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7 월    4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에이아이더뉴트리진
대 표 이 사 : 김 종 철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42, 630호

(전   화) 031-606-6313

(홈페이지)http://www.atihenutrigene.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김 종 철

(전  화) 031-606-6313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2기 임시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 정관 제23조에 의하여 제12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정관 제25조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주주총회 관련 문의 : 031-606-6313)


-      다     음       -

1. 일 시 : 2023년 7월 20일(목) 오전 9시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창업로 42, 1층 중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을 통해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주주 본인의 인감도장 날인), 주주 본인의 인감증명서, 대리인(참석자)의 신분증
 

7.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 안내사항
- 주주총회 개최장소의 주차장소가 협소하오니, 대중교통을 이용해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 주주총회의 개회 시간보다 늦게 참석하실 경우, 회의장에 입장하실 수 없습니다.


                                 주식회사 에이아이더뉴트리진
                                 대표이사 김종철 (직인 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규진
(출석률: 100%)
변종회
(출석률 : 100%)
권혁진
(출석률 : 50%)
찬 반 여 부
1 2023-02-10 1. 제11기(2022.1.1 ~ 2022.12.31) 내부결산 확정의 건
2.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3.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의 건
찬성 찬성 불참
2 2023-03-16 1. 제11기(2022.1.1 ~ 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변경의 건
3.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4. 감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찬성 찬성 찬성
3 2023-04-05 1. 정보통신공사업 등록 추진에 따른 자본금 유보의 건 찬성 - -
4 2023-05-25 1. 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찬성 - -
5 2023-06-05 1. 에이아이더뉴트리진3우선주(전환상환)에 대한 변경 합의의 건
2. 대표이사 대출 승인의 건
찬성 - -
6 2023-06-09 1. 주식명의개서정지(주주명부폐쇄)의 건
2. 제12기 임시 주주총회 개최의 건
 가. 이사 선임의 건
 나.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3. 자기주식 취득 신탁계약 연장의 건
찬성 - -

※ 변종회 사외이사는 2023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임하였습니다.
※ 권혁진 사외이사는 2023년 3월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임하였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000,000 - - -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이사 전원에 대한 승인금액 이며, 사외이사 1인은 무보수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당사의 주요사업 분야는 인공지능사업과 개인유전체 분석 기반의 개인맞춤형 건강기능식품 사업이 있으며, AI 기술과 유전체 분석기술을 융합하여, 가정용/병원용 분자진단사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각 사업 분야에 대한 업계현황 및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인공지능 산업

 

(1) 인공지능 산업의 정의

 

인공지능 (AI :Artificial Intelligence) 이란 기계가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수집한 정보를 토대로 인간의 지능을 모방하여 자체 성능을 반복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합니다. 인간이 가진 지각, 학습, 추론 등의 능력을 프로그램으로 구현하여 고차원적 정보처리를 가능하게 만드는 ICT기술이며, 이러한 인공지능을 바탕으로 한 기술들은 인간의 지적활동을 모방하거나 대체하며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며, 4차산업혁명의 주역이자 핵심 경쟁 원천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이라는 큰 틀 안에는 머신러닝, 그리고 딥러닝이라는 방식이 존재합니다. 기존의 인공지능이 인간의 지능을 기계 등에 인공적으로 구현한 것이라고 한다면, 머신러닝의 개념은 컴퓨터가 알고리즘 모형을 기반으로 외부에서 주어진 데이터를 통해 스스로 학습하는 개념을 일컫습니다. 정해진 답을 도출하기 위해 프로그래머가 관련 정답으로 도달하기 위한 일정한 알고리즘을 설정하고, 정답과 차이가 나는 데이터들의 오류들을 줄여나가는 방법을 반복하여 학습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컴퓨터는 주어진 데이터들을 분석하고 가공하여 데이터와 정답간의 특정한 상관관계를 학습하며 결론을 도출합니다. 이러한 머신러닝에서는 양질의 데이터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며, 데이터 정제 과정을 통해 보다 많은 양질의 데이터를 보유할수록 컴퓨터의 높은 성능을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딥러닝이란 기술은 머신러닝의 한 종류로서, 컴퓨터가 데이터들을 사람처럼 스스로 학습할 수 있도록 인공신경망을 기반으로 구축한 기계 학습입니다. 기존이 머신러닝에서는 정답으로 가기 위한 길을 사람이 직접 분석하고 설정하였다면, 딥러닝에서는 기계가 데이터들의 특징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학습하게 됩니다. 이러한 기계의 자가학습 여부가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가장 큰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인공지능 산업은 현재 대표적으로 통신, 의료, 금융 및 공공분야, 자동차 등 다양한 곳에서 응용되어 사용중이며, 인간의 지능을 갖춘 컴퓨터 시스템으로 보다 효율적이고 정확한 서비스를 제공해 주며 실생활에서 사용추세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AI기술은 지속해서 발전해 나아가고 있으며, 모든 산업과 일상생활 측면에서 더욱 중요한 기술로서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2) 인공지능 산업의 동향 및 전망

