제로 쓰이는 고성능 건조물질 '제오라이트(Zeolite)'로 만들었음.
 
 스타일러 슈케어는 한 대의 신발관리기 상하칸에 다른 종류의 신발을 넣고 각각의 신발에 최적화된 맞춤 코스로 동시에 관리하는 '듀얼 케어시스템'을 구현함. 도어 안쪽에 있는 받침대를 상하칸에 설치하면 한 번에 최대 4켤레까지 케어할 수 있음. 스타일러 슈케이스와 슈케어는 구입 후에도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LG UP가전 라인업임. 당사는 슈케이스 내부 조명색을 바꿔주는 테마, 슈케어의 신규 맞춤 코스 등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임.
신개념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공개
 ('22.08)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 테이블형 공기청정기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를 'IFA 2022'에서 공개함. 당사는 최근 1~3인 가구가 늘어나고 침실, 서재 등 다양한 개별 공간에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는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을 고려해 가로 27.5cm, 세로 55cm의 크기에 새로운 융복합 디자인을 갖춘 공기청정기를 연내 출시할 계획임.
 
 LG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는 제품 아래쪽은 360도 방향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의 원통형 디자인이며, 위쪽은 원형과 트랙형 두 가지 타입의 테이블을 선택할 수 있도록 디자인됨. 이 제품의 청정면적은 19.8제곱미터(약 6평)임.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의 테이블 하단에 무드 조명도 적용했음. 고객은 LG 씽큐(ThinQ) 앱에서 8가지의 조명 컬러 중 하나를 선택하고 밝기도 2단계로 조절 가능하다. 테이블 상단의 무선충전링을 통해 스마트폰과 무선 이어폰 등을 충전할 수 있음.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LG UP가전 라인업임. 당사는 무드 조명의 밝기 단계를 더 정밀하게 조절하는 등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임.
 
 신제품에 차별화된 위생 기능을 집약했으며, UV나노(UVnano) 기능은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UV LED로 살균해 유해세균을 99.99% 제거해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UV나노는 UV LED와 자외선의 파장단위인 나노미터(Nanometer)를 합성한 용어임.
 
 또한 이 제품은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의 뛰어난 공기청정 성능도 계승했음. 공기청정 필터는 항바이러스ㆍ항균 효과는 물론 극초미세먼지를 비롯해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등 5대 유해가스를 제거함. 이 제품은 ▲한국공기청정협회의 청정성능 CA(Clean Air)인증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KAF; Korea Asthma Allergy Foundation) 인증 ▲영국알레르기협회(BAF; British Allergy Foundation) 인증을 모두 획득했음.
 
 LG 퓨리케어 에어로퍼니처 외관 재질은 폐전자기기에서 추출해 만든 재생 플라스틱을 사용했음. 이는 폐기물의 자원화와 순환 경제를 추구함으로써 미래세대를 위한 더 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해 당사가 실천하고 있는 ESG 경영의 일환임.
오브제컬렉션 인덕션 전기레인지 출시
 ('22.08)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에 업그레이드로 신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선사하는 '디오스 오브제컬렉션 인덕션 전기레인지'를 출시함. 상판과 조작부 컬러가 크리스탈 실버로 동일한 일체형 디자인과 화이트 상판에 다양한 조작부 컬러를 선택할 수 있는 분리형 디자인을 새롭게 선보임.
 
 신제품의 분리형 디자인은 산업통상자원부가 주최하고 한국디자인진흥원이 주관하는 '2022 우수디자인(GD)상품'에서 제품 분야 우수디자인으로 선정됐음. 고객은 미스트 베이지, 미스트 핑크, 미스트 크림화이트, 미스트 클레이 브라운, 미스트 클레이 민트 등 5개 조작부 컬러 중 하나를 인테리어에 맞춰 고를 수 있음.
 
 이번 제품은 인덕션 전기레인지의 첫 번째 LG UP가전 라인업임. 당사는 향후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고객이 선택한 레시피에 맞춰 화력과 시간을 자동으로 조절해주는 '레시피 쿡' 등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임. 또 당사는 기존 블랙 색상의 쿼드 인버터 인덕션 전기레인지(해당 모델: BEI3MQT, BEI3MPQT, BEI3GQT)를 사용하는 고객도 원할 경우 오브제컬렉션 상판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했음.
 
 또한, 이 제품에 적용된 쿼드 인버터 기술은 제품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입구 역할을 하는 반도체(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기존 LG 제품 대비 2개에서 4개로 늘려 가열 성능이 떨어지는 저효율 인덕션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음식을 2배 이상 빠르게 조리함.
 ▲코일과 용기간 거리를 줄여 가열 속도를 향상시킨 2층 코일 구조 ▲과열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코일 설계 등 화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5중 고화력 부스터' 기술을 적용했음. 이 기술 적용으로 3,400와트 초고화력의 국내 3구 플러그타입 인덕션 제품 중 최저 전기료를 구현한 것도 특징임.
 
 LG 디오스 인덕션 전기레인지는 더욱 강화된 안전성을 갖춤. 일체형 제품을기준으로 ▲상판 온도의 급상승을 감지해 자동으로 출력을 제어하는 '상판 과열방지 시스템' ▲과열방지를 위한 풍량을 상황에 따라 조절하는 '변속 쿨링팬' 등 22종의 안전장치시스템을 탑재했음.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는
'트롬 워시타워 컴팩트' 출시
 ('22.08)
세탁량이 적은 가구나 세탁실이 좁은 가정에서도 원바디 세탁건조기를 고객이 편리하게 쓸 수 있도록 '트롬 워시타워 컴팩트'를 출시함. 당사는 최근 1~2인 가구가 늘어나고 아파트 주방과 발코니 확장으로 세탁을 위한 공간이 줄어드는 등 고객의 최신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한 컴팩트 제품을 워시타워 라인업에 추가해 선택의 폭을 넓힘.
 
 신제품은 좁은 공간에도 설치할 수 있도록 가로 600mm, 깊이 660mm, 높이 1,655mm로 제품 크기를 줄였음. 대형 트롬 워시타워 대비 가로 100mm, 깊이 170mm가 줄었음. 높이는 235mm 더 낮아져 세탁물을 넣고 빼거나 필터를 관리하는 것이 더욱 편리해졌음. 천장이 낮은 공간에도 설치 가능하고 천장이 높은 장소에서는 상단을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음.
 
 LG 트롬 워시타워 컴팩트의 용량은 하단 세탁기는 13kg, 상단 건조기는 10kg임.
 
 워시타워 가운데에 있는 조작판넬인 원바디 런드리 컨트롤(One Body Laundry Control)은 세탁기와 건조기를 위아래로 따로 설치했을 때보다 손을 멀리 뻗거나 리모컨을 쓰지 않아도 돼 편리함. 트롬 워시타워는 별도의 스마트폰 앱이나 별도의 유선 연결 없이도 세탁기가 사용한 세탁코스를 건조기로 전달하면 건조기는 가장 적합한 건조코스를 알아서 설정함.
 
 또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인터텍(Intertek)이 시험한 결과 '소량 급속 코스'에 건조준비 옵션을 적용해 세탁할 경우 스포츠 의류나 파자마 등 간단한 빨래를 세탁부터 건조까지 1시간 내에 끝냄. 운동을 마치거나 급히 세탁이 필요한 경우 유용함.
 
 신제품은 구입 후에도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는 LG UP가전 라인업임.
국내 최초 음성인식 탑재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정수기 출시
 ('22.08)
국내 최초로 음성인식 기능을 적용해 더욱 편리해진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정수기를 출시했음. 출수량과 물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 여러 번 버튼을 누르거나 손에 음식물이 묻어 버튼을 누르기 어려운 경우 등 기존 정수기 사용 고객의 페인포인트(Pain Point, 고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새로운 음성인식 기능으로 해결했음.
 
 신제품은 음성만으로 출수량을 10 밀리리터(mL) 단위로 정밀하게 설정하고 물을 받을 수 있음. 예를 들어 고객이 "하이 엘지!"라고 부른 후 "냉수 550밀리리터 줘"라고 말하면 버튼을 조작하지 않고 원하는 용량의 물을 받을 수 있음. 같은 양의 물을 다시 받으려면 "한번 더"라고 말하면 됨. 그 밖에도 "최근 일주일 마신 물 사용량 알려줘"와 같이 기간별 물 사용량을 확인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음성으로 이용할 수 있음.
 
 신제품에 새롭게 적용된 「맞춤 출수」 기능도 유용함. LG 씽큐 앱(LG ThinQ)에서 커피, 분유 등 자주 사용하는 물 온도와 용량을 3개까지 등록한 뒤 맞춤 출수 버튼을 눌러 선택하고 출수 버튼을 누르면 됨.
 
 설치공간이나 취향에 맞춰 출수부 상단을 분리해 가로형과 세로형으로 설치하고 변경할 수 있는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 제품임. 또 카밍 크림 화이트, 카밍 페블 그레이, 카밍 베이지, 카밍 핑크, 카밍 크림 스카이 등 전문가가 엄선한 5가지 오브제컬렉션 컬러를 적용했고 전면과 측면이 조화를 이루는 세련된 투톤 디자인을 구현했음.
 
 신제품은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하는 LG UP가전의 첫 번째 정수기임. 추후 음성 명령어 추가, 야간 눈부심 방지 등 새로운 업그레이드를 제공할 예정임.
 
 LG 퓨리케어 정수기의 장점인 철저한 위생 관리와 스마트한 편의 기능은 그대로 계승했음. 고온살균 기능은 먹는 물이 지나는 정수기 내부 全 구간을 고온수로 살균해줌. 이를 통해 물을 걸러주는 필터부터 스테인리스 직수관까지 주 1회 고온으로 살균해 세균이나 물때 걱정 없이 정수기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음. 출수구는 고객이 원할 때마다 추가로 고온살균 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1시간에 10분씩 UV LED로 자동 살균하는 UV나노(UVnano)가 적용돼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LG 휘센 타워 에어컨, 스탠드형 최초
'UL 그린가드 골드' 인증 획득
 ('22.07)
휘센 타워 에어컨이 국내 스탠드형 에어컨 최초로 실내공기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UL 그린가드 골드(GREENGUARD GOLD)' 인증을 받았음. UL 그린가드는 글로벌 안전과학회사인 UL솔루션즈(UL Solutions)가 제품에서 발생하는 휘발성 유기화합물(VOC)의 방출량을 엄격하게 측정해 부여하는 실내공기질 안전성 인증임. 기준치 이상의 유기화합물에 장기간 노출될 경우 집중력과 생산성 저하는 물론 새집증후군, 천식, 알레르기 등을 유발해 건강을 해칠 수 있음.
 
 이번 인증은 UL 그린가드 인증의 최고 등급으로 가정, 사무실 등 일반 환경뿐만 아니라 공기질에 민감한 어린이, 노약자가 주로 이용하는 학교, 의료시설 등 실내 환경에서도 안심하고 쓸 수 있도록 더욱 강화된 유기화합물의 방출량 기준치를 충족시켜야 받을 수 있음.
 
 LG 휘센 타워 에어컨은 실내공기질 관리를 위한 뛰어난 공기청정 성능은 물론 에어컨 내부 위생까지 쾌적하게 관리할 수 있음. 자동 청정관리는 ▲극세필터를 알아서 청소하는 필터클린봇(1단계) ▲필터에 붙을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항균 극세필터(2단계) ▲한국공기청정협회 CAC(Certification Air Conditioner) 인증 공기청정(3단계) ▲열교환기에 붙어 있는 먼지 등 오염물질을 씻어내는 열교환기 세척(4단계) ▲에어컨 내부 습기를 말려주는 최적의 건조 시간을 알아서 설정해주는 AI건조(5단계) ▲TUV라인란드로부터 인증 받은 99.99% UV LED 팬 살균(6단계) 등 단계별로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자동으로 꼼꼼하고 깨끗하게 관리해줌. 고객이 필요할 때마다 직접 에어컨 내부를 손쉽게 열고 내부의 모든 팬을 청소할 수 있는 셀프 청정관리도 편리함.
 
 LG 휘센 타워 에어컨은 구입 후에도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지속적으로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 라인업임. 직선과 원으로 미니멀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초(超)프리미엄 LG 시그니처 에어컨의 디자인 철학에 LG 오브제컬렉션의 컬러와 감성을 더해 어떤 거실에도 조화를 이룸.
프리미엄 안마의자
'LG 힐링미 타히티' 출시 ('22.06)
강화된 안마 성능과 편리한 맞춤형 기능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안마의자 신제품을 출시함.
 
LG 힐링미 타히티(모델명: MX70B)는 상하좌우뿐만 아니라 앞뒤까지 6방향으로 움직이는 안마볼로 주무르기, 지압, 두드리기 등 손마사지와 유사한 7가지 핸드모션(Hand Motion) 입체안마를 구현했음. 당사는 고객이 편안한 자세로 안마를 받을 수 있도록 한국인 표준 체형에 맞춰 신제품을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함.
 
고객 맞춤형 안마코스인 '마이 코스'도 새로 추가됨. 안마 부위, 강도, 속도 등을 취향에 따라 설정하고 지문을 인식하면 각자 저장해둔 맞춤코스를 이용할 수 있음. 지문인식은 최대 6명까지 저장 가능함.

신제품은 LG UP가전의 안마의자 라인업으로 무선인터넷(Wi-fi)을 탑재함. 당사는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향후 추가적인 안마코스와 신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업그레이드를 지속 제공할 예정임.
 
이 제품은 LG 힐링미 안마의자의 다양한 편의기능은 그대로 계승했음. 고객은 안마의자를 사용하는 중에 음성만으로도 안마코스나 안마 세기 등을 설정 가능함. 예를 들어 고객이 "하이 엘지!"라고 부른 후 "피로회복", "직장인" 등 안마코스를 말하거나 "전신 안마 세게", "발바닥 약하게"와 같은 안마 세기를 말하면 안마의자가 그에 맞춰 동작함.
 
당사는 고객이 온전히 안마에 집중하면서 마음을 편안히 할 수 있도록 신제품을 저소음으로 설계했음.조용조용 코스 기준 약 34데시벨(dB)로 조용한 도서관보다 낮은 수준이고, 고객의 등, 허리까지 따뜻하게 해주는 온열시트, 안마를 받으면서 음악을 들을 수 있는 블루투스(Bluetooth) 스피커도 적용함.
LG 코드제로 A9S,'스팀 물걸레'출시
 ('22.06)
스팀 물걸레 청소로 바닥의 찌든 때까지 제거할 수 있는 LG 코드제로 A9S 신제품을 출시하며 차세대 무선청소기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함.
 
신제품은 국내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중 먼지 흡입과 스팀 물걸레 청소가 모두 가능한 '안심 스팀 물걸레 흡입구'를 갖춰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며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 시험 결과, 안심 스팀으로 데워진 물걸레로 바닥에 굳은 초콜릿과 굳은 고기 기름을 청소하면 일반 물걸레 모드보다 오염을 수월하게 제거할 수 있음.
 
이번 신제품은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했음. 2중 과열 방지 센서를 적용해 스팀 발생기가 필요 이상의 온도로 상승하지 않도록 설계했고, 흡입구가 바닥에서 들리거나 기울어질 경우 스팀 공급이 자동으로 중단되므로 고객이 보다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또 흡입구 움직임이 10초 이상 없을 경우 스팀 공급을 중단하고 약 1분간 움직임이 없을 경우 물걸레 회전도 멈춤.
 
청소하는 동안 물걸레가 마르지 않도록 촉촉하게 유지해주는 자동 물 공급 시스템, 청소기 한 대로 먼지 흡입과 물걸레 청소를 동시에 할 수 있는 편리함 등 기존 코드제로 A9S의 장점은 그대로 계승했음.
 
LG 코드제로 A9S 신제품의 흡입력은 최대 220와트(W)로 더욱 강력해졌음. 새로운 '와이드 LED 흡입구'도 적용됐고 흡입구 전면에 LED 조명을 탑재해 어두운 곳에서도 바닥을 환하게 비춰줌 흡입구 폭을 기존 A9S 마루 흡입구 대비 약 5cm 넓혀 30cm로 확 키웠고 더 슬림하고 무게도 가벼워졌음.
 
당사는 무선청소기 충전과 액세서리 보관은 물론 먼지통 비움까지 한 번에 할 수 있는 신개념 거치대도 '올인원타워 2.0'으로 업그레이드했음. 이 제품은 기존보다 먼지 비움 기능 작동 시간이 짧아졌음.  올인원타워에는 먼지봉투 속 세균 증식을 억제하는 UVC(자외선) LED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데, 고객은 조작부의 UVC 버튼을 통해 원할 때마다 이 기능을 추가로 작동시킬 수 있음.
 
신제품은 프리미엄 무선청소기의 대명사인 코드제로 A9S의 첫 번째 LG UP가전 라인업 제품임. 당사는 추후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청소기 본체의 충전 LED 밝기를 설정하는 등 다양한 업그레이드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임.
휘센 주거용 시스템 에어컨
신제품 출시
 ('22.06)
다양한 맞춤형 바람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휘센 주거용 시스템 에어컨' 신제품을 출시.
신제품은 주거용 1방향(way) 시스템 에어컨 최초로 제품 내부에 투명한 날개인 에어가드를 추가해 바람의 방향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하며, 고객은 상황과 공간에 맞춰 6가지 공간맞춤바람을 선택할 수 있음.
 
 고객은 바람의 세기와 방향을 스스로 조절해 실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하는 「자동온도바람」, 은은한 바람으로 공간 전체를 서서히 냉방하는 「매너바람」, 약 10.5m의 거리까지 바람을 보내 보다 빠르게 실내를 냉방하는 「롱파워바람」, 온도, 풍량, 풍향 변화를 통해 뇌파 변화를 유도해 집중력을 높이는데 도움 주는 「스터디바람」, 수면 주기에 맞춰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쾌적수면바람」, 숲 속의 편안한 바람처럼 실내에 오래 머물러도 상쾌한 「숲속바람」 등 다양한 맞춤형 기류(氣流)를 활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제품 내부의 습기 제거를 위한 최적의 건조 시간을 알아서 설정해주는 「AI건조」,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UV LED로 99.99% 살균하는(TUV라인란드의 시험결과 기준) 「UV나노(UVnano)」 등 바람이 지나가는 길의 위생을 관리하는 기능도 대폭 강화해 고객이 더 쾌적하게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음.
 
당사는 신제품에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적용했으며, 고객은 리모컨의 '상태확인' 버튼만 누르면 실내 온ㆍ습도, 미세먼지 농도를 바로 확인할 수 있음. 또 LG 씽큐(ThinQ) 앱을 통해 다양한 방법으로 에어컨을 활용할 수 있음. 집에 도착하기 전에 스마트폰으로 미리 에어컨을 켜두거나 밖에서 에어컨을 끌 수 있는 원격 제어, 고객이 집에 가까워지면 에어컨이 자동으로 켜지는 위치기반 자동운전, 실외 온ㆍ습도, 미세먼지 농도 등 외부환경에 따른 자동운전 등을 선택할 수 있음.
'앞툭튀' 없는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출시
 ('22.05)
국내 가정의 창호에 딱 맞는 '앞툭튀' 없는 디자인과 냉방 성능이 뛰어난 창호형 에어컨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를 출시함.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는 공기 흡입구를 전면에 배치해 제품을 이중창 바깥쪽에 설치할 수 있어 에어컨 돌출을 최소화했고, 블라인드나 커튼 사용도 가능함 기존의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은 공기 흡입구가 제품 측면에 있어 냉방 기능이 작동되려면 이중창 안쪽에만 설치해야 해 제품이 방 안으로 돌출됨.
 
신제품은 전문가가 엄선한 오브제컬렉션 컬러인 카밍베이지, 크림화이트 색상이 적용돼 어떤 인테리어와도 조화를 이루며, 제품 상단에 노출되는 설치키트와 창틀 사이의 틈을 가려 더욱 깔끔하게 설치할 수 있는 마감키트도 옵션으로 선택할 수 있음.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의 시험 결과 신제품은 실내로 비가 들어오지 않도록 완벽히 차단하는 것을 입증 받을 정도로 장마철에도 안심하고 쓸 수 있음. 또한 벌레가 내부로 들어오지 않는 빈틈없는 설계도 장점임.
 
LG 휘센 오브제컬렉션 엣지는 당사가 국내 창원에서 직접 생산하는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임. 냉매를 압축하는 실린더가 2개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냉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남. 최대냉방모드인 아이스쿨파워는 강풍모드 대비 약 24% 빠르게 온도를 낮추고, 저소음 모드에서는 조용한 도서관 수준인 40데시벨보다도 낮은 34데시벨의 저소음 냉방을 구현함.
 
인공지능이 제품 사용시간을 분석해 제품 내부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최적의 건조 시간을 설정하는 AI건조 기능도 갖췄음. 또 대용량인 20리터 용량 제습기보다도 큰 하루 최대 34리터의 제습 성능을 갖춰 습도가 높은 장마철에도 실내를 쾌적하게 유지해줌.
 
신제품은 LG UP가전 라인업으로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업그레이드로 추가할 수 있음. LG 씽큐 앱을 통해 집에 도착하기 전에 미리 에어컨을 켜두는 등 제품을 원격 제어할 수 있어 더욱 편리함.
세탁건조가전,
세계 첫 'UL 딥러닝 AI 검증' 획득
 ('22.05)
가전업계 최초로 글로벌 안전과학회사인 UL로부터 트롬 세탁건조가전에 적용된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의 우수성을 인정받았음
 
이번 검증은 당사가 세탁기, 건조기, 원바디 세탁건조기 워시타워 등 다양한 트롬 세탁건조가전에 적용해 고객들로부터 차별화된 편리함을 인정받고 있는 인공지능 DD(Direct Drive) 기술이 대상임.
 
인공지능 DD는 딥러닝을 이용해 의류 재질을 인식한 후 당사만의 세탁ㆍ건조방법인 6모션 중 최적의 모션을 선택해 옷감 손상을 최소화함. 예를 들어 섬세한 의류 재질의 경우 옷감을 보호하는 모션인 흔들기와 주무르기를 선택해 세탁하며, 건조기도 의류 재질에 따라 건조시간과 최적의 동작을 결정함.
 
UL은 당사의 인공지능 DD를 대상으로 학습 데이터의 적합성, 학습 데이터 적용 알고리즘의 적합성, 제품의 실제 동작과 비교하는 인공지능 재현 시험 등 엄격한 심사 절차를 거쳐 인공지능 기술의 수준과 품질을 검증한 후 이번 인증서를 부여했음. UL이 인공지능 가전 제품 가운데 딥러닝 기술을 인정한 첫 사례라는 점에 의의가 있음.
 
딥러닝은 인공지능 가운데 진일보한 기술로 평가 받고 있으며, 컴퓨터가 사람처럼 스스로 생각하고 학습하는 것은 물론 미래 상황을 예측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함. 인공지능 기술은 발전 과정에 따라 단순 제어 프로그램(1세대), 경로 탐색 및 데이터베이스 검색(2세대), 머신러닝(3세대), 딥러닝(4세대)으로 구분할 수 있음.
 
당사는 이에 앞서 지난 3월 한국산업기술원으로부터 트롬 워시타워(모델명: W17NT)의 인공지능 기능 안전도를 검증하는 'AI 안전인증'을 취득한 바 있으며, 지난해에는 한국표준협회로부터 인공지능 품질인증인 'AI+'를 받는 등 국내 여러 전문기관으로부터 차별화된 인공지능 기술을 인정받고 있음.
 
한편, 당사는 올해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 라인업의 차세대 트롬 세탁건조가전을 선보였음. 고객은 펫케어 코스, 세탁과 건조 종료 후 방치된 세탁물 케어 등 신규 기능을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제품에 추가할 수 있음. 물을 끓여 만든 스팀을 세탁물에 분사해 옷감의 살균, 탈취, 구김 등에 효과적인 트루스팀 기능도 LG 트롬 세탁건조가전만의 차별화된 장점임.
2022년형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
출시 ('22.05)
강력하고 빠른 제습 성능은 물론 제품 위생관리까지 대폭 강화한 2022년형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를 출시함
 
 신제품은 강력한 제습 성능을 갖춰 전력량 1kWh당 16리터 제품은 3.2리터, 20리터 제품은 2.81리터의 습기를 흡수한다. 이는 한국에너지공단에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등록돼 시판되고 있는 동급 용량의 제습기 중 제습 효율이 가장 뛰어난 것임.
 
이번 신제품(대표모델 DQ202PGUA)은 제품의 위생관리 기능도 더욱 강력하고 편리함. LG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에 처음 적용된 UV나노(UVnano) 기능은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UV LED로 살균함. 부경대학교 식품과학연구소와 TUV라인란드의 시험 결과 팬에 붙을 수 있는 황색포도상구균, 표피포도상구균, 대장균 등 유해세균을 99.99% 제거했음.
 
신제품에 새롭게 적용된 자동건조 기능은 제습이 끝난 뒤 5분 동안 제품 내부의 습기를 스스로 말려 고객이 제습기를 더 쾌적하게 사용 가능함.
 
이 제품은 호스를 연결하면 물통을 따로 비울 필요가 없는 연속배수 기능, 물통에 물이 가득 차면 이를 쉽게 확인하고 물통을 비우도록 불빛으로 알려주는 라이팅 기능 등 차별화된 편의기능도 갖췄음. 고객은 공기청정 키트를 별도로 구매해 제습기의 공기 흡입구에 장착해 사용할 수도 있음.
 
LG 휘센 듀얼 인버터 제습기는 실내 습도를 감지해 자동으로 습도를 조절하는 '스마트 제습', 장마철에 덥고 습한 실내를 빠르게 제습하는 '쾌속 제습', 더욱 조용하게 작동하는 '저소음 제습', 젖은 신발과 옷장 틈새를 건조하는 '집중 건조' 등 상황에 맞춰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제습 모드를 갖췄음.
 
고객은 스마트폰의 LG 씽큐(LG ThinQ) 앱과 연동해 언제 어디서든 제습기 상태와 실내 습도 등을 확인하고 제품을 제어할 수 있음.
국내 최대 용량 25kg 트롬 세탁기
 ('22.05)
부피가 큰 이불, 많은 양의 빨래 등을 한 번에 세탁할 수 있는 국내 가정용 세탁기 최대인 25킬로그램(kg) 용량 LG 트롬 세탁기 신제품을 선보임.
 
 당사는 공간 인테리어 가전 LG 오브제컬렉션 라인업을 포함한 총 9종의 25kg 용량 신제품을 이달 둘째 주부터 순차적으로 선보임. 고객은 트루스팀 혹은 자동세제투입 기능이 적용된 신제품을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음.
 
이번 신제품은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UP가전이며, 고객은 펫케어 코스, 세탁 종료 후 방치된 세탁물 케어 등 신규 기능을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제품에 추가할 수 있음.
 
신제품은 LG 트롬 세탁기의 차별화된 장점을 그대로 계승했음. 물을 끓여 만든 스팀을 세탁물에 분사해 옷감의 살균, 탈취, 구김 등에 효과적인 트루스팀 기능과 인공지능을 이용해 옷감의 무게로 의류 재질을 인식해 당사만의 세탁방법인 6모션 중 최적의 모션으로 세탁하며 옷감 손상을 줄이는 인공지능 DD(Direct Drive) 기술을 적용했음.
 
당사는 이번에 출시하는 오브제컬렉션 세탁기에 세탁물의 무게와 오염도 등을 감지해 적정량의 세제를 알아서 투입해주는 '자동세제함 플러스' 기능을 적용했음. 신제품은 세제와 섬유유연제 투입 후 자동세제함 주변을 항상 씻어내는 자동 워터 스프레이를 갖췄으며, 세제함의 세제량 센서는 청소하기 쉬운 구조로 설계돼있고 세제가 3~4회분 가량 남았을 때 자동차 연료 알림처럼 미리 보충할 수 있도록 알려줌. 자동세제함의 급수부 표면은 물방울이 잘 맺히지 않도록 발수 처리해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퓨리케어 듀얼 정수기
오브제컬렉션 출시
 ('22.04)
고온살균으로 위생을 더욱 강화하고 전문가가 엄선한 컬러로 미적 가치를 더한 LG 퓨리케어 듀얼 정수기 오브제컬렉션을 출시함.
 
신제품은 전문가가 엄선한 컬러를 적용한 오브제컬렉션 라인업이며, 솔리드 베이지, 솔리드 크림 화이트, 솔리드 클레이 브라운, 솔리드 블랙 등 세련된 컬러가 적용된 신제품은 집안 전체 인테리어와 잘 어울리고 주방 공간의 분위기를 감각적으로 바꿔줌.
 
LG 퓨리케어 듀얼 정수기는 본체를 싱크대 아래 수납장에 설치하고 출수구만 외부에 노출하는 빌트인(Built-in) 타입으로 공간을 많이 차지하지 않아 조리 공간을 넓게 활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먹는 물이 지나는 정수기 내부 全 구간을 고온수로 살균해주는 고온살균 기능이 새롭게 적용되어 위생을 더욱 강화했으며, 물을 걸러주는 필터부터 직수관까지 주 1회 고온으로 살균해 세균이나 물때 걱정 없이 정수기 내부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음. LG전자가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KOTITI 시험연구원과 함께 시험한 결과 신제품의 고온살균 기능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을 99.99% 제거했다. 출수구는 고객이 원할 때 마다 고온살균 할 수 있고 주기적으로 UV LED로 자동 살균해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고객은 LG 씽큐(LG ThinQ) 앱의 스마트 커넥티비티 기능을 통해 정수기, 광파오븐, 식기세척기를 함께 연동시키면 요리가 더욱 편리해짐. LG 씽큐 앱에서 광파오븐의 요리 레시피를 선택한 후 전송버튼만 누르면 정수기는 레시피에 맞는 물의 양을 자동으로 맞추고 식기세척기는 요리에 맞는 최적의 코스를 알아서 설정해줌. 또 앱을 통해 정수기의 고온살균 이력, 필터 교체시기, 물 사용량 등도 확인할 수 있음.
2022년형 이동식 에어컨 출시
 ('22.04)
다양한 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하는 이동식 에어컨에 AI 건조와 대용량 제습 등 위생 관리를 대폭 강화한 2022년형 신제품을 출시함. 이번 제품은 제습 성능이 더욱 강력해졌으며, 이동식 에어컨 기존 모델(PQ08DBWAS) 대비 60% 강화된 하루 최대 44리터의 제습 성능을 갖춰 장마철 등 습도가 높을 경우 실내를 쾌적하게 제습함.
 
신제품은 AI 건조 기능을 탑재, 인공지능이 이동식 에어컨의 사용시간을 분석해 제품 내부 습기 제거를 위한 최적의 건조 시간을 알아서 설정함. 고객이 건조 시간을 따로 설정할 필요가 없어 편리함.
 
국내 이동식 에어컨 시장의 저변을 넓혀 온 LG 이동식 에어컨 신제품은 냉매를 압축하는 실린더가 2개인 듀얼 인버터 컴프레서를 탑재해 냉방 성능과 에너지 효율이 뛰어남. 하루 4시간 사용 시 기존 정속형 모델(LW-C062PEW)보다 에너지를 최대 29% 절약할 수 있음.
 
저소음 모드로 사용 시 조용한 도서관 수준인 39데시벨(dB)의 저소음 냉방도 장점임. 한국 창틀에 맞게 제작된 간편 설치 키트는 나사가 필요 없고 결합이 간편해 혼자서도 쉽게 설치 가능함.
 
LG 이동식 에어컨은 주방, 공부방, 서재 등 집안 여러 공간에서 편리하게 사용 가능함. 잦은 이사 등으로 에어컨을 재설치하거나 실외기 설치가 어려운 공간, 벽에 공간을 뚫기 어려운 경우 유용함.
'트루건조' 차세대 식기세척기 출시
 ('22.03)
뛰어난 세척력, 위생, 편리함에 건조 성능을 대폭 강화한 차세대 디오스 식기세척기를 출시함.
 
 이번에 출시된 LG 디오스 식기세척기(모델명: DFB24MS)는 차별화된 '트루건조' 기능을 탑재한 것이 특징임. 트루건조는, 수냉식 응축 건조, 자동 문 열림 건조, 외부 공기를 이용한 열풍 건조 등 기술을 빈틈 없이 집약해 최고 수준의 건조 성능을 발휘함.
 
 이 제품은 먼저 국내 제품 유일 워터자켓 방식의 강력한 수냉식 응축 건조로 내부 수분을 배출하고, 세척 후 뜨거운 증기 속 수분이 내부 벽면의 워터자켓에 채워진 차가운 물과의 온도차에 의해 물방울로 응축돼 배출됨. 응축 건조 후에는 문이 자동으로 열려 냄새와 잔여 수증기를 내보냄.
 
 신제품은 특히 자동 문 열림 후 열풍 건조로 성능을 더욱 향상시켰음. 에어필터를 거친 외부 공기로 만든 뜨거운 바람이 식기에 남은 습기를 보송하게 말려줌. 식기를 건조하며 습기를 머금은 더운 공기는 바로 외부로 배출돼 더욱 쾌적한 건조가 가능함.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의 시험 결과 신제품의 열풍건조 표준코스의 건조 성능은 기존 제품(모델명: DFB22S)의 고온건조 표준코스 대비 37% 더 뛰어났고, 기존 제품도 수냉식 응축 건조와 자동 문 열림 기능이 있지만 트루건조 기능을 적용한 신제품의 압도적인 건조 성능이 입증된 것임.
 
 이 제품은 식기세척기 중 첫 번째 LG UP가전임. 당사는 초강력 코스와 같은 다양한 식기세척코스를 추가하는 등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계획임. LG 씽큐(LG ThinQ) 앱을 통한 원격 제어로 세척 시작, 일시정지, 종료 등도 가능함.
 
 또한, 약 30%의 고객이 밤 9시 이후에 식기세척기를 사용하는 점을 반영해 신제품에 야간조용코스를 기본 코스로 적용했음.
 
 신제품은 국내 식기세척기 시장의 저변을 넓혀 온 LG 디오스 식기세척기의 강력한 위생 기능, 세척력, 편의성은 그대로 계승했음.
 
 LG 디오스 식기세척기는 물을 끓여 만든 트루스팀 기능을 갖춰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식기를 세척할 수 있음. 당사가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인터텍 등과 실험한 결과 표준코스로 고온살균 및 스팀 옵션을 적용해 세척할 경우 고온의 세척수와 스팀이 분사돼 대장균, 장염 비브리오균 등 28종의 유해세균과 바이러스가 99.999% 제거됨.
국내 최대용량 24kg
'LG 통돌이 세탁기' 출시
 ('22.03)
부피가 크거나 다량의 빨래도 한 번에 세탁할 수 있는 국내 최대 용량의 'LG 통돌이 세탁기'를 출시함.
 
 신제품(모델명: TS24BVD)의 세탁 용량은 24kg으로 국내 가정용 통돌이 세탁기 가운데 가장 큼. 이 제품은 22kg 통돌이 세탁기 대비 내부 세탁통의 용량은 더 커졌지만 제품 외관 크기는 동일해 공간 활용도가 높음.
 
 당사는 신제품에 차별화된 성능의 DD(Direct Drive)모터와 함께 편리한 인공지능 기능을 적용했음. 이 제품의 인공지능세탁코스는 세탁물 무게를 감지한 후 학습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류 재질을 파악해 당사만의 세탁방법인 6모션 가운데 최적의 모션조합을 선택해 세탁 강도를 결정함. 예를 들어 속옷 등 섬세한 재질의 의류인 경우에는 옷감 보호를 위해 두드리기, 주무르기 등의 모션을 선택하고 주무르기 모션의 세탁 강도를 낮춤.
 
 고객은 스마트폰으로 LG 씽큐(LG ThinQ) 앱을 사용하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음. LG 씽큐 앱에서 원격제어 기능을 설정하면 집 밖에서도 세탁기의 전원, 코스선택, 일시정지 등을 조작할 수 있고, 기본 코스 외에도 옷 한 벌을 짧은 시간에 세탁하는 한 벌 세탁처럼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춘 다양한 세탁 코스를 LG씽큐 앱에서 다운받아 이용할 수도 있음.
 
 고객은 세탁을 30회 할 때마다 통살균이 필요한 시점을 알려주는 통살균 코치 기능, 세탁기의 고장 원인과 해결법을 확인할 수 있는 스마트진단도 사용할 수 있음.
 
 또 당사가 2020년 3월 이후 출시한 트롬 건조기와 연동시킬 수 있는 스마트 페어링 기능을 사용하면 세탁기가 세탁코스 정보를 건조기에 전달해 건조기가 알아서 건조코스를 설정함
테이블 위 작은 정원
'LG 틔운 미니(LG tiiun mini)' 출시
 ('22.03)
테이블 위에서도 손쉽게 반려(伴侶)식물을 키울 수 있는 식물생활가전 신제품 'LG 틔운 미니(LG tiiun mini)'를 출시했음.
 
당사는 최근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반려식물을 키우며 심리적인 안정감을 찾고자 하는 고객들이 보다 쉽게 식물생활에 입문할 수 있도록 크기와 가격을 낮춘 LG 틔운 미니를 개발했음.
 
 LG 틔운 미니는 씨앗키트를 장착하고 물과 영양제를 넣어준 뒤 LED 조명을 켜주기만 하면 간편하게 식물을 키울 수 있고, 크기는 침대 옆 협탁, 사무실 책상, 식탁 등에 배치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졌음.
 
 LG 틔운 미니는 별도의 문이 없는 개방형 구조여서 식물이 자라는 모습을 더 가까이에서 보고 감상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임. 제품 상단의 LED 조명은 햇빛이 잘 들지 않는 공간에서도 식물이 건강하게 자랄 수 있도록 도와줌. 식물이 어느 정도 자라면 제품 하단에 수납된 연장막대를 설치해 LED 조명의 높이를 보다 높게 조절할 수 있음.
 
 신제품은 씨앗, 배지 등이 일체형으로 담겨 있는 씨앗키트를 사용해 식물을 재배할 수 있음.
 특히 씨앗키트는 흙을 사용하지 않아 흙먼지 걱정을 하지 않아도 되고 꽃, 허브, 채소 등 재배할 수 있는 식물 종류도 다양함.
 
자사는 주황색 메리골드 꽃과 요리에 활용할 수 있는 채소인 청경채를 함께 담은 '어여쁘고 소중한 패키지 A(Beloved Beauty A)', 루꼴라와 비타민으로 샐러드를 즐길 수 있는 '향긋하고 소중한 패키지 A(Beloved Flavor A)', 아삭한 쌈채를 즐길 수 있는 쌈추, 청치마상추로 구성된 '푸르고 소중한 패키지 A(Beloved Verdant A)' 등 3종류의 LG 틔운 미니 전용 씨앗키트를 우선 선보이고 향후 씨앗키트의 종류를 지속 확대할 계획임.
 
 스마트폰의 LG 씽큐(LG ThinQ) 앱과 신제품을 연동하면 앱에서 물 수위나 온도가 식물이 생장하는 데 적합한 상황인지 확인할 수 있음. 또 LED 조명이 켜져 있는 시간, 조명의 밝기 등을 조절할 수 있음. LED는 무드 조명으로도 활용할 수 있어 플랜테리어(Planterior, 플랜트와 인테리어의 합성어)에 적격임. 씨앗키트를 장착하지 않은 상태의 무게는 2.3킬로그램(kg)으로 가벼워 제품을 여기저기 쉽게 옮길 수도 있음.
'듀얼 트루스팀' 갖춘
차세대 LG 스타일러 출시
 ('22.02)
국내외 1천여 건의 특허 받은 트루스팀 기술을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한 차세대 스타일러를 출시함.
 
 신제품은 물을 끓여 스팀을 만드는 히터(Heater)를 1개에서 2개로 늘린 '듀얼 트루스팀'을 갖춤. 기존에는 스팀 발생량이 고정적이었지만, 신제품은 소비전력이 다른 2개의 히터를 다양하게 조합해 옷의 재질에 따라 스팀을 더 미세하게 조절 가능해졌음. 기존에 없던 캐시미어와 실크 관리 코스를 추가해 더욱 섬세하게 관리할 수 있어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함.
 
 이번 신제품은 작동 시간도 단축했음. 스타일러는 제품을 가동시키면 살균효과를 높이기 위해 먼저 내부를 예열함. 기존 제품은 예열할 때 인버터 히트펌프(Inverter Heat Pump)만 이용했지만, 신제품은 히터도 동시에 사용해 예열 시간을 줄였음. 이를 통해 살균코스는 99분에서 79분, 표준코스는 39분에서 35분으로 줄였음.
 
