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 기 보 고 서


                                   (제 23 기)

사업연도 2022년 01월 01일 부터
2022년 09월 30일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22년     11월     14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주권상장법인


면제사유발생 :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대   표    이   사 : 김의중


본  점  소  재  지 : 대전시 유성구 테크노1로 65

(전  화) 042-862-4483

(홈페이지) http://www.genofocus.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김정현

(전  화) 042-862-4483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이미지: 대표이사 등의 확인

대표이사 등의 확인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구분 연결대상회사수 주요
종속회사수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상장 - - - - -
비상장 3 - - 3 1
합계 3 - - 3 1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가-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자회사 사 유
신규
연결
- -
- -
연결
제외
- -
-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법적·상업적 명칭은 "주식회사 제노포커스"라 표기하며, 영문으로는 "GenoFocus, Inc." 라 표기합니다.
단, 약식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주)제노포커스" 또는 "GenoFocus"라고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당사는 2000년 04월 01일에 (주)제노포커스로 설립되었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구분 내용
본사의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1로 65(관평동710)
전화번호 042-862-4483
홈페이지 www.genofocus.com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해당

벤처기업 해당 여부 해당
중견기업 해당 여부 미해당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당사는 미생물 대사를 이용한 맞춤형 효소를 개발, 생산하고 미생물 유래 단백질을 활용해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2000년 4월 1일 한국 생명 공학 연구원의 스핀 오프로 창립된 이래 당사의 핵심 기술인, 신속 정확하게 효소를 개량하는 (1)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과 (2) 경제적으로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하는 재조합 단백질 분비발현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해당 핵심 기술을 기반으로 효소 생산 단계의 전 주기적 기반기술(유전자원 확보, 단백질 개량, 단백질 발현, 대용량 발효, 분리정제, 제형화)을 개발하였고 독보적인 플랫폼 기술을 인정받아 2015년 기술성 평가를 통해 특례 상장 기업이 되었습니다.

당사는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의약, 환경, 식품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분야로는 (1)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2) 산업용특수 효소 (3) 바이오 헬스케어 소재가 있습니다. 향후 (1)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사업에서의 성과를 기반으로 사업의 다각화를 진행할 예정입니다.

(1) 당기말 현재 당사가 정관에서 정하고 있는 목적사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목적사업 비고

1. 단백질 개량신약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2. 항체관련 제품의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3. 의약제품의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4. 환경개선 물질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5. 효소 및 발효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수출입

6. 초고속 효소개량 및 대사디자인의 연구개발용역

7. 기술 인큐베이션 및 기술 이전 사업

8. 효소를 이용한 화학물질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9. 의료장비 제조판매 및 수출입

10. 공장 및 사무실의 임대업

11. 식품 및 식품 소재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12. 식품첨가물 및 식품첨가물 소재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13. 효소처리 농식품 도소매업

14. 화장품 및 기능성화장품 소재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15.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기능식품 소재 개발, 제조, 생산, 판매 및 수출입

16. 통신판매 및 점포판매를 겸한 종합 도소매업

17. 통신판매중개업 및 통신판매중개에 의한 도소매 및 수출입업
18.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주)제노포커스

※ 상세 내용은 동 보고서의 'Ⅱ 사업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의 신용평가 등급은 아래와 같습니다.

평가기준일 결산기준일 신용등급 평가회사 평가구분
2021-09-10 2020-12-31 BB- NICE 평가정보 -


아.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여부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특례상장 등
여부
특례상장 등
적용법규
코스닥 시장 2015년 05월 29일 기술성장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7조 2항


2. 회사의 연혁


가. 회사의 본점 소재지 및 그 변경

당사는 설립일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본점소재지 변경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월일

소재지

비고

2011년 11월 30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87, 에이동201호(용산동, 미건테크노월드2차)

본점/연구소 이전

2014년 12월 22일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1로 65(관평동)

본점/연구소 이전


나.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주총종류 선임 임기만료
또는 해임
신규 재선임
2016년 03월 18일 - - - 이승환 사외이사
최태석 사외이사
2016년 03월 30일 정기주총 - 김의중 대표이사(재선임) -
2019년 03월 27일 정기주총 - 반재구 기타비상무이사(재선임)
김영길 사내이사(재선임)
나종민 감사(재선임)
-
2019년 03월 27일 정기주총 - 김의중 대표이사(재선임) -
2020년 03월 24일 정기주총 - 반재구 기타비상무이사(재선임)
김영길 사내이사(재선임)
나종민 감사(재선임)
-
2020년 08월 03일 임시주총 이재윤 사내이사
양택호 사내이사
김정현 사내이사
- 김영길 사내이사
2021년 09월 15일 - - - 이재윤 사내이사
양택호 사내이사
2022년 03월 29일 정기주총 - 김의중 대표이사(재선임) -


다. 최대주주의 변동

설립일로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는 총 2번 변경되었으며,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최대주주인 기술이사 반재구 등은 2010년 4월 28일 최대주주가 된 이후현재까지 최대주주로서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당사는 설립일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상호 변경이 없습니다.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당사는 설립일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 등을 한 경우 그 내용

당사는 공시대상기간(최근 5사업연도)중 합병에 관한 사항이 없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내용

일자

내용

2015. 03

한국거래소 기술성장기업 상장 예비심사 통과

2015. 05

코스닥 상장

2015. 09

미국 L社와 GF Lactase-B2 공급계약 체결

2016. 04 IFANCA HALAL PRODUCT CERTIFICATE 인증
2016. 05 Global Organic Textile Standard(GOTS) 인증
2016. 06 FSSC 22000(FOOD SAFETY SYSTEM CERTIFICATION) 인증
2016. 08 KOSHER CERTIFICATE 인증
2016. 11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7. 03 (주)지에프퍼멘텍(구 성운바이오) 지분인수 (65.35%)
2018. 03 무상증자
2018. 04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지구 산업용지 매입
2018. 10 두산솔루스(구 두산바이오)와 N-Acetylphytosphingosine 5년간 독점 공급계약
2020. 01 주요종속회사 (주)지에프퍼멘텍 전환사채 130억원 발행
2020. 08 코로나 진단용 필수 효소 Proteinase-K 개발
2020. 08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100억원 발행
2021. 06 대웅바이오와 UDCA 친환경 제조를 위한 업무협약 체결
2021. 06 써모피셔 한국법인과 Proteinase-K 3년간 독점 공급계약
2021. 11 기능성 화장품 원료 소재(제품명NPY) 단독 매출액 100억원 달성
2022. 03 세계최대 유제품 기업 D社 Lactase-B 본격공급
2022. 06 GMP급 mRNA 백신 생산용 필수효소 개발 정부과제 선정
2022. 07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232억원 및 제5회 전환우선주 38억원 발행



3. 자본금 변동사항


자본금 변동추이

(기준일 : 2022년 9월 30일) (단위 : 원, 주)
종류 구분 23기
(2022년 당분기말)
22기
(2021년말)
21기
(2020년말)
보통주 발행주식총수 22,525,010 22,499,010 22,399,210
액면금액 500 500 500
자본금 11,262,505,000 11,249,505,000 11,199,605,000
우선주 발행주식총수 - - -
액면금액 - - -
자본금 - - -
기타 발행주식총수 788,373 - -
액면금액 500 - -
자본금 394,186,500 - -
합계 자본금 11,656,691,500 11,249,505,000 11,199,605,000

(주) 상기한 '기타' 항목의 발행주식총수, 액면금액, 자본금'은 당사가 발행한 전환우선주에 관한 것으로, K-IFRS 기준에 의거 부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자본금 합계는 'Ⅲ. 재무에 관한 사항'의 자본금 수치와 상이합니다.


4. 주식의 총수 등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보통주 우선주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95,000,000 5,000,000 100,000,000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22,525,010 4,971,264 27,496,274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4,182,891 4,182,891 -

1. 감자 - - - -
2. 이익소각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4. 기타 - 4,182,891 4,182,891 보통주전환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22,525,010 788,373 23,313,383 -
Ⅴ. 자기주식수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22,525,010 788,373 23,313,383 -





나. 종류주식(명칭) 발행현황
종류주식(제5회차 기명식 전환우선주식) 발행현황


(단위 : 원)
발행일자 2022년 07월 07일
주당 발행가액(액면가액) 4,820 500
발행총액(발행주식수) 3,799,957,860 788,373
현재 잔액(현재 주식수) 3,799,957,860 788,373
주식의
내용
존속기간(우선주권리의 유효기간) 2032년 07월 06일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우선배당비율 0% (누적적,참가적)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사항 보통주에 우선하는 분배청구권
상환에
관한 사항
상환권자 없음
상환조건 -
상환방법 -
상환기간 -
주당 상환가액 -
1년 이내
상환 예정인 경우
-
전환에
관한 사항
전환권자 주주
전환조건
(전환비율 변동여부 포함)
- 발행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날부터 본건 우선주의 존속기간 전일까지
- 최초 전환비율 : 1:1
발행이후 전환권
행사내역
N
전환청구기간 2023년 07월 07일 ~ 2032년 07월 06일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
기명식 보통주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수
788,373
의결권에 관한 사항 우선주 1주당 1의결권
기타 투자 판단에 참고할 사항
(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


5. 정관에 관한 사항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해당주총명 주요변경사항 변경이유
2019년 03월 27일 제 19기 정기주주총회 (신설) 제 9조 주식 등의 전자등록
(개정) 제 11조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조건 추가
▶전자등록 근거 마련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조문 내용의 명확화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미생물 대사를 이용한 맞춤형 효소를 개발, 생산하고, 미생물 유래 단백질을 활용한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개발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2000년 4월 1일 한국 생명 공학 연구원의 스핀 오프로 창립된 이래 당사의 핵심 기술인, 신속하고 정확하게 효소를 개량하는 (1)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과 경제적으로 효소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하는 (2) 재조합 단백질 분비 발현 기술을 확보하였습니다. 해당 기술을 기반으로 효소 생산 단계의 전 주기적 기반기술(유전자원 확보, 단백질 개량, 단백질 발현, 대용량 발효, 분리·정제, 제형화)을 개발하였고 이러한 독보적 플랫폼 기술을 인정받아 2015년 기술성 평가를 통해 특례 상장 기업이 되었습니다.

이미지: [당사의 플랫폼 기술(효소개발 및 생산 단계별 ‘전 주기’기술)]

[당사의 플랫폼 기술(효소개발 및 생산 단계별 ‘전 주기’기술)]


당사는 핵심 기술을 바탕으로 의약, 환경, 식품, 국방, 농업,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걸쳐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 분야로는 (1)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2) 산업용 특수 효소 (3) 바이오 헬스케어 소재가 있습니다. 산업용 특수 효소의 주력 제품으로는 친환경 과산화 수소 분해 효소로써 반도체/섬유 등의 수처리 공정에 사용되는 카탈라제(Catalase, 제품명 Katalase™), 모유 내 주요 면역 증강 물질 GOS(프로바이오틱스 원료 효소) 제조에 쓰이는 락타아제(Lactase, 제품명 Lactazyme B™),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연쇄반응) 기반 코로나 19 진단 시 고효율 추출 Kit에 쓰이는 의약용 효소 프로테이나제K(Proteinase K, 제품명 GFzyme-Proteinase K) 등이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의 맞춤형 효소들을 현재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헬스케어 소재의 주력 제품으로는 고가의 화장품 소재로 쓰이는 세라마이드의 주원료인 파이트스핑고신(Phytosphingosine), 혈관 내 칼슘 축적 억제하고 혈전의 원인이 되는 Plaque 생성을 차단하여 심혈관 질환 및 뇌출혈 위험을 감소시키는 비타민K2(Vitamin K2), 혈전을 용해하여 분해함으로써 심혈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나토키나제(Nattokinase)가 있습니다.

당사는 그동안 축적해 온 효소 생산의 전주기 기술 노하우를 기반으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유효물질(postbiotics)을 발굴하고 그것의 생산 효율과 체내 전달을 크게 개선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개발의 성과로 (1) 많은 만성 질환들의 근본적 원인으로 잘 알려진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원천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바실러스 유래 수퍼옥사이드디시뮤타제 (SuperoxideDismutase; SOD)를 발굴하여 고순도로 생산할 수 있게 되었고, (2) 경구 투여 시 위장관의 산성과 단백질 분해 효소에도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하게 장으로 전달되어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Spore Biologics를 개발 중입니다. 특히, 미생물 개량과 분비 및 발현 기술을 활용해 생산한 고순도 SOD와 관련하여 당사는 국내 최초로 균주 특허 획득에 성공하였고, 여러 적응증의 효과에 대해 국내 4건 (10-1762199, 10-1814035, 10-1840306, 10-2223657), 미국 2건 (10751393, 11147858), 일본 1건(7061611)의 특허 등록을 마쳤습니다.

 

현재 당사가 경구용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 개발 중인 GF-103은 기존의 안구 주사 치료제 병용 투여 시 주사 투여 빈도를 감소시킬 뿐 만 아니라 경구 복용으로 주사 치료제의 단점을 극복하여 환자들의 치료 편의성을 크게 증대시킬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미국의 GRAS(Generally Recognized as Safe Substance) 인증을 받은 자연 균주 유래의 의약품 후보 물질로써 화학 및 생물 유래 경구용 제재들에 비해 높은 안전성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GF103의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 프로그램은 2023년 미국 FDA의 임상 시험 승인 신청을 앞두고 있습니다. 습성 황반변성 이외에도 전임상 시험을 통해 GF-103의 치료 효과를 다양한 적응증에서 입증하였고 이러한 결과들을 이미 지적재산권으로 확보하였고 향후 라이선스 아웃을 통한 수익 창출에 주요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이미지: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및 서비스의 개요

(1) Lactase 제품 개요

제품명

- Lactazyme-B™, GF Lactase B2™ 등

제품의

주요

사용범위

- 모유내 주요 면역증강물질인 갈락토올리고당 (GOS) 제조

- 기타: 우유·요거트·유청내 유당 분해, 갈락토오스 전이 배당체 제조, 유당불내증 치료

제품의

주요기능

사양

- GOS 제조: Lactazyme-B™ 효소 1-2 kg (평균 1.5 kg)을 50% 유당 수용액 1,000 kg에 첨가하여, pH 6.0, 50℃에서 24~72시간 동안 반응 시 50% 이상 전환율로 GOS를 제조할 수 있음

- 역가: 4,000 U/g (1 Unit (U) 정의: oNPG를 50℃, pH 6.0 조건에서 분해하여 1분당 1 μmol의 o-나이트로페놀(oNPG)을 유리시키는 효소의 양)


(2) Catalase 제품 개요

제품명

- Katalase™ S, Katalase™ S 350L 등

제품의

주요

사용범위

- 반도체 공정: 웨이퍼 에칭 및 세척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의 친환경 분해

- 섬유가공: 면직물을 과산화수소로 표백 후, 잔류 과산화수소를 분해

- 기타: propylene oxide 제조 공정, 항산화 효소 치료제, 식품 가공, 콘텍트렌즈 세척 등

제품의

주요기능

사양

- 과산화수소 분해: pH 5.0~11.0까지 다양한 pH, 다양한 온도 (저온~60℃)에서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함. 과산화수소 분해 속도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백~수천 ppm 농도의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 1 ton을 처리하기 위하여 Katalase™ 제품 수십 gram을 첨가하면 30분 내에 과산화수소를 99.9% 분해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중성 pH에서 처리하는 것을 권장함)

- 제품 역가: 350,000 U/ml (1 Unit 정의: 25℃, pH 7.0 조건에서 1 분당 1 μmol의 과산화수소를 분해시키는 효소의 양)


(3) Proteinase K 제품 개요

제품명

- GFzyme-Proteinase K

제품 개요

- 분자 진단 및 유전 공학 실험용 효소로 다양한 생물 소재에서 핵산(DNA 및 RNA) 추출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효소

제품의 주요 사용범위

- Covid-19 PCR 기반 진단 시 고효율 추출 Kit의 핵심 원료
- 당사가 Proteinase K를 개발하기 전까지 한국의 진단키트 제조업체들은 스위스 R社 등으로부터 해당 원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당사의 Proteinase K 개발 성공으로 국산화

제품의 주요기능 및 사양

- DNase 및 RNase 활성이 없는 고순도 제품(액상 및 분발상)
- 광범위한 PH 및 온도 범위에서 안정하며 Chelating agent, 계면 활성제 및 고농도 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높은 활성을 유지함


(4) Retinol 제품 개요

제품명

- Bio-Retinol

제품 개요

- 바이오레티놀은 당사가 신규 개발한 뷰티 효소 제품임
- 레티놀은 유일하게 Anti-aging 효과가 있다고 증명된 화장품 원료이며, ‘20년 기준 전 세계 시장 규모는 16.8억 달러 (1.9조)임
- 국내 최대 화장품 회사 중 하나인 L社의 요청에 의해서 개발됨

제품 설명 및 현황

- 당사의 바이오레티놀은 현재 톤 단위 배양 생산 최적화 공정 확립을 완료한 상태이며, 대규모 분리 정제 및 안정화 formulation 개발이 진행 중

경쟁 우위 요소


바이오 레티놀 VS 화학적 레티놀

구성

100% 레티놀

95~97% 레티놀

불순물

화학 물질 없음

화학 물질 존재

독성

거의 없음(테스트 중)

많음

부작용

거의 없음(테스트 중)

염증, 홍조, 피부 각질

사용량

0.1% 이상 사용 가능

독성으로 0.1% 미만 사용

출처: 제노포커스

향후 계획

- 로컬 뿐 아니라 글로벌 화장품 회사인 L社 및 E社 등 신규 업체들로 납품을 확장할 계획임


(5) N-Acetylphytosphingosine 제품 개요

제품명

- NPY

제품의

주요

사용범위

- 기능성 화장품 및 생활용품 원료

제품의

주요기능

사양

- 피부 인지질 구성성분 중 하나로써 피부의 수분 함량, 탄력, 결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

- 나이가 들면서 피부 내 Ceramide 생성량이 감소되며, 피부 수분 함량이 감소되면 노화 및 피부병 발생

- 콜라겐의 합성 및 표피 세포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음

- 일반 항생제보다 높은 항균력을 가지고 있으며 천연성분으로 부작용 없이 안전할 뿐만 아니라 피부 염증완화, 피부 상처 회복, 아토피 등 염증성 피부 질환에 효과적임


(6) Menaquinone-7(Vitmanin K2) 제품 개요

제품명

- GF Vitamin K2 (MK-7)

제품의

주요

사용범위

-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 소재

제품의

주요기능

사양

- Menaquinone-7(Vitamin K2)는 Menaquinone-7(Vitamin K2) 의존성 단백질인 오스테오칼신(Osteocalcin), MGP(Matrix Gla Protein), 간 내 응고인자 등이 적절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함

- 체내 Menaquinone-7(Vitamin K2)가 부족한 경우에 심장CT 상 관상동맥 석회화 지수(Agatston Score)가 높게 나옴

- Menaquinone-7(Vitamin K2)는 혈액 내 칼슘 농도 정상화를 통한 혈관 석회화 방지에 효과가 있으며, 심혈관 질환 및 신장 결석 예방, 골밀도 개선을 통한 골다공증(Osteoporosis) 개선에 효과가 있으며, 그 밖에도 당뇨, 알츠하이머, 암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짐


나. 주요 제품 등의 관한 사항


(1) 연결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매출
유형

제 품 명

2022년도

(제23기 3분기)

2021년도

(제22기)

2020년도

(제21기)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효소
판매 등
N-Acetylphytosphingosine 6,560 32.80% 11,184 43.23% 6,581 35.06%

Lactase

5,154 25.77% 4,235 16.37% 3,428 18.26%
Catalase 3,126 15.63% 3,351 12.95% 3,428 18.27%
Nattokinase 1,823 9.11% 1,824 7.05% 1,567 8.35%
Menaquinone-7
(Vitamin K2)
2,416 12.08% 2,322 8.98% 1,412 7.52%
Proteinase K 247 1.24% 842 3.26% - -

기타 화장품소재 등

677 3.38% 2,115 8.17% 2,353 12.54%

매 출 총 계

20,002 100.00% 25,874 100.00% 18,769 100.00%

(주) 상기 재무수치는 K-IFRS 기준입니다.

(2) 별도재무제표 기준 매출액

(단위 : 백만원, %)

매출
유형

제 품 명

2022년도

(제23기 3분기)

2021년도

(제22기)

2020년도

(제21기)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제품 Lactase 5,154 59.54% 4,235 41.76% 3,428 20.51%
Catalase 2,671 30.86% 2,323 22.90% 2,084 12.47%
Proteinase K 247 2.86% 842 8.30% - -
기타 화장품소재 등 425 4.91% 1,941 19.14% 1,696 10.15%
상품 N-Acetylphytosphingosine  - -  - - 6,638 39.71%
Menaquinone-7
(Vitamin K2)
 - -  - - 1,412 8.45%
Nattokinase  - -  - - 304 1.82%
기타(Fructo-oligosaccrides외) 159 1.84% 800 7.88% 1,155 6.91%

매 출 총 계

8,656 100.00% 10,141 100.00% 16,717 100.00%

(주) 상기 재무수치는 K-IFRS 기준입니다.

다.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공시대상 기간중 해당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만한 제품 판매가격에 중요한 변동이 없었습니다. Lactase, Catalase 등 주요 제품 가격은 2021년도와 비슷한 수준입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매입 현황

(단위 : 천원)
구분

품 목

구 분

2022년도

(제23기 3분기)

2021년도

(제22기)

2020년도

(제21기)

원재료

Catalase
(주)

내수

- - -

수입

1,666,750
($1,313,715)
1,112,254
($969,796)
805,501
($681,953)

소계

1,666,750 1,112,254 805,501

Phytase
(주)

내수

- - -

수입

- - 22,906
($19,000)

소계

- - 22,906

기타

내수 561,165 542,775 418,667

수입

31,676
($25,217)
15,831
($14,113)
20,601
($17,186)

소계

592,841 558,605 439,268

합 계

내수

561,165 542,775 418,667

수입

1,698,426
($1,338,933)
1,128,084
($983,909)
849,008
($718,138)

소계

2,259,591 1,670,859 1,267,675

저장품

기타

내수

4,372 5,680 4,790

수입

- - -

소계

4,372 5,680 4,790

총 합 계

내수

565,537 548,455 423,457

수입

1,698,426
($1,338,933)
1,128,084
($983,909)
849,008
($718,138)

소계

2,263,963 1,676,539 1,272,465
(주) Catalase, Phytase 등은 외주업체에 의하여 생산됩니다.


나. 주요 원재료 가격 변동추이

(단위 : 천원, USD)
구분

2022년도

(제23기 3분기)

2021년도

(제22기)

2020년도

(제21기)

Lactose 4,000 4,000 4,000
Peptone 55,000 55,000 55,000
Glucose 1,500 1,500 1,700
Yeast extract 9,400 9,500 9,000
Soluble starch 3,000 3,000 3,000
옥분 625 625 625
대두분 1,034 1,034 1,034
CSL 268 268 268
암모니아수 804 804 804
소포제 4,000 4,000 3,750
Heat stable α-amylase 1,607 1,607 1,607
규조토 536 536 536
NaCl 143 143 143
Glycerol 1,232 1,232 1,232
Sorbitol 1,200 1,100 1,130
Sodium benzoate 1,875 1,875 1,875
Potassium sorbate 8,929 8,929 8,929


원재료 및 연구개발용 시료 등은 국내 대리상을 통해 수입되는 품목이 많아 해외 제조사의 제조원가 상승에 따른 가격 인상 정책 또는 환율 변동에 따라 가격이 변동하게 되며, 구입시마다 거래처와의 협의를 통해 가격을 결정하게 됩니다.

다. 생산 및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품목

생산위치

연간 생산능력

월간 생산능력

산출근거

Lactase

대전 본사 공장 26,400kg 2,200kg

550 kg/batch x 4 batch/월

전라북도 전주시(주1)

2,160kg 180kg

30 kg/batch x  6 batch/월

Catalase

중국 장수성(주1)

600,000kg 50,000kg

5,000 kg/batch x 10 batch/월

중국 스촨성(주1)

384,000kg 32,000kg

8,000 kg/batch x  4 batch/월

Lipase

중국 스촨성(주1)

192,000kg 16,000kg

2,000 kg/batch x  8 batch/월

N-Acetylphytosphingosine 지에프퍼멘텍
(세종시 부강면)(주2)
35,360kg

2,947kg

709 kg/batch x 4.16 batch/월

Menaquinone-7(Vitamin K2) 지에프퍼멘텍
(세종시 부강면)(주2)
22,000kg

1,833kg

982 kg/batchx 1.87 batch/월

(주1) 상기 업체는 현재 주요 제품을 생산하고 있거나, 향후 생산을 위하여 확보한 외주 생산업체입니다.
(주2) 상기 업체는 종속회사인 주식회사 지에프퍼멘텍 입니다.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단위 : kg, %)

제품명

구분

2022년도

(제23기 3분기)

2021년도

(제22기)

2020년도

(제21기)

수량(kg)

수량(kg)

수량(kg)

Lactase

생산능력

23,760 23,760 23,760

생산실적

14,055 10,081 9,858

가동률

59.15% 42.43% 41.49%

Catalase

생산능력

984,000 984,000 984,000

생산실적

260,645 218,681 166,597

가동률

26.49% 22.22% 16.93%
N-Acetylphytosphingosine

생산능력

37,534 35,360 22,140

생산실적

14,285 34,754 18,995

가동률

38.06% 98.29% 85.79%
Menaquinone-7
(Vitmanin K2)

생산능력

22,000 22,000 6,240

생산실적

7,410 4,807 5.335

가동률

33.68% 21.85% 85.50%
(주) 가동률은 연간생산능력 대비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의 누적 생산량을 비교하여 산출하였습니다.


(3) 생산설비의 현황

(단위:천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건설중인자산 사용권자산
(부동산)
사용권자산
(차량운반구)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6,888,534 11,248,006 1,949,540 33,308,100 446,489 2,905,335 18,614,149 572,269 102,145 76,034,566
취득금액 - 21,335 101,800 714,984 - 199,774 3,179,568 257,940 - 4,475,401
처분금액 - - - (8,360) (43,255) - - (196,860) - (248,475)
대체금액 - 1,337,350 51,750 6,192,854 - 32,275 (7,614,229) - - -
환율변동효과 - - - 3,546 - - - - - 3,546
기말금액 6,888,534 12,606,691 2,103,090 40,211,124 403,234 3,137,384 14,179,489 633,349 102,145 80,265,039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 (2,265,319) (496,769) (10,921,496) (254,893) (1,311,261) - (253,820) (36,775) (15,540,332)
감가상각비 - (256,313) (74,769) (2,021,609) (53,837) (346,647) - (235,569) (15,905) (3,004,650)
처분금액 - - - 5,852 22,529 - - 154,852 - 183,233
환율변동효과 - - - (3,596) - - - - - (3,596)
기말금액 - (2,521,632) (571,538) (12,940,849) (286,202) (1,657,908) - (334,537) (52,680) (18,365,345)
순장부금액:
기초금액 6,888,534 8,982,687 1,452,771 22,386,604 191,596 1,594,074 18,614,149 318,449 65,370 60,494,233
기말금액 6,888,534 10,085,059 1,531,552 27,270,275 117,033 1,479,476 14,179,489 298,812 49,464 61,899,694


(4) 설비의 투자계획

(단위 : 백만원)
구분 총 투자금액 기 투자금액 향후 투자
예상액
비고

토지

11,691 11,691 - 공장 용지

건물

24,141 359 23,782 본사,연구소 및 공장

기계장치

14,500 - 14,500 생산설비

연구용 기자재외

1,300 - 1,300 연구용 기자재 및 비품

기타

1,550 - 1,550 기타 비품 등

합계

53,182 12,050 41,132

(주) 대전 둔곡단지 입주계획에 따른 토지 취득금액 및 사용될 설비 예상 금액이며, 투자금액은 경영환경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 실적

(단위 : 천원, %)

매출

유형

품 목

2022년도

(제23기 3분기)

2021년도

(제22기)

2020년도

(제21기)

금액 금액 금액

당사
매출

Lactase

내수

487,500 1,280,580 1,345,040

수출

4,666,149 2,954,779 2,082,818

소계

5,153,649 4,235,359 3,427,858

Catalase

내수

1,824,964 1,688,340 1,561,288

수출

845,783 634,563 522,491

소계

2,670,747 2,322,903 2,083,779

Proteinase K

내수

247,326 842,225 -

수출

- - -

소계

247,326 842,225 -
기타

내수

367,723 517,883 642,147

수출

37,962 24,769 152,044

소계

405,685 542,652 794,191
상품 N-Acetylphytosphingosine

내수

- - 6,637,684

수출

- - -

소계

- - 6,637,684
Menaquinone-7
(Vitmanin K2)

내수

- - 393

수출

- - 1,411,416

소계

- - 1,411,809
Nattokinase 내수 - - 19,890
수출 - - 284,518
소계 - - 304,408
기타(Fructo-oligosaccrides외) 내수 159,143 799,571 1,154,766
수출 - - -
소계 159,143 799,571 1,154,766
용역 기타 내수 19,160 1,398,773 902,228

소계

내수

3,105,815 6,347,559 12,263,434

수출

5,549,894 3,793,925 4,453,288

소계

8,655,709 10,141,484 16,716,722
종속회사
매출
Catalase
(주1)

내수

- - -

수출

455,628 1,028,111 1,344,478

소계

455,628 1,028,111 1,344,478
N-Acetylphytosphingosine(주2) 내수 6,559,910 11,184,467 6,475,051
수출 - - -
소계 6,559,910 11,184,467 6,475,051
Menaquinone-7
(Vitmanin K2)(주2)
내수 4,275 3,865 373
수출 2,411,300 2,318,549 1,340,851
소계 2,415,575 2,322,414 1,341,224
Nattokinase
(주2)
내수 1,603,020 1,486,385 1,291,731
수출 219,629 337,192 283,078
소계 1,822,649 1,823,577 1,574,809
기타

내수

613,713 691,948 703,601

수출

57,830 64,427 -

소계

671,543 756,375 703,601
소계

내수

8,780,918 13,366,665 8,470,756

수출

3,144,388 3,748,279 2,968,407

소계

11,925,306 17,114,943 11,439,163

연결기준 합계

내수 11,886,734 19,714,224 20,734,190
수출 8,694,281 7,542,204 7,421,695
연결조정 (578,890) (1,382,797) (9,386,708)

소계

20,002,124 25,873,630 18,769,178

(주1) Genofocus Biotechnology Ltd.에서 판매
(주2) 지에프퍼멘텍에서 판매
(주3) 상기 재무수치는 K-IFRS 기준입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1) 판매조직
당사의 제품 판매를 위한 조직은 다음과 같으며, 각 팀은 자체 영업 및 중간 판매상을 통해 매출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부서

담당업무

기획마케팅팀

제품의 기획 마케팅, 제품 영업

중국사업팀

중국법인의 제품 마케팅 및 영업, 중국 원부재료 소싱

소재사업팀

SOD효소 및 농식품 마케팅 및 영업

(주) 기획마케팅 부서장은 대표이사 겸임이며, 연구개발부 10명은 기술마케팅을 지원합니다.

(2) 판매경로

(단위 : 천원, %)
매출유형 품 목 구 분 판매경로 판매경로별 비율
매출액
당사 매출 Lactase 수출 직영 4,666,149 23.33%
국내 직영 487,500 2.44%
Catalase 수출 직영 845,783 4.23%
국내 직영 1,572,459 7.86%
딜러 252,505 1.26%
Proteinase K 국내 직영 247,326 1.24%
기타 수출 직영 25,572 0.13%
국내 직영 367,723 1.84%
상품(Fructo-oligosaccrides외) 국내 직영 159,143 0.80%
용역 수출 직영 12,390 0.06%
국내 직영 19,160 0.10%
합계 수출 직영 5,549,894 27.75%
국내 직영 2,853,310 14.27%
딜러 252,505 1.26%
소계 8,655,709 43.27%
종속회사
매출
Catalase 수출 직영 455,628 2.28%
N-Acetylphytosphingosine 국내 직영 6,559,910 32.80%
Menaquinone-7
(Vitmanin K2)
수출 직영 2,411,300 12.06%
국내 직영 4,275 0.02%
Nattokinase 수출 직영 219,629 1.10%
국내 직영 1,603,020 8.01%
기타 수출 직영 57,830 0.29%
국내 직영 613,713 3.07%
합계 수출 직영 513,459 2.57%
딜러 2,630,929 13.15%
국내 직영 2,216,733 11.08%
딜러 6,564,185 32.82%
소계 11,925,306 59.62%
총 합계 수출 직영 6,063,352 29.46%
딜러 2,630,929 12.78%
국내 직영 5,070,043 24.63%
딜러 6,816,690 33.12%
연결조정 (578,890) -
소계 20,002,124 100.00%

(주) 상기 재무수치는 K-IFRS 기준입니다.

(3) 판매전략
전 세계 1~3위의 글로벌 선두기업을 먼저 고객으로 확보하며, 여타 기업들도 당사의 제품을 구매하도록 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습니다.

매출의 증대를 위한 회사의 기본적인 영업전략은 첫째, 시장에서의 회사 인지도를 증대 시키고 또한 제품의 기능 및 우수한 성능을 인지시키기 위해 광고, 기존 고객 및 신규 고객을 위한 공장 견학 등을 활용하며, 둘째, 우수한 제품의 기능에 대한 직접적인 영업활동으로 제품 설명회, User group meeting, 국내(외) 학술대회 전시 참가를 진행합니다.

- 전문 학술대회, 비즈니스 미팅, 전시회 참가, 학교/기업 세미나: 수요자, 수요자와의 공동 연구자 미팅

- 효소 개량 기술 워크샵 및 자문 서비스: 국내 효소 수요자 및 효소 개발 전문가들과의 지속적인 네크워킹

- 논문/특허 발표, 신문기사, 전자상거래 사이트 제품 온라인 홍보 (알리바바, EC21, 코트라 등): 국내·외 수요자 또는 마케팅 전문회사 들과 연결

- 기존 고객 (제품 판매, 기술 서비스, 공동연구 등)으로부터 새로운 효소 개발 제안: 맞춤 효소 개발 능력과 제품 경쟁력을 입증하면, 이후 새로운 신규 수요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제안해 옴

- 고객: 효소 수요 기업, 효소 판매 전문 기업, 기술 수요 연구자

- 효소 관련 논문, 특허, 시장 정보의 주기적인 모니터링

- 경영진 및 마케팅 직원, 당사의 외부 마케팅 라인 통한 수요 발굴


(4) 주요 매출처
당사의 전자/섬유 화학용 Catalase는 중국 파트너[중수(중국한수)], 한국 파트너 등을 통하여 국내외 반도체 회사 및 섬유회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식/의약제품 가공용 Lactase는 D社 등 다국적 식품회사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기능성 화장품 및 생활용품 원료소재인 N-Acetylphytosphingosine은 국내 첨단소재 기업에 판매되고 있습니다. 화장품 원료 등 생활건강 효소제품은  LG생활건강 등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전체 매출액의 10%이상을 차지하는 거래처는 솔루스바이오텍 주식회사, D社  입니다. 결제조건은 거래처의 신용도 및 장기거래 여부에 따라 선수금 수령 후 판매 또는 30~90일 후 회수 조건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다. 수주현황

당사는 고객의 요청에 따라 약 1개월 이전에 예상되는 물량 계획을 접수하고, 구매주문서상 요구량에 따라 생산하고 판매합니다. 생산공장 건립, 외주생산처 확보 등에 참고할 목적으로 향후 주문량을 예측하고 있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위험관리 정책

당사의 위험관리 정책은 당사가 직면한 위험을 식별 및 분석하고, 적절한 위험 한계치 및 통제를 설정하고, 위험이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립되었습니다. 위험관리 정책과 시스템은 시장 상황과 당사 활동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훈련 및 관리기준, 절차를 통해 모든 종업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의무를 이해할 수 있는 엄격하고 구조적인 통제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감사는 경영진이 당사의 위험관리 정책 및 절차의 준수여부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감독하고, 당사의 위험관리체계가 적절한지 검토합니다. 또한, 위험관리 통제 및 절차에 대한 정기 및 특별 검토를 수행합니다.


나. 주요 위험관리

(1) 신용위험
신용위험이란 고객이나 거래상대방이 금융상품에 대한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당사가 재무손실을 입을 위험을 의미합니다. 주로 거래처에 대한 매출채권에서 발생합니다.


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은 주로 각 고객별 특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고객이 영업하고 있는 산업 및 국가의 파산위험 등의 고객 분포는 신용위험에 큰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에 대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손실에 대해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이 충당금은 개별적으로 유의적인 항목에 대한 구체적인 손상차손과 유사한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 집합에서 발생하였으나 아직 식별되지 않은 손상으로 구성됩니다. 금융자산 집합의 충당금은 유사한 금융자산의 회수에 대한 과거 자료에 근거하여 결정되고 있습니다.


(2)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이란 당사가 금융부채에 관련된 의무를 충족하는 데 어려움을 겪게 될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의 유동성 관리방법은 재무적으로 어려운 상황에서도 받아들일 수 없는 손실이 발생하거나, 당사의 평판에 손상을 입힐 위험 없이, 만기일에 부채를 상환할 수 있는 충분한 유동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3) 시장위험
시장위험이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시장가격 관리의 목적은 수익은 최적화하는 반면 수용가능한 한계 이내로 시장위험 노출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입니다.


<환위험>

당사는 기능통화인 원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판매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USD, CNY 및 EUR입니다. 외화로 표시된 이러한 화폐성 자산 및 부채와 관련하여 당사는 단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외화를 현행 환율로 매입하거나 매각하는 방법으로 순노출위험을 허용가능한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4) 자본관리
당사의 정책은 투자자와 채권자, 시장의 신뢰 및 향후 발전을 위해 자본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당사의 자본관리는 이사회에서 주기적으로 부채비율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5)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당사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내역의 자세한 내용은 Ⅲ. 재무에 관한 사항의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7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 계약

(1) 기술제휴 계약

대웅바이오와 UDCA(우르소데옥시콜산)을 친환경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특수 효소 개발 및 공동 발전을 위한 업무협약 체결

(2) 판매계약

(기준일:  2022년 09월 30일)                                                                                                                              (단위 : 원)

품목 계약상대방 계약의 목적 및 조건 계약 체결일 계약 종료일 계약금액 수수(지급)방법
Lactazyme-B 영국 연간 5MT 2020.07 2025.06 10,882,230,250 외화 현금(계좌이체)


나. 연구개발 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의 연구개발활동은 부설연구소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당사 CTO가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는 사외 기술자문위원회에서 자문을 얻고 있습니다. 기술자문위원회 주요 구성원으로는 효소부문 경상대학교 김선원 교수, 경북대학교 김경진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승구 박사 등이 있고, 신약부문 서울의대 김정훈 교수, 전 동아ST 부회장 김원배 박사, 프랑스 COUF 대학 C. Chiquet 교수 등이 있습니다.

(2) 연구개발 담당조직
(2-1) 연구개발 조직 개요

당사의 연구 개발팀은 연구개발부, 신약개발부, 품질관리부, 공정개발부로 분류되어 있습니다.


