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03월 16일 | ||
회 사 명 : | (주)라이온켐텍 | |
대 표 이 사 : | 박희원, 박서영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덕대로 1277번길 36 | |
(전 화) 042 - 930 - 3300 | ||
(홈페이지)http://www.lctkorea.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무 | (성 명) 박 상 원 |
(전 화) 042 - 930 - 33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40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 및 정관 제22조에 의거 제40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다 음
1. 일시 : 2022년 03월 31일 (목) 09:00시
2. 장소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9로 35, 대전테크노파크 IT전용 벤처타운
5층 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40기 (2021.1.1~2021.12.31)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별첨 1)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별첨 2)
4. 배당내역: 1주당 예정배당금 최대주주 150원, 기타주주 200원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2년 03월 21일 09시 ~ 2022년 03월 30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인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 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7.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8. 기타사항
가.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확산을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 개최 시 총회장 입구에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부득이 출입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나.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확산 등으로 주주총회 예정장소 폐쇄 조치 등 비상 상황발생으로 주주총회 개최일시 및 장소 동의 변경시 전자공시 및 홈페이지 공고 등을 통해 재안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관련, 유사시 급박한 총회장소의 변경에 대한 결정을 대표이사에게 위임합니다.)
2022년 3월 16일
대전광역시 대덕구 대덕대로 1277번길 36 (☏042-930-3300)
주 식 회 사 라 이 온 켐 텍
대표이사 박 희 원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이정민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2021-01 |
2021-02-09 |
내부회계관리제도 실시 결과보고 |
찬성 |
2021-02 |
2021-02-16 |
제39기 재무제표 확정의 건 |
찬성 |
2021-03 |
2021-02-26 |
감사보고, 영업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재무제표 승인, 감사 선임의 건, 이사/감사 보수한도 승인 |
찬성 |
2021-04 | 2021-03-16 | 제39기 재무제표 재확정의 건 | 찬성 |
2021-05 | 2021-04-16 | 기업운전자금대출(50억원) | 찬성 |
2021-06 | 2021-09-08 | 기업운전자금대출(30억원) 및 지급보증(3억원) | 찬성 |
2021-07 |
2021-11-15 |
기업운전자금대출(30억원) |
찬성 |
2021-08 |
2021-12-15 |
주주명부폐쇄기간 또는 기준일 설정 |
찬성 |
2021-09 |
2021-12-21 |
현금배당 (소액주주 200원, 최대주주 150원)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등 | 4 | 2,500,000,000 | 1,379,170,720 | 344,792,680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1) 인조대리석
인조대리석은 일명 아크릴수지로 분류되는 Methyl methacrylate (메타크릴산메틸, 이하 "MMA"), Poly methylmethacrylate (폴리메틸메타크리에이트, 이하 "PMMA")와 보크사이트를 정제해서 나오는 Aluminum tri Hydroxide(알루미나삼수화물, 이하 "ATH")와 기타 첨가제를 섞고 경화를 하여 제조되는 건축내외장재 입니다. 인조대리석은 천연대리석에 비하여 강도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나 색깔과 모양, 디자인 면에서 다양한 패턴이 가능하며 항균 처리를 통한 세균 번식 억제 효과, 뛰어난 가공 성형성 등 다양한 장점으로 인하여 사용처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인조대리석은 제품의 물성 및 구성 성분에 따라 크게 ① 아크릴계(solid Surface), ②E-Stone(Engineered Stone), ③ 열경화성계(UPE, Unsaturated Polyster)로 구분되며 당사의 제품은 아크릴계 및 E-Stone에 속하는 인조대리석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인조대리석 종류별 특성] |
