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기 보 고 서
(제 11기)
사업연도 | 2023년 01월 01일 | 부터 |
2023년 09월 30일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3 년 11 월 13 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주권상장법인 |
면제사유발생 : | 해당사항 없음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에이프릴바이오 |
대 표 이 사 : | 차 상 훈 |
본 점 소 재 지 :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1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B-602 |
(전 화) 02-6956-8383 | |
(홈페이지) http://www.aprilbi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대외전략팀장 (성 명) 진 홍 국 |
(전 화) 02-6956-8383 | |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 |
대표이사_등의_확인서 |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 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 - | - | - | - |
비상장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나.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 연결 |
- | - |
- | - | |
연결 제외 |
- | - |
- | - |
다.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에이프릴바이오"이며, 영문으로는 "AprilBio Co.,Ltd."(약호AprilBio)로 표기합니다.
라.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2013년 1월 30일 설립되었습니다.
마.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구분 | 내용 |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1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B-602 |
전화번호 | 02-6956-8383 |
홈페이지 주소 |
https://www.aprilbio.com |
바.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해당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해당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사.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대표자), 주소 및 연락처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임상1상전후로 기술이전하여 기술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제품(시판 신약)을 생산하고 있지 않습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발생한 당사의 매출은 100%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에서 발생하였으며, 설립 이후 총 4건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기타 상세한 내용은『Ⅱ. 사업의 내용』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정관에 기재된 목적 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사업 |
비고 |
1. 유용 바이오소재 개발 용역사업 및 판매업 2. 바이오산업 및 건강관련 산업 제품 통신 판매업 |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사업 |
1. 기능성화장품 개발 및 판매업 |
당사가 영위하고 있지 않은 사업 |
자.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여부 |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등 여부 |
특례상장 등 적용법규 |
---|---|---|---|
코스닥시장 | 2022년 07월 28일 | 기술성장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조제39항 및 동 규정 제30조 ㆍ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시행세칙」제28조 |
2. 회사의 연혁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3. 자본금 변동사항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
종류 | 구분 | 제11기 (2023년 3분기말) |
제10기 (2022년말) |
제9기 (2021년말) |
제8기 (2020년말) |
제7기 (2019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10,704,825 |
10,561,025 |
9,179,845 |
697,510 |
697,510 |
액면금액 | 1,000 |
1,000 |
1,000 |
1,000 |
1,000 |
|
자본금 | 10,704,825,000 | 10,561,025,000 | 9,179,845,000 | 697,510,000 | 697,51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 |
- |
- |
723,252 |
305,971 |
액면금액 | - |
- |
- |
1,000 |
1,000 |
|
자본금 | - | - | - | 723,252,000 | 305,971,000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 |
- |
액면금액 | - |
- |
- |
- |
- |
|
자본금 | - |
- |
- |
- |
- |
|
합계 | 자본금 | 10,704,825,000 |
10,561,025,000 |
9,179,845,000 |
1,420,762,000 |
1,003,481,000 |
4. 주식의 총수 등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보통주식 | 종류주식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75,000,000 | 25,000,000 | 100,000,000 | (주1)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10,704,825 | 869,281 | 11,574,106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869,281 | 869,281 | - | |
1. 감자 | - | - | - | - | |
2. 이익소각 | - | - | -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 |
4. 기타 | - | 869,281 | 869,281 | (주2)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10,704,825 | - | 10,704,825 | - | |
Ⅴ. 자기주식수 | - | - | -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10,704,825 | - | 10,704,825 | - |
(주1) | 당사 정관 제5조(발행예정 주식의 총수) 및 제8조의2(우선주식의 수와 내용)에 의하여 당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이며, 이중 25,000,000주 내에서 의결권이 있는 종류주식을 발행할 수 있습니다. |
(주2) | 당사는 설립이후 종류주식(상환전환우선주식) 869,281주를 발행하였으나 2021년 10월 8일 기 발행 종류주식 전체가 보통주로 전환됨(Refixing 후 기준 보통주식 908,979주)에 따라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종류주식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취득한 자기주식이 없습니다.
다. 종류주식 발행현황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정관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2013년 교원창업 형태로 설립된 연구개발 중심기업으로, 인간항체 제작 기술과 단백질의약품 반감기 증대 기술을 바탕으로 바이오 의약품중 단백질 의약품에 속하는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항체를 찾아내어 원하는 타겟 항원 결합 능력을 지닌 인간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항체라이브러리(HuDVFab library) 기술과 당사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된 혈청 알부민과 특이적 그리고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인간 Fab 항체 절편(SL335로 명명)을 활용하여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지속형 원천 기술인 SAFA(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 두 기술의 조합을 통해 항체의약품, 이중항체, 지속형의약품, ADC 적용 항체 등 매우 다양한 신약후보의 제작이 가능합니다. 현재 당사의 주요 파이프라인은 대부분 항체라이브러리와 SAFA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되고 있습니다.
|
당사는 SAFA 플랫폼 기술과 그동안 축적된 기술역량으로 핵심 파이프라인 APB-A1 (현재 코드명: Lu AG22515) 후보물질을 도출하였고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여 2021년 9월에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1상 시험에 대한 임상시험계획(IND)을 승인 받았습니다. 그로부터 1개월 후인 2021년 10월, 덴마크 소재의 신경질환 전문 글로벌 제약사인 룬드벡(H. Lundbeck A/S)과 4억 4천 8백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는데 성공하여 SAFA 플랫폼 기술의 일차적인 사업화 목표를 달성하였습니다.
당사는 우수한 SAFA 플랫폼 기술을 기반으로 자가면역질환, 염증질환, 암 그리고 희귀질환에 대한 다양하고 혁신적인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비임상-초기임상 단계까지 개발한 물질에 대해 글로벌 기술이전(Out-licensing)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계약금, 마일스톤 및 경상기술료와 같은 기술료 수입을 통해 R&D에 재투자하는 형태인 "RIPCO(Research intensive royalty only pharmaceutical company)" 비즈니스 모델을 택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계획으로연구, 개발, 생산, 판매 전 분야에 걸쳐 활동하는 기업형태인 "FIPCO (Fully integrated pharmaceutical company)" 모델로의 전환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당사는 신약 후보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신약 후보물질을 임상1상전후로 기술이전하여 기술료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완제품(시판 신약)을 생산하고 있지 않습니다.
설립 이후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매출은 100% 신약 후보물질 기술이전에서 발생하였습니다. 당사는 설립 이후 총 4건의 신약 후보물질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1년 10월에는 덴마크 소재의 신경질환 전문 글로벌 제약사인 룬드벡(H. Lundbeck A/S)에 4억 4천 8백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매출실적] |
(단위 : 건, 백만원) |
매출 유형 (주1) |
품목 | 2023년 3분기 (제11기) |
2022년 (제10기) |
2021년 (제9기) |
2020년 (제8기)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기술 이전 |
항체 치료제 |
수출 | - | - | - | - | 1 | 23,396 | - | - |
내수 | - | - | 1 | 200 | - | - | - | - | ||
합계 | - | - | - | - | 1 | 23,396 | - | - |
(주1) | 매출 수량은 당사의 기술이전 계약 건수를 기재하였습니다. |
상기 매출실적(기술이전)과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Ⅱ. 사업의 내용 - 4. 매출 및 수주현황』 및『Ⅱ. 사업의 내용 -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부분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가. 주요 제품(파이프라인) 요약
당사는 우수한 SAFA 플랫폼 기술 및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을 기반으로 내부 파이프라인의 효율적인 개발을 위해서 자체 인프라를 구축하여 연구개발 역량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국립암센터,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유한양행 등과 공동연구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연구개발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당사 플랫폼 기술 및 주요 파이프라인현황] |
품 목 |
생산(판매) 개시일 |
주요상표 |
제품설명 |
항체라이브러리 HuDVFab |
원천기술 |
해당없음 |
당사의 핵심기술인 HuDVFab naive 항체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다양한 항체 후보물질을 선별하여 공동연구 또는 기술이전하는 사업 추진 중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원천기술 |
SAFAbody® |
당사의 핵심기술인 SAFA 지속형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신약후보물질을 제작하여 공동연구 또는 기술이전하는 사업추진 중 |
APB-A1 파이프라인 |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해당없음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당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으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하여 2021년 9월에 미국 식품의약국(FDA)로부터 임상1상 시험 진행에 대한 IND 승인 2021년 10월 덴마크 소재의 신경질환 전문 제약사인 룬드벡(H.Lundbeck A/S)과 4억 4천 8백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체결 |
APB-R3 파이프라인 |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해당없음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당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으로염증질환 치료제로 개발하여 2022년 09월에 호주 연방의료제품청 (TGA)로부터 임상1상 시험 진행에 대한 IND 승인 2023년 3월 FIH 임상 개시(2023년 8월 FIH 임상투여 완료) |
APB-R4 파이프라인 |
개발 중인 파이프라인 해당없음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당사의 핵심 파이프라인으로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개발중 |
당사의 연구개발 인프라 및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은 자체 기술로 개발한 파이프라인(APB-A1)의 글로벌 기술이전으로 이어졌고, 더불어 다양한 내부 파이프라인을 확보하는 초석이 되었습니다.
나. 주요 제품(파이프라인) 등의 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보유중인 파이프라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에이프릴바이오 파이프라인 현황] |
|
(1) APB-A1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SAFA 플랫폼에 anti-CD40L 항체의 scFv 부위를 결합한 융합 단백질 치료제로서 2021년 10월 글로벌 제약사 룬드벡(H. Lundbeck A/S)과 4억4천8백만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현재 룬드벡에서 임상 1상 시험을 완료하고 분석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 타겟 환자 및 적응증
APB-A1의 분자 구조에 기인한 주요 기능은 SAFA 플랫폼에 anti-CD40L 항체의 scFv 부위를 결합한 융합 단백질입니다. APB-A1의 주요기능은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첫 번째 기능은 CD40L이 발현된 T 세포와 B 세포의 CD40의 결합을 차단하여 B 세포의 증식과 분화 억제하는 기능입니다.
두 번째 기능은 SAFA가 알부민에 결합하고 인체 내 FcRn-매개 재활용 기전에 의한 체내 반감기 증가하는 기능입니다.
세 번째 기능은 Fc 부분이 없어서 혈전색전증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였습니다.
따라서, APB-A1은 CD40/CD40L 간의 결합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면서 혈전색전증이라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T 세포 자극 저하 및 자가항체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APB-A1이 치료 효능을 보일 수 있는 자가면역질환으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시신경 척수염 등이 있습니다.
(나) 개발현황 및 경쟁력
APB-A1과 동일하게 CD40L를 타겟으로 하는 경쟁물질들 중에 아직 허가받은 제품은 없으며 현재 사노피社(Sanofi), 비엠에스社(BMS), 그리고 바이오젠/유씨비社(Biogen/UCB)를 포함한 글로벌 제약사와 바이오社에서 개발하고 있는 5가지의 물질이 있습니다. 이들 중 가장 선두로 개발 중인 물질은 바이오젠社의 CDP7657 (DZP, Dapirolizumab pegol)이 있으며 현재 전신홍반루푸스(SLE)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제는 우수한 효능 및 저렴한 비용에도 불구하고 안전성 문제로 장기적으로 처방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바이오의약품들이 출시되었으나, 이 역시 감염 등의 부작용과 장기간 투여 시 효능 저하 및 항체 생성 등으로 초기의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그리고 약제들이 허가받지 못하여 치료제가 없는 경우 또는 허가받은 치료제가 있으나 그 효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기존 약제들을 오프라벨(Off-label) 형식으로 비인가 적응증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타겟 질환에 대한 글로벌 정식 임상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새로운 기전의 약제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needs) 매우 강합니다.
CD40L은 새로운 타겟으로 CD40L에 결합하여 CD40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면 생체 내 주요 면역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 자가면역 및 염증질환 분야에 매력적인 타겟으로 입증되어 많은 글로벌 회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APB-A1은 당사의 SAFA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물질로 염증조직에 보다 많이 축적되어 적은 용량으로 높은 효능을 나타내어 안전성 측면에서 다른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합니다. 또한 원숭이에서의 약물동태학(PK, pharmacokinetics) 시험 결과 매우 긴 반감기(약 10일)를 나타내어 임상 환자에서는 한 달에 한 번 투약으로도 좋은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경쟁물질 대비 환자의 약물 순응도(Compliance)도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 사업화 및 기대효과
APB-A1의 CD40-CD40L 간의 반응성 억제는 여러 자가면역질환 발현 기전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현재 완료된 임상 1상에서 안전성과 약동학 확인 후 임상 2상에서 여러 자가면역질환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적응증의 범위가 넓고 다각적인 사업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2) APB-R3 염증질환 치료제
SAFA 플랫폼에 인간 유래의 인터루킨18 결합 단백질(IL-18BP)을 접합한 융합 단백질치료제로 현재 전임상 시험을 마무리하고 2022년 9월 호주 연방의료제품청 (TGA)로부터 임상 1상 시험 진행을 위한 IND 승인을 완료하였습니다.
2023년 8월 임상 1상 시험 투여를 완료하였습니다.
(가) 타겟 환자 및 적응증
APB-R3는 SAFA 플랫폼에 IL-18BP가 융합된 단백질로, 분자 구조에 기인하여 두 가지의 기능을 수행합니다.
첫 번째 기능은 IL-18BP를 통하여 체내의 IL-18과 결합하여 IL-18의 생물학적 효능을 중화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두 번째 기능은 SAFA 기술의 SL335 Fab 항체 절편이 체내의 혈청 알부민과 결합하여 APB-R3의 혈청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기능이 있습니다.
APB-R3의 타겟인 IL-18은 선천성 면역반응에 관여하는 중요한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 다수의 자가염증질환에서 free IL-18 농도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양한 염증질환 중 당사에서는 APB-R3의 1차 적응증으로 대식세포활성화 증후군이 동반되는 스틸병(Still’s disease)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스틸병은 발병 시점에 따라 전신성소아특발성관절염 (sJIA, Systemic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과 성인발병스틸병(AoSD, Adult onset Still’s Disease)으로 구분되며, 질환의 발병 시기에는 차이가 있지만 증상 및 예후가 비슷합니다.
전신성소아특발성관절염은 고열, 오한, 발진, 림프절 비대, 관절 부종, 통증, 백혈구 증가가 특징적으로 발현되며, 소아 류마티스관절염의 20% 미만을 차지합니다. 발병 기전에 대해 현재까지 알려진 바는 많지 않으나 박테리아, 바이러스 감염, 암, 기타 염증 등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성인발병스틸병의 초기에는 주로 급성 증상 조절이 주 치료 목적이고, 만성 환자의 경우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전신성 글루코코르티코이드와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하는 면역억제제 등을 주로 사용하며, 미국과 유럽의 경우는 anti-IL-1β항체인 canakinumab이 치료제로 사용됩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에는 아직 성인발병스틸병의 치료제로서 항체의약품이 허가는 받았지만 보험적용이 되지 않아 일반적인 스테로이드 요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대식세포활성화증후군 (MAS, Macrophage Activation Syndrome)은 대식세포 및 Th1 세포의 과도한 활성화로 인해 발생하며, 성인발병스틸병, 전신형소아류마티스 관절염, 전신홍반루푸스, 피부근육염 등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에서 중증 합병증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자가면역질환에서 중증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대식세포활성화 증후군의 경우 발생을 예측하기 어렵고 그 예후가 나쁜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성인발병스틸병, 대식세포활성화증후군은 질병의 정도와 체내 IL-18의 레벨이 서로 매우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성인발병스틸병과 대식세포활성화 증후군은 IL-18을 타겟으로 하는 APB-R3의 1차 적응증으로 선정하여 개발 진행중에 있습니다.
(나) 개발현황 및 경쟁력
APB-R3와 동일한 타겟을 저해하는 경쟁제품의 경우 4가지가 있으며 각각 에이비투바이오, 지에스케이(GSK) 그리고 노바티스(Novartis)에서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허가받은 치료제는 없습니다. 이들 중 가장 선두로 개발 중인 물질은 에이비투바이오의 Tadekinig alfa로 현재 원발성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primary HLH)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선두물질인 Tadekinig alfa의 경우 재조합 IL-18 결합단백질(recombinant IL-18 binding protein. rIL-18BP)로 생체내의 염증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L-18에 결합하여 염증반응을 저해시킬 수 있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피하주사로 정맥주사에 비해 간편하나 인간 생체 내에서 짧은 반감기(약40시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임상3상에서2 mg/kg 투여량으로 일주일에3회 투여하고 있어 일반적인 항체 또는 지속형 단백질과 비교해 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일반적인 rIL-18BP와 당사의 APB-R3를 시험관 내 세포를 이용하여 IL-18에 의한 인터페론-감마 사이토카인 생성의 억제 정도를 비교해 본 결과, 거의 유사한 생물학적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두 가지 물질로 랫드에서 약물동태학 시험을 진행했을 때 당사의 APB-R3 물질이 피하투여와 정맥투여에서 모두 3~4배 정도 증가된 반감기를 나타냈습니다.
1주일에 3회 투여해야하는 Tadekinig alfa와 비교하여 당사의 APB-R3의 경우 최소1주일에 1회 투여로 유사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영장류 약물동태학 시험에서 APB-A1과 유사한 반감기를 나타낼 경우 인간에서 최대 4주에 1회 정도까지 투여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미 임상 시험에서 효능이 검증된 Tadekinig alfa와 비교하여 긴 투여 간격에도 동일한 효능을 나타낼 수 있어 효능 면과 환자의 편의성 면에서 우월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 사업화 및 기대효과
SAFA 플랫폼에 인간 IL-18BP가 융합된 형태의 단백질 의약품으로 국내외 어디에서도 찾을 수 없는 독특한 구조를 가진 물질로 구조면에서 매우 독창적인 제품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타겟인 IL-18은 선천성 면역 작용에 있어 중요한 요소이고 다양한 질병에 관여하고 있음이 많이 알려져 있으나 그간 IL-18을 타겟으로 한 제품이 많이 개발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입니다.
APB-R3는 현재 피하투여 제제의 형태로 개발되고 있어 제형 면에서도 APB-R3은 매우 혁신적입니다. 당사에서는 SAFA 플랫폼과 IL-18BP 단백질의 물리적인 특성을 고려할 때, 충분히 피하투여 제제로 개발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초기부터 피하투여 제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타겟, 물질의 구조, 제품 형태를 고려할 때, APB-R3의 기술 혁신성 측면에서 우수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IL-18을 타겟으로 하고 대식세포활성화 증후군을 완화하는 제품도 시장에 출시된 적이 없어 APB-R3을 시장에 출시하면 바로 시장을 창출할 수 있으며 기존 염증성 질환 치료제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입니다.
(3) APB-R4
APB-R4는 염증성 장질환,루푸스를 포함한 자가면역질환치료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에서 T 세포의 비정상적인 활성화가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조절 T 세포를 이용하거나 조절 T 세포를 증진시키는 기전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APB-R4 후보물질은 현재 후보물질을 선정하였고 2023년 2분기부터 비임상 독성 용량결정시험을 개시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4) APB-BS2
APB-BS2는 삼중음성유방암을 포함한 난치성 종양 치료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였으나, 당 분기에 연구개발을 중단하였습니다.
(5) APB-R5
APB-R5는 대장암을 포함한 진행성 고형암 치료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인간 유래 항-암면역을 증가시키는 단백질과 표적 질환 타겟 항체절편을 융합하여 치료효과를 높이는 방식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2022.08월 파트너사인 유한양행에 기술이전 되어 현재 SAFA 플랫폼을 적용한 이중타겟 후보물질 도출을 위한 리드물질 선정 진행중에 있습니다.
(6) APB-R2
APB-R2의 후보물질은 도출 완료하였고, 생체 외 활성 실험 및 동물모델을 통하여 예비 약효를 확인하였습니다. 당사는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주도의 연구중심병원3유닛7세부과제“SAFA를 이용한 지속형 뇌하수체 호르몬제 개발” 참여기업으로 국내 최고의 임상연구능력이 있는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의 이은직 교수 연구팀과의 공동협력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7) APB-D1
APB-D1은 항체-악물접합제 (Antibody-drug conjugate) 형태로 개발되고 있으며 항체-악물접합제는 항체와 약물을 링커로 접합해 특정 세포, 주로 암세포를 타겟으로 치료 약물를 전달, 항체에 붙어있는 약물의 독성이 암세포로 들어가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하여 질환 치료제로 연구개발을 진행하였으나, 당 분기에 연구개발을 중단하였습니다.
다.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의 주요 매출원인 기술이전(License-Out) 계약은 개발단계 마일스톤 및 시판에 따른 로열티 등을 계약서에 사전에 명기합니다. 일반적인 제품과 다르게 시장 상황에따른 가격변동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가격변동추이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매입에 관한 사항
(1) 주요 원재료 매입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신약후보물질을 연구개발 중인 회사로 생산 및 판매중인 제품이나 상품이 없어 원재료 등의 매입 현황이 없습니다. 다만, 당사는 개발중인 파이프라인 등에 대한 전임상 또는 임상 시험의 수행을 위하여 연구용역의 수행, 연구용 시약 및 연구용 소모품을 매입하고 있으며, 관련 매입액은 모두 경상연구개발비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단위 : 백만원) |
매입유형 | 품목 | 구분 | 2023년 3분기 (제11기) |
2022년 (제10기) |
2021년 (제9기) |
2020년 (제8기) |
---|---|---|---|---|---|---|
시험비 | CRO 비용 등 |
국내 | 4,072 | 3,049 | 10,278 | 3,570 |
수입 | 2,135 | 2,815 | 2,380 | 2,079 | ||
소계 | 6,207 | 5,864 | 12,658 | 5,649 | ||
시약 소모품 수선비 |
<합산> | 국내 | 448 | 646 | 727 | 461 |
수입 | - | - | 46 | 305 | ||
소계 | 448 | 646 | 774 | 767 | ||
총합계 | 국내 | 4,520 | 3,695 | 11,005 | 4,031 | |
수입 | 2,135 | 2,815 | 2,426 | 2,384 | ||
소계 | 6,655 | 6,510 | 13,431 | 6,415 |
(2) 원재료의 제품별 비중
당사는 현재 생산 및 판매 중인 제품이 없으며, 바이오의약품 연구개발의 특성상 다양한 종류의 시약 및 실험 소모품들이 소량씩 투입되므로, 원재료비 비중을 산출하기 어렵습니다.
(3)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신약후보물질에 대한 연구개발 등이 당사의 주된 업무임을 고려하였을 때, 치료제 개발과 관련한 원재료 비중은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또한, 당사는 지속적인 제품 제조를 위해 장기간의 구매가 발생하는 일반적인 제조업을 영위하는 것이 아닌, 연구개발 및 목적, 단계 등에 따라 연구용 시약의 수요를 산정하여 구매하고 있습니다. 이에 치료제와 관련한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를 산정하기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4) 주요 매입처에 관한 사항
당사는 원재료 및 부재료의 매입이 존재하지 않으나, 다음과 같이 연구개발비를 지출하였습니다. 또한, 당사의 주요 매입처는 아래와 같으며, 당사와 거래를 하고 있는 매입처 중에 특수관계가 존재하는 거래처는 없습니다.
항체의약품 및 재조합 단백질의약품 연구개발의 특성 상 매입품목은 다양한 종류의 외주 시험서비스와 시약 및 실험용 소모품 등이며, 공급의 독과점이나 안전성에는 문제가 없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품목 | 구입처 | 2023년 3분기 (제11기) |
2022년 (제10기) |
2021년 (제9기) |
2020년 (제8기) |
결제조건 | |
---|---|---|---|---|---|---|---|---|
시험비 | APB-A1 CDMO | 국내 | 삼성바이로로직스 주식회사 | - | - | 4,652 | 2,953 | 30일 |
시험비 | APB-R3 세포주개발 | 국내 | 삼성바이로로직스 주식회사 | - | 296 | 2 | 468 | 30일 |
시험비 | APB-R4 CDMO | 국내 |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회사 | 3,463 | 1,776 | - | - | 30일 |
시험비 | ADA항체제작 | 국내 | (주)이효바이오싸이언스 | - | - | 12 | - | 30일 |
시험비 | APB-R3 CDMO | 국내 | (주)바이넥스 | 371 | 565 | 5,415 | - | 30일 |
시험비 | APB-R2 CDMO | 국내 | (주)바이넥스 | 86 | - | - | - | 30일 |
시험비 | 예비평가 in vivo |
국내 | (주)노터스 | 37 | 32 | 30 | 35 | 30일 |
시험비 | 동물효능/반감기평가 | 국내 | (주)에스엘에스바이오 | - | - | 69 | 60 | 30일 |
시험비 | 동물효능/반감기평가 | 국내 | (주)큐베스트바이오 | - | 11 | - | 26 | 30일 |
시험비 | APB-A1 비임상CRO | 수입 |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SNBL) |
- | - | 6 | 436 | 30일 |
시험비 | APB-A1/R3/R4 | 수입 | Charles River Laboratories | 720 | 567 | 235 | 1,034 | 30일 |
시험비 | APB-A1 임상CRO | 수입 | KCRN Research, Inc | - | - | 116 | 33 | 30일 |
시험비 | APB-A1 임상CRO | 수입 | FRONTAGE | - | - | 276 | - | 30일 |
시험비 | APB-A1 세포주개발 | 수입 | Sartorius Stedim Cellca | - | - | - | 276 | 30일 |
시험비 | APB-R3 | 수입 | Anapath GmbH | 42 | 550 | 1,275 | - | 30일 |
시험비 | APB-R3 | 수입 | Syneos Health LLC | 724 | 381 | - | - | 30일 |
시험비 | APB-R4 | 수입 | Labcorp Early Development | - 100 | 656 | - | - | 30일 |
시약,소모품 | 연구용시약소모품 | 국내 | (주)바이오포유 | - | 5 | 92 | - | 30일 |
시약,소모품 | 연구용시약소모품 | 국내 | (주)케이엘사이언스 | 165 | 216 | 204 | 173 | 30일 |
시약,소모품 | 연구용시약소모품 | 국내 | (주)지노믹스원 | 6 | 59 | 123 | 105 | 30일 |
시약,소모품 | 연구용시약소모품 | 국내 | 에이투지바이오랩 | 8 | 44 | - | - | 30일 |
시약,소모품 | 연구용시약소모품 | 수입 | Horizon Discovery | - | - | - | 305 | 30일 |
기타(시험비) | 864 | 1,031 | 569 | 328 | 30일 | |||
기타(시약,소모품) | 269 | 322 | 355 | 183 | 30일 | |||
합계 | 6,655 | 6,510 | 13,431 | 6,415 |
나. 생산 및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당사는 신약개발 중심의 연구기업 특성상 생산능력은 연구원의 기본자질과 풍부한 경험의 정도에 의해서 좌우되고 생산능력이 실험기계나 연구실의 단순한 인프라의 규모로 산정되지는 않습니다.
