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3월 16일 | ||
회 사 명 : | (주)소마젠 (Psomagen, Inc.) | |
대 표 이 사 : | Ryan W. Kim | |
본 점 소 재 지 : | 1330 Piccard Drive, Suite 205, Rockville, MD 20850, USA | |
(전 화) +1-301-251-1007 | ||
(홈페이지) https://psomagen.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CFO | (성 명) 이준호 |
(전 화) +1-301-251-1007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8기 정기) |
㈜소마젠 KDR 소유자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부속정관 제9조 및 제16조에 의거 제18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며, 이번 주주총회는 당사 주주명부상의 주주인 한국예탁결제원(이하 KSD)의 사전일괄위임을 기준으로 당사 KDR 소유자분들을 소집하는 것입니다.
또한, 당일 출석하지 못하시는 경우에는 서면을 통해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으니, 2022년 3월 24일 목요일 18시까지 KSD를 통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22년 3월 31일 (목요일)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87길 25, HB빌딩 8층 위플레이스 역삼3호점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4) 외부감사인 선임 보고
나.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18기(2021년 1월 1일 ~ 2021년 12월 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사내이사 1명)
제2-1호 : 사내이사 장경철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3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제4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에 비치하고,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5.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당사 KDR은 당사의 보통주식을 바탕으로 발행한 주식예탁증권으로, 당사 KDR의 취급 등은 당사와 KSD 간의 예탁계약서에 기준합니다. 당해 예탁계약서는 소마젠 홈페이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예탁계약서 제34조 및 KSD의 사전 일괄위임에 의거하여 KDR 소유자는 아래 방법 중 어느 하나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기간 내에 서면을 통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의결권 행사를 상실하게 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1)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여 의결권 직접 행사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 대리 행사
2) KSD를 통하여 의결권 행사 신청
3) 2)의 경우, 동봉한 「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신청서」에 찬반을 표시한 후, 2022년 3월 24일(목요일) 18시까지 의결권행사 신청서를 보내주십시오. 또한 기간 내에 서면을 통한 의결권을 행사하지 않고 본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의결권 행사를 상실하게 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 행사 : 신분증
- 대리 행사 : 위임장 (KDR 소유자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서명 및 날인, 대리인 신분증)
7. 기타사항
부속정관 제9조 제1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는 총회 소집통지서에 지정한 한국 내의 장소에서 개최합니다.
- 코로나19(COVID-19)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해 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분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있거나(37.5도 이상) 마스크를 착용하지 않은 주주의 경우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만약,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 확산에 따른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 있는 경우, 지체 없이 재공시할 예정입니다.
※ 본 주주총회시 주총 기념품은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별첨] 정기주주총회 의결권행사 신청서
■ 수신처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4길 23 한국예탁결제원 글로벌기획부 글로벌금융팀 앞 (우편번호 : 07330) / 팩스번호 : 02-3774-3432/ 이메일 (파일형태로 송신 : kdrvote@ksd.or.kr)
■ 의결권행사 신청 내역 (소유자번호 또는 주민등록번호 중 택일하여 기재하며, 소유증권 수는「주주총회 개최 통지서」를 참조하여 아래의 우측 빈칸(□)에 본인이 직접 기재)
위와 같이 본인 소유 KDR에 대한 의결권행사를 신청하오니 의결권을 행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박철재 (출석률: 100%) |
박종현 (출석률:100 %) |
|||
찬 반 여 부 | ||||
1 | 2021.02.16 | 제17기 결산재무제표 승인 코스닥상장법인 표준내부정보관리규정 제정 |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
2 | 2021.03.02 | 제1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결의 | 찬성 | 찬성 |
3 | 2021.03.23 | 제17기 재무제표 재승인 | 찬성 | 찬성 |
4 | 2021.08.01 | 2021 주식 인센티브 플랜 승인 | 찬성 | 찬성 |
5 | 2021.08.02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 찬성 | 찬성 |
6 | 2021.08.31 | CFO 선임 및 보수 승인 | 찬성 | 찬성 |
7 | 2021.12.16 | 제17기 정기주주총회 권리주주 확정을 위한 증권예탁증권 기준일 설정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감사위원회 | 박철재 (사외이사) 박종현 (사외이사) 안철우(기타비상무이사) |
2021.02.16 | 제17기 재무제표 검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서 평가 및 승인 |
가결 가결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USD)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3,000,000 | 60,000 | 30,000 | - |
주) 상기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지급액은 2021년 1월부터 12월까지의 지급금액이며,주총승인금액은 사외이사를 포함한 등기이사 전체에 대한 금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USD)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매입 | ㈜ 마크로젠 (최대주주) | 2021.01.01~2021.12.31 | 631,573 | 2.53 |
금융부채 | 2021.01.01~2021.12.31 | 933,368 | 3.75 | |
리스부채 | 2021.01.01~2021.12.31 | 2,039,577 | 8.18 |
주1) 상기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2021년) 매출액 대비 해당 거래금액의 비율입니다.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USD)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마크로젠 (최대주주) | 리스부채 | 2021.01.01~2021.12.31 | 2,039,577 | 8.18 |
주) 상기 비율은 최근 사업연도(2021년) 매출액 대비 해당 거래금액의 비율입니다.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개요
(가) 개인 맞춤의학 분야 (DTC 포함)
질병관리 패러다임이 질병의 치료에서 예방 중심으로 변화함에 따라 유전체 연구를 통한 조기 진단법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있습니다. 개인 맞춤 의학은 개개인의 유전체 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질병의 조기 진단, 예방, 치료 및 전반적인 건강 관리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삶의 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고, 막대한 의료비용 지출의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보건의료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인 파급 효과로 인해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NGS와 같은 유전체 분석 기술의 개발 및 비용 하락으로 인해 개개인의 유전체 분석을 통한 맞춤의학 활용 가능성이 점점 대두되고 있는 상황이며, 개인 맞춤의학은 환자 개개인의 유형에 따른 적절한 약물 혹은 치료법을 선택함으로써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개인 맞춤형 의료 기술 개발을 위해 시퀀싱(sequencing) → 시퀀싱 자료의 통합 및 분석(Data integration) → 유전정보 해석 및 유의미한 병인 요소 발굴(Genomic interpretation) → 의료정보 결합(Combine medical info) → 의료 적용(Personalized medicine)으로 통합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며 향후 더 빠른 발전과 성과를 이룩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개인별 맞춤의료 기술에서 파생되는 유전자 변이 분석 기술, 질병 유전자 예측 기술의 시장 규모도 확대될 것이고, 맞춤의료 각 세부 분야의 원천 기술 보유 여부에 따라 의료 산업간 전략적 파트너쉽이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소마젠은 그간의 경험과 노하우로 산업의 변화에 대응할 역량이 충분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나) 임상진단 분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얻은 정보를 환자의 질병 진단과 맞춤 치료에 사용하고자 하는 분야이며,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최근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체 연구는 난치성 질환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병의 원인을 밝히는데 새로운 연구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유전체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 및 축적된 다양한 유전체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정밀의료를 위한 집단 구축을 통해 미래형 의료 기술 제시를 위한 투자 및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많은 의료 및 연구 기관들에서 임상유전체 정보를 분석하며 질병의 원인을 이해하고 진단에 폭넓게 활용되고 있습니다.
(다) 리서치/학술 분야
기술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초적인 연구가 Cohort 또는 학교, 제약회사 등을 통해 지속되어야 하고, 산업 분야가 발전하면 할수록 이 기초 연구 분야도 더 많이 활성화될 것임에 틀림이 없습니다. 임상 분야와 일반 리서치 분야 시퀀싱 어플리케이션은 동일하며, 두 가지 분야에서 모두 유전체 염기서열의 분석은 필수적인 과정이 될 것입니다.
