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03 월    16일


회   사   명 : (주)케이씨산업
대 표 이 사 : 이홍재, 박광노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 가남로 465

(전   화) 031-883-8684

(홈페이지) http://www.kccond.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전무 (성  명) 이영일

(전  화) 02-3490-9993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7기 (정기)/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9조에 의하여 제 27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주주총회 일자 : 2022년 03월 31일(10:00시)


2. 주주총회 장소 :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67(서울사무소 3층 회의실)


3. 보고사항

  - 감사의 감사보고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영업보고


4. 부의 안건

① 제 1호 의안 : 제 2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② 제 2호 의안 : 사내이사 재선임 및 신규 선임의 건
   
   2-1. 사내이사 재선임의 건

성 명

출생년월

임기

구분

신규여부

주요경력

박 광 노

1961. 09.

3년

사내이사

재선임

-(주)KC산업 現대표이사

 

  2-2. 사내이사  선임의 건

성 명

출생년월

임기

구분

신규여부

주요경력

최 경 침

1957. 01

3년

사내이사

신규선임

-LG건설 근무


③ 제 3호 의안 : 이사(사내 및 사외) 보수한도 승인의 건(20억)

   - 전기 이사 보수한도액 : 1,000,000,000원

   - 전기 이사 보수집행액 : 710,270,000원

   - 당기 이사 보수한도액 : 2,000,000,000원


④ 제 4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2억)

   - 전기 감사 보수한도액 : 100,000,000원

   - 전기 감사 보수집행액 : 29,000,000원

   - 당기 감사 보수한도액 : 200,000,000원

⑤ 제 5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고 ,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 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 하시기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 참석장에 의거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7.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하기 준비물 미지참시 출입이 제한 됩니다.)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대리인 신분증


8. 기타사항
- 코로나19 대비 2022년 주주총회 대응을 위하여 금번 주주총회에서 비대면 의결권    행사를 위한 위임장 제출을 안내하고, 총회 예정장소의 폐쇄 조치 등에 대비하여      일시와 장소등의 주주총회 변경에 대한 조치를 대표이사에게 위임하기로 결정하였   습니다.

- 주차공간이 협소하므로 대중 교통을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민철식

(출석률: 100%)

지세진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21.01.13 박광노 사장 ㈜서현컨스텍 각자대표 취임의 건 찬성 찬성
2 2021.03.15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 찬성 찬성
3 2021.04.21 대표이사 변경의 건 찬성 찬성
4 2021.06.18 사채의 발행 및 사채인수계약 체결의 건 찬성 찬성
5 2021.07.27 ㈜케이씨모듈러 증자 참여의 건 찬성 찬성
6 2021.10.05 ㈜케이씨산업 금전차입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000,000,000 84,000,000 42,000,00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업계의 현황


건설산업은 건설 및 전기, 통신, 소방 등의 여러 가지 업종이 함께하는 종합산업으로써 경기부양의 효과가 크고, 공사의 시행과정에서 기자재 및 인력 투입에 따른 자재소비 및 소득증대로의 경제적 유발효과가 큰 산업입니다. 또한 타 산업의 경제활동 수준 및 기업의 설비투자, 가계의 주택구매 등에 의한 일반적인 경기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기후행산업으로서의 특성도 지니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건설산업은 정부에 의해 국내경기 조절의 주요한 정책수단으로 활용되어 왔으며, 부동산 가격 및 관련 법규나 정부규제 등은 건설경기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한국은행은 건설투자 분야에서 주거용 건물건설은 양호한 선행지표 흐름을 감안할 때 공사 물량이 꾸준히 늘어날 전망 이고 2020년 이후 주택 인허가 및 수주, 착공이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으며 신규분양 물량이 확대될 예정이다. 비주거용 건물은 서비스업 업황이 개선되면서 상업용 건물 건설을 중심으로 투자 증가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토목건설 투자는 정부및 공공기관의 투자 확대에 힙입어 증가로 전환 할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2022 경제전망,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22 경제전망,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 콘크리트 산업 현황

 

콘크리트 제품은 모래와 자갈 등 골재를 적당히 섞고 물을 가하여 반죽한 것을 일정 모양으로 굳힌 시멘트 2차 가공품을 말하며 토목건축의 재료로 사용됩니다. 콘크리트 제품을 제작할 경우, 굳지 않은 상태의 콘크리트를 수동 또는 진동기로 형틀에 다져 넣어 파일(Pile), 블록, 관 등 일정한 모양을 만들어 내는데 이 때 철근을 넣어 보강하기도 합니다.


구분

특성 및 용도

콘크리트파일

ㆍ아파트, 교량 등 구조물의 연약지반 보강재로 쓰이는 철근콘크리트  제품으로 원심 력 다짐, 증기양생, Pre-Tensioning 방법에 의해 생산   되며 PC파일(Pre-Tensioned Concrete Pile), PHC파일(Pre-Tensioned Spun High Strength Concrete Pile)로 구분됩니다.

ㆍPC파일과 PHC파일은 유사한 제조공정을 거치지만 형틀, 철근배치, 양생시간 등에서 차이가 나며, PHC파일의 압축강도가 PC파일보다    높아 PHC파일이 PC파일보다 가격과 수요가 높다는 특성이 있습니다

흄관

ㆍ생활하수, 산업폐수, 빗물등 각종 하수를 발생지에서 목적지(하수종 말처리장, 하천)까지 누수가 없이 안전하게 이송시키는 하수관의 일   종으로서 원심력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균일하게 살포시켜 만든 관  으로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으로도 불립니다..

ㆍ주로 하수관에 사용되고 있는 흄관은 흡수율이 적고 비중이 크며    조직이 치밀하고 강도가 뛰어납니다. 또한 내구성이 우수하여 외부나 내 부의 압력에 강하지만, 내벽에 흠이 발생하고 두께조절이 힘든 단 점이 있습니다..

콘크리트전주

ㆍ전신주로서 한국전력공사에서 사용하는 송배전용 전주(한전주)와    한국통신공사에서 사용하는 통신용전주(통신주)가 있습니다.

콘크리트블록

ㆍ콘크리트블록은 토목용과 건축용으로 대별되며 특수한 것으로는 어 획용, 방파용, 방사선 차폐용 등이 있습니다.

ㆍ토목용 블록은 사방용, 호안용, 터널용, 도로용, 하수도용 등이 있    으며, 형태는 직방체 이외에도 여러 이형의 모형이 있습니다.

ㆍ건축용 블록은 칸막이, 담등에 쓰이는 속빈블록, 치장용 블록 등이   있습니다.

 

(3) 산업연관도

 

콘크리트 제품은 건설공사의 필수 기초자재로서 원재료가 되는 시멘트, 골재 등의 산업과 건설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콘크리트 파일의 경우 아파트와 도로, 택지조성 사업의 기초공사에 사용되기 때문에 수요처인 건설사의 경기변동에 직결되고 , 콘크리트 전주와 흄관의 경우 공공재적 성격이 높아 건설경기 뿐 아니라 전력사업과 하수 관련 정책의 영향을 받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주식회사 케이씨산업1995년 12월 21일 건설자재 생산 및 판매업을 목적으로 주식회사 토암산업으로 설립되었으며, 이후 전문건설업인 상하수도 설비공사, 철근콘크리트 및 토공사종목을 추가 하였고 2015년 4월 상호를 주식회사 케이씨산업으로 변경하였습니다.

