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 기 보 고 서
(제2기 반기)
사업연도 | 2022년 01월 01일 | 부터 |
2022년 06월 30일 | 까지 |
금융위원회 | |
한국거래소 귀중 | 2022년 8월 3일 |
제출대상법인 유형 : | 주권상장법인 |
면제사유발생 : | 해당사항 없음 |
회 사 명 :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 |
대 표 이 사 : | 조선희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여의도동) |
(전 화) 02-750-5777 | |
(홈페이지) 없음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이사 (성 명) 김중곤 |
(전 화) 02-750-5777 | |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 |
대표이사등의확인_220803_nh스팩19호 |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입니다. 영문으로는 'NH SPECIAL PURPOSE ACQUISITION 19 COMPANY'(약호 NH SPAC 19 )이라 표기합니다.
나. 설립일자 및 존속기간
- 설립일자 : 2021년 03월 04일
- 존속기간 : 최초 모집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까지
다.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 본 사 주 소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여의도동)
- 전 화 번 호 : (02) 750-5777
- 홈페이지 주소 : 없음
라. 회사사업 영위의 근거가 되는 법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
-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집합투자업 적용배제 요건)
마.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 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 - | - | - | - |
비상장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 연결 |
- | - |
- | - | |
연결 제외 |
- | - |
- | - |
바.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해당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사.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을 경우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주요 사업의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1) 주요사업의 내용
당사는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합니다.
사 업 목 적 | 비 고 |
---|---|
이 회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이하 "자본시장법") 제 373조의2에 따라 설립된 한국거래소(이하 "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이하 "합병대상법인")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며 위 사업목적 달성에 관련되거나 부수되는 모든 활동을 영위할 수 있다. | 정관 제2조(목적) |
(2)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계열회사의 총수, 주요계열회사의 명칭 및 상장여부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카. 「상법」 제290조에 따른 변태설립사항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타.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여부 |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등 여부 |
특례상장 등 적용법규 |
---|---|---|---|
유가증권시장 | 2021년 05월 21일 | - | - |
2. 회사의 연혁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일자 |
소재지 |
비고 |
---|---|---|
2021.03.04 | 서울특별시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60(여의도동) | - |
2021.05.03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여의도동) 파크원 NH금융타워(타워2) | - |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 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2021년 03월 04일 | - | 대표이사 조선희 기타비상무이사 김중곤 사외이사 신재용 감사 김원대 |
- | - |
2022년 03월 29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변영호 감사 박병호 |
- | - |
주1) | 2021년 3월 4일 발기인 총회에서 최초로 경영진을 선임하였습니다. |
주2) | 2022년 3월 29일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 변영호, 감사 박병호를 선임하였습니다. |
다. 최대주주의 변동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2021년 03월 04일 | 컴퍼니케이파트너스(주) | 3,000,000 | 91.19 | 발기주주 | 발기주주 발행주식총수 3,290,000주 기준 |
2021년 12월 01일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 3,080,806 | 6.01 | 장내매수 | 발행주식총수 51,290,000주 기준 |
라. 상호의 변경
당사는 설립일 이후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상호 변경 내역이 없습니다.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당사는 설립일로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 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당사는 설립일로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합병과 관련된 사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조제4항제14호에 의거하여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1년 03월 04일 설립된 회사이며, 업종의 변화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사실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아.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
당사는 설립일부터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기업분할, 영업양수도 등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실의 발생이 없습니다.
3. 자본금 변동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2022.3.8 개정) 및 별지 제35호 서식에 따라 당 반기 중 변동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관련내용은 2022.3.18에 제출된 2021년도 사업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 주식의 총수 등
가.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500,000,000 | - | 500,000,000 |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51,290,000 | - | 51,290,000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 | - | - | |
1. 감자 | - | - | - | - | |
2. 이익소각 | - | - | -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 |
4. 기타 | - | - | -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51,290,000 | - | 51,290,000 | - | |
Ⅴ. 자기주식수 | - | - | -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51,290,000 | - | 51,290,000 | - |
나. 자기주식의 취득 및 처분등과 관련한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다양한 종류의 주식 현황
당사는 보통주 외의 주식을 발행한 사실이 없습니다.
5. 정관에 관한 사항
가.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2022년 03월 29일 | 정기주총 | 주권비상장법인과 스팩소멸방식 합병상장 허용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개정 |
2022년 07월 27일 | 임시주총 | 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및 대상기업군 변경 | 합병대상법인 범위 외연 확대 |
II. 사업의 내용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에 따라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1년 3월 4일에 설립된 기업인수목적회사입니다.
가. 추진하고자 하는 합병의 개요
(1) 합병 형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이하 "법시행령"이라 한다) 제6조 제4항 제14호 및 당사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제3항에 근거하여 기업결합방식을 합병으로 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③ 이 회사는 상법 제524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라목 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이 회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다. |
(2) 합병 일정
당사는 기업인수목적주식회사의 취지 및 정관 제58(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제2항에 근거하여, 현재 합병대상회사로 고려 중이거나, 합병대상회사를 선정하기 위한 조사나 협의 등을 진행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구체적인 합병에 대한 일정이 확정되지 않은 상황입니다.
향후 합병대상이 확정되고 합병계약을 체결하는 경우 상법 및 자본시장법상 주식회사의 합병절차에 따라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합병계약체결, 이사회결의 → 공시 및 주요사항보고서 제출 → 합병상장(예비)심사 → 증권신고서 제출 및 효력발생 → 주총결의 및 합병등기 |
동사가 다른 법인과 합병계약을 체결하는 이사회결의를 한 경우 사유발생 당일에 동 내용을 거래소에 신고하여야 하며, 사유 발생일 다음날까지 합병계약서, 외부평가기관의 평가의견서, 이사회의사록 등이 첨부된 합병내용에 관한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합니다.
비상장법인과 합병하고자 하는 경우, 합병 이사회결의가 있는 경우 지체 없이 합병대상 비상장법인의 상장적격성 심사를 위한 합병상장예비심사신청서를 거래소에 제출하여야 하며, 동 신청내용을 토대로 거래소는 합병 대상 비상장법인의 상장적격성에 대한 심사를 실시하게 됩니다.
비상장법인의 상장적격성을 인정받은 경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 증권신고서를 금융위원회에 제출하여야 하며, 금융위원회에서 동 신고서에 대한 수리가 이루어지고 신고서의 효력이 발생하면 의결권을 행사할 주주를 확정하고 동 주주들을 대상으로 주주총회 소집을 통지하는 등의 주주총회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03월 04일에 설립되었으며, 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및 정관 제59조(회사의 해산)에 근거하여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부터 36개월 이내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해야 하며, 「유가증권 상장규정」 제71조 및 제72조에 근거하여 존속기한 만료 6개월 이전까지 합병을 위한 상장예비심사를 신청하지 아니하거나 합병결의에 따른 법규에 의한 신고가 없는 경우(상장법인과의 합병에 한함) 관리종목으로 지정되고 관리종목 지정 후 1개월 이내 지정사유 미해소시 상장이 폐지됩니다. 따라서 당사는 관련 법규상 정해진 기한 내에 합병절차를 완료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합병대상법인이 확정되는 시점에 합병 이사회결의 이후 증권신고서 제출 시 상세일정을 공고할 예정입니다.
(3) 합병 대가 지급수단 등
합병기일 현재 합병대상회사의 주주명부에 기재되어 있는 주주소유 1주에 대해 법규에서 정한 합병가액 및 합병비율 산정에 따라 동사의 보통주와 교환하게 될 것입니다.
당사와 주권상장법인과 혹은 주권비상장법인과의 합병가액 산정은 법시행령 제176조의5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및 『동규정시행세칙』 제4조부터 제8조에 따라 산정할 예정이며 산정 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1)주권상장법인과의 합병
주권상장법인 간 합병의 경우에는 합병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과 합병계약을 체결한 날 중 앞서는 날의 전일을 기산일로 한 다음 각 목의 종가를 산술평균한 가액을 기준으로 100분의 30의 범위에서 할인 또는 할증한 가액으로 합니다. 이 경우 가목 및 나목의 평균종가는 종가를 거래량으로 가중산술평균하여 산정합니다. 단, 상기 가격이 자산가치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자산가치로 할 수 있습니다.
가. 최근 1개월간 평균종가. 다만, 산정대상기간 중에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는 경우로서 배당락 또는 권리락이 있은 날부터 기산일까지의 기간이 7일 이상인 경우에는 그 기간의 평균종가로 합니다.
나. 최근 1주일간 평균종가
다. 최근일의 종가
2) 주권비상장법인과의 합병
2-1) 금융위원회가 정한 특정 요건을 갖추지 않은 경우
주권비상장법인은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를 가중산술평균한 가액으로 하며, 상대가치를 비교하여 공시합니다. 자산가치와 수익가치의 산정방식은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3조」및 「동규정시행세칙 제4조부터 제8조」의 규정을 준수할 예정입니다.
2-2) 금융위원회가 정한 특정 요건을 갖춘 경우
1)의 합병가액 산정에 관한 규정에도 불구하고, 법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의거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3조 제4항』에서 규정한 아래 요건을 갖춘 경우에는 주권비상장법인의 합병가액 산정시 동사와 협의하여 정하는 가액으로 할 수 있습니다.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 |
---|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제3항 각 호외의 부분에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요건”이란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말한다 1. 기업인수목적회사가 법 제165조의5제2항에 따라 매수하는 주식을 공모가격 이상으로 매수할 것 2. 영 제6조제4항제14호다목에 따른 투자매매업자가 소유하는 증권(기업인수목적회사가 발행한 영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으로 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증권을 포함한다)을 합병기일 이후 1년간 계속 소유할 것 3.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영 제176조의5제3항제2호나목에 따라 협의하여 정한 가격을 영 제176조의5제2항에 따라 산출한 합병가액 및 상대가치와 비교하여 공시할 것 |
당사는 당사와 합병을 계획하고 있는 주권비상장법인의 합병가액 산정시, 시장의 눈높이에 맞는 보다 적정한 합병가액의 산출을 통한 합병주총에서의 승인 가능성 제고를 위해 금융위원회가 정한 특정 요건을 갖추어 합병가액의 산출시에 있어서의 자율성을 확보할 계획입니다.
나. 추진하고자 하는 합병대상회사의 업종, 지역 등
당사는 신청일 현재 향후 추진하고자 하는 합병대상회사의 업종 및 지역을 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취지가 기업인수목적회사와의 합병으로 신규자금이 합병대상회사에 유입되고, 이를 바탕으로 사업 확장 등을 통한 성장동력을 이어가 궁극적으로 기업인수목적회사 투자자에게 합병상장회사의 성장으로 인한 이익을 향유토록 하는데 있는 만큼, 최근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되고 있고 정부차원의 정책적인 지원이 이어지고 있으며, 이를 배경으로 향후 잠재적 성장성이 뛰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신성장동력 산업군 중에서 합병대상기업을 발굴하여 합병을 추진하고자 합니다.
참고로, 당사는 정관 제63조에서 합병을 중점적으로 추진할 대상법인으로 신재생에너지, 바이오제약(자원)ㆍ의료기기, IT융합시스템 등 성장잠재력이 있는 분야를 영위하는 법인을 예시하고 있습니다.
제63조(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이 회사는 상장 이후 합병을 진행함에 있어 성장성이 높고 글로벌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서 다음 각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산업을 영위하거나 동 산업에 부품 및 장비를 제조ㆍ판매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을 추진한다. 1. 신재생에너지 2. 바이오제약(자원)ㆍ의료기기 3. IT융합시스템 4. LED 응용 5. 그린수송시스템 6. 탄소저감에너지 7. 고도 물처리 8. 첨단그린도시 9. 방송통신융합산업 10. 로봇 응용 11. 신소재ㆍ나노융합 12. 고부가 식품산업 13. 엔터테인먼트 14. 자동차 부품 제조 15. IT 및 반도체 16.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 |
2014년 정부가 발표한 '13대 미래성장동력'을 바탕으로, 미래창조과학부는 이를 실효성 있게 육성하기 위하여 2020년까지 정책·투자 방향을 제시하고 분야별 추진과제를 구체화할 '미래성장동력 실행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13대 미래성장동력은 창의와 융합을 기반으로 국가의 새로운 먹거리가 될 수 있는 9대 전략산업과 4대 기반산업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9대 전략산업은 크게 주력산업, 미래신산업 및 공공복지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3대 미래성장동력은 주력산업 고도화, 미래 신시장 선점, 복지·산업 동반육성 및 지속성장의 기반을 조성함에 따라, 국민소득의 4만불을 실현하고 새로운 산업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 최종 비전입니다.
비전 |
목표 |
13대 미래성장동력 |
추진전략 |
||
국민소득 및 새로운 |
주력산업 고도화 |
|
미래 시장수요 중심 R&D 추진 |
||
미래 |
동반성장 기반 중소·벤처기업 육성 |
||||
복지·산업 동반 육성 |
내수시장 활성화 및 해외진출 지원 |
||||
지속성장 기반조성 |
산업발전 전주기 인력공급 체계 구축 |
또한, 13대 미래성장동력 중 9대 전략산업과 4대 기반산업의 세부 구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9대 전략산업 과 4대 기반산업] |
산업별 |
세부 구분 |
||||||
9대 전략산업 |
주력산업 |
스마트 자동차 |
5G 이동통신 |
심해저 해양 |
|||
미래신산업 |
지능형 로봇 |
착용형 스마트기기 |
실감형 콘텐츠 |
||||
공공복지산업 |
맞춤형 웰니스 케어 |
재난안전관리 스마트 시스템 |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
4대 기반산업 |
지능형 반도체 |
융복합 소재 |
지능형 사물인터넷 |
빅데이터 |
미래창조과학부가 발표한 실행계획은 9대 전략산업과 4대 기반산업을 동시에 육성하여 분야간 융합을 촉진하고 산업전방의 파급효과를 제고하고, R&D,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산업생태계 활성화, 법·제도 개선 등 패키지형 지원전략을 범정부 차원에서 분야별로 수립한 것입니다.
