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6월 16 일 | ||
회 사 명 : | 인선이엔티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이 준 길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40 | |
(전 화) 031-969-1500 | ||
(홈페이지) http://www.insun.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이사 | (성 명) 손 기 용 |
(전 화) 031-969-15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6기 임시)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상법 제365조 및 정관 제22조에 의하여 제26기(2022년)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2조에 의거하여 전자공시 및 당사 홈페이지 공고로 갈음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2년 7월 1일(금) 오전 10시
2. 장 소 :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동국로 286 (식사동)
인선이엔티(주) 본사 1층 세미나실 (대표번호: 031-969-1500)
3. 회의 목적사항
《보고 사항》감사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1-1호 의안 : 사내이사 은봉오 선임의 건
·제1-2호 의안 : 사내이사 손기용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 한국거래소 상장공시시스템(http://kind.krx.co.kr)에서 조회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명부)계좌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현장 주주명부 확인 후 입장 가능)
- 대리행사 : (개인) 주주 서명 또는 날인한 위임장(주주 및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주주 신분증 사본, 참석자 신분증
(법인) 법인인감날인한 위임장, 인감증명서(3개월 이내 발급), 사업자등록증 사본
8. 안내사항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당사는 정부의 방 역관리 지 침을 준수하여 주주총회장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주주님들의 안전을 위 하여 총회장에 참석하는 모든 주주분들을 대상으로 발열 체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은 마스크 착용을 당부 드리오니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금번 임시주주총회는 기념품을 지급하지 않습니다.
2022년 6월 16일
인 선 이 엔 티 주 식 회 사
대 표 이 사 이 준 길 (직인 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이찬원 (출석률: 100%) |
이찬희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1 | 2022.01.17 | 1. 시설자금 차입의 건 2. 자기주식 취득의 건 |
찬성 | 찬성 |
2 | 2022.02.23 | 1. 제2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2022년 경영계획 승인의 건 3. 정관 일부 변경 승인의 건 4. 이사회운영규정 일부 개정의 건 5.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6. 제25기 정기주주총회 전자투표 시행의 건 |
찬성 | 찬성 |
3 | 2022.03.24 | 1. 자기주식 처분의 결정의 건 | 찬성 | 찬성 |
4 | 2022.05.23 | 1. 이사 선임 후보 추천의 건 2. KB국민은행 시설자금 차입금 대환의 건 3. KDB산업은행 운영자금 차입금 대환의 건 4. 임시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당사는 보고서 제출일 현재 이사회 내에 위원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000,000,000 | 30,000,000 | 15,000,000 | - |
※ 상기 인원 수는 제출일 기준입니다.
※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 사외이사 등 이사전체의 보수한도입니다.
※ 지급총액은 제출일 기준 지급된 총액이며, 1인당 평균지급액은 총액에서 인원수 로 나누어 단순계산하였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2022년 1분기('22.01.01~'22.03.31) 발생한 거래 중 최근 사업연도말(25기/20 21년) 매출액 또는 자산총액 기준 1% 이상의 거래는 없습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2022년 1분기('22.01.01~'22.03.31) 발생한 특정인과의 거래 총액이 최근 사업연 도말(25기/2021년) 매출액 또는 자산총액 기준 5% 이상에 해당되는 거래는 없습 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건설폐기물재활용 사업
① 폐기물의 분류
폐기물 '쓰레기·연소재·오니·폐유·폐산·폐알카리·동물의 사체 등으로서 사람의 생활이나 사업활동에 필요하지 아니하게 된 물질' |
생활폐기물 |
||
사업장폐기물 |
사업장일반폐기물 |
사업장생활계폐기물 폐기물을 1일 평균 300kg 이상 배출하는 사업장, 일련의 공사(건설공사는 제외) 또는 작업으로 폐기물을 5톤(공사를 착공하거나 작업을 시작할 때부터 마칠 때까지 발생하는 폐기물의 양을 말한다)이상 배출하는 사업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
|
사업장배출시설계폐기물 |
|||
지정폐기물 사업장폐기물 중 폐유·폐산 등 주변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거나 의료폐기물 등 인체에 위해를 줄 수 있는 유해한 물질로서 대통령령이 정하는 폐기물 |
특정시설에서 발생되는 폐기물, 부식성 폐기물, 유해물질함유 폐기물, 폐유기용제, 폐페인트 및 폐래커, 폐유, 폐석면, 폴리클로리네이티드비페닐 함유 폐기물, 폐유독물, 의료폐기물 |
||
의료폐기물 |
|||
건설폐기물 |
※ 폐기물의 분류 (출처 : 환경백서)
② 폐기물 및 건설폐기물 발생 현황
폐기물의 경우 처리 실적을 보고하도록 법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환경부에서 이를 집계하여 발표한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에 따르면 2020년 집계된 연간 폐기물 발생량은 19,546만톤으로 2019년 대비 7.7% 증가한 상황입니다.
[단위 : 만톤/년, %]
구 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총 발생량 |
15,265 | 15,663 | 15,678 | 16,283 | 18,149 | 19,546 |
전년대비 증감율(%) |
4.1 |
2.6 |
0.1 |
3.9 |
11.5 |
7.7 |
※ 연간 전체 폐기물 발생현황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2020년 택지개발 및 재개발 사업, 재건축 현장, 기타 건설공사 등을 통해 발생한 연간 건설폐기물 발생량은 8,644만톤으로, 2019년 대비 7.1% 증가하였습니다.