 

당사는 토목 및 건축분야에 사용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제품(이하 PC제품)을 전문적으로 생산, 시공하고, 특수(특허공법) 토공사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입니다. 현재 경기도 여주시 가남읍에 본사 및 공장을 두고 있으며, 2006년부터 현재까지 토목 PC분야에서 최고의 기술력을 인정받으며 부동의 국내업계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사업분야를 확장하여 2013년부터 비개착 특수 공법인 DSM(Divided Shield Method)을 현장에 적용하여 토공사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DSM공법은 지하공간을 굴착함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변지반의 변형 극소화를 도모하고자 개발된 터널굴착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지하공공보도, 지하차도, 하수, 오수관로, 전력구 등 개착이 불가한 도심지나 도로 철도교 등 비개착터널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PC제품 및 방음벽기초 생산, 시공을 영위하면서 기술개발의 중요성을 느끼고 기술개발에 전념했습니다. 그 결과 현재 62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사업과 관련된 특허를 지속적으로 출원 함으로써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습니다. 또한 PC제품 관련 중소기업 성능인증, 한국산업기술시험원 K마크 인증과 조달청 우수제품 등 당사의 제품 성능 및 기술력을 인증받았으며, 특히 Eye-bolt 접합형 조립식 PC암거제작 및 설치공법, 방음벽 기초의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법, 조립식 맨홀 접합기술 등은 국토해양부 및 환경부로부터 신기술로 지정 받았습니다. 이는 향후 아파트 단지및 산업 단지 전력선의 지하화 되는 추세에 따라 시장수요가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의 주력사업인 PC 사업은 콘크리트 작업이 어려운 도심 속 환경에서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사업입니다. 이는 현재 건설업의 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인건비 상승 압박과  현장타품질관리에 대한 어려움, 공사기간 및 환경문제 등 기존 현장타설 방식이 갖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해결할 수 있으며 그 시장이 증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도시화 추세에 따른 도심지 개발 공사에서 개착공사의 어려움을 보완한 비굴착 공법인 DSM공법 역시 그 활용이 기대됩니다.

 

 

1.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1) 조립식 철근콘크리트 암거 (PRECAST CONCRETE)

 

- 사업의 특성

 

과거에는 각종 하수도 및 전력구, 통신구 또는 공동구 등의 시설을 지하에 건설할 경우 거푸집과 철근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현장 타설 방식의 공법을 사용하여 구조물을 시공 했습니다. 현장 타설 방식은 형상을 자유롭게 시공할 수 있으며, 운반비 등의 비용이 들지 않기 때문에 공사비가 더 경제적이라는 장점이 있지만, 일기변화에 따른 공기지연, 도심지 민원발생 및 공사 폐기물 처리 등의 문제점이 대두 되었습니다. 이에 PC방식은 기존 방식이 갖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공장에서 제품을 사전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것으로 시공이 진행 됩니다. 이를 통해 일기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가능하고, 공기지연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현장에서 발생하는 소음 및 폐기물 등의 문제도 최소화 하는 경제적 시공이 가능합니다.

조립식 PC암거는 시공이 신속하여 공사진행시 발생하는 소음 및 분진 및 교통통제로 인한 민원 등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어 복잡한 도심지 공사에 매우 효과적이며, 공장에서 제작되기 때문에 일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균일한 품질로 제품을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기존의 조립식 암거는 제품을 접합하는 과정에서 접합부에 고무지수재 등 유기재료를 매개로 하여 접합하기 때문에 접합부에 내구성이 약하고, 시공 시 발생되는 오차로 인해 접합부에 틈새가 생겨 누수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지반이 연약한 곳에 시공 할 경우 제품 상호간의 체결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시공 후 변형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습니다.당사는 앞서 언급한 PC제품에 접합부에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5가지의 유형의 기술을 개발하고 특허화 하였으며 그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전단면 연결보강(샤클접합형) 조립식 PC암거는 PC공법과 현장타설 공법의 장점을 살린 공법으로, 샤클볼트와 아이볼트를 연결핀과 양방향 정착장치로 상호 채결 후 빈 공간에 무수축몰탈을 주입하여 PC공법의 취약부인 조인트를 일체화시켜줌으로써 제품 상호간의 접합력을 극대화 시킨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조달청 우수제품(지정번호:2015150)으로 계약되어 있습니다.
 

공법 개요도


이미지: 공법개요도

공법개요도


 

둘째, 주름형 폐합지수판(FCW) 조립식 PC전력구(공동구)는 앵커기능 양방향 정착장치와 무수축 몰탈을 이용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하고, 접합부에 매립된 주름형 폐합신축지수판의 신축작용으로 지진이나 부동침하에 의한 지반변형에 유연하게 대응하여 누수를 원천적으로 방지하는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수밀이 요구되는 전력구, 공동구, 차집관거 적용을 위해 개발된 제품으로 향후 전력구 지중화 사업과 선진국에서 시행되는 공동구 차집관로 등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제품입니다.

공법 개요도


이미지: 공법개요도

공법개요도


   

셋째, 앵커기능 양방향 정착형 조립식 PC암거는 쐐기형태의 정착부와 앵커기능 양방향 정착장치를 이용하여 접합력을 극대화하고, 압력식으로 주입된 고강도 몰탈과 요철형태의 전단키에 의한 인터락킹 작용으로 제품 상호간을 일체화 시켜 연약지반에 대응하는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조달청 우수제품(지정번호:2010286)으로 2015년 3월 3일 계약이 만료되었습니다.

공법 개요도


이미지: 공법개요도

공법개요도


 

넷째, Eye-Bolt 접합형 조립식 PC암거는 아이볼트와 강봉의 결합으로 PC공법의 취약부인 조인트를 일체화시켜 제품 상호간의 접합력을 극대화 시킨 공법입니다. 이 공법은 2005년 건설교통부 신기술 151호로 지정되었으며, 건설업종에서는 최초로 엔지니어대상을 받은 제품으로, 철근 콘크리트 암거 시장에서 높은 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공법 개요도


이미지: 공법개요도

공법개요도


 

다섯째, 그라우트 주입형 조립식 PC암거는 제품의 접합면 사각모서리에 강선 연결통과 연통되는 정착부를 형성하여 양방향 정착장치를 통해 서로를 연결하는 방식입니다. 이 공법은 택지 및 산업단지 조성공사 중 우수암거 제품에 주로 적용되는 공법이며 조달청 우수제품(지정번호:2005064)으로 2008년 6월 22일 계약이 만료되었습니다.

공법 개요도


이미지: 공법개요도

공법개요도



 

- 시공순서


이미지: 1.제품 및 운송

1.제품 및 운송



이미지: 2.기초바닥 수평작업

2.기초바닥 수평작업



이미지: 3.제품거치

3.제품거치



이미지: 4.PS 강선인장

4.PS 강선인장



이미지: 5.무수축 몰탈 주입

5.무수축 몰탈 주입



이미지: 6.제품 조립상태

6.제품 조립상태


 

 

- 시공실적

조립식 철근 콘크리트 암거블록 실적


이미지: 1. 강남 보금자리 주택단지

1. 강남 보금자리 주택단지



이미지: 2. 안흥 외항 정비공사

2. 안흥 외항 정비공사



이미지: 3. 광양 국민임대 주택단지

3. 광양 국민임대 주택단지



이미지: 4. 동백 S/S 전력구 공사

4. 동백 S/S 전력구 공사



이미지: 5. 동홍천 양양 16공구 공동구 공사

5. 동홍천 양양 16공구 공동구 공사



이미지: 6. 한국전력공사 평택 전력맨홀

6. 한국전력공사 평택 전력맨홀


 

- 시장의 여건


포괄적 산업분류에 의하면 당사가 제조하는 콘크리트 부분은 비금속광물제품제조업(C233)에 속해 있습니다. 건설의 공정 상 착공 후 약 3개월 이후부터 기초공사를 위한암거의 시공이 시작되며, 콘크리트 부분은 건설업의 주자재를 제조 납품하기 때문에 건설업의 영향을 받습니다.

