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03월     11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씨알푸드
대 표 이 사 : 이 상 범
본 점 소 재 지 : 충청북도 제천시 바이오밸리1로 85

(전   화) 043-645-4100

(홈페이지)http://www.crfood.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차장 (성  명)곽현수

(전  화)043-645-41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5기 정기)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20조 규정에 의거하여 제 13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시 : 2022 03월 31일 (목요일) 오전 11시 00분

2. 장소 : 충청북도 제천시 바이오밸리1로 76 ㈜씨알푸드 본사 R동 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및 영업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 1 호 의안 : 제15기(2021년1월1일~2021년12월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00,000,000)

      제 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50,000,000)


4. 배당내역 : 해당사항 없음.

5.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할 수 있습니다.


2022년 03월 11일

주식회사 씨알푸드
대표이사 이상범(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
(출석률: %)
B
(출석률: %)
C
(출석률: %)
D
(출석률: %)
찬 반 여 부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식품산업은 인간의 지혜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식품에 원료처리, 가공, 저장, 유통, 포장 등을 실시해 그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적이며 조직적인 경영 활동을 칭합니다. 이에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곡물가공식품산업은 맥류나 잡곡과 같은 곡물을 주원료로 하여 변형 또는 혼합시켜 식품을 제조 판매 하는 산업으로 정의 됩니다. 곡물가공식품의 종류에는 시리얼 및 시리얼바, 선식, 미숫가루, 팝콘, 볶은 곡물 등이 있으며 당사는 이 중 시리얼 및 시리얼바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시리얼(Cereal)은 ‘곡식, 곡류’를 가리키는 단어로 여러 가지 곡물을 가공한 것에서 유래 하였으며, 1863년 요양원을 운영 중이던 James Caleb Jackson이 환자들을 위하여 처음 개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후 1900년대에 한국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켈로그(Kellogg)” 가문에서 세계 최초로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독자적인 시리얼 생산업체를 설립하며 오늘의 시리얼의 역사가 이어져 왔습니다.

 

시리얼은 국내에 1983년 농심켈로그를 통해 도입되었으며, 천연 곡물로 만들어 영양 성분의 흡수가 빠르고 소화가 잘되며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즉시 먹을 수 있는 식품으로 아침식사뿐 아니라 어린이 및 노약자의 영양 간식으로 자리 잡았고,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05년 8월 ‘시리얼’을 식품유형으로 신설(제2005-48호)하였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국내 자체 생상 기술이 확보되어 있지 않던 시리얼 시장에 국내 최초로 순수 국내기술만으로 시리얼을 제조, 판매하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로열티를 지급하지 않고 자체기술로 생산하고 있는 유일한 시리얼 제조회사입니다.

 

2015년도부터는 시리얼바 라인설비를 도입하여 2016년부터 본격적으로 자동화 설비에서 매출을 시작하였으며 2017년도에는 전년대비 바제품 매출액이 251% 성장하였고 2018년도에는 전년대비 5% 성장하였습니다. 시리얼바시장은 앞으로도 견조한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며, 당사도 시장추세에 맞춰 신제품 개발 및 시장 선점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여러 가지 곡물, 견과류 및 비타민 등을 원료로 하여 언제 어디서나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시리얼 및 시리얼바의 제조 및 판매를 주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표준산업분류상 곡물을 찌거나 볶거나 팽창 또는 기타 방법으로 조제하여 곡물 가공품을 제조하는 산업을 칭하는 <C10619 기타 곡물 가공품 제조업>에 속하여 있습니다.

【한국표준산업분류】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세세분류

C10

(식료품 제조업)

C106

(곡물 가공품, 전분 및 전분제품 제조업)

C1061

(곡물 가공품 제조업)

C10619

(기타 곡물 가공품 제조업)

(2) 시장점유율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2016년 가공식품 세분시장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세계 곡물가공식품(시리얼 및 시리얼바) 시장 규모는 436억 달러이며, 그 중 시리얼 시장의 규모는 278억 달러(약 63%)이며 시리얼바 시장은 158억 달러(약 36%)입니다.

