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자 설 명 서
2022년 01월 24일 |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
한화솔루션(주) 제279-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공모사채(녹색채권) 한화솔루션(주) 제279-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공모사채 |
|
제279-1회 금 이천칠백오십억원(\275,000,000,000) 제279-2회 금 일천오십억원(\105,000,000,000) |
|
1.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일 : |
2022년 01월 22일 |
2. 모집가액 : |
제279-1회 금 이천칠백오십억원(\275,000,000,000) 제279-2회 금 일천오십억원(\105,000,000,000) |
3. 청약기간 : |
2022년 01월 24일 |
4. 납입기일 : |
2022년 01월 24일 |
5.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의 열람장소 |
|
가. 증권신고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나. 일괄신고 추가서류 : |
해당사항 없음 |
다. 투자설명서 :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
서면문서 : 한화솔루션(주) :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86 NH투자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한국투자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KB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한화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56 대신증권(주) - 서울특별시 중구 삼일대로 343 아이비케이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11 DB금융투자(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8길 32 한양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7 신한금융투자(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70 키움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4길 18 미래에셋증권(주) -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5길 26 유진투자증권(주)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4 |
|
6. 안정조작 또는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 |
해당사항 없음 |
이 투자설명서에 대한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이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KB증권(주) |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 |
대표이사확인서_투자설명서 |
【 본 문 】
요약정보
1. 핵심투자위험
하단의 핵심투자위험은 증권신고서 본문에 기재된 투자위험요소 중 중요한 항목만을 투자자의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간단ㆍ명료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자세한 투자위험요소는 "본문-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Ⅲ. 투자위험요소"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구 분 | 내 용 |
사업위험 | [당사는 당사와 종속회사의 주요 사업부문인 원료부문, 가공부문, 유통부문, 태양광부문 및 기타부문의 위험요소를 구분하여 기재하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다음의 위험요소를 충분히 숙지하시어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사업의 구분에 따른 기재에도 불구하고 일부 내용에서는 복합적인 사업의 위험요소가 함께 기재될 수 있습니다.] [국제유가 및 환율변동에 따른 석유화학 업황의 위험] 가. 석유화학산업은 매출원가 중 원재료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산업의 특성상 원재료 가격 및 환율변동에 따라 수익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국제유가가 국제정세 불안 등의 요인으로 상승하거나 환율의 급격한 상승으로 원재료 가격이 상승할 경우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에틸렌 스프레드와 관련한 위험] 나. 석유화학산업은 에틸렌 스프레드에 따라 수익성이 결정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신규 생산시설의 가동 시점과 글로벌 에틸렌 수요의 추이에 따라 공급과잉 및 스프레드 축소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는 석유화학업체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대중국 수출 감소에 따른 위험] 다. 석유화학제품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국의 공급 확대 및 유가의 변동성에 따라 당사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중 무역분쟁이 완화될 경우 미국의 중국향 PE 수출 증가는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석유화학업체에는 위협요소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각국의 설비증설로 인한 경쟁 심화 위험] 라. 중동 및 북미 지역의 에탄크래커(Ethane Cracker)는 국내 석유화학업체의 납사크래커(Naphtha Cracker)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2019년까지 대규모 ECC플랜트 발주가 완료되어, 2025년경까지 대규모 ECC가 완공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북미지역의 석유화학산업의 원가경쟁력이 향상될 경우 국내 석유화학업체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정부정책 및 규제 위험] 마. 석유화학산업은 위험물안전관리법, 환경관련법 등의 법령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 이하 '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 이하 '화관법'에 의한 규제를 받고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에 따른 할당대상업체에 해당합니다. 당사가 환경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적절히 대응을 못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석유화학 업황의 위험] 바. 석유화학 산업은 다양한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초소재산업으로서, 국내외 경기 변동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국내외 경제의 침체가 심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경우에는 당사 매출 및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당사 사업의 높은 경기 민감성과 경제의 하방리스크 요인을 충분히 숙지하시어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계약체결 관련 위험] 사. 당사는 영위 사업의 효율 및 안정성을 위하여 기술 및 영업 관련, 원료 장기 공급 등 다양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제휴관계가 종료되거나 중단될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태양광 산업 관련 위험] 아. 태양광 시장은 미국 및 영국 그리고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지고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2020년 하반기 시장 전망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발생으로 2020년 세계 태양광발전수요는 사상 처음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Big 2(중국 및 미국) 시장의 예상보다 양호한 수요증가로 인해 120GW를 넘어설 전망입니다. 2021년 글로벌 태양광 수요는 코로나19 상황 안정 및 기후변화 이슈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150GW 이상, 2022년에는 200GW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태양광 산업은 과거와 비교해 기존 에너지원 대비 경제성 및 경쟁력이 개선되고 있으며, 파리 기후 협약 등 기후 및 환경에 대한 친환경 에너지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매크로 환경아래, 규모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제조원가 경쟁력 보유 업체, 그리고 조직 운영 효율성 확보여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태양광 산업에 대한 국가별 지원은 정책 변경에 따라 축소될 수 있으며,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단가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화력 발전 단가가 동일해지는 균형점인 Grid Parity 도달까지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필요할 수 있고, 이 같은 요인에 따라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는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폴리실리콘 가격 변동성 확대에 따른 웨이퍼 등 원부자재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국가별 지원 및 파리기후협약 등 정책에 따른 위험] 자. 태양광 산업은 정부차원의 지원과 정책 등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스스로 성장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향후 지원정책이 중단될 경우 태양광 설치 수요 급감으로 이어져 2차 구조조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리 기후협약은 국제법적 구속력이 없어 각 당사국들의 이행결과에 따라 태양광 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외적 무역갈등 이슈에 따른 위험] 차. 당사의 매출은 대외적인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세계교역 신장세 약화, 미국, 인도등의 반덤핑 관세 이슈 등과 같은 대외적 이슈는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각국의 대외무역정책에 따른 당국의 정책대응도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소재산업 관련 전방산업] 카. 당사 가공부문의 소재사업은 자동차, 전자 및 태양광 관련 소재가 주요 제품으로, 관련 전방 산업의 업황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습니다. 따라서 당사 가공부문의 수익성은 관련 전방 산업의 업황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가공부문의 관련 산업의 업황이 부진할 경우, 당사 매출이 줄어들 위험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유통채널 등장에 따른 위험] 타. 최근 다양한 형태의 유통 채널이 등장함에 따라 백화점의 수요층이 일부 이탈하면서 백화점업의 성장에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구매수단의 다양화로 타 유통업체와의 경쟁 강도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백화점 사업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급격한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향후 당사의 영업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종속회사의 상장폐지 및 소송제기에 따른 위험] 파. 당사의 종속회사인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2019년 4월 백화점사업을 강화하고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면세사업 철수를 결정하였습니다. 이어서 2019년 12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상장폐지 목적 공개매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당사 영위사업의 변동은 향후 당사의 매출액과 이익의 규모, 수익성, 향후 사업전망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그 영향의 유불리 및 규모를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향후 백화점 사업부문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부동산 개발업 관련 위험] 하. (주)한화도시개발이 영위하는 부동산 개발사업은 경기변동 및 정부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크며 분양률 및 인근 산업단지 공급여부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 따른 위험] 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코로나19 우려가 아시아 지역을 넘어 글로벌 전 지역으로 퍼지며 팬데믹(Pandemic: 전영볌의 전세계적 확산) 리스크가 글로벌 경제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향후 실제 경기회복 및 주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사전적으로 예측이 불가한 바 경기둔화로 인한 소비와 투자의 위축이 길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규사업 추진 관련 위험] 너. 세계적으로 저탄소 및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 및 사회로 전환하는 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또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등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 기조 및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기존 태양광 사업과 함께 수소사업 신규 진출을 추진 중에 있으며, 최근 강원도, 한국가스기술공사와 '강원도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생산-공급-유통' 밸류체인 구축을 목표로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전해기술 설비 및 사업화를 위한 실증 사업 투자를 진행하고, 수소 저장 및 유통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압탱크 기술 및 고압탱크 생산설비 투자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태양광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생산에 자금을 투입하고, 태양광 발전소 개발/건설 사업에서 설계/조달/시공 통합 패키지 제공 및 건설 후의 운영/유지 사업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현재 추진 중인 수소 사업은 2023년 상용화가 목표이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시장규모 축소, 수익성 하락, 신규 경쟁업체의 유입, 기술 확보 능력 등의 가능성에 따라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 하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당사가 추진 중인 신규 사업과 관련한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국내 수소 생산 사업은 초기 단계로서 아직까지는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그레이 수소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레이 수소 방식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방식이며, 당사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 수소를 위한 수전해기술 설비 및 사업화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수전해기술의 경우는 초창기 단계로 인프라구축, 기술혁신 및 수요확대 단계 전반에 걸쳐 위험요인이 존재합니다. 신기술개발에는 개발 지연 혹은 실패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기술이 개발되더라도 경제성확보에 이르기까지 시일이 소요될 수 있고, 관련 인프라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계획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에서 각종 지원정책, 국가 차원의 로드맵 수립, 규제개선 등의 수소 산업 지원을 시행하고 있으나, 동시에 산업의 초기 단계이기에 정부정책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향후 수소 산업 주요 국가들의 정책의 변동은 당사의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국 정책의 변동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회사위험 | [수익성 변동 관련 위험] 가. 당사와 종속기업은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원료부문, 가공부문, 유통부문, 태양광부문 및 기타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매출액은 7조 7,621억원으로 전년 동기 6조 6,332억원 대비 17.0% 증가하였고 2021년 1분기 연결 누적기준 영업이익은 6,541억원으로 전년 동기 5,288억원 대비 23.7%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 역시 8,014억원으로 전년 동기 4,010억원 대비 4,00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8.4%, 당기순이익률은 10.3%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및 수익성은 절대 규모 및 질적 측면에서 모두 향상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태양광 부문의 매출액의 경우, 2021년 2분기 발전사업 매각관련 매출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유사한 실적을 유지하였으나 태양광 원부자재(웨이퍼, EVA Sheet, 유리 등) 가격 강세와 해상 운임비 급등으로 영업손익의 경우, 적자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통부문의 경우,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명품 수요의 확대와 프리미엄 전략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6.2%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전환되었습니다. 가공부문역시 자동차산업에 사용되는 경량복합소재 및 완성차 시장 등 전방산업의 경기 호조로 인해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0.0% 가량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 전환되었습니다. 원료부문의 경우, 중국 석탄가격 상승과 미국 허리케인 등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PVC 국제가격이 상승했고, 가성소다 역시 중국업체 전력난의로 국제 가격이 상승하면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54.8%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의 경우 159.1% 증가하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처럼 전체 사업부문의 매출액 신장과 가공 부문과 유통 부문의 흑자전환 및 원료 부문의 큰 폭의 영업이익 시현 등에 기반한 영업이익의 증가로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및 수익성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상황입니다. 당사의 순이익은 한화임팩트(주) 및 여천NCC(주) 등이 영위하는 석유화학산업의 업황에 따른 지분법손익에 따라 변동성이 발생하므로 투자자께서는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이 영위하는 사업 및 업황 변동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당사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 사업부문에서 증감 추세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당사의 매출액에 85%이상을 차지하는 원료부문 및 태양광부문의 실적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글로벌 원부자재 가격 변동성, 글로벌 주요 시장의 수요 침체 등으로 당사의 매출 및 수익성에 예상치 못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이와 같은 수익 성장세의 지속 가능 여부에 대한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며 기타 해외 관계사 등의 영업동향 및 거시경제 요소 등에 대해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재무안정성 저하 및 현금흐름 변동 관련 위험] 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각각 114.02% 및 29.90%로 2020년말 대비 부채비율은 39.63%p., 7.68%p.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3월 1.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대금 납입이 완료되면서 당사의 연결기준 재무안정성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영업활동현금흐름 폭이 개선되어 설비 투자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충당하면서 추가 차입 폭이 감소함에 따라 차입금의존도 역시 개선되었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총 차입금은 5조 3,148억원으로 2020년말 5조 6,886억원 대비 3,738억원 감소하였고, 그 중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은 2조 3,771억원으로 2020년말 2조 9,719억원 대비 5,948억 감소하였습니다. 유동성 차입금의 95.53%에 해당하는 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을 보유한 가운데 만기도래 회사채의 무난한 차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유동성 차입금의 상환 부담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보유 유동성(현금및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조 7,417억원, 기타금융자산 2,538억원) 등은 유동성 경색 시 활용 가능하며, 재무적 완충역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20년 1분기에 발생했던 단기자금시장 경직과 같은 예기치 못한 위기 상황이 발생하여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경우에는 총차입금의 50.2%에 달하는 유동성 차입금의 적기 상환이 어려워지면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잔존하고는 있습니다. 당사는 연결기준 2016~2019년 연평균 1조원 규모의 양호한 영업활동 현금흐름 창출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천NCC(주) 등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등으로부터의 배당금 유입을 통해 투자 관련 자금소요 등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에 기반한 꾸준한 영업현금흐름 창출 능력, 분산되어 있는 투자계획, 유동성자산 보유 현황 및 추가담보여력, 관계기업 투자지분 및 공동기업인 여천NCC(주)로부터의 안정적인 배당 수취 기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사의 급격한 재무구조 악화가능성과 유동성 경색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업황 악화나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의 변동으로 인해 영업현금흐름 창출능력이 저하된다면 차입금 증가 등으로 인해 당사 재무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신인도, 추가적인 담보 여력 및 지분법증권 보유규모 등을 고려할 때 사채의 만기조정 및 차환의 어려움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당사의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재무구조 개선에 관한 사항] 다. 당사는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 중 한화그룹에 속하며, 한화그룹은 2021년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일반기업 기준 대규모 기업집단에서 7위에 해당됩니다. 관련정책 및 공정거래 규제에 따라 일부 기업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우리은행이 주채권은행입니다. 주채권은행의 평가 결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 체결 대상에 해당하지 않았기에 당사는 현재까지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체결한 바 없습니다. 그러나 재무구조개선약정이 체결될 경우, 주채권 은행은 매 반기말 기준으로 약정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약정 미이행 시 시정 요구, 신규여신 중지, 만기 도래 여신 회수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한화그룹의 재무적 탄력성이 악화될 수 있는 바,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유형자산 관련 위험] 라. 당사의 석유화학산업 및 태양광산업 등은 대규모 투하자본이 소요되는 산업 특성상 총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입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유형자산 금액은 6조 5,165억원으로, 총자산 17조 7,778억원의 36.7%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 결과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4,225억원으로,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감가상각비는 현금흐름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매년 대규모의 회계적 고정비용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고정비용에 의한 영업레버리지가 크게 나타나는 바 예기치 못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매출규모가 축소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유형자산은 지속적인 설비 유지보수를 통한 자산가치 유지가 중요하며, 약 2,130억원 규모의 예산을 책정하고 적절한 유지보수(자산화)를 시행할 계획이나 당사의 계획이 실제 적절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자금 사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예산이 부족할 경우, 설비 진부화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는 영업 성과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매 보고기간 말 유형자산의 손상징후를 검토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향후 예기치 못한 업황 악화 등으로,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부문 중 추가적인 유형자산 손상차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할 경우에 대해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영업권 등 무형자산 손상차손 발생 관련 위험] 마. 당사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5,663억원의 무형자산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 중 영업권이3,654억원으로 64.5%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업권은 사업결합시 당사가 지급한 대가의 합계액이 취득한 순자산액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측정되며,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손상검사를 수행하여 필요시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영업권으로 계상된 금액은 평가 시점에서 과거의 실적과 시장 개발에 대한 기대 수준에 근거한 미래 가정치를 기준으로 추정한 금액이므로 당사는 현재 시점에서 최선의 합리적인 추정치로 영업권을 평가하지만, 이러한 추정이 미래의 수익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추정에는 미래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향후 태양광산업 환경의 변화 및 예기치 못한 변수에 의해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손상차손이 발생 시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운전자본 변동 관련 위험] 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운전자본(유동매출채권+재고자산-유동매입채무)은 2조 5,050억원 규모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채권 회수기간은 약 63.5일이며 유동성매출채권은 1조 7,990억원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기간 매출채권및기타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1,791억원으로, 비손상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이 1,618억원으로 90.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손상채권에 대하여는 손상되지 않았으므로 회수될 가능성이 높으나, 예기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회수 가능성이 급격히 저하될 경우 대손으로 처리하는 등 손익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재무상태표 상의 선급금에는 1,168억원의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2012년 이후 장기구매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어 향후 이와 같이 대규모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손실 처리된 선급금의 회수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의 평균재고자산은 1조 7,034억원 수준이며, 연환산 재고자산회전율은 4.78회, 재고자산보유기간은 76.68일 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재고자산의 평가 결과 취득원가의 2.28%에 해당하는 460억원을 평가충당금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전기 대비 평가충당금의 증감과 관련한 손익은 당기 매출원가에 포함되는 바, 제품 등의 시가가 하락하는 경우 평가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매출원가에 반영하므로 손익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감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재고자산 보유 규모가 높아지면 회전율이 낮아지고 평가손실이 증가하여 재고자산 손실의 위험이 이전보다 높아질 수 있고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수관계자 거래 관련 위험] 사. 당사의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자산은 5조 5,842억원으로 별도기준 자산총계 14조 2.018억원의 39.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태양광 관련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의 장부가액이 1조 7,700억원으로 약 32%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태양광 부문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 등을 통해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유럽과 북미, 아시아, 호주, 남미, 아프리카 및 중동의 수 많은 해외 영업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 부문의 현지 판매회사로의 매출 등은 당사의 특수관계자 거래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거래는 1조 4,892억원으로, 동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5조 2,070억원의 28.6%에 이르고 있습니다. 반면 2020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1조 5,712억원으로, 동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4조 2,482억원의 37.0%로,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최근 감소한 상황입니다. 특수관계자와의 매입 거래는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2조 825억원으로, 공동 투자기업인 여천NCC로부터의 원재료 매입 등이 1조 2,080억원으로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고 있으며, 당사 태양광부문의 해외 공장이 있는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로부터의 매입이 4,025억원으로 두번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 채권은 8,171억원이며, 매출채권 6,339억원(77.6%), 대여금 295억원(3.6%) 및 기타채권 1,537억원(18.8%)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출채권 6,339억원 중 Hanwha Q CELLS Co., Ltd. 관련 법인의 매출채권이 5,08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당사는 주력 사업인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태양광 관련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매입 및 매출채권의 규모와 비중이 상당히 높으며, 여천NCC(주)로 부터의 원재료 매입과 관련한 매입의 비중도 높은 상황입니다. 높은 특수관계자 비중은 안정적인 매출처 및 매입처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특수관계자의 업황 또는 경영실적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이 변동될 위험이 있으며, 공정거래법 등 특수관계자 거래를 규제하는 법률 등이 현재보다 대폭 강화될 경우 당사의 매출 규모 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입약정 및 환 관련 위험] 아.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가 금융기관과 약정한 총 차입한도는 약 5조 3,792억원이며,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금융기관차입금은 3조 2,535억원입니다.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는 환위험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358억원의 파생상품자산 및 141억원의 파생상품부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환율 변동에 따라 손익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발채무 및 소송사건 관련 위험] 자.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당사가 원고로서 계류 중인 중요한 소송사건은 8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437억원이며, 피고로서 계류 중인 중요한 소송사건은 13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535억원입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외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등에 대해 1조 7,829억원 상당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부담하고 있는 우발부채 및 채무보증이 현실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재 등으로 인하여 당사 영업활동 시 과징금 또는 벌금 부과 등이 집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불어, 향후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피소되거나 정책당국의 제제를 받을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영업활동이 제약되거나 추가적인 현금유출로 인해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 차. 당사는 2020년 12월 8일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를 통해서,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당사가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또한, (주)한화도시개발의 자회사와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기존 (주)한화도시개발 사업부문 중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당사에 흡수합병하고, 이를 통해 (주)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게 하는 분할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해당 흡수합병이전 (주)한화갤러리아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분할합병할 (주)한화도시개발의 지분 또한 100%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흡수합병 및 분할합병 대상 회사 모두 당사의 100% 종속회사였고,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방식에 의한 합병이므로 해당 합병으로 인한 연결기준 당사 연결실체의 변동은 없습니다. 다만, 투자자께서는 해당 합병으로 인한 연결기준 당사 연결실체의 변동은 없으나, 합병 이후 당사의 향후 실적, 영업환경 변화 및 재무안정성 지표의 변동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한화그룹의 니콜라 투자 관련 위험] 카. 한화그룹은 2018년 11월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가 총 1억 달러를 미국회사 니콜라(Nikola Corporation)에 투자하였고, 투자 당시 그룹 차원에서는 약 6% 지분을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2021년 3분기 기준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한화종합화학의 지분 47.93%를 보유하고 있고 한화임팩트를 관계기업 투자자산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투자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니콜라는 2015년 설립되었으며 미국 아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친환경 전기, 수소 트럭 제조 및 설계 업체입니다. 한화그룹은 니콜라 투자로 수소 충전소에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하고, 수소 충전소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미국 수소 생태계 시장에 진출할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고, 니콜라에 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2020년 9월 10일 힌덴버그 리서치에서 니콜라의 수소 기술은 허구라는 주장의 보고서가 나온 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법무부가 조사에 착수한 바 있으며, 여론 악화에 의해 창업자인 트레버 밀턴이 사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20억 달러 상당의 니콜라 지분 11%를 취득하는 대신, 기술을 니콜라에 공급하기로 예정했던 GM이 지분 인수 계획을 철회하기도 했습니다. 당사는 영업환경 및 주가 등 종합적인 차원에서 니콜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1년 6월 한화그룹은 그룹차원에서 보유한 니콜라 주식 2,213만주 중에 290만주 가량을 매도함에 따라 보유 지분율 역시 약 4.86% 수준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처럼 니콜라에 대한 한화그룹의 보유지분율이 하락한 점, 니콜라 지분 인수 당시 매입가가 주당 4.5달러 수준으로 신고서 제출일 전일 9.93달러 대비 저렴한 점, 당사의 자회사인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의 니콜라 지분의 투자 원가는 약 5,000만 달러로 대략 원화 600억원 수준인 점, 당사의 한화종합화학에 대한 지분율 47.93%를 고려시 당사 관련 투자 원가는 290억원 수준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해당 투자가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고 당사 역시 니콜라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당사가 포함되어 있는 한화그룹의 니콜라에 대한 투자 진행 상황의 변동에 대하여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태양광사업 M&A 및 수직계열화 관련 위험] 타. 당사는 태양광 사업부문의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지배구조 단순화 및 경영 효율성 증가 등을 위한 활발한 재편작업을 통해 태양광사업 수직계열화를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당사는 2015년 당사의 100% 자회사 한화솔라홀딩스의 자회사인 한화솔라원과 미국 나스닥 상장법인 한화큐셀을 통합하였으며, 이후 2018년 통합된 한화큐셀을 또다시 한화솔라홀딩스와 합병한 뒤 한화큐셀을 나스닥에서 상장폐지하는 작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11월 1일을 합병기일로 당사의 100% 자회사인 한화첨단소재를 한화큐셀코리아와 합병하여 통합법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탄생시켰습니다. 이후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인적분할하여 분할신설법인을 한화케미칼이 흡수합병 함으로써, 한화솔루션(주)가 출범하였고 태양광사업 수직계열화가 구축되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부터 2019년 폴리실리콘의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해 폴리실리콘 가격이 급락하면서 당사의 폴리실리콘 사업 관련한 실적이 악화되었고 당사 태양광부문은 2020년 2월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태양광사업의 미드스트림인 셀, 모듈 그리고 다운스트림인 발전사업을 위주로 태양광부문 관련 사업을 재편한 상황입니다. 다만, 당사의 경우, 2021년 11월 노르웨이의 REC Silicon ASA의 16.67% 지분취득(2022년 1월 19일 예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의 직접 생산방식이 아닌 태양광 산업의 원료부문의 포트폴리오를 일정부문 추가하는 방식으로 태양광부문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10월, 발전사업인 다운스트림 강화와 글로벌 개발사업확대 차원에서 RES프랑스 지분 100%를 인수하였고 유럽 지역 사업에 대한 사업 관리 효율성 제고 목적으로 2022년 1월 24일 당사의 100%자회사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에 RES프랑스 지분 100%를 현물출자하여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인수할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가 2020년 태양광 산업의 밸류체인 중 일부인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한 것처럼 원자재 가격 변동이나, 수급 환경의 불안정성 등 예상치 못한 변수 등으로 인해 당사 태양광부문 사업환경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당사가 진행한 사업구조 재편 효과 및 수직계열화의 시너지 효과가 미비하거나 업황 부진 발생 시 계열회사 전반의 재무구조가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경영효율성과 시너지증대를 위한 M&A추진 및 지분투자 관련 위험] 파. 당사는 주력사업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차원에서 M&A 추진 및 지분 투자에 관한여 타당성을 내부적으로 검토해오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한화화인케미칼(구, KPX화인케미칼)주식회사 지분인수 및 흡수합병, 드림파마 지분매각, 한화종합화학(주)((구)삼성종합화학) 지분인수, 한화엘앤씨 지분 90% 매각 및 울산 CA공장 매각 등 그룹 내 경영효율성과 시너지증대를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0년 1월 1일부로 과거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더불어, 전자소재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추가성장동력 확보 목적으로 2021년 8월 (주)더블유오에스 100% 지분 인수를 완료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린에너지 부문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2021년 10월 RES프랑스 100% 지분 인수를 완료한 후 신재생에너지 사업 재편 목적으로 RES프랑스 지분 100%를 당사 100% 자회사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에 현물출자하여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2022년 1월 24일 취득할 예정에 있습니다. 해당 사항 외에 美 뉴에이치밋츠 투자, 美 랜시움테크놀로지 투자, REC실리콘 투자, 삼성전기(주) 통신모듈 일부사업 인수(예정) 등이 실행되었습니다. 이러한 M&A추진 및 지분투자등의 기대효과가 예상에 미치지 못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한화의 당사 소유 지분변동 가능성] 하. (주)한화의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한화건설은 2014년 06월 상환전환우선주(RCPS) 1,913,800주(4,000억원) 및 2016년 4월 701,800주 (약 2,000억원)을 발행하였습니다.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한화는 2014년 반기 중 (주)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발행과 관련하여 우선주의 투자자인 레콘(주)와 주주 간 계약을 2014년 6월 25일에 체결하였고, 2014년 10월 8일에 본 계약의 담보로 당사(舊 한화케미칼(주))의 주식 24,131,776주를 제공하였습니다. 이후 만기를 연장하면서, 담보로 제공된 당사의 주식은 10,900,832주로 줄어들긴 했으나, 이에 따라 만약 당사 최대 주주인 (주)한화가 정산일에 한화건설(주)의 상환전환우선주 투자자 레콘(주)에게 정산금액 지급이행을 하지 않을 경우, 미지급금액에 따라 당사의 주식 최대 10,900,832주를 양도했어야 하고 이에 따른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이 변동될 위험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 6월 26일 기존 계약의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계약의 만기를 2023년 6월 26일로 연장하면서 계약 조건을 일부 변경하였고, 그 결과 당사의 주식 10,900,832주는 더이상 담보로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되어 지분율 변동에 대한 위험은 제거되었습니다. 상기 계약에 따른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 변동에 대한 위험은 제거되었으나, 향후에도 다양한 계약 및 거래 구조를 통해 당사의 주식이 담보로 설정될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한화그룹의 비금융계열의 주력계열사로서 계열의 높은 경영통제, 계열 순환출자구조상의 핵심역할 등 높은 수준의 지배적 긴밀성을 갖고 있으며, 석유화학, 태양광 사업에서의 위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당사의 주식에 대한 근질권 설정이 발생하더라도 당사 주식 매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향후 이러한 거래를 통한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 변동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는바,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유가증권불성실공시법인지정 예고 관련 위험] 거. 당사는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정정사실이 발생(2019년 3월 15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연공시(2021년 12월 31일)하였습니다.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3조에 따라 당사는 2022년 1월 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유가증권시장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받았으며, 당사는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4조에 의거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고('22.01.13限) 이의를 신청한 상황입니다. 향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여부, 부과벌점 및 공시위반제재금의 부과 여부가 결정됩니다. (다만, ①이의신청이 없고, ②위반의 동기가 고의·중과실이 아니고, ③위반의 중요성이 중대한 위반이 아니며, ④과거 1년간 공시의무 위반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음) 당사는 추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여부 등 그 구체적인 결과가 확정되는 대로 재공시할예정입니다. 한편, 당사에게 부과된 부과벌점이 10점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지정일 당일 1일간 매매거래정지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기타 투자위험 | [원리금상환 불이행 관련 위험] 가. 본 사채는 금융기관 등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은 한화솔루션 주식회사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환금성 제약 가능성] 나. 금번 발행되는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는 채권상장요건을 충족하고 있어 환금성 위험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시장 상황에 따라 매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평가손실이 발생될 경우에는 환금성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전자등록 발행에 관한 사항] 다.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의 권리 내용을 전자등록하고 사채권은 발행하지 아니합니다. 본 사채에 대하여는 실물채권을 발행하거나 등록필증을 교부하지 아니합니다. [공모일정 변경 가능성] 라. 본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가 발생할 경우 변경될 수 있습니다. [기한의 이익 상실 선언 가능성] 마. 당사가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사채관리회사와 맺은 사채관리계약과 관련하여 재무비율 등의 유지, 담보권설정 등의 제한, 자산의 처분제한 등의 의무조항을 위반한 경우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주관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당사에 대해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당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효력발생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하지 아니함] 바.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120조 제3항에 의거 이 신고서의 효력의발생은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하는 효력을 가지지 아니합니다. [신용평가] 사. 본 사채는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로부터 각각 AA-등급(안정적)을 받은 바 있습니다. [경제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 아. 당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상황에 대한 경영자의 현재까지의 평가를 반영하고 있으나 그 실제결과는 현재시점에서의 평가와는 상당히 다를 수 있는 만큼,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본 증권신고서는 향후 사건에 대한 당사 경영진의 현재 시점에서의 예상을 담은 미래예측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예측진술은 실제로는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요인 및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ESG채권 관련 사항] 자. 금번 발행되는 본 사채 중 제279-1회 무보증 사채 는 환경적 가치 창출 목적의 ESG채권(녹색채권)으로, 단기적인 영업실적 또는 재무성과 제고를 위하여 발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제279-1회 무보증 사채를 통해 조달되는 자금이 당초 계획(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과 다르게 집행되거나 기대한 환경적 가치(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 및 발전량 증가를 통한 환경 개선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제279-1회 무보증 사채의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 등록 취소 또는 당사의 평판 악화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편,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의 제279-1회 무보증 사채에 대한 ESG 금융상품 평가 결과(NICE신용평가(주)- 그린1등급, 한국기업평가(주) - G1등급)와 ESG채권 관리체계에 대한 평가결과(준거기준에 부합)는 당사의 신용등급 상환능력이 고려되지 않은 것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의사 결정에 전자공시 참조] 차.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회차 : | 279-1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275,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275,000,000,000 |
발행가액 | 275,000,000,000 |
이자율 | 2.765 |
발행수익률 | 2.765 |
상환기일 | 2025년 01월 24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우리은행 한화기업영업지원팀 |
(사채)관리회사 | 한국증권금융(주) |
신용등급 (신용평가기관) |
AA-(안정적) / AA-(안정적) (한국기업평가(주) / NICE신용평가(주)) |
비고 | ESG채권(녹색채권)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 | 4,500,000 | 45,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대표 | 케이비증권 | - | 7,500,000 |
75,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대표 | 한국투자증권 | - | 7,500,000 |
75,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한화투자증권 | - | 5,000,000 |
5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대신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아이비케이투자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한양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2년 01월 24일 | 2022년 01월 24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시설자금 | 275,000,000,000 |
발행제비용 | 892,380,0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1년 12월 29일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회차 : | 279-2 | (단위 : 원, 주) |
채무증권 명칭 | 무보증사채 | 모집(매출)방법 | 공모 |
권면(전자등록) 총액 |
105,000,000,000 | 모집(매출)총액 | 105,000,000,000 |
발행가액 | 105,000,000,000 | 이자율 | 3.029 |
발행수익률 | 3.029 |
상환기일 | 2027년 01월 22일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주)우리은행 한화기업영업지원팀 |
(사채)관리회사 | 한국증권금융(주) |
신용등급 (신용평가기관) |
AA-(안정적) / AA-(안정적) (한국기업평가(주) / NICE신용평가(주)) |
비고 | - |
인수인 | 증권의 종류 |
인수수량 | 인수금액 | 인수대가 | 인수방법 | |
---|---|---|---|---|---|---|
대표 | NH투자증권 | - | 3,500,000 |
35,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대표 | 케이비증권 | - | 500,000 |
5,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대표 | 한국투자증권 | - | 500,000 | 5,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한화투자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신한금융투자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키움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미래에셋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유진증권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인수 | DB금융투자 | - | 1,000,000 | 10,000,000,000 | 인수수수료의 0.20% | 총액인수 |
청약기일 | 납입기일 | 청약공고일 | 배정공고일 | 배정기준일 |
---|---|---|---|---|
2022년 01월 24일 | 2022년 01월 24일 | - | - | - |
자금의 사용목적 | |
---|---|
구 분 | 금 액 |
채무상환자금 | 105,000,000,000 |
발행제비용 | 351,111,600 |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
사용 지역 |
사용 국가 |
원화 교환 예정 여부 |
인수기관명 |
---|---|---|---|---|---|
- | - | - |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
보증기관 | -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
행사대상증권 | - |
보증금액 | - | 권리행사비율 | - | ||
담보 제공의 경우 |
담보의 종류 | - | 권리행사가격 | - | |
담보금액 | - | 권리행사기간 | - |
매출인에 관한 사항 | ||||
---|---|---|---|---|
보유자 | 회사와의 관계 |
매출전 보유증권수 |
매출증권수 |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 | - | - |
- | - | - | - | - |
【주요사항보고서】 | - | ||
【파생결합사채 해당여부】 |
기초자산 | 옵션종류 | 만기일 |
N | - | - | - |
【기 타】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1년 12월 29일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I.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공모개요
회 차 : | 279-1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 자 등 록 총 액 | 275,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율(%) | 2.765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전자등록금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275,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2.765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매3개월마다 연이율의1/4씩 분할 후급하며, 이자지급기일은 다음과 같다. 이자지급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하는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이자지급기일로 하되, 원이자지급 기일 이후의 이자는 해당 이자지급시의 이자를 산정함에 있어서 계산하지 아니한다. 각 기일에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단,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이자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2년 04월 24일, 2022년 07월 24일, 2022년 10월 24일, 2023년 01월 24일, 2023년 04월 24일, 2023년 07월 24일, 2023년 10월 24일, 2024년 01월 24일, 2024년 04월 24일, 2024년 07월 24일, 2024년 10월 24일, 2025년 01월 24일. |
|
ESG채권 종류 | 녹색채권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NICE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평가일자 | 2022년 01월 07일 / 2022년 01월 11일 |
|
평가결과등급 | AA-(안정적) / AA-(안정적)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2025년 01월 24일에 일시 상환한다. 다만, 원금상환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상 환 기 한 | 2025년 01월 24일 | |
청 약 기 일 | 2022년 01월 24일 | |
납 입 기 일 | 2022년 01월 24일 | |
전 자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우리은행 한화기업영업지원팀 |
고유번호 | 00254045 | |
기 타 사 항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1년 12월 29일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회 차 : | 279-2 | (단위 : 원) |
항 목 | 내 용 | |
---|---|---|
사 채 종 목 | 무보증사채 | |
구 분 |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
전 자 등 록 총 액 | 105,000,000,000 |
|
할 인 율(%) | - | |
발행수익율(%) | 3.029 |
|
모집 또는 매출가액 | 전자등록금액의 100%로 한다. | |
모집 또는 매출총액 | 105,000,000,000 |
|
각 사채의 금액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사채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
이자율 | 연리이자율(%) | 3.029 |
변동금리부사채이자율 | - |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
이자지급 방법 | 이자는 본 사채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고, 매3개월마다 연이율의1/4씩 분할 후급하며, 이자지급기일은 다음과 같다. 이자지급기일이 은행의 휴업일에 해당하는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이자지급기일로 하되, 원이자지급 기일 이후의 이자는 해당 이자지급시의 이자를 산정함에 있어서 계산하지 아니한다. 각 기일에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원금 또는 이자분에 대한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단,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이자율을 적용한다. |
이자지급 기한 | 2022년 04월 24일, 2022년 07월 24일, 2022년 10월 24일, 2023년 01월 24일, 2023년 04월 24일, 2023년 07월 24일, 2023년 10월 24일, 2024년 01월 24일, 2024년 04월 24일, 2024년 07월 24일, 2024년 10월 24일, 2025년 01월 24일, 2025년 04월 24일, 2025년 07월 24일, 2025년 10월 24일, 2026년 01월 24일, 2026년 04월 24일, 2026년 07월 24일, 2026년 10월 24일, 2027년 01월 22일. |
|
신용평가 등급 | 평가회사명 | NICE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평가일자 | 2022년 01월 07일 / 2022년 01월 11일 |
|
평가결과등급 | AA-(안정적) / AA-(안정적) | |
상환방법 및 기한 |
상 환 방 법 | "본 사채"의 원금은 2027년 01월 22일에 일시 상환한다. 다만, 원금상환기일이 영업일이 아닌 경우 그 다음 영업일을 상환일로 하고, 원금상환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상 환 기 한 | 2027년 01월 22일 | |
청 약 기 일 | 2022년 01월 24일 | |
납 입 기 일 | 2022년 01월 24일 | |
전 자 등 록 기 관 | 한국예탁결제원 | |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
회 사 명 | (주)우리은행 한화기업영업지원팀 |
고유번호 | 00254045 | |
기 타 사 항 |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21년 12월 29일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와 대표주관계약을 체결함 ▶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되므로, 등록 말소 시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없음 |
2. 공모방법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공모가격 결정방법
가. 공모가격 결정방법 및 절차
구 분 | 내 용 |
---|---|
공모희망금리 최종결정 | - 발행회사(한화솔루션): 대표이사, 재무실장, 금융담당임원, 금융팀장 등 - 공동대표주관회사(NH투자증권): 담당 임원, 팀장 등 - 공동대표주관회사(한국투자증권) : 담당 임원, 팀장 등 - 공동대표주관회사(KB증권): 담당 임원, 팀장 등 |
공모희망금리 결정 협의절차 | 수요예측 결과 및 유효수요, 금융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발행수익률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
수요예측결과 반영여부 | 수요예측 참여물량 중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를 집계하고,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합의를 통해 발행수익률을 결정합니다. |
수요예측 재실시 여부 | 수요예측 실시 이후 발행일정 변경 등으로 인해 수요예측 재실시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별도의 수요예측을 재실시하지 않고 최초의 수요예측 결과를 따릅니다 |
나. 공동대표주관회사의 공모희망금리 산정
구 분 | 내 용 |
---|---|
공모희망금리 산정방식 |
공동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는 한화솔루션(주)의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의 발행에 있어 민간채권평가사의 평가금리, 최근 동일 신용등급 회사채의 스프레드 동향, 동일등급의 최근 회사채 발행금리 및 채권시장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모희망금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 제279-1회: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제279-2회: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본 사채의 공모희망금리 밴드는 한화솔루션(주)의 개별민평 금리와 동일 등급 회사채(AA-) 등급민평 금리 및 시장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되었습니다. 공동대표주관회사가 제시하는 공모희망금리 밴드는 금리를 확정 또는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해야 하며,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공모희망금리 산정에 대한 구체적인 근거는 아래 (주1)을 참고하여주시기 바랍니다. |
수요예측 참가신청 관련사항 | 수요예측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진행하며, 수요예측 프로그램은 한국금융투자협회의 K-Bond 프로그램 및 FAX를 사용합니다. 단,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수요예측 방법을 결정합니다. 수요예측 신청시 신청수량의 범위, 수량 및 가격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최저 신청수량: 50억원 ② 최고 신청수량: 각 회차별 본 사채 발행예정금액 ③ 수량단위: 50억원 ④ 가격단위: 1bp |
배정관련 사항 |
본 사채의 배정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I. 수요예측 업무절차 - 5. 배정에 관한 사항」 및 공동대표주관회사의 내부지침에 따라 결정합니다. - 대표주관회사는 무보증사채의 배정에 관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합니다. 나. 배정시 준수 사항 - 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종료 후 수요예측 참여자별로 청약예정 물량을 배정할 때에 다음 각 사항을 준수합니다. ① 과도하게 낮은 금리에 참여한 자를 부당하게 우대하여 배정하지 아니할 것 ② 금리를 제시하지 않은 수요예측 참여자는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배정할 것 다. 배정시 가중치 적용 - 대표주관회사는 다음 각 사항을 고려하여 수요예측 참여자별로 배정의 가중치를 달리 적용할 수 있습니다. ① 참여시간ㆍ참여금액 등 정량적 기준 ② 수요예측 참여자의 성향ㆍ과거 참여이력 및 행태ㆍ가격평가능력 등 해당 참여자와 관련한 정성적 요소 라. 납입예정 물량 배정 원칙 - 대표주관회사는 무보증사채의 청약이 종료된 이후 청약자별로 납입예정 물량을 배정할 때에 수요예측에 참여한 자를 그렇지 않은 자보다 우대하여 배정합니다.
|
유효수요 판단 기준 |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는 금융투자협회의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공동대표주관회사 내부지침"과 수요예측 결과에 근거하여 결정됩니다. 이러한 "유효수요" 결정 이후 최종 발행금리 결정시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협의를 통해 최종 결정할 예정입니다. "공동대표주관회사"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제5조 및 합리적인 내부기준에 따라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산정 근거 및 수요예측 결과와 확정 금액 및 확정 이자율을 2022년 01월 18일에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
비 고 | 상기와 같이 산정된 공모희망금리는 시장 및 기업의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며, 단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
(주1) 공모희망금리 산정근거
공동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는 공모희망금리를 결정함에 있어 아래와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검토 및 고려하여 본사채의 공모희망금리를 결정하였습니다.
가. 민간채권평가회사의 평가금리 및 스프레드 동향
①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키스채권평가, 한국자산평가, 나이스피앤아이, 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 1영업일 전에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3년 및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이하 '개별민평금리' 라고 한다.)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의 한화솔루션(주) 민평수익률 및 산술평균 (2022년 01월 11일)] |
(단위: %) |
만기 | 키스채권평가 | 한국자산평가 | 나이스피앤아이 | 에프앤자산평가 | 4사 산술평균 |
---|---|---|---|---|---|
3년 | 2.676 | 2.676 | 2.676 | 2.668 | 2.674 |
5년 | 2.751 | 2.775 | 2.784 | 2.755 | 2.766 |
(출처 : 본드웹) |
②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키스채권평가, 한국자산평가, 나이스피앤아이, 에프앤자산평가)에서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 1영업일 전에 최종으로 제공하는 '3년 및 5년 만기 AA-등급 회사채 등급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 (이하 '등급민평금리' 라고 한다.)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 AA- 등급 민평수익률 및 산술평균(2022년 01월 11일)] |
(단위: %) |
만기 | 키스채권평가 | 한국자산평가 | 나이스피앤아이 | 에프앤자산평가 | 4사 산술평균 |
---|---|---|---|---|---|
3년 | 2.596 | 2.591 | 2.596 | 2.588 | 2.592 |
5년 | 2.801 | 2.790 | 2.804 | 2.805 | 2.800 |
(출처 : 본드웹) |
③ 국고금리, 등급민평 및 개별민평 스프레드
[최근 3개월간 3년 만기 국고채권 최종호가수익률 및 민평 스프레드 (2021.10.12~2022.01.11)] |
(기준일 : 2022년 01월 11일) | (단위 : %, %p.) |
구분 | 평가금리 | Credit Spread | |||
---|---|---|---|---|---|
AA- 등급민평 (3년) |
한화솔루션(주) 개별민평(3년) | 국고금리 (3년) |
AA-등급민평 스프레드 |
개별민평금리 스프레드 | |
2022-01-11 | 2.592 | 2.674 | 2.027 | 0.565 | 0.647 |
2022-01-10 | 2.614 | 2.695 | 2.046 | 0.568 | 0.649 |
2022-01-07 | 2.595 | 2.678 | 2.025 | 0.570 | 0.653 |
2022-01-06 | 2.595 | 2.678 | 2.020 | 0.575 | 0.658 |
2022-01-05 | 2.497 | 2.579 | 1.907 | 0.590 | 0.672 |
2022-01-04 | 2.479 | 2.562 | 1.883 | 0.596 | 0.679 |
2022-01-03 | 2.460 | 2.543 | 1.852 | 0.608 | 0.691 |
2021-12-31 | 2.410 | 2.493 | 1.795 | 0.615 | 0.698 |
2021-12-30 | 2.410 | 2.493 | 1.795 | 0.615 | 0.698 |
2021-12-29 | 2.396 | 2.479 | 1.778 | 0.618 | 0.701 |
2021-12-28 | 2.411 | 2.494 | 1.789 | 0.622 | 0.705 |
2021-12-27 | 2.404 | 2.487 | 1.777 | 0.627 | 0.710 |
2021-12-24 | 2.422 | 2.505 | 1.795 | 0.627 | 0.710 |
2021-12-23 | 2.435 | 2.517 | 1.805 | 0.630 | 0.712 |
2021-12-22 | 2.386 | 2.470 | 1.755 | 0.631 | 0.715 |
2021-12-21 | 2.354 | 2.438 | 1.722 | 0.632 | 0.716 |
2021-12-20 | 2.362 | 2.445 | 1.730 | 0.632 | 0.715 |
2021-12-17 | 2.388 | 2.473 | 1.760 | 0.628 | 0.713 |
2021-12-16 | 2.389 | 2.474 | 1.760 | 0.629 | 0.714 |
2021-12-15 | 2.429 | 2.514 | 1.803 | 0.626 | 0.711 |
2021-12-14 | 2.413 | 2.500 | 1.785 | 0.628 | 0.715 |
2021-12-13 | 2.402 | 2.490 | 1.782 | 0.620 | 0.708 |
2021-12-10 | 2.418 | 2.505 | 1.797 | 0.621 | 0.708 |
2021-12-09 | 2.384 | 2.470 | 1.792 | 0.592 | 0.678 |
2021-12-08 | 2.406 | 2.492 | 1.820 | 0.586 | 0.672 |
2021-12-07 | 2.446 | 2.532 | 1.867 | 0.579 | 0.665 |
2021-12-06 | 2.443 | 2.530 | 1.867 | 0.576 | 0.663 |
2021-12-03 | 2.469 | 2.556 | 1.897 | 0.572 | 0.659 |
2021-12-02 | 2.417 | 2.504 | 1.850 | 0.567 | 0.654 |
2021-12-01 | 2.386 | 2.474 | 1.817 | 0.569 | 0.657 |
2021-11-30 | 2.360 | 2.447 | 1.787 | 0.573 | 0.660 |
2021-11-29 | 2.416 | 2.504 | 1.847 | 0.569 | 0.657 |
2021-11-26 | 2.441 | 2.529 | 1.872 | 0.569 | 0.657 |
2021-11-25 | 2.497 | 2.585 | 1.937 | 0.560 | 0.648 |
2021-11-24 | 2.557 | 2.645 | 2.000 | 0.557 | 0.645 |
2021-11-23 | 2.573 | 2.661 | 2.020 | 0.553 | 0.641 |
2021-11-22 | 2.577 | 2.665 | 2.025 | 0.552 | 0.640 |
2021-11-19 | 2.524 | 2.611 | 1.972 | 0.552 | 0.639 |
2021-11-18 | 2.497 | 2.584 | 1.947 | 0.550 | 0.637 |
2021-11-17 | 2.515 | 2.603 | 1.965 | 0.550 | 0.638 |
2021-11-16 | 2.504 | 2.591 | 1.955 | 0.549 | 0.636 |
2021-11-15 | 2.459 | 2.547 | 1.912 | 0.547 | 0.635 |
2021-11-12 | 2.502 | 2.590 | 1.960 | 0.542 | 0.630 |
2021-11-11 | 2.458 | 2.546 | 1.915 | 0.543 | 0.631 |
2021-11-10 | 2.427 | 2.515 | 1.882 | 0.545 | 0.633 |
2021-11-09 | 2.405 | 2.493 | 1.860 | 0.545 | 0.633 |
2021-11-08 | 2.442 | 2.530 | 1.902 | 0.540 | 0.628 |
2021-11-05 | 2.493 | 2.581 | 1.960 | 0.533 | 0.621 |
2021-11-04 | 2.538 | 2.625 | 2.017 | 0.521 | 0.608 |
2021-11-03 | 2.547 | 2.634 | 2.037 | 0.510 | 0.597 |
2021-11-02 | 2.533 | 2.620 | 2.032 | 0.501 | 0.588 |
2021-11-01 | 2.601 | 2.689 | 2.115 | 0.486 | 0.574 |
2021-10-29 | 2.589 | 2.676 | 2.107 | 0.482 | 0.569 |
2021-10-28 | 2.517 | 2.604 | 2.035 | 0.482 | 0.569 |
2021-10-27 | 2.547 | 2.635 | 2.067 | 0.480 | 0.568 |
2021-10-26 | 2.422 | 2.510 | 1.942 | 0.480 | 0.568 |
2021-10-25 | 2.409 | 2.496 | 1.930 | 0.479 | 0.566 |
2021-10-22 | 2.377 | 2.464 | 1.900 | 0.477 | 0.564 |
2021-10-21 | 2.319 | 2.406 | 1.842 | 0.477 | 0.564 |
2021-10-20 | 2.316 | 2.404 | 1.847 | 0.469 | 0.557 |
2021-10-19 | 2.318 | 2.405 | 1.853 | 0.465 | 0.552 |
2021-10-18 | 2.341 | 2.429 | 1.880 | 0.461 | 0.549 |
2021-10-15 | 2.253 | 2.340 | 1.792 | 0.461 | 0.548 |
2021-10-14 | 2.265 | 2.353 | 1.812 | 0.453 | 0.541 |
2021-10-13 | 2.273 | 2.360 | 1.820 | 0.453 | 0.540 |
2021-10-12 | 2.253 | 2.341 | 1.800 | 0.453 | 0.541 |
주) '등급민평금리 스프레드' = '3년 만기 등급민평금리' - 3년 만기 국고채 최종호가수익률 주) '개별민평금리 스프레드' = '3년 만기 개별민평금리' - 3년 만기 국고채 최종호가수익률 (출처: 본드웹) |
[최근 3개월간 5년 만기 국고채권 최종호가수익률 및 민평 스프레드 (2021.10.12~2022.01.11)] |
(기준일 : 2022년 01월 11일) | (단위 : %, %p.) |
구분 | 평가금리 | Credit Spread | |||
---|---|---|---|---|---|
AA- 등급민평 (5년) |
한화솔루션(주) 개별민평(5년) |
국고금리 (5년) |
AA-등급민평 스프레드 |
개별민평금리 스프레드 | |
2022-01-11 | 2.800 | 2.766 | 2.240 | 0.560 | 0.526 |
2022-01-10 | 2.807 | 2.773 | 2.245 | 0.562 | 0.528 |
2022-01-07 | 2.819 | 2.785 | 2.255 | 0.564 | 0.530 |
2022-01-06 | 2.862 | 2.828 | 2.297 | 0.565 | 0.531 |
2022-01-05 | 2.734 | 2.700 | 2.150 | 0.584 | 0.550 |
2022-01-04 | 2.693 | 2.659 | 2.100 | 0.593 | 0.559 |
2022-01-03 | 2.684 | 2.650 | 2.087 | 0.597 | 0.563 |
2021-12-31 | 2.611 | 2.577 | 2.006 | 0.605 | 0.571 |
2021-12-30 | 2.611 | 2.577 | 2.006 | 0.605 | 0.571 |
2021-12-29 | 2.575 | 2.541 | 1.970 | 0.605 | 0.571 |
2021-12-28 | 2.595 | 2.562 | 1.991 | 0.604 | 0.571 |
2021-12-27 | 2.594 | 2.560 | 1.985 | 0.609 | 0.575 |
2021-12-24 | 2.597 | 2.564 | 1.990 | 0.607 | 0.574 |
2021-12-23 | 2.606 | 2.572 | 1.998 | 0.608 | 0.574 |
2021-12-22 | 2.544 | 2.510 | 1.935 | 0.609 | 0.575 |
2021-12-21 | 2.503 | 2.469 | 1.897 | 0.606 | 0.572 |
2021-12-20 | 2.508 | 2.474 | 1.905 | 0.603 | 0.569 |
2021-12-17 | 2.540 | 2.506 | 1.937 | 0.603 | 0.569 |
2021-12-16 | 2.534 | 2.497 | 1.935 | 0.599 | 0.562 |
2021-12-15 | 2.567 | 2.526 | 1.977 | 0.590 | 0.549 |
2021-12-14 | 2.570 | 2.526 | 1.982 | 0.588 | 0.544 |
2021-12-13 | 2.563 | 2.519 | 1.975 | 0.588 | 0.544 |
2021-12-10 | 2.585 | 2.541 | 1.997 | 0.588 | 0.544 |
2021-12-09 | 2.548 | 2.505 | 1.960 | 0.588 | 0.545 |
2021-12-08 | 2.574 | 2.530 | 1.987 | 0.587 | 0.543 |
2021-12-07 | 2.626 | 2.582 | 2.040 | 0.586 | 0.542 |
2021-12-06 | 2.606 | 2.563 | 2.020 | 0.586 | 0.543 |
2021-12-03 | 2.617 | 2.570 | 2.030 | 0.587 | 0.540 |
2021-12-02 | 2.581 | 2.528 | 1.999 | 0.582 | 0.529 |
2021-12-01 | 2.553 | 2.499 | 1.970 | 0.583 | 0.529 |
2021-11-30 | 2.572 | 2.517 | 1.990 | 0.582 | 0.527 |
2021-11-29 | 2.634 | 2.579 | 2.055 | 0.579 | 0.524 |
2021-11-26 | 2.642 | 2.587 | 2.062 | 0.580 | 0.525 |
2021-11-25 | 2.735 | 2.680 | 2.160 | 0.575 | 0.520 |
2021-11-24 | 2.797 | 2.742 | 2.225 | 0.572 | 0.517 |
2021-11-23 | 2.815 | 2.760 | 2.245 | 0.570 | 0.515 |
2021-11-22 | 2.812 | 2.757 | 2.242 | 0.570 | 0.515 |
2021-11-19 | 2.764 | 2.709 | 2.192 | 0.572 | 0.517 |
2021-11-18 | 2.728 | 2.673 | 2.157 | 0.571 | 0.516 |
2021-11-17 | 2.729 | 2.674 | 2.155 | 0.574 | 0.519 |
2021-11-16 | 2.707 | 2.652 | 2.135 | 0.572 | 0.517 |
2021-11-15 | 2.673 | 2.618 | 2.102 | 0.571 | 0.516 |
2021-11-12 | 2.732 | 2.675 | 2.160 | 0.572 | 0.515 |
2021-11-11 | 2.703 | 2.644 | 2.130 | 0.573 | 0.514 |
2021-11-10 | 2.690 | 2.631 | 2.117 | 0.573 | 0.514 |
2021-11-09 | 2.684 | 2.626 | 2.115 | 0.569 | 0.511 |
2021-11-08 | 2.713 | 2.654 | 2.147 | 0.566 | 0.507 |
2021-11-05 | 2.742 | 2.683 | 2.176 | 0.566 | 0.507 |
2021-11-04 | 2.801 | 2.742 | 2.247 | 0.554 | 0.495 |
2021-11-03 | 2.837 | 2.778 | 2.295 | 0.542 | 0.483 |
2021-11-02 | 2.834 | 2.776 | 2.300 | 0.534 | 0.476 |
2021-11-01 | 2.898 | 2.839 | 2.380 | 0.518 | 0.459 |
2021-10-29 | 2.933 | 2.874 | 2.425 | 0.508 | 0.449 |
2021-10-28 | 2.799 | 2.740 | 2.293 | 0.506 | 0.447 |
2021-10-27 | 2.878 | 2.819 | 2.371 | 0.507 | 0.448 |
2021-10-26 | 2.769 | 2.710 | 2.260 | 0.509 | 0.450 |
2021-10-25 | 2.757 | 2.698 | 2.250 | 0.507 | 0.448 |
2021-10-22 | 2.720 | 2.662 | 2.215 | 0.505 | 0.447 |
2021-10-21 | 2.673 | 2.614 | 2.165 | 0.508 | 0.449 |
2021-10-20 | 2.662 | 2.603 | 2.155 | 0.507 | 0.448 |
2021-10-19 | 2.637 | 2.578 | 2.130 | 0.507 | 0.448 |
2021-10-18 | 2.678 | 2.620 | 2.172 | 0.506 | 0.448 |
2021-10-15 | 2.609 | 2.551 | 2.105 | 0.504 | 0.446 |
2021-10-14 | 2.611 | 2.552 | 2.105 | 0.506 | 0.447 |
2021-10-13 | 2.636 | 2.577 | 2.130 | 0.506 | 0.447 |
2021-10-12 | 2.637 | 2.578 | 2.130 | 0.507 | 0.448 |
주) '등급민평금리 스프레드' = '5년 만기 등급민평금리' - 5년 만기 국고채 최종호가수익률 주) '개별민평금리 스프레드' = '5년 만기 개별민평금리' - 5년 만기 국고채 최종호가수익률 (출처: 본드웹) |
최근 3개월간 3년 및 5년 만기 국고민평 금리와 당사의 개별민평 금리 추이를 살펴보면, 당사의 개별민평 금리는 국고금리 추이에 연동되어있는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나. 최근 발행된 동일등급 무보증 회사채 수요예측 현황
최근 4개월간 진행된 동일등급(AA-) 공모 무보증 회사채 발행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최근 4개월간 동일등급(AA-) 동일만기(3년 및 5년) 무보증 공모회사채 발행내역] |
만기 | 채권명 | 발행금액(억원) | 발행일 | 수요예측기준 | 금리밴드(bp) | 결정금리 (bp) |
발행금리 (%) |
---|---|---|---|---|---|---|---|
3년 | 포스코케미칼 | 1,400 | 2021-09-08 | 개별 | -30~+20 | -5 | 1.797 |
롯데렌탈 | 1,100 | 2021-09-09 | 개별 | -30~+30 | -1 | 1.973 | |
한국금융지주 | 1,600 | 2021-09-09 | 개별 | -20~+20 | PAR | 1.924 | |
지에스이피에스 | 500 | 2021-09-15 | 개별 | -30~+30 | +5 | 1.925 | |
대신증권 | 1,500 | 2021-10-07 | 개별 | -30~+20 | -11 | 2.419 | |
케이씨씨 | 1,700 | 2021-10-08 | 개별 | -30~+20 | -10 | 2.236 | |
키움증권 | 2,100 | 2021-10-26 | 개별 | -40~+40 | +24 | 2.623 | |
LF | 500 | 2021-10-29 | 개별 | -20~+20 | +10 | 2.592 | |
파주에너지서비스 | 400 | 2021-11-08 | 개별 | -20~+20 | +19 | 2.662 | |
5년 | 포스코케미칼 | 600 | 2021-09-08 | 개별 | -30~+20 | -3 | 2.114 |
롯데렌탈 | 1,500 | 2021-09-09 | 개별 | -30~+30 | -15 | 2.250 | |
한국금융지주 | 1,000 | 2021-09-09 | 개별 | -20~+20 | -1 | 2.187 | |
지에스이피에스 | 800 | 2021-09-15 | 개별 | -30~+30 | +16 | 2.240 | |
케이씨씨 | 800 | 2021-10-08 | 개별 | -30~+20 | -18 | 2.586 | |
키움증권 | 900 | 2021-10-26 | 개별 | -40~+40 | +11 | 2.841 | |
파주에너지서비스 | 400 | 2021-11-08 | 개별 | -20~+20 | +20 | 2.899 |
주1) 상기 발행금액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한 최종 발행 금액입니다. |
주2) 후순위, 신종자본증권 등 제외하였습니다. |
(출처: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최근 4개월간 발행된 동일등급(AA-) 3년 및 5년 만기 회사채 발행 내역은 3년 9건, 5년 7건이 있었으며, 모두 개별민평 금리를 기준금리로 설정하였습니다. 공모희망금리 상단은 개별민평 대비 +40bp ~ +40bp, 가산하는 수준으로 설정되었습니다. 수요예측 실시 결과 영위 산업 및 그룹 Risk 등 시장에서 판단하는 크레딧 스프레드에 따라 -18bp ~ +24bp 등 다양한 수준에서 기준금리 가산 스프레드가 결정되고 있습니다.
다. 한화솔루션(주) 기발행 회사채 유통현황
① 미상환 공모 회사채 현황
한화솔루션(주)의 미상환 공모 회사채는 총 11종목이며, 미상환 잔액은 1조 2,682억원입니다.
종목명 | 발행금액(백만원) | 발행금리 (%) | 만기일 |
---|---|---|---|
한화솔루션254-2 |
90,000 | 2.50 | 2023.11.29 |
한화솔루션255 |
150,000 | 2.31 | 2024.01.31 |
한화솔루션260-1 |
110,000 | 1.79 | 2022.10.24 |
한화솔루션260-2 |
80,000 | 1.98 | 2024.10.24 |
한화솔루션260-3 |
60,000 | 2.28 | 2026.10.24 |
한화솔루션269-1 |
140,000 | 1.83 | 2023.01.20 |
한화솔루션269-2 |
140,000 | 2.04 | 2025.01.22 |
한화솔루션270 |
210,000 | 2.38 | 2023.04.21 |
한화솔루션274 |
188,210 | 3.00 |
2024.04.19 |
한화솔루션275-1 | 70,000 | 1.70 | 2024.06.17 |
한화솔루션275-2 | 30,000 | 2.06 | 2026.06.17 |
공모사채 합계 | 1,268,210 | - | - |
주) 2022년 01월 11일 기준 (출처 : 본드웹, 4사평균 시가평가 수익률) |
② 한화솔루션(주) 기발행 회사채 유통현황
한화솔루션(주)의 기발행 공모 회사채의 최근 3개월 유통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거래일자 | 종목명 | 민평수익률 (%) |
평균 유통수익률 (%) |
평균-민평 스프레드 (bp) |
거래대금 (백만원) |
잔존일 |
---|---|---|---|---|---|---|
2022-01-05 | 한화솔루션269-1 | 2.009 | 1,996 | -1.3 | 20,040 | 01.00.15 |
2022-01-04 | 한화솔루션269-1 | 2.019 | 1.996 | -2.3 | 10,021 | 01.00.16 |
2021-12-17 | 한화솔루션255 | 2.403 | 2.403 | 0.1 | 20,021 | 02.01.14 |
2021-12-03 | 한화솔루션255 | 2.447 | 2.507 | 6.2 | 69,857 | 02.01.28 |
2021-11-18 | 한화솔루션269-2 | 2.619 | 2.620 | 0.1 | 19,677 | 03.02.04 |
2021-11-15 | 한화솔루션270 | 2.139 | 2.139 | 0.0 | 30,149 | 01.05.06 |
2021-11-10 | 한화솔루션270 | 2.151 | 2.140 | -1.1 | 22,101 | 01.05.11 |
주1) 2022년 01월 11일 조회 기준 주2) 거래대금 10,000백만원 이상 (출처 : 본드웹) |
라. 채권시장 동향 및 종합결론
당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는 금번 발행하는 한화솔루션(주)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 발행을 위한 공모희망금리 결정 과정에서 당사의 개별민평금리, 동일 등급 민평금리, 동일 등급 회사채 발행 내역 및 기발행 회사채 유통현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2020년, 2019년말 코로나19 바이러스 창궐로 경기 침체에 대한 불확실성이 고조되며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 현상이 심화되었고 국내외 시장 금리 하락세가 지속되었습니다. 이에 미 연준은 예정에 없던 특별회의를 개최해 기준금리를 0.5%p 인하하여 1.00~1.25%로 발표하였고, 이후 3월 3일 정례회의를 통해 채 2주도 안돼 0.0~0.25%로 1%p 금리 인하를 단행하였으며, 이로인한 글로벌 시장금리의 하방 압력이 거세졌습니다. 이에 금융통화위원회 역시 코로나19 사태와 국제 유가 급락 등 전세계적 경기 침체 영향을 우려하며 3월 16일 임시 금통위를 열어 기준금리를 0.5%p 인하하며 기준금리가 0.75%로 인하되었으며, 사상 처음 0%대로 진입했습니다. 이후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 동결 기조를 유지해오다가, 2021년 1월 15일에 개최된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0.50%로 인하 하였습니다. 한편, 시중금리는 2020년 11월 이후 경기 지표 개선 및 물가상승과 더불어 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가 기존 전망보다 앞당겨질 수 있다는 기대감에 장기물 위주로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21년 1월 파월 연준 총재는 출구정책을 모색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임을 시사하였고, 코로나19 바이러스 확산과 이에 따른 경제 회복 속도를 주시하며 신중하게 통화정책을 펼쳐갈 뜻을 밝혔습니다. 하지만 21년 상반기 백신이 원활히 보급되었고 예상보다 빠르게 경제가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미국의 통화정책에 변경이 있을 수 있다는 전망이 두각되었으나, 파월 연준 총재는 인플레이션은 일시적이라는 판단하에 테이퍼링과 금리 인상 가능성을 일축하였습니다.
이후 2021년 6월 미 연준은 회사채 발행/유통시장 매입분의 매각 계획을 발표하면서 유동성 지원의 출구전략 시그널을 내비쳤고, 9월부터는 미국, 노르웨이, 영국 등 주요국이 일사불란하게 통화정책의 전환을 시사하기 시작하였습니다. 한편 8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0.50%에서 0.25%p 인상하는 결정을 하였고, 이러한 인상의 배경으로 백신 접종의 확대, 수출 호조로 인한 국내 경제 회복 흐름, 국내 인플레가 당분간 높은 수준을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는 점, 금융불균형의 누적 위험이 높다졌다는 점을 들었습니다. 이후 국고채 금리는 지속적으로 상승한 반면, 9월까지 확대되던 크레딧 스프레드는 횡보세를 이어왔습니다.
2021년 11월 금통위에서는 기준금리를 0.75%에서 1%로 0.25%p 인상하였으며, 가파른 금리 인상 경로를 선반영하며 급등하던 국채 금리는 11월 들어 안정세를 나타냈습니다. 2021년 12월 FOMC에서는 테이퍼링과 금리인상 간 긴 시간이 걸리지 않을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일시적이라는 기존 입장을 선회하였고, 물가를 분명히 통제해야할 대상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시사하였습니다. 한편 위드 코로나 정책이 지속 될 것으로 예상되어 왔지만 오미크론 등장과 확진자수 급증으로 국내 방역조치가 강화되었고, 이러한 영향 속 12 월 중 채권금리는 장단기물 모두 하락하는 양상을 보였다.
현재 글로벌 경기 악화는 신종 전염병에 따른 것으로 전세계적으로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고 방역 체계가 강화되며 바이러스 종식 시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었으나, 변이바이러스의 등장으로 예상보다 종식이 지연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유가 변동성, 신흥국 경기 악화 지속 등에 따른 불확실성 확대 및 부진한 실물경제 지표 지속 등으로 인한 기관투자자의 투자 심리가 상당 부분 위축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우량 등급 회사채의 경우 상대적으로 양호한 투자매력도를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요 확보는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나, 개별회사의 신용도 및 재무안정성을 바탕으로 실적이 저조한 회사나 신용등급 강등 가능성이 있는 회사에 대한 투자 심리가 위축될 수 있습니다.
