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12월 08일 | ||
회 사 명 : | (주)유비온 | |
대 표 이 사 : | 임재환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4길 27 대륭포스트 타워 3차 6층 601호 | |
(전 화) 1600-7400 | ||
(홈페이지)http://www.ubio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이사 | (성 명) 이용종 |
(전 화) 1600-74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3기 정기주주총회 소집통지서) |
주주님의 건승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회사는 상법 제363조 및 당사 정관 제23조에 의거 제23기 정기 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3조2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 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2년 12월 23일(금요일) 오전 11시
2. 장 소 : 서울시 구로구 디지털로 34길 27 대륭포스트타워3차 6층
㈜유비온 교육장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4)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나. 부의 안건
1) 제 1호 의안 : 제23기(2021년10월01일~2022년09월30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 2호 의안 : 심광보 사외이사 선임의 건
3) 제 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한도 12억원
4) 제 4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한도 3천만원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⑤항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국민은행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1) 직접행사 : 신분증
2)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서명 또는 날인), 대리인 신분증
3) 법인주주 : 위임장, 법인인감증명서, 사업자등록증, 대리인 신분증
7.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안내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준수하고 주주님들의 건강을 보호하고자 주주총회 개최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측정 결과에 따라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및 마스크 미 착용시 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2022년 12월 08일
주식회사 유비온
대표이사 임 재 환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양유길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1.10.20 | 상임고문 위촉의 건 | - |
2 | 2021.11.03 | 베트남 합작법인 VIDEA 추가 출자 승인의 건 | - |
3 | 2021.11.05 | 사업계획 승인의 건 | - |
4 | 2021.11.15 | 외부감사인 지정신청의 건 | - |
5 | 2021.12.01 | 이사회 운영규정 개정의 건 | - |
6 | 2021.12.13 | 정기주주총회 소집 및 안건 | - |
7 | 2021.12.27 | 회전대출 약정의 건 | - |
8 | 2022.02.07 | 임시주주총회 소집 및 안건 | 찬성 |
9 | 2022.06.24 | 배컴신주인수 승인의 건 | 찬성 |
10 | 2022.07.12 |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의 건 | 찬성 |
11 | 2022.09.15 | 제23기 정기주주총회 권리주주확정을 위한 명의개서 정지의 건 | - |
12 | 2022.09.19 | 이해관계자거래규정 개정의 건 | - |
주) 양유길 사외이사는 2021년 12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고 2022년 8월 19일 사임하였으면 재임기간중 모든 이사회에 참석하셨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000 | 10 | 10 | - |
※ 인원수 및 지급 총약은 양유길 사외이사가 재임한 기간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현재 당사의 사외이사는 없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천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1) 사업개황
당사는 교육에 ICT기술을 접목하여 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에듀테크(EdTech) 전문기업입니다. 당사의 주요 사업은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개발하여 납품 또는 서비스하는 에듀테크 소프트웨어 사업(이하 '에듀테크사업'이라 함)과 온·오프라인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사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닝의 태동기인 2000년 금융교육 이러닝 서비스 브랜드인 '와우패스'를 런칭하며 창업하였고, 교육서비스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습니다.
2016년 글로벌 교육의 트렌드가 이러닝에서 에듀테크로 전환하고 있는 흐름을 초기에 파악하며 당사는 에듀테크센터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개발 및 판매하는 에듀테크 소프트웨어 사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였습니다. 학습관리시스템(LMS) 브랜드인 '코스모스'를 기반으로 하는 에듀테크 사업의 매출이 2020년부터 교육서비스 사업을 앞서면서 당사는 에듀테크 소프트웨어 회사로의 사업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이러닝에서 에듀테크로의 진화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에듀테크 사업은 2000년 이러닝이라는 이름으로 시작하여 에듀테크로 정의되기까지의 약 22년의 시간동안 변화와 발전을 거듭해 왔습니다.
1세대 에듀테크라고 정의되는 이러닝(E-Learning) 2000년대 초반부터 2010년 사이의 에듀테크 원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00년 초반 전국적인 인터넷 망을 바탕으로 하는 온라인서비스가 확산되었고 이러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온라인상에서의 교육이 가능해졌습니다. 그 동안 오프라인을 통해서만 학습할 수 있던 교육의 영역이 온라인을 통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가능하게 되었으며, 당사는 와우패스의 런칭을 통해 이러닝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온라인 콘텐츠 기반의 서비스는 2010년부터 2020년 사이에 진화를 하게 되고 이러한 변화를 에듀테크의 시작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러닝 기반의 서비스는 시공간의 제약을 없애주었지만 개별화, 맞춤화 교육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미래교육체제가 논의되기 시작하면서 개인수준의 개별화를 지향하는 교육방식이 대두되었으며, 기술 기반의 교육 체계로의 전환이 이러한 부분들은 가능하게 하였습니다.
코로나 팬데믹은 에듀테크의 기술발전에 가속화를 가져왔으며, 2021년부터로 정의되는 3세대 에듀테크는 경험학습 체계와 개념학습 체계의 융화를 목표로 AI, 클라우드 기반의 SaaS 서비스로 가속화 될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나) 국내 에듀테크 시장 현황 및 특징
당사의 에듀테크 타겟 시장은 고등교육(대학교)과 기업교육 영역입니다. 에듀테크 범주 중 학습관리시스템(LMS)은 이러닝 및 에듀테크 서비스를 위한 인프라 역할을 담당하는 가장 기본적이고 핵심적인 소프트웨어입니다.
