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 업 보 고 서





                                   (제27기)

사업연도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23년   3월   23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주권상장법인


면제사유발생 :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마크로젠


대   표    이   사 : 김 창 훈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10층
(가산동, 월드메르디앙벤처센터)

(전  화) 02) 2180-7000

(홈페이지) https://www.macrogen.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략기획부문 부문장      (성  명) 박 용 재

(전  화) 02) 2180-7000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이미지: 대표이사등의 확인서

대표이사등의 확인서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구분 연결대상회사수 주요
종속회사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상장 - - - - -
비상장 3 - - 3 -
합계 3 - - 3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자회사 사 유
신규
연결
- -
- -
연결
제외
- -
- -


나. 회사의 법적 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마크로젠이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Macrogen, Inc.라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1997년 6월 5일에 설립되었으며, 2000년 2월 22일자로 상장되어 코스닥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주      소 :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10층(가산동, 월드메르디앙벤처센터)
전      화 : 02-2180-7000
홈페이지 : http://www.macrogen.com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벤처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중견기업 해당 여부 해당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당사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서비스, 올리고 합성, 유전자 편집 마우스,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구용 분석이 매출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매출처는 대학교, 병원, 정부기관 등 연구기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DTC서비스(개인 유전체 분석서비스)를 통해 일반인 고객까지 범위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각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매출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별 주요 제품 및 서비스]

사업부문 주요제품 2022년
매출비중
DNA Sequencing Human, Non Human 염기서열분석 및 Bioinformatics 제공 등 82.3%
Microarray 유전자 기능 연구 등 5.0%
Oligo 시퀀싱 등의 실험에 필요한 primer 등 7.0%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유전자의 생체내에서의 기능 확인 및 특정질병모델 동물 제작 등 2.2%
기타 제품 및 상품 진단시약, 샘플 채취 kit, 유산균, 임대료 수입 등 3.5%
합 계
100.0%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을 포함한 자세한 사항은 동 보고서의 'Ⅱ. 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기업신용평가 기관 평가일 평가등급 비고
한국평가데이터 주식회사 2022년 4월 18일 A0 -

주1) 평가등급의 정의

이미지: 신용평가 등급의 정의

신용평가 등급의 정의


아.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여부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특례상장 등
여부
특례상장 등
적용법규
코스닥시장 2000년 02월 22일 - -


2. 회사의 연혁


가. 주요연혁

년도

내용

2018

1

순천향대학교 '헬스케어 혁신을 위한 의료 및 유전체 정보 기반 정밀의학 공동연구' 업무협약 체결

1

서울대학교병원 '약물유도 유전자 가위 재조합 벡터' 기술이전 계약 체결

3

마크로젠 싱가포르법인(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설립

3

미국 브로드연구소 '크리스퍼 유전자 편집기술' 실시권 획득

5

한국거래소 주관 '2018 코스닥 라이징스타' 5년 연속 선정

6

코스닥협회 주관 '제10회 대한민국코스닥대상' 최우수투명경영상 수상

8

한국 본사 및 분당 정밀의학센터 CAP 인증 획득

10

네이처 자매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폐암 면역항암제 신규 바이오마커 발굴' 후속 연구결과 발표

11

한국 본사 및 분당 정밀의학센터 CLIA 인증 획득

2019

02

NGS기반 체외진단 의료기기용 시약류 GMP 인정 획득

03

호주 장내미생물 분석기업 마이크로바와 MOU 체결

04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 '마이크로브앤미(MICROBE & ME)' 출시

04

엑소좀플러스 '엑소좀 기반 진단 및 치료제 공동개발' MOU 체결

05

식품의약품안전처 공인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GCLP)' 지정

06

호주 장내 미생물 분석 기업 마이크로바에 전략적 투자

07

한국거래소 주관 '2019 코스닥 라이징스타' 6년 연속 선정

07

고용노동부 주관 '2019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10

동북아시아 최대 규모 참조 유전체 DB '유전체의학(Genome Medicine)' 발표

12

게놈아시아 100K(GenomeAsia 100K)' 국제 컨소시엄 연구 성과 '네이처(Nature)' 본지 표지논문 발표

12

마크로젠-써모피셔 사이언티픽, CES 세계시장 확대 MOU 체결

2020

02

악성 뇌종양 '암 줄기세포 바이오마커' 국내 특허 획득

02

서울대병원과 NGS 기반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전장 유전체 분석 논문 발표

02

'대한민국 일자리대상' 고용노동부 장관상 수상

04

성균관대학교와 과학수사 분야 연구개발 위한 MOU 체결

04

NGS 기반 유방암 체외진단시약 임상시험 성공

05

코로나19 진단키트 'Axen™ COVID-19 RT' 수출허가 승인 획득

05

빅스터와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유통 기술 특허 획득

06

에이뉴힐과 개인 맞춤형 헬스케어 서비스 업무협약 체결

06

국제 표준 정보보호 인증 'ISO/IEC 27001' 획득

08

마크로젠, 코로나19 진단키트 유럽 CE-IVD 인증 획득

08

SK텔레콤 및 인바이츠헬스케어와 함께 국내 최초 유전자검사 기반 구독형 헬스케어 서비스 'care8 DNA' 출시

09

LG상사와 '스마트 모바일 랩' 공급 계약 체결 및 인도네시아에 K-방역 시스템 공급

10

마크로젠-디엔에이링크-테라젠바이오 컨소시엄,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시범사업' 착수

10

아바타메드와 개인별 맞춤 암 정밀의료 공동 사업 MOU 체결

11

쎌바이오텍과 장내미생물 분석 기반 장 건강 관리 프로그램 '쎌바이옴' 출시

2021

02

라이펙스 바이오랩과 파킨슨병 치료제 개발 위한 공동연구 진행

02

이뮨메드, 코로나19 신속 면역진단키트 사업권 계약 체결

03

다중유전자위험점수(PRS) 이용한 질병 예측 서비스 상용화 계획

03

코로나19 신속 항체진단키트 유럽 CE-IVD 인증 획득

04

업계 최초 국가공인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ISMS-P)인증

04

국내 최초로 질병 관련 DTC 유전자검사 실증특례 연구 시작

06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 '서울대 관악대상' 수상

09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2차 시범사업 유전체 생산기관 용역과제 본격 착수

10

마이크로바이옴 테스트 기반 헬스케어 솔루션 '더바이옴' 출시

2022

01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 해외투자진출 부문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장' 수상

05 한국마이크로소프트 '4차산업 혁신기술 기반 유전체 분석환경 고도화를 위한 클라우드 애저(Azure) 도입' MOU 체결
08 국내 바이오업계 최초 자발적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10 글로벌 최초 론칭 파트너로서, 아시아 최초 일루미나 NovaSeq X 시리즈 도입 발표
10 팩바이오(Pacbio)의 최신 롱리드 시퀀싱 시스템 Revio 세계 최초 도입 결정

12

아주대의료원과 정밀 유전체 정보 생산 및 활용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12 보건복지부의 DTC유전자검사 기관 인증 통과


나. 회사의 본점 소재지 및 변동

일자 본점소재지 비고
1997.06 서울시 종로구 혜화동 74-38 -
2000.09 서울시 종로구 신문로1가 116번지 세안빌딩 -
2004.01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60-24 월드메르디앙벤처센터 10층 -
2011.10 서울특별시 금천구 벚꽃로 254, 10층(가산동, 월드메르디앙벤처센터) 도로명 주소변경


다.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주총종류 선임 임기만료
또는 해임
신규 재선임
2018년 03월 28일 임시주총 사내이사 문지영 - 기타비상무이사 김나연
2018년 07월 31일 임시주총 사내이사 양갑석 - -
2020년 03월 27일 정기주총 사내이사 이수강
사외이사 이도호
사외이사 김종일
기타비상무이사 김형태
사내이사 양갑석
사외이사 박진우
기타비상무이사 서정선
사내이사 정현용
사내이사 이명헌
사외이사 박동창
기타비상무이사 김석화
2021년 03월 31일 정기주총 사내이사 박하영
사내이사 김창훈
사외이사 유영숙
기타비상무이사 권희민
기타비상무이사 김형태 사내이사 양갑석
2022년 03월 31일 정기주총 기타비상무이사 윤세웅 사내이사 이수강 -

주1) 2021년 03월 31일 선임된 사내이사 박하영은 2022년 02월 25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주2) 2022년 3월 31일 재선임된 사내이사 이수강은 2022년 12월 31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라.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상호의 변경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화의, 회사정리절차 등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합병 등에 관한 사항
- 2019.06 주식회사 성림으로부터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238 대봉빌딩"
자산 양수

아.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일자 내용 비고
2018.03 싱가포르법인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설립 -
2019.06 (주)미젠스토리 보유주식 전량 매도 -
2020.07 종속기업 소마젠, 관계기업으로 변경 -


3. 자본금 변동사항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원, 주)
종류 구분 제27기
(2022년말)
제26기
(2021년말)
제25기
(2020년말)
제24기
(2019년말)
제23기
(2018년말)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10,841,400 10,841,400 10,631,654 10,605,454 10,605,454
액면금액 500 500 500 500 500
자본금 5,420,700,000 5,420,700,000 5,315,827,000 5,302,727,000 5,302,727,000
우선주 발행주식총수 - - - - -
액면금액 - - - - -
자본금 - - -

기타 발행주식총수 -
-

액면금액 - - -

자본금 - - -

합 계 자본금 5,420,700,000 5,420,700,000 5,315,827,000 5,302,727,000 5,302,727,000


4. 주식의 총수 등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보통주 -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100,000,000 - 100,000,000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10,841,400 - 10,841,400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

1. 감자 - - - -
2. 이익소각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4. 기타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10,841,400 - 10,841,400 -
Ⅴ. 자기주식수 801,343 - 801,343 -
Ⅵ. 유통주식수 (Ⅳ-Ⅴ) 10,040,057 - 10,040,057 -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취득방법 주식의 종류 기초수량 변동 수량 기말수량 비고
취득(+) 처분(-) 소각(-)
배당
가능
이익
범위
이내
취득
직접
취득
장내
직접 취득
보통주 254,777 - - - 254,777 -
우선주 - - - - - -
장외
직접 취득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공개매수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소계(a) 보통주 254,777 - - - 254,777 -
우선주 - - - - - -
신탁
계약에 의한
취득
수탁자 보유물량 보통주 - - - - - -
우선주 - - - - - -
현물보유물량 보통주 696,016 77,097 228,398 - 544,715 -
우선주 - - - - - -
소계(b) 보통주 696,016 77,097 228,398 - 544,715 -
우선주 - - - - - -
기타 취득(c) 보통주 1,851 - - - 1,851 -
우선주 - - - - - -
총 계(a+b+c) 보통주 952,644 77,097 228,398 - 801,343 -
우선주 - - - - - -


다. 자기주식 직접 취득ㆍ처분 이행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
구 분 취득(처분)예상기간 예정수량
(A)
이행수량
(B)
이행률
(B/A)
결과
보고일
시작일 종료일
직접 처분 2021년 06월 03일 2021년 06월 30일 9,480 9,440 99.6 2021년 06월 08일
직접 처분 2022년 01월 27일 2022년 02월 27일 17,515 17,515 100.0 2022년 01월 28일
직접 처분 2022년 03월 14일 2022년 03월 14일 200,883 200,883 100.0 2022년 03월 15일
직접 처분 2022년 06월 27일 2022년 07월 26일 10,000 10,000 100.0 2022년 07월 12일

주1) 2021년 6월 8일 보고한 자기주식 처분의 예정수량과 이행수량의 차이는 퇴사자 발생으로 인한 일부 미지급 건입니다.
주2) 2022년 1월 28일 보고한 자기주식 처분내역은 임직원에게 자사주를 상여금으로 지급한 건이며, 자기주식 계좌에서 대상 임직원의 계좌로 이체되었습니다.
주3) 2022년 3월 15일 보고한 자기주식 처분내역은 (주)랩지노믹스에 당사가 보유한 자기주식 200,883주를 시간외대량매매 방식으로 매도한 건입니다.
주4) 2022년 7월 12일 보고한 자기주식 처분내역은 임원에게 Stock Grant를 지급한 내역으로 당사의 자기주식 계좌에서 대상 임원의 계좌로 이체되었습니다.

라. 자기주식 신탁계약 체결ㆍ해지 이행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 회)
구 분 계약기간 계약금액
(A)
취득금액
(B)
이행률
(B/A)
매매방향 변경 결과
보고일
시작일 종료일 횟수 일자
신탁 해지 2019년 01월 11일 2020년 01월 10일 5,000,000,000 4,907,205,650 98.1 - - 2020년 01월 10일
신탁 해지 2020년 11월 02일 2021년 11월 01일 5,000,000,000 4,907,205,650 98.1 2 2021년 06월 03일 2021년 11월 01일
신탁 체결 2022년 10월 21일 2023년 10월 20일 3,000,000,000 1,605,818,900 53.5 - - -

주) 2021년 11월 1일 해지된 자기주식 신탁계약 건과 관련하여 당사는 2021년 6월 3일 자기주식 일부를 처분하였으며, 2021년 9월 17일 신탁계약에 의해 자기주식을 다시 취득하였습니다.

5. 정관에 관한 사항


가. 정관의 최근 개정일
당사의 사업보고서에 첨부된 정관의 최근 개정일은 2022.11.09이며, 보고서 제출일 이후 개최예정인 제27기 정기주주총회(2023.03.31 개최 예정)에는 정관 일부 변경의 건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해당주총명 주요변경사항 변경이유
2020년 03월 27일 제24기 정기주주총회 - 제2조 (목적) - 정밀의학 관련 사업의 내용 추가
2022년 11월 09일 제 27기 임시주주총회 - 제9조 (신주인수권)
- 제19조 (소집통지 및 공고)
- 제21조의 1 (의장의 질서유지권)
- 제28조 (이사의 선임과 해임)
- 제34조 (감사위원회의 구성)
- 제34조의 1 (감사위원회의 분리선임과 해임)
- 조문정비
- 조문정비
-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정관 반영
- 자구수정
- 2020년 12월 개정상법 반영
- 2020년 12월 개정상법 반영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마크로젠은 1997년 설립되어 현재 유전체 분석, Oligo합성, Microarray 분석 및 유전자변형마우스 제작 등 유전체 분야 전반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부문별 주요제품 및 서비스]

사업부문 주요제품 2022년
매출비중
DNA Sequencing Human, Non Human 염기서열분석 및 Bioinformatics 제공 등 82.3%
Microarray 유전자 기능 연구 등 5.0%
Oligo 시퀀싱 등의 실험에 필요한 primer 등 7.0%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유전자의 생체내에서의 기능 확인 및 특정질병모델 동물 제작 등 2.2%
기타 제품 및 상품 진단시약, 샘플 채취 kit, 유산균, 임대료 수입 등 3.5%
합 계
100.0%


특히,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당사의 주력 서비스로써 사람부터 동물, 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까지 다양한 생물 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그 결과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1세대 유전자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CES(Capillary Electrophoresis Sequencing)와 한 개체의 염기서열 전체를 해독하여 대용량 분석이 가능한 차세대 유전체분석 기술인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두 분야로 나누어 사업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대의학은 유전체 정보 기반의 맞춤 의료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습니다. 이는 질병진단, 치료, 예방을 포함한 모든 의료과정에서 환자 개인의 고유한 유전정보, 환경요인,생활습관에 입각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맞춤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주요 매출 사업군이었던 연구자시장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와 함께 임상진단 관련 서비스의 매출 역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다양한 신규 서비스 개발을 통해 분자진단, 신약후보물질 개발, 정밀의료, 암질환검사, 농식품 및 가축연구, 약물유전체학, 유전공학, 분자생물학 기초연구, 육종연구, 유전질환연구, 친자확인, 법의학연구 등 서비스 활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는 등 유전체분석 시장은 앞으로도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의 개요에 요약된 내용의 세부사항은"II. 사업의 내용 →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 7. 기타 참고사항"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유전체 분석 서비스(Genome Sequencing)

사람부터 동물, 식물, 바이러스, 박테리아까지 다양한 생물 종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해 그 결과를 발송해주는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현재 전체 매출의 90% 가까이를 차지하는 주요 수익 사업군입니다.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사람의 전장유전체를 분석하여 유전적인 배경을 알아내거나 국가 내 인구집단(Population)에서 일어난 사회적 현상에 대한 유전적 결과를 파악할 수 있으며, 당사는 유전학적 지표를 나타낼 경우 질병의 위험요인을 규명하는 등의 다양한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업분야는 1세대 유전자분석 기술을 이용하는 CES(Capillary Electrophoresis Sequencing)와 한 개체의 염기서열 전체를 해독하여 대용량 분석이 가능한 차세대 유전체분석 기술인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두 분야로 나누어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당 기술은 생물학 및 의학연구에 활발히 활용되고 있습니다.


현대의학은 유전체 정보 기반의 맞춤 의료 서비스를 지향합니다. 이는 질병진단, 치료, 예방을 포함한 모든 의료과정에서 환자 개인의 고유한 유전정보, 환경요인, 생활습관에 입각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말하며, 맞춤의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기존의 주요 매출 사업군이었던 연구용 유전체 분석 서비스와 함께 임상진단 관련 서비스의 매출 역시 상승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다양한 신규 서비스 개발을 통해 분자진단, 신약후보물질 개발, 정밀의료, 암질환검사, 농식품 및 가축연구, 약물유전체학, 유전공학, 분자생물학 기초연구, 육종연구, 유전질환연구, 친자확인, 법의학연구 등 서비스 활용 분야가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유전체 데이터의 활용에 있어 보안이 중요해짐에 따라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여 데이터 보안을 강화하고, 인공지능기술과 융합한 인공지능 기반의 분석데이터를 제공하는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시장을 확장 중입니다.

당사는 전세계 5위 수준의 유전자 정보분석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는 유전자분석 장비(NovaSeq 6000, HiSeq 2500 / 4000 / X Ten, AB3730XL, Miseq, Ion PGM/PGM Dx, Ion Proton, PacBio RS II, NextSeq500, Sequel, Sequel II, Saphyr, MinION, DNBSEQ-T7 등), 바이오인포매틱스 기술, 그리고 다년간 축적된 분석경험을 바탕으로 정부 주도의 유전체 사업 등에 참여하고 있으며, 빅데이터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외 생명공학연구자들에게 전장유전체와 관련한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153여 개국 18,000여 고객(세계 유수 대학 및 연구소, 개인 연구자 등)이 마크로젠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이용 중입니다.
 
 최근 당사는 보건복지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가 한국형 정밀의료 기반 마련을 위해 2년간 총 2만 5천명 규모의 전장 유전체 데이터를 구축하는 범부처 사업인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1차 시범사업(59억규모)과 2차 시범사업(57억규모)을 성공적으로 완료하였습니다. 2024년 본사업 추진을 목표로 예비타당성조사 평가가 진행 중인 '국가 바이오 빅데이터 구축' 사업은 난치성질환자, 암환자, 건강인 등 100만명 규모의 통합 바이오 빅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해 한국인을 위한 개인 맞춤형 치료, 정밀의료 등에 활용하는 것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나. 올리고 합성(Oligo)
Oligonucleotide(Oligo)는 2개 이상의 뉴클레오티드로 구성된 짧은 DNA조각으로 상보적인 유전자 서열이 합성될 때 필수적으로 필요한 요소입니다. 마크로젠 Oligo는 PCR이나 DNA Sequencing 등의 기본적인 연구뿐 아니라 SNP연구, Cloning, Gene synthesis, siRNA 발현 등 다양한 연구분야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Oligo 합성 서비스는 온라인 사이트를 통해 고객이 제작하고자 하는 Oligo 염기서열을 입력하여 주문이 이루어지며, 정제와 Q/C가 완료된 Oligo들은 영업사원, 퀵, 택배 등을 통해 발송되고 TAT는 Standard Oligo 기준으로 주문 후 12~24시간 내에 배송이 이루어집니다.

자체적으로 개발한 MOPC(Macrogen Oligonucleotide Purification Cartridge) 정제법은 PAGE나 HPLC 정제법과 거의 동등한 효율을 보이며, 모든 Oligo 합성 서비스에 기본 사양으로 무상 제공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의 Oligo DNA를 제공하기 위해 MALDI-TOF 분자량 측정을 통한 엄격한 품질관리를 거치고 있으며, 빠른 시간에 저렴한 비용으로 최상의 quality를 제공할 수 있는 기술적인 근거를 마련하여 Standard Oligo외에도 약 87종의 다양한 Modification Oligo와 Premade Oligo, RAPD kit도 생산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자동 정량 분주 시스템을 통해 정확한 농도를 기반으로 Normalization service와 Annealing servi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 마이크로어레이(Microarray)
Microarray는 작은 크기의 슬라이드 위에 수천에서 수백만 개에 이르는 Probe를 고정시킨 제품으로 DNA나 RNA와 같은 유전정보를 가진 물질을 분석하는 목적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이는 Microarray 상에 존재하는 각 Probe들을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가진 유전물질과 결합시킨 후 형광물질을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유전자의 발현 패턴을 비교하거나 변이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기술과 많은 경험을 필요로 합니다.

당사는 현재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Microarray 분야의 주요 업체인 Illumina, Affymetrix, Agilent 등의 장비를 모두 보유하고 있어 고객들이 원하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들을 폭넓게 제공할 수 있으며, 더불어 사업 초기부터 획득해온 다수의 실험 수행 경험을 기반으로 하여 높은 품질의 데이터들을 생산해내고 있습니다. 또한 각 제조사가 공식 운영하고 있는 CSP(Certified Service Provider) 및 ISO9001(품질경영시스템규격)등 다양한 품질 인증 절차를 통해 공인된 높은 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연구자 대상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가 증가하고 있어, Microarray 분석을 통한 국내외 연구자들의 연구성과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ustom Microarray에 대한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어 연구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분야에도 해당 기술을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질병의 진단에 활용할 수 있는 Custom Microarray 기술을 다수 개발하고, 특허등록을 통해 이를 자산화함으로써 향후 진단산업 분야의 사업적인 기반을 마련해가고 있습니다.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Affymetrix GeneTitan MC System을 도입하였으며, 이를 통해 식물 및 가축의 육종기술 개발 등 실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산업분야까지 활용 범위를 점차 넓혀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뿐만 아니라 식품의약품안전처 개정 고시에 따라 세포주를 이용한 치료제의 임상허가를 위하여 세포주의 유전적 계통 분석이 필수관문이 되면서 당사는 Microarray 기반의 Karyotyping(핵형분석)을 통해 세포주의 유전적 안정성 검증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또한 병원에서 환자들에게 처방되는 각 약물의 대사속도의 차이가 개인 유전적 특성의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활용하여, 약물 유전체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으며 이러한 최적의 분석기술로써 Microarray가 활용되고 있습니다. 각 환자의 DNA 패턴분석을 통해 Phenotype 을 구분하게 되며, 이 정보는 약물유전체 데이터베이스에 근거하여 부작용을 줄이면서 치료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최적의 약물을 선택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점차 정확한 질병 진단과 맞춤형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술로 유전체, 전사체와 함께 단백체를 통합 분석하는 멀티오믹스 기술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스웨덴에 있는 글로벌 임상 프로테오믹스 전문기업 '오링크 프로테오믹스' 사의 단백체 분석 설비 오링크(Olink) 를 지난 2022년 도입해 단백체 분석 서비스를 시작했습니다. 이에 당사는 제약사와의 협력을 통하여 멀티오믹스 분석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며 신약개발 과정에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라. 유전자 편집 마우스(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유전자 이식 및 적중이란 특정 유전자를 수정란의 핵 속에 삽입(transgenic)하거나 제거(knock-out)하여 새로운 형질을 나타내는 생명체를 얻는 기술로 유전자의 생체 내 기능을 알아내어 진단제, 치료제 등의 개발에 활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이용되는데 고도의 기술력 및 숙련된 인력, 시설 인프라를 필요로 하는 분야입니다.

최근 대량의 유전자 정보가 발굴되면서 새롭게 알려진 유전자의 기능을 미리 예측하고, 최종적으로 기능을 확정하기 위해서 유전자 편집 마우스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업적으로 유전자 편집 마우스 제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년 이상의 경험을 바탕으로 생산 및 생명공학분야에서 다양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신 SPF 마우스 사육 설비와 숙련된 연구원을 보유하고 국내외에 유전자 적중 마우스를 생산, 공급함으로써 많은 연구자들로부터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전통적으로 사용되던 ES cell based technique 이외에도 최근 새롭게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는 Enzyme based technique(CRISPR-Cas9) 등을 이용한 마우스 생산으로도 확대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전자 편집(CRISPR-Cas9) 기술과 관련하여 2018년 1월에는 서울대학교병원으로부터 '약물유도 유전자 가위 재조합 백터'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8년 3월에는 미국 브로드 연구소(Broad Institute)로부터 3세대 CRISPR-Cas9을 비롯해 총 50여 건의 크리스퍼 관련 기술을 추가로 확보하여 다양한 연구 및 사업분야에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확대 적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마. 임상진단서비스(Clinical Sequencing)
유전체 분석기술이 발달하고 분석비용이 낮아짐에 따라 관련시장이 기존 연구중심의영역에서 환자 및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진단 영역으로 점차 확장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암 유전체 관련 서비스인 '유전성 유방암 돌연변이 검사(Axen BRCA Panel Test)', '유전성 암 유전자 돌연변이 검사(Axen Hereditary Cancer Panel Test)', '비유전성 체세포변이 검사(Axen Cancer Panel Test)', '희귀 유전질환 스크리닝 검사(Rare Genetic Disease Screening)'를 개발하여 상용화 하였습니다. 최근 혈액 진단을 기반으로 한 '액체생검진단 패널 (liquid biopsy test panel) 및 혈액질환 조기 검사용 패널'을 개발하여 임상 유용성 평가를 준비 중입니다.

·

아울러 2019년 2월에는 체외진단시약의 자체 생산 및 판매를 위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체외진단 의료기기용 시약류 3등급 품목에 대한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인정을 획득하였고, 2019년 5월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 지정을 획득하여 국내외 임상시험의 유전체 분석 파트너로 임상진단 분야의 전문성을 구축해 나가고 있습니다.

바.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Personal Genome Analysis Services)
개인유전체 분석 서비스(Personal Genome Analysis Services)는 개인의 타고난 유전적 특성을 분석하여 질병 위험도 및 개인의 다양한 특성을 예측하고, 이에 따른 생활 가이드를 제시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건강관리 및 질병을 예방하도록 돕는 개인 유전자 기반의 헬스케어 서비스입니다. 이는 유전인자와 환경인자의 상호작용으로 발생하는 복합질환(각종 암, 뇌졸중, 제2형 당뇨병, 알츠하이머병 등)은 물론 생활 속 건강관리를 위한 개인 특성(비만, 영양소, 탈모 등)을 함께 예방함으로써 향후 발병에 따른 위험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는 2017년 '마이지놈스토리' 브랜드를 첫 론칭한 후 현재까지 의료기관용 서비스와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이하 DTC 유전자검사) 서비스로 구분하여 제공하고 있습니다.

첫째, 의료기관용 서비스는 암 질환, 심뇌혈관질환, 퇴행성질환 등 총 38개 질병을 예측하는 '블루'와 보다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비만 및 영양소 관리를 돕는 '그린'이 있습니다. 2020년에는 고객건강설문, 병원 EMR 데이터, 유전자 검사를 통해 검사 결과를 확인하고, 각종 건강 관련 정보를 주기적으로 받아볼 수 있는 모바일 앱 '젠톡'을 출시하였습니다. 해당 서비스는 대표질환 별 병원성 변이와 연관성 변이를 모두 확인할 수 있으며, '남녀 주요 암', '암 및 주요 질환', '심뇌혈관질환'으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둘째, 의료기관을 방문하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검사를 의뢰할 수 있는 DTC 유전자검사인 '마이지놈스토리 더플러스'는 영양소, 피부/탈모, 운동 및 건강관리 등 개인 특성 및 웰니스 관련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마크로젠은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간 DTC 인증제 시범사업 연구에 참여하여 검사항목 확대 및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검사 역량 연구를 완료한 후, 2022년 국내 첫 도입되는 DTC 인증제를 획득하였습니다. DTC 인증제를 통해 유전자검사기관의 검사 정확도, 광고 및 검사결과 전달, 개인정보 보호 등을 평가 받아 DTC 유전자검사에 있어 소비자에게 더 안전한 서비스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노력은 물론 신규 검사 항목 신청 및 소비자 친화적 콘텐츠 개발을 통해 차별화된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DTC인증제 외에도 규제샌드박스에 선정되어 국내 최초로 질병 항목에 대한 DTC 서비스를 승인 받고, 2021년 하반기부터 2023년 상반기까지 인천 송도에서 해당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다 분석항목, 대규모 서비스 경험, 가격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1년에는 뱅크샐러드와 국내 최대 규모의 공급계약을 체결하여 20만 명의 샘플을 안정적으로 운영 함으로써, 대규모 처리 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 또한 이를 기반으로 2022년 12월에는 ㈜플랜젠과 향후 5년간 의료기관을 통한 유전자검사 상품을 연간 15만 건(총 75만 건 이상)을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해 대규모 수주를 확보하였습니다.


이외에도 향후 개인의 유전정보와 표현형을 종합하여 솔루션을 직접 제공하기 위해 고객의 수요를 반영한 고부가가치 상품을 개발함으로써, 기존의 유전자 분석회사에서 헬스 매니지먼트 기업으로의 영역을 확대할 수 있는 제품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당사는 본 기술력을 토대로 다양한 서비스 라인 개발을 통해 고객 접점을 더욱 다변화하여 건강인뿐 아니라 환자 또는 가족력이 높은 관리 대상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Microbiome Analysis Services)
개인의 생활습관과 식이에 따라 변화하는 장내 미생물(Gut microbiome) 정보로 개인의 건강상태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장내 미생물 검사시장이 점차 대두되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은 소화기 건강뿐만 아니라 면역 균형을 좌우하고 비만, 정신건강, 신경질환, 대사질환 등 우리 몸의 건강과 질병에 유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는 현재 '더바이옴(the biome)'이라는 브랜드를 런칭하여 장내 미생물 환경에 대한 분석정보와 그에 따른 맞춤형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검사 서비스 ‘더바이옴프로’는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 대사 질환, 장내 미생물로 보는 영양소 대사, 유산균으로써 기능이 인정된 식약처19종의 프로바이오틱스 분포결과 등 장 건강(변비, 복부 팽만감 등) 및 웰니스(면역, 비만, 수면 등)와 관련 있는 미생물 건강지수와 장 건강 생활 가이드 등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또한, 2021년 10월에 출시된 '더바이옴' 맞춤형 유산균은 qPCR을 이용한 마이크로바이옴 검사를 선행하여 장내 환경 및 유익균 비중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장 유형을 4가지 타입으로 나누어 각 유형별 부족한 프로바이오틱스와 부원료를 채워주는 균주 배합으로 최적의 맞춤형 유산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당사는 본 기술력을 토대로 성인의 장내 미생물 뿐만 아니라 영유아 전용 Gut microbiome,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Vaginal microbiome, 피부상태 점검이 가능한 Skin microbiome 등 다양한 Human microbiome 분석 노하우와 데이터베이스를 접목해 급성장하고 있는 Microbiome 시장 내 경쟁력 있는 상품 출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아. 주요제품 매출액 및 매출비중



(단위: 천원)
매출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제27기 제26기 제25기
매출 비율 매출 비율 매출 비율
용역매출 DNA Sequencing Human, Non Human 염기서열분석 및 Bio Informatics 정보 제공 114,048,308 82.28% 108,416,688 83.93% 95,003,168 84.37%
Microarray 유전자 기능 연구 6,928,774 5.00% 5,819,120 4.50% 4,343,514 3.86%
제품매출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유전자의 생체내에서의 기능 확인 및 특정질병모델 동물 제작 3,067,212 2.21% 3,005,483 2.33% 2,837,404 2.52%
Oligo 시퀀싱 등의 실험에 필요한 primer 9,634,626 6.95% 7,904,884 6.12% 8,451,998 7.51%
기타 기타 제품 2,947,993 2.13% 1,310,291 1.01% - 0.00%
상품매출 Saliva kit 유전자 분석을 위한 샘플 채취 kit 83,930 0.06% 233,766 0.18% 361,103 0.32%
기타 기타 상품 475,820 0.34% 1,177,317 0.91% 134,488 0.12%
임대료수입 임대료수입 건물 임대료 및 관리비 1,430,827 1.03% 1,307,088 1.01% 1,471,779 1.31%
합 계 138,617,489 100.00% 129,174,636 100.00% 112,603,454 100.00%

주) 상기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천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제27기 매입액 제26기 매입액 제25기 매입액
매입액 비율 매입액 비율 매입액 비율
DNA Sequencing 등 원재료 시약 외 염기서열 분석 등 42,326,410 87.58% 37,416,449 88.61% 36,090,825 90.82%
Microarray Slides 외 Microarray 분석 등 3,641,494 7.54% 2,745,214 6.50% 1,827,404 4.60%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마우스 외 수정란의 제공 및
유전자이식마우스 제작
85,959 0.18% 108,470 0.26% 106,095 0.27%
Oligo 실험자재 외 Primer 등 2,273,152 4.70% 1,954,575 4.63% 1,716,468 4.32%
합 계 48,327,016 100.00% 42,224,709 100.00% 39,740,792 100.00%

주1) 당사 주 원재료는 시약이며, Illumina, Agilent, Life Technologies 등으로부터 공급받고 있습니다.
주2) 상기 원재료 매입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 변동 추이

(단위: 원)
품목 제27기 제26기 제25기
NGS서비스 관련 시약 4,797 3,349 5,657
CES서비스 관련 시약 314 275 287
Microarray 서비스 관련 시약 38,830 31,242 30,056

주1) 산출기준 : 각 서비스별 대표 원재료 품목에 대한 가격
주2) 시약가격은 최소단위 기준임
주3) 주요가격변동 원인 : 환율의 변동, 대표 원자재 품목변경, 원재료 할인 등

다.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① DNA Sequencing
- 일반 염기서열 분석기: 1대당 22,880개 * 36대/월
- 초고속 염기서열 분석기 : 연간 18,907,134 Gb
② Microarray
- illumina(200,000 sample/년), Agilent(8,640 sample/년),
Affymetrix(274,320 sample/년)
③ Oligo
- 967,680 sample/년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① 생산실적

(단위: 천원)
품목 제27기 제26기 제25기
DNA Sequencing 84,591,251 79,742,260 74,293,216
Microarray 4,445,187 3,239,250 2,745,249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1,819,253 1,553,414 1,605,622
Oligo 5,282,931 3,829,734 3,743,838
합 계 96,138,622 88,364,657 82,387,926

주) 상기 생산실적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② 가동률

사업소(사업부문) 제27기
가동가능일수 실제가동일수 평균가동률
DNA Sequencing 247 117 47.5%
Microarray 247 128 51.9%
Oligo 247 171 69.2%

주) 상기 가동가능일수 및 실제가동일수는 근무일수 기준입니다.

(3) 생산설비 및 영업시설의 현황
① 생산설비 및 영업시설의 현황

(단위: 천원)
구분 기초
장부가액
제27기 제27기
상각
제27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토 지 20,474,674 8,248,597 - - 28,723,271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건 물 6,728,477 104,377 194,423 554,946 6,083,485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기계장치 15,685,672 6,667,381 333,927 4,780,148 17,238,978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공구와기구 250,390 204,350 8,888 86,599 359,252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비 품 4,060,966 824,678 306,387 1,711,527 2,867,730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기타의 유형자산 4,354,534 7,459,925 985,174 2,894,881 7,934,404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합 계 51,554,713 23,509,307 1,828,799 10,028,102 63,207,119 환율효과 및 연결범위 변동 효과 포함

주) 상기 생산설비 현황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단위: 천원)
매출유형 품목 제27기 제26기 제25기
용역매출 DNA Sequencing 수 출 60,255,065 57,198,521 46,024,767
내 수 53,793,243 51,218,167 48,978,401
합 계 114,048,308 108,416,688 95,003,168
Microarray 수 출 4,665,974 2,759,460 1,890,988
내 수 2,262,801 3,059,660 2,452,527
합 계 6,928,774 5,819,120 4,343,514
제품매출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수 출 22,885 10,283 2,159
내 수 3,044,327 2,995,200 2,835,245
합 계 3,067,212 3,005,483 2,837,404
Oligo 수 출 3,259,875 2,472,991 2,484,323
내 수 6,374,750 5,431,893 5,967,675
합 계 9,634,626 7,904,884 8,451,998
기타 수 출 154,029 603,968 -
내 수 2,793,964 706,323 -
합 계 2,947,993 1,310,291 -
상품매출 Saliva Kit 수 출 1,615 14,457 3,800
내 수 82,315 219,309 357,304
합 계 83,930 233,766 361,103
기타 수 출 33,712 895,715 24,088
내 수 442,108 281,602 110,400
합 계 475,820 1,177,317 134,488
임대료수입 임대료수입 내 수 1,430,827 1,307,088 1,471,779
합 계 1,430,827 1,307,088 1,471,779
합 계 수 출 68,393,154 63,955,394 50,430,124
내 수 70,224,335 65,219,242 62,173,330
합 계 138,617,489 129,174,636 112,603,454

주) 상기 매출실적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기구 책임자 내용
RS해외부문 본부장 - NGS,CES 및 Microarray 관련 해외영업 및 기술 총괄
RS국내1부문 본부장 - NGS,CES 및 Microarray 관련 국내 수도권 영업 및 기술 총괄
RS국내2부문 본부장 - NGS,CES 및 Microarray 관련 국내 지방권 영업 및 기술 총괄
META사업부문 본부장 - META 관련 국내 영업 및 기술 총괄
Oligo사업부문 본부장 - Oligo 관련 국내외 영업 및 기술 총괄
모델동물사업부문 본부장 - GEM 관련 국내외 영업 및 기술 총괄
개인지놈사업본부 본부장 - 개인유전체 관련 국내외 영업 및 기술 총괄
임상지놈사업본부 본부장 - 임상진단 관련 국내외 영업 및 기술 총괄
킨헬스운영실 실장 - 맞춤형 유산균 관련 국내외 영업 및 기술 총괄
스페인지사 지사장 - 스페인/포르투갈 영업 및 기술 총괄
칠레지사 지사장 - 칠레 및 중남미지역 영업 및 기술 총괄


(2) 판매경로
ㄱ. 마크로젠  → 주문자
ㄴ. 마크로젠  → 대리점 →  주문자

(3) 판매전략

국내의 경우 주요 대학 및 병원,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지역을 구분하여 영업사원이 직접 영업활동(샘플 접수)을 하고 있고, 정기적으로 시행되는 주요 학회, 세미나에 참여하여 판촉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해외의 경우 일본, 유럽, 싱가포르, 스페인, 칠레는 해당 지역의 법인 및 지사에서, 이외 지역은 본사 해외영업부서에서 영업 및 마케팅 활동을 담당하고 있으며, 국내와 마찬가지로 국제적인 학회, 세미나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당사의 기술 및 서비스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 주요매출처
현재까지는 연구용 분석이 매출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으며, 고객 또한 대학교, 병원, 정부기관 등 연구기관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서울대학교, 서울대학교병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한국과학기술원, 국립암센터, University of Tokyo, Kyoto University,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University College London, University of Helsinki, Genome Institute of Singapore, National Cancer Center Singapore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임상진단서비스와 개인유전체분석서비스 등을 통해 연구기관의 고객뿐만 아니라 일반인 고객까지 점차고객의 범위가 넓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라. 수주상황

2022년말 현재 당사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장기공급계약 수주거래는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신용위험, 유동성 위험과 시장위험(환율변동위험, 가격변동위험 및 이자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이러한 위험요소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요인에 대해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 위험관리 정책 및 프로그램을 운용하고 있습니다.

중간연결재무제표는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모든 재무위험관리와 공시사항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2021년 12월 31일의 연차연결재무제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회사의 위험관리부서 및 기타 위험관리정책에는 전기말 이후 중요한 변동사항이 없습니다.