 LG 스타일러 신제품은 LG 씽큐(LG ThinQ) 앱의 'UP가전 센터'를 통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지속 업그레이드 받을 수 있는 'UP가전' 라인업임. 당사는 다양한 의류를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의류관리코스도 꾸준히 추가할 계획임.
 
 당사는 의류관리기의 대명사인 LG 스타일러를 앞세워 신개념 의류관리 문화를 이끌고 있음. 독자 기술인 무빙행어는 옷을 1분에 최대 200회 털어주며 바람만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미세먼지를 골고루 없애주고, 스타일러만의 바지관리기는 바지선을 잡아줌. 트루스팀은 탈취와 살균은 물론 옷감의 구김 완화에도 효과적임.
超프리미엄 빌트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빌트인 프렌치도어냉장고 신제품 공개
 ('22.02)
美 최대 주방ㆍ욕실 전시회인 'KBIS(The Kitchen & Bath Industry Show) 2022'에서 주방 공간의 가치를 높이는 초(超)프리미엄 빌트인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SIGNATURE KITCHEN SUITE)'를 선두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선사하는 빌트인 가전을 선보임.
 
 KBIS는 미국주방욕실협회(NKBA; National Kitchen and Bath Association)가 주관하는 전시회로 올해는 美 플로리다州 올랜도에서 현지시간 8일부터 10일까지 열림. 주방ㆍ욕실 관련 최신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어 매년 인테리어 전문가, 주방 디자이너, 건축가 등 전 세계 빌트인 가전 고객들이 찾음.
 
 당사는 1,003제곱미터(m2) 규모의 부스를 마련해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LG 스튜디오(LG STUDIO)와 같은 프리미엄 빌트인 가전과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 등 고객경험 혁신을 위한 제품과 솔루션을 선보였으며, 이번 전시에서 '요리에 충실하다(True to Food)'라는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의 브랜드 철학을 담은 혁신적인 48인치 빌트인 프렌치도어 냉장고를 처음 공개했음.
 
 신제품은 상단에 냉장칸을 배치하고 하단의 냉동칸을 4개의 서랍으로 구성해 6개 도어를 갖춘 것이 특징임. 하단의 냉동칸 중 한 칸은 제빙 서랍임. 고객은 일반 큐브형 얼음과 함께 호텔 라운지나 대형 바 등에서 쓰이는 고급스러운 원형(圓形) 얼음인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를 모두 만들 수 있음. 또 하나의 서랍은 냉장, 냉동은 물론 육류 및 생선, 음료, 와인 보관 등 5가지 모드를 원하는 대로 설정해 다양한 식품을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음.
 
 프렌치도어 냉장고는 홈파티 문화가 정착된 북미시장에서 특히 인기가 많음. 상단 냉장실은 내부에 세로 칸막이가 없어 여러 가지 음식을 담는 플래터(Platter)와 같은 큰 접시나 수박, 칠면조 등 부피가 큰 음식물을 넣기 편리함. 당사는 신제품에 프렌치도어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냉동칸 서랍을 4개로 늘려 고객이 용도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 해 고객가치를 높였음.
 
당사는 이번 전시를 통해 최근 출시한 'UP가전'을 미국 고객들에게 선보임. UP가전은 고객이 가전제품을 구매한 후에도 업그레이드로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 새롭고 나에게 더 맞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혁신적인 고객경험을 제공하는 제품임. 관람객은 LG 씽큐 앱의 'UP가전 센터'에서 클릭 한 번으로 프렌치도어 냉장고, 세탁기, 에어로타워 등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는 업그레이드를 경험할 수 있음.
 
 또한, 시그니처 키친 스위트 고객들을 위한 특별한 서비스인 '씽큐 케어(ThinQ Care)'도 공개했음. 이 서비스는 LG 씽큐 앱을 활용해 고객이 최소한의 노력으로 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줌.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제품의 작동상태를 분석하고 예상되는 고장을 씽큐 앱을 통해 고객에게 알려줌. 또 각 고객마다 전담 서비스 담당자를 배정해 제품 등록, 문의 응대, 제품 관리를 위한 방문 예약 등을 도와주는 컨시어지(concierge) 서비스를 제공함.
 관람객들은 스마트폰으로 밀키트의 바코드나 QR코드를 스캔한 후 오븐에 넣고 시작 버튼만 누르면 자동으로 최적의 요리를 완성해주는 스캔투쿡(Scan-to-cook), 음식 조리방법 검색부터 식재료 구매까지 다양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씽큐 레시피(ThinQ Recipe) 등 더욱 편리해진 LG전자의 스마트 키친 서비스도 경험할 수 있음.
 
 당사는 스마트폰에서 각 가정에서 쓰는 에너지의 생산, 사용, 저장 현황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LG 홈에너지솔루션'도 선보임. 고객은 이 시스템을 활용해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전기료를 줄일 수 있고 탄소배출을 줄여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데 기여할 수 있음.
2022년형 'LG 휘센 타워' 에어컨 출시
 ('22.01)
2022년형 'LG 휘센 타워 에어컨 오브제컬렉션'을 출시함. 이번 신제품은 알아서 에어컨을 관리하는 강화된 자동 청정관리, 고객이 직접 청소까지 할 수 있는 셀프 청정관리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청정관리' 기능이 특징임.
 
 당사는 지난해부터 휘센 타워에 적용한 '필터클린봇'에 이어 고객이 에어컨을 보다 안심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 기능을 한층 더 진화시킨 '하이브리드 청정관리'를 선보임.
 
이번 신제품에 새롭게 추가된 열교환기 세척 기능은 온도를 낮춰 공기중의 수분을 얼려서 열교환기 표면에 모으고, 다시 온도를 높여 만들어진 물이 열교환기에 붙어 있는 먼지와 같은 오염물질을 씻어냄. 또 이 기능은 열교환기에 붙어 냄새를 유발하는 세균을 제거하는 데에도 효과적임. UV라인란드의 참관시험 결과 이 제품은 열교환기에 붙을 수 있는 대장균, 메틸로박테리움, 마이크로코커스균를 94% 제거했음.
 
에어컨 내부 습기를 말려주는 건조 기능은 더 똑똑해졌음. 10분, 30분, 60분 등 별도로 시간을 설정하지 않아도 AI건조가 집안 습도에 맞춰 알아서 최적의 건조 시간을 설정해 에어컨 내부 습기를 말려줌.
 
셀프 청정관리는 고객이 필요할 때마다 직접 에어컨 내부를 손쉽게 열고 내부의 모든 팬을 청소할 수 있음. 구조를 단순화시켜 전면 패널, 사이드 그릴, 팬 연결부 등에 부착된 나사만 풀면 4개의 팬 모두를 깨끗하게 관리할 수 있음.
 
자동 청정관리는 극세필터를 알아서 청소하는 필터클린봇(1단계), 필터에 붙을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항균 극세필터(2단계), 극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하는 한국공기청정협회 CAC(Certification Air Conditioner) 인증 공기청정(3단계), 열교환기 세척(4단계), AI건조(5단계),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독일 TUV라인란드로부터 인증 받은 99.99% UV LED 팬 살균(6단계) 등 단계별로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자동으로 꼼꼼하고 깨끗하게 관리해줘 고객은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LG 휘센 타워만의 차별화된 성능과 디자인을 그대로 계승했음. '와이드 케어 냉방'은 바람의 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는 좌우 4개의 에어가드가 찬 바람을 벽 쪽으로 보내 사람에게 직접 바람이 닿는 것을 최소화하면서도 집 안 전체를 시원하게 유지시켜 줌.
 
LG 휘센 타워는 TUV라인란드로부터 탁월한 절전 성능도 인정받았음. 당사는 단순히 최대/최소 순간 소비전력량만을 비교하지 않고, TUV라인란드 참관 하에 실사용 기반 4시간 동안의 누적 소비전력량을 비교 실험했음. 그 결과 쾌적절전모드가 실내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면서도 최대냉방모드인 아이스쿨파워 대비 누적 소비전력량을 약 72% 줄였음.
통증 완화 의료기기
'LG 메디페인' 출시
 ('22.01)
가정에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만성 통증 완화 의료기기 LG 메디페인(모델명: MSP1)을 선보임.
 
당사는 지난 2020년 탈모 치료용 의료기기를 선보인 데 이어 LG 메디페인을 앞세워 전문 의료기기 시장에서 사업 확대에 나섬.
 
 LG 메디페인은 집에서 만성 통증을 완화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통증 완화 의료기기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경피성통증완화전기자극장치 2등급에 해당하는 의료기기 인증을 받음.
 
 기존 저주파 방식의 통증 완화기는 강한 강도로 근육을 자극해 통증 완화효과를 주는 방식인 반면, 이 제품은 통증이 없는 생체 신호와 유사한 전기 신호를 뇌에 전달해 뇌에서 통증 정보 대신 무통증 정보를 받아들이게 하는 '무통증 신호요법'을 적용했음. 이 기술은 2013년 보건복지부로부터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있는 신의료기술로 인정받았음.
 
 이 제품은 각티슈만한 크기의 본체와 전극패드 4개로 구성됨. 사용자는 본체 중앙에 있는 7형 LCD 화면에 출력되는 이미지와 음성 안내에 따라 목, 어깨, 무릎 등 통증 완화를 원하는 부위의 주변부에 패드를 붙이고 하루 30분씩 10일간 원하는 강도에 맞춰 사용하면 됨.
 
 사용자는 통증을 느끼는 부위별로 메디페인 사용 전과 후의 통증 변화를 수치로 비교해볼 수 있어 집에서도 손쉽게 만성 통증을 완화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 전용 케이스는 본체와 액세서리를 한 번에 수납할 수 있어 보관도 간편함.
 
 만성 통증은 일반적으로 3개월 이상 지속되는 통증을 의미하고, 화상이나 수술 등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이 분명한 급성 통증과는 달리 불명확한 경우가 많고, 스트레스 등 정신적인 요인에도 영향을 받아 지속적인 치료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음.
 
 대한통증학회에 따르면, 국내 만성 통증 환자는 약 250만 명에 달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 성인 인구 약 10명 중 1명에 해당함. 특히, 국내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80% 이상이 만성 통증을 가진 것으로 추정되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해 주기적인 병원 방문에 어려움을 겪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음.
대기오염물질 배출 확 줄인 상업용
가스식 시스템에어컨(GHP) 출시
 ('22.01)
19일 배출가스 저감장치를 부착해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확 줄인 상업용 가스식 시스템에어컨(Gas engine driven Heat Pump, 이하 GHP)인 'GHP 슈퍼3 플러스(GHP SUPER Ⅲ PLUS)'를 국내 출시했음.
 
 GHP는 가스를 연료로 엔진을 구동시켜 냉난방을 하는 제품임. 기본요금이 없는 가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냉난방이 필요 없는 기간에도 전기 기본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전기식 시스템에어컨보다 경제적임. 당사는 이번에 처음으로 배출가스 저감장치인 삼원촉매장치를 신제품에 적용했음. 삼원촉매장치는 초미세먼지, 지구온난화 등을 유발하는 질소산화물(NOx),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THC) 등 기존 GHP에서 배출되는 대기오염물질을 질소(N2), 산소(O2) 등 무해한 가스로 변환함
 
신제품은 KS표준 기준으로 실험한 결과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배출량이 각각 15ppm, 90ppm, 90ppm 이하임. 올 초 시행된 산업통상자원부의 강화된 고효율에너지기자재 인증기술기준을 충족한 국내 첫 제품임. 또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환경부의 대기환경보전법 시행규칙에 언급된 대기배출시설 신고대상 제외 기준인 '질소산화물,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배출허용기준의 30% 미만 배출'을 만족할 것으로 예상함.
 
당사는 신제품뿐 아니라 기존에 판매된 GHP에도 삼원촉매장치를 설치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있으며, 이는 기업과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며 환경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확대하고자 하는 ESG 경영의 일환임.
 
 신제품은 '5단계 청정관리' 기능을 적용한 LG 휘센 시스템에어컨을 포함한 다양한 상업용 실내기를 실외기 한 대에 최대 58개까지 연결할 수 있음. 오피스 빌딩, 학교, 의료시설 등에서 여러 개의 개별 공간을 동시에 냉난방 할 수 있어 효과적임.
 
 또 이 제품은 당사의 전기식 시스템에어컨 대표제품인 멀티브이(Multi V)와 연결해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에어컨으로 사용할 수 있음. 당사가 지난해 2월 국내 최초로 출시한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에어컨은 전기식과 가스식을 유기적으로 연동해 냉난방 비용을 줄이는 장점이 있음.
 
당사는 이 제품을 GHP 업계에서 유일하게 국내에서 생산함. 당사의 자회사인 하이엠솔루텍이 관리와 서비스를 맡고 있음. 당사의 공조기기 종합유지관리 시스템인 'LG 비컨 클라우드(LG BECON cloud)'를 통해 온라인으로 장비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해 고객이 제품을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함.
'쿼드 인버터' 인덕션 전기레인지 출시
 ('22.01)
가열 성능이 떨어지는 인덕션 용기를 사용하더라도 음식을 2배 이상 빠르게 조리할 수 있는 '쿼드 인버터' 기술을 적용한 인덕션 전기레인지를 출시함.
 
 이번 신제품에 적용된 기술은 인버터 코일에 전류를 통과시키는 입구 역할을 하는 반도체(IGBT: 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 절연 게이트 양극성 트랜지스터)를 기존 LG 제품 대비 2개에서 4개로 늘려 코일의 부하를 낮춤. 이를 통해 더 많은 에너지를 용기에 전달함으로써 저효율 용기에서도 조리속도가 빨라짐.
 
용기가열지수가 5인 저효율 인덕션 용기를 써서 실험한 결과 신제품과 비슷한 화력을 가진 3,300와트(W)의 LG 디오스 인덕션 전기레인지(모델명: BEI3MST)보다 대화구 기준으로 조리속도가 2.3배 빨랐으며, 이번 실험은 국제 시험인증기관 UL(Underwriter's Laboratories)이 검증했음.
 
 인덕션 용기의 효율은 인덕션과 접촉하는 면적뿐만 아니라 자성(磁性)의 세기에 따라서 차이가 있음. 때문에 제조사별로 용기에 열이 얼마나 잘 전달되는지를 알 수 있는 용기가열지수를 인덕션 제품에서 확인할 수 있음.
 
 당사 인덕션은 화구(火口)에 인덕션 전용 용기를 올리고 화력을 9단계로 설정한 다음 잠금 버튼과 해당 화구 버튼을 동시에 3초 이상 누르면 타이머 표시창에 총 10단계로 용기가열지수를 표시해줌. 용기가열지수는 당사 내부 기준에 따라 총 10단계로 구분됨. 숫자가 10에 가까울수록 빠르게 가열되고, 이 지수가 5~8인 경우 자성이 약해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저효율 용기로 정의하고 있음.
 
 신제품은 코일과 용기간 거리를 줄여 가열 속도를 향상시킨 2층 코일 구조, 안전한 조리를 위한 최고 등급의 내열 코일, 과열을 최소화하는 최적의 코일 설계, 과열을 사전 방지하는 코일 과열감지 센서, 성능을 최대로 끌어올리는 핵심부품 보호 설계 등 화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높이는 '5중 고화력 부스터' 기술로 3,400와트 초고화력의 국내 3구 플러그타입 인덕션 제품 중 최저 전기료를 구현했음.
 
 LG 디오스 인덕션 전기레인지는 더욱 강화된 안전성을 갖춤. 상판 온도의 급상승을 감지해 자동으로 출력을 제어하는 '상판 과열방지 시스템', 과열 방지를 위한 풍량을 상황에 따라 조절하는 '변속 쿨링팬', 정전기로 인한 오작동을 방지하는 '정전기 방지 시스템' 등 22종의 안전장치시스템을 탑재했음.
 
 긁힘에 강하고 청소하기 편한 미라듀어 상판, 핵심부품인 스마트 인버터 IH(Induction Heating) 코일 10년 무상보증 등 LG 디오스 인덕션의 차별화된 장점은 그대로 계승했음.
인공지능으로 더 쾌적한
'가정용 환기시스템' 출시
 ('22.01)
인공지능이 실내외 환경을 분석하고 최적 운전 조건을 찾아 알아서 집안 공기를 쾌적하게 관리해주는 가정용 환기시스템을 출시했음.
 
 신제품은 미세먼지, 유해세균 등으로 인해 오염된 실내 공기를 바깥으로 배출하고 필터를 거친 깨끗한 외부 공기를 집 안으로 공급함. 고객은 환기시스템을 통해 미세먼지가 심한 날이나 냉난방 중일 때도 창문을 열지 않고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음.
 
 특히 LG 가정용 환기시스템은 업계 최초로 시스템에어컨과 연동해 최적으로 동작하는 인공지능을 갖춤. 이 제품은 외부 미세먼지 등 실외 환경뿐만 아니라 휘센 공기청정 시스템에어컨과 연동해 에어컨이 측정한 온도, 습도 등 실내 공기상태까지 분석해 찾은 최적 운전 조건으로 알아서 작동함. 자체 실험결과 이렇게 연동할 경우 환기시스템을 단독 사용할 때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실내 미세먼지를 제거했음.
 
는 신제품에 차별화된 위생관리 기능을 적용했음. 이 제품은 실내로 들어오는 먼지를 1차적으로 걸러주는 프리필터에 UV LED로 자동 살균하는 UV나노(UVnano) 기능을 적용했음.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TUV라인란드(TUV Rheinland)의 시험 결과 프리필터에 붙을 수 있는 황색포도상구균, 표피포도상구균, 폐렴막대균, 박테리오파지 등 유해세균을 99.99% 제거함.
 
 LG 가정용 환기시스템은 저소음도 장점임. 제품 구동 시 발생하는 소음은 특강풍모드에서 약 28~30데시벨(dB)로 조용한 도서관 수준인 40데시벨보다도 낮음.
 
 이 제품에 탑재된 고효율 전열교환기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의 열 손실을 대폭 줄임. 실내 냉난방 중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면 에너지가 대부분 손실됨. 반면 LG 가정용 환기시스템은 KS표준 기준으로 실험한 결과 전열교환기를 통해 냉방 시 약 60%, 난방 시 약 70%의 냉난방 에너지를 회수해 냉난방비를 절감하는 데 도움이 됨.
 
 LG 가정용 환기시스템은 이산화탄소(CO2)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센서를 탑재해 환기량을 자동 제어함. 또 듀얼 레이저 미세먼지 센서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미세먼지 농도를 실시간 모니터링 함. 미세먼지 농도가 높아지면 필터 성능이 떨어진 것을 인지하고 LG 씽큐(ThinQ) 앱으로 필터교체 알림을 줘 고객은 제 때 필터를 교체할 수 있음.
 
 고객은 주로 주택이나 아파트를 신축하거나 리모델링 할 때 이 제품을 설치할 수 있음. 베란다, 다용도실 등에 환기시스템을 설치하고 공기 통로를 거실, 방 등의 다양한 실내 공간 천장에 매립해 사용할 수 있음.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
'LG 코드제로 M9 오브제컬렉션' 출시
 ('22.01)
조화로운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과 더욱 편리해진 인공지능을 갖춘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M9 오브제컬렉션'을 출시함.
 
 LG 코드제로 M9 오브제컬렉션은 집안 전체 인테리어와 어울리도록 전문가가 엄선한 오브제컬렉션 컬러인 카밍 베이지, 카밍 그린을 적용했음.
 
 신제품은 청소영역을 구분하는 '마이존' 기능을 더욱 강화했음. 고객은 LG 씽큐(LG ThinQ) 앱의 마이존을 통해 작성된 실내 청소 영역을 원하는 대로 설정할 수 있음. 인접한 두 곳을 하나로 합치는 '영역 합치기'와 선을 그려 하나의 영역을 나누는 '영역 나누기'로 원하는 곳만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음.
 
 LG 코드제로 M9 오브제컬렉션은 청소하는 동안 걸레가 마르지 않게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자동 물공급 시스템, 약 2kg의 하중이 회전하는 2개의 물걸레를 눌러주며 바닥을 닦는 얼룩제거 성능, 구동부에 저소음 설계를 적용해 구현한 음향 파워 레벨(Sound Power Level) 기준 약 44데시벨(dB)의 저소음 등 기존 물걸레 전용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M9 씽큐의 장점은 그대로 계승했음.
 
 고객은 LG 씽큐(LG ThinQ) 앱과 물걸레 로봇청소기를 연동해 스마트 페어링 기능을 활용할 수 있음.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나 로봇청소기 코드제로 R9 오브제컬렉션이 진공 청소를 끝낸 후 코드제로 M9이 알아서 물걸레 청소를 진행해 편리함.
HE 2023년 올레드 TV 맞춤형
사운드바 공개
 ('22.12)
2023년형 LG 올레드 TV에 음향과 디자인을 최적화한 사운드바 신제품을 CES 2023에서 공개함.
 
 사운드바 신제품(모델: SC9S)은 LG TV 신제품과 맞춤형 입체 사운드를 구현할 수 있는 '와우 오케스트라(WOW Orchestra)' 기능을 처음 탑재함. 이 기능은 TV 스피커와 사운드바 스피커 오디오가 동시에 출력돼 더 풍부한 음향을 즐길 수 있음. 기존에는 TV와 사운드바를 연결해 사용하더라도 TV와 사운드바 중 한 제품에서만 음향이 나왔음.
 
 LG 올레드 에보(모델: C 시리즈)와 사운드바 신제품을 함께 설치하는 경우 공간 활용도도 대폭 높아짐. 두 제품을 벽걸이나 스탠드 방식으로 함께 설치할 때 TV에 연결하는 사운드바 전용 거치대를 제공함. 별도 시공이 필요 없고 연결선을 감출 수 있어 주변 공간도 깔끔해짐.
 
 고객은 LG TV의 webOS 홈화면에서도 스마트 TV 리모컨으로 사운드바의 설정 상태를 확인하고 음악, 영화, 스포츠 등 사운드 모드나 음량 등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음.
 
 신제품은 전면 스피커 3개, 중저음을 내는 서브우퍼 1개, 업파이어링 스피커 3개 등 3.1.3 채널에 최대 출력 400W를 지원함. 특히 당사가 2022년 세계 최초로 적용한 3개 업파이어링 스피커는 이번 모델에서 더욱 업그레이드돼 한층 풍부하고 정교한 입체 음향을 구현함.
 
 중앙에 위치한 업파이어링 스피커는 TV 아래 사운드바에서 출력되는 소리를 TV 화면 중앙에서 나오는 것처럼 생생하게 들려줌. TV 크기가 점차 커지면서 화면 중앙부와 사운드바 간 거리가 멀어져 생기는 이질감을 줄이고 사실감을 높임.
 
 신제품은 각 스피커가 향한 방향의 공간뿐만 아니라 그 외 공간까지 사운드를 빠짐 없이 내보내 설치 공간을 가득 채운 풍부한 서라운드 사운드를 들려줌.
 
 한편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 아이맥스 인핸스드(IMAX ENHANCED), DTS:X 등 다양한 사운드 솔루션들을 적용해 집에서도 영화관처럼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즐길 수 있음. 또한 사운드바와 TV에 콘솔게임기를 연결해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4K와 120Hz의 고화질 콘텐츠도 매끄럽고 끊김 없이 재생함.
 
 이 제품은 인공지능(AI) 알고리즘 기반으로 주변 공간과 콘텐츠 장르에 최적화한 사운드를 제공하고 2채널 음원을 입체음향으로 변환해주는 기능도 탑재함.
세계 최대 97형 올레드 TV 본격 출시
 ('22.09)
세계 최대 올레드 TV인 97형(화면 대각선 약 245센티미터) 올레드 에보 갤러리에디션(OLED evo Gallery Edition, 모델명: 97G2)을 출시하며 프리미엄 TV 시장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예정임. 97형 올레드 TV는 당사의 독보적인 올레드 기술력을 방증하는 제품임. LCD TV로는 이미 100형에 가까운 크기 제품이 시중에 판매되고 있지만, 올레드로 초대형 스크린을 구현하는 것은 기술의 차원이 다름.
 
 신제품은 4K(3,840×2,160) 해상도에 현존하는 디스플레이 기술로 구현할 수 있는 가장 큰 올레드 화면과 그간 축적해온 올레드 화질/음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낸 5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를 조합했음.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는 영상 속 얼굴이나 신체, 사물, 글씨, 배경 등을 구분해 입체감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2채널 음원을 가상의 7.1.2채널 입체음향으로 변환해 초대형 화면에 걸맞은 화질과 사운드를 제공함.
 
 특히 신제품은 LG 올레드 TV의 다른 모델과 마찬가지로 영상, 음향기술기업 돌비(Dolby)의 영상기술 돌비비전(Dolby Vision) IQ와 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모두 지원함. 고객들은 초대형 올레드 화면을 통해 집에서도 마치 영화관에 버금가는 압도적 시청경험을 느껴볼 수 있음.
 
 벽걸이 설치 시 TV 전체가 벽에 완전히 밀착하는 갤러리 디자인은 제품의 고급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은 물론이고, 화면의 몰입감까지 더욱 높여줌.
 
 ▲스마트폰을 인공지능 리모컨에 갖다 대 화면을 연동하는 NFC ▲리모컨뿐 아니라 TV 본체에서 음성인식이 가능한 다이렉트 음성인식 ▲화면을 분할해 TV 시청과 인터넷 검색을 동시에 하거나 게임을 즐기며 게임 영상을 보는 멀티뷰 등은 시청 거리가 먼 초대형 TV의 활용도를 더욱 높여줌.
 
 이로써 당사는 97/88/83/77/65/55/48/42형에 이르는 업계 최다 올레드 TV 풀 라인업을 갖춤. 고객들은 벽을 가득 채우는 97형부터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 적합한 42형까지 가정 내 TV가 필요한 모든 공간에서 LG 올레드 TV의 프리미엄 화질을 즐길 수 있음.
프리미엄 무선 스피커
'LG 엑스붐 360' 신제품 출시
 ('22.09)
풍부한 사운드와 어떤 공간에도 조화로운 디자인으로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무선 스피커 LG 엑스붐 360(XBOOM 360, 모델명: XO3Q) 신제품을 선보임. 이 제품은 화병을 닮은 유선형 본체와 외관에는 따뜻하고 아늑한 느낌을 주는 멜란지 패브릭(Melange fabric) 소재를 적용해 어느 공간에 두어도 잘 어울림.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와 iF 디자인 어워드(iF Design Award)에서 수상하며 뛰어난 디자인을 인정받았음.
 
 당사는 신제품에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Tweeter) ▲저음을 내는 우퍼(Woofer) 외에도 ▲중음을 재생하는 미드레인지(Mid-range) 스피커를 탑재해 3way 스피커 시스템을 구현했음. 폭넓은 음역의 소리를 360° 전 방향으로 왜곡 없이 균일하게 전달해 제품을 설치한 공간 내 어느 위치에서도 최적의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다. 최대 출력은 50와트(W)임.
 
 이 제품은 최고급 오디오 제품에 주로 사용되는 소재를 적용해 음질도 뛰어남. 트위터에 표면이 매끄럽고 부드러운 실크(Silk) 소재를 적용해 한 층 더 풍부하고 섬세한 고음을 구현함. 미드레인지의 진동판에는 가볍고 탄성이 좋은 유리섬유(Glass fiber) 소재를 적용해 풍부하고 역동적인 소리를 냄. 또 자성이 강한 네오디뮴(Neodymium) 자석을 트위터와 미드레인지의 진동판에 각각 적용해 강력하고 역동적인 사운드를 완성했음.
 
 이 제품에 적용한 무드 라이팅 기능은 시각적 효과뿐 아니라 사운드의 몰입감까지 높여줌. 공간조명 전문가가 조율한 ▲간접조명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앰비언트 모드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색 조명으로 안정감을 주는 네이처 모드 ▲음악 비트에 따라 조명 색상이 바뀌는 파티모드 등 3가지 모드는 물론, 전용 앱 'LG XBOOM'으로 나만의 조명모드를 만들어 적용할 수도 있음.
 
 IP54 등급의 방진/방수 기능을 지원하고 최장 24시간 사용 가능한 배터리를 내장해 야외에서 사용하기에도 편리함. 무게는 3.2kg으로 동봉된 스트랩을 활용하면 쉽게 들고 이동할 수 있음. 최대 10대의 스피커를 동시에 연결해 풍성한 사운드로 야외 파티 분위기를 즐기는 것도 가능함.
42형 벤더블 올레드 TV
'플렉스(FLEX)' 최초 공개
 ('22.08)
당사는 원할 때마다 화면을 구부렸다 펴는 벤더블(Bendable) 게이밍 올레드 TV를 선보임. 게이밍 경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을 앞세워 'LG 올레드=최강 게이밍 TV'로 이어지는 공식을 공고히 할 예정임.
 
 벤더블 게이밍 올레드 TV '플렉스(FLEX)'는 시청 환경에 맞춰 42형(화면 대각선 약 106센티미터) 화면을 자유롭게 구부렸다 펼 수 있는 가변형 TV임. LCD와는 달리 화면 뒤쪽에서 빛을 쏴주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구부리거나 휘는 것이 용이한 올레드 패널의 특성을 극대화한 제품임. 제품 이름 플렉스는 '유연한', '휠 수 있는'의 뜻을 가진 영단어 플렉서블(Flexible)과 '뽐내고 자랑한다'는 의미로 사용되는 신조어 플렉스(Flex) 등에서 착안했음. 플렉스는 자발광(自發光) 올레드의 압도적 화질을 기반으로 한 시청 경험은 물론이고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의 몰입감까지 원하는 고객들의 니즈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세상에 없던 엔터테인먼트 경험을 제공함.
 
 당사의 독자 기술로 완성한 벤더블 구동 메커니즘은 최대 900R(반지름 900mm 원이 휜 정도) 범위 내에서 총 20단계로 화면이 휘어지는 정도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음. 일반 콘텐츠를 시청할 때는 평평한 화면으로 화면 전체를 한 눈에 보거나, 몰입감이 더욱 중요한 게이밍 환경에서는 원하는 만큼 곡률을 조절해 커브드 화면으로 바꿔가며 활용할 수 있음. 게임을 즐기는 고객들의 시청 자세에 맞춰 화면 위치를 조절하는 인체공학 설계도 장점임. 신제품은 화면을 위아래로 최대 15°까지 기울이는 틸트(Tilt)와 최대 14센티미터 내 화면 높낮이 조절을 지원함.
 
 당사는 제품 기획 단계부터 고객의 잠재 열망을 발굴하고, 게임을 하는 즐거움과 보는 즐거움 모두를 만족시키는 것에 집중했음. 그 결과 게이밍 특화 UI/UX나 콘솔, PC 및 주변 기기와의 연결 편의성 등 다양한 최적화 기능은 게이밍 경험의 완성도를 더욱 높여줌. 게이밍 보드에서는 사용자가 즐기는 게임의 특성에 맞춰 최적의 화질과 음향을 설정할 수 있음. FPS(First-person shooter, 1인칭 슈팅), 스포츠 등 게임 장르에 따라 자주 사용하는 설정을 손쉽게 불러오는 프리셋(Preset)도 지원함. 콤팩트한 화면으로 더욱 집중해 게임을 즐기려는 고객들은 화면 크기를 기본 42형 외에 32형, 27형 등으로 조절할 수도 있음.
 
 내장 마이크를 탑재해 별도 헤드셋 없이도 함께 플레이하는 게이머들과 대화할 수 있음. 에코캔슬링을 적용한 클리어 보이스채팅 기능을 지원해 게임 사운드와 사용자 목소리를 구분해 상대방에게 목소리를 또렷하게 전달함. USB 스위칭 허브 기능을 탑재, TV를 PC와 연결해 모니터처럼 사용하기 편리함. USB로 연결되는 마우스나 키보드를 TV와 PC에서 번갈아 사용할 수 있는 기능임.
 
 플렉스는 올 초 출시돼 고객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는 42형 올레드 에보(OLED evo) 기반 제품임. 올레드 에보 전용 '5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와 '화질 알고리즘'을 적용했음. 특히 SAR(Super Anti-Reflection) 패널을 적용해 기존 동급 제품 대비 빛 반사와 화면 비침 현상도 크게 줄였음.
 
 ▲0.1ms 응답속도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라데온 프리싱크(Radeon FreeSync)와 같은 그래픽 호환기능 ▲영상ㆍ음향 전문기업 돌비(Dolby)의 게이밍 특화 영상처리기능 돌비비전 게이밍(Dolby Vision Gaming)을 4K(3,840×2,160) 해상도 120Hz 주사율에서도 지원하는 등 게이머들로부터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는 올레드 TV의 게이밍 성능을 모두 갖췄음. 40와트(W) 출력의 전면지향 스피커를 탑재하고 입체음향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지원해 보다 실감나는 입체음향을 즐길 수 있는 것도 특징임.
프리미엄 무선 이어폰
'LG 톤 프리' 신제품 출시
 ('22.08)
풍부한 입체음향과 강화된 노이즈 캔슬링 기능으로 차별화된 몰입감을 제공하는 프리미엄 무선 이어폰 'LG 톤 프리(TONE Free)' 신제품을 선보임.
 
 대표 모델인 TONE-UT90Q은 세계 최초로 연결된 기기나 재생 중인 콘텐츠 종류와 무관하게 '돌비 헤드트래킹(Dolby Head Tracking™)'을 지원함. 또 돌비가 무선 이어폰 전용으로 설계한 입체음향 기술인 오디오 버추얼라이저(Audio Virtualizer) 기술을 처음으로 탑재한 무선 이어폰임. 돌비 헤드트래킹 기술은 사용자 머리의 움직임에 따라 들리는 소리의 거리감과 방향을 조절해 마치 장면 속 한가운데 있는 것 같은 몰입감을 제공함. 예를 들어 왼쪽으로 고개를 돌리면 왼쪽 이어폰의 음량은 줄이고 오른쪽의 음량은 높여 원근감을 주는 식임.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지원하는 콘텐츠를 재생할 경우 한층 더 선명하고 섬세한 입체음향을 구현함.
 
 이 제품은 이어폰에서 새어 나오는 소리의 크기를 감지, 착용상태를 파악해 자동으로 노이즈캔슬링 단계를 조정하는 '적응형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daptive Active Noise Cancelling)'을 탑재했음. 고객은 음악감상 중 이어폰을 귀에 완벽히 밀착하지 않아도 높은 몰입감을 경험할 수 있음. 이어폰 내 스피커 드라이버의 크기는 전작 대비 약 38% 키워 보다 더욱 풍부한 저음을 구현했음. 드라이버 본체에 적용한 그래핀(Graphene) 소재는 불필요한 진동을 줄여 잡음 없이 선명한 소리를 냄.
 
 또한, 통화 품질도 더욱 높였음. 주변 잡음을 줄여주는 3개의 마이크와 얼굴의 뼈와 근육을 통해 전달되는 소리를 감지하는 보이스 픽업 유닛(Voice Pickup Unit)으로 불필요한 소리와 목소리를 구분해 상대방에게 내 목소리를 또렷하게 전달 할 수 있음. 이 제품은 세계적인 무선 기술 혁신 기업인 퀄컴(Qualcomm)의 고음질 무선 블루투스 오디오 솔루션인 스냅드래곤 사운드(Snapdragon Sound™)를 지원함. 스냅드래곤 사운드를 적용한 기기와 연결하거나 플러그&와이어리스(Plug&Wireless) 기능을 사용하면 ▲최대 24bit/96kHz의 고음질 오디오 ▲선명한 음성 통화 품질 ▲게이밍에 최적화된 저지연 모드 등을 즐길 수 있음.
 
 고객들이 ▲블루투스가 없는 기기에서도 무선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플러그&와이어리스 기능 ▲고속/무선 충전 ▲다수의 기기와 동시에 연결 후 쉽게 전환할 수 있는 다양한 편의 기능도 지원함. 이 제품은 이어폰의 기둥 역할을 하는 스템을 없애고 귀의 모양을 따라 디자인한 날개 모양의 지지대를 적용했음. 운동 중에도 귀에서 잘 떨어지지 않고 장시간 착용에도 편안함. IP67 등급의 방진/방수 기능을 갖춰 운동 중 땀이 흐르거나 비가 오더라도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음. 한 번 충전으로 최대 10시간을 사용할 수 있어 장시간 야외 활동에도 최적임.
LG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포제(Pose) 출시
 ('22.07)
정형화된 TV 설치방식의 고정관념을 깨고 기존에 없던 고객경험을 제시하는 라이프스타일 TV 신제품을 출시함. LG 올레드 오브제컬렉션 포제(Pose)는 집 안 어떤 공간에 두고 어느 각도에서 바라보더라도 마치 인테리어 가구처럼 아름답게 보이는 공간 디자인 TV임. 지난달 이탈리아 밀라노에서 열린 세계 최대 규모 디자인 전시회 밀라노디자인위크(Milano Design Week)의 특별 전시에서 처음 공개됨.
 
 제품 이름 포제(Pose)는 '자세'라는 뜻을 가진 영단어 포즈(Pose)의 프랑스어 표기임. 설치 공간의 품격까지 높여주는 제품의 특성에서 착안한 이름이며, 42/48/55형 등 총 3가지 크기로 출시됨.
 
 신제품을 옆에서 바라보면 패널과 본체가 U자를 그리는 곡선 디자인이 돋보임. 패브릭을 적용한 외관은 TV를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인테리어 소품이 놓여진 것처럼 깔끔한 인상을 줌. 본체를 지지하는 스탠드는 안쪽에 전원선 등을 넣어 숨길 수 있도록 설계돼 깔끔한 공간 연출을 도와줌. 뒷모습도 나만의 취향을 담은 인테리어 오브제로 연출할 수 있음. 벽이나 구석에 놓고 사용하던 기존 TV와는 달리 거실 가운데에 설치해 공간을 구분하는 파티션으로 활용하기에도 제격임. TV 뒤쪽 히든 스페이스에 전용 액세서리를 결합하면 셋톱박스, 멀티탭 등을 넣어 보관하는 것도 가능함.
 
 대기모드를 활용하면 TV를 시청하지 않을 때에도 고객이 원하는 사진, 영상 등을 띄워놓거나 시계나 음악 플레이어로 활용할 수 있다. 올레드 갤러리(OLED Gallery) 서비스를 이용하면 다양한 예술 작품을 감상할 수도 있음. 신제품은 다수의 전문가와 소비자들로부터 압도적 화질로 인정받는 LG 올레드 에보(OLED evo) 기반 제품임. LG전자가 축적해온 올레드 화질/음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낸 5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α9 Gen5 Processor)와 최대 4채널 입체음향에 40와트(W) 출력 스피커를 탑재했음. (42형 제품은 2채널 20와트 스피커 탑재, 화질/음질 프로세서는 동일)
몰입감 넘치는 시청경험 제공하는
사운드바 출시
 ('22.07)
입체음향을 더욱 강화해 몰입감 넘치는 시청경험을 제공하는 2022년형 사운드바 신제품(모델명: S95QR)을 국내 출시함. LG 사운드바 신제품은 세계 최초로 본체에 업파이어링(Up-firing) 스피커 3개를 탑재했음. 본체 좌우에 업파이어링 스피커를 각 1개씩 탑재한 기존 제품보다 중앙에 1개를 추가해 사운드가 더 풍성해지고 공간감도 넓어졌음. 업파이어링 스피커는 사운드를 위로 보내 머리 위에서 사운드가 들리는 효과를 내 입체음향을 구현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이 제품은 전작보다 서브우퍼 크기도 14% 키워 중저음을 강화했고, 리어스피커 내에 탑재된 전면향 스피커도 2개 늘린 총 4개를 배치해 고객에게 다양한 각도에서 풍성한 사운드를 들려줌. LG 사운드바 중 최다 채널(9.1.5)을 갖췄고 최대출력은 810와트(W)이며, 애호가들이 인정하는 최고급 오디오 브랜드 메리디안 오디오(Meridian Audio)와 부품 선정 등 제품 제작 단계에서부터 긴밀히 논의하며 고품격 사운드를 완성했음. 또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 ▲DTS:X ▲IMAX ENHANCED 등 정교하고 몰입감 넘치는 입체음향을 구현하기 위해 저명한 기업들의 사운드 솔루션들을 탑재했음.
 