구 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총발생량(만톤/년) |
7,236 | 7,280 | 7,164 | 7,554 | 8,070 | 8,644 |
전년대비증감율(%) |
6.9 |
0.6 |
-1.6 |
5.4 |
6.8 |
7.1 |
폐기물발생 대비 |
47.4 |
46.5 |
45.7 |
46.4 |
44.5 |
44.2 |
※ 연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건설폐기물의 상당 부분은 서울, 인천, 경기 등 수도권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서울과 경기 지역이 전체 발생량의 약 42%를 점유하고 있으며, 인천 지역을 포함한 수도권 발생량으로 확대할 경우 전체 발생량 대비 약 49%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구 분 |
전국 |
수도권 지역 |
||||
서울 |
인천 |
경기 |
계 |
점유율 |
||
발생량 (만톤/년) |
8,644 | 1,460 | 620 | 2,133 | 4,213 | 48.7% |
※ 2020년 수도권지역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2020년도 건설폐기물의 성상은 불연성이 88.9%(7,681만톤/년)이며, 불연성 중 건설폐재류가 98.9%(7,596만톤/년)로 대부분 차지하고 있습니다. 건설폐재류 내에서는 폐콘크리트가 71.0% (5,394만톤/년) 의 비율을 보이며, 전년(5,030만톤/년) 대비 7.2% 증가했습니다.
[단위 : 만톤/년, %]
구 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총 계 | 7,236 | 7,280 | 7,164 | 7,554 | 8,070 | 8,644 | ||
가연성 | 폐목재 | 34 | 29 | 29 | 29 | 31 | 42 | |
폐합성수지 | 60 | 52 | 66 | 67 | 59 | 59 | ||
기 타 | 0.4 | 0.4 | 0.4 | 1 | 1 | 1 | ||
가연성 계 | 94 | 82 | 95 | 97 | 91 | 102 | ||
불연성 | 건설 폐재류 |
폐콘크리트 | 4,542 | 4,675 | 4,499 | 4,783 | 5,030 | 5,394 |
폐아스팔트콘크리트 | 1,296 | 1,285 | 1,309 | 1,378 | 1,502 | 1,584 | ||
건설폐토석 | 280 | 236 | 273 | 259 | 306 | 409 | ||
기 타 | 118 | 117 | 111 | 130 | 199 | 209 | ||
소 계 | 6,236 | 6,313 | 6,192 | 6,550 | 7,037 | 7,596 | ||
건설오니 | 36 | 70 | 67 | 46 | 41 | 84 | ||
기 타 | 2 | 4 | 0 | 2 | 2 | 1 | ||
불연성 계 | 6,274 | 6,387 | 6,259 | 6,598 | 7,080 | 7,681 | ||
혼합건설폐기물 | 863 | 808 | 806 | 858 | 897 | 860 | ||
기 타 |
5 | 3 | 4 | 1 | 2 | 1 |
※ 연간 건설폐기물 발생현황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2020년도 전체 발생 폐기물 중 재활용 비율은 87.4%로 발생된 폐기물의 대부분은 재활용이 되고 있으며, 해마다 재활용 비율은 늘어나고 있습니다.
[단위 : 만톤/년, %]
구분 |
'15 |
'16 |
'17 |
'18 |
'19 |
'20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
계 |
15,265 |
100.0 |
15,663 |
100.0 |
15,678 |
100.0 |
16,283 |
100.0 |
18,149 |
100.0 |
19,546 | 100.0 |
매립 |
1,380 |
9.0 |
1,385 |
8.8 |
1,297 |
8.3 |
1,265 |
7.8 |
1,114 |
6.1 |
1,002 | 5.1 |
소각 |
952 |
6.2 |
965 |
6.2 |
960 |
6.1 |
964 |
5.9 |
948 |
5.2 |
1,015 | 5.2 |
재활용 |
12,878 |
84.4 |
13,279 |
84.8 |
13,383 |
85.4 |
14,025 |
86.1 |
15,708 |
86.5 |
17,076 | 87.4 |
기타 |
55 |
0.4 |
34 |
0.2 |
39 |
0.2 |
30 |
0.2 |
379 |
2.1 |
453 | 2.3 |
※ 폐기물 처리방법별 추이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건설폐기물의 경우 2020년도 발생량의 99.0%를 재활용으로 처리했습니다. 해마다 발생량의 대부분을 재활용하고 있습니다. 생활폐기물은 약 60%를 재활용으로 처리하고 있으며, 사업장폐기물의 경우는 약 84%를 재활용으로 처리하고 있기 때문에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처리비율이 가장 높습니다.
[단위 : 만톤/년, %]
구분 |
'15 |
'16 |
'17 |
'18 |
'19 |
'20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처리량 |
% |
|
계 |
7,236 |
100.0 |
7,280 |
100.0 |
7,164 |
100.0 |
7,554 |
100.0 |
8,070 |
100.0 |
8,644 | 100.0 |
매립 |
140 |
1.9 |
112 |
1.5 |
107 |
1.5 |
108 |
1.4 |
65 |
0.8 |
73 | 0.8 |
소각 |
39 |
0.5 |
27 |
0.4 |
31 |
0.4 |
24 |
0.3 |
23 |
0.3 |
15 | 0.2 |
재활용 |
7,058 |
97.6 |
7,141 |
98.1 |
7,025 |
98.1 |
7,422 |
98.3 |
7,983 |
98.9 |
8,556 | 99.0 |
※ 건설폐기물 처리방법별 추이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업체는 2020년 기준 582개 업체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대다수 업체는 운반에 소요되는 비용 부담으로 근거리 지역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건설폐기물 중간처리량은 최근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은 연간 기준으로 약 9,065만톤의 건설폐기물이 중간처리되었습니다.
중간처리업체 중 1% 이상의 M/S를 점유한 사업장은 10여 개 사업장에 불과할 정도로 업계 내 상ㆍ하위 업체간 처리량 및 매출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단위 : 천톤, 개]
구 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폐기물 업체수 |
547 |
560 |
562 |
558 |
583 |
582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량 |
74,701 |
80,353 |
82,304 |
87,286 |
91,401 |
90,648 |
업체당 처리량 | 137 | 143 | 146 | 156 | 157 | 156 |
※ 건설폐기물 처리업체 수 및 처리량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③ 폐기물 처리 수수료의 인상
현재 수도권에서 발생하는 폐기물 중 재활용이 안되거나 불연성폐기물의 경우 수도권매립지에 수수료를 지불하고 매립처리를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매립지 주변 개발로 인한 인구증가와 악취, 먼지 등의 환경문제가 주요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고, 매립지 사용 최소화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 과정에서 매립지 반입비용이 지속적으로 인상되고 있습니다. 2014년 상반기 1톤당 42,730원이던 수도권매립지 건설폐기물 매립비용이 2016년 77,092원, 2019년 7월1일 기준 99,893원으로 인상되었습니다. 2022년 1월 1일, 다시 약 48% 증가하여 현재 수도권매립지 매입비용은 147,497원이 되었습니다
수도권매립지 매립비용 인상은 건설폐기물 현장에서 운반해 오는 처리단가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입니다.
