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 년 03 월 14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진시스템 | |
대 표 이 사 : | 서 유 진 | |
본 점 소 재 지 : | 대전광역시 유성구 테크노 2로 200-9(용산동) | |
(전 화)042-863-8551 | ||
(홈페이지) http://www.genesystem.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전략기획본부장 | (성 명)강 현 수 |
(전 화)042-863-8551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2기 정기) |
![]() |
주주총회소집통지서 |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김대식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2021-1 | 2021.01.07 | 보고사항만 심의, 의결안건 없음 | - |
2021-2 | 2021.02.26 | 2020년도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찬성 |
제11기(2020년)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 ||
이사 선임 승인의 건 | 찬성 | ||
임원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찬성 |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 찬성 | ||
정관 일부개정 승인의 건 | 찬성 | ||
사규 일부개정 승인의 건 | 찬성 | ||
임원 보수의 배분 승인의 건 | 찬성 | ||
2020년 경영목표 달성 성과급 지급 승인의 건 | 찬성 | ||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승인의 건 | 찬성 | ||
2021-3 | 2021.03.23 | 정관 일부 개정(안)의 변경 승인의 건 | 찬성 |
2021-4 | 2021.30.30 | 대표이사 선임(중임) 승인의 건 | 찬성 |
이해관계자와의 거래에 대한 승인의 건 | 찬성 | ||
2021-5 | 2021.04.08 | 코스닥시장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승인의 건 | 찬성 |
2021-6 | 2021.07.08 | 서울사무소 개소 승인의 건 | 찬성 |
금융상품 가입 승인의 건 | 찬성 | ||
자산의 매입 승인의 건 | 찬성 | ||
2021-7 | 2021.10.08 | 사규 개정 승인의 건 | 찬성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 횟수 제한 승인의 건 | 찬성 | ||
이해관계자 거래에 대한 승인의 건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1 |
1,000,000,000 |
12,708,000 |
12,708,000 |
주)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하여 승인받은 보수한도 총액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체외진단 시장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의료 패러다임이 치료 중심에서 예측 및 예방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추어 세계 각국의 정부는 의료 서비스 비용을 낮추기 위해 관련 분야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한편 조기진단, 맞춤 처방, 질병의 모니터링 등을 통한 질병의 예방과 진단기술 및 시스템의 연구개발과 투자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염성 질병 및 암 등을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는 체외진단 분야가 큰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구분 |
진단 |
진단방법 |
조기진단 |
환자피해 |
진단기기 가격 |
진단비용 |
---|---|---|---|---|---|---|
체외 |
질병 |
인체에서 채취한 검체 |
가능 |
없음 |
저가 |
저가 |
체내 |
질병 |
인체를 직접 촬영 또는 접촉 |
불가능 |
있음 |
고가 |
고가 |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이 발표한 2019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기존의 진단시장이 대형병원에서의 건강검진을 중심으로 하는 영상진단 검사 분야인 내시경이나 초음파, 방사선 촬영 등 체내진단 위주였다면, 미래의 새로운 진단산업은 위의 표와 같은 이유로 체외진단을 중심으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체외진단은 개인 맞춤 치료를 제공하기 위한 정밀 의학 분야에서도 사용될 수 있으며, 임상 의사결정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등 환자 치료에 필수적이고 전문화된 요소가 되고 있습니다.
한편, 디지털화가 가능한 자동 테이블과 핸드헬드(Hand-held) 장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체외진단에 대한 전 세계 여러 대기업들의 투자가 크게 증가하는 추세이며, 노인 인구 증가와 만성 질환, 호흡기 감염, 인체 면역 결핍증, 감염성 질병, 성병 등의 확산으로 체외진단 시장의 성장세가 가속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글로벌 체외진단(IVD) 시장의 원동력] |
구분 |
원동력 |
---|---|
성장 촉진요인 |
노인 인구의 증가와 만성 및 전염병 유병률의 증가 실험실에서의 완전 자동화 기기의 채택 확대 진료 시점 검사의 채택 확대 맞춤 의학에 대한 인식 증가 |
성장 억제요인 |
부당한 보상 시나리오 |
성장 기회 |
조건별 마커 및 테스트 개발 동반 진단의 중요성 증가 신흥 국가의 기회 |
성장 과제 |
규제 환경 변화 진단 테스트 수행에 직면하는 운영상의 장벽 |
출처: Marketsandmarkets, In Vitro Diagnostics/IVD Market, 2018
체외진단기술은 진단방식에 따라 세분화되며 기술의 내용과 의료기기 품목별 등급은 다음과 같습니다.