나. 주요 재무위험관리

(1) 시장위험

(가) 외환위험

당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위험, 특히 주로 미국 달러화 및 유럽 유로화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당사는 예상환율 상승 및 하락에 따라 외화를 원화로 전환하는 시기를 조절하고 있으며, 예정된 외화 투자금액 이외에는 매출채권 회수대금을 원화로 보유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연결회사의 세후 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당기

전기

당기

전기

USD 상승시 481,936 709,315 481,936 709,315
하락시 (481,936) (709,315) (481,936) (709,315)
JPY 상승시 206,200 248,812 206,200 248,812
하락시 (206,200) (248,812) (206,200) (248,812)
EUR 상승시 616,781 748,904 616,781 748,904
하락시 (616,781) (748,904) (616,781) (748,904)
AUD 상승시 15,024 12,699 15,024 12,699
하락시 (15,024) (12,699) (15,024) (12,699)
GBP 상승시 13,873 11,372 13,873 11,372
하락시 (13,873) (11,372) (13,873) (11,372)
SGD 상승시 24,965 117,517 24,965 117,517
하락시 (24,965) (117,517) (24,965) (117,517)
CLP 상승시 (5,883) - (5,883) -
하락시 5,883 - 5,883 -


(나) 가격위험

당사는 재무상태표상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연결회사 보유지분증권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당사는 하나 이상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지분증권 등의 장부금액 및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지분증권 등의 가격이 10% 증가 및 감소할 경우 가격변동이 당기의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 자본에 미치는 영향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 자본에 미치는 영향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 상승시 272,220 272,220 541,320 541,320
10% 하락시 (272,220) (272,220) (541,320) (541,32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 상승시 - 328,080 - -
10% 하락시 - (328,080) - -


당사의 투자 금융상품이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주석 'Ⅲ. 재무에 관한 사항'의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금리변동으로 인한 재무상태표 항목의 가치변동(공정가치)위험과 투자 및 재무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자수익ㆍ비용의 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모든 변수들이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변동할 경우, 회사의 이자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1% 상승시 1% 하락시 1% 상승시 1% 하락시
이자비용 116,400 (116,400) - -


(2) 신용위험

(가) 위험관리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불이행하여 연결회사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경감시키는 수단으로서 기존고객의 매출채권회수가 지연된 경우 고객에게 연체사실을 고지하고,수주 금지 및 선수금 수취로 계속거래를 유지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수금을 먼저 받는 매출방법인 EZ-SEQ 거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거래처는 주로 각 국가의 연구과제와 관련된 대학실험실이며, 매출채권은 다수의 거래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신용위험노출은 거래처에 고루 분산되어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대표이사와 재무담당임원에 의해 매월 검토되고 승인된 거래한도에 의하여 통제됩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38,738,980
단기금융상품 10,100,000 22,100,000
매출채권(유동/비유동) 22,176,915 20,462,235
기타금융자산(유동) 2,337,693 2,472,538
금융리스채권(유동) 621,393 926,36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797,050 2,987,285
기타금융자산(비유동) 3,127,680 2,729,824
금융리스채권(비유동) 1,738,882 3,073,629


(나) 금융자산의 손상

당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이와 관련한 자세한 사항은 주석 'Ⅲ. 재무에 관한 사항'의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매출채권 이외의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일반적으로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손실충당금은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다)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 관리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당사의 단기 및 중장기 자금조달과 유동성관리규정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는 경영진에 있습니다. 당사는 1년에 한번 중장기 투자에 관한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지출은 연간경영계획에 따라 실시하므로 매월 발생비용이 예측가능합니다. 유동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 당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의무, 연결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상 요구사항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1개월간의 유동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에 따른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비용지출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유동성위험 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각 현금흐름은 이자비용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당기말

(단위: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이하

1년~ 2년 이하

2년~ 5년 이하

5년 초과

합 계
매입채무 6,990,019 - - - - 6,990,019
차입금 356,341 10,861,957 1,087,606 23,632,471 3,788,077 39,726,452
기타금융부채(유동) 10,976,809 2,287,923 - - - 13,264,732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 3,113,883 2,261,869 440,669 5,816,421


-전기말

(단위: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이하

1년~ 2년 이하

2년~ 5년 이하

5년 초과

합 계
매입채무 4,996,528 - - - - 4,996,528
차입금 165,706 30,241,401 1,030,240 - - 31,437,347
기타금융부채(유동) 12,821,868 1,084,076 - - - 13,905,944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 2,595,685 1,450,228 - 4,045,913


(3) 자본위험 관리  

당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 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해 당사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부채 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재무상태표의 전환사채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총차입금

35,753,180 31,030,240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38,738,980)

순부채

(2,092,604) (7,708,740)

자본총계

180,958,806 202,151,283

총자본

178,866,202 194,442,543

자본조달비율(*1)

- -

(*1)당기말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가 (-)이므로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공시서류작성일 기준으로 별도의 파생거래는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구분 계약명 계약처 체결시기 계약기간 계약내용
1 약물유도 유전자 가위 재조합 벡터 기술이전 계약 서울대학교병원 2018.01 2018.1.17~무기한 약물유도 유전자 교정 재조합 벡터 기술이전
2 브로드 연구소 소유의 CRISPR 특허에 대한
사용권 (License In)
브로드연구소
(Broad Institute)
2019.01 2019.1.1~무기한 브로드 연구소 소유의 50여개의 CRISPR 관련 특허 및 물질에 대한 사용권 도입
3 WC300프로젝트 기술개발지원사업 한국산업기술진흥원 2018.07 2018.7.01~2022.12.31 개인유전체 빅데이터 구축을 통한 한국형 소화기암의 정밀 진단 시스템 및 기술 개발(협약금액 : 32억원)
4 유형자산 양수계약(건물) 호앤컴퍼니 2020.02. 2020.2.13~무기한 송도 라이크홈 메디컬센터 부동산 취득
 (취득가액 : 64억)
5 용역계약서 및 비밀유지계약서 (재)바이오나노헬스
가드연구단
2022.01. 2022.01.07~2022.05.31 NGS분석 수행을 통한, 혈액기반 바이오마크 발굴 및 novel miRNA에 대한 예측분석 수행
6 유전자시험계약서 삼성서울병원
소아청소년과박원순
2022.03. 2022.03.01~2022.03.31 선천성 기형 전장유전체 생산관련- Whole Genome Sequencing 93 sample, TotralRNA Sequencing 11 sample
7 토지매매계약서(송도동210-2번지)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 2022.03. - 송도캠퍼스관련 6,017.3m2 토지 매매
8 주식매매계약(매수인 마크로젠) 랩지노믹스 2022.03 - 주식매매계약
9 변경합의서(매수인 마크로젠) 랩지노믹스 2022.03 - 3/10자 주식 매매계약 제2조에 대한 매매대금 총액 변경
10 주식매매계약(매도인 마크로젠) 랩지노믹스 2022.03 - 주식매매계약
11 변경합의서(매도인 마크로젠) 랩지노믹스 2022.03 - 3/10자 주식 매매계약 제2조에 대한 매매대금 총액 변경
12 용역계약서 국군중앙계약관 2022.04 2022.04.12~2022.12.31 6.25 전사자 유전자검사 용역사업
13 기술용역계약서 연세대학교의료원 2022.05 2022.05.01~ 완료일 Exploratory Biomarker 분석 용역계약
14 유전자시험분석용역계약서 서울대학교의과대학 2022.02 2022.07.02~2022.12.31 혈액을 이용한 엑솜시퀀싱
15 유전자시험분석용역계약 서울아산병원 2022.11 2022.11.01 ~ 2023.10.31 Whole Genome Sequencing (Long-read Seq.)
16 유전자시험분석용역계약 CJ바이오사이언스 2022.12 2022.12.01 ~ 2024.12.30 Whole Exome Sequencing, Transcriptome Sequencing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아시아인에 특화된 표준유전체 확보'를 목표로 사업 초기부터 꾸준히 자체적인 게놈프로젝트를 진행해 오고 있으며, 한국인의 유전체 분석 작업으로 시작했던 게놈프로젝트는 현재 아시아 전역의 연구소들과 함께 아시아인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유전체 데이터 확보로 확대되었습니다.

①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의 연구개발 담당조직으로는 '정밀의학연구소/BI연구소/임상진단사업부문 연구개발전담부서/게놈서비스개발부 연구개발전담부서'가 있습니다. 해당 연구개발 조직은 아시아인에 특화된 질병관련 유전정보의 확보를 위한 자체적인 게놈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Nature, Nature Biotechnology, Nature Genetics, Genome Research 등 SCI급 논문에 지속적으로 게재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정밀의학 연구의 활성화를 위해 정밀의학연구소를 설립하여 국내외 의료진 및 연구진과의 파트너십을 강화함으로써 환자에게 필요한 맞춤의학 서비스개발과 기초 연구에 전념하고 있으며, 이외에도 실제 매출과 직결되는 DNA 분석 서비스에 대한 공정개선의 효율화, 신규 분석 서비스 및 제품 개발 등을 활발하게 수행 중에 있습니다. 참고로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에 신고ㆍ등록된 2022년 12월말 기준 당사의 연구개발 인력은 총 63명(박사급 인력 5명 포함)입니다.

②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과 목 제27기 제26기 제25기
연구개발비용 계 7,100,806 4,803,455 6,543,840
(정부보조금) 2,834,008 702,127 299,647
연구개발비용 총계 4,266,798 4,101,328 6,244,194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5.12% 3.72% 5.81%

주1) 연구개발비용 계, 연구개발비/매출액 비율: 정부보조금(국고보조금)을 차감하기전의 연구개발비용 지출총액을 기준으로 산정하였습니다.
주2) 상기 연구개발비용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2) 연구개발 실적

2001년도에 한국인의 게놈지도 초안인 'BAC clone map'을 완성한 이후 2009년도에 세계에서 5번째로,한국에서는 최초로 인간 게놈 분석을 완료하였습니다. 이외에도 폐암의 신규 원인유전자인 KIF5B-RET 융합 유전자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고, 2014년도에는 줄기세포 역분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분자 기전을 밝혀 네이처 및 네이처커뮤니케이션스에 총 4편의 논문을 발표했습니다. 특히 2016년에 새로운 기법(신생 조합방법)의 유전체 분석을 통해 네이처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여 '현존하는 가장 완전한 표준 유전체'라는 찬사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연구 성과들은 국내 및 해외 특허 출원을 통해 신속하게 권리를 확보함으로써 임상 시장의 본격 진출에 앞서 안정적인 사업 기반을 마련해 가고 있습니다. 현재 기준으로 당사가 발표한 SCI급 논문리스트는 총 148편이며, 주요 논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논문명(SCI급) 저널 연도
Birth of parthenogenetic mice that can develop to adulthood Nature 2004
A highly annotated whole-genome sequence of a Korean individual Nature 2009
Discovery of common Asian copy number variants using integrated high-resolution array CGH and massively parallel DNA sequencing Nature Genetics 2010
Extensive genomic and transcriptional diversity identified through massively parallel DNA and RNA sequencing of eighteen Korean individuals Nature Genetics 2011
A transforming KIF5B and RET gene fusion in lung adenocarcinoma revealed from whole-genome and transcriptome sequencing Genome Research 2011
De novo assembly and phasing of a Korean human genome Nature 2016
The GenomeAsia 100K Project enables genetic discoveries across Asia Nature 2019
※상세 현황은 '상세표-4. 연구개발 실적(상세)' 참조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99개의 특허 및 105개의 상표를 보유하고 있으며,
2021년 및 2022년 등록한 특허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특허명 국가 등록일
한국형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감수성을 가지는 인간 DPP4 유전자를 전신에 발현하는 형질전환마우스와 이의 용도 한국 2021-01-19
노화 특이적 바이오마커 한국 2021-03-16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미국 2021-05-11
한국형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감수성을 가지는 인간 DPP4 유전자를 폐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마우스와 이의 용도 한국 2021-04-16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싱가포르 2021-07-05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싱가포르 2021-08-05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일본 2021-04-26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중국 2021-11-23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싱가포르 2021-12-01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유전적 위험도 측정 방법 및 분석 장치 한국 2022-01-03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영국) 2022-02-02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프랑스) 2022-02-02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독일) 2022-02-02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GENETIC INFORMATION(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영국) 2022-02-0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GENETIC INFORMATION(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프랑스) 2022-02-09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GENETIC INFORMATION(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독일) 2022-02-09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중국 2022-07-26
※상세 현황은 '상세표-5.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상세)' 참조


나. 기타인증현황

구분 항목 내용 기관명 인증 및
갱신날짜
1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미국 실험실표준인증(본사) CMS(Centers for Medicare & Medicaid Service) 2021.01
2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미국 임상병리검사 품질인증(본사)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2020.05
3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미국 임상병리검사 품질인증(싱가포르법인)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2019.11
4 ISMS-P 정보보호 및 개인정보보호 관리체계 인증서 한국인터넷진흥원 2021.03
5 NGS 임상검사실 인증 NGS기술 품질관리 인증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4
6 유전자검사기관 질평가인증서 분자유전검사실 인증 한국유전자검사평가원 2022.01
7 임상시험검체분석기관 지정 임상시험검체분석 실시기관 지정 식품의약품안전처 2019.05
8 임상검사실의 체외진단검사 인증서 임상검사실의 체외진단검사 인증 식품의약품안전처 2021.04
9 ISO9001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영국표준협회(BSI) 2019.01
10 ISO/IEC17025 법의유전학분야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 한국인정기구(KOLAS) 2021.03
11 ISO/IEC27001 정보보호경영시스템인증서(유전체 분석 및 임상진단서비스) Global Inter Certification 2020.06
12 ISO/IEC27701 개인정보보호경영시스템인증서 Institute of Global Certification 2021.06
13 CSP(Certified Service Provider) 서비스 공급업체 인증 프로그램(10x Genomics) 10x Genomics 2021.05
14 CSP(Certified Service Provider) 서비스 공급업체 인증 프로그램(Illumina PROPEL certified) Illumina 2019.05
15 CSP(Certified Service Provider) 서비스 공급업체 인증 프로그램(Next Generation Sequencing) Agilent Technologies 2019.02
16 CSP(Certified Service Provider) 서비스 공급업체 인증 프로그램(Next Generation Sequencing) Life Technologies 2014.03
17 유전자변형생물체 연구시설 인증 유전자병형생물체 연구시설 인증(LMO 시설 승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02
18 ISO13485 품질경영시스템 인증 독일국가인정기관(DakkS) 2022.05
19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s) 체외진단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인정 서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 2022.08
20 ESG등급 AA등급 획득 ESG등급 AA등급 획득 SUSTINVEST 2022.12


다. 산업 현황

(1) 산업의 특성

20세기 말 미국 NIH(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주도 하에 Human Genome Project가 시작되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한 사람의 유전체 분석이 완료되면 인간의 질병과 유전자의 관계에 대한 의문이 모두 해소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하였습니다.

하지만 Human Genome Project가 완료된 이후 오히려 더 많은 의문과 추가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현재까지도 유전자와 질병, 생물학적 특성 사이의 연관성을 규명하기 위한 수많은 연구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2000년대 후반까지 유전자의 기능을 밝히고자 하는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진 끝에 얻어진 많은 연구 성과들이 최근 임상분야에 점차 적용되고 있으며, 유전체 분석을 통한 임상 및 응용 관련 서비스가 출시되면서 새로운 시장이 형성 및 확대되고 있습니다.

(2) 성장성
단순히 유전자의 염기서열을 읽어내고 그 구조를 밝히는 것에 의미를 두었던 과거 유전학 연구는 그간 유전자 분석 기술의 눈부신 발달로 인해 분석 비용과 시간이 급격하게 낮아짐에 따라 각 유전자의 염기서열과 여기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들이 어떠한 생체 기능을 하고 있는지를 연구하는 것으로 영역이 점차 확장되고 있으며, 최근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실제 임상 분야에 점차 적용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추세에 따라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은 기존 Conventional Medicine에서 정밀의학(Precision Medicine)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밀의학이란 유전체분석을 통해 개인별 특성에 맞는 맞춤의료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치료효과를 극대화 시키는 것을 뜻하는데, 최근에는 기존 의료방식의 한계와 고령화에 따른 의료비 지출 증가로 인한 국가의 건강보험 재정의 악화 가능성에 대한 문제 등이 제기되면서 '정밀의학'이 새로운 의료 패러다임으로 주목 받기 시작했습니다.

정밀의료 분야에서 유전자 분석은 가장 필수적이고 중요한 기술 요소이며, 따라서 향후 의료 패러다임의변화에 따라 유전체 산업 역시 시장 규모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세계 시퀀싱 시장규모_제품별>

(단위: $ millions)

Product Type

2019 2020 2025 CAGR

Consumables

4,399 5,273 15,039 22.7%

Services

1,288 1,533 4,225 21.9%

Platforms

1,128 1,328 3,453 20.5%

Total

6,815 8,134 22,717 22.2%


<세계 시퀀싱 시장규모_지역별>

(단위: $ millions)

Region

2019 2020 2025 CAGR

NORTH AMERICA

2,811 3,345 9,200 21.8%

EUROPE

1,951 2,334 6,590 22.5%

ASIA PACIFIC

1,449 1,739 5,000 22.9%

MIDDLE EAST & AFRICAMIDDLE EAST & AFRICA

281 333 886 21.1%

SOUTH AND CENTRAL AMERICA

323 384 1,040 21.5%

Total

6,815 8,134 22,717 22.2%


<세계 시퀀싱 시장규모_최종 사용자별>

(단위: $ millions)

End-User Market

2019 2020 2025 CAGR

Diagnostics

2,341 2,808 8,042 22.8%

Drug discovery

1,825 2,169 5,929 21.7%

Precision medicine

1,510 1,808 5,134 22.6%

Others

1,140 1,349 3,612 21.2%

Total

6,815 8,134 22,717 22.2%


<세계 시퀀싱 서비스 시장규모_지역별>

(단위: $ millions)

Service

2019 2020 2025 CAGR

NORTH AMERICA

531 631 1,711 21.5%

EUROPE

369 440 1,226 22.2%

ASIA PACIFIC

274 328 930 22.6%

MIDDLE EAST & AFRICAMIDDLE EAST & AFRICA

53 63 165 20.8%

SOUTH AND CENTRAL AMERICA

61 72 194 21.2%

Total

1,288 1,533 4,225 21.9%

출처: The Insight Partners, DNA Next Generation Sequencing Market to 2025, January 2019

(3) 경기변동의 특성

헬스케어의 패러다임이 정밀의학으로 변화하고 있는 추세에 따라 정밀의학의 가장 기본 요소라 할 수 있는 유전체 분석 시장 또한 향후 지속적인 성장세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이 연구 목적으로 사용되어 왔던 기존 유전체 분석 시장과는 달리 점차 임상 적용이 확대됨에 따라 시장 범위는 더욱 넓어지고 있으며, 상품의 종류 또한 치료 뿐만 아니라 예방 및 관리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해 지고 있어 타 산업분야에 비해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고객의 대부분이 연구자 고객들이고 이들은 정부예산 및 기관의 지원금 등으로 지출이 이루어 지기 때문에 비교적 안정적이고 꾸준하게 일정한 매출 수준을 유지해 나갈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향후 임상 시장으로 진출할 경우 대부분 치료 및 예방 등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인 관계로 경기 변동 등에 비교적 영향을 적게 받고 있습니다.

또한 제품의 형태에 따라서 저가형부터 고가형 상품까지 다양화할 수 있고 적용 분야또한 단순 치료 및 예방 분야 이외에도 건강관리, 반려동물 등 다양한 서비스로 보다 폭넓은 고객층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경쟁상황

해외의 경우 유전체 산업과 관련한 규제가 일찍부터 확립된 미국, 유럽 등 선진 국가들을 중심으로 빠르게 시장에 진입해 관련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 그 규모가 크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참고로, 이들 기업들 대부분은 시장 선점과 더불어 유전체 데이터 확보를 위한 대규모 연구개발 투자 및 공격적인 마케팅 정책을 펼치고 있어 아직까지는 매출액 대비 큰 손실을 기록하는 경우가 많은 상황입니다.

국내에도 유전체 분석, 올리고 합성 등 유사한 사업을 하고 있는 소규모 기업들이 다수 존재하고 있으며, 점차 유전체 산업이 발전하면서 관련산업에 진입하는 업체 수가 증가하고 경쟁이 과열되고는 있지만, 당사와는 달리 대부분 국내 수요에만 의존하고 있어 매출 규모가 크지는 않은 상황입니다. 더불어 국내 규제 여건상 현재까지도 유전체 관련 산업이 활성화되기 어려운 환경이므로 사업 활동에 일부 제약이 따르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와 해외 모두 정부 차원에서 인식이 변화하고 정밀의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그 결과 산업과 연구를 지원하는 정책들이 시행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는 만큼 산업 또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3) 관련법령 및 정부의 규제

최근 정밀의료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국내 정부 또한 해당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정책 및 규제 수립을 위한 사전 작업을 개시했습니다. 2016년 생명윤리 및 안전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보건복지부 장관이 고시하는 일부 항목에 대해서는 일반인이 병원을 통하지 않고 직접 기업에 유전자 분석을 의뢰할 수 있게 되었으며, 식약처의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 임상검사실 인증제도 등도 시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또한 2015년 포스트게놈 다부처 유전체사업 발표에 이어 2016년에는 정부가 지정한 9대 국가전략 프로젝트의 하나로 '정밀의료'가 선정되는 등 국가차원의 지원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가장 빠르게 유전체 산업 관련 규제를 만들어가기 시작한 미국의 경우 FDA를 중심으로 관련 법령 및 인증 제도를 마련하고 산업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으며, 동시에 한편으로는 이러한 엄격한 규정들을 바탕으로 하여 유전자 검사들을 보험 급여 항목으로 지정하고 국민들의 의료 서비스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선진국들의 움직임에 따라 중국 등 아시아 국가들에서도 자국의 유전자원을 보호하고 유전체 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시장점유율 추이

유전자 분석 서비스의 경우 국내에서는 디엔에이링크, 테라젠이텍스 등이 서비스를 수행하고 있으며 당사 자체 분석 결과, 당사가 국내시장의 50% 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또한 유전자 편집 마우스의 경우 당사가 국내에서는 유일하게 상업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기관이며 해외 공급선 대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공급하고 있어 인지도가 높아지고 있고 최근에는 해외매출까지 일부 발생시키며 시장 범위를 확장해 나아가고 있습니다.

마.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유전체 산업에서의 주요 경쟁력으로는 분석 결과의 신뢰성, 유전체정보해석능력, 경쟁력 있는 가격, 빠른 TAT, 실험과정에 대한 고객과의 원활한 의사소통 등이 있습니다. 특히 이 중에서도 '결과의 신뢰성'은 연구, 의료 분야 등에 주로 활용되는 서비스 특성상 고객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 중 하나이며, 개인 정보이기도 한 개인 유전체 정보를 안전하게 관리할 수 있는 인프라 역시 뒷받침 되어야 합니다.

당사의 경우 20년 이상 꾸준히 유전체 분석 사업을 해오며 많은 기술력과 노하우 및 데이터베이스를 확보했고 이는 다수의 연구 성과물들을 통해 입증 받고 있습니다. 또한 다년간의 사업을 통해 고객의 특성과 요구를 깊이 파악하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한 탁월한 고객 관리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점들은 무엇보다 신뢰를 중요하게 여기는 연구 시장에서 짧은 업력을 가진 기업들은 확보하기 어려운 고유의 경쟁력이기도 하며 동시에 고객 이탈을 방지하여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할 수 있는 강점이기도 합니다.

바. 연결대상 종속회사의 내용

(1) Macrogen Japan Corp.
지난 2007년 11월 Psomagen, Inc.와의 일본 내 합작 법인으로 설립된 Macrogen Japan은 일본 현지 연구 기관들을 대상으로 유전체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1세대 장비(CES)를 활용한 유전자 분석 서비스를 주로 해왔으나 2015년 일루미나의 HiSeq X 장비를 도입하면서 대용량 유전체 분석 인프라를 구축하였고, 최근에는 일루미나 최신 기종인 Novaseq 6000을 도입하여 더욱 폭넓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결과 일본 내 유전체 분석시장에서 당사의 인지도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매년 지속적인 매출성장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더불어 일본 정부에서도 정밀 의료 분야에 대한 필요성 인식과 이에 따른 일본인 대상의 게놈 프로젝트가 시행되면서 일본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2) Macrogen Europe B.V.
당사는 2008년 6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 유럽지사를 설립하여 유전자분석 서비스를 첫 개시하였으며, 2017년 9월 해당 지사를 유럽법인인 Macrogen Europe B.V.로 전환하였습니다. 유럽법인은 스페인 지사의 영업권역(스페인, 포르투갈)을 제외한 유럽 전 지역의 연구기관 및 대학교를 중심으로 유전자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오랜 기간 쌓아온 서비스 신뢰도와 노하우로 고객들로부터 좋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존에 제공하던 1세대 유전자 분석서비스와 더불어 차세대염기서열을 분석하기 위한 실험실을 구축하여 자체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함에 따라 유럽지역 고객들에게 보다 빠르고 정확한 결과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파르게 성장하고 있는 유럽의 유전자분석시장을 타겟으로 2021년 상반기 실험실 확장과 추가 장비 도입 및 ISO인증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향후에는 네덜란드, 영국, 프랑스, 독일 등 정부기관을 통해 진행되는 대규모 입찰 프로젝트 및 주요병원의 임상샘플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매출성장을 가속화할 계획이며, EU 국가별 지놈 센터를 단계적으로 추가 설립하여 서비스 권역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2021년에는 네덜란드 마스트리흐트와 이탈리아 밀라노에 유럽 지놈센터를 설립하였습니다.


(3)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싱가포르 현지법인인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는 2018년 3월 싱가포르 생물의학 연구단지인 바이오폴리스(Biopolis)에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동남아시아 유전체 분석 시장은 매년 크게 성장하고 있는데 그 중 싱가포르 유전체 분석 시장이 가장 성장성이 높은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의 낮은 규제, 저렴한 법인세, 우수한 인재풀 등은 외국인이 사업하기 좋은 환경으로 손꼽히고 있으며, 싱가포르 시장진출 성공 시 주변국 진출이 쉬워지는 장점이 있습니다.

해당 법인은 최첨단 유전체 분석센터를 통해 NovaSeq 6000 등 최신 NGS 플랫폼을 설치하였으며, 국책 연구기관인 싱가포르 과학기술청(A*STAR), 싱가포르 국립대학(NUS), 싱헬스(SingHealth), 난양공대(NTU), 싱가포르 국립대학병원(NUH), 탄톡생 병원(Tan Tock Seng Hospital), 여성소아병원(KK Women's & Children's Hospital), 싱가포르 국립암센터(National Cancer Centre Singapore)등 주요 기관에서 진행되는 대규모 유전체 분석 프로젝트에 참여함으로써 싱가포르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 시장의 매출을 점차 확대해 갈 예정입니다. 2019년 11월에는 CAP 인증획득으로 자체적인 임상진단 수행이 가능해졌으며, 향후 암 패널 출시 등 임상진단서비스를 런칭함에 따라 동남아시장에서 정밀의료를 실현할 계획입니다.

사. 신규사업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현재 영위중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 올리고 합성,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임상진단서비스 이외에도 특허기술을 활용한 유전자가위(CRISPR-Cas9) 서비스 제공, 임상진단시약 등 다양한 신규사업 및 새로운 서비스를 출시하였거나 혹은 준비 중에 있습니다.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구분 제27기
(2022년 12월말)
제26기
(2021년 12월말)
제25기
(2020년 12월말)
[유동자산] 90,568 100,216 96,344
ㆍ현금및현금성자산 37,846 38,739 28,273
ㆍ단기금융상품 10,100 22,100 28,845
ㆍ매출채권 21,776 20,061 22,418
ㆍ재고자산 15,054 13,708 12,599
ㆍ기타 5,793 5,608 4,210
[비유동자산] 189,557 200,961 191,446
ㆍ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8,832 39,520 18,993
ㆍ관계기업투자 58,086 65,815 77,188
ㆍ유형자산 63,275 51,555 41,189
ㆍ투자부동산 35,714 36,145 43,581
ㆍ기타 13,650 7,925 10,496
자산총계 280,126 301,176 287,790
[유동부채] 57,572 76,546 58,045
[비유동부채] 41,594 22,479 31,218
부채총계 99,167 99,025 89,263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79,323 200,643 198,147
ㆍ자본금 5,421 5,421 5,316
ㆍ주식발행초과금 94,179 94,179 88,877
ㆍ이익잉여금 97,810 122,916 124,244
ㆍ기타 (18,087) (21,874) (20,290)
[비지배지분] 1,635 1,509 379
자본총계 180,959 202,151 198,527
구분 제27기
(2022년 1월~12월)
제26기
(2021년 1월~12월)
제25기
(2020년 1월~12월)
매출액 138,617 129,175 112,603
영업이익 5,289 11,793 7,162
당기순이익 (22,005) 2,312 87,875
ㆍ지배기업 소유주지분 (22,253) 1,112 88,337
ㆍ비지배지분 247 1,200 (461)
기본주당순이익(단위 : 원) (2,212) 114 9,002

희석주당순이익(단위 : 원)

(2,212) 114 8,822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3 3 3

주) 당사의 요약연결재무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나. 요약별도재무정보

(단위 : 백만원)
구분 제27기
(2022년 12월말)
제26기
(2021년 12월말)
제25기
(2020년 12월말)
[유동자산] 75,489 83,086 85,734
ㆍ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 30,007 21,173
ㆍ단기금융상품 10,100 22,100 28,845
ㆍ매출채권 18,273 16,075 20,774
ㆍ재고자산 11,458 9,753 9,969
ㆍ기타 4,817 5,151 4,972
[비유동자산] 136,691 141,930 123,784
ㆍ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8,832 39,520 18,993
ㆍ종속기업 및 관계기업투자 15,288 15,261 14,362
ㆍ유형자산 52,543 41,927 32,093
ㆍ투자부동산 35,714 36,145 43,581
ㆍ기타 14,313 9,076 14,755
자산총계 212,180 225,016 209,518
[유동부채] 46,311 65,488 50,404
[비유동부채] 27,475 7,048 23,577
부채총계 73,786 72,536 73,981
[자본금] 5,421 5,421 5,316
[주식발행초과금] 94,179 94,179 88,877
[이익잉여금] 57,433 75,189 61,305
[기타] (18,639) (22,309) (19,962)
자본총계 138,394 152,480 135,537
종속ㆍ관계ㆍ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원가법 원가법 원가법
구분 제27기
(2022년 1월~12월)
제26기
(2021년 1월~12월)
제25기
(2020년 1월~12월)
매출액 107,284 100,086 90,534
영업이익 4,648 7,184 3,890
당기순이익 (14,902) 16,323 2,847
기본주당순이익(단위 : 원) (1,481) 1,673 290

희석주당순이익(단위 : 원)

(1,481) 1,672 290

주) 당사의 요약별도재무정보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2. 연결재무제표

연결 재무상태표

제 27 기          2022.12.31 현재

제 26 기          2021.12.31 현재

제 25 기          2020.12.31 현재

(단위 : 원)

 

제 27 기

제 26 기

제 25 기

자산

     

 유동자산

90,568,243,223

100,215,597,721

96,343,626,781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3,802

38,738,979,758

28,272,696,801

  단기금융상품

10,100,000,000

22,100,000,000

28,844,645,974

  매출채권

21,775,837,830

20,061,157,738

22,417,834,901

  기타유동금융자산

2,337,693,007

2,472,537,515

1,754,672,937

  단기금융리스채권

621,393,012

926,361,009

1,198,257,351

  기타유동자산

2,075,420,948

2,160,912,581

1,256,735,730

  재고자산

15,053,966,452

13,707,521,712

12,598,783,087

  당기법인세자산

507,343,722

48,127,408

0

  매각예정 또는 소유주에 대한 분배예정으로 분류된 비유동자산이나 처분자산집단

250,804,450

0

0

 비유동자산

189,557,421,020

200,960,879,943

191,446,290,170

  장기매출채권

401,077,174

401,077,174

899,528,835

  비유동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18,832,426,668

39,520,210,659

18,992,999,521

  비유동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

4,908,790,950

0

0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58,085,587,531

65,815,142,140

77,187,582,818

  유형자산

63,275,347,585

51,554,713,280

41,188,860,010

  투자부동산

35,713,815,202

36,145,388,008

43,580,785,897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2,180,875,345

1,266,833,520

1,225,212,252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127,680,553

2,729,824,315

4,772,224,557

  장기금융리스채권

1,738,882,188

3,073,628,628

3,599,096,280

  기타비유동자산

17,209,751

28,350,969

0

  순확정급여자산

44,657,696

   

  이연법인세자산

1,231,070,377

425,711,250

0

 자산총계

280,125,664,243

301,176,477,664

287,789,916,951

부채

     

 유동부채

57,572,487,324

76,546,414,105

58,045,199,074

  매입채무

6,990,018,595

4,996,528,402

7,644,602,320

  기타유동금융부채

11,770,571,783

12,411,104,220

6,773,339,293

  기타유동부채

28,856,485,552

27,162,626,906

28,417,163,008

  당기법인세부채

2,231,394

1,976,154,577

1,370,782,450

  단기차입금

9,000,000,000

9,000,000,000

9,0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953,180,000

21,000,000,000

0

  유동성전환사채

   

4,839,312,003

 비유동부채

41,594,370,650

22,478,780,471

31,217,883,151

  장기차입금

25,800,000,000

1,030,240,000

22,054,260,000

  순확정급여부채

429,750,468

1,693,209,718

2,378,543,30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5,590,470,370

3,879,465,344

997,101,838

  이연법인세부채

9,774,149,812

15,875,865,409

5,787,978,010

 부채총계

99,166,857,974

99,025,194,576

89,263,082,225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179,323,452,429

200,642,719,270

198,147,358,216

  자본금

5,420,700,000

5,420,700,000

5,315,827,000

  주식발행초과금

94,179,142,144

94,179,142,144

88,877,363,37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588,538,257

1,278,648,490

514,922,459

  기타자본구성요소

(18,675,256,523)

(23,152,225,596)

(20,804,588,410)

  이익잉여금(결손금)

97,810,328,551

122,916,454,232

124,243,833,792

 비지배지분

1,635,353,840

1,508,563,818

379,476,510

 자본총계

180,958,806,269

202,151,283,088

198,526,834,726

자본과부채총계

280,125,664,243

301,176,477,664

287,789,916,951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2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25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27 기

제 26 기

제 25 기

수익(매출액)

138,617,489,348

129,174,635,687

112,603,453,863

매출원가

85,024,040,442

77,016,211,353

70,413,211,154

매출총이익

53,593,448,906

52,158,424,334

42,190,242,709

판매비와관리비

48,069,112,174

40,815,586,581

34,970,906,384

대손상각비

234,844,363

(450,144,643)

57,567,940

영업이익(손실)

5,289,492,369

11,792,982,396

7,161,768,385

금융수익

790,652,245

2,691,592,581

911,050,570

금융원가

904,436,613

870,403,413

796,399,281

기타이익

4,290,809,083

30,495,161,651

17,088,137,825

기타손실

37,199,910,367

25,452,146,335

9,788,800,629

지분법손익

(1,370,356,101)

(3,753,369,936)

(9,025,955,010)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9,103,749,384)

14,903,816,944

5,549,801,860

법인세비용

(7,098,396,185)

12,591,725,914

1,744,304,996

당기순이익(손실)

(22,005,353,199)

2,312,091,030

87,875,403,613

기타포괄손익

(697,465,893)

1,180,703,749

(1,403,532,258)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693,622,059)

488,122,972

(177,550,519)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113,089,364

488,122,972

(177,550,51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806,711,423)

0

0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3,843,834)

692,580,777

(1,225,981,739)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세후기타포괄손익)

(390,049,757)

(320,828,829)

(158,891,117)

  지분법 적용대상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세후기타포괄손익)

386,205,923

1,013,409,606

(1,067,090,622)

총포괄손익

(22,702,819,092)

3,492,794,779

86,471,871,355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22,252,588,245)

1,111,858,468

88,336,742,832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당기순이익(손실)

247,235,046

1,200,232,562

(461,339,219)

총 포괄손익의 귀속

     

 총 포괄손익,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지분

(22,829,609,114)

2,363,707,471

86,956,064,490

 총 포괄손익, 비지배지분

126,790,022

1,129,087,308

(484,193,135)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212)

114

9,002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212)

114

8,822


연결 자본변동표

제 2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25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비지배지분

자본  합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합계

2020.01.01 (기초자본)

5,302,727,000

88,017,446,375

1,718,050,282

(17,794,651,641)

36,084,641,479

113,328,213,495

(5,504,844,332)

107,823,369,163

당기순이익(손실)

       

88,336,742,832

88,336,742,832

(461,339,219)

87,875,403,613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77,550,519)

(177,550,519)

 

(177,550,519)

지분법 자본변동

   

(1,067,090,622)

   

(1,067,090,622)

 

(1,067,090,622)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136,037,201)

   

(136,037,201)

(326,587,589)

(462,624,79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주식선택권 행사

13,100,000

859,917,000

 

(339,858,000)

 

533,159,000

 

533,159,000

전환권대가

               

주식기준보상거래

     

979,734,131

 

979,734,131

115,591,482

1,095,325,613

전환권행사

               

자기주식 취득

     

(3,649,812,900)

 

(3,649,812,900)

 

(3,649,812,900)

자기주식 처분

               

배당금지급

               

2020.12.31 (기말자본)

5,315,827,000

88,877,363,375

514,922,459

(20,804,588,410)

124,243,833,792

198,147,358,216

379,476,510

198,526,834,726

2021.01.01 (기초자본)

5,315,827,000

88,877,363,375

514,922,459

(20,804,588,410)

124,243,833,792

198,147,358,216

379,476,510

198,526,834,726

당기순이익(손실)

       

1,111,858,468

1,111,858,468

1,200,232,562

2,312,091,030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488,122,972

488,122,972

 

488,122,972

지분법 자본변동

   

1,013,409,606

   

1,013,409,606

 

1,013,409,606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249,683,575)

   

(249,683,575)

(71,145,254)

(320,828,82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주식선택권 행사

               

전환권대가

               

주식기준보상거래

     

557,996,904

 

557,996,904

 

557,996,904

전환권행사

104,873,000

5,301,778,769

 

(405,576,600)

 

5,001,075,169

 

5,001,075,169

자기주식 취득

     

(2,799,898,800)

 

(2,799,898,800)

 

(2,799,898,800)

자기주식 처분

     

299,841,310

 

299,841,310

 

299,841,310

배당금지급

       

(2,927,361,000)

(2,927,361,000)

 

(2,927,361,000)

2021.12.31 (기말자본)

5,420,700,000

94,179,142,144

1,278,648,490

(23,152,225,596)

122,916,454,232

200,642,719,270

1,508,563,818

202,151,283,088

2022.01.01 (기초자본)

5,420,700,000

94,179,142,144

1,278,648,490

(23,152,225,596)

122,916,454,232

200,642,719,270

1,508,563,818

202,151,283,088

당기순이익(손실)

       

(22,252,588,245)

(22,252,588,245)

247,235,046

(22,005,353,199)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13,089,364

113,089,364

 

113,089,364

지분법 자본변동

   

386,205,923

   

386,205,923

 

386,205,923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269,604,733)

   

(269,604,733)

(120,445,024)

(390,049,757)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806,711,423)

   

(806,711,423)

 

(806,711,423)

주식선택권 행사

               

전환권대가

               

주식기준보상거래

     

75,182,612

 

75,182,612

 

75,182,612

전환권행사

               

자기주식 취득

     

(1,605,818,900)

 

(1,605,818,900)

 

(1,605,818,900)

자기주식 처분

     

6,007,605,361

 

6,007,605,361

 

6,007,605,361

배당금지급

       

(2,966,626,800)

(2,966,626,800)

 

(2,966,626,800)

2022.12.31 (기말자본)

5,420,700,000

94,179,142,144

588,538,257

(18,675,256,523)

97,810,328,551

179,323,452,429

1,635,353,840

180,958,806,269


연결 현금흐름표

제 2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25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27 기

제 26 기

제 25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10,766,547,018

21,126,538,593

20,552,506,59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13,091,643,466

24,046,938,025

22,970,424,009

 이자수취(영업)

637,517,613

362,907,268

949,611,894

 이자지급(영업)

(915,796,831)

(652,509,571)

(896,282,036)

 법인세납부(환급)

(2,046,817,230)

(2,630,797,129)

(2,471,247,276)

투자활동현금흐름

(14,648,302,512)

(4,440,740,672)

(4,273,973,406)

 장단기금융상품의 증가

(57,200,000,000)

(45,103,709,259)

(57,002,364,701)

 장단기금융상품의 감소

69,200,000,000

51,848,355,233

67,863,372,444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400,000,000)

(1,200,000,000)

(1,000,050,00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처분

0

98,000,000

59,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18,216,271,217)

(9,003,636,354)

(13,015,138,947)

 유형자산의 처분

32,395,363

69,001,255

125,960,322

 매각예정 또는 소유주에 대한 분배예정으로 분류된 비유동자산이나 처분자산집단의 처분

250,804,500

   

 무형자산의 취득

(1,567,107,778)

(230,755,362)

(913,131,504)

 투자부동산의 취득

0

(583,797,200)

(5,420,531,610)

 기타금융자산의 취득

(249,416,834)

(331,822,809)

(477,716,339)

 기타금융자산의 처분

408,957,230

609,560,824

94,499,579

 대여금의 증가

(1,820,000,000)

(160,000,000)

(650,835,000)

 대여금의 감소

139,647,124

152,800,000

10,618,160,000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0

(604,737,000)

0

 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의취득

(5,227,310,900)

 

0

 연결범위 변동

   

(4,555,197,650)

재무활동현금흐름

3,139,170,896

(6,475,390,724)

(4,586,350,945)

 차입금의 증가

34,800,000,000

 

1,105,070,000

 차입금의 상환

(30,00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2,776,249,833)

(1,401,026,538)

(2,317,714,145)

 자기주식의 취득

(1,605,818,900)

(2,799,898,800)

(3,649,812,900)

 자기주식의 처분

5,326,996,861

(1,294,690)

0

 임대보증금의 증가

0

1,160,600,000

110,000,000

 임대보증금의 감소

0

(560,017,600)

(367,052,900)

 배당금지급

(2,964,601,800)

(2,927,361,000)

0

 주식발행비용

0

(3,000,780)

0

 주식선택권행사

   

533,159,000

 정부보조금의 반환

 

(3,121,200)

 

 정부보조금의 수령

358,844,568

59,729,884

 

환율변동효과 반영전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

(742,584,598)

10,210,407,197

11,692,182,240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38,738,979,758

28,272,696,801

16,289,977,878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150,611,358)

255,875,760

290,536,683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3,802

38,738,979,758

28,272,696,801


3. 연결재무제표 주석

당기: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마크로젠과 그 종속회사


1. 일반 사항


주식회사 마크로젠(이하 '지배회사')은 1997년 설립되어 2000년 2월에 한국거래소가개설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후 현재까지 현재까지 유전체 분석, 올리고 합성, Microarray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생산,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바이옴 분석 서비스, 마이크로바이옴 서비스를 주요 사업 부문으로 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지배회사는 그 동안 수차례의 증자 등을 실시하여 당기말 현재의 자본금은 보통주 5,421백만원이며, 당기말 현재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소유주식수(주) 지분율(%)
서정선 및 특수관계인 1,228,609 11.33
자기주식 801,343 7.39
기타 8,811,448 81.28
10,841,400 100.00


1.1 종속기업 현황

연결대상 종속기업에 대한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기업명

소유지분율(%)

소재지 주요영업 결산월

당기말

전기말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65.2% 65.2% 일본 유전체분석서비스 12월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100.0% 100.0% 싱가포르 유전체분석서비스 12월
Macrogen Europe B.v. 100.0% 100.0% 네덜란드 유전체분석서비스 12월


1.2 주요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요약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기
자산 부채 매출액 당기순이익(손실)
Macrogen Japan Corp. 14,924,142 10,225,918 19,358,097 710,284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4,184,490 8,244,994 4,413,768 (909,238)
Macrogen Europe B.v. 15,573,223 10,935,425 18,949,267 (101,543)


- 전기

(단위: 천원)
기업명 전기
자산 부채 매출액 당기순이익(손실)
Macrogen Japan Corp. 13,807,466 9,473,499 21,686,656 2,299,873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4,057,441 6,982,282 3,612,811 (1,076,734)
Macrogen Europe B.v. 15,778,965 11,071,159 16,900,058 1,149,997



2. 중요한 회계정책

다음은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연결재무제표 작성 기준


연결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 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특정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유형
- 순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매각예정자산
- 확정급여제도와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사외적립자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1 연결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연결회사는 2022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 ·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2.2.2 연결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개정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회사는 동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개정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5)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을 적용한 기업은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준서의 개정으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를 최초로 적용하는 기업은 비교기간에대해 선택적 분류 조정('overlay')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 조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계약과 연관성이 없는 금융자산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자산에 분류 조정을 적용하는 기업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분류와 측정 요구사항을 해당 금융자산에 적용해왔던 것처럼 비교정보를 표시하며며, 이러한 분류 조정은 상품별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6)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 재무제표 표시 '개정 - 행사가격 조정 조건이 있는 금융부채 평가손익 공시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3 연결

연결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따라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1) 종속기업

종속기업은 지배기업이 지배하고 있는 모든 기업입니다. 연결회사가 투자한 기업에 관여해서 변동이익에 노출되거나 변동이익에 대한 권리가 있고, 투자한 기업에 대해 자신의 힘으로 그러한 이익에 영향을 미칠 능력이 있는 경우, 해당 기업을 지배한다고 판단합니다. 종속기업은 연결회사가 지배하게 되는 시점부터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며, 지배력을 상실하는 시점에 연결재무제표에서 제외됩니다.