 

세계적으로는 차가운 우유 대신에 따뜻한 물이나 크림에 섞어 먹는 핫시리얼 시장이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동 중 먹을 수 있는 간편 시리얼바 제품들이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국가별로는 미국의 시리얼 시장이 가장 큰 규모이며 2015년 기준 176억 달러로 세계 시장의 약 61.1%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음으로는 영국 시리얼 시장이 37억 달러로 세계 시장의 약 8.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추세를 보았을 때 시리얼 시장의 규모는 시리얼바 시장보다 큰 편이나 2011년 이후 비중이 지속 감소하고 있는 반면 시리얼바 시장의 경우 꾸준히 증가하여 2015년에 약 36%까지 성장하였습니다. 이는 간편식의 인기로 휴대성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시리얼바의 인기가 증가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됩니다.

 

(나) 국내시장

 

【 국내 시리얼 시장 규모 】

(단위 : 억원)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금액

2,084

2,133

2,291

(출처: 링크아즈텍)

 

국내 시리얼 시장규모는 2012년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나, 최근 1인 가구 증가 및 가정 간편식 시장규모의 증가에 따라 시리얼 시장도 영향을 받아 2015년 2,084억원에서 2017년 2,291억원으로 10%가량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시리얼바가 속해있는 국내 기능성 바 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1995년 국내최초의 기능성 바 제품인 해태제과의 ‘칼로리바란스‘가 출시된 이후 오리온의 닥터유 에너지바, 동아오츠카의 소이조이 등 국내 제품들을 비롯해 해외 수입제품들을 포함해 현재 약 30여종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기능성 바 시장은 간편한 한 끼 식사대용식 뿐만 아니라 건강과 미용에 대한 관심증가, 각종 레저 활동의 증가 추세에 따라 각종 과일과 견과류를 배합한 곡물바 와 체중 조절용 바, 그리고 최근 세계적 트렌드가 되고 있는 프로틴바 등 여러 종류의 바제품이 시장에서 판매되고 있습니다.

 

【 국내 시리얼바 시장 규모 】

(단위 : 억원)

구분

2017년

2018년

2019년

금액

504

541

616

(출처: A.C Nielsen)

 

국내 시리얼 바 시장 규모는 2019년 약 616억대로 추정되며, 1인가구 증가와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미국시장의 경우, 최근 아침식사용, 건강 다이어트용 등으로 간편한 시리얼바 형태의 제품이 크게 성장하고 있어, 2018년 기준 시리얼 제품의 시장규모는 104.9억 달러에 이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국내시장의 시장규모 또한 성장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시리얼바 시장 점유율 】

구분

2016년

2017년

2018년 8월기준

오리온

65.7%

55.2%

53.3%

농심켈로그

0.5%

9.5%

11.9%

동서식품

0.0%

0.9%

8.2%

기타

33.8%

34.3%

26.7%

(출처: A.C Nielsen)

 

곡물가공식품, 특히 시리얼 및 시리얼바 시장의 외적인 성장 요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1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가 예상됩니다. 2019년도 1인 가구의 비중은 지난 2017년(28.5%, 558만3천가구)보다 1.3% 상승하여 2027년 32.9%(711만4천가구), 2023년 35.7%(807만6천가구), 2047년에는 37.3%(832만가구)로 지속해서 늘어날 전망입니다. 1인 가구와 더불어 부부 가구의 비중도 지속해서 늘어나 2017년 15.8%(309만3천가구)에서 2047년 21.5%(479만4천가구)까지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간편식시장이 성장추세에 있고 식사대용식인 시리얼 시장 및 시리얼바 시장 또한 점점 커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둘째, 서구화 및 도시화로 인하여 사람들은 조리시간이 긴 음식보다는 조리시간이 덜 걸리거나 바로 섭취가 가능한 즉석식품을 찾게 되었습니다. 나아가, 즉석식품에서도 식품의 영양을 고려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섭취가 가능한 시리얼 및 시리얼 바는 이에 맞추어 견과류 및 과일류를 혼합하게 되었고 이는 현대 사회의 사람의 니즈에 부합하는 식품이 되었습니다.