 신제품은 AI 알고리즘으로 실내 공간 구조를 분석해 고객이 왜곡 없는 사운드를 즐길 수 있도록 소리를 보정하고 콘텐츠 장르에 맞춰 사운드 모드도 스스로 조절함. LG TV(webOS 6.0이상 탑재 모델)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TV에 탑재된 다양한 사운드 모드를 사운드바 신제품으로도 즐길 수 있고 TV 리모컨으로 간편하게 사운드바를 제어할 수도 있음.
 
 당사는 신제품 본체 골조와 패브릭 외피에 재활용 플라스틱 소재를 적용했고 포장 박스와 완충재도 재생지로 만들었음. 이와 같은 친환경성을 인정받아 美 UL(Underwriters Laboratories), 스위스 SGS(Societe Generale de Surveillance) 등 세계 유력기관들로부터 연달아 친환경 인증을 획득했음.
연결성과 디자인을 강화한
'LG 룸앤TV' 신제품 출시
 ('22.05)
설치와 이동이 편리한 LG 룸앤TV 신제품(모델명: 27TQ600SW)을 출시함. LG 룸앤TV는 LG전자가 '내 방과 어울리는 TV 모니터' 콘셉트로 내놓은 스마트 TV 겸용 모니터임. FHD(1920X1080) 해상도를 갖춘 27형 IPS 디스플레이에 TV 튜너, 2채널 스피커, USB 포트 등을 일체화해 설치와 이동이 편리함.
 
스마트 TV 기능을 더한 LG 룸앤TV(모델명: 27TN600S)는 어디에서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기려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경험을 제공함. 특히 캠핑족들로부터 필수 제품으로 인기를 얻고 있음.
 
LG 룸앤TV 신제품은 기존 제품의 장점들을 계승하면서도 편의성을 대폭 강화했음. 고객들은 최신 스마트 TV 플랫폼 webOS 22를 기반으로 넷플릭스(Netflix), 웨이브(wavve), 애플 TV(Apple TV), 유튜브(YouTube) 등 국내외 OTT 서비스를 비롯 LG 피트니스(LG Fitness), 틱톡(TikTok) 등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음.
 
이 제품은 AirPlay 2를 지원해 애플 제품의 화면을 공유할 수 있고 무선 인터넷, 블루투스 등으로 스마트폰과 연동하면 스마트폰에서 선택한 음악도 들려줌. 당사는 캠핑장 등 야외 공간에서도 더 선명한 화질을 볼 수 있도록 시야각이 탁월한 IPS 디스플레이에 기존 제품 대비 20% 높은 휘도를 적용했음.
시네빔 레이저 4K
 ('22.05)
당사는 LG 시네빔 레이저 4K 신제품을 출시하며 프리미엄 홈 시네마 시장을 적극 공략할 예정임. LG 시네빔 레이저 4K 신제품(모델명: HU915QE)은 빛의 삼원색(Red, Green, Blue)을 구현하는 레이저 광원 3개를 동시에 활용한 '3채널 레이저 광원'을 탑재했음. 단일 광원에 비해 낮에도 더 또렷하고 생생한 화면을 보여줌. 초 3,700개를 동시에 켠 것과 같은 수준인 3,700안시루멘(ANSI-Lumen)을 지원하며 이는 가정용 초단초점 프로젝터 가운데 업계 최고 수준임.
 
당사는 시청 환경과 콘텐츠에 맞춰 자동으로 밝기를 최적화해주는 다양한 기능을 적용했음. 이 제품은 엠비언트(Ambient) 조도 센서를 탑재해 주변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화면 밝기를 조절하고, 재생 중인 영상에 맞춰 광원 출력도 조절함.
 
화면의 장면을 세분화해 각각의 구역별로 HDR(High Dynamic Range) 효과를 극대화하는 다이내믹 톤 맵핑(Dynamic Tone mapping), 원작자가 의도한 색감과 분위기를 살려주는 필름메이커(Filmmaker) 모드, 화면의 빠른 움직임을 보다 선명하고 자연스럽게 보여주는 4K 트루모션(TruMotion) 등 다양한 기능을 지원해 고객에게 생생한 홈 시네마 경험을 제공함.
 
이 제품은 초단초점 방식을 적용해 스크린으로부터 반 뼘 수준인 9.8cm만 떨어져 설치해도 100형(대각선 길이 약 254cm) 초대형 화면을 구현함. 또 4K(3,840×2,160) UHD 해상도와 2,000,000:1의 명암비를 지원함.
 
고객들은 LG전자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webOS6.0을 기반으로 별도의 기기를 연결하지 않고도 인터넷에 접속해 유튜브, 넷플릭스 등 다양한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음.
 
에어플레이2(AirPlay2)와 스크린쉐어(Screen Share)를 지원해 iOS 및 안드로이드 OS 기기와 간편하게 화면을 공유할 수 있다. 음성인식 기능을 이용하면 리모컨 조작 대신 음성으로 기능 설정이나 콘텐츠 검색도 가능함.
 
인테리어에 최적화된 미니멀한 디자인도 장점임. 베이지 색상의 깔끔한 본체 디자인에 전면부에는 프리미엄 패브릭 브랜드 크바드라트(Kvadrat)의 베이지 색상 원단을 적용했음.
세계 최소 42형 올레드 TV 국내 출시
 ('22.04)
당사가 세계 최소 올레드 TV인 42형(화면 대각선 약 106센티미터) 올레드 에보(OLED evo, 모델명: 42C2)를 국내 출시함.

이 제품은 책상 위에 올려놓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인 42형 올레드 화면에 4K(3,840×2,160) 해상도를 구현했음. 화소 밀도는 80형대 화면 크기의 8K(7,680×4,320) TV에 버금가는 수준임. 당사는 42형 올레드 에보가 재작년 출시한 48형 올레드 TV와 함께 중형급 TV시장에서도 초고화질 시청 경험을 원하는 수요를 만들어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신제품은 LG 올레드 에보 전용 '5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 및 '화질 알고리즘'을 모두 적용해 압도적 화질을 자랑함. 0.1ms 응답속도, 지싱크 호환(G-SYNC Compatible), 라데온 프리 싱크(Radeon FreeSync)와 같은 다양한 그래픽 호환 기능, 게임 장르별로 최적의 화질 설정을 도와주는 게이밍 보드, 총 4개의 HDMI 2.1 지원 등 게이밍 성능도 두루 갖춤.
 
신제품은 영상ㆍ음향 기술 전문 기업 돌비(Dolby)의 최신 영상기술 돌비 비전(Dolby Vision) IQ와 입체 음향 기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를 일반 영상과 게임 환경에서 모두 지원해 몰입감 넘치는 시청 경험을 제공함.
2022년형 올레드 TV 글로벌 출시
 ('22.03)
당사는 더욱 진화한 LG 올레드 에보(OLED evo)를 앞세워 2022년형 올레드 TV 총 22개 모델(출시 모델은 국가별로 다를 수 있음)을 글로벌 및 국내 시장에 본격 출시함.
 
최근 독자 영상처리 기술 및 열제어기술을 통해 더 밝고 선명해진 올레드 에보 갤러리 에디션(OLED evo Gallery Edition, 83/77/65/55G2)을 북미, 유럽 등 해외 주요 시장에 출시를 시작함.
 
한국에는 내달 77형(대각선 약 195cm) 제품을 시작으로 83/65형 갤러리 에디션 제품을 순차 출시하고 올레드 에보 갤러리 에디션 라인업에 포함되는 세계 최대 97형(대각선 약 246cm) 신제품도 연내 출시 예정임. LG 올레드 에보 갤러리 에디션은 갤러리 스탠드 및 일반 스탠드 외에도 별도 외부기기 없이 TV 전체가 벽에 밀착하는 갤러리 디자인 설치가 가능함.
 
추가적으로, 당사는 차세대 올레드 TV인 올레드 에보 라인업에 올해부터 갤러리 에디션 뿐 아니라 올레드 에보 일반형(83/77/65/55/48/42C2)을 추가할 예정. 올레드 에보 일반형 제품은 한국에서 65형(대각선 약 165cm) 제품이 이달 출시되고, 83/77/55/48/42형 모델이 내달 선보일 예정임.
 
올레드 에보 일반형에는 세계 최소 42형(대각선 약 106cm) 신제품이 추가되었음. 세컨드 TV나 게이밍 TV로 큰 인기를 얻고 있는 48형 제품과 함께 프리미엄 중형급 TV 수요를 공략하는 제품임. 이로써 당사는 벽을 가득 채우는 초대형 화면부터 책상에 올려놓고 사용하기에 적합한 크기까지 총 22개의 모델을 새롭게 출시하며 올레드 TV 업계에서 최다 라인업을 갖추게 됨.
 
2022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당사가 10년 가까이 축적해온 올레드 화질/음질 데이터를 기반으로 만들어낸 5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를 탑재함. 알파9 프로세서는 LG 올레드 TV가 동일한 OLED 기술 기반의 다른 TV와 비교해도 단연 최고로 평가받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음.
 
5세대 인공지능 알파9 프로세서는 노이즈를 줄이고 해상도를 높이는 업 스케일링(Upscaling), HDR(High Dynamic Range, 고대비) 및 색 표현력을 높여주는 화질 처리 기술, 2채널 음원을 가상 7.1.2채널 입체음향으로 변환하는 음향처리 기술 등 다양한 기술을 적용해 올레드의 성능을 극대화 해줌
 
2022년형 LG 올레드 에보는 복합섬유구조 신소재를 적용해 무게를 대폭 줄였고, 65형 신제품(65C2)은 일반 스탠드 설치를 기준으로 같은 크기의 작년 모델(65C1) 대비 45% 가벼워 배송과 설치가 간편함.
 
가벼워진 무게 덕분에 제품 유통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도 줄일 수 고 제품 운송용 컨테이너(40피트 기준)에 65형 신제품을 싣는 경우 한 번에 150대 가량을 운반할 수 있는데, 지난해 제품을 운반하는 경우와 비교해 컨테이너의 중량을 2.4톤(ton) 가량 줄일 수 있음.
 
2022년형 LG 올레드 TV 전 제품은 눈에 편안한 화질로 美 아이세이프(eyesafe)와 獨 TUV 라인란드(Rheinland)가 공동 개발한 아이세이프 디스플레이(Eyesafe Display) 인증을 받았고, 올레드 디스플레이는 美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화면 깜박임이 없음을 인정받은 플리커 프리(Flicker free) 검증도 받았음.
LG 울트라기어 게이밍스피커
신제품 출시
 ('22.02)
당사가 게임에 최적화된 음질은 물론 다양한 편의 기능을 갖춘 LG 울트라기어(UltraGearTM) 게이밍스피커 신제품을 출시함.
 
올해 새롭게 선보이는 신제품(모델명: GP3)은 프리미엄 게이밍스피커(모델명: GP9)의 음향 성능을 유지하면서 가격 부담은 대폭 낮춘 것이 특징임.
 
당사는 모니터, 노트북에 적용해 온 고성능ㆍ게이밍 브랜드 울트라기어를 지난해 게임 특화 스피커에 확대 적용해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힘.
 
신제품은 내장 마이크를 탑재해 별도의 헤드셋 장비 없이도 함께 플레이하는 게이머들과 음성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음. 또, 에코캔슬링 기술을 적용한 클리어 보이스채팅 기능으로 게임 사운드와 목소리를 구분해 상대방에게 내 목소리를 더 또렷하게 전달해줌.
 
당사가 독자 개발한 3D 게이밍 사운드 기술은 게임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의 방향과 크기를 분리 후 전달해 헤드셋 장비 없이도 게이밍 몰입도를 높여줌. 예를 들어 사용자가 FPS(1인칭슈팅게임, First-person shooter)모드를 선택하면 입체 음향 효과를 통해 상대방의 발소리나 총소리가 나는 위치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RTS(실시간전략게임, Real-Time Strategy)모드에서는 보다 넓은 공간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처럼 현장감을 키워줌.
 
또, DTS社의 입체음향기술 DTS Headphone: X를 지원해 스피커를 헤드셋과 연결해서 사용할 때는 웅장하고 현장감 넘치는 가상의 7.1채널 입체 사운드를 제공함.
 
깔끔한 올인원(All-in-One) 디자인도 장점임. 가로 길이가 약 33cm 정도로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와 함께 설치하면 마치 하나의 제품처럼 조화롭게 어울리고, USB-C, 블루투스 등 유ㆍ무선 연결 지원은 물론, 최장 6시간 동안 사용 가능한 내장 배터리를 탑재해 휴대하기에도 편리함.
BS 게이밍 경험 극대화하는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 출시
 ('22.12)
게이밍 경험을 극대화하기 위해 세계 최초 240Hz 주사율을 갖춘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를 출시함.
 
 당사는 화면 지연ㆍ끊김 없이 고화질로 게임을 즐기기를 원하는 게이머들을 위해 45형 커브드 올레드 모니터(모델명: 45GR95QE)와 27형 올레드 모니터(모델명: 27GR95QE) 2종을 미국 시장에 동시에 출시함. LG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는 지난 6월 출시한 48형 모델을 포함하면 3종임.
 
 신제품은 올레드 모니터 가운데 세계 최초로 초당 240장의 화면을 보여주는 240Hz 고주사율을 지원함. 또 LCD와 달리 스스로 빛을 내는 올레드 장점을 기반으로 0.03ms(밀리세컨드, 1,000분의 1초) GtG(Gray to Gray)의 빠른 응답속도를 갖춰 화면이 빠르게 전환하는 게임 영상을 지연 없이 부드럽게 표현함.
 
 이 제품은 또 1,500,000:1의 압도적인 명암비를 지원함.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8.5%(Typical 기준) 충족해 색을 풍부하고 정확하게 표현함.
 
 45형 LG 울트라기어 올레드 커브드 모니터는 WQHD(3440 x 1440) 해상도와 21:9 화면비를 갖췄음. 특히 LG 모니터 가운데 처음으로 800R(반지름 800mm 원이 휘는 정도) 곡률의 화면을 적용해 시청 거리가 가까운 책상에서 사용해도 한 눈에 화면 전체를 볼 수 있음. 롤플레잉 게임(RPG; Role Playing Game)이나 실시간 전략게임(RTS; Real-Time Strategy)을 할 때 화면 외곽의 미니맵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음.
 
 이 제품은 내년 1월에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 전시회인 '2023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개막에 앞서 컴퓨터 하드웨어 및 부품(Computer Hardware & Components) 부문에서 'CES 혁신상(Innovation Awards)'을 수상했음.
 
미국 온라인브랜드샵(OBS)에서 신제품 판매를 진행하고, 2023년 초 캐나다, 한국 등 글로벌 주요 국가에 순차 출시할 예정임.
세계 최대 의료기기 박람회서 수술용 미니 LED 모니터 공개
 ('22.11)
독일 뒤셀도르프에서 현지시간 14일부터 나흘간 열리는 세계 최대 의료기기 박람회 메디카(MEDICA 2022)에 참가해 차별화된 의료 솔루션을 선보임.
 
 당사는 수술실, 엑스레이 검사실, 판독실 등 다양한 의료공간에 최적화된 의료용 영상기기들을 방문객이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전시관을 조성했음.
 
 당사는 이번 전시회에서 '수술용 미니 LED 모니터 신제품(모델명: 27HQ710S)'을 처음 공개했음. 이 제품은 LG전자 의료용 모니터 가운데 처음으로 미니 LED를 적용했음. 디스플레이로 표현할 수 있는 표준 색 영역(sRGB, area) 기준 LG전자 수술용 모니터 가운데 최대인 139%를 충족해 비슷한 붉은 색상의 혈액, 환부 등을 구분해 보여줌.
 
 당사는 수술 환경에 최적화한 기능도 대폭 강화했음. 이 제품은 조명이 강한 수술실 환경을 고려해 최대 2,000니트(nit) 휘도와 178° 광시야각 패널을 탑재했음. 또 전면 IP45, 후면 IP32의 방수 방진 등급을 받았음. 화면 속 화면 기능(Picture in picture)과 화면 분할 기능(Picture by Picture)을 갖춰 최대 4개 화면에서 수술 정보를 한 눈에 확인할 수 있음.
 
 '진단용 모니터(모델명: 31HN713D)'는 3:2 화면비를 적용한 31형 디스플레이임. 12메가픽셀(MP) 해상도를 구현해 5메가픽셀 해상도의 맘모그래피(Mammography, 유방암 영상 검사 기법) 촬영 결과를 최대 2개까지 동시에 확인할 수 있음.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모델명: 17HQ901G)'는 X-ray 민감도가 높은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Oxide TFT) 패널을 사용하고 기존 제품 대비 소프트웨어를 개선해 방사선을 표준 방사선 조사(照射)량의 절반 수준으로 낮췄음.
커브드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로
몰입감 있는 게이밍 경험 전달
 ('22.08)
차별화된 '게이밍 경험'을 제공하는 LG 울트라기어(UltraGear™) 올레드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을 공개함. 당사는 이번 신제품(모델명: 45GR95QE)에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가운데 처음으로 커브드(Curved) 올레드(OLED) 패널을 채택했음. 800R(반지름 800mm 원이 휜 정도) 곡률의 45형(화면 대각선 길이 약 114cm) WQHD(3440×1440) 해상도 화면과 21:9 화면비를 적용했음. 고객은 시청 거리가 가까운 책상 위에서도 한눈에 화면 전체를 보며 몰입감 넘치는 게이밍 경험을 즐길 수 있음.
 
 이 제품은 0.1ms GtG(Gray-to-Gray) 응답속도와 240헤르츠(Hz) 고주사율을 지원해 역동적인 게임 화면을 잔상과 끊김 없이 보여줌. 초당 240장의 화면을 보여주는 240Hz 고주사율을 지원하는 올레드 모니터를 선보이는 것은 이번이 처음임. 이 제품은 OLED의 장점인 압도적인 블랙 표현력은 물론,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8.5% 충족해 풍부하고 정확한 색을 제공한다. 패널에는 빛 반사와 눈부심을 줄여주는 AGLR(Anti-Glare & Low Reflection)를 적용했음.
 
 이 제품에 화면 끊김을 최소화하는 그래픽 호환 기능은 물론 게이머들에게 특화된 ▲다크맵 모드(명암 조절 기능) ▲액션 모드(입력신호 지연을 최소화하는 기능) ▲조준점 모드(화면 중앙에 조준점을 표시하는 기능) 등 게이밍에 최적화된 기능을 대거 적용함. 고객들은 제품에 적용된 스탠드를 활용해 사용 환경에 맞춰 편리하게 화면 위치를 조절할 수 있음. 스탠드는 ▲화면을 위아래로 각각 15도, 2도까지 기울일 수 있는 틸트(Tilt) ▲좌ㆍ우 방향으로 각각 최대 10도까지 회전하는 스위블(Swivel) ▲최대 11cm 내 화면 높낮이 조절 등을 모두 지원함.
 
 이 제품은 통화 마이크가 부착된 4극(Pole) 이어폰 단자와 DTS社의 입체 음향 기술 DTS Headphone: X를 탑재해 헤드셋을 연결하면 가상의 7.1채널 입체 음향을 즐길 수 있고 상대방과 음성 대화도 가능함.
신개념 이동형 모니터
'LG 리베로' 출시
 ('22.07)
언제 어디서나 나에게 딱 맞는 업무 환경을 만들어주는 신개념 이동형 모니터 'LG 리베로'를 출시함.
 
 LG 리베로 모니터(제품명: 27BQ70QC)는 재택근무, 워케이션(Workation, Work와 Vacation의 합성어) 등이 확산되면서 사무실은 물론 집, 공유 오피스, 호텔 등 다양한 장소를 업무 공간으로 활용하는 고객들에게 새로운 고객 경험을 제공함.
 
 당사는 사무실 공간이 아닌 다른 곳으로 이동해서도 노트북과 대화면 모니터를 연결해 여러 업무를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 작업을 하거나 별도의 장비 없이 원격 화상 회의를 진행하는 등 자신만의 최적화된 업무 환경을 구축하고 싶은 고객들의 니즈를 반영해 신제품을 개발했음. 이 제품은 27형 모니터의 좌우 끝을 가방 손잡이처럼 연결한 스탠드를 적용했음. 메탈 소재의 일체형 스탠드는 원하는 장소로 모니터를 들고 이동하기 편리함. 전용 액세서리를 활용하면 파티션에 달력처럼 걸어 사용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도 높힘.
 
 책상 위에 설치할 때는 스탠드를 제품 후면으로 돌려 심플한 디자인의 스탠드 모드로도 활용할 수 있음. 위아래로 각각 5도, 10도까지 화면을 기울일 수 있는 틸트(Tilt) 기능을 지원해 사용 자세에 맞춰 화면 위치도 조절함.
 
 이 제품은 사용자의 다양한 업무 환경 변화를 고려한 차별화된 디자인을 인정받으며 세계적 권위의 디자인상인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의 제품 디자인(Product Design) 부문에서 본상(Winner)을 받았음.
 
 이 제품은 모니터 양옆과 위에 슬림 베젤을 적용해 화면 몰입감도 높였음. 27형 QHD(2,560×1,440) 고해상도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어느 각도에서 보더라도 색 왜곡 없이 선명한 화질을 보여줌. 모니터가 표현할 수 있는 색 영역 표준인 sRGB를 99% 충족해 색 표현도 정확함.
 
 뛰어난 편의성도 장점임. 탈부착이 가능하고 마이크가 내장된 전용 웹캠(Webcam)과 2채널 스테레오 스피커 등을 갖춰 화상회의나 온라인수업에 유용함. 화면 연결과 65W 고속 충전을 동시에 하는 USB-C 타입 포트를 적용해 별도 전원을 연결하지 않은 노트북도 충전하며 사용할 수 있음. 스탠드를 포함한 제품의 무게는 약 6kg임.
대화면ㆍ슬림 디자인ㆍ휴대성
모두 갖춘 노트북
'LG 울트라PC 엣지' 출시
 ('22.07)
차별화된 디자인과 편리한 휴대성을 강조한 'LG 울트라PC 엣지' 노트북을 출시함. LG 울트라PC 엣지(Edge)는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16.7밀리미터(WQXGA해상도 패널 탑재 기준)에 불과한 슬림 디자인에 모서리를 직각으로 마감하고, 제품 외관은 차콜그레이 색상의 메탈 소재를 더해 고급스러움을 강조했음.
 
 신제품은 16형(모델명: 16U70Q)과 14형(모델명: 14U70Q) 2가지이며, 고객이 더욱 큰 화면으로 즐길 수 있도록 기존 울트라PC 노트북 15.6형(39.6cm)과 13.3형(33.7cm) 제품의 전체 크기는 유지하면서도 베젤을 줄여 화면 크기를 각각 16형과 14형으로 키웠음.
 
 대표 모델인 16형(화면 대각선 길이 약 40.6센티미터) 제품은 72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도 무게가 약 1,470그램(WQXGA해상도 패널 탑재 기준)에 불과해 휴대성도 탁월함. 이 제품은 16:10 화면비의 WQXGA(2,560×1,600) 고해상도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음. 패널에는 빛 반사와 눈부심을 줄여주는 안티글레어(Anti-Glare)를 적용했음. 또 AMD의 최신 라이젠 바르셀로(Barcelo) 프로세서를 탑재해 가벼운 영상 편집이나 대용량 문서 작업 시에도 쾌적한 작업 환경을 제공한다. 메모리는 제품 사양에 따라 8GB와 16GB 중 하나를 제공함.
 
 얼굴 및 시선 감지 기술 기반으로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면 화면을 잠그고, 사용자의 뒤에 다른 사람이 있으면 작업 중인 화면을 흐리게 하거나 경고 메시지를 보여주는 미라매트릭스(LG Glance by Mirametrix®) 기능을 지원해 외부 공간에서 제품을 사용할 때 보안성도 높였음.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3종 출시
 ('22.06)
고사양 게임을 쾌적하게 즐기기 위한 최적의 게이밍 성능과 선명한 화질, 다양한 편의 기능과 연결성까지 두루 갖춘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 3종(모델명: 32GQ950, 32GQ850, 48GQ900)을 출시함. 32GQ950은 32형 4K UHD(3,840×2,160) 나노 IPS 패널을 탑재했음. 실제에 가까운 순색(Pure Color)을 표현하는 나노 IPS 패널에 1ms GtG(Gray to Gray) 응답속도를 구현해 빠른 게임 화면도 매끄럽고 선명하게 표현함.
 
이 제품은 비디오전자표준위원회(VESA, 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로부터 HDR(High Dynamic Range) 성능을 인정받아 VESA DisplayHDR™ 1000 인증을 획득했음.
 
32GQ850(국내명: 32GQ850L)은 QHD(2,560×1,440) 나노 IPS 패널에서 1ms GtG 응답속도와 초당 240장의 화면을 보여주는 240Hz 고주사율을 지원해 역동적인 게임 화면을 잔상과 끊김 없이 보여주며, 간단한 조작만으로 화면 주사율을 높이는 오버클록(Overclock)을 활용하면 최대 260Hz까지 구현함.
 
또한, 신제품에 탑재한 나노 IPS 패널에 ATW(Advanced True Wide) Polarizer(편광판) 기술을 적용해 패널의 색 표현력과 명암비를 개선했다. 보다 넓어진 시야각으로 측면에서도 색상 왜곡 없이 선명한 화면을 보여줌.
 
48GQ900은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가운데 처음으로 OLED 패널을 탑재했음. OLED의 장점인 압도적인 블랙 표현력은 물론, 0.1ms GtG 응답속도와 최대 138Hz(오버클록 시) 주사율을 지원함. 48형 4K UHD 패널에는 빛 반사와 눈부심을 방지하는 AGLR(Anti-Glare & Low-Reflection)를 적용했음.
 
대화면에도 책상 위에 두고 사용하기 적합한 슬림 디자인도 장점임. 세계 3대 디자인상으로 꼽히는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Red Dot Design Award)와 iF 디자인 어워드(iF Design Award)에서 수상하며 뛰어난 디자인을 인정받았으며, 신제품 3종은 디지털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8% 이상 충족해 풍부하고 정확한 색을 제공함.
 
지싱크호환(G-SYNC Compatible), 프리싱크 프리미엄/프리미엄프로(FreeSync Premium / Premium Pro) 등 그래픽 호환 기능, DisplayPort 1.4, HDMI 2.1 지원, DTS HeadPhone: X 등 게이밍 관련 편의 기능도 대거 탑재했으며, 모니터 후면에는 기존 원형 LED 조명 대신 세련된 디자인의 육각형(Hexagon) 조명을 탑재해 게임 소리와 화면에 맞춰 빛을 발산, 고객이 즐기고 있는 콘텐츠에 맞춰 게이밍 몰입감을 높힘.
멀티태스킹 작업에 최적화된
「LG 듀얼업 모니터」 국내 출시
 ('22.05)
새로운 폼팩터를 적용한 LG 듀얼업 모니터(모델명: 28MQ780)를 국내 출시함. LG 듀얼업 모니터는 28형(화면 대각선 70cm) 나노IPS 디스플레이에 16:18 화면비를 적용한 것이 특징임. 16:9 화면비의 21.5형 모니터 2대를 위아래로 붙인 크기로 일반 모니터보다 세로로 더 길어 스크롤 없이 한 화면에 보다 많은 정보를 보여줌.
 
신제품은 또 LG 360 스탠드를 장착해 화면을 가로 90°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피벗(Pivot)과 좌우로 335°까지 돌릴 수 있는 스위블(Swivel)을 지원함. 최대 165mm 범위 내에서 높이 조절도 가능해 사용자의 자세에 맞춰 화면 위치를 세밀하게 조정 가능함.
 
당사는 한눈에 화면 전체를 보기 위해 모니터를 위아래로 놓고 사용하는 고객들의 다양한 사용자 경험에 착안하여 화면을 위아래로 분할해 영상편집 작업을 하는 유튜버나 많은 코드를 스크롤 없이 한 번에 확인해야 하는 프로그래머, 여러 작업물을 동시에 띄워놓고 검토해야 하는 디자이너 등 멀티태스킹 작업이 많은 고객들의 니즈를 반영한 것임.
 
이 제품은 PC 두 대를 동시에 연결해 한 화면에 두 대의 PC 화면을 동시에 보여주는 PBP(Picture by Picture)를 지원함. 하나의 키보드와 마우스로 연결된 PC 두 대를 번갈아 가며 조작할 수 있는 KVM(Keyboard Video Mouse) 스위칭 기능도 적용했음. 노트북과 데스크톱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윈도우 노트북과 맥북을 동시에 사용하는 고객들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공간의 효율성도 높힘. LG 듀얼업 모니터가 차지하는 공간은 일반 모니터 두 대를 나란히 놓고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절반 수준이임. 또 최대 14W(7W 스피커 2개) 출력의 듀얼 스테레오 스피커를 내장한 것은 물론이고, 화면 연결, 데이터 전송, 90W 초고속 충전이 동시에 가능한 USB C타입 포트를 적용해 케이블 연결도 최소화했음.
한국형 '잔디깎이 로봇' 출시
 ('22.04)
전원주택, 펜션 등 국내 사용환경에 최적화된 한국형 잔디깎이 로봇을 출시함. 전원주택이 늘어나고 단독주택 등 주거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잔디 관리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에 주목하고 국내 잔디와 정원 환경에 최적화한 한국형 잔디깎이 로봇을 새롭게 개발했음.
 
당사는 50명의 고객과 함께 2개월간의 베타테스트를 거치고 국립 대전 현충원과 국궁장 등에서도 필드테스트를 진행해 제품 성능과 설치에 대한 사용자 의견을 반영했음.
 
이에 LG 잔디깎이 로봇은 잔디가 짧게 관리되는 것을 원하는 국내 고객의 선호에 따라 최저 잔디 길이를 2cm까지 깎을 수 있으며, 제품 설치 시 자동 매립기 사용으로 잔디깎이 로봇의 작동구역을 설정하는 와이어가 지면 밖으로 노출되지 않아 경관을 해치지 않음.
 
 LG 잔디깎이 로봇은 최대 3000m2(약 900평) 면적과 25도 경사지형의 잔디도 관리 가능함.
 
 이 제품은 정원의 나무나 돌 등 장애물을 감지해 속도를 늦춰 제품 손상을 방지하고 방향을 전환하는 보호기능이 적용됨. 우천 시 잔디깎이 작업을 계속하면 땅이 패이거나 잔디가 상할 수 있어 레인센서가 빗물을 감지하면 자동으로 충전대로 복귀함.
 
고객은 스마트폰 전용 앱을 통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잔디깎이를 원하는 요일과 시간을 설정하면 잔디깎이 로봇이 자동으로 작동함. 또 제품의 고장 원인과 해결법을 확인하는 스마트진단과 작업중인 로봇의 위치 확인 기능도 편리함.
비대면 방역에 최적화된
'LG 클로이 UV-C봇' 출시
 ('22.04)
비대면 방역을 위한 로봇인 'LG 클로이 UV-C봇(LG CLOi UV-C Bot)'을 국내 시장에 본격 출시.
 
이로써 당사가 운영하는 LG 클로이 로봇 라인업은 UV-C봇을 비롯해 가이드봇, 서브봇(선반형/서랍형) 2종, 셰프봇, 바리스타봇 등 총 6종으로 늘었음.
 
LG 클로이 UV-C봇은 코로나19로 인해 방역이 더욱 중요해진 시기에 객실이 많은 호텔이나 병원과 같이 분리된 공간이 많은 건물에서 비대면 방역 작업에 최적화된 로봇임. 시간의 제약 없이 비대면 방역을 수시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임.
 
LG 클로이 UV-C봇은 자율주행과 장애물 회피 기술을 기반으로 동작함. 벽을 따라 실내 공간을 이동하며 몸체 좌우 측면에 탑재된 UV-C(Ultraviolet-C) 램프로 사람의 손이 닿는 물건들의 표면을 살균함. UV-C는 100~280나노미터(nm) 파장의 자외선으로 각종 세균을 제거하는 데 주로 사용됨. 로봇에 있는 UV-C 램프가 50센티미터(cm) 이내 공간에 있는 폐렴막대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 등 유해 세균을 99.999% 제거하는 것을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으로부터 인증받았음.
 
로봇 관리도 편리함. 사용자는 LG 클로이 UV-C봇 전용 앱을 통해 살균 진행 상태, 작업 구역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동작 제어 및 작업 완료 알림 등도 받을 수 있음.
셀프 주문 키오스크(Kiosk) 출시
 ('22.04)
사용성, 디자인, 접근성을 두루 갖춰 비즈니스 현장의 고객 경험을 높여주는 셀프 주문 키오스크 신제품을 선보임. 식음료 매장 등에 설치해 사용할 수 있도록 셀프 주문 및 결제솔루션을 탑재한 LG 키오스크(모델명: 27KC3J)를 출시하였으며, 한국을 시작으로 연내 북미, 유럽 등 주요 시장으로 판매를 확대할 계획임.
 
가장 먼저 출시하는 한국에서는 무인솔루션 전문 업체 한국 전자금융㈜의 키오스크 전용 UX에 LG전자 자체 디자인을 더해 직관적이고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구현하였음. 당사는 금융 인프라 기업인 나이스(NICE)그룹과 협업하며 LG 키오스크의 국내 공급을 확대해 나갈 계획임.
 
LG 키오스크는 27형(대각선 길이 약 68센티미터) 터치스크린을 탑재했음. 통상 매장에 설치되는 셀프 주문 키오스크가 22형 혹은 24형 화면을 탑재하는 점을 감안하면 큰 화면이 시인성을 높여주고 시원시원한 느낌을 줌.
 
터치스크린은 LCD 셀에 터치센서를 내장하는 AIT(Advanced In-cell Touch) 기술을 적용했음. 이 기술은 터치스크린을 얇고 가볍게 만들 수 있어 제조 과정에서의 에너지 사용량 감축 효과를 인정받아 지난해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녹색기술인증을 받은 바 있음. 화면을 터치하는 곳과 센서가 반응하는 부분이 일치하기 때문에 터치감과 반응속도도 뛰어남.
 
LG 키오스크는 IC/MST 방식 카드리더기, 영수증 프린터, QR/바코드스캐너 등을 두루 탑재해 다양한 결제방식을 지원함. 고객은 필요에 따라 NFC 결제나 음성 메뉴 안내용 키패드와 같은 추가 기능도 선택할 수 있음.
 
마이크로소프트의 임베디드 전용 운영체제 윈도우10 IoT(Windows 10 IoT Enterprise)를 탑재, 별도 PC 연결 없이도 작동이 가능함. 판매 정보관리 시스템(POS), 주문 화면 시스템(KDS) 등 매장 주변기기와 간편하게 연동하며, 다양한 키오스크 전용 소프트웨어를 폭넓게 지원하는 것도 장점임.
 
당사는 비대면 수요가 점차 늘어남에 따라 새롭게 대두되는 디지털 소외계층의 접근성 문제도 제품 개발에 고려했으며, LG 키오스크는 키가 작거나 휠체어에 탑승한 고객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주요 메뉴를 화면 아래쪽에 배치한 저자세 모드, 시각장애인을 위한 저시력자 모드 등을 지원함. 향후 전맹 시각장애인을 위한 음성 메뉴 안내 등도 추가할 계획임.
외장 그래픽카드 탑재
LG 그램 신제품 출시
 ('22.03)
LG 그램 노트북 가운데 처음으로 외장 그래픽카드를 탑재한 신제품을 출시함. 새롭게 선보이는 그램 신제품(제품명: 17Z90Q, 16Z90Q)은 엔비디아(NVIDIA)의 고성능 노트북용 외장 그래픽카드(RTX™ 2050)를 탑재해 고화질 영상 및 이미지 편집 작업 시에도 최적의 환경을 제공함.
 LG 그램 16은 16형 디스플레이에 외장 그래픽카드와 90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고도 제품 무게는 1,285그램(g)으로 가볍고,17형 대화면을 탑재한 LG 그램 17의 무게는 1,435그램(g)임.
 
 신제품은 16:10 화면비의 WQXGA(2,560×1,600) 고해상도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디지털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9% 충족함. 패널에는 빛 반사와 눈부심을 방지하는 안티글레어(Anti-Glare)를 적용해 장시간 사용 시에도 눈의 피로를 덜어줌.
 
 또 인텔의 최신 12세대 프로세서를 탑재해 기존 11세대 프로세서 대비 데이터 처리속도가 약 70%(i7 탑재 기준) 빨라졌고, 최신 4세대 저장장치(SSD)와 기존 제품 대비 성능이 22% 향상된 최신 저전력 메모리도 탑재함.
 
 카메라로 사용자의 얼굴과 시선을 감지한 후 인공지능(AI) 분석을 기반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편의 기능도 처음 적용되었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자리를 비우면 화면을 잠그고, 사용자의 뒤에 다른 사람이 있으면 작업 중인 화면을 흐리게 만들거나 경고 메시지를 보여줌. 멀티 태스킹 작업을 위해 별도의 모니터를 연결할 경우 두 개의 화면 중 사용자가 보고 있는 화면으로 마우스 포인터나 작업 중인 창을 자동으로 옮겨주기도 함.
교육용 노트북 LG 크롬북 출시
 ('22.03)
구글의 크롬 OS를 탑재한 LG 크롬북을 출시하며 비대면 교육 수요를 위한 교육용 노트북 라인업을 확대함.
 
 당사는 네이버의 교육 플랫폼인 웨일 스페이스(Whale Space)를 탑재한 웨일북(Whalebook)을 지난해 출시한 데 이어, 구글의 크롬 OS를 탑재한 노트북을 추가로 내놓고 급성장하는 교육용 노트북 시장을 적극 공략함.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국내 교육용 노트북 시장 규모는 2019년 8만여 대에서 2021년에는 약 43만 대로 폭발적으로 증가했음.
 
 LG 크롬북(모델명: 11TC50Q)은 구글의 크롬 OS(운영체제)를 탑재한 클라우드 기반의 투인원(2 in 1) 노트북으로, 부팅 속도가 빠르고 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폰과 유사한 직관적인 사용자환경(UI) 등을 지원함.
 
 이 제품은 전ㆍ후면 카메라와 내장 마이크를 모두 탑재해 별도의 장비 없이도 화상 수업에 활용할 수 있음. 온라인 수업 중 선생님은 클라우드 서버를 활용해 수업 관련 자료를 학생들과 쉽게 공유할 수 있고, 학생들도 과제를 간편하게 제출할 수 있음.
 
 사용자는 구글 계정으로 클라우드에 연결한 후 크롬 웹 스토어, 구글 플레이스토어 등에서 원하는 앱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음.
 
 이 제품은 11.6형(대각선 길이 약 29cm) 터치 디스플레이를 탑재했고, 화면을 360°로 회전할 수 있어 노트북이나 태블릿 모드로 사용할 수 있음. LG 크롬북의 무게는 1.44kg이며, 디스플레이와 키보드를 연결하는 흰지 부분에 적용된 손잡이를 이용하면 휴대하기도 편리하고, IP41(International Protection) 등급의 방수/방진 기능도 갖췄음.
고성능ㆍ디자인ㆍ편의성 모두 갖춘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노트북 출시
 ('22.02)
더 강력해진 LG 울트라기어(UltraGearTM) 게이밍 노트북 신제품을 앞세워 급성장하는 게이밍 노트북 시장을 적극 공략함.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노트북(모델명: 17G90Q)은 고사양 게임에 최적화 된 압도적인 성능은 물론 디자인과 사용 편의성까지 두루 갖춘 제품으로 CES 2022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받았음.
 
 이 제품은 17.3형(대각선 길이 약 44cm) 대화면 IPS 디스플레이에서 1ms대(밀리세컨드, 1,000분의 1초) 응답속도를 구현해 빠르게 전환되는 콘텐츠 또는 장면, 영상을 매끄럽고 선명하게 표현하고, 초당 최대 300장의 화면을 보여주는 300Hz 주사율도 지원함.
 
 이 제품은 엔비디아(NVIDIA)의 고성능 노트북용 그래픽카드(RTX™ 3080)와 인텔의 최신 11세대 프로세서(타이거레이크H, Tiger Lake H)를 모두 탑재했음. 넓은 면적의 발열을 빠르게 낮춰주는 베이퍼챔버 쿨링 시스템을 적용해 고사양 게임을 장시간 구동해도 빠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21.4밀리미터(mm)에 불과한 슬림 디자인도 강점임. 93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면서도 약 2.6킬로그램(kg)에 불과한 무게로 휴대도 편리하고, 메모리와 저장장치(SSD)는 각각 듀얼 채널을 지원해 뛰어난 사양 확장성도 갖춤.
 