소프트웨어는 하드웨어의 자원을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가치를 주는 역할을 합니다. 하드웨어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소프트웨어를 운영체제(OS : Operating System)라고 합니다. 하드웨어 위에 운영체제 소프트웨어가 올라가고, 운영체제 위에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응용소프트웨어가 설치됩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는 설치된다는 개념이 강하였고, 이러한 특징 때문에 새로운 기능으로 업데이트되어도 즉시 사용하기 어려웠습니다.
![]() |
소프트웨어 비즈니스의 변화 |
웹2.0의 시대를 지나오면서 웹이 소프트웨어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으며, 정적인 웹 페이지의 기능에서 동적인 웹으로 변화하면서 웹 그 자체가 소프트웨어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 중심에 있는 웹 브라우저가 운영체제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고, 동적인 웹으로 구현된 웹 사이트가 응용 소프트웨어 역할을 대체하였습니다. 이러한 기능은 고객의 전산실에 설치형으로 구축되는 방식으로 판매되었고 이를 구축형 소프트웨어라고 표현합니다.
에듀테크 시스템 시장도 소프트웨어 시장의 흐름과 같은 방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기존의 거의 모든 고객은 자사의 인프라에 시스템을 구축하려는 계획으로 발주를 하였습니다. 고객사의 입맛에 맞게 기능을 재구성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 시스템 구축을 중심으로 학습관리시스템을 도입하였습니다. 패키지 소프트웨어를 근간으로 커스터마이징하는 방식으로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져 왔고 고객사의 다양한 요구사항을 반영하면서 소프트웨어의 ‘패키지’ 특징 100% 활용하지 못한채 시스템을 재생산하는 방식으로의 서비스가 주를 이루는 시장이였습니다. 당사는 현재 서비스중인 패키지 중심의 학습관리시스템을 기반으로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의 개발 및 공급으로 전략을 이동중에 있습니다.
(다) 4차산업 인재 중심의 취업 시장 개편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교육서비스 시장은 크게 구직자 교육과 재직자 교육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 중 구직자 교육은 전통적인 스펙 위주의 시장으로 당사의 자격증 컨텐츠를 수강하고 자격증을 취득하여 스팩을 쌓고 취업 컨텐츠를 바탕으로 대기업 인적성을 준비하는 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전통적인 취업 시장이 4차 산업혁명과 맞물리며 IT기반 실무형 인재를 필요로 하는 경험 중심의 스팩 시장으로 변화를 하고 있습니다. 정부주도하에 계획하고 있는 ‘100만 디지털 인재 양성’ 역시 이러한 구직 시장의 변화를 반영한 정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변화 속에 21년부터 데이터 관련 자격과정 런칭과 함께, 메타버스, AI자동차 키트 등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또한 오프라인기반 SW인재양성에 최적화되어 있는 부트캠프 운영 및 확장 전략을 통해 구직자 시장 변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재직자 교육은 실무에 필요한 이론 교육 중심의 시장이 이직, 전직의 확대에 따른 신기술 교육 및 실습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재직자 교육 또한 고용노동부 주도하에 이루어지고 있는 디지털 기초역량훈련(K-Digital Credit)을 통해 신기술 교육으로 불리고 있는 디지털리터러시 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1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KDC교육에 당사도 참여를 하고 있으며, 내일배움카드 제도를 활용하여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번 정부의 교육 정책도 디지털 역량강화 중심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취업 및 재직자 역량강화 교육은 신기술 분야를 중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시장 규모 및 전망
소프트웨어 정책연구소가 발표한 2021년 SW산업 10대 이슈 전망 보고서에 따르면 비대면 교육수요 확산에 따른 에듀테크SW 시장 수요의 확대가 1위를 차지할만큼 에듀테크SW의 필요성이 더욱더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교육부 역시 2020년 10월 에듀테크 활용 교육혁신 시범사업을 진행하며 에듀테크 선도고교의 주요 과제를 소개한 바 있습니다. 에듀테크 활용 교육혁신 시범사업은 코로나 상황에서의 원격교육 환경 개선과 첨단 교육기술을 활용한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학교내외 교육자원의 효율적 연계 등을 지원하는 사업입니다. 비대면이 강화되었던 초기에는 학습관리시스템의 필요성이 중요했다면, 향후 대면 교육상황에서의 에듀테크 시장은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반의 교육으로 그 중심축이 이동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
2021년 sw산업 10대 이슈 전망_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
출처 : 2021년 SW산업 10대 이슈 전망_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당사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국내 시장은 산업통상자원부와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가 조사하는 이러닝산업 실태조사를 통해 시장의 규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아직 에듀테크보단 이러닝이라는 단어를 주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러닝 공급시장을 서비스, 콘텐츠, 솔루션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세 가지 영역의 사업을 모두 영위하고 있는 사업자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1년 기준 이러닝 산업의 매출액은 5조218억 원으로 2020년 17.2%의 큰폭의 성장 이후 2021년에도 8.5%의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에 맞춰 공급기업 사업체수도 2020년 1,905개에서 2,113개 업체로 약 11% 정도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국내 고등교육과 기업교육 시장의 학습관리시스템은 이러닝 솔루션 시장을 통해 유추할 수 있습니다. 2021년 이러닝산업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닝 솔루션 부문의 21년 매출액은 2020년 대비 5.2% 증가한 4,222억 원입니다. 이러닝 서비스 기업 및 기관이 온라인학습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이 되는 학습관리시스템을 도입해야 하고, 고등교육 및 기업교육 분야 중 위탁운영을 하기 위한 사업자를 제외하면 대부분 콘텐츠 중심의 이러닝 서비스를 하고 있기에 학습관리시스템을 자체개발하지 않고 아웃소싱을 통해 솔루션을 도입하면서 일부 기능을 커스터마이징하는 것이 일반적인 시장의 수요입니다. 이러한 수요가 이러닝산업실태조사 보고서의 이러닝 솔루션 부문에 반영되었고 20년 9.6% 증가에 이어 작년에도 큰폭으로 성장을 하였습니다.