 

셋째, 가성비를 중요시 여시는 시대가 도래 하였습니다. 경제 호황기가 지남에 따라 가성비가 높은 제품이 시장 트렌드로 자리 잡았고, 이러한 가성비 높은 제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점차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처럼 많은 소비자들이 가성비 홍수 속에서 합리적인 가격에 높은 퀄리티로 가성비의 본질을 지키고자 하는 제품들이 시장에서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4) 계절적 경기변동 및 라이프사이클

 

당사의 제품 중 시리얼 종류는 우유를 부어 먹는 제품으로 날씨가 추워지는 겨울에 매출이 감소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면, 시리얼바 제품은 언제 어디서나 첨가물 없이 즉석 섭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계절적인 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아니합니다.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은 과거에는 10년 이상으로 매우 긴 편이었습니다. 한 예로 타사의 콘프로스트는 출시 후 1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계속하여 제품화되고 판매되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사람들이 웰빙에도 관심을 가지게 되면서 건강을 생각한 기능성 시리얼 및 시리얼바 제품들이 많이 개발되었고, 그에 따라 라이프사이클이 제품마다 상이해지고 있습니다.

 

(5) 대체시장

 

시리얼과 시리얼바를 대체할 수 있는 식품은 가정간편식(Home Meal Replacement)입니다. 가정간편식이란 가정식사를 대체할 수 있는 간편한 식사 대용품으로서, 즉석 섭취(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등) 식품, 즉석조리식품(가공밥, 국, 수프 등) 그리고 신선편의식품(샐러드 등)류가 이에 해당됩니다.

 

 

【 식품공전 체계상 간편식의 범위 】

품목분류

주요품목

정의

즉석섭취식품

도시락, 김밥, 샌드위치, 햄버거 등

동식물성 원료를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 가공한 것으로서 더 이상의 가열, 조리과정 없이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식품

즉석조리식품

가공밥, 국, 탕, 스프,

순대 등

동식물성 원료를 식품이나 식품첨가물을 가하여 제조, 가공한 것으로서 단순가열 등의 조리과정을 거치거나 이와 동등한 방법을 거쳐 섭취 할 수 있는 식품

신선편의식품

샐러드, 간편과일 등

농임산물을 세척, 박피, 절단 또는 세절 등의 가공공정을 거치거나 이에 단순히 식품 또는 식품 첨가물을 가한 것으로서 그대로 섭취할 수 있는 샐러드, 새싹채소 등의 식품

 

국내 HMR시장은 대형마트, 슈퍼마켓, 편의점, 온라인 등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유통업체들 역시도 HMR에 주목하고 PB브랜드를 통해 HMR시장에 뛰어들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NOBRAND 및 Peacock은 대표적으로 성공적인 HMR PB브랜드로 시장점유율을 넓혀 나가고 있습니다. 1인 가구 비율이 증가하고 바쁜 현대인의 일상 속에서 간편한 식사대용식을 원하는 소비자의 Needs가 계속되는 한 HMR시장은 계속 성장추세를 유지할 전망입니다.


시리얼과 시리얼바 시장 또한 식사대용식의 범위 안에 들어가는 식품으로서 HMR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성장하고 있습니다.2020년까지 HMR 시장 규모는 약 7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전망이며 특히, 시리얼바 시장은 다이어트용, 아웃도어용등을 기능성 제품시장의 급속한 성장과 더불어 시리얼보다 더욱 큰 성장률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가정간편식 시장은 당사의 제품과는 대체시장이지만 동시에 동반 성장시장이라 할 수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국내 시리얼 시장은 농심켈로그, 동서포스트, 그리고 당사에서 유일하게 시리얼 제품을 제조하고 있으며 켈로그와 포스트가 시장점유율 약 89%(2016년 2분기 기준)를 점유하고 있으며, 당사의 점유율을 약 5~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 외 수입제품이 나머지 시장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농심켈로그는 글로벌기업인 미국의 켈로그사와 1981년 합작으로 설립된 회사이고, 동서포스트는 1983년 미국의 포스트와 동서식품의 기술도입 계약 체결로 탄생한 브랜드입니다. 농심켈로그와 동서식품포스트의 경우 대형 소매채널 및 개인이 운영하는 소매점 모두 유통되고 있으나 당사는 조직과 규모의 문제로 인하여 대형마트, 캐터링, 특판 및 온라인 위주로 자사브랜드 및 PB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 국내 시리얼 생산 3사 현황 】

