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 년 03 월 16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디피코 | |
대 표 이 사 : | 송신근 | |
본 점 소 재 지 : |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우천산업단지 60-44 | |
(전 화)033-340-4800 | ||
(홈페이지)http://www.dpeco.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부사장 | (성 명)박욱근 |
(전 화)033-340-48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4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 정관 제19조에 의하여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21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
1. 일시 및 장소
- 주주총회 소집일 : 2021년 03월 31일(목) 오전 09시부터
- 주주총회 개최 장소: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우천산업단지로 60-44 ㈜디피코 본사 2층
2.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3. 결의 사항
- 제1호 의안: 제24기(2021.01.01~2021.12.31) 재무제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 제2호 의안: 이사 선임 승인의 건 (사내이사 송신근 재선임)
- 제3호 의안: 임원직 퇴직금 지급 규정 승인의 건
제2조(임원의 정의) : 이 규정의 적용 대상이 되는 임원이란 주주총회 에서 선임된 등기임원(상근, 비상근)을 말한다.
- 제4호 의안: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당기 승인요구액 10억원)
- 제5호 의안: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당기 승인요구액 2억원)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당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여권)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위임장
(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주주 인감증명서,대리인의 신분증)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한국예탁결제원의 의결권 행사(섀도우보팅)제도가 2018년 1월 1일부터 폐지됨에 따라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2021년 03월 15 일 |
주식회사 디피코 |
대표이사 송신근 (직인생략) |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업계현황 및 전망
[엔지니어링 사업부]
(1) 산업의 개요
엔지니어링 기술 전문 지식을 종합적으로 동원하여 원하는 기능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생산 시스템을 설계, 개발 및 구축, 운영하는 부가가치적 경제 활동으로 각종 산업공장 혹은 시설물을 설치할 때 이에 대한 계획수립과정부터 주어진 산업공장/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모든 기술적인 서비스를 통칭합니다.
엔지니어링 개념을 적용하는 사업 대상의 하나하나가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그리고 사업 담당자가 엔지니어링 기업, 관계되는 집단이 산업조직을 형성 하는 경우 그들 전체를 총칭하여 엔지니어링 산업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산업의 성립요건을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첫째, 사업주(Project Owner)에 의한 엔지니어링 기업 존재의 인식과 인지
둘째, 사업 수행상 엔지니어링 기업과 상호 보완관계를 갖는 관련 기업의 명확한 구분
셋째, 사업주(Owner), 엔지니어링 기업, 관련 기업 상호간의 합리적 대가의 형성과 지불 관습의 형성
넷째, 엔지니어링 사업을 주요 업무로써 경제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는 기업군의 형성 등입니다.
(가) 엔지니어링 산업의 발전과정
국내에 본격적인 엔지니어링 산업이 형성된 계기는 1961년의「한국 경제 해외 개발 5개년 계획」이며 그 때까지 한국의 엔지니어링 시장은 Bechtel. Fluor Daniel, Parsons 등 미국계 엔지니어링 기업에 의해 독점 되어 있었습니다.
1960년대 자립경제의 추진과 더불어 식량자급을 위한 비료공업 등 화학 플랜트의 건설단계에서 엔지니어링 산업의 중요성을 인식한 정부의 강력한 의지의 표명으로 1970년 1월 지금의 삼성 엔지니어링의 전신인 코리아 엔지니어링이 설립되었고, 이어서 1974년에 대림 엔지니어링, 현대 엔지니어링, 1976년에 대우 엔지니어링이 설립되며 엔지니어링 산업이 본격적으로 태동하였습니다. 회사를 설립한 90년대 말에는 아직 국내 자동차 엔지니어링 산업이 활성화 되어 있지 않은 상황 이었습니다. 국내 자동차 엔지니어링 산업은 현대/기아 등 한국 자동차 업체가 직접 업무를 수행함으로서 엔지니어링 업무의 부가가치를 높게 평가하지 않는 상황이었습니다.
(나) 엔지니어링 산업의 특성
엔지니어링 산업은 타 산업과 다른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가장 큰 차이는 수요에 대응하는 방식 차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존 산업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에 대해 직접적으로 재화와 용역을 제공하는 형태로서 소비자의 수요에 대하여 공급자의 직접대응 형태를 보이지만, 엔지니어링 업무는 공급자가 소비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고자 할 때 매개적인 기능으로서 발생되는 것이기 때문에 엔지니어링 산업은 수요에 직접 대응하는 방식이라기보다는 간접대응방식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수요에 대한 간접 대응방식은 엔지니어링 산업의 구조적 특성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1) 엔지니어링 산업의 수요구조
엔지니어링 산업의 수요구조는 몇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습니다.
첫째, 엔지니어링 시장의 범위는 매우 포괄적입니다. 엔지니어링 산업의 수요자는 정부와 민간을 포함하여 전 산업에 걸쳐 존재하며, 그 활동영역이 대단히 포괄적입니다.
둘째, 엔지니어링 시장의 범위는 매우 유동적이며 확정적이라기보다는 확률적 과정을 따릅니다, 엔지니어링 업무의 범위는 기본설계, 상세설계, 구매서비스 혹은 구매, 건설 혹은 건설 감리와 시 운전 등 계약에 의해 업무의 범위와 전체 사업에서 차지하는 비용이 결정됩니다, 따라서 엔지니어링 산업의 규모가 계약 형성시점에서 다양한 사회적 요구에 의해 다양한 기술분야의 설비의 수요에 의해 업무의 범위 등이 결정되는 측면에서 유동적일 뿐 아니라 계약에 따라 엔지니어링 대가의 요율이 달리 결정될 수 있으므로 이 유동성은 더욱 증가하게 됩니다.
셋째, 엔지니어링 산업은 수요시장에서 수요 산업 부문별 상호 보완성을 가지고 있으며 공급시장의 공급 부문간에는 상호 대체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술부문간에 대체성은 존재하기 어렵습니다.
넷째, 일반 생산 요소의 경우 한가지 생산 요소는 자본재 등을 형성 하는데 재화나 용역의 한계 생산력이 일치할 때까지 원가계정 상호간의 대체성이 존재하지만 엔지니어링은 필수적인 기술 및 노하우 등의 대체사용이 불가능하므로 노동, 자본 등과 한계 생산력 측면에서 상호 대체성이 약합니다. 어떤 기술인력이 필수적인 기술이나 노하우를 가지고 있는 경우 자본을 투자하여 인력을 감소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합니다.
다섯째, 엔지니어링 산업의 수요와 공급은 가격에 의해서가 결정된다기 보다는 기술수준의 양과 질에 의해서 결정됩니다. 더불어 엔지니어링 산업의 수요는 경제개발 계획 및 국가 정책에 의해서 영향을 받습니다.
여섯째, 엔지니어링 산업은 총수요에 의해서 공급이 종속됩니다. 일반 상품의 경우 생산자는 수요자가 결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다양한 상품을 제조한 후 다수의 소비자들로 하여금 상품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소비자의 선택을 유발하기 위하여 생산자는 소비자의 욕구를 관찰하고 만족시키려 하나 수요자가 일일이 주문 때 제작하도록 하는 경우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우 계약이 이루어지기 전 공급자가 상품을 사전 제작해 놓을 수 없으며 수요자의 주문에 의해 계약이 발생한 후 그 계약상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기 위한 업무가 진행되므로 공급자는 보다 수요자에게 종속되게 됩니다. 실제로 기술이 수요 욕구를 창출하고 이 수요 욕구가 생산설비의 수요 욕구를 유발하나, 엔지니어링 산업의 수요 요건 중에서 크기 및 영향력을 계량적으로 추출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기술을 통한 수요의 창조는 매우 적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일곱째, 엔지니어링 수요는 성장 단계에 있는 산업보다 성숙 단계의 산업에서 더욱 크게 나타납니다.
2) 엔지니어링 산업의 공급구조
엔지니어링 기업은 엔지니어링 사업의 중심 담당자로 대부분 한개 사업에 복수의 기업이 참여하는데, 그 담당자의 중심을 주 계약자라 부르며 주 계약자 아래 여러 기업이 참여하는 형태를 갖습니다. 주 계약자는 기본 기능과 요소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는 종합 엔지니어링 기업이 되며 그 기능 중 일부만을 수행 하는 다수의 공급자가 하부계층(Sub-contractor)를 이루는 구조를 갖습니다. 이러한 특징을 ‘계층화 공급구조’라고 부를 수 있으며, 계층화 공급구조가 가지는 기술적 의미는 기술의 분업화를 통한 기술의 확산, 전문 기업 간에 분업화를 통한 경쟁력의 확보를 들 수 있으며, 문제점으로는 하나의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기술 체계가 분업화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프로젝트 기술을 분해하고 통합하는 능력을 가진 프로젝트 매니저에게는 기업 조직이나 기술 계열을 초월한 전 방위적 기술적 능력이 요구된다는 것이 있습니다. 계층화 공급 구조의 경제적 의미로는 기술의 분업화가 잘 이루어질 때 가격 면에서 국제 경쟁력의 확보가 가능하고, 관련업계 기업 사이에 경쟁조건이 평등화되어 시장의 적정한 성장을 기대할 수 있으며, 업계 전체의 엔지니어링화를 위한 촉진할 수 있어 기술발전의 시너지를 기대할 수 형태로 있다는 것입니다.
(2) 시장규모 현황 및 추이
(가) 글로벌 자동차 시장 현황 및 전망
동사의 엔지니어링 사업부는 전방산업인 자동차 시장규모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S&P Global에 따르면, 2021년 글로벌 상용차를 제외한 Light Vehicle의 판매량은 전년 대비 8-10% 증가한 8천 3백 ~ 8천 5백대로 전망됩니다. 코로나19에 따른 수요 억제 한계 및 각국의 수요촉진 정책의 결과로 당초 예상 대비 더 빠른 글로벌 반등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특히 미국과 중국에서 양호한 수요가 계속되고 있고, 다른 국가들도 경제 정상화에 따라 수요 회복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다만 차량용 반도체 부족 및 텍사스 기후문제 등의 변수는 생산의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공급 정상화 시기에 대해서는 많은 의견이 있지만, 올해 4분기 이후 정상화 궤도에 진입할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합니다. 이러한 추세들로 봤을 때, 글로벌 자동차 시장은 견조한 수요를 바탕으로 점진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지역별 Light Vehicle 판매량 추이]
![]() |
자료 s&p global |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전망]
구분 |
2020 |
2021F |
2022F |
2023F |
|
생산량 |
YoY(%) |
YoY(%) |
YoY(%) |
YoY(%) |
|
미국 판매 |
14.5 |
(15) |
14-16 |
-1-0 |
-1-0 |
중국 판매 |
24.5 |
(4) |
5-9 |
2-4 |
2-4 |
유럽 판매 |
16.4 |
(21) |
9-11 |
7-9 |
7-9 |
나머지 국가들 판매 |
21.9 |
(20) |
6-8 |
4-6 |
3-5 |
Light Vehicle 글로벌 판매 |
77.2 |
(15) |
8-10 |
3-5 |
3-5 |
Light Vehicle 글로벌 생산 |
74.6 |
(16) |
12-14 |
6-8 |
1-2 |
자료 : S&P Global / 생산량 단위: 백만대
[글로벌 Light Vehicle 판매량 vs 생산량 추이]
![]() |
자료 s&p global |
국내 자동차시장의 경우에도 글로벌 자동차시장의 상황과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2021년 국내 자동차 회사 5개사 1 ~ 5월 누적 판매량은 60만 4,709대로 전년 동기 대비 38.6% 증가했습니다. 최근 현대, 기아차 등 국내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유례없는 차량용 반도체의 부족으로 한동안 생산 차질을 겪고 있으나 5월을 저점으로 공급차질 우려는 점차 해소 중이고, 높은 수요는 유지중입니다.
현대기아차의 경우 지난 2Q21 실적 발표에서 확인했듯이, 공급 차질에도 불구 재고 소진을 통한 도매판매 안정화로 완성차 중심의 뚜렷한 실적 개선세가 두드려졌습니다. 향후 공급이 정상화 될 경우 그 동안의 공급 차질분을 만회하기 위한 공급량 증가가 기대되는 상황입니다.
[현대차그룹 도매판매 추이]
구분 |
‘21년 7월 |
YoY(%) |
MoM(%) |
2021YTD |
YoY(%) |
현대차 |
309,901 |
(2.4) |
(13.1) |
2,341,094 |
21.6 |
국내판매 |
59,856 |
(22.6) |
(12.5) |
445,951 |
(3.5) |
해외판매 |
250,045 |
4.2 |
(13.2) |
1,895,143 |
29.6 |
기아 |
241,399 |
8.7 |
(5.0) |
1,685,506 |
21.5 |
국내판매 |
48,160 |
2.4 |
(2.3) |
326,544 |
0.4 |
해외판매 |
193,239 |
10.4 |
(5.6) |
1,358,962 |
28.0 |
현대차그룹 |
551,300 |
2.2 |
(9.7) |
4,026,600 |
21.6 |
국내판매 |
108,016 |
(13.2) |
(8.2) |
772,495 |
(1.9) |
해외판매 |
443,284 |
6.8 |
(10.1) |
3,254,105 |
28.9 |
자료: 현대차, 기아, 현대차증권
(나) 전기화물차 시장 추이 및 전망
국내외 배달용 경형(초소형) 전기화물차의 주요 전방시장은 택배 시장으로, 택배 산업이 연간 10% 수준의 성장이 기대됨에 따라 따라 중소형 화물용 전기차 수요도 증가하는 상황입니다. 더하여 정부의 친환경 자동차 시장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지원 정책 확대 등의 기조도 긍정적입니다. 정부는 올해 전기자 보조금 예산으로 지난해 8,188억원 대비 약 28% 증가한 1조 500억원을 배정했습니다.
소형 전기 화물차의 경우 지원 대수는 지난해 1만 3,000여대에서 올해 2만 5,000대로 늘렸습니다. 2025년에는 40,000대 수준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난 해 소형 전기화물차를 구매할 경우 국고 보조금과 지자체 보조금을 더해 서울 2,700만원(지자체 900만원), 경기도는 2,600만원(지자체 800만원)이 지원됐습니다. 올해 국고 보조금은 지난 해 대비 200만원 감소, 그리고 지자체 보조금도 이에 연동되어 약 100만원 가량 줄어들 것으로 보이나 여전히 내연기관 모델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가격 측면에서의 장점은 유효하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신규허가가 제한된 사업용 화물차 면허를 받을 수 있다는 점도 전기화물차 시장에 긍정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사업용 화물차의 경우 2,000 ~ 3,000만원 정도의 프리미엄을 주고 번호판을 구입해야 하는데, 전기화물차에 한해 신규 먼허를 발급하고 있어 추가비용없이 운송사업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2021년도 전기자동차 구매보조금 계획 및 내역]
구분 |
2020년 |
2021년 |
||
대수 |
금액 |
대수 |
금액 |
|
총금액 |
8,200 |
10,200 |
||
승용차 |
65,000 |
5,200 |
75,000 |
5,250 |
화물차 |
13,000 |
2,100 |
25,000 |
4,000 |
버스 |
650 |
650 |
1,000 |
800 |
이륜차 |
21,000 |
240 |
20,000 |
180 |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300 |
15 |
- |
- |
자료: 국회 / 단위: 억원, 대
(3) 경기변동의 특성
엔지니어링 산업은 90년대 중반까지 경제 성장과 더불어 고성장을 계속해 왔으나 97년 이후 경기 침체와 IMF 경제 위기로 말미암아 엔지니어링 산업 또한 불황기에 진입하여 많은 회사가 없어지고, 기술 경쟁력을 갖춘 일부 대기업과 중소 회사로 재편되어 지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은 산업 설비투자 동향과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으며, 산업설비 투자 동향은 거시경제 지표로서 국내외 경제여건과 경기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맞물려 중국 및 개발도상국의 자동차 산업의 성장축이 되고 있으며, 최근 심각한 스모그 등 대두된 환경문제로 인한 배기량 규제, 전기차 생산 강화 등으로 인한 신규 차종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들은 차량개발 및 설비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경기 침체기라더라도 매년 차종 변경 개발은 매년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엔지니어링 부문은 전체 매출의 90%이상이 글로벌 마켓에서 이루어지며 현재 전세계 약 30여 자동차메이커와의 계약을 통한 엔지니어링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들이 신규 개발투자 되고 있으므로 특별한 계절적 경기변동 특성은 없습니다.
(4)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회사의 엔지니어링 사업은 자동차 산업의 개발 주기와 연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의 각 세그먼트별 풀모델 체인지의 주기를 5년, 일부 변경 모델의 주기를 3년으로 보면 매년 각 세그먼트별 신 차종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가) 주요 인력 조달 방식
일반적으로 엔지니어링 산업은 특성상 제조업이나 일반 건설과는 달리 전문 인력에 의해 설계, 감리가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용역의 대가를 받는 산업의 구조이기 때문에 각 업무에 특성화된 다수의 전문 인력의 수급이 사업의 진행과 발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 주요 인력의 수급상 특성
엔지니어링 산업은 다양한 지식을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주요 기술 인력의 고용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지식 산업입니다. 그러므로 전문 기술 인력의 투입이 산업의 자원수급 시 매우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기술능력을 지닌 인적자원의 전문 기술자를 확보하는 것이 업계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또 하나의 방법일 수 있습니다.
(6) 경쟁상황
엔지니어링 산업에의 신규기업이 진입할 경우 외견상 과거에는 기술용역육성법에 등록제를 마련하여 신규업체의 자격(자본규모, 기술사의 보유 등)을 엄격히 제한해왔습니다. 그러나 '94년에 WTO체계의 출범, '97년부터 발효되는 정부조달부문에 대한 엔지니어링 시장의 대외개방을 앞두고 자율화와 효율화를 추구하는 취지에서 등록제를 신고제로 전환하면서 신규가입의 외형적인 진입장벽은 일부 해소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 산업의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들로는 규모의 경제, 제품의 차별화 정도, 절대적인 원가우위, 상표인지도, 진입시 소요되는 자본규모, 독자적인 생산기술의 확보, 유통경로의 접근가능성, 구매자의 교체비용, 정부 정책, 예상되는 보복행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우에는 1년에 어느 정도의 수주량을 확보해야 경제성을 유지할 수 있는가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산업에 있어서 적정량의 대량생산체제에 필요한 비용에 해당되는 것은 프로젝트를 수주하기 위해 준비하는 비용(프로포잘 작성비, 정보 수집비 등)과 프로젝트 수주시 투입되는 적정규모의 인력에 대한 인건비 등을 들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엔지니어링 산업에 있어서 진입초기에 필요한 자본규모는 타 산업에 비해 매우 작으며, 따라서 엔지니어링 산업의 경우 비슷한 규모의 타 산업에 비하여 진입장벽으로 크게 작용하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활동주체 가운데 자본금 2억원 미만의 영세기업들이 전체의 약 50%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 이러한 사실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업체들은 대부분 토목 및 건설분야의 상세설계 부문에 진입한 업체이며, 프로세스 플랜트 등 대형프로젝트분야에서 진입은 매우 적은 편입니다.
이와 같이 엔지니어링 산업에의 진입은 타 산업에 비해 비교적 쉬우나 엔지니어링 사업을 확보하는 것은 그리 쉽지 않습니다. 대형 프로젝트 분야에의 진입이 적은 것도 해당분야의 엔지니어링 기술능력, 자금조달능력, 업체의지명도 등 엔지니어링 사업에 대한 수주확보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제품의 차별화 정도는 한 엔지니어링 업체가 어떤 유형의 프로젝트에서 타 엔지니어링 업체보다 강점을 가지고 있는가로 볼 수 있는데, 엔지니어링 업체가 하나의 활동 분야에서 비교우위를 가지기 위해서는 해당분야의 프로젝트를 수주한 실적이 많거나 해당 분야의 프로세스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업체가 비교적 유리합니다.
즉, 프로젝트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요구되는 기술수준이 높거나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을 때 프로젝트의 차별화 정도가 크다고 말 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엔지니어링 업체들은 대체로 과거에는 주로 물량을 확보하는데 주력하였으나 다양한 경험을 하면서 최근에는 전문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차별화 전략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사업에 있어서 이미 진행 중에 있는 사업을 중간에 중단시켜 기존의 컨트렉터를 다른 컨트랙터로 교체시키는 경우 매우 커다란 손실을 발생시킵니다. 그러나 이러한 사례는 특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또한, 엔지니어링 프로젝트의 경우 고객(client)이 동일한 시설물 혹은 프로젝트를 반복하여 발주하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엔지니어링 업체의 입장에서도 동일한 내용의 프로젝트를 반복하여 수주하는 경우도 거의 없습니다. 그러나 동일한 내용의 엔지니어링 사업을 후속사업으로 추진하는 경우 과거에 수행한 업체에서 다른 업체로 그 컨트랙터를 변경할 경우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새로운 내용의 엔지니어링 서비스를 기대한다는 점에서 보다 유리한 점을 기대할 수 있으나 설계자료, 데이터, 경험 등 이미 보유한 관련자료에 대한 활용 정도의 미흡, 사업관리에 대한 새로운 관리 시스템의 도입 등 불리한 점이 발생합니다.
신규업체가 한 산업에 진입할 때 가장 에로가 되는 요인 가운데 하나가 바로 유통 경로인데 특히 기존의 업체들이 유통경로를 장악하고 있을 때 신규업체의 진입은 더욱 어려워집니다. 엔지니어링 산업에 있어서 유통경로는 그 특성상 발주자에게 접근하는데 필요한 세일즈 및 정보수집·분석 능력과 프로젝트를 수주한 후 사업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취급상사(vendor)에 대한 정보 및 이에 대한 활용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선진국의 경우 현지 국가에 지사나 사무소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도 바로 프로젝트에 대한 수주 정보를 입수·분석하여 프로젝트의 수주에 보다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기 위함입니다.
(7)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회사의 엔지니어링 사업부는 제품을 생산, 판매하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규제 사항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나) EPM(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정의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명확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는 않습니다만, 몇가지 참고 정의를 발췌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본 국토교통성(2012) ? 선진 기술을 이용한 입식 전동이륜차나 시내에서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1 ~ 2인이 타는 소형 전동콘셉트카 등을 포함하는 개념
2) 전황수(2013.10) ? 근거리 및 중거리를 주행할 수 있는 전기구동 방식의 개인용 이동수단을 통칭하며, 소형 전기 자동차, 세이웨이, 전기자전거, 전기 스쿠터등을 포함하는 이동수단
3) IRS Global(2015.09) ? 스마트한 전자제어 장치가 찹재돼, 별도의 수동 조낙 없이 스스로 균형을 잡고 세밀하게 주행할 수 있는 미래형 이동수단
4) 도로교통공단(2015.12) ? 1 ~ 2인이 상대적으로 단거리를 이용하기 위한 개인용 이동기기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고 1~2인이 중단거리 이동 수단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다) EPM(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분류
앞에서 살펴본 봐와 같이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형태는 한가지로 정의 할 수 없습니다. 퍼스널 ‘Personal’이라는 문자 그대로의 의미로 보면 1인이 이동하는데 쓰일 수 있는 모든 교통수단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최근 까지는 전동 휠, 전기 자전거, 전동 스쿠터, 전동 휠체어, 소형 전기차까지를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 하용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를 형태에 따라 분류하면 다음 표와 같습니다.
[형태에 따른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분류]
![]() |
1 |
![]() |
2 |
![]() |
3 |
또한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법적 관점에서 보면 보행과 유사한 기능과 성격을 같은 전동 휠체어, 전동 스쿠터 등의 보행 보조 기기와 근거리 이동수단용 전기 자전거, 퀵보드 등의 개인형 이동 기기 그리고 자동차로 등록할 수 있는 초소형 자동차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각각의 분류에 따라 현행법상 적용 법령 및 운행 공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법적인 측면에서의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구분]
![]() |
4 |
자료 :도로교통공단 교통과학연구원 ? 새로운 교통수단 이용에 대한 안전대책 연구(2016)
따라서, 각각의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용도에 맞는 운행 조건에 관한 법률 검토가 시급히 개선될 필요가 있고 현재 정치권, 학계 및 사업계에서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초소형자동차의 경우에는 시장수요의 증가와 안전운행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정부는 차종분류에 초소형 자동차를 신설하여 입법, 예고 중입니다.
(라) EPM(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특징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명확한 정의는 없지만, 나인봇, 세그웨이, 전동휠체어, 전동 스쿠터 등을 포함하는 좁은 의미에서의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집니다.
첫째, 휴대성이 좋습니다. 내연기관 교통수단에 비하여 크기 및 무게가 소형화, 경량화되어 휴대가 용이하며, 다른 교통수단에 휴대하여 탑승하기 편리합니다. 또한 작은 크기 때문에 주차난 걱정 없이 통학 및 통근 교통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전동킥보드, 전기자전거 형태의 모빌리티도 접이식으로 디자인되어 휴대 및 보관이 편리합니다.