13대 미래성장동력 분야 중 단·중기 성과 창출이 가능하고 민간의 관심이 높은 프로젝트를 발굴하여 플래그십 프로젝트로 추진하고, 민간 수요를 지속적으로 반영하여 플래그십 프로젝트의 추가 발굴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1) 9대 전략산업
1) 주력산업
① 스마트 자동차 |
운전자와 자동차, 자동차와 주변 환경 및 교통 인프라, 그리고 일상생활의 모든 요소들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결성(Connectivity)을 기반으로, 교통안전, 혼잡해소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맞춤형 이동서비스 산업을 창출하는 'ICT 융복합 스마트 자동차 산업'으로 진화 |
② 5G 이동통신 |
4G 대비 1천배 빠른 미래 이동통신 기술을 개발·활용하여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기기가 융·복합된 창조적 서비스 생태계를 구축하여 ICT를 비롯한 산업 전반을 혁신하는 지식·정보 고속도로 구축 |
③ 심해저 해양 |
수심 500m 이상인 심해에 매장되어 있는 석유 또는 가스를 채굴, 분리, 이송, 전처리 및 저장·하역하는 해상·해저 플랜트로서 기반구축 및 상용화를 통해 해양플랜트 산업 강국으로 도약 |
2) 미래신산업
④ 지능형 로봇 |
외부환경을 인식(Perception)하고 스스로 상황을 판단 (Cognition)하여 자율적으로 동작(Mobility & Manipulation) 하는 기계로 정의하며, 로봇 기술의 융복합화를 통해 지능화된 서비스를 창출하는 로봇화 개념으로 발전 |
⑤ 착용형 스마트기기 |
신체에 착용한 상태로 컴퓨팅행위가 가능한 기기와 일부 애플리케이션으로 밴드, 머리착용, 의류형태의 기기가 존재하며, 신체관리·의료, 생활·안전, 감성·오락, 소통·교류 분야의 다양한 서비스 제공 |
⑥ 실감형 콘텐츠 |
ICT 기술 기반으로 인간의 감각과 인지를 유발하여 실제와 유사한 경험 및 감성을 확장해 주는 참여형 차세대 콘텐츠를 의미하며, 오락·문화·교육·의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제공 |
3) 공공복지산업
⑦ 맞춤형 웰니스 케어 |
IT, 의료정보, 생활정보, 유전체정보 등의 융합을 통해 개인의 행복을 증진시키는 서비스로서 건강관리 중심에서 사회·문화·교육·경제 등과 융합된 서비스로 확장 |
⑧ 재난관리 스마트 시스템 |
공공?민간 영역에서 실시간으로 재난안전 관련 예측·감지·대응이 가능하도록 정보통신기술(ICT), 항공우주기술(ST), 로봇기술(RT), 나노기술(NT), 바이오기술(BT)을 융합한 재난안전관리 시스템 |
⑨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둘 이상의 발전시스템과 에너지 저장시스템을 결합한 전력공급·관리 시스템 ※ '태양광-풍력', '지열-태양광' 등 둘 이상의 에너지원을 조합한 지역 맞춤형(부하 특성, 기상 조건 등) 전력 시스템 |
① 스마트 자동차 : 기계 중심의 자동차 기술에 전기, 전자, 정보통신 기술을 융복합하여 교통사고를 획기적으로 저감하고 탑승자의 만족을 극대화시키는 자동차입니다.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글로벌 스마트 자동차 산업 3대 강국 실현 |
산업생태계 |
기존 자동차의 구성요소인 부품업체 이외에, 센서, ECU, 액츄에이터 등을 제조하는 전장부품업체들과 이를 컨트롤하기 위한 각종 소프트웨어업체 등 중소,중견기업의 참여 |
추진전략 |
핵심부품 독자기술 확보 → ICT 기반 교통서비스 기반구축 → 이용자 중심의 교통서비스 산업 활성화 |
시장잠재력 |
스마트카 세계 시장규모는 '19년 3,011억 달러로, 연평균 7.4% 성장이 예상되면, 국내 시장 규모는 '19년에는 138억달러로 연평균 5.2% 성장 예상 |
② 5G 이동통신 : 現 4G 대비 1천배 빠른 이동통신 기술 및 서비스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20년 5G 표준특허 경쟁력 및 단말기 시장점유율 세계 1위 |
산업생태계 |
현 통신서비스사업자와 국내외 대형 SI업체가 이동통신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5G는 기술 발전과 시장 확대에 따라 중소기업의 진출 가능성이 높음 |
추진전략 |
Pre-5G 핵심 서비스 시연 → 5G 핵심 시범 서비스 실현 → 세계 최초 5G 상용 서비스 제공 |
시장잠재력 |
5G 이동통신은 기존 이동통신 시장을 점진적으로 대체하며 성장할 전망 ('26년 1조 1,588억 달러 규모) |
③ 심해저 해양 : 심해 해저에서 Oil 및 Gas를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새롭게 적용되고 있는 시스템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심해저 해양플랜트 엔지니어링 기술 확보 및 핵심기자재 국산화 |
산업생태계 |
해양플랜트 산업은 지식서비스 산업과 융복합으로 부가가치와 산업연관 효과가 높고, 기술혁신을 통한 주력산업의 고부가가치화 선도 및 시장 확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관련 기자재의 국산화를 통해 대기업,중소기업간 협력 가능 |
추진전략 |
핵심인력 양성체계 및 연구기반 구축 → 엔지니어링 역량 강화 및 핵심 기자재 국산화 → 글로벌 강소기업(핵심 기자재) 육성 |
시장잠재력 |
전세계 해양플랜트 시장은 '10년 1,450억 달러 규모로 추산되고 있으며, '30년까지 5,040억 달러로 6.7% 성장 전망 |
④ 지능형 로봇 : ICT 기술과 연계한 지능형 서비스를 통해 국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인텔리전트 로봇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2020년 로봇생산 9.7조원 달성 |
산업생태계 |
로봇 산업은 기술개발에 많은 재원이 필요하고 다양한 부품 및 서비스 개발이 필요하므로 대기업,중소기업간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 가능 |
추진전략 |
테마 R&D(재난, 헬스케어 등), 타산업(교육,국방 등) 융합 R&D 추진 → 안전인증,국제표준화 지원 및 로봇기업 육성 → 신시장 창출 |
시장잠재력 |
지능형 로봇은 새로운 서비스 발굴 및 사업화로 미래성장 잠재력이 매우 높으며, 세계 서비스 로봇 시장 선점을 위한 국가간 경쟁이 가속화될 전망 ('20년 536억 달러 규모) |
⑤ 착용형 스마트기기 : 의복이나 장신구와 유사한 형태로 이용자가 착용하기 편리하도록 설계된 스마트 전자기기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착용형 스마트기기 스타제품 100개 사업화 및 글로벌 기술 선도 |
산업생태계 |
SW, 센서, 디스플레이, 소재 등 다양한 산업과 연계, HW/SW, 부품/소재, 대기업/중소기업 동반성장이 가능한 분야 |
추진전략 |
센서,임베디드 SW 등 부품·소재 및 플랫폼·서비스 핵심 기술개발 + 감성,문화 융합 제품화·사업화 + 지속성장을 위한 생태계 조성 |
시장잠재력 |
착용형 스마트기기 시장은 의료 및 건강 분야에서 탈피하여, 인포테인먼트 등의 분야로 확대되면서 시장 급성장 예상됨. ’13년 약 83억 달러의 세계 웨어러블 기기 시장은 ’20년에 약 1,350억 달러, ’24년에는 2,664억 달러로 급격하게 확대될 전망 |
⑥ 실감형 콘텐츠 : 가상현실, 홀로그램, 4D 기술을 적용하여 몰입감과 현장감을 극대화 시켜주는 초실감형, 참여형, 맞춤형 차세대 콘텐츠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세계 미래 콘텐츠 시장 선점 및 점유율 확대('13 : 0.2% → '25 : 5%) |
산업생태계 |
C-P-N-D 생태계와 서비스를 포괄하여 기기,통신/플랫폼,콘텐츠의 대기업 및 중소,중견기업의 동반성장가능 |
추진전략 |
융합형 전문인력 양성체계 구축 등 생태계 기반 조성 → 타 산업 연계(한류) 융복합 콘텐츠 사업 활성화 → 스타기업 육성 및 해외수출 지원 |
시장잠재력 |
실감형 콘텐츠 세계시장 규모는 '13년에서 '20년까지 연평균 26.1%(1,010억 달러 → 5,129억 달러), 국내시장 규모는 연평균 12.2% (36,010억원 → 80,601억원) 성장 전망 |
⑦ 맞춤형 웰니스 케어 : 개인의 행복 증진을 위하여 IT/BT를 융합하여 웰니스를 구현하는 신산업 분야로 창의적 아이디어로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2020년까지 맞춤형 웰니스 해외시장 5위권 진입 |
산업생태계 |
ICT와 BT기술의 전문기술을 확보한 대기업, 중소기업간 동반성장의 산업생태계 구축을 통해 성공적인 해외진출로 시너지 창출 |
추진전략 |
서비스 콘텐츠 및 플랫폼 구축 기술 개발 → 의료법 등 정비 및 시범사업 추진 → 맞춤형 해외진출[(동남아) 교육, 문화, (BRICs) 환경, 의료 등] |
시장잠재력 |
2010년 세계 웰니스 시장은 약 2조달러 규모로, ’20년까지 매년 10% 성장 예상 |
⑧ 재난관리 스마트 시스템 : 다양한 재난,안전요소를 단위 산업체,시설물 뿐만 아니라 지역 및 국가 단위에서 실시간으로 감지,예측하고 예방,대응하는 시스템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현장 맞춤,통합 재난안전기술 구현, Safe Korea 실현 |
산업생태계 |
재난안전관리 산업생태계는 수요자인 기업 및 정부와 공급자인 중소,중견기업 중심으로 구성되어 이들의 성장과 직결 |
추진전략 |
IoT,스마트 센서 기반 재난 센싱,시뮬레이션 등 요소기술 개발 → 통합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콘텐츠 첨단화 → 스마트시스템 산업화 |
시장잠재력 |
자연재해 및 인적재해 증가에 따라 지속적 시장확대가 예상(전세계 연평균 5.4% 성장, ’20년 4,910억 달러 규모 시장)되고, 빅데이터,사물인터넷 등 ICT 기술과의 결합을 통해 융합산업으로 발전 전망 |
⑨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하는 둘 이상의 발전장치를 전력저장장치와 결합한 전력공급,관리 시스템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2020년 전세계 관련 시장 10% 점유 |
산업생태계 |
시스템은 대기업이, 부품소재 및 소프트웨어는 중소,중견기업이 맡는 하이브리드 컨소시움 구성을 통해 동반성장이 가능하며, 개별 신재생에너지원의 상호보완적 공생 가능 |
추진전략 |
발전원 간 융합을 위한 제도 정비 → 시스템 실증('친환경 에너지타운' 연계) 및 산업생태계 조성 → 국내/해외 맞춤형 사업모델 개발 |
시장잠재력 |
전세계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시장은 연평균 38% 성장하여 '20년에는 210억 달러 규모로 확대 예상 |
(2) 4대 기반산업
① 지능형 반도체 |
IT융합 제품(스마트 자동차, IoT, 착용형 스마트 기기 등)의 지능형서비스 구현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SW 및 SoC 융합기술 |
② 융복합 소재 |
새로운 물리, 화학적 결합을 통해 초경량화, 고성능화, 다기능성을 극대화한 융복합 소재로 스마트자동차, 해양플랜트 등 전반적인 성장동력 발전의 기초 |
③ 지능형 사물 인터넷 |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인터넷으로 상호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수집·공유·활용되는 지능형 서비스로 디바이스(사물의 센싱, 동작), 네트워크(연결) 및 플랫폼(사물 간 연계·협업)을 통해 실현 |
④ 빅데이터 |
스마트폰 SNS 사물인터넷에 따라 폭증하는 대량의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분석 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경제사회 전반에서 혁신을 주도하는 일종의 플랫폼 |
① 지능형 반도체 : 기존 반도체 제품에 스마트기능 SW를 하나의 디바이스에 구현함으로써 토털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SW와 반도체의 융합 부품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SW 및 SoC 경쟁력 확보를 통한 지능형 반도체 강국 도약 |
산업생태계 |
SW-반도체 플랫폼 확보를 통해 중소기업과 대기업의 수평적 상생관계 형성 가능 |
추진전략 |
SW-SoC 핵심기술 확보 → IoT, 착용형 스마트 기기 등 미래성장동력 특화 지능형 반도체 플랫폼 구축 및 연계 협업 생태계 활성화 |
시장잠재력 |
국내 SW 융합 반도체 시장 성장률(17.7%)은 세계 시장 성장률(10%)보다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 |
② 융복합 소재 : 새로운 물리, 화학적 결합을 통해 초경량화, 고기능화, 다기능성을 극대화한 소재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창의소재 및 고부가 산업용 소재 개발을 통한 소재 4대 강국 실현 |
산업생태계 |
산업발달에 따라 요구되는 소재 기술의 다양성을 고려할 때, 원천기술 기반의 중소기업 창업이 필수적 |
추진전략 |
[창의소재 연구단] 등 융합연구체계 구축 → Biz. Platform 등 소재기술 사업화 인프라 마련 → 소재-수요 연계 산업생태계 조성 |
시장잠재력 |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적인 소재에 대한 수요 증가로 세계시장 규모는 '13년 517억 달러에서 '20년 1,394억 달러로 2.7배 증가할 전망 |
③ 지능형 사물인터넷 : 사람, 사물, 공간, 데이터 등 모든 것이 서로 연결되어, 정보가 생성,수집,공유,활용되는 초연결(Hyper-Connected) 인터넷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초연결 디지털 혁명 선도국가 실현('20년 국내 시장규모 30조원 달성 등) |
산업생태계 |
스마트 디바이스 및 광대역 네트워크 확산으로 누구나 쉽게 서비스를 개발,활용할 수 있는 개방형 생태계 환경으로 변화 (Open-API 및 개방형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인 및 중소기업의 다양한 신서비스 모델 실현) |
추진전략 |
창의적 IoT 서비스,플랫폼 창출 기반 조성 → 정보보호체계 마련, 차량 ICT 기반 긴급구난 등 시범사업 통한 서비스 확산 → IoT 서비스,플랫폼 수출 |
시장잠재력 |
'13년에서 '20년까지 세계시장은 연평균 26.2%(2천억 달러 → 1조 달러), 국내시장은 연평균 33.3%(2조원→17조원)로 성장 전망 |
④ 빅데이터 : 스마트폰,SNS,사물인터넷에 따라 폭증하고 있는 대량 정형,비정형 데이터의 분석, 활용을 통해 새로운 가치창출과 사회현안 해결
구 분 |
세부내역 |
목표 |
2020년 빅데이터 국내 및 세계시장 점유 각각 10억 달러 이상 달성 |
산업생태계 |
이동통신사,포털사 등 대기업과 데이터 관리, 소셜 분석, 시각화 기술 등 분야별 중소전문기업이 상생협력 가능하고 공공,민간 빅데이터 기반 벤처 창업이 활발한 분야 |
추진전략 |
고성능 컴퓨팅 등 핵심 및 응용기술 개발 → 공공·민간 활용 활성화 → 주요산업(의료, 제조, 공정, 교통 등) 분야 선도 프로젝트 추진 |
시장잠재력 |
세계시장은 '13년 109억 달러에서 '20년 715억 달러로 연평균 32% 고성장이 예상되는 유망산업 (국내 시장은 '13년 1.6억 달러에서 '10억 달러로 연평균 31% 이상 성장이 예상되며, 이중 SW,서비스가 약 66% 차지) |
(3) 13대 미래성장동력에 따른 기대효과
① 경제성장, 사회비용 절감 및 효율화
지능형 사물인터넷 및 신재생에너지하이브리드시스템, 빅데이터 등 플랫폼 프로젝트를 통한 핵심원천기술 선점으로 인한 주력산업 다변화, 산업경쟁력 강화가 예상되어 경제성장 및 국민소득 증대가 예상되고, 스마트 CCTV, 범죄사고 자동인지 도입을 통해 공공행정 효율화, 사회 의료지출 감소, 사회 복지 등에 기여함에 따라 사회비용 절감 및 효율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② 일자리 창출
5G 이동통신, 착용형 스마트기기 및 실감형 콘텐츠 산업 등은 창조 아이디어 발굴 등의 활성화를 통하여 중소기업의 비즈니스 영역이 확장 및 성장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고용 유발 효과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삶의 질 제고
맞춤형 웰니스 케어 등 개인 맞춤형 건강관리를 통해 국민 개개인의 건강한 삶의 유지가 가능해 짐에 따라 사람의 질이 제고될 수 있습니다.
