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3  년   3  월  7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해성티피씨
대 표 이 사 : 이 건 복,  이 정 훈
본 점 소 재 지 :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

(전   화) 032 - 820 - 3400

(홈페이지)http://www.haisung.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부사장 (성  명) 이 현 삼

(전  화) 032 - 820 - 34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6기 정기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하심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20조의 규정에 따라 제26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4, 당사 정관 제20조2에 의하여 본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3년 3월 21일 화요일 오전 09시

2. 장 소 :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 (주)해성티피씨 본점 4층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의안사항
     1) 제 1호 의안 : 제26기(2022.1.1. ~ 2022.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 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2-1호 : 사내이사 이건복 선임의 건
                 제2-2호 : 기타비상무이사 김영호 선임의 건
     3) 제 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제3-1호 : 감사 권순일 선임의 건
     4) 제 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 제 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등의 비치
상법 제542조의 4,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153조 등 관련 법규에 따라 주주총회소집공고를 당사의 본점 및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고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의 전자공시시스템과 당사 홈페이지 (www.haisung.co.kr)에 공시 및 게재하였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권유에 관한 사항 :

당사는 이번 주주총회부터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상법 제368조의 4)를 도입하였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를 통해 귀중한 의결권을 행사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1일 오전 9시 ~ 2023년 3월 20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삼성증권 전자투표서서비스 이용약관 제 13조 2항)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등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기타비상무이사
류시관
(출석률: 71.4%)
김영호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2년 1차 2022.02.04 제 25기 재무제표,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사내이사선임을 위한 후보추천의 건
 제 25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찬성 찬성
'22년 2차 2022.02.15 제 25기 정기주주총회 목적(의결)사항 추가 불참 찬성
'22년 3차 2022.03.22 대표이사 선임의 건 찬성 찬성
'22년 4차 2022.07.27 유형자산 양도 승인의 건 찬성 찬성
'22년 5차 2022.08.04 신규설비 투자기간 연장의 건 찬성 찬성
'22년 6차 2022.09.0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취소의 건 찬성 찬성
'22년 7차 2022.09.05 주식매수선택권행사에 따른 신주발행의 건 불참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1,000 - - -
기타비상무이사 1 - - -

주1) 인원수는 2022년 12월 31일 기준입니다.
주2)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3명 및 기타비상무이사 1명을 포함한 전체 이사(총 5명)에 대한 보수한도 승인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산업의 특성

①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


승강기는 그 용도에 따라 Elevator나 Escalator에 사용되는 사람중심의 승강기와 제품 등 물건을 운반시키는 화물용 승강기로 시장을 대별할 수 있습니다.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은 건축물의 신축과 리모델링 사업 진행 시 수요가 발생하며 그시기가 상호 교차하며 발생하므로 경기의 영향을 적게받아 수요의 안정성이 높은 제품입니다. 주로 승강기 제조기업과의 계약 체결을 통한 판매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②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시장


현재 당사에서 생산하는 CR감속기는 고정밀 Cycloid감속기로 다관절 제조용로봇(4축 or 6축) 스카라로봇등 로봇관절 구동용, 공작기계 ATC장치, 자동화장치등에 널리사용되고 있으나 공급은 선발주자인 일본 Nabtesco 제품이 전체 시장의 60%를 독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우월적 지위를 이용하여 시리즈화된 표준모델 위주로 판매하고 있어 고객의 요구사항이 적용된 특수사양에 대해서는 극히 제한적입니다. 이로 인한 고객의 불만이 발생하고 있고 이를 대체 할수 있는 제2의 공급업체 출현을 기대하고 있어 당사제품의 Line-Up 구축 완료 시 시장 진입이 용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③ 산업용 Geared & Cycloid 감속기 시장


산업용 Geared & Cycloid 감속기의 사용분야는 제철, 화학, 자동차, 전기·전자, 환경, 플렌트 등 산업 전 분야에 적용되는 표준화된 제품으로 수요처가 광범위하며 또한 감속기를 공급하는 제조업체도 많아 경쟁이 치열한 시장입니다.


따라서 제품의 신뢰도와 내구성이 확보된 우수한 제품이 수요고객의 선택을 받을수 있습니다. 당사는 축적된 특수감속기 및 Gear 제조기술로 최고품질의 감속기를 생산하여 전국에 지역별로 구축된 35개 대리점을 통해 수요고객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2)산업의 성장성(시장 규모 및 전망)

가) 해외시장


①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


글로벌 승강기분야의 시장규모는 2014년 기준 820억불로 매년 2-3%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미 설치되어 운행중인 승강기는 2014년 기준 약 790만대이며 연간 31만여대의 신규설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은 세계적으로 인구가 밀집되어 있는 아시아 시장을 중심으로 약 50%의 신규수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되며 특히 아파트를 선호하고 국민소득의 급상승이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 중국, 일본 등이 아시아 시장의 80%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어 지속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승강기용 권상기는 크게 감속기어 여부에 따라 Geared 형과 Gearless 형 권상기로 구분됩니다. Geared형의 경우 저속고중량 이동에 유리함에 따라 화물용 엘리베이터 등에 주로 사용이 되며, Gearless형 권상기는 영구자석을 활용하여 부피가 작고 저소음이 특징임에 따라 일반 대인용 엘리베이터에 주로 그 쓰임새가 있습니다.

최근 글로벌 시장의 트렌드는 초고층 빌딩뿐만 아닌 일반 거주용 아파트 또한 고층 건물이 많아지며 점차 Gearless 권상기의 시장점유율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엘리베이터 산업 내 고중량 화물 운송을 버틸 수 있는 승강기 또한 신규 건물 건축, 대규모 공장(제철소 등)에서 필수적으로 수요가 발생함에 따라 당사가 주요하게 점유하고 있는 Geared식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은 꾸준히 일정한 수요를 일으킬 것으로 예상합니다.