 제품에 탑재된 스테레오 스피커에는 입체음향기술 DTS:X Ultra를 적용해 사용자에게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제공함. 숫자키를 포함한 풀사이즈 키보드에는 백라이트를 적용해 취향에 맞춰 각 키 별로 색상을 변경할 수 있음. 또, 전용 게이밍 소프트웨어 ‘LG 울트라기어 스튜디오’를 활용하면 게임에 맞춰 CPU, GPU 등 하드웨어의 성능도 간편하게 설정함.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글로벌 게이밍 PC 시장 규모는 재작년 4,130만 대에서 오는 2025년 5,230만 대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성장률(CAGR)은 5% 수준임.
LG 시네빔 레이저 4K 프로젝터
신제품 출시
 ('22.02)
고화질과 편의성을 모두 갖춘 LG 시네빔 레이저 4K 신제품 2종을 국내시장에 출시함.
 
 LG 시네빔 레이저 4K 신제품(시리즈명: HU715Q)은 초단초점 방식을 적용해 벽으로부터 한 뼘 수준인 21.7cm 정도에 설치해도 100형(대각선 길이 약 254cm) 초대형 화면을 구현함.
 4K(3,840×2,160) UHD 해상도와 2,000,000:1 명암비를 지원하고, 최대 밝기는 초 2,500개를 동시에 켠 수준인 2,500 안시루멘(ANSI-Lumen)임.
 
 주변 밝기에 따라 엠비언트(Ambient) 조도 센서가 자동으로 화면 밝기를 조정하고, 재생하는 영상에 맞춰 광원 출력도 자동으로 조절해 고객은 시청 환경과 콘텐츠에 최적화된 화면을 감상할 수 있음.
 
 인테리어에 최적화된 미니멀한 디자인도 장점임. 코튼화이트 색상의 깔끔한 본체 디자인에 전면부에는 명품 패브릭 브랜드 크바드라트(Kvadrat)를 적용했음. 크바드라트 색상은 그레이, 핑크, 그린 등 3가지 색상 가운데 고객이 선택할 수 있음.
 
 투사형 방식을 적용한 LG 시네빔 레이저 4K 신제품(모델명: HU710PW)은 벽으로부터 약 4.7m 정도 떨어진 거리의 어느 각도에서도 원하는 위치에 100형 가량의 화면을 투사할 수 있는 트리플 화면조정 기능을 탑재했음.
 
 LG 시네빔 레이저 4K 신제품 2종은 화면에 보이는 매 장면을 수천 개의 작은 구역으로 구분 후 각각의 구역별로 HDR(High Dynamic Range) 효과를 극대화하는 다이내믹 톤 맵핑(Dynamic Tone mapping) 기능을 지원해 입체감 있고 선명한 화면을 구현함.
 
 다양한 편의기능도 갖춤. 당사의 소프트웨어 플랫폼인 webOS6.0을 탑재해 고객은 주변 기기 연결 없이도 인터넷에 접속해 유튜브, 넷플릭스, 디즈니플러스 등 다양한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초대형 화면으로 간편하게 즐길 수 있음.
 
 이 기능을 활용하면 고객이 제품을 거실 구석에 놓고 맞은편 방향으로 화면을 비스듬히 투사하는 때도 반듯한 직사각형 모양의 화면을 손쉽게 만들 수 있음. 반듯한 화면을 투사하기 위해 천장에 프로젝터를 매달아 설치하거나 제품을 옮기는 번거로움을 줄여줌.
 
 또, 에어플레이2(AirPlay2)와 미라캐스트(Miracast)를 지원해 iOS 기반 기기 및 안드로이드 OS 탑재 기기 모두와 편리하게 화면 공유가 가능하고, HDMI 2.1 포트를 탑재하고 블루투스 등 무선 연결도 지원함.
버추얼 프로덕션 스튜디오 수요 대응
LG LED 사이니지
('22.02)
급증하는 버추얼 프로덕션(가상 배경을 활용한 실시간 촬영) 수요에 대응하는 LED 사이니지 기술 고도화에 나섰음.
 
당사는 국내 메타버스 플랫폼 기업 브이에이코퍼레이션(VA Corporation)과 손잡고 8일 경기도 하남시에 위치한 브이에이스튜디오 하남(VA STUDIO HANAM)에 공동 R&D센터를 열었음. 이를 통해 양사는 ICVFX(In-camera Visual effects)에 최적화된 LED 월(Wall) 공동 개발은 물론이고, 향후 브이에이코퍼레이션의 버추얼 스튜디오 구축에도 협업할 예정임.
 
ICVFX는 스튜디오에 LED 월로 배경을 구현하고 배우의 연기와 화면에 나오는 가상 배경을 한 번에 촬영하는 기법임. 단색 배경 앞에서 촬영한 영상에 컴퓨터그래픽(CG)으로 배경을 입히는 기존 크로마키(Chroma-key) 기법 대비 콘텐츠 제작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보다 생동감 넘치는 영상을 구현할 수 있어 차세대 콘텐츠 제작 방식으로 각광받고 있음.
 
LED 사이니지가 실제 현장에서 촬영한 것처럼 이질감 없는 배경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뛰어난 화질은 물론이고 다양한 스튜디오 형태에 맞춰 설치가 가능한 디자인 유연성, 촬영 앵글에 따라 배경화면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하고 다양한 색감을 구현해내는 고도화된 소프트웨어 역량 등이 중요함.
 
당사는 상업용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확보하고 있는 독보적인 기술력에 브이에이코퍼레이션의 콘텐츠 기획 및 제작 역량을 더해 버추얼 프로덕션 환경에 최적화된 사양의 LED 사이니지를 개발할 계획임.
 
당사는 초고화질 마이크로 LED LG 매그니트(MAGNIT)를 포함해 플렉서블 모듈을 적용한 리얼 커브 시리즈, 선명한 화질을 구현하는 파인 피치(Fine Pitch) 시리즈, 사운드 시스템을 내장한 올인원 시리즈 등 다양한 고객 수요에 대응하는 실내용 LED 라인업을 확보하고 있음.
 
브이에이코퍼레이션은 최근 글로벌 OTT 업체 넷플릭스와 버추얼 프로덕션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는 등 해당 분야의 뛰어난 기술력과 인프라를 인정받고 있고, 당사와 브이에이코퍼레이션은 급증하는 버추얼 프로덕션 수요에 선제 대응하기 위해 지난해 8월부터 협업을 이어오고 있음.
VS 獨 「메르세데스-벤츠 AG」에
'올레드 기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공급
 ('22.01)
독일 자동차 제조사 「메르세데스-벤츠(Mercedes-Benz) AG」에 플라스틱 올레드(Plastic OLED, 이하 P-OLED) 기반 인포테인먼트(IVI; In-Vehicle Infotainment) 시스템을 공급함.
 
 당사와 메르세데스-벤츠 AG는 프리미엄 전기차인 2022년형 EQS 모델에 양사가 공동 개발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탑재했음.
 
 최근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인포테인먼트 부품의 기능이 보다 다양해지면서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크기가 커지고 있음. 당사는 이런 업계 트렌드를 반영하는 한편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의 편의를 높여 주는 새로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선보임.
 
 이번에 공급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계기판, 중앙정보디스플레이(CID, Center Information Display), 보조석디스플레이(CDD, Co-Driver Display) 등 3개의 화면이 하나로 통합된 형태임. 특히 운전자와 조수석 탑승자가 각각의 화면을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함.
 
당사는 자유롭게 휘고 구부릴 수 있는 P-OLED 디스플레이를 사용해 대시보드 전체를 곡면 형태의 파노라믹 스크린으로 구현했음. 이를 위해 곡면의 유리성형, 표면처리, 디스플레이 접합 등 LG만의 차별화된 기술을 집약했음. 또 터치가 가능한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초고화질 해상도, 얇은 베젤 등을 통해 차원이 다른 사용자 경험을 제공함.
 
또한,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안정성도 높힘. 정면에서 충돌 사고가 발생할 경우 차량의 탑승자가 계기판 등 차량 내 부품에 의한 머리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했음.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美 연방자동차안전기준(FMVSS, 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가운데 '내부 충격으로부터 탑승자 보호(Occupant Protection in Interior Impact)'에 해당하는 '정면 충돌 테스트'도 통과했음.
 
 앞서 당사는 2020년에 메르세데스-벤츠 AG의 모회사인 다임러 그룹(Daimler Automotive Group)으로부터 탁월한 성능과 파트너십을 인정받으며 최우수 협력사에 선정된 바 있음.
 
VS사업본부는 글로벌 탑티어(Top-tier)를 목표로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혁신 파트너(Innovation Partner for Future Mobility)'라는 비전 아래 고객에게 차량 내 차별화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커넥티비티(Connectivity, 차량연결기술),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s, 첨단운전자보조시스템) 솔루션 등을 개발하고 있음.
이노텍 고해상도 3D Sensing 모듈 - MS와 협업으로 다양한 산업분야에서의 Depth Platform 생태계 조성
JLR향 BMS 양산 (독자 개발 플랫폼) - 자사 첫 독자 개발 BMS 제품 양산
차량 실내용 레이더 모듈 개발

- 경쟁사 대비 해상도(Resolution)를 40% 가량 높여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 확보

- 글로벌 차량용 레이더 모듈 시장 공략하고 고객경험 혁신으로 자율주행 시대  앞당길 것으로 기대

Headlamp용 TEM(Top Electrode Module)

- Headlamp용 TEM 최초 양산 (전방램프 영역으로 Application 확대)

Headlamp용 LDM (LED Driver Module)

- Headlamp용 LDM 최초 양산 (전방램프 영역으로 Application 확대)

Wireless BMS 플랫폼

- 차량 경량화, 원가 절감, 조립·유지보수 및 설계 유연성 확보가 가능한 Wireless BMS 플랫폼 확보

- Global OEM의 Wireless BMS 적용과 함께 신규 시장 선점 및 자사 BMS Biz. 경쟁력 확대

Nexlide M 모듈

- 세계 최고 수준의 고효율, 고 광속 전방램프용 면광원 기술 확보

HMC향 고전압 OPU(Oil Pump control Unit)

- 고전압 모터 제어기 설계 기술 확보하여 HMC PHEV / HEV 차량 수주

ADAS센서용 고속유선통신 SiP모듈

- Valens社 협력 MIPI A-PHY 표준규격 대응 SiP 모듈 출시

- Wafer를 이용한 고집적 SiP 모듈로 칩셋 대비 소형화 설계로 차량카메라 소형화 니즈 대응 및

  시장 선도 기대

자율주행용 하이브리드 렌즈 개발

- 운전자모니터링시스템(DMS) 및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ADAS)용 고성능 하이브리드 렌즈 개발

- 렌즈 내부에 얇은 플라스틱과 유리를 교차 적용하여 성능 및 가격 경쟁력을 높힘

고배율 광학식 연속줌 카메라모듈 개발

- 전문 카메라에 적용되는 망원 카메라 기능을 스마트폰에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초소형 부품으로,  
   고배율 구간에서 화질 저하없이 광학줌 촬영이 가능한 광학식 연속줌 카메라모듈 개발로

  프리미엄 스마트폰용 카메라모듈 기술 선도 예상

기타 6G 테라헤르츠 대역
실외 320m 무선 전송 성공
 ('22.09)
당사는 최근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155~175GHz)을 활용해 실외에서 통신 신호를 320m 거리까지 전송하는 데 성공함. 이는 지난해 8월 실외 100m 무선 송수신 성공에 이어, 약 1년 만에 이룬 쾌거임. 당시 LG전자와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전력 증폭기를 공동으로 개발, 출력 신호를 세계 최고 수준인 최대 15dBm까지 끌어올린 바 있음. 이번 성공은 일반 도심에서 사용하는 기지국의 셀 커버리지가 250m 수준이라는 점에서 특히 의미가 크다. 실내는 물론, 실외 도심 지역 전반에서 6G 테라헤르츠 통신을 상용화하는데 한 발 더 다가선 셈.
 
 6G 테라헤르츠와 같은 초광대역은 주파수 도달거리가 짧고,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심함.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송신 전력을 끌어올리는 '전력 증폭기'와 수신 신호 품질을 향상시키는 '수신기 소자' 개발이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혀왔음.
 
 당사와 프라운호퍼 연구소는 이번 시연을 위해 전체 출력 20dBm 이상의 '다채널 전력 증폭기', 노이즈 발생을 최소화하는 '저잡음 수신 신호 증폭기' 등 세계 최고 성능의 송수신 핵심 소자의 신규 개발에 성공했음. 또 모듈의 집적도를 높여 향후 상용화에 용이하도록 했음.
 
 6G 이동통신은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에는 상용화가 예상됨. 5G 대비 한층 더 빠른 무선 전송속도와 저지연/고신뢰의 통신 지원이 가능함. 사람, 사물, 공간 등이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만물지능인터넷(AIoE: Ambient IoE)과 모바일 홀로그램과 같은 초실감 미디어를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져 유수의 글로벌 업체들이 앞다퉈 뛰어들고 있음.
 
 당사는 국내외 유수의 연구소, 학교, 기업 등과 협력을 공고히 하고 있음. 이번 시연을 함께한 독일 프라운호퍼 연구소 외에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한국표준과학연구원(KRISS), 키사이트(Keysight Technologies Inc.) 등과 6G 핵심기술 R&D 협력 벨트를 구축, 원천기술 확보에 주력하고 있음. 지난해 6월에는 미국통신산업협회(ATIS) 주관 '넥스트 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의 의장사로 선정되며 향후 6G 관련된 선행 기술 논의 및 서비스 방향성 제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물질분석공인랩,
항바이러스 시험소 인증 획득
 ('22.08)
당사가 항바이러스 성능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과 공신력을 확보했음. 당사 품질경영센터 산하 물질분석공인랩은 최근 글로벌 시험ㆍ인증기관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항바이러스 시험소 인증을 받았음.
 
 이번에 획득한 인증은 플라스틱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성능을 평가하는 ‘ISO 21702’와 공기청정기 필터와 같은 섬유 제품을 대상으로 항바이러스 성능을 평가하는 ‘ISO 18184’ 등임.
 
 이번 인증을 계기로 당사는 건조기, 스타일러, 공기청정기, 식기세척기 등 위생관리 가전에 사용되는 플라스틱과 섬유 등의 항바이러스 성능을 국제표준규격에 맞춰 자체적으로 평가할 수 있음. 이에 당사는 기존 사외 인증기관을 이용할 때보다 평가 시간과 비용을 단축할 수 있음. 또 직접 보유한 인증시험소에서 다양한 실험을 통해 항바이러스 성능을 충분히 분석하고 평과 결과를 기반으로 제품을 개선하며 위생 품질을 더욱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당사는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지난해 항균, 항곰팡이에 이어 올해 항바이러스까지 물질분석공인랩의 인증 범위를 확대하며 미생물 분야에서 위생 품질을 자체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역량을 지속 확보하고 있음.
 
 지난해 물질분석공인랩은 TUV 라인란드로부터 플라스틱의 항균 성능 평가(ISO 22196)와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의 항곰팡이 성능 평가(ASTM G21-15)를 할 수 있는 인증시험소 자격을 획득한 바 있음.
 또한 물질분석공인랩은 항균ㆍ항곰팡이 인증시험소로서의 공신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22년 7월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 Korea Laboratory Accreditation Scheme)에서도 공인시험소로 추가 인정받았음. 한국인정기구로부터 항곰팡이 공인시험소 자격을 획득한 것은 국내 전자업계에서 당사가 처음임.
'CSA' 의장사 참여
 ('22.07)
당사가 글로벌 표준 연합 CSA(Connectivity Standards Alliance)의 의장사로 선정됨. CSA는 스마트홈 기기를 위한 개방형 통신 프로토콜 규격을 개발하고 표준화하는 단체로 500개가 넘는 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하고 있음.
 
 이번 의장사 선정으로 LG전자에서는 CSO부문 돈 윌리엄스(Don Williams) 디렉터(Director)와 CTO부문 김상국 박사가 CSA 의장단 멤버로 활동할 예정임. 당사는 CSA가 주도하고 있는 인터넷 프로토콜(IP, Internet Protocol) 기반 스마트홈 통신 표준 기술 '매터(Matter)' 개발과 표준 제정에 적극 참여하며 스마트홈 생태계 확장을 주도해 나간다는 계획임.
 
 스마트홈 서비스를 위해서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 제품과 플랫폼 간 호환이 핵심임. 다만 현재는 플랫폼에서 제품을 제어하고 제품과 제품 간에 서로 연동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통신 언어가 제조사마다 달라 스마트홈 환경을 구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음.
 
 매터는 제조사에 관계없이 제품과 플랫폼, 제품과 제품 간 호환 가능하도록 통신 언어를 표준화해 개방형 스마트홈 환경을 보다 쉽고 편리하게 구축할 수 있도록 돕는 기술임. 예를 들어 LG 씽큐(LG ThinQ)에서 당사의 TV, 냉장고, 에어컨 등 스마트 가전뿐만 아니라 타사의 조명, 커튼, 블라인드 등 IoT 액세서리도 제어 가능해져 고객이 TV로 영화를 시청할 때 자동으로 조명 밝기가 조정되도록 설정할 수 있음. 또한 매터가 활성화되면 고객은 성능과 디자인만 고려해 제품을 구매할 수 있어 선택의 폭이 다양해짐. 기존 특정 제조사의 스마트홈 기기를 사용했던 고객은 다른 제품을 구매할 때도 같은 제조사를 선택하거나 동일한 플랫폼을 지원하는지 확인해야만 했음.
 
 향후 당사는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와 스마트 TV 플랫폼 webOS에서 매터를 지원할 예정이며 다양한 제품으로도 확대 적용해 나갈 계획임. 이를 통해 고객 편의를 높이는 것은 물론 차별화된 고객경험으로 가전과 TV의 제품 경쟁력을 보다 강화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이동로봇 안전제어기 국제표준 인증 획득('22.06) 당사가 개발한 이동로봇 '안전제어기(Safety Controller)'가 최근 글로벌 시험ㆍ인증 전문기관 DNV(Det Norske Veritas)로부터 'ISO13849-1'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실내외배송로봇, 안내로봇 등 이동형 서비스 로봇 전용으로 개발된 안전제어 모듈로 이 인증을 받은 것은 당사가 처음임.
 
'ISO13849-1'는 ISO(국제표준화기구,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제정한 국제표준규격으로 기계의 제어시스템에 대한 전반적인 안전 표준을 다루고 있음. 이 안전제어기는 로봇에 탑재된 센서에서 보내주는 신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위험을 감지해 로봇이 안전하게 감속 및 정지할 수 있도록 함.
 
특히 이 제어기는 하나의 모듈로 구성돼 있어 로봇별 스펙이나 고객 요구사항에 맞춰 범용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음. 기존 당사는 'LG 클로이 서브봇', 'LG 클로이 가이드봇' 등 각각의 자율주행 서비스 로봇을 개발할 때 제품별로 다른 요구사항에 맞춰 안전성을 검증 할 수 있음.
TUV라인란드로부터 자동차 SW 기능안전 시험기관으로 인정
 ('22.06)
당사는 자동차 소프트웨어(SW) 기능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과 공신력을 확보하였음.
 
 CTO부문 산하에 있는『SW공인시험소』는 최근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자동차 SW의 기능 안전성이 국제표준규격(ISO 26262-6)을 얼마나 충족하는지 확인하는 공인시험기관(TUV Rheinland Appointed Lab.)으로 인정받았음.
 
세계적 시험ㆍ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는 시험환경, 장비, 역량, 프로세스 등 다양한 항목을 엄격한 기준으로 평가해 시험기관을 지정함 TUV 라인란드가 자동차 SW 기능안전(ISO 26262-6) 시험기관으로 인정한 건 당사가 최초임. 당사는 완성차 업체들이 TUV 라인란드 인증을 받은 부품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지난해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에 이어 추가로 TUV 라인란드에서도 ISO 26262-6 시험능력을 검증받았음.
 
 당사 SW공인시험소는 자동차에 탑재되는 전기ㆍ전자장치, 차량용 네트워크, 자율주행 등 폭넓은 영역의 전장기술을 자체적으로 테스트해 품질과 기능안전을 점검하고 확인할 수 있음.
 
 당사는 이번에 획득한 시험자격으로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의 요구에 적극 대응하는 것은 물론 자동차 SW 분야의 사업경쟁력과 입지를 더욱 강화하는 계기를 마련했음. 앞서 당사는 한국인정기구로부터 자동차 SW 기능안전(ISO 26262-6)뿐 아니라 전기·전자 제품의 SW 기능안전(IEC 61508-3) 및 품질측정(ISO/IEC 25023)을 테스트할 수 있는 공인시험자격을 획득한 바 있음 국내 제조사 가운데 유일하게 외부기관의 도움 없이 자동차 SW의 기능안전부터 전기·전자 제품의 SW 기능안전 및 품질측정까지 시험해 공인성적서를 발급할 수 있음. 당사 SW공인시험소가 발급한 공인성적서는 국제인정기구 상호인정협정(ILAC-MRA)에 따라 미국, 유럽 등 70여 국가에 있는 공인시험기관이 발급한 성적서와 같은 효력이 인정되며 국제적 공신력을 가짐.
차량용 반도체 개발 기술 인증 받아
 ('22.05)
당사가 차량용 반도체 설계, 구현, 검증 등 개발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기술을 확보했음. 당사는 최근 독일 시험ㆍ인증 전문기관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에 대한 'ISO 26262' 인증을 받았음.
 
ISO 26262는 ISO(국제표준화기구,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가 차량에 탑재되는 전기ㆍ전자 장치의 시스템 오류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제정한 자동차 기능안전 국제표준규격임.
 
당사는 이번 인증 획득으로 전자제어장치(ECU, Electronic Control Unit),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MCU, Micro Controller Unit), 전력관리반도체(PMIC, 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차량용 반도체 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했음. 특히 당사는 이번에 ISO 26262에서 정의하고 있는 자동차 기능안전성 가운데 최고 수준인 ASIL(Automotive Safety Integrity Level, 자동차안전무결성수준) D등급의 부품 개발 능력을 인정 받았음. 이는 A등급부터 D등급까지 모든 등급의 반도체를 설계하고 검증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함. ASIL은 사고의 심각도(Severity), 발생빈도(Probability of Exposure), 제어가능성(Controllability) 등에 따라 최저 A등급에서 최고 D등급까지 4단계로 분류되며, D등급은 1억 시간 동안 연속 사용했을 때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고장을 1회 이하로 관리하는 가장 엄격한 등급임.
 
앞서 당사는 TUV 라인란드로부터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주행보조시스템) 카메라,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자율주행차 부품'과 '차량 미디어 부품'의 개발 프로세스에 대해서도 인증받은 바 있음. 당사는 자동차 부품의 기능안전성 인증을 획득할 뿐만 아니라 인증 대상을 지속 확대하며 글로벌 완성차 업체들이 요구하는 기능안전 수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임.
소프트웨어 경쟁력 높여
고객경험 혁신 가속화
 ('22.02)
미래성장동력의 핵심인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탁월한 능력을 갖춘 전문가를 적극 키우며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음.
 
당사는 지난 9일 CTO 김병훈 부사장과 임직원들이 참석한 가운데 소프트웨어 전문가 온라인 인증식을 가졌음. 이날 당사는 지난해 소프트웨어 전문가 교육과정을 마친 임직원 120여 명에게 NFT(대체불가토큰, Non Fungible Token) 인증서를 수여했음.
 
당사는 소프트웨어 개발자들이 블록체인 기술에 대한 관심이 크고 NFT가 영구성, 소장가치 등이 있다는 점을 고려해 올해부터 NFT 인증서를 도입함. NFT는 블록체인 기술 기반으로 디지털 자산에 고유한 값을 부여해 소유권을 명확히 할 수 있음.
 
당사는 AI, 빅데이터, 아키텍트, 보안, 코딩 등 다양한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전문가 사내 인증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임직원은 새로운 기술을 연구ㆍ개발하거나 현업 중심의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등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예정이며, 최종 선발된 소프트웨어 전문가들이 경쟁력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성능 개선, 문제 해결 등을 주도하면서 제품과 서비스가 제공하는 고객가치를 더욱 높여 고객경험 혁신을 가속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당사는 해당 프로그램을 더욱 고도화하기 위해 세계적인 대학들과 파트너십을 맺고 다양한 교육과정도 운영할 예정임. 캐나다 토론토대(University of Toronto), 몬트리올대(University of Montreal), 워털루대(University of Waterloo), 미국 카네기멜론대(Carnegie Mellon University), 뉴욕대(New York University), 서던캘리포니아대(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등과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음.
 
 한편 당사는 이번 NFT 인증서를 발급하기 위해 분산원장 플랫폼(Distributed Ledger Platform)인 '헤데라 해시그래프(Hedera Hashgraph)'를 활용했음. 분산원장 플랫폼은 거래정보를 특정 중앙서버가 아닌 네트워크 내 모든 참여자(Node)가 분산해 관리하기 때문에 보안성이 탁월함. 당사는 가전업체로는 유일하게 '헤데라 해시그래프'의 운영위원회에 참여해 블록체인 기술을 연구하고 있음.
'LG 옴니팟' 실물 첫 전시
 ('22.01)
카카오모빌리티가 주최하는 테크 컨퍼런스에서 'LG 옴니팟(LG OMNIPOD)' 실물을 처음으로 공개함.
 
 LG 옴니팟은 차량을 집의 새로운 확장공간으로 해석해 만든 미래 자율주행차의 콘셉트 모델임. 사용자의 니즈(Needs)에 따라 업무를 위한 오피스 공간이 될 수도 있고, 영화감상, 운동, 캠핑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를 즐길 수 있는 개인 공간으로도 활용할 수 있음. 또 차량 내에서 실제 쇼핑을 즐길 수 있는 메타버스(Metaverse) 컨셉도 적용, 새로운 모빌리티 경험을 제공함.
IBM과 양자컴퓨팅 개발 협력
 ('22.01)
당사와 美 IT기업 IBM이 10일 양자컴퓨팅 발전과 기술 개발을 위해 협력키 함.
 
양자컴퓨팅은 기존 컴퓨터보다 더 많은 양을 더 빠르게 계산해 종전에는 답을 찾기 어려웠던 영역의 문제를 신속히 처리할 수 있어 자동차, 화학, 의료, 물류, 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함.
 
당사는 IBM이 기업, 연구소, 학술기관 등 170여 회원사들과 함께 양자컴퓨팅 발전을 위해 결성한 협력체 'IBM 퀀텀 네트워크'에 합류했음. IBM 퀀텀 네트워크 회원사로 참여하며 인공지능, 커넥티드 카, 빅데이터, 디지털 전환, IoT, 로봇 등 미래준비를 위해 많은 양의 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양자컴퓨팅의 개발을 가속화해 나간다는 전략임. 특히, 당사는 IBM과의 협력을 통해 IBM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활용한 양자컴퓨팅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집중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IBM으로부터 양자컴퓨팅 기술에 관한 교육을 지원받고 IBM이 진행하는 컨퍼런스, 포럼 등에 참여해 양자컴퓨팅 관련 역량을 강화해 나갈 예정임.
 
IBM 퀀텀 네트워크에 참여한 회원사들은 IBM이 클라우드를 통해 제공하는 양자컴퓨팅 시스템을 비롯해 양자 소프트웨어 개발도구인 퀴스킷(Qiskit, Quantum Information Science Toolkit) 등을 이용할 수 있음. 양자컴퓨터는 물리량의 최소 단위인 양자의 특성을 이용함. 기존 컴퓨터는 0과 1을 각각 표현하는 비트(bit) 단위로 계산하지만 양자컴퓨터는 양자가 지닌 고유한 특성인 중첩현상을 활용해 0과 1을 동시에 표현하는 큐비트(Qubit; Quantum bit) 단위로 연산함.


년도 사업부문 주요성과 내                  용
2021 H&A 스마트 키친 편리하게 이용하는
'씽큐 레시피'
 ('21.12)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의 스마트 키친 기능을 강화한 씽큐 레시피(ThinQ Recipe) 서비스를 미국에서 선보일 예정임
 
고객은 오븐, 전자레인지 등에 연동된 LG 씽큐 앱의 씽큐 레시피에 접속해 다양한 요리 레시피 확인, 음식 조리법을 제품에 원격 전송, 식단 계획 작성, 식재료 구매 등 다양한 스마트 키친 기능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음.
 
씽큐 레시피는 고객의 식습관, 선호하는 식재료, 알러지 음식 등 고객이 미리 선택한 정보에 맞춰 개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고객이 관심 있게 살펴본 요리 검색 기록을 바탕으로 매일 새로운 레시피를 제안함. 고객은 씽큐 레시피를 통해 고객이 직접 선택한 요일에 음식을 추천 받아 요일별 식단 계획도 세울 수 있음. 고객이 씽큐 레시피에서 하나의 레시피나 요일별 식단을 카트에 담으면 구매 가능한 식재료 목록으로 변경됨. LG 씽큐 앱은 아마존 프레쉬(Amazon Fresh), 월마트(Walmart) 앱과 연동돼 카트에 담긴 식재료가 장바구니 목록에 자동으로 옮겨지고, 고객은 해당 앱에서 결재만 하면 원하는 식재료를 집에서 편하게 받을 수 있음.
 
당사는 미국 유명 레시피 기업인 사이드셰프(SideChef)와 협업해 18,000여 개 레시피와 음식 관련 콘텐츠를 씽큐 레시피에서 제공함. 뿐만 아니라 씽큐 레시피는 LG전자 식품과학연구소가 직접 개발하고 미국 현지 셰프가 직접 검증한 자체 레시피인 LG 오리지널 시리즈(LG Original Series)도 확대함.
차세대 트롬 세탁기ㆍ건조기 출시
 ('21.12)
오브제컬렉션 디자인과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한 차세대 트롬 세탁기ㆍ건조기ㆍ워시타워를 출시.
신제품은 건조기에 세계 최초로 탑재된 DD(Direct Drive)모터, 더욱 강력해진 인공지능 기술, 물을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TrueStream), 깔끔하고 조화로운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 세탁기ㆍ건조기 하단에 결합 가능한 미니워시 등 차원이 다른 편리함을 선사함.
 
 ■ 세계 최초로 건조기에 DD모터 적용…차별화된 '6모션 건조' 구현
DD모터는 당사가 1998년 업계 최초로 세탁기에 적용한 핵심 부품. 벨트로 연결하는 일반 모터와 달리 세탁조와 모터를 직접 연결해 드럼의 회전속도를 정교하게 조절할 수 있고, 의류의 재질을 감지하는 인공지능 기술과 접목해 다양한 세탁ㆍ건조 방법을 구현함.
 
신제품은 털기, 펴주기, 널기, 휘날리기, 살랑이기, 뒤집기 등 자연에서 빨래를 건조하는 방법과 유사한 최적의 동작을 '6모션 건조'로 구현했음. 또한, 습도센서만 사용하는 일반 건조기와 달리 '적외선 센서'도 함께 탑재돼 세탁물이 센서에 직접 닿지 않아도 의류의 온도 감지를 통해 건조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더욱 강력해진 인공지능 기술, 물을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으로 편리
신제품은 물을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을 탑재. 다양한 LG 스팀가전에 적용돼 차별화된 편리함을 인정받고 있는 트루스팀은 탈취와 살균은 물론 옷감의 구김 완화에도 효과적임.
신개념 공기청정팬
'LG 퓨리케어 에어로타워' 출시
 ('21.12)
4계절 내내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관리하는 신개념 공기청정팬 '퓨리케어 에어로타워'를 선보임. LG 퓨리케어 에어로타워는 공기청정 기능과 온ㆍ송풍 기능을 결합한 융복합 제품임. 일반 공기청정기와 달리 정화한 공기를 희망 온도에 맞춰 원하는 풍량과 방향으로 보내주기 때문에 고객은 기분 좋은 바람을 느낄 수 있음.
 
당사는 제품 아래쪽에 360도 방향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는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의 원통형 디자인을, 위쪽은 바람 부는 협곡에서 영감을 받은 2개의 타워를 적용하는 등 신제품에 공기역학기술을 적용하였으며, 또한 LG 생활가전의 차별화된 위생 기능을 집약했음. LG 휘센 타워 에어컨의 UV나노(UVnano) 기능은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UV LED로 살균해 유해세균을 99.99% 제거해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시험한 결과 이 제품은 팬에 붙을 수 있는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표피포도상구균 등 유해세균을 99.99% 제거했다고 함.
 
 또한 이 제품은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의 위생 기능도 계승함. 공기청정필터는 항바이러스·항균 효과는 물론 극초미세먼지를 비롯해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등 5대 유해가스를 제거함. 이 제품은 한국공기청정협회의 청정성능 CA(Clean Air)인증과 미세먼지 센서 CA인증,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KAF; Korea Asthma Allergy Foundation) 인증, 영국알레르기협회(BAF; British Allergy Foundation) 인증을 모두 획득했음.
국내 최대 피크 저감용 ESS 구축 완료
 ('21.11)
국내 최대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에 이어 국내 최대 피크 저감용 ESS를 잇따라 구축하며 ESS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냄. 당사는 한국동서발전과 함께 충청남도 당진시에 위치한 KG동부제철 당진공장에 단일 현장 기준 국내 최대 규모 피크 저감용 ESS를 구축함.
 
피크 저감용 ESS는 전기 사용량이 적고 전기요금이 저렴한 심야 시간대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했다가 주간 피크시간대에 방전해 공장 전기요금을 낮춰줌. 이번에 구축된 ESS는 한국동서발전이 운영하게 되며, 향후 15년간 약 960억원의 전기료 절감효과를 볼 것으로 예상됨. 피크 저감용 ESS 확대는 국가 전력망의 피크전력을 낮춤으로써 예비발전설비 가동을 줄이고 온실가스 저감에도 기여함.
 
당사는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해 배터리 용량 174.7메가와트시(MWh),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용량 40메가와트(MW)의 대규모 피크 저감용 ESS를 구축함. 우리나라 4인 가구의 월평균 전력소비량이 350킬로와트시(kWh)임을 감안해 가구당 하루 평균 전력소비량 11.7kWh를 기준으로 하면, 1만5천 여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음.
 
또한, 당사는 PCS, 전력관리시스템(PMS; Power Management System), 배터리 등 ESS의 핵심 기술력을 토대로 제품뿐만 아니라 설계, 시공에 이르는 ESS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음. 이번에 공급한 ESS는 당사 PCS와 PMS,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탑재하였으며, 배터리를 포함한 ESS 구성 요소 전부를 3년간 무상 보증함. 24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통해 특이사항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
 
 안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화재확산 방지 시스템도 적용됐음. 만에 하나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연기감지기가 화재여부를 감지하고 해당 배터리 모듈 내에 물을 직접 주입해 확산을 차단함.
LG 스타일러,
어린이 옷도 편리하게 관리
 ('21.11)
스타일러가 온 가족이 함께 사용하는 필수 가전으로 자리잡으면서, 매일 세탁하기 힘든 어린이 옷을 편리하게 관리하기 원하는 고객 목소리를 반영해 업계 처음으로 키즈 전용 옷걸이를 출시함. 기존 성인 의류용 옷걸이는 어깨 길이가 길어 어린이 옷을 걸기가 어려웠음. 키즈 전용 옷걸이는 가로 30cm(센치미터), 세로 15cm임. 기존에 LG 스타일러와 함께 제공해 온 성인 의류용 옷걸이 크기 보다 작아 어린이 옷이나 작은 체형의 성인 의류도 편리하게 걸 수 있음.
 
당사는 스타일러의 기본 코스 외에도 고객의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 변화에 맞춰 '다운로드코스'를 지속 늘려 왔음. 2014년부터 적용된 다운로드 코스는 눈/비 건조, 모피 가죽 등 9개의 코스를 시작으로 아기옷 살균, 정장/교복 살균, 두꺼운 패딩 건조, 외투 데우기, 드레스 셔츠 건조 등을 포함해 현재 20여 개 코스로 확장됨. 고객은 스타일러를 스마트홈 플랫폼 LG 씽큐(LG ThinQ) 앱과 연동한 후 원하는 코스를 내려 받아 사용하면 됨.
 
LG 스타일러는 옷의 유해세균을 99.99% 살균하고 옷에 밴 냄새 제거에 탁월한 트루스팀(TrueSteam), 옷을 1분에 최대 200회 털어주며 바람만으로는 제거하기 어려운 미세먼지를 골고루 없애주는 무빙행어 플러스, 바지 사이에 넣어주면 필름이 바지 안쪽까지 누르면서 바지선을 잡아주는 바지 필름 등 특허 받은 기술을 갖췄음.
신개념 식물생활가전
'LG 틔운(LG tiiun)' 출시
 ('21.10)
꽃, 채소, 허브 등 다양한 식물을 누구나 손쉽게 키우고 즐길 수 있는 신개념 식물생활가전 LG 틔운(LG tiiun)을 출시함.
 LG 틔운은 식물을 길러본 경험이 없는 초보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복잡한 식물 재배 과정 대부분을 자동화한 식물생활가전임. 사용자는 LG 틔운의 내부 선반에 씨앗키트를 장착하고 물과 영양제를 넣은 후 문을 닫기만 하면 꽃, 채소 등 원하는 식물들을 편리하게 키울 수 있음.
 
 이번 신제품 브랜드는 「틔운」. 식물과 함께 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싹을 틔운다는 의미를 담음. 최근 식물을 기르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는 가운데, '식물을 키우는 것은 어렵다'는 부담을 당사의 가전 기술로 해결한 것.
 
 ■ 다양한 식물을 손쉽게 키우는 나만의 스마트한 정원이 집 안으로
 LG 틔운은 위ㆍ아래 2개의 선반을 갖췄으며 각 선반에 씨앗키트를 3개씩 장착할 수 있어 한 번에 6가지 식물을 키울 수 있음. 씨앗키트에는 씨앗, 배지 등 식물을 키우는 데 필요한 여러 요소들이 일체형으로 담겨있음. 각 씨앗키트마다 10개의 홀에서 씨앗이 발아해 최대 60개의 모종을 동시에 기를 수 있고,  계절에 관계없이 채소는 약 4주, 허브는 약 6주 후 수확이 가능하며 꽃은 약 8주 동안 자란 후 꽃을 피움.
 
 당사는 촛불맨드라미, 비올라, 메리골드 등 꽃 3종, 청치마상추, 비타민, 쌈추, 겨자채, 오크리프, 멀티레드, 적로메인, 멀티그린, 피델, 청경채, 케일, 로메인 등 채소 12종,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타임, 루꼴라, 적소렐 등 허브 5종을 포함한 총 20종의 씨앗키트를 먼저 선보이고, 향후 종류를 확대할 계획임.
 
 고객은 생장 환경조건이 비슷한 식물 3종을 테마별로 결합한 씨앗키트 패키지를 선택해서 구입할 수 있음. 당사는 3가지 꽃 씨앗으로 구성된 '컬러 오브 러브(Colors of Love)', 겨자채 등 색다른 식감의 샐러드를 즐길 수 있는 '마이 샐러드 플랜(My Salad Plan)', 페퍼민트 등 편안한 향기를 담은 '피스 인 유(Peace in You)' 등 7가지 씨앗키트 패키지를 우선 출시함.
 
 고객은 오프라인 매장인 LG전자 베스트샵은 물론 LG전자 홈페이지, LG 씽큐 앱 등 다양한 방법으로 LG 틔운 씨앗키트를 구입하거나 정기 구독할 수도 있음.
 
 LG 씽큐(LG ThinQ) 앱과 LG 틔운을 연동하면 모바일 기기를 통해 LG 틔운 속에서 자라고 있는 식물의 성장 단계와 환경을 언제 어디서나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음. 또 LG 씽큐 앱에서 필요한 시점에 알림을 주면 물과 영양제를 보충하면 돼 편리함.
 
 
 ■ 독보적 생활가전 기술 집약해 식물을 키우기 위한 최적 환경 구현
 당사는 신개념 식물생활가전 LG 틔운에 독보적인 LG 생활가전의 기술력을 집약시켜 식물 재배의 최적 환경을 구현함.
 
 LG 틔운은 인버터 컴프레서를 적용한 국내 유일의 「자동 온도조절 시스템」으로 식물이 자연상태와 유사하게 제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낮과 밤의 서로 다른 온도를 구현함. 인버터 컴프레서를 이용한 정밀 온도 제어 및 정온 기술은 LG 디오스 냉장고의 핵심 기술임.
 
 LG 퓨리케어 정수기의 급수 제어 기술을 활용한 「순환 급수 시스템」은 씨앗키트에 하루 8번 자동으로 물을 공급해 식물이 잘 자랄 수 있도록 해줌.
 
