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2 년 02 월 28 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씨엔티드림 | |
대 표 이 사 : | 안태우 | |
본 점 소 재 지 :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공단7로 60 | |
(전 화) 041-567-2334 | ||
(홈페이지)http://www.cntdream.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대표 | (성 명) 정창원 |
(전 화) 041-520-8943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1기 정기) |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통지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0조에 의하여 제11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2년 3월 31일 (목) 오전 09:00
2. 장 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백석공단7로 60(백석동), 본사 회의실
3. 회의목적 사항
1) 보고사항 : 감사보고, 영업보고, 2021년 내부회계 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의결사항
제1호 의안 : 제11기(2021년 1월 1일~2021년 12 월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변경(사업목적추가)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이사 선임건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의 건 (금 1,000,000,000 원 한도)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액 승인의 건 (금15,600,000원 한도)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실물증권 보유자의 권리 보호에 관한 사항
2019년 9월 16일부터 전자증권제도가 시행되어 실물증권은 효력이 상실되었으며, 한국예탁결제원의 특별계좌(명부)주주로 전자등록되어 권리행사 등이 제한됩니다. 따라서 보유 중인 실물증권을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방문하여 전자등록으로 전환하시기 바랍니다.
2022년 2월 28일
주식회사 씨엔티드림
대표이사 안 태 우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가) 산업의 특성
당사가 속한 화장품 산업은 화학, 생물과학, 약학, 생리학 등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을 복합적으로 작용시켜 인체의 미용, 피부보호, 청결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조하는 정밀 화학 산업 분야 중 하나이며,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화장품 산업의 특성>
구분 |
특성 |
고부가가치산업 |
화장품 산업은 화학, 생물과학, 약학, 생리학 등 기초과학과 응용기술이 복합적으로 작용되는 전형적인 정밀화학공업의 한 분야로 기술집약적이고 부가가치산업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타산업 대비 높은 수익구조를 보입니다. |
경기변동의 특성 |
화장품 산업은 소비재 산업으로 소득수준의 향상에 따라 민감한 영향을 받으나, 최근에는 필수 소비재로 인식되면서 경기변동에 다소 비탄력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
패션 상품 |
화장품 산업은 패션유행에 민감한 바 다른 업종에 비해 기호성과 유행성이 강하며, 제품의 라이프사이클이 짧아 신상품의 개발이 빈번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에 다품종 소량 생산체제를 갖추고 있으며, 비교적 소규모 자본투자로도 시장진입이 용이하여 중소기업도 전문화가 가능합니다. 또한, 판매자의 입장에서는 질적차이가 인식되지 않는 시장구조를 가지고 있어 브랜드이미지, 포장방법, 마케팅 등이 주요한 판매경쟁력이 되고 있습니다. |
수출산업으로의 전환 |
화장품 산업은 지역에 따른 피부특성 및 화장습관의 차이로 인해 우리나라를 비롯한 대부분의 국가에서 내수중심산업으로 발전해왔으나, 기업들이 지역별 이해도를 높이고 국제무역이 활성화됨에 따라 해외진출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한국의 화장품 산업은 크게 브랜드사, ODM 및 OEM사, 원료제조사, 용기 등의 부자재 제조사로 구분되며, 소수의 글로벌 브랜드사와 ODM사를 중심으로 제조와 판매를 담당하는 다수의 중소기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 업체 현황>
브랜드사 |
ODE/OEM |
원료 |
용기/부자재 |
아모레퍼시픽 LG생활건강 더페이스샵 에이블씨앤씨 잇츠스킨 네이처리퍼블릭 토니모리 애경산업 등 |
코스맥스 한국콜마 코스메카코리아 코스온 씨엔티드림 에버코스 이미인 제니코스 등 |
SK바이오랜드 대봉엘에스 에이씨티 샘스씨앤에스 KCI 등 |
연우 태성산업 펌텍코리아 삼화플라스틱 아이팩 부국티엔씨 삼광글라스 승일 등 |
출처: IBK 경제연구소
특히, 한국은 세계 OEM 및 ODM 시장 점유율 14%를 차지하고 있는 글로벌 화장품 제조 강국(NH투자증권 Industry Report)에 해당합니다.