연구의 단계별로 일정한 부분에 대해서는 언제든지 연구 네트워킹을 통한 외부 전문 연구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협업이 가능하므로 생산능력이 물적 조건에 의해 제약되기보다는 회사의 연구전략에 의해서 정해지는 특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임상1상 전후 단계에서 기술이전(License-Out, L/O)을 목표로 하는 신약개발 전문 기업으로 최종 의약품에 대한 자체 생산을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전임상 및 임상진행 목적으로 대량 생산이 필요할 경우 글로벌 전문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에게 위탁하여 생산 등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내부 연구인력과 CDMO 담당자와 직접적으로 소통하며 협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생산시설 및 기계장치는 항체신약 후보물질 도출 및 in-vivo study 연구개발목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신약후보물질을 연구개발 중인 회사로 생산 및 판매중인 제품이나 상품이 없어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신약후보물질연구개발과 관련한 유형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생산설비의 가동률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생산설비의 투자계획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진행 중인 투자 및 향후 1년 이내에 투자를 개시하기로 결정한 내역이 없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 실적
(단위 : 건, 백만원) |
매출 유형 주1) |
품목 | 2023년 3분기 (제11기) |
2022년 (제10기) |
2021년 (제9기) |
2020년 (제8기)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기술 이전 |
항체 치료제 |
수출 | - | - | - | - | 1 | 23,396 | - | - |
내수 | - | - | 1 | 200 | - | - | - | - | ||
합계 | - | - | - | - | 1 | 23,396 | - | - |
(주1) | 매출 수량은 당사의 기술이전 계약 건수를 기재하였습니다. |
나. 주요 매출처
[주요 매출처별 매출실적] |
(단위 : 백만원) |
매출 유형 주1) |
품목 주2) |
거래처 | 2023년 3분기 (제11기) |
2022년 (제10기) |
2021년 (제9기) |
2020년 (제8기) |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금액 | 비율 | ||||
기술 이전 |
항체 치료제 |
수출 | H. Lundbeck A/S | - | - | - | - | 23,396 | 100.00% | - | - |
내수 | 안국약품(주) | - | - | - | - | - | - | - | - | ||
내수 | 유한양행 | - | - | 200 | 100.00% | - | - | - | - | ||
합계 | - | - | 200 | 100.00% | 23,396 | 100.00% | - | - |
다. 판매경로 및 전략
(1) 판매경로
당사는 SAFA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신약 후보물질을 발굴하고 초기 임상까지 진행한 후 다국적 제약사과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여 계약금, 마일스톤, 로열티 등과 같은 수익으로 R&D에 재투자하는 형태" 인 RIPCO (Research intensive royalty only pharmaceutical company)가 사업모델인 관계로 기술이전이 판매경로 입니다.
[에이프릴바이오 사업모델] |
|
(2) 판매전략
당사는 기술제품의 기술이전을 목표로 BIO Europe, US BIO 및 China BIO 등 다양한 해외 파트너링(partnering) 행사에 참여하여 당사의 원천기술과 파이프라인을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습니다.
[에이프릴바이오 Two-track strategies] |
|
당사는 우선적으로 전임상-임상 1상 단계에서 기술이전 계약 체결을 목표로 내부적으로 8단계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파트너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파트너링 프로세스] |
번호 |
프로세스 |
1 |
기술제품별 거래구조 결정 및 타겟 바이오/제약사 파악 |
2 |
회사 네트워크 및 파트너링 컨퍼런스를 통한 접촉 |
3 |
비기밀소개자료 전달 및 질의응답 |
4 |
관심사 비밀유지계약(CDA) 체결 |
5 |
기밀소개자료 전달 및 질의응답 |
6 |
가상 데이터룸을 통한 Due Diligence (실사) |
7 |
주요 거래조항 협의 (Term sheet) |
8 |
최종 계약체결 |
라. 수주상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시장위험
(1) 신용위험
신용 위험은 회사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용 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및 확정계약을 포함한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거래처의 경우 독립적으로 신용 평가를 받는다면 평가된 신용 등급이 사용되며, 독립적인 신용 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고객의 재무 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 위험을 평가하게 됩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회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063,250 | 7,284,498 |
단기금융상품 | 68,000,000 | 61,500,000 |
기타유동금융자산 | 2,053,095 | 255,833 |
파생상품자산 | 943,586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99,946 |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7,792 | 246,385 |
합 계 | 78,307,670 | 69,286,716 |
(2) 유동성위험
당사는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고있습니다. 유동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 현재 당사의 유동성 위험 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잔존계약만기 | ||
---|---|---|---|---|---|
1년 미만 | 1 ~ 5년 | 5년 이상 | |||
전환사채 | 6,379,641 | 16,573,425 | - | 16,573,425 |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917,355 | 1,917,355 | 1,917,355 | - | - |
기타유동부채 | 106,379 | 106,379 | 106,379 | - | - |
리스부채 | 369,030 | 405,021 | 229,675 | 175,346 | - |
합 계 | 8,772,405 | 19,002,181 | 2,253,409 | 16,748,771 | - |
<전기말>
(단위: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잔존계약만기 | ||
---|---|---|---|---|---|
1년 미만 | 1 ~ 5년 | 5년 이상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441,633 | 1,441,633 | 1,441,633 | - | - |
기타유동부채 | 125,699 | 125,699 | 125,699 | - | - |
리스부채 | 311,262 | 339,778 | 240,664 | 99,114 | - |
합 계 | 1,878,594 | 1,907,110 | 1,807,996 | 99,114 | - |
(3) 외환위험관리
당사는 외화거래 수행에 따라 다양한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USD,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외화금액 | 원화환산액 | 외화금액 | 원화환산액 | |
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USD 2,849,210.30 | 3,831,618 | USD 4,349,513.70 | 5,512,139 |
부채 | ||||
순외화자산(부채) | USD 2,849,210.30 | 3,831,618 | USD 4,349,513.70 | 5,512,139 |
주요 통화별 환율변동시 민감도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상승 | 10%하락 | 10%상승 | 10%하락 | |
USD | 383,162 | (383,162) | 551,214 | (551,214) |
(4) 자본위험관리
당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총부채 및 총자본은 재무제표의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당사는 외부적으로 강제된 자기자본규제의 대상이 아니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부채(A) | 18,347,102 | 1,903,046 |
자본(B) | 62,106,129 | 69,161,705 |
부채비율 (A/B) | 29.54% | 2.75% |
나. 위험관리 조직 및 위험관리 방식
당사는 금융상품을 운용함에 따라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환위험, 이자율위험 등 다양한 재무적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하는데 영향을 주는 위의 위험들을 조기 식별하여 허용 가능한 수준까지 감소 또는제거하는 것을 위험관리의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다. 파생상품 거래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1) 라이센스아웃(License-out) 계약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체결 중인 라이센스아웃(License-out)계약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센스아웃(License-out) 계약 총괄표] |
(기준일 :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
품목 |
계약상대방 |
대상지역 | 계약체결일 | 계약종료일 |
총 계약금액 |
수취금액 |
진행단계 |
APB-R5 | (주)유한양행 (코스피 상장사) |
글로벌 | 2022.08.19 | 계약일로부터 계약종료 요건 충족시 까지 |
(주1) | (주1) | 연구 |
APB-A1 |
룬드벡 (코펜하겐 거래소 |
글로벌 |
2021.10.13 |
계약일로부터 계약종료 요건 충족시 까지 |
4억 4,800만 달러 (Upfront 포함) |
1,962만 달러 (234억원) |
임상1상 |
지속형hGH |
안국약품(주) |
글로벌 |
2015.06.23 |
계약일로부터 계약종료 요건 충족시 까지 |
(주1) | (주1) |
임상 1상 |
지속형G-CSF |
전임상 |
(주1) | 계약의 세부적인 사항은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가) 품 목 : APB-R5
① 계약 상대방 |
주식회사 유한양행(대한민국) |
② 계약내용 |
(주)에이프릴바이오의 SAFA 기반 융합단백질 기술 및 약효물질과 (주)유한양행의 항암 표적 기술 활용한 공동연구 수행 및 계약제품의 개발, 상업화를 위한 전용실시권 허여 |
③ 대상지역 |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세계 |
④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로 부터 국가별로 계약특허의 최종 만료일 또는 (주)에이프릴바이오 기반특허의 만료일 중 늦은 날까지 |
⑤ 총 계약금액 |
(주1) |
⑥ 수취금액 |
(주1) |
⑦ 계약조건 |
(주1) |
⑧ 회계처리방법 |
매출인식 |
⑨ 대상기술 |
- 계약제품 : 후보물질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완제의약품(원료의약품 포함) - 약효물질 : (주)에이프릴바이오의 약효물질은 항암 기전을 가지고 있는 NK 세포 및 CD8+T 세포 집단을 증식 및 활성화시키는 인터루킨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서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음 - 후보물질 : (주)유한양행의 항암 표적 기술과 (주)에이프릴바이오의 SAFA 기반 융합단백질 기술 및 타겟물질을 접목한 이중작용 지속형 융합단백질 신약(공동연구 통해 도출 예정) |
⑩ 개발 진행경과 |
<거래상대방> <회사> 해당사항 없음 |
⑪ 기타사항 |
(주1) | 계약의 세부적인 사항은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나) 품 목 : APB-A1
① 계약 상대방 |
룬드벡(H. Lundbeck A/S) (덴마크) |
② 계약내용 |
룬드벡은 APB-A1 라이선스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고 임상시험, 허가, 생산, 상업화 등을 진행 |
③ 대상지역 |
전세계 |
④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21.10.13 |
⑤ 총 계약금액 |
미화 4억 4,800만 달러 (계약금 포함, 임상1상 시험물질 생산 비용 제외, 로열티 별도) |
⑥ 수취금액 |
<반환의무 없는 금액> |
⑦ 계약조건 |
계약금(Upfront Payment) : $ 16,000,000 |
⑧ 회계처리방법 |
계약금 수취액 19,120백만원($ 16,000,000) 전액 2021년 매출 인식 |
⑨ 대상기술 |
CD40 리간드 타겟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A1) |
⑩ 개발 진행경과 |
<거래상대방> 임상1상 종료일(미국): 2023.08.05 * ClinicalTrials.gov Identifier: NCT05136053
|
⑪ 기타사항 |
분기별 공동운영위원회(Joint Steering Committee) 개최 및 진행사항 |
(다) 품 목 : SAFAgra 및 SAFAtropin
① 계약 상대방 |
안국약품 주식회사 (대한민국) |
② 계약내용 |
안국약품은 SAFAgra 및 SAFAtropin 라이선스에 대한 독점적 권리를 갖고 임상시험, 허가, 생산, 상업화 등을 진행 |
③ 대상지역 |
전세계 |
④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15.06.23 계약종료일 : 계약일로부터 계약종료 요건 충족시 까지 |
⑤ 총 계약금액 |
(주1) |
⑥ 수취금액 |
(주1) |
⑦ 계약조건 |
(주1) |
⑧ 회계처리방법 |
매출인식 |
⑨ 대상기술 |
SAFAgra : 지속형 호중구감소증 치료제 (현 AG-B1511) SAFAtropin : 지속형 성장호르몬 결핍 치료제 (현 AG-B1512) |
⑩ 개발 진행경과 |
<거래상대방> AG-B1512 : 임상1상 단계
|
⑪ 기타사항 |
- |
(주1) | 계약의 세부적인 사항은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2) 라이센스인(License-in) 계약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기술제휴계약(공동연구 협력 등)
No | 계약 상대방 | 계약내용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계약금액 | 수수방법 | 비고 |
1 | 중국길림야타이대 건강교역센터 |
* MOU 계약 - 연구개발 및 전반적 사업영역 협력 |
2019.06.27 | (주1) | - | (주2) | - |
2 | 주식회사 셀로스바이오텍 |
* 공동연구 계약 - 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에 대한 새로운 이중결합 항체 치료제 개발 |
2020.03.24 | (주1) | - | - | |
3 |
국립암센터 |
* 공동연구 계약 |
2020.06.15 |
2022.04.30 |
100,000,000원 |
- | |
4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
* MOU 계약 - SAFA 기술을 이용한 내분비, 면역, 염증 질환 및 종양 치료제 개발에 필요한 전반 적 연구수행 |
2020.11.23 | (주1) | - | - | |
5 |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
* 공동연구 협약 - SAFA를 이용한 지속형 뇌하수체 호르몬 제 개발 |
2021.01.04 | 2026.12.31 | 174,000,000원 | - | |
6 | 주식회사 유한양행 | * MOU 계약 - 신규 치료제에 대한 공동 연구개발 및 공 동 협력 |
2021.01.26 | (주1) | - | - | |
7 | 제넨바이오 | * 공동연구 계약 - APB-A1 간이식 적응증 효과 입증 협업 |
2021.03.30 | 2026.03.30 | - | - | |
8 |
(주)인투셀 |
*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 APB-D1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 및 사업화 |
2022.05.20 |
(주1) |
- | - | |
9 | 주식회사 유한양행 | *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 APB-R5 비임상 후보물질 도출 및 사업화 |
2022.08.19 | (주1) | (주2) | - | |
10 | 주식회사 이뮨온시아 | * MOU 계약 - 면역항암 항체 신약 공동개발 |
2023.02.23 | (주1) | - | - |
(주1) | 상기 계약은 상호간의 이의가 없는 한 계속 지속됨을 원칙으로 합니다. |
(주2) | 계약의 세부적인 수수방법은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4) 판매계약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기타 주요계약
No | 계약 상대방 | 계약내용 | 계약 체결일 | 계약 종료일 | 계약금액 | 수수방법 | 비고 |
1 |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SNBL) |
PK Agreement #1 (영장류 PK 시험) |
2019.02.22 | 계약종료 요건 충족시 까지 |
(주1) | (주1) | - |
2 | Sartorius Stedim Cellca GmbH |
Frame Services andLicense Agreement |
2019.03.28 | - | |||
3 | Shin Nippon Biomedical Laboratories (SNBL) |
PK Agreement #2 (영장류 PK 시험) |
2019.04.28 | - | |||
4 | Charles River Laboratories |
Toxicological study (영장류 전임상 독성시험) |
2020.03.10 | - | |||
5 | SNBL | PD Agreement (영장류 PD 시험) |
2020.05.01 | - | |||
6 | 삼성바이오로직스 | PSA (생산세포주 개발) |
2020.06.05 | - | |||
7 | 삼성바이오로직스 | CDMO(MSA,PSA) (생산공정,분석법,비임상/임상시료 제조) |
2020.07.07 | - | |||
8 | Charles River Laboratories |
Tissue Cross Reactivity (조직 교차 반응성 확인) |
2020.10.08 | - | |||
9 | 바이넥스 | CDMO(MSA,SOW) (생산공정,분석법,비임상/임상시료 제조) |
2020.12.29 | - | |||
10 | AnaPath | Toxicological study (영장류 PK 시험) (설치류와 영장류 전임상 독성시험) |
2021.04.01 | - | |||
11 | Charles River Laboratories |
Tissue Cross Reactivity (조직 교차 반응성 확인) |
2021.10.05 | - | |||
12 | Syneos Health | Master Clinical Services Agreement (임상 CRO) |
2022.01.27 | - | |||
13 | Charles River Laboratories |
Toxicological study (영장류 PK 시험) (설치류와 영장류 전임상 독성시험 |
2022.02.09 | - | |||
14 | 삼성바이오로직스 | CDMO(MSA,PSA) (생산세포주 개발) (생산공정,분석법,비임상/임상시료 제조) |
2022.02.21 | - | |||
15 | 바이넥스 |
CDMO(MSA,PSA) (생산세포주 개발) |
2023.03.31 | - |
(주1) | 계약의 금액 및 세부적인 수수방법은 비밀유지계약에 따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혁신 신약후보물질을 도출하는 최적화된 조직 구성을 목표로 신약개발 프로세스에 따른 팀, 개인별 직무에 대한 명확한 R&R (Roles & Responsibilities)을 통해 16명의 연구개발 인력간 유기적 협력체계 및 효율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 담당 조직
(가) 연구개발 조직 개요
당사의 연구개발 조직은 기업부설연구소(서울, 춘천 소재) 산하 5개팀, 개발본부(서울 소재) 산하 2개팀 등 총 1개 연구소, 1개 개발본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부설연구소는 신기술개발팀, 단백질제작팀, 항암효능평가팀, 면역질환팀, 개발지원팀 5개팀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기술개발팀, 단백질제작팀, 항암효능평가팀, 면역질환팀은 SAFA 플랫폼 및 자체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을 토대로 기초 리드물질 선별 등을수행하고 있으며 개발지원팀은 글로벌 제약사 및 포스닥 경험이 있는 석박사 학위의 전문성을 가진 핵심 연구인력으로 구성되어 신약발굴팀에서 선정한 리드물질로부터 최종 후보물질 선정과 이후 전임상단계를 수행중에 있습니다.
개발본부는 사업개발팀, 개발팀 등 2개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바이오 임상, BD 분야의 전문성을 가진 3명의 인력으로 임상, BD (Business development) 및 특허업무를 중점적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 조직 구성] |
연구소/본부 | 팀 | 주요 업무 |
기업부설연구소 (서울) |
신기술개발팀 |
HuDVFAB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을 토대로 리드 물질 도출 신규 Antibody platform 개발 SAFA 플랫폼 기반 신규 플랫폼 개발, 리드물질 도출 |
기업부설연구소 (서울) |
단백질제작팀 | SAFA 플랫폼 기술을 토대로 기초 리드물질 단백질 제작 후보물질 생산 안정화 세포주 pool 개발 및 배양공정 개발 후보물질 시료 생산 및 제작 단백질 분리 정제 공정 개발 단백질 예비 제형 테스트 |
기업부설연구소 (서울) |
항암효능평가팀 |
항종양 후보물질 발굴 및 효능 평가 항종양 분석 CRO관리 및 연구 데이터 해석 및 분석 |
기업부설연구소 (서울) |
개발지원팀 |
후보물질 in vivo 약효평가 CRO 관리 |
기업부설연구소 (춘천) |
면역질환팀 | 기초 리드물질 in vitro 및 in vivo 약효 평가 면역질환 후보물질 in vitro 및 in vivo 약효 평가 |
개발본부 (서울) |
사업개발팀 | 사업개발(Business development) 및 특허권 관리 |
개발본부 (서울) |
개발팀 | 임상 개발 및 허가 |
[연구개발 조직 현황] |
|
(나) 연구개발 인력 현황
보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 인력은 박사급 5명, 석사급 6명 등 총 16명의 연구개발 인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전체 연구개발 인력의 약 68.8%가 석ㆍ박사급 인력으로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 연구인력의 세부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명) |
구 분 (주1) | 인 원 | |||
박 사 | 석 사 | 기 타 | 합 계 | |
기업부설연구소 | 5 | 4 | 4 | 13 |
개발본부 | - | 2 | 1 | 3 |
합 계 | 5 | 6 | 5 | 16 |
(주1) | 대표이사를 제외한 부서 겸직 임원을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다) 핵심 연구인력
당사의 핵심 연구인력인 차상훈 대표이사는 전사적 경영 및 R&D를 총괄하고 있습니다.
강승구 상무이사는 면역질환팀과 후보물질 도출의 초기 리서치 단계 및 전략부문을 주도적으로 관장하고 있으며, 이재흥 상무이사는 임상 및 BD 부분 총괄 본부장을 맡고 있습니다.
지수선 상무이사 및 한재규 이사, 이민구 이사, 허병웅 이사는 각각 개발지원팀, 단백질제작팀, 항암효능팀, 신기술개발팀을 관장하고 있으며 팀별 유기적인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있습니다.
[핵심연구개발 인력 현황] |
직위 | 성명 | 학위 | 담당 업무 |
주요경력 | 주요 연구실적 |
대표 이사 |
차상훈 | 박사 | 경영 및 연구총괄 |
[학력] '82~'87 강원대학교 환경학 학사 '88~'89 몬타나주립대 미생물학 수료 '89~'93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면역학 박사 [주요경력] '13~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대표이사 '95~현재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교수 '00~'12 (주)아이지세라피 대표이사 '06~'07 싱가포르 국립 의과대학 소아과 교환교수 '97~'99 (주)마크로젠 면역담당 고문 '93~'94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의과대학 박사 후 연구원 |
<재직 전 연구실적> ㆍ새로운 항바이러스제를 위한 인간화 항체 개발 ㆍ인간 단백질체 특이적 인간 단클론 항체 컨텐츠 개발연구 ㆍHLA 유전형 분석 기술개발을 위한 인력 양성 ㆍ항체 신약개발을 위한 인간 단클론 항체 제작에 관한 연구 ㆍ암 타겟 검증 및 항체 효능 검증 ㆍ고추 수용성 섬유소로부터 면역성 건강식품개발 ㆍ벼종실 단백질 특이적 유전자 재조합 항체의 대량 검색 및 항체칩 제작 ㆍ식물체를 이용한 직장암 치료제용 항체 생산 모델링 ㆍSingle-chain variable fragment 항체유전자 이식을 통한 cucumber mosaic virus ㆍ유전자변형 작물의 안정성 평가 기술개발연구 ㆍ집먼지 진드기 항원 특이적 유전자 재조합 인간 항체의 특성 분석 ㆍ파지발현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천식모델에서의 인간항체 분리 ㆍ항체유전자 적중 생쥐의 제작을 위한 생쥐 항체 유전자의 획득 및 조작 ㆍhuman IL-1RA-Hybrid Fc 융합 단백질 항염증 치료제 개발 ㆍ암 치료용 항 HER2 특이적 개량형 인간(화) 항체 개발 ㆍ백혈병 치료용 항체신약 개발 ㆍ항체 신약용 인간 단클론 항체 제작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ㆍ항체유전자조작 혁신기술: 듀얼벡터 항체 파아지 디스플레이 키트 개발 ㆍ여성의 대표적 만성질환인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용 항-TNF-alpha 인간 항체 ㆍEx-phage를 이용한 인간 반 합성 scFv 항체 라이브러리 키트 개발 <재직 후 연구실적> ㆍSAFA를 이용한 지속형 뇌하수체 호르몬제 개발 (2021) ㆍ연구논문 5건, 특허 11건 |
상무 이사 |
이재흥 | 석사 | 개발본부 총괄 |
[학력] '90~'94 충남대학교 약학 학사 '94~'96 충남대학교 약학 석사 [주요경력] '20~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개발본부 본부장 '19~'20 (주)큐라클 BD본부 상무 '16~'18 (주)아키젠바이오텍 아웃소싱팀 팀장(상무보) '13~'16 (주)KT&G 생명과학 라이센싱팀/연구기획팀 팀장 '05~'13 이수앱지스(주) 해외사업팀/임상개발팀 팀장 '02~'05 이수화학(주) 기술기획팀 연구원 '96~'01 (주)삼양제넥스 생명공학연구소 연구원 |
<재직 전 연구실적> ㆍ사업개발 및 라이센싱 총괄 ㆍ개발 중인 신약을 해외 및 국내 제약사에 라이센싱, 공동개발 및 투자를 위한 전략 수립, 진도관리, 파트너 발굴, 협상 및 자료 작성 ㆍUSBIO, CPhI Korea, China-Korea Bio Business networking day 등 partnering ㆍCDA 체결(Servier, Thea, Oxurion 등 다국적 사) ㆍ사내 파이프라인 확보를 위한 제품 도입을 위한 전략수립 및 파트너 발굴 ㆍRituximab biosimilar 글로벌 임상(Rheumatoid Arthritis-12개국 75 sites & Oncologyㆍ33개국 150 sites) 인허가 총괄: 미국,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등 임상 진행 ㆍHealth Authority(HA) Meeting 총괄: EMA SA(Scientific Advice) 자료 작성 및 대응 PMDA(Japanese HA) face to face meeting을 위한 자료 작성 및 미팅 추진 ㆍJP Morgan Health Conference, BioEurope, BioEurope Spring, BioAsia, Biotech ㆍ일본 제약서와 Term sheet 논의, MTA 체결(Genzyme) 및 CDA 체결 ㆍNeuroVive Pharmaceutical(스웨덴)사 발굴 및 CDA 체결: 퇴사 후 개발 과제 ㆍ국내 최초 단클론항체 의약품인 클로티냅®(Abciximab) 수출을 위해 파트너 발굴 ㆍ고셔병(Gaucher disease) 치료제인 애브서틴® (Imiglucerase) 해외 수출을 위해 현 ㆍ해외 공장 실사(Inspection) 총괄하며 브라질, 요르단, 콜롬비아, 이란 및 파키스탄 실사 통과, GMP certificate 확보 ㆍ국내 최초 단클론항체 의약품인 클로티냅®(Abciximab)의 품목허가를 위해 전임상 및 임상시험을 위한 protocol 개발, CRO 접촉 등 총괄 ㆍ고셔병(Gaucher disease) 치료제인 애브서틴®(Imiglucerase)의 다국가 임상을 기 ㆍ파브리병(Fabry disease) 치료제인 ISU303(Agalsidase beta)의 임상을 총괄하여 ㆍ허가 및 등록 총괄: 식품의약품안전청 및 국립수의과학검역원과 접촉하며 기시법, ㆍ동물세포배양 전용 공장 건립을 위한 lay out 작성 및 documentation: 동물세포배 ㆍ연구소 개발 의약품의 기획 및 개발 업무 ㆍ연구소 개발 의약품의 진도 관리 및 전임상 시험 총괄 ㆍ비임상(효능 및 독성) 시험 design을 위해 해외 CRO, 외부 업체 실험 진행 ㆍ보건복지부 및 식품의약품안전청과 접촉하며 기시법, 의약품제조업 허가 및 품목 허가 (제넥솔®(Paclitaxel)) 취득 ㆍcGMP documentation: 미국 FDA 허가를 위한 서류 업무로서 기기 Qualification, ㆍISO: ISO 9002 인증을 위해 서류 업무를 하여 인증 획득 ㆍ동물실험: 자체 동물실험을 실시하여 효능(항생제의 MIC측정, 인간성장호르몬
ㆍ사업개발 및 라이센싱 총괄: APB-A1 Lundbeck에 기술이전 완료 (Upfront: $16M, Milestone: $432M & Total: $448M) ㆍRA 업무총괄 ㆍ특허 및 지적재산권업무 총괄 ㆍ임상 업무 총괄 |
상무 이사 |
강승구 | 박사 | CSO |
[학력] '94~'97 연세대학교 생물학 학사 '97~'00 연세대학교 분자면역학 석사 '00~'09 Purdue University 면역/병리학 박사 [주요경력] '20~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CSO '15~현재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교수 '10~'15 Research Associate,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CA '09~'09 Postdoctoral Fellow, Purdue University, IN |
<재직 전 연구실적> ㆍ동물모델을 이용한 다양한 면역조절 기작 연구 ㆍKeystone Symposia, 대한 면역학회, Asian Transplantation Week, FIMSA
ㆍ연구재단 (NRF)의 우수 개인연구 (신진, 중견) 및 집단연구 (기초연구실)등에 ㆍ산업통상자원부 지원 알키미스트 프로젝트 ㆍ국내 여러 바이오벤처기업의 기술자문 등을 통해 바이오의약 산업현장에 필요한 ㆍNature Immunology,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Science Advance, Gastroent erology, Journal of Immunology등 면역학 및 면역질환 분야 저널에 주저자로 발표 ㆍ세포면역학 연구실을 중심으로 면역 조절 기작 연구 수행 ㆍ47편의 SCI급 연구논문 출간(2021 강원대) |
상무이사 | 지수선 | 박사 | 개발지원 총괄 |
[학력] '93~'97 중앙대학교 생물학 학사 '97~'99 서울대학교 생물학 석사 '99~'04 서울대학교 생물과학 박사 [주요경력] '21~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비임상개발팀장(상무이사) '11~'20 (주)에이프로젠 약효분석실 실장(부장) '05~'11 Mayo Clinic, USA 박사후연구원 '04~'05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연구원 |