연 도 |
'10.08 |
'11.08 |
'12.08 |
'13.08 |
'14.08 |
'15.08 |
'16.01 |
'19.07 |
'22.01 |
수수료(원/톤) |
27,060 |
29,630 |
32,444 |
35,526 |
42,730 |
51,395 |
77,092 |
99,893 |
147,497 |
증감(%) |
9.5 |
9.5 |
9.5 |
9.5 |
20.1 |
20.1 |
50 |
30 |
48 |
※ 수도권매립지 건설폐기물 매립수수료 현황 (출처 :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2) 매립사업
① 개요
폐기물 최종처분(매립) 사업은 일반 및 지정폐기물 중 재활용이 안 되는 불연성폐기물을 허가받은 매립시설에 매립하는 사업입니다. 폐기물 매립 시설은 일반 매립시설과 법정 지정폐기물을 매립하는 시설로 구분되며, 일반매립시설의 경우 대부분 지자체에서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일반폐기물 매립시설은 274곳, 지정폐기물 매립시설이 25곳으로 집계됩니다. 일반과 지정의 중복 처리 매립장을 감안하면 전국 매립시설은 공공 포함 300곳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구 분 |
개소 |
비 고 |
|
---|---|---|---|
일반 매립시설 (일반폐기물) |
지자체 운영 |
212 |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매립시설 |
자가처리시설 |
30 |
폐기물 발생사업장에서 직접 운영하는 매립시설 |
|
최종처분업체 |
32 |
일반기업에서 운영하는 매립시설 |
|
합 계 |
274 |
|
|
지정 매립시설 (지정폐기물) |
자가처리시설 |
3 |
폐기물 발생사업장에서 직접 운영하는 매립시설 |
최종처분업체 |
22 |
일반기업에서 운영하는 매립시설 |
|
합 계 |
25 |
|
※ 2020년 기준 전국 매립장 운영현황
(출처 : 2020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최종처분업체가 운영하는 매립시설의 경우 충청 이남 지역에 주로 분포되어 있습니다.
[단위 : 개소]
구 분 |
부산 |
울산 |
경기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계 |
일반 매립장 |
1 |
3 |
1 |
5 |
3 |
2 |
5 |
9 |
3 |
32 |
지정 매립장 |
- |
3 |
1 |
2 |
2 |
1 |
4 |
8 |
1 |
22 |
※ 지역별 매립장(최종처분업체) 운영 현황
(출처 : 2020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② 운영현황
매립장의 경우 지역 민원, 환경 훼손 등의 문제로 허가 절차가 까다롭습니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폐기물 매립 시설은 제한적으로 허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단위 : 개소]
구 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
일반 매립장 |
32 | 32 | 34 | 30 | 32 | 32 |
지정 매립장 |
21 | 22 | 22 | 21 | 21 | 22 |
계 | 53 | 54 | 56 | 51 | 53 | 54 |
※ 전국 매립장(최종처분업체) 허가 현황 (출처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허가 절차의 어려움으로 인해 신규매립장 공급이 지체되면서 일반 기업(최종처분업체)이 운영하는 매립장의 잔여 매립량이 점차 감소되고 있으며, 현재 매립량과 잔여 규모로 추정해 보면 약 10년 이내 가용 매립공간이 소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매립 산업의 수요/공급 불균형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구 분 |
업체 수 |
총 면적 |
총 매립용량 |
기 매립용량 |
잔여 매립량 |
2020년 매립량 |
일반폐기물 |
32 |
2,617,309㎡ |
55,451,753㎥ |
40,137,615㎥ |
15,314,138㎥ |
3,605,789톤 |
지정폐기물 |
22 |
1,652,927㎡ |
35,461,556㎥ |
28,306,387㎥ |
7,155,169㎥ |
1,053,305톤 |
※ 2020년 최종처분업체 운영 매립장 매립 현황
(출처 : 2020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3) 자동차 해체재활용사업
① 자동차애프터마켓 시장 개요
자동차 'After Market' 은 자동차가 생산, 판매된 이후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수요에 의해 만들어진 시장을 말합니다. 튜닝·보수용 부품, 중고차 산업, 폐차 관련 산업 등이 해당되며, 대부분 중소기업들이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분야입니다. 이와 반대로 완성된 신차가 거래되는 시장을 'Before Market' 이라고 합니다. 국내 자동차 'After Market' 은 아직 협소한 시장이지만, 선진국의 경우 매우 큰 시장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KOTRA가 조사한 바에 의하면 미국의 경우 2013년을 기준으로 중고차 판매량이 신차의 약 3배에 이르렀고, 자동차 부품 시장의 규모도 GDP의 2.3%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시장 규모 뿐만 아니라 활성화 측면에서도 국내 시장은 걸음마 단계를 면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정부에서도 'After Market' 의 활성화에 많은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생산 점유율 대비 크게 낙후된 튜닝시장 활성화를 위해 2013년에 '자동차 튜닝시장 활성화 종합대책' 을 발표했으며, 2015년 1월 대체부품 인증제를 도입하는 등 자동차 'After Market' 육성을 위한 관련 법 및 제도 정비에도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
② 폐차
폐차 해체업체 수는 2021년 12월말 기준으로 585개 업체가 있고 대부분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1년 업체당 연평균 해체대수는 약 1,478대로 1일 평균 약 4대 해체하는 수준입니다.