(단위: 백만㎡,%) |
구분 | 아크릴계 (Solid Surface) |
E-Stone (Engineered Stone) |
열경화성계 (Gel-Coated Composites) |
---|---|---|---|
특징 | 아크릴을 소재로 무공질로만들어져 방수성이 뛰어나며 열가공성이 우수하여 곡면 가공, 접합, 절단이 용이함. | 아크릴계 및 열경화성계 인조대리석에 비하여 박테리아와 곰팡이 등에 대한 위생성이 우수하며 인조대리석 중 가장 고가의 제품군에 속함 | 내열성, 내후성, 향균성, 보습력 등 제품의 전반적인 물성이 기타 제품군에 비하여 떨어지나 저렴한 가격이 장점인 제품 |
적용분야 | E-Stone에 비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나 열가소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공이 가능하며 무게가 가벼워 건물 내외벽, 주방상판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함 | 주원재료가 석영(99%)으로 표면강도, 긁힘에 대한 강한 특성상 건물 바닥재로 사용이 가능함 | 아크릴계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으나 제품 안전성, 유지보수성, 내열성, 가공성이 떨어져 점차 수요처가 감소하고 있음 |
주요 재료 | MMA, PMMA, ATH | 석영(Quartz) | 폴리에스터(Polyeser) |
출처) 당사 내부 자료 |
2) 합성왁스
왁스의 어원은 앨글로색슨어인 WEAX로 꿀벌에서 채취한 천연물질인 밀납을 의미하며 고대 이집트 문명의 미이라 보전이나 조각재로 사용되기 시작한 후 현재까지 일상생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기초 화학 제품입니다.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흔히 말하는 왁스란 양초, 화장품, 광택제를 의미하나 당사가 생산하는 제품은 Polyethylene(폴리에틸렌, 이하 "PE"), Polypropropylene(폴리프로필렌, 이하 "PP")의 열분해를 통해 생산되는 산업용 Syntheic Wax(이하 "합성왁스")를 의미합니다.
왁스는 원재료에 따라 크게 ①식물, 동물의 분비물로 만드는 천연왁스(Natural Wax) ②원유(Crude Oil)의 정제 과정에서 얻어지는 석유계왁스(Petroleum Wax) ③ PE, PP의 중합법 혹은 열분해로 생성되는 합성 왁스(Syntheic Wax)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합성 왁스의 주 사용처는 플라스틱 가공 시 플라스틱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개량하기 위한 첨가제이나 화학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왁스가 개발되면서 사용처가 점차 확대되어가고 있습니다.
[왁스의 종류] |
구분 | 종류 | 특성 |
---|---|---|
천연왁스 (Natural Wax) |
①카나우바왁스 (Carnauba 왁스) ②칸델리라왁스 (Candelilla 왁스) ③라이스왁스 (Rice 왁스) |
벌집으로부터 얻어지는 밀납왁스(Bees 왁스), 양모로부터 얻어지는 Wool 왁스와 같은 동물성 왁스와 식물의 줄기 및 곡물에서 추출되는 칸델리라왁스, 라이스왁스와 같은 식물성 왁스가 있음. 천연 원료로 생산되는 특성상 수급이 불안정하며 가격이 타 제품군에 비하여 고가로 사용처가 화장품 및 의료용에 제한되어 있음. |
석유계왁스 (Petroleum Wax) |
①파라핀왁스 (Parafin 왁스) ②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Microcrystline Wax) |
원유(Crude Oil)의 정제 과정에서 생기는 부산물로 천연 왁스와 유사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천연왁스의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하여 개발 되었으나 최근 가격 및 품질 경쟁력을 가진 합성 왁스의 개발로 사용처가 점차 축소되고 있음. |
합성 왁스 (Syntheic Wax) |
①PE왁스 (Polyethylene, PE) ②PP왁스 (Polypropropylene, PP) |
PE, PP를 중합(압력) 혹은 열분해를 통해 생산되는 제품으로 기타 제품군에 비하여 다양한 화학적 성질을 가진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열분해법으로 생산된 제품의 경우 가격 경쟁력까지 갖추어 사용처가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제품군 |
출처) 당사 내부 자료 |
(2) 산업의 성장성
1) 인조대리석
인조대리석은 고급화되는 소비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최적의 건축 내외장재이며 향후 적용 범위 확대, 신규 제품 개발, 전방 산업의 활황 등으로 인해 인조대리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① 인조대리석 소요량 증가
인조대리석이 국내에 처음 보급되었을 때에는 주방 상판으로 사용처가 한정되어 있었으나 타 건축 자재 대비 우수한 물성과 질감을 지니고 있어 건축 내외장재, 욕실, 사무용가구, 고급인테리어 내장재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고가의 천연대리석 보다 우수한 위생성, 가공성, 내오염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공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가능해 짐에 따라 그 효용이 더욱 높아지고 있는 소재입니다.