연구개발부는 산업용 특수 효소 및 기능성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제조를 위한 균주 개발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1) 효소 유전 자원을 빠르게 확보하여 최적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개량하고 경제적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한 생산성 향상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2)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생산 균주 개발의 경우 목적 산물 생합성 경로에서 병목 단계를 빠르게 규명하고 해결하여 효율적인 세포 공장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고품질 효소 및 바이오화학소재 제품들의 제형을 현장 적용에 적합하도록 최적화해 고객의 니즈에 맞는 맞춤 제품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신약 개발부는 (1)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으로부터 유용 물질(effector molecule)로 분류되는 포스트바이오틱스(postbiotics)를 발굴 및 치료제 개발 (2) 당사의 미생물 대사 관련 핵심 기술을 활용해 인체 유용물질(effector molecule)이 고 분비될 수 있도록 미생물을 개량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품질관리부는 당사의 산업용 특수 효소 및 바이오헬스케어 소재 제품들의 품질을 분석 및 보증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역가, 안정성, 미생물 및 이화학(pH, 탁도, HPLC, 함습도 등)을 분석함으로써 고품질의 제품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합니다.


공정개발부는 Lab 조건에서 효소 제품을 수십 톤 단위까지 초고속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발효 최적화 연구와 scale-up 연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연구개발부에서 개량한 균주를 5L, Pilot 단계인 50L, 500L에서 발효를 최적화하며 생산 scale에 적합한 후공정을 수행합니다.

(2-2) 연구개발부 조직도


이미지: 연구소 조직도

연구소 조직도


(2-3) 연구개발 인력 현황

구분 인원구성 비 고
박사 석사 기타 합계
㈜제노포커스 연구개발부 4 4 2 10 -
신약개발부 3 6 2 11 -
품질관리부 - 1 11 12 -
공정개발부 - 1 2 3 -
소계 7 12 17 36 -
㈜지에프퍼멘텍 기업부설연구소 4 10 11 25 -
㈜바이옴로직 4 7 2 13 (주1)
합 계 15 29 30 74 -

(주1)  당사는 2018.10.01 신약개발 임상진행 및 신약사업 개발을 위하여 자회사를 설립하였습니다.

(2-4) 핵심 연구인력

성명

직급

담당업무

최종학위

주요 학력 및 경력

주요 연구실적(최근 5건)

김의중

대표이사

회사총괄

박사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 박사

㈜제노포커스 (現대표이사,前연구소장)

㈜GF퍼멘텍 (前대표이사)

(주1)

반재구

기타

비상무이사

CTO,
이사회
의장

박사

㈜바이옴로직(現대표이사)
㈜제노포커스(現기술이사)
㈜제노포커스(창업,사업총괄,前대표이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슈퍼박테이리아제어 센터장

(주2)

김원배

고문

신약개발 자문 위원장

박사

서울대학교 약학 박사

한국제약협회 이사장

동아ST 대표이사 부회장

(주3)

양택호

연구소장

연구소
총괄

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생명과학과 박사 (2004)

LG화학 기술연구원 차장 (2010)

GS칼텍스 기술연구소 책임연구원 (2014)

현) 제노포커스 연구소장

(주4)

김정현 수석연구
위원
연구총괄 박사

한국과학기술원 생물공학과 박사

삼양제넥스 생명공학연구소 단백질의약품 팀장

서울 백병원 (임상시험위원회/학술위원회 위원)
인제대학교 (인당분자생물학 연구소장/생명공학부 겸임고수)

현) 제노포커스 신약개발연구부 수석연구위원

(주5)

(주1) 당 연구인력(김의중 대표이사)의 주요 연구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Cell Surface Display of Human Immunodeficiency Virus Type 1 gp120 on Escherichia coli by Using Ice Nucleation Protein. (1999) Clin. Diagn. Lab. Immun.

- Cloning, sequencing and expression in Escherichia coli of a thermophilic lipase from Bacillus thermoleovorans ID-1. (2000) FEMS Microbiol. Lett. 186: 235-238.

- Cell Surface Display of Salmobin, a Thrombin-like Enzyme from Agkistrodon halys venom on Escherichia coli Using Ice Nucleation Protein. (2001) Enzyme Microb. Technol.

- Surface display of lipase and its randomly mutated library: High-throughput screening of variants showing higher specific activity. (2003) J. Mol. Catal. B-Enzym.

- Bacterial Cell Surface Display for Epitope Mapping of Hepatitis C Virus Core Antigen. (2003) FEMS Microbiol. Lett.

- Identification and use of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s that increase production of recombinant proteins in yeast and mammalian cells. (2005) Biotechnol. Prog.

- Hepatitis B virus-neutralizing anti-preS1 human antibody fragments from large naive antibody phage library. (2005) Antiviral Res.

- Enzymatic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quinone galactoside using Kluyveromyces lactis lactase. (2010) J. Agric. Food. Chem. 58: 9492-9497.

- Adsorption immobilization of Escherichia coli phytase on probiotic Bacillus polyfermenticus spores. (2011) Enzyme Microb. Technol. 49: 66-71.

- High-throughput screening system based on phenolics-responsive transcription factor for directed evolution of organophosphate-degrading enzymes. (2012) Protein Eng. Des. Sel.

- Bacillus spore display. (2012) Trends Biotechnol.

- Display of native proteins on Bacillus subtilis spores. (2014) FEMS Microbiol. Lett.

- Genome engineering using a synthetic gene circuit in Bacillus subtilis. (2015) Nucleic Acids Res.

- A Highly Efficient CRISPR-Cas9-Mediated Large Genomic Deletion in Bacillus subtilis. (2017) Front. Microbiol.

- 총 21편 국제학술지와 25건 특허 등록


(주2) 당 연구인력(반재구 기술이사)의 주요 연구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J.-E. Kang, H.-D. Kim, S.-Y. Park, J.-G. Pan, J. H. Kim, D.Y. Yum (2018).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Bacillus Superoxide Dismutase Protects Against γ-Radi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meliorates Dextran Sulphate Sodium-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Journal of Crohn's and Colitis, 12, 860?869  

- So, Y., Park, S., Park, E., Park, S., Kim, E., Pan, J., &Choi, S. (2017). A Highly Efficient CRISPR-Cas9-Mediated Large Genomic Deletion in Bacillus subtilis. Front. Microbiol. DOI:10.3389/fmicb.2017.01167

- Yogiara, S. J. Hwang, S. Park, J. K. Hwang and J. G. Pan (2015). "Food-grade antimicrobials potentiate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1,2-hexanediol." Letters in Applied Microbiology 60(5): 431-439.

- Yogiara, D. Kim, J.-K. Hwang and J.-G. Pan (2015). "Escherichia coli ASKA Clone Library Harboring tRNA-Specific Adenosine Deaminase (tadA) Reveals Resistance towards Xanthorrhizol." Molecules 20(9): 16290.

- Jeong, D.-E., S.-H. Park, J.-G. Pan, E.-J. Kim and S.-K. Choi (2015). "Genome engineering using a synthetic gene circuit in Bacillus subtilis." Nucleic Acids Research 43(6): e42.

- Kim, K. S., T. Kim and J. G. Pan (2015). "In vitro evaluation of ciclopirox as an adjuvant for polymyxin B against gram-negative bacteria." Journal of Antibiotics 68(6): 395-398.

- Kang, J. Y., S. H. Ryu, S. H. Park, G. S. Cha, D. H. Kim, K. H. Kim, A. W. Hong, T. Ahn, J. G. Pan, Y. H. Joung, H. S. Kang and C. H. Yun (2014). "Chimeric cytochromes P450 engineered by domain swapping and random mutagenesis for producing human metabolites of drugs." Biotechnology and Bioengineering 111(7): 1313-1322.

- Mordukhova, E. A. and J. G. Pan (2014). "Stabilization of Homoserine- o-succinyltransferase (MetA) decreases the frequency of persisters in Escherichia coli under stressful conditions." PLoS ONE 9(10). e110504

- Pan, J. G., S. K. Choi, H. C. Jung and E. J. Kim (2014). "Display of native proteins on Bacillus subtilis spores." FEMS Microbiology Letters 358(2): 209-217.

- Lee, D.-W., D. Kim, Y.-J. Lee, J.-A. Kim, J. Y. Choi, S. Kang and J.-G. Pan (2013). "Proteomic analysis of acetylation in thermophilic Geobacillus kaustophilus." Proteomics 13(15): 2278-2282.

- Mordukhova, E. A. and J.-G. Pan (2013). "Evolved Cobalamin-Independent Methionine Synthase (MetE) Improves the Acetate and Thermal Tolerance of Escherichia coli." Applied and Environmental Microbiology 79(24): 7905-7915.

- Kim, D., Yu, B. J., Kim, J. A., Lee, Y.-J., Choi, S.-G., Kang, S., and Pan, J.-G. (2013) “The acetylproteome of Gram-positive model bacterium Bacillus subtilis.” Proteomics 13, 1726-1736.

- Hwang, B. Y., Pan, J. G., Kim, B. G., and Kim, J. H. (2013) “Functional display of active tetrameric ß-galactosidase using Bacillus subtilis spore display system.”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13, 2313-2319.

- Yu, B. J., Kim, J. A., Ju, H. M., Choi, S. K., Hwang, S. J., Park, S., Kim, E. J., and Pan, J. G. (2012) “Genome-wide enrichment screening reveals multiple targets and resistance genes for triclosan in Escherichia coli.” Journal of Microbiology 50, 785-791.

- Pan, J. G., Kim, E. J., and Yun, C. H. (2012) “Bacillus spore display.” Trends in Biotechnology 30, 610-612.

- 총 60여편 국제학술지와 30여건 특허 등록

 

(주3) 당 연구인력(김원배 신약개발자문위원장)의 주요 연구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Joo H. Lee, Yu C. Kim, Jong W. Kwon, Won B. Kim, and Myung G. Lee     Effects of Bacterial Lipopolysaccharide on the Pharmacokinetics of DA-8159, A New Erectogenic, in Rats.     Res. Commun. Mol. Pathol. Pharmacol.    117-118 179-187 (2005)

- Soo Kyung Bae, Shin Jung Lee, Jong Won Kwon, Won Bae Kim, and Myung Gull Lee      Effects of protein-calorie malnutrition on the pharmacokinetics of DA-7867, a new oxazolidinone, in rats.    JPP    56 635-642 (2004)

- Soo K. Bae, Won-S. Chung, Eun J. Kim, Jae K. Rhee, Jong W. Kwon, Won B. Kim, and Myung G. Lee   Pharmacokinetic, Blood Partition and Protein Binding of DA-7867, a New Oxazolidinone.   Biopharm. Drug Dispos.      25 127-135 (2004)

- Soo K. Bae, Won-Suk Chung, Eun J. Kim, Jae K. Rhee, Jong W. Kwon, Won B. Kim, and Myung G. Lee    Pharmacokinetics DA-7867, a New Oxazolidinone, after Intravenous or Oral Administration to Rats: Intestinal First-Pass Effect.   Antimicrob. Agents Chemother.     48(2) 659-662 (2004)

- Seong Hwan Kim, Sanghun Ahn, Jeung-Whan Han, Hyang-Woo Lee, Hoi Young Lee, Yin-Won Lee, Mi Ran Kim, Kye Won Kim, Won Bae Kim, and Sungyoul Hong BBRC  315 964-970 (2004)

- 총 133편 국내외학술지


(주4) 당 연구인력(양택호 연구소장)의 주요 연구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국내 등록특허 30건

- 국외 SCI 학술지

- A lipophilic fluorescent LipidGreen1-based quantification method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analysis of intracellular poly-3-hydroxybutyrate. AMB Express. 2015. 5:48-55

- In situ immobilized lipase on the surface of intracellular polyhydroxybutyrate granules: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and its promising use for the synthesis of fatty acid alkyl esters. Applied Biochemistry and Biotechnology. 2015. 177:1553-1564

- Identification of acetoin reductases involved in 2,3-butanediol pathway in Klebsiella oxytoca. Journal of Biotechnology. 2014. 172:59-66

- Production of 1,3-propanediol from glycerol using the newly isolated Klebsiella pneumoniae J2B. Bioresource Technology. 2014. 159:223-231

- Feasibility test of utilizing Saccharophagus degradans 2-40T as the source of crude enzyme for the saccharification of lignocellulose. Bioprocess and Biosystems Engineering. 2014. 37:707-710

- Aqueous ammonia pretreatment,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evaluation of oil palm fronds for ethanol production. Bioprocess Biosyst. Eng. 2012. 35:1497-1503.

- Functional cell surface display and controlled secretion of diverse Agarolytic enzymes by Escherichia coli with a novel ligation-independent cloning vector based on the autotransporter YfaL. Appl. Environ. Microbiol. 2012. 78:3051-3058.

- Biosynthesis of lactate-containing polyesters by metabolically engineered bacteria. Biotechnol. J. 2011. 7:1-14.

- Tailor made type II Pseudomonas PHA synthases and their use for the biosynthesis of polylactic acid and its copolymer in recombinant Escherichia coli. Appl. Microbiol. Biotechnol. 2011. 90:603-614.

- Functional display of Pseudomonas and Burkholderia lipases using a translocator domain of EstA autotransporter on the cell surface of Escherichia coli. J. Biotechnol. 2010. 146:126-129.

- Biosynthesis of polylactic acid and its copolymers using evolved propionate CoA transferase and PHA synthase. Biotechnol. Bioeng. 2010. 105:150-160.

- High-level expression and characterization of Fusarium solani cutinase in Pichia pastoris. Protein Expr. Purif. 2009. 68:104-109.

- Use of Pseudomonas putida EstA as an Anchoring Motif for Display of a Periplasmic Enzyme on the Surface of Escherichia coli. Appl. Environ. Microbiol. 2004. 70:6968-6976.

- Enzymatic Synthesis of Low-Calorie Structured Lipids in a Solvent-Free System. J. Am. Oil Chem. Soc. 2001. 78:291-296.

- Optimization of reaction variables for sucrose monoester production using lipase in a solvent free system by Taguchi’s method. Biotechnol. Tech. 1998. 12:295-299

(주5) 당 연구인력(김정현 수석연구위원)의 주요 연구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Glutamine Phosphoribosylpyrophosphate Amidotransferase Glutamine Site and Communication with the Phosphoribosylpyrophosphate Site. J Biol Chem. 1996;271:15549-57.

- A stable Carbocyclic Analog of 5-Phosphoribosyl-1-pyrophosphate to Probe the Mechanism of Catalysis and Regulation of Glutamine Phosphoribosylprophosphate Amidotransferase. J Biol Chem. 1995;270:17394-9.

- High-Level Expression of Antimicrobial Peptide Mediated by a Fusion Partner Reinforcing Formation of Inclusion Bodies. Biochem Biophys Res Commun. 2000;..277:575-80.

- Catechol-O-methyltransferase Val158Met polymorphism in relation to aggressive schizophrenia in a Korean population. Eur Neuropsychopharmacol. 2008; 18:820-5

- An Association Study of the A218C Polymorphism of the Tryptophan Hydroxylase 1 Gene with Eating Disorders in a Korean Population: A Pilot Study. Psychiatry Investig. 2009; 6:44-9

- Differential Methylation of the Oxytocin Receptor Gene in Patients with Anorexia Nervosa: A Pilot Study. PLoS One. 2014; 9:e88673

- Association between the Oxytocin Receptor Gene Polymorphism (rs53576) and Bulimia Nervosa: OXTR and Eating Disorders. Eur Eat Disord Rev. 2015; 23:171-8

- Dietary Supplementation With a Bacillus Superoxide Dismutase Protects Against γ-Radiation-induced Oxidative Stress and Ameliorates Dextran Sulphate Sodium-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Mice. J Crohns Colitis. 2018; 12:860-869


- 그 외 총 17건의 특허 등록 실적을 보유


다. 연구개발비용

당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비용 현황(연결재무제표 기준)>

                                                                                                     (단위: 천원, %)
구 분 2022년 3분기 2021년 2020년
연구개발비용 총계 8,601,172 11,277,091 8,884,901
(정부보조금) (412,909) (863,896) (859,504)
연구개발비용 계 8,188,263 10,413,195 8,025,397
회계처리 개발비 자산화(무형자산) - - -
연구개발비(비용) 8,188,263 10,413,195 8,025,397
매출액(주1) 20,002,124 25,873,630 18,769,178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주2) 40.94% 40.25% 42.76%
(주1) 연구개발비용 및 매출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2) 매출액대비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이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하였습니다.


<연구개발비용 현황(별도재무제표 기준)>

                                                                                                     (단위: 천원, %)
구 분 2022년 3분기 2021년 2020년
연구개발비용 총계 2,272,754 2,640,646 2,968,437
(정부보조금) (353,327) (620,548) (495,132)
연구개발비용 계 1,919,427 2,020,098 2,473,305
회계처리 개발비 자산화(무형자산) - - -
연구개발비(비용) 1,919,427 2,020,098 2,473,305
매출액(주1) 8,655,709 10,141,484 16,716,722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주2) 22.18% 19.92% 14.80%
(주1) 연구개발비용 및 매출액은 별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주2) 매출액대비 정부보조금 차감 후 연구개발비용이 차지하는 비율로 산출하였습니다.


라. 연구개발 실적

(1) 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 계획
공시서류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가 연구개발 진행 중인 신약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 진행 총괄표>
(1-1)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구분 품목 적응증 연구 시작일 현재 진행단계 비고
단계(국가) 승인일
바이오 신약 GF-103 노인성 습성 황반변성(Wet-AMD) 2018.05 전임상(미국) - -
신약 GF-203 염증성 장 질환 2017.03 전임상(한국) - -


(가) 품목: GF-103

구분 바이오 신약
적응증 노인성 습성 황반변성 (wet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 wet AMD)
작용기전 GF-103은 망막에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산소를 원천적으로 조절하여 혈관 내피 세포 성장 인자에 의하거나 (VEGF-dependent) 다른 원인 (VEGF-independent)에 의한 신생혈관 형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습성 황반변성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제품의 특성 현재 습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표준 치료법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anti-VEGF)를 안구 내 주사 투여하는 것으로 노바티스의 루센티스(성분명 라니비주맙)와 바이엘의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가 대표적인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들 주사 치료제들은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 1~2개월 간격으로 반복적인 안구 내 주사를 통한 약물 투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환자들이 안구 내 주사로 인해 유발되는 극심한 공포감과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매번 병원을 방문하여 안과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커다란 불편함이 있습니다. 당사의 GF-103은 세계 최초 습성 황반변성 경구 치료제로서 환자의 복용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안구 주사치료제와 병용 투여 시 주사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고 기존 주사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의 치료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Substance) 인증을 받은 균주에서 생산되어 다른 습성황반변성 경구 치료제들에 비해 높은 안전성도 보장됩니다.
진행경과 미국 CMO에서 임상시험에 사용될 물질 생산이 진행 중이고, 임상 시험 승인 신청에 필요한 문서와 자료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2022년 8월 12일 오전 8시 (미국 동부시간)에 pre-IND미팅을 완료하였습니다.
향후계획 원료의약품 품질 분석이 완료 되면 완제의약품 생산에 들어가 임상시험용 물질 생산을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 중에 미국 FDA IND 신청과 임상 1상 시험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기타사항 -


(나) 품목: GF-203

구분 바이오 신약
적응증 염증성 장질환(IBD)
작용기전 GF-203은 염증성장질환(이하 IBD)의 근본적 원인인 ROS를 제거하고 염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환경의 불균형을 개선합니다.
제품의 특성 현재 IBD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면역억제제, 항생제들은 경증환자들에게만 미미한 정도의 효과를 보이고 증증 이상 환자들을 위한 효과적인 치료제의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상당수의 환자들이 치료과정 동안의 장 손상으로 인해 장 절제 수술을 경험하고 백혈구 감소증, 관절통, 비인두염 등의 부작용으로 장기복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의 GF-203은 장내 ROS 감소, 염증 완화 그리고 마이크로바이옴 환경의 균형을 회복함으로써 치료 효능을 증대시킬 수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미국의 GRAS 인증을 받은 균주의 스포아로서 안전성이 보장되어 부작용 없이 장기 복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진행경과 소규모 물질 생산을 통해 생산공정의 타당성을 확인하였습니다. 대규모 물질 생산에 필요한 세포주 은행 생산을 완료하여 기질 분석을 진행 중이고 임상물질 규격화와 생산 공정개발을 하고 있습니다.
향후계획 비임상시험용 물질 생산을 완료하여 물질 규격화와 독성시험 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격적인 임상시험 승인 신청에 앞서 동물실험을 통해 IBD외 적응증을 확대하고 건강기능식품 grade의 물질로 IBD 인체 적용 시험을 진행하여 임상시험에서의 효과를 가늠해 볼 것입니다.
기타사항 -


(1-2) 바이오-화학 소재 사업

개발 제품

연구 개발 및 사업화 현황

파이토엔/파이토플루엔
 (자외선 A/B 동시 차단 바이오 신소재)

- 파이토엔/파이토플루엔: 카로티노이드 생합성의 공통적인 전구체로 다른 카로티노이드에 비해 이중결합(double bond)과 공액 이중결합(conjugated double bond)의 개수가 적은 구조를 지님. 이러한 구조적 특성으로 인해 최대흡수 파장이 자외선 영역(286nm와 348nm)에 한정되는 독특한 물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음. 자연계에서는 토마토 등에 소량 존재하나 경제적 수급은 불가능하고, 화학적 합성도 어려운 단점이 있음.

- 현재 국책과제로 화장품 소재 전문 기업과 국내.외 대학이 참여하여 미생물 세포 공장 기반 생산 기술을 개발하고 있음 (주관기관 제노포커스). 과제 종료 1년 후인 2026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으로 상업화 예정.

UDCA 전환효소 개발

- 간기능 개선 약제 우루사의 주성분인 UDCA(ursodeoxycholic acid)를 원료물질인 CDCA(chenodeoxycholic acid)로부터 효소적으로 전환하는데 필요한 4종 효소를 개발 중. 기존의 UDCA 생산은 화학 공정을 통해 생산되고 있으나, 국내 제약사 대웅바이오의 요청으 로 효소 전환 공정에 적합한 효소를 발굴하여 생산 기술 개발 중에 있음.

- 2022년 하반기에 파일럿 규모의 고객사 시제품 테스트가 예정되어 있으며, 2023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 예정.

Compound - K
 (C-K)

- 홍삼 추출 진세노사이드를 효소 처리 분해하여 제조. 현재 수입 효소를 이용하여 생산하고 있으나, 생산수율이 낮아서 신규 효소 개발 요구. 효소 공급 중단 예정.

- 기존 수입 효소 대비 활성이 높은 최적 Compound-K 전환 효소1차 개발 완료하였고, 2022년 하반기에 파일럿 규모의 고객사 시제품 테스트가 예정되어 있으며, 2023년부터 본격적인 상업 생산 예정.


(1-3) 신규 생리활성 소재 제조 및 제약용 효소 사업

개발 제품

연구 개발 및 사업화 현황

Cytochrome P450

- 바실러스 Cytochrome P450 효소의 개량을 통하여 인간 간 대사의 핵심인 Cytochrome P450 효소와 유사 활성 효소로 개발

- 수십여 종의 바실러스 Cytochrome P450 효소 확보, display 기술로 개량, 바실러스 분비발현 생산 기술 개발 완료

- 전남대/생명공학연구원 공동연구 진행중. 농림부과제 수행중

- 신약/기능성생리활성물질 대사 산물 제조용으로 개발 진행중. 예) Zanthorrizhol, Piceatannol, Hydroxy-Omeprazol, Atorvastatin 대사체 등

- 의약품 및 생리활성소재 대사체의 사업화 관련 외부 자문 진행중

- 오메프라졸: 특허만료. 하이드록시-오메프라졸 대사체 신약 개발 가능성 시장규모 2013년 약 5.2억불 - 제약 분야 전문 마케팅 회사와 국내,외 기술이전 또는 협력안 검토중.

제약용 효소

라이브러리

- 다양한 API 합성 반응용 효소군 확보 계획: Lipases/esterases, Cytochrome P450, Ketoreductases, Transaminases, Glycosyl-transferases, Acylases, Amidases 등 제약 반응에 사용되는 효소 군을 확보, 재조합 발현, 샘플 제조.

- 다양한 방향으로 개량, 다양성 (기질특이성, 선택성, optimum pH/Temp. 등)을 확대하고, wild type과 함께 스크리닝 Kit로 제공.

- 제약 공정용 최적 효소 스크리닝 Kit: 공정 최적 효소 self-스크리닝. 고객 확보 목적

- API 효소-합성 공정 개발용 플랫폼 확보, 제약사 파트너링

- 한국화학연구원, KIST 공동 연구

- 항생제 제조 공정용 효소 개발. 1차 개량 효소 개발

- 재조합 단백질 발현 및 고정화 효소 제조 공정 개발 진행중

- 2차 추가 개량 계획

- 중국 제약사 수요 제기. 칭화대 공동 개발

- 종근당 출신 기업과 공동 개발 진행

GMP급 mRNA 백신용 필수효소 생산기술 개발

In vitro transcription으로 mRNA 합성에 필요한 핵심 효소들 중 proteinase K의 GMP급 생산기술 개발 과제로 2022년 산자부 과제에 선정되어 개발 진행 중.

연구시약용 효소 전문 기업인 엔지노믹스와 공동 개발 진행 중.


(1-4) 의료용 효소

개발 제품

연구 개발 및 사업화 현황

항생제 대체 효소 Lysin

- 항-탄저균 Lysin 개발시 확립한 display 기술 이용 활성 개량 기술 및 바실러스 분비 발현 및 대장균 세포내 발현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병원성균에 대한 Lysin 개발

- 수요처: 추가 개발 타겟 선정 및 상업화 전략 수립, 파트너 기업 확보 진행중. (탄저균 외 후보군: Bacillus cereus, Salmonella, Listeria, 식품-동물 병원균, 항생제 내성균 등)

- Lysin 잠재 시장 규모: 항생제-내성 박테리아 대응 항생제 시장에 진입

- 항-리스테리아 Lysin. 미국내 식품 가공 및 포장재 등 항균제 대체용 - 사업타당성 검토중

치료용 효소

GF-103

- 안질환 효능 검증: 건식황반변성(PriMed), 안구건조(전남대학교), 당뇨병성 망막증(서울대학교), 포도막염(서울대학교)에 대해 동물(in vivo) 에서 효능 확인함

- 구강/장 점막염(전북대학교): 동물(in vivo) 에서 효능 확인함
반려동물용 치료제 사업화: 반려동물 의약품 전문 회사 벡스퍼트와 협력

- IBD 보조 치료제 BASOD 출시: 누적 판매 병원수 약 1,500 개소, 재구매율 48%

- 구강 건강용 덴탈벡스 개발 및 출시

- 포자-효소 복합 치료제 개발: 항염증 protease, 항혈전 nattokinase, 항산화 SOD/catalase 복합효소제, 유당불내증치료효소 Lactase 등을 포자에 display

- 위산/단백질 분해효소에 안정하고, 장까지 안전하게 전달할 수 있는 신개념 효소 치료제 개발

- 중기청 과제 수행,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공동 연구 진행중

- 국내.외 제약회사 파트너링 진행중

- 영국 SporeGen 공동 개발 및 해외 마케팅

- 포자-효소 복합 치료제 잠재 시장 규모: 전체 Probiotics 시장규모 약 3조2천억원(marketsandmarkets 보고서)

- Alternative enzyme therapy 개량 효소 개발: Asparaginase, Glutaminase, Collagenase, Hyaluronidase, beta-Lactamase, Streptokinase, Pepsin, Trypsin, Urokinase, 췌장결핍증 치료 효소, 항혈전치료제 효소 등 개발 타겟 검토중

- 국내,외 제약회사 파트너링 계획


(2) 주요 연구개발 실적
- 주요 바이오-화학 소재 사업화 현황 및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번호

프로그램명

(시행부처/기관)

과 제 명

총개발기간

(시작-종료일)

주관/공동
/위탁

현재 현황

1

중점생명공학실용화 사업

(과기부)

초고속 효소개량 platform technology 개발

2001.08.01

~2002.05.31

위탁

분자진화기술 개발, 기술 활용 각종 효소 개발에 활용중임.

2

국가지정연구실 사업

(산자부)

혁신적 미생물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활용연구

2001.07.11

~2006.07.10

주관

초고속 스크리닝, 생백신 개발 등에 활용

3

21C 미생물유전체활용
프런티어사업

(과기부)

Aspergillus의 전사체제 개량에 의한 재조합 단백질 고효율 생산 시스템 개발

2005.04.01

~2008.03.31

주관

각종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활용

4

21C 미생물유전체활용
프런티어사업

(교과부)

Bacillus 발현 시스템 최적화

2008.05.01

~2011.03.31

위탁

각종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활용

5

출연연-중소기업공동
기술개발사업:
융복합분야

(중소기업청)

신개념 spore-enzyme 및 spore-vaccine 복합제제 기술개발

2012.06.01

~2014.05.31

협동

사업화 추진중
6

구매조건부기술개발사업 (중기청)

플라그 분해능이 우수한 Mutanase 개발

2013.06.01

~2015.05.31

주관

사업화 추진중
7

에너지기술개발사업

(산업통상자원부)

고집적.고안정성 효소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CO2 전환 공정기술 개발

2018.10.01

~2021.09.30

위탁 연구개발 완료
8

미생물 제어 및 응용 원천기술개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바실러스균 시스템 재설계를 통한 효소생산 기술 개발

2018.10.01

~2022.12.31

위탁 연구개발 진행중
9 과학기술인력기반구축사업
(한국연구재단)
생분해성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한 항산화 효소 약물 전달 2019.03.01
~2019.08.31
위탁 연구개발 완료
10 대전테크노파크 SOD의 시제품 개발 및 제작지원 2020.05.01
~2020.10.31
주관 연구개발 완료
11 대전테크노파크 SOD 규격 및 인증지원 2020.05.01
~2020.10.31
주관 연구개발 완료
12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중기부)
고순도 비타민 K2(MK7)생산용 균주개발 2020.05.01
~2021.04.30
주관 연구개발 완료
13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자외선ASB 차단 효과가 우수한 파이토엔 파이토플루엔의 생물학적 생산 및 제품화 기술 개발 2021.04.01
~2025.12.31
주관 연구개발 진행중
14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

GMP급 mRNA 백신 생산용 필수효소 생산기술개발

2022.04.01
~2025.12.31

참여

연구개발 진행중


7. 기타 참고사항


가. 산업의 특성

(1) 효소의 정의 및 개념

효소(Enzyme)는 생명체의 모든 화학/생화학 반응 속도를 빠르게 하는 단백질로 이루어진 촉매입니다. 과거에는 촉매(Biological Catalyst)가 대량생산이 어려운 단순 첨가물로 인식되었지만, 최근 유전공학의 발전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해지면서 차세대 첨단 산업의 핵심 소재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산업용 효소는 친환경 공정을 가능하게 해 환경 폐기물을 감소시키고 원가 절감을 통한 공정 소요 에너지를 감소시킵니다. 그리고 기존의 화학 반응 공정을 대체하여 새로운 공정 창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효소의 기능

효소의 기능


효소는 고도의 초정밀성, 특이성, 선택성 및 108~1,014배에 달하는 고효율의 특성이 있어 환경, 의약, 식품, 화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유기화합물의 합성 촉매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미래 산업용 제제로도 활용가치가 높습니다. 제조공정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 비용을 절감시키고, 작업 효율을 높이며, 기존 화학 제품의 대체가 가능하고, 사람의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효소 산업의 시장 규모 및 미래 전망

효소 시장은 사용되는 분야에 따라 크게 산업용, 특수용, 의료용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산업용 효소 (industrial enzyme)로는 식·음료 가공용 (food & beverage enzyme), 세제용 (cleaning enzyme), 바이오 에너지용 (biofuel enzyme), 동물사료용 (feed enzyme) 등이 있으며, 특수 효소 (specialty enzyme)로는 연구용, 진단용, 특수 생물전환용 효소가 있습니다. 의료용 효소 (medical enzyme)의 대표적인 예는 소화 효소, 소염 효소, 항종양 효소, 대사질환 희귀병 치료 효소, 항균 효소 등이 있습니다. 당사의 현재 사업영역은 산업용 효소와 특수용 효소이며, 현재 개발중인 신약후보물질의 임상 단계가 진행됨에 따라 향후에는 치료용 효소시장에 진입할 계획입니다.

시장조사 기관 'Grand View Research, 2020'에 따르면, 2021년 세계 산업용 효소 시장은 약 63억달러(약 7.1조원) 규모이며, 연평균 6.4%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Frost & Sullivan 2018’에 따르면, 2021년 세계 특수 효소 시장은 약 21억달러(약 2.3조원) 규모이며, 연평균 3.6%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기관 BCC Research의 'Medical Enzymes(2014)’에 따르면 2021년 세계 의약용 효소시장은 약 81억달러(약 9조원) 규모이며, 연평균 3.6%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산업용, 특수용, 의료용을 합한 전 세계 효소 시장은 2021년 약 104억 달러(11.7조) 규모이며, 6.9%의 성장률로 2027년 156억 달러(17.5조)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각 산업별 최종 제품을 만들기 위해 투입되는 핵심 원료 효소만의 시장 규모이며, 중간재와 제품 시장의 규모는 작게는 100배에서 수백배까지 커질 것입니다. 당사는, 핵심 원료인 맞춤형 효소를 개발하고 대용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이미 확보하고 있어 향후 downstream으로의 사업영역 확장을 도모할 것입니다.

                                     [세계 효소 시장규모 및 성장률]

(단위: Million dollars)

시장 구분

2021

2022(E)

2023(E)

2024(E)

2025(E)

2026(E)

산업용 효소

6,339

6,745

7,177

7,636

8,125

8,645

의약용 효소

7,856

8,139

8,432

8,736

9,050

9,376

특수용

2,065

2,140

2,217

2,296

2,380

2,465

세계 효소 시장

10,453

11,175

11,946

12,770

13,651

14,593

(출처: Grand View Research (2020), Frost & Sullivan (2018) & BCC research (2014), Emergen Research (2019), 제노포커스 재구성)


(2) 마이크로바이옴의 정의 및 개념

마이크로바이옴이란 "인간의 몸에 서식하며 공생하는 미생물”인 마이크로바이오타 (microbiota)와 게놈(genome)의 합성어로, 인체에 서식하는 미생물과 그 유전정보의 전체를 의미합니다. 장내 미생물로도 불리는 마이크로바이옴은 숙주와의 관계성을 기반으로 (1) 유익균과 (2) 유해균의 2가지 유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유익균은 숙주가 만들 수 없는 대사 물질을 생산하거나 병원균의 생장을 억제하는 등 이로운 효과를 나타내는 반면, 유해균은 환경 조건 변화에 따라 병원성을 나타냅니다.

인체 마이크로바이옴(human microbiome)은 인간 체중의 약 1~3%를 차지하며 전체 미생물의 95%는 대장을 포함한 소화기관에 존재합니다. 이러한 인체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은 신체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지만 비교적 균형을 이루며 안정적인 군집을 유지합니다. 하지만 음식물 섭취, 생활방식, 위생상태, 약물복용 등 외부적 요인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외부적 요인들은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을 파괴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여러 질병들이 유발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마이크로바이옴과 인체 건강의 상관관계

마이크로바이옴과 인체 건강의 상관관계


나. 산업의 성장성

(1) 마이크로바이옴 산업의 시장 규모 및 미래 전망

최근 사람의 몸에 서식하는 미생물이 인체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는 연구 결과가 밝혀짐으로써 마이크로바이옴을 기반으로 한 신약 개발 및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가 활기를 띠고 있습니다. 장내에 존재하는 미생물 군집은 영양소의 흡수와 대사, 병원균에 대한 방어 기작과 면역반응 조절, 신경계와의 상호 작용, 질병의 발생 조절 등 인체의 생리활동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전 세계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전망_1

전 세계 마이크로바이옴 시장 전망_1


전 세계 마이크로바이옴 시장은 2021년 기준 약 718 Million USD (약 8,715억원) 규모로 예상되고 매년 22.2 % 증가하여 2028년에는 약 2,921 Million USD (약 3조 5,458억원) 에는 이를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지: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


한편, 글로벌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 시장은 2020년 약 320 Million USD (약 3,884억원)를 시작으로 연평균 9-14%씩 빠르게 성장하여 2031년에는 약 440 Million USD (약 5,341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2) 식의약용 Lactase 시장의 성장성

Lactase를 포함하여 당사가 보유하고 있거나 개발중인 Lipase, Catalase, Protease, Lysozyme 등의 제품군을 고려할 때, 당사의 시장은 유가공효소(Dairy Enzyme) 시장으로 확대 진출할 수 있습니다. Researchandmarkets의 보고서에 따르면, 유가공효소(Dairy Enzyme) 시장은 2027년 약 1,030 million USD (약 1조 2,357억원) 규모로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Global Dairy Enzymes 시장 전망】
(단위: Million dollars, %)

구분

2022(E)

2023(E)

2024(E)

2025(E)

2026(E)

2027(E)

CAGR

시장 규모

776

821

869

920

973

1,030

5.5%

(출처: Dairy Enzymes, Researchandmarkets, 2021)


GOS(갈락토올리고당) 제조용 Lactase시장은 전방시장(GOS시장)의 성장에 비례하여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360 Research Reports 에 따르면 연평균 성장률이 6.1%로 예상되며 기존 유아식 분유 및 음료 시장 이외에도 Prebiotics 시장이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Lactase의 전방시장 GOS 시장 전망】
(단위: million USD)

구분

2020

2026(E)

CAGR

시장규모

680

1,034

6.1%

(출처: 360 Research Reports, 2021)


당사는 GOS(갈락토올리고당) 제조용 Lactase를 전 세계 2번째로 개발, 양산에 성공하여, 2010년 중국 수출을 개시하였습니다. GOS를 생산할 수 있는 바실러스 서큘란스 (Bacillus circulans) 유래의 식품첨가물 효소 Lactase를 생산/공급할 수 있는 회사는 당사와 Amano (일본) 뿐입니다.


