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2022년 1월 25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 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2년 1월 12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일시 정정 이사회 2022년 01월 27일(목요일) 오전 09시 00분 2022년 02월 09일(수요일) 오전 09시 00분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제 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2조 : 목적

 제 32조 : 이사의 수

 부칙


제 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정준유 선임의 건

제 2-2호 의안 : 사내이사 배준호 선임의 건

제 2-3호 의안 : 사내이사 위대성 선임의 건

제 2-4호 의안 : 사내이사 심재호 선임의 건

제 2-5호 의안 : 사내이사 윤명식 선임의 건


제 3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최종원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김명규 선임의 건

제 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2조 : 목적

 부칙


제 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백산 선임의 건

제 2-2호 의안 : 사내이사 안현석 선임의 건

제 2-3호 의안 : 사내이사 유승하 선임의 건

제 2-4호 의안 : 사내이사 정동규 선임의 건

제 2-5호 의안 : 사내이사 원용태 선임의 건


제 3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최종원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최경석 선임의 건



주주총회소집공고


 2022년 1월 12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휴센텍(구. 주식회사 이디티)
대 표 이 사 : 강시철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학의로 268, 410호(관양동)

(전   화)070-7844-9315

(홈페이지)http://www.hucentech.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사 장 (성  명)최 윤 근

(전  화)070-7826-051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0기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2조 및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제 10 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의결권이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 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 22조에 의거 금융감독원 전자문서(http://dart.fss.or.kr/) 및 당사 홈페이지(http://www.hucentech.com) 공고로 소집통지를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주주총회 일시 : 2022년 02월 09(수요일) 오전 09시 00분


2. 주주총회 장소 : 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동산로 81 호텔스퀘어 2층 그랜드볼륨


3. 회의 목적 사항

부의안건 :

제 1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2조 : 목적

 부칙


제 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 2-1호 의안 : 사내이사 김백산 선임의 건

제 2-2호 의안 : 사내이사 안현석 선임의 건

제 2-3호 의안 : 사내이사 유승하 선임의 건

제 2-4호 의안 : 사내이사 정동규 선임의 건

제 2-5호 의안 : 사내이사 원용태 선임의 건


제 3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외이사 최종원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최경석 선임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 사항 등 기재, 서명 또는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주주의 신분증사본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상철
(출석률: 100%)
최병로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회차 22.01.07. -. 전환사채 세부내역 변경의 건 찬성 찬성
2회차 22.01.07. -. [긴급안건] 경영지배인 선임의 건 찬성 찬성
3회차 22.01.12. -. 임시주주총회 안건 변경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2,000 100 50 -

-.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은 2021년 기준 입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① 방위산업의 정의
방위산업은 국가 방위를 위하여 군사적으로 소요되는 물자의 생산과 개발에 기여하는 산업으로 넓은 뜻으로는 무기,탄약 등 직접적인 전투 기구 뿐만 아니라 피복,군량 등 비전투용 일반 방산물자까지도 포함합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국방력 형성에 중요한 요소가 되는 총,포,탄약,함정,항공기,전자기기,미사일 등 무기장비의 생산과 개발을 담당하는 산업의 총칭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제2차 세계대전 전까지는 군수산업(軍需産業)으로 해석되었으나 전쟁 개념이 방위전 개념으로 발전하면서 방위산업이라는 용어를 널리 사용하고 있습니다.


② 방위산업의 특징
방위산업은 국가적으로 가장 중요한 전략산업이면서도 안보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국방의 중추적 산업입니다. 최근 들어 대부분의 무기들이 첨단화,시스템화 되면서산업간의 융복합화가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고, 기술 및 제품 개발을 위한 투자규모 역시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첨단기술이 결집되고 대규모 자본이 투하되며, 고학력의 지식집약적 인력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수요자가 정부이기 때문에 그 어느 산업분야보다도 정부 투자와 정책에 의해 산업발전의 속도와 경쟁력이 결정되는 대표적인 정부주도형 산업입니다.