연결회사의 사업결합은 취득법으로 회계처리됩니다. 이전대가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식별가능한 자산ㆍ부채 및 우발부채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최초 측정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청산 시 순자산의 비례적 몫을 제공하는 비지배지분을 사업결합 건별로 판단하여 피취득자의 순자산 중 비례적 지분으로 측정합니다. 그밖의 비지배지분은 다른 기준서의 요구사항이 없다면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취득관련 원가는 발생 시 당기비용으로 인식됩니다.

영업권은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과 취득자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취득일의 공정가치 합계액이 취득한 식별가능한 순자산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인식됩니다. 이전대가 등이 취득한 종속기업 순자산의 공정가액보다 작다면, 그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연결회사 내의 기업간에 발생하는 거래로 인한 채권, 채무의 잔액, 수익과 비용 및 미실현이익 등은 제거됩니다. 또한 종속기업의 회계정책은 연결회사에서 채택한 회계정책을 일관성 있게 적용하기 위해 차이가 나는 경우 수정됩니다.

지배력의 상실을 발생시키지 않는 비지배지분과의 거래는 비지배지분의 조정금액과 지급 또는 수취한 대가의 공정가치의 차이를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으로 직접 인식합니다.

연결회사가 종속기업에 대해 지배력을 상실하는 경우, 보유하고 있는 해당 기업의 잔여 지분은 동 시점에 공정가치로 재측정되며, 관련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 관계기업

관계기업은 연결회사가 유의적 영향력을 보유하는 기업이며, 관계기업 투자는 최초에 취득원가로 인식하며 이후 지분법을 적용합니다. 연결회사와 관계기업 간의 거래에서 발생한 미실현이익은 연결회사의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에 해당하는 부분만큼 제거됩니다.

관계기업의 손실 중 연결회사의 지분이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지분(순투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기투자지분 포함)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에는 지분법 적용을 중지합니다. 단, 연결회사의 지분이 영(0)으로 감소된 이후 추가 손실분에 대하여 연결회사에 법적-의제의무가 있거나, 관계기업을 대신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경우, 그 금액까지만 손실과 부채로 인식합니다. 또한 관계기업 투자에 대한 객관적인 손상의 징후가 있는 경우 관계기업 투자의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과의 차이는 손상차손으로 인식됩니다.

연결회사는 지분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관계기업의 재무제표를 이용할 때,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나 사건에 대하여 연결회사가 적용하는 회계정책과 동일한 회계정책이 적용되었는지 검토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기업의 재무제표를 조정합니다.


2.4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연결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다만, 조건을 충족하는 현금흐름위험회피나 순투자의 위험회피의 효과적인 부분과 관련되거나 보고기업의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인 화폐성항목에서 생기는 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비화폐성 외환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5 금융자산

(1) 분류
 

연결회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연결회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회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
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포괄손익계산서에 '금융수익 또는 금융원가' 또는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연결회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회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은 포괄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연결회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에 대해 연결회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연결회사가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주석 4.1.2 참조)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연결회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연결회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6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판매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연결회사의 매출채권 회계처리에 대한 추가적인 사항은 주석 11, 손상에 대한 회계정책은 주석 4.1.2 참조).


2.7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되고, 재고자산의 원가는 이동평균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2.8 매각예정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

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은 장부금액이 매각거래를 통하여 주로 회수되고, 매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며, 그러한 자산은 장부금액과 순공정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2.9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목

추정 내용연수

건물

30년

기계장치 6년
차량운반구 5년
공구와기구 5년
비품 4년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회계연도 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10 차입원가

적격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데 발생한 차입원가는 해당 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간 동안 자본화되고,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특정목적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당 회계기간 동안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에서 차감됩니다.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1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2 무형자산

영업권을 제외한 무형자산은 역사적 원가로 최초 인식되고,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한정된 내용연수를 가지는 다음의 무형자산은 추정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목

추정 내용연수

특허권 5년
소프트웨어 4년



2.13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30년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부동산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만 투자부동산의 대체가 발생하고 있으며 투자부동산, 자가사용부동산, 재고자산 사이에 대체가 발생할 때에 대체 전 자산의 장부금액을 승계하고 있습니다.


2.14 비금융자산의 손상

영업권이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영업권 이외의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15 매입채무와 기타 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회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지급하지 않은 부채입니다. 해당 채무는 무담보이며, 인식 후에 통상 60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것이아니라면 재무상태표에서 유동부채로 표시합니다. 해당 채무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이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2.16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연결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 '차입금' 및 '기타금융부채' 등으로 표시됩니다.

차입금은 공정가치에서 발생한 거래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 최초 인식하고 이후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받은 대가(거래원가 차감 후)와 상환금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한도를 제공받기 위해 지급한 수수료는 차입한도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probable) 범위까지는 차입금의 거래원가로 인식합니다. 이 경우 수수료는 차입을 실행할 때까지 이연합니다. 차입한도약정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없는 범위의 관련 수수료는 유동성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선급금으로서 자산으로 인식 후 관련된 차입한도기간에 걸쳐 상각합니다.

특정일에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우선주에 대한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비용은 다른 금융부채에서 인식한 이자비용과 함께 손익계산서 상 '금융원가'로 인식됩니다.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17 금융보증계약

연결회사가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후속적으로는다음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여 '기타금융부채'로 인식됩니다.

(1) 금융상품의 손상규정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
(2)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2.18 복합금융상품

연결회사가 발행한 복합금융상품은 보유자의 선택에 의해 지분상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사채입니다.

동 복합금융상품의 부채요소는 최초에 동일한 조건의 전환권이 없는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로 인식되며, 자본요소는 복합금융상품 전체의 공정가치와 부채요소의 공정가치의 차이로 최초 인식됩니다. 복합금융상품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거래원가는 부채요소와 자본요소의 최초 인식 금액에 비례하여 배분됩니다.

2.19 충당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가 존재하고, 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판매보증충당부채, 복구충당부채 및 소송충당부채 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20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됐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연결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과세당국에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기초하여 당기법인세비용을 인식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 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일시적 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연결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21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연결회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로 구분됩니다.

확정기여제도는 연결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 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 주식기준보상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은 부여일에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가득기간에 걸쳐 종업원 급여비용으로 인식됩니다.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은 매 보고기간말에 비시장성과조건을 고려하여 재측정되며, 당초 추정치로부터의 변동액은 당기손익과 자본으로 인식됩니다.

주식선택권의 행사시점에 신주를 발행할 때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거래비용을 제외한순유입액은 자본금(명목가액)과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인식됩니다.

(3) 연차충당부채

연결회사는 종업원이 미래의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권리를 발생시키는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에 연차유급휴가와 관련된 비용과 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종업원의 미사용 연차에 대하여 보상을 하므로 근무용역의 제공으로 발생하는 연차유급휴가 전체에 대하여 비용과 부채를 인식합니다.


2.22 수익인식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고,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연결회사의 활동별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추정은 고객의 유형, 거래의 유형 및 개별 거래조건 등의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1) 분석매출

연결회사는 고객에게 유전체분석 서비스 등의 용역을 제공합니다. 해당 용역은 단일의무로 수행되며, 고객은 산출물을 제공받은 후에 효익을 얻고 소비합니다.  연결회사는 이러한 수행의무를 제공함에 있어서 분석서비스를 완료하여 결과보고서를 고객에게 인도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재화의 매출

연결회사는 제품 및 상품에 대하여 재화의 소유에 따른 중요한 위험과 보상이 이전된인도시점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이자수익

이자수익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에 의해 인식됩니다. 채권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채권금액의 장부금액은 회수가능액까지 감액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부분은 이자수익으로 인식됩니다. 한편, 손상채권에 대한 이자수익은 최초 유효이자율에 의해 인식됩니다.

(4) 배당금 수익

배당수익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인식됩니다.


2.23 리스

(1) 리스제공자

연결회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된 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 리스이용자

연결회사는 다양한 사무실, 장비, 자동차를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3~8년의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에는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가 모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상대적 개별 가격에 기초하여 계약 대가를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에 배분하였습니다. 그러나 회사가 리스이용자인 부동산 리스의 경우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하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였습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연결회사는 계약이 집행가능한 기간 내에서 해지불능기간에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과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리스기간을 산정합니다. 회사는 리스이용자와 리스제공자가 각각 다른 당사자의 동의 없이 종료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경우 계약을 종료할 때 부담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집행가능한 기간을 산정합니다.


리스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는 최초에 현재가치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다음 리스료의 순현재가치를 포함합니다.

- 받을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
- 개시일 현재 지수나 요율을 사용하여 최초 측정한,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회사(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 회사(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 그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 리스기간이 회사(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그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


또한 리스부채의 측정에는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연장선택권에 따라 지급될 리스료를 포함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연결회사는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의 경우 지수나 요율이 유효할 때까지 리스부채에 포함하지 않는 변동리스료의 잠재적 미래 증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리스료의 조정액이 유효한 시점에서 리스부채를 재평가하고 사용권자산을 조정합니다.


각 리스료는 리스부채의 상환과 금융원가로 배분합니다. 금융원가는 각 기간의 리스부채 잔액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이자율이 산출되도록 계산된 금액을 리스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다음 항목들로 구성된 원가로 측정합니다.

-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 받은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
-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
- 복구원가의 추정치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기초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연결회사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사용권자산은 기초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합니다.


장비 및 차량운반구의 단기리스와 모든 소액자산 리스와 관련된 리스료는 정액 기준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단기리스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이며,소액리스자산은 IT기기와 소액의 사무실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


연결회사 전체에 걸쳐 다수의 부동산 및 시설장치 리스계약에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계약 관리 측면에서 운영상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은 해당 리스제공자가 아니라 연결회사가 행사할 수 있습니다. 리스기간의 결정과 관련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에 대한 정보는 주석 3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2.24 영업부문

영업부문별 정보는 경영진에게 내부적으로 보고되는 방식에 기초하여 공시됩니다(주석 39참조). 경영진은 영업부문의 성과를 평가하는데 책임이 있으며, 연결회사는 전략적 의사결정을 수행하는 경영진을 최고의사결정자로 보고 있습니다.

2.25 재무제표 승인

연결회사의 재무제표는 2023년 2월 16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 수정승인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연결회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연결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다양한 국가의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연결회사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회사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회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주석5참조).

(3) 금융자산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연결회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연결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주석4.1.2참조).


4. 재무위험관리

4.1 재무위험관리요소

연결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공정가치이자율위험, 현금흐름이자율위험 및 가격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4.1.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연결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위험, 특히 주로 미국 달러화 및 유럽 유로화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예상환율 상승 및 하락에 따라 외화를 원화로 전환하는 시기를 조절하고 있으며, 예정된 외화 투자금액 이외에는 매출채권 회수대금을 원화로 보유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회사의 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 JPY, EUR, AUD, GBP, SGD, CLP)
구분 외화종류 당기 전기
화폐성 외화자산 USD 8,742,466 10,508,383
JPY 492,575,459 334,921,103
EUR 3,770,045 4,905,412
AUD 224,386 189,557
GBP 116,423 91,107
SGD 1,589,049 1,697,175
CLP 5,613,056 -
화폐성 외화부채 USD 3,867,010 2,837,541
JPY 39,500 46,000
EUR 1,084,659 1,286,529
AUD - -
GBP - -
SGD 13,224 82,777
CLP 56,570,444 -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회사의 세후 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당기

전기

당기

전기

USD 상승시 481,936 709,315 481,936 709,315
하락시 (481,936) (709,315) (481,936) (709,315)
JPY 상승시 206,200 248,812 206,200 248,812
하락시 (206,200) (248,812) (206,200) (248,812)
EUR 상승시 616,781 748,904 616,781 748,904
하락시 (616,781) (748,904) (616,781) (748,904)
AUD 상승시 15,024 12,699 15,024 12,699
하락시 (15,024) (12,699) (15,024) (12,699)
GBP 상승시 13,873 11,372 13,873 11,372
하락시 (13,873) (11,372) (13,873) (11,372)
SGD 상승시 24,965 117,517 24,965 117,517
하락시 (24,965) (117,517) (24,965) (117,517)
CLP 상승시 (5,883) - (5,883) -
하락시 5,883 - 5,883 -


(2) 가격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 등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회사는 하나 이상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수준1의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지분증권 등의 장부금액 및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지분증권 등의 가격이 10% 증가 및 감소할 경우 가격변동이 당기의 세후 손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 자본에 미치는 영향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 자본에 미치는 영향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 상승시 272,220 272,220 541,320 541,320
10% 하락시 (272,220) (272,220) (541,320) (541,32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 상승시 - 328,080 - -
10% 하락시 - (328,080) - -

연결회사의 투자 금융상품이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주석 6.2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3)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금리 변동으로 인한 재무상태표 항목의 가치변동(공정가치)위험과 투자 및 재무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자수익ㆍ비용의 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모든 변수들이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p 변동할 경우, 연결회사의 이자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1%p 상승시 1%p 하락시 1%p 상승시 1%p 하락시
이자비용 116,400 (116,400) - -


4.1.2 신용위험

(1) 위험관리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불이행하여 연결회사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연결회사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경감시키는 수단으로서 기존고객의 매출채권 회수가 지연된 경우 고객에게 연체사실을 고지하고,수주 금지 및 선수금 수취로 계속거래를 유지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수금을 먼저 받는 매출방법인 EZ-SEQ 거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거래처는 주로 각 국가의 연구과제와 관련된 대학실험실이며, 매출채권은 다수의 거래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신용위험노출은 여러 거래처에 고루 분산되어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대표이사와 재무담당임원에 의해 매월 검토되고, 승인된 거래한도에 의하여 통제됩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38,738,980
단기금융상품 10,100,000 22,100,000
매출채권(유동/비유동) 22,176,915 20,462,235
기타금융자산(유동) 2,337,693 2,472,538
금융리스채권(유동) 621,393 926,36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797,050 2,987,285
기타금융자산(비유동) 3,127,680 2,729,824
금융리스채권(비유동) 1,738,882 3,073,629

(2) 금융자산의 손상

연결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연결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주석11참조). 매출채권 이외의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일반적으로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손실충당금은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4.1.3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 관리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연결회사의 단기 및 중장기 자금조달과 유동성관리규정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는 경영진에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1년에 한번 중장기 투자에 관한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지출은 연간경영계획에 따라 실시하므로 매월 발생비용이 예측가능합니다. 유동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 연결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의무, 연결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상 요구사항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1개월간의 운영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에 따른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비용지출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유동성위험 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각 현금흐름은 이자비용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당기말

(단위: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이하

1년~ 2년 이하

2년~ 5년 이하

5년 초과

합계
매입채무 6,990,019 - - - - 6,990,019
차입금 356,341 10,861,957 1,087,606 23,632,471 3,788,077 39,726,452
기타금융부채(유동) 10,976,809 2,287,923 - - - 13,264,732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 3,113,883 2,261,869 440,669 5,816,421


-전기말

(단위: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이하

1년~ 2년 이하

2년~ 5년 이하

5년 초과

합계
매입채무 4,996,528 - - - - 4,996,528
차입금 165,706 30,241,401 1,030,240 - - 31,437,347
기타금융부채(유동) 12,821,868 1,084,076 - - - 13,905,944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 2,595,685 1,450,228 - 4,045,913



4.2 자본위험 관리  

연결회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 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해 연결회사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부채 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재무상태표의 전환사채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총차입금

35,753,180 31,030,240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38,738,980)

순부채

(2,092,604) (7,708,740)

자본총계  

180,958,806 202,151,283

총자본

178,866,202 194,442,543

자본조달비율(*)

- -

(*)당기 및 전기말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가 (-)이므로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5. 금융상품 공정가치

5.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37,845,784 38,738,980 38,738,980
단기금융상품 10,100,000 10,100,000 22,100,000 22,100,000
매출채권(유동/비유동) 22,176,915 22,176,915 20,462,235 20,462,235
기타금융자산(유동) 2,337,693 2,337,693 2,472,538 2,472,538
금융리스채권(유동) 621,393 621,393 926,361 926,36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비유동) 18,832,427 18,832,427 39,520,211 39,520,21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비유동) 4,908,791 4,908,791 - -
금융리스채권(비유동) 1,738,882 1,738,882 3,073,629 3,073,629
기타금융자산(비유동) 3,127,681 3,127,681 2,729,824 2,729,824
금융부채
매입채무 6,990,019 6,990,019 4,996,528 4,996,528
단기차입금 9,000,000 9,000,000 9,000,000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953,180 953,180 21,000,000 21,000,000
기타금융부채(유동) (*) 9,717,634 9,717,634 11,113,837 11,113,837
장기차입금 25,800,000 25,800,000 1,030,240 1,030,240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1,589,878 1,589,878 1,725,993 1,725,993

(*) 기타금융부채는 리스부채(당기: 6,054백만원, 전기: 3,451백만원)가 제외된 금액입니다.

5.2 금융상품 공정가치 서열 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항목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수준 1)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 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 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수준 2)
-
관측 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 변수(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 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수준 3)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계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3,490,000 - 15,342,427 18,832,427 6,940,000 - 32,580,211 39,520,21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4,206,157 - 702,634 4,908,791 - - - -


5.3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

(1) 반복적인 측정치의 수준 1과 수준 2 간의 이동 내역
당기 중 수준 1과 수준 2 간의 대체는 없습니다.

(2) 반복적인 측정치의 수준 3의 변동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당기 전기 당기 전기

기초

32,580,211 3,093,000 - -
취득 400,000 1,200,000 702,634 -
처분 - (98,000) - -
평가 (17,637,784) 28,385,211 - -

기말

15,342,427 32,580,211 702,634 -


5.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 변수

연결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비반복적인 공정가치측정치에 대해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상품명 당기말

공정가치

수준

가치평가기법

투입 변수

투입변수 범위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지분증권 보통주      11,223,000 3 현금흐름할인법 할인율 16.80%
채무증권 전환상환우선주 1,697,774 3 LSMC 주가변동성 24.49%
채무증권 전환사채 99,275 3 할인율 14.26~21.69%
지분증권(*) 보통주        2,322,377 3 자산접근법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지분증권(*) 보통주 702,634 3 원가법 - -
합계
  16,045,060



(*) 당기 중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전기 또는 당기에 가치변동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기에 "비상장주식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 관련 가이드라인"에 따라 취득원가를 공정가치로 측정하였습니다.

5.5 수준 3으로 분류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가치평가과정

회사는 수준 3으로 분류된 금융상품에 대해서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의 전문가적인 판단에 근거한 합리적인 평가모형과 적절한 추정치를 사용하여 산정한 금액을 공정가치로 보아 평가하고 있습니다.


6. 범주별 금융상품

6.1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 당기말

(단위 : 천원)
재무상태표 상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
공정가치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금융자산
합계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 - 37,845,784
단기금융상품 10,100,000 - - 10,100,000
매출채권(유동) 21,775,838 - - 21,775,838
기타금융자산(유동) 2,337,693 - - 2,337,69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비유동) - - 4,908,791 4,908,79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비유동) - 18,832,427 - 18,832,427
매출채권(비유동) 401,077 - - 401,077
기타금융자산(비유동) 3,127,681 - - 3,127,681
합계 75,588,073 18,832,427 4,908,791 99,329,291


(단위 : 천원)
재무상태표 상 부채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매입채무 6,990,019
단기차입금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953,180
장기차입금 25,800,000
기타금융부채(유동)(*) 9,717,634
기타금융부채(비유동)(*) 1,589,878
합계 54,050,711

(*) 기타금융부채는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리스부채(6,054백만원)가제외되어 있습니다.

- 전기말

(단위: 천원)

재무상태표 상 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합계
현금및현금성자산 38,738,980 - 38,738,980
단기금융상품 22,100,000 - 22,100,000
매출채권(유동) 20,061,158 - 20,061,158
기타금융자산(유동) 2,472,538 - 2,472,538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39,520,211 39,520,211
매출채권(비유동) 401,077 - 401,077
기타금융자산(비유동) 2,729,824 - 2,729,824
합계 86,503,577 39,520,211 126,023,788


(단위: 천원)

재무상태표 상 부채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매입채무 4,996,528
단기차입금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21,000,000
장기차입금 1,030,240
기타금융부채(유동)(*) 11,113,837
기타금융부채(비유동)(*) 1,725,993

합계

48,866,598

(*) 기타금융부채는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리스부채(3,451백만원)가제외되어 있습니다.

6.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205,300 28,385,21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파생상품평가이익 - 1,921,66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806,711)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 -
대손상각비/환입 (684,080) 450,145

이자수익

790,652 769,930

외환차익

1,002,772 895,855
외환차손 (1,143,858) (836,737)
외화환산이익 250,045 687,514
외화환산손실 (612,854) (157,492)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이자비용

(904,437) (870,403)
외환차익 278,410 94,427
외환차손 (208,365) (454,186)
외화환산이익 127,069 28
외화환산손실 (22,189) (45,283)

7. 현금및현금성자산

연결회사의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은행예금 및 보유현금

37,845,784 38,738,980
합계 37,845,784 38,738,980


8. 단기금융상품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정기예금 등 10,100,000 22,100,000


9.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비유동항목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3,490,000 6,940,000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13,545,377      29,592,926
시장성 없는 채무증권 1,797,050          2,987,285
합계 18,832,427 39,520,211


(2)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금액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이익

205,300 28,385,21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21,293,084) (8,960,000)


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4,206,157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702,634 -
합계 4,908,791 -

위 지분상품을 처분하는 경우 관련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은 이익잉여금으로 재분류되며,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습니다.

(2)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금액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평가손익

(806,711) -

11. 매출채권

(1) 매출채권 및 대손충당금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개별평가채권 집합평가채권 합계 개별평가채권 집합평가채권 합계

매출채권(비유동포함)

1,786,357 22,666,876 24,453,233 2,742,126 20,287,265 23,029,391

대손충당금

(1,061,136) (1,215,183) (2,276,319) (1,083,065) (1,484,091) (2,567,156)

매출채권(순액)

725,222 21,451,693 22,176,915 1,659,061 18,803,174 20,462,235


(2) 집합평가 대상 매출채권의 연령분석

(단위: 천원)
구분 1년 이내 1년 초과 2년 초과 3년 초과
당기말
기대 손실률 1% 26% 56% 100%  
총 장부금액 20,940,943 784,972 476,266 464,695 22,666,876
손실충당금 (275,117) (207,476) (267,895) (464,695) (1,215,183)
전기말
기대 손실률 1% 22% 59% 99%  
총 장부금액 17,916,799 1,061,753 623,737 684,976 20,287,265
손실충당금 (197,704) (238,347) (367,764) (680,276) (1,484,091)


(3) 당기와 전기 중 매출채권의 손실충당금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당기

전기

기초금액 2,567,155 3,107,029
대손상각비(환입) 234,844 (450,145)
제각 등 (525,680) (89,729)
기말금액 2,276,319 2,567,155

12. 기타금융자산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미수수익 93,654 143,395
미수금 2,244,039 1,736,393
단기대여금 - 592,750
소계 2,337,693 2,472,538
비유동항목
장기대여금 1,820,353 140,000
임차보증금 836,910 1,092,405
기타보증금 470,418 399,646
장기미수금 - 1,097,773
소계 3,127,681 2,729,824
합계 5,465,374 5,202,362


13. 기타자산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선급금 223,429 609,223
선급비용 1,556,560 1,441,273
부가세대급금 295,432 110,416
소계 2,075,421 2,160,912
비유동항목
장기선급비용 17,210 28,351
소계 17,210 28,351
합계 2,092,631 2,189,263

14. 재고자산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상품 203,181 (123,125) 80,056 703,433 - 703,433
제품 3,305,378 (341,829) 2,963,549 3,695,366 (579,227) 3,116,139
원재료 12,860,603 (850,241) 12,010,362 10,404,170 (516,221) 9,887,949
합계 16,369,162 (1,315,195) 15,053,967 14,802,969 (1,095,448) 13,707,521

비용으로 인식되어 "매출원가"에 포함된 재고자산 등의 원가는 85,024백만원(전기: 77,016백만원) 입니다.

15. 관계기업투자

(1)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기업명

소유지분율(%)

장부금액

주된

사업장

주요영업

당기말

전기말

당기말 전기말
관계기업:
Psomagen, Inc(*1) 36.92% 37.06% 54,784,472 63,029,620 미국 임상진단
 유전체분석서비스
Microba Life Sciences Ltd.(*2)(*3) 5.2% 8.58% 3,181,252 2,696,921 호주 장내미생물분석
헬스브리즈(*3) 18.06% 18.06% 119,863 88,601 한국 의료용 애니메이션
설명처방서비스
합계

58,085,588 65,815,142

(*1) 당기 중 관계기업인 Psomagen, Inc의 불균등 유상증자로 지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2) 당기 중 관계기업인 Microba Life Science Ltd.의 불균등 유상증자로 지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3) 연결회사의 지분율이 20% 미만이나 의사결정기구에 참여 등을 통해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므로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2) 당기와 전기의 관계기업투자에 대한 지분법 평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기초 취득 지분법평가손익 손상환입(손상) 지분법자본변동 관계기업투자
처분손익
당기말
관계기업:
Psomagen, Inc. 63,029,620 - (649,167) (7,987,379) 560,038 (168,640) 54,784,472
Microba Life Sciences Ltd. 2,696,921 - (752,451) - (56,224) 1,293,006 3,181,252
헬스브리즈 88,601 - 31,262 - - - 119,863
합계 65,815,142 - (1,370,356) (7,987,379) 503,814 1,124,366 58,085,587


- 전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기초 취득 지분법평가손익 손상환입(손상) 지분법자본변동 관계기업투자
처분손익
전기말
관계기업:
Psomagen, Inc. 73,960,893 - (2,959,990) (8,676,990) 1,246,404 (540,697) 63,029,620
Microba Life Sciences Ltd. 3,226,689 604,737 (881,980) - (94,144) (158,381) 2,696,921
헬스브리즈 - - 88,601 - -
88,601
합계 77,187,582 604,737 (3,753,369) (8,676,990) 1,152,260 (699,078) 65,815,142


(3) 주요 관계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 당기

(단위: 천원)

기업명

자산 부채 자본 매출액 당기순이익(손실)
관계기업:
Psomagen, Inc 49,203,436 13,519,989 35,683,447 43,374,449 (1,048,269)
Microba Life Sciences Ltd. 44,328,877 5,394,464 38,934,413 4,155,991 (9,956,426)
헬스브리즈 3,455,647 2,791,952 663,695 1,296,287 173,101


- 전기

(단위: 천원)

기업명

자산 부채 자본 매출액 당기순이익(손실)
관계기업:
Psomagen, Inc 49,539,919 15,393,361 34,145,558 28,585,905 (7,114,312)
Microba Life Sciences Ltd. 13,882,399 4,839,348 9,043,051 3,519,599 (9,726,971)
헬스브리즈 3,392,136 2,901,541 490,595 1,226,428 280,424

(4) 당기와 전기의 관계기업의 재무정보금액을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의 장부금액으로 조정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당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기말 순자산

(a)

연결실체 지분율

(b)

순자산 지분금액

(a×b)

영업권

기타(*)

장부금액

Psomagen, Inc. 35,683,447 36.92% 13,173,289 56,238,676 (14,627,493) 54,784,472
Microba Life Sciences Ltd. 38,934,413 5.2% 2,024,040 1,122,715 34,497 3,181,252
헬스브리즈 663,695 18.06% 119,863 - - 119,863

(*)관계기업 장부금액 기타 조정사항은 취득시 인식한 무형자산 인식액과 손상누계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전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기말 순자산

(a)

연결실체 지분율

(b)

순자산 지분금액

(a×b)

영업권

기타(*)

장부금액

Psomagen, Inc. 34,145,558 37.06% 12,652,651 56,448,834 (6,071,865) 63,029,620
Microba Life Sciences Ltd. 9,043,051 8.58% 776,265 1,853,868 66,788 2,696,921
헬스브리즈 490,595 18.06% 88,601 - - 88,601

(*)관계기업 장부금액 기타 조정사항은 취득시 인식한 무형자산 인식액과 손상누계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6. 유형자산

(1) 유형자산의 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지 28,723,271 - 28,723,271 20,474,674 - 20,474,674
건물 11,603,969 (5,520,484) 6,083,485 11,563,081 (4,834,604) 6,728,477
기계장치 85,817,216 (68,578,238) 17,238,978 81,727,514 (66,041,842) 15,685,672
차량운반구 1,120,180 (903,384) 216,796 1,160,016 (838,386) 321,630
공구와기구 1,269,988 (910,736) 359,252 1,109,481 (859,092) 250,389
비품 16,629,925 (13,762,195) 2,867,730 20,482,789 (16,421,823) 4,060,966
임차자산개량권 81,006 (12,778) 68,228 - - -
건설중인 자산 2,735,542 - 2,735,542 646,400 - 646,400
사용권자산 9,068,589 (4,086,523) 4,982,066 5,944,213 (2,557,709) 3,386,504
합계 157,049,686 (93,774,338) 63,275,348 143,108,168 (91,553,456) 51,554,712

(*) 손상차손누계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당기 중 자본화된 차입원가는 168백만원이며,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된 자본화차입이자율은 3.07% 입니다(주석34참조).

(2) 유형자산의 변동내역


- 당기

(단위: 천원)
구분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임차자산개량권 건설중인자산 사용권자산 합계
기초 순장부금액 20,474,674 6,728,477 15,685,672 321,630 250,390 4,060,966 - 646,400 3,386,505 51,554,714
취득 8,082,759 87,239 6,667,381 58,098 204,350 792,579 81,006 2,179,342 5,187,323 23,340,077
처분 - (7,913) (200,767) (11,337) (1) (341) - - (48,231) (268,590)
손상 - (107,641) - - - (305,848) - - (835,406) (1,248,895)
감가상각비 - (554,946) (4,780,148) (148,788) (86,599) (1,711,527) (12,837) - (2,746,093) (10,040,939)
대체(*) 165,838 17,137 - - - (198) - (90,200) - 92,577
환율효과 - (78,868) (133,160) (2,807) (8,888) 32,099 59 - 37,968 (153,597)
기말 순장부금액 28,723,271 6,083,485 17,238,978 216,796 359,252 2,867,730 68,228 2,735,542 4,982,066 63,275,348

(*)당기 중 일부 유형자산이 투자부동산에서 대체되었으며, 일부는 매각예정자산, 무형자산 및 판매비와관리비로 대체되었습니다.

- 전기

(단위: 천원)
구분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건설중인자산 사용권자산 합계
기초 순장부금액 10,573,844 6,190,522 16,813,543 415,835 58,332 2,984,780 2,878,683 1,273,321 41,188,860
취득 614,447 342,156 4,911,059 106,692 101,293 2,870,658 576,400 3,471,874 12,994,579
처분 - - (10) (27,345) (5,759) - - (10,826) (43,940)
감가상각비 - (557,220) (6,016,611) (173,744) (87,237) (1,622,290) - (1,364,907) (9,822,009)
대체(*) 9,286,383 763,661 148,400 - - - (2,808,683) - 7,389,761
환율효과 - (10,642) (170,709) 192 183,760 (172,182) - 17,043 (152,538)
기말 순장부금액 20,474,674 6,728,477 15,685,672 321,630 250,390 4,060,966 646,400 3,386,505 51,554,713

(*) 전기 중 일부 유형자산이 투자부동산에서 대체되었습니다.

(3) 포괄손익계산서 상 감가상각비가 포함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계정명 당기말 전기말
매출원가 6,671,700 6,921,413
판매비와관리비 3,038,597 2,214,507
경상연구개발비 330,642 686,089
합계 10,040,939 9,822,009


(4) 타인 담보제공 내역

당기말 현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이 타인에게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37참조).

(5) 매각예정자산의 내역

(단위 : 천원)

계정명

당기

전기

기계장치 250,804 -


연결회사는 당기 중 사용을 중지하고 매각예정인 기계장치에 대하여 매각예정으로 분류하고, 동일 자산의 최근 매각가액인 250,804천원으로 공정가치를 측정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회사는 당기 중 손상차손으로 141,266천원을 인식하였습니다.

17. 리스

(1) 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


리스와 관련해 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사용권자산(*)

부동산

3,219,534 2,785,107

차량운반구

507,311 259,487
기계장치 1,255,221 341,910

합계

4,982,066 3,386,504

(*) 연결재무상태표의 '유형자산'항목에 포함되었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리스부채(*)

유동

2,052,938        1,297,267

비유동

4,000,593       2,153,472

합계

6,053,531    3,450,739

(*) 연결재무상태표의 '기타금융부채'항목에 포함되었습니다.

당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5,187백만원(전기 3,472백만원)입니다.

(2)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


리스와 관련해서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부동산

1,610,115 1,252,948

 차량운반구

133,493 100,041
 기계장치 950,499 11,918

합계

2,694,107 1,364,907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금융비용에 포함)

99,709 60,933
단기리스료(매출원가 및 관리비에 포함) 5,310 8,631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매출원가 및 관리비에 포함) 45,027 35,127
리스부채 측정치에 포함되지 않은 변동리스료에 관련되는 비용 13,717 -
합계 163,763 104,691


당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2,840백만원(전기 1,445백만원)입니다.


18. 무형자산

(1) 무형자산의 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특허권 309,896 (257,048) 52,848 289,437 (210,670) 78,767
소프트웨어 4,973,449 (2,845,421) 2,128,028 3,392,322 (2,204,255) 1,188,067
합계 5,283,345 (3,102,469) 2,180,876 3,681,759 (2,414,925) 1,266,834


(2) 무형자산의 변동내역

- 당기

(단위: 천원)
구분 특허권 소프트웨어 합계
기초 78,768 1,188,066 1,266,834
취득 20,458 1,487,662 1,508,120
상각비 (46,377) (637,895) (684,272)
대체 - 90,200 90,200
환율변동 - (6) (6)
기말 52,848 2,128,028 2,180,876


- 전기

(단위: 천원)
구분 특허권 소프트웨어 합계
기초 104,257 1,120,955 1,225,212
취득 18,142 280,757 298,899
상각비 (43,631) (560,387) (604,018)
대체 - 347,120 347,120
환율변동 - (379) (379)
기말 78,768 1,188,066 1,266,834


당기 상각비 684백만원(전기: 604백만원)은 포괄손익계산서상 경상연구개발비 및 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1참조).

연결회사가 비용으로 인식한 경상적인 연구 및 개발 지출의 총액은 4,267백만원(전기: 4,101백만원) 입니다(주석31참조).

19. 투자부동산

(1) 투자부동산 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지 29,016,040 - 29,016,040 29,181,878 - 29,181,878
건물 7,439,733 (741,958) 6,697,775 7,457,932 (494,422) 6,963,510
합계 36,455,773 (741,958) 35,713,815 36,639,810 (494,422) 36,145,388


(2) 투자부동산의 변동내역

- 당기

(단위: 천원)
구분 토지 건물 합계
기초 29,181,878 6,963,510 36,145,388
취득 - - -
상각 - (248,598) (248,598)
대체(*) (165,838) (17,137) (182,975)
기말 29,016,040 6,697,775 35,713,815

(*) 연결회사 자체 사용으로 인한 유형자산 대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전기

(단위: 천원)
구분 토지 건물 합계
기초 36,155,098 7,425,688 43,580,786
취득 - 547,231 547,231
상각 - (245,748) (245,748)
대체(*) (6,973,220) (763,661) (7,736,881)
기말 29,181,878 6,963,510 36,145,388

(*) 연결회사 자체 사용으로 인한 유형자산 대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당기 중 투자부동산에서 발생한 운용리스로부터의 임대수익은 1,431백만원(전기 : 1,307백만원), 운영 비용 249백만원(전기 : 246백만원) 입니다(주석30참조).

(4) 당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59,250백만원(전기 : 54,412백만원) 입니다. 공정가치 평가는 독립된 평가인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5) 담보제공내역

보고기간말 현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이 타인에게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37참조).


20. 금융리스채권

(1) 금융리스계약

당사는 기계장치를 특수관계자에게 금융리스로 제공하고 있으며, 평균리스기간은 5.9년입니다.

(2) 당기말 현재 금융리스채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1년 이내 716,973 621,393 1,090,991 926,361
1년 초과 5년 이내 1,847,371 1,738,882 3,312,381 3,073,629
5년 초과 - - - -
소계 2,564,344 2,360,275 4,403,372 3,999,990
차감 : 미실현이자수익 (204,069) - (403,382) -
합계 2,360,275 2,360,275 3,999,990 3,999,990



(3) 당기말 현재 금융리스채권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자산 621,393 926,361
비유동자산 1,738,882 3,073,629
합계 2,360,275 3,999,990



21. 매입채무 및 기타금융부채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매입채무

외상매입금 6,990,019 4,996,528
기타금융부채(유동)  
미지급금 1,864,350 3,635,574
미지급비용 7,135,948 7,294,928
임대보증금(유동) 717,336 183,336
리스부채(유동) 2,052,938 1,297,267
소계 11,770,572 12,411,105
기타금융부채(비유동)

장기미지급금 909,278 511,393
임대보증금(비유동) 680,600 1,214,600
리스부채(비유동) 4,000,593 2,153,472
소계 5,590,471 3,879,465
합계 24,351,062 21,287,098


22. 기타부채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예수금 242,989 136,024
선수금 28,609,758 27,024,890
미지급배당금 3,738 1,713
소계 28,856,485 27,162,627


23. 차입금


(1)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차입금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내용 차입처 만기일 연이자율(%) 당기말 전기말
단기차입금 일반자금대출 IBK기업은행 2022.11.02 2.48 -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시설자금대출 2022.6.28 2.14 - 21,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운전자금대출  Mizuho Bank 2023.08.13 -          953,180 -
단기차입금(*1) 운영자금대출 KDB산업은행 2023.06.28 3.99        9,000,000 -
장기차입금(*1) 시설자금대출 2025.06.28 3.83      21,000,000 -
장기차입금(*1) 시설자금대출 2032.10.26 5.87        4,800,000 -
장기차입금 운전자금대출 Mizuho Bank 2023.08.13 - - 1,030,240
합계 35,753,180 31,030,240

(*1) 장단기차입금에 대해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 16,19,37참조).



24. 퇴직급여

24.1 확정급여제도

확정급여제도의 대부분은 최종임금기준 연금제도이며, 동 연금제도는 종업원의 일생에 걸쳐 보장된 일정 금액의 연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연금의 수준은 종업원의 근무기간 및 최종 임금에 근거하여 산출되며, 연금의 일부는 기금에 적립되어 외부전문신탁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1)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산정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346,455 7,213,715
기금이 적립되지 않은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429,750 279,885
소계 776,205 7,493,600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391,113) (5,800,391)
재무재표상 순확정급여자산 (44,658) -
재무재표상 순확정급여부채 429,750 1,693,209


당기 중 확정급여제도에서 확정기여제도로 제도정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와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가 각각 6,534백만원과 5,380백만원이 감소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정산손익 1,154백만원이 발생하였습니다.