![]() |
global acrylic solid surface market revenue |
출처) Market.US "Global Acrylic Solid Surface Market | Trends, Growth, and Forecast (2019-2028)" |
② 주택시장화의 활성화
국내 건축시장의 구조적 변화와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에서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020년 8.4 대책을 통해 서울 및 수도권 구도심 내에 공급이 필요하다는 시장의 요구를 반영하기 시작했고, 2021년 2.4 대책을 통해 대도시권에 83.6만호 공급을 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서울/수도권 127만호 공급대책과 대도시권 83.6만호 공급계획을 합치면 약 200만호 가량의 공급 계획을 가지고 있는 셈입니다.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될 경우 2023년 이후에는 연간 56만호 규모의 주택을 공급이 가능할 것으로 예정되고 있습니다. 3기 신도시를 포함한 공공택지를 통한 신규 주택 공급 비중이 가장 높고(110.8만호, 52.6%), '공공 직접 시행 정비사업'을 통한 주택 공급이 두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63.2만호, 30%)
정부의 정책에서 짐작할 수 있듯이 부동산 시장 안정화를 위해 공급량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 |
[국내 공종별 건설수주 추이] |
출처) 하나금융투자 리서치 보고서: 건설(Overweight): 아파트가 필요해 |
또한, 하나금융투자 "건설(Overveight):아파트가 필요해" 에 따르면, 입주량 및 분양 물량이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으며, 향후 2030년 노후주택이 910만호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주택 노후화 규모는 지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전국 연도별 아파트 분양 세대수 추이 및 전망] |
![]() |
[재개발_재건축 비중 추이] |
출처) 하나금융투자 리서치 보고서: "건설/부동산 WEEKLY: 컨택트의 한 주"(2020.07.17) |
③ 진입 장벽
국내 인조대리석은 초기 높은 투자비용, 생산 기술력, 과점된 시장 환경 등으로 인하여 높은 진입장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국내 인조대리석 시장의 경우과거 5개년간 신규 경쟁자의 진입이 없었으며 인조대리석 제조업체들은 저가 제품과의 가격 경쟁을 지양하고 신규 제품 개발을 통해 신규 사용처를 꾸준하게 확대하고 있는 바 인조대리석 시장은 향후 성장을 위한 안정적 환경이 조성되어 있습니다.
2) 합성왁스
산업용 왁스는 천연왁스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기초화학물질로서 산업용 왁스 제조업체들은 틈새시장 공략, 제품 차별화, 신제품 개발,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을 통해 시장 규모를 점차 확대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① 합성왁스 수요 증가
산업용왁스 산업의 전반적인 성장세는 둔화되었으나 석유계왁스, 합성 왁스, 천연왁스 수요량 전망은 제품군 별 큰 차이가 있습니다.
2018년 세계왁스 시장규모는 100억 3천만 달러로 약 4,900킬로톤을 형성하고 있으며, 2019년에서 2025년까지 연평균 3.3~3.7% 성정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개인 관리 및 화장품, 잉크 및 코팅 및 접착제 부분의 급속한 성장은 향후 몇 년 동안 제품 수요를 이끌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은 인구 증가와 제약, 자동차 및 가정용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 합성 유도체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국방, 항공 우주 및 자동차 부분의 플라스틱 및 고무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향후 몇 면 동안 산업 성장이 유지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플라스틱 산업에서 성능 첨가제로서 왁스에 대한 높은 수요는 성장을 촉진할 것이며, 엔지니어링 수지를 위한 이형제 및 윤할제로서의 기능은 그 수요를 더욱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② 주력 전방 산업 성장 - 플라스틱 산업 전망