다. 합병기간 내에 합병을 완료하지 못하는 경우 예상 효과
(1) 회사에 대하여 미치는 영향
당사는 법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및 정관 제59조(회사의 해산) 등에 따라 최초 모집한 주권의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즉시 해산을 하게 됩니다.
정관 제59조(회사의 해산)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마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5항 제2호에 따라 이 회사는 다음의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회사를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1.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이 회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2. 최초 주권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3.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전에 이 회사 주권이 자본시장법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상장폐지된 경우 |
(2)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회사가 해산하는 경우 주주 등에 대한 잔여재산 분배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향후 해산사유 등으로 예치금 반환사유가 발생하게 되면 정관 제57조(주권발행금액의 예치, 신탁 및 인출 제한, 담보제공 금지) 및 정관 제60조(예치자금등의 반환 등)에 따라 배분될 계획입니다.
정관 제57조(주권발행금액의 예치ㆍ신탁 및 인출 제한, 담보제공 금지) ①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가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2항에따라 이 회사는 주권발행금액(최초 주권모집 이전에 발행된 주권의 발행금액은 제외)의 100분의 90 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주권의 주금납입일 다음 영업일까지 한국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한다. ②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나목 및 금융투자업규정 제1-4조의2 제3항에 따라 이 회사는 제1항에 의하여 예치 또는 신탁한 금전(이자 또는 배당금을 포함, 이하 "예치자금 등")을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회사운영을 위하여 불가피한 경우로서 다음 각호의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치자금 등을 인출할 수 있다. 1. 자본시장법 제165조의5에 따른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로 주식을 매수하기 위하여 필요한 금전 한도 내에서 인출하는 경우 2. 이 회사가 해산하여 제60조에 따라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경우 정관 제60조(예치자금등의 반환 등) ① 제59조에 따라 이 회사가 해산되어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는 경우,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야 한다. 1. 공모전 주주는 주식 등 취득분에 대하여 예치자금 등의 지급대상에서 제외된다. 다만 공모전 주주가 최초 주권공모 이후에 주식을 취득한 경우, 당해 취득분에 대해서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2. 예치자금 등은 주식(제1호 본문에 따라 공모전 주주가 취득하고 있는 주식등은 제외함)의 보유비율에 비례하여 배분되어야 한다. ② 제1항에 의한 지급 후에 남은 회사의 재산은 상법 제3편 제4장 제12절(청산)의 관련 규정에 따라 배분한다. 다만, 주주에 대한 잔여재산은 다음의 각호의 순서에 따라 분배되며, 회사에 대한 채권은 주주에 대한 잔여재산분배에 우선하여 변제하되, 전환사채의 상환권은 공모전 발행주식에 대한 잔여재산분배와 동일한 순위로서 이하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권리의 행사가 제한된다. 1. 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세후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미달하는 경우, 공모주식을 보유한 주주에 대하여 분배할 잔여재산은 제1항에 따라 지급된 금액을 포함하여 해당 주주에게 분배되는 금액이 당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에 달할 때까지 우선적으로 공모주식의 주식수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2. 제1항 및 본 항 제1호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 남는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잔여재산은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발행가액(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가액을 발행가액으로 하며, 이하 본조에서 같다.)에 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보유 주주에게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수(전환사채에 대하여는 전환시 발행될 주식수를 기준으로 한다. 이하 같다)에 비례하여 분배된다. 다만, 공모주식에 대하여 위 제1항에 따라 공모주식의 보유 주주에게 지급된 금액이 공모주식의 발행가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위 잔여재산은 본 호에 따라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보유 주주에 대하여도 동일한 초과비율에 달할 때까지 공모전 발행주식등의 수에 비례하여 분배한다. 3. 제1호 및 제2호에 따른 잔여재산분배 이후에도 남는 기타 잔여재산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잔여재산은 회사의 모든 발행주식등(공모전 발행주식등과 공모주식을 포함하여 회사가 발행한 모든 주식을 의미하며, 이하 “모든 발행주식등”이라 한다)의 발행가격의 비율에 따라 분배된다. ③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에 반대하는 주주(이 회사의 발기인 및 공모전 주주는 제외)가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경우, 이 회사는 자본시장법 제165조의5 및 기타 관련법령에서 정하는 방법 및 절차에 따라 투자금을 반환하여야 한다. |
라. 합병대상회사의 선정기준 및 합병대상회사에서 제외되는 회사
(1) 합병대상회사의 선정기준
당사는 합병대상기업 선정에 대해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제63조(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유가증권 상장규정 제76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기준 등을 만족하는 회사를 합병대상회사로 선정할 계획입니다.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① 합병대상법인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년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자금 등의 100분의 80 이상이어야 한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②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 이 회사는 상법 제524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라목 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이 회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다. ④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는 합병할 수 없다. 1. 이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이하 "공모전주주등"이라 한다.) 2.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 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하는 회사 가.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이 회사의 설립 및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다.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이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3.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이 회사 또는 공모전 주주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⑤ 본 조 제4항제2호의 소유주식수를 산정함에 있어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의 권리행사 등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수를 포함하며, 공모전 주주등의 주식수 산정시에는 당해 주주등의 계열회사가 소유하는 주식수를 포함한다. 정관 제63조(합병을 위한 중점 산업군) 이 회사는 상장 이후 합병을 진행함에 있어 성장성이 높고 글로벌기업으로 발전할 가능성이 높은 기업으로서 다음 각호 중 하나에 해당하는 산업을 영위하거나 동 산업에 부품 및 장비를 제조ㆍ판매하는 기업을 중점으로 합병을 추진한다. 1. 신재생에너지 2. 바이오제약(자원)ㆍ의료기기 3. IT융합시스템 4. LED 응용 5. 그린수송시스템 6. 탄소저감에너지 7. 고도 물처리 8. 첨단그린도시 9. 방송통신융합산업 10. 로봇 응용 11. 신소재ㆍ나노융합 12. 고부가 식품산업 13. 엔터테인먼트 14. 자동차 부품 제조 15. IT 및 반도체 16. 기타 미래 성장 동력을 갖추었다고 판단되는 산업 |
아울러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76조에 따른 합병대상회사의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요건 |
---|---|
영업활동기간 |
상장예비심사신청일 현재 설립 후 3년 이상이 경과하고 계속 영업을 하고 있을 것 |
기업규모 |
자기자본이 200억원 이상일 것 |
수익성 |
계속사업이익 또는 자기자본이익률이 다음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것 ① 계속사업이익 30억원 이상이고, 최근 3사업연도의 합계가 60억원 이상일 것 ② 자기자본이익률 5%이상이고, 최근 3사업연도의 합계가 100분의 10이상일 것 ③ 상장예비심사신청일 현재 자기자본이 1,000억원 이상인 법인으로서 계속사업이익 50억원 이상이거나, 자기자본이익률이 3%이상이고, 최근 사업연도 현금흐름이 양(+)일 것 |
감사의견 |
① 최근 사업연도 감사의견 적정 ② 최근 사업연도의 직전 2사업연도 적정 또는 한정 |
주식의 양도제한 |
주식양도의 제한이 없을 것 |
규모요건 |
합병대상법인 규모가 기업인수목적회사 공모예치자금의 80% 이상일 것 |
질적요건 |
기업의 계속성, 경영투명성, 경영안정성 및 주주이익침해여부, 투자자보호 및 시장건전성 심사 |
(2) 합병 대상에서 제외되는 회사
당사는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에서 합병 대상에서 제외되는회사에 대해 규정하고 있습니다.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① 합병대상법인의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따라 산정된 합병가액 또는 최근 사업년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이 예치자금의 100분의 80 이상이어야 한다. 이 경우 합병대상법인이 다수인 경우에는 각 법인의 합병가액 또는 자산총액을 각각 합산한 금액을 기준으로 한다. ②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여야 한다. ③ 이 회사는 상법 제524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 제9조 제15항 제4호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라목 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이 회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다. ④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는 합병할 수 없다. 1. 이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이하 "공모전주주등"이라 한다.) 2.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 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하는 회사 가.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이 회사의 설립 및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다.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이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3.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이 회사 또는 공모전 주주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⑤ 본 조 제4항제2호의 소유주식수를 산정함에 있어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의 권리행사 등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수를 포함하며, 공모전 주주등의 주식수 산정시에는 당해 주주등의 계열회사가 소유하는 주식수를 포함한다. |
마. 주주총회의 합병승인 요건 및 발기인 등의 의결권 제한
당사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을 위한 특별결의를 득해야 합니다. 주주총회 특별결의는 출석주주 의결권의 2/3 이상의 승인과 총 발행주식수의 1/3 이상의 승인이 있어야만 합니다.
당사의 발기인 간에 체결한 '주주간 약정서'에 의거하여 당사의 공모전 주주가 보유한 최초 모집 이전에 취득한 주식등에 대해서는 다른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상법」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에서 본 약정 당사자가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여야 합니다.
[주주간 약정서]
제 1 조 본 약정 당사자들은 엔에이치스팩19호가 기업인수목적회사로서 행하는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 「상법」 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본 약정 당사자가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기로 한다."
제 2 조
제 8 조 본 약정은 엔에이치스팩19호가 그 주권을 최초로 모집하기 이전에 본 약정 당사자들이 취득한 엔에이치스팩19호의 주식 및 전환사채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
바. 반대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1) 주식매수청구 절차
당사와 합병회사간 합병을 위한 주주총회에서 합병승인 안건에 반대할 경우 공모주주들은 법 제165조의5에 의거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공모주주 및 당사는 법 제165조의5 및 법시행령 176의7에 의거 다음과 같은 주식매수청구 관련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단, 공모전주주등은 주주등간계약에 따라 공모전 발행주식(전환사채의 전환으로 발행되는 주식 포함)과 공모시 발행주식 및 공모후 발행주식에 대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1) 합병반대의사 통지(공모주주)
- 주주총회 전까지 서면으로 반대의사 통지
2) 주식매수청구(공모주주)
- 주주총회일로부터 20일 내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매수 청구
3) 주식매수청구 서류 제출
- 주식매수청구의 내용을 거래소에 문서로 신고
4) 공모주주의 주식매수(당사)
- 주주총회결의일로부터 20일이 경과한 날부터 1개월 이내 해당주식을 매수
5) 매수한 주식처분
- 주식을 매수한 날로부터 3년 내 처분
(2) 주식매수가격의 결정
공모주주의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시 주식매수가격은 법 제165조의5에 따라 공모주주와 회사간 협의로 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만 협의가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의 매수가격은 이사회 결의일 이전에 증권시장에서 거래된 해당주식의 거래가격을 기준으로 하여 법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에 의거하여 산정합니다. 만약 당사나 매수청구권을 행사한 주주가 그 매수가격에 대해서도 반대하면 법원에 매수가격의 결정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기준매수가격 = (2개월간 거래량 가중평균종가 + 1개월간 거래량 가중평균종가 + 1주일간 거래량 가중평균종가) / 3 (단, 기산일은 이사회 결의일 전일) |
단, 법시행령 제176조의5 제3항에 의거하여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증권의발행및공시등에관한규정 제5-13조 제4항」에서 규정한 요건을 갖추고 주권비상장법인의 합병가액을 산정한 경우에는 동 요건에 맞추어 주식매수가격을 공모가격 이상으로 하여야 합니다.
