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 년   8 월   2일


회   사   명 : (주)이노진
대 표 이 사 : 이광훈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28, 301호
(구로동, 우림이비지센타)

(전   화) 02-2108-2294

(홈페이지)http://www.innogene.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상무이사 (성  명) 김대중

(전  화) 02-2108-2294



주주총회 소집공고

(임시 주주총회)


주주님의 건승과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 정관 제19조에 의거하여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2022년 8월 17일 (수요일) 오전 10시 00분

2. 장 소: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28, 301호(구로동, 우림이비지센타)

            본점 회의실

3. 부의안건

가. 제1호 의안 : 사외이사 신규 선임의 건 (이공명)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시거나, 대리인께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에 비치하였으며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20년 3월 9일부터 전자증권제도를 도입하여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 신분증

 나. 간접행사 : 위임장(인감 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2022년 8월 2일


          서울특별시 구로구 디지털로33길 28, 301호(구로동, 우림이비지센타)



                                            주식회사  이 노 진

                                            대표이사  이 광 훈  (직인 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이정일
(출석률: 100%)
- - -
찬 반 여 부
49 2022-03-29 제1호 의안 : 대표이사 선임의 건 (중임) 찬성 - - -
50 2022-07-04 제1호 의안 : 사외이사 신규 선임의 건 찬성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1 4,000 - - -

주주총회에서 승인한 이사의 보수한도는 40억원으로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구분하여 한도를 설정하지 않았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탈모와 피부질환/재생 분야의 전문 코스메슈티컬과 탈모 자동진단 및 예후예측 시스템을 포함한 의료기기를 제조하는 바이오벤처기업으로, 탈모인과 피부질환자의 고통과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 의약품, 홈케어, 의료기기, 건강기능식품에 이르기까지 자체 기술로 개발한 토탈 솔루션을 국내 4,400여곳 병의원에 제공하고 싱가폴, 홍콩, 말레이시아, 인도 등의 20여개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탈모 증상 완화 제품군의 특징은 초기집중관리 방식 IIT(Initial Intensive Therapy)와 탈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따른 맞춤식 솔루션 DEDS(Different Etiology, Different Solution)로 이루어진 토탈 케어 시스템으로 의약품, 메조테라피, 두피케어, 홈케어, 모발이식에 이르기까지 탈모 치료의 A to Z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제공하는 초기집중관리 시스템 IIT는 상대적으로 오랜 시간이 걸리는 탈모 치료의 특성상 빠른 효과를 보기 원하는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첨단 의료장비를 통한 탈모관리서비스와 의약품, 메조테라피, 두피케어, 홈케어 등이 가능한 탈모 관련 기능성화장품을 병행한 솔루션을 제공하여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탈모 원인별 맞춤식 솔루션 DEDS는 남성형, 여성형, 원형, 휴지기 등 탈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를 파악하여 각 원인에 대응하는 다양한 제품의 조합을 통해 최적의 탈모 치료 방법을 제공합니다. 또한, 당사가 제공하는 탈모 자동진단 및 예후예측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예후예측을 통한 최적의 치료 솔루션을 제시하는 메디컬 인포메틱스와 임상 진단 표준화, 임상 데이터 효율적 구축, 관리 활용은 물론 바이오 기술과의 융합을 목표로 하며,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환자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촬영, 진단하는 기기인 A.TRACER(에이트레이서)와 볼 타입의 장비에 유효성분을 담은 앰플을 장착하여 두피관리를 할 수 있게 개발된 병원용 기기인 CELLpheus(셀피어스)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피부질환/재생 제품군은 정상 피부와 동일한 pH 5~6의 약산성, 피부질환자를 위한 저자극, 피부 트러블에 대한 항염 및 진정 효과를 가진 유효성분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지루성피부염을 개선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닥터 메디션 세보레아 샴푸와 주름, 미백 기능성 화장품인 타임마스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항노화 산업
 

전 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급속히 진행되고 경제적 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적 향상에 대한 관심과 함께 건강한 노년을 보내고자 하는 수요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총가구에서 고령자 가구가 차지 하는 수가 2000년 1,734 가구에서 2020년 4,607가구, 2045년에는 총가구에서 거의 절반을 차지하여 10.655 가구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통계청 '장래가구추계'>

이미지: 장래가구추계

장래가구추계


항노화산업은 노화관련 기능 저하와 질환을 예방·치료하는 항노화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산업 등 주요 제품 분야를 포괄하며 건강관리 및 운동프로그램, 외모관리서비스 등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항노화 의약품·의료기기·화장품 분야에서는 노화 관련 다양한 연구와 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재생의학 분야의 연구 투자 비중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항노화(anti-aging)  시장>