합성왁스의 사용처는 플라스틱 가공산업, 섬유산업, 고무산업, 페인트, 접착제 등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으나 당사 제품의 주 사용처는 플라스틱 가공시 제품의 취약성을 보완하고 특성을 살리기 위한 첨가제로 플라스틱 시장 전망은 합성왁스 사업분야의 성장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플라스틱 제조업은 최근 플라스틱 첨가제의 발달로 인해 플라스틱 재료의 저내열성 등 물성의 취약점이 개선되고 최근 생분해 플라스틱의 개발로 인하여 향후 꾸준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바이오플라스틱은 토양 중의 세균에 의해 분해되고 생체에 쉽게 융합하는 특징으로 소재에 함유된 바이오매스 비율에 따라 생분해 플라스틱과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으로 구분됩니다. 생분해 플라스틱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50~70% 이상인 것을, 바이오 베이스 플라스틱은 바이오매스 함량이 5~25%인 것을 말합니다. 유럽 바이오 플라스틱 협회의 조사에 따르며 2016년 글로벌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2016년에 5배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하기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2017년 기준 전 세계 바이오 플라스틱 생산규모는 200만 톤에 이르고 있습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시장은 연간 평균 20%의 높은 시장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
출처) 한국바이오소재패키징협회, 국내외 시장동향 |
③ 적용 분야의 확대
합성왁스는 합성수지로부터 생산되어 플라스틱 가공시 첨가되는 성능향상제로 사용되었으나 생산기술의 발달로 적용분야가 섬유산업, 고무산업, 페인트, 접착제, 세제, 화장품, 의약품, 비료, 농약 등 광범위하게 확대되어 향후 꾸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1973년 새한화학공업사로 설립 이후 연구개발을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1982년 폴리에틸렌 왁스를 세계 4번째, 1983년에는 폴리프로필렌 왁스를 세계 2번째로 개발에 성공하면서 플라스틱과 고무 산업에 기능성 첨가제인 합성왁스 사업을 시작하였다. 또한 2002년에 인조대리석 트라이스톤을 생산하면서 사업의 다각화에 성공하였습니다.
지난해에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확산으로 경기가 침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매출은 다소 상승을 하였으며. 지속적인 품질 개발을 통해 합성왁스는 국내 점유율 1위를 유지를 하고 있으며, 인조대리석은 고급화되는 소비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최적의 건축내외장로 점차적으로 적용 범위 확대, 신규제품 개발로 인조대리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패턴의 물결무늬 제품을 개발, 다양한 물성의 무독성 친환경 산업용 접착제 소재왁스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확산에도 불구 하고 수출이 증가를 하였습니다. 불안한 세계시장에서도 63.4%의 수출비중과 국내매출은 전년대비 비슷한 수준을 유지하면서 전년대비 매출은 증가를 하였습니다. 그러나 원자재의 가격상승과 해상운임의 상승으로 전년대비 영업이익이 감소를 하였습니다.
2021년 사업년도 별도 회계기준 매출액은 전년대비 13.5% 증가한 1,504억원을 달성하였고, 영업이익은 전년대비 40.5% 감소한 94억원, 당기순이익은 전년대비 10.6% 증가한 85억원을 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1) 인조대리석
국내에서 인조대리석을 제조하는 중견기업은 당사가 유일하고 대부분 대규모 기업인 듀폰, LG하우시스, 현대 L&C, 롯데첨단소재와 경쟁을 하고 있어 공신력 있는 기관에서 발표된 시장점유율에 대한 자료를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자체적으로 파악한 국내 시장에서는 LG하우시스과 롯데첨단소재 다음으로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을 잠정 파악하고 있습니다.
2) 합성왁스
당사는 수입에 의존한 제품을 1984년 국내 최초로 열분해에 의한 합성왁스를 개발한 후 현재까지 국내 시장을 선도하는 업체입니다.