사. 합병추진시 발생 가능한 비용 및 지급 상대방
구 분 |
금 액 |
비 고 |
---|---|---|
법률자문수수료 |
50백만원 |
법무법인 |
회계자문수수료 |
50백만원 |
회계법인 |
기업실사비용 |
50백만원 |
M&A 자문기관 |
합병자문수수료 |
250백만원 |
M&A 자문기관 |
합 계 |
400백만원 |
주) |
주) 상기 용역과 관련하여 현재 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상대방은 없는 상황이며, 상기 비용 또한 예상비용으로서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아. 합병추진 운영비용에 관한 사항
당사는 공모금액의 100%를 국민은행에 예치하였으므로, 공모전주주의 투자금액 200억원 중 일부를 합병관련 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상기 비용 지출이 예치자금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한편, 당사의 자금운영규정 제5조(회사운영자금 관련 사항)에 의거, 회사의 합병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의 사용한도는 550백만원입니다. 당사는 동 규정을 통해 회사 운영자금의 사용한도를 설정하고, 동 한도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초과금액의 사용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득하도록 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당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당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매출 및 수주상황
당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당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당사는 기업인수목적회사로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7. 기타 참고사항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단위: 원) |
과 목 | 제2기 반기말 | 제1기말 |
---|---|---|
감사인(감사의견) | - | 삼화회계법인(적정의견) |
유동자산 | 116,229,710,115 | 115,807,982,965 |
당좌자산 | 116,229,710,115 | 115,807,982,965 |
비유동자산 | - | - |
자산총계 | 116,229,710,115 | 115,807,982,965 |
유동부채 | 26,997,633 | 6,730 |
비유동부채 | 15,834,999,621 |
15,744,017,114 |
부채 총계 | 15,861,997,254 | 15,744,023,844 |
자본금 | 5,129,000,000 | 5,129,000,000 |
자본잉여금 | 93,527,643,900 | 93,527,643,900 |
기타자본요소 | 1,255,821,373 | 1,255,821,373 |
이익잉여금 | 455,247,588 | 151,493,848 |
자본 총계 | 100,367,712,861 | 100,063,959,121 |
2022.1.1~2022.6.30 | 2021.3.4~2021.12.31 | |
영업수익 | - | - |
영업비용 | 32,016,892 | 50,624,820 |
영업손실 | 32,016,892 | 50,624,820 |
당기순이익(손실) | 303,753,740 | 151,493,848 |
주당순이익 | 6 | 4 |
주) | 당반기재무제표에 대한 검토업무가 수행되었으며, 중요성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지 않은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2. 연결재무제표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연결재무제표 주석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재무제표
반 기 재 무 상 태 표 | |
제2(당)기 반기말 2022년 06월 30일 현재 | |
제1(전)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2(당)기 반기말 | 제1(전)기말 |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16,229,710,115 | 115,807,982,965 | ||
1. 현금및현금성자산(주석 4,5,6) | 91,556,363 | 116,262,158 | ||
2. 단기금융상품(주석 4,5,7,8,16) | 115,836,410,832 | 115,200,000,000 | ||
3. 미수수익(주석 4,5) | 301,742,920 | 491,677,807 | ||
4. 당기법인세자산 | - | 43,000 | ||
Ⅱ. 비유동자산 | - | - | ||
자 산 총 계 | 116,229,710,115 | 115,807,982,965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26,997,633 | 6,730 |
||
1. 미지급금(주석 4,5) |
6,400,000 | 6,730 | ||
2. 당기법인세부채 | 20,597,633 | - | ||
Ⅱ. 비유동부채 | 15,834,999,621 | 15,744,017,114 | ||
1. 전환사채(주석 4,5,9,17) | 15,503,097,664 | 15,347,082,051 | ||
2. 이연법인세부채 | 331,901,957 | 396,935,063 | ||
부 채 총 계 | 15,861,997,254 | 15,744,023,844 | ||
자 본 | ||||
Ⅰ. 자본금 | 5,129,000,000 | 5,129,000,000 | ||
1. 자본금(주석 10) | 5,129,000,000 | 5,129,000,000 | ||
Ⅱ. 자본잉여금 | 93,527,643,900 | 93,527,643,900 | ||
1. 주식발행초과금(주석 10,16) | 93,527,643,900 | 93,527,643,900 | ||
Ⅲ. 기타자본요소 | 1,255,821,373 | 1,255,821,373 | ||
1. 전환권대가(주석 9) | 1,255,821,373 | 1,255,821,373 | ||
Ⅳ. 이익잉여금 | 455,247,588 | 151,493,848 |
||
1. 미처분이익잉여금(주석 11) | 455,247,588 | 151,493,848 |
||
자 본 총 계 | 100,367,712,861 | 100,063,959,121 | ||
부채 및 자본총계 | 116,229,710,115 | 115,807,982,965 |
별첨 주석은 본 반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반 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 |
제2(당)기 반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06월 30일까지 |
|
제1(전)기 반기 2021년 03월 04일(설립일)부터 2021년 06월 30일까지 |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2(당)기 반기 | 제1(전)기 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Ⅰ. 영업수익 | - | - | - | - |
Ⅱ. 영업비용(주석 12,17) | 10,742,882 | 32,016,892 | 18,402,310 | 28,179,400 |
Ⅲ. 영업손실 | (10,742,882) | (32,016,892) | (18,402,310) | (28,179,400) |
Ⅳ. 금융수익(주석 5,13) | 375,960,552 | 563,357,812 | 105,167,903 | 109,575,437 |
Ⅴ. 금융비용(주석 5,13,17) | 78,337,109 | 156,015,613 | 76,765,747 | 92,406,396 |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286,880,561 | 375,325,307 | 9,999,846 | (11,010,359) |
Ⅶ. 법인세비용(수익)(주석 14) | 52,113,723 | 71,571,567 | 2,199,967 | (2,422,279) |
Ⅷ. 반기순이익(손실) | 234,766,838 | 303,753,740 | 7,799,879 | (8,588,080) |
Ⅸ. 기타포괄손익 | - | - | - | - |
X. 반기총포괄이익(손실) | 234,766,838 | 303,753,740 | 7,799,879 | (8,588,080) |
XI. 주당손익 | ||||
1. 기본 및 희석 주당손익(주석 15) | 5 | 6 | - | - |
별첨 주석은 본 반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반 기 자 본 변 동 표 | |
제2(당)기 반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06월 30일까지 | |
제1(전)기 반기 2021년 03월 04일(설립일)부터 2021년 06월 30일까지 |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 잉여금 |
기타 자본요소 |
이익잉여금 (결손금) |
총 계 |
---|---|---|---|---|---|
2021.03.04(설립일) | - | - | - | - | - |
설립자본 | 329,000,000 | 2,952,552,400 | - | - | 3,281,552,400 |
반기총포괄손익 | |||||
반기순손실 | - | - | - | (8,588,080) | (8,588,080) |
소유주와의 거래 | |||||
유상증자 | 4,800,000,000 | 90,575,091,500 | - | - | 95,375,091,500 |
전환사채 발행 | - | - | 1,255,821,373 | - | 1,255,821,373 |
2021.06.30(전반기말) | 5,129,000,000 | 93,527,643,900 | 1,255,821,373 | (8,588,080) | 99,903,877,193 |
2022.01.01(당기초) | 5,129,000,000 | 93,527,643,900 | 1,255,821,373 | 151,493,848 | 100,063,959,121 |
반기총포괄손익 | |||||
반기순이익 | - | - | - | 303,753,740 | 303,753,740 |
2022.06.30(당반기말) | 5,129,000,000 | 93,527,643,900 | 1,255,821,373 | 455,247,588 | 100,367,712,861 |
별첨 주석은 본 반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반 기 현 금 흐 름 표 | |
제2(당)기 반기 2022년 01월 01일부터 2022년 06월 30일까지 | |
제1(전)기 반기 2021년 03월 04일(설립일)부터 2021년 06월 30일까지 |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 | (단위 : 원) |
과 목 | 제2(당)기 반기 | 제1(전)기 반기 | ||
---|---|---|---|---|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11,705,037 | (26,672,738) | ||
1. 반기순이익(손실) | 303,753,740 | (8,588,080) | ||
2. 반기순이익(손실)에 대한 조정 | (335,770,632) | (19,591,320) | ||
가. 법인세비용(수익) | 71,571,567 | (2,422,279) | ||
나. 이자수익 | (563,357,812) | (109,575,437) | ||
다. 이자비용 | 156,015,613 | 92,406,396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ㆍ부채의 변동 | 6,393,270 | 1,325,310 | ||
가. 미지급금의 증가 |
6,393,270 | 1,325,310 | ||
4. 이자의 수취 | 753,292,699 | 214,342 | ||
5. 법인세 납부액 | (115,964,040) | (32,990)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636,410,832) | (115,200,000,000) | ||
1.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
115,200,000,000 | 300,000,000 | ||
2.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 (115,836,410,832) | (115,500,000,000)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 | 115,366,643,900 | ||
1. 설립자본금 | - | 3,290,000,000 | ||
2. 설립시 주식발행의 거래원가 | - | (8,447,600) | ||
3. 전환사채의 발행 | - | 16,710,000,000 | ||
4. 유상증자 | - | 96,000,000,000 | ||
5. 신주발행의 거래원가 | - | (624,908,500)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Ⅰ+Ⅱ+Ⅲ) | (24,705,795) | 139,971,162 |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16,262,158 | - | ||
Ⅵ. 반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91,556,363 | 139,971,162 |
별첨 주석은 본 반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
5. 재무제표 주석
제2(당)기 반기 2022년 06월 30일 현재 |
제1(전)기 2021년 12월 31일 현재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 |
1. 일반 사항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 주식회사(이하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법률에 따라 한국거래소의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한 후 다른 회사와 합병하는 것을 유일한 사업목적으로 하여 2021년 03월 04일에 설립되었으며, 당사의 본점소재지는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여의도동)입니다.
당사의 존속기간은 합병대상법인과 합병을 하지 못한 경우에 한하여, 최초로 주권을 모집하여 주금을 납입받은 날로부터 36개월까지로 합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 소유주식수(주) | 지분율(%) |
---|---|---|
이베스트투자증권 | 3,080,806 | 6.01 |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주식회사 | 3,000,000 | 5.85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 150,000 | 0.29 |
비엔케이자산운용 주식회사 | 70,000 | 0.14 |
비엔케이벤처투자 주식회사 | 70,000 | 0.14 |
기타 | 44,919,194 | 87.57 |
합 계 | 51,290,000 | 100.00 |
2. 중요한 회계정책
(1) 재무제표 작성기준
당사의 2022년 6월 30일로 종료하는 6개월 보고기간에 대한 반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이 반기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인 2022년 6월 30일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 도입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개념체계의 인용
사업결합시 인식할 자산과 부채의 정의를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를 참조하도록 개정되었으나,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및 해석서 제2121호 '부담금'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서는 해당 기준서를 적용하도록 예외를 추가하고, 우발자산이 취득일에 인식되지 않는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 의도한 사용 전의 매각금액
기업이 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품목의 판매에서 발생하는 수익을 생산원가와 함께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요구하며,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서차감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습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및 우발자산' 개정 - 손실부담계약: 계약이행원가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의 범위를 계약 이행을 위한 증분원가와 계약 이행에 직접 관련되는 다른 원가의 배분이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 1116호 '리스' 개정 - 2021년 6월 30일 후에도 제공되는 코로나19 관련 임차료 할인 등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rent concession)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실무적 간편법의 적용대상이 2022년 6월 30일 이전에 지급하여야 할 리스료에 영향을 미치는 리스료 감면으로 확대되었습니다. 리스이용자는 비슷한 상황에서 특성이 비슷한 계약에 실무적 간편법을 일관되게 적용해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이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 2018-2020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연차개선에 따른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중요한 영향은 없습니다.