<재직 전 연구실적> ㆍ류마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 질환 치료제 Infliximab (Remicade Biosimilar)의 ㆍFDA 임상 3상 IND를 위한 약효평가시험 총괄 ㆍ일본 PMDA 허가관련 대응 및 프로젝트 리더 ㆍ미국 FDA 임상 3상 IND를 위한 약효평가 시험 총괄 ㆍ일본 PMDA 허가를 위한 약효평가 시험 총괄 및 허가관련 대응 ㆍ미국 FDA 품목허가를 위한 특성분석 시험 총괄 ㆍ유방암치료제 Trastuzumab (Herceptin Biosimilar)의 in vitro 및 in vivo 약효평가 ㆍIn vitro 약효평가 ㆍ빈혈치료제 Darbepoetin alfa (NESP Biosimilar)의 in vitro 및 in vivo 약효평가 ㆍ황반변성 신약 개발을 위한 in vitro 및 in vivo 약효평가 시스템 구축 (시험법 개발) ㆍ연구논문 8건 ㆍ전임상 영장류 약효 및 독성시험 ㆍin vitro 약물기작 분석시험 ㆍ문서화시스템 구축 |
이사 | 한재규 | 석사 | 단백질제작 총괄 |
[학력] '95~'99 강원대학교 생물응용공학 학사 '99~'01 강원대학교 생물응용공학 석사 [주요경력] '16~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신약발굴팀장(이사) '15~'16 강원대학교 대학본부 기획조정과 의료산업특화 BIT 융합 전문인력양성사업단 '13~'15 (주)에이프릴바이오 수석연구원(실장) '03~'12 (주)아이지세라피 수석연구원(실장) |
<재직 전 연구실적> ㆍ특허 출원 및 등록, 관리 ㆍ연구용역과제 수주 진행 (5종) - Human Tenanscin-C에 대한 하이브리도마 세포주 제작(2007) - DX 및 HAV에 대한 scFv 파아지 디스플레이 라이브러리 제작(2009) - 인간항체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mouse, human cross reactive 항c-Met - 핵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Fab 단클론 항체 제작(2011) - Human FcRn에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FcRn과 IgG1의 Fc 간의 interaction을 ㆍ보건복지부, 산업자원부, 중소기업청, 지식경제부 주관 7개 과제 수주 ㆍ연구용 anti-tag 항체 제품 개발 ㆍEx-phage 항체 디스플레이 키트 개발 ㆍ연구논문 8건
ㆍ신약개발 업무(공정개발분석, 분석법 개발) ㆍ유용항체/재조합 단백질 CMC 진행 ㆍ기초과제 파이프라인 PM ㆍ동물 파이프라인 PM ㆍ외부 기관 공동연구 과제 PM ㆍ연구용역과제 수주 진행 (3종) ㆍ연구논문 3건 |
이사 | 이민구 | 박사 | 항암효능평가 총괄 |
[학력] '97~'99 고려대학교 생물학과 이학석사 '99~'03 고려대학교 생물학과 이학박사 [주요경력] '21~'23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연구소 연구교수 '05~'20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연구교수 '03~'05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연구원 |
<재직 전 연구실적> ㆍ주저자 국제 학술지 연구 논문 11편, 공동 국제학술지 연구 논문 26편 ㆍ국책연구 책임 연구과제 6건 -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 사업 (4개 사업 책임연구자) - 보건복지부 암정복 과제 사업 (2개 사업 참여연구원) ㆍ항종양 효능 평가 연구용역 과제 진행 2건 ㆍ특허 출원 2건 - 시클로옥시게나아제를 표적으로 하는 진단치료용 약물의 개발 - 암세포의 에너지 대사를 교란시켜 약물 내성을 극복한 약물 전달 시스템의 개발 |
이사 | 허병웅 | 박사 | 신기술개발 총괄 |
[학력] '93~'97 강원대학교 생물응용공학과 학사 '97~'99 강원대학교 생명공학 석사 '99~'04 강원대학교 생명공학 박사 [주요 경력] '23~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신기술개발팀장(이사) '21~'23 소나큐어 공동대표이사 '19~'21 이뮤노포지 바이오신약파트 파트장(상무) '13~'18 안국약품 바이오의약개발팀 팀장(차장) '12~'13 유바이오로직스 부설연구소 수석연구원(차장) '10~'12 종근당효종연구소 바이오의약개발팀 책임연구원 (과장) |
<재직 전 연구실적> ㆍ항체 라이브러리 제작, 타겟 특이적 항체 선별, Characterization, 발현시스템 개발 ㆍ국책과제 5개 수주 (최근 7년) - 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개발연구사업 비임상.임상 분야 신규 과제 (2017년, 주관책임자) - 보건산업진흥원 보건의료개발연구사업 비임상.임상 분야 신규 과제 (2018년, 참여연구원) - 2019년도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2019년, 주관책임자) - 소재부품글로벌투자연계기술개발사업 (2020년, 주관책임자) - 2022년도 중소기업 R&D 역량제고사업 R&D기획 지원 (2022년, 주간책임자) ㆍ2개 바이오의약품 생산/정제/물리화학적특성분석/비임상 진행 (1개 바이오의약품, 호주 임상 1상 승인) |
(3)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
구 분 | 2023년 3분기 (제11기) |
2022년 (제10기) |
2021년 (제9기) |
2020년 (제8기) |
|
자산처리 | 원재료비 | - | - | - | - |
인건비 | - | - | - | - | |
감가상각비 | - | - | - | - | |
소 계 | - | - | - | - | |
비용처리 | 제조원가 | - | - | - | - |
판관비 | 7,432,104 | 7,349,880 | 13,932,692 | 6,815,455 | |
소 계 | 7,432,104 | 7,349,880 | 13,932,692 | 6,815,455 | |
연구개발비용 계 | 7,432,104 | 7,349,880 | 13,932,692 | 6,815,455 | |
정부보조금 | 541,638 | 425,070 | 40,519 | 34,718 | |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 계 | 6,890,465 | 6,924,810 | 13,892,173 | 6,780,737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 | 3674.94% | 59.55% | - |
(4) 연구개발실적
(가) 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 계획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연구개발 진행 중인 바이오 신약 및 화학합성 신약 의약품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 진행 총괄표] |
(기준일 :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
구분 |
품목 (타겟) |
적응증 |
연구 |
현재 진행단계 |
비고 |
||
단계(국가) | 승인일 | ||||||
바이오 | 신약 | APB-A1 |
자가면역질환 |
2018 |
임상 1상 |
2021.09.28 |
2021년 10월 룬드벡(H. Lundbeck A/S) 라이센스 아웃 |
APB-R3 |
염증질환 |
2019 |
임상 1상 (호주) |
2022.09.28 |
임상 1상 진행중 |
||
APB-R4 | 자가면역질환 | 2021 | 예비독성 시험 개시 |
- | 글로벌 CRO 진행중 | ||
APB-BS2 | 삼중음성유방암 | 2021 | 후보물질 탐색 |
- | 국가신약개발 사업단 신약기반 확충연구 과제 종료 |
||
APB-R5 | 고형암 | 2022 | 후보물질 도출 |
- | 유한양행과 공동개발(YHC2141) 진행중 | ||
APB-R2 | 남성불임 | 2017 | 공정개발 | -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공동연구 (연구중심병원 과제: 2021.01~) |
① 품 목 : APB-A1
구분 |
바이오 신약 |
적응증 |
자가면역질환 |
작용기전 |
CD40L이 발현된 T 세포와 B 세포의 CD40의 결합을 차단하여 B 세포의 |
제품의특성 |
CD40/CD40L 간 결합을 매우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효과를 지니고 있으며 혈전색전증이라는 심각한 부작용 없이 T 세포 자극 저하 및 자가항체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어 다양한 자가면역 질환의 효과적인 치료제로 사용 |
진행경과 |
임상 1상 |
향후계획 |
기술이전 상대방인 룬드벡(H. Lundbeck A/S)에서 임상 진행 |
경쟁제품 |
SOLIRIS : Alexion 미국 FDA 승인 (2019) |
관련논문 등 |
2020 PEGS Europe 학회 포스터 발표 2021 PEGS Boston 학회 포스터 발표 |
시장규모 |
전 세계 시장규모 - 자가면역질환 : $153,320백만 (2025년 기준 , Research and Markets) |
기타사항 |
2021.10 룬드벡(H. Lundbeck A/S) 글로벌 기술이전 (코펜하겐 거래소 상장사) |
② 품 목 : APB-R3
구분 |
바이오 신약 |
적응증 |
염증질환(대식세포증후군을 동반하는 성인형 스틸병) |
작용기전 |
인터루킨-18과 결합하여 인터루킨-18 수용체와의 결합을 차단하여 |
제품의특성 |
SAFA 기술이 적용되어 속효성 IL-18BP 대비 반감기 증가로 투여 횟수 감소, 수동적 표적화 기능을 통한 효율적인 약물 전달로 치료효과 상승 |
진행경과 |
임상 1상 |
향후계획 |
2023년 임상 1상 시험 완료 |
경쟁제품 |
악템라(ACTEMRA) 미국 FDA 승인(2010) |
관련논문 등 |
2021 PEGS Boston 포스터 발표 2022 CIS 포스터 발표 |
시장규모 |
전 세계(북아메리카, 중남미, 유럽,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시장규모 - 스틸병(Still's disease) : $1,539백만 |
기타사항 |
- |
③ 품 목 : APB-R4
구분 |
바이오 신약 |
적응증 |
자가면역질환(염증성 장 질환) |
작용기전 |
조절 T 세포를 활성화 및 증식 시켜서 자가면역 조절 |
제품의특성 |
기존의 고용량 투여로 인한 독성 부작용 극복 속효성 물질 대비 반감기 증가로 투여 횟수 감소 |
진행경과 |
예비독성 시험 개시 |
향후계획 |
2024년 4분기까지 예비독성시험 |
경쟁제품 |
스텔라라(STELARA) 미국FDA 승인(2009) |
관련논문 등 |
- |
시장규모 |
주요 8개국(미국, 유럽 5개국, 일본 및 중국) 기준 연간 시장규모 - 염증성장질환 : $15,900백만 |
기타사항 |
2022년도 3차 국가신약개발 사업단 신약R&D 생태계 구축연구 과제 선정 |
④ 품 목 : APB-BS2
구분 |
바이오 신약 |
적응증 |
고형암 (삼중음성유방암을 비롯한 표적항원이 고발현하는 난치성 고형암) |
작용기전 |
종양의 면역억제 환경 개선과 대식세포 활성화 기전 |
제품의특성 |
종양미세환경의 대식세포와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신규 치료제 |
진행경과 |
후보물질 도출 |
향후계획 |
2023년 4분기까지 후보물질 선정 2024년 전임상 시험 |
경쟁제품 |
Oleclumab : AstraZeneca 임상 3상 진행 중 ALX148 : ALX 임상 3상 진행 중 TTI 622 : Pfizer 임상 2상 진행 중 |
관련논문 등 |
- |
시장규모 |
주요 8개국(미국, 유럽 5개국, 일본 및 중국) 기준 연간 시장규모 - 삼중음성유방암 : $21,098백만 |
기타사항 |
2022년 국가신약개발 사업단 신약기반 확충연구 과제 종료 |
⑤ 품 목 : APB-R5
구분 |
바이오 신약 |
적응증 |
고형암(난치성 고형암) |
작용기전 |
NK 및CD8+ T 세포 집단의 활성화, 증식, 생존 및 세포독성 |
제품의특성 |
SAFA 기술적용 항-암효능 단백질과 표적 질환 타겟 항체절편이 융합된 이중특이적결합 지속형 단백질 치료제 |
진행경과 |
SAFA 적용 리드물질 도출 진행 중 |
향후계획 |
2023년 리드물질 도출 및 검증 2023년~2024년 최종 후보물질 선정 및 약동학 및 약력학 확인 2024년~2025년 전임상시험 물질 생산 및 원숭이 독성시험 진행 2026 년 임상시료 제조, IND filing |
경쟁제품 |
N-803 : FDA accepts BLA (BCG-Unresponsive Non-Muscle Invasive Bladder Cancer) NKTR-255,THOR-707,ALKS 4230 : 임상 2상 진행중 CUE-101,SO-C101,GTB550,NKTR-255,KD033,RG6279,PF-07209960, ASKG315, IGM-735 : 임상 1상 진행중 |
관련논문 등 |
- |
시장규모 |
면역항암제 시장: 2024년 480억달러(이벨류에이트 파마) |
기타사항 |
- |
⑥ 품 목 : APB-R2
구분 |
바이오 신약 |
적응증 |
남성형 불임 |
작용기전 |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을 증가시켜 정자 형성 유도 |
제품의특성 |
SAFA 기술이 적용되어 기존 속효성 FSH 대비 반감기 약 3배 증가 |
진행경과 |
연세 세브란스 병원과 공동 연구 진행 중 |
향후계획 |
생산공정 개발완료 |
경쟁제품 |
고날에프(GONAL-F) 미국 FDA 승인(1997) |
관련논문 등 |
- |
시장규모 |
전 세계(북아메리카, 중남미, 유럽, 아시아, 중동, 아프리카) 시장규모 - 남성 불임 : $3,883백만 |
기타사항 |
- |
(나) 연구개발 완료 실적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연구개발활동 및 판매 중단 현황
자사 개발전략 변화에 따라 APB-BS2 품목은 리드물질 변경 후 해당 국가신약개발 사업단 신약기반 확충연구 과제 조기 종료를 요청하여 협약 해지를 하였고, APB-D1 품목은 인투셀과 성공적으로 In vitro/In vivo 효능 평가를 통해 ADC 약물개발 가능성을 확인, 공동연구 개발을 종료하였습니다.
(라) 기타 연구개발 실적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수행하고 있는 국책과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 국책과제 현황] |
(단위: 백만원) |
기술구분 |
사업명 (시행부처) |
과제명 |
사업기간 |
총 지원금 (당사 부담금) |
참여 |
현황 |
APB-R2 |
글로벌 의료수요 해결을 위한 |
개방형 모듈 기반 |
2021.01~2026.12 (72 개월) |
5,100 (1,700) |
참여 |
수행 중 |
APB-BS2 |
2022년도 1차 국가신약개발사업 (국가신약개발사업단) |
삼중음성유방암을 포함하는 |
2022.03~2024.12 (34 개월) |
1,200 (300) |
주관 기업 |
종료 (2023.04) |
APB-R4 | 2022년도 3차 국가신약개발사업 신약 R&D 생태계 구축연구 (국가신약개발사업단) |
난치성 자가면역질환 치료를 위한 SAFA 플랫폼 기반 IL-2v의 후보물질 도출 |
2022.09~2024.08 (24 개월) |
1,200 (300) |
주관 기업 |
수행 중 |
7. 기타 참고사항
가. 상표 관리정책 및 고객관리 정책 등이 사업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적재산권 개괄적 현황
지식재산권 보유현황 (건) |
특허등록 |
특허출원 |
상표권 |
21 |
76 |
1 |
(2) 지적재산권 상세 현황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지적재산권 상세 현황' 참조 |
다. 사업영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법규 및 규제사항
바이오의약품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산업으로서 제품의 개발에서 임상시험, 인허가 및 제조, 유통, 판매 등 전 과정을 매우 엄격히 국가에서 규제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는 항체의약품 완제를 판매하지 않고 전임상 또는 임상 단계에서 기술이전을 통하여 사업화 하는 모델이기 때문에 이들 산업표준 및 규제에 대해서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개발 과정에서 GLP (Good Laboratory Practice) 및 GMP (Good Manufacturing Practice)가 필요한 경우에는 해당 자격을 취득한 국내외 전문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및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기관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선진국의 규제 기관과 제약 업계가 모여 과학기술적 측면에서 제약 개발 및 등록을 논의하기 위해 설립한 국제회의인 ICH의 가이드라인이 있으며 미국 시장을 진출하기 위하여 FDA(Federal Drug Agency) 가이드라인의 준수 역시 필수적입니다.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바이오의약품 역시 다양한 메커니즘으로 개발이 되면서 위의 의약품 개발 가이드라인도 높아지는 기술 수준에 맞게 개정이 되며 규제 당국은 제약사들의 제품 개발 시에 최신의 가이드라인을 따르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임상 및 시간 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의약품 규제 기관에서 각 국가의 기준에 맞게 자료를 요구하고 자료의 요건을 충족한다 할지라도 해당 자료의 심사 과정에서 부적절할 것으로 판단되면 이를 반려하거나 자료의 보완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다만, 시장의 규모(환자수)가 의약품 개발 비용에 비해 매력이 떨어지는 일부 적응증(대상질환)에 대해서는 수익성이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의약품 규제 당국에서는 일부의 자료를 면제하거나 특허권의 연장을 허용해 주기도 합니다.
[주요 관리기준 용어] |
국문(용어) |
영문(용어) |
내 용 |
비임상 시험 관리기준 |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
GLP는 시험기관에서 수행하는 시험의 계획, 실행, 점검,기록, 보고 되는 체계적인 과정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 사항을 규정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GLP는 의약품 등 화학물질의 독성시험에서, 시험 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제도로서 GLP 시험기관이 적합한 인원 및 조직, 시설, 장비를 구축하고 이의 운용을 위한 SOP(표준작업지침서)를 만들며, 규정된 시험 계획서 및 SOP에 따라 시험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시험에 관여하지 않는 제3의 신뢰성 보증부서로 하여금 모든 시험의 단계마다 점검하게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독성시험자료를 생산하는 체계적인 시험 운영관리 시스템입니다. |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기준 |
Good |
허가사항 또는 시험 규격에 의해 요구되고,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하는 품질기준들에 따라 제품이 일관되게 생산되고 조절되고 있음을 보증하는 품질보증의 일부분으로 GMP는 생산과 품질관리 모두와 관계가 있습니다. |
임상시험 실시기준 |
Good Clinical |
임상시험 관리기준은 동물용 의약품을 평가하는 임상시험의 설계, 실시, 모니터링, 기록, 감사, 분석 및 보고에 관한 국제적인 과학적 품질 기준으로 공표합니다. 이 기준을 준수하면 임상시험 데이터의 무결성과, 동물 복지와 임상시험 참여 요원, 환경, 인간 및 동물 먹이사슬의 보호를 충분히 고려했다는 사실에 대해 공적 보증을 얻을 수 획득할 수 있습니다.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라. 사업영위와 관련하여 환경물질의 매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 규제 준수 여부 및 환경개선설비에 대한 자본지출 계획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1) 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가) 산업의 특성
의약품은 일반적으로 화학합성의약품(저분자의약품 이라고도 함)과 바이오의약품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화학합성의약품은 화학적 합성에 의해 제작, 생산되는 의약품으로 개발기간이 짧으며, 쉽게 대규모로 빠르게 생산이 가능하고, 일정한 화학식에 의하여 제조되어 품질의 균일하며, 분자크기가 작아 약물 전달 속도가 빨라 효과적인약효 발현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지금까지 의약품산업의 성장을 이끌어 왔습니다.그러나 의약품산업이 고도화됨에 따라 화학적 합성을 통한 신물질 개발에 한계가 도래하게 되었고 바이오의약품이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되었습니다.
바이오의약품은 생명공학 기술을 바탕으로 핵산, 단백질 등의 생물체 구성요소나 정보를 활용하여 제조하는 의약품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좀 더 구체적으로 유전자재조합, 세포배양, 세포융합 등 생물공학 기술(biotechnology)을 이용하여 생산되는 항체신약, 재조합단백질신약, 세포치료제, 유전자치료제 등이 이에 속합니다.
바이오의약품의 장점으로는 사람이나 다른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로 사용하여제조함으로 합성의약품처럼 체내에서 발생되는 대사산물이 없어 독성이 낮고, 질환의 발병기전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여 난치성 및 만성질환등 특정 질병을 표적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장점이 있으며, 합성의약품에 비해 바이오의약품이 임상시험 성공률이 높아 신약승인 성공률이 높은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출처 : 바이오의약품 산업동향 보고서, 2020.12, 한국바이오의약품협회)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연구개발 비중이 크고, 원천기술 확보가 중요한 기술 집약적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현재 대한민국의 주요 성장 동력 산업 중의 하나입니다.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장기간의 첨단연구개발이 필요하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그에 따라 수반되는 원료산업 활성화, 연구인력 고용 창출, 해외 수출에 따른 수익 창출 등 국가 경제 발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기 때문에 장기간의 투자와 함께 정부 차원의전략적, 정책적 지원이 필요한 다단계 복합 산업입니다.
바이오의약품 산업은 고위험, 고수익 창출산업으로 특성상 오랜기간 많은 금액을 투자하여야 하고, 다양한 임상변수가있어 인내가 필요한 산업이나, 동시에 성공 시 단시간 내에 해외 시장을 점유할 수 있고 막대한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산업입니다. 이러한 바이오의약품 사업에서 당사는 바이오의약품 중 단백질 의약품에 속하는 항체치료제 및 지속형 재조합 단백질 의약품을 개발하는 기업으로, 회사가 보유한 인간 항체 제작 기술과 단백질 의약품 반감기 증대 기술을 바탕으로 다양한 항체치료제 의약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①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현황
글로벌 의약품시장은 2022년 1조 4,820억 달러에서 연평균 3 ~ 6% 증가세로 2027년에는 1조 9,17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반대로 코로나19 백신 및 치료제 시장은 2021년 1,170억 달러 규모에서 2022년 920억 달러로 점차 시장이 줄면서 2027년에는 500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한국바이오협회 이슈브리핑 2023.02.10)
[글로벌 의약품 시장(2019~2027년)] |
|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바이오의약품은 2022년 기준 4,310억 달러 규모에서 향후 5년간 2,350억 달러가 증가해 2027년에는 6,66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체 의약품 시장의 35%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글로벌바이오의약품시장규모및전망(2012~2027년)] |
|
[매출액 상위 바이오신약(2021년)] |
|
국가별 의약품 시장은 2022년 매출액 기준 미국이 타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41% 시장 점유율로 전 세계 바이오의약품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유럽 주요 5개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이 13%를, 일본 6%과 중국 12%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치료영역 측면에서 약효군별 시장 매출은 항암제, 면역치료제, 당뇨병, 심혈관진환 순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국가별 의약품 시장 규모 현황 및 전망(2015, 2020년)] |
|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분야별 매출 전망(2027년)] |
|
바이오의약품 치료영역 측면에서 약효군 별로 점유률은 블록버스터급 의약품 '휴미라(HUMIRA)', '스텔라라(STELARA)', '엔브렐(ENBREL)' 등이 포함된 면역억제제가 2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키트루다(KEYTRUDA)', '옵디보(OPDIVO)', '다잘렉스 (DARZALEX)' 등이 있고, 당뇨병치료제로는 '트루리시티(TRULICITY)', '오젬픽(OZEMPIC)', '란투스(LANTUS)' 등이 포함된 항암제 및 당뇨병치료제가 각 18%를 차지하여 면역억제제 및 항암제가 40% 이상의 점유율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약효군별 시장점유율(2021년)] |
|
②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현황
국내에서는 빠른 노인인구 증가 및 만성질환의 증가로 의약품 수요 확대에 따른 바이오의약품 산업을 포함한 의약 전반 산업군의 확대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건강보험 진료비 대비 노인(65세 이상) 진료비 비중 추이(2017~2021년)] |
|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는 '21년 7조 111억원 규모로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비중이 2020년 3조 3,029억 대비 112.3% 증가하여 최근 5년 중 가장 높은 증가폭을 기록하였으며, 이는 바이오의약품에 해당하는 코로나 19 백신 및 치료제(항체의약품)의 신규 생산 및 수입실적이 추가된 데 기인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제제별 시장은 '20년 시장규모 1위였던 유전자재조합의약품을 제치고 '21년 백신이 3조 8,050억원으로 국내 바이오의약품 전체 시장에서 가장 큰 비중(54%)를 차지하였습니다. 이는 코로나19 백신의 영향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21년 유전자재조합의약품 시장규모 2조 1,142억, 30.2%)
[국내 바이오의약품 시장규모(2012~2021년)] |
|
[바이오의약품 제제별 시장규모(2021년)] |
|
③ 자가면역 및 염증질환 시장 현황
Research and Markets에서 발표한 자가면역질환 시장자료에 따르면 2017년도에 $109,833M 규모의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 4.2%로 2025년도에는 $153,320M으로 꾸준히 성장할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다른 시장조사 업체인 Fortune Business Insights에서 조사한 시장자료에 따르면 염증질환 시장의 경우, 2019년도에 $93,880M 규모의 시장을 가지고 있으며 연평균 성장률 9.7%로 2025년도에는 $161,232M으로 꾸준히 성장할 전망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EvaluatePharma의 글로벌 시장조사 자료에 따르면 자가면역질환 시장과 염증질환 시장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분야는 류마티스 치료, 면역억제제, 그리고 다발성경화증 치료가 있으며 그중 자가면역질환 시장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자가면역 및 염증질환분야 글로벌 판매량(글로벌 TOP 판매순위 중)] |
글로벌 판매순위 |
치료분야 |
글로벌 판매량 ($bn) |
CAGF |
|
2018 |
2024 |
|||
3 |
류마티스 치료 (anti-rheumatics) |
58.1 |
54.6 |
-1.0% |
6 |
면역억제제 (immunosuppressants) |
14.2 |
36.1 |
16.9% |
12 |
다발성경화증 치료 (MS therapies) |
22.7 |
21.1 |
-1.20% |
※출처 :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19, Outlook to 2024 |
류마티스 치료 시장의 주요 성장요인으로 Upadacitinib (에브비), Xeljanz (화이자), Filgotinib (갈라파고스)가 있으나 블록버스터 판매량을 차지하고 있던 Humira (에브비)를 포함한 Remicade (존슨앤존슨), 그리고 Enbrel (암젠)의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점유율이 높아짐에 따라 류마티스 치료 시장 규모가 전체적으로 감소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높은 시장 성장을 예측하는 면역억제제의 경우 주요 성장요인으로 Dupixent (사노피), Stelara (존슨앤존슨), Ozanimod (쎌진), 그리고 Bardoxolone methyl (리타)의 시장진입에 따른 결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당사에서 개발하고 있는 APB-A1과 APB-R3의 경우 자가면역 및 염증 질환에 관여하는 target molecule에 적극적으로 관여하는 치료제로 여러 자가면역 및 염증 질환에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④ 바이오의약품 시장 향후 전망
간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의 경우 시장규모는 늘어나는데 비해 많은 부작용으로 인한 불안감으로 신개념 표적 치료제에 대한 요구가 확대되고 있으며, 기술 혁신과 소득 증대로 인해 개인별 맞춤의료 및 고급의료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초기 단계에 있지만, 개인 맞춤형 표적치료제, 세포치료제 및 유전자 치료제 시장과 제3세대 바이오의약품이 매우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바이오의약 분야는 아직까지도 규명해야 할 부분이 많은 분야로, 현재까지 일부 질환에 대해서만 단백질의 역할이 규명되어 한정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지만, 프로테오믹스의 발전에 의해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단백질의 역할에 대한 규명이 이뤄질 경우 난치성 질환에 대한 치료도 가능케 할 뿐 만 아니라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세대 바이오의약품인 항체의약품의 경우는 새로운 타겟에 대한 치료용 항체 발굴로 새로운 항체치료제를 개발하고, 기존 항체 치료제들보다 효능이 더 좋은 항체의 개발또는 기존 항체와의 병합투여 기술을 개발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되어 이중항체 및 항체약물중합체(ADC) 분야가 더욱 각광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바이오의약산업의 성장성은 기존 기술적 한계 내에서의 예측임에도 불구하고 각국 정부의 적극적 지원 및 다국적 제약사 및 바이오 기업의 바이오의약산업에 대한집중적 투자가 이뤄지고 있다는 점에서 기술 진보는 과거의 속도보다 더 빨리 이루어져, 현재 우리가 예상하는 성장성 보다 훨씬 높은 성장성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일반적으로 의약품은 필수제로서 경기 변동에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특히, 전문의약품은 생명 및 건강과 직접적으로 일반의약품에 비해 더욱 경기변동과 관계없이 안정적인 시장이 유지 됩니다. 특히, 당사가 주력으로 개발하고 있는 시장인 자가면역질환 분야, 난치 염증성 질환 분야, 항암제 분야, 희귀질환 분야는 대체할 사업이 없기 때문에 향후 경기 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하지만 제약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이기 때문에 타산업에 비해 정부 규제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라) 계절성
바이오의약품 시장은 계절성의 영향이 제한적입니다.