 

1.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 전망

 

① 글로벌 시장 전망


(단위 : 십억달러)

[2021년~2030년 글로벌 AI시장규모]

(단위 : 십억 달러)

분류

2021

2022

2023

2024

2025

2026

2027

2028

2029

2030

규모

87

120

165

227

314

433

599

829

1,140

1,591

CAGR

-

37.9%

37.5%

37.6%

38.3%

37.9%

38.3%

38.4%

38.4%

38.7%

38.1%

자료 : Precedence Research, 2021, AI Market Size

글로벌 ICT컨설팅 기관인 프리시던스리서치(Precedence research)에 따르면, 글로벌 인공지능 시장은 2021년 870억달러(약 110조 5,000억원)를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2022년 120억달러를 기록하며 연평균 37.9%의 성장을 전망하였으며, 2030년에는 1조 5,910억원 달러 규모로 성장하며 향후 약 10년간 연평균 38.1%의 성장을 기록하며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인공지능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산업에 대한 투자와 개발속도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나 미국, 중국, 일본등의 선진국을 중심으로 핵심기술들 확보를 위한 경쟁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인공지능 시장 내에서 각 세부분야별 산업군에 대한 전망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소프트웨어 부문


이미지: [Worldwide AI Software Forecast, 2021-2025]

[Worldwide AI Software Forecast, 2021-2025]

 

IT, 통신, 테크놀로지 부문 시장분석 및 글로벌 컨설팅 기관인 IDC(International Data Corporation)에서는 인공지능 시장을 크게 소프트웨어, 서비스, 하드웨어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전망하고 있습니다.

먼저 소프트웨어 부분은 전체 인공지능 시장의 88%에 달하는 점유율을 가지고 있지만, 하드웨어 및 서비스 부분에 대한 지출이 더 빠르게 증가함에 따라 2022년에 점유율이 약간 감소할 것이며 2023년까지 이 추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부문 중 AI애플리케이션은 2021년 상반기 47%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으며, AI시스템 인프라 소프트웨어 부문이 35%의 점유율을 차지하였습니다. 성장 측면에서 보면 AI 플랫폼 부분이 향후 5년간 34.6%로 가장 높은 성장률을 이룰 것으로 예상했으며, AI시스템 인프라 소프트웨어는 향후 5년간 14.1%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다른 부분에 비해 가장 느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2) 서비스 부문

 

이미지: [Worldwide AI Services Forecast 2021-2025]

[Worldwide AI Services Forecast 2021-2025]

 

AI서비스 부문에서는 IT 서비스가 2021년 상반기에 전년대비 20.4%성장하여 184억 달러의 규모를 기록하였으며, 이는 2022년 이후에도 지속되어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은 향후 5년간 21.9%의 연평균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2025년까지 전체 AI 서비스 부문에서의 시장규모는 52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3) 하드웨어 부문

이미지: [Worldwide AI Hardware By Top 5 Regions, 2025]

[Worldwide AI Hardware By Top 5 Regions, 2025]


AI 하드웨어 시장은 전체 인공지능 시장에서 가장 작은 부문입니다. 하지만 2021년 상반기 시장 점유율 측면에서 0.5% 상승을 기록하며 다른부문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습니다. 특히나 2022년에는 전년 대비 24.9%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며 전체 5% 이상의 시장 점유율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향후 5년간 연 연평균 19.4%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하드웨어 시장은 크게 서버부문과 스토리지 두 개로 나뉘며, 서버부문이 약 82%로 하드웨어 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021년 상반기 동안 스토리지 부문이 서버부문 대비 더 높은 성장률을 기록하였지만, 2022년에는 서버부문이 26.1%, 스토리지 부문이 19.7%를 기록하여 추세가 반전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인공지능 산업에서는 미국과 중국 가장 활발한 투자와 활동을 하고 있으며, 주요 AI기술 선도기업은 아래와 같습니다.