-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 채택': 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 |
-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금융부채 제거 목적의 10% 테스트 관련 수수료 |
-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리스 인센티브 |
- |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공정가치 측정 |
2) 당사가 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제정 또는 공표되었으나 시행일이 도래하지 않아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 부채의 유동/비유동 분류
보고기간말 현재 존재하는 실질적인 권리에 따라 유동 또는 비유동으로 분류되며,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수 있는 권리의 행사가능성이나 경영진의 기대는 고려하지 않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에 자기지분상품의 이전도 포함되나, 복합금융상품에서 자기지분상품으로 결제하는 옵션이 지분상품의 정의를 충족하여 부채와 분리하여 인식된경우는 제외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 '회계정책'의 공시
중요한 회계정책을 정의하고 공시하도록 하며, 중요성 개념을 적용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제공하기 위하여 국제회계기준 실무서 2 '회계정책 공시'를 개정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 '회계추정'의 정의
회계추정을 정의하고, 회계정책의 변경과 구별하는 방법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 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 단일거래에서 생기는 자산과 부채에 대한 이연법인세
자산 또는 부채가 최초로 인식되는 거래의 최초 인식 예외 요건에 거래시점 동일한 가산할 일시적차이와 차감할 일시적차이를 발생시키지 않는 거래라는 요건을 추가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하며, 조기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7호 '보험계약'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4호 '보험계약’을 대체합니다. 보험계약에 따른 모든 현금흐름을 추정하고 보고시점의 가정과 위험을 반영한 할인율을 사용하여 보험부채를 측정하고, 매 회계연도별로 계약자에게 제공한 서비스(보험보장)를 반영하여 수익을 발생주의로 인식하도록 합니다. 또한, 보험사건과 관계없이 보험계약자에게 지급하는 투자요소(해약/만기환급금)는 보험수익에서 제외하며, 보험손익과 투자손익을 구분 표시하여 정보이용자가 손익의 원천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23년 1월 1일 이후 최초로 시작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되며,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을 적용한 기업은 조기적용이허용됩니다. 당사는 동 개정으로 인해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2) 회계정책
반기재무제표의 작성에 적용된 유의적 회계정책과 계산방법은 주석 2.(1)에서 설명하는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 및 아래 문단에서 설명하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정책이나 계산방법과 동일합니다.
1) 법인세비용
중간기간의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연간법인세율, 즉 추정평균연간유효법인세율을 중간기간의 세전이익에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3.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
반기재무제표 작성시 당사의 경영진은 회계정책의 적용 및 보고되는 자산과 부채 및 이익과 비용의 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판단, 추정 및 가정을 하고 있습니다. 추정 및 가정은 지속적으로 평가되며, 과거 경험과 현재의 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미래의 사건과 같은 다른 요소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집니다. 이러한 회계추정은 실제 결과와 다를 수도있습니다.
반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법인세비용을 결정하는데 사용된 추정의 방법을 제외하고는 전기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된 회계추정 및 가정과 동일합니다.
2020년도부터 이어진 COVID-19의 확산은 국내외 경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
습니다. 이는 생산성 저하와 매출의 감소나 지연, 기존 채권의 회수 등에 부정적인 영
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재무상태와 재무성과에도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은 2022년 연차재무제표에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
다.
반기재무제표 작성시 사용된 중요한 회계추정 및 가정은 COVID-19에 따른 불확실성의 변동에 따라 조정될 수 있으며, COVID-19로 인하여 당사의 사업, 재무상태 및 경영성과 등에 미칠 궁극적인 영향은 현재 예측할 수 없습니다
4. 재무위험관리
4.1 재무위험관리요소
당사는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2)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자산 및 단기금융상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91,556,363 | 116,262,158 |
단기금융상품 | 115,836,410,832 | 115,200,000,000 |
미수수익 | 301,742,920 | 491,677,807 |
합계 | 116,229,710,115 | 115,807,939,965 |
(3) 유동성 위험
당사는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당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당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유동성 위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반기말)
(단위: 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 ||
미지급금 | 6,400,000 | 6,400,000 | - | - | - | 6,400,000 |
전환사채 | 15,503,097,664 | - | - | 16,710,000,000 | - | 16,710,000,000 |
합계 | 15,509,497,664 | 6,400,000 | - | 16,710,000,000 | - | 16,716,400,000 |
(전기말)
(단위: 원) |
구 분 | 장부금액 | 계약상 현금흐름 | ||||
---|---|---|---|---|---|---|
1년 이내 | 1년 초과 2년 이내 |
2년 초과 5년 이내 |
5년 초과 | 합계 | ||
미지급금 | 6,730 | 6,730 | - | - | - | 6,730 |
전환사채 | 15,347,082,051 | - | - | 16,710,000,000 | - | 16,710,000,000 |
합계 | 15,347,088,781 | 6,730 | - | 16,710,000,000 | - | 16,710,006,730 |
4.2 자본위험관리
당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호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의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당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의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총차입금 | 15,503,097,664 | 15,347,082,051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91,556,363) | (116,262,158) |
순차입금(A) | 15,411,541,301 | 15,230,819,893 |
자본총계(B) | 100,367,712,861 | 100,063,959,121 |
총자본(C=A+B) | 115,779,254,162 | 115,294,779,014 |
총자본 대비 순차입금 비율(A/C) | 13.31% | 13.21% |
5. 범주별 금융상품
가.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재무상태표 상 자산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현금및현금성자산 | 91,556,363 | 91,556,363 | 116,262,158 | 116,262,158 |
단기금융상품 | 115,836,410,832 | 115,836,410,832 | 115,200,000,000 | 115,200,000,000 |
미수수익 | 301,742,920 | 301,742,920 | 491,677,807 | 491,677,807 |
합계 | 116,229,710,115 | 116,229,710,115 | 115,807,939,965 | 115,807,939,965 |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로 판단하였습니다.
(단위: 원) |
재무상태표 상 부채 | 당반기말 | 전기말 | ||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미지급금 | 6,400,000 | 6,400,000 | 6,730 | 6,730 |
전환사채 | 15,503,097,664 | 15,503,097,664 | 15,347,082,051 | 15,347,082,051 |
합계 | 15,509,497,664 | 15,509,497,664 | 15,347,088,781 | 15,347,088,781 |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로 판단하였습니다.
나. 당반기 및 전반기의 금융상품의 범주별 순손익 구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상각후 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자산 | ||||
이자수익 | 375,960,552 | 563,357,812 | 105,167,903 | 109,575,437 |
상각후 원가로 측정하는 금융부채 | ||||
이자비용 | 78,337,109 | 156,015,613 | 76,765,747 | 92,406,396 |
6. 현금및현금성자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예치기관 | 당반기말 | 전기말 |
---|---|---|---|
보통예금 | 농협은행 | 90,725,295 | 116,262,158 |
보통예금 | 국민은행 | 831,068 | - |
합계 | 91,556,363 | 116,262,158 |
7. 사용제한 금융상품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사용제한 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예치기관 | 당반기말 | 전기말 |
---|---|---|---|
단기금융상품(*) | (주)국민은행 | 96,542,000,000 | 96,000,000,000 |
(*)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관련 규정에 따라 주권 발행금액(최초 주권 모집 이전에 발행된 주권의 발행금액은 제외)의 100분의 90 이상을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하며, 동 예치 또는 신탁한 금전을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이에 따라 전기 중 공모로 납입된 주식발행대금 전액을 (주)국민은행에 예치하고있습니다.
8. 단기금융상품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단기금융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예치기관 | 만기일 | 당반기말 | 전기말 |
---|---|---|---|---|
정기예금 | 농협은행 | 2023-04-04 | 19,294,410,832 | 19,200,000,000 |
특정금전신탁 | (주)국민은행 | 2023-05-17 | 96,542,000,000 | 96,000,000,000 |
합 계 | 115,836,410,832 | 115,200,000,000 |
9. 전환사채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명 칭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권면금액 | 16,710,000,000 | 16,710,000,000 |
전환권조정 | (1,206,902,336) | (1,362,917,949) | |
합 계 | 15,503,097,664 | 15,347,082,051 |
(2) 전환사채의 주요 발행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내용 | ||
---|---|---|---|
사채의 명칭 |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
사채의 종류 |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 ||
사채의 액면금액 | 16,710,000,000원 | ||
발행일 | 2021년 3월 12일 | 만기일 | 2026년 3월 12일 |
표면이자율 | 0% | 만기보장수익률 | 0% |
전환으로 인하여 발행할 주식의 종류 | 기명식 보통주식 | ||
전환가격 | 액면가 100원을 기준으로 주당 1,000원 (저가 전환사채 및 신주인수권부사채 발행, 유상증자 및 무상증자, 주식배당, 준비금의 자본전입 등에 의하여 필요시 전환가격 조정함) |
||
전환청구기간(*1) | 2021년 4월 12일부터 2026년 3월 11일까지 | ||
인수인(*2)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9,850,000,000원 |
(*1) 보통주식으로의 전환은 전환청구서와 사채권을 제출한 때 효력이 발생하며, 이익배당에 관하여는 그 전환청구한 날이 속하는 사업연도의 직전 사업연도 말에 보통주식으로 전환된 것으로 간주합니다. (*2) 인수인는 당사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 후 합병신주상장일로부터 1년이 경과하기 전까지는 당해 사채를 양도하거나 처분하지 못합니다. |
한편, 상기 전환사채와 관련되어 자본으로 인식된 전환권대가는 1,255,821,373원(법인세효과 차감 후 금액)입니다.
10. 자본금과 자본잉여금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당사의 자본금과 자본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주, 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발행할 주식수 | 500,000,000 | 500,000,000 |
발행한 주식수(보통주식) | 51,290,000 | 51,290,000 |
1주당 액면금액 | 100 | 100 |
보통주 자본금 | 5,129,000,000 | 5,129,000,000 |
자본잉여금(주식발행초과금) | 93,527,643,900 | 93,527,643,900 |
11. 이익잉여금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이익잉여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당반기말 | 전기말 |
---|---|---|
미처분이익잉여금 | 455,247,588 | 151,493,848 |
12.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반기 및 전반기의 비용의 성격별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급여 | 6,000,000 | 12,000,000 | 6,000,000 | 7,806,450 |
지급수수료 | 4,742,882 | 20,016,892 | 12,402,310 | 20,372,950 |
합 계 | 10,742,882 | 32,016,892 | 18,402,310 | 28,179,400 |
13. 금융수익과 금융비용
당반기 및 전반기의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금융수익 | ||||
단기금융상품 이자수익 | 375,960,552 | 563,357,812 | 105,167,903 | 109,575,437 |
금융비용 | ||||
전환사채 이자비용 | 78,337,109 | 156,015,613 | 76,765,747 | 92,406,396 |
14.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전체 회계연도에 대해서 예상되는 최선의 가중평균 연간법인세율의 추정에 기초하여 인식하였습니다. 2022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예상평균연간법인세율은 19.06%(지방소득세 포함)입니다.
15. 주당순손익
(1) 당반기 및 전반기의 기본주당손익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
구분 | 당반기 | 전반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보통주순이익(손실) | 234,766,838 | 303,753,740 | 7,799,879 | (8,588,080)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51,290,000 | 51,290,000 | 28,081,209 | 22,247,983 |
기본주당이익 | 5 | 6 | - | - |
(*) 당반기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는 당반기말 현재 발행보통주식수와 동일하며, 전반기의 가중평균유통보통주는 다음과 같이 산출되었습니다.
(3개월)
구분 | 발행일 | 증감주식수 | 누적일수 | 적수 |
---|---|---|---|---|
설립자본 | 2021.03.04 | 3,290,000주 | 91일 | 299,390,000주 |
유상증자 | 2021.05.15 | 48,000,000주 | 47일 | 2,256,000,000주 |
합계 | 91일 | 2,555,390,000주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28,081,209주 |
(누적)
구분 | 발행일 | 증감주식수 | 누적일수 | 적수 |
---|---|---|---|---|
설립자본 | 2021.03.04 | 3,290,000주 | 119일 | 391,510,000주 |
유상증자 | 2021.05.15 | 48,000,000주 | 47일 | 2,256,000,000주 |
합계 | 119일 | 2,647,510,000주 |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22,247,983주 |
(2) 당반기 및 전반기중 희석증권의 희석화 효과가 없으므로, 당사의 희석주당손익은 기본주당손익과 일치합니다.
(3) 반희석효과로 인하여 희석주당순이익을 계산할 때 고려하지 않았지만 잠재적으로 미래에 기본주당순이익을 희석화할 수 있는 잠재적 보통주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청구기간 | 발행될 보통주식수 |
---|---|---|
전환사채 | 2021년 4월 12일부터 2026년 3월 11일까지 | 16,710,000 주 |
16. 우발채무와 약정사항
(1) 당사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등 관계 법규에 따라 최초 주권 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90일 이내에 당사가 발행한 주권이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지 아니한 경우 또는 최초 주권 모집에 따른 주금납입일로부터 36개월 이내에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지 못한 경우 또는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를 완료하기 전에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90조의 증권상장규정에 따라 당사가 상장폐지되는 경우에는 해산하고 예치자금 등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합니다. 또한, 당사는 최초 주권 모집 이후 자금차입, 타인을 위한 채무보증 및 담보제공, 채무증권 발행 등 기타 기업인수목적회사에 대하여 금지되는 재무활동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
(2) 당사는 최초 주권 모집에 따른 주권발행금액의 100분의 90이상에 해당하는 금액을 주권의 주금납입일 다음 영업일까지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 예치 또는 신탁하여야 하며, 동 예치 또는 신탁한 금전을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가 완료되기 전에 인출하거나 담보로 제공할 수 없습니다. 당반기말 현재 당사는 (주)국민은행에 공모로 납입된 주식발행대금 96,542,000,000원 전액을 예치하고 있습니다.
(3) 당사의 사업목적에 따른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시 합병대상법인의 기업가치(자본시장법 시행령에 따라 산출된 합병가액 또는 합병당시 최근 사업연도말 현재 재무상태표상 자산총액)는 당사가 예치한 금액의 80% 이상이어야 하고, 당사 설립시 주주 및 경영진과 이해관계가 있는 법인은 합병대상법인이 될 수 없으며, 상법 제542조에 따른 신설합병의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자본시장법에 따른 주권비상장법인과 합병하는 경우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2조 제1항 제1호 라목 2)에 따른 합병상장을 제외하고는 당사가 소멸하는 방식으로 합병할 수 없으며, 주권의 최초 모집 이전에 협상이 진행되고 있거나 잠정적으로 정해진 합병대상법인이 존재하지 아니하는등의 제한이 있습니다.