이미지: [표] 세계 항노화 치료 서비스 시장

[표] 세계 항노화 치료 서비스 시장


2017년 세계 항노화 시장은 625억3천 달러로 매년 전년 대비 0.5%씩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면서 2020년에는 738억2천 달러까지 증가하여 2022년에는 855억5천 달러까지 증가할 전망입니다. 이는 미의 개념이 기존의 화려함보다는 점차 젊음을 추구하는쪽으로 변화하고 있고 수명연장의 꿈, 웰빙 트렌드와 함께 급격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안티에이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피부과, 화장품, 미용서비스 등 산업의 고객층이 확대되면서 향후 화장품산업에서 항노화시장이 미치는 영향은 커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시장 현황

(가) 탈모 시장 현황

International Society of Hair Restoration Surgery의 발표에 따르면 35세까지 40.0%의 남성이, 60세까지는 65.0%의 남성이 80세까지는 70.0%, 85세까지는 80.0%의남성이 탈모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었습니다. 탈모 유발 원인은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으나 음주, 담배 등 생활습관의 변화, 스트레스 지수의 증가, 유전적 요인, 다낭성 난소 질환(PCOD), 갑상선 기능 항진증, 암, 루푸스 및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과 같은 만성질환 등이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되었습니다. 탈모 환자의 증가와 함께 개인 실소득의 증가, 외적인 미를 강조하는 사회적 분위기의 변화는 탈모 시장의 급격한 성장을 촉진하고 있습니다. 2020년, 전 세계적 탈모 시장은 USD 7.6 billion 규모이고, grand view research의 분석에 따르면 탈모와 관련된 만성질환의 증가로 2021년부터 2028년까지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of 8.1%의 꾸준한 성장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측됩니다. 유비스트 데이터(UBIST DATA)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탈모치료제(처방약 기준) 시장은 1255억원 규모로 전년도 1076억 원에 비해 16.6% 역대 최대수준으로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미지: Alopecia market(출처_grand view research)

Alopecia market(출처_grand view research)


(나) 국내외 시장 현황

탈모는 질병분류에 따라 Alopecia areata, Androgenetic alopecia, Telogen effluvium, Anagen effluvium, Traction alopecia 등으로 분류됩니다. Alopecia areata는 전세계 인구 1000중에 1명, lifetime risk는 2%라는 큰 수치로 탈모증 시장에서 가장 큰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음. verified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Sales channel(OTC, ETC) 별로는 가격효율적인 측면, 처방의약품 승인의 증가 등의 이유로 ETC 부문의 성장이 더욱 클 것으로 유추되고 있습니다. Alopecia 시장은 남성의 점유율이 지배적입니다. 특히, American hair loss association에 따르면 남성탈모의 95% 이상은 Anderogenetic alopecia라고 보고되었습니다. 탈모치료제 시장을 이끄는 핵심적인 회사들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이미지: Alopecia market 세분화 분석(출처_verified market research)

Alopecia market 세분화 분석(출처_verified market research)


(다) 탈모케어 제품 시장


최근 탈모의 원인은 노화나 유전적인 요인뿐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 과중한 업무의 스트레스, 식생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 이상 등 후천적 요인의 영향 등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탈모시장은 탈모관리제품, 기기, 관리실 및 의료 시술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관련 신제품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현재는 샴푸와 같은 화장품 시장의 규모가 가장 크게 형성되어 있으며, 병원 역시 전문적인 관리프로그램과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통해 중장년층을 포함하여 젊은 세대 및 여성 환자들의 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화장품 산업은 의료, 바이오 등 다양한 산업과 융복합이 가능한 유기적 연계산업으로서, 정밀화학기술이 요구되는 기술집약적 산업입니다. 화장품 산업구조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기술·원료 등을 제공하는 후방산업과 판매·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방산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첨단산업 연계를 통해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발전했습니다.

[전후방 시장의 규모 및 추이도 분석]

후방산업

화장품 분야

전방산업

기능성 생명공학 관련 산업

화장품 원료 제조업

화장품 소재 제조업

천연물 제조업

전문유통서비스(채널)

미용서비스 산업

의료서비스 산업

 

탈모방지 헤어케어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전후방 산업 연관도는 위 표와 같습니다. 후방산업은 기능성 생명공학 관련 산업으로써 대부분 바이오, 제약 관련 중소기업, 대학이나 벤처기업과 연관되어 있습니다. 전방산업은 화장품 산업, 미용서비스 산업, 의료서비스 산업과 관련성이 높으며 최종 완제품의 경우 브랜드 파워 우위를 앞세운 대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입니다. 특히, 미용서비스 산업(뷰티산업), 의료서비스 산업의 경우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어 관련 제품 사업화에 우호적인 수요 동인이 되고 있습니다.