둘째, 중단거리 이동에 편리합니다.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보통 10~20Km/h 정도의 속도를 낼 술 있습니다. 이는 보행자의 평균속도가 4Km/h인 점을 감안하면 도보로 이동하기에는 조금 멀고, 차량으로 이동하기에는 가까운 거리를 이동하기에 적합합니다(아래,“이동수단별 이동 거리에 따른 분담률”참조).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대중교통 승하차장에서 최종목적지까지 이동해야하는 라스트마일(Last mile)문제의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동수단별 이동 거리에 따른 분담률]
|
|
|
|
(단위 : %) |
|
이동수단 |
이동거리(km) |
||||
1km 이하 |
1~2.5km |
2.5~5km |
5~7.5km |
7.5km 이상 |
|
차량 |
9 |
31 |
52 |
65 |
84 |
대중교통 |
0 |
0 |
3 |
3 |
5 |
PM |
26 |
45 |
37 |
29 |
8 |
도보 |
64 |
23 |
7 |
2 |
0 |
기타 |
1 |
1 |
1 |
1 |
3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자료 : 자동차안전연구원, IRS Global(2015), p.25에서 재인용
셋째, 친환경적입니다. 전기를 동력으로 하므로 내연기관을 이용할 때보다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고, 에너지 소비 절감효과가 크다. 또한 근거리 이동의 편리성을 제공하여 중,단거리 자가용 이용자의 감소에 따른 교통 혼잡 저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넷째, 신체적 약자 및 고령자의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적합합니다. 관절을 움직이기 힘든 이용자는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를 이용하여 그 위에 서서 이동하거나, 의자에 앉아서 이동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퍼스널 모빌리티의 기능은 초고령 사회의 진입 시 고려되어야 할 신체 약자 및 고령자의 보행 보조 기능을 수행하여 노약자 및 개인의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다섯째, 테마파크 내의 보조 이동 수단 및 레저의 성격이 강합니다. 한강공원, 일산 호수공원, 우도, 엑스포 전시장 등 넓은 전시공간에서의 간편한 이동 수단으로 활용되며,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자체가 하나의 레저 관광 상품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습니다.
(마) EPM(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사업 영역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나 현재 안정화 정착 단계에 접어든 사업 영역은 크게 아래와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사업 영역_회사 분석]
![]() |
17 |
사진출처:
https://isorepublic.com/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412030028
http://www.humobile.co.kr/main/main.php
특히 교통 약자의 보행 보조기기인 전동 스쿠터 및 전동 휠체어는 고령화 사회 진입 및 복지 강화 정책과 맞물려 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습니다.
또한, 초소형 전기 자동차는 도심으로의 근거리 이동으로 인한 주차난과 교통난의 심화와 도심지, 골목상권등의 소물류 배송량의 증가에 따른 이륜차 물류이동에 사고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차종으로 초소형 자동차 시장의 수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초소형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분류체계에 초소형자동차에 대한 자동차 관리법의 개정안을 6월 입법예정으로 초소형자동차의 시장 진입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른 시장의 활성화로 초소형자동차의 시장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시장규모 현황 및 추이
(가) 글로벌 현황
최근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1인 가구의 확산, 인구의 고령화 등의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가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레저용으로만 이용됐던 과거와는 달리 근거리 이동수단의 개념이 더해지면서 관련 시장의 급성장이 전망됩니다. 특히 코로나19 확산에 따라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이 비대면 이동수단으로 각광받으며 가파르게 성장중입니다. 글로벌 리서치회사인 CVR에 따르면, 글로벌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2021년부터 2028년까지 연평균성장률을 5.8%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단순 레저형 뿐만 아니라 고령자나 장애인을 배려한 형태로도 진화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품목별 시장 점유율]
![]() |
자료 gvr |
자료 : S&P Global / 생산량 단위: 백만대
CVR에 따르면, 2020년 글로벌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 규모는 115억달러, 물량 기준으로는 약 4천 800만대 이상으로 예상됩니다. 인구 증가와 관련 기술 개발 발전 및 장애사고 증가 등이 시장 규모 확대를 견인하고 있고, 전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노인 인구와 관절염 등의 만성 질환 증가 또한 주요 원인입니다. 세계보건기구(WTO)의 2018년 보고서에 따르면, 전세계 노인 인구는 2000년 7%에서 2050년 16%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에 따른 관절염 환자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 규모]
![]() |
5 |
자료: GVR
이러한 측면에서 전동휠체어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미국 관절염 재단에 따르면, 2040년에는 관절염을 앓는 성인 인구가 약 7천 8백여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를 통해 전동휠체어 같은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요는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구매 및 대여에 대한 정부의 정책도 해당 시장의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글로벌 전동휠체어 지역별 시장 규모]
![]() |
6 |
자료: Maximize Market Research
(나) 국내시장
한국교통연구원에따르면, 국내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연평균 20% 이상 성장해 2022년에는 약 6,000억원 수준의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판매량은 20만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 중에서도 고령자나 장애인을 대상으로 한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국내는 사회가 급속히 도시화 산업화가 되면서 장애인의 발생 빈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총 인구 중 약 5% 정도가 장애인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그 수 또한 증가하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선천적 장애보다는 후천적 장애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전체 장애인 가운데 약 45.8%를 차지하는 지체 장애인의 경우는 대부분의 경우가 출생 후 각종 질병 산업재해 교통사고와 안전사고로 인한 것으로 나타나고, 전국 장애인 현황을 통한 2014년도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 유형을 분석해 보면 지체장애가 1,207,000명(45.8%), 뇌병변장애가 250,000명(9.5%)으로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장애인 등록자 수]
종류 |
2018 |
2019 |
2020(7월 기준) |
지체장애 |
1,239 |
1,223 |
1,207 |
시각장애 |
253 |
253 |
252 |
청각,언어 |
363 |
398 |
418 |
지적장애 |
207 |
213 |
217 |
뇌병변장애 |
253 |
252 |
250 |
자폐성장애 |
26 |
29 |
31 |
정신장애 |
102 |
103 |
104 |
신장장애 |
88 |
92 |
98 |
심장장애 |
5 |
5 |
5 |
호흡기장애 |
12 |
12 |
12 |
간장애 |
13 |
13 |
14 |
안면장애 |
3 |
3 |
3 |
장루,요루장애 |
15 |
15 |
15 |
뇌전증장애 |
7 |
7 |
7 |
합계 |
2,586 |
2,618 |
2,633 |
자료: 보건복지부 / 단위: 천명
주: * 1차 장애범주 확대(2000. 1): 뇌병변장애, 발달장애, 정신장애, 신장장애, 심장장애 포함* 2차 장애범주 확대(2003. 7): 호흡기장애, 간장애, 안면장애, 장루.요루장애, 간질장애 포함 ※ 발달장애는 자폐성장애, 정신지체는 지적장애로 명칭 변경(2007.4), 간질장애는 뇌전증장애로 명칭 변경(2015.11) *현재 장애유형은 지체,뇌병변,시각,청각,언어,지적,정신,자폐성,신장,심장,호흡기,간,안면,장루요루,뇌전증의 15가지 유형임 * 장애등급제 폐지(2019.7)
국내에서는 장애인의 경우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를 구입하고자 할 경우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기준액, 고시금액 및 실구입금액 중 최저 금액의 100분의 9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 받을수 있습니다.
[지급 기준]
구입당시 기준액, 고시금액, 실구입금액 중 최저금액의 90% 금액을 지원
구분 |
전동휠체어 |
전동스쿠터 |
기준금액 |
2,090,000 |
1,670,000 |
내구연한 |
6년 |
6년 |
※ 수리비용은 본인이 전액 부담하되 전동휠체어·전동스쿠터용 전지는 보험급여 됨 (기준액 160,000. 내구연한 1.5년) / 출처 : 급여품목안내책자 ? 건강보험관리공단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음
전동휠체어 : 2,090,000원(내구연한 6년)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기타 중복장애인 1~3급
공단부담금(80% 1,672,000원) 본인 부담금(20% 418,000원) 만12세부터 지원
시, 군, 구청(100% 2,090,000원) 본인 부담금(없음) 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전동스쿠터 : 1,670,000원(내구연한 6년)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기타 중복장애인 1~4급
공단부담금(80% 1,336,000원) 본인 부담금(20% 334,000원) 만12세부터 지원
시, 군, 구청(100% 1,670,000원) 본인 부담금(없음) 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수동휠체어 : 480,000원(내구연한 5년)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기타 중복장애인 1~5급
공단부담금(80% 384,000원) 본인 부담금(20% 96,000원) 연령제한 없음
시, 군, 구청(100% 480,000원) 본인 부담금(없음) 수급자 차상위계층 장애인
한국의 경우 2000년에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율 7.3%를 기록하며 고령화사회(노인비중 7%이상)에 진입했고, 2017년에 노인 인구 비율이 14%가 넘어가며 고령사회(노인비중 14%이상)로 진입했습니다. 또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노인비중 20%이상)로의 진입이 예상되는 상황입니다. 아직까지는 일본이나 일부 선진국들의 노인 인구 비율이 더 높지만 지금까지의 고령화 속도로 봤을 때, 앞으로도 노인 인구 비율의 가파른 증가세가 예상됩니다.
[국내 연령계층별 인구 구성비]
![]() |
7 |
출처 : 통계청
노인 인구의 증가는 결국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수요로 이어져 관련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국내외 시장 예측 자료]
|
|
|
|
|
|
(단위:백만원) |
||||
시장규모 |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
세계시장 |
6,281,930 |
6,859,867 |
7,490,975 |
8,180,145 |
8,932,718 |
|||||
국내시장 |
35,936 |
37,122 |
38,347 |
39,612 |
40,919 |
![]() |
8 |
작성근거 |
세계시장 |
1st Personal Mobility Devices Market Analysis By Product (Wheelchairs, Scooters, Walking Aids, Canes, Crutches, Walkers, Premium Rollators, Low Cost Rollators) And Segment Forecasts To 2020, Published: March 2015, GRAND VIEW RESEARCH |
|
2nd : The global personal mobility devices market was valued at USD 4,1570 millon in 2013 and is expected to grow at a CAGR of 9.2% during the forecast period |
|
국내시장 |
|
첫째로,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에서 연간 조사하는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입 실적보고를 근거로 식품의약품전처에서 공표한 통계자료를 근거로 산정함 |
|
둘째로, 2016년도 까지 생산된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의 금액을 산정하였으며, 2017년 이후는 연간 3.3%의 성장률로 시장이 성장한다는 가정을 기준으로 예측한 수치임 |
(3) 경기변동의 특성
전동보장구는 환자운반차로 주로 장애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애인의 경우 스스로의 생활환경 내 이동을 위하여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를 사용합니다.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의 경우 실내 및 실외에서의 이동수단임에 따라서 계절적 변화에 따른 수요변동이 발생하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한겨울이나 한여름의 경우에는 판매가 일부 감소하는 현상이 있습니다.
다만, 장애인에 대한 판매 외에도 보행이 어려운 노인을 대상으로 한 실버용품으로의 판매 대상확대, 농촌지역의 판매확대 등으로 인하여 전동스쿠터의 경우 계절적인 요인과 상관없이 지속적으로 매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4)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전동보장구는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 [별표7]에 따라서 내구연한을 6년으로 규정하고 있으나, 내구연한 6년은 장애인 보조기구를 이용하는 장애인들의 욕구 변화 및 물가의 변화요인 등을 반영하지 못하여 현실성이 떨어지고 있습니다. 전동보장구 중 전동휠체어의 사용기간을 설문한 결과를 보면 2년에서 3년 사이의 응답자가 31%로 가장 높았고, 5년 이상이 26%, 3년에서 4년 사이가 20% 순으로 나타났습니다(전동휠체어 소모품의 건강보험 확대 적용 방안 모색, 공청회 2014). 실제로 전동휠체어를 5년 이상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고장 등의 이유로 사용이 어렵게 되기 때문입니다.
5년 이상 사용하는 장애인은 전체의 26% 정도이며, 2년에서 4년 사이에 재 구매를 하는 사용자는 전체 사용자의 50% 이상을 보이고 있음으로, 제도권 내에서 규정하고 있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6년이지만 실질적 사용자의 구매형태를 예측하여보면 3년이 실질적인 라이프사이클입니다. 사용자의 행동 패턴 및 환경에 따라서 차이점은 있지만 3년 정도 사용한 이후에는 소모품 교환 및 모터 등과 같은 주요부품의 교체비용의 증가로 인하여 지속적인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신규 제품을 구매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게 됩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전동보장구의 주요 원재료는 모터, 컨트롤러, 배터리, 프레임 및 기타 전장 및 샤시 부품류입니다. 모터, 컨트롤러의 경우는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 모두 해외에서 매입하고 있으며, 배터리는 국내의 공급업체를 통하여 공급받고 있습니다. 해외에서 매입하고 있는 원재료의 경우는 환율의 변동에 따른 위험성이 존재할 수 있지만 수출 대금 범위 내에 존재함으로 인하여 큰 영향은 없습니다. 프레임의 경우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하여 판매수량이 많은 제품의 경우 해외(중국)에서 OEM 생산하여 매입하고 있으며, 자체적인 생산도 진행하고 있어 원재료 확보에 문제점 없이 대처하고 있습니다. 단, 철(파이프 및 철판) 소재 부품의 경우 자체적인 생산을 할 때 국제 시세의 변동에 따라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6) 경쟁상황
전동보장구 제품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 수입 수리 실적 보고에 관한 규정에 따라서 매년 제조사 및 수출입업체는 한국의료기기산업협회를 통하여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생산실적, 수출실적, 수입실적 및 수리실적 등을 보고해야 합니다. 이렇게 수집된 자료는 국내 의료기기 산업의 실태파악 및 사후관리, 의료기기 산업 발전계획 수립 등의 통계 자료로 정부, 업계 및 학계 등의 여러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생산 및 수출입실적 통계자료(2020)에 따르면, 전동식휠체어(분류번호 A19010.02)의 생산실적 현황으로 업체 수는 6개소 생산실적 2,587대, 의료용 스쿠터(분류번호 A19040.01) 업체 수는 6개소 생산실적 13,925대이고, 수출입 실적 현황을 보면 전동식휠체어(분류번호 A19010.02)의 업체 수는 9개소 수입실적은 803대, 의료용스쿠터(분류번호 A19040.01) 업체 수는 6개소 수입실적은 4,099대입니다. 따라서 국내에 전동식휠체어는 2020년도에 15개소에서 3,390대, 의료용스쿠터는 11개소에서 18,024대가 생산 또는 수입되어 판매되었습니다.
[의료용 스쿠터, 전동휠체어, 수동휠체어 생산 및 수입 현황]
No. |
모델 |
구분 |
2018 |
2019 |
2020 |
||||||
업체수 |
수량 |
금액 |
업체수 |
수량 |
금액 |
업체수 |
수량 |
금액 |
|||
1 |
의료용 스쿠터 |
생산 |
- |
13,431 |
20,279 |
6 |
15,136 |
23,035 |
5 |
13,925 |
21,390 |
수입 |
- |
5,504 |
4,611 |
9 |
4,939 |
4,197 |
6 |
4,099 |
3,305 |
||
합계 |
- |
18,935 |
24,890 |
15 |
20,075 |
27,232 |
11 |
18,024 |
24,695 |
||
2 |
전동 휠체어 |
생산 |
- |
3,862 |
6,900 |
6 |
3,588 |
6,370 |
6 |
2,587 |
4,688 |
수입 |
- |
2,397 |
4,049 |
11 |
1,274 |
2,572 |
9 |
803 |
1,947 |
||
합계 |
- |
6,259 |
10,949 |
17 |
4,862 |
8,942 |
15 |
3,390 |
6,635 |
||
TOTAL |
- |
25,194 |
35,839 |
32 |
24,937 |
36,174 |
26 |
21,414 |
31,330 |
||
3 |
수동 휠체어 |
생산 |
- |
28,442 |
10,883 |
13 |
26,612 |
9,553 |
13 |
27,633 |
10,667 |
수입 |
- |
53,615 |
7,865 |
50 |
59,686 |
7,813 |
49 |
59,901 |
7,435 |
||
합계 |
- |
82,057 |
18,748 |
63 |
86,298 |
17,366 |
62 |
87,534 |
18,102 |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단위: 생산금액: 백만원, 수입금액: 천USD
2019년 7월 26일 보건복지부 고시(제2019-161호)에 고시된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되어있는 전동보장구 제품은 전동휠체어 36종, 전동스쿠터 46종이며, 업체 수는 전동휠체어 15개소, 전동스쿠터 22개소입니다.
국내의 대표적인 제조업체로는 (주)케어라인, (주)거봉 등이 있으며, 수입업체로는 (주)오토복코리아 헬스케어, (주)통일의료기, (주)이지무브, 휠로피아 등이 있습니다.
(7)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가) 국내 법률 및 제도
1) 지원 체계
회사에서 제조 및 판매를 진행하고 있는 전동보장구 지원은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국가보훈처에서 공적 급여를 통한 지원이 가능한 제품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전동스쿠터 및 전동휠체어에 대한 지원, 그리고 고용노동부 및 국가보훈처에서는 전동휠체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공적급여 지원을 위하여 장애인보장구 급여평가위원회에서는 소비자 및 장애인 단체가 추천하는 전문인들로 구성되어 보험급여 대상 전동보장구의 선정, 적정가격 조정, 등록 제외 보장구 평가 등에 관한 사항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급여평가는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 보험급여를 받을 수 있는 제품을 지정하고 수입(제조)원가 및 성능, 품질 등을 제품별로 적정가격을 산정하여 고시하고 있으며, 적정가격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산출한 가격, 제조업자 또는 수입업자 등의 판매희망가격, 동일제품 또는 유사 제품의 시장조사 가격 등을 고려하여 적정 가격을 결정하여 고시합니다.
급여절차는 보장구처방전을 받은 장애인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 급여신청을 하면 적합여부를 결정하여 급여비(공단 부담 금액)를 지급합니다.
2) 법률 및 제도
전동보장구는 장애인보조기구 품목의 지정 등에 관한 규정에 따라서 전동휠체어와 전동스쿠터로 정의됩니다. 이러한 전동보장구 제품은 의료기기에 속함으로 인하여 품질관리 및 가격관련 제도권 내 있으며, 의료기기법에 적용되는 제품입니다. 따라서 의료기기 제조, 수입 및 수리업자는 필요한 시설과 (제조)품질관리체계를 미리 갖추어 허가를 신청하여야 하고 허가를 받아야 합니다. 회사는 의료기기업 제조업 허가(제5469호, 2016년 09월 05일,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를 받았으며, 품질확보를 위한 GMP인증(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적합인정서 (Certificate of GMP), 2016년 07월 25일, 경인지방식품의약품안전청)을 받아 제품을 제조관리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의료기기에 속하는 제품으로 전자의료기기 기준규격(전동휠체어 및 의료용 스쿠터)의 표준 규격이 제시되어 있으며, 표준규격 내에서는 체중이 100Kg 이내의 사람이 탑승하고 최대속도 15Km/h이하의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 스쿠터에 대한 요구사항과 시험방법에 대해 명시되어 있습니다.
공적 급여 대상제품임으로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에 따라서 장애인보장구 보험급여의 세부기준이 명시되어 있으며, 장애인보장구 급여평가위원회에서는 적정가격을 조정하여 보건복지부 고시로 공표합니다. 국민건강보험법에 따라서 보건복지부에 등록된 장애인 및 피부양자는 보장구에 대한 보험급여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받을 수 있으며, 동법 시행규칙에 따라서 대상제품은 국민건강보험공단에 등록된 품목을, 공단에 등록한 보장구 업소에서 구입한 경우만 보험급여가 가능합니다.
보험급여는 내구 연한 내에 1인당 한번만 가능합니다. 단, 진료담당 의사가 훼손, 마모 또는 장애인의 성장 또는 신체변형 등으로 계속 장착하기 부적격하거나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교체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는 경우는 내구연한 내에도 보험급여를 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부담금액은 기준액, 고시금액 및 실구입금액 중 최저금액의 100분의 90에 해당하는 금액이며, 전동부장구 및 전지(배터리)의 기준액 및 내구연한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동휠체어 : 기준액 2,090,000원, 내구연한 6년
-전동스쿠터 : 기준액 1,670,000원, 내구연한 6년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용 전지 : 기준액 160,000원, 내구연한 1.5년
나. 회사의 현황
가. 회사개요
1) 회사의 성장 과정
1997년 회사설립 초기에는 자동차의 생산기술업무 경험을 바탕으로 제품설계 도면에 대한 검증활동과(SE), 생산라인의 프로세스(공법설계) 및 용접지그의 설계 등을 포함한 제조공정 엔지니어링 서비스업무로 출발하였습니다.
2000년부터 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공장의 엔지니어링 및 품질육성 업무까지 확대하여 수행하였습니다. 2006년에는 자동차의 스타일링 및 제품설계 업무까지 수주하여 개발하는 능력을 갖춤으로써 명실상부한 자동차개발 통합 엔지니어링 회사로 도약하게 되었습니다.
2016년에 이러한 자동차개발 엔지니어링 기술을 바탕으로 회사의 염원인 자동차 제작사업을 하기 위한 첫번째 계획으로 전동스쿠터 및 전동휠체어를 개발하여 2017년부터 생산,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8.5M 전기 저상버스를 한국 시장에 부합하게 자체적으로 설계도면을 보완하여 중국에 OEM으로 주문자 생산하는 방식으로 제작 도입하여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2018년도 5월부터는 국내 택배 배송업무를 담당하게 될 초소형 전기화물차 개발에 착수하였고 2020년에는 본사를 강원도 횡성 우천산업단지로 이전하여 공장 준공과 아울러 초소형 전기화물차 “포트로”의 개발을 완료하여 2021년부터 본격적으로 판매하고 있습니다.
2) 해외 진출
설립 초기는 일본 JAPAN HICOM과 기술교류를 통해 일본의 설비 회사인 OS TOOL, FUJI Assembly System의 업무를 수행하였고 점차 중국, 이란 및 인도, 동남아, 중동 지역 등 개발도상국으로 까지 확대하여 현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요 실적으로 2006년에는 회사가 중국 길리자동차로부터 최초로 EMGRAND EC-7 차종을 Full Turn-Key로 상품기획부터 제품설계와 생산기술 엔지니어링 서비스업무까지를 수주를 하여 개발을 완료하였고 중국 업체로서는 최초로 유럽인증을 획득하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2009년 양산 이래 2020년 말까지 누적 생산대수가 260만대를 달성한 성공적으로 개발한 길리자동차의 유일한 Best Seller 모델입니다. 또한 2010년부터 2년 반 동안 당사가 턴키로 제품개발, 생산기술 및 품질육성 등 개발에 참여한 미국 CODA 전기자동차는 미국 자동차 안전법규에 만족하는 전기자동차로 생산되어 미국에서 2012년부터 양산 판매되었습니다. 2015년에는 중국 북경자동차(BAIC)의 X55 SENOVA SUV 차종을 턴키로 제품개발부터 양산까지의 업무를 수주하여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지금까지 일본, 중국, 이란, 인도, 말레이시아 등에서 제품설계 관련 약 24개, 제조공정 엔지니어링 서비스업무 관련 약 140개 해외 프로젝트 업무를 수주하여 수행을 하였습니다.
3) 회사의 연혁
년 월 |
주 요 내 용 |
1998.07. |
(주)디피코 설립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 자본금 1억 원 |
2000.01. 2001.10. 2002.02. 2003.09. 2004.01. |
ISO9001 취득 부설 기술연구소 설립 중소기업청 우수 컨설팅 회사 선정 (이후 3년 연속 선정) INNOBIZ(기술 혁신형 중소기업) 인증 기업으로 선정 ISO14001 취득 |
2005.11. 2007.03. 2014.01. 2016.07. 2017.05. |
100만불 수출의 탑 수상 벤처기업 등록 / KIBO A+멤버 기업선정 / 기업은행 유망중소기업 선정) 2014년 강소기업 선정 (고용노동부) GMP(의료기기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적합인증서) 인증취득(식품의약품안전처) 의료용 스쿠터(DP-101S) 제조인증허가 취득의료용 스쿠터(DP-301S) |
2017.09. 2017.09 2018.05 2018.10 2018.12 |
제조인증허가 취득 전동식 휠체어(DP-601W) 제조인증허가 취득 코넥스 상장(한국거래소) 자동차 제작자 등록(제18-3-0953호)(국토교통부) 자동차제원등록(차명: HU-SKY, 형식: HS85, 41인승대형승합차)(교통안전공단) |
2019.08 2020.08 2020.10 2021.08 |
초소형 전기자동차 제조허가 국토교통부 자기인증 완료(초소형전기화물차) 강원도 상생형일자리 선정 (대표회사 선정) 초소형 전기화물차 “포트로” 굿디자인 어워드 선정 |
2. 디피코의 보유 핵심기술 : 자동차개발 통합 엔지니어링 기술 및 제품개발 기술
“자동차개발 종합 엔지니어링 기술”의 핵심은 개발부문 (디자인, 제품설계, 시작차 제작, 실험 평가 등)과 생산기술부문, 제조부문, 품질부문을 비롯하여 출하, AS부문까지의 통합 엔지니어링 업무에 대하여 초기 계획한 Q, C, D 목표달성을 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하며 디피코는 20 여년 간 업무수행 실적과 메이저 자동차에서의 경험이 우수한 인재의 구성으로 이러한 기술 및 표준들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디피코는 메이저 자동차사를 제외하고 중소기업에서는 국내에서 이러한 기술 및 자동차 개발능력을 가진 유일한 회사입니다.