② 로봇용 감속기 시장


국제로봇연맹(IFR) World Robotics Industrial Robots 2022.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산업용 로봇시장은 연간 총 360억 달러(약 47조원)에 이르며, 2021년 전 세계 산업용 로봇의 설치량은 전년보다 31% 증가한 517,385대가 설치되어, 이는 2018년 423,321대 대비해도 약 22% 급증한 새로운 기록을 달성했다고 밝히고 있습니다. IFR의 전망에 따르면 2022년은 약 570,000대로 10% 성장 할 것으로 예상되며, 다만 2021년도에 경험한 "Covid-19 위기 이후의 호황"은 2022년도에는 사라질 것으로 예상하고, 또한 2022년부터 2025년까지 한자리수 범위의 연평균 성장률을 예측합니다. 우리나라는 2021년 31,083대로 전년대비 2%증가했으나, 이는 19년이후 펜데믹 기간동안 설치대수가 감소한데 따른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로봇용 감속기 시장의 전망은 전방산업으로부터 귀납적으로 추론이 가능합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국제로봇연맹(IFR)에서 발표한 시장 전망에따르면 2022년 세계 산업용 로봇의 총 생산수량은 570,000대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해당 산업용 로봇은 세부적으로 산업용 제조로봇 / 협동로봇/ 기타로봇으로 구분 될 수 있으며 총 생산대수 중 산업용제조로봇은 524,400대로 약 92%의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IFR보고서 기준 '21년도 산업용로봇 설치대수 517천대(산업용로봇478천대 : 92%, 협동로봇 39천대 : 8%)]


당사가 영위하는 주요 RV감속기는 산업용 로봇 중 산업용 제조로봇에 사용 적용이 되며, 통상 산업용 제조로봇 한대에 4.5개의 감속기 부품이 들어가는 점을 가정하였을 때, 한 해에 약 236만대의 RV감속기 수요가 예상됩니다. 당사는 이와 같은 RV감속기 수요와 현재 시장을 약 60% 점유하고 있는 Nabtesco의 매출실적을 감안하여 시장규모를 환산하였을 때, 향후 로봇용 감속기의 시장 규모의 추이 및 전망은 아래와 같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산업용로봇 및 RV감속기 연간설치 수량 및 전망]


(단위 : 천대, %)
연 도 설치현황 설치전망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025년
로봇 규모 423 391 394 517 570 614 653 690
성장률 5.8 -7.6 0.8 31 10.2 7.7 6.4 5.7
RV
감속기
규모 2,025 1,850 1,840 2,390 2,622 2,824 3,003 3,174
성장률 4.1 -8.6 -0.5 29.9 9.7 7.7 6.4 5.7

* 출처:
     1. IFR 발표 2021년 산업용로봇 설치 현황 및 전망(2022~2025는 추정치)

    2. Nabtesco 2021 결산보고서 중 RV감속기 매출실적(시장 점유율 60%) 인용

당사가 신규 사업으로 기술력을 득하여 추진하는 고정밀 로봇용 Cycloid 정밀 감속기는 현재 정부의 정책적인 국산화 지원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점유율을 우선적으로 확보중이나, 향후 최대 수요처인 중국 시장 등 글로벌 수출을 목표로 하고 있는 바입니다. 이에 따라 산업용 로봇 시장의 성장과 함께 당사의 수익성도 미래 긍정적으로 변모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나) 국내 시장 규모 및 전망


①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


국내는 2014년 기준 14,000억 규모로 매년 40,000여대의 신규수요가 일어나고 있으며 2019년 승강기 안전법의 전면 개정시행으로 안전인증의 요구가 강화되고 20년 이상의 Elevator 및 Escalator Remodeling 강화로 대체수요 또한 증가의 추세입니다. 이에 따라 2019년 국내 엘리베이터 설치 대수는 44,594대로 전년도 대비 신규설치가 감소하였으나, 안전법 개정으로 인한 리모델링 등 대체수요를 감안한다면 엘리베이터 내에 필수적 부품인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의 설치대수는 전년과 비슷한 수준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아파트 건설의 신규 확대로 매년 2.0-2.8%의 꾸준한 중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하철용 Escalator의 보급 및 신설 등으로 저층용 Elevator 및 층간이동용 Escalator의 수요도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이처럼 Geared형 및 Gearless식 권상기가 골고루 시장에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는 현황이며, 당사는 저층화물용에 해당하는 Geared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에서 국내 1위의 생산 Capa와 판매로 약 72%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하며 국내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해당 전방산업은 성장성이 낮은 바, 급격한 수익성의 증대가 어려우나, 안정적인 규모를 유지하는 만큼 시장규모의 지속성은 높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② 로봇용 감속기 시장


로봇용 감속기와 서보 모터의 경우 대일 의존도가 높은 부품으로 감속기의 경우 대일수입액은 6000만불(약 729억원) 규모로 전체 시장에서 70.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한국로봇산업협회 자료에 따르면 국내 로봇 감속기 시장은 2017년 기준 1162억원이며, 현대로보틱스, 로보스타, 레인보우로보틱스, 한화정밀기계, 두산로보틱스, 뉴로메카 등 대다수 다관절 로봇 기업이 구매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주로 하모닉드라이브, 나브테스코가 정밀 감속기 분야에서 독점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가운데 일본산 로봇 감속기가 709억원을 공급해 국내 로봇 감속기 시장의 61%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로봇신문2019.08.28)


(3)경기변동의 특성

① 승강기용 권상기 시장


승강기 분야는 건축경기에 연관되어 그 수요가 증감되나 국내시장의 경우 꾸준한 아파트의 신축증가로 매년 2~3%의 증가세 유지하고 있으며 해외시장의 경우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등의 신규 주택수요의 증가와 일본등 선진국의 노후 승강기 교체로인한 대체수요 등이 꾸준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② 로봇용 감속기 시장


국제로봇연맹(IFR) 'World Robotics Industrial Robots 2022' 에 따르면 '21년 글로벌 산업용 로봇시장은 연간 총 360억 달러(약 47조원)에 이르며, 2022년에서 2025년까지 한 자리수의 범위의 연평균 성장률이 기대된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로봇용 감속기의 수요도 동반하여 지속적인 성장이 이루어 질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③ 산업용 감속기 시장


산업 전반에 사용되는 감속기로 전체적인 산업경기와 연동하여 수요의 변동이 발생하지만 적용분야가 광범위하고 수요층도 다양하여 급격한 수요변화가 적은 제품입니다.

(4)경쟁요소(비교경쟁(우위)사항)

① 승강기용 권상기

항목

비교우위 내용

브랜드

이미지

- 국내 Elevator Major 업체에 수십년간 공급하는 Elevator 권상기업체로서 권상기 시장을 선도

-  전 Line up된 제품들의 사양이 Elevator업체의 설계표준으로 활용되고 있어 Elevator 권상기의 표준으로 여김

-  국내외 각종 Elevator 전시회에 수십회 참가함으로써 권상기 기술 Trend를 선도하며 특히 해외에서도 Korea의 이미지와 함께 동반 상승된 브랜드 이미지 구축

-  Geared Motor 및 Cycloid 감속기에 주요 핵심부품을 사내에 확보된 정밀공장기계로 자체생산함으로써 수입품 위주의 Cycloid 감속기 시장에서 국산의 이미지를 견고히 다져나가고 있음

제품특성

(신뢰성, 가격경쟁력 품질 등)

- Gearless 전 권상기의 자체개발과 국내 유수의 국책연구기관과의 연구개발과제를 성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한층 업그레이드시킴