(2) 산업의 특성
(가) 경기 변동과의 관계
소마젠이 그 동안 기존 사업으로 영위하던 리서치 시장은 일반적인 경기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미국의 유전자 분석 사업은 주로는 정부 기관에서 분배하는 펀드를 통해 각 대학에서 연구 프로젝트가 운영되는 구조이므로 일반적인 경기의 변동보다는 국가 기관에서 정하는 정책이나 예산의 금액 정도에 따라 시장은 더 활성화되거나 위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COVID-19 팬데믹과 미국 연방 정부 내 리더십의 변화로 인해 생명 과학 연구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새롭게 증가함에 따라 향후 몇 년 동안 연구 예산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 계절적 요인
미국의 경우, 3-4월 공립학교의 봄 방학 기간, 7~8월 여름 휴가 기간, 12~1월 연말 연시 시즌에는 한시적으로 전반적인 매출 프로세스가 다소 느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1) Sanger Sequencing
글로벌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인 ㈜마크로젠이 1997년 사업을 개시할 당시 유전체 분석 상품은 Sanger Sequencing이 전부였습니다. 2000년대 초반 Next Generation Sequencing 기술이 등장에 따라 Sanger sequencing의 수요는 서서히 Next Generation Sequencing으로 이동하고 있는 중입니다. 그러나, Sanger sequencing이 기초적인 Single read 방식임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정확도가 높고 공인성이 높기 때문에, 차세대 시퀀싱 기술이 나날이 발전하고 있음에도 Single point mutation의 Validation이나 Confirmation에 널리 활용되고 있고, 유전체 분석에 없어서는 안 되는 기법으로 알려져 해당 용도로의 사용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Sanger 방식으로 진행해야 더 유리한 경우도 여전히 존재합니다. 현재는 Maturity 단계이나, 아주 서서히 Decline 단계로 진행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2) Next Generation Sequencing
Next Generation Sequencing의 등장 및 Single Cell Sequencing과 같은 적용 기법이 급부상하게 되면서, 주요 Application인 WGS, WES, WTS의 수요는 변함 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해당 application 들을 처리할 수 있는 기기들의 교체가 상당히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초기 NGS 플랫폼인 LT Solexa, Solid and Roche 454 Sequencer 등은 10년 전후로 운영되다가 여러가지 다른 플랫폼 및 획기적인 신기술의 등장에 따라 단종이 되는 케이스가 있습니다. 일루미나도 최신 기종의 개발이 이루어지면서 동시에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낮아진 구 버전의 플랫폼은 사라지고 있습니다. 이는 기술의 발전이 가져오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보고 있으며, 현재 Next Generation Sequencing의 라이프사이클은 한창 성장하고 있는 중인 Growth 단계입니다.
3) At-Home Genetic Testing
DTC(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ing 등 개인 유전체 검사 시장은 개인 건강 정보 보호에 대한 우려로 인해 그 동안 법률에 의해 규제되어 왔으나, 본 검사의 효용성 입증 및 개인 소비자들이 맞춤형 건강 및 웰니스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게 되면서, 최근에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DTC 유전체 검사의 라이프사이클은 Introduction 단계입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소마젠 주요 사업영역 개요]
구분 |
서비스/제품 |
사업내용 |
---|---|---|
기존사업 |
NGS |
NGS는 처리량이 높은 염기서열 분석 기술인 Next Generation Sequencing(차세대 시퀀싱)의 약자로서, 당사는 NovaSeq을 포함한 최신 Sequencing 장비 플랫폼을 활용하여 업계 최고의 NGS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적용 분야는 Whole-genome, Whole-exome, RNA/Transcriptome, Single-cell analysis, Metagenomics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CES |
CES는 염기서열을 검증하는 Capillary Electrophoresis Sequencing (모세관 전기영동 시퀀싱)의 약자로서, 매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염기서열Data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비용 효율성과 속도에 있어서의 장점으로 인해 NGS 분석 기술의 등장에도 불구하고 CES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 |
신규사업 |
DTC |
DTCGT(Direct-To-Consumer Genetic Test)는 소비자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가정용 테스트)를 의미하며, 본 테스트를 통해 개인의 고유한 유전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Amazon.com을 포함한 여러 유통 채널 및 keanhealth.com을 통해 Kean Gene 테스트를 판매/제공하고 있습니다. |
Microbiome |
키트 판매를 통한 DTC(Direct-To-Consumer) 방식의 개인 장내 미생물 분석 서비스를 의미하며, 당사는 Amazon.com을 포함한 여러 유통 채널 및 keanhealth.com을 통해 Kean Gut 및 업그레이드 상품인 Kean Gut+ 테스트를 판매/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Microbiome 서비스는 DTC 방식뿐만 아니라 Clinical 즉, 의사를 연계하는 Clinical Microbiome 분석 서비스도 준비 단계에 있습니다. |
|
COVID-19 진단 서비스 |
당사는 자체 보유한 CLIA Lab에서 코로나19 진단 LDT(Laboratory Developed Test) 서비스인 'Psoma COVID-19 RT Test' 개발을 완료하고, 2020년 6월 30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COVID-19(코로나19) 진단 LDT 서비스에 대해 긴급사용허가(EUA, Emergency Use Authorization)를 받은바 있으며, 2020년 10월부터 본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0년 12월 미국 예일대와의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 2020년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사용허가(EUA)를 받은바 있는 SalivaDirect™ COVID-19 진단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본 검사는 별도의 핵산 추출이 필요 없는 RT-qPCR 방법으로, 타액(Saliva) 샘플을 처리해 분석 완료 시간을 2~3시간으로 단축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가정용 샘플 채취 방식의 SalivaDirect™ COVID-19 At-home Collection 진단 서비스도 2021년 7월 출시한 바 있습니다. 더 나아가 당사는 상기 검사 외에도 Swift Biosciences 및 Integrated DNA Technologies(IDT, Integrated DNA Technologies)와 협업으로 2021년4월부터 COVID-19 변이 분석 서비스도 제공 중에 있습니다. |
소마젠은 2004년 12월에 미국에 설립되어, 미국 전역의 대학 및 관련 연구 센터뿐만 아니라, 제약 및 생명공학 업체에 직접 B2B(Business to Business) 모델로 게놈 분석 및 유전체 분석(Sequencing)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미국 내에서 업계 최고의 명성과 시장 점유율을 구축해 온 유전체 분석 전문기업입니다.
당사의 핵심 서비스로는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의 Gold Standard로 불리는 생어 유전체 분석(Sanger Sequencing, CES) 서비스와 불과 10년 여 전에 등장한 가장 진보된 기술이자 처리량이 높은 Sequencing 기술인 차세대 유전체 분석(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서비스가 있습니다. 소마젠은 기본적인 실험실 기술 외에도 다년간 축적된 노하우를 기반으로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사전 프로세스를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해 진단 시장의 요구에 필수적인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와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인증을 취득한바 있습니다. 이와 같은 실험실 기반의 전문 지식과 노하우는 임상진단 서비스(Clinical Service) 및 개인의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DTCGT) 서비스를 상용화하는 데에도 사용되었습니다.