③ 구성 요소
국내 무기체계와 관련된 직접적 구성 요소는 방산업체, 국방과학연구소, 방위사업청,각 군 등이 있습니다. 이들은 아래 그림과 같이 군이 소요 요청한 무기체계를 획득하는데 있어 유기적인 관계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산업체의 역할은 방위사업청과의 계약을 통하여 무기체계를 생산/납품하는 역할 및 연구개발의 주관업체로서 무기체계를 개발하거나, 국방과학연구소 주관 연구개발시 시제품 제작업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방위사업청은 각 군에서 요구하는 무기체계 조달을 위해 연구개발과 양산에 대한 행정업무를 담당하고 있으며, 국방과학연구소는 각군에서 소요되는 무기체계의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④ 방산물자/방산업체

방위산업에 소요되는 물자는 타 분야의 물자에 비해 성능의 고도화가 특히 중요하여,광범위한 분야의 기술개발을 요하게 되어 지상, 지하, 항공우주, 수중, 온도, 습도, 충격 등 복잡한 환경하에서도 파손, 변질되지 않고 규격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신뢰도, 가용도 및 정비상태 또한 매우 높은 수준이 요구됩니다.

이러한 방산물자들을 정부에서는 군 전용품의 품질보증 및 안정적인 조달원 확보를 위하여 방산물자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총포, 화력, 유도무기, 항공기, 함정, 전차/장갑차, 탄약, 통신 및 전자장비 등의 물자를 주요 방산물자로 그 외의 방산물자를 일반 방산물자로 구분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방산물자 지정 현황]
                                                                                     (단위표시 - 품목수(개))

구분 완제품 부품
화력 40 95 135
탄약 114 110 224
기동 42 82 124
항공 19 124 143
유도 39 426 465
함정 46 102 148
통신전자 76 66 142
광학 31 8 39
화생방 21 13 34
방호 7 10 17
지휘통제 7 0 7
기타 13 2 15
455 1,038 1,493

자료 : 한국방위산업진흥회(2021년 9월 30일 기준)

열거된 주요 방산물자는 대부분 복합, 정밀기술의 적용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그리고그 방산물자를 생산하는 업체를 방산업체라고 정의합니다. 방산업체는 주요 방산물자 및 방위사업청장 지정물자를 생산하는 주요 방산업체와 그 외의 품목을 생산하는 일반 방산업체로 구분됩니다.

분야 주요방산업체 일반방산업체
화력(9) 한화디펜스,두원중공업,SG솔루션,현대위아,에스엔티모티브,다산기공 ,S&T중공업,씨앤지(8) 진영정기(1)
탄약(10) 삼양화학공업,삼양정밀화학,세아항공방산소재,풍산,풍산FNS,한일단조공업,한화 ,코리아디펜스인더스트리(8) 고려화공,동양정공 (2)
기동(14) 기아자동차,두산인프라코어,두산중공업,삼정터빈,삼주기업,평화산업,현대트랜시스,현대로템,LS엠트론,STX엔진,시공사,모트롤(12) 광림,신정개발특장차(2)
항공유도(16) 다윈프릭션,대한항공,쎄트렉아이,퍼스텍,캐스,한국항공우주산업,한국화이바,한화에어로스페이스,LIG넥스원,덕산넵코어스,데크카본(11) 단암시스템즈,코오롱데크컴퍼지트,성진테크윈,유아이헬리콥터,화인정밀(5)
함정(8) 강남,대우조선해양,삼강엠앤티,한국특수전지,한진중공업,현대중공업,효성중공업(7) 스페코(1)
통신전자(16) 지티앤비,비츠로밀텍,한화시스템,연합정밀,이오시스템,대영에스텍,휴니드테크놀러지스,현대제이콤,빅텍,우리별 (10) 삼영이엔씨,아이쓰리시스템,인소팩,이화전기공업,미래엠텍,티에스택 (6)
화생방(3) 한컴라이프케어,SG생활안전,HKC(3) (0)
기타(10) 대양전기공업,동인광학,삼양컴텍,우경광학,유텍,아이펙 (6) 대명,대신금속,은성사(3)
계 (85) 65개 20개

자료 : 한국방위산업진흥회 (2021년 7월 20일 기준)

한국방위산업진흥회 홈페이지를 참고로 할 때 총85개 업체가 방산업체로 지정되어 국내 방위산업의 근간을 형성하고 있으며, 방산물자의 지정은 산업통상자원부장관과의 협의를 거쳐 방위사업청장이 그 권한을 가집니다.