- 제품제작에 필요한 각종 제조시스템을 인정받아 ISO9001에 의한 추적관리가 가능한 공인된 품질기준을 준수하여 신뢰성 확보

- 최근 강화된 승강기안전법의 전면개정시행에 따른 인증의 취득으로 안정된 Elevator 권상기의 공급에 기여

- 사내제안제도의 활성화로 부품을 경량화하며 앏으며 짧고 소형화하는 경박단소의 원가절감 활동으로 가격경쟁력 또한 확보


② 로봇용 감속기

항목

비교우위 내용

브랜드

이미지

1) 당사는 1991년 창업부터 엘리베이터 권상기 및 산업용 기어뱍스 등 특수 정밀  감속기를 생산하며 기술력을 축적하여 고객들로부터 고급 브랜드 이미지 확보

2) 당사가 생산, 판매하는 제조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도 당사의 기술력을 높이 평가한 로봇 제조업체의 요청으로 국내 최초로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다. 또한개발 완료와 동시에 고객사의 주력모델에 적용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외의 로봇 제조시장에 진출 하였으며 해외에서도 일본 Nabtesco사의 제품(RV감속기)을 대체할수 있는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메이커로 인정 받음

제품특성

(신뢰성,

가격경쟁력,

품질 등)

1) 기능

제조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는 제조용 로봇의 관절구동 및 공작기계, FA 분야 등 다양한 분야에서 구동장치의 내구성과 정밀도가 요구되는 부분에 사용됨

2) 신뢰성

당사의 제조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는 수요기업(로봇 제조사) 및 공인 시험기관(한국산업기술시험원)과의 공동개발로 개발과 동시에 공인 시험기관의 신뢰성 시험과 A사(로봇제조사)의 주력제품에 장착한 Field Test 시험을 통과하여 제품 신뢰성 인정 받음

3) 가격경쟁력

개발 시 부품 및 소재 공급업체를 개발 완료 후 우선 구매 조건부로 개발 초기부터 참여시켜 매출 증대에 대한 기대감으로 공급업체와 개발비를 분담하여 개발에 따른 원가를 절감함으로서 경쟁사 보다 가격 경쟁력 우위를 확보

제도적

우위점

1) 개발 초기에 부품?소재 기술개발 사업과 기술개발 사업화 등 정부의 개발과제 지원을 받아 연구개발비를 확보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하여 신속한 개발진행과 개발비 절감으로 경쟁사보다 빠르게 제조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시장에 진입 하였으며 개발비 지원에 따른 가격 경쟁력 확보로 유리한 고지를 선점

2) 중앙정부기관, 지방자치단체, 연구기관 등 제조로봇 관련기관에서 지원하는 제조로봇용 부품?소재에 대한 다양한 마케팅 활동 사업비를 지원받아 각종 관련 전시회에 참가하여 급속히 성장하는 제조로봇용 시장에서 가격 경쟁력과 우수한 기술력을 홍보하고 신규 고객을 유치하며 점진적으로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3) 국산 로봇부품의 시장진입 애로사항을 타개 하기위한 방안으로 정부의 로봇산업 육성정책이 수립 되었으며 최근 그 일환으로 로봇산업진흥원이 주관하는 로봇 구동부품 국산화 실증사업이 시행되고 있으며 당사도 국산부품 공급업체로 선정되어 공급된 당사의 로봇용 고정밀 감속기가 각종 실증시험을 실시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당사는 주요 사업인 감속기의 제조, 판매와 관련하여 특별한 규제 사항이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주요제품군은 승강기용 감속기(엘리베이터용, 에스컬레이터용)와 산업용 감속기(기어드모터, 기어박스, 싸이클로이드 감속기등) 그리고 제조로봇용 감속기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승강기용 감속기는 뛰어난 기술력으로 국내시장의 약 75%를 점유하고 있으며, 산업용 감속기는 제철, 화학계열의 제조회사에 특화된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고, 로봇용 감속기는 향후 성장성 전망이 양호하여 기술개발과 양산체제 구축에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2년 매출액은 13,914백만원으로 전년대비 1,314백만원 감소하였으며, 이는 코로나19로 인한 산업전체의 시설투자 감소 및 해외영업의 제약에 따른 기저효과 등이 그 원인이라고 판단됩니다. 2023년에는 매출확대를 위하여 산업용 감속기(Gear Box, Cycloid 등)와 로봇용 감속기 생산기술 고도화와 양산능력의 확충 등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회사명 주요 제품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주)해성티피씨 승강기용 감속기
산업용 감속기
로봇용 감속기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제조.판매하는 제품에대한 객관적인 시장점유율자료나 통계는 파악되지 않고있으나, 현재 당사의 주력제품인 승강기용 권상기중 기계식인 Geared식 권상기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회사자체 집계기준을 75%이상일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당사는 기어 및 동력전달장치 제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별 주요 시장 특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주요 목표시장

승강기용

권상기

- 국내외 Elevator& Escalator 부품공급 업체

- 해외시장은 중국, 일본, 베트남, 동남아시아, 중동 등을 대상으로 Elevator의 글로      벌 회사와 유지보수 업체

- 입체주차기 설비업체 및 유지보수 업체

로봇용

감속기

- 국내 산업용로봇 제조업체

- 해외시장은 중국을 Target으로 하고 일본, 유럽 등으로 판매 활동 범위를 확장

- 해외시장 대상으로는 중국 및 일본 등 Global 로봇 제조회사

- 국내외 산업용로봇 유지보수업체

- 국내외 고정밀 Cycloid 감속기 판매업체

산업용

감속기

- 제철/철강 산업체 (ex. POSCO, 현대제철 등)
 - 섬유산업업체 이동설비 (ex. 도레이케미칼, 효성 등)

- 화학, 정유업체외, 원료교반장치 (ex. 롯데케미칼, 현대케미칼 등)

- 환경분야의 수처리 교반장치 (수질, 폐기물 등)

- 기타 하역 및 운반 기계용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신규사업 등의 내용

주력사업인 승강기용 권상기의 안정적인 성장과 더불어 한 단계 도약을 위한 신 성장 Item의 발굴이 요구되고 있어 이에 장기적인 성장이 전망되고 응용제품의 시장 확장성이 높은 신기술제품인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사업을 2004년부터 추진하게 되었습니다.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 사업 시작과 동시에 응용기술로 산업용 Cycloid 감속기와 풍력발전기용 Yaw & Pitch Drive 및 선박용 Turning Gear 등 응용제품을 개발하여 신규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당사가 유일하게 "제조 로봇용 고정밀 Cycloid 감속기"의 양산시스템을 구축하고 생산, 판매하며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전망


당사는 로봇용 감속기 시장을 향후 회사의 성장을 위한 주요 목표 Target 시장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산업용 수직 다관절 로봇의 각 관절(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에는 Cycloid 곡선을 갖는 고강성, 고정밀 Cycloid 감속기가 대부분 장착되어 사용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의 산업용 로봇의 생산량은 국제로봇연맹(IFR) 'World Robotics Industrial Robots 2022' 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산업용 로봇시장은 연간 총 360억 달러(약 47조원) 규모입니다. 2021년 전 세계 산업용 로봇이 설치량은 전년보다 약 30% 증가한 51만 7000대가 출하 되었고 2022년에서 2025년까지 한 자리수의 범위의 연평균 성장률이 기대된다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자동화 추세와 기술 개선으로 2022년에는 약 57만대로 두 자릿수성장이 이루어 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 전 별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2023년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haisung.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6 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5 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6(당)기 제 25(전)기
자                        산