Psomagen은 현재에도 북미 지역 고객에게 포괄적인 서비스 메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샘플 준비, Single-cell 시퀀싱, Bioinformatics 관련 첨단 기술에 지속적으로 투자 및 개발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가) 사업의 세부내용
Psomagen의 사업은 크게 핵심 서비스인 CES(Sanger Sequencing)와 NGS(Next Generation Sequencing)를 포함하는 B2B 모델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와 DTC 모델의 가정용 개인 유전체 검사로 구분됩니다. CES 및 NGS는 연구용역(Research Use Only) 서비스 및 CLIA 인증이 필수인 동시에 진단 결과를 제공하는 임상 서비스 두 가지 방식으로 제공되며, 모든 가정용 개인 유전체 검사 서비스는 CLIA 인증된 테스트 방식으로 제공되고 있습니다.
[주요 상품의 목록과 RUO/CLIA의 구분]
서비스 타입 |
주요 상품의 목록 |
RUO |
CLIA |
---|---|---|---|
Sanger Sequencing |
Single Primer Extension Sequencing |
v |
|
Pre-sequencing Preparations |
v |
||
16s rRNA Sequencing (for single colony) |
v |
||
Variant Confirmation |
v |
v |
|
Next Generation Sequencing |
Whole Genome Sequencing (WGS) |
v |
v |
Whole Exome Sequencing (WES) |
v |
v |
|
Whole Transcriptome Sequencing (WTS) |
v |
v | |
Whole Genome Bisulfite Sequencing (WGBS) |
v |
||
At-Home Genetic Testing (DTCGT) |
Gene Test |
v |
v |
Gut Microbiome Test |
v |
v |
|
COVID-19 Test |
v |
v |
< 주요 제품의 상세 설명(기능, 용도, 특징) >
1) Sanger Sequencing (CES)
생어 시퀀싱(CES)은 ddATP, ddTTP, ddCTP, ddGTP를 포함한 형광 염료 라벨이 부착된 디디옥시뉴클레오타이드(ddNTP)를 이용하여 DNA의 염기서열을 분석하는 일반적인 DNA 시퀀싱(염기서열 분석) 방법입니다. 생어 유전체 분석은 'Genomic DNA 추출 → PCR 방법을 통한 DNA 증폭 → DNA 정제 → ABI 3730xl System 분석' 총 4단계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 집니다.
Single Primer |
- 염기서열을 분석할 때 단일 DNA 가닥에 단일 프라이머(Primer) 하나를 붙여 읽고자 하는 특정 부분의 서열을 100bp~1,000bp 정도의 비교적 짧은 DNA 절편의 사이즈 내의 서열을 확인하고자 할 때에 이용합니다. - NGS 방법보다 정확도가 높기 때문에, Reference로써 NGS 분석 결과를 검증하는데 활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Pre-sequencing |
- DNA 분석을 위한 시료가 만들어지기까지 필요한 전 처리 과정을 추가로 의뢰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 DNA extraction, PCR, Purification, Primer synthesis 등의 다양한 서비스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16s rDNA Sequencing |
- 박테리아의16s rDNA 부분(약1,500bp)을 Full sequencing 하는 서비스입니다. - Single colony를 사용하여 해당 박테리아의 동정에 사용됩니다. - 미생물의 군집 분석을 위한 시료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
Variant Confirmation |
- NGS의 정확도가 아직까지는 낮은 부분이 존재하므로, NGS 수행에서 부정확한 부분의 Variant 를 재확인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 확인하고자 하는 부위를 PCR 디자인하여 해당 절편을 읽는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 일반 염기서열 보다 인력을 요구하는 스텝이 많아 서비스 가격이 높은 편입니다. |
2) Next Generation Sequencing (NGS)
소마젠이 차세대 유전체 분석에 쓰는 분석 원리는 유전자 분석 장비 회사인 Illumina가 고안한 것으로 Sequencing by synthesis 기술입니다. DNA를 단편으로 자른 뒤, 양쪽에 서로 다른 종류의 Adaptor를 붙여 만든 라이브러리를 Adaptor와 상보적인 Oligo가 붙어 있는 Flow cell이라는 슬라이드에 흘려 보내어 증폭시킨 뒤, DNA를 합성시킬 때 염기가 주형에 결합하면서 염기서열이 나타나는 형광을 측정하여 이미지화 해서 분석하는 기술입니다.
[Sequencing by synthesis 기술]
Whole Genome |
- 전체 유전체를 모두 시료로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고자 할 때 사용됩니다. - Human Genome을 기준으로 볼 때에 가격적으로 가장 고가의 서비스이지만, 전체 Genome의 서열을 98~99% 커버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
Whole Exome |
- 단백질로 변환될 유전자가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는 Exon 영역만을 선택적으로 분석하는 방법으로써 기존의 연구를 통해 얻은 유전자들만을 선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전장 유전체 분석(Whole Genome Resequencing) 보다 효율적, 경제적인 방법입니다. |
Whole Transcriptome |
- 전사체의 정량화, 구조분석, 전사변이체 발굴 및 퓨전 유전자 발굴을 RNA를 검체로 분석하는 기술로서, DNA와 달리 RNA 단일 가닥으로 cDNA를 만들어 전사체의 발현 정량을 재는 기술입니다. |
Whole Genome |
- DNA에 아황산수소나트륨(Bisulfite)을 처리해 주었을 때, 메틸레이션이 일어난 지역에는 DNA 변화가 없다는 이론을 이용하는 분석 기술입니다. 유전체의 변화 없이 크로마틴의 구조나 DNA의 메틸화를 통해 질병의 원인을 찾아내는 분석 기법으로 전장 Bisulfite 시퀀싱, 메틸 CpG 결합 도메인 시퀀싱 등의 방식이 있습니다. 유전자의 프로모터 영역에 있는 CpG섬에 메틸화되어 있는 사이토신 염기를 찾아 결과를 제공합니다. |
Single-Cell Sequencing (SCS) |
- 단일 세포 염기서열 분석은 단일 세포의 유전자를 밝혀 내는 최신 염기서열 방식으로 복잡한 생물학적 시스템과 이질적인 세포 집단 샘플의 평가를 가능하게 합니다. - 응용 분야로는 단세포 유전자 발현과 단세포 면역 프로파일링 등이 있습니다. - 감염병, 종양학, 면역학 등 광범위한 연구 분야에 활용되고 있습니다. |
※ 출처: 일루미나 (www.illumina.com)
3) At-home Genetic Testing (DTCGT)
소마젠이 사업화한 개인 유전체 분석 서비스는 크게 두 가지로, 유전형을 분석하여 사람들에게 상대적 질병 위험 정보를 주거나 삶의 질을 높이는 맞춤 건강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해 비만, 아토피, 우울증, 암 등의 질환에 직ㆍ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진 장내 세균의 구성을 분석하고 유익균과 유해균을 분석하여 장 건강 변화를 과학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장 및 구강 내 미생물(Microbiome) 검사 서비스를 구비하고 있습니다.