(3) 산업용 Catalase 시장의 성장성
Catalase는 과산화수소를 무공해적으로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 효소로서 반도체 수처리 공정용, 섬유공정용, HPPO 제조 공정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Catalase매출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부문은 반도체 수처리 공정용으로 현재 국내외 반도체 공장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생산량에 비례하여 당사의 Catalase의 매출도 비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시장조사 기관 Gartner에서는 낸드플래시 반도체 시장이 연간 12%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판매하고 있는 Catalase의 시장은 시장조사기관 Global Information, Inc.의 Global Catalase Market Insights, Forecast to 2026 (2019)에 따르면 2022년 484 million USD(약 6,214억원)에서 2026년 말까지 약 544 million USD(약 6,985억원) 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2019-2026년간 2.88%의 연평균 성장률(CAGR)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Global Catalase 시장 전망】
(단위: Million dollars, %)
구분

2021

2022(E)

2023(E)

2024(E)

2025(E)

2026(E)

CAGR
'19-'26년

시장규모

470

484

498

513

528

544

2.88%

(출처: Global Catalase Market Insights, Global Information, Inc., 2019)


(4) 바이오 헬스케어 신소재 시장의 성장성

Industry ARC에 따르면 미생물 발효에 의해 생산된 제품(Fermentation Products)의 시장은 2021년에 178 billion USD에서 2026년에는 225 billion USD에 달하여 연 평균 4.8%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발효 제품은 품목별로 알콜류, 아미노산류, 유기물류, 바이오가스, 폴리머, 비타민, 항생제, 산업용 효소 등이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국가별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기업들의 친환경적인 제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시장은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제노포커스에서는 특히 Bio-Retinol과 같이 기존의 석유화학 유래의 화학합성 제품을 자연계에서 유래한 원료를 바탕으로 생물전환 공정을 통해 생산하는데 성공하였으며, 바이오 소재는 석유화학 소재보다 깨끗하고 환경 부담과 생체 부작용이 적다는 점에서도 매력적이기 때문에 많은 잠재 거래처로부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Menaquinone-7(Vitmanin K2), N-Acetylphytosphingosine 등과 같은 바이오 헬스케어 신소재에 대한 연구개발 및 상업화를 통해 제품을 상용화 하였을 뿐만 아니라,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로 끌어 올리는데 성공하였습니다. Menaquinone-7(Vitmanin K2)는 2021년 기준 전 세계 시장 규모는 149백만 달러에서 2027년 531백만 달러로 연 평균 23.6 %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N-Acetylphytosphingosine 시장은 2016년 1,215백만 달러에서 2023년에는 1,882.9백만 달러로 연 평균 6.5%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당사의 산업용 효소 시장은 첫째, 신규 효소 발굴 및 기존 효소의 개량 기술 등 생명공학기술의 발달, 둘째, 효소로 생산한 바이오-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화학 합성 물질의 최소 사용에 대한 요구가 맞물려,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으로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산업용 및 특수 효소 시장은 효소로 생산한 바이오-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화학 합성 물질의 최소 사용에 대한 요구 등이 맞물려 매우 안정적인 성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에 효소로는 경제성이 확보되지 않았던 분야에서도 효소 사용에 대한 잠재 수요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특징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특히 화학 촉매를 사용하는 화학공정 대비, 효소를 사용하는 바이오화학공정이 효율성과 친환경성 측면에서 월등한 장점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시장규모와 적용범위가 급속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세계적 컨설팅 기업 McKinsey에 따르면, 효소와 미생물 공학 기술 등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 화학공정이 생물학적 바이오공정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한 바 있으며, 실제로 화학제품들을 바이오제품으로 대체하는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산업용 효소 성장

산업용 효소 성장


(1) 식의약용 Lactase 시장
당사의 Lactase효소를 포함한 식품 가공용 효소는 프리미엄 유제품 가공산업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당사 제품의 전방시장인 프리미업급 분유 및 유가공식품은 경기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국민소득의 증가, 친환경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고기능성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당사의 제품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Lactase는 모유 성분에만 있는 갈락토올리고당(Galacto-oligosaccharides, GOS)을 생성합니다. Frost & Sullivan 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GOS 시장의 경우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고급 분유의 품질에 대한 인식 제고로 향후 약 24%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미국 GOS 시장 또한 향후 약 20%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전 세계적으로 약 15.61%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산업용 Catalase 시장
당사의 Catalase 매출에 가장 큰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부문은 반도체 수처리 공정용으로 현재 국내외 반도체 공장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반도체 생산량에 비례하여 당사의 Catalase의 매출도 비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현재 시장조사 기관 Gartner에서는 낸드플래시 반도체 시장이 연간 12%의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의 성장에 따라 당사의 Catalase 시장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섬유 가공용 Catalase의 경우 섬유산업의 성장에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섬유 산업의 경우 세계적 환경 규제에 따라 물 사용량의 제한, 화학제품 사용량의 제한 등으로 친환경 공정을 도입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의 섬유 가공용 Catalase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라. 계절성

당사의 산업용 효소 시장은 일반적으로 계절적 경기 변동의 영향을 많이 받지 않는 산업입니다.

마. 국내외 시장여건

(1) 화학산업을 바이오화학 산업으로 대체
효소는 높은 특이성, 선택성, 고효율성을 가지고 있고, 기능면에서 산화환원, 전이, 가수분해, 이탈 및 부가, 이성화와 합성 등 다양한 생화학 반응을 촉매 합니다. 주로 상온, 상압에서 반응하는 특성이 있어서 기존 화학 반응 공정을 대체하거나, 새로운 공정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화학처리 공법과 비교한 효소 처리 공법의 장점 또는 산업 경쟁력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화학처리공법 대비 효소처리공법의 장점】

구분

화학 처리 공법

효소 처리 공법

친환경

- 목적하는 화학 반응 외에 많은 부반응을 동반함.

- 효소의 높은 기질 특이성 때문에 부반응에 의한 부산물 생성이 적음.

- 부반응으로 인하여 추후 이어지는 후공정을 어렵게 만들고, 중금속 등 환경에 위해한 폐기물을 발생시킴.

- 부반응이 없기 때문에 후공정을 용이하게 하고, 중금속 등 환경 유래 폐기물 발생이 없거나 매우 적음.

- 고온, 고압, 강산성 등 화학 반응조건이 위험함.

- 주로 상온, 상압 조건하에서 반응하고, 독성이 없는 물이나 저독성 용제를 사용하므로, 화학제제에 비하여 안전한 작업환경을 제공함.

원가

절감

- 고온, 고압 등의 화학 반응 조건에서 소모되는 열량 에너지가 높고, 결과적으로 CO₂ 배출량이 많음.

- 안전한 상온 상압 반응 조건하에서 반응하기 때문에, 사용되는 열량 에너지가 낮고, 결과적으로 CO₂ 배출량을 절감시킴.

- 여러 단계의 합성 경로가 필요함.

- 여러 단계의 화학적 합성 경로를 단축시켜, 생산성 향상이 가능함.

출처: Enzyme Technical Association 등


현재 효소의 활용은 의약, 바이오화학, 바이오식품, 소재,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시장이 확대되는 이유는 첫째, 신규 효소 발굴 및 기존 효소의 개량 기술 등 생명공학기술의 발달, 둘째, 친환경 공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따른 바이오제품에 대한 수요 증대, 두 가지가 맞물린 결과입니다. 그 결과 우리 일상생활 주변에서 효소를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은 대폭 늘어났습니다. 효소는 우리가 먹는 음식을 생산하고, 우리가 입는 옷을 만들고, 심지어 연료를 만드는 것까지 인간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더불어, 효소는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시키며, 환경오염을 방지합니다.

효소가 가지고 있는 상기 장점 때문에, 기존의 화학중심 산업에서 바이오-화학 산업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효소는 원가 절감과 동시에 친환경 공법을 제공하는 등 미래 지속가능한 산업환경을 이끌고 있습니다.

【효소로 인한 산업환경 변화】

구분

내용

화학산업의 대체

- 효소로 생산한 바이오-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화학 합성 물질의 최소 사용에 대한 요구 등이 맞물려 안정적인 성장.

- 화학공정 대비, 효소를 사용하는 바이오화학공정이 효율성과 친환경성 측면에서 월등하여, 시장규모와 적용범위가 급속히 확대.

- 세계적 컨설팅 기업 McKinsey에 따르면, 효소와 미생물 공학 기술 등의 발전에 따라 기존의 전통적 화학공정이 생물학적 바이오공정으로 대체될 것으로 전망.

지속 가능 산업 환경의 구축

- 각종 불순물 및 화학 부산물을 배출시키는 전통적 화학공법에 비하여 매우 친환경적.

- 효소는 에너지를 적게 요구하기 때문에, CO₂ 배출량을 절감.

- 다단계의 전통적 화학합성 경로를 간소화시켜 생산원가를 절감.

산업 적용 사례

- 삼성전자의 과산화수소 분해

삼성전자 중국 시안공장 등 반도체 공정에서는 Catalase를 사용하여, 반도체 식각공정의 산업폐기물인 과산화수소를 분해할 때 사용되는 화학촉매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2차 환경오염을 방지하고, 결과적으로 소모되는 에너지 사용량을 감소.
- 바이오디젤 생산 시 효소 활용

기존 고온, 고압 조건에서 화학촉매를 이용하여 생산하던 바이오디젤을 Lipase를 이용하여 생산하면 상온, 상압 조건에서, 비교적 소규모 플랜트로 생산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폐식용유 등의 활용성도 보다 높아짐.


(2) 글로벌 바이오-화학회사의 효소기업 독점화
효소는 지속가능한 산업환경을 구축할 수 있는, 경제적, 환경적 효소의 장점 때문에 세계적 다국적 기업들은 바이오화학기술을 선점 또는 독점하려는 추세에 있습니다. 현재 전 세계 Top 3 효소 기업인 Novozymes, DuPont, DSM이 산업용 효소 시장의 약 80%를 과점하고 있습니다. 최근 20년간 많은 효소 회사가 인수·합병되어, 현재는 다양한 효소를 직접 개발하고 생산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진 효소 전문회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세계 1위의 종합화학기업인 BASF는 2013년 효소 개발 전문 미국기업 Verenium을 인수하였고, 세계 2위의 화학기업 DuPont은 2011년 세계 2위 효소 전문 기업인 Genencor (DuPont Industrial Sciences로 사명 변경)를 인수하여 바이오화학분야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바이오-화학 소재 거대 기업과 효소 기업간의 독점적 제휴로 특정 효소가 특정 고객에게만 독점적으로 공급되는 사례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렇듯, 글로벌 바이오-화학회사는 '핵심소재'로 사용되는 효소제품 뿐만 아니라, 효소 개발 및 생산기술까지를 독점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최근에는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를 필두로 환경경영이 화두가 됨에 따라 대기업을 중심으로 친환경 기술을 가진 중소기업을 인수하거나 투자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3)  전방산업 및 산업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효소는 제약 공정, 정밀화학공정, 식품 가공 공정 등에서 사용되는 부가가치가 높은 핵심소재입니다. 따라서, 각국의 바이오-화학회사는 최종 제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고, 높은 품질, 저비용으로 생산하기 위하여 효소를 독점 또는 선점하고자, 효소 생산기업을 합병하거나 해당 효소 제품의 독점공급계약을 체결하는 추세입니다. 효소 기업을 독점하거나 효소 제품을 독점하면 최종 제품 생산의 잠재적 경쟁자를 방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당사와 같이 다양한 효소제품을 개발하는 동시에 경제적인 생산까지 가능한 기업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물며, 당사가 공급하는 산업용/특수용 맞춤 효소는 산업계에서필요로 하는 핵심소재이기 때문에, 국내 산업생태계 육성측면에서도 당사가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됩니다.


(4) 수출증대 및 수입대체 효과
당사의 주력 제품인 Catalase, Lactase 등의 최종 수요처는 대부분 다국적 대기업입니다. 또한 당사의 경쟁업체도 Novozymes, DuPont, Amano등의 다국적 대기업입니다. Catalase는 현재 국내시장의 90%를 Novozymes, DuPont 등의 다국적 대기업이 효소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나, 당사의 반도체 공정용 및 섬유용 효소 Catalase를 출시한 이후, 열안정성 등 타사제품 대비 품질이 우수하며, 분비발현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원가 경쟁력이 뛰어나 Novozymes, DuPont과 경쟁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였으며, 시장보고서에 따르면 당사의 Catalase는 2021년 기준 세계시장점유율 3위를 기록하였습니다. Lactase의 경우, 효소제조 및 식품첨가물 제조를 하는 다국적 기업조차도 Lactase개발을 시도하였으나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였으며, 당사가 개발한 Lactase를 구매할 예정입니다.

당사는 효소제품 자체만으로는 매출액이 크지 않더라도 국가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경우에는 효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당사가 농약분해효소를 개발·판매 하고자 하는 이유는, 농약분해효소 판매를 통해 얻는 당사의 경제적 이익은 크지 않을지라도, 사과 등 농산물에 잔류하는 농약 때문에 해외수출에 어려움을 겪는 농가에 수출 증대 효과를 가져올 수 있기 때문입니다.

(5) 환경규제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EU는 2011년 대표적인 유해물질인 수은, 납 등의 제품별 사용허가범위를 규제하기 위하여 유독성 함유 금지지침 (RoHS)를 강화시켰으며, 2013년 1월부터 RoHS개정안 (RoHS2)을 시행중입니다. 캐나다의 경우 2010년 12월 가솔린에 바이오연료와 같은 신재생연료 성분 5% 포함을 의무화 하였으며, 이에 따라 바이오 에너지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차세대 바이오 에너지 생산시 필요한 핵심소재가 효소입니다.
 

2021년 개최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는 ‘국제탄소시장 이행규칙’을 채택하여 전 세계 국가들이 2050년에는 넷제로(Net-Zero)를 목표로 하기로 했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분야에서 탄소 중립 요소가 법제화 되고 있으며, 기업들도 투자, 재무관리, 인사관리, 경영 등 여러 분야에서 탄소 배출 감소 및 넷제로를 위한 경영 전략 변화에 사활을 걸고 있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기존의 석유 화학 기반의 화학 합성 공정이 점차 효소나 미생물 발효를 통한 친환경 공정으로 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탄소배출 감소 및 노동자의 근로 안전성 개선 효과가 예상됩니다.


이러한 산업계의 동향을 비추어 보면, 제약, 정밀화학, 사료, 피혁, 수처리 등 다양한 산업에서 효소를 활용한 친환경 공법을 도입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에도 국내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도 환경규제가 강화될 것으로 전망되며, 산업계에서는 이에 대한 대응이 필요합니다.

(6)  Bio-based economy시대의 핵심소재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이 발간한 FAO Statistical Yearbook 2021에 따르면, 생명과학은 효소 및 발효를 이용하여, 에너지, 화학, 의약, 식량, 섬유, 펄프 및 제지산업 등 광범위한 산업에서 효율성 개선과 급진적 변화를 가져올 것이며, Bio-based economy 시대의 핵심은 효소 및 발효공학이라고 전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효소개발 기술 및 발효 생산기술을 확보하여, 다양한 효소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7)  제품별 시장 상황
식/의약품 가공 효소로 사용되는 Lactase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당사와 Amano(일본)에서만 판매중입니다. 산업계에 따르면, 2012년 Amano는 유럽의 D社에만 독점적으로 GOS 생산용 Lactase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따라서, 신규로 GOS시장에 진입하는 경쟁자들은 Amano로부터 Lactase공급을 받을 수가 없는 상황이었고, 전세계 GOS시장 성장률은 평균 15.61%으로 높은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어 다국적 식품회사들이 GOS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쟁사 대비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기술력으로 다국적 식품회사들을 대상으로 GOS 생산용 Lactase시장을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전자/섬유 화학용 Catalase시장의 경우 당사의 주요 매출은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Textile Catalase Enzyme Industry(2020)에 따르면 섬유용 Catalase의 규모는 2020년 기준 약 149백만달러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Catalase는 현재 국내시장의 90%를 Novozymes, DuPont등의 다국적 대기업이 효소시장을 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나, 당사의 반도체 공정용 및 섬유용 효소 Catalase를 출시한 이후, 열안정성 등 타사제품 대비 품질이 우수하며, 분비발현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원가 경쟁력이 뛰어나 Novozymes, DuPont과 경쟁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바.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과 단점

(바-1) 효소개발 및 생산 단계별 전주기 기술 보유

당사는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 고분비 발현 기술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 기술을 활용해 산업용 효소, 특수 효소, 바이오 헬스케어 소재 등을 개발, 납품하는 기업이며 이를 기반으로 마이크로바이옴/효소 신약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핵심 기술은다음과 같습니다.

(1-1) 플랫폼 기술

이미지: 당사의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

당사의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


당사의 독보적인 플랫폼 기술은 (1) 스마트 라이브러리 기반의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 (2) 재조합 단백질 분비 발현 기술을 핵심으로 하고 있습니다. 미생물 디스플레이 기술은 AI를 기반으로 in silico 돌연변이를 생성하고, 의도대로 진화된 유전자만 추출하여 세포 파쇄 없이 단백질과 효소의 특성을 추출하게 합니다. '신속 정확한 효소/단백질 개량’기술은 마이크로바이옴 회사들에게 중요한 경쟁력이며 당사가 기술 특례 상장을 할 수 있었던 첫번째 핵심 역량입니다.

이미지: [당사의 플랫폼 기술(효소개발 및 생산 단계별 ‘전 주기’기술)]_1

[당사의 플랫폼 기술(효소개발 및 생산 단계별 ‘전 주기’기술)]_1


당사 플랫폼 기술의 두번째 핵심 기술은 고순도 분비 발현 기술입니다. 목적 단백질을 숙주 미생물 세포 밖으로 분비 생산하게 함으로써 세포 파쇄나 분리 정제 없이 고순도 대량 생산을 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신속 정확하게 개량한 목적물질’을 고순도로 scale-up할 수 있게 함으로써 경제적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해당 기술은 당사가 기술 특례 상장을 할 수 있었던 두번째 핵심 역량입니다.

재조합 단백질 분비 발현 기술은 해당 단백질을 얻기 위해 별도로 세포를 파쇄하여 정제하는 과정 없이 배양액으로부터 쉽게 고순도의 단백질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경제적 대량 생산을 가능하게 합니다. 실험실 수준의 기술은 많이 알려져 있으나, 완성도가 높은 산업화 수준의 분비 발현 기술은 기술 장벽이 높아 세계적 효소 전문 기업들이 보유하고 효소 제품 상업화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당사의 고순도 분비 발현 기술

당사의 고순도 분비 발현 기술


※상세 현황은 '상세표-당사의핵심 및 주변 기술[상세]' 참조


(1-2) 포자-마이크로바이옴 장 전달 기술

이미지: 포자-마이크로바이옴 장 전달 기술

포자-마이크로바이옴 장 전달 기술

당사는 고온, 위산, 담즙산 등에 안정한 포자를 장으로 전달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식품으로 등재된 안전한 Bacillus 균주를 이용해 spore를 생산하고, 이 spore에 치료용 단백질을 발현시키거나, 부착시켜 장으로 전달합니다. 장에서 발아한 spore는 세포로 증식하여 가지고 있던 치료용 단백질을 자연적으로 생산해 냅니다. 이러한 기술을 바탕으로 당사는 안전하고,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구현할 미생물 유래 마이크로바이옴 신약을 개발 중입니다.

(1-3)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SOD)를 이용한 활성산소 (ROS) 제어

이미지: sod를 이용한 ros 제어 기술

sod를 이용한 ros 제어 기술


과도하게 생성된 활성산소는 염증성 장질환, 노인성 황반변성, 홍반, 피부섬유증, 2형 당뇨 합병증, 죽상동맥경화증 같은 여러 만성 질환들의 근본적 발병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우리 몸에는 SOD를 포함한 항산화 시스템이 이를 방어하고 있지만 노화를 비롯한 여러 가지 원인들로 인해 그 양과 활성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게 됩니다. 당사는 미생물 개량과 발현 및 분비 활용하여 개발한 SOD 항산화 효소를 이용하여 만성 질환의 근본적 원인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기전의 신약을 개발 중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국내 4건 (10-1762199, 10-1814035, 10-1840306, 10-2223657), 미국 2건 (10751393, 11147858), 일본 1건(7061611)의 특허 등록을 마쳤습니다.

(바-2) 제품 경쟁력

(1) 효소
식/의약품 가공 효소로 사용되는 Lactase의 경우 전 세계적으로 당사와 Amano(일본)에서만 판매 중입니다. 산업계에 따르면, 2012년 Amano는 Friesland Campania DOMO(네덜란드)에만 독점적으로 갈락토올리고당(GOS) 생산용 Lactase를 공급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따라서, 신규로 GOS시장에 진입하는 경쟁자들은 Amano로부터 Lactase공급을 받을 수가 없는 상황이었고, 전세계 GOS시장 성장율은 평균 15.61%으로 높은 성장율을 나타내고 있어 다국적 식품회사들이 GOS시장에 진입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쟁사 대비 우수한 품질의 제품과 기술력으로 이러한 다국적 식품회사들을 대상으로 GOS 생산용 Lactase시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전자/섬유 화학용 Catalase시장의 경우 당사의 주요 매출은 반도체 공정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Catalase는 현재 Novozymes, DuPont등의 다국적 대기업이 과점하고 있는 상황이나, 당사의 반도체 공정용 및 섬유용 효소 Catalase를 출시한 이후, 열안정성 등 타사제품 대비 품질이 우수하며, 분비발현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원가 경쟁력이 뛰어나 Novozymes, DuPont과 경쟁하여 시장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으로 친환경 정책이 강화됨에 따라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당사의 매출 또한 40~50%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위 주력 제품들 이외에도 다양한 분야에 맞춤형 효소 제품들을 납품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제품군을 확대하며 시장을 선점할 예정입니다.
 

(1-1) Lactase

제품 개요

당사의 Lactase 제품에는 Lactazyme-B™, GF Lactase B2™ 등이 있습니다. 모유내 주요 면역 증강 물질인 갈락토올리고당(GOS) 제조용 효소이며, 우유·요거트·유청내 유당 분해, 갈락토오스 전이 배당체 제조, 유당불내증 치료 등에 쓰이고 있습니다.

제품 설명 및 현황

갈락토올리고당(GOS) 제조용 효소인 Lactazyme-B™ 1-2 kg (평균 1.5 kg)을 50% 유당 수용액 1,000 kg에 첨가하여, pH 6.0, 50℃에서 24~72시간 동안 반응 시, 50% 이상 전환율로 갈락토올리고당(GOS)을 제조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전세계 2번째 고효율 갈락토올리고당 제조 효소인 락타아제를 개발, 출시하고 갈락토올리고당 원료인 유당(락토즈) 글로벌 생산 1위 기업인 L社 와 장기 공급 계약을 맺은바 있고, ‘20년 영국 최대 프리바이오틱스 생산회사와 공급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경쟁 우위 요소

당사는 전세계 2번째 고효율 갈락토올리고당 제조 효소인 Lactase를 개발/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최초 미국 FDA GRAS 인증을 받아 안전성을 입증하였으며 유럽 EFSA등록과 세계최고 품질 인증(FSSC2200, Kosherm Halal)을 마쳤습니다.경쟁사 대비 4배 이상의 고효율과 고객에게 차별화된 생산이 가능하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당사의 Lactazyme-B™ 제품은 Amano 社의 BioLacta 제품 대비 GOS 전환수율은 동등하며, 잔존 유당 함량은 낮은 장점이 있습니다.

당사의 Lactase B21™ 제품은 바실러스 유래 락타아제의 클로닝, 열안정성과 최적 온도를 개량하여 고온에서 갈락토올리고당 전환을 할 수 있도록 만든 최초의 효소입니다.

Lactase B3™은 갈락토즈 함량이 많은 올리고당을 제조할 수 있는 신규 효소로써 당사가 최초로 개발한 제품입니다. 고객이 차별화된 갈락토올리고당 생산이 가능하게 한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이러한 강점들을 인정받아 유럽 식품안전청(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에 세계 최초 락타아제를 등록하였고, 현재 당사의 락타아제 제품은 EFSA에 등록된 유일한 효소 제품입니다.

향후 계획

당사는 현재 공급중인 고객들 이외에도 유럽, 남미 등의 갈락토올리 고당 제조 회사에 당사의 락타아제 공급을 위하여 지속적인 논의 중입니다. ‘24년까지 약 2배씩 매출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1-2) Catalase

제품 개요

당사의 Catalase 제품에는 Katalase™ S, Katalase™ S 350L 등이 있습니다.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할 수 있게 하는 효소이며, 반도체 공정 (웨이퍼 에칭 및 세척 시 사용되는 과산화수소의 친환경 분해), 섬유 가공 (면직물을 과산화수소로 표백 후, 잔류 과산화수소를 분해) 및 기타 propylene oxide 제조 공정, 항산화 효소 치료제, 식품 가공, 콘택트렌즈 세척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제품 설명 및 현황

당사의 Catalase 제품은, 다양한 pH (5.0~11.0까지)와 온도(저온~60℃)에서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할 수 있습니다. 과산화수소 분해 속도는 주변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수백~수천 ppm 농도의 과산화수소 함유 용액 1톤을 99.9% 분해 처리하기 위하여 Katalase™ 제품 수십 gram이 첨가됩니다.

당사는 전세계 시장을 독과점 하고 있는 Novozymes社, Dupont社 이후 전세계 3번째로 고온에서 안정한 Catalase 개발을 성공하였습니다. 현재 삼성전자(국내 및 중국), 하이닉스, TSMC(대만) 등 반도체 선도 업체들에게 납품을 진행 중이며 3D Nand 메모리 시장이 커짐에 따라 수요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경쟁 우위 요소

당사의 Katalase™ S와 Katalase™ S 350L 제품은 경쟁사 제품 대비 열안정성이 뛰어납니다(70℃ 기준으로 DuPont 제품 대비 50%이상, Novozymes 제품 대비 30% 이상 우수).

또한 당사의 Katalase™ S 350L, Katalase™ P 제품은 산성 및 각종 중금속 포함 조건에서 경쟁사 제품 대비 과산화수소 분해 활성이 높으며, Katalase™ M Prime 제품은 알칼리성 반도체 수처리 조건에서 분해 활성이 우수합니다.

선도 업체인 Novozymes 및 DuPont은 모두 1종 또는 2종의 Catalase만 생산, 판매 중이며 당사는 다양한 우수 Catalase 유전자원을 확보하여 다양한 환경에 최적화된 효소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플랫폼을 바탕으로 Catalase 효소 개량에 성공하여 상업화한 것은 세계 최초입니다.

향후 계획

중국 내 및 수출용 Catalase 주문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19년부터 대만 출고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어  ‘22년까지 지속적인 수출 물량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거래처의 수요 증가, 신규 거래처 증가로 ‘22년 이후 지속적 매출 증가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1-3) Proteinase K

제품 개요

당사의 Proteinase K는 분자 진단 및 유전 공학 실험용 효소로 다양한 생물 소재에서 핵산(DNA 및 RNA) 추출에 필수적으로 쓰이는 효소입니다.

제품 설명 및 현황

Proteinase K는 Covid-19 PCR 기반 진단 시 고효율 추출 Kit의 핵심 원료로 쓰입니다. 당사가 Proteinase K를 개발하기 전까지 한국의 진단키트 제조업체들은 스위스 R社 등으로부터 해당 원료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당사의 Proteinase K 개발 성공으로 국산화 되었습니다. ‘20년 8월 기술 개발 성공 이후 대규모 생산 공정 확립, ‘20년 12월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현재 국내 진단키트사인 B社에 시제품을 판매하여 실제 적용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21년 2월부터 본격적인 납품을 진행하고 있고, 글로벌 top tier 바이오 기업인 T사 및 국내 최대 진단 키트 회사인 S社와 공급에 대해 논의 중입니다.

경쟁 우위 요소

Proteinase K는 DNase 및 RNase 활성이 없는 고순도 제품(액상 및 분발상)입니다. 광범위한 PH 및 온도 범위에서 안정하며 Chealating agent, 계면 활성제 및 고농도 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도 높은 활성을 유지합니다.

향후 계획

국내외 분자진단 업체 대상으로 지속적인 영업을 통해 거래처를 증대 시키고 있으며, ‘22년에는 기존의 외산 원료를 추가 대체하여 매출이 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1-4) Bio-Retinol

제품 개요

바이오레티놀은 당사가 신규 개발한 뷰티 효소 제품입니다. 레티놀은 유일하게 Anti-aging 효과가 있다고 증명된 화장품 원료이며, ‘20년 기준 전 세계 시장 규모는 16.8억 달러 (1.9조)입니다. 국내 최대 화장품 회사 중 하나인 L社의 요청에 의해서 개발되었습니다.

제품 설명 및 현황

당사의 바이오레티놀은 현재 톤 단위 배양 생산 최적화 공정 확립을 완료한 상태입니다. 대규모 분리 정제 및 안정화 formulation 개발이 진행 중입니다.

경쟁 우위 요소

바이오 레티놀 VS 화학적 레티놀

구성

100% 레티놀

95~97% 레티놀

불순물

화학 물질 없음

화학 물질 존재

독성

거의 없음(테스트 중)

많음

부작용

거의 없음(테스트 중)

염증, 홍조, 피부 각질

사용량

0.1% 이상 사용 가능

독성으로 0.1% 미만 사용

출처: 제노포커스

향후 계획

로컬 뿐 아니라 글로벌 화장품 회사인 L社 및 E社 등 신규 업체들로 납품을 확장할 계획입니다.


(2)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대부분의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들은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dysbiosis)을 회복 또는 해결하기 위해 환자의 유해균을 특정하여 소멸 시킬 수 있는 '박테리오파아지(bacteriophage)’나 '항균제’들이고 이러한 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인체로부터 분리된 미생물 혹은 정상인의 배변을 이식하는 분변미생물군 이식 (FMT; 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을 진행합니다. 하지만 박테리오파아지/항균제 치료제는 내성과 부작용의 문제가 있고 분변미생물군 이식은 표준화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와는 차별적으로 당사에서는 1) 식품원료로 등재되어 안전성이 보장된 당사의 플랫폼 미생물을 이용 2) 미생물에서 유래하는 치료 유효물질 발굴 3) 유효물질의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미생물을 개량함으로써 우수한 치료효과를 지속적으로 나타낼 뿐만 아니라 안전성을 동시에 가지는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의 파이프라인 가운데 GF-103과 GF-203은 습성 황반변성(Wet AMD)과 염증성 장질환 (IBD) 치료를 목표로 미국 FDA와 국내 식약처의 임상시험 승인 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2-1) GF-103

제품 개요

GF-103은 장내유익균인 바실러스 균주에서 과량 생산된 대표적인 항산화 효소인 수퍼옥시드 디스뮤타제 (superoxide dismutase; 이하 SOD)입니다. 여러 다양한 적응증들(신약 개발 파이프라인 참고)에서 우수한 치료 효과를 보이는 GF-103은 특히 최초의 경구용 습성 황반변성 치료제로서 기존의 주사 치료제들의 단점을 보완할 뿐만 아니라 기존 치료제들이 효과를 나타내지 환자들의 치료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제품 설명 및 현황

GF-103은 습성황반변성 유발의 근본적 원인인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 이하 ROS)를 제거합니다. 동물 질환 모델에서 기존 치료약물인 아일리아와 동등한 치료 효과를 확인하였고 비임상 독성시험을 통해 안전성을 입증하였습니다. 현재 미국 생산시설에서 임상시험에 사용될 물질 생산이 진행되고 있고 2023년 중에 미국 FDA의 임상시험 승인 (이하 IND)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경쟁 우위 요소

현재 습성 황반변성 치료를 위한 표준 치료법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anti-VEGF)의 안구 내 주사 투여이며 노바티스의 루센티스(성분명 라니비주맙)와 바이엘의 아일리아(성분명 애플리버셉트)가 대표적인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주사 치료제들의 효과를 지속시키기 위해서는 1~2개월 간격으로 반복적인 안구 내 주사를 통한 약물 투여를 받아야 합니다. 이는 환자들이 안구 내 주사로 인해 유발되는 극심한 공포감과 감염 위험을 무릅쓰고 매번 병원을 방문하여 안과의사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는 커다란 불편함이 있습니다. 당사의 GF-103은 세계 최초 습성 황반변성 경구 치료제로서 환자의 편의성을 크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기존의 안구 주사치료제와 병용 투여 시 주사 투여 빈도를 감소시키고 기존 주사치료제에 반응하지 않는 환자들의 치료 효과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GRAS (Generally Recognized as Safe Substance) 인증을 받은 균주에서 생산되어 다른 습성황반변성 경구 치료제들에 비해 높은 안전성도 보장됩니다.

향후 계획

2022년 8월 12일 오전 8시 (미국 동부시간)에 pre-IND미팅을 완료하였으며, 원료의약품 품질 분석이 완료 후 완제의약품 생산에 들어가 임상시험용 물질 생산을 완료될 것으로 예상되는 2023년 중에 미국 FDA IND 신청과 임상 1상 시험 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2) GF-203

제품 개요

바실러스 스포아 (spore)는 자체적으로 인체에 유효한 여러 가지 물질들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당사는 GF-103과 스포아를 결합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GF-203을 개발하였고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제품 설명

GF-203은 염증성장질환(이하 IBD)의 근본적 원인인 ROS를 제거하고 염증을 억제할 뿐만 아니라 장내 마이크로바이옴 환경의 불균형을 개선합니다. 이러한 효과는 생쥐 질환 유도 모델과 반려견의 자연발생 염증성 장질환에서 확인하였습니다.

경쟁 우위 요소

현재 IBD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 (NSAIDs), 면역억제제, 항생제들은 경증환자들에게만 미미한 정도의 효과를 보여 증증 이상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 개발이 필요합니다. 또한 상당수의 환자들이 치료과정 동안의 장 손상으로 인해 장 절제 수술을 경험하고 백혈구 감소증, 관절통, 비인두염 등의 부작용으로 장기복용이 불가능하다는 한계가 있습니다. 당사의 GF-203은 장내 ROS감소, 염증 완화 그리고 마이크로바이옴 환경의 균형을 회복함으로써 치료 효능을 증대시킬 수 것으로 기대합니다. 또한 미국의 GRAS 인증을 받은 균주의 스포아로서 안전성이 보장되어 부작용 없이 장기 복용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향후 계획

비임상시험용 물질 생산을 완료하여 물질 규격화와 독성시험 등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본격적인 임상시험 승인 신청에 앞서 동물실험을 통해 IBD외 적응증을 확대하고 건강기능식품 grade의 물질로 IBD 인체 적용 시험을 진행하여 임상시험에서의 효과를 가늠해 볼 것입니다.


(바-3)  우수한 연구개발 인력 및 경영진

당사의 창업주인 반재구 박사는 국내 최초로 미생물디스플레이 기술과 단백질 분비발현 기술을 개발하였고, Nature Biotechnolgy에 미생물디스플레이 관련 논문을 게재하였고, 많은 대학과 연구기관에서 INP기술을 활용하는 등 우수한 학문적 업적으로 명망이 높습니다. 김의중 대표이사는 미생물디스플레이 기술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양택호 연구소장은 미생물 디스플레이 및 효소공학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당사는 현재 10여명의 효소 및 발효공학전문 박사급 연구인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최종수 지에프퍼멘텍 대표이사는 대상 라이신 생산팀장, BASF Korea 연구소장, CJ 바이오 연구소 소장, 백광산업 연구소장 및 라이신 생산 공장장을 역임한 미생물 발효를 통한 라이신 등 바이오화학 제품 생산 관련 국내 최고 전문가입니다. 창업이후 현재까지 오랜 연구개발 결과, 당사의 연구진은 국내 유일하게 곰팡이 분비발현 기술과 바실러스 분비발현 기술로 효소제품을 상업화 하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의 연구개발 인력은 국내 효소 산업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바-4)  외부 연구개발 네트워크

당사의 연구개발활동은 당사 부설 연구소를 중심으로 하고 있으며, 동시에 외부 기술자문위원회를 통하여 기술자문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창업주이자 기술자문위원장인 반재구 박사는 생명공학연구소 단백질산업기반센터 센터장 및 슈퍼박테리어센터 센터장을 역임하고 있습니다. 기술자문위원회 주요 구성원으로는 효소부문 경상대학교 김선원 교수, 경북대학교 김경진 교수,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이승구 박사 등이 있고, 신약부문 서울의대 김정훈 교수, 전 동아ST 대표이사 부회장 김원배 박사, 프랑스 COUF 대학 C. Chiquet 교수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외부 연구개발 네트워크를 통하여 선진기술 동향, 제품 개발 동향 및 제품개발을 위한 기술자문을 받고 있습니다.

(바-5)  고객 개발 진입 장벽

당사의 고객은 반도체, 식품, 의약, 화장품/구강제품 등 각 분야에서 세계 1~5위를 차지하는 기업들입니다. 이러한 고객을 바탕으로 향후 폭넓은 산업분야와 다양한 고객에게 당사의 제품을 판매할 계획이며, 경쟁업체가 국내·외 유수 기업을 고객으로 확보하여 당사와 경쟁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아. 신규사업 등의 내용과 전망

(1)  제품의 시장 확장

당사는 다양한 산업군(반도체 공정, 제약 생산 공정, 식품 생산 공정, 화장품 원료 생산)에 적용되는 효소의 개발 및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갈락토 올리고당(GOS) 생산시 이용되는 효소인 락타아제(Lactase)를 전세계 2번째로 생산하였으며 락타아제로는 세계 최초로 유럽 식품안전청(European Food Safety Authority; EFSA)에 등록하였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2021년 2월 기준 EFSA에 락타아제로 등록된 유일한 효소 제품입니다.
 

당사는 현재 영국 최대 프리바이오틱스 생산 회사 및 다수의 기업들에게 락타아제를 공급하고 있고, 추가적으로 글로벌 유제품 회사들과 공급을 위한 논의 중에 있습니다. 과산화 수소 분해 시 필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는, 국내 및 해외 글로벌 선도 반도체 기업들로 꾸준히 납품되고 있으며 기존 거래처의 수요 증가와 신규 거래처 증가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Covid-19감염증 진단용 특수 효소인 Proteinase K의 경우, 대규모 생산 공정 확립을 마치고  '21년 2월부터 본격적인 납품을 하고 있으며 신규 고객들과 공급을 위한 논의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이외에도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통해 기존 효소 제품들의 경쟁력을 강화하여 신규 용도 및 고객을 발굴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 확장성이 높은 핵심 기술들을 바탕으로 제품 시장을 확대하기 위해 당사가 아직 진출하지 않은 다양한 산업(의약용, 뷰티용 등)의 제품 포트폴리오도 꾸준히 개발 중입니다. 이러한 맞춤 효소 사업을 기반으로, 당사는 바이오 신약 기업으로 도약하고 있으며 현재 가장 주력하고 있는 부분은 마이크로바이옴 치료제입니다.

현재 마이크로바이옴 치료 방향은,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dysbiosis)를 회복(restore) 또는 억제(resolve)하기 위해 Clostridium Difficile과 같은 장내 병원성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거나 조절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위해 분변 미생물군 이식(Fecal Microbiota Transplantation) 혹은 인체로부터 분리된 미생물을 이식하는 치료가 진행되며, 해당 치료를 통해 면역 기능을 억제 또는 증강시킬 수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미생물 디스플레이 및 고 분비 발현 플랫폼 기술을 활용하여 미생물 유래 유효물질들이 더 나은 활성을 갖도록 개량한 치료 물질을 만들었습니다. 이러한 치료 물질들은 식품으로 인정받을 만큼 안전한 미생물 유래의 항염증성 protease 및 항산화 superoxide dismutase(SOD)등이며 포자에 디스플레이되어 안정하게 장으로 전달됩니다. 장에서 발아한 spore는 세포로 증식되어 질환의 근본적 원인인 ROS를 제어하며 안전하고 지속적인 치료 효과를 구현합니다.

당사의 미생물 공학기술을 통해 개발된 GF-103은 경구용 습성 황반변성 치료를 목표로 2023년 중에 미국 FDA의 임상 시험 승인 신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GF-103의 효과를 다양한 적응증에서 입증하고 있으며 이는 지적재산권으로 확보하여 향후 라이센스 아웃을 통한 수익 창출에 주요하게 사용될 것입니다.
 

또한 자사의 임상 물질 뿐 아니라 국내외 마이크로바이옴 업체들의 신약 후보물질들도 위탁 생산할 수 있는 CDMO 사업으로도 진출할 예정입니다. 그리고 이를 위해 대전 둔곡 지구에 제품 개발 서비스부터 분석 지원 및 제조를 하나로 통합하는 프로세스 형태의 cGMP시설을 구축 중입니다. cGMP 사업을 통해 당사는 임상 개발 비용의 절감, 협력사들에게는 제품 개발 리스크를 분산할 수 있는 생산 시설의 대안을 제공, 유통 적시성 제공, 성공 시의 당사와의 이익 공유 등을 통해 부가 가치를 창출할 예정입니다.