유동자산
19,551,954,760
23,358,713,273
현금및현금성자산(주4,36) 3,986,020,349
9,286,107,309
단기금융상품(주4,36) 4,963,054,795
9,0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주4,5) 883,934,080
-
매출채권(주4,6,36) 1,957,903,711
2,660,276,318
기타유동금융자산(주4,7,36) 223,287,991
102,828,762
당기법인세자산(주31) 45,572,000
8,056,371
재고자산(주8) 2,800,094,258
2,291,511,684
기타유동자산(주9) 5,526,145
9,932,829
매각예정자산(주37) 4,686,561,431
-
비유동자산
24,807,710,066
26,611,378,671
투자부동산(주10) -
4,742,851,176  
유형자산(주11,14,16,18) 24,754,002,147
21,808,034,421  
무형자산(주12) 25,286,515
32,464,580  
기타비유동금융자산(주4,13,36) 28,421,404
28,028,494  
자      산      총      계
44,359,664,826
49,970,091,944
부                        채



유동부채
2,393,910,857   7,617,982,807
매입채무(주4,36) 1,255,615,311
1,813,450,893  
기타유동금융부채(주4,15,16,36) 535,912,983
709,770,077  
유동성장기차입금(주4,18,36) -
5,000,000,000  
기타유동부채(주17) 562,465,613
55,656,830  
충당부채(주19) 39,916,950
39,105,007  
비유동부채
1,296,009,042   1,428,008,314
확정급여부채(주21) 673,879,893
760,146,346  
사외적립자산(주21) (82,689,830)
(72,939,081)  
기타비유동금융부채(주4,16,20,36) -
2,419,261  
이연법인세부채(주31) 704,818,979
738,381,788  
부      채      총      계
3,689,919,899
9,045,991,121
자                        본



자본금(주1,22) 5,424,161,500
5,346,436,500  
자본잉여금(주22) 34,805,940,212
34,265,176,742  
기타자본구성요소(주23,26) 2,751,691,725
2,766,003,944  
기타포괄손익누계액(주24) 101,274,005
(67,117,987)  
이익잉여금(결손금)(주25) (2,413,322,515)
(1,386,398,376)  
자      본      총      계
40,669,744,927
40,924,100,823
부  채  및  자  본  총  계
44,359,664,826
49,970,091,944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6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5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6(당)기 제 25(전)기
매출액 13,913,931,783 15,227,941,611
매출원가 11,636,290,821 12,803,461,062
매출총이익 2,277,640,962 2,424,480,549
판매비와관리비 3,547,599,338 3,504,433,904
영업이익(손실) (1,269,958,376) (1,079,953,355)
금융수익 526,360,176 179,969,970
금융비용 346,602,805 299,388,833
기타영업외수익 63,276,892 70,581,955
기타영업외비용 26 6,056,389
법인세차감전순이익(손실) (1,026,924,139) (1,134,846,652)
법인세비용 - 10,429,802
당기순이익(손실) (1,026,924,139) (1,145,276,454)
기타포괄손익 201,954,801 (30,139,598)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68,391,992 (30,139,598)
유형자산재평가차익 33,562,809 -
총포괄손익 (824,969,338) (1,175,416,052)
주당이익

   기본주당순이익(손실) (96) (132)
   희석주당순이익(손실) (96) (132)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 26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5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자  본
잉여금
자 본
조 정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  익
잉여금
총   계
I. 2021.1.1(기초자본) 1,800,000,000 14,730,068,722 2,667,885,776 (36,978,389) (241,121,922) 18,919,854,187
당기순이익(손실)         (1,145,276,454) (1,145,276,454)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30,139,598)   (30,139,598)
유상증자 1,231,436,500 21,850,108,020       23,081,544,520
무상증자 2,315,000,000 (2,315,000,000)       -
주식선택권     98,118,168     98,118,168
II. 2021.12.31(기말자본) 5,346,436,500 34,265,176,742 2,766,003,944 (67,117,987) (1,386,398,376) 40,924,100,823
III. 2022.1.1(기초자본) 5,346,436,500 34,265,176,742 2,766,003,944 (67,117,987) (1,386,398,376) 40,924,100,823
당기순이익(손실) - - - - (1,026,924,139) (1,026,924,139)
확정급여제도의재측정요소 - - - 168,391,992 - 168,391,992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77,725,000 540,763,470 (153,429,150) - - 465,059,320
주식선택권 - - 105,554,122 - - 105,554,122
유형자산재평가차익 - - 33,562,809 - - 33,562,809
IV. 2022.12.31(기말자본) 5,424,161,500 34,805,940,212 2,751,691,725 101,274,005 (2,413,322,515) 40,669,744,927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 26 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제 25 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6(당)기 제 25(전)기
Ⅰ.영업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293,281,826)
404,285,163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 (493,091,570)
589,327,695
당기순이익(손실) (1,026,924,139)
(1,145,276,454)
당기순이익에 대한 조정 1,395,869,313
1,291,194,455
영업활동 자산ㆍ부채의 증감 (862,036,744)
443,409,694
이자의 수취 288,460,147
52,141,652
이자의 지급 (63,527,944)
(231,606,742)
배당의 수취 12,393,170
-
법인세의 환급(지급) (37,515,629)
(5,577,442)
Ⅱ.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394,600,052)
(9,276,209,870)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14,310,766,748
2,200,000,000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13,000,000,000
2,2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처분 758,766,748
-
유형자산의 처분 52,000,000
-
매각예정자산의 처분(계약금) 500,000,000
-
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14,705,366,800)
(11,476,209,870)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8,963,054,795)
(10,100,000,000)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취득 (1,654,223,780)
-
매각예정부채의 감소 (150,000,000)
-
유형자산의 취득 (3,930,576,028)
(1,376,209,870)
무형자산의 취득 (7,512,197)
-
Ⅲ.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4,542,664,227)
16,341,402,520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466,350,000
23,839,972,900
유상증자 -
23,689,972,900
임대보증금의 증가 -
150,000,000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466,350,000
-
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5,009,014,227)
(7,498,570,380)
신주발행비 (1,290,680)
(608,428,380)
임대보증금의 반환 -
(1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5,000,000,000)
(6,770,000,000)
리스부채의 상환 (7,723,547)
(20,142,000)
Ⅳ.현금및현금성자산관련환율변동효과
(69,540,855)
(8,384,545)
Ⅴ.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가(감소)(Ⅰ+Ⅱ+Ⅲ+Ⅳ)
(5,300,086,960)
7,461,093,268
Ⅵ.기초의현금및현금성자산
9,286,107,309
1,825,014,041
Ⅶ.기말의현금및현금성자산
3,986,020,349
9,286,107,309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제26(당)기 2022년     1월    1일 부터 제25(전)기 2021년     1월    1일 부터
2022년    12월  31일 까지 2021년    12월  31일 까지
처리예정일 2023년     3월  21일
처리확정일 2023년     3월  22일
회사명 : 주식회사 해성티피씨 (단위 : 원)
구분 제 26(당)기 제 25(전)기
I.미처리결손금
2,413,322,515
1,386,398,376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1,386,398,376
241,121,922
2.당기순손실 1,026,924,139
1,145,276,454
II.결손금처리액
-
-
1.자본잉여금 결손보전금 -
-
III.차기이월결손금
2,413,322,515
1,386,398,376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제 26기 2022년 12월 31일 현재
제 25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해성티피씨