[종합 결론]
상기와 같은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공동대표주관회사인 NH투자증권(주), 한국투자증권(주) 및 KB증권(주)는 한화솔루션(주)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의 발행에 있어 공모희망금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 제279-1회: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총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본 계약 체결 후 수행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와 인수단이 합의하여 최종 결정하되, 본 사채의 최종 인수계약서에 당사자 모두가 날인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제279-2회: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전자등록총액에 대하여 적용하며, 본 계약 체결 후 수행하는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하여 발행회사와 인수단이 합의하여 최종 결정하되, 본 사채의 최종 인수계약서에 당사자 모두가 날인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수요예측시 공모희망금리는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는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공모희망금리밴드를 제시하였으나 금리를 확정 또는 보장하는 것이 아니므로, 투자 결정을 위한 판단 및 수요예측 및 청약 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해야 하며,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습니다. 수요예측 후 유효수요 및 금리는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공동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지침에 의거하여 공동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며, 필요시 발행회사와 협의합니다. 수요예측결과를 반영한 정정공시는 2022년 01월 18일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마. 수요예측 결과
(1) 수요예측 참여 내역
[회차 : 제279-1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유* | 거래실적무 | ||
건수 | 25 | 12 | 15 | - | - | - | 52 |
수량 | 3,100 | 1,250 | 2,000 | - | - | - | 6,350 |
경쟁률 | 2.07 : 1 | 0.83 : 1 | 1.33 : 1 | - | - | - | 4.23 : 1 |
주1)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주2) 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회차 : 제279-2회] |
(단위 : 건, 억원) |
구분 | 국내 기관투자자 | 외국 기관투자자 | 합계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유* | 거래실적무 | ||
건수 | 3 | 2 | 4 | - | - | - | 9 |
수량 | 500 | 150 | 600 | - | - | - | 1,250 |
경쟁률 | 0.63 : 1 | 0.19 : 1 | 0.75 :1 | - | - | - | 1.56 : 1 |
주1)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주2) 경쟁률은 최초 발행예정금액 대비 산출한 수치임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2) 수요예측 신청가격 분포
[회차 : 제279-1회] |
(단위 : bp, 건, 억원) |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외국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 수요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10 | - |
- |
- |
- |
1 | 200 | - | - | - | - | - | - | 1 | 200 | 3.15% | 200 | 3.15% | 포함 |
-9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300 | 4.72% | 포함 |
-7 | - |
- |
- |
- |
1 | 300 | - | - | - | - | - | - | 1 | 300 | 4.72% | 600 | 9.45% | 포함 |
-5 | - |
- |
1 | 200 | - |
- |
- | - | - | - | - | - | 1 | 200 | 3.15% | 800 | 12.60% | 포함 |
-4 | 2 | 200 | 2 | 200 | 1 | 200 | - | - | - | - | - | - | 5 | 600 | 9.45% | 1,400 | 22.05% | 포함 |
-3 | 1 | 100 | - |
- |
1 | 100 | - | - | - | - | - | - | 2 | 200 | 3.15% | 1,600 | 25.20% | 포함 |
-2 | 1 | 100 | 1 | 50 | - | - | - | - | - | - | - | - | 2 | 150 | 2.36% | 1,750 | 27.56% | 포함 |
-1 | 4 | 900 | - | - | 1 | 100 | - | - | - | - | - | - | 5 | 1,000 | 15.75% | 2,750 | 43.31% | 포함 |
0 | 2 | 200 | 1 | 100 | 1 | 100 | - | - | - | - | - | - | 4 | 400 | 6.30% | 3,150 | 49.61% | 포함 |
1 | 2 | 200 | - | - | - | - | - | - | - | - | - | - | 2 | 200 | 3.15% | 3,350 | 52.76% | 포함 |
2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3,450 | 54.33% | 포함 |
3 | - | - | 1 | 100 | 1 | 100 | - | - | - | - | - | - | 2 | 200 | 3.15% | 3,650 | 57.48% | 포함 |
4 | 2 | 200 | - | - | - | - | - | - | - | - | - | - | 2 | 200 | 3.15% | 3,850 | 60.63% | 포함 |
6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3,950 | 62.20% | 포함 |
7 | 1 | 100 | - | - | 3 | 300 | - | - | - | - | - | - | 4 | 400 | 6.30% | 4,350 | 68.50% | 포함 |
8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4,450 | 70.08% | 포함 |
9 | 1 | 100 | 1 | 50 | - | - | - | - | - | - | - | - | 2 | 150 | 2.36% | 4,600 | 72.44% | 포함 |
10 | - | - | 3 | 250 | 2 | 200 | - | - | - | - | - | - | 5 | 450 | 7.09% | 5,050 | 79.53% | 포함 |
12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5,150 | 81.10% | 포함 |
13 | 1 | 200 | - | - | - | - | - | - | - | - | - | - | 1 | 200 | 3.15% | 5,350 | 84.25% | 포함 |
14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5,450 | 85.83% | 포함 |
15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1.57% | 5,550 | 87.40% | 포함 |
16 | 1 | 100 | 1 | 100 | - | - | - | - | - | - | - | - | 2 | 200 | 3.15% | 5,750 | 90.55% | 포함 |
20 | - | - | 1 | 200 | 1 | 100 | - | - | - | - | - | - | 2 | 300 | 4.72% | 6,050 | 95.28% | 포함 |
30 | - | - | - | - | 2 | 300 | - | - | - | - | - | - | 2 | 300 | 4.72% | 6,350 | 100.00% | 포함 |
합계 | 25 | 3,100 | 12 | 1,250 | 15 | 2,000 | - | - | - | - | - | - | 52 | 6,350 | 10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회차 : 제279-2회] |
(단위 : bp, 건, 억원) |
구분 | 국내기관투자자 | 외국기관투자자 | 합계 | 누적합계 | 유효 수요 |
|||||||||||||
---|---|---|---|---|---|---|---|---|---|---|---|---|---|---|---|---|---|---|
운용사 (집합) | 투자매매 중개업자 |
연기금, 운용사(고유), 은행, 보험 |
기타 | 거래실적 유* | 거래실적 무 |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건수 | 수량 | 비율 | 누적수량 | 누적비율 | ||
1 | - | - | - | - | 1 | 200 | - | - | - | - | - | - | 1 | 200 | 16.00% | 200 | 16.00% | 포함 |
5 | 1 | 300 | - | - | - | - | - | - | - | - | - | - | 1 | 300 | 24.00% | 500 | 40.00% | 포함 |
11 | - | - | - | - | 1 | 100 | - | - | - | - | - | - | 1 | 100 | 8.00% | 600 | 48.00% | 포함 |
14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8.00% | 700 | 56.00% | 포함 |
15 | - | - | 2 | 150 | 1 | 200 | - | - | - | - | - | - | 3 | 350 | 28.00% | 1,050 | 84.00% | 포함 |
16 | - | - | - | - | 1 | 100 | - | - | - | - | - | - | 1 | 100 | 8.00% | 1,150 | 92.00% | 포함 |
17 | 1 | 100 | - | - | - | - | - | - | - | - | - | - | 1 | 100 | 8.00% | 1,250 | 100.00% | 포함 |
합계 | 3 | 500 | 2 | 150 | 4 | 600 | - | - | - | - | - | - | 9 | 1,250 | 100.00% | - | - | - |
주) 운용사(집합)은 투자일임재산 계정 및 집합투자재산 계정의 참여내역을 의미함 |
*) 인수인(해외현지법인 및 해외지점을 포함한다)과 거래관계가 있거나 인수인이 실재성을 인지하고 있는 외국기관투자자 |
(3) 수요예측 상세 분포 현황
[회차 : 제279-1회] |
(단위 : bp, 억원) |
수요예측참여사 | 한화솔루션㈜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대비 스프레드 | ||||||||||||||||||||||||
---|---|---|---|---|---|---|---|---|---|---|---|---|---|---|---|---|---|---|---|---|---|---|---|---|---|
-10 | -9 | -7 | -5 | -4 | -3 | -2 | -1 | par | 1 | 2 | 3 | 4 | 6 | 7 | 8 | 9 | 10 | 12 | 13 | 14 | 15 | 16 | 20 | 30 | |
기관투자자 1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 | - | - | 3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4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5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6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7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8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9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0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1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2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3 | -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4 | - | - | - | - | - | - | - | 4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5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6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7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8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19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0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1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2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3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4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5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6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7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8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9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0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3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4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4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4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0 | -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4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4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 | - | - | - |
기관투자자 45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 |
기관투자자 46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 |
기관투자자 47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기관투자자 48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 |
기관투자자 49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 |
기관투자자 50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 |
기관투자자 5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00 |
기관투자자 52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00 |
합계 | 200 | 100 | 300 | 200 | 600 | 200 | 150 | 1,000 | 400 | 200 | 100 | 200 | 200 | 100 | 400 | 100 | 150 | 450 | 100 | 200 | 100 | 100 | 200 | 300 | 300 |
누적합계 | 200 | 300 | 600 | 800 | 1,400 | 1,600 | 1,750 | 2,75 | 3,150 | 3,350 | 3,450 | 3,650 | 3,850 | 3,950 | 4,350 | 4,450 | 4,600 | 5,050 | 5,150 | 5,350 | 5,450 | 5,550 | 5,750 | 6,050 | 6,350 |
[회차 : 제279-2회] |
(단위 : bp, 억원) |
수요예측참여사 | 한화솔루션㈜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대비 스프레드 | ||||||
---|---|---|---|---|---|---|---|
1 | 5 | 11 | 14 | 15 | 16 | 17 | |
기관투자자 1 | 200 | - | - | - | - | - | - |
기관투자자 2 | - | 300 | - | - | - | - | - |
기관투자자 3 | - | - | 100 | - | - | - | - |
기관투자자 4 | - | - | - | 100 | - | - | - |
기관투자자 5 | - | - | - | - | 200 | - | - |
기관투자자 6 | - | - | - | - | 100 | - | - |
기관투자자 7 | - | - | - | - | 50 | - | - |
기관투자자 8 | - | - | - | - | - | 100 | - |
기관투자자 9 | - | - | - | - | - | - | 100 |
합계 | 200 | 300 | 100 | 100 | 350 | 100 | 100 |
누적합계 | 200 | 500 | 600 | 700 | 1,050 | 1,150 | 1,250 |
(4)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판단근거 및 최종 발행금리에의 반영 내용
구 분 | 내 용 |
---|---|
공모희망금리 | [제279-1회]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 [제279-2회]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 |
유효수요의 정의 | "유효수요"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
유효수요의 범위 | 공모희망금리 상단 이자율 이내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모든 물량 |
유효수요 산정 근거 | 2022년 01월 17일 실시된 수요예측 실시 결과 본사채의 공모 희망금리 범위 내의 수요예측 참여물량이 발행예정금액을 초과하여 인수단은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주)와 협의하여 아래와 같이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 발행 조건을 결정하였습니다. [본사채의 발행금액 결정] 제279-1회 무보증사채 : 2,750억원(최초 증권신고서 제출시 발행예정금액: 1,500억원) 제279-2회 무보증사채 : 1,050억원(최초 증권신고서 제출시 발행예정금액: 800억원) [수요예측 신청현황] 제279-1회 무보증사채 - 총 참여신청금액: 6,350억원 - 총 참여신청범위: -0.10%p. ~ +0.30%p. - 총 참여신청건수: 52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건수: 52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금액: 6,350억원 제279-2회 무보증사채 - 총 참여신청금액: 1,250억원 - 총 참여신청범위: +0.01%p. ~ +0.17%p. - 총 참여신청건수: 9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건수: 9건 - 공모희망금리 내 참여신청금액: 1,250억원 본 채권의 유효수요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인수단"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발행회사 및 인수단이 협의하여 각각의 수요예측 참여자가 제시한 금리에는 인수단과 발행회사가 고려한 위험(발행회사의 산업 및 재무 상황, 금리 및 스프레드 전망)이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고, 공모희망금리밴드 상단 이내로 참여한 건을 유효수요로 정의하였습니다. 발행회사와 인수단의 합의를 통하여 발행조건을 결정하였습니다. |
최종 발행금리 결정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의 반영 내용 |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는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회사와 인수단이 최종 협의하여 결정되었습니다. - 본사채의 발행금리 [제 279-1회 무보증사채] "본 사채"의 이율은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3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01%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제 279-2회 무보증사채] "본 사채"의 이율은 청약일 1영업일 전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5년 만기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절사)에 0.15%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수요예측
1.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인수규정" 제2조 제7호 및 제12조에 따라 "수요예측"을 실시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발행금액 및 발행금리를 결정합니다. 단, "기관투자자" 중 투자일임ㆍ신탁업자는 다음 요건을 충족하는 투자일임ㆍ신탁업자를 "수요예측"에 참여하도록 하며, 이에 대한 확인서를 받아야 합니다.
(1) 투자일임ㆍ신탁고객이 기관투자자일 것, 다만 인수규정 제2조 제18호에 따른 고위험고수익투자신탁과 법 시행령 제103조 제2호의 불특정금전신탁의 경우에는 기관투자자 여부에 관계없이 참여가 가능합니다.
(2) 투자일임ㆍ신탁고객이 규정 제17조의2 제5항 제2호에 따라 불성실수요예측 참여자로 지정된 자가 아닐 것.
2. "수요예측"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진행하며, "수요예측" 방법은 "한국금융투자협회"의 "K-Bond"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단,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행회사"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수요예측" 방법을 결정합니다.
3. "수요예측기간"은 2022년 01월 17일 09시부터 16시까지로 합니다.
4. 공모희망금리
- 제279-1회: "본 사채"의 "수요예측" 공모희망 금리는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및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청약일 1영업일 전에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3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 제279-2회: "본 사채"의 "수요예측" 공모희망 금리는 민간채권평가회사 4사(한국자산평가(주), 키스채권평가(주), 나이스피앤아이(주) 및 (주)에프엔자산평가)에서 청약일 1영업일 전에 최종으로 제공하는 한화솔루션(주) 5년 만기 무보증 회사채 개별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소수점 넷째 자리 이하 절사)에 -0.30%p. ~ +0.30%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5. "수요예측"에 따른 배정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공동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며, 인수단은 이에 따른 모든 권한을 "공동대표주관회사"에 위임합니다.
6. "수요예측"에 따른 배정 후, "공동대표주관회사"는 배정결과를 FAX 또는 전자우편의 형태로 배정받을 투자자에게 송부합니다.
7.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결과를 "발행회사"에 한해서만 공유할 수 있습니다. 단, "수요예측"을 통해 "본 사채"의 발행 금리와 발행금액이 결정되는 즉시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인수회사"에게 이를 통지해야 하며 법원, 금융위원회 등 정부기관(준정부기관 및 정부기관에 준하거나 그 업무를 위탁받아 수행하는 감독기관 및 단체 등 포함)으로부터 자료 등의 요구를 받는 경우, 법률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즉시 "발행회사"에 통지하고 최소한의 자료만을 제공합니다.
8.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의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 지정 여부를 확인하여 "수요예측" 참여가 제한되는 자를 "수요예측 참여자"에 포함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9.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의 신청수량 및 가격 기재시 착오방지 등을 위한 대책을 마련하여야 합니다.
10.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가 원하는 경우 금리대별로 희망물량을 신청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11.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자"가 자신의 고유재산과 그 외의 재산(집합투자재산, 투자일임재산, 신탁재산 등)중 청약, 납입을 실제 이행하는 재산을 구분하여 "수요예측"에 참여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12.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이 진행되는 동안 수요예측 참여자별 신청금리 및 금액, 경쟁률 등의 정보가 누설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13.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참여금액의 합이 발행예정금액에 미치지 못하는 등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수요예측" 종료 후 별도의 수요파악을 하여서는 아니되며, "수요예측" 실시 이후 제출된 증권신고서에 대한 금융감독원의 정정요구 명령 등으로 인하여 발행일정이 변경될 경우 "수요예측"을 재실시하지 않고 최초의 "수요예측" 결과를 따릅니다.
14.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수요예측" 관련 사항을 기록하고 이와 관련된 자료를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62조에서 정한 기간 동안 기록, 유지하여야 합니다.
15. "공동대표주관회사""는 본조 제14항에 따라 기록, 유지하여야 하는 자료가 멸실되거나 위조 또는 변조가 되지 아니하도록 적절한 대책을 수립, 시행하여야 합니다.
16. "공동대표주관회사"는 공모 희망금리의 최저 및 최고금리 사이(최저 및 최고금리를 포함한다)에 참여한 수요를 유효수요에서 제외하여서는 아니 됩니다. 다만, 통계적 사분위수를 활용한 기법 등 합리적인 통계기법 및 그 밖의 방법에 따라 유효수요가 아니라고 판단한 합리적 근거가 있을 때에, 그 근거를 공개한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합니다.
17. 기타 본 조에서 정하지 않은 사항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2015. 09.01 개정)을 따릅니다.
나. 청약 및 배정방법
(1) 청약자는 소정의 청약서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후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청약취급처에 FAX 또는 전자우편의 형태로 제출하는 방법으로 청약합니다.
(2) 청약자는 1인 1건에 한하여 청약할 수 있으며,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실명확인이 된 계좌를 통하여 청약을 하거나 별도로 실명확인을 하여야 한다. 이중청약이 있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봅니다.
(3) "본 사채"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제5항에 규정된 전문투자자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32조에 따라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제외)는 청약 전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아야 합니다.
① 교부장소 : 인수단의 본ㆍ지점
② 교부방법 : "본 사채"의 "투자설명서"는 상기의 교부장소에서 인쇄된 문서의 방법 또는 전자문서의 방법으로 교부합니다.
③ 교부일시 : 2022년 01월 24일
④ 기타사항 :
(i) "본 사채" 청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 전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은 후 청약서에 서명하여야 하며,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지 않고자 할 경우, "투자설명서"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등으로 표시하여야 하며,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등으로도 "투자설명서" 수령거부의사를 표시할 수 있다. 해당지점은 "본 사채"의 "투자설명서" (수령/수령거부) 확인서를 보관하도록 합니다.
(ii) "투자설명서" 교부를 받지 않거나,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등의 방법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 "본 사채"의 청약에 참여할 수 없습니다.
※ 관련법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그 밖의 용어의 정의) ⑤ 이 법에서 "전문투자자"란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전문성 구비 여부, 소유자산규모 등에 비추어 투자에 따른 위험감수능력이 있는 투자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전문투자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일반투자자와 같은 대우를 받겠다는 의사를 금융투자업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는 경우 금융투자업자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에 동의하여야 하며, 금융투자업자가 동의한 경우에는 해당 투자자는 일반투자자로 본다. <개정 2009.2.3> 1. 국가 2. 한국은행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기관 4. 주권상장법인. 다만, 금융투자업자와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전문투자자와 같은 대우를 받겠다는 의사를 금융투자업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는 경우에 한한다. 5.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제124조 (정당한 투자설명서의 사용) ① 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한다)에게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경우 투자설명서가 제436조에 따른 전자문서의 방법에 따르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 이를 교부한 것으로 본다. 1. 전자문서에 의하여 투자설명서를 받는 것을 전자문서를 받을 자(이하 "전자문서수신자"라 한다)가 동의할 것 2. 전자문서수신자가 전자문서를 받을 전자전달매체의 종류와 장소를 지정할 것 3. 전자문서수신자가 그 전자문서를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것 4.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면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동일할 것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 (증권의 모집·매출) ① 법 제9조제7항 및 제9항에 따라 50인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청약의 권유를 하는 날 이전 6개월 이내에 해당 증권과 같은 종류의 증권에 대하여 모집이나 매출에 의하지 아니하고 청약의 권유를 받은 자를 합산하되,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한다.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문가 가. 제10조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자 나. 제10조제3항제12호ㆍ제13호에 해당하는 자 중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다. 「공인회계사법」에 따른 회계법인 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용평가회사(이하 "신용평가회사"라 한다) 마. 발행인에게 회계, 자문 등의 용역을 제공하고 있는 공인회계사ㆍ감정인ㆍ변호사ㆍ변리사ㆍ세무사 등 공인된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자 바. 그 밖에 발행인의 재무상황이나 사업내용 등을 잘 알 수 있는 전문가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고자 가. 발행인의 최대주주(법 제9조제1항제1호에 따른 최대주주를 말한다. 이하 같다)와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한 주주 나. 발행인의 임원(「상법」 제401조의2제1항 각 호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 및 「근로자복지기본법」에 따른 우리사주조합원 다. 발행인의 계열회사와 그 임원 라. 발행인이 주권비상장법인(주권을 모집하거나 매출한 실적이 있는 법인은 제외한다)인 경우에는 그 주주 마. 외국 법령에 따라 설립된 외국 기업인 발행인이 종업원의 복지증진을 위한 주식매수제도 등에 따라 국내 계열회사의 임직원에게 해당 외국 기업의 주식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그 국내 계열회사의 임직원 바. 발행인이 설립 중인 회사인 경우에는 그 발기인 사. 그 밖에 발행인의 재무상황이나 사업내용 등을 잘 알 수 있는 연고자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제132조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법 제1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1. 제11조제1항제1호다목부터 바목까지 및 같은 항 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2.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 3. 이미 취득한 것과 같은 집합투자증권을 계속하여 추가로 취득하려는 자. 다만, 해당 집합투자증권의 투자설명서의 내용이 직전에 교부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같은 경우만 해당한다. |
(4) 배정방법
① "수요예측"에 참여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 (이하 "수요예측 참여자"로 한다. 이하 같다.)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배정된 금액을 청약하는 경우에는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배정받은 금액(청약금액이 배정받은 금액보다 적은 경우 청약금액)의 100%를 우선 배정합니다.
② "수요예측 참여자"의 총 청약금액이 발행금액 총액에 미달된 경우에 한하여 발행금액 총액에서 "수요예측 참여자"의 최종 배정금액을 공제한 잔액을 청약일 당일 12시까지 청약서 접수 및 청약금 납부를 완료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와 "일반투자자"에게 배정할 수 있습니다. 단, 청약자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공동대표주관회사"가 그 배정받는 자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인수단"과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채권의 배정은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공동대표주관회사"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공동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되,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유효수요"의 범위를 반영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하며,「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본 사채" "수요예측"에 참여한 투자자에 대해서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은 청약자에 비해 우대 배정합니다.
① 및 ②호에 따라 "수요예측 참여자"의 총 청약금이 발행금액 총액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의 방법으로 배정합니다.
(i)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 : "수요예측"에 참여한 투자자가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받은 수량 외에 추가 청약을 하는 경우 추가 청약금에 대하여 100% 우선배정합니다. 우선배정 후에도 총 청약금이 발행금액 총액에 미달되는 경우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은 투자자에 대하여 청약금액에 비례하여 안분 배정합니다. 이 경우 청약자 별 배정금액의 십억원 미만의 금액은 절사하며 잔여금액은 "공동대표주관회사"간 협의를 통해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배정합니다.
(ii) 일반투자자 :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 배정 후 잔액이 발생한 경우, 그 잔액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배정합니다.
a. 총 청약건수가 미달된 모집총액을 최저청약단위로 나눈 건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첨에 의하여 최저청약단위를 배정합니다.
b. 총 청약건수가 미달된 모집총액을 최저청약단위로 나눈 건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청약자의 청약금액에 관계없이 최저청약단위를 우선배정하고, 최저청약단위를 초과하는 청약분에 대하여는 그 초과 청약금액에 비례하여 최저청약단위로 안분 배정합니다.
c. 상기 a, b의 방법으로 배정한 후 잔액이 발생한 경우, 그 잔액에 대하여는 제2조 제2항에 따라 잔여물량을 안분하여 인수하고, "본 사채"의 납입기일 당일 납입은행에 인수금액을 납입합니다.
다. 청약단위
최저청약금액은 오십억원 이상으로 하며, 오십억원 이상은 오십억원 단위로 합니다.
라. 청약기간
청약기간 | 시 작 일 시 | 2022년 01월 24일 09시 |
종 료 일 시 | 2022년 01월 24일 12시 |
마. 청약증거금
청약사채 발행가액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하고, 청약증거금은 2022년 01월 24일에 "본 사채"의 납입금으로 대체 충당하며, 청약증거금에 대하여는 이자를 지급하지 아니합니다.
바. 청약취급장소 : "공동대표주관회사"의 본지점. 단, "공동대표주관회사"와 사전 협의한 경우에 한하여 "인수회사"의 본지점에서 같은 방법으로 청약할 수 있습니다.
사. 납입장소
(주)우리은행 한화기업영업지원팀
아. 상장신청예정일
(1) 상장신청예정일 : 2022년 01월 19일
(2) 상장예정일 : 2022년 01월 24일
자. 사채권교부예정일
"본 사채"에 대하여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36조에 의하여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고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전자등록합니다.
차. 사채권 교부장소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전자등록의 방법으로 한국예탁결제원이 작성, 비치하는 전자등록계좌부상에 그 수량만큼 기재함으로써 교부에 갈음합니다.
카. 기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1)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등록부에 사채의 권리내용을 등록하고 사채권은 발행하지 아니합니다.
(2) 사채청약금은 납입일에 사채납입금으로 대체충당하며 청약금에 대하여는 무이자로 합니다.
(3) 본 사채권의 원리금지급은 한화솔루션(주)가 전적으로 책임을 집니다.
(4) 원금상환의무나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해당 원금상환일 또는 이자지급일의 다음날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합니다. 단,동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이 사채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사채이자율을 적용합니다.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사채의 인수
[회 차 : 279-1]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NH투자증권 | 00120182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 4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대표 |
KB증권 |
00164876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7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대표 | 한국투자증권 | 00160144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
7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한화투자증권 | 00148610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56 |
5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대신증권 | 00110893 | 서울시 중구 삼일대로 343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IBK투자증권 | 00684918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6길 11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한양증권 | 00162416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6길 7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회 차 : 279-2] | (단위 : 원) |
인수인 | 주 소 |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 인수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인수금액 | 수수료율(%) | |||
대표 |
NH투자증권 |
00120182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108 | 3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대표 |
KB증권 |
00164876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50 |
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대표 | 한국투자증권 | 00160144 | 서울시 영등포구 의사당대로 88 | 5,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한화투자증권 |
00148610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 56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신한금융투자 | 00138321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대로70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키움증권 | 00296290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4길 18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미래에셋증권 | 00111722 | 서울시 중구 을지로5길 26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유진투자증권 | 00131054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 24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인수 | DB금융투자 | 00115694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32 | 10,000,000,000 | 0.20 | 총액인수 |
나. 사채의 관리
[제279-1회] | (단위 : 원) |
회차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사채관리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율(%) | |||
제279-1회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275,000,000,000 |
- | 정액 3,000,000원 |
[제279-2회] | (단위 : 원) |
회차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사채관리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율(%) | |||
제279-2회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105,000,000,000 |
- | 정액 3,000,000원 |
다. 특약사항
"인수계약서"상의 특약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회사"는 "본 사채"의 상환을 완료하기 이전에 아래의 사항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지체 없이 "인수단"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1. "발행회사"의 주식이나 주식으로 교부할 수 있거나 발행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 어떠한 증권을 발행하기로 하는 이사회의 결의 등 내부결의가 있는 때 2. "발행회사"의 발행어음 또는 수표의 부도 혹은 기타 사유로 금융기관으로부터 거래가 정지된 때 3. "발행회사"의 자산이나 영업의 일부 또는 전부의 변경, 정지 또는 양도 4. "발행회사"의 영업목적의 변경 5. 화재, 홍수 등 천재지변, 재해로 "발행회사"에게 막대한 손해가 발생한 때 6. "발행회사"가 다른 회사를 인수 또는 합병하거나 "발행회사"가 다른 회사에 인수 또는 합병될 때, "발행회사"를 분할하고자 할 때, 기타 "발행회사"의 조직에 관한 중대한 변경이 있는 때 7. "자산재평가법"에 의하여 자산재평가 착수보고서와 재평가신고를 한 때 8. "발행회사" 자기자본의 100%이상을 타법인에 출자하는 내용의 이사회 결의 등 내부 결의가 있는 때 12. 기타 "발행회사" 경영상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이 발생한 때 |
II.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1. 사채의 명칭, 주요 권리 내용, 발행과 관련한 약정 및 조건
가.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억원) |
회차 | 금액 | 연리이자율 | 만기일 | 옵션관련사항 |
---|---|---|---|---|
제279-1회 무보증사채 | 2,750 | 2.765% | 2025년 01월 24일 | - |
제279-2회 무보증사채 | 1,050 |
3.029% |
2027년 01월 22일 | - |
(1) 당사가 발행하는 제279-1회 및 제279-2회 채권은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원화표시 공모사채로서, 본 사채에는 Call-Option이나 Put-Option 등의 조기상환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습니다.
(2) 또한, 주식으로 전환될수 있는 전환청구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으며, 본 사채의 등록기관은 한국예탁결제원으로, 전자증권법에 따라 전자등록으로 발행하므로 실물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합니다.
(3) 본 사채는 선순위로서 기발행된 당사의 무담보, 무보증 사채 및 기타 채무와 동순위에 있습니다.
나.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사항(사채 보유자가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Put-option)을 보유하는 경우 그 권리의 조건 및 행사방법 등)
본 사채의 조기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는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 경우에만 발생합니다. 사채관리계약서 상 기한의 이익 상실에 관한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갑"은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가. 기한의 이익 상실 (1) 기한의 이익의 즉시 상실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갑”은 즉시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며, 이 사실을 공고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사채권자 및 “을”에게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 (가) “갑”(“갑”의 청산인이나 “갑”의 이사를 포함)이 파산 또는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한 경우 (나) “갑”(“갑”의 청산인이나 “갑”의 이사를 포함) 이외의 제3자가 “갑”에 대한 파산 또는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하고 “갑”이 이에 동의(“갑” 또는 그 대표자가 법원의 심문에서 동의 의사를 표명한 경우포함)하거나 위 제3자에 의한 해당 신청이 있은 후 10일 이내에 그 신청이 취하 되거나 법원의 기각 결정이 내려지지 아니한 경우. 이 경우 “갑”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그 동의 의사가 법원에 제출된 시점(심문 시 동의 의사 표명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심문 종결 시)을, 기타의 경우에는 제3자에 의한 신청일로부터 10일이 도과된 때를 각 그 기준으로 하되 후자의 경우 그 기간 도과 전에 법원에 의한 파산이나 회생 관련 보전처분이나 절차중지명령 또는 회생절차개시결정이나 파산선고가 내려지면 그 때를 기준으로 한다. (다) “갑”에게 존립기간의 만료 등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 법원의 해산명령 또는 해산판결, 주주총회의 해산결의가 있는 경우 (라) “갑”이 휴업 또는 폐업하는 경우(단, 노동쟁의로 인한 일시적인 휴업은 제외한다.) (마) “갑”이 발행, 배서, 보증, 인수한 어음 또는 수표가 부도처리 되거나 기타의 이유로 은행거래 또는 당좌거래가 정지된 때와 “갑”에게 금융결제원(기타 어음교환소의 역할을 하는 기관을 포함한다)의 거래정지처분이 있는 때 및 채무불이행명부등재 신청이 있는 때 등 “갑”이 지급불능 또는 지급정지의 상태에 이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바) 본 사채의 만기가 도래하였음에도 “갑”이 그 정해진 원리금 지급 의무를 해태하는 경우 (사) “갑”의 부채총액이 자산총액을 초과하여 채권금융기관이 상환기일 연장, 원리금감면, 대출금의 출자전환 기타 이에 준하는 방법으로 채권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아) 감독관청이 “갑”의 중요한 영업에 대해 정지 또는 취소처분을 내린 경우 ("중요한 영업"이라 함은 "갑"의 업종, 사업구조 등을 고려할 때 해당 영업에 대한 정지 또는 취소처분이 내려지는 경우 "갑"이 그의 주된 사업을 영위할 수 없을 것으로 객관적으로 판단되는 영업을 말한다) (자) "갑"이 본 사채 이외 사채에 관하여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 경우 (차) "갑"이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주채권은행으로부터 부실징후기업에 해당한다는 통보를 받거나 동법 제5조 제2항 각 호의 관리절차의 개시를 신청한 경우 또는 금융기관에 의한 경영관리 기타 이와 유사한 사적 절차 등이 개시된 때(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등으로 인하여 이와 유사한 절차가 개시된 경우를 포함한다) (2) ‘기한의 이익 상실 선언’에 의한 기한의 이익 상실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을”은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갑”에 대한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갑”이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다. (가) 원금의 일부를 상환하여야 할 의무 또는 기한이 도래한 이자지급의무를 불이행하여, 통지한 변제유예기간 내에 변제하지 못한 경우 (나) 본 사채에 의한 채무를 제외한 “갑”의 채무 중 원금 일천억원(₩ 100,000,000,000) 이상의 채무에 대하여, 만기에 지급이 해태된 경우 또는 의무불이행으로 인하여 기한의 이익이 상실된 경우 또는 당해 채무에 관한 의무 불이행으로 관련 담보가 실행된 경우 (다) “갑”의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부분에 압류명령이 결정된 경우 또는 임의경매가 개시된 경우 (라) “갑”이 제2-2조 제1항, 제2-3조, 제2-4조 제1항 및 제2항, 제2-5조, 제2-5조의2의 의무를 위반한 경우 (본 의무 위반의 판단 기준은 당해 발행회사의 분기, 반기 또는 회계연도 전체에 대한 각 보고서 기재를 기준으로 하되 그보다 더 최근의 일시에 의한 발행회사 서류에 따를 때 그 위반이 인정되는 경우 그에 의할 수 있다.) (마) “갑”의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부분에 대하여 가압류, 가처분이 선고되고, 60일 이내에 취소되지 않은 경우 (바) “갑”이 (라) 기재 각 의무를 제외한 본 계약상의 의무의 이행 또는 준수를 해태한 경우로서, 그 치유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치유가 가능한 경우로서 “을”이나 사채권자가 사채권자집회의 결의, 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 1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갑”에게 이러한 해태의 치유를 구하는 통지를 한 후 60일이 경과하여도 당해 해태가 치유되지 아니한 경우 (사) 위 (다) 또는 (마)의 "갑"의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부분이라 함은 그 재산에 대한 강제집행(체납처분을 포함한다) 또는 담보권 실행이 이루어지는 경우 "갑"의 영업 또는 "본 사채"의 상환이 사실상 불가능할 정도의 주요 재산을 말한다. (3) 사채권자가 (2)에 따라 기한의 이익 상실 선언을 한 경우 및 (2)의 (바)에 따라 해태의 치유를 구하는 청구를 하는 경우에는 즉시 “을”에게도 통지하여야 한다. (4) (1) 및 (2)에 따라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면 “갑”은 원금전액과 기한의 이익이 상실된 날까지 발생한 이자 중 미지급액을 즉시 변제하여야 한다. |
다. 중도상환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Call-option 등)가 회사에 부여되어 있는 경우 중도상환권 또는 매도청구권의 조건, 통지방법 등
당사가 발행하는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에는 중도상환(Call-option)을 청구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되어 있지 않습니다.
라. 사채 보유자의 권리가 다른 채권자의 권리보다 후순위일 경우 그에 관한 내용, 선순위 채권자의 권리 잔액
당사가 발행하는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는 선순위로서 당사의 무담보 및 무보증 채무(사채를 포함하며 이에 한하지 않습니다. 단, 법령에 의하여 우선권이 인정되는 채무는 제외함)와 동순위에 있습니다.
마. 발행회사의 의무 및 책임
당사는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한국증권금융(주)와 사채관리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사채관리계약 상의 재무비율 등의 유지, 담보권 설정 등의 제한, 자산의 처분제한 등의 의무조항을 위반할 경우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사채관리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당사에 대해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당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상기한 기한이익 상실사유, 아래의 사채관리회사에 관한 사항 및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구분 | 원리금지급 | 조달자금의 사용 |
재무비율 유지 |
지급보증 및 담보권 설정제한 |
자산처분금액 | 지배구조 변경제한 |
---|---|---|---|---|---|---|
내용 | 3,800억원 (제279-1회 2,750억원, 제279-2회 1,050억원) |
사용목적에 우선적 사용 |
부채비율 300% 이하 |
자기자본의 300% |
자산총계의 70%미만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서의 제외, 최대주주의 변경 |
주) 상기 재무비율 유지, 담보권 설정제한 및 자산매각 한도의 조항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
"갑"은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제2-1조(발행회사의 원리금지급의무) ① “갑”은 사채권자에게 본 사채의 발행조건 및 본 계약에서 정하는 시기와 방법으로 원리금을 지급할 의무가 있다. ② “갑”은 원리금지급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본 사채에 관한 지급대행계약’에 따라 지급대행자인 (주)우리은행 한화기업영업지원팀 에게 기한이 도래한 원금과 이자를 지급할 수 있는 지급자금을 예치하여야 하고, “갑”은 이를 “을”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③ “갑”이 원금 또는 이자지급의무를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동 연체금액에 대하여 제1-2조 제11호에서 규정한 연체이자를 지급하여야 하며, 이 경우 연체이자는 지급할 날(본 계약 제1-2조 제14호에 따라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는 기한이익상실에 따른 변제기일)로부터 기산하여 이를 실제 지급한 날의 직전일 까지 계산 한다. 제2-2조(조달자금의 사용) ① “갑”은 본 사채의 발행으로 조달한 자금을 제1-2조 제13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사용목적에 우선적으로 사용하여야 한다. ② “갑”은 금융위원회에 증권발행실적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 지체 없이 그 사실을 “을”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제2-3조(재무비율 등의 유지) “갑”은 본 사채의 원리금지급의무 이행이 완료될 때까지, 다음 각 호 사항을 이행하여야 한다. 1. “갑”은 부채비율을 300% 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동 재무비율은 별도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한다.) 단, “갑”의 최근 보고서상 부채비율은 82.8%, 부채규모는 6,432,763백만원이다. 제2-4조(담보권설정등의제한) ① “갑”은 본 사채의 원리금지급의무 이행이 완료될 때까지는 타인의 채무를 위하여 지급보증의무를 부담하거나 “갑” 또는 타인의 채무를 위하여 “갑”의 자산 전부나 일부상에 새로이 “담보권”을 설정하여서는 아니된다. 다만, 본 사채의 미지급된 원리금전액에 대하여도 담보를 동순위 및 동일한 비율로 직접 제공하여주거나 또는 “을”이 승인한 다른 담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한다. ② 제1항은 다음 각 호의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1. 자산의 구입대금을 조달할 목적으로 부담한 차입금채무를 담보하는 당해 자산상의 ‘담보권’ 2. 이행보증을 위한 담보제공이나 보증증권의 교부 3. 유치권 기타 법률에 의하여 설정되는 ‘담보권’ 4. 본 사채 발행 이후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이 설정되는 채무의 합계액이 최근 보고서상 ‘자기자본’의 300%를 넘지 않는 경우(동 재무비율은 별도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한다.) 단, “갑”의 최근 보고서상 설정된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이 설정된 채무의 합계액은 3,159,103백만원이며 이는 “갑”의 최근 보고서상 ‘자기자본’의 40.66%이다. 5. 예외규정에 의하여 허용된 피담보 채무의 차환, 연장 또는 갱신에 의하여 발생하는 ‘담보권’ 및 타인의 채무를 위한 지급보증으로서, 당초의 피담보채무 및 지급보증금액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6. 프로젝트나 계약의 입찰에 응찰하거나 양해각서 체결을 하는 경우 그 성실 진행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해당 거래의 통상 관행에 따라 제공하는 담보나 보증 7. 기업 인수업무 등을 추진함에 있어 실사의 성실 진행 등을 보장하기 위한 목적에서 해당 거래의 통상 관행에 따라 제공하는 담보나 보증 8. 발행사가 속한 업종의 필수 가입 자율규제협회나 강제가입단체의 규약상 통상적으로 제공하여야 하는 담보나 보증 9. 회사 경영상 부득이한 경우 담보권설정 7일 전에 상호 협의한 경우 ③ 제1항에 따라 본 사채를 위하여 담보가 제공되는 경우에는, 관계법령에서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을” 또는 “을”이 지명하는 자가 본 사채권자를 위하여 당해 담보를 보유하고 실행한다. “을” 또는 “을”이 지명하는 자의 이러한 담보보유 및 실행에 소요되는 합리적인 필요비용은 “갑”이 부담하며 “을”의 요청이 있는 경우 “갑”은 이를 선지급 하여야 한다. ④ 전항의 경우, 목적물의 성격상 적합한 경우 “을”은 해당 담보를 담보 목적의 신탁 등의 방법으로 신탁회사 등으로 하여금 이를 수탁처리 하게 할 수 있다. 제2-5조(자산의 처분제한) ① “갑”은 하나의 회계년도에 1회 또는 수회에 걸쳐 자산총계의 70%(자산처분 후 1년 이내에 처분가액 등을 재원으로 취득한 자산이 있는 경우에는 이를 차감한다) 이상의 자산을 매매·양도·임대 기타 처분할 수 없다. (동 재무비율은 별도재무제표를 기준으로 한다.) 단, “갑”의 최근 보고서상 자산규모(자산총계)는 14,201,797백만원이다. ② “갑”은 매매·양도·임대 기타 처분에 의하여 획득한 현금으로 채무를 상환하는 경우 본 사채보다 선순위채권을 대상으로 하여야 한다. ③ 제1항의 처분 제한은 다음의 경우 적용되지 아니한다. 1. “갑”의 일상적이고 통상적인 업무 중 일부가 금융자산의 취득과 처분 등의 업무인 경우 시장거래, 약관에 의한 정형화된 거래 등 일반적으로 그 불공정성을 의심할 개연성이 없는 방법에 의한 통상 업무로서의 금융자산의 처분 2. 정당한 공정가액 기타 일반적으로 그 불공정성을 의심할 개연성이 없는 방법에 의한 재고 자산의 처분 제2-5조의2(지배구조변경 제한) “갑”은 본 사채의 원리금지급의무 이행이 완료될 때까지 “갑”의 지배구조 변경사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지배구조 변경사유란 다음 각 호의 사항을 말한다. 1. “갑”이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31조에 따른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서 제외되는 경우 단, 계약체결 이후 법령상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요건 등 변경으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서 제외되는 경우는 지배구조변경으로 보지 아니한다. 계약체결일 현재 “갑”이 속한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은 “한화그룹”이다. 2. “갑”의 최대주주가 변경되는 경우 단, 다음 각 목의 경우는 이 조항에서 말하는 지배구조변경으로 보지 아니한다. 가. 법 제147조에 의한 보고사항을 통해 확인 가능한 경우로서 경영권 지배목적이 아닌 경우 나. 「기업구조조정 촉진법」,「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또는 채권자간 별도 약정 등에 의거 기업구조조정이나 회생을 위하여 실행된 출자전환 등에 따라 지배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다. 예금자보호법에 의한 예금보험공사가 「예금자보호법」,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금융산업 구조개선에 관한 법률」, 「공적자금관리특별법」에 따라 부실금융회사 정리 등 업무, 공적자금 회수 업무 등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배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라. 「예금자보호법」에 의한 예금보험공사 또는 정리금융회사가 보유지분을 매각하여 지배구조가 변경되는 경우 “갑”이 법 제159조 또는 제160조에 따라 최근 제출한 보고서상 최대주주((주)한화) 지분율은 36.23% 이다. 제2-6조(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 ① “갑”은 금융위원회 등에 제출하는 사업보고서 및 반기보고서 제출일로부터 30일 이내에 본 사채와 관련하여 <별첨1> 양식의 「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를 작성하여 “을”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에는 “갑”의 외부감사인이 「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의 내용에 사실과 상위한 사항이 없는가를 확인한 확인서 및 관련증빙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단,「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의 내용이 "갑"의 외부감사인이 작성한 직전 기말 또는 반기 감사보고서(검토보고서)의 내용과 일치하거나 동 보고서의 내용에서 확인될 수 있는 경우에는 위 확인서의 제출을 감사보고서(검토보고서)의 제출로 갈음할 수 있다. ③ “갑”은 제1항의 「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에 “갑”의 대표이사, 재무담당책임자가 기명날인하도록 하여야 한다. ④ “을”은 사채관리계약이행상황보고서를 “을”의 홈페이지에 게재하여야 한다. 제2-7조(발행회사의 사채관리회사에 대한 보고 및 통지의무) ① “갑”은 법 제159조 또는 제160조에 따라 보고서를 제출한 경우 지체 없이 그 사실을 “을”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② “갑”이 법 제161조의 규정에 의하여 신고를 하여야 하는 때에는 신고의무 발생일에 지체 없이 신고한 내용을 “을”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③ “갑”은 ‘기한이익상실사유’의 발생 또는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지체 없이 이를 “을”에게 통지하여야 한다. ④ “갑”은 본 사채 이외의 다른 금전지급채무에 관하여 기한이익을 상실한 경우에는 이를 “을”에게 즉시 통지하여야 한다. ⑤ “을”은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액’의 10분의1 이상을 보유하는 사채권자가 요구하는 경우에는 관계법령의 위반이 없는 이상 “갑”으로부터 제공받은 자료 및 정보의 사본을 요구일로부터 7일 이내에 교부하여야 한다. 제2-8조(발행회사의 책임) “갑”이 본 계약과 관련된 사항을 이행함에 허위 또는 중대한 정보가 누락된 자료 및 정보를 제출하거나 불성실한 이행으로 인하여 “을” 또는 본 사채권자에게 손해를 발생시킨 때에는 “갑”은 이에 대하여 배상의 책임을 진다. |
2. 사채관리계약에 관한 사항
가.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위탁조건
[제279-1회] | (단위 : 원) |
회차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사채관리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율(%) | |||
제279-1회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275,000,000,000 |
- | 정액 3,000,000원 |
[제279-2회] | (단위 : 원) |
회차 | 사채관리회사 | 주 소 | 위탁금액 및 수수료율 | 사채관리조건 | ||
---|---|---|---|---|---|---|
명칭 | 고유번호 | 위탁금액 | 수수료율(%) | |||
제275-2회 | 한국증권금융(주) | 00159643 |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 105,000,000,000 |
- | 정액 3,000,000원 |
나. 사채관리회사와 주관회사 또는 발행회사와의 거래 관계,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 실적, 사채관리 담당 조직 및 연락처 등
(1) 사채관리회사와 주관회사 또는 발행회사와의 거래 관계 여부
구 분 | 해당 여부 | |
---|---|---|
주주 관계 | 사채관리회사가 발행회사의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 여부 | 해당 없음 |
계열회사 관계 | 사채관리회사와 발행회사 간 계열회사 여부 | 해당 없음 |
임원겸임 관계 | 사채관리회사의 임원과발행회사 임원 간 겸직 여부 | 해당 없음 |
채권인수 관계 | 사채관리회사의 주관회사 또는 발행회사 채권인수 여부 | 해당 없음 |
기타 이해관계 | 사채관리회사와 발행회사 간 사채관리계약에 관한 기타 이해관계 여부 | 해당 없음 |
(2) 사채관리회사의 사채관리실적 (2022년 01월 11일 기준)
구분 | 실적 | |||||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계 | |
계약체결 건수 | 115건 | 125건 | 131건 | 117건 | 119건 | 607건 |
계약체결 위탁금액 | 22조 2,190억원 | 24조 2,580억원 | 30조 440억원 | 29조 4,840억원 | 28조 1,360억원 | 134조 1,410억원 |
(3) 사채관리회사 담당 조직 및 연락처
사채관리회사 | 담당조직 | 연락처 |
---|---|---|
한국증권금융(주) | 회사채관리팀 | 02-3770-8556, 8646, 8605 |
다. 사채관리회사의 권한
"갑"은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제4-1조(사채관리회사의 권한) ① “을”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단, 제1-2조 제14호 나목 (1)의 각 요건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로서 이에 근거한 사채권자의 서면에 의한 지시가 있는 경우 “을”은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야 한다. 다만, 동 단서에 따른 지시에 의해 “을”이 해당 행위를 하여야 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갑”의 잔존 자산이나 자산의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소송의 실익이 없거나 투입되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배당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을”이 독립적인 회계 또는 법률자문을 통하여 혹은 기타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소명할 수 있는 경우, “을”은 해당 요청을 하는 사채권자들에게, 다음 각 호 행위 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선급이나 그 지급의 이행보증, 기타 소요 비용 충당에 필요한 합리적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실현시까지 “을”은 상기 지시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원금 및 이자의 지급의 청구, 이를 위한 소제기 및 강제집행의 신청 2. 원금 및 이자의 지급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압류·가처분 등의 신청 3. 다른 채권자에 의하여 개시된 강제집행절차에서의 배당요구 및 배당이의 4. 파산,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 5. 파산,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에 관한 재판에 대한 즉시항고 6. 파산, 회생절차에서의 채권의 신고, 채권확정의 소제기, 채권신고에 대한 이의, 회생계획안의 인가결정에 대한 이의 7. “갑”이 다른 사채권자에 대하여 한 변제, 화해 기타의 행위가 현저하게 불공정한 때에는 그 행위의 취소를 청구하는 소제기 및 기타 채권자취소권의 행사 8. 사채권자집회의 소집 및 사채권자집회 결의사항의 집행(사채권자집회결의로써 따로 집행자를 정한 경우는 제외) 9. 사채권자집회에서의 의견진술 10. 기타 사채권자집회결의에 따라 위임된 사항 ② 제1항의 행위 외에도 “을”은 본 사채의 원리금을 지급받거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판상·재판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③ “을”은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해서는 사채권자 집회의 유효한 결의가 있는 경우 이에 따라 재판상, 재판외의 행위로서 이를 행할 수 있다. 1. 본 사채의 발행조건의 사채권자에게 불이익한 변경 : 본 사채 원리금지급채무액의 감액, 기한의 연장 등 2. 사채권자의 이해에 중대한 관계가 있는 사항 : “갑”의 본 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의 면제 등 ④ 본 조에 따른 행위를 함에 있어서 “을“이 지출하는 모든 비용은 이를 “갑”의 부담으로 한다. ⑤ 전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을”은 “갑”으로부터 본 사채의 원리금 변제로서 지급받거나 집행, 파산, 회생절차 등을 통해 배당 받은 금원에서 자신이 지출한 전항의 비용을 최우선적으로 충당할 수 있다. 이 경우 “을”의 비용으로 충당된 한도에서 사채권자들은 “갑”으로부터 본 사채에 대해 유효한 원리금의 지급을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보며 해당 금액에 대하여 사채권자는 여전히 “갑”에 대한 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보유한다. 만일, 제1항 본문 후단에 따른 “을”의 비용 선급 등 요청에 따라 해당 비용을 선급하거나 대지급한 사채권자가 있는 경우 그 실제 지급된 금액의 범위에서 본 항에 의한 “을”의 비용 우선 충당 권리는 해당 금원을 선급 또는 대지급한 사채권자들에게 그 실제 지출한 금액의 비율에 따라 안분비례 하여 귀속한다. ⑥ “갑” 또는 사채권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을”은 본 조의 조치와 관련하여 지출한 비용의 명세를 서면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⑦ 본 조에 의한 행위에 따라 “갑”으로부터 지급 받는 금원이 있거나 집행, 파산, 회생절차 등을 통해 배당 받은 금원이 있는 경우, “을”은 이로부터 제5항에 따라 우선 충당할 권리가 있는 비용에 이를 충당하고(만일 대지급한 사채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증빙을 받아 해당 사채권자에게 그 대지급한 금원을 지급한다) 나머지 금원은 이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보관한다. ⑧ “을”은 제7항에 따라 보관하게 되는 금원(이하 이 조에서 “보관금원”)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사채권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사채에 기한 권리를 신고하도록 공고 하여야 한다. 이 경우 권리의 신고기간은 1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만일, “갑”이 지급한 금원이나 집행, 파산 또는 회생 등의 절차에 의해 배당 받은 금원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에 해당하고 장래 추가적인 지급이나 배당이 있는 경우 그 실제 지급이나 배당을 수령한 즉시 “을”은 이를 공고 하여야 한다. ⑨ 전항 기재 권리 신고기간 종료시 "을"은 신고된 각 사채권자에 대해, 제7항의 보관금원을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에 따라 안분비례 하여 사채 권면이나 전자증권법 제39조에 따른 소유자증명서(이하 “소유자증명서”라 한다)와의 교환으로써 해당 금원을 지급한다. 만일, "갑"이 지급한 금원이나 집행, 파산 또는 회생 등의 절차에 의해 배당 받은 금원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에 해당하고 장래 추가적인 지급이나 배당이 예정 되어 있거나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경우 "을"은 교부받은 사채권이나 소유자증명서에 지급하는 금액을 기재하거나 이 뜻을 기재한 별도 서면을 첨부하고 기명날인하여 이를 해당 사채권자에게 반환하며, 해당 사채를 보유하는 사채권자가 차회에 추가적인 지급을 받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이와 같이 "을"이 기재한 지급의 뜻이 기재되거나 그와 같은 뜻이 기재된 문서가 첨부된 사채권이나 소유자증명서를 다시 "을"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⑩ 사채 미상환 잔액을 산정함에 있어 "을"이 사채권자가 제공한 소유자증명서나 사채권을 신뢰하여 이를 기초로 보관금원을 분배한 경우 "을"은 이에 대해 과실이 있지 아니하다. ⑪ 신고기간 종료시까지 해당 사채권자가 권리를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권리신고를 하고도 이후 사채권이나 소유자증명서를 교부하고 지급을 신청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사채권자에게 지급될 금원은 이를 공탁할 수 있다. ⑫ 보관금원에 대해 보관기간 동안의 이자 발생하지 아니하며 “을”은 이를 지급할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 한다. 제4-2조(사채관리회사의 조사권한 및 발행회사의 협력의무) ① “을”은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갑”의 업무 및 재산상황에 대하여 정보 및 자료의 제공요구, 실사 등 조사를 할 수 있고, “갑”은 이에 성실히 협력하여야 한다. 1. “갑”이 본 계약을 위반하였거나 위반하였다는 합리적 의심이 있는 경우 2. 기타 본 사채의 원리금지급에 관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리적으로 판단되는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②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과반수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가 제1항 각 호 소정의 사유를 소명하여 “을”에게 서면으로 요구하는 경우 “을”은 제1항의 조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을”이 “갑”의 잔존 자산이나 자산의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나 실사의 실익이 없거나 투입되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배당가능성이 없거나 사채권자의 소명 내용이 합리적인 근거를 결하였음을 독립적인 회계 또는 법률자문 결과, 기타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소명하는 경우 “을”은 사채권자집회에서의 결의 또는 해당 요청을 하는 사채권자에게, 해당 조치 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선급이나 그 지급의 이행보증 기타 소요 비용 충당에 필요한 합리적 보장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실현 시까지 상기 지시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른 사채권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을”이 조사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항의 규정 여하에 불구하고, 사채권자집회의 결의, 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2 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사채권자는 직접 또는 제3자를 지정하여 제1항의 조사를 할 수 있다. ④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을”의 자료제공요구 등에 따른 비용은 “갑”이 부담한다. 다만, 해당 조사나 자료요구 및 실사 등은 합리적인 범위에 의한 것이어야 하며 이를 초과할 경우의 비용에 대하여는 “갑”이 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⑤ “갑”의 거절, 방해, 비협조 혹은 자료 미제공 등으로 인한 조사나 실사 미진행시 “을”은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한다. ⑥ 본 조의 자료제공요구나 조사, 실사 등과 관련하여 “갑”이 상기 제1항 각 호 소정의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빙하거나 자료 등을 공개하지 아니할 법규적인 의무가 있음을 증빙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 없이 자료제공, 조사 혹은 실사에 대한 협조를 거절하거나, 이를 방해한 경우 이는 “갑”의 이 계약상의 의무위반을 구성한다. |
라. 사채관리회사의 의무 및 책임
"갑"은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제4-3조(사채관리회사의 공고의무) ① “갑”의 원리금지급의무 불이행이 발생하여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을”은 이를 알게 된 때로부터 7일 이내에 그 뜻을 공고하여야 한다. ② 제1-2조 제14호 가목 (1)에 따라 “갑”에 대하여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는 “을”은 이를 즉시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발생한 사정의 성격상 외부에서 별도의 확인조사를 행하지 아니하거나 “갑”의 자발적 통지나 협조가 없이는 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없거나 그 확인이 현저히 곤란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하며 이 경우 “을”이 이를 알게된 때 즉시 그 뜻을 공고하여야 한다. ③ 제1-2조 제14호 가목 (2)에 따라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가 발생하여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을”은 이를 알게 된 때로부터 7일 이내에 그 뜻을 공고하여야 한다. ④ “을”은 “갑”에게 본 계약 제1-2조 제14호 라목에 따라 조치를 요구한 경우에는 조치요구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그 내용을 공고하여야 한다. ⑤ 제3항과 제4항의 경우에 “을”이 공고를 하지 않는 것이 사채권자의 최선의 이익이라고 합리적으로 판단한 때에는 공고를 유보할 수 있다. 제4-4조(사채관리회사의 의무 및 책임) ① “갑”이 “을”에게 제공하는 보고서, 서류, 통지를 신뢰함에 대하여 “을”에게 과실이 있지 아니하다. 다만, “을”이 그 내용상 오류를 알고 있었던 경우이거나 중과실로 이를 알지 못한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 하며, 본 계약에 따라 “갑”이 “을”에게 제출한 보고서, 서류, 통지 기재 자체로서 ‘기한이익상실사유’ 또는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의 발생이나 기타 “갑”의 본 계약 위반이 명백한 경우에는, 실제로 “을”이 위의 사유 또는 위반을 알았는가를 불문하고 그러한 보고서, 서류, 통지 수령일의 익일로부터 7일이 경과하면 이를 알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② “을”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본 계약상의 권한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③ “을”이 본 계약이나 사채권자집회결의를 위반함에 따라 사채권자에게 손해가 발생한 때에는 이를 배상할 책임이 있다.
|
마. 사채관리회사의 사임 등 변경에 관한 사항
"갑"은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를 지칭하며, "을"은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를 지칭합니다. 제4-6조(사채관리회사의 사임) ① “을”은 본 계약의 체결 이후 상법시행령 제27조 각호의 이익충돌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의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사임하여야 한다. “을”이 사임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각 사채권자는 법원에 “을”의 해임과 사무승계자의 선임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새로운 사채관리회사가 선임되기까지 “을”의 사임은 효력을 갖지 못하고 “을”은 그 의무를 계속하여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을”은 자신의 책임으로 이익 상충 및 정보교류차단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그 위반 시 이에 따른 책임을 부담한다. 만일, 새로운 사채관리회사의 선임에 따라 추가 되는 비용이 있는 경우 이는 “을”의 부담으로 한다. ② 사채관리회사가 존재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갑”과 사채권자집회의 일치로써 그 사무의 승계자를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합리적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채관리회사의 보수 및 사무처리비용 기타 계약상의 의무에 있어서 발행회사가 부당하게 종전에 비하여 불리하게 되어서는 아니 된다. ③ “을”이 사임 또는 해임된 때로부터 30일 이내에 사무승계자가 선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10분의 1 이상을 보유하는 사채권자는 법원에 사무승계자의 선임을 청구할 수 있다. ④ “을”은 “갑”과 사채권자집회의 동의를 얻어서 사임할 수 있으며,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법원의 허가를 얻어 사임할 수 있다. ⑤ “을”의 사임이나 해임은 사무승계자가 선임되어 취임할 때에 효력이 발생하고, 사무승계자는 본 계약상 규정된 모든 권한과 의무를 가진다. |
바. 기타사항
(1)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주)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사채관리계약상의 권한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된 사채관리계약서(구 사채모집위탁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본 사채에 대한 원리금 상환은 전적으로 발행사인 한화솔루션㈜의 책임입니다. 투자자께서는 발행사의 리스크에 대하여 충분히 숙지하신 후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III. 투자위험요소
1. 사업위험
당사와 종속기업은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원료부문, 가공부문, 유통부문, 태양광부문 및 기타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사업위험은 아래의 부문별 기준에 따라 구분하여 작성되었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실체의 사업부문별 주요 회사 및 매출비중] |
사업부문 | 영위사업 | 관련회사 | 매출비중 |
---|---|---|---|
원료부문 | 석유화학산업 (PO, PVC, CA, TDI 등 석유화학제품)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
40.49% |
가공부문 | 경량복합소재(자동차부품 등),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의 플라스틱 가공사업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한화컴파운드(주) 등 |
7.12% |
유통부문 | 백화점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3.79% |
태양광부문 | 태양광 산업 | 한화솔루션(주) 태양광 부문, Hanwha Q CELLS Co., Ltd |
46.13% |
기타부문 | 부동산 개발사업 등 | (주)한화도시개발 등 |
2.47% |
주) 연결조정 전(조정 -25,866억원) 총액기준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당사 및 연결대상 종속회사로 이루어진 연결 실체의 최근 3개년도의 사업부문별 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는 당사와 종속회사 및 각 사업부문별 위험요소를 구분하여 기재하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다음의 위험요소를 충분히 숙지하시어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단, 사업의 구분에 따른 기재에도 불구하고 일부 내용에서는 복합적인 사업의 위험요소가 함께 기재될 수 있습니다.
[당사 사업부문 현황] |
(단위 : 억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매출액 | 41,905 | 7,372 | 3,919 | 47,736 | 2,555 | -25,866 | 77,621 | 27,078 | 6,142 | 3,372 | 46,919 | 7,554 | -24,733 | 66,332 |
영업이익 | 8,142 | 129 | 202 | -2,335 | -143 | 546 | 6,541 | 3,143 | -67 | -76 | 1,881 | 306 | 101 | 5,288 |
자산 | 51,293 | 23,989 | 20,153 | 133,521 | 40,003 | -91,181 | 177,778 | 62,968 | 18,089 | 22,417 | 113,909 | 12,174 | -73,963 | 155,594 |
구 분 | 2020년 | 2019년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매출액 | 36,103 | 8,477 | 4,861 | 65,380 | 9,884 | -32,755 | 91,950 | 37,938 | 9,774 | 6,312 | 61,503 | 10,515 | -31,468 | 94,574 |
영업이익 | 3,794 | -124 | 28 | 1,722 | 270 | 252 | 5,942 | 2,558 | -307 | 76 | 2,235 | 400 | -370 | 4,592 |
자산 | 42,338 | 14,933 | 22,452 | 108,404 | 35,925 | -72,679 | 151,373 | 86,291 | 14,029 | 23,719 | 90,078 | 12,995 | -70,301 | 156,811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2021년 3분기 및 2020년 3분기, 2020년는 한화솔루션(주)의 현금 및 차입금의 영업부문별 구분이 제한되어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
[원료부문]
[용어설명] |
용어 | 설명 |
에틸렌(Ethylene) | 무색의 기체로 PE, PVC, SM 등 에틸렌 계열 제품의 원료로서 석유화학산업의 대표적인 기초원료 |
프로필렌(Propylene) | 무색의 기체로 PP, AN 등 프로필렌 계열 제품의 원료로서 에틸렌과 함께 석유화학산업의 대표적인 기초원료 |
NCC(Naphtha cracking center) | 원유 증류로 생산된 나프타를 800도로 열분해하여 석유화학의 기초원료를 생산하는 설비 |
CTO(Coal to Olefin) | 석탄을 가스화해서 합성가스를 생성한 후 메탄올로 전환하고 메탄올에서 올레핀을 생산 및 제조하는 과정 |
ECC(Ethane Cracking Center) | 천연가스를 NGL(Natural Gas Liquid)상태로 변환 후 공정을 거쳐 에탄과 프로판 등을 분리한 뒤 그 중 에탄가스를 이용하여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나프타(Naphtha) | 중질 가솔린이라고도 하며, 원유를 증류할 때 생성. 납사라고 표기하기도 함 |
BTX(Benzene,Toluene, Xylene) |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의 약칭으로 석유화학제품임 |
부타디엔(Butadiene) | 상온에서 독특한 냄새가 있는 무색의 기체로 SBR, BR 등 합성고무의 원료 |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
가공성, 광학성이 우수하고 부드러우면서도 내충격 강도가 탁월해 농업용/공업용 필름, 코팅, 사출, 발포 등 다양한 분야의 원료로 사용됨 |
LLDP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 강도와 가공성 및 광학성, 환경응력이 우수해 각종 산업용 포장재, 식품 포장재, 타포린 코팅 등의 원료로 사용됨 |
HDPE(High Density Polyethylene) | 반투명의 고체로 강도는 우수하나 유연성·가공성이 떨어지며, 주로 일회용 쇼핑백, 각종 용기, 파이프 등의 원료 |
PP(Polypropylene) |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여 생성되며, 섬유, 의류, 완구 등의 제품 생산의 원료 |
PE(Polyethylene) | 에틸렌의 중합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임. 중합법에 따라 여러 가지가 생성되는데, 밀도에 따라 저밀도 폴리에틸렌과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별됨 |
PVC(Polyvinyl chloride) | 전기절연성이 양호한 무취의 분말로, 각종 파이프, 농업용 필름 등의 원료로 염화비닐수지라고도 함 |
EVA(Ethylene Vinyl Acetate) | 투명성, 유연성, 저취온성 등이 우수해 신발용 소재, 농업용 필름에서부터 라미네이팅 필름, 태양전지 시트 소재 등으로 사용됨 |
W&C(Wire & Cable Compound) | 전기적 특성, 기계적 물성, 가공성이 뛰어난 고기능성 제품으로 전력, 통신케이블 절연 및 피복에 사용됨 |
CA(Chlor Alkali) | '염소' 와 '가성소다'로 대표되는 무기화학 제품을 의미하며, 제지, 섬유, 세제, 금속, 전기 등 광범위한 산업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음 |
당사는 여천NCC에서 태양광 사업 부문에 이르기까지 석유화학사업 및 태양광사업의 Value Chain을 구축하고 있으며, 각 사별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으니 투자위험 검토 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연결실체의 석유화학/태양광사업 Value Chain]
|
[국제유가 및 환율변동에 따른 석유화학 업황의 위험]
가. 석유화학산업은 매출원가 중 원재료 가격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고 대부분을 해외에서 수입하는 산업의 특성상 원재료 가격 및 환율변동에 따라 수익성에 영향을 받습니다. 향후 국제유가가 국제정세 불안 등의 요인으로 상승하거나 환율의 급격한 상승으로 원재료 가격이 상승할 경우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석유화학산업은 나프타(Naphtha) 등 석유제품이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과 벤젠, 자일렌 등 방향족 제품과 이들 기초유분을 원료로 합성수지(플라스틱), 합성섬유(폴리에스터, 나일론) 원료, 합성고무 및 각종 기초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기초소재 산업입니다.
[석유화학제품 제조과정]
|
(출처 : 한국석유화학협회) |
[석유화학산업의 정의]
|
(출처 : 한국석유화학협회) |
이러한 석유화학산업의 기초 원재료는 나프타(납사, Naphtha)이며 분해설비(NCC, Naphtha Cracking Center)에 투입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등 기초 유분을 생산하고, 이후 추가 공정을 통하여 LDPE/LLDPE(EVA 포함), HDPE, PP 등의 합성수지 제품이 생산됩니다. 나프타는 국내 정유업체나 해외에서 수입을 통해 조달하고 있어 수급 및 가격, 원유의 가격, 환율 등에 따라 구매가격의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유가의 움직임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원유, 나프타 등 주요 원자재 가격 동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간 원유/나프타 가격 동향] |
(단위 : USD/bbl) |
구분 | WTI | Brent | Dubai | Naphtha |
2009 | 62.09 | 62.67 | 61.92 | 61.05 |
2010 | 79.61 | 80.34 | 78.13 | 79.33 |
2011 | 95.11 | 110.91 | 105.98 | 102.49 |
2012 | 94.15 | 111.68 | 109.03 | 103.57 |
2013 | 98.05 | 108.70 | 105.25 | 100.98 |
2014 | 92.91 | 99.45 | 96.56 | 94.16 |
2015 | 48.76 | 53.60 | 50.69 | 52.51 |
2016 | 43.47 | 45.13 | 41.41 | 42.63 |
2017 | 50.85 | 54.74 | 53.18 | 53.83 |
2018 | 64.90 | 71.69 | 69.66 | 67.28 |
2019 | 57.04 | 64.16 | 63.53 | 56.96 |
2020 | 39.34 | 43.21 | 42.29 | 40.56 |
2021 | 68.08 | 70.92 | 69.38 | 70.75 |
(출처 : 한국석유공사 Petronet) |
2009년도 초부터는 실물경기의 회복에 따라 유가가 완만한 상승세를 보이며 2010년말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약 89.0달러에 이르며 한동안 유가의 상승세가 지속되었으나 이후 중국의 부진한 경제성장 전망 및 미국 경기침체, 국제에너지기구(IEA)의 비축유 방출 등의 영향으로 두바이유 가격이 배럴당 100달러 선을 하회하였다가 다시 회복하는 등 경기 전망 등에 따라 상승/하락을 반복하면서 여전히 높은 변동성을 보였습니다. 2012년 4분기 이후 미국 및 유럽 지역의 경기지표가 예상치를 상회하고 미국 원유 재고 감소 등의 영향으로 인하여 배럴당 100달러를 웃돌며 상승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3년 하반기 동안에는 중국의 단기금리 급등에 따른 신용경색 우려 및 일시적인 미국 정부폐쇄 등의 환경 속에서 두바이유 기준 배럴당 100달러에서 110달러 사이에서 강세와 약세의 혼조세를 보였습니다.
2014년말 유가는 세계 경제의 완만한 흐름과 지정학적 불확실성의 약화, OPEC(석유수출국기구)의 감산 협의 실패, 셰일가스 공급이 확대된 상태에서 경기 침체 지속 등으로 수요가 감소하여, 급격히 하락하였습니다. 2015년 1분기 유가는 2014년부터 지속된 공급 과잉이 지속되는 가운데, 미 한파에 따른 난방유 수요 증가, 사우디 등 아랍 연합군이 예멘 반군을 공습하는 등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 확대 등의 상승 요인과 미 Fed의 기준 금리 조기 인상 전망 등 하락 요인이 공존하며 높은 변동성을 나타내었습니다. 2015년 2분기 유가는 중동지역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되는 가운데, 미 원유재고의 9주 연속 하락 등의 요인으로 상승하여 6월 10일 WTI 기준 $61.43/bbl을 기록하였으나, 6월 말 그리스 구제금융 협상 결렬에 따른 그리스 경제위기 심화 및 이란 핵협상 최종 타결 가능성에 따른 공급 과잉 심화 우려 확대 등의 요인으로 다시 하락세로 반전하였습니다. 3분기 유가는 이란 핵협상 타결 및 중국 증시 급락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등으로 공급 과잉 우려가 심화되며 8월 24일 WTI 기준 $38.24/bbl까지 하락하였습니다. 미국의 원유 생산량 감소, 중국 및 미국 중심의 경기 회복 기대감 등으로 유가는 소폭 반등 하였으나, 이후 유가는 다시 하락세로 반전하여 12월 31일 WTI 기준 종가 $37.04/bbl를 기록하였습니다. 유가하락의 원인으로는 OECD 상업 재고 사상 최고치 경신, OPEC의 기존 생산 정책 유지, 이란의 경제제재 해소에 따른 공급량 증가 우려, 중국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 및 12월 미 연준의 금리 인상에 따른 미 달러화 강세가 있습니다.