[체외진단기술 분류] |
분류 |
세부 기술 |
의료기기 품목(품목별 등급) |
---|---|---|
분자진단 |
인체나 바이러스의 핵산(DNA, RNA)을 검사하여 분석하는 것으로 면역결핍 바이러스, 인유두종 바이러스, 암유전자, 유전질환 검사 등에 이용 |
유전자증폭장치[2], 유전자서열검사기[2], 유전질환검사시약[3], 종양관련유전자검사시약[3], 유전자변이검사시약[2] 약물유전자검사시약[3], 비수혈및비이식용조직유전자검사시약[2], 수혈및이식용조직유전자검사시약[3], HIV·HBV·HCV·HTLV유전자검사시약[4], HIV·HBV·HCV·HTLV유전형검사시약[3], 고위험성감염체유전자검사시약[3], 저위험성감연체유전자검사용시약[2], 유전자추출시약[1] |
현장진단 |
질병에 대한 환자 옆에서 즉각 검사가 가능하게 개발하여 신속한 결과를 파악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며 심근경색, 혈액응고 검사 등에 주로 이용 |
- |
면역화학 진단 |
항원-항체 반응을 이용한 임상면역학적 분석 및 화학분석을 기반으로 임신, 빈혈, 알레르기, 각종 암마커 등 다양한 질환 진단과 추적에 이용 |
면역화학검사시약[2], 종양지표자면역검사시약[3], 유전성대사질환검사시약[3], 자가면역질환한검사시약[2], HIV·HBV·HCV·HTLV면역검사시약[4], 고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3], 저위험성감염체면역검사시약[2] |
자가혈당 측정 |
개인 혈당 모니터링에 이용 |
혈당측정기[1], 개인용체외혈당측정시스템[3], 개인용체내연속혈당측정시스템[3], 유헬스케어 혈당측정기[3],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Ⅱ[3] |
혈액진단 |
혈액내의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 수, 혈색소 농도를 측정하여 혈액의 변화를 파악하는 방법으로 백혈병, 빈혈, 자가면역질환 등을 진단하거나 치료 후 추적 및 항응고치료 모니터링에 이용 |
혈구검사시약[2], 유세포분석용보조시약[1], 적혈구침강속도검사시약[2], 혈구염색검사시약[1], ABO·RhD혈액형검사시약[4], ABO·RhD이외의혈액형검사시약[3], 수혈용혈구응집검사시약[3], HIV·HBV·HCV·HTLV혈처형·이형검사시약[3] |
임상미생물 학적진단 |
미생물 감염을 진단하고, 적절한 항생제 및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는 진단으로 감염에 의한 질병의 진단과 추적에 이용 |
미생물염색및배양시약[1], 약제감수성및내성미생물검사시약[2], 약제감수성및내성표지자검사시약[3] |
조직진단 |
인체의 조직을 떼어내 질병의 유무 및 상태 등을 병리학적으로 판별하여 진단 |
세포및조직병리검사용염색시약Ⅰ[1], 세포및조직병리검사용염색시약Ⅱ[2], 세포및조직병리검사용염색시약Ⅲ[3] |
지혈진단 |
혈액 응고 진단을 의미하며, 출혈성 질환 및 혈소판 장애, 자가 면역상태를 진단하는데 이용 |
혈액응고일반검사시약[2], 혈액응고검사시약[2], 혈구응집검사시약[2], 개인용체외진단검사시약Ⅱ[3] |
출처: Forst&Sulivan, Analysis of the Global in Vitro Diagnostic Market(2014), BioIndustry No. 91 및 키움증권 리서치센터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은 2025년까지 연평균 4.2%의 높은 성장률로 확장하여 그 시장 규모는 85조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 중 당사의 핵심기술을 이용해 공략할 분자진단, 면역화학, 현장진단 시장은 그 비중이 2018년 기준으로 59.49%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 |
체외진단기기 세계시장 현황 및 전망 |
출처: 식약처, "2019년 신개발 의료기기 전망분석 보고서"
![]() |
기술별 체외진단기기 시장 점유율 |
출처: MordorInterlligence.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 (2018-2023)