연 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폐차 해체업체 수 |
520 | 502 | 522 | 525 | 537 | 585 |
※ 2016년-2019년 폐차업체 수 현황 (출처: 국토교통부)
2020년-2021년 폐차업체 수 현황 (출처 :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
인선모터스의 경우 하루 약 100 여 대, 연간 3만 여 대 해체 규모를 보유하고 있으므로 동종 경쟁업체와의 차이는 상당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연 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폐차 대수 |
790,503 |
883,865 |
890,355 |
975,411 |
950,816 |
864,417 |
전년대비증감율(%) |
2.2 |
11.8 |
0.7 |
9.6 |
-2.5 |
-9.1 |
※ 연도별 차량 폐차 현황 (출처 :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
미세먼지 저감 정책의 일환으로 노후 경유차량에 대한 폐차 지원 정책 등이 확대되면서 2014년 이후 폐차대수는 점차 증가세를 보였습니다만,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로2019년 이후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022년 1분기 동 협회에서 집계한 폐차대수는 159,251대입니다.
③ 중고부품
국내 Non-OEM 부품(중고부품, 대체부품 등 OEM으로 생산·공급 되지 않는 부품) 시장은 활성화되지 않은 상태이며, Non-OEM 부품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5% 미만으로 추정됩니다. 미국의 경우 대체부품이 활성화되면서 Non-OEM 부품 비중이 45% 수준으로 추정되고, 일본의 경우도 60% 수준입니다.
하지만 대체부품인증제 등 관련 제도가 강화되고 있습니다. 중고부품을 사용해 보험 수리를 했을 경우 신품 가격의 20%를 환급해 주는 에코특약이 2010년부터 시행되고있으며, 2018년 2월부터는 대체부품 등을 활용해 보험 수리를 했을 경우 순정부품 가격의 25%를 되돌려 주는 '품질인증부품 사용특약’도 도입했습니다.
사회 전반적으로 Non-OEM 부품 활성화 노력은 앞으로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④ 중고차 매매 및 수출
우리나라는 2021년 기준 자동차 보유 대수가 2,491만대를 넘어서면서 인구 2.1명당 1대 비율로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자동차 보급이 늘어나면 중고자동차 매매가 활성화 됩니다. 중고자동차 매매는 2011년 연간 300만대 거래를 넘어선 이후 최근 400만대에 가까운 중고차가 거래되면서 시장은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3,780,116대 |
3,733,701대 |
3,770,107대 |
3,695,171대 |
3,952,820대 |
3,944,501대 |
※ 자동차 이전등록현황 (출처 : 국토교통부)
중고차 시장이 커지면 장기적으로 중고차 수출, 폐차, 부품 산업 등이 동반 확장될 수있는 여건이 조성될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 보급이 증가하고 중고차 시장이 확대될수록 중고차 수출 적합 차종이 증가되는 효과를 가져 오게 됩니다.
국토교통부에서 집계하는 수출말소 현황을 보면 2015년 이후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만 2020년 경우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글로벌 물류 이동이 제한되면서 역성장 했습니다.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196,551대 |
222,634대 |
268,259대 |
351,362대 |
278,058대 |
338,206대 |
※ 연도별 중고자동차 수출 말소 현황 (출처 : 국토교통부)
하지만 글로벌 경기 회복이 진행되면서 다소 회복세로 전환되고 있습니다. 2021년 국토교통부에서 집계한 수출말소대수는 338,206대로 이는 2020년 278,058대 대비 약 22% 증가한 수치입니다. 2022년 1분기의 경우 75,234대의 중고자동차가 수출 목적으로 말소되었습니다.
주요국 바이어들은 중고차 수출 단지나 국내 주요 폐차장, 중고차 매매단지 등을 통해 수출용 차량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출 주력 차종으로 분류되는 RV/승합 경유 차량, 연식이 다소 경과된 경/소형차 등은 조기 폐차 등을 통해 양질의 폐차를 확보하고 있는 대형 폐차장이 주요 매입 루트로 자리잡고 있는 상황입니다.
⑤ 전기차 폐배터리
전기자동차 보급속도가 빨라지는 데 비례해 전기차 폐배터리 발생량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전기차 폐배터리는 통상 10년 정도 지나면 성능이 떨어지는데 신제품과 비교해 약 70~90% 수준으로 떨어져 주행거리가 줄고 충전속도가 떨어지면 차량용으로는 수명을 다 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후에도 ESS(에너지저장장치) 등에 설치해 재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폐배터리' 가 아닌 '사용 후 배터리' 로 일컬어지기도 합니다. 전기차 보급이 확산되면서 배출되는 사용 후 배터리 숫자는 2023년 5,900여 개, 2026년 4만 2천여 개, 2030년 10만 7천여 개로 급격히 늘어날 전망입니다.
(4) 자동차 파쇄재활용사업
① 철스크랩 개요
철스크랩은 철강 업체의 강재 생산과정, 제조 업체의 철강재 가공과정, 제조된 철강 제품의 사용불능 상태 등에서 발생하며, 수집과정을 통해 회수된 후 철강재 생산에 재 투입되는 철강의 원재료 중 하나입니다. 철광석, 유연탄과 함께 3대 제철원료에 속하며, 제철 원료 중 국내 공급이 가능한 철강 제조의 핵심 자원입니다.
철스크랩을 이용해 철강을 생산할 경우 철광석을 활용하는 고로 조업에 비해 CO2 배출량이 4~5배 적습니다. 따라서 철스크랩은 폐기물 발생을 최소화하고 무한 재생할 수 있는 순환자원으로 분류되고 있으며, 철강 산업의 원료로써 뿐만 아니라 친환경 자원으로서도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철스크랩은 전기로제강에서 총 투입 철원의 95% 이상을 차지하며, 철강재 제조 원가의 약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철스크랩의 안정적 공급은 전기로 제강업의 발전과 외형 성장을 위해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철스크랩 중심의 금속원료 재생사업은 타 산업과 달리 판매보다 매입의 안정성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제강업체나 주물업체의 경우 철스크랩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연간 공급계약이나 개런티 계약 등을 통해 원료 확보에 주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② 철스크랩 분류
한국철강자원협회에 따르면 철스크랩은 발생원에 따라 노폐 철스크랩, 가공 철스크랩, 자가발생 철스크랩으로 분류됩니다.