자.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상세 현황은 '상세표-지적재산권 보유현황' 참조


[관련용어 설명]

※상세 현황은 '상세표-관련용어 설명' 참조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ㅇ아래 요약연결재무정보는 K-IFRS 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2022년 2021년 2020년
(제23기 3분기) (제22기) (제21기)
[유동자산] 65,322 37,313 44,339
현금및현금성자산 51,549 25,615 35,559
매출채권및기타채권 5,572 5,882 3,444
재고자산 6,315 4,877 4,307
기타유동자산 1,886 939 1,029
[비유동자산] 81,339 81,210 68,888
투자자산 7,447 7,458 8,547
유형자산 61,900 60,494 53,890
무형자산 3,232 3,361 3,270
기타비유동자산 8,760 9,896 3,181
자산총계 146,661 118,523 113,227
[유동부채] 91,403 51,984 40,891
[비유동부채] 18,679 27,733 27,395
부채총계 110,082 79,717 68,286
자본금 11,263 11,250 11,200
자본잉여금 52,785 52,698 52,485
기타자본구성요소 (4,655) (4,649) (4,625)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2) (159) (846)
이익잉여금 (26,970) (23,861) (18,446)
비지배지분 4,198 3,527 5,173
자본총계 36,579 38,806 44,941
매출액 20,002 25,874 18,769
영업이익(손실) (3,809) (3,834) (4,698)
당기순이익 (2,454) (8,526) (12,125)
기본주당이익 (138) (304) (551)


나. 요약별도재무제표
ㅇ아래 요약재무정보는 K-IFRS 작성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분 2022년 2021년 2020년
(제23기 3분기) (제22기) (제21기)
[유동자산] 44,413 21,604 29,193
현금및현금성자산 36,444 15,086 23,691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716 3,363 2,910
재고자산 3,410 2,467 1,996
기타유동자산 1,843 688 596
[비유동자산] 79,268 74,270 64,979
투자자산 36,059 20,870 21,959
유형자산 32,873 32,818 31,975
무형자산 1,885 2,005 2,063
장기대여금 5,600 15,200 7,000
기타비유동자산 2,851 3,378 1,982
자산총계 123,681 95,874 94,172
[유동부채] 60,271 18,963 24,140
[비유동부채] 588 15,050 16,523
부채총계 60,859 34,013 40,663
자본금 11,263 11,250 11,200
자본잉여금 52,785 52,698 52,485
기타자본구성요소 368 374 398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71) (171) (709)
이익잉여금 (1,423) (2,289) (9,865)
자본총계 62,822 61,861 53,509

종속·관계·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원가법 원가법 원가법
매출액 8,656 10,141 16,717
영업이익(손실) (352) 211 (1,600)
당기순이익 867 6,174 (7,246)
기본주당이익 39 275 (329)


2. 연결재무제표

연결 재무상태표

제 23 기 3분기말 2022.09.30 현재

제 22 기말          2021.12.31 현재

(단위 : 원)

 

제 23 기 3분기말

제 22 기말

자산

   

 유동자산

65,321,663,451

37,312,635,443

  현금및현금성자산

5,156,209,193

6,144,837,860

  단기금융상품

46,392,568,682

19,469,980,918

  매출채권및기타채권

5,572,432,510

5,881,675,628

  재고자산

6,314,590,125

4,877,296,914

  기타유동자산

606,050,336

653,383,551

  당기법인세자산

10,018,940

65,212,810

  유동파생상품자산

1,269,793,665

220,247,762

 비유동자산

81,339,479,800

81,209,880,043

  장기투자자산

6,949,941,180

6,949,941,180

  유형자산

61,899,692,984

60,494,232,722

  투자부동산

496,734,375

508,125,000

  무형자산

3,232,624,545

3,361,244,397

  장기선급비용

116,605,295

76,631,324

  보증금

2,520,274,040

3,111,464,040

  이연법인세자산

6,123,607,381

6,708,241,380

 자산총계

146,661,143,251

118,522,515,486

부채

   

 유동부채

91,403,204,166

51,983,663,141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914,998,594

3,053,583,565

  단기차입금및사채

66,205,055,227

31,658,997,943

  기타유동부채

695,940,687

653,949,317

  전환우선주부채

3,799,957,860

 

  유동파생상품부채

18,525,508,014

16,314,864,450

  유동리스부채

261,743,784

302,267,866

 비유동부채

18,678,526,797

27,733,523,125

  장기차입금및사채

17,850,443,185

26,860,387,779

  장기미지급금

408,449,076

415,575,800

  임대보증금

317,000,000

362,000,000

  장기미지급비용

16,308,463

16,308,463

  비유동리스부채

86,326,073

79,251,083

 부채총계

110,081,730,963

79,717,186,266

자본

   

 지배주주지분

32,381,055,600

35,278,690,636

  자본금

11,262,505,000

11,249,505,000

  자본잉여금

52,785,515,031

52,697,968,021

  기타자본

(4,654,957,228)

(4,648,758,30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41,890,348)

(159,241,330)

  이익잉여금(결손금)

(26,970,116,855)

(23,860,782,751)

 비지배지분

4,198,356,688

3,526,638,584

 자본총계

36,579,412,288

38,805,329,220

자본과부채총계

146,661,143,251

118,522,515,486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23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제 22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단위 : 원)

 

제 23 기 3분기

제 22 기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수익(매출액)

6,639,713,055

20,002,124,403

6,505,691,389

18,601,281,363

매출원가

4,315,706,940

11,973,251,960

4,106,490,469

11,903,227,014

매출총이익

2,324,006,115

8,028,872,443

2,399,200,920

6,698,054,349

판매비와관리비

4,233,441,080

11,837,529,726

3,675,606,871

9,378,094,024

영업이익(손실)

(1,909,434,965)

(3,808,657,283)

(1,276,405,951)

(2,680,039,675)

기타수익

33,719,317

274,342,611

18,981,720

59,589,463

기타비용

7,050,008

9,868,537

383,740

110,638,930

금융수익

1,641,592,330

6,257,714,686

299,244,447

4,131,498,519

금융비용

2,118,102,079

4,480,618,416

1,039,933,346

2,802,609,47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2,359,275,405)

(1,767,086,939)

(1,998,496,870)

(1,402,200,096)

법인세비용(수익)

943,180

686,834,689

3,247,700

(1,720,430,594)

분기순이익(손실)

(2,360,218,585)

(2,453,921,628)

(2,001,744,570)

318,230,498

기타포괄손익

61,640,001

117,350,982

(133,563,989)

947,266,013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1,022,718,115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세후기타포괄손익)

61,640,001

117,350,982

(133,563,989)

(75,452,102)

총포괄손익

(2,298,578,584)

(2,336,570,646)

(2,135,308,559)

1,265,496,511

당분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주주지분

(2,332,440,131)

(3,109,334,104)

(2,135,856,386)

(1,088,703,570)

 비지배기업주주지분

(27,778,454)

655,412,476

134,111,816

1,406,934,068

총 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주주지분

(2,270,800,130)

(2,991,983,122)

(2,269,420,375)

(141,437,557)

 비지배기업주주지분

(27,778,454)

655,412,476

134,111,816

1,406,934,068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04)

(138)

(95)

(49)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104)

(138)

(95)

(49)


연결 자본변동표

제 23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제 22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단위 : 원)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비지배지분

자본  합계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합계

2021.01.01 (기초자본)

11,199,605,000

52,485,147,531

(4,624,693,227)

(846,237,883)

(18,446,468,550)

39,767,352,871

5,173,371,848

44,940,724,719

분기순이익(손실)

       

(1,088,703,570)

(1,088,703,570)

1,406,934,068

318,230,498

해외사업환산손익

     

61,995,960

 

61,995,960

 

61,995,960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1,022,718,115

 

1,022,718,115

 

1,022,718,115

주식선택권의 부여

   

(31,165,548)

   

(31,165,548)

 

(31,165,548)

주식선택권의 행사

49,900,000

212,820,490

     

262,720,490

 

262,720,490

주식보상비용

           

39,962,092

39,962,092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49,900,000

212,820,490

(31,165,548)

   

231,554,942

39,962,092

271,517,034

2021.09.30 (기말자본)

11,249,505,000

52,697,968,021

(4,655,858,775)

238,476,192

(19,535,172,120)

39,994,918,318

6,620,268,008

46,615,186,326

2022.01.01 (기초자본)

11,249,505,000

52,697,968,021

(4,648,758,304)

(159,241,330)

(23,860,782,751)

35,278,690,636

3,526,638,584

38,805,329,220

분기순이익(손실)

       

(3,109,334,104)

(3,109,334,104)

655,412,476

(2,453,921,628)

해외사업환산손익

     

117,350,982

 

117,350,982

 

117,350,98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주식선택권의 부여

           

16,305,628

16,305,628

주식선택권의 행사

13,000,000

87,547,010

(6,198,924)

   

94,348,086

 

94,348,086

주식보상비용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13,000,000

87,547,010

(6,198,924)

   

94,348,086

16,305,628

110,653,714

2022.09.30 (기말자본)

11,262,505,000

52,785,515,031

(4,654,957,228)

(41,890,348)

(26,970,116,855)

32,381,055,600

4,198,356,688

36,579,412,288


연결 현금흐름표

제 23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제 22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단위 : 원)

 

제 23 기 3분기

제 22 기 3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

(2,462,303,480)

(912,483,382)

 분기순이익(손실)

(2,453,921,628)

318,230,498

 분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2,570,414,065

(90,742,611)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2,179,050,193)

(1,102,054,802)

 이자수취(영업)

121,490,103

308,800,642

 이자지급(영업)

(473,066,867)

(300,831,235)

 법인세납부(환급)

(48,168,960)

(45,885,874)

투자활동현금흐름

(29,076,475,784)

(5,864,739,582)

 단기금융상품의 순증감

(25,920,124,434)

(1,514,330,012)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2,544,959,500

 차량운반구의 처분

28,181,818

 

 건물의 취득

(21,335,460)

 

 구축물의 취득

(101,799,900)

 

 기계장치의 취득

(684,984,182)

(315,662,000)

 비품의 취득

(199,773,919)

(702,495,255)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2,712,342,207)

(4,517,274,163)

 소프트웨어의 취득

(4,340,000)

(44,428,710)

 기타무형자산의 취득

(50,000,000)

 

 특허권의 취득

(1,147,500)

(28,624,942)

 보증금의 증가

(22,732,000)

(1,723,304,000)

 보증금의 감소

613,922,000

436,420,000

재무활동현금흐름

30,480,117,384

(54,913,220)

 장기차입금의 증가

5,20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375,000,000)

(125,000,000)

 리스부채의 지급

(262,180,558)

(128,383,520)

 주식선택권의 행사

76,340,600

198,470,300

 전환사채의 발행

23,200,000,000

 

 전환사채의 상환

(1,113,955,518)

 

 전환우선주의 발행

3,799,957,860

 

 임대보증금의 감소

(45,000,000)

 

 주식발행비용

(45,000)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변동

70,033,213

110,755,316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1,058,661,880)

(6,832,136,184)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6,144,837,860

15,332,359,777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5,156,209,193

8,610,978,909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제23(당)기 3분기 2022년 9월 30일 현재
제22(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제노포커스와 그 종속기업


1. 일반사항

(1) 지배기업의 개요
주식회사 제노포커스(이하 "지배기업")는 2000년 4월 1일에 설립되었으며, 효소 및 발효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수출입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5월 29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지배기업의 본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1로 65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2022년 9월 30일로 종료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결재무제표는 지배기업과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이하 "연결실체")에 대한 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지배기업의 2000년 4월 1일 설립시 자본금은 600,000천원이었으나 이후 수차례의 증자 등을 거쳐 당분기말 현재 자본금은 11,262,505천원이며, 주요주주는 반재구(23.93%), 김의중(9.86%)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사명 소재지 업종 결산일 당분기말 전기말
지분율 지분율
Genofocus Biotechnology Inc. 중국 제조업 12월 31일 100.00% 100.00%
(주)지에프퍼멘텍 대한민국 기초 의약물질 및
생물학적 제제 제조업
12월 31일 65.57% 65.57%
(주)바이옴로직 대한민국 단백질 및 효소 제조업 12월 31일 100.00% 100.00%


(3)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
당분기와 전기의 종속기업의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분기말 당분기
자산총액 부채총액 자본총액 매출액 당기순손익 총포괄손익
Genofocus Biotechnology Inc. 1,797,005 976 1,796,029 455,628 109,600 226,951
(주)지에프퍼멘텍 52,457,487 41,694,085 10,763,403 11,458,826 1,943,858 1,943,858
(주)바이옴로직 1,312,697 5,833,226 (4,520,529) 10,851 (5,087,138) (5,087,138)


② 전기

(단위: 천원)
기업명 전기말 전분기
자산총액 부채총액 자본총액 매출액 당기순손익 총포괄손익
Genofocus Biotechnology Inc. 1,572,403 3,325 1,569,078 877,270 190,125 114,672
(주)지에프퍼멘텍 47,006,794 38,203,556 8,803,239 11,790,987 4,086,549 4,086,549
(주)바이옴로직 1,464,814 16,091,145 (14,626,331) - (5,204,104) (5,204,104)


(4) 연결실체의 당분기 및 전분기의 비지배지분에 대한 정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유동자산 18,688,199 14,077,227
비유동자산 33,769,288 32,929,568
유동부채 31,053,749 32,767,585
비유동부채 10,640,336 5,435,971
순자산(*) 10,763,403 8,803,239
비지배지분의 장부금액 4,198,357 3,526,639
매출 11,458,826 11,790,987
당기순이익 1,943,858 4,086,549
총 포괄이익 1,943,858 4,086,549
비지배지분에 배분된 당기순이익 655,412 1,406,934
영업활동현금흐름 1,898,775 3,402,633
투자활동현금흐름 (9,251,250) (6,217,816)
재무활동현금흐름 5,094,306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감 (2,258,169) (2,815,183)

(*) (주)지에프퍼멘텍의 순자산금액에는 사업결합으로 인한 공정가치 평가금액이 포함되지 않았습니다.

(5) 연결대상범위의 변동
당분기 및 전기 중 연결대상범위의 변동은 없습니다.


2. 재무제표의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은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당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연결실체의 회계정책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1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정책
연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 현재 유효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당기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기 연차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과 공시

1) 연결실체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연결실체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참조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는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정의를 충족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 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개정 기준서는 경영진이 의도한 방식으로 유형자산을 가동할 수 있는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동안에 생산된 재화를 판매하여 얻은 매각금액과 그 재화의 원가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이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한 매각금액과 원가를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개정 기준서는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는 계약을 이행하는 데 드는 증분원가와 계약을 이행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그 밖의 원가 배분액으로 구성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rent concession)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1년 4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마)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2018-2020 연차개선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관련 수수료에 차입자와 대여자 사이에서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상대방을 대신하여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 포함)만 포함된다는 개정내용을 포함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리스인센티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에 대한 일부 개정내용이 있습니다. 동 연차개선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기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연결실체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연결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부채의 분류는 기업이 보고기간 후 적어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부채가 비유동부채로 분류되는 기준을 충족한다면, 경영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부채의 결제를 의도하거나 예상하더라도, 또는 보고기간말과 연결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사이에 부채를 결제하더라도 비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한, 부채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할 때 부채의 결제조건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으로 분류되고 동 옵션을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동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 1001호 '연결재무제표 표시' (개정)
 
개정 기준서는 공시 대상 회계정책 정보를 '유의적인' 회계정책에서 '중요한' 회계정책으로 바꾸고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의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개정 기준서는 '회계추정치'를 측정불확실성의 영향을 받는 연결재무제표상 화폐금액으로 정의하고, 회계추정치의 예를 보다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새로운 정보의 획득, 새로운 상황의 전개나 추가 경험의 축적으로 투입변수나 측정기법을 변경한 경우 이러한 변경이 전기오류수정이 아니라면 회계추정치의 변경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전진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 1012호 '법인세' (개정)
 
개정 기준서는 이연법인세 최초 인식 예외규정을 추가하여 단일 거래에서 자산과 부채를 최초 인식할 때 동일한 금액으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생기는 경우 각각 이연법인세 부채와 자산을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단일 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관련되는 이연법인세'는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에 적용하며,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에 이미 존재하는 (1)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 (2) 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부채 및 이에 상응하여 자산 원가의 일부로 인식한 금액에 관련되는 모든 차감할 일시적 차이와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며, 최초 적용 누적 효과를 이익잉여금(또는 자본의 다른 구성요소) 기초 잔액을 조정하여 인식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영업부문
(1) 연결실체의 영업부문은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과 신약 개발 사업부문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업부문은 연결실체의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내부 보고자료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당분기와 전분기 영업부문의 부문별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2) 영업부문별 정보
1) 영업부문의 당기손익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효소/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효소/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매출액 20,002,124 - 20,002,124 18,601,281 - 18,601,281
영업비용(*) 18,091,113 5,719,669 23,810,782 16,327,836 4,953,485 21,281,321
영업이익(손실) 1,911,012 (5,719,669) (3,808,657) 2,273,445 (4,953,485) (2,680,040)

(*)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산한 금액입니다.

2) 영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효소/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효소/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유동자산 64,699,800 621,863 65,321,663 36,646,211 666,425 37,312,635
비유동자산 79,253,444 2,086,036 81,339,480 79,140,026 2,069,854 81,209,880
자산총계 143,953,244 2,707,899 146,661,143 115,786,237 2,736,278 118,522,515
부채총계 104,248,505 5,833,226 110,081,731 63,626,041 16,091,145 79,717,186


3) 연결실체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곳의 외부고객으로부터 발생한 매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영업부문
A사 6,559,910 -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B사 3,960,024 -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C사 - 8,276,315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합  계 10,519,934 8,276,315


(3) 지역별 부문정보
1) 지역별 자산과 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천원)
구  분 국내 중국 합  계
유동자산 63,527,471 1,794,193 65,321,663
비유동자산 81,336,667 2,812 81,339,480
자산 계 144,864,138 1,797,005 146,661,143
유동부채 91,402,229 976 91,403,204
비유동부채 18,678,527 - 18,678,527
부채 계 110,080,755 976 110,081,731


② 전기말

(단위:천원)
구  분 국내 중국 합  계
유동자산 35,743,094 1,569,541 37,312,635
비유동자산 81,207,018 2,862 81,209,880
자산 계 116,950,112 1,572,403 118,522,515
유동부채 51,980,338 3,325 51,983,663
비유동부채 27,733,523 - 27,733,523
부채 계 79,713,861 3,325 79,717,186


2) 지역별 매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지  역 당분기 전분기
국내 11,374,305 13,864,130
미국 1,743,391 679,280
네덜란드 3,962,762 844,280
영국 707,211 1,251,817
기타 2,214,455 1,961,774
합  계 20,002,124 18,601,281


5. 위험관리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연결실체는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본 주석은 연결실체가 노출되어 있는 위의 위험에 대한 정보와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목표,정책, 위험 평가 및 관리 절차, 그리고 자본관리에 대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 계량적 정보에 대해서는 본 연결재무제표 전반에 걸쳐서 공시되어 있습니다.

(1) 금융위험관리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감독할 책임은 이사회에 있습니다. 이사회는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정책을 개발하고 감독하고 있으며 중장기 경영계획 및 단기 경영전략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받고 승인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위험관리 정책은 연결실체가 직면한 위험을 식별 및 분석하고, 적절한 위험 한계치 및 통제를 설정하고, 위험이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립되었습니다. 위험관리 정책은 시장 상황과 연결실체의 활동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훈련 및 관리기준, 절차를 통해 모든 종업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의무를 이해할 수 있는 엄격하고 구조적인 통제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신용위험

①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를 나타냅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5,156,209 6,144,838
단기금융상품 46,392,569 19,469,981
매출채권및기타채권 5,572,432 5,881,676
장기투자자산 5,669,606 5,669,606
파생상품자산 1,269,794 220,248
보증금 2,520,274 3,111,464
합  계 66,580,884 40,497,812


② 손상차손

연결실체는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보증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여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매출채권 대해서는 연체 외에 제각되기까지의 가능성을기초로 한 'Roll-Rate' 방법을 이용하여 기대손실을 측정합니다. 당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보증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과 각 연령별로 손상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기대손실율 채권잔액 손상된 금액 장부금액
3개월 이하 - 6,746,979 - 6,746,979
3~6개월 - 136,646 - 136,646
6~9개월 - - - -
9~12개월 - - - -
12개월 초과 16.80% 1,453,166 (244,084) 1,209,082
합  계 8,336,791 (244,084) 8,092,707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보증금의 연령 및 각 연령별로 손상된 채권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전기말
기대손실율 채권잔액 손상된 금액 장부금액
3개월 이하 - 6,907,720 - 6,907,720
3~6개월 - 727,949 - 727,949
6~9개월 - - - -
9~12개월 - 36,306 - 36,306
12개월 초과 12.08% 1,502,743 (181,578) 1,321,165
합  계 9,174,718 (181,578) 8,993,140


당분기와 전기 중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보증금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기중 변동내역은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기초금액 181,578 172,127
대손상각비(환입) 55,610 (6,028)
기타의대손상각비 - -
제각 (3,851) -
환율변동효과 10,747 15,479
기말금액 244,084 181,578


2) 유동성위험

①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액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하고, 상계약정의 효과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장부금액 계약상현금흐름 3개월미만 3개월~1년 1년~5년 5년~10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914,999 1,914,999 1,914,999 - - -
단기차입금(*) 20,575,000 20,697,842 185,741 20,512,101  -  -
장기차입금 17,850,443 19,315,282 101,840 302,200 16,781,484 2,129,758
전환사채 45,630,055 52,016,038 9,620,100 18,258,658 24,137,280 -
전환우선주부채 3,799,958 3,799,958 - 3,799,958  -  -
장기미지급금 408,449 408,449  -  - 408,449  -
파생상품부채 18,525,508 18,525,508 418,724 11,757,819 6,348,965  -
리스부채 348,070 374,217 117,229 159,238 97,750  -
장기미지급비용 16,308 16,308  -  - 16,308  -
임대보증금 317,000 317,000 - - 317,000 -
합  계 109,385,790 117,385,601 12,358,633 54,789,974 48,107,236 2,129,758

(*) 단기차입금의 현금흐름에는 유동성 대체된 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②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액은 이자지급액을 포함하고, 상계약정의 효과는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장부금액 계약상현금흐름 3개월미만 3개월~1년 1년~5년 5년~10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3,053,584 3,053,584 3,053,584 - - -
단기차입금(*) 6,500,000 6,822,581 234,397 6,588,184  -  -
장기차입금 26,860,388 27,971,698 182,431 1,278,047 19,809,107 6,702,113
전환사채 25,158,998 39,476,658  - 10,609,000 28,867,658 -
장기미지급금 415,576 415,576  - 29,754 385,822  -
파생상품부채 16,314,864 16,314,864  - 13,472,181 2,842,683  -
리스부채 381,519 395,911 37,806 269,563 88,543  -
장기미지급비용 16,308 16,308  -  - 16,308  -
임대보증금 362,000 362,000 - - 362,000 -
합  계 79,063,237 94,829,180 3,508,217 32,246,729 52,372,122 6,702,113

(*) 단기차입금의 현금흐름에는 유동성 대체된 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환위험
① 환위험에 대한 노출

연결실체의 환위험에 대한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USD EUR USD EUR
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1,198,033 136,711 1,072,706 -
단기금융상품 3,024,618 2,136,237 830,24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266,353 2,206,288 3,015,532 -
자산합계 5,489,004 4,479,237 4,918,479 -
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75,103 - 231,635 -
순외화자산 5,313,901 4,479,237 4,686,844 -


당분기와 전기에 적용된 환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원)
구 분 평균 환율 기말 환율
당분기 전분기 당분기말 전기말
USD 1,268.90 1,131.01 1,434.80 1,185.50
EUR 1,347.13 1,352.89 1,408.83 1,342.34


② 민감도분석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원화의 USD 대비 환율이 높았다면, 연결실체의 자본과 손익은 증가하였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분석은 연결실체가 각 기말에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정도의 변동을 가정한 것입니다. 또한, 민감도 분석 시에는 이자율과 같은 다른 변수는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전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나,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환율 변동의 정도는 다릅니다. 구체적인 자본 및 손익의 변동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USD 531,390 (531,390) 468,684 (468,684)
EUR 447,924 (447,924) - -


4) 이자율위험
①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이자부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 전기말
고정이자율 :
 금융자산 14,385,705 7,348,211
 금융부채 (69,850,443) (47,410,388)
합  계 (55,464,738) (40,062,176)
변동이자율 :
 금융자산 37,163,072 18,266,607
 금융부채 (16,775,000) (11,950,000)
합  계 20,388,072 6,316,607


② 고정이자율 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민감도 분석
연결실체는 고정이자율 금융상품을 당기손익인식금융상품으로 처리하고 있지 않으며, 이자율스왑과 같은 파생상품을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의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이자율의 변동은 손익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③ 변동이자율 금융상품의 현금흐름 민감도 분석
당분기말 현재 이자율이 100베이시스포인트 변동한다면, 자본과 손익은 증가 또는 감소하였을 것입니다. 이 분석은 환율과 같은 다른 변수는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으며, 당분기 중 구체적인 자본 및 세전손익의 변동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손익 자본
100bp상승 100bp하락 100bp상승 100bp하락
순금융자산 203,881 (203,881) 203,881 (203,881)


5) 공정가치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에 해당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하지않은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공정가치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천원)
구분 장부금액 수준1 수준2 수준3 합계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5,667,213  -  - 5,667,213 5,667,21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1,280,335  -  - 1,280,335 1,280,335
파생상품자산 1,269,794  -  - 1,269,794 1,269,794
합 계 8,217,342  -  - 8,217,342 8,217,342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3,799,958  -  - 3,799,958 3,799,958
파생상품부채 18,525,508  -  - 18,525,508 18,525,508
합 계 22,325,466  -  - 22,325,466 22,325,466


② 전기말

(단위:천원)
구분 장부금액 수준1 수준2 수준3 합계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5,667,213 - - 5,667,213 5,667,21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1,280,335 - - 1,280,335 1,280,335
파생상품자산 220,248 - - 220,248 220,248
합 계 7,167,796 - - 7,167,796 7,167,796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 - - - -
파생상품부채 16,314,864 - - 16,314,864 16,314,864
합 계 16,314,864 - - 16,314,864 16,314,864

③ 공정가치 서열 수준3의 변동내역
당분기 중 수준 1과 수준 2간의 대체는 없었으며, 공정가치로 측정된 금융상품 중 서열 수준3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기초금액 취득 처분 공정가치 변동액 합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장기투자자산 6,947,548 - - - 6,947,548
파생상품자산 220,248 1,269,794 (12,519) (207,729) 1,269,794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 3,799,958 - - 3,799,958
파생상품부채 16,314,864 6,348,965 (46,525) (4,091,796) 18,525,508


(2) 자본관리

연결실체의 정책은 투자자와 채권자, 시장의 신뢰 및 향후 발전을 위해 자본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연결실체의 자본관리는 이사회에서 주기적으로 부채비율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당분기말과 전기말의 자본관리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채총계 110,081,731 79,717,186
자본총계 36,579,412 38,805,329
부채비율 300.94% 205.43%



6. 현금및현금성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보통예금 등 5,156,209 6,144,838


7. 단기금융상품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단기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정기예적금 등 1,500,000 500,000
MMF 44,892,569 18,969,981
합  계 46,392,569 19,469,981



8. 매출채권및기타채권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은 대손충당금이 차감된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었는바,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대손충당금 차감전 총액 기준에 의한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대손충당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총장부금액 대손충당금 순장부금액 총장부금액 대손충당금 순장부금액
유동항목:
매출채권 5,547,337 (60,945) 5,486,392 5,839,391 (5,335) 5,834,057
단기대여금 153,479 (153,479) - 143,178 (143,178) -
미수수익 69,683 (6,660) 63,023 20,634 (6,214) 14,420
미수금 46,018 (23,000) 23,018 49,855 (26,851) 23,004
보증금 - - - 10,195 - 10,195
유동항목 합계 5,816,517 (244,084) 5,572,433 6,063,254 (181,578) 5,881,676
비유동항목:
보증금 2,520,274 - 2,520,274 3,111,464 - 3,111,464
비유동항목 합계 2,520,274 - 2,520,274 3,111,464 - 3,111,464


9. 재고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제품 4,337,878 (819,074) 3,518,804 3,695,727 (816,672) 2,879,054
상품 252,662 - 252,662 183,415  - 183,415
재공품 2,112,453 (35,721) 2,076,732 1,504,649 (35,721) 1,468,928
원재료 493,669 (27,277) 466,392 356,729 (10,829) 345,900
합  계 7,196,662 (882,072) 6,314,590 5,740,519 (863,222) 4,877,297

10. 기타유동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연구참여부담금 21,259 -
선급금 325,704 335,604
선급비용 176,384 136,185
부가세대급금 82,703 181,595
합  계 606,050 653,384


11. 장기투자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장기투자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범 주 지분율 당분기말 전기말
지분증권:
(주)성운파마코피아(*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2.73% - -
(주)바오밥에이바이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6.33% 1,280,335 1,280,335
채무증권:
(주)프로바이오닉(*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채무상품 전환사채 - -
(주)MD헬스케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채무상품 전환사채 5,667,213 5,667,213
대전광역시 지역개발채권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2,393 2,393
합  계
6,949,941 6,949,941

(*1) 전기말 이전 (주)성운파마코피아 지분증권에 대하여 장부가액 999,806천원을 전액 기타포괄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2) 전기말 (주)프로바이오닉 채무상품에 대하여 장부가액 1,953,107천원을 전액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2) 당분기와 전기 중 장기투자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기초장부금액 6,949,941 8,023,349
취득 - -
처분 - (2,544,960)

평가손익-당기손익

- (619,797)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 2,091,348
기말장부금액 6,949,941 6,949,941

12. 유형자산

(1) 당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건설중인
자산
(*1)
사용권자산
(부동산)
사용권자산
(차량운반구)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6,888,534 11,248,006 1,949,540 33,308,100 446,489 2,905,335 18,614,150 572,269 102,145 76,034,566
취득금액 - 21,335 101,800 714,984 - 199,774 3,179,568 257,940 - 4,475,401
처분금액 - - - (8,360) (43,255) - - (196,860) - (248,475)
대체금액 - 1,337,350 51,750 6,192,854 - 32,275 (7,614,229) - - -
환율변동효과 - - - 3,546 - - - - - 3,546
기말금액 6,888,534 12,606,691 2,103,090 40,211,124 403,234 3,137,384 14,179,489 633,349 102,145 80,265,039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 (2,265,319) (496,769) (10,921,496) (254,893) (1,311,261) - (253,820) (36,775) (15,540,332)
감가상각비 - (256,313) (74,769) (2,021,609) (53,837) (346,647) - (235,569) (15,905) (3,004,650)
처분금액 - - - 5,852 22,529 - - 154,852 - 183,233
환율변동효과 - -  - (3,596) - - - - - (3,596)
기말금액 - (2,521,632) (571,538) (12,940,849) (286,202) (1,657,908) - (334,537) (52,680) (18,365,345)
순장부금액:
기초금액 6,888,534 8,982,687 1,452,771 22,386,604 191,596 1,594,074 18,614,149 318,449 65,370 60,494,233
기말금액 6,888,534 10,085,059 1,531,552 27,270,275 117,033 1,479,476 14,179,489 298,812 49,464 61,899,694

(*1) 당기 중 차입원가자본화로 자본화 된 이자비용은 467,226천원이며, 특정차입금 자본화이자율은 1.5%  및 1.72%입니다.

(2) 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건설중인자산
(*1)
사용권자산
(부동산)
사용권자산
(차량운반구)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6,565,335 10,343,102 1,879,540 30,561,669 446,489 2,134,115 13,889,140 221,041 36,642 66,077,073
취득금액 323,198 901,604 70,000 2,259,613 - 914,220 5,216,619 515,568 65,503 10,266,325
처분금액 - - - - - (143,000) - (164,340) - (307,340)
대체금액 - 3,300 - 481,710 - - (491,610) - - (6,600)
환율변동효과 - - - 5,108 - - - - - 5,108
기말금액 6,888,533 11,248,006 1,949,540 33,308,100 446,489 2,905,335 18,614,149 572,269 102,145 76,034,566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 (1,966,964) (404,199) (8,538,118) (178,303) (962,615) - (120,949) (16,285) (12,187,433)
감가상각비 - (298,355) (92,570) (2,378,211) (76,590) (383,079) - (248,266) (20,490) (3,497,561)
처분금액 - - - - - 34,433 - 115,395 - 149,828
환율변동효과 - - - (5,167) - - - - - (5,167)
기말금액 - (2,265,319) (496,769) (10,921,496) (254,893) (1,311,261) - (253,820) (36,775) (15,540,333)
순장부금액:
기초금액 6,565,335 8,376,138 1,475,341 22,023,551 268,186 1,171,500 13,889,140 100,092 20,357 53,889,640
기말금액 6,888,533 8,982,687 1,452,771 22,386,604 191,596 1,594,074 18,614,149 318,449 65,370 60,494,233

(*1) 전기 중 차입원가자본화로 자본화 된 이자비용은 650,534천원이며, 특정차입금 자본화 이자율은 1.72%입니다.


(3) 연결실체의 토지 및 건물 및 기계장치의 일부는 연결실체의 차입약정에 대한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 23 참조).

13. 투자부동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과  목 소재지 당분기말 전기말
토  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87 52,500 52,500
건  물 444,234 455,625
합 계 496,734 508,125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상기의 투자부동산에 대해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임대수익 35,028원(전분기: 35,028원)과 감가상각비 11,391천원(전분기: 11,391천원) 입니다.

14. 무형자산

(1) 당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산업재산권 개발비 소프트웨어 회원권 영업권 기타의무형자산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242,524 15,450,231 477,855 15,494 514,075 330,996 17,031,175
내부창출 - - - - - - -
외부구입 1,148 - 3,090 - - 50,000 54,238
기말금액 243,672 15,450,231 480,945 15,494 514,075 380,996 17,085,413
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41,758) (13,129,786) (241,761) - - (60,801) (13,474,105)
무형자산상각비 (9,401) (153,618) (36,499) - - (16,561) (216,080)
손상차손(기타) - - - - - - -
기말금액 (51,158) (13,283,404) (278,260) - - (77,362) (13,690,185)
정부보조금:
기초금액 - (142,902) (52,923) - - - (195,826)
증가금액 - - 1,250 - - - 1,250
무형자산상각비 - 24,010 7,962 - - - 31,972
기말금액 - (118,892) (43,711) - - - (162,603)
장부금액:
기초금액 200,767 2,177,543 183,171 15,494 514,075 270,195 3,361,244
기말금액 192,513 2,047,935 158,973 15,494 514,075 303,634 3,232,624


(2) 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산업재산권 개발비 소프트웨어 회원권 영업권 기타의무형자산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170,899 15,450,230 431,876 15,494 514,075 130,996 16,713,570
외부구입 71,625 - 45,979 - - 200,000 317,604
기말금액 242,524 15,450,230 477,855 15,494 514,075 330,996 17,031,174
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29,911) (12,932,724) (194,828) - - (47,934) (13,205,397)
무형자산상각비 (11,828) (197,062) (46,933) - - (12,867) (268,690)
손상차손 (18) - - - - - (18)
기말금액 (41,757) (13,129,786) (241,761) - - (60,801) (13,474,105)
정부보조금:
기초금액 - (174,917) (63,539) - - - (238,456)
증가금액 - - - - - - -
무형자산상각비 - 32,015 10,616 - - - 42,631
기말금액 - (142,902) (52,923) - - - (195,825)
장부금액:
기초금액 140,988 2,342,589 173,509 15,494 514,075 83,062 3,269,717
기말금액 200,767 2,177,542 183,171 15,494 514,075 270,195 3,361,244


(3) 개발비

① 개발비의 자산화 기준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기반기술 개발, 유전자원 발굴, 단백질 개량, 생산균주 개량 등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연결실체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개량 단계부터 발생한 지출을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연구개발비로 보아 당기 비용처리하고 있습니다.

②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손상차손이 발생한 개발비는 없습니다.


③ 중요한 개별 무형자산에 대한 설명

(단위: 천원)
분  류 개별자산명 장부금액 잔여상각기간
개발비 GFT VK2 560,421 10년
바이오 소재 전환 효소 GFLB1 (*1) 448,823 10년
기능성 식품용 효소 GFSP 4,943 3개월
기능성 화장품용 소재 GFRT(*2) 1,006,624 -
기타 27,124 -
합 계 2,047,935

(*1) 바이오 소재 전환 효소 GFLB1은 면역증강 바이오 소재 제조용 효소 연구개발 프로젝트로, 전기부터 국내외 거래처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2) 기능성 화장품용 소재 GFRT는 바이오레티놀 연구개발 프로젝트 입니다.

④ 당분기와 전분기에 비용으로 인식한 연구개발 관련 지출총액
당분기와 전분기 중 비용으로 인식한 연구 및 개발 지출의 총액은 각각 8,188,263천원과 7,060,801천원이며 전액 경상연구개발비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15.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유동
 매입채무 483,013 1,045,274
 미지급금 449,233 1,574,972
 미지급비용 982,753 433,338
소  계 1,914,999 3,053,584
비유동
 미지급금 408,449 415,576
 미지급비용 16,309 16,308
소  계 424,758 431,884
합  계 2,339,756 3,485,468


16. 차입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차입처 내역 이자율(%) 당분기말 전기말 만기일
단기차입금
신한은행 운영자금 3.46% 6,000,000 6,000,000 2023년 05월 29일
소  계 6,000,000 6,000,000
장기차입금
한국산업은행 시설자금 1.50~3.89% 24,600,000 19,400,000 2023년 01월 31일 외
신한은행 운영자금 4.46% 375,000 750,000 2023년 06월 30일
케이투레페리오투자조합 재매입약정(*1) 재매입약정 5,707,896 5,524,032 2023년 09월 27일
프리미어글로벌이노베이션1호투자조합 외 2개사 재매입약정(*2) 재매입약정 1,742,548 1,686,356 2023년 12월 31일
소  계 32,425,443 27,360,388
유동성대체 (20,282,896) (500,000)
합  계 12,142,548 26,860,388

(*1) 전기 이전 종속기업인 (주)지에프퍼멘텍 주식 87,981주를 케이투레페리오투자조합에 매각하였으나, 2023년 9월 27일까지 (주)지에프퍼멘텍이 기업공개(IPO)를 하지 못할 경우 매수자가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에 따라 차입거래로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23참조).
(*2) 전기 이전 종속기업인 (주)지에프퍼멘텍 주식 25,435주를 프리미어글로벌이노베이션1호투자조합 외 2개사에 매각하였으나, 2023년 12월 31일까지 (주)지에프퍼멘텍이 기업공개(IPO)를 하지 못할 경우 매수자가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부여함에 따라 차입거래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주석23참조).