(4) 당사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시 NH투자증권(주)와 맺은 주식총액인수 및 모집매출계약에 따라 공모금액의 2.0%를 NH투자증권(주)에게 인수수수료로 지급하여야 하며,동 계약에 따라 당사가 전기 중 지급한 인수수수료 500,000,000원은 주식발행 직접비용으로 주식발행초과금과 상계하였습니다. 한편, 미인식한 인수수수료 1,420,000,000원은 당사가 다른 법인과의 합병시 합병등기일 익일에 지급하기로 되어 있습니다(단, 합병 실패시 또는 당사 정관 제59조의 규정에 따라 당사가 해산할 경우 후지급 예정 수수료 1,420,000,000원은 지급하지 아니합니다.).
17. 특수관계자 거래
(1)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특수관계구분 | 특수관계자명 |
---|---|
기타특수관계자 |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주식회사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 |
비엔케이자산운용 주식회사 | |
비엔케이벤처투자 주식회사 |
(2) 당반기 및 전반기의 특수관계자와의 중요한 영업상의 거래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특수관계자명 | 관계 | 당반기 | 전반기 | |
---|---|---|---|---|
이자비용 | 이자비용 | 인수수수료(*) |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 주주 | 91,966,115 | 54,470,557 | 500,000,000 |
비엔케이자산운용 주식회사 | 주주 | 46,029,741 | 27,262,928 | - |
비엔케이벤처투자 주식회사 | 주주 | 18,019,757 | 10,672,911 | - |
합계 | 156,015,613 | 92,406,396 | 500,000,000 |
(*) 당사는 유가증권시장 상장시 체결한 주식총액인수 및 모집매출계약에 따라 전반기 중 500,000,000원을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에 인수수수료로 지급하였습니다. 지급한 인수수수료는 주식발행 직접비용으로 주식발행초과금과 상계하였습니다.
(3)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특수관계자에 대한 채권ㆍ채무 잔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특수관계자명 | 관계 | 당반기말 | 전기말 |
---|---|---|---|
전환사채(*) | 전환사채(*) |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 주주 | 9,850,000,000 | 9,850,000,000 |
비엔케이자산운용 주식회사 | 주주 | 4,930,000,000 | 4,930,000,000 |
비엔케이벤처투자 주식회사 | 주주 | 1,930,000,000 | 1,930,000,000 |
합계 | 16,710,000,000 | 16,710,000,000 |
(*) 전환사채의 권면금액으로 표시하였습니다.
(4) 당반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는 없으며, 전반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특수관계자명 | 관계 | 전반기 | |
---|---|---|---|
전환사채 인수 | 설립시 출자 | ||
컴퍼니케이파트너스 주식회사 | 주주 | - | 3,000,000,000 |
엔에이치투자증권 주식회사 | 주주 | 9,850,000,000 | 150,000,000 |
비엔케이자산운용 주식회사 | 주주 | 4,930,000,000 | 70,000,000 |
비엔케이벤처투자 주식회사 | 주주 | 1,930,000,000 | 70,000,000 |
합 계 | 16,710,000,000 | 3,290,000,000 |
(5)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 경영진은 직ㆍ간접적으로 당해 당사 활동의 계획ㆍ지휘ㆍ통제에 대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자로서 모든 이사(업무집행이사 여부를 불문함)를 포함하고 있으며, 당반기 중 주요 경영진에게 지급된 보상금액은 급여 12,000,000원(전반기 7,806,450원)입니다.
6. 배당에 관한 사항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2022.3.8 개정) 및 별지 제35호 서식에 따라 당 반기 중 변동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관련내용은 2022.3.18에 제출된 2021년도 사업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2022.3.8 개정) 및 별지 제35호 서식에 따라 당 반기 중 중요한 변동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관련내용은 2022.3.18에 제출된 2021년도 사업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가. 채무증권 발행실적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 (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 여부 |
주관회사 |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9호(주) | 회사채 | 사모 | 2021년 03월 12일 | 16,710 | 0.0 | - | 2026년 03월 12일 | 미상환 | - |
합 계 | - | - | - | 16,710 | 0.0 | - | - | 미상환 | - |
나.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다.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라. 회사채 미상환 잔액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16,710 | - | - | - | 16,710 | |
합계 | - | - | - | 16,710 | - | - | - | 16,710 |
마.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바.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사. 사채관리계약 주요내용 및 충족여부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기업공개 (유가증권시장 상장) |
- | 2021년 05월 15일 | 100% 국민은행 예치 | 96,000 | 100% 국민은행 예치 | 96,000 | - |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미사용자금의 운용내역
해당사항 없습니다.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재고자산 현황 등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수주계약 현황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차입, 채무보증 및 채권발행제한 등 재무규제에 대한 사항
당사는 정관에 의거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할 수 없으며, 타인의 채무를 보증하거나 담보제공행위를 할 수 없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채무증권을 발행할 수 없습니다.
정관 제61조(차입 및 채무증권 발행금지) ① 회사는 타인으로부터 자금을 차입할 수 없으며, 타인의 채무를 보증하거나 담보제공 행위를 할 수 없다. ② 회사는 채무증권을 발행할 수 없다. 다만, 주권의 거래소 유가증권시장 혹은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하여 주권을 최초로 모집하기 전에는 상법 제513조 또는 제516조의2에 따른 전환사채 또는 신주인수권부 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
사. 비용지출 관련 한도에 대한 사항
당사는 운영자금사용규정 제5조(회사운영자금 관련 사항)에 의거, 회사의 합병과 관련된 비용 및 수수료를 별도로 구분하여 사용한도를 설정하였으며, 동 한도를 초과하여 사용하게 될 경우에는 초과금액의 사용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득하도록 하였습니다.
아. 비용지출이 예치자금 등에 미치는 영향
당사는 공모금액의 100%를 국민은행에 예치하였으므로, 공모전 주주의 투자금액 200억원 중 일부를 합병관련 비용으로 사용할 예정입니다. 따라서 상기 비용 지출이 예치자금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2022.3.8 개정) 및 별지 제35호 서식에 따라 기재를 생략합니다.
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가.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사업연도 | 감사인 | 감사의견 | 강조사항 등 | 핵심감사사항 |
---|---|---|---|---|
제2기 반기(당반기) | 삼화회계법인 | - | - | - |
제1기(전기) | 삼화회계법인 | 적정의견 | - | - |
제1기(설립시점) | 삼화회계법인 | 적정의견 | 회사는 2021년 03월 12일자로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16,710,000천원을 발행하였습니다. | - |
주) | 당반기재무제표에 대한 검토업무가 수행되었으며, 중요성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지 않은 사항이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2) 감사용역 체결현황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제2기 반기(당반기) | 삼화회계법인 | 외부감사 | 10,000,000원 | 90 | - | - |
제1기(전기) | 삼화회계법인 | 외부감사 | 10,000,000원 | 90 | 10,000,000원 | 90 |
- | - | - | - | - | - | - |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제2기 반기(당반기) | - | - | - | - | - |
제1기(전기) | - | - | - | - | - |
- | - | - | - | - | - |
(4)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1 | 2021년 11월 29일 | 회사측 : 감사위원, 재무담당 이사 등 2인 감사인측 : 업무담당이사, 담당회계사 등 2인 |
미팅 | 경영진 및 감사인의 책임, 감사업무의 조건, 감사인의 감사범위와 시기 등 |
2 | 2022년 01월 10일 | 회사측 : 감사위원, 재무담당 이사 등 2인 감사인측 : 업무담당이사, 담당회계사 등 2인 |
서면 | 경영진 및 감사인의 책임, 감사업무의 조건, 감사인의 감사범위와 시기 및 상세감사계획 등 |
3 | 2022년 03월 02일 | 회사측 : 감사위원, 재무담당 이사 등 2인 감사인측 : 업무담당이사, 담당회계사 등 2인 |
서면 | 감사실시내용, 회계정책과 재무제표 공시등 유의사항에 대한 내용, 핵심감사사항, 독립성 등 |
(5) 조정협의회내용 및 재무제표 불일치정보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회계감사인의 변경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가. 감사의 내부통제의 유효성 감사결과
공시대상기간 중 감사의 감사보고서상 내부통제에 이상이 있는 항목은 없습니다.
나. 내부회계관리제도
사업연도 | 회계감사인 | 검토의견 |
제1기 | 삼화회계법인 | 중요성의 관점에서 내부회계관리제도 모범규준 제5장 '중소기업에 대한 적용'의 규정에 따라 작성되지 않았다고 판단하게 하는 점이 발견되지 아니함 |
다. 내부통제구조의 평가
해당사항 없음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가. 이사회 구성 개요
(1) 이사회의 구성에 관한 사항
이사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된 등기이사로 구성하고 상법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며 이사의 직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보고서제출일 현재 대표이사 1인을 포함한 3인의 이사로 이사회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는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고 있으며, 합리적인 의사결정 및 경영의 투명성 확보를 위한 제도적 장치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사의 주요 이력 및 업무분장은 『Ⅶ.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1. 임원 및 직원의 현황" 중 '가. 임원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이사후보의 인적사항에 관한 주총전 공시여부 및 주주의 추천여부
당사는 설립을 위한 발기인총회에서 이사가 선임되었으며, 설립이후 현재까지 추가로 이사가 선임된 사실은 없습니다. 향후 당사는 정관 규정에 의거하여 이사 선출을 위한 주주총회의 소집 및 대리인에 의한 의결권을 보장하기 위하여 사전에 이사의 선출 목적과 이사 후보에 대한 정보를 주주총회 성립 2주전에 서면 또는 각 주주의 동의를 받아 전자문서로 주주에게 통지할 예정입니다. 또한, 당사의 이사 중 주주제안권에 의거 추천되었던 이사후보는 없습니다.
(3)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설치 및 구성 현황
당사는 사외이사 후보추천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습니다.
(4) 사외이사 현황
당사는 경영의 투명성 확립을 위해 1명의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습니다.
성 명 | 주요 경력 | 최대주주등과의 이해관계 |
결격요건 여부 |
비고 |
---|---|---|---|---|
변영호 | [학력] '86.02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경력] '89.08~'93.04 동원증권㈜ (現 한국투자증권㈜) 인수공모부 '93.04~'05.02 삼성증권㈜ 부장/IB사업본부, COMPLIANCE팀 '05.03~'06.05 ㈜아이디에스 상무/ 경영기획실장 '06.05~'10.08 우리투자증권㈜부장/IPO1팀장 '10.08~'11.12 하이투자증권㈜이사/주식인수2팀장 '11.12~'12.12 ㈜태진인포텍 전무 '13.03~'14.05 Formation8Korea 전무 '14.05~'15.05 위월드㈜ 전무 '16.09~'21.03 ㈜거흥산업 전무/CFO '21.03~현재 ㈜거흥산업 대표이사 |
없음 | 적격 | - |
(5)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3 | 1 | 1 | - | 1 |
(6) 이사의 손해배상책임보험 가입여부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 내용
구분 | 내용 |
---|---|
권한 사항 |
제3조(권한) ①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의 집행을 감독한다. |
운영 절차 |
제6조(종류) ① 이사회는 정기이사회와 임시이사회로 한다. ② 정기이사회는 분기별로 나누어 연 4회 의장이 일시와 장소를 지정하여 개최한다. ③ 임시이사회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개최한다. 제8조(소집절차) ① 이사회를 소집함에는 회일을 정하고 그 3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 대하여 통지를 발송하여야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는 때에는 제1항의 절차 없이 언제든지 회의를 열수 있다. 제9조(결의방법) ① 이사회의 결의는 이사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이사 과반수로 한다. ② 이사회는 이사의 전부 또는 일부가 직접 회의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모든 이사가 동영상 및 음성을 동시에 송·수신하는 통신수단에 의하여 결의에 참가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당해 이사는 이사회에 직접 출석한 것으로 본다. ③ 이사회의 결의에 관하여 특별한 이해관계가 있는 이사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④ 제3항의 규정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는 이사의 수는 출석한 이사의 수에 산입하지 아니한다. |
권한 위임 사항 |
제5조(의장) ① 이사회의 의장은 대표이사 사장으로 한다. ② 대표이사 사장이 사고로 인하여 의장의 직무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이사가 그 직무를 대행한다. 제7조(소집권자) ① 이사회는 대표이사 사장이 소집한다. 그러나 대표이사가 사고로 인하여 직무를 행할 수 없을 때에는 제5조 제2항에 정한 순으로 그 직무를 대행한다. ② 각 이사는 대표이사 사장에게 의안과 그 사유를 밝히어 이사회 소집을 청구할 수 있다. 대표이사가 정당한 사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이사회 소집을 청구한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
다. 이사회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의 성명 |
|
---|---|---|---|---|---|
신재용 (출석률 89%) |
변영호 (출석률 100%) |
||||
1 |
2021.03.04 |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본점설치 장소 결정의 건 3. 명의개서대리인 설치의 건 |
가결 |
찬성 |
- |
2 |
2021.03.12 |
제1회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 |
3 |
2021.03.16 |
1. IPO 대표주관계약 체결의 건 2. 기장 및 세무조정 업무 대행계약 체결의 건 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4. 공모자금 예치약정의 건 5. 사규 제정의 건 6. 내부회계관리자 선임의 건 7. 외부감사인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 |
4 |
2021.03.24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상장예비심사신청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 |
5 | 2021.04.14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 총액인수계약 체결 및 증권신고서 제출의 건 |
가결 | 찬성 | - |
6 | 2021.05.03 | 본점 이전의 건 | 가결 | - | - |
7 | 2021.05.10 |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의 건(변경) 총액인수계약 체결 및 증권신고서 제출의 결(변경) |
가결 | 찬성 | - |
8 | 2022.01.27 | 제1기 경영실적 검토에 관한 건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의 건 |
가결 | 찬성 | - |
9 | 2022.03.08 | 제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 |
10 | 2022.05.26 | 제2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 가결 | - | 찬성 |
11 | 2022.06.17 | 제2기 임시주주총회 소집 일정 변경에 관한 건 | 가결 | - | 찬성 |
주) | 사외이사 신재용이 일신상의 이유로 사임하여, 2022년 3월 29일 정기주주총회에서사외이사 변영호를 신규선임하였습니다. |
라. 이사회 내의 위원회 구성현황과 그 활동내역
당사는 이사회 내에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마.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회는 대표이사 1인 포함한 사내이사 1인과 기타비상무이사 1인, 사외이사 1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회사 경영의 중요한 의사 결정과 업무 집행은 이사회의심의 및 결정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대주주 등의 독단적인 경영과 이로 인한 소액주주의 이익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사회 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성실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바. 사외이사의 전문성
당사의 사외이사는 산업, 경영 및 재무 분야 전문가로서 사외이사로서 직무 수행에 있어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며, 사외이사의 직무수행을 보조하는 별도의 지원조직은 없습니다.