전 세계 체외진단 시장은 기술에 따라 면역화학/면역분석법, 임상화학, 분자진단, 혈액학, 미생물학, 투석 및 지혈, 소변검사, 기타 기술로 분류됩니다. 면역화학/면역분석법은 2018년 202억 4,98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6.0%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270억 5,65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임상화학은 2018년 109억 6,840만 달러에서 연평균 3.7%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131억 3,41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분자진단은 2018년 73억 5,57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8.7%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111억 6,6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식품 검사 시장
① 식품 안전 검사
세계 식품안전 검사 시장은 연 평균 7.7% 이상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그 규모는 2023년 약 240억 달러(한화 약 29조 원) 규모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식품안전 검사 시장의 시장 확대 원인 요소로는 식중독 증가, 각종 식품 관련 규제 강화, 소비자의 인식 증대, 국가 간 식품 교역 증대 등 다양하며, 최근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가정간편식, 배달 음식 이용 증가에 따라 식품안전 검사의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습니다. 다만, 식품안전 검사에 있어 기존의 배양 방식 위주 검사법의 경우 검사 프로세스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모되고 이는 시장 확대의 방해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사회를 구성하는 소비자, 기업, 정부 등 모든 주체는 식품의 생산과 유통에 연계되어 있어 식중독 감염은 엄청난 사회적 비용을 초래하는 치명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실제로 식중독 병원체,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수인성 질병으로 한 해에 수백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따라서, 식품안전 검사의 신속성과 정확성은 날이 갈수록 부각되고 있으며, 당사의 신속 PCR 기반의 분자생물학적 검사 방법은 현재 시장에서 요구되는 요건들을 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글로벌 식품안전 검사 시장은 2018년 약 170억 달러(약 20조 원) 규모에서 연평균 7.7%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약 240억 달러(약 28조 5,000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추정됩니다. 검사 적용 기술은 PCR 기반의 검사키트를 이용한 검사가 50%의 비중으로 해당 시장의 규모는 2023년까지 약 48억 달러(약 4조 7,500억 원) 규모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
식품 안전검사 시장규모 및 특징 |
출처: Markets and Markets, 2019
② 할랄(HALAL) 검사
전 세계 HALAL 시장은 약 17억 명의 소비인구와 1조 7,360억 달러(2015년 기준)의 소비 규모를 가진 거대 블루오션 시장으로 평가됩니다. 세계 HALAL 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통하여 2021년에는 2조 7,430억 달러 수준으로 그 규모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며, 이 중 식품, 패션, 미디어 제약, 화장품 등 다양한 산업 중 식품 분야가 전체 시장의 과반수 이상인 약 67%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HALAL 검사는 돼지고기 성분 검사와 잔류 알코올 검사 등 2종으로 크게 구분되는데, 돼지고기 성분 검사는 현재 분자생물학적 검사 방법으로 행해지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의 HALAL 인증 기관인 JAKIM(자킴, 말레이시아 소재)은 식품 시료에서의 돼지고기 검출을 위해 PCR 기반의 분자생물학적 검사를 수행할 것을 강제하고 있으며, 실제로 HALAL 인증을 획득한 모든 식품 제조사들은 자가 검사 또는 전문 검사센터의 분석 서비스를 이용하여 생산품에 대한 성분 분석을 의무적으로 시행하여야 합니다. 