(2)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한 확정급여제도 관련비용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매출원가 (513,232) 989,355
판매비와관리비 (337,417) 885,819
합계 (850,649) 1,875,174


(3) 확정급여채무의 변동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금액

7,493,600 7,752,901

당기근무원가

277,365 1,748,742

이자비용

14,864 150,502

재측정요소:

 
- 인구통계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 (441,736)
- 재무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27,496) (281,958)
- 경험적 조정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124,176) 45,905

제도에서의 지급액:

 

- 퇴직급여의 지급

(323,803) (1,436,937)
- 중간/중도인출로 인한 지급 (6,534,149) (43,819)

기말금액

776,205 7,493,600


(4) 사외적립자산의 변동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금액  

5,800,391 5,374,357

이자수익

15,205 107,306

재측정요소:

 

- 사외적립자산의 수익률 변동(이자수익에 포함된 금액 제외)

(13,541) (49,788)

기여금:

 

- 사용자 기여금

300,000 1,700,000

제도에서의 지급:

 

- 퇴직급여의 지급

(331,281) (1,305,446)
- 중간/중도인출로 인한 지급 (5,379,661) (26,038)

기말금액

391,113 5,800,391

(5) 사외적립자산의 구성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공시가격

구성비

공시가격

구성비

정기예금 등 391,113 100% 5,800,391 100%


(6)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구분 당기 전기
할인율 5.17% ~ 5.23% 2.52%
임금상승률 5.31% ~ 5.34% 5.40%


(7)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당기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 분석

구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가정의 변동폭

가정의 증가

가정의 감소

할인율

할인율의 1%p 변동 2.0% ~ 2.30% 감소 2.0% ~ 2.40% 증가

임금상승률

기대임금상승률의 1%p 변동 2.1% ~ 2.40% 증가 2.0% ~ 2.30% 감소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됐습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됐습니다.
 
민감도 분석에 사용된 방법 및 가정은 전기와 동일합니다.

(8)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확정급여제도의 영향

연결회사는 기금의 적립수준을 매년 검토하고, 기금에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전하는 정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예상기여금은 38백만원(전기: 1,268백만원)입니다.

당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할인되지 않은 연금 급여지급액의 만기 분석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1년미만

1년~2년
미만

2~5년
미만

5년이상

합계

퇴직급여 지급액(*1)

133,994 94,886 150,351 66,437 445,668

(*1) 퇴직급여지급액은 임직원들의 예상퇴직시기에 지급될 총금액으로, 보고기간말까지 제공된 근로와 관련된 부채인 확정급여채무 산정금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9) 확정급여채무의 가중평균만기는 2.1년 ~ 2.44년(전기말 2.62년)입니다.
 
24.2 확정기여제도

당기 중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해 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2,602백만원(전기: 892백만원)입니다.

25. 법인세비용 및 이연법인세

(1) 법인세비용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법인세
 
당기손익에 대한 당기법인세 272,429 2,657,432
전기법인세의 조정사항 (535,543) 549,130
총당기법인세 (263,114) 3,206,562
이연법인세

일시적차이 변동효과 (6,835,282) 9,385,164
법인세비용(수익) (7,098,396) 12,591,726


(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과 법인세비용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9,103,749) 14,903,817
적용세율에 따른 법인세비용(수익) (6,074,855) 6,651,240
법인세 효과:
-  세무상 과세되지 않는 수익과 비용 647,152 913,300
-  이연법인세 실현가능성 변동 62,617 5,050,407
-  세액공제(이월세액공제포함) (643,366) (1,141,136)
-  법인세추납액(환급액) (556,908) 486,063
- 세율변동으로 인한 이연법인세 변동 (722,868) -
- 기타 189,832 631,852
법인세비용(수익) (7,098,396) 12,591,726


(3) 당기 및 전기 중 자본에 직접 반영된 법인세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반영 전

법인세효과

반영 후

반영 전

법인세효과

반영 후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38,131 (25,042) 113,089 626,283 (138,160) 488,123
지분법 자본변동 503,814 (117,607) 386,207 1,152,260 (138,852) 1,013,40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실 (1,021,154) 214,442 (806,712) - - -
합계 (379,209) 71,793 (307,416) 1,778,543 -277,012 1,501,531


(4)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의 회수 및 결제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2022년 12월 31일 2021년 12월 31일
이연법인세자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이연법인세자산 3,308,229 2,984,858
12개월 이후에 결제될 이연법인세자산 2,921,033 4,314,614
소계 6,229,262 7,299,472
이연법인세부채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이연법인세부채 (550,924) (587,382)
12개월 이후에 결제될 이연법인세부채 (12,772,561) (20,987,808)
소계 (13,323,485) (21,575,190)
인식되지 않은 이연법인세자산(부채) 순액 (1,448,855) (1,174,436)
상계후 이연법인세자산(부채) 순액 (8,543,078) (15,450,154)


(5) 이연법인세의 총 변동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금액 (15,450,153) (5,787,978)
손익계산서에 반영된 이연법인세 6,835,282 (9,385,164)
자본에 직접 반영된 이연법인세 71,793 (277,012)
기말금액 (8,543,078) (15,450,154)


(6) 상계하기 이전의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2022년 1월 1일 손익계산서 자본 2022년 12월 31일
퇴직급여충당부채 1,609,370 (1,358,956) (27,885) 222,529
퇴직연금운용자산 (1,276,086) 1,203,330 2,844 (69,912)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6,864,746) 4,740,469 - (2,124,277)
대손충당금 1,274,501 (63,005) - 1,211,496
원재료평가충당금 240,998 22,540 - 263,538
유형자산 759,708 (289,021) - 470,687
미확정비용 552,288 (127,323) - 424,965
이월세액공제 30,732 535,330 - 566,06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 214,442 214,442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 변동 (12,053,518) 2,401,162 (117,608) (9,769,964)
기타 1,589,883 (93,672) - 1,496,211
소계 (14,136,870) 6,970,854 71,793 (7,094,223)
인식되지 않은 이연법인세자산 (1,313,283) (135,572) - (1,448,855)
순액 (15,450,153) 6,835,282 71,793 (8,543,078)


누적일시적차이의 법인세효과는 당해 일시적차이가 소멸되는 회계연도의 미래예상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는바 2023년 이후 실현분에 대해 21%를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종전의 적용세율(22%)에 의할 경우보다 이연법인세부채가 407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2021년 1월 1일 손익계산서 자본 2021년 12월 31일
퇴직급여충당부채 1,658,318 100,166 (149,114) 1,609,370
퇴직연금운용자산 (1,182,359) (104,680) 10,953 (1,276,086)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173,428) (4,691,318) - (6,864,746)
국고보조금 (1,729) 1,729 - -
전환사채 (51,232) 51,232 - -
관계기업투자주식 (7,648,092) (4,266,575) (138,851) (12,053,518)
대손충당금 1,260,050 14,451 - 1,274,501
원재료평가충당금 200,148 40,850 - 240,998
기타 2,552,883 240,880 - 2,793,763
소계 (5,385,441) (8,613,265) (277,012) (14,275,718)
인식되지 않은 이연법인세자산 (402,537) (771,899) - (1,174,436)
순액 (5,787,978) (9,385,164) (277,012) (15,450,154)


(7) 보고기간말 현재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한 차감할 일시적차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사유
종속기업 자본변동 이연법인세 미인식 788,124 339,796 처분이나 배당계획 없음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주식 4,716,615 4,164,233 처분계획없음
기타 1,174,114 1,174,114 향후 세효과없음
합계 6,678,853 5,678,143


26.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지배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이고, 발행한 주식수는 보통주식 10,841,400주(전기: 10,841,400주)이며 1주당 액면금액은 500원입니다.  

(단위: 천원)

구분

주식수(단위 : 주)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합계

전기초 10,631,654 5,315,827 88,877,363 94,193,190
주식선택권 행사 209,746 104,873 5,301,779 5,406,652
전기말 10,841,400 5,420,700 94,179,142 99,599,842
당기초 10,841,400 5,420,700 94,179,142 99,599,842
당기말 10,841,400 5,420,700 94,179,142 99,599,842


2021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기간에 대한 보통주 배당금 2,967백만원은 2022년 4월에 지급되었습니다.

27. 주식기준보상

(1) 연결회사는 주주총회 결의에 의거해서 연결회사의 임직원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했으며, 당기말 현재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2차 부여분 3차 부여분 4차 부여분 5차 부여분 6차 부여분 7차 부여분
권리부여일 2015년 03월 27일 2016년 03월 25일 2017년 03월 24일 2018년 03월 28일 2019년 3월 26일 2020년 3월 27일
발행할 주식의 총수(*) 177,500주 26,500주 75,300주 98,000주 82,000주 63,500주
부여방법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부여일의 공정가치 11,080원 11,060원 5,790원 9,940원 11,408원 15,176원
행사가격 38,480원 35,420원 28,760원 45,690원 35,830원 35,400원
행사가능기간 2017.3.27 ~ 2024.3.26 2018.3.25 ~ 2025.3.24 2019.3.24 ~ 2026.3.23 2020.3.28~2027.3.27 2021.03.26~2028.03.25 2022.03.27~2029.03.26

(*) 당기말 현재 소멸된 주식수를 제외한 가득되었거나 가득될 주식의 총수


(2) 주식선택권의 수량과 가중평균행사가격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지배회사

구 분

주식매수선택권 수량
(단위 : 주)

가중평균행사가격
(단위 : 원)

당기

전기

당기

전기

기초 잔여주

526,800 534,300 37,477 37,442

행사

- - - -

부여

- - - -

소멸

(4,000) (7,500) 35,400 35,400

기말 잔여주

522,800 526,800 37,487 37,477


(3) 당기 중 비용으로 인식한 주식기준보상은 75백만원(전기: 2,479백만원) 입니다.
전기의 주식기준보상에는 경영진에 부여한 전환사채에 대한 매도청구권의 평가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7참조).


28.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및 기타자본항목

(1)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증감

(단위: 천원)
구분

당기초

증감

당기손익으로의
재분류

당기말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300,993 (269,605) - 31,388
지분법자본변동 977,655 386,205 - 1,363,86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 (806,711) - (806,711)
합계 1,278,648 (690,111) - 588,537


(단위: 천원)
구분

전기초

증감

당기손익으로의
재분류

전기말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550,677 (249,684) - 300,993
지분법자본변동 (35,755) 1,013,410 - 977,655
합계 514,922 763,726 - 1,278,648

(2) 기타자본항목의 구성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기타자본잉여금 107,908 107,908
자기주식(*) (23,658,027) (29,006,698)
자기주식처분이익(손실) (691,068) 255,818
주식선택권(주석26) 5,565,929 5,490,747

합계

(18,675,258) (23,152,225)

(*) 연결회사는 자사주식의 가격안정화 등을 위하여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기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자기주식수(주) 801,343 952,644
취득원가 23,658,027 29,006,698
지분율(%) 7.39% 8.79%


29. 이익잉여금

(1) 이익잉여금의 구성내역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연구및인력개발준비금 1,378,348 1,378,348

미처분이익잉여금  

95,842,581 121,245,370
이익준비금 589,399 292,736

합계

97,810,328 122,916,454


30.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및 관련 계약부채


30.1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연결회사는 수익과 관련해 포괄손익계산서에 다음 금액을 인식하였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외부고객과의 주요 사업관련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37,186,663 127,867,548
기타 원천으로부터의 수익: 임대수익 등 1,430,827 1,307,088
총 수익 138,617,490 129,174,636



(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


연결회사는 다음의 주요 제품라인과 지역에서 재화나 용역을 한 시점에 이전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합니다.

(단위: 천원)

당기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 합계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외부고객으로부터 수익 29,853,516 46,662,073 17,553,518 15,260,797 5,326,302 5,545,918 1,615,182 611,705 14,735,092 22,560 137,186,663

(*) 당기 중 일부 사업부 부문 분류 변경이 반영된 금액입니다.

(단위: 천원)

전기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 합계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외부고객으로부터 수익 31,352,851 44,639,396 15,363,371 14,158,507 6,099,660 3,715,740 1,490,005 1,180,355 9,483,003 384,660 127,867,548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은 유전자 및 유전체 분석, Microarray 분석 그리고 유전자조작 마우스 생산 등을 토대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국내 및 해외에 소재하고 있으며,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금액은 고객이 소재한 지역별로 구분하였습니다(주석39참조).

30.2 고객과의 계약과 관련된 부채  

(1) 연결회사가 인식하고 있는 계약부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계약부채 - 선수금

28,609,758 27,024,890


(2) 계약부채와 관련하여 인식한 수익


전기에서 이월된 계약부채와 관련하여 당기에 수익으로 인식한 수익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의 계약부채 잔액 중 당기에 인식한 수익

NGS사업부문외 13,016,165 13,320,328

31. 판매비와관리비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급여 24,381,037 19,697,482
퇴직급여 1,129,687 1,268,383
복리후생비 2,670,142 1,810,641
운반비 549,413 137,002
지급임차료 76,939 40,225
지급수수료 6,166,159 4,638,560
감가상각비 2,964,485 2,460,255
무형자산상각비 668,452 604,018
세금과공과 764,666 566,394
광고선전비 1,591,179 1,239,886
경상연구개발비 4,266,798 4,101,328
기타 2,840,155 4,251,410
합계 48,069,112 40,815,584


32.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재고자산의 변동 (2,194,363) (998,208)
원재료 및 상품매입액 49,478,863 43,386,681
종업원 급여 43,940,355 38,288,626
감가상각, 무형자산상각 10,973,808 10,671,775
운반비 3,889,993 3,054,695
광고비 1,591,179 1,239,886
지급수수료 11,174,553 8,438,163
기타 14,473,609 13,300,034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및 대손상각비  합계 133,327,997 117,381,652

33. 기타수익과 기타비용

(1) 기타수익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외환차익 1,281,182 990,283
리스료수입 132,005 157,773
외화환산이익 377,113 687,542
유형자산처분이익 405,360 39,404
잡이익 596,843 234,949
관계기업투자처분이익 1,293,005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205,300 28,385,211
합계 4,290,808 30,495,162


(2) 기타비용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외환차손 1,352,223 1,290,923
기부금(*) 3,387,965 5,123,000
외화환산손실 635,044 202,776
기타의대손상각비 449,236 -
관계기업투자처분손실 168,639 699,079
관계기업투자손상차손 7,987,379 8,676,990
유형자산처분손실 1,835 3,606
유형자산폐기손실 73 9
유형자산손상차손 1,248,896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매각예정비유동자산 손상차손 141,266 -
매각예정비유동자산 처분손실 141,266 -
잡손실 393,005 495,764
합계 37,199,911 25,452,147

(*) 당기 중 기타특수관계자에게 3,000백만원 (전기: 4,000백만원)의 기부금을 출연하였습니다(주석38참조).

34. 금융수익과 금융원가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금융수익

이자수익 790,652 769,930
파생상품평가이익 - 1,921,663
소계 790,652 2,691,593
금융원가
차입금 및 기타금융부채 이자비용(*) 904,437 870,403

(*) 당기 중 자본화된 차입원가 168백만원이 차감된 금액입니다.

35. 주당순이익

(1) 주당이익의 내역

(단위 : 원)
구분 당기 전기
기본주당이익(손실) (2,212) 114
희석주당이익(손실) (2,212) 114


(2) 기본주당손익

(단위: 주, 원)
구분 당기 전기
지배기업소유주지분귀속 당기순손익 (22,252,588,245) 1,111,858,468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54,130
기본주당손익 (2,212) 114


(3) 기본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단위: 주)
구분 당기 전기
기초 9,888,756 9,757,870
자기주식 취득 (11,747) (72,137)
자기주식 처분 182,373 4,785
전환사채 행사 - 63,612
기본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54,130


(4) 희석주당손익

(단위: 주, 원)
구분 당기 전기
지배기업소유주지분귀속 당기순손익 (22,252,588,245) 1,111,858,468
희석당기순손익 (22,252,588,245) 1,111,858,468
희석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60,425
희석주당손익 (2,212) 114


(5) 희석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단위: 주)
구분 당기 전기
기본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54,130
주식선택권(*1) - 6,295
희석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60,425

(*1) 부여된 주식선택권 중 전기에 희석효과가 발생한 4차부여 주식선택권에 대해 주식선택권이 기초에 행사된 것으로 가정하여 자기주식법(Treasury Stock Method)으로 산정하였습니다. 한편, 4차부여 이외의 부여분은 당기 및 전기에 반희석효과 때문에 희석주당이익을 계산할 때 고려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미래에 기본주당이익을희석할수 있습니다(주석27참조).

36.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순이익(손실) (22,005,353) 2,312,091
조정:
이자수익 (790,652) (769,930)
이자비용 904,437  870,403
법인세비용 (7,098,396) 12,591,726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이익 (205,300) (28,385,21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관계기업지분법손실 1,370,356 3,753,370
관계기업투자처분이익 (1,293,005)  -
관계기업투자처분손실 168,639 699,079
관계기업투자손상차손 7,987,379  8,676,990
재고자산평가손실 220,146  185,682
재고자산폐기손실 596,804  449,842
급여 및 상여 262,000 301,136
퇴직급여 (850,649)  1,875,174
대손상각비(환입) 234,844  (450,145)
기타의대손상각비 449,236 -
감가상각비 10,289,536  10,067,757
무형자산상각비 684,272  604,018
유형자산손상차손 1,248,895 -
기타 142,500 506,586
운전자본의 변동: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2,322,486)  5,382,621
기타금융자산의 감소(증가) 1,907,643  1,216,298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2,264,937)  (1,771,868)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100,149  (949,188)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2,182,794  (2,045,560)
기타금융부채의 증가(감소) (1,667,678)  3,148,027
기타유동부채의 증가(감소) 1,847,385 (1,276,078)
순확정급여부채의 증가(감소) (300,000)  (1,849,27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13,091,643 24,103,549


(2) 현금의 유입ㆍ유출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

(단위: 천원)
과목 당기 전기
건설중인자산의 대체 294,800 2,808,683
유형자산취득 미지급금 808,595 730,400
투자부동산의 유형자산 대체 182,975 7,736,881
유형자산의 금융리스채권 대체 (767,032) -
전환사채 전환으로 인한 자본의 증가 - 5,004,076
사용권자산 및 리스부채의 증가 5,187,323 3,471,874

(3)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조정내용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차입금 리스부채 장기미지급금
(국고보조금)
합계 차입금 전환사채 리스부채 장기미지급금
(국고보조금)
합계
기초 31,030,240 3,450,739 272,809 34,753,788 31,054,260 4,839,312 1,326,635 216,200 37,436,407
취득 34,800,000 5,187,323 358,845 40,346,168 - - 3,458,039 59,730 3,517,769
재무활동 현금흐름 (30,000,000) (2,776,250) - (32,776,250) - - (1,401,027) (3,121) (1,404,148)
비현금 이자비용 - 99,676 - 99,676 - 160,688 60,933 - 221,621
전환권행사 - - - - - (5,000,000) - - (5,000,000)
기타 77,060 92,042 - 169,102 (24,020) - 6,159 - (17,861)
기말 35,907,300 6,053,530 631,654 42,592,484 31,030,240 - 3,450,739 272,809 34,753,788


37. 우발상황과 약정사항


(1) 수기특약 및 전자상거래 특약

연결회사는 당기말과 전기말 (주)현대카드, (주)비씨카드와 수기특약 및 전자상거래 특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이 약정과 관련하여 보증금 75백만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차입 약정

(단위: 천원)
당기말 금융기관 한도액 실행액 기간
산업시설자금대출 KDB산업은행(*) 12,000,000 4,800,000 2022.10.26~2032.10.26
산업시설자금대출 21,000,000 21,000,000 2022.06.28~2025.06.28
산업운영자금대출 9,000,000 9,000,000 2022.06.28~2023.06.28
운전자금대출 Mizuho Bank JPY 100,000,000 JPY 100,000,000 2020.08.14~2023.08.13

(*) 차입금에 대하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504억원이 담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단위: 천원)
전기말 금융기관 한도액 실행액 기간
중소기업시설자금대출 IBK기업은행(*)       21,000,000 21,000,000 2019.06.28~2022.06.28
일반기업자금대출    9,000,000    9,000,000 2021.11.02~2022.11.02
운전자금대출 Mizuho Bank JPY 100,000,000 JPY 100,000,000 2020.08.14~2023.08.13

(*) 차입금에 대하여 투자부동산 360억원이 담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3) 담보제공자산

-당기말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차입액 담보권자
유형자산 및 투자부동산
(토지, 건물)
49,594,627 50,400,000 34,800,000 KDB 산업은행


-전기말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차입액 담보권자
유형자산 및 투자부동산
(토지, 건물)
47,217,272 36,000,000 30,000,000 IBK 기업은행


(4) 서울보증보험

연결회사는 당기말 현재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계약이행 등과 관련하여 4,677백만원(전기말: 3,492백만원)의 지급보증을 제공 받고 있습니다.

(5) 연구용역계약

연결회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WC300프로젝트 기술개발지원사업 과제와 관련된 연구용역계약 및 기술실시 계약을 체결하고 동 기관으로부터 국고보조금을 수령하였습니다. 동 계약에 따르면, 연결회사는 동 연구개발을 완료한 후에 기술사용을 위하여 기술료를 지급하여야 합니다.

(6) 라이선스 계약

연결회사는 관계기업인 Microba Life Sciences Ltd.와 아시아시장에서의 Microbiome 분석 서비스의 제공과 관련하여 독점적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7) 기부금약정

1) 연결회사는 당기 중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기타 특수관계자인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에 3,000백만원을 추가로 출연하기로 하였으며, 당기 중 전액 출연하였습니다(주석33참조).

2) 연결회사는 전기 이전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기타 특수관계자인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에 4,000백만원을 출연하기로 하였으며, 전기말 현재 전액 출연하였습니다(주석33참조).

3) 연결회사는 전기 중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연구재단에 1,000백만원을 출연하기로 하였으며, 전기 중 전액 출연하였습니다(주석33참조).

(8) 연결회사는 당기 중 (주)랩지노믹스와 사업시너지 및 우호관계를 목적으로 각사가 보유중인 자기주식을 상호 양수도교환하였습니다. 양사는 동 거래 이후 상대방의 주식을 추가적으로 취득할 수 없으며, 상대방의 승인 없이는 2023년 4월 30일까지 처분이 불가능합니다. 양사는 서로의 교환 주식에 대해 2023년 5월 1일부터 1년간 우선매수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기 말 현재 연결회사는 랩지노믹스의 총 발행주식 33,991,623주 중 667,644주(지분율 약 1.96%), 랩지노믹스는 지배회사의 총 발행주식 10,841,400주 중 200,883주(지분율 약 1.85%)를 각각 소유하고 있습니다.

(9) 연결회사는 당기 중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과 송도국제도시 인천테크노파크확대조성단지, 첨단산업클러스터(B) 내 연구소 유치를 목적으로 토지매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개발을 수행하여야 하며, 매매계약체결일로부터 1년 이내 착공하여야 하고, 착공일로부터 2년이내 건축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착공과 준공은 각 1회에 한해 6개월까지 연장 요청이 가능하며, 개발착수기한 또는 개발완공기한을 준수하지 못할 시,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은 환매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회사는 계약체결일로부터 5년 동안은 해당 목적 토지 및시설에 대해 근저당 설정 등의 담보로 제공하거나, 제 3자에게 매각이 불가능하며,이를 어길 시 목적 토지의 소유권을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에게 인도하여야 합니다.

(10) 연결회사는 2016년에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산업특별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 입주를 목적으로 세종 소재 토지 매수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1년 취득이 완료되었습니다. 회사는 동 산업단지의 개발과 관련하여 세종특별자치시와 입주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당기말 현재 산업단지 건설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회사가 취득한 토지를 상기 법률상 정해진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할 시, 세종특별자치시는 해당 토지를 환수할 수 있습니다.

38. 특수관계자 거래

(1) 특수관계자 현황

구분 당기말 전기말 당기 전기
관계기업 Psomagen, Inc.(*1) Psomagen, Inc.(*1) Psomagen, Inc. Psomagen, Inc.
Microba Life Sciences Ltd. Microba Life Sciences Ltd. Microba Life Sciences Ltd. Microba Life Sciences Ltd.
(주)헬스브리즈 (주)헬스브리즈 (주)헬스브리즈 (주)헬스브리즈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3)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3)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3)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3)
공우생명정보재단 공우생명정보재단 공우생명정보재단 공우생명정보재단


(2) 주요 거래내역  

(단위: 천원, USD)
구분 회사명 당기
매출 등 매입 등(*1)
관계기업 Psomagen, Inc. 389,641 64,550
(주)헬스브리즈 3,600 2,601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826,909 3,159,792
공우생명정보재단 30,870 -
합계 1,251,020 3,226,943

(*1) 매입 등에는 기부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3, 37참조).

(단위: 천원, USD)
구분 회사명 전기
매출 등 매입 등
관계기업 Psomagen, Inc. 867,520 14,122
(주)헬스브리즈 3,600 76,453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715,547 4,208,233
공우생명정보재단 40,530 -
합계 1,627,197 4,298,808

(*1) 매입 등에는 기부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6참조).

(3) 주요 채권 및 채무 내역

(단위: 천원)
구분 회사명 당기말
매출채권 기타채권(*1) 기타채무
관계기업 Psomagen, Inc. 465,364 72 36,737
(주)헬스브리즈 - - 73,150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
의료재단 진헬스의원
25,850 2,466,368 676,444
공우생명정보재단 990 1,320 20,000
합계 492,204 2,467,760 806,331

(*1) 연결회사는 관계기업 등에 기계장치 등 금융리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기말 현재 금융리스 채권 잔액은 2,360백만원입니다(주석20참조)

(단위: 천원)
구분 회사명 전기말
매출채권 기타채권(*1) 기타채무
관계기업 Psomagen, Inc. 822,136 2,707,947 34,464
(주)헬스브리즈 - - -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
의료재단 진헬스의원
28,325 3,059,876 821,569
공우생명정보재단 2,673 1,320 20,000
합계 853,134 5,769,143 876,033

(*1) 연결회사는 관계기업 등에 기계장치 등 금융리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기말 현재 금융리스 채권 잔액은 4,000백만원입니다(주석20참조)

(4) 당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 거래내역은 없으며,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자금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전기

회사명

출자

관계기업 Microba Life Sciences Ltd. 604,737
합계 604,737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 경영진에는 회사의 활동의 계획, 운영 및 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이사(비상임 포함) 및 감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종업원 용역의 대가로서 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됐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급여   3,869,639 2,721,605
퇴직급여     244,802 221,733
주식보상비용              - 1,948,193
합계   4,114,441 4,891,531


(6) 특수관계자에 대해 당기에 지급한 배당금은 368백만원입니다.

39. 영업부문 정보

(1) 연결회사의 보고부문 구분에 대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결회사 경영진은 자원배분과 성과평가를 수행하는 부문에서 검토 및 보고한 정보에 기초하여 사업부문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은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영업손익에 근거하여 성과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사업부문의 성과를 영업손익에 근거해서 평가하고 있으며, 이는 당기 포괄손익계산서에 보고된 내용과 차이가 없습니다.

1) 수익 및 부문별 영업손익

(단위: 천원)
구분 당기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
분석매출 제품매출 분석매출 제품매출 분석매출 제품매출 분석매출 상품매출 분석매출 상품매출 임대매출 분석매출 제상품매출 임대매출
보고부문수익 76,515,588 - 23,512,454 9,301,861 6,928,774 3,943,446 2,043,525 183,362 11,842,250 2,915,403 1,430,827 120,842,591 16,344,072 1,430,827
보고부문영업이익 4,836,399 - 1,162,967 845,289 951,468 -52,633 -1,385,065 -332,357 -1,917,488 404,917 775,995 3,648,281 865,216 775,995


(단위: 천원)
구분 전기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
분석매출 제품매출 분석매출 제품매출 분석매출 제품매출 분석매출 상품매출 분석매출 상품매출 임대매출 분석매출 제상품매출 임대매출
보고부문수익 75,990,643 1,820 21,506,135 8,015,743 5,819,120 3,996,280 2,354,896 315,247 8,565,013 1,302,650 1,307,088 114,235,808 13,631,740 1,307,088
보고부문영업이익 9,831,426 964 1,891,230 785,688 1,405,703 298,141 (2,720,174) (52,998) (651,631) 240,661 763,974 9,756,554 1,272,456 763,974

2) 부문별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 정보

영업손익에 포함된 각 사업부문별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상각비, 투자부동산상각비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기

전기

NGS부문 5,686,695 6,280,979

CES부문

1,600,543 1,325,798

게놈응용부문

120,268 68,451
임상진단부문 143,409 88,336
기타부문(*) 3,422,895 2,908,211

합계

10,973,810 10,671,775

(*1) 일부 감가상각비 및 무형자산 상각비 중 각 보고부문으로 배부되지 않는 비용은 기타부문으로 표시했습니다.

3) 당기 및 전기 중 고객의 지역별 위치에 따른 매출 및 사업장 소재지에 따른 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같습니다.

(단위: 천원)  

해당 국가

당기 전기
매출액 비유동자산(*) 매출액 비유동자산(*)
한국 70,514,435 90,235,513 65,220,769 79,059,731
유럽 21,492,184 4,772,071 22,712,600 3,927,555
미국 474,205 - 1,217,092 -
호주 1,437,467 - 1,508,623 -
일본 21,828,310 5,925,418 23,121,444 4,347,047
기타국가 22,870,888 237,035 15,394,108 1,632,602

합계

138,617,489 101,170,037 129,174,636 88,966,935

(*) 비유동자산은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의 합계입니다.


4.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제 27 기          2022.12.31 현재

제 26 기          2021.12.31 현재

제 25 기          2020.12.31 현재

(단위 : 원)

 

제 27 기

제 26 기

제 25 기

자산

     

 유동자산

75,489,061,194

83,085,910,596

85,733,603,590

  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3,760

30,007,420,504

21,173,236,924

  단기금융상품

10,100,000,000

22,100,000,000

28,844,645,974

  매출채권

18,273,061,119

16,074,977,541

20,774,382,065

  기타유동금융자산

1,815,250,421

2,283,077,745

1,624,055,162

  재고자산

11,458,351,199

9,752,622,552

9,968,867,701

  매각예정 또는 소유주에 대한 분배예정으로 분류된 비유동자산이나 처분자산집단

250,804,450

   

  단기금융리스채권

1,685,820,351

1,844,434,861

2,491,987,434

  당기법인세자산

372,389,920

48,127,408

 

  기타유동자산

692,959,974

975,249,985

856,428,330

 비유동자산

136,691,274,563

141,929,899,449

123,784,372,180

  장기매출채권

401,077,174

401,077,174

899,528,835

  장기금융리스채권

3,515,260,194

5,174,342,084

6,556,988,631

  비유동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18,832,426,668

39,520,210,659

18,992,999,521

  비유동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

4,908,790,950

   

  종속기업, 조인트벤처와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15,288,277,589

15,260,557,589

14,362,380,589

  유형자산

52,543,255,228

41,927,432,637

32,093,413,748

  영업권 이외의 무형자산

2,040,933,322

1,255,497,529

1,218,655,820

  투자부동산

35,713,815,202

36,145,388,008

43,580,785,897

  기타비유동금융자산

2,522,138,186

2,245,393,769

4,324,931,097

  순확정급여자산

44,657,696

   

  이연법인세자산

880,642,354

 

1,754,688,042

 자산총계

212,180,335,757

225,015,810,045

209,517,975,770

부채

     

 유동부채

46,311,428,022

65,487,861,403

50,404,471,614

  매입채무

5,998,933,685

3,916,396,056

5,352,851,759

  단기차입금

9,000,000,000

9,000,000,000

9,0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21,000,000,000

 

  기타유동금융부채

10,468,198,670

10,827,179,532

7,995,263,210

  당기법인세부채

 

817,410,464

391,666,922

  유동성전환사채

   

4,839,312,003

  기타유동부채

20,844,295,667

19,926,875,351

22,825,377,720

 비유동부채

27,474,913,245

7,048,357,283

23,576,535,150

  장기차입금

25,800,000,000

 

21,00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1,413,324,417

2,163,449,593

  기타비유동금융부채

1,674,913,245

1,812,685,470

413,085,557

  이연법인세부채

 

3,822,347,396

 

 부채총계

73,786,341,267

72,536,218,686

73,981,006,764

자본

     

 자본금

5,420,700,000

5,420,700,000

5,315,827,000

 주식발행초과금

94,179,142,144

94,179,142,144

88,877,363,375

 기타자본구성요소

(17,832,292,009)

(22,309,261,082)

(19,961,623,896)

 이익잉여금(결손금)

57,433,155,778

75,189,010,297

61,305,402,527

 기타포괄손익누계액

(806,711,423)

   

 자본총계

138,393,994,490

152,479,591,359

135,536,969,006

자본과부채총계

212,180,335,757

225,015,810,045

209,517,975,770


포괄손익계산서

제 2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25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27 기

제 26 기

제 25 기

수익(매출액)

107,283,583,814

100,085,516,637

90,534,090,041

매출원가

64,859,484,146

60,568,738,168

56,713,587,640

매출총이익

42,424,099,668

39,516,778,469

33,820,502,401

판매비와관리비

37,646,173,706

32,601,166,029

29,654,776,499

대손상각비

129,862,645

(268,870,961)

275,780,589

영업이익(손실)

4,648,063,317

7,184,483,401

3,889,945,313

금융수익

916,586,073

2,856,115,999

1,151,250,684

금융원가

830,443,496

828,769,843

748,437,588

기타이익

2,855,578,751

30,708,545,816

10,866,669,907

기타손실

27,449,506,508

16,530,820,777

11,038,758,83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9,859,721,863)

23,389,554,596

4,120,669,483

법인세비용

4,957,404,780

7,066,708,798

1,273,371,140

당기순이익(손실)

(14,902,317,083)

16,322,845,798

2,847,298,343

기타포괄손익

(693,622,059)

(488,122,972)

(177,550,519)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693,622,059)

(488,122,972)

(177,550,519)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손익(세후기타포괄손익)

113,089,364

(488,122,972)

(177,550,519)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806,711,423)

   

총포괄손익

(15,595,939,142)

15,834,722,826

2,669,747,824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481)

1,673

290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481)

1,672

290

자본변동표

제 2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25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손익누계액

기타자본구성요소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2020.01.01 (기초자본)

5,302,727,000

88,017,446,375

 

(16,951,687,127)

58,635,654,703

135,004,140,951

당기순이익(손실)

       

2,847,298,343

2,847,298,34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77,550,519)

(177,550,519)

주식선택권 행사

13,100,000

859,917,000

 

(339,958,000)

 

533,159,000

주식기준보상거래

     

979,734,131

 

979,734,131

전환권행사

           

자기주식 취득

           

자기주식 처분

     

(3,649,812,900)

 

(3,649,812,900)

배당금지급

           

2020.12.31 (기말자본)

5,315,827,000

88,877,363,375

 

(19,961,623,896)

61,305,402,527

135,536,969,006

2021.01.01 (기초자본)

5,315,827,000

88,877,363,375

 

(19,961,623,896)

61,305,402,527

135,536,969,006

당기순이익(손실)

       

16,322,845,798

16,322,845,79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488,122,972

488,122,972

주식선택권 행사

           

주식기준보상거래

     

557,996,904

 

557,996,904

전환권행사

104,873,000

5,301,778,769

 

(405,576,600)

 

5,001,075,169

자기주식 취득

     

(2,799,898,800)

 

(2,799,898,800)

자기주식 처분

     

299,841,310

 

299,841,310

배당금지급

       

2,927,361,000

2,927,361,000

2021.12.31 (기말자본)

5,420,700,000

94,179,142,144

 

(22,309,261,082)

75,189,010,297

152,479,591,359

2022.01.01 (기초자본)

5,420,700,000

94,179,142,144

 

(22,309,261,082)

75,189,010,297

152,479,591,359

당기순이익(손실)

       

(14,902,317,083)

(14,902,317,08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806,711,423)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13,089,364

113,089,364

주식선택권 행사

           

주식기준보상거래

     

75,182,612

 

75,182,612

전환권행사

           

자기주식 취득

     

(1,605,818,900)

 

(1,605,818,900)

자기주식 처분

     

6,007,605,361

 

6,007,605,361

배당금지급

       

2,966,626,800

2,966,626,800

2022.12.31 (기말자본)

5,420,700,000

94,179,142,144

(806,711,423)

(17,832,292,009)

57,433,155,778

138,393,994,490


현금흐름표

제 27 기 2022.01.01 부터 2022.12.31 까지

제 26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제 25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원)

 

제 27 기

제 26 기

제 25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8,351,639,600

18,470,439,846

14,116,918,763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9,262,079,665

20,012,279,596

15,080,672,716

 이자수취(영업)

629,221,165

362,605,806

948,972,681

 이자지급(영업)

(841,803,714)

(652,509,571)

(557,279,035)

 법인세납부(환급)

(697,857,516)

(1,251,935,985)

(1,355,447,599)

투자활동현금흐름

(12,651,940,227)

(4,083,241,142)

(943,822,836)

 장단기금융상품의 증가

(57,200,000,000)

(45,103,709,259)

(57,002,364,701)

 장단기금융상품의 감소

69,200,000,000

51,848,355,233

67,863,372,444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취득

(400,000,000)

(1,200,000,000)

(1,000,050,00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처분

 

98,000,000

59,000,000

 유형자산의 취득

(16,487,131,267)

(7,764,450,354)

(11,139,564,480)

 유형자산의 처분

18,863,637

34,209,091

21,863,636

 무형자산의 취득

(1,422,889,462)

(198,723,518)

(633,110,864)

 무형자산의 처분

     

 투자부동산의 취득

 

(583,797,200)

(5,420,531,610)

 기타금융자산의 취득

(74,087,819)

(292,523,959)

(122,462,261)

 기타금융자산의 처분

370,163,960

609,560,824

84,000,000

 대여금의 증가

(1,820,000,000)

(160,000,000)

(4,272,135,000)

 대여금의 감소

139,647,124

152,800,000

10,618,160,000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취득

 

(1,522,962,000)

 

 임차보증금의 증가

     

 임차보증금의 감소

     

 기타포괄손익인식금융자산의취득

(5,227,310,900)

   

 매각예정비유동자산의 처분

250,804,500

   

재무활동현금흐름

5,346,305,508

(5,529,397,969)

(4,042,314,480)

 차입금의 증가

34,800,000,000

   

 차입금의 상환

(30,000,000,000)

   

 정부보조금의 수령

358,844,568

59,729,884

 

 정부보조금의 반환

 

(3,121,200)

 

 리스부채의 상환

(569,115,221)

(455,033,783)

(668,607,680)

 자기주식의 취득

(1,605,818,900)

(2,799,898,800)

(3,649,812,900)

 임대보증금의 증가

 

1,160,600,000

110,000,000

 임대보증금의 감소

 

(560,017,600)

(367,052,900)

 배당금지급

(2,964,601,800)

(2,927,361,000)

 

 주식발행비용

 

(3,000,780)

 

 자기주식의 처분

5,326,996,861

(1,294,690)

 

 주식선택권행사

   

533,159,000

환율변동효과 반영전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감소)

1,046,004,881

8,857,800,735

9,130,781,447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30,007,420,504

21,173,236,924

12,087,821,733

현금및현금성자산에 대한 환율변동효과

213,001,625

(23,617,155)

(45,366,256)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3,760

30,007,420,504

21,173,236,924


5. 재무제표 주석

당기 : 2022년 1월 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전기 :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마크로젠


1. 일반 사항


주식회사 마크로젠(이하 "회사")은 1997년 설립되어 2000년 2월에 한국거래소가 개설한 코스닥 시장에 상장한 이후 현재까지 유전체 분석, 올리고 합성, Microarray 분석, 유전자 편집 마우스 생산, 임상진단서비스, 개인유전체분석서비스를 주요 사업 부문으로 하여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그 동안 수차례의 증자 등을 실시하여 당기말 현재의 자본금은 보통주 자본금 5,421백만원이며, 당기말 현재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소유주식수(주) 지분율(%)
서정선 및 특수관계인 1,228,609 11.33
자기주식 801,343 7.39
기타 8,811,448 81.28
10,841,400 100.00


2. 중요한 회계정책

다음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중요한 회계정책입니다. 이러한 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다면, 표시된 회계기간에 계속적으로 적용됩니다.


2.1 재무제표 작성 기준


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이하 기업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됐습니다.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발표한 기준서와 해석서 중대한민국이 채택한 내용을 의미합니다.

재무제표는 다음을 제외하고는 역사적 원가에 기초하여 작성하였습니다.

- 특정 금융자산과 금융부채(파생상품 포함),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특정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유형
- 순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매각예정자산
- 확정급여제도와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사외적립자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재무제표 작성 시 중요한 회계추정의 사용을 허용하고 있으며, 회계정책을 적용함에 있어 경영진의 판단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다 복잡하고 높은 수준의 판단이 필요한 부분이나 중요한 가정 및 추정이 필요한 부분은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2.2.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회사는 2022년 1월 1일로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다음의 제 ·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를 신규로 적용하였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 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 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영향은 없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4)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2.2.2 회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4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검토 중에 있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를 정의하고 이를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 중에 있습니다.


(3)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5)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을 적용한 기업은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준서의 개정으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를 최초로 적용하는 기업은 비교기간에 대해 선택적 분류 조정('overlay')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류 조정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계약과 연관성이 없는 금융자산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금융자산에 분류 조정을 적용하는 기업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분류와 측정 요구사항을 해당 금융자산에 적용해왔던 것처럼 비교정보를 표시하며며, 이러한 분류 조정은 상품별로 적용할 수 있습니다.