 
(라) 의료기기

 

[각 대륙별 의료기기 시장 규모]

                                                                                            (단위 : 억 달러, %)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CAGR

(‘18~’21)

규모

비중

규모

비중

북남미

1,753

49.2

1,847

1,946

2,039

2,138

48.0

5.0

아시아/
태평양

713

20.0

760

806

862

921

20.7

6.6

중앙/북유럽

145

4.1

152

160

168

176

3.9

5.0

중동/
아프리카

93

2.6

100

108

115

123

2.8

7.1

서유럽

856

24.1

906

981

1,045

1,099

24.7

6.7

합계

3,560

100.0

3,765

4,000

4,230

4,458

100.0

5.8

(출처 : BMI Espicom(2017), The World Medical Markets Factbook 2018)

 

BMI Espicom(2017)은 2021년 의료기기 시장이 4,458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2018년~2021년의 연평균 성장율은 5.8%입니다. 시장 성장의 주요 요인은 고령화 추세, 건강에 대한 관심고조 및 웰빙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 확산, 주요 국가들의 보건의료 정책, BRICs등의 경제 성장으로 인한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 아시아지역을 필두로 한 미용 의료에 대한 관심 증폭 등으로 예상되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2021년에 921억 달러로 연평균 6.6% 성장하여 서유럽 시장 규모를 추월할 것으로 전망되었으며, 중동/아프리카 지역의 시장 규모는 작으나, 성장률 7.1%의 높은 성장이 전망되고 있습니다. 북미/남미 시장은 2021년 2,138억 달러로 48.0% 비중을 차지하며, 서유럽 시장은 1,099억 달러로 24.7%, 중앙 및 동유럽은 176억 달러 3.9% 비중이 될 것으로 추정하였습니다.

업계에선 이 같은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세에 대해 고령화로 건강한 삶에 대한 관심과안티에이징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면서 갈수록 가속화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주로 고령자들에게 발생하는 특정 질환을 위한 제품이나 치료기기에 대한 거부감을 줄이고 인식을 전환하기 위해 세련된 디자인으로 승화시킨 의료기기들의 등장도 시장의 성장을 이끌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 성장 전망

(가) 헤어케어 화장품 규모 및 전망

[국내외 헤어케어 화장품 시장전망]

                                                                                        (단위: 억 달러, 억 원)

연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2023

2024

CAGR

세계시장

536

555

575

595

616

637

659

682

3.50%

국내시장

8,050

8,855

9,741

10,715

11,786

12,965

14,261

15,688

10.00%

자료: 2015년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화장품산업분석보고서 및 2015년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

 

향후 탈모 관련 시장은 전문의약품시장보다는 헤어케어 기능성화장품 시장이 보다 더 커질 전망입니다. 그 이유는 전문의약품의 경우 고가이며, 반드시 병원의 처방이 필요하며 탈모증상을 숨기려는 심리로 인해 병원 방문을 꺼리는 경양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기능성 헤어케어 제품은 집에서 홈 케어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당분간 성장추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문가들의 의견을 토대로 ‘12년~’16년 성장률을 토대로 추정한 헤어케어 시장규모는 2022년 세계시장 637억 달러, 국내시장 1조3천억 원에 이를 전망입니다.

(나) 기능성 화장품 세계 및 국내시장 규모 및 전망

 

[국내외 기능성화장품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 달러, 억 원)

구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CAGR(%)

세계시장

108,823

117,649

127,191

137,506

150,569

164,873

8.7

국내시장

60,863

75,544

95,032

120,917

149,695

185,322

22.1

자료: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Euromonitor Personal Care Market Data, 2016, 대한화장품협회)

 

2017년 세계 기능성 화장품 시장규모는 1,088억 2,300만 달러로 추산되며, 연평균 8.7%씩 상승해 2022년 1,648억 7,300만 달러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는 품질과 기능을 최우선으로 고려하는 유럽 소비자들의 구매 기준과 다양한 천연성분이 함유된 한국산 기능성 화장품을 선호하는 중국 및 동남아시아 전역에 퍼진 K-Beaty의 영향으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에 따른 국내 기능성 화장품 시장규모는 2022년 약 18조 5,322억 원까지 증가할 전망으로, 국내 정부기관이 직접 심사하여 품질에 대한 신뢰성과 기능성을 제고시키고 있어 기능성 화장품 생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기능성화장품 시장의 품목별 세분화 시장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국내 기능성 화장품 연도별 생산추이]

                                                                                                   (단위: 백만원)

연도

2017

2018

2019

2020

2021

2022

CAGR(%)