하지만 자가 검사의 경우 분자생물학적 검사 프로세스가 복잡하고 검사 시스템 구축을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전문 검사센터의 분석 서비스의 경우 검사 기간이 너무 오래 소요되고, 검사 비용 또한 과다한 관계로 대부분의 HALAL 인증 식품 제조업체들 에서는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HALAL 제품의 품질관리가 이루어지지 못 하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 |
할랄 검사시장 |
출처: Thomas Reuters(2017)
(다) 반려동물 질병 진단 시장
최근 저출산 및 고령화가 심화되고 1,2인 가구가 증가하는 등 인구 사회적 변화가 이어지면서 '펫코노미'라고 불리는 반려동물 시장이 자연스럽게 형성되는 추세입니다. 2020년 현재 반려동물을 키우는 국내 인구는 1,500만명에 이르고, 반려동물병원 수는 3,260개로 집계되며 반려동물 임상 수의사는 5,385명에 이르는 등 반려동물 산업 규모는 그 어느때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을 가족처럼 대하는 반려인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반려동물의 건강을 위해 반려동물 관련 진단 및 검사 시장의 규모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기존의 면역진단 방식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반려동물 질병에 대한 분자진단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려동물 개체 수 증가에 따라 관련 진단시장의 규모는 2024년까지 연평균 9.8%로 성장하여 그 규모가 27억 달러(3조 2,000억 원)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특히 현장진단에 대한 수요로 성장 기회가 많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
동물병 진단시장 |
출처: 대한수의사회지 2018년 11월 현재 전국동물병원 현황, MarketsandMarketsTM Companion Animal Diagnostics Market by Technology, Application, Animal, End User - Global Forecast to 2024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분자진단 솔루션 개발, 제조 및 서비스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군은 분자진단 시스템, 바이오칩, 검사키트, 반응시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현장 분자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당사 플랫폼 제품은 소형화 / 경량화 기술을 구현하여 공간제약이 없으며 시약이 바이오칩에 내장된 형태로 공급되어 검사자의 편이성을 고려하였으며, 검사비용이 저렴한 경제적인 제품입니다.
2021년 13,237 백만원의 매출성과를 확보하였으며, 특히, 아시아 및 아프리카, 유럽등으로 약 89%의 매출을 수출로 실현하였습니다. 이러한 매출실적과 더불어 신속 분자진단 플랫폼 기술 기반의 검사 솔루션 다각화 전략 및 제품의 저변 확대와 다각화를 위한 Two-Track B2B 전략으로 효과적인 시장 진입을 도모하는 한편 분자진단 컨텐츠 기업들과의 제휴를 통한 사업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Post 코로나19 시대를 대비하여 기 보급된 당사 진단 플랫폼을 활용하여 진단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호흡기 질병 진단 관련 콘텐츠를 지속 출시하여 글로벌 시장에 보급할 계획입니다.
회사는 제12기 매출액의 약 22%에 해당하는 연구개발비용을 지출하여 2022년까지 MPOCT 플랫폼의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완료하고, 당사 플랫폼 기술의 효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진단키트의 개발 및 양산화를 도모하여 2024년 이후의 성장을 가속화하고자 합니다.