(6)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 재무제표 표시 ' - 행사가격 조정 조건이 있는 금융부채 평가손익 공시

발행자의 주가 변동에 따라 행사가격이 조정되는 조건이 있는 금융상품의 전부나 일부가 금융부채로 분류되는 경우 그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관련 손익을 공시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동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3 종속기업, 관계기업투자

회사는 종속기업,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를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라 원가법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으로부터의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4 외화환산


(1)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회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뤄지는 주된 경제 환경에서의 통화("기능통화")를 적용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기능통화는 대한민국 원화이며, 재무제표는 대한민국 원화로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외화거래와 보고기간말의 환산


외화거래는 거래일의 환율 또는 재측정되는 항목인 경우 평가일의 환율을 적용한 기능통화로 인식됩니다. 외화거래의 결제나 화폐성 외화 자산ㆍ부채의 환산에서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비화폐성 금융자산ㆍ부채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공정가치 변동손익의 일부로 보아 당기손익인식지분상품으로부터 발생하는 외환차이는 당기손익으로, 매도가능지분상품의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에 포함하여 인식됩니다.


2.5 금융자산

(1) 분류
 

회사는 다음의 측정 범주로 금융자산을 분류합니다.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자산의 관리를 위한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에근거하여 분류합니다.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손익은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채무상품에 대한 투자는 해당 자산을 보유하는 사업모형에 따라 그 평가손익을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을 변경하는 경우에만 채무상품을 재분류합니다.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는 최초 인식시점에 후속적인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을 할 수 있습니다. 지정되지 않은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 측정


회사는 최초 인식시점에 금융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경우에 해당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공정가치에 가산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의 거래원가는 당기손익으로 비용처리합니다.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복합계약은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결정할 때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① 채무상품

금융자산의 후속적인 측정은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과 그 금융자산을 관리하는 사업모형에 근거합니다. 회사는 채무상품을 다음의 세 범주로 분류합니다.

(가) 상각후원가
계약상 현금흐름을 수취하기 위해 보유하는 것이 목적인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자산은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으로서 위험회피관계의 적용 대상이 아닌 금융자산의 손익은 해당 금융자산을 제거하거나 손상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계약상 현금흐름의 수취와 금융자산의 매도 둘 다를 통해 목적을 이루는 사업모형 하에서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리금만으로 구성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손상차손(환입)과 이자수익 및 외환손익을 제외하고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평가손익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합니다. 금융자산을 제거할 때에는 인식한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을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유효이자율법에 따라 인식하는 금융자산의 이자수익은  '금융수익'에 포함됩니다. 외환손익은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하고 손상차손은 '기타 비용'으로 표시합니다.

(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이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이 아닌 채무상품은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됩니다. 위험회피관계가 적용되지 않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의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발생한 기간에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② 지분상품


회사는 모든 지분상품에 대한 투자를 후속적으로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할 것을 선택한 장기적 투자목적 또는 전략적 투자목적의 지분상품에 대해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해당 지분상품을 제거할 때에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지분상품에 대한 배당수익은 회사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된 때 '금융수익'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변동은 손익계산서에 '기타수익 또는 기타비용'으로 표시합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지분상품에대한 손상차손(환입)은 별도로 구분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3) 손상


회사는 미래전망정보에 근거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거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로 측정하는 채무상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합니다. 손상 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 매출채권 대해 회사는 채권의 최초 인식시점부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
(회사가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는지를 결정하는 방법은 주석 4.1.2 참조)

(4) 인식과 제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 또는 매도는 매매일에 인식하거나 제거합니다. 금융자산은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을 양도하고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한 경우에 제거됩니다.


회사가 금융자산을 양도한 경우라도 채무자의 채무불이행시의 소구권 등으로 양도한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회사가 보유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거하지 않고 그 양도자산 전체를 계속하여 인식하되, 수취한 대가를 금융부채로 인식합니다. 해당 금융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차입금'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의 상계

금융자산과 부채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을 때 상계하여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합니다.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는 미래사건에 좌우되지 않으며, 정상적인 사업과정의 경우와 채무불이행의 경우 및 지급불능이나 파산의 경우에도 집행가능한 것을 의미합니다.



2.6 매출채권


매출채권은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무조건적인 대가의 금액으로, 유의적인 금융요소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공정가치로 최초 인식합니다. 매출채권은 후속적으로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에 손실충당금을 차감하여 측정됩니다(회사의 매출채권 회계처리에 대한 추가적인 사항은 주석 11, 손상에 대한 회계정책은 주석 4.1.2 참조).


2.7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되고, 재고자산의 원가는 미착품을 제외하고는 이동평균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2.8 매각예정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

비유동자산(또는 처분자산집단)은 장부금액이 매각거래를 통하여 주로 회수되고, 매각될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경우에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며, 그러한 자산은 장부금액과 순공정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2.9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역사적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역사적 원가는 자산의 취득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지출을 포함합니다.

토지를 제외한 자산은 취득원가에서 잔존가치를 제외하고, 다음의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에 걸쳐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목

추정 내용연수

건물

30년

기계장치 6년
차량운반구 5년
공구와기구 5년
비품 4년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과 잔존가치 및 경제적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되고 필요한 경우 추정의 변경으로 조정됩니다.


2.10 차입원가

적격자산을 취득 또는 건설하는 데 발생한 차입원가는 해당 자산을 의도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기간 동안 자본화되고,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특정목적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발생한 투자수익은 당 회계기간 동안 자본화 가능한 차입원가에서 차감됩니다.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11 정부보조금

정부보조금은 보조금의 수취와 정부보조금에 부가된 조건의 준수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때 공정가치로 인식됩니다. 자산관련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계산할 때 차감하여 표시되며, 수익관련보조금은 이연하여 정부보조금의 교부 목적과 관련된 비용에서 차감하여 표시됩니다.

2.12 무형자산

영업권을 제외한 무형자산은 역사적 원가로 최초 인식되고,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한정된 내용연수를 가지는 다음의 무형자산은 추정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과목

추정 내용연수

특허권 5년
소프트웨어 4년


2.13 투자부동산

임대수익이나 투자차익을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부동산은 투자부동산으로 분류됩니다. 투자부동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되며, 최초 인식 후에는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됩니다. 투자부동산 중 토지를 제외한 투자부동산은 추정 경제적 내용연수 30년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됩니다.

2.14 비금융자산의 손상

영업권이나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에 대하여는 매년, 상각대상 자산에 대하여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영업권 이외의 비금융자산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말에 환입가능성이 검토됩니다.

2.15 매입채무와 기타 채무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회사가 보고기간말 전에 제공받은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대가를 지급하지 않은 부채입니다. 해당 채무는 무담보이며, 인식 후에 통상 60일 이내에 지급됩니다. 매입채무와 기타채무는 보고기간 후 12개월 후에 지급기일이 도래하는 것이 아니라면 재무상태표에서 유동부채로 표시합니다. 해당 채무는 최초에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이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2.16 금융부채

(1) 분류 및 측정

회사의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는 단기매매목적의 금융상품입니다. 주로 단기간 내에 재매입할 목적으로 부담하는 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또한, 위험회피회계의 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이나 금융상품으로부터 분리된 내재파생상품도 단기매매금융부채로 분류됩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금융보증계약,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조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를 제외한 모든 비파생금융부채는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로 분류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 상 '매입채무', '차입금' 및 '기타금융부채' 등으로 표시됩니다.

차입금은 공정가치에서 발생한 거래원가를 차감한 금액으로 최초 인식하고 이후 상각후원가로 측정합니다. 받은 대가(거래원가 차감 후)와 상환금액의 차이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차입한도를 제공받기 위해 지급한 수수료는 차입한도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은(probable) 범위까지는 차입금의 거래원가로 인식합니다. 이 경우 수수료는 차입을 실행할 때까지 이연합니다. 차입한도약정의 일부나 전부로써 차입을 실행할 가능성이 높다는 증거가 없는 범위의 관련 수수료는 유동성을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한 선급금으로서 자산으로 인식 후 관련된 차입한도기간에 걸쳐 상각합니다.

특정일에 의무적으로 상환해야 하는 우선주는 부채로 분류됩니다. 이러한 우선주에 대한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비용은 다른 금융부채에서 인식한 이자비용과 함께 포괄손익계산서 상 '금융원가'로 인식됩니다.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무조건의 권리를 가지고 있지 않다면 차입금은 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2) 제거

금융부채는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되어 소멸되거나 기존 금융부채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에 재무상태표에서 제거됩니다.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양도한 비현금자산이나 부담한 부채를 포함)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2.17 금융보증계약

회사가 제공한 금융보증계약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후속적으로는 다음 중 큰 금액으로 측정하여 '기타금융부채'로 인식됩니다.

(1) 금융상품의 손상규정에 따라 산정한 손실충당금
(2) 최초 인식금액에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에 따라 인식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2.18 복합금융상품

회사가 발행한 복합금융상품은 보유자의 선택에 의해 지분상품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사채입니다.

동 복합금융상품의 부채요소는 최초에 동일한 조건의 전환권이 없는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로 인식되며, 자본요소는 복합금융상품 전체의 공정가치와 부채요소의 공정가치의 차이로 최초 인식됩니다. 복합금융상품의 발행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거래원가는 부채요소와 자본요소의 최초 인식 금액에 비례하여 배분됩니다.

2.19 충당부채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 법적의무나 의제의무가 존재하고, 그 의무를 이행하기 위한 자원의 유출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금액의 신뢰성 있는 추정이 가능한 경우 판매보증충당부채, 복구충당부채 및 소송충당부채 등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측정되며, 시간경과로 인한 충당부채의 증가는 이자비용으로 인식됩니다.

2.20 당기법인세 및 이연법인세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로 구성됩니다. 법인세는 기타포괄손익이나 자본에 직접 인식된 항목과 관련된 금액은 해당 항목에서 직접 인식하며, 이를 제외하고는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법인세비용은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됐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법을 기준으로 측정됩니다.

경영진은 적용 가능한 세법 규정이 해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상황에 대하여 회사가 세무신고 시 적용한 세무정책에 대하여 주기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과세당국에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에 기초하여 당기법인세비용을 인식합니다.

이연법인세는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과 세무기준액의 차이로 발생하는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장부금액을 회수하거나 결제할 때의 예상 법인세효과로 인식됩니다. 다만,사업결합 이외의 거래에서 자산ㆍ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는 그 거래가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면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은 차감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인식됩니다.

종속기업, 관계기업 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는 경우, 그리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 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차감할 일시적 차이에 대하여 일시적 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고 일시적 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만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가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된 경우에 상계합니다. 당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법적으로 상계할 수 있는 권리를 회사가 보유하고 있고, 순액으로 결제할 의도가 있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경우에 상계합니다.

2.21 종업원급여

(1) 퇴직급여

회사의 퇴직연금제도는 확정기여제도와 확정급여제도로 구분됩니다.

확정기여제도는 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 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일반적으로 확정급여제도는 연령, 근속연수나 급여수준 등의 요소에 의하여 종업원이 퇴직할 때 지급받을 퇴직연금급여의 금액이 확정됩니다. 확정급여제도와 관련하여 재무상태표에 계상된 부채는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입니다.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된 보험계리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되며,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그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이자율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됩니다. 한편, 순확정급여부채와 관련한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됩니다.

제도개정, 축소 또는 정산이 발생하는 경우, 과거근무원가 또는 정산으로 인한 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됩니다.

(2) 주식기준보상

종업원에게 부여한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은 부여일에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로 측정되며, 가득기간에 걸쳐 종업원 급여비용으로 인식됩니다.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은 매 보고기간말에 비시장성과조건을 고려하여 재측정되며, 당초 추정치로부터의 변동액은 당기손익과 자본으로 인식됩니다.

주식선택권의 행사시점에 신주를 발행할 때 직접적으로 관련되는 거래비용을 제외한순유입액은 자본금(명목가액)과 주식발행초과금으로 인식됩니다.


(3) 연차충당부채

회사는 종업원이 미래의 연차유급휴가에 대한 권리를 발생시키는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에 연차유급휴가와 관련된 비용과 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종업원의 미사용 연차에 대하여 보상을 하므로 근무용역의 제공으로 발생하는 연차유급휴가 전체에 대하여 비용과 부채를 인식합니다.


2.22 수익인식

수익금액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고, 미래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사의 활동별 특정 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추정은 고객의 유형, 거래의 유형 및 개별 거래조건 등의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1) 분석매출

회사는 고객에게 유전체분석 서비스 등의 용역을 제공합니다. 해당 용역은 단일의무로 수행되며, 고객은 산출물을 제공받은 후에 효익을 얻고 소비합니다.  회사는 이러한 수행의무를 제공함에 있어서, 분석서비스를 완료하여 결과보고서를 고객에게 인도하는 시점에 수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재화의 매출

회사는 제품 및 상품에 대하여 재화의 소유에 따른 중요한 위험과 보상이 이전된 인도시점에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이자수익

이자수익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 유효이자율법에 의해 인식됩니다. 채권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채권금액의 장부금액은 회수가능액까지 감액되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증가하는 부분은 이자수익으로 인식됩니다. 한편, 손상채권에 대한 이자수익은 최초 유효이자율에 의해 인식됩니다.

(4) 배당금 수익

배당수익은 배당금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인식됩니다.

2.23 리스

(1) 리스제공자

회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 운용리스에서 생기는 리스수익은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인식합니다. 운용리스 체결 과정에서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를 기초자산의 장부금액에 더하고 리스료 수익과 같은 기준으로 리스기간에 걸쳐 비용으로 인식합니다. 각 리스된 자산은 재무상태표에서 그 특성에 기초하여 표시하였습니다.

(2) 리스이용자

회사는 다양한 사무실, 장비, 자동차를 리스하고 있습니다. 리스계약은 일반적으로 3~8년의 고정기간으로 체결되지만 아래에서 설명하는 연장선택권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에는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가 모두 포함될 수 있습니다. 회사는 상대적 개별 가격에 기초하여 계약 대가를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에 배분하였습니다. 그러나 회사가 리스이용자인 부동산 리스의 경우 리스요소와 비리스요소를 분리하지 않고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하는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였습니다.
 

리스조건은 개별적으로 협상되며 다양한 계약조건을 포함합니다. 리스계약에 따라 부과되는 다른 제약은 없지만 리스자산을 차입금의 담보로 제공할 수는 없습니다.


회사는 계약이 집행가능한 기간 내에서 해지불능기간에 리스이용자가 연장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과 종료선택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의 그 대상기간을 포함하여 리스기간을 산정합니다. 회사는 리스이용자와 리스제공자가 각각 다른 당사자의 동의 없이 종료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경우 계약을 종료할 때 부담할 경제적 불이익을 고려하여 집행가능한 기간을 산정합니다.
 

리스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는 최초에 현재가치기준으로 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다음 리스료의 순현재가치를 포함합니다.

- 받을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고정리스료(실질적인 고정리스료 포함)
- 개시일 현재 지수나 요율을 사용하여 최초 측정한, 지수나 요율(이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
-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회사(리스이용자)가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
- 회사(리스이용자)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 경우에 그 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
- 리스기간이 회사(리스이용자)의 종료선택권 행사를 반영하는 경우에 그 리스를 종료하기 위하여 부담하는 금액


또한 리스부채의 측정에는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연장선택권에 따라 지급될 리스료를 포함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합니다.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가 비슷한 경제적 환경에서 비슷한 기간에 걸쳐 비슷한 담보로 사용권자산과 가치가 비슷한 자산을 획득하는 데 필요한 자금을 차입한다면 지급해야 할 이자율인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회사는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변동리스료의 경우 지수나 요율이 유효할 때까지 리스부채에 포함하지 않는 변동리스료의 잠재적 미래 증가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지수나 요율에 따라 달라지는 리스료의 조정액이 유효한 시점에서 리스부채를 재평가하고 사용권자산을 조정합니다.


각 리스료는 리스부채의 상환과 금융원가로 배분합니다. 금융원가는 각 기간의 리스부채 잔액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이자율이 산출되도록 계산된 금액을 리스기간에 걸쳐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사용권자산은 다음 항목들로 구성된 원가로 측정합니다.

- 리스부채의 최초 측정금액
- 받은 리스 인센티브를 차감한 리스개시일이나 그 전에 지급한 리스료
- 리스이용자가 부담하는 리스개설직접원가
- 복구원가의 추정치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 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의 기간동안 감가상각합니다. 회사가 매수선택권을 행사할 것이 상당히 확실한(reasonably certain) 경우 사용권자산은 기초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합니다.


장비 및 차량운반구의 단기리스와 모든 소액자산 리스와 관련된 리스료는 정액 기준에 따라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단기리스는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이며,소액리스자산은 IT기기와 소액의 사무실 가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


회사 전체에 걸쳐 다수의 부동산 및 시설장치 리스계약에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조건들은 계약 관리 측면에서 운영상의 유연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보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연장선택권 및 종료선택권은 해당 리스제공자가 아니라 회사가 행사할 수 있습니다. 리스기간의 결정과 관련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에 대한 정보는 주석 3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2.24 재무제표 승인

회사의 재무제표는 2023년 2월 16일자로 이사회에서 승인됐으며, 정기주주총회에서수정승인될 수 있습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재무제표 작성에는 미래에 대한 가정 및 추정이 요구되며 경영진은 회사의 회계정책을 적용하기 위해 판단이 요구됩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 비추어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회계추정의 결과가 실제 결과와 동일한 경우는 드물 것이므로 중요한 조정을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 및 부채 장부금액의 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 판단과 유의적 위험에 대한 추정 및 가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부 항목에 대한 유의적인 판단 및 추정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는 개별 주석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1) 법인세


회사의 과세소득에 대한 법인세는 다양한 국가의 세법 및 과세당국의 결정을 적용하여 산정되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회사는 특정 기간동안 과세소득의 일정 금액을 투자, 임금증가 등에 사용하지 않았을때 세법에서 정하는 방법에 따라 산정된 법인세를 추가로 부담합니다. 따라서, 해당 기간의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를 측정할 때 이에 따른 세효과를 반영하여야 하고, 이로 인해 회사가 부담할 법인세는 각 연도의 투자, 임금증가 등의 수준에 따라 달라지므로 최종 세효과를 산정하는 데에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2)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활성시장에서 거래되지 않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됩니다. 회사는 보고기간말 현재 중요한 시장상황에 기초하여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 및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주석5참조).

(3) 금융자산의 손상


금융자산의 손실충당금은 부도위험 및 기대손실률 등에 대한 가정에 기초하여 측정됩니다. 회사는 이러한 가정의 설정 및 손상모델에 사용되는 투입변수의 선정에 있어서 회사의 과거 경험, 현재 시장 상황, 재무보고일 기준의 미래전망정보 등을 고려하여 판단합니다(주석4.1.2참조).

4. 재무위험관리

4.1 재무위험관리요소

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외환위험, 공정가치이자율위험, 현금흐름이자율위험 및 가격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변동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위험관리는 이사회에서 승인한 정책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사회는 전반적인 위험관리에 대한 문서화된 정책, 외환위험,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파생금융상품과 비파생금융상품의 이용 및 유동성을 초과하는 투자와 같은 특정 분야에 관한 문서화된 정책을 검토하고 승인합니다.


4.1.1 시장위험

(1) 외환위험

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기 때문에 외환위험, 특히 주로 미국 달러화 및 유럽 유로화와 관련된 환율 변동 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회사는 예상환율 상승 및 하락에 따라 외화를 원화로 전환하는 시기를 조절하고 있으며, 예정된 외화 투자금액 이외에는 매출채권 회수대금을 원화로 보유하는 방식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외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회사의 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 JPY, EUR, AUD, GBP, SGD, CLP)
구분 외화종류 당기 전기
화폐성 외화자산 USD 8,708,488 10,282,805
JPY 492,575,459 334,921,103
EUR 3,770,020 4,905,412
AUD 224,386 189,557
GBP 5,094 10,543
SGD 1,589,049 1,697,175
CLP 5,613,056 -
화폐성 외화부채 USD 3,138,807 1,789,895
JPY 39,500 46,000
EUR 1,084,659 1,286,529
AUD - -
GBP 98,159 98,290
SGD 13,224 82,777
CLP 56,570,444 -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회사의 세후 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당기

전기

당기

전기

USD 상승시 550,560 785,331 550,560 785,331
하락시 (550,560) (785,331) (550,560) (785,331)
JPY 상승시 366,191 269,101 366,191 269,101
하락시 (366,191) (269,101) (366,191) (269,101)
EUR 상승시 283,020 378,906 283,020 378,906
하락시 (283,020) (378,906) (283,020) (378,906)
AUD 상승시 15,024 12,699 15,024 12,699
하락시 (15,024) (12,699) (15,024) (12,699)
GBP 상승시 (11,089) (10,953) (11,089) (10,953)
하락시 11,089 10,953 11,089 10,953
SGD 상승시 115,922 110,452 115,922 110,452
하락시 (115,922) (110,452) (115,922) (110,452)
CLP 상승시 (5,883) - (5,883) -
하락시 5,883 - 5,883 -


(2) 가격위험

회사는 재무상태표상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으로 분류되는 회사 보유 지분증권 등의 가격위험에 노출돼 있습니다.

회사는 하나 이상의 직접적 또는 간접적 투자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수준1의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지분증권 등의 장부금액 및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지분증권 등의 가격이 10% 증가 및 감소할 경우 가격변동이 당기의 세후손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 자본에 미치는 영향 세후손익에 미치는 영향 자본에 미치는 영향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 상승시 272,220 272,220 541,320 541,320
10% 하락시 (272,220) (272,220) (541,320) (541,32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0% 상승시 - 328,080 - -
10% 하락시 - (328,080) - -


회사의 투자 금융상품이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주석 6.2 에서설명하고 있습니다.

(3)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금리변동으로 인한 재무상태표 항목의 가치변동(공정가치)위험과 투자 및 재무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이자수익ㆍ비용의 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다른 모든 변수들이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p 변동할 경우, 회사의 이자비용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1%p 상승시 1%p 하락시 1%p 상승시 1%p 하락시
이자비용 116,400 (116,400) - -

4.1.2 신용위험

(1) 위험관리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불이행하여 회사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회사는 채무불이행으로 인한 재무적 손실을 경감시키는 수단으로서 기존고객의 매출채권회수가 지연된 경우 고객에게 연체사실을 고지하고, 수주 금지 및 선수금 수취로 계속거래를 유지하는 정책을 채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선수금을 먼저 받는 매출방법인 EZ-SEQ 거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거래처는 주로각 국가의 연구과제와 관련된 대학실험실이며, 매출채권은 다수의 거래처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신용위험노출은 거래처에 고루 분산되어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대표이사와 재무담당임원에 의해 매월 검토되고 승인된 거래한도에 의하여 통제됩니다.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 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4 30,007,421
단기금융상품 10,100,000 22,100,000
매출채권(유동) 18,273,061 16,074,978
기타금융자산(유동) 1,815,250 2,283,078
금융리스채권(유동) 1,685,820 1,844,435
매출채권(비유동) 401,077 401,077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797,050 2,987,285
금융리스채권(비유동) 3,515,260 5,174,342
기타금융자산(비유동) 2,522,138 2,245,394

(2) 금융자산의 손상

회사는 기대신용손실 모형이 적용되는 다음의 금융자산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재화 및 용역의 제공에 따른 매출채권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


현금성자산도 손상 규정의 적용대상에 포함되나 식별된 기대신용손실은 유의적이지 않습니다. 회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전체 기간 기대신용손실을 손실충당금으로 인식하는 간편법을 적용합니다(주석11참조). 매출채권 이외의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기타 금융자산은 일반적으로 신용위험이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손실충당금은 기대신용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4.1.3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 관리에 대한 궁극적인 책임은 회사의 단기 및 중장기 자금조달계획과 유동성관리규정을 적절하게 관리하기 위한 기본정책을 수립하는 경영진에 있습니다. 회사는 1년에 한번 중장기 투자에 관한 중장기 계획을 세우고, 지출은 연간경영계획에 따라 실시하므로 매월 발생비용이 예측가능합니다. 유동성을 예측하는 데 있어 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의무, 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상 요구사항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1개월간의 운영자금을 보유하고 있으며, 투자에 따른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비용지출을 적정하게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유동성위험 분석 내역은 다음과 같으며, 각 현금흐름은 이자비용의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으며 할인되지 않은 금액입니다.

- 당기말

(단위 :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이하

1년~ 2년 이하

2년~ 5년 이하

5년 초과 합계
매입채무 5,998,934 - - - - 5,998,934
차입금 356,341 9,908,777 1,087,606 23,632,471 3,788,077 38,773,272
기타금융부채 9,477,519 1,007,328 1,542,921 141,154 - 12,168,922


- 전기말

(단위 : 천원)

구분

3개월 미만

3개월~1년 이하

1년~ 2년 이하

2년~ 5년 이하

5년초과 합계
매입채무 3,916,396 - - - - 3,916,396
차입금 165,706 30,241,401 - - - 30,407,107
기타금융부채 10,499,505 359,388 1,449,211 384,491 - 12,692,595


4.2. 자본위험 관리

회사의 자본 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 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 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해 회사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부채 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재무상태표의 전환사채 포함)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총차입금

34,800,000 30,000,000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4) (30,007,421)

순부채

3,959,576 (7,421)

자본총계  

138,393,994 152,479,591

총자본

142,353,570 152,472,170

자본조달비율(*)

2.78% -

(*) 전기말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가 (-)이므로 계산하지 아니하였습니다.

5. 금융상품 공정가치

5.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장부금액 공정가치 장부금액 공정가치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4 30,840,424       30,007,421      30,007,421
단기금융상품 10,100,000 10,100,000       22,100,000       22,100,000
매출채권(유동) 18,273,061 18,273,061       16,074,978      16,074,978
기타금융자산(유동) 1,815,250 1,815,250        2,283,078      2,283,078
금융리스채권(유동) 1,685,820 1,685,820        1,844,435       1,844,43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4,908,791 4,908,791 - -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8,832,427 18,832,427 39,520,211 39,520,211
매출채권(비유동)          401,077 401,077          401,077 401,077
금융리스채권(비유동) 3,515,260 3,515,260        5,174,342   5,174,342
기타금융자산(비유동) 2,522,138 2,522,138        2,245,394  2,245,394
금융부채
매입채무 5,998,934 5,998,934        3,916,396    3,916,396
단기차입금 9,000,000 9,000,000  9,000,000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 -       21,000,000 21,000,000
기타금융부채(유동) (*) 9,959,763 9,959,763       10,467,543 10,467,543
장기차입금      25,800,000 25,800,000                  -                 -
기타금융부채(비유동) (*)    1,312,253 1,312,253       1,487,409  1,487,409

(*) 기타금융부채는 리스부채(당기: 871백만원, 전기 685백만원)이 제외된 금액입니다.

5.2 금융상품 공정가치 서열 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항목은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수준 1)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 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 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수준 2)
-
관측 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 변수(관측 가능하지 않은 투입 변수)를 이용하여 산정한 공정가치(수준 3)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서열체계 구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계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계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3,490,000   - 15,342,427 18,832,427 6,940,000           - 32,580,211 39,520,21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4,206,157 - 702,634 4,908,791 - - - -


5.3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의 서열체계 수준 간 이동

(1) 반복적인 측정치의 수준 1과 수준 2 간의 이동 내역
당기 중 수준 1과 수준 2 간의 대체는 없습니다.

(2) 반복적인 측정치의 수준 3의 변동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당기 전기 당기 전기

기초

32,580,211 3,093,000 - -
취득 400,000 1,200,000 702,634 -
처분 - (98,000) - -
평가 (17,637,784) 28,385,211 - -

기말

15,342,427 32,580,211 702,634 -


5.4 가치평가기법 및 투입 변수

회사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에 대해 다음의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상품명 당기말

공정가치

수준

가치평가기법

투입 변수

투입변수 범위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지분증권 보통주      11,223,000 3 현금흐름할인법 할인율 16.80%
채무증권 전환상환우선주 1,697,774 3 LSMC 주가변동성 24.49%
채무증권 전환사채 99,275 3 할인율 14.26~21.69%
지분증권 보통주        2,322,377 3 자산접근법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지분증권(*) 보통주 702,634 3 원가법 - -
합계 16,045,060



(*) 당기 중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충분한 정보를 얻을 수 없고 전기 또는 당기에 가치변동에 대한 명확한 증거가 없기에 "비상장주식에 대한 공정가치 평가 관련 가이드라인"에 따라 취득원가를 공정가치로 측정하였습니다.

5.5 수준 3으로 분류된 공정가치 측정치의 가치평가과정

회사는 수준 3으로 분류된 금융상품에 대해서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의 전문가적인 판단에 근거한 합리적인 평가모형과 적절한 추정치를 사용하여 산정한 금액을 공정가치로 보아 평가하고 있습니다.

6. 범주별 금융상품

6.1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 당기말

(단위 : 천원)
재무상태표 상 자산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합계
현금및현금성자산 30,840,424 - - 30,840,424
단기금융상품 10,100,000 - -     10,100,000
매출채권(유동) 18,273,061 - - 18,273,061
기타금융자산(유동) 1,815,250  - - 1,815,25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 4,908,791        4,908,79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18,832,427 - 18,832,427
매출채권(비유동) 401,077 - - 401,077
기타금융자산(비유동) 2,522,138 - - 2,522,138
합계 63,951,950 18,832,427 4,908,791 87,693,168


(단위 : 천원)
재무상태표 상 부채 상각후원가 금융부채
매입채무 5,998,934
단기차입금 9,000,000
장기차입금                                    25,800,000
기타금융부채(유동)(*)                                 9,959,763
기타금융부채(비유동)(*)                                      1,312,253
합계 52,070,950

(*) 기타금융부채는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리스부채(871백만원)이 제외되어 있습니다.


-전기말

(단위 : 천원)
재무상태표 상 자산 상각후원가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합계
현금및현금성자산 30,007,421 - 30,007,421
단기금융상품 22,100,000 - 22,100,000
매출채권(유동) 16,074,978 - 16,074,978
기타금융자산(유동) 2,283,078 - 2,283,078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39,520,211 39,520,211
매출채권(비유동) 401,077 - 401,077
기타금융자산(비유동) 2,245,394 - 2,245,394
합계 73,111,948 39,520,211 112,632,159


(단위 : 천원)
재무상태표 상 부채 상각후원가 금융부채
매입채무                                     3,916,396
단기차입금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21,000,000
기타금융부채(유동)(*) 10,467,543
기타금융부채(비유동)(*) 1,487,408
합계 45,871,347

(*) 기타금융부채는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리스부채(685백만원)이 제외되어 있습니다.

6.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205,300 28,385,21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파생상품평가이익 - 1,921,66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익 (806,711) -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대손상각비 (784,888) 49,310

이자수익

916,586 934,453

외환차익

950,010 854,451
외환차손 (788,432) (599,941)
외화환산이익 197,324 680,498
외화환산손실 (576,070) (127,356)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이자비용

(830,443) (828,770)
외환차익 278,410 94,427
외환차손 (208,365) (454,186)
외화환산이익 127,069 3,003
외화환산손실 (22,189) (45,283)

7. 현금및현금성자산

회사의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은행예금

30,840,424 30,007,421


8. 단기금융상품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정기예금 등 10,100,000 22,100,000


9.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비유동항목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3,490,000 6,940,000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13,545,377 29,592,926
시장성 없는 채무증권 1,797,050 2,987,285
합계 18,832,427 39,520,211


(2)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금액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이익

205,300 28,385,211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1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시장성 있는 지분증권 4,206,157 -
시장성 없는 지분증권 702,634 -
합계 4,908,791 -

위 지분상품을 처분하는 경우 관련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은 이익잉여금으로 재분류되며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습니다.

(2)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된 금액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익

(806,711) -

11. 매출채권

(1) 매출채권 및 대손충당금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개별평가채권(*) 집합평가채권 합계 개별평가채권(*) 집합평가채권 합계

매출채권(비유동 포함)

5,109,728 15,821,092 20,930,820 4,629,026 14,466,008 19,095,034

대손충당금

(1,341,207) (915,474) (2,256,681) (1,388,037) (1,230,942) (2,618,979)

매출채권(순액)

3,768,521 14,905,618 18,674,139 3,240,989 13,235,066 16,476,055

(*) 특수관계자 채권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 집합평가 대상 매출채권의 연령분석

- 당기말

(단위 : 천원)
구분 1년이내 1년 초과 2년 초과 3년 초과
당기말
기대 손실률 1% 25% 51% 100% 6%
총 장부금액 14,377,273 684,906 374,435 384,478 15,821,092
손실충당금 (169,155) (170,356) (191,485) (384,478) (915,474)
전기말
기대 손실률 1% 20% 55% 99% 9%
총 장부금액 12,442,121 826,886 512,025 684,976 14,466,008
손실충당금 (104,393) (164,004) (282,269) (680,276) (1,230,942)


(3) 매출채권의 대손충당금 변동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매출채권

당기

전기

기초

2,618,979 2,969,325
대손상각비(환입) 129,863 (268,871)

대손충당금 제각

(492,160) (86,457)
기중 회수 - 4,982

보고기간말 금액

2,256,681 2,618,979

12. 기타금융자산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미수수익 90,576 143,395
미수금 1,724,675 1,546,933
단기대여금 - 592,750
소계 1,815,251 2,283,078
비유동항목
장기대여금 1,820,353 140,000
장기미수금 - 1,097,773
임차보증금 374,330 695,523
기타보증금 327,455 312,097
소계 2,522,138 2,245,393
합계 4,337,389 4,528,471


13. 기타자산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선급금 175,110 451,001
선급비용 517,850 524,249
합계 692,960 975,250


14. 재고자산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상품 203,181 (123,125) 80,056 703,433  - 703,433
제품 및 재공품 2,188,809 (300,297) 1,888,512 2,075,529 (579,227) 1,496,302
원재료 10,321,308 (831,524) 9,489,784 8,069,109 (516,221) 7,552,888
합계 12,713,298 (1,254,946) 11,458,352 10,848,071 (1,095,448) 9,752,623


비용으로 인식되어 '매출원가'에 포함된 재고자산 및 인건비 등의 원가는 64,859백만원(전기:  60,569백만원) 입니다.


15.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투자

(1) 당기 및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 관계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기업명

주된

사업장

주요영업 결산월

소유지분율(%)

취득가액 장부가액

당기말

전기말

당기말 전기말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일본 유전자분석 12월 65.2 65.2 884,216 884,216 884,216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1) 싱가포르 유전자분석 12월 100.0 100.0 2,226,567 - -
Macrogen Eurpoe B.v. 네덜란드 유전자분석 12월 100.0 100.0 1,951,080 1,951,080 1,951,080
소계 5,061,863 2,835,296 2,835,296
관계기업:
Psomagen, Inc.(*4) 미국 유전자분석 12월 36.9 37.1 8,128,595 8,128,595 8,128,595
Microba Life Sciences Ltd.(*2,3) 호주 장내미생물분석 6월 5.2 8.6 4,003,227 4,003,227 4,003,227
헬스브리즈(*3) 한국 의료용 애니메이션
설명처방서비스
12월 18.1 18.1 700,000 321,160 293,440
소계 12,831,822 12,452,982 12,425,262
합계 17,893,685 15,288,278 15,260,558

(*1) 전기 중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1,100,000주를 918백만원에 추가 취득하였으며, 전액 손상을 인식하였습니다.
(*2) 당기 중 관계기업인 Microba Life Science Ltd.의 불균등 유상증자로 지분율이 감소하였으며, 전기 중 유상증자를 통해 신주 1,750,000주를 605백만원에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3) 회사의 의결권이 20% 미만이나 의사결정기구에 대한 참여 등을 통해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관계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4) 당기 중 관계기업인 Psomagen, Inc의 불균등 유상증자로 지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2) 당기 및 전기 중 종속기업, 관계기업투자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종속기업투자 관계기업투자
당기 전기 당기 전기
기초      2,835,296 2,835,297  12,425,262      11,527,085
취득     -   918,225    -          604,737
환입(손상) - (918,225) 27,720         293,440
기타 -  -       -        -
당기말 2,835,296 2,835,297 12,452,982 12,425,262


(3) 주요 종속기업과 관계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기업명 당기
자산 부채 자본 매출액 당기순이익(손실)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14,924,142 10,225,918 4,698,224 19,358,097 710,284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4,184,490 8,244,994 (4,060,504) 4,413,768 (909,238)
Macrogen Eurpoe B.v. 15,573,223 10,935,425 4,637,798 18,949,267 (101,543)
관계기업
Psomagen, Inc. 49,203,436 13,519,989 35,683,447 43,374,449 (1,048,269)
Microba Life Sciences Ltd. 44,328,877 5,394,464 38,934,413 4,155,991 (9,956,426)
헬스브리즈 3,455,647 2,791,952 663,695 1,296,287 173,101
(단위 : 천원)
기업명 전기
자산 부채 자본 매출액 당기순이익(손실)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13,807,466 9,473,499 4,333,967 21,686,656 2,299,873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4,057,441 6,982,282 (2,924,841) 3,612,811 (1,076,734)
Macrogen Eurpoe B.v. 15,778,965 11,071,159 4,707,806 16,900,058 1,149,997
관계기업
Psomagen, Inc. 49,538,919 15,393,361 34,145,558 28,585,905 (7,114,312)
Microba Life Sciences Ltd. 13,882,399 4,839,348 9,043,051 3,519,599 (9,726,971)
헬스브리즈 3,392,136 2,901,541 490,595 1,226,428 280,424

(4) 시장성 있는 종속기업투자의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기업명 당기말 전기말
공정가치 장부가액 공정가치 장부가액
종속기업 Psomagen, Inc.(*) 55,017,981 8,128,595 63,029,620 8,128,594

(*) Psomagen, Inc.은 2020년 국내 코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으며, 회사 보유 지분증권은 동 상장일로부터 3년간 보호예수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16. 유형자산

(1) 유형자산의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원가 상각누계액 등(*) 장부금액 원가 상각누계액 등(*) 장부금액
토지 28,723,271                   - 28,723,271 20,474,674                  - 20,474,674
건물 9,443,525 (4,581,918) 4,861,607 9,425,326 (4,266,615) 5,158,711
기계장치(*) 71,654,698 (59,149,532) 12,505,166 69,575,139 (58,354,117) 11,221,022
차량운반구 1,031,366 (884,417) 146,949 1,071,626 (815,542) 256,084
공구와기구 440,912 (425,071) 15,841 435,726 (420,411) 15,315
비품 15,370,133 (12,677,253) 2,692,880 19,349,809 (15,889,781) 3,460,028
건설중인 자산 2,735,542 - 2,735,542 646,400                  - 646,400
사용권자산 2,247,532 (1,385,533) 861,999 1,602,431 (907,232) 695,199
합계 131,646,979 (79,103,724) 52,543,255 122,581,131 (80,653,698) 41,927,433

(*) 손상차손누계액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당기 중 자본화된 차입원가는 168백만원이며,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산정하기 위해 사용된 자본화차입이자율은 3.07% 입니다(주석34참조).

(2) 유형자산의 변동내역


- 당기

(단위 : 천원)
구분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건설중인자산 사용권자산 합계
기초 순장부금액 20,474,674 5,158,711 11,221,022 256,084 15,315 3,460,028 646,400 695,199 41,927,433
취득 8,082,759 - 5,349,322 31,412 6,486 731,577 2,179,342 777,100 17,157,998
처분     -              - (200,767) (7,269) (1) (341)            - - (208,378)
감가상각비        - (314,241) (3,864,411) (133,278) (5,959) (1,498,384)            - (610,300) (6,426,573)
대체(*) 165,838 17,137 -             -             -    - (90,200)            - 92,775
기말 순장부금액 28,723,271 4,861,607 12,505,166 146,949 15,841 2,692,880 2,735,542 861,999 52,543,255

(*) 일부가 투자부동산으로부터 대체되었으며, 일부 유형자산이 무형자산으로 대체되었습니다.

- 전기

(단위 : 천원)
구분 토지 건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공구와기구 비품 사용권자산 건설중인자산 합계
기초 순장부금액 10,573,844 4,354,584 11,274,586 397,082 22,309 2,215,057 377,269 2,878,683 32,093,414
취득 614,447 342,156 4,107,677 18,147 7,371 2,622,132 779,608 576,400 9,067,938
처분 - - (10) (1) - - (10,617) - (10,628)
감가상각비 - (301,690) (4,309,631) (159,144) (14,365) (1,377,161) (451,061) - (6,613,052)
대체(*) 9,286,383 763,661 148,400 - - - - (2,808,683) 7,389,761
기말 순장부금액 20,474,674 5,158,711 11,221,022 256,084 15,315 3,460,028 695,199 646,400 41,927,433

(*) 일부 유형자산이 투자부동산으로부터 대체되었습니다.

(3) 포괄손익계산서 상 감가상각비가 포함된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계정명

당기

전기

매출원가 4,672,299 4,753,833

판매비와관리비

1,423,631 1,173,130

경상연구개발비

330,642 686,089

합계

6,426,572 6,613,052

(4) 타인 담보제공 내역

당기말 현재 일부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이 타인에게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37참조).

(5) 매각예정자산의 내역

(단위 : 천원)

계정명

당기

전기

기계장치 250,804 -


회사는 당기 중 사용을 중지하고 매각예정인 기계장치에 대하여 매각예정으로 분류하고, 동일 자산의 최근 매각가액인 250,804천원으로 공정가치를 측정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회사는 당기 중 손상차손으로 141,266천원을 인식하였습니다.

17. 리스

회사가 리스이용자인 경우의 리스거래에 대한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가 리스제공자인 경우의 리스거래에 대한 정보는 주석 20에서 다루고 있습니다.

(1)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


리스와 관련해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사용권자산(*)

 부동산

             465,163              486,489

 차량운반구

             396,836              208,710

합계

             861,999              695,199

(*) 재무상태표의 '유형자산'항목에 포함되었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리스부채(*)

 유동

             508,436              359,637

 비유동

             362,660              325,277

합계

             871,096              684,914

(*) 재무상태표의 '기타금융부채'항목에 포함되었습니다.