(2) 국내외 시장여건
(가) 시장의 안정성
항체치료제와 같은 바이오의약품을 초기단계부터 임상 3상까지 진행하기 위해서는 천문학적인 비용 이 소요되며 최소 10년이라는 기간이 필요합니다. 이를 고려할 때 초기 연구 단계부터 임상시험까지 성공하여 최종 승인을 받을 확률이 낮고 많은 비용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진입장벽이 매우 높은 편에 속합니다.
또한 모든 바이오 의약품의 라이프사이클은 특허와 연관성이 높으며, 특허 만료에 따라 독점적 성격에서 과점적 성격으로 경쟁 상황이 변하게 됩니다. 치료효과가 있는 항체에 대한 특허 보유 업체는 특허만료 이전까지 독점적지위를 유지하게 되며, 특허만료 이후에는 바이오시밀러가 개발되어 경쟁체제로 전환되지만,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합성의약품의 제네릭과 달리 생산과정이 복잡하고 신약개발 과정에 준하는 임상과정을 요구하기 때문에 시장진입 장벽이 존재하고 있어 과점적 성격을 띄게 됩니다
전세계적으로 바이오의약품 시장이 급속도로 확대됨에 따라 국내 기업들 또한 시장 진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알려진 질환 연관 단백질의 가치 있는 타겟들 대부분은 선행 다국적 제약사에 선점되어 있고, 신규 타겟 질환 단백질 발굴을 통한 항체신약 개발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기 때문에 국내 기업들은 주로 개량형 항체 개발이나 생산성 향상을 통한 바이오시밀러 항체의약품 개발에 관심이 높은 상황입니다. 국내의 경우 항체의약품 생산 기술에서 많은 연구 개발을 통해 선진국과 격차를 줄이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개발을 통하여 항체의약품 원가를 낮추려는 노력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시장의 경쟁현황
① APB-A1 _ CD40L 저해제 경쟁현황
APB-A1과 동일하게 CD40L를 타겟으로 하는 경쟁제품들 중에 아직 허가받은 제품은 없으며 현재 사노피(Sanofi), 비엠에스(BMS), 그리고 바이오젠/유씨비(Biogen/UCB)를 포함한 글로벌 제약사와 바이오社에서 개발하고 있는 5가지의 물질이 있습니다. 이들 중 가장 선두로 개발 중인 물질은 바이오젠의 CDP7657 (DZP, Dapirolizumab pegol)이 있으며 현재 전신홍반루푸스(SLE)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자가면역질환 치료제로 주로 사용되는 스테로이드 및 면역억제제는 우수한 효능 및 저렴한 비용에도 불구하고 안전성 문제로 장기적으로 처방하기 어렵습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다양한 바이오의약품들이 출시되었으나, 이 역시 감염 등 부작용과장기간 투여시 효능 저하 및 항체 생성 등으로 초기의 약효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치료제가 없거나 허가 받은 치료제가 있으나 그 효능이 충분하지 않을 경우 기존 약제들을 오프라벨(Off-label) 형식으로 비인가 적응증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에 타겟 질환에 대한 글로벌 정식 임상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이 입증된 새로운 기전의 약제에 대한 시장의 니즈가(needs) 매우 강합니다. CD40L은 새로운 타겟으로 CD40L에 결합하여 CD40와의 상호작용을 억제하면 생체 내 주요 면역세포인 B 세포와 T 세포를 동시에 조절할 수 있어 자가면역 및 염증질환 분야에 매력적인 타겟으로 입증되어 상기와 같이 많은 글로벌 회사들이 관심을 가지고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APB-A1은 당사의 SAFA 기술을 이용하여 개발한 물질로 염증조직에 보다 많이 축적되어 적은 용량으로 높은 효능을 나타내어 안전성 측면에서 다른 경쟁 약물 대비 우수합니다. 또한 원숭이에서의 약물동태학(PK, pharmacokinetics) 시험 결과 매우 긴 반감기(약 10일)를 나타내어 임상 환자에서는 한 달에 한 번 투약으로도 좋은 효능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어 경쟁물질 대비 환자의 약물 순응도(Compliance)도 높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② APB-R3 _ IL-18 저해제 경쟁현황
당사의 주력 기술제품인 APB-R3와 동일한 타겟을 저해하는 경쟁물질은 각각 에이비투바이오(AB2 Bio), 글락소 스미스클라인(GSK) 그리고 노바티스(Novartis)에서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 허가 받은 치료제는 없습니다. 이들 중 가장 선두로 개발 중인 물질은 에이비투바이오의 Tadekinig alfa로 현재 원발성 혈구탐식성 림프조직구증(primary HLH)에 대한 임상 3상 시험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Tadekinig alfa의 경우 재조합 IL-18 결합단백질(recombinant IL-18 binding protein. rIL-18BP)로 생체내의 염증 사이토카인 중 하나인 IL-18에 결합하여 염증반응을 저해하는 물질입니다. 이 물질은 피하주사로 개발되고 있어 정맥주사에 비해 투여방법이 간편하기는 하나 인간 생체 내에서 짧은 반감기(약 40시간)를 가지는 물질특성이 있기 때문에 임상 3상에서 2~3 mg/kg 투여량으로 일주일에 3회씩 투여하고 있어 일반적인 항체 또는 지속형 단백질과 비교해 환자의 편의성이 매우 떨어집니다.
이와 비교하여 다른 경쟁社에서 개발 중인 항-IL18 항체치료제의 경우 항체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긴 생체 내 반감기를 가지고 있으며 2주 또는 4주에 한 번씩 투여가 가능할 수 있으나 피하주사가 아닌 정맥주사로 투여되어 환자의 편리성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제약바이오 업계에서 말하는 플랫폼 기술이란"기존 의약품에 적용해 다수의 후보 물질을 도출할 수 있는 기반기술"을 플랫폼 기술이라 명명하고 있으며, 신약개발 플랫폼 기술이 필요한 이유는 신약 후보물질은 개발단계를 거치면서 실패할 수 있는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개발하고 있는 하나의 신약 후보물질이 실패했다 하더라도 플랫폼 기술을 보유한 경우 또 다른 후보물질 도출을 통해 또 다른 신약을 개발할 수 있어 그만큼 실패에 대한 리스크를 분산시킬 수 있으며 보유한 플랫폼 기술을 통해 다양한 후보물질을 개발, 기업의 가치를 제고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외 주요 바이오업체 기반기술 및 기술이전 현황] |
국내/해외 |
업체 |
기반기술 및 기술이전 현황 |
국내 |
에이비엘바이오 |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 (동아ST, 디티엔사노메딕스, 트리거테라퓨틱스, 유한양행, 티에스디 등 기술이전) |
국내 |
제넥신 |
지속형단백질 플랫폼 hyFc (유한양행, 네오이뮨텍[관계사] 등 기술이전) |
국내 |
알테오젠 |
인간 히알루로니다제 SC제형 플랫폼 ALT-B4 (글로벌 제약사 2곳 기술이전) |
국내 |
레고켐바이오 |
ADC 링커 플랫폼 ConjuAll (다케다, 푸싱, 익수다 등에 기술이전) |
국내 |
툴젠 |
CRISPR/Cas9 플랫폼 (키젠, 써모피셔, 몬산토, 옵티팜, 오리엔트바이오, 엔젠, 엔세이지 등 기술이전) |
해외 |
BMS 오노약품 |
PD-1 원천기술 (MSD와의 소송에서 로열티 합의) |
해외 |
BMS 주노테라퓨틱스 |
CAR-T cell therapy 원천기술 (길리어드-카이트파마에 대한 특허침해 소송에서 7억5200만달러 배상 승소) |
해외 |
다이이찌산쿄 |
ADC 플랫폼 (아스트라제네카에 2회 기술이전) |
해외 |
Arvinas |
VHL 기반 프로탁 (PROTAC, Proteolysis targeting chimera) 원천기술 |
해외 |
C4 therapeutics |
세레브론(CRBN, Cerebron) 기반 PROTAC 원천기술 |
※출처: 히트뉴스, 2020 |
이처럼 플랫폼 기술은 확장성 또는 범용성을 기반으로 플랫폼 기술 자체를 기술이전(대표적으로 레고켐바이오, 알테오젠, 다이이찌산쿄)하거나, 혹은 플랫폼 기술이 적용된 파이프라인을 기술이전(대표적으로 한미약품, 제넥신)할 수도 있어 기반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개발사는 시장의 주목을 받으면서 높은 기업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항체를 찾아내어 원하는 타겟 항원 결합 능력을 지닌 인간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획득할 수 있는 항체라이브러리(HuDVFab library) 기술과 당사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된 혈청 알부민과 특이적 그리고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인간 Fab항체 절편(SL335로 명명)을 활용하여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지속형 원천 기술인 SAFA(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플랫폼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두 기술의 조합을 통해 항체의약품, 이중항체, 지속형 항체의약품, 지속형 단백질의약품 ADC 적용 항체 등 매우 다양한 신약 후보의 제작이 가능합니다.
[에이프릴바이오 플랫폼 기술 개요도] |
|
(가) SAFA(anti-Serum Albumin Fab-Associated technology) 기술
① 기술 개요
당사의 SAFA 기술은 당사의 HuDVFab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선별된 혈청 알부민과 특이적이고 고친화도로 결합하는 인간 Fab 항체 절편(SL335로 명명)을 기본 골격으로 사용하며, 유전자재조합기술을 통해 약효성분 단백질을 SL335와 융합하여 약효단백질의 혈청 내 반감기를 증대시키는 지속형 원천 기술입니다.
[SAFA 기술 개요도] |
|
"SAFA"는 알부민-바인더(Albumin binder) 기술의 일종으로 혈청 알부민의 체내 FcRn(neonatal Fc receptor) 매개 재활용 기전(FcRn-mediated recycling mechanism)을 이용하여 약효 단백질의 체내 반감기를 증가시킵니다. "SAFA"는 당사에서 수행한X-ray 결정학(crystallography) 연구를 통해 혈청 알부민 구조 중 FcRn과 결합하는 도메인 I, 도메인 III 부위가 아닌 도메인 II 부위에 결합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혈청 알부민의 체내 FcRn 매개 알부민 재사용 기전을 방해하지 않습니다.
[SAFA(SL335)-알부민 결합체의 FcRn 결합 모식도] |
|
② 개발 배경
단백질 의약품의 주요 3가지 단점은 생산 비용이 높아 합성의약품에 비해 매우 고가이고, 대부분의 제품이 경구용이 아닌 주사제로 환자의 투여 편의성이 낮으며, 체내 반감기가 짧아 자주 투여해야 한다는 점입니다(단, 항체(IgG) 의약품 제외).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의약품의 체내 반감기를 증대시켜주는 지속형기술의 개발이 요구되었습니다.
현재까지 개발된 지속형 원천 기술은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기술은 폴리에틸렌글라이콜(polyethylene glycol)과 같은 수용성 폴리머(polymer)를 단백질 의약품에 화학적 방법으로 연결 시켜 수용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크기를 증가시켜 신장 투과성을 줄이는 기술(PEGylation, CTP fusion)입니다.
두번째 기술은 긴 친화성 아미노산 사슬을 단백질 의약품에 융합시켜 수용성을 증가시키고 동시에 크기를 증가시켜 신장 투과성을 줄이는 기술 (PASylation, X-TEN)입니다.
세번째 기술은 바이오 의약품 유전자에 인위적인 돌연변이를 삽입하여 수용체에 의해 매개되는 바이오 의약품의 감소(receptor-mediated clearance)를 저해하는 기술입니다.
네번째 기술은 FcRn(neonatal Fc receptor)-mediated recycling mechanism으로 인해 긴 반감기를 지닌 IgG 항체의 Fc 도메인이나 알부민을 이용하는 기술 (Fc fusion, albumin fusion, albumin-binder fusion)입니다.
상기 알부민 바인더 기술외 기존 개발된 지속형 기술에는 기술적으로 피할 수 없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알부민 바인더 기술 이전 기존 지속형 원천기술이 지니고 있는 기술적 단점] |
기존 반감기 증대 기술 |
기술적 단점 |
PEGylation/glycosylation/CTP 융합 |
- 인체 투여시 항-PEG 항체 생성 - 당성분으로 인한 생산 및 품질 관리의 어려움 - 약효단백질의 활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음 - Fc 혹은 알부민 관련 기술 대비 혈청 반감기가 짧은 편임 |
PASylation / X-TEN |
- 긴 아미노산 꼬리에 의한 면역원성 발생이 가능함 - 특허 종료가 되지 않아 사용시 특허 침해 이슈 있음 - Fc 혹은 알부민 관련 기술 대비 혈청 반감기가 짧은 편임 |
Fc 융합(Fc fusion) |
- 인체 투여 시 면역세포의 Fc 수용체와 결합하여 면역적 간섭 가능성이 있음 - 약효 성분이 Fc 융합 형태로 발현 시 상호 간섭하여 단백질 응집이 발생할 수 있음 |
혈청알부민 융합 (Albumin fusion) |
- 생산세포주가 효모로 한정될 수 있음 - 이종 이량체(Heterodimer)형태의 약효단백질에 적용하기 힘듬 - 예상보다 혈청 반감기가 짧음 |
따라서 기존 반감기 증대 기술의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알부민 바인더 융합(albumin-binder fusion)기술에 대한 개발수요가 증대되었으며, 당사는 알부민 바인더 융합 기술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여 왔습니다.
SAFA 기술은 ▲기존 지속형 기술이 가지고 있는 단점을 제거하고 ▲특허를 통해 진입 장벽을 높이며 동시에 ▲개발 가능한 지속형 바이오의약품의 구조를 확장하여 신약후보 개발에 보다 다양한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③ 주요 기능 및 적응증
SAFA 기술의 주요 기능은 ▲약효성분의 혈청반감기를 증대시키는 것 ▲수동적 표적화 (passive targeting)로 약효성분을 선별적으로 염증부위 및 암조직에 축적시켜 치료 효능을 증대하고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것입니다.
SAFA 기술의 적응증은 SAFA와 융합이 가능한 약효성분으로는 항체 절편, 호르몬(hormone), 사이토카인(cytokine), 성장인자 (growth factor), 막단백질(membrane protein)의 세포외 도메인(extracellular domain) 등 제한이 거의 없습니다.
SAFA와 융합이 가능한 약효성분의 제한이 거의 없어 암, 자가면역질환, 염증질환, 대사질환 등 거의 모든 적응증의 치료제 개발에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는 원천기술입니다.
④ SAFA 기술의 진행 단계
SAFA 기술은 알부민 바인더 융합 기술의 일종이며, 당사의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을 이용하여 혈청알부민과 강하게 결합하고 생화학적 물성이 매우 우수한 인간 Fab 항체절편(SL335로 명명)을 성공적으로 선별하였습니다.
항-혈청알부민 특이적 인간 Fab 항체 단편(SL335)에 다양한 약효단백질을 융합하여in vitro 및 in vivo 에서의 약효 효능과 혈청 반감기의 증대로 인한 지속성을 실험적으로 충분히 증명하였습니다. SAFA 기술을 이용하여 제작된 신약 후보인 SAFAtropin의 경우 호주 IND를 통과하였고, SAFAgra의 경우 미국 FDA IND 진행 중이며, APB-A1은 현재 미국에서 임상1상 시험 중에 있습니다.
SAFA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현재까지 5개 이상의 신약 후보물질을 제작하였고 다수의 신약 후보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⑤ SAFA 기술과 기존 반감기 증대 기술과의 차별성
- 기존 지속형 기술 대비 차별성
▲ 개선된 지속성
Ablynx사의 알부민 바인더 기술인 나노바디의 동물실험 결과에 의하면 동일한 FcRn-mediated recycling mechanism을 활용하는 Fc 융합이나 알부민 융합에 비해 반감기가 길게 확인되었습니다.
▲ 우수한 개발성
SAFA 기술에 사용되는 SL335 항체절편의 생화학적 안정성으로 인하여 대장균과 CHO 세포 에서 높은 수율로 기술제품의 생산이 가능하며(SAFAtropin(대장균), SAFAgra(대장균) APB-A1(CHO)), SL335는 Fab 항체절편으로 중쇄와 경쇄가 결합된 이종이량체(heterodimer) 형태입니다. 따라서 약효단백질을 융합시킬 수 있는 부위가 중쇄의 N, C 말단, 경쇄의 N, C 말단 등 네 곳이므로 다양한 형태의 신약후보 개발이가능합니다.
▲ 낮은 부작용
Fc 혹은 알부민과 동일하게 SL335는 완전 인간항체 절편이므로 인체 투여 시 면역원성 유발 등의 우려가 적으며, Fc와 다르게 면역세포의 Fc 수용체와 결합하지 않으므로 면역적 간섭을 유발할 가능성도 적습니다.
▲ 우수한 투과성
수동적 표적화(passive targeting) 기작을 통해 알부민과 동일하게 염증 부위 및 암조직에 선별적으로 축적됩니다.
[지속형 바이오의약품 및 바이오의약품 제조 기술의 진화] |
|
- 해외 기업의 반감기 증대 기술과의 차별성
현재 알부민 혹은 알부민 바인더를 이용한 반감기 증대 기술을 가진 당사는 국내에는 없으며 모두 해외 기업입니다. 알부민 자체를 융합 단백질 파트너로 사용하는 경우 알부민 자체 구조의 복잡성으로 인해 약효 분자와 상호 간섭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알부민 바인더 플랫폼의 경우 어떠한 형태의 물질을 바인더로 사용하는지에 따라 각자 특성이 다르며, 당사의 SAFA 플랫폼은 해외 경쟁 업체의 플랫폼 기술에 비해 우수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알부민 융합 및 알부민 바인더 플랫폼 비교] |
구분 |
알부민 융합 플랫폼 |
알부민 바인더 플랫폼 |
|||
특허권자 |
GSK (글락소 스미스클라인) |
Novo Nordisk (노보노디스크) |
GSK (글락소 스미스클라인) |
Ablynx (에이브링스) |
에이프릴바이오 |
형태 |
N/A |
아실레이션 |
도메인 항체 |
나노바디 |
인간 Fab 항체 절편 |
생산 세포주 |
효모 |
효모 |
동물세포 |
대장균, 동물세포 |
대장균, 효모, |
유효 단백질 |
높음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면역원성 |
중간 |
중간 |
중간 |
높음 |
낮음 |
생산공정 문제 |
중간 |
높음 |
높음 |
낮음 |
낮음 |
생산 단가 |
중간 |
중간 |
중간 |
낮음 |
낮음 |
신약 |
낮음 |
낮음 |
낮음 |
중간 |
높음 |
- SAFA 기술의 차별화 포인트 : 수동적 표적화 (Passive Targeting)
체내의 알부민은 종양 부위와 염증 부위에 축적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의미는 알부민에 결합하는 SAFA 플랫폼 또한 종양 부위와 염증 부위에 효율적으로 축적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SAFA 기술의 특장점은 개발하는 자가면역/염증 치료제가 타겟 부위에 높은 농도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아 적은 용량으로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SAFA 플랫폼의 수동적 표적화 실험은 마우스 알부민과 CD40 리간드에 결합하는 MR1-SAFA(적색)와 일반적인 IgG 형태인 MR1 IgG 항체(청색)의 염증조직에서의 타겟팅 효율을 비교 분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고 실험결과 MR1-SAFA의 경우염증조직으로의 MR1 IgG 항체 보다 축적이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SAFA 플랫폼의 수동적 표적화] |
|
- SAFA 기술의 확장성
당사의 SAFA 기술은 지속형 단백질의약품 개발뿐만 아니라 아래와 Fc 기능을 제거한 항체치료제, 이중결합 SAFAbody 항체 그리고 ADC 등 다양한 분야의 신약후보를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어 매우 광범위한 확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SAFA 기술로 제작 가능한 신약 구조의 다양성 및 확장성] |
|
SAFA 기술을 활용한 적응증으로는 자가면역질환, 암, 대사질환 등 매우 다양한 질병분야로 확장 가능합니다. 따라서 기존 지속형 기술의 단순한 개선뿐만 아니라 새로운시장을 창출할 수 있는 기술입니다.
SAFA 기술은 Fab 구조의 알부민 바인더를 활용하기 때문에 단백질 구조상 약물결합 항체 (ADC, Antibody Drug Conjugate) 기술, 압타머와 같은 약효성 핵산 접합 등신기술 부분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알부민 융합 및 알부민 바인더 플랫폼 비교 : 신기술 분야 개척 가능성] |
적용기술 |
SAFA |
나노바디 (에이브링스) |
AlbudAb (GSK) |
아실레이션 (Novo |
|
지속형 가능성 |
융합단백질 |
YES |
YES |
YES |
YES |
다중타겟 개발성 |
이중 혹은 삼중타겟 항체 |
YES |
NO |
NO |
NO |
화학약물 결합성 |
ADC |
YES |
NO |
NO |
NO |
압타머, 핵산 결합성 |
- |
YES |
YES |
YES |
NO |
(나) 항체라이브러리 기술(HuDVFab, Human naive Fab antibody library)
① 기술 개요
항체 라이브러리 기술은 매우 다양한 항체 유전자를 수집하여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사용하여 숙주 세포인 대장균 (Escherichia coli)을 이용하여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그 후 파지디스플레이 기법(phage display technology)을 이용하여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로부터 원하는 질환 타겟 항원 결합 능력을 지닌 인간 항체 신약 후보물질을 획득할 수 있는 기술이며, 당사의 항체라이브러리는 Fab naive 라이브러리에 속하며, 명칭은 "HuDVFab library" 라고 합니다.
[항체 라이브러리[HuDVFab] 개요도] |
|
② 개발 배경
항체 치료제 분야는 현재 바이오의약품 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거대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보유해야 할 것은 바로 질환 타겟 항원과 결합하는 인간화 항체 혹은 인간 항체입니다. 항체 제작 기술에는 인간화 항체 제작 기술과 인간 항체 제작 기술이 있습니다.
인간화 항체 제작 기술은 인간을 제외한 다른 종의 (예 : 설치류(일반적으로 생쥐) 기원) 단클론 항체(monoclonal antibody, mAb)를 제작한 후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면역원성을 줄이기 위해 유전자 조작을 통해 항체의 항원 결합 부위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인간 항체로 변환시키는 기술입니다.
인간 항체 제작 기술은 항체라이브러리 기술 혹은 인간 항체 게놈(genome)을 인위적으로 삽입한 인간화 생쥐(humanized xeno mouse)를 이용하여 완전히 인간 기원인 항체를 제작하는 기술입니다.
두가지 항체 제작 기술 중 인간화 항체는 외래 기원의 성분이 남아 있어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어 인체에 투여될 항체 치료제로는 인간 항체가 더 유리할 수 있습니다. 단 한 두 개의 항체 치료제를 개발하는 사업 모델의 경우 굳이 많은 인적, 물적 투자를 통해 인간 항체 제작기술을 자체 보유할 필요는 없으나, 항체 치료제 사업 분야에서 RIPCO 사업 모델을 가지고 있는 벤처 기업은 수수료나 로얄티 지급 없이 불특정 다수의 타겟 항원에 대한 인간 항체를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의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당사는 인간 기원의 항체 제작 기술을 확보하고 있어 항체치료제 개발 사업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원하는 질환 표적 항원과 결합하는 항체의 획득을 타사의 도움이나 로얄티 스태킹(royalty stacking) 없이 진행할 수 있습니다.
[항체 라이브러리[HuDVFab]의 우수성 및 차별성] |
|
③ 주요 기능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의 주요 기능은 원하는 타겟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항체를 획득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제작된 타겟 항원에서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인간 항체 유전자 조작 및 항체공학(antibody engineering) 기술을 이용하여 최적의 치료 효능을 보일 수 있는 항체치료제 후보를 제작하는 기술로 사용됩니다.
항체라이브러리 기술로 제작된 각각의 인간 항체는 결합하는 타겟 항원에 따라 항체치료제 적용이 가능한 모든 적응증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이때 타겟 항원은 각 적응증에 따라 호르몬(hormone), 사이토카인(cytokine), 성장인자(growth factor) 등 혈액 내 존재하는 수용성 단백질(soluble protein)일 수도 있으며 혹은 암세포 등 표적 세포의 표면에 발현되는 막단백질(membrane protein)일 수도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인간 항체 라이브러리HuDVFab library는 Fab 항체 절편 라이브러리로 동일한 인간항체 경사슬을 보유하는 다른 질환 타겟 항원에 대한 인간 항체를 선별할 수 있어 공통경쇄이중결합항체 (BsIgG) 개발에도 사용됩니다. 또한 항체라이브러리에서 선별된 Fab 항체는 IgG형태로도 개발가능하여 단독 또는 약물접합항체 (ADC)로도 사용 가능합니다.
④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의 진행 정도
당사는 인간 항체라이브러리 구축을 완료하여 충분한 항체절편 유전자의 다양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 항체라이브러리는 구축 전 대장균에서 발현이 잘 되는 항체절편 유전자를 미리 선별하여 제작했기 때문에 당사 보유 항체라이브러리 구성 항체 유전자는 대장균에서 80% 이상이 수용성(soluble) Fab 항체절편으로 생산 가능합니다. (대장균에서 발현이 잘 되는 항체절편 유전자의 선별 방법은 당사의 대외비 노하우입니다.)
또한 우수한 파지발현 항체라이브러리(phage-displayed antibody library) 기술을 확보하였고, 원하는 타겟 항원 결합 항체클론 선별 기술의 구축을 완료하였습니다.
현재 당사의 항체 라이브러리(HuDVFab)로부터 다양한 타겟 항원에 결합하는 Fab 항체 클론들을 성공적으로 선별, 획득하고 있습니다.
⑤ 당사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의 타 분야 확대 가능성
당사 항체라이브러리 기술은 설치류 기원 유용 단클론항체를 인간항체로 변화시키는데도 적용이 가능하며, 일반적인 IgG 형태의 항체신약후보뿐만 아니라 이중결합 SAFAbody 및 KiH 이중결합항체 등의 제작에 특화되어 있어 혁신적인 이중결합항체 개발뿐만 아니라 자가면역질환, 암, 대사질환 등 매우 다양한 질병분야에 필요한 신약후보 도출이 가능합니다.
또한 경쇄셔플링(L chain shuffling)을 통해 유용 인간화 혹은 인간항체의 항원결합 친화도를 성숙시켜 고친화도(high affinity) 항체를 선별하는 목적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당사는 현재 국립암센터, 연세세브란스병원과 공동 연구 MOU를 체결하였고 다양한 질환의 임상전문의와 긴밀한 논의를 지속하면서 임상에서의 unmet need를 파악하고 있습니다.