Gene Test |
- 일반 소비자가 병원을 거치지 않고, 민간 유전자 검사업체에 직접 검사를 의뢰해 유전적 질환 가능성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입니다. - 소마젠은 다이어트 케어, 영양소 케어, 개인 특성 케어의 세가지 서비스를 기반으로 소비자의 유전자를 분석하여 일상 생활의 질을 높일 수 있는 실천 가능 맟춤 건강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Gut Microbiome Test |
- 장내 미생물 검사를 통해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많을수록 건강한 상태임), 장의 유형, 장의 건강상태(설사, 변비, 복부통증, 복부 팽만, 비만)를 확인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대표 세균이 무엇인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장내 미생물은 음식물 섭취, 생활 방식, 위생 상태, 약물 복용 등 외부적 요인에 따라 역동적으로 변화하므로 위와 같은 외부적 요인들을 조절하여 인체 마이크로바이옴 균형을 유지한다면, 이로 인한 질병 발생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강 개선의 목적으로도 사용될 것입니다. |
COVID-19 Test |
- SalivaDirectTM At-Home Collection 테스트는 가정이나 직장에서 쉽게 채취할 수 있는 타액 샘플에 대하여 수행되는 실시간 중합효소 연쇄 반응(RT-PCR) 테스트로 알려져 있습니다. - COVID-19으로 알려져 있는 SARS-CoV-2 감염 여부를 진단하는 검사입니다. - 본 검사는 18세 이상은 누구나 이용할 수 있습니다. - 검사 결과를 전달하기까지는 샘플 수령 후 평균 24~48시간이 소요됩니다. |
(2) 경쟁 상황
기초연구 분야에서의 서비스 경쟁은 포화된 반면에, 새롭게 형성되는 유전체 정보 기반의 임상시장에서의 경쟁 상황은 시장 확장의 가능성과 대형 임상 및 IT 기관의 많은 관심에도 불구하고 시장의 태동기에 형성된 10여개의 사업체에 불과합니다.
소수 사업체의 시장 독점현상을 초래하는 진입장벽은 유전체 정보 해독 장비의 기술은 발전하였으나 시장 진입을 위해서 필요한 (1) 대용량 유전체 데이터의 확보와, (2) 경험적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겸비한 분석 기술 기반으로, (3) 사업화 가능한 컨텐츠 개발의 능력의 부재에 기인합니다.
또한 인체 유래 샘플을 의료기관에서 연구 및 진단 목적으로 활용하는 유전체 해독(장내미생물, DTCGT, 임상진단)을 위해서는 임상진단 검사와 관련된 최고 수준의 품질관리를 입증하는 CLIA(Clinical Laboratory Improvement Amendments, 미국실험실표준인증) 및 CAP(College of American Pathologists, 미국병리학회) 인증이 필수적으로 요구되고 있어 시장 진입이 쉽지 않습니다.
CLIA/CAP의 인증은 의료기관 수준의 철저한 실험실과 정보관리 체계, 실험실 전문 인력의 자격 요건, CLIA/CAP에서 인증 받은 임상 전문의 등 전문성, 시간, 노력, 비용 등 종합적이고 까다로운 요건이 충족되어야 하므로 취득이 매우 어려우며, 인증 후에도 불시의 현장 점검을 포함한 자격 유지를 위한 철저하고 지속적인 관리가 요구됩니다. 아울러, 임상진단 검사의 규제와 관련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미국 내 연방정부 및 각 주의 규제 내용과 사례에 대한 정확한 정보 수집과 이를 반영한 종합적인 서비스 실용화 체계 및 지속적인 업그레이드가 필요합니다.
소마젠은 CLIA/CAP에서 인증 받은 임상 전문의와 컨설팅을 통해 최고 의료기관 수준의 철저한 실험실 및 정보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철저하고 지속적인 관리 체계 유지 및 새로운 서비스 도입을 위한 기반을 확보하고 있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유지하리라 판단됩니다.
(3) 경쟁업체 현황
(가) Novogene
2011년도에 설립된 중국의 유전체 분석 서비스 회사의 미국 내 자회사로서 NovaSeq6000, HiSeqX Ten 및 HiSeq 4000 등의 시퀀싱 플랫폼을 사용해 전장 유전체 분석, 전장 엑솜 유전체 분석, 전사체 분석, 표적 유전체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임상 서비스로는 임상 전장 엑솜 유전체 분석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나) Genewiz
1999년에 시작된 유전체 분석 서비스 회사로써, 2017년도에는 유전체 분석 회사 순위에서 8위에 오르기도 하였습니다. 서비스 품목으로는 Sanger 유전체 분석, 전장 유전체 분석, 전장 엑솜 유전체 분석, 전사체 분석, 표적 유전체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에는 연구 분야에 집중하고 있으나, CLIA를 통한 임상 서비스 분야에 진출하였습니다. 동 회사는 2018년 11월에 Brooks Automation에 인수된바 있습니다.
(다) BGI
서비스 품목으로 타 경쟁사들과 같이 전장 유전체 분석, 전장 엑솜 유전체 분석, 전사체 분석, 표적 유전체 분석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중국에 위치하고 있고 자체 서열분석 장비의 특허 문제로 인하여 미국 임상 서비스 시장으로의 진출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라) Myriad Genetics
미리어드제네틱스(Myriad Genetics, 1992년 설립)사는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유전자 BRCA1/2의 개인 유전자 분석 전문기업입니다. 2009년 미국 시민자유연맹 등 시민단체는 미리어드제네틱스사가 가지고 있는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 유전자 BRCA1/2의 특허권 취소 소송을 냈고, 연방대법원까지 올라간 긴 논쟁 끝에 2013년 6월 미국 시민자유연맹이 승소했습니다. 즉, 미 연방대법원은 자연적으로 타고난 DNA, 유전자는 특허 대상이 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마) 23andMe
23andMe는 현재 DTC 유전자 검사 시장의 49.2%를 점유하고 있는 동종업계의 선두기업입니다. 동 회사는 DTC의 선두주자로서 초기에 시장에 진입하여 FDA의 승인과 규제 개선을 끌어내는 등 선구적 역할에 힘입어 진입장벽과 난이도가 높은 시장에서 높은 점유율을 유지해 왔습니다.
(바) Ombre (formerly Thryve)
Ombre는 장내 Microbiome 분석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16S라는 특정 부위의 변이 정보를 분석하고 있습니다. 동 회사는 시장이 형성되기 전에 회사를 설립하여, 시장 규모와 함께 유리한 고지를 지키며 확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신규사업의 추진 배경
유전체 기술은 미래 유망 분야로 전 세계의 관심 속에서 연구 및 활용 사례가 꾸준히 축적되면서 소비자 중심의 관심과 요구가 팽배하고 있었으나, 비교적 최근의 빠르게 지속적으로 이어지는 정부의 규제 개선에 따라 그간 다양하게 논의만 되어왔던 사업화 가능성 분야들이 현실화되는 급전환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많은 유수한 시장조사 전문기관의 향후 6년 간의 시장동향 리포트에서 이러한 추세를 일관성 있게 뒷받침하고 있으며, 기존 시장이 연구자의 의뢰를 받은 리서치 중심이었다면, 새롭게 형성되는 시장은 임상시장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유전 정보 해독 장비와 정보분석의 급진적인 발달로 개인 유전체 해독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의 획기적 감소에 힘입어 일반인들의 전체 게놈 시퀀싱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헬스케어 시스템을 통한 Consumer 게놈 서비스가 혁신적인 시장으로 발돋움하고 있습니다.
이에 소마젠은 글로벌 시장에서 48% 이상의 점유율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미국 Consumer 게놈 시장으로의 진입이 적시에 이뤄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습니다.