2016년 1월 16일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가 공식적으로 해제된 이후 유가는 공급량 증가에 대한 우려로 2016년 2월 11일 WTI 기준 $26.21/bbl까지 하락하였습니다. 그러나 지속되는 저유가로 인한 주요 산유국들의 재정적자 심화에 따른 원유 생산 동결 기대, 미국연방준비제도 기준금리 동결로 인한 달러 약세 등으로 인해 유가는 한 달여 만에 약 50% 상승, $41.52/bbl까지 회복했습니다. 2016년 상반기까지 상승세를 이어오던 국제 유가는 6월말 이후 OPEC 원유 생산량 증가에 따른 공급과잉 심화 우려로 8월까지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일부 산유국의 생산량 합의 및 OPEC 회원국간 비공식 회담 개최 가능성 보도로 다시 급등하였습니다. 이후 10월 중순까지 상승세를 보이던 유가는 OPEC에 대한 시장의 불신과 달러화 강세로 인해 다시 하락하였으나, 2016년 11월 30일(현지시각)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OPEC 정례회의에서 OPEC회원국들의 감산합의(일일 원유 생산량을 120만배럴 감산)가 이루어지면서 반등하였습니다. 감산합의 직후 약 20% 가량 상승하여 배럴당 50달러를 돌파한 국제유가는 2017년 들어 배럴당 50~55달러 사이에서 등락을 거듭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7년 들어서도 1월부터 OPEC과 비OPEC의 감산 합의가 시행된 가운데 감산 참여국들이 합의를 충실하게 이행하면서 공급과잉이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3월 초까지 유가를 지지하며 배럴당 50달러를 상회했습니다. 실제로 1월 OPEC 산유량은 전월 대비 89만 b/d 감소하면서 감산 이행률이 무려 93%에 육박(과거 감산 합의 당시 OPEC의 감산 이행률은 60% 수준)했습니다. 그러나 계절적 요인으로 인해 미국 원유 재고가 사상 최대치를 경신하고, 사우디 에너지장관이 OPEC의 감산 이행으로 인해 미국 셰일오일의 생산량이 증가할 것에 대한 경계심을 내비치며 3월 초부터 유가는 하락세로 반전, 배럴당 50달러를 하회했습니다. 이후 유가는 리비아에서 발생한 예상치 못한 공급 차질, 셰일오일 생산량 증가 등 연이어 발생하는 호재와 악재에 배럴당 50달러 전후로 등락을 거듭하다가 상반기 말 배럴당 42달러까지 하락했습니다. 하반기에 들어서는 IEA, OPEC 등 주요 에너지 기관들의 수요 전망치 상향 조정, 사우디 왕세자와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감산 합의 연장 지지 발언, 이라크 정부군과 쿠르드 자치정부의 충돌 등의 지정학적 리스크 부각, 미국 석유제품(휘발유, 증류유) 재고 감소세 지속 등에 힘입어 2017년 연초 이후 박스권인 55달러 선을 상향 돌파하고 연말에는 60달러를 넘어섰습니다.
2018년 1월 중에는 중동 정치상황에 대한 불안과 OPEC 및 러시아의 감산합의에 따른 원유재고 감소 등으로 브렌트유 기준 배럴당 70달러 선을 넘어서 2014년 12월 이후 3년여 만에 최고 수준을 보였으며, 브렌트유 기준 국제유가는 2018년 1월 평균 69.08달러/배럴을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위험자산 투자분위기 위축, 원유 생산 및 재고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18년 2월 평균 브렌트유는 65.73달러/배럴로 소폭 하락하였습니다. 일시적인 조정 이후 OPEC 회원국들의 감산 이행률 지속 상승 및 글로벌 경기호조에 따른 원유 수요 강세에 따라 주춤했던 유가는 다시 반등하였습니다. 5월 초 트럼프 대통령이 OPEC 내 3위 원유 생산국인 이란과의 핵협상 파기를 선언함에 따라, 공급 차원에서 우려가 확산되며 유가 상승 추세는 지속되며 브렌트유 기준 79.8달러/배럴 수준까지 상승하였으나 5월말 사우디 및 러시아의 증산 가능성 제기로 인해 조정을 받으며, 6월 중순에는 브렌트유 기준 73달러 수준까지 하락하였습니다. 2018년 6월에는 시장 예상치에 못 미치는 OPEC의 증산규모, 미국의 전세계에 대한 이란산 원유 수입 중단 요청, 리비아 내전에 따른 생산차질로 인해 공급측 가격 인상 압력이 강화됨에 따라 단기 급등하며, 브렌트유 기준 배럴당 79달러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2018년 7월에는 리비아의 원유 생산 및 수출재개에 따라 공급 부족이 해결되며 안정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하지만 2018년 9월 미국의 이란 경제 제재 우려와 OPEC+(OPEC과 감산에 참여하는 러시아를 포함한 Non-OPEC 11개국) 국가들의 증산 할당량 합의 실패로 유가가 상승하며 브렌트유는 배럴당 80달러 수준까지 상승,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으나 2018년 4분기 이란 제재를 앞둔 OPEC의 공급 확대 결정에도 예상과 달리 미국의 이란 제재가 완화되며 2019년 국제유가는 공급 과잉 우려,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에 따른 투자 및 교역 부진과 주요 소비국인 중국의 성장세 둔화 등에 따라 수요 위축에 대한 위기감으로 국제유가는 급격한 하락 추세를 보였습니다.
2019년에 들어서는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OPEC 내 주요 산유국의 수출량 감소 및 미국의 기대치보다 낮은 원유 재고량 등으로 인해 유가가 70달러 수준까지 상승하였으나, 4월 이후 심화된 미국과 중국의 무역분쟁 이슈와 세계 경제의 둔화 우려에 따른 수요 감소 우려로 국제유가는 다시 60달러 전후 수준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편 2019년 9월 14일 사우디아라비아 아람코사의 석유시설 Abqaiq 석유처리 시설과 Khurais 유전에 대한 드론 공습으로 사우디에 570만 b/d 규모의 생산 차질이 발행하였으며, 생산 차질 물량은 사우디아라비아 원유 생산량(980b/d, 2019년 8월 기준)의 58% 이상, 전세계 석유 공급의 5% 이상을 차지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이 사건으로 유가는 급등하는 추세를 보였으나, 사우디아라비아 에너지부 장관이 향후 2주 이내에 피해시설이 완전히 복구될 것으로 밝히며 유가는 회귀하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또한, 2019년 11월 초 사우디아라비아의 국영석유기업인 Saudi Aramco가 상장계획을 발표하여 중동 산유국의 원유 공시가격인 OSP(Official Selling Price)가 상승했으며, Saudi Aramco가 사우디 타다울 증권거래소에서 거래되기까지 Aramco의 상장에 대한 기대감으로 유가가 상승하여 2019년 12월 13일 WTI는 60달러/배럴을 돌파하기도 했습니다. 여기에 더해, 2019년 12월 중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 해소 공식 합의가 발표된 이후 글로벌 경기 회복 기대감으로 유가는 점진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020년 초 급성 호흡기 질환인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가 전 세계로 확산되면서 여행업, 항공업 위축 등으로 원유 수요가 감소할 것이라는 전망과 함께 유가는 점진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또한, 국제에너지기구(IEA)에서 발표한 2020년 상반기 평균 원유 수급 예상 수치가 일 100만 배럴 가량 초과 공급으로 시장에 알려지면서 2020년 2월 WTI는 40달러 후반까지 하락했습니다. 2020년 3월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증산, OSP인하 선언으로 원유 공급 과잉에 대한 우려가 대두됐고 그에 따라 원유가격이 급락하는 양상을 보이면서 WTI 가격은 3월말 장중 20달러 선이 무너지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심화에 따른 원유 수요 감소와 원유 재고 포화로 저장공간 확보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면서 2020년 4월 20일 기준 5월 인도분 WTI 선물은 $-37.63/배럴의 비정상적인 가격을 기록하였습니다. 2020년 4월, OPEC+가 극적으로 6월까지의 감산에 합의하고 각 국의 경제부양정책 실시에 따른 경제 회복 기대감으로 국제유가는 반등하기 시작하였으며, 2020년 8월 WTI유 기준 42.61달러/배럴까지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초부터 백신접종으로 인한 경기개선 기대감으로 국제유가는 상승 추세로 전환되었으며, 10월 WTI 가격이 80달러를 돌파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오미크론 코로나19 변이 확산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로 소폭 하락하였다가 우려 완화로 재차 반등하여 2022년 01월 현재 WTI유는 80달러/배럴 선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코로나19 추가 확산 여부, 백신 상용화 소요시간 등의 요인으로 국제유가 변동성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더불어 향후 국제유가가 국제정세 등의 요인으로 급등할 경우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석유화학산업은 원재료 가격 상승으로 인하여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국제유가 추이] |
(단위 : $/bbl) |
![]() |
국제유가(WTI) 추이 |
(출처 : 네이버금융) |
석유화학산업은 수출 비중이 높은 산업으로 환율이 수익성에 크게 영향을 미칩니다. 원/달러 환율은 2008년 금융위기 당시 급등하였으나 이후 등락을 반복하며 지속적인 하향 추세를 보였으며 2014년 하반기 이후 상승 국면을 보였습니다. 환율 상승은 당사에 원재료비 부담을 다소 가중시킬 수 있으나,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특성상 수출 경쟁력이 강화되는 긍정적인 면이 존재합니다. 한편 2016년 11월 8일 미국 대선에서 예상과 달리 트럼프가 당선된 후 강 달러 현상이 심화되었습니다. 미국 경제의 성장세 개선과 트럼프 효과, 유가 반등, 선진국 중앙은행 간 통화정책 차별화 등의 영향으로 달러 인덱스는 5% 이상 상승하였으며, 대부분의 통화는 달러화 대비 약세가 전개되었습니다. 이후 원/달러 환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여 2016년 12월 28일에는 1,205.30원을 기록하기도 하였습니다. 2016년 12월 28일 정점을 찍은 원/달러 환율은 트럼프의 대통령 취임일인 2017년 1월 20일에 가까워질수록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는 대선 캠페인 과정에서 보호무역주의를 강조했던 트럼프가 취임 후, 그 수단으로 약 달러를 유도하려는 움직임을 보일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후, 2017년 3월 13일 원/달러 환율은 1,158.20원을 기록한 뒤, 등락을 거듭한 끝에 하락세를 보이기 시작했으며, 2018년 4월 3일 종가 기준 원/달러 환율이 1,058.10원으로 2014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세제 개혁안으로 예상되는 미국 재정적자 확대 우려로 전 세계적으로 달러화가 약세를 나타내는 동시에 중국 금리 인상에 따른 위안화 강세로 인하여 원화가 동반 강세를 나타냈으며, 2017년 12월 한국 수출이 전년 대비 8.9% 증가하는 등 수출경기 개선 흐름이 지속되면서 원화가 강세를 보였기 때문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이후 원/달러 환율은 다시 상승 추세로 전환되었으며, 2018년 환율 급등은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지속적으로 낮추면서 원화가 위안화 약세에 연동되고 있는 반면 미국의 경우 증시가 강세를 보이는 동시에 금리도 상승세에 있어 강달러 환경이 조성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후 2019년에 들어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와 미국 경기 침체, 기준금리 인하 전망이 예상되는 가운데 한일 무역분쟁 등 불안정한 국내외 상황으로 한국 기준금리는 1.75% → 1.50%로 인하되었고 미국 기준금리 역시 1.75~2.00%로 인하되었습니다. 이후 8월 일본의 화이트리스트 배제, 한미 연합훈련에 대응한 북한의 미사일 도발 등 불안정한 지정학적 상황이 시현되었으며, 2019년 10월 16일 개최된 금융통화위원회에서 한국은행은 향후 경제성장이 기존 전망을 밑돌고 수요 측면에서의 물가 상승 압력이 낮아진 점을 고려하여 기준금리를 0.25%p. 낮춘 1.25%로 조정하여 환율은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였습니다.
2020년에 들어서는 중국 우한에서 시작된 코로나19 감염증이 미국 및 유럽까지 확산됨에 따라 프랑스, 스페인 등 유럽 주요국 및 미국이 국가비상사태 및 이동 제한 조치를 발표하여 글로벌 경기 하락 우려가 가시화되었으며, 당초 예상했던 바와 달리 유럽중앙은행(ECB)이 기준금리를 동결함에 따라 달러 자산 선호심리가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코로나19 감염증이 아시아뿐만 아니라 유럽 주요국 및 미국에 빠르게 확산됨에 따라 글로벌 경제가 당초 예상보다 더욱 악화될 것이라는 우려로 인해 미국은 기준금리를 1.00~1.25%로 0.50%p.인하하였으며, 12일 후인 3월 15일 0.00~0.25%로 1.00%p. 추가 인하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3월 16일 한국 또한 기준금리를 기존 1.25%에서 0.75%로 0.50%p. 전격 인하하였고, 코로나19로 인한 수출급감과 미국, 중국 등 주요국 성장률 추락 등으로 인한 경제 타격이 예상보다 심각하다는 판단으로 인해 종전 기준 금리인 0.75%에서 0.25%p. 내린 0.50%로 인하 발표하였습니다. 이로써 그동안 지속되어왔던 한-미간 금리역전이 해소되었음에도 불구,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안전자산 선호심리로 인해 환율의 상승세는 지속되어 3월 25일 원/달러 환율은 1,266.50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다만 한국과 미국간의 6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 체결에 힘입어 국내 달러 유동성 우려는 일부 해소되었으며, 이후 미국 경기 회복 둔화 우려에 따른 약달러 현상, 주요국 경기 부양책 및 통화완화 정책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심리 약화, 위안화 강세에 따른 원화 동반 강세 등으로 인해 환율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 결과 원/달러 환율은 2020년말 1,088.00원까지 하락한 바 있습니다.
2021년초에는 장기 금리가 기대 인플레이션 상승 및 미국 경제의 회복 기대감을 반영해 상승하기 시작했고, 외국인의 국내 주식 순매도, 개인 투자자들의 해외투자 확대가 달러 수요를 이끌어 원달러 환율은 일정 부분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5월 말 들어 위안화 강세 랠리에 연동한 원화 강세 압력까지 더해지며 원달러 환율은 하락하였으나, 6월 FOMC 이후 미국에서의 테이퍼링 이슈가 제기됨에 따라 재차 상승하였습니다. 이후 영국 등 유럽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재확산에 따라 봉쇄조치가 이루어진데다, 미·중 간 신냉전시대에 대한 우려감으로 원달러 환율 상승 압력이 커진 결과 2021년 12월 기준 1,190원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코로나19 관련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해 있으며, 미-중 갈등 재점화, 주요국 경제지표 회복 둔화 등의 이슈로 인해 원/달러 환율 추이에 대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상존하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환율의 변화는 외환 관련 손익의 변동성을 확대해 당사의 수익성 및 재무 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위험이 있으며, 환율 하락(원화가치의 상승)은 당사 제품의 가격 상승을 초래하여, 가격경쟁력을 약화시켜 매출 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원/달러 환율 추이] |
(단위 : 원/달러) |
![]() |
원달러환율 추이 |
(출처 : 서울외국환중개) |
[에틸렌 스프레드와 관련한 위험]
나. 석유화학산업은 에틸렌 스프레드에 따라 수익성이 결정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신규 생산시설의 가동 시점과 글로벌 에틸렌 수요의 추이에 따라 공급과잉 및 스프레드 축소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이는 석유화학업체 수익성 저하로 이어질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석유화학 산업의 주요 원재료인 에틸렌과 프로필렌은 나프타로부터 추출됨에 따라 에틸렌 가격은 나프타 가격에 따라 민감하게 변동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에틸렌은 다양한 소비재에 쓰이는 폴리염화비닐(PVC), 세제의 원료인 계면활성제, 에탄올 등을 만드는 기초 원료입니다. 쓰임새가 다양해 '화학의 쌀'로도 불리는 에틸렌은 화학업체들의 주요 수익원이며, 화학업체들은 석유에서 추출되는 나프타를 사들여 자체 보유한 나프타분해센터(NCC)를 통해 에틸렌을 만들어냅니다. 나프타 단가가 하락하는 경우 에틸렌 가격에서 원료인 나프타의 가격을 뺀 금액인 '에틸렌 스프레드'의 확대에 영향을 미치며, '에틸렌 스프레드'의 확대는 당사를 비롯한 석유화학업체의 수익성을 개선시킵니다. 반대로 동 스프레드가 감소한다는 것은 원료와 가공품의 가격 차가 감소해 기업들이 누릴 수 있는 마진이 적어진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에틸렌과 나프타, 두 원자재의 가격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한편, 에틸렌 스프레드의 추이는 아래의 그래프와 같습니다.
[에틸렌 스프레드 추이] |
(단위 : $/톤) |
![]() |
에틸렌 스프레드 추이 |
(출처 : Platts, 하나금융투자) |
에틸렌 스프레드는 2016년 ~ 2017년에 400~ 800달러에서 가격 변동폭이 나타났습니다. 2018년 들어 10월까지의 에틸렌 누적 평균 마진은 톤당 577달러로 전년 동기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나 분기별로는 1분기 660달러/톤에서 3분기 566달러/톤으로 하락하며 상고하저 양상을 나타내었습니다. 일본 정기보수, 대만의 공급차질 등으로 상반기 마진이 견조하였지만, 하반기에는 북미 ECC 증설 영향에 따른 가동률 저하와 미-중 무역전쟁으로 인한 수요 위축 등으로 마진이 하락하면서, 4분기에는 400달러 수준까지 하락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미국과 아시아 중심의 대규모 공급확대, 미ㆍ중 무역분쟁 등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석유화학제품 수요둔화 등으로 인해 에틸렌 가격이 하락하면서 스프레드가 축소되었습니다.
한편, 2020년 1월초 코로나19사태의 여파로 전 세계적 수요가 감소하는 가운데 '셰일가스'를 원료로 하는 값싼 미국산 에틸렌까지 공급되면서 에틸렌스프레드는 131달러/톤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19년 4분기 평균인 172달러/톤 대비로도 24% 낮은 수치로, 일반적인 손익분기점인 250달러/톤을 크게 하회하였습니다.
2020년 4월 평균 에틸렌스프레드는 225.9달러/톤을 기록하며 저점대비 회복세를 보였습니다. 이후 코로나19 사태가 진정된 중국 중심의 석유화학제품 및 코로나19 관련 위생재와 포장재 등의 수요증가와 나프타분해설비(NCC) 가동 차질로 인한 공급부족으로 인해 2020년 하반기 에틸렌스프레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은 LG화학, GS칼텍스 신규 NCC증설로 경쟁이 심화된 가운데 중국의 전력공급 부족에 따른 수요 부진 영향으로 스프레드는 지속적으로 감소하여 2021년 12월 200달러대에서 등락을 오가는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ICIS에 따르면, 2022년 에틸렌 설비 증감량은 다소 감소하겠으나, 중국 증설 영향으로 2022년에도 공급 부담은 지속될 것으로 보이며, 유가 변동성 확대 국면 등을 감안할 때 에틸렌 가격의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외에도 국제적인 이슈, 코로나19 사태의 불확실성 등이 여전히 상존하므로 스프레드 관련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글로벌 에틸렌 수급 추이 및 전망] |
(단위 : 천톤) |
![]() |
글로벌 에틸렌 수급추이 |
(출처 : ICIS, Platts, Argus, 신한금융투자) |
한편, 국내 시장의 경우 2018년 들어 GS칼텍스, 현대오일뱅크, S-oil 등의 정유사들이 에틸렌 생산능력 확보를 위한 투자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세 회사의 투자가 완료된다면, 기존에 석유화학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SK이노베이션 계열의 SK종합화학과 더불어 모든 메이저 정유사들이 에틸렌 생산능력을 보유하게 됩니다. 국내 모든 정유사의 에틸렌 생산 계획이 이뤄진다면 국내 연간 에틸렌 생산량은 현재 1,000만톤 내외에서 1,390만톤 내외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현대오일뱅크는 2018년 5월에 롯데케미칼과 2021년말 상업가동을 목표로 총 2조 7천억원 규모의 석유화학 신사업 공동추진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현대오일뱅크와 롯데케미칼이 전략적 합작을 통해 설립한 현대케미칼은 신규 에틸렌 설비가 2021년말 경 완공이 전망 되며 2022년부터 연간 약 75만톤 규모의 에틸렌 생산능력을 보유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8년 2월 GS칼텍스는 여수공장 인근에 2조 6천억원 규모의 올레핀 생산시설(MFC)을 건설해 2021년말 현재 에틸렌 연간 75만톤, 폴리에틸렌 50만톤을 생산할 수 있는 생산시설 준공을 마치고 시험 가동 중에 있으며, 2022년부터 정식 가동할 예정입니다. S-oil의 경우 2021년 상반기부터 이른바 '샤힌 프로젝트'로 명명된 증설 계획에 대한 기본설계에 착수한 뒤 2022년 최종 투자결정을 거쳐 2026년쯤 공사를 완료할 계획입니다.'샤힌 프로젝트'는 나프타와 부생가스를 원료로 연간 150만t 규모의 에틸렌 등을 생산하는 스팀크래커 구축 등이 핵심입니다. 스팀크래커는 원유 정제 과정에서 생산되는 나프타와 부생가스를 원료로 투입해 에틸렌 및 기타 석유화학 원재료를 생산하는 설비로 NCC(나프타분해시설)의 일종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유가에 대한 코로나19 사태 및 주요 산유국 원유 생산 경쟁 심화 관련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는 상황에서, 북미 및 중국발 대규모 증설에 기인한 에틸렌 공급과잉, 글로벌 경기둔화에 따른 수요 둔화 및 국내 정유사를 중심으로 한 에틸렌 생산시설 투자로 에틸렌 스프레드 축소가 지속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투자자께서는 이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중국 수출 감소에 따른 위험]
다. 석유화학제품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국의 공급 확대 및 유가의 변동성에 따라 당사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경우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미-중 무역분쟁이 완화될 경우 미국의 중국향 PE 수출 증가는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석유화학업체에는 위협요소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석유화학산업은 전자, 자동차, 섬유, 건설 등 전방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산업으로 이들 경기변동에 따라 수요의 변동 폭이 결정되며, 수출시장의 경우 중국지역, 서구 및 미주지역의 시장경기가 수출시장의 주요 수요 변동요인으로 작용합니다. 국내 석유화학산업은 투자 자유화 조치가 실시된 1990년 직후, 협소한 내수 시장에서 과다한 업체들이 참여하여 공급과잉이 심각해지면서 과당경쟁으로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그러나 1992년 한·중 수교 후 국내 석유화학 기업들은 대중 수출의 빠른 확대를 통해 주력 수출산업으로 전환하면서 새로운 활로를 찾게 되었습니다. 한국은 세계 최대의 석유화학 수입시장인 중국과의 지리적 근접성을 바탕으로 수입수요 변화에 민첩하고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어, 중국 시장 점유율 1위 수출국의 위상을 확보하였습니다.
중국은 세계 최대 규모의 수입시장이고, 한국에 지리적으로 근접해 있으며, 석유화학제품의 특성(운송 곤란)상 세계시장이 대륙별로 블록화되어 있는 데다, 글로벌 공급과잉이 심화되는 가운데 중국을 대체할 만한 거대시장이 부재하다는 점 등의 요인에 기인하여 석유화학제품의 중국 수출의존도는 높은 편입니다. 그러나 석유화학제품의 중국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중국 단일 국가의 경제 여건, 정책 및 제품 수급 상황에 의한 수출 영향력이 증가하였으며 중장기적으로 중국의 자급률 진전과 중동, 미국 등 공급증가에 따른 경쟁 심화로 대중국 수출이 둔화되는 추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석유화학제품의 중국 수출동향] |
(단위: 백만달러) |
구분 | 2021 | 2020 | 2019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2013 |
---|---|---|---|---|---|---|---|---|---|
대중국 수출액 | 19,993 | 15,277 | 18,541 | 21,772 | 20,156 | 16,725 | 16,966 | 22,046 | 23,489 |
전체 수출 중 중국 비중 | 39.74% | 42.93% | 43.56% | 43.58% | 47.06% | 46.28% | 45.48% | 45.73% | 48.56% |
(출처 : 한국석유화학협회) |
2021년 전체 석유화학제품 수출 중 중국 비중은 소폭 감소하였으나 여전히 40%에 육박하는 의존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석유화학제품의 높은 중국 수출 의존도가 지속됨에 따라,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실적은 중국 단일 국가의 경제 여건, 정책 및 제품 수급상황에 많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경제성장 둔화와 자급률 상승으로 중국의 석유화학 수입 수요 증가세가 낮아지면서, 국내 석유화학제품의 대중국 수출물량 또한 점진적 감소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석유화학제품의 대중국 수출액은 2013년 234.9억달러를 기록한 후 사드 등의 영향 등으로 감소하였으며, 2016년 이후 회복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8년부터 재차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이전과 같은 성장은 어려울 전망입니다. 2021년에는 개선된 글로벌 경기에 따른 수요 증가로 인해 절대적인 중국 수출액은 2020년 대비 증가하였으나, 2018년 대비 여전히 낮은 수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한편, OECD에 따르면 2021년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다른 국가보다 빠르게 경제를 재개할 수 있게 한 강력한 공중보건 대응과 수요에 대한 정책지원을 통해 빠르게 생산량을 회복한 결과 코로나19로 부진했던 2020년 경제성장률이 2021년 8.1%로 회복될 것으로 예상하였습니다. 교역 상대국 상대로 경제가 재개되면서 2021년까지 회복세를 이어갔으나, 2022년은 부동산 산업 위축, 전력난 등으로 회복세가 다소 둔화되어 5.1%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중국경제는 정부 주도의 내수확대와 함께 대외개방을 확대할 계획을 발표하는 등 내외적으로 확대하며 성장전략 추진으로 성장세를 나타낼 전망입니다. 다만, 여전히 미중갈등 심화, 기업 부실채권 증가 및 코로나19 재확산 등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중국 경제성장률 전망] |
(단위 : %) |
전망기관 | 전망시점 | 2022(E) | 2021(E) | 2020 | 2019 |
---|---|---|---|---|---|
IMF | 2021.10 | 5.6 | 8.0 | 2.3 | 6.1 |
OECD | 2021.12 | 5.1 | 8.1 | 2.3 | 6.1 |
(출처 : IMF World Economic Outlook(2021.10), OECD Economic Outlook (2021.12) 주) 경제성장률은 전년동기대비 기준 |
중국은 코로나19 사태에도 불구하고, 수요증가를 상회하는 공급증가가 지속되면서 자급률이 꾸준한 상승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국석유화학협회에 따르면 중국 석유화학 기초유분 제품의 자급률은 이미 100%를 상회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2020년 기준 자급률은 에틸렌은 109.9%, 프로필렌은 115.5%, 부타디엔은 139.8%를 기록하였습니다. 자급률이 높을수록 중국이 해당 제품을 수입할 유인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에 더해, 중국은 2021년만 500만2000톤의 NCC(나프타분해시설) 증설 계획을 갖고 있으며. 2022년에도 500만3000톤 증설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중국의 NCC가 증설되면 에틸렌, PP, PX 등 기초유분 공급량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에 따라 향후 중국의 경기회복 시, 수요 확대로 인한 국내 기업의 실적 개선 폭은 제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중동의 석유화학 기업들은 에탄가스 원료의 가격경쟁력 우위를 바탕으로 2000년대 이후 2010년대 중반까지 에탄 크래커(ECC) 중심으로 석유화학 생산능력 대폭 확대 하였습니다. 또한 최근 사우디아라비아는 '비전 2030' 아래 원유와 저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수출에 그치던 석유산업을 고부가가치 석유화학제품 생산 중심으로 탈바꿈하려 하고 있다. 사우디는 원유를 현지에서 공급받을 수 있어 가격경쟁력에서 유리하며, 이러한 강점을 바탕으로 아시아 시장 공략에 집중하고 있다는 점도 중국 수출 비중이 높은 국내 석유화학업체에는 위협요소가 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각국의 설비증설로 인한 경쟁 심화 위험]
라. 중동 및 북미 지역의 에탄크래커(Ethane Cracker)는 국내 석유화학업체의 납사크래커(Naphtha Cracker)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미국에서는 2019년까지 대규모 ECC플랜트 발주가 완료되어, 2025년경까지 대규모 ECC가 완공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북미지역의 석유화학산업의 원가경쟁력이 향상될 경우 국내 석유화학업체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1800년대에 발견된 셰일가스는 1990년 말부터 새로운 천연가스 개발 기술이 적용되면서 저가로 대량생산하는 것이 가능해져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미국에서 본격적인 셰일가스 생산이 시작된 2006년 이후부터 생산량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셰일가스는 진흙이 쌓여 만들어진 퇴적암층인 셰일층에 존재하는 천연가스로서 전통적인 천연가스보다 매장량이 많고 가채연수는 53년으로 석유의 가채연수인 50년보다 긴 시간 동안 채굴이 가능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기존의 가스가 중동 및 러시아 등에 주로 매장되어 있는 것과 달리 셰일가스는 전 세계 30여 개국 이상에 분포되어 있으며 주로 에너지 수요가 높은 중국, 미국에 집중 매장되어 있어, 세계 에너지 기업들이 앞다투어 셰일가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NCC (Naphtha Cracking Center)와 ECC (Ethane Cracking Center)의 비교 ] |
NCC | 나프타크래커(Naphtha Cracker)를 통해 나프타에 열을 가해서 탄화수소로 분해한 후, 급랭→압축→냉동→분리 과정을 거져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
ECC | 채굴된 천연가스를 에탄과 프로판 등으로 분리한 후, 이 중 에탄가스를 이용하여 석유화학제품을 생산하는 공정. 일부 중동지역을 제외하면 천연가스 가격이 나프타 가격보다 높아서 경쟁력을 확보하지 못하였으나, 최근 셰일가스의 가격 하락으로 인해서 ECC 설비의 가격 경쟁력이 향상되었음. |
셰일가스 개발 본격화 등에 따른 중동 및 북미 지역의 에탄크래커(Ethane Cracker)는 국내 석유화학 업체의 나프타크래커(Naphtha Cracker) 대비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어, 국내 석유화학산업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국내 석유화학 생산설비는 대부분 나프타를 원료로 하는 나프타크래커로 구성되어 있으나, 산유국은 저가의 천연가스를 원료로 하는 에탄크래커의 설비 비중이 높은 편입니다. 중동산 에탄크래커는 나프타크래커의 약 1/3, 북미의 에탄크래커는 약 1/2 수준의 생산원가 수준을 보이고 있어 높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화석연료별 매장량 및 가채연수] |
구분 | 석유 | 석탄 | 천연가스 |
---|---|---|---|
가채매장확인량 | 16,966억배럴 | 10,350억톤 | 193.5조㎥ |
가채연수 | 50년 | 118년 | 53년 |
(출처 : 한국에너지공단,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
셰일가스 혁명으로 미국 석유화학산업은 셰일가스의 증산에 따라 에탄(ethane) 및 LPG의 생산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 때문에 대규모 가스기반 플랜트 건설계획이 잇달아 발표되고 있습니다. 셰일가스 개발 붐으로 미국 석유화학산업에서는 NCC의 통합 또는 축소가 시작되었으며, 미국은 셰일가스 생산 급증으로 원가경쟁력을 보유하게 됨에 따라 최근 나프타 기반 생산설비를 셰일가스 기반 에틸렌 생산설비로 전환·재가동 중에 있습니다.
[북미 지역 ECC 신증설 계획] |
![]() |
연도별 북미 ecc 신증설 |
(출처 : 신한금융투자(2021.04)) |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2017년 ~ 2020년에 대규모 ECC플랜트 발주가 지속되었으며, 2025년경까지 대규모 ECC가 완공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에틸렌 계열의 공급 물량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북미지역의 석유화학산업의 원가경쟁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셰일가스 혁명에 의해 초래된 미국의 저렴한 에틸렌계 유도품 수출은 중장기적으로 국내 석유화학산업에 큰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 됩니다.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주요 원재료는 가스, 석탄, 납사이며, 국내 기업이 주로 사용하는 납사의 상대적 원가경쟁력이 셰일가스보다 열위하기 때문입니다. 미국 셰일 및 수송 인프라의 지속적인 개발이 진행되거나, 중국 화학산업의 주요 원재료인 석탄의 가격 인하 및 규제 완화가 이루어질 경우 국내 석유화학업체의 수익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글로벌 에틸렌 수급 전망] |
![]() |
글로벌 에틸렌 수급전망 |
(출처 : IHS, 한국신용평가) |
2012년 이전까지 에틸렌 신증설 프로젝트가 전무했던 북미가 2013년 115천톤 규모의 신증설을 한데 이어, 2014년 중동의 에틸렌 신증설 규모 역시 2,780만톤에 이르며 전년도를 상회하였습니다. 2017년부터 8백만톤 이상의 신증설이 전망되면서, 자연수요 증가규모인 3~5백만톤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8년 세계 에틸렌의 수요와 공급은 각각 150백만톤을 상회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세계 에틸렌의 생산과 수요 모두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1년에는 총 생산규모가 200백만톤 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TDI가격 추이] | ||
|
(출처 : Platts, 신한금융투자) |
또한 당사의 주력 제품 중 하나인 TDI는 신ㆍ증설 물량 출회와 생산 차질을 겪었던 TDI Maker의 가동 정상화로 공급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8년 하반기부터 시작된 대형 신규증설로 인한 TDI 업황 급락세는 최근 멈추었으며, 이는 동남아시아를 중심으로 한 수요 증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수요 증분을 초과하는 증설이 2021년까지는 이어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8년 독일 BASF㈜ 30만톤 폭발설비 재가동, 2019년 초 중국 Wanhua Chemical㈜ 30만톤에 이어, 2020년 Yantai Juli㈜ 15만톤(불확실), Fujian Southeast Electrochemical㈜ 20만톤, 2021년 Wanhua Chemical㈜ 40만톤 등이 대기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만일 증설 물량에 비해 수요 증가 속도가 느릴 경우 TDI 가격 회복 지연으로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정부정책 및 규제 위험]
마. 석유화학산업은 위험물안전관리법, 환경관련법 등의 법령에 영향을 받으며, 특히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 이하 '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 이하 '화관법'에 의한 규제를 받고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제8조 제1항에 따른 할당대상업체에 해당합니다. 당사가 환경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적절히 대응을 못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
석유화학산업은 위험 물질을 취급하며 제조 공정이 고온, 고압 하에 운영되고 있어 화재 및 폭발 등의 안전사고와 환경오염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한편, 당사의 원료 부문은 다양한 종류의 가스 및 기타 배출물 및 폐기물을 배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의 사용, 저장, 방출, 처리, 폐기와 관련되어 국내 환경법규와 당사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관할권 내 다양한 환경법규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생산시설 내 환경영향에 대한 조사 및 복원 조치의 대상이며 정부 또는 민간 소송인이 소를 제기하는 경우 환경피해책임, 제3자 손해배상책임, 인적손해배상책임 등 관련 책임을 부담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통상적 영업수행과정에서 제3자 소유 또는 제3자 운영 하에 있는 생산시설 내 유해폐기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들 유해폐기물을 제3자 소유 또는 제3자 운영 하에 있는 폐기장에서 폐기 또는 처리할 수 있습니다. 상기 생산시설 또는 폐기장에서 오염이 발생하는 경우, 해당 생산시설 또는 폐기장의 조사 및 복원 비용, 관련환경 피해책임, 민형사상 벌금 등에 대해 당사 또한 책임을 부담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는 물론 당사가 생산시설을 운영하고 있는 기타 관할권 내 당사 생산시설로 인해 주민 및 직원들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 및 안전 위험 방지 조치와 관련된 다양한 안전보건 관련 규정을 준수할 의무를 가집니다.
당사의 주요 사업영역인 화학 원료 부문은 위험물안전관리법, 환경 관련법 등의 법령에 의해 규제를 받아 왔으나, 2015년 1월부터 제정 및 개정된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이하 '화평법')과 화학물질관리법(이하 '화관법')의 시행으로 보다 강화된 규제 아래에 놓여 있습니다. 이러한 규제의 강화는 산업 내 진입장벽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반면, 관련 규제 준수를 위한 생산원가를 상승시키고, 사고 발생 시 우발비용을 증가시키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행 중인 화학산업 내 주요 법안 및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환경관련 법안 주요 내용과 당사의 대응 방안] |
법령 | 주요 내용 | 당사영향 | 대응계획 |
---|---|---|---|
화학물질관리법 (시행일:2015.01.01) |
ㅇ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보유업체는 장외영향평가서, 안전진단검사 결 과보고서, 위해관리계획서 제출 ㅇ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기준강화, 도급신고 및 도급인 관리감독 의무 확대 ㅇ 화학사고 발생, 보호구 미착용 등 1 6개 항목 위반시 영업정지 또는 영 업정지 처분에 갈음한 과징금 부과 ㅇ 화학사고 발생 시 초기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즉시 관계기관에 신고 |
ㅇ 협력업체 근로자 보호구 미 착용 등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미준수 시 당사 과징금 부과 (매출액 5% ÷18 0일 * 영업정지일수) - 협력업체 교육, 관리강화 및 표지판 등 일부시설 개선 필요 ㅇ 취급시설기준(384건)에 따른 시설 개선 위한 투자비 발생 (5년 유예) |
ㅇ 업종단체 또는 경제단체를 통한 규 제 완화 건의 ㅇ 화학물질 관리법 당사 중장기 대응 전략 수립 - 화관법 전사 TF 구성 (사업장 중점 개선 사항 도출 및 개선방안 수립)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5개년 개선 계획 수립 (개선일정, 투자비 등) |
화학물질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시행일:2015.01.01) |
ㅇ 제조, 수입, 판매자는 화학물질의 용도 및 양 등을 매년 보고 ㅇ 신규화학물질 및 연간 1톤 이상 등 록대상 기존화학물질 제조, 수입하 는 자는 유해성, 위해성 정보 등에 관한 자료를 사전 등록 ㅇ 정보제공 : 화학물질 제조, 수입자 와 사용자, 판매자 간에는 상호 정 보제공 제품 내 함유된 유해화학물질별로 총량 1톤 초과 시 신고 |
ㅇ 화학물질정보의 체계적 관리 필요 - 공급업체/하위사용자 정보, 용도 정보, 제조, 수입, 판매량 ㅇ 신규화학물질 제조, 수입 시 등록 으로 인한 비용 및 기간 소요로 신규 사업 어려움 ㅇ 화학물질 등록에 따른 비용 부담 |
ㅇ 화학물질관리 시스템 활용&보고 - 화학물질 정보의 주기적 Up-date - 화학물질관리 시스템 편의성 보완 ㅇ 물질별 등록 대응 전략 수립 - 신규 화학물질의 국/내외 규제 사전 검토 시스템 운용 - 신규 사업 검토시 물질등록 사항 사전 검토 ㅇ 업종단체 또는 경제단체를 통한 규제 완화 건의(등록대상물질 최소화) |
환경오염피해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시행일:2016.01.01) |
ㅇ 환경오염 유출사고시 과실여부를 떠나 기업이 우선 책임피해구제를 위한 환경보험가입 의무화 |
ㅇ 환경오염피해 발생시 배상책임 ㅇ 환경책임보험 의무가입에 따른 보험료 발생 ㅇ 환경안전관계법령 및 운영기준 미준수에 따라 배상책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설의 적법한 운영에 대한 증빙자료 유지 필요 |
ㅇ 업종단체 또는 경제단체를 통한 규제완화 건의(배상책임시설, 보험의무가입시설 범위의 축소) ㅇ 배출기준 등 관계법령 준수를 위한 측정주기 및 사내 관리기준 보완 |
자원순환사회전환 촉진법 | ㅇ 자원순환 목표 설정하고, 미달시 부 담금 부과 ㅇ 폐기물처분부담금 추가로 신설 |
ㅇ 자원순환 목표관리제 미이행 시 부 과금 발생 우려 ㅇ 소각·매립 처분부담금에 따른 폐 기물 처리 비용 상승 |
ㅇ 목표관리제 및 소각·매립 처분부 담금 부과 최소화를 위한 규제 완화 ㅇ 업종단체 또는 경제단체를 통한 규 제완화 건의 ㅇ 폐기물 처리현황 파악 및 소각, 매 립 폐기물의 재활용 방안 강구 |
환경시설통합관리법 | ㅇ 오염물질 배출시설의 허가관리 방 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고자 최상 가용기법 적용으로 과학적인 관리 체계를 도입 | ㅇ 통합법과 기존의 다른 개별법률(대 기법, 수질법 등)과의 중복규제 가능 ㅇ 최상가용기법 적용 시 신규 투자비 발생 가능 ㅇ 최상가용기법(BAT) 기준서 작성 시 당사 의견 반영 필요 |
ㅇ 업종단체 또는 경제단체를 통한 규 제완화 건의 ㅇ 석유화학업종 BAT 기술전문가그룹 참여 |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일:2013.03.23) |
ㅇ 정부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 달 성을 위해 계획기간별 업체별 온실 가스 배출량을 할당 ㅇ 할당대상업체는 자발적감축, 배출 권 거래 및 상쇄 등을 통해 목표달성 ※ 미달성 시 최대 100천원/톤CO2e 과 태료 부과 |
ㅇ 2차 계획기간 이후 배출권 유상할당 (2차 97%, 3차 90%이하 무상할당) - 석유화학 업종은 민감업종으로 지 속적으로 100% 무상할당 예상 * 민감업종 : 무역집약도 30%, 생산비 용발생도 30% 이상 등 |
ㅇ 업체별 목표 할당 시 당사 신증설 계획 100% 반영 유도 ㅇ 배출권 거래 대비 중장기 대응전략 검토 중 (팀별 R&R 등) ㅇ 에너지 합리화 및 온실가스 배출 감 축계획 수립 및 추진 |
(출처 :국가법령정보센터, 당사 내부자료) |
'화평법'은 화학물질을 제조ㆍ수입하기 전에 환경부에 등록하고 화학물질의 유해성과 위해성을 평가하며 유해화학물질의 사용을 줄이거나 대체할 수 있는 기술 등을 개발하는 내용을 담고 있으며, '화관법'은 유해화학물질관리 책임자와 점검원을 두고 화학물질 관리와 배출량 조사, 화학사고에 대한 대응을 주 내용으로 하고 있습니다. '화평법'과 '화관법'은 환경 규제를 강화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으며,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관리비 증가, 투자 감소, 과징금 부담 등의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화평법'은 2013년 5월 22일 신규 제정되었으며, 2015년 01월 01일부터 시행된 '화평법'과 '화관법'에 관한 자세한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화평법') (시행일: 2015. 01. 01) |
---|
(1) 개정이유 |
(2) 주요내용 |
나. 기존화학물질에 대하여 평가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로 지정ㆍ 고시하도록 함 |
다. 등록대상기존화학물질을 연간 1톤 이상 제조ㆍ수입하려는 자 또는 신규화학물질을 제조ㆍ수입하려는 자는 제조 또는 수입 전에 미리 등록하도록 함 |
라. 화학물질을 연간 100톤 이상 제조ㆍ수입하려는 자는 등록신청을 할 때 위해성에 관한 자료를 제출하도록 하되, 법 시행 후 5년 뒤에는 연간 10톤 이상 제조ㆍ수입하려는 자로 확대될 수 있도록 단계적으로 적용하도록 함 |
마. 등록한 화학물질에 대하여 유해성심사를 하도록 하고, 유해성이 있는 화학물질에 대해서는 유독물로 지정ㆍ고시하도록 함 |
바. 위해성이 있다고 우려되는 화학물질을 허가물질로 지정하여 고시할 수 있도록 함 |
사. 위해성이 있다고 인정되는 화학물질을 제한물질 또는 금지물질로 지정하여 고시하도록 함 |
아. 화학물질의 양도자는 양수자에게 해당 화학물질의 등록번호, 명칭, 유해성 및 위해성에 관한 정보 등을 제공하고, 화학물질의 하위사용자 및 판매자와 제조ㆍ수입자는 보고ㆍ등록 등을 이행하기 위하여 요청하는 해당 화학물질의 정보를 서로 제공하도록 함 |
자. 위해우려제품의 신고, 위해성평가, 안전ㆍ표시기준, 판매 금지 등 위해우려제품의 관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 |
(출처: 법제처) |
[화학물질관리법] ("화관법") (시행일: 2015. 01. 01) |
---|
(1) 개정이유 최근 잇따라 발생한 화학사고로 인해 현행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으로는 화학물질 관리 및 화학사고 대응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국민들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바, 화학물질에 대한 통계조사 및 정보체계를 구축하여 국민의 알권리를 보장하고, 유해화학물질 취급기준 구체화,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제도 및 영업허가제 신설 등을 통해 유해화학물질 예방관리체계를 강화하며, 화학사고 발생 시 즉시 신고의무를 부여하고, 현장조정관 파견 및 특별관리지역 지정 등을 통해 화학사고의 신속한 대응체계를 마련하는 한편, 제명 '유해화학물질 관리법'을 '화학물질관리법'으로 변경하여 화학물질의 체계적인 관리와 화학사고의 예방을 통해 화학물질의 위험으로부터 국민 건강 및 환경을 보호하는 법률로서의 위상을 정립하려는 것임. |
(2) 주요내용 가. 법률의 제명을 「화학물질관리법」으로 변경함 |
나. 법 목적 및 정의 규정을 보완하여 화학물질 관리 및 화학사고 대응에 관한 법체계를 정립함 |
다. 화학물질의 조사를 확대ㆍ개편하고 조사결과의 정보공개절차를 마련함 |
라. 유해화학물질 취급자의 개인보호장구 착용 및 진열ㆍ보관량 제한의 근거를 마련함 |
마.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 제도를 도입하고 취급시설의 검사를 실시하여 개선할 수 있도록 함 |
바. 유해화학물질의 영업을 구분하고 화학사고 장외영향평가, 설치검사 등의 검토를 거쳐 허가하도록 함 |
사. 유해화학물질의 취급을 도급할 경우 신고하도록 하고, 사업장 규모에 따라 유해화학물질관리자를 선임하여 안전교육을 받도록 함 |
아. 유해화학물질 취급중단 사업장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도록 함 |
자. 사고대비물질 위해관리계획 제도를 개편하고 그 내용을 고지하도록 함 |
차. 화학사고 발생 시 초기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즉시 관계기관에 신고하도록 함 |
카. 화학사고 현장에 현장수습조정관을 파견하고 특별관리지역 지정 및 전담기관 설치근거를 마련함 |
타. 법규위반 사업장에 대한 제재수단을 강화함 |
(출처: 법제처) |
상기법 사항의 위반 시 영업정지 및 과징금 등의 처분을 받을 수 있으며 정해진 유독물질 지정기준 등에 따라 물질을 등록, 취급하여야 합니다. 향후 당사의 사업장에서 유해물질 관련 화학사고가 발생한다면, 사안에 따라 영업정지 혹은 화관법 제36조에 따라 해당 사업장 매출액(처분일이 속한 연도의 직전 3개 사업연도의 연평균매출액)의 5% 이하를 과징금으로 부여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2009년 11월 19일, 정부는 2020년까지 평상시 사업 수준에서 온실가스 배출을 전국적으로 30% 감소하는 것을 중기 목표로 발표하였고,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에 따라 온실가스 다량 배출 사업장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각각 정부에 보고하도록 하고, 배출목표를 부과하였습니다. ("온실가스 목표 관리 시스템") 이에 따라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 목표의 적용을 받고, 당사의 온실가스배출량(정부가 공개 할 수 있음)을 매년 3월 말까지 보고하여야 합니다. 정부는 591개 기업을 대상으로 2018년에서 2020년까지의 배출권 할당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배출권 총 수량은 17억 9,613만톤(예비분 포함) 가량이며, 이중 배출허용총량은 약 17억 7,713만톤(예비분 포함)입니다. 이에 2018년도의 할당량은 약 6억 431만톤으로 결정되었으며, 2019년 약 5억 3,048만톤, 2020년 약 5억 3,048만톤(예비분 미포함)이 할당되었습니다. 석유화학 업종을 포함해 산업부 등재 회사들은 정부가 제시한 배출 목표의 약 85%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각각 할당받아, 탄소배출권을 할당받은 업체별로 감축 노력이 필요한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석유화학 업체들의 배출권 구입, 탄소배출 저감을 위한 투자, 과징금 부담 등에 따른 비용이 증가하여 수익성 및 기업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기후변화, 배출권거래제의 대응, 온실가스 감축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하여 2016년 온실가스 감축사업에 57건, 대기환경개선을 위해 9건, 수질개선 5건, 폐기물 및 토양관리 등 기타활동 7건 총 80건의 투자를 실시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온실가스 감축사업 55건, 대기환경개선 12건, 수질개선 3건, 폐기물 및 토양관리 등 기타활동 7건 등 총 77건의 투자 및 개선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39건, 대기환경개선 6건, 수질개선 1건, 폐기물 및 토양관리 등 기타활동 0건 등 총 46건의 투자 및 개선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2019년에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27건, 대기환경개선 9건, 수질개선 2건, 폐기물 및 토양관리 1건 등 총 39건의 투자 및 개선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2020년에는 온실가스 감축사업 26건, 대기환경개선 35건, 수질개선 16건, 폐기물 및 토양관리 4건 등 총 81건의 투자 및 개선활동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와 같은 당사의 저감활동 노력에도 불구하고, 예상하지 못한 설비 오작동 등의 발생으로 탄소 및 온실가스 배출량이 증가할 경우 당국으로부터의 제재 등을 부여받아 당사의 수익성 및 평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편, 당사는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NGMS(국가 온실가스 종합 관리시스템)에 전사 온실가스 명세서를 제출하고 관련 정보를 등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화솔루션(주) 연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
연도 |
연간 온실가스 |
연간 에너지 |
비고 |
2021년 3분기 | 1,853,942 | 37,753 | 당사는 배출권 대상 관리업체로서 케미칼부문 총 8개 사업장, 큐셀부문 총 5개 사업장, 첨단소재부문 5개 사업장 대상임 |
2020년 | 2,368,358 | 46,260 | |
2019년 | 2,473,510 | 48,397 |
주)상기 현황은 법정 제3자 검증 후 정부에 제출한 자료임. (출처 :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상기와 같은 환경관련 규제는 당사의 생산원가를 증가시키고 사고 발생시 우발비용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환경관련 규정을 준수하지 않거나 이에 적절히 대응을 하지 못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글로벌 경기침체에 따른 석유화학 업황의 위험]
바. 석유화학 산업은 다양한 산업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기초소재산업으로서, 국내외 경기 변동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국내외 경제의 침체가 심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경우에는 당사 매출 및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당사 사업의 높은 경기 민감성과 경제의 하방리스크 요인을 충분히 숙지하시어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석유화학산업은 석유제품(Naphtha 등) 또는 천연가스를 원료로 합성수지(플라스틱), 합성섬유(Polyester, Nylon) 원료, 합성고무 및 각종 기초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입니다. 이는 각종 생활용품에서 전기ㆍ전자, 컴퓨터, 자동차, 건설 등에 이르기까지 우리 생활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경기에 민감한 특성이 있어, 국내외 경기 변동에 따라 매출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석유화학산업의 개요] |
![]() |
석유화학산업개요_증권신고서 |
(출처 : 석유화학협회) |
① 국내 경기 동향
먼저 국내 경기의 경우, 한국은행이 2021년 11월 발표한 경제전망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경제성장률은 2020년 코로나 19로 인한 -1.0%의 GDP 역성장을 기록한 이후 2021년 기저효과로 인해 연간 4.0%의 상승 2022년 3.0% 상승 등 지속적으로 증가세를 시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21년 국내 경기는 수출과 투자가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는 가운데 민간소비의 회복세가 강화되며 견실한 성장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설비투자의 경우 국내외 경기회복, 신성장산업 투자 확대 등으로 양호한 흐름을 나타낼 것으로 전망됩니다. 상품수출은 글로벌 경기회복, 견조한 IT 수요 등에 힘입어 양호한 증가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코로나19 변이 바이러스 오미크론의 확산에 따른 경제활동 정상화 지연 또는 글로벌 공급망 차질의 지속 등 국내 경기 회복에 불확실성을 유발할 수 있는 요인은 아직 남아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한국은행 국내 주요 거시경제지표 전망] |
(단위: %) |
구 분 | 2020년 | 2021년(E) | 2022년(E) | ||||
---|---|---|---|---|---|---|---|
상반기 | 하반기(E) | 연간(E) | 상반기 | 하반기 | 연간 | ||
GDP | -0.9 | 4.0 | 4.0 | 4.0 | 3.0 | 3.1 | 3.0 |
민간소비 | -5.0 | 2.4 | 4.7 | 3.5 | 4.1 | 3.2 | 3.6 |
설비투자 | 7.1 | 12.6 | 3.9 | 8.2 | -0.5 | 5.5 | 2.4 |
지식재산생산물투자 | 4.0 | 4.0 | 4.1 | 4.1 | 4.1 | 3.7 | 3.9 |
건설투자 | -0.4 | -1.5 | 0.1 | -0.7 | 2.1 | 3.1 | 2.6 |
상품수출 | -0.5 | 14.4 | 3.5 | 8.5 | 1.9 | 3.3 | 2.6 |
상품수입 | -0.1 | 12.5 | 7.8 | 10.1 | 2.4 | 3.7 | 3.1 |
주) 전년 동기 대비 |
(출처: 한국은행 경제전망보고서, 2021. 11) |
한편, 석유화학 산업부문의 전방산업은 전자, 자동차, 섬유, 건설 등 광범위하게 전 산업 부문에 분포하여 있어 단일 사업 부문을 영위하는 산업 부문에 비해 경기 변동에 충격 여파는 다소 낮을 수 있습니다. 다만 글로벌 무역분쟁, 보호무역주의 등에 따른 수출 둔화 지속, 중국 등 주요 석유화학 수요국의 경제 성장 둔화, 반도체, IT부문 업황 부진에 따른 설비투자 부문 부진 등은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석유화학 부문의 매출 및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국내외 경기 변동에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② 글로벌 경기 동향
당사가 영위하는 석유화학 산업은 2000년대 이후 국내 경제 성장에 힘입은 대규모 설비투자로 생산이 국내수요를 상회하는 공급과잉 산업으로 변모함으로써 수출이 내수를 앞질러 가기 시작하였고, 최근에 이르러서는 대부분의 매출이 수출을 통해 발생하는 수출의존산업이 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석유화학 산업은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경기에 더 밀접하게 연동되며, 당사의 경우에도 2021년 3분기 기준 원료 수출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약 56.6%로 절대적인 수준에서 높다고 볼 수 있어 세계경기 의존도가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영향으로 석유화학 산업은 글로벌 주요 국가의 경기상황에 따라 업황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내수/수출 매출 내역] |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해당 회사 | 품목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PE, CA, PVC 등 | 수출 |
1,867,130 |
1,715,708 | 1,768,190 |
내수 |
1,432,149 |
1,508,465 | 1,614,107 | |||
합계 |
3,299,279 |
3,224,173 | 3,382,297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국제통화기금(International Monetary Fund, 이하 'IMF')이 2021년 10월 발표한 세계경제전망 수정(Update)에 따르면, 2021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1년 7월 예상한 전망치에서 소폭 하향 조정하여 5.9%를 전망하였으며 2022년 세계경제성장률 전망은 '21년 7월 전망(4.9%)치를 유지하였습니다.
IMF는 각국의 전례 없는 정책 대응으로 예상보다 빠르게 회복될 것으로 전망하였으나, 경제 회복은 2021년 7월 전망 시보다 백신접종, 정책지원 격차로 국가간 불균등 회복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선진국의 2021년 전망은 5.2%으로 하향 조정한 반면 신흥개도국은 6.4%로 상향 조정 하였습니다. 이는 선진국의 경우 공급망 차질에 따른 미국 성장률 대폭 하락, 독일 제조업 중간재 부족, 일본 코로나19 확산 등으로 회복세가 둔화될 것으로 분석한 것에 따른 것입니다. 신흥개도국의 경우 중국 긴축재정, 아세안 코로나19 확산에도 불구하고 라틴ㆍ중동ㆍ중앙亞ㆍ아프리카 등의 원자재 수출증가로 소폭 상승한 것으로 분석하였습니다.
IMF는 변이 바이러스 확산, 공급불안, 인플레이션, 통화정책 조기 정상화, 미국 재정축소, 미중 무역ㆍ기술분쟁 심화 등의 하방위험 요인과 함께 백신 생산ㆍ보급 가속화, 구조 전환에 따른 생산성 증대 등 상방위험 요인이 혼재하고 있다고 지적하였습니다.
[세계 경제성장률 전망치] |
(단위: 전년동기대비, %) |
구 분 | 2020년 | 2021년 | 2022년 | ||||
---|---|---|---|---|---|---|---|
'21.7월 (A) |
'21.10월 (B) |
조정폭 (B-A) |
'21.7월 (C) |
'21.10월 (D) |
조정폭 (D-C) |
||
세계 | -3.1 | 6.0 | 5.9 | -0.1 | 4.9 | 4.9 | - |
선진국 | -4.5 | 5.6 | 5.2 | -0.4 | 4.4 | 4.5 | 0.1 |
신흥개도국 | -2.1 | 6.3 | 6.4 | 0.1 | 5.2 | 5.1 | -0.1 |
미국 | -3.4 | 7.0 | 6.0 | -1.0 | 4.9 | 5.2 | 0.3 |
유로지역 | -6.3 | 4.6 | 5.0 | 0.4 | 4.3 | 4.3 | - |
일본 | -4.7 | 2.8 | 2.4 | -0.4 | 3.0 | 3.2 | 0.2 |
중국 | 2.3 | 8.1 | 8.0 | -0.1 | 5.7 | 5.6 | -0.1 |
(출처: IMF (World Economic Outlook Update), 2021.10) |
IMF는 회복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여전히 선진국과 신흥국 간 회복 격차가 지속되며 보다 장기화 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선진국의 성장세 둔화 요인으로 미국과 독일은 글로벌 공급망 차질, 일본은 코로나 확산에 따른 긴급조치 등으로 국가 별 경기 회복세가 상이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한국의 경우 백신접종률 확대, 수출의 견조한 증가세, 추경집행 효과 등에 따른 것으로 평가하여 경제성장률 전망은 유지하였습니다. 다만, 향후 영국, 인도 등 지역에서 변이 COVID-19 바이러스 출현 등 팬데믹 재확산 우려, 금융여건 위축, 지정학적ㆍ무역 갈등과 같은 요인들은 글로벌 경기 회복의 둔화 요인으로 여전히 작용할 수 있다고 전망하였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석유화학산업은 실물 경제와 밀접한 관련이 있어 경기 변동에 따라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에, 상기 부정적인 요인의 영향으로 국내외 경제의 침체가 심화되거나 회복이 지연될 경우에는 당사의 매출 및 수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당사 사업의 높은 경기 민감성과 경제의 하방리스크 요인을 충분히 숙지하시어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한편 당사가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는 중동 최대 자원 보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민간 석유화학 회사인 시프켐(Sipchem)社와 3건의 합작사업계약(IPC, GACI, SSPC)을 체결하였습니다. 각 합작사업의 투자 규모는 IPC사업 5,900만불, GACI사업 1,400만불 및 SSPC사업 1,200만불 입니다. IPC(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는 사우디 북부 주베일(Jubail) 석유화학단지 내에 EVA(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및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병산 20만톤을 생산하는 설비로,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는 25%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해당 사업은 고부가가치제품 시장에서 국내 석유화학 업체의 높은 기술력과 해외시장에서의 오랜 마케팅 노하우를 인정받음으로써 글로벌 인지도를 제고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010년에 EVA 및 LDPE 공장 건설사업자를 선정하였고 2014년 7월 공장 가동 시작 후, 현재 판매용 제품을 생산 중입니다.
이와 별개로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는 2011년 4월 26일 시프켐(Sipchem)社와 전선용 복합수지를 생산하는 합작사업계약 (GACI,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을 체결하였습니다.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는 50%의 지분을 가지며, 2011년 공장 건설을 시작하여 2014년 2월 공장 가동을 시작하였고, 전선용 복합수지 사업 확대를 위한 중동 지역 내 교두보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위 두 건의 원료 사업 이외에, 가공산업으로서 2013년 6월 시프켐(Sipchem)社와 금형 및 태양광용 EVA film 을 생산하는 합작사업계약(SSPC,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을 체결하였습니다.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는 SSPC의 지분 25%를 가지며, 동사의 금형 사업은 2016년부터 상업생산을 개시하였습니다. 그러나, 2021년 1월 27일 SSPC의 적자 지속에 따른 추가 비용 투입 방지를 위해 당사 지분 전량을 합작사로 매각하였습니다.
당사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신규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나, 향후 글로벌 경기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사업진행이 예상보다 지연되거나 당사의 목표 효과를 충족시키지 못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러한 내용 또한 참고하시어 금번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계약체결 관련 위험]
사. 당사는 영위 사업의 효율 및 안정성을 위하여 기술 및 영업 관련, 원료 장기 공급 등 다양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계약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으나, 제휴관계가 종료되거나 중단될 경우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영위 사업의 기술 제휴 및 영업 등을 위하여 다양한 제휴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주요 제휴계약 및 위험 수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의 제휴계약 및 계약 중단 시 예상 영향] |
구 분 | 제휴계약(제휴업체) | 당사의 영향 |
---|---|---|
기술제휴 |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기술도입(Univation) |
'14. 3월 기술 도입 후, 당사 상업생산중 |
촉매 계약(Univation, Basell 등) |
- 각 주요 촉매 제조업체와 장기 공급 계약 체결 상태임 - 일방적인 파기 불가인 계약 조건에 따라 실질적인 공급 불가 가능성 희박하며, 혹시 장기공급 계약이 파기되더라도 Spot 구매가 가능함 - 촉매 공급사 측의 불가항력의 상황으로 촉매 공급이 불가할 경우, 생산의 주를 담당하는 LLDPE 제품은 대체 촉매를 사용 가능하며, HDPE의 경우 일부 대체 불가한 촉매는 LLDPE로 전환 생산함에 따라, 기존 시장 기반에 영향이 있을수 있음 |
|
영업 차원제휴관계 | 반도전 OEM 제휴 (디와이엠) |
- 모든 반도전 제품에 대해 임가공 업체 일원화하였으나, 향후 제휴관계가 종료되더라도 당사가 기술을 보유하고 있고, 당사 자회사 설비를 이용할 수 있으므로 영업적 영향 미미할 것으로 예상 |
M/B(Master batch) OEM 제휴(조양) |
- 당사 제품을 주 원료로 하여 각종 제품생산 시 필요한 첨가제를 생산 당사에 판매 중임. - 조양과의 제휴관계가 종료 되더라도, 타사의 Compound 설비를 이용할 수 있는 상황임. 따라서 영업적 영향 미미 할 것으로 예상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당사는 여천NCC와 2024년 말까지 장기 계약을 체결하여 당사 에틸렌 필요량의 대부분을 공급받고 있습니다. 여천NCC의 장기판매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천NCC 장기판매계약] |
(단위 : 톤/년) |
제품명 | 계약자 | 계약 기간 | 계약 물량 | 비 고 |
---|---|---|---|---|
에틸렌 | 한화솔루션 | 2021.1 ∼ 2024.12 | 1,400,000 | - |
디엘케미칼 | 2021.1 ∼ 2024.12 | 735,000 | - | |
폴리미래 | 2021.1 ∼ 2024.12 | 25,000 | - | |
47프로필렌 | 한화솔루션 | 2021.1 ∼ 2024.12 | 150,000 | - |
디엘케미칼 | 2021.1 ∼ 2024.12 | 55,000 | - | |
폴리미래 | 2021.1 ∼ 2024.12 | 615,000 | - | |
이소부텐 | 디엘케미칼 | 2021.1 ∼ 2024.12 | 120,000 | - |
(출처 : 여천NCC 2021년 3분기 보고서) |
당사는 1999년 대림산업과 함께 각사 나프타분해시설(NCC / Naphtha Cracking Center)을 통합하여 합작투자회사인 여천NCC를 설립하였습니다. 여천NCC는 에틸렌 생산 기준 국내 3위에 달하는 NCC 업체로 에틸렌을 비롯하여 프로필렌, 벤젠, 톨루엔, 자일렌, 스티렌모노머, 부타디엔 등 각종 석유화학산업의 기초원료를 생산하여 국내외 시장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여천NCC의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천NCC 생산능력] |
(단위 : 톤) |
사업부문 | 품 목 | 사업소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올레핀 | 에틸렌 | 여수 | 1,714,000 | 1,950,000 | 1,950,000 |
프로필렌 | 967,000 | 1,111,000 | 1,111,000 | ||
부타디엔 | 284,000 | 240,000 | 240,000 | ||
MTBE | 128,000 | 170,000 | 170,000 | ||
이소프렌 | 29,000 | 38,000 | 38,000 | ||
소 계 | 3,122,000 | 3,509,000 | 3,509,000 | ||
방향족 | 벤젠 | 여수 | 343,000 | 390,000 | 390,000 |
톨루엔 | 212,000 | 230,000 | 230,000 | ||
자이렌 | 153,000 | 160,000 | 160,000 | ||
SM | 263,000 | 351,000 | 290,000 | ||
소 계 | 971,000 | 1,131,000 | 1,070,000 | ||
기 타 | 부텐-1 | 여수 | 49,000 | 65,000 | 65,000 |
이소부텐 | 45,000 | 60,000 | 60,000 | ||
이소부탄 | 8,000 | 10,000 | 10,000 | ||
소 계 | 102,000 | 135,000 | 135,000 | ||
합 계 | 4,195,000 | 4,775,000 | 4,714,000 |
주)산출기준 : 여천NCC 내부기준 생산능력 (출처 : 여천NCC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및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
[여천NCC 생산실적] |
(단위 : 톤, 백만원) |
부문 | 품 목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올레핀 | 에틸렌 | 1,681,699 | 1,425,037 | 1,886,698 | 1,225,570 | 1,919,743 | 1,634,460 |
프로필렌 | 1,037,960 | 1,085,471 | 1,234,379 | 885,181 | 1,196,716 | 1,057,994 | |
부타디엔 | 245,306 | 246,708 | 232,310 | 158,657 | 216,096 | 176,027 | |
MTBE | 80,403 | 52,889 | 94,043 | 52,645 | 93,295 | 65,891 | |
이소프렌 | 31,213 | 47,109 | 34,376 | 44,992 | 33,085 | 50,083 | |
소 계 | 3,076,581 | 2,857,213 | 3,481,806 | 2,367,045 | 3,458,935 | 2,984,455 | |
방향족 | BTX | 656,787 | 572,221 | 701,878 | 466,631 | 739,131 | 587,043 |
SM | 245,725 | 278,201 | 360,484 | 310,812 | 265,201 | 289,499 | |
소 계 | 902,512 | 850,422 | 1,062,362 | 777,443 | 1,004,332 | 876,542 | |
기타 | 스팀/전기 등 |
- | 592,402 | - | 454,901 | - | 660,561 |
합 계 | - | 4,300,038 | - | 3,599,389 | - | 4,521,558 |
(출처 : 여천NCC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및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
[여천NCC 가동률] |
사업소(사업부문) | 평균가동률 | 비고 | |
---|---|---|---|
여수 1사업장 | NCC#1 | 105.50% | - |
BTX#1 | 103.10% | - | |
BD#1 | 92.90% | - | |
SM | 99.90% | - | |
MTBE | 87.50% | - | |
여수 2사업장 | NCC#2 | 100.40% | - |
BTX#2 | 91.20% | - | |
BD#2 | 91.70% | - | |
여수 3사업장 | NCC#3 | 104.00% | - |
BTX#3 | 112.70% | - | |
여수 4사업장 | C5 | 115.10% | - |
주) 평균가동률 = 실적 투입량 / (계획가동일수 X 일일 계획투입량) (출처 : 여천NCC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당사는 관계사인 여천NCC로부터 에틸렌을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으나, 미국, 중국, 중동 등 경쟁국들에서는 에틸렌 생산비용 절감을 통하여 에틸렌 구매가격을 낮춰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지역 내 석유화학업체들의 에틸렌 구매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할 경우 경쟁국들의 가격경쟁력이 높아져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최근 경쟁국들의 에틸렌 생산설비 증가 및 원재료 다변화에 따른 에틸렌 가격 하락이 제품가격 경쟁 심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여천NCC로부터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비상시 다각적인 원재료 공급처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당사 석유화학사업의 대부분 원재료를 여천NCC 단일 공급처에 의존하고 하고 있는 바, 원재료 공급의 차질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이외에도, 당사의 해외법인인 한화케미칼닝보(HNC)는 에틸렌과 무수염산을 활용해 PVC를 만드는 공정을 적용하였으며, 무수염산은 인근에 위치한 중국 업체인 완화(Wanhua)사와 전략적 제휴를 맺어 장기 공급 받고 있습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에는 원활한 제휴 관계를 유지하고 있고 관련 위험을 상기와 같이 대응하고 있으나, 향후 예상하지 못한 사유로 인해 전략적 제휴가 종료되거나 중단될 경우에는 당사의 사업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자께서는 투자 고려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태양광부문]
[용어의 정의] | |
---|---|
폴리실리콘(Polysilicon) | 태양전지의 원재료로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하는 작은 실리콘 결정체들로 이루어진 물질 |
잉곳(Ingot) | 폴리실리콘을 녹여 원기둥 모양의 결정으로 만든 것 |
웨이퍼(Wafer) | 반도체를 만드는 토대가 되는 얇은 판으로, 잉곳을 얇게 절단해 만든 것 |
셀(Cell) - 태양전지 | 태양광 에너지를 직접 전기로 변화시키는 반도체소자 실리콘의 단결정, 다결정 또는 비정질을 소재로 하는 여러가지 구성의 태양전지가 개발되고 있음 단결정: 실리콘 원자의 배열이 규칙적이고 배열 방향이 일정하여 전자의 흐름에 방해가 없어 변환효율이 높음 다결정: 생산 공정이 간단하고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나, 원자의 배열이 균일하지 않아서 변환효율이 낮음 |
모듈(Module) | 태양전지 셀들을 배열하여 제조하는 사각형 모양의 집광판(Panel)으로 태양전지에서 생산되는 전기는 전부 모듈로 모이게 됨 |
그로워(Grower) | 잉곳 성장기 |
쿼츠(Quartz) | 그로워 내 폴리실리콘을 담는 도가니 |
핫존(Hot zone) | 잉곳 그로워에 들어가는 고순도 흑연부품으로 쿼츠를 가열하는 장치 |
N-Type / P-Type | 반도체 웨이퍼에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웨이퍼에 특정한 불순물을 주입함으로써 특정한 영역을 형성하는데, 이 불순물의 종류에 따라 결정질 실리콘은 N-Type, 비결정질 실리콘은 P-Type으로 구분됨 |
그리드패리티(Grid Parity) |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단가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화력 발전 단가가 동일해지는 균형점 |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일정 규모 이상의 발전사업자에게 총발전량에서 일정비율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 |
태양광발전설비 투자세액 공제제도(ITC : solar Investment Tax Credit) | 미국에서 태양광발전설비를 설치해 자가발전에 사용하는 가정용이나 일반용 투자세액을 공제해주는 제도 |
태양광 발전차액지원제도 (FIT: Feed in Tariff) |
신재생에너지 투자 경제성 확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 발전에 의하여 공급한 전기의 전력거래 가격이 지식경제부 장관이 고시한 기준가격보다 낮은 경우, 기준가격과 전력거래와의 차액(발전차액)을 지원해주는 제도. 발전차액 지원제도는 정부가 일정기간 동안 정해진 가격으로 전력을 매입하여 수익을 보장하기 때문에 투자의 안전성을 높이고 중ㆍ소규모의 발전이 가능하게 하는 역할을 함 |
에너지균등화비용(LCOE: Levelized Cost of Energy) |
발전설비의 총투자비용 ÷ 총발전량 태양광의 전력 생산에 연료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단순히 건설 비용만 고려하는 것이 아닌 발전소 건설 비용, 일사량, 설치ㆍ유지 비용 등을 감안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의 전력 생산 원가 개념 |
상계관세 | 수출국이 수출품에 장려금이나 보조금을 지급하는 경우 수입국이 이에 의한 경쟁력을 상쇄시키기 위하여 부과하는 누진관세 |
페로브스카이트 |
값싼 유/무기 소재로 제조되며, 결정구조 상 불순물 등 필요 소재가 제거되고 제조공정도 간단한 차세대 태양광 기술 |
페로브텐덤 |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에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를 더하는기술 |
분산형 전원 |
전력 수요자 인근지역에 설치 가능한 소규모 발전설비를 이용하여 수요자에게 필요한 전력을 전량 공급하거나 이미 사용 중인 중앙 집중식 전력 공급 체계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한 용도로 적용 가능한 발전원 |
[태양광 산업 관련 위험]
아. 태양광 시장은 미국 및 영국 그리고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지고있습니다. 한국수출입은행의 2020년 하반기 시장 전망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사태 발생으로 2020년 세계 태양광발전수요는 사상 처음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Big 2(중국 및 미국) 시장의 예상보다 양호한 수요증가로 인해 120GW를 넘어설 전망입니다. 2021년 글로벌 태양광 수요는 코로나19 상황 안정 및 기후변화 이슈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150GW 이상, 2022년에는 200GW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태양광 산업은 과거와 비교해 기존 에너지원 대비 경제성 및 경쟁력이 개선되고 있으며, 파리 기후 협약 등 기후 및 환경에 대한 친환경 에너지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매크로 환경아래, 규모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제조원가 경쟁력 보유 업체, 그리고 조직 운영 효율성 확보여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태양광 산업에 대한 국가별 지원은 정책 변경에 따라 축소될 수 있으며, 태양광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단가와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기존 화력 발전 단가가 동일해지는 균형점인 Grid Parity 도달까지 예상보다 오랜 시간이 필요할 수 있고, 이 같은 요인에 따라 성장이 둔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는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폴리실리콘 가격 변동성 확대에 따른 웨이퍼 등 원부자재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 태양광부문 매출액 추이] |
(단위 : 억원) |
부문 | 회사명 | 용도 | 품목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태양광부문 |
태양광 제품 등 | 셀, 모듈 등 | 13,588 | 13.13% | 20,695 | 16.60% | 21,278 | 16.88% |
Hanwha Q CELLS Co., Ltd. | 셀, 모듈 등 | 13,201 | 12.76% | 20,602 | 16.52% | 16,840 | 13.36% | ||
Hanwha Q CELLS GmbH 등 |
- | 20,947 | 20.24% | 24,083 | 19.31% | 23,385 | 18.55% | ||
합계 | 47,736 | 46.13% | 65,380 | 52.43% | 61,503 | 48.79% |
주1) 상기 비율은 연결재무제표기준 전체 매출액에서 각 제품 등이 차지하는 비율임. |
주2) 당사는 2020년 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와 합병하였으며 상호를 한화케미칼(주)에서 한화솔루션(주)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화솔루션(주)의 매출액 실적은 케미칼부문, 첨단소재부문, 태양광부문으로 각각 나누어 반영하였습니다. 주3) 2019년 및 2020년에는 중단영업 효과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당사 태양광부문 매출은 주로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셀 및 모듈의 해외판매에서 발생합니다. 태양광 부문 매출액은 2014년 총 매출의 22.43%를 기록한 이후 증가하여 2017년에는 총 매출의 31.27%를 기록하였습니다. 한편, 2017년 태양광부문 매출액은 태양광 제품 가격 하락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7% 감소한 34,147억원을 기록하였고 2017년 총 매출 대비 31.27% 수준입니다. 2018년에는 36,228억원으로 총 매출 대비 33.63%를 기록하였습니다. 이후 2019년 태양광 부문 매출액은 6조 1,503억원으로 총 매출의 48.79%, 2020년 태양광 부문 매출액은 6조 5,380억원으로 총 매출의 52.43%를 차지하여 매출액에서의 비율은 2018년 대비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은 3분기 기준 매출액에서의 비율이 46.13%로 다소 감소하였으며, 이는 글로벌 수요 회복에 따른 원료 부문 매출 확대에 기인합니다.