노폐 철스크랩 |
- 유용성이 소멸된 철강 폐기물로부터 재사용에 적합하도록 가공처리되 는 철스크랩 - 폐자동차, 기구류, 철도부문, 기계, 선박, 건축자재, 파괴공사, 기타 소 비자용 및 공업용 제품의 폐품 등에서 발생 |
가공 철스크랩 |
- 기계공장, 철강재 가공공장, 조선업, 자동차 생산공장 등에서 공업용 또는 소비자용 제품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철스크랩 - 사용된 기기와 제작과정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로 발생 |
자가발생 철스크랩 |
- 제강공장 또는 철강재 제조공정에서 발생하는 철스크랩 - 별도의 가공처리나 유통거래 없이 대부분 전량 회수되어 사용 - 제강·주물공장의 용해량과 최종제품의 양에 스크랩 발생량이 정비례 |
※ 철스크랩의 분류 (출처 : 한국철강자원협회)
③ 파쇄재활용 산업의 현황 및 특징
철스크랩의 주요 수요처는 주물업체나 전기로 제강사입니다. 기존 철강재 생산 및 가공 공정에서 나오는 철제 부스러기를 수집하거나, 폐자동차 등을 원재료로 해서 생산된 철스크랩을 주물·제강업체에 납품하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국내 철스크랩 관련 산업 규모는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국내 철스크랩 수집상은 약 6만여 곳으로 추정되며, 전문 철스크랩 업체는 약 8천여 곳이고 이 중 약 300여 개 업체가 제강사 납품 업체로 지정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철스크랩을 생산하는 설비 중에 폐자동차와 같은 덩어리 형태인 철을 파쇄하여 작은 형태의 철스크랩을 생산하는 기계 설비로 슈레더가 있습니다. 슈레더 등의 설비를 활용해 철스크랩을 생산·유통하는 산업을 파쇄재활용 산업으로 분류합니다. 파쇄재활용 업체는 낙후된 설비를 운용하면서 연간 처리규모가 10만톤 이하인 업체가 대부분이며, 인선모터스의 경우 연간 240,000톤으로 가장 큰 처리규모의 설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생산된 철스크랩의 판가는 고철시세 등 시장 상황에 따라 다소 유동적으로 변하고 있습니다. 철스크랩의 시세는 2018년 이후 국내 산업가동률 저하 등으로 하락세가 2020년까지 이어졌으나, 2021년 이후 전 세계적인 탄소저감정책과 철스크랩 수급이 회복되면서 시세가 회복되었고, 이후 현재까지 가격 상승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단위 : 원/kg]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1월 |
7월 |
1월 |
7월 |
1월 | 7월 | 1월 | 7월 | 1월 | 4월 | 7월 | 10월 | 1월 | 2월 | 3월 | |
생 철 |
285 |
260 |
360 |
350 |
345 |
330 |
280 |
275 |
420 |
400 |
420 | 600 | 620 | 650 | 680 |
※ 2017년-2022년 철스크랩 시세 현황 / 출처 : 스크랩워치(매월 1주차 경인권 시세)
철스크랩의 판매 단가는 품질, 활용분야 등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업체 간 설비 경쟁력, 불순물 함유를 저감하는 생산 ·공정관리 등이 중요한 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5) 소각사업
① 개요
폐기물 중간처리(소각) 사업은 일반 및 지정폐기물 중 재활용이 되지 않는 특정폐기물을 허가받은 소각시설에 소각하는 사업입니다. 폐기물 소각 시설은 일반폐기물 소각시설과 지정폐기물 소각시설로 구분되며, 매립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효과적이고 지속적인 폐기물 처리방법입니다.
환경부 자료에 따르면 2020년 기준으로 소각시설은 총 443개이며, 운영주체별로 살펴보면 지방자치단체 185개, 자가처리업체 128개, 중간처분업체 130개로 집계됩니다.