복합유형

3,964,102

5,315,860

7,128,56

9,559,411

12,819,17

17,190,50

34.10

주름개선

970,898

1,057,308

1,151,40

1,253,884

1,365,480

1,487,007

8.90

자외선
차단

244,333

218,678

195,717

176,145

157,650

141,097

(10.40)

미백

168,876

150,638

134,369

119,857

106,912

95,366

(10.80)

헤어케어

738,100

811,900

893,100

982,400

1,080,640

1,188,704

10.00

합계

6,086,30

7,554,384

9,503,16

12,091,69

14,969,521

18,532,26

24.90

 자료: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생산실적 자료

 

기능별 생산액은 복합유형이 가장 많으며 다음은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순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2016년 5월 화장품법 개정으로 기능성 화장품의 범위가 모발의 색상을 변화·제거하거나 피부 건조, 갈라짐, 각질화 등을 방지·개선하는데 도움을 주는 제품까지 확대됨에 따라 향후 기능성 화장품 시장이 더욱 활성화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헤어케어 관련 제품의 경우 탈모 인구의 증가와 홈케어를 선호하는 경향으로 인해 전문의약품이 아닌 의약외품의 수요하고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헤어케어 제품에도 기능성을 부여하고 있으며 국내 헤어케어 시장 규모 역시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다) 세계 화장품 시장 규모 및 전망

글로벌 화장품산업은 전 세계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해내는 미래 유망산업으로 위상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소비 트렌드 부상과 유통 채널의 다양한 발전가능성으로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분야입니다.

Euromonitor 자료에 의하면 2019년 세계 화장품 시장규모는 4,203억 달러로 전년대비 4.5% 증가했습니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세계경제 수요 및 공급 악화로 화장품 산업 성장에 제약이 있어 전년대비 증가율이 일시적으로 둔화되는 양상을 보이긴 했으나 시장규모는 전년도 대비 비슷하게 유지되며, 향후 유통시장의 디지털 전환, 라이브 커머스 등의 활용으로 2021년 세계 화장품 시장규모는 반등할 것으로 예상되어 2024년(5,263억 달러)까지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이미지: 세계 화장품 시장규모 및 증가율

세계 화장품 시장규모 및 증가율

주1) Euromonitor 자료를 이용하여 우리나라 화장품 유형 위주로 자료를 분석함
주2) 2020년 이후 연도의 시장규모는 Euromonitor에서 추정한 값임
자료 : Euromonitor International, 2021(Feb)

3. 경기변동의 특성

화장품 산업은 계절에 따른 원료 및 소재, 구매성향, 사회 환경 등의 변화에 의해 라이프이클이 매우 짧은 산업이고, 소비자들은 소비에 있어서 개성과 유행에 민감한 반응을 보입니다. 또한 인터넷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한 정보의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국내는 물론 해외의 디자인과 상품들을 쉽게 접하게 됨에 따라서 소비자들의 요구는 시시각각 변화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들의 다양하고 급변하는 요구를 수용하기 위하여 적시에 새로운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빠른 대응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반면, 동사가 판매하는 기능성화장품 제품은 특수목적용으로 일반 화장품과 달리 유행에 덜 민감하고, 동사가 판매하는 의료기기를 사용하기 위해선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제품이기에 제품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은 일반 화장품 대비 더 길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화장품 시장은 2000년대 들어 급격한 성장기를 맞이하다 2010년대 들어서 브랜드샵의 부진으로 인해 쇠퇴기로 접어들었으나, 최근 H&B스토어의 등장과 인터넷 및 모바일 발달로 인해 경쟁력을 갖춘 벤처기업들이 화장품 시장을 주도하며 제2의 성장기를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H&B스토어의 발달은 국내 헤어케어 제품의 유통을 가속화하였으며 소비자들의 구매가 용이해짐에 따라 헤어케어 시장이 급성장하였습니다. 국내시장의 경우 연평균 성장률 10%대라는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성장해왔으며 현재 ‘성숙’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파악되나, 탈모의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기에 탈모 관련 의약품, 기능성화장품, 의료기기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전망입니다. 또한 국내 잠재적 탈모인구 1,000만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탈모치료제 시장은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국민 5명 중 1명이 탈모 증상으로 고민하는 만큼, 치료제 뿐만 아니라 각종 탈모 관련 용품 시장도 급속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시장 경제의 둔화로 화장품 시장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소비가 다소 위축되기도 하였으나, 외부에서의 접촉을 꺼리고 집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어짐에 따라 홈케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당사의 주력제품인 탈모케어제품의 판매매출은 최근 3개년간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특히, 명절이나 연말에는 세트구성, 프로모션 등으로 판매량이 상승하고 있습니다.