당사는 학습관리시스템을 중심으로 교육 컨설팅, 콘텐츠 제작, 연수운영 역량 등을 교육회사의 역량을 확장시켜 활발하게 해외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회사 중 하나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 ICT 사업에 있어 국내 시장 내에 큰 경쟁사들이 존재하고 있지 않은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에듀테크 시스템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진출은 필수 요소라고 생각하고 있는 회사 중에 하나입니다. 해외 사례를 보았을 때 과거에 시스템 구축 중심으로 성장하던 에듀테크 시스템 시장이 임대형 시스템 시장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에듀테크 시스템을 뒷받침하는 인프라가 갖추어 지게 되면서 점차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2022년 이러닝산업 성장(2021년 대비) 전망에 대해서는 성장 43.2%, 현상유지 54.0%, 하락 3.7%로 대부분 작년과 비슷하거나 성장할 것으로 예측을 했습니다. 반면 향후 5년간 이러닝산업 성장전망에 대해서는 성장 82.4%, 현상유지 14.2%, 하락 3.4%로 긍정적으로 전망한 의견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특히 콘텐츠와 솔루션 시장의 전망이 더 좋을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고 이 부분은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에듀테크 솔루션 시장의 분위기가 반영된 전망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2021년 개인의 이러닝 이용분야를 살펴보면, '초중고 교과과정'이 24.2%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이어서 '직무' 22.7%, '자격' 19.8%, '외국어' 19.1%, '정보기술' 13.9% 등의 순으로 이러닝 이용 비중이 높게 나타났습니다. 이 중 당사가 타겟하고 있는 20대 이상 연령에서의 이러닝 서비스 이용분야를 보면 직무분야 평균 27.9%, 자격분야 평균 22.9%, 정보기술분야 평균 16.7%로 이용자의 대부분이 당사의 사업영역에서 교육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경쟁 상황
2021년 이러닝산업실태보고서에 따르면 당사의 코스모스와 같은 형태의 솔루션을 판매하는 회사는 전년대비 12.5% 증가한 314개 업체입니다. 솔루션을 중심으로 하는 에듀테크 산업은 진입장벽이 높고 고객들이 체감하는 서비스에 대한 차별화 정도가 타 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산업 자체의 경쟁강도가 비교적 높은 편입니다. 국내 학습플랫폼 시장은 규모와 요구 수준에 따라, 엔터프라이즈형, SaaS형, 특수목적형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형태별 시장 구분]
구분 |
시장 |
---|---|
엔터프라이즈형 |
대학, 대/중견 기업, 해외 |
SaaS 서비스형 |
중소기업, 협회/단체, 해외 |
특수목적형 |
공교육(K-12), 공공기관, 평생교육/학원 |
당사의 코스모스는 각 서비스 영역에서 조금씩 다른 경쟁사들과 경쟁을 하고 있으며, 타겟 시장별 경쟁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 엔터프라이즈형
고객의 요구사항에 맞게 커스터마이징을 포함하여 구축형 형식의 확장형 학습플랫폼 시장입니다. 당사의 LMS(무들), EMS 제품과 외산 공급 기업 퓨쳐누리(블랙보드), 자이닉스(캔바스), 국산 공급기업 메디오피아, 아이맥스소프트 제품이 대학 시장을 대상으로 경쟁하고 있습니다. 대기업, 중견기업의 경우 대형 SI 사업자를 통해 시스템 구축/공급 시장이 형성되어 있으나 최근 코로나19 등 팬데믹 상황을 고려한 다양한 학습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교육 산업 내 솔루션 전문성과 신뢰성, 즉시성을 확보한 업체를 통한 시스템 구축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SaaS 서비스형
상대적으로 매출액 규모나 종업원 수가 적은 중소기업, 협회/단체를 대상으로 패키지 솔루션 위주의 커스터마이징을 최소화하여 제공하는 시장입니다. 경쟁사는 메디오피아테크, 맑은소프트, 뉴캠퍼스 등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오픈소스 기반인 무들(Moodle)을 기반으로 한국 교육문화를 반영한 패키징 솔루션(코스모스)을 개발했으며 SaaS 서비스형으로 국내는 물론 글로벌 시장에 도전을 할 계획입니다.
○ 특수목적형
공공기관, 평생교육 목적의 기관을 대상으로 엔터프라이즈형보다는 시장 규모가 작고 기관 및 서비스 대상 혹은 서비스 목적(학점은행제, 환급과정 등)에 따라 개발 이슈가 다양한 시장입니다. 경쟁사는 엔피테크, 한국이러닝개발원 등이 경쟁하고 있습니다. 최근 고용노동부 핵심사업 중 직업능력개발 일환으로 디지털 핵심 실무인재 양성훈련(K-Digital Training), 기초역량훈련(K-Digital Credit)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운영 기관을 정기적으로 모집/선정하고 있으며 고도화된 LMS를 요구하고 있어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추세입니다.