(나) 신규사업 분야에서 소마젠의 경쟁력
- 미국시장에서 17년간의 로열 커스터머 확보와 미국 내 주요 기관과의 대형 과제 참여를 통해 서비스 사업뿐만 아니라 게놈 영역에서의 독자성 및 창의적인 R&D를 통해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 및 신뢰를 기반으로 미국 내 포지셔닝을 공고히 하였으며, 기초연구 시장에서 임상시장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기술 및 품질 경쟁력의 모든 요건과 여건을 구비하고 있음
- 고객의 샘플과 데이터를 해외로 보낼 필요 없이 전적으로 미국 기반의 운영 서비스를 제공함. 다른 국가에 소재한 실험실을 사용하는 타 경쟁업체의 경우, 데이터 보안 및 지적 재산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고객들로부터 우려가 제기되고 있음
- 미국 임상시장 진입의 최대 장벽이 될 수 있는 CLIA/CAP 인증을 각각 2014년 및 2017년 취득 이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있으며, 임상시장 진입을 위한 초기 사업화 컨텐츠 개발과 규제의 장벽이 없는 버지니아주에 새로운 사업장 설비를 완료하여 시장 진입을 위한 모든 준비를 완료
- 임상 시장의 핵심적인 요건인 철저한 고객 정보의 보안 시스템을 위해 HIPAA 규정에 부합하는 고객 및 유전자 정보 보안 시스템 구축
- 다양한 임상 서비스에서 축적되는 대용량 데이터를 기반으로 새로운 유전적 변이에 대한 정보의 발견과 측정 및 블록체인 네크워크 기반의 빅데이터 활용 방안과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크립토 커런시 등 미래지향적인 빅데이터 신산업으로의 확장성 확보
(다) 신규사업 소개 및 전망
1) At-Home Genetic Testing (DTCGT)
소비자가 자신의 건강과 질병의 위험성과 관련 있는 유전적 정보를 병원 등의 의료기관을 거치지 않고 소비자가 직접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의뢰하는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Direct to Consumer Genetic Test, DTCGT) 서비스의 요구가 늘고 있습니다.
미국은 2019년 4월 현재 35개 주에서 DTC 서비스가 가능하며, 그 중 22개 주에서만 DTC 서비스가 전면적으로 허용되어 있고, 나머지 13개 주에서는 제한적으로 허용되고 있는 상황으로, 소마젠은 전면적으로 서비스가 허용된 Virginia주에 DTC 서비스 제공을 위한 설비를 구축 후, 2019년 10월부터 본 사업을 개시하였습니다.
전 세계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DTC) 시장 규모는 2018년 824백만 달러였고, 연평균 성장율 22.7%로 성장하여, 2028년에는 6,365백만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소마젠이 진출한 미국 시장은 2018년 기준으로 전 세계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DTC) 시장의 47%를 차지하고 있으며, FDA의 직접의뢰 유전자 검사(DTC) 규제 완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구축되면서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소마젠은 2013년 이후부터 시작된 임상 유전체 분석을 통한 데이터와 경험을 바탕으로 개인 특성 유전자 검사를 대상으로 하는 DTC 서비스를 구축하였습니다. 개인 특성 유전자 검사 중 질병 예측 유전자 검사, 약물 반응 검사는 현재 아직 개발 중에 있습니다. 소마젠의 DTC 서비스는 초기에는 Microarray 기반의 기존 기술로 진행됨과 동시에, 자체 개발한 LPS(low-pass sequencing) 기술 기반의 서비스로 점차 전환되며 이를 통해 인종별, 질환군별로 다중 유전자 및 희귀 유전자 변이 등의 발견과 측정도 가능한 서비스를 추후 제공할 수 있습니다.
2) 장내 미생물 분석(Microbiome) 서비스
최근 마이크로바이옴(Microbiome)과 인간의 건강 및 질병 간의 긴밀한 연관성에 대한 연구 결과들의 보고와 마크로바이옴의 조절을 통한 건강 개선의 실용성에 대한 기대가 고조되고 있습니다. 2016년도 미국 내 마이크로바이옴 연구에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에 대한 연구는 37%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같은 해 발표된 전체 마이크로바이옴 관련 논문(7,434편)에서 휴먼 마이크로바이옴 논문(6,295편)은 8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장내 마이크로바이옴과 비만, 염증성 질환, 자가면역 질환 등 질병과의 상관관계가 밝혀지면서 이러한 연구 결과를 질병의 진단, 인체에 유익한 프로바이오틱스의 개발, 마이크로바이옴 치환을 통한 질병치료 등에 활용하려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장내 미생물(Microbiome) 분야 시장은 BCC Report(2017)에 따르면 2018년 56 million 달러의 규모이며, 2024년에는 99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전망됩니다. 장내 미생물 분석 기술 시장 역시 2023년에 2.04 Billion 달러의 시장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볼 때 휴먼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치료, 진단 시장은 본격화되는 가운데, 치료제 시장이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소마젠의 장내 미생물 검사는 NGS 기반의 DTC 서비스로서, 기존 경쟁업체들의 기술과는 차별화된 방식이며, 장내 세균의 구성을 더 심도 있게 분석하여 장 건강 변화를 과학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맞춤형 유전자 검사로 서비스 제공 중에 있습니다.
소마젠의 장내 미생물 검사를 통해 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장내 미생물의 다양성이 많을수록 건강한 상태임), 장의 유형, 장의 건강 상태(설사, 변비, 복부통증, 복부 팽만, 비만) 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비자의 장내 대표 세균 문(Phylum)이 무엇인지를 분석하고 그에 적합한 건강 관리 방법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또한 소비자의 장내 대표 세균 분석을 통해 맞춤형 건강관리 방법을 제 할 수 있으며 유산균 등을 포함하는 건강 기능 식품 사업으로 확장이 가능합니다.
장내 미생물 외에, 피부, 호흡기, 생식기 등 다른 신체 부위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상품의 개발이 유연하게 확장될 수 있습니다.
또한, 건강 관리용 마이크로바이옴 테스트를 질병 진단용 마이크로바이옴 테스트로 고도화하여 Clinical market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 영위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소마젠은 미국의 개인용/의료용 마이크로바이옴 테스트의 선두주자였던 uBiome의 특허 및 데이터베이스를 인수하여 2021년 중 진단용 마이크로바이옴 테스트 상품 시리즈 출시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개인 특성 유전자 검사와 장내 미생물 검사의 부가적인 서비스로서 개인 맞춤형 식이 조절 솔루션 제안 서비스를 통하여 부가적인 건강기능식품의 사업이 가능하며, 현재 우선적으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 헬스케어 또는 트레이닝 서비스 제공업체와의 제휴 및 공동 마케팅을 통해 시장 영역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특히 평균 연령의 지속적인 증가와 더불어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일반인의 건강과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도는 급속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건강기능식품의 해외 동향에서도 나타나는데 시장규모가 2015년 기준 1,179억 달러였으며, 연평균 7.3% 성장하여 2020년에는 약 1,677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3) COVID-19 진단 서비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는 2019년 12월 중국 우한에서 처음 발생한 이후 중국 전역과 전 세계로 확산된, 새로운 유형의 코로나바이러스(SARS-CoV-2)에 의한 호흡기 감염 질환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는 감염자의 비말(침방울)이 호흡기나 눈, 코, 입의 점막으로 침투될 때 전염이 되며, 감염되면 약 2~14일(추정)의 잠복기를 거친 뒤 발열(37.5도) 및 기침이나 호흡 곤란 등 호흡기 증상, 폐렴이 주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코로나바이러스 발병 초기 단계에서 미국 당국은 SARS CoV-2 바이러스 진단검사에 대하여 질병관리센터(CDC)의 잘못된 판단으로 약 한 달 동안 귀중한 시간을 허비하다가, 코로나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확산됨에 따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SARS CoV-2 바이러스 진단 키트 및 LDT(Lab Developed Test) 서비스에 대하여 긴급사용승인(Emergency Use Authorization, EUA) 절차를 거쳐 이용하도록 하였습니다.