건설업은 계약 또는 자기 계정에 의하여 각종 건설재료, 노동을 투입하여 시설물을 신축 및 설치 등을 주로 하는 산업 활동으로써 발주자가 요구하는 시설물의 사양을 제시하고 계약을 체결하는 주문 생산 형태의 산업입니다. 국내 건설 공사 발주제도는수직적 원/하도급 생산체계로서 주로 발주자가 다수의 전문공사로 이루어진 시설물을 일괄하여 종합사업자에게 발주하고, 종합 공사업자는 분야별 전문건설업자에게 하도급을 주어 공사를 시공합니다.

콘크리트 암거블록은 시멘트의 2차 가공품으로 시멘트, 모래, 자갈, 철근과 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제품으로 우수암거, 전력구 등을 설치하는 기초자재입니다. 당사가 주력으로 제조하고 있는 조립식 철근콘크리트 암거블록은 중소기업간 경쟁제품으로 대기업 및 중견기업의 관급자재 시장진출을 못하게 되어 있습니다.

(중기업의 현재 기준 : 매출 800억 미만)

(단위 : 천원)

년도

관급자재 발주금액

비고

2013년

103,393,846,

 

2014년

139,105,113

2015년

140,772,483

2016년

100,908,659

2017년 118,574,411
2018년 123,585,143
2019년 96,142,973
2020년 100,244,328

주) 출처: 조달청 나라장터(철근콘크리트 암거블록)

 

위의 자료와 같이 조립식 철근콘크리트 암거 관급자재 시장의 주요 발주처는 LH공사, 수자원공사, 도로공사 등 공기업과 지방자치단체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기존 암거를 포함한 지하구조물 전반의 관급자재 시장 규모는 점진적으로 확대 되었으나 2016년 정치적인 영향으로 급속감소 되었습니다. 하지만 2017년에 불확실한 정치적 상황이 종결 되면서 관급자재매출이 회복세를 보이며 향후 수요가 확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 조립식 철근콘크리트 암거의 매출 규모는 아래 자료와 같이 전체 매출에 가장 큰 규모를 가지고 있습니다.(제품 납품시 부수적으로 진행되는 운송비, 설치비에 대한 매출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단위 : 천원)

년도

매출금액

건수

비고

2013년

20,516,306

168


2014년

19,712,116

130

2015년

29,411,220

142

2016년

34,719,909

156

2017년 26,578,979 164
2018년 31,086,685 169
2019년 30,231,147 143
2020년 26,365,466 171

주) 출처: 당사제시

 

콘크리트 제품은 단위 제품 당 규격이 크고 중량이 무거워 운송비가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량 내수 산업에 의존하고 있으며, 운송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역별로 시장이 분할되어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기도 여주시에 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주로 수도권 및 충청권, 강원권의 관급자재 시장에서 경쟁하고 있습니다.

관급자재의 경우 당사의 제품은 나라장터에 우수제품으로 등록(현재 2개사)되어 있습니다. 중소기업제품 구매촉진 및 판로지원에 관한 법률 제3장 12조 3항에 따르면, 공공기관에서  기술개발제품(우수제품포함)을 구매할 경우 구매목표비율을 10%이상으로 설정해야 합니다. 이는 우수제품을 장려하는 정책으로서 당사는 전국적인 관급자재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제반사항을 갖추고 있습니다.

사급자재의 경우에는 대규모 암거 수요시 운송비 절감을 위하여 현지제작장을 조성하고 운용하여 납품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진행한 현지제작장으로는 P-Project(평택) , 대구사이언스(대구), 남양뉴타운(남양), 시화MTV(화성) 호남고속철도(익산), 남악신도시(목포), 군북일반산업단지(함안) , 파주운정지구(파주) , 광양향 부두내 도로(광양) , 송도신도시(송도), 천안풍세 일반산업단지(천안), 중이온가속기(대전), 부산에코델타시티(부산), E-PJT DSM&토목PC(화성) 등 여러 현지제작장을 운용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지제작장 조성사진


이미지: 송도 신도시 현지제작장

송도 신도시 현지제작장



이미지: 파주운정지구 현지제작장

파주운정지구 현지제작장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철근 콘크리트 암거블록은 발주처와 수요자인 건설업의 중간자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후방 발주처와 전방 건설업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순번

업체명

2020년

2019년

2018년

매출액

순위

매출액

순위

매출액

순위

1

주식회사 케이씨산업 73,383 1  61,047 1  68,302 1
2 케이와이PC(주)  35,817 2  38,085 2  35,668 3
3 주식회사 태영피씨엠  23,259 3  38,008 3  39,375 2
4 (주)지구코퍼레이션  18,146 4  19,428 4  13,988 5
5 신한산업(주) 11,885 5  12,691 6  15,417 4
6 유한회사 광전피씨 9,886 6  8,148 8    9,952 6
7 (주)우현레미콘  9,127 7   14,673 5    9,040 7
8 (주)동성콘크리트 8,139 8  9,729 7    8,744 8

9

삼호콘크리트(주) 4,231 9   8,065 9    8,578 9

10

케이와이산업(주)      - 10      - 10    1,355 10

주) 2020.12.31.기준 콘크리트 암거 조합 크레탑 상위 10개사

                                                                                           

위에 자료 같이 현재 조립식 철근콘크리트 암거블록 조합 62개사 중 매출 부분 1위를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 특허를 받은 '주름형폐합지수판공법'은 원천적으로 누수를 방지하는 공법으로 전력구, 전력맨홀, 공동구 및 차집관거 등 수밀이 요구되는 시공에 사용하고 있는 중이며, 한국전력공사에서 송·배전 지중화를 진행함에 따라 그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당사가 보유한 독보적인 기술력과 엄격한 품질관리를 통하여 향후에도 1위 기업으로서의 역할과 소임을 다할 것입니다.



(2) 쉴드터널 세그먼트(SHIELD TUNNEL SEGMENT)


- 사업의 특성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터널 및 지하공동구 건설은 필수적인 요소가 되었습니다. 이에 재래식공법으로 시공된 터널 이외에 기계화 및 자동화 공법을 활용한 터널굴착 기술이 대두되고 있으며, 그 중 쉴드터널 세그먼트 공법은 다양한 지반조건에서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활용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한전 등의 소단면 전력구, 통신구 시공에 도입되어 많은 현장에 적용 되었으며, 최근 대단면 지하철터널 공사, 도로터널 공사, 철도터널 공사에도 쉴드TBM 세그먼트 공법이 활발하게 도입되고 있어 향후 해저 터널 및 터널 장대화 추세에 따라 국내 활용도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측됩니다.

쉴드터널 세그먼트 공법은 TBM(Tunnel Boring Machine) 장비를 이용해 쉴드터널(Shield Tunnel)을 건설 하는 것으로, 시공 과정에서 토사의 붕괴를 막기 위해 공장 또는 현장에서 사전 제작한 원통 모양의 방호재를 TBM 장비를 이용하여 건설현장에서조립합니다.