<ODM 및 OEM의 특성>
구 분 |
OEM (Original Equipment Manufacturing) |
ODM (Original Design Manufacturing |
공통점 |
주문자의 상표를 부착하여 생산하는 위탁생산 방식 |
|
차이점 |
주문자의 설계를 바탕으로 생산만 대행 |
주문자의 니즈에 따라 제품의 설계, 개발, 생산을 모두 수행 |
비고 |
ODM업체는 설계, 제조 부문에서 고유의 기술력을 가지고 있으며,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지속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어, 설계 및 제조 기술력을 보유한 ODM업체들이 OEM업체 대비 높은 경쟁력을 보유 |
(나) 국내외 산업 현황
1) 국내 화장품 시장 현황
화장품 산업은 여러 기술이 종합적으로 적용되는 분야로, 생산 단위당 부가가치는 다른 산업 대비 약 10%정도 높은 고부가가치 산업입니다. 국내 화장품 시장은 1인당 소비금액 기준으로 세계 10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2019 화장품 시장동향 및 전망, 임팩트). 화장품 산업은 이미 성숙기에 진입한 산업이나, 주요 소비층인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율 상승 및 소득수준 향상에 따른 인당 소비금액 증가, 고가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판가 상승, 유통채널 변화과정을 통한 양적 성장 등으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에 따르면, 2018년 국내 화장품 시장규모(생산+수입?수출)는 10조 4,011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하였고, 최근 5년 연평균증가율이 5.4%로 매년 5%이상 지속성장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화장품 총생산규모는 15조 5,028억원으로 전년 대비 14.7% 증가하였고, 최근 5년 연평균증가율이 14.7%로 매년 10%이상 지속성장해오고 있습니다.
국내 화장품 산업은 수출주도형 고성장 산업으로 전환함에 따라, 2018년의 화장품 수출액은 62억 7,678만달러로 전년 2017년 49억 6,046만달러 대비 27% 증가하였으며, 2018년까지 최근 5년간 연평균 성장률은 35%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국내 화장품의 수출성장세로 인해 무역수지는 2013년부터 흑자로 전환해 2018년에는 46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하였습니다.
화장품은 한국 소비재 수출의 25.3%를 차지하는 주요 수출 품목으로, 현재 중국과 홍콩에 전체 화장품 수출 중 63.4%가 집중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향후 베트남이나 태국 등 아세안 지역과 러시아를 포함한 유라시아 지역도 차세대 수출 시장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회근 한류열풍과 함께 이슬람권에서도 한국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높습니다.
특히, 한국 화장품 시장의 성장은 중국, 일본 등 시장별 맞춤형 유치정책의 추진결과 증가한 외래객에 의한 면세점 채널이 견인하고 있습니다. 2018년의 전체 면세점 매출은 18.96조원으로 전기대비 31%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전체 면세 매출 중 화장품매출의 비율은 전기의 55%에서 늘어난 60%를 보이고 있습니다. 과거 외국인의 국내 화장품 소비가 로드숍 및 중저가 화장품 중심에서 면세점 및 럭셔리 화장품 구매로 이동하면서 매출액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면세점 수출 채널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한편, 과거 방문판매에서 시작하여 종합전문점 및 원브랜드숍을 거친 화장품의 유통채널은, 이후 치열한 업계 경쟁으로 인해 원브랜드숍의 성장세가 둔화되었으며, 최근에는 헬스&뷰티스토어(H&B)들의 성장과 편집숍들의 등장에 이어, 온라인채널 중심으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 |
<화장품 유통 채널 변천사> |
특히, 최근의 화장품시장은 온라인 채널이 핵심으로, 높은 성장률의 기대를 넘어서 2020년부터는 순수 국내 오프라인 매출을 본격적으로 앞서나갈 것으로 추정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트랜드가 가속화되고 있습니다(NH투자증권 industry Note, 2020.3.26.). 화장품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2019년 12조 3,819억원으로 전년대비 26% 고성장햇으며, 인스타그램, 페이스북 등 SNS(사회관계망서비스)를 이용한 개인간 거래 시장은 약 20조원으로 추산됩니다.