본 사업의 개요에 요약된 내용의 세부사항 및 포함되지 않은 내용 등은 "II. 사업의 내용"의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부터 "7. 기타 참고사항"까지의 항목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으며 이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당사는 분자진단 솔루션 개발, 제조 및 서비스를 주 사업영역으로 하고 있으며, 주요 제품군은 분자진단 시스템, 바이오칩, 검사키트, 반응시약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제품군 |
제품명 |
현황 |
분자진단 시스템 |
UF-100 PCR 시스템 |
국내/해외 판매 중 |
UF-150 Real-time PCR 시스템 |
국내/해외 판매 중 |
|
UF-300 Real-time PCR 시스템 |
국내/해외 판매 중 |
|
UF-340 Real-time PCR 시스템 |
국내/해외 판매 중 |
|
검사키트 |
코로나19 진단 키트 |
해외 판매 중 |
호흡기 감염병 5종 동시 진단 키트 |
해외 판매 중 |
|
결핵 진단 키트 |
해외 판매 중 |
|
인체 유두종 바이러스 검출 키트 |
해외 인허가 진행 중 |
|
성병 진단 키트 |
해외 인허가 진행 중 |
|
식중독 원인균 검출 키트 |
국내/해외 판매 중 |
|
할랄 검사 키트 |
국내/해외 판매 중 |
|
육류 종 판별 키트 |
국내/해외 판매 중 |
|
반응시약 |
초고속 PCR용 전용 반응시약 |
구개/해외 판매 중 |
(2) 시장 점유율
전 세계 체외진단 시장은 질환 별로 여러가지 진단기술이 존재하는 복잡하고 세분화된 시장이지만, Roche(스위스), Siemens(독일), Abbott(미국), Danaher(미국), Thermo Scientific(미국) 등 해외의 5개사가 전세계 시장의 약 60% 수준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며, 아직까지 주로 외산장비를 선호하는 국내 시장의 특성상 국내 기업이 국내시장에서 차지하는 진단제품 시장의 점유율은 약 5% 미만인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사의 제품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제시한 이상적인 현장 검사 기준인 "ASSURED"에 부합하도록 개발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ASSURED"는 구하기 쉽고 (affordable), 민감도가 높고(sensitive), 특이성이 있고(specific), 사용하기에 편리하며(user-friendly), 빠르고 확실하면서도(rapid and robust) 설비 없이 이용할 수 있고 (equipment-free) 상용화된(deliverable) 특성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특성을 토대로 당사가 공략하고자 하는 현장 분자진단 시장에서의 주요 경쟁사는 해외의 경우 Biomerieunx(프랑스), Cepheid(미국), Abbott(미국), 국내의 경우 에스디바이오센서社가 될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전 세계 체외진단 시장은 최종사용자에 따라 병원, 연구소, POCT(Point-of-care Testing), 환자 자가검사, 학술기관, 기타 사용자로 분류됩니다.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의 최종사용자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 |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의 최종사용자별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Marketsandmarkets, In Vitro Diagnostics/IVD Market, 2018
최종사용자 구분 중 병원은 2018년 316억 3,16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5.2%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408억 1,92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연구소는 2018년 160억 3,23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4.4%로 성장하여, 2023년에는 198억 5,56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POCT 시장은 2018년 84억 30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7.8%로 증가하여, 2023년에는 122억 5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주목할 점은 POCT 시장은 병원이나 연구소와 같은 다른 시장보다 2배에 가까운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는 점이며, 검사기법의 다양화 및 체외진단 관련 규제의 완화 등 외부 요인들에 의하여 그 성장세는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 및 POC 분자진단 시장 현황] |
![]() |
전세계 분자진단 시장 규모 전망 |
출처: Molecular Diagnostics Market Size, Share & Trends Analysis - 2019년 Grand View Research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은 각 보고서마다 수치상의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의 기관들은 2018년 이후로 연평균 8.7~9.1% 수준의 가파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주목해야 할 점은 POC 분자진단 시장의 성장률은 분자진단 전체의 성장률을 크게 상회하는 연평균 14.4%의 높은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추세가 유지될 경우 2024년에는 전체 분자진단 시장 수요의 22% 수준을 점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전망의 근거로는 기존의 면역분석 기반의 POC 진단 제품들의 경쟁이 심화되고 시장이 이미 포화상태에 진입하였다는 점과 함께 진단기술의 발전과 수요의 고급화가 맞물려 분자진단 기반의 POCT 솔루션의 상용화와 보급이 속속 이루어지고 있는 최근 산업 동향에서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제품 형태별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규모] |
![]() |
제품 형태별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규모 |
출처: Prostate cancer molecular diagnostics market to 2025 - 2018년 Ameri Research
Ameri Research사가 2018년에 발간한 "Prostate cancer molecular diagnostics market to 2025"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분자진단 시장은 크게 3개의 제품군들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가장 큰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제품은 분자진단 시약 (검사 키트) 제품들로 2019년 기준 약 40% 대의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그 뒤를 이어 분자진단 장비가 약 30% 수준의 시장을, 그리고 약 20% 수준의 시장을 소프트웨어나 분석 서비스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본 보고서의 분석 결과가 시사하는 점은 진단기기 사업만으로는 시장 점유에 한계가 있으며, 기기, 컨텐츠,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등 분자진단 기술과 관련된 모든 제품을 아우르는 “토탈 솔루션”을 통하여 표적시장의 규모를 키우고, 원스탑 POC 분자진단 솔루션 공급업체로서의 입지를 다지는 것이 효율적인 사업 전략이 될 것이라는 점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분자진단 플랫폼 및 진단키트 개발, 제조 및 서비스를 주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 확보된 원천 기술들을 활용하여 향후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새로운 진단 제품들을 개발하고자 합니다.