 

[대표적 AI기술 선도기업]

기업명

국적

주요 내용

Alibaba

중국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고객의 구매예측에 AI 활용

2020년 AI시스템에 약 2조원 투자

스마트 스피커용 AI시스템에 약 2조원 투자

AI의 고서 인식률 97.5% 달성

DeepMind

영국

단백질 분석 AI개발기업으로, 구글에 인수되었으며 단백질 구조 분석에 상당한 기술력 보유

2021년 알파폴드를 개발하였으며, 단백질 구조 예측 90%넘는 정확도 기록

IBM

미국

독점 AI엔진 ‘Watson’개발

언어처리와 AI기반 의사결정 및 작업 자동화 지원

Auto AI솔루션 개발하고 지속적인 양자 컴퓨터 연구 개발을 진행중

Facebook

미국

AI연구소 설립 및 ‘Deep Face’ 개발

음성인식 스타트업 Wit AI 인수

1인칭 시점 AI 기술 ‘EGO4D’ 개발

Nvidia

미국

자동차, 제조 및 자율주행 개발 집중

AI 데이터센터 멜라녹스 인수를 위해 69억달러 투자

반도체 설계 ARM사 400억달러 인수

그레이스, 블루필드3 등 인공지능 하드웨어 개발

메가트론, 자비스 등 음성인식 소트프웨어 개발

오린, 아틀란, 하이페리온 자율주행 솔루션 개발 완료


2. 국내 인공지능 시장 전망

 

[국내 인공지능 시장 전망, 2020~2025]

(단위 : 십억원)

구분

2020

2021

2022

2023

2024

2025

매출규모

807

943

1,121

1,356

1,619

1,907

CAGR

-

16.85%

18.88%

20.96%

19.40%

17.79%

18.77%

자료 : IDC Semiannual Artificial Intelligence Tracker, 2021.09

한국 IDC에 따르면 국내 인공지능 시장은 2021년 전년 대비 16.85% 성장하여 약 9,400억원의 매출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하였으며, 2022년에는 매출 1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후 국내 인공지능 시장은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8.77%를 기록하며 2025년까지 1조 9,074억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최근 국내 인공지능 시장은 코로나 사태의 장기화에 대응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자 AI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융합하여 효율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24시간 논스톱 서비스를 제공하며 고객 편의성을 개선하고, 단순 반복적인 업무를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하여 에러율을 크게 낮추었으며, 기존 인력에게는 고부가가치 업무를 집중시켜 인공지능을 통해 업무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특히나 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AI 관련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 기술에 대한 개발이 가속화 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 각국의 인공지능 기술 수준 비교]

국가

상대수준(%)

기술격차(년)

기초

응용

사업화

미국

100.0

100.0

100.0

0.0

한국

86.2

88.3

87.6

1.5

일본

87.2

89.0

88.3

1.4

중국

90.8

92.7

92.0

1.0

유럽

93.3

92.8

89.3

1.0

자료 : 2019 ICT기술수준조사 및 기술경쟁력 분석 보고서, 정보통신기획평가원

각국의 인공지능 기술을 비교했을 때 한국은 상대적으로 낮은 기술 수준을 보유한 것으로 평가하였습니다. 선두주자인 미국을 기준으로 응용분야가 88.3으로 가장 높았으며, 사업화 부문이 87.6, 기초분야가 86.2로 일본, 중국, 유럽에 비해 낮은 기술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선두주자인 미국의 경우 Google, MS, Facebook, Amazon, Nvidia 등 AI선도 기업들을 중심으로 기초, 응용, 사업화 부문 등 모든 부문에서 압도적으로 우위에 있으며, 중국의 경우 특허 및 논문 등의 활동이 두드러지며 인공지능 산업에 대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특히나 중국의 경우 자국 기업을 활용한 플랫폼 구축, 자국민들의 압도적인 데이터 축척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력에 있어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일본의 경우 한국과 비슷한 인공지능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나 응용부문이 88.2%로 기초, 사업화부문보다 상대적으로 높았는데, 이는 인공지능 자체에 대한 투자나 개발보다는 인공지능을 응용한 로봇, IoT, 빅데이터 분야 등 응용측면에서 산업에 접근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국의 경우 삼성전자, 네이버, 현대자동차 등 주요 기업들이 인공지능에 본격적인 투자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R&D 센터 설립과 인공지능 응용 제품 개발 등 인공지능을 전략적 투자분야로 선정하고 투자확대를 통해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타 국가들과의 기술격차는 점차 줄어들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나) 건강기능식품 산업