 
4. 경쟁요소

(1) 브랜드 이미지 산업

 

화장품은 기호성이 강한 제품으로서 이미지가 중요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트렌드에 민감하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화장품은 일반 소비재와는 다르게 인간의 미와 신체에 관련한 소비자의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제품으로 제품선택 시 브랜드 가치가 매우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브랜드인지도가 높을 경우 제품에 대한 재구매율이 높은 고정 고객층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매출기반 및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새로운 제품을 출시하는 경우에도 시장 진입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대외적 이미지, 높은 수준의 서비스 등이 요구되며 차별화된 브랜드 가치 확보가 시장 경쟁에서 선점을 우위할 중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2) 정부규제 산업

 

의약품과 혼동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의 과대한 효능·효과의 표시 및 광고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한 규제가 필요한 산업입니다. 따라서, 기능성 화장품과 국내에 최초로 도입되는 원료에 대해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청장에게 안정성·유효성 심사 또는 원료의 성분에 대한 규격 및 안정성 심사를 받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차별화된 우수한 원료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인허가가 필수적이며 기능적 우수성의 입증과 인체에 대한 안성정이 검증된 제품들 중심으로 시장 점유율이 높아지고 있는 특징이 있습니다.

 

(3) 기술 장벽이 높은 소재

 

국내 화장품 원료의 특성상 글로벌 제조사와 협약을 맺지 않고 한 고객사에 독점권을 주어서는 개발한 원료에 대한 투자를 모두 얻어낼 수 없으므로 다양한 카테고리 내 업체별로의 세심한 차이를 갖는 기능성 소재들을 개발하는 추세입니다. 이러한 소재시장 특성은 거대 자본,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한 다국적 기업들의 기능성 소재들과 경쟁을 할 수 없어, 장기적으로 국내외 시장 점유율을 높일 수 없기 때문에 기술 장벽을 갖춘 소재개발 연구에 투자하여 특수원료 개발에 치중하는 경향성을 띠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원, 설비, 유통망을 확보한 다수의 기업들이 해당 시장에 진입하고 있어 신규 참여자의 위협 가능성이 높은 반면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한 화장품 유통업체들은 시장진입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5. 자금조달상의 특성
당사는 매출에 의한 이익을 주요 자금원으로 하여 경영하고 있으며, 추후 시설 투자 등의 대규모 자금 소요가 예상될 경우 코스닥 시장 상장 또는 금융권으로부터의 차입을 통하여 자금을 조달할 계획입니다.

6. 관계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관련법령

관련기관

주요내용

산업안전보건법

고용노동부

산업안전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근로자의 안전과 보건을 유지, 증진하는 목적의 법령입니다. 안전보건 관리 규정 및 게제, 유해/위험 예방조치 등에 관한 사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소비자기본법

공정거래위원회

소비자 권익 증진 및 소비자의 권리와 책무,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사업자의 책무, 소비자단체의 역할 및 자유시장경제에서 소비자와 사업자 사이의 관계를 규정하며, 아울러 소비자 정책의 종합적 추진을 위한 기본적인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소비자생활의 향상과 국민경제의 발전에 이바지하는 법률입니다.

제조물책임법

공정거래위원회

제조물책임법은 제조물의 결함으로 인하여 발생한 손해에 대한 제조업자 등의 손해배상책임을 규정함으로써 피해자의 보호를 도모하고자 하는 법률로서 당사의 영업은 동법의 영향을 받습니다.

표시ㆍ광고의 공정화에 관한법률 (시행령)

공정거래위원회

모든 제품의 표시광고의 기본이 되는 법령으로써 상품에 대한 표시광고를 할 때 소비자를 기만하거나 오인하게끔 하는 부당한 표시 광고를 방지하고 소비자에게 올바르고 유용한 정보의 제공을 촉진하여 소비자를 보호하는 법령입니다. 부당한 표시광고 행위 금지사항을 지정하며, 이에 따른 손해배상 및 벌칙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계량에 관한 법률

산업통상자원부

1961년에 제정된 계량에 관한 법률은 계량의 기준을 정하여 계량을 적정하게 함으로써 공정한 상거래 질서를 유지하고, 산업의 선진화 및 국민경제 발전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계량기의 승인 검정 및 정량표시 상품의 관리에 대한 사항을 지정하고 있습니다.