회사명

구분

내용

농심켈로그

연혁

-1981년 3월 켈로그와 농심 합작회사 설립

-1988년 8월 콘프레이크/콘푸로스트 첫 생산

-1993년 7월 아몬드 푸레이크 출시

-1995년 7월 첵스초코 출시

-1997년 7월 스페셜K 출시

-2013년 3월 후르츠 그래놀라 출시

내역

1980년 한국의 농심(주)와 미국 켈로그사의 합작으로 설립한 회사로, 1983년 국내 최초의 시리얼인 ‘켈로그’를 선보이며 판매 시작함.

주요제품

콘푸레이크, 아몬드푸레이크, 첵스초코, 스페셜K, 후르츠 그래놀라 등

동서식품

연혁

-1968년 동서식품주식회사 설립

-1983년 5월GF(General Foods)사와 포스트 기술도입 계약 체결

-1986년 11월 일본에 포스트 수출

내역

1983년 크래프트푸드홀딩스와 동서가 각각 50%를 출자하여 설립

주요제품

콘푸라이크, 오곡코코볼, 아몬드후레이크, 라이트업오리지날 등

씨알푸드

연혁

-2007년 9월 (주)씨알푸드 법인설립

-2008년 6월 공장준공 및 공장등록

-2008년 8월 기업부설연구소 설립 및 인증

-2012년 9월 이노비즈 기업 인증 획득

-2012년10월 중소기업 기술대상 수상 및 고용 우수기업 선정

-2012년11월 ‘2012년 우수 쌀가공식품 TOP10’ 선정

-2013년 2월 HACCP 적용업소 지정_시리얼류 4개 품목

-2013년11월 참 좋은 중소기업상 수상

-2015년12월 가족친화기업 인증

-2016년 3월 BAR LINE HACCP 인증

-2017년12월 코넥스 상장

내역

국내 최초로 순수 국내기술 기반의 시리얼 생산을 시작하여 국내 시리얼 제품 중 유일하게 로열티의 지급없이 독자적인 기술로 시리얼 제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음.

주요제품

콘프레이크, 콘플레져, 아몬드프레이크, 우리쌀프레이크, 우리쌀링

노브랜드시리얼 79콘시리얼바, 미미담 등

 

다음으로 기능성바 시장의 경쟁상황을 살펴보면, 시간과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편하게 먹을 수 있는 장점을 지닌 기능성바 시장은 계속 성장하고 있는 추세이며, 국내에서는 오리온의 닥터유가 시장에서 선두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엄마사랑의 영양바 등과 함께 당사의 시리얼바 매출이 급성장하는 추세입니다.

 

당사의 시리얼바는 자사브랜드 및 PB제품을 통하여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현대인의 바쁜 일상 속에서 간편하게 휴대하고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장점을 지녔을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영양 균형을 위한 각종 비타민, 견과류, 단백질 등을 혼합하여 식사를 대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현재의 소비 트렌드에 최적화 된 제품입니다.


시리얼 생산의 핵심기술은 원료를 투입 후 증자와 성형을 거치면서 영양성분의 체내 소화흡수를 용이하게 하고 시리얼 고유의 바삭바삭한 조직을 유지시키며 곡물자체의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제품을 생산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자체 기술을 개발하기 어려워 상당수의 국내 시리얼 제조사는 해외합작회사를 설립하거나 기술 로얄티를 해외에 지급하고 있으나, 현재 당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독자적인 시리얼 생산기술을 보유하고 있어 로얄티 지급이 없습니다.