이미지: 원 터치형 공법개요도

원 터치형 공법개요도


   

- 생산순서


이미지: 1. 몰드청소/탈형유 도포

1. 몰드청소/탈형유 도포



이미지: 2. 철근 거치 및 몰드조립

2. 철근 거치 및 몰드조립



이미지: 3. 부속품 조립

3. 부속품 조립



이미지: 4. 콘크리트 시험

4. 콘크리트 시험



이미지: 5. 콘크리트타설

5. 콘크리트타설



이미지: 6. 2차 다짐

6. 2차 다짐



이미지: 7. 표면1차 마감

7. 표면1차 마감



이미지: 8. 표면2차 마감

8. 표면2차 마감



이미지: 9. 증기양생

9. 증기양생



이미지: 10. 수중양생

10. 수중양생



이미지: 11. 압축강도 시험

11. 압축강도 시험



이미지: 12. 제품야적

12. 제품야적



- 시공실적

표-1(인천국제공항현지제작장 자료).


이미지: 현지제작장

현지제작장



이미지: 제작장 내부 전경

제작장 내부 전경



이미지: 생산 전경

생산 전경



이미지: 수중양생 전경

수중양생 전경



- 시장의 여건

도심지 공사가 늘어나면서 쉴드 TBM터널 세그먼트 사용 비율이 높아졌습니다. 특히도입 초기에는 통신구 공사에 사용이 집중됐지만, 점차 전력구와 가스관로, 지하철, 도로터널 등으로 사용범위가 넓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당사는 쉴드 TBM터널 세그먼트의 시장이 지속적으로 성장가능한 시장이며, 전력구와 가스관로, 지하철, 도로터널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높을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만이 보유한 세그먼트 접합방식(특허출원 : 제10-2015-018335호)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국내 최초로 인천국제공항 제2여객터미널 연결철도 공사에 적용 하였으며, 현재는 대곡-소사 복선전철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3) 방음벽기초

 - 사업의 특성

경제가 성장하고, 산업화 및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교통수요가 증가하게 되었고 이는 고속화 차량의 증가로 이어졌습니다. 고속화 차량의 증가는 도로변 소음으로 이어졌고, 삶의 질이 높아진 요즈음, 도로변 소음에 대한 민원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소음공해를 차단하기 위해 소음의 규제가 강화되었고, 방음벽의 설치는 날로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지금까지 방음벽을 지지하기위한 기초 구조물은 현장 타설식 공법을 사용하여 왔습니다. 현장 타설식의 방음벽 기초는 현장에서 거푸집과 철근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충분한 양생기간을 가져야 하기 때문에 토공사 등 후속공정 진행에 큰 지장을 초래하고, 공사소음, 비산먼지 등에 의한 민원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장 기능공의 숙련도에 따라 품질이 크게 좌우되는 경향이 있고, 양생과정에서발생하는 균열발생의 억제가 기술적으로 어렵습니다. 이에 당사는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방음벽 기초 기술을 개발하였고, 종래에는 전혀 시도되지 아니하였던 프리캐스트 방식을 사용하여 공장에서 제품을 제작한 후 현장에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2009년 건설교통부 신기술 407호)를제공하고 있습니다.

 

공법 개요도


이미지: 공법개요도 1

공법개요도 1



이미지: 단면도

단면도


 

구 분

L형 방음벽 기초

기 술 명

현장타설 L형 콘크리트 방음벽기초

PC 방음벽기초

시공

전경


이미지: L형 콘크리트 방음벽기초

L형 콘크리트 방음벽기초



이미지: PC 방음벽기초

PC 방음벽기초


공법

개요

-현장에서 거푸집 및 철근 조립을 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체를 형성

-공장에서 L형 방음벽 기초를 단위제품으로 생산하고, 현장에운반, 장비를 이용하여 설치 후 접합부를 그라우트 몰탈과 아이볼트 체결고리를 이용하여 상호 일체화

사용

재료

- 콘크리트 : fck = 24 MPa

- 철근 : fy = 300 MPa

- 콘크리트 : fck = 35 MPa

- 철근 : fy = 400 MPa

공법
특징

- 신설 구간 및 성토 구간에 주로 적용

- 전 단면이 단일 단면으로 부분적으로 비경제적 단면 존재

- 신설 구간 및 성토 구간에 주로 적용

- 부벽식 설계로 사용재료 및 제품 중량 최소화

(제품 중량 현장타설 대비 약 55%)

장 점

- 설계 및 시공경험이 풍부하다

- 곡선부 등 선형 및 구배 변화에 적응력이 우수

 

 

 

- 작업 공간 축소 및 작업 시간 절감으로 민원 발생 최소화

- 공기 대폭 절감

- 고강도이므로 내구성이 우수

- 품질이 균질하며 마감면 미려함

- 도로토공과 병행작업 가능

- 현장 앙카설치 작업이 생략

단 점

- 건조수축 등 균열이 발생하기 쉬움

- 공기지연, 일기영향 등에 따른 후속 공정에 영향이 많으며, 부대 비용이 추가됨

- 기존도로 공사시 장기간 도로 차단으로 인한 민원 발생

- 건설폐기물 다량 발생으로 환경오염

- 선형 및 구배 변화 심한 곳은 적응력이 저하됨

- 설치 작업 시 중장비 필요함

 

 

공사

기간

- 거푸집, 설치 및 해체, 철근 조립, 앙카설치, 양생등 상당기간 소요

- 단순 반복 작업으로 시공성 우수

- 공기대폭 절감(60m/일)

 

- 시공순서


이미지: 1.모래부설 및 Leveling

1.모래부설 및 Leveling



이미지: 2.백업재 및 아이볼트 부착

2.백업재 및 아이볼트 부착



이미지: 3.제품거치 및 유압기사용 제품밀착

3.제품거치 및 유압기사용 제품밀착



이미지: 4.강봉 삽입(D=29mm)

4.강봉 삽입(D=29mm)



이미지: 5.무수축 몰탈 주입

5.무수축 몰탈 주입



이미지: 6.이음부 코킹 마감

6.이음부 코킹 마감



이미지: 7.제품조립상태(전면)

7.제품조립상태(전면)



이미지: 8.제품조립상태(배면)

8.제품조립상태(배면)


 

- 시공실적

방음벽 시공실적 자료


이미지: 1. 평택~안성간 고속도로 제4공구

1. 평택~안성간 고속도로 제4공구



이미지: 2. 서해안선 조남JCT~서서울영업소 차로확장공사

2. 서해안선 조남JCT~서서울영업소 차로확장공사



이미지: 3. 안성~음성간 고속도로

3. 안성~음성간 고속도로



이미지: 4.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4. 서울-춘천간 고속도로



이미지: 5. 안성~음성간 고속도로

5. 안성~음성간 고속도로



이미지: 6. 무안~광주간건설공사 5공구

6. 무안~광주간건설공사 5공구


 

- 시장의 여건

고속도로 및 자동차 전용도로 구축이 증가함에 따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방음벽 기초 수요도 함께 증가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3년부터 지금까지 꾸준히 방음벽 사업을 영위 하였으며, 풍부한 경험과 국내 유일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공법 개선 및 기술개발을 통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년도

KC산업 방음벽 매출액

건수

비고

2013년

307

1

 

2014년

125

1

2015년

696

10

2016년

8,622

25

2017년 9,583
32
2018년 3,993 14
2019년 5,402 16
2020년 7,688 13

출처: 당사제시



(4) DSM(Divided Shield Method)공법

 

- 사업의 특성

 

도시가 발달함에 따라 도심지 지하공간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도심지의 지하공간에 대한 활용이 증대되면서 기존 지하시설물을 확장하여 연결하는 수평굴착에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도심지에서 기존 지하시설을 확장하거나 지하철 및 건축물 등의 지하공간 굴착 공사를 시행할 경우 안전을 위해 인접한 도로와 보행로를차단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합니다. 또한 각종 전선관, 통신선, 전력선, 상하수도관,가스관, 공동구, 각종 맨홀 등 지하매설물의 부적절한 처리는 공사를 더욱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됩니다. 이처럼 최근 도심지에서의 기반시설 확보를 위해 굴착공사가 빈번해 짐에 따라 지상 및 인접구조물의 안전을 확보하면서 시공성 및 경제성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굴착공법의 연구가 이루어졌고, 그 결과 매설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기반시설을 문제없이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비개착공법이 개발되었습니다.