당기 중 증가된 사용권자산은 777백만원(전기 : 780백만원)입니다.

(2) 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


리스와 관련해서 손익계산서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부동산

             456,830              369,414

 차량운반구

   101,483               81,647

합계

          558,313              451,061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금융비용에 포함)

              27,175               11,421
단기리스료(매출원가 및 관리비에 포함)                 5,310 8,631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매출원가 및 관리비에 포함)               45,027 35,127
리스부채 측정치에 포함되지 않은 변동리스료에 관련되는 비용 13,717 -
합계 91,229 55,179


당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660백만원(전기: 499백만원)입니다.

18. 무형자산

(1) 무형자산의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특허권 309,896 (257,048) 52,848 289,437 (210,670) 78,767
소프트웨어 4,770,945 (2,782,860) 1,988,085 3,336,744 (2,160,014) 1,176,730
합계 5,080,841 (3,039,908) 2,040,933 3,626,181 (2,370,684) 1,255,497


(2) 무형자산의 변동내역

- 당기

(단위 : 천원)
구분 특허권 소프트웨어 합계
기초 78,768 1,176,729 1,255,497
취득 20,458 1,344,002 1,364,460
상각비 (46,378) (622,846) (669,224)
대체 - 90,200 90,200
기말 52,848 1,988,085 2,040,933


- 전기

(단위 : 천원)
구분 특허권 소프트웨어 합계
기초 104,258 1,114,398 1,218,656
취득 18,141 248,012 266,153
상각비 (43,631) (532,801) (576,432)
대체 - 347,120 347,120
기말 78,768 1,176,729 1,255,497


당기 상각비 669백만원(전기: 576백만원)은 포괄손익계산서상 판매비와관리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1참조).

회사가 비용으로 인식한 경상적인 연구 및 개발 지출의 총액은 4,267백만원(전기: 4,101백만원)입니다(주석31참조).


19. 투자부동산

(1) 투자부동산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지 29,016,040                   - 29,016,040 29,181,878                  - 29,181,878
건물 7,439,733 (741,958) 6,697,775 7,457,932 (494,422) 6,963,510
합계 36,455,773 (741,958) 35,713,815 36,639,810 (494,422) 36,145,388


(2) 투자부동산의 변동내역

- 당기

(단위 : 천원)
구분 토지 건물 합계
기초 29,181,878 6,963,510 36,145,388
취득                   - - -
감가상각비                   - (248,598) (248,598)
대체(*1) (165,838) (17,137) (182,975)
기말 29,016,040 6,697,775 35,713,815

(*) 회사 자체 사용으로 인한 유형자산으로의 대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전기

(단위 : 천원)
구분 토지 건물 합계
기초 36,155,098 7,425,688 43,580,786
취득                  - 547,231 547,231
감가상각비                  - (245,748) (245,748)
대체(*) (6,973,220) (763,661) (7,736,881)
기말 29,181,878 6,963,510 36,145,388

(*) 회사 자체 사용으로 인한 유형자산으로의 대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3) 당기 중 투자부동산에서 발생한 운용리스로부터의 임대수익은 1,431백만원(전기 : 1,307백만원), 운영 비용 249백만원(전기 : 246백만원) 입니다(주석30참조).


(4) 당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공정가치는 59,250백만원(전기: 54,412백만원)이며, 공정가치 평가는 독립된 평가인에 의해 주기적으로 수행되고 있습니다.

(5) 타인 담보제공 내역

보고기간말 현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이 타인에게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37참조).

20. 금융리스채권

(1) 금융리스계약

회사는 기계장치를 특수관계자에게 금융리스로 제공하고 있으며, 평균리스기간은 5.73년입니다.

(2) 당기말 현재 금융리스채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1년 이내 1,889,821 1,685,820 2,127,822 1,844,435
1년 초과 5년 이내 3,722,939 3,515,260 5,534,378 5,174,342
5년 초과 - - - -
소계 5,612,760 5,201,080 7,662,200 7,018,777
차감 : 미실현이자수익 (411,680)    - (643,423)                   -
합계 5,201,080 5,201,080 7,018,777 7,018,777


(3) 당기말 현재 금융리스채권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자산 1,685,820 1,844,435
비유동자산 3,515,260 5,174,342
합계 5,201,080 7,018,777

21. 매입채무 및 기타금융부채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매입채무
외상매입금 5,998,934 3,916,396
기타금융부채(유동)
미지급금 2,952,863 3,968,438
미지급비용 6,289,564 6,315,769
리스부채(유동) 508,436 359,637
임대보증금(유동) 717,336 183,336
소계 10,468,199 10,827,180
기타금융부채(비유동)
장기미지급금 631,652 272,808
임대보증금(비유동) 680,600 1,214,600
리스부채(비유동) 362,660 325,277
소계 1,674,912 1,812,685
합계 18,142,045 16,556,261


22. 기타부채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유동항목
예수금 51,939 135,010
선수금 20,788,618 19,790,152
미지급배당금 3,738 1,713
합계 20,844,295 19,926,875



23. 차입금

(1) 차입금 장부금액의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내용 차입처 만기일 연이자율(%) 당기말 전기말
단기차입금 일반자금대출 IBK기업은행 2022.11.02 2.48 - 9,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시설자금대출 2022.6.28 2.14 - 21,000,000
단기차입금(*1) 운영자금대출 KDB산업은행 2023.6.28 3.99 9,000,000 -
장기차입금(*1) 시설자금대출 2025.6.28 3.83 21,000,000 -
장기차입금(*1) 시설자금대출 2032.10.26 5.87 4,800,000 -
합계 34,800,000 30,000,000

(*1) 장단기차입금에 대해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16,19,37참조).


24. 퇴직급여

24.1 확정급여제도

확정급여제도의 대부분은 최종임금기준 연금제도이며, 동 연금제도는 종업원의 일생에 걸쳐 보장된 일정 금액의 연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연금의 수준은 종업원의 근무기간 및 최종 임금 수준에 근거하여 산출되며, 연금은 전액 기금에 적립되어 외부전문신탁사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1) 순확정급여부채(자산) 산정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346,455 7,213,715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391,113) (5,800,391)

재무상태표상 순확정급여부채(자산)

(44,658) 1,413,324


당기 중 확정급여제도에서 확정기여제도로 제도정산이 이루어짐에 따라 기금이 적립된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와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가 각각 6,534백만원과 5,380백만원이 감소하였으며 이와 관련하여 정산손익 1,154백만원이 발생하였습니다.

(2) 포괄손익계산서에 인식한 확정급여제도 관련비용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매출원가 (527,082) 977,638
판매비와관리비 (514,649) 827,085
합계 (1,041,731) 1,804,723


(3) 확정급여채무의 변동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금액

7,213,715 7,537,807

당기근무원가

113,097 1,683,951

이자비용

14,864 150,502

재측정요소:

- 인구통계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 (441,736)
- 재무적 가정의 변동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27,496) (281,958)
- 경험적 조정으로 인한 보험수리적 손익 (124,176) 45,905

제도에서의 지급액:

- 퇴직급여의 지급

(309,400) (1,436,937)
- 중간/중도인출로 인한 지급 (6,534,149) (43,819)

기말금액

346,455 7,213,715


(4) 사외적립자산의 변동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금액  

5,800,391 5,374,357

이자수익

15,205 107,306

재측정요소:

- 사외적립자산의 수익률 변동(이자수익에 포함된 금액 제외)

(13,541) (49,788)

기여금:

- 사용자 기여금

300,000 1,700,000

제도에서의 지급:

- 퇴직급여의 지급

(331,281) (1,305,446)
- 중간/중도인출로 인한 지급 (5,379,661) (26,038)

기말금액

391,113 5,800,391


(5) 사외적립자산의 구성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공시가격

구성비

공시가격

구성비

정기예금 등 391,113 100% 5,800,391 100%


(6) 주요 보험수리적 가정

구분 당기 전기
할인율 5.23% 2.52%
임금상승률 5.34% 5.40%


(7) 주요 가정의 변동에 따른 당기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 분석

구분 확정급여채무에 대한 영향

가정의 변동폭

가정의 증가

가정의 감소

할인율

할인율의 1%p 변동 2.30% 감소 2.40% 증가

임금상승률

기대임금상승률의 1%p 변동 2.40% 증가 2.30% 감소


상기의 민감도 분석은 다른 가정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 산정됐습니다. 주요 보험수리적가정의 변동에 대한 확정급여채무의 민감도는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확정급여채무 산정시 사용한 예측단위접근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산정됐습니다.
 
민감도 분석에 사용된 방법 및 가정은 전기와 동일합니다.

(8) 미래현금흐름에 대한 확정급여제도의 영향

회사는 기금의 적립수준을 매년 검토하고, 기금에 결손이 발생하는 경우 이를 보전하는 정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23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예상기여금은 38백만원(전기: 1,268백만원)입니다.

당기말 현재 할인되지 않은 연금 급여지급액의 만기 분석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1년 미만

1~2년 미만

2~5년 미만

5년 이상 합계
퇴직급여 지급액(*)              117,161               83,960              131,208               62,980              395,309

(*) 퇴직급여지급액은 임직원들의 예상퇴직시기에 지급될 총금액으로, 보고기간말까지 제공된 근로와 관련된 할인된 부채인 확정급여채무 산정금액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9) 확정급여채무의 가중평균만기는 2.44년(전기말 2.62년)입니다.

24.2 확정기여제도

당기 중 확정기여제도와 관련해 비용으로 인식한 금액은 2,602백만원(전기: 892백만원)입니다.

25. 법인세비용 및 이연법인세

(1) 법인세비용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법인세
 
당기손익에 대한 당기법인세 61,397 1,078,598
전기법인세의 조정사항 (505,214) 549,236
총당기법인세 (443,817) 1,627,834
이연법인세

일시적차이 변동효과 (4,513,588) 5,438,875
법인세비용(수익) (4,957,405) 7,066,709


(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과 법인세비용 간의 관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9,859,722) 23,389,555
적용세율에 따른 법인세비용(수익) (4,369,139) 5,198,272
법인세 효과:
-  세무상 과세되지 않는 수익과 비용 623,622 1,071,449
-  이연법인세 실현가능성 변동 62,617 771,899
-  세액공제(이월세액공제포함) (609,027) (1,141,136)
-  법인세추납액(환급액) (556,908) 486,063
- 세율변동으로 인한 이연법인세 변동 (175,140) -
- 기타 66,570 680,162
법인세비용(수익) (4,957,405) 7,066,709


(3) 당기 및 전기 중 자본에 직접 반영된 법인세효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반영 전

법인세효과

반영 후

반영 전

법인세효과

반영 후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38,131 (25,042) 113,089 626,283 (138,160) 488,12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평가손실 (1,021,154) 214,443 (806,711) - - -
합계 (883,023) 189,401 (693,622) 626,283 (138,160) 488,123


(4)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의 회수 및 결제시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2022년 12월 31일 2021년 12월 31일
이연법인세자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이연법인세자산 3,280,326 2,736,626
12개월 이후에 결제될 이연법인세자산 2,389,549 3,981,403
소계 5,669,875 6,718,029
이연법인세부채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이연법인세부채 (550,924) (584,192)
12개월 이후에 결제될 이연법인세부채 (3,001,256) (8,781,748)
소계 (3,552,180) (9,365,940)
인식되지 않은 이연법인세부채(자산) (1,237,053) (1,174,436)
상계후 이연법인세자산(부채) 880,642 (3,822,347)


(5) 이연법인세의 총 변동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금액 (3,822,347) 1,754,688
손익계산서에 반영된 이연법인세 4,513,588 (5,438,875)
자본에 직접 반영된 이연법인세 189,401 (138,160)
기말금액 880,642 (3,822,347)


(6) 상계하기 이전의 이연법인세자산과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2022년 1월 1일 손익계산서 자본 2022년 12월 31일
퇴직급여충당부채 1,587,017 (1,482,411) (27,885) 76,721
퇴직연금운용자산 (1,276,086) 1,200,487 2,844 (72,755)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6,864,746) 4,740,469 - (2,124,277)
대손충당금 1,127,803 (53,201) - 1,074,602
원재료평가충당금 240,998 22,541 - 263,539
유형자산 759,708 (289,021) - 470,687
미확정비용 552,288 (127,323) - 424,965
이월세액공제 30,732 535,330 - 566,06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 214,442 214,442
기타 1,194,375 29,334 - 1,223,709
소계 (2,647,911) 4,576,205 189,401 2,117,695
인식되지 않은 이연법인세자산 (1,174,436) (62,617) - (1,237,053)
순액 (3,822,347) 4,513,588 189,401 880,642


누적일시적차이의 법인세효과는 당해 일시적차이가 소멸되는 회계연도의 미래예상세율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는바 2023년 이후 실현분에 대해 21%를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이로 인하여 종전의 적용세율(22%)에 의할 경우보다 이연법인세자산 42
백만원이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2021년 1월 1일 손익계산서 자본 2021년 12월 31일
퇴직급여충당부채 1,658,318 77,813 (149,114) 1,587,017
퇴직연금운용자산 (1,182,359) (104,681) 10,954 (1,276,086)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2,173,428) (4,691,318) - (6,864,746)
국고보조금 (1,729) 1,729 - -
전환사채 (51,232) 51,232 - -
대손충당금 1,260,050 (132,247) - 1,127,803
원재료평가충당금 200,148 40,850 - 240,998
유형자산 948,847 (189,139) - 759,708
미확정비용 307,150 245,138 - 552,288
이월세액공제 877,016 (846,284) - 30,732
기타 314,444 879,930 - 1,194,374
소계 2,157,225 (4,666,977) (138,160) (2,647,912)
인식되지 않은 이연법인세자산 (402,537) (771,899) - (1,174,436)
순액 1,754,688 (5,438,876) (138,160) (3,822,348)


(7) 보고기간말 현재 이연법인세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한 차감할 일시적차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사유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주식 4,716,615 4,164,233 처분계획이 없음
기타 1,174,114 1,174,114 향후 세효과 없음


26. 자본금과 주식발행초과금

회사가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100,000,000주이고, 발행한 주식수는 보통주식 10,841,400주(전기: 10,841,400주)이며 1주당 액면금액은 500원입니다.  

(단위 : 천원)

구분

주식수
(단위 : 주)

자본금

주식발행
초과금

합계

전기초 10,631,654       5,315,827       88,877,363 94,193,190
전환권의 행사로 인한 발행 209,746         104,873   5,301,779    5,406,652
전기말  10,841,400       5,420,700   94,179,142     99,599,842
당기초 10,841,400       5,420,700      94,179,142       99,599,842
당기말  10,841,400 5,420,700 94,179,142 99,599,842


2021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기간에 대한 보통주 배당금 2,967백만원은 2022년 4월에 지급되었습니다.

27. 주식기준보상

(1) 회사는 주주총회 결의에 의거해서 회사의 임직원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했으며, 당기말 현재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2차 부여분 3차 부여분 4차 부여분 5차 부여분 6차 부여분 7차 부여분
권리부여일 2015년 3월 27일 2016년 3월 25일 2017년 3월 24일 2018년 3월 28일 2019년 3월 26일 2020년 3월 27일
발행할 주식의 총수(*) 177,500주 26,500주 75,300주 98,000주 82,000주 63,500주
부여방법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신주발행 또는
자기주식교부
부여일의 공정가치 11,080원 11,060원 5,790원 9,940원 11,408원 15,176원
행사가격 38,480원 35,420원 28,760원 45,690원 35,830원 35,400원
행사가능기간 2017.3.27~2024.3.26 2018.3.25~2025.3.24 2019.3.24~2026.3.23 2020.3.28~2027.3.27 2021.3.26~2028.3.25 2022.3.27~2029.3.26

(*) 당기말 현재 소멸된 주식수를 제외한, 가득되었거나 가득될 주식의 총수


(2) 주식선택권의 수량과 가중평균행사가격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주식매수선택권 수량
(단위: 주)

가중평균행사가격
(단위: 원)

당기

전기

당기

전기

기초 잔여주

526,800 534,300 37,477 37,442

행사

- - - -

부여

- - - -

소멸

(4,000) (7,500) 35,400 35,400

기말 잔여주

522,800 526,800 37,487 37,477


(3) 당기 중 비용으로 인식한 주식기준보상은 75백만원(전기: 2,479백만원) 입니다. 전기의 주식기준보상에는 경영진에 부여한 전환사채에 대한 매도청구권의 평가금액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8참조).


28. 기타자본항목 및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 기타자본항목의 구성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기타자본잉여금 950,873 950,873
자기주식(*) (23,658,027) (29,006,698)
자기주식처분이익(손실) (691,068) 255,818
주식선택권 5,565,929 5,490,747

합계

(17,832,293) (22,309,260)

(*) 회사는 자사주식의 가격안정화 등을 위하여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기주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자기주식수(주) 801,343 952,644
취득원가 23,658,027 29,006,698
지분율(%) 7.39% 8.79%


(2) 기타포괄손익누계액

(단위 : 천원)

구분

당기초

증감

이익잉여금으로의 재분류 당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 (806,711) - (806,711)


상기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증감은 법인세 효과가 차감된 후의 금액입니다.


회사는 특정 지분상품투자의 공정가치를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지정하였습니다(주석 10). 이러한 공정가치 변동은 자본 내에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잉여금으로 누적됩니다. 회사는 관련 지분상품을 제거하는 시점에서 이러한 잉여금을 이익잉여금으로 대체합니다.


29. 이익잉여금

(1) 이익잉여금의 구성내역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연구및인력개발준비금 1,378,348 1,378,348
미처분이익잉여금 55,465,409 73,517,926
이익준비금 589,399 292,736

합계

57,433,156 75,189,010


(2)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당기의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는 2023년 3월 31일 주주총회에서 처분될 예정입니다(전기 처분 확정일: 2022년 3월 31일).

(단위 : 천원)

과목

당기

전기

미처분이익잉여금

  55,465,408   73,517,926

전기이월이익잉여금

70,254,636   56,706,957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13,089   488,123  

당기순이익(손실)

(14,902,317)
16,322,846  
이익잉여금 처분액
3,313,219   3,263,290
이익준비금 301,202
296,663  
배당금
 (현금배당주당배당금(률):
   보통주 : 당기/전기 300원 (60%))
 3,012,017   2,966,627  

차기이월 미처분이익잉여금

  52,152,189   70,254,636

30.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및 관련 계약부채

30.1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 회사는 수익과 관련해 포괄손익계산서에 다음 금액을 인식하였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105,852,757        98,778,429
기타 원천으로부터의 수익: 임대수익 등         1,430,827         1,307,088
총 수익      107,283,584      100,085,517


(2)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구분


회사는 다음의 주요 제품라인과 지역에서 재화나 용역을 한 시점에 이전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합니다.

(단위 : 천원)

당기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 합계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외부고객으로부터 수익

29,563,415 22,499,092 17,553,518 9,015,470 5,326,302 4,723,883 1,615,182 671,652 14,735,092 149,151 105,852,757


(단위 : 천원)

전기

NGS부문 CES부문 게놈응용부문 임상진단부문 기타부문 합계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국내 해외

외부고객으로부터 수익

31,352,850 22,364,158 15,363,371 8,089,336 6,099,660 2,913,201 1,490,005 1,238,597 9,483,003 384,248 98,778,429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은 유전자 및 유전체 분석, Microarray 분석 그리고 유전자조작 마우스 생산 등을 토대로 수익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금액은 고객이 소재한 지역별로 구분하였습니다.


30.2 고객과의 계약과 관련된 부채

(1) 회사가 인식하고 있는 계약부채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말

전기말

계약부채 - 선수금(주석22참조)

20,788,618 19,790,152


(2) 계약부채와 관련하여 인식한 수익


전기에서 이월된 계약부채와 관련하여 당기에 수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기초의 계약부채 잔액 중 당기에 인식한 수익

 NGS사업부문외

10,025,361 12,247,121



31. 판매비와관리비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직원급여 15,807,305 12,744,004
상여금 1,939,639 1,512,255
잡급 45,109 36,013
퇴직급여 952,455 1,209,649
복리후생비 2,102,946 1,535,418
운반비 544,392 135,497
지급수수료 5,347,752 3,803,784
지급임차료 39,079 18,963
감가상각비 1,632,081 1,418,878
무형자산상각 660,224 576,432
세금과공과금 705,354 512,436
광고선전비 1,483,696 1,140,734
경상연구개발비 4,266,798 4,101,328
기타 2,119,343 3,855,776
합계 37,646,173 32,601,167



32.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재고자산의 변동 (2,094,223) 140,607
원재료 및 상품매입액 37,537,624 32,892,318
종업원 급여 34,443,415 30,409,230
감가상각, 무형자산상각 7,344,394 7,435,233
운반비 2,961,828 2,177,709
광고비 1,483,696 1,140,734
지급수수료 9,988,806 7,803,802
기타 10,969,980 10,901,401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 및 대손상각비 합계 102,635,520 92,901,034


33. 기타수익과 기타비용

(1) 기타수익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외환차익 1,228,420 948,878
리스료수입 132,005 157,773
외화환산이익 324,393 683,501
유형자산처분이익 402,440 34,374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205,300 28,385,211
관계기업투자주식 손상환입 27,720 293,440
잡이익 535,300 205,368
합계 2,855,578 30,708,545


(2) 기타비용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외환차손 996,797 1,054,128
기부금(*) 3,387,965 5,123,000
외화환산손실 598,259 172,639
기타의대손상각비 655,025 219,561
종속기업투자손상차손 - 918,225
유형자산폐기손실 73 9
잡손실 235,771 83,258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매각예정비유동자산 손상차손 141,266 -
매각예정비유동자산 처분손실 141,266 -
합계 27,449,506 16,530,820

(*) 당기 중 기타특수관계자에게 3,000백만원 (전기: 4,000백만원)의 기부금을 출연하였습니다(주석38참조).

34. 금융수익과 금융원가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금융수익

이자수익 916,586 934,453
파생상품평가이익 - 1,921,663
소계 916,586 2,856,116
금융원가
차입금 및 기타금융부채 이자비용(*) 830,443 828,770

(*) 당기 중 자본화된 차입원가 168백만원이 차감된 금액입니다.

35. 주당순이익

(1) 주당이익의 내역

(단위 : 원)
구분 당기 전기
기본주당이익(손실) (1,481) 1,673
희석주당이익(손실) (1,481) 1,672


(2) 기본주당이익

(단위 : 주, 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순이익(손실)(A) (14,902,317,083) 16,322,845,798
기본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B) 10,059,382 9,754,130
기본주당이익(손실)(C=A/B) (1,481) 1,673



(3) 기본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단위 : 주)
구분 당기 전기
기초 9,888,756 9,757,870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                     -
자기주식 취득 (11,747) (72,137)
자기주식 처분 182,373 4,785
전환사채 행사 - 63,612
기본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54,130


(4) 희석주당이익

(단위 : 주, 원)
구분 당기 전기
희석당기순이익(손실)(A) (14,902,317,083) 16,322,845,798
희석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B) 10,059,382 9,760,425
희석주당이익(손실)(C=A/B) (1,481) 1,672


(5) 희석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단위 : 주)
구분 당기 전기
기본 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54,130
주식선택권(*1) - 6,295
희석가중평균 유통보통주식수 10,059,382 9,760,425

(*1) 부여된 주식선택권 중 전기에 희석효과가 발생한 4차부여 주식선택권에 대해 주식선택권이 기초에 행사된 것으로 가정하여 자기주식법(Treasury Stock Method)으로 산정하였습니다. 한편, 4차부여 이외의 부여분은 당기에 반희석효과 때문에 희석주당이익을 계산할 때 고려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미래에 기본주당이익을 희석할수 있습니다(주석27참조).

36.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당기순이익(손실) (14,902,317) 16,322,846
조정
이자수익 (916,586) (934,453)
이자비용 830,443 828,770
법인세비용(수익) (4,957,405) 7,066,709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손실 21,293,084 8,960,000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평가이익 (205,300) (28,385,211)
종속기업투자손상차손 - 918,225
관계기업투자손상환입 (27,720) (293,440)
재고자산평가손실 159,499 185,682
재고자산폐기손실 596,804 449,842
급여 및 상여 262,000 301,136
퇴직급여 (1,041,731) 1,804,723
대손상각비(환입) 129,863 (268,871)
기타의대손상각비 655,025 219,561
감가상각비 6,675,170 6,858,801
무형자산상각비 669,224 576,432
파생상품평가이익 - (1,921,663)
기타 159,521 1,934,428
운전자본의 변동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2,535,886) 5,703,260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2,231,613 3,714,597
재고자산의 증가 (2,462,032) (419,279)
기타유동자산의 감소(증가) 282,290 (118,822)
매입채무의 증가(감소) 2,205,102 (1,444,743)
기타금융부채의 증가 353,592 2,859,546
기타유동부채의 증가(감소) 85,946 (3,056,526)
순확정급여부채의 감소 (278,120) (1,849,27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9,262,079 20,012,279


(2) 현금의 유입ㆍ유출이 없는 거래 중 중요한 사항

(단위 : 천원)
과목 당기 전기
건설중인자산의 대체 90,200 2,808,683
유형자산취득 미지급금 799,595 730,400
유형자산의 투자부동산 대체 - 7,736,881
금융리스채권의 유동성 대체 158,615 647,553
유형자산의 금융리스채권 대체 (767,032) -
전환사채 전환으로 인한 자본의 증가 - 5,004,076
사용권자산 및 리스부채의 증가 777,100 779,608


(3)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조정내용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차입금 리스부채 장기미지급금
(국고보조금)
합계 차입금 전환사채 리스부채 장기미지급금
(국고보조금)
합계
기초 30,000,000 684,912 272,809 30,684,912 30,000,000 4,839,312 374,167 216,200 35,213,479
취득 34,800,000 754,359 358,845 35,554,359 - - 767,903 59,730 767,903
재무활동 현금흐름 (30,000,000) (596,290) - (30,596,290) - - (455,034) (3,121) (455,034)
비현금 이자비용 - 27,175 - 27,175 - 164,839 11,421 - 176,260
전환권 행사 - - - - - (5,004,151) - - (5,004,151)
기타 - 940 - 940 - - (13,545) - (13,545)
기말 34,800,000 871,096 631,654 35,671,096 30,000,000 - 684,912 272,809 30,684,912

37. 우발상황과 약정사항

(1) 수기특약 및 전자상거래 특약


회사는 당기말과 전기말 현재 (주)현대카드, (주)비씨카드와 수기특약 및 전자상거래 특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이 약정과 관련하여 보증금 75백만원을 제공하고있습니다.


(2) 차입 약정

(단위 : 천원)
당기말 금융기관 한도액 실행액 기간
산업시설자금대출 KDB산업은행 12,000,000 4,800,000 2022.10.26~2032.10.26
산업시설자금대출 21,000,000 21,000,000 2022.06.28~2025.06.28
산업운영자금대출 9,000,000 9,000,000 2022.06.28~2023.06.28
합계 42,000,000 34,800,000

(*) 차입금에 대하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504억원이 담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단위 : 천원)
전기말 금융기관 한도액 실행액 기간
중소기업시설자금대출 IBK기업은행 21,000,000 21,000,000 2019.06.28~2022.06.28
일반기업자금대출 9,000,000 9,000,000 2021.11.02~2022.11.02
합계 30,000,000 30,000,000

(*) 차입금에 대하여 유형자산과 투자부동산 360억원이 담보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3) 담보제공자산

- 당기말

(단위 :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차입액 담보권자
유형자산 및 투자부동산
(토지, 건물)
49,594,627 50,400,000 34,800,000 KDB 산업은행

- 전기말

(단위 :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차입액 담보권자
유형자산 및 투자부동산
(토지, 건물)
47,217,272 36,000,000 30,000,000 IBK 기업은행


(4) 서울보증보험

회사는 당기말 현재 서울보증보험으로부터 계약이행등과 관련하여 4,677백만원(전기말: 3,492백만원)의 지급보증을 제공 받고 있습니다.

(5) 연구용역계약

회사는 한국산업기술진흥원과 WC300프로젝트 기술개발지원사업과제와 관련된 연구용역계약 및 기술실시 계약을 체결하고 동 기관으로부터 국고보조금을 수령하였습니다. 동 계약에 따르면, 회사는 동 연구개발을 완료한 후에 기술사용을 위하여 기술료를 지급하여야 합니다.


(6) 라이선스 계약

회사는 관계기업인 Microba Life Sciences Ltd.와 아시아시장에서의 Microbiome 분석 서비스의 제공관련 독점적인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7) 기부금약정

1) 회사는 당기 중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기타 특수관계자인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진헬스의원에 3,000백만원을 추가로 출연하기로 하였으며, 당기 중 전액 출연하였습니다(주석33참조).

2) 회사는 전기 이전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기타 특수관계자인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진헬스의원에 4,000백만원을 출연하기로 하였으며, 전기 중 전액 출연하였습니다(주석33참조).

3) 회사는 전기 중 이사회결의를 통하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육연구재단에 1,000백만원을 출연하기로 하였으며, 전기 중 전액 출연하였습니다(주석33참조).


(8) 회사는 당기 중 (주)랩지노믹스와 사업시너지 및 우호관계를 목적으로 각사가 보유중인 자기주식을 상호 양수도교환하였습니다. 양사는 동 거래 이후 상대방의 주식을 추가적으로 취득할 수 없으며, 상대방의 승인없이는 2023년 4월 30일까지 처분이 불가능합니다. 양사는 서로의 교환 주식에 대해 2023년 5월 1일부터 1년간 우선매수권을 보유하고있습니다. 당기 말 현재 회사는 랩지노믹스의 총 발행주식 33,991,623주 중 667,644주(지분율 약 1.96%), 랩지노믹스는 회사의 총 발행주식 10,841,400주 중 200,883주(지분율 약 1.85%)를 각각 소유하고 있습니다.

(9) 회사는 당기 중, 송도국제도시 인천테크노파크 확대조성단지 첨단산업클러스터(B) 내 연구소 유치를 목적으로 하는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으로부터 송도 소재 토지를 취득하였습니다. 회사는 제출한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개발을 수행하여야 하며, 매매계약 체결일로부터 1년 이내에 공사를 착공하여야 하고, 착공일로부터 2년 이내 건축을 완료하여야 합니다. 착공과 준공기한은 각 1회에 한해 6개월까지 연장 요청이 가능하며, 개발착수기한 또는 개발완공기한을 준수하지 못할 시,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은 환매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회사는 계약체결일로부터 5년 동안은 해당 목적토지 및 시설을 근저당 설정 등의 담보로 제공하거나, 제 3자에게 매각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시 목적 토지의 소유권을 인천광역시 경제자유구역청에게 반환하여야 합니다.

(10) 회사는 2016년에 한국토지주택공사로부터 산업특별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따른 산업단지 입주를 목적으로 세종 소재 토지 매수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1년 취득이 완료되었습니다. 회사는 동 산업단지의 개발과 관련하여 세종특별자치시와 입주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당기말 현재 산업단지 건설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회사가 취득한 토지를 상기 법률상 정해진 용도로 사용되지 아니할 시, 세종특별자치시는 해당 토지를 환수할 수 있습니다.

38. 특수관계자 거래

(1) 특수관계자 현황

구분 당기말 전기말 당기 전기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Macrogen Japan Corp. Macrogen Japan Corp. Macrogen Japan Corp.
Macrogen Europe B.v. Macrogen Europe B.v. Macrogen Europe B.v. Macrogen Europe B.v.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관계기업 Psomagen, Inc. Psomagen, Inc. Psomagen, Inc. Psomagen, Inc.
Microba Life Sciences Ltd. Microba Life Sciences Ltd. Microba Life Sciences Ltd. Microba Life Sciences Ltd.
(주)헬스브리즈 (주)헬스브리즈 (주)헬스브리즈 (주)헬스브리즈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공우생명정보재단 공우생명정보재단 공우생명정보재단 공우생명정보재단


(2) 주요 거래내역  

(단위 : 천원)
구분 회사명 당기
매출 등 매입 등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5,756,498     6,156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956,111                  -
Macrogen Europe B.v. 4,794,635       321
관계기업 Psomagen, Inc.  341,193 21,224
㈜헬스브리즈 3,600    2,601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1)
 826,909 3,159,792
공우생명정보재단 30,870               -
합계 12,709,816 3,190,094

(*1) 매입 등에는 기부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3,37참조).

(단위 : 천원)
구분 회사명 전기
매출 등 매입 등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7,125,735                 960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1)         28,185                    -
Macrogen Europe B.v         6,119,596                 754
관계기업 Psomagen, Inc.        836,506             14,122
㈜헬스브리즈          3,600              76,453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2)
     715,547         4,208,233
공우생명정보재단          40,530                   -
합계      14,869,699         4,300,522

(*1) 전기 중 867백만원의 분석 및 제품매출이 발생하였으나, 대가의 회수 가능성이 높지 않아서 매출로 인식하지 않았습니다.
(*2) 매입 등에는 기부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33,37참조).

(3) 주요 채권 및 채무 내역

(단위 : 천원)
구분 회사명 당기말
매출채권 기타채권(*1) 대여금 기타채무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2,615,316 1,581,868 - 377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2) 730,769 2,520,223 1,287,825  68,178
Macrogen Europe B.v. 441,791 1,048,757 - 1,672,562
관계기업 Psomagen, Inc. 465,364 72 - 36,737
㈜헬스브리즈 -  -            -      73,150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25,850 2,466,368  - 676,444
공우생명정보재단 990 1,320 - 20,000
합계 4,280,080 7,618,608 1,287,825 2,547,448

(*1) 회사는 종속기업 등에 기계장치 등 금융리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 금융리스 채권 잔액은 5,595백만원입니다.
(*2) 당기말 현재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관련 매출채권 741백만원, 기타채권 2,227백만원, 대여금 1,288백만원에 대한 손실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회사명 전기말
매출채권 기타채권(*1) 대여금 기타채무
종속기업 Macrogen Japan Corp. 1,825,453 1,360,039 - 474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2) 740,991 2,465,651 1,287,825 124,908
Macrogen Europe B.v. 417,545 1,365,413 - 1,890,782
관계기업 Psomagen, Inc. 820,832 2,707,947 - 34,464
㈜헬스브리즈 - - - -

기타
의료법인 마크로젠의료재단
진헬스의원
28,325 3,059,876 - 821,569
공우생명정보재단 2,673 1,320 - 20,000
합계 3,835,819 10,960,246 1,287,825 2,892,197

(*1) 회사는 종속기업 등에 기계장치 등 금융리스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전기말 현재 금융리스 채권 잔액은 7,019백만원입니다.
(*2) 전기말 현재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관련 매출채권 741백만원, 기타채권 2,021백만원, 대여금 1,288백만원에 대한 손실충당금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전기에 인식한 대손상각비는 219백만원입니다.

(4) 당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 거래내역은 없으며, 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주요 자금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전기

회사명

자금대여 거래

출자

대여

회수
종속기업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 - 918,225
관계기업 Microba Life Sciences Ltd. - - 604,737
합계 - - 1,522,962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 경영진에는 회사의 활동의 계획, 운영 및 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이사(등기임원) 및 감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종업원 용역의 대가로서 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됐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당기

전기

급여 2,089,260 1,444,349
퇴직급여   244,802 221,733
주식보상비용                     - 1,921,663
합계            2,334,062 3,587,745


(6) 특수관계자에 대해 당기에 지급한 배당금은 368백만원입니다.

6. 배당에 관한 사항


가. 회사의 배당정책
당사는 정관의 규정에 의거 주주총회 결의 및 이사회 결의로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투자 및 주주가치 제고,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적정 수준의 배당율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나. 배당관련 회사 정관규정

제 44 조 (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배당은 매 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다만 제42조 6항에 따라 재무제표를 이사회가 승인하는 경우 이사회 결의로 이익배당을 정한다.


제 44 조의 1 (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 6월,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 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사업연도 개시일 이후 분기배당 기준일 이전에 신주를 발행한 경우(준비금의 자본전입, 주식배당, 전환사채의 전환청구,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에 의한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분기배당에 관해서는 당해 신주는 직전사업연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다만, 분기배당 기준일 후에 발행된 신주에 대하여는 최근 분기배당 기준일 직후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다. 주요배당지표

구   분 주식의 종류 당기 전기 전전기
제27기 제26기 제25기
주당액면가액(원) 500 500 500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22,005 1,112 88,337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14,902 16,323 2,847
(연결)주당순이익(원) -2,212 114 9,002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3,012 2,967 2,927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37.5 3.3
현금배당수익률(%) 보통주 1.6 1.0 1.2
우선주 - - -
주식배당수익률(%) 보통주 - - -
우선주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보통주 300 300 300
우선주 - - -
주당 주식배당(주) 보통주 - - -
우선주 - - -

주1) "(연결)당기순이익"은 연결당기순이익의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귀속분이며,
"(연결)주당순이익"은 연결당기순이익의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에 대한 보통주 기본주당순이익입니다.
주2) 상기 "현금배당수익률"은 1주당 현금배당금을 배당기준일 전전거래일부터 과거 1주일간 공표된 코스닥시장에서 형성된 최종시세가격의 산술평균가격으로 나눈 비율입니다.

라.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연속 배당횟수 평균 배당수익률
분기(중간)배당 결산배당 최근 3년간 최근 5년간
- 3 1.3 1.3

주) 상기 "연속 배당횟수" 및 "평균 배당수익률"은 제27기 배당을 포함하여 산출하였습니다.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가.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주)
주식발행
(감소)일자
발행(감소)
형태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종류 수량 주당
액면가액
주당발행
(감소)가액
비고
2020년 05월 06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000 500 18,267 -
2020년 05월 06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200 500 28,760 -
2020년 11월 02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0,000 500 18,267 -
2021년 02월 22일 전환권행사 보통주 20,974 500 23,838 4회차 전환사채
2021년 04월 08일 전환권행사 보통주 20,974 500 23,838 4회차 전환사채
2021년 06월 21일 전환권행사 보통주 41,949 500 23,838 4회차 전환사채
2021년 12월 09일 전환권행사 보통주 125,849 500 23,838 4회차 전환사채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나.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
발행회사 증권종류 발행방법 발행일자 권면(전자등록)총액 이자율 평가등급
(평가기관)
만기일 상환
여부
주관회사
마크로젠 회사채 사모 2019년 01월 15일 5,000,000,000 0.5 - 2022년 01월 15일 전액 주식전환 완료 -
합  계 - - - 5,000,000,000 - - - - -


다.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사모 - - - - - - - - -
합계 - - - - - - - - -


라.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마.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바.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15년이하
15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사.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
사모 - - - - - - - - - -
합계 - - - - - - - - -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가.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백만원)
구 분 회차 납입일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전환사채 4 2019년 01월 15일 운영자금 5,000 기계장치 구입 등 5,000 -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연결)재무제표 관련 유의사항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연결 재무제표 기준)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단위 : 백만원)
구분 계정과목 채권 총액 대손충당금 대손충당금
설정률
제27기 매출채권 24,363 2,276 9.3%
미수금 3,069 449 14.6%
금융리스채권 2,360   0.0%
장기대여금 1,839 (18) (1.0%)
미수수익 94   0.0%
합 계 31,724 2,707 8.5%
제26기 매출채권 23,029 2,567 11.1%
미수금 2,834
0.0%
금융리스채권 4,000
0.0%
장기대여금 158 18 11.6%
미수수익 143
0.0%
합 계 30,165 2,585 8.6%
제25기 매출채권 26,424 3,107 11.8%
미수금 1,154
0.0%
금융리스채권 4,797
0.0%
장기대여금 154 18 11.9%
미수수익 57
0.0%
합 계 32,586 3,125 9.6%

주) 상기 대손충당금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2) 최근 3사업연도의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단위 : 백만원)
구분 제27기 제26기 제25기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2,585 3,125 3,368
2. 순대손처리액 (204) (90) (300)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502) (88) (4)
 상각채권회수액 10 5 -
 기타증감액 288 (7) (296)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326 (450) 57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2,707 2,585 3,125

주) 상기 대손충당금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3) 매출채권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현재 대손충당금 회계정책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개별평가
결산말일 현재 채권자의 신용상태 및 거래상황을 파악하여 개별채권의 회수가능여부를 판단합니다.
회수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는 경우(ex.파산 등) 채권을 장부 제각합니다.

② 집합평가
국내채권과 국외채권을 구분합니다
채권을 결산말일 현재 발생일로부터 3개월 단위로 기간별로 구분하며, 모든 채권의 3개월, 6개월, 9개월, 12개월 단위 전이율을 산정하여 평균전이율을 구한 후 각 기간별 손실율을 산정합니다.
위와 같이 산정된 기간별 손실율을 바탕으로 각 기간별 채권의 대손충당금을 계상합니다.