태양광 산업은 국가의 보급정책 등에 의한 정부 주도형 산업으로서 다양한 제품 및 연관 산업으로 이루어진 종합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폴리실리콘을 비롯하여 잉곳과 웨이퍼, 셀, 모듈 등 Value Chain으로 구성되어 여러 산업의 복합적인 성격이 혼재되어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대규모 자본투자가 요구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으로서 규모의 경제에 의한 원가경쟁력 및 집적도와 효율을 높이는 기술경쟁력이 요구됩니다.
[태양광 산업 구조도] |
![]() |
태양광 산업 구조도_증권신고서 |
(출처 : 한국태양광산업협회) |
태양광 산업은 전 세계적인 환경문제, 기후변화협약, 미래에너지원의 다원화, 21세기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 및 인간의 삶의 질 향상에 직결되는 이슈로 새로운 저탄소사회구현을 위한 신성장동력 녹색성장산업의 선두주자로 각광 받고 있습니다.
태양광시장의 밸류체인(Value Chain)은 폴리실리콘 → 잉곳/웨이퍼 → 태양전지(셀) → 모듈 → 시스템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상부체인으로 갈수록 기술집약적 장치산업의 특성을 보이며, 진입장벽이 높고, 경쟁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반면에 하부체인으로 갈수록 노동집약형 산업으로 진입장벽이 낮고, 경쟁강도가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2000년 이후 태양광 발전은 높은 생산원가에도 불구하고 유럽의 FIT(발전차액보조금) 제도적 지원 하에 연평균 40%의 고성장을 이어갔습니다. 그러나 2008년 스페인 시장 위축(스페인 태양광 시장은 정부의 정책 지원으로 급성장하는 도중 지원 감소로 순식간에 위축됨), 리먼사태 이후 불거진 금융시장 불안 등으로 태양광 시장은 첫 번째 침체기에 진입했습니다. 이후 태양광 시장은 제품 가격 하락, 독일, 이태리 등의 태양광 발전 지원 확대 등으로 2차 성장기에 진입하지만, 2012년 전후 유럽국가들의 재정 악화로 인한 추가적인 FIT 삭감, 중국 태양광 제품 생산 능력 확대로 인한 공급 과잉 등으로 두 번째 침체기에 진입하였습니다. 그러나 발전시장이 유럽에서 중국, 미국, 일본, 인도 등 다극체제로 확장되고, 낮아진 태양광 제품 가격으로 태양광이 자체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태양광 시장이 다시 성장세로 돌아섰고, 2018년 세계 태양광시장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108GW가 설치되었습니다.
공급과잉에서 시작된 제품가격급락은 태양광 기업들의 채산성 악화를 야기하였습니다. '중국산 모듈' 수출에 대해 주요 수요처인 EU와 미국이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여 수입 제한을 두는 이른바 '태양광 무역전쟁'까지 진행되며, 2012년과 2013년은 거의 모든 태양전지 관련 기업이 적자를 기록한 '글로벌태양광 산업의 구조조정기'로, 많은 기업이 한계상황으로 내몰리는 처지가 되었으며, 세계 태양전지 시장을 주도하였던 많은 기업이 가동중단, 청산, 파산보호신청, 인원감축, M&A 등의 구조조정을 겪게 되었습니다. 또한 국내 태양광 중간재 제조업체들은 2012년부터 중국 기업들의 저가 공세에 밀려 파산을 거듭하였습니다. 여기에 세계 최대 태양광 중간재 시장인 중국에서 마저 공급 과잉 여파로 웨이퍼 업체들이 줄지어 파산하는 등 업계 부침이 심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의 구조조정은 태양전지 및 모듈업체에 더 강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태양전지 및 모듈 제조과정이 초기에는 노동집약적 성격이 짙어서, 값싼 노동력을 활용하는 중국 기업들의 진입장벽이 낮아, 폴리실리콘 업종보다 모듈 업종으로 신규 업체가 난립하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2011년과 2012년 글로벌 태양광 수요 대비 모듈 공급 능력은 각각 214%, 183%로, 폴리실리콘의 130%, 154% 대비 공급과잉 정도가 심했으며, 과점화 정도에 차이가 있어 2012년 폴리실리콘 생산능력 상위 5개사가 전 세계 생산능력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였으나, 태양전지 및 모듈 생산능력 상위 5개사의 경우에는 20%에 지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폴리실리콘 업종의 구조조정이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소형사 위주로 진행되며, 2010년 기준 상위 5개사 규모에 들던 폴리실리콘 업체들 중에서 구조조정기에 퇴출된 기업이 전무한 반면, 기업별로 규모의 차이가 크지 않은 모듈 업종의 경우에는 상위에 있는 기업이라 하더라도 도태될 수 있는 상황이 형성되었고, 세계 1위 태양전지 Cell 제조업체인 독일 큐셀이 2012년 4월 파산한데 이어, 2013년 3월에는 2011년까지 세계 1위 모듈 업체였던 중국의 Suntech가 구조조정 중 퇴출되었습니다. 미국의 SunEdison은 2016년 4월 21일 뉴욕법원에 파산보호를 신청하였습니다.
[국내외 태양광 기업의 구조조정 내용] |
업체명 |
주요제품 |
년.월 |
구조조정 내용 |
|
---|---|---|---|---|
국외 |
PV Crystalox | 웨이퍼 | 11.11 | 공장중단. 이후 매각 완료 (2013년 6월) |
LDK | 수직계열화 | 12.5 | 법정관리 | |
Leshan Ledian Tianwei | 폴리실리콘 | 15.3 | 파산 | |
Taiwan Polysilicon | 폴리실리콘 | 15.5 | 청산 | |
Tianwei Sichuan Silicon | 폴리실리콘 | 16.1 | 파산 | |
SunEdison | 태양광 프로젝트 | 16.2 | 가동 중단 결정. 이후 법정관리 신청 (2016년 4월) | |
M.setek | 웨이퍼 | 16.8 | 가동중단 | |
그린에너지테크 | 웨이퍼 | 19.9 | 파산 | |
국내 |
웅진폴리실리콘 | 폴리실리콘 | 12.7 | 가동 중단. 여러차례 경매 유찰 후, 2017년 12월 신라산업에 낙찰(이후 계속된 경매 유찰) |
KCC | 폴리실리콘 | 14.6 | 가동 중단 | |
SMP | 폴리실리콘 | 16.5 | 법정관리 신청 (SMP는 SunEdison의 자회사) | |
웅진에너지 | 잉곳, 웨이퍼 | 19.5 | 법정관리 신청 |
(출처 : KDB 태양광산업의 회복가능성 점검과 시사점, 주요 언론보도, 각사별 공시내용 등) |
공급과잉의 진앙지였던 중국은 저품질 모듈의 범람을 막고 구조조정을 활성화하기 위해 PV Manufacturing Standard를 제정했으며, 제품 품질을 더욱더 강화하기 위해2015년 Pioneer Standard를 추가 제정하여 기준에 부합하지 못하는 기업을 국가 부양 정책에서 제외시켜 은행대출, 수출세금 환급의 혜택 제공을 받을 수 없게 하는 등 부실기업 퇴출을 진행하였고, 그 결과 일정 수준 이상의 구조조정을 거친 모듈 업체들은 살아남은 업체 위주로 안정화되고 있는 모듈가격과 함께 업황을 회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정부는 2021년 태양광 사업에 대한 총 보조금을 33억 8000만 위안(약 5억1500만 달러)으로 책정하는 등 전국적인 태양광 에너지 생성 및 보급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공급과잉에서 시작된 업황의 하락이 점차 개선되는 모습을 보이면서 주요 국가들은 경제위기 및 구조조정기간을 거치며 축소된 태양광 발전 지원 정책을 재차 강화하였으며, 특히 중국이 낙후된 발전시설을 개선하고 소규모 발전시설 설치에 보조금을 지원하는 등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였습니다. 구조조정 시기를 거치며 태양광 설치수요는 기존의 유럽 중심에서, 중국, 일본, 인도를 주축으로 하는 아시아와 미국으로 그 중심이 이동하였습니다. 태양광 산업의 회복세는 신흥시장이 계속 생겨나고 세계 수요가 늘면서 2015년 이후 가속화 되었습니다.
태양광산업 1차 구조조정이 선진권 기업과 중국기업 간의 경쟁이었다면, 2차 구조조정은 시장지배력 확대를 위한 상위 기업 간의 경쟁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0년 기준 태양광 밸류체인 상위 10대 기업들의 시장 점유율은 폴리실리콘 96%, 웨이퍼 98%, 셀(전지) 68%, 모듈 71% 수준입니다. 규모의 경제 확보를 위한 상위 기업들의 투자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향후 그 규모 및 속도도 빨라져 기업 간 경쟁력 차이가 극명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태양광산업 밸류체인별 상위 10대 기업 시장 점유율 현황] |
|
(출처 : BNEF, 한국수출입은행) |
코로나19 사태 발생으로 2020년 세계 태양광발전수요는 사상 처음 역성장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Big 2(중국 및 미국) 시장의 예상보다 양호한 수요증가로 인해 120GW를 넘어선 것으로 판단됩니다. 코로나19의 팬데믹화로 세계 주요국이 셧다운 되면서 2020년 1분기 설치량은 전년동기 대비 75% 감소했으나, 2분기 이후 중국의 설치량 증가 및 미국 태양광 발전수요가 회복되었습니다. 실제로 중국의 코로나19 상황이 개선되면서 경제활동이 빠르게 회복되었고, 5월 이후 미국 대형 태양광 프로젝트 투자도 정상적으로 진행 중에 있습니다. 2021년 글로벌 태양광 수요는 코로나19 상황 안정 및 기후변화 이슈의 본격적인 등장으로 150GW 이상, 2022년에는 200GW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세계 태양광시장 수요현황 및 전망] |
(단위 : GW) |
![]() |
글로벌 태양광 수요현황 및 전망 |
(출처: BNEF, 한국수출입은행 - 태양광 산업동향 보고서(2021.07)) |
폴리실리콘 가격은 2020년 6월 $6.9/kg까지 하락하고 이후 9월에는 $12.4/kg까지 올라 단기간에 80% 급등하였습니다. 가격급등의 주요인은 공장 폭발 및 중국 홍수에 따른 가동률 하락이며, 수리를 위한 관련 부품 공급이 코로나19로 인해 지연됨에 따라 공장 재가동이 지연되었습니다. 또한, 시안지역 대규모 홍수로 Tongwei사 20,000톤 규모 공장도 일시 가동이 중단 되었지만 재가동 되었습니다. 9월 말 이후 폴리실리콘 공급이 증가하면서 폴리실리콘 가격도 안정화되고 있으며, 강세를 보였던 폴리실리콘 가격도 점진적으로 안정화를 시현하였습니다.
하지만 2021년 미국 바이든 정부가 중국 신장 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문제 삼자 미국 태양광 관련업체들은 신장 지역에서 생산하는 폴리실리콘을 불매하겠다고 발표하여 전 세계에서 태양광 폴리실리콘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인 중국 신장 발 리스크가 커지며 가격이 상승하였습니다. 또한 하반기에는 중국 전력 부족에 따른 전기료의 큰 폭 상승이 폴리실리콘 생산단가를 끌어올리는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 $30/kg을 상회하는 가격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 신규 증설된 물량이 공급되면서 공급 상황은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나, 향후 2021년과 같이 폴리실리콘 가격 변동성 확대로 웨이퍼 등 원부자재 가격 변동이 발생할 경우 당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주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폴리실리콘 가격동향] |
![]() |
폴리실리콘 가격동향 |
(출처: BNEF, 한국수출입은행 - 태양광 산업동향 보고서(2021.11)) |
① 중국 태양광 시장 전망
2017년 53GW가 설치되면서 세계 태양광 수요의 53%를 차지하는 가장 큰 에너지 수요국인 중국은 과열된 태양광시장의 속도조절을 위해 발전소 건설 요건을 강화하고 보조금을 축소하는 등 정부의 지원제도를 변경하였습니다. 2017년까지 지속해왔던 중국 정부의 태양광 산업 양적 확대를 위한 지원 정책은 2018년에 들어서며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으로 변화되었습니다. 2018년 5월 31일, 태양광 발전 관련 통지(개편)를 통해 성장보다는 내실을 다지기 위한 정책을 발표하였으며, 이는 중국이 13차 5개년 계획을 통해 목표했던 110GW를 초과한 130GW의 설비용량을 2017년 말 이미 구축함에 따른 속도 조절을 위한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8년 5월 발표된 태양광 발전 통지(개편)의 주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18.05 태양광 발전 관련 통지(개편) 주요 내용] |
주요내용 | |
---|---|
태양광 발전 통지 (개편) |
i. 신규 태양광 발전에 대한 보조금 중단, 2018년도 태양광 설치 목표 미제시 |
ii. 2018년 신규 분산형 발전 설치 한도 10GW로 제한 | |
iii. 신규 태양발전소의 발전차액지원금(FIT) 일괄 인하(0.05위안/kWh) | |
iv. 경쟁 입찰 도입. 단, 입찰로 결정된 가격이 FIT 보조금 단가보다 낮아야 함. |
(출처 : 한국기업평가(2018.11.15), 업계 자료 취합) |
이에 따라 당시 중국의 수요 증가량을 50~55GW로 전망하던 기관들은 30~35GW로 전망치를 낮추며 태양광 발전시장의 공급과잉 문제가 한층 심화될 것을 우려하였습니다. 2018년 11월에 들어서며 중국 정부가 2020년말까지 태양광 설치 목표를 210GW에서 250~270GW로 상향조정했고, 2022년까지 태양광 보조금 지급을 지속하기로 하여 수요감소에 대한 우려를 완화시켰습니다. 실제로 2018년 4분기에 Top runner 프로그램(중국 정부가 저효율 모듈을 시장에서 퇴출시키기 위해 고출력, 고효율 태양광모듈 제품에 대한 우대 지원 정책을 펴는 것)의 주도로 10GW 가량이 설치되며 예상보다는 양호한 44GW를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다만, 2019년 5월, 중국 정부가 30억위안의 태양광 보조금을 하반기에 집행하기로 결정하고, 중앙 정부의 보조금 지원을 받지 않는 Grid Parity 프로젝트도 약 15GW 시행하기로 결정하였으나, 2019년 11월 들어서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포함) 보조금을 83억위안에서 57억위안으로 삭감하고, 2020년에도 태양광 보조금을 삭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그러나, 중국 정부는 2021년 태양광 사업에 대한 총 보조금을 전년보다 대폭 증가한 33억 8000만 위안(약 5억1500만 달러)으로 책정하며 전국적인 태양광 에너지 생성 및 보급을 지원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중국 태양광산업협회 부이사장(Wang Bohua)의 예측에 따르면, 14차 5개년 규획 기간 (2021~2025 년) 중국 연간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량은 70~90GW, 2025 년까지 총 350~450GW 추가 설치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2015 년 말 누적 발전설비 (43.5GW)의 8 배 , 13 차 5 개년 규획 기간의 목표치 (240GW) 의 약 2 배의 규모로 향후 5 년간 연평균 21% 의 성장을 기대하였습니다.
[중국 태양광 신규 발전설비 추이] |
|
(출처 : IRENA, 언론보도, 유안타증권) |
상기 언급된 중국 태양광 산업 환경 내 변화 요인들로 인해 향후 중국 태양광 설치량에 대한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최대 태양광 산업국인 중국의 산업환경 변화는 국내 태양광 업체와 당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② 미국 태양광 시장 전망
미국은 상대적으로 금융시스템이 잘 갖춰진 시장의 특성상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자금 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2010년 태양광 설치량 1.1GW에서 꾸준히 성장하여 2016년 14.6GW를 보이며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초 미국 태양광산업 보호를 위해 세이프가드가 시행되면서 태양광 수요가 큰 폭으로 하락할 것이 예상되었습니다. 세이프가드 실시와 더불어 금리 인상에 따른 태양광 프로젝트 조달금리 상승, 미중 무역분쟁 등 여러 악재가 있었지만, 연초부터 가정용 시장을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하면서 당초 예상보다는 양호한 10GW(전년 대비 9% 감소)가 설치되었습니다. 이후,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여 2019년 태양광 설치량은 12GW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2020년은 코로나19에도 불구 대형 태양광 프로젝트 투자도 정상적으로 진행되어 태양광 설치량은 19GW로 사상 최대 설치량을 기록하였습니다.
미국은 태양광 발전이 Grid Parity에 도달해 자연적인 수요 성장이 나타날 수 있었습니다. Grid Parity의 개념은 유틸리티/전력시장 관점과 전기소비자 관점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유틸리티/전력시장 관점에서는 신재생발전단가와 화석연료 발전단가가 같아지는 시점을 의미하며, 전기소비자 관점에서는 주택에 설치된 신재생발전단가와 주택용 전기요금이 같아지는 시점을 의미합니다. NREL(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의 분석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미국 가정용 태양광 발전의 LCOE는 ITC 보조금 없이 $0.12~0.16/kWh 수준이었으며(보조금 감안 시 $0.08~0.1/kWh) 2019년 2월 주별 가정용 발전단가를 감안하면 ITC 보조금 없이도 이미 하와이, 매사추세츠, 캘리포니아, 뉴욕 등 12개 주는 Grid Parity에 도달하였습니다.(ITC 감안 시 50개 주 모두 Grid Parity 도달)
특히, 캘리포니아는 2018년 기준 누적 태양광 설치량이 24GW로 미국 전체 누적설치량의 약 40%를 차지하는 핵심지역입니다. 2018년 5월, 캘리포니아 에너지위원회는 2020년부터 3층 이하의 단독주택과 다세대 주택에 태양광 패널 설치를 의무화하는 안건을 만장일치로 승인하였습니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지사 Gavin Newsom은 세금 인센티브와 벌금부과 등을 통해 2025년까지 약 350만 채의 신규 주택을 건설할 것이라고 주장하였으며, 이에 따라 태양광 설치 의무화와 신규 주택 증가가 Grid Parity와 맞물리면서 미국 가정용 태양광 설치량 증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국 가정용 태양광 업체 설치량 및 설치비용 현황] |
![]() |
미국 가정용 태양광 업체 설치량 및 설치비용 현황_증권신고서 |
(출처 : BNEF) |
[미국 주별 태양광 누적 설치량] |
![]() |
미국 주별 누적 설치량_증권신고서 |
주) 2018년 기준 |
(출처 : Wood Mackenzie, SEIA, 하나금융투자) |
미국은 2008년부터 태양광 발전 설비 건설에 투자된 자금의 30%를 세금에서 공제해주는 투자세액공제제도(Investment Tax Credit)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실질적으로는 투자비를 30%를 절감하는 효과를 발생 시켜 태양광 설비에 대한 강력한 투자 유인이었습니다. 2016년 말 만료 예정이었던 ITC는 2022년까지 연장되었고, 공제율은 2019년 말까지는 30%, 2020년 말까지 26%, 2021년 말까지 22%로 2022년까지 단계적으로 삭감될 예정입니다. 따라서 삭감 전 더 높은 공제율 혜택을 받기 위해 2020년 하반기에 수요가 집중되었습니다. 따라서, 태양광이 LCOE(균등화발전비용) 발전원으로 부상하면서 경쟁력이 높아지고, 상기 언급된 ITC 혜택 종료(2021) 이전 설치 수요가 증가하며 2020년에는 18.7GW가 설치되었습니다.
이에 더해, 2021년 미국 바이든 정부는 탄소중립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ITC를 2025년말까지 재차 연장하였습니다. 공제율은 2022년 말까지는 26%, 2024년 말까지 22%, 2025년부터 10%로 단계적으로 삭감될 예정입니다. 우드 맥킨지의 전망에 따르면, 투자세액공제(ITC) 연장으로 인해 향후 5년간 연 20GW 이상의 태양광설비가 설치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미국 태양광시장 신규 설치량 현황 및 전망] |
|
(출처 : Wood Mackenzie, 미래에셋증권) |
한편,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2050년 탄소배출 제로(0)'를 공약하며 2050년까지 미국 내 청정에너지 달성률 100%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규모의 에너지 재원이 태양광과 풍력 등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실제 바이든 당선인은 이를 위해 미국 전역에 태양광 패널을 5억개 설치하고 풍력발전용 터빈을 6만개 설치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습니다. 이는 당사를 포함한 태양광/풍력 등신재생에너지 기업체에게는 새로운 기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미국 태양광 설치량 예측치 상향] |
![]() |
미국 태양광 설치량 예측치 상향 |
(출처 : Bloomberg, 유진투자증권 (2020.12) |
중국, 미국에 이어 가장 유망한 시장으로 꼽히고 있는 인도는 2018년 누적 약 29GW가 설치되었으며, 2019년에는 11.6GW가 설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중국 업체들의 모듈 가격 인상 압박, 코로나19 확산, 중국산 모듈에 대한 25% 관세 부과 등 여러 악재가 있어 태양광 프로젝트의 완공이 늦춰진 결과 2020년은 설치량이 4.2GW에 그쳤지만, 태양광 수요는 견고한 상황입니다. BNEF에 따르면 지연되었던 프로젝트가 제개되면서 인도의 신규 태양광 설치량이 다시 회복되어 2021년에는 20GW, 2022년에는 14.5GW에 달할 전망입니다.
기타 신흥 시장으로, 베트남의 경우 2019년 태양광 설치량이 5GW를 기록했습니다. 국영전력회사와 체결된 PPA(Power Purchase Agreement)를 통해 50MW 이상 규모의 태양광 프로젝트 계약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반면 동남아시아 최대 태양광 수요지인 말레이시아의 경우 2018년 설치량이 480MW에 불과했으며, 2019년의 설치량 역시 전년 대비 감소한 200MW에 그쳤습니다. 한편, 중동지역에서도 고용 창출과 화석연료 중심의 산업구조 탈피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태양광 설치량은 2018년까지는 전무하나, 정부 주도하에 2030년까지 60GW 규모의 태양광 및 풍력단지를 건설할 예정입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2020년에 각각 1.5GW 규모의 태양광 발전소가 건설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지역별 태양광 설치량 전망] |
|
(출처 : BNEF, 미래에셋증권) |
신흥시장의 태양광 산업 규모는 아직 미미한 수준이며, 이와 같은 변화의 추세가 당사의 매출 규모에 중단기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나,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처럼 중국, 미국과 신흥시장의 태양광산업에 대한 정부 정책과 향후 발전 정도가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히, 당사는 최근 태양광 사업부문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등에 대하여 활발한 통합 및 조정 작업을 펼쳐왔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타. 태양광사업 M&A 및 수직계열화 관련 위험] 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 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국가별 지원 및 파리기후협약 등 정책에 따른 위험]
자. 태양광 산업은 정부차원의 지원과 정책 등이 뒷받침 되지 않으면 스스로 성장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향후 지원정책이 중단될 경우 태양광 설치 수요 급감으로 이어져 2차 구조조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리 기후협약은 국제법적 구속력이 없어 각 당사국들의 이행결과에 따라 태양광 산업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전 세계 태양광 산업은 세계 각국의 그린에너지 도입정책과 지원에 힘입어 시작된 산업입니다. 자연적인 시장의 니즈와 이에 따른 기업활동의 결과로 생겨난 사업이 아니라, 각국 정부의 인위적인 부양책을 토양으로 성장하였습니다. 따라서 Grid Parity에 도달하기 전까지는 기본적인 시장경제의 원리보다 정부차원의 지원과 정책 등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스스로 성장하기 어려운 한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각국 정부는 높은 발전 단가와 낮은 경제성을 극복하고 장기적인 태양광 발전의 확대를 위하여 발전차액지원제도(FIT: Feed in Tariff), 의무할당제(RPS: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등의 지원정책을 통해 태양광 산업을 육성해 왔습니다. 세계 다수의 국가에서 대체에너지를 장려할 목적으로 정부 지원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 정부도 2011년까지 발전차액지원제도(FIT)를 시행하여 당사의 영업환경에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한 바 있습니다.
발전차액지원제도(FIT)는 특정 에너지 공기업이나 발전 사업자만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다수의 민간 신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까지 포함하여 정부가 매년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위해 발전 보조금을 지급하는 제도입니다. 신재생에너지 가운데서도 발전단가가 매우 높아 아직 경제성이 낮은 태양광 발전이나 연료전지 발전에 대한 기준 가격을 매년 정해 일반 평균 발전 단가를 제외한 나머지 차액만큼을 사업자에게 지원해 줌으로써 다양한 신재생에너지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제도입니다.
[발전차액지원제도와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비교] |
구분 | 발전차액지원제도(FIT) |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 |
---|---|---|
매커니즘 | 가격조정제도 - 정부가 가격 책정하면 시장에서 발전량이 결정됨 |
수요조정제도 - 정부가 발전의무량을 부과하면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됨. |
보급목표 | 공급규모 예측 불확실 | 공급규모 예측 용이 |
가격설정 | - 정확한 공급비용 산정 어려움 - 사업자의 초과이윤 인센티브 |
- 수급여건에 따른 가격결정 및 변동 - 사업자간 가격 경쟁 매커니즘 내재 |
도입국가 | 독일, 스페인, 프랑스, 덴마크 등 | 미국, 영국, 스웨덴, 캐나다, 한국, 일본 등 |
장점 | - 중장기 가격을 보장하여 투자의 확실성, 단순성 유지 - 안정적 투자유치로 기술개발과 산업 성장 가능 |
- 신재생에너지 사업자간 경쟁을 촉진시켜 생산비용 절감 가능 - 민간에서 가격이 결정됨으로써 정부의 재정부담 완화 - 인증제도 등 일정한 요건이 충족하는 발전사업자만 진입 가능 |
단점 | - 정부의 막대한 재정부담 초래 - 기업간의 경쟁 부족으로 생산가격을 낮추기 위한 유인 부족 - 가격이 싸고 질이 낮은 외국산 제품 시장에 다수 출현 |
- 경제성 위주의 특정 에너지로 편중될 가능성 - 투자의 불확실성으로 인한 대규모 사업자만 인증서 시장에 참여할 가능성 - 인증제도 등 일정 요건 충족하는 발전사업자만 진입 가능 |
공통점 | 두가지 방법 모두 전기요금 인상 불가피 |
(출처 :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 백서 2012) |
또한 각각의 국가의 태양광 정책 변화 및 유엔의 기후변화 협약 등은 태양광 수요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태양광 산업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최근 태양광 설치가 가장 활발했던 미국, 중국, 인도 등의 태양광 수요는 계속해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향후에는 동남아시아 및 중남미, 중동 등 이머징마켓에서의 수요가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태양광 정책을 시행 중인 다수의 국가가 제도를 지속하지 못할 경우 태양광 수요 급감으로 이어져 구조조정이 발생할 수 있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최근 태양광산업 주요국의 정책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태양광산업 주요국 정책 현황] |
국가 | 주요 정책 |
---|---|
중국 | - 태양광 설치 전국단위로 확대 및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ETS) 시행(2016년~2017년) - 2018년 5월 발전차액지원 금액 삭감으로 하반기 중국 태양광 수요에 대한 불확실성이 확대 - 2018년 11월 보조금 지급 유지 및 목표설비량 상향 조정으로 시장 우려 억제 - 2020년까지 태양광 설치 누계 목표를 기존 210GW에서 250~270GW로 확대 - 2019년 5월 중국 국가발전개력위원회(NDRC)는 Grid Parity 확보 위해 태양광발전 프로젝트 보조금(FIT) 확정 (총 30억 위안) → 1류 0.5위안 -> 0.4 위안, 2류 0.6위안 -> 0.45위안, 3류 0.7위안 -> 0.55위안(kWh당 기준) → 자가소비 및 잉여전력 판매 상공업용 분산형 태양광발전에 대한 보조금은 0.4위안/kWh → 가정용 분산형 태양광발전 보조금은 0.18위안/kWh → 각 성별 보조금 지원업체 리스트를 6월말까지 중앙정부에 제출 - 2019년 11월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포함) 보조금 삭감(2019년 83억 위안→2020년 57억 위안) - 2020년 3월 태양광 발전 보조금 삭감(2019년 30억 위안→ 2020년 15억 위안) - 2021년 태양광 발전 보조금 책정(33억 8,000만 위안) |
미국 | - 전국단위 발전사 온실가스 감축 가이드라인 발표(2014년 6월) - 2017년 ITC 종료 예정이었으나 2022년까지 연장 결정 → 22년 일몰 전까지 단계적 삭감 (19년 30% -> 20년 26% -> 21년 22%) - 2018년 태양광산업 보호 위한 세이프가드 30% 시행. 올해 2월부터 매년 관세율 5%p 하락으로 수요 촉발 예상 - 2019년 01월 미국 뉴욕 "Green New Deal" 정책 발표 → 2040년까지 뉴욕주 모든 에너지 100%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 → 기존 태양광설치목표 3GW → 6GW로 상향 조정 - 2021년 1월 민주당 정부, 파리기후협약 재가입 행정명령 - 바이든 대통령, 향후 4년 간 청정 에너지·인프라에 2조 달러 투자 등 친환경정책 추진 강력 피력 - 태양광 투자금에 대한 세금 감면 혜택(ITC)이 2020년의 26%수준으로 2년 추가 연장 - '2050년 탄소배출 제로(0)' 공약 및 태양광 패널 5억개 설치 공약 |
인도 | - 2017년 신규 설치량 9.26GW로 사상 최대 규모(전년대비 94% 증가), 누적 설치량 19.52GW - 2017년 6월 '공공조달명령'을 통해 국산 태양광 셀, 모듈의 사용을 의무화하는 승인요건 제시 - 2018년 말 GST 개정, 태양광발전 관련 부품에 5% 상품 및 서비스세 부과 (한도는 총비용의 70%) - 인도 신재생에너지부는 2028년까지 매년 태양광 30GW 규모의 입찰을 추진할 계획이라 밝힘 - 중국 및 말레이시아 태양광 부품에 관세 부과 → 2018년 7월~2019년 7월 25% -> 2019년 7월~2020년 1월 20% -> 2020년 15% - 모듈의 중국 의존도가 80% 이상으로, 중국 내 모듈 생산 차질이 심각했던 2020년 1분기부터 타격 - 40일 간 인도 봉쇄령(2020년 3월 24일 ~ 5월 3일), 신재생 에너지 프로젝트는 4월 20일부터 재개 - 몬순시즌(6월 중하순~9월)은 전통적으로 설치량이 가장 적은 시기 - 2020년 단 4.2GW 설치, 코로나19로 인한 큰 타격 |
유럽 | - FIT(Feed In Tariff), FIP(Feed In Premium), 녹색인증(Green certificates, GC), 투자보조금 등의 정책적 지원 - (독일) 재생에너지법(Erneuebare-Energien-Gesetz, EEG)에 근거, 송전사업자에게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전력을 우선적으로 매입할 의무 부여 - 2013년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대한 최소수입가격(Minimum Import Price, IMP) 적용 →최소가격 설정 후, 중국산 태양광 제품이 설정가격 이하로 판매될 시 최대 64.9% 관세 부과 - 2018년 9월 중국산 셀/모듈에 대한 최저수입가격(MIP) 제도 폐지, 이에 따라 설치단가 낮아지며 수요 촉발 - 최종 에너지 소비 중 신재생 에너지 비중을 2020년까지 20%, 2030년까지 27%로 확대 목표 →EU 집행위원회, 유럽의회, EU 이사회는 2030년 재생에너지 목표치를 27%에서 32%로 확대하기로 합의함 - 탈석탄 및 탈원전 정책,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등으로 스페인/독일/네덜란드/프랑스 중심 수요 급증 - 총 37GW에 해당하는 281개 subsidy-free project가 진행 중이며, 2020년 약 4GW, 2021년 약 7GW 설치 전망. |
독일 | - '에너지구상 2010'을 통해 에너지전환정책 수립 및 추진 - 2018년 9월 EU는 중국산 모듈에 대한 관세 장벽 철폐 (MIP 및 수입물량제한 규제 조치) - 2021년, 탈석탄 시기를 기존 2038년에서 2030년으로 앞당기고, 현재 45% 수준인 재생에너지 비중을 2030년 80% 목표 계획 →2030년까지 태양광 발전 용량 목표치를 당초100GW에서200GW로 상향하여 연 평균15GW 시장으로 성장 전망 |
스페인 | - 태양광 설치 및 자가 소비 발전에 대해 세금(Sun Tax)을 부과했던 제도 폐지 - 2020년 들어서 Rooftop 등 수요 증가세 뚜렷, EU의 2030년 신재생에너지 발전 목표(32%) 달성을 위해 태양광 투자 확대 필요 |
일본 | - 일본 정부는 2012년부터 FIT(발전차액 지원) 제도를 통해 태양광사업을 적극 지원 - 하지만 FIT제도의 여러 부작용이 발견되었고, 이를 시정하기 위한 개정안 도입 → 태양광 전력 FIT 매입가격 단계적 인하 ① 10KW ~ 2000KW : 2017년 21엔/kWh → 2018년 18엔/kWh ② 10KW 미만 : 2017년 25~30엔/kWh → 2018년 26엔/kWh → 2019년 25~28엔/kWh → 태양광발전 전력 매입에 경쟁 입찰 제도 2017년 10월 도입 → 2020년 3월까지 완공하지 못할 경우 보조금 절반으로 삭감 예정 (21엔/kWh) - '제4차 에너지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에너지믹스 중 신재생에너지 비중 13~14%, 전원믹스 중 신생에너지 비중을 22~24%까지 확대하겠다는 목표 설정 - 2020년 3월, 10kW 이상 500kW 이하 태양광발전소 발전차액 지원금액 22% 삭감 (14엔/kWh) |
이탈리아 | - 태양광 중심으로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 30%까지 확대 목표 제시 -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설비 40GW 추가 확충, 이 중 30GW는 태양광으로 추정 |
한국 | - 2010년 RPS(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도 도입 - 2014년 [제4차 신재생에너지 기술개발 및 이용보급 기본계획] → 신재생에너지 목표 보급률 상향 조정,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12%로 확대 - 2017년 12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 발표 → 기존 5.7GW에서 2030년까지 태양광발전 설비용량을 36.5GW로 확대 - 2018년 소규모 태양광 발전사업자 위한 한국형 FIT제도 도입. 입찰경쟁 없는 고정가격 기준 - 2020년 7월 그린뉴딜 계획 대표과제 선정(그린 에너지), 2025년까지 11조 3,000억원 투입하여 태양광/풍력 발전용량 42.7GW 확보 목표 |
(출처 : 각종 매체 보도내용 통합, KTB투자증권) |
① 중국 태양광 관련 국가 정책
중국은 최근 5년간 친환경 에너지원 구축을 위해 태양광 산업을 적극 육성해왔습니다. 중국은 2015년 중국 지방정부 단위별로 분산형 태양광 발전설비설치 의무를 할당하고 각 지방정부의 목표 달성 여부를 적극적으로 관리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6년 중국 태양광 시장은 상반기 태양광 보조금 삭감이 예정되어 보조금 삭감 전 급격하게 수요가 급증하였으며, 그 결과 25GW 규모의 대규모 태양광 발전소가 건설되기도 하였습니다. 2016년 하반기 태양광 발전소 건설이 추가되면서 2016년에만 총 34GW의 발전소가 신규로 설치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7년까지 지속해왔던 중국 정부의 태양광 산업 양적 확대를 위한 지원 정책은 2018년에 들어서며 질적 성장을 위한 정책으로 변화되었습니다. 중국은 통지(개편안) 발표로 신규 태양광 발전에 대한 보조금 지급을 중단하였으나, 전력수급을 고려하여 국가보조금을 지원하지 않는 지방정부 자체 태양광 건설은 독려하였습니다. 또한, 2017년 말 기준 태양광 발전차액지원금(FIT) 미지급액이 445억위안(한화 약 7조 2,984억원)에 도달함에 따라 발생한 예산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전차액지원금을 인하하였습니다. 특히, 2019년 11월 중국은 당해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을 포함한 재생에너지 보조금을 83억 위안에서 57억 위안으로 감축키로 결정했으며, 2020년 3월 결정된 올해 태양광 발전 보조금은 15억 위안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50% 감소하였습니다.
2018년 5월 태양광 양적 성장 속도를 제한하는 정책을 발표하며 세계 태양광 수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중국의 설치 규모가 작년 대비 크게 축소되면서 글로벌 태양광 수급 악화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되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 11월 중국 에너지부를 통하여 2022년까지 태양광산업 보조금을 계속 지급하고 국가 재생국이 매년 일정한 보조금을 보증하며, 2020년 말 설치 누계 목표를 기존 210GW에서 상향한 250~270GW로 조정한다는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는 2018년 5월 정책 이후 중국 태양광 내수 기반이 무너지면서 중국 태양광 시장 내 우려가 확대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조치라고 판단됩니다. 2021년에는 원재료 가격 상승에 따른 태양광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일부 프로젝트가 지연되었으나, 이에 6월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2019~20년간 허가 받은 프로젝트 중 2021년까지 계통 연계를 하지 못하더라도 2022년 예산 내 보조금을 받을 수 있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이에 내년 설치량은 지연된 프로젝트들이 재개되면서 70GW를 초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중국 태양광 정책 변화] |
구분 | 주요 내용 | 비고 |
---|---|---|
2014.11 | 에너지발전전략 행동계획(2014~2020) | 국무원 발표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
2016.10 | 2017년 계통연계형 태양광발전 보조금 인하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발표 |
2018.05 | 2018년 태양광발전 관련 통지(개편) 발표 | 국가에너지관리국 발표 |
2018.11 | 2020년 말 설치 누계 목표 상향(210GW→250~270GW) | 에너지부 발표 |
2019.05 | Grid Parity Project 및 수정된 중앙정부 보조금 정책 발표 | 국가에너지관리국 발표 |
2019.11 | 재생에너지(태양광/풍력) 보조금 삭감(2019년 83억 위안→2020년 57억 위안) | 국가에너지관리국 발표 |
2020.03 | 태양광 발전 보조금 삭감(2019년 30억 위안→ 2020년 15억 위안) | 국가에너지관리국 발표 |
2020.11 | 2021년 태양광 발전 보조금 33억 8,000만 위안 책정 | 재무부 발표 |
2020.12 | NEA, 2021년 태양광+풍력 120GW 설치 목표 발표 | 국가에너지관리국 발표 |
2021.03 | 전체 에너지 소비 중 비화석에너지 비중을 2025년 20%까지 확대 목표 발표 | 국무원 발표 |
(출처 : 한국기업평가 및 업계자료 취합) |
중국은 태양광 Grid parity 달성을 위해 무보조금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의 장기적인 발전은 발전단가가 석탄화력발전단가 대비 경쟁우위를 보유한 자체적인 경제성 달성 여부가 중요합니다. 중국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태양광 발전 경매프로젝트에서 Payment Guidance(보조금에서 석탄발전 평균가격을 차감한 수치)를 지속적으로 인하했으며, 2019 년 처음으로 무보조금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를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21 년 전기 판매단가와의 Parity, 2025 년 On Grid 발전단가와의 Parity 에 달성할 것을 목표로 삼고있습니다.
[중국 태양광 Payment Guidance 추이] |
![]() |
태양광 경매 프로젝트 fit payment guidance |
(출처 : 중국발전개혁위원회, Wind, 유안타증권 글로벌투자정보센터) |
② 미국 태양광 관련 국가 정책
미국은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자금 조달이 용이하기 때문에, 2010년 태양광 설치량 1.1GW에서 꾸준히 성장하여 2016년 14.6GW를 보이며 견고한 성장세를 유지해왔습니다. 환경 및 에너지 자립 측면에서 자국 내 보유자원이 적은 석탄 발전을 폐쇄하는 추세에 있었기 때문에 대체재로서 태양광 발전이 정책적 지지를 받아왔습니다.
한편, 2018년 1월 트럼프행정부가 긴급수입제한조치인 태양광 세이프가드를 발동하였습니다. 미국의 태양광 세이프가드 시행에도 불구하고 2018년 1분기 미국 태양광 설치량은 약 2.2GW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하였으나, 미국 내 수입되는 태양광 모듈 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기존 예정되어 있던 미국 내 주요 태양광 발전 프로젝트가 취소되는 등 미국 태양광 수요의 단기적인 수요 감소는 불가피 하였습니다. 그러나 2018년 하반기 이후 전세계적 태양광 제품의 가격 하락으로 관세부과에 따른 제품가격 상승효과는 사라지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또한, 2018년도 대통령 예산안 내 주요 기후변화 관련 R&D 프로그램 예산과 해외 지원 프로그램 예산을 상당수 폐지 혹은 축소하였으며, 셰일오일 및 셰일가스 증산 등 전통적 에너지 자원 개발 확대와 관련한 예산을 확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더불어 미국정부는 5년 내 청정에너지 R&D 공공투자 2배 확대 등을 목표로 한 프로그램인 UNFCCC(United Nation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미션 이노베이션 탈퇴 가능성까지 거론하는 등, 트럼프 행정부는 지속적으로 친환경정책 탈피 기조를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전임 트럼프 행정부하에서는 연방정부 차원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거의 전무하였으나, 주(state) 또는 지방정부차원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온실가스 감축 노력이 이루이지고 있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뉴욕 시의 온실가스 저감 장기 프로젝트인 80x50, 캘리포니아 주의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 (CTP: Cap-and-Trade Program)등을 들 수 있습니다.
또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2050년 탄소배출 제로(0)'를 공약하며 2050년까지 미국 내 청정에너지 달성률 100%를 목표로 삼았습니다.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규모의 에너지 재원이 태양광과 풍력 등으로 전환되어야 하며, 실제 바이든 당선인은 이를 위해 미국 전역에 태양광 패널을 5억개, 풍력발전용 터빈 6만개 설치하겠다고 공약한 바 있습니다. 따라서 바이든 행정부가 출범 이후 공약과 같이 친환경 정책이 강화된다면 당사를 포함한 태양광 관련 기업체에게는 새로운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주(state) 또는 지방정부의 온실가스 감축방안] |
![]() |
미국 온실가스 감축방안 |
(출처 :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21.02)) |
한편 2021년 미국은 2조달러 규모의 예산안이 담긴 'Build Back Better' 통과를 추진하였습니다. 'Build Back Better'이 통과되면 세금 인센티브를 포함해 약 $555 billion 에 달하는 보조금이 친환경에너지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되며, 특히 미국에서 생산한 태양광 제품에 세금을 돌려주는 SEMA(Solar Energy Manufacturing for America Act) 등이 포함되어 있기에 미국에서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당사의 종속회사 사업 환경에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Build Back Better' 예산안 내 친환경분야 관련 예산] |
구성 | 내용 | 금액(USD bn) |
1.청정에너지 세액 공제 | 유틸리티, 가정용 청정에너지 전송 및 저장, 청정 이동수단(차량), 청정에너지 생산 설비에 대한 10년간 확대된 세액 공제 혜택 | 320 |
2.회복력 투자 | 극한의 날씨, 커뮤니티와 민간 기후단체 내 오염을 극복하기 위한 투자 및 인센티브 | 105 |
3.청정에너지 기술, 제조, 공급망에 대한 투자 및 인센티브 | 철강,시멘트, 알루미늄과 같은 기존 산업 경쟁력을 높임과 동시에 태양광, 배터리, 발전된 소재 관련 국내 공급망 및 기술을 갖추기 위한 인센티브 | 110 |
4.청정 에너지 구매 | 정부가 장시간 에너지 저장장치, SMR, 청정 건축자재 등과 같은 차세대 기술을 구매하기 위한 예산 | 20 |
(출처 : 미국 백악관, 현대차증권) |
미국의 2022년 태양광 모듈 Capa(7.5GW)는 설치 목표(30GW) 대비 크게 부족하기에부족하기에, 'Build Back Better'을 통해 미국산 폴리실리콘/웨이퍼/셀/모듈 생산을 장려하고자 세제 혜택을 제공할 계획입니다. 태양광 보조금(Tax Credit)은 미국내 제품 생산량에 비례하기에 태양광 제품 생산시 상당한 수준의 보조금을 수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만,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2021년 통과가 예상되었던 'Build Back Better'은 아직 통과되지 않은 상황이며 미국 상원 표결이 2022년 1월 실시될 예정입니다. 만약 예정대로 통과되지 않을 시 향후 미국 태양광 사업계획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으며, 이는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국내의 경우, 2017년 5월 문재인 정부가 출범하면서 우리나라는 원자력과 석탄 위주의 발전에서 벗어나, 환경과 국민의 안전을 고려하는 지속가능한 성장을 목표로 하는 친환경 에너지 정책을 적극 시행한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에 정부는 2017년 6월 29일,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의 경우 발전 전력량 기준 20%까지 늘리는 신재생 3020 이행계획을 위한 회의를 진행하였으며, 2030년까지 53GW 규모의 신규설비 보급하고 태양광, 풍력을 이 중 80% 수준으로 보급하는 목표를 달성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2017년 12월은 재생에너지 3020을 발표하여,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을 20% 목표로 설정하는 등 친환경 에너지와 연관된 정부적 지원 의지를 피력하였습니다.
[문재인 대통령 에너지 관련 핵심 공약 요약] |
국정과제 | 과제목표 | 주요내용 |
---|---|---|
미세먼지 걱정 없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 - 미세먼지 발생량을 임기 내 30% 감축하고 민감계층 적극 보호 | - (원인규명 및 예보정확도 제고) 환경위성 발사(2020년), 측정망 확충, 한중 공동 연구(2017년5월∼2020년) 등을 통해 미세먼지 발생원인 규명 - (발전ㆍ산업부문 감축) 석탄발전 축소, 사업장 배출규제 강화 - (경유차 단계적 감축) 경유차 비중 축소 및 친환경차 비중 확대 - (민감계층 등 보호 강화) 오염우심지역 특별관리, 노인ㆍ어린이 맞춤형 대책 추진 - (한중ㆍ동북아 협력) 한중 정상회담 의제화 및 동북아 다자협약 추진 |
탈원전 정책으로 안전하고 깨끗한 에너지로 전환 | - 탈원전 로드맵 수립을 통해 단계적으로 원전제로시대로 이행 - 에너지가격체계의 합리적 개편 및 분산형 전원 보급 확대 |
- (탈원전 로드맵 수립) 원전 신규 건설계획(추가 6기) 백지화, 노후 원전 수명 연장 금지 등 단계적 원전 감축계획을 전력수급 기본계획 등에 반영 - (원자력 안전규제 강화) 원안위 위상 및 독립성 강화*와 안전관리체제를 정비하고 원전의 내진설계기준 상향 조정 검토 - (에너지가격체계 개편) 사회적 비용을 반영해 발전용 연료 세율체계를 조정 하고, 산업용 전기요금체계 개편*을 통해 전력 다소비형 산업구조 개선 - (분산형 전원 확대) 분산형 전원(신재생, 집단에너지, 자가발전)의 인허가, 연료 구매, 요금 설정 등 전 과정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강화 |
친환경 미래 에너지 발굴ㆍ육성 | -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30년 20%로 대폭 확대 - 에너지 신산업 선도국가 도약 및 저탄소ㆍ고효율구조로 전환 |
- (재생에너지) 소규모 사업자의 참여 여건 및 기업투자 여건 개선 등을 통해 2030년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 20% 달성 - (에너지신산업) 친환경ㆍ스마트 에너지 인프라 구축, IoE 기반 신비즈니스 창출 - (에너지효율) 핵심분야별(가정, 상업, 수송, 공공, 건물 등) 수요관리 강화, 미활용 열에너지 활용 활성화 등을 통해 저탄소ㆍ고효율 구조로 전환 - (에너지바우처) 2018년에 에너지바우처 지원대상에 중증희귀질환자 가구 추가 등 에너지 소외계층 복지 지원 확대 |
신기후체제에 대한 견실한 이행체계 구축 | - 2021년까지 온실가스 배출전망 대비 상당한 수준 감축 실현 - 기후변화 리스크를 예측ㆍ관리하고 피해를 최소화하는 안전사회 구현 |
- (지속성) 지속가능발전위원회 위상을 강화(2018년~)하여 사회ㆍ경제 전반의 지속성 제고 및 기후ㆍ대기ㆍ에너지정책 통합성 제고 - (온실가스 감축 강화) 배출권거래제 정상화 등 온실가스 배출증가 억제 - (기후적응 역량 제고) 사회 전반의 기후변화 적응 역량 평가ㆍ점검체계 구축 - (범지구적 논의 동참) 파리후속협상 참여 등 국제사회 역할 강화 |
(출처 : 국정기획자문위원회 발표 보고서) |
한편, 2020년 코로나19 바이러스의 확산 현상은 근본적으로 인류의 자연 파괴에 따른 신종바이러스 출현이라는 점에서 전세계적으로 '그린 뉴딜' 정책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그린 뉴딜' 정책이란 환경과 사람이 중심이 되는 지속 가능한 발전 정책을 뜻하는 용어입니다. 이에 상응하여 정부는 2020년 6월 3차 추경안을 통해 '그린 뉴딜'에 대한 내용을 담은 바 있습니다. 정부는 3차 추경안에서 '그린 뉴딜'에 2020년 연간 1조 4천억원을 투자할 것으로 발표하였습니다. 또한, 2020년 9월 4차 추경안(맞춤형 긴급재난지원 패키지)을 통해 약 7.8조원을 투자할 것으로 발표하였으며, 2021년 3월 약 15조원을 투자하는 추경안(맞춤형 긴급재난지원 패키지)을 승인하였습니다.
정부가 2020년 7월에 발표한 한국판 뉴딜 사업은 '디지털뉴딜' 사업으로 경제전반의 디지털 혁신 및 역동성을 촉진하고, '그린뉴딜'로 경제기반의 친환경/저탄소 전환을 가속화하며, '안전망 강화'를 통해 경제구조 재편에 따른 실업불안 및 소득 격차를 완화하고 고용/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겠다는 것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2025년까지 국비 114.1조원의 재원을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제도 및 규제개선을 통해 민간의 혁신/투자를 촉진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한국판 '뉴딜'] |
![]() |
한국판 뉴딜 사업개요 및 규모 |
(출처 : 기획재정부 (2020.07)) |
정부가 그린뉴딜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부문에는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 프로젝트가 속해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현재 12.7GW 수준인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발전용량을 2025 년까지 42.7GW 로 늘리고, 수소 원천기술을 보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향후 정부는 이를 위해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 및 산업 생태계 육성을 위해 연구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부문별로는 태양광에서는 기업 공동활용 연구센터를 구축하고, 풍력부문은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입지발굴을 위해 최대 13 개 권역의 풍황 계측, 타당성 조사 지원 및 배후/실증단지 단계적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소산업은 생산에서 저장/활용까지 전주기 원천기술 개발, 수소 전문기업 육성 등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 시범도시 조성, 충전소 등 수소기술 집중 지원등을 그 내용으로합니다. 정부는 신재생에너지 시장 확대를 위해 공공기관 신재생 의무 비율을 상향 예정이며(현행 2020년 30% → 2030 년 40%), 신재생에너지 설비의 보급확대를 위해 발전사의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비율 제도를 개선할 예정입니다(2021 년 8% → 9%, 2022 년 9% → 10%). 그 외에 전력망의 신재생에너지 계통수용성 확대를 위한 선제적 계통보강을 추진하고, 저탄소 태양광 제품 설치 확산을 위해 생산과정에서 탄소배출량이 적은 제품을 우대하는 '탄소인증제'도 도입할 예정입니다.
현 정부의 정책방향은 장기적으로 태양광, 풍력 등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위주로 중장기 에너지 정책을 수립하는 것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이 같은 정책의 추진은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당사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러한 정책이 당사 태양광 사업 부문의 매출액에 미칠 영향은 현재 불확실하며, 정책의 방향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 참고하시어 투자의사결정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대외적 무역갈등 이슈에 따른 위험]
차. 당사의 매출은 대외적인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세계교역 신장세 약화, 미국, 인도등의 반덤핑 관세 이슈 등과 같은 대외적 이슈는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각국의 대외무역정책에 따른 당국의 정책대응도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매출은 대외적인 요소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세계교역 신장세 약화, 미국, 인도 등의 반덤핑 관세 이슈 등과 같은 대외적 이슈는 당사가 영위중인 태양광 사업의 매출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과거의 사례를 살펴보았을 때, 중국은 2014년 미국산 폴리실리콘에 5년간 최고 57%의 반덤핑 관세를 부과하였으며, 실제로 중국의 반덤핑 관세 부과 등으로 상대적으로 기존 미국, 유럽산 제품의 가격이 높아지면서 판매량이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미국 상무부는 2015년 중국산 태양광 제품에 최대 165.0%, 대만산에 최대 27.6%의 반덤핑 관세를 발효하였습니다. 한편, 중국은 2014년 한국산 폴리실리콘에 대해 2014년 첫 관세부과 이후 5년이 지난 2019년 1월 20일부터 일몰재심을 시작하였습니다. 일몰재심에서 연장 여부를 조사 중입니다. 일반적으로 재심은 약 1년 소요되며 해당 기간 동안엔 현행대로 4.4%의 관세가 지속 부과됩니다.
미국 정부는 2018년 1월 22일(현지 시각) 수입산 태양광 제품이 미국 산업에 심각한 피해를 야기한다는 이유로 한국을 포함한 태양광 전지ㆍ모듈 제품에 대한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승인한 바 있습니다. 세이프가드란 특정 품목의 수입이 급증해 자국산업계에 중대한 피해가 발생하거나 그럴 우려가 있을 경우 취하는 긴급 수입제한 조치를 의미합니다. 미국발 세이프가드로 인해 국내 미국 수출 태양광 전지ㆍ모듈의 경우, 2.5GW 이상일 때 1년간 30%의 관세를 적용(기존 0% 관세)하며, 2년 차 25%, 3년 차 20%, 4년 차 15%로 차등 적용되었습니다.
태양광 세이프가드는 2022년 2월 종료 예정이었으나, 2021년 11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미국 기반 태양광 업체의 요구를 수용하여 태양광 '세이프가드'(긴급수입제한조치)를 연장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미국 내 태양관산업 설비 투자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근거로 태양광에너지협회 등은 연장을 반대하고 있는 가운데, 바이든 대통령이 이를 받아들이면 연장이 확정될 예정입니다.
[태양광 세이프가드 부과 내용] |
구분 | 태양전지 TRQ(저율관세할당) | 모듈 | ||
---|---|---|---|---|
쿼터 | 쿼터내 관세 | 쿼터외 관세 | 관세 | |
1년 | 2.5GW | 0% | 30% | 30% |
2년 | 2.5GW | 0% | 25% | 25% |
3년 | 2.5GW | 0% | 20% | 20% |
4년 | 2.5GW | 0% | 10% | 15%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
또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당시 미국정부는 자국산업 보호를 위해 수입제품에 대한 긴급수입제한조치, 관세부과 등 보호무역주의를 표면화한 바 있습니다. 미국 정부는 2018년 1월 23일 한국산 세탁기와 태양광 제품에 대해 미국 통상법 201조 긴급수입제한조치를 발동하였고, 이를 철회해 달라는 한국 정부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원안대로 시행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2월 8일 수입산철강 및 알루미늄에 각각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하는 관세안을 발표하였습니다. 한국 정부의 요청으로 한국산 제품에 대해서는 해당 관세를 부과하지 않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일련의 조치들은 미국의 지속적인 보호무역주의 기조를 대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미국의 보호무역주의와 미국-중국 간 무역갈등으로 인해 한국산 수출품은 다양한 경로로 직, 간접적인 영향을 받았습니다.
미국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의 대외정책은 신고립주의와 보호주의 색채가 짙어졌고, 특히 미국 기업의 이익과 산업 보호를 내세운 환율 공세가 갈수록 강해지는 상황입니다. 미국의 환율조작국 지정 우려가 대표적인 공세인데, 환율조작국의 지정은 1) 대미 무역흑자 200억달러 이상, 2) GDP 대비 경상수지 흑자 비율이 3% 이상, 3) GDP 대비 2% 이상의 달러 매수 개입 여부가 바로 그것입니다. 이 세 가지 조건 중 통상 두 가지에 해당하는 국가를 '관찰대상국'으로 지정하게 되는데, 한국은 대미무역흑자 200억달러 이상이면서 경상수지 흑자 비율 3% 이상 국가에 해당하기 때문에 '관찰대상국'으로 지정된 상황입니다. 만약 한국이 나머지 하나의 조건에도 충족된다면 미국은 한국을 '환율조작국'으로 지정하게 되며, 한국기업에 대한 각종 규제를 강화할 수도 있는 가능성이 존재하고있습니다. 또한 미국이 중국에 대한 '환율조작국' 지정이 현실화 된다면, 이 또한 한국의 경제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한편, 미국 바이든 정부는 중국 신장 위구르족 인권 탄압을 문제 삼자 미국 태양광 관련업체들은 신장 지역에서 생산하는 폴리실리콘을 불매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중국 신장은 전 세계에서 태양광 폴리실리콘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이며, 신장 지역의 폴리실리콘 생산량은 글로벌 전체 생산량 기준으로 약 48%를 차지합니다. 이런 가운데 세계 최대 폴리실리콘 생산지인 신장 발 리스크가 커지며 가격이 상승한 바 있습니다. 또한 2021년 6월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은 신장 위구르족 인권 침해와 강제 노동 등을 이유로 중국의 Hoshine Silicon (폴리실리콘 원재료인 금속 실리콘 1위 생산업체)에 대해 인도보류명령을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Hoshine Silicon 관련 제품들은 미국 항구에서 즉각 억류되고 강제 노동과 연관이 없다고 입증해야 미국 내로 반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와 함께 미국 상무부는 중국 태양광 업체 5곳을 블랙리스트에 올리고 이 회사들이 미국으로 제품을 수출할 때 미국 정부의 승인을 받도록 조치하였습니다.
이처럼 국제 정세의 변화는 당사가 영위중인 태양광 사업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그 뿐만 아니라 각국의 대외무역정책에 따른 당국의 정책대응도 당사의 매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가공부문]
[소재산업 관련 전방산업]
카. 당사 가공부문의 소재사업은 자동차, 전자 및 태양광 관련 소재가 주요 제품으로, 관련 전방 산업의 업황과 높은 상관관계를 갖습니다. 따라서 당사 가공부문의 수익성은 관련 전방 산업의 업황에 따라 영향을 받습니다. 가공부문의 관련 산업의 업황이 부진할 경우, 당사 매출이 줄어들 위험이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 가공부문 매출액 추이] |
(단위 : 억원) |
부문 | 회사명 | 용도 | 품목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플라스틱제품 등 |
자동차 부품, |
1,575 | 1.52% | 2,075 | 1.66% | 2,620 | 2.08% |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 |
1,967 | 1.90% | 2,161 | 1.73% | 2,326 | 1.85%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등 |
- | 3,830 | 3.70% | 4,241 | 3.40% | 4,828 | 3.83% | ||
합계 | 7,372 | 7.12% | 8,477 | 6.79% | 9,774 | 7.76% |
주1) 상기 비율은 연결재무제표기준 전체 매출액에서 각 제품 등이 차지하는 비율임. 주2) 당사는 2020년 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와 합병하였으며 상호를 한화케미칼(주)에서 한화솔루션(주)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화솔루션(주)의 매출액 실적은 케미칼부문, 첨단소재부문, 태양광부문으로 각각 나누어 반영하였습니다. 주3) 2019년 및 2020년에는 중단영업 효과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당사의 가공부문 매출액은 2014년 이후 연간 1조원 수준의 규모를 기록하고 있으며 판매단가의 변동에 따라 소폭 증감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0년 가공부문 매출은 8,477억원으로 당사 총 매출의 6.79% 수준을 기록하였으며, 2021년 3분기의 경우 매출액 7,372억을 기록하며 당사 총 매출의 7.12%를 차지하였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부문인 가공부문 중 소재사업은 자동차소재, 전자소재 및 태양광 소재로 분류되며, 자동차 산업, 전자기기 산업 및 태양광 발전산업의 업황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자동차소재 산업의 발전은 국내 자동차 제조사의 생산량 증가가 긍정적 요인으로 작용했습니다. 국내 자동차 제조사의 성장에 힘입어 국내 자동차소재 산업 역시 동반 성장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자동차 산업은 에너지-소재-IT/전지-기계 등 다양한 산업이 밀접하게 결합된 종합 글로벌 산업인 만큼 자동차 소재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한화솔루션(주) 등 가공부문은 자동차부품소재, 산업용소재를 주요 제품으로 하는 경량복합소재와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고기능성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공기업입니다. 플라스틱 가공산업은 PP, PVC, EVA 등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안료, 안정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특수배합 후 Calender나 압출기, Press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관련 소재와 부품 등을 제조하는 산업입니다. 가공부문은 자동차산업의 경량화 요구에 따른 경량화소재 및 강화 플라스틱 신소재, 건축/자동차/전자 부품소재의 가공원료,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기기 시장에 부합하는 스마트기기 기초 소재, 신재생에너지로 급성장하고 있는 태양광 관련 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자동차, 휴대폰 및 태양광 산업 등 전방산업의 경기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징이 있습니다.