구 분 |
개 수 |
비 고 |
공공처리시설 |
185 |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소각시설 |
자가처리시설 |
128 |
폐기물 발생사업장에서 직접 운영하는 소각시설 |
중간처분업체 |
130 |
일반기업에서 운영하는 소각시설 |
합 계 |
443 |
|
※ 2020년 기준 전국 소각시설(일반+지정) 운영현황
(출처 : 2020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환경부))
② 운영현황
소각장의 경우 지역 민원, 환경 훼손 등의 문제로 허가 절차가 까다롭습니다. 따라서 전국적으로 폐기물 소각 시설은 제한적으로 허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2020년 기준 소각시설의 시설용량은 39,638톤/일, 소각량은 9,123,068톤/년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구 분 |
개 수 |
시설용량(톤/일) |
'20년 소각량(톤/년) |
업체평균(년) |
공공처리시설 |
185 |
19,531 | 5,081,258 | 27,466 |
자가처리시설 |
128 |
7,388 | 669,345 | 5,229 |
중간처분업체 |
130 |
12,719 | 3,372,465 | 25,942 |
합 계 |
443 |
39,638 | 9,123,068 | 20,594 |
※ 2020년 소각시설 시설용량 및 소각량
(출처 : 2020년도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 (환경부))
각종 환경규제와 시장의 요구에 따라 소각장 운영의 기술적 환경요구사항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구분 | 설립 및 도약기 (1997년~2005년) |
확장기 (2006년~2010년) |
제2의 성장기 (2011년~현재) |
---|---|---|---|
특징 | 건설폐기물산업 자리매김 | 건설폐기물재활용 관련 사업 확장 | 자동차해체재활용, 자동차파쇄재활용 등 신규 사업 진출 |
시장여건 |
- 건설폐기물 관리에 대한 제도, 자원화 정책 미비 |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순환골재 의무사 용 건설공사가 지방자치단체까지 확대 (2007.01) -「건설폐기물의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개정으로 건설폐기물 매출 에 대한 구체적인 기준을 정하고, 건설폐기물 정보관리시 스템의 사 용을 의무화 (2007.01) - 2010년 상반기부터 공공기관에서 1km 이상의 도로공사 발주 시 재 생아스콘 사용 의무화 및 폐아스콘이 건설폐기물과 분리 돼 배출 운 반 보관 (법 제66조 제1항 제12호) |
[건설폐기물] - 2014년 '순환골재 등 의무사용건설공사의 순환골재 ·순환골재 재 활용제품 사용용도 및 의무사용량에 관한 고시’개정에 따라 2016 년부터 공공공사 진행 시 순환골재 및 폐아스콘을 40% 의무 사용 - 수도권매립지 매립폐기물 반입수수료의 지속적인 인상 (2019년 7월 1일 기준 1톤당 99,893원 인상)
- 매립장 가용 공간의 축소로 단가 상승 [자동차해체재활용/자동차파쇄재활용] - 제1차 자동차정책기본계획수립 (2012.06) - 자동차 튜닝시장 활성화 종합대책 발표 (2013.08) - 환경부, 자동차 재사용부품 활성화 시범사업 실시 (2013년) - 자동차 대체부품인증제 시행 (2015.01) - 무등록 딜러 폐차 매집 영업제한 (2016.02) |
생산 및 판매활동의 개요 |
- 1997년 경기도 고양시에 인선기업㈜ 설립 |
- 업계 최초 순환골재 품질인증 획득 - 건설폐기물 중간처리사업장 개설 (세종지점) - 석면 고형화 중간처리 사업 인허가 획득 (광양지점) - 상온재생아스콘 설비 플랜트 준공 (2010년 부터 상온재생아스콘 생산판매 개시) |
[건설폐기물] - 인천지점, 화성지점, ㈜한국석면안전진단, 인선씨엔이㈜ 등 건설 폐 기물사업 부문의 영업양도를 통해 재무건전성 강화 및 신규 추진사 업에 역량 집중 [폐기물 최종처분업] [자동차해체재활용/자동차파쇄재활용] - 자동차해체재활용 및 파쇄재활용사업 진출(인선모터스㈜ 설립) - 환경부, 폐자동차 해체재활용시범사업 참여 (2012년) - 국내 최대 처리규모인 자동차 자원순환센터(일산 본점), 슈레더 (파 쇄재활용시설) 준공(이천지점) |
영업상 주요전략 |
- 각종 공사에서 발생된 건설폐기물 물량확보 주력 - 폐기물 자원화의 필요성을 사회적으로 부각 (사회 각계에 건의, 홍보활동 및 강연활동 강화 등) |
- 신기술, 생산플랜트 등을 활용한 적극적인 수주 활동 전개 - 순환골재 사용 확대를 위해 지방자치단체 발주 건설공사 현장 대상 적극 영업 - 건설폐기물 사업영역 확대를 위한 영업양수도 적극 추진 - 폐석면 합법 및 적정처리에 대한 홍보물 제작 배포 통한 적극적인 영 업활동 전개 - 상온재생아스콘 적법 재활용 메뉴얼 배포 및 홍보 |
[건설폐기물] - 수도권매립지 반입수수료 인상 관련 폐기물 처리단가 인상 추진으로 매출 및 이익 확대 주력 - 고수익 현장 발굴 및 수익 위주 영업활동 전개 [자동차해체재활용/자동차파쇄재활용] - 자동차 해체재활용 관련 해외선진기업 MOU 체결 및 기술제휴 - 자동차애프터마켓 관련 산업의 진출 및 추진 검토 - 자원시세 유동성에 대비, 판로 다변화 및 수익 제고 주력 - 중고자동차, 자동차 중고부품 수입 바이어 확보 및 매출 확대 주력 |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구 분 | 사 업 부 문 |
---|---|
매출, 영업손익, 자산에 대한 공시대상 사업부문 |
- 건설폐기물의 수집운반, 중간처리, 골재판매 - 지정 및 지정외 폐기물의 최종처분 - 폐자동차해체재활용 - 파쇄재활용 및 철스크랩 판매 - 소각 및 스팀판매 |
(2) 시장점유율
① 건설폐기물재활용
건설폐기물재활용 사업부문의 인선이엔티(주)의 시장지위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20년 시장점유율 】 (단위 : 톤)
수집운반량 기준 | 중간처리량 기준 | |||
---|---|---|---|---|
회사명 | 운반량 | 회사명 | 처리량 | |
1 | 인선이엔티(주) | 3,575,384 | 인선이엔티(주) | 3,059,369 |
2 | ㈜대진이앤씨 | 1,903,393 | 우광개발 | 2,371,003 |
3 | ㈜아이케이 | 1,478,142 | ㈜이도 | 1,645,841 |
4 | 문화기업㈜ | 1,074,084 | ㈜장형기업 | 1,335,802 |
5 | 우광개발㈜ | 1,047,389 | 문화기업㈜ | 1,263,296 |
※ 인선이엔티(주)의 수집운반량 및 중간처리량은 2020년 10월 계열편입된 (주)영흥산업환경과 (주)파주비앤알의 연간 운반량 및 처리량을 포함한 수치입니다.