1. 일반사항


주식회사 해성티피씨(이하 "회사"라 함)는 1997년 3월 3일 동력전달장치, 감속기, 기계부품 등의 제조 및 판매를 주요사업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인천광역시 남동구 능허대로 551에 본사 및 제조시설을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1년 4월 21일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신규 상장되었으며, 당기말 현재 수차례의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이후 납입자본금은 5,424백만원입니다.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주주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기말) (단위: 주)
주주명 보통주 우선주 주식수 지분율
(주)티피씨     4,320,000               -     4,320,000 39.82%
티에스 우리-충남 11호 턴어라운드투자조합     1,254,978               -     1,254,978 11.57%
기타     4,040,472     1,232,873     5,273,345 48.61%
합 계     9,615,450     1,232,873    10,848,323 100.00%


(전기말) (단위: 주)
주주명 보통주 우선주 주식수 지분율
(주)티피씨 4,320,000 - 4,320,000 40.40%
티에스 우리-충남 11호 턴어라운드투자조합 2,520,000 - 2,520,000 23.57%
기타 2,620,000 1,232,873 3,852,873 36.03%
합 계 9,460,000 1,232,873 10,692,873 100.00%


2. 중요한 회계정책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기 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을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과 공시

1) 회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회사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참조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는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정의를 충족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 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개정 기준서는 경영진이 의도한 방식으로 유형자산을 가동할 수 있는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동안에 생산된 재화를 판매하여 얻은 매각금액과 그 재화의 원가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이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한 매각금액과 원가를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개정 기준서는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는 계약을 이행하는 데 드는 증분원가와 계약을 이행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그 밖의 원가 배분액으로 구성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rent concession)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동개정사항은 2021년 4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마)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2018-2020 연차개선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관련 수수료에 차입자와 대여자 사이에서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상대방을 대신하여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 포함)만 포함된다는 개정내용을 포함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리스인센티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에 대한 일부 개정내용이 있습니다. 동 연차개선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기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회사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부채의 분류는 기업이 보고기간 후 적어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부채가 비유동부채로 분류되는 기준을 충족한다면, 경영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부채의 결제를 의도하거나 예상하더라도, 또는 보고기간말과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사이에 부채를 결제하더라도 비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한, 부채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할 때 부채의 결제조건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으로 분류되고 동 옵션을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동개정사항
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 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개정 기준서는 공시 대상 회계정책 정보를 '유의적인' 회계정책에서 '중요한' 회계정책으로 바꾸고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의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개정 기준서는 '회계추정치'를 측정불확실성의 영향을 받는 재무제표상 화폐금액으로 정의하고, 회계추정치의 예를 보다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새로운 정보의 획득, 새로운 상황의 전개나 추가 경험의 축적으로 투입변수나 측정기법을 변경한 경우 이러한 변경이 전기오류수정이 아니라면 회계추정치의 변경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전진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회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 1012호 '법인세' (개정)

개정 기준서는 이연법인세 최초 인식 예외규정을 추가하여 단일 거래에서 자산과 부채를 최초 인식할 때 동일한 금액으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생기는 경우 각각 이연법인세 부채와 자산을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단일 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관련되는 이연법인세'는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에 적용하며,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에 이미 존재하는 (1)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 (2) 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부채 및 이에 상응하여 자산 원가의 일부로 인식한 금액에 관련되는 모든 차감할 일시적 차이와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며, 최초 적용 누적 효과를 이익잉여금(또는 자본의 다른 구성요소) 기초 잔액을 조정하여 인식합니다.

회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

재무제표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국제회계기준위원회의 국제회계기준을 채택하여 정한 회계처리기준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2) 측정기준

재무제표는 금융상품 등 아래의 회계정책에서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3)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재무제표는 회사의 기능통화이면서 표시통화인 "원(KRW)"으로 표시되고 있으며 별도로 언급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원(KRW)" 단위로 표시되고 있습니다.

(3) 외화환산

기능통화로 외화거래를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에 거래일의 외화와 기능통화 사이의 현물환율을 외화금액에 적용하여 기록하며, 보고기간말 화폐성 외화항목은 마감환율로 환산하며,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화폐성항목의 결제시점에 생기는 외환차이와 화폐성항목의 환산에 사용한 환율이 회계기간 중 최초로 인식한 시점이나 전기의 재무제표 환산시점의 환율과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외환차이는 그 외환차이가 생기는 회계기간의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는 외환차이 등은 기타포괄손익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현금및현금성자산

회사는 보유현금과 요구불예금,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다만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하고 있으며, 금융회사의 요구에 따라 즉시 상환하여야 하는 당좌차월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요소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5) 금융상품

1)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이나 매도는 매매일 또는 결제일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상품의 최초 인식시점에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의 특성에 따라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은 최초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으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이 아닌경우 당해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금융자산을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하는 경우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지정이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하거나, 그에 따른 평가손익 등을 인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인식과 측정상의 불일치를 제거하거나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으로부터 획득한 배당금과 이자수익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채무증권 중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 및 매도 사업모형으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이나 단기간 내 매도할 목적이 아닌 지분증권 중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상품은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최초인식 후에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배당수익 및 손익으로 직접 인식되는 화폐성자산에 대한 외환차이를 제외하고는 자본의 기타포괄손익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누적손익은 해당 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만,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에서 발생한 누적평가손익은 처분시 해당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외화로 표시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공정가치는 해당 외화로 측정되며 보고기간 말 현재 환율로 환산합니다. 공정가치 변동분 중 상각후원가의 변동으로 인한 환산차이에서 발생한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기타 변동은 자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 평가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은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최초 인식 후에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이자수익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인식합니다.