디피코는 이러한 종합엔지니어링 기술을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자동차를 타 경쟁사에 베해 짧은 개발기간, 최소의 개발비용으로 개발을 하고 있으며 현재는 초소형 전기화물트럭(포트로) , 전동스쿠터 및 전기 저상버스를 개발하여 생산, 판매 중에 있습니다.
1) 자동차개발 종합엔지니어링 기술의 주요 내용
구분 |
항목 |
주요 기술내용 |
1. 자동차 개발 기술 (제품설계기술) |
(1) 상품개발 기획 |
고객 요구 및 시장변화에 대응하고 고객의 요구에 대한 시장성, 구매, 생산, 원가 등이 포함된 상품의 개발 방향을 기획하는 업무입니다. |
(2) 경쟁차 벤치마킹 |
경쟁 차량 및 참고 차량의 설계조사 사양 조사, 상품성 평가 및 품질 평가를 하는 업무입니다. 이는 신규 개발 차량의 개발 목표설정에 기본이 되는 자료입니다. |
|
(3) 디자인 및 모델 제작 |
모든 고객 의도를 고려한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Exterior/Interior의 Styling과 Color를 가상의 이미지를 통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Model로써 구현하는 업무입니다 |
|
(4) 페키지 설계 |
차량의 전반적인 Concept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파워 트레인의 탑재, 주요 시스템의 위치 설정과 배치를 통한 운전자세, 거주성, 조작성, 시계성 등 이용자의 운전 및 거주 편의성을 갖추기 위한 Layout을 설계하는 업무입니다. |
|
(5) 제품설계 |
선행단계의 검토를 통해 승인되고 확정된 자료를 기준으로 BIW, Moving, 외장, 내장, 샤시 등의 구조, 단면, 재질, 결합구조, 장착방법, 성능검토 등의 설계를 완성하는 업무입니다. (3D DATA와 2D 도면) |
|
(6) 차량해석(CAE) |
제품설계가 차량 성능을 만족하는 지를 시작 차량을 제작하기 이전에 CAE 해석에 의하여 구조, 충돌안전 및 승객거동, NVH, 유동해석, 동역학 등의 해석을 통해 사전 설계에 반영하고 각 System에서 요구되는 기능과 성능목표를 검증하는 업무입니다. |
|
(7) 시작차 제작 |
양산 TOOL을 제작하기 전에 설계품질의 목표 검증을 위하여 시작도면에 의한 차량(시작차)을 제작하는 업무입니다. |
|
(8) 시작차시험, 평가 기술 |
제작된 시작차를 활용하여 차량의 시험, 평가를 통해 법 규제 및 인증 규제에 대응하는 업무이며 육성업무를 통하여 개발 목표의 확인,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성능개선, 법규 적합성, 상품성을 확인하고 목표달성을 위한 업무입니다. |
|
2. 자동차 생산 기술 |
(1) 설계도면의 검증 기술 |
제품 설계도면에 대해 제조공정의 생산기술적인 측면에서 작업성, 생산성, 품질 문제점을 분석하여 사전 설계에 반영시켜 제조공정에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업무입니다. |
(2) 설계공차의 검증 기술 |
차량 외관에 대해 설정된 품질공차에 대해 검증하고 부품에서 최종 완성차에서 공차가 달성 될 수 있는 프로세스 및 관리기준을 설정하는 업무입니다. |
|
(3) 제조공법의 작성 및 검증 기술 |
제조 공장의 설비 Layout, 생산방식, 물류, 생산설비의 제작사양, 생산라인의 편성, 생산라인의 작업내용 등 생산공장 건설을 위한 전반적인 업무를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
|
(4) 품질개선(육성) |
각 개발 단계 별 품질목표를 달성 할 수 있도록 품질개선 활동계획을 수립하고 수행하는 업무입니다. 품질개선 활동은 개발단계, 양산준비단계, 양산단계의 3단계로 나누어 품질개선 프로세스 및 TOOL을 통해 업무를 수행합니다. |
|
(5) 생산설비의 준비 |
제조공정에 필요한 치구 및 설비에 대한 기획, 설계, 제작, 설치 TRIAL을 통해 품질을 보증하며 안정된 차량 제작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준비 업무입니다. |
|
3. 부품품질 관리 |
(1) 부품품질 보증체계 구축 기술 |
납입 부품에 대해 제조공정에서 조립되는 각 단계별로 품질보증을 하는 관리체계 업무입니다 |
(2) 부품 초도품 관리 기술 |
PPAP (Product Part Approval Process)를 통해 - 설계사양과 요구조건에 맞는지 - 생산 공정이 요건들을 맞출 수 있는지 - 완성차에 조립 시 요구품질을 맞출 수 있는지 에 대한 과정 관리를 통해 요구품질과 안정된 부품 공급이 가능토록 하는 업무 입니다 |
|
4. 품질관리 및 초기유동관리 기술 |
(1) 품질관리 |
품질이 확보된 차량생산을 지속적으로 유지관리 하 기 위해 관리해야할 항목과 주기를 설정하고 점검하며 작업표준을 정해 생산을 하며 또한 품질이상 발생시 대책방안을 수립하여 해결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업무입니다 |
(2) 양산 초기유동관리 |
신차 개발 시 양산초기에는 생산요소(4M: Man, Machine, Material, Method)들이 불안정하여 요구 품질, 생산성 등의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것 들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목표치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는 업무입니다 |
|
5. 제조기술 |
(1) 프레스제조 기술 |
최적의 부품생산을 위해 생산량에 따른 부품별 Lot관리, 금형 및 프레스 유지보수 관리, 금형교환시간 관리, 소재 입출고 관리 등의 업무입니다 |
(2) 차체 용접기술 |
안정된 차체생산을 위해 설비 및 품질 등의 관리를 하며 특히 용접품질 확보 및 유지를 위해 검증하고 확인이 필요한 기술 업무입니다 |
|
(3) 도장 기술 |
전처리 및 전착의 특성치 (조건)관리, 방수 및 방청의 조건관리, 도료 조성비 관리, 공기 급배기관리, 환경 및 위험물 관리 등의 업무입니다 |
|
(4) 조립 기술 |
표준작업관리, 중점관리항목 (토르크, 품질Rank등) 관리, 차종별 액주입 관리, 직진율 관리 등의 업무입니다 |
|
6. 공장운영 기술 |
(1) 생산관리 |
공장 생산부문에서의 생산량지시 및 통제, 공정관리 및 자재관리 등의 공장의 생산을 운영하는 업무입니다 |
(2) AS 관리 운영 |
출하 후 AS에 대한 운영 및 FIELD CLAIM에 대한 운영업무입니다. |
2) 자동차개발 통합 엔지니어링 서비스 기술의 주요 실적
① 제품개발 실적 : 13개 프로젝트, 4개국 10개 고객사
당사는 20여년간 해외 자동차회사와 개발 수주계약에 의거 아래의 주요 Project에 참여한 실적과 KNOW-HOW를 갖고 있습니다.
프로젝트 |
업무 수행 범위 |
수행 기간 |
|||
Geely Emgrand EC7 |
|
- 플랫폼 개발 - 스타일링(Styling) - 차량(제품) 설계(차체, 내장, 외장, 패키지) - CAE해석 - 생산기술 (SE, DE, ME) - 품질개선, 시험평가, 외주부품 품질 개선 |
2009년 완료 Euro NCAP 4 star |
||
CODA USA |
|
- 차량(제품) 설계 개선 보완(차체, 내장) - 생산기술 (SE, DE, ME) - 품질육성, 외주부품품질개선 |
2012년 완료 FMVSS 4 star |
||
AD Motors COVI |
|
- 스타일링(Styling) - 차량(제품) 패키지 및 설계 (차체, 내장, 외장) - CAE해석 - 생산기술 (SE, DE 등) |
2012년 완료 |
||
ARIA US Trolley Bus |
|
- 차량(제품) 설계(차체, 외장) - SE(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 |
2012년 완료 |
||
SAIPA S133 |
|
- 스타일링(Styling) - 차량(제품) 설계(차체, 내장, 외장, 패키지) - CAE 해석 - SE(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 - 공차 해석 |
2012년 완료 |
||
BAIC |
|
- 스타일링(Styling) - 차량(제품) 설계(차체, 내장, 외장, 패키지) - CAE 해석 - 생산 기술 (SE, DE, ME) - 시작 부품 제작(차체, 내외장) - 시험, 평가 |
2015년 완료 China 5 star |
||
JAC (CATARC) |
|
- 스타일링 - 차량(제품) 설계(차체, 내장, 외장, 패키지) - SE (프레스, 차체, 도장, 조립) |
2015년 완료 |
||
KARMA 전기차 |
|
- Body 구조 검토 (알루미늄) |
2016년 완료 |
② 개발체계구축 실적 : 7개 공장건설 프로젝트, 6개 고객사
NO |
고객 |
프로젝트 |
기간 |
비고 |
1 |
북경 기차 |
신차 개발 시스템 |
2014.03 ~ 2015 |
중국 |
2 |
사천 기차 |
생산 기술 및 공장 관리 |
2013.11 ~ 2016 |
중국 |
3 |
복전 기차 |
생산 관리, 품질 보증 시스템 |
2012.05 ~ 2016 |
중국 |
4 |
복전 기차 |
SQE 시스템 |
2011.12 ~ 2014 |
중국 |
5 |
길리 기차 |
전사 개발 시스템 |
2006.06 ~ 2009 |
중국 |
6 |
합비 기차 |
생산 기술 및 생산 시스템 |
2003.10 ~ 2010 |
중국 |
7 |
이란 호드로 |
생산 기술 및 생산 시스템 |
2001.10 ~ 2004 |
이란 |
③생산기술 엔지니어링 서비스 실적 : 7개국 33개 고객사
구분 |
중국 |
인도 |
이란 |
태국 |
미국 |
말레이시아 |
한국 |
합계 |
SE(프레스/차체/도장/조립) |
18 |
1 |
19 |
|||||
SE(프레스/차체/조립) |
3 |
1 |
1 |
5 |
||||
SE(차체/도장/조립) |
4 |
4 |
||||||
SE(차체/조립) |
3 |
3 |
||||||
SE(프레스/차체) |
3 |
3 |
||||||
SE(도장/조립) |
10 |
10 |
||||||
SE(프레스) |
7 |
3 |
1 |
11 |
||||
SE(차체) |
19 |
11 |
2 |
1 |
7 |
40 |
||
SE(조립) |
5 |
5 |
||||||
SE(기타) |
4 |
1 |
5 |
|||||
계 |
76 |
11 |
7 |
2 |
1 |
1 |
7 |
105 |
④통합 엔지니어링 서비스 업무에 관한 기술표준 및 업무매뉴얼 구축
기술표준 1,778개, 업무매뉴얼 894개 보유 (개발관련 자료 다수 보유)
나. 시장 현황
1) 경형전기화물차
① 초소형 전기화물차 시장 환경
가) 택배 시장 수요 확대
매년 10% 이상 지속적인 물동량 증가로 2019년 기준 연간 약 27억 개의 물량이 배송되고 매출액 약 5.7조 원의 시장이 형성되었습니다. 2020년도는 약 33억 개의 물량과 8조 원의 시장형성되었습니다.
화물차는 2016년 말 기준 28,560대로, 적정 수요 39,951대 대비 28.5%가 부족한 것 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2021년 7월 30일 발표된 바에 따르면 2022년부터는 서울시 에 등록되는 택배용 화물차는 전기화물차에 한해 등록이 가능합니다
나) 관내(지역) 물류 시장 급속 성장
차량의 다양성 요구로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이 개정되어 차종 중 경형을 초소 형, 일반형으로 분리되었습니다. (자동차관리법 시행규칙 개정 : 2018.6.12.)
이는 국민 1인당 연 65회 이용하는 택배 이용 현황을 볼 때 생활 밀착형 물류 서비스 업으로 성장 가능성 충분하다 볼 수 있습니다.
2021년 현재 친환경 관내(지역) 물류 차량용으로 전기차 공급이 없어, 이륜차를
초소형, 경형으로 교체하려는 검토는 계속적으로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배달물량의 중량 증대: 50kg에서 200kg 이내 요구)
② 초소형 전기 화물차 주행 및 사용 환경
가) 운행 권역
근린 생활권, 관내(지역) 물류의 단거리 배달 증대 : 도심지, 아파트 등 주택가 골목상권의 소물류 택배 운송지역으로 근린 생활권을 중심으로 운행합니다.
나) 사용 여건
업무 및 생계 밀착형 차량으로 활용이 되며 초소형 화물차의 장점으로 인한 주거
밀집 지역의 배송, 주차 여건이 어려운 지역 배송 등 지역적 한계가 극복이 가능하여
배송 지연에 따른 소비자 불만 해소가 가능합니다.
다) 주행 여건
배송 업무의 특성상 정해진 구획 내에서 일정한 주행패턴을 가지고 있고 하루 주행거리 80Km 이내에서 운행, 화물 상 ? 하차성, 주행 안정성, 내구성, 등판, 최소회전반경 등 편리성이 요구됩니다.
라) 신규 배송용 차량 진입
1회 배달효율이 높고 안전사고를 경감할 수 있는 250kg급 초소형화물차의 필요성이 증대됩니다.
이륜차의 최대 적재량을 감안할 때 초소형화물차로 대체가능 합니다.
![]() |
이륜차 사륜차 시장 |
마) 전기차 보조금 지원정책 확대
환경문제로 향후 전기차 시장 확대 요구는 커질 수밖에 없으며, 정부도 보급 확대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따르면 2022년까지 전기 차량을
35만대까지 보급하는 것을 목표가 설정되어 있습니다.
화물차량의 약 30% 이상이 되어 무허가 영업 차량을 개선하기 위해 전기화물차에
대한 정부 지원이 확대 시행될 예정입니다. 2021년도 전기화물차에 대한 정부
보조금 지원 대수가 13,000대에서 25,000대로 확대되었습니다. 이 물량 중 2021년
중소기업 물량으로 10% 우선 배정되었습니다.
2021년부터는 정부 기관에서 차량 구매 시 친환경 차량 90% 이상 의무적으로 구매
되어야 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초소형 화물차의 시장 진입에 유리합니다.
전기화물차 정부보조금이 2021년 2.5만대에서 2022년에는 4만1천대로 확대 할
예산이 배정되었습니다.
③ 경형전기화물차 시장의 규모
택배 시장의 차량의 수요 증가와 환경 문제에 따른 친환경 자동차 확대를 위한 투자 및 정부 지원 정책의 확대로 인하여 본격적인 상용화 시대의 도래를 예상하며 국내의 배달용 경형(초소형) 전기 화물차의 수요는 2019년 5,000대에서 2025년에는 40,000대 까지 수요 예측합니다.
![]() |
전기차보조금 시장 예시 |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국내의 저상 전기버스는 주로 대중교통 수단으로 사용되는 차량으로서 시내버스와 마을버스로 양분되어 있습니다. 그중 당사가 판매하고 있는 차량은 차량의 구분은 대형이지만 8.5M급으로 마을버스나 시골에서의 대중교통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2020년 까지는 서울시의 경우 마을버스에 대한 정부 지원금이 별도로 편성되지 않았지만 2021년부터 100대를 배정하는 등 점차 확대를 하고 있습니다.
친환경 저상 전기 버스는 높은 에너지 효율, 환경오염방지, 적은 소음과 진동등 전기 자동차의 장점과 차체 바닥이 낮아 장애인과 노약자도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저상버스의 장점이 결합된 버스 이므로 지역 대중교통이용 활성화 및 교통약자 이용편의 증진을 위해 친환경 저상버스 도입을 정부와 각 지자체에서도 적극 확하는 정책을 펼쳐 나가고 있어 시장의 성장세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3) 전동용 스쿠터
① 시장규모 현황 및 추이
최근 환경 규제가 강화되고 1인 가구의 확산, 인구의 고령화 등의 사회적 변화로 인하여 전동 퍼스날 모빌리티가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레저용으로만 이용됐던 과거와는 달리 근거리 이동수단의 개념이 더해지면서 관련 시장의 급성장이 전망됩니다. 별다른 조정장치가 없이 사람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나인봇, 세그웨이와 같은 전동 휠과 더불어 최근 각광받고 있는 전기전거, 전동킥보드 등이 인기를 얻고 있는 차세대 개인형 이동수단으로, 이미 유럽을 중심으로 선진국에서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앉아서 타는 전동 휠이 공개되는 등 단순 레저형에서 고령자나 장애인을 배려한 형태로도 새롭게 진화하고 있습니다.
전기를 동력으로 사용함으로 배기가스가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적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소형 이동수단 임으로 교통체증과 주차 문제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습니다. 이에, 대규모의 글로벌 기업들이 적극적으로 투자를 강행하고 있습니다. 비록 초기 가격 정책의 실패로 중국 샤오미에 인수된 세그웨이도 30만원대(중국내수모델)라는 낮은 가격에 나인봇 미니를 판매하면서 국내 이용자도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습
니다. 2016년 7월말 현재 싱글 휠은 8,000대, 투 휠은 20,000대가 판매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면 이는 각각 2,500대, 1,000대에 머무르던 2014년에 비하여 싱글 휠은 5.5배, 투 휠은 34.3배 확대된 실적 입니다.
2015년 세계 시장이 약 50만대 정도 추산되는 전동휠체어 시장도 최근 인구 고령화 비율이 높아지면서 가파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경제력 증대로 전동휠체어의 증가 속도가 연평균 30%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국내에서도 고령화에 비례적으로 지속적인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가) 해외시장
전 세계 전동휠체어, 전동 스쿠터 시장은 미국이 약 51%를 차지, 유럽, 아시아/태평양 순 입니다. 2015년 전세계 시장 약50만대 중 미국이 26만대 예상 되고 있습니다. 전체 시장 규모는 매년 약 10~12% 정도 성장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미국 전동휠체어 시장의 경우, Electric Mobility Group 1~3로 구분 되며(G1 : Scooter, G2 : Basic Power Chair, G3 : Special Chair) G2는 Medicare에서 $2,300까지 지원되나, 매년 50 만명이 신청, 이중 90%가 Reject 됩니다. 의사의 처방전에 따라 유통업체와 소비자가 제품 결정하여 구매히며, 일반보험회사에서는 Medicare에 비해 30~40% 적게 보조 한다. 전동휠체어의 년간 소요량은 2009년 기준 약 180,000대 일반 Cash 거래시장은 약 $1,700 ~ $ 3,700 정도 수준이다. Scooter의 년간 소요량은 현재 약 80,000대 시장 형성, 향후 Cash 거래시장이 클 것으로 예상 됩니다.
나) 국내시장
국내는 사회가 급속히 도시화 산업화가 되면서 장애인의 발생 빈도도 점차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총 인구 5%정도가 장애인이며 다른 선진국에 비해 사회 여러 곳에서 많은 차별과 소외의 삶을 살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발생 원인을 살펴보면 선천적 장애보다는 후천적 장애가 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전체 장애인 가운데 50%를 차지하는 지체 장애인의 경우는 96.2%가 출생후 각종 질병 산업재해 교통사고와 안전사고로 인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 장애인 현황을 통한 2014년도 등록 장애인을 대상으로 장애 유형을 분석해 보면 지체장애가 1,295,000명(51.9%), 뇌병변장애가 251,000명(10.08%)으로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장애인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장애인의 경우 국내에서는 “국민건강보험법 시행규칙”에 따라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기준액, 고시금액 및 실구입금액 중 최저 금액의 100분의 90에 해당하는 금액을 지원 받을 수 있습니다.
![]() |
연도별 등록장애인추이 |
구분 |
전동휠체어 |
전동스쿠터 |
기준금액 |
2,090,000 |
1,670,000 |
내구연한 |
6년 |
6년 |
※ 수리비용은 본인이 전액 부담하되 전동휠체어·전동스쿠터용 전지는 보험급여 됨 (기준액 160,000. 내구 연한 1.5년) [출처 : 급여품목안내책자 ? 건강보험관리공단]
또한, 우리나라는 2000년, 65세이상 노인이 7.3%로 고령화사회(노인비중 7%이상)에 진입하였고, 2018년에는 14.2%로 고령사회(노인비중 14%이상)로의 진입이 확정 되었습니다. 또한 2026년에는 초고령 사회(노인비중 20%이상)로 빠르게 노인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향후 교통약자들을 위한 EPM의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지급현황] (단위: 백만원, 대)
모델 |
2016년 |
2017년 |
2018년 |
|||||||
지급금액 |
수량 |
비율 |
지급금액 |
수량 |
비율 |
지급금액 |
수량 |
비율 |
||
전동스쿠터 |
11,100 |
7,385 |
69.4% |
11,500 |
7,575 |
75.4% |
12,378 |
8,153 |
74.6% |
|
전동휠체어 |
4,900 |
2,605 |
30.6% |
4,700, |
2,474 |
24.6% |
5,270 |
2,274 |
25.4% |
|
합계 |
16,000 |
9,990 |
100.0% |
16,200, |
10,049 |
100.0% |
17,648 |
10,927 |
100.0% |
출처: 국민건강보험공단_자료
[국내외 시장 예측 자료] (단위:백만원)
시장규모 |
구분 |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세계시장 |
6,281,930 |
6,859,867 |
7,490,975 |
8,180,145 |
8,932,718 |
|
국내시장 |
35,936 |
37,122 |
38,347 |
39,612 |
40,919 |
② 국내 e-모빌리티 시장규모 및 판매량 추이
[표: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규모 및 시장 점유율, 출처: 디피코 자체 분석 자료]
![]() |
전동퍼스털모빌리티시장규모 |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엔지니어링 산업은 90년대 중반까지 경제 성장과 더불어 고성장을 계속해 왔으나 97년 이후 경기 침체와 IMF 경제 위기로 말미암아 엔지니어링 산업 또한 불황기에 진입하여 많은 회사가 없어지고, 기술 경쟁력을 갖춘 일부 대기업과 중소 회사로 재편되어 지고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은 산업 설비투자 동향과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으며, 산업설비 투자 동향은 거시경제 지표로서 국내외 경제여건과 경기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맞물려 중국 및 개발도상국의 자동차 산업의 성장축이 되고 있으며, 최근 심각한 스모그 등 대두된 환경문제로 인한 배기량 규제, 전기차 생산 강화 등으로 인한 신규 차종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들은 차량개발 및 설비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경기 침체기라더라도 매년 차종 변경 개발은 매년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엔지니어링 부문은 전체 매출의 90%이상이 글로벌 마켓에서 이루어지며 현재 전 세계 약 30여 자동차메이커와의 계약을 통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들이 신규 개발투자 되고 있으므로 특별한 계절적 경기변동 특성은 없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자동차 Engineering 사업은 국내에서는 경쟁업체는 존재하지 않으며 글로벌 세계 업체와의 수주 경쟁으로 주요고객은 전 세계의 각각의 글로벌 완성차 제조업체로써 회사의 적극적 영업력 및 기술력을 통한 수주 활동에 비교적 우호적 시장 환경이 조성 되어 있다고 있으며, 하기와 같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 및 전기차 시장의 확대에 따른 영업 및 지속적 매출 증대가 가능하다 할 수 있습니다.
2. 관련시장 (전방위 또는 후방위 시장)
1) 경형전기화물차
당사가 개발한 초소형 전기화믈차는 2020년 10월에 개발을 완료하여 12월에 첫 출시이후 2021년 3월부터 본격적인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현재 국내에서 판매하고 있는 경쟁차량은 대부분 중국에서 생산판매를 하고 있는 차량을 수입하여 개조 판매하고 있어 뚜렷한 경쟁 대상의 차량은 현재 없는 상태로 홍보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조속히 시장 점유율을 올리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 |
연도별 규모예축 |
① Supply Chain에서 주요 수요자(기업) 및 기술제품에 대한 주요 이슈(요구사항)
당사가 생산하고 있는 포트로는 국산화율이 85%로 사후관리에 용이하게 대응할 수 있습니다. 타 경쟁사의 경우 완성차가 중국산으로 모든 사후관리 부품을 수입하여 판매를 하여야 하는 관계로 수입에 어려울 수 있는 환경이나 당사는 추후 개발할 경형차량과도 부품을 공용화를 함으로서 고객들이 사후 관리에 필요한 부품 수급에 문제점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포트로는 적재중량이 250Kg으로서 타사의 100Kg에 비하여 월등한 차이가 있으며 특히 우정사업본부 택배 차량 사양인 에어백과 ABS 사양을 개발 완료하여 장착이 가능하므로 수요자의 요구에 만족하는 사양을 개발 완료 하였습니다.