![]() |
<국내 화장품 채널별 규모추이(추정치)> |
출처: 통계청, 관세청, NH투자증권리서치본부
다양화된 유통채널로 인해 소비자 접점이 세분화 되었고, 이로 인해 신규 벤처 브랜드들도 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여건이 조성되고 있으며, 화장품 산업의 낮은 진입 장벽의 특성으로 인해 점차 경쟁은 과열되고 있습니다만, 이러한 신규 브랜드의 증가로 인해 오히려 ODM 및 OEM업체들은 수혜를 볼 것으로 예상됩니다.
2) 해외 화장품 시장 현황
글로벌 화장품 산업은 전 세계적 불황에도 불구하고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하는 미래유망산업으로 위상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특히 새로운 소비 트렌드 부상과 신흥시장의 발전 가능성으로 앞으로의 성장이 더욱 기대되는 분야입니다.
Euromonitor 자료에 의하면 2017년 세계 화장품 시장규모는 3,918억 달러로 전년대비 1.1% 증가하였습니다. 화장품 선진시장인 북미·유럽에서의 재정위기 등으로 2016년 화장품 산업의 성장이 다소 둔화되었지만 2017년을 기점으로 다시 반등하는 추세입니다. 향후 2022년 세계 화장품 시장규모는 4,487억 달러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11년 2월 16일에 기초화장품, 메이크업. 헤어, 바디케어, 기능성 화장품 및 바이오 화장품을 제조 및 연구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2014년 12월에는 국제 우수 화장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업소 ISO22716 인증을 취득하여 우수한 제품을 생산하는 데 앞장서고 있습니다.
당사는 연구소 인력 채용에 집중하여 제품 연구 및 개발에 끊임없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제조시설을 최적의 상태로 관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최적의 제품을 테스트 및 생산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 및 생산환경을 기반으로 일본, 베트남, 필리핀, 태국, 인도네시아, 그리고 유럽 등의 해외 수출을 하고 있으며, 특히 동남아 시장과 같이 성장 여력이 높은 시장에서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경쟁력은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자체적인 R&D 능력입니다.
당사의 안태우 대표는 라미 화장품 기업부설연구소, 코스맥스 기업부설연구소, 도도화장품 연구소장 및 공장장등의 경력을 지나오며 본인만의 화장품 기술개발역량을 쌓아왔습니다. 그것을 바탕으로 당사의 자체적인 전문개발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2010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하였습니다.
기업부설 연구소는 스킨케어, 메이크업을 보다 세분화하여 베이스 메이크업과 헤어케어 및 하우스홀드 제품을 연구하는 생활건강 파트를 신설하고 보다 집중적인 연구를 하고 있으며, 그 성과로 미국의 H.E.B 사에 남성용 헤어케어 약 20종과 베이비 라인 약 20여 종을 PB 브랜드로 런칭할 계획에 있습니다. 또한, 필리핀 시장에서 좋은 반응을 보여 주방세제, 세탁 세제, 마우스 워시 제품을 출시할 예정입니다.
저희 연구원은 연구개발 뿐만 아니라 생산 노하우와 마케팅 능력을 높이기 위해 정기적으로 생산 및 마케팅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고객사에 영업 및 연구개발에 대한 상담을 직접 할 정도로 다양한 능력을 배양하고 있습니다. 또한, 정기적으로 Lab. 세미나를 통하여 학술적인 연구와 실험 능력을 키우고 있습니다.
<모든 분야의 제조연구가 가능한 R&D센터>
설립연도 |
2010년 기업부설 연구소 인가 승인 |
조직구성 |
R&D 연구원 15명, 제품 기획/디자인 10명 |
자체 R&D능력 |
- 각종 화장품 제조 처방전(Recipe) 및 제조 기술 30,000여종 보유 - 스킨 케어, 베이스 메이크업, 포인트 메이크업, 클렌징, 마스크시트 등 일반 화장품 및 기능성 화장품, 유아화장품, 남성화장품, 헤어/바디 코스메틱등 화장품 모든 분야의 연구개발 및 제조 가능 - 유행에 발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기민함 - 충분한 생산 능력 - 원료물질에 대한 R&D 능력 |
둘째, 글로벌 기준에 맞는 생산 및 품질 관리 시스템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ISO-GMP / ISO 22716(화장품 국제표준) 인증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입니다. 또한, 한국 6대 홈쇼핑과 세포라 및 월마트 등의 글로벌 기업의 검사를 통과하고 자체 개발 생산한 화장품을 공급할 수 있는 기업이기도 합니다.