(라) 금융자산의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고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할 때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않고이전하지도 아니한 경우, 회사가 금융자산을 통제하고 있지도 않다면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금융자산을 계속 통제하고 있다면 그 양도자산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계속하여 인식하고, 관련 부채를 함께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금융자산(채무상품)의 기대신용손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제외한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상품은 매 보고기간 말에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손실충당금의 측정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 구분하여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이나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구 분

손실충당금

Stage 1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경우(주)

12개월 기대신용손실: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내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2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3

신용이 손상된 경우


(주) 보고기간 말 신용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음


최초 인식 시점에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에 대하여 최초 인식 후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누적변동분만을 손실충당금으로 계상합니다.

한편, 매출채권, 계약자산, 리스채권 등에 대해서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는 간편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대신용손실은 일정 범위의 발생 가능한 결과를 확률가중한 값으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반영하고, 보고기간 말에 과거사건, 현재 상황과 미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예측에 대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반영해 측정합니다.


3) 금융부채

금융부채는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부채의 최초 인식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또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해당 금융부채의발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비용은 최초 측정시 공정가치에 차감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발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는 다음의 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최초인식 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의 경우, 양도자산을 상각후원가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상각후원가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며, 양도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독립적으로 측정된 공정가치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보증부채(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 제외)와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하기로 한약정은 기대신용손실모형에 따른 손실충당금과 최초인식금액에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다) 금융부채의 제거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는 소멸한 경우(즉,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고 있습니다. 기존 차입자와 대여자가 실질적으로 다른 조건으로 채무상품을 교환하거나 기존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 최초의 금융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금융부채를 인식하고 있으며,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의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

회사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상계하고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5) 부채와 자본의 분류

채무상품과 지분상품은 계약의 실질 및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 또는 자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 재고자산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현재의 장소에 현재의 상태로 이르게 하는 데 발생한 기타 원가 모두를 포함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총평균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순실현가능가치는 통상적인 영업과정의 예상 판매가격에서 예상되는 추가 완성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으로서 매 후속기간에 순실현가능가치를 재평가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판매시 관련된 수익을 인식하는 기간에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을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며,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 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 금액의 차감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7)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구입원가 또는 제작원가와 자산을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데 직접 관련되는 지출과 매입할인 등을 취득원가에 가감하며, 현물출자, 증여, 기타 무상으로 취득한 자산은 공정가치를 취득원가로 계상하고 있으며, 장기후불조건으로 구입하거나, 대금지급기간이 일반적인 신용기간보다 긴 경우 취득원가는 취득시점의 현금가격상당액으로 계상하고 있으며, 자산재평가법에 의하여 재평가된 자산은 재평가액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정부보조 등에 의해 자산을 무상 또는 공정가치보다 낮은 대가로 취득한 경우 취득원가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계상하고 있고, 이종자산과의 교환으로 취득한 자산의 취득원가는 교환을 위하여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계상하고 있으며, 교환으로 제공한 자산의 공정가치가 불확실한 경우 교환으로 취득한 자산의 공정가치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감가상각방법을 적용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구        분 내  용  연  수 감가상각방법
건물 50년 정액법
기계장치 15년 정액법
차량운반구 6년 정액법
공구와기구 6년 정액법
비품 6년 정액법
시설장치 15년 정액법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을 통하여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않을 때 제거하고 있으며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평가된 자산을 매각하는 경우 자본에 계상된 재평가잉여금은 이익잉여금으로 대체하고 있습니다.


(8) 무형자산

회사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의 원가를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최초 인식 후에 무형자산은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1) 개별취득

개별 취득하는 무형자산의 원가는 구입가격(매입할인과 리베이트를 차감하고 수입관세와환급받을 수 없는 제세금을 포함)과 자산을 의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2) 내용연수 및 상각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경우 상각대상금액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내용연수동안 정액법으로 배분하고 있습니다. 상각대상금액은 잔존가치를 차감하여 결정하고 있으며, 잔존가치는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제 3자가 자산을 구입하기로 한 약정이 있거나, 무형자산의 활성시장이 있어 잔존가치를 그 활성시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활성시장이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0)으로 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상각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구분 내용연수 상각방법
산업재산권 5년 정액법
소프트웨어 6년 정액법


3) 무형자산의 제거

무형자산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으로부터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며 무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이나 손실은 순매각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하고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9) 차입원가

회사는 의도된 용도로 사용하거나 판매가능한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상당한 기간을 필요로 하는 적격자산의 취득, 건설 또는 생산과 직접 관련된 차입원가는 당해 자산 원가의 일부로 자본화하고 있으며 기타 차입원가는 발생기간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정하여 차입한 자금에 한하여 회계기간동안 그 차입금으로부터 실제 발생한 차입원가에서 당해 차입금의 일시적 운용에서 생긴 투자수익을차감한 금액을 자본화가능차입원가로 결정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목적으로 자금을 차입하고 이를 적격자산의 취득을 위해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당해 자산관련 지출액에 자본화이자율을 적용하는 방식으로 자본화가능차입원가를 결정하고 있으며, 자본화이자율은 회계기간에 존재하는 기업의 차입금(적격자산을 취득하기 위해 특정 목적으로 차입한 자금 제외)에서 발생된 차입원가를 가중평균하여 산정하며 회계기간동안 자본화한 차입원가는 당해 기간동안 실제 발생한 차입원가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10) 정부보조금

회사는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의 준수와 보조금 수취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정부보조금을 인식하고 있으며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의 정부대여금의 효익은 정부보조금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수익관련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원가와 대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기준에 따라 정부보조금을 수익으로 인식하며, 자산관련 정부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결정할 때 차감하여 표시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감가상각비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미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에 대한 보전 또는 향후의 관련원가 없이 회사에 제공되는 즉각적인 금융지원으로 수취하는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을 수취할 권리가 발생하는 기간에 수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자산을 정부보조금으로 수취하는 경우 비화폐성자산의 공정가치를 평가하여 보조금과 자산 모두를 그 공정가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상환의무가 발생하게 된 정부보조금은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1) 리스

리스는 리스제공자가 대가와 교환하여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일정기간 동안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는 계약입니다. 회사는 계약의 약정시점에, 계약 자체가 리스인지, 계약이 리스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합니다.