최근 자동차 소재산업은 연비규제에 따른 차량부품의 초경량/고강도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품질 증대, 부품 고급화 및 전자화의 일환으로 NVH(소음, 진동) 소재와 전열/전기전도성 소재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추가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전기차량, 수소차량 등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차량 내부 소재 및 부품을 위주로 바이오 소재 중심의 친환경 소재(Eco-friendly) 적용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자동차소재 산업의 진화가 경량화, 친환경 소재 및 지능형/특수 기능 소재 등으로 구체화되고 그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은 한화솔루션(주)를 비롯한 국내 자동차소재산업에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 소재의 트랜드] |
![]() |
자동차 소재 트렌드_증권신고서 |
(출처 : LG경제연구원) |
한편 일류 자동차 제조사들의 공격적 기술개발, 중국 제조사들의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한 고성장 및 저가 마케팅은 전방산업인 국내 자동차 산업에 잠재적인 위험 요인으로 작용해 국내 자동차 소재 생산업체들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자동차 소재의 진화 방향이 경량화, 친환경, 지능형/특수 기능 소재의 채용 확대 등으로 나타남에 따라 Audi, BMW, Toyota 등 글로벌 자동차 메이저 업체들은 발 빠르게 자동차용 소재 진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Audi의 경우 'Audi Light Design Center(경량화 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이 곳에서 다양한 협력업체들과 공동으로 자동차 경량화 소재ㆍ부품의 기초 설계 및 성형가공 공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있으며, Ford는 상용차에 적용할 친환경 소재 개발에 집중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당사 역시 자동차용 경량복합소재 및 부품 전문기업으로서 해외 생산거점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2015년 7월에는 R&D 경쟁력 확보 및 세계 자동차 경량화 트렌드 선도를 위해 세종시 조치원 세종2사업장에 경량복합소재개발센터를 개소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국내 자동차 소재 업체들의 경쟁력은 글로벌 피어들과 비교하여 다소 격차를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소재의 진화가 빨라지고 구체화됨은 물론 그 중요성이 커지는 상황 하에서 국내 소재ㆍ부품ㆍ완성차 업계의 보다 적극적인 기술 협력과 소재 개발 및 투자가 요구되며, 더 나아가 정부 차원의 지원 등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미래 자동차 소재 관련 글로벌 경쟁에서 열위에 놓일 수 있습니다. 가공 부문 당사의 시장점유율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가공 부문 시장점유율 추이] |
제품명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GMT |
70% | 70% | 70% | 70% |
FCCL |
42% | 42% | 41% | 42% |
EVA Sheet |
6% | 6% | 6% | 6% |
주) 상기 내용은 당사 추정치입니다.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2020년 사업보고서) |
당사는 또한 전자소재사업에도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생산하고 있는 FCCL(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연성동박적층판)은 스마트폰, 테블릿PC 등 정밀 전자제품의 핵심 부품소재로 사용되고 있으며, 전방산업인 IT/전자기기 업황에 따라 실적 변동성이 확대되는 구조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 IT/전자기기 제조업체들은 프리미엄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보급형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을 꾸준히 출시하며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여왔으며, 스마트기기 사업의 성장세와 함께 중대형기기(노트북, 컨버터블 PC 등) 역시 글로벌 시장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IT/전자기기 산업의 확대는 터치스크린패널 산업 등 전자소재 산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스마트폰 판매량 추이] |
|
(출처 : Counterpoint, 하나금융투자) |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은 2019년 3월부터 성장세가 지속적으로 둔화되다, 출하량 증가세에 기여해 왔던 신흥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이 상승함에 따라 2019년 9월부터 2개월 연속 증가세를 시현하였습니다. 다만, 이후 미국 및 중국의 스마트폰 수요 부진에 따라 10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하였습니다. 2020년은 코로나19로 인한 국가 간 교역 감소로 판매량이 감소하였으나, 하반기부터 교역이 재개됨에 따라 2019년 수준의 판매량을 회복하였습니다. 2021년의 경우 상반기는 기저효과로 높은 증감률을 기록하였으나, 하반기에는 반도체 공급 부족, 코로나19 재확산 등으로, 다소 저조한 판매량을 기록하였습니다. 2022년은 반도체 공급부족 영향이 완화되며 판매량이 개선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코로나19 확산 경과, 중국, 인도 등 글로벌 경제 상황 관련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신흥시장의 중저가 모델 비중 확대로 인한 고사양 및 중저가 모델 간 양극화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향후 고사양 모델 시장은 Apple 등 소수의 업체가 독자적인 플랫폼 개발을 통해 이끌어가는 별도의 고수익성 시장으로 유지되는 반면, 중저가 모델 시장은 가격 경쟁이 심해져 과거 반도체 산업에서 보았던 일종의 치킨게임 양상이 재현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IT 전자기기는 보급률 포화로 인해 현재 성숙기에 접어든 산업으로 판단되며, 제품별로 출하량이 지속적 성장을 보이고 있는 제품도 존재하나 산업 전반의 성장률은 과거 대비 하락하고 있습니다. 향후 경기에 민감한 IT기기의 매출이 경기 불황 및 소비 둔화로 인해 감소하는 등 전방산업의 실적 부진이 가시화될 경우 당사를 포함하여 스마트기기 기초소재 산업을 영위하는 기업들의 실적 역시 악화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유통부문]
[다양한 유통채널 등장에 따른 위험]
타. 최근 다양한 형태의 유통 채널이 등장함에 따라 백화점의 수요층이 일부 이탈하면서 백화점업의 성장에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구매수단의 다양화로 타 유통업체와의 경쟁 강도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코로나19 확산 사태가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백화점 사업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이러한 급격한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향후 당사의 영업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과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를 통해 백화점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은 수도권 지역에 갤러리아 명품관과 광교점, 2개점을 운영하고 있으며, 충청지역에 갤러리아 센터시티(천안 소재)와 경남지역에 갤러리아 진주점(진주 소재)을 포함 총 4개의 지점을 운영 중에 있습니다. 또한, 온라인 쇼핑몰인 갤러리아몰은 매년 꾸준한 신장세를 보이며 영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경우 대전 지역에 1개의 백화점 지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백화점의 업황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이 2020년 3월 신규 출점한 갤러리아 광교점은당 그룹사가 경기도와 협력하며 추진 중인 '복합 컨벤션 타운'안에 건설되었습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은 총면적 2만 4,500여평 규모의 대지에 갤러리아 광교점을 비롯해 컨벤션 센터, 47층 규모의 고급 주거형 오피스텔, 270개 객실을 갖춘 호텔, 아쿠아리움 등을 조성하여, 경기 중·남부권 상권을 주도하겠다는 계획입니다. 또한 중심업무지구와 호수공원을 연결하는 광교의 '메카'로 자리매김할 전망입니다.
다만 대형마트, 편의점, 홈쇼핑, 인터넷 쇼핑몰 등 다양한 형태의 유통 채널이 등장함에 따라 당사의 주요 소매유통채널 중 하나인 백화점의 수요층이 일부 이탈하면서 백화점업의 성장에 위협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IT기술의 발달과 함께 시공간의 편리성을 추구하는 소비 트렌드의 확산, 점차 다분화되는 소비자의 욕구는 다양한 유통 채널을 이용하는 멀티 채널 소비 현상을 초래했습니다. 소비자는 기존 오프라인 거래와 함께 온라인을 통한 해외 구매대행 및 홈쇼핑을 이용하며 소비효율을 극대화하고, 이에 발맞춰 유점포업종의 업태는 점차 다변화되고 있습니다. 대형마트, 인터넷 쇼핑몰 및 홈쇼핑은 기존의 유통업을 대체하며 급성장을 거듭해왔고, 대형마트는 이미 백화점을 추월하여 소매시장의 최대 유통업이 되었습니다.
[국내 소매시장 업태별 판매액] | |
(단위 : 백만원, %) |
소매업태별 판매액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11월 |
---|---|---|---|---|---|---|
백화점 | 29,911,411 | 29,324,217 | 29,967,537 | 30,386,424 | 27,379,576 | 30,334,282 |
대형마트 | 33,234,136 | 33,798,158 | 33,453,685 | 32,424,692 | 33,777,746 | 31,645,939 |
면세점 | 12,275,712 | 14,465,845 | 18,960,170 | 24,858,610 | 15,505,934 | 16,455,416 |
슈퍼마켓 및 잡화점 | 44,368,228 | 45,592,914 | 46,457,102 | 44,178,237 | 46,467,557 | 41,694,072 |
편의점 | 19,481,461 | 22,237,893 | 24,406,536 | 25,691,628 | 26,522,549 | 26,055,089 |
승용차 및 연료 소매점 | 90,137,665 | 94,508,088 | 101,552,456 | 100,646,290 | 104,712,192 | 105,285,490 |
전문소매점 | 140,897,820 | 139,120,197 | 139,884,444 | 135,409,622 | 121,959,943 | 117,366,206 |
무점포 소매 | 54,046,789 | 61,240,692 | 70,322,992 | 79,582,386 | 98,874,474 | 102,159,479 |
합계 | 424,353,216 | 440,288,001 | 465,004,922 | 473,177,889 | 475,199,970 | 470,995,972 |
주1) 무점포판매점은 온라인쇼핑 및 TV홈쇼핑, 방문판매, 계약배달 판매 등 포함 주2) 2021년은 1월~11월까지의 누적 판매액 기재 (출처 : 통계청 "소매업태별 판매액") |
이러한 대형마트의 강세 속에서 온라인 쇼핑몰의 부상은 유통업태간의 경쟁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유통업체들의 온-오프라인을 혼합한 서비스의 증대와 상품 판매채널 다양화 전략으로 인해 온-오프라인 유통업체 간의 경쟁은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백화점의 주 판매 채널은 도심의 핵심 상권에 위치한 대규모 점포로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상품 판매채널 확보에 있어서 열위에 있습니다. 이에 백화점의 향후 매출액 증가율은 온라인 쇼핑몰에 비해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소매시장 업태별 판매액을 살펴보면 백화점이나 대형마트의 판매증가율이 정체된 가운데 무점포 소매의 경우 2015년부터 2019년까지 매년 두자리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며 2020년은 코로나19에 따른 거리두기로 수혜를 입으며 24.2%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에도 11월 누적 기준 이미 전년 한해 판매액을 상회하는 수치를 기록하였습니다.
[소매판매액 중 온라인쇼핑 거래액 비중] | |
(단위: 억원, %) |
구분 | 2020년 | 2021년 | |||
---|---|---|---|---|---|
연간 | 10월 | 8월 | 9월 | 10월 | |
소매판매액(A) | 4,752,000 | 408,887 | 422,531 | 448,139 | 455,396 |
온라인쇼핑 거래액 | 1,594,384 | 138,842 | 158,399 | 162,048 | 169,023 |
- 온라인쇼핑 상품 거래액(B) | 1,270,755 | 110,233 | 118,373 | 123,893 | 129,778 |
비중(B/A) | 26.7 | 27.0 | 28.0 | 27.6 | 28.5 |
(출처 : 통계청 "온라인쇼핑몰 거래액") |
2021년 10월 온라인 쇼핑 총 거래액은 16조 9,023억원으로 전년동월 대비 21.7% 증가하였습니다. 상품군별로 살펴보면 코로나19의 영향으로 배달음식, 건강제품 및 간편식 등 거래 증가 영향으로 전년동월 대비 음식서비스 46.7%, 음식료품 22.8% 증가하였습니다. 소매판매액에서 온라인쇼핑이 차지하는 비중이 소비패턴의 변화로 증가하는 가운데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2021년 10월 28.5%로 전년 동기 대비 1.5%p. 상승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온라인 쇼핑몰 시장은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2013년 유통법 개정에 따른 대형마트의 영업시간 제한, 월 2회 의무휴업에 따른 온라인 수요 이동 및 각종 편리함과 할인혜택 등을 통한 소셜커머스 시장 성장세가 기업-소비자간 거래 활성화로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입니다.
해외직구는 국내 소비자가 해외 인터넷 쇼핑몰에서 직접 물건을 구입하거나 국내 구매대행 사이트를 통해 물건을 구매한 뒤, 물품을 배송받는 방법으로 이루어집니다. 같은 물건임에도 해외보다 국내가 더 비싸다는 인식의 확산과 함께 블랙프라이데이, 사이버먼데이 등 파격 할인행사를 하는 기간을 이용하면 저렴한 가격으로 동일 물품을 구입할 수 있어 최근 이용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온라인쇼핑 해외직접구매액] |
(단위: 억원) |
구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6년 |
---|---|---|---|---|---|
합계 | 41,094 | 36,360 | 29,717 | 22,436 | 19,079 |
(출처 : 통계청 "온라인쇼핑동향조사") |
2020년 해외직구 시장의 규모는 4조 1,094억원으로, 2019년 3조 6,360억원 대비 13.0% 성장하였습니다. 2017년부터 2020년까지의 시장 성장률은 83.2%로, 높은 성장의 흐름을 보이고 있습니다. 품목별로는 2020년 기준 의류 및 패션관련 상품이 38.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음식료품과 가전·전자통신기기가 각각 27.2%와 8.3%를 차지하였습니다. 성장의 주요 요인으로는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 등 글로벌 판촉/할인 행사의 확대 등이 있었습니다. 향후에도 해외직구에 우호적인 시장 환경이 조성되어 의류 소비 수요가 해외직구 시장으로 향할 경우 백화점 업체 수요를 일부 잠식할 수 있습니다.
위와 같이 백화점산업의 성장성이 정체되고 대형마트, 온라인 쇼핑몰, 해외직구 등 구매수단의 다양화로 타 유통업태와의 경쟁 강도가 심화됨에 따라 이러한 환경변화에 당사가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경우 향후 당사의 영업실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종속회사의 상장폐지 및 소송제기에 따른 위험]
파. 당사의 종속회사인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2019년 4월 백화점사업을 강화하고 미래성장동력 확보를 위해 면세사업 철수를 결정하였습니다. 이어서 2019년 12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상장폐지 목적 공개매수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이와 같은 당사 영위사업의 변동은 향후 당사의 매출액과 이익의 규모, 수익성, 향후 사업전망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그 영향의 유불리 및 규모를 판단하기는 어려우며 향후 백화점 사업부문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① 면세점 사업 철수
당사의 종속회사인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2015년 7월 10일 서울 시내면세점 신규사업자로 선정되어, 여의도 63빌딩 건물 총 4개 층 10,573㎡를 임차하여 2015년 12월 28일에 영업 개시(프리오픈) 및 2016년 7월 15일에 서울 시내면세점(갤러리아면세점63)을 그랜드 오픈하였으나, 서울시내 면세점 추가 출점으로 인한 경쟁심화 및 사드 사태로 촉발된 중국의 한한령 등으로 오픈 이후 지속적인 적자와 향후 수익성 회복이 어렵다는 판단하에 2019년 4월 29일 이사회에서 면세사업 철수(특허 반납)를 결정하였습니다. 2019년 8월 6일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공시한 영업(잠정)실적 공시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영업(잠정)실적(공정공시)] |
※ 동 정보는 잠정치로서 향후 확정치와는 다를 수 있음. |
1. 실적내용 | 단위: 백만원, % | |||||
---|---|---|---|---|---|---|
구분 | 당기실적 | 전기실적 | 전기대비증감율(%) | 전년동기실적 | 전년동기대비증감율(%) | |
('19년2분기) | ('19년1분기) | ('18년2분기) | ||||
매출액 | 당해실적 | 87,249 | 83,007 | +5.1 | 86,157 | +1.3 |
누계실적 | 170,256 | 83,007 | - | 175,007 | -2.7 | |
영업이익 | 당해실적 | -5,678 | -613 | -826.3 | 93 | 적자전환 |
누계실적 | -6,290 | -613 | - | 124 | 적자전환 | |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사업이익 | 당해실적 | -29,796 | 354 | 적자전환 | 15,424 | 적자전환 |
누계실적 | -29,441 | 354 | - | 17,423 | 적자전환 | |
당기순이익 | 당해실적 | -22,812 | 364 | 적자전환 | 7,784 | 적자전환 |
누계실적 | -22,448 | 364 | - | 9,473 | 적자전환 | |
- | - | - | - | - | - | |
2. 정보제공내역 | 정보제공자 | 재경팀 | ||||
정보제공대상자 | 국내외 기관투자자, 애널리스트, 일반투자자 및 언론기관 등 | |||||
정보제공(예정)일시 | 공정공시 후 수시 제공 | |||||
행사명(장소) | - | |||||
3. 연락처(관련부서/전화번호) | 재경팀 (042-480-5680) |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당사의 사업장별 실적.('19년 반기 누계기준) 백화점 면세점 계 총매출 283,614백만 171,194백만 454,808백만 공시매출 68,150백만 102,106백만 170,256백만 영업이익 13,798백만 -20,088백만 -6,290백만 영업외손익 15백만 -23,166백만 -23,151백만 ※. 면세사업 철수(특허반납) 예정('19년 9월말)에 따른 유형자산손상차손 222억 영업 외 손익 반영. - 상기 실적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으로 작성된 재무제표로써 외부감사인의 검토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관련공시 | - |
(출처 : 전자공시 "영업(잠정)실적 보고서")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1979년 5월 30일에 설립되어 백화점과 면세점을 영위하는 전문 유통업체로서 1996년 1월 30일 상장하였습니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사업장은 대전 둔산에 위치하고 있고, 백화점동, 별관동, 주차동 등 총 3개 동 연면적 131,278m² 규모로 단일매장 기준 중부권 최대 규모에 해당합니다. 면세점 사업은 제주 국제공항점을 2014년 4월 20일부터 영업을 개시한 이후 지속적인 적자로 인해 2018년 2월 말 영업을 종료하였습니다. 또한 2015년 7월 서울 시내면세점 신규사업자로 선정되어, 여의도 63빌딩 건물 총 4개 층 10,573m²를 임차해 2015년 12월 영업을 개시한 바 있으나 지난 3년 여간 누적 영업손실 1,315억원 수준의 실적 악화로 인해 지난 9월 30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하였습니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향후 본업인 백화점 사업에만 집중할 전망입니다.
② 백화점 사업
백화점은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품질 상품을 현대화된 편리한 쇼핑시설에서 차별화된 최고의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며, 첨단 유행을 선도하고 패션 트랜드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유통산업으로, 매장 면적의 합계가 3천 제곱미터 이상이며 다양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현대적 판매시설과 소비자 편익시설이 함께 설치된 점포를 의미합니다. 또한 백화점은 단순히 상품만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공연, 전시, 극장, 문화강좌 등과 같은 문화의 제공까지 다채로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 생활문화의 전당으로서 도시 생활의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백화점 산업은 입지산업으로서 점포망이 해당 업체의 사업 지위와 경쟁력으로 작용하며, 전통적으로 상권조사, 부지물색, 설계, 건축, 완공, 입점 등의 과정을 통해 신규 출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사업 초기 부지 확보와 건축 등으로 인한 대규모 투자로 상당한 자금이 소요됩니다. 이와 같은 초기의 대규모 투자는 시장에 이미 진입한 업체에게는 시장 선점의 이점으로 작용하며, 후발 업체에는 대규모 투자자본 소요로 투자 효율성이 저하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신규 진입 업체에게는 상당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실제 백화점 업계는 외환위기를 거치면서 구조조정 되었고, 상위업체가 중소백화점을 합병하고 신규출점하여 대형화(체인화)되었습니다. 선두업체들의 선출점과 M&A를 통한 시장 재편 등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이로 인한 전국적인 네트워크망의 수준 차이 등으로 인해 거대 백화점 군과 중소 백화점 사이의 격차가 심해지게 되었습니다. 롯데, 현대, 신세계 등 빅3 백화점의 경우 시장선점을 통해 우수한 상권을 확보하고 전국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관리비용의 절감과 대규모 구매를 통한 구매협상력 제고 등 규모의 경제에 따른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자금력과 영업력이 상대적으로 열위에 있는 중소, 지방 백화점들이 시장에서 이탈하고 롯데, 신세계, 현대 등 소위 백화점 BIG 3을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었으며, 향후에도 이와 같은 중소 백화점의 인수, 합병 및 경영 제휴 등을 통한 시장의 재편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백화점 업계 상위 3사는 시장점유율 향상 및 브랜드 가치 증대를 위해 향후 다수의 신규 출점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대규모 투자에 따른 업계 내 경쟁 심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최근 백화점 출점이 사실상 포화상태에 다다르면서, 동종업계 내에서 부지 확보를 위한 출혈경쟁이 발생하는 등 백화점 산업 성장성의 한계와 경쟁 심화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운영하고 있는 점포는 백화점 5개 점(서울 압구정 명품관, 광교점, 천안 센터시티, 진주점 및 대전광역시의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으로 명품 위주 MD를 기반으로 열위한 점포망에도 불구하고, 고급백화점으로서의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고품격 이미지를 차별화하여 명품 백화점으로서의 입지를 보다 강화하고, 대전지역의 타임월드점 등 지역 상권 내 지배력을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하고 있습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백화점 사업 시장점유율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백화점사업 시장점유율 추이] |
[단위 : %]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시장점유율 |
8.2 |
8.0 |
6.1 |
6.5 |
주1)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상의 백화점 경상판매액 기준 |
주2) 당사 매출은 총매출 기준으로 재계산(수수료 매장 및 임대 매장 매출 포함)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명품브랜드 매출이 백화점 매출 규모의 성장동력이기 때문에 백화점업계에서는 명품브랜드를 경쟁적으로 유치하고 있습니다. 백화점업계의 공급자에 대한 교섭력은 공급자의 위상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며, 최상위 명품브랜드의 경우 백화점 산업 내 상위 기업들도 브랜드 유치를 위해 좋은 조건을 제시해야 하는 상황입니다. 백화점업계 중하위기업의 경우 명품브랜드 도입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나, 최상위 명품브랜드의 유치에는 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백화점업계는 명품 공급업자에 대한 교섭력을 강화하기 위해 PB(Private Brand : 유통업체 브랜드) 도입 및 편집매장의 확장 등 다양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여전히 최상위 명품브랜드에 대한 교섭력은 약한 상황이기 때문에, 명품브랜드 공급자에 대한 백화점업체의 교섭력 변동에 따라 수익성이 악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과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명품브랜드 유치를 통한 고급화 전략을 취하고 있어, 향후 명품브랜드의 매장 유치 및 매출 현황에 따라 영위 사업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③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상장폐지 목적 공개매수 및 주식교환
(주)한화갤러리아는 2019년 11월 26일부터 12월 23일까지 한화갤러이타임월드의 주식을 공개 매수하였습니다. (주)한화갤러리아는 본 공개매수의 목적으로 시장 환경의 변동성 확대에 따라 공개매수 대상 회사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신속한 의사결정 도모 및 경영활동의 유연성 제고를 위해 공개매수자가 공개매수 대상 회사의 지분을 추가 취득하고, 완전 자회사화 하고자 함에 있다고 밝혔습니다.
(주)한화갤러리아는 금번 공개매수를 통해 대상회사의 보통주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취득하고 이후 포괄적 주식교환을 2020년 3월 3일부로 완료하였습니다. 포괄적 주식교환에 앞서 공개매수를 진행하고자 하는 바는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보통 주주 및 신주인수권증권 투자자에게 시가 대비 프리미엄이 가산된 공개매수 금액으로 투자 회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여 기존 주주들 및 투자자들의 권익을 보호하고자 함에 있습니다.
[공개매수신고서 요약정보] |
공개매수자 | ㆍ성명 :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 (이하 "공개매수자" 또는 "회사") ■ 회사 □ 개인 □ 회사가 아닌 법인ㆍ단체 □ 외국인 |
||
ㆍ대상회사와의 관계 □ 대상회사 본인 ■ 대상회사의 최대주주 또는 임원 □ 대상회사의 계열사 □ 기타(제3자 등) |
|||
공개매수 대상회사명 |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이하 "대상회사" 또는 "공개매수 대상회사") |
||
공개매수 목적 |
□ 경영권안정 □ M&A □ 지주회사요건충족 ■ 상장폐지 |
||
공개매수대상 주식등 | 주식등의 종류 |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기명식 보통주식 (이하, 보통주식)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제23회 신주인수권증권 (이하, 신주인수권증권) |
|
매수 예정 수량(비율) | 보통주식 1,731,231주 (발행보통주식 총수의 28.85%) 신주인수권 증권 1,153,947주 (미행사 신주인수권증권 총수의 100%) |
||
매수 가격 | 보통주식 주당 26,000원 신주인수권증권 주당 892원 |
||
공개매수조건 | 공개매수자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개매수자인 최대주주가 보유하고 있지 않은 대상회사의 주식 중 공개매수대상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 101,900주를 제외한 전부[보통주식 1,731,231주(발행주식의 약 28.85%) 및 신고서 제출일 현재 행사되지 않은 신주인수권증권 1,153,947주(미행사 신주인수권총수의 100%)]에 대해 공개매수 응모율에 관계없이 공개매수에 응모한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권의 전부를 매수할 예정이며, 공개매수대금은 현금으로 지급할 예정입니다. | ||
공개매수기간 | 2019년 11월 27일 ~ 2019년 12월 23일(27일) (결제일: 2019년 12월 27일) |
||
보유주식등 | 신고서 제출일 현재 |
보유 수량 | 보통주식 4,167,000주 신주인수권증권 0주 |
보유 비율 | 보통주식 69.45%(발행주식총수 기준) 신주인수권증권 0%(미행사 신주인수권증권 총수 기준) |
||
공개매수후 (예정) |
보유 수량 | 보통주식 5,898,231주 신주인수권증권 1,153,947주 |
|
보유 비율 | 보통주식 98.30%(발행주식총수 기준) 신주인수권증권 100%(미행사 신주인수권증권 총수 기준) |
||
사무취급자 | NH투자증권 주식회사 |
주1) 공개매수대상 보통주식의 수는 신고서 제출일 현재 대상회사의 발행주식총수 6,000,131주 중 공개매수대상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자기주식 101,900주를 차감한 수량인 5,898,231주(발행주식총수의 98.30%) 중 1,731,231주(발행주식총수의 28.85%)입니다. |
주2)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보통주 발행 주식총수는 6,000,131주이며, 현재 공개매수자는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주식을 4,167,000주를 보유하고 있으며 공개매수자의 특별관계자들이 107,849주(1.8%에 해당)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위의 공개매수 후 보유주식의 수량은 특별관계자들과 기타 소액주주들의 공개매수 참여 여부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주3) 신고서 제출일 현재 공개매수자의 보유주식 등은 특별관계자를 제외한 공개매수자가 단독으로 보유한 주식수 기준이며, 모두 매수하였을 경우 공개매수자가 보유한 주식은 공개매수대상회사가 보유한 자기주식을 제외하고 보유할 수 있는 최대주식수에 해당합니다. |
본 공개매수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기명식 보통주식에 대한 공개매수 결과 |
구분 |
주식수(주) |
비율(%) |
비고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발행주식 수(A) |
6,000,131 |
100.00 |
- |
공개매수 전 ㈜한화갤러리아 보유주식수(B) |
4,167,000 |
69.45 |
- |
공개매수 예정 주식 수(C) |
1,731,231 |
28.85 |
A-B-(주)한화갤러리아 타임월드 보유 자기주식 |
공개매수 청약 주식 수(D) |
959,816 |
16.00 |
- |
공개매수 후 ㈜한화갤러리아 보유주식수(E) |
5,126,816 |
85.45 |
B+D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신주인수권증권에 대한 공개매수 결과 |
구분 |
주식수(주) |
비율(%) |
비고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발행 신주인수권증권 수(A) |
1,153,947 |
100.00 |
- |
공개매수 전 ㈜한화갤러리아 보유 신주인수권증권 수(B) |
0 |
0 |
- |
공개매수 예정 신주인수권증권 수(C) |
1,153,947 |
100.00 |
- |
공개매수 청약 신주인수권증권 수(D) |
1,035,134 |
89.70 |
- |
공개매수 후 ㈜한화갤러리아 보유 신주인수권증권 수(E) |
1,035,134 |
89.70 |
B+D |
공개매수가 완료된 이후 (주)한화갤러리아는 2020년 3월 3일을 기일로 하여 잔여 지분 획득을 위한 현금교부 방식의 주식교환을 진행하였습니다. 해당 주식교환과 관련하여 공개매수가 결제가 완료된 2019년 12월 27일 (주)한화갤러리아가 제출인으로서 공시한 주요사항보고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사항보고서(주식교환ㆍ이전 결정) (2019년 12월 27일) |
1. 구 분 | 주식교환 | ||
- 교환ㆍ이전 형태 | 해당사항 없음 | ||
2. 교환ㆍ이전 대상법인 | 가. 회사명 | (주)한화갤러리아 (Hanwha Galleria Co., Ltd) |
|
나. 대표자 | 김은수 | ||
다. 주요사업 | 백화점업 | ||
라. 회사와의 관계 | 최대주주 | ||
마. 발행주식총수 (주) |
보통주식 | 22,000,000 | |
종류주식 | - | ||
바. 최근 사업연도 요약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1,867,660,400,614 |
|
부채총계 |
882,818,664,312 |
||
자본총계 |
984,841,736,302 |
||
자본금 |
110,000,000,000 |
||
3. 교환ㆍ이전 비율 |
(주)한화갤러리아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식교환일 현재 ㈜한화갤러리아를 제외한 나머지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주가 소유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식(총 873,315주)은 주식교환일에 ㈜한화갤러리아에 이전되고, 그 대가로 주식교환 대상주주에게 교환신주발행에 갈음하여 주당 현금23,256원을 교부할 예정입니다(상법제360조의3 제3항4호). |
||
4. 교환ㆍ이전 비율 산출근거 |
(1) 완전모회사가 되는 회사(㈜한화갤러리아) 교환가액 ㈜한화갤러리아는 주권비상장법인으로 회사의 본질가치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4,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5 및 제176조의6,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제5-13조 및 증권의 발행 및 공시 등에 관한 규정 시행세칙 제4조 내지 제8조에 따라 자산가치와 수익가치를 각각 1과 1.5로 하여 가중산술평균한 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자산가치: 43,777원 - 수익가치: 22,879원 - 본질가치(가중산술평균가액) : 31,239원 - 교환가액: 31,239원 (2) 완전자회사가 되는 회사(㈜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교환가액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주권상장법인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4,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5 및 제176조의6에 따라 교환가액을 산정하였습니다. 즉, 주식교환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2019년 11월 26일)과 주식의 포괄적 교환 계약 체결일(2019년 11월 26일) 중 앞서는 날의 전일(2019년 11월 25일)을 기산일로 한 최근 1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종가, 최근 1주일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종가, 최근일의 종가를 산술평균한 가액으로 산정하였습니다. - 최근 1개월 가중산술평균종가(2019.10.26~2019.11.25) : 20,665원 - 최근 1주일 가중산술평균종가(2019.11.19~2019.11.25) : 21,261원 - 최근일 종가(2019.11.25) : 21,500원 - 산술평균가액 : 21,142 원 - 할증률: (+)10.00% - 교환가액 : 23,256 원 또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6 제2항 및 제176조의5 제1항 제1호에 따르면 위 방법으로 산출된 가액을 기준으로 100분의 30(계열회사 간 주식교환의 경우에는 100분의 10)의 범위에서 할인 또는 할증한 가액을 기준가액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는바, 본 주식교환은 계열회사 간 주식교환에 해당하므로 위 규정에 따라 100분의10의 할증을 적용한 가액을 기준가액으로 적용하였습니다. (3) 교환비율 산출 상기 교환가액 산출근거에 따라 금번 주식교환의 교환비율은1(㈜한화갤러리아) : 0.7444540(㈜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이며, 신주발행에 갈음하여 ㈜한화갤러리아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주(단, ㈜한화갤러리아는 제외)에게 교환신주 발행에 갈음하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보통주1주당 현금23,256원을 교부할 예정입니다. |
||
5. 외부평가에 관한 사항 | 외부평가 여부 | 예 | |
- 근거 및 사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6제3항에 따라, 주식교환시 교환비율 및 교환가액의 적정성에 대하여 외부평가를 실시하였습니다. | ||
외부평가기관의 명칭 | 서현회계법인 | ||
외부평가 기간 | 2019년 10월 23일 ~ 2019년 11월 25일 | ||
외부평가 의견 | 적정 | ||
6. 교환ㆍ이전 목적 | ㈜한화갤러리아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를 100% 완전자회사로 편입하여 경영상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사업적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여 기업가치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 ||
7. 교환ㆍ이전의 중요영향 및 효과 |
(1) 회사의 경영에 미치는 중요 영향 및 효과 본건 주식교환 완료시 지배구조 관련 경영권의 변동은 없습니다. 본건 주식교환으로 완전자회사가 되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발행 보통주권은 상장폐지될 예정입니다. 또한, 본건 주식교환 계약에 따라 본건 주식교환 이전에 취임한 ㈜한화갤러리아의 이사 및 감사에 대하여는 상법 제360조의13에도 불구하고 종전의 임기를 그대로 유지하는 것으로 하며, 본건 주식교환으로 인하여 새로 선임되는 임원은 없습니다. (2) 회사의 영업/재무에 미치는 중요 영향 및 효과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한화갤러리아의 완전자회사로 편입됨으로써 외부환경변화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율적인 경영체계를 갖추고, 보다 빠르고 유연한 경영판단을 통해 기업경영의 효율성이 제고되는 효과가 기대됩니다. |
||
8. 교환ㆍ이전일정 | 교환ㆍ이전계약일 | 2019년 11월 26일 | |
주주확정기준일 | 2019년 12월 27일 | ||
주주명부 폐쇄기간 | 시작일 | 2019년 12월 28일 | |
종료일 | 2020년 01월 06일 | ||
주식교환ㆍ이전 반대의사 통지접수기간 | 시작일 | 2020년 01월 14일 | |
종료일 | 2020년 01월 28일 | ||
주주총회 예정일자 | 2020년 01월 29일 | ||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
시작일 | 2020년 01월 29일 | |
종료일 | 2020년 02월 18일 | ||
구주권제출기간 | 시작일 | 2020년 01월 30일 | |
종료일 | 2020년 03월 02일 | ||
매매거래정지예정기간 | 시작일 | 2020년 02월 28일 | |
종료일 | 2020년 03월 20일 | ||
교환ㆍ이전일자 | 2020년 03월 03일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신주의 상장예정일 | - | ||
9. 교환ㆍ이전 후 완전모회사명 | (주)한화갤러리아 (Hanwha Galleria Co., Ltd) |
||
10.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 행사요건 |
상법 제360조의5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에 의거 주주확정기준일 현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를 대상으로 하여 주식교환에 관한 이사회의 결의에 반대하는 주주는 주주총회 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그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경우 그 총회의 결의일부터 20일 이내에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으로 회사에 대하여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의 일부 또는 전부를 매수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단,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7에 의거, 주식매수청구권은 이사회 결의사실이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하였거나 또는 그 공시일의 다음 영업일까지 (i) 해당 주식에 관한 매매계약의 체결, (ii) 해당 주식의 소비대차계약의 해지 또는 (iii) 해당 주식의 취득에 관한 법률행위가 있었던 경우 이를 증명할 수 있고, 이사회 결의 공시일의 다음 영업일로부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일까지 계속 보유한 주주에 한하여 부여되며, 동 기간내에 매각 후 재취득한 주식에 대해서는 주식매수청구권이 상실되며,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한 이후에는 취소할 수 없습니다. 또한, 사전에 서면으로 주식교환 이사회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주주가 주주총회에서 주식교환에 찬성한 경우에는 주식매수청구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주식교환 당사회사인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법인이므로, 그 청구에 대하여 주식매수청구기간이 종료하는 날부터1개월 이내에 당해 주식을 매수하여야 합니다. |
|
매수예정가격 | 20,559 | ||
행사절차, 방법, 기간, 장소 |
(1) 반대의사표시 접수기간 - 시작일: 2020년 1월 14일 - 종료일: 2020년 1월 28일 (2) 반대의사의 통지 방법 상법 제360조의5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에 의거, 주주 확정 기준일(2019년 12월 27일) 현재 회사 주주명부에 등재된 주주 중 주식교환에 관한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주주는 주주총회 전일(2020년 1월 28일)까지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교환에 관한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이와 같이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서면통지한 주주는 주식교환계약 체결승인 주주총회의 결의일로부터 20일 내에 주식의 종류와 주를 기재한 서면으로 회사에 대하여 주주확정 기준일로부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일까지 계속하여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7에 의거, 주식매수청구권은 본 주식교환에 대한 주식교환 당사회사의 이사회결의 사실이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에 의하여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하였거나 또는 그 공시일의 다음 영업일까지 (i) 해당 주식에 관한 매매계약의 체결 (ii) 해당 주식의 소비대차계약의 해지 또는 (iii) 해당 주식의 취득에 관한 법률행위가 있었던 경우를 증명한 주식만 해당)의 전부 또는 일부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주주는 반대의사통지 종료일의 3영업일 전일까지 고객계좌가 개설된 증권회사 등 계좌관리기관에 반대의사를 표시할 것을 신청하고, 계좌관리기관 등은 반대의사 표시를 취합하여 반대의사통지 종료일의 2영업일 전까지 한국예탁결제원 소정의 반대의사 통지 신청서에 주주별로 그 뜻과 보유주식수를 기재한 명세서를 첨부하여 한국예탁결제원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위와 같은 신청이 있는 경우 반대의사통지 종료일까지 회사에 주주명으로 반대의사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주주는 회사에 대하여 직접 반대의사표시를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회사는 그 내역을 한국예탁결제원에 통지하여야 하고, 한국예탁결제원은 이를 지체없이 계좌관리기관 등에 통지하여야 합니다. (3) 주식매수청구권의 행사 상법 제360조의5 및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5에 의거, 상기의 반대의사 통지를 한 주주는 회사 주주 중 주주총회에서 주식교환에 찬성하지 않고,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0일 이내에 주식의 종류와 수를 기재한 서면과 함께 보유하고 있는 주권을 제출함으로써 회사에 대하여 자기가 소유하고 있는 주식의 매수를 청구할 수 있으며 소유 주식 중 일부에 대한 매수 청구도 가능합니다. 주식매수청구권은 이사회결의일(2019년 11월 26일)(또는 위 (2)의 (i) 내지 (iii)의 경우에는 이사회결의 공시일의 다음 영업일인 2019년 11월 27일)부터 주식매수청구권 행사일까지 주식을 계속 보유한 주주에 한하여 부여됩니다. 단,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주주는 주식매수청구기간 종료일의 2영업일 전까지 고객계좌가 개설된 증권회사 등 계좌관리기관에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신청서를 작성하여 제출하고, 계좌관리기관 등은 주식매수청구기간 종료일의 전 영업일까지 한국예탁결제원에 주식매수청구를 신청하여야 합니다(계좌관리기관은 회사에 대하여 직접 반대의사를 통지한 주주가 있는 경우 이를 포함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 한국예탁결제원은 위와 같은 신청이 있는 경우 계좌관리기관 등의 신청분을 취합하여 주식매수청구기간 종료일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주식매수청구를 하여야 합니다. (4)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 - 시작일: 2020년 1월 29일 - 종료일: 2020년 2월 18일 ※상법 제360조의5에 의거하여 주주총회 전에 회사에 대하여 서면으로 본건 주식교환에 관한 이사회 결의에 반대하는 의사를 통지한 주주는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20일이내에 매수청구를 할 수 있습니다. (5) 접수장소 : - 고객계좌부에 전자등록된 주주: 해당계좌관리기관 |
||
지급예정시기, 지급방법 |
(1) 지급예정시기: 주식매수청구기간 종료일로부터 1개월 이내에 지급할 예정입니다. (2) 지급방법 - 명부주주 : 주주가 신고한 은행 계좌로 이체할 예정입니다. - 주권을 증권회사에 위탁하고 있는 실질주주: 해당 증권회사의 본인 계좌로 이체할 예정입니다. |
||
주식매수청구권 제한 관련 내용 | 주식매수청구권은 이사회결의 사실이 공시되기 이전에 취득하였거나 또는 그 공시일의 다음영업일까지(i) 해당 주식에 관한 매매계약의 체결, (ii) 해당 주식의 소비대차계약의 해지 또는(iii) 해당 주식의 취득에 관한 법률 행위가 있었던 경우 이를 증명할 수 있고, 이사회결의 공시일의 다음 영업일로부터 주식매수 청구권 행사일까지 계속 보유한 주주에 한하여 부여되며, 동 기간 이내에 매각 후 재취득한 주식에 대해서는 매수청구권이 상실됩니다. | ||
계약에 미치는 효력 | ㈜한화갤러리아 주주총회 또는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주총회에서 본 계약의 승인 안건이 부결된 경우, 본 계약은 당사자들의 통지에 의하여 소급하여 효력을 상실합니다. | ||
11. 우회상장 해당 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2. 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 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3.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9년 11월 26일 | ||
- 사외이사참석여부 | 참석(명) | 2 | |
불참(명) |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14.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 계약내용 | - | ||
15.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본 주식교환은 현금 교부 방식으로 진행되어 본 주식교환으로 인해 발행되는 주식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19조에 따른 증권신고서 제출 대상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
(주)한화갤러리아는 공개매수 및 이후 진행된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하여 공개매수 대상회사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지분을 취득 완료하였으며, 이후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보통주식은 유가증권시장 상장 규정에 따라 2020년 4월 16일 상장폐지되었습니다. 또한, 보통주권의 상장폐지에 따라 신주인수권증권도 상장폐지되었습니다.
④ 주주총회결의금지 및 효력정지, 주식교환 무효 등에 관한 소송 제기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채권자 박승민 외 50명이 대전지방법원에 채무자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및 김은수 대표를 상대로 주주총회결의금지 및 효력 정지 등 소송을 제기했다는 내용의 주요사항보고서를 2019년 12월 31일 공시하였습니다. 그 내용은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11월 26일 체결한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와의 주식교환계약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의 정지, 계약 승인을 위한 임시주총에서 결의하면 안 된다"는 내용입니다. 주요 사항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사항보고서(소송등의 제기)] |
1. 사건의 명칭 | 대전지방법원 2019카합 50691 주주총회결의금지 및 효력정지 등 |
2. 원고ㆍ신청인 | 박승민 외 50명 |
3. 청구내용 | [당사자명] 채권자 - 박승민 외 50명 채무자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및 김은수 [신청취지] 1. 채무자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2019.11.26. 체결한 신청외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와의 주식교환계약에 관하여, 선택적으로, 가. 2020. 1. 29. 10:00 채무자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본점 소재지에서 개최되는 위 계약의 승인을 위한 채무자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임시주주총회는 그 개최를 정지한다. 나.위 계약의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에서 채무자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위 계약의 승인에 관한 결의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2. 예비적으로, 전항의 결의가 이루어지는 경우, 가. 주식교환계약을 승인하는 채무자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임시주주총회결의는 그 효력을 정지한다. 나. 주식교환계약의 효력을 정지한다. 다. 채무자들은 위 계약 및 결의를 집행하여서는 아니된다. 3. 신청비용은 채무자들이 부담한다. 라는 재판을 구합니다. |
4. 관할법원 | 대전지방법원 |
5. 향후대책 | 당사는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할 예정임. |
6. 제기일자 | 2019년 12월 27일 |
7. 확인일자 | 2019년 12월 31일 |
상기 소송에 대하여 2020년 1월 29일 대전지방법원에서는 이를 기각하였으나, 2월 3일 본 소송의 원고는 법원의 결정에 대해 대전지방법원에 항고장을 접수하였으며, 2월 13일 대전고등법원에 위헌법률심판제청 신청서를 접수하였습니다.
또한,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채권자 박승민 외 53명이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채무자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및 김은수 대표를 상대로 주식교환 무효 등 소송을 제기했다는 내용의 주요사항보고서를 2020년 3월 25일 공시하였습니다. 주요 사항보고서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사항보고서(소송등의 제기)] |
1. 사건의 명칭 | 2020가합103598 (주식교환 무효) |
2. 원고ㆍ신청인 | 박승민 외 53명 |
3. 청구내용 | 청구 취지 1. 피고들 사이의 2020. 3. 3.자 주식교환은 이를 무효로 한다. 2. 소송비용은 피고들이 부담한다. |
4. 관할법원 | 서울남부지방법원 |
5. 향후대책 | 당사는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할 예정임. |
6. 제기일자 | 2020년 03월 06일 |
7. 확인일자 | 2020년 03월 25일 |
이외에 주식교환 관련 소송은 2020년 2월 19일 원고 강씨가 서울 남부지방법원에 제기한 소송이 있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기준 주요 경과는 하기와 같습니다.
[주식교환 무효의 소 항소심] |
구분 | 내용 |
소제기일 | 1심: ’20.02.19. |
항소심: ’20.12.15. | |
상고심: ’21.11.01. | |
소송 당사자 | 원고: 강ㅇㅇ 피고: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외 1 |
소송의 내용 | 2019.11.26. 한화솔루션 주식회사(합병 전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와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간 체결된 주식교환계약에 따른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 무효임을 확인 |
소송가액(백만원) | 100 |
진행상황 | 2020.02.19. 소장접수 |
2020.11.27. 1심 판결선고(피고 승소) | |
2020.12.15. 원고 항소 | |
2021.05.27. 항소심 1회 변론기일(10:30) | |
2021.07.01. 항소심 2회 변론기일(14:20) | |
2021.08.19. 항소심 3회 변론기일(14:20) | |
2021.10.14. 2심 판결선고(피고 승소) | |
2021.11.01. 원고 상고 |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 |
상장폐지에 반대하는 소액주주들의 당사의 종속회사에 대한 소송 제기가 향후 당사의 매출액과 이익의 규모, 수익성, 향후 사업 전망 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나,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그 영향의 유불리 및 규모를 판단하기는 어렵습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 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백화점 사업은 대형 3사(롯데, 신세계, 현대) 대비 점포 수가 열위한 상황에서, 고급백화점으로서의 차별화된 인지도와 명품에서의 강점을 통해 경쟁력을 갖추고 있으며, 대전지역에서의 확고한 시장지배력을 강점으로 삼고 있습니다. 그러나 선두권 업체들의 시장지배력이 강화됨에 따라 규모의 경제 및 투자 여력의 차이 등으로 인한 양극화가 심화될 가능성이 있으며, 대형화, 고급화를 위한 시설 투자 등의 대규모 투자에 따른 업계 내 경쟁 심화 및 상장폐지 추진에 따른 소액주주들의 반발은 당사의 백화점 사업 부문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기타부문]
[부동산 개발업 관련 위험]
하. (주)한화도시개발이 영위하는 부동산 개발사업은 경기변동 및 정부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크며 분양률 및 인근 산업단지 공급여부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 부동산개발 사업 부문 중 자본금 내 손실은 사업 진행이 되어 부동산 경기 침체를 겪은 아산테크노밸리 및 서산테크노밸리가 해당이 됩니다. 당사 부동산개발부문의 수익구조는 산업단지를 조성하여 분양에 의한 수익발생 구조이며, 진행률에 의한 수익 인식으로 사업 초기에는 토지비, 공사비 및 금융비용 등으로 마이너스 손익이나 사업 중반으로 갈수록 손익은 기존 마이너스 손익을 만회하고 당기순이익이 발생하게 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아산테크노밸리 및 서산테크노밸리는 분양 지연에 따른 금융비 등 증가 및 할인 분양 정책으로 사업손실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한편 당사의 부동산개발부문의 매출 및 손익의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동산 개발부문 매출 및 손익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매출액 | 10,586 |
45,878 |
78,187 | 180,348 |
216,361 |
영업이익 | -8,234 |
(12,090) |
(14,017) | 3,063 |
46,881 |
당기순이익 | -11,636 |
(14,255) |
(13,975) | (441) |
47,159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별도 회사 합계) |
부동산 개발사업은 장기간의 사업 기간을 필요로 하는 업종으로, 대규모 자금과 광범위한 분야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며 사업추진 프로세스상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부지매입 비용을 비롯하여 공사 비용, 마케팅 비용 등이 요구됩니다. 개발사업은 시기와 전략이 중요한데, 분양률은 경기변동과 정부 정책 등 외부적인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분양 시점을 결정하는 것이 사업 성패의 핵심요소로 작용합니다.
당사의 종속회사인 ㈜한화도시개발은 산업단지 개발 등 도시개발사업 추진을 위해 설립된 민간 도시개발전문 순수지주회사로서, 매출액이 발생하지 않으며 자회사의 배당이 주요 수익원입니다. ㈜한화도시개발은 서산테크노밸리, 김해테크노밸리, 에이치밸리 및 용인테크노밸리 등의 산업단지 사업을 영위하는 회사를 자회사로 두고 있습니다. 자회사의 운영 및 개발 사업에 투입되는 비용과 분양 수준 등에 따라 ㈜한화도시개발 및 당사의 수익성에 변동을 줄 수 있습니다. 이 점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의사 결정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한화솔루션(주) 도시개발 부문] |
구 분 | 아산테크노밸리 | 서산테크노밸리 | 김해테크노밸리 | 에이치밸리* | 용인테크노밸리 | 안성테크노밸리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서오창테크노밸리 | 에이치테크노밸리 | 울주복합도시개발 |
사업지 | 아산시 둔포면 | 서산시 성연면 | 김해시 진례면 | 화성시 마도면 |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 안성시 양성면 |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 화성시 양강면 | 울산시 울주군 삼남읍 |
형 태 | 복합산업단지 | 순수산업단지 | 도시개발사업 | |||||||
(산업용지 및 주거용지 복합개발) | (산업용지 전용 개발) | 울산KTX역세권 개발 | ||||||||
면적(평) | 90만평 | 60만평 | 46만평 | 53만평 | 25만평 | 23만평 | 9만평 | 27만평 | 24만평 | 46만평 |
설립일 | 2006.7 | 2007.2 | 2009.9 | 2010.1 | 2015.6 | 2019.7 | 2020.2.21 | 2020.11 | 2021.03 | 2021. 07 |
사업기간 | 2006~2013 | 2007~2014 | 2009~2018 | 2010~2018 | 2014~2020 | 2019~2025 | 2020~2026 | 2020~2025 | 2021~2026 | 2020~2026 |
자본금 | 400억원 | 300억원 | 300억원 | 300억원** | 50억원 | 10억원 | 50억원 | 10억원 | 50억원 | 150억원 |
(출자)¹ | (260억원) | (195억원) | (240억원) | (153억원)*** | (37.5억원) | (7.5억원) | (35억원) | (7.3억원) | (40억원) | (65억원) |
사업비 | 6,507억원 | 3,450억원 | 5,526억원 | 5,062억원 | 2,600억원 | 2,400억원 | 2,100억원 | 2,300억원 | 3,200억원 | 11,400억원 |
(예상시행이익) | (-376억원) | (-187억원) | (+410억원) | (+110억원) | (+200억원) | (+115억원) | (+95억원) | (+120억원) | (+200억원) | (+295억원) |
차입금 | - | - | - | - | - | 199 | - | 440 | - | - |
분양현황 | 산업용지 100% | 산업용지 98% | 산업용지 100% | 산업용지 100% | 산업용지 100% | 분양예정 ('22년 4월) |
인허가 진행중 | 산업용지 49.4% | 인허가 진행중 | 인허가 진행중 |
주거용지 100% | 주거용지 100% | 기타용지 100% | 기타용지 100% | 기타용지 100% | 기타용지 6.6% | |||||
기타용지 100% | 기타용지 100% | - | - | - | - | |||||
공정율 | 사업준공 | 사업준공 | 사업준공 | 사업준공 | 공사준공 | 5% | 5% |
* 2018년 7월 상호를 ㈜경기화성바이오밸리에서 ㈜에이치밸리로 변경하였습니다. |
** 최종 자본금이며 현재는 감자로 10억원임 |
*** 최종 출자금이며 현재는 5.1억원 |
(출처: 한화도시개발 제시자료) |
[ 사업 진행 현황 ] |
구 분 | 내 용 |
아산테크노밸리 | - 전체 용지 분양100% 완료 |
- 전체 사업 손실은 376억원 예상되며, 자본금 내 손실로 사업 완료 예정 | |
- '17년 4분기 감자(단독주주화) | |
- '21년 4월 해산결의 | |
- '21년 7월 청산완료 | |
서산테크노밸리 | - 전체 용지 분양100% 완료 |
- 전체 사업 손실은 168억원 예상되며, 자본금 내 손실로 사업 완료 예정 | |
- '22년 4분기 청산 추진 중 | |
김해테크노밸리 | - '13년 5월 PF 완료(총 대출약정금 : 2,000억원) 후 보상 착수 |
- '13년 7월 분양 시작하여 현재 산업용지 분양율 97% 달성 | |
- '15년 6월 차입금 전액 상환 | |
- '17년 5월 현재 전체분양 분양율 97% 진행중 | |
- '17년 1월 기존부지 부분 준공 | |
- '17년 12월 공사준공 | |
- '18년 4월 사업준공 완료 | |
- '21년 현재 2차 사업 검토 중 | |
에이치밸리 | - 자회사인NHL의 보유부지가 전체 사업면적의 65%로서 자산유동화 개념의 사업임 |
- '13년 10월PF 완료(총 대출약정금: 1,800억원) 후 보상 착수 | |
- '13년 12월 분양 개시 후'16년 10월 전체 용지 분양 100% 완료 | |
- '15년 4월 차입금 전액 상환 | |
- '17년 4월 사업준공 완료 | |
- '18년 7월 사명 변경(㈜ 경기화성바이오밸리 -> ㈜에이치밸리) | |
- '22년 4분기 청산 추진 중 |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 '16년 7월 PF 완료(총 대출약정금: 1,350억원) 후 보상착수 |
- '16년 9월 분양 개시하여 '19년 전체용지 분양 100% 완료 | |
- '19년 4월 공사준공 | |
- '19년 10월 차입금 전액 상환 | |
- '20년 5월 사업준공 및 소유권이전 완료 | |
- '22년 4분기 청산 추진 중 | |
안성테크노밸리 | - '19년 7월 법인설립 완료 |
- '21년 4월 인허가 승인고시 완료 | |
- '21년 8월 착공 및 보상 착수 | |
- '22년 4월 산업용지 분양 착수 예정 | |
서오창테크노밸리 | - '20년 8월 인허가 승인 완료(에이치밸리 명의로 승인 받고 법인설립 후 변경) |
- '20년 11월 법인설립 완료 | |
- '21년 6월 PF 약정체결(기업은행 600억원) | |
- '21년 8월 착공 및 보상 착수 | |
- '21년 9월 산업용지 분양 착수 (현재 분양률 49.4%)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 '20년 2월 법인설립 완료 및 인허가 진행 |
- '21년 3월 환경영향평가 완료 | |
- '21년 6월 산업단지계획 인허가 재심의 결정 | |
- '22년 2분기 인허가 심의 통과 및 인허가 승인 추진 | |
에이치테크노밸리 | - '21년 3월 법인설립 완료 |
- '21년 3월 인허가 신청 완료, 승인 추진 진행중 | |
울주복합도시개발 | - '21년 7월 법인설립 완료 (공공지분 55%, 솔루션 지분 45%) |
- '21년 11월 도시개발사업 실시계획 인허가 신청 |
(출처 : 한화도시개발 제시자료) |
경기하강기나 침체기에는 재무부담으로 인하여 기업들의 설비투자 및 용지매입이 줄어들고, 기분양업체의 중도해지나 입주지연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산업단지의 매출이 손상될 위험이 있습니다.
[산업단지의 근거법과 구분] |
산업입지및개발에관한법률(이하 산업입지법)에 의한 국가산업단지, 지방산업단지(일반지방산업단지,도시첨단산업단지),농공단지 |
문화산업진흥기본법에 의한 문화산업단지, 산업기술단지지원에 관한 특례법에 의한 산업기술단지, 벤처기업육성촉진법에 의한 벤처기업 전용단지, 국민임대산업단지, 중소기업전용단지, 외국인기업전용단지 |
(출처 : 국가법령정보센터) |
국토해양부와 기획재정부 등 정부의 부동산 정책의 상당 부분은 주택시장과 연계된 정책이지만 공장용지의 가격 및 수요도 부동산 시장의 전반적인 동향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부동산경기와 관련한 부동산 정책 및 제도 변화가 규제 방향으로 흐를 경우 산업단지 용지의 매출에 부정적일 수 있는 위험이 있습니다.
인근 산업단지의 분양률이 전국평균 대비 열위하다면 해당 산업단지의 용지에 대한 수요가 적을 수 있으며, 분양률이 높다 하더라도 공장의 가동률이 낮다면 해당 지역에 대한 수요가 적을 수가 있습니다. 비록 현재는 분양률과 가동률이 정상적이라 하더라도 미래에 경쟁 산업단지가 분양하여 공급량이 증가한다면 공급초과 현상이 발생하여 해당 산업단지의 수요를 흡수할 경우 해당 산업단지의 분양률이 낮을 위험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산업단지가 공장이나 인근 다른 사업단지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성을 참고하시어 투자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산업단지 개발사업의 시발점은 토지매입입니다. 토지비(토지매입에 소요되는 비용)가 높을 경우 조성원가를 상승 시켜 수익성에 악영향을 미치며, 일반적으로 시행사는 수익성 확보를 위해 분양가 인상을 검토하게 됩니다. 그러나 예정분양가의 상승은 결국 분양수요 확보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공사비는 상기의 토지비 외에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비용이며, 사업지의 현 토지 형태 및 상태에 따라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경사지나 암반 지역의 경우 공사비가 증가하게 되고 이 역시 분양가 상승압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분양수요확보에 부정적인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산업용지의 경우 공장설립 목적뿐만 아니라 장기적인 재무적 투자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어 적정가격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분양에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기업이 공장용지를 매입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자금이 필요하고 이는 재무적 부담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분양 수요가 가격에 매우 민감한 편입니다. 따라서 분양가에 대해 적정가격을 제시하지 못할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경쟁력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한국산업단지공단의 분석에 의하면 준공 후 5년 이상 미분양이 지속되고 있는 분양 부진단지의 경우 평균 분양가가 분양 양호단지에 비해 50% 가량 높은 것이 분양 부진의 주원인인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분양 양호단지와 분양 부진단지 간 비교분석] |
(단위 : 개, 천m², %, 원) |
구분 | 분석대상단지 | 분양 양호단지¹ | 분양 부진단지² | |
---|---|---|---|---|
단지유형별 | 국가산업단지 | 2 | - | - |
일반산업단지 | 29 | 18 | 5 | |
농공단지 | 16 | 9 | 2 | |
조성 규모별 | 단지당 평균 지정면적 | 789 | 398 | 1,952 |
지역별 | 수도권 소재 비중 | 25.5 | 29.6 | 28.6 |
조성주체별 | 민간개발 비중 | 34.0 | 51.9 | - |
분양가 수준별 (m²당) |
단지당 평균 분양가 | 123,342 | 124,869 | 194,434 |
대상 단지수 합계 | 47 | 27 | 7 |
주1) 준공 당해 연도에 분양이 완료된 단지 주2) 준공 후 5년 이상 미분양이 지속되고 있는 단지 (출처 : 한국산업단지공단) |
상기와 같이 (주)한화도시개발이 영위하는 부동산 개발사업은 경기변동 및 정부정책 변화에 따라 변동성이 크며 분양률 및 인근 산업단지 공급여부 등으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코로나19(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 따른 위험]
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코로나19 우려가 아시아 지역을 넘어 글로벌 전 지역으로 퍼지며 팬데믹(Pandemic: 전영볌의 전세계적 확산) 리스크가 글로벌 경제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향후 실제 경기회복 및 주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사전적으로 예측이 불가한 바 경기둔화로 인한 소비와 투자의 위축이 길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우려가 아시아 지역을 넘어 글로벌 전 지역으로 퍼지며 팬데믹(Pandemic: 전영볌의 전세계적 확산) 리스크가 글로벌 경제 전망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 2월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감염병 위기 경보를 최고 등급인 '심각' 단계로 상향하고 방역에 총력을기울였습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는 2021년 백신의 세계적 보급으로 일단락 되어가는 양상으로 보이지만, 국가 봉쇄 완화 영향으로 영국과 미국의 확진자 수는 계속해서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으며, 오미크론 변이와 같이 예측할 수 없는 사태로 인하여 향후 언제까지 코로나19로 인한 영향이 더 지속될지 모르는 상황입니다. 전세계 코로나19 확진자 추이는 아래와 같이 지속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세자리 수준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던 국내 1일 신규 확진자수는 2021년 7월 델타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1,000명을 돌파하였고 8월에는 여름 휴가철이 겹치며 2,000명을 넘어섰습니다. 또한 9월에는 추석연휴가 끝난 직후 신규 확진자수가 3,000명을 돌파하였으며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이 일시적으로 완화된 가운데 남아공에서 발생한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현재 3,000~5,000명이 지속적으로 신규 확진되고 있습니다. 이에 정책 당국은 기준금리 인하 외 강도 높은 경기 부양책 및 자본시장 안정화 대책 등으로 실물 시장과 금융 시장에 전례 없던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다만, 코로나19 리스크가 장기화될 경우 소비 위축, 투자 이연 등에 따른 경기 둔화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기 침체 기간이 장기화될 우려 역시 배제할 수 없습니다.
[역대 추경 규모 추이] |
![]() |
역대 추경금액 추이 |
(출처: 기획재정부, 신한금융투자) |
국내에서는 코로나19의 재확산으로 추경의 실시 규모 및 그 시기가 빠르게 논의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추경은 예산안이 확정된 후 국가적 대사 발생에 의해 추가로 편성되는 예산입니다. 정부가 추경을 편성할 수 있는 근거는 크게 3가지이며 1) 자연 및 사회 재해의 발생, 2) 경기침체 우려 심화, 3) 국가의 지출 발생(세수 결손) 등이 있습니다. 금번 추경 편성의 목적은 재해(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에 대한 지원이며 코로나19 확산 이전 재해 지원 추경은 2000년 이후 4번 편성된 바 있습니다. 최근 국회 본회의 내 확정된 추경안의 규모를 살펴보면, 2020년 3월 17일 11.7조원 규모의 1차 추경안이 확정 되었고, 4월 29일에는 12.2조원 규모의 2차 추경안, 7월 3일 35.1조원 규모의 3차 추경안, 그리고 9월 10일 정부는 2차 재난지원금을 골자로 한 7.8조 규모 4차 추경안이 확정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3월 2일에는 코로나19 3차 확산으로 피해가 집중된 계층 선별 지원, 고용 충격 대응 및 방역 대챙 보강 등으로 15조 규모 추경안이 편성되었으며, 2021년 7월 34.9조원 규모의 2차 추경안이 통과되었습니다.
[코로나19 이후 국내 추경 편성] |
연도 | 회차 | 총 규모 | 주요 내용 |
---|---|---|---|
2020 | 1 | 11.7조원 | 방역대책, 민생 지원 등 |
2 | 12.2조원 | 민생지원(긴급재난지원금) | |
3 | 35.1조원 | 세입경정, 고용대책, 경기보강 등 | |
4 | 7.8조원 | 민생지원, 고용대책, 돌봄 지원 등 | |
계 | 66.8조원 | - | |
2021 | 1 | 14.9조원 | 민생지원, 고용대책, 방역대책 등 |
2 | 34.9조원 | 민생지원, 고용대책, 방역대책 등 | |
계 | 49.8조원 | - |
(출처 : 기획재정부, KDI, 하나금융투자) |
한편, 2020년 3월 24일 정부는 2차 비상경제회의를 개최하고 100조원 규모의 민생 및 금융지원 패키지를 발표하였으며, 4월 8일 4차 회의에서는 56조원 규모의 수출활력 제고 및 내수 보완 패키지를 발표하였습니다. 4월 22일 5차 회의를 개최하고 89.4조원 규모의 일자리 위기 극복을 위한 고용 및 기업안정 대책을 발표했으며, 6월 1일 6차 회의를 개최하고 76.0조원 규모 데이터 산업 및 비대면 의료 활성화를 위한 한국판 뉴딜 패키지를 발표하였습니다. 현재 코로나19 확산 대응을 위한 총 대책 규모는 300조원을 상회하는 상황입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코로나19에 대응하여 향후 발표될 부양책의 규모와 강도, 내용 등을 구체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습니다. 또한 추경 편성 목적에 따라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할 수 있으며 실제 추가경정예산 발표 및 시행시 실제 경기회복 및 주식시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는 사전적으로 예측이 불가한 바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과거 전염병 사태 발생 이후 편성된 추경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살펴보시고, 만일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 될 경우, 경기둔화로 인한 소비와 투자의 위축이 길어질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규사업 추진 관련 위험]
너. 세계적으로 저탄소 및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 및 사회로 전환하는 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또한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 발표 등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 기조 및 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기존 태양광 사업과 함께 수소사업 신규 진출을 추진 중에 있으며, 최근 강원도, 한국가스기술공사와 '강원도 수소산업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생산-공급-유통' 밸류체인 구축을 목표로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전해기술 설비 및 사업화를 위한 실증 사업 투자를 진행하고, 수소 저장 및 유통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압탱크 기술 및 고압탱크 생산설비 투자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또한 태양광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생산에 자금을 투입하고, 태양광 발전소 개발/건설 사업에서 설계/조달/시공 통합 패키지 제공 및 건설 후의 운영/유지 사업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현재 추진 중인 수소 사업은 2023년 상용화가 목표이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시장규모 축소, 수익성 하락, 신규 경쟁업체의 유입, 기술 확보 능력 등의 가능성에 따라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 하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당사가 추진 중인 신규 사업과 관련한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더불어 국내 수소 생산 사업은 초기 단계로서 아직까지는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그레이 수소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레이 수소 방식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방식이며, 당사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 수소를 위한 수전해기술 설비 및 사업화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수전해기술의 경우는 초창기 단계로 인프라구축, 기술혁신 및 수요확대 단계 전반에 걸쳐 위험요인이 존재합니다. 신기술개발에는 개발 지연 혹은 실패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기술이 개발되더라도 경제성확보에 이르기까지 시일이 소요될 수 있고, 관련 인프라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계획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한편 정부에서 각종 지원정책, 국가 차원의 로드맵 수립, 규제개선 등의 수소 산업 지원을 시행하고 있으나, 동시에 산업의 초기 단계이기에 정부정책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향후 수소 산업 주요 국가들의 정책의 변동은 당사의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각국 정책의 변동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미국 대선 결과 당선된 조 바이든 대통령은 환경 공약을 통해 향후 5년간 태양광 패널 500만 개, 풍력 발전용 터빈 6만 개를 설치하겠다고 언급한 바 있습니다. 친환경 정책을 추진하고자 하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당선으로 미국의 친환경 기조는 강화 및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저탄소 및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를 기반으로 하는 경제 및 사회로의 전환 논의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탄소 배출국인 중국 또한 2060년까지 탄소 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비전을 제시했으며 정부 및 민간 영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및 친환경 움직임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세계적 흐름에 발 맞추어 대한민국 정부 또한 그린뉴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린뉴딜 사업은 친환경, 저탄소 등 그린경제로의 전환 가속화를 통해 탄소중립을 지향하고 경제기반을 저탄소/친환경으로 전환하는 사업입니다. 에너지 절약과 환경 개선, 신재생 에너지 확산 등을 기반으로 친환경 에너지 인프라를 구축하고, 모빌리티, 에너지, 기술 등 친환경 사업의 경쟁력을 전방위적으로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을 선점 및 주도하겠다는 전략입니다. 정부는 그린 뉴딜 사업에서 크게 1) 도시/공간/생활 인프라 녹색 전환, 2)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3) 녹색산업 혁신 생태계 구축 등을 세부 과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2020년 7월 정부 발표)] |
![]() |
한국판 뉴딜 개요 |
(출처 : 2020년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중 그린 뉴딜에 대한 투자계획은 2025년까지 총 73.4조원(국비 42.7조원 투자)으로 정책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그린 뉴딜 중에서도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관련 부문에 국비 24.3조원 투입할 계획으로 그린 뉴딜 전체 예산의 56.9%에 이르고 있습니다. 저탄소/분산형 에너지 확산 관련 부문의 세부 내역을 살펴보면, 전기차/수소차 등 그린 모빌리티 보급 확대가 국비 13.1조원 규모로 가장 크고, 신재생에너지 확산기반 구축 및 공정한 전환 지원이 국비 9.2조원 규모이며, 에너지관리 효율화 지능형 스마트 그리드 구축이 국비 2.0조원 규모입니다. 정부는 그린 뉴딜 정책을 통해 신재생에너지 및 수소경제로의 전환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린 뉴딜 세부 예산 내역] |
![]() |
그린 뉴딜 세부계획 |
(출처 : 2020년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
또한 대한민국 정부는 2019년 이후 수소경제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대책 및 지원책 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정부의 주요 정책 방안 및 발표 일시는 하기 표와 같습니다.
[정부 주요 정책 정리] |
주요 정책 | 발표일 | 주요 내용 |
수소경제 로드맵 | 19.01 | - 수소경제 의미, 중요성, 중장기 추진방안 마련 |
3차 에너지 기본계획 | 19.06 | - 스마트 에너지 산단 구축 - 연료전지용 요금 신설 - 수요지 인근 분산형 전원발전량 비중 '40까지 30% 확대 |
수소경제법 | 20.01 | - 수전해 설비 등 저압 수소용품 및 수소연료사용시설에 대한 안전확보를 위한 법적 근거 - 국무총리가 위원장으로 관계 부처 장관이 위원으로 참여하여 수소경제 컨트롤 타워 역할을 수행할 수소경제위원회 구성 및 운영 - 수소경제 이행 추진체계 마련 및 수소 산업 기반조성 위한 법적 근거 확보 |
5차 집단에너지 공급 기본계획 | 20.02 | - 국내 지역난방 공급 2023년까지 2018년 대비 31% 증대 - LNG 발전소를 수도권 등 수요지 인근 열병합으로 유도 및 소규모 택지개발과 연계 - 기존 사업장 연료전지 추진 시 인허가 패스트트랙 도입 - 열 활용에 대한 추가지원 방안 검토 |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 발표 | 20.07 | - 그린뉴딜 및 디지털 뉴딜을 양대축으로 사회 안전망 강화 - 탄소중립(Net-zero)을 향한 경제 및 사회의 녹색 전환을 통해, 사람 환경 성장이 조화를 이루며 국제사회에 책임을 다하는 '그린선도 국가' 목표 - 녹색 인프라(국비 12.1조), 신재생에너지(국비 24.3조), 녹색산업 육성(국비 6.3조) 등에 집중투자 |
2차 수소경제위원회 | 20.10 | - 기존의 신재생 발전 의무화 제도(RPS) 와 별개로 수소발전 의무화 제도(HPS) 도입할 예정 - 추출수소 경쟁력 확보를 위한 수소제조 사업자 중심의 천연가스 공급체계 허용 - 수소도시 육성을 위한 수소도시법 입법예정 |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언론, 현대차증권 수소경제의 새벽 리포트 재인용(2020.03.10), 기획재정부 보도자료(2020.07.14), 국무조정실 국무총리비서실 보도자료(2020.10.14)) |
당사는 이러한 정부의 정책 기조 및 전세계적 흐름에 발맞춰,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 및 세계적 탄소중립/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기에 대응하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에 태양광 및 수소 사업에 본격적으로 투자하기위해 2021년 3월을 납입일로 유상증자를 진행한 바 있습니다. 유상증자 대금 관련 사용처는 하기와 같습니다.