(4) 경과기간별 매출채권잔액 현황

(단위 : 천원)
구분 1년이내 1년초과 2년초과 3년초과
2년이하 3년이하
금액 해외 6,563,671 349,833 277,345 1,548,616 8,739,465
국내 14,542,874 435,139 198,921 446,165 15,623,099
21,106,545 784,972 476,266 1,994,781 24,362,564
구성비율 86.6% 3.2% 2.0% 8.2% 100.0%

주) 상기 매출채권잔액 현황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다. 재고자산 현황 등 (연결 재무제표 기준)

(1) 최근 3사업연도의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단위: 천원)
사업부문 계정과목 제27기 제26기 제25기
DNA Sequencing 원재료 8,448,402 6,345,825 6,832,145
제품 1,836,437 1,447,257 2,011,772
상품 80,056 703,433 36,037
소계 10,364,895 8,496,514 8,879,954
Microarray 원재료 578,323 848,936 693,484
제품 47,588 39,849 131,378
소계 625,911 888,785 824,863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원재료 32,893 32,083 27,394
제품 - - -
소계 32,893 32,083 27,394
Oligo 원재료 430,166 326,044 219,966
제품 4,486 9,196 16,690
소계 434,652 335,240 236,657
일본법인 원재료 1,060,429 1,298,069 895,645
제품 519,947 629,300 802,108
소계 1,580,377 1,927,370 1,697,753
미주법인 원재료 - - -
제품 - - -
소계 - - -
싱가포르법인 원재료 391,822 314,232 154,059
제품 144,198 54,395 67,113
소계 536,020 368,627 221,171
유럽법인 원재료 1,068,327 722,760 366,521
제품 410,891 936,142 344,470
소계 1,479,218 1,658,903 710,991
합 계 원재료 12,010,362 9,887,949 9,189,215
제품 2,963,549 3,116,140 3,373,531
상품 80,056 703,433 36,037
합계 15,053,966 13,707,522 12,598,783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5.4% 4.5% 4.4%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환산 매출원가÷
{(기초재고+기말재고)÷2}]
7.88 5.86 5.44

주) 상기 재고자산 보유현황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2) 재고자산의 실사내역 등

① 실사일자
매월 말 기준으로 연 12회 재고자산 실사를 진행하며, 당기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 2022년 12월 31일을 기준으로 2022년 12월 30일에 재고실사를 진행합니다.

② 실사방법
전수조사 실시를 기본으로 하며, 일부 중요성이 작은 품목의 경우 샘플 조사 실시

③ 장기체화재고 등 현황
재고자산은 원가와 순실현가치 중 작은 금액으로 표시되고, 재고자산의 원가는 미착품을 제외하고는 이동평균법에 따라 결정됩니다.

(단위: 천원)
계정과목 취득원가 보유금액 평가손실 당반기말 잔액 비 고
원재료 12,860,603 12,860,603 850,241 12,010,362 -
제품 3,305,378 3,305,378 341,829 2,963,549 -
상품 203,181 203,181 123,124,719 80,056 -
합 계 16,369,161 16,369,161 1,315,194 15,053,966 -


라. 공정가치 평가내역 (연결 재무제표 기준)
공정가치 평가내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4. 금융상품 공정가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1. 예측정보에 대한 주의사항
당사가 동 사업보고서에서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ㆍ예측한 활동, 사건 또는 현상은 당해 공시서류 작성시점의 사건 및 재무성과에 대하여 회사의 견해를 반영한 것입니다. 동 예측정보는 미래사업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며, 동 가정들은 결과적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판명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가정들에는 예측정보에서 기재한 예상치와 실제 결과 간에 중요한 차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한 차이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에는 회사내부경영과 관련된 요인과 외부환경에 관한 요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동 예측정보 작성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위험 또는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예측정보에 기재한 사항을 수정하는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의무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동 사업보고서상에 회사가 예상한 결과 또는 사항이 실현되거나 회사가 당초에 예상한 영향이 발생한다는 확신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동 보고서에 기재된 예측정보는 동 보고서 작성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며, 회사가 이러한 위험요인이나 예측정보를 업데이트할 예정이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개요
2022년 마크로젠은 글로벌 경기 둔화가 지속되는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연결기준 매출 약 1,386억원으로 전년대비 7.3% 이상 성장하여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습니다. 또한, 안정적인 국내외 실적을 바탕으로 국내 및 해외에서의 헬스케어 플랫폼 신사업 수익모델을 가시화하고, 유전체 분석 대량 생산/제공, 자동화 프로세스를 구축하는 등 미래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반을 착실히 준비했습니다. 다만, 영업이익은 환율 및 원재료 단가 상승 등으로 인한 재료비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55.2% 감소한 53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은 유전체 분석사업은 전국 초중고 530만여명 대상 유전자검사 기반 헬스케어 검진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등 변화된 정책 및 새로운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하면서 업계 리더십을 공고히 했고, 프랑스, 이탈리아 등 전세계 주요 도시별 지놈슈퍼센터 네트워크를 공격적으로 확대해 나가며 전체 매출의 50% 이상을 해외에서 일으켰습니다. 특히, 최첨단 유전체 분석 기술이 적용된 일루미나 노바식X 플러스, 팩바이오 레비오를 아시아 최초로 도입하여 최근에는 서울 지놈센터에 노바식X 플러스 설치를 완료하고 서비스를 제공할 준비를 마치는 등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졌습니다. 차세대 진단기술인 싱글셀 멀티오믹스와 같이 진입장벽이 높은 고부가가치 사업에서도 서비스 시작 이래 매년 평균 50% 이상 매출 성장을 달성해오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유전체분석에서 데이터 플랫폼 비즈니스를 통한 디지털 헬스케어로 업을 완전히 전환하고 올해 플랫폼 서비스 출시 본격화를 앞두고 있습니다. 글로벌 헬스케어 플랫폼을 파이프라인으로 유전자 검사, 마이크로바이옴 검사, 일종의 유전체 CMO 서비스인 '지놈파운드리(Genome Foundry)' 사업 등 1000만명 개인 유전체 분석(Personal Genome Sequencing) 시대가 현실화되는 시점을 앞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 테스트베드로 시작하여 상대적으로 규제의 영향이 적은 해외시장을 집중 공략할 계획입니다.


3. 재무상태 및 영업실적(연결재무제표 기준)


(1) 재무상태

당사의 자산총계는 전년대비 7.0% 감소한 2,801억원을 기록하였고, 부채총계는 전년대비 0.1% 증가한 991억원을 기록하였으며, 자본총계는 전년대비 10.5% 감소한 1,810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당사의 자산 감소의 주요 원인은 관계기업 투자주식 보유지분의 평가손익 인식으로 인한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의 감소 등이 있으며, 이로 인한 평가손실의 인식으로 인해 이익잉여금의 감소로 자본 총액이 감소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제27기 제26기 증감 증감률
[유동자산] 90,568 100,216 (9,648) (9.6%)
ㆍ현금및현금성자산 37,846 38,739 (893) (2.3%)
ㆍ단기금융상품 10,100 22,100 (12,000) (54.3%)
ㆍ매출채권 21,776 20,061 1,715 8.5%
ㆍ재고자산 15,054 13,708 1,346 9.8%
ㆍ기타 5,793 5,608 185 3.3%
[비유동자산] 189,557 200,961 (11,404) (5.7%)
ㆍ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8,832 39,520 (20,688) (52.3%)
ㆍ관계기업투자 58,086 65,815 (7,729) (11.7%)
ㆍ유형자산 63,275 51,555 11,720 22.7%
ㆍ투자부동산 35,714 36,145 (431) (1.2%)
ㆍ기타 13,650 7,925 5,725 72.2%
자산총계 280,126 301,176 (21,050) (7.0%)
[유동부채] 57,572 76,546 (18,974) (24.8%)
[비유동부채] 41,594 22,479 19,115 85.0%
부채총계 99,167 99,025 142 0.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79,323 200,643 (21,320) (10.6%)
ㆍ자본금 5,421 5,421 0 0.0%
ㆍ주식발행초과금 94,179 94,179 0 0.0%
ㆍ이익잉여금 97,810 122,916 (25,106) (20.4%)
ㆍ기타 (18,087) (21,874) 3,787 (17.3%)
[비지배지분] 1,635 1,509 126 8.3%
자본총계 180,959 202,151 (21,192) (10.5%)
부채와 자본총계 280,126 301,176 (21,050) (7.0%)
자기자본비율 64.60% 67.12% -2.52%p -
부채비율 54.80% 48.99% 5.82p%p -

주) 제27기(당기)는 이사회 승인 전 연결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상법 제449조2 및 당사 정관 제42조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이며,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이사회에서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 보고할 예정입니다. 또한 향후 이사회 혹은 주주총회에서 부결 또는 수정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2) 영업실적

당사의 제27기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전년대비 7.3% 증가한 1,386억원의 매출실적을 달성하였나,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재료비 증가로 인해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55.1% 감소한 53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관계기업 투자주식 보유지분에 대한 평가손실의 영향으로 당기순이익은 -220억원을 기록하여 적자전환되었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제27 기

제26 기

증감 증감률
매출액 138,617 129,175 9,443 7.3%
매출원가 85,024 77,016 8,008 10.4%
매출총이익 53,593 52,158 1,435 2.8%
판매비와관리비 48,069 40,816 7,254 17.8%
대손상각비(환입) 235 (450) 685 (152.2%)
영업이익 5,289 11,793 (6,503) (55.1%)
금융수익 791 2,692 (1,901) (70.6%)
금융원가 904 870 34 3.9%
기타수익 4,291 30,495 (26,204) (85.9%)
기타비용 37,200 25,452 11,748 46.2%
관계기업지분법손실 (1,370) (3,753) 2,383 (63.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9,104) 14,904 (44,008) 적자전환
법인세비용(수익) (7,098) 12,592 (19,690) (156.4%)
당기순이익(손실) (22,005) 2,312 (24,317) 적자전환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22,253) 1,112 (23,364) 적자전환
비지배지분 247 1,200 (953) (79.4%)

주) 제27기(당기)는 이사회 승인 전 연결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상법 제449조2 및 당사 정관 제42조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이 적정이며, 감사위원 전원의 동의가 있는 경우 이사회에서 재무제표를 승인하고 주주총회에서 보고할 예정입니다. 또한 향후 이사회 혹은 주주총회에서 부결 또는 수정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공시할 예정입니다.

[부문별 영업실적]

(단위: 천원)
부문 품목 제27기 제26기 매출 증감(률) 영업손익 증감(률)
매출 영업손익 매출 영업손익 금액 (%) 금액 (%)
NGS부문 Next Generation Sequencing 76,515,588 4,836,399 75,992,463 9,832,390 523,125 0.7% (4,996,203) (50.8%)
CES부문 Capillary Electrophoresis Sequencing 23,512,454 1,162,967 21,506,135 1,891,230 2,006,319 9.3% (728,314) (38.5%)
Oligo 9,301,861 845,289 8,015,743 785,688 1,286,118 16.0% 59,565 7.6%
게놈응용부문 Microarray 6,928,774 951,468 5,819,120 1,405,703 1,109,654 19.1% (454,276) (32.3%)
Genetically Engineered Mouse 3,943,446 (52,633) 3,996,280 298,141 (52,834) (1.3%) (350,774) (117.7%)
기타부문 Clinical Sequencing 2,226,887 (1,717,422) 2,670,143 (2,773,172) (443,256) (16.6%) 1,055,825 (38.1%)
Personal Genome Sequencing 11,842,250 (1,917,488) 8,565,013 (651,631) 3,277,237 38.3% (1,265,773) 194.2%
상품 2,915,403 404,917 1,302,650 240,661 1,612,753 123.8% 200,057 83.1%
임대료수입 1,430,827 775,995 1,307,088 763,974 123,739 9.5% 12,021 1.6%
합 계 138,617,490 5,289,492 129,174,636 11,792,982 9,442,854 7.3% (6,467,870) (54.8%)


(3) 신규사업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을 포함한 자세한 사항은 동 보고서의 'Ⅱ. 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환율변동 영향

당사는 글로벌 영업활동으로 인하여 기능통화와는 다른 통화로 표시된 거래를 하고 있어 환율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주요 통화는 USD, JPY, EUR 등이 있습니다.

[각 통화별 기말환율]
(단위 : 원)
구분 제27기 제26기 변동 변동률
USD 1,267.30 1,185.50 81.80 6.9%
JPY 953.18 1,030.24 (77.06) (7.5%)
EUR 1,351.20 1,342.34 8.86 0.7%


보고기간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주요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당사의 세후 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세후 이익에 대한 영향

자본에 대한 영향

당기

전기

당기

전기

USD 상승시 481,936 709,315 481,936 709,315
하락시 (481,936) (709,315) (481,936) (709,315)
JPY 상승시 206,200 248,812 206,200 248,812
하락시 (206,200) (248,812) (206,200) (248,812)
EUR 상승시 616,781 748,904 616,781 748,904
하락시 (616,781) (748,904) (616,781) (748,904)


당사는 글로벌 영업활동으로 인하여 환율 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환율의 불확실성은 미래의 영업 거래, 자산과부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기간별 외화 예금 및 신탁 등을 통해 환율 변동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5) 자산손상 및 감액손실

영업권이나 유무형자산 및 매출채권에 대해서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은 회수가능액(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 중 높은 금액)을 초과하는 장부금액만큼 인식되고, 영업권 이외의 유무형자산 및 매출채권에 대한 손상차손은 매 보고기간 말에 환입 가능성이 검토 됩니다.


4. 유동성 및 자금조달과 지출(연결재무제표 기준)


(1) 유동성 현황

당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유동성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년대비 2.3% 감소하였으며, 단기금융상품은 전년대비 54.3% 감소하여 당기말 총 유동자금은 전년대비 21.2% 감소한 479억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제27기 제26기 증감 증감률
현금 및 현금성자산 37,845,784 38,738,980 (893,196) (2.3%)
단기금융상품 10,100,000 22,100,000 (12,000,000) (54.3%)
합 계 47,945,784 60,838,980 (12,893,196) (21.2%)


(2) 자금조달
당사의 연결재무제표 기준 자금조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기의 유동성장기차입금 210억원을 대환하여 장기차입금 210억원으로 대체되었으며, 지놈 센터 설립 등을 위해 추가적으로 48억원을 차입하여 전년대비 15.2% 증가한 357억원을 조달 중입니다.

(단위: 천원)
구분 제27기 제26기 증감 증감률
단기차입금 9,000,000 9,000,000 - -
유동성장기차입금 953,180 21,000,000 (20,046,820) (95.5%)
장기차입금 25,800,000 1,030,240 24,769,760 2,404.3%
합 계 35,753,180 31,030,240 4,722,940 15.2%


당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으며,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재무상태표의 전환사채 포함)에서 현금 및 현금성 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연결재무상태표의 "자본총계"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단위: 천원)
구분 제27기 제26기 증감 증감률
총차입금 35,753,180 31,030,240 4,722,940 15.22%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37,845,784) (38,738,980) 893,196 (2.31%)
순부채 (2,092,604) (7,708,740) 5,616,136 (72.85%)
자본총계 180,958,806 202,151,283 (21,192,477) (10.48%)
총자본 178,866,202 194,442,543 (15,576,341) (8.01%)
자본조달비율 - - - -

주)당기말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가 (-)이므로 계산하지 않았습니다.

5. 부외거래

부외거래와 관련된 사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의 36. 우발상황과 약정사항 및 37. 특수관계자 거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중요한 회계정책 및 추정에 관한 사항

당기에 최초로 채택.변경된 회계정책 또는 회계추정에 관한 사항은 'Ⅲ.재무에 관한 사항'의 '3.연결재무제표 주석' 및 '5.재무제표 주석'의 '회계정책'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최초 채택.변경된 회계정책 또는 회계추정이 당기 재무상태, 영업실적에 미친 유의적 영향은 없습니다.


나. 환경 및 종업원 등에 관한 사항

환경관련 제재사항이나 행정조치 등에 관한 사항은 공시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종업원과 관련하여 주요 핵심인력 이동사항은 없으며, 종업원 현황 등 사항은 'Ⅷ.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의 '1.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다. 법규상의 규제에 관한 사항
당사의 사업과 관련된 법규상 주요 규제내용은 'ⅩⅠ.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의 '3.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 파생상품 및 위험관리정책에 관한 사항
파생상품 및 위험관리정책은 'Ⅱ.사업의 내용'의 '5.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감사인 감사의견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27기(당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 - 분석매출의 수익인식,
- 수준3으로 관리된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측정
제26기(전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 - 분석매출의 수익인식,
- 수준3으로 관리된 금융자산의
공정가치 측정
제25기(전전기) 삼일회계법인 적정 영업환경의 중요한 불확실성 분석매출의 수익인식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천원, 시간)
사업연도 감사인 내 용 감사계약내역 실제수행내역
보수 시간 보수 시간
제27기(당기) 삼일회계법인 분ㆍ반기 재무제표 검토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내부회계 관리제도의 운영실태 감사
250,000 2,330 284,830 2,654
제26기(전기) 삼일회계법인 분ㆍ반기 재무제표 검토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185,000 1,780 185,000 2,132
제25기(전전기) 삼일회계법인 분ㆍ반기 재무제표 검토
 별도 및 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
165,000 1,650 246,000 2,550

주) 제27기 실제수행내역은 연간 검토하는데 소요된 시간 및 보수입니다.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단위: 천원)
사업연도 계약체결일 용역내용 용역수행기간 용역보수 비고
제27기(당기) - - - - -
제26기(전기) 21.05.12 정기세무조사 지원 2021.05.27 ~ 2021.07.26 153,000 -
제25기(전전기) 20.01.01 세무조정 2020.01.01 ~ 2020.12.31 8,000 -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일자 참석자 방식 주요 논의 내용
1 2022.12.05 회사측 : 감사위원회
감사인측 : 업무수행이사 등 2인
서면회의 감사팀 구성, 감사투입시간과 보수, 경영진 및
감사인의책임, 핵심감사사항선정, 감사인의 독립성 등
2 2023.03.22 회사측 : 감사위원회
감사인측 : 업무수행이사 등 2인
서면회의 감사종결보고, 감사에서의 유의적 발견사항, 핵심감사사항, 감사인의 독립성 등


마. 회계감사인의 변경
해당사항 없음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가. 내부회계관리자

구분 내부회계관리자 평가결과 특기사항
제27기
 (당기)
유성현 본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실태 평가결과, 2022년 12 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제26기
 (전기)
정경호 본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실태 평가결과, 2021년 12 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제25기
 (전전기)
정경호 본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운영실태 평가결과, 2020년 12 월 31일 현재 당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근거하여 볼 때,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운영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


나. 회계감사인

구분 회계감사인 감사(검토)의견 지적사항
제27기
 (당기)
삼일회계법인 감사인은 2022년 12월 31일 현재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감사한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다고 의견 표명하였습니다. -
제26기
 (전기)
삼일회계법인 감사인은 2021년 12월 31일 현재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감사한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다고 의견 표명하였습니다. -
제25기
 (전전기)
삼일회계법인 감사인은 2020년 12월 31일 현재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를 감사한 결과,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다고 의견 표명하였습니다. -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가. 이사회 구성 개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1인의 사내이사와 4인의 기타비상무이사, 4인의 사외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내 위원회로서 감사위원회를 두고 있습니다. 이사회 의장은 서정선 기타비상무이사가 맡고 있으며, 대표이사를 겸직하고 있지 않습니다. 서정선 기타비상무이사는 회사 창립자이자 설립초기 이사회 구성원으로서 사업전반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전략적인 회사운영 능력을 기반으로 이사회를 이끌어가는데 적합하다 판단하여 이사회 의장으로 선임되었습니다.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업무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성명 직책 주요경력
사내이사 김창훈 대표이사 마크로젠 기술개발본부 본부장(CTO)
이수강 대표이사 마크로젠 기술혁신본부장
기타비상무이사 서정선 경영총괄
(이사회 의장)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
김형태 기타비상무이사 마크로젠 대표이사
권희민 기타비상무이사 삼성전자 부사장
윤세웅 기타비상무이사 야후 코리아 상무
사외이사 이도호 감사위원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
박진우 감사위원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김종일 감사위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유영숙 사외이사 제14대 환경부 장관

주) 사내이사인 대표이사 이수강은 2022년 12월 31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나.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이사의 수 사외이사 수 사외이사 변동현황
선임 해임 중도퇴임
10 4 - - -


다. 중요의결사항 등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내이사의 성명 기타비상무이사의 성명 사외이사의 성명
이수강
(출석률 : 100%)
김창훈
(출석률 : 100%)
박하영
(출석률 : 100%)
서정선
(출석률 : 100%)
김형태
(출석률 : 100%)
권희민
(출석률 : 90%)
윤세웅
(출석률 : 100%)
이도호
(출석률 : 100%)
박진우
(출석률 : 100%)
김종일
(출석률 : 90%)
유영숙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찬 반 여 부  찬 반 여 부
1 2022.01.26 자기주식 처분에 관한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이사선임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22.02.16 제26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6기 현금배당의 건
각자 대표이사 선임의 건
제26기 영업보고서(안) 승인의 건
가결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2022.02.28 [보고안건]
제2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제2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부의안건]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전자투표 도입에 관한 건
송도 공모부지 매입 계약 체결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회사의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계획 승인의 건
 
보고
보고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사임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22.03.11 자기주식 처분에 관한 건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출석
불출석
찬성
찬성
5 2022.03.25 제26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6 2022.03.31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7 2022.06.27 시설자금 대환에 관한 건
자기주식 처분에 관한 건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8 2022.08.01 감사위원회 규정 제정에 관한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불출석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9 2022.09.21 임시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전자투표 도입에 관한 건
지점설치에 관한 건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10 2022.10.21 자기주식취득 신탁계약 체결의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주) 사내이사인 대표이사 이수강은 2022년 12월 31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라. 이사의 독립성

이사회에서는 연구개발, 제품개발, 영업 및 경영전반에 관한 토의가 이루어지며 중요한 경영상의 의사결정의 경우 이사회의 의견을 기반으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이사 선출 시 별도로 운영하고 있는 독립성 기준은 없으며, 이사 전원이 이사회 추천 및 주주총회 결의에 의해 선임되었습니다. 당사 사외이사는 상법 제382조의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 등에 따른 사외이사 결격사유에 해당하는 사실이 없음을 확인하였습니다.

당기말 현재 이사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성명 선임배경 활동분야 추천인 회사와의
거래내역
최대주주와의
관계
임기 연임여부
(횟수)
사내이사 김창훈 KAIST 생물과학 박사학위 취득 이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연구원, KAIST 연구교수, 미국립암연구소연구원을 역임하였으며, 2011년부터 당사의 CTO 및 기술개발 본부장으로 근무하면서 Nature 같은 세계최고의 잡지에 논문을 발표하는 등 회사의 기술발전에 뛰어난 역량을 발휘하고 있음. 김전문성과 풍부한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사내이사
(대표이사)
이사회 - - '21.03~'24.03 (3년) -
이수강 산업공학 전문가로서 회사의 내부사정에 정통하며 조직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내부구성원들의 통합을 위한 지도력 및 리더쉽 발휘에 뛰어난 능력을 보여주었고, 보다 높은 수준의 관리체계 구축을 통해 조직의 효율화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선임 사내이사
(대표이사)
이사회 - - '22.03~'23.03 (1년) 연임(1회)
기타비상무
이사
서정선 당사 설립이래 비약적인 발전을 주도하였으며, 유전체 분야의 최고 권위자임. 혁신적인 경영 마인드를 바탕으로 기업가치를 증가시킬 적임자로 판단되어 선임 경영총괄
(이사회 의장)
이사회 - 본인 '20.03~'23.03 (3년) 연임(8회)
김형태 미국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유전학 박사이자 미 국립보건원(NIH)출신이며, 당사의 CTO, 유럽법인장 및 대표이사를 역임하였음. 연구개발, 영업, 관리, 기획 등 업무전반에 정통하며, 풍부한 경험과 식견을 바탕으로 글로벌 경영전략을 활용하여 회사의 중장기 및 세부전략을 수립하는데 뛰어난 능력을 발휘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기타비상무이사 이사회 - - '21.03~'24.03 (3년) 연임(1회)
권희민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 박사학위 취득 이후, 삼성전자 등 글로벌 최고수준의 기업 및 연구소에서 연구원, 부사장, 고문을 역임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6년까지는 당사의 경영고문을 역임하면서 회사 및 바이오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상당히 높은 수준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회사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기타비상무이사 이사회 - - '21.03~'24.03 (3년) -
윤세웅 현재 AI 플랫폼 개발회사의 CEO를 맡고 있는 관련 분야의 전문가로써 당사가 AI 기반 헬스케어 기업으로 탈바꿈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기타비상무이사 이사회 - - '22.03~'23.03 (1년) -
사외이사 이도호 기획재정부 재직 당시 높은 전문성과 지식을 바탕으로 국세심판원 조사관, 행정실장, 상임심판관을 역임하였으며, 10년 이상 삼일회계법인의 고문을 역임한 경험은 당사의 의사결정 및 경영 전반에 걸쳐 상당한 수준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감사위원회
위원장
이사회 - - '20.03~'23.03 (3년) -
박진우 현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명예교수이자 학계 전문가로 회사의 주요 프로세스 개선관련 효율을 상당한 수준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감사위원 이사회 - - '20.03~'23.03 (3년) 연임(1회)
김종일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실 교수이자 학계 전문가로 회사가 추진하는 제반 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과 역량 발휘를 통해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감사위원 이사회 - - '20.03~'23.03 (3년) -
유영숙 University of Oregon 생화학 박사이자, 환경부 장관을 역임한 환경 분야 전문가로서, 현재도 기후변화센터 이사장을 비롯하여 국내외 환경분야에 있어 폭넓은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향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ESG와 관련한 회사 경영 및 이사회 운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사외이사 이사회 - - '21.03~'24.03 (3년) -

주1)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가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주) 사내이사인 대표이사 이수강은 2022년 12월 31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마.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교육실시주체 참석 사외이사 불참시 사유 주요 교육내용
2020년 05월 06일 사단법인 감사위원회포럼 이도호 해당사항 없음 감사위원회 역할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주요내용


바. 사외이사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사외이사를 위한 지원조직이 별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가. 감사위원 현황
회사는 상법 제415조의2 및 당사 정관 제34조 규정에 의한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2014년 3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감사위원회를 최초로 설치하였습니다.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회계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의 운영실태를 검토하고 있으며, 업무감사를 위해 이사회 등의 회의에 출석하여 중요한 경영사항에 대해 검토하고 있습니다.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 위원장은 이도호 사외이사로서 위원장은 감사위원회 결의로 선임하며, 위원장이 감사위원회의 의장이 됩니다. 이도호 사외이사는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및 상법 시행령 제37조 제2항에 따른 회계ㆍ재무전문가 요건을 충족함을 확인하였습니다.

성명 사외이사
여부
경력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해당 여부 전문가 유형 관련 경력
이도호 전) 삼일회계법인, 삼일세무법인 고문(2007~2017)
전)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1996~2006)
전) 한국국제협력단(1993~1996)
전)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 예산실, 심사평가국(1982~1993)
금융기관ㆍ정부ㆍ
증권유관기관 등 경력자
(4호 유형)
전) 삼일회계법인, 삼일세무법인 고문(2007~2017)
전)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1996~2006)
전) 경제기획원 정책조정국, 예산실, 심사평가국(1982~1993)
박진우 현) 서울대학교 스마트매뉴팩처링 주임교수(2018~현재)
전)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1985~2018)
전) LG생산기술연구원 자문교수(1994~1997)
전) 삼성전자 산학협력 교수(1985~1987)
- - -
김종일 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2011~현재)
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의약학부 정회원(2014~현재)
현)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2017~현재)
- - -

주) 4호 유형: 금융기관ㆍ정부ㆍ증권유관기관 등에서 회계ㆍ재무 관련 업무 또는 이에 대한 감독업무를 수행한 경력이 모두 5년 이상인지 여부


나. 감사위원회의 독립성
당사는 관련 법령 및 정관에 따라 감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으며, 감사위원회 위원은이사회 추천을 받아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선임되었습니다. 위원회는 3인의 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위원 총수의 3분의 2 이상이 사외이사 입니다. 또한 위원 중 1명 이상이 회계ㆍ재무 전문가이며, 사외이사가 감사위원회의 대표를 맡고 있습니다. 감사위원회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 및 타부서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해 제반업무와 관련하여 장부 및 관계서류를 해당부서에 제출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시 회사로부터 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으며, 적절한 방법으로 경영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구분 성명 선임배경 활동분야 추천인 회사와의
거래내역
최대주주와의
관계
임기 연임여부
(횟수)
사외이사 이도호 기획재정부 재직 당시 높은 전문성과 지식을 바탕으로 국세심판원 조사관, 행정실장, 상임심판관을 역임하였으며, 10년 이상 삼일회계법인의 고문을 역임한 경험은 당사의 의사결정 및 경영 전반에 걸쳐 상당한 수준의 변화를 이끌 것으로 기대되고, 이는 궁극적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감사위원 이사회 - - '20.03~'23.03 (3년) -
박진우 현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명예교수이자 학계 전문가로 회사의 주요 프로세스 개선관련 효율을 상당한 수준으로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감사위원 이사회 - - '20.03~'23.03 (3년) 연임(1회)
김종일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실 교수이자 학계 전문가로 회사가 추진하는 제반 사업에 대한 전문적인 식견과 역량 발휘를 통해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어 선임 감사위원 이사회 - - '20.03~'23.03 (3년) -


다. 감사위원회의 활동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사외이사의 성명
이도호
(출석률: 100%)
박진우
(출석률: 100%)
김종일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2.02.28 감사위원회의 감사보고
   - 재무상태표 및 포괄손익계산서에 관한 사항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에 관한 사항
   - 영업보고서에 관한 사항
제26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의 건
보고



보고
-



-
-



-
-



-
2 2022.03.25 제26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에 관한 건 가결 찬성 찬성 찬성


라.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교육실시주체 참석 감사위원 불참시 사유 주요 교육내용
2020년 05월 06일 사단법인 감사위원회포럼 이도호 해당사항 없음 감사위원회 역할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주요내용


마. 감사위원회 지원 조직 현황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위한 지원조직이 별도 존재하지 않습니다.


바.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선임한 준법지원인이 없습니다.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투표제도 종류 집중투표제 서면투표제 전자투표제
도입여부 배제 도입 도입
실시여부 - 제26기 정기주주총회
2022년 임시주주총회
제26기 정기주주총회
2022년 임시주주총회


의결권대리행사권유제도

구분 의결권대리행사권유 위임방법
제26기 정기주총 실시 직접교부, 우편, 용지게시, 소집통지, 전자우편
2022년 임시주총 실시 직접교부, 우편, 용지게시, 소집통지, 전자우편


나. 소수주주권 및 경영권 경쟁

행사자 내용 행사목적 진행경과 조치내용
송태섭 외
142명 주주
상법 제366조에 의한
임시주주총회 소집청구
이사선임 및
정관개정
- 2020.10 소수주주, 주주총회소집허가 법원 신청
- 2020.11 주주총회소집 법원 허가결정
법원허가결정
송태섭 외
20명 주주
정관 일부변경 정관 제28조4항,
제39조3항,
제46조2항 삭제
- 2021.02 정관 일부변경의 건을 주총의안으로 하는 내용증명 회신
- 2021.03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 2021.03 정기주주총회 의안상정 및 부결
의안 부결
송태섭 외
20명 주주
사외이사 후보자 선임 문만기, 최규양, 김문호사외이사 후보자 선임 - 2021.02 3명의 사외이사 후보자 선임을 주총의안으로 하는 내용증명 회신
- 2021.03 의결권 대리행사 권유
- 2021.03 정기주주총회 의안상정 및 부결
의안 부결


다. 의결권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주식수 비고
발행주식총수(A) 보통부 10,841,400 -
우선주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보통부 801,343 자기주식
우선주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보통부 - -
우선주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보통부 - -
우선주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보통부 - -
우선주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
(F = A - B - C - D + E)
보통부 10,040,047 -
우선주 - -


라. 주식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 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자본시장통합법 165조 6의 규정에 의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신주발행총수의 100분의 20범위 안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신주를 우선 배정하는 경우

3. 상법 제 340조2의 규정에 의한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주식예탁증서(DR)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회사가 경영상 필요로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투자유치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기술도입 또는 경영전략상의 필요로 제휴회사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의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금융기관 등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행하는 경우에는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결산일 12월 31일 정기주주총회 매결산기 이후 3개월 이내
주주명부
폐쇄기준일
12월 31일
주주명부
폐쇄시기
1월1일로부터 1월31일까지
주권의
종류
2019년 9월 시행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라 주권 및 사채 등 증권의 전자등록 의무화로 인해 실물증권이 사라졌으므로 주권의 종류를 기재하지 않음
명의개서
대리인
국민은행 증권대행부
주주의 특전 없음 공고방법

이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macrogen.co.kr)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일간 한국경제신문에 게재한다.


마.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구분 안건 결의내용 비고
제24기 정기
주주총회
(20.03.27)
제1호 의안: 24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의안: 이사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서정선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김형태 선임의 건
   제3-3호 의안: 사내이사 양갑석 선임의 건
   제3-4호 의안: 사내이사 이수강 선임의 건
   제3-5호 의안: 사외이사 박진우 선임의 건
   제3-6호 의안: 사외이사 이도호 선임의 건
   제3-7호 의안: 사외이사 김종일 선임의 건
 
제4호 의안: 감사위원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박진우 선임의 건
   제4-2호 의안: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이도호 선임의 건
   제4-3호 의안: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김종일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6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에 관한 건
가결

가결
 ㅤ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
제25기 정기
주주총회
(21.03.31)
제1호 의안: 25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사외이사 유영숙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권희민 선임의 건
   제2-3호 의안: 사내이사 박하영 선임의 건
   제2-4호 의안: 사내이사 김창훈 선임의 건
   제2-5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김형태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사외이사선임의 건(주주제안)
   제4-1호 의안: 사외이사 문만기 선임의 건
   제4-2호 의안: 사외이사 최규양 선임의 건
   제4-3호 의안: 사외이사 김문호 선임의 건
 
제5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주주제안)
   제5-1호 의안: 정관 제28조4항 삭제의 건
   제5-2호 의안: 정관 제39조3항 삭제의 건
   제5-3호 의안: 정관 제46조2항 삭제의 건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부결
부결
부결


부결
부결
부결
-
제26기 정기
주주총회
(22.03.31)
제1호 의안: 26기 재무제표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이사선임의 건
   제2-1호 의안: 사내이사 이수강 선임의 건
   제2-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윤세웅 선임의 건

제3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


가결
가결

가결
-
제27기 임시
주주총회
(22.11.09)
제1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가결 -

VII. 주주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서정선 최대주주 본인 보통주 1,034,086 9.54 1,034,086 9.54 -
이은화 최대주주의 배우자 보통주 75,600 0.70 75,600 0.70 -
서수현 최대주주의 자 보통주 67,500 0.62 67,500 0.62 -
김형태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42,220 0.39 42,220 0.39 -
김창훈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520 0.00 8,323 0.08 -
이수강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1,020 0.01 0 0.00 임원 사임
윤세웅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0 0.00 800 0.01 임원 선임
박진우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20 0.00 20 0.00 -
유영숙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20 0.00 20 0.00 -
권희민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20 0.00 20 0.00 -
이도호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20 0.00 20 0.00 -
박하영 발행회사 임원 보통주 20 0.00 0 0.00 임원 사임
보통주 1,221,046 11.26 1,228,609 11.33 -
기타 - - - - -

주1) 발행회사 임원은 당사 등기임원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2) 상기 지분율은 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입니다.

2.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최대주주 성명 직위 주요경력
기간 경력사항
서정선 마크로젠
회장
1983 ~ 2017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1995 ~ 2017 한국유전체의학연구재단 상임이사
1997 ~ 2017 서울대학교 의학연구원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
2004 ~ 현재 ㈜마크로젠 이사회의장
2009~2013, 2015~2021 한국바이오협회 회장
2017 ~ 현재 공우생명정보재단 이사장
2017 ~ 현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석좌교수


3. 최대주주의 변동 현황
당사는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주식의 분포

가.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구분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비고
5% 이상 주주 서정선 1,034,086 9.54 -
국민연금공단 545,146 5.02 -
우리사주조합 9,023 0.08 -

주) 상기 지분율은 발행주식총수 대비 비율입니다.

나.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주 소유주식 비 고
소액
주주수
전체
주주수
비율
(%)
소액
주식수
총발행
주식수
비율
(%)
소액주주 15,388 15,406 99.88 7,450,358 15,841,400 68.72 -


5. 최근 6개월간의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단위: 원, 주)
종류 2022년 07월 2022년 08월 2022년 09월 2022년 10월 2022년 11월 2022년 12월
보통주 주가 최고주가 26,350 27,200 23,250 20,700 21,900 21,550
최저주가 24,400 23,500 18,700 16,800 19,700 19,000
평균주가 25,933 25,657 21,443 19,032 20,916 19,983
거래량 최고 일거래량 37,532 123,432 61,033 64,017 40,433 91,338
최저 일거래량 6,411 7,224 9,187 6,211 6,816 3,963
월간 거래량 323,058 503,439 540,939 503,397 396,681 361,441

※ 출처: KRX Market  Data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가. 등기임원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성명 성별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
여부
담당
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최대주주와의
관계
재직기간 임기
만료일
의결권
있는 주식
의결권
없는 주식
서정선 1952년 06월 회장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경영총괄/
 이사회의장
서울대학교 의대 박사
전) 서울대학교 의대 교수
현) 마크로젠 회장
1,034,086 - 본인 23.3년 2023.03.28
김창훈 1967년 02월 대표이사 사내이사 상근 대표이사 KAIST 생물과학 박사
전) 마크로젠 기술개발본부 본부장(CTO)
8,323 - - 11.2년 2024.03.31
이수강 1966년 02월 대표이사 사내이사 상근 대표이사 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석사
전) 마크로젠 기술혁신본부장
3,020 - - 6.7년 2023.03.31
김형태 1963년 02월 기타비상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기타비상무이사 The George Washington University 유전학 박사
전) 마크로젠 대표이사
42,220 - - 3.9년 2024.03.31
권희민 1952년 03월 기타비상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기타비상무이사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물리학 박사
전) 삼성전자 통신연구소차세대연구팀 부사장
20 - - 1.8년 2024.03.31
윤세웅 1959년 04월 기타비상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기타비상무이사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경영학 석사
현) 보스턴에임스㈜ 대표이사
800 - - 0.8년 2023.03.31
이도호 1949년 01월 사외이사 사외이사 비상근 감사위원회
 위원장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사
전)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
20 - - 2.8년 2023.03.28
박진우 1952년 09월 사외이사 사외이사 비상근 감사위원회
 위원
미국 UC Berkeley 산업공학 박사
현)서울대학교 산업공학과 교수
20 - - 5.8년 2023.03.28
김종일 1966년 09월 사외이사 사외이사 비상근 감사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생화학 박사
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 - - 2.8년 2023.03.28
유영숙 1955년 05월 사외이사 사외이사 비상근 사외이사 University of Oregon 생화학 박사
전) 제14대 환경부 장관
20 - - 1.8년 2024.03.31

주) 사내이사인 대표이사 이수강은 2022년 12월 31일 일신상의 사유로 사임하였습니다.