가장 주목할만한 성과로는 미국 FDA의 검사를 합격하여 미주 시장에 화장품을 생산/납품할 수 있는 자격을 얻음에 따라, 미국 시장에서 교민뿐 아니라 미국의 대형 유통사에 벤더를 통하지 않고 직접 유통할 수 있는 교두보를 만들었으며, H.E.B, 월마트, 아마존 등에 직접 무역을 하는 성과를 이루어 내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는 유럽시장 진출을 위하여 CPNP 인증을 얻기 위한 과정에 있으며, 향후 글로벌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발판을 마련해 나가고 있습니다.
세번째, 다양한 수요에 대응할 수 있는 생산 인프라의 구축입니다.
당사는 ISO-GMP, CGMP 인증을 받은 국내 TOP 20 수준 생산규모의 화장품 제조라인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천안 소재 2개, 청주 소재 1개, 총 3개의 최신식 시설로, 제품의 설계, 제조, 포장, 보관 및 출하를 안정적이고 향상된 품질로 운영합니다. 일 530,000개의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이와 같은 생산능력은 당사의 효율적 제조기술 덕분입니다. 공동 용해조 -> 본가마 형식의 당사 제조기술은 1공정당 5.5~6시간이 소요되는 일반 제조라인 기술에 비하여 1공정당 1.5~2시간을 절약하게 해주며, 공간대비 효율적인 생산 시스템의 구축을 가능하게 합니다.
![]() |
<당사의 효율적 제조기술> |
효율적인 생산능력뿐만 아니라 처방을 생산시스템에 맞춘 천연 화장품의 개발을 통하여 미국시장에 진출하게 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또한, 앞으로 세계시장은 저가에 대한 니즈가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색조와 스파우트의 결합을 업계 최초로 접목하였고, 이에 대해 많은 노하우를 쌓아가고 있습니다. 실제로 이를 “STIMMUNG”이라는 자사의 색조 브랜드와 “LOVLUV”라는 기초브랜드에 접목하여 세계시장 특히 일본과 동남아 그리고 러시아 시장에서 매우 큰 성과를 이루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ODM 사업
씨엔티드림의 주요 제품은 리즈케이, 이너프, 본느, 와우벤처스, 4CS, 에버빌레나, 젠슨 등에 공급하는 제품으로서, 이들은 OEM 방식이 아닌 모두 ODM 방식으로 씨엔티드림의 연구소에서 개발하여 런칭된 제품들입니다. 씨엔티드림이 생산하고 있는 제품의 구성은 화장품과 의약외품에 관련한 거의 모든 제품입니다.
2) 자사 브랜드
당사는 설립 이후 ODM 방식의 화장품 제조를 통해 성장하여왔으며, 성장과정에서 제품에 대한 생산은 물론 기획 및 판매 노하우를 축적하여 왔습니다. 이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자체 브랜드의 화장품을 생산 및 판매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
제품 설명 |
||
|
저가의 색조전문 자사 브랜드 - 패키지에서 단가를 많이 낮추고 수납도 용이해서 작은 부피로 가볍게 들고 다니기 쉬운 제품 |
||
|
- 화학 계면활성제, 에탄올, 파라벤 등 대신 자연에서 얻은 식물성 원료를 사용하여 좋은 성분을 피부에 안전하게 전달해주는 천연화장품 - 색조 제품에 많이 들어가는 유해성분은 배제하고 식물성 원료를 사용한 다양한 컬러의 메이크업 제품으로 20대만의 톡톡 튀는 색감을 제안하고, 누구나 쉽게 따라하며 즐길 수 있는 새로운 색조 제품 |
(2) 시장점유율
한국의 화장품시장 중 브랜드 시장은 LG생활건강, 아모레퍼시픽의 2개사가 6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ODM 시장의 경우 시장규모는 약 4.8조원으로 1조원대의 매출을 기록하는 한국콜마, 코스맥스의 2개사가 각각 10%와 11%의 시장 점유을을 차지하고 있고, 코스메카코리아가 약 2천억원대의 매출, 코스온이 약 1천억원대의 매출을 보이고 있으며, 당사 및 나우코스 등이 약 200억원대의 매출로 당사의 시장점유율은 약 0.42%(종합화장품 ODM기준)에 해당합니다. 최근에는 유통채널의 확대(온라인·멀티브랜드샵 증가) 및 ODM 제조방식 발달로 화장품 산업 진입장벽이 낮아지면서 신규 중소 브랜드가 급증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마스크시트를 주로 생산하는 ODM 업체로는 이시스, 엔코스가 약 800억대의 매출을 보이고 있으며, 제이준과 봄비를 생산하는 ODM 업체는 약 2천억대의 매출을 올리고 있지만 주로 중국을 상대로 발생한 매출이어서 안정적인 매출의 실적을 올리고 있지 못하고, 제품군이 마스크 시트로 한정되어 있습니다. 한편, 이츠한불, 코리아나 등은 브랜드 회사이지만 지금은 거의 대부분 공장을 가진 브랜드 회사들도 ODM을 병행하고 있기 때문에, ODM 시장에서의 경쟁상황은 ODM(OEM) 전문회사로서의 규모를 살피는 것이 보다 객관적입니다.