 LG 휘센 에어컨의 앞선 공조기술은 제품 내부의 공기흐름을 최적화하고,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기술을 기반으로 한 「통풍 환기 시스템」은 벌레 없는 깨끗한 외부공기를 공급해 식물의 호흡을 도움.
 
 당사는 식물 성장에 적합한 파장의 LED와 빛 반사율을 높인 내부 설계로 LG 틔운의 식물 광합성 효율을 향상시킴. 또한, 다중 투명 도어는 식물이 자라는 내부 모습을 외부에서도 눈부심 없이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내부 온도 유지, 벌레 꼬임 방지에도 탁월함.
창원 'LG스마트파크' 통합생산동
본격 가동 ('21.9)
글로벌 생활가전 사업의 핵심 생산기지인 창원사업장을 지능형 자율공장 체제로 본격 전환함. 개별 건물에 분산돼 있던 제품별 생산라인을 하나의 생산동에 통합했으며 이번 1차 준공으로 냉장고, 초(超)프리미엄 'LG 시그니처' 냉장고, 정수기 등 3개 라인부터 생산을 시작함. 당사는 글로벌 생활가전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지속적으로 선점하기 위해 2024년까지 통합생산동과 창고동 등 연면적 33만6천제곱미터(m2) 규모의 2개동 6개 라인을 갖춘 자율형 지능공장을 완공할 계획임.
 
 ■ 세계 최고 수준 '지능형 자율공장' 구축하여 글로벌 가전 시장 선도 기반 마련
 신축 통합생산동은 조립, 검사, 포장 등 주방가전 전체 생산공정의 자동화율을 크게 높임. 설비, 부품, 제품 등 생산 프로세스 관련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통합 모니터링 시스템을 도입해 생산 효율성과 품질 경쟁력을 동시에 향상시키고, 딥러닝을 통한 사전 품질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생활가전 생산공정의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을 구현함. 이러한 첨단 설비와 최신 기술이 적용된 통합생산동이 최종 완공되면 최대 200만대 수준이던 기존 창원1사업장의 연간 생산능력은 300만대 이상으로 대폭 늘어남.
 
당사는 「모듈러 디자인(Modular Design)」에 최적화한 생산 설비로 제조 공정을 단순화해 신제품을 개발하는 데 드는 시간과 비용도 크게 줄임. 모듈러 디자인은 제품에 들어가는 부품과 솔루션을 묶어 표준화된 모듈로 설계하고, 원하는 모듈을 레고 블록처럼 연결해 다양한 제품을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음. 이를 통해 다양한 고객 니즈를 반영한 신제품을 신속하게 개발하고 적기에 공급할 수 있음.
 
 ■ 국가 및 지역 경제 기여는 물론 환경보호 실천에도 앞장
 당사는 자율형 지능공장 구축을 통해 국가 경제와 지역 사회에 기여하고 환경보호 실천에도 앞장서, 글로벌 가전시장의 역사를 써온 창원사업장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높이는데 꾸준히 투자함으로써 프리미엄 가전의 국내 생산체계를 더욱 강화함. LG스마트파크 구축을 계기로 전 세계에 있는 당사 생산공장에 창원을 롤모델로 한 지능형 자율공장 구축을 확대할 계획임.
 창원 LG스마트파크의 생산성을 꾸준히 향상시키고 생활가전 사업에서 지속적인 성과를 창출하면서 협력사의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하고 있음. H&A사업본부 협력사 가운데 스타리온성철, 신성델타테크, 오성사 등 창원 지역에 있는 11개 주요 협력사의 종업원 수는 4,100여 명으로 전년 대비 약 10% 증가했고, 통합생산동 1차 준공까지 22개 지역 건설업체와 누적인원 16만 명이 참여함.
 신축 통합생산동이 완공되면 건물 에너지 관리 솔루션 '비컨(BECON)' 등 첨단 에너지 설비와 기술 적용으로 제품 생산에 투입되는 에너지 효율도 약 30% 개선될 예정이며, 철저한 내진 설계 등을 갖춰 최고 수준의 안전성도 확보함.
국내 최초 '고온살균' 정수기 출시
 ('21.9)
고온살균으로 위생을 더욱 강화한 퓨리케어 상하좌우 정수기 신제품을 출시함. 이 제품은 눈에 보이지 않는 내부까지 고온수로 살균하는 차원이 다른 신기능으로 정수기 위생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함.
 국내 최초로 물이 지나는 정수기 내부 전 구간을 고온수로 살균해주는 새로운 고온살균 기능을 탑재하였으며, 물을 걸러주는 필터부터 물이 흐르는 직수관까지 주 1회 정기적으로 고온살균함.
 또 고객은 원할 때마다 버튼을 눌러 직수관과 출수구 고온살균 기능을 각각 추가로 작동시킬 수 있음 당사는 주기적으로 출수구를 UV LED로 자동 살균하는 UV나노(UVnano) 기능을 이 제품에도 적용함.
 신제품에는 부식과 변색에 강한 스테인리스 직수관이 적용됐는데, 스테인리스 직수관을 고온살균으로 99.99% 살균하기 때문에 세균이나 물때 걱정 없이 정수기 내부 위생상태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음. 당사가 한국건설생활환경연구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KOTITI 시험연구원과 함께 시험한 결과 신제품의 고온살균 기능은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균을 99.99% 제거함.
 업그레이드된 4단계 올 퓨리 필터 시스템은 녹물의 주성분인 망간, 아연을 비롯한 중금속 9종을 제거함. 전문 검사기관인 노로젠이 장염, 식중독을 유발하는 노로바이러스를 포함한 물을 필터에 통과시켜 시험한 결과 물 속 바이러스가 99.99% 제거되었음.
'LG 디오스 김치톡톡' 신제품 출시
 ('21.8)
최적의 김치보관 방법을 찾아주는 'LG 디오스 김치톡톡' 김치냉장고 신제품 39종을 출시함. 스탠드형 디오스 김치톡톡에서만 이용할 수 있는 업계 유일 '인공지능 맞춤보관' 기능을 대폭 강화함. 지난해 CJ제일제당 비비고, 대상 종가집에 이 기능을 처음 도입한 데 이어 올해는 풀무원에도 확대 적용함.
 인공지능 맞춤보관 기능은 단순히 모드별 정해진 온도로 김치를 보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고객이 구입한 포장김치를 김치냉장고가 인식해 최적의 온도와 시간으로 알맞게 익혀줌.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마트폰의 LG 씽큐(LG ThinQ) 앱으로 포장김치에 있는 바코드를 촬영해 김치냉장고가 인식하면 제조일자를 입력하고 '익힘' 모드를 선택하면 되고, 이후 김치냉장고가 브랜드, 종류, 제조일자 등 김치 정보를 고려해 숙성을 위한 알고리즘을 바탕으로 포장김치에 적합한 온도와 시간을 알아서 설정해줌. 당사는 김치 구매고객 증가 추세를 감안해 CJ제일제당, 대상, 풀무원 등 주요 식품회사들과 함께 최적의 김치 숙성을 위한 알고리즘을 공동 연구해옴. 인공지능 맞춤보관 기능을 지원하는 포장김치 종류를 꾸준히 확대할 계획임.
 고객은 LG 씽큐 앱의 'LG 스토어'를 통해 정기구독 형태로도 인공지능 맞춤 보관이 가능한 여러 포장김치를 구매할 수 있음.
 신제품은 기존 제품의 차별화된 장점도 그대로 계승함. New 유산균김치+는 김치맛을 살려주는 유산균을 일반 보관모드에 비해 최대 57배까지 늘리고 김치를 오랫동안 맛있게 보관해줌.
 김치냉장고의 위쪽ㆍ가운데ㆍ아래쪽 각각의 칸은 김치는 물론 다양한 식재료 보관이 가능하며, 특히 김치냉장고 위쪽칸의 좌우 공간을 분리함. 공간마다 온도설정이 가능해 식품별로 구분하고 보관이 용이함.
 또한 이 제품은 냉기를 고르게 뿌려주는 입체냉각, 주기적으로 냉기를 순환시켜 온도편차를 줄여주는 쿨링케어, 별도 칸막이를 사용해 냉기유출을 줄이도록 위쪽과 아래쪽 칸에 적용한 냉기지킴가드 등 차별화된 냉기케어시스템을 갖춤.
반려동물 가구 위한 LG 공기청정기
신제품 출시
 ('21.7)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를 위해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펫 알파 오브제컬렉션'을 출시함. 반려동물 가구가 지속 증가함에 따라 함께 생활하는 공간의 공기질 관리를 원하는 고객들을 위해 2019년부터 펫 전용 모델에 펫 모드, 광촉매필터, 부착형 극세필터 등을 적용해옴.
 신제품의 펫 모드는 자체 실험한 결과 오토모드 대비 약 64% 더 강한 풍량으로 반려동물이 활동하는 공간을 청정하며, 부착형 극세필터는 필터에 달라붙은 반려동물의 털과 먼지를 손쉽게 제거할 수 있고 물세척 후 재사용도 가능함.
 이 제품은 퓨리케어 360° 알파 오브제컬렉션 대비 탈취 성능이 뛰어남.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가 시험한 결과 이 제품에 탑재된 광촉매필터는 반려동물 배변 냄새의 주요 성분인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트산 등 필터에 누적된 유해가스를 기존 제품 보다 약 55% 더 제거함.
 이 제품은 집안 공기질 관리가 집중적으로 필요한 곳에 인공지능 센서를 두고 함께 사용하면 공기청정기만 사용할 경우 대비 약 5분 더 빠르게 오염된 공기를 감지한 후 해당 공간을 청정함. 별도로 구매 가능한 인공지능 센서는 최대 3개까지 연결할 수 있으며, 항바이러스ㆍ항균 효과가 있는 V트루토탈케어필터, 운전모드 변경, 필터 교체시기 등을 알려주는 음성안내 등 다양한 편의 기능과 위생 기능도 갖춤.
'LG 코드제로 R9 오브제컬렉션' 출시
 ('21.6)
로봇청소기의 인공지능 기능을 대폭 강화함. LG 코드제로 R9 오브제컬렉션은 70만장 수준인 기존 제품 대비 4배 늘어난 약 300만 장의 사물 이미지를 학습한 인공지능 딥러닝 기술로 실내 공간과 장애물을 더 정확하게 인지함.
예를 들어, 문턱을 인지하면 넘어선 후 계속 청소를 하는 반면, 거실 대비 단차가 커서 넘어가면 되돌아올 수 없는 베란다 창틀의 경우에는 넘지 않는 등 공간을 감안해 적절히 대처함.
신제품의 CPU(중앙처리장치) 성능도 크게 향상 되어, 기존 모델인 LG 코드제로 씽큐 R9 보이스 대비 연산 속도가 약 1.8배 빨라져 장애물을 더 빨리 감지함.
신제품은 기존 모델의 차별화된 편리함은 그대로 계승하여 고객이 당사 스마트홈 앱인 LG 씽큐(LG ThinQ)에 로봇청소기를 연결해 다양한 스마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음.
상업용 세탁기 시장 공략 가속화
 ('21.4)
스마트 기능을 강화한 프리미엄 제품을 앞세워 상업용 세탁기 시장 공략에 속도를 냄.
당사는 2008년 미국에서 시작한 상업용 세탁기 사업을 지속 확대해 왔는데, LG 상업용 세탁기와 건조기 등을 갖춘 빨래방인 '론드리 라운지(Laundry Lounge)'는 미국을 비롯 아시아, 유럽 등 30여 국으로 대폭 늘었음.
당사는 최근 오픈한 필리핀 마닐라 소재 '스마트 론드리 라운지(Smart Laundry Lounge)' 공급을 시작으로 스마트 상업용 세탁기 사업을 본격화함. 제품만 공급했던 기존과는 달리 스마트 론드리 라운지에는 스마트 솔루션, 매장 디자인 등 제반 솔루션을 함께 제공함.
스마트 론드리 라운지에는 15kg 용량의 LG 상업용 세탁기와 건조기가 각각 10여 대 설치돼 있으며,  최근 언택트 트렌드를 고려해 스마트 론드리 라운지를 이용하는 고객을 위한 위생 기능과 스마트 기능을 대폭 강화함.
이 곳에 설치된 LG 상업용 세탁기는 살균에 도움을 주는 온수세탁 옵션이 탑재돼 더 위생적으로 세탁할 수 있음.
또한, 당사는 이 곳을 이용하는 고객을 위해 전용 애플리케이션 'LG 론드리 라운지'를 처음 선보였는데, 고객은 앱을 통해 결제는 물론 세탁ㆍ건조 코스 등을 설정할 수 있음. 방문하기 전에 앱으로 미리 예약할 수 있고 외부에서 세탁 진행 시간을 확인하거나 종료 시점에 맞춰 알람 설정도 가능해 빨래방에 머무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음. 또 작동 중 오류가 생기면 알람도 받아 신속하게 조치할 수 있음.
차세대 신발관리기 공개
 ('21.4)
혁신적인 신기술로 차별화된 편리함을 제공하는 차세대 신발관리기를 선보임. 당사는 최근 특허청에
'슈 스타일러' 등 관련 상표 출원을 완료하고 신발관리기 신제품 정보를 공개함.
이 제품은 살균 및 탈취에 효과적인 트루스팀(TrueSteam), 습기와 냄새를 제거하는 고성능 건조물질 등 혁신 기술로 명품구두, 한정판 운동화 등 고급 신발부터 매일 신는 데일리 슈즈까지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프리미엄 신발관리기임.
신제품은 시중의 기존 제품들이 고온의 히터나 바람을 사용해 신발을 건조하는 수준인 것에 비해 차원이 다른 신발관리 솔루션을 제공함.
새 신발관리기는 물을 100도(℃)로 끓여 만드는 트루스팀의 분사량을 다양한 신발 종류에 따라 세밀하게 조절해 신발이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발냄새 원인물질(이소발레르산 등)과 냄새를 제거해 신발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또한 다양한 분야에서 제습 및 탈취제로 쓰이는 고성능 건조물질을 이용해 신발의 습기와 냄새를 제거하는 신기술을 적용함. 수분과 냄새입자를 머금은 건조물질에 열과 압력을 가하면 흡착 성능이 재생됨. 이 기술은 기존 히트펌프 방식보다 크기는 줄어들지만 건조 성능은 대등하며 탈취 효과도 뛰어남.
당사는 2008년 드럼세탁기 하단에 서랍형 신발관리기를 탑재해 출시하는 등 다양한 플랫폼의 신발관리기를 선보여왔음. 2020년에는 현대자동차와 함께 미래차의 인테리어 비전을 제시한 '아이오닉 콘셉트 캐빈(IONIQ Concept Cabin)'을 통해 차량용 신발관리 솔루션을 공개한 바 있음.
2017년부터 신발을 탈취, 살균, 건조하는 다양한 기기 디자인을 등록하고 2019년부터는 차세대 신발관리기의 핵심 기술특허들을 다수 출원하는 등 신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해왔으며, 이 제품은 2021년내 국내에서 첫 선을 보일 예정임.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
공기질 맞춤형 관리 솔루션 공개
 ('21.4)
고객들이 다양한 공간의 공기질을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맞춤형 솔루션을 공개함. 당사는 '2021 대한민국 기계설비전시회(HVAC KOREA 2021)'에서 상업용, 주거용, 업무용, 교육용 등 고객이 머무르는 다양한 공간의 공기질을 맞춤형으로 관리하는 토털 솔루션을 선보임.
이번 전시회에서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관리해주는 '5단계 청정관리'가 적용된 시스템 에어컨을 처음 공개했는데, 신제품은 2021년 6월 출시 예정임. 5단계 청정관리 기능은 휘센 가정용 에어컨에 먼저 적용되어 차별화된 위생관리 성능을 인정받고 있음.
LG 휘센 시스템 에어컨은 들어오는 바람의 큰 먼지를 제거하는 프리필터, 한국공기청정협회 CAC(Certification Air Conditioner) 인증 공기청정, 바람이 지나가는 길(流路)의 세균 번식을 방지하는 항균관리, 바람이 나가는 팬을 99.99% 살균하는 UV LED 팬 살균, 내부 습기를 제거해 냄새를 예방하는 자동건조 등 5단계 청정관리로 고객이 더 편리하고 쾌적하게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신제품은 큰 먼지 필터뿐만 아니라 극초미세먼지 필터와 탈취필터 등 공기청정 키트까지 포함된 전면 그릴을 천장에서 밑으로 내려 청소와 유지관리를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공기청정 승강그릴'도 갖춤. 기존 천장형 실내기의 기류를 조절하는 4개의 베인(vane, 날개) 외에 제품 내부에 투명한 날개인 4개의 에어가드를 추가한 듀얼베인으로 구현한 6가지 공간맞춤 기류(氣流)도 장점임.
LG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냉장고 출시
 ('21.4)
구형(球形) 얼음을 만드는 신기능을 탑재한 LG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냉장고를 출시함. 신제품은 미국, 캐나다 등 해외에 먼저 선보여 큰 인기를 얻고 있는 차별화된 크래프트 아이스(Craft Ice) 기능을 국내 최초로 탑재함.
크래프트 아이스는 지름 약 50밀리미터(mm)의 구형 얼음으로, LG 오브제컬렉션 얼음정수기냉장고를 쓰는 고객은 호텔 라운지나 대형 바 등에서 쓰이는 고급스러운 구형 얼음을 집에서 즐길 수 있음. 크래프트 아이스는 크고 천천히 녹기 때문에 칵테일, 위스키, 레모네이드, 아이스커피 등 시원한 음료를 집에서도 제대로 즐길 수 있게 해주며 음료의 풍미를 더해줌.
하단 냉동칸에서 크래프트 아이스를, 상단 얼음 디스펜서에서 각얼음과 조각얼음을 각각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고객은 용도와 취향에 따라 얼음을 선택할 수 있음.
당사는 앞선 정수기 기술력을 바탕으로 이 제품에 차별화된 위생관리 기능을 탑재함. 업그레이드된 3단계 안심정수필터를 적용해 1단계 필터가 물 속에 포함될 수 있는 9가지 중금속과 유기화학물질을, 2단계 필터가 미세입자 및 대장균 등 박테리아를, 3단계 필터는 식중독 원인균 중 하나인 노로바이러스와 기타 유해물질을 제거함. 전문 검사기관인 노로젠이 노로바이러스가 포함된 물을 이 필터에 통과시키는 시험을 진행한 결과 물 속의 노로바이러스가 99.99% 제거됨을 확인함.
'LG 오브제컬렉션 360˚ 공기청정기' 출시
 (`21.4)
공간 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 라인업을 공기청정기까지 확대함. LG 오브제컬렉션 제품군은 워시타워, 스타일러, 휘센 타워, 청소기, 식기세척기, 광파오븐, 정수기, 상냉장 하냉동 냉장고, 빌트인 타입 냉장고, 김치 냉장고, 1도어 냉장·냉동·김치 컨버터블 냉장고 등에 공기청정기까지 포함하면 모두 14종으로, 이후에도 제품군을 지속 확대할 계획임.
'오브제컬렉션 360˚ 공기청정기'의 청정면적은 기존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플러스 대비 100㎡(제곱미터)에서 114㎡로 넓어졌고, 위쪽과 아래쪽에 위치한 클린부스터의 청정거리도 기존 대비 각각 더 늘어났음.
고객은 별도로 구매 가능한 인공지능 센서를 신제품과 연동시킬 수 있음. 집안 공기 관리가 필요한 곳에 센서를 두고 함께 사용하면 공기청정기만 사용할 경우 대비 약 5분 더 빠르게 오염된 공기를 감지한 후 해당 공간을 청정하고, 인공지능 센서는 최대 3개까지 연결할 수 있음.
또한 이 제품은 운전모드 변경, 필터 교체시기 등을 알려주는 음성안내, 사용 시간과 필터에 쌓인 먼지량을 바탕으로 압력 차이를 측정해 필터교체 시기를 더 정확하게 알려주는 필터수명센서, 항바이러스ㆍ항균 효과가 있는 V트루토탈케어필터 등 다양한 편의 기능과 위생 기능도 갖춤.
'LG 디오스
스마트 얼음정수기 냉장고' 출시
 ('21.3)
고객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편의성을 높인 '디오스 스마트 얼음정수기 냉장고'를 출시함.
신제품(모델명: J823MT86S)은 가전관리 애플리케이션인 LG 씽큐(LG ThinQ)와 연동해 스마트폰이나 냉장고 상단 도어 전면에 탑재된 21.5인치(in) 풀HD 투명 LCD 디스플레이를 통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함.
이 제품은 냉장실 내부에 설치된 카메라 3대를 활용해 신개념 수납공간인 매직스페이스와 야채칸에 보관중인 식품을 인식할 수 있음. 고객은 냉장고 도어 디스플레이에 있는 ThinQ 푸드 메뉴를 사용해
해당공간에 촬영된 사진을 모니터링하고 냉장고가 인식한 식품 목록도 확인할 수 있음. 이 메뉴는
스마트폰의 LG ThinQ 앱에서도 가능함. 또 보관중인 식재료를 활용한 요리방법을 추천하거나 유통기한이 지난 식품정보도 알려줘 유용함. ThinQ 푸드 메뉴의 스마트 식품관을 이용하면 식품 구매 또한 편리함. 스마트 식품관은 식품, 생활용품 등을 구입할 수 있는 서비스로, GS프레시몰과 손잡고 LG ThinQ 앱에 이 서비스를 2021년 2월 적용함.
고객은 냉장고 도어 디스플레이의 ThinQ 푸드 메뉴를 통해 필요한 식품을 스마트 식품관에서 바로 구매할 수 있음. 고객이 원하는 상품을 장바구니에 담은 후 LG ThinQ 앱으로 결제하면 되는데, 집 밖에서도 스마트폰의 LG ThinQ 앱을 활용해 냉장고에 있는 식품을 바로 확인하고 필요한 상품을 편리하게 구매할 수 있음.
이 서비스는 GS프레시몰에 있는 약 3천개 식품 구매가 가능하며, 당사는 서비스를 지속 발전시켜 식품에 대한 고객 선택의 폭을 넓힐 계획임.
이 제품은 LG ThinQ 앱을 통해 네이버 인공지능 플랫폼인 클로바와 연동하면 다양한 정보를 영상이나 음성으로 제공함. 예를 들어 고객이 "하이 엘지!"라고 부른 후 "오늘 날씨 알려줘"라고 하면
냉장고가 음성으로 날씨를 안내하는 것은 물론 도어 디스플레이에도 날씨정보를 보여줌.
또 고객이 도어 디스플레이를 3초 이상 누르면 스티커, 메모, 타이머 기능 등의 스마트 라벨을 보여줌.스마트 라벨을 이용해 사진이나 중요한 메모 등을 디스플레이에 배치할 수 있음.
가전제품의
고객 접근성 강화
 ('21.3)
원바디 세탁건조기 트롬 워시타워를 이용하는 시각장애인을 위해 특화된 음성 매뉴얼을 도입함. 매뉴얼은 시각장애인을 배려해 사용자가 직접 제품을 만지면서 도어를 여는 방향, 조작부나 버튼 위치 등을 쉽게 연상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전원 버튼이나 세탁·건조 선택 버튼을 누르는 경우 등 제품의 작동 상황별 소리도 함께 안내함.
이 음성 매뉴얼은 서울특별시와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에서 공동 운영하는 시각장애인 음성서비스에 적용돼 있어 서울시 소비재 정보마당 스마트폰 앱이나 홈페이지(http://audio4blind.seoul.go.kr)를 통해누구나 이용할 수 있음.
당사는 2020년 4월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과 LG 가전제품을 대상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매뉴얼 제작 업무협약(MOU)을 체결함.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과 관련 업무 협약을 맺은 것은 국내 가전업체 가운데 당사가 처음임.
시각장애인이 제품 조작부를 읽을 수 있도록 점자로 만든 스티커도 제공함. 트롬 워시타워의 조작부 전면 패널에 점자 스티커를 붙이면 전원, 세탁ㆍ건조 코스, 옵션 등 버튼 위치를 사용자가 점자로 확인할 수 있으며, 한국장애인소비자연합은 신청하는 고객들에게 이 스티커를 무료로 제공함.
'LG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 알파' 출시
 ('21.2)
청정 성능과 고객 편의성을 대폭 강화한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 알파'를 출시함. 공기청정기 한 대로 거실을 넘어 주방까지 더 넓은 공간에서 실내 공기 상태를 보다 빨리 감지해 청정 하려는 고객 니즈를 적극 반영하였음.
신제품의 청정면적은 기존 100㎡(제곱미터)에서 114㎡로 넓어졌는데, 이 제품은 2단 구조로 위쪽과 아래쪽에 각각 클린부스터가 있음. 상단 클린부스터는 좌우로 회전할 수 있는 각도가 기존 70도에서
140도로 확장되었고, 깨끗한 공기를 내보내는 거리도 기존 7.5m에서 최대 9m로 늘어남. 하단 클린
부스터는 좌우회전각도가 140도이며 청정 거리도 최대 5m를 지원해 360도 고정된 방향으로 약한 바람을 내보내던 기존 제품과 달리 청정 능력이 더욱 강력해짐.
또한, 인공지능 센서를 처음 선보임. 고객은 인공지능 센서를 최대 3개까지 신제품과 연동해 사용할 수 있어서, 집안 공기 관리가 필요한 곳에 센서를 두고 함께 사용하면 공기청정기만 사용할 경우 대비 약 5분 더 빠르게 오염된 공기를 감지한 후 해당 공간을 청정함.
인공지능 모드를 선택하면 공기질에 맞춰 집중청정, 분리청정, 싱글청정 가운데 최적의 옵션으로설정해줌.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 시험 결과, 인공지능 모드가 오토모드 대비 24% 더 빠르게, 43% 더 많은 먼지를 정화함.
LG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 알파는 필터수명센서를 탑재했는데, 이 센서는 사용 시간을 계산하고 실제 필터에 쌓인 먼지양을 바탕으로 압력 차이를 측정해 필터교체 시기를 알려줌. 사용 시간 기준으로 교체 시기를 알려주던 기존 방식보다 더 정확함.
공기청정기 제품에 처음으로 음성안내 기능을 적용해서, 운전모드 변경, 필터 교체시기 등을 음성으로도 알려줌.
V트루토탈케어필터는 항바이러스ㆍ항균 효과는 물론 극초미세먼지와 5대 유해가스 등을 제거함.
이 제품은 360도로 무한대 흡입을 의미하는 인피니티 그릴 디자인이 적용돼 세련되면서도 고급스러움을 더함. 제품 위쪽의 클린부스터 중앙에는 4.3형(inch) 크기 터치 LCD 화면을 갖춰 인공지능 센서가 있는 공간의 미세먼지 농도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LG 코드제로 A9S 씽큐' 신제품 출시
 ('21.2)
신개념 청소기 거치대인 올인원타워를 적용해 더 새로워진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S 씽큐 신제품 2종을 출시함. 올인원타워는 청소기 보관, 충전뿐만 아니라 먼지통 비움까지 한번에 할 수 있어서, 고객이 별도로 먼지통을 분리하지 않고 청소기를 올인원타워에 거치한 후 위쪽 조작부에 먼지비움 시작 버튼을 누르면 자동으로 비워줌. 먼지비움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면 매번 버튼을 누르지 않더라도 청소기를 거치할 때마다 알아서 먼지통을 비워줘 편리함.
배출된 먼지는 올인원타워 내부에 있는 전용 먼지봉투에 담기는데, 먼지 봉투의 용량은 2.5리터(L)이며, 권장 교체 주기는 일반적인 집안 환경에서 사용할 경우 3개월마다 한 번임. 고객은 상단 조작부에서 먼지비움 작동상태, 먼지봉투 교체알림, 배터리 충전 상태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음.
또 올인원타워는 청소기 거치는 물론 내/외부에 자주 사용하는 액세서리도 보관할 수 있어 공간 활용도는 물론 주변 인테리어 효과도 탁월함. 틈새 흡입구, 다용도 흡입구, 파워드라이브 침구 흡입구 등 3종과 파워드라이브 물걸레 흡입구 등 2종은 각각 올인원타워 내부와 외부에 거치할 수 있음.
신제품은 기존 모델의 다양한 장점은 그대로 갖췄는데, 물걸레 전용 흡입구인 파워드라이브 물걸레를 연결하면 청소기 한 대로 먼지 흡입과 물걸레 청소 모두 가능함. 자동 물 공급 시스템이 적용되어 청소하는 동안 물걸레가 마르지 않도록 촉촉하게 유지시키며 사용자가 청소 방식이나 바닥 재질에 따라 정지, 1단계, 2단계 등 총 3단계로 물 공급량도 선택할 수 있음.
또한, 파워드라이브 마루 흡입구의 두께는 약 55mm로 얇아 가구 밑 틈새 등 좁은 공간까지 청소가
가능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대용량 배터리 2개를 이용하면 표준 모드에서 청소 시간은 최대 120분임.
펫케어 기능 갖춘
LG 트롬 세탁기ㆍ건조기 출시
 ('21.2)
반려동물을 키우는 고객들을 위해 펫케어 기능을 더한 트롬 세탁기와 건조기를 출시함.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아끼고 사랑하는 펫팸족(반려동물과 가족의 합성어)의 의류 관리를 위해 펫케어 기능을 처음 적용함.
신제품은 펫케어 기능을 갖춘 세탁 코스와 건조 코스가 있는데, 이 코스들은 반려동물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대표적 원인 물질인 알레르겐을 제거함. 일본의 알레르겐 전문 시험기관(Environmental Allergens INFO & CARE)이 실험한 결과 이 코스들을 이용하면 의류에 남은 개와 고양이 알레르겐이 모두
99.99% 줄어듦.
LG 트롬 세탁기 스팀 펫(모델명: F24EDE)의 펫케어 세탁코스는 애벌세탁, 물을 100도(℃)로 끓여
만든 트루스팀, 온수헹굼을 포함한 4중 안심헹굼 등을 통해 옷에 묻은 반려동물의 배변이나 외출 시 묻은 진흙, 잔디 등 생활얼룩을 효과적으로 제거함. 반려동물의 냄새 제거에도 유용함.
LG 트롬 건조기 스팀 펫(모델명: RH17ETE)은 옷에 있는 반려동물의 털 제거 성능이 강화되어, 펫케어건조코스는 특허 받은 트루스팀을 이용해 의류에 있는 개와 고양이의 체취와 배변 냄새 제거에도
탁월함.
트롬 건조기 스팀 펫 구입 시 6개의 건조볼을 기본 액세서리로 제공하여, 의류와 건조볼을 넣고 건조하면 의류에 붙어 있는 반려동물의 털 제거에 효과적임.
안좌도에
국내 최대 ESS 구축 완료
 ('21.2)
당사는 국내 최대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구축을 완료하고 ESS 시장 공략에 가속도를 냄. 당사는 최근 KCH그룹, 한국서부발전, 탑솔라그룹이 만든 특수목적법인(SPC)과 함께 전라남도 신안군 안좌면에 위치한 '안좌스마트팜앤쏠라시티'에 단일 현장 기준 국내 최대 규모 ESS 구축을 완료함.
당사는 경제성과 효율성을 고려해 전력변환장치(PCS; Power Conditioning System) 용량 92메가와트(MW), 배터리 용량 340메가와트시(MWh)에 달하는 대규모 ESS를 구축함. 이는 우리나라 4인 가구 월평균 전력소비량이 350킬로와트시(kWh)임을 감안해 가구당 매일 11.7kWh를 사용한다고 가정하면,2만9천 여 가구가 하루 동안 사용할 수 있는 전기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 용량임.
당사는 PCS, 전력관리시스템(PMS; Power Management System), 배터리 등 ESS의 핵심 기술력을 토대로 제품뿐만 아니라 설계, 시공에 이르는 ESS 토탈 솔루션을 제공함.
이번에 공급한 ESS는 당사의 PCS와 PMS, LG에너지솔루션 배터리를 탑재하며, 당사는 배터리를 포함한 ESS 구성 요소 전부를 3년간 무상 보증함.
PCS, 배터리, 수배전반을 완전히 분리해 실내온도 및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도록 ESS를 설계함. 수배전반은 발전된 전력을 배터리에 저장해주는 장치이며, 또 24시간 모니터링 및 원격제어를 통해 특이사항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음.
안전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LG에너지솔루션의 배터리 화재확산 방지 시스템도 적용되어, 만약 배터리에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연기감지기가 화재여부를 감지하고 해당 배터리 모듈 내에 물을 직접 주입해 확산을 차단함.
당사는 한국전력공사 신계룡 변전소 주파수 조정용 ESS, 한국철강 창원공장 피크 저감용 ESS, 환영철강 당진공장 피크 저감용 ESS, 경주풍력 신재생 연계 ESS 등 국내 주요 사업을 잇따라 성공적으로 구축해옴.
인공지능 'LG 통돌이 세탁기' 출시
 ('21.2)
인공지능 기능을 갖춘 'LG 통돌이 세탁기' 신제품(모델명: TS22BVD)을 출시함. 당사는 DD(Direct Drive) 모터를 탑재한 통돌이 세탁기 신제품에도 인공지능 기능을 더했는데, 인공지능 기능이 트롬 드럼세탁기, 공간 인테리어 가전 오브제컬렉션 워시타워 등에 탑재된 데 이어 통돌이 세탁기에도 처음 적용됨.
신제품은 세탁물 무게를 감지한 후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의류 재질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6모션 가운데 최적의 모션 조합을 선택하고 세탁 강도를 결정함.
글로벌 인증기관인 인터텍(Intertek)이 시험한 결과 신제품은 기존 LG 통돌이 세탁기(모델명: TS22BVT) 대비 10% 이상 옷감 손상을 줄임. 또 세탁 시 에너지 사용량을 약 30% 줄여 전기료 부담도 낮춤.
또한,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적용함. 고객들은 와이파이(Wi-Fi)로 가전관리 애플리케이션인LG 씽큐(LG ThinQ)에 신제품을 연결하면 편리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어서, 지난해 3월 이후 출시된 LG 트롬 건조기와 연동시켜 스마트페어링 기능을 사용하면 세탁기가 세탁코스 정보를 건조기에 전달해 건조기가 알아서 건조코스를 설정함.
또 고객은 LG 씽큐 앱을 이용해 의류와 상황에 맞는 다양한 세탁 코스를 다운로드해 사용할 수 있음.
국내 최초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에어컨' 출시
 ('21.2)
국내 최초로 전기식과 가스식의 장점을 합쳐 냉난방 비용을 줄일 수 있는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에어컨'을 출시함. 신제품은 당사의 전기식 시스템 에어컨 대표제품인 멀티브이(MULTI V)와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GHP; Gas Heat Pump)을 하나의 배관으로 연결하고 한 대의 제어기로 통합 제어함.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에어컨은 건물의 전기 기본요금을 낮춰 냉난방 비용의 불필요한 낭비를 줄여줌. 건물의 전기 기본요금은 연간 소비전력량 최대치(피크, Peak)를 기준으로 산정되어 매월 부과됨. 전기식 시스템 에어컨만 사용하는 건물은 전기 사용량이 많은 여름과 겨울의 소비전력량 기준으로 기본요금이 부과되므로 에어컨을 자주 사용하지 않는 봄과 가을에도 높은 전기 기본요금을 내야함.
새로운 하이브리드 방식은 전기식과 가스식을 유기적으로 연동해 전력 피크를 낮춰 전기 기본요금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음. 한국전력으로부터 공급받는 전력의 최대치 기준인 계약 전력 자체를 줄일 수 있어 계약 전력에 맞춰 변압기를 설치하는 수전공사 비용도 줄일 수 있음.
신제품은 가동 상황에 맞춰 전기식과 가스식 운전을 조합해 냉난방 비용을 줄여주는 4가지 모드를
제공함. 전기와 가스 요금을 예측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방식으로 우선 운전하는「비용 최적화 모드」, 냉방할 때는 단가가 낮은 가스식을, 난방할 때는 효율 좋은 전기식을 우선 가동해 비용을 절감하는 자동 모드」, 피크전력 제어가 필요한 경우 가스식 운전을 우선 적용해 전기 기본요금을 낮추는 「GHP 우선 모드」, 실내기 가동률이 낮을 경우 효율이 높은 전기식 운전을 우선 적용해 냉난방 효율을 극대화하는 「멀티브이 우선 모드」 등임. 당사 자체적으로 연면적 약 1,000제곱미터(m2) 규모 사무용 건물을 기준으로147킬로와트(kW)급 시스템 에어컨의 냉난방 비용을 시뮬레이션한 결과,하이브리드히트펌프 시스템 에어컨이 동급의 전기식 시스템 에어컨보다 에너지 비용을 25% 절감했으며, 특히 전기기본요금은 54% 감소함.
신제품은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의 용량만큼 정부의 가스냉방 장려금 등 정책적인 혜택도 받을 수 있으므로, 초기 투자비가 큰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과 초기 투자비가 상대적으로 적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전기식 시스템 에어컨의 장점을 결합해 투자비를 포함한 건물의 총 운영비를 절감할 수 있음.
하나의 배관으로 천장형, 매립형, 벽걸이형, 스탠드형 등 다양한 실내기들을 조합할 수 있어 확장성과 편의성도 뛰어남.
당사는 전기식 시스템 에어컨, 가스식 시스템 에어컨, 제어기 등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시스템 에어컨을 구성하는 모든 제품을 국내에서 직접 생산, 공급함.
2021년형 'LG 휘센 타워' 에어컨 출시
 ('21.1)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새로운 디자인에 더 시원하고 기분 좋은 냉방을 구현한 2021년형 에어컨 신제품 'LG 휘센 타워' 에어컨을 출시함.
LG 휘센 타워는 어떤 거실에도 조화를 이루는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 더 강력하면서도 사람에게 직접 닿는 바람을 최소화한 기분 좋은 냉방,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깨끗하게 관리해주는 5단계 청정관리, 앞선 듀얼 인버터 기술로 시원하면서도 에너지를 아껴주는 쾌적 절전 등 프리미엄 에어컨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함.
 
■ 어떤 거실에도 조화를 이루는 공간 인테리어 디자인
LG 휘센 타워는 6년만에 확 바뀐 새로운 에어컨 디자인을 선보였는데, 직선과 원으로 미니멀한 아름다움을 표현한 초(超)프리미엄 'LG 시그니처(LG SIGNATURE)' 에어컨의 디자인 철학에 공간 인테리어가전 'LG 오브제컬렉션(LG Objet Collection)'의 감성을 더함.
어떤 거실 인테리어와도 조화를 이루며 공간에 스며들 수 있도록 부드럽게 불어오는 바람을 형상화한 원과 간결한 직선 중심으로 휘센 타워의 디자인을 완성함.
 
■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알아서 깨끗하게 관리해주는 5단계 청정관리
에어컨이 사계절 필수가전으로 자리잡고 위생에 대한 고객 눈높이가 높아지면서 에어컨 관리도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어서, LG 휘센 타워는 바람이 들어오는 극세필터부터 나가는 팬까지 에어컨 내부의 바람이 지나가는 길을 깨끗하게 관리하는 5단계 청정관리 기능을 적용함.
극세필터를 알아서 청소하는 필터 클린봇, 필터에 붙을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하는 항균 극세필터, 극초미세먼지까지 제거하는 공기청정, 내부 습기를 말려주는 자동건조, 99.99% UV LED 팬 살균 등 5단계 청정관리는 에어컨 내부를 자동으로 관리해줘 고객이 더 편리하고 쾌적하게 에어컨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또한, 제품 뒤쪽 필터 클린봇은 바람이 가장 먼저 통과하는 극세필터를 일주일에 한번씩 자동으로 청소함.
새롭게 추가된 항균 극세필터는 필터에 생길 수 있는 세균을 제거해줘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데, 항균 극세필터는 글로벌 시험인증기관인 코티티(KOTITI) 시험연구원과 피티(FITI) 시험연구원으로부터
ISO 시험규격에 따른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균,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능 시험 성적서를 받음.
휘센 타워의 공기청정 성능은 더욱 강력해져서, 한국공기청정협회로부터 에어컨용 공기청정기 표준인CAC(Certification Air Conditioner)인증을 획득하고, 공기청정면적도 30평으로 더욱 넓어짐.
에어컨 내부 습기를 말려주는 자동건조 기능과 UV나노(UVnano) 기능도 적용했는데, UV나노기능은 은UV LED로 바람을 내보내는 팬을 살균해 유해세균을 99.99% 제거해줘 더욱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음. 국제공인시험인증기관인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 시험과 독일 TUV라인란드(TUV; Technischer Uberwachungs Verein)의 참관시험 결과 이 제품은 팬에 붙을 수 있는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균, 표피포도상구균 등 유해세균을 99.99% 제거함.
 