DSM(Divided Shield Method)공법은 당사가 보유한 특허공법으로서 종래의 Messer Shield 공법의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지하공간굴착에 있어 안전성을 확보하고 주변지반의 변형 극소화를 도모하고자 개발된 터널굴착 공법입니다. 시공방법은 복합 지층구간이나 연약지반 구간에서 소형 강관다단 그라우팅의 선행시공으로 Arc-Sliding현상을 방지한 후, 요구하는 단면 외부에 강판을 병렬 배열하여 그 내부에서 지반의 굴착, 지보공 및 복공재의 반복 설치를 통해 주변 지반변형을 극소화하고 본체구조물을 안전하게 시공합니다.

 

그림-1 DSM공법 모식도


이미지: 그림-1 DSM공법 도식도

그림-1 DSM공법 도식도


 

- 시공순서

1

강관다단그랑우팅


이미지: 강관다단그랑우팅

강관다단그랑우팅



이미지: 강관다단그랑우팅

강관다단그랑우팅


2

발진기지 설치


이미지: 발진기지 설치

발진기지 설치



이미지: 발진기지 설치

발진기지 설치


3

굴착 및 지보설치


이미지: 굴착 및 지보설치

굴착 및 지보설치



이미지: 굴착 및 지보설치

굴착 및 지보설치


4

막장막이 설치


이미지: 막장막이 설치

막장막이 설치



이미지: 막장막이 설치

막장막이 설치


5

1차라이닝 및 방수


이미지: 1차라이닝 및 방수

1차라이닝 및 방수



이미지: 1차라이닝 및 방수

1차라이닝 및 방수


6

구조물 시공


이미지: 구조물 시공

구조물 시공



이미지: 구조물 시공

구조물 시공


 

- 시공실적

 


이미지: 1. 마곡1,2빗물펌프장 조성공사 중 DSM공사

1. 마곡1,2빗물펌프장 조성공사 중 DSM공사



이미지: 2. 지하철 1-4호선 승강편의시설 설치공사(1단계)18공구(3호선압구정역2번 출입구)

2. 지하철 1-4호선 승강편의시설 설치공사(1단계)18공구(3호선압구정역2번 출입구)



이미지: 3. 김포풍무2지구 도시개발사업 국도 48호선 횡단우수암거추진공사

3. 김포풍무2지구 도시개발사업 국도 48호선 횡단우수암거추진공사



이미지: 4. 광화문(5호선)역 지하공공보도공사 중 토공사(DSM)

4. 광화문(5호선)역 지하공공보도공사 중 토공사(DSM)



이미지: 5. 신진주역세권 국도2호선 횡단우수암거추진

5. 신진주역세권 국도2호선 횡단우수암거추진



이미지: 6. 세종대 주변 하수관로 신설공사 중 DSM공사

6. 세종대 주변 하수관로 신설공사 중 DSM공사


 

- 시장의 여건

 

비개착공법은 건설산업의 특성화 된 전문분야로서 주로 도로 및 철도를 횡단하는 사례가 다수를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기타 횡단공사도 증가되는 추세이고 주요 관련 법령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도로의 횡단은 도로점용에 대하여 『도로법』 "61조 제1항에 공작물·물건, 그 밖의 시설을 신설·개축·변경 또는 제거하거나 그 밖의 사유로 도로(도로구역을 포함한다. 이하 이 장에서 같다)를 점용하려는 자는 도로관리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라고 허가를 규정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기준 및 절차사항에 대하여 『도로법 시행령』제54조부터 제76조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도로의 횡단은 도로의 관리주체에서 점용의 권한을 가지고 있으며 차량통행이 제한되는 경우 『도로법』제76조 제8항에 관할경찰관서에 협조를 요청하게 되어 있습니다.

둘째, 철도의 횡단은 철도의 안전에 대하여 『철도안전법』"제45조 제1항에 철도경계선(가장 바깥쪽 궤도의 끝선을 말한다)으로부터 30미터 이내의 지역(이하 "철도보호지구"라 한다)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려는 자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도지사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기준 및 절차사항에 대하여 『철도안전법 시행령』 및 『철도 보호지구에서의 행위제한에 관한 업무지침』에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도로 횡단공사는 공사에 따른 위험 및 차량통행의 제한을 수반하고 있기 때문에 고속화도로 및 자동차전용도로를 공사할 때에는 상대적으로 제한을 덜 받는 비개착공법을 이용하여 횡단공사를 하고있습니다.

1980년 중반 이후, 횡단을 위한 공사에서 비개착공법을 이용하기 시작했고, 최근에는 전력구 지중화 사업 및 지하 기반시설의 수요 증가로 시장규모의 증가추세는 더욱가속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비개착공법을 이용할 경우 공사의 안정성이 확보되고, 민원 발생저감 및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되지 않아 2000년 이후 공동구, 지하철 연결통로 및 지하보도 공사부분에서도 수요가 증가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3년 부터DSM(Divided Shield Method)공법을 활용하여 사업을 진행 하였습니다. 비개착공법을 적용한 분야는 하수암거, 연결통로, 지하보도, 지하차도 및 도로·철도 횡단시설이 있으며 기본계획단계, 설계용역단계 및 시공단계에 공법을 적용하여 높은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실제 시공 현장으로는 광화문(5호선)역 지하공공보도공사, 김포풍무2지구 국도 48호선 횡단우수암거추진공사, 신진주역세권 국도2호선 횡단우수암거추진 및 세종대 주변 하수관로 신설공사, 당인빗물펌프장, 오산세교지구, 화성 E-PJT 현장 등 지속적으로 사업을 진행 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그 동안 쌓아온 풍부한 경험과 기술력을 DSM(Divided Shield Method)공법 설계에 반영하여 국가기관, 지방자치단체 및 투자기관과 '신기술 및 특허협약서'를 체결하여 향후에도 공법반영에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5) 건축PC

 

- 사업의 특성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는 크게 토목용 PC와 건축용 PC로 나눌 수 있습니다. 토목용 PC는 주로 교량에 사용되는 대행 보, 바닥판, 교각과 도로공사에 사용되는 풀륨관, 방음벽 기초, 터널공사에 사용되는 세그먼트, 그리고, 우·오수용 암거, 공동구나 전력구에 사용되는 암거(Culvert) 등을 꼽을 수 있습니다. 건축용 PC는 건축물의 주요 구조부를 PC화한 구조용 PC(Structural PC)와 PC커튼월과 같이 외장재로 사용되는 외장용 PC(Architectural PC)를 들 수 있습니다.
 