바. 주요 용어 해설
※상세 현황은 '상세표-5. 주요 용어 해설' 참조 |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른 소규모기업에 해당하여 '요약재무정보' 를 기재하지 아니합니다. 다음의 재무제표 본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연결재무제표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연결재무제표 주석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재무제표
4-1.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
제 11 기 3분기말 2023.09.30 현재 |
제 10 기말 2022.12.31 현재 |
(단위 : 원) |
제 11 기 3분기말 |
제 10 기말 |
|
---|---|---|
자산 |
||
유동자산 |
77,606,940,429 |
69,359,119,258 |
현금및현금성자산 |
6,063,250,286 |
7,284,498,362 |
단기금융상품 |
68,000,000,000 |
61,500,000,000 |
파생상품자산 |
943,586,491 |
|
기타유동금융자산 |
2,053,095,335 |
255,832,873 |
기타유동자산 |
459,287,977 |
138,479,573 |
당기법인세자산 |
87,720,340 |
180,308,450 |
비유동자산 |
2,846,290,717 |
1,705,631,24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99,946,080 |
|
유형자산 |
1,293,958,473 |
1,337,496,533 |
무형자산 |
304,594,316 |
121,749,501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7,791,848 |
246,385,210 |
자산총계 |
80,453,231,146 |
71,064,750,502 |
부채 |
||
유동부채 |
18,160,304,988 |
1,787,176,532 |
전환사채 |
6,379,640,917 |
|
파생상품부채 |
9,554,043,460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917,354,516 |
1,441,633,103 |
기타 유동부채 |
106,378,895 |
125,699,155 |
유동 리스부채 |
202,887,200 |
219,844,274 |
비유동부채 |
186,797,278 |
115,869,183 |
비유동 리스부채 |
166,142,510 |
91,417,242 |
복구충당부채 |
20,654,768 |
24,451,941 |
부채총계 |
18,347,102,266 |
1,903,045,715 |
자본 |
||
자본금 |
10,704,825,000 |
10,561,025,000 |
자본잉여금 |
136,519,877,725 |
135,658,644,465 |
자본조정 |
1,399,247,162 |
1,167,804,210 |
이익잉여금(결손금) |
(86,517,821,007) |
(78,225,768,888) |
자본총계 |
62,106,128,880 |
69,161,704,787 |
자본과부채총계 |
80,453,231,146 |
71,064,750,502 |
4-2.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
제 11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
제 10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11 기 3분기 |
제 10 기 3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영업수익 |
200,000,000 |
200,000,000 |
||
영업비용 |
3,685,760,718 |
10,737,400,055 |
4,573,106,063 |
9,652,736,097 |
영업이익(손실) |
(3,685,760,718) |
(10,737,400,055) |
(4,373,106,063) |
(9,452,736,097) |
금융수익 |
890,199,850 |
3,447,306,324 |
992,644,974 |
2,535,611,406 |
금융비용 |
335,798,487 |
982,903,141 |
9,097,022 |
24,514,188 |
기타이익 |
12,727,690 |
12,812,532 |
9,369 |
83,021,244 |
기타비용 |
28,009,313 |
31,867,779 |
1 |
1,377,236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146,640,978) |
(8,292,052,119) |
(3,389,548,743) |
(6,859,994,871) |
법인세비용(수익) |
||||
당기순이익(손실) |
(3,146,640,978) |
(8,292,052,119) |
(3,389,548,743) |
(6,859,994,871) |
기타포괄손익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총포괄손익 |
(3,146,640,978) |
(8,292,052,119) |
(3,389,548,743) |
(6,859,994,871)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
(294) |
(778) |
(332) |
(720) |
4-3.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
제 11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
제 10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단위 : 원)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이익잉여금(결손금) |
자본 합계 |
|
2022.01.01 (기초자본) |
9,179,845,000 |
116,364,947,705 |
887,197,911 |
(69,266,494,314) |
57,165,496,302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6,859,994,871) |
(6,859,994,871) |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1,334,880,000 |
20,011,800,000 |
21,346,680,000 |
||
주식보상비용 |
283,235,459 |
283,235,459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39,800,000 |
221,889,960 |
(84,240,800) |
177,449,160 |
|
2022.09.30 (자본) |
10,554,525,000 |
136,598,637,665 |
1,086,192,570 |
(76,126,489,185) |
72,112,866,050 |
2023.01.01 (기초자본) |
10,561,025,000 |
135,658,644,465 |
1,167,804,210 |
(78,225,768,888) |
69,161,704,787 |
총포괄손익 |
|||||
당기순이익(손실) |
(8,292,052,119) |
(8,292,052,119) |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
주식보상비용 |
540,195,252 |
540,195,252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143,800,000 |
861,233,260 |
(308,752,300) |
696,280,960 |
|
2023.09.30 (자본) |
10,704,825,000 |
136,519,877,725 |
1,399,247,162 |
(86,517,821,007) |
62,106,128,880 |
4-4.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
제 11 기 3분기 2023.01.01 부터 2023.09.30 까지 |
제 10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11 기 3분기 |
제 10 기 3분기 |
|
---|---|---|
영업활동현금흐름 |
(8,905,781,995) |
(5,681,068,976)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
(9,484,678,965) |
(6,474,495,233) |
이자의수취 |
578,896,970 |
793,426,257 |
법인세환급(납부) |
||
투자활동현금흐름 |
(7,885,503,897) |
(33,077,211,83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999,946,080) |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29,500,000,000 |
105,000,000,000 |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36,000,000,000) |
(138,000,000,000) |
비품의 취득 |
(47,066,191) |
(8,187,819) |
실험기구의 취득 |
(2,000,000) |
(20,328,699) |
시설장치의 취득 |
(150,790,000) |
(9,570,000) |
건설중인자산의 증가 |
(183,356,626) |
(3,825,312) |
임차보증금의 증가 |
(68,520,000) |
(68,086,000) |
임차보증금의 감소 |
55,000,000 |
33,086,000 |
기타보증금의 증가 |
(300,000) |
|
기타보증금의 감소 |
11,175,000 |
|
재무활동현금흐름 |
15,324,222,815 |
21,344,347,585 |
유상증자 |
21,345,984,360 |
|
전환사채의 발행 |
14,847,792,160 |
|
주식선택권의 행사 |
696,280,960 |
178,144,800 |
복구충당부채의 감소 |
(2,200,000) |
|
리스부채의 감소 |
(217,650,305) |
(179,781,575) |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
245,815,001 |
1,623,701,111 |
현금의 증가 |
(1,221,248,076) |
(15,790,232,110) |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7,284,498,362 |
24,377,414,830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6,063,250,286 |
8,587,182,720 |
5. 재무제표 주석
제 11(당)분기 2023년 01월 01일부터 2023년 09월 30일 까지 |
제 10(전)분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09월 30일 까지 (검토받지 아니한 재무제표) |
주식회사 에이프릴바이오 |
1. 회사의 개요
주식회사 에이프릴바이오(이하 "당사"라 함)는 2013년 1월 30일 설립되어 바이오혁신 신약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2022년 7월 28일 코스닥협회에 등록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강원특별자치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B-602호에 본사를 두고 있으며, 설립일 이후 수차의 증자를 거쳐 보고기간말 현재 납입자본금은 10,705백만원으로서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의 주요 주주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 주 명 | 보통주 | 비 고 | |
---|---|---|---|
주식수(주) | 지분율(%) | ||
차 상 훈 | 2,212,500 | 20.67% | 대표이사 |
전 명 숙 | 12,010 | 0.11% | 특수관계인 |
주식회사 유한양행 | 1,077,875 | 10.07% | |
기타 | 7,402,440 | 69.15% | |
합 계 | 10,704,825 | 100.00% |
2. 중요한 회계정책
2.1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의 분기재무제표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제정된 회계처리기준인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하였습니다. 이 분기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인 2023년 9월 30일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 도입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중간재무제표는 연차재무제표에 기재할 것으로 요구되는 모든 정보 및 주석사항을 포함하고 있지 아니하므로, 2022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의 정보도 함께 참고하여야 합니다.
당사의 분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지배기업 및 관계기업의 투자자가 투자자산을 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 직접적인 지분투자금액으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종속기업과 관계기업 및 공동지배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을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에 따라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지배기업으로부터의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1.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사는 2023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개정 기준서는 공시 대상 회계정책 정보를 '유의적인' 회계정책에서 '중요한' 회계정책으로 바꾸고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의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또한 개정 기준서는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개정 기준서는 '회계추정치'를 측정불확실성의 영향을 받는 재무제표상 화폐금액으로 정의하고, 회계추정치의 예를 보다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새로운 정보의 획득, 새로운 상황의 전개나 추가 경험의 축적으로 투입변수나 측정기법을 변경한 경우 이러한 변경이 전기오류수정이 아니라면 회계추정치의 변경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개정)
개정 기준서는 이연법인세 최초 인식 예외규정을 추가하여 단일 거래에서 자산과 부채를 최초 인식할 때 동일한 금액으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생기는 경우 각각 이연법인세 부채와 자산을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단일 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관련되는 이연법인세'는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에 적용하며,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에 이미 존재하는 (1)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 (2) 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부채 및 이에 상응하여 자산 원가의 일부로 인식한 금액에 관련되는 모든 차감할 일시적 차이와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며, 최초 적용 누적 효과를 이익잉여금(또는 자본의 다른 구성요소) 기초 잔액을 조정하여 인식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1.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개정 기준서는 부채의 분류 시 기업이 보고기간 후 적어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부채가 비유동부채로 분류되는기준을 충족한다면 경영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부채의 결제를 의도하거나 예상하더라도, 또는 보고기간말과 재무제표 발생승인일 사이에 부채를 결제하더라도비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한 부채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할 떄 부채의 결제조건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으로 분류되고 동 옵션을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중요하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2 회계정책
분기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유의적 회계정책과 계산방법은 주석 2.1.1에서 설명하는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 및 아래 문단에서 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정책이나 계산방법과 동일합니다.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2.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당사는 미래에 대하여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 있습니다.
분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2022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에 대한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합니다.
3. 범주별 금융상품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의 범주별 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1) 금융자산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합 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063,250 | - | - | 6,063,250 |
단기금융상품 | 68,000,000 | - | - | 68,000,000 |
파생상품자산 | - | - | 943,586 | 943,586 |
기타유동금융자산 | 2,053,095 | - | - | 2,053,095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 | 999,946 | 999,946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7,792 | - | - | 247,792 |
합 계 | 76,364,137 | - | 1,943,533 | 78,307,670 |
당분기 중 금융자산으로 발생한 금융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합 계 |
---|---|---|---|---|
이자수익 | 2,394,989 | - | - | 2,394,989 |
파생상품평가손실 | - | - | 370,477 | 370,477 |
(2) 금융부채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합 계 |
---|---|---|---|
전환사채 | - | 6,379,641 | 6,379,641 |
파생상품부채 | 9,554,043 | - | 9,554,043 |
기타유동금융부채 | - | 1,917,355 | 1,917,355 |
리스부채 | - | 369,030 | 369,030 |
합 계 | 9,554,043 | 8,666,025 | 18,220,069 |
당분기 중 금융부채로부터 발생한 금융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금융부채 |
합 계 |
---|---|---|---|
이자비용 | - | 589,053 | 589,053 |
파생상품평가이익 | 794,078 | - | 794,078 |
<전기말>
(1) 금융자산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합 계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284,498 | - | - | 7,284,498 |
단기금융상품 | 61,500,000 | - | - | 61,500,000 |
기타유동금융자산 | 255,833 | - | - | 255,833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6,385 | - | - | 246,385 |
합 계 | 69,286,716 | - | - | 69,286,716 |
전분기 중 금융자산으로 발생한 금융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당기손익-공정 가치측정 금융자산 |
합 계 |
---|---|---|---|---|
이자수익 | 746,861 | - | - | 746,861 |
(2) 금융부채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합 계 |
---|---|---|---|
기타금융부채 | - | 1,441,633 | 1,441,633 |
리스부채 | - | 311,262 | 311,262 |
합 계 | - | 1,752,895 | 1,752,895 |
전분기 중 금융부채로부터 발생한 금융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금융부채 |
합 계 |
---|---|---|---|
이자비용 | - | 22,469 | 22,469 |
4.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보고기간말 현재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1)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063,250 | 6,063,250 | 7,284,498 | 7,284,498 |
단기금융상품 | 68,000,000 | 68,000,000 | 61,500,000 | 61,500,000 |
파생상품자산 | 943,586 | 943,586 | - | - |
기타유동금융자산 | 2,053,095 | 2,053,095 | 255,833 | 255,83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99,946 | 999,946 | - |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7,792 | 247,792 | 246,385 | 246,385 |
소 계 | 78,307,670 | 78,307,670 | 69,286,716 | 69,286,716 |
<금융부채>(*2) | ||||
전환사채 | 6,379,641 | 6,379,641 | - | - |
파생상품부채 | 9,554,043 | 9,554,043 | - |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917,355 | 1,917,355 | 1,441,633 | 1,441,633 |
소 계 | 17,851,039 | 17,851,039 | 1,441,633 | 1,441,633 |
(*1) 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되지 않는 금융상품으로,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에 해당합니다.
(*2) 리스부채는 기준서 제1107호에 따라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란 측정일에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 자산을 매도할 때 받거나 부채를 이전할 때 지급하게 될 가격을 의미합니다. 공정가치 측정은 측정일에 현행 시장 상황에서 자산을 매도하거나 부채를 이전하는 시장참여자 사이의 정상거래에서의가격을 추정하는 것으로, 당사는 공정가치 평가시 시장정보를 최대한 사용하고, 관측가능하지 않은 변수는 최소한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ㆍ부채를 공정가치 측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따라다음과 같은 공정가치 서열체계로 분류하였습니다.
구 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
수준 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공시가격 |
수준 2 |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
수준 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
한편, 공정가치로 측정하지는 않으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은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서열체계 및 측정방법 등을 공시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3)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부채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99,946 | - | - | 999,946 |
파생상품자산 | 943,586 | - | - | 943,586 |
파생상품부채 | 9,554,043 | - | - | 9,554,043 |
<전기말>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는 없습니다.
(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변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ㆍ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분류된 자산ㆍ부채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천원) |
구분 | 공정가치 | 수준 | 가치평가기법 | 투입변수 |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99,946 | 수준3 | 취득원가법 | 해당없음 |
파생상품자산 | 943,586 | 수준3 | 이항모형 | 무위험이자율 , 전환사채의 가치 등 |
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 ||||
파생상품부채 | 1,917,355 | 수준3 | TF모형 등 | 무위험이자율 , 전환사채의 가치 등 |
(*) 비상장주식으로 원가가 공정가치의 적절한 추정치라고 판단하였습니다.
<전기말>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는 없습니다.
5. 기타금융자산
(1) 보고기간말 현재 기타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 | 비유동 | 유동 | 비유동 | |
미수수익 | 2,053,095 | - | 255,833 | - |
보증금 | - | 247,792 | - | 246,385 |
합 계 | 2,053,095 | 247,792 | 255,833 | 246,385 |
(2) 당사는 기타금융자산에 대하여 과거 대손경험률을 바탕으로 기타금융자산의 실질가치가 최대한 반영될 수 있도록 대손추정액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기타금융자산에 대하여 설정된 대손충당금은 없습니다.
6. 기타유동자산
보고기간말 현재 기타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선급비용 | 256,891 | 25,346 |
부가세대급금 | 199,472 | 99,952 |
기타자산 | 2,924 | 13,181 |
합 계 | 459,288 | 138,479 |
7.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보고기간말 현재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회 사 명 | 취득원가 | 지분율(%) | 장부가액 | |
---|---|---|---|---|
당분기말 | 전기말 | |||
비상장주식 | ||||
㈜셀로스바이오텍 | 999,946 | 4.76% | 999,946 | - |
8. 유형자산
(1) 당분기와 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과 장부가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천원) |
구분 | 비품 | 실험기구 | 시설장치 | 사용권자산 | 합 계 |
---|---|---|---|---|---|
취득원가: | |||||
기초금액 | 129,313 | 1,942,726 | 185,680 | 553,080 | 2,810,799 |
취득금액 | 47,066 | 2,000 | 160,139 | 287,642 | 496,847 |
처분금액 | (837) | - | (108,735) | - | (109,573) |
기타증감(*) | - | - | - | (253,467) | (253,467) |
기말금액 | 175,542 | 1,944,726 | 237,083 | 587,254 | 2,944,605 |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 |||||
기초금액 | 91,045 | 1,076,268 | 86,722 | 219,268 | 1,473,302 |
감가상각비 | 13,942 | 238,515 | 32,083 | 216,152 | 500,691 |
처분금액 | (726) | - | (80,276) | - | (81,002) |
기타증감(*) | - | - | - | (242,345) | (242,345) |
기말금액 | 104,261 | 1,314,783 | 38,529 | 193,074 | 1,650,647 |
장부금액: | |||||
기초금액 | 38,268 | 866,458 | 98,958 | 333,812 | 1,337,497 |
기말금액 | 71,281 | 629,944 | 198,554 | 394,180 | 1,293,958 |
(*) 일부 리스자산의 해지로 인하여 발생하였습니다.
<전기>
(단위: 천원) |
구분 | 비품 | 건설중인자산 | 실험기구 | 시설장치 | 사용권자산 | 합 계 |
---|---|---|---|---|---|---|
취득원가: | ||||||
기초금액 | 135,756 | 150,000 | 1,771,842 | 176,110 | 507,554 | 2,741,262 |
취득금액 | 9,202 | - | 62,235 | 9,570 | 284,846 | 365,853 |
처분금액 | (15,645) | - | (3,058) | - | - | (18,703) |
기타증감(*) | - | (150,000) | 111,708 | - | (239,320) | (277,612) |
기말금액 | 129,313 | - | 1,942,726 | 185,680 | 553,080 | 2,810,799 |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 ||||||
기초금액 | 88,368 | - | 785,343 | 51,636 | 149,071 | 1,074,418 |
감가상각비 | 18,312 | - | 293,982 | 35,086 | 245,385 | 592,765 |
처분금액 | (15,635) | - | (3,057) | - | - | (18,692) |
기타증감(*) | - | - | - | - | (175,189) | (175,189) |
기말금액 | 91,045 | - | 1,076,268 | 86,722 | 219,268 | 1,473,302 |
장부금액: | ||||||
기초금액 | 47,388 | 150,000 | 986,499 | 124,474 | 358,483 | 1,666,843 |
기말금액 | 38,268 | - | 866,458 | 98,958 | 333,812 | 1,337,497 |
(*) 일부 리스자산의 임차면적 축소로 인하여 발생하였습니다.
(2) 당사는 임차하여 사용중인 사무실과 관련하여 계약기간 만료시 소요될 것으로 추정되는 복구비용을 사용권자산으로 계상하였으며, 관련된 당분기말 복구충당부채는 20,655천원입니다.
9. 무형자산
당분기와 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과 장부가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천원) |
구 분 | 특허권 | 정부보조금 | 상표권 | 건설중인자산 | 합계 |
---|---|---|---|---|---|
취득원가: | |||||
기초금액 | 12,850 | (6,750) | 724 | 117,782 | 124,606 |
개별취득 | - | - | - | 183,357 | 183,357 |
기타증감 | - | - | - | - | - |
기말금액 | 12,850 | (6,750) | 724 | 301,138 | 307,962 |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 |||||
기초금액 | 5,890 | (3,094) | 60 | - | 2,856 |
감가상각비 | 964 | (506) | 54 | - | 512 |
기말금액 | 6,853 | (3,600) | 115 | - | 3,368 |
장부금액: | |||||
기초금액 | 6,960 | (3,656) | 664 | 117,782 | 121,750 |
기말금액 | 5,997 | (3,150) | 609 | 301,138 | 304,594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특허권 | 정부보조금 | 상표권 | 건설중인자산 | 합계 |
---|---|---|---|---|---|
취득원가: | |||||
기초금액 | 12,850 | (6,750) | - | 109,921 | 116,021 |
개별취득 | - | - | - | 8,585 | 8,585 |
기타증감 | - | - | 724 | (724) | - |
기말금액 | 12,850 | (6,750) | 724 | 117,782 | 124,606 |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 |||||
기초금액 | 4,605 | (2,419) | - | - | 2,186 |
감가상각비 | 1,285 | (675) | 60 | - | 670 |
기말금액 | 5,890 | (3,094) | 60 | - | 2,856 |
장부금액: | |||||
기초금액 | 8,245 | (4,331) | - | 109,921 | 113,835 |
기말금액 | 6,960 | (3,656) | 664 | 117,782 | 121,750 |
10. 기타유동금융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기타유동금융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미지급금 | 1,861,368 | 1,376,749 |
미지급비용 | 55,987 | 64,884 |
합 계 | 1,917,355 | 1,441,633 |
11. 기타유동부채
보고기간말 현재 기타유동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예수금 | 33,863 | 40,135 |
연차보상부채 | 72,516 | 85,564 |
합계 | 106,379 | 125,699 |
12. 전환사채
(1) 보고기간말 현재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발행일 | 만기일 | 당분기말 | 전기말 |
---|---|---|---|---|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2023.04.21 | 2028.04.21 | 16,573,425 | - |
전환권조정 | (10,193,784) | - | ||
전환사채 합계 | 6,379,641 | - |
(2) 전환사채의 발행 조건 등에 대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내 역 |
---|---|
사채의 종류 |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사채의 권면총액 | 15,000,000,000원 |
발행일 | 2023.04.21 |
만기일 | 2028.04.21 |
표면이자율 | 연0% |
보장수익율 | 연2% |
원금상환방법 | 만기에 사채원금의 110.4895% 일시상환 |
전환가액 | 25,655원 |
전환주식수 | 584,681주 |
전환청구기간 | 2024.04.21~2028.03.21 |
조기상환청구권 (투자자보유 Put Option) |
본 사채의 인수인은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2025년 04월 21일 및 이후 매 3개월에 해당되는 날(이하 조기상환지급일)에 조기상환을 청구한 전자등록금액에 조기상환율을 곱한 금액의 전부에 대하여 사채의 만기 전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음 |
매도청구권 (발행자보유 Call Option) |
발행회사 및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이하 "매수인")는 본 사채의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로부터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까지 매3개월(마지막 매도청구권 행사는 발행일 이후 24개월이 되는 날, 총 5회)에 해당하는 날에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의 일부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 줄 것을 청구할 수 있으며, 사채권자는 이 청구에 따라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를 매수인에게 매도하여야함. 매수인은 각 사채권자에 대하여 각 사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본 사채 발행가액의20.81%를 초과하여 매도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음. |
(3)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전환가액 변동에 따른 발행가능 주식수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제1회 전환사채 |
---|---|
전환가격(발행시) | 25,655원 |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 | 584,681주 |
전환가격(분기말 현재) | 20,271원 |
전환에 따라 발행할 주식 | 739,973주 |
전환에 따라 발행된 주식 | - |
전환가능 잔여주식수 | 739,973주 |
13. 파생상품자산 및 파생상품부채
전환사채 중 전환권(투자자 Call Option)과 조기상환청구권(투자자 Put Option)을 파생상품부채로, 매도청구권(발행자 Call Option)에 해당되는 금액은 파생상품자산으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로 평가하였습니다.
(1) 보고기간말 현재 파생상품자산과 파생상품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구 분 | 기초금액 | 당기 발생 | 평가 | 분기말금액 |
---|---|---|---|---|---|
제1회 전환사채 | 파생상품자산 | - | 1,314,064 | (370,477) | 943,586 |
파생상품부채 | - | 10,348,121 | (794,078) | 9,554,043 |
<전기말>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전환사채 관련 파생상품손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파생상품평가이익 | 794,078 | - |
파생상품평가손실 | 370,477 | - |
14. 리스
(1) 당사의 사용권자산 및 리스부채의 장부금액과 당분기 및 전기 중 변동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천원) |
구분 | 사용권자산 | 리스부채 |
---|---|---|
당기초 | 333,812 | 311,262 |
당분기계약체결 | 287,642 | 266,830 |
당분기계약축소 | (11,123) | (12,775) |
감가상각 | (216,152) | - |
리스부채설정 | - | 21,363 |
리스부채상환 | - | (217,650) |
당분기말 | 394,180 | 369,030 |
<전기>
(단위: 천원) |
구분 | 사용권자산 | 리스부채 |
---|---|---|
전기초 | 358,483 | 347,823 |
전기계약체결 | 284,846 | 246,520 |
전기계약축소 | (64,131) | (61,956) |
감가상각 | (245,385) | - |
리스부채설정 | - | 27,869 |
리스부채상환 | - | (248,995) |
전기말 | 333,812 | 311,262 |
(2) 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 216,152 | 176,146 |
리스부채의 이자비용 | 21,363 | 21,038 |
단기리스료 | 11,157 | 4,907 |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 | 19,690 | 18,567 |
손익계산서에 인식된 총 금액 | 268,362 | 220,658 |
(3) 보고기간말 현재 리스부채 만기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리스부채 상환액의 만기분석: | ||
1년 이내 | 229,675 | 240,664 |
1년 초과~5년 이내 | 175,346 | 99,114 |
5년 초과 | - | - |
할인전 리스부채 | 405,021 | 339,778 |
재무상태표상 리스부채(할인후)(*) | 369,030 | 311,262 |
유동성 | 202,887 | 219,844 |
비유동성 | 166,143 | 91,417 |
(*) 리스부채에 적용한 증분차입이자율은 9.918~11.52%입니다.
(4) 당분기 및 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217,650천원 및 248,240천원 입니다.
15. 자본금
(1) 보고기간말 현재 자본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수권주식수 | 100,000,000 주 | 100,000,000 주 |
1주당금액 | 1,000 원 | 1,000 원 |
발행주식수 | 보통주 10,704,825 주 | 보통주 10,561,025 주 |
자본금 | 10,704,825,000 원 | 10,561,025,000 원 |
(2) 당분기 및 전기 중 자본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기 | ||
---|---|---|---|---|
주식수 | 금액 | 주식수 | 금액 | |
기초잔액 | 10,561,025 | 10,561,025 | 9,179,845 | 9,179,845 |
유상증자(*1) | - | - | 1,334,880 | 1,334,880 |
주식선택권 행사(*2) | 143,800 | 143,800 | 46,300 | 46,300 |
기말잔액 | 10,704,825 | 10,704,825 | 10,561,025 | 10,561,025 |
(*1) 전기 중 코스닥시장에 상장하면서 1,334,880주의 신주를 발행하였습니다.
(*2) 당분기 및 전기 중 당사가 기부여한 주식선택권 중 행사된 주식은 143,800주 및 46,300주 입니다.
16. 기타자본항목
(1) 자본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
당분기 및 전기 중 자본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기 |
---|---|---|
기초잔액 | 135,658,644 | 116,364,948 |
유상증자 | - | 19,035,686 |
주식선택권행사 | 861,233 | 258,010 |
기말잔액 | 136,519,877 | 135,658,644 |
(2) 자본조정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기 |
---|---|---|
주식선택권 | 1,399,247 | 1,167,804 |
(3) 주식선택권 내역
1) 당사는 임직원 등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하였으며, 당분기말 현재 부여된 주식선택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2018-12-20 부여 | 2020-01-17 부여 | 2020-03-30 부여 | 2021-03-30 부여 | 2022-03-31 부여 | 2023-03-30 부여 |
---|---|---|---|---|---|---|
권리부여주식수(*) | 60,000 주 | 225,000 주 | 120,000 주 | 255,000 주 | 20,500 주 | 93,500 주 |
소멸 및 취소 주식수(*) | 20,000 주 | - 주 | 52,500 주 | 5,000 주 | - 주 | 3,500 주 |
행사주식수 | 27,500 주 | 127,100 주 | - 주 | 35,500 주 | - 주 | - 주 |
당기말 미행사 주식수(*) | 12,500 주 | 97,900 주 | 67,500 주 | 214,500 주 | 20,500 주 | 90,000 주 |
행사가능수량 | 12,500 주 | 97,900 주 | 67,500 주 | 214,500 주 | - | - |
행사조건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2년 | 용역제공조건 2년 |
행사방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주식교부형 |
행사가능기간 | 2020.12.20 ~2025.12.19 |
2022.1.17 ~2027.1.16 |
2022.03.30 ~2027.03.29 |
2023.03.30 ~2028.03.29 |
2024.03.31 ~2029.03.30 |
2025.03.30 ~2030.03.29 |
행사가격(*) | 4,476 원 | 4,476 원 | 5,222 원 | 6,040 원 | 15,250 원 | 21,750 원 |
(*) 무상증자 효과가 반영된 부여주식수 및 행사가격 입니다.
2) 당사는 주식선택권에 대하여 공정가액접근법(이항모형)을 적용하여 주식보상비용을 산정하였습니다.