당사가 제조하는 제품에 대한 공신력 있는 기관의 정확한 시장점유율이 나와 있지는 않지만, 당사가 1984년 국내 최초로 열분해에 의한 합성왁스를 개발하여 보급하였기 때문에, 보급 초기 높은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경쟁사의 등장으로 인하여 점유율이 낮아지긴 했지만, 아직도 업계 1위의 시장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잠정 파악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1) 인조대리석
인조대리석은 고급화되는 소비자의 눈높이를 맞출 수 있는 최적의 건축 내외장재이며 향후 적용 범위 확대, 신규 제품 개발, 전방 산업의 활황 등으로 인해 인조대리석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건축 시장의 전반적인 침체에도 불구하고 인테리어 산업이 꾸준한 성장을 거듭할 수 있었던 주요 요인은 국내 건축시장의 구조적 변화 및 주택시장 정상화를 위한 정부의 정책으로 요약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인조대리석 적용 분야가 주방 상판으로 사용처가 한정되어 있었으나 타 건축 자재 대비 우수한 물성과 질감을 지니고 있어 건축 내외장재, 욕실, 사무용가구, 고급인테리어 내장재 등 다양한 분야로 사용처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품질은 고가의 천연대리석 보다 우수한 위생성, 가공성, 내요염성을 가지고 있으며 시공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이 가능해지면서 여러 산업분야 및 고급인테리어로 점차적으로 적용분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2) 합성왁스
산업용 왁스는 천연왁스를 대체하기 위해 개발된 기초화학물질로서 산업용 왁스 제조업체들은 틈새시장 공략, 제품 차별화, 신제품 개발, 가격 경쟁력 확보 등을 통해 시장 규모를 점차 확대해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최근 플라스틱 첨가제의 발달로 인해 플라스틱 재료의 저내열성 등 물성의 취약점이 개선되고 최근 생분해 플라스틱 개발로 인하여 향후 꾸준한 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또한 합성왁스는 합성수지로부터 생산되어 플라스틱 가공시 첨가되는 성능향상제로 사용되었으나 생산기술의 발달로 적용분야가 섬유산업, 고무산업, 페인트, 접착제, 세제, 화장품, 의약품, 비료, 농약 등 광범위하게 확대되어 향후 꾼준한 수요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인조대리석
당사는 향후 ① 외장재 인조대리석 제품을 갖춤으로 유럽시장 매출액 확대 ② 광폭 인조대리석 판매량 증가 ③ 다양한 패턴의 물결무늬 인조대리석 개발 ④ 엔지니어드 스톤 생산설비 구축으로 인해 꾸준한 증가세를 시현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① 외장재 인조대리석 제품
외장재 인조대리석 제품은 자외선 노출에 강한 제품으로 건물 외벽용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꾸준한 연구 개발을 통해 건축 외장재로 사용 가능한 인조대리석 개발 및 판매에 성공하였으며 2013년에 당사의 주력 거래처인 P사의 본사 건물에 당사 인조대리석을 이용하여 내외장 공사를 마무리 하였습니다. 2014년에 건물 외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품질 심사기준을 갖추게 되었고 유럽 지역을 중심으로 동사 인조대리석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② 광폭 인조대리석 생산
광폭제품의 적용분야는 주로 건축 내외벽 및 주방용 가구로 가로의 규격이 910mm~1,350mm입니다. 당사가 생산하는 인조대리석의 표준 가로 규격은 760mm로 광폭 제품이 필요한 최종 수요처에서는 최종 제품을 여러장을 이어 붙여 사용을 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광폭제품을 사용할 경우 일반 규격의 제품시 요구되는 추가 가공 과정이 생략되기 때문에 인건비, 작업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며 이음매가 없이 외관상 깔끔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③ 물결무늬 제품 개발
현재 물결무늬는 기존 양산되는 무늬보다 좀더 자연석에 가까운 효과를 낼 수 있으나고도의 생산 기술이 요구되는 제품입니다. 2015년 1분기에 물결무늬 제품의 양산화에 성공하여 다양한 패턴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 제품 판매로 인한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됩니다.
④ 엔지니어드 스톤(E-stone) 생산설비 구축
현재 엔지니어드 스톤은 아크릴계 인조대리석보다 표면강도, 긁힘에 대한 강한 특성상 건물 바닥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천연석에 가까운 화려한 패턴으로 고급주택 및 고급인테리어에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주로 북미주 및 유럽 지역에서 수요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설비투자는 2016년 07월에 까지 진행되어 생산라인 1개를 구축완료 하였고, 연간 CAPA는 6만장 입니다.
2) 합성왁스
당사는 ① 다분산성의 입도를 지닌 왁스개발로 도료 및 잉크시장 매출액 확대, ② 낮은 분자량분포도를 지닌 왁스개발, ③FDA승인으로 새로운 시장 진출 및 시장 확대 등으로 꾸준한 증가세를 바탕으로, ④ 기능성 왁스, ⑤ 저점도 폴리올레핀공중합체 제품으로 신규 사업영역에 대한 도전도 지속 하고 있다.