그리고 일회 충전 주행거리가 150Km이상, 최고 속도가 100Km/H, 고속도로 주행이 가능한 경형 화물차도 2021년까지 개발을 완료하여 2022년부터 판매를 할 예정입니다.
② 수주실적 및 수요의 전망
가) 국내시장
- 2021년 초소형 전기화물차 포트로의 판매실적은 2021년 1월부터 2021년 12월 31일까지의 실적이며 총 491 출고가 이루어졌습니다.
![]() |
소형화물 수요예측 |
![]() |
초소형화물시장수요전망 |
나) 해외시장
- 해외시장별 주요 이슈
2020년 전 세계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는 3백만 대로, 전년 대비 41% 증가한 것 으로 나타 나고 있습니다.. 이 중 순수전기차(battery electric vehicles, BEV)의 비중은 2/3을 차지하 고 있습니다. 국가별로는, 동 기간 유럽의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가 140만 대를 기록 하였으 며, 중국(120만 대)과 미국(29만 5천 대)이 그 뒤를 따르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총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가 전년 대비 16% 감소한 반면, 동 기간 전체 신규 차량 중 전기차 비중은 전년 대비 70% 증가한 4.6%를 기록 했습니다.
코로나19 확산에도 2020년 전기차 시장이 안정적이었던 원인으로는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 코로나19 경기극복을 위한 전기차 관련 인센티브 추가 도입, 전기차 모델 확대 및 배터리 비용 하락 등이 있습니다. (전기차 보급 확대 정책) 코로나19 이전에도 여러 국가들이 탄소배출기준이나 무탄소배출 차량(zero-emission vehicle) 의무화 정책을 강화하고 있었으며, 특히 2020년에는 20개국이 내연기관차량의 판매를 금지하고 무탄소배출 차량의 판매를 의무화하는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코로나19 경기극복을 위한 전기차 인센티브 추가 도입) 유럽 일부 국가들은 전기차 구매 보조금을 확대하였으며, 중국은 전기차 보조금 제도를 2022년 까지 연장하였습니다.(전기차 모델 확대 및 배터리 비용 하락) 자동차 제조업체(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 OEM)들이 전기차 성능을 개선하고 다양한 전기차 모델을 출시하고 있으며, 전기차 배터리 비용은 하락하는 추세입니다.
(유럽) 2020년 유럽의 자동차 시장은 전년 대비 22% 축소되었으나,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는 두 배 이상 증가하여 140만 대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총 자동차 판매대수의 10%를 차지하는 수치입니다. 독일의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는 39만 5천 대, 프랑스는 18만 5천 대를 기록하였고, 동 기간 영국의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두 배 이상 증가한 17만 6천 대를 기록하였으며, 노르웨이에서는 신규 차량 등록대수 중 전기차의 비중이 사상 최대치인 75%를 기록하였습니다.
동 기간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 중 BEV의 비중은 54%를 차지하였는데, 네덜란드 에서 BEV의 비중이 82%로 가장 높았으며, 노르웨이(73%), 영국(62%), 프랑스 (60%)가 그 뒤를 이었고, EU의 자동차 탄소배출기준 강화와 코로나19 경기부양을 위한 전기차 구매보조금 확대 등으로 2020년 유럽의 전기차 판매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자동차 탄소배출기준 강화) EU는 수송부문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지속가능 한 스마트 수송전략(Sustainable and Smart Mobility Strategy) 수립과 함께 탄 소배출 및 연비 관련 지침과 규제들을 시행 중입니다.
(전기차 구매보조금 확대) 프랑스는 BEV 구매보조금을 최대 7,000유로까지 지급하고 신규 PHEV에는 2,000유로의 구매보조금을 지급하기로 하였고 독일은 2025년까지 BEV 구매보조금 9,000유로, PHEV 구매보조금 6,750유로를 지급 하기로 하였습니다.
(중국) 2020년 중국의 자동차 시장은 다른 국가들보다 코로나19의 영향을 적게 받아 총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9% 감소하는데 그쳤고, 2020년 상반기 에는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가 부진하였으나, 하반기에는 코로나19 영향에서 빠르게 벗어남에 따라 2020년 신규 자동차 판매 중 전기차의 비중이 5.7% (0.9%p 증가)를 기록햐였습니다. 총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 중 BEV의 비중은 80% 수준에 달하고 있습니다. 중국 정부는 코로나19, China6 시행 및 보조금 폐지 예정으로 위축된 신에너지차 (new energy vehicle, NEV)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NEV 구매보조금을 기존 2020년에서 2년 연장하여 2022년까지 지급하기로 결정하였고 또한, BEV, PHEV 및 FCV의 취득세를 2022년까지 면제할 계획을 밝혔습니다. 중국 정부는 구매보조금 시행기간을 연장하는 대신 지급 규모는 2019년 대비 2020년에는 10%, 2021년에는 20%, 2022년에는 30% 삭감하였습니다.
(미국) 2020년 미국의 자동차 시장은 전년 대비 23% 축소되었으나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는 이보다 소폭 감소(3만 2천 대)하여 29만 5천만 대의 신규 전기차가 등록되었으며, 이 중 BEV가 78%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가 연방 세금공제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GM 및 Tesla와 같은 주요 전기차 제조업체들에게 지급하던 인센티브가 고갈되면서 동 기간 전기차 판매 량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타) 기타 다른 국가들에서의 2020년 전기차 판매량은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캐나다에서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는 전년 대비 21% 감소한 반면 전기차 등록대수는 전년과 동일한 수준인 5만 1천 대를 기록하였으나, 뉴질랜드와 일본은 예외적으로 2020년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뉴질랜드의 경우에는 2020년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가 전년 대비 22% 감소하여 동 기간 총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 감소폭(-21%)과 비슷한 수준을 보였습니다. 일본은 동 기간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가 전년보다 25% 감소하여 2만 9천 대에 그쳤으며, 이는 총 신규 자동차 등록대수 감소폭(-11%)보다도 크게 감소한 수치입니다.
③ 주요 수요처
가) 국내 시장
B2B 물류배송시장인 우정국, 중대형마트(4,300개소), 물류회사, 택배회사, 유통, 공공 기관을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우정사업본부의 우편물 배달용 이륜차 대체 시장으로서 2021년 310대, 4년간 15,000대 보급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트럭 (디젤 차량) 대체 시장으로 라보 다마스 단종으로 인한 대체 시장의 진입과 불법 화물차량 대체 시장이 확대 가능한 분야입니다.
B2B 서비스 시장으로 kt, 케이블TV, 삼성 서비스, 웅진코웨이, 야쿠르트, 청호나이스 등 서비스 차량 교체 소요가 있으며, B2C 시장으로 농촌 경운기 대체 시장 및 수확한 농산물 이송용 차량용, 소상공인의 생계형 시장, B2G 시장 : 지자체에서 사용하는 근거리 이동 및 시설물 관리 차량으로서의 확대 요소가 있습니다.
나) 해외 시장
저가형 전기차를 개발하여 동남아 삼륜차 (툭툭이) 대체 시장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정부보조금/세제지원 중인 국가 또는 남미, 러시아, 동남아, 인도 등 수요국가에 대한 수출과 해외공장 건설 및 판매 (현지 투자 협의) ; SKD 생산방식에서 점차 CKD 생산공장으로 현지화 지원이 가능합니다.
해외시장의 진출 가능한 분야는 IDB를 통한 해외시장 진출 : 볼리비아(MOBI사) 파트너쉽을 통한중남미시장 진출사업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베트남 메콩오토를 통한 동남아시장 진출을 협의하고 있으며, 메콩오토와는 2020년 10월 전략적제휴을 체결한바 있으며 CKD형태로 500대의 수출을 협의 중입니다.
폴란드 UCD를 통한 유럽시장 진출을 모색중이며 2020년 8월 전략적 제휴의 체결로 약 3천대의 계약물량을 수출하기로 협의 되었으며, 2021년 9월 초소형전기화물차 포트로 1대를 초도물량으로 수출하였습니다. 현재 유럽진출을 위하여 유럽 인증 취득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한국 자동차 연구원을 통한 파라과이 시장의 진출을 검토 중에 있으며 현재 강원도와 ‘산업통상협력개발지원사업’을 사업명으로 하는 사업을 추진중에 있으며 2021년 파라과이의 재무장관이 당사의 공장현황을 방문하는 것을 협의 중에 있습니다.
④ Supply Chain에서 주요 공급자(기업) 및 공급자의 주요 경쟁능력
경쟁사 대비 국산화율이 가장 높은 포트로 전기화물차는 부품 95%가 국내 기업들로부터 납품되어지며 이들 기업 대부분은 현대, 기아 등 완성차회사와 관련된 2차, 3차 공급사들로써 양산공급을 위한 경험 및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중국의 수입차를 개조하여 제작하는 경쟁사 대비 충분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수입부품업체 ND는 중국의 디피코 합작회사로써 중국 전역으로부터 양질의 부품을 발굴하여 공급하는 역할을 전담하고 있는 관계로 가격, 품질, 납기 측면에서 충분히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고 불 수 있습니다.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① Supply Chain에서 주요 수요자(기업) 및 기술제품에 대한 주요 이슈(요구사항)
당사가 판매하고 있는 저상 전기버스는 국토부와 환경부 인증사항에 의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으며 고객이 사양에 맞는 차량을 선택하고 있으며 주요 이슈 사항은 품질의 보증기간 이외에 별도 추가로 차량 수명에 준하는 9년의 사후관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요구하는 품목은 배터리와 모터등 구동장치에 대한 사후관리를 요구하며 이는 가격의 추가요인으로 가산하여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이를 경우 충당금을 가산하여 책정할 필요가 있으며 수입판매상과 비교를 할 때 당사는 자동차 생산 제조 후 판매하는 공장을 보유하고 있는 관계로 유리한 영업 전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② 수주실적 및 수요의 전망
가) 수주 판매실적 (2019년3월 ? 2021년 8월30일 기준) : 총 255대 출하
연도 |
D-2년 |
D-1년 |
당해사업년도(D) |
D+1년(E) |
D+2년(E) |
규모 |
217 |
2,272 |
5,911 |
20,800 |
42,200 |
연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단위 : 백만 원)
나) 국내 시장의 수요전망
전국의 운송회사와 지자체에서는 운행되고 있는 버스를 친환경버스로 대체하는 계획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전기버스 시장은 지속적으로 안정적인 수요처를 가지고 있습니다.
③ 주요 수요처
마을버스운송사와 시 군구 대중교통수단으로 사용됩니다.
④ Supply Chain에서 주요 공급자(기업) 및 공급자의 주요 경쟁능력
당사는 국내 대기업에서 자동차를 제조 판매하는 것과 같이 일반 수입후 판매만을 하는 수입상이 아닌 관계로 사후관리를 충분히 할 수 있으며 또한 기동 A/S팀이 전기차 생산품의 사후관리와 함께 가동되고 있음으로서 타 수입판매상과의 차별성을 기하고 있습니다.
3) 전동용 스쿠터
1) 국내시장의 특성
국내 시장의 특성은 노인인구의 증가 및 보조금 지원 확대, 인식의 변환 등의 요건으로 인하여 사업의 안전성 및 성장성도 높고 지속성도 안정적인 지속이 가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따라서 다양한 업체의 경쟁이 발생하고, 품질 및 기술력의 확보가 어려운 업체의 경우 소비자의 요구조건을 만족할 수 없어 지속적인 사업의 영위가 어려울 것이고, 추가적인 제품의 개발을 통하여 다양한 경쟁 상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장특성 |
구분 |
국내 |
국외 |
비고 |
시장상태(독점/경쟁) |
경쟁 |
경쟁 |
- |
|
안전성 |
높음 |
높음 |
- |
|
지속성 |
지속 |
지속 |
- |
|
성장성 |
높음 |
높음 |
- |
현재 전동 스쿠터, 전동 휠체어의 국내시장에서는 저품질, 저가격의 중국산 제품이 주로 유통됨으로 인하여 다양한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전동 스쿠터, 전동 휠체어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6년의 주기로 신규 구매가 가능할 수 있도록 보조금을 지급하고 있어, 소득이 많지 않은 장애인의 경우 한번 구입을 한 이후에는 6년을 사용하여야 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국산 저품질의 제품을 구매한 사용자는 6년동안 높은 수리비용을 감소하거나 아니면 보조금 없이 자부담으로 신규 제품을 구매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20여개 업체가 저가의 중국/대만산의 수입품 위주로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소비자들은 유지비용이 많이 드는 저품질의 제품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회사는 자동차 종합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을 기반으로 축적된 제품 개발 Know how를 바탕으로 2016년 DP201S를 개발 완료하고 2017년 본격적으로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DP101S, DP301S등 2종의 전동 스쿠터, DP601W 전동 휠체어등 TOTAL 3종의 전동 퍼스날 모빌리티를 신규 개발하여 2018년부터 공격적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습니다.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당사의 엔지니어링 서비스 업무는 전량 해외의 자동차 생산업체와 자동차 설비관련 업체를 대상으로 매출이 해외업무를 기준으로 최근 10년간 평균 100억원에 달할 정도로 안정적인 수익원이었으며 직원들의 해외 출장업무로 진행되었다.
그러나 2020년 1월에 발생한 코로나-19 로 인하여 당사 임직원들의 해외출장이 불가함에 따라서 엔지니어링 서비스업무가 중단되어 있습니다. 작년 한해는 상호 업무가 화상으로도 진행될 수 없을 정도로 심각한 상태가 지속되었으나 2021년 하반기부터 다소 완화가 되고 있는 실정이라 2022년 하반기 부터는 회복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 단위 : 미화 $
연도 |
D-2년 |
D-1년 |
최근사업년도(D) |
D+1년(E) |
D+2년(E) |
규모 |
- |
18,000 |
0 |
500,000 |
2,000,000 |
연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
① Supply Chain에서 주요 수요자(기업) 및 기술제품에 대한 주요 이슈(요구사항)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은 고객의 요구조건과 품질 목표에 의거 업무를 수행하는 관계로 요구조건과 업무수행에 있어서 주요 이슈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5) 수요의 전망
회사의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은 자동차 산업의 개발 주기와 연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의 각 세그먼트별 풀모델 체인지의 주기를 5년, 일부 변경 모델의 주기를 3년으로 보면 매년 각 세그먼트별 신차종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은 없다고 볼 수 있으며 개발 주기에 따라서 수요가 발생합니다.
그리고 엔지니어링 산업은 다양한 지식을 제공하는 산업으로서, 주요 기술인력의 고용을 기반으로 운영되는 지식산업입니다. 20여년 간의 고객과의 밀접한 관계유지는 회사의 표준사항과 업무 추진스타일에도 당사가 적응하기에 타사와의 차별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관계 수요사와의 경험이 있는 전문 기술인력의 투입이 매우 중요한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 기술능력을 지닌 인적자원의 확보하고 있는 당사는 업계에서 우위를 차지하는 또 하나의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① 주요 수요처
![]() |
주요 수요처 |
② Supply Chain에서 주요 공급자(기업) 및 공급자의 주요 경쟁능력
엔지니어링 산업은 특성상 제조업이나 일반 건설과는 달리 전문 인력에 의해 설계, 감리가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용역의 대가를 받는 산업의 구조이기 때문에 각 업무에 특성화된 다수의 전문 인력의 수급이 사업의 진행과 발전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볼 수 있습니다.
4. 기술(제품)별 경쟁업체 시장점유율
1) 경형전기화물차
① 국내 주요 경쟁사 시장 점유율 현황
우리나라의 화물전기차 시장은 초소형, 경형, 소형으로 형성되어 있습니다. 이중 소형 전기차 시장의 점유율이 전체 전기화물차 점유율의 95%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포트로는 초소형 시장에서 2021년부터 판매가 시작되어 현재 약 255대의 출하실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2019년 우정사업본부에 납품된 택배용 초소형전기화물차로 인하여 약 1천대까지의 판매량을 보였으나, 이후 초소형전기화물차 판매량은 저하되었습니다. 2021년 포트로 출시이후 초소형 전기화물차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표 초소형 경형 화물차 판매 추이, 디피코 내부 보고 자료]
![]() |
2021년 초소형 전기 화물차 시장 |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의 도입은 각 지방자치단체별, 운수회사별 구매계약이 이루어집니다. 2021년 1분기 전기버스 점유율은 다음 표와 같습니다.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국내 버스시장이 위축된 반면 전기버스 수요는 점차 증가되는 시장현상이 감지가 되고 있습니다. 연료 특성상 대부분 시내버스로 활용되는 전기.수소 등의 친환경 버스 1분기 신규 등록은 203대로 전년 1분기(53대) 대비 283% 증가했습니다. 친환경버스의 차량가격이 일반 디젤버스의 3~4배가 넘는 만큼, 지자체별 전기버스 구매보조금 예산에 따라 운수업체의 구매력이 좌우됩니다. 이중 전기 시내버스는 총 177대로, 국산은 80대, 수입(주로 중국산)은 97대로 집계됐습니다. 전기버스의 경우 수도권 및 대도시 구너역서 전기버스 구매 의지가 강한데, 올해도 정부 및 지자체가 친환경버스 구매 보조금 예산을 늘렸습니다.
![]() |
2021년 1분기 전기버스 시장 |
![]() |
중대병 버스 신규등록 추이 |
![]() |
차량별 연료별 신규등록 추이 |
3) 전동용 스쿠터
① 국내 주요 경쟁사 시장 점유율 현황
국내시장 경쟁업체 현황 |
업체명 |
제조/수입 |
전동스쿠터 모델 |
전동휠체어 모델 |
시장점유율 |
㈜케어라인 |
제조 |
5 |
5 |
50% |
|
㈜휠로피아 |
수입 |
4 |
3 |
15% |
|
㈜이지무브 |
제조/수입 |
2/5 |
3/8 |
10% |
|
오토복코리아헬스케어 |
수입 |
X |
7 |
10% |
|
기타 |
제조/수입 |
다수 |
다수 |
15% |
![]() |
전동용스쿠터시장점유율.png |
출처 : 회사 조사 자료
국내 제조/판매 회사는 ㈜케어라인이 시장의 50%를 점유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10개의 수입/판매 회사가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따라서 회사의 수십년 쌓인 자동차 엔지니어링 기술을 접목하여 개발하고 또한 직접 제조/판매하는 회사의 전동 스쿠터, 전동 휠체어의 시장 확대 가능성은 아주 높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의 특성상 기업과 엔지니어링 업체의 개별 수주 계약을 통한 프로젝트의 수행으로 외부지표로 나타내어지는 현황을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5. 주력제품의 경쟁상황(경쟁사간 가격비교)
1) 경형전기화물차
①업체경쟁력분석- 제품과제품외역량(가격의비교)
[표 초소형전기차 가격, 디피코 내부 자료]
![]() |
화물전기자동차가격비교 |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당사에서 OEM방식으로 수입판매하고 있는 8.5M급 저상전기버스는 북경모터스와 당사 2개사입니다. 경쟁사인 북경모터스는 단순히 중국에서 제품을 수입하여 국내 시장에 판매만하고 있으며 당사는 제품 선정 초기부터 당사가 보유한 엔지니어링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운영 조건’에 대하여 설계단계부터 참여하여 제품을 개발, 생산한 것을 국내로 도입 판매하고 있어 경쟁사 대비 가격뿐만이 아니라 고객으로부터의 신뢰를 차별화 하고 있습니다.
제품 도입후 운영에 있어서도 단일 제품만을 판매, A/S서비스를하고 있는 경쟁사에 비교하여 당사에서는 기존의 초소형전기트럭과의 업무 및 인력등을 공유함으로써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의 국내시장 공급 및 A/S대응에 있어서도 가격 경쟁 우위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3) 전동용 스쿠터
전동 스쿠터 및 휠체어등의 국내 시장에서의 특징은 저가의 중국산 제품이 시장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당사는 가격경쟁전략 보다는 품질로 승부를 내려 제품 tkdiid에서의 차별화 전략과 상품성에서의 차별화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현재는 기본형, 중급형, 고급형 그리고 휠체어를 생산 판매하고 있지만 중급형과 고급형 사이에 새로운 프리미엄급 제품을 확장하여 부품원가를 낮추게 되면 경쟁사의 제품가격과 품질보다는 당사의 가격경쟁력이 확보될 것입니다.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당사는 창립 이래 23여년동안 자동차 설계 및 개발 그리고 생산기술과 양산준비기술 및 품질확보 기술에 있어 독보적인 노하우와 개발 시스템 및 각각의 표준을 완성하여 자동차 엔지니어링 분야에 있어 기술의 집약적 완성도를 높여왔습니다. 이러한 남다른 노력의 결과로 품질뿐만이 아닌 가격경쟁력에 있어서도 경쟁업체인 중국과 유럽 업체들과 비교하여 유리한 가격 경쟁력을 확보 했습니다.
핵심 기술인 자동차 설계 기술에 있어 ‘Digital process frame work'을 구비하여 자동차 세그멘트 별, 성능별 최적화된 ’흐름 설계‘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러한 ’디지털 워킹 프로세스‘는 고임금 엔지니어 수요로부터 자유롭고 특히 ’코로나 상황‘에서의 비대면과 원격에서의 업무 진행에 특별한 강점이 되고 있습니다.
6. 최근 급부상하는 주요 경쟁자
1) 경형전기화물차
국내에서 생산되는 초소형전기화물차는 디피코의 포트로가 유일하며, 다른 경쟁사는 중국에서 수입된 승용형의 차량을 개조하여 화물차용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았습니다. 다만 쉐보레의 라보, 다마스 단종 이후 JJ모터스에서 라보,다마스를 전기차로 개조 판매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아직 인증절차를 완료하지 못하여 정확한 비교를 할 수는 없으나 초소형전기화물차에서는 포트로가 향후에도 강력한 시장점유율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는 에디슨모터스가 시장점유율을 확대해 가며 기존 대형 버스 제조사인 현대, 기아, 자일대우버스의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3) 전동용 스쿠터
국내의 대표적인 제조업체로는 (주)케어라인, (주)거봉 등이 있으며, 수입업체로는 (주)오토복코리아 헬스케어, (주)통일의료기, (주)이지무브, 휠로피아 등이 있습니다.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의 업무 특성상 개별 기업간 비밀유지 조항에 의하여 업무가 추진되는 사례가 많아 주요 경쟁사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7. 주력제품의 경쟁우위도(유통라인확보)
1) 경형전기화물차
초소형전기화물차시장은 그 시장성이 크지 않습니다. 하지만 차량의 크기를 확대하며 소형, 경형시장으로 확대될수록 폭발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되어집니다. 디피코는 이러한 전기화물차 시장을 대비하여 현재 경형전기화물차를 2022년도에 출시할 계획을 가지고 준비하고 있습니다. 대형자동차 회사가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는 시장에서, 중소기업의 전기화물차 시장에 연착률을 위해 명확한 타겟성을 확보한 초소형전기화물차를 개발 출시한 디피코는 향후 전기화물차시장의 점유율을 확보하기 위해 단계적으로 추가적인 신모델을 시장에 출시하여 디피코와 포트로의 브랜드인지도를 확대시켜 나갈 예정입니다. 전기화물차 시장의 특성상 법인고객, 지방자치단체 등의 B2B, B2G물량이 확대됨을 고려하여 포트로를 조달 품목으로 등재하였으며, 향후 이 시장에서의 점유율을 확보해 나갈 것입니다. 현재 강원도의 2개 대리점과 5개의 Post의 운영, 수도권과 전국 지방에 전기자동차 양판점의 대리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국내의 전기버스의 시장은 향후에도 계속 확대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환경에 놓여 있습니다. 디피코는 전체 버스시장에서 대형 제조사와의 소모적인 경쟁을 수행하기 보다는, 친환경저상중형전기버스라는 명확한 타겟시장을 선점한 마을버스 차량에 대한 영업홍보력을 집중시켜 시장을 확대할 예정입니다. 또한, 전기버스사업에서 제외될 수 없는 충전기 제조업체와의 업무 협업을 통해 정보교환, 효율적인 충전서비스 등을 제공하여 타 대형경쟁사와의 경쟁에서 우위력을 점할 예정입니다.