(가) 증상기반 진단키트
증상기반진단은 증상이 유사한 감염성 질환의 정확한 원인 병원체를 찾아내기 위해, 하나의 제품으로 여러가지 검사를 동시에 진단하는 방법입니다. 당사는 증상기반진단시장의 83%를 차지하는 인체용 소화기 감염성 질환 진단(GI) 분야와 인체용 호흡기 감염성 질환 진단(RI) 분야를 타겟으로 개발 및 마케팅 역량을 집중하고자 합니다.
(나) 다제내성결핵 진단키트
다제내성결핵이란 기존의 항결핵제에 내성이 있는 결핵균에 의해 발생한 결핵을 의미합니다. 다제내성결핵의 근본적인 퇴치를 위해서는 기존 치료제를 대체하는 백신개발이나 새로운 항결핵제 개발이 요구되지만, 막대한 비용과 시간이 투입된다는 단점이 존재합니다. 가장 효율적인 결핵관리 전략은 활동성 결핵환자를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결핵의 전파를 차단하는 것으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객담 도말검사, 객담배양검사, 흉부 X선 검사 등이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시간이 오래 걸리고 정확한 진단에 어려움이 있어 최근에는 분자진단 검사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 개발 완료한 결핵 진단키트와 함께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다제내성결핵 진단키트 개발을 완료함으로써 당사 진단장비를 운용하고 있는 저개발 국가들을 대상으로 판로를 개척하는 사업을 진행하고자 합니다.
(다) 모기매개감염병 진단키트
최근 기후변화와 국가 간 교류의 증가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말라리아, 댕기열, 웨스트나일열, 치쿤구니야열, 일본뇌염 등 모기매개 감염병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간 이동수단의 발달로 인해 우리 국민의 국내 여행 및 해외 여행 빈도가 증가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해외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모기매개 감염병 신고 수도 매년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매년 약 10억 명의 매개체 전파 감염병 환자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 중 약 1백만 명 이상이 사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30분 이내에 6종의 주요 모기 매개 감염병의 병원체를 검사할 수 있는 Multiplex 분자진단키트를 개발하고자 합니다.
(라) 알러지 유발물질 검사
알레르기란 면역반응의 일종으로, 인체의 과민반응을 의미합니다. 인체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기생충 등의 미생물이 침입할 경우, 면역체계가 해로운 물질을 파괴하는 면역반응을 보이며 외부환경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이 중 식품, 꽃가루, 공기 중의 먼지 등 우리 몸에 해가 되지 않는 물질에 대한 면역반응이 나타나는 것이 바로 알레르기입니다. 즉, 보통 사람들에게는 아무 문제가 없는 물질이 특정한 사람에게만 여러 가지 과민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주요 식품에서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30분 이내에 검출할 수 있는 분자진단 검사키트를 개발하여 사업화하고자 합니다.