리스이용자 및 리스제공자는 리스계약이나 리스를 포함하는 계약에서 계약의 각 리스요소를 리스가 아닌 요소(이하'비리스요소')와 분리하여 리스로 회계처리합니다. 다만, 회사는리스이용자로서의 회계처리에서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비리스요소를 리스요소와 분리하지 않고 각 리스요소와 관련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회사는 리스개시일에 기초자산을 사용할 권리를 나타내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료를 지급할 의무를 나타내는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다만 회사는 단기리스와 소액기초자산리스에 대하여 리스이용자의 인식, 측정 및 표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예외규정을 선택하였습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에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 감가상각합니다. 사용권자산은 재무상태표에 '유형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며 그 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지급한 리스료를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 리스기간의 변경,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의 행사여부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재무상태표에 '유동성장기부채' 또는 '장기차입금'으로 분류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와 소액자산리스의 경우 예외 규정을 선택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12)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하고,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로서 최선의 추정치를 구할 때에는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으며 할인율은 부채의 고유한 위험과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세전 이율이며 이할인율에 반영되는 위험에는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고려된 위험은 반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현재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 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충분하고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미래사건을 감안하여 충당부채 금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자산의 예상처분이익은 충당부채를 측정하는 데 고려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회사가 의무를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 자산으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 충당부채 금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며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최초인식과 관련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3) 수익

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고객과의 모든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 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⑤ 수행의무 이행 시 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수행의무의 식별

회사는 승강기용 권상기왕 감속기 등을 제조하여 고객에게 판매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① 고객이 재화나 용역 그 자체에서 효익을 얻거나 고객이 쉽게 구할 수 있는 다른 자원과 함께 하여 그 재화나 용역에서 효익을 얻을 수 있고, ②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기로 하는 약속을 계약 내의 다른 약속과 별도로 식별해 낼 수 있다면 구별되는 별도의 수행의무로 식별합니다. 회사는 일반적으로 고객으로부터 주문을 받아 제품을 제조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2)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재화의 판매에 따른 수익은 자산을 이전하여 수행의무를 이행할 때 인식하고 있으며,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는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이전하는 시점에 이행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시점을 판단하기 위한 통제 이전의 지표로 다음을 참고하고 있습니다.

① 기업은 자산에 대해 현재 지급청구권이 있다
② 고객에게 자산의 법적 소유권이 있다
③ 기업이 자산의 물리적 점유를 이전하였다
④ 자산의 소유에 따른 유의적인 위험과 보상이 고객에게 있다
⑤ 고객이 자산을 인수하였다


3) 변동대가

회사는 계약에서 약속한 대가에 변동금액이 포함된 경우에 고객에게 약속한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고 그 대가로 받을 권리를 갖게 될 금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가는 할인(discount), 리베이트, 환불, 공제(credits), 가격할인(price concessions), 장려금(incentives), 성과보너스, 위약금이나 그 밖의 비슷한 항목 때문에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계약자산은 기업이 고객에게 이전한 재화나 용역에 대하여 그 대가를 받을 기업의 권리이며, 계약부채는 기업이 고객에게서 이미 받은 대가(또는 지급기일이 된 대가)에 상응하여 고객에게 재화나 용역을 이전하여야 하는 기업의 의무로 정의됩니다. 회사는 한 계약에서 발생한 계약자산과 계약부채는 상계하여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14)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단기종업원급여는 임금, 사회보장분담금,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유급연차휴가 또는 유급병가 등과 같은 단기유급휴가,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지급될 이익분배금과 상여금 및 현직종업원을 위한 비화폐성급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이 회계기간에 근무용역을 제공한 때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단기종업원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을 이미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후 미지급비용으로 인식하며, 이미 지급한 금액이해당 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 초과액 때문에 미래 지급액이 감소하거나 현금이 환급되는 만큼을 선급비용으로 인식하며,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 따라 해당 급여를 자산의 원가에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퇴직급여

회사는 퇴직급여제도로서 확정급여제도와 확정기여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확정기여제도는 회사가 고정된 금액의 기여금을 별도 기금에 지급하는 퇴직연금제도이며, 기여금은 종업원이 근무 용역을 제공했을 때 비용으로 인식됩니다.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를 제외한 모든 퇴직연금제도입니다. 확정급여제도의 순확정급여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관련 확정급여채무를 직접 결제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사외적립자산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이며,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적인 보험계리법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급여가 지급될 통화로 표시되고 관련 확정급여부채의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의 시장수익률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원가 중 근무원가와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순이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되는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부의 순확정급여부채인 순확정급여자산은 제도로부터 환급받거나 제도에 대한 미래 기여금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경제적효익의 현재가치의 합계를 한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급여를 과거근무용역에 귀속시키는 확정급여제도를 새로 도입하거나 기존의 확정급여제도에서 과거근무용역에 대하여 지급해야 하는 급여를 변경하는 경우 발생하는 과거근무원가는 제도개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채의 변동금액으로 측정하고 즉시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5) 자산손상

재고자산,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하는 계약자산과 계약을 체결하거나 이행하기 위해 든 원가에서 생기는 자산, 이연법인세자산, 종업원급여에서 생기는 자산,금융자산,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투자부동산, 매각예정비유동자산 등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손상은 아래의 방법으로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 및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에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장부금액과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그 외의 자산은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개별 자산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며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은 자산 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더 많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며, 손상차손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재평가모형에 따라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는 경우 재평가되는 자산의 손상차손은 재평가 감소액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손상검사 목적상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은 사업결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의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각 현금창출단위에 취득일로부터 배분되고 있습니다. 영업권이 배분된 현금창출단위에 대해서는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영업권을 포함한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과 회수가능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은 우선 현금창출단위에 배분된 영업권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다른 자산에 각각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영업권을 제외한 자산에 대해 과거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징후가 있는 경우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 없으며, 손상차손환입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재평가모형에 따라 재평가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는 경우에는 재평가증가액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환입은 현금창출단위를 구성하는 자산들(영업권 제외)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며, 영업권에 대해 인식한 손상차손은 후속기간에 환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16) 법인세

법인세비용(수익)은 당기법인세비용(수익)과 이연법인세비용(수익)으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당기법인세와 이연법인세는 수익이나 비용으로 인식하여 당기손익에 포함하고 있으며, 동일 회계기간 또는 다른 회계기간에 자본에 직접 가감되는 항목과 관련된 당기법인세와이연법인세는 자본에 직접 가감하고 있습니다.


1) 당기법인세

당기법인세는 회계기간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대하여 납부할(환급받을) 법인세액이며,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은 과세당국이 제정한 법규에 따라 납부할(환급받을) 법인세를 산출하는 대상이 되는 회계기간의 이익(손실)으로서 포괄손익계산서의 손익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당기 및 과거기간의 당기법인세부채(자산)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및 세법)을 사용하여, 과세당국에 납부할(과세당국으로부터 환급받을)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 및 과거기간의 당기법인세 중 납부되지 않은 부분을 부채로 인식하며, 과거기간에 납부하여야 할 금액을 초과해서 납부하였다면 그 초과금액은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과거 회계기간의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소급공제가 가능한 세무상결손금과 관련된 혜택은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이연법인세