당사의 해외프로젝트 사업은 각 프로젝트의 수행 영역과 범위가 다양하기 때문에 입찰에 참여하였을때 경쟁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매번 다른 업체들과 경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경쟁사를 정의하기는 어렵습니다.
당사의 교육 서비스 영역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전년대비 15.2% 증가한 1,340개 업체로 가장 많은 업체가 교육 서비스를 대표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교육서비스의 영역은 다양한 영역으로 세분화되어 있으며, 당사는 이 중에서 성인교육시장 영역에 한정하여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 해외진출 현황
2021년 이러닝산업실태조사에 따르면 이러닝 공급자 중 해외시장 진출 비율은 9.6%로 나타나며, 진출 추진 중인 기업의 비율은 2.0%인 것으로 조사되어 향후 해외 진출 이러닝 사업자 수는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콘텐츠 부문 기업의 진출 비중이 11.7%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서비스 9.2%, 솔루션 8.0% 순으로 해외 진출 현황을 볼 수 있습니다.
(5) 향후 전망
2021년 이러닝산업실태조사에 의하면, 개인이 총 수요시장의 51.7%인 2조 6,078억원을 지출하였으며, 사업체가 35.8%인 1조8,067억원을 지출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양대 부문의 지출액 비중이 전체 시장의 87.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정부/공공부문은 3,093억원으로 6.1%, 교육기관이 3,161억원으로 6.3%입니다.
개인 이러닝 이용 현황을 보면 2021년 이러닝 이용률은 65.9%로 2017년 58.9%에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1년은 전기 대비 3.4% 증가 하였습니다.
2021년에 개인이 지출한 이러닝 관련 비용은 총 2조 6,079억원으로 추정되며 전기대비 2,421억원 증가하여 증가율 10.2%을 보이는 등 개인의 이러닝 지출 금액도 매년 증가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교육에 ICT기술을 접목하여 학습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증진시키는 에듀테크(EdTech) 전문기업입니다. 당사의 주요 사업은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개발하여 납품 또는 서비스하는 에듀테크 소프트웨어 사업(이하 '에듀테크사업'이라 함)과 온·오프라인으로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서비스 사업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러닝의 태동기인 2000년 금융교육 이러닝 서비스 브랜드인 '와우패스'를 런칭하며 창업하였고, 교육서비스 사업을 중심으로 성장해왔습니다.
2016년 글로벌 교육의 트렌드가 이러닝에서 에듀테크로 전환하고 있는 흐름을 초기에 파악하며 당사는 에듀테크센터의 설립과 함께 본격적으로 학습관리시스템(LMS)을 개발 및 판매하는 에듀테크 소프트웨어 사업으로의 전환을 추진하였습니다. 학습관리시스템(LMS) 브랜드인 '코스모스'를 기반으로 하는 에듀테크 사업의 매출이 2020년부터 교육서비스 사업을 앞서면서 당사는 에듀테크 소프트웨어 회사로의 사업전환에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당사의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주요상표 |
제품설명 |
---|---|---|
에듀테크 SW |
코스모스(Coursemos) |
학습관리시스템(LMS)를 비롯한 경험관리시스템 및 다양한 학습지원도구를 통합한 패키지 솔루션 |
해외 프로젝트 용역 |
해외 국가 또는 기관에 교육시스템 관련 컨설팅 및 교육시스템 |
|
교육 서비스 |
와우패스 (www.wowpass.com) |
취업관련 자격증 및 직업능력 교육 전문 사이트 고용노동부 내일배움카드, K-Digital Training, K-Digital Credit |
유비온 원격평생교육원 (www.iubion.co.kr) |
교육부 산하 평생교육진흥원의 인증을 받은 학점은행 원격평생교육기관 |
|
기업교육 |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을 목표시장으로 한 기업 원격교육 서비스 |
당사의 대표 제품은 에듀테크 소프트웨어인 학습관리 패키지 솔루션 코스모스(Coursemos)입니다. 코스모스는 학습관리시스템(LMS)을 중심으로 역량관리, 상담관리, 진로취업지원, e-portfolio, Learning library, 교육인증관리, 교육지원, 비교과시스템 등이 통합된 패키지 솔루션으로서, 표절관리시스템, 강의녹화시스템, 전자교탁/칠판시스템, 저작도구, 화상강의시스템, 전자출결시스템 등 다양한 학습도구들이 연계된 학습플랫폼입니다. 코스모스 패키지 솔루션 사업은 2016년에 본격적으로 사업화를 추진하였으며, 국내 대학시장을 1차 목표시장으로 하여 2022년 3월 말 현재 약 120개 대학이 사용하는 시장점유율 1위 제품이 되었습니다. 2020년부터는 클라우드서비스화를 추진하여 2022년 3월 말 현재 약 60여 개 대학에게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교육시장 중 가장 높은 품질을 요구하는 대학시장에서의 성공경험을 바탕으로 기업 및 초중고교로 목표시장을 확대하고자 제품 개발을 진행중이며, 신규사업으로서 코스모스 글로벌 SaaS를 개발하여 해외시장으로의 진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에듀테크사업 중 두번째 사업은 해외 프로젝트 용역사업입니다. 20년 이상의 교육 경험과 노하우, 그리고 기술력을 바탕으로 ODA와 EDCF 같은 국제원조사업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교육시스템 컨설팅 및 시스템 개발 등의 용역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2년 3월 말 현재 누적 영업수주 200억 원을 달성하였으며, 전 세계 15개 국에서 당사가 개발한 학습시스템을 이용(예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성과를 바탕으로 당사는 2020년 7월에 교육부 LEAD(Leading Educators for Achieving e-learning Development) 이노베이션 그룹으로 위촉되었고, 2022년 1월에는 한국국제협력단(KOICA)으로부터 우수 파트너 기업으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ODA와 EDCF에 한정되어 있던 영업 파이프라인을 ADB, 월드뱅크, 유네스코와 같은 국제기구로 확대하고, 용역 범위도 공교육 분야 학습시스템에서 직업훈련, 연수, 기자재 등으로 확대함으로써 글로벌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보다 많은 국가와 사람들이 미래교육에 다가갈 수 있도록 사업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교육서비스는 성인을 대상으로 한 직업교육을 목표시장으로 하고 있으며, 3개의 사이트로 멀티브랜드화되어 있습니다. 