(마) 반려동물 진단 검사 사업
2020년 현재 국내 반려동물을 키우는 국내 인구는 1,500만명에 이르고, 반려동물병원 수는 3,260개로 집계되며 반려동물 임상 수의사는 5,385명에 이르는 등 반려동물 산업 규모는 그 어느 때 보다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반려동물 진단 시장의 규모도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기존의 면역진단 방식으로 정확한 진단이 어려운 반려동물 질병에 대한 분자진단 수요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당사는 기 확보된 국내 유통 파트너 및 진단 컨텐츠 개별역량을 보유한 협력사와의 긴밀한 제휴를 통하여 시장의 요구에 부합하는 자사 플랫폼 기반의 반려동물 진단솔루션을 개발하여 시장에 선보임으로써 안정적인 매출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 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았으며, 외부 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2 기 2021. 12. 31 현재 |
제 11 기 2020. 12. 31 현재 |
(단위 : 원) |
구 분 |
제 12(당) 기말 |
제 11(전) 기말 |
||
---|---|---|---|---|
자 산 |
||||
I. 유동자산 |
41,514,138,207 | 11,409,636,655 | ||
1. 현금및현금성자산 |
25,630,725,625 | 9,057,728,022 | ||
2. 단기금융상품 |
12,000,000,000 | - | ||
3.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
1,868,127,335 | 863,165,490 | ||
4. 기타유동금융자산 |
51,323,835 | 1,820,000 | ||
5. 기타유동자산 |
422,727,166 | 148,664,013 | ||
6. 당기법인세자산 |
- | 217,350 | ||
7. 재고자산 |
1,541,234,246 | 1,338,041,780 | ||
II. 비유동자산 |
8,523,914,493 | 7,509,348,992 | ||
1. 장기금융상품 |
111,413,278 | - | ||
2. 유형자산 |
6,055,743,658 | 5,780,130,676 | ||
3. 무형자산 |
688,463,752 | 317,441,808 | ||
4.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26,013,341 | 220,000 | ||
5. 이연법인세자산 |
1,542,280,464 | 1,411,556,508 | ||
자산총계 |
50,038,052,700 | 18,918,985,647 | ||
부 채 |
||||
I. 유동부채 |
2,656,435,855 | 2,667,630,991 | ||
1. 매입채무 |
259,429,004 | 222,122,590 | ||
2. 기타유동금융부채 |
396,604,695 | 229,488,128 | ||
3. 단기차입금 |
850,000,000 | 850,000,000 | ||
4. 유동성장기차입금 |
90,000,000 | 90,000,000 | ||
5. 유동성리스부채 |
69,137,927 | 5,519,125 | ||
6. 기타유동부채 |
660,213,881 | 549,763,696 | ||
7. 유동계약부채 |
45,568,620 | 308,406,656 | ||
8. 유동제품보증충당부채 |
285,481,727 | 412,330,796 | ||
II. 비유동부채 |
3,928,499,023 | 3,935,714,730 | ||
1. 장기차입금 |
3,000,000,000 | 3,000,000,000 | ||
2. 리스부채 |
119,217,111 | 11,831,337 | ||
3. 기타금융부채 |
85,009,341 | 53,833,255 | ||
4. 확정급여채무 |
720,733,490 | 870,050,138 | ||
5. 충당부채 |
3,539,081 | - | ||
부채총계 |
6,584,934,878 | 6,603,345,721 | ||
자 본 |
||||
I. 자본금 |
3,439,590,000 | 2,671,665,000 | ||
II. 자본잉여금 |
52,080,151,232 | 24,847,516,549 | ||
III.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95,322,335) | (247,349,356) | ||
IV. 기타자본항목 |
502,206,277 | 562,107,000 | ||
Ⅴ. 결손금 |
(12,273,507,352) | (15,518,299,267) | ||
자본총계 |
43,453,117,822 | 12,315,639,926 | ||
부채와자본총계 |
50,038,052,700 | 18,918,985,647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제 11 기 (2020. 01. 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원) |
구 분 |
제 12(당) 기 |
제 11(전) 기 |
---|---|---|
Ⅰ. 매출 |
13,236,859,527 |
13,258,238,376 |
Ⅱ. 매출원가 |
4,571,050,745 |
4,271,398,072 |
Ⅲ. 매출총이익 |
8,665,808,782 |
8,986,840,304 |
Ⅳ. 판매비와관리비 |
6,399,633,492 |
5,677,357,964 |
Ⅴ. 영업이익 |
2,266,175,290 |
3,309,482,340 |
금융수익 |
1,061,248,796 |
51,246,644 |
금융비용 |
117,690,781 |
7,042,040,367 |
기타수익 |
21,859,185 |
94,095,652 |
기타비용 |
66,729,278 |
4,629,774 |
Ⅵ.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3,164,863,212 |
(3,591,845,505) |
Ⅶ. 법인세비용(수익) |
(79,928,703) |
(1,367,788,181) |
Ⅷ. 당기순이익(손실) |
3,244,791,915 |
(2,224,057,324) |
IX. 기타포괄손익 |
(49,494,044) |
(155,076,361) |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