(2) 산업의 성장성
① 글로벌 방위산업 시장의 전망

21세기 이후 방위산업에 대한 환경은 기존의 안보유지를 위한 '소비적 산업'이 아닌 수출산업화와 민군기술활용을 통한 '생산적 산업'으로 변화 되고 있습니다. 향후 글로벌 방위산업은 경제상황과 복지수요 증가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국방예산과 생산은 감소하고 수출 및 M&A는 증가세를 나타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전 세계의 국방비는 감소세 또는 보합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나, 국방비 중 획득 예산은 지속적으로 상승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세계 방산시장 연감에 따르면 2013년~2022년까지의 전 세계 국방 예산을 인건비, 운용유지비, 획득비, 연구개발비 및 기타로 분류하여 전망하였고, 그 중 획득 예산은 2018년 342십억달러에서 2022년 384십억달러로 증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2013년~2022년 전세계 국방예산 전망]

구분

2013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인건비

633 636 649 656 670 699 710 723 738 753

운용유지

506 512 511 510 526 545 552 562 571 579

획득

281 290 304 317 316 342 353 363 375 384

연구개발

105 106 109 113 118 119 120 119 122 125

기타

66 76 66 68 70 72 70 73 75 78

합계

1,591 1,620 1,639 1,664 1,700 1,777 1,805 1,840 1,881 1,919

<자료: 2018 세계 방산시장 연감 (국방기술 품질원)>


② 국내 방위산업 시장의 전망

국방예산은 크게 방위력개선비와 전력운영비로 구분됩니다. 방위력개선비는 감시정찰, 지휘통제/통신, 화력, 함정, 항공기 등의 전력화 예산이며, 전력운영비는 주로 인건비, 급식, 피복, 정보화, 군수지원 및 교육 훈련 등에 소요되는 예산입니다. 방산업체의 매출액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국방예산은 방위력개선비 및 전력운영비 내의 정비예산입니다.


[국방예산 추이]                                                                  
                                                                                                     (단위 : 억원)

회계연도

2019년

2020년 2021년

정부재정

3,317,773 3,565,686 3,808,509

국방비

총액

466,971 501,527 528,401

전력운영비

313,237 334,723 358,437

방위력개선비

153,733 166,804 169,964

<자료 : e-나라지표>

지난 과거 3년간의 대한민국 국방예산의 추이를 살펴보면 국방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도 국방비 중 전력운영비는 35.8조원(전년대비 7.1%증가), 방위력개선비는 17조원(전년대비 1.9%증가)으로 책정되어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방위산업의 수요는 국가의 안보정책과 국제정세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타 산업과는 달리 경기변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국방부의 향후 전력증강계획을 토대로 연도별 및 단계별 심의를 거쳐 추진되는 계획산업입니다. 합동전략목표기획서(JSOP) 에서 향후 20년간의 전력증강계획을 매년 수립하며, 국방중기계획서에서는 향후 5년간의 대상사업 및 잠정예산을 결정합니다.

이에 따라 방위산업은 향후 사업계획의 대부분이 미리 계획되어 정해져 있으며, 국가를 방위하는데 필요한 무기, 장비 및 기타 물자를 생산하는 산업으로써 군이라는 안정적인 고객이 존재하고 선발업체의 우월적 입지 확보에 따른 제한경쟁이라는 특성이 있습니다. 또한 국방예산과 관련되기 때문에 타 산업 대비 상대적으로 경기변동과 연관이 적어 안정적인 매출을 실현할 수 있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남북한 대치 등 국가안보적 필요에 의해 방위산업의 규모를 경기에 맞춰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없으므로 경기 침체 및 세수 감소에도 전력 유지를 위해 무기체계 소요는 지속 발생하게 됩니다.