첫번째, 와우패스는 2000년 6월에 런칭하여 20년 이상 유지되어 온 금융, 회계, 경영 등 취업관련 자격증 전문 교육사이트입니다. 사업초기 금융자격증 중심이였던 서비스 콘텐츠는 고객의 니즈와 시장의 흐름에 맞춰 회계, 경제, 경영, 취업 분야로 확대되었습니다. 최근에는 4차산업혁명의 흐름과 함께 IT와 같은 신기술 교육과 디지털 리터러시를 키우기 위한 교육에 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발맞춰 와우패스는 신기술 교육과정 콘텐츠를 개발하고 운영하며 정부지원사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2021년 고용노동부의 KDT(K-Digital Training) 및 KDC(K-Digital Credit) 사업자로 선정되면서 금융빅데이터분석, AI, 메타버스 교육과정의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당사는 와우패스를 플립러닝, PBL(Project Based Learning) 등의 교수학습방법론을 적용한 신기술 부트캠프로 진화시킬 계획으로 교육과정 및 이를 위한 실습플랫폼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유비온원격평생교육원은 교육부 인가 학점은행 교육기관입니다. 2012년에 런칭한 평생교육원은 높은 학습과정 평가 인증률과 스마트러닝 기술 경쟁력을 바탕으로 경영학, 사회복지학, 보육학으로의 과목 확대를 통해 당사의 Cash Cow 사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향후 청소년지도사, 한국어교원 등 신규과정을 추가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이어갈 계획입니다. 세번째, 와우패스의 교육콘텐츠를 기업교육에 적합한 형태로 재가공하여 기업에 이러닝 연수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교육 서비스입니다. 당사의 주요 목표시장인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은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지속적인 교육수요가 발생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KT텔레캅, 에스텍시스템 등 경비교육과 코넥스협회 온라인 교육등 사업의 영역을 확장해가고 있습니다. 기업교육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고용노동부의 훈련기관 인증평가(구.기관평가)에서는 2007년부터 상위 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며, 최근 평가 기준인 2019년에는 우수 훈련기관으로 선정되어 3년 인증을 받은 바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구분 |
주요상표 |
제품설명 |
---|---|---|
에듀테크 SW |
코스모스(Coursemos) |
학습관리시스템(LMS)를 비롯한 경험관리시스템 및 다양한 학습지원도구를 통합한 패키지 솔루션 |
해외 프로젝트 용역 |
해외 국가 또는 기관에 교육시스템 관련 컨설팅 및 교육시스템 |
|
교육 서비스 |
와우패스 (www.wowpass.com) |
취업관련 자격증 및 직업능력 교육 전문 사이트 고용노동부 내일배움카드, K-Digital Training, K-Digital Credit |
유비온 원격평생교육원 (www.iubion.co.kr) |
교육부 산하 평생교육진흥원의 인증을 받은 학점은행 원격평생교육기관 |
|
기업교육 |
금융기관과 공공기관을 목표시장으로 한 기업 원격교육 서비스 |
(2) 시장점유율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특성상 각 서비스별 타켓 군이 다르며 연령 및 성별이 성인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분포되고 있어서 구체적은 시장 점유율을 구하는데 무리가 있습니다. 또한, 공식적으로 발표된 업계의 통계자료가 부재하므로, 시장점유율을 객관적으로 산출하기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노동시장은 노동유연성(Labor Flexibility) 강화와 청년층 실업률 증가라는 특징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노동유연성의 강화는 아웃소싱의 확대, 비정규직의 확대 등 핵심인력 중심으로 인적자산을 재구성하는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기업이나 정부. 공공기관은 HRD(인적자원개발)를 통해서 지속적으로 인적자산을 변화시켜 새로운 환경에 맞는 전략에 정렬시키고 시장적응력을 제고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융산업은 외환위기를 통해 구조조정을 심하게 겪었으며,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금융산업의 특성상 직원의 90% 이상이 영업지점에서 근무하기 때문에, 이러닝을 통한 교육훈련의 필요성을 다른 산업 보다 잘 이해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금융기관에 종사하고 있는 금융인들도 지속적으로 금융자격증을 비롯한 전문성 확보의 필요성에 공감하여 이러닝 등의 교육훈련에 적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청년층 실업자의 증가로 인하여, 대학생을 비롯한 취업준비생들은 공무원, 고시 준비 이외에 금융자격증을 취득하여 금융기관에 취업하거나, NCS(국가역량표준)에 대비하여 공공기관에 취업하거나, 기업 인.적성시험을 준비하여 대기업 등에 취업하는 것을 주요한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코스모스 기반 글로벌 SaaS 서비스
당사는 국내 대학시장에서 검증된 학습관리시스템인 코스모스(COURSEMOS)를 기반으로 글로벌 SaaS 서비스를 에듀테크 신규사업으로 추진할 계획입니다.