화학물질관리법

환경부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화학물질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한편, 화학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화학물질로부터 모든 국민의 생명과 재산 또는 환경을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령입니다. 화학물질의 안전관리 및 영업자 준수사항, 화학사고 대비 및 대응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환경기술 및 환경산업 지원법 (시행령, 시행규칙)

환경부

환경기술의 개발, 지원을 촉진하고 환경산업을 육성함으로써 환경보전, 녹색성장 촉진, 국민경제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이바지 함을 목적으로 하는 법령입니다. 해당 법령은 친환경 기술인증 환경기술 정보 보급 및 녹색경영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당사는 녹색경영 및 스마트그린 정책을 시행하여 해당 법령을 준수하며, 친환경 녹색성장에 이바지 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경표지대상제품 및 인증기준

환경부

환경표지대상 제품 선정 폐지 및 인증기준을 정하는 목적을 가진 법령입니다. 환경 표지 인증은 제품의 친환경성을 입증하는 인증제도로써, 친환경 기준을 통과해야지만 획득할 수 있는 인증제도 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05년 09월 07일 설립되어 탈모와 피부미용 시장을 타겟으로 하는 기능성 화장품 및 의료기기 제조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탈모 환자의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는 추세와 함께 “관리”나 “케어” 등의 키워드로 대표되는 트렌드는 두피와 헤어, 그리고 피부관리에 대한 현 시대의 소비자들의 관심과 욕구를 반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 이래로 줄곧 이러한 동향에 맞추어 해당 시장에서의 경쟁력 있는 제품들을 내놓음으로써 탈모와 피부질환 분야, 탄력개선, 상처회복 등의 피부재생 분야의 전문 코스메슈티컬 제품 뿐만 아니라 세계 최초의 탈모자동진단 및 예후예측 시스템과 전문 의료기기를 아시아와 유럽 등 세계 각국에 수출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피부재생 및 모낭 형성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줄기세포에 대한 핵심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진단을 통해 최적의 치료 솔루션을 제시하는 메디컬 인포메틱스 기술을 기반한 제품을 개발하였습니다. 앞으로도 당사는 피부/모발 재생 줄기세포와 메디컬 인포메틱스 융합 기술을 통해 인류의 건강한 삶을 추구하고, 최적의 솔루션을 개발하여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탈모 증상 완화 제품군

탈모 증상 완화 제품군의 매출 비중은 2021년 기준 약 7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남성형 탈모, 여성형 탈모, 원형 탈모 등 탈모의 발생 원인에 따른 적절한 맞춤식 케어와 함께 치료 시작 초기에 의약품, 메조테라피, 홈케어 등 환자가 보다 더 빠른 개선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연구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브랜드는 ‘볼빅’으로 남성과 여성의 탈모 원인과 유형에 따른 집중케어를 목적으로 원인별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병원 전문제품으로는 메조테라피에 사용되는 PT88과 PT66, 두피케어를 위한 볼빅 레인보우, 모발이식 후 케어를 위한 볼빅 트랜스폼 샴푸 솔루션 라인이 있습니다. 또한, 홈케어 제품으로 볼빅 에스 샴푸원, 더블유 샴푸원, 세보 샴푸원 같은 샴푸류 및 솔루션 제품이 있으며 이 외에도 의약품인 다모케어정과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리턴 알엑스, 비비탱 플러스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제품은 공식 온라인몰을 통해 일반 소비자들이 구매가 가능하여 손쉽게 탈모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탈모 증상 완화 제품군의 특징은 초기집중관리 방식 IIT(Initial Intensive Therapy)와 탈모를 유발하는 다양한 원인에 따른 맞춤식 솔루션 DEDS(Different Etiology, Different Solution)로 이루어진 토탈 케어 시스템으로 의약품, 메조테라피, 두피케어, 홈케어, 모발이식에 이르기까지 탈모 치료의 A to Z를 갖추고 있습니다.

병원용 탈모 진단 및 치료 플랫폼 구축


이미지: DEDS (Different Etiology, Different Solution)

DEDS (Different Etiology, Different Solution)


 

남성형 여성형 지루성


이미지: 볼빅에스샴푸원

볼빅에스샴푸원



이미지: 볼빅에스솔루션

볼빅에스솔루션



이미지: 볼빅더블유샴푸원

볼빅더블유샴푸원



이미지: 볼빅더블유솔루션

볼빅더블유솔루션



이미지: 볼빅세보샴푸원

볼빅세보샴푸원



이미지: 볼빅세보솔루션

볼빅세보솔루션



볼빅트랜스폼 볼빅레인보우 볼빅바이오솔루션 피티육육/팔팔


이미지: 볼빅트랜스폼

볼빅트랜스폼



이미지: 볼빅레인보우

볼빅레인보우



이미지: 볼빅바이오솔루션

볼빅바이오솔루션



2) 병원용 두피진단 / 관리 의료기기 제품군

 

A.TRACER

CELLpheus

HairGene


이미지: 에이트레이서

에이트레이서



이미지: 셀피어스

셀피어스



이미지: HairGene

HairGene


 