(2) 당분기 및 전기 중 신규로 차입하거나 상환된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기초 33,360,388 33,299,893
차입 5,200,000 -
상환 (375,000) (250,000)
상각(이자비용) 240,055 310,495
기말 38,425,443 33,360,388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의 상환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1년 이내 1년 ~ 2년 이내 2년~ 5년 이내 5년 이후 합계
단기차입금 6,000,000 - - - 6,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 14,575,000 - - - 14,575,000
장기차입금 - 7,787,896 7,982,548 2,080,000 17,850,443
합  계 20,575,000 7,787,896 7,982,548 2,080,000 38,425,443


17. 전환사채
(1) 연결실체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기업명

(주)지에프퍼멘텍 (주)제노포커스

구분

내역

내역 내역 내역 내역 내역

사채의 명칭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사채의 종류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액면금액

10,000,000

3,000,000 2,000,000 1,000,000 10,000,000 23,200,000

발행금액

10,000,000

3,000,000 2,000,000 1,000,000 10,000,000 23,200,000

발행일

2019년 12월 30일

2020년 01월 07일 2020년 09월 23일 2020년 09월 23일 2020년 08월 24일 2022년 07월 06일

만기일

2024년 12월 30일

(단, 투자자가 요청하는 경우 1년의 범위내에서 만기일을 연장)

2025년 01월 07일

(단, 투자자가 요청하는 경우 1년의 범위내에서 만기일을 연장)

2025년 09월 23일
(단, 투자자가 요청하는 경우 1년의 범위내에서 만기일을 연장)
2025년 09월 23일
(단, 투자자가 요청하는 경우 1년의 범위내에서 만기일을 연장)
2025년 08월 24일
(단, 투자자가 요청하는 경우 1년의 범위내에서 만기일을 연장)
2027년 07월 06일

표면이자율

0%

0%

0% 0% 0% 0%

보장수익률

4.50%

4.50%

4.50% 4.50% 3.00% 2.00%

전환청구기간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전환가격

56,830원

56,830원

73,879원 73,879원 5,881원 5,747원

보장수익률의
상향 조정

발행일로부터 4년 내에 발행회사의 상장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로서 만기일까지 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주)제노포커스)이 상법 및 관계 법령 등에서 양사의 합병에 요구하는 절차를 이행하지 않는 경우(발행회사와 이해관계인의 이사회에서 합병결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발행회사의 주주총회에서 합병결의가 이루어지지 않거나 이해관계인의 주주총회에서 이해관계인의 최대주주(반재구, 김의중) 및 그 특수관계인이 합병안건에 반대하는 경우 포함)에는 보장수익률을 연복리 15%로 상향 조정한다. 다만 위 합병과정에서 위 합병에 반대하는 이해관계인 주주들의 주식매수청구금액의 합계액이 13,000,000,000원을 초과하여 위 합병이 무산되는 경우에는 보장수익률을 상향 조정하지 아니한다.

- -
사채권자의
조기상환청구권
발행일로부터 3년이 되는 날, 발행일로부터 4년이 되는 날, 발행일로부 터 5년이 되는 날에 본건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로부터 매3개월이 해당되는 날 본건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로부터 매3개월이 해당되는 날 본건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회사의 매도청구권 - 발행일로부터 18개월이 되는 날부터 24개월이 되는 날까지 사채발행가액의 10% 내에서 본건 사채 일부를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부터 24개월이 되는 날까지 사채 발행가액의 20% 내에서 본건 사채 일부를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전환가격 조정

(1) 발행회사가 유상증자를 실시하거나 전환사채를 발행하거나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거나 기타 주식연계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 1주당 발행가격, 전환가격 및 행사가격(이하 "해당 1주당 발행가격 등"이라 한 다) 등이 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을 해당 1주당 발행가격 등으로 조정한다.

(2) 발행회사가 투자자의 전환청구가 있기 전에 주식배당 또는 무상증자를 통해 주식을 발행하는 경우 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은 매번 다음과 같이 조정한다.

조정 후 전환가격 = 조정 전 전환가격 / (1+주식배당율 또는 무상증자비율)

(3) 발행회사의 분할 또는 합병, 발행회사 발행 주식의 분할 또는 병합 등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그 사유가 발생하기 전에 본건 사채가 전환 되었더라면 투자자가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가 보장되도록 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4) 발행회사 발행 보통주식의 상장 시 공모가격을 30% 할인한 가격(이하 "공모가격의 할인가격"이라 한다)이 상장 직전의 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전환가격을 공모가격의 할인가격으로 조정한다.

(5) 발행회사가 다른 회사와 합병, 주식의 포괄적 교환, 주식의 포괄적 이전 등을 통하여 기업결합을 하거나 다른 회사에 피인수되는 경우 해당 거래에 적용된 발행회사 1주당 주식평가액의 70%(이하 "주식평가액의 할인가격"이라 한다)에 해당하는 금액이 직전 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을 하회하는 경우 본건 사채의 전환가격을 1주당 주식평가액의 할인가격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조정한다.

(6) 기타 합리적으로 보아 전환가격 조정이 필요한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투자자에 불리하지 않도록 전환가격을 조정한다.

(1) 본 사채를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액

D: 시가

(2)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인수인이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3)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4) 위 (1)목 내지 (3)목 과는 별도로 본 사채 발행 후 6개월이 경과한 날로부터 그 날을 포함하여 매 3개월이 되는 날을 전환가액 조정일로 하고, 각 전환가액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하여 산정한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본 라목 및 마목에서 “시가산정액”)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전환가액보다 낮은 경우 동 낮은 가액을 새로운 전환가액으로 한다.

(1) 본 사채를 소유한 자가 전환청구를 하기 전에 발행회사가 시가를 하회하는 발행가액으로 주식을 발행하거나 또는 시가를 하회하는 전환가액 또는 행사가액으로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에는 아래와 같이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조정 후 전환가액 = 조정 전 전환가액 × [{A+(B×C/D)} / (A+B)]

A: 기발행주식수

B: 신발행주식수

C: 1주당 발행가액

D: 시가

(2) 합병, 자본의 감소, 주식분할 및 병합 등에 의하여 전환가액의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당해 사유 발생 직전에 전환권이 행사되어 전액 주식으로 전환되었더라면 인수인이 가질 수 있었던 주식수에 따른 가치에 상응하도록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3) 감자 및 주식 병합 등 주식가치 상승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감자 및 주식 병합 등으로 인한 조정비율만큼 상향하여 반영하는 조건으로 전환가액을 조정한다.  
(4) 위 (1)목 내지 (3)목 과는 별도로 본 사채 발행 후 6개월이 경과한 날(2023년 1월 6일)로부터 그 날을 포함하여 매 6개월이 되는 날을 전환가액 조정일로 하고, 각 전환가액 조정일 전일을 기산일로 하여 그 기산일로부터 소급하여 산정한1개월 가중산술평균주가, 1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액과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 중 높은 가액(본 라목 및 마목에서 “시가산정액”)이 해당 조정일 직전일 현재의 전환가액보다 낮은 경우 동 낮은 가액을 새로운 전환가액으로 한다.

(*) 연결실체는 전환권과 매도청구권을 각각 파생상품부채와 파생상품자산으로 인식하였습니다.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전환사채와 관련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분기말

전기말

전환사채

48,200,000 26,000,000

사채상환할증금

3,816,038 2,867,658

전환권조정

(6,385,983) (3,708,660)

순액

45,630,055 25,158,998
파생상품부채 18,525,508 16,314,864
합계 64,155,563 41,473,862


18. 기타유동부채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예수금 410,660 398,972
선수금 285,281 254,978
합  계 695,941 653,949


19. 리스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초자산 유형별 사용권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동산 298,812 318,449
차량운반구 49,464 65,370
합  계 348,276 383,819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와 관련해 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 전분기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251,474 114,484

  부동산

235,569 99,332
  차량운반구 15,905 15,152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14,364 12,006

단기리스료

4,050 4,050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

1,260 1,260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각각 281,854천원 및 145,700천원입니다.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 전기말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1년 이내 276,466 261,744 307,368 302,268
1년 초과 5년 이내 97,750 86,326 90,578 79,251
합  계 374,216 348,070 397,947 381,519


(4)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 전기말
유동 261,744 302,268
비유동 86,326 79,251
합  계 348,070 381,519


20. 종업원급여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된 종업원급여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2,316,302 6,587,726 1,720,225 4,859,334
주식보상비용 (8,819) 34,313 29,049 73,047
확정기여형 퇴직급여제도 관련 비용 165,214 506,723 135,516 387,837
합  계 2,472,697 7,128,762 1,884,790 5,320,218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종업원급여 관련 부채 금액은 다음과 같으며,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미지급비용 및 장기미지급비용 계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연차수당 관련 미지급비용 368,183 278,101
퇴직금 관련 미지급비용 521,138 424,696
장기근속수당 관련 미지급비용 37,301 37,602
합  계 926,622 740,398


21. 자본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수권주식수 100,000,000주 100,000,000주
주당금액(원) 500원 500원
보통주발행주식수 22,525,010주 22,499,010주
우선주발행주식수 - -
보통주자본금 11,262,505 11,249,505
우선주자본금 - -
자본금합계 11,262,505 11,249,505


(2) 당분기와 전기 중 자본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주,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말
보통주 보통주
주식수 자본금 주식수 자본금
기초 22,499,010 11,249,505 22,399,210 11,199,605
전환우선주의 전환 - - - -
주식매입선택권 행사 26,000 13,000 99,800 49,900
기말 22,525,010 11,262,505 22,499,010 11,249,505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주식발행초과금 52,785,515 52,697,968


(4)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자본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주식매입선택권 364,831 371,030
기타자본잉여금 (5,019,788) (5,019,788)
합  계 (4,654,957) (4,648,758)


(5)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해외사업환산손실 129,425 12,07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실 (171,315) (171,315)
합  계 (41,890) (159,241)



22. 주식기준보상

(1)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기준보상약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주)제노포커스(지배기업)

구  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최초부여일 2014년 03월 31일 2014년 09월 25일 2015년 05월 19일 2016년 08월 10일 2017년 03월 10일 2018년 09월 14일
최초부여수량(주) 446,000 80,000 45,000 65,000 5,000 50,000
소멸수량(주) 101,600 12,000 - - - -
행사수량(주) 586,500 128,000 90,000 23,000 4,000 10,000
무상증자 조정수량(주)(*1) 242,100 60,000 45,000 65,000 5,000 -
당분기말수량(주) - - - 107,000 6,000 40,000
당분기말 현재 행사가능수량(주) - - - 81,000 4,000 20,000
행사가격(*1) 1,750원 1,750원 3,500원 12,152원 8,994원 9,344원
행사기간 및 조건 부여일로부터 최소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 후 1년 후부터 연간 최대 20%씩 10년 이내에 행사

(*1) 2018년 이사회결의로 인해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무상증자 직전의 잔여 부여수량 및 행사가격이 조정되었습니다.

② (주)지에프퍼멘텍(종속기업)

구  분 1차 2차
최초부여일 2018년 03월 29일 2021년 03월 24일
최초부여수량(주) 5,280 28,900
소멸수량(주) - -
행사수량(주) - -
당기말수량(주) 5,280 28,900
당기말 현재 행사가능수량(주) - -
행사가격 18,795원 56,830원
행사기간 및 조건 부여일로부터 최소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 후 1년 후부터 연간 최대 20%씩 10년 이내에 행사


(2) 부여일 현재의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주)제노포커스(지배기업)

구  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부여일 2014년 3월 31일 2014년 9월 25일 2015년 5월 19일 2016년 8월 10일 2017년 3월 10일 2018년 9월 14일
부여일 현재 추정주가(*1,2) 2,540원 2,540원 4,405원 12,275원 9,200원 9,760원
행사가격(*2) 1,750원 1,750원 3,500원 12,152원 8,994원 9,344원
기대존속기간 5년 5년 5년 5년 5년 5년
기대배당금 - - - - - -
무위험이자율 3.07% 3.07% 2.63% 1.43% 2.27% 2.25%

(*1) 4,5,6차 주식보상기준약정의 주가는 실제주가입니다. 연결실체는 주식매입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 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무위험이자율은 기대존속기간과 만기가 동일한 5년만기 국공채수익률을 사용하였습니다.
(*2) 전기 이전 이사회결의로 인해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부여일 현재 추정주가 및 행사가격을 조정하였습니다.

② (주)지에프퍼멘텍(종속기업)

구  분 1차 2차
부여일 2018년 03월 29일 2021년 03월 24일
부여일 현재 추정주가 12,676원 37,039원
행사가격 18,795원 56,830원
기대존속기간 5년 5년
기대배당금 - -
무위험이자율 2.48~2.64% 1.40~1.82%


(3) 연결실체는 주식매입선택권의 보상원가를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364,831천원및 371,030천원을 기타자본항목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23. 우발상황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차입약정을 위하여 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담보제공자산 차입금종류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차입실행금액 담보권자
토지, 건물 및 기계장치 운영자금 9,000,431 7,200,000 6,000,000 신한은행
시설자금 26,400,000 14,200,000 산업은행
토지 및 건물 시설자금 7,224,132 15,600,000 10,400,000 산업은행
무형자산(특허권) 운영자금 5,911 1,200,000 375,000 신한은행
합  계 16,230,474 50,400,000 30,975,000


(2)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지급보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제공자 내용 장부금액
서울보증보험 이행지급 67,000
서울보증보험 이행보증 6,000
합  계 73,000

(3) 연결실체가 현재 금융기관과 체결한 기타 약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금융기관 내역 한도액 실행금액
한국산업은행 시설자금대출 35,000,000 24,600,000
KEB하나은행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30,000 -
합  계 35,030,000 24,600,000


(4) 주식매수청구권
지배기업은 전전기 중 보유중인 종속기업투자주식((주)지에프퍼멘텍 보통주) 87,981주를 주당 56,830원에 케이투레페리오투자조합(이하, "투자자")에 양도하는 계약을 2019년 9월27일에 체결하였습니다. 양도 계약과 동시에 지배기업은 (주)지에프퍼멘텍이 양도일로부터 4년 이내에 기업공개(IPO)를 하지 못할 경우, 양수도 가격에서 연복리 4.5%의 이율을 적용한 금액에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투자자에게 부여하였습니다.

지배기업은 전기 중 보유중인 종속기업투자주식((주)지에프퍼멘텍 보통주) 25,435주를 주당 62,513원에 프리미어글로벌이노베이션1호투자조합 외 2개사(이하, "투자자")에 양도하는 계약을 2020년 9월에 체결하였습니다. 양도 계약과 동시에 지배기업은(주)지에프퍼멘텍이 2023년말까지 기업공개(IPO)를 하지 못할 경우, 양수도 가격에서 연복리 4.5%의 이율을 적용한 금액에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투자자에게 부여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주식매수청구권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파생상품부채로 인식하였습니다.

24. 영업이익

(1) 매출액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매출액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제품매출액 6,605,198 19,711,494 6,054,072 17,416,565
상품매출액 - 216,972 382,288 752,133
기타매출액 38,880 78,023 69,331 432,583
매출환입및에누리 (4,365) (4,365) - -
합  계 6,639,713 20,002,124 6,505,691 18,601,281


(2) 매출원가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매출원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제품매출액 4,286,103 11,473,167 3,570,355 10,684,259
상품매출액 - 172,577 264,718 519,453
기타매출액 29,604 327,508 271,417 699,515
합  계 4,315,707 11,973,252 4,106,490 11,903,227


(3) 판매비와관리비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376,583 1,239,755 375,050 973,194
주식보상비용 (7,380) 2,881 8,262 17,949
퇴직급여 31,077 108,352 32,249 90,526
복리후생비 31,434 99,340 38,200 90,540
여비교통비 11,373 35,354 7,907 13,517
전력비 8,370 21,192 7,154 17,525
세금과공과 25,278 33,412 25,803 51,731
감가상각비 56,199 243,564 49,648 166,638
보험료 2,201 6,972 2,399 7,464
경상연구개발비 2,870,707 8,188,263 2,786,565 7,060,801
운반비 139,124 342,030 51,878 141,748
소모품비 25,898 155,400 31,515 92,811
지급수수료 582,100 1,108,029 212,396 550,286
광고선전비 8,732 35,288 6,499 10,508
대손상각비(환입) (6,382) 55,610 247 (6,031)
무형자산상각비 11,048 33,326 10,810 29,836
기타비용 67,079 128,762 29,025 69,051
합  계 4,233,441 11,837,530 3,675,607 9,378,094


(4) 성격별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의 주요항목에 대한 비용의 성격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재고자산의 변동 11,546 (1,976,021) (615,343) (980,062)
원재료매입액 1,096,462 4,428,909 1,523,139 4,037,729
상품매입액 149,784 242,907 279,892 438,022
인건비 2,472,697 7,128,762 1,815,357 5,121,529
복리후생비 170,884 529,366 175,114 454,757
여비교통비 39,606 114,101 22,039 43,461
전력비 248,012 689,853 252,758 635,035
감가상각비 1,017,323 3,016,040 875,367 2,509,594
무형자산상각비 61,591 184,107 55,043 162,450
세금과공과 57,032 85,141 47,739 88,769
지급임차료 62,213 69,836 13,726 37,660
소모품비 689,253 1,691,576 477,391 1,483,238
지급수수료 815,253 1,836,765 924,945 2,184,680
광고선전비 8,732 35,288 6,499 10,508
기타비용 1,648,760 5,734,153 1,928,431 5,053,950
합  계 (*) 8,549,148 23,810,782 7,782,097 21,281,321

(*) 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산한 금액입니다.

25.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타수익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임대수익 11,676 37,128 11,676 35,028
유형자산처분이익 - 7,456 - -
무형자산처분이익 - 1,865 - -
보험차익 - - - 484
잡이익 22,043 227,894 7,306 24,077
합  계 33,719 274,343 18,982 59,589


(2) 기타비용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유형자산처분손실 - 2,508 - 108,567
무형자산처분손실  - 301 -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18
기부금 700 700 - -
잡손실 6,350 6,360 384 2,054
합  계 7,050 9,869 384 110,639


26.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수익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이자수익 342,097 653,741 190,607 323,066
파생상품평가이익 - 3,884,067 - 3,615,565
사채조정이익 648,978 648,979 - -
외환차익 327,784 426,056 86,053 136,478
외화환산이익 322,733 644,872 22,584 56,389
합  계 1,641,592 6,257,715 299,244 4,131,498


(2) 금융비용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이자비용 1,967,914 4,285,996 1,036,127 2,772,726
사채상환손실 66,755 66,755 - -
외환차손 14,128 37,789 2,898 24,890
외화환산손실 69,305 90,078 908 4,993
합  계 2,118,102 4,480,618 1,039,933 2,802,609


27. 금융상품
(1)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천원)
구  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부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합  계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5,156,209  - -  -  - 5,156,209
단기금융상품 46,392,569  - -  -  - 46,392,569
매출채권및기타채권 5,572,432  - -  -  - 5,572,432
파생상품자산(유동) -  - - 1,269,794  - 1,269,794
비유동자산:
장기투자자산 2,393 1,280,335 5,667,213  -  - 6,949,941
보증금 2,520,274 - -  -  - 2,520,274
금융자산 합계 59,643,877 1,280,335 5,667,213 1,269,794 - 67,861,219
유동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1,914,999 1,914,999
단기차입금  -  -  -  - 20,575,000 20,575,000
전환사채  -  -  -  - 45,630,055 45,630,055
전환우선주부채 - - - 3,799,958  - 3,799,958
파생상품부채  -  -  - 18,525,508  - 18,525,508
유동리스부채  -  -  -  - 261,744 261,744
비유동부채:
장기차입금  -  -  -  - 17,850,443 17,850,443
장기미지급금 -  - - - 408,449 408,449
비유동리스부채  -  -  -  - 86,326 86,326
장기미지급비용  -  -  -  - 16,308 16,308
임대보증금 -  - - - 317,000 317,000
금융부채 합계 - - - 22,325,466 87,060,324 109,385,790


② 전기말

(단위:천원)
구  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부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합  계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6,144,838 - - - - 6,144,838
단기금융상품 19,469,981 - - - - 19,469,981
매출채권및기타채권 5,881,676 - - - - 5,881,676
파생상품자산(유동) - - - 220,248  - 220,248
비유동자산:
장기투자자산 2,393 1,280,335 5,667,213 - - 6,949,941
보증금 3,111,464 - - - - 3,111,464
금융자산 합계 34,610,352 1,280,335 5,667,213 220,248 - 41,778,148
유동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3,053,584 3,053,584
단기차입금 - - - - 6,500,000 6,500,000
전환사채 - - - - 25,158,998 25,158,998
파생상품부채 - - - 16,314,864 - 16,314,864
유동리스부채 - - - - 302,268 302,268
비유동부채:
장기차입금 - - - - 26,860,388 26,860,388
장기미지급금 - - - - 415,576 415,576
비유동리스부채 - - - - 79,251 79,251
장기미지급비용 - - - - 16,308 16,308
임대보증금 - - - - 362,000 362,000
금융부채 합계 - - - 16,314,864 62,748,373 79,063,237


(2) 당분기와 전분기의 금융상품 범주별 금융수익과 금융비용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이자수익/비용 기타금융수익/비용 순손익 기타포괄손익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342,098 653,741 650,516 1,070,928 992,614 1,724,669 - -
파생상품부채 - - 582,224 4,466,291 582,224 4,466,291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1,967,914) (4,285,996) (83,434) (127,867) (2,051,347) (4,413,863) - -
합    계 (1,625,816) (3,632,255) 1,149,306 5,409,351 (476,510) 1,777,096 - -


②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이자수익/비용 기타금융수익/비용 순손익 기타포괄손익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190,607 323,066 108,637 192,868 299,244 515,934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  - -  - - - - 1,022,718
파생상품부채 -  - - 3,615,565 - 3,615,565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1,036,127) (2,772,726) (3,806) (29,884) (1,039,933) (2,802,609)  -  -
합  계 (845,520) (2,449,660) 104,831 3,778,549 (740,689) 1,328,889 - 1,022,718


28.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분기 및 전분기 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 및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29. 주당이익
(1) 기본주당이익

(단위:원)
내  역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지배기업소유주지분 당기순이익(손실) (2,332,440,131) (3,109,334,104) (2,135,856,386) (1,088,703,570)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22,507,206주 22,501,772주 22,464,297주 22,421,144주
기본주당순이익(손실) (104) (138) (95)               (49)


(2) 희석주당이익
당분기 및 전분기는 희석화 증권의 희석화 효과가 존재하지 않아 희석주당손실은 기본주당손실과 동일합니다.

30. 특수관계자

(1) 특수관계자 현황

구  분 회사명
기타특수관계자 (주)성운파마코피아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및 매입 내역은 없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는 없습니다.

(4)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채권 채무
외상매출금 선수금 예수보증금
기타특수관계자 (주)성운파마코피아 - 252,778 300,000


<전기말>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채권 채무
외상매출금 선수금 예수보증금
기타특수관계자 (주)성운파마코피아 - 252,778 300,000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종업원 용역의 대가로서 등기임원에게 지급되었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231,019 754,824 199,776 597,060
퇴직급여 23,991 77,030 23,978 63,106
주식기준보상 7,558 24,114 11,573 26,128
합  계 262,568 855,968 235,327 686,294

31. 현금흐름표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건설중인자산 본계정 대체 7,614,229 2,331,202
장기차입금의 유동성 대체 14,450,000 375,000
사용권자산의 취득 257,940 340,401
차입원가 자본화 대체 467,226 548,905
주식매입선택권 행사로 인한 대체 24,206 64,250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재무활동에서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천원)
구 분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전환사채 리스부채 임대보증금
기초 6,000,000 14,575,000 19,650,000 25,158,998 381,519 362,000
현금흐름 - (375,000) 12,650,443 23,200,000 (262,181) (45,000)
유동성대체 - 375,000 (14,450,000) - - -
현재가치할인  - - - (2,728,943) 14,364  -
리스대체 - - - - 214,368  -
기말 6,000,000 14,575,000 17,850,443 45,630,055 348,070 317,000


② 전분기

(단위:천원)
구 분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전환사채 리스부채 임대보증금
기초 6,000,000 250,000 27,049,893 21,356,433 121,293 50,000
현금흐름 - (125,000) 229,718  - (128,384) -
유동성대체  - 375,000 (375,000)  - -  -
현재가치할인  -  - - 2,772,474 12,006  -
리스대체  - - - - 290,800  -
기말 6,000,000 500,000 26,904,611 24,128,907 295,715 50,000




4.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제 23 기 3분기말 2022.09.30 현재

제 22 기말          2021.12.31 현재

(단위 : 원)

 

제 23 기 3분기말

제 22 기말

자산

   

 유동자산

44,413,526,647

21,603,501,345

  현금및현금성자산

1,763,428,831

471,943,292

  단기금융상품

34,680,226,459

14,613,973,29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716,553,967

3,362,513,340

  재고자산

3,409,812,676

2,467,465,974

  기타유동자산

490,134,999

386,894,877

  당기법인세자산

83,576,050

80,462,810

  유동파생상품자산

1,269,793,665

220,247,762

 비유동자산

79,267,935,156

74,270,496,013

  장기대여금

5,600,000,000

15,200,000,000

  장기투자자산

6,947,547,902

6,947,547,902

  종속기업투자

28,614,390,092

13,414,435,092

  유형자산

32,873,146,618

32,817,748,050

  투자부동산

496,734,375

508,125,000

  무형자산

1,885,164,611

2,004,688,411

  보증금

1,334,210,040

1,861,210,040

  이연법인세자산

1,516,741,518

1,516,741,518

 자산총계

123,681,461,803

95,873,997,358

부채

   

 유동부채

60,271,209,767

18,962,846,594

  매입채무및기타채무

824,647,113

568,904,982

  단기차입금및사채

48,500,435,286

15,177,736,033

  전환우선주부채

3,799,957,860

 

  유동파생상품부채

6,767,688,865

2,842,683,374

  기타유동부채

336,510,627

343,593,218

  유동리스부채

41,970,016

29,928,987

 비유동부채

587,747,282

15,049,984,530

  장기차입금

 

14,450,000,000

  장기미지급금

216,973,210

181,640,477

  장기미지급비용

16,308,463

16,308,463

  비유동리스부채

37,465,609

40,035,590

  임대보증금

317,000,000

362,000,000

 부채총계

60,858,957,049

34,012,831,124

자본

   

 자본금

11,262,505,000

11,249,505,000

 자본잉여금

52,785,515,031

52,697,968,021

 기타자본

368,217,927

374,416,851

 기타포괄손익누계액

(171,314,944)

(171,314,944)

 이익잉여금(결손금)

(1,422,418,260)

(2,289,408,694)

 자본총계

62,822,504,754

61,861,166,234

자본과부채총계

123,681,461,803

95,873,997,358


포괄손익계산서

제 23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제 22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단위 : 원)

 

제 23 기 3분기

제 22 기 3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수익(매출액)

3,146,881,668

8,655,708,634

2,721,283,103

6,796,956,378

매출원가

1,752,623,554

4,914,280,577

1,866,725,006

4,557,516,118

매출총이익

1,394,258,114

3,741,428,057

854,558,097

2,239,440,260

판매비와관리비

1,525,852,888

4,093,494,931

1,113,235,185

2,846,030,115

영업이익(손실)

(131,594,774)

(352,066,874)

(258,677,088)

(606,589,855)

기타수익

15,651,716

222,024,602

13,228,518

45,927,255

기타비용

7,050,003

9,567,944

363,840

2,052,149

금융수익

1,157,138,134

3,786,998,745

287,731,632

3,615,953,640

금융비용

1,483,318,769

2,779,137,215

471,451,966

1,391,572,892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449,173,696)

868,251,314

(429,532,744)

1,661,665,999

법인세비용(수익)

 

1,260,880

 

1,634,004

분기순이익(손실)

(449,173,696)

866,990,434

(429,532,744)

1,660,031,995

기타포괄손익

     

1,022,718,115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항목(세후기타포괄손익)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총포괄손익

(449,173,696)

866,990,434

(429,532,744)

2,682,750,110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0)

39

(19)

74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20)

39

(19)

74





자본변동표

제 23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제 22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자본

기타포괄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자본  합계

2021.01.01 (기초자본)

11,199,605,000

52,485,147,531

398,481,928

(708,789,821)

(9,865,687,181)

53,508,757,457

분기순이익(손실)

       

1,660,031,995

1,660,031,995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1,022,718,115

 

1,022,718,115

주식선택권의 부여

   

(31,165,548)

   

(31,165,548)

주식선택권의 행사

49,900,000

212,820,490

     

262,720,490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49,900,000

212,820,490

(31,165,548)

   

231,554,942

2021.09.30 (기말자본)

11,249,505,000

52,697,968,021

367,316,380

313,928,294

(8,205,655,186)

56,423,062,509

2022.01.01 (기초자본)

11,249,505,000

52,697,968,021

374,416,851

(171,314,944)

(2,289,408,694)

61,861,166,234

분기순이익(손실)

       

866,990,434

866,990,434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평가손익

           

주식선택권의 부여

13,000,000

87,547,010

(6,198,924)

   

94,348,086

주식선택권의 행사

           

소유주와의 거래 합계

13,000,000

87,547,010

(6,198,924)

   

94,348,086

2022.09.30 (기말자본)

11,262,505,000

52,785,515,031

368,217,927

(171,314,944)

(1,422,418,260)

62,822,504,754


현금흐름표

제 23 기 3분기 2022.01.01 부터 2022.09.30 까지

제 22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단위 : 원)

 

제 23 기 3분기

제 22 기 3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

1,124,339,417

350,148,802

 분기순이익(손실)

866,990,434

1,660,031,995

 분기순이익조정을 위한 가감

555,274,503

(847,872,765)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106,347,868)

(588,286,204)

 이자수취(영업)

147,890,953

409,935,819

 이자지급(영업)

(335,094,485)

(247,506,309)

 법인세납부(환급)

(4,374,120)

(36,153,734)

투자활동현금흐름

(25,357,236,583)

(4,839,546,346)

 단기금융상품의 순증감

(19,582,604,516)

(159,495,388)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2,544,959,500

 기계장치의 취득

(214,097,818)

(54,822,000)

 대여금의 증가

(5,600,000,000)

(5,500,000,000)

 비품의 취득

(17,067,819)

(77,656,000)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364,536,430)

(427,263,876)

 건물의 취득

(9,930,000)

 

 구축물의 취득

(96,000,000)

 

 보증금의 증가

 

(1,520,000,000)

 보증금의 감소

527,000,000

405,000,000

 특허권의 취득

 

(28,624,942)

 소프트웨어의 취득

 

(21,643,640)

재무활동현금흐름

25,498,173,342

30,657,580

 주식선택권의 행사

76,340,600

198,470,300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375,000,000)

(125,000,000)

 전환사채의 발행

23,200,000,000

 

 전환사채의 상환

(1,113,955,518)

 

 전환우선주의 발행

3,799,957,860

 

 리스부채의 지급

(44,169,600)

(42,812,720)

 임대보증금의 감소

(45,000,000)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변동

26,209,363

34,822,862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1,265,276,176

(4,458,739,964)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471,943,292

6,957,213,239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763,428,831

2,533,296,137



5. 재무제표 주석


제23(당)기 3분기 2022년  9월 30일 현재
제22(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제노포커스


1. 일반사항
주식회사 제노포커스(이하 "당사")는 2000년 4월 1일에 설립되어, 효소 및 발효제품의 연구개발, 생산, 판매 및 수출입업 등을 영위하고 있으며, 2015년 5월 29일자로 한국거래소의 코스닥시장에 상장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벤처기업육성에관한특별조치법 제25조의 규정에 의하여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벤처기업으로 확인 받았습니다. 당사의 본사는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1로 65에 소재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00년 4월 1일 설립시 자본금은 600,000천원이었으나 이후 수차례의 증자 등을 거쳐 당분기말 현재 자본금은 11,262,505천원이며, 주요주주는 반재구(23.93%), 김의중(9.86%)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재무제표의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당사의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은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당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지배기업, 관계기업의 투자자 또는 공동지배기업의 참여자가 투자자산을 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 직접적인 지분투자에 근거한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2)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재무제표에서 사용된 당사의 회계정책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1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3. 중요한 회계정책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 현재 유효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전기 연차재무제표 작성시 채택한 회계정책과 동일하게 적용되었습니다.  

재무제표 작성을 위하여 채택한 중요한 회계정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과 공시

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당사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참조

식별할 수 있는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는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의 정의를 충족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 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개정 기준서는 경영진이 의도한 방식으로 유형자산을 가동할 수 있는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동안에 생산된 재화를 판매하여 얻은 매각금액과 그 재화의 원가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이로 인해 당기손익에 포함한 매각금액과 원가를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개정 기준서는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는 계약을 이행하는 데 드는 증분원가와 계약을 이행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그 밖의 원가 배분액으로 구성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rent concession)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1년 4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마)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2018-2020 연차개선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관련 수수료에 차입자와 대여자 사이에서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상대방을 대신하여 지급하거나 수취한 수수료 포함)만 포함된다는 개정내용을 포함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리스인센티브,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에 대한 일부 개정내용이 있습니다. 동 연차개선은 2022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됩니다. 상기 개정 내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2) 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당기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당사가 채택하지 않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가)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부채의 분류는 기업이 보고기간 후 적어도 12개월 이상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권리의 행사 가능성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부채가 비유동부채로 분류되는 기준을 충족한다면, 경영진이 보고기간 후 12개월 이내에 부채의 결제를 의도하거나 예상하더라도, 또는 보고기간말과 재무제표 발행승인일 사이에 부채를 결제하더라도 비유동부채로 분류합니다. 또한, 부채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할 때 부채의 결제조건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으로 분류되고 동 옵션을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 경우는 제외됩니다. 동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기업회계기준서 제 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개정 기준서는 공시 대상 회계정책 정보를 '유의적인' 회계정책에서 '중요한' 회계정책으로 바꾸고 중요한 회계정책 정보의 의미를 설명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개정 기준서는 '회계추정치'를 측정불확실성의 영향을 받는 재무제표상 화폐금액으로 정의하고, 회계추정치의 예를 보다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새로운 정보의 획득, 새로운 상황의 전개나 추가 경험의 축적으로 투입변수나 측정기법을 변경한 경우 이러한 변경이 전기오류수정이 아니라면 회계추정치의 변경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전진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라) 기업회계기준서 제 1012호 '법인세' (개정)
 
개정 기준서는 이연법인세 최초 인식 예외규정을 추가하여 단일 거래에서 자산과 부채를 최초 인식할 때 동일한 금액으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가 생기는 경우 각각 이연법인세 부채와 자산을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단일 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관련되는 이연법인세'는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 이후에 이루어진 거래에 적용하며, 비교 표시되는 가장 이른 기간의 시작일에 이미 존재하는 (1) 사용권자산과 리스부채, (2) 사후처리 및 복구 관련 부채 및 이에 상응하여 자산 원가의 일부로 인식한 금액에 관련되는 모든 차감할 일시적 차이와 가산할 일시적 차이에 대해 이연법인세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며, 최초 적용 누적 효과를 이익잉여금(또는 자본의 다른 구성요소) 기초 잔액을 조정하여 인식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 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4. 위험관리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당사는 신용위험, 유동성위험 및 시장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본 주석은 당사가 노출되어 있는 위의 위험에 대한 정보와 당사의 위험관리 목표,정책, 위험 평가 및 관리 절차, 그리고 자본관리에 대해 공시하고 있습니다. 추가적인계량적 정보에 대해서는 본 재무제표 전반에 걸쳐서 공시되어 있습니다.


(1) 금융위험관리
당사의 위험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감독할 책임은 이사회에 있습니다. 이사회는 당사의 위험관리 정책을 개발하고 감독하고 있으며 중장기 경영계획 및 단기 경영전략에 대해 정기적으로 보고받고 승인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위험관리 정책은 당사가 직면한 위험을 식별 및 분석하고, 적절한 위험 한계치 및 통제를 설정하고, 위험이 한계치를 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수립되었습니다. 위험관리 정책은 시장 상황과 당사의 활동의 변경을 반영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검토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훈련 및 관리기준, 절차를 통해 모든 종업원들이 자신의 역할과 의무를 이해할 수 있는 엄격하고 구조적인 통제환경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 신용위험

①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금융자산의 장부금액은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를 나타냅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1,763,429 471,943
단기금융상품 34,680,226 14,613,97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716,554 3,362,513
파생상품자산 1,269,794 220,248
장기대여금 5,600,000 15,200,000
장기투자자산 5,667,213 5,667,213
보증금 1,334,210 1,861,210
합    계 53,031,426 41,397,101


② 손상차손
당사는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장기대여금, 보증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을 측정하여 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매출채권 대해서는 연체 외에 제각되기까지의 가능성을 기초로 한 'Roll-Rate' 방법을 이용하여 기대손실을 측정합니다. 당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보증금에 대한 기대신용손실과 각 연령별로 손상된 금액은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기대손실율 채권잔액 손상된 금액 장부금액
3개월 이하 - 3,891,118 - 3,891,118
3~6개월 - 136,646 - 136,646
6~9개월 - - - -
9~12개월 - - - -
12개월 초과 1.47% 5,706,945 (83,945) 5,623,000
합    계 9,734,709 (83,945) 9,650,764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장기대여금, 보증금의 연령 및 각 연령별로 손상된 채권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전기말
기대손실율 채권잔액 손상된 금액 장부금액
3개월 이하 - 4,389,595 - 4,389,595
3~6개월 - 723,060 - 723,060
6~9개월 - - - -
9~12개월 - 36,306 - 36,306
12개월 초과 0.19% 15,303,097 (28,335) 15,274,762
합    계 20,452,058 (28,335) 20,423,723


당분기와 전기 중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 보증금에 대한 대손충당금의 기중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기초잔액 28,335 34,363
대손상각비(환입) 55,610 (6,028)
기말잔액 83,945 28,335


2) 유동성위험

①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한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장부금액 계약상
현금흐름
3개월미만 3개월~1년 1년~5년 5년~10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824,647 824,647 824,647 - -  -
단기차입금(*) 20,575,000 20,697,842 185,741 20,512,101  -  -
전환사채 27,925,435 33,757,380 9,620,100  - 24,137,280  -
전환우선주부채 3,799,958 3,799,958  - 3,799,958  -  -
장기미지급금 216,973 216,973 - - 216,973  -
파생상품부채 6,767,689 6,767,689 418,724  - 6,348,965  -
리스부채 79,436 87,333 14,803 28,480 44,050 -
장기미지급비용 16,308 16,308  -  - 16,308  -
임대보증금 317,000 317,000 90,000 177,000 50,000  -
합    계 60,522,446 66,485,131 11,154,016 24,517,539 30,813,576 -

(*) 단기차입금의 현금흐름에는 유동성 대체된 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② 전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한 금융부채의 계약상 만기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장부금액 계약상
현금흐름
3개월미만 3개월~1년 1년~5년 5년~10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568,905 568,905 568,905 - -  -
단기차입금(*) 6,500,000 6,822,581 234,397 6,588,184  -  -
장기차입금 14,450,000 15,173,615 182,431 1,191,727 8,952,322 4,847,135
전환사채 8,677,736 10,609,000  - 10,609,000  -  -
장기미지급금 181,640 181,640 - 29,754 151,887  -
파생상품부채 2,842,683 2,842,683  -  - 2,842,683  -
리스부채 69,965 79,783 12,883 17,930 48,970 -
장기미지급비용 16,308 16,308  -  - 16,308  -
임대보증금 362,000 362,000 - 90,000 272,000  -
합  계 33,669,238 36,656,516 998,616 18,526,595 12,284,170 4,847,135

(*) 단기차입금의 현금흐름에는 유동성 대체된 장기차입금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환위험
① 환위험에 대한 노출

당사의 환위험에 대한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USD EUR USD EUR
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927,040 70,051 136,82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413,779 2,136,237 954,929 1,318,285
자산합계 1,340,819 2,206,288 1,091,750 1,318,285
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75,103 - 231,635 -
순외화자산 1,165,716 2,206,288 860,115 1,318,285


당분기와 전기에 적용된 환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구    분 평균 환율 기말 환율
당분기 전분기 당분기말 전기말
USD 1,268.90 1,131.01 1,434.80 1,185.50
EUR 1,347.13 1,352.89 1,408.83 1,342.34


② 민감도분석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원화의 USD 대비 환율이 높았다면, 당사의 자본과 손익은 증가하였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당사가 각 기말에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정도의 변동을 가정한 것입니다. 또한, 민감도 분석 시에는 이자율과 같은 다른 변수는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전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나,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환율 변동의 정도는 다릅니다. 구체적인 자본및 손익의 변동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USD 116,572 (116,572) 86,011 (86,011)
EUR 220,629 (220,629) 131,829 (131,829)


4) 이자율위험

①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이자부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고정이자율 :
 금융자산 1,763,429 471,943
 금융부채 (46,400,000) (24,200,000)
합    계 (44,636,571) (23,728,057)
변동이자율 :
 금융자산 34,680,226 14,613,973
 금융부채 (6,375,000) (6,750,000)
합    계 28,305,226 7,863,973


② 민감도 분석

당분기말 현재 이자율이 100베이시스포인트 변동한다면, 자본과 손익은 증가 또는 감소하였을 것입니다. 이 분석은 환율과 같은 다른 변수는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으며, 당분기 중 구체적인 자본 및 세전손익의 변동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손익 자본
100bp상승 100bp하락 100bp상승 100bp하락
순금융자산 283,052 (283,052) 283,052 (283,052)


5) 공정가치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에 해당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하지않은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공정가치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장부금액 수준1 수준2 수준3 합계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5,667,213  -  - 5,667,213 5,667,21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1,280,335  -  - 1,280,335 1,280,335
파생상품자산 1,269,794  -  - 1,269,794 1,269,794
합    계 8,217,342 - - 8,217,342 8,217,342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3,799,958  -  - 3,799,958 3,799,958
파생상품부채 6,767,689  -  - 6,767,689 6,767,689
합    계 10,567,647 - - 10,567,647 10,567,647


② 전기말

(단위:천원)
구분 장부금액 수준1 수준2 수준3 합계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5,667,213 - - 5,667,213 5,667,21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1,280,335 - - 1,280,335 1,280,335
파생상품자산 220,248 - - 220,248 220,248
합 계 7,167,796 - - 7,167,796 7,167,796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 - - - -
파생상품부채 2,842,683  -  - 2,842,683 2,842,683
합계 2,842,683 - - 2,842,683 2,842,683


③ 공정가치 서열 수준3의 변동내역
당분기 중 수준 1과 수준 2간의 대체는 없었으며, 공정가치로 측정된 금융상품 중 서열 수준3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기초금액 취득 처분 공정가치 변동액 합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장기투자자산 6,947,548 -  -  - 6,947,548
파생상품자산 220,248 1,269,794 (12,519) (207,729) 1,269,794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 3,799,958 -  - 3,799,958
파생상품부채 2,842,683 6,348,965 (46,525) (2,377,434) 6,767,689

(2) 자본관리

당사의 정책은 투자자와 채권자, 시장의 신뢰 및 향후 발전을 위해 자본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당사의 자본관리는 이사회에서 주기적으로 부채비율을 통하여 관리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의 자본관리지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채총계 60,858,957 34,012,831
자본총계 62,822,505 61,861,166
부채비율 96.87% 54.98%


5. 현금 및 현금성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보통예금 등 1,763,429 471,943


6. 단기금융상품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단기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MMF 34,680,226 14,613,973


7.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은 대손충당금이 차감된 순액으로 재무상태표에 표시되었으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대손충당금 차감전 총액 기준에 의한 매출채권및기타채권과대손충당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총장부금액 대손충당금 순장부금액 총장부금액 대손충당금 순장부금액
유동항목:
매출채권 2,754,499 (60,945) 2,693,554 3,339,542 (5,335) 3,334,207
미수금 46,000 (23,000) 23,000 46,000 (23,000) 23,000
보증금 - - - 5,306 - 5,306
유동항목 합계 2,800,499 (83,945) 2,716,554 3,390,848 (28,335) 3,362,513
비유동항목:
장기대여금 5,600,000 - 5,600,000 15,200,000 - 15,200,000
보증금 1,334,210 - 1,334,210 1,861,210 - 1,861,210
비유동항목 합계 6,934,210 - 6,934,210 17,061,210 - 17,061,210


8. 재고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취득원가 평가손실충당금 장부금액
제품 2,532,940 (766,608) 1,766,332 2,229,248 (764,206) 1,465,042
상품 102,878 - 102,878 183,415 - 183,415
재공품 1,246,007 (33,682) 1,212,324 670,549 (33,682) 636,867
원재료 348,062 (19,784) 328,278 185,478 (3,336) 182,142
합    계 4,229,886 (820,074) 3,409,813 3,268,690 (801,224) 2,467,466


9. 기타유동자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연구참여부담금 21,070 5,306
선급금 321,556 326,463
선급비용 48,087 60,432
부가세대급금 99,422 -
합    계 490,135 392,201


10. 장기투자자산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장기투자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범 주 지분율 당분기말 전기말
지분증권:
(주)성운파마코피아(*1)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2.73% - -
(주)바오밥에이바이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6.33% 1,280,335 1,280,335
채무증권:
(주)프로바이오닉(*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채무상품 전환사채 - -
(주)MD헬스케어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채무상품 전환사채 5,667,213 5,667,213
합    계
6,947,548 6,947,548

(*1) 전기말 이전 (주)성운파마코피아 지분증권에 대하여 장부가액 999,806천원을 전액 기타포괄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2) 전기말 (주)프로바이오닉 채무상품에 대하여 장부가액 1,953,107천원을 전액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실로 인식하였습니다.