1) 글로벌 LMS 시장과 SaaS 시장
포춘비지니스인사이트의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LMS 시장 규모는 144.3억 달러로 평가되었습니다. 2022년 161.9억 달러에서 2029년 409.5억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이 기간 동안 14.2%의 CAGR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되었습니다. 세계경제포럼(WEF)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적인 Covid-19 팬데믹으로 2020년 4월 186개 국 120만 명이 넘는 학생들이 학교 폐쇄를 경험하였으며, 이러한 위기는 교육 생태계를 극적으로 변화시켜 온라인 학습플랫폼에 대한 수요를 증가시켰습니다. 특히, 대학 에듀테크 시장은 2020년 776.6억 달러이고 향후 10.3% 이상의 고속 성장을 통해 2028년에는 1,697.2억 달러의 시장 규모를 달성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러한 글로벌 LMS 시장에서 Moodle LMS는 대학 학습플랫폼 시장에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유하고 있는 오픈소스 학습플랫폼입니다.
2) 목표시장 및 핵심경쟁력
무들은 전 세계 240개 국에서 사용되고 있고, 전체 대학의 약 60% 정도가 온프레미스(On-Premise) 방식으로 구축하여 내부 인력으로 운영하거나, 무들 HQ에서 제공하는 무들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연구개발
코스모스 글로벌 SaaS는 2020년 10월부터 연구개발 중으로 당사의 핵심 연구개발 과제입니다. 당사는 글로벌 시장을 대비하여 아래와 같이 신규 기능을 다수 개발하고 있습니다.
① 코스모스 핵심 엔진의 클라우드 연동 고도화
② 동영상 학습 기능 고도화
③ 멀티테넌시 지원을 위한 관리 콘솔, 관제 대시보드 고도화
④ 유연한 외부 솔루션/서비스 연동
⑤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다국어 관리 기능 고도화
⑥ 체계적인 글로벌 서비스 데스크 운영 기능 개발
⑦ 글로벌을 고려한 가격체계 구성 및 시뮬레이션 계산기 지원
⑧ 글로벌 서비스를 위한 데브옵스(DevOps) 환경 구성
(나) 부트캠프(Boot Camp) 기반 신기술 교육 서비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는 신기술 인재 양성을 위해 고용노동부는 2020년 9월 디지털 핵심 실무 인재 양성사업(K-Digital Training)을 시작하였습니다. K-Digital Training(이하 KDT)은 IT 비전공 청년에게 디지털 일자리의 길을 연다는 목표하에 IT기술 인력 양성을 위하여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고용노동부의 인가를 받은 교육기관이 각각의 특색에 맞는 6개월 정도의 오프라인과정을 운영하고 교육비 등 비용은 정부가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기존에도 SW교육 업체를 중심으로 부트캠프는 디지털 인재로의 전환과 취업에 효율적이라는 인식은 있었지만 4~6개월이라는 기간을 오프라인 센터에서 학습해야 되기 때문에 대학교 1~2학기의 등록금과 비슷한 수준의 교육비가 발생한다는 부담감에 활성화에는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취업준비생 입장에서의 이러한 진입장벽을 고용노동부가 학비 지원을 통해 해결하면서 IT인력 양성을 위한 부트캠프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늘어나게 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도 IT인력 부족 사태의 해결과 청년들의 취업 지원을 위해 KDT사업의 교육 수강생 목표를 21년 1.7만 명에서 25년 5.8만 명까지 5년간 18만 명으로 확대해 나가는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2월 20년간의 교육 운영 노하우, 전문 강사진, 과정개발능력을 바탕으로 KDT사업의 금융빅데이터 전문가 과정과 AI소프트웨어 개발자 과정을 인가받았습니다. 사업초기 IT교육을 진행하거나 콘텐츠를 개발했던 인원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금융교육 운영 및 기업교육 운영 노하우와 인프라를 바탕으로 사업인가를 받게 되었습니다. PBL(Project-Based Learning) 기반의 교육과정으로 학습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취업으로 연계되어야 되는 사업의 특성상 다양한 역량을 갖춘 직원과 교수진을 필요로 하며, 실무에 적합한 인재 양성을 위한 현업 전문가가 필수인 교육 사업으로 당사는 이미 보유하고 있는 인프라 바탕으로 비교적 쉽게 시장 진입을 할 수 있었습니다.