A.TRACER(에이트레이서)는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환자의 두피와 모발 상태를 촬영, 진단하는 기기입니다. 카메라 촬영방식과 스마트폰 사용법과 유사한 편리한 UI를 갖추고 있으며 더욱 개선된 신제품 A.TRACER X를 2021년 출시하였습니다. A.TRACER X는 수출을 염두에 둔, 다양한 모발색에 대한 분석 기능을 업데이트 하고 기존 제품 대비 진단의 정확성을 높이고 모바일 app과의 긴밀한 연동을 통해 편의성을 증가시킨 제품입니다. 2020년에 출시된 신제품 CELLpheus(셀피어스)는 볼 타입의 장비에 유효성분을 담은 앰플을 장착하여 두피관리를 할 수 있게 개발된 병원용 기기입니다. 그리고 간편한 헬맷 형태로 태블릿과 연동하여 펄스 전자기장을 통해 효과적으로 모발과 두피 관리를 지원하는 HairGene이 있습니다. 해당 기기들은 지속적인 업그레이드를 통해 앞으로 꾸준한 매출 상승을 기대해 볼 수 있는 제품군입니다.


3) 피부미용 제품군

 

당사의 제품은 건강한 피부의 아름다움 보다는 건성, 지성, 아토피, 여드름성 피부 등으로 고민인 사람들을 주요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브랜드는 닥터메디션으로 대표적으로 지루성피부염을 완화시키는 세보레아 제품군이 있습니다.

닥터메디션 세보레아 (Scalp Care Line)


이미지: 세보레아 샴푸

세보레아 샴푸



이미지: 세보레아 모이스처 샴푸

세보레아 모이스처 샴푸



이미지: 네이처 클렌징폼

네이처 클렌징폼



이미지: 네이처 클렌징폼 오일리스킨

네이처 클렌징폼 오일리스킨



이미지: 아토 컨트롤 인텐시브 크림

아토 컨트롤 인텐시브 크림


 

닥터 메디션 세보레아 샴푸는 비듬, 가려움, 모발의 과도한 유분기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 것에 도움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킨케어 제품은 민감성, 지성, 아토피성 등 증상 원인별 다양하게 구성된 제품라인업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당사의 시장점유율은 국내외 시장에 대한 공식 통계자료의 부재로 인해 구체적인 시장점유율 파악이 어려우므로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코스메슈티컬 산업

 

코스메슈티컬(Cosmeceutical)은 맞춤형 헬스케어 분야에 속하는 기술로 코스메슈티컬이란 화장품과 의약품의 합성 단어이며 의약품과 유사한 이점을 갖는 화장품을 의미합니다. 코스메슈티컬은 의료 전문가의 처방전 없이 구입할 수 있으며, 퍼스널 케어와 제약 부분이 융합되어 형성되어 있습니다. 스킨케어 제품, 헤어케어 제품, 구강위생 제품, 메이크업 제품, 기타 제품 등 다양한 제품 종류가 있습니다.

 

개발도상국의 1인당 지출 증가와 함께 도시화가 증가함에 따라 이들 국가의 라이프 스타일에 큰 변화가 생기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화장품 및 코스메슈티컬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높아짐에 따라 남성 및 여성 소비자 부문에서 퍼스널 케어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졌으며, 여기에는 높은 브랜드 인지도와 안정적인 구매력을 가진 비교적 젊은 소비자 대상 고객이 다수 유입되면서 코스메슈티컬 산업은 점차 확장되었고, 발달하였습니다.

 

특히, 프리미엄 BP (Beauty and Personal Care) 제품 산업의 성장, 건강·웰빙·노화 방지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피부 건강과 외모에 도움이 되는 혁신적인 성분 및 기술의 발전 등으로 코스메슈티컬 산업은 글로벌화되어 전세계적으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나) 스킨케어(화장품) 산업

 

국내 화장품 시장은 1960년대 이후 하나의 산업으로서 그 면모를 갖추게 되었으며, 1970년대 이후 정부시책에 힘입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였으나, 1980년대 신규 참여업체의 급격한 증가에 따른 물량공급의 과잉현상이 초래되면서 새로운 제품개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후, 1990년대 화장품 생산에 소요되는 화학기술 기반 구축 단계 및 2000년대 이후의 브랜드 인지도 기반구축, 한류문화 확산과의 접목 등에 따라 최근의 글로벌화에 이르는 발달과정을 보이고 있습니다.