(1)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당사의 사외이사는 해당분야의 풍부한 경력과 지식을 갖추고 있어 별도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필요시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가. 감사위원회(감사) 설치여부, 구성방법 등
당사는 감사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 않으며, 발기인총회에서 선임된 비상근 감사 1명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감사위원회(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 마련 여부
당사는 감사직무규정에 따라 회사 내 모든 정보에 접근할 권한, 관계자의 출석 및 답변을 요구할 권한 등을 부여하고 있습니다.
관련규정 | 내 용 |
---|---|
감사직무규정 제7조 |
② 감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요구할 수 있으며, 그 요구를 받은 자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이에 응하여야 한다. 1. 회사내 모든 정보에 대한 사항 2. 관계자의 출석 및 답변 3. 창고, 금고, 장부 및 관계서류, 증빙, 물품 등에 관한 사항 4. 기타 감사업무수행에 필요한 사항의 요구 ③ 감사는 각 부서의 장에게 임직원의 부정행위가 있거나 중대한 과실이 있을 때 지체 없이 보고토록 요구할 수 있다. |
다. 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 주요 경력 | 결격요건 여부 |
비고 |
---|---|---|---|
박병호 | [경력] '88.01~'91.12 / 삼성물산 경리세무 및 관리회계 '94.07~'15.05 / NH투자증권 대리~상무 '17.01~'18.12 / 인커리지 파트너스 대표 '18.09~'20.07 /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학과 겸임 교수 '19.01~'현재 / 성남산업진흥원 사업추진본부 본부장 |
적격 | - |
라. 감사의 독립성
당사의 감사 박병호는 감사로서의 요건을 갖추고 있으며 당사의 주식은 소유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또한 감사는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며 이사회 및 타 부서로부터 독립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감사는 필요시 회사로부터 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으며 감사인으로서의 독립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습니다.
마. 감사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 개최일자 | 감사 참석인원 | 비 고 |
---|---|---|---|
1 |
2021.03.04 | 1 (1) | - |
2 |
2021.03.12 |
1 (1) | - |
3 |
2021.03.16 |
1 (1) | - |
4 |
2021.03.24 |
1 (1) | - |
5 | 2021.04.14 | 1 (1) | - |
6 | 2021.05.03 | 1 (0) | - |
7 | 2021.05.10 | 1 (1) | - |
8 | 2022.01.27 | 1 (0) | - |
9 | 2022.03.08 | 1 (1) | - |
10 | 2022.05.26 | 1 (1) | - |
11 | 2022.06.17 | 1 (1) | - |
바. 감사교육실시현황
감사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 교육 실시여부 |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
---|---|
미실시 | 당사의 감사는 해당분야의 풍부한 경력과 지식을 갖추고 있어 별도 교육을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향후 필요시 교육을 실시할 예정입니다. |
사. 감사 지원조직 현황
당사는 발기인총회에서 선임된 비상근 감사 1명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별도의 지원조직은 없습니다.
아. 준법지원인 등
당사는 현재 선임된 준법지원인 및 지원조직이 없습니다.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배제 | 도입 | 미도입 |
실시여부 | - | 1. 발기인총회 2. 임시주총 3. 정기주총 |
- |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보통주 | 51,290,000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 (F = A - B - C - D + E) |
보통주 | 51,290,000 | - |
우선주 | - | - |
주) |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주는 타 법인과의 합병과 관련한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중 최초 모집 이전에 취득한 주식 등 분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며, 합병반대주주가 가지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포기하였습니다. 이는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당사의 발기인 간에 체결한 '주주간 약정서'에 의거하여 당사의 공모전 주주가 보유한 최초 모집 이전에 취득한 주식등에 대해서는 다른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상법」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에서 본 약정 당사자가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여야 합니다.
[주주간 약정서]
제 1 조 본 약정 당사자들은 엔에이치스팩19호가 기업인수목적회사로서 행하는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 「상법」 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본 약정 당사자가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기로 한다.
제 2 조
제 8 조 본 약정은 엔에이치스팩19호가 그 주권을 최초로 모집하기 이전에 본 약정 당사자들이 취득한 엔에이치스팩19호의 주식 및 전환사채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
4. 주식의 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
① 이 회사의 주주는 신주발행에 있어서 그가 소유한 주식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 ②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주주 외의 자에게 이사회 결의로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주권을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2. 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에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법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거래소 유가증권시장 또는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후에 주주 외의 자를 대상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③ 제2항 1호 및 2호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제2항 3호의 방식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상법 제434조"에 따른 주주총회의 결의를 거쳐야 한다. ⑤ 주주가 신주인수권을 포기 또는 상실하거나 신주배정에서 단주가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
||
결산기 | 12월 31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영업연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폐쇄시기 | 매년 1월 1일부터 1월 15일까지 | ||
명의개서대리인 | 한국예탁결제원 | ||
주주의 특전 | 해당사항 없음 | 공고게재 | 한국경제신문 |
5.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일자 | 구분 | 안건 | 결의내용 |
---|---|---|---|
2021.03.04 | 발기인총회 | 1. 설립사항 보고에 관한 건 | 승인 |
2. 정관 승인의 건 | |||
3. 이사, 감사 선임의 건 | |||
4. 본점설치 장소 결정의 건 | |||
5. 상법 제298조 소정사항의 조사 보고의 건 | |||
2021.03.16 | 임시주주총회 | 1.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승인 |
2.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
3. 임원 보수규정 승인의 건 | |||
2022.03.29 | 정기주주총회 | 1. 제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승인 |
2.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
3. 변영호 사외이사 선임의 건 | |||
4. 박병호 감사 선임의 건 | |||
5.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 |||
6.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 |||
2022.07.27 | 임시주주총회 | 1. 정관 일부 변경의 건 | 승인 |
VII. 주주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 본인 | 보통주 | 3,080,806 | 6.01 | 3,080,806 | 6.01 | - |
계 | 보통주 | 3,080,806 | 6.01 | 3,080,806 | 6.01 | - | |
우선주 | - | - | - | - | - |
가.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1)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 (명) |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 20,172 | 김원규 | 0.07 | - | - | 지앤에이사모투자전문회사 | 61.71 |
- | - | - | - | - | - |
주)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2022년 1분기보고서 기준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
자산총계 | 6,921,168 |
부채총계 | 5,992,611 |
자본총계 | 928,557 |
매출액 | 1,540,762 |
영업이익 | 225,446 |
당기순이익 | 160,677 |
주)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2021년 개별재무제표기준 |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이베스트투자증권주식회사는 유가증권의 매매 및 위탁매매와 유가증권매매의 중개 및 대리, 유가증권매매에 관한 위탁의 중개 및 대리 등을 사업목적으로 1999년 12월 15일에 설립된 회사입니다. 공시대상기간 중 당사의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항은 발생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나.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1)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기본정보
명 칭 | 출자자수 (명) |
대표이사 (대표조합원) |
업무집행자 (업무집행조합원) |
최대주주 (최대출자자) |
|||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성명 | 지분(%) | ||
지앤에이사모투자전문회사 | 2 | 지앤에이프라이빗에쿼티(유) | 1.19 | 지앤에이프라이빗에쿼티(유) | 1.19 | 지앤에이프라이빗에쿼티(유) | 1.19 |
- | - | - | - | - | - |
(2)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
---|---|
법인 또는 단체의 명칭 | 지앤에이사모투자전문회사 |
자산총계 | 326,851 |
부채총계 | - |
자본총계 | 326,851 |
매출액 | 18,832 |
영업이익 | 18,157 |
당기순이익 | 18,157 |
2. 최대주주 변동내역
최대주주 변동내역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
변동일 | 최대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변동원인 | 비 고 |
---|---|---|---|---|---|
2021년 03월 04일 | 컴퍼니케이파트너스(주) | 3,000,000 | 91.19 | 발기주주 | 발기주주 발행주식총수 3,290,000주 기준 |
2021년 12월 01일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 3,080,806 | 6.01 | 장내매수 | 발행주식총수 51,290,000주 기준 |
3. 주식의 분포
가.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이베스트투자증권(주) | 3,080,806 | 6.01 | - |
컴퍼니케이파트너스(주) | 3,000,000 | 5.85 | - | |
우리사주조합 | - | - | - |
주) | 최근 주주명부폐쇄일인 2021년 12월 31일자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므로,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 소유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나. 소액주주현황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 주주수 |
전체 주주수 |
비율 (%) |
소액 주식수 |
총발행 주식수 |
비율 (%) |
||
소액주주 | 8,098 | 8,111 | 99.85 | 33,591,053 | 51,290,000 | 65.49 | - |
주) | 최근 주주명부폐쇄일인 2021년 12월 31일자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므로,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 소유현황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4.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단위: 원, 주) |
구분 | 2022년 1월 | 2022년 2월 | 2022년 3월 | 2022년 4월 | 2022년 5월 | 2022년 6월 | |
---|---|---|---|---|---|---|---|
주가 | 최 고 | 2,100 | 2,145 | 2,110 | 2,170 | 2,165 | 2,140 |
최 저 | 2,065 | 2,075 | 2,075 | 2,110 | 2,115 | 2,080 | |
평 균 | 2,083 | 2,099 | 2,092 | 2,147 | 2,136 | 2,107 | |
거래량 | 일 최고 | 314,101 | 263,707 | 433,309 | 230,177 | 135,476 | 304,080 |
일 최저 | 35,378 | 8,043 | 8,392 | 22,616 | 4,945 | 30,537 | |
월 간 | 2,540,030 | 1,079,049 | 1,569,790 | 2,128,665 | 1,088,354 | 1,905,642 |
5.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추가기재사항
가. 공모전 발행된 주권의 매각 제한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은 유가증권시장상장규정 제67조 제2항에 의거하여 해당 주권의 상장일부터 주권비상장법인 또는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과의 합병신주 상장 이후 6개월간 주식등의 매각이 제한됩니다. (단,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투자매매업자인 NH투자증권이 소유한 주식 등은 합병기일 이후 1년이 경과하기 전까지 양도 또는 처분이 제한됩니다.)
나. 합병승인 주주총회에서의 의결권 제한
당사의 공모전 주주가 보유한 최초 모집 이전에 인수한 주식등에 대해서는 상법522조에 따른 주주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에서 공모전 주주등이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겠다는 주주간 약정서를 체결하였습니다.
[주주간 약정서]
제 1 조 본 약정 당사자들은 엔에이치스팩19호가 기업인수목적회사로서 행하는 다른 법인과의 합병을 위하여 개최하는 주주총회에서 「상법」 제522조에 따른 의결권을 행사하지 아니하거나, 이를 예탁결제원에 위임하여 해당 주주총회에 참석한 주식수(서면투표 주식수를 포함한다)에서 본 약정 당사자가 보유하는 주식수를 뺀 주식수의 의결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도록 찬성 및 반대(기권 및 무효를 포함한다)의 비율에 따라 의결권을 행사하기로 한다.