[유상증자 자금의 사용처] |
자금용도 | 사업구분 | 내용 | 자금 사용시기 |
세부내용 |
---|---|---|---|---|
시설자금 | 태양광사업 | 태양광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생산 | 21년~'22년 | 태양광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생산과 관련하여 N타입 모듈 생산과 페로브스카이트 구조를 활용한 페로브 텐덤 모듈 생산 설비투자 |
시설자금 | 수소 사업 | 수소 생산 | 21년~'22년 | 수전해기술 설비와 사업화를 위한 실증 사업 투자 |
시설자금 | 수소 사업 | 수소 저장 및 유통 | 21년~'22년 | 수소 저장 및 유통을 위한 고압탱크 기술 확보 및 고압탱크 생산설비 투자 |
운영자금 | 태양광사업 | 태양광 분산형 발전 기반 에너지 사업 | 21년~'22년 | 태양광 및 신재생 에너지로부터 생산되는 전기를 최적화된 구조로 소비할 수 있도록 데이터 베이스에 기반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이와 연계한 태양광 제품 판매 및 전력 사업을 추진 |
타법인증권취득자금 | 태양광사업 | 태양광 발전사업 관련 자산취득 등 | 21년~'22년 | 당사 기술역량 활용하여 미국 및 유럽지역의 선별된 태양광 발전소 자산 취득하는 사업 등에 투자 |
(출처 : 당사 제시) |
당사는 신규 사업인 수소 사업에 투자하고자 합니다. 특히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발전으로 수소를 추출하는 등 수소 사업 전주기에 걸쳐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 수소'를 통한 수소 사업을 영위할 목표를 세우고 있습니다.
당사는 신규 사업인 그린 수소 사업 밸류 체인 전체에 걸쳐 그룹사 협력을 통한 사업역량을 확보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부문에서 수소 생산에 필요한 탄소 배출 없는 전력을 확보하고, 한화솔루션의 원료 사업부문에서 물에서 수소를 추출해내며, 한화솔루션의 첨단소재부문 및 한화파워시스템에서 수소 압축 및 수소저장탱크를 통해 수소를 저장하고, 저장된 수소를 한화솔루션 태양광 사업부문 및 한화에너지 등에서 수소 발전, 연료전지 발전, 수소 충전소 운영에 투입하는 수소 산업 전반에 걸친 한화그룹 차원의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는 역량을 구축하는 것이 당사의 목표입니다.
이를 위한 시작으로 당사는 2021년 유상증자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수소 생산능력을 확보하기 위한 수전해기술 설비 및 사업화를 위한 실증 사업 투자를 진행하고, 수소 저장 및 유통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고압탱크 기술 및 고압탱크 생산설비 투자를 진행하고자 합니다.
그러나 국내 수소 생산 사업은 초기 단계로서 아직까지는 화석연료에서 수소를 추출하는 그레이 수소 방식이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레이 수소 방식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방식이며, 당사는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그린 수소를 위한 수전해기술 설비 및 사업화를 진행하고자 하나 아직까지는 초기 단계인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유럽을 중심으로 수전해 시스템 효율 향상 연구 및 열분해, 광분해 등 차세대 그린 수소 생산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국내 기술은 학계 중심의 기초 연구 단계인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유럽, 일본을 중심으로 천연가스를 이용한 수소 생산 기술은 상용화가 되어 있고, 전 세계 수소 공급량의 76%를 차지하고 있으나, 수전해기술의 경우는 초창기 단계로 인프라구축, 기술혁신 및 수요확대 단계 전반에 걸쳐 위험요인이 존재합니다.
신기술개발에는 개발 지연 혹은 실패의 가능성이 존재하며, 기술이 개발되더라도 경제성확보에 이르기까지 시일이 소요될 수 있고, 관련 인프라구축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계획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가 추진하고 있는 수소 산업의 성장동력 및 제약요건은 아래와 같으니 투자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수소 산업 성장동력 및 제약조건] |
구분 | 인프라구축 | 기술혁신 | 수요확대 |
---|---|---|---|
성장동력 | - 정부정책 1. 환경규제 및 지원정책 2. 국가별 수소협의체 구성 3. 일자리 창출, 경제부흥 의지 - 신재생에너지 확대 1. 신재생에너지 간헐성 개선 2. 스마트그리드, 디지털화 |
- 기술실증 및 국책과제 1. 국가별 개발 로드맵 수립 : 자원/역량집중, 규제 해결 2. 국가별 대규모 실증 사업 - 자동차 업체 시장 개발 1. 특허무상공개, 기술 파트너십 2. 연료전지, 수소차 제조비 감소 3. 사업위상 확보 |
- 수소 활용 확대 1. 수소차/발전용 연료전지 보급정책 2. Clean Mobility 보급 추진 - 규제개선, 경제성 확보 1. 관련사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규제개선 및 인증제도 보완 |
제약요건 | - 높은 투자비 1. 수요-공급 가치사슬 신설 2. 민간기업 참여 한계 - 기존사업자 반발 1. 이해관계 발생 2. 정책 확실성 강화 필요 |
- 개발기술 경제성 확보 1. 수소생산, 운송, 저장, 충전 및 활용 전체 Value chain에서 기존 기술 대비 경쟁력 확보 - 개발 난이도 1. 기술 난이도 높은 기술의 개발 지연 및 실패 가능성 |
- 수요정체 및 구매 위축 1. 정부지원금 확대 필요 2. 기존 대비 생태계 미흡 - 대체제의 경쟁력 향상 1. 전기차 확대 및 경쟁력 강화 2. 기존 에너지의 원가 경쟁력 |
(출처 : 2020년 10월 한화솔루션 그린수소 사업 소개) |
한편 정부에서 각종 지원정책, 국가 차원의 로드맵 수립, 규제개선 등의 수소 산업 지원을 시행하고 있으나, 동시에 산업의 초기 단계이기에 정부정책에 따른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습니다. 향후 수소 산업 주요 국가들의 정책의 변동은 당사의 계획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주요 국가들의 수소경제 동향은 아래와 같으니 투자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수소 경제 주요 국가별 동향] |
구분 | 최근동향 |
---|---|
미국 | 연방정부 국가 로드맵 발표('02년, '03년) 민, 관 파트너쉽 구축 저비용 수소를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R&D 지원 수소차, 발전용 연료전지 확대를 위한 보조금 및 세제 지원 |
호주 | 수소로드맵('18년), 국가수소전략('19년) 수립 수소 수출시장 개척 주요 대상국 투자유치 호주재생에너지청 중심 수소 생산, 공급망 구축 R&D 지원 |
일본 | 수소연료전지로드맵('14년), 수소기본전략('17년) 수립 수소연료전지전략 로드맵('19년), 수소연료전지기술개발전략('19년) 수립 수소공급, 활용, R&D 확대 수소차 확대를 위한 보조금 및 세제 지원 '20년 12월 그린성장전략 발표, 수소에너지 관련 산업 주목 |
유럽 | 수소 로드맵 유럽('19년 2월) 수립 잉여전력 활용 수전해, 수전해 기반 메탄가스 공급 R&D 지원 수소차, 발전용 연료전지 확대를 위한 보조금 및 세제 지원 '24년까지 6GW, '30년까지 40GW 수전해 수소 생산 '50년까지 에너지공급원구성 중 수소 비중 24% 이상 목표 |
중국 | 차이나수소이니셔티브('17년) 선언 30년까지 수소차 100만대, 수소충전소 1,000개소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메탄개질 기반 수소생산기술 중점 개발 |
(출처 : 정부 수소기술개발 로드맵(2019년 10월), EU집행위원회) |
아울러, 2020년 10월 2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는 2022년 기존의 신재생발전 의무화제도(RPS)와 별개로 정부가 수소발전으로 생산된 전기를 의무적으로 구매하는 청정수소 발전의무화 제도(CHPS, Clean Hydrogen Portfolio Standards)를 도입할 예정이라고 발표했습니다. 그동안 수소 발전은 태양광, 풍력 등이 포함된 RPS 에 포함돼 관리해왔으나, 이는 수소발전 보급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을 받으며 수소 발전의 활성화를 위한 독자적인 CHPS 제도를 도입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CHPS 신규시장을 통해 수소연료전지, 수소 인프라의 보급·확충을 안정적으로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는 태양광 차세대 제품 개발 및 생산에 투자를 지속할 계획입니다. 기존의 P타입 모듈보다 효율적인 N타입 모듈을 생산하고, 값싼 소재로 제조되고 결정구조상 불순물 등이 제거되며 제조공정도 간단한 차세대 태양광 기술인 페로브스카이트를 활용하며, 상용화된 실리콘 태양전지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더하는 기술인 페로브텐덤에 이르기까지, 태양광 차세대 기술을 통한 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태양광 모듈과 에너지저장시스템을 통합 패키지로 판매하여 수익 구조를 안정화하고, 태양광 발전소 개발/건설 사업에서 설계/조달/시공 통합 패키지 제공 및 건설 후의 운영/유지 사업까지 토탈 솔루션을 제공하며, 분산형 발전을 기반으로 기업고객 등에게 에너지를 직접 판매하는 등의 태양광 사업 구조를 구축하고자 합니다.
[당사 추진 태양광 사업 구조] |
![]() |
태양광 사업 구조 |
(출처 : 당사 제시) |
이와 같이 당사는 탄소중립, 친환경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 기조 및 정부의 그린 뉴딜 정책에 발맞춰, 당사의 태양광 사업 및 신규 사업인 수소 사업 전반에 걸친 사업 역량을 확보하고자 하는 목표를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현재 추진 중인 수소 사업은 2023년 상용화가 목표이며, 상업 생산에 이르기까지 오랜 시간이 소요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또한 향후 시장규모 축소, 수익성 하락, 신규 경쟁업체의 유입, 기술 확보 능력 등의 가능성에 따라 불확실성이 존재하며, 이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 하락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당사가 추진 중인 신규 사업과 관련한 추이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시기 바랍니다.
2. 회사위험
[수익성 변동 관련 위험]
가. 당사와 종속기업은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원료부문, 가공부문, 유통부문, 태양광부문 및 기타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매출액은 7조 7,621억원으로 전년 동기 6조 6,332억원 대비 17.0% 증가하였고 2021년 1분기 연결 누적기준 영업이익은 6,541억원으로 전년 동기 5,288억원 대비 23.7%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 역시 8,014억원으로 전년 동기 4,010억원 대비 4,00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8.4%, 당기순이익률은 10.3%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및 수익성은 절대 규모 및 질적 측면에서 모두 향상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별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태양광 부문의 매출액의 경우, 2021년 2분기 발전사업 매각관련 매출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유사한 실적을 유지하였으나 태양광 원부자재(웨이퍼, EVA Sheet, 유리 등) 가격 강세와 해상 운임비 급등으로 영업손익의 경우, 적자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통부문의 경우,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명품 수요의 확대와 프리미엄 전략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6.2%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전환되었습니다. 가공부문역시 자동차산업에 사용되는 경량복합소재 및 완성차 시장 등 전방산업의 경기 호조로 인해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0.0% 가량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 전환되었습니다. 원료부문의 경우, 중국 석탄가격 상승과 미국 허리케인 등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PVC 국제가격이 상승했고, 가성소다 역시 중국업체 전력난의로 국제 가격이 상승하면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54.8%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의 경우 159.1% 증가하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처럼 전체 사업부문의 매출액 신장과 가공 부문과 유통 부문의 흑자전환 및 원료 부문의 큰 폭의 영업이익 시현 등에 기반한 영업이익의 증가로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및 수익성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상황입니다. 당사의 순이익은 한화임팩트(주) 및 여천NCC(주) 등이 영위하는 석유화학산업의 업황에 따른 지분법손익에 따라 변동성이 발생하므로 투자자께서는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이 영위하는 사업 및 업황 변동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당사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 사업부문에서 증감 추세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당사의 매출액에 85%이상을 차지하는 원료부문 및 태양광부문의 실적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글로벌 원부자재 가격 변동성, 글로벌 주요 시장의 수요 침체 등으로 당사의 매출 및 수익성에 예상치 못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이와 같은 수익 성장세의 지속 가능 여부에 대한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며 기타 해외 관계사 등의 영업동향 및 거시경제 요소 등에 대해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당사와 종속기업은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원료부문, 가공부문, 유통부문, 태양광부문 및 기타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2021년 3분기 기준 연 결 실체의 사업부문별 주요 회사 및 매출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실체의 사업부문 별 주요 회사 및 매출 비중] |
구분 | 주요 회사 | 매출비중 |
---|---|---|
원료부문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등 | 40.49% |
태양광부문 | 한화솔루션(주) 태양광부문, Hanwha Q CELLS Co., Ltd. 등 | 46.13% |
가공부문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등 | 7.12% |
유통부문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 |
3.79% |
기타부문 | 한화솔루션(주) 도시개발부문, (주)한화도시개발 등 |
2.47% |
주) 연결조정 전 총액기준입니다.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당사의 원료부문은 석유화학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실체 중 한화솔루션(주)의 케미칼부문에서 주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가공부문은 자동차부품 등의 복합소재, 전자소재 등 플라스틱 가공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실체 중 한화솔루션(주)의 첨단소재부문 및 한화컴파운드(주) 등에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태양광부문은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며, 연결실체 중 한화솔루션(주)의 태양광부문 등에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유통부문은 백화점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연결실체 중 한화솔루션(주)의 갤러리아부문 및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에서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가 유가증권시장 상장폐지 후 (주)한화갤러리아의 완전자회사가 되었고, 당사가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주)한화솔루션의 완전자회사이므로, (주)한화갤러리아는 당사의 100% 자회사이므로, 합병이 당사의 연결기준 실적에 유의적 영향은 크게 미치지 않습니다.
마지막으로 당사의 기타부문은 부동산 개발 사업 등을 영위하며, (주)한화도시개발에서 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주)한화도시개발은 (주)서산테크노밸리, (주)아산테크노밸리 등의 자회사를 통해 부동산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당사의 100% 자회사인 (주)한화도시개발을 2021년 04월 01일을 분할합병기일로 하여,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여 부동산 개발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주)한화도시개발 또한 당사의 100% 자회사였으므로 합병이 당사의 연결기준 실적에 유의적 영향은 크게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원료부문에는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등이 속해 있으며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연결조정 전 매출비중은 약 40.4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화솔루션(주) 태양광부문, Hanwha Q CELLS Co.,Ltd 등이 속해있는 태양광부문의 매출비중이 약 46.13%,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Ltd. 등이 속해 있는 가공부문의 매출비중은 약 7.12%에 해당합니다.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이 속해있는 유통부문의 매출비중은 약 3.79%를 기록하고 있으며, (주)한화도시개발 등이 속해있는 기타부문의 매출비중은 약 2.4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당사의 연결기준 매출및 수익성 추이입니다.
[당사의 매출 및 수익성]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매출액 | 7,762,130 | 6,633,215 | 9,195,008 | 9,457,390 | 9,046,042 | 9,341,813 |
매출총이익 | 1,686,930 | 1,466,426 | 1,925,893 | 1,850,114 | 1,587,480 | 1,955,540 |
영업이익 | 654,082 | 528,803 | 594,183 | 459,151 | 354,346 | 756,411 |
당기순이익 | 801,391 | 401,004 | 301,722 | -248,865 | 160,445 | 834,534 |
매출총이익률 | 21.7% | 22.1% | 20.9% | 19.6% | 17.5% | 20.9% |
영업이익률 | 8.4% | 8.0% | 6.5% | 4.9% | 3.9% | 8.1% |
당기순이익률 | 10.3% | 6.0% | 3.3% | -2.6% | 1.8% | 8.9%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2020년 사업보고서 등, 연결기준) |
당사의 2017년 연결기준 매출액 9조 3,418억원으로 전년 동기 9조 2,588억원 대비 증가하였으나, 영업이익은 7,564억원으로 전년 동기 7,792억원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영업이익률은 8.10%로 전년 동기 8.42%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원료부문 CA·TDI 등 주요 제품의 가격 강세에 따라 매출액이 증가하였으나, 태양광제품 판매단가 하락으로 인하여 영업이익은 소폭 감소한 것에 기인합니다. 반면 2017년 연결기준 당기순이익은 8,345억원으로, 전년 동기 7,709억원 대비 증가하였으며, 당기순이익 증가의 주요 원인은 한화종합화학(주), 여천NCC 등 관계기업들의 양호한 실적에 따른 지분법 이익 증가에 기인합니다. 2018년 연결기준 매출액은 9조 460억원, 영업이익은 3,543억원, 당기순이익은 1,604억원으로, 태양광 부문에서 폴리실리콘 등 여타제품 실적 부진을 셀, 모듈 등의 제품이 방어하며 2017년과 유사한 수준의 수익성을 나타냈으나, 원료부문의 수익성 저하 영향으로 전체 영업이익률이 3.9%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영업이익률 8.1% 대비 4.2%p. 하락하였습니다.
2019년의 경우, 2018년 11월 한화큐셀코리아를 연결대상 회사로 편입함에 따른 효과로 인하여, 연결기준 매출액 9조 4,574억원, 영업이익 4,592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6%, 29.6% 증가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영업이익 증가에도 불구하고 유형자산 손상차손 등 비경상적 비용의 발생으로 인해, 2,48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하였습니다. 당기순손실과 관련하여, 2019년 중 원료(3,012억원, 폴리실리콘 사업관련 유형자산 손상차손), 태양광(1,178억원, 매출채권 충당금 설정 등), 가공(745억원, 해외법인 손상차손), 유통(675억원, 면세점 손상차손 등) 사업부문에서 총 5,610억원의 대규모 비경상적 비용부담이 발생하였습니다. 다만 저수익 사업부문 자산에 대한 손상차손 반영이 대부분 완료된 점, 면세점 철수 등 유통 사업부문의 자체적인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점 등을 감안할 때, 대규모 비경상적 비용 부담이 향후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은 당사의 2019년 비경상적 비용 발생 관련 상세 내역입니다.
[당사 2019년 비경상적 비용 발생 내역] |
(단위: 억원) |
구분 | 계정 구분 | 금액 | 비고 |
---|---|---|---|
원료 | 영업외비용 | 3,012 | p-Si 사업부문 장부가액 대부분에 대한 손상차손 인식 |
태양광 | 영업비용 | 105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채권 손상 |
영업비용 | 573 | Q Cells 충당금(419억원), 매출채권(154억원) 손상 | |
영업외비용 | 500 | Q Cells 불용자산 손상 | |
가공 | 영업외비용 | 745 | 북경법인 등 해외법인 관련 손상차손 |
유통 | 영업외비용 | 675 | 면세점 손상(472억원), 수원점 매각 관련 손상(203억원) |
합계 | 영업비용 | 678 | - |
영업외비용 | 4,932 | - | |
계 | 5,610 | - |
(출처 : 당사 제시자료) |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매출액은 7조 7,621억원으로 전년 동기 6조 6,332억원 대비 17.0% 증가하였고 2021년 1분기 연결 누적기준 영업이익은 6,541억원으로 전년 동기 5,288억원 대비 23.7%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 기준 당기순이익 역시 8,014억원으로 전년 동기 4,010억원 대비 4,004억원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 누적기준 당사의 영업이익률은 8.4%, 당기순이익률은 10.3%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 및 수익성은 절대 규모 및 질적 측면에서 모두 향상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현황을 사업부문별로 나누어살펴보면 아래 표와 같습니다.
[당사 사업부문별 재무현황] |
(단위 : 억원) |
연도 | 구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연결조정 | 합계 |
---|---|---|---|---|---|---|---|---|
2021년 3분기 |
매출액 | 41,905 | 7,372 | 3,919 | 47,736 | 2,555 | (25,866) | 77,621 |
영업이익 | 8,142 | 129 | 202 | (2,335) | (143) | 546 | 6,541 | |
자산 | 51,293 | 23,989 | 20,153 | 133,521 | 40,003 | (91,181) | 177,778 | |
2020년 3분기 |
매출액 | 27,078 | 6,142 | 3,372 | 46,919 | 7,554 | (24,733) | 66,332 |
영업이익 | 3,143 | (67) | (76) | 1,881 | 306 | 101 | 5,288 | |
자산 | 62,968 | 18,089 | 22,417 | 113,909 | 12,174 | (73,963) | 155,594 | |
2020년 | 매출액 | 36,103 | 8,477 | 4,861 | 65,380 | 9,884 | (32,755) | 91,950 |
영업이익 | 3,794 | (124) | 28 | 1,722 | 270 | 252 | 5,942 | |
자산 | 42,338 | 14,933 | 22,452 | 108,404 | 35,925 | (72,679) | 151,373 | |
2019년 | 매출액 | 37,938 | 9,774 | 6,312 | 61,503 | 10,515 | (31,468) | 94,574 |
영업이익 | 2,558 | (307) | 76 | 2,235 | 400 | (370) | 4,592 | |
자산 | 86,291 | 14,029 | 23,719 | 90,078 | 12,995 | (70,301) | 156,811 | |
2018년 | 매출액 | 43,722 | 10,476 | 7,042 | 36,228 | 10,236 | (17,244) | 90,460 |
영업이익 | 3,672 | (134) | 191 | (107) | 46 | (125) | 3,543 | |
자산 | 82,521 | 15,464 | 23,135 | 78,147 | 14,912 | (61,864) | 152,315 | |
2017년 | 매출액 | 43,276 | 9,824 | 7,154 | 34,147 | 14,803 | (15,786) | 93,418 |
영업이익 | 6,311 | 22 | 229 | 143 | 754 | 105 | 7,564 | |
자산 | 78,944 | 14,769 | 23,329 | 52,520 | 16,508 | (49,575) | 136,495 |
주)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태양광 부문의 매출액의 경우, 2021년 2분기 발전사업 매각관련 매출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유사한 실적을 유지하였으나 태양광 원부자재(웨이퍼, EVA Sheet, 유리 등) 가격 강세와 해상 운임비 급등으로 영업손익의 경우, 적자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통부문의 경우,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명품 수요의 확대와 프리미엄 전략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6.2%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전환되었습니다. 가공부문역시 자동차산업에 사용되는 경량복합소재 및 완성차 시장 등 전방산업의 경기 호조로 인해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0.0% 가량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 전환되었습니다. 원료부문의 경우, 중국 석탄가격 상승과 미국 허리케인 등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PVC 국제가격이 상승했고, 가성소다 역시 중국업체 전력난의로 국제 가격이 상승하면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54.8%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의 경우 159.1% 증가하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처럼 전체 사업부문의 매출액 신장과 가공 부문과 유통 부문의 흑자전환 및 원료 부문의 큰 폭의 영업이익 시현 등에 기반한 영업이익의 증가로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및 수익성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된 상황입니다.
당사의 당기순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은 지분법손익으로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21개의 관계기업과 8개의 공동기업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투자한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하여 당사는 지분법 손익을 인식하고 있으며,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 현황 및 변동내역, 당사의 관계기업 등에 대한 지분법 손익 내역 및 2021년 3분기 중 관계기업 투자자산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현황] |
기업명 | 소재국 | 결산월 | 업 종 | 지분율 | |
---|---|---|---|---|---|
2021년 3분기 | 2020년 | ||||
관계기업 | |||||
㈜스마일벤처스 | 대한민국 | 12월 | 도소매업 | 17.81% | 21.89% |
㈜에이치투 | 대한민국 | 12월 | ESS 제조 및 판매 | 15.11% | 19.71% |
㈜한화저축은행 | 대한민국 | 12월 | 신용조합 | 36.05% | 36.05% |
㈜한화이글스 | 대한민국 | 12월 | 스포츠클럽운영업 | 50.00% | 50.00% |
이글스에너지㈜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사업 | 49.09% | 49.09% |
한화역사㈜ | 대한민국 | 12월 | 임대업 | 48.32% | 48.32% |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 대한민국 | 12월 | 펀드 | 22.49% | - |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 | 대한민국 | 12월 |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
47.93% | 36.05%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대한민국 | 12월 | 음식숙박업 | 47.96% | 48.78% |
Alterpower Specialist, Inc. | 필리핀 | 12월 | 태양광사업 | 7.69% | 7.69% |
Crystal Solar Inc. | 미 국 | 12월 | 태양광엔지니어링 | 29.09% | 29.09% |
GRANSOLAR ATOTONILCO, S.A. DE C.V. | 멕시코 | 12월 | 건설업 | 20.00% | 20.00% |
GRANSOLAR OCOTLAN, S.A. DE C.V. | 멕시코 | 12월 | 건설업 | 20.00% | 20.00%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사우디아라비아 | 12월 | 기초화합물 제조 | 25.00% | 25.00% |
JV Cooke Solar,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33.66% | 33.66% |
Kellam Tax Equity Partnership,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69.00% | 69.00% |
Luxbon Solar S.A. | 룩셈부르크 | 12월 | 태양광사업 | 33.33% | 33.33% |
SwitchDin Pty Limited | 호 주 | 6월 | Energy Management System 개발 | 20.26% | 20.26% |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67.20% | - |
Simply Foods Inc. | 미 국 | 12월 | 배양육사업 | 15.59% | - |
Lancium Technologies Corporation | 캐나다 | 12월 | 전력 소프트웨어 개발 | 12.74%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대한민국 | 12월 | 기초화합물 제조 | 50.00% |
50.00% |
Burdur Enerji A.S.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50.00% |
50.00%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사우디아라비아 | 12월 | 케이블 제조 | 50.00% | 50.00% |
HSP TW TE,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50.00% | 50.00% |
Lakeshore East Retail LLC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50.00% | 50.00% |
Parcel O LLC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50.00% | 50.00% |
㈜울산복합도시개발 | 대한민국 | 12월 | 도시개발 사업 및 분양사업 | 45.00% | - |
Q&G PV Solutions GmbH | 독 일 | 12월 | 태양광개발 | 50.00% | -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등, 연결기준) |
[당사의 관계기업 등에 대한 지분법손익 내역] |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영업이익 | 654,082 | 594,183 | 459,151 | 354,346 | 756,411 |
관계기업등에 대한 지분법손익 | 284,183 | 160,158 |
213,756 |
417,814 |
593,087 |
당기순이익 | 801,391 | 301,722 | (248,865) | 160,445 | 834,534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의 관계기업 투자자산 변동 내역] | |
(단위: 천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
기초 | 2,685,163,548 | 2,720,816,814 |
취득 | 839,733,266 | 8,921,084 |
처분 | (261,836,236) | (21,167,451) |
지분법손익 | 284,183,238 | 127,067,172 |
지분법자본변동 | 155,334,026 | (23,369,291) |
배당금수취 | (192,672,152) | (174,365,495) |
기타(주1) | (30,736,879) | (4,730,502) |
분기말 | 3,479,168,811 | 2,633,172,331 |
(출처 : 당사 분기 보고서) |
당사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관계기업등에 대한 지분법손익으로 2,842억원을 인식하였으며, 이는 동기간 당기순이익 8,014억원의 35.5% 수준입니다. 2021년 3분기 중 당사의 한화임팩트 잔여지분 추가 인수 및 Q&G PV Solutions GmbH 신규 설립등으로 관계기업 투자자산이 2021년 기초대비 7,940억원 가량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지분법손익 역시 전년 동기 대비 1,571억원 가량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순이익은 한화임팩트(주) 및 여천NCC(주)가 영위하는 석유화학산업의 업황에 따른 지분법손익에 따라 변동성이 발생하므로 투자자께서는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이 영위하는 사업 및 업황 변동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당사의 매출액 및 영업이익은 각 사업부문에서 증감 추세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으나 당사의 매출액에 85%이상을 차지하는 원료부문 및 태양광부문의 실적에 큰 영향을 받으며, 한화임팩트(주) 및 여천NCC(주)의 실적 변동성에 따라 지분법손익이 변동함으로써 당사의 순이익 역시 변동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글로벌 원부자재 가격 변동성, 글로벌 주요 시장의 수요 침체 등으로 당사의 매출 및 수익성에 예상치 못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향후 이와 같은 수익 성장세의 지속 가능 여부에 대한 투자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며 기타 해외 관계사 등의 영업동향 및 거시경제 요소 등에 대해 투자자들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재무안정성 저하 및 현금흐름 변동 관련 위험]
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각각 114.02% 및 29.90%로 2020년말 대비 부채비율은 39.63%p., 7.68%p.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3월 1.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대금 납입이 완료되면서 당사의 연결기준 재무안정성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영업활동현금흐름 폭이 개선되어 설비 투자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충당하면서 추가 차입 폭이 감소함에 따라 차입금의존도 역시 개선되었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총 차입금은 5조 3,148억원으로 2020년말 5조 6,886억원 대비 3,738억원 감소하였고, 그 중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은 2조 3,771억원으로 2020년말 2조 9,719억원 대비 5,948억 감소하였습니다. 유동성 차입금의 95.53%에 해당하는 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을 보유한 가운데 만기도래 회사채의 무난한 차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어 유동성 차입금의 상환 부담은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보유 유동성(현금및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조 7,417억원, 기타금융자산 2,538억원) 등은 유동성 경색 시 활용 가능하며, 재무적 완충역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20년 1분기에 발생했던 단기자금시장 경직과 같은 예기치 못한 위기 상황이 발생하여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경우에는 총차입금의 50.2%에 달하는 유동성 차입금의 적기 상환이 어려워지면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잔존하고는 있습니다. 당사는 연결기준 2016~2019년 연평균 1조원 규모의 양호한 영업활동 현금흐름 창출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천NCC(주) 등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등으로부터의 배당금 유입을 통해 투자 관련 자금소요 등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에 기반한 꾸준한 영업현금흐름 창출 능력, 분산되어 있는 투자계획, 유동성자산 보유 현황 및 추가담보여력, 관계기업 투자지분 및 공동기업인 여천NCC(주)로부터의 안정적인 배당 수취 기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사의 급격한 재무구조 악화가능성과 유동성 경색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업황 악화나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의 변동으로 인해 영업현금흐름 창출능력이 저하된다면 차입금 증가 등으로 인해 당사 재무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신인도, 추가적인 담보 여력 및 지분법증권 보유규모 등을 고려할 때 사채의 만기조정 및 차환의 어려움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당사의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총 차입금은 5조 3,148억원으로 2020년말 5조 6,886억원 대비 3,738억원 가량 감소하였습니다. 당사의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등의 재무안정성 지표들의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결 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자산총계 | 17,777,756 | 15,559,355 | 15,137,320 | 15,681,129 | 15,231,475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1 | 1,307,253 | 1,199,837 | 1,084,516 | 1,024,121 |
부채총계 | 9,471,076 | 9,441,648 | 9,169,604 | 9,875,282 | 9,004,379 |
차입금 | 5,314,832 | 6,224,057 | 5,688,574 | 6,368,573 | 5,888,542 |
유동성차입금 | 2,377,087 | 3,208,083 | 2,971,926 | 3,384,514 | 2,893,481 |
비유동성차입금 | 2,937,745 | 3,015,974 | 2,716,648 | 2,984,059 | 2,995,061 |
순차입금 | 3,485,611 | 4,916,804 | 4,488,737 | 5,284,057 | 4,864,421 |
자본총계 | 8,306,680 | 6,117,707 | 5,967,715 | 5,805,847 | 6,227,096 |
부채비율 | 114.02% | 154.33% | 153.65% | 170.09% | 144.60% |
차입금의존도 | 29.90% | 40.00% | 37.58% | 40.61% | 38.66% |
유동성차입금 CCR | 76.95% | 40.75% | 40.37% | 32.04% | 35.39% |
주1) 차입금의존도 : 총차입금/자산총계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별도 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자산총계 | 14,201,797 | 10,805,910 | 10,626,415 | 8,244,597 | 7,820,590 |
현금및현금성자산 | 787,391 | 492,225 | 361,474 | 405,278 | 228,096 |
부채총계 | 6,432,763 | 5,082,413 | 4,902,193 | 3,228,926 | 2,669,300 |
차입금 | 3,474,307 | 3,500,103 | 3,228,191 | 2,352,786 | 1,667,740 |
유동성차입금 | 1,506,061 | 1,261,591 | 1,304,495 | 897,536 | 789,414 |
비유동성차입금 | 1,968,246 | 2,238,512 | 1,923,696 | 1,455,250 | 878,326 |
순차입금 | 2,686,916 | 3,007,878 | 2,866,718 | 1,947,508 | 1,439,645 |
자본총계 | 7,769,034 | 5,723,497 | 5,724,222 | 5,015,671 | 5,151,290 |
부채비율 | 82.80% | 88.80% | 85.64% | 64.38% | 51.82% |
차입금의존도 | 24.46% | 32.39% | 30.38% | 28.54% | 21.32% |
유동성차입금 CCR | 52.28% | 39.02% | 27.71% | 45.15% | 28.89% |
주1) 차입금의존도 : 총차입금/자산총계 주2) 유동성차입금 CCR(Cash Cover Ratio): 현금 및 현금성자산 / 유동성차입금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별도기준) |
당사는 2015년 이후 석유화학 및 태양광 부문의 현금흐름의 증가세에 힘입어 영업활동 및 잉여현금흐름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이에 연결기준 순차입금이 2013년 4.5조원 규모에서 2016년 3.8조원 규모로 감소하였습니다. 이에 2016년 연결기준 부채비율은 152.7%, 차입금의존도는 35.0%를 기록하였습니다. 2017년에는 한화갤러리아 유상증자에 2,000억원 규모로 참여하였음에도, 영업현금흐름창출, 관계 및 공동기업으로부터의 배당 유입 등으로 대응하여 재무안정성은 오히려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2017년 연결기준 순차입금은 3조 6,124억원으로 전년대비 5.4% 감소하였으며, 부채비율은 120.6%, 차입금의존도는 32.4%로 전년대비 각각 32.1%p, 7.6%p 감소하였습니다.
2018년에는 11월 한화큐셀코리아 흡수합병 과정에서 약 4,000억원의 합병교부금 지급관련 자금부담이 발생하였으나, 공동기업 여천NCC로부터의 배당금이 4,300억원 유입되면서 자금소요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시켰습니다. 그러나 한화큐셀코리아의 차입금이 당사의 차입금으로 반영되면서 연결기준 당사의 재무안정성이 저하되었습니다. 2018년 연결기준 당사의 순차입금은 4조 8,644억원으로 전년대비 34.7% 증가하였으며, 부채비율은 144.6%, 차입금의존도는 38.7%로 전년 대비 각각 24.0%p, 6.3%p 증가하였습니다. 이렇게 증가된 순차입금 규모는 석유화학 및 태양광 부문의 업종 내 경쟁지위 유지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더불어 지속 증가하는 흐름을 나타냈습니다. 이러한 흐름 속에 2019년 연결기준 순차입금은 5조 2,841억원으로 전년대비 8.6% 증가하였고, 부채비율은 170.1%, 차입금의존도는 40.6%로 전년 대비 각각 25.5%p, 1.9%p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는 각각 114.02% 및 29.90%로 2020년말 대비 부채비율은 39.63%p., 7.68%p. 감소하였습니다. 2021년 3월 1.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 대금 납입이 완료되면서 당사의 연결기준 재무안정성 지표가 큰 폭으로 개선되었습니다. 또한 2021년 영업활동현금흐름 폭이 개선되어 설비 투자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충당하면서 추가 차입 폭이 감소함에 따라 차입금의존도 역시 개선되었습니다. 2021년 별도기준 3분기 부채비율 및 차입금 의존도 또한 82.80%, 24.46%로 2020년말 대비 2.84%p., 5.92%p. 감소하여 재무안정성 지표가 개선되었습니다. 다만, 연결재무제표 기준의 재무안정성이 별도재무제표 기준 대비 열위한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주요 연결회사의 선제적 투자에 따른 차입금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음은 당사의 연결기준 차입금 구성내역 및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 도래 현황입니다.
[당사 차입금의 구성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금융기관차입금 | 1,914,790 | 1,338,700 | 2,888,612 | 1,287,227 | 2,576,101 | 1,164,824 | 2,675,257 | 1,654,012 | 2,238,679 | 1,872,227 |
사채 | 462,297 | 1,599,045 | 319,470 | 1,728,747 | 395,824 | 1,551,824 | 709,256 | 1,330,047 | 654,802 | 1,122,835 |
합 계 | 2,377,087 | 2,937,745 | 3,208,083 | 3,015,974 | 2,971,925 | 2,716,648 | 3,384,514 | 2,984,059 | 2,893,481 | 2,995,061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 도래 현황] |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
차입금(주1) |
2,455,309,480 | 2,691,606,173 | 364,975,247 | 5,511,890,900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956,608,677 | 180,432,575 | - |
2,137,041,252 |
기타금융부채(주2) |
197,070,951 | 313,223,490 | 401,198,954 | 911,493,395 |
합 계 | 4,608,989,108 | 3,185,262,238 | 766,174,201 | 8,560,425,547 |
(주1) |
이자비용의 예상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현금흐름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당사의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은 1조 9,148억원으로 2020년말 2조 5,761억원 대비 6,613억원 감소하였습니다. 단기차입금에는 매출채권담보대출이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상환부담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연결기준으로 유동성 차입금의 95.53%에 해당하는 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을 보유한 가운데 만기도래 회사채의 무난한 차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한 단기차입금 상환 부담은 비교적 낮은편입니다. 또한,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보유 유동성(현금및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조 7,417억원, 기타금융자산 2,538억원) 등은 유동성 경색 시 활용 가능하며, 재무적 완충역할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로 인하여 2020년 1분기에 발생했던 단기자금시장 경직과 같은 예기치 못한 상황처럼, 단기간 내에 금융위기 발발 등으로 인한 국내외 금융시장 환경의 급격한 악화, 당사 신용도의 급격한 하락 등의 위기 상황이 발생하여 자금 조달이 어려워질 경우에는 적기에 상환이 어려워지면서 유동성 위험이 발생할 가능성도 잔존하고는 있습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1년 이내에 상환기일이 도래하는 금융부채의 원리금은 약 4조 6,090억원으로 전체 금융부채 원리금 8조 5,604억원의 약 53.8%에 이르고 있습니다. 유사시 당사의 보유 현금성자산 및 영업으로 인한 현금흐름만으로는 전체 상환이 불가능하며 전체상환을 위하여는 차입금의 만기 연장 또는 신규 차입 등의 재무활동을 통하여 조달된 자금으로 부족 자금을 충당하여 상환하여야 합니다. 다음은 당사의 연결 및 별도기준 주요 현금흐름 추이입니다.
[최근 3년간 연결 재무제표 기준 주요 현금흐름] |
(단위: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92,072 | 478,986 | 1,069,542 | 1,206,117 | 726,704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359,175) | 221,329 | (42,737) | (1,110,655) | (434,645) |
유형자산의 순취득 | (536,404) | (652,627) | (865,057) | (1,137,958) | (664,038)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551,556 | (482,219) | (886,838) | (42,617) | (69,585)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 584,453 | 218,096 | 139,967 | 52,845 | 222,475 |
주)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로써 유출된 현금흐름을 의미함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최근 3년간 별도 재무제표 기준 주요 현금흐름] |
(단위: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68,610 | 513,916 | 871,513 | 227,332 | 313,830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846,234) | 93,542 | (160,925) | (612,633) | (263,790) |
유형자산의 순취득 | (318,221) | (297,582) | (411,396) | (388,951) | (259,819)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1,094,028 | (516,050) | (751,198) | 562,798 | (91,07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감 | 416,404 | 91,407 | (40,610) | 177,497 | (41,030) |
주)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로써 유출된 현금흐름을 의미함 (출처 : 당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별도기준) |
당사는 양호한 영업활동 현금흐름으로 인하여 연결기준으로 현금 및 현금성자산이 주로 증가하였으나, 2017년말 연결 및 별도기준 모두 현금흐름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연결기준 차입금 상환 및 별도기준으로는 당사의 종속회사인 (주)한화갤러리아의 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에 참여함에 따른 것입니다. 2019년 기준 연결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원료부분과 태양광 사업부분 설비투자 관련 자금소요가 발생했음에도 불구, 전년대비 영업이익의 증가로 전기 말 대비 528억원 증가하였으며, 별도 현금및현금성자산은 전기 말 대비 1,775억원 증가하였습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연결기준 5,844억원 증가하였고, 별도기준 1조 940억원 증가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결기준의 현금 및 현금성자산의 증가의 원인은 원료부문의 매출액의 증가, 가공부문 및 유통부문의 영업이익 시현 등으로 인해 견조한 영업현금흐름의 창출, 2021년 3월 유상증자 약 1.3조원과 유통부문의 자산 유동화에 따른 현금유입으로 인한 것입니다.
당사는 핵심사업인 석유화학 및 태양광 부문을 중심으로, 연결기준 2018~2020년 연평균 1조원 규모의 양호한 영업활동 현금흐름 창출능력을 유지하고 있으며, 여천NCC(주) 등으로부터의 배당금 유입을 통해 운전자금 및 투자 관련 자금소요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특히 2018년 11월 한화큐셀코리아 흡수합병 과정에서 합병교부금 4,000억원의 지급부담이 발생하였으나, 여천NCC(주)로부터 4,300억원의 배당금을 받아 자금소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였습니다. 중단기적으로 산업환경 내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핵심사업인 석유화학, 태양광 부문의 우수한 경쟁지위와 다각화된 사업구조를 바탕으로 회사의 현금창출능력은 양호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배당금 유입은 해당회사 실적 변동성 및 배당정책에 따라 유동적인 특성이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으로부터 당사에 유입되는 배당금 유입 추이에 대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당사의 연간, 연결기준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으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추이입니다.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으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 |
(단위: 백만원) |
기업명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관계기업 | |||
한화역사㈜ | 1,582 | 1,582 | 475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7,539 | 13,866 | 11,802 |
공동기업 | |||
여천NCC㈜ | 165,000 | 70,000 | 430,000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주1) |
- | - | 67 |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주1) |
- | - | 350 |
HSP TW TE, LLC | 293 | 269 | 254 |
Lakeshore East Retail LLC |
570 | 1,748 | 1,650 |
(주1) |
2018년 중 지분율이 증가하여 공동기업에서 종속기업으로 분류 변경되기 전까지의 배당금입니다. |
(출처 : 당사 2020년 사업보고서 등, 연결기준) |
한편, 당사 및 연결실체 등과 관련된 주요 투자 현황은 다음과 같으며, 추가 검토사업에 대한 투자는 신축적으로 대응하는 등 사업계획 내 예측되는 현금흐름 이내의 범위로 그 규모를 제한하여 재무구조 안정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투자 지출을 실행할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그러나, 예기치 못한 투자 건의 발생 또는 예상 투자금액을 초과하는 투자가 일어나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예상보다 증대되거나 현재 견조한 영업으로 인한 현금흐름이 향후 예상보다 축소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은 저하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라며, 다음은 당사 및 연결실체 등과 관련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주요 설비 투자 현황입니다.
[당사 및 연결실체 등과 관련된 주요 설비 투자 현황]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해당회사 | 투자명 | 투자목적 | 내용 | 기간 | 총 소요자금 | 기 지출금액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합성가스 신규사업 |
OA 향후 증설 수요 충족 및 TDI 원가경쟁력 개선 |
CO 17만톤, H2 3만톤 증설 |
18.8월~21.8월 | 1,700 | 1,658 |
고순도 크레졸 신규사업 |
자체개발기술로 CA제품과 NCC유분을 활용하여 헬스케어 및 정밀화학 제품 원료분야로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 21.1월~23.6월 | 1,707 | 48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GMT Pilot Line 구축 |
Resin / Fiber 다양화 소재 개발 및 IXI 생산 병행 |
Pilot Line 구축 |
21.04월~21.12월 |
16.6 |
4.8 |
다목적 와인딩 설비 구축 |
열경화성 토우프레그 기술 개발 | 연구개발 설비 구축 | 21.06월~22.06월 | 13.9 | 3.7 | ||
셀 |
한화솔루션㈜ |
LDSE&Oxidation 공정 적용 |
셀 신규 공정 적용을 통한 효율(출력) 향상 |
신규 공정 추가 |
20.1월~22.12월 |
364.0 |
282.5 |
셀 |
진천 셀 대형화 wafer size 적용 |
대형 wafer(M6&M10) size 생산을 통한 시장 대응 |
생산 라인 개조 |
21.1월~22.1월 |
649.8 |
159.3 |
|
셀 |
TOPCon Pilot Line 구축 |
셀 신 기술(TOPCon process) 적용을 위한 Pilot Line 구축 |
Pilot Line 구축 |
21.4월~22.3월 |
640.6 |
548.6 |
|
모듈 |
진천 모듈 대형화 wafer size 적용 |
대형 wafer(M6&M10) size 생산을 통한 시장 대응 |
생산 라인 개조 |
21.4월~22.3월 |
500.3 |
456.6 |
|
모듈 |
음성 모듈 대형화 wafer size 적용 |
대형 wafer(M6&M10) size 생산을 통한 시장 대응 |
생산 라인 개조 |
21.1월~21.12월 |
424.4 |
388.7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당사의 다각화된 사업포트폴리오에 기반한 꾸준한 영업현금흐름 창출 능력, 분산되어 있는 투자계획, 유동성자산 보유 현황 및 추가담보여력, 관계기업 투자지분 및 공동기업인 여천NCC(주)로부터의 안정적인 배당 수취 기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당사의 급격한 재무구조 악화가능성과 유동성 경색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업황 악화나 원재료 가격 상승 등의 변동으로 인해 영업현금흐름 창출능력이 저하된다면 차입금 증가 등으로 인해 당사 재무안정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신인도, 추가적인 담보 여력 및 지분법증권 보유규모 등을 고려할 때 사채의 만기조정 및 차환의 어려움은 적을 것으로 예상되나, 예상치 못한 상황으로 인해 당사의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존재하오니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재무구조 개선에 관한 사항]
다. 당사는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제한 기업집단 중 한화그룹에 속하며, 한화그룹은 2021년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일반기업 기준 대규모 기업집단에서 7위에 해당됩니다. 관련정책 및 공정거래 규제에 따라 일부 기업활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우리은행이 주채권은행입니다. 주채권은행의 평가 결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 체결 대상에 해당하지 않았기에 당사는 현재까지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체결한 바 없습니다. 그러나 재무구조개선약정이 체결될 경우, 주채권 은행은 매 반기말 기준으로 약정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약정 미이행 시 시정 요구, 신규여신 중지, 만기 도래 여신 회수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한화그룹의 재무적 탄력성이 악화될 수 있는 바,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한화그룹 기업집단의 핵심 계열회사로서 한화그룹은 2021년 4월 공정거래위원회가 발표한 일반기업 기준 대규모 기업집단에서 7위에 해당됩니다. 당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상 한화그룹에 속한 계열회사로서, 2021년 3분기 기준 한화그룹은 당사를 포함한 국내 85개, 해외 471개 계열회사가 소속되어 있습니다. 그 상세현황은 본 증권신고서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의 'XII. 상세표 - 2. 계열회사 현황(상세)'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공정위는 대규모 기업집단에 대한 정책을 통해 일부 활동을 규제하고 있는바, 주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 대규모 기업집단 정책 ] |
구분 | 내용 |
---|---|
출자총액 제한 | 출자총액 제한 적용회사는 순자산액의 40%를 초과하는 타회사 주식취득이 금지(단, 금융업 또는 보험업 영위회사, 지주회사 등 지배구조 모법기업은 출총제 적용이 면제) |
계열회사간 채무보증 제한 | 채무보증제한기업집단에 속하는 회사는 계열회사에 대하여 국내 금융기관으로부터 여신(대출,지급보증 및 채무인수)과 관련한 채무보증을 할 수 없으며 기존 채무보증은 지정후 2년이내 해소하여야함 |
계열회사간의 상호출자 금지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금융·보험회사 포함)는 자기의 주식을 소유하고 있는 동일 기업집단 계열회사의 주식을 취득 또는 소유하는 것이 금지됨 |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의 계열회사주식취득 금지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로서 중소기업창업지원법에 의한 중소기업창업투자회사는 국내 계열회사 주식의 취득 또는 소유가 금지됨 |
금융·보험회사의 의결권 제한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로서 금융업 또는 보험업을 영위하는 회사는 취득 또는 소유하고 있는 국내계열회사 주식에 대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음 |
대규모내부거래의 이사회 의결 및 공시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는 거래금액이 당해 회사 자본총계 또는 자본금중 큰 금액의 5/100이상 이거나 50억원 이상인 다음의 대규모내부거래행위시에 이사회의 의결을 거친 후 이를 공시하여야 함(주요내용을 변경하고자하는 때도 동일) |
비상장회사등의 중요사항 공시 | - 소유지배구조와 관련된 중요사항 -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 |
기업집단현황공시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회사*는 기업집단의 일반현황, 임원ㆍ이사회현황, 주식소유현황, 특수관계인과의 거래현황 등을 공시 * 직전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이 100억원 미만인 회사로서 청산 중에 있거나 1년 이상 휴업중인 회사는 제외 |
(출처 : 공정거래위원회) |
대규모 기업집단에 대한 규제에 따라 계열사간 채무보증 및 상호출자가 제한되며, 대규모 내부거래에 대해서는 이사회의결이 요구되는 등 기업활동에 다소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투자에 앞서 이 점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와 당사 자회사 및 계열회사와의 사업 관계와 거래는 그와 같은 관계 및 거래가 동일 사업 그룹 내의 부적절한 재무적 지원에 해당되지 않는지와 같은 이슈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의 정밀 조사 대상이 됩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당사 계열회사와 공정한 기준 내에서 다양한 거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또한 한화그룹 내의 회사들 간의 상호지급보증과 순환출자를 제한하는 공정거래규제의 적용을 받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당사와 당사 자회사, 계열회사 및 한화그룹 소속 회사 간의 중대한 사업 거래는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야 합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당사가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및 규제를 위반하는 거래를 실시했다고 판단하는 경우 당사는 벌금 혹은 징벌적 조치를 받을 수 있고, 이는 당사의 명성, 사업, 재무 상태 및 운영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국내 조세법상 당사와 당사 자회사, 계열회사 및 한화그룹 소속 회사들 혹은 그와 관련이 있는 기타 개인 혹은 기업 간의 거래는 그와 같은 거래가 공정한 기준 내에서 실시되지 않았다고 판단된다면 조세 당국이 이의를 제기할 위험이 있습니다. 만약 조세당국이 당사와 당사 특수관계인 간의 거래가 공정한 기준 내에서 실시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면 그와 같은 부적절한 재무 지원에 해당하는 금액을 비용으로 공제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을 것이고, 이에 따라 당사 세금 부담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한편 2021년 05월 20일 금융감독원에서 발표한 2021년도 주채무계열 선정 결과에 따르면 한화그룹은 2021년도 주채무계열에 선정되어 있습니다. 2021년 주채무계열 선정 결과 총 32개 계열이 선정되었으며, 한화그룹은 우리은행이 주채권은행입니다. 주채권은행의 평가 결과, 재무구조 개선 약정 체결 대상에 해당하지 않았기에 당사는 현재까지 재무구조 개선약정을 체결한 바 없습니다. 2021년 주채무계열 선정결과 한화그룹의 주채무계열 선정 순위가 7위를 기록한 바를 고려하여 볼 때, 한화그룹이 주채무계열에서 제외될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입니다.
한화그룹의 경우 아직은 재무구조개선약정 체결대상이 아니지만, 연결 실체의 이자보상배율의 악화 등 재무안정성이 약화될 경우 관리대상계열 또는 재무구조개선약정 대상계열에 포함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재무구조개선약정이 체결될 경우, 주채권은행은 매 반기 말 기준으로 약정 이행 여부를 점검하고, 약정 미이행 시 시정 요구, 신규여신 중지, 만기 도래 여신 회수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당사가 속해 있는 한화그룹의 재무적 탄력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당사는 한화그룹 소속 계열회사로서 공정거래법 및 각종 규제사항 등에 제한을 받을 수 있는바,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유형자산 관련 위험]
라. 당사의 석유화학산업 및 태양광산업 등은 대규모 투하자본이 소요되는 산업 특성상 총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편입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유형자산 금액은 6조 5,165억원으로, 총자산 17조 7,778억원의 36.7%에 이르고 있습니다. 그 결과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4,225억원으로,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감가상각비는 현금흐름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매년 대규모의 회계적 고정비용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고정비용에 의한 영업레버리지가 크게 나타나는 바 예기치 못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매출규모가 축소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유형자산은 지속적인 설비 유지보수를 통한 자산가치 유지가 중요하며, 약 2,130억원 규모의 예산을 책정하고 적절한 유지보수(자산화)를 시행할 계획이나 당사의 계획이 실제 적절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자금 사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예산이 부족할 경우, 설비 진부화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는 영업 성과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매 보고기간 말 유형자산의 손상징후를 검토하여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향후 예기치 못한 업황 악화 등으로,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부문 중 추가적인 유형자산 손상차손이 발생할 가능성이 발생할 경우에 대해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영위하는 주요 산업 부문인 석유화학산업 및 태양광산업은 사업초기 대규모 투하자본이 소요되는 산업 특성상 총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비교적 큰 편입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 재무제표 기준 유형자산 금액은 6조 5,165억원 규모로 총자산 17조 7,778억원의 약 36.7%에 이르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계정별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토 지 | 1,588,554 | 1,691,586 | 1,738,544 | 1,833,184 |
건 물 | 1,262,228 | 1,197,958 | 1,123,998 | 1,259,534 |
구축물 | 291,077 | 240,180 | 222,100 | 228,759 |
기계장치 | 2,805,721 | 2,692,912 | 2,534,971 | 2,658,266 |
차량운반구 | 4,991 | 7,961 | 10,785 | 14,130 |
공구기구비품 | 110,373 | 92,640 | 87,066 | 86,833 |
기타유형자산 | 293 | 249 | 18,365 | 18,526 |
건설중인자산 | 452,471 | 492,411 | 857,910 | 584,394 |
미착기계 | 797 | 589 | 295 | 427 |
합 계 | 6,516,505 | 6,416,486 | 6,594,033 | 6,684,053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석유화학산업 및 태양광산업은 장치산업으로서 유형자산에 대한 투자규모가 커, 감가상각비 비중이 높습니다. 당사의 2020년 및 2019년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각 5,173억원, 4,856억원이 발생하고 있으며 연간 5,000억원 규모의 비용이 인식되고 있습니다. 또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4,225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05억원가량 증가하였고 매년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유형자산 감가상각비는 현금흐름에는 영향을 주지 않지만 매년 대규모의 회계적 고정비용을 발생시킵니다. 따라서 고정비용에 의한 영업레버리지가 크게 나타나는 바 예기치 못한 환경의 변화로 인해 매출규모가 축소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될 수 있습니다.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유형자산 감가상각비 | 422,489 | 517,307 | 485,576 | 423,552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가 영위하는 산업은 20~30년 이상 안정적인 생산 설비 가동을 위하여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하며 매년 1주에서 한 달 가량의 정기보수 기간과 자금소요가 발생합니다. 이에 따라 지속적인 설비의 유지보수를 통하여 설비의 자산가치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당사는 2022년 향후 약 2,130억원 규모의 해당 예산을 책정하고 적절한 유지보수(자산화)를 시행할 계획입니다. 그러나 당사의 계획이 실제 적절한 수준에 미치지 못하거나 예기치 못한 시장 악화 등으로 자금 사정이 원활하지 못하여 예산이 부족할 경우, 설비 진부화의 위험이 초래될 수 있으며 이는 영업 성과에 악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설비 자산화(유지보수) 실적과 향후 계획] |
(단위:억원) |
구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 | 2022(E) |
---|---|---|---|---|---|---|---|---|---|---|
자산화 | 632 | 798 | 699 | 1,071 | 1,144 | 1,030 | 1,249 | 1,230 | 1,975 | 2,130 |
(출처: 당사 내부자료) |
상기 사항 외에도 신규시설 투자 및 시설증설을 위한 당사의 추가 투자금액이 소요될 경우, 유형자산 취득금액이 증가하여 향후 당사가 재무제표에 인식할 감가상각비가 증가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투자가 예상한 시점에 당초 기대한 매출 증가로 이어지지 못하거나 예상한 금액보다 추가 투자금액이 소요될 경우, 당사의 수익성 및 현금흐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21년 12월 21일부터 2025년 2월 28일까지 국내외 시장 수요에 대응 목적으로 CA생산설비 증설 목적으로 3,380억원의 신규시설 투자를 실행할 계획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이러한 신규 시설 투자와 진행사항 및 이에 따른 수익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속적이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향후 발생할 신규시설투자 등에 대해서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다음은 당사의 CA제조설비 시설 증설 관련 신규시설 투자 관련 공시사항입니다.
[신규 시설투자등(2021. 12.21)] |
1. 투자구분 | 시설증설 | ||
- 투자대상 | CA 제조설비 | ||
2. 투자내역 | 투자금액(원) | 338,000,000,000 | |
자기자본(원) | 5,967,715,490,499 | ||
자기자본대비(%) | 5.66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투자목적 | 국내외 시장 수요에 대응한 CA 생산설비 증설 | ||
4. 투자기간 | 시작일 | 2021-12-21 | |
종료일 | 2025-02-28 | ||
5.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1-12-21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6 | |
불참(명) |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6. 공시유보 관련내용 | 유보사유 | - | |
유보기한 | - | ||
7.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1. 상기 투자내역의 자기자본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에 따라 작성된 2020년 12월 31일 기준 연결 재무제표 기준입니다. 2. 상기 투자기간의 시작일은 이사회 결의일이며, 종료일은 공장 준공 예상일자입니다. 3. 투자에 관한 주요 사항 - 투자규모 : 염소 25만톤, 가성소다 27만톤, EDC 28만톤 - 투자금액 : 3,380억원 (부가가치세 별도) - 투자소재지 : 전라남도 여수시 여수산단3로 117 등 한화솔루션(주) 여수공장 부지 4. 투자명칭 : CA 증설사업 5. 상기 투자금액과 투자기간은 경영환경 및 공사진행경과에 따라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
||
※ 관련공시 | - |
(출처 : 당사 신규 시설투자등(2021.12.21) |
당사는 매 보고기간 말 자산의 손상징후가 있는지 검토하여, 손상징후가 있는 경우 회수가능액을 추정하여 회수가능액이 자산의 장부가액보다 낮은 경우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최근 사업연도의 손상차손 인식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도별 유형자산 손상차손 인식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분 | 인식대상 | 금액 | 비고 |
---|---|---|---|
2014년 | 기계장치 외 | 45,152 | 전지재료 및 ITO GLASS 사업 등 |
2015년 | 기계장치 외 | 52,755 | 폴리실리콘 사업부문 등 |
2016년 | 기계장치 외 | 85,223 | 폴리실리콘 사업부문 및 ITO 사업 등 |
2017년 | 기계장치 외 | 134,014 | 폴리실리콘 사업부문 등 |
2018년 | 기계장치 외 |
249,612 | 폴리실리콘 및 잉곳 사업부문 등 |
2019년 | 기계장치 외 | 402,412 | 폴리실리콘 사업부문 등 |
2020년 | 기계장치 외 | 58,461 | 폴리실리콘 사업부문 등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는 2015년부터 태양광 핵심소재인 폴리실리콘 업황이 장기침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수익성이 악화되어 당사가 영위하던 폴리실리콘 사업부문의 손상징후를 인식하였습니다. 2016년 들어 가공소재 부문의 2014년 ITO (Indum Tin Oxide Film) 사업 철수 후 해당 자산으로부터 회수 불가능하다고 판단된 기계장치에 대해 245억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는 등 2016년 손상차손으로 인식한 금액은 852억원입니다. 이후 2017년 폴리실리콘 사업부문 등에 대해 해당 자산으로부터 회수가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1,340억원의 손상차손을 인식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태양광 사업부문(Hanwha Q CELLS Technology Co., Ltd) 의 잉곳 생산 중단에 따른 자산손상 인식으로 2,496억원을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손상차손으로 인식하였습니다. 잉곳 생산설비 중단 시점은 2018년 5월이며, 2019년 내 회사 청산이 완료 되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산업은 장기간의 건설 기간이 소요되는 장치산업적 성격으로 인해 수요변화에 맞추어 즉각적인 공급량 조절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상시로 이루어지는 기존설비의 개조투자는 공급량 증가 효과가 크지 않으나 대규모 공급량 증가로 이어지는 신규투자는 투자결정에서 완공까지 3~5년의 기간과 조 단위의 투자자금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공급량 증가는 계단식으로 크게 증폭되어 수급구조 변화 및 제품스프레드의 변화로 이어지며 기업의 실적 또한 주기적인 변동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상하지 못한 시장수급상황의 변동에 의해 예상조업도를 크게 하회하는 생산, 판매가 이뤄질 경우 고정비 부담으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손상징후로 판단될 경우 손상차손의 인식으로 인해 당사의 수익성이 이중으로 악화될 위험이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영업권 등 무형자산 손상차손 발생 관련 위험]
마. 당사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5,663억원의 무형자산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 중 영업권이3,654억원으로 64.5%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영업권은 사업결합시 당사가 지급한 대가의 합계액이 취득한 순자산액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측정되며,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손상검사를 수행하여 필요시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영업권으로 계상된 금액은 평가 시점에서 과거의 실적과 시장 개발에 대한 기대 수준에 근거한 미래 가정치를 기준으로 추정한 금액이므로 당사는 현재 시점에서 최선의 합리적인 추정치로 영업권을 평가하지만, 이러한 추정이 미래의 수익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추정에는 미래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향후 태양광산업 환경의 변화 및 예기치 못한 변수에 의해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손상차손이 발생 시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5,663억원의 무형자산을 인식하고 있으며, 이 중 영업권 3,654억원(64.5%), 회원권 363억원(6.4%)이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습니다. 영업권은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과 취득자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취득일의 공정가치 합계액이 취득한 식별 가능한 순자산을 초과하는 금액으로 측정되며, 영업권을 제외한 무형자산은 역사적 원가로 최초 인식됩니다. 무형자산은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영업권, 회원권 등 일부 무형자산은 이용 가능 기간에 대하여 예측 가능한 제한이 없으므로 내용연수가 한정되지 않아 상각하지 않고 매해 손상차손 인식여부를 검토하며, 한정된 내용연수를 가지는 무형자산은 추정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상각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당사의 연결기준 무형자산 구성내역입니다.
[연결기준 무형자산 구성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영업권 | 365,381 | 293,080 | 273,117 | 262,807 |
산업재산권 | 13,609 | 13,066 | 12,748 | 12,074 |
차지권 | - | - | - | 38,674 |
개발비 | 29,331 | 33,192 | 46,570 | 61,214 |
회원권 | 36,298 | 36,410 | 45,013 | 53,306 |
기타무형자산 | 121,634 | 38,104 | 43,723 | 51,309 |
합 계 | 566,253 | 413,851 | 421,170 | 479,384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의 경영진이 영업권을 관리하는 단위인 영업부문 별로 보면, 태양광부문 영업권이 2019년말 기준 2,116억원으로 전체 영업권의 77.5%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10년 8월 태양광사업 본격적 진출을 위하여 중국 태양광기업 Solarfun Power Holdings Co., Ltd. (현재 Hanwha SolarOne Co.,Ltd.)의 경영권을 포함한 지분 49.9%를, 2012년 8월에는 독일의 태양광기업 Q CELLS의 경영권을 자산양수도방식을 통하여 인수하였습니다. 그 결과, 취득시점 기준으로 영업권을 약 2,600억원 계상하였고, 2013년 말 기준 사용가치 기준으로 회수가능가액을 평가한 결과 약 2,107억원 수준으로 평가되어 동 금액을 해외기업의 영업권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본 영업권은 환율변동효과 및 영업권 손상차손 인식 등으로 인하여 매년 지속적으로 영업권 계상 금액이 조정되었으며, 또한 2019년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등을 합병하면서 추가적으로 인식한 영업권 182억원 등이 반영되었습니다. 한편, 2021년 3분기 연결범위 변동에 따른 556억원의 영업권 증가 및 환율변동효과에 따른 167억원의 영업권 증가 금액 반영으로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영업권 금액은 3,654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해당 영업권의 증가는 WOS社 인수에 따른 영업권 증가 444억원과 CIMARRON社 인수에 따른 영업권 증가 75억원에 따른 것입니다. 영업권으로 계상된 금액은 평가 시점에서 과거의 실적과 시장 개발에 대한 기대 수준에 근거한 미래 가정치를 기준으로 추정한 금액이므로 동 금액의 회수 가능성이 확실하다고 볼 수는 없으며, 급격한 영업 악화, 환경 변화 등의 극단적인 상황 발생 시에는 회수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향후 실적 및 환경 변화에 따라 손상차손 인식 등으로 영업권 계상 금액이 변동될 수도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연간기준 영업권의 변동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기초금액 | 273,117 | 262,807 | 253,114 |
연결범위변동 | 33,735 | 11,267 | 20,606 |
취득 | - | 18,208 | - |
대체 | - | - | - |
처분 | - | - | - |
상각 | - | - | - |
손상(환입) | - | (12,661) | (17,895) |
환율변동효과 | 2,306 | 4,127 | (623) |
기타(주2) | -16,077 | (10,632) | 7,605 |
기말금액 | 293,080 | 273,117 | 262,807 |
주1)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 주2) 당사는 당기 중 전기 편입 법인의 순자산 후속측정 확인 과정을 통하여 영업권을 조정하였습니다. (출처 : 당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영업권은 연결회사의 경영진이 영업권을 관리하는 단위인 영업부문 별로(현금창출단위 또는 현금창출단위집단임) 연간기준 다음과 같이 배분되었습니다.
[연간기준 영업권 계상금액] |
(단위 : 천원) |
구 분 | 2020년 | 2019년 |
---|---|---|
Hanwha Q CELLS Co., Ltd. |
234,579 |
210,974 |
Hanwha AZDEL, Inc. |
23,310 |
24,806 |
TDI사업부 |
18,510 |
18,510 |
기 타 |
16,680 |
18,826 |
합 계 |
293,080 |
273,117 |
(출처 :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현금흐름 창출 단위(집단)의 회수가능액은 경영진의 승인한 5년 재무예산을 기초로 추정된 사용가치 또는 처분부대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에 근거하여 결정되었습니다. 다음은 2020년말 현금흐름 창출 단위(집단)의 사용가치 계산에 사용된 주요 가정치 입니다.