(4)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① 시장의 안정성

방위산업은 국가 안보와 직결되는 전략산업이기에 타 민수산업과 비교하여 제품특성과 생산방식, 수요 및 공급 등 다양한 관점에서 상당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방산제품은 고도의 정밀도/신뢰성을 충족하기 위한 특정시설과 첨단 기술이 요구되기 때문에 민수분야에 비해 연구개발에 막대한 예산이 필요하고 개발기간 또한 장기간 소요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일반 민수산업 대비 방위산업의 독특한 특성과 북한의 군사적 위협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나라의 특수한 안보환경이 맞물려 국내 방위산업은 정부 주도 하에 육성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생산에 막대한 투하자본이 소요되고 수요와 공급에 있어서 쌍방 독과점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또한 방산업체는 실발생원가를 중심으로 원가를 보상받는 등 혜택을 부여 받고 있습니다.
② 경쟁상황

ⅰ) 세계 방위산업

세계 방위산업 시장(SIPRI 국제무기거래 기준(2012년 ~ 2016년))에서 미국, 러시아, 중국, 프랑스, 독일이 전체 무기시장의 74%를 점유하고 있는 바,  방위산업은 다른 국가들의 경우 진입장벽이 높음을 실감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또한, 세계 100대 방산업체 중 미국업체가 전체 판매량의 57% 수준을 점유하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와 고도의 기술 및 정밀성이 요구되는 자본ㆍ기술 집약적인 산업으로 장기간에 걸친 연구개발과 양산, 기존의 사업수행 실적 등을 감안할 때 세계 방위산업의 독과점적인 시장구도는 앞으로도 상당기간 유지될 것입니다.
ⅱ) 국내 방위산업

우리나라 방위산업은 정부와 방위산업체간 쌍방독과점적 특성으로 1970년대 방산물자 지정 및 방산원가 제도를 중심으로 현재까지 큰 변화없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 이에 따라 40여년간 내수 위주의 독과점적 시장구조가 정착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의 민수산업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제품 기획, 개발, 생산, 판매되지만, 방위산업은 수요자가 정부로 사실상 유일하며 공급자 또한 한정되어 있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정부는 1984년 방위산업의 특수성을 고려해 전문성 있는 업체를 선정해 그 업체만 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하도록 하였으며, 완성장비 기준의 전문화 및 부품기준의 계열화 업체를 지정하고 수의계약 형태로 조달함에 따라 국내방위산업은 품목별로 독과점적인 시장구도를 형성하였습니다.

2008년말 정부는 방위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모든 국내업체가 국방연구개발사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그동안 유지되어 왔던 전문화,계열화 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능력 있는 업체들이 제한 없이 국방분야 연구개발 사업에 참여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5)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주변국의 군사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자립적인 국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그에상응하는 무기체계 획득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자국이 스스로 주변국의 위협에 상응하는 무기체계 획득이 불가능할 시 방위산업 선진국의 주도하에 필요한 무기체계를 획득하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세계 방위산업의 중요한 경쟁요인은 기술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세계 방위산업 시장의 판도를 보더라도 미국을 기준으로 선진권 이하의 국가들이 방산기술의 축적을 통해 상대적 격차를 좁히는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기술력 외의 경쟁요인은 가격으로써 획득 예정인 무기체계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무기체계가 다수 존재한다면 경제성 논리에 의하여 구매가 이루어 집니다.

국내 방위산업 시장의 주요 경쟁요인은 기술과 가격이며, 국내 방산업체들도 타 산업분야의 민수기업들과 마찬가지로 원가절감 노력과 기술개발 등을 통해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완성장비 기준의 전문화 및 부품기준의 계열화 업체를 지정하여 독과점적인 시장구도를 유지해 왔습니다. 이러한 보호,육성 위주의 정책구도 아래 국내 방위산업 분야는 다른 산업분야가 개방화 자율화를 거치며 보호,육성책이 폐지되어 무한 경쟁구도가 형성된 것에 비해 국가의 보호를 받으면서 특혜를 입는 산업이라는 인식이 있었으며 방위산업에도 시장경제 논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어 2008년 말 전문화,계열화 제도가 폐지되었습니다.