3) 전동용 스쿠터
디피코는 대한민국의 전체적인 고령화사회로 진입됨을 예상하여 이미 전동스쿠터 개발과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현 전동스쿠터 시장은 이동약자에 대한 배려, 고령인에 대한 복지 차원에서 지자체 정부에서도 많은 지원책으로 전동스쿠터 시장이 확대될 것입니다. 이에 디피코는 횡성에 전동스쿠터 공장을 추가 신설하여 향후 예상되는 전동스쿠터 시장에 확대에 대비할 것입니다.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디피코의 엔지니어링 기술력은 이미 13개 프로젝트, 4개국 10개 고객사의 완성차 개발실적과, 105개 프로젝트 7개국 33개 고객사의 업무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생산기술/품질/SE업무로 인하여 타 업체에서는 가질 수 없는 지적재산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COVID-19의 사태가 파급력이 약화되는 시점에는 이러한 기 확보된 고객사들에게서, 향후 전기자동차 시장에 대한 각국의 고유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디피코에 제품 개발 및 프로젝트 의뢰를 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8. 주력제품의 경쟁우위도 (마케팅전략/채널확보)
1) 경형전기화물차
구 분 |
판 매 전 략 |
영업방침 |
국내 초소형전기트럭의 시장조사를 통한 잠재고객 수요층 발굴 및 고객 맞춤 상품 전략을 통한 영업 |
사전구매의향서와 사전영업계약을 통한 사전판매 진행 및 B2B, B2G 판매전략 |
|
지역별 전략 |
전국 택배 및 물류관련 업체의 잠재수요발굴 및 신규시장 개발 전략 수립 |
대관수요(우정사업본부)와 민간물류수요(근거리 택배 및 물류 등)에 대한 선택적 영업전략 |
|
요구사항 적용 |
최종소비자의 개선요구사항에 대한 선재 대응을 통한 품질만족도 향상 |
개선요구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 및 차량완성도 향상 |
|
판매후 사후관리 |
제품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한 교육 강화 |
전국 A/S망 구축 및 고장/수리에 대한 작업지침서 배포 및 교육 |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구 분 |
판 매 전 략 |
영업방침 |
국내 전기버스 시장 수요조사를 통한 전략적 시장접근 |
국내 전기버스(저상형중형버스) 보조금시장 예산에 대한 시장조사를 통한 선택적시장접근 |
|
지역별 전략 |
전국 지역별 보조금(국토부 및 환경부)예산에 맞는 지역별 차별화 |
지역별 버스운송업체 교체수요 시장조사를 통한 맞춤형 영업 |
|
요구사항 적용 |
최종소비자의 불만사항 및 요구사항에 대한 적극적 대응 |
불만사항에 대한 대책마련 및 재발방지책 강구 및 생산자 전달 |
|
판매후 사후관리 |
제품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한 교육 강화, 교육 및 사후관리 자료 배포 |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작업지침서 배포 및 교육 |
3) 전동용 스쿠터
구 분 |
판 매 전 략 |
안전된 품질 확보 |
GMP(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에 적합한 의료기기의 안정된 제품 생산 |
의료기기에 적합한 품질 확보 및 유지, 공정검사 및 최종검사 실명제 적용으로 최상의 제품을 사용자에게 제공 |
|
판매점 확대 |
각 지역별 의료기기판매업체 직영점의 수 확대 |
수도권 및 회사 인근지역 직접 판매 확대 |
|
색상의 다양화 및 옵션 추가 |
동일 모델의 판매 확장성을 위하여 적색, 청색, 은색 등의 성별 및 기호에 알맞은 다체로운 모델별 색상 적용 |
사용자의 편의성 증대를 위한 스마트폰 거치대, 지팡이 홀더, 컵 홀더, USB 충전기 등의 다양한 옵션 상품 적용 판매 |
|
소비자의 요구사항 적용 |
최종소비자 및 판매점의 불만사항 및 요구사항에 대한 적극적인 대응 |
불만사항에 대한 재발방지 대책 간구 및 생산자 교육 실시 |
|
판매점 교육 |
모델별 제품의 특징 및 기능에 대한 판매점 교육 강화, 교육 및 홍보자료 배포 |
고장 및 수리에 대한 작업지침서 배포 및 교육 |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구 분 |
판 매 전 략 |
영업방침 |
국외(중국, 러시아, 인도, 중남미, 동남아등) 전기차량 개발 및 생산공장 건설관련 수요조사 및 자체 내트워크를 통한 시장접근 전략 |
중국의 내연기관과 전기차 혼합 생산에 대한 수요 조사 및 신흥시장 수요 적극 개발 |
|
지역별 전략 |
전국 지역별 보조금(국토부 및 환경부)예산에 맞는 지역별 차별화 |
지역별 세부 시장조사(국가별, 공장별) 맞춤형 영업전략 |
|
요구사항 적용 |
고객사의 엔지니어링 역량에 대하여 기술 분석 결과에 따른 대처 |
기존 고객사(중국, 인도 등)에 대한 VOC대응 능력 확보 |
|
판매후 사후관리 |
고객사별 엔지니어링 서비스에 대한 미팅 및 사후 관리 시스템 운영 |
온라인 및 오프라인을 통한 사후 엔지니어링 서비스 고객 접점 노드 관리 강화 |
1.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기술과 핵심 보유기술의 내용
1) 자동차 제품설계 엔지니어링 기술
① 상품 개발기획
상품경쟁력 강화에 의한 시장점유율을 제고하기 위하여, 고객 요구 및 시장변화에 대응하고 판매지역에 따른 상품의 다양화 등 고객이 원하고 필요로 하는 상품과 시장을 리드하는 매력적인 상품개발을 위해 기술경쟁력과 고객의 요구에 대한 시장성, 구매, 생산, 원가 등이 포함된 상품의 컨셉을 수립하고, 개발방향을 제시함에 있어 당사가 보유한 자동차 개발 및 생산의 전체 영역에 경험과 기술은 시장이 요구하고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분석력과 단순 기획보고서가 아닌 실행 가능한 기획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② 벤치마킹(Benchmarking) 기술
개발차종의 경쟁차에 대한 세밀한 분석을 통해 개발 성능의 목표설정뿐만 아니라, 고객이 요구하는 최적의 솔류션을 제공하기 위해 체계적인 분석 업무를 통한 최적의 아이디어를 제공하고 경쟁 차량 및 참고 차량의 설계사양 조사, 상품성 평가와 고객 품질 평가를 통해 자동차의 개발 목표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 분석하여, 신규 개발 차량목표를 설정하여 제공합니다. 또한 당사의 기술적 특징은 P, Q, C, D(Productivity, Quality, Cost, Delivery)를 토대로 각 항목별로 경쟁차의 장, 단점을 분석하여 상세설계의 방향과 실제 생산현장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 지를 안내할 수 있습니다.
③ 디자인 (스타일링 및 제품설계)
모든 고객 의도를 고려한 가상현실 기술을 기반으로 차량 Exterior/Interior의 Styling과 Color를 가상의 이미지를 통해 평가하고 그 결과를 Model로써 구현하여 기술적 검토 과정을 통해 승인 Model과 양산 Model이 동일한 형상을 구현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 디자인 기획
경쟁차종의 분석과 디자인 경향, 동급차종의 편의장치, 옵션, 등급 등을 분석하여, 디자인 컨셉을 수립하는 업무를 제공한다. 수집된 정보와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표현하는 아이디어 스케치 단계로 의견 교환을 위한 디자인 컨셉에 대하여 조율하는 업무를 수행하며, 아이디어 발상 단계에서 채택된 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표현하여, 논의된 내용을 반영, 수정하고 방향을 결정하는 랜더링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인적, 기술적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연구소 내에 디자인센터를 독립 조직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전문적이고 독창적이며 시장이 반응할 수 있는 상품발굴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나) CAS (Computer Aided Styling)설계
채택된 최종 랜더링 안에 대하여 설계로부터 요구받은 디자인 조건을 제공 받아 설계요구를 반영한 3D DATA를 만드는 과정의 CAS 설계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사는 기술의 완벽성 및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생산기술부문의 기술적 검토를 반드시 거처야 하므로 기술의 완벽성 및 신뢰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다) COLOR
Interior Color 및 Material 경향조사, Trend 분석, 경쟁사Design 분석, 소비자 경향과 Design 전반의 Trend 분석을 토대로 사용자 경험을 고려한 신규 양산차의 Interior Color와 Grain개발 및 Color Design Identity 전략수립에 필요한 요구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사는 파이롯트 차량이 생산되면 생산기술 부문과 품질부문의 협업을 통해 Color 매칭을 실시 하여 계획된 디자인이 실현될 수 있도록 합니다.
라) Model 제작
CAS의 모델 데이타을 기본으로 실물의 클레이 모델을 제작을 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당사의 제작 프로세스 특징은 클레이 모델 제작 기술력 뿐만 아니라 평가회를 통해 고객사 또는 사내 각 부문의 요구조건을 반영하여 최종모델을 확정하므로 생산성, 품질, 원가 및 납기가 보증된 완벽한 모델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마) A-Surface 설계
모델의 평가가 완료되면 승인된 클레이 모델을 기본으로 기술 검토가 반영된 A급의 표면 3D DATA를 제작하는 설계기술 및 설계검증을 위한 Curvature 체크(곡율 및 면과 면사이 체크) 및 Highlight Line 체크(빛흐름 체크)의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바) 패키지(Package) 설계
디자인 전 단계에서부터 시작되는 레이아웃 설계 업무는 차량의 전반적인 자동차의 개발 컨셉을 구현하는 측면에서 파워트레인의 탑재, 주요 구성 시스템의 위치 설정과 배치를 통한 운전자세 거주성, 조작성, 시계성 등 이용자의 운전 및 거주 편의성을 갖추기 위한 레이아웃으로 차량의 상품성과 사양을 결정하는 중요한 기술이며 당사는 최적의 실내, 실외 공간 배치능력인 종합적인 Lay Out구성할 수 있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사) 제품설계
선행 검토를 통해 승인되고 확정된 A급 3D 표면 DATA를 기본으로 차체, 도아, 외장 내장, 샤시의 구조, 단면, 재질, 결합구조, 장착방법, 성능검토 등의 구조 계획을 완성하고, 구조계획을 기준으로 구성 부품의 상세 설계를 3D DATA와 2D 도면으로 완성하며, 설계 목표(강도, 경량화, 방음, 방진, 단열, 환기, 방청 등)를 만족시키기 위해 체계적인 개발 프로세스에 맞춰 단계별 검토 수순을 통한 개발 부품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고 있으며, 또한 당사는 친환경 전기자동차 개발이라는 세계적인 당면 과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프로세스, 조직 및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가) 차체 (Body In White 설계)
자동차의 골격(Structure)을 구성하는 부문으로 당사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습니다.
![]() |
차체설계 |
나) 무빙 (Moving) 설계
자동차의 Door류을 구성하는 부문으로 당사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습니다.
다) 외장 설계
자동차의 외장류을 구성하는 부문으로 당사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습니다.
![]() |
무빙설계 |
라) 내장 설계
자동차의 실내 내장류을 구성하는 부문으로 당사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습니다.
![]() |
내장설계 |
마) IP(Instrument Panel) 설계
자동차의 운전석 및 조수적 앞측의 운전대 주변을 구성하는 부문으로 당사 핵심 기술은 아래와 같습니다.
![]() |
ip설계 |
바) 플랫폼(Chassis) 설계
기본플랫폼을 기반으로 다양한 유형의 차체(Body) 및 캐빈(Cabin)적용을 위한 변형플랫폼구성에 대한 기술과 신기술적용에 따른 샤시 부품전반에 대한 기술컨설팅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
플랫폼 설계 |
사) 전장 및 시스템 설계
차량전체의 Wire Harness Layout, 전장부품의 사양 및 설계등의 기술능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특히 당사는 전기차에 대한 시스템 구성 , 연계 및 제어기술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아) CAE (차량해석)
자동차의 제품설계가 요구사양 및 품질목표를 만족하는 지를 시작차량을 제작하기 전에 Engineering기법, 수치해석, 실험기법 등을 활용하여, CAE에 의한 구조, 충돌안전 및 승객거동, NVH, 유동해석, 동역학 등의 해석이 필요하며 해석결과 값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각 System에서 요구되는 기능과 성능목표를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자) 시작차 제작 및 시험 평가
설계품질 목표달성을 위하여 시작도면에 의한 시작차의 제작능력 및 시험평가 기술과 법 규제 및 각종 인증에 대응하기 위한 과정에서의 육성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기술 및 프로세스적 장점은 이러한 시작차 제작과 시험평가를 통하여 개발목표의 검증,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 성능개선, 법규 적합성, 상품성 확보 등의 목표품질 달성을 위한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시작차 제작에 대한 주요기술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시작차량 (Proto Car) 제작 : 메카 Proto 및 Proto Car 차체, 차량 제작
(2) 시작차량 부품제작 : 시작차량을 위한 BIW 부품제작 및 완성차 부품제작
(3) 시작차량 제작을 위한 생산기술 : 양산공장에서 생산하기 전에 설계품질을 확인하기 위한 차량(시작차량)을 제작하는데, 연구개발팀과의 협력을 통한 시작 BIW 제작, 차량조립 및 차량 검사에 이르기까지 시작차량 제작에 필요한 생산기술력과 차량 설계의 검증과 문제점의 대책 수립을 통하여 양산차량의 조기 품질목표 달성 및 개발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2) 생산기술 엔지니어링 기술 (DR, DE, ME, QI)
① DR(Design Review) - 제품도면에 대한 검증 기술
가) 차량개발 경험과 기술을 가진 생산기술 및 공장부문 엔지니어들이 모델단계, 공정화도면 단계, 시작차량 제작단계로 크게 3단계로 나눠 생산현장에 나타날 수 있는 불합리한 요소들을 생산전 DR 평가를 통해서 문제점을 발췌하여 개선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당사의 DR기술은 도면단계에서 생산성, 품질, 작업성, 원가등의 문제점을 발췌하여 반영시키므로 개발기간단축 및 비용절감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② DE(Dimensional Engineering) - 품질문서 및 공차 검증 기술
완성차의 치수적 목표품질을 맞추기 위해서는 하위단위인 각각의 부품에서 최종 완차 까지의 품질표준이 필요하며, 과정관리 또한 주요한 요소입니다.
당사의 DE기술은 품질프로세스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기술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가) 요구목표품질에 대한 검증기술
DTS(Dimensional Technical Specification)검증기술로서 품질 및 공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4M : Man, Machine, Material, Method)을 각부품별, 공정별로 분석하여 누적공차를 계산하고 목표값과 비교 분석하여 불만족시 대안을 제시하는 기술입니다.
나) 검사장비 제작에 필요한 공법분석 및 공법서 작성 기술
-각종검사구 구상도
다) 각종 품질표준문서 제작 기술
-RPS(Reference Point System)분석 및 작성
-내장, 외장GD&T분석 및 작성
-BIW 부품 및 Assembly GD&T분석 및 작성
-특수공차분석 및 작성
-측정점 분석 및 작성
-검사기준서 및 성적서 분석 및 작성
③ ME(Manufacturing Engineering)- 제조공법 및 공법 검증 기술
공장 설비의 Layout, 생산방식, 물류, 생산설비의 제작 사양, 생산 라인의 편성, 생산 라인의 작업내용 등 생산 공장 건설을 위한 전반적인 경험과 기술이 요구되며, 이를 통해 고도화된 생산 라인을 구현함으로써 생산성 향상 및 효율적 생산 라인 운영 방안 제공한다.
가) 공장 건설 기획 기술
대외 물류를 고려한 각 공장의 배치, 공장 지원 시설 배치, 부대시설 배치 등 최적의 Layout를 기획하며, 공장의 사양(높이, 요구하중, 넓이, 기둥간격, 조명밝기, 바닥구조, Truss구조등)을 분석하여 설정합니다
나) 공장 Layout 기술
최적의 생산 SYSTEM 제안, 물류 흐름을 고려한 LINE 배치, 생산성 측면의 공간 활용을 고려한 최적의 효율화된 Layout 기획을 하며, 향후 증산, 감산 및 차종추가를 고려합니다
다) 공정 편성, 공정 기획기술
최적의 공법을 기획하여 품질 확보 및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는 생산 기술 공법을 기획하며, 설비제작에 필요한 각종 공법분석 및 공법서를 작성합니다.
라) PFMEA
많은 기술적 Know-How를 기초로 공법의 실패를 방지하기 위하여 PFMEA를 실시하여 신뢰성 및 User의 기술적 성장을 기획합니다
마) 프레스 CAE, Line & Robot Simulation, DPA Simulation, Human Posture Simulation기술
성형 해석 및 Virtual Station & Plan 구현으로 현장 문제점을 사전에 검증 해결하고, Digital Tool을 활용한 가상의 제조 공장에서의 제품, 설비, 작업자 등의 환경에 맞추어 가상 검증을 통한 최적의 방안을 기획합니다
바) 생산설비 설계, 제작에 대한 업무수행
공장의 기획된 설비에 대해 설계, 제작 및 Try Out기술
④ QI(Quality Improvement) - 품질확보 기술
개발 품질목표를 달성 할 수 있도록 품질개선 활동과 품질확보기술이 필요한바, 당사는 개발단계, 양산준비단계, 양산단계의 3단계로 나누어 디피코 품질 프로세스 및 TOOL를 통해 품질확보 활동을 하며 여기에는 경험과 기술 절차가 요구됨니다.
![]() |
품질확보기술 |
3) 생산기술부문에 활용하고 있는 자체 개발한 엔지니어링 보유Tool들 (Programs)
엔지니어링 기술자료의 효율성향성, 공법의 신뢰성확보, 품질검증이 가능한 엔지니어링 업무를 수행을 하기 위해 당사가 자체 개발한 특화된 프로그램들입니다.
번호 |
프로그램 종류 |
용도 |
원리 및 내용 |
장점 |
1 |
D-Tolerance Tool |
공차분석 시뮬레이션 |
확률, 통계에서 활용되고 있는 Monte Carlo 법칙을 기초로 프로그램 개발 공차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요소와 그것들이 합쳐져서 발생하는 누적공차를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계산하고 목표 값과 비교 분석함 |
1) 통계적 기법에 의한 신뢰성 향성 2) 실제 제품생산 시 오차 최소화 3)공차해석Solution제공 |
2 |
D-MCP Tool |
가공기준의 자동설정 |
VBA PROGRAM을 사용하여Datum Block을 생성함 MCP 및 GD&T등의 기준 설정을 3D로 작업하여 표현 |
1) 분석 및 작성속도가 빠르고 재, 개정 이 용이하다 2) 기존 2D대비 오류최소화 가능 3) 3D작업으로 품질보증 가능 |
3 |
D-Weld Condition |
용접조건 자동설정 |
용접조건에 영향을 미치는 각각의 요소들을 포인트 별로 입력하면 용접조건(전류, 용접시간, 가압력등)이 엑셀시트로 자동생성됨 |
1) 수작업에 의한 오류방지 2) 분석 및 작업속도 향상 3) 오류방지 |
4 |
D-Flow Chart Tool |
Process Flow Chart(Planning)자동생성 |
VBA PROGRAM을사용하여CATIA TREE 구조와동일하게자동으로FLOW CHART가Auto Cad로생성됨 |
1) 수작업에 의한 오류 방지 2) 분석 및 작업속도 향상 |
5 |
D-Weld Gun Tool |
용접Gun설정 및 검증 |
VBA PROGRAM을 사용하여 용접 위치에 자동으로 용접 GUN이 생성됨 |
1) 수작업에 의한 오류 방지 2) 검토시간 단축 및 작업속도 빠름. 3) 3D작업으로 품질보증 가능 |
6 |
D-Process Tool |
3D Weld Lay Out (자동 Weld Point생성) |
VBA PROGRAM을 사용하여 입수한 타점 DATA에서 좌표 값을 추출하여 자동으로 타점DATA를 생성. CAD와 연동하여 각 타점에 대한 정보 공유가 가능함. 좌표 값, 매수, 판넬 정보, TOOL 정보, 공정 정보등의 활용이 가능 함 |
1) 수작업에 의한 오류, 중복, 누락 방지 2) 작성자료의 검토 시간 단축 및 작업속도가 빠름. 3) 3D작업으로 품질 보증 가능 |
4) 자동차 제작용 자동화 생산설비의 설계 및 제작기술
자동화설비와 용접 치공구 및 금형 설계, 제작과정에서 활용되는 기술은 생산기술 엔 지니어링 업무 중의 DE(공차관리 엔지니어링), ME(제조관리 엔지니어링) 업무가 활용되고 또한 MCP(공차보증을 위한 가공기준관리) 등의 기준에 맞추어 설계, 제작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는 BIW의 제작과정에 필요한 TOOL인 금형, 지그, 검사구(일반적으로 3 요구라 함)의 가공기준을 일치하게 하여 설계, 제작이 필요합니다.
자동차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하여 제조과정에서 나타나는 가공, 제작의 편차를 분석하는 기본적인 프로세스이며 분석시간을 줄이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며 관리 포인트가 됨니다.
분 야 |
주요 업무 |
|
▣ 생산 설비 설계/ 제작 (Tooling) - 금형 설계/제작 - 검사구 설계/제작 - 지그 및 장치 설계/제작 - 자동화 란인 설계/제작 ▣ Simulation - Robot Simulation - 자동화 Line Simulation - 공정 Simulation - 물류 Simulation |
▣ 3D 설계(CATIA, UG, Auto-cad) 기술 - 설계 도면 감리 및 검도, 구상도 작성, 설계 Check Sheet 작성, 설비 설치 Trial & 품질확보, System 설계 ▣ Simulation 기술 - Assembly Simulation & Analysis(DMU, eM-Assembler) - Robot Simulation(ROBCAD, IGRIP), OLP(Off-Line Programming), Calibration - 물류 Simulation(Quest, eM-Plant) - 작업자 동작 분석(MOST, eM-Human) |
항목 |
제작 기술 |
사진 |
||
금형 |
자동차 차체 부품을 소성 가공으로 제작하는 Tool 신차 개발 시 필수적으로 제작하여야하는 함 |
|
||
검사구 |
단품 및 조립품의 최종 정도를 검사하는 Tool 제품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필요한 장비 |
|
||
JIG |
자동차 차체 부품들을 용접 조립시 각 부품의 위치를 보증하고 변형을 최소화 하는 장비 자동차 차체 개발 시 가장 기본이 되는 장비 |
|
||
차체 자동화 라인 |
자동차 차체 생산 설비 : JIG, 용접기, ROBOT등 각 설비를 하나의 SYSTEM으로 만들어 자동 생산 설비로 제작함 |
|
2. 생산 제품의 개요
1) 경형(초소형) 전기화물차의 개요와 진행단계
① 경형 전기화물차의 개요
경형 전기화물차는 당사를 제외하고는 현재까지 독자 설계하여 직접 생산하는 기업은 국내에 없으며 대부분 해외에서 수입을 하여 개조하거나 배터리를 국내 생산용 셀을 사용하여 배터리팩을 만들어 수입된 차량에 교체하여 판매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러다보니 차량의 특성에 맞게 사양이 설정되지 않아서 상품성 및 품질에 많은 문제점이 발생함으로써 고객으로부터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리고 유일하게 500Kg급으로 내연기관 차량으로 생산 판매 중이던 라보와 다마스 차량도 2021년부터 생산을 중단함에 따라 경형으로서 택배용과 근거리 배송용으로 사용할 차량이 없는 실정이 되어 버렸습니다. 경형 화물차의 국내 수요는 대기업에서 대량으로 생산 판매할 정도의 시장 규모가 아직 형성되지 않고 있으며 특히 전기차로서 대기업이 접근하기엔 시장의 규모가 맞지 않는 실정이기에 자동차 개발 능력이 있는 중소, 중견 기업이 진입하기에 가장 적정한 틈새시장이면서 소외계층에 대한 시장의 물량을 해소하기에 가장 적절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② 경형 전기화물차의 진행 단계
2018년부터 시장조사 및 분석을 통해 상품을 기획하고 자체적으로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프로세스 업무를 수행하여 2020년 10월에 양산 1호차를 생산하고 현재 본격 양산 및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항목 |
일자 |
주요 내용 |
개발 착수 |
2018년 5월 |
시장조사 및 분석, 상품기획 |
CAS 모델고정 및 승인 |
2018년 11월 |
탑(TOP), 픽업(PICK-UP) 모델 제작 |
A-Surface설계 |
2018년 12월 |
TOP, PICK-UP A-Surface설계 |
시작도면 출도 |
시작도면 출도 |
TOP, PICK-UP 시작도면 설계 |
부품개발 완료 |
2019년 11월 |
TOP, PICK-UP 시작부품 개발 |
시작차 제작 |
2019년 12월 |
TOP, PICK-UP 시작차 제작 및 검증 |
국토부 인증 |
2020년 3월 |
TOP, PICK-UP 시험 및 국토부 인증 |
양산설계 고정 |
2020년 3월 |
TOP, PICK-UP 양산도면 설계 |
환경부 보급평가 완료 |
2020년 7월 |
TOP, PICK-UP 환경부 보급평가 완료 |
선행양산 |
2020년 8월 |
TOP, PICK-UP PILOT 생산 및 선행 양산 |
양산 |
2020년 10월 |
TOP, PICK-UP 양산 |
2) 친환경 저상전기버스의 개요 및 진행 단계
①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의 개요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대중교통 수단으로 주로 공공버스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고 있는데, 버스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관광버스와 학원용 버스로 구분하고 있으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버스가 화석연료인 디젤유나 CNG 가스를 사용하는 버스가 대부분이나 2017년부터 점차 리튬이온이나 인산철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버스로 대체되어 가는 중에 있다.
그리고 대도시나 시 단위의 도심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대부분 차량이 10M이상으로 대형 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마을버스는 6~8.5M 정도의 중형버스를 학원용은 주로 6~7M의 소형버스를 사용하고 있다.