PC공법을 이용하여 구조물을 건설 할 때에는 콘크리트 부재(기둥, 보, 슬래브, 벽체 등)를 기후나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전천후 시설을 갖추고 있는 공장에서 엄격한 품질관리 아래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시공이 진행됩니다. 따라서 구조물을 PC공법으로 시공할 경우 생산부터 시공까지 전 공정을 효율적으로 진행하여 건축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1963년 대한주택공사가 서울 강북 수유동에 건설한 9개동의 시험주택을시작으로 아파트 건설에 사용하기 위해 대형 PC 판구조를 중심으로 건축PC 연구가 진행되었습니다. 다음해인 1964년에는 서울 갈현동에 130세대의 조립식 주택이 건설되었고, 1971년 한성프리훼브(주)가 대한주택공사의 자회사로 설립되면서 본격적으로 저층의 소형아파트를 PC공법으로 건설하게 되었습니다. 1990년 초 당시 정부의 주택정책과 맞물려 18개의 PC공장이 국내에 설립되었고, 한 동안은 PC공법을 활용한 아파트 건설이 활발하게 이루어졌지만, 이후 아파트가 초고층화 되면서 국내 기준 또는 공법상의 문제로 시공 물량이 급감하면서 대부분의 PC공장이 문을 닫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아파트 단지 내의 지하주차장을 비롯하여 아파트형 공장, 공장 건축물, 물류창고, 옥상조형물, 반도체 공장, 쇼핑센터 매장 건축물, 업무용 건축물, 종합경기장 등 다양한 건축물의 공사에 건축 PC가 활용되면서 기존과는 다른 다양한 분야에서 건축 PC의 수요가 커져가고 있습니다.
 

[신규사업 로드맵]

이미지: 건축PC 및 저류조 단계별 사업추지 로드맵

건축PC 및 저류조 단계별 사업추지 로드맵

 

- 시공 순서(건축PC 시공순서도)

1

바닥몰드(Slab) 및 보몰드(Girder-Mold)제작


이미지: 바닥몰드(Slab)

바닥몰드(Slab)



이미지: 보몰드(Girder-Mold)제작

보몰드(Girder-Mold)제작


2

바닥몰드(Slab) 및 보몰드(Girder-Mold)타설


이미지: 보몰드(Girder-Mold)타설

보몰드(Girder-Mold)타설



이미지: 보몰드(Girder-Mold)타설

보몰드(Girder-Mold)타설


3

바닥(Slab)적재, 현장운반 및 기둥(Column)설치


이미지: 바닥(Slab)적재

바닥(Slab)적재



이미지: 현장운반 및 기둥(Column)설치

현장운반 및 기둥(Column)설치


4

보(Girder) 및 기둥(Column)조립 설치


이미지: 조립 설치

조립 설치



이미지: 조립 설치

조립 설치


5

바닥(Slab)조립 및 철근배근


이미지: 철근배근

철근배근



이미지: 철근배근

철근배근


   

- 시장의 여건

 

건축PC는 날로 늘어만 가는 인건비 상승 압박과 공사현장의 품질관리에 대한 어려움 소음 및 분진으로 인한 현장민원 발생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어 현장에서 시공되기 때문에 공기를 단축시킬 수 있고, 부재의 조립식 시공으로 빠르게 타설이 가능하기 때문에 관련 민원의 문제를 해결하여 현장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습니다. 때문에 수요와 시장규모가 커져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당사는 2015년 8월 신규 사업 준비를 거쳐 2016년 2월부터 본격적인 신규영업을 개시하였습니다. 그 결과 광주 M플러스 자동차 매매센터, 청주 방서지구 중흥 S클래스아파트 지하주차장, 화성-동탄 S클래스 주차장 등의 계약을 수주하였고, 현재 대전 중이온현장의 차폐블럭 공사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커져가는 시장의 니즈에 발맞추어 건축 PC에 적용할 수 있는 관련 신공법의 개발과 슬래브 개발 등 선진기술 도입에 대한 꾸준한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기존에 하프 PC슬래브를 사용한 2방향(Two-Way) PC 공법을 넘어 일방향(One-Way) PC 슬래브를 비롯하여 다양한 일방향 PC 공법들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6) 빗물 저류조

- 사업의 특성

근래 도시홍수, 가뭄, 폭염 및 열대야 등 다양한 도시문제가 연중 연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가뭄으로 가로수 등의 고사를 방지하기 위해 나무에 물주머니를 걸어놓는 진풍경이 연출되는가 하면 지속된 폭염과 열대야로 인명피해와 가축피해가 연달아 발생되기도 했습니다. 특히 장마철에는 서울지역 도심지가 연속적으로 침수되어 도시 하수도 인프라의 한계를 나타냈습니다. IPCC(Intergovernmental Panel for Climate Change) 제5차 평가보고서에 수록된 우리나라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하면, 2020년까지 2011년 대비 고온현상이 2~6배 증가하고, 80㎜ 이상의 비가 내리는 호우일수가 60%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도시 인프라의 재정비가 절실한 상황입니다. 우리나라는 하천유역 주변으로 급격하게 도시화가 진행되었는데, 불투수층으로 인한 빗물의 일시 유출로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방재적 차원에서의 수자원관리가 시급한 실정입니다.

당사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복합 PC 빗물 저류조를 개발하였습니다. 택지조성, 공원조성이나 산업단지, 종합운동장 등 건축물 지하에 설치되는 당사의 PC 빗물저류조는 기존의 도로 DB24 규정 및 암거설계기준을 참조하여 일본의 내진설계기준을 반영하였으며, 고강도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강도 역시 뛰어납니다. 공장에서 엄격한 품질 관리를 통해 생산된 PC콘크리트 부재(기둥, 보, 거더, 벽체 등)를 현장에서 조립하기 때문에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합니다. 완성된 PC 빗물저류조는 지하수의 보전, 회복을 위한 빗물저류 침투 시설 역할을 수행하여 비상용수를 확보하고, 여름철 집중호우 시 빗물을 저장하여 침수와 역류를 막고 저장된 물을 재사용하여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홍수가 발생했을 경우 빗물을 가두어 2차 피해를 방지하는 등 다목적 시설로 활용됩니다. 이러한 당사의 PC 빗물저류조는 수자원 부족의 문제와 자연재해 등의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어 도시물순환 환경산업에 적합한 제품입니다.


빗물이용과 관련된 규정은「수도법」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가 있습니다. 「수도법」은 2001년 3월28일 댐건설에 의한 물공급 정책의 한계와 효율적인 물수요 관리를 위해서 빗물이용시설에 대한 내용을 신설하였습니다. 수도법에서는 빗물이용시설의 설치와 관련 설치대상과 빗물이용시설의 시설 기준 등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수도법 제6조, 시행령 제6조, 시행 규칙 제7조.)

대상은 적용범위에 기재한 바와 같이「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시행령에 따른 운동장 또는 체육관으로서 지붕 면적이 2,400㎡이상이고 관람석수가 1,400석이상인 시설 등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이상의 시설에 대해 신축(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규모 이상으로 증축개축 또는 재축하는 경우를 포함)시 빗물이용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로는 2004년 서울특별시의 빗물이용시설조례가 제정된 이후 수도권을 중심으로 빗물이용시설설치조례를 신설하거나 수도 급수조례에 빗물 이용관련 사항을 추가하였습니다. 서울특별시(2008.05 개정), 대전광역시(2009.06 제정), 인천광역시(2009.11 제정)에서는 대체 수자원 확보를 위한 빗물 이용의 효율적인 이용을 도모하고 재해예방과 환경보전에 기여하기 위해서 빗물의 침투 저류 및 이용에 대한 사항을 추가하여 빗물관리에 관한 조례를 제정하였습니다.