【 2019년 시장점유율 】 (단위 : 톤)
수집운반량 기준 | 중간처리량 기준 | |||
---|---|---|---|---|
회사명 | 운반량 | 회사명 | 처리량 | |
1 | 인선이엔티(주) |
2,563,144 | 인선이엔티(주) | 2,622,984 |
2 | ㈜장형기업 | 1,442,810 | ㈜장형기업 | 1,928,976 |
3 | ㈜아이케이 | 1,442,558 | ㈜아이케이 | 1,828,272 |
4 | 문화기업㈜ | 1,063,180 | 순환골재협회 | 1,578,699 |
5 | 삼흥산업개발㈜ | 995,182 | ㈜한강이앰피 | 1,298,743 |
【 2018년 시장점유율 】 (단위 : 톤)
수집운반량 기준 | 중간처리량 기준 | |||
---|---|---|---|---|
회사명 | 운반량 | 회사명 | 처리량 | |
1 | 인선이엔티(주) | 2,626,561 | 순환골재협회 | 2,609,898 |
2 | (주)아이케이 | 1,784,835 | 인선이엔티(주) | 2,574,563 |
3 | (주)장형기업 | 1,309,713 | 태안환경개발(주) | 2,312,694 |
4 | WIK 중부 | 1,104,483 | (주)아이케이 | 2,132,096 |
5 | 우광개발(주) | 1,077,429 | (주)장형기업 | 2,036,581 |
【 시장점유율 산출근거 】
시장점유율에 대한 공식적인 자료가 없으므로 환경부에서 매년 발표하는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의 통계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습니다.
- 기초자료 :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환경부)
- 산출방법 :「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수록되어 있는 전국 건설폐기물
수집ㆍ운반 업체 및 중간처리업체의 연간 건설폐기물 수집ㆍ운반량 및 중간처리
량 집계자료 기준으로 하였으며, 연결종속회사의 운반량 및 처리량을 포함해서
산출하였습니다.
② 자동차 해체재활용
전국 단위의 해체재활용업체별 폐차 대수는 공표되지 않고 있습니다. 2021년 전국 폐차 대수는 864,417대이며, 이 중 인선모터스가 영업 대상으로 하고 있는 수도권지역(경기, 인천) 의 폐차 대수는 358,516대로서 전국 폐차대수대비 41.5%가 발생하고있습니다.
【 2021년 전국 폐차 현황 및 지역별 점유율 】 (단위 : 대수)
지역 | 폐차대수 | 점유율 | 지역 | 폐차대수 | 점유율 |
경기 | 340,944 | 39.4% | 인천 | 17,572 | 2.0% |
부산 | 26,706 | 3.1% | 대구 | 24,409 | 2.8% |
광주 | 15,881 | 1.8% | 대전 | 14,506 | 1.7% |
울산 | 14,472 | 1.7% | 강원 | 37,874 | 4.4% |
충북 | 27,842 | 3.2% | 충남 | 45,028 | 5.2% |
전북 | 41,770 | 4.8% | 전남 | 51,762 | 6.0% |
경남 | 102,282 | 11.8% | 경북 | 84,466 | 9.8% |
제주 | 14,615 | 1.7% | 세종 | 4,288 | 0.5% |
합 계 | 864,417 |
【 인선모터스 폐차 처리대수 】 (단위 : 대수)
구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인선모터스 | 28,909 | 29,475 | 29,918 | 22,500 | 18,995 | 14,725 | 12,176 |
※ 내부자료 (인선모터스 자동차 자원순환센터는 2014년 9월부터 영업을 본격화함)
인선모터스는 해체 부품, 해체자원을 통해 창출되는 부가가치에 주력하면서 전략차종 중심의 폐자 매집 및 처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 시장점유율 산출근거 】
인선모터스가 소속되어 있는 한국자동차해체재활용업협회가 집계, 발표하는 지역별 폐차 처리 통계자료와 동 협회 경기지부 통계 자료를 토대로 작성하였지만, 각 업체의 실제 해체 대수와 다소 다를 수 있습니다.
③ 자동차 파쇄재활용
자동차 파쇄재활용산업의 경우 시장점유율을 추정할 수 있는 발표 및 통계 자료가 없습니다. 인선모터스의 경우 전국 폐차에서 발생되는 폐압의 총 중량 대비 약 40% 정도를 매입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④ 매립사업
환경부에서 발표하는「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2020년 각 시도별 최종처분업체의 매립현황을 기준으로 2020년 당사 매립량에 대한 시장점유율은 약 5% 전후로 추정됩니다.
[일반폐기물 최종처분업체 매립현황(2020년)]
구분 | 매립장수 | 총매립지 면적(㎡) |
총매립 용량(㎥) |
기매립용량(㎥) (2020년까지 전체 누적) |
잔여매립 가능량(㎥) |
2020년 처리량(톤) |
전국 | 32 개 | 2,617,309 | 55,451,753 | 40,137,615 | 15,314,138 | 3,605,789 |
부산 | 1 개 | 204,581 | 2,939,146 | 1,869,637 | 1,069,509 | 92,759 |
울산 | 3 개 | 337,142 | 6,711,328 | 6,429,093 | 282,235 | 85,723 |
경기 | 1 개 | 17,470 | 243,700 | 196,603 | 47,097 | 3,423 |
충북 | 5 개 | 288,818 | 6,446,988 | 2,942,816 | 3,504,172 | 569,501 |
충남 | 3 개 | 137,133 | 4,008,532 | 3,245,567 | 762,965 | 73,830 |
전북 | 2 개 | 294,787 | 5,029,238 | 2,839,648 | 2,189,590 | 996,632 |
전남 | 5 개 | 433,381 | 6,537,422 | 5,782,712 | 754,710 | 404,326 |
경북 | 9 개 | 670,733 | 18,734,770 | 14,120,581 | 4,614,189 | 1,024,767 |
경남 | 3 개 | 233,264 | 4,800,629 | 2,710,958 | 2,089,671 | 354,828 |
[지정폐기물 최종처분업체 매립현황(2020년)]
관리청 | 매립장 수 | 매립면적 | 매립용량 | 기사용량 | 잔여용량 | '20년 매립량 | |
(㎥) | (㎥) | (㎥) | (㎥) | (㎥) | (톤) | ||
전국 | 21 개 | 1,652,927 | 35,461,556 | 28,306,387 | 7,155,169 | 1,271,798 | 1,053,305 |
한강청 | 1 개 | 17,470 | 243,700 | 196,603 | 47,097 | 14,296 | 18,930 |
낙동강청 | 4 개 | 521,906 | 9,435,765 | 8,937,520 | 498,245 | 235,381 | 241,863 |
금강청 | 2 개 | 61,392 | 1,503,486 | 850,149 | 653,337 | 39,875 | 23,258.6 |
영산강청 | 4 개 | 297,160 | 5,206,556 | 3,134,519 | 2,072,037 | 172,955 | 128,474 |
원주청 | 2 개 | 54,893 | 1,467,700 | 850,149 | 617,551 | 78,676 | 185,592 |
대구청 | 7 개 | 531,470 | 14,864,200 | 11,809,291 | 3,054,909 | 669,932 | 394,503 |
전북청 | 1 개 | 168,636 | 2,740,149 | 2,528,156 | 211,993 | 60,682 | 60,682 |
【 시장점유율 산출근거 】
환경부에서 발표하는「전국 폐기물 발생 및 처리현황」에 각 업체별 2020년 매립량을 기준으로 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① 산업의 특성
폐기물처리 사업은 사회의 고도화 및 성장, 환경보전 및 보호에 대한 관심 증가, 자원의 고갈 및 재활용의 장려, ESG 경영이념의 대두 등으로 높은 성장 잠재력을 보유한 산업입니다. 또한 발생량 측면에서도 2020년 기준 연간 폐기물 발생량은 19,546만톤으로 2019년 대비 7.7% 증가한 상황입니다. 최근 수 년간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고있는 등 수요가 안정적인 산업으로 분류됩니다.