(2) 당분기와 전기 중 장기투자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
기초장부금액 6,947,548 8,020,956
취득 - -
처분 - (2,544,960)

평가손익-당기손익

- (619,797)
평가손익-기타포괄손익 - 2,091,348
기말장부금액 6,947,548 6,947,548

11. 종속기업투자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종속기업명 소재지 당분기말 전기말
소유지분율 장부금액 소유지분율 장부금액
Genofocus Biotechnology Inc. 중국 100.00% 108,167 100.00% 108,167
(주)지에프퍼멘텍 대한민국 65.57% 12,806,268 65.57% 12,806,268
(주)바이옴로직(*) 대한민국 100.00% 15,699,955 100.00% 500,000
합    계   28,614,390
13,414,435

(*) 당사는 2022년 3월 21일자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종속기업인 (주)바이옴로직에 장기대여금 152억원을 출자전환하여 유상증자를 통한 보통주 96,815주를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2) 종속기업의 재무정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기업명 당분기말 당분기
자산총액 부채총액 자본총액 매출액 당기순손익 총포괄손익
Genofocus Biotechnology Inc. 1,797,005 976 1,796,029 455,628 109,600 109,600
(주)지에프퍼멘텍 52,457,487 41,694,085 10,763,403 11,458,826 1,943,858 1,943,858
(주)바이옴로직 1,312,697 5,833,226 (4,520,529) 10,851 (5,087,138) (5,087,138)


② 전기

(단위: 천원)
기업명 전기말 전분기
자산총액 부채총액 자본총액 매출액 당기순손익 총포괄손익
Genofocus Biotechnology Inc. 1,572,403 3,325 1,569,078 877,270 190,125 (75,452)
(주)지에프퍼멘텍 47,006,794 38,203,556 8,803,239 11,790,987 4,086,549 4,086,549
(주)바이옴로직 1,464,814 16,091,145 (14,626,331) - (5,204,104) (5,204,104)


12. 유형자산

(1) 당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건설중인자산
(*1)
사용권자산
(부동산)
사용권자산
(차량운반구)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4,339,788 4,363,617 506,095 14,849,266 156,375 1,309,967 13,347,726 77,841 65,502 39,016,177
취득금액  - 9,930 96,000 244,098  - 17,068 831,763 49,731 - 1,248,589
처분금액  -  -  - (8,360)  - -  - (61,227)  - (69,587)
대체금액 - - - - - - - - - -
기말금액 4,339,788 4,373,547 602,095 15,085,004 156,375 1,327,035 14,179,488 66,345 65,502 40,195,179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 (552,744) (87,526) (4,537,725) (95,754) (849,912) - (62,422) (12,347) (6,198,429)
감가상각비  - (89,240) (14,103) (931,562) (12,978) (102,043)  - (30,957) (9,798) (1,190,683)
처분금액  - -  - 5,852  -  -  - 61,227 - 67,079
기말금액 - (641,984) (101,629) (5,463,435) (108,731) (951,955) - (32,152) (22,145) (7,322,032)
순장부금액:
기초금액 4,339,788 3,810,873 418,569 10,311,541 60,621 460,055 13,347,726 15,419 53,156 32,817,748
기말금액 4,339,788 3,731,563 500,466 9,621,568 47,644 375,080 14,179,488 34,192 43,357 32,873,147

(*1) 당분기 중 차입원가자본화로 자본화 된 이자비용은 467,226천원이며, 특정차입금 자본화이자율은 1.5% 및 1.72% 입니다.

(2) 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차량운반구 비품 건설중인자산
(*1)
사용권자산
(부동산)
사용권자산
(차량운반구)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4,016,589 3,704,544 506,095 14,732,135 156,375 1,169,791 12,281,530 92,303 - 36,659,363
취득금액 323,198 659,073 - 117,131 - 140,176 1,066,196 21,140 65,502 2,392,416
처분금액 - - - - - - - (35,602) - (35,602)
대체금액 - - - - - - - - - -
기말금액 4,339,788 4,363,617 506,095 14,849,266 156,375 1,309,967 13,347,726 77,841 65,502 39,016,177
감가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 (447,736) (70,855) (3,319,420) (78,450) (711,385) - (56,580) - (4,684,426)
감가상각비 - (105,008) (16,671) (1,218,305) (17,304) (138,527) - (40,776) (12,347) (1,548,937)
처분금액 - - - - - - - 34,933 - 34,933
기말금액 - (552,744) (87,526) (4,537,725) (95,754) (849,912) - (62,422) (12,347) (6,198,429)
순장부금액:
기초금액 4,016,589 3,256,808 435,240 11,412,715 77,925 458,406 12,281,530 35,723 - 31,974,937
기말금액 4,339,788 3,810,873 418,569 10,311,541 60,621 460,055 13,347,726 15,419 53,156 32,817,748

(*1) 전기 중 차입원가자본화로 자본화 된 이자비용은 650,534천원이며, 특정차입금 자본화이자율은 1.5% 및 1.72%입니다.


(3) 당사의 토지, 건물 및 기계장치의 일부는 당사의 차입약정에 대한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23 참조).

13. 투자부동산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투자부동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과  목 소재지 당분기말 전기말
토  지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2로 187 52,500 52,500
건  물 444,234 455,625
합    계 496,734 508,125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상기의 투자부동산에 대해서 당기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은 임대수익 35,028천원(전분기: 35,028천원)과 감가상각비 11,391천원(전분기: 11,391천원)이며, 당사의 차입약정에 대한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주석23 참조).

14. 무형자산

(1) 당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산업재산권 개발비 소프트웨어 회원권 기타의무형자산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238,393 10,539,992 364,620 15,494 100,000 11,258,499
무형자산상각비 - - - - - -
손상차손 - - - - - -
기말금액 238,393 10,539,992 364,620 15,494 100,000 11,258,499
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37,629) (8,926,520) (190,080) - (23,107) (9,177,336)
무형자산상각비 (9,343) (106,135) (20,879) - (4,625) (140,982)
손상차손(기타) - - - - - -
기말금액 (46,972) (9,032,656) (210,959) - (27,732) (9,318,318)
정부보조금:
기초금액 - (36,699) (39,775) - - (76,474)
취득금액 -  -  - - - -
무형자산상각비 - 16,877 4,581 - - 21,458
기말금액 - (19,822) (35,194) - - (55,016)
장부금액:
기초금액 200,764 1,576,772 134,765 15,494 76,893 2,004,688
기말금액 191,421 1,487,514 118,468 15,494 72,268 1,885,165


(2) 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산업재산권 개발비 소프트웨어 회원권 기타의무형자산 합  계
취득원가:
기초금액 166,768 10,539,992 342,976 15,494 100,000 11,165,230
외부구입 71,625  - 21,644  - - 93,269
처분금액  -  - -  -  - -
기말금액 238,393 10,539,992 364,620 15,494 100,000 11,258,499
상각누계액 및 손상차손누계액:
기초금액 (25,783) (8,792,770) (161,530) - (16,940) (8,997,023)
무형자산상각비 (11,828) (133,750) (28,550)  - (6,167) (180,295)
손상차손(기타) (18)  -  -  -  - (18)
기말금액 (37,629) (8,926,520) (190,080) - (23,107) (9,177,336)
정부보조금:
기초금액 - (59,203) (45,883) - - (105,086)
취득금액 -  -  -  -  -  -
무형자산상각비  - 22,504 6,108  -  -  28,612
기말금액 - (36,699) (39,775) - - (76,474)
장부금액:
기초금액 140,986 1,688,018 135,563 15,494 83,060 2,063,121
기말금액 200,764 1,576,772 134,765 15,494 76,893 2,004,688


(3) 개발비
① 개발비의 자산화 기준
연구개발 프로젝트는 기반기술 개발, 유전자원 발굴, 단백질 개량, 생산균주 개량 등의 단계로 진행됩니다. 당사는 일반적으로 단백질 개량 단계부터 발생한 지출을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이전 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연구개발비로 보아 당기 비용처리하고 있습니다.

② 당분기 및 전기 중 손상차손이 발생한 개발비는 없습니다.

③ 중요한 개별 무형자산에 대한 설명

(단위: 천원)
분    류 개별자산명 장부금액 잔여상각기간
개발비 바이오 소재 전환 효소 GFLB1 (*1) 448,823 10년
기능성 식품용 효소 GFSP 4,943 3개월
기능성 화장품용 소재 GFRT(*2) 1,006,624 -
기타 27,124 -
합    계 1,487,514  

(*1) 바이오 소재 전환 효소 GFLB1은 면역증강 바이오 소재 제조용 효소 연구개발 프로젝트로, 전기부터 국내외 거래처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2) 기능성 화장품용 소재 GFRT는 바이오레티놀 연구개발 프로젝트 입니다.

④ 당분기와 전분기 중 비용으로 인식한 연구 및 개발 지출의 총액은 각각 1,919,427천원과 1,488,044천원이며 전액 경상연구개발비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15.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유동
 매입채무 219,420 308,474
 미지급금 155,739 57,304
 미지급비용 449,489 203,127
소    계 824,647 568,905
비유동
 미지급금 216,973 181,640
 미지급비용 16,308 16,308
소    계 233,282 197,948
합    계 1,057,929 766,853


16. 차입금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당사의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차입처 내역 이자율 당분기말 전기말 만기일
단기차입금
신한은행 운영자금 3.46% 6,000,000 6,000,000 2023년 05월 29일
소  계 6,000,000 6,000,000
장기차입금
한국산업은행 시설자금 1.50~1.72% 14,200,000 14,200,000 2023년 01월 31일,
03월 31일
신한은행 운영자금 4.46% 375,000 750,000 2023년 06월 30일
소  계 14,575,000 14,950,000
유동성대체 (14,575,000) (500,000)
합  계 - 14,450,000

상기의 차입금과 관련하여 투자부동산, 유형자산 및 무형자산 일부를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23 참조).


(2) 당분기 및 전기 중 신규로 차입하거나 상환된 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말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기초 6,000,000 500,000 14,450,000 6,000,000 250,000 14,950,000
차입 - - -  - - -
상환  - (375,000) -  - (250,000) -
유동성대체  - 14,450,000 (14,450,000)  - 500,000 (500,000)
기말 6,000,000 14,575,000 - 6,000,000 500,000 14,450,000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의 상환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내 1년 ~ 2년 이내 2년~ 5년 이내 5년 이후 합계
단기차입금 6,000,000 - - - 6,000,000
유동성장기부채 14,575,000 - - - 14,575,000
장기차입금 - - - - -
합  계 20,575,000 - - - 20,575,000


17. 전환사채
(1)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내    역 내    역
사채의 명칭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사채의 종류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액면금액 10,000,000 23,200,000
발행금액 10,000,000 23,200,000
발행일 2020년 08월 24일 2022년 07월 06일
만기일 2025년 08월 24일
(단, 투자자가 요청하는 경우 1년의 범위내에서 만기일을 연장)
2027년 07월 06일
표면이자율 0% 0%
보장수익률 3.00% 2.00%
전환청구기간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발행 후 1년이 경과한 날부터 만기 1개월 전일까지
전환가격 5,881원 5,747원
사채권자의 조기상환청구권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로부터 매3개월이 해당되는 날 본건 사채의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일로부터 2년이 되는 날로부터 매3개월이 해당되는 날 본건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를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회사의 매도청구권 발행일로부터 18개월이 되는 날부터 24개월이 되는 날까지 사채 발행가액의 10% 내에서 본건 사채 일부를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발행일로부터 12개월이 되는 날부터 24개월이 되는 날까지 사채 발행가액의 20% 내에서 본건 사채 일부를 발행회사 또는 발행회사가 지정하는 자에게 매도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 당사는 전환권과 매도청구권을 각각 파생상품부채와 파생상품자산으로 인식하였습니다.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전환사채와 관련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전환사채 32,200,000 10,000,000
사채상환할증금 1,557,380 609,000
전환권조정 (5,831,945) (1,931,264)
순액 27,925,435 8,677,736
파생상품부채 6,767,689 2,842,683
파생상품자산 (1,269,794) (220,248)
합계 33,423,330 11,300,172
(-)유동성대체 (33,423,330) (11,300,172)
차감계 - -

18. 기타유동부채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예수금 51,230 51,078
부가세예수금 - 37,537
선수금 285,281 254,978
합    계 336,511 343,593


19. 리스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초자산 유형별 사용권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동산 34,192 15,419
차량운반구 43,357 53,156
합    계 77,549 68,574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와 관련해 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40,756 39,418

 부동산

30,957 30,373
 차량운반구 9,798 9,045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3,910 4,734

단기리스료

4,050 4,050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

1,260 1,260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각각 49,480천원 및 48,123천원입니다.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단위: 천원)
당분기말 전기말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최소리스료 최소리스료의
현재가치
1년 이내 43,283 41,970 30,813 29,929
1년 초과 5년 이내 44,050 37,466 48,970 40,036
합    계 87,333 79,436 79,783 69,965


(4)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유동 41,970 29,929
비유동 37,466 40,036
합    계 79,436 69,965


20. 종업원급여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인식된 종업원급여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866,995 2,637,428 760,852 2,157,040
주식보상비용 5,513 18,007 10,047 33,085
확정기여형 퇴직급여제도 관련 비용 74,587 211,562 57,033 171,609
합    계 947,095 2,866,997 827,932 2,361,734


(2)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재무상태표에 인식된 종업원급여 관련 부채 금액은 다음과 같으며,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미지급비용 계정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연차수당 관련 미지급비용 163,276 122,505
기여금 납부 관련 미지급비용 231,088 24,436
장기근속수당 미지급비용 16,308 16,308
합    계 410,672 163,250

21. 자본
(1)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수권주식수 100,000,000주 100,000,000주
주당금액(원) 500원 500원
보통주발행주식수 22,525,010주 22,499,010주
보통주자본금 11,262,505 11,249,505


(2) 당분기와 전기 중 자본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천원)
구    분 당분기 전기말
보통주 보통주
주식수 자본금 주식수 자본금
기초 22,499,010 11,249,505 22,399,210 11,199,605
전환우선주의 전환 - - - -
주식선택권 행사 26,000 13,000 99,800 49,900
기말 22,525,010 11,262,505 22,499,010 11,249,505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자본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주식발행초과금 52,785,515 52,697,968


(4)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자본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주식선택권 364,831 371,030
기타자본잉여금 3,387 3,387
합    계 368,218 374,417


(5)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기타포괄손익누계액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171,315) (171,315)


(6)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결손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결손금 (1,422,418) (2,289,409)


22. 주식기준보상
(1)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주식기준보상약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최초부여일 2014년 03월 31일 2014년 09월 25일 2015년 05월 19일 2016년 08월 10일 2017년 03월 10일 2018년 09월 14일
최초부여수량(주) 446,000 80,000 45,000 65,000 5,000 50,000
소멸수량(주) 101,600 12,000 - - - -
행사수량(주) 586,500 128,000 90,000 23,000 4,000 10,000
무상증자 조정수량(주)(*) 242,100 60,000 45,000 65,000 5,000 -
당분기말수량(주) - - - 107,000 6,000 40,000
당분기말 현재 행사가능수량(주) - - - 81,000 4,000 20,000
행사가격(*) 1,750원 1,750원 3,500원 12,152원 8,994원 9,344원
행사기간 및 조건 부여일로부터 최소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 후 1년 후부터 연간 최대 20%씩 10년 이내에 행사

(*) 2018년 이사회결의로 인해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무상증자 직전의 잔여 부여수량 및 행사가격이 조정되었습니다.

(2) 부여일 현재의 공정가치 측정을 위한 기초자료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1차 2차 3차 4차 5차 6차
부여일 2014년 3월 31일 2014년 9월 25일 2015년 5월 19일 2016년 8월 10일 2017년 3월 10일 2018년 9월 14일
부여일 현재 추정주가(*1,2) 2,540원 2,540원 4,405원 12,275원 9,200원 9,760원
행사가격(*2) 1,750원 1,750원 3,500원 12,152원 8,994원 9,344원
기대존속기간 5년 5년 5년 5년 5년 5년
기대배당금 - - - - - -
무위험이자율 3.07% 3.07% 2.63% 1.43% 2.27% 2.25%

(*1) 4,5,6차 주식보상기준약정의 주가는 실제주가입니다. 당사는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 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으며, 무위험이자율은 기대존속기간과 만기가 동일한 5년만기 국공채수익률을 사용하였습니다.
(*2) 2018년 이사회결의로 인해 무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이로 인해 부여일 현재 추정주가 및 행사가격을 조정하였습니다.

(3) 당사는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368,218천원 및 374,417천원을 기타자본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23. 우발상황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차입약정을 위하여 담보로 제공되어 있는 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차입금종류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차입실행금액 담보권자
토지, 건물 및 기계장치,
투자부동산
운영자금 9,000,431 7,200,000 6,000,000 신한은행
시설자금 26,400,000 14,200,000 산업은행
무형자산(특허권) 운영자금 5,911 1,200,000 375,000 신한은행
합    계
9,006,342 34,800,000 20,575,000


(2)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지급보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제공자 내용 장부금액
서울보증보험 이행지급 67,000


(3)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종속기업에 제공하고 있는 지급보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종속기업명 보증처 내역 지급보증금액
(주)바이옴로직 NH농협캐피탈 차랑리스 신용보증 36,182


(4) 당사가 현재 금융기관과 체결한 기타 약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금융기관 내역 한도액 실행금액
한국산업은행 시설자금대출 22,000,000 14,200,000
KEB하나은행 외상매출채권담보대출 30,000 -

(5) 주식재매입약정
당사는 종속기업투자주식((주)지에프퍼멘텍 보통주) 87,981주를 주당 56,830원에 케이투레페리오투자조합(이하, "투자자")에 양도하는 계약을 2019년 9월에 체결하였습니다. 양도 계약과 동시에 당사는 (주)지에프퍼멘텍이 양도일로부터 4년 이내에 기업공개(IPO)를 하지 못할 경우, 양수도 가격에서 연복리 4.5%의 이율을 적용한 금액에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투자자에게 부여하였습니다. 당사는 주식매수청구권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파생상품부채로 인식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종속기업투자주식((주)지에프퍼멘텍 보통주) 25,435주를 주당 62,513원에 프리미어글로벌이노베이션1호투자조합 외 2개사(이하, "투자자")에 양도하는 계약을 2020년 9월에 체결하였습니다. 양도 계약과 동시에 당사는 (주)지에프퍼멘텍이 2023년말까지 기업공개(IPO)를 하지 못할 경우, 양수도 가격에서 연복리 4.5%의 이율을 적용한 금액에 주식매수를 청구할 수 있는 권리를 투자자에게 부여하였습니다. 당사는 주식매수청구권을 공정가치로 평가하여 파생상품부채로 인식하였습니다.

24. 영업이익

(1) 매출액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매출액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제품매출액 3,150,647 8,469,381 2,344,984 5,485,433
매출환입및에누리 (4,365) (4,365) - -
상품매출액 - 159,143 318,148 687,706
기타매출액 600 31,550 58,151 623,817
합    계 3,146,882 8,655,709 2,721,283 6,796,956


2) 매출원가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매출원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제품매출원가 1,752,624 4,783,384 1,645,969 3,842,501
상품매출원가 - 125,984 208,108 462,556
기타매출원가 - 4,912 12,648 252,459
합    계 1,752,624 4,914,281 1,866,725 4,557,516


(3) 판매비와관리비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186,535 599,993 219,446 526,222
주식보상비용 - - 134 817
퇴직급여 20,551 61,659 17,932 52,881
복리후생비 22,816 70,613 16,143 43,995
여비교통비 4,181 10,284 2,716 6,883
전력비 8,370 21,192 7,154 17,524
세금과공과 24,779 29,892 24,570 38,487
감가상각비 41,695 126,114 33,328 110,346
보험료 1,584 4,675 1,520 4,780
경상연구개발비 666,852 1,919,427 594,206 1,488,044
운반비 98,967 241,028 43,231 106,459
소모품비 23,157 142,702 25,021 81,160
지급수수료 410,831 745,971 104,782 318,561
광고선전비 960 3,960 5,535 8,535
대손상각비(환입) (6,382) 55,610 247 (6,031)
무형자산상각비 7,096 21,523 7,000 19,989
기타비용 13,861 38,852 10,270 27,378
합    계 1,525,853 4,093,495 1,113,235 2,846,030


(4) 성격별 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의 주요항목에 대한 비용의 성격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재고자산의 변동 (195,912) (942,347) (116,681) (422,046)
원재료매입액 850,456 2,327,325 535,221 1,266,429
상품매입액 - 46,530 222,995 381,125
인건비 1,086,621 2,866,997 758,498 2,163,045
복리후생비 70,406 218,932 63,247 164,230
여비교통비 9,113 21,330 6,067 14,860
전력비 60,739 153,531 50,664 125,557
감가상각비 401,824 1,202,073 384,688 1,167,812
무형자산상각비 39,763 119,524 37,726 112,166
세금과공과 31,022 43,764 29,505 50,000
지급임차료 5,071 9,367 6,550 10,090
소모품비 422,259 1,032,155 206,531 748,120
지급수수료 537,382 1,214,113 727,163 1,471,314
광고선전비 960 3,960 5,535 8,535
기타비용 (41,227) 690,523 62,251 142,309
합  계 (*) 3,278,476 9,007,776 2,979,960 7,403,546

(*) 포괄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산한 금액입니다.


25.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타수익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임대수익 11,676 37,128 11,676 35,028
잡이익 3,976 184,897 1,553 10,899
합    계 15,652 222,025 13,229 45,927


(2) 기타비용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유형자산처분손실 - 2,508 -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18
기부금 700 700 - -
잡손실 6,350 6,360 364 2,034
합    계 7,050 9,568 364 2,052


26.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수익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이자수익 296,431 631,540 234,580 423,492
파생상품평가이익 - 2,169,705 - 3,065,129
사채조정이익 648,978 648,978 - -
외환차익 135,374 212,774 36,489 85,150
외화환산이익 76,355 124,001 16,663 42,182
합    계 1,157,138 3,786,999 287,732 3,615,953


(2) 금융비용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이자비용 1,408,427 2,660,465 465,566 1,369,295
사채상환손실 66,755 66,755 - -
외환차손 13,915 37,471 2,061 17,284
외화환산손실 (5,778) 14,446 3,825 4,993
합    계 1,483,319 2,779,137 471,452 1,391,572


27. 금융상품
(1)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부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합  계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1,763,429 - - - - 1,763,429
단기금융상품 34,680,226  -  -  -  - 34,680,226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716,554  -  -  -  - 2,716,554
파생상품자산(유동) -  -  - 1,269,794  - 1,269,794
비유동자산:
장기투자자산 - 1,280,335 5,667,213  -  - 6,947,548
보증금 1,334,210 -  -  -  - 1,334,210
장기대여금 5,600,000  -  -  -  - 5,600,000
금융자산 합계 46,094,419 1,280,335 5,667,213 1,269,794 - 54,311,761
유동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824,647 824,647
단기차입금  -  -  -  - 20,575,000 20,575,000
전환사채  -  -  -  - 27,925,435 27,925,435
전환우선주부채 - - - 3,799,958  - 3,799,958
파생상품부채  -  -  - 6,767,689  - 6,767,689
유동리스부채  -  -  -  - 41,970 41,970
비유동부채:
장기미지급금 - - - - 216,973 216,973
비유동리스부채 - - -  - 37,466 37,466
장기미지급비용 - - -  - 16,308 16,308
임대보증금 - - -  - 317,000 317,000
금융부채 합계 - - - 10,567,647 49,954,800 60,522,446


② 전기말

(단위:천원)
구  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부채)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합  계
유동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471,943  -  -  -  - 471,943
단기금융상품 14,613,973  -  - -  - 14,613,973
매출채권및기타채권 3,362,513  -  -  -  - 3,362,513
파생상품자산(유동)  -  - - 220,248  - 220,248
비유동자산:
장기투자자산  - 1,280,335 5,667,213  -  - 6,947,548
보증금 1,861,210  -  -  -  - 1,861,210
장기대여금 15,200,000  -  -  -  - 15,200,000
금융자산 합계 35,509,639 1,280,335 5,667,213 220,248 - 42,677,435
유동부채: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 568,905 568,905
단기차입금  -  -  -  - 6,500,000 6,500,000
전환사채  -  -  -  - 8,677,736 8,677,736
파생상품부채(유동)  -  -  - 2,842,683  - 2,842,683
유동리스부채 - - -  - 29,929 29,929
비유동부채:
장기차입금  -  -  -  - 14,450,000 14,450,000
장기미지급금  -  -  -  - 181,640 181,640
비유동리스부채  -  -  -  - 40,036 40,036
장기미지급비용 - - - - 16,308 16,308
임대보증금  -  -  -  - 362,000 362,000
금융부채 합계 - - - 2,842,683 30,826,555 33,669,238


(2) 당분기와 전분기의 금융상품 범주별 금융수익과 금융비용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이자수익/비용 기타금융수익/비용 순손익 기타포괄손익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296,431 631,540 860,707 985,754 1,157,138 1,617,294 - -
파생상품부채 -  - - 2,169,705 - 2,169,705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1,408,427) (2,660,465) (74,892) (118,672) (1,483,319) (2,779,137) - -
합    계 (1,111,996) (2,028,926) 785,815 3,036,787 (326,181) 1,007,862 - -


②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이자수익/비용 기타금융수익/비용 순손익 기타포괄손익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234,580 423,492 53,152 127,332 287,732 550,825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지분상품 - - - - - - - 1,022,718
파생상품부채 -  - - 3,065,129 - 3,065,129 -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465,567) (1,369,295) (5,885) (22,278) (471,452) (1,391,573) -  -
합    계 (230,987) (945,803) 47,266 3,170,183 (183,720) 2,224,381 - 1,022,718


28.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분기 및 전분기 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 및 당기손익 이외로 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29. 주당이익

당분기 및 전분기 주당이익의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기본주당이익

(단위: 원)
내    역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당분기순이익 (449,173,696) 866,990,434 (429,532,744) 1,660,031,995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1) 22,507,206주 22,501,772주 22,464,297주 22,421,144주
기본주당이익 (20) 39 (19) 74


(2) 희석주당이익
당분기 및 전분기 희석주당이익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내    역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희석분기순이익 (449,173,696) 866,990,434 (429,532,744) 1,660,031,995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22,507,206주 22,514,429주 22,511,993주 22,498,641주
희석주당이익 (20) 39 (19) 74


30. 특수관계자

(1) 당사의 특수관계자는 종속기업과 당사의 주요 경영진입니다.

구    분 회사명
종속기업 Genofocus Biotechnology Inc.
(주)지에프퍼멘텍(구: (주)성운바이오)
(주)바이옴로직
기타특수관계자 (주)성운파마코피아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매출 매입
매출 이자수익 매입 기타
종속기업 (주)지에프퍼멘텍 1,185  - 430,000 147,505
종속기업 (주)바이옴로직 - 125,217 - -
합    계 1,185 125,217 430,000 147,505


② 전분기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매출 매입
매출 이자수익 매입 기타
종속기업 (주)지에프퍼멘텍 - - 645,000 8,288
종속기업 (주)바이옴로직 210,644 136,052 - -
합    계 210,644 136,052 645,000 8,288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자금대여 자금회수 출자전환
종속기업 (주)바이옴로직 5,600,000  - 15,200,000


② 전분기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자금대여 자금회수 출자전환
종속기업 (주)바이옴로직 5,500,000 - -


(4)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채권 채무
장기대여금 미수수익 매입채무 선수금
종속기업 ㈜지에프퍼멘텍 - - - -
종속기업 (주)바이옴로직 5,600,000 - - -
기타특수관계자 (주)성운파마코피아 - - - 252,778
합    계 5,600,000 - - 252,778


② 전기말

(단위: 천원)
특수관계구분 특수관계자명 채권 채무
장기대여금 매출채권 매입채무 선수금
종속기업 (주)바이옴로직 15,200,000 550,000 - -
기타특수관계자 (주)성운파마코피아 - - - 252,778
합 계 15,200,000 550,000 - 252,778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종업원 용역의 대가로서 등기임원에게 지급되었거나 지급될 보상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급여 134,832 407,064 96,258 297,221
퇴직급여 14,730 44,190 10,108 31,088
주식기준보상 663 2,607 2,401 7,406
합    계 150,225 453,861 108,767 335,715


31. 현금흐름표
(1) 당분기와 전분기 중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중요한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사용권자산의 취득 49,731 86,642
장기대여금의 출자전환 15,200,000 -
차입원가 자본화 대체 467,226 548,905
주식매입선택권 행사로 인한 대체 24,206 64,250
장기차입금의 유동성 대체 14,450,000 375,000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재무활동에 생기는 부채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전환사채 리스부채 임대보증금
기초 6,000,000 14,575,000 14,450,000 8,677,736 69,965 362,000
현금흐름  - (375,000)  - 23,200,000 (44,170) (45,000)
유동성대체  - 375,000 (14,450,000)  -  -  -
현재가치할인  -  -  - (3,952,301) 3,910  -
리스대체  -  -  -  - 49,731  -
기말 6,000,000 14,575,000 - 27,925,435 79,436 317,000


②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단기차입금 유동성장기차입금 장기차입금 전환사채 리스부채 임대보증금
기초 6,000,000 250,000 14,950,000 6,354,431 35,368 50,000
현금흐름 - - - - (42,813)  -
유동성대체 - 250,000 (375,000) - -  -
현재가치할인 - - - 1,665,959 4,734  -
리스대체 - - - - 85,931  -
기말 6,000,000 500,000 14,575,000 8,020,390 83,220 50,000


32. 영업부문
(1) 당사의 영업부문은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과 신약 개발 사업부문 2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영업부문은 최고영업의사결정자에게 보고되는 내부 보고자료와 동일한 방식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당분기와 전분기 영업부문의 부문별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2) 영업부문별 정보
1) 영업부문의 당기손익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효소및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효소및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매출액 8,655,709 - 8,655,709 6,796,956  - 6,796,956
영업비용(*) 8,255,976 751,800 9,007,776 6,795,804 607,742 7,403,546
영업이익(손실) 399,733 (751,800) (352,067) 1,152 (607,742) (606,590)

(*) 매출원가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산한 금액입니다.

2) 영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효소및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효소및소재사업 신약 개발 합  계
유동자산 44,413,527 - 44,413,527 21,603,501 - 21,603,501
비유동자산 77,872,733 1,395,202 79,267,935 72,999,031 1,271,465 74,270,496
자산총계 122,286,259 1,395,202 123,681,462 94,602,533 1,271,465 95,873,997
부채총계 60,858,957 - 60,858,957 34,012,831 - 34,012,831


3) 매출액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곳의 외부고객으로부터 발생한 매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영업부문
A사 3,960,024 -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B사 1,012,000 -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C사 - 844,280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D사 - 769,900 효소 및 소재 사업부문
합  계 4,972,024 1,614,180


(3) 지역별 부문정보
1) 지역별 매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국내 3,114,447 4,654,316
네덜란드 3,960,024 679,280
영국 707,211 844,280
기타 874,027 619,079
합    계 8,655,709 6,796,956


2) 지역별  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국내 79,267,935 74,270,496
합  계 79,267,935 74,270,496



6. 배당에 관한 사항


가. 배당에 관한 사항
당사의 정관상 배당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당 관련 정관 조항>

제 12 조 (신주의 배당기산일)

본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발행한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영업년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제 57 조 (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 또는 금전 외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1항의 배당은 매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④ 이익배당은 주주총회의 결의로 정한다.