LDT(Laboratory Developed Test) 서비스는 CLIA Lab 인증을 받은 실험실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진단 검사 서비스를 뜻하며, 소마젠은 자체 보유한 CLIA Lab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 진단 LDT 서비스인 'Psoma COVID-19 RT Test' 개발을 완료하고, 2020년 6월 30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코로나19) 진단 LDT 서비스에 대해 긴급사용 승인(EUA, Emergency Use Authorization)을 받은바 있으며, 2020년 10월부터 본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본 검사는 병원에서 환자 샘플을 채취한 후 소마젠 CLIA Lab으로 보내면 24시간 이내에 검사 결과를 병원 또는 환자에게 통보한 후, 검사 비용은 소마젠이 민간 보험사 또는 미국 정부 공공의료보험기관에 청구하여 받거나, 보험을 통해 지급이 어려운 검사 대상자에 대해서는 정부 지원보조금 또는 개인별 직접 현금 지불 방식을 통해 받는 방식으로 진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0년 12월 미국 예일대와의 라이센싱 계약을 통해 2020년 8월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긴급사용허가(EUA)를 받은바 있는 SalivaDirect™ COVID-19 진단 서비스를 출시하였습니다. 본 검사는 별도의 핵산 추출이 필요 없는 RT-qPCR 방법으로, 타액(Saliva) 샘플을 처리해 분석 완료 시간을 2~3시간으로 단축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가정용 샘플 채취 방식의 SalivaDirect™ COVID-19 At-home Collection 진단 서비스도 2021년 7월 출시한 바 있습니다.
더 나아가 당사는 상기 검사 외에도 Swift Biosciences 및 Integrated DNA Technologies(IDT, Integrated DNA Technologies)와 협업으로 2021년 4월부터 COVID-19 변이 분석 서비스도 제공 중에 있습니다.
4) Single Cell Sequencing
RNA-seq 기술은 수많은 유전자 발현을 동시에 측정하게 해줌으로써, 생물학의 시야를 급격히 넓혀 주었지만, 개개의 세포 수준에서 발현되는 서로 다른 유전자 발현 현상을 구분지어 관찰할 수 없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RNA-seq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최근에는 하나의 세포에서 수천 개의 유전자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단일 세포 RNA-seq이 생물학 연구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전사체를 동정하는 RNA-seq 뿐만 아니라 전체 유전체에 걸쳐 크로마틴의 접근성을 동정하는 기술인 Assay for Transposase-Accessible Chromatin with Sequencing (ATAC-Seq) 또한 단일 세포 수준에서 동정할수 있게 해줌으로써 단일 세포 시퀀싱 시장은 최근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으로도 발전하여, 초기 수 개에서 수십 개의 세포를 다루던 수준에서 이제는 수백만 개의 세포를 동시에 처리하는 단계에 이르러서 생명 현상을 관찰하는 시야를 비약적으로 늘려주었습니다. 건강한 세포들에 대한 분석과 동시에, 각종 질병 조직을 단일 세포 시퀀싱으로 분석하는 병리학적 접근도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단일 세포 시퀀싱은 향후 차세대 시퀀싱 시장에서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단일 세포 시퀀싱의 근본 원리를 개괄적으로 살펴보자면 (1) Oligo-dT 프라이머를 이용해 Poly(A) 꼬리가 달린 mRNA들을 선별적으로 역전사하고, (2) Adaptor 시퀀스를 이용해 역전사된 DNA를 증폭하여 cDNA Library를 생성하고, (3) High-throughput 시퀀싱 기법을 이용하여 많은 세포에서 유래된 cDNA Library를 분석하게 됩니다. 이 기술의 관건은 이 과정을 아주 효율적으로 만들어서 하나의 세포에서 나온 RNA를 최대한 증폭하면서, 동시에 세포별로 각기 다른 바코드 서열을 달아서 각 세포에서 나온 RNA들을 분류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현재까지 (1) FACS를 이용해서 세포를 Multi-well Plate에 하나씩 넣어 주고, 각각의 well에서 cDNA Library를 제작하는 Plate-based 단일 세포 시퀀싱, (2) 세포와 Oligo-dT 프라이머로 코팅된 Bead가 각각 한 개씩 들어간 아주 작은 방울을 만들어 그 방울 안에서 mRNA를 붙잡는 방법을 사용하는 Droplet-based 단일 세포 시퀀싱, (3) Bead 한 개와 세포 한 개가 들어가기에 적당한 크기의 아주 미세한 well을 이용하여 각각의 세포를 구분지어서 cDNA를 합성하는 Microwell based 단일 세포 시퀀싱, (4) 세포를 고정하여 RNA를 세포 안에 가둔 뒤, 세포들을 384-well plate에 순차적으로 나누었다가 다시 합치는 것을 수 차례 반복하면서(Split-and-Pool) 바코딩 된 프라이머 혹은 어뎁터 시퀀스를 여러 조합으로 달아 주는 방식의 In Situ Combinatorial Indexing 단일 세포 시퀀싱 기법 등이 개발되었으며, 각각의 기법들은 기술적 특성에 따른 장단점을 갖고 있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단일 세포 시퀀싱 기법 중에서도 Droplet-based 단일 세포 시퀀싱 기법은 세포 당 정보의 양은 먼저 개발된 Plate based 시퀀싱에 비해 조금 적은 편이지만, 다른 다른 단일 세포 시퀀싱 기술들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세포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어서, 실제 얻어지는 정보의 양은 더 다양하고 방대하며, 따라서 현재 가장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는 기법입니다. 최근 항체에 바코드 서열을 달아서 항원에 대한 정량적 정보를 함께 얻는 기술 또한 개발되어서 전사체와 함께 표면단백질 발현 또한 함께 분석하는 멀티오믹스(Multi-Omics)적 접근 또한 가능하게 되어 그 유용성이 크게 기대되고 있습니다.