이처럼 폐기물 발생량은 꾸준한데 반해 환경 규제, 사업장별 허용 보관량 제한 등으로 인해 처리량을 확대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폐기물을 보관할 수 있는 일정 면적과 파분쇄 및 선별 처리 시설, 운반차량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초기 구축에 많은 투자가 필요하고, 환경 문제로 인한 이해관계 대립 등으로 신규 진입 시 인허가의 어려움이 있어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으로 분류됩니다. 따라서 기존 진입한 업체 중 규모가 큰 대형업체 일부가 산업을 선도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서는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관련 법규 역시 강화되면서 영세 사업장 운영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점차 엄격해진 환경 규제를 만족할수 있는 기술력과 자본력을 갖춘 업체와 그렇지 않은 중소업체의 격차가 더욱 벌어질전망입니다.
② 경기 변동의 특성
폐기물처리 사업은 주택건설, 공장의 가동, SOC 산업 등 국내 경기 변화와 비교적 연동해서 폐기물이 발생되고 처리되는 특성을 보입니다. 또한 연말이나 연초 등은 건설공사의 저조로 폐기물 발생량이 줄어들어 비수기를 형성하는 등 계절적 요인이 수요변동 요인의 하나로 작용될 수 있습니다.
다만, 영세업체가 다수 분포되어 있고 지역적 영업권역을 가지는 특성으로 인해 상위업체의 시장점유율이 2~5% 수준입니다. 따라서 경기가 위축되고 폐기물 발생량이 다소 감소한다 하더라도 상위 업체의 폐기물 처리에 미치는 영향은 비교적 적습니다.
③ 수요자 구성
건설폐기물 처리업은 건물의 신축 및 해체공사, 교량공사, 도로포장 및 개ㆍ보수공사등에서 발생하는 폐콘크리트 등의 건설폐기물을 처리하는 사업이므로 건설공사를 발주하는 서울, 경기지역의 시ㆍ군ㆍ구청등의 지방자치단체와 민간 건설회사등이 주요수요처라 할 수 있습니다.
매립의 경우 매립폐기물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수요처가 분포되어 있습니다. 소각 후잔재물의 경우 소각처리업체를 통해 유입이 되며, 폐석면은 교육기관 통해 유입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외 일반 사업장, 지자체 등을 통해 매립대상 폐기물이 유입되고 있습니다.
(4)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은봉오 |
1978.08.15 |
사내이사 |
- |
최대주주사의 모회사 직원 |
이사회 |
손기용 |
1964.08.14 |
사내이사 |
-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2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 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은봉오 |
아이에스지주(주) 투자전략부문 |
~ 현재 |
- 아이에스지주(주) 투자전략부문 |
해당사항 없음 |
손기용 | 인선이엔티(주) 경영지원본부장 |
`87.12 ~ `20.03 `01.07 ~ `09.01 `09.06 ~ `16.03 `16.04 ~ `17.06 `17.07 ~ `18.06 `18.06 ~ 현재 |
- CJ제일제당(주) 기획전략팀장/부장 - 유진기업(주) 경영지원본부장/상무 - (주)세라젬 경영지원본부장/상무 - 성창기업지주(주) 기획지원본부장/상무 - (주)에프알텍 경영총괄/전무 - 인선이엔티(주) 경영지원본부장/전무 |
27백만원 |
- 손기용 이사 후보의 거래내역은 스톡그랜트 지급에 따른 제세공과금 대납으로 인 한 건입니다. 동 건은 약정서에 따라 원금 상환 의무가 있으며, 잔여 원금에 대해 매월 이자가 공제되고 있습니다.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은봉오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손기용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은봉오 이사 후보 추천 사유 현재 아이에스지주(주) 투자전략실에서 근무하며 환경사업 전반에 대한 이해가 높고, 최대주주사의 직원으로 지난 3년간 당사 이사회에 적극 참여하면서 책임경영 실현에 힘써 왔으므로 사내이사 후보로 재추천합니다. □ 손기용 이사 후보 추천 사유 현재 인선이엔티(주)의 경영지원본부장으로 기업경영 전반 및 당사의 제반 사업 현안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내이사 후보로 신규 추천합니다. |
확인서
![]() |
확인서_은봉오 |
![]() |
확인서_손기용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임시주주총회이므로 해당사항 없음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임시주주총회이므로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관련 주주총회 운영 안내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당사는 정부의 방역관리 지침을 준수하여 주주총회장을 운영할 예정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