 

건강기능식품은 면역력, 피로회복 등 인간의 건강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모든 음식물을 말하며, 식약처가 고시하는 명확한 건강기능식품법에 의해 일반식품과 구분되어 관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14년 국내 2조원 규모에서 2020년 4조원을 돌파하였으며, 건강과 면역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다양한 기업과 소비자들의 투자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1. 글로벌 건강기능식품 시장 전망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7

규모

128,361

135,547

143,180

175,000

309,000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세계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2020년 1,750억 달러 규모에서 2027년 3,090억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건강 및 강화식품 첨가제 등 기능성 식품에 대한 수요가 전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특히나 오메가, 미네랄, 비타민 등의 원료로 이루어진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판매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시장은 미국이 주도하고 있으나, 브라질, 인도, 중국 및 BRICS 등 신흥 국가에서도 건강기능식품 산업에 대한 성장을 기록하고 있으며, 관련 산업에 대한 투자 또한 지원하고 있어 시장의 성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국가별 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2019]

(단위 : 백만 달러)

구분

미국

중국

서유럽

기타 아시아

기타

매출액

48,892

21,584

17,555

15,865

39,284

시장점유율

34.1%

15.1%

12.3%

11.1%

27.40%

 

건강기능식품시장을 국가별로 세분화하였을 때, 2019년 미국이 489억달러 규모로 가장 높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발표되었으며, 중국이 215억달러 규모로 그 다음 점유율을 차지하였습니다. 주로 아시아 지역에서 건강기능식품 소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유럽지역에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점유율이 성장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2. 국내건강기능식품 시장 현황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고령화 가속, 코로나19 확산 등 건강에 대한 관심과 투자비용이 늘며 5~6% 수준의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수집한 가구별 건강기능식품 구매지표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2021년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를 추산한 국내시장 규모는 2017년 4조 1,728억원, 2018년 4조 4,268억원, 2019년 4조 6,699억원, 2020년 4조 9,273억원, 2021년 5조 454억원 규모로 전망하고 있으며, 5년 동안의 시장 성장률은 20.9%로 나타났습니다. 2021년에는 코로나 팬더믹으로 인한 대면시장의 침체로 건강기능식품시장의 성장률은 잠깐 위축되겠으나, 이는 ‘위드 코로나’ 확산세와 언택트 선물 등 소비행태의 변화로 2022년 이후 단기간에 다시 회복될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국내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단위 : 억원)

구분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시장규모

35,635

41,728

44,286

45,281

49,273

50,454

출처 : 건강기능식품협회 ‘2021 건강기능식품 시장현황 및 소비자 실태 조사’

 

이미지: [국내 주요 건강기능식품 상장사 합산 매출액 추이]

[국내 주요 건강기능식품 상장사 합산 매출액 추이]

* 자료 : 한화투자증권 정리

한화투자증권에 따르면 2020년 국내 건강기능식품 10개 상장사의 합산 매출액은 약 2조원으로 전년 대비 35% 증가하였으며, 매년 꾸준히 성장해 왔습니다. 이러한 시장확대의 주요 요인으로는 최근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규제 완화, 기업들의 신사업 투자 확대 등이 맞물려 있었으며, 최근 코로나 여파로 건강과 면역력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앞으로의 성장속도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건강기능식품 구매행동지표]

구분

구매경험률

(단위: %, 100가구당)

구매 총 가구수

(단위: 1,000가구)

평균구매액(원, 가구당)

2017

71.6

13.592

307,017

2018

76.2

14,690

301,350

2019

78.5

15,344

304,341

2020

80.2

15,837

311,119

2021(E)

81.1

16,109

313,202

 

국내 소비자행동구매지표 조사결과에 따르면 일년에 한번 이상 건기식을 구매한다고 답한 가구는 100가구 중 81%로 2017과 비교했을 때 10% 큰 폭으로 성장하였습니다. 가구당 평균구매액 또한 313,202원으로 최근 5년간 소비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구매 총 가구수 또한 2017년 13,592가구에서 2021년 16,109가구로 큰 폭으로 상승하였습니다. 이러한 건강기능식품 섭취에 대한 대중화 확산추세는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시장규모 또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주요 기능성 원료 판매 동향]

(단위 : 억원)