시내버스로 사용하는 대형버스가 종전에는 고상버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승하차의 불편함에 따라서 점차 저상버스로 교체되어 보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대기업 자동차회사에서 마을버스나 시골에서 운행하는 중형의 저상버스가 개발하지 않고 보급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 당사는 마을버스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8.5M 급 저상 전기버스를 개발하여 중국에서 OEM으로 제작하여 국내에 보급하고 있다.
당사가 개발한 8.5M저상 전기버스는 주로 마을버스와 시골의 도로 사정이 도심보다 다소 열악하여 회전반경에 제약을 받아서 시내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시 군구 운행 버스로 활용이 가능하다.
②친환경 저상 전기버스의 진행 단계
중국의 Sky-Well 회사의 8.5m 전기 저상버스를 기본으로 한국의 시장 및 사용 환경에 맞게 성능 및 구조를 변경하여 개발하고 2019년부터 OEM 방식으로 Sky-Well에서 생산하여 판매 중에 있음
- 한국의 법규에 맞는 시험, 테스트, 주행시험을 통한 이증
- 한국의 사용 환경에 맞는 등판성능 개선
- 한국에서의 편의성 및 상품성을 고려한 구조개선 및 외관개선
- 노약자의 승하차 시 편의를 위한 닐링시스템 추가
- 주요개발 진행 단계
개발 항목 |
일자 |
개발 내용 |
저상전기버스 사양 확정 |
2018년 6월28일 |
* 개발 특성 사양 및 기본성능 확정 |
인증차량 개발 |
2018년 9월10일 |
* 국토부 안전 인증 및 보급평가용차량 |
수입제작사 등록 |
2018년 10월10일 |
* 국토부 자동차 제작사 등록 |
국토부 인증 시험 |
2018년 12월22일 |
* 국토부 안전인증 취득 |
환경부 보급평가시험 |
2019년 2월25일 |
* 환경부 보급평가 및 보조금확정 포탈 등록 |
품질적합성 시험 |
2019년 3월21일 |
* 1만Km 가속 내구시험 완료 신뢰성 확보. |
양산시작 |
2019년 4월10일 |
* 양산 |
3) 전동스쿠터의 개요 및 진행 단계
①전동스쿠터의 개요
의료용 스쿠터 및 전동식휠체어는 2등급 의료기기에 해당하는 제품으로 포괄적으로는 “보장구”로 지칭된다. “보장구”란 장애인이 장애의 예방 및 보완과 기능 향상을 위하여 사용하는 ‘장애인보조기구’로 의지(義肢)보조기 및 보건복지부장관이 정하는 보장구와 일상생활의 편의증진을 위하여 사용하는 생활용품을 말합니다.
회사에서 제조 판매하는 의료용스쿠터 및 전동식휠체어는 보장구 중 전동보장구에 속하는 제품으로 배터리의 동력원으로 사용하며 변속장치와 제동장치가 있는 보행보조용 의자차를 의미하며 사용자의 잔존 신체능력에 따라 두 종류의 제품으로 구분합니다.
의료용스쿠터는 실외 또는 실내에서 사용자의 이동성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노인환자, 관절염 및 심폐질환 환자의 경우에 많이 사용되고, 오토바이와 같은 핸들과 버튼으로 속도와 방향을 조정합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지근력과 앉은 자세 균형유지가 상대적으로 좋은 경우 사용하는 제품입니다.
전동식휠체어의 경우는 수동휠체어를 사용할 수 없거나 실내외에서 수동휠체어를 장기간 사용할 체력이나 근력이 부족한 경우 사용하는 제품으로 사용자의 이동능력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실외 경사로나 울퉁불퉁한 노면에서도 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전동보장구는 환자운반차로 주로 장애인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장애인의 경우 스스로의 생활환경 내 이동을 위하여 전동휠체어 및 전동스쿠터를 사용합니다. 그러나 근래에는 노인 인구의증가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어르신들의 이동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②전동스쿠터의 진행 단계
기본형(DP101S), 중급형(DP201S), 고급형(DP301S), 휠체어(DP601W) 4종을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2016년부터 자체 생산, 판매 중에 있음
항목 |
일자 |
주요 내용 |
GMP 인증 |
2016년 7월 26일 |
식약처 |
의료기기 제조업 |
2016년 9월 5일 |
식약처 |
제품(DP201S) 제조인증 |
2016년 9월 6일 |
식약처, 중급형 스쿠터 판매 개시 |
DP201S 보조금 등록 |
2017년 3월 16일 |
건강보험공단 급여비 지원 등록 |
제품(DP101S) 제조인증 |
2017년 5월 17일 |
식약처, 기본형 스쿠터 판매 개시 |
DP101S 보조금 등록 |
2017년 12월 7일 |
건강보험공단 급여비 지원 등록 |
제품(DP301S) 제조인증 |
2017년 9월 18일 |
식약처, 고급형 스쿠터 판매 개시 |
DP301S 보조금 등록 |
2018년 3월 13일 |
건강보험공단 급여비 지원 등록 |
제품(DP601W) 제조인증 |
2017년 9월 20일 |
식약처, 전동식휠체어 판매 개시 |
DP601W 보조금 등록 |
2018년 3월 13일 |
건강보험공단 급여비 지원 등록 |
GMP 재 인증 |
2019년 7월 25일 |
식약처 |
4) 자동차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의 개요 및 진행 단계
①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의 개요
엔지니어링 기술의 전문지식을 종합적으로 동원하여, 원하는 기능과 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생산시스템을 설계, 개발 및 구축, 운영하는 부가가치적 경제 활동으로 각종 산업공장 혹은 시설물을 설치할 때 이에 대한 계획수립과정부터 주어진 산업공장/시설물이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이에 필요한 모든 기술적인 서비스를 통칭합니다.
엔지니어링 개념을 적용하는 사업 대상의 하나하나가 엔지니어링 프로젝트, 그리고 사업 담당자가 엔지니어링 기업, 관계되는 집단이 산업조직을 형성 하는 경우 그들 전체를 총칭하여 엔지니어링 산업이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엔지니어링 산업의 성립요건을 다음과 같이 정의 할 수 있습니다.
첫째, 사업주(Project Owner)에 의한 엔지니어링 기업 존재의 인식과 인지
둘째, 사업 수행상 엔지니어링 기업과 상호 보완관계를 갖는 관련 기업의 명확한 구분
셋째, 사업주(Owner), 엔지니어링 기업, 관련 기업 상호간의 합리적 대가의 형성과 지불 관습의 형성
넷째, 엔지니어링 사업을 주요 업무로써 경제적으로 자립시킬 수 있는 기업군의 형성 등입니다.
②엔지니어링 기술의 진행 단계
당사는 창사(1998년)이래 지속적으로 차량개발의 실적과 주요인원들의 메이져 자동차에서 경험한 개발기술을 바탕으로 현재 차량을 개발하는 과정의 모든 업무에 대한 업무표준을 구축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차량을 개발 할 수 있는 기술 및 능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항목 |
내용 |
진행정도 |
1. SE 업무표준 |
연구소에서 자동차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생산기술 부분과 정보를 공유하여 제조과정에서 발생 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반영하여 제조과정의 기간단축, 비용절감 및 품질을 확보하는 업무표준을 구축하여 개발과정에서 활용 |
완성 (업무실적 및 경험기반) |
2. 설계표준 |
자동차설계가 만족해야 하는 법적기준 및 상품성 기준 등을 구축하고 설계 시 이에 준하여 설계를 함으로써 과정의 시행착오를 최소화함 |
완성 (업무실적 및 경험기반) |
3. 시험표준 |
자동차의 안전 등 시험항목에 대한 업무표준을 구축하고 TEST 차량을 제작하여 업무표준에 준해 시험을 함으로서 차량의 품질을 확보 |
완성 (업무실적 및 경험기반) |
4. 품질표준 |
차량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항목을 설정하고 이에 대한 업무표준을 구축하여 시장진입 전에 품질을 테스트 및 확인하는 품질문제점을 최소화함 |
완성 (업무실적 및 경험기반) |
5. 제조공정 품질표준 |
공장의 생산라인에서 차량을 제작하는 과정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업무의 표준을 구축하여 제조공정의 품질을 확보 |
완성 (업무실적 및 경험기반) |
6. 제조공정, 생산기술 표준 |
공장의 생산라인을 전개하는 업무의 표준을 구축하고 이를 기준으로 공장 및 설비의 효율적인 편성과 비용을 최소화 함 |
완성 (업무실적 및 경험기반) |
3. 제품별 주요기능 및 기술 사양
1) 경형(초소형) 전기화물자동차
① 경형 전기 화물자동차의 개발배경과 필요성
최근 인터넷 온라인 시장이 급격히 확대되면서 택배나 배달 등 근거리 화물이송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운송 수단으로 그동안 이륜 오토바이와 함께 라보, 다마스 등 경형화물차가 이용되어 왔으나 현재 그 수요를 모두 충당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 되었습니다. 더구나 운전자의 안전과 배달의 효율성, 지구온난화에 따른 탄소배출 규제가 강화 되면서 라보와 다마스 등 연료형 화물자동차는 그동안 생산 중단 결정이 되었으나 소상공인 등 수요층의 요구에 의하여 몇 차례 연장되어 오다가 2021년부터 완전히 생산이 중단되는 상황이 도래 되면서 이에 대한 대체 운송 수단으로 경형전기화물차의 요구가 절실해진 상황이 되었습니다.
이러한 경형전기화물차 시장은 그동안 몇몇 생산업자들에 의하여 국내시장에 공급되었으나 대부분 중국산 차량을 수입하여 배터리 등 일부 부품을 교체하거나 차량을 개조하여 출시함으로써 차량의 완성도가 떨어지고 부품들이 조악하여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받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특히 지난 2020년 우정국에서 우편배달용으로 기존의 오토바이를 전량 전기화물차량으로 대체하는 계획의 시범사업으로 1,000대를 운영하였으나 자동차 품질과 서비스 지원의 문제로 사업이 중단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상황을 배경으로 디피코는 그동안 이십년 이상 전세계 굴지의 완성차 회사를 대상으로 수행한 엔지니어링 사업에서 획득한 자동차개발 및 생산기술 분야의 핵심보유 기술을 바탕으로 국내 경형전기화물자동차를 직접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②경형 전기화물차 개발과정과 핵심기술
가) 개발일정
디피코는 2018년 5월에 시장조사를 시작으로 11월에 개발 모델을 확정 했는데 이 기간 동안 사업성과 고객의 요구사항에 대한 분석을 수행 하였으며, 2019년 6월에 시작설계를 완료하고 같은해 11월에 시작차 제작을 위한 부품개발 완료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12월 시작차를 제작하여 양산에서 발생할 문제점들을 보완하는 프로세스를 진행하였습니다. 판매를 위한 국토부 인증은 2020년 3월에 득하였고 환경부 보급평가 인증은 같은해 7월에 완료하여 2020년 8월에 선행 양산을 시작으로 28개월에 걸쳐 개발을 완료 하였습니다. 개발과정 중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부품개발 분야로써 국내 자동차 부품 산업은 대부분 대기업 완성차 회사에 종속되어 있어서 이들의 협조를 구할 수 없는 까닭으로 새로운 업체를 발굴하는 것이 당면 과제였는데 디피코는 이러한 문제들을 무사히 해결하고 85%의 경이적인 국산화율을 기록하면서 중국산 위주의 동종업계 경쟁사들을 누르고 최고의 품질을 확보하는 자동차를 생산하게 되었습니다.
![]() |
22 |
나) 경형(초소형) 전기화물차의 종류
디피코가 개발한 경형전기자동차의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 차명 : 포트로
- 차종 플랫폼 : 2종
기본플랫폼 |
기본구조 |
기본형상 |
||
탑차 |
250Kg 다품종 소량화물 탑재의 박스차 |
|
||
픽업 |
250Kg 적차의 화물트럭 |
|
- 제원
![]() |
제원표 |
다) 저 비용 개발 및 자동차 생산공장 구축 기술
디피코는 자동차 종합 엔지니어링의 기술 확보를 토대로 중소기업임에도 불구하고 대기업 완성차 회사만이 보유할 수 있는 시스템 융합 개발기술과 생산공정 설계를 포함한 공장구축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는 대기업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신차종 양산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래의 그림은 당사의 경형전기화물차 개발 및 양산시스템 구축에 685억원 투자로 국산화율 85%의 경형 전기자동차를 자체개발하여 년 2만대 생산규모의 공장을 구축한 사례를 나타낸 것입니다.
라) 차량의 기능 및 상품성 기술
디피코는 상기의 핵심기술에 더하여 VOC(Voice of Customer)의 분석을 통하여 고객의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소비자가 선호하는 기능과 상품성을 갖춘 차량을 다음과 같이 개발 하였습니다
- 승하차 시의 편리성이 우수합니다.
▲좁은 골목길에서 승 하차 편이를 위한 국내 최초의 슬라이딩 도어 적용
▲ 승, 하차가 쉬운 시트의 높이와 여유로운 운전석 공간
▲ 운전석과 조수석 간의 이동이 편리한 공간 구조
▲ 운전석 좌석의 높이 조정과 슬라이딩 기능, 상하 각도 조정 기능 확보.
![]() |
슬라이딩 도어 |
![]() |
이동공간 |
- 초소형화물트럭의구조에최적화되어있습니다.
▲ 효율적인 저상적재함(적재함 지상고 : 680mm)과적재공간 (1,300 x 1,450mm)
▲ 국내 초소형 최대 적재하중 (250kg) 및 화물트럭에 최적화된 무게중심 설계
▲ 등판능력 국내 초소형 차에서 최대능력 : 35%-
- 단거리 운송 및 소형 물류 배송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1회 충전 주행거리 : 도심 주행거리 (상온) 79.5Km, (저온) 96.4Km
▲ 최대 속도 : 70Km/h (국내 최소형 전기차 속도제한 규정 : 80Km/h)
▲ 등판능력 : 35% (국내 인증 법규 25%) (SOC 100%: 41.5%, SOC 20%: 34.6%)
- 초소형 화물트럭의 화물 적재용량이 우수합니다.
▲ 국내 초소형 최대 적재하중 (250kg)
▲ 국내 초소형 최대 적재용량 (2,240L)
![]() |
적재능력 |
- 편리한 충전시스템 및 위치
▲ 국사용이 편리하도록 전방에 KS규격의 COMBO 1 Type 충전 포트를 설치
(가정용 220V로 충전 가능)
▲ 전면에서 충전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LED 충전 표시 장치
![]() |
편리한 충전시스템 |
- 사용 편리성 향상 및 단순한 디자인
▲ 고광도 LED 타입의 헤드램프, 안개등 및 심플한 디자인의 후방 LED 테일램프
▲ 현대적이고 단순한 디자인으로 운전자의 편의성 고려
▲ 룸미러와 블랙박스 겸용 5" LED 후방모니터(정밀 광각 후방카메라에 의해 후방 시야 확보)
![]() |
16 |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①전기버스 개발 배경과 필요성
우리나라는 대부분의 국민들이 대중교통 수단으로 주로 공공버스를 이용하여 이동을 하고 있는데, 버스는 시내버스와 마을버스, 관광버스와 학원용 버스로 구분하고 있으며, 지금까지는 대부분의 버스가 화석연료인 디젤유나 CNG가스를 사용하는 버스가 대부분이나 2017년부터 점차 리튬이온이나 인산철 배터리를 이용한 전기버스로 대체되어 가는 중에 있습니다.
그리고 대도시나 시 단위의 도심을 운행하는 시내버스는 대부분 차량이 10M이상으로 대형 버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마을버스는 6 ? 8.5M 정도의 중형버스를 학원용은 주로 6-7M의 소형버스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시내버스로 사용하는 대형버스가 종전에는 고상버스가 주로 사용되었으나 임산부나 고령화 시대로 접어들면서 노인들의 인구증가로 인하여 거동이 불편한 승객들에게 안전하고 승하차가 용이한 저상버스로 교체되어 보급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 대기업 자동차회사에서 마을버스나 시골에서 운행하는 중형의 저상버스가 개발하지 않고 보급이 되고 있지 않은 상태라 당사는 마을버스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8.5M 급 저상 전기버스를 개발하여 중국에서 OEM으로 제작하여 국내에 보급하게 되었습니다..
당사가 개발한 8.5M저상 전기버스는 주로 마을버스와 시골의 도로 사정이 도심보다 다소 열악하여 회전반경에 제약을 받아서 시내운행에 지장을 초래하는 시 군구 운행 버스로 활용이 가능합니다.
②전기버스 개발과정과 핵심기술
가) 개발 과정
고령화로 인한 노인 인구의 증가와 교통약자의 편의를 제공하기위한 대중교통 수단으로 국내최초의 8.5미터 저상 마을 버스로 개발 하고져 한국 도로 조건에 맞는 사양 (지형, 1충전 항속거리, 실내 거주공간, 운전의 편의성, 승하차성 등)으로 약 12개월의 개발 일정으로 진행하였습니다.
나) 핵심 기술
도시와 지방의 군, 읍, 면단위에서의 대중 교통 이용자와 교통약자의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한 개발 컨셉으로 세밀한 부분까지 안락하고 편안함을 추구하여 감성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국내최초의 8.5미터 전기 버스 표준에 만족하는 차체 및 내장설계와 편의장치의 적용으로 고지대, 교통 불편지역 등에서의 운행에도 적합한 저상 마을버스를 개발하였습니다.
ㄱ) 안전과 성능
- 구동 모터는 미국의 프레소라이트(Prestolite)사의 최고출력 254kW / 800N.m급의 최신 영구 동기자석형 모터를 적용하여, 최고속도 85km/h와 등판능력 30%의 강력한 힘을 가진 동력성능과 내구성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였으며, 모터직접 구동방식으로 소음과 진동을 감속시키는 파워 트레인을 적용하였습니다.
- 핵심부품인 배터리 팩은 국내의 모든 법규 안전성 (고온, 단락, 압출, 침지, 과충전, 가혹성, 파괴 등) 시험을 통과하였으며, 가성비를 고려한 배터리팩의 용량 129kWh,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1회 충전 주행거리 195km와 충전은 1시간 이내의 급속 충전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후측 하부에 배치하여 넓은 실내공간을 확보했습니다
![]() |
13 |
배터리 팩 (좌측) 모터룸 및 각종제어 시스템 배터리 팩 (우측)
- ABS 능동형 차량안전 시스템을 장착하여 제동시 미끄러운 노면에서도 우수한 조향성능과 제동성능을 발휘합니다.
- 등판능력은 30%로 국내 요구법규 25%보다 높은 우수한 등판능력으로 마을 버스 운행 특성상 동네의 제일 안쪽 구석이나, 고지대를 기종점으로 지하철역이나 대로변 등을 회차 지점으로 운행하기에 실제의 지형을 고려하여 경사가 가파른 고지대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마을버스 운행에도 적합한 주행 성능을 구비하였으며, 최소 회전반경을 10미터로 최소화함으로써 지하철역이나 대로변 등에서도 운행이 가능하도록 기동성을 갖추었습니다.
- 차량의 주행조건에 최적화한 에어서스펜션을 적용하여 조향 성능과 승객의 편안함과 안락감을 극대화 하였으며, 노약자와 휠체어 이용 승객의 승하차 편의성을 제공하기위해 차량을 한쪽으로 기울이는 닐링 시스템을 적용하였습니다.
![]() |
12 |
링 시스템을작동하여 차량을 탑승
ㄴ) 안락감과 편의성
- 중앙 집중식의 전자 계기판과 스위치는 운전편의성을 증대시켜 운전피로감을 감소 시켰으며, 장시간 운전에도 피로를 최소화하는 안락한 독일 Grammar사의 운전석 시트를 적용하였습니다.
- 넓은 실내공간과 고효율의 천정형 전기식 공조 시스템은 승객에게 개방감과 안락감, 쾌적함을 제공합니다.
중앙집중식 운전석 계기판 안락하고 개방감있는 승객 거주공간
![]() |
14 |
- 저상 지면고 340mm로 도로 지면과의 높이차를 줄여 노약자와 교통약자의 편안하고 안전한 승하차를 제공하며, 접이식 휠체어 탑승 시스템을 적용하여 휠체어 승객의 안전한 탑승과 필요시 휠체어 탑승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접이식의자를 적용하여 공간 효율성을 극대화 하였습니다.
![]() |
15 |
[저상 지상고 340mm] [휠체어 탑승 시스템] [휠체어 탑승공간]
- 비상 사고 시 대비할 수 있도록 버스내부에 화재 감지 경보기와 비상 탈출 도아를 설치하였고, 내부에는 2개의 대용량 소화기와 5개의 비상용 망치를 설치하여 비상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HU-SKY HS85중형저상버스 제원
![]() |
24 |
![]() |
25 |
3) 의료용 전동스쿠터 제작, 판매
① 의료용 전동스쿠터 (EPM)의 개발배경과 필요성
EPM (Electric Personal Mobility)은 주로 전기를 동력으로 하는 1인 또는 2인이 이용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교통수단을 말합니다. EPM이 등장하게 되는 배경에는
▲ 심각해지는 대기 오염으로 인한 환경 규제 강화,
▲ 거대 도시의 증가로 인한 교통 혼잡으로 인한 Loss,
▲ 1~2인 가구의 확대로 인한 소형 이동수단의 요구,
▲ 전체 인구의 고령화로 인한 접근성이 용이한 이동수단의 요구를 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상의 요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기능적 특징을 요구되고 있습니다.
가) EPM의 기능적 특징
▲ 내연기관 교통수단에 비해 크기 및 무게가 소형화, 경량화 되어 휴대가 용이
▲ 보행자 평균속도(4Km/h)에 비하여 빠른 속도(10~20Km/h)로 차량으로 이동하기에는 가깝고 도보로 이동하기에는 먼 중단거리를 이동하기에 적합
▲ 대중교통 승하차장에서 최종목적지까지 이동해야 하는 라스트마일(Last mile)의 이동 수단으로 적합
▲ 전기를 동력으로 하기 때문에 내연기관에 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고, 에너지 소비 절감 효가 가 있음
▲ EPM 위에 서서 이동하거나 앉아서 이동할 수 있어 초고령 사회에 진입시 고려되어야 할 신체적 약자 및 고령자 즉 교통약자의 차세대 이동수단으로 적합
▲ 레저의 성격이 강함
최근 EPM 사업은 자율주행, 공유 차량 서비스 등이 스마트폰, 인테넷과 연계되어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가 하나의 유기적 플랫폼으로 연결되는 미래 산업으로 급속도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동수단별 이동 거리에 따른 분담률] (단위 : %)
이동수단 |
이동거리(km) |
||||
1km 이하 |
1~2.5km |
2.5~5km |
5~7.5km |
7.5km 이상 |
|
차량 |
9 |
31 |
52 |
65 |
84 |
대중교통 |
0 |
0 |
3 |
3 |
5 |
PM |
26 |
45 |
37 |
29 |
8 |
도보 |
64 |
23 |
7 |
2 |
0 |
기타 |
1 |
1 |
1 |
1 |
3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자료 : 자동차안전연구원, IRS Global(2015), p.25에서 재인용
나) EPM(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정의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명확한 정의가 내려져 있지는 않습니다만, 몇가지 참고 정 의를 발췌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일본 국토교통성(2012) ? 선진 기술을 이용한 입식 전동이륜차나 시내에서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1~2인이 타는 소형 전동콘셉트카 등을 포함하는 개념
- IRS Global(2015.09) ? 스마트한 전자제어 장치가 찹재돼, 별도의 수동 조낙 없이 스스로 균형을 잡고 세밀하게 주행할 수 있는 미래형 이동수단
- 도로교통공단 (2015.12) ? 1~2인이 상대적으로 단거리를 이용하기 위한 개인용 이동 기기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고 1~2인이 중단거리 이동 수단으로 정의 할 수 있습니다.
다) EPM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의 특징
[이동수단별 이동 거리에 따른 분담률] (단위 : %)
이동수단 |
이동거리(km) |
||||
1km 이하 |
1~2.5km |
2.5~5km |
5~7.5km |
7.5km 이상 |
|
차량 |
9 |
31 |
52 |
65 |
84 |
대중교통 |
0 |
0 |
3 |
3 |
5 |
PM |
26 |
45 |
37 |
29 |
8 |
도보 |
64 |
23 |
7 |
2 |
0 |
기타 |
1 |
1 |
1 |
1 |
3 |
합계 |
100 |
100 |
100 |
100 |
100 |
자료 : 자동차안전연구원, IRS Global(2015), p.25에서 재인용
② EPM 개발과정 및 핵심기술
가) 시장환경 및 제품개발 배경
단거리 이동을 목적으로 하는 EPM(Electric Personal Mobility)은 가속화되는 도심의 복잡도 및 교통체증의 증가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교통약자(단거리 보행 불가능 장애인, 노인층) 외 일반 사용자에게도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림과 같이 Grand View Research에서 2021년 제시한 시장예측에 따르면 글로벌 퍼스널 모빌리티 시장 규모는 2016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세에 있으며, 2020년 115억 달러(약 13조) 수준에서 2028년까지 연평균 약 5.8% 성장을 예상하고 있다.