나아가, 시리얼 시장에서 브랜드 로얄티는 신규 진입자들에게 큰 진입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시리얼의 양대산맥인 ‘켈로그’와 ‘포스트’사의 브랜드 이미지를 신뢰하고 이는 많은 소비자들의 시리얼 제품 소비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해외진출 동기 및 성과

 

현재 국내의 시리얼 시장의 성장성의 한계와 중소기업인 당사 브랜드의 경쟁업체와의 브랜드 파워의 절대적인 열세를 극복하고자 현재 수출을 통한 세계시장에 진입하고자 하고 있고 그에 대한 결과로 현재 일본, 동남아시아 등으로(직수출,Local)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구분

2019년

2020년

2021년 반기

제품수출

직수출

317

260

149

Local

13

-

-

330

260

149

(단위 : 백만원)

 

(나) 신규사업의 내용과 전망


1) Hot 시리얼

 

당사의 비수기인 겨울 시장 및 한 끼 식사대용식을 위한 것으로 우유가 아닌 뜨거운 물을 넣어 먹는 제품입니다. 현재는 한창 개발 중인 제품으로 빠른 시일 내에 출시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기능성 시리얼

 

- 변비 개선용 시리얼 (참비움)

한양대와 효능에 대한 임상을 완료하고 2016년부터 온라인 영업을 시작한 제품으로 아직은 그 판매가 미약하지만 제품 개선과 시장 개척 그리고 마케팅 강화를 통해 매출확대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당뇨 환자용 시리얼 Bar

혈당 수치를 저감시키는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서울대 내과 병원과 1차 임상 및 특허출원을 완료하였고 2차 임상을 시작하였습니다. 이와 별도로 기능성 인증을 위한 임상 준비중에 있습니다.

 

다. 경영상의 주요계약

계약상대방

계약기간

내용

계약금액

비고

㈜아이코닉스,

삼부자컴퍼니

2016.05.01.~

뽀로로 사용료

출고가의 일정비율을 로얄티로 지급함

-

 

2.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단위 : 백만원)

매출유형

제 품 명

생산(판매)

개 시 일

주요상표

매출액

비율

제품설명

자사제품

시리얼

2008년

씨알로 아몬드프레이크 등

13,873

86.23%

식사대용식

2016년

79 콘시리얼바 등

2,187

13.59%

식사대용식

쿠키

-

-

-

-

-

기타

-

-

-

-

-

소 계

-

-

16,060

99.82%

-

하 청 제 품

-

-

-

-

-

상 품

2020년

에스에스지닷컴

28

0.18%

부산물 등

매 출 총 계

-

-

16,088

100.00%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식품산업은 인간의 지혜와 기술을 동원하여 인간의 욕망을 충족시킬 수 있는 식품에 원료처리, 가공, 저장, 유통, 포장 등을 실시해 그 경제성을 높이기 위한 계획적이며 조직적인 경영 활동을 칭합니다. 이에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곡물가공식품산업은 맥류나 잡곡과 같은 곡물을 주원료로 하여 변형 또는 혼합시켜 식품을 제조 판매 하는 산업으로 정의 됩니다. 곡물가공식품의 종류에는 시리얼 및 시리얼바, 선식, 미숫가루, 팝콘, 볶은 곡물 등이 있으며 당사는 이 중 시리얼 및 시리얼바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시리얼(Cereal)은 ‘곡식, 곡류’를 가리키는 단어로 여러 가지 곡물을 가공한 것에서 유래 하였으며, 1863년 요양원을 운영 중이던 James Caleb Jackson이 환자들을 위하여 처음 개발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으며, 이후 1900년대에 한국에서도 잘 알려져 있는 “켈로그(Kellogg)” 가문에서 세계 최초로 옥수수를 원료로 하는 독자적인 시리얼 생산업체를 설립하며 오늘의 시리얼의 역사가 이어져 왔습니다.

 