■ 앞선 듀얼 인버터 기술로 시원하면서도 에너지를 아껴주는 쾌적 절전
LG 휘센 타워는 차별화된 듀얼 인버터 기술로 시원함은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절약해 주는 쾌적 절전 모드를 탑재함. TUV라인란드 참관 하에 신제품을 4시간 동안 운전하며 누적 소비전력량을 비교 시험한 결과, 쾌적 절전 모드는 실내 온도를 시원하게 유지하면서도 최대냉방모드인 아이스쿨파워 대비 소비전력량을 약 72% 줄여줌.
또 신제품은 잠시 외출할 때 에어컨을 켜둘지 끌지 고민할 필요가 없는데, 1시간동안 사람이 없으면 인체감지센서가 부재 상황을 판단해 알아서 절전하여,에어컨을 끄고 외출해서 다시 켰을 때보다 소비전력량을 약 30% 줄여줌.
이외에도 가전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해주는 프로액티브 서비스를 휘센 에어컨에 적용하고 있어서, 에어컨은 제품의 작동상태를 분석해 실외기 설치장소의 온도 상승에 따른 환기, 공기청정 필터의 교체 등이 필요한지를 사전에 감지하고 스마트폰의 LG 씽큐(LG ThinQ) 앱을 통해 알려줌.
 
이러한 LG 휘센 타워의 5단계 청정관리와 쾌적 절전 기능 등은 당사가 추구하는 '고객의 건강한 삶', '제품의 환경영향 저감' 등 지속가능경영의 지향점과 맞닿아 있음.
바이러스와 세균 99.9% 제거하는
'퓨리케어 360°공기청정기 플러스'
출시
 ('21.1)
바이러스와 세균을 99.9% 제거하는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플러스'를 출시함. 건강과 위생관리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항바이러스ㆍ항균 효과가 있는 트루 토탈케어 필터를 이번 신제품에 처음 적용했는데,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과 공동으로 시험한 결과 이 필터는 쥐코로나 바이러스(murine coronavirus, MuCoV)를 99.9% 제거함. (*실험에 사용된 쥐코로나바이러스는 최근의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과는 다른 코로나 바이러스의 일종임.)
또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KTR; Korea Testing & Research Institute)이 실험한 결과 이 필터가 황색포도상구균, 폐렴간균, 대장균을 99.9% 제거함.
신제품은 기존 모델의 뛰어난 공기청정 성능은 그대로 계승하여,0.01㎛(마이크로미터, 1㎛는 1백만 분의 1m) 크기까지의 극초미세먼지를 제거함. 한국천식알레르기협회(KAF)와 영국알레르기협회(BAF)로부터 인증도 획득하였고, 암모니아, 포름알데히드, 톨루엔, 아세트산, 아세트알데히드 등 생활냄새와 유해가스를 없애줌.
제품 상단의 클린부스터는 당사만의 독자적인 기술력이 집약돼 관련 특허만 34개로, 클린부스터를 사용하지 않을 때 보다 최대 24% 빠르게 실내 공기를 정화함.
이 제품의 360° 디자인은 여러 방향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청정할 수 있어 공기를 정화하지 못하는 사각지대가 줄어듦.
항균 필터가 적용된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펫 플러스도 함께 선보이는데, 이 제품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고객을 위해 기존 퓨리케어 360° 공기청정기 모델 대비 탈취 성능은 물론 털ㆍ먼지 제거 성능이 강화되었음.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코드제로 A9 신제품 공개
 ('21.1)
차원이 다른 편의성과 디자인을 갖춘 프리미엄 무선청소기 LG 코드제로 A9 신제품을 공개함. 이 제품은,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세계 최대 IT 전시회 CES의 개막을 앞두고 혁신적인 제품들에 수여하는 CES 혁신상(CES 2021 Innovation Award)을 받았는데,
충전, 비움, 보관을 한번에 할 수 있는 신개념 청소기 거치대를 이번 신제품에 적용함.
이 거치대는 청소기 충전은 물론 터치 한 번이면 먼지통을 자동으로 비워줘서, 고객이 별도로 먼지통을 분리할 필요가 없어 편리함. 고객은 청소기를 거치한 후 거치대 상단의 디스플레이에서 먼지비움 버튼을 누르기만 하면 되고, 먼지비움 모드를 자동으로 설정하면 터치 없이 거치할 때마다 먼지통을 비움.
새롭게 선보인 거치대는 청소기 거치는 물론 내부에 다양한 액세서리를 보관할 수 있는 일체형 구조라 공간활용도가 높고 디자인도 깔끔함.
신제품은 기존 모델의 다양한 장점을 갖춰 청소를 편리하게 할 수 있음. 이 제품에 물걸레 전용 흡입구인 파워드라이브 물걸레를 연결하면 청소기 한 대로 먼지 흡입과 물걸레 청소 모두 가능함. 자동 물 공급 시스템은 물걸레가 마르지 않도록 촉촉하게 유지해주며 사용자가 청소 방식이나 바닥 재질에 따라 정지, 1단계, 2단계 등 총 3단계로 물 공급량을 선택할 수 있음.
파워드라이브 마루 흡입구의 두께는 약 55mm로 얇아 가구 밑 틈새 등 좁은 공간 청소도 가능하며, 탈부착이 가능한 대용량 배터리 2개를 이용하면 표준 모드에서 청소 시간은 최대 120분임.
HE 2022년형 LG 사운드 바 공개
 ('21.12)
명품 입체음향으로 완벽한 몰입감을 제공하는 2022년형 사운드 바 신제품을 공개함.
 
LG 사운드 바(모델명: S95QR)는 업계 처음으로 사운드바 본체에 업파이어링(Up-firing) 스피커 3개를 탑재함. 기존 제품은 긴 사각형 형태의 본체 양 끝에 소리를 천장 방향으로 보내는 업파이어링 스피커를 각각 1개씩 탑재하는데, 이 제품은 본체 중앙에 업파이어링 스피커 1개를 추가하고 음향을 세밀하게 조절해 기존 대비 더 풍부하고 정교한 입체음향을 구현함.
 
이 제품은 본체를 포함해 중저음을 내는 서브우퍼, 입체음향을 내는 리어 스피커 등으로 구성되어 LG 사운드 바 중 최다 채널(9.1.5)을 지원함. 최대 출력은 810와트(W)임.
 
특히, 사용자의 뒤편에 설치하는 리어 스피커는 2개의 업파이어링 스피커와 좌우 135도 방향으로 소리를 넓게 발산하는 4개의 서라운드 스피커를 적용해 풍부한 사운드를 전달함. 리어 스피커는 무선으로 연결돼 어떤 위치에 설치해도 끊김 없이 웅장하면서도 입체적인 음향을 제공함.
 
메리디안 오디오(Meridian Audio)의 최신 음향기술로 완성된 명품 사운드는 물론이고 돌비애트모스(Dolby ATMOS), DTS:X 등 입체음향기술과 고품질 음원을 손실 없이 재생하는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도 지원해 고객은 집에서도 영화관처럼 몰입감 넘치는 사운드를 즐길 수 있음.
 
이 제품은 스피커에서 나온 소리가 벽에 부딪혀 반사돼 돌아오는 것을 파악해 설치 공간에 따라 고객이 최적의 음향을 들을 수 있도록 소리를 보정함. LG TV(webOS 6.0이상 탑재 모델) 사용자는 LG TV의 최신 음질 엔진이 제공하는 풍부한 사운드를 LG 사운드 바를 통해서 즐길 수 있음. 제품 연결성도 업그레이드되어, 구글이나 아마존의 인공지능 스피커와 연동하면 음성만으로 사운드 바를 조작할 수 있으며, 애플 에어플레이2(AirPlay 2)와 스포티파이(Spotify)를 지원해 다양한 애플 기기들과 연결해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도 편리하게 즐길 수 있음.
 
무선 연결장치 LG 와우캐스트(LG WOWCAST)를 이용하면 LG 사운드 바를 제조사와 관계없이 TV에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소리가 끊기거나 음질의 저하 없이 멀티채널을 지원해 풍부한 사운드를 즐길 수 있음.본체 외관을 감싸는 패브릭은 페트병을 재활용한 폴리에스터 저지(Polyester Jersey)로 제작하고, 제품 포장에는 폐지, 골판지 등을 소재로 100% 재활용 가능한 펄프 몰드를 사용하고 있음.
LG 스마트 TV로 게임기 없이도
 스트리밍 게임 즐긴다
 ('21.11)
종합컴퓨팅기업 엔비디아와 스마트 TV 콘텐츠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고, webOS를 탑재한 LG 스마트 TV에서 클라우드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 지포스나우(GeForce NOW) 서비스를 시작함.
 
지포스나우는 클라우드 서버에 설치된 PC 게임을 원격으로 즐길 수 있는 엔비디아의 게임 스트리밍 플랫폼임. 호환 가능한 컨트롤러만 연결하면 고성능 PC에서나 즐길 수 있던 게임을 스마트 TV에서 간편하게 즐길 수 있음.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Marvel's Guardians of the Galaxy), 크라이시스 리마스터드 트릴로지(Crysis Remastered Trilogy) 등 최신 게임을 포함해 전 세계적으로 총 1천 편 이상의 PC 게임을 제공함.
 
TV 업계에서 지포스나우 전용 앱을 탑재하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당사가 처음임. 전 세계 80여 국가에서 올해 출시된 4K(3,840×2,160) 해상도의 올레드/QNED/나노셀 TV(webOS 6.0 탑재 모델)를 사용하는 고객들은 지포스나우를 이용할 수 있음 TV 홈 화면 내 LG 콘텐츠 스토어에서 지포스나우 전용 앱을 내려받을 수 있음.
엔비디아는 현재 스마트 TV에서 지포스나우의 베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조만간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는 방침. 고객들은 베타 서비스에서도 정식 서비스와 동일하게 게임을 즐기는 것이 가능함.
 
 당사는 webOS의 뛰어난 개방성과 접근성을 기반으로 고객 취향을 고려해 스마트 TV의 서비스와 콘텐츠를 지속 확대하고 있음. webOS TV 사용자들에게 기존의 TV 시청 경험을 뛰어넘는 LG TV만의 차별화된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함.
피부 탄력 집중 관리기기
 'LG 프라엘 인텐시브 멀티케어' 출시
 ('21.10)
피부 탄력을 위한 5가지 핵심 기술을 한 곳에 담은 LG 프라엘 인텐시브 멀티케어(모델명:BLP1)을 출시함. 신제품은 피부 탄력과 진정은 물론이고, 화장품의 다양한 영양 성분의 흡수까지 높여주는 복합 탄력 관리기임. 집에서도 전문적인 피부관리를 원하지만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의 피부 관리기기를 번갈아 사용해야 하는 고객들의 불편을 해결하는 올인원(All-in-one) 제품임.
 
신제품은 손잡이 위쪽에 피부 탄력과 화장품 흡수를 돕는 인텐시브 케어 헤드와 피부 진정을 돕는 쿨링 케어 헤드가 Y자 모양으로 달려 있는 형태. 고객은 인텐시브 케어 헤드에 달려 있는 아이 케어 헤드를 활용하면 눈가, 입 주변 등 굴곡진 부위도 섬세하게 관리할 수 있음.
이 제품은 피부 탄력 개선을 위한 5가지 핵심 기술이 모두 적용되어, 사용자는 이 제품을 매회 6분씩 주 3회만 사용해도 피부결 및 볼륨 개선은 물론이고 모공 축소 효과까지 얻을 수 있음.
 
고주파는 피부 진피층 아래까지 도달해 콜라겐 생성을 촉진, 250마이크로암페어(uA) 수준 미세전류는 피부 조직과 근육을 자극해 피부 속과 겉 탄력을 개선, 저주파 초음파를 활용하는 소노포레시스(Sonophoresis) 기술과 같은 극끼리 밀어내는 전기적 성질을 이용하는 이온토포레시스(Iontophoresis) 기술은 화장품 영양 성분과 수분 흡수를 도움, 5/11/17℃로 선택 가능한 쿨링 기능은 모공 축소와 피부 진정에 효과임.
글로벌의학연구센터(Global Medical Research Center)가 성인 여성 21명을 대상으로 8주간 진행한 피부 개선 실험 결과에 따르면, 이 제품은 손으로 관리했을 때보다 피부 속 탄력은 2.2배, 볼륨감은 2.5배가량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음. 눈 밑 지방과 팔자 부위는 제품 사용 전 대비 각각 20% 이상 개선됐고, 모공은 48%가량 축소된 것으로 나타남.
 
 당사는 포항공대와 산학연구를 통해 편안한 그립감을 위한 손잡이, 제품 사용 중 팔의 피로도를 줄여주는 헤드 각도, 피부 접촉 면적을 넓힌 헤드 사이즈 등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을 구현해 피부 케어 시간 단축은 물론, 고객 사용 편의성까지 높힘.
당사는 최근 출시한 초음파 클렌저에 화장품 흡수 촉진 기능을 더해 피부 속 건조까지 해결해 주는 'LG 프라엘 에센셜 부스터(모델명: BBP1)'도 함께 선보임. 이 제품은 노폐물 세정은 물론, 영양 및 보습까지 기기 하나로 모두 관리하는 제품이다. 특히 소노포레시스 기술을 새롭게 적용해 기존 갈바닉 이온 방식의 제품 대비 화장품 흡수를 촉진하는 성능도 높힘.
'LG 시네빔' 신제품 출시
 ('21.9)
고화질과 휴대성을 모두 갖춘 'LG 시네빔 (CineBeam)' 프로젝터 신제품을 출시함. 신제품(PF610P)은 최대 120형(대각선 길이: 305cm / 투사거리 3.18m) 화면에 풀HD(1,920 x 1,080) 해상도를 갖춘 제품으로, 여기에 본체 무게 1.7kg으로 휴대성도 뛰어남. 또 화면 모양 왜곡을 손쉽게 보정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 집에서는 물론, 캠핑장 등 야외에서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이 제품은 촛불 1,000개를 동시에 켰을 때와 유사한 1,000안시루멘(ANSI lumen) 수준의 밝기를 갖추고 150,000:1 명암비로 시인성도 뛰어남. 밝은 부분을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을 더 어둡게 표현하는 HDR도 지원하여 자연스럽고 생동감 넘치는 화질을 보여줌.
 신제품은 webOS 5.0을 탑재해 유/무선 네트워크만 연결하면 유튜브, 웨이브, 왓챠, 티빙 등을 통해 어디서나 다양한 콘텐츠를 즐길 수 있으며, 연결성도 뛰어남. 신제품은 에어플레이2(AirPlay2)와 미라캐스트(Miracsat)를 지원, iOS(12 이상)가 적용된 IT기기는 물론, 안드로이드OS(6.0 이상)를 탑재한 IT기기와도 편리하게 화면 공유가 가능함. 고객이 집안, 야외 등 다양한 사용환경에서 사용하는 경우를 고려해 신제품에 향상된 화면 맞춤 기능을 탑재함. 고객은 간단한 리모컨 조작만으로 네 개의 화면 모서리를 조정, 반듯한 화면을 만들 수 있고, 제품과 투사화면의 높이 차이가 있는 경우엔 각도에 따른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상하 자동' 화면 맞춤 모드도 제공함.
프리미엄 무선 스피커 'LG 엑스붐 360' 출시 ('21.9) 고성능 사운드는 물론, 공간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까지 갖춘 프리미엄 무선 스피커 LG 엑스붐 360(XBOOM 360, 모델명: RP4)을 선보임. 이 제품은 뉴노멀 시대에 맞춰 나만의 공간에서 혼자 또는 지인들과 함께 음악을 즐기려는 고객을 위해 성능뿐 아니라 인테리어 친화적인 디자인까지 강조함.
신제품에 독자 개발한 음향 반사판 구조를 적용해 왜곡을 줄인 소리를 360도 전 방향으로 균일하게 보내주는 무지향(無指向) 사운드를 구현함. 고객은 제품을 설치한 공간 내 어느 위치에서도 최적의 사운드를 감상할 수 있음. 최대 출력은 120와트(W)로 야외 소규모 모임 등에도 활용이 가능하고, 하이엔드 오디오 제품에 사용되는 소재를 적용해 음질도 뛰어남. 고음을 재생하는 '트위터'에 내구성이 뛰어난 티타늄 소재를 적용해 초당 1만 번(10kHz) 이상 진동판이 떨리는 고음역대에서도 정확하고 섬세한 소리를 냄. 저음을 재생하는 '우퍼'에는 가벼우면서도 탄성이 좋은 유리 섬유 소재를 채택해 보다 풍부하고 역동적인 중저음을 구현함.
 이 제품에 적용한 360도 라이팅 기능은 시각적 효과뿐 아니라 사운드의 몰입감까지 높여줌. 공간조명 전문가와 함께 협업해 간접조명으로 편안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앰비언트 모드, 자연에서 영감을 얻은 색 조명으로 안정감을 주는 네이처 모드, 음악 비트에 따라 조명 색상이 바뀌는 파티모드 등 3가지 모드를 기본 제공함.
 전용 앱 'LG XBOOM'을 이용하면 개인 취향에 맞는 조명 패턴, 색상, 밝기 등을 설정할 수 있고, DJ 효과 기능을 활용하면 재생 중인 음악에 응원용 나팔소리, 스크래치 등 효과음을 추가할 수 있어 신나는 파티 분위기도 연출할 수 있음.
프라엘 초음파 클렌저 신제품 출시
 ('21.8)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도 더 꼼꼼하게 세정해주는 LG 프라엘(LG Pra.L) 초음파 클렌저 신제품을 출시함. 신제품은 바디 전용 'LG 프라엘 바디스파', 세안 전용 'LG 프라엘 워시팝' 등 2종으로, 여름철 예민해진 피부를 위해 자극은 줄이면서도 자외선 차단제를 포함해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수 있는 노폐물을 모공 속까지 꼼꼼하게 세정하기 원하는 고객을 위한 제품임.
 특허받은 초음파 진동과 브러시의 미세 진동 기술을 적용해 피부 자극을 줄이면서도 세정력을 높임. 초음파 클렌저는 세정제로 미세 거품을 낸 후 초당 35만 5천 회 초음파 진동으로 각질층을 부드럽게 흔들고, 분당 수천 회(바디스파: 5,300회, 워시팝: 4,200회) 미세 진동하는 실리콘 브러시로 노폐물을 제거함.
 LG 프라엘 바디스파(모델명: SSP1)는 얼굴뿐 아니라 몸 전체를 간편하게 관리할 수 있는 제품으로, 샤워 퍼프 크기의 본체에 몸 전체적으로 노폐물을 제거해주는 데일리 초음파 클렌저 브러시, 무릎, 팔꿈치 등을 위한 각질 케어 브러시, 발꿈치 각질 전용 브러시 등 관리 부위에 맞춘 3가지 브러시를 결합해 사용하는 제품임. 전용 손잡이를 결합하면 손이 잘 닿지 않는 등 부위도 편리하게 관리할 수 있음.
 LG 프라엘 워시팝(모델명: BCP1/2)은 기존 초음파 클렌저의 장점은 유지하면서도 인체공학적인 디자인을 강화함. 브러시가 물방울 모양이라 코, 눈가 등 굴곡진 부위 세정은 물론 코 주변 블랙헤드 제거에도 효과적임.
프라엘 전용 앱 'LG 프라엘 케어(Pra.L Care)'도 함께 선보이는데, 고객은 피부 자가진단을 통해 나에게 맞는 제품 사용법, 제품 활용 팁 등을 확인할 수 있음.
울트라기어 게이밍스피커 출시
 ('21.8)
LG 울트라기어(UltraGearTM) 게이밍스피커를 출시함. LG 울트라기어는 고성능 게이밍 기기 브랜드로, 승리를 안겨주는 최강의 무기라는 의미를 담음. 당사는 2018년 모니터를 시작으로 지난해 노트북에 이어 스피커에도 LG 울트라기어 브랜드를 적용했는데, LG 울트라기어 게이밍스피커(모델명: GP9)는 당사의 첫 게임 특화 스피커임.
게임 사운드를 제대로 즐기기 위해 답답한 헤드셋 장비를 벗지 못하는 게이머들의 페인포인트(Pain Point)를 해결하기 위해 제품에 내장 마이크를 탑재하고 게이밍 몰입감을 높여주는 음향 기술을 대거 적용함.
 사용자는 별도의 헤드셋 장비 없이도 내장 마이크를 통해 함께 플레이하는 게이머들과 음성 대화를 주고받을 수 있음. 게임용 스피커 가운데 처음으로 적용된 에코캔슬링 보이스채팅 기술은 주변 소음과 게임 사운드는 줄이고 내 목소리는 키워 상대방이 내 목소리를 더 또렷하게 들을 수 있음.
당사가 독자 개발한 3D 게이밍 사운드 기술도 장점인데, 이 기술은 게임에서 나는 다양한 소리의 방향과 크기를 분리한 후 실제 사용자 주변에서 나는 것처럼 입체감 있게 전달해 몰입도를 더 높임.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게임에 최적화된 사운드를 경험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FPS(1인칭슈팅게임, First-person shooter)모드에서는 가상의 7.1채널 입체 음향을 구현해 상대방의 발소리나 총소리가 나는 위치를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줌. RTS(실시간전략게임, Real-Time Strategy)모드에서는 보다 넓은 공간에서 소리가 발생하는 것처럼 소리의 현장감을 키워줌.
 이 제품은 최고급 오디오 제품에 주로 적용되는 하이파이 쿼드덱(Hi-Fi Quad DAC)도 탑재함. 하이파이 쿼드덱은 소리의 균형감을 높이고 잡음을 줄여줘 원음에 가까운 음질을 구현함. DTS社의 입체 사운드 기술 DTS Headphone: X는 스피커를 헤드셋과 연결해서 사용할 때에도 웅장하고 현장감 넘치는 사운드를 제공함.
 고객은 전용 앱 'LG XBOOM'을 통해 전문가의 이퀄라이저(EQ) 설정을 다운로드 받아 활용하거나 나만의 사운드 설정을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도 있고, 전용 앱에서 영화, 음악 모드를 선택하면 영화나 음악을 감상할 때에도 최적의 음질을 간편하게 즐길 수 있음.
무료 콘텐츠 플랫폼
'LG 채널' 서비스 강화
('21.8)
고객 취향 기반 콘텐츠 추천 기능을 강화한 사용자인터페이스(UI: User Interface)를 새롭게 적용함. 2020년 출시한 TV에는 이미 신규 UI를 업데이트했으며, 9월 이후에는 지난 2016년 이후 출시 모델에도 업데이트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임.
 LG 채널은 인터넷이 연결된 webOS TV에서 별도 셋톱박스 없이 다양한 채널을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서비스로, 지난 2015년부터 LG webOS TV 전 모델에 기본 탑재되어 옴. 유료 방송 신청이 부담스러운 1인 가구나 한 집에서 2대 이상의 TV를 시청하는 고객에게 유용함.
 무료 콘텐츠 확대와 사용성 고도화가 고객들의 호응을 얻으면서 LG 채널 이용 고객도 크게 늘었으며, 전 세계에서 LG 채널 서비스를 시청하는 고객 수와 시청시간은 각각 지난해 대비 2배 이상으로 늘어남.
 또한, webOS TV에 기본 탑재하고 있는 무료 콘텐츠 플랫폼인 LG 채널 서비스를 대폭 확대하는데, 네덜란드, 스위스 등 유럽 11개국에 LG 채널 서비스를 연내 추가 론칭함. LG 채널은 현재 14개 국가에 1,600여 채널을 제공하는 것에서 총 25개국에 1,900여 채널을 제공하는 것으로 서비스 국가와 채널 수가 대폭 늘어남. 국내 고객들은 LG 채널로 144개 무료 채널을 시청할 수 있음.
 또한, 최근 미국, 캐나다, 브라질, 멕시코 등 4개 국가의 LG 채널에 와이지엔터테인먼트의 실시간 라이브TV 채널인 와이지티비(YG TV), 한국 영화 전문채널 뉴케이무비즈(NEW K.Movies) 등을 포함한 K-콘텐츠 채널을 추가함. LG 채널 내 K-콘텐츠 채널 제공은 콘텐츠 파트너사 뉴 아이디(NEW ID)와 협업하였으며, LG 채널이 K-콘텐츠 채널을 제공하는 국가는 기존 유럽 4개국에서 미주 지역 4개 국가를 더해 총 8개로 늘어남. 유럽과 중남미 지역에는 플루토(Pluto) TV, 라쿠텐(Rakuten) TV 등 유명 콘텐츠 공급업체의 채널과 재즈/일렉트로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 퀘스트(Qwest) TV와 같이 현지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인기 채널도 추가함.
 이와 더불어 webOS 플랫폼을 사용하는 외부 업체의 TV에서도 LG 채널을 즐길 수 있도록 연내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할 예정임. 당사는 2021년부터 webOS를 앞세운 TV 플랫폼 사업을 본격화했으며, 전 세계 20여 개 TV 업체가 webOS 플랫폼을 사용한 TV를 출시하고 있음.
'LG 피트니스' 서비스 론칭
 ('21.8)
LG TV로 집에서도 피트니스 전문가의 코칭을 받을 수 있는 홈 피트니스 서비스를 제공함.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webOS를 적용한 LG TV 고객들을 위한 'LG 피트니스' 서비스를 최근 론칭함. 고객은 TV 홈 화면의 LG 콘텐츠 스토어에서 LG 피트니스 앱을 다운받아 이용하면 되는데, LG 피트니스는 올해 신모델을 비롯, 지난해 출시된 LG TV(webOS 5.0/6.0 탑재 모델)에서도 이용할 수 있음.
 고객들의 취향에 맞는 운동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스포츠 서비스 전문업체 카카오 VX와 협업해 60여 개 피트니스 콘텐츠를 공동으로 제작함.
 개방형 플랫폼 기반의 LG 피트니스는 당사 자체 콘텐츠 뿐만 아니라 피트니스 전문 크리에이터가 제작한 다양한 콘텐츠도 함께 제공하여, 고객은 LG전자와 제휴를 맺은 피트니스 전문 유튜브(YouTube) 크리에이터들이 제공하는 콘텐츠 가운데 원하는 운동 종류와 난이도 등을 선택해 즐길 수 있음.
 이 밖에도 다양한 전문 피트니스 콘텐츠 서비스 앱과의 제휴를 통해 숙련자를 위한 고난도 기구 운동 등 콘텐츠의 양과 질을 지속 높이는 동시에 고객의 사용 편의성도 지속 강화할 계획임. 선호 콘텐츠 및 운동 시간 알림, 인공지능 기반 맞춤형 운동 추천, USB 카메라를 TV에 연결하면 영상과 본인의 모습을 한 화면에서 비교하면서 볼 수 있는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연내 추가로 제공할 계획임. 업데이트 되는 대시보드 기능에서는 운동 시간 및 기록, 칼로리 소비량, 목표 달성률 등도 한눈에 확인할 수 있음.
무선이어폰 신제품 3종 출시
 ('21.7)
프리미엄 메리디안 사운드에 노이즈 캔슬링으로 몰입감을 더한 무선이어폰 '톤 프리(TONE Free)' 신제품 3종을 출시함.(TONE-TFP9, TONE-TFP8, TONE-TFP5)
 ■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 '하이브리드 진동판' 등 적용하여 사운드에 몰입 가능
신제품 3종 모두 액티브 노이즈 캔슬링(Active Noise Cancellation) 기능을 탑재하고, 합성섬유(Nomex) 소재의 진동판을 실리콘 소재로 두른 '하이브리드 진동판'을 적용, 거슬림 없이 부드러우면서도 강력한 저음을 냄. '3D Sound Stage EQ' 모드도 지원, 라이브 콘서트에서 느낄 수 있는 입체적이고 현장감 있는 사운드를 구현함.
 
 ■ 전작대비 더 강화된 위생관리 기능
 신제품(TONE-TFP9, TONE-TFP8)에는 전작 대비 강화된 위생관리 기능이 탑재됐는데, 대장균 등 유해 세균을 99.9% 제거해 주는 UVnano 기능을 지원, 고객이 케이스에 이어폰을 5분만 넣어두면 UV LED가 유해세균을 99.9% 살균해 청결하게 관리할 수 있음. 또한, 이어젤이 귀에 직접 닿는 소재임을 감안해 국제표준규격(ISO 10993) 피부 접촉 관련 안전성 시험을 통과한 무독성/저자극성 실리콘 소재를 사용, 고객이 오랜 시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함.
 
 ■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기내, 러닝머신 등에서도 무선으로 사용
이번 신제품(TONE-TFP9)에 플러그&와이어리스 (Plug&Wireless) 기능을 탑재함. 이 기능은 고객들이 블루투스 기능이 없는 기기에서도 무선이어폰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줌.
 예를 들어 고객이 블루투스를 지원하지 않는 비행기에서 음악을 듣거나 영화를 볼 때, 충전 크래들을 멀티미디어 단자와 연결하면 무선이어폰으로 송출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음. 또 러닝머신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줄 꼬임 등 불편함 없이 무선으로 사용 가능함.
 사용편의성도 강화됐는데, 이 제품은 한 번 충전으로 최대 10시간 동안 끊김없이 음악 감상이 가능하고, 전작(HBS-TFN7)대비 0.4g 가벼운 5.2g에 불과한 무게에 인체공학 디자인을 적용해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음.
신개념 무선 프라이빗 스크린
LG 스탠바이미(StanbyME) 공개
 ('21.7)
나만의 공간에서 나만을 위한 시간을 보내고 싶어하는 고객층을 겨냥한 신개념 무선 프라이빗 스크린을 선보임.
 LG 스탠바이미(StanbyME, 모델명: 27ART10)는 제품 콘셉트에 맞춰 기존 TV와는 차별화된 무빙스탠드 디자인을 적용함. 제품 하단에 무빙휠이 적용돼 침실, 부엌, 서재 등 원하는 곳으로 옮겨가며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내장 배터리를 탑재해 전원 연결 없이도 최장 3시간 동안 사용 가능함.
 화면 터치, 간편한 조작이 가능한 전용 사용자인터페이스(UI)도 탑재하고, 근거리무선통신(NFC) 기술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 기반 최신 스마트폰과 간편하게 연동하는 셰어링탭 기능도 장점임. 화면 뒤쪽에 스마트폰 거치대를 부착할 수 있어, 이 기능을 이용하면 스마트폰을 고정시키고 라이브방송, 영상통화, 화상회의, 온라인수업 등을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음. 유ㆍ무선 연결로 노트북을 포함한 주변 기기와의 화면 공유도 가능함.
프리미엄 사운드 바
'LG 에클레어(Eclair)' 출시
 ('21.7)
명품 사운드와 차별화된 디자인을 모두 갖춘 프리미엄 사운드 바 LG 에클레어(LG Eclair, 모델명: QP5)를 출시함. LG 에클레어는 기존 정형화된 바(Bar) 타입 사운드 바 디자인을 탈피했는데, 인테리어 친화적인 유려한 곡선 디자인은 물론, 외관에 적용한 고급 패브릭 소재는 어느 공간에 두어도 잘 어우러지고 세련된 느낌을 줌.
 LG 에클레어는 작은 크기에도 최대 320와트(W) 출력을 내는데, 본체를 포함해 중저음을 내는 서브우퍼, 천장 방향으로 소리를 내는 업파이어링(up-firing) 스피커 등으로 구성돼 3.1.2채널 입체 음향을 지원함. 서브우퍼의 중저음 성능은 유지하면서도 진동을 대폭 줄이는 저진동 구조를 LG 에클레어에 처음으로 적용하여, 자체 시험 결과 최대 볼륨에서 서브우퍼의 진동은 기존 동급 출력 제품 대비 절반 수준임.
 이 제품은 영국 명품 오디오업체 메리디안오디오(Meridian Audio)의 음향기술로 완성된 사운드,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 DTS:X 등 입체음향기술, 고품질 음원을 손실 없이 재생하는 eARC(enhanced Audio Return Channel) 등도 지원함.
 2021년형 LG TV와 함께 사용하면 LG TV의 최신 음질 엔진이 제공하는 풍부한 사운드도 즐길 수 있으며, 'TV 사운드 공유' 기능을 이용하면 LG TV의 인공지능 프로세서가 콘텐츠에 최적화한 음질을 LG 에클레어 사운드 바에서도 즐길 수 있음.
 또 사운드 바 본체 외관을 감싸는 패브릭에 페트병을 재활용한 폴리에스터 저지(Polyester Jersey)를 사용하고, 제품 포장에도 비닐이나 스티로폼 대신 폐지, 골판지 등을 재활용해 만든 펄프 몰드를 사용함. 펄프 몰드는 재활용은 물론이고 생분해가 가능한 소재라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됨.
 이를 통해 글로벌 인증기관 SGS(Societe Generale de Surveillance)로부터 유해물질 저감, 높은 자원 재활용률, 친환경 포장재 사용 등의 우수성을 인정받아 친환경 인증을 획득함.
세계 최초 83형 LG 올레드 TV 출시
 ('21.6)
세계 최초로 83형(대각선 길이 약 211센티미터) 올레드 TV를 출시하며 초대형 프리미엄 TV시장에서 올레드 대세화를 이끔. 83형 올레드 TV(모델명: 83C1)를 이달 한국과 미국을 시작으로 글로벌 시장에 본격 출시함.
 이 제품은 4K(3,840×2,160) 해상도 올레드 TV 가운데 가장 크며, 당사는 48/55/65/77/83/88형에 이르는 업계에서 가장 다양한 크기의 올레드 TV 라인업을 갖추고 있음.
 70인치 이상 LG 올레드 TV는 한국 출시 모델 기준 지난해 7개에서 11개로 늘어남. 당사는 초대형 올레드 TV를 앞세워 고화질ㆍ대화면 프리미엄 TV 수요를 적극 공략할 계획임.
LG 올레드 TV, 업계 최초
4Kㆍ120Hz '돌비비전 게이밍' 지원
 ('21.6)
업계 최초로 4K(3,840×2,160) 120Hz 주사율에서도 차세대 게이밍 특화 영상처리기능인 '돌비비전 게이밍(Dolby Vision Gaming)'을 지원함. 당사는 최근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2021년형 올레드 TV 주요 제품(모델명: G1, C1)에서 4Kㆍ120Hz 돌비비전 게이밍 기능 지원을 시작함. 기존에는 돌비비전 게이밍 기능을 4Kㆍ60Hz까지만 지원해 왔음. 4Kㆍ120Hz에서 돌비비전 게이밍을 지원하는 TV는 LG 올레드 TV가 처음임.
2021년형 올레드 TV와 2020년형 올레드 TV에도 연말까지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제공하여 보다 많은 고객이 최대 4Kㆍ120Hz에서도 돌비가 제공하는 차별화된 게이밍 환경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돌비비전 게이밍은 영상ㆍ음향기술 전문 브랜드 돌비(Dolby)가 선보인 게이밍 특화 영상처리기능으로, 과장되지 않으면서도 깊이 있는 색감으로 실감나는 영상을 표현함.
 이로써 LG 올레드 TV는 일반 영상뿐 아니라 게임 환경에서도 돌비의 영상기술인 돌비비전과 입체음향기술인 돌비애트모스를 모두 지원하는 TV가 되어, 게이머들은 생생한 화질과 음질로 게임을 보다 실감나게 즐길 수 있음.
미니 LED 적용 TV
'LG QNED MiniLED' 출시
 (`21.6)
미니 LED를 적용한 프리미엄 LCD TV인 LG QNED MiniLED를 본격 출시함. 당사는 해상도(8K/4K), 크기(86/75/65형) 및 사양 등에 따라 3개 시리즈의QNED MiniLED 모델을 내놓고 초대형 프리미엄 LCD TV 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임. 국내 모델 기준으로는 7종임. LG QNED MiniLED는 미니 LED 광원과 독자 고색재현(WCG: Wide Color Gamut) 기술인 '퀀텀닷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를 적용함.
LCD TV 화면 뒤편에서 빛을 쏴주는 부품인 백라이트에 기존 LCD TV 대비 광원의 크기를 대폭 줄인 미니 LED를 적용하고 광원 수를 대폭 늘림. 86형 8K 해상도 제품(모델명: 86QNED99)의 광원 수는 약 3만 개, 화면분할구동(로컬디밍) 구역 수는 2,500개에 달해 LCD TV의 고질적인 단점으로 지적받아온 명암비를 기존 대비 10배 이상 높임.
 퀀텀닷(Quantum Dot)과 나노셀(Nanocell) 물질을 동시에 활용하는 퀀텀닷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는 정확하면서도 풍부한 색을 표현해줌. 그간 프리미엄 LCD TV 시장에서 고색재현 성능을 인정받아온 퀀텀닷과 나노셀 기술을 동시에 활용하는 것은 LG QNED MiniLED가 처음임.
 LG QNED MiniLED는 글로벌 시험ㆍ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으로부터 원본 영상의 풍부한 색을 왜곡 없이 표현하는지를 측정하는 컬러 볼륨(Color Volume), 정면을 기준으로 좌우 30도 위치에서도 일정한 색을 표현하는 색 일관성(Color Consistency) 등에서 100% 충족함을 인증 받았으며, 친환경 설계, 자원 효율성, 유해물질감소 등 친환경 항목을 평가하는 SGS 친환경 인증도 획득함.
당사는 LG QNED MiniLED의 강점인 '4B(Bright, Black, Brilliant, Big)'를 적극 알릴 계획임. 브라이트(Bright)는 미니 LED가 구현하는 밝고 선명한 화질, 블랙(Black)은 정밀한 빛 제어로 명암을 섬세하게 표현하는 화면, 브릴리언트(Brilliant)는 퀀텀닷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로 만든 정확하고 풍부한 색 표현, 빅(Big)은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초대형 화면을 의미함.
 이로써 당사는 자발광(自發光, Self-Lit) TV인 올레드 TV에 이어 LG QNED MiniLED, LG 나노셀 TV로 이어지는 프리미엄 TV 라인업을 강화함.
LG 올레드 에보(evo)로
프리미엄 시장서 『올레드 대세화』
 ('21.5)
차세대 올레드 TV인 LG 올레드 에보(OLED evo)를 앞세워 프리미엄 TV 시장에서 올레드 대세화.
 최근 홍콩에서 현지 미디어와 거래선 관계자들을 초청해 진행한 신제품 소개 행사에서도 LG 올레드 에보의 진화한 화질과 디자인이 참석자들로부터 가장 높은 관심을 받았는데, 당사는 홍콩섬 소재 대형 갤러리에 다양한 콘셉트의 공간을 마련하고 48형부터 83형에 이르는 4K(3,840×2,160) 모델과 최대 88형에 이르는 8K(7,680×4,320) 모델로 구성된 라인업을 소개함.
 LG 올레드 에보는 효율을 높인 차세대 올레드 패널을 사용해 더 선명하고 밝은 화질을 표현하며, 65형(대각선 길이 약 165센티미터) 기준 20밀리미터(mm)가 채 되지 않는 두께로 벽에 밀착하는 갤러리 디자인이 더해져 성능과 디자인 모두 정점에 올라 있는 제품임.
LG 프라엘 더마 LED 넥케어
 ('21.2)
프리미엄 홈 뷰티기기 'LG 프라엘 더마 LED 넥케어'가 의료 전문기관으로부터 효능과 안전성을 인정받음. 당사는 연세의대 세브란스병원 피부과, 글로벌의학연구센터 연구진과 진행한 '더마 LED 넥케어의 목 부위 사용 후 안전성 검증'을 위한 임상시험을 최근 완료함.
연구진은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 참가자들의 목 부위 피부 변화와 사용이 끝난 후 2개월간의 피부 변화를 관찰했는데, 시험 결과에 따르면 더마 LED 넥케어를 사용하기 전보다 피부결 및 수분은 각각 20% 이상, 피부치밀도는 15% 이상 개선된 것으로 나타남.
또한, 당사는 목 부위에 착용하는 제품인 만큼 안전성 검증에 중점을 뒀는데, 제품 사용 전 4개월간 사용 시와 사용 종료 2개월 후에 실시한 혈액 검사 및 초음파 검사를 비교한 결과, 시험 대상자들이 제품을 사용하는 동안은 물론 사용한 이후에도 갑상선 기능 및 조직, 혈류에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확인함.
'더마 LED 넥케어'는 목 부위 피부 관리를 위한 홈 뷰티기기로, 나쁜 자세나 습관 등으로부터 목 부위 피부를 사전에 관리하거나, 목 부위 탄력이 떨어져 관리를 원하는 고객들을 위한 제품임.
코어 라이트(Core Light) LED 빛의 파장을 이용해 목 부위 피부 탄력과 수분 증가에 도움을 주는 제품으로, 원형 고리 형태여서 목걸이처럼 목에 걸어 사용하면 됨. 적색 LED, 적외선 LED가 각각 다른 깊이의 피부에 골고루 침투해 촉촉하고 탄력 있는 피부를 만들어 줌.
한편, 당사는 현직 교수진과 전문의들로 구성된 프라엘 피부과학 자문단을 운영하며 제품 경쟁력을 갖추고 공신력 있는 외부 기관으로부터 제품의 효능과 안전성에 대한 검증 결과를 확보하고 있음.
당사는 현재 8종의 LG 프라엘 제품군을 운영하고 있는데, 이 중 '더마 LED 마스크'는 美 식품의약국(FD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서 Class II 승인을 받았고, 눈가 전용 뷰티기기인 '아이케어'와 함께 국가기술표준원의 '비의료용 LED 마스크 형태 제품 예비안전기준'을 통과함.
특히 'LG 프라엘 메디헤어'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의료용 레이저 조사기 3등급에 해당하는 의료기기 허가를, 美 식품의약국으로부터 Class II 승인을 각각 받음.
고해상도 비즈니스 프로젝터
'LG 프로빔' 2종 출시
 ('21.2)
고해상도 비즈니스 프로젝터 'LG 프로빔' 신제품 2종을 국내에 출시하며, 상업용 프로젝터 시장을 적극 공략함. 'LG 프로빔'은 당사가 지난해 처음으로 선보인 비즈니스 프로젝터 브랜드로, 당사는 프로젝터 시장에서 가정용은 'LG 시네빔(CineBeam)', 사무용은 'LG 프로빔(ProBeam)' 등으로 이원화 해 운영함.
신제품 2종(모델명: BU60PST/BF60PST)은 전작 대비 더 밝아진 6,000안시루멘의 밝기를 제공함. 밝고 선명한 대화면은 물론, 무선 연결, 화면 자동 맞춤 등 다양한 편의 기능까지 탑재함. 프로젝터는 빛을 투사해 화면을 보여주기 때문에 대화면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해상도와 밝기가 중요한데, LG 프로빔(BU60PST)은 최대 300형(대각선 길이: 762cm) 크기 화면에 4K UHD(3,840 x 2,160) 해상도를 갖춤. 비즈니스 프로젝터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WUXGA(1,920 x 1,200) 해상도 대비 약 4배 가량 더 선명하고 또렷한 화질을 보여줌.
이 제품의 최대 밝기는 촛불 6,000개를 동시에 켰을 때 밝기와 유사한 6,000안시루멘(ANSI lumen) 수준으로 낮에 회의하는 상황에서도 선명하게 화면을 보여줌. 일반 램프 광원보다 약 5배 긴 20,000 시간 정도를 사용할 수 있는 레이저 광원을 탑재함.
또 최대 명암비가 3,000,000:1에 달해 시인성도 뛰어나서, 밝은 부분을 더 밝게, 어두운 부분을 더 어둡게 표현하는 HDR10 기능도 갖춰 자연스럽고 생동감 넘치는 화질을 보여줌.
신제품은 웹 브라우저를 탑재해 유/무선 네트워크만 연결하면 PC 등을 연결하지 않고도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음. 오피스뷰어, 영상뷰어 등 소프트웨어를 내장해 PC를 연결하지 않고도 USB에 저장된 파워포인트, 엑셀 등 문서나 영상을 편리하게 볼 수 있음.
LG 프로빔의 스크린 쉐어와 화면 미러링 기능을 이용하면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탑재한 IT 기기의
화면을 실시간으로 공유할 수 있어서, 사용자는 LG 프로빔과 무선으로 연결한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화면을 대화면에 띄워 회의를 진행할 수 있음.
신제품은 크기와 형태가 제각각인 회의실 공간을 고려해 다양한 화면 맞춤 기능을 탑재함. 특히 BU60PST는 화면 테두리의 최대 12개 지점에서 화면을 늘리고 줄일 수 있어 더 정확하고 반듯한 화면을
보여줌. 대부분의 프로젝터는 화면 모서리 4곳에서만 화면 모양을 조절할 수 있어 설치 위치에 따라 화면을 정교하게 조절하기가 어려웠음.
2021년형 TV 라인업 전격 공개
 ('21.1)
더욱 강력해진 2021년형 TV 라인업을 공개함.
 