EPM 제품군에 속하는 의료용 전동 스쿠터(Medical Mobility Scooters)는 장애인 및 노인의 운동보조기구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TechNavio (Infiniti Research Ltd.)에서 2018년에 발행한 “세계의 의료용 전동 스쿠터 시장(2018-2022년) [Global Medical Mobility Scooters Market 2018-2022]”에서 세계의 의료용 전동 스쿠터 시장이 7.78%의 CAGR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의료용 전동 스쿠터는 보행이 불가하거나 또는 단거리 보행이 불가능한 장애인을 위한 제품으로 인식되어 있지만 국내 뿐만이 아닌 전 세계적으로 시각을 확대하면 장애인 외에도 다양한 수요층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가하고 있는 고령인구에 따라서 고령화로 인한 질병도 증가하고 있고 관절염 무릎 손상 환자 및 뇌혈관 질환과 관련한 환자 등의 증가에 따라서 회복기 및 일상생활에서 노인층에게 관심을 얻고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의 2021년 2월 보도 자료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지난 10년간(2011~2020년) 고령 인구증가 속도는 4.4%로 OECD 1위로 OECD평균(2.6%)의 약 2배로 가장 빠르다고 밝힌 바 있다.
EPM 제품군에 속하는 의료용 전동 스쿠터 제품으로는 전동휠체어와 의료용 스쿠터가 있다.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 스쿠터의 주 사용자는 척수손상 장애인이나 하지마비 장애인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장애인은 관련 EPM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건강보험공단을 통하여 구입비용의 대부분을 지원받을 수 있다.
약 20,000대/년 규모[2017년 전동휠체어 생산 수입실적(4,680대), 전동스쿠터 생산, 수입실적(17,237대). 식약처]의 국내시장 중에서 장애인 전동보장구 시장은 대부분 중국, 대만에서 수입된 부품으로 조립 및 완제품으로 수입되어 유통되고 있다.
노인 및 단거리 이동 불가능한 교통약자의 복지차원에서 이동기기의 사용에 따른 안전성과 편이성 제고, 장애인의 이동권 확대에 대한 요구, 중국산 제품의 고장 및 사용상 부주의 등으로 인한 관련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소비자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수요를 예측하여 관련 제품을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여 현재 의료용 스쿠터 3종 및 전동휠체어 1종의 제품을 양산하고 있다. 장애인의 이동권 확보와 고령화 사회 가속화에 따른 노인 이동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안정성이 확보된 경쟁력 있는 국산 제품이다.
나) EPM(Electric Personal Mobility) 핵심 기술 및 개발 현황
EPM 제품은 모터, 감속기, 배터리, 제어모듈 등의 주요부품으로 구성된 이동기기로 전기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친환경적인 제품이다. 당사에서는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관련 제품의 가격 및 사양을 비교하여 등급별로 개발제품의 목표를 설정하고 설계를 단계별로 진행하였다.
당사에서는 설계단계부터 생산까지 의료기기 GMP[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Good Manufacturing Practice of Medical Devices for Products] 제도에 적합하도록 관리되고 있다. 의료기기 GMP 제도는 의료기기의 설계·개발, 제조, 시판 후 관리 등 전 과정에 대한 품질시스템의 확보를 통해 안전(safe)하고, 유효(effective)하며, 의도된 용도(intended use)에 적합한 품질의 제품을 일관성 있게(consistently) 생산하도록 하는 것이다. 당사는 2016년 7월 26일부터 식약처로부터 관련 인증을 받아서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또한 전동휠체어 및 의료용스쿠터 관련규격인 EN-12184 에 적합한 의료기기 기준규격에 따라서 설계되고 개발되었다. 의료기기 제조업은 2016년 9월 5일에 식약처로부터 허가 받았으며, 의료용 스쿠터 모델명 DP201S 에 대한 의료기기 제조인증서를 2016년 9월 6일에 인증 받아 생산을 개시하였다.
당사는 EPM 제품에 대한 시장분석, 요구사항 검토, 제품사양 결정, 설계, 시작품제작, 양산 프로세스 확보, 양산 및 검사 등 전 과정을 자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는 기술력을 보유한 업체이다.
DP201S는 저가형의 중국산 의료용 스쿠터와 비교하여 주행성능(속도 및 일 충전 주행거리)과 사용자의 편이성을 중심으로 개발한 중급형 의료용 스쿠터 제품이다. 의료용 스쿠터 및 전동휠체어의 경우 의료기기에 속하며, 지원금을 받음으로 인하여 제품의 가격은 건강보험공단에서 식약처 허가 및 인증 받은 제품에 한하여 가격을 검토 고시합니다.
![]() |
epm가격검토 |
설계 과정에서는 사용자의 편이성을 최대한 높이기 위하여 좌석의 위치 및 조향장치에 대한 위치설정, 일정한 적재물을 쉽게 운반할 수 있도록 FLOOR의 길이를 최대로 하였으며, 승하차의 용이성 증대, 회전 시 안정성 확보 등의 특징을 가지도록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양산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사전에 3D를 통한 시뮬레이션 방식의 활용으로 검증하여 설계 완료 후 최단기간에 양산을 할 수 있는 자체시스템을 보유하고 있다. 엔지니어링 기술을 바탕으로 양산 시 활용하는 각종 툴 (용접지그, 검사지그, 조립지그 등)을 자체적으로 설계하여 제작함으로 높은 생산단가 절감효과도 얻을 수 있다.
DP201S 중급형 의료용 스쿠터의 개발 및 양산을 시작으로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2017년 5월 17일 DP101S 일반형 의료용 스쿠터, 2017년 9월 18일 DP301S 고급형 의료용 스쿠터, 2017년 9월 20일 DP601W 전동식휠체어의 제조 인증서를 받아 초기에 목표한 제품군을 구성하였습니다.
③ 시장진입 및 향후계획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은 다양한 분야에 활용이 가능하나 현재 안정화 정착 단계에 접어든 사업 영역은 크게 아래와 같이 볼 수 있습니다.
[전동 퍼스널 모빌리티 사업 영역_회사 분석]
![]() |
23 |
사진출처:
https://isorepublic.com/
http://www.metroseoul.co.kr/news/newsview?newscd=201412030028
http://www.humobile.co.kr/main/main.php
특히 교통 약자의 보행 보조기기인 전동 스쿠터 및 전동 휠체어는 고령화 사회 진입 및 복지 강화 정책과 맞물려 산업이 활성화 되고 있습니다.
또한, 초소형 전기 자동차는 도심으로의 근거리 이동으로 인한 주차난과 교통난의 심화와 도심지, 골목상권 등의 소물류 배송량의 증가에 따른 이륜차 물류이동에 사고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체 차종으로 초소형 자동차 시장의 수요 요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정부에서는 초소형자동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자동차 분류체계에 초소형자동차에 대한 자동차 관리법의 개정안을 6월 입법예정으로 초소형자동차의 시장 진입이 용이해지고, 그에 따른 시장의 활성화로 초소형자동차의 시장 수요가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4) 자동차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①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의 개발배경과 필요성
엔지니어링 산업은 90년대 중반까지 경제 성장과 더불어 고성장을 계속해 왔으나 97년 이후 경기 침체와 IMF 경제 위기로 말미암아 엔지니어링 산업 또한 불황기에 진입하여 많은 회사가 없어지고, 기술 경쟁력을 갖춘 일부 대기업과 중소 회사로 재편되었습니다.
엔지니어링 서비스업은 산업 설비투자 동향과 밀접한 연관관계에 있으며, 산업설비 투자 동향은 거시경제 지표로서 국내외 경제여건과 경기지표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자동차 산업의 성장과 맞물려 중국 및 개발도상국의 자동차 산업의 성장축이 되고 있으며, 최근 심각한 스모그 등 대두된 환경문제로 인한 배기량 규제, 전기차 생산 강화 등으로 인한 신규 차종들의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개발도상국들은 차량개발 및 설비투자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고, 경기 침체기라더라도 매년 차종 변경 개발은 매년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회사의 엔지니어링 부문은 전체 매출의 90%이상이 글로벌 마켓에서 이루어지며 현재 전세계 약 30여 자동차메이커와의 계약을 통한 엔지니어링 업무가 이루어지고 있으므로 다양한 차종들이 신규 개발투자 되고 있으므로 특별한 계절적 경기변동 특성은 없습니다.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은 자동차 산업의 개발 주기와 연동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자동차의 각 세그먼트별 풀모델 체인지의 주기를 5년, 일부 변경 모델의 주기를 3년으로 보면 매년 각 세그먼트별 신 차종 개발을 진행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4. 제품별 소요기술 (제품기술 & 원천기술 측면)
1) 경형전기화물차
① 핵심기술의 내용
핵심기술 |
융합기술 (디피코 보유기술) |
시스템화 기술 (디피코 보유기술) |
요소기술 (전문업체 보유기술) |
저비용 완성차 개발기술 (자동차개발기술) |
시스템 융합기술 (설계/개발) |
동력발생시스템기술 |
고전압배터리, 구동모터, 감속기 등 |
구동조향시스템기술 |
제동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등 |
||
전장회로시스템기술 |
등화장치, 파워윈도우, 와이어하네스 등 |
||
제어시스템기술 |
VCU, BCM, ABS, AirBag 등 |
||
저비용 생산공장 구축기술 (자동차생산기술) |
공정 및 설비 구축 기술 |
공정설계 |
차체공정, 도장공정, 조립공정 등 |
설비SPEC.결정 |
차체설비, 도장설비, 조립설비 |
||
공장SPEC.결정 |
차체공장, 도장공장, 조립공장 |
[경형전기자동차 핵심기술 도식표]
이러한 핵심기술의 적용 사례로써 경형전기화물차 개발 및 상품화에 소요된 총 투자비는 다음과 같으며 이는 대기업의 일반적 투자비에 비해 현저히 적은 금액입니다
- 총 투자비 : 685억원
- 개발 투자비 : 238억원
- 시설투자비 : 447억원
2)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① 핵심기술의 내용
전기 버스의 모터와 동력전달장치, 배터리팩과의 전기 동력계의 구성 및 성능 최적화 기술, 충전시스템과 MCU제어기술, BMS제어기술, 각 전장 시스템의 제어기술을 통합 제어할 수 있는 VCU차량 통합 제어 기술, 운전편의성, 넓은 실내공간의 확보를 위한 구성부품의 배치의 최적화, 내구 및 강성확보를 위한 차체 기술, 각종 안전 및 편의장치 등으로 확장 가능한 가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의 개발 공급이 가능합니다.
②응용기술의 내용
다양한 설계경험과 축적된 개발 기술의 노하우는 전기 동력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조향장치, 서스펜션, 배터리팩의 최적화배치를 통한 전기차 플랫폼(Electric Powertrain Platform)의 기술 개발로 비슷한 세그먼트의 차량을 축거와 윤거를 조정하여 가변 확장이 가능한 동일 플랫폼으로 전장 6미터에서 7미터급의 학원버스, 특장 버스 또는 각종 특장 차량으로의 전개로 다변화되어가는 시장 요구에 경제적 비용으로 공급할 수 있습니다. 당사에서는 초소형 및 경형의 전기화물 트럭의 전기동력 기본 플랫폼의 가변 확장과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다양한 차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3) 전동용 스쿠터
① 핵심기술의 내용
당사의 설계 기술력 및 생산기술력을 투입한 EPM 제품은 의료용스쿠터 3종 및 전동휠체어 1종이다. 각 제품은 시장의 유연성에 적합하도록 가격 및 기능이 구분되어 개발되었습니다.
4)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
① 핵심기술의 내용
당사는 20여년간 해외 자동차 회사와의 수주계약에 의거 많은 Project에 참여한 실적이 회사의 노하우를 갖게 되었다
가) 자동차 통합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실적
(1) 제품 개발 실적 : 13개 프로젝트, 4개국 10개 고객사
가) 개발 체계 구축 실적 : 7개 공장건설 프로젝트, 6개 고객사
NO |
고객 |
프로젝트 |
기간 |
비고 |
1 |
북경 기차 |
신차 개발 시스템 |
2014.03 ~ 2015 |
중국 |
2 |
사천 기차 |
생산 기술 및 공장 관리 |
2013.11 ~ 2016 |
중국 |
3 |
복전 기차 |
생산 관리, 품질 보증 시스템 |
2012.05 ~ 2016 |
중국 |
4 |
복전 기차 |
SQE 시스템 |
2011.12 ~ 2014 |
중국 |
5 |
길리 기차 |
전사 개발 시스템 |
2006.06 ~ 2009 |
중국 |
6 |
합비 기차 |
생산 기술 및 생산 시스템 |
2003.10 ~ 2010 |
중국 |
7 |
이란 호드로 |
생산 기술 및 생산 시스템 |
2001.10 ~ 2004 |
이란 |
나) 생산 기술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 실적 : 7개국 33개 고객사
구분 |
중국 |
인도 |
이란 |
태국 |
미국 |
말레이시아 |
한국 |
합계 |
SE(프레스/차체/도장/조립) |
18 |
1 |
19 |
|||||
SE(프레스/차체/조립) |
3 |
1 |
1 |
5 |
||||
SE(차체/도장/조립) |
4 |
4 |
||||||
SE(차체/조립) |
3 |
3 |
||||||
SE(프레스/차체) |
3 |
3 |
||||||
SE(도장/조립) |
10 |
10 |
||||||
SE(프레스) |
7 |
3 |
1 |
11 |
||||
SE(차체) |
19 |
11 |
2 |
1 |
7 |
40 |
||
SE(조립) |
5 |
5 |
||||||
SE(기타) |
4 |
1 |
5 |
|||||
계 |
76 |
11 |
7 |
2 |
1 |
1 |
7 |
105 |
다) 통합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 기술에 관한 기술표준 및 업무매뉴얼 구축
기술표준 1,778개, 업무매뉴얼 894개 보유 (개발관련 자료 다수 보유)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1) 공장시설 현황
국내에서 유일하게 경형 전기화물차 전용 생산공장으로 Full Line up된 제조공장을 보유한 회사로서, 생산규모로는 년간 2만대를 생산할 수 있다. 공장은 차체, 도장, 조립, PDI 공정과 주행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500m 주행로와 요철로 등을 갖추고 있다.
가) 공장입지
●공장위치 :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상하가리 369번지 (우천산업단지 e-mobility 클러스트)
●공장면적 : 공장 전체면적 - 48,992.60㎡ (14,846.2평)
●차체라인 : 9,479.90㎡ (2,878.2평),
▲ 도장라인 : 7,050.20㎡ (2,136.4평)
▲ 조립라인 및 출하, 완성차 주차장 : 15,117.20㎡ (4,580.9평),
▲ 전동 스쿠터 라인(미착공) : 7,811.40㎡ (2,367,20):
▲ 주행도로 : 9,516.00㎡ (2,883.6평),
![]() |
포트로 공장 |
(2) 차체공정
- 차체공정은 자동차의 골격을 조립하는 공정으로서 BIW(Body In White)를 완성 하는 공장임. 프레스 부품 및 SUB 조립품을 외주로부터 공급받아 용접공정 거처 조립되며, 고정별로 용접 치공구를 필요로함.
(가) 라인컨셉
단계 |
1단계 |
2단계 |
|
생산대수 |
5,000대/년 (1shift/일) |
10,000대/년 (1shift/일) |
20,000대/년 (2shift/일) |
개발방식 |
전용신작 및 신공장 건설 |
- 1단계 설비 유용 - 인원추가 및 설비추가 |
- 2단계 유용 및 인원추가 (2Shift) |
생산방식 |
단독 전용생산 |
||
가동율 |
90% |
||
가동시간 |
240일/년 X 8hr 1 shifts/일 |
240일/년 X 8hr 2 shifts/일 |
|
생산능력 |
2.89대/Hr |
5.78대/Hr |
5.78대/Hr |
Cycle Time |
20.7분/대 |
10.35분/대 |
10.35분/대 |
(나) BIW를 조립하기 위한 라인의 구성
- SUB조립라인, ENGINE ROOM조립라인, ROOF조립라인, UNDER FRAME조립
라인, UNDER BODY조립라인, MAIN BODY조립라인, METAL FINISH라인, 검사라인
(다) 각 라인 및 공정에 필요한 설비
- 조립치구 : ENGINE ROOM조립치구, ROOF조립치구, UNDER FRAME조립치구,
UNDER BODY조립치구, MAIN BODY조립치구, 각종 셋팅게이지 등
- ROBOT : 용접용 ROBOT, 부품공급용 ROBOT
- 용접설비 : 용접GUN, 트랜스포머, 용접 컨트롤러, 각종 CABLE 등
- 운반장비 : 컨베이어, 이송대차, 이송셔틀, 호이스트 등
- 검사장비 : 검사구, 다관절 측정기 등
(2) 도장공정
- 도장공정은 차체공정으로부터 BIW(Body In White)를 공급 받아 방수, 방청, 방음,
외관도색 등을 하는 공정으로서 PAINT를 주원료로 사용한다.
(가) 라인컨셉
단계 |
1단계 |
2단계 |
|
생산대수 |
5,000대/년 (1shift/일) |
10,000대/년 (1shift/일) |
20,000대/년 (2shift/일) |
개발방식 |
공용라인 및 신공장 건설 |
- 1단계설비 유용 - 인원추가 및 설비추가 |
2단계 유용 및 인원추가 (2Shift) |
생산방식 |
범용 생산 |
||
가동율 |
90% |
||
가동시간 |
240일/년 X 8hr 1 shifts/일 |
240일/년 X 8hr 2 shifts/일 |
|
생산능력 |
2.89대/Hr |
5.78대/Hr |
11.56대/Hr |
Cycle Time |
20.7분/대 |
10.35분/대 |
5.17분/대 |
(나) BIW도색을 위한 라인의 구성
- BODY크리닝 라인, 전처리라인, 전착라인, 전착오븐/센딩라인, 각종 실링라인, 실링
오븐라인, 코팅부스라인, 이종색상 부스라인, 검사라인, 왁스라인
(다) 각 라인 및 공정에 필요한 설비
- 도장설비 : 전처리설비, 전착장비, Spray Booth(중/상도), Spray Booth(이종색상),
씰링/샌딩/리페어/검사/왁스, Oven(전착/실러/상도/이종색상), 도료공급설비,
A.H.U(Spray booth/Working area), 보일러, 비상발전기 등
- 환경설비 : 환경공해방지 RTO, 환경공해방지 WET SCRUBBER, 환경공해방지
A/C TOWER, 환경공해방지, 폐수처리 시스템
- 도장치구 : 각종 간이치구
- 운반장비 : 컨베이어, 이송대차, EMS, 호이스트 등
- 검사장비 : 각종 시험기기
(3) 조립공정
- 조립공정은 도장공정으로부터 BIW(Body In White)를 공급받아 내장, 외장, 도아,
샤시 및 동력부품 등을 조립하는 공장임. BIW를 제외한 모든 부품은 외주 업체
에서 공급받아 여러 라인을 거처 조립이 이루어지고 작업자 및 각종 설비를 사용
하여 완성차를 만듦.
(가) 라인컨셉
단계 |
1단계 |
2단계 |
|
생산대수 |
5,000대/년 (1shift/일) |
10,000대/년 (1shift/일) |
20,000대/년 (2shift/일) |
개발방식 |
공용라인 및 신공장 건설 |
- 1단계설비 유용 - 인원추가 및 설비추가 |
2단계 유용 및 인원추가 (2Shift) |
생산방식 |
범용 생산 |
||
가동율 |
90% |
||
가동시간 |
240일/년 X 8hr 1 shifts/일 |
240일/년 X 8hr 2 shifts/일 |
|
생산능력 |
2.89대/Hr |
5.78대/Hr |
11.56대/Hr |
Cycle Time |
20.7분/대 |
10.35분/대 |
5.17분/대 |
(나) 완성차를 조립하기 위한 라인의 구성
- 트림 라인 #1, 트림 라인 #2, 샤시라인 #1, 샤시라인 #2, 최종라인, 검사라인,
샤워 테스트라인, 주행TEST라인, 최종검사라인, 출하
(다) 각 라인 및 공정에 필요한 설비
- 운반설비 : 컨베이어, 이송 대차, EMS 등
- 액주입설비 : 브레이크액, 냉각수액, 냉매(에어컨), 와셔액
- 생산설비 : 모터 투입설비, 프론트&리어 서스펜션 투입설비, 크래쉬패드 투입설비,
슬라이디 도아 투입설비, 카고 투입설비, 배터리 투입설비 등
- 서브설비 : 모터&감속기 조립치구, 크래쉬패드 조립치구, 타이어 조립치구, 프론트
글라스 조립 치구, 범퍼 조립치구 등
- 전자장비 : 이모라이져 코딩장비, 에어백 레코드 장비, 시스템 체커장비, 에어컨
리크장비, 하이 스캐너 등
- 검사설비 : 휠얼라이먼트, 사이드 슬립 테스트, 브레이크 테스트, 스피드 테스트,
램프빛 조절 테스트, 검사 테스트 등
- 수정설비 : 배터리팩 충전기, 시스템 체커, 2&4-포스트 리프트, 진공 회수/주입,
에어컨 회수/주입, 토크 테스터기 등
(4) 스쿠터 공정
- 모든 부품은 외주 업체에서 공급받아 여러 라인을 거처 조립이 이루어지고 작업
자 및 각종 설비를 사용하여 완성차를 만듦.
(가) 생산계획
단계 |
조립(완성차) |
생산대수 |
1,500대/년 |
모델 |
DP101S / DP201S / DP301S / DP601W |
생산방식 |
범용 생산 |
가동율 |
85% |
가동시간 |
작업시간 : 12개월 × 21일(월 작업일) × 8시간(일일작업시간) = 2,016시간 |
생산능력 |
1.35대/Hr |
Cycle Time |
4시간 (DP101S,DP201S,DP301S. DP601W), 생산작업자 (투입인원) : 4명 |
(나) 완성차를 조립하기 위한 라인의 구성
- #1조립라인, #2, 검사라인, #3 테스트라인, 주행TEST라인, 최종검사라인, 출하
(다) 각 라인 및 공정에 필요한 설비
- 운반설비 : 컨베이어, 이송 대차, 등
- 생산설비 : 모터 투입설비, 프론트&리어 서스펜션 투입설비, 배터리 투입설비 등
- 서브설비 : 모터&감속기 조립치구, 타이어 조립치구, 범퍼 조립치구 등
- 검사설비 : 휠얼라이먼트, 브레이크 테스트, 스피드 테스트, 램프빛 조절 테스트,
검사 테스트 등
- 수정설비 : 배터리팩 충전기, 토크 테스터기 등
(5) 시설계획(utility)
(가) 전기
- 안정적 전기 공급을 위해 각 단위 공장별로 변전소를 설치하며, 공장별로 필요
전력량을 산정하여 변전소 크기를 설정함. 전기 공급방식은 1차측과 2차측으로
나누어 전기 공사를 실시하며, 1차측은 각 공장 내 변전소까지의 공사와 각 라인별로 전기 공급함. 2차측은 라인에서 각 단위 설비까지의 전기 공급을 하며,
설비 공급업체에서 실시함.(1차측은 한전에서 고압전선이 들어오면 변압기를 거 쳐서 분점반까지 공사를 말함. 2차측은 분점반에서 각 공장내 사용되는 설비에 연결되는 전기공사)
(나) AIR
- AIR의 효율적 관리 및 공급을 위해 중앙에 AIR 콤프레셔실을 설치하여 각 단위
공장으로 공급함. 중앙 콤프레셔에서 각 단위 공장으로의 AIR공급은 AIR배관을
통하여 지하 또는 지상으로 연결되며 각 단위공장의 지붕TRUSS하단을 통하여
이송하며 라인별 위치까지 공급함. 이것을 1차측이라 하며, 이 이후의 단위 설비
까지의 배관연결(2차측)은 각 설비 Maker에서 공사를 시행함.(1차측은 컴프레셔 설치 및 각공장에 입구까지의 AIR 배관작업을 칭함. 2차측은 공장내부 각 사용
개소 부의 AIR 배관 연결작업을 칭함. 설비공구 등 연결작업)
(다) 냉각수
- 냉각수는 중앙에서 배관을 통해 각 단위공장으로 전달되며 각 단위 공장에서는
냉각수를 공급 받아 설비에 연결하여 사용함. 사용된 물은 냉각 타워로 연결하여 적정온도가 확보되면 다시 각 설비로 재공급하여 재사용됨. 따라서 냉각수는 초기에 필요한 용량만 공급되고 가동중에는 누수 등으로 빠져나간 용수만 보충
하여 사용함.