전문화,계열화 제도가 폐지되고 복수업체 연구개발 제도가 신설되며, 방산물자 복수업체 지정 등 우리나라 방위산업의 정책과 제도는 지속적으로 경쟁을 확대, 강화하는방향으로 진행이 되고 있으며 현재 방위산업은 자유 경쟁시장으로 진입하게 되었습니다.

경쟁시장으로 진입하면서 국내 방산업체들간의 경쟁은 연구개발 사업의 수주분야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위산업은 중복투자, 전력화 일정 단축, 개발 Know-how 등의 요인으로 개발사업을 수행한 업체가 양산사업까지 수행하면서 각 군에 무기체계를 공급하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군에 최종 납품하는 양산물량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 사업의 수주가 선행 되어야 합니다.

연구개발사업의 업체선정은 각 방산업체들의 제안서를 평가하여 수행업체를 선정하게 됩니다. 제안서 평가시 일정비율로 기술점수 및 가격점수의 가중치를 두어 기술측면과 가격측면을 동시에 평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방산업체들은 전문화,계열화 제도 아래 영위하였던 전문 분야 뿐만 아니라 사업영역 확장을 위하여 타 분야의 진입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의 주요 제품은 크게 1)군용, 2)민수용으로 크게 2가지로 분류되며, 군용제품은 사용 목적에 따라 1) 유도무기, 2)항공전자, 3) 과학화 훈련체계, 4)전술통신체계, 5)기타제품으로 다시 5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1) 군용제품

① 유도무기: 유도무기란 발사된 후 내부 장치 또는 외부 장치로부터의 유도 지령에 의하여 경로나 속도를 수정하여 목표물에 도달하는 무기로 정의됩니다. 비유도 무기의 경우, 목표 하나를 파괴하는데 수백에서 수천 발이 필요했지만 유도무기의 경우, 단 몇 발 만으로도 목표물을 정교하게 파괴할 수 있습니다.


a) 다연장 로켓용 유도제어컴퓨터

당사는 한국 육군의 유도무기 중 다연장로켓(MLRS: Multiple Launch Rocket System) 종류인 다연장로켓의 중요 부품인 GCU를 개발, 생산하고 있습니다. GCU는 지대지 로켓에 탑재되며 관성센서와 GPS로부터 각각의 데이터를 수신하여 미사일의 속도 및 방향을 계산하여 목표물을 타격하기 위한 미사일 날개 제어 정보 및 제어 데이터를 조정하여 미사일 목표물을 정밀타격 가능케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② 항공전자: 항공전자란, 항공과 전자의 합성어로 항공기에 탑재되는 전자장비를 칭합니다. 항공전자시스템은 항공기에 탑재된 전자장비들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처리하고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항공기가 운영되는 상태를 항공기 조종사에게 그 데이터를 시현하고 제어하는 기능을 가지는 시스템으로 정의되며, 항공기에 탑재되는 항공전자시스템은 항공기가 운용되는 특수적인 조건과 전기전자 시스템이 운용되는 환경의 한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이 둘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어, 이 두 개념을 함께 고려하여 정의됩니다.

a) 다기능시현기용 제어보드 및 그래픽 회로카드

다기능시현기는 제트엔진 고등 훈련기와 경 공격기에 장착되어 비행 데이터와 임무 수행 상태를 보여줄 뿐만 아니라 제트 경 공격기로서의 무기선택과 그 제어를 다양하게 해주는 다기능 시현기입니다. 현재 군에서는 고등훈련기의 전방과 후방 좌석에 장착되어 항공통신을 통하여 각종 비행 데이터 및 임무 수행 영상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또한, 조종사가 원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선택하는 기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항공 시스템의 통신 오류 및 기타 오류 발생시 IMDC(Integrated Mission/Display Computer)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체계업체인 한화시스템(주)의 국산화에 참여하여 다기능시현기의 부품인 제어보드 및 그래픽 회로카드 조립 체 2종을 2012년부터 납품하고 있습니다.