(49,494,044) |
(155,076,361) |
X. 총포괄손익 |
3,195,297,871 |
(2,379,133,685) |
XI. 주당손익 |
|
|
기본주당이익(손실) |
519 |
(588) |
희석주당이익(손실) |
507 |
(588)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2 기 (2021. 01. 01 부터 2021. 12. 31 까지) |
제 11 기 (2020. 01. 01 부터 2020. 12. 31 까지) |
(단위 : 원) |
구 분 |
제 11(당) 기 |
제 10(전) 기 |
||
---|---|---|---|---|
처리예정일: 2022년 3월 29일 |
처리확정일: 2021년 3월 30일 |
|||
Ⅰ.미처리결손금 |
|
(12,273,507,352) |
|
(15,518,299,267) |
1.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15,518,299,267) |
|
(13,294,241,943) |
|
2.당기순이익(손실) |
3,244,791,915 |
|
(2,224,057,324) |
|
Ⅲ.결손금처리액 |
- |
- |
||
Ⅳ.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
(12,273,507,352) |
|
(15,518,299,267)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제2호 의안 사내이사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박 영 원 |
1970.10.28 |
부 |
부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박 영 원 |
㈜진시스템 생산본부장 |
2017년 2월~현재 |
㈜진시스템 |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박 영 원 | 부 | 부 | 무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는 당사의 생산본부장으로서 관련 부문에 대하여 회사 내 주요한 경영활동 및 의사결정을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이바지하였고, 향후에도 해당 부문에 대한 기여도가 기대됨에 따라 해당 후보자를 추천하고자 합니다. |
확인서
![]() |
확인서_이사선임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억원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3 ( 1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6.3억원 |
최고한도액 | 10억원 |
주)실제 지급된 보수총액은 소득세법 제 20조에 따라 관할 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을 기준으로 하여 스톡옵션 행사이익을 포함하여 기재하였습니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억원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2.6백만원 |
최고한도액 | 1억원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경영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이사임.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강현수 |
이사 |
전략기획본부장 |
보통주식 | 50,000 |
총( 1 )명 | - | - | - | 총( 50,000 )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 내 용 | 비 고 |
---|---|---|
부여방법 | 신주발행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식 50,000주 | |
행사가격 | 해당 안건을 승인하는 주주총회일 전일을 기산일로 정하고, 기산일로부터 과거 2개월간, 1주일간 및 최근일 가중산술평균주가를 산술평균한 가격과 시가 중 높은 가격으로 정함. | |
행사기간 | 부여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로부터 5년 | |
기타 조건의 개요 | 행사기간의 1차년도, 2차년도 및 3차년도에 개인부여수량의 각각 40%, 30%, 30%를 한도로 하여 행사할 수 있다. 다만, 3차년도가 경과한 후 나머지 행사기간에는 잔여수량을 전부 행사할 수 있다.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6,879,180 |
발행주식총수의 |
보통주식, 우선주식 |
1,031,877 |
719,841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2020년 | - | - | 보통주식 | - | - | 12,000 |
312,036 |
2021년 | - | - | 보통주식 | - | 68,100 | - |
243,936 |
계 | 총( 15 )명 | - | 총( - )주 | 총( 68,100 )주 | 총( 12,000 )주 | 총( 243,936 )주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2년 03월 21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기 제출예정인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당사 홈페이지(https://genesystem.irpage.co.kr/) 내 '공시'부문에 주주총회 1주전까지 게시할 예정이며, 향후 사업보고서는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사업보고서 등의 세부내용이 정정되는 경우에는 전자공시시스템(「DART-정기공시」)에서 확인이 가능함을 안내드립니다.
-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정정공시 여부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금번 개최예정인 정기주주총회의 개최일정은 한국상장회사협의회에서 발표한 주주총회 집중일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