구분

2019

2020

2021

홍삼

14,397

14,018

13,808

프로바이오틱스

7,415

8,285

8,420

비타민

6,483

6,581

6,337

EPA, DHA 유지

2,114

2,272

2,457

콜라겐

427

834

1,065

 

건강기능식품 내 원료시장을 보았을 때 기능성 원료는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EPA 및 DHA 함유 유지, 콜라겐 순으로 판매 순위를 기록하였습니다. 면역력 강화에 도움을 주는 홍삼이 원료판매 비중에서 압도적으로 높았으며, 건기식 원료에서 꾸준한 점유율을 차지했던 비타민은 판매규모에서도 변함없는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프로바이오틱스의 경우 특히나 장 건강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원료판매 비중이 급격하게 성장하였으며, 이는 2019년 비타민 판매비중을 앞선 7,415억원을 기록하고 더 나아가 2020년 8,856억원까지 성장하여 비타민과의 격차를 더 높였습니다. 이러한 원료시장 규모는 3조 정도로 전체 건강기능식품시장의 약 65%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 체지방 감소, 눈 건강, 피부 건강 등 다양한 기능을 가진 기타 원료시장도 확장 추세입니다.

 

[건강기능식품 이용 고객 성·연령대별 증가율]

 

이미지: 건강기능식품 이용 고객 성·연령대별 증가율

건강기능식품 이용 고객 성·연령대별 증가율

 

주로 40-50대 연령층 위주의 소비가 지속되었던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최근 MZ세대라고 일컬어지는 20-30대 젊은층에서 관심이 급격히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국내 대표적 드러그스토어인 ‘올리브영’에서는 실제로 2030대의 건기식 구매액이 전년대비 32% 증가한 것으로 발표했으며, 특히나 콜라겐, 히알루론산, 멀티비타민, 다이어트 등 구매제품의 종류도 더욱 다양화되었습니다. 신한카드에 의하면 20대의 건강기능식품 이용률은 남자의 경우 19년 대비 21년 132%, 여자의 경우 238% 증가하였으며, 30대에서도 남자 105%, 여자 137%가 증가하며 건강기능식품 소비를 활성화 시켰습니다.

 

[노인인구 동향 및 전망]

(단위 : 만명)

구분

2019

2020

2021

2030

2040

2050

인구

768

812

853

1,298

1,722

1,900

비중

14.9%

15.7%

16.5%

25.0%

33.9%

39.8%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65세 이상 노인인구비율은 2021년 853만명을 기록하며 전체인구의 16.5%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러한 추세라면 2025년에는 전체인구의 20%가 노인인구로 채워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50년에는 전체인구의 약 40%가 노령인구가 될 것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

 

고령화 및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시장동향에 따라 스스로 건강관리를 하려는 ‘셀프메디케이션’ 트렌드가 부상하면서 건강기능식품업계의 호황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트렌드에 따라 기업, 투자자, 소비자 등 전략적인 수립을 통한 비즈니스 기회 포착 역량이 어느때보다 중요해 졌습니다.

 

다) 계절적 경기변동

 

동사의 AI부문은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업으로서 그 솔루션에 대한 이용 및 구매 형태에서는 계절적 경기변동으로 인한 영향은 극히 적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오히려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됨에 따라 기존의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혁신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해 가고 있는 상황에 있어서 인공지능 시장은 의료, 금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그 발전동향에 있어 계절성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건강기능식품 부분에서도 계절적 변동요인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계절적 요인을 받는 부분은 일반식품부분이며, 건강기능식품의 경우 그 목적이 건강증진 및 기능성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소비자 수요에 있어 계절적 요인보다는 일시적인 판매 유행, 원료에 대한 허가이슈 등 사회적 현상의 발생 여부에 영항을 받습니다.

 

라)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1) 인공지능 시장

 

ICT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인공지능의 라이프사이클은 ICT산업의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새로운 기술과 제품이 출시되고 유행이 빠르게 바뀌는 ICT산업의 특성상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짧은 편이며 발전의 속도 또한 타 산업에 비해 빠르게 움직이며 큰 변동성을 가진 것이 특징입니다. 인공지능 산업에 관심 또한 최근 급속히 확대되며 발전해 왔으며, 기술을 응용한 다양한 솔루션 및 제품 또한 굉장히 폭넓은 시장입니다. 때문에 새로운 제품의 개발과 기존제품의 대체 또한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급격한 투자증가 등으로 인하여 산업의 기술 발전은 매우 급속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라이프 사이클 또한 짧은 모습을 보이고 있는 인공지능 산업은 변화하는 산업의 흐름에 맞게 지속적인 기술개발 및 업그레이드를 통한 유지보수가 필요한 산업입니다.