[연간 영업권 손상차손 평가시 회수가능액 추정 가정치] |
구 분 |
Hanwha Q CELLS Co., Ltd. |
Hanwha AZDEL, Inc. | TDI사업부 |
---|---|---|---|
매출액이익률(주1) | 5.3% | 12.7% | 5.2% |
매출성장율(주2) | 21.4% | 8.0% | 6.2% |
할인율(주3) | 9.8% | 11.2% | 11.0% |
주1) 향후 예산기간의 현금흐름 예측치를 산정하기 위한 평균 매출액 영업이익률 주2) 향후 예산기간의 현금흐름 예측치를 산정하기 위한 연평균 매출성장율 주3) 해당 현금창출단위(집단)가 속한 부문 및 국가와 관련된 특정 위험을 반영하는 할인율 |
(출처 :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에 대해 상기와 같이 매년 손상검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영업권 손상의 징후를 검토 시 기업 내부, 외부의 다양한 정보원천을 고려하며, 자산의 현재 상태를 기초로 합리적인 추정을 반영하여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측정합니다. 당사는 현재 시점에서 최선의 합리적인 추정치로 영업권을 평가하지만, 이러한 추정이 미래의 수익성을 보장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추정에는 미래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이 내포되어 있으므로 향후 태양광산업 환경의 변화 및 예기치 못한 변수에 의해 변동할 가능성이 있으며, 손상차손이 발생 시 당사의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점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운전자본 변동 관련 위험]
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운전자본(유동매출채권+재고자산-유동매입채무)은 2조 5,050억원 규모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채권 회수기간은 약 63.5일이며 유동성매출채권은 1조 7,990억원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기간 매출채권및기타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은 1,791억원으로, 비손상채권에 대한 대손충당금이 1,618억원으로 90.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비손상채권에 대하여는 손상되지 않았으므로 회수될 가능성이 높으나, 예기치 못한 상황의 발생으로 회수 가능성이 급격히 저하될 경우 대손으로 처리하는 등 손익에 영향을 줄 가능성도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재무상태표 상의 선급금에는 1,168억원의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2012년 이후 장기구매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어 향후 이와 같이 대규모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손실 처리된 선급금의 회수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의 평균재고자산은 1조 7,034억원 수준이며, 연환산 재고자산회전율은 4.78회, 재고자산보유기간은 76.68일 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재고자산의 평가 결과 취득원가의 2.28%에 해당하는 460억원을 평가충당금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전기 대비 평가충당금의 증감과 관련한 손익은 당기 매출원가에 포함되는 바, 제품 등의 시가가 하락하는 경우 평가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매출원가에 반영하므로 손익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감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재고자산 보유 규모가 높아지면 회전율이 낮아지고 평가손실이 증가하여 재고자산 손실의 위험이 이전보다 높아질 수 있고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의 운전자본(유동매출채권+재고자산-유동매입채무)은 2조 5,050억원 규모로 2020년말 1조 8,234억원 대비 37.37% 증가하였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의 매출채권 회수기간은 약 63.48일 가량이며 유동성매출채권은 1조 7,990억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경우 총 1조 9,752억원 중 제품 7,833억원 및 재공품 2,183억원으로, 전체 재고자산의 약 50.7%가량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운전자본의증감은 현재까지는 양호한 수준으로 판단되나 향후 필요 운전자본의 예기치 못한 변동이 당사의 영업에 부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결기준 주요 운전자본 변동]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유동성매출채권 | 1,798,969 | 1,593,949 | 1,657,368 | 1,816,006 |
재고자산 | 1,975,207 | 1,431,588 | 1,479,892 | 1,467,462 |
유동성매입채무 | 1,260,189 | 1,202,096 | 1,207,249 | 1,158,885 |
매출액 | 10,349,507 | 9,195,008 | 9,457,390 | 9,046,042 |
운전자본 | 2,504,987 | 1,823,441 | 1,930,011 | 2,124,583 |
매출채권 회전율(회) | 5.75 | 5.77 | 5.71 | 4.98 |
매출채권회수기간(일) | 63.48 | 63.27 | 63.96 | 73.27 |
주) 2021년 3분기 매출채권회전율 및 매출채권회수기간은 매출액을 연환산하여 산출하였습니다.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는 매출채권을 정상 채권과 연체 중이나 회수 가능성이 높은 미손상채권, 회수 가능성이 낮은 손상채권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손상채권은 대부분의 금액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여 대손 처리하였기 때문에 장부에 손실이 반영되어 있지만, 정상 및 미손상채권에 대하여는 향후 회수 불능의 위험도 내포되어 있음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당사는 2019년 1월 1일부터 K-IFRS 제1109호 적용에 따라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에 대한 손상평가 모형을 변경하였습니다. K-IFRS 제1109호에서는 기대신용손실모형에 따라 금융자산의 최초인식 시점 이후의 신용위험의 변동을 반영하기 위해 보고기간 말 기대신용손실과 그 변동을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즉, 신용손실을 인식하기 전에 반드시 신용사건이 발생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동 평가모형에 따른 당사의 매출채권및기타채권 손실충당금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비손상채권에 대한 충당금이 약 1,618억원으로 전체 충당금 중 약 90.3%를 차지하고 있으며 손상되지 않았으므로 회수에 의해 제각될 가능성이 높으나, 향후 회수 가능성이 급격히 저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대손으로 처리하는 등 손익과 현금흐름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대손충당금) 변동내역] |
|
(기준일 : 2021년 09월 30일) |
(단위: 천원) |
구 분 | 비손상채권 | 손상채권 | 계 |
---|---|---|---|
기초 | 145,314,694 | 17,483,666 | 162,798,360 |
제각 | (55,984) | 244 | (55,740) |
채권의 증가 또는 회수로 인한 증감 | 5,230,995 | (306,147) | 4,924,848 |
환율변동효과 | 11,288,327 | 188,431 | 11,476,758 |
분기말(주1) | 161,778,032 | 17,366,194 | 179,144,226 |
주1) | 2021년 3분기말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실무적 간편법에 따라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하였습니다. |
한편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재무상태표 상의 선급금에는 1,168억원의 대손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채권 회수 정책의 문제점보다는 일회성 성격의 대손처리에 의한 상황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선급금의 약 49.8%(1,168억원)에 해당하는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는데, 이는 대부분 태양광 사업부문의 원재료인 실리콘, 실리콘 웨이퍼 공급자에게 지급되었던 선급금입니다. 동 선급금은 공급계약 및 구매금액의 일부로써 2008년까지 부족한 원재료 확보를 위하여 선지급된 금액이나 2008년 이후 태양광 모듈 가격의 급락에 따라 동 공급자의 파산, 계약불이행 등 부실 발생분을 손실 처리한 것입니다. 2012년 이후 장기구매계약을 체결하지 않고 있어 향후 이와 같이 대규모 발생 가능성은 낮으나, 현재 지급된 선급금의 손실 가능성은 상존하고 있으며, 손실 처리된 선급금의 회수가능성은 낮은 편입니다.
[최근 3년간 연결 기준 대손충당금 설정 현황]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 총액 | 대손충당금 | 대손충당금 설정률 |
---|---|---|---|---|
2021년 3분기 |
매출채권 | 1,802,797 | 176,916 | 9.81% |
미수금 | 123,671 | 2,228 | 1.80% | |
선급금 | 234,633 | 116,825 | 49.79% | |
미수수익 | 6,915 | 2,564 | 37.08% | |
합 계 | 2,168,016 | 298,533 | 13.77% | |
2020년 |
매출채권 | 1,594,475 | 160,579 | 10.07% |
미수금 | 30,207 | 2,219 | 7.35% | |
선급금 | 315,042 | 106,568 | 33.83% | |
미수수익 | 3,733 | 2,564 | 68.68% | |
합 계 | 1,943,457 | 271,930 | 13.99% | |
2019년 | 매출채권 | 1,657,953 | 152,908 | 9.22% |
미수금 | 84,580 | 11,621 | 13.74% | |
선급금 | 267,072 | 105,789 | 39.61% | |
미수수익 | 4,952 | - | 0.00% | |
합 계 | 2,014,557 | 270,318 | 13.42% | |
2018년 | 매출채권 | 1,816,006 | 164,153 | 9.04% |
미수금 | 117,721 | 8,075 | 6.86% | |
선급금 | 313,922 | 102,966 | 32.80% | |
미수수익 | 3,842 | - | 0.00% | |
합 계 | 2,251,491 | 276,115 | 12.26%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미수금은 1,237억원 규모로 채권총액에 약 5.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미수금은 2017년 연결기준 2,734억원 규모를 기록한 적이 있으며, 이 중 약 1,903억원은 대우조선해양(주) 인수 이행보증금 반환소송 관련 미수금이었습니다. 2008년 11월 당사를 포함한 한화컨소시엄은 대우조선해양㈜의 지분인수를 위한 양해각서를 한국산업은행과 체결하였으며, 이행보증금 3,150억원을 납부하였습니다. 한화컨소시엄은 2009년 1월 한국산업은행으로부터 '양해각서 해제 및 이행보증금 몰취 통보 통지를 수령하였고, 당사는 당사 부담분인 1,903억원을 미수금으로 계상하였으며 전액에 대하여 대손충당금을 설정하고 있었습니다. 당사는 2009년 6월부터 이행보증금 반환 조정, 민사소송 절차를 밟고 있으나 원고인 당사 패소 판결을 받았습니다. 이에 2012년 7월 대법원에 상고하였으며, 그 결과 2016년 07월 14일 대법원은 원고 패소 판결한 원심을 파기하여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한다는 내용의 판결을 선고하였습니다. 동 소송과 관련하여 2018년 1월 11일 서울고등법원은 원고인 연결실체 승소 판결하였으며, 이행보증금 및 기간경과이자에 대하여 1,179억원을 반환하도록 판결을 선고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2018년 연결기준 미수금은 1,177억원 규모로 크게 줄었습니다.
당사는 매출채권 등의 대손충당금을 설정함에 있어서 최초 인식 후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우 또는 금융자산의 취득 시 신용이 손상되어 있는 경우에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한편 최초 인식 이후 금융상품의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아니한 경우(취득 시 신용이 손상되어 있는 금융자산은 제외) 당사는 12개월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금융상품의 손실충당금을 측정합니다. 그러나, 현시점에서 손상되지 아니하였다고 평가되는 정상 채권 중에서도 장래의 급격한 환경 악화 등은 감안되지 않았으므로 장래에 대손처리가 될 수도 있는 위험을 감안하시기 바랍니다. 손상채권은 대부분의 금액에 대해 대손충당금을 설정하여 대손 처리하였기 때문에 장부에 손실이 반영되어 있지만, 정상 및 미손상채권에 대하여는 향후 회수 불능의 위험도 내포되어 있음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연결 기준 재고자산회전율 및 보유기간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매출원가(누적) | 8,100,265 | 7,269,115 | 7,732,134 | 7,458,562 |
기말 재고자산 | 1,975,207 | 1,431,588 | 1,479,892 | 1,467,462 |
평균 재고자산 | 1,703,398 | 1,455,740 | 1,473,677 | 1,305,610 |
재고자산회전율 | 4.76 | 4.99 | 5.25 | 5.71 |
재고자산보유기간 | 76.68 | 73.10 | 69.57 | 63.89 |
주1) 2021년 3분기 재고자산회전율 및 재고자산보유기간은 매출원가를 연환산하여 산출하였습니다.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최근 3년간 연결 기준 재고자산 현황]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
상품 | 320,576 | (4,302) | 316,274 | 171,218 | (4,142) | 167,076 | 200,300 | (1,918) | 198,382 | 315,328 | (7,167) | 308,161 |
제품 | 811,798 | (28,482) | 783,315 | 575,643 | (10,808) | 564,835 | 542,838 | (16,972) | 525,866 | 595,237 | (22,274) | 572,963 |
반제품 | 62,305 | (1,878) | 60,426,420 | 31,553 | (770) | 30,783 | 56,394 | (546) | 55,848 | 16,255 | (669) | 15,586 |
재공품 | 218,298 | - | 218,298 | 267,874 | - | 267,874 | 203,192 | - | 203,192 | 237,444 | - | 237,444 |
원재료 | 320,828 | (11,367) | 309,461 | 214,153 | (12,453) | 201,700 | 252,355 | (9,531) | 242,824 | 183,258 | (9,459) | 173,799 |
저장품 | 75,105 | - | 75,105 | 82,178 | - | 82,178 | 92,952 | (15,064) | 77,888 | 82,923 | - | 82,923 |
미착품 | 212,327 | - | 212,327 | 117,142 | - | 117,142 | 175,891 | - | 175,891 | 76,586 | - | 76,586 |
합 계 | 2,021,237 | (46,030) | 1,975,207 | 1,459,761 | (28,173) | 1,431,588 | 1,523,923 | (44,031) | 1,479,892 | 1,507,032 | (39,569) | 1,467,462 |
주)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 (출처 : 당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의 평균재고자산은 1조 7,034억원 수준이며, 연환산 재고자산회전율은 4.76회, 재고자산보유기간은 76.68일 입니다. 2014년과 2015년에는 舊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의 건축자재 사업부문 매각으로 가공부문의 매출 및 매출원가 감소, 해외 태양광업체와 EPC건설업체등의 인수에 의해 재고자산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이유는 일시적인 사건으로, 2016년 연결기준 평균재고자산은 2015년 보다 2,261억원 감소하였으며, 2017년 연결기준 평균재고자산은 2016년 말보다 약 3,409억원 가량 감소한 약 1조 2,822억원을 기록하는 등 재고자산은 감소 추세를 보이며 원래의 수준을 회복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2018년 연결기준 평균재고자산은 1조 3,056억원으로 다시 증가하는 흐름을 보였으며, 재고자산 중 제품의 취득원가가 5,952억원으로 전년동기 3,966억원 대비 큰 폭 증가하였고, 상품, 재공품, 원재료, 저장품 등 전반적인 항목에서 취득원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이러한 흐름은 지속되어 2019년 연결기준 평균재고자산은 1조 4,737억원을 기록한 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1조 7,034억원에 이르고 있습니다. 재고자산 회전율이 감소함에 따라 재고자산 보유기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므로 투자자께서는 이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또한 당사는 재고자산의 평가에 있어서는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하는 경우 저가법을 사용하여 재고자산을 평가하고 있으며,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재고자산의 평가 결과 취득원가의 2.28%에 해당하는 460억원을 평가충당금으로 계상하였습니다. 전기 대비 평가충당금의 증감과 관련한 손익은 당기 매출원가에 포함되는 바, 이와 같이 제품 등의 시가가 하락하는 경우 평가손실이 발생하며 이를 매출원가에 반영하므로 손익에 악영향을 줄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감안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대체적으로 안정적인 운전자본관리를 시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향후 추가적인 사업부문 구조조정 및 산업시황에 따라 재고자산보유량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당사 및 연결종속회사의 자금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재고자산 보유 규모가 높아짐에 따라 회전율이 낮아지고 평가손실이 증가하여 재고자산 손실의 위험이 이전보다 높아질 수 있습니다. 재고자산 보유 비용 발생 및 평가 손실 인식 가능성 등 운전자본 관리가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당사 수익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특수관계자 거래 관련 위험]
사. 당사의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자산은 5조 5,842억원으로 별도기준 자산총계 14조 2.018억원의 39.3%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태양광 관련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의 장부가액이 1조 7,700억원으로 약 32%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태양광 부문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 등을 통해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유럽과 북미, 아시아, 호주, 남미, 아프리카 및 중동의 수 많은 해외 영업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 부문의 현지 판매회사로의 매출 등은 당사의 특수관계자 거래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거래는 1조 4,892억원으로, 동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5조 2,070억원의 28.6%에 이르고 있습니다. 반면 2020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1조 5,712억원으로, 동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4조 2,482억원의 37.0%로,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최근 감소한 상황입니다. 특수관계자와의 매입 거래는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2조 825억원으로, 공동 투자기업인 여천NCC로부터의 원재료 매입 등이 1조 2,080억원으로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고 있으며, 당사 태양광부문의 해외 공장이 있는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로부터의 매입이 4,025억원으로 두번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 채권은 8,171억원이며, 매출채권 6,339억원(77.6%), 대여금 295억원(3.6%) 및 기타채권 1,537억원(18.8%)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출채권 6,339억원 중 Hanwha Q CELLS Co., Ltd. 관련 법인의 매출채권이 5,08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상기와 같이 당사는 주력 사업인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태양광 관련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매입 및 매출채권의 규모와 비중이 상당히 높으며, 여천NCC(주)로 부터의 원재료 매입과 관련한 매입의 비중도 높은 상황입니다. 높은 특수관계자 비중은 안정적인 매출처 및 매입처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특수관계자의 업황 또는 경영실적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이 변동될 위험이 있으며, 공정거래법 등 특수관계자 거래를 규제하는 법률 등이 현재보다 대폭 강화될 경우 당사의 매출 규모 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와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들은 한화그룹 소속의 회사들이나 각각 개별적으로 이사회, 경영진을 구성하여 독립적인 의사결정과 경영 활동을 펼치는 국내외 회사들입니다. 그러나 국내 동일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의 경우, 정부, 고객, 시장 등 이해관계자들이 동일한 최고경영자, 계열회사 지원 가능성 등으로 그룹 차원의 관점에서 공동의 재무 리스크를 보유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지배회사인 (주)한화는 화약제조업과 무역, 도소매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국내외 주요 종속회사들을 지배하고 있는 실질적인 지주회사입니다. 특히 당사와 당사의 연결 대상 종속회사의 주요 목적사업인 태양광, 원료 사업 부문은 당사와 당사의 자회사로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겸직을 통하여 그 경영 효율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겸직을 허용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기준 한화그룹은 당사를 포함한 국내 85개, 해외 471개 계열회사가 소속되어 있습니다. 당사와 거래가 없거나 연결대상이 아닌 계열회사 등 미처 예기치 못한 다른 계열회사의 리스크 상황 발생 시에 당사의 평판과 신용까지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연결대상 종속회사는 당사의 연결 재무제표 등 재무적 영향까지 줄 수 있으므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투자자산은 5조 5,842억원으로 별도기준 자산총계 14조 2,018억원의 39.3%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관련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의 장부가액이 1조 7,700억원으로 약 32%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당사가 2021년 3분기에 한화글로벌에셋(주)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2,645억원을 출자함에 따라 한화글로벌에셋(주)의 장부가액이 약 1조원으로 약 18%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당사의 별도기준 관계기업 등의 투자자산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별도기준 관계기업등 투자자산 내역] |
|
(단위 : 천원) |
기 업 | 소재국 | 2021년 3분기말 | 2020년말 | ||
---|---|---|---|---|---|
지분율 | 장부금액 | 지분율 | 장부금액 | ||
종속기업 | |||||
㈜한화갤러리아 (주1) |
국내 | - | - | 100.00% | 499,034,692 |
㈜한화도시개발 (주2) |
국내 | 100.00% | 98,374,528 | 100.00% | 209,771,145 |
한화컴파운드㈜ | 국내 | 100.00% | 57,850,875 | 100.00% | 57,850,875 |
한화글로벌에셋㈜ (주3) |
국내 | 100.00% | 1,000,114,865 | 100.00% | 735,620,349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국내 | 100.00% | 95,014,350 | 100.00% | 95,014,350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중국 | 100.00% | 3,209,559 | 100.00% | 3,209,559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인도 | 99.99% | 168,991 | 99.99% | 168,991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100.00% | 3,314,400 | 100.00% | 3,314,400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중국 | 100.00% | 262,048,271 | 100.00% | 262,048,271 |
Hanwha Chemical (Thailand) Co., Ltd. | 태국 | 99.99% | 24,907,971 | 99.99% | 24,907,971 |
Hanwha International Corp. | 미국 | 100.00% | 55,314,190 | 100.00% | 55,314,190 |
Hanwha Q CELLS Co., Ltd. (주4) |
영국 | 100.00% | 1,770,023,089 | 100.00% | 1,442,597,607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주5) |
국내 | 100.00% | 3,805,000 | 100.00% | 2,305,000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영국 | 100.00% | 3,571,026 | 100.00% | 3,571,026 |
HAMC Holdings Corp. (주8) |
미국 | 100.00% | 69,639,912 | 100.00% | 11,515,389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주9) |
미국 | 100.00% | 134,780,000 | - | - |
㈜더블유오에스 (주10) |
국내 | 100.00% | 101,962,772 | -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6) |
국내 | 99.99% | 163,275,050 | - | - |
㈜한화비앤비 (주6) |
국내 | 100.00% | 4,933,849 | - | - |
㈜아산테크노밸리 (주7)(주11) |
국내 | - | - | - | -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75.00% | 6,149,392 | - | - |
㈜김해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80.00% | 2,454,720 | - | - |
㈜서산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65.00% | 7,920,713 | - | - |
㈜에이치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80.00% | 3,536,226 | - |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70.00% | 3,011,908 | - | - |
㈜서오창테크노밸리 (주7)(주12) |
국내 |
73.00% | - | - | - |
㈜안성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75.00% | - | - | - |
㈜에이치밸리 (주7) |
국내 |
51.00% | - | - | - |
관계기업 | |||||
㈜한화이글스 | 국내 | 40.00% | - | 40.00%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 (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주13) |
국내 | 47.93% | 1,021,440,817 |
36.05% | 535,477,300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주14) |
국내 | 47.88% | 241,577,469 | 48.70% | 241,577,469 |
Crystal Solar Inc. | 미국 | 29.09% | - | 29.09% | - |
㈜스마일벤처스 (주6)(주15) |
국내 | 17.81% | 1,947,426 | - | - |
한화역사㈜ (주7) |
국내 | 40.01% | 64,713,166 | - | - |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주16) |
국내 | 22.49% | 2,250,000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국내 | 50.00% | 370,135,400 | 50.00% | 370,135,400 |
㈜울산복합도시개발 (주17) |
국내 | 45.00% | 6,750,000 | - | - |
합 계 | 5,584,195,935 | 4,553,433,984 |
(주1) |
당사는 2021년 4월 1일자로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였습니다. |
(주2) |
당사는 2021년 4월 1일자로 ㈜한화도시개발을 분할 후 합병하였습니다. |
(주3)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한화글로벌에셋㈜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264,49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4)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Hanwha Q CELLS Co., Ltd.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327,42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5)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1,500백만원을 출자하였으며, 동 종속기업에 대한 출자주식 전체를 피투자회사의 차입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하였습니다 |
(주6)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면서, ㈜한화갤러리아의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들을 취득하였습니다. |
(주7)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한화도시개발을 분할 후 합병하면서, ㈜한화도시개발의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들을 취득하였습니다. |
(주8)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HAMC Holdings Corp.에 58,12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9)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에 134,78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10)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더블유오에스에 101,963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11)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아산테크노밸리 1,666백만원을 청산하였습니다. |
(주12)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서오창테크노밸리의 PF대출약정에 대하여 동 종속기업에 대한 출자주식 전체를 피투자회사의 차입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하였습니다 |
(주13)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에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의 주식 485,963백만원을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취득대가는 분할지급하며, 잔여 미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하였습니다 |
(주14) | 합병 신주 배정에 따른 발행주식수 증가로 지분율이 변동하였습니다. |
(주15) |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수 증가로 지분율이 변동하였습니다. 의결권부 우선주를 고려한 유효지분율을 표시하였습니다. |
(주16)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에 2,25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17) | 당사는 2021년 3분기에 ㈜울산복합도시개발에 6,75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거래는 약 1조 4,892억원으로, 동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5조 2,070억원의 28.6%에 이르고 있습니다. 반면 2020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은 1조 5,712억원으로, 동기간 별도기준 매출액 4조 2,482억원의 37.0%로,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비중은 최근 감소한 상황입니다. 다음은 2021년 3분기 당사의 특수관계자 매출, 매입 등 거래내역 입니다.
[2021년 3분기 특수관계자 매출, 매입등 거래내역] |
(단위 : 천원) |
회 사 명 | 매출 | 매입 | 고정자산 취득 |
---|---|---|---|
지배기업 | |||
㈜한화 | 61,842,227 | 16,466,700 | 24,607,520 |
종속기업 | |||
㈜서오창테크노밸리 | 103,783 | - | - |
㈜안성테크노밸리 | 89,944 | - | - |
㈜에이치테크노밸리 | 16,364 | - | - |
㈜한화갤러리아 (주3) |
284,066 | 135,128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14,086,041 | 1,747,287 | -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108,919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87,300 | - | - |
㈜한화비앤비 | 127,186 | 191,799 | - |
하이패스태양광㈜ | 108,910 | - | - |
한화컴파운드㈜ | 62,042,898 | 9,234,952 | -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100,284,589 | 1,448,358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13,016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131,539 | - |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94,888 | - | - |
Growing Energy Labs, Inc. | - | 5,196,539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17,843,503 | 4,728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4,577,889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1,609,482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34,918,954 | 139,333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827,337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98,491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3,928,039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5,624,104 | 38 | - |
Hanwha AZDEL, Inc. | 584,333 | 9,073 |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주1)(주5) |
14,378,520 | -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722,609 | -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주4) |
- | 32,415 | - |
Hanwha Holdings(USA), Inc. | - | 192,392 | - |
Hanwha International LLC. | 77,467,778 | 1,843,374 |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4,864,670 | 68,606,170 | 37,160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407,324,011 | - |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278,395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23,074,836 | 11,755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17,775,525 | - | - |
Hanwha Q CELLS Gmbh | 203,409,750 | 40,934,791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6,329,750 | 402,547,732 | - |
Hanwha Q CELLS Turkey | 34,040,068 | - | - |
Hanwha Q CELLS USA, INC. | 182,342,189 | 173,825 | - |
공동기업 | |||
여천 NCC㈜ (주2) | 20,853,231 | 1,208,001,452 |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7,619 | - | - |
관계기업 | |||
㈜한화이글스 | 3,360 | 958,700 | - |
㈜한화저축은행 | 4,690 | - | -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52,968 | - | - |
한화역사㈜ | 18,360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5,438,524 | 25,218,199 |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471,240 | 8,923,219 | 24,000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23,552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 630 | - | - |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 280 | - | - |
㈜에스아이티 | 24,557 | - | - |
㈜에스아이티테크 | 5,455 | - | - |
㈜여수씨월드 | 58 | - | - |
㈜일산씨월드 | 37 | - | - |
㈜한화63시티 | 47,609 | 45,680 | - |
㈜한화건설 | 779,009 | - | 56,196,932 |
㈜한화에스테이트 (주6) |
131,531 | 8,760,370 | 55,300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3,150 | - | - |
더테이스터블㈜ | 3,130 | 13,994 | - |
아쿠아플라넷㈜ | 91,431 | - | - |
에이치솔루션 주식회사 | 210 | - | - |
에코이앤오㈜ | 8,400 | - | - |
제주해양과학관 | 13 | - | - |
㈜에이치피앤디 | 770 | - | - |
캐롯손해보험㈜ | 13,743 | 485,215 | - |
플라자 디앤씨㈜ | 9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567,093 | - | - |
한화라이프랩㈜ | 3,568 |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78,464 | - | - |
한화생명보험㈜ | 4,252,062 | 9,762,167 | - |
한화손해보험㈜ | 1,706,907 | 10,747,235 | 263 |
한화시스템㈜ | 403,192 | 28,895,529 | 13,720,624 |
한화에너지㈜ | 447,073 | 118,484,879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215,676 | - | - |
한화자산운용㈜ | 23,124 | - | - |
한화정밀기계㈜ | 85,802 | 60,100 | 438,446 |
한화테크윈㈜ | 165,470 | - | - |
한화토탈 주식회사 | 4,324,964 | 79,140,690 | - |
한화투자증권㈜ | 363,590 | 220,225 | - |
한화파워시스템㈜ | 31,462 | 169,904 | - |
Hanwha Europe GmbH | 86,568,303 | 238,184 | - |
Hanwha Impact Partners INC. | - | 314,684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80,076,859 | 32,460,629 | - |
합 계 | 1,489,166,469 | 2,082,540,053 | 95,080,245 |
(출처: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별도기준) | |
(주1) | 2021년 3분기 중 Hanwha Chemical(Ningbo) Co., Ltd.와의 원재료 구매대행계약에 따른 총거래금액은 18,898백만원입니다. |
(주2) |
여천NCC㈜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170,00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3) |
㈜한화갤러리아와 합병 이전 2021년 1분기에 이뤄진 거래 금액입니다. |
(주4)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5,665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5)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43,88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6) | ㈜한화에스테이트의 합병 이전 ('21.07.01) 이뤄진 거래 금액입니다. |
[2020년 3분기 특수관계자 매출, 매입등 거래내역] |
(단위: 천원) |
회 사 명 | 매출 | 고정자산 처분 | 매입 | 고정자산 취득 |
---|---|---|---|---|
지배기업 | ||||
㈜한화 | 67,087,620 | - | 16,757,634 | 48,539,511 |
종속기업 | ||||
㈜한화갤러리아 (주1) | 124,176 | - | 357,381 | -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142,276 | -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203,414 | - | - | - |
하이패스태양광㈜ | 108,790 | - | - | - |
㈜한화비앤비 | - | - | 103,540 | - |
한화컴파운드㈜ | 62,329,103 | - | 10,591,791 | - |
Hanwha International LLC | 41,584,266 | - | 2,703,228 | -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72,589,511 | - | 1,325,625 | - |
Hanwha Chemical(Ningbo) Co.,Ltd.(주2) | 17,324,081 | - | - | - |
Hanwha Q CELLS GmbH | 128,407,761 | - | 37,591,748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 | 920,611 | -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주3) | - | - | 22,188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12,541 | -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128,983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19,762,493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6,196,403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2,351,897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28,267,501 | - | 5,042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1,549,404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104,434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2,727,187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6,275,575 | - | 4,493 | - |
Hanwha AZDEL, Inc. | 144,180 | - | - | - |
Hanwha Holdings(USA), Inc. | - | - | 111,963 |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3,910,002 | - | 3,032,843 |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486,292,227 | - | 15,923 |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316,370,355 | -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40,340,166 | - | -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9,644,780 | -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8,458,613 | - | 320,064,130 | - |
Hanwha Q CELLS Turkey |
39,765,128 | -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주4) | 14,441,889 | - | 874,728,654 |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284,228 | - | - | - |
관계기업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 - | 4,129,961 | - |
㈜한화이글스 | - | - | 740,880 | -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198,404 | - | - | - |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 | 3,867 | -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3,890,226 | - | 18,953,481 | - |
한화투자증권㈜ | - | - | 13,535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한화토탈 주식회사 | 3,370,750 | 675,000 | 35,009,920 | - |
㈜한화건설 | 193,091 | - | 3,244,675 | 89,225,792 |
한화생명보험㈜ | 1,483,876 | - | 9,000,289 | - |
한화손해보험㈜ | 17,445 | - | 8,112,192 | - |
한화시스템㈜ | 2,968,215 | - | 18,359,355 | 4,847,019 |
한화에너지㈜ | 6,976,515 | - | 116,637,636 | - |
HANWHA AERO ENGINES.,LTD | 483,556 | - | - | - |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 | - | 159,644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97,209,547 | - | 36,495,119 | - |
Hanwha Europe GMBH | 74,167,132 | - | 479,927 | - |
S&P World Networks DMCC | 2,634,116 | - | - | - |
㈜한화에스테이트 | - | - | 7,222,220 | 13,295 |
㈜한화63시티 | - | - | 43,101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420,982 | -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215,150 | - | - | - |
한화파워시스템㈜ | - | - | 63,832 | 82,284 |
한화정밀기계㈜ | - | - | 41,200 | 270,700 |
캐롯손해보험 | - | - | 513,224 | - |
티지솔라넷㈜ | 67,750 | - | - | - |
㈜에스아이티 | - | - | - | 2,700 |
합 계 | 1,571,229,606 | 675,000 | 1,527,556,985 | 142,981,301 |
(출처: 2020년 3분기 분기보고서, 별도기준) | |
(주1) | 2020년 3분기 중 ㈜한화갤러리아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396,00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2) | 2020년 3분기 중 Hanwha Chemical(Ningbo) Co., Ltd.와의 원재료 구매대행계약에 따른 총거래금액은 35,395백만원입니다. |
(주3) | 2020년 3분기 중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4,935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4) | 2020년 3분기 중 여천NCC㈜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165,00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특수관계자와의 매출의 경우, 당사 제품이 원재료가 되는 가공 부문으로의 매출과 미국, 유럽 등 현지 판매회사로의 매출과 같은 제품 매출이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특히 태양광 부문의 경우 당사는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 등을 통해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유럽과 북미, 아시아, 호주, 남미, 아프리카 및 중동의 수 많은 해외 영업 네트워크를 통해 전세계로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태양광 사업부문의 현지 판매회사로의 매출이 당사의 특수관계자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 태양광 관련 회사 현황] |
사업부문 | 소재지 | 주요 사업 | 회사명 | 주요제품 및 서비스 명칭 |
주요제품 및 서비스 매출 |
주요제품 및 서비스 거래처 |
---|---|---|---|---|---|---|
태양광 | 국내 | 태양광 관련 제품, 태양광 발전 등 |
한화솔루션(주)큐셀부문 |
태양광 제품 |
셀, 모듈 |
계열사 |
해외 | Hanwha Q CELLS Co., Ltd. | - | - | -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태양광 제품 | 모듈 | 계열사 및 개별소비자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태양광 제품 |
셀, 모듈 |
계열사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 | - | - | |||
Hanwha Q CELLS Gmbh | 태양광 제품 |
모듈, 위탁 R&D |
계열사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태양광 제품 |
모듈 |
계열사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 | - | - |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 - | - | -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2021년 3분기 태양광 관련 특수관계자 매출, 매입 현황] |
|
(단위: 천원) |
회 사 명 | 매출 | 매입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4,864,670 | 68,606,170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407,324,011 |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278,395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23,074,836 | 11,755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17,775,525 | - |
Hanwha Q CELLS Gmbh | 203,409,750 | 40,934,791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6,329,750 | 402,547,732 |
Hanwha Q CELLS Turkey | 34,040,068 | - |
Hanwha Q CELLS USA, INC. | 182,342,189 | 173,825 |
합 계 | 879,439,194 | 512,274,273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별도기준) |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 매출액 1조 4,892억원 중 태양광 해외법인 관련 매출액이 총 8,794억원으로 59.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미국의 Hanwha Q CELLS America Inc.에 대한 매출이 4,073억원, 독일의 Hanwha Q CELLS Gmbh에 대한 매출이 2,034억원, 미국의 Hanwha Q CELLS USA, INC.에 대한 매출이 1,823억원입니다. 당사는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국 및 독일 현지 판매회사로의 매출 등으로 특수관계자 매출액이 늘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수관계자와의 매입 거래는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2조 825억원으로, 공동 투자기업인 여천NCC로부터의 원재료 매입 등이 1조 2,080억원으로 가장 큰 금액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다음으로는 당사 태양광부문의 해외 공장이 있는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로부터의 매입이 4.025억원으로 두번째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여천NCC의 경우 정상적인 이익을 시현하고 있으며, 2024년 12월까지 장기 매입계약이 체결되어 있는 점을 고려하면 이해 상충 발생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판단되며, 특수관계자와의 매출과 마찬가지로 매입에 있어서도 태양광 사업의 비중이 큰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여천NCC 장기판매계약] |
제품명 | 계약자 | 계약 기간 | 계약 물량 |
---|---|---|---|
에틸렌 | 한화솔루션 | 2021.1 ∼ 2024.12 | 1,400,000 |
디엘케미칼 | 2021.1 ∼ 2024.12 | 735,000 | |
폴리미래 | 2021.1 ∼ 2024.12 | 25,000 | |
프로필렌 | 한화솔루션 | 2021.1 ∼ 2024.12 | 150,000 |
디엘케미칼 | 2021.1 ∼ 2024.12 | 55,000 | |
폴리미래 | 2021.1 ∼ 2024.12 | 615,000 | |
이소부텐 | 디엘케미칼 | 2021.1 ∼ 2024.12 | 120,000 |
(출처 : 여천NCC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2021년 3분기 별도기준 당사의 특수관계자 채권은 8,171억원이며, 매출채권 6,339억원(77.6%), 대여금 295억원(3.6%) 및 기타채권 1,537억원(18.8%)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매출채권 6,339억원 중 Hanwha Q CELLS Co., Ltd. 관련 법인의 매출채권이 5,080억원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 특수관계자와의 채권채무 내역] |
(단위 : 천원) |
회사명 | 채권 | 채무 | |||
---|---|---|---|---|---|
매출채권 | 대여금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 | |
지배기업 | |||||
㈜한화 | 4,848,755 | - | 5,790,909 | 67,823 | 3,210,170 |
종속기업 | |||||
㈜서오창테크노밸리 | - | 5,001,534 | - | - | - |
㈜안성테크노밸리 | 2,022,900 | 6,700,973 | 359,245 | -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480,103 | - | 3,818,785 | - | 10,709,959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 | - | 59,300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 | - | 26,700 | - | - |
㈜한화비앤비 | - | - | 315 | - | 197,385 |
하이패스태양광㈜ | 42,857 | - | - | - | - |
한화컴파운드㈜ | 7,323,749 | - | - | 2,177,731 | 573,821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12,794,241 | - | - | -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5,652 | - | -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49,716 | - | 220 | - |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 | - | 39,939 | - | - |
Growing Energy Labs, Inc. | - | - | - | - | 56,726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2,822,649 | - | 1,414,302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972,908 | - | 546,240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392,855 | - | 153,109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6,474,519 | - | 1,199,336 | - | 15,023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213,645 | -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597,583 | - | 456,147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1,221,518 | - | 179,799 | - | - |
Hanwha AZDEL, Inc. | - | - | 295,609 | - |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5,221,138 | - | 1,117,065 | -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 | - | - | 55,792 |
Hanwha International LLC. | 31,494,250 | - | 88,868 | - | 143,626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4,915,850 | - | 236,980 | 18,988,503 |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229,129,414 | - | - | - |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136,532 | - | - | - | - |
Hanwha Q CELLS USA Corp. | - | 654,657 |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36,792,700 | - | - | -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11,482,678 | - | - | - | - |
Hanwha Q CELLS Co., Ltd. | - | - | 473,960 | - | - |
Hanwha Q CELLS Gmbh | 131,140,285 | - | 1,217,342 | - | 12,981,602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 | - | 401,700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2,366,227 | - | 10,836,090 | 197,526,770 | - |
Hanwha Q CELLS Turkey | 18,713,069 | - | - | - | - |
Hanwha Q CELLS USA, INC. | 73,392,673 | - | 296,225 | 177,908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2,559,783 | - | 114,565 | 296,929,339 | 8,707,445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주1) | - | 15,941,122 | 447,185 | - |
- |
관계기업 |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51,131 | - | 66,000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2,109,592 | - | 107,713 | 3,314,601 | 157,189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48,216 | - | 31,000,274 | - | 2,054,464 |
Crystal Solar Inc. (주2) |
- | 1,866,931 | 329,066 | - |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 | - | 1,842,649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한화63시티 | 19,630 | - | - | - | 322 |
㈜한화건설 | 92,503 | - | - | - | 3,910,097 |
더테이스터블㈜ | 3,895 | - | - | 4,391 | 1,699 |
아쿠아플라넷㈜ | 30,375 | - | 1,006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 | - | 40,439 | - | - |
한화라이프랩㈜ | 306 | - | - |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4,603 | - | - | - | - |
한화생명보험㈜ | 744,744 | - | 85,550,139 | - | 239,672 |
한화손해보험㈜ | 47,670 | - | 119,064 | 187 | 489,460 |
한화시스템㈜ | 211 | - | - | 34,100 | 6,834,559 |
한화에너지㈜ | 48,730 | - | 7,708 | 13,627,888 | 17,23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62,733 | - | 61,467 | - | 19,256 |
한화자산운용㈜ | 303 | - | - | - | - |
한화정밀기계㈜ | 3,400 | - | - | - | 530,614 |
한화토탈 주식회사 | 1,143,601 | - | - | 11,537,746 | 154,044 |
한화투자증권㈜ | 32,270 | - | - | - | 25,764 |
한화파워시스템㈜ | - | - | - | - | 41,360 |
Hanwha Europe GmbH | 26,810,064 | - | - | - | 1,372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14,952,816 | - | 4,398,685 | 2,589,320 | 1,306,507 |
합 계 | 633,915,042 | 29,510,560 | 153,748,802 | 546,976,307 | 52,435,158 |
(출처 :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별도기준) | |
(주1)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당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주2) |
Crystal Solar Inc.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당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연결 기준의 대여금은 주로 해외 사업 추진 (사우디 프로젝트, 태양광 사업 등)과 관련하여 발생하였는데, 2021년 3분기 연결기준으로 202억원 수준을 기록하였습니다. 또한 향후 해외의 신규 사업과 관련하여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특히, 해외 종속회사가 신규 사업 추진에 따른 자금 조달이 필요하나 신용 수준이 부족하여 긴급한 자금 투입이 필요할 경우 대여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당사의 현금이 감소하여 유동성 위험이 증대될 수 있고 대여금이 회수가 지연될 수도 있음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3분기 특수관계자 대여금 변동 내역_연결기준] |
(단위 : 천원) |
회사명 | 기 초 | 증 가 | 감 소 | 기 타(주1) | 기 말 |
---|---|---|---|---|---|
관계기업 | |||||
Crystal Solar Inc. |
1,866,931 | - | - | - | 1,866,931 |
공동기업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941,122 | - | - | - | 15,941,122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2,187,592 | - | - | 184,850 | 2,372,442 |
합 계 | 19,995,645 | - | - | 184,850 | 20,180,495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
(주1) | 대여금 이자로 인한 미수수익 증가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2021년 3분기 특수관계자 대여금 변동 내역_별도기준] |
|
(단위: 천원) |
구분 | 회사명 | 기초잔액 | 사업결합효과 | 증가 | 감소 | 기타(주1) | 기말잔액 |
---|---|---|---|---|---|---|---|
종속기업 | ㈜서오창테크노밸리 | - | 1,600,736 | 3,400,000 | - | 798 | 5,001,534 |
㈜안성테크노밸리 | - | 2,500,723 | 4,200,000 | - | 250 | 6,700,973 | |
공동기업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941,122 | - | - | - | - | 15,941,122 |
관계기업 | Crystal Solar Inc. | 1,866,931 | - | - | - | - | 1,866,931 |
합계 | 17,808,053 | 4,101,459 | 7,600,000 | - | 1,048 | 29,510,560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별도기준) |
|
(주1) |
대여금 이자로 인한 미수수익 증가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참고로 당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타법인출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타법인 출자현황] |
|
(기준일 : 2021년 09월 30일) | (단위 : 백만원, 천주, %) |
법인명 | 상장 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 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취득(처분) | 평가 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총자산 | 당기 순손익 |
||||||
수량 | 금액 | ||||||||||||||
(주)한화갤러리아 | 비상장 | 1986.10.21 | 경영권 확보 | 18,000 | 22,000 | 100 | 499,035 | -22,000 | -499,035 | - | - | - | - | 1,893,532 | 7,398 |
(주)한화도시개발 | 비상장 | 2009.12.01 | 경영권 확보 | 265,052 | 10,000 | 100 | 209,771 | -5,310 | -111,396 | - | 4,690 | 100 | 98,375 | 203,155 | 10,614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비상장 | 1989.12.22 | 경영권 확보 | 2,000 | 5,641 | 48.7 | 241,577 | - | - | - | 5,641 | 47.88 | 241,577 | 2,239,138 | -121,554 |
한화글로벌에셋㈜ | 비상장 | 1999.07.01 | 경영권 확보 | 308,603 | 10,768 | 100 | 735,620 | 4,115 | 264,495 | - | 14,883 | 100 | 1,000,115 | 718,237 | -3,026 |
여천NCC㈜ | 비상장 | 1999.12.29 | 경영권 확보 | 300,000 | 10,000 | 50 | 370,135 | - | - | - | 10,000 | 50 | 370,135 | 2,805,738 | 243,347 |
Hanwha International Corp. |
비상장 | 2006.03.03 | 영업 확대 | 24,939 | 4 | 100 | 55,314 | - | - | - | 4 | 100 | 55,314 | 54,698 | -35 |
Hanwha Chemical (Thailand)Co.,Ltd |
비상장 | 2008.02.29 | 영업 확대 | 7,581 | 11,462 | 99.99 | 24,908 | - | - | - | 11,462 | 99.99 | 24,908 | 37,787 | 2,429 |
한화화학(상해) 유한공사 |
비상장 | 2003.05.23 | 영업 확대 | 239 | - | 100 | 3,210 | - | - | - | - | 100 | 3,210 | 35,218 | 4,300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비상장 | 2008.10.06 | 영업 확대 | 6,774 | - | 100 | 262,048 | - | - | - | - | 100 | 262,048 | 413,427 | 57,833 |
한화케미칼 오버시즈홀딩스㈜ |
비상장 | 2009.07.13 | 영업 확대 | 10 | 190 | 100 | 95,014 | - | - | - | 190 | 100 | 95,014 | 78,474 | -1,946 |
Hanwha Q CELLS Co., Ltd. |
비상장 | 2010.09.16 | 경영권 확보 | 429,275 | 11,811 | 100 | 1,442,598 | 1,979 | 327,425 | - | 13,790 | 100 | 1,770,023 | 2,375,991 | -21,026 |
(주)한주 | 비상장 | 1987.03.02 | 투자 수익 | 4 | 84 | 7.45 | 10,906 | - | - | - | 84 | 7.45 | 10,906 | 439,963 | 573,998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Bhd |
비상장 | 2013.03.06 | 영업 확대 | 1,087 | 9,661 | 100 | 3,314 | - | - | - | 9,661 | 100 | 3,314 | 35,898 | 3,894 |
흥국글로벌사모 증권투자신탁1호 |
비상장 | 2013.11.14 | 투자 수익 | 1,554 | - | 2.11 | 296 | - | - | 25 | - | 2.11 | 321 | 15,876 | -222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비상장 | 2014.07.17 | 영업 확대 | 169 | 100 | 99.99 | 169 | - | - | - | 100 | 99.99 | 169 | 714 | 152 |
한화임팩트 | 비상장 | 2015.04.30 | 경영권 확보 | 534,906 | 15,319 | 36.05 | 535,477 | 5,052 | 485,964 | - | 20,371 | 47.93 | 1,021,441 | 3,258,636 | 99,240 |
한화컴파운드㈜ | 비상장 | 2015.07.17 | 경영권 확보 | 57,851 | 121 | 100 | 57,851 | - | - | - | 121 | 100 | 57,851 | 76,545 | -1,188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
비상장 | 2019.11.27 | 영업 확대 | 2,305 | 231 | 100 | 2,305 | 150 | 1,500 | - | 381 | 100 | 3,805 | 7,285 | -227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비상장 | 2020.04.29 | 투자 수익 | 3,571 | 2300 | 100 | 3,571 | - | - | - | 2,300 | 100 | 3,571 | 3,101 | -362 |
HAMC Holdings Corp. | 비상장 | 2020.12.08 | 경영권 확보 | 69,640 | 0 | 100 | 11,515 | 1 | 58,125 | - | 1 | 100 | 69,640 | 10,982 | - |
주식회사 더블유오에스 | 비상장 | 2021.08.31 | 경영권 확보 | 101,963 | - | - | - | 2,150 | 101,963 | - | 2,150 | 100 | 101,963 | - | - |
한화역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64,713 | - | - | - | 2,621 | 64,713 | - | 2,621 | 40 | 64,713 | 512,567 | 4,724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163,275 | - | - | - | 6,000 | 163,275 | - | 6,000 | 100 | 163,275 | 342,476 | 7,036 |
㈜한화비앤비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4,934 | - | - | - | 200 | 4,934 | - | 200 | 100 | 4,934 | 9,192 | -3,213 |
㈜스마일벤처스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1,947 | - | - | - | 250 | 1,947 | - | 250 | 17.81 | 1,947 | 9,729 | -5,180 |
㈜아산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1,666 | - | - | - | - | - | - | - | - | - | 1,666 | 8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6,149 | - | - | - | 750 | 6,149 | - | 750 | 75 | 6,149 | 20,440 | -1,886 |
㈜김해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2,455 | - | - | - | 1,600 | 2,455 | - | 1,600 | 80 | 2,455 | 13,396 | -471 |
㈜서산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7,921 | - | - | - | 3,900 | 7,921 | - | 3,900 | 65 | 7,921 | 12,607 | 393 |
㈜에이치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3,536 | - | - | - | 800 | 3,536 | - | 800 | 80 | 3,536 | - |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3,012 | - | - | - | 700 | 3,012 | - | 700 | 70 | 3,012 | 4,930 | -76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 비상장 | 2021.04.09 | 경영권 확보 | 134,780 | - | - | - | 1 | 134,780 | - | 1 | 100 | 134,780 | - | - |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
비상장 | 2021.08.13 | 투자 수익 | 2,250 | - | - | - | 1,500 | 2,250 | - | 1,500 | 22.49 | 2,250 | - | - |
울산복합도시개발 | 비상장 | 2021.07.23 | 투자 수익 | 6,750 | - | - | - | 1,350 | 6,750 | - | 1,350 | 45 | 6,750 | - | - |
합 계 | 109,692 | - | 4,564,634 | 5,809 | 1,030,763 | 25 | 115,501 | - | 5,595,422 | - | - |
(주1)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에는 2020년도 12월말 자료를 반영하였습니다. (주2)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주3)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였습니다. (주4) 2021년 4월 1일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리/합병하면서 한화역사/㈜한화타임월드/㈜한화비앤비/㈜스마일벤처스/㈜아산테크노밸리/㈜경기용인테크노밸리/㈜김해테크노밸리/㈜서산테크노밸리/㈜에이치테크노밸리/㈜제이용인테크노밸리 타법인 출자에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주5) ㈜에이치테크노밸리와 주식회사 더블유오에스는 각각 2021년 3월, 2021년 7월에 설립된 회사입니다. (주6) 한화호텔앤드리조트㈜와 ㈜스마일벤처스의 불균등 유상증자에 의하여 회사의 지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주7) 2021년 7월 5일 청산기일로, ㈜아산테크노밸리는 청산되었습니다.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
상기와 같이 당사는 주력 사업인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면서, 종속기업 Hanwha Q CELLS Co., Ltd. 등을 통해 대한민국, 말레이시아, 중국에서 생산된 제품을 유럽과 북미, 아시아, 호주, 남미, 아프리카 및 중동의 수 많은 해외 영업 네트워크를 통해 판매하고 있으며, 이러한 과정에서 태양광 관련 특수관계자와의 매출, 매입 및 매출채권의 규모와 비중이 상당히 높으며, 여천NCC(주)로 부터의 원재료 매입과 관련한 매입의 비중도 높은 상황입니다. 높은 특수관계자 매출 비중은 안정적인 매출처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인 부분도 있으나, 특수관계자의 업황 또는 경영실적에 따라 당사의 매출액이 변동될 위험이 있으며, 공정거래법 등 특수관계자 거래를 규제하는 법률 등이 현재보다 대폭 강화될 경우 당사의 매출 규모 등에 부정적인 영향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차입약정 및 환 관련 위험]
아.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가 금융기관과 약정한 총 차입한도는 약 5조 3,792억원이며,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금융기관차입금은 3조 2,535억원입니다.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는 환위험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358억원의 파생상품자산 및 141억원의 파생상품부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환율 변동에 따라 손익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2021년 3분기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가 금융기관과 약정한 총 차입한도는 약 5조 3,792억원으로, 2021년 3분기 연결재무상태표에는 금융기관차입금이 3조 2,535억원(유동성 차입금 1조 9,148억원, 비유동성 차입금 1조 3,387억원, 회사채 미포함)이 반영되어 있으며, 유형자산 중 일부를 해당 채권최고액의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향후 약정한도까지 차입금이 단기간 내 증가할 수도 있음을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세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1년 3분기 금융기관 차입약정 한도] |
(단위: 천원, USD, EUR, CNY, MYR, CZK, THB, MXN) |
약정내용 | 통 화 | 한도금액 |
---|---|---|
당좌차월 | KRW | 15,500,000 |
THB |
30,000,000 | |
CZK | 127,475,000 | |
수입관련 Usance | USD | 344,700,000 |
수출관련 D/A,D/P,Local 및 무역어음 등 | USD | 50,000,000 |
THB |
70,000,000 | |
기타차입한도 | KRW | 1,599,370,500 |
USD | 1,864,897,388 | |
EUR | 240,000,000 | |
CNY | 2,561,000,000 | |
MYR | 795,150,623 | |
CZK | 356,930,000 | |
THB |
90,000,000 | |
MXN | 112,867,163 | |
합 계 | KRW | 1,614,870,500 |
USD | 2,259,597,388 | |
EUR | 240,000,000 | |
CNY | 2,561,000,000 | |
MYR | 795,150,623 | |
CZK | 484,405,000 | |
THB |
190,000,000 | |
MXN |
112,867,163 |
(출처: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 차입금 내역] | |
(단위: 천원) |
구 분 | 2021년 1분기 | 2020년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금융기관차입금 | 1,914,789,696 | 1,338,700,497 | 2,576,101,716 | 1,164,824,115 |
사채 |
462,296,867 | 1,599,044,723 | 395,823,788 | 1,551,823,907 |
합 계 | 2,377,086,563 | 2,937,745,220 | 2,971,925,504 | 2,716,648,022 |
(출처 :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한편,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당사가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한 자산은 약 2조 1,285억원에 해당하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021년 3분기 당사의 담보제공자산의 내역] |
(단위 : 천원) |
담보제공자산 | 담보설정금액 | 담보권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996,682 | 중소기업은행 등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325,813,544 | 한국산업은행 등 |
기타금융자산 | 120,350,594 | 신한은행 등 |
재고자산 | 52,451,249 | 한국산업은행 등 |
유형자산 | 1,514,101,497 | 한국산업은행 등 |
무형자산 | 27,373,913 | KEB 하나은행 등 |
종속기업투자주식 | 81,419,000 | 한국산업은행 등 |
(출처: 당사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는 기본적으로 헤지 목적 외 파생상품을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주로 환 변동 위험, 이자율 변동 등에 대한 헤지 목적으로 파생상품을 보유하고 있으며,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에는 통화선도, 통화옵션, 통화스왑, 이자율스왑 등이 있습니다. 만기일에 계약 체결 조건이 결정되는 일부 옵션 상품의 경우, 만기 도래 전까지는 헤지 효과가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으나, 만기일 체결 조건에 따라 헤지 여부가 결정되어 반영됩니다.
당사 보유한 파생상품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계약은 통화선도입니다. 통화선도의 최대 손실액에 대한 가장 불리한 상황 가정은, 통화선도 매도 계약 체결 후 환율의 무한대 상승입니다. 이 경우 최대 손실액은 무한대로 발생하게 됩니다. 하지만 연결회사는 헤지 목적으로 통화선도 계약을 체결하기 때문에, 통화선도 계약과 상응하는 헤지 대상 자산에서는 무한대의 이익이 발생하게 되어 통화선도 매도 계약의 손실과 상쇄되게 됩니다. 통화옵션, 통화스왑, 이자율스왑 등의 파생상품도 헤지 목적으로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통화선도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효과가 발생합니다.
요약하자면, 당사는 가장 불리한 상황을 가정할 경우 파생상품 계약 체결로 인한 최대 손실액은 무한대이나, 헤지 대상 자산 혹은 부채와 연계 시 회사의 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거의 없거나 미미한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회사의 외환 위험은 미래 예상 거래 및 인식된 자산ㆍ부채가 기능통화 외의 통화로 표시될 때 발생하고 있으며 환포지션이 발생하는 주요 외화로는 USD, EUR, JPY 등이 있습니다.
당사 및 연결 종속회사는 환위험에 대한 노출을 감소시키기 위해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358억원의 파생상품자산 및 141억원의 파생상품부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환율 변화에 따라 손익의 영향이 발생하고 있으며,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외환 관련 순손익은 약 378억원 손실을 기록했습니다. 파생상품이 환 위험을 완벽히 제거할 수 없으며, 환율 변동에 따라 손익 악화 등이 발생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연결 재무제표 기준 파생상품 자산, 부채 규모]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파생상품자산 | 35,789 | 35,789 | 13,107 | 13,107 | 19,396 | 19,396 | 7,978 | 7,978 |
883 | 883 |
파생상품부채 | 14,111 | 14,111 | 73,165 | 73,165 | 13,727 | 13,727 | 25,498 | 25,498 |
40,477 | 40,477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파생상품 자산 부채의 상세 구성 내역]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
자 산 | 부 채 | 자 산 | 부 채 | 자 산 | 부 채 | 자 산 | 부 채 | 자 산 | 부 채 | |
매매목적 | ||||||||||
통화선도 | 2,255 | 11,734 | 12,442 | 1,644 | 3,672 | 245 | 2,912 | 501 | 301 | 734 |
통화옵션 | - | - | - | - | - | - | 2,849 | 8,074 | 128 | 15,439 |
통화스왑 | 32,466 | 2,198 | 512 | 65,945 | 12,768 | 9,038 | 1,213 | 14,068 | - | 22,141 |
이자율스왑 | 167 | - | - | 2,185 | - | 3,497 | 241 | 2,210 | 455 | 279 |
기타파생상품 | - | 178 | - | - | - | - | - | - | - | - |
소 계 | 34,889 | 14,110 | 12,955 | 69,774 | 16,441 | 12,780 | 7,215 | 24,853 | 884 | 38,593 |
현금흐름위험회피목적 | ||||||||||
통화스왑 | 901 | - | 152 | 2,288 | 2,955 | - | 763 | 423 | - | 1,714 |
이자율스왑 | - | - | - | 1,104 | - | 947 | - | 222 | - | 170 |
소 계 | 901 | - | 152 | 3,391 | 2,955 | 947 | 763 | 645 | - | 1,884 |
합 계 | 35,789 | 14,111 | 13,107 | 73,165 | 19,396 | 13,727 | 7,978 | 25,498 | 884 | 40,477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최근 3개년 당사 연결재무제표 기준 환손익 실적]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외환차익 | 93,923 | 47,125 | 156,114 | 106,104 |
외화환산이익 | 52,782 | 60,822 | 117,594 | 152,834 |
파생상품평가이익 | 103,160 | 35,029 | 18,572 | 25,989 |
파생상품거래이익 | 9,101 | 4,622 | 45,352 | 20,399 |
외환이익(A) | 258,966 | 147,598 | 337,632 | 305,326 |
외환차손 | 75,277 | 36,945 | 168,644 | 115,966 |
외화환산손실 | 142,644 | 120,623 | 130,689 | 220,106 |
파생상품평가손실 | 48,005 | 6,448 | 17,276 | 5,333 |
파생상품거래손실 | 30,807 | 7,183 | 30,133 | 11,165 |
외환손실(B) | 296,733 | 171,199 | 346,742 | 352,570 |
외환관련 순손익(A-B) | (37,767) | (23,601) | (9,110) | (47,244) |
주)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연결기준 환율 변화에 따른 손익변동성] |
(단위: 천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
USD | (268,088) | 268,088 | 1,613,168 | (1,613,168) |
EUR | 195,158 | (195,158) | 1,540,142 | (1,540,142) |
JPY | 56,949 | (56,949) | 369,314 | (369,314) |
CNY | 80,335 | (80,335) | 82,485 | (82,485) |
합 계 | 347,040 | (347,040) | 3,605,109 | (3,605,109) |
411,394 | (411,394) |
주1) 상기 민감도분석은 당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헤지효과가 발생하는 파생상품 거래로 인한 환율변동효과도 고려되었습니다. 주2) 괄호 표시된 숫자는 부(-)의 수치 (출처 : 2021년 3분기 분기보고서, 연결기준) |
당사는 연결대상 회사별로 사업의 성격 및 환율 변동위험 대처수단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회사별 외환 위험관리 정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환위험 관리 모델을 이용하여 환위험 노출에 대한 최대 손실 규모가 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환노출 위험을 주기적으로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경영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자금관리 규정이 정하는 범위 내에서 환리스크에 관한 주요 사항과 절차를 정한 외환관리시행세칙에 따라 철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외환 관리시행세칙은 외환리스크 관리조직, 외환관리업무, 외환거래 및 헤지거래에 대한 제한, 외환리스크 관리자 교육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환위험 관리를 위하여 환관리 협의회를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관리협의회에서는 환리스크 관리 계획 수립 및 환리스크에 대한 각종 한도 설정 및 변경, 환리스크 관리 규정 개정 등에 대한 업무를 심의·결정하고 있습니다. 환관리협의회는 위원 6명 (재무실장, 금융담당임원, 전략기획실장(이상 전략부문), 기획부문장(이상 케미칼부문), 경영관리부문장(이상 큐셀부문), 기획부문장(이상 첨단소재부문))과 간사 1명 (국제금융팀장)을 구성원으로 하며, 분기 1회의 정기 개최 및 수시 개최를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외환리스크 관리자는 외환 관리를 위하여 내부적 관리수단인 외화표시 자산과 부채의 MATCHING을 원칙으로 하고, 잔여분에 대해 외부적 관리수단인 통화선도, 통화옵션 등의 거래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환관리부서의 외환리스크 관리자는 환관리협의회에서 결의한 외환손실한도, 매매목적, 파생상품거래 보유 비율 등을 준수하여야 하며, 동내용을 환관리협의회에 주기적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이외에도 외환리스크 관리자는 관련 지식 습득 및 함양을 위해 대외기관의 교육에 연 1회 이상 의무적으로 참석하고 있으며, 외환관리부서는 외환관련부서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당사는 외환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전술한 민감도 분석처럼 손익 등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등 환율 변동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우발채무 및 소송사건 관련 위험]
자.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당사가 원고로서 계류 중인 중요한 소송사건은 8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437억원이며, 피고로서 계류 중인 중요한 소송사건은 13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535억원입니다. 또한, 당사는 국내외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등에 대해 1조 7,829억원 상당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부담하고 있는 우발부채 및 채무보증이 현실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제재 등으로 인하여 당사 영업활동 시 과징금 또는 벌금 부과 등이 집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불어, 향후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피소되거나 정책당국의 제제를 받을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영업활동이 제약되거나 추가적인 현금유출로 인해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가. 중요한 소송사건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당사가 원고로서 계류 중인 중요한 소송사건은 8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437억원이며, 피고로서 계류 중인 중요한 소송사건은 13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535억원입니다.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당사는 24억원의 소송충당부채를 계상하고 있으며, 계류 중인 소송사건의 결과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소송 결과가 회사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원료부문]: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① 공사대금청구(울산지방법원, 2020가단105004)
구분 |
내용 |
소제기일 |
2020.3.10 |
소송 당사자 |
원고: 주식회사 태극엔터프라이즈, 피고: 한화솔루션(주) |
소송의 내용 |
원고는 공사대금 미지급을 이유로 당사의 공사대금 지급 책임을 주장 |
소송가액(백만원) |
200 |
진행상황 |
'20.3.10 소제기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2020.06.12. 변론기일(법정 408호, 10: 30) 2021.04.16 변론기일(법정 408호 14:30) 2021.05.14. 변론기일(법정 408호 15:10) 2021.07.23. 변론기일(법정 408호 15:30) 변론종결 2021.10.01. 판결선고기일(법정 408호 13:50) 변론재개 2021.11.05. 변론기일(법정 408호 16:30)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함 |
② 손해배상청구(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합585446)
구분 |
내용 |
소제기일 |
2020.9.29. |
소송 당사자 |
원고: 한화에너지 주식회사, 피고: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소송의 내용 |
원고는 당사의 계약해지를 이유로 당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주장 |
소송가액(백만원) |
2,440 |
진행상황 |
’20.9.29. 소제기 ’20.12.24. 원고 측에서 청구금액 확장하는 청구취지 변경 신청서 접수 (201백만 원⇒2,440백만 원) ’21.4.14. 조정불성립 결정 ’21.6.4. 제1회 변론기일 ‘21.8.27. 감정기일 및 제2회 변론기일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1심 계속 중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함 |
[가공부문]: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해당사항 없습니다.