■ 차세대 올레드를 필두로 QNED, 나노셀까지…프리미엄 TV 풀 라인업 구축
차세대 패널로 보다 완벽해진 자발광(自發光, Self-Lit) 올레드를 필두로 독자 고색 재현 기술 '퀀텀닷 나노셀 컬러 테크놀로지'와 미니LED를 적용한 LG QNED MiniLED, LG 나노셀 TV 등 프리미엄 LCD TV 라인업에 이르는 삼각 편대를 앞세워 글로벌 프리미엄 TV 시장 공략을 강화함.
LG QNED TV는 86형(화면 대각선 길이 약 218센티미터) 8K(7,680×4,320) 해상도 제품을 기준으로 백라이트에 약 3만 개의 미니LED를 탑재함. 로컬디밍 구역은 2,500개에 달함. 이 제품은 밝기와 명암비를 대폭 업그레이드했으며, 업계에서 사용중인 대표적인 고색재현 기술을 모두 사용해 LCD TV 중에서는 색 재현율을 최고 수준으로 끌어올림.
 
■ 완전히 새로워진 OLED 소자, 더 완벽해진 OLED 화질
OLED 소자 성능을 한층 업그레이드해 완성된 차세대 올레드 패널을 탑재한 '올레드 에보(OLED evo, 모델명: G1)'를 최초 공개함. 올레드 에보는 보다 정교한 파장의 빛을 내 기존 대비 선명한 화질을 표현하고 밝은 화면을 보여줌. LG 올레드 TV는 화소 하나하나가 스스로 빛을 내는 자발광 TV만이 구현 가능한 압도적 화질을 기반으로 지난 2013년 첫 출시 이후 2015년 4K(3,840×2,160) HDR(High Dynamic Range) OLED, 2019년 세계 최초 8K(7,680×4,320) OLED, 2021년 OLEDevo 등으로 지속 진화하고 있음.
LG 올레드 TV 전 모델은 글로벌 시험 인증기관 인터텍(Intertek)으로부터 원작과 TV 화면간 색의 명도,채도, 색도 등을 평가하는 색 충실도(Color Fidelity) 100%를 충족하는 OLED 패널을 사용함.
 
■ 4세대까지 진화한 인공지능 알파9(α9 Gen4) 프로세서
인공지능 화질/음질 엔진 알파9 프로세서는 4세대로 진화해 더 강력해짐. 알파9 4세대 프로세서는 1백만 개 이상의 영상 데이터와 1천 7백만 개 이상의 음향 데이터를 분석한 딥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이전 프로세서에 비해 그래픽과 데이터 처리능력이 대폭 업그레이드됨. 8K 올레드 TV(모델명: Z1)는 8K 전용 알파9 프로세서를 탑재함.
인공지능 화질 Pro 기술은 화질을 높이는 업스케일링(Upscaling)은 물론이고 얼굴, 사물, 글씨 등을 인식해 또렷하게 보여줌. 영상을 매 장면별로 분석, 최적화하던 다이나믹 톤 맵핑(Dynamic Tone mapping)은 매 장면을 보다 세분화해 분석하는 식으로 진화함. 또 영화, 스포츠, 애니메이션 등 영상의 장르는 물론, 시청중인 화면 속 배경까지도 스스로 구분해 영상에 최적화된 화질을 제공함. 인공지능 사운드 Pro 기술은 2채널 음원을 가상의 5.1.2채널 입체음향으로 들려주고, 서로 다른 채널이나 어플리케이션간 볼륨을 맞춰주는 기능도 추가됨. 예를 들어 시청자가 지상파 방송을 보다가 유튜브나 OTT 영상을 시청할 때 시청하는 콘텐츠마다 제공하는 볼륨 수준이 달라 사용자가 일일이 조절해야 하는 경우가 있는데, TV 스스로 볼륨을 일정하게 유지해 줌.
 
■ '보는 TV'에서 '고객 주도형 콘텐츠 소비 TV'로
신제품에 TV가 전통적인 시청각 기기에서 고객이 다양한 콘텐츠를 주도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기기로 변화하는 트렌드를 대거 반영함. 최신 SW 플랫폼 webOS 6.0을 기반으로 LG TV 홈 화면을 완전히 새롭게 업그레이드하여, 고객 취향에 맞춘 콘텐츠 추천 기능을 강화했으며, TV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나 날씨 등 생활정보도 보여줌.
선호 팀의 경기 일정, 결과, 상세 내용 등을 간편하게 알려주는 '스포츠 알림(Sport Alert)', 시청중인 영상에 등장하는 배우, 장소, 물건 등을 즉시 검색해 쇼핑까지 연결해주는 'WWW(Who. Where. What, 일부 국가에 한함)' 서비스 등 고객 맞춤형 서비스도 지속 강화함.
TV를 인터넷에 연결하면 별도 셋톱박스 없이 다양한 콘텐츠를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LG 채널도 고객 맞춤형으로 지속 강화해서, 지난 2015년부터 LG 채널 서비스를 시작해 지금은 글로벌 주요 국가에 총 1,600여 개에 이르는 채널을 서비스하고 있음.
고객은 인체공학적 디자인으로 새로워진 인공지능 리모컨을 통해 LG 씽큐(ThinQ), 구글 어시스턴트, 아마존 알렉사 등 음성인식 AI 기능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음. NFC로 스마트폰-TV 상호간 화면공유도 손쉽게 할 수 있음.
 
■ 실내 유해물질 배출 저감은 물론이고 시청자의 눈 건강까지 고려
고객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는 추세에 맞춰 친환경, 눈 건강 등의 요소도 지속 강화하고 있음. 2021년형 LG 올레드 TV는 스위스 인증기관 SGS(Societe Generale de Surveillance)로부터, 새집증후군 유발물질로 알려진 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량이 LCD 대비 절반 이하, 카드뮴, 인화인듐 등 국제암연구기관이 분류한 발암물질 포함 부품 미 사용, 뛰어난 자원 효율성 등 친환경 요소를 인증받은 패널을 탑재함.
뛰어난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눈이 편안한 디스플레이도 올레드의 장점으로, LG 올레드 TV의 블루라이트 방출량은 동일 인치대 프리미엄 LCD TV에 비해 절반 수준에 불과함.
실제 LG 올레드 TV는 獨 TUV라인란드(Rheinland) 와 美 UL(Underwriters Laboratories)로부터 '낮은 블루라이트', '플리커 프리' 인증을 획득한 데 이어 블루라이트 방출량을 업계 최저 수준으로 낮춰 美 눈 건강 인증기관인 아이세이프(Eyesafe)로부터 '눈에 안전한 TV' 인증도 획득한 패널을 탑재함.
특히 당사는 TV와 세트로 사용하는 사운드 바 제품에도 친환경 요소를 대폭 강화하고 있어서, 올해 LG 사운드 바 주요 신제품은 수거된 PET병을 재활용한 폴리에스터져지(Polyester Jersey)나 재활용 플라스틱을 대거 사용하며, 포장재에도 스티로폼(EPS) 대신 친환경 소재만을 사용함.
BS 더 강력해진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노트북 공개
 ('21.12)
고사양 게임을 쾌적하게 즐길 수 있는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특화 노트북을 선보임. LG 울트라기어(UltraGear™) 게이밍 노트북(모델명: 17G90Q)은 고성능은 물론이고 디자인과 사용 편의성을 두루 갖췄으며, 미국 소비자기술협회(CTA)로부터 내달 열리는 CES 2022의 혁신상(Innovation Award)을 받은 제품임.
 
이 제품은 인텔의 최신 11세대 프로세서(타이거레이크H, Tiger Lake H)와 엔비디아(NVIDIA)의 고성능 노트북용 그래픽카드(RTX3080 Max-Q)를 모두 탑재해 고사양 게임을 구동할 때에도 빠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 메모리와 저장장치(SSD)는 각각 듀얼 채널을 지원해 사양 확장성도 뛰어남.
 
17.3형(대각선 길이 약 43센티미터) IPS 디스플레이는 게임의 몰입감을 높여주고, 초당 화면 프레임 수를 의미하는 주사율은 최대 300헤르츠(Hz)에 달하고, 300Hz 모드에서 1밀리세컨드(ms, 1천분의 1초) 응답속도를 구현해 빠르게 전환되는 화면도 매끄럽고 선명하게 표현함.
 
93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하면서도 총 2.7킬로그램(kg)이 채 되지 않는 무게로 휴대성이 뛰어남. 가장 두꺼운 부분의 두께가 21.4밀리미터(mm)에 불과한 슬림 디자인도 강점. 고사양 게임을 장시간 구동할 때에도 안정적으로 구동할 수 있도록 베이퍼챔버 쿨링 시스템을 적용했음.
 
입체음향 DTS:X Ultra 사운드를 적용한 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하였고, 숫자키를 포함하는 풀사이즈 키보드에는 백라이트를 적용해 게임과 연동한 조명효과를 내거나 사용자 취향에 맞춰 색상을 설정할 수도 있음. 사용자는 LG전자 독자 게이밍 소프트웨어 LG 울트라기어 스튜디오를 활용하면 게임에 맞춰 CPU, GPU 등 하드웨어의 성능을 간편하게 설정할 수 있음.
고화질과 편의성 모두 잡은
LG 프리미엄 모니터 신제품 공개
 ('21.12)
프리미엄 모니터 신제품을 공개함. 고화질 콘텐츠 작업에 최적화된 LG 울트라파인(UltraFine™) 나노IPS 블랙(모델명: 32UQ85R)과 넓은 화면에서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는 LG 듀얼업(DualUp) 모니터(모델명: 28MQ780) 등 2종임.
 
당사는 LG 울트라파인 모니터에 나노IPS 블랙 디스플레이를 처음으로 탑재함. 실제에 가까운 순색(純色, Pure Color)을 표현하는 기존 나노IPS 디스플레이의 명암비를 2000:1로 높여 더욱 선명하고 깊이 있는 색감을 표현함.
이 제품은 32형(대각선 길이 약 81cm) 4K UHD(3840 x 2160) 모니터로,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8% 충족해 풍부하고 정확한 색을 제공함. 시야각도 넓어 좌우 측면에서도 색상 왜곡 없이 선명한 화면을 감상할 수 있으며, 탈착이 가능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센서를 이용하면 영상, 사진 작업에 필요한 색상 보정 작업을 간편하게 예약 설정할 수 있음.
 
당사는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하는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된 LG 듀얼업 모니터도 새롭게 선보임. 이 제품은 27.6형(대각선 길이 약 70cm) 나노IPS 디스플레이에 세로로 긴 16:18 화면비를 적용했고, 21.5형(대각선 길이 약 55cm) 모니터 두 개를 상하 이어 붙인 크기로 한 화면에서 더 많은 정보를 볼 수 있음. 한 화면에 여러 개의 작업창을 띄워 작업하기도 편리함.
 
또한, 하나의 키보드와 마우스로 두 대의 PC를 번갈아 가며 조작할 수 있는 KVM(Keyboard Video Mouse) 스위치 기능과 두 대의 PC 화면을 동시에 한 모니터 화면에서 보여주는 PBP(Picture by Picture) 기능을 지원함. 예를 들어 노트북과 데스크톱에서 동시에 각각 다른 작업을 하고 싶은 고객은 간단한 연결만으로 한 화면에서 두 기기의 작업창을 오가며 이용할 수 있음.
 
인체공학 디자인도 장점임. 제품에 적용된 LG 360 스탠드는 고객의 사용 환경에 따라 화면을 가로 90도 방향으로 회전하거나(Pivot) 상하 높이 조절, 좌ㆍ우 방향으로 각각 최대 335도까지 돌리는(Swivel) 등 화면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고, 탈부착이 가능한 집게 형태의 클램프를 적용해 책상의 가장자리에 스탠드를 고정할 수 있어 일반 모니터 대비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
올인원(All-in-one) 스크린 솔루션
LG 원퀵(LG One:Quick)공개
 ('21.10)
뉴노멀 시대 고객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올인원(All-in-one)솔루션을 제공하는 다목적 스크린을 새롭게 선보임. LG 원퀵(One:Quick)은 사람들이 일하고, 배우고, 소통하는 방식이 이전과는 다르게 비대면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흐름에 맞춰 고객이 회사 혹은 집 안에서 필요로 하는 다양한 솔루션을 집약한 제품임.
4K(3,840×2,160) UHD 해상도 스크린에 카메라, 마이크, 스피커, 전자칠판 등을 탑재했다.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webOS 기반으로 구동하고, 마이크로소프트(MS)의 임베디드 전용 운영체제 윈도우10 IoT(Windows10 IoT)를 내장해 윈도우 기반 PC에 익숙한 고객은 누구나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LCD 셀(Cell)에 터치센서를 내장하는 인셀(In-cell) 터치 기술을 적용함. 인셀 터치 방식 터치스크린은 사용자가 화면을 터치하는 곳과 센서가 반응하는 부분이 일치해 터치감과 반응속도가 뛰어남.
기본 탑재한 자체 화상 솔루션 원퀵 리모트 미팅(One:Quick Remote Meeting)뿐 아니라 줌(Zoom), 웹엑스(webEX), 팀즈(Teams), 스카이프(Skype), 구글미트(Meet) 등 시중에 출시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다운받아 사용할 수도 있음.
LG 원퀵은 55형 크기 화면으로 비즈니스 현장의 효율을 높여주는 원퀵 프로(One:Quick Pro, 모델명: 55CT5WJ)모델과 스타트업, 공유오피스 등 중소형 사무실이나 개인 집무실, 서재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43형 크기 일반형 모델 원퀵(One:Quick, 모델명: 43HT3WJ, 해외명) 등 화면 크기와 제품 사양에 따라 두 가지 라인업으로 구성됨.
기존에는 화상장비 업체나 화상 솔루션을 선보인 IT 업체들이 기업간거래(B2B) 시장에서 이러한 형태의 협업용 인터렉티브 스크린을 출시해 왔으나 당사는 비즈니스 현장뿐 아니라 재택근무, 온라인수업 등 고객 일상에서의 작업 효율까지 높여주는 원퀵 솔루션을 앞세워 비대면 협업 수요를 적극 공략한다는 계획임.
태국 공장에 태양광 발전소 도입
 ('21.10)
생산공장에 태양광 발전소를 도입하며 재생에너지 전환 가속. 태국 라용(Rayong)에 위치한 생활가전 생산공장에 태양광 발전소를 구축하고 가동을 시작했음. 이 공장은 1997년에 설립되어 세탁기, 에어컨 등을 생산함.
 
이 발전소는 발전용량 기준 4.2메가와트(MW)급 규모로, 공장의 연간 전력량 가운데 약 20%를 대체하며, 탄소배출량을 감축해 약 22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가 나타남. 공간 효율성 등을 고려해 9,400여 장의 태양광 패널을 건물 옥상에 설치하였으며, 패널 면적만 약 6,300평으로 축구장 3개에 달하는 크기임.

당사는 203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현하기로 한 데 이어 2050년까지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의 일환으로 세탁기, 냉장고 등을 생산하는 인도 노이다 생산공장은 3.2메가와트급 태양광 발전설비를 2020년 도입하였음. 인도 생산법인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는 태양광 설비를 통해 일부 자체 생산하며 재생에너지 사용을 지속 늘릴 계획임.
 북미 법인 또한 생산, 물류, 오피스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100%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예정임.
웨일북 출시,
최적의 비대면 교육 솔루션 제공
 ('21.9)
네이버 교육 플랫폼 웨일 스페이스를 탑재한 웨일북(whalebook)을 출시하며, 최적의 비대면 교육 솔루션을 제공함. 당사와 네이버는 올해 초 '스마트 교육 사업 협력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웨일북을 공동 개발했음. Covid-19로 인해 증가한 언택트 교육 시대를 맞아 양사가 갖추고 있는 교육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그리고 유통 시장에서의 역량을 통해 스마트 교육을 확산해 나간다는 취지임.
 
 웨일북은 'Whale OS'로 구동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노트북으로, 빠른 부팅 속도와 네이버나 웨일 스페이스 계정을 통해 편리한 사용자 환경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임.
 
 하나의 계정으로 네이버 밴드, 네이버웍스, 웨일온 등 다양한 네이버의 서비스를 통합, 이용할 수 있음. 또 비대면 수업 시 불필요한 사이트 접근을 차단하는 등 원격관리를 통해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도움.
 
 신제품은 일반 태블릿 PC보다 큰 14형의 화면 크기를 갖춰 학습 몰입도를 높임. 또 무게도 책 한 권 정도인 1.45kg로 한 손으로 들기에도 부담이 없음.웨일북은 HD 화질의 웹캠(webcam)과 내장 마이크를 탑재, 최적의 비대면 교육 솔루션을 제공함. 또 별도로 네이버의 화상회의/교육 서비스인 웨일온 단축키를 탑재, 빠르게 학습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
 
 신제품은 현재 비대면 교육에서 많이 활용되는 태블릿 PC와 비교해도 키보드와 마우스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태블릿 PC는 별도의 키패드 입력창이 학습 화면을 가려 사용에 불편함. 반면 웨일북은 화면 전체를 교육 콘텐츠로 활용할 수 있음.
안내로봇 신제품 출시
 ('21.9)
안내로봇 'LG 클로이 가이드봇(LG CLOi GuideBot)' 신제품을 출시함. WTC Seoul(더블유티씨서울)은 코엑스몰에 신제품 2대를 배치하고 3개월간 시범 서비스를 실시함. 이 제품은 유동인구가 많고, 길이 복잡한 코엑스몰에서 비대면 방식으로 시설 안내 및 길 찾기 서비스와 이동형 양면 사이니지를 활용한 위치기반, 시간대별 광고 업무를 수행함. WTC Seoul은 무역센터의 자산/시설관리 전문회사임.
 
 1) 더욱 편리한 안내기능
 'LG 클로이 가이드봇'은 건물 내 주요 시설물 안내는 물론, 고객과 목적지까지 함께 가는 '목적지 동반 서비스'도 해주며, 시설 관련 정보를 방문객에게 문자로 보내주기도 함.
 도슨트 기능도 강점으로, 코로나 19로 인해 방문객들이 비대면 서비스를 선호하는 상황에서 도서관, 박물관, 전시관 등을 방문한 관람객에게 콘텐츠를 소개하며 투어를 진행할 수 있음.
 
 2) 고객을 찾아다니는 맞춤형 광고판
 이 로봇은 전면과 후면에 각각 27형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어, 고객은 당사가 제공하는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Content Management System)을 활용해 이 화면에 나오는 광고를 손쉽게 업데이트 할 수 있음. 특정 위치와 시간대에 따라 맞춤형 타깃 광고가 가능한 셈임.
 예를 들어 오전에는 "즐거운 아침입니다. 아침에 여는 브런치 식당 소개해드려요"라는 문구로 자연스럽게 식당을 안내하고, 영화관 근처에서는 새로 나온 영화를 소개하는 등 고객들의 관심을 유발, 광고/홍보 효과를 극대화함.
 
 3) 든든한 보안 기능
 이 로봇은 심야 시간에도 건물 내부를 돌아다니며 촬영하는 등 보안업무를 수행함.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본체에 저장하고, 원격으로도 모니터링을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임. 또 고객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보안 솔루션과도 연동할 수 있음.
 
 4) 지속적인 유지관리 서비스
 당사는 고객에게 통합 관제 시스템과 지속적인 유지관리 서비스를 제공함. 당사의 로봇 통합 관제 시스템(LG CLOi Cloud Station)은 실시간 로봇 모니터링 및 원격 제어 외에도 각종 정보, 콘텐츠, 스케줄, 통계관리 등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전반적인 솔루션을 제공하고,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패키지를 제공, 고객은 지속해서 새로운 사용자 경험을 받을 수 있음.
'LG 울트라기어' 모니터 신제품 출시
 ('21.8)
게이밍 모니터 'LG 울트라기어' 34형 신제품(모델명: 34GP950G)을 출시함. '엔비디아'社가 인증하는 디스플레이 기술 중 최상위 버전인 지싱크 얼티밋(G-SYNC® ULTIMTE)을 지원하며, 이를 위해 엔비디아 지싱크 칩셋을 탑재하고, HDR(High Dynamic Range) 600을 지원하며 300개 이상의 공식테스트를 통과함.
 신제품은 1ms 응답속도, 최대 180Hz 주사율 등을 구현했고,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단위 미세 입자를 백라이트에 적용한 '나노 IPS 디스플레이'와 WQHD(3,440 x 1,440) 해상도를 통해 풍부한 색을 표현함. 또한 모니터 후면에는 원형 LED 조명인 위닝포스라이팅 2세대를 탑재, 게임 소리와 화면에 맞춰 빛을 발산, 콘텐츠의 역동성과 몰입감을 올려줌.
 이 같은 프리미엄급 고사양은 빠르고 매끄러운 화면전환, 자연스러운 색 표현 등을 통해 완벽에 가까운 몰입을 할 수 있는 게이밍 환경을 구현함.
 아울러 신제품은 직관적인 조작이 가능하고 세련된 스타일리시함을 느낄 수 있도록 화면메뉴를 디자인하였으며, 게이머들에게 특화된 다크맵 모드(명암을 조절해 어두운 곳에서 적을 쉽게 찾을 수 있는 기능), 액션 모드(입력신호 지연을 최소화해 즉각 반응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조준점 모드(화면 중앙에 조준점을 표시해 사격 정확도를 높여주는 기능) 등도 탑재함.
병원용 원격진료 솔루션 출시
 ('21.8)
빠르게 늘어나는 비대면 의료 수요에 맞춰 병원에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원격진료 솔루션을 선보임. 최근 병원용 디스플레이와 함께 사용하는 원격진료 솔루션을 출시했는데, 원격진료 솔루션은 다자간 화상회의 플랫폼을 기반으로 입원 및 외래 환자를 위한 원격진료뿐 아니라 대규모 학회 등에도 활용할 수 있음.
 솔루션은 병력, 입ㆍ퇴원 기록 등 환자 정보를 기록한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이나 병원정보시스템(HIS: Hospital Information System)과 같이 개별 병원이 자체 구축하고 있는 병원 시스템과도 손쉽게 연동되며,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여서 장소 제약 없이 외부에서도 접속할 수 있음.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전문기업 이지케어텍㈜과의 기술 협업으로 원격진료 솔루션을 개발함. 이지케어텍은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국가방위부병원(MNGHA: Ministry of National Guard Health Affairs) 산하 70여 개 클리닉에 이 솔루션을 공급하는 수출 계약을 체결하기도 함. 국내에서는 분당서울대학교병원이 중환자실 모니터링 및 비대면 협진에 이 솔루션을 활용함.
비대면 의료 수요 증가 및 시장 확대에 맞춰 상업용 TV 등 기존에 확보해 온 디스플레이 역량에 차별화된 소프트웨어까지 더한 통합 솔루션 공급 역량을 앞세워 병원 TV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65, 55, 49, 43, 32, 24형 등 병원 내 필요한 공간에 맞춰 설치할 수 있는 다양한 크기의 병원 TV 라인업을 운영하고 있음.
 병원 TV는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webOS를 기반으로 병원 소개, 시설 안내, 원격 도움요청 등 병원과 병원을 방문하는 환자들에게 필요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 병원 운영자는 해당 병원만의 맞춤형 홈 화면을 만들 수도 있어 자체 시스템을 갖추지 않은 중소형 병원에서도 활용할 수 있음.
 또 동일한 네트워크에 연결된 모든 TV를 한 번에 제어할 수 있어 유지ㆍ관리도 편리함. 예를 들어 운영자가 화면 내용을 변경하는 경우 TV 한 대의 설정만 변경해도 병원 내 전체 TV의 화면을 바꿀 수 있음. 진료 대기실, 병실 등으로 공간을 구분해 특정 공간에 설치된 TV만 제어할 수도 있음.
국제로봇학회서 실내외 통합배송로봇 첫 공개
 ('21.7)
실내와 실외를 이동할 수 있는 로봇을 처음 선보이며 빠르게 확대되고 있는 배송로봇시장에 적극 대응하고 있음. 12일부터 3일간 강원도 강릉에서 열리는 국제로봇학회 '제18회 유비쿼터스 로봇 2021(18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Ubiquitous Robots)'에 참가해 실내외 통합배송로봇을 처음 소개함.
 이 로봇은 실내 혹은 실외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함. 4개의 바퀴를 갖춘 로봇은 바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며 지형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최적화된 주행모드로 이동하는 것이 특징임. 주행하는 동안 낮은 턱을 만나거나 지면이 다소 불규칙해도 진동을 줄이며 이동할 수 있음.
 앞서 당사는 실내 배송로봇을 상용화하고 실외 배송로봇은 시범서비스를 선보이며 배송로봇의 성장 가능성을 확인함. 로봇서비스를 운영하며 실내와 실외 어디서든 사용할 수 있는 로봇주행플랫폼의 필요성을 확인해 통합배송로봇을 본격 개발함.
 당사의 실내외 통합배송로봇은 철저한 검증을 거쳐 올해 말 시범 운영할 계획임. 이 로봇이 상용화되면 물건을 배송하기 위해 수행됐던 각종 작업들이 단순해지면서 차원이 다른 물류 혁신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됨.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더욱 빠르게 성장하는 배송로봇시장을 선도하는 동시에 로봇기술 리더십을 널리 알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함.
인공지능(AI) 탑재한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 출시
 ('21.6)
인공지능(AI) 진단 보조 기능을 탑재한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DXD: Digital X-ray Detector)'를 출시함. 신제품은 '영상획득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인 '엑스레이 검출기'로 구성되어, 고객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를 각각 구매할 수도 있고, 패키지 구매도 가능함.
 영상획득 소프트웨어에는 의료용 인공지능 솔루션 기업 뷰노社(VUNO)의 인공지능 진단 보조 솔루션이 적용됨. 이 솔루션은 흉부 X-ray 영상에서 이상 소견을 높은 정확도로 탐지하고, 병변으로 의심되는 부위를 색깔이나 외곽선 등으로 표시해줌.
 이는 의료진이 결핵, 폐렴, 폐암과 같은 주요 폐질환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포착할 수 있도록 함. 판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병변을 발견할 수 있는 확률도 높임.
당사가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에 인공지능 기능을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디지털 엑스레이 검출기'는 기존 아날로그 엑스레이와 달리 필름이 필요 없음. 촬영 즉시 획득된 영상이 PC로 전송되는데, 신제품은 원본 영상과 함께 인공지능 솔루션이 분석한 영상을 전송, 의료진이 비교해 진단할 수 있도록 함.
 방사선 걱정도 줄었음. 기존 제품 대비 X-ray 민감도가 높은 산화물 박막트랜지스터(Oxide TFT) 패널을 사용하고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개선을 통해 표준 방사선량의 절반 수준으로도 최적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
게이밍 모니터 라인업 19종으로 확대
 ('21.5)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모델명: 32GP850)을 국내 시장에 출시함. 코로나 19로 폭발적으로 증가한 비대면 수요를 적극적으로 공략해 게이밍 모니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전략으로,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국내 게이밍 모니터 시장은 2018년 약 13만대에서 지난해 36만대로 3배 가까이 늘었음. 이번 신제품 출시로 당사는 현재 국내 게이밍 모니터 시장에서 38형, 34형, 32형, 27형, 24형 등 화면 크기와 비율별로 총 19개의 LG 울트라기어 제품을 판매함. 고객은 선호하는 게임 종류에 따라 알맞게 선택할 수 있음.
신제품은 32형 QHD(2560 x 1440) 대화면의 '나노 IPS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었고, 1ms GtG(Gray to Gray) 응답속도를 구현, 빠른 화면 전환으로 생길 수 있는 잔상도 최소화함. 또한, 오버클럭 시, 초당 최대 180장의 화면을 보여주는 180Hz(헤르츠) 고주사율을 더해 게임을 즐기는 고객은 최적의 몰입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함.
이 제품은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8% 충족함.
고효율 태양광 모듈 '네온 H' 출시
 (`21.4)
고효율 태양광 모듈 신제품 '네온 H(NeON H)'를 출시하며 글로벌 태양광 시장을 공략함. 당사는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가 글로벌 기업의 생존 화두로 떠오른 상황에서 고효율 태양광 모듈 신제품 출시로 친환경 경영을 위한 파트너社로 자리매김 한다는 계획임.
'네온 H'는 N타입 셀을 적용함. N타입 셀은 P타입에 비해 공정 난이도가 높으나, 효율이 높아 프리미엄 태양광 모듈에 주로 사용됨. 또 셀 구조가 전면뿐 아니라 후면에서도 빛을 받아들이는 '양면발전' 구조로 발전량이 증가함. 기온 증가에 따른 발전효율 변화도 -0.33%/℃로 P타입 대비 상대적으로 낮아 안정적인 사용이 가능함.
'네온 H'는 한 장의 셀을 2개로 분할해 서로 연결하는 '하프컷(Half-cut) 기술'을 적용해 고효율을 구현한 제품임. 하프컷은 셀을 나눠 사용하기 때문에 각 셀에서 발생하는 저항이 낮아져 전력 손실이 최소화됨.
신제품은 21.2%의 모듈 효율을 달성함. 모듈 효율은 단위면적당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이 값이 높을 수록 동일한 태양광 설치면적에서 생산하는 전력량이 늘어남. 또 신제품의 출력은 업체 최고 수준인 390W(120셀 기준)임.
 내구성도 뛰어난데, 당사는 이 '네온 H'제품에 대해 25년이 되어도 초기 출력의 90.6%까지 발전성능을 유지한다는 것을 무상 보증함.
대화면 고성능 노트북
'LG 울트라기어 17' 출시
 ('21.4)
대화면의 고성능 노트북 'LG 울트라기어 17'(모델명: 17U70P)을 출시함.
 이 제품은 WQXGA(2560 x 1600) 고해상도의 17형 대화면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생생하고 선명한 화질을 제공하고, 인텔 11세대 프로세서 타이거레이크(Tiger Lake)와 엔비디아 외장 그래픽카드(GEFORCE GTX 1650Ti)를 탑재해 영상작업이나 게임을 구동할 때 빠르고 쾌적한 환경을 제공함.
 LG 울트라기어 17은 고성능 노트북임에도 무게가 약 1.95kg에 불과해 휴대성도 탁월하며, 80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함.
'LG 울트라기어' 모니터 신제품 출시
 ('21.4)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 신제품(모델명: 27GP950)을 국내 시장에 출시함.
당사는 신제품에 고사양 게임 환경에 최적인 성능을 대거 탑재함. 특히 4K 해상도에 120Hz까지 지원하는 HDMI 2.1 단자를 적용해 PC는 물론 'Xbox 시리즈X', '플레이스테이션 5' 등 최신 콘솔 게임기에서도 4K 해상도의 고주사율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함.
 이 제품은 4K IPS 패널에 1ms(미리세컨드, 1,000분의 1초) 응답속도를 구현함. 디스플레이 단자로 연결해 초당 최대 160장의 화면을 보여주는 160Hz(헤르츠) 고주사율을 더해 이 제품으로 게임을 즐기는 고객이 최적의 몰입감을 느낄 수 있음.  또한, 이 제품은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단위 미세 입자를 백라이트에 적용한 '나노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정확하고 풍부한 색을 표현하고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8% 충족함.
'LG 그램 360' 출시
 ('21.2)
'LG 그램(gram)'의 신규 라인업 'LG 그램 360'을 새롭게 출시하며 투인원 노트북 시장을 적극 공략함. 'LG 그램 360'은 그램의 초경량ㆍ대화면의 정체성을 계승하고, 화면 360°회전의 자유로움을 더한 제품임. 고객은 상황에 따라 노트북, 태블릿 모드 등으로 바꿔 사용할 수 있음.
신제품은 16형과 14형 2종으로 출시되는데, 현재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 노트북의 화면 크기가 15.6형(39.6cm), 13.3형(33.7cm)임을 감안, 고객이 좀 더 큰 화면을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컴팩트한 사이즈를 유지하면서도 화면 크기는 늘림.
'LG 그램 360'은 생산성과 휴대성을 모두 만족시킴. 예를 들어 고객은 문서 작업이나 영상 편집 등
키보드를 사용할 때에는 노트북 모드로 사용하고, 영상 콘텐츠를 즐기거나 펜을 활용할 때는 태블릿 모드로 사용할 수 있어 생산성이 극대화됨.
'LG그램 360 16'은 대화면 투인원 노트북임에도 1,480g의 무게에, 80와트시(Wh) 대용량 배터리를
탑재해 휴대성이 탁월함. 신제품은 디자인 완성도도 높음. 직각으로 마감된 모서리에서는 단아한
세련미가 배어 나오며, 알루미늄(상판 커버)과 마그네슘(바디) 소재를 적절하게 사용해 가벼움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잡음.
'LG그램 360 16'은 16:10 화면비의 WQXGA(2560×1600) 고해상도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FHD(1920×1080) 해상도 디스플레이보다 화질이 더욱 선명하고 깨끗하고, 또한 디지털 영화협회(DCI)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9% 충족해 색 표현도 풍부하고 자연스러움.
'LG 그램 360'은 인텔 11세대 프로세서 타이거레이크(Tiger Lake)를 탑재해 기존 제품 대비 데이터
처리 속도가 약 20% 빠름. 인텔의 내장 그래픽 프로세서 아이리스 엑스이(Iris Xe)도 장착해, 고화질
영상 작업 및 게임 구동 시 빠른 속도로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고, 인텔이 제시하는 차세대 노트북의
새로운 규격인 '인텔 EVO 플랫폼' 인증도 획득함.
기본 제공 저장공간보다 더 많은 용량을 원하는 고객을 위해 듀얼 슬롯을 적용해서, 고객은 필요에 따라 추가 SSD를 장착해 최대 2TB(테라바이트)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LG 그램 360'은 '미국 국방부 신뢰성 테스트(MIL-STD; Military Standard)'의 7개 항목(충격, 먼지, 고온, 저온, 진동, 염무, 저압)을 통과해 내구성도 인정받음.
모니터 3총사 CES 2021서 공개
 ('21.1)
'CES 2021'에서 프리미엄 모니터 신제품을 공개하며 시장 공략을 가속화 함. 이번 신제품은 고성능 게이밍 모니터 'LG 울트라기어(LG UltraGear, 모델명: 27GP950, 32GP850, 34GP950G)', 멀티태스킹에 최적화된 'LG 울트라와이드(LG UltraWide, 모델명: 40WP95C)', 영상 제작 전문가용모니터 'LG 울트라파인 올레드 프로(LG UltraFine OLED Pro, 모델명: 32EP950)'임.
1) LG 울트라기어 게이밍 모니터는 고주사율을 바탕으로 빠르게 움직이는 게임에 최적화된 것이 가장큰 특징으로, 32형 제품에는 초당 165장 화면을 보여주는 165헤르츠(Hz), 27형ㆍ34형 제품에는 초당 144장 화면을 보여주는 144헤르츠를 지원, 최적의 게이밍 환경을 제공함. 또 디지털 영화협회(DCI: Digital Cinema Initiatives)의 표준 색 영역 DCI-P3 98% 충족, 1밀리세컨드(1ms, 0.001초) 응답속도의 나노 IPS 디스플레이를 탑재해 빠르고 정확한 색상을 구현함. 이외에도 엔비디아 지싱크를 지원해 화면 끊김도 최소화함. 27형ㆍ32형에는 엔디비아 지싱크 호환(NVIDIA® G-SYNC® Compatible), 34형에는 엔비디아 지싱크 상위 규격인 엔비디아 지싱크 얼티미트 (NVIDIA® G-SYNC® ULTIMATE) 등을 장착함.
2) LG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는 21:9 곡면 디자인을 적용, 여러 작업을 동시에 할 때 편리함. 16:9 모니터보다 33% 더 넓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임. 또 DCI-P3 98%, sRGB 135%를 충족해 모니터가 구현할 수 있는 색 영역도 넓은데, 신제품은 sRGB 기준으로 전체 영역의 135% 범위까지 표현하는 수준임. 또한, 이 제품은 최신 썬더볼트 4(Thunderbolt 4) 단자를 탑재, 강력한 멀티태스킹 성능도 지원함. 동시에 기존 40형 4K UHD 모니터보다 높은 고해상도(5120 X 2160)도 구현함.
3) LG 울트라파인 올레드 프로 모니터는 영상 제작에 최적화되어, 디지털 영화협회(DCI)의 표준 색 영역 DCI-P3를 99% 충족하고 트루 10비트(True 10bit)를 지원해 10억여 컬러를 표현할 수 있음. 이를 통해 고객은 자연에 가까운 색을 모니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모니터 화면 색상과 실제 색상 차이를 보정해주는 하드웨어 캘리브레이션도 탑재하여 색 표현도 풍부하고 자연스러움.
'Best of CES'에서
LG 클로이 살균봇 시연
 ('21.1)
비대면 방역로봇 'LG 클로이 살균봇(LG CLOi DisinfectBot)'이 美 현지시간 21일 열린 'Best of CES: NEXT BIG THING' 행사에서 선보이며 많은 관심을 받음.
당사는 'LG 클로이 살균봇'을 활용 호텔 객실을 살균하는 장면을 실시간으로 시연했는데, LG 클로이 살균봇은 UV-C(Ultraviolet-C) 램프를 이용해 세균을 제거함. UV-C 자외선은 100~ 280 나노미터(nm) 파장의 자외선으로 각종 세균을 제거하는 데 많이 사용되고,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KCL; Korea Conformity Laboratories)은 이 로봇에 있는 UV-C 램프가 50센티미터(cm) 이내 거리에 있는 대장균을 99.9% 살균하는 효과를 확인함. 이 로봇은 자율주행과 장애물 회피 기술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로봇의 높이는 160센티미터(cm) 정도이고 몸체의 좌우 측면에는 UV-C 램프가 있음. 로봇은실내 공간을 누비며 사람의 손이 닿는 물건들의 표면을 살균하는데, 호텔, 병원, 학교, 사회복지시설 등 분리되고 독립된 공간이 많은 건물에서 방역 작업을 하는 데 유용함.
이 제품은 2021년 상반기 미국 시장 출시 예정으로, 코로나19로 인해 방역이 보다 중요해진 시기에 클로이 살균봇이 언제라도 비대면으로 방역 작업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 이전까지 사람이 방역과 청소를 동시에 해야 했지만 방역에 대한 부담을 줄여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면서 업무효율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음.
당사는 로봇을 미래사업의 한 축으로 삼고,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서비스에 초점을 맞춰 호텔, 병원, F&B 등 각종 맞춤형 솔루션을 선보이고 있음.
VS 佛 르노社 전기차 신모델에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공급
 ('21.11)
프랑스 자동차 업체 르노그룹(Renault Group)의 전기차 신모델 '메간 E-Tech(Megane E-Tech)'에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공급함. 당사와 르노는 지난 9월 독일 뮌헨에서 열린 IAA 모빌리티 2021에서 공동 개발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을 공개함.
 