특히, 수원시의 물순환 관리에 관한 조례(2009.06 제정)와 남양주의 물관리 및 물순환기본조례(2009.10 제정)에서는 빗물 이용뿐만 아니라 물순환 건전화를 통한 기후 변화 대응생태계 등 지구환경의 보전으로 그 범위가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조례의 경우「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법률」의 기반시설 「환경정책기본법」의 사전환경성 검토 대상시설 대지면적 2,000㎡이상이고 연면적 3,000㎡ 이상인 건축물 등 수도법에 비해 적용범위가 넓고 빗물이용시설 설치 후 방치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설치 기준에 미달하거나 설치목적에 따라 이용되지 않는 경우 시설의 개선을 권고할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입니다.

이미지: 빗물 저류조 설치 법규

빗물 저류조 설치 법규


이미지: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및 자연재해 대책법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 및 자연재해 대책법

 

[당사의 PC저류조 공법소개]

 

당사의 PC저류조는 구조물의 중량을 최소화 하면서 토압 및 외력에 충분한 강성을 갖게 한 L형 벽체와 기둥, 거더 및 슬래브를 PC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버림을 친후 외벽 부재를 설치합니다. 또한 현장에서 기둥부재를 설치하고, 하부로 철근을 관통시키는 방법으로 배근함으로써 바닥의 강성확보 및 기둥과의 일체성을 높였습니다. 기초 바닥 슬래브를 타설하여 합성을 하고 난 후에는 공장에서 제작된 각각의 PC보, PC슬래브의 PC 부재를 연결하여 일체화 시키고, 최종적으로 상부 슬래브(토핑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함으로써 제품을 일체화 하는 공정을 마무리 합니다.

이미지: 공법개요

공법개요

 

PC저류조 특징

1. 지하저류형 빗물저류조 시설로 설계되어 토지의 효과적인 이용이 기대됩니다.

2. 공장에서 제작되어 품질이 균일하며, 부재조립을 통한 공사기간이 짧아 경제적 입니다.

3. 용량에 맞추어 설계되며, 안전율을 고려하여 개별적인 PC부재를 설계하므로 안정된 구조체로 시공 됩니다.

4. 부지의 형태에 맞춘 다양한 시공이 가능합니다.

5. 소규모에서 대규모의 유수지까지 광범위하게 대응이 가능합니다.

6. 방재역할 수행 및 빗물이용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으며, 중수도 이용 및 초기 비점오염시설과 연결 가능합니다.

7. 불투수층이 증가하고 있는 도심구간에서 적극 활용 가능합니다.  

 

- 시공순서

1

터파기 및 기초 타설, L형 외벽 설치


이미지: 터파기 및 기초 타설,

터파기 및 기초 타설,



이미지: L형 외벽 설치

L형 외벽 설치


2

기둥 설치 및 바닥 콘크리트 타설


이미지: 바닥 콘크리트 타설

바닥 콘크리트 타설



이미지: 기둥 설치

기둥 설치


3

거더 설치 및 슬래브 조립


이미지: 거더 설치

거더 설치



이미지: 슬래브 조립

슬래브 조립


 

4

토핑 콘크리트 타설 및 완성


이미지: 토핑 콘크리트 타설

토핑 콘크리트 타설



이미지: 완성

완성


 

- 시장의 여건

 

최근 행정중심복합도시 등 정부청사와 공공시설에서 빗물유출저감시설을 의무화 하고 있으며, 소방방재청이 '우수유출저감시설 설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빗물저류조설치시장은 향후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수도법과 서울특별시 빗물저수조 설치 지침에 의해 빗물저류조를 설치하는 건축물이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기 때문에 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은 주로 수세식 변기용, 살수용, 조경용, 세차용 등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이렇게 사용되는 사용수는 수도법에 규정된 중수도 수질기준을 만족하여야 합니다. 빗물이 흘러 저류조에 저장될 때 비점오염원을 동반하여 저류되는데,기존에는 이런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UV 또는 오존 등을 사용하는 Advanced Oxidation Process(AOP)를 많이 사용하였습니다. 그러나 이 방식은 경제성이 낮아 빗물저류조의 활성화에 어려움을 겪었고, 현재는 비점오염방지 시설, 초기우수처리 시설 등의 기술이 발전하여 중수도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게릴라성 폭우로 인한 저지대의 침수방지 및 가뭄을 대비하고자 도심지 구간 곳곳에 건축물 규모에 따른 빗물저류설치를 의무화함에 따라 시장규모도 점차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조립식 PC저류조 매출계획

당사는 2015년 9월부터 저류조 개발을 위하여 방대한 자료의 수집과 연구개발에 매진해왔으며, 올 2016년 4월에 관련 특허를 신청하였습니다. 앞서 소개한 당사 조립식 PC저류조의 완벽한 수밀성의 확보와 건축 PC 공법의 조립을 통한 공기 단축효과 등의 특장점을 바탕으로 방재신기술을 신청할 예정이며, 당사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를 향상 시키고 관급시장에 조기 연착륙할 수 있도록 할 계획입니다.

 

 

2. 경영상의 주요계약
                                                                                               
                                                                                                 (단위: 백만원)

계약상대방

특수관계여부

계약기간

계약내용

계약금액

비고

조달청

2015.07. ~ 2017.06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9,496

증액

조달청

2016.07. ~ 2017.04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11,015

증액

조달청

2016.04 ~ 2018.04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18,781 증액

조달청

2018.12 ~ 2020.09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8,401 감액

조달청

2020.12 ~ 2021.05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4,463
조달청 2021.03 ~ 2011.04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3,378 신규
조달청 2021.4 ~ 2022.04 조립식철근콘크리트암거블록 납품 5,640 신규


우수제품 지정제도는 조달물자 향상을 위해 1996년도에 도입되어 중소기업이 생산한 제품 중 기술 및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대상으로 엄정한 평가를 통하여 지정하는 제도입니다.평가방법은 신제품(NEP) 또는 신기술(NET)이 적용된 인증제품 또는 특허 및 실용신안이 적용된 제품중에서 품질이 우수한 제품을 선정합니다. 지정기간은 3년을 기준으로 최대 3년 연장이 가능하며, 국가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26조 또는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제25조에 따라 수의계약을 체결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우수제품으로 지정되어 조달청과의 계약을 맺었고, 이는 추후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3. 조직도

이미지: (주)케이씨산업 조직도

(주)케이씨산업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감사전  재무제표입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는 전자공시 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7(당)    기말 2021년 12월 31일 현재
제 26(전)    기말 2020년 12월 31일 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27(당)기 제 26(전)기
자                산

Ⅰ. 유  동  자  산 38,537,707,583 36,652,459,251
    현금및현금성자산 1,645,285,281 5,215,525,539
    단기금융상품
6,286,901,241 5,749,015,589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7,089,540,862 14,676,028,748
    재고자산 9,950,202,287 9,103,159,853
    기타유동자산 3,565,777,912 1,908,729,522
Ⅱ. 비유동자산 77,212,927,022 42,875,343,755
    장기금융상품
819,745,707 917,796,167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 1,737,073,778 1,723,261,924
    관계기업및공동기업 1,000,000,000 100,000,000
    매출채권및기타채권 2,455,028,382 2,367,314,140
    유형자산 65,289,791,214 33,709,291,175
    투자부동산 2,754,235,833 1,827,105,683
    무형자산 3,157,052,108 1,366,351,143
    이연법인세자산 - 864,223,523
자   산    총   계 115,750,634,605 79,527,803,006
부                채