① 다분산성의 입도를 지닌 왁스 개발
그동안 왁스는 플라스틱 첨가제 위주로 사용되었으며, 다분산성 왁스에 비해 입도가 커서 페인트, 잉크첨가제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제품으로 인식되어 왔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꾸준한 연구개발을 통해 페인트, 잉크첨가제로 사용가능한 다분산성 왁스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개발이 마무리되면 향후 페인트, 잉크시장을 중심으로 당사 왁스의 수요가 큰 폭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② 낮은 분자량 분포도를 지닌 왁스개발
저분자량분포도를 지닌 왁스는 열분해 왁스업체에서는 저분자량 분포도를 지닌 왁스가 없어본 개발로 인해 당사는 전선컴파운드, 핫멜트첨가제, 아스팔트첨가제 등 다양한 산업에 사용될 수 있는 왁스를 개발하여 판매가 가능할 것 으로 예상됩니다. 현재 당사는 저분자량분포도를 지닌 왁스를 개발 중에 있으며 개발 성공 시 전선컴파운드, 핫멜트첨가제 및 아스팔트첨가제등의 새로운 시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③ FDA 승인
FDA 승인으로 핫멜트 첨가제 등 산업에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시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④ 기능성 폴리에틸렌 왁스 개발
저점도 PE 왁스에 기능기를 부여하여 고부가가치 기능성 폴리에틸렌 왁스 개발을 진행하여 나일론, PVC, 우레탄 소재와 같은 압/사출 가공 관련 플라스틱 기능성 첨가제 분야와 광택제, 페인트 첨가제 등의 코팅용 소재 및 친환경 코팅 소재 관련 에멀젼 응용분야 등의 부가가치 창출효과가 큰 원재료 및 중간 생성물 분야뿐만 아니라 최종 완제품 영역까지 포함하는 시장을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 됩니다.
⑤ 저점도 폴리올레핀공중합체 개발
라이온켐텍 원천기술을 활용하여, 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정효율, 생산성(현재 시장에서 소량의 제품 구현으로 인한 소비자 대응이 한계적인 문제를 개선, 다품종 제품 구현 가능), 경제성이 우수하고(재활용성이 우수함), 열분해에 의한 분자량분포도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열분해 메카니즘 제어를 통해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물성을 다변화하여 필요에 따라 용도를 확대를 하여, 다양한 산업에 활용가치가 큰 제품 영역으로 발전 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 합니다.
(5)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의 나. 회사의 현황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해당 사업연도의 당사 개별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개별재무제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co.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해 법인의 제 40기 주주총회 승인 절차를 거쳐 확정된 재무제표가 아니므로 동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40 기 2021. 12. 31 현재 |
제 39 기 2020. 12. 31 현재 |
(단위 : 원) |
과 목 | 제 40 기 | 제 39 기 |
---|---|---|
자산 | ||
유동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22,836,677,244 | 27,591,697,372 |
기타유동금융자산 | - | 249,758,74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26,168,265,291 | 19,924,140,090 |
기타유동자산 | 2,037,026,522 | 768,111,530 |
재고자산 | 18,674,122,168 | 15,407,235,278 |
유동자산합계 | 69,716,091,225 | 63,940,943,010 |
비유동자산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4,786,779,832 | 4,782,776,344 |
공동기업투자 | - | - |
투자부동산 | 6,245,314,114 | 6,245,314,114 |
유형자산 | 51,153,806,698 | 53,861,640,361 |
무형자산 | 187,634,419 | 251,927,002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4,820,448,316 | 4,516,708,951 |
이연법인세자산 | 3,900,197,925 | 3,920,814,876 |
비유동자산합계 | 71,094,181,304 | 73,579,181,648 |
자 산 총 계 | 140,810,272,529 | 137,520,124,658 |
부 채 | ||
유동부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7,975,013,785 | 4,939,559,683 |
단기차입금 | 11,786,046,428 | 14,161,866,953 |
기타유동부채 | 961,112,694 | 1,262,242,918 |
기타금융부채 | 1,915,290,905 | 1,560,373,121 |
당기법인세부채 | 860,802,998 | 1,941,603,663 |
유동부채합계 | 23,498,266,810 | 23,865,646,338 |
비유동부채 | ||
확정급여부채 | 930,314,382 | 1,569,902,657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488,499,908 | 717,945,552 |
비유동부채합계 | 1,418,814,290 | 2,287,848,209 |
부 채 총 계 | 24,917,081,100 | 26,153,494,547 |
자 본 | ||
자본금 | 9,446,788,000 | 9,446,788,000 |
자본잉여금 | 20,575,570,263 | 19,572,150,263 |
기타자본항목 | (10,895,415,370) | (9,891,995,370) |
이익잉여금 | 96,766,248,536 | 92,239,687,218 |
자 본 총 계 | 115,893,191,429 | 111,366,630,111 |