시리얼은 국내에 1983년 농심켈로그를 통해 도입되었으며, 천연 곡물로 만들어 영양 성분의 흡수가 빠르고 소화가 잘되며 시간과 장소에 상관없이 즉시 먹을 수 있는 식품으로 아침식사뿐 아니라 어린이 및 노약자의 영양 간식으로 자리 잡았고,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은 2005년 8월 ‘시리얼’을 식품유형으로 신설(제2005-48호)하였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5기 2021.12.31현재
제 14 기 2020.12.31현재
(단위 : 원)
과 목 제 15기 제 14기
 I. 자산 22,043,025,823 22,685,167,470
   (1) 유동자산 7,813,223,967 7,676,880,107
     1. 당좌자산 5,387,492,470 5,645,392,555
     2. 재고자산 2,425,731,497 2,031,487,552
   (2) 비유동자산 14,229,801,856 15,008,287,363
     1. 투자자산 58,765,670 555,464,706
     2. 유형자산 13,289,387,506 13,549,674,676
     3. 무형자산 227,566,844 243,324,645
     4. 기타비유동자산 654,081,836 659,823,336
 II. 부채 17,163,568,508 15,855,493,413
   (1) 유동부채 6,153,507,562 7,111,131,251
     1. 매입채무 776,783,010 522,568,133
     2. 미지급금 351,269,046 255,741,183
     3. 미지급비용 633,400,127 683,418,638
     4. 예수금 35,687,375 47,793,505
     5. 선수금 24,477,674 21,255,780
     6. 단기차입금 3,670,000,000 3,270,000,000
     7. 미지급법인세 5,216,330 -
     8. 유동성장기부채 656,674,000 2,310,354,012
   (2) 비유동부채 11,010,060,946 8,744,362,162
     1. 장기차입금 9,060,365,988 8,250,365,988
     2. 퇴직급여충당부채 449,694,958 493,996,174
     3. 사채 1,500,000,000 -
 III. 자본 4,879,457,315 6,829,674,057
   (1) 자본금 1,189,010,000 1,189,010,000
     1. 보통주자본금 990,000,000 990,000,000
     2. 우선주자본금 199,010,000 199,010,000
   (2) 자본잉여금 8,032,444,201 8,032,444,201
     1. 주식발행초과금 8,008,937,040 8,008,937,040
     2. 기타자본잉여금 23,507,161 23,507,161
   (3) 자본조정 10,371,384 10,371,384
     1. 주식선택권 10,371,384 10,371,384
   (4)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
   (5) 이익잉여금 -4,352,368,270 -2,402,151,528
   1. 처분전이월이익잉여금 -4,352,368,270 -2,402,151,528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5 기 (2021.01 . 01 부터 2021. 12. 31 까지)
제 14 기 (2020. 01. 01 부터 2020.12.031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5 기 제 14기
 I. 매출액 - 15,678,722,652 - 16,088,621,182
   (1) 제품매출 15,035,356,849 - 16,059,289,540 -
   (2) 상품매출 571,799,033 - 29,015,567 -
   (3) 기타매출 71,566,770 - 316,075 -
 II. 매출원가 - 12,562,040,333 - 13,058,247,338
   (1) 제품매출원가 12,003,499,284 - 13,030,797,375 -
   (2) 상품매출원가 558,541,049 - 27,449,963 -
 III. 매출총이익 - 3,116,682,319 - 3,030,373,844
 IV. 판매비와 관리비 - 4,445,906,534 - 4,542,203,586
   (1) (판)급여 980,954,360 - 1,244,527,150 -
   (2) (판)잡급 300,000 - 9,300,000 -
   (3) (판)퇴직급여 111,501,648 - 150,041,411 -
   (4) (판)복리후생비 141,505,129 - 136,777,645 -
   (5) (판)수도광열비 - - 231,404 -
   (6) (판)전력비 403,324 - 378,001 -
   (7) (판)지급임차료 148,127,076 - 161,673,587 -
   (8) (판)운반비 1,182,404,265 - 1,243,401,882 -
   (9) (판)감가상각비 45,130,663 - 30,630,887 -
   (10) (판)무형자산상각비 45,309,482 - 59,811,074 -
   (11) (판)수선비 1,128,000 - - -
   (12) (판)소모품비 19,396,045 - 22,556,994 -
   (13) (판)세금과공과 49,233,400 - 51,481,170 -
   (14) (판)보험료 12,687,783 - 16,613,068 -
   (15) (판)여비교통비 25,200,159 - 31,596,907 -
   (16) (판)통신비 21,282,248 - 17,667,289 -
   (17) (판)차량유지비 15,671,110 - 17,123,452 -
   (18) (판)교육훈련비 1,642,272 - 5,688,000 -
   (19) (판)도서인쇄비 2,020,383 - 4,609,776 -
   (20) (판)지급수수료 346,266,531 - 299,933,218 -
   (21) (판)광고선전비 222,184,607 - 50,373,354 -
   (22) (판)경상개발비 890,495,864 - 610,685,652 -
   (23) (판)접대비 4,727,600 - 10,015,000 -
   (24) (판)판매촉진비 109,425,335 - 274,454,017 -