제 8 조 본 약정은 엔에이치스팩19호가 그 주권을 최초로 모집하기 이전에 본 약정 당사자들이 취득한 엔에이치스팩19호의 주식 및 전환사채에 대하여 적용되는 것으로 한다. |
다.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 제한
주주등간계약 제5-3조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은 자신들이 보유한 주식에 관하여 어떠한 경우에도 상법 제522조의3에서 정한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라. 예치자금등의 반환대상 제외
당사의 정관 제60조에 따라 당사의 공모전주주등의 최초 공모 전 취득한 주식등에 대하여 예치자금등의 반환대상에서 제외됩니다.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임원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 여부 |
상근 여부 |
담당 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재직기간 | 임기 만료일 |
|
---|---|---|---|---|---|---|---|---|---|---|---|---|
의결권 있는 주식 |
의결권 없는 주식 |
|||||||||||
조선희 | 여 | 1971.05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비상근 | 경영 총괄 |
'94.01~'00.04 동남아해운 재무팀 대리 '00.05~'01.11 이아이피오 재무팀장 '01.12~'03.07 젠홀딩스 재무팀장 '03.07~'06.12 바른손 재무 부장 '07.01~'08.02 바른손이앤에이 이사 '08.03~'13.06 바른손 부사장 '13.08~현재 컴퍼니케이파트너스 부사장 |
- | - | 최대주주의 임원 |
1년 4개월 | 2023.03.03 |
김중곤 | 남 | 1971.01 | 기타비상무 이사 |
기타비상무이사 | 비상근 | 경영 |
'98.12~'99.06 / LG투자증권 천안지점 '99.07~'05.06 / LG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애널리스트 '05.07~'05.12 / 우리투자증권 기업금융3팀 '06.01~'09.12 / NH투자증권 ECM1부 '10.01~'18.11 / NH투자증권 ECM1부 부서장 '18.12~현재 / NH투자증권 ECM본부 본부장 |
- | - | - | 1년 4개월 | 2023.03.03 |
변영호 | 남 | 1963.03 | 사외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자문 | '86.02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89.08~'93.04 동원증권㈜ (現 한국투자증권㈜) 인수공모부 '93.04~'05.02 삼성증권㈜ 부장/IB사업본부, COMPLIANCE팀 '05.03~'06.05 ㈜아이디에스 상무/ 경영기획실장 '06.05~'10.08 우리투자증권㈜부장/IPO1팀장 '10.08~'11.12 하이투자증권㈜이사/주식인수2팀장 '11.12~'12.12 ㈜태진인포텍 전무 '13.03~'14.05 Formation8Korea 전무 '14.05~'15.05 위월드㈜ 전무 '16.09~'21.03 ㈜거흥산업 전무/CFO '21.03~현재 ㈜거흥산업 대표이사 |
- | - | - | 4개월 | 2025.03.29 |
박병호 | 남 | 1963.11 | 감사 | 감사 | 비상근 | 감사 | '88.01~'91.12 / 삼성물산 경리세무 및 관리회계 '94.07~'15.05 / NH투자증권 대리~상무 '17.01~'18.12 / 인커리지 파트너스 대표 '18.09~'20.07 / 숭실대학교 벤처중소기업학과 겸임 교수 '19.01~'현재 / 성남산업진흥원 사업추진본부 본부장 |
- | - | - | 4개월 | 2025.03.29 |
주) | 사외이사 신재용과 감사 김원대는 일신상의 이유로 사임하였으며 2022.3.29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사외이사 변영호와 감사 박병호가 선임되었습니다. |
[임원 세부 경력사항]
성명 |
수행 시기 |
수행내용 |
담당업무 |
---|---|---|---|
조선희 |
2019년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0호와 포인트엔지니어링 합병 자문 |
투자 및 사후관리 (스팩합병) |
2019년 |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5호와 아이비김영 합병 자문 |
||
김중곤 |
2015년 |
이노션, 흥국에프엔비 등 IPO 우리기업인수목적2호와 큐브엔터테인먼트와의 합병 자문 |
상장 및 합병 자문 총괄 |
2016년 |
해성디에스, 클리오 등 IPO |
상장 자문 총괄 |
|
2017년 |
하나머티리얼즈, 넷마블게임즈 등 IPO |
||
2019년 |
드림텍, 현대오토에버 등 IPO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1호와 한국비엔씨와의 합병 자문 |
상장 및 합병 자문 총괄 |
|
2020년 |
SK바이오팜, 빅히트엔터테인먼트 등 IPO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2호와 와이즈버즈와의 합병 자문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4호와 현대무벡스와의 합병 자문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5호와 아이비김영과의 합병 자문 엔에이치기업인수목적16호와 휴럼과의 합병 자문 |
||
2021년 |
SK바이오사이언스 IPO |
나. 등기임원 선임 후보자 및 해임 대상자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임원의 변경을 예방하기 위한 수단
당사의 정관 제33조(이사의 임기)에 의해 이사의 임기는 3년으로 보장되며, 정관 제47조(감사의 임기와 보선)에 의해 감사의 임기는 취임후 3년 내의 최종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총까지 보장됩니다. 단, 합병의 효력이 발생하면 본 계약은 자동 해지 되며, 임원은 합병의 효력 발생일에 퇴임합니다.
관련 규정 | 성 명 |
---|---|
정관 제33조 (이사의 임기) |
이사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그러나 그 임기가 최종의 결산기 종료 후 당해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전에 만료될 경우에는 그 총회의 종결시까지 그 임기를 연장한다. |
정관 제47조 (감사의 임기와 보선) |
① 감사의 임기는 취임후 3년 내의 최종의 결산기에 관한 정기주주총회 종결시까지로 한다. |
라. 임원이 다른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지분을 갖고 있는 경우 그 내용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임원이 다른 회사의 임직원으로 겸임ㆍ겸직하는 경우 그 내용
임원성명 |
다른 회사명 |
주요사업 |
직위 |
직무 |
재직기간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조선희 |
컴퍼니케이 파트너스(주) |
벤처캐피탈 |
부사장 |
경영관리총괄 |
'13.08~현재 |
- |
- |
- |
김중곤 |
엔에이치 투자증권(주) |
금융투자업 |
본부장 |
IPO |
'18.12~현재 |
- |
- |
- |
변영호 | (주)거흥산업 | 철구조물 제작 및 강구조물공사업 |
대표이사 | 경영관리총괄 | '21.03~현재 | - | - | 주1) |
박병호 | 성남산업진흥원 | 중소기업 및 벤처기업지원사업 | 본부장 | 사업추진본부 | '19.01~현재 | - | - | 주1) |
주1) | 2022년 3월 29일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선임되었습니다.. |
바. 겸직에 따른 이해상충
당사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에 따라 당사 경영진이 겸직하고 있는 회사 또는 당사 경영진 및 그 배우자, 직계존비속이 최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는 합병대상법인에서 제외되므로 겸직에 따른 이해상충은 없습니다.
정관 제58조(합병대상법인의 규모 및 합병제한) ④ 이 회사는 다음 각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및 회사와는 합병할 수 없다. 1. 이 회사 주권의 최초 모집 전에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 목의 증권(의결권 없는 주식에 관계된 것을 포함한다. 이하 "주식등"이라 한다.)을 취득한 자(이하 "공모전주주등"이라 한다.) 2.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 또는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가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이거나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하는 회사 가.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6조 제4항 제14호 다목에 따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의 임직원으로서 이 회사의 설립 및 운영 등과 관련된 업무를 수행하였거나 수행중인 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나.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법인의 임원, 그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다.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에 속하는 개인의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라. 이 회사의 임직원, 배우자 및 직계존비속 3. 이 회사의 공모전 주주등의 자본시장법 제9조 제1항에 따른 대주주 및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른 계열회사 4. 이 회사 또는 공모전 주주등과 임직원을 겸직하거나 최근 2년 이내에 임직원을 겸직하였던 회사 ⑤ 본 조 제4항제2호의 소유주식수를 산정함에 있어 자본시장법 시행령 제139조 제1호 각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증권의 권리행사 등으로 발행될 수 있는 주식수를 포함하며, 공모전 주주등의 주식수 산정시에는 당해 주주등의 계열회사가 소유하는 주식수를 포함한다. |
사.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원) |
직원 | 소속 외 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 근속연수 |
연간급여 총 액 |
1인평균 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
기간제 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
- | 남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여 | - | - | - | - | - | - | - | - | - | |||
합 계 | - | - | - | - | - | - | - | - | - |
아.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 | - | - | - |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가.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2022년 3월 29일 개최된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사의 보수 한도를 12,000,000원으로 감사의 보수 한도를 12,000,000원으로 승인하였으며, 당사는 사외이사 및 감사 총 2인을 제외한 나머지 임원에게는 보수를 지급하지 않습니다.
(1)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이사 | 3 | 12,000,000 | 연간 승인금액 |
감사 | 1 | 12,000,000 | 연간 승인금액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원)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4 | 12,000,000 | 3,000,000 | - |
(2-2) 유형별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2 | - | - | -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1 | 6,000,000 | 6,000,000 | 2022년 1월~ 2022년 6월 지급액 |
감사위원회 위원 | - | - | - | - |
감사 | 1 | 6,000,000 | 6,000,000 | 2022년 1월~ 2022년 6월 지급액 |
나.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인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
이사ㆍ감사에게 지급한 개인별 보수가 5억원 미만으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원) |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 - | - | - |
- | - | - | - |
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당사의 임직원에게 지급한 개인별 보수가 5억원 미만으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
(1) 개인별 보수지급금액
(단위 : 원) |
이름 | 직위 | 보수총액 | 보수총액에 포함되지 않는 보수 |
---|---|---|---|
- | - | - | - |
- | - | - | - |
라. 합병성공에 따라 받게 되는 보수
당사의 임원은 당사가 합병에 성공하는 경우 별도의 성공보수를 받지 않을 것입니다.또한, 당사의 주식이나 전환사채, 주식매수선택권 등을 소유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합병 성공에 따른 투자수익 또한 발생하지 않습니다.
마.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 있지 않습니다.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1. 계열회사 현황(요약)
해당사항 없습니다.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 | - | -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2. 계열회사 현황(상세)' 참조 |
2.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해당사항 없습니다.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출자 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 장부 가액 |
증가(감소) | 기말 장부 가액 |
||
취득 (처분) |
평가 손익 |
||||||
경영참여 | - | - | - | - | - | - | - |
일반투자 | - | - | - | - | - | - | - |
단순투자 | - | - | - | - | - | - | - |
계 | - | - | - | - | - | - | - |
※상세 현황은 '상세표-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참조 |
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1. 대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대주주 등과의 자산양수도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 등과의 영업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해당사항 없습니다.
5. 기업인수목적회사가 임원의 특수관계인을 상대방으로 하여 거래한 경우
해당사항 없습니다.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가. 중요한 소송 사건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중소기업 기준 검토표
![]() |
중소기업등기준검토표_nh스팩19호 |
다.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현재 예금에 관한 상품을 취급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예금자 보호에 관한 사항은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만, 당사가 유가증권상장공모를 통해 모집한 총액의 100%는 국민은행에 예치되어 있습니다.
라.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기 준 | 충족 여부 | 세부 내역 | |
---|---|---|---|
충 족 | 미충족 | ||
1. 주권(최초 모집 전 발행주권 제외) 발행자금의 90% 이상을 주금납일일의 다음 영업일까지 증권금융회사 또는 신탁업자에 예치ㆍ신탁할 것 | 충족 예정 |
- | 정관 제 57조 |
2. 예치자금등은 합병대상법인과의 합병등기 완료전 인출 또는 담보로 제공하지 않을 것 | 충족 예정 |
- | 정관 제 57조 |
3. 발기인 중 1인 이상은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일 것 | 충족 | - |
NH투자증권 (2022년 1분기말 기준 |
4. 임원이 금융투자업자 임원의 결격사유에 해당되지 않을 것 | 충족 | - | 결격사유 해당자 없음 |
5. 최초로 모집한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부터 90일이내 증권시장에 상장할 것 | 충족 예정 |
- |
주금납입일에 |
6. 최초로 모집한 주권에 대한 주금납입일부터 36개월 이내 합병등기를 완료할 것 | 충족 예정 |
- | 정관 제59조 |
7. 주권 최초 모집 전에 합병대상법인이 정하여지지 않을 것 | 충족 | - | 정관 제58조 |
8. 해산사유 발생시 예치자금등을 주주에게 주권보유비율에 비례하여 지급할 것 | 충족 예정 |
- | 정관 제60조 |
9. 발기인인 지분증권 투자매매업자는 기업인수목적회사 발행주식등 발행총액의 5% 이상을 소유할 것 | 충족 | - | NH투자증권 8.62% |
마. 기업인수목적회사에서의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및 의무
(1) 금융투자업자의 역할
당사의 발기인으로 참여하는 금융투자업자인 NH투자증권(주)는 당사의 기본구조를 디자인하고 발기인으로 참여할 자를 섭외하였으며, 직접 또는 대리인을 통하여 회사 설립에 필요한 각종 실무를 처리하였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성공적인 합병이 이루어지도록 합병대상법인 물색 및 제반 합병업무를 수행하고 합병 이후에도 기업이 계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금융컨설팅 또는 경영컨설팅 등을 제공할 것입니다.
(2) 금융투자업자의 요건 및 의무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및 금융투자업규정은 자기자본 1,000억원 이상인 금융투자업자만 기업인수목적회사의 발기인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제한하고 있습니다. 2022년 1분기말 기준 NH투자증권(주)의 자기자본은 6조 6,081억원으로서, 동 조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한편, 발기인인 금융투자업자는 기업인수목적회사의 발행주식 등 발행총액의 5% 이상을 소유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사 발행총액 1,160억원(공모전주주등의 주식 및 전환사채 투자금액 200억원, 공모금액 960억원) 중 NH투자증권(주)의 주식 등 투자금액은 총 100억원(발행총액의 8.62%)으로 동 요건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바. 합병 등의 사후정보
해당사항 없습니다.
사. 녹색경영
해당사항 없습니다.
아. 정부의 인증 및 그 취소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자.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채무재조정 사유등의 변동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차.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주)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보통주 | 3,290,000 | 2021.04.05 | - | 합병에 따른 추가상장일 이후 6월이 되는 날(주1) |
한국거래소 상장규정에 따른 보호예수 |
3,290,000 |
(주) | 투자매매업자가 소유하는 150,000주는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제4항에 따른 합병가치 산출시에는 합병기일 이후 1년이 되는 날 |
카. 특례상장기업 관리종목 지정유예 현황
해당사항 없습니다.
XI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단위 : 원)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 회사 여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 계열회사 현황(상세)
해당사항 없습니다.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 | - | - |
- | - | ||
비상장 | - | - | - |
- | - |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 본문 위치로 이동 |
(기준일 : | 2022년 06월 30일 | ) | (단위 : 원, 주, %) |
법인명 | 상장 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 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취득(처분) | 평가 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총자산 | 당기 순손익 |
||||||
수량 | 금액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합 계 | - | - | - | - | - | - | - | - | - | - | - |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