Ⅰ. 유 동 부 채 49,837,470,922 36,204,089,118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3,539,012,510 13,303,676,653
    단기차입금 7,409,530,000 2,600,000,000
    유동성장기부채 4,250,024,573 107,008,709
    사채 16,533,451,923 15,281,538,151
    파생금융부채 315,686,000 541,636,000
    리스부채 368,935,072 242,798,486
    당기법인세부채 431,945,145 173,742,634
    기타유동부채 6,988,885,699 3,953,688,485
Ⅱ. 비유동부채 31,966,234,865 23,251,449,773
    매입채무및기타채무 150,480,100 1,139,562,449
    장기차입금 23,486,360,008 18,182,648,946
    사채 4,883,227,357 3,153,731,751
    확정급여채무 598,015,505 248,577,227
    리스부채 374,413,696 326,929,400
    기타비유동부채 200,000,000 200,000,000
    이연법인세부채 2,273,738,199 -
부   채    총   계 81,803,705,787 59,455,538,891
자                본

    자본금 3,562,626,500 3,562,626,500
    기타자본항목 23,887,318,418 11,140,084,068
    이익잉여금 6,496,983,900 5,369,553,547
자   본    총   계 33,946,928,818 20,072,264,115
부채와 자본총계 115,750,634,605 79,527,803,006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7(당)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제 26(전)기  2020년 01월 0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7(당)기 제 26(전)기
Ⅰ. 매출액 74,525,791,057 73,382,798,274
Ⅱ. 매출원가 64,167,407,881 61,790,861,826
Ⅲ. 매출총이익 10,358,383,176 11,591,936,448
Ⅳ. 판매비와 관리비 7,267,904,589 6,216,304,596
Ⅴ. 영업이익 3,090,478,587 5,375,631,852
Ⅵ. 기타수익 716,545,578 431,203,982
Ⅶ. 기타비용 335,388,875 1,036,214,197
Ⅷ. 금융수익 365,302,357 145,890,938
Ⅸ. 금융비용 2,199,682,946 3,546,186,002
Ⅹ.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637,254,701 1,370,326,573
XI. 법인세비용 56,702,828 (309,898,958)
XII. 당기순이익 1,580,551,873 1,680,225,531
XIII. 기타포괄이익(손실) (453,121,520) (121,760,51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손익 -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453,121,520) (121,760,51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손익 - -
   매도가능증권평가이익(손실) - -
XIV. 총포괄이익
1,127,430,353 1,558,465,015
XV. 주당손익

   기본주당순이익 222 236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제 27(당)기  2021년 01월 01일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
제 26(전)기  2020년 01월 01일부터 2020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27 기 제 26 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6,496,983,900 5,369,553,547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5,369,553,547 3,811,088,532
2. 회계변경의 누적효과                         -                         -
3. 당기순이익 1,580,551,873 1,680,225,531
4. 보험수리적손익 (453,121,520) (121,760,516)
Ⅱ.  이익잉여금처분액 - -
Ⅲ.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6,496,983,900 5,369,553,547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박 광 노

1961. 09.09

사내이사 - 타인 재선임
 최 경 침 1957. 01.02 사내이사 - 타인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박 광 노 (주)케이씨산업 사내이사

1991.12 ~ 1995.05.
1995.05 ~ 2004.04.

2004.04 ~ 2013.12
2014.01. ~ 현재

(주)표준개발 근무
중앙개발(주)  근무
(주)케이씨건설
(주)케이씨산업
-
 최 경 침 (주)케이씨산업 안전관리본부장(부사장)

1991.07 ~ 2000.05.
2000.06 ~ 2005.09.

LG건설 근무
(주) 새터기술 근무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박 광 노 - - -
최 경 침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후보자의 경력에 따른 실무 경험이나 전문지식으로 회사의 의사결정 과정에서 전문적 의견 제시 가능 할 것으로 판단.
- 전문성과 독립성을 바탕으로 대주주 및 다른 이사로부터 독자적으로 견제, 감시감독 역할을 수행하며, 대안 제시를 통한 회사의 경쟁력 제고에 기여
- 회사와의 거래, 겸직 등에 따른 특정한 이해관계가 없으며, 독립성과 책임감, 윤리의식 등 고려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 - 박광노(22.03.16)

확인서 - 박광노(22.03.16)

이미지: 확인서 - 최경침(22.03.16)

확인서 - 최경침(22.03.16)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2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2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710,27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2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9,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는 경영, 영업활동,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 및 관계사 임직원을 대상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예정에 있음.
 현재 대상자 평가중에 있어, 주주총회 전에 확정하여 주주총회 승인을 받을 예정입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 - - - -
- - - - -
- - - - -
- - - -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
기타 조건의 개요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해당사항 없음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3 제3항 및 당사 정관 제10조에 의거하여 2022년 3월 31일 개최 예정인 주주총회에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를 승인받을 예정입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2.03.23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당사는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주주총회 1주전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kccond.co.kr), '홈페이지' → '홍보센터' → '기업공시')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향후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해당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정정될 수 있으며,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된 정정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COVID-19) 관련 주총 참석 안내
1. 당사의 정기주주총회는 2022년 3월 31일(수) 당사 서울사무소 11층 회의실 (서울시 송파구 백제고분로 67)에서 진행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국내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로 인한 확산세가 진정되지 않고 있는 점을 감안하여, 당사가 발송한 주주총회 위임장을 통한 의결권을 행사하시는 방안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2.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의무적으로 마스크 착용후 입장해주셔야 하며, 입구에 설치된 '열화상 카메라' 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분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불가피하게 직접 참석을 원하시는 경우 아래와 같은 경우에는 정기주주총회 입장이 제한될 수 있으니 양해 부탁드립니다.
- 해외 지역을 2주 내 방문 후 코로나19 감염 증상이 나타난 경우
- 동거 가족 중 코로나19 감염 증상자가 있는 경우
- 감염병 특별관리지역으로 지정된 지역을 2주 이내 방문한 경우
- 그 외 확진자 동선 상 감염 가능성이 우려되는 경우

(참고) 감염 증상 : 37.5도 이상의 고열, 기침, 인후통, 호흡곤란, 근육통 등 주주총회를 현장에서 참석하실 경우에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시고, 개인위생수칙 및 사회적 거리 두기를 실천해주시길 부탁드리며, 총회장 입장 전 체온을 측정할 예정이오니 체온이 37.5도 이상의 고열이 측정되는 경우 모두의 안전을 위하여 총회장 입장이 제한될 수도 있음을 안내 드립니다.
만약,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없이 재공시할 예정입니다.

코로나19 감염 예방을 위해 주주 및 관계자분들의 많은 협조 부탁드립니다.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사유
당사는 금년도 정기주주총회 일정 결정시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을 피하여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내부 결산 일정과 외부감사인의 감사일정 및 관계법령 개정등  대내외 일정을 조율하고 원활한 주주총회 운영 준비를 위한 일정을 고려하여 부득이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인 2022년 3월 31일에 정기주주총회를 개최하게 되었음을 알려드립니다.

코넥스협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일은 3/25(금), 3/30(수), 3/31(목) 입니다. 추후 주주총회 개최 시 집중일을 피해 분산 개최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하도록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