회사는 모든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부채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영업권을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와 자산·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가 사업결합거래가 아니고 거래 당시의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는 거래인 경우 및 종속기업·지점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그리고 공동약정투자지분과 관련된 가산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지배기업· 투자자 또는 참여자가 일시적차이의 소멸시점을 통제할 수 있고 예측가능한 미래에 일시적차이가 소멸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을 경우에 발생하는 이연법인세부채는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모든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자산이나 부채를 최초로 인식할 때 발생하는 거래로 사업결합거래가 아니고 거래 당시 회계이익이나 과세소득(세무상결손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거래인 경우 및  종속기업·지점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 그리고 공동약정투자지분과 관련된 모든 차감할 일시적차이에 대하여일시적차이가 예측가능한 미래에 소멸할 가능성이 높지 않거나 일시적차이가 사용될 수 있는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경우에는 이연법인세자산은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미사용 세무상결손금과 세액공제가 사용될 수 있는 미래 과세소득의 발생가능성이 높은 경우 그 범위 안에서 이월된 미사용 세무상결손금과 세액공제에 대하여 이연법인세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은 매 보고기간말에 검토하며 이연법인세자산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한 혜택이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않다면 이연법인세자산의 장부금액을 감액시키고 감액된 금액은 사용되기에 충분한 과세소득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면 그 범위 내에서 환입하고 있습니다.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및 세법)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회계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측정하고 있으며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할인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회사가 당기법인세자산과 당기법인세부채를 상계할 수 있는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권리를 가지고 있으며 동일한 과세당국에 의해서 부과되는 법인세와 관련하여 이연법인세자산과 이연법인세부채를 상계하고 있습니다.


(17) 주당이익

회사는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보통주에 귀속되는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특정 회계기간의 당기순손익을 그 기간에 유통된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있으며, 보통주에 귀속되는 금액은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 각각의 금액에서 자본으로 분류된 우선주에 대한 세후우선주 배당금, 우선주 상환시 발생한 차액 및 유사한 효과를 조정한 금액입니다.

희석주당이익은 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18) 중요한 회계추정 및 판단

재무제표의 작성시 경영진은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자산, 부채, 수익, 비용의 장부금액 및 우발부채의 금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판단과 추정 및 가정을 하여야 합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이러한 추정치는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 및 추정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으며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나 향후 경영환경의 변화에 따라 실제 결과와는 중요하게 다를 수도 있습니다.

회계정책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추정에 관련된 공시와는 별도로 재무제표에 인식되는 금액에 가장 유의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영진이 내린 판단 및 미래에 대한 가정과 보고기간말의 추정 불확실성과 관련하여 다음 회계연도에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중요한 조정을 유발할 수 있는 유의적인 위험을 내포하고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금융상품에 대한 활성시장이 없는 경우 공정가치는 평가기법을 사용하여 결정하고 있으며, 평가기법은 합리적인 판단력과 거래의사가 있는 독립된 당사자 사이의 최근거래를 사용하는 방법, 실질적으로 동일한 다른 금융상품의 현행 공정가치를 참조하는 방법, 현금흐름할인방법과 옵션가격결정모형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주기적으로 평가 기법을 조정하며 관측가능한 현행 시장거래의 가격을 사용하거나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하는등 다양한 평가기법의 선택과 가정에 대한 판단을 하고 있습니다.

2) 이연법인세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는 보고기간말까지 제정되었거나 실질적으로 제정된 세율 및 세법에 근거하여 당해 자산이 실현되거나 부채가 결제될 회계기간에 적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세율을 사용하여 추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추정치는 미래의 실제 법인세부담과 다를 수 있습니다.


3) 확정급여채무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를 계산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보험수리적 가정은 퇴직급여의 궁극적인 원가를 결정하는 여러 가지 변수들에 대한 최선의 추정을 반영하는 것으로 여기에는 퇴직전이나 퇴직후의 사망률, 이직률, 신체장애율 및 조기퇴직률, 할인율 및 미래의 임금과 급여 수준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가정에 따라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민감하게 변동될 수 있습니다.

※ 상세한 주석사항은 2023년 3월 14일 전자공시시스템(https://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s://www.haisung.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상기 결손금처리계산서(안)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건복 1955.12.05 사내이사 - - 이사회
김영호 1969.05.08 기타비상무이사 - -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건복 (주)해성티피씨
대표이사
2005 ~ 2015
2020.3 ~ 현재
(주)해성티피씨 기술연구소장
(주)해성티피씨 대표이사
-
김영호 (주)TS인베스트먼트 M&A투자 부사장 2008.3 ~ 현재
2020.3 ~ 현재
TS인베스트먼트 M&A투자 부사장
(주)해성티피씨 기타비상무이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건복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김영호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 이건복>
후보자 이건복은 기계설계를 전공하고 30년이상 감속기 설계 및 개발업무에 전념한 전문가로서 지난 5년간 당사에서 로봇용감속기의 개발과 실증 및 생산기술의 고도화를 추진하였으며, 최근 3년간은 해성티피씨의 대표이사로서 당사의 코스닥상장과 로봇용감속기의 품질제고와 양산체계구축을 완성한 전문경영인으로 향후 당사의 매출향상과 영업이익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함.

<후보자 김영호>
후보자 김영호는 당사의 2대 주주주이며, M&A주체인 TPC 컨소시엄의 파트너인 (주)TS인베스트먼트의 투자전문 임원으로 산업의 트렌드 및 금융시장동향에 해박한 지식을 갖춘 금융투자 전문가임. 따라서, 당사의 중장기 발전방향에 대한 조언과 의사결정에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하여 당사의 이사로 추천함.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권순일 1976.03.01 -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권순일 미성회계법인
공인회계사
2017 ~ 현재
2020.12 ~ 현재
미성회계법인
(주)해성티피씨 감사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권순일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 권순일은 공인회계사로 회계 및 재무적 식견이 탁월하고, 특히 내부통제절차 및 통제관련 업무를 완벽히 이해하여 당사의 회계투명성과 재무적 신인도를 제고한 것으로 판단되어 감사로 추천함.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_권순일 감사

확인서_권순일 감사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1 (명)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명,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


(전 기)


(단위: 명, 백만원)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332
최고한도액 1,000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단위: 명, 백만원)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


(전 기)


(단위: 명, 백만원)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200



※ 기타 참고사항

-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3년 03월 14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4 및 상법 시행령 제31조 제4항 제4호에 따라 자본시장과 금융 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59조에 따른 사업보고서 및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23조 제1항 본문에 따른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1주 전까지 DART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haisung.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2)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입니다.
사업보고서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이 발생한 경우 정정보고서를 통해 그 내용 및 사유 등을 반영할 예정이오니 정기주주총회 이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된 사업보고서를 확인해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이번 주주총회부터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않고도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도록 전자투표제도(상법 제368조의 4)를 도입하였습니다.

주주총회에 참석이 어려우신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일 전에 전자투표를 통해 귀중한 의결권을 행사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권유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s://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3년 3월 11일 오전 9시 ~ 2023년 3월 20일 오후 5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인증을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 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삼성증권 전자투표서서비스 이용약관 제 13조 2항)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사항

코로나19 확산과 관련하여 방역관리 지침과 보건안전수칙에 따라
총회장 출입 시 체온 측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보건용 마스크 및 일회용 장갑 착용을 의무화하고 손소독제 비치 등
방역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의심환자 발생 시 격리공간으로 안내 및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은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