소마젠은 2021년 세계적인 Droplet-based 단일 세포 시퀀싱 플랫폼 제공 선두업체인 10X Genomics의 10X Chromium 시스템을 도입하고, 북미에서 유일하게 10X Chromium 3' scRNA-Seq 서비스와 10X Chromium ATAC-Seq 서비스 두 방식 모두에 대해 공식적인 서비스 제공업체로써 공식적인 Certificate를 획득함으로써, 독보적인 위상으로 북미 단일 세포 시퀀싱 시장에 진출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말, Perkin Elmer사와 HoneyComb Biotechnology사에서 공동으로 개발한 Microwell based 단일 세포 시퀀싱 플랫폼인 HIVE scRNA-Seq 서비스 또한 최근 파트너쉽을 통해 도입 진행 중이며, 2022년 공식적인 런칭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북미 단일 세포 시퀀싱 시장의 세계 시장에서의 비중은 44.9%에 해당(2020년 기준)하며, 2026년까지 미화 25.2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어, 향후 소마젠의 북미 시퀀싱 시장에서의 매출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5) Proteomics Service
프로테오믹스(Proteomics, 단백체학)란 유전자로부터 최종적으로 발현된 단백질을 분석하는 기술로써, 질병에 특이적으로 발현하는 단백질을 바이오마커로 사용해 질병의 유무를 판단하는데 목표를 두고 있습니다. 유전체가 인체의 설계도라는 점에서 질병 발생의 위험도를 예측는데에 정보를 제공한다면 단백체는 실제 발현된 기능적 형질을 반영하기 때문에 질병에 대한 실시간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보다 유용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전통적으로 질환 진단 마커 개발을 위한 단백체학은 타겟 분리를 위한 시료의 분리기법과 타겟동정을 위한 질량 분석기법을 이용한 개발 방법이 주를 이루었으나, 분석을 위한 실험 시간이 오래 걸리고 기술적 특이성으로 인한 High-throughput 연구의 어려움으로 인해 단백체학 연구의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최근 매우 적은 양의 시료로부터 수많은 타겟 단백질의 양을 한꺼번에 동정할 수 있는 기법들이 개발됨에 따라 향후 단백체학을 이용한 임상 연구가 매우 활발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법 중, 오링크사의 Olink Proteomics Explore와 Target 플랫폼은 광범위한 동적 범위를 다루는 동시에, 뛰어난 세밀함과 특수성으로 최소한의 임상 샘플량을 사용하여 수많은 단백질 생체지표를 동시에 정량화하는 High Multiplex 기술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오링크사는 2016년 스웨덴에 설립된 나스닥 상장기업으로서, 주요 제약 회사는 물론 선도적인 임상 및 학술 기관을 대상으로 임상 샘플에서 단백질 바이오마커를 식별하고 정량화하는 혁신적인 DNA 결합 면역 분석법을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 여러 질병 영역에 걸쳐 과학계와 함께 유럽, 북미, 아시아 전역 등 전 세계로 확장해 나가고 있는 회사입니다. 다른 멀티플렉스 단백질 검출 플랫폼과 달리 오링크사의 PEA 기술은 상호보완적인 DNA 올리고로 표시된 항체 쌍을 이용한 이중 인식 방법으로 신호를 판독할 때 교차 반응 결합 또는 간섭을 피하는 높은 특수성을 제공하며, 차세대 시퀀싱 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현재 3,000여개의 단백질 생체지표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으며, 추후 플랫폼 확대를 통해 6,000여개의 단백질까지 한꺼번에 동정하는 기술로 고도화될 예정입니다.
소마젠은 2021년말 오링크사와 파트너쉽 협약 체결 이후, 미국 메릴랜드 본사의 CAP/CLIA 연구실에 Olink Explore와 Target 서비스 제공을 위한 장비들을 설치해 왔으며, 2022년 초 서비스 제공업체로써 공식적인 Certificate를 획득하여 서비스를 개시하였습니다. 현재 오링크 미주 보스톤 본사 외에 북미에서 오링크 Explore와 Target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소마젠을 포함하여 단 두 곳이며, 당사의 CAP/CLIA 연구 환경을 기반으로 향후 북미 제약업체 등을 타켓으로한 임상 단백체학 연구용역 서비스를 활발하게 제공할 것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시장조사 결과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세계 단백체학 시장규모는 미화 210억 달러에 이르며(CAGR 12~17%), 그 중 북미 시장은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시장으로써 39~50%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단백체 분석 용역 시장만으로도 현재 북미 기준 미화 5억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어, 향후 단백체 분석 서비스 제공에 대한 시장 기회가 매우 큰 만큼 향후 소마젠의 북미 시퀀싱 시장에서의 매출 향상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5) 조직도
![]() |
소마젠 조직도(2021.12.31)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 나. 회사의 현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나. 당해 사업연도의 재무상태표ㆍ포괄손익계산서ㆍ결손금처리계산서
※ 본 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되었으며, 공시 서류 작성일 현재 외부감사인의 회계 감사가 완료되기 이전인 가결산 수치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주주총회 승인 과정에서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18기 2021.12.31 현재 |
제17기 2020.12.31 현재 |
(단위 : USD) |
과 목 | 제 18 기 | 제 17 기 |
---|---|---|
자산 |
|
|
유동자산 |
24,744,518 | 31,394,357 |
현금및현금성자산 |
16,522,286 | 25,631,520 |
매출채권 |
5,397,868 | 3,552,504 |
기타금융자산 |
70,604 | 37,660 |
재고자산 |
2,117,215 | 1,677,639 |
기타유동자산 |
636,545 | 495,034 |
비유동자산 |
16,977,585 | 15,117,646 |
관계기업투자 |
1,229,328 | 690,503 |
유형자산 |
2,523,092 | 2,781,282 |
사용권자산 |
4,930,516 | 3,862,743 |
무형자산 |
8,188,854 | 7,619,768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89,749 | 157,505 |
기타비유동자산 |
16,046 | 5,845 |
자산 총계 |
41,722,103 | 46,512,003 |
부채 |
||
유동부채 |
9,045,829 | 8,770,147 |
매입채무 |
1,347,264 | 851,518 |
기타금융부채 |
1,379,739 | 1,318,173 |
기타유동부채 |
3,603,390 | 2,902,004 |
리스부채 |
2,715,436 | 3,698,452 |
비유동부채 |
3,936,947 | 3,511,743 |
리스부채 |
3,936,947 | 3,511,743 |
부채 총계 |
12,982,776 | 12,281,890 |
자본 |
||
자본금 |
1,913,355 | 1,892,652 |
주식발행초과금 |
78,249,596 | 77,560,721 |
기타자본항목 |
577,496 | 542,135 |
결손금 |
(52,001,120) | (45,765,395) |
자본 총계 |
28,739,327 | 34,230,113 |
부채와 자본 총계 |
41,722,103 | 46,512,003 |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8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17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 USD) |
과 목 | 제 18 기 | 제 17 기 |
---|---|---|
매출액 |
24,922,968 | 16,105,984 |
매출원가 |
19,820,419 | 16,156,845 |
매출총이익 |
5,102,549 | (50,861) |
대손상각비 |
87,403 | 37,028 |
판매비와 관리비 |
11,797,692 | 8,617,974 |
영업손실 |
(6,782,546) | (8,705,863) |
기타수익 |
14,210 | 60,005 |
기타비용 |
- | 5,689 |
금융수익 |
63,526 | 834,216 |
금융비용 |
257,393 | 10,843,380 |
지분법이익 |
725,845 | 371,15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6,236,358) | (18,289,561) |
법인세수익(비용) |
633 | (2,289) |
당기순손실 |
(6,235,725) | (18,291,850) |
기타포괄손익 |
(187,020) | 43,691 |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 - |
지분법자본변동 |
(187,020) | 43,691 |
총포괄손실 |
(6,422,745) | (18,248,159) |
주당이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0.33) | (1.20) |
희석주당이익(손실) |
(0.33) | (1.20) |
- 자본변동표
<자 본 변 동 표>
제18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17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 USD) |
자본 |
|||||
---|---|---|---|---|---|
자본금 |
주식발행초과금 |
기타자본항목 |
결손금 |
자본 합계 |
|
2020.01.01 (기초자본) |
1,245,126 | 9,580,481 | 329,398 | (27,473,545) | (16,318,540)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18,291,850) | (18,291,850) |
지분법자본변동 |
- | - | 43,691 | - | 43,691 |
주식보상비용 |
- | - | 169,046 | - | 169,046 |
보통주 발행 |
441,000 | 37,882,037 | - | - | 38,323,037 |
전환권 행사 |
206,526 | 30,098,203 | - | - | 30,304,729 |
2020.12.31 (기말자본) |
1,892,652 | 77,560,721 | 542,135 | (45,765,395) | 34,230,113 |
2021.01.01 (기초자본) |
1,892,652 | 77,560,721 | 542,135 | (45,765,395) | 34,230,113 |
당기순이익(손실) |
- | - | - | (6,235,725) | (6,235,725) |
지분법자본변동 |
- | - | (187,020) | - | (187,020) |
주식보상비용 |
- | - | 356,084 | - | 356,084 |
보통주 발행 |