구 분 | 2018-12-20 부여 | 2020-01-17 부여 | 2020-03-30 부여 | 2021-03-30 부여 | 2022-03-31 부여 | 2023-03-30 부여 |
---|---|---|---|---|---|---|
무위험이자율 | 1.92% | 1.67% | 1.46% | 1.83% | 2.95% | 3.31% |
예상주가변동성 | 34.37% | 32.31% | 36.64% | 32.93% | 32.11% | 73.82% |
기대배당수익율 | 0.00% | 0.00% | 0.00% | 0.00% | 0.00% | 0.00% |
1주당 주식보상비용(*1) | 2,202 원 | 2,086 원 | 1,993 원 | 2,291 원 | 9,090 원 | 17,630 원 |
총보상비용(*2) | 88,064 천원 | 469,440 천원 | 134,501 천원 | 572,750 천원 | 186,345 천원 | 1,586,700 천원 |
(*1) 무상증자 후 1주당 주식보상비용입니다.
(*2) 취소수량은 제외된 금액입니다.
3) 당사는 주식기준보상약정과 관련한 주식보상비용을 약정용역 제공기간 동안 정액법으로 안분하여 비용으로 인식하였으며, 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천원) |
구 분 | 2021-03-30 부여 | 2022-03-31 부여 | 2023-03-30 부여 | 합 계 | 인식누적액 |
---|---|---|---|---|---|
영업비용 | 69,044 | 69,593 | 401,559 | 540,195 | 1,806,263 |
<전분기>
(단위: 천원) |
구 분 | 2020-01-17 부여 | 2020-03-30 부여 | 2021-03-30 부여 | 2022-03-31 부여 | 합 계 | 인식누적액 |
---|---|---|---|---|---|---|
영업비용 | 10,270 | 16,214 | 209,846 | 46,905 | 283,234 | 1,170,432 |
17. 결손금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의 결손금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기초금액 | 78,225,768,888원 | 69,266,494,314원 |
당(분)기순손실 | 8,292,052,119원 | 8,959,274,574원 |
기말금액 | 86,517,821,007원 | 78,225,768,888원 |
18. 영업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의 영업비용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급여(*) | 491,859 | 1,722,635 | 844,085 | 1,649,254 |
퇴직급여 | 49,935 | 169,704 | 54,963 | 172,175 |
복리후생비 | 56,389 | 194,330 | 53,313 | 172,174 |
여비교통비 | 6,887 | 17,184 | 8,138 | 16,724 |
접대비 | 18,237 | 52,454 | 12,937 | 33,420 |
통신비 | 1,317 | 4,105 | 1,566 | 4,459 |
수도광열비 | 9,238 | 15,521 | 8,340 | 13,229 |
세금과공과금 | 17,661 | 56,549 | 21,308 | 56,234 |
감가상각비 | 177,811 | 500,691 | 145,044 | 434,226 |
지급임차료(*) | 12,591 | 34,192 | 14,933 | 29,698 |
보험료 | 9,899 | 41,590 | 10,081 | 34,672 |
차량유지비 | 5,209 | 14,272 | 6,042 | 17,185 |
운반비 | 433 | 4,440 | 2,176 | 6,068 |
교육훈련비 | 420 | 1,270 | 516 | 2,809 |
도서인쇄비 | 115 | 323 | 111 | 4,527 |
소모품비 | 4,616 | 11,399 | 1,831 | 6,172 |
지급수수료(*) | 99,606 | 362,732 | 1,202,836 | 1,507,426 |
해외출장비 | 7,911 | 68,316 | 60,967 | 82,588 |
광고선전비 | - | - | 14,328 | 14,328 |
건물관리비 | 13,807 | 34,522 | 9,766 | 24,093 |
무형자산상각비 | 171 | 512 | 171 | 500 |
연구개발비(*) | 2,478,500 | 6,890,465 | 2,004,021 | 5,087,541 |
주식보상비용 | 223,147 | 540,195 | 95,635 | 283,235 |
합 계 | 3,685,761 | 10,737,400 | 4,573,106 | 9,652,736 |
(*) 당분기에 관련 비용계정에서 차감된 정부보조금은 554,934천원이고 전분기에는 157,347천원입니다.
19.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분기와 전분기 중 발생한 총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천원) |
구 분 | 3개월 | 누적 | ||||
---|---|---|---|---|---|---|
영업비용 | 연구개발비 | 합계 | 영업비용 | 연구개발비 | 합계 | |
재료비 | - | 187,581 | 187,581 | - | 447,961 | 447,961 |
급여 | 491,859 | 92,454 | 584,313 | 1,722,635 | 219,727 | 1,942,362 |
잡급 | - | 6,000 | 6,000 | - | 16,000 | 16,000 |
퇴직급여 | 49,935 | - | 49,935 | 169,704 | - | 169,704 |
복리후생비 | 56,389 | - | 56,389 | 194,330 | - | 194,330 |
여비교통비 | 6,887 | - | 6,887 | 17,184 | - | 17,184 |
접대비 | 18,237 | - | 18,237 | 52,454 | - | 52,454 |
통신비 | 1,317 | - | 1,317 | 4,105 | - | 4,105 |
수도광열비 | 9,238 | - | 9,238 | 15,521 | - | 15,521 |
세금과공과금 | 17,661 | - | 17,661 | 56,549 | - | 56,549 |
감가상각비 | 177,811 | - | 177,811 | 500,691 | - | 500,691 |
지급임차료 | 12,591 | - | 12,591 | 34,192 | - | 34,192 |
보험료 | 9,899 | - | 9,899 | 41,590 | - | 41,590 |
차량유지비 | 5,209 | - | 5,209 | 14,272 | - | 14,272 |
운반비 | 433 | - | 433 | 4,440 | - | 4,440 |
교육훈련비 | 420 | - | 420 | 1,270 | - | 1,270 |
도서인쇄비 | 115 | - | 115 | 323 | - | 323 |
소모품비 | 4,616 | - | 4,616 | 11,399 | - | 11,399 |
지급수수료 | 99,606 | - | 99,606 | 362,732 | - | 362,732 |
해외출장비 | 7,911 | - | 7,911 | 68,316 | - | 68,316 |
광고선전비 | - | - | - | - | - | - |
위탁용역비 | - | 2,192,465 | 2,192,465 | - | 6,206,777 | 6,206,777 |
건물관리비 | 13,807 | - | 13,807 | 34,522 | - | 34,522 |
무형자산상각비 | 171 | - | 171 | 512 | - | 512 |
연구개발비 | 2,478,500 | (2,478,500) | - | 6,890,465 | (6,890,465) | - |
주식보상비용 | 223,147 | - | 223,147 | 540,195 | - | 540,195 |
합 계 | 3,685,761 | - | 3,685,761 | 10,737,400 | - | 10,737,400 |
<전분기>
(단위: 천원) |
구 분 | 3개월 | 누적 | ||||
---|---|---|---|---|---|---|
영업비용 | 연구개발비 | 합계 | 영업비용 | 연구개발비 | 합계 | |
재료비 | - | 182,668 | 182,668 | - | 487,447 | 487,447 |
급여 | 844,085 | 82,274 | 926,359 | 1,649,254 | 275,328 | 1,924,582 |
잡급 | - | 19,000 | 19,000 | - | 90,518 | 90,518 |
퇴직급여 | 54,963 | - | 54,963 | 172,175 | - | 172,175 |
복리후생비 | 53,313 | - | 53,313 | 172,174 | - | 172,174 |
여비교통비 | 8,138 | - | 8,138 | 16,724 | - | 16,724 |
접대비 | 12,937 | - | 12,937 | 33,420 | - | 33,420 |
통신비 | 1,566 | - | 1,566 | 4,459 | - | 4,459 |
수도광열비 | 8,340 | - | 8,340 | 13,229 | - | 13,229 |
세금과공과금 | 21,308 | - | 21,308 | 56,234 | - | 56,234 |
감가상각비 | 145,044 | - | 145,044 | 434,226 | - | 434,226 |
지급임차료 | 14,933 | - | 14,933 | 29,698 | - | 29,698 |
보험료 | 10,081 | - | 10,081 | 34,672 | - | 34,672 |
차량유지비 | 6,042 | - | 6,042 | 17,185 | - | 17,185 |
운반비 | 2,176 | - | 2,176 | 6,068 | - | 6,068 |
교육훈련비 | 516 | - | 516 | 2,809 | - | 2,809 |
도서인쇄비 | 111 | - | 111 | 4,527 | - | 4,527 |
소모품비 | 1,831 | - | 1,831 | 6,172 | - | 6,172 |
지급수수료 | 1,202,836 | - | 1,202,836 | 1,507,426 | - | 1,507,426 |
해외출장비 | 60,967 | - | 60,967 | 82,588 | - | 82,588 |
광고선전비 | 14,328 | - | 14,328 | 14,328 | - | 14,328 |
위탁용역비 | - | 1,720,079 | 1,720,079 | - | 4,234,247 | 4,234,247 |
건물관리비 | 9,766 | - | 9,766 | 24,093 | - | 24,093 |
무형자산상각비 | 171 | - | 171 | 500 | - | 500 |
연구개발비 | 2,004,021 | (2,004,021) | - | 5,087,541 | (5,087,541) | - |
주식보상비용 | 95,635 | - | 95,635 | 283,235 | - | 283,235 |
합 계 | 4,573,106 | - | 4,573,106 | 9,652,736 | - | 9,652,736 |
20. 기타영업외손익
당분기와 전분기 중 발생한 영업외손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금융수익 | 3,447,306 | 2,535,611 |
- 이자수익 | 2,394,989 | 746,861 |
- 외환차익 | 12,424 | 165,049 |
- 외화환산이익 | 245,815 | 1,623,701 |
- 파생상품평가이익 | 794,078 | - |
금융비용 | (982,903) | (24,514) |
- 이자비용 | 589,053 | 22,469 |
- 외환차손 | 23,372 | 2,045 |
- 파생상품평가손실 | 370,477 | - |
기타수익 | 12,813 | 83,021 |
- 리스변경이익 | 2,696 | 4,123 |
- 복구충당금환입 | 10,032 | - |
- 잡이익 | 85 | 78,898 |
기타비용 | (31,868) | (1,377) |
- 기부금 | 5,850 | - |
- 리스변경손실 | - | 1,377 |
- 유형자산처분손실 | 25,873 | - |
- 잡손실 | 144 | - |
21.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및 당기손익 이외로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당분기와 전분기에세전 손실이 발행하여 유효세율을 산정하지 아니하였습니다.
22. 특수관계자거래
(1)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의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관 계 | 기업명 | 비 고 | |
---|---|---|---|
당분기 | 전기 | ||
<회사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기업> | |||
유의적영향력행사기업 | ㈜유한양행 | ㈜유한양행 | (*) |
(*) 지분율은 20%미만이나, 임원의 선임 권한 등을 통하여 당사에 유의적인 영향력을 보유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특수관계자로 분류하였습니다.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특수관계자와의 중요한 거래내역은 없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급여 | 108,000 | 386,000 | 140,000 | 337,196 |
퇴직급여 | 16,875 | 58,125 | 20,625 | 45,208 |
주식보상비용 | - | 2,708 | 2,831 | 10,750 |
합 계 | 124,875 | 446,833 | 163,456 | 393,154 |
주요 경영진은 회사 활동의 계획, 운영, 통제에 대한 주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등기임원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3. 주당손익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기본주당이익(손실)의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당기순이익(손실) | (3,146,640,978) | (8,292,052,119) | (3,389,548,743) | (6,859,994,871)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0,696,934 | 10,653,769 | 10,202,436 | 9,524,455 |
기본주당이익(손실) | (294) | (778) | (332) | (720) |
(2) 당분기와 전분기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유통주식수 |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
유통주식수 |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
|
기초 유통주식수 | 10,561,025 | 10,561,025 | 9,179,845 | 9,179,845 |
유상증자 | - | - | 1,334,880 | 342,277 |
주식선택권 행사 | 143,800 | 92,744 | 39,800 | 2,333 |
합계 | 10,704,825 | 10,653,769 | 10,554,525 | 9,524,455 |
(3) 희석주당순손익
희석주당손익은 모든 희석성 잠재적보통주가 보통주로 전환된다고 가정하여 조정한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적용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희석성 잠재적보통주로는 주식매수선택권과 전환사채가 있습니다. 잠재적보통주에 의한 희석효과가 없으므로 희석주당손익은 기본주당손익과 동일합니다.
(4) 반희석 잠재적보통주식수
당분기 중에는 반희석효과로 희석주당손익을 계산할 때 고려하지 않았지만 향후 희석효과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잠재적보통주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청구기간 | 잠재적보통주식수(*) |
---|---|---|
1차 부여 주식선택권 | 2020.12.20~2025.12.19 | 12,500 주 |
2차 부여 주식선택권 | 2022.01.17~2027.01.16 | 97,900 주 |
3차 부여 주식선택권 | 2022.03.30~2027.03.29 | 67,500 주 |
4차 부여 주식선택권 | 2023.03.30~2028.03.29 | 214,500 주 |
5차 부여 주식선택권 | 2024.03.31~2029.03.30 | 20,500 주 |
6차 부여 주식선택권 | 2025.03.30~2030.03.29 | 90,000 주 |
전환사채 | 2024.04.21~2028.03.21 | 739,973 주 |
(*) 무상증자 후 변동된 주식수 이며 취소 및 행사 수량은 차감된 주식수 입니다.
24.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 당분기와 전분기중 당사의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1. 당기순이익(손실) | (8,292,052) | (6,859,995) |
2. 수익비용의 조정 | (1,433,857) | (1,632,878) |
감가상각비 | 500,691 | 434,226 |
무형자산상각비 | 512 | 500 |
이자비용 | 589,053 | 22,469 |
급여(연차수당) | (13,049) | - |
유형자산처분손실 | 25,873 | - |
복구충당금환입 | (10,032) | - |
주식보상비용 | 540,195 | 283,235 |
리스변경손실 | - | 1,377 |
파생상품평가손실 | 370,477 | - |
파생상품평가이익 | (794,078) | - |
외화환산이익 | (245,815) | (1,623,701) |
이자수익 | (2,394,989) | (746,861) |
리스변경이익 | (2,696) | (4,123) |
3.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부채의 변동 | 241,230 | 2,018,378 |
외상매출금의 감소(증가) | - | 4,291,510 |
미수금의 감소(증가) | 10,257 | (2,513) |
부가세대급금의 감소(증가) | (99,520) | 3,457 |
선급비용의 감소(증가) | (231,545) | (16,553) |
당기법인세자산의 감소(증가) | 92,588 | (100,808) |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 484,619 | (1,820,884) |
예수금의 증가(감소) | (6,271) | (21,929) |
미지급비용의 증가(감소) | (8,897) | (282,991) |
연차보상부채의 증가(감소) | - | (30,910)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9,484,679) | (6,474,495) |
(2)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사용을 수반하지 않는 중요한 거래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 인식 | 287,642 | 147,091 |
(3)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 내역
<당분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초 | 재무현금흐름 | 비현금변동 | 기말 |
---|---|---|---|---|
리스부채 | 311,262 | (217,650) | 275,418 | 369,030 |
전환사채 | - | 14,847,792 | (8,468,151) | 6,379,641 |
합계 | 311,262 | 14,630,142 | (8,192,733) | 6,748,671 |
<전기>
(단위: 천원) |
구 분 | 기초 | 재무현금흐름 | 비현금변동 | 기말 |
---|---|---|---|---|
리스부채 | 347,823 | (248,240) | 211,678 | 311,262 |
25. 재무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당사는 금융상품을 운용함에 따라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환위험, 이자율위험 등 다양한 재무적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경영성과를 창출하는데 영향을 주는 위의 위험들을 조기 식별하여 허용 가능한 수준까지 감소 또는제거하는 것을 위험관리의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 위험, 신용 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2) 금융위험관리
1) 신용위험
신용 위험은 회사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용 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및 확정계약을 포함한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파생금융상품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거래처의 경우 독립적으로 신용 평가를 받는다면 평가된 신용 등급이 사용되며, 독립적인 신용 등급이 없는 경우에는 고객의 재무 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 위험을 평가하게 됩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신용 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063,250 | 7,284,498 |
단기금융상품 | 68,000,000 | 61,500,000 |
기타유동금융자산 | 2,053,095 | 255,833 |
파생상품자산 | 943,586 |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999,946 |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247,792 | 246,385 |
합 계 | 78,307,670 | 69,286,716 |
2) 유동성위험
당사는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고있습니다. 유동성을 예측하는데 있어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당사의 유동성 위험 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잔존계약만기 | ||
---|---|---|---|---|---|
1년 미만 | 1 ~ 5년 | 5년 이상 | |||
전환사채 | 6,379,641 | 16,573,425 | - | 16,573,425 |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917,355 | 1,917,355 | 1,917,355 | - | - |
기타유동부채 | 106,379 | 106,379 | 106,379 | - | - |
리스부채 | 369,030 | 405,021 | 229,675 | 175,346 | - |
합 계 | 8,772,405 | 19,002,181 | 2,253,409 | 16,748,771 | - |
<전기말>
(단위: 천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잔존계약만기 | ||
---|---|---|---|---|---|
1년 미만 | 1 ~ 5년 | 5년 이상 | |||
기타유동금융부채 | 1,441,633 | 1,441,633 | 1,441,633 | - | - |
기타유동부채 | 125,699 | 125,699 | 125,699 | - | - |
리스부채 | 311,262 | 339,778 | 240,664 | 99,114 | - |
합 계 | 1,878,594 | 1,907,110 | 1,807,996 | 99,114 | - |
3) 외환위험관리
당사는 외화거래 수행에 따라 다양한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 현재 당사의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자산 및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외화금액 | 원화환산액 | 외화금액 | 원화환산액 | |
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USD 2,849,210.30 | 3,831,618 | USD 4,349,513.70 | 5,512,139 |
부채 | ||||
순외화자산(부채) | USD 2,849,210.30 | 3,831,618 | USD 4,349,513.70 | 5,512,139 |
주요 통화별 환율변동시 민감도 분석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10%상승 | 10%하락 | 10%상승 | 10%하락 | |
USD | 383,162 | (383,162) | 551,214 | (551,214) |
4) 자본위험관리
당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나누어 산출하고 있으며, 총부채 및 총자본은 재무제표의 금액을 기준으로 계산합니다.
당사는 외부적으로 강제된 자기자본규제의 대상이 아니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부채(A) | 18,347,102 | 1,903,046 |
자본(B) | 62,106,129 | 69,161,705 |
부채비율 (A/B) | 29.54% | 2.75% |
26. 약정사항
(1) 당사는 2022년 8월 19일 ㈜유한양행과 '기술라이선스 및 공동연구개발계약'을 체결하고 당사의 SAFA 기반 융합단백질 기술 및 타겟물질과 ㈜유한양행의 항암 표적 기술을 활용한 공동연구 수행 및 계약제품의 개발, 상업화를 추진하기로 합의하였습니다.
계약서상 개발/판매단계별 마일스톤 지급조건을 충족시 마일스톤 금액을 단계별로 각 최초 1회씩 수령할 수 있으며, 별도로 경상기술사용료 및 각 단계별 기술이전(L/O)의 경우에도 일정비율의 수익금을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2) 당사는 2021년 10월 13일에 덴마크 소재의 신경질환 제약회사 룬드벡((H.Lundbeck A/S)과 당사가 개발한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후보물질 APB-A1(anti-CD40L antibody-like protein)의 전세계 연구, 개발, 제조, 그리고 상업화 독점권에 대한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계약서상 개발/판매단계별 마일스톤 지급 조건을 모두 충족 시 USD 432,100,000 규모의 마일스톤 금액(Milestone payment)을 수령할 수 있으며, 별도로 경상기술사용료(로열티)도 단계별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3) 당사는 안국약품과 '품목도입계약'을 체결하고 당사가 개발한 2개의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제품 개발을 추진하기로 합의하였으며, 비임상 완료, 임상1상 완료, 임상2상 완료 시점에 각각 품목도입료를 수취하기로 약정하였습니다.
당사는 약정에 따라 각 시기별 수익이 발생하는 경우 약정분배비율에 따라 수익을 분배 받을 수 있고, 각 단계별 기술이전(L/O)의 경우에도 일정비율의 수익액을 분배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임상완료 후 자체매출이 발생할 경우에도 약정분배비율에 따라 로열티 수익을 분배받기로 하였습니다.
27. 보고기간 이후의 사건
당사는 2023년 10월 17일에 준비금의 자본전입을 위한 무상증자 이사회를 개최하여 공시하였고 11월20일 신주의 상장 예정입니다.
6. 배당에 관한 사항
가.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까지 배당을 결의 및 지급한 이력이 없습니다. 당사의배당에 관한 중요한 정책, 배당의 제한에 관한 사항 등은 다음과 같이 당사 정관에서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규정 | 내용 |
---|---|
제 12 조 [신주의 배당기산일] |
당 회사가 유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한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그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사업년도의 직전 사업년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
제 51 조 [이익배당] |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② 전항의 배당은 매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③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 외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
제 51 조의 2 [배당금 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
① 배당금의 지급청구권은 5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② 제 ①항의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회사에 귀속한다. |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11기 3분기 | 제10기 | 제9기 | ||
주당액면가액(원) | 1,000 | 1,000 | 1,000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 | - | -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8,292 | -8,959 | -52,713 | |
(연결)주당순이익(원) | -778 | -916 | -6,322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 | - | |
현금배당수익률(%) | - | - | - | - |
-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 | - | - | - |
-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 - | - | - |
- |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 | - | - | - |
- | - | - | - |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 | - | - | -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주) |
주식발행 (감소)일자 |
발행(감소) 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 액면가액 |
주당발행 (감소)가액 |
비고 | ||
2013.01.30 | - | 보통주 | 10,000 | 1,000 | 1,000 | - |
2013.09.11 | 유상증자(주주배정) | 보통주 | 10,000 | 1,000 | 1,000 | - |
2015.12.12 | 유상증자(주주배정) | 보통주 | 100,000 | 1,000 | 1,000 | - |
2016.01.13 | 무상증자 | 보통주 | 504,000 | 1,000 | - | - |
2016.01.17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6,000 | 1,000 | 100,000 | - |
2016.07.02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21,000 | 1,000 | 23,810 | - |
2016.12.07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46,510 | 1,000 | 25,800 | - |
2017.05.26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104,896 | 1,000 | 28,600 | - |
2018.06.09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201,075 | 1,000 | 37,300 | - |
2020.08.15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198,207 | 1,000 | 43,137 | - |
2020.08.21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16,228 | 1,000 | 43,137 | - |
2020.10.08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133,300 | 1,000 | 43,137 | - |
2020.12.04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69,546 | 1,000 | 43,137 | - |
2021.03.19 | 유상증자(제3자배정) | 우선주 | 146,029 | 1,000 | 68,480 | - |
2021.08.18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165,226 | 1,000 | 108,940 | - |
2021.08.19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45,896 | 1,000 | 108,940 | - |
2021.08.21 | 유상증자(제3자배정) | 보통주 | 18,358 | 1,000 | 108,940 | - |
2021.10.08 | 전환권행사 | 우선주 | 668,206 | 1,000 | - | 전환권 행사로 인한 우선주 감소 |
2021.10.08 | 전환권행사 | 보통주 | 668,206 | 1,000 | - | 전환권 행사로 인한 보통주 증가 |
2021.10.08 | 전환권행사 | 우선주 | 201,075 | 1,000 | - | 전환권 행사로 인한 우선주 감소 |
2021.10.08 | 전환권행사 | 보통주 | 240,773 | 1,000 | - | 전환권 행사로 인한 보통주 증가 |
2021.10.13 | 무상증자 | 보통주 | 7,343,876 | 1,000 | - | - |
2022.07.23 | 유상증자(일반공모) | 보통주 | 1,334,880 | 1,000 | 16,000 | 신규상장 |
2022.09.15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39,800 | 1,000 | 4,476 | - |
2022.10.14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6,500 | 1,000 | 4,476 | - |
2023.02.13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50,100 | 1,000 | 4,476 | - |
2023.04.14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41,700 | 1,000 | 4,476 | - |
2023.04.14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33,500 | 1,000 | 6,040 | - |
2023.06.13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2,000 | 1,000 | 6,040 | - |
2023.08.14 | 주식매수선택권행사 | 보통주 | 16,500 | 1,000 | 4,476 | - |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주) |
종류\구분 | 회차 | 발행일 | 만기일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대상 주식의 종류 |
전환청구가능기간 | 전환조건 | 미상환사채 | 비고 | ||
---|---|---|---|---|---|---|---|---|---|---|---|
전환비율 (%) |
전환가액 | 권면(전자등록)총액 | 전환가능주식수 | ||||||||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1회차 | 2023.04.21 | 2028.04.21 | 15,000,000,000 | 기명식 보통주 | 2024.04.21 ~ 2028.03.21 | 100 | 20,271 | 15,000,000,000 | 739,973 | - |
합 계 | - | - | - | 15,000,000,000 | - | - | 100 | 20,271 | 15,000,000,000 | 739,973 | -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 (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 여부 |
주관회사 |
---|---|---|---|---|---|---|---|---|---|
주식회사 에이프릴바이오 | 회사채 | 사모 | 2023년 04월 21일 | 15,000 | - | - | 2028년 04월 21일 | 부 | - |
합 계 | - | - | - | 15,000 | - | - | - | - | - |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15,000 | - | - | - | - | - | 15,000 | |
합계 | - | 15,000 | - | - | - | - | - | 15,000 |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코스닥 상장 공모(모집) |
1회 | 2022.07.22 | 운용자금 | 3,500 | 운용자금 | - | 사모자금 미소진 및 공모자금 사용목적시기 미도래에 따른 공모자금 미사용 |
코스닥 상장 공모(모집) |
1회 | 2022.07.22 | 기타 (연구개발자금) |
16,791 | 기타 (연구개발자금) |
- | 사모자금 미소진 및 공모자금 사용목적시기 미도래에 따른 공모자금 미사용 |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유상증자 | - | 2016.01.07 | 운영자금 | 6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600 | - |
유상증자 | - | 2016.07.02 | 운영자금 | 5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500 | - |
유상증자 | - | 2016.12.07 | 운영자금 | 1,2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1,200 | - |
유상증자 | - | 2017.05.26 | 운영자금 | 3,0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3,000 | - |
유상증자 | - | 2018.06.09 | 운영자금 | 7,5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7,500 | - |
유상증자 | - | 2020.08.15 | 운영자금 | 8,55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8,550 | - |
유상증자 | - | 2020.08.21 | 운영자금 | 7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700 | - |
유상증자 | - | 2020.10.08 | 운영자금 | 5,75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5,750 | - |
유상증자 | - | 2020.12.04 | 운영자금 | 3,0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3,000 | - |
유상증자 | - | 2021.03.19 | 운영자금 | 10,0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10,000 | - |
유상증자 | - | 2021.08.18 | 운영자금 | 18,0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10,701 | (주1) |
유상증자 | - | 2021.08.19 | 운영자금 | 5,0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 | (주1) |
유상증자 | - | 2021.08.21 | 운영자금 | 2,000 | 연구개발자금 시설투자,운영자금 |
- | (주1) |
전환사채 | 1 | 2023.04.21 | 운영자금 | 15,000 | 연구개발자금 혁신신약 임상연구 등 |
- | (주1) |
- | - | - | - | 80,800 | - | 51,501 | - |
(주1)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자금사용 계획과 실제 자금사용 현황의 차액은 상기와같으며 미사용자금은 안정성이 높은정기예금 및 보통예금에 예치하여 운용하고 있습니다.