b) 초등훈련기용 항공 정보 계기용 디지털 전시기 회로카드조립체

초등훈련기의 전투기 조종실에는 비행 중 조종사가 필요로 하는 레이더, 전자광학장비 등의 영상 정보는 물론 비행정보, 내부 시스템, 엔진, 항법 등의 다양한 정보들을 기호, 그래프 및 숫자로 변환하여 전시하기 위한 다양한 크기의 디지털 전시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중 전자식 계기 중 엔진 계기용 디지털 전시기는 엔진 작동 상태를 지시하면서 엔진 회전계, 연료 압력계, 윤활 압력계, 실린더(Cylinder) 온도계, 연료 유량계, 저압 압축기 회전계(N1), 배기가스 온도계, 고압 압축기 회전계(N2) 등의 정보를 시현하며, 항공 정보 계기용 디지털전시기는 항공기의 여러 가지 비행 상태 즉, 고도, 속도, 자세 등을 영상으로 보여주는 디지털 전시기로 자세계, 고도계, 속도계, 승강계 등의 정보를 시현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당사가 체계업체인 한화시스템(주)에 납품하는 부품은 제어용 회로카드조립체이며, 2010년부터 초기개발에 공동으로 참여하여 현재 양산하고 있습니다.

c) 무인기 항법 제어 컴퓨터

무인기는 조종사 없이 원격 조종에 의해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을 따르거나 비행체 스스로 주위 환경을 인식하는 비행로봇입니다. 당사는 (주)한화를 통하여 무인기의 핵심 모듈인 항법제어용 컴퓨터의 제어보드 등 회로카드 조립체 5종을 납품하고 있습니다.

③ 과학화 훈련체계: 컴퓨터 기술의 발전으로 군대는 과거에는 상상할 수 없었던 시뮬레이션 훈련을 할 수 있게 되었고 이러한 과학화 훈련체계는 현재 빠르게 성장하는 방위산업 분야입니다. 당사는 군 과학화 훈련(시뮬레이션 훈련)중 실제 운용장비를 실제 환경에서 운용하면서, 가상의 타격효과를 표현하는 실 기동 시뮬레이션(Live Simulation) 사업 분야에 진출하였습니다.

④ 전술통신체계: 군 전술통신체계란 군의 실시간 지휘 통제를 제공하는 통신체계를 뜻하며, 통상 유선, 무선 음성 및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장비 및 시스템을 뜻합니다. 현대전에서는 통신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높아 짐에 따라 다양한 대용량 데이터를 유/무선, 원거리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a) 전술통신체계 연동장치용 회로카드 조립체

당사는 전술통신체계 연동장치의 회로카드조립체인 주 제어반 등 총 5종의 회로카드조립체와 배선장치 2종을 양산하고 있습니다.

⑤ 기타제품:

a) 열상 카메라용 주 제어보드 등 다품종

열상카메라의 부품이 되는 주 제어보드, 근접센서보드 등 이와 관련한 전자보드 11종을 주관업체인 이오시스템(주)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사업부문

사업명

생산개시일

품목

유도무기

지대지미사일A

2014.03

- 항법보드 등 4종
- 배선조립체 등 3종

다연장로켓

2014.03

- 유도조종컴퓨터, FCU

기타

-

-

항공전자

초등훈련기용 전자식계기

2012.05

- 중대급 통제기 등 14종

고등훈련기용 다기능시현기

2012.03

- 제어보드 등 보드 2종

무인기

2015.10

- 제어보드 등 보드 7종

기타

-

-

과학화

훈련체계

과학화훈련체계 등

2014.01

- 중대급 통제기 등 14종

전술통신체계

전술통신체계 연동장치 등

2015.12

- 주 제어반 등 보드 7종

방산기타

열상카메라

2016.11

- 근접센서 등 보드 11종

기타

-

-

민수

산업자동화

-

-


(2) 시장점유율
시장점유율은 군 보안관계상 기재를 생략합니다.


(3) 시장의 특성

정부는 1995년부터 2008년까지 방위산업 관련업체의 기술개발을 촉진하고, 관련 업체간 과도한 경쟁을 예방하고 방위산업의 육성, 발전을 위하여 방위산업의 전문화 및계열화 규정을 시행하였습니다. 이 규정은 사실상 국가 안보산업에 대한 독과점적인 시장지위를 보장하는 규정으로 2009년 폐지 되었지만 현재까지도 방위산업에는 높은 진입장벽이 존재합니다.