당사의 부트캠프 확장 전략의 경쟁력은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다양한 교육콘텐츠를 활용한 교육 서비스
2) 취업지원의 전문성을 통한 학습-취업으로의 연계
3) 대학 인프라를 활용한 부트캠프 교육의 유연한 확장
(5)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회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등을 포함한 재무현황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한 당사의 「감사보고서 제출」 공시를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23 기 2022년 09월 30일 현재 | |
제 22 기 2021년 09월 30일 현재 | |
주식회사 유비온 | (단위 : 원) |
과목 | 제 23(당) 기말 | 제 22(전) 기말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0,819,562,289 | 7,136,080,955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29,501,957 | 1,014,082,315 | ||
단기금융자산 | 350,000,000 | 180,000,000 | ||
매출채권 | 1,144,488,386 | 1,438,019,596 | ||
계약자산 | 5,503,451,314 | 3,249,263,842 | ||
기타유동채권 | 31,797,347 | 14,505,053 | ||
기타유동자산 | 1,969,461,800 | 350,643,720 | ||
재고자산 | 1,088,306,465 | 887,965,469 | ||
당기법인세자산 | 2,555,020 | 1,600,960 | ||
Ⅱ. 비유동자산 | 8,007,955,195 | 7,035,973,532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07,049,529 | 207,049,529 | ||
장기금융자산 | 64,852,200 | 64,852,200 | ||
장기매출채권 | 42,854,097 | 65,797,336 | ||
기타비유동채권 | 834,051,754 | 1,142,490,511 | ||
관계기업투자자산 | 2,159,408,708 | 653,659,979 | ||
유형자산 | 736,043,260 | 704,760,778 | ||
사용권자산 | 756,468,539 | 1,065,910,229 | ||
무형자산 | 1,460,811,756 | 1,561,584,142 | ||
이연법인세자산 | 1,746,415,352 | 1,569,868,828 | ||
자산 총계 | 18,827,517,484 | 14,172,054,487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3,997,921,354 | 10,852,339,616 | ||
매입채무 | 1,999,278,784 | 1,291,329,776 | ||
기타유동채무 | 5,187,937,417 | 3,365,846,337 | ||
기타유동부채 | 210,497,318 | 54,566,034 | ||
계약부채 | 5,425,818,742 | 4,008,050,356 | ||
단기차입금 | - | 800,000,000 | ||
유동성장기차입금 | - | 83,240,000 | ||
유동성충당부채 | 653,269,513 | 760,035,969 | ||
유동성리스부채 | 521,119,580 | 489,271,144 | ||
Ⅱ. 비유동부채 | 451,613,635 | 1,094,487,862 | ||
장기차입금 | - | 341,620,000 | ||
리스부채 | 232,267,888 | 577,579,070 | ||
충당부채 | 56,412,924 | 26,975,881 | ||
장기종업원급여부채 | 162,932,823 | 148,312,911 | ||
부채 총계 | 14,449,534,989 | 11,946,827,478 | ||
자 본 | ||||
Ⅰ. 자본금 | 1,681,480,000 | 1,681,480,000 | ||
Ⅱ. 주식발행초과금 | 2,522,825,513 | 4,995,825,513 | ||
Ⅲ. 기타자본항목 | 274,972,865 | 272,985,186 | ||
Ⅳ. 이익잉여금(결손금) | (101,295,883) | (4,725,063,690) | ||
자본 총계 | 4,377,982,495 | 2,225,227,009 | ||
부채와 자본 총계 | 18,827,517,484 | 14,172,054,487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23기 2021년 10월 01일부터 2022년 09월 30일까지 | |
제22기 2020년 10월 01일부터 2021년 09월 30일까지 | |
주식회사 유비온 | (단위 : 원) |
과목 | 제 23(당) 기 | 제 22(전) 기 |
---|---|---|
I. 매출 | 31,461,108,081 | 28,067,132,003 |
Ⅱ. 매출원가 | 17,092,186,237 | 15,947,607,280 |
Ⅲ. 매출총이익 | 14,368,921,844 | 12,119,524,723 |
IV. 판매비와관리비 | 12,024,257,086 | 10,395,426,381 |
V. 영업이익 | 2,344,664,758 | 1,724,098,342 |
VI. 기타수익 | 9,554,274 | 229,124,060 |
VII. 기타비용 | 134,791,001 | 144,823,732 |
VIII. 금융수익 | 37,694,398 | 66,463,570 |
IX. 금융비용 | 67,602,196 | 333,151,063 |
X. 관계기업지분법손익 | (215,298,950) | (102,136,610) |
XI.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974,221,283 | 1,439,574,567 |
XII. 법인세수익 | (176,546,524) | (1,734,820) |
XIII. 당기순이익 | 2,150,767,807 | 1,441,309,387 |
XIV. 기타포괄손익 | 1,987,679 | 691,005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1,987,679 | 691,005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XV. 총포괄이익 | 2,152,755,486 | 1,442,000,392 |
XVI.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 | 128 | 96 |
희석주당이익 | 128 | 94 |
- 결손금처리계산서
결 손 금 처 리 계 산 서
제23기 2021년 10월 01일부터 2022년 09월 30일까지 | |
제22기 2020년 10월 01일부터 2021년 09월 30일까지 | |
주식회사 유비온 | (단위 : 원) |
구 분 | 당 기 | 전 기 | ||
---|---|---|---|---|
I. 미처리결손금 | 101,296 | 4,725,064 |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2,252,064 | 6,166,373 | ||
당기순이익 | 2,150,768 | 1,441,309 | ||
II. 합계 | 101,296 | 4,725,064 | ||
III. 결손금처리액 | - | (2,473,000) | ||
주식발행초과금의 결손보전 | - | (2,473,000) | ||
IV.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01,296 | 2,252,064 |
상기 결손금의 당기 처리예정일은 2022년 12월 23일이며 전기 처리확정일은 2021년 12월 28일이었습니다.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23기 2021년 10월 01일부터 2022년 09월 30일까지 | |
제22기 2020년 10월 01일부터 2021년 09월 30일까지 | |
주식회사 유비온 | (단위 : 원) |
과목 | 자 본 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결손금 | 총 계 |
---|---|---|---|---|---|
2020년 10월 01일(전기초) | 1,498,553,500 | 2,229,450,026 | 272,294,181 | (6,166,373,077) | (2,166,075,370) |
총포괄이익: | |||||
당기순이익 | - | - | - | 1,441,309,387 | 1,441,309,387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 | - | 691,005 | - | 691,005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전환상환우선주의 전환권 행사 | 182,926,500 | 2,766,375,487 | - | - | 2,949,301,987 |
2021년 09월 30일(전기말) | 1,681,480,000 | 4,995,825,513 | 272,985,186 | (4,725,063,690) | 2,225,227,009 |
2021년 10월 01일(당기초) | 1,681,480,000 | 4,995,825,513 | 272,985,186 | (4,725,063,690) | 2,225,227,009 |
총포괄이익: | |||||
당기순이익 | - | - | - | 2,150,767,807 | 2,150,767,807 |