부채와자본총계 | 140,810,272,529 | 137,520,124,658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40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제 39 기 (2020. 01. 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0 기 | 제 39 기 |
---|---|---|
I.매출액 | 150,416,279,224 | 132,570,839,358 |
II.매출원가 | (123,648,743,300) | (103,597,299,026) |
III.매출총이익 | 26,767,535,924 | 28,973,540,332 |
IV.판매비와관리비 | (17,336,777,169) | (13,113,241,145) |
V.영업이익 | 9,430,758,755 | 15,860,299,187 |
VI.영업외손익 | ||
1.금융수익 | 3,378,718,895 | 4,560,201,059 |
2.금융원가 | (980,060,149) | (4,608,241,020) |
3.기타영업외수익 | 463,211,869 | 735,656,534 |
4.기타영업외비용 | (1,532,044,984) | (7,183,204,056) |
5. 공동기업투자 관련 손익 | - | 20,492,253 |
영업외손익 합계 | 1,329,825,631 | (6,475,095,230) |
VII.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0,760,584,386 | 9,385,203,957 |
VIII.법인세비용 | (2,240,830,322) | (1,681,628,164) |
IX.당기순이익 | 8,519,754,064 | 7,703,575,793 |
X.기타포괄손익 | (403,016,746) | 69,455,943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403,016,746) | 69,455,943 |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516,688,136) | 89,046,081 |
- 법인세효과 | 113,671,390 | (19,590,138) |
XI.총포괄이익 | 8,116,737,318 | 7,773,031,736 |
기본주당이익 | 475 | 424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40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제 39 기 (2020. 01. 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0 기 | 제 39기 |
---|---|---|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 94,048,782,896 | 89,881,239,178 |
1.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85,932,045,578 | 82,108,207,442 |
2.당기순이익 | 8,519,754,064 | 7,703,575,793 |
3.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403,016,746) | 69,455,943 |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3,437,278,570 | 3,949,193,600 |
1.이익준비금 | 312,479,870 | 359,017,600 |
2.배당금 | 3,124,798,700 | 3,590,176,000 |
1) 현금배당 | 3,124,798,700 | 3,590,176,000 |
2) 주식배당 | - | - |
III.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 90,611,504,326 | 85,932,045,578 |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40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제 39 기 (2020. 01. 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 잉여금 |
자 본 조 정 |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
이 익 잉여금 |
총 계 |
---|---|---|---|---|---|---|
2020.01.01(당기초) | 9,179,269,000 | 19,572,150,263 | (7,126,872,448) | - | 87,409,366,732 | 109,033,913,547 |
당기순이익 | - | - | - | - | 7,703,575,793 | 7,703,575,793 |
기타포괄손익 | - | - | - | - | 69,455,943 | 69,455,943 |
자기주식 거래로 인한 증감 | - | - | (2,765,122,922) | - | - | (2,765,122,922) |
주식배당 | 267,519,000 | - | - | - | (267,519,000) | - |
현금배당 | - | - | - | - | (2,675,192,250) | (2,675,192,250) |
2020.12.31(당기말) | 9,446,788,000 | 19,572,150,263 | (9,891,995,370) | - | 92,239,687,218 | 111,366,630,111 |
2021.01.01(당기초) | 9,446,788,000 | 19,572,150,263 | (9,891,995,370) | - | 92,239,687,218 | 111,366,630,111 |
당기순이익 | - | - | - | - | 8,519,754,064 | 8,519,754,064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 | - | - | - | (403,016,746) | (403,016,746) |
주식매수선택권 | - | 1,003,420,000 | (1,003,420,000) | - | - | - |
현금배당 | - | - | - | - | (3,590,176,000) | (3,590,176,000) |
2021.12.31(당기말) | 9,446,788,000 | 20,575,570,263 | (10,895,415,370) | - | 96,766,248,536 | 115,893,191,429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40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제 39 기 (2020. 01. 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40 기 | 제 39 기 |
---|---|---|
Ⅰ.영업활동현금흐름 | 2,172,655,184 | 22,596,168,569 |