 

(2) 건강기능식품 시장

 

건강기능식품시장에서는 대표적으로 홍삼, 프로바이오틱스 등 특정 품목에 대한 매출액 비중이 편중된 상태이며, 특정 원료에 관련된 제품들이 빠르게 시장에 소개되고 있습니다. 특히나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건강기능식품 생산품목수 동향에 따르면 2012년 약 12,495개에서 2021년 33,456여개로 제품군 다양화가 빠르게 확대되었으며, 생산업체들은 고객들을 성별, 연령별 세분화하여 맞춤 제품을 지속적으로 선보여 새로운 소비자 창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산업의 특성상 건강기능식품의 라이프사이클 또한 짧은 편이며 새로운 제품들간의 경쟁도 계속해서 심화되고 있습니다.

 

마) 대체시장

 

당사가 속한 인공지능 산업의 경우 산업 내 제품군들의 기능 및 역할이 매우 상이합니다. 각 개발자 및 업체별 개발방향에 따라 구동방식과 쓰임이 다양하므로 각 제품들 간의 논리구조가 크게 차이나며 솔루션 제공 방식에 따라서도 서로 차이가 존재합니다.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경우 식품의약안전처의 허가를 받은 제품들만이 유통되는 산업이며, 실제 효능을 인정받는 만큼 제품마다 섭취량과 방법이 명확히 존재하는 시장입니다. 산업 내 같은 효능을 가진 제품들간의 경쟁에 있어 대체는 존재하겠지만, 산업의 관점으로 볼 때 승인을 받은 식품들만이 존재하는 시장이며, 건강보조식품이 대체제로 생각해 볼 수 있겠지만 건강기능식품과는 다르게 효능과 안전성이 검증되지 않은 제품들이기 때문에 완전한 대체산업으로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인공지능과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경우 대체시장 존재하지 않으나 , 산업군 내의 경쟁에 따라 협업 혹은 합병, 경쟁 등의 방식으로 시장이 재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 관련 정책

구분

인공지능

건강기능식품

한국

- 2016년 AI가 포함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 수립. 관련 SW개발, 플래그쉽 프로젝트, 인공지능 국가전략프로젝트 등 인공지능 기술 역량을 제고하기 위한 과제 진행중

- 2018년부터 5년간 R&D부분에 2.2조 투자. 중장기 AI R&D 로드맵 발간을 통해 차세대 인공지능 사업지원을 위한 인프라 투자 진행

- 2030년까지 디지털 경쟁력 3위, 관련 경제효과 455조원 목표로 하는 인공지능 국가전략 발표

 

- 건강기능식품 이상사례 관리강화 및 건강기능식품 유통 전문판매업 이력추적 의무등록 확대

- 특수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시장규모 2030년까지 24조 8,500억원, 일자리 11만개 확대를 위한 정책 마련

- 식품 기능성 평가지원사업 및 식품산업지원육성 지원정책 수립

- 빅데이터, 인공지능 기반 헬스케어 확대 등 과학기술과 제도적 지원 결합하여 질환 예방 맞춤형 제품 개발 진행중

미국

- Stanford와 UC Berkeley 등의 세계적 인재양성 기관, Google과 Facebook과 같은 실리콘벨리의 IT 기업들을 통해 방대한 데이터 획득, 수많은 인근 IT 기업들과의 산학협력 진행 중

- ‘브레인 이니셔티브’라는 추진계획을 통해 2013년부터 10년간 총 30억 달러 투자 진행 중

- 미국 FDA 2016년 ‘불량 기능식품으로부터 소비자 보호를 위한 정책방안’ 전략 발표하며 소비자 권익 보호 노력

- 정부 주도하에 디지털 디자인 및 영양학적 데이터를 이용한 개인 맞춤형 제품개발 육성 중

중국

- AI를 국가전략 산업으로 지정, 대규모 투자와 인력 개발을 추진하고 있음

- 중국과학원에서는 AI 단과대학 및 각종 대규모 연구소를 설립하여 인력 양성을 추진하고 있으며, 베이징 근교에 2조 원을 투입하여 인공지능센터를 설립 중임