정부는 현재에도 방위산업 물자 국산화 의지, 방위산업의 중복투자 방지를 위하여 사업조정제도2, 위 전문화 및 계열화 규정 폐지에 대한 보완책 마련으로 방산물자 및 방산기업 지정제도3을 유지하고 있어 방위 산업 각 분야의 진입장벽은 여전히 높습니다. 나아가, 방위산업 특유의 보안 문제가 얽혀있고 방위사업청의 제품 개발부터 양산까지 통산적으로 10년이 걸리는 점을 비추어 보았을 때 방위사업청의 체계업체 또는 부품 개발 업체 변경은 제품이나 기술력에 큰 문제점이 발견되지 않는 한 쉽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방위사업청의 수주를 받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설비투자 및 고도의 복합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필요하나, 수주를 받기 전에 이러한 설비와 기술을 갖추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할 때가 많습니다.

나아가, 방위산업은 수요독점적인 성격과 쌍방독점적인 성격이 혼재되어 있는 시장특성을 갖고 있습니다. 방위산업의 대부분의 품목에서 정부 또는 군이 유일한 수요자의 위치에서 ‘소수의 방산업체’가 공급자가 되는 수요독점의 시장이 형성 되고, 일부 방위산업 품목에서는 공급자가 제한되기 때문에 쌍방 독점형태의 시장이 형성됩니다. 따라서 방위산업은 다수의 공급자와 다수의 수요자가 존재하는 민수시장처럼 완전 경쟁시장이 형성될 수는 없으며 완전 경쟁시장의 원리를 적용하기 어려워 수요자 위주의 일방적인 시장구조에서 벗어 날 수 없습니다.

이러한 독점적이고 전문적인 특성은 방위산업이 타 산업 대비 높은 진입장벽을 보유하게 만든 대신에 안정적인 사업으로 평가 받는데 일조하였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의 신규사업 내용 및 전망은 군 보안관계상 기재를 생략합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캡처

캡처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 (목적)

회사는 다음의 사업을 영위함을 목적으로 한다.


1~37 사업목적 동일

제2조 (목적)
(사업목적추가)

38. 컴퓨터 및 주변장치, 소프트웨어 도매업

39. 컴퓨터 프로그래밍, 시스템 통합 및 관리, 유지보수업

40. 시스템관리용역업

41. 컴퓨터 시스템 통합 자문 및 구축 서비스

향후 영위 가능한 사업목적 추가

부칙

제1조 (최초의 영업연도)

당 회사의 최초의 영업연도는 회사설립일로부터 동년 12월 31일까지로 한다.

 

제2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7년 7월 24일부터 시행한다.

 

제3조 (시행일)

이 정관은 유니맥스정보시스템 주식회사와의 합병등기일로부터 그 효력이 발생한다.

제4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8년 3월 29일부터 시행한다.

 

제5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3월 26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 8조의2, 제 14조, 제 16조 및 제 19조의 개정 규정은 [주식, 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령이 시행되는 날로부터 시행한다.

 

제6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6월 11일부터 시행한다.

 

제7조(시행일)

이 정관은 2019년 8월 9일부터 시행한다.

 

제8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0년 3월 30일부터 시행한다.

 

제9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1년 05월 20일부터 시행한다.

 

제10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1년 07월 22일부터 시행한다.

제11조 (시행일)

이 정관은 2022년 02월 09일부터 시행한다.