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2021년 조달한 사모자금 35,000백만원 중 실제로 사용되지 아니한 14,298백만원과 2022년 조달한 공모자금 20,291백만원 및 2023년 조달한 사모자금 15,000백만원 은 연구개발, 시설투자, 운영자금으로 사용할 계획이며 현재 미사용 자금은 당사의 매출액 등 을 포함하여 아래와 같이 안정적인 자산으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종류 | 금융상품명 | 운용금액 | 계약기간 | 실투자기간 |
---|---|---|---|---|
예ㆍ적금 | 보통예금 | 6,063 | - | -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2,000 | 2023년 07월 ~ 2023년 10월 | 3개월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2,000 | 2023년 09월 ~ 2023년 10월 | 1개월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10,000 | 2023년 05월 ~ 2023년 11월 | 5개월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4,000 | 2023년 05월 ~ 2023년 11월 | 5개월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20,000 | 2022년 11월 ~ 2023년 11월 | 11개월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20,000 | 2022년 12월 ~ 2023년 12월 | 10개월 |
예ㆍ적금 | 정기예금 | 10,000 | 2023년 07월 ~ 2024년 07월 | 3개월 |
계 | 74,063 | - |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당 분기에 변동사항 없으며 관련내용은 2023.5.12에 제출된 2023년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당 분기에 변동사항 없으며 관련내용은 2023.5.12에 제출된 2023년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당 분기에 변동사항 없으며 관련내용은 2023.5.12에 제출된 2023년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VII. 주주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차상훈 | 최대주주 | 보통주 | 2,212,500 | 20.95 | 2,212,500 | 20.67 | 발행주식 총수의 증가로 인한 지분율 변동 |
전명숙 | 특수관계인(배우자) | 보통주 | 12,010 | 0.11 | 12,010 | 0.11 | 발행주식 총수의 증가로 인한 지분율 변동 |
계 | 보통주 | 2,224,510 | 21.06 | 2,224,510 | 20.78 | - | |
- | - | - | - | - | - |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성명 | 차상훈 (車相勳 / SangHoon Cha) |
생년월일 |
1963.01.18 |
|
최종학력 |
기간 |
학교명 |
전공 |
취득학위 |
89 ~ 93 |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면역학 |
박사졸업 |
|
88 ~ 89 |
몬타나주립대 |
미생물학 |
수료 |
|
82 ~ 87 | 강원대학교 | 환경학 | 학사졸업 | |
주요경력 |
기간 |
근무처 |
최종직위 |
|
13 ~ 현재 |
(주)에이프릴바이오 |
대표이사(13.01 취임) |
||
95 ~ 현재 |
강원대학교 |
의생명과학대학 교수 | ||
00 ~ 12 |
(주)아이지세라피 |
대표이사 |
||
06 ~ 07 |
싱기포르 국립대학 |
의과대학 소아과 교환교수 |
||
97 ~ 99 |
(주)마크로젠 |
면역담당 고문 |
||
93 ~ 94 |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 의과대학 박사 후 연구원 |
다. 최대주주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특정거래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최대주주의 최대주주의 개요
당사의 최대주주는 개인으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최대주주 변동현황
당사는 공시대상 기간 중 최대주주가 변동된 사실이 없습니다.
3. 주식의 분포
가. 5% 이상 주주 및 우리사주조합 등의 주식 소유 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차상훈 | 2,212,500 | 20.67 | - |
(주)유한양행 | 1,077,875 | 10.07 | ||
우리사주조합 | - | - |
주) |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우리사주조합이 설립되어 있지 않습니다. |
나. 소액주주현황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 주주수 |
전체 주주수 |
비율 (%) |
소액 주식수 |
총발행 주식수 |
비율 (%) |
||
소액주주 | 5,921 | 5,936 | 99.75 | 4,362,527 | 10,704,825 | 40.75 | - |
주1) | 상기 소액주주는 1% 미만 주식을 소유한 주주입니다. |
주2) | 상기 주식소유현황은 최근 주주명부폐쇄일(2023.09.30)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가. 임원 현황
당사의 임원은 총 14명으로 등기임원 6명, 미등기임원 8명입니다. 등기임원 6명은 사내이사 2명, 사외이사 2명, 기타비상무이사 1명, 감사 1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 여부 |
상근 여부 |
담당 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재직기간 | 임기 만료일 |
|
---|---|---|---|---|---|---|---|---|---|---|---|---|
의결권 있는 주식 |
의결권 없는 주식 |
|||||||||||
차상훈 | 남 | 1963.01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경영 및 연구총괄 |
[학력] '82~'87 강원대학교 환경학 학사 '88~'89 몬타나주립대 미생물학 수료 '89~'93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면역학 박사 [주요경력] '13~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대표이사 '95~현재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교수 '00~'12 (주)아이지세라피 대표이사 '06~'07 싱가포르 국립 의과대학 소아과 교환교수 '97~'99 (주)마크로젠 면역담당 고문 '93~'94 University of California, Davis 의과대학 박사 후 연구원 |
2,212,500 | - | 본인 | 10년7개월 | 2025.03.31 |
김진택 | 남 | 1971.02 | 사내 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경영관리 총괄 |
[학력] '91~'95 국민대학교 법학 학사 '95~'98 국민대학교 법학 석사 [주요경력] '19~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CFO '18~'19 (주)까스텔바작 관리본부장 '11~'18 패션그룹형지(주) 기획조정실 이사 '08~'11 법무법인 서현 기획실 실장 '04~'08 (주)세이브존I&C 전략기획실 과장 |
- | - | - | 3년11개월 | 2025.03.31 |
이은직 | 남 | 1959.05 | 사외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연구개발 자문 |
[학력] 198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학사 1988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석사 1994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주요경력] '21~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사외이사 '06~현재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교수 '06~'12 미국 노스웨스턴의대 내분비내과 겸임교수 '95~'06 미국 노스웨스턴의대 내분비내과 부교수 '91~'97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조교수 '84~'88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인턴, 내과수련의 |
- | - | - | 2년6개월 | 2025.03.31 |
윤재승 | 남 | 1961.02 | 사외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연구개발 자문 |
[학력] 1983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이학사 1985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이학석사 1990 Purdue 대학교(미국) 생물학과 이학박사 [주요경력] '21~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사외이사 '10~현재 (주)팬젠 대표이사 '92~'21 경희대학교 유전공학과 교수 '09~'10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초파리연구회 분과 회장 '05~'06 한국 생화학회 뉴스지 편집자 '03~'03 한국 분자세포생물학회 복지간사 '02~'03 싱가폴 국립대학 (NUS) 방문연구교수 '00~'02 Journal of Microbiol. And Biotechnol. 편집자 '99~'99 한국 생화학회 재무간사 '90~'92 Purdue 대학교(미국) 생물학과 박사 후 연구원 |
- | - | - | 1년5개월 | 2025.03.31 |
오세웅 | 남 | 1970.05 | 기타 비상무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연구개발 자문 |
[학력] 1993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학사 1995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석사 2008 서울대학교 수의과대학 박사 [주요경력] '21~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기타비상무이사 '21~현재 국가신약개발사업단 투자심의위원 '20~현재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소장 '18~'20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부소장 '11~'18 유한양행 중앙연구소 R&D전략팀장(수석) '95~'11 JW중외제약 중앙연구소 프로젝트기획팀장 |
- | - | - | 2년6개월 | 2025.03.31 |
김형우 | 남 | 1972.03 | 감사 | 감사 | 비상근 | 연구개발 자문 |
[학력] '91~'95 성균관대학교 회계학 학사 [주요경력] '22~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감사 '13~현재 신한회계법인 상무이사(회계사/세무사) '12~'15 코스닥시장 공시 심의위원 '08~'13 한영회계법인 상무이사(회계사/세무사) '07~'07 Ernst & Young London office IFRS team '03~'04 Ernst & Young San Francisco Office |
- | - | - | 1년3개월 | 2025.03.31 |
서상준 | 남 | 1965.06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경영자문 | [학력] '84~'90 연세대학교 경영학 학사 '16~'17 Univ. of Washington in Seattle Visiting Executive Program 수료 [주요경력] '21~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부사장 '93~'20 한국거래소 코스닥 상장심사부 및 기술기업상장부 부장 코스피/코스닥/코넥스 상장심사팀 팀장 코스피 시황분석팀/주식시장운영팀 팀장 '89~'91 한성투자금융 자금실 |
- | - | - | 2년8개월 | - |
이재흥 | 남 | 1971.08 | 상무 이사 |
미등기 | 상근 | 개발본부 총괄 |
[학력] '90~'94 충남대학교 약학 학사 '94~'96 충남대학교 약학 석사 [주요경력] '20~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개발본부 본부장 '19~'20 (주)큐라클 BD본부 상무 '16~'18 (주)아키젠바이오텍 아웃소싱팀 팀장(상무보) '13~'16 (주)KT&G 생명과학 라이센싱팀/연구기획팀 팀장 '05~'13 이수앱지스(주) 해외사업팀/임상개발팀 팀장 '02~'05 이수화학(주) 기술기획팀 연구원 '96~'01 (주)삼양제넥스 생명공학연구소 연구원 |
- | - | - | 3년8개월 | - |
강승구 | 남 | 1974.11 | 상무 이사 |
미등기 | 상근 | CSO | [학력] '94~'97 연세대학교 생물학 학사 '97~'00 연세대학교 분자면역학 석사 '00~'09 Purdue University 면역/병리학 박사 [주요경력] '20~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CSO '15~현재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대학 교수 '10~'15 Research Associate,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CA '09~'09 Postdoctoral Fellow, Purdue University, IN |
- | - | - | 3년6개월 | - |
지수선 | 여 | 1975.01 | 이사 | 미등기 | 상근 | 개발지원 총괄 |
[학력] '93~'97 중앙대학교 생물학 학사 '97~'99 서울대학교 생물학 석사 '99~'04 서울대학교 생물과학 박사 [주요경력] '21~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개발지원팀장 '11~'20 (주)에이프로젠 약효분석실 실장(부장) '05~'11 Mayo Clinic, USA '04~'05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연구원 |
- | - | - | 2년8개월 | - |
한재규 | 남 | 1976.11 | 이사 | 미등기 | 상근 | 단백질제작 총괄 |
[학력] '95~'99 강원대학교 생물응용공학 학사 '99~'01 강원대학교 생물응용공학 석사 [주요경력] '16~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단백질제작팀장 '15~'16 강원대학본부 기획조정과 의료산업특화 BIT 융합 전문인력 양성사업단 '13~'15 (주)에이프릴바이오 수석연구원 '03~'12 (주)아이지세라피 수석연구원 |
- | - | - | 7년6개월 | - |
진홍국 | 남 | 1981.04 | 이사 | 미등기 | 상근 | 대외전략 총괄 |
[학력] '00~'05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Albany '18~'20 연세대학교 약학대학, 제약산업학과 석사 [주요경력] '22~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대외전략팀장 '21~'22 알토스바이오로직스 재무회계이사 '17~'21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제약/바이오 애널리스트 '15~'17 Daiwa Capital Markets, Research, Smallcap Analyst '14~'15 브레인자산운용 주식운용역 '10~'14 현대증권 리서치센터 중소형주 애널리스트 '09~'10 하이투자증권 리서치센터 IT부품 애널리스트 '08~'09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리서치 애널리스트 |
- | - | - | 10개월 | - |
허병웅 | 남 | 1976.09 | 이사 | 미등기 | 상근 | 신기술개발 총괄 |
[학력] '93~'97 강원대학교 생물응용공학과 학사 '97~'99 강원대학교 생명공학 석사 '99~'04 강원대학교 생명공학 박사 [주요 경력] '23~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신기술개발팀장 '21~'23 소나큐어 공동대표이사 '19~'21 이뮤노포지 바이오신약파트 파트장 (상무) '13~'18 안국약품 바이오의약개발팀 팀장 '12~'13 유바이오로직스 부설연구소 수석연구원 '10~'12 종근당효종연구소 바이오의약개발팀 책임연구원 |
- | - | - | 4개월 | - |
이민구 | 남 | 1973.03 | 이사 | 미등기 | 상근 | 항암효능 평가총괄 |
[학력] '92~'97 우석대학교 생물학과 이학사 '97~'99 고려대학교 생물학과 이학석사 '99~'03 고려대학교 생물학과 이학박사 [주요경력] '23~현재 (주)에이프릴바이오 항암효능평가팀장 '21~'23 고려대학교 생명공학연구소 연구교수 '05~'20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연구교수 '03~'05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연구원 |
- | - | - | 4개월 | - |
나. 타회사 임원 겸직 현황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성명 | 겸직사항 | |||
---|---|---|---|---|
당사직책 |
회사명 |
담당업무 |
||
차상훈 |
대표이사 | 강원대학교 | 교수 | 강의 |
강승구 |
상무이사(CSO) | 강원대학교 | 교수 | 강의 |
김진택 | 상무이사(CFO) | (주)새롬한방제약 | 대표이사 | 사업총괄 |
이은직 |
사외이사 |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 교수 | 강의 및 진료 |
윤재승 |
사외이사 | (주)팬젠 | 대표이사 | 사업총괄 |
오세웅 |
기타비상무이사 |
(주)유한양행 |
전무이사 |
연구소장 |
김형우 |
감사 |
신한회계법인 |
상무이사 |
회계사 |
다.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직원 | 소속 외 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 근속연수 |
연간급여 총 액 |
1인평균 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
기간제 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
전체 | 남 | 13 | - | - | - | 13 | 2.6 | 862 | 66 | - | - | - | - |
전체 | 여 | 11 | - | - | - | 11 | 2.7 | 401 | 36 | - | |||
합 계 | 24 | - | - | - | 24 | 2.7 | 1,263 | 53 | - |
주1) | 직원의 현황은 등기임원 6명은 제외하고, 미등기임원 8명은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주2) | 평균근속연수는 2023년 9월 30일 기준으로 작성 하였습니다. |
주3) | 연간 급여총액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누적 지급액 기준입니다. |
주4) | 1인 평균급여액은 연간급여총액을 직원수로 단순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라.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8 | 861 | 108 | - |
주1) | 연간 급여총액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 누적 지급액 기준입니다. |
주2) | 1인 평균급여액은 연간급여총액을 미등기임원수로 단순평균하여 산출하였습니다. |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가.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이사 | 5 | 1,500 | - |
감사 | 1 | 50 | - |
주)1 | 상기 주주총회 승인금액은 2023년 3월 30일 개최한 정기주주총회의 이사 및 감사의 보수한도입니다. |
나. 보수지급금액
(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백만원)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6 | 440 | 88 | - |
주1) | 보수총액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의 보수총액 기준이며, 1인 평균보수액은 합계 금액을 인원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
주2) | 오세웅 기타비상무이사에게 보수를 지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
주3) | 1인당 평균보수액 = 당기 중 지급된 등기임원의 보수총액 / 등기임원 인원 수 |
(2) 유형별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2 | 386 | 193 | -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2 | 36 | 18 | - |
감사위원회 위원 | - | - | - | - |
감사 | 1 | 18 | 18 | - |
주1) | 보수총액은 2023년 1월부터 2023년 9월까지의 보수총액 기준이며, 1인 평균보수액은 합계 금액을 인원수로 나눈 금액입니다. |
주2) | 오세웅 기타비상무이사에게 보수를 지급하지 않고 있습니다. |
주3) | 1인당 평균보수액 = 당기 중 지급된 등기임원의 보수총액 / 등기임원 인원 수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가.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 - | - | - |
- | - | - | - |
나.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 근로소득 | 급여 | - | - |
상여 | -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 | ||
기타 근로소득 | - | -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가.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 - | - | - |
- | - | - | - |
나.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백만원) |
이름 | 보수의 종류 | 총액 | 산정기준 및 방법 | |
---|---|---|---|---|
- | 근로소득 | 급여 | - | - |
상여 | - | -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 - | ||
기타 근로소득 | - | - | ||
퇴직소득 | - | - | ||
기타소득 | - | -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가. 이사ㆍ감사의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단위 : 천원) |
구 분 | 부여받은 인원수 |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 비고 |
---|---|---|---|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1 | 2,708 | -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 - |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 - | - |
업무집행지시자 등 | - | - | - |
계 | 1 | 2,708 | - |
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주) |
부여 받은자 |
관 계 | 부여일 | 부여방법 | 주식의 종류 |
최초 부여 수량 |
당기변동수량 | 총변동수량 | 기말 미행사수량 |
행사기간 | 행사 가격 |
의무 보유 여부 |
의무 보유 기간 |
||
---|---|---|---|---|---|---|---|---|---|---|---|---|---|---|
행사 | 취소 | 행사 | 취소 | |||||||||||
OOO 외 6명 | 직원 | 2018.12.20 | 신주교부 | 보통주 | 47,500 | - | - | 27,500 | 20,000 | -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4,476 | X | - |
한재규 | 미등기임원 | 2018.12.20 | 신주교부 | 보통주 | 12,500 | - | - | - | - | 12,5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4,476 | O | 2022.07.28 ~ 2025.07.27. |
김진택 | 등기임원 | 2020.01.17 | 신주교부 | 보통주 | 50,000 | 10,500 | - | 10,500 | - | 39,5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4,476 | O | 2022.07.28 ~ 2025.07.27. |
강승구 | 미등기임원 | 2020.01.17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1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4,476 | O | 2022.07.28 ~ 2025.07.27. |
한재규 | 미등기임원 | 2020.01.17 | 신주교부 | 보통주 | 17,500 | - | - | - | - | 17,5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4,476 | O | 2022.07.28 ~ 2025.07.27. |
OOO 외 13명 | 직원 | 2020.01.17 | 신주교부 | 보통주 | 147,500 | 6,000 | - | 116,600 | - | 30,9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4,476 | X | - |
이재흥 | 미등기임원 | 2020.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52,500 | - | - | - | - | 52,5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5,222 | O | 2022.07.28 ~ 2025.07.27. |
김영민 | 미등기임원 | 2020.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52,500 | - | - | - | 52,500 | -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5,222 | X | - |
강승구 | 미등기임원 | 2020.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5,000 | - | - | - | - | 15,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5,222 | O | 2022.07.28 ~ 2025.07.27. |
김진택 | 등기임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1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O | 2022.07.28 ~ 2025.07.27. |
서상준 | 미등기임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5,000 | - | - | - | - | 105,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O | 2022.07.28 ~ 2025.07.27. |
송무영 | 미등기임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70,000 | - | - | - | - | 7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O | 2022.07.28 ~ 2025.07.27. |
이재흥 | 미등기임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7,500 | - | - | - | - | 7,5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O | 2022.07.28 ~ 2025.07.27. |
지수선 | 미등기임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1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O | 2022.07.28 ~ 2025.07.27. |
한재규 | 미등기임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3,000 | - | - | - | - | 3,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O | 2022.07.28 ~ 2025.07.27. |
OOO 외 19명 | 직원 | 2021.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49,500 | - | - | 35,500 | 5,000 | 9,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6,040 | X | - |
지수선 | 미등기임원 | 2022.03.31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1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15,250 | O | 2022.07.28 ~ 2025.07.27. |
OOO 외 2명 | 직원 | 2022.03.31 | 신주교부 | 보통주 | 10,500 | - | - | - | - | 10,5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15,250 | X | - |
진홍국 | 미등기임원 | 2023.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70,000 | - | - | - | - | 7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21,750 | X | - |
지수선 | 미등기임원 | 2023.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10,000 | - | - | - | - | 10,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21,750 | X | - |
한재규 | 미등기임원 | 2023.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5,000 | - | - | - | - | 5,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21,750 | X | - |
OOO 외 4명 | 직원 | 2023.03.30 | 신주교부 | 보통주 | 8,500 | - | - | - | 3,500 | 5,000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날로부터 7년 내 행사 |
21,750 | X | - |
주1) | 총변동수량의 취소는 직원의 퇴사 및 가득요건 미충족으로 인해 이사회 결의로 부여 취소한 수량입니다. |
주2) | 2021년 10월 13일 무상증자로 변경된 행사수량 및 행사가격을 반영하였습니다. |
주3)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분 중 임원에게 부여된 373,000주의 경우 상장 후 3년간 주식매수선택권을 의무보유 할 계획입니다. |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1.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 | - | -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천원) |
출자 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 장부 가액 |
증가(감소) | 기말 장부 가액 |
||
취득 (처분) |
평가 손익 |
||||||
경영참여 | - | - | - | - | - | - | - |
일반투자 | - | 1 | 1 | 999,946 | - | - | 999,946 |
단순투자 | - | - | - | - | - | - | - |
계 | - | 1 | 1 | 999,946 | - | - | 999,946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당 분기에 변동사항 없으며 관련내용은 2023.5.12에 제출된 2023년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기준일 : 2023년 09월 30일) | (단위 : 매, 백만원) |
제 출 처 | 매 수 | 금 액 | 비 고 |
---|---|---|---|
은 행 | - | -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 | - |
법 인 | - | - | - |
기타(개인) | - | - | - |
다. 채무보증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가. 제재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의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당사는 2023.10.17 이사회를 통해 준비금의 자본전입을 결의하였으며 관련내용은 2023.10.17에 제출된 주요사항보고서(무상증자결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법적위험 변동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기업인수목적회사의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의무 및 과거 합병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합병등의 사후정보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녹색경영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정부의 인증 및 그 취소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카.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ㆍ채무재조정 사유등의 변동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타.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보통주 | 2,224,510 | 2022.07.28 | 2025.07.28 | 신규상장일로부터 3년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단서조항 |
10,704,825 |
보통주 | 1,077,875 | 2022.07.28 | 2024.07.28 | 신규상장일로부터 2년 |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6조 제1항 단서조항 |
10,704,825 |
보통주 | 10,500 | 2023.08.29 | 2025.07.28 | 신규상장일로부터 3년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10,704,825 |
합계 | 3,312,885 | - | - | - | - | - |
파. 상장기업의 재무사항 비교표
당 분기에 변동사항 없으며 관련내용은 2023.5.12에 제출된 2023년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하. 특례상장기업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
당 분기에 변동사항 없으며 관련내용은 2023.5.12에 제출된 2023년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XI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
(단위 : 백만원)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 회사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계열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 - | - |
- | - | ||
비상장 | - | - | - |
- | - |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2023년 09월 30일 | ) | (단위 : 천원, 주, %) |
법인명 | 상장 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 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취득(처분) | 평가 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총자산 | 당기 순손익 |
||||||
수량 | 금액 | ||||||||||||||
주식회사 셀로스바이오텍 | 비상장 | 2023년 04월 21일 | 일반투자 | 999,946 | - | - | - | 7,224 | 999,946 | - | 7,224 | 4.76 | 999,946 | 550,251 | -800,619 |
합 계 | - | - | - | 7,224 | 999,946 | - | 7,224 | 4.76 | 999,946 | 550,251 | -800,619 |
4. 지적재산권 상세 현황
☞ 본문 위치로 이동 |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일 |
등록일 |
적용제품 |
출원국 |
1 |
특허권 |
항체 절편 발현용 벡터 및 이 벡터를 이용해 항체를 |
㈜에이프릴바이오 |
2009.11.30 |
2010.06.07 |
항체라이브러리 |
등록 (한국) |
2 |
특허권 (분할특허) |
항체 절편 발현용 벡터 및 이 벡터를 이용해 항체를 디스플레이하는 재조합 파지를 생산하는 방법 |
㈜에이프릴바이오 |
2007.10.15 |
2010.05.10 |
항체라이브러리 |
등록 (한국) |
3 |
특허권 |
항-혈청 알부민에 대한 항원결합 단편-이펙터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9.01 |
2015.12.04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한국) |
4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18.01.30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미국) |
5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7.09.27 |
2020.04.14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분할특허 등록 (미국) |
6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18.10.26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일본) |
7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8.06.01 |
2020.12.16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분할특허 등록 (일본) |
8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0.01.27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멕시코) |
9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18.05.05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콜롬비아) |
10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18.07.11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러시아) |
11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18.08.10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우크라이나) |
12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17.06.15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오스트레일리아) |
13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0.04.28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캐나다) |
14 (주1)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0.11.25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유럽 11개 |
15 |
특허권 |
로타바이러스 VP 6 및 VP 7에 대한 단클론 항체 및 |
㈜에이프릴바이오 |
2015.08.20 |
2017.06.16 |
항-로타 바이러스 항체 |