- ‘차세대 AI 발전 계획’수립: 2025년까지 AI기술개발, 기술선진화 관련법규 수립

- 국가식품안전법 개정되며 기준 건강기능식품 허가제도 엄격히 강화

- 건강중국2030, 14차 5개년 규획 요강 등 국가차원 건강기능식품 소비진작정책 수립

- 블루캡(인증마크) 도입 등 엄격한 관리로 기업의 디지털화 촉진

- 유전체 기술의 기반확대 및 유전체 활용기술개발사업 대대적으로 진행

 

유럽

- 프랑스 대통령 ‘AI for Humanity Summit’에서 AI 분야에 5년간 15억 유로를 국가 예산으로 투입할 것을 발표함

- 독일의 경우 AI 분야의 발전을 위하여 30억 유로를 집중 투자하기로 함

- 100대 독일 대학에 자금 지원 및 12개소 이상의 AI 연구센터 설립을 추진 중임

- EU공통규정인 ‘식품보충제 지침’에 근거한 법률과 규정 제정하여 관리

- 주로 심혈관 질환예방, 면역 조절, 장 건강 및 체중조절 등 대사질환 관련 소재개발 집중

일본

- 개방형 AI R&D플랫폼에 2,000억 원을 투자하고 있음

- AI 개발과 실용화, 기초 융합연구 간의 선순환을 위해 AI 융합센터를 설립하고 있으며, 10년간 1,000억 엔을 지원할 계획임

- 2015년부터 기능성 표시식품 제도 도입. 기능성 관여 성분 및 함유량 검증을 위한 매입조사 진행 등 국가차원의 식품산업지원제도 시행 중

- 영양유전체학 데이터베이스 등의 연구를 통해 기능성 소재개발 진행


사) 경쟁현황

 

(1) AI 시장 경쟁현황

 

금융, 제조 등 여러 산업에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수요와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AI를 기반으로 하는 빅데이터 처리 및 솔루션 개발산업에 대한 경쟁은 점차 심화되고 있습니다. 음성인식 및 영상인식 기반의 응용기술 위주로 산업이 확장되고 있으며, 특히나 영상진단 소프트웨어가 잇달아 품목허가를 받으면서 시장규모와 경쟁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AI 시장 경쟁 현황]

(단위 : 억원)

회사명

주요 사업내용

2021년

상장여부

매출

자산

셀바스AI

AI기반 솔루션 개발

486

984

Y

바이브컴퍼니

빅데이터, AI분석

446

998

Y

위세아이텍

빅데이터, AI분석

340

475

Y

솔트룩스

AI 빅데이터 소프트웨어 개발

268

801

Y

라온피플

AI영상 인식 및 머신비전 개발

198

856

Y

뷰노

AI기반 의료영상진단

22

356

Y

루닛

AI기반 의료영상진단

14

22

Y

미디어젠

음성인식소프트웨어개발

150

321

Y

알체라

AI기반 안면인식기술 개발

100

750

Y

플리토

언어 데이터 및 전문번역 서비스

101

287

Y

 



(2) 건강기능식품 시장 경쟁현황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증가하며 건강기능식품 시장의 경쟁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사태는 이러한 경쟁을 더욱 심화시켰으며, 이에 따라 매년 출하되는 제품출시는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허가에 관련된 절차도 간소화되어 진입장벽도 상대적으로 낮아졌기 때문에 시장에 진출하는 업체들 또한 증가하며 경쟁 또한 심화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시장 경쟁 현황]

(단위 : 억원)

회사명

주요 사업내용

2021년

상장여부

매출

자산

비피도

프로바이오틱스 제품 제조

121

546

Y

휴럼

다이어트 건기식, 홍삼 제품 제조

690

462

Y

팜스빌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390

743

Y

에이치엘사이언스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1,044

1,179

Y

프롬바이오

관절, 위, 체지방 관련 건기식 제조

1,351

964

Y

노바렉스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2,788

2,546

Y

뉴트리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2,475

1,482

Y

에이치피오

프로바이오틱스, 비타민 제품 제조

1,594

1,811

Y

네오크레마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299

513

Y

코스맥스엔비티

건강기능식품 제조업

2,893

3,105

Y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병ㆍ의원에 온라인 수익을 창출하는 플랫폼 제공과 건강기능식품 및 식품소재의 연구, 개발과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12년 10월 15일에 설립되었습니다. 2020년 12월 28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주식회사 에이아이더를 흡수합병하여 사명을 기존의 주식회사 뉴트리진에서 주식회사 에이아이더뉴트리진으로 변경하고 AI기술 자문 및 AI바이오 연구개발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추가하였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AI부문]