(3) 시장의 특성
Euromonitor 및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의 분석에 의하면 OEM·ODM 시장의 비중은 글로벌 전체화장품 시장의 약 30%로 추정되며, 2020년 세계 OEM·ODM 시장 규모는 한화로 약 70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화장품 OEM·ODM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2019년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5.7%씩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국은 세계 OEM·ODM 시장 점유율의 14%를 차지하고 있는 글로벌 화장품 제조 강국으로 국내의 OEM·ODM 산업규모는 국내 화장품 시장의 약 40% 수준이며, 2012년 32.8%에서 7%이상 증가한 바 있습니다.
![]() |
<전세계 화장품 및 OEM·ODM 시장규모> |
출처: Euromonitor International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해외의 OEM·ODM과 비교할 때, 다양한 품목을 아우를 수 있는 기술력과 생산력 측면에서 아직까지 국내 업체들이 우위에 있다고 할 수 있으며, 현재의 세계 시장규모와 주요 기업들의 시장점유율을 고려할 때 국내 OEM·ODM 기업들의 경쟁력 우위는 당분간 유지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하기와 같이 신규 화장품 제품을 개발하여 성장모멘텀을 확보할 것입니다.
항 목 |
비 고 |
천연 클렌저 |
- 미국 대형 유통사에 납품 예정인 천연유래 클렌져 베이비 라인, 남성용/여성용 라인으로 미국 대형 유통사 런칭 예정 - 피부에 자극이 없고 아토피와 여드름 등에 탁월한 효과 |
의약외품 |
가그린 Sanitizer : 미국 AMAZON 납품 |
비타민 C |
- 순수 비타민 C 13% 함유 안정화 기술 |
탈모방지 샴푸 |
- KFDA로부터 탈모 방지 효과 인정 |
Mouth Wash |
- 필리핀에 치약 및 가그린 납품 예정 |
생활용품 |
- 주방 세제, 세탁세제 처방 및 샘플 완료 |
(5) 조직도
![]() |
조직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화장품 산업의 가치 사슬은 브랜드, 제조 및 생산, 원료 및 용기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중 당사는 제조 및 생산 분야를 담당하고 있는 ODM (Original Development / Design Manufacturing)사업과 자체 브랜드사업을 중점적으로 영위하는 회사입니다.