   (25) (판)수출경비 6,279,762 - 4,490,606 -
   (26) (판)대손상각 - - -12,435,252 -
   (27) (판)견본비 62,629,488 - 100,577,294 -
 V. 영업이익 - -1,329,224,215 - -1,511,829,742
 VI. 영업외수익 - 404,369,552 - 368,784,460
   (1) 이자수익 23,001,807 - 38,023,652 -
   (2) 수입수수료 - - 11,170,470 -
   (3) 외환차익 3,160,178 - 1,808,594 -
   (4) 외화환산이익 29,152,776 - - -
   (5) 보조금수익 328,316,675 - 264,789,313 -
   (6) 잡이익 5,318,668 - 42,642,795 -
   (7) 금융상품평가이익 3,806,670 - - -
   (8) 금융상품처분이익 10,669,778 - 5,931,918 -
   (9) 유형자산처분이익 943,000 - 4,417,718 -
 VII. 영업외비용 - 593,876,831 - 1,152,573,977
   (1) 이자비용 341,656,822 - 314,415,045 -
   (2) 기부금 24,739,022 - 4,527,638 -
   (3) 외환차손 252,150 - 5,263,795 -
   (4) 외화환산손실 119,463 - 19,504,092 -
   (5) 기타대손상각비 17,622,829 - - -
   (6) 잡손실 162,448,189 - 824,375 -
   (7) 금융상품처분손실 2,038,356 - 187,384,074 -
   (8) 유형자산처분손실 - - 2,451,212 -
   (9) 투자자산손상차손 45,000,000 - - -
   (10) 무형자산감액손실 - - 618,203,746 -
 VIII. 법인세비용차감전 순손익 - - - -2,295,619,259
 IX. 법인세비용 - -521,130 - 318,998,309
   (1) 법인세비용 법인세 -521,130 - 318,998,309 -
 X. 당기순이익(당기순손실) - -1,518,210,364 - -2,614,617,568
 XI. 기타포괄손익 - - - -
 XII. 총포괄이익 - -1,518,210,364 - -2,614,617,568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5기 (2021.01.01부터 2021.12.31까지)
제 14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단위 : 천원)
과 목 제 15기 제 14기
Ⅰ. 미 처 분 이 익 잉 여 금 (2,125,575) (2,402,152)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2,402,152) 596,766
  2. 우 선 주 매 입 소 각 (164,688) (384,300)
  3. 전  기 오 류 수 정 이 익 - -
  4. 전  기 오 류 수 정 손 실 - -
  5. 중    간    배    당    금 - -
  6. 당    기    순    이    익 (1,518,731) (2,614,618)
Ⅱ. 임 의 적 립 금 이 입 액 - -
Ⅲ. 이 익 잉 여 금 처 분 액 - -
  1. 이 익 준 비 금 - -
  2. 기업합리화적립금 - -
Ⅳ. 차기이월 미처리 결손금 (2,125,575) (2,402,152)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명(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3명(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13,000,000
최고한도액 5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5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최고한도액 5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2년 03월 24일 1주전 전자문서 발송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상기 내용은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완료되지 않은 자료이므로 향후 변동될 수 있으며, 수정된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에 업데이트 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주주총회 이후 변경된 사항에 관하여는 「DART-정기공시」에 제출된(http://dart.fss.or.kr) 사업보고서를 활용하여야 합니다.

- 당사는 2022년 3월 24일에 감사보고서, 2022년 3월 24일에 사업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 (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1, 주총 집중일 주총 개최 사유 :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에서 가능한 주주총회집중일을 피해 진행하고자 하였으나 주주총회일 기산점으로 외감인과의 감사보고서 예상수령일자를 감안하여 불가피하게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인 03월31일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2. 코로나19에 관한 안내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당일 발열, 기침 증세가 있으신 주주님은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스크 미착용 주주님께서도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총회장 입장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주총회 당일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에 따라 입장 인원에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