나. 주요배당지표

구   분 주식의 종류 당기 전기 전전기
제23기 3분기 제22기 제21기
주당액면가액(원) 500 500 500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2,454 -8,526 -12,125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867 6,174 -7,246
(연결)주당순이익(원) -138 -304 -555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현금배당수익률(%)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 - -
- - - -



다.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연속 배당횟수 평균 배당수익률
분기(중간)배당 결산배당 최근 3년간 최근 5년간
- - - -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주)
주식발행
(감소)일자
발행(감소)
형태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종류 수량 주당
액면가액
주당발행
(감소)가액
비고
2015.05.22 유상증자(일반공모) 보통주 1,236,000

500

11,000

코스닥상장
2015.06.04 전환권행사 보통주

1,584,283

500

3,156

전환사채 보통주 전환

2016.09.0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5,0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16.11.01 유상증자(제3자배정) 우선주 1,790,694 500 17,200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7.06.0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73,5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18.01.08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7,8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18.03.08 전환권행사 보통주 104,651 500 - 우선주 전환권행사
2018.03.21 무상증자 보통주 9,086,753 500 - 100% 무상증자
2018.03.21 무상증자 우선주 1,790,694 500 - 100% 무상증자
2018.03.22 전환권행사 보통주 2,139,534 500 - 우선주 전환권행사
2018.04.03 전환권행사 보통주 581,394 500 - 우선주 전환권행사
2018.11.07 전환권행사 보통주 536,778 500 - 우선주 전환권행사
2019.10.11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62,400 500 1,75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19.10.11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40,0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0.08.28 전환권행사 보통주 293,947 500 - 우선주 전환권행사
2020.10.1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12,000 500 1,75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0.10.1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8,0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0.10.2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4,000 500 8,944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0.10.2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0,000 500 9,344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0.10.2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3,000 500 12,15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1.07.1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85,800 500 1,75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1.07.1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4,0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2.07.07 유상증자(제3자배정) 우선주 788,373 500 4,820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22.09.0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8,000 500 1,75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2022.09.02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8,000 500 3,500 주식매수선택권행사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주)
종류\구분 회차 발행일 만기일 권면(전자등록)총액 전환대상
주식의 종류
전환청구가능기간 전환조건 미상환사채 비고
전환비율
(%)
전환가액 권면(전자등록)총액 전환가능주식수
제3회 무기명식
무보증사모 전환사채
제3회차 2020년 08월 24일 2025년 08월 24일 10,000,000 기명주 보통주 2021.08.24 ~
2025.07.24
100 5,881 9,000,000 1,530,352 -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사모 전환사채
제4회차 2022년 07월 06일 2027년 07월 06일 23,200,000 기명식 보통주 2023.07.06 ~
2027.06.06
100 5,747 23,200,000 4,036,888 -
합 계 - - - 33,200,000 기명주 보통주 - - - 32,200,000 5,567,240 -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
발행회사 증권종류 발행방법 발행일자 권면(전자등록)총액 이자율 평가등급
(평가기관)
만기일 상환
여부
주관회사
- - - - - - - - - -
- - - - - - - - - -
합  계 - - - - - - - - -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사모 - - - - - - - - -
합계 - - - - - - - - -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15년이하
15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
사모 - - - - - - - - - -
합계 - - - - - - - - - -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구 분 회차 납입일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기업공개
(코스닥시장 상장)
- 2015년 05월 22일 설비증설 : 4,391,846
공장인수 : 2,500,000
연구개발 : 6,000,000
12,891,846 설비증설 : 12,538,340
공장인수 :              -
연구개발 :     353,506
12,891,846 공장건축과 설비증설은
투자계획에 따라 집행되고있음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구 분 회차 납입일 주요사항보고서의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전환사채 1 2013년 11월 06일 시설자금 : 2,500,001 2,500,001 시설자금 : 2,500,001 2,500,001 -
전환사채 2 2013년 11월 13일 시설자금 : 2,500,000 2,500,000 시설자금 : 2,500,000 2,500,000 -
우선주 1 2014년 04월 09일 시설자금 : 999,999 999,999 시설자금 : 999,999 999,999 -
우선주 2 2014년 05월 23일 시설자금 : 600,003
운영자금 : 400,003
1,000,006 시설자금: 600,003
운영자금: 400,003
1,000,006 -
우선주 3 2014년 11월 17일 시설자금 : 2,999,986 2,999,986 시설자금 : 2,999,986 2,999,986 -
우선주 4 2016년 11월 01일 시설자금 : 10,000,000
운영자금 : 10,799,936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10,000,000
30,799,936 시설자금 : 10,000,000
운영자금 : 10,799,936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10,000,000
30,799,936 -
전환사채 3 2020년 08월 24일 시설자금: 10,000,000 10,000,000 - - 공장건설 및 설비증설은
투자계획에 따라 진행중임
전환사채 4 2022년 07월 06일 시설자금 : 10,000,000
운영자금 : 13,200,000
23,200,000 - - -
우선주 5 2022년 07월 07일 운영자금 : 3,799,958 3,799,958 - - -


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종류 금융상품명 운용금액 계약기간 실투자기간
채권 MMF 10,046,792 2020년 8월~ 2년 2개월
채권 RP 24,633,435 2022년 7월~ 3개월
예금 보통예금 1,763,429 - -
36,443,655


라.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법적위험 변동사항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사업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재무제표 재작성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자산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구분 계정과목 채권금액 대손충당금 대손충당금 설정률
2022년
(제23기 3분기)
매출채권 5,547,337 60,945 1.10%
기타수취채권 290,439 183,140 63.06%
비유동수취채권 2,520,274 - -
합계 8,358,050 244,084 2.92%
2021년
(제22기)
매출채권 5,839,391 5,335 0.09%
기타수취채권 223,862 176,243 78.73%
비유동수취채권 3,111,464 -  -
합계 9,174,718 181,578 1.77%
2020년
(제21기)
매출채권 3,383,785 3,238 0.10%
기타수취채권 226,472 168,888 72.78%
비유동수취채권 2,232,580  - -
합계 5,842,838 172,126 2.94%


(2)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구분 2022년
(제23기 3분기)
2021년
(제22기)
2020년
(제21기)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181,578 172,126 146,283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62,506) (9,452) (25,843)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2,097) (30,306)
②  상각채권회수액 - 8,125 -
③  기타증감액 (62,506) (15,480) 4,463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  -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244,084 181,578 172,126


(3) 대손충당금 설정기준
당사의 재무상태일 현재 매출채권 잔액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개별분석 및 과거의 대손경험율을 토대로 하여 예상되는 대손추정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4)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구분 6개월이하 6개월 초과
1년 이하
1년 초과
3년 이하
3년 초과
매출채권 5,486,392 - 60,945 - 5,547,337
구성비율 98.90% - 1.10% - 100.00%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 보유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계정과목 2022년
(제23기 3분기)
2021년
(제22기)
2020년
(제21기)
비고
상품 252,662 183,415 187,330 -
제품 3,518,804 2,879,054 1,051,805 -
재공품 2,076,732 1,468,928 2,837,449 -
원재료 466,392 345,900 230,042 -
저장품 - - - -
합계 6,314,590 4,877,297 4,306,626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4.31% 4.12% 3.80% -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재고자산회전율(회수) 4.28 6.99 3.61 -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2) 재고자산의 실사 내역
[실사일자]
- 2019년말 기말재고자산 실사 : 2020년 1월 6일
- 2020년말 기말재고자산 실사 : 2021년 1월 8일
- 2021년말 기말재고자산 실사 : 2022년 1월 7일

[실사방법]
2021년 기말 재고자산의 경우 외부감사인인 삼덕회계법인의 입회하에 재고조사를 실시하였습니다.

(3) 재고자산 보유내역 및 평가내역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계정과목 취득원가 보유금액 당기평가손실 기말잔액 비고
상품 252,662 252,662 - 252,662 -
제품 4,337,878 4,337,878 (819,074) 3,518,804 -
재공품 2,112,453 2,112,453 (35,721) 2,076,732 -
원재료 493,669 493,669 (27,276) 466,392 -
합계 7,196,662 7,196,662 (882,072) 6,314,590 -


(4) 재고자산의 담보제공
당사는 재고자산을 담보로 제공한 사실이 없습니다.


(5) 공정가치 평가 방법 및 내역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포함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에 해당하여 공정가치를 측정하지않은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에 대한 공정가치 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천원)
구분 장부금액 수준1 수준2 수준3 합계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5,667,213 - - 5,667,213 5,667,21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1,280,335 - - 1,280,335 1,280,335
파생상품자산 1,269,794 - - 1,269,794 1,269,794
합 계 8,217,342 - - 8,217,342 8,217,342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3,799,958  -  - 3,799,958 3,799,958
파생상품부채 18,525,508  -  - 18,525,508 18,525,508
합 계 22,325,466  -  - 22,325,466 22,325,466


② 전기말

(단위:천원)
구분 장부금액 수준1 수준2 수준3 합계
공정가치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 채무상품 5,667,213 - - 5,667,213 5,667,213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 지분상품 1,280,335 - - 1,280,335 1,280,335
파생상품자산 220,248 - - 220,248 220,248
합 계 7,167,796 - - 7,167,796 7,167,796
공정가치 측정 금융부채
파생상품부채 16,314,864 - - 16,314,864 16,314,864
합계 16,314,864 - - 16,314,864 16,314,864


③ 공정가치 서열 수준3의 변동내역
당분기 중 수준 1과 수준 2간의 대체는 없었으며, 공정가치로 측정된 금융상품 중 서열 수준3에 해당하는 금융상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기초금액 취득 처분 공정가치 변동액 합계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자산
장기투자자산 6,947,548 - - - 6,947,548
파생상품자산 220,248 1,269,794 (12,519) (207,729) 1,269,794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금융부채
전환우선주부채  - 3,799,958 - - 3,799,958
파생상품부채 16,314,864 6,348,965 (46,525) (4,091,796) 18,525,508

수준3의 자산,부채의 공정가치는 자체적으로 개발한 내부평가모형을 통해 평가한 값을 사용하거나 독립적인 외부평가기관이 평가한 값을 제공받아 사용하고 있습니다.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당사는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분,반기보고서의 본 항목을 기재하지 않습니다.

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등

사업연도 감사인 감사의견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23기(당기) 삼덕회계법인 - - -
제22기(전기) 삼덕회계법인 적정 해당사항 없음 내부창출 개발비 자산화 및 손상평가
제21기(전전기) 삼덕회계법인 적정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사업연도 감사인 내 용 감사계약내역 실제수행내역
보수 시간 보수 시간
제23기(당기) 삼덕회계법인 별도 및 연결감사(반기 및 연간) 65,000천원 - - -
제22기(전기) 삼덕회계법인 별도 및 연결감사(반기 및 연간) 60,000천원 960시간 60,000천원 960시간
제21기(전전기) 삼덕회계법인 별도 및 연결감사(반기 및 연간) 58,000천원 959시간 58,000천원 959시간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계약체결일 용역내용 용역수행기간 용역보수 비고
제23기(당기) - - - - -
- - - - -
제22기(전기) - - - - -
- - - - -
제21기(전전기) - - - - -
- - - - -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일자 참석자 방식 주요 논의 내용
1 2021년 02월 26일 회사 - 재무담당이사 외 1인
감사인 - 담당회계사 외 3인
대면회의 기말감사 결과보고
2 2021년 07월 30일 회사 - 재무담당이사 외 2인
감사인 - 담당회계사 외 2인
대면회의 반기검토 결과보고
3 2022년 02월 25일 회사 - 재무담당이사 외 2인
감사인 - 담당회계사 외 2인
대면회의 기말감사 핵심감사사항 등 결과보고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회계감사인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의견]

사업연도 감사인 감사의견 지적사항
제23기
(당기)
삼덕회계법인 - -
제22기
(전기)
삼덕회계법인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1년 12월 31일 현재「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해당사항 없음
제21기
(전전기)
삼덕회계법인 회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는 2020년 12월 31일 현재「내부회계관리제도 설계 및 운영 개념체계」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효과적으로 설계 및 운영되고 있습니다. 해당사항 없음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가. 이사회의 구성

당사의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되고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주요사항을 의결하며 이사 및 경영진의 직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2명의 사내이사와 1명의 기타비상무이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내 별도의 위원회는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내용

구분

내용

제 3 조

【이사회의 구성】

1. 이사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이사 전원으로 구성한다.

2. 감사는 이사회에 출석하여 의견을 진술할 수 있다.

3. 이사회의 업무처리를 위하여 1명의 간사를 둘 수 있다. 간사는 주관부서인 행정실에서 지정한다.

제4조

【이사회의 구분 및 소집】

1.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구분한다.

2. 정기이사회는 분기별로 정해진 날에 개최한다. 그러나 정기 이사회 일이 공휴일인 때에는 그 익일에 개최한다.

3. 임시이사회는 대표이사 사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와 재적이사 과반수의 요구가 있을 때 이를 개최한다.

4. 대표이사 사장이 유고시에는 회사 정관에서 정한 순서로 소집권자가 된다.

5. 이사회를 소집할 때에는 이사회일 1주일 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 대하여 소집일시, 장소를 기재한 소집통지서(별지서식 제1호)를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이 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6. 재적이사 과반수에 의한 이사회소집청구가 거절되거나 또는 청구한 날로부터 3일 이내에 소집통지서가 발송되지 아니할 경우에는 청구자 공동명의로 이를 소집할 수 있다.

제7조

【이사회의

결의방법】

1. 이사는 각 1개의 의결권을 갖는다.

2. 이사회의 결의는 재적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결정한다.

3.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하며 의결권의 수에 산입하지 않는다.

4. 이사회의 의결권은 대리하지 못한다.

제8조

【이사회

의결사항】

이사회는 다음 사항을 심의/의결한다.

1. 주주총회의 소집과 이에 부의할 안건에 관한 사항

2. 경영전반에 관한 사항

3. 조직 및 직제의 제정 및 개폐에 관한 사항

4. 이사 및 이사 아닌 임원의 선임 및 해임에 관한 사항

5. 보수, 기밀비의 결정에 관한 사항

6. 신규 사업 및 투자, 매각, 결손의 처리에 관한 사항

7. 신주의 발행, 주식의 발행, 사채의 발행, 자금의 차입 등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8. 이사회운영에 관한 사항

9. 본점이전 및 지점설치에 관한 사항

10. 기타 법령, 정관 및 주주총회에서 위임받은 사항과 이사회에서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제11조

【이사회 의사록】

이사회의 의사진행 및 그 결과는 이사회회의록(별지서식 제2호)에 기재하여 출석한 이사의 기명날인을 받아 이를 본점에 비치하여야 한다.


다. 이사회의 권한 내용

구분

내용

주주총회

1)   주주총회의 소집

2)   영영보고서의 승인

3)   재무제표의 승인

4)   정관의 변경

5)   자본의 감소

6)   회사의 해산, 합병, 분할합병, 회사의 계속

7)   주식의 소각

8)   회사의 영업 전부 또는 중요한 일부의 양도 및 다른 회사의 영업 전부의 양수

9)   이사, 감사의 선임 및 해임

10) 주식의 액면미달 발행

11) 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의 면제

12) 주식배당 결정

13)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14) 이사. 감사의 보수

15) 회사의 최대주주(그의 특수관계인을 포함함)및 특수관계인과의 거래의 승인 및 주주총회에의 보고

16) 기타 주주총회에 부의할 의안

경영일반

1)   회사경영의 기본 방침의 결정 및 변경

2)   신규사업 또는 신제품의 개발

3)   자금계획 및 예산운용

4)   대표이사의 선임 및 해임

5)   회장, 부회장, 사장, 부사장, 전무이사, 상무이사 등의 선임 및 해임

6)   공동대표의 결정

7)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설치, 운영 및 폐지

8)   이사회 내 위원회의 선임 및 해임

9)   이사회 내 위원회의 결의사항에 대한 재결의

10) 이사의 전문가 조력의 결정

11) 지배인의 선임 및 해임

12) 직원의 채용계획 및 훈련의 기본방침

13) 급여체계, 상여 및 후생제도

14) 기존조직의 제정 및 개폐

15) 중요한 사규, 사칙의 규정 및 개폐

16) 지점, 공장, 사무소, 사업장의 설치 및 이전 또는 폐지 간이합병, 간이분할합병, 소규모합병 및 소규모분할합병의 결정

17) 흡수합병 또는 신설합병의 보고

재무관련

1)   투자에 관한 사항

2)   중요한 계약의 체결

3)   중요한 재산의 취득 및 처분

4)   결손의 처분

5)   중요시설의 신설 및 개폐

6)   신주의 발행

7)   사채의 모집

8)   준비금의 자본전입

9)   전환사채의 발행

10) 신주인수권부사체의 발행

11) 대규모금액의 자금 도입 및 보증 행위

12) 중요한 재산에 대한 저당권, 질권의 설정

이사관련

1)   이사와 회사간 거래의 승인

2)   이사가 다른 회사의 임원으로 겸임에 관한 사항

3)   이사의 변동에 관한 사항


라. 주요 의결사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비고
2022.01.25 특수관계인 운영자금 대여의 건 가결 -
2022.02.10 특수관계인 운영자금 대여의 건 가결 -
2022.02.14 제 22기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
2022.02.28 제 22기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
2022.03.14 제 22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가결 -
2022.03.21 특수관계인 주식 취득의 건 가결 -
2022.03.29 대표이사 재선임의 건 가결 -
2022.04.08 특수관계인 운영자금 대여의 건 가결 -
2022.06.28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및 신주발행(제3자배정 전환우선주)의 건 가결 -
2022.07.25 특수관계인 운영자금 대여의 건 가결 -


마. 이사회 내의 위원회 구성현황과 그 활동내역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 내에는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바.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회는 사내이사 2인(대표이사 포함)과 기타비상무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사 경영의 중요한 의사결정과 업무집행은 이사회의 심의 및 결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대주주 등의 독단적인 경영과 이로 인한 소액주주의 이익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사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성실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사. 사외이사의 전문성

당사는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보조하기 위한 별도의 지원조직이 없으며, 사외이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거나 위탁교육 등 외부기관이 제공하는 교육을 이수하도록 한 바 없습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이사의 수 사외이사 수 사외이사 변동현황
선임 해임 중도퇴임
3 - - - -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가. 감사위원회 설치여부

당사는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 않으며, 주주총회 결의로 선임된 비상근 감사 1명이 감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감사위원 현황

성명 사외이사
여부
경력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해당 여부 전문가 유형 관련 경력
나종민 -

13.07-현재     태성회계법인 (컨설팅 본부 상무이사)

10.07.-13.07. 한주회계법인 (컨설팅 본부 이사)

07.11.-10.07. 아이로드컨설팅(주) (컨설팅 본부 이사)

06.11.-07.11. 한양증권 (자본시장팀 과장)

05.07.-06.11. 토러스벤처캐피탈 (투자심사팀 심사역/과장)

04.02.-05.07. 코스닥협회(사원)

공인회계사 19년 3개월


다. 감사의 독립성

감사는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 및 타 부서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 접근을 위하여 당사 정관에 다음과 같은 조항을 두고 있습니다.

제50조 (감사의 직무 등)

① 감사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감사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하여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③ 감사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 없이 보고를 하지 아니할 때 또는 그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④ 감사에 대하여는 39조 제3항을 준용한다.

⑤ 감사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의 도움을 구할 수 있다.

⑥ 감사는 필요하면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이유를 적은 서면을 이사 (소집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소집권자)에게 제출하여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⑦ 제6항의 청구를 하였는데도 이사가 지체 없이 이사회를 소집하지 아니하면 그 청구한 감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라. 감사의 주요 활동내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감사
참석여부

2022.03.29 정기 주주총회(제 22기 연결재무제표 및 별도 재무제표 승인의 건) 가결 불참
2022.06.28 제4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및 신주발행(제3자배정 전환우선주)의 건 가결 참석


마.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 내역

감사위원회 교육 실시여부 감사위원회 교육 미실시 사유
미실시 당사의 감사는 공인회계사로 충분한 자격 요건을 갖춰
교육을 미실시 하였습니다.


바. 감사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직원수(명) 직위(근속연수) 주요 활동내역
- - - -



사.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투표제도 종류 집중투표제 서면투표제 전자투표제
도입여부 채택 미도입 미도입
실시여부 실시 미실시 미실시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주식수 비고
발행주식총수(A) 보통주 22,525,010 -
우선주 788,373 -
의결권없는 주식수(B) 보통주 - -
우선주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보통주 - -
우선주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
(F = A - B - C - D + E)
보통주 22,525,010 -
우선주 788,373 -


VII. 주주에 관한 사항


가.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반재구 최대주주 보통주 5,390,200 23.96 5,390,200 23.93 -
김의중 대표이사 보통주 2,221,062 9.87 2,221,062 9.86 -
김정현 등기임원 보통주 10,000 0.04 10,000 0.04 -
보통주 7,621,262 33.87 7,621,262 33.83 -
우선주 - - - - -


나.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성명 직위 주요경력
기간 경력사항 겸임현황
반재구 CTO 1985.09~현

㈜바이옴로직 (現대표이사)
㈜제노포커스 (現기타비상무이사)
㈜제노포커스 (창업, 사업총괄, 前대표이사)

(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슈퍼박테이리아제어 센터장

(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단백질개발센터장

(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 책임연구원, 바이오소재 부장

KAIST 겸임교수

Compiegen공대 Post Doc.

해당사항 없음


다. 최대주주 변동내역

설립일로부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최대주주는 총 2번 변경되었으며, 공시서류제출일 현재 최대주주인 기술이사 반재구 등은 2010년 4월 28일 최대주주가 된 이후현재까지 최대주주로서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라.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주)
구분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비고
5% 이상 주주 반재구 5,390,200 23.93 -
김의중 2,221,062 9.86 -
우리사주조합 - - -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주)
구 분 주주 소유주식 비 고
소액
주주수
전체
주주수
비율
(%)
소액
주식수
총발행
주식수
비율
(%)
소액주주 10,792 10,797 99.95 14,014,058 22,525,010 62.22 -


주식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제 10 조 【 신주인수권 】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상법 제542조의 3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배정하는 경우

4.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주권을 코스닥 시장 또는 유가증권시장에 신규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6.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 16에 의하여 이사회의 결의로 외국주식예탁증권(DR)발행에 따라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2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 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⑤ 제2항에 따라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회사는 상법 제416조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결산일

12월 31일

정기주주총회

매 사업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주주명부폐쇄시기

매년 1월 1일부터 1월 15일까지

주권의 종류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10,000주권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주주의 특전

해당사항 없음

공고게재

홈페이지(www.genofocus.com)


마. 최근 6개월 간의 주가 및 주식 거래실적

[증권거래소명 : 코스닥증권시장]   (단위 : 원,주)
종류 22년 4월 22년 5월 22년 6월 22년 7월 22년 8월 22년 9월
보통주 주가 최고 6,590 6,250 6,390 6,850 7,810 9,070
최저 6,040 5,540 5,240 5,010 5,870 6,530
평균 6,238 5,935 5,708 6,090 6,519 7,629
거래량 최고(일) 114,682 995,741 4,554,121 4,732,607 14,990,680 6,684,807
최저(일) 15,153 10,140 18,878 30,356 44,123 115,727
월간 966,159 1,762,415 6,538,399 9,165,308 27,807,715 16,774,336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가. 임원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주)
성명 성별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
여부
담당
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최대주주와의
관계
재직기간 임기
만료일
의결권
있는 주식
의결권
없는 주식
김의중 1973.01 대표이사 사내이사 상근 회사총괄

㈜제노포커스 (現대표이사,前연구소장)

㈜지에프퍼멘텍 (前대표이사)
숭실대학교 의생명시스템학부(겸임교수)

한국생명공학벤처산업연구회(기획간사, 회장)

연세대학교 생물산업소재센터(연구원)

2,221,062 - 대표이사 21년 6개월 2025.03.29
반재구 1958.04 기타비상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비상근 CTO,
이사회
의장

㈜바이옴로직 (現대표이사)
㈜제노포커스 (現기술이사)
㈜제노포커스 (창업, 사업총괄, 前대표이사)

(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슈퍼박테이리아제어 센터장

(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산업단백질개발센터장

(전)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선임, 책임연구원, 바이오소재 부장

KAIST 겸임교수

Compiegen공대 Post Doc.

5,390,200 - 본인 22년 6개월 2023.03.29
김정현 1964.04 수석연구위원 사내이사 상근 연구 총괄 (전)서울 백병원 (임상시험위원회/학술위원회 위원)
(전)인제대학교  (인당분자생물학 연구소장)
(전)삼양제넥스  (선임/책임연구원)
10,000 - 임원 7년 2023.08.03
나종민 1974.09 감사 감사 비상근 감사

태성회계법인 (컨설팅 본부 상무이사)

(전)한주회계법인 (컨설팅 본부 이사)

(전)아이로드컨설팅(주) (컨설팅 본부 이사)

(전)한양증권 (자본시장팀 과장)

(전)토러스벤처캐피탈 (투자심사팀 심사역/과장)

(전)코스닥협회 (사원)

- - - 8년 5개월 2023.03.29



나.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직원 소속 외
근로자
비고
사업부문 성별 직 원 수 평 균
근속연수
연간급여
총 액
1인평균
급여액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
합 계
전체 (단시간
근로자)
전체 (단시간
근로자)
산업용
효소
34 - - - 34 4.9 1,213,223 35,683 - - - -
산업용
효소
28 2 - - 30 5.3 843,790 28,126 -
합 계 62 2 - - 64 5.1 2,057,012 32,141 -

(주) 연간급여총액 및 1인 평균급여액은 소득세법 제20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공제 반영전 근로소득 기준이며, 주주총회 결의로 부여받은 주식매수선택권을 당해 법인등에서 근무하는 기간중 행사함으로써 얻은 행사이익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연간급여 총액 1인평균 급여액 비고
미등기임원 1 55,082 55,082 -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1)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주총회 승인금액 비고
이사 3 500,000 -
감사 1 100,000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천원)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4 327,383 81,846 -


(2-2) 유형별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3 327,383 109,128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 - -
감사위원회 위원 - - - -
감사 1 - - -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천원)
이름 직위 보수총액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


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
이름 보수의 종류 총액 산정기준 및 방법
- 근로소득 급여 - -
상여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 -

(주) 주식매입 선택권 행사이익 및 퇴직금은 별도 주주총회를 통해 승인 받은 사항으로 별도 기재 하지 않음

(3)보수지급기준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3-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천원)
이름 직위 보수총액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


(3-2) 산정기준 및 방법


(단위 : 원)
이름 보수의 종류 총액 산정기준 및 방법
- 근로소득 급여 - -
상여 -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이익
- -
기타 근로소득 - -
퇴직소득 - -
기타소득 - -



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 현황

(1) 이사ㆍ감사에게 부여한 주식매수선택권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비고
등기이사 3 2,607 -
사외이사 -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1 - -
4 2,607 -


(2) 주식매수선택권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원, 주)
부여
받은자
관 계 부여일 부여방법 주식의
종류
최초
부여
수량
당기변동수량 총변동수량 기말
미행사수량
행사기간 행사
가격
행사 취소 행사 취소
나종민 등기임원 2014.03.31 신주교부 보통주 10,000 - - 10,000 - -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후 1년후부터 연간 최대 20% 1,750
주숙자 외 21명 직원 2014.03.31 신주교부 보통주 474,200 8,000 - 372,600 101,600 -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후 1년후부터 연간 최대 20% 1,750
양택호 등기임원 2014.09.25 신주교부 보통주 80,000 - - 80,000 - -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후 1년후부터 연간 최대 20% 1,750
박수영 외 1명 미등기임원 2014.09.25 신주교부 보통주 40,000 - - 28,000 12,000 -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후 1년후부터 연간 최대 20% 1,750
최종수 계열회사 임원 2015.04.15 신주교부 보통주 70,000 14,000 - 70,000 - -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후 1년후부터 연간 최대 20% 3,500
서계원 직원 2015.04.15 신주교부 보통주 20,000 4,000 - 20,000 - -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주식상장후 1년후부터 연간 최대 20% 3,500
김정현 등기임원 2016.08.10 신주교부 보통주 60,000 - - 10,000 - 50,000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연간 최대 20% 12,152
염도영 직원 2016.08.10 신주교부 보통주 70,000 - - 13,000 - 57,000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연간 최대 20% 12,152
한상열 계열회사 임원 2017.03.13 신주교부 보통주 10,000 - - 4,000 - 6,000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연간 최대 20% 8,944
한정준 계열회사 임원 2018.09.14 신주교부 보통주 50,000 - - 10,000 - 40,000 부여일로부터 2년후, 최소근로 3년후, 연간 최대 20% 9,344

(주1)  회사는 2018년 03월 무상증자를 시행하였으며, 이로 인한 무상증자의 효과를 반영하였습니다.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가. 계열회사 현황(요약)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사)
기업집단의 명칭 계열회사의 수
상장 비상장
(주)제노포커스 - 3 3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나.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출자
목적
출자회사수 총 출자금액
상장 비상장 기초
장부
가액
증가(감소) 기말
장부
가액
취득
(처분)
평가
손익
경영참여 - 3 3 13,414 15,200 - 28,614
일반투자 - 2 2 1,280 - - 1,280
단순투자 - - - - - - -
- 5 5 14,694 15,200 - 29,894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가. 제재현황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한국거래소 등으로부터 받은 제재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단기매매차익 발생 및 반환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가. 작성 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및 중소기업기본법 시행령 규칙 제 3조 제1항 제2호에 의거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다.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법적범위 변동사항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기업인수목적회사의 금융투자업자의 역활 및 의무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합병 등의 사후 정리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녹색경영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 사항이 없습니다.

차. 정부의 인증 및 그 취소에 관한 사항

인증서명 근거법령 인증부처 인증날짜 유효기간
벤처기업확인서 벤처기업법 제2조의 2제1항제2호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2021년 06월 16일 2021-05-30 ~ 2024-05-29


카.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 및 채무조정 사유등의 변동 현황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타. 보호예수
보고서 작성 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파. 특례상장기업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
관리종목 지정요건 요건별 회사 현황 관리종목
지정요건
해당여부
관리종목지정유예
항목 사업연도 금액/비율 해당
여부
종료
시점
최근 사업연도말
매출액 30억원 미만
최근 사업연도말 매출액(별도) - - 미해당 미해당 -
최근 4사업연도 연속 영업손실 발생 최근 4사업연도
각 영업손익
(별도)
2021년 211 미해당 해당 -
2020년 -1,600
2019년 -2,181
2018년 -765
자기자본 50%이상(10억원 이상에 한함)의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이 최근 3년간 2회 이상 및 최근 사업연도 법인세차감전계속사업손실 발생 최근 3사업연도
각 자기자본
대비 법인세차감전
계속사업손익
비율(연결)
2021년 -37.1 미해당 미해당 -
2020년 -26.9
2019년 -9.3


XI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단위 : 천원)
상호 설립일 주소 주요사업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지배관계 근거 주요종속
회사 여부
Genofocus
Biotechnology Inc.
2012.02.22 중국 특수 산업용 효소 1,572 지분율 100% -
주식회사 지에프퍼멘텍 2000.04.18 한국 Nutraceuticals,
Cosmeceuticals,
Pharmaceuticals
47,007 지분율 65.57% 해당
(자산총액의 10%이상)
주식회사 바이옴로직 2018.10.01 한국 마이크로바이옴 신약 및
Oral Biologics 신약 개발
1,465 지분율 100% -


2. 계열회사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사)
상장여부 회사수 기업명 법인등록번호
상장 - - -
- -
비상장 3 Genofocus
Biotechnology Inc.
91320281583798316N
주식회사 지에프퍼멘텍 314-81-32604
주식회사 바이옴로직 471-86-01170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기준일 : 2022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주, %)
법인명 상장
여부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취득(처분) 평가
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총자산 당기
순손익
수량 금액
Genofocus
Biotechnology Inc
비상장 2012년 02월 22일 중국내 사업영역 확장 34 - 100 108 - - - - 100 108 1,572 221
주식회사
지에프퍼멘텍
비상장 2017년 03월 10일 신규사업영역확장 5,000 431,002 65.57 12,806 - - - 431,002 65.57 12,806 47,007 -4,966
주식회사
바이옴로직
비상장 2018년 10월 01일 신규사업영역확장 500 100,000 100 500 96,815 15,200 - 196,815 100 15,700 1,465 -8,273
주식회사
성운파마코피아
비상장 2017년 06월 26일 공동사업협력 1,000 97,070 2.73 - - - - 97,070 2.73 - 5,513 -3,214
주식회사
바오밥팜
비상장 2019년 04월 12일 공동연구개발 500 2,542 8.58 1,280 - - - 2,542 8.58 1,280 13,441 -2,973
합 계 630,614 - 14,694 96,815 15,200 - 727,429 - 29,894 - -

(주) 주식회사 성운파마코피아는 최근 사업연도 재무자료 확보가 현실적으로 곤란하여, 2020년 12월 31일의 재무 현황을 기재하였습니다.

당사의핵심 및 주변 기술[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기술

내용

유전자원
확보

신규 유전자원 발굴
및 유전체 분석

- 용도에 적합한 효소자원을 자연계로부터 발굴하여 라이브러리 형태로 보유 (극한 미생물, GRAS 미생물, metagenome 등).

- 유전체 분석을 통해서 유용 효소 유전자원 발굴 및 최적의 유전자 합성 (codon optimization).

구조-기반
상동성 분석

- 해당 효소의 구조 기반 상동성 분석을 통한 새로운 유전자를 발굴하고 단백질 구조 기반의 효소 개량에 활용.

계통 분석

- 자연계 진화를 활용한 유전자원 발굴 기술로 진화흐름도 (phylogenic tree)에 따른 계통 분석으로 우수한 성질의 유전자원 발굴.

- 상업 생산용 균주와 유사한 미생물로부터 유전자원 확보.

단백질 개량

라이브러리 제조
(GFLibrary™)

- 스마트 라이브러리 제조 기술: 해당 유전자의 다양성 생성 기술로 기존 효소 활성을 유지하는 변이체들이 선택적으로 많이 생성되도록 하는 라이브러리 제조 기술.

- 효소의 3차 구조, 아미노산 상동성, 분류 기원에 근거하여 최적 조합 위치 분석 (GFSCHEMA™), 특정 위치에서 절단 및 재조합이 일어나게 하는 조합 라이브러리 제조 방법.

- GFLibrary™-1: 제한효소와 접합효소 기반의 제조
- GFLibrary™-2: T7 DNA polymerase 기반의 제조
- GFLibrary™-3: PCR 기반의 제조

- non-GMO 방식의 균주 개량에 활용 가능한 미생물 변이체 제작 기술.

미생물 디스플레이
(핵심기술)

- 박테리아 디스플레이 기술 (GFScreen™-1)
: 빙핵활성단백질 (INP) 및 자가수송단백질 (AT) 기반

- 바실러스 포자 디스플레이 기술 (GFScreen™-3)
: 코트 단백질 융합, 무융합, 포자 흡착 기반

대장균 자동발현
(GFScreen™-2)

- 대장균 대사 물질에 의해 발현이 유도되는 자동 발현 시스템으로 각 숙주 세포별 변이 효소의 발현양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true positive' 선별에 유용.

초고속 스크리닝

- 성장 연계 스크리닝 (growth-linked screening)

- 활성가시화 스크리닝 (solid state visualization)

- FACSorting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ing)

- 포자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효소 안정성 개선.

단백질 구조
모델링

- 단백질 구조 기반의 합리적 설계 (structure-based rational design)를 통한 효소 개량 기술.

- 기존 단백질 구조 해석이 완료된 효소들을 대상으로 아미노산 서열과 효소 기능간의 상관관계를 분석.

- 해당 효소의 활성, 기질 특이성, 안정성, 생산성 등의 성질을 컴퓨터 기반의 3차 구조 모델링을 통해 예측하여 개량.

단백질 발현

대장균 발현
(GFExpress™-1)

- 미생물 대사산물인 초산 (acetate)에 의해 조절되는 프로모터 (acetyl-CoA synthetase promoter)를 이용한 자동발현 시스템.

- 숙주 세포 개량으로 해당 목적 단백질이 세포 총 단백질 중 50% 이상 발현.

- 미니 항체 (minidomain antibody) 등 세포 내 발현이 불가피한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활용.

바실러스 분비 발현
(GFExpress™-2)
(핵심 기술)

- 세포 성장 정지기에 자동으로 유도 발현되는 시스템 (Pcry 및 개량 프로모터 라이브러리 확보).

- Exoribonuclease에 의한 mRNA 분해를 방지시키는 기술.

- 다양한 분비 효소를 대상으로 이에 최적인 분비 신호서열 라이브러리를 확보하여 분비발현 최적화.

- 숙주 세포내에 존재하는 protease를 유전자 수준에서 제거하여 경제적 고농도 효소 생산 최적화.

ABC transporter

분비 발현

(GFExpress™-3)

- 그람 음성 박테리아의 one-step 분비 체계인 ABC transporter를 활용한 재조합 단백질 분비 시스템.

- 고가의 산업용 및 의약용 효소 생산에 활용.

Corynebacterium
발현
(GFExpress™-4)

- GRAS 균주인 Corynebacterium을 생산 숙주로 활용한 발현 시스템으로 세포 총 단백질 중 30% 이상 발현.

- Bacillus 유래 신규 프로모터 도입으로 세포 성장과 더불어 항시 (자동) 발현.

곰팡이 (Aspergillus) 분비 발현
(GFExpress™-5)
(핵심 기술)

- 서로 다른 종류의 강력한 프로모터 (PglaA, PaglU, PacamyA)를 확보하여 선택적으로 적용 가능.

- 목적 분비 효소의 원활한 folding을 위한 propeptide를 개량하여 적용.

- 다양한 목적 분비 효소를 대상으로 이에 최적인 분비 신호서열을 개량하여 라이브러리 형태로 확보.

- 숙주 세포 개량을 통해 분비 발현량 및 발효 생산성 향상.

발효

스케일-업 발효

- 발효 생산성 극대화를 위한 배지 조성 및 공정 디자인 최적화.

- 각 해당 효소 제품의 경제적 대량 생산에 적합한 스케일-업 발효 기술을 노하우로 확보.

분리/
정제

발효 후공정

- 효소의 발효 생산 후 활성 저하 및 단백질 응집 방지 기술.

- 분비 발현된 효소의 신속한 안정화로 실활 및 오염 방지.

- 일반적인 경우 분비발현 시스템의 최적화로 해당 목적 효소가 전체 생산 단백질 중 50% 이상이나 효소 특성상 과발현이 불가능한 경우 이에 적합한 정제 공정 도입.

제형화

제품 formulation

- 고객 수요에 적합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품화.

- 각 현장 용도에 알맞은 액상, 분말, 고정화 형태로 제형화.

- 제품 유통 및 보관 중 안정성 확보가 중요하며 이를 위해 필요한 안정제, 항균제, 보호제, 고정화 지지체 등을 해당 효소 제품별로 시험하여 최종 공급.