관계기업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 | - | - | 1,987,679 | - | 1,987,679 |
자본에 직접 인식된 주주와의 거래: | |||||
결손금보전 | - | (2,473,000,000) | - | 2,473,000,000 | - |
2022년 09월 30일(당기말) | 1,681,480,000 | 2,522,825,513 | 274,972,865 | (101,295,883) | 4,377,982,495 |
- 현금흐름표
현 금 흐 름 표
제23기 2021년 10월 01일부터 2022년 09월 30일까지 | |
제22기 2020년 10월 01일부터 2021년 09월 30일까지 | |
주식회사 유비온 | (단위 : 원) |
과목 | 제 23(당) 기 | 제 22(전) 기 | ||
---|---|---|---|---|
I. 영업활동 현금흐름 | 4,157,250,433 | 3,176,100,379 | ||
1.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 4,198,018,275 | 3,312,074,763 | ||
당기순이익 | 2,150,767,807 | 1,441,309,387 | ||
조정 | 1,943,838,577 | 1,643,952,553 | ||
순운전자본의 변동 | 103,411,891 | 226,812,823 | ||
2. 이자수취 | 17,590,628 | 11,304,825 | ||
3. 이자지급 | (57,404,410) | (146,738,409) | ||
4. 법인세의 지급 | (954,060) | (540,800) | ||
Ⅱ. 투자활동 현금흐름 | (2,704,242,255) | (783,096,736) | ||
단기금융자산의 감소 | 640,000,000 | 220,000,000 | ||
단기금융자산의 증가 | (810,000,000) | (320,000,000) | ||
장기금융자산의 감소 | - | 90,079,742 | ||
장기금융자산의 증가 | - | (71,198,223)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 | (115,012,800) | ||
지분법적용투자주식의 증가 | (1,719,060,000) | (54,897,746) | ||
시설장치의 취득 | (125,994,000) | (161,358,000) | ||
비품의 취득 | (131,024,212) | (300,992,066) | ||
무형자산의 취득 | (774,957,599) | (289,259,935) | ||
보증금의 감소 | 277,933,825 | 335,226,876 | ||
보증금의 증가 | (63,090,260) | (127,748,22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1,949,991 | 12,063,636 | ||
Ⅲ. 재무활동 현금흐름 | (1,737,588,536) | (3,399,942,023) | ||
단기차입금의 차입 | 2,000,000,000 | 1,800,000,000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2,800,000,000) | (4,113,666,669) | ||
유동성장기부채의 상환 | (83,240,000) | (183,240,000)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341,620,000) | (200,000,000) | ||
사채의 상환 | - | (300,000,000) | ||
리스료의 지급 | (512,728,536) | (403,035,354)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284,580,358) | (1,006,938,380) | ||
V . 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 | - | ||
VI .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1,014,082,315 | 2,021,020,695 | ||
Ⅶ.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 | 729,501,957 | 1,014,082,315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별도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사항은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 ( 1명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200백만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명 ( 1명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452백만원 |
최고한도액 | 1,000백만원 |
주) 양유길 사외이사는 2021년 12월 28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고 2022년 8월 19일 사임하셨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백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1백만원 |
최고한도액 | 20백만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심광보 | 1962-03-03 | 사외이사 | 해당사항 없음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심광보 | 전)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 1992-2022 1992 |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숭실대 경제학과 졸업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심광보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심광보 사외이사 후보자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30년 근무하면서 중소, 중견기업에 대한 컨설팅, 인력양성 및 해외 마케팅 등을 통해 기업의 성장과 발전에 필요한 경영 전반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경력을 갖추었고, 유비온이 빅테크 기업으로 전환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당사의 경쟁력과 기업 가치 제고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이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회사 및 주주 전체의 이익을 보호하고, 회사가 성장할 수있도록 직무를 수행하겠습니다. 후보자 본인은 상법 제382조제3항 및 제542조의8제2항에 대한 사항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으며, 독립적인 위치에서 경영진의 업무집행을 감독하고 견제하여 경영진이 투명한 경영활동을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후보자 본인은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경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준수할 것이며, 객관적인 시각으로 경영활동에 도움을 주도록 하겠습니다.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사외이사 심광보 이사 후보는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에 30년 이상 근무하신 중소, 중견기업의 운영 및 지원에 대한 전문가이십니다. 당사가 이러닝에서 에듀테크로의 전환기를 맞이하며 경영상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상황속에 심광보 이사 후보의 경험과 노하우가 회사 운영에 필요할 것으로 판단 하고 있으며, 전문가로써 적극적의 의사 개진과 견해를 제시하여 이사회의 역할 수행과 발전에 기여할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확인서
![]() |
확인서_심광보01 |
![]() |
확인서_심광보02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2년 12월 15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상법시행령 제31조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개최 1주 전까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제출 및 회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당사 홈페이지 : http://www.ubion.co.kr
(2)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승인전 보고서로 향후 주주총회에서 안건이 부결되거나 수정사항이 발생할 수 있으며, 그 경우 전자공시시스템에 변경된 사업보고서를 정정공시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 관련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