나. 등기임원 선임 후보자 및 해임 대상자 현황

(기준일 : 2023년 02월 28일 )
구분 성명 성별 출생년월 사외이사
후보자
해당여부
주요경력 선ㆍ해임
예정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선임 서정선 1952.06 기타비상무이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사

현) ㈜마크로젠 회장(1997~현재)

현)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석좌교수(2017~현재)

전) 한국바이오협회 회장(2009~2013, 2015~2021)

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1983~2017)

2023.03.31 본인
선임 이응룡 1973.03 사내이사

경북대학교 세포생화학 박사

현) ㈜마크로젠 부사장(2023~현재)

전) 한국유전학회 산학협력위원장(2021~2022)

전) ㈜마크로젠 지놈사업본부 본부장(2018~2022)

전) 건국대학교 동물생명과학과 연구교수(2008~ 2010)

2023.03.31 해당사항 없음
선임 김종일 1966.09 감사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생화학 박사

현) ㈜마크로젠 사외이사(2020~현재)

현) 서울대학교 유전체의학연구소 소장(2017~현재)

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의약학부 정회원(2014~현재)

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교수(2011~현재)

2023.03.31 해당사항 없음
선임 박현석 1963.09 사외이사

University of Cambridge, 컴퓨터학 박사

현) 이화여자대학교 AI대학 학장(2023~현재)

현) 이화여자대학교 바이오정보학협동과정/빅데이터 분석학 협동과정/인공지능전공/에코과학부[대학원] 겸임교수(2020~현재)

전) 이화여자대학교 소프트웨어연계전공/전공특화소프트웨어 융합전공 전공주임교수(2020~2023)

전) ㈜마크로젠 대표이사(2003~2006)

2023.03.31 해당사항 없음
선임 유명희 1954.09 감사위원회 위원

University of California(Berkeley) 미생물학 박사

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명예연구원(2020~현재)

현) Bertis R&D Consultant(2021~현재)

전) 청와대 미래전략기획관(2010~2013)

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2000~2020)

2023.03.31 해당사항 없음
선임 이도호 1949.01 감사위원회 위원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학사

현) ㈜마크로젠 사외이사(2020~현재)

전) 삼일회계법인, 삼일세무법인 고문(2007~2017)

전) 기획재정부 국세심판원 조사관, 심판관(1996~ 2006)

전) 한국국제협력단(1993~1996)

2023.03.31 해당사항 없음


다. 등기임원의 겸직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겸직임원 겸직회사 비 고
성명 직위 회사명 직위
서정선 회장 Psomagen, Inc. 등기이사
(비상근)
-
Macrogen Japan Corp. -
Macrogen Europe B.V. -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라. 미등기임원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성명 성별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
여부
담당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최대주주와의
관계
재직기간 임기
만료일
의결권
있는 주식
의결권
없는 주식
유성현 1962년 08월 부사장 미등기 상근 경영총괄지원본부
 본부장
서강대학교 경영학 학사
전) SK이노베이션 재무실장 CFO
- - - 0.6년 -
주창남 1965년 04월 부사장 미등기 상근 디지털혁신본부
 본부장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
전) 삼성전자 전무이사
10,000 - - 0.7년 -
김봉조 1971년 10월 부사장 미등기 상근 유럽법인장 서울대학교 의학과 병리학 박사
전) 원자력 의학원 방사선의학연구소 연구원
40 - - 9.3년 -
황상준 1969년 07월 전무이사 미등기 상근 개인지놈사업본부
 본부장
Texas Tech University 대학원 분자유전학 박사
전) 에스티메드 대표이사
1,694 - - 3.0년 -
김종윤 1972년 07월 전무이사 미등기 상근 신성장혁신사업본부
 본부장
목원대학교 컴퓨터공학 학사 2,192 - - 1.8년 -
정경호 1971년 04월 전무이사 미등기 상근 일본법인 CFO 고려대학교 무역학 학사
전) 삼보컴퓨터
3,357 - - 6.1년 -
이응룡 1973년 03월 전무이사 미등기 상근 지놈사업본부
 본부장
경북대학교 생화학 박사 2,133 - - 12.7년 -
박용재 1972년 03월 상무이사 미등기 상근 전략기획부문
 부문장
연세대학교 MBA 석사
전) IBM 재무기획 / First Data CFO
- - - 0.6년
차승헌 1974년 07월 상무이사 미등기 상근 스페인지사
 지사장
연세대학교 노화유전체학 박사
전)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
830 - - 14.7년 -
오승현 1974년 11월 상무이사 미등기 상근 데이터분석부문
 부문장
한양대학교 생화학과 학사
전) 인밸리
1,854 - - 20.3년 -
김용진 1976년 08월 상무이사 미등기 상근 CES영업부문
 부문장
충남대학교 대학원 이학 석사 1,887 - - 20.1년 -
권낙중 1976년 05월 이사 미등기 상근 정밀의학연구소
 연구소장
배재대학교 화학과 박사 2,611 - - 10.8년 -
은우종 1979년 10월 이사 미등기 상근 미래전략실
 실장
서울대학교 Global MBA 석사 120 - - 5.9년 -
김재현 1974년 11월 이사 미등기 상근 정보지원부문
 부문장
경북대학교 통계학과 학사
전) LG CNS
1,080 - - 5.9년 -
김혜선 1975년 10월 이사 미등기 상근 영업관리부문
 부문장
서강대학교 생명과학과 박사 1,709 - - 18.5년 -
신상흠 1979년 05월 이사 미등기 상근 NGS영업부문
 부문장
아주대학교 분자과학기술학과 박사 2,223 - - 17.0년 -
이형일 1978년 02월 이사 미등기 상근 NGS기술서비스부문
 부문장
서울시립대학교 생명과학과 석사 1,658 - - 16.2년 -
정정희 1979년 02월 이사 미등기 상근 데이터분석2부
 부서장
부산대학교 통계학과 석사 1,080 - - 17.7년 -
조은정 1978년 12월 이사 미등기 상근 데이터분석3부
 부서장
수원대학교 정보통신공학 학사 1,255 - - 17.4년 -


마.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천원)
직원 소속 외
근로자
비고
사업부문 성별 직 원 수 평 균
근속연수
연간급여
총 액
1인평균
급여액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
합 계
전체 (단시간
근로자)
전체 (단시간
근로자)
관리행정직 68 - 1 1 69 4.06 4,356,889 69,157 - - - -
관리행정직 80 - 4 4 84 4.50 4,156,194 62,033 -
생산직 64 - 1 1 65 4.09 3,041,932 40,025 -
생산직 97 - 4 4 101 5.71 4,121,841 36,802 -
영업직 72 - 1 1 73 5.78 4,373,456 60,742 -
영업직 66 - 4 4 70 6.22 3,599,714 47,996 -
연구직 41 - - - 41 4.88 2,401,812 60,045 -
연구직 52 - - - 52 4.32 2,324,319 56,691 -
합 계 540 - 15 15 555 4.95 28,376,157 51,971 -


바.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연간급여 총액 1인평균 급여액 비고
미등기임원 19 4,083,660 214,929 -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가.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주총회 승인금액 비고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6 -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1 - -
감사위원회 위원 3 - -
감사 - - -
합 계 10 3,000,000 -


나.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천원)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9 2,082,276 231,364 -

주1) 상기 인원수는 공시서류작성 기준일 기준으로 실제 보수를 지급받는 임원만을 기재하였으며, 보수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및 퇴임한 등기임원을 포함하였습니다.
주2) 보수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또는 퇴임한 등기임원과 관련하여 소득세법 제20조의 근로소득과 소득세법 제21조 또는 제22조에 따라 산정된 기타소득 및 퇴직소득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주3) 1인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2022년 연평균 인원수로 나누어 산출하였습니다.

2-2. 유형별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6 2,002,754 333,792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1 26,341 26,341 -
감사위원회 위원 2 53,181 26,591 -
감사 - - - -

주1) 상기 인원수는 공시서류작성 기준일 기준으로 실제 보수를 지급받는 임원만을 기재하였으며, 보수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및 퇴임한 등기임원을 포함하였습니다.
주2) 보수총액은 당해 사업연도에 재임 또는 퇴임한 등기임원과 관련하여 소득세법 제20조의 근로소득과 소득세법 제21조 또는 제22조에 따라 산정된 기타소득 및 퇴직소득을 합산한 금액입니다.
주3) 1인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2022년 연평균 인원수로 나누어 산출하였습니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가.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천원)
이름 직위 보수총액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서정선 회장 908,341 -


나.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천원)
이름 보수의 종류 총액 산정기준 및 방법
서정선 근로소득 급여 906,000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보수 한도의 범위 내에서 경영성과, 수행직무, 직급 등을 고려하여 보수를 결정하고 월별로 분할하여 지급함
상여 2,341 명절, 창립기념 상여 지급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가.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천원)
이름 직위 보수총액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서정선 회장 908,341 -
주창남 부사장 502,009 -


나.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천원)
이름 보수의 종류 총액 산정기준 및 방법
서정선 근로소득 급여 906,000 주주총회에서 승인받은 이사보수 한도의 범위 내에서 경영성과, 수행직무, 직급 등을 고려하여 보수를 결정하고 월별로 분할하여 지급
상여 2,341 명절, 창립기념 상여 지급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 -
주창남 근로소득 급여 239,609 개인의 직급,직책 및 수행직무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반영한 임원급여체계에 따라 연봉을 결정하고 이를 월별로 분할하여 지급
상여 400 명절, 창립기념 상여 지급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262,000 직무의 가치 및 목표달성에 대한 동기부여를 고려하여 이사회의 결의 후 스톡그랜트 10,000주 지급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1. 이사ㆍ감사에게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단위 : 천원)
구 분 부여받은
인원수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비고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
업무집행지시자 등 - - -
- - -


2. 임직원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원, 주)
부여
받은자
관 계 부여일 부여방법 주식의
종류
최초
부여
수량
당기변동수량 총변동수량 기말
미행사수량
행사기간 행사
가격
의무
보유
여부
의무
보유
기간
행사 취소 행사 취소
김창훈 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4,000 - - - - 4,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이응룡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김봉조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김종윤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0 - - - - 5,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차승헌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500 - - - - 2,5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오승현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500 - - - - 2,500 2017.03.27~2024.03.26 38,480 X -
김용진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권낙중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500 - - - - 2,5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정정희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500 - - - - 2,5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이형일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500 - - - - 2,500 2017.03.27~2024.03.26 38,480 X -
김혜선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조은정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신상흠 미등기임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이경선 외 21명 직원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7,000 - - - - 27,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유병철 외 34명 - 2015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47,000 - - - 30,000 117,000 2017.03.27~2024.03.26 38,480 X -
이응룡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8.03.25~2025.03.24 35,420 X -
김봉조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차승헌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오승현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정정희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이형일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조은정 미등기임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500 - - - - 1,500 2018.03.25~2025.03.24 35,420 X -
마성원 외 12명 직원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2,000 - - - - 12,0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지상연 외 12명 - 2016년 03월 25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1,000 - - - 12,000 9,000 2018.03.25~2025.03.24 35,420 X -
이수강 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0 - - - - 10,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김창훈 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0 - - - - 5,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정경호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김용진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은우종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권낙중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19.03.24~2026.03.23 28,760 X -
김재현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김혜선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19.03.24~2026.03.23 28,760 X -
조은정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19.03.24~2026.03.23 28,760 X -
신상흠 미등기임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2,000 - - 2019.03.24~2026.03.23 28,760 X -
마성원 외 16명 직원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500 - - 400 - 20,100 2019.03.24~2026.03.23 28,760 X -
이병철 외 22명 - 2017년 03월 24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46,500 - - 2,800 14,500 29,200 2019.03.24~2026.03.23 28,760 X -
박진우 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0 - - - - 5,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이응룡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김봉조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정경호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차승헌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은우종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00 - - - - 500 2020.03.28~2027.03.27 45,690 X -
김재현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이형일 미등기임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정필한 외 33명 직원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8,500 - - - - 38,5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임창임 외 26명 - 2018년 03월 28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59,000 - - - 13,000 46,000 2020.03.28~2027.03.27 45,690 X -
오승현 미등기임원 2019년 03월 26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21.03.26~2028.03.25 35,830 X -
김혜선 미등기임원 2019년 03월 26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21.03.26~2028.03.25 35,830 X -
은우종 미등기임원 2019년 03월 26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500 - - - - 3,500 2021.03.26~2028.03.25 35,830 X -
신상흠 미등기임원 2019년 03월 26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1.03.26~2028.03.25 35,830 X -
오창근 외 25명 직원 2019년 03월 26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41,000 - - - - 41,000 2021.03.26~2028.03.25 35,830 X -
김홍석 외 19명 - 2019년 03월 26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49,500 - - - 17,000 32,500 2021.03.26~2028.03.25 35,830 X -
이응룡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김봉조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정경호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000 - - - - 3,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황상준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4,000 - - - - 4,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김용진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권낙중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김재현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1,000 - - - - 1,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정정희 미등기임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2,000 - - - - 2,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장익준 외 21명 직원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5,000 - - - - 35,000 2022.03.27~2029.03.26 35,400 X -
이길원 외 14명 - 2020년 03월 27일 신주 또는 자기주식 교부 보통주 32,000 - - - 22,500 9,500 2022.03.27~2029.03.26 35,400 X -

주1) 2015년 3월 27일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중 30,000주는 퇴사자 발생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주2) 2016년 3월 25일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중 12,000주는 퇴사자 발생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주3) 2017년 3월 24일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중 14,500주는 퇴사자 발생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주4) 2018년 3월 28일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중 13,000주는 퇴사자 발생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주5) 2019년 3월 26일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중 17,000주는 퇴사자 발생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주6) 2020년 3월 27일 부여된 주식매수선택권 중 22,500주는 퇴사자 발생으로 취소되었습니다.
주7) 2022년 12월 31일 기준의 당사의 보통주 종가는 19,150원입니다.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1.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사)
기업집단의 명칭 계열회사의 수
상장 비상장
- 1 4 5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2. 계열회사간 지분율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사)
구분 피출자회사
마크로젠 Psomagen, Inc. Macrogen Japan
 Corp.
Macrogen
Europe B.V.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헬스브리즈
출자회사 마크로젠 7.4% 36.9% 65.2% 100.0% 100.0% 33.5%
Psomagen, Inc. - - 34.8% - - -
합 계 7.4% 36.9% 100.0% 100.0% 100.0% 33.5%

주) 계열회사간 지분율 현황은 보고서 작성기준일입니다.


3.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백만원)
출자
목적
출자회사수 총 출자금액
상장 비상장 기초
장부
가액
증가(감소) 기말
장부
가액
취득
(처분)
평가
손익
경영참여 - 3 3 2,835 - - 2,835
일반투자 3 8 11 49,970 5,929 -22,127 33,772
단순투자 - 2 2 1,877 400 45 2,322
3 13 16 54,682 6,329 -22,082 38,929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특수관계자 거래관련 사항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7. 특수관계자 거래와 III. 재무에 관한 사항, 5. 재무제표 주석, 17. 특수관계자 거래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단위 : 매, 백만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은 행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법 인 - - -
기타(개인) - - -


다. 채무보증 현황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그 밖의 우발채무 등과 관련한 사항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6. 우발상황과 약정사항과 Ⅲ. 재무에 관한 사항, 5. 재무제표 주석, 16. 우발상황과 약정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바.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당사는 보고서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XI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단위 : 천원)
상호 설립일 주소 주요사업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지배관계 근거 주요종속
회사 여부
Macrogen Japan Corp. 2007.11 16F Time24 Building,
2-4-32 Aomi, Koto-ku,
Tokyo 135-0064, JAPAN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 14,924,142 기업 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1110호)
미해당
Macrogen Europe B.V. 2017.09 Meibergdreef 57,
Amsterdam, Netherlands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 15,573,223 기업 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1110호)
미해당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2018.03 3 Biopolis Drive #05-18,
Synapse, Singapore 138623
유전체 분석 서비스 등 4,184,490 기업 의결권의 과반수 소유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1110호)
미해당


2. 계열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사)
상장여부 회사수 기업명 법인등록번호
상장 1 Psomagen, Inc. D10331502
- -
비상장 4 Macrogen Japan Corp. 0109-01-022860
Macrogen Europe B.V. 69716099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201808937H
(주)헬스브리즈 113-86-29893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기준일 : 2022년 12월 31일 ) (단위 : 백만원, 주, %)
법인명 상장
여부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취득(처분) 평가
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총자산 당기
순손익
수량 금액
Psomagen, Inc. 상장 2004.12.16 일반투자 106 7,089,946 37.1 8,129 - - - 7,089,946 36.9 8,129 49,203 -1,048
Macrogen Japan Corp. 비상장 2009.10.31 경영참여 394 5,600,000 65.2 884 - - - 5,600,000 65.2 884 14,924 710
Macrogen Asia Pacific Pte. Ltd. 비상장 2018.05.21 경영참여 481 2,700,000 100.0 0 - - - 2,700,000 100.0 - 4,184 -909
Macrogen Europe B.V. 비상장 2018.09.20 경영참여 1,951 1,500,000 100.0 1,951 - - - 1,500,000 100.0 1,951 15,573 -101
Microba Life Sciences Ltd 상장 2019.06.05 일반투자 3,398 17,828,431 8.6 4,003 - - - 17,828,431 5.2 4,003 44,328 -9,956
㈜지놈앤컴퍼니 상장 2018.02.27 일반투자 1,000 200,000 1.4 6,940 - - -3,450 200,000 1.4 3,490 137,216 -36,004
㈜랩지노믹스 상장 2022.03.14 일반투자 5,227 - - - 667,644 5,227 -1,021 667,644 2.0 4,206 204,286 83,855
㈜쓰리빌리언 비상장 2016.10.28 일반투자 300 2,250,000 8.8 16,313 - - -5,090 2,250,000 8.1 11,223 20,589 -59,105
㈜헬스브리즈 비상장 2010.01.07 일반투자 700 260,000 33.5 2,039 - - -20 260,000 33.5 2,019 3,392 280
㈜그린진바이오텍 비상장 2000.06.20 일반투자 800 40,000 12.9 - - - - 40,000 12.9 - 50 -80
㈜이담 비상장 2011.05.12 일반투자 73 230,283 5.1 - - - - 230,283 5.1 - 3,385 167
㈜비드테크 비상장 2000.12.15 일반투자 300 1,875 0.2 - - - - 1,875 0.2 - 3,518 1,707
㈜이뮨메드 비상장 2000.07.11 일반투자 350 613,336 4.2 12,546 - - -12,546 613,336 4.2 - 22,720 -26,200
LifeX BioLabs 비상장 2022.12.08 일반투자 702 - - - 23,025,982 702 - 23,025,982 6.0 702 609 -738
LSK-BNH 코리아바이오펀드 비상장 2016.11.29 단순투자 75 318 1.3 677 - - 45 318 1.3 722 31,790 1,713
인사이트V3스마트(디지털)헬스케어 투자조합 비상장 2021.10.01 단순투자 800 1,200 6.3 1,200 400 400 - 1,600 6.3 1,600 24,528 -738
합 계 - - 54,682 - 6,329 -22,082 - - 38,929 - -

주1) 상기 헬스브리즈의 출자현황은 당사가 인수한 상환전환우선주식 120,000주와 보통주식 140,000주를 반영한 주식수 및 지분율입니다.
주2) Macrogen Japan Corp.의 주식이 2020년 12월 액면분할하여 당사 소유주식수가 560주에서 5,600,000주로 증가하였습니다.
주3) ㈜이담이 2021년 12월 30% 감자를 실시하여 주식이 감소하였습니다.
주4) ㈜이뮨메드가 2021년 10월 1:3 무상증자를 실시하여 주식이 증가하였습니다.
주5) ㈜랩지노믹스가 2022년 4월 1:2 무상증자를 실시하여 주식이 증가하였습니다.

4. 연구개발 실적(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No. 논문명(SCI급) 저널 연도
1 DNA chip data mining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01
2 Birth of parthenogenetic mice that can develop to adulthood Nature 2004
3 The Genome Sequence of the ethanologenic bacterium Zymomonas mobilis ZM4 Nature biotechnology 2005
4 The genome sequence of Xanthomonas oryzae pathovar oryzae KACC10331, the bacterial blight pathogen of rice Nucleic Acids Research 2005
5 Sequence-Level Analysis of the Diploidization Process in the Triplicated Flowering Locus C Region of Brassica rapa Plant Cell 2006
6 Novel mutations of RET gene in Korean patients with sporadic Hirschsprung's disease Journal of Pediatric Surgery 2006
7 New variations of the EDNRB gene and its association with sporadic Hirschsprung disease in Korea Journal of Pediatric Surgery 2006
8 Coordinated change of a ratio of methylated H3-lysine 4 or acetylated H3 to acetylated H4 and DNA methylation is associated with tissue-specific gene expression in cloned pig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07
9 Identification of origin of unknown derivative chromosomes by array-based comparative genomic hybridization using pre- and postnatal clinical samples Journal of Human Genetics 2007
10 Genome-wide combination profiling of copy number and methylation offers an approach for deciphering misregulation and development in cancer cells Gene 2008
11 Identification of senescence-associated genes in human 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 2008
12 Higher mitochondrial DNA copy number is associated with lower prevalence of microalbuminuria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09
13 A highly annotated whole-genome sequence of a Korean individual Nature 2009
14 Discovery of common Asian copy number variants using integrated high-resolution array CGH and massively parallel DNA sequencing Nature Genetics 2010
15 Association of matrix metalloproteinase-3 with cardiogenic activity during Noggin-induced differentiation of mouse embryonic stem cells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2010
16 Reference-unbiased copy number variant analysis using CGH microarrays Nucleic Acids Research 2010
17 Draft Genome Sequence of Streptomyces clavuligerus NRRL 3585, Producer of Diverse Secondary Metabolites Journal of Bacteriology 2010
18 TIARA: A database for accurate analysis of multiple personal genomes based on cross-technology Nucleic Acids Research 2011
19 Tissue response to poly(L-lactic acid)-based blend with phospholipid polymer for biodegradable cardiovascular stents Biomaterials 2011
20 Extensive genomic and transcriptional diversity identified through massively parallel DNA and RNA sequencing of eighteen Korean individuals Nature Genetics 2011
21 Genetic diagnosis of Duchenne and Becker muscular dystrophy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comprehensive mutational search in a single platform Journal of Medical Genetics 2011
22 A transforming KIF5B and RET gene fusion in lung adenocarcinoma revealed from whole-genome and transcriptome sequencing Genome Research 2011
23 Copy Number Variation of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Relevant Genes in the Korean Population PLoS One 2012
24 Genome sequence of Paenibacillus terrae HPL-003, a xylanase-producing bacterium isolated from soil found in forest residue Journal of Bacteriology 2012
25 FX: an RNA-Seq analysis tool on the cloud Bioinformatics 2012
26 Epidemiologic Characteristics of Intraocular Pressure in the Korean and Mongolian Populations: The Healthy Twin and the GENDISCAN Study Ophthalmology 2012
27 Complete genome sequence of Enterobacter aerogenes KCTC 2190 Journal of Bacteriology 2012
28 Complete genome sequence of Klebsiella oxytoca KCTC 1686, used in production of 2,3-butanediol Journal of Bacteriology 2012
29 Complete genome sequence of the 2,3-butanediol-producing Klebsiella pneumoniae strain KCTC 2242 Journal of Bacteriology 2012
30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rucella canis strain HSK A52141, isolated from the blood of an infected dog Journal of Bacteriology 2012
31 The transcriptional landscape and mutational profile of lung adenocarcinoma Genome Research 2012
32 Complete genome sequence of Brucella abortus A13334, a new strain isolated from the fetal gastric fluid of dairy cattle Journal of Bacteriology 2012
33 Comprehensive genomic analyses associate UGT8 variants with musical ability in a Mongolian population Journal of Medical Genetics 2012
34 A family-based association study after genome-wide linkage analysis identified two genetic loci for renal function in a Mongolian population Kidney International 2012
35 Exomic Sequencing of Immune-Related Genes Reveals Novel Candidate Variants Associated with Alopecia Universalis PLoS One 2013
36 Molecular diagnosis of congenital muscular dystrophies with defective glycosylation of alpha-dystroglycan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technology Neuromuscular Disorders 2013
37 Targeted Sequencing of Cancer-Related Genes in Colorectal Cancer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PLoS One 2013
38 Identification of a recurrent transforming UBR5?-ZNF423 fusion gene in EBV-associated nasopharyngeal carcinoma Journal of Pathology 2013
39 Diagnostic method for the detection of KIF5B-RET transformation in lung adenocarcinoma Lung Cancer 2013
40 Draft genome sequence of Rubidibacter lacunae strain KORDI 51-2(T), a cyanobacterium isolated from seawater of Chuuk lagoon Standards in Genomic
Sciences
2013
41 Gene expression profiling by mRNA sequencing reveals increased expression of mune/inflammation-related genes in the hippocampus of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Translational Psychiatry 2013
42 Combined Linkage and Association Analyses Identify a Novel Locus for Obesity Near PROX1 in Asians Obesity 2013
43 Predictive Efficacy of Low Burden EGFR Mutation Detect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on Response to EGFR Tyrosine Kinase Inhibitors in Non-Small-Cell Lung Carcinoma PLoS One 2013
44 Somatic deletions implicated in functional diversity of brain cells of individuals with schizophrenia and unaffected controls Scientific Reports 2014
45 Comprehensive analysis to improve the validation rate for single nucleotide variants detect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PLoS One 2014
46 RNA editing in RHOQ promotes invasion potential in colorectal cancer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14
47 Whole genome and global gene expression analyses of the model mushroom Flammulina velutipes reveal a high capacity for lignocellulose degradation PLoS One 2014
48 RNA sequencing identifies novel marker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Lung Cancer 2014
49 Hoyeraal-Hreidarsson syndrome with a DKC1 mutation identified by whole-exome sequencing Gene 2014
50 Improvement of 2,3-butanediol yield in Klebsiella pneumoniae by deletion of the pyruvate formate-lyase gene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2014
51 Novel fusion transcripts in human gastric cancer revealed by transcriptome analysis Oncogene 2014
52 An epigenomic roadmap to induced pluripotency reveals DNA methylation as a reprogramming modulator Nature Communications 2014
53 Small RNA changes en route to distinct cellular states of induced pluripotency Nature Communications 2014
54 Divergent reprogramming routes lead to alternative stem-cell states Nature 2014
55 Genome-wide characterization of the routes to pluripotency Nature 2014
56 Phase II clinical and exploratory biomarker study of dacomitinib in patients with recurrent and/or metastatic squamous cell carcinoma of head and neck Clinical Cancer Research 2015
57 Differential expression of microRNAs and their target genes in non-small-cell lung cancer Molecular Medicine Reports 2015
58 Complete genome sequence of Klebsiella oxytoca M1, isolated from Manripo area of South Korea Journal of Bacteriology 2015
59 Brain somatic mutations in MTOR cause focal cortical dysplasia type II leading to intractable epilepsy Nature Medicine 2015
60 Identification of differentially-expressed genes by DNA methylation in cervical cancer Oncology Letters 2015
61 The synergistic effect of combination temozolomide and chloroquine treatment is dependent on autophagy formation and p53 status in glioma cells. Cancer Letters 2015
62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comprehensive genetic diagnosis in carrier, proband, and fetus Clinical Chemistry 2015
63 The influence of budA deletion on glucose metabolism related in 2,3-butanediol production by Klebsiella pneumoniae Enzyme and Microbial
Technology
2015
64 The genome of Diuraphis noxia, a global aphid pest of small grains BMC Genomics 2015
65 Family-Based Association Study of Pulmonary Function in a Population in Northeast Asia PLoS One 2015
66 Recurrent fusion transcripts detected by whole-transcriptome sequencing of 120 primary breast cancer samples Genes Chromosomes &
Cancer
2015
67 Comparative whole genome transcriptome and metabolome analyses of five Klebsiella pneumonia strains Bioprocess and Biosystems Engineering 2015
68 Detection of Novel Genomic Markers for Predicting Prognosi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s by Integrative Analysis of Copy Number Aberrations and Gene Expression Profiles: Results from a Long-Term Follow-Up DNA and Cell Biology 2016
69 Isolation of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from a Patient of the 2015 Korean Outbreak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6
70 Blood Transcriptome Profiling in Myasthenia Gravis Patients to Assess Disease Activity: A Pilot RNA-seq Study Experimental Neurobiology 2016
71 miR-204 downregulates EphB2 in aging mouse hippocampal neurons Aging Cell 2016
72 Prognostic effects of TERT promoter mutations are enhanced by coexistence with BRAF or RAS mutations and strengthen the risk prediction by the ATA or TNM staging system in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 patients Cancer 2016
73 Identification of NUCKS1 as a putative oncogene and immunodiagnostic marker of hepatocellular carcinoma Gene 2016
74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ranscriptional and Mutational Landscape of Follicular and Papillary Thyroid Cancers PLoS Genetics 2016
75 De novo assembly and phasing of a Korean human genome Nature 2016
76 Trends in Next-Generation Sequencing and a New Era for Whole Genome Sequencing International Neurourology
Journal
2016
77 Birth of an 'Asian cool' reference genome: AK1 BMB Reports 2016
78 Deleterious effects in reproduction and developmental immunity elicited by pulmonary iron oxide nanoparticles Environmental Research 2017
79 Exome and genome sequencing of nasopharynx cancer identifies NF-κB pathway activating mutations Nature Communications 2017
80 Analysis of Fifty Hotspot Mutations of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in Never-smoker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7
81 A Core Regulatory Circuit in Glioblastoma Stem Cells Links MAPK Activation to a Transcriptional Program of Neural Stem Cell Identity Scientific Reports 2017
82 The microbiome of the lung and its extracellular vesicles in nonsmokers, healthy smokers and COPD patients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17
83 Altered nucleocytoplasmic proteome and transcriptome distributions in an in vitro model of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PLoS One 2017
84 The Tea Tree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Tea Flavor and Independent Evolution of Caffeine Biosynthesis Molecular Plant 2017
85 TLR sensing of bacterial spore-associated RNA triggers host immune responses with detrimental effects The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17
86 Evaluation of a novel approach to circulating tumor cell isolation for cancer gene panel analysi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cology Letters 2017
87 Transcriptome analysis of airborne PM2.5-induced detrimental effects on human keratinocytes Toxicology Letters 2017
88 The caterpillar fungus, Ophiocordyceps sinensis, genome provides insights into highland adaptation of fungal pathogenicity Scientific Reports 2017
89 Transcriptome analyses of Chronic Traumatic Encephalopathy show alterations in protein posphatase expression associated with tauopathy Experimental and Molecular Medicine 2017
90 Whole-genome resequencing of 292 pigeonpea accessions identifies genomic regions associated with domestication and agronomic traits Nature Genetics 2017
91 Cancer gene panel analysis of cultured circulating tumor cells and primary tumor tissue from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cology Letters 2017
92 Genome-wide association and expression quantitative trait loci studies identify multiple susceptibility loci for thyroid cancer Nature Communications 2017
93 Optimized detection of insertions/deletions (INDELs) in whole-exome sequencing data PLoS One 2017
94 Spatiotemporal expression patterns of clusterin in the mouse inner ear Cell and Tissue Research 2017
95 Genome-Based Reclassification of Fusobacterium nucleatum Subspecies at the Species Level Current Microbiology 2017
96 Detection of somatic variants and EGFR mutations in cell-free DNA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by ultra-deep sequencing using the ion ampliseq cancer hotspot panel and droplet digital polymerase chain reaction PLoS one 2017
97 Genomic landscape of ovarian clear cell carcinoma via whole exome sequencing Gynecologic Oncology 2018
98 Small molecule-mediated reprogramming of human hepatocytes into bipotent progenitor cells Journal of Hepatology 2018
99 Transcriptome Network Analysis Reveals Aging-Related Mitochondrial and Proteasomal Dysfunction and Immune Activation in Human Thyroid Thyroid 2018
100 LYL1 gene amplification predicts poor survival of patients with uterine corpus endometrial carcinoma: analysis of the Cancer genome atlas data BMC Cancer 2018
101 Whole exome and transcriptome analysis intergrated with microenvironmental immune signatures of lung aquamous cell carcinoma AACR Cancer Immunology
Research
2018
102 Cancer panel analysis of circulating tumor cells in patients with breast cancer Oncology Letters 2018
103 Targeted linked-read sequencing for direct haplotype phasing of maternal DMD alleles: a practical and reliable method for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Scientific Reports 2018
104 Signatures of photo-aging and intrinsic aging in skin were revealed by transcriptome network analysis Aging (Albany NY) 2018
105 Radon Exposure-induced Genetic Variations in Lung Cancers among Never Smokers.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8
106 Development of a common platform for the noninvasive prenatal diagnosis of X-linked diseases Prenatal Diagnosis 2018
107 Identification of novel mutations in FFPE lung adenocarcinomas using DEPArray sorting technology and next-generation sequencing Journal of Applied Genetics 2018
108 Comprehensive transcriptomic and genomic profiling of subtypes of follicular variant of papillary thyroid carcinoma Thyroid 2018
109 Somatic mutational profiles of stage II and III gastric cancer according to tumor microenvironment immune type Genes Chromosomes &
Cancer
2018
110 Cholesterol burden in the liver induces mitochondrial dynamic changes and resistance to apoptosis Journal of Cellular
Physiology
2018
111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for efficacy of checkpoint inhibitor Scientific Reports 2018
112 Prevalence and oncologic outcomes of BRCA 1/2 mutations in unselected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patients in Korea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018
113 Thymosin β-4 is a novel regulator for primary cilium formation by nephronophthisis 3 in HeLa human cervical cancer cells. Scientific Reports 2019
114 Interaction of BRAF-induced ETS factors with mutant TERT promoter in papillary thyroid cancer. Endocrine-Related Cancer 2019
115 Whole Genome Sequencing and Re-sequencing of the Sable Antelope (Hippotragus niger): A Resource for Monitoring Diversity in ex Situ and in Situ Populations G3 (Bethesda) 2019
116 Integrative Analysis of Genomic and Transcriptomic Characteristic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f Aggressive Thyroid Cancer Nature Communications 2019
117 High prevalence of the MLH1 V384D germline mutation in patients with HER2-positive luminal B breast cancer Scientific Reports 2019
118 Transglutaminase 2 induces intrinsic EGFR-TKI resistance in NSCLC harboring EGFR sensitive mutations American Journal of
Cancer Research
2019
119 CXCL16 positively correlated with M2-macrophage infiltration, enhanced angiogenesis, and poor prognosis in thyroid cancer Scientific Reports 2019
120 NARD: whole-genome reference panel of 1779 Northeast Asians improves imputation accuracy of rare and low-frequency variants Genome Medicine 2019
121 The GenomeAsia 100K Project enables genetic discoveries across Asia Nature 2019
122 Biallelic Deletion of Pxdn in Mice Leads to Anophthalmia and Severe Eye Malform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19
123 Identification of African-Specific Admixture between Modern and Archaic Human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19
124 Legacy Data Confound Genomics Studies Molecular Biology Evolution 2020
125 Allelic Heterogeneity at the CRP Locus Identified by Whole-Genome Sequencing in Multi-ancestry Cohorts American Journal of
Human Genetics
2020
126 Virus Isolation from the First Patient with SARS-CoV-2 in Korea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20
127 Recent Improvements in Genomic and Transcriptomic Understanding of Anaplastic and Poorly Differentiated Thyroid Cancers Endocrinology Metabolism 2020
128 BRAFV600E Transduction of an SV40-Immortalized Normal Human Thyroid Cell Line Induces Dedifferentiated Thyroid Carcinogenesis in a Mouse Xenograft Model Thyroid 2020
129 High polymerase ε expression associated with increased CD8+T cells improves survival in patients with non-small cell lung cancer PLoS One 2020
130 A newly developed capture-based sequencing panel for genomic assay of lung cancer Genes & Genomics 2020
131 Genomic and Transcriptomic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Size of Papillary Thyroid Microcarcinoma Cancers 2020
132 Alterations of transcriptome signatures in head trauma-relate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Scientific Reports 2020
133 Hepatic stellate cell?specific knockout of transcriptional intermediary factor 1γ aggravates liver fibrosis Journal of Experimental
Medicine
2020
134 The tumor immune microenvironmental analysis of 2,033 transcriptomes across 7 cancer types Scientific Reports 2020
135 Transcriptomic and biochemical analyses of the accumulation of sucrose in mungbean (Vigna radiata (L.) Wilczek) leaves after pod removal Theorotical of Applied Genetics 2020
136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RAS, PIK3CA, and PTEN Mutations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Using Cell-Free DNA Journal of Clinical Medicine 2020
137 Population-specific and trans-ancestry genome-wide analyses identify distinct and shared genetic risk loci for coronary artery disease Nature Genetics 2020
138 Analysis of the serial circulating tumor cell count during neoadjuvant chemotherapy in breast cancer patients Scientific Reports 2020
139 Comprehensive genetic features of gastric mixed adenoneuroendocrine carcinomas and pure neuroendocrine carcinomas Journal of Pathology 2020
140 IDH-wildtype secondary glioblastoma arising in IDH-mutant diffuse astrocytoma: a case report British Journal Of Neurosurgery 2020
141 Targeted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for Recurrence in Early-Stage Lung Adenocarcinoma Annals Of Surgical Oncology 2020
142 A High Quality Asian Genome Assembly Identifies Features of Common Missing Regions Genes (Basel) 2020
143 Molecular Signature of Extracellular Vesicular Small Non-Coding RNAs Derived from Cerebrospinal Fluid of Leptomeningeal Metastasis Patients: Functional Implication of miR-21 and Other Small RNAs in Cancer Malignancy Cancers (Basel) 2021
144 Sequencing of 53,831 diverse genomes from the NHLBI TOPMed Program Nature 2021
145 Integrative Genomic and Transcriptomic Analyses of Tumor Suppressor Genes and Their Role on Tumor Microenvironment and Immunity in Lung Squamous Cell Carcinoma Frontiers In Immunology 2021
146 Direct conversion of adult human fibroblasts into functional endothelial cells using defined factors Biomaterials 2021
147 Genomic landscape of extraordinary responses in metastatic breast cancer Communication Biology 2021
148 Chromosome Xq23 is associated with lower atherogenic lipid concentrations and favorable cardiometabolic indices Nature Communications 2021


5. 지적재산권 보유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No. 특허명 국가 등록일
1 전기자극 및 막항원 표시자를 이용한 핵이식용 공여체 준비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제동물의 생산방법 한국 2005-03-21
2 Cre-LoxP 시스템을 이용한 유전자 트랩의 가역적 조절방법 및 트랩벡터 한국 2006-01-20
3 일차 대사산물의 대량 생산 방법, 대량 생산 균주 및 이의제조 방법 한국 2007-05-29
4 위암의 전이 또는 전염 진단용 키트 및 판단 방법 한국 2008-10-08
5 CAEV-계 벡터 시스템 PCT-한국 2009-02-11
6 스팟 영역 검출 방법, DNA 마이크로어레이 분석 방법 및그 시스템 한국 2009-06-04
7 염색체 수 이상 검출을 통한 유방암 약물 반응성 예측 한국 2009-10-30
8 염색체 수 이상 검출을 통한 유방암 약물 반응성 예측 / 분할출원 한국 2010-02-26
9 Her-2 유전자 복제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유방암의 진단 방법 한국 2010-06-30
10 Her_2 유전자 복제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유방암의 진단 방법 EP (독일) 2012-07-04
11 Her_2 유전자 복제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유방암의 진단 방법 EP (프랑스) 2012-07-04
12 Her_2 유전자 복제수 변화에 의해 발생되는 유방암의 진단 방법 EP (영국) 2012-07-04
13 유방암 발병 위험성 검진용 조성물 한국 2011-01-27
14 염색체 이상 검출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검출 방법 한국 2012-03-28
15 이미지 보정시스템을 구비한 바이오칩 검출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왜곡 이미지 보정방법 한국 2010-10-08
16 ATR-16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17 CMTIA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18 디조지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19 HNPP 질환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20 밀러-디커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21 프라더-윌리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22 루빈스테인-테이비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23 스미스-마게네스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12
24 윌리암스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29
25 울프-허쉬호른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08-02-12
26 랑거-기디온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05-15
27 GCPS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06-26
28 안젤만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06-26
29 글리세롤 키나아제 결핍증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06-26
30 1p36 결실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11-26
31 묘안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11-26
32 듀센형 근이영양증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11-26
33 소토스 증후군 진단용 마이크로어레이 및 키트 한국 2013-11-26
34 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한국 2013-08-21
35 고광학순도의 젖산 생산용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젖산 생산 방법 한국 2013-11-01
36 고광학순도의 젖산 생산용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젖산 생산 방법 EP (독일) 2015-09-23
37 고광학순도의 젖산 생산용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젖산 생산 방법 EP (프랑스) 2015-09-23
38 고광학순도의 젖산 생산용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젖산 생산 방법 EP (영국) 2015-09-23
39 고광학순도의 젖산 생산용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젖산 생산 방법 일본 2015-10-21
40 고광학순도의 젖산 생산용 형질전환체 및 이를 이용한 젖산 생산 방법 미국 2016-08-30
41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5-06-16
42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5-07-27
43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5-07-27
44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5-07-27
45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5-07-27
46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5-07-27
47 이식편대숙주병 발병 위험성의 예측 방법, 예측용 조성물 및 키트 한국 2016-02-02
48 RET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및 이의 진단마커로의 용도 한국 2016-05-23
49 RET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을 포함하는 융합단백질 및 이의 진단마커로의 용도 / 분할출원 한국 2016-09-21
50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프랑스) 2018-05-23
51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독일) 2018-05-23
52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영국) 2018-05-23
53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이탈리아) 2018-05-23
54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네덜란드) 2018-05-23
55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스페인) 2018-05-23
56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EP (스위스) 2018-05-23
57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한국 2018-07-13
58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RET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미국 2018-07-17
59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한국 2018-08-24
60 RET 단백질의 C-말단 도메인을 포함한 융합 단백질 및 그 진단 마커로서의 용도 일본 2018-09-12
61 핵산 절단용 주사기 유닛 한국 2019-06-17
62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미국 2019-09-17
63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한국 2019-10-02
64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복귀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EP (벨기에) 2019-12-17
65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복귀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EP (프랑스) 2019-12-04
66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복귀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EP (독일) 2019-12-04
67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복귀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EP (영국) 2019-12-04
68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복귀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EP (네덜란드) 2019-12-04
69 진단하는 마커로서의 복귀 프로테인의 c-말단 영역과 그 용도를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EP (스위스) 2019-12-04
70 AXL을 포함하는 융합 단백질 및 이를 포함하는 암 진단용 조성물 한국 2019-10-28
71 생체 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다중 블록체인에 기초가 된 생체 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과 생체 정보 데이터 시스템 이동 미국 2020-02-11
72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건강 상태 분류 방법 및 장치 한국 2020-01-28
73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일본 2020-02-14
74 암줄기세포 특이적 바이오마커 한국 2020-02-17
75 보안성이 강화된 데이터 제공 방법 한국 2020-05-25
76 리드 개수의 방향성을 이용한 태아 성별 판별 방법 및 분석 장치 한국 2020-08-25
77 혼합 모델을 이용한 쌍태아의 접합성 타입 결정 방법 및 분석 장치 한국 2020-09-28
78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일본 2020-10-01
79 차세대염기서열분석을 위한,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DNA 추출방법 및 이의 용도 한국 2020-11-05
80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유럽(영국) 2020-12-30
81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유럽(프랑스) 2020-12-30
82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유럽(독일) 2020-12-30
83 한국형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감수성을 가지는 인간 DPP4 유전자를 전신에 발현하는 형질전환마우스와 이의 용도 한국 2021-01-19
84 노화 특이적 바이오마커 한국 2021-03-16
85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미국 2021-05-11
86 한국형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감수성을 가지는 인간 DPP4 유전자를 폐 조직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형질전환마우스와 이의 용도 한국 2021-04-16
87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한 데이터 공유 방법 싱가포르 2021-07-05
88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싱가포르 2021-08-05
89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일본 2021-04-26
90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싱가포르 2021-12-01
91 제2형 당뇨병에 대한 유전적 위험도 측정 방법 및 분석 장치 한국 2022-01-03
92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영국) 2022-02-02
93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프랑스) 2022-02-02
94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EP(독일) 2022-02-02
95 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영국) 2022-02-09
96 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프랑스) 2022-02-09
97 유전자 정보 관리 장치 및 방법 EP(독일) 2022-02-09
98 복수의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생명정보 데이터 제공 방법, 생명정보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생명정보 데이터 전송 시스템 중국 2022-07-26
99 생체 데이터 제공 방법, 생체 데이터 암호화 방법 및 생체 데이터 처리 장치 중국 2021-11-23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해당사항 없음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