당사의 화장품 ODM 사업은 R&D 역량을 바탕으로 개발한 제품을 고객사에게 제안하고 이를 생산하는 사업 형태를 말하며, 원료, 용기, 포장재 등 다양한 요소들을 하나로 묶어 완제품화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설립 초기부터 차별화된 제형을 바탕으로 ODM 역량을 키웠으며, 그 결과 기초화장품 분야에서 중소형 브랜드사 고객을 중심으로 영업을 확대해올 수 있었습니다. 현재는 기업부설 연구소를 구축하고 특허 및 상표권을 취득하는 등 우수한 화장품을 제조할 수 있는 양질의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으며, 특히 올해는 식약처로부터 의약외품 면허를 취득하여, 신규 제품군으로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ODM사업을 통해 쌓아온 경험 및 노하우를 바탕으로 새로운 사업의 진출 및 사업의 확장을 위하여 브랜드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고 있으며, 2019년 8월 저가 색조시장에 대한 진출을 목표로 “STIMMUNG”브랜드를 런칭하여 신규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천안과 청주 소재 생산설비를 통해 기초화장품부터 메이크업, 바디케어 및 기능성 제품까지 화장품의 제품군을 확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나아가 의약외품까지 제품군을 다양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생산에 그치지 않고 제품 개발단계에서부터 생산, 품질관리, 그리고 납품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을 경영상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군을 기존의 중소형사 중심에서 중대형사까지 확대하고, 동시에 해외 수주의 확대도 이루어 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검토가 완료되기 이전 회사가 가결산한 추정치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1기 2021.12.31 현재 |
제 10 기 2020.12.31 현재 |
(단위 : 원 ) |
과 목 | 제 11(당) 기 | 제 10(전) 기 | ||
---|---|---|---|---|
자 산 | ||||
Ⅰ.유동자산 | 11,464,340,577 | 10,951,997,410 | ||
(1)당좌자산 | 4,953,237,313 | 5,805,012,639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1,990,452 | 106,074,831 | ||
단기금융상품 | - | - | ||
매출채권 | 8,497,354,411 | 9,411,589,651 | ||
대손충당금 | -4,144,380,021 | -4,144,380,021 | ||
단기대여금 | 290,000,000 | 272,000,000 | ||
대손충당금 | -134,000,000 | -134,000,000 | ||
미수금 | 5,016,670 | 238,380,930 | ||
미수수익 | - | - | ||
선급금 | 352,039,073 | 43,165,383 | ||
선급비용 | 13,720,908 | 10,692,085 | ||
당기법인세자산 | 1,495,820 | 1,489,780 | ||
(2)재고자산 | 6,511,103,264 | 5,146,984,771 | ||
제품 | 2,673,681,840 | 1,920,221,246 | ||
재공품 | 1,553,604,950 | 971,628,617 | ||
원재료 | 974,312,504 | 1,398,402,119 | ||
부재료 | 1,309,503,970 | 856,732,789 | ||
Ⅱ.비유동자산 | 5,322,181,789 | 5,845,818,303 | ||
(1) 투자자산 | 1,000,000 | 5,500,000 | ||
장기금융상품 | - | 4,500,000 | ||
매도가능증권 | 1,000,000 | 1,000,000 | ||
만기보유증권 | - | - | ||
(2)유형자산 | 5,055,188,109 | 5,510,869,198 | ||
토지 | 1,541,602,706 | 1,541,602,706 | ||
건물 | 3,190,277,356 | 3,190,277,356 | ||
감가상각누계액 | - 520,208,077 | -440,451,144 | ||
구축물 | 11,700,000 | 11,700,000 | ||
감가상각누계액 | - 2,967,047 | -2,674,547 | ||
기계장치 | 3,874,132,764 | 3,821,132,764 | ||
감가상각누계액 | - 3,116,577,846 | -2,763,372,056 | ||
차량운반구 | 244,448,839 | 244,448,839 | ||
감가상각누계액 | - 236,482,044 | -221,093,389 | ||
비품 | 437,687,144 | 437,687,144 | ||
감가상각누계액 | - 421,142,509 | -393,295,368 | ||
시설장치 | 444,928,345 | 444,928,345 | ||
감가상각누계액 | - 392,211,522 | -360,021,452 | ||
(3) 무형자산 | 196,094,380 | 281,419,105 | ||
산업재산권 | 15,868,380 | 18,280,938 | ||
개발비 | - | - | ||
소프트웨어 | 180,226,000 | 263,138,167 | ||
(4) 기타비유동자산 | 69,899,300 | 48,030,000 | ||
임차보증금 | 26,689,300 | 5,000,000 | ||
기타보증금 | 43,210,000 | 43,030,000 | ||
자 산 총 계 | 16,786,522,366 | 16,797,815,713 | ||
부 채 | ||||
Ⅰ.유동부채 | 11,401,775,585 | 12,674,554,066 | ||