(6) 차체 공장 설비 내역
번호 |
품명 |
규격 |
단위 |
수량 |
|
기계시설 |
용량 |
|
|
||
1 |
차체조립치구 |
Under Body Assy 조립 #1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2 |
차체조립치구 |
Under Body Assy 조립 #2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3 |
차체조립치구 |
Under Body Assy 조립 #3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4 |
차체조립치구 |
Main Body Assy 조립 #1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5 |
차체조립치구 |
Main Body Assy 조립 #2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6 |
차체조립치구 |
Main Body Assy 조립 #3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7 |
차체조립치구 |
Main Body Assy 조립 #4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8 |
차체조립치구 |
Main Body Assy 조립 #50 Jig |
전기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9 |
차체조립치구 |
Under/Main Body Assy Shuttle |
전원: 220V, 5KVA, 전기 Sequence |
식 |
1 |
10 |
차체조립치구 |
Engine Room Assy_#10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1 |
차체조립치구 |
Engine Room Assy_#20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2 |
차체조립치구 |
Rear Frame Assy_#10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3 |
차체조립치구 |
BACK PANEL SUB ASSY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4 |
차체조립치구 |
PNL DASH & COWL SUB ASSY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5 |
차체조립치구 |
PNL SIDE STRUCTURE SUB ASSY 조립 Jig, LH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6 |
차체조립치구 |
PNL SIDE STRUCTURE SUB ASSY 조립 Jig, RH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7 |
차체조립치구 |
PNL DASH STUD SUB ASSY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8 |
차체조립치구 |
PNL SEAT FLOOR SUB ASSY 조립 Jig |
Air Sequence Jig, Air압력: 5kg/㎠ |
Set |
1 |
19 |
용접설비 |
ROBOT |
가반중량 220kg, 6축 |
Set |
6 |
20 |
용접설비 |
ROBOT WELDING GUN |
전원:3상 440V |
Set |
12 |
21 |
용접설비 |
TIMER CONTROLLER |
전원:3상 440V,90KVA,Inverter Type |
Set |
6 |
22 |
용접설비 |
AUTO TIP DRESSER |
Air압력: 5kg/㎠ , 용접tip 가공설비 |
Set |
6 |
23 |
용접설비 |
TOOL STAND |
용접GUN 적치대, TCS-K0001 |
Set |
12 |
24 |
용접설비 |
수동용접 GUN |
Air압력: 5kg/㎠ |
Set |
47 |
25 |
용접설비 |
TRANTIM(TR+TS일체형) |
전원:3상 440V,150KVA,SCR Type |
Set |
28 |
26 |
용접설비 |
PROJECTION 용접기 |
전원:3상 440V,150KVA,SCR Type |
Set |
3 |
27 |
용접설비 |
ROBOT TOOL CHANGER |
가반중량 210kg, 스틸구조,전기컨넥터 |
Set |
20 |
28 |
용접설비 |
STUD 용접기 |
전원:3상 440V,115KVA |
Set |
1 |
29 |
용접설비 |
CO2 용접기 |
전원:3상 440V,350A |
Set |
4 |
30 |
용접설비 |
SEALER PUMP |
Air압력: 5kg/㎠ , 용량 20L |
Set |
3 |
31 |
용접설비 |
VIN 타각설비 |
전원: 220V,도트타각설비 |
Set |
1 |
32 |
용접설비 |
설비용 전기 공급시설 |
설비용 220V/440V 전기배선 |
식 |
1 |
33 |
용접설비 |
설비용 Air.Water 공급시설 |
설비용 Air.Water 배관 |
식 |
1 |
(7) 도장 공장 설비 내역
번호 |
품명 |
규격 |
단위 |
수량 |
||
기계시설 |
용량 |
|
|
|||
1 |
도장설비 |
전처리설비(Pre-Treatment System) |
Tank & Pump system |
식 |
1 |
|
2 |
도장설비 |
전착설비(E-Coat System) |
Tank & Pump system |
식 |
1 |
|
3 |
도장설비 |
상도 스프레이부스 |
Dry type, 2공정 |
식 |
1 |
|
4 |
도장설비 |
투톤 스프레이부스 |
Dry type, 2공정 |
식 |
1 |
|
5 |
도장설비 |
전착오븐(E.D Oven) |
Oven with Door/Hood without Cooling |
식 |
1 |
|
6 |
도장설비 |
상도오븐(Primer and Top Oven) |
Oven with Door/Hood without Cooling |
식 |
1 |
|
7 |
도장설비 |
투톤오븐(Two tone Oven) |
Oven with Door/Hood withoutCooling |
식 |
1 |
|
8 |
도장설비 |
Conveyor System |
Floor conveyor |
식 |
1 |
|
9 |
도장설비 |
설비용AHU(상도용) |
2000m3/Min, Spray 와 작업용 Booth용 |
Set |
1 |
|
10 |
도장설비 |
설비용AHU(Two tone용) |
2000m3/Min, Spray 와 작업용 Booth용 |
Set |
1 |
|
11 |
도장설비 |
작업부스(Working Booth) |
Booth & Exhaust duct 방식 |
식 |
1 |
|
12 |
도장설비 |
순수장치(RO System-D.I Water) |
3Ton/Hour |
Set |
1 |
|
13 |
도장설비 |
보일러(Boiler for steam) |
1460Kg/Hour |
Set |
1 |
|
14 |
도장설비 |
소화설비(Fire fighting system) |
CO2 for Spray booth |
Set |
1 |
|
15 |
도장설비 |
비상발전기 |
80Kw |
Set |
1 |
|
16 |
도장설비 |
공냉식냉동기 |
30RT(Dry Type) |
Set |
1 |
|
17 |
도장설비 |
도료공급설비 |
Paint Supply, Sealer Supply System |
식 |
1 |
|
18 |
도장설비 |
도장이송 D/L & 송급장치(WBS) |
Drop lifter/Chain convetor |
식 |
1 |
|
19 |
도장설비 |
조립이송 D/L & 송급장치(PBS) |
전원 440V, EMS HOIST & Hanger |
식 |
1 |
|
20 |
도장설비 |
설비용 전기 공급시설 |
설비용 220V/440V 전기배선 |
식 |
1 |
|
21 |
도장설비 |
설비용 Air.Water 공급시설 |
설비용 Air.Water 배관 |
식 |
1 |
|
22 |
도장환경설비 |
액티브카본 정화설비 |
2,200 Nm3/Hour |
Set |
1 |
|
23 |
도장환경설비 |
배기가스 처리설비 |
150Nm3/Hour |
Set |
1 |
(8) 조립공장 설비내역
번호 |
품명 |
규격 |
단위 |
수량 |
|
1 |
조립, 운반장치 |
트림라인작업&이송대차설비 |
GUIDE RAIL(36M 2열), DOOLY(8대) |
식 |
1 |
2 |
조립, 운반장치 |
Motor+Frt Susp' 탑재장치 |
모터:400W 배터리/유압모터 : 500W |
Set |
3 |
3 |
조립, 운반장치 |
Rr Susp' 탑재장치 |
모터:400W 배터리/유압모터 : 500W |
Set |
3 |
4 |
조립, 운반장치 |
Battery Pack 탑재장치 |
모터:400W 배터리/유압모터: 500W |
Set |
3 |
5 |
조립, 운반장치 |
Motor+Frt Susp'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6 |
조립, 운반장치 |
Rr Susp'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7 |
조립, 운반장치 |
Slide Door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2 |
8 |
조립, 운반장치 |
Battery Pack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9 |
조립, 운반장치 |
Deck & Box Assy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10 |
조립, 운반장치 |
Shower Tester |
전원:220V 60Hz, 모터출력 : 10HP |
Set |
1 |
11 |
조립, 운반장치 |
Chassis Line |
전원 440V, EMS HOIST & RAIL. |
식 |
1 |
12 |
조립, 운반장치 |
Final Line |
전원 440V 60Hz, S/Slat Conveyor, |
식 |
1 |
13 |
조립, 운반장치 |
TIRE & WHEEL SUB 조립설비 |
|
식 |
1 |
14 |
조립, 운반장치 |
Battery Pack Charger(완속) |
전원:220V 60Hz, 출력: 7kw(32A) |
식 |
14 |
15 |
조립, 운반장치 |
도장 Touch Up Booth |
전원: AC 3Φ×440V |
식 |
1 |
16 |
조립, 운반장치 |
차량부품보온기 |
전원:440V 60Hz, 출력전류 : 31.2Kw |
Set |
1 |
17 |
조립, 운반장치 |
설비용 전기 공급시설 |
설비용 220V/440V 전기배선 |
식 |
1 |
18 |
조립, 운반장치 |
설비용 Air.Water 공급시설 |
설비용 Air.Water 배관 |
식 |
1 |
19 |
조립, 운반장치 |
브레이크액_부동액 주입설비 |
전원:220V 60Hz, Air:5~6kg/㎠ |
Set |
1 |
20 |
검차설비 |
사이드슬립 테스터(SIDE SLIP TESTER) |
전원:220V 60Hz, Air:5kg/㎠ |
Set |
1 |
21 |
검차설비 |
브레이크 테스터(BRAKE TESTER) |
전원:220V/380V 60Hz, Air: 4kg/㎠ |
Set |
1 |
22 |
검차설비 |
스피드 테스텨(SPEED TESTER) |
전원:220V/440V,5KVA, Air:5kg/㎠ |
Set |
1 |
23 |
검차설비 |
헤드라이트 테스터(HEAD LIGHT TESTER) |
전원:220V 60Hz, 측정거리: 1M |
Set |
1 |
24 |
검차설비 |
ABSH 통합컨트롤 시스템기 |
IC-8000이 내안된 컴퓨터와 PLC |
Set |
1 |
25 |
검차설비 |
중량계 |
전원:220V 60Hz |
Set |
1 |
26 |
검차설비 |
경사각도 측정기 |
전원:380V, 3.7Kw, 유압식 |
Set |
1 |
27 |
검차설비 |
휠얼라이먼트 테스터 |
전원: 220V/380V,60Hz MOTOR:2.5HP |
Set |
1 |
28 |
검차설비 |
휠얼라이먼트 리프터 |
전원: 220V/380V,60Hz |
Set |
1 |
29 |
검차설비 |
검사용 리프터 |
전원: 220V/380V,60Hz |
Set |
1 |
30 |
검사장비 |
Hi-Scanner |
통신모듈 사용전압 : 8~35V |
Set |
1 |
31 |
검사장비 |
Air Bag code Reading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2 |
검사장비 |
Immobilizer Cording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3 |
검사장비 |
System Checker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4 |
검사장비 |
Error EraserR(소거기)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5 |
검사장비 |
Barcard Label 발행기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6 |
검사장비 |
Laser Label 발행기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27 |
검사장비 |
생산지시표 발행기(Broad Cast) |
전원:220V 60Hz, PC, 24"모니터 |
Set |
1 |
(9) 친환경 저상 전기버스 설비내역
번호 |
품명 |
규격 |
단위 |
수량 |
|
1 |
조립, 운반장치 |
트림라인작업&이송대차설비 |
GUIDE RAIL(36M 2열), DOOLY(8대) |
식 |
1 |
2 |
조립, 운반장치 |
Motor+Frt Susp' 탑재장치 |
모터:400W 배터리/유압모터 : 500W |
Set |
3 |
3 |
조립, 운반장치 |
Rr Susp' 탑재장치 |
모터:400W 배터리/유압모터 : 500W |
Set |
3 |
4 |
조립, 운반장치 |
Battery Pack 탑재장치 |
모터:400W 배터리/유압모터: 500W |
Set |
3 |
5 |
조립, 운반장치 |
Motor+Frt Susp'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6 |
조립, 운반장치 |
Rr Susp'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7 |
조립, 운반장치 |
Slide Door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2 |
8 |
조립, 운반장치 |
Battery Pack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9 |
조립, 운반장치 |
Deck & Box Assy 이재장치 |
1TON Chain HOIST & HANGER |
Set |
1 |
10 |
조립, 운반장치 |
Shower Tester |
전원:220V 60Hz, 모터출력 : 10HP |
Set |
1 |
11 |
조립, 운반장치 |
Chassis Line |
전원 440V, EMS HOIST & RAIL. |
식 |
1 |
12 |
조립, 운반장치 |
Final Line |
전원 440V 60Hz, S/Slat Conveyor, |
식 |
1 |
13 |
조립, 운반장치 |
TIRE & WHEEL SUB 조립설비 |
|
식 |
1 |
14 |
조립, 운반장치 |
Battery Pack Charger(완속) |
전원:220V 60Hz, 출력: 7kw(32A) |
식 |
14 |
15 |
조립, 운반장치 |
도장 Touch Up Booth |
전원: AC 3Φ×440V |
식 |
1 |
16 |
조립, 운반장치 |
차량부품보온기 |
전원:440V 60Hz, 출력전류 : 31.2Kw |
Set |
1 |
17 |
조립, 운반장치 |
설비용 전기 공급시설 |
설비용 220V/440V 전기배선 |
식 |
1 |
18 |
조립, 운반장치 |
설비용 Air.Water 공급시설 |
설비용 Air.Water 배관 |
식 |
1 |
19 |
조립, 운반장치 |
브레이크액_부동액 주입설비 |
전원:220V 60Hz, Air:5~6kg/㎠ |
Set |
1 |
20 |
검차설비 |
사이드슬립 테스터(SIDE SLIP TESTER) |
전원:220V 60Hz, Air:5kg/㎠ |
Set |
1 |
21 |
검차설비 |
브레이크 테스터(BRAKE TESTER) |
전원:220V/380V 60Hz, Air: 4kg/㎠ |
Set |
1 |
22 |
검차설비 |
스피드 테스텨(SPEED TESTER) |
전원:220V/440V,5KVA, Air:5kg/㎠ |
Set |
1 |
23 |
검차설비 |
헤드라이트 테스터(HEAD LIGHT TESTER) |
전원:220V 60Hz, 측정거리: 1M |
Set |
1 |
24 |
검차설비 |
ABSH 통합컨트롤 시스템기 |
IC-8000이 내안된 컴퓨터와 PLC |
Set |
1 |
25 |
검차설비 |
중량계 |
전원:220V 60Hz |
Set |
1 |
26 |
검차설비 |
경사각도 측정기 |
전원:380V, 3.7Kw, 유압식 |
Set |
1 |
27 |
검차설비 |
휠얼라이먼트 테스터 |
전원: 220V/380V,60Hz MOTOR:2.5HP |
Set |
1 |
28 |
검차설비 |
휠얼라이먼트 리프터 |
전원: 220V/380V,60Hz |
Set |
1 |
29 |
검차설비 |
검사용 리프터 |
전원: 220V/380V,60Hz |
Set |
1 |
30 |
검사장비 |
Hi-Scanner |
통신모듈 사용전압 : 8~35V |
Set |
1 |
31 |
검사장비 |
Air Bag code Reading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2 |
검사장비 |
Immobilizer Cording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3 |
검사장비 |
System Checker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4 |
검사장비 |
Error EraserR(소거기)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5 |
검사장비 |
Barcard Label 발행기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36 |
검사장비 |
Laser Label 발행기 |
전원:220V 60Hz, 산업용PC |
Set |
1 |
27 |
검사장비 |
생산지시표 발행기(Broad Cast) |
전원:220V 60Hz, PC, 24"모니터 |
Set |
1 |
(10) 전동용 스쿠터 공장시설 및 생산설비의 현황
① 공장 시설 및 생산설비의 현황
▶ 공장입지
●공장위치 : 강원도 횡성군 우천면 상하가리 369번지 (우천산업단지 e-mobility 클러스트)
●공장면적 : 공장면적 ? 1,634㎡ (약 520평) :2021년 9월 신축개시 12월 완공예정
가) 생산 라인 능력
- 현재 설비 능력 : 연간 5,000대 생산 능력
- 향후 2Shift 운영 시 연간 10,000대 생산 가능
나) 전동용 스쿠터를 조립하기 위한 라인의 구성
Sub 조립라인, Under frame조립라인, Under Body조립라인, Main framing조립라인, 검사라인, 주행시험라인 등으로 구성
다) 주요공정 설비구성
조립치구 : Sub조립치구들, Under frame 조립치구, Under Body조립치구, Main framing 조립치구, 각종 세팅 게이지 등
운반장비 : 이송 대차, 호이스트, Drop Lifter, 대차 등
검사장비 : 검사구, 다관절 측정기 등
라) 설비내역
No |
SoftWare |
용도 |
수량 |
1 |
계측기 |
완성차 계측 |
|
2 |
선반 |
부품가공 |
|
3 |
측정기 |
부품측정 |
|
4 |
호이스트 |
공정운송 |
|
(11) 자동차 개발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 설비 현황
엔지니어링 업무는 설비를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당사는 엔지니어링 설계와 공법서를 작성하기 위하여는 업무 수행에 필요한 S/W와 Simulation Program을 확보하고 있다
① 주요보유 S/W와 Simulation Program 설비 현황
No |
SoftWare명칭 |
용도 |
수량 |
1 |
MS Office |
Office |
152 |
2 |
Auto Cad |
설계용 |
24 |
3 |
CATIA |
설계 및 Simulation |
48 |
4 |
UG |
설계용 |
1 |
5 |
Robo Cad |
Simulation |
1 |
6 |
Dilmia |
Simulation |
2 |
7 |
기타 |
기타업무에 필요한 프로그램 다수보유 |
② 설비내역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은 지식산업이므로 2-1-1의 소프트웨어, 표준자료 및 차량개발의 경험을 가지고 사업을 영위합니다. 영업은 자동화설비(설비, 금형)를 포함한 턴키 프로젝트 또는 부분적인 업무의 수주를 하여 대응하고 있다. 자동화설비의 제작대응은 외부 협력업체와 컨소시엄으로 대응하고 있다.
③생산요소
가) 생산단가
엔지니어링 서비스사업에 대한 수주는 고객사의 입찰을 통하여 대응하고 있다. 경쟁력적인 측면에서는 디피코는 20여년간 개발경험, 기술자료 표준화가 준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기술력, 가격적인 측면에서 수주가능성이 높은 경유럽의 엔지니어링 회사 대비 가격경쟁력이 있으며 중국의 엔지니어링회사 대비는 자동차 개발경험 등의 기술력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나) 주요 원자재 및 가격변동 추이
엔지니어링 서비스 사업은 점차적으로 자국 기술력 확보 차원에서 국내에서 대응하는경향으로 가고 있으며 디피코는 차량을 생산하는 장점을 가지고 차량의 생산,
부품공급을 포함한 턴키 프로젝트 수주를 하는 방향으로 갈 예정이다.
5)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III. 경영참고사항 → 1. 사업의 개요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참고사항 ※ 1) 당해 사업연도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별도 재무제표 로서 추 후 감사과정에서 변경이 있을 수 있습니다. 2)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 변동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ㆍ 현금흐름표 및 상세한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예 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24기 2021.12. 31 현재 |
제 23기 2020. 12. 31 현재 |
제 23기 2020. 01. 01 현재 |
(단위 : )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말) | 제 23 기(초) |
---|---|---|---|
자산 | |||
유동자산 | 10,787,247,994 | 6,062,331,343 | 5,893,257,536 |
현금및현금성자산 | 896,219,062 | 231,424,888 | 2,952,493 |
단기금융자산 | - | - |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4,075,170,580 | 834,169,455 | 4,555,374,000 |
기타자산 | 919,646,076 | 732,808,506 | 214,930,347 |
당기법인세자산 | - | 107,480 | 4,568,910 |
재고자산 | 4,896,212,276 | 4,263,821,014 | 1,115,431,786 |
비유동자산 | 36,852,800,606 | 29,919,040,938 | 23,832,028,001 |
장기금융상품 | 1,150,318,922 | 990,318,922 | 59,553,922 |
장기기타채권 | 164,931,000 | 103,151,000 | 9,151,000 |
관계기업투자 | 25,806,340 | 44,745,195 | 110,370,498 |
유형자산 | 23,910,606,218 | 17,809,260,529 | 18,413,117,668 |
사용권자산 | 3,033,938,898 | 2,791,301,172 | 29,122,921 |
무형자산 | 8,567,199,228 | 8,180,264,120 | 5,210,711,992 |
이연법인세자산 | - | - | - |
자산총계 | 47,640,048,600 | 35,981,372,281 | 29,725,285,537 |
부채 | |||
유동부채 | 29,003,404,999 | 18,814,419,075 | 16,975,589,555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4,280,386,952 | 8,240,080,914 | 9,428,087,712 |
파생상품부채(유동성) | 6,935,169,150 | 730,368,000 | - |
단기차입금 | 5,037,317,990 | 7,883,905,505 | 4,902,504,427 |
유동성장기부채 | - | - | 2,527,900,000 |
유동성사채 | 1,152,000,000 | 1,152,000,000 | - |
유동성전환사채 | - | - | - |
유동리스부채 | 625,555,808 | 397,431,604 | 13,816,037 |
충당부채(유동) | 86,221,409 | - | - |
당기법인세부채 | 27,237,541 | 233,066,861 | - |
기타부채 | 859,516,149 | 177,566,191 | 103,281,379 |
비유동부채 | 24,252,088,331 | 15,520,193,302 | 8,146,619,207 |
장기기타채무 | 70,000,000 | 70,000,000 | 63,000,000 |
파생상품부채(비유동성) | - | - | - |
장기차입금 | 13,523,180,000 | 9,310,565,643 | 6,105,770,000 |
사채 | - | - | 1,152,000,000 |
전환사채 | 6,376,754,963 | 2,125,349,281 | - |
비유동리스부채 | 2,780,576,445 | 2,557,438,539 | 15,306,884 |
이연법인세부채 | - | - | - |
장기기타부채 | - | - | - |
충당부채(비유동) | 169,359,874 | - | - |
순확정급여부채 | 1,332,217,049 | 1,456,839,839 | 810,542,323 |
부채총계 | 53,255,493,330 | 34,334,612,377 | 25,122,208,762 |
자본 | |||
자본금 | 3,296,669,500 | 2,151,789,000 | 1,673,875,000 |
기타불입자본 | 15,706,038,140 | 6,033,178,360 | 2,436,333,840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458,488,108 | 100,712,578 | 354,615,327 |
이익잉여금 | (25,076,640,478) | (6,638,920,034) | 138,252,608 |
자본총계 | (5,615,444,730) | 1,646,759,904 | 4,603,076,775 |
부채및자본총계 | 47,640,048,600 | 35,981,372,281 | 29,725,285,537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4 기 (2021.01. 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 23 기 (2020.01.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매출 | 13,506,385,501 | 3,369,240,471 |
매출원가 | 22,006,852,660 | 2,728,106,733 |
매출총이익 | (8,500,467,159) | 641,133,738 |
판매비와관리비 | 6,073,792,559 | 6,307,255,341 |
영업이익 | (14,574,259,718) | (5,666,121,603) |
금융수익 | 191,279,338 | 302,310,625 |
금융비용 | 5,104,177,107 | 879,539,741 |
기타수익 | 897,854,439 | 358,310,142 |
기타비용 | 229,408,110 | 653,461,286 |
관계기업투자손익 | (22,432,284) | (67,997,603)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8,841,143,442) | (6,606,499,466) |
법인세비용 | (103,422,998) | 170,673,176 |
당기순이익 | (18,737,720,444) | (6,777,172,642) |
- | - | - |
법인세비용차감후기타포괄손익 | 357,775,530 | (253,902,749)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357,009,977 | (255,753,143) |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357,009,977 | (355,233,192) |
유형자산재평가차익 | - | 99,480,049 |
지분법자본변동 중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 |
- | - |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765,553 | 1,850,394 |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 765,553 | 1,850,394 |
- | - | - |
당기총포괄이익 | (18,379,944,914) | (7,031,075,391) |
주당손익 | ||
기본주당손익 | - | - |
회석주당손익 | - | -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24 기 (2021.01. 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 23 기 (2020.01. 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 ) |
과 목 | 제 24 기 | 제 23 기 |
---|---|---|
Ⅰ. 미 처 리 결 손 금 |
25,426,640,478 | 6,988,165,964 |
1.전기이월미처분결손금 |
6,988,165,964 | 1,069,108,068 |
2.당 기 순 손 실 |
18,737,720,444 | 5,919,057,896 |
3.IFRS 변 환 효 과 |
- | - |
Ⅱ. 이 익 잉 여 금 처 분 액 |
- | - |
Ⅲ. 차기 이월 미처리 결 손 금 |
25,426,640,478 | 6,988,165,964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송신근 | 1955년 07월 01일 | 부 | 해당사항없음 |
특수관계 (관계회사 임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송신근 | (주)디피코 대표이사 |
- | 前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現 주식회사 디피코홀딩스 대표이사 現 주식회사 디피코 대표이사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송신근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해당사항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는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토대로 당사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이사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확인서
![]() |
확인서 |
![]() |
이사의 수. 보수총액 |
![]() |
감사의 수 보수총액 |
![]() |
임원직 퇴지금 규정 |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2년 03월 23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시행령 제31조(주주총회의 소집공고)에 의거하여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1주전까지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전자공시시스템(DART)를 통하여 공시 예정입니다.
※ 홈페이지 주소 : http://www.dpeco.com
- 향후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 및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사항을 반영하여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입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코넥스협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은 3월26일(금), 30일(화), 31일(수) 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