양사가 개발한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은 구글의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OS(Android Automotive Operating System)를 기반으로 함. 안드로이드 OS 최신 버전인 안드로이드10을 적용했고 구글자동차서비스(Google Automotive Services, 이하 GAS) 라이선스를 받음. GAS는 안드로이드 오토모티브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구글 어시스턴트, 구글 맵, 구글 플레이 등 다양한 구글 서비스와 안드로이드 앱을 제공함. 안드로이드10 버전으로 GAS 라이선스를 받은 것은 이 시스템이 처음임.
 
모바일 기기 OS 점유율의 70%가량이 안드로이드 OS인 점을 감안하면 기존에 안드로이드 OS를 사용하던 고객은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시스템도 익숙하게 사용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이 시스템은 간단하고 직관적이라 다른 OS를 사용하던 고객도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음.
 
양사는 이번에 하드웨어와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처음 개발함. 이 플랫폼은 클러스터(Cluster, 계기판)와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중앙정보디스플레이) 간 근거리통신망인 이더넷 인터페이스를 지원해 클러스터에서도 구글 맵 화면을 보거나 음악, 영상 등을 제어할 수 있음. 플랫폼에는 무선인터넷을 통해 자동으로 업데이트되는 FOTA(Firmware Over The Air) 기능이 적용되어 고객은 항상 최신 버전의 OS를 사용할 수 있음. 뿐만 아니라 전기차의 충전 상태를 차량 밖에서도 확인할 수 있음.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에
ADAS 전방카메라 공급
 ('21.10)
독일 자동차 제조그룹 다임러 AG(Daimler Automotive Group)와 공동 개발한 AD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첨단운전자지원시스템) 전방카메라를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에 적용하며 본격적인 양산에 돌입함.
 
ADAS 전방카메라는 자동차의 '눈' 역할을 하며 다양한 교통정보를 수집하는 주요 부품이며 차량의 앞 유리와 후방 거울 사이에 위치해 있음.
 
이 카메라는 VS사업본부가 독자 개발한 알고리즘을 적용해 자동긴급제동(Automatic Emergency Breaking, AEB), 차로유지보조(Lane Keeping Assistant, LKA), 차로이탈경고(Lane Departure Warning, LDW), 정속주행보조(Adaptive Cruise Control, ACC), 교통표지판 자동인식(Traffic Sign Recognition, TSR), 지능형 전조등 제어(Intelligent Head-Light Control, IHC)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함. 특히 자동긴급제동와 차로이탈경고는 미국, 독일 등 여러 국가에서 내년부터 출시하는 모든 차량에 적용하도록 의무화된 기능임.
 
당사는 개발단계부터 다임러와 긴밀히 협업해 완성한 ADAS 전방카메라가 메르세데스-벤츠 C클래스 차량의 안전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번 양산 경험을 기반으로 전장사업 포트폴리오를 더욱 다각화할 계획임.
 
앞서 당사의 ADAS 전방카메라는 지난 5월 글로벌 시험인증기관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국제표준규격인 ISO 26262 기능안전제품(Automotive Functional Safety Product)인증을 받았음. 자율주행 핵심부품이 이 기관으로부터 해당 인증을 받은 것은 처음이고, 카메라를 만들기 위한 개발 프로세스도 ISO 26262 기능안전프로세스(Automotive Functional Safety Process)인증을 받음.
이노텍 WiFi 6 + BT Combo 모듈 개발 - Isolator 적용해서 WiFi 6 + BT Combo 모듈에 개발하여, 차별화된 Isolator 확보로 시장 선도
60W 4PPoE WiFi 4 Bridge 개발 - PoE 시장 세계최초 출시 / 보안 사업자 추가 확대 전개
친환경 선박용 열전발전 모듈 개발 - 세계 최초로 선박의 폐열을 활용한 열전 발전 모듈 및 시스템 개발 (삼성중공업 협력)
- 산업통상자원부 신기술인증(NET) 획득
ESS용 7kW 양방향
DC-DC 컨버터 양산
- ESS 배터리팩용 DC-DC 컨버터 라인업 강화
Tail/Stop Lamp용
Nexlide-E / LDM 양산
- Nexlide 구조에 광학필름 적용하여, Stop Lamp에 Nexlide 최초 적용
Garnish Lamp용 Nexlide-A 양산 - Nexlide 적용 전방용 램프 최초 적용 (Application 확대 : 후방용 → 전방용 Logo / Grille)
세계 최초 차량용 WiFi 6E 모듈 개발 - 6GHz 고주파 대역 사용으로 기존 와이파이5 대비 3배 가량 빠른 속도 제공가능하며, 차량용으로는    세계 최초 개발  
차량용 디키털 키 모듈 개발 - UWB 기술과 독자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위치 인식 정확도 업계 최고 수준으로 개발  
   (오차 10cm이내)
모바일용 가변 초점 거리
줌 카메라 모듈 양산
- 세계 최초 모바일용 가변 초점 거리 줌 카메라 모듈 양산으로
   프리미엄 스마트폰 카메라 기술 선도
1억화소 카메라 모듈 양산 - 1억화소 카메라 모듈 양산을 통한 모바일 카메라 상품 폭 다변화
고전압용 BMS 플랫폼 개발 - 고전압 트랜드에 대응하기 위한 800V용 BMS 플랫폼 확보

안테나 모듈용 기판 개발 및

안테나 TP(Tuning&Packaging)사업 진출

- 독자적인 층간 접합 기술과 신호 손실 저감 기술을 활용하여 5G 안테나 모듈용 기판 개발

- 인접 영역인 TP 분야로 사업 영역을 넓혀 나가면서 기판과의 시너지 창출 예상

기타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서
6G 기술 시연
 ('21.12)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서 6G 분야 기술 리더십을 선보임. 당사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리는 2021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에 참가해 첨단전략기술 특별존에 전시공간을 마련하고, 6G 무선 송수신에 대한 대표 연구 개발 성과들을 시연함.
 
 2021 대한민국 과학기술대전은 대한민국 과학의 현재와 미래를 경험할 수 있는 전시회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한국연구재단과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주관하였으며, 당사는 이번 행사에서 獨 프라운호퍼 연구소와 공동으로 개발한 전력 증폭기 소자를 일반에 처음으로 공개함.
 
 6G 테라헤르츠와 같은 초광대역은 주파수 도달거리가 짧고,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심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개발이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혀왔음. 당사는 글로벌 무선통신 테스트 계측 장비 제조사인 키사이트(Keysight Technologies Inc.)와 함께 채널 변화와 수신기 위치에 따라 빔 방향을 변환하는 '가변 빔포밍(Adaptive beamforming)' 기술도 시연했음.
 
 키사이트는 올해 초 LG전자/KAIST와 6G 핵심기술 개발 및 테스트 협력을 위한 MOU를 맺고, LG-KAIST 6G 연구센터 등에 테스트 장비를 제공하고 있음. 당사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으로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풀-듀플렉스(FDR) 기술도 선보임. 6G 풀-듀플렉스 분야에서 기존 대비 2배의 주파수 전송 효율을 달성한 바 있고, 내부 신호 간섭을 최소화하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음.
 
 6G 이동통신은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에는 상용화가 예상됨. 5G 대비 한층 더 빠른 무선 전송속도와 저지연/고신뢰의 통신 지원이 가능함. 사람, 사물, 공간 등이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만물지능인터넷(AIoE: Ambient IoE)을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져 유수의 글로벌 업체들이 앞다퉈 뛰어들고 있으며, 당사는 지난 2019년 KAIST와 LG-KAIST 6G 연구센터를 설립하고, 6G 핵심 원천기술의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인공지능 시설관리로봇 운영
 ('21.12)
미래성장동력으로 키우고 있는 AI(인공지능)와 로봇을 활용해 호텔과 리조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솔루션을 선보임. 당사는 최근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곤지암리조트에 인공지능 로봇을 활용한 'AI 시설관리 솔루션'을 적용해 최첨단 휴양시설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 있음.
 
이번에 처음 선보인 AI 시설관리 솔루션은 인공지능 로봇, 자율주행, 5G, 원격제어, '사물 DID'(Decentralized Identification)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사물에 고유 식별자를 부여해 사물의 신원을 인증하는 기술) 등 다양한 혁신기술을 담고 있음.
 
이 솔루션은 독자 개발한 지능형 관제 시스템과 인공지능 로봇을 연동시켜 시설관리에 필요한 정보와 주변 상황을 실시간으로 관제실에 공유함. 시설관리 담당자는 전달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속하게 대응하며 리조트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음.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된 인공지능 로봇은 실내외 공간을 자유롭게 돌아다니며 각종 시설물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응급환자가 있는지 확인함. 또 향후에는 여러 센서를 장착해 연기, 온도, 냄새 등 다양한 상황을 감지하는 기능을 선보일 계획임. 이 로봇은 바퀴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지형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음. 엘리베이터를 자유롭게 탑승하고 낮은 턱을 만나거나 비포장도로 등 지면이 다소 불규칙한 장소도 진동을 최소화하며 이동함.
 
AI 시설관리 솔루션은 LG CNS가 개발한 사물 DID 기술을 탑재해 인공지능 로봇이 확인하고 수집한 다양한 데이터가 위조나 변조될 가능성을 차단함. 시설관리 담당자는 이 기술 덕분에 AI 시설관리 솔루션을 보다 유연하게 제어, 관리할 수 있음.
 
아울러 당사는 곤지암리조트에 AI 컨시어지(Concierge) 솔루션을 도입했음. 이 솔루션은 인간과 로봇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휴먼로봇 인터랙션(HRI, Human Robot Interaction) 기술이 적용됐음. 고객은 숙박시설 곳곳에 설치된 디지털 사이니지, 플로팅 디스플레이 등을 활용해 대화를 하거나 화면을 터치하면서 언제든지 원하는 정보를 안내받을 수 있음.
 
당사는 AI 시설관리 솔루션과 AI 컨시어지 솔루션이 곤지암리조트의 첨단 이미지를 부각시키면서 호텔ㆍ리조트 업계에서 시설관리 분야 리더십을 더욱 공고히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자동차 소프트웨어 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21.9)
당사가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기능 안전성을 시험할 수 있는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음. 『LG전자 SW공인시험소』는 최근 국가기술표준원 산하 한국인정기구(KOLAS)로부터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기능 안전성이 국제표준규격을 얼마나 충족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공인시험자격을 획득함.
 이번에 획득한 자동차 소프트웨어 기능안전(ISO 26262-6) 분야는 글로벌 완성차 업체에서 안전성이 높은 부품을 요구하면서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
 자동차에 탑재되는 다양한 전자장치를 비롯해 차량용 네트워크, 자율주행 등 폭넓은 영역에서 개발한 선행기술을 전장사업에 본격적으로 적용하기에 앞서 SW공인시험소에서 테스트해 품질과 기능안전을 점검할 수 있음.
 앞서 SW공인시험소는 생활가전, TV, 로봇, 친환경 에너지, 인공지능, 클라우드, 소프트웨어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등 전기ㆍ전자 제품의 소프트웨어 품질측정(ISO/IEC 25023)과 소프트웨어 기능안전(IEC 61508-3) 분야에서도 국제공인시험기관으로 인정받은 바 있음.
 이로써 당사는 국내 제조사 가운데 유일하게 전기ㆍ전자 제품의 소프트웨어 품질측정과 기능안전에 이어 자동차 소프트웨어의 기능안전까지 외부기관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시험해 공인성적서를 발급할 수 있게 됨.
 SW공인시험소에서 발급한 공인성적서는 국제인정기구 상호인정협정(ILAC-MRA)에 따라 미국, 유럽, 일본 등 70여 국가에 있는 공인시험기관이 발급한 성적서와 같은 효력이 인정되며 국제적 공신력을 가짐.
「물질분석공인랩」,
미생물 분야 인증시험소 지정
 ('21.9)
품질경영센터 산하 「물질분석공인랩」은 최근 세계적 시험인증기관인 TUV 라인란드(TUV Rheinland)로부터 미생물 분야 인증시험소로 지정받음. 이번 인증은 항균이나 항곰팡이와 같은 성능을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전문성과 공신력을 확보했다는 데 의미가 있음.
건강한 삶을 추구하는 고객이 늘어남에 따라 위생 품질을 사전에 검증하기 위해 올해 초 미생물 관련 박사학위 소지자 등 전문인력을 영입했고 6월에는 물질분석공인랩 산하에 미생물랩을 신설함.
이번 인증을 계기로 ▲플라스틱 및 기타 재질의 항균성능 평가(ISO 22196) ▲플라스틱 등 합성수지의 항곰팡이성능 평가(ASTM G21-15) 등을 자체적으로 할 수 있으며, 항균 소재가 적용된 에어컨, 냉장고, 홈뷰티 등 다양한 제품이 평가 대상임.
 또 물질분석공인랩은 TUV 라인란드로부터 피부접촉 시 염증 유발물질에 대해 분석할 수 있는 인증도 함께 받음. 이 자격을 인증받은 곳은 국내기업 가운데 당사가 처음임.
 물질분석공인랩은 지난 2006년 국내기업 가운데 처음으로 TUV 라인란드로부터 납, 수은 등 RoHS 6대 유해물질을 분석할 수 있는 인증시험소로 지정받음. 또 이 랩은 2017년 인체에 유해한 살균물질을 검출하고 분석할 수 있는 시험소 자격을 갖춤. TUV 라인란드가 살균물질 분야 인증시험소로 지정한 기업도 국내에서 당사가 처음임.
 TUV 라인란드는 시험환경, 시험능력 등을 엄격하게 평가해 시험소 자격을 부여함. 당사는 직접 보유한 인증시험소가 회사 제품에 대한 고객들의 신뢰를 더욱 높일 것으로 기대함.
케어솔루션 사업에 통신비 기반
신용평가모형 도입    
 ('21.9)
금융 거래 실적이 적은 고객도 당사의 프리미엄 가전을 렌탈로 이용할 수 있도록 업계 최초로 통신비 기반 신용평가모형을 도입함. 신개념 가전 렌탈 서비스인 케어솔루션에 비금융정보 기반 신용평가모형인 '텔코스코어'를 연내 도입하는데, '텔코스코어'는 LG유플러스의 통신 빅데이터와 나이스평가정보의 금융 신용평가 노하우가 결합된 새로운 신용평가 모형임. 금융권의 실적정보만으로 신용을 평가하는 기존 평가모델과 달리 통신비 납부 실적, 통신활동 기간, 휴대폰 소액결제 등을 기반으로 신용을 평가함.
 이번 '텔코스코어' 도입을 통해 더 많은 고객이 당사의 케어솔루션에 가입할 수 있게 되어, 금융 거래실적이 적은 대학생, 사회초년생, 주부, 노년층 등 '씬파일러(Thin Filer)' 고객도 통신비를 연체 없이 꾸준히 납부한 경우 텔코스코어를 통해 신용도를 확인 받으면 케어솔루션을 이용할 수 있음. 당사 케어솔루션은 차별화된 제품과 차원이 다른 관리 서비스로 국내 생활 가전 렌탈시장을 선도하고 있음.
 고객은 케어솔루션을 통해 차별화된 디자인과 성능을 갖춘 당사의 프리미엄 가전을 초기구입비용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음. 퓨리케어 정수기, 트롬 건조기, 퓨리케어 공기청정기, 트롬 스타일러, 디오스 식기세척기, 디오스 전기레인지, 디오스 얼음정수기냉장고, 힐링미 안마의자, 홈브루 수제맥주제조기 등 생활가전 9종을 대상으로 케어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대상제품을 지속 확대할 예정임.
서비스 엔지니어 교육 플랫폼 육성
 ('21.8)
서비스 엔지니어의 전문성을 육성하고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온라인 교육 플랫폼을 적극 육성. 뉴노멀 시대에 맞춰 서비스 엔지니어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 어디서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난해 7월 사내 교육 플랫폼 '배움마당'을 제작. 최근 1년 동안 1,200개 이상의 다양한 서비스 교육 콘텐츠를 제작했으며, 전체 영상의 누적 조회수는 25만 회에 달하고 인기 콘텐츠의 경우 조회수가 7,500회를 넘음.
서비스 엔지니어는 PC는 물론 스마트폰 앱을 통해 공간과 시간의 제약 없이 간편하게 교육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 플랫폼은 라이브 방송도 운영, 서비스 엔지니어가 교육 중 궁금한 내용을 채팅으로 바로 확인할 수 있음.
당사는 고객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서비스 엔지니어가 다양한 상황에서 적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콘텐츠를 제작하고 있으며, 최근 가전제품 종류가 다양해지고 기능과 성능 또한 점차 고도화되고 있어 제품 상태를 면밀하게 확인하고 정교한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는 점을 반영하여 콘텐츠 제작에는 사내 강사뿐 아니라 서비스 대명장을 포함한 엔지니어들도 참여하고 있음.
 플랫폼에는 고객감동 우수사례, 고객 커뮤니케이션, 안전문화 등 서비스 엔지니어의 기본 역량을 키워주는 콘텐츠를 비롯해 에어컨, 냉장고, 세탁기, TV 등 당사 제품에 대한 서비스 기술과 다양한 현장 노하우를 담은 콘텐츠 등이 있음.
6G 테라헤르츠 대역 통신 신호
100m 전송 성공('21.8)
6G 테라헤르츠(THz)1) 대역을 활용, 실외에서 100m 무선 데이터 송수신에 성공함. 독일 베를린에 위치한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에서 6G 테라헤르츠 대역을 활용해 실외에서 통신 신호를 직선 거리 100m 이상 전송하는 데 성공함.
 프라운호퍼(Fraunhofer-Gesellschaft)는 유럽 최대 응용과학연구소 그룹이며, 독일 전역에 75개의 연구소와 29,000여 명의 직원을 두고 있음. LG전자는 이번 시연을 위해 '프라운호퍼 하인리히-헤르츠 연구소', '프라운호퍼 응용고체 물리학 연구소' 등과 협업함.
당사와 프라운호퍼는 6G 테라헤르츠 대역에서 통신 신호를 안정적으로 출력하는 전력 증폭기를 공동으로 개발함. 6G 테라헤르츠과 같은 초광대역은 주파수 도달거리가 짧고, 안테나 송/수신 과정에서 전력 손실이 심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전력 증폭기 개발이 가장 큰 걸림돌로 꼽혀옴.
 전력 증폭기는 이동통신 환경에서 신호를 증폭해 통신 거리를 늘리는 데 필수적인 기기로, 새로 개발한 전력 증폭기는 155~175GHz의 대역 범위에서 안정적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출력 신호를 세계 최고 수준인 최대 15dBm까지 끌어올림.
 당사는 이번 시연에서 전력 증폭기 외 채널 변화와 수신기 위치에 따라 빔 방향을 변환하는 '가변 빔포밍(Adaptive beamforming)' 과 복수의 출력 신호를 안테나로 전달하는 '고이득 안테나 스위칭(High-gain antenna switching)' 기술을 함께 개발함.
 6G 이동통신은 2025년경 표준화 논의를 시작으로, 2029년에는 상용화가 예상됨. 5G 대비 한층 더 빠른 무선 전송속도와 저지연/고신뢰의 통신 지원이 가능함. 사람, 사물, 공간 등이 긴밀하고 유기적으로 연결된 만물지능인터넷(AIoE: Ambient IoE)을 가능하게 할 수단으로 여겨져 유수의 글로벌 업체들이 앞다퉈 뛰어들고 있음.
당사는 지난 2019년 한국과학기술원과 손잡고 'LG-KAIST 6G 연구센터'를 설립한 데 이어, 올해 초에는 글로벌 무선통신 테스트 계측 장비 제조사 키사이트(Keysight Technologies Inc.)와 협업을 강화하는 등 6G 핵심 원천기술의 확보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또 지난 6월에는 미국통신산업협회(ATIS) 주관 ‘넥스트 G 얼라이언스(Next G Alliance)’의 의장사로 선정되며 향후 6G 관련된 선행 기술 논의 및 서비스 방향성 제시에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테라헤르츠(THz) 무선 송수신 기술
 100 GHz ~ 10 THz 사이의 테라헤르츠 주파수 대역을 활용해 초당 최대 1테라비트(1Tbps)의 초고속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로 6G 이동통신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시킬 핵심 기술로 손꼽히고 있음.
보행자 안전 위한 모바일앱 첫 공개
 ('21.6)
보행자의 안전을 위해 개발중인 스마트폰 솔루션 'Soft V2X' (V2X는 Vehicle to Everything의 약자이며 차량과 모든 개체 간의 통신을 의미함)를 일반에 처음 공개함.
 ■ 스마트폰이 충돌위험 알려줘
 Soft V2X는 차량과 보행자 사이는 물론 차량과 이륜차 간, 차량과 차량 간 충돌위험을 스마트폰으로 사전에 알려줘 교통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음. 별도의 전용 단말을 이용하는 기존 V2X와 달리 Soft V2X는 스마트폰만 있으면 됨.
 Soft V2X 전용 모바일앱은 사용자들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을 실시간으로 클라우드에 전송함. 클라우드는 전달받은 정보 가운데 사용자들의 주변 정보를 선별해 다시 사용자들에게 보내줌. 앱은 클라우드로부터 받은 여러 정보를 분석해 사용자의 충돌위험을 감지한 경우 스마트폰에 화면, 소리, 진동 등으로 경고메시지를 보내 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도움.
예를 들어 Soft V2X 전용 모바일앱은 보행자와 차량이 서로 부딪힐 위험에 있으면 보행자와 운전자의 스마트폰에 '차량 충돌위험', '보행자 충돌위험' 등과 같은 경고 메시지를 띄워주며 주의를 기울이게 함.
 클라우드는 차세대 지능형 교통시스템(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과 연동해 차량 운행, 도로 상황, 교통 신호 등에 대한 정보를 받을 수 있음. 이 정보는 앱 사용자에게 전송돼 실시간 위험도를 분석하는 데 사용됨.
 ■ 전용 앱을 설치하지 않은 보행자나 운전자까지 고려한 안전 솔루션
 Soft V2X 사용자는 스마트폰에 모바일앱을 설치하지 않은 보행자나 차량과의 충돌위험도 감지할 수 있음. 이 기술은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CCTV를 활용함. CCTV는 보행자와 차량을 확인해 위치, 이동 방향, 속도 등을 계산하고 해당 정보를 클라우드로 전송함. 클라우드는 Soft V2X 앱 사용자에게 이 정보를 전달하고 앱은 위험한 상황을 예측하면 사용자에게 즉시 알려줌.
 또 당사는 신호등과 같은 교통 시설물에 부착돼 기존 V2X 단말과 도로 교통정보를 교환하던 통신시설(RSU, Road Side Unit)의 기능을 업그레이드한 스마트 RSU도 선보임. 스마트 RSU는 기존 V2X 단말을 장착한 차량과 Soft V2X 사용자 사이에서 정보를 중개함.
외부 개발자에 오픈소스 소프트웨어 관리 도구 공개
 ('21.6)
당사가 자체 개발해 2014년부터 운영해오고 있는 오픈소스(Open Source) 소프트웨어 관리 도구인 FOSSLight(Free and Open Source Software Light, 이하 포스라이트)를 최근 외부에 공개함.  포스라이트는 소스코드가 공개돼 있어 개발자라면 누구나 웹사이트(https://fosslight.org/)에서 내려 받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음.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는 개발할 때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어 개발자들의 사용 빈도가 크게 늘어나고 있지만, 개발자는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더라도 각 오픈소스마다 정의된 라이선스 규정을 반드시 지켜야 함. 예를 들어 저작권 관련 문구를 유지하거나 오픈소스를 활용한 결과물의 전체 소스코드를 공개해야 함. 또 의무사항을 지키지 않을 경우에는 저작권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세심한 주의와 관리가 필요함. 포스라이트는 개발자의 소프트웨어를 분석해 오픈소스를 사용했는지, 오픈소스 사용 조건이나 의무사항을 준수했는지 등을 검증하고, 보안에 취약한 부분을 개발자에게 알려주는 등 오픈소스를 활용할 때 자주 발생하는 이슈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됨.
 당사는 외부에 공개하는 포스라이트를 여러 기관과 기업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음. 실제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은 오픈소스 라이선스 관리체계를 확립하기 위해 포스라이트를 사용하기로 함. 이번 공개가 포스라이트의 글로벌 인지도를 높이는 것은 물론 외부 개발자가 이 도구를 사용하고 남긴 피드백을 기반으로 소프트웨어 안정성과 기능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LG전자-킥고잉, 국내 첫 전동킥보드 무선충전 솔루션
 ('21.5)
전동킥보드 공유서비스업체 '킥고잉'과 함께 국내에서 처음으로 전동킥보드 무선충전 솔루션을 선보임. 양사는 최근 당사가 독자 개발한 무선충전기술을 기반으로 경기도 부천시 역곡역 일대에 부천시청의 협조를 받아 무선충전주차시설 5곳을 구축함.
 당사와 킥고잉은 약 6개월 동안 무선충전 솔루션의 효율성, 고객 편의성, 안전성 등을 검증할 계획임. 또 이 솔루션을 운영하며 확보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울시를 비롯해 다른 지역으로 순차 확대해 지속가능한 서비스로 키울 계획임.
당사는 세계무선충전협회(WPC, Wireless Power Consortium)의 이사회 멤버로서 무선충전기술에 관한 국제표준을 주도하고 있음. 무선충전기술 연구개발 역량은 물론 높은 안전성을 요구하는 차량용 스마트폰 무선충전모듈 등 다양한 분야의 무선충전기술을 보유하고 있음.
 개인형 이동수단(personal mobility device)이 주목받고 있는 가운데 양사는 시너지를 내며 지속가능한 성장을 이뤄낼 계획임.
LG전자-KT,
인공지능 서비스 사업화 가속화
 ('21.4)
경기도 판교에 있는 'LG 씽큐(LG ThinQ) 홈'에서 LG전자의 인공지능 플랫폼 'LG 씽큐'와 KT의 인공지능 플랫폼 '기가지니'를 연동하는 검증 작업을 마치며, T와 인공지능 분야에서 협력하는 가운데 인공지능 서비스 사업화에 속도를 냄. 이번 검증은 양사가 대한민국의 인공지능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참여한 'AI 원팀'에서 거둔 첫 성과임.
당사는 오픈 이노베이션 전략의 일환으로 LG 씽큐 플랫폼의 생태계를 넓히기 위해 지난해부터 KT와 협업을 진행하고 있음. 양사는 각 사의 인공지능 플랫폼이 연동되도록 공동으로 인터페이스를 개발해 2개의 플랫폼이 연동되는 인공지능 서비스를 사업화할 예정임. 양사의 협업 덕분에 고객은 필요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관련 기기나 앱을 찾아야 했던 번거로움 없이 하나의 기기에서 더욱 다양한 인공지능 서비스를 경험할 수 있음.
이번 검증 작업에서 당사는 직접 개발한 스마트홈 솔루션인 스마트미러를 활용함. 고객은 스마트미러를 통해 KT 기가지니가 제공하는 라디오, 팟케스트, 지니뮤직 등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어서, 고객이 “하이 엘지, 뉴스 들려줘”라고 말하면 스마트미러는 “기가지니에서 뉴스를 들려드려요”라고 말하며 뉴스를 읽어줌.
스마트미러는 가전제품 제어, 날씨 안내, 길찾기, 일정 관리를 비롯해 주택 내 에너지의 생산, 사용, 저장을 실시간으로 관리하는 기능도 제공함.
사내 고객시스템
'원뷰(One View)'로 통합
 ('21.3)
고객의 페인 포인트(Pain Point, 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차별화된 고객가치와 고객감동을 선사함. 사내 고객시스템을 통합해 구축한 '원뷰(One View)'는 제품 구매, 배송, 멤버십, 서비스, 케어 등 고객이 제품과 서비스 등을 경험한 이력을 한 곳에서 보여줌.
이 시스템은 고객의 여러 접점에서 각각 관리하는 개별시스템을 연동시켜 분산돼 있는 데이터를 한 곳에서 볼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직원들이 체계적으로 고객을 응대함. 고객들이 제품 구매에서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모든 과정을 동일한 기업 이미지로 인식한다는 점에 착안함. 원뷰는 고객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곳에 연락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이고 더 나은 서비스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표임.
이 시스템은 당사 및 베스트샵을 운영하며 제품을 판매하는 '하이프라자', 케어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이케어솔루션', 고객과 상담하는 '하이텔레서비스', 배송을 담당하는 '판토스' 등 여러 회사가 힘을 합쳐 구축함.
기존에는 고객이 제품을 설치하는 직원에게 케어솔루션 이력이나 일정에 대해 문의하면 맡고 있는 업무가 달라 바로 확인할 수 없었고, 고객 집을 방문한 케어솔루션 매니저에게 제품을 수리하기 위해 서비스 접수를 요청하는 경우에도 처리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음.
이제는 고객 접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이 원뷰 시스템을 활용해 다양한 고객 문의나 요청을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음. 고객이 설치기사에게 사용하는 제품의 서비스를 요청하면 설치기사가 현장에서 서비스 엔지니어의 출장을 예약해줄 수 있고, 고객은 LG전자서비스에 따로 연락할 필요가 없게 됨. 서비스 엔지니어는 고객의 케어솔루션 이력을 바로 확인할 수 있어 부품 교체시기 등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적절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음. 출장 서비스를 받는 고객은 멤버십포인트도 확인할 수 있어 수리비용을 포인트로 결제할 수 있음.
원뷰에는 고객이 제품을 구입한 뒤 영수증을 보관하지 않아도 교환이나 환불을 할 때 현장에서 전표를받을 수 있는 기능도 있음. 실제 지난해 중순부터 일부 조직에서 원뷰 시스템을 시범 운영한 결과, 고객응대를 위한 대기시간이 기존에 비해 약 50% 감소했고 한 직원이 응대할 수 있는 영역이 10개 이상 늘어남. 당사는 올해부터 원뷰 시스템을 본격 운영하고 고객 접점에서 근무하는 직원들을 고객 전문가로 육성시켜 고객을 위한 맞춤형 케어를 강화할 예정임.
생활가전 세척서비스 도입
 ('21.3)
당사가 최근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와 감동을 제공하기 위해 'LG 가전 세척서비스'를 도입함. 가전제품 유지관리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어 제품에 대한 전문성을 기반으로 고객이 믿고 맡길 수 있는 세척서비스를 도입함.
고객이 세척서비스를 신청하면 당사의 전문 엔지니어가 가전제품의 성능과 상태를 점검하고, 세척부터 살균까지 한 번에 처리함. 현재 세척서비스 대상 제품은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이며, 향후 서비스 대상을 공기청정기, 스타일러, 광파오븐 등에 확대할 계획임.
세척서비스는 세탁기 내부에 세제 찌꺼기, 이물질, 물때가 보일 경우, 세탁물이나 세탁기 내부에서 냄새가 날 경우, 에어컨에서 먼지가 나오거나 에어컨 내부에 곰팡이가 보이거나 냄새가 날 경우, 냉장고 내부에 끈적한 이물질이 보일 경우, 냉장고 도어의 내부나 고무패킹 등이 오염된 경우, 냉장고 뒤쪽 외관에 먼지가 많아 청소가 필요할 경우 등에 유용함.
세척서비스는 각 제품의 특성과 유지관리에 전문 교육을 받은 엔지니어가 고압세척기, 스팀살균기, 자외선살균기 등 전문 장비를 이용해 가전제품을 깨끗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도록 관리함.
전문 엔지니어는 세척에 앞서 세탁기, 에어컨, 냉장고 등의 성능과 작동 상태를 확인한 후 수리나 부품교체가 필요한지 먼저 점검하고, 이후 제품을 분해해 주요 부품을 꼼꼼하게 세척하고 제품 특성에 맞게 살균함. 세척과 살균이 끝나면 외관을 깨끗이 하고 제품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함.
고객이 세척서비스를 통해 제품 수리를 받거나 소모품을 교체한 경우 2개월간 품질을 보증하고, 제품을 분해하지 않고 세척서비스를 받길 원하는 고객은 세척 과정을 간소화한 서비스를 선택할 수 있음.
'LG 데이터 포털' 오픈
 ('21.2)
쉽고 빠른 데이터 분석을 통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최근 'LG 데이터 포털'을 오픈하며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음. 데이터 분석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임직원 누구나 포털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을 활용해 대량의 데이터를 몇 번의 클릭만으로 분석할 수 있음.
당사는 데이터 분석의 중요성이 나날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그 동안 축적한 데이터를 활용해 새로운 고객가치를 만들어내기 위해 사내에 시스템을 구축함. 시스템 구축을 위해 CFO부문 업무혁신담당, CSO부문 DX전략담당, CTO부문 서비스플랫폼담당 등 3개 조직이 협력함.
LG 데이터 포털에서 제공하는 셀프서비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Self-Service Business Intelligence,
Self-Service BI) 기능은 대량의 데이터를 분석해 의미 있고 효율적인 정보를 도출함. 임직원은 포털
사이트에 업로드된 누적 데이터를 활용해 차트나 그래프 등 시각화된 분석 결과를 얻을 수 있음.
임직원은 데이터 분석 결과를 유관부서에 공유할 수 있어서, 서로 다른 직원이 동일한 분석 작업을 각각 하지 않아도 됨. 하나의 분석 결과를 여러 사람이 다양한 각도에서 해석하면 혼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없었던 숨은 가치를 찾아낼 수 있으며, 포털 내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유하는 대시보드(게시판)에서는 댓글을 달아 피드백을 남길 수 있음.
임직원은 포털을 활용해 개인적으로 관리하는 데이터도 편리하게 분석할 수 있어서 데이터의 유형
(제품 데이터, 시스템 데이터 등), 형태(정형, 비정형 등), 활용영역(연구, 기획, 품질, 서비스 등) 등
여러 속성을 입력한 뒤 실제 데이터를 업로드하면 언제든지 셀프서비스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기능을 활용해 해당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음. 또한 회사는 데이터 포털을 운영해 여러 곳에 산재돼 있는
데이터를 한 곳에 모을 수 있음.
당사는 고객이 LG 씽큐(LG ThinQ) 앱에 연결한 제품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분석해 고객에게 필요하거나 유용한 기능을 제안하기도 함. 제품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회사의 보안 관련 정책에 따라 철저하게 보호하고 있음. 뿐만 아니라 당사는 『개인정보 보호법』, 『정보통신망 이용 촉진 및 정보 보호 등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령을 준수하며 고객이 LG 씽큐 앱에 가입할 때 정보 수집 및 이용에 동의한 경우에 한해 데이터를 수집해 활용함. 당사는 데이터 포털이 임직원이 데이터 분석에 할애하는 시간을 대폭 줄여 업무 효율을 높일 뿐 아니라 기존에 발견하지 못했던 고객의 니즈까지 찾아내 새로운 고객가치를 창출하며 디지털 전환을 앞당길 것으로 기대함.
TV 플랫폼 사업 진출하여
webOS 생태계 확장
 ('21.2)
당사 스마트 TV에 적용하고 있는 독자 소프트웨어 플랫폼 webOS를 앞세워 TV 플랫폼 사업에 진출함.당사는 넷플릭스(Netflix), 아마존(Amazon), 유튜브(YouTube), 리얼텍(Realtek), 세바(CEVA), 유니버설일렉트로닉스(UEI) 등 다수의 글로벌 콘텐츠 및 기술 솔루션 업체와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올해부터 전 세계 20여 개 TV 업체에 webOS 플랫폼을 공급함. 美 RCA, 中 콩카(Konka), 濠 Ayonz 등을 포함한 글로벌 TV 업체가 webOS를 탑재한 TV를 출시할 예정임.
당사는 하드웨어 중심이던 TV 사업을 소프트웨어 분야로 확장하고 있음. 2021년 1월 발표한 광고/콘텐츠 데이터 분석 업체 알폰소(Alphonso Inc.) 인수에 이어 이번 플랫폼 사업 진출까지 비즈니스 다변화에 속도를 냄. 특히 이는 당사의 TV 사업에서 디지털전환(DX: Digital Transformation)의 기반을 마련하는 차원이기도 함. 당사는 webOS TV 플랫폼을 사용하는 제조사가 늘어나면 플랫폼을 통한 수익 창출은 물론이고, webOS 사용 고객과의 접점 또한 대폭 늘릴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콘텐츠/서비스 사업의 고도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당사가 TV 사업에서 디바이스(제품 개발, 생산, 판매)뿐 아니라 플랫폼(SW와 HW 표준 디자인 공급) 분야까지 사업을 본격화하는 데에는 webOS의 앞선 경쟁력이 크게 기여함. webOS TV는 인공지능 리모컨의 사용 편의성, 직관적 사용자인터페이스, 뛰어난 개방성 및 접근성 등이 장점임.
당사는 webOS TV 생태계의 빠른 확대를 위해 플랫폼 구매 업체들이 필요로 하는 콘텐츠 및 방송 서비스도 지속 지원해 나갈 계획임. 특히 무료 방송 콘텐츠 서비스인 LG 채널, 인공지능 씽큐(ThinQ) 기반 음성인식 등 LG 스마트 TV의 다양한 부가 기능도 제공함. webOS TV 사용자는 뛰어난 사용 편의성이 장점인 인공지능 리모컨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당사가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도 받아볼 수 있음. (제공 콘텐츠 및 서비스는 국가별로 다를 수 있음.)
최근 고객이 집에 머무르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어 스마트 TV를 주변 기기나 인터넷과 연결해서 다양한콘텐츠를 즐기려는 수요 또한 높아지고 있음. 시장조사업체 옴디아(Omdia)에 따르면 전 세계에 출하되는 TV 가운데 스마트 TV가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 2018년 71.6%에서 2020년에는 84.8%까지 늘어났으며, 2024년에는 전체 TV의 90%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됨. 당사 TV 가운데 스마트 TV의 비중은 2020년 이미 90%를 넘어섰음.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