20,703 | 688,875 | (133,703) | - | 575,875 |
전환권 행사 |
- | - | - | - |
0 |
2021.12.31 (기말자본) |
1,913,355 | 78,249,596 | 577,496 | (52,001,120) | 28,739,327 |
-현금흐름표
< 현 금 흐 름 표 >
제18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17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 USD) |
제 18 기 | 제 17 기 | |
---|---|---|
영업활동현금흐름 | (4,739,823) | (4,201,981) |
영업으로부터 사용된 현금흐름 | (4,487,721) | (3,646,576) |
이자의 수취 | 54,411 | 45,355 |
이자의 지급 | (307,146) | (598,471) |
법인세 환급(납부) | 633 | (2,289) |
투자활동현금흐름 | (2,298,897) | (1,670,661) |
유형자산의 취득 | (735,275) | (480,129) |
유형자산의 처분 | - | 93,337 |
임차보증금의 증가 | - | (111,403) |
임차보증금 감소 | 66,101 | 550 |
무형자산의 취득 | (1,629,723) | (1,173,016) |
재무활동현금흐름 | (2,062,347) | 30,364,779 |
보통주 발행 | 586,481 | 40,391,341 |
주식발행비용 | (10,606) | (2,080,711) |
단기차입금의 차입 | - | 3,000,000 |
단기차입금의 상환 | - | (9,000,000) |
리스부채의 상환 | (2,638,222) | (1,945,851)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9,101,067) | 24,492,137 |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 25,631,520 | 1,138,07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 (8,167) | 1,313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 16,522,286 | 25,631,520 |
- 결손금처리계산서(안)
<결손금처리계산서>
제18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17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 USD) |
과 목 | 제 18 기 | 제 17 기 |
---|---|---|
I. 미처리결손금 | (52,001,120) | (45,765,395)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5,765,395) | (27,473,545) |
당기순손실 | (6,235,725) | (18,291,850) |
합 계 | (52,001,120) | (45,765,395) |
II. 결손금 처리액 | - | - |
III.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52,001,120) | (45,765,395) |
※ 당기의 결손금처리계산서(안)은 2022년 3월 31일 주주총회에서 처분될 예정입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장경철 | 1971.10.07 | 사내이사 | 미해당 | 해당사항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장경철 | 소마젠 전무이사 |
2021~현재 | 현) 소마젠 전무이사 | 없음 |
2021~현재 | 현) 마크로젠 전무이사 | |||
2016~2021 | 전) Seegene Inc. 상무이사 | |||
2005~2016 | 전) Samjong KPMG Advisory Inc. | |||
2004~2005 | 전) 삼성전자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장경철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장경철 사내이사> 삼성전자 및 KPMG Advisory를 거쳐 ㈜Seegene 상무이사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소마젠 및 마크로젠의 전무이사로 재임 중임. 유전자 분석 분야의 글로벌 사업 식견과 재무 부문 역량을 모두 갖춘 전문가로서, 회사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추천함. |
확인서
![]() |
이사 후보자 확인서_장경철 |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6 ( 2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3,000,000 |
※ 상기 당기 이사의 수는 2022년 3월 31일 주주총회 안건인 이사 1명 선임(안)을 반영한 수입니다.
※ 상기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은 USD 기준입니다.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5 ( 2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350,250 |
최고한도액 | 3,000,000 |
※ 상기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및 최고한도액은 USD 기준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3 및 당사 부속정관 제7조에 의거하여, 회사의 경영에 기여할 수 있는 직원들에게 2021년 8월 2일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였습니다. 이를 통하여 높은 경영성과를 유도하고 회사의 실질적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부여대상자명 | 관 계 | 부여주식 (주) | 공정가치 | 비 고 | |
---|---|---|---|---|---|
보통주식 | 기타주식 | ||||
Takehisa Ogawa | 미등기임원 | 80,000 | - | 6,423 | 부여 후 2년 이후 행사 가능 |
김형태 | 직원 | 40,000 | - | 6,423 | 부여 후 2년 이후 행사 가능 |
김운봉 | 등기임원 | 60,000 | - | 6,423 | 부여 후 3년 이후 행사 가능 |
장경철 | 미등기임원 | 30,000 | - | 6,423 | 부여 후 3년 이후 행사 가능 |
이준호 | 미등기임원 | 45,000 | - | 6,423 | 부여 후 3년 이후 행사 가능 |
Nezar Rghei | 미등기임원 | 30,000 | - | 6,423 | 부여 후 3년 이후 행사 가능 |
김창욱 | 미등기임원 | 40,000 | - | 6,423 | 부여 후 3년 이후 행사 가능 |
주1) 상기 기재된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는 1주당 원화 공정가치이며, 1주당 USD 공정가치는 USD 5.59 입니다.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보통주 신주발행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기명식 보통주 325,000주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4,264원/ 2023년 08월 02일~2031년 08월 01일 | - |
기타 조건의 개요 | 액면가 USD 0.1 | - |
주1) 상기 행사가격은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일인 2021년 8월 2일을 기준으로 전일부터 과거 2개월, 과거 1개월 및 과거 1주일간 거래된 최종시세가격을 실물거래에 의한 거래량을 가중치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격의 산술평균가격으로 산출하였습니다(상법 제 340조의2 제4항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176조의7 제 3항 규정 준용). 단, 당사는 미국기업으로 실제 행사가격은 상기와 같이 산출된 원화 행사가격을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당일인 2021년 8월 2일 서울외국환중개 최초 고시환율 1,147.50원/$을 적용하여 환산한 USD 12.43 (소수점 세째자리 이하 절사) 입니다.
주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이후 회사의 자본 또는 주식 발행사항에 변동이 있는 경우에는 부여계약서에 의거하여 행사가격 및 수량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주3) 기타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정관 및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계약서 등에 정하는 바에 따릅니다. 한편, 코스닥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당사의 주식은 증권예탁증권(KDR) 형태이며, 상장된 증권예탁증권은 1 KDR 당 보통주 1주입니다.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 주식수 |
부여가능 잔여 주식수 |
---|---|---|---|---|
19,133,553 | 발행주식 총수의 15% | 기명식 보통주 | 2,870,032 | 1,655,722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021년 | 8월 2일 | 9명 | 기명식보통주 | 415,000 | - | 90,000 | 325,000 |
2020년 | - | - | - | - | - | - | - |
2019년 | 7월 1일 | 58명 | 기명식보통주 | 86,000 | - | 67,000 | 19,000 |
1월 1일 | 15명 | 기명식보통주 | 1,021,000 | 110,000 | 156,000 | 755,000 | |
2018년 | 1월1일 | 1명 | 기명식보통주 | 424,680 | 97,030 | 212,340 | 115,310 |
계 | - | 총(83)명 | - | 총(1,946,680)주 | 총(207,030)주 | 총(525,340)주 | 총(1,214,310)주 |
주1) 당사는 2019년 4월 22일 이사회에서 액면분할(1:10)을 결의하였으며, 상기 주식수는 액면분할을 반영한 숫자입니다.
주2) 상기 내역은 본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까지 행사 및 취소 수량이 반영된 숫자입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 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2년 03월 23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법시행령 제31조제4항4호에 따른 주주총회일 1주 전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당사 홈페이지(http://psomagen.com) → About → Investor Information → Company Announcements"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제출(예정)일 게재될 사업보고서는 주주총회 이전 보고서이므로, 주주총회에서 부결/수정이 발생할 경우 정정보고서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주주총회 이후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 부탁 드립니다.
※ 참고사항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