지적재산권 보유현황

☞ 본문 위치로 이동


번호

구분

내용

권리자

출원국

출원일

등록일

적용제품

1

특허권

바실러스 포자 표면발현을 이용한 초고속 효소 개량방법
(Methods for Highthroughput Screening of Enzymes using Bacillus Spore Display)

제노포커스

한국

2014.08.31

-

효소 안정성
개량

2

특허권

개선된 비―융합 포자 디스플레이
(Improved Non-Fusion Spore Display)

제노포커스,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한국

2009.11.09

-

효소 안정성
개량 및
spore-enzyme 복합제

3

특허권

개량된 자가유도 발현 시스템
(Improved Autoinduction Expression System)

제노포커스

한국

2009.11.17

-

대장균 발현
시스템

PCT

2010.11.17

-

4

특허권

신규한 그람 양성균 박테리아 발현시스템
(Novel Gram-positive Bacteria Expression System)

제노포커스,

인제대학교

한국

2009.02.24

2012.08.14

바실러스
분비발현
시스템

5

특허권

유전자 침묵에 의한 목적 단백질의 과발현 방법
(Method for Expressing High-Level of Target Protein by Gene Silencing)

제노포커스

한국

2014.05.27

2016.11.25

곰팡이
분비발현
시스템

6

특허권

신규 리파제 신호서열 및 이를 이용한 리파제 발현 방법 (New Lipase Signal Sequences and Expression Method Using The Same)

제노포커스

한국

2014.05.27

2017.11.23

Lipase (TLL)

7

특허권

바실러스 프로모터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제조방법 (Variant Promoter of Bacillus and Method for Preparing Protein Using the Same)바실러스 프로모터 변이체 및 이를 이용한 단백질의 제조방법 (Variant Promoter of Bacillus and Method for Preparing Protein Using the Same)

제노포커스,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한국

2014.05.27

2016.05.02

바실러스
분비발현
시스템

8

특허권

바실러스 호스트에서의 단백질 세포외 생산방법
(Extracellular production of proteins in Bacillus host)바실러스 호스트에서의 단백질 세포외 생산방법
(Extracellular production of proteins in Bacillus host)

제노포커스

한국

2014.10.10

-

바실러스
분비발현
시스템

9

특허권

잔토리졸의 신규 합성 방법
(Novel Synthesizing Method for Xanthorrihizol)

제노포커스

한국

2007.10.29

2009.01.06

항균물질
(Xanthorrihizol)

10

전용
실시권

글루카나제 및 덱스트란수크라제의 하이브리드 유전자 및 효소 및 그를 이용한 이소말토올리고당 또는 덱스트란의 제조방법
(Hybrid genes and enzymes of glucanase and dextransucrase, and processes for preparing isomalto-oligosaccharides or dextran using the same)

전남대학교

한국

2006.04.28

2007.04.27

Glucanase와 dextransucrase의 hybrid

PCT

2007.04.28

-

미국

2007.04.28

2012.06.05

11

특허권

전세포를 이용한 당전이 방법
(Method for Transglycosylating Using Whole Cell)

제노포커스

한국

2009.02.24

2012.02.21

전세포
전환반응 기술

중국

2009.04.30

2013.04.24

12

특허권

고당전이 활성의 신규한 베타 갈락토시다제 및 그 용도

(Novel Beta-galactosidase Having High-transglycosylation Activity and Use thereof)

제노포커스

한국

2009.02.24

2012.02.21

Lactase
(GOS 제조)

PCT

2010.02.22

-

13

특허권

하이드로퀴논 유도체 및 이의 제조방법
(Hydroquinone Derivative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제노포커스,

전남대학교

한국

2009.12.17

2012.12.11

Hydroquinone Derivative

14

특허권

유기할로겐 할로겐 화합물 탈할로겐화 반응 활성과 열안정성이 향상된 할로알칸 디할로게나제의 변이체와 이의 용도
(Variant of haloalkane dehalogenase showing higher themostability and activity toward haloalkane compounds and use thereof)

제노포커스, 우송대학교

한국

2013.05.28

2019.12.12

haloalkane dehalogenase
(화학제독
효소)

15

특허권

유기인 신경작용제 분해효소의 변이체 및 이의 제조방법

(Organophosphorous hydrolase variant and method for preparing thereof)

제노포커스, 한국생명
공학연구원

한국

2014.05.28

-

Organophosphorous hydrolase
(화학제독 효소)

16

특허권

신규 카탈라아제 신호서열 및 이를 이용한 카탈라아제 발현방법
(New Catalase Signal Sequences and Expression Method Using The Same)

제노포커스

한국

2014.05.27

2017.04.03

Catalase
(과산화수소
분해)

중국 2016.11.28 2020.02.07
17

특허권

신규 베타-갈락토시다아제
(Novel β-galactosidase)

제노포커스

한국

2014.05.23 2016.05.03

Lactase
(GOS 제조)

제노포커스 PCT 2015.05.19 -

제노포커스

일본

2016.11.24

2018.07.06

제노포커스

미국

2016.11.23

2018.07.31

제노포커스 중국 2016.12.21 2019.10.29
18

전용
실시권

미생물로부터 레티노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Method of producing retinoids from a microorganism)

경상대학교

한국

2012.07.30 2014.4.29 Retinoid
(vitamin A)

PCT

2012.07.30

-

미국

2012.07.30

-

중국

2012.07.30

2014.06.11

19

전용
실시권

EutE유전자 또는 PuuC 유전자가 결실된 에세리키아 속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레티노이드 생산 방법

(Escherichia genus microorganism having deleted EutE or PuuC gene and Method of producing retinoids using the same)

경상대학교

한국

2012.07.30

2014.1.29

Retinoid
(vitamin A)

PCT

2012.07.30

-

20

전용
실시권

YbbO 유전자가 결실 또는 증폭된 에세리키아 속 미생물 및 그를 이용한 레티노이드의 생산 방법

(Escherichia genus microorganism having deleted or amplified YbbO gene and Method of producing retinoids using the same)

경상대학교

한국

2012.07.30

2014.09.05

Retinoid
(vitamin A)

21 전용
실시권
효모의 베타-산화 유도에 의한 수산화 지방산으로부터 감마-데카락톤과 감마-부티로락톤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A manufacturing method for gamma-decalactone and gamma-butyrolactone from hydroxy fatty acid by induction of beta-oxidation in the yeast and composition therefor) 건국대학교 한국 2013.02.28 2014.04.10 Lactone
22 전용
실시권
미생물에 의한 홍화유로부터 고수율의 감마-락톤류의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A Manufacturing method for γ-lactones from safflower oil with a high yield by using microorganisms and composition therefor) 건국대학교 한국 2013.12.16 2015.09.22 Lactone
23 특허권 고당전이 활성의 신규한 베타 갈락토시다제 및 그 용도
(Fully active beta-galactosidase mutants and Uses thereof)
제노포커스 한국 2015.05.28 2018.01.30 Galactosidase
(Lactase)
미국 2017.11.16 2020.01.07
24 특허권 신규  알파-1,3-글루카나제(Novel alpha-1,3-glucanse) 제노포커스 한국 2015.07.15 2017.01.31 Glucanase
(Mutanase)
미국 2018.01.08 2019.11.12
25 특허권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로부터 유래된 수퍼옥시드 디스무타아제 활성을 갖는 폴리펩티드 및 그의 제조방법(POLYPEPTIDES WITH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DERIVED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제노포커스 한국 2017.03.09 2017.07.21 SOD
(Superoxide dismutase)
26 특허권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에 의해 생산되는 SOD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영증 조성물(COMPOSITION HAVING ANTI-INFLAMMATORY AND ANTI-OXIDANT ACTIVITY COMPRISING SOD DERIVED FROM BACILLUS AMYLOLIQUEFACIENS STRAIN) 제노포커스 한국 2017.03.09 2017.12.26 SOD(Superoxide dismutase)
27 특허권 고지혈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HYPERLIPIDEMIA) 제노포커스 한국 2017.09.12 2018.03.14 SOD(Superoxide dismutase)
28 전용실시권 엔아세틸 글루코사민2-에피머레이즈를 이용한 유당으로부터 락툴로스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tion of lactulose from lactose using N-acetyl glucosamin 2-epimerase) 건국대학교 한국 2011.08.16 2014.02.05 Lactulose
29 특허권 근적외선 분광분석기를 이용한 아미노산 발효공정의 실시간관리방법(Method for monitoring and control of amino acid fermentation process using Near-infrared spectrophotometer 제노포커스 한국

2015.11.06

2018.02.23

Lactase
30 특허권 베타-갈락토시다제 생산성이 증가된 바실러스 서큘란스 변이 균주(Bacillus circulans Varient Strain with Increased Beta-galactosidase Productivity) 제노포커스 한국 2018.09.17 2019.10.01




Lactase
31 특허권 에틸헥실갈레이트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conditioning composition comprising ethyl hexyl gallate) 제노포커스, 엘지생활건강 한국 2013.10.31 2019.08.13 화장품방부제
32 특허권 옥틸 갈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COMPOSITION CONTAINING OCTYL GALLATE) 제노포커스, 엘지생활건강 한국 2013.10.31 2019.09.24 화장품방부제
33 특허권 신규한 류코노스톡 메센터로이드 KPX-14 및 이를 이용한 D형 유산을 생산하는 방법 ((Novel Leuconostoc mesenteroide KPX-14 and method of producing D-type lactic acid with using the same) 지에프퍼멘텍 한국 2012.12.21 2014.10.15 락타이드
34 특허권 설글리코타이드의 제조방법(Method for preparing sulglycotide) 지에프퍼멘텍,
성운파마코피아
한국 2011.06.28 2013.06.13 설글리코타이드
35 특허권 스트렙토마이세스 그리세우스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트립신 함량이 높은 프로네이즈 생산방법(Streptomyces griseus mutants and method for producing pronase with high content trypsin by using the same) 지에프퍼멘텍 한국 2008.09.04 2012.02.28 프로네이즈
36 특허권 신규한 하이포마이크로비움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피로로퀴놀린퀴논의 제조방법(Novel microorganism of hyphomicrociumsp and method of producing pyrroloquinoline quinone using the same) 지에프퍼멘텍 한국 2014.12.05 2016.10.04 PQQ
일본 2015.12.04 -
미국 2015.12.03 -
37 특허권 발효방식을 이용한 셀레늄 함유 건조효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dry yeast containing selenium using fermentation) 지에프퍼멘텍 한국 2016.01.26 2017.12.13 셀레늄
38 특허권 효모를 이용한 셀레늄 함유 건조효모의 제조방법(Method for producing dry yeast containing selenium using yeast) 지에프퍼멘텍 한국 2016.01.26 2017.12.13 셀레늄
39 특허권 메나퀴논-7 고생산성 재조합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메나퀴논-7의 제조방법(Recombinant Microorganism Having Enhanced Menaquinone-7 Producing Ability and Method for Preparing Menaquinone-7 Using the Same) 지에프퍼멘텍,
제노포커스
한국 2019.04.17 - VitaminK2,MK-7
40 특허권 한국 전통 청국장에서 분리된 혈전용해효소 고생산능을 가지는 신규한 바실러스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Bacillus sp.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bean paste with high fibrinolytic enzyme productivity) 지에프퍼멘텍 한국 2019.04.30 - VitaminK2
제노포커스 중국 2020.04.29
41 특허권 한국전통 청국장에서 분리된 초고순도 트렌스형 메나퀴논-7 고생산능을 가지는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러스 균주 및 이의 용도(Novel Bacillus subtilis natto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Soy Bean Paste with High Productivity for High Purity Trans Type Menaquinone-7 and the Use Thereof) 지에프퍼멘텍 한국 2019.10.30 - VitaminK2,MK-7
42 상표권 MediQ7 Vitamin K2 MK7 지에프퍼멘텍 한국 2020.06.05 - MediQ7 Vitamin K2 MK7
43 특허권 천년초 추출물 및 유산균을 포함하는 과민성장증후군 개선용 신바이오틱스 조성물(Composition of synbiotics for improving Irritable Bowel Syndrome comprising Opuntia humifusa extract and lactobacillus) 단국대 천안캠퍼스 산학렵력단,
지에프퍼멘텍,
㈜유담
한국 2020.08.25 -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개발중)
44 특허권 프리바이오틱스 또는 신바이오틱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Composition for enhancing immune comprising prebiotics or synbiotics) 제노포커스,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한국 2020.08.21 -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개발중)
45 특허권 염증성 장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ory Bowl Disease) 제노포커스 한국 2021.02.25 - 건강기능식품 및 의약품(개발중)
46 특허권 염증성 장질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INFLAMMATORY BOWEL DISEASE) 제노포커스 미국 2018.12.26 2021.10.19 의약품(개발중)


관련용어 설명

☞ 본문 위치로 이동


용어 해설
가수분해효소 (Hydrolyase) 당질, 단백질, 지질 등 생체 성분을 포함한 모든 생체 또는 비생체 성분의 화학결합을 물을 첨가하면서 분해하는 효소의 총칭이다. EC 클래스 3에 해당하는 효소로 13가지 다른 화학결합을 가수분해 한다. 대표적인 가수분해효소로서는 아밀라아제 (amylase), 프로테아제 (protease), 리파아제 (lipase), 락타아제 (lactase), 카탈라아제 (catalase) 등이 있다.
기질 (Substrate) 효소에 의하여 촉매작용을 받는 물질.
갈락토오스 (Galactose) 갈락토오스는 단당류로 글루코오스 (glucose)와 탈수 결합을 통해 이당류인 락토오스 (lactose)가 된다.
갈락토올리고당 (Galactooligosaccharide, GOS) 갈락토오스를 주성분으로 하는 올리고당이며, 모유에 포함되어 있다. 면역증강, 장내 균층 개선, 아토피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게놈, 유전체 (Genome) 게놈은 유전자 (gene)와 염색체 (chromosome)의 합성어로서 한 생물체가 지닌 모든 유전정보 (DNA)의 집합체를 뜻한다.
고초균 (Bacillus subtilis) 자연계에 널리 분포하는 토양 또는 엽면 미생물로 발효 식품에서 많이 발견되는 대표적인 그람 양성 박테리아. 식품산업, 발효산업에서의 많이 활용되며, 특히 프로테아제, 아밀라아제 등의 대표적인 산업용 효소 생산균주이며, 유전공학기술을 통해 개량된 균주는 재조합 단백질 생산을 위한 숙주 균주로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균주이다.
광학분할 (Chiral resolution) 광학 이성질체 혼합물에서 원하는 광학 활성체를 분리하는 것. 광학 활성을 지닌 산 또는 염기를 이용하여 한 가지 광학 활성체에 대해서만 광학 활성염을 만든 다음 분리하는 방법, 광학 활성 분리용 담체에 의한 크로마토그래피법, 또는 미생물이나 효소에 의해 한 가지 광학 활성체에만 반응을 선택적으로 진행시킨 후 분리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균주 (Strain) 유전자 구성이 같으며 다음 세대로 유전형질을 이어 갈 수 있는 생명체 단위이다. 산업용 효소의 대량생산을 위해서는 적절한 균주의 선발, 개량, 생산조건의 확립등이 필요하다.
그람 양성균 (Gram-positive bacteria) 그람 염색법에서 보라색을 띄는 세균. 디프테리아세균, 결핵세균, 파상풍세균, 폐렴세균, 포도상 구균, 방사선세균 등으로 위액이나 소화효소에 저항성이 강하며 페니실린에 감수성이 크다. 대표적인 그람 양성균인 고초균 (Bacillus subtilis)은 효소생산 대표균주이다.
그람 음성균 (Gram-negative bacteria) 그람염색법에서 적색을 나타내는 세균. 대장균, 살모넬라균, 이질균 등에 의해 포함되고 대부분 내독소를 생성한다.
글루코아밀라제 (Glucoamylase) 검은곰팡이 (Aspergillus niger) 및 그 변종, 누룩곰팡이 (Aspergillus oryzae) 및 그 변종, 리조푸스 오리제 (Rhizopus oryzae) 의 배양물에서 얻어진 가수분해효소로서 전분 등의 α-1,4- 및 α-1,6-글리코시드 결합을 가수분해하여 포도당을 생성한다.
기질특이성 (Substrate specificity) 효소가 특정 기질에 대해서만 촉매작용을 나타내는 성질.
단백질 (Protein) 아미노산을 단량체로 하는 고분자 유기화합물의 총칭으로 세포의 주요 구성 성분이다. 수많은 아미노산의 연결체로 20가지의 아미노산들이 펩타이드 결합이라고 하는 화학 결합으로 연결된 것을 폴리펩타이드라고 한다. 여러 가지의 폴리펩타이드 사슬이 4차 구조를 이루어 고유한 기능을 갖게 되었을 때 비로소 단백질이라고 불리며 단백질과 폴리펩타이드는 엄밀히 말하면 다른 분자이지만 경우에 따라 구분 없이 쓰이기도 한다. 단백질은 생물체 내의 구성 성분, 세포 안의 각종 화학반응의 촉매 역할 (효소), 항체를 형성하여 면역을 담당하는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단백질공학 (Protein engineering) 기존 단백질 구조와 기능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 새로운 단백질을 설계하고 창출하는 기술이다. 아미노산 서열 결정, 유전자조작, 단백질 입체 구조 규명, 단백질의 분리와 정제, 컴퓨터 모델링 등의 요소 기술이 요구된다. 신기능 효소, 고활성 효소, 의약용 단백질 개발에 이용된다.
단백질분해효소 (Protease) 단백질의 펩타이드 결합 (peptide bond)을 가수분해하여 최종산물로 작은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생성하는 효소를 말한다.
대사 (Metabolism) 생물체 (동식물)가 생존과 성장을 위하여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영양분 섭취와 이의 새로운 물질로의 전환 그리고 에너지 생산 등에서 수행되는 일련의 화학적 반응을 가리킨다. 대사의 화학 반응은 대사 경로 에 의해 체계화 된 하나의 화학 물질 은 다른 화학 물질에서 효소에 의해 변환된다. 효소는 촉매로서 열역학적으로 불리한 반응을 유리하게 진행하기 매우 중요한 존재이다. 또한 효소는 세포의 환경 또는 다른 세포에서 신호의 변화에 반응하여 대사 경로의 조절도 실시한다.
대사공학 (Metabolic engineering) 생명체 대사과정의 네트워크를 각종 정보와 유전자조작 기술을 이용하여 원하는 방향으로 인위적으로 조절하여 대사산물 (metabolite)을 과생산 (overproduction)하는 기술을 다루는 학문이다.
대장균 (E. coli)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장관에서 기생하고 있는 장내세균의 일종이다. 현대 생명공학의 재조합단백질 연구 및 생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숙주(host cell)로 사용된다.
돌연변이 (Mutation) 한 개체의 유전체를 구성하는 염색체나 DNA의 일부에 생긴 영구적인 변화, 염기서열 상의 염기 1개가 다른 염기로 치환된 경우를 점 돌연변이라고 한다. 여러 개의 염기를 포함하는 DNA 영역에 걸쳐 변화가 일어나는 경우도 있다.
동결건조 (Lyophilization, Freeze drying) 용액 상태에 있는 시료를 동결한 후 감압하면 시료 중의 수분만 승화되는 성질을 이용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법이다. 미생물·의학·약학 분야에서 수분이 많을 때는 불안정하고 또한 열에 극히 민감한 효소와 같은 물질을 저온에서 건조시켜 분말로 하면 상온에서 장기간 보존할 수 있고 또 물에 대한 재용해성이 뛰어난 제품을 얻을 수 있다. 식품공업에서도 쇠고기·새우·야채 등을 원형 그대로 건조시키거나 또는 수프 원료, 주스 등 건조품을 분말로 만들 때 이 방법을 사용한다. 식품의 맛과 향이 그대로 남는다.
디엔에이 셔플링 (DNA Shuffling) 비슷한 염기서열을 가지고 있는 이종의 디엔에이 (DNA) 유전자 조각들을 무작위로 절단하고 순서 없이 섞은 후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해 매우 다양한 염기서열을 지닌 돌연변이 유전자 라이브러리 (DNA library)를 구축하는 기술이다. 효소나 재조합 단백질의 개량에 있어 중요한 도구로 활용된다.
디엔에이 중합효소 (DNA polymerase) DNA 중합을 촉진하는 효소이다. 주형 (template) DNA의 염기 배열 순서에 맞추어서 이에 서로 상보적인 염기를 지닌 디엔티피 (deoxyribonucleotide, dNTP)를 인산이중에스터 (phosphodiester) 결합으로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DNA 사슬을 5'에서 3' 방향으로 합성한다. DNA의 복제 (replication)와 회복 (repair)에 관여하는 중요한 효소이다.
락타아제 (Lactase) 유당(lactose)에 존재하는 β-D-갈락토시드의 글리코시드결합을 가수분해하여 갈락토오스 (galactose)와 포도당 (glucose)으로 전환하는 효소이다. 일반적으로는 유당의 가수분해 반응을 이용하여 유당불내증 환자를 위한 저유당 우유, 요구르트 제조등에 활용되나, Bacillus circulans 유래의 락타아제와 같이 갈락토올리고당 합성 능력을 갖는 것도 있다.
락토오스 (Lactose) 유당, 젖당이라고도 불리는 이당류이다. β-D-갈락토실-(1,4)-D-글루코스의 구조를 갖는다. 젖당은 이름 그대로 포유류의 젖, 특히 초유 속에서 많이 발견되며, 그 양은 모유에 6.7%, 우유에 4.5% 정도 함유되어 있다. 락토오스를 분해하는 효소를 락타아제 (lactase)라고 한다.
락툴로스 (Lactulose) 유당 (lactose)에 결합된 포도당 (glucose) 부분이 이성질화하여 fructose로 대체한 것. 천연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지만, 유제품의 처리, 보존 중에 2차적으로 생성되고 또한 유아의 분뇨 중에 존재하는 것이 확인되고 있다. Bifidus 균의 증식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유아용 분유 등에 첨가되는 수가 있다. 또한 간성뇌질환의 치료약으로서의 효과도 인정되고 있다. 자당 (sucrose)의 40~60%의 감미도를 갖는다.
레시틴 (Lecithin) 글리세롤 지방산, 인산 및 콜린을 함유하고 있는 인지질. 동물의 신경계, 간, 정액, 난황 중에 있으며 담즙, 혈액조직에도 소량 함유되어 있다.
리파아제, 지방분해효소 (Lipase) 동식물, 미생물에 널리 분포하는 지방 (lipid)을 가수 분해하는 효소이다. 중성 지방을 지방산과 글리세롤로 가수분해 하는 반응을 가역적으로 촉매하는 에스테르 가수분해 효소이다. 식품가공산업, 유지산업, 세제산업, 피혁산업, 정밀화학산업 등에 다양한 활용 용도를 가진다. 특히 광학분할 (chiral resolution) 활성이 우수해 다양한 광학선택성이 필요한 화학 반응에 적용되고 있다.
멸균 (Sterilization) 세균이나 균류처럼 증식 능력이 있는 미생물이 없는 무균상태로 만드는 조작이다. 발효공정의 경우, 배양배지와 장비에 대해서는 스팀 (steam), 주입공기와 열에 민감한 원료의 경우에는 여과필터 (filter)를 멸균공정에 주로 사용한다.
무균 (Sterile, Sterility) 멸균대상 목적물에 미생물을 사멸 또는 제거하여 미생물의 증식이 없는 상태를 말한다.
미생물 (Microorganism, Microbe) 육안으로는 관찰이 불가능한 미세한 생물체. 일반적으로 크기 0.1mm 이하인 생물체를 의미한다. 주로 단일 세포 또는 균사체로 존재하며, 최소 생활 단위를 유지한다. 세균류, 사상균류, 효모류, 조류, 원생동물류, 바이러스 등이 이에 속한다.
미세여과 (Microfiltration) 0.1 - 0.45 ㎛의 막 크기를 갖는 여과막을 통하여 유체 중에 포함되어 있는 고체, 특히 세포나 미생물을 제거하는 여과 공정을 말하다.
바이오디젤 (Biodiesel) 식물성 또는 동물성 지방과 메탄올의 산 또는 염기촉매반응에 의해 생산되는 지방산 메틸에스터이다. 그 자체 또는 석유 디젤과 혼합해 연료로 사용되며, 바이오디젤은 재생가능자원인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되므로 에너지 자원의 고갈 문제가 없으며, 연소 시 이산화탄소 및 미세분진의 배출량이 경유에 비해 현저히 낮고, SOx는 전혀 배출되지 않는다.
바이오리파이너리 (Bio-refinery) 바이오 리파이너리는 기존 산업 체계에서 석유가 담당하던 역할을 재생가능한 자원인 바이오매스로 대체하는 개념이다. 석유 정제 (oil-refinery) 대신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에탄올, 바이오디젤 등의 연료와 바이오플라스틱 등의 각종 화학제품을 생산하려는 시도이다.
바이오매스 (Biomass) 식물로부터 얻는 바이오-유래 원료물질
바이오에너지 (Bioenergy) 바이오매스(biomass)와 이를 원료로 하여 생물학적 또는 열화학적으로 생산되는 연료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를 말한다. 경우에 따라서 바이오매스로부터 생산되는 연료를 지칭하기도 한다.
바이오연료 (Biofuel) 생물체(바이오매스 자원)에서 만들어지는 연료이다. 액체 연료로는 에탄올, 메탄올, 바이오디젤이 있고 기체 연료로는 수소와 메탄이 있다.
바이오플라스틱 (Bioplastic) 어떤 종류의 미생물은 에너지원(源)으로서 고분자 폴리에스터류(類)를 체내에 과립상으로 저장하고 있다. 이 폴리에스터를 합성해서 만든 것이 바이오플라스틱이다. 토양 중의 세균에 의해서 분해되므로 생물분해성 플라스틱이라고도 한다.
바이오화학산업 (White Biotechnology) 재생 가능 식물자원인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바이오 기반 화학제품 또는 바이오연료 등의 물질을 생산하는, 즉 바이오 리파이너리 (bio refinery) 분야를 말한다. 옥수수, 사탕수수, 목재류 등의 바이오매스를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원유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고 각종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을 획기적으로 감축시킬 수 있는 지속성장형 산업기술로 화학산업과 바이오기술의 접점에 놓인 기술이다.
바이오칩 (Biochip) 유리, 실리콘 등의 재질로 된 작은 고체 기판 위에 DNA, 단백질 등의 생체 물질을 고밀도로 고정화시킨 마이크로어레이칩. 유전자 발현 양상, 유전자 결함, 단백질 분포, 반응 양상 등을 분석하는데 이용되는 기술이다.
박테리아 (Bacteria) 분류체계에서 녹조류를 제외한 모든 원핵생물을 포함하는 원핵생물계의 한 부분으로 세균으로 부른다.
발현벡터 (Expression vector) 목적 유전자의 효율적인 발현을 위해 제작된 유전도구로 전사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강력한 프로모터와 적절한 조절 유전자를 갖는다.
발효 (Fermentation) 넓은 의미로는 미생물이나 균류 등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용한 물질을 얻어내는 과정을 말하고 좁은 의미로는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에너지를 얻는 당 분해과정을 말한다. 동 식물 원료로부터 직접 추출하는 일부 효소들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산업용 효소는 미생물 발효공정을 통해 생산된다.
방향적 진화, 분자진화 (Directed evolution) 자연적인 진화 (natural selection)는 오랜 시간에 걸쳐 돌연변이에 의해 수많은 변이체를 만들어 내며, 적합한 변이체를 선별한다. 이러한 과정은 현대의 분자생물학적 방법들인 돌연변이와 재조합 기술을 이용하여 시험관에서 매우 짧은 시간 내에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들을 방향적 (directed) 또는 생체외 (in vitro) 진화라고 하며, 효소의 3차 구조나 촉매 메카니즘을 알지 못해도 방향적 진화 기술을 통해 특수한 성질들을 갖는 생체촉매를 개발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로서 이용된다.
배지 (Medium) 세포, 조직 기관의 배양이나 미생물, 균류, 곤충 등 생물체의 배양사육을 위한 기질로써 영양물을 조합하고 지지하거나 기타 특수목적을 위해 첨가한 혼합물이다.
백신 (Vaccine) 전염병에 대한 예방, 개선 및 치료를 위해 사용되는 여러 형태의 항원을 함유한 질병예방제를 말한다.
번역 (Translation) 단백질을 생합성할 때 mRNA의 염기배열을 해독하여 그 정보에 대응하는 아미노산을 골라내어 펩티드사슬을 형성해 가는 과정. RNA는 4종의 염기, 단백질은 20종류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4종의 기호로 된 유전정보의 암호를 20종류의 문자로 이루어지는 문장으로 번역한다는 의미이다.
벡터 (Vector) 재조합 DNA 실험에서 제한효소 등에 의해 절단된 공여체 DNA의 단편을 이어서 증폭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소형의 자율적 증식능력을 갖는 DNA 분자이다.
부형제 (Excipient, carrier) 최종 효소제품의 물성(적당한 굳기, 형상, 밀도 등)과 안정성(stability), 취급 용이성을 위한 증량 등의 목적으로 첨가하는 제제. 항산화제, 안정제, 방부제 등이 사용된다.
분자생물학 (Molecular biology) 생물에서 일어나는 여러 과정이나 각종 생명현상을 분자 수준에서 해명하고자 하는 현대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비활성 (Specific activity) 효소 1 mg 당 활성 (unit/mg) 으로서 효소의 고유한 특징이다. 동일 조건에서 비활성의 차이를 비교하여 효소의 비교우위를 판단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세포표면발현기술 (Cell surface display) 세포 표면발현 (cell surface display) 기술은 단백질 또는 펩타이드를 세균, 효모 등의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표면고정용 모체 (anchoring motif)에 부착하여 발현하는 기술이다. 따라서 유용한 효소가 표면발현되어 일종의 '고정화'된 생촉매를 가진 세포촉매 (whole-cell biocatalyst)의 개발, 항원성 결정부위 (epitope)를 표면발현한 생백신 (live vaccine)의 개발, 중금속 결합력이 있는 단백질을 표면발현하여 유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흡착성세포 (whole-cell absorbent)의 개발 등을 비롯하여 매우 다양한 잠재적 응용성이 있는 기술 분야이다.
스크리닝 (Screening) 여러 물질 및 생물 등에서, 목적으로 하는 어떤 특정한 성질을 갖는 물질, 생물 등을 특정한 조작, 평가방법으로 골라내는 것.
야생형 (Wild type) 돌연변이가 발생하기 이전의 생물체, 야생형. 야생집단 중에서 가장 자주 관찰되는 표현형. 또는 그와 같은 표현형을 갖는 계통이나 미생물 또는 그 유전자.
효소 역가 (enzyme activity) (-)항생물질 등 천연 생리활성물질에서 화학 성분의 영향력을 나타내기 어려울 경우 생물검정으로 유효 성분량을 평가하게 되는데 그때의 검정 값, 일정량의 다른 물질과 반응을 일으키는데 필요한 물질의 양, 또는 일정량의 다른 물질에 상당하는 어떤 물질의 양. 효소의 경우, 특정조건에서 활성을 나타내며 unit 단위로 주로 표현된다. 1 unit (U)는 특정조건 (온도와 pH 등)에서 1분 동안 기질 또는 산물 1 μ㏖을 생성/분해할 수 있는 효소의 양으로 정의한다.
염기서열 (DNA sequence) 아데닌 (A), 구아닌 (G), 시토신 (C), 티닌 (T) 4개의 상이한 코드(염기)로 이루어진 특정 서열로 DNA에 유전정보를 저장한다.
염색체 (Chromosome) 진핵생물 세포가 유사분열할 때 관찰되는, 염기성 색소로 짙게 물든 막대모양의 구조물. 세포 속의 유전물질인 DNA가 함유되어 있다. 상염색체, 성염색체, X염색체, Y염색체, Z염색체, W염색체, 1가 염색체, 2가 염색체, 2분 염색체, 4분 염색체, 핵소체염색체 SAT염색체, B염색체 등으로 분류된다. 다사염색체나 램프브러시염색체와 같이 1개체내의 일부 세포에 한해서 특수화되어 거대해지는 경우도 있는데 이들을 총칭하여 거대염색체라고 한다.
원심분리 (Centrifugation) 원심력에 의해 용액 혼합액, 또는 현탁액으로부터 비중이 가벼운 부분과 무거운 부분인 고체 또는 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효소생산에 있어서는 발효 공정 후 생산균주를 제거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된다.
올리고당 (Oligosaccharide) 2-10개의 단당이 글리코시드 결합한 물질의 총칭으로 갈락토올리고당, 프락토올리고당, 이소말토오리고당이 대표적인 상업적인 올리고당이다.
유당불내증 (Lactose intolerance) 우유에 함유되어 있는 유당을 섭취하면 설사나 복통을 일으키는 장 질환이다.
유산균 (Lactic acid bacteria) 당을 젖산 발효하는 유익 장내 세균으로 대표적인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균주이다.
유전공학 (Genetic engineering) 생물체에 주어진 유전형질을 인위적으로 변형/개조시켜 새로운 형질을 가진 생물체를 만들어내는 기술(세포융합핵치환, 단백질공학, 유전자 재조합)이다.
유전자 (Gene) 유전형질을 규정하는 인자. 멘델의 법칙의 기본개념으로 각 유전형질 (단위형질)에 대을하여 상정되었으며, 후에 W.L.Johannsen (1909)이 멘델인자를 나타내는 단어로서 gene을 제안하였다. 유전자는 자가증식을 하며, 세포세대와 개체세대를 통하여 어버이로부터 자식에게 계대적으로 정확히 계승되고 형질발현에 대한 유전정보를 전달한다. 각각의 유전자는 독립단위이지만 물리적으로 독립하는 것이 아니라 염색체상에 고유한 위치를 차지하며 선상으로 배열하여 연쇄군을 형성하고 있다. 1957년 S.Benzer는 유전자의 고전적 개념을 정리하여 시스-트랜스 상보성 검사로 판정되는 기능적 단위로서의 유전자를 시스트론, 재조합단위로서 정의되는 것을 레콘, 돌연변이에 주목한 경우의 최소단위를 뮤톤으로 할 것을 제안 하였다.
의약 바이오 (Red Biotechnology) 질병 치료 등에 활용되는 의약품을 개발하는 분야로 재조합 바이오 의약품 (단백질 의약품, 치료용 항체, 백신, 유전자의약품 등), 재생 의약품 (세포치료제, 조직 치료제, 바이오 인공장기 등), 저분자 및 천연물의약품 등을 포함한다.
재조합 DNA 기술 (Recombinant DNA technology) 목적 유전자를 제한효소를 이용해 잘라내고 이를 자기증성성 DNA인 벡터 (vector)에 인위적으로 삽입해 재조합 DNA를 제작한 후, 숙주에 도입해 발현시키는 기술이다. 1970년대에 들어서 급속히 발전하기 시작한 기술로서 종래의 생체에서 유전적 재조합을이용한 교잡실험 등과 구별하여 재조합 DNA 실험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벡터와 결합하는 DNA를 공여체 DNA, 공여체 DNA를 제공하는 생물을 공여체 생물, 재조합 DNA의 도입을 받는 세포를 숙주 (host)라고 부른다. 재조합 DNA 기술의 발달로 자연계에서는 일어나지 않는 이종생물간의 유전자를 조합한 재조합체를 만드는 것이 가능해졌고, 현재 산업용 효소를 포함한 상당수의 바이오소재가 재조합 DNA 기술을 바탕으로 연구 생산되고 있다.
저해물질 (Inhibitor) 효소의 촉매작용을 저해시키는 물질.
전사 (Transcription) DNA에 존재하는 정보를 RNA로 전환하는 과정으로, DNA를 주형 (template)으로 하여 이와 상보적인 RNA를 생성하는 과정을 전사라고 한다. RNA 중합효소에 의해 전사가 이루어짐. RNA는 단백질 생산 시 주형으로 사용되며 이 과정은 번역 (translation)이라고 한다.
진균, 균류, 곰팡이 (Fungi) 진핵생물의 분류 중 하나로, 효모와 곰팡이, 버섯 등이 포함된다. 주로 흡수형의 종속영양을 한다. 대부분은 유성세대와 무성세대를 포함하는 복잡한 생활환을 갖고 다양한 형태의 포자를 형성하여 번식한다. 대표적인 진균 균주로서는 Aspergillus niger, Aspergillus oryzae, Penicillium, Tricorderma, Thermomyces sp 등이 있다. 주요한 산업용 효소의 상당수가 진균으로부터 생산되고 있다.
진화 (Evolution) 생물개체 혹은 생물집단의 유전적 성질이 세대를 거치면서 변화하여 후손에게 전달되는 것. 효소의 경우 해당 반응조건에 더 우수한 특성의 효소로 개량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촉매 (Catalyst) 자신은 변하지 않으면서 다른 물질의 화학반응 속도를 활성화 시키는 물질을 말한다. 특히 생체내의 촉매역할을 하는 효소 (enzyme)를 생체촉매라고도 한다.
치료용 효소(Therapeutic enzyme) 치료제로 이용되는 효소 또는 그 제제이다. 혈전용해제로 사용되는 조직플라스미노젠활성인자 (TPA: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스트렙토카이네이즈(streptokinase), 유로카이네이즈 (urokinase)와 항혈액응고제인 안티트롬빈 III (antithrombin III) 등 고전적인 예이다. 최근에는 좀 더 넓은 의미로 식품으로 섭취할 수 있는 치료효소 항혈전 protease, 항염증 protease, 항산화 효소 catalase와 SOD 등도 포함된다.
코트단백질 (Coat protein) 바실러스 포자 (spore)의 표피를 덮고 있는 다양한 종류의 단백질.
콜로니 (Colony) 세균, 곰팡이, 배양세포 등의 고형 배지의 눈에 보이는 균체 덩어리.
유전자 클로닝 (Cloning) 특정 DNA조각을 클로닝 벡터의 DNA에 결합하여 숙주세포에 도입시켜 배양함으로써 특정 DNA를 증폭시키는 조작을 말한다.
펩타이드 (Peptide) 2개 이상의 α-아미노산이 펩티드결합으로 연결된 화합물. 10개 이하의 펩티드 결합은 올리고펩티드라고 하고, 그 이상 다수의 아미노산 펩티드결합은 폴리펩티드 (polypeptide)라고 한다.
폴리펩타이드 (Polypeptide) 대략 수십개 이상의 아미노산 잔기로 이루어진 펩타이드이다. 단백질과 같은 뜻으로 쓰기도 하나 보통 분자량이 작은 단백질을 별도로 가리킬 때 쓰인다.
포자 (Spore) 바실러스 나 곰팡이 등이 생육환경이 나빠질 때 생산하는 환경내성 생명체로 Bacillus spore는 생명체 중 열, pH, 유기용매 등의 물리화학적 가혹 조건에서 가장 잘 견딘다.
프로바이오틱스 (Probiotics) Pro (촉진하는) biotic (생명체)의 합성어이다. 인간의 건강에 이로운 생균제이다. 유산균 식품과 효모 제제가 대표적이다. 프로바이오틱스는 요구르트와 같은 발효 유제품의 신맛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성장을 위해 손상된 조직을 재건하기도 하며 pH를 낮추어 부패방지제로도 작용한다. 프로바이오틱스의 가장 흔한 형태는 발효된 유제품과 프로바이오틱스가 강화된 식품이며, Kefir (우유 발효 음료), 요구르트, Sauerkraut (발효된 독일식 김치), 한국김치 등의 젖산균도 프로바이오틱스의 건강효과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바이오틱스 (Prebiotics) 대장 내 유용 미생물에 의해 이용되어 미생물의 생육이나 활성을 촉진함으로써 숙주 건강에 좋은 효과를 나타내게 하는 비소화성 식품성분. 프리바이오틱스는 위장관의 상부에서 소화 또는 흡수되지 않아야 하고 대장 내 미생물 중 비피도박테리아와 같은 유용 세균을 선택적으로 활성화시키고 병원균 등의 유해균은 억제할 수 있어야 한다. 프리바이오틱스의 예로는 라피노오스, 대두올리고당, 프럭토올리고당, 갈락토올리고당 등의 올리고당류와 기타 락툴로오스 (lactulose), 락티톨(lactitol), 자일리톨 (xylitol) 등이 있다.
필터프레스 (Filter press) 여과포를 장착한 여과기에 가압하여 액체에 들어있는 고체를 분리하는 가압탈수 생물공정 기구.
한외여과 (Ultrafiltration) 10,000 분자량을 갖는 물질을 중심으로 분리 (cut-off)하는 막 분리기. 주로 효소 등 고분자 단백질을 농축하는데 활용된다.
항생물질, 항생제 (Antibiotics) 미생물에 의해 만들어져서 다른 세포나 미생물의 발육 및 기능을 저해하거나 차단하는 항균물질이다.
항원 (Antigen) 항원은 면역 반응을 일으켜 특히 항체를 생산하게끔 만드는 생명체내에서 이물질로 간주되는 물질이다. 항원은 주로 병원균이나 바이러스로서 단백질이지만 다당류, 인공적으로 합성된 물질, 자신의 몸속에 생긴 변이세포 (암세포) 등의 다양한 것들도 항원이 될 수 있다.
항체 (Antibody) 생체 내에 들어온 항원에 반응해 만들어지는 당단백질이다. 해당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며 면역글로블린 (IgG)이라고도 한다.
효모 (Yeast) 구형의 단세포로 존재하며 주로 출아법에 의해 증식하는 진균류(fungi)의 한 종류로 양조, 제빵 등에 이용되는 Saccharomyces cerevisiae 가 대표적이다. Saccharomyces, Hansenula, Pichia 속에 속하는 효모는 재조합 단백질 생산에 이용한다.
효소 (Enzyme) 생체 내에서 만들어지는 단백질 생체촉매이다. 효소에 의해서 촉매되는 화학반응을 효소반응이라고 하지만 생체내의 화학반응은 거의 모두가 효소반응이고, 물질대사 (metabolism)는 모두 효소계에 의존하고 있다. 생화학반응은 효소반응에 의해 촉진된다. 효소는 일반적인 화학촉매에 비하여 온화한 조건하에서 작용함과 동시에 기질 반응 특이성이 높다. 효소의 생성은 기질 등의 첨가에 의해 유도 (induction)되며, 대사생성물 등의 증가에 의해 억제 (repression)되는 것이 많다.
효소고정화 (Enzyme immobilization) 효소를 불용성인 유기 혹은 무기 고정화 서포트 물질에 공유결합, 비공유결합, 함유 등의 방법으로 고정화한다. 효소는 고정화에 의해서 안정성이 증가, 반응용액과의 분리가 용이하여 연속반응이 가능하고 재이용하기 쉽게 된다. 효소 이외에도 미생물, 동 식물세포를 고정화하는 것이 가능하데 이것들을 총칭하여 고정화 생체촉매 (immobilized biocatalyst)라고 부른다.
효소공학 (Enzyme engineering) 효소 촉매의 특성을 개량하고 산업적 활용을 촉진하기 위해 연구하는 학문을 말한다. 공학적으로는 효소 분리정제, 수식화, 고정화, 반응공정 등의 실용학문을 말한다. 효소를 개량하기 위한 방향적 진화 (directed evolution), 스크리닝 (screening) 및 효소 구조-기반 개량 등과 같은 기술도 포함한다.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당사는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당사는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