1.당기순이익 | 8,519,754,064 | 7,703,575,793 |
2.비현금 조정 | 8,934,612,177 | 17,019,730,264 |
이자수익 | (100,580,380) | (246,868,451) |
이자비용 | 170,166,934 | 268,707,578 |
법인세비용 | 2,240,830,322 | 1,681,628,164 |
대손상각비 | 809,166,341 | 593,373,060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375,875,630 | 2,436,898,795 |
퇴직급여 | 1,269,287,044 | 1,355,016,223 |
감가상각비 | 3,091,399,324 | 4,740,103,943 |
무형자산상각비 | 67,887,583 | 66,509,499 |
외화환산이익 | (1,089,936,362) | (303,421,741) |
외화환산손실 | 23,408,034 | 1,572,172,499 |
배당금 수익 | (41,460,749) | - |
기타 현금의 유출 없는 수익/비용등 | 1,118,568,456 | 4,855,610,695 |
3.운전자본의 변동 | (12,080,568,338) | 1,856,992,603 |
매출채권 | (6,382,416,149) | 4,260,152,342 |
기타채권 | (440,463,795) | 789,158,084 |
기타유동자산 | (1,268,914,992) | (586,757,836) |
재고자산 | (4,642,762,520) | (1,885,109,988) |
매입채무 | 1,579,121,057 | 875,661,692 |
기타채무 | 1,333,974,864 | (872,851,392) |
기타유동부채 | 40,031,636 | 968,175,676 |
사외적립자산불입액 | (2,200,000,000) | (634,878,441) |
퇴직급의 지급 | (99,138,439) | (1,056,557,534) |
4.이자의 수취 | 96,248,311 | 255,029,424 |
5.이자의 지급 | (151,509,133) | (273,843,745) |
6.배당금의 수취 | 41,460,749 | - |
7.법인세의 납부 | (3,187,342,646) | (3,965,315,770) |
Ⅱ.투자활동현금흐름 | (1,559,381,161) | 422,881,795 |
기타유동금융자산의 감소 | 253,819,890 |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증가 | (948,680,732) | (491,123,325)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 | 823,683,017 | 109,373,557 |
당기손익인식측정금융자산의 증가 | - | (4,841,158,737) |
당기손익인식측정금융자산의 감소 | - | 7,521,899,576 |
유형자산의 취득 | (1,703,408,336) | (1,735,274,276) |
유형자산의 처분 | 18,800,000 | - |
무형자산의 취득 | (3,595,000) | (140,835,000) |
Ⅲ.재무활동현금흐름 | (6,200,344,046) | (3,008,177,614) |
단기차입금 차입 | 15,786,046,428 | 23,161,866,953 |
단기차입금 상환 | (18,161,866,953) | (12,905,877,250) |
유동성장기부채 상환 | - | (5,000,000,000) |
장기차입금 상환 | - | (2,600,000,000) |
배당의 지급 | (3,590,176,000) | (2,675,192,250) |
자기주식의 취득 | - | (2,765,122,922) |
금융리스채무의 감소 | (234,347,521) | (223,852,145) |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 | (5,587,070,023) | 20,010,872,750 |
Ⅴ.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27,591,697,372 | 8,844,681,152 |
Ⅵ.외화표시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832,049,895 | (1,263,856,530) |
Ⅶ.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22,836,677,244 | 27,591,697,372 |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주석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구분 | 제 40 기 | 제 39 기 |
---|---|---|
주당배당금(원) | 최대주주 150원, 기타주주 200원 | 200원 |
시가배당율(%) | 2.4 | 2.6 |
배당총액(원) | 3,124,798,700 | 3,590,176,000 |
주당주식배당(주) | - | - |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25억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4(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4억 |
최고한도액 | 25억 |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억 5천만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3천만원 |
최고한도액 | 1억 5천만원 |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2년 03월 23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당사 홈페이지(http://www.lctkorea.com)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신고 ※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상법 제368조의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제도의 관리업무를 삼성증권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시스템 인터넷 및 모바일 주소 : http://vote.samsungpop.com 나. 전자투표 행사 기간 - 2022년 03월 21일 09시 ~ 2022년 03월 30일 17시 - 기간 중 24시간 의결권 행사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본인 인증 방법은 공인인증, 카카오페이, 휴대폰 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