 

2000년대 중반 이후 다양한 문화 컨텐츠의 발달이 본격화되고 한류 열풍이 복합적으로 결합되며 문화 생산국으로서 전세계의 이목을 끌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대내외적인 이미지 제고와 연계되어 문화산업과 상관관계가 높은 패션, 뷰티 산업으로 실리적인 영향이 빠르게 확산되는 모습을 보이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화장품 시장은 이미 선진국 수준의 화장품 제조 기술을 확립한 상황에서 문화적 컨텐츠에 대한 열풍이 글로벌 소비자의 구조적인 수요를 견인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습니다. 즉, 내재되어 있는 기술력이 문화 확산 효과와 맞물려, 한국 화장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단기적으로 과열되는 양상이 아닌, 장기적이고 구조적인 현상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아시아 기초화장품 영역의 절대 강자로 군림해온 일본의 입지를 위협하고 아시아 시장 내 상대적 입지 강화와 글로벌 시장을 향한 도약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다) 수요 변동 요인

 

소매점에서 소비자가 구입할 수 있는 다양한 제품과 브랜드는 구매자들에게 높은 협상력을 제공합니다. 이에 반해 많은 크고 작은 원재료, 포장 및 병입 공급 업체와 그들의 경쟁력 있는 제품의 존재로 코스메슈티컬 시장 공급자의 협상력은 비교적 낮습니다. 이러한 협상력의 차이를 극복하지 못한다면 당사 제품의 수요는 변동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제품 산업의 대규모 업체들은 높은 성장 잠재력으로 인해 글로벌 화장품 시장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당사 제품의 수요에도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를 비롯한 기존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은 잠재적 진입자의 위헙을 어느 정도 상쇄할 수 있을 것입니다.

 

피부 치료, 모발 치료 구강 치료 및 기타 관련 치료는 코스메슈티컬 제품의 직접적인 대체제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피부 수술과 모발 이식의 인기도 대체재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수술 및 치료의 높은 비용은 소비자에게 부담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고, 합리적인 비용으로 홈케어가 가능한 당사의 제품 장점으로 인하여 대체재의 위협을 상쇄시킬 것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닥터메디션 레드 카밍 아크네 버블 클렌저 신제품 개발

당사는 왕성한 피지 분비로 고민이 많은 청소년, 청소년기에 여드름을 개선하지 못하고 성인이 된 20대를 주요 타켓으로 하여 닥터메디션 신제품 론칭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해당 신제품의 주요 컨셉은 여드름 피부에 최적화된 처방, 여드름 균 억제에 효과 있는 항진균 성분, 피지조절, 수분공급, PH 밸런스 유지 입니다. 항염의 경우 항염특허 성분을 처방하여 항염효과를 증대시킬 예정입니다. 또한 여드름 고객의 고민 중가장 기본이 되는 피지 분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주는 성분을 이용하여 신제품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나) 새로운 스킨 브랜드 리셀바이 출시

안전하고 효과적인 처방을 사용하여 피부 개선에 도움을 주는 새로운 스킨 브랜드 리셀바이는 병, 의원 전용 스킨케어 브랜드로 피부재생 줄기세포 연구와 메디컬인포메틱스의 융합 기술을 통해 탄생한 항노화 솔루션 브랜드입니다.
리셀바이는 피부과 시술 후 시너지 효과를 높여 주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됐으며, 론칭과 함께 ‘에너지 라인’으로  ▲퍼펙트 에너지 토닝 패드, ▲팀프 씨 쉴드 앰플, ▲퍼펙트 에너지 쉴드 크림 등의 3종으로 구성하였습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주)이노진 조직도

(주)이노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이공명 1967.10.03 사외이사 - 타인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이공명 이수세무회계 대표 공인회계사 1990.02
1998.07
2002.03~2016.12
2017.07~2019.08  
2019.09~현재
2022.03~현재
고려대학교 경영학과 학사 졸업
한국공인회계사 합격
텔코웨어(주) 재경본부장
신영회계법인 컨설팅 사업본부장
이수세무회계 대표 공인회계사
(주)아이엠티 감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이공명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사외이사 후보자 이공명은 회계 분야를 전공한 전문가로서 폭넓은 이해와 경험을 바탕으로 회사의 사업 등에 대한 전문성이 확보되어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당사의 경영 발전에 도움이 되는 직무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사외이사 후보자 (신규선임)
사외이사 후보자 이공명은 재무 및 회계분야의 전문가로서, 해당 분야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륜을 바탕으로, 사외이사로서  당사의 지속 가능한 경영 발전을 위해 객관적이고 명확한 통찰력으로 올바른 경영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되어 추천합니다.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_이공명

확인서_이공명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참고사항


(1)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 개최시에는 총회장 입구에서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확진자 발생 등으로 사전 공고된 주주총회 장소 폐쇄 시, 총회장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주주님께서는 직원의 안내에 따라 변경된 장소로 이동하여 참석하시기 바랍니다.


(3)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