등록 (한국) |
16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1.10.08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중국) |
17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분할특허 출원 (유럽) |
18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2.01.21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인도) |
19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출원 (브라질) |
20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출원 (필리핀) |
21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2.10.26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베트남) |
22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2022.03.11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등록 (홍콩) |
23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출원 (태국) |
24 |
특허권 |
Anti serum albumin fab-effector moiety fusion |
㈜에이프릴바이오 |
2014.08.29 |
해당없음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출원 (PCT) |
25 |
특허권 |
항원결합 단편 및 생리활성 이펙터 모이어티로 구성된 융합 컨스트럭트를 포함하는 다중결합항체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조성물 |
㈜에이프릴바이오 |
2020.01.24 |
해당없음 |
APB-A1 |
출원 (한국) |
26 |
특허권 |
MULTISPECIFIC ANTIBODIES,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VECTORS AND USES AND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0.05.19 |
해당없음 |
APB-A1 |
출원 (미국) |
27 |
특허권 |
MULTISPECIFIC ANTIBODIES,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VECTORS AND USES AND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1.23 |
해당없음 |
APB-A1 |
출원 (PCT) |
28-67 |
특허권 |
MULTISPECIFIC ANTIBODIES,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AND VECTORS AND USES AND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1.23 |
해당없음 |
APB-A1 |
출원 (40개 국가 국내 진입) |
68 |
특허권 |
고양이 과립구 집락 자극인자 및 혈청 알부민에 대한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및 이의 용도 |
㈜에이프릴바이오 |
2020.04.09 |
2023.01.03 |
APB-F1 |
등록 (한국) |
69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FELINE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ANTIGEN BINDING 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F1 |
출원 (PCT) |
70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FELINE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ANTIGEN BINDING 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F1 |
출원 (미국) |
71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FELINE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ANTIGEN BINDING 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F1 |
출원 (유럽) |
72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FELINE GRANULOCYTE COLONY-STIMULATING FACTOR AND ANTIGEN BINDING 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F1 |
출원 (일본) |
73 |
특허권 |
CD73의 면역관문을 억제하기 위한 항체 및 이의 용도 |
㈜에이프릴바이오 |
2020.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한국) |
74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PCT) |
75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미국) |
76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유럽) |
77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일본) |
78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중국) |
79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캐나다) |
80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호주) |
81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유라시아) |
82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인도) |
83 |
특허권 |
MONOCLONAL ANTIBODIES AND ANTIGEN BINDING FRAGMENTS THEREOF FOR SUPPRESSING CD73 IMMUNE CHECKPOINT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4.09 |
해당없음 |
APB-A2 |
출원 (브라질) |
84 |
특허권 |
인터루킨-18 결합 단백질 및 혈청 알부민에 대한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및 이의 용도 |
㈜에이프릴바이오 |
2020.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한국) |
85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PCT) |
86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미국) |
87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유럽) |
88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일본) |
89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중국) |
90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캐나다) |
91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호주) |
92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브라질) |
93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유라시아) |
94 |
특허권 |
RECOMBINANT PROTEINS COMPRISING INTERLEUKIN-18-BINDING PROTEIN AND ANTIGEN BINDINGFRAGMENT FOR SERUM ALBUMIN, AND USES THEREOF |
㈜에이프릴바이오 |
2021.09.29 |
해당없음 |
APB-R3 |
출원 (인도) |
95 |
특허권 |
난포자극 호르몬 및 혈청 알부민에 대한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
㈜에이프릴바이오 |
2022.10.04 |
해당없음 |
APB-R2 |
출원 (한국) |
96 |
특허권 |
인터루킨-2 변이 단백질 및 혈청 알부민에 대한 항원 결합 단편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의 용도 |
㈜에이프릴바이오 |
2022.10.19 |
해당없음 |
APB-R4 |
출원 (한국) |
97 |
특허권 |
신규한 파아지 디스플레이 방법 |
㈜에이프릴바이오 |
2005.10.17 |
2012.08.20 |
파아지 디스플레이 |
등록 (한국) |
98 |
상표권 |
SAFAbody |
㈜에이프릴바이오 |
2020.10.22 |
2022.02.11 |
SAFA 지속형 플랫폼기술 |
상표등록 (한국) |
(주1) | SAFA 특허 유럽 등록건의 경우 다음 11개 개별국가를 지정하였습니다. (유럽 특허의 경우 11개 개별 국가에 등록하였으나 유럽 등록 1건으로 표기) 유럽 개별 국가 :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영국, 스페인, 터키, 폴란드, 스위스, 네덜란드, 벨기에, 덴마크 |
5. 주요 용어 해설
☞ 본문 위치로 이동 |
용어(국문) |
용어(영문) |
내 용 |
---|---|---|
면역원성 |
Immunogenicity |
면역원성은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는 항원의 능력을 뜻하며 주로 항원의 크기 및 구조에 영향을 받습니다. 약물의 면역원성이 높을수록 생체 내에 투여되었을 때 약물에 대한 항체 생성반응이 강하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물질이전계약 |
Material Transfer Agreement, MTA |
유형의 연구자원을 소유한 자와 자원을 연구 또는 평가 목적으로 사용하고자 하는 자 사이에 체결되는 법적 구속력을 갖는 계약을 의미합니다. |
미국 식품의약국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
미국에서 식품과 의약품의 인허가를 주관하는 정부 기관으로 1906년 설립되었으며, 의약품의 인허가 및 규제, 화장품, 식품 그리고 의료 기기 등에 대한 허가와 규제를 담당합니다. |
바이오의약품 |
Bio drug, Biologics |
사람이나 생물체에서 유래된 것을 원료 또는 재료로 하여 제조한 의약품을 뜻하며 주로 재조합 단백질과 항체의약품이 있습니다. |
바이오베터 |
Bio-better |
기존 오리지널 바이오 의약품을 개량해 편의성이나 효능을 개선시킨 의약품으로 오리지널 의약품과 효능이 동일한 바이오시밀러와 달리 오리지널을 개량해 더 나은 효능을 보이는 약물입니다. |
바이오시밀러 |
Biosimilar |
특허 만료된 항체의약품과 물리화학적 성질 및 효능이 동등한 바이오의약품을 뜻하며 항체의약품과 같은 바이오의약품들은 완전히 동일하기 어렵기 때문에 동등의약품이라고도 합니다. |
반감기 |
Half-life, T1/2 |
생물학적 반감기는 생물학적 시스템(사람이나 동물) 체내로 흡수된 성분의 양이 자연적과정을 통해 반으로 줄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합니다. |
반(50%)독성량 |
Toxic Dose 50%, TD50 |
시험물질을 실험동물에 투여하였을 때 실험동물의 50%가 죽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독성을 나타내게 되는 투여량으로 보통 체중 kg당 mg으로 나타냅니다. |
반복투여독성시험 |
Repeated dose toxicity study |
시험물질을 실험동물에 반복 투여하여 중/장기간 내에 나타나는 독성을 검사하는 시험으로 최대무독성량(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NOAEL)등의 산정을 목적으로 수행되어집니다. |
발병률 |
Incidence |
유해물질(화학적, 생물학적) 노출로 인해 인체에 질병이 발생할 확률입니다. |
병용치료 |
Combination therapy |
두 가지 이상의 의약품을 동시 혹은 연속적으로 투여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
분석증명서 |
Certificate of Analysis (CoA) |
특정 물질에 대한 모든 필요 정보를 증명하는 자료로 제품별 개별 배치의 품질관리를 위해 수행된 테스트의 실제 결과값을 의미합니다. 확인, 성상, 함량, 역가 등의 분석된 결과값이 포함됩니다. |
분자량 |
Molecular weight, MW |
분자의 질량을 나타내는 양으로 Da 또는 kDa 단위로 표기됩니다. |
분화클러스터154 |
CD154 (CD40L) |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 계열 중 하나인 CD40 리간드(CD40L)는 활성화된 T 림프구에서 주로 발현되며, 항원제시세포(APC, Antigen Presenting Cell)의 CD40와 상호작용을 통해 T세포와 다른 세포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는 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분화클러스터40 |
CD40 |
CD40은 B 세포,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흉선 상피세포와 같은 항원제시 세포(Antigen Presenting Cell, APC) 뿐만 아니라 상피세포 및 섬유아세포 등의 일반세포에서도 발현되며 CD40L와 상호작용합니다. |
비임상시험 |
Pre-Clinical test | 인간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시험물질의 성질이나, 안전성에 관한 각종 자료를 얻기 위하여 임상시험 전단계에서 실험실적 조건하에 실시하는 시험입니다. 기초탐색과정을 거쳐 도출된 후보물질(lead compound)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테스트하는 단계로 적합한 실험동물을 이용하여 약물이 체내에 어떻게 흡수되어 분포되고 배설 되는가를 연구하는약리동태와 약효약리시험, 시험물질이 지니는 안전성을 테스트하는 독성시험이 포함됩니다. 비임상 시험항목은 독성, 효력, 일반약리, 약동력 등의 시험이 있습니다. |
비임상시험 관리기준 |
Good Laboratory Practice, GLP |
GLP는 시험기관에서 수행하는 시험의 계획,실행,점검,기록,보고 되는 체계적인 과정 및 이와 관련된 전반적 사항을 규정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GLP는 의약품 등 화학물질의 독성시험에서, 시험과정 및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보증하기 위한 제도로서 GLP 시험기관이 적합한 인원 및 조직, 시설, 장비를 구축하고 이의 운용을 위한 SOP(표준작업지침서)를 만들며, 규정된 시험 계획서 및 SOP에 따라 시험을 계획하고 진행하며, 시험에 관여하지 않는 제3의 신뢰성 보증부서로 하여금 모든 시험의 단계마다 점검하게 함으로써 신뢰성 있는 비임상 시험자료를 생산하는 체계적인 시험 운영관리시스템입니다. |
수용체 |
Receptor |
자극정보(예를 들어 리간드, ligand)를 받아들이는 특수 구조를 뜻하며 일반적으로 세포 막 단백질이 해당됩니다. |
수율, 수량 |
Yield |
이론 생산량에 대한 실제 생산량의 백분율을 의미합니다. |
스크리닝 선별작업 |
Screening |
분석/검사 분야에서 신속하게 실시 가능한 검사, 수기를 이용하여 대상 물질이나 생물 등을 함유한 시료를 잠정적으로 선출하는 방법을 뜻하며 스크리닝 단계 이후에 상세한 검사나 진단 등을 통해 결론을 얻는다. |
새로운 혁신신약 |
First-in-Class drug, FIC |
새로운 기전으로 작용하는 혁신 신약을 의미합니다. |
생물학적활성 |
Bioactivity, Biological activity |
생체 내에서 물질이 나타내는 생리 활성을 뜻하며 제약 분야에서는 약품이 생체에 미치는 영향을 뜻하기도 합니다. |
생체내 |
In vivo |
생체 내 반응을 말하며, 통상적으로 동물이나 인체 내 반응을 의미합니다. 생화학에서는 살아있는 생체 중에서 대상으로 하는 생체 반응을 조사할 때에 생체 외로 나왔을 때의 상태 (in vitro)에 대비하여 사용됩니다. |
생체지표 |
Biomarker |
독성학적인 측면에서 생체지표란 발암, 유전질환, 노화 등이 진행되는 단계 중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형태학적,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변화를 말합니다. 생체지표를 검색함으로써 물질의 위해성을 판단할 수 있습니다. |
시험관 내 |
In vitro |
라틴어로 'in glass'란 의미로 조직배양과 같이 시험관 내에서 조직의 일부 및 유기체를 실험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생물학 용어로는 각종 연구목적을 위하여 생체의 일부분이 '생체 밖으로' 적출, 유리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
세포주 |
Cell Line |
일반적으로 적절한 배지와 공간에서 무한하게 증식하는 유전적 형질이 유지되는 세포를 뜻하며 생산하고자 하는 항체 유전자를 세포의 본래 유전자에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주를 생산 세포주라고 합니다. |
CMC |
Chemistry, Manufacturing and Control, CMC |
의약품 개발과정에서 의약품 (원료, 완제품)의 품질과 연관된 연구개발 및 제조공정이 일관성 있게 조절 및 관리되고 있음을 문서화하여 입증하는 것을 말합니다. |
안정성시험 |
Stability testing |
의약품등의 안정성에 관한 시험으로 시험목적에 따라 장기보존시험, 가혹시험, 가속시험으로 구분합니다. 장기보존시험(Long-Term Testing)은 유효기간(또는 사용기간)중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한 시험이며, 가혹시험(Stress Testing)은 가혹조건에서 분해산물의 생성 여부 등을 확인하기 위한 시험이며, 가속시험(Accelerated Testing)은 일정한 유 통기간중의 품질을 단기간에 추정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
암 미세환경 |
Tumor Microenvironment |
종양 주위의 세포환경을 의미하며 종양이 성장하고 전이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알부민 (혈청 알부민) |
Albumin (SA, Serum albumin) |
알부민은 간에서 만들어지며 구형의 단백질로 혈청에 존재하는 알부민을 혈청 알부민 (serum albumin)이라 합니다. 알부민은 생체 세포나 체액 중에 넓게 분포되어 있으며 면역글로불린과 함께 세포와 혈장의 기초물질을 구성합니다. 혈청 단백질 중 50~60% 정도가 알부민이며, 삼투조절을 통해서 혈액과 체내의 수분량을 조절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그 밖에 조직에 영양분을 제공하며, 호르몬, 비타민, 약물, 칼슘 같은 이온과 결합하여 신체의 각 부분으로 전달하는 역할도 합니다. 알부민은 항체와 같이 생체 내에서 긴 반감기(19일)를 가지고 있어 의약품 개발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
알부민 결합물질 |
Albumin-binder |
알부민에 결합하는 물질을 뜻하며 예를 들어 알부민에 결합하는 항체가 있습니다. |
약력학, 약물동력학 |
Pharmacodynamics, PD |
약물이 살아있는 생물체에서 그의 영향을 발휘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를 뜻하며 연구의 목적은 생물학적 효과로 이어지는 기본적인 물리화학적 과정을 규명하는데 있습니다. |
약동학, 약물동태학 |
Pharmacokinetics, PK |
생체 내에서 시간 경과에 따른 약물의 흡수, 분포, 대사, 배설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합니다. |
약물결합항체 |
Anti-Drug Antibody, ADA |
약물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의미합니다. 약물의 면역원성이 높을수록 면역반응이 강하게 일어나 약물에 결합하는 항체를 많이 만들어내어 약물의 기능을 억제할 수 있으며 약물의 내성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
연구용 세포주 은행 |
Research cell banking (RCB) |
생산하고자 하는 항체 유전자를 세포의 본래 유전자에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를 생산 세포주라고 하며 연구용으로 제작한 세포주를 RCB라 명칭합니다. |
융합단백질 |
fusion protein |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든 두 가지 이상의 단백질 또는 폴리펩타이드가 펩타이드 링커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단백질 복합체를 의미합니다. |
이중결합항체 |
Bi-specific Antibody |
서로 다른 2개의 부위(에피토프)에 특이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항체 단백질을 뜻하며 서로 다른 부위는 전혀 다른 단백질 또는 한 단백질 내 다른 부위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
인간유래 항체라이브러리 |
Naive human antibody library |
인간B세포의cDNA로부터 인간항체 유전자를 확보하여 면역원성을 최소화한 항체풀(pool)을 의미합니다. 항체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스크리닝 과정을 통해 원하는 타겟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후보물질을 선별할 수 있습니다. |
인간화항체 |
Humanized Antibody |
비-인간 유래 항체를 인간항체와 유사한 형태로 개발된 항체를 의미합니다. 비-인간 유래 항체를 생체 내에 의약품으로 투여하는 경우에, 투여한 항체를 외부 물질로 인식하여 ADA가 발생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인간 항체와 유사한 형태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 1 수용체 |
IGF1-R |
IGF-Ⅰ수용체는 인슐린수용체와 유사한 α2β2구조인 4합체인데, α소단위에 IGF 결합영역이 있고 β소단위는 티로신키나아제 활성을 합니다. IGF-Ⅰ수용체에는 친화성이 낮지만 IGF-Ⅱ와 인슐린이 결합하고 IGF-Ⅱ수용체에는 IGF-Ⅰ은 결합하지만 인슐린은 결합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인터루킨 1 베타 |
IL- 1beta |
IL-1 beta는 IL-1 패밀리에 속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서 생산되며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인터루킨 6 |
IL-6 |
B세포의 항체생산세포로의 최종 분화를 유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T림프구, B림프구, 대식세포, 섬유아세포 등 여러 세포에서 생산되며 면역응답, 조혈계와 신경계 세포의 증식 및 분화, 급성 반응 등에 관여합니다. |
인터루킨 18 |
IL-18 |
IL-18은 체내의 선천성 면역반응을 조절하는 대표적인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 IL-1 패밀리에 속해 있습니다. 특히 IL-18 신호는 대식세포와 NK 세포의 면역 반응에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인터루킨 18 수용체 |
IL-18R |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중의 하나인 IL-18과 반응하는 세포막 단백질로 반응에 따라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인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를 촉진하여 염증을 악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인터루킨 18 결합단백질 |
IL-18BP |
IL-18에 결합하여 IL-18에 의한 인터페론 감마의 분비를 억제시키는 기능을 가진 생체 내 단백질입니다. |
임상시험 |
Clinical Trial / Study |
의약품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증명할 목적으로, 해당 약물의 약동/약력/약리 임상적 효과를 확인하고 이상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시험 또는 연구를 말합니다. |
일반독성시험 |
General toxicity study |
일반 독성실험에는 투여횟수와 관찰 기간이 다른 단회투여 독성시험과 반복투여 독성시험이 있으며 반복투여 독성시험은 약물의 사용기간에 따라 1개월, 3개월, 6개월 및 1년간 수행할 수 있습니다. |
에프에이비(Fab) 항체절편 |
Fab fragment |
Fab 항체절편은 면역글로불린 항체의 기능상의 단위구조의 하나로서, 면역글로불린(Ig)은 항원 결합 부위 Fab와 면역기능 (effector function) Fc로 분자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
에프씨(Fc) 부위 |
Fragment crystallizable region, Fc region |
Fc 부위는 면역글로불린 항체의 단위구조의 하나로 다양한 Fc 수용체와 결합하여 다양한 기능(ADCC, ADCP, CDC 그리고 FcRn-mediated mechanism)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
에프씨알엔(FcRn) 수용체 |
Neonatal Fc receptor, FcRn |
FcRn는 세포 내에 내재화된 면역글로불린 IgG와 혈청 알부민(serum albumin)과 결합하여 이들의 생체 내 반감기를 증가시켜줄 수 있는 중요한 수용체로 혈관내피세포와 골수세포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에프씨알엔(FcRn) 매개 리사이클링 기전 |
FcRn-mediated recycling mechanism |
세포 내부로 내재화된 면역글로불린 IgG와 혈청 알부민 (serum albumin)이 FcRn에 결합하여 세포 내에서 분해되지 않고 세포 밖으로 빠져나오는 기전으로 항체와 알부민의 긴 생체 내 반감기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
에스씨에프브이(scFv) 항체절편 |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scFv |
재조합 DNA 기술을 이용하여 면역글로불린 항체에서 항원과 결합하는 두 가지 가변부위(variable heavy & variable light chain)를 하나의 펩타이드 링커로 연결한 항체 절편으로 일반적인 면역글로불린 항체와 비교하여 분자량이 작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약 12.5 kDa) |
엠13 헬퍼 파지 |
M13 helper phage |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에 사용되는 헬퍼 파지의 일종이며, 항체 혹은 펩타이드 라이브러리를 구성하는 대장균에 인위적인 감염시켜 파지 디스플레이 기술의 결과물인 재조합파지후손(recombinant phage progeny)를 생산할 때 사용되는 실사형 박테리오파지(filamentous bacteriophage)의 일종입니다. |
완제의약품 |
Drug Product (DP) |
완제의약품이란 정제, 캡슐제, 액제 등 일반적으로 비활성성분과 결합된 활성성분을 포함하는 최종 제형을 의미합니다. |
원료의약품 |
Drug Substance (DS) |
완제의약품의 전 단계로 의약품 제조에 사용되며 이때 해당 의약품에서 활성 성분이 되는 성분 또는 성분들의 혼합물을 의미합니다. |
위탁생산기관 |
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 CMO |
제약업계에서 많이 사용되는 용어로 의약품을 대행 생산하도록 아웃소싱을 맡기는 것을 의미합니다. |
위탁시험대행기관 |
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CRO |
신약개발을 하는 과정에서 제약기업의 임상시험 관리를 대행해 주는 기관을 총칭합니다. CRO는 단 순한 데이터 관리 및 통계분석 서비스에서 최근 약물 발굴ㆍ신약개발ㆍ제조ㆍ운송ㆍ상품화까지 제약 산업 전 단계에 걸쳐 서비스를 제공하는 영역에까지 확대하고 있습니다. |
의약품 임상시험계획 승인제도 |
Investigational New Drug, IND |
새로운 의약품의 마케팅 신청이 승인되기 전에 제약 회사에게 임상시험을 수행하기 위해 실험용 의약품의 사용을 승인해 주는 단계를 의미하며 의약품 담당기관 (FDA 또는 식약처)은 개발 중인 의약품에 의해 연구 대상이 부당한 위험에 처하지 않도록 안전을 위해 IND 신청서를 검토합니다. IND 신청서가 승인되면, 후보 약물은 임상 시험에 진입할 수 있습니다. |
의약품 제조 및 품질 관리 기준 |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GMP |
허가사항 또는 시험규격에 의해 요구되고,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하는 품질기준들에 따라 제품이 일관되게 생산되고 조절되고 있음을 보증하는 품질보증의 일부분으로 GMP는 생산과 품질관리 모두와 관계가 있습니다. |
자가항체 |
Autoantibody |
본래 자기 자신이 가지고 있는 체성분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를 말하는데 동물은 보통 자신이 가지는 물질에 대해서는 항체를 만들지 않으나 특수한 경우에 이 같은 항체를 만들어 류머티즘과 같은 각종 질환이 발생합니다. |
자가면역질환 |
Autoimmune disease |
자가면역질환은 체액성 면역, 세포성 면역 또는 양쪽 모두에 의해 세포나 조직에 손상을 초래하는 것으로, 이처럼 면역계의 자가 항원(autoantigen)에 대한 부적절한 반응을 자가면역이라고 합니다. 자가 면역 질환은 자가 면역 반응이 표적으로 삼는 수많은 분자, 세포 및 조직들과 관련이 있으며, 표적 항원의 분포에 따라 전신성이거나 특정 장기에 특이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전신홍반성낭창(systemic lupus erythematosus; SLE),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 그리고 다발성 경화증(multiple sclerosis; MS)은 전신성 자가면역질환입니다. |
작용기전 |
MoA, Mode of Action |
의약품이 효능을 나타내는 화학적/생물학적 작용의 과정과 원리를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항체의약품이 치료 효능을 나타내는 기전. 타겟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 및 질병에서의 역할을 어떤 방식으로 억제하는지에 대한 부분이 포함됩니다. |
정맥주사 |
Intravenous injection, IV, i.v. |
정맥 속에 주사바늘을 찔러 넣어 약물을 직접 혈관 속에 주입하는 투여방법입니다. |
조직교차반응 시험 |
Tissue cross reactivity (TCR) |
항체의약품은 표적세포 이외의 사람세포나 조직에 동일하거나 연관된 항원 결정 부위(antigen determinant)가 발현되었을 경우, 이 조직에 항체가 결합할 수도 있다. 특히 약리학적 활성을 가진 항체 또는 세포독성을 지닌 면역접합체는 비표적 조직에 결합하여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교차 반응성 또는 비표적 조직에 대한 결합 여부를 규명하기 위하여 항상 사람 조직에 대한 교차 반응성 연구를 비임상 단계에서 수행하여야 한다. |
종양괴사인자 알파 |
TNF-alpha |
종양괴사인자-α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는 염증반응에 포함되고 급성기 반응(acute-phase response)의 구성원인 사이토카인으로 주로 활성화된 대식세포에 의해 분비되며 보조 T세포, 자연살해세포, 그리고 손상된 뉴런 등의 다양한 세포에서도 분비됩니다. |
중쇄 |
Heavy chain |
항체(면역글로불린)은 분자량이 다른 2종류의 폴리펩티드사슬 2개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분자량 약 50kDa의 큰쪽 사슬을 중쇄라고 일컫고 있습니다. |
지속형제제 개발기술 |
Long-acting technology |
생체 내에서 짧은 반감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기술로 대표적으로는 Fc 융합, 알부민 또는 알부민 결합 물질 융합, 페길화 기술 등이 있습니다. |
재조합단백질 |
Recombinant protein |
재조합 DNA 기술로 만든 단백질. 유전적 재조합이나 유전자 조작으로 형성된 재조합 DNA를 적절한 세포에 형질전환 시켜 만든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
제네릭 |
Generic |
특허가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을 모방하여 만든 복제약을 의미합니다. |
제조용(마스터) 세포주 은행 |
Master cell banking (MCB) |
생산하고자 하는 항체 유전자를 세포의 본래 유전자에 삽입하여 지속적으로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를 생산 세포주라고 하며 의약품 제조용으로 제작한 세포주 입니다. |
친화도 |
Affinity |
일반적으로 항원-항체간 결합력을 의미하며 친화도가 높을수록 항체는 타겟 단백질과 빨리 결합하고 오랫동안 결합한 상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
최대무독성용량 |
No Observed Adverse Effect Level, NOAEL |
독성시험 시 대조군에 비해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은 최대 투여용량(mg/kg bw/day)을 의미합니다. |
투여용량 범위 선정시험 |
Dose-range finding (DRF) |
비임상 또는 임상시험 시 최적의 투여용량 범위를 정하기 위한 시험입니다. |
코호트 |
Cohort |
통계학 특히 인구통계학 분야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로 특정 시간 경험을 공유하는 사람들의 집단을 의미합니다. |
크로마토그래피 |
Chromatography |
혼합물에서 특정 성분을 분리 및 정제하는 방법으로 식품 중의 농약이나 첨가물 등의 성분을 조사할 때 이용되는 분석법입니다. |
퇴행성뇌질환 |
Neurodegenerative Disease |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발생하는 퇴행성 질환 중에서 뇌와 척수의 특정 세포군이 기능을 잃어 발생하는 뇌질환으로 주요 증상과 침범되는 뇌부위를 고려하여 구분할 수 있으며, 알츠하이머병 (Alzheimer's disease: AD), 파킨슨병 (Parkinson's disease: PD), 헌팅톤병 (Huntington's disease: HD), 다발성경화증 (Multiple sclerosis: MS), 루게릭병으로 알려진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품질 보증 |
Quality Assurance (QA) |
품질보증은 품질에 개별적 또는 총체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든 사항들을 다루는 광의의 개념으로 의약품이 사용목적에 맞는 품질을 가지고 있음을 보증할 목적으로 만들어진 조직적인 협의 사항들의 총합입니다. 그러므로 품질보증은 GMP와 가이드라인 범위 밖의 다른 요소들을 포함합니다. |
품질 관리 |
Quality Control (QC) |
품질관리는 필요하고 관련 있는 시험이 실제로 실시되고 원자재 또는 제품의 품질이 만족스럽다고 판정되기 이전에 제조에 사용되거나 판매 또는 공급용으로 출하되지 않도록 보장하는 검체 채취, 규격 및 시험, 그리고 조직, 문서화, 출하 절차와 관련된 GMP의 일부분으로 규격에의 부합 여부에 대한 점검 또는 시험을 의미합니다. |
펩타이드 |
Peptide |
펩타이드는 아미노산 단위체들이 인공적으로 혹은 자연 발생적으로 연결된 중합체로 아미노산의 조합에 따라 펩타이드의 기능이 달라집니다. 펩타이드는 아미노산이 2~50개 정도 결합된 물질이며 50개 이상인 중합체의 경우 주로 단백질 또는 폴리펩티드라 칭합니다. |
펩타이드 링커 |
Peptide linker |
펩타이드 링커는 펩타이드로 이루어진 연결고리를 뜻하며 주로 재조합 융합단백질 제작시에 단백질과 단백질의 연결하는 목적으로 이용됩니다. |
항원 |
Antigen |
면역반응을 일으켜 항체(Antibody)의 생성을 일으키는 물질로서 일반적으로 생명체내에서 이물질로 간주되는 물질의 총체입니다. 주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로서 단백질이지만 다당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 자신의 몸속에 생긴 변이세포 (암세포)등의 다양한 것들도 항원이 될 수 있습니다. |
항체 |
Antibody |
면역계에 있어 항원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자극에 의하여 생체 내의 B림프구 또는 B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글로불린계 단백질입니다. 항원의 자극에 의해 생체에서 만들어져서 질병을 일으키는 세균, 바이러스, 종양세포 등의 항원과 특이적으로 결합하여 항원의 작용을 방해하거나 이를 제거하도록 면역반응을 통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입니다. 항체의 구조는 Y자형이며, Y자의 위쪽 두 가지에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가변 반응영역이 있으며 항원을 인지, 제거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진단 및 치료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항체치료제 |
Antibody drug |
생체 내 존재하는 질환 표적 항원에 높은 결합력을 보이는 항체를 이용하여 개발된 치료제 입니다. 바이오 의약품의 일종으로 세포막에 존재하거나 세포 밖으로 분비 된 표적 단백질과 결합하여 약효를 나타냅니다. |
항체약물접합체 |
Antibody-Drug Conjugate, ADC |
항체에 payload라고 불리고 고활성 약물을 접합시킨 물질로 항체가 특정 표적을 찾아 결합하고 이후 부착된 약물을 통해 직접적으로 강력한 항암효과가 나타나도록 개발된 항암제를 총칭합니다. |
항체혈중농도시험 |
Serum Antibody Titer Test |
특정 항원에 대한 항체 형성 유무 및 항체역가를 측정하는 시험입니다. 항체역가는 생산되는 항체량의 척도이며 일반적으로 ELISA(효소표식면역측정법, Enzyme-linked immunosorbant assay)를 사용하여 측정합니다. |
혈전증 (혈전색전증) |
Thrombosis (Thromboembolism) |
혈전에 의해 발생하는 질환을 일컬으며 특히 혈전에 의해 혈관이 막혀서 생기는 질환을 의미합니다. |
혈청 |
Serum |
혈장에서 섬유소원을 제거한 나머지를 의미하며 성분 중 면역과 관계가 있는 것은 면역글로불린 항체가 있습니다. |
효력단백질 |
Therapeutic effector protein |
치료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인터페론과 같은 사이토카인이나 또는 항원에 결합하는 항체 또는 항체 절편도 포함될 수 있습니다. |
효소 |
Enzyme |
효소는 생물체 세포내에 존재하며 효소가 작용하는 물질을 기질(substrate)이라 합니다. 효소는 활성에너지(activation energy)를 낮춰 기질 혹은 기질-기질간의 생화학적 반응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해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명확한 기질-특이성을 보인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
효소표식면역측정법 |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
항원항체반응을 이용하여 시료 중에 함유된 특정 단백질(항체 등)을 검출 또는 정량하는 분석법 중 한 가지 시험법입니다. |
희귀의약품 |
Orphan Drug |
적용 대상이 드물고 대체의약품이 없어 긴급하게 도입할 필요가 있는 의약품 및 희귀질환 치료용 의약품을 의미합니다. |
희귀 질환 |
Rare disease |
희귀질환은 인구 전체에서 적은 비중에만 영향을 미치는 모든 질환을 총칭합니다. 희귀질환의 구체적인 정의는 국가마다 다르며 우리나라의 경우 20,000명 이하의 유병률을 나타내는 질환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