당사의 AI부문은 머신러닝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솔루션을 제공하는 사업부문으로서 그 솔루션에 대한 이용 및 구매는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 비대면 문화가 일상화됨에 따라 기존의 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혁신 기술들이 급속도로 발전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시장은 의료, 금융, 교육 등 다양한 분야에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금융, 정유, 자동차 등 다양한 산업군의 대기업의 AI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

건강기능식품 사업은 건강증진 및 기능성 향상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소비자 수요에 있어 계절적 요인보다는 일시적인 판매 유행, 원료에 대한 허가이슈 등 사회적 현상의 발생 여부에 영항을 받습니다.
당사는 주요 제품인 마이시톨, 플러시드 등의 건강기능식품을 네이버 스마트 스토어, 자사몰 등을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스마트 브레인 큐 등 다양한 제품군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매출 규모 및 시장 특성상 시장점유율 측정이 어렵습니다.


(3)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LOP 분자진단 키트

당사는 AI 기술과 유전체 분석기술을 융합하여, 가정용/병원용 분자진단사업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LOP(Lab on paper) 방식을 접목한 ‘초소형 분자진단키트’를 개발하였으며 기존 현장형 분자진단 제품과 달리 별도의 PCR(유전자 증폭) 장비 없이 종이 타입의 스마트 바이오센서를 이용해 RNA를 증폭하는게 특징이며,올해 상용화를 위한 임상절차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4)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안 현 호 1957.11.05 사내이사 -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안 현 호 KAI 한국항공우주산업(주) 고문 1981.02
2010.03 ~ 2011.05
2011.04 ~ 2011.12
2011.12 ~ 2015.02
2018.03 ~ 2019.09
2019.09 ~ 2022.09
2021.05 ~ 2022.09
2022.10 ~ 현재
서울대학교 무역학과 졸업
전) 지식경제부 제1차관
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 당연직위원
전) 한국무역협회 부회장
전) 제7대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총장
전) KAI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대표이사 사장
전) 제1대 방위산업공제조합 이사장
현) KAI 한국항공우주산업(주) 고문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안 현 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본 후보자는 바이오 진단분야 신기술(AI)융합을 통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합니다.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

확인서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경영,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임직원에 대한 동기부여를 통하여 경영성과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회사의 실질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는데 부여 목적이 있습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안현호 이사 등기임원 보통주 45,000주
김동근 전무 미등기임원 보통주 22,000주
김성권 전무 미등기임원 보통주 20,000주
황수호 상무 미등기임원 보통주 17,000주
김건후 이사 미등기임원 보통주 6,000주
김현표 상무 미등기임원 보통주 5,000주
OOO 외 19명 직원 직원 보통주 24,000주
총( 26 )명 - - - 총(139,000)주

주1) 안현호 이사는 2023년 07월 20일 제12기 임시주주총회 제1호의안이 승인됨을 전제로 합니다.
 주2) 직원(미등기 임원 포함)은 각 개인별로 발행주식총수의 1만분의 10 미만에 해당하는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는 경우에는 성명을 기재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2023년 07월 20일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으로 신주를 발행하여 주식을 교부하는 방법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보통주 / 139,000주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행사가격]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을 준용하여 주주총회 결의일 전일까지 3가지 가격의 산술평균가격으로 산정
   1. 과거 2개월 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2. 과거 1개월 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3. 과거 1주일 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행사기간]
 -  2025년 7월 20일 ~ 2027년 7월 19일 (2년)
-
기타 조건의 개요 - 상법 제340조의4에 의거 주주총회결의일로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하여야 행사가능

 -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하고자 하는 대상자는 회사가 정한 양식에 따라 서면으로 신청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부여가능
주식수
잔여
주식수
3,173,776 발행주식 총수의 15% 보통주 476,066 227,766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
종류
부여
주식수
행사
주식수
실효
주식수
잔여
주식수
2021년 2021.03.24 김성권외 10명 보통주 93,000 - 57,992 35,008
2022년 2022.03.31 김현표외 9명 보통주 34,000 - 17,700 16,300
2023년 2023.07.20 안현호외 25명 보통주 139,000 - - 139,000

총(48)명
총(187,908)주 - 총(75,692)주 총(190,308)주


※ 기타 참고사항

- 주식매수선택권부여가능 주식의 범위는 당사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규정' 제3조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주식의 한도] 와 '정관' 제12조 [주식매수선택권]에 의거하여 100분의 15 범위 내에서 산출하였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이 없으므로 기재를 생략하며,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