매입채무 | 4,018,959,064 | 4,977,207,032 | ||
미지급금 | 1,361,398,426 | 1,832,196,722 | ||
선수금 | 543,765,905 | 84,613,958 | ||
예수금 | 17,492,990 | 22,407,530 | ||
미지급비용 | 545,727,879 | 513,466,195 | ||
단기차입금 | 4,889,431,321 | 4,969,662,629 | ||
유동성장기부채 | 25,000,000 | 275,000,000 | ||
유동성사채 | - | - | ||
Ⅱ.비유동부채 | 2,029,683,581 | 949,145,175 | ||
장기차입금 | 88,750,000 | 113,750,000 | ||
사채 | 350,000,000 | 350,000,000 | ||
임 대 보 증 금 | 5,000,000 | - | ||
퇴직급여충당부채 | 621,497,000 | 520,798,330 | ||
퇴직연금운용자산 | - 35,563,419 | -35,403,155 | ||
전환사채 | 1,000,000,000 | |||
부 채 총 계 | 13,431,459,166 | 13,623,699,241 | ||
자 본 | ||||
Ⅰ. 자본금 | 2,473,345,000 | 2,473,345,000 | ||
보통주자본금 | 2,267,670,000 | 2,267,670,000 | ||
우선주자본금 | 205,675,000 | 205,675,000 | ||
II. 자본잉여금 | 12,434,241,350 | 12,434,241,350 | ||
주식발행초과금 | 12,434,241,350 | 12,434,241,350 | ||
Ⅲ. 결손금 | 11,552,523,150 | 11,733,469,878 | ||
미처리결손금 | 11,552,523,150 | -11,733,469,878 | ||
자 본 총 계 | 3,355,063,200 | 3,174,116,472 |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6,786,522,366 | 16,797,815,713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 10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 원) |
과 목 | 제 11(당) 기 | 제 10(전) 기 | ||
---|---|---|---|---|
Ⅰ.매출액 | 14,736,591,127 | 20,913,214,886 | ||
제품매출 | 14,736,591,127 | 20,913,214,886 | ||
Ⅱ.매출원가 | 11,107,852,140 | 19,332,699,149 | ||
(1)제품매출원가 | 11,107,852,140 | 19,332,699,149 | ||
기초제품재고액 | 1,920,221,246 | 1,991,393,918 | ||
당기제품제조원가 | 11,861,312,734 | 19,051,708,073 | ||
계 | 13,781,533,980 | 21,043,101,991 | ||
타계정에서대체액 | - | 209,818,404 | ||
기말제품재고액 | -2,673,681,840 | -1,920,221,246 | ||
Ⅲ.매출총이익 | 3,628,738,987 | 1,580,515,737 | ||
Ⅳ.판매비와관리비 | 3,186,705,469 | 6,689,128,284 | ||
급여 | 1,034,391,002 | 951,850,743 | ||
퇴직급여 | 71,118,820 | 89,344,431 | ||
복리후생비 | 224,264,368 | 225,955,626 | ||
여비교통비 | 61,185,079 | 75,591,083 | ||
접대비 | 10,420,890 | 13,039,260 | ||
통신비 | 16,146,616 | 13,321,601 | ||
수도광열비 | 1,921,960 | 5,329,910 | ||
세금과공과 | 32,732,530 | 37,597,886 | ||
감가상각비 | 66,102,187 | 86,053,469 | ||
지급임차료 | 95,176,569 | 169,837,613 | ||
수선비 | 22,456,820 | 15,577,719 | ||
보험료 | 44,255,268 | 40,576,709 | ||
차량유지비 | 16,000,234 | 30,648,143 | ||
경상연구개발비 | 375,237,391 | 302,746,083 | ||
운반비 | 320,903,925 | 399,119,689 | ||
교육훈련비 | 11,446,000 | 2,707,397 | ||
도서인쇄비 | - | 1,311,250 | ||
사무용품비 | 2,076,500 | - | ||
소모품비 | 153,037,989 | 142,707,741 | ||
지급수수료 | 542,506,596 | 1,118,883,579 | ||
광고선전비 | - | 783,136,538 | ||
대손상각비 | - | 2,000,839,531 | ||
무형고정자산상각비 | 85,324,725 | 182,952,283 | ||
Ⅴ.영업이익 | 442,033,518 | -5,108,612,547 | ||
Ⅵ.영업외수익 | 42,431,293 | 82,054,399 | ||
이자수익 | 68,031 | 1,690,720 | ||
수입임대료 | 7,500,000 | 9,000,000 | ||
외환차익 | 26,693,372 | 25,797,171 | ||
외화환산이익 | - | 95 | ||
유형자산처분이익 | - | 5,881,072 | ||
잡이익 | 8,169,890 | 39,685,341 | ||
Ⅶ.영업외비용 | 303,518,083 | 1,030,557,902 | ||
이자비용 | 245,687,710 | 266,121,479 | ||
외환차손 | 27,818,127 | 58,050,312 | ||
기부금 | 100,000 | - | ||
외화환산손실 | - | 3,478,832 | ||
기타의대손상각비 | - | 164,371,940 | ||
매도가능증권감액손실 | - | 10,000,000 | ||
만기보유증권감액손실 | - | 15,000,000 | ||
만기보유증권감액손실 | - | 280,982,431 | ||
잡손실 | 29,912,246 | 232,552,908 | ||