정관 개정에 따른 시행일 변경


※ 기타 참고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백산 1973.01.02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안현석 1971.10.02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유승하 1957.05.26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정동규 1961.07.11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원용태 1970.04.20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최종원 1966.10.10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최경석 1963.07.28 사외이사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7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백산 ㈜피에이치씨 2016.06 ~ 2019.05 전략기획실장 부사장 해당사항 없음
㈜엠케이벤처스 2021.01 ~ 현재 감사
㈜리튬플러스 2021.10 ~ 현재 감사
안현석 승우홀딩스 2000 ~ 현재 대표이사 해당사항 없음
청담F&B 2000 ~ 현재 이사
유승하 현대엔지니어링 2001.02 ~ 2014.12 현재엔지니어링 주택영업실장 해당사항 없음
현대건설 2015.01 ~ 2017.12 주택사업부장
광주도시관리공사 2018.11 ~ 2021.11 광주도시관리공사 사장
정동규 한국항공대학 1999.03 ~ 2006.02 기계항공공학부 겸임교수 해당사항 없음
조선대학교 2004.09 ~ 2009.07 항공우주공학부 초빙교수
부경대학 2019.03 ~ 2020.12 화학공학과 연구교수
원용태 앵케인베스트먼드㈜ 2020.09 ~ 현재 대표이사 해당사항 없음
제우스2호조합 2022.01 ~ 현재 조합장 및 최대주주
최종원 춘천지방검찰청 2015.12 ~ 2017. 7

검사장으로 수사 청 운영업무 총괄

해당사항 없음

서울남부지방 검찰청

2017.08 ~ 2018.06

검사장으로 수사 청 운영업무 총괄

법무법인유한 중부로

2018.08 ~ 현재

대표변호사로 송무 자문업무 총괄

최경석 장흥군의회 2006.07 ~ 2010.01 장흥군의회 군의원 해당사항 없음
전라남도의회 2010.07 ~ 2014.01 전라남도의회 도의원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백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안현석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유승하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정동규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원용태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최종원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최경석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최종원 사외이사 후보자는 법무법인(유한) 중부로의 대표변호사로 자문 업무, 송무업무 등 법률사무를 총괄하였고, 검사로 24년간 재직한 경험과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로 회사 경영 일반 및 준법 경영에 관하여 사외이사 직무를 수행할 예정임.
회사의 최대주주 또는 사내 경영진과는 독립적인 지위에서 업무를 수행할 예정임.

최경석 사외이사 후보자는 지식과 능력을 기반으로 이사로서의 책무를 다하며 특히 선관주의의무 및 충실의무를 다하고자 합니다. 또한 경영진에 대한 경영감시자로서의 역할에 더불어 경영자에게 경영에 대한 재량권을 최대한 부여하되 권한이 남용되지 않고 주주에 대한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업무감독을 통하여 사외이사 본연의 역할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고자 합니다,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김백산
 * 타사의 부사장 및 감사를 역임하여 조직에 대한 높은 이해도와 리더십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됨.

-. 안현석
 * 타사 대표이사로써 뛰어난 의사결정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적임자로 판단됨.

-. 유승하
 * 이사로써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이 충분하며, 사업에 대한 풍부한 업무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적임자로 판단됨.

-. 정동규
 * 사업에 대한 풍부한 업무지식을 보유하고 있으며, 효과적인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됨.

-. 원용태
 * 이사로써 갖추어야 할 자질과 역량이 충분하며, 신규사업에 대한 풍부한 업무지식을 보유하고 있어 적임자로 판단됨.

-. 최종원
* 법무법인 및 검사장으로 활동한 경험과 전문성을 살려 주주 전체 및 회사의 이익을 위하여 회사로 하여금 적법하고 윤리적이며 원칙을 준하는 경영활동을 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됨.

-. 최경석
 * 사외이사로서의 자질과 능력을 갖추고 있으며, 주주 및회사를 위해 윤리적으로 준하는 경영활동을 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됨


확인서

이미지: 김백산_확인서

김백산_확인서

이미지: 안현석_확인서

안현석_확인서

이미지: 원용태_확인서

원용태_확인서

이미지: 유승하_확인서

유승하_확인서

이미지: 정동규_확인서

정동규_확인서

이미지: 최경석_확인서

최경석_확인서

이미지: 최종원_확인서

최종원_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해당사항 없습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 협조안내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 개최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  주주총회 개최 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확산에 따라 불가피한 장소 변경이나 일자 변경 등이 발생하는 경우, 재공시하여 안내드릴 예정입니다.

◆ 상기 내용은 주주총회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