Ⅷ.법인세차감전순이익 | 180,946,728 | -6,057,116,050 | ||
Ⅸ.법인세비용(수익) | - | - | ||
Ⅹ.당기순이익 | 180,946,728 | -6,057,116,050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1 기 (2021.01.01 부터 2021.12.31 까지) |
제 10 기 (2020.01.01 부터 2020.12.31 까지) |
(단위 :원 )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 잉여금 |
이 익 잉여금 |
총 계 |
---|---|---|---|---|
2020.1.1 (당기초) | 494,669,000 | 14,412,917,350 | -5,676,353,828 | 9,231,232,522 |
무상증자 | 1,978,676,000 | -1,978,676,000 | -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6,057,116,050 | -6,057,116,050 |
2020.12.31 (당기말) | 2,473,345,000 | 12,434,241,350 | -11,733,469,878 | 3,174,116,472 |
2021.1.1 (당기초) | 2,473,345,000 | 12,434,241,350 | -11,733,469,878 | 3,174,116,472 |
당기순이익(손실) | - | - | 180,946,728 | 180,946,728 |
2021.12.31 (당기말) | 2,473,345,000 | 12,434,241,350 | -11,552,523,150 | 3,355,063,200 |
- 주석
3월 중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예정인 감사보고서제출 공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의료기기 연구개발, 제조 및 판매, 수출입업 | 신규 사업 목적 추가 |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창원 | 64.01.14 | 부 | 여 | 본인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창원 | 부대표이사 | 2016.01~현재 2018.12~현재 2011.08~2015.12 2010.01~2011.08 2008.01~2009.12 2006.01~2007.12 2003.01~2005.12 2000.01~2002.12 1998.06~1999.12 1990.02~1998.06 |
씨엔티드림 CFO 에이씨코스메틱스 사내이사 Golden Bridge Asia CEO Four Dragon Capital CEO 매가아트 부회장 리치파파스 운용역 바이오파트너스 전무이사 KOSPIA 총괄이사 UTC Venture 심사역 국제증권(現 삼성증권) 국제투자자문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창원 | 부 | 부 | 무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정창원 사내이사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경영에 필요한 관련 분야의 충분한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이사회에 참여함으로써 주주권익을 보호하고 회사의 지속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독립적인 지위에서 이사와 경영진의 직무가 적절하고 적법하게 집행되고 있는지 공정하게 감독하며, 이사와 경영진이 투명한 책임경영을 실천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3. 이해관계자의 권익 보호 본 후보자는 윤리의식과 직업의식, 그리고 책임감을 가지고 전체주주와 이해관계자의 권익을 균형있게 대변하며 주주권익 제고 및 기업가치 향상에 기여하겠습니다. 4.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 의무, 보고 의무, 감시 의무, 상호 업무집행 감시 의무, 겸업금지 의무, 자기거래 금지 의무, 기업비밀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입니다. |
확인서
![]() |
확 인 서 (정창원 이사 선임) |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 3 )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000,000,000 |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 ( 3 )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284,722,920 |
최고한도액 | 1,0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 1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 15,600,000 |
(전 기)
감사의 수 | 1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 15,600,000 |
최고한도액 | 15,600,000 |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2022년 03월 31일 |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상기 제출(예정)일까지 DART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과 당사 홈페이지(http://www.cntdream.com, 홈페이지 → IR/PR→ I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 한편 이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관련 안내사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