[유통부문]
① 주식교환무효의 소 상고심 (대법원, 2021다287553)
구분 | 내용 |
---|---|
소제기일 | 1심: ’20.02.19. |
항소심: ’20.12.15. | |
상고심: ’21.11.01. | |
소송 당사자 | 원고: 강ㅇㅇ 피고: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외 1 |
소송의 내용 | 2019.11.26. 한화솔루션 주식회사(합병 전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와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간 체결된 주식교환계약에 따른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 무효임을 확인 |
소송가액(백만원) | 100 |
진행상황 | 2020.02.19. 소장접수 2020.11.27. 1심 판결선고(피고 승소) 2020.12.15. 원고 항소 2021.05.27. 항소심 1회 변론기일(10:30) 2021.07.01. 항소심 2회 변론기일(14:20) 2021.08.19. 항소심 3회 변론기일(14:20) 2021.10.14. 2심 판결선고(피고 승소) 2021.11.01. 원고 상고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 |
※ 이외에도 다수의 회사 또는 개인과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소송 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에 따른 자원의 유출금액 및 시기는 불확실하며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이러한 소송 등의 결과가 연결실체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태양광부문]
①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Hanwha Solarone(beipiao) Co., Ltd
연번 |
원고 |
피고 |
소송의 내용 |
소송금액 |
---|---|---|---|---|
1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모듈공급계약 위반 위약금 청구 등 |
170,088,183 |
2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계약대금 청구 |
63,975,000 |
3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손해배상 청구 |
40,600,000 |
4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Hanwha Solarone(beipiao) Co., Ltd. |
계약대금 청구 |
84,975,000 |
5 |
Hanwha Solarone(beipiao) Co., Ltd.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손해배상 청구 |
18,727,500 |
6 |
REC SOLAR Pte. Ltd.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특허침해분쟁 |
100,000,000 |
합계 |
②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Hanwha Q CELLS USA Inc.,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연번 | 원고 | 피고 | 소송의 내용 | 소송금액 |
---|---|---|---|---|
(백만원) | ||||
1 | (주)에스제이이노테크 | 한화솔루션(주) 외 2 | 손해배상 피소 사건 | 3,400 |
2 | 호리코리아㈜ | 한화솔루션㈜ | 채무부존재확인 피소 | 328 |
3 | (반소) 한화솔루션㈜ | (반소) 호리코리아㈜ | 대금청구소송 반소 | 357 |
4 |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 한화솔루션(주) 외 3 | 손해배상 피소 사건 | 19 |
5 | 한화솔루션(주) | 윤나리 | 추심금 청구 사건 | 151 |
6 | 동원전기(주) | 한화솔루션㈜ | 청구이의 청구 사건 | 167 |
7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 피고 1: JinkoSolar Holding Co., Ltd., JinkoSolar (U.S.) Inc., Jinko Solar (U.S.) Industries Inc., Jinko Solar Co., Ltd., Zhejiang Jinko Solar Co., Ltd., Jinko Solar Technology Sdn., Bhd. (이상 “Jinko”) | 미국 특허 침해소송 | N/A |
(당사자 변경 前) | 피고 2: LONGi Solar Technology Co., Ltd.,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 Co., Ltd., LONGi (H.K.) Trading Ltd., LONGi (Kuching) Sdn. Bhd., Taizhou LONGi Solar Technology Ltd., Zheijiang LONGi Solar Technology Ltd., Hefei LONGi Solar Technology Ltd., LONGi Solar Technology (U.S.) Inc. (이상 “LONGi”) | (Delaware 연방지방법원) | ||
8 | 1. 한화솔루션㈜ | 피고 1: Jinko Solar Australia Holdings Co. Pty. Ltd. | 호주 특허 침해소송 | N/A |
2.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피고 2: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 Co. Ltd. | (시드니 연방법원) | ||
Longi Solar Australia Pty. Ltd. | ||||
Longi Solar Technology Co. Ltd. | ||||
Longi(H.K.) Trading Limited. | ||||
피고 3: REC Solar Pte. Ltd. | ||||
Sol Distribution Pty. Ltd. | ||||
Baywa R.E. Solar Systems Pty. Ltd. | ||||
9 | 한화솔루션(주) | LONGi Netherlands (Trading) BV, LONGi Solar Technologie GmbH, LONGi (H.K.) Trading Limited, Systosolar | 프랑스 특허 침해 소송 | N/A |
10 | REC Solar Pte. Ltd. | 1. 한화솔루션(주) | 미국 특허 침해소송 | N/A |
2. Hanwha Q CELLS USA Inc. | (Delaware 연방지방법원) | |||
11 | Advanced Silicon Group Technologies LLC | 1.한화솔루션 | 미국 특허 침해소송 | N/A |
2.Canadian Solar | (ITC 미국 무역위원회) | |||
3.Boviet Solar | ||||
12 | Advanced Silicon Group Technologies LLC | 1.한화솔루션 | 미국 특허 침해소송 | N/A |
2.Canadian Solar | (캘리포니아 연방 지방법원) | |||
3.Boviet Solar |
나. 채무보증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기준 당사는 해외현지법인의 원활한 자금 조달 및 비용 최소화를 목적으로 국내외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등에 대해 1조 7,829억원 상당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2년 이후 태양광사업 관련 계열사에 대한 채무보증 제공으로 보증 규모가 대폭 증가하는 등 잠재적 재무 부담이 크며, 증가 속도 역시 빠른 편입니다. 해외 종속회사들의 영업 성과가 부진하여 재무적 위험도가 높아질 경우 당사가 지급보증한 금액을 대지급할 수도 있는 위험이 있으니 투자 시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기준 당사의 원활한 사업수행 및 수익성 확보를 목적으로 아래 해외 현지법인의 차입금에 대해 1조 7,829억원 (KRW 80,340백만원, USD 943,841천불, MYR 967,000천링기트, EUR 210,200천유로, CNY 42,000천위안) 상당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
(단위 : 백만원, 천위안,천미불, 천링기트, 천유로) |
성 명 (법인명) |
관 계 | 거 래 내 역 | 채권자 | 채무내용 | 보증기간 | 이사회승인 | |||
---|---|---|---|---|---|---|---|---|---|
기초 | 증가 | 감소 | 당기말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9,600 ($8,000) |
9,600 ($8,000) |
우리은행 뉴 욕 |
무역금융 | 2021.04.02 ~ 2022.04.01 | 2021.02.18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산업은행 뉴 욕 |
무역금융 및 단기차입 |
2021.02.05 ~ 2022.02.04 | 2020.01.02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03 ~ 2022.03.03 | 2021.02.18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
|
18,000 ($15,000) |
국민은행 뉴 욕 |
무역금융 및 단기차입 |
2021.08.20~2022.08.19 | 2021.02.18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종속기업 | |
54,000 ($45,000) |
54,000 ($45,000) |
SC은행 중 국 |
장기차입 | 2021.06.03 ~ 2023.06.02 | 2021.02.18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종속기업 | |
54,000 ($45,000) |
54,000 ($45,000) |
하나은행 중 국 |
장기차입 | 2021.06.03 ~ 2024.06.02 | 2021.02.18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관계기업 | 9,400 ($7,833) |
|
6,040 ($5,033) |
3,360 ($2,800) |
SIDF | 장기차입 | 2012.07.19 ~ 2022.03.19 | 2011.09.19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관계기업 | 5,640 ($4,700) |
3,624 ($3,020) |
2,016 ($1,680) |
SIDF | 장기차입 | 2013.10.02 ~ 2022.03.19 | 2011.09.19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관계기업 | 3,760 ($3,133) |
2,416 ($2,013) |
1,344 ($1,120) |
SIDF | 장기차입 | 2014.05.06 ~ 2022.03.19 | 2011.09.19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3,040 ($2,533) |
|
3,040 ($2,533) |
0 $0 |
SIDF | 장기차입 | 2014.04.09 ~ 2021.06.30 | 2013.05.13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2,372 ($1,977) |
2,372 ($1,977) |
0 $0 |
SIDF | 장기차입 | 2014.12.18 ~ 2021.06.30 | 2013.05.13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668 ($557) |
668 ($557) |
0 $0 |
SIDF | 장기차입 | 2015.04.02 ~ 2021.06.30 | 2013.05.13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종속기업 | 48,000 ($40,000) |
48,000 ($40,000) |
산업은행 | 장기차입 | 2019.09.20 ~ 2022.09.19 | 2019.09.10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종속기업 | 60,000 ($50,000) |
60,000 ($50,000) |
SC은행 싱 가 폴 |
단기차입 | 2021.04.23 ~ 2022.04.23 | 2021.02.18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종속기업 | 56,160 ($46,800) |
56,160 ($46,800) |
SC은행 중 국 |
단기차입 | 2021.04.23 ~ 2022.04.23 | 2021.02.18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종속기업 | 60,000 ($50,000) |
60,000 ($50,00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20.06.29 ~ 2022.06.29 | 2020.05.12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
24,000 ($20,000) |
우리은행 홍 콩 |
단기차입 | 2021.04.13 ~ 2022.04.12 | 2021.02.1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96,000 ($80,000) |
96,000 ($80,000) |
0 $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18.04.20 ~ 2021.04.20 | 2018.04.10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96,000 ($80,000) |
96,000 ($80,000) |
0 $0 |
산업은행 | 장기차입 | 2018.04.24 ~ 2021.04.24 | 2018.04.10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0 $0 |
중국광대은행 | 장기차입 | 2019.01.10 ~ 2022.01.10 | 2019.01.0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0 $0 |
하나은행 | 장기차입 | 2019.01.10 ~ 2022.01.10 | 2019.01.0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48,000 ($40,000) |
48,000 ($40,000) |
0 $0 |
뉴스타큐셀 케이맨 |
사모사채 | 2019.01.10 ~ 2022.01.10 | 2019.01.0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0 $0 |
KB증권 | 사모사채 | 2019.04.08 ~ 2021.10.08 | 2019.03.26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종속기업 | 80,340 | 80,340 | 하나은행 | 사모사채 | 2020.06.17~ 2023.06.17 | 2020.05.12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12,600 ($10,500) |
|
12,600 ($10,500) |
수출입은행 | 단기차입 | 2021.09.23 ~ 2022.09.23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5.11 ~ 2022.05.11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12,000 ($10,000) |
|
12,000 ($10,000) |
Bank of Hope | 단기차입 | 2021.07.09 ~ 2022.07.09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60,000 ($50,000) |
60,000 ($50,000) |
0 $0 |
SC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08.24 ~ 2021.08.23 | 2020.08.11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
60,000 ($50,000) |
|
60,000 ($50,000) |
국민은행 뉴 욕 |
장기차입 | 2021.08.05 ~ 2024.08.05 | 2021.02.18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우리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8.26 ~ 2022.08.25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In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Woori America Bank |
단기차입 | 2021.05.10 ~ 2022.05.10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In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Hana Bank New York Agency |
단기차입 | 2021.05.10 ~ 2022.05.10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Inc.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8.27 ~ 2022.08.26 | 2021.02.18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234,854 (MYR 822,000) |
1,429 (MYR 5,000) |
233,425 (MYR 817,000) |
말레이시아 정부 |
장기차입 | 2012.11.16 ~ 2031.12.01 | 2012.08.14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108,000 ($90,000) |
108,000 ($90,00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20.11.27 ~ 2022.11.28 | 2020.11.10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48,000 ($40,000) |
|
48,000 ($40,000) |
중국농업은행 서 울 |
장기차입 | 2021.09.27 ~ 2023.09.26 | 2021.02.18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168,000 ($140,000) |
168,000 ($140,000) |
SC은행 말레이시아 |
단기차입 | 2021.09.07 ~ 2022.09.06 | 2021.02.18 | ||
Hanwha Q CELL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
42,857 (MYR 150,000) |
42,857 (MYR 150,000) |
CIMB Investment Bank Berhad | Bond | 2021.09.01 ~ 2024.08.30 | 2021.02.18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
24,000 ($20,000) |
|
24,000 ($20,000) |
Citibank Berhad |
무역금융 | 2021.11.29~ 2022.11.28 | 2021.02.18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19,200 ($16,000) |
3,840 ($3,200) |
23,040 ($19,200) |
우리은행 런 던 |
무역금융 및 단기차입 |
2021.10.22 ~ 2022.10.21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33,984 (EUR 25,000) |
33,984 (EUR 25,000) |
국민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11.12 ~ 2022.11.12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40,781 (EUR 30,000) |
40,781 (EUR 30,000) |
SC은행 독 일 |
Bond | 2021.05.04 ~ 2022.05.04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
40,781 (EUR 30,000) |
40,781 (EUR 30,000) |
Commerz 독 일 |
Bond | 2021.05.17 ~ 2024.05.16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
135,936 (EUR 100,000) |
135,936 (EUR 100,00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21.05.14 ~ 2023.05.14 | 2021.02.18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종속기업 | 8,090 ($6,741) |
8,090 ($6,741) |
하나은행 L A |
단기차입 | 2021.08.08 ~ 2022.08.08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9,298 (CNY 49,400) |
9,298 (CNY 49,400) |
0 CNY 0 |
우리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5.20~ 2021.11.2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6,211 (CNY 33,000) |
6,211 (CNY 33,000) |
0 CNY 0 |
국민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6.16 ~ 2021.11.2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5,082 (CNY 27,000) |
5,082 (CNY 27,000) |
0 CNY 0 |
산업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6.28 ~ 2021.11.2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4,200 ($3,500) |
4,200 ($3,500) |
0 $0 |
수출입은행 | 단기차입 | 2021.07.03 ~ 2021.11.26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6,776 (CNY 36,000) |
6,776 (CNY 36,000) |
0 CNY 0 |
하나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8.23 ~ 2022.11.25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6,832 (CNY 36,300) |
6,832 (CNY 36,300) |
0 CNY 0 |
국민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0.09.18 ~2021.08.23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7,227 (CNY 38,400) |
7,227 (CNY 38,400) |
0 CNY 0 |
우리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1.02.26 ~ 2021.08.23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7,905 (CNY 42,000) |
7,905 (CNY 42,000) |
신한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1.03.21 ~ 2022.03.20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6,776 (CNY 36,000) |
6,776 (CNY 36,000) |
0 CNY 0 |
하나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0.08.12 ~ 2021.08.11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6,023 (CNY 32,000) |
6,023 (CNY 32,000) |
0 CNY 0 |
산업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0.12.25 ~ 2021.08.26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종속기업 | 4,969 (CNY 26,400) |
4,969 (CNY 26,400) |
0 CNY 0 |
우리은행 중 경 |
단기차입 | 2020.12.09 ~2021.12.09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종속기업 | 3,105 (CNY 16,500) |
3,105 (CNY 16,500) |
0 CNY 0 |
국민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1.03.26 ~ 2021.09.01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종속기업 | 2,259 (CNY 12,000) |
2,259 (CNY 12,000) |
0 CNY 0 |
산업은행 광 저 우 |
단기차입 | 2020.10.30 ~ 2021.08.31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우리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1.05 ~ 2022.11.0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1.11 ~ 2022.11.11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1.05 ~ 2022.11.0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신한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5.21 ~ 2022.05.20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21,600 ($18,000) |
21,600 ($18,000) |
수출입은행 | 단기차입 | 2021.06.22 ~ 2022.06.22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8,400 ($7,000) |
8,400 ($7,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6.28 ~ 2022.06.28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05 ~ 2022.03.0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19 ~ 2022.03.19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6,000 ($5,000) |
1,200 ($1,000) |
4,800 ($4,000) |
우리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26 ~ 2022.03.25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8.06 ~ 2022.08.05 | 2021.02.18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3,600 ($3,000) |
3,600 ($3,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0.10 ~ 2022.10.10 | 2021.02.18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8,400 ($7,000) |
8,400 ($7,000) |
0 $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11.06 ~ 2021.07.20 | 2020.01.02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19 ~ 2022.03.18 | 2021.02.18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14,400 ($12,000) |
14,400 ($12,000) |
0 $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05.07 ~ 2021.05.07 | 2020.01.02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4,800 ($4,000) |
4,800 ($4,000) |
0 $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05.07 ~ 2021.05.07 | 2020.01.02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6.18 ~ 2022.06.17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신한은행 멕 시 코 |
장기차입 | 2020.04.13 ~ 2022.04.12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8,156 (EUR 6,000) |
8,156 (EUR 6,000) |
0 EUR 0 |
국민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03.31 ~ 2021.06.02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10,875 (EUR 8,000) |
10,875 (EUR 8,000) |
0 EUR 0 |
산업은행 | 단기차입 | 2020.04.28 ~ 2021.04.28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8,156 (EUR 6,000) |
8,156 (EUR 6,000) |
0 EUR 0 |
우리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0.11.20 ~ 2021.05.20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3,262 (EUR 2,400) |
3,262 (EUR 2,400) |
0 EUR 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0.06.09 ~ 2021.06.02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6,797 (EUR 5,000) |
6,797 (EUR 5,000) |
0 EUR 0 |
하나은행 독 일 |
단기차입 | 2020.09.15 ~ 2021.06.02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2,719 (EUR 2,000) |
2,719 (EUR 2,000) |
국민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12.09 ~ 2022.12.09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10,195 (EUR 7,500) |
10,195 (EUR 7,500) |
0 EUR 0 |
산업은행 | 단기차입 | 2020.05.14 ~ 2021.04.23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3,262 (EUR 2,400) |
3,262 (EUR 2,40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1.06.18 ~ 2022.06.18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6,525 (EUR 4,800) |
6,525 (EUR 4,80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1.06.18 ~ 2022.06.18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14,953 (EUR 11,000) |
14,953 (EUR 11,000) |
하나은행 독 일 |
단기차입 | 2021.06.14 ~ 2022.06.13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6,797 (EUR 5,000) |
6,797 (EUR 5,000) |
Raiffeisen Bank |
단기차입 | 2021.06.30 ~ 2022.08.31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8,156 (EUR 6,000) |
8,156 (EUR 6,000) |
0 EUR 0 |
우리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07.29 ~ 2021.09.07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4,894 (EUR 3,600) |
4,894 (EUR 3,600) |
0 EUR 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0.11.30 ~ 2021.09.02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14,681 (EUR 10,800) |
|
14,681 (EUR 10,800) |
0 EUR 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0.11.30 ~ 2021.09.02 | 2020.01.02 |
합계 | 1,890,996 $1,133,275 CNY 385,000 MYR 822,000 EUR 105,500 |
456,194 $163,200 CNY 0 MYR 150,000 EUR 160,000 |
564,317 $352,633 CNY 343,000 MYR 5,000 EUR 55,300 |
1,782,873 $943,841 CNY 42,000 MYR 967,000 EUR 210,200 |
- | - | - | - |
※ 당사는 상기 지급보증 제공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 당사는 20년 1월 2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의 합병 이후 한화큐셀앤드첨단
소재㈜가 제공한 지급보증을 승계하였으며 한화글로벌에셋㈜가 제공한 지급보증
에 대한 연대보증 또한 승계하였습니다.
※적용환율 :\/USD = 1,200.00, \/CNY = 188.21, \/MYR= 285.71, \/EUR= 1,359.36
※ 당사는 채무보증 이외 Hanwha Q CELLS USA Corp에 지급보증이 존재합니다.
법인 | 구분 | 보증기간 | 보증금액 | 비고 | |
---|---|---|---|---|---|
현지통화 (천미불) |
원화 (억원)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2021.08.09~2036.08.09 | $65,000 | 780 | Hanwha Q CELLS USA Corp의 손회사인 BT Coniglio Solar LLC의 전력가격 차액 결재 거래 대금 지급에 대한 지급보증을 제공 |
※적용환율 :\/USD = 1,200.00, \/CNY = 188.21, \/MYR= 285.71, \/EUR= 1,359.36
1) 한화글로벌에셋(주)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한화글로벌에셋은 해외현지법인 등의 원활한 자금조달 및 비용 최소화등을 목적으로 국내외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등에 대해 112,952백만원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있으며 그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USD, 천EUR, 천CNY) |
구 분 | 채무보증 받은 자 | 통 화 | 기초채무보증금액 | 증감 | 기말채무보증금액 | 보증내역 | 채권자 |
---|---|---|---|---|---|---|---|
종속회사 | Hanwha Q CELLS USA, Inc. | USD | 113,333 | -36,667 | 76,667 | 산업은행 뉴욕 외 | |
HQC MAYWOOD LLC | USD | 10,690 | -2,181 | 8,509 | 리스료 지급보증 |
PNC Energy Capital LLC |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USD | 10,298 | -1,347 | 8,951 | PNC Energy Capital LLC | ||
합 계 | USD | 134,321 | -40,194 | 94,127 |
※적용환율 :\/USD = 1,184.90, \/CNY = 183.03, \/EUR= 1,374.31 |
다. 그 밖의 우발채무 등
1) 금융기관 차입약정
(단위 : 천원, 천USD, 천EUR, 천CNY, 천CZK, 천MYR, 천THB, 천MXN) |
약정내용 | 회사 | 통화 | 한도금액 |
당좌차월 | 한화솔루션(주) | KRW | 6,000,000 |
한화컴파운드(주) | KRW | 9,500,000 |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THB | 3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CZK | 127,475 | |
수입관련 Usance | 한화솔루션(주) | USD | 343,700 |
한화컴파운드(주) | USD | 1,000 | |
수출관련 D/A, D/P, Local 및 무역어음 등 | 한화솔루션(주) | USD | 50,000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THB | 70,000 | |
기타 차입한도 | 한화솔루션(주) | KRW | 1,409,000,000 |
USD | 500,650 | ||
EUR | 115,000 |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KRW | 79,500,000 | |
한화컴파운드(주) | KRW | 2,000,000 |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 KRW | 11,724,000 | |
해맞이태양광발전(주) | KRW | 1,121,000 | |
하이패스태양광 ㈜ | KRW | 9,080,500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KRW | 6,945,000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CNY | 1,960,000 | |
USD | 90,000 |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THB | 90,000 | |
Hanwha Holdings(USA), Inc. | USD | 238,506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USD | 255,500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USD | 6,741 | |
Hanwha Q CELLS Co., Ltd. | CNY | 190,000 | |
USD | 310,000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CNY | 190,000 | |
USD | 140,000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USD | 50,000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KRW | 80,000,000 | |
Hanwha Q CELLS Gmbh | EUR | 125,000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MYR | 795,151 | |
USD | 27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CNY | 35,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CNY | 22,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CZK | 356,93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MXN | 112,867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CNY | 164,000 | |
USD | 3,500 | ||
합 계 | KRW | 1,614,870,500 | |
USD | 2,259,597 | ||
EUR | 240,000 | ||
CNY | 2,561,000 | ||
MYR | 795,151 | ||
CZK | 484,405 | ||
THB | 190,000 | ||
MXN | 112,867 |
2) 주식 매매계약서상의 약정사항
회사는 2021년 7월 30일 삼성물산㈜, 삼성SDI㈜로부터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의 지분을 인수하였습니다. 지분 인수 대금 및 이자 약 4,793억원 중 약 1,917억원은 1차 지급 완료하였으며, 2023년 7월까지 2차 및 3차 지급금 약 2,876억원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2차 및 3차 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양수하는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하였습니다.
회사는 2021년 8월 19일 웨이브일렉트로닉스㈜로부터 ㈜더블유오에스 지분을 100% 인수하여 지배력을 획득하였습니다. 이전 대가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400억원의 조건부대가(Earn-out)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주 및 매출액 목표 달성 시 2022년~2025년까지 최대 400억원을 분할지급할 예정입니다.
3) 임직원을 위한 지급보증
한화솔루션㈜는 2021년 09월 30일 현재 임직원에 대한 28,826백만원의 대출과 관련하여 차입처에 대해 지급보증(대출보증액: 34,592백만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라. 제제 등과 관련된 사항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당사는 아래와 같은 제재 현황이 있으니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수사/사법기관의 제재현황
(1)회사의 제재 현황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주) | 2017.06.23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 회사 | 벌금 부과 | 500만원 | - | - 사유 :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설치 및 조업행위 | - 단속 즉시 전남도청으로부터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10기에 대한 허가 취득 | - 향후 사전 허가 취득 및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해 타 사업장과 허가 관련 정보 공유 |
- 근거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 |||||||||
2017.08.24 | 울산지방법원 | 회사 | 약식기소 및 벌금 부과 | 200만원 | - | - 사유: 2017년 1월 25일 울산3공장에서 탱크 내부의 슬러지 반출 작업 중 상부 슬러지 붕괴로 인한 매몰 사고가 발생에 의해 작업자 1명이 사망 | -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를 완료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 근거법령: 산업안전보건법, 형법 | |||||||||
2017.11.21 | 광주지방법원 | 회사 | 벌금 부과 | 500만원 | - | - 사유: 여수공장에서 2017년5월22일 유기용제 누출사고 및 2017년 5월 30일 고압분리기 화재사고가 발생 | -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를 완료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 근거법령: 산업안전보건법 | |||||||||
2018.11.15 | 울산지방법원 | 회사 | 벌금 2,000만원 | - | - | - 사유 : 울산2공장 염소누출사고에 따른 약식기소 결정에 따른 벌금 부과 | - 화학사고 발생시 15분 이내에 신고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형법,형사소송법 | - 공정 가동시 안전조치 철저 | ||||||||
한화글로벌에셋,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2018.11.9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회사 | 100만원의 벌금 약식명령 | - | - | - 사유 : 2017. 11. 1.경 회사 음성사업장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환경부령 기준 이상으로 발생되는 배출시설 2기를 시도지사의 배출시설 설치 허가 받지 아니하고 설치하여 사용함 | - 벌금 납부완료 | 배출에 대한 도지사 허가받고, 월2회 외부 공인기관에 검사 의뢰함 |
- 근거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제89조 제1호, 제23조 제1항, 제95조,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 (2018.11.26) |
(2) 임/직원의 제재현황
회사 | 일자 | 제재 기관 |
대상자 | 전현직 여부 |
근속 연수 |
조치내용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2017.06.23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 환경안전부장 | 전직 | 28.8개월 | 벌금부과 500만원 | - 사유 :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설치 및 조업행위 | - 단속 즉시 전남도청으로부터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10기에 대한 허가 취득 | - 향후 사전 허가 취득 및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해 타 사업장과 허가 관련 정보 공유 |
- 근거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 |||||||||
2018.11.15 | 울산지방법원 | 공장장 | 전직 | 30년 이상 | 벌금 부과 1,000만원 | - 사유 : 울산2공장 염소누출사고에 따른 약식기소 결정에 따른 벌금 부과 | - 화학사고 발생시 15분 이내에 신고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형법,형사소송법 | - 공정 가동시 안전조치 철저 | ||||||||
2020.1.20. | 광주지방법원 | 직원 2인 | 현직 | 각 9년 1개월, 8년 5개월 | 벌금 각 700만원 | - 사유: 대기오염물질 측정대행업체와 공모하여, 측정하지 않고 기록부를 작성하거나, 실제 측정값보다 낮은 기록부를 작성하였고, 이를 유관기관에 제출하여 공무원의 업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혐의 | - 벌금 납부 완료 및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 완료 | - 환경시험검사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순천지원 | - 근거법령: 환경시험검사법, 형법 | - 광주지방법원 항소심 계류 중 | |||||||
2020.9.1. | 광주지방법원 | 직원 | 현직 | 25년 3개월 | 벌금 1,000만원 | - 사유: 대기오염물질 측정대행업체와 공모하여, 측정하지 않고 기록부를 작성하거나, 실제 측정값보다 낮은 기록부를 작성하였고, 이를 유관기관에 제출하여 공무원의 업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혐의 | - 벌금 납부 완료 및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 완료 | - 환경시험검사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순천지원 | - 근거법령: 환경시험검사법, 형법 | - 대법원 상고심 계류 중 | |||||||
한화글로벌에셋,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2018.11.9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직원 | 전직 | - | 벌금 부과 100만원 | - 사유 : 2017. 11. 1.경 회사 음성사업장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환경부령 기준 이상으로 발생되는 배출시설 2기를 시도지사의 배출시설 설치 허가 받지 아니하고 설치하여 사용함 | - 벌금 납부완료 | 배출에 대한 도지사 허가받고, 월2회 외부 공인기관에 검사 의뢰함 |
- 근거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제89조 제1호, 제23조 제1항, 제95조, 형사소송법 제334조 제1항 | (2018.11.26) |
2) 행정기관의 제재현황
(1) 회사의 제재 현황
가) 조세당국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2018.02.20 | 국세청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법인세등 총 572억원 부과 |
법인세등 총 572억원 부과 |
- | 국세기본법 제81조의 12 | - 2018년 4월 30일 납부완료 - 카메라사업 비적격분할 과세처분(324.4억원)에 대해서는 2018년 6월 27일 과세처분 취소 심판청구 제기 - 2019년 8월 13일 당사 의견 인용 결정 - 2019년 9월 332.9억원 당사 수취(사건 종결) |
세무 관련 내부교육 및 관리 강화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2021.04.21 | 서울지방국세청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가산세 (법인세) |
- 법인세 963백만원 - 지방소득세 1,342백만원 |
- | - 법인세법 제15,19, 23, 25, 28, 40, 42, 52조 - 부가가치세법 제10, 12조 |
- 가산세 납부완료 (2021.05.31) |
- 시정 조치 및 특별 교육 실시 |
나) 공정거래위원회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2020.12.22 |
공정거래위원회 |
회사 |
-과징금 납부명령 -시정명령 (향후 행위 금지 명령) |
15,687백만원 |
- |
- 사유: 2008년경부터 2019년경까지의 당사와 ㈜한익스프레스 간의 컨테이너 내륙운송, 탱크로리 운송 거래에 대하여 공정거래법 위반(부당지원) -근거법령: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3조 제1항 제7호 |
-과징금 납부 완료(2021. 3. 5.) |
- 과징금 등 처분 취소 행정소송 제기(2021. 1. 19.) |
㈜한화갤러리아 |
2017.06.21. |
공정거래위원회 |
회사 |
시정명령 및 과징금 |
224백만원 |
- |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
과징금 납부 |
공동판촉행사 약정서 체결관련 사내재교육 및 이행여부 사내 점검 실시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2017.06.21 |
공정거래위원회 |
회사 |
시정명령 및 |
224백만원 |
- |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
- 과징금 납부 |
공동판촉행사 약정서 체결관련 사내재교육 및 이행여부 사내 점검 실시 |
다) 관세청: 해당사항 없음
라) 기타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 |
2016.12.21 |
금융위원회 |
회사 |
- 1개월간(2016.12.21~2017.1.20) 증권발행 제한 |
- | - |
- 사유: 피합병법인(주)한화베이시스(舊 (주)드림파마)의 '특수관계자에 대한 '05~'06년 자금대여거래'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2017.04.06 |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
회사 |
- 1차 경고 및 과태료 |
240만원 |
- |
- 사유 : 환경분야 통합지도점검수검시 도급신고 미이행 적발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도급신고 이행 및 관리 |
사내 작업하는 모든 협력업체 인원에 대해서 전원 교육실시 |
|
2017.12.08 |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한국환경공단, 영산강유역환경청 환경감시단 |
회사 |
과태료 |
144만원 |
- |
- 사유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사업장 정밀점검 수검시 유해화학물질 취급종사자 안전교육 미이수 적발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
- 추가 지적사항 발생치 않도록 관리 |
- 2018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및 종사자 전원 교육 실시 예정 |
|
2018.05.17 |
부산지방노동청 울산지청, |
회사 |
부분작업중지명령, |
- |
- |
- 사유: 2018년 5월 17일 울산2공장 염소 하역시설에서 염소를 하역하던 중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염소가 누출되어 당사 직원 1명, 협력업체 직원 2명 및 인근 주민 25명이 염소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발생 - 근거법령: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
- 설비 개선 및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 완료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2019.03.08 |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전남권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
회사 |
과태료 |
144만원 |
- |
- 사유 : 안전작업허가 세칙 미준수 외 8건 |
과태료 납부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2019.05.03 |
전라남도 |
회사 |
제1공장 과태료 200만원 제 2공장 과태료 200만원 제3공장 과태료200만원 |
좌동 |
- |
- 사유 : 자가측정결과 거짓 기록 - 근거 법령: 대기환경보전법 |
- 과태료 납부 |
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 관련 제반 규정 준수 노력 |
|
2019.05.31 |
전남권 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 |
회사 |
과태료 |
224만원 |
- |
-사유 : 공정안전정보 최신화 누락 외 13건 -근거 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
- 과태료 납부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2021. 7. 14. |
전라남도 |
회사 |
1차 경고 및 과태료 |
200만원 |
- |
-사유 : 부식·마모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새나가는 배출시설 방치 -근거 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
-과태료 납부(160만원 사전납부)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 완료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한화글로벌에셋,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2016.12.21 |
금융위원회 |
회사 |
-과징금 부과 |
600백만원 |
- |
- 사유: 특수관계자에 대한 '04~'06년 자금대여거래 등 주석 미기재, 증권신고서 거짓 기재 |
- 과징금 납부완료(2017.03.08)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한화갤러리아 |
2016.12.28 |
금융위원회 |
회사 |
-과징금 720백만원 |
좌동 |
- |
- 사유: 특수관계자에 대한 '04~'06년 자금대여거래 등의 주석 미기재, 증권신고서 거짓 기재 |
- 과징금 납부완료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2016. 12.27 |
금융위원회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 과징금 60백만원, 감사인 지정 2년 (2016.12.28) - 과징금 60백만원 부과처분 취소 (2019.04.24) |
60백만원 | - | 제26기('04년)~제28기('06년)까지의 재무제표 상 특수관계자 자금대여거래에 대한 주석 미기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부칙 제8635호, 舊증권거래법 제206조의 11 제1항,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6조 2항,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 |
- 과징금 납부(2017.03.02) - 감사인 지정조치 이행 |
- 금감원 배포(2013년 11월)공시모범사례를 기준으로 주석 사항을 지속 관리해왔으므로 오류 재발 가능성 없음 - 향후에도 특수관계자 거래 관련 주석 공시를 철저하게 관리하여 재발 방지 |
2020. |
평창시청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 과태료 20만원 | 20만원 | - | 숙박업 기존영업주 공중위생교육 미이수 (공중위생관리법 제17조) |
- 과태료 납부 완료 |
- 시정 조치 및 특별 교육 실시 |
|
2020. 08.01 |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 과태료 30만원 | 30만원 | - | 조식뷔페 원산지 미표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제3항·제4항) |
- 과태료 납부 완료 | - 시정 조치 및 특별 교육 실시 | |
2021. 02.16 |
서울지방 고용노동청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과태료:240만원 | 240만원 | - |
산업재해 발생 미 신고 (산업안전보건법 제57조 1항, 제3항 동법 |
- 과태료 납부 완료 |
- 사고 보고 체계 개편 및 교육 실시 |
|
한화투자증권 |
2018.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약식제재금 부과 |
부과: 1백만원 납부: 1백만원 |
- |
프로그램매매 호가표시 위반 |
- 약식제재금 납부 |
- 업무매뉴얼 정비 및 모니터링 강화 - 예방교육 실시 |
2019. 07.09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제재금 부과 |
부과: 4백만원 납부: 4백만원 |
- |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제33조) |
- 불성실공시법인공시(5영업일) - 제재금 납부 |
- 업무매뉴얼 정비 | |
2020.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약식제재금 부과 |
부과: 1.5백만원 납부: 1.5백만원 |
- |
프로그램매매 호가표시의무 위반 |
- 약식제재금 납부 |
- 재발방지를 위한 자체점검 및 교육실시 - 편람/매뉴얼 업무정의 수정 - 시스템 변경 등 사전제어 |
|
2020.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약식제재금 부과 |
부과: 2백만원 납부: 2백만원 |
- |
미결제약정수량 보유한도 위반 |
- 약식제재금 납부 |
- 재발방지를 위한 자체점검 및 교육실시 - 편람/매뉴얼 업무정의 수정 - 시스템 변경 등 사전제어 |
(2) 임/직원의 제재현황
가) 조세당국: 해당사항 없음
나) 공정거래위원회: 해당사항 없음
다) 관세청: 해당사항 없음
라) 기타
회사 | 일자 | 제재 기관 |
대상자 | 전현직 여부 |
근속 연수 |
조치내용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갤러리아 |
2016.12.28 |
금융위원회 |
전 대표이사 |
전직 |
- |
과징금 16백만원 |
- 사유: 특수관계자에 대한 '04~'06년 자금대여거래 등의 주석 미기재, 증권신고서 거짓 기재 |
- 과징금 납부완료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주)한화 저축은행 |
2018. 10.18 |
금융감독원 |
前성남지점장 |
전직 | 18년 3개월 |
주의 |
[사유] 2. 舊 「상호저축은행법 시행령」 제11조의6 4.「상호저축은행업감독업무시행 |
1. 원안대로 처리 2. 감사위원회 '금감원 검사결과 조치요구' 보고 3. 검사결과 조치요구사항 정리 보고서 금감원제출(2018.11.29) |
대출심사 철저 해당 대출상품 신규 중단 |
2019. 01.08 |
금융감독원 |
前준법감시인 |
전직 | 17년 4개월 16년 3개월 |
주의 |
[사유] 2.「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7조 4.「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조의2 |
1. 원안대로 처리 2. 감사위원회 '금감원 검사결과 조치요구’보고 3. 검사결과 조치요구사항 정리 보고서 금감원제출(2019.03.27) |
자금세탁 교육 자금세탁방지 관련 전산시스템 개선 |
당사가 부담하고 있는 우발부채 및 채무보증이 현실화될 경우 당사의 재무구조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재 등으로 인하여 당사 영업활동 시 과징금 또는 벌금 부과 등이 집행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더불어, 향후 예측하지 못한 상황으로 인해 피소되거나 정책당국의 제제를 받을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이로 인해 당사의 영업활동이 제약되거나 추가적인 현금유출로 인해 손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
차. 당사는 2020년 12월 8일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를 통해서,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당사가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또한, (주)한화도시개발의 자회사와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기존 (주)한화도시개발 사업부문 중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당사에 흡수합병하고, 이를 통해 (주)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게 하는 분할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해당 흡수합병이전 (주)한화갤러리아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분할합병할 (주)한화도시개발의 지분 또한 100%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흡수합병 및 분할합병 대상 회사 모두 당사의 100% 종속회사였고,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방식에 의한 합병이므로 해당 합병으로 인한 연결기준 당사 연결실체의 변동은 없습니다. 다만, 투자자께서는 해당 합병으로 인한 연결기준 당사 연결실체의 변동은 없으나, 합병 이후 당사의 향후 실적, 영업환경 변화 및 재무안정성 지표의 변동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당사는 2020년 12월 8일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를 통해서, 당사가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기로 공시하였고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해당 합병이 완료되었습니다. 당사는 흡수합병 이전 (주)한화갤러리아의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분할합병할 (주)한화도시개발의 지분 또한 100%를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합병 당시 흡수합병 및 분할합병 대상 회사 모두 당사의 100% 종속회사였기 때문에 해당 합병으로 인한 연결기준 당사 연결실체의 변동은 없으며, 신용평가사들 또한 당사에 연결기준으로 평가방법론을 적용 중이었므로, 금번 합병이 당사 신용등급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입니다. 또한 본 흡수합병 및 분할합병은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방식에 의한 합병이었으므로 합병 후 존속회사인 한화솔루션(주)의 자본금에 별도의 변동사항은 없습니다. 합병 당시 본 합병의 개요도 및 주요사항보고서 공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당사의 한화갤러리아 합병 및 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개요] |
![]() |
한화갤러리아 및 도시개발 합병 내용 |
(출처 : 당사 제시) |
[당사의 2020년 12월 8일 주요사항보고서(회사합병결정)] |
1. 합병방법 |
한화솔루션㈜는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고 및 ㈜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고자 함 본건 합병을 통해 한화솔루션㈜는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한화갤러리아는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이하 “본건 합병”)되는바, ㈜한화갤러리아는 본건 합병으로 인하여 소멸하며, 한화솔루션㈜는 본건 합병 후 존속함 이와 동시에 본건 분할합병을 통해 ㈜한화도시개발은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 11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기존 ㈜한화도시개발 사업부문 중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 이하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이하 “본건 분할합병”)하는바, 이를 통해 ㈜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게 됨 |
|||||
- 합병형태 | 소규모합병 | |||||
2. 합병목적 |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 |||||
3. 합병의 중요영향 및 효과 |
본 주요사항보고서 제출일 현재 한화솔루션(주)은 (주)한화갤러리아와 (주)한화도시개발의 발행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진행하므로 본건 합병 및 분할합병이 존속회사인 한화솔루션(주)의 경영, 재무, 영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나, 완전자회사 합병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및 사업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본건 분할합병으로 ㈜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지속 영위하는 회사로서 존속하고, 한화솔루션㈜는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승계받아 영위할 예정이며, 본건 분할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본건 분할합병으로 한화솔루션㈜ 및 ㈜한화도시개발 주주의 구성 및 지분율 변동은 없음 |
|||||
4. 합병비율 | 한화솔루션(주) : (주)한화갤러리아 = 1.0000000 : 0.0000000 (합병비율) 한화솔루션(주) : (주)한화도시개발 = 1.0000000 : 0.0000000 (분할합병비율) |
|||||
5. 합병비율 산출근거 | 한화솔루션(주)는 본건 합병 및 분할합병 상대회사인(주)한화갤러리아 및(주)한화도시개발의 주식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본건 합병 및 분할합병으로 한화솔루션㈜는 본건 합병 및 분할합병 상대회사의 주식에 대해 신주를 발행하지 않으므로 합병비율은 각 1.0000000 : 0.0000000으로 산정함 | |||||
6. 외부평가에 관한 사항 | 외부평가 여부 | 미해당 | ||||
- 근거 및 사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7항 제2호 나목 단서에 의하여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 총수를 소유하고 있는 회사가 그 다른 회사를 합병하면서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병가액의 적정성에 대한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를 받을 의무가 없는 바, 본건 합병 및 분할합병은 이에 해당하므로 위 규정에 따라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를 거치지 아니하였음 | |||||
외부평가기관의 명칭 | - | |||||
외부평가 기간 | - | |||||
외부평가 의견 | - | |||||
7. 합병신주의 종류와 수(주) | 보통주식 | - | ||||
종류주식 | - | |||||
8. 합병상대회사 | 회사명 | (17.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주요사업 | - | |||||
회사와의 관계 | - | |||||
최근 사업연도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 | 자본금 | - | ||
부채총계 | - | 매출액 | - | |||
자본총계 | - | 당기순이익 | - | |||
- 외부감사 여부 | 기관명 | - | 감사의견 | - | ||
9. 신설합병회사 | 회사명 | - | ||||
설립시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 | 부채총계 | - | ||
자본총계 | - | 자본금 | - | |||
- | 현재기준 | |||||
신설사업부문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원) | - | |||||
주요사업 | - | |||||
재상장신청 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0. 합병일정 | 합병계약일 | 2020년 12월 22일 | ||||
주주확정기준일 | 2020년 12월 23일 | |||||
주주명부 폐쇄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합병반대의사통지 접수기간 | 시작일 | 2020년 12월 23일 | ||||
종료일 | 2021년 01월 06일 | |||||
주주총회예정일자 | - | |||||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구주권 제출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매매거래 정지예정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채권자이의 제출기간 | 시작일 | 2021년 02월 20일 | ||||
종료일 | 2021년 03월 19일 | |||||
합병기일 | 2021년 04월 01일 | |||||
종료보고 총회일 | 2021년 04월 01일 | |||||
합병등기예정일자 | 2021년 04월 02일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신주의 상장예정일 | - | |||||
11. 우회상장 해당 여부 | 아니오 | |||||
12. 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3.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 행사요건 | 본 합병은 소규모합병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바 상법 제527조의3 제5항에 의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아니함 | ||||
매수예정가격 | - | |||||
행사절차, 방법, 기간, 장소 | - | |||||
지급예정시기, 지급방법 | - | |||||
주식매수청구권 제한 관련 내용 | - | |||||
계약에 미치는 효력 | - | |||||
14.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0년 12월 08일 | |||||
- 사외이사참석여부 | 참석(명) | 6 | ||||
불참(명) | 0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15.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 계약내용 | - | |||||
16.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신주발행 없음 |
17.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본건 합병 관련, '8. 합병상대회사’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8. 합병상대회사 |
회사명 |
㈜한화갤러리아 |
|||
주요사업 |
백화점과 도소매업 및 부동산 임대업 |
||||
회사와의 관계 |
자회사 |
||||
최근 사업연도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2,183,625,578,921 |
자본금 |
110,000,000,000 |
|
부채총계 |
1,252,214,553,361 |
매출액 |
474,396,878,501 |
||
자본총계 |
931,411,025,560 |
당기순손익 |
(89,644,092,501) |
||
- 외부감사 여부 |
기관명 |
삼정회계법인 |
감사의견 |
적정 |
본건 분할합병 관련, '8. 합병상대회사’ 및 ‘분할에 관한 사항’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8. 합병상대회사 |
회사명 |
(주)한화도시개발 |
|||
주요사업 |
부동산 개발 |
||||
회사와의 관계 |
자회사 |
||||
최근 사업연도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198,010,523,200 |
자본금 |
50,000,000,000 |
|
부채총계 |
6,901,692,228 |
매출액 |
10,645,045,364 |
||
자본총계 |
191,108,830,972 |
당기순손익 |
(19,126,998,747) |
||
- 외부감사 여부 |
기관명 |
한영회계법인 |
감사의견 |
적정 |
가. 분할로 이전할 사업 및 재산의 내용 |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 | |||||||
나. 분할 후 존속회사 |
회사명 |
(주)한화도시개발 | ||||||
분할후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90,005,095,700 |
부채총계 |
96,885,713 | ||||
자본총계 |
89,908,209,987 |
자본금 |
23,448,060,000 | |||||
2020.09.30 |
현재기준 |
|||||||
존속사업부문 최근 |
10,645,045,364 | |||||||
주요사업 |
부동산 개발 | |||||||
분할 후 상장유지 여부 |
아니오 |
|||||||
다. 분할설립 회사 |
회사명 |
- |
||||||
설립시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 |
부채총계 |
- |
||||
자본총계 |
- |
자본금 |
- |
|||||
- |
- |
|||||||
신설사업부문 최근 |
- |
|||||||
주요사업 |
- |
|||||||
분할후 상장유지여부 |
해당사항없음 |
|||||||
라.감자에 관한 사항 |
감자비율(%) |
- |
||||||
구주권제출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매매거래정지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신주배정조건 |
- |
|||||||
- 주주 주식수 비례여부 및 사유 |
- |
|||||||
신주배정기준일 |
-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신주의 상장예정일 |
- |
합병의 상대방
합병 분할합병 회사 | 상호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소재지 | 서울 중구 청계천로 86 | |
대표이사 | 이구영, 김희철, 류두형, 김동관 | |
법인구분 |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
합병 상대회사 | 상호 |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
|
대표이사 |
김은수 |
|
법인구분 |
비상장법인 |
분할합병 상대회사 | 상호 |
주식회사 한화도시개발 |
소재지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62번길 16 |
|
대표이사 |
최광호 |
|
법인구분 |
비상장법인 |
(출처 : 당사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
당사와 (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부터 살펴보면, 기존에 당사는 (주)한화갤러리아를 100% 자회사로서 보유하고 있었으며, (주)한화갤러리아의 자회사로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를 보유하고, 당사의 유통 사업부문인 백화점 사업 등을 영위하였습니다. 해당 합병으로 당사는 (주)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여 별도의 사업부문으로 흡수하였고, 자회사로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를 소유하는 구조로 유통 사업부문을 개편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해당 합병으로 (주)한화갤러리아는 소멸하고, 한화솔루션㈜는 ㈜한화갤러리아의 기존 사업을 전부 승계받아 영위하고 있으며, 해당 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진행되었기 떄문에 해당 합병으로 인해 한화솔루션㈜ 주주의 구성 및 지분율 변동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당사와 (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과 동시에 (주)한화도시개발은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기존 ㈜한화도시개발 사업부문 중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당사에 흡수합병하였고, 이를 통해 (주)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게된 상황입니다. 당사는 (주)한화도시개발의 발행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본건 분할합병으로 (주)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지속 영위하는 회사로서 존속하고, 당사는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승계받아 영위하고 있으며 본건 분할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본건 분할합병으로 당사 및 (주)한화도시개발 주주의 구성 및 지분율 변동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다음은 합병 이전 당사의 (주)한화갤러리아 및 (주)한화도시개발 지분 보유 현황이며, 합병 이전 (주)한화갤러리아 및 (주)한화도시개발의 연결기준 최근 재무제표입니다.
[(주)한화갤러리아의 최근 2년간 요약 재무상태표(연결기준)] |
(단위:원) |
과목 | 2020년 | 2019년 |
---|---|---|
자산 | ||
I. 유동자산 | 646,758,198,493 | 746,272,177,806 |
현금및현금성자산 | 70,413,282,903 | 76,929,004,048 |
유가증권 | - | 1,064,182 |
기타금융자산 | 15,491,414,140 | 144,395,167,649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93,088,233,378 | 197,495,705,335 |
기타유동자산 | 3,915,492,730 | 4,615,360,295 |
재고자산 | 28,339,641,775 | 25,127,572,842 |
매각예정비유동자산 | 335,510,133,567 | 297,708,303,455 |
II. 비유동자산 | 1,407,724,088,922 | 1,437,353,401,115 |
유가증권 | 62,011,105,125 | 58,631,095,305 |
기타금융자산 | 12,729,131,245 | 9,104,002,275 |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 | 392,845,950 | 1,394,579,290 |
투자부동산 | 15,004,897,337 | 15,495,349,348 |
유형자산 | 1,149,079,627,211 | 1,271,380,574,449 |
사용권자산 | 131,076,482,218 | 45,843,572,556 |
무형자산 | 10,214,936,712 | 10,202,602,430 |
기타비유동자산 | 541,414,995 | 642,907,133 |
이연법인세자산 | 26,673,648,129 | 24,658,718,329 |
자산총계 | 2,054,482,287,415 | 2,183,625,578,921 |
부채 | ||
I. 유동부채 | 1,034,706,166,121 | 658,775,727,492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308,422,973,524 | 323,535,323,508 |
차입금및사채 | 578,684,883,874 | 232,487,095,444 |
기타금융부채 | 39,480,140,576 | 23,862,878,775 |
충당부채 | - | 2,566,400 |
기타유동부채 | 76,828,494,813 | 76,547,493,367 |
당기법인세부채 | 31,289,673,334 | 2,340,369,998 |
II. 비유동부채 | 488,293,813,136 | 593,438,825,869 |
차입금및사채 | 136,670,221,204 | 345,524,316,394 |
기타금융부채 | 6,069,338,942 | 69,289,359,753 |
순확정급여부채 | 73,386,997,946 | 70,983,994,113 |
충당부채 | 2,108,400,000 | 1,061,053,384 |
이연법인세부채 | 86,883,363,121 | 106,580,102,225 |
부채총계 | 1,522,999,979,257 | 1,252,214,553,361 |
자본 | ||
I. 지배기업 주주지분 | 531,482,263,399 | 918,273,005,482 |
자본금 | 110,000,000,000 | 110,000,000,000 |
자본잉여금 | 337,742,516,634 | 344,363,059,638 |
자본조정 | (2,152,347,433) | (2,152,347,433)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38,663,816,261) | (40,753,745,136) |
이익잉여금 | 124,555,910,459 | 506,816,038,413 |
II. 비지배지분 | 44,759 | 13,138,020,078 |
자본총계 | 531,482,308,158 | 931,411,025,560 |
부채와자본총계 | 2,054,482,287,415 | 2,183,625,578,921 |
(출처 : (주)한화갤러리아 각 사업연도 연결 감사보고서) |
[(주)한화갤러리아의 최근 2년간 요약 손익계산서(연결기준)] |
(단위:원) |
과목 | 2020년 | 2019년 |
---|---|---|
매출액 | 455,392,405,120 | 474,396,878,501 |
매출원가 | 132,287,943,964 | 150,352,277,248 |
매출총이익 | 323,104,461,156 | 324,044,601,253 |
판매비와관리비 | 320,288,136,332 | 282,277,569,762 |
영업이익 | 2,816,324,824 | 41,767,031,491 |
기타수익 | 65,313,181,076 | 7,348,652,514 |
기타비용 | (19,051,273,620) | 71,958,954,262 |
금융수익 | 3,987,924,866 | 5,385,068,148 |
금융비용 | (30,686,026,777) | 15,721,882,032 |
지분법손익 | (1,427,379,461) | 2,903,740,923 |
법인세비용차감전이익(손실) | 20,952,750,908 | (30,276,343,218) |
법인세비용(수익) | 8,975,374,735 | (4,354,485,362) |
계속영업당기순이익(손실) | 11,977,376,173 | (25,921,857,856) |
세후중단영업순이익(손실) | - | (63,722,234,645) |
당기순이익(손실) | 11,977,376,173 | (89,644,092,501) |
기타포괄손익 | 2,041,451,429 | (25,070,109,017) |
총포괄손익 | 14,018,827,601 | (114,714,201,518) |
(출처 : (주)한화갤러리아 각 사업연도 연결 감사보고서) |
[(주)한화도시개발 최근 2년간 요약 재무상태표(별도기준)] |
(단위:원) |
구 분 | 2020년 | 2019년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5,586,141,909 | 7,975,098,030 |
현금및현금성자산 | 283,749,513 | 3,757,773,508 |
매출채권 | 4,285,600,000 | 1,119,800,000 |
기타유동금융자산 | 1,016,792,396 | 2,752,499,464 |
기타유동자산 | - | 56,724,428 |
당기법인세자산 | - | 288,300,630 |
Ⅱ. 소유주분배예정자산집단 | 121,232,225,362 | - |
Ⅲ. 비유동자산 | 84,284,610,498 | 190,035,425,170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 | 844,738,622 |
종속기업및관계기업투자 | - | 87,500,471,452 |
유형자산 | 84,284,610,498 | 97,202,708,395 |
무형자산 | - | 4,214,962,308 |
사용권자산 | - | 272,544,393 |
자 산 총 계 | 211,102,977,769 | 198,010,523,200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970,646,872 | 1,759,287,499 |
기타유동금융부채 | 900,797,930 | 1,369,754,319 |
기타유동부채 | 69,848,942 | 389,533,180 |
Ⅱ. 소유주분배예정부채집단 | 15,266,702,066 | - |
Ⅲ. 비유동부채 | - | 5,142,404,729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 | 91,683,637 |
퇴직급여부채 | - | 4,869,325,813 |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 - | 181,395,279 |
부 채 총 계 | 16,237,348,938 | 6,901,692,228 |
자 본 | ||
Ⅰ. 자본금 | 50,000,000,000 | 50,000,000,000 |
Ⅱ. 자본잉여금 | 215,047,539,491 | 215,047,539,491 |
Ⅲ. 미처리결손금 | (70,181,910,660) | (73,938,708,519) |
자 본 총 계 | 194,865,628,831 | 191,108,830,972 |
부채와자본총계 | 211,102,977,769 | 198,010,523,200 |
(출처 : 당사 (주)한화도시개발 각 사업연도 감사보고서) |
[(주)한화도시개발 최근 3년간 요약 손익계산서(별도기준)] |
(단위:원) |
구 분 | 2020년 | 2019년 |
---|---|---|
영업수익 | - | - |
영업비용 | 2,514,479,416 | 216,466,526 |
영업손익 | (2,514,479,416) | (216,466,526) |
기타수익 | - | - |
기타비용 | - | - |
금융수익 | - | - |
금융원가 | - |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2,514,479,416) | (216,466,526) |
법인세비용 | - | - |
계속영업당기순손익 | (2,514,479,416) | (216,466,526) |
중단영업당기순손익 | 6,600,947,498 | (18,910,532,221) |
당기순손익 | 4,086,468,082 | (19,126,998,747) |
기타포괄손익 | (329,670,223) | (688,104,102) |
총포괄손익 | 3,756,797,859 | (19,815,102,849) |
(출처 : 당사 (주)한화도시개발 2020년 감사보고서) |
본 합병과 관련하여 합병 전·후 재무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래 한화솔루션㈜와 ㈜한화갤러리아, 분할신설회사 ㈜한화도시개발의 수치는 2020년 12월 31일 기준 K-IFRS에 의해 작성된 별도 재무상태표입니다. 또한 본 건 합병 후 재무상태표는 추정 재무상태표이므로 실제 합병기일(2021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작성될 합병 재무제표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합병기준일과 재무상태표 기준일 사이에 발생한 재무 변동으로 인해 합병 후 추정 재무상태표는 실제 재무상태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2021년 3분기 별도 기준 당사의 재무상태표를 추정 재무상태표와 비교하시어 해당 합병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에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합병 이후 재무상태표] |
(단위:원) |
구 분 | 합병 전 | 합병 직후 추정재무상태표 |
2021년 3분기 당사 별도 재무상태표 | ||
---|---|---|---|---|---|
한화솔루션(주) (합병법인) |
(주)한화갤러리아 (피합병법인) |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대상부문 (피합병법인) |
|||
자산 | |||||
유동자산 | 2,092,799,425,548 | 604,841,899,570 | 7,564,779,622 | 2,705,188,210,534 | 3,239,870,043,481 |
비유동자산 | 8,533,615,206,754 | 1,288,690,065,806 | 113,667,445,740 | 9,319,999,448,157 | 10,961,927,385,535 |
자산총계 | 10,626,414,632,302 | 1,893,531,965,376 | 121,232,225,362 | 12,025,187,658,691 | 14,201,797,429,016 |
부채 | |||||
유동부채 | 2,408,747,376,467 | 875,499,970,837 | 3,732,953,931 | 3,287,962,354,518 | 3,169,407,291,533 |
비유동부채 | 2,493,445,749,309 | 439,574,895,386 | 12,434,546,065 | 2,945,455,190,760 | 3,263,355,827,901 |
부채총계 | 4,902,193,125,776 | 1,315,074,866,223 | 16,167,499,996 | 6,233,417,545,278 |
6,432,763,119,434 |
자본 | |||||
자본금 | 821,170,655,000 | 110,000,000,000 | 26,551,940,000 | 821,170,655,000 | 978,240,655,000 |
자본잉여금 | 762,796,518,589 | 341,220,811,836 | 73,035,409,280 | 705,579,105,352 | 1,900,184,317,054 |
자본조정 | -7,409,222,370 | 0 | 0 | -7,409,222,370 | -30,570,231,429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911,586,744 | -3,468,593,665 | 0 | -5,380,180,409 | -1,932,109,404 |
이익잉여금 | 4,149,575,142,051 | 130,704,880,982 | 5,477,376,086 | 4,277,809,755,840 |
4,923,111,678,361 |
자본총계 | 5,724,221,506,526 | 578,457,099,153 | 105,064,725,366 | 5,791,770,113,413 | 7,769,034,309,582 |
부채와 자본 총계 | 10,626,414,632,302 | 1,893,531,965,376 | 121,232,225,362 | 12,025,187,658,691 | 14,201,797,429,016 |
주1) 상기 한화솔루션㈜와 ㈜한화갤러리아, 분할신설회사 ㈜한화도시개발은 2020년 12월 31일 기준 K-IFRS에 의해 작성된 별도 재무상태표입니다. |
주2) 본 건 합병 후 재무상태표는 추정 재무상태표이므로 실제 합병기일(2021년 4월 1일)을 기준으로 작성될 합병 재무제표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출처 : 당사 제시 및 분기보고서) |
별도기준으로 2021년 3분기 당사의 별도 재무상태표를 해당 합병 이전 2020년말 당사의 별도 재무상태표와 비교하여 검토했을 때 당사의 별도기준 자산 및 부채 총계 규모는 합병 이전 대비 증가하였습니다. 한편, 합병 전 2020년 4분기 별도 재무제표에 따르면 (주)한화갤러리아의 부채비율이 227.3%로 한화솔루션(주)의 85.6%를 상회함에 따라 합병 법인의 추정 부채비율은 107.6%으로 추정되었고 이로 인해 부채비율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2021년 1분기 1.3조원 규모의 유상증자로 인해 2021년 3분기 당사의 부채비율은 82.8%수준으로 합병 이전 2020년 당사 별도기준 부채비율보다 감소한 상태입니다. 투자자께서는 해당 합병으로 인한 연결기준 당사 연결실체의 변동은 없으나, 합병 이후 당사의 향후 실적, 영업환경 변화 및 재무안정성 지표의 변동 여부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한화그룹의 니콜라 투자 관련 위험]
카. 한화그룹은 2018년 11월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가 총 1억 달러를 미국회사 니콜라(Nikola Corporation)에 투자하였고, 투자 당시 그룹 차원에서는 약 6% 지분을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2021년 3분기 기준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한화종합화학의 지분 47.93%를 보유하고 있고 한화임팩트를 관계기업 투자자산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투자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니콜라는 2015년 설립되었으며 미국 아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친환경 전기, 수소 트럭 제조 및 설계 업체입니다. 한화그룹은 니콜라 투자로 수소 충전소에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하고, 수소 충전소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미국 수소 생태계 시장에 진출할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고, 니콜라에 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2020년 9월 10일 힌덴버그 리서치에서 니콜라의 수소 기술은 허구라는 주장의 보고서가 나온 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법무부가 조사에 착수한 바 있으며, 여론 악화에 의해 창업자인 트레버 밀턴이 사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20억 달러 상당의 니콜라 지분 11%를 취득하는 대신, 기술을 니콜라에 공급하기로 예정했던 GM이 지분 인수 계획을 철회하기도 했습니다. 당사는 영업환경 및 주가 등 종합적인 차원에서 니콜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1년 6월 한화그룹은 그룹차원에서 보유한 니콜라 주식 2,213만주 중에 290만주 가량을 매도함에 따라 보유 지분율 역시 약 4.86% 수준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처럼 니콜라에 대한 한화그룹의 보유지분율이 하락한 점, 니콜라 지분 인수 당시 매입가가 주당 4.5달러 수준으로 신고서 제출일 전일 9.93달러 대비 저렴한 점, 당사의 자회사인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의 니콜라 지분의 투자 원가는 약 5,000만 달러로 대략 원화 600억원 수준인 점, 당사의 한화종합화학에 대한 지분율 47.93%를 고려시 당사 관련 투자 원가는 290억원 수준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해당 투자가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고 당사 역시 니콜라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당사가 포함되어 있는 한화그룹의 니콜라에 대한 투자 진행 상황의 변동에 대하여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한화그룹은 2018년 11월 한화에너지와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가 총 1억 달러를 미국회사 니콜라(Nikola Corporation)에 투자하였고, 투자 당시 그룹 차원에서는 약 6% 지분을 확보하였습니다. 당사는 2021년 3분기 기준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한화종합화학의 지분 47.93%를 보유하고 있고 한화임팩트를 관계기업 투자자산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해당 투자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니콜라는 2015년 설립되었으며 미국 아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친환경 전기, 수소 트럭 제조 및 설계 업체입니다. 창업자는 미국의 사업가인 트레버 밀튼이며, 니콜라는 2020년 6월 4일 SPAC 합병을 통해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되었습니다. 니콜라는 수소연료전지에 초점을 둔 친환경 상용차 제조업체로 핵심 사업 영역은 전기트럭, 수소트럭, 수소 충전소로 나누어 집니다. 단거리 운송용 트럭은 전기 트럭으로 개발하고, 장거리 운송용 트럭은 수소 트럭으로 개발할 계획을 가지고 있으며, 수소트럭 프로토타입 등을 공개하여 수주 물량을 미리 확보한 바 있습니다. 니콜라는 IPO 당시 2020년~2022년까지의 매출액은 매우 미미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수소트럭을 2021년 하반기 테스트 생산에 돌입한 이후 2023년 하반기부터 초도 생산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발표한 바 있고, 2023년 수소 충전소 또한 10개를 완공할 계획이라고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청사진 제시로 니콜라는 상장 이후 주가가 연일 급등하면서 시장의 주목을 받았었습니다.
한화그룹은 니콜라 투자로 수소 충전소에 태양광 발전으로 생산한 전력을 공급하고, 수소 충전소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미국 수소 생태계 시장에 진출할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고, 니콜라에 투자를 진행하였습니다. 그러나 2020년 9월 10일 힌덴버그 리서치에서 니콜라의 수소 기술은 허구라는 주장의 보고서가 나온 바 있습니다. 이에 니콜라 주가는 폭락한 바 있으며,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및 법무부가 조사에 착수했으며, 여론 악화에 의해 창업자인 트레버 밀턴이 사임하기에 이르렀습니다. 또한 20억 달러 상당의 니콜라 지분 11%를 취득하는 대신, 기술을 니콜라에 공급하기로 예정했던 GM이 지분 인수 계획을 철회하기도 했습니다.
당사는 영업환경 및 주가 등 종합적인 차원에서 니콜라에 대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한편, 2021년 6월 한화그룹은 그룹차원에서 보유한 니콜라 주식 2,213만주 중에 290만주 가량을 매도함에 따라 보유 지분율 역시 약 4.86% 수준으로 하락하였습니다. 이처럼 니콜라에 대한 한화그룹의 보유지분율이 하락한 점, 니콜라 지분 인수 당시 매입가가 주당 4.5달러 수준으로 신고서 제출일 전일 9.93달러 대비 저렴한 점, 당사의 자회사인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의 니콜라 지분의 투자 원가는 약 5,000만 달러로 대략 원화 600억원 수준인 점, 당사의 한화종합화학에 대한 지분율 47.93%를 고려시 당사 관련 투자 원가는 290억원 수준인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을 때, 해당 투자가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적으로 크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고 당사 역시 니콜라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당사가 포함되어 있는 한화그룹의 니콜라에 대한 투자 진행 상황의 변동에 대하여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태양광사업 M&A 및 수직계열화 관련 위험]
타. 당사는 태양광 사업부문의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지배구조 단순화 및 경영 효율성 증가 등을 위한 활발한 재편작업을 통해 태양광사업 수직계열화를 진행하였습니다. 먼저 당사는 2015년 당사의 100% 자회사 한화솔라홀딩스의 자회사인 한화솔라원과 미국 나스닥 상장법인 한화큐셀을 통합하였으며, 이후 2018년 통합된 한화큐셀을 또다시 한화솔라홀딩스와 합병한 뒤 한화큐셀을 나스닥에서 상장폐지하는 작업을 추진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11월 1일을 합병기일로 당사의 100% 자회사인 한화첨단소재를 한화큐셀코리아와 합병하여 통합법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탄생시켰습니다. 이후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인적분할하여 분할신설법인을 한화케미칼이 흡수합병 함으로써, 한화솔루션(주)가 출범하였고 태양광사업 수직계열화가 구축되었습니다. 그러나, 2018년부터 2019년 폴리실리콘의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해 폴리실리콘 가격이 급락하면서 당사의 폴리실리콘 사업 관련한 실적이 악화되었고 당사 태양광부문은 2020년 2월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태양광사업의 미드스트림인 셀, 모듈 그리고 다운스트림인 발전사업을 위주로 태양광부문 관련 사업을 재편한 상황입니다. 다만, 당사의 경우, 2021년 11월 노르웨이의 REC Silicon ASA의 16.67% 지분취득(2022년 1월 19일 예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의 직접 생산방식이 아닌 태양광 산업의 원료부문의 포트폴리오를 일정부문 추가하는 방식으로 태양광부문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10월, 발전사업인 다운스트림 강화와 글로벌 개발사업확대 차원에서 RES프랑스 지분 100%를 인수하였고 유럽 지역 사업에 대한 사업 관리 효율성 제고 목적으로 2022년 1월 24일 당사의 100%자회사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에 RES프랑스 지분 100%를 현물출자하여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인수할 예정입니다. 한편, 당사가 2020년 태양광 산업의 밸류체인 중 일부인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한 것처럼 원자재 가격 변동이나, 수급 환경의 불안정성 등 예상치 못한 변수 등으로 인해 당사 태양광부문 사업환경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당사가 진행한 사업구조 재편 효과 및 수직계열화의 시너지 효과가 미비하거나 업황 부진 발생 시 계열회사 전반의 재무구조가 악화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① 태양광 산업특성 및 Value Chain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산업구조는 크게 '소재산업 → 부품산업 → 세트산업'으로 구분되며, 태양광산업 전반에 걸쳐 밸류체인(이하 "가치사슬")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소재분야는 원재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지만 결정질 실리콘(Crystalline silicon)은 폴리실리콘(Poly Silicon)으로 잉곳(Ingot), 웨이퍼를 가공하는 단계를 포함합니다. 한편, 부품분야는 태양전지 제조 및 모듈 조립 부문으로 발전단가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전지의 광전효율이 핵심입니다. 부품분야 중에서 전력기기 부문은 태양전원의 직류를 교류로 바꿔주는 인버터나 전력저장 장치인 배터리 등의 제조부문입니다. 세트(완제품) 분야는 태양광 발전을 위한 최종 시스템을 시공하고, 유지보수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문입니다.
[결정질 태양광산업의 가치사슬별 특징] |
![]() |
결정질 태양광 밸류체인별 특징_증권신고서 |
(출처 : 산업연구원) |
고부가가치의 소재영역은 참여기업이 적은 과점 형태이고, 부품에서 세트 영역으로 갈수록 참여기업이 많아 심각한 과당 경쟁구조를 형성하고 있으며, 부가가치도 낮은 편입니다. 폴리실리콘, 잉곳, 웨이퍼, 셀 등은 첨단기술이 필요한 기술집약적 장치산업으로서 시장진입장벽이 높은 부문입니다. 반면, 모듈조립, 설치, 유지보수 분야로 내려갈수록 중저급 기술이 요구되는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시장의 진입장벽이 낮습니다. 폴리실리콘의 경우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제조설비가 필요한 동시에 품질 확보가 어려워서 상대적으로 적은 수의 기업이 생산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과점의 형태(상위 10개사 비중 70% 이상 차지)를 보이고 있습니다. 잉곳, 태양전지, 솔라 모듈 등의 경우 폴리실리콘에 비해 상대적으로 진입장벽은 낮지만, 전체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기업이 수직계열화를 진행하는 추세입니다.
② M&A 및 수직계열화 - ㉠ 한화솔라원 및 한화큐셀 통합
또한, 당사는 태양광 사업관련 경쟁력 강화 방안으로 지배구조 단순화 및 경영 효율성 증가를 위해 한화솔라원과 한화큐셀의 통합작업을 마쳤습니다. 당사의 100% 종속회사인 한화솔라홀딩스(Hanwha Solar Holdings Co., Ltd.(HSH))가 보유 중이던 한화큐셀인베스트먼트(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HQI))의 지분 100%를 한화솔라홀딩스(Hanwha Solar Holdings Co., Ltd.(HSH))가 46.04%의 지분을 보유한 자회사인 한화솔라원(Hanwha Solarone Co., Ltd.(HSOL))에 1조 3,380억원에 매각하고, 매각 대금으로 한화솔라원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였습니다. 한화솔라홀딩스의 한화큐셀인베스트먼트의 지분 매각과 한화솔라원의 유상증자 참여 및 대금 납입은 모두 2015년 2월에 이루어졌습니다. 이와 같은 통합작업의 결과 당사의 100% 자회사인 한화솔라홀딩스는 존속법인인 한화큐셀의 지분 약 94%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개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 |
HQI통합 및 HSOL 유상증자도표 |
HSOL의 증자전 발행주식총수 | 457,444,928주 |
증자전 HSH의 HSOL보유주식수(지분율) | 210,607,645주(46.04%) |
총인수금액 | 1,338,035,098,790원 |
신주발행가액 | 361.5원 |
신주발행주수(제3자배정) | 3,701,145,330주 |
제3자배정전액인수 후 HSH의 HSOL 보유주식수(지분율) | 3,911,752,975주(94.06%) |
(출처 : 당사 2014.12.09 유상증자 결정공시, 타법인주식및 출자증권처분결정 공시) |
[한화솔라원과 한화큐셀 기업 개요] |
구분 | 한화솔라원 | 한화큐셀 |
---|---|---|
위치 | 중국 강소성치동시소재 (Ingot/wafer는 리엔윈강소재) |
독일, Bitterfeld-Wolfen소재 말레이시아 Cyverjaya 소재 |
사업분야 | Ingot, Wafer, Cell, Module 및 시스템 | 단/다결정 태양전지, c-Si 모듈, Project development, EPC 및 O&M |
생산규모 | Cell : 1.75 GW (2014) 2.10 GW (2015) 2.40 GW (2016) 2.40 GW (2017.2Q) Module : 2.07 GW (2014) 2.30 GW (2015) 2.40 GW (2016) 2.40 GW (2017.2Q) |
Cell : 1.53 GW (2014) 1.60 GW (2015) 1.75 GW (2016) 1.80 GW (2017.2Q) Module : 130 MW (2014) 930MW (2015) 1.70 GW (2016) 1.80 GW (2017.2Q) |
연혁 | 2004년 태양광 전문업체 Solarfun설립 2006년 NASDAQ 상장 2008년 잉곳생산업체인 Jiangsu YangguangSolar 인수 2010년 Hanwha 그룹 Solarfun 인수 (現 Hanwha SolarOne) 2015년 01월 한화큐셀(HQI)지분 100% 인수 |
1999년 태양광 셀 전문업체 Q CELLS 설립 2008년 말레이시아 공장 가동 2009년 Multi c-Si Solar Cell 생산 2009년 모듈 사업 진출을 통해 mid-to-downstream 진입 2012년 10월 Hanwha그룹 Q CELLS 인수(現 Hanwha Q CELLS)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당사는 위와 같은 구조로, 지분율 100%를 소유한 자회사인 한화솔라홀딩스(Hanwha Solar Holdings Co., Ltd.(HSH))와 한화솔라홀딩스를 통해 약 94%의 지분을 보유한 존속법인 한화큐셀을 보유하는 구조를 확립하게 되었습니다. 한화큐셀의 경우 미국 나스닥(NASDAQ)에 상장되어 있는 상장법인이었습니다.
② M&A 및 수직계열화 - ㉡ 한화솔라원홀딩스 및 한화큐셀 합병
그러나 이후 당사는 2018년 10월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2018.10.16 회사합병결정(종속회사의주요경영사항)" 을 공시하여, 한화솔라홀딩스와 존속법인 한화큐셀을 합병하고, 한화큐셀의 미국 나스닥(NASDAQ) 상장폐지를 추진한다는 내용의 계획을 공시하였습니다.
한화큐셀을 흡수합병하는 합병법인인 한화솔라홀딩스는 피합병법인인 한화큐셀의 주식을 약 94% 소유하고 있었으나, 한화솔라홀딩스는 한화큐셀의 잔여주식 약 6%를 추가 매수해 한화솔라홀딩스와 한화큐셀은 완전모회사와 완전자회사 관계가 되었고, 2019년 1월 16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합병 후 한화솔라홀딩스는 한화큐셀로 사명 변경을 완료하였습니다. 이는 한화큐셀의 나스닥 상장 유지 필요성 감소와 더불어 태양광 사업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취지이며 자세한 공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18.10.16 회사합병 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
종속회사인 | Hanwha Q CELLS Co., Ltd. | 의 주요경영사항 신고 |
1. 합병방법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이하 "HSH")이 Hanwha Q CELLS Co., Ltd.(이하 "HQCL")을 흡수합병 - 존속법인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소멸법인 : Hanwha Q CELLS Co., Ltd. |
||||
2. 합병목적 | HQCL의 나스닥 상장 유지 필요성 감소 및 태양광 사업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모회사(HSH)와 자회사(HQCL)간 합병 | ||||
3. 합병비율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Hanwha Q CELLS Co., Ltd. = 1.0000000 : 0.0000000 | ||||
4. 합병비율 산출근거 | 현재 합병법인인 HSH는 피합병법인인 HQCL의 주식을 약 94% 소유하고 있으나, 향후 합병법인은 피합병법인의 잔여주식(약6%)을 매수하여 완전모회사와 완전자회사의 관계가 됩니다. 이에 향후 합병 시 합병회사는 피합병회사의 주식에 대해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방식 (합병비율 1:0) 으로 진행합니다. | ||||
5. 합병신주의 종류와 수(주) | 보통주식 | 0 | |||
종류주식 | 0 | ||||
6. 합병상대회사 | 회사명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
주요사업 | 지주회사 | ||||
회사와의 관계 | 자회사 | ||||
최근 사업연도 재무내용(백만원) | 자산총계 | 800,214 | 자본금 | 87 | |
부채총계 | - | 매출액 | 0 | ||
자본총계 | 800,214 | 당기순이익 | -18 | ||
7. 신설합병회사 | 회사명 | - | |||
설립시 재무내용(백만원) | 자산총계 | - | 부채총계 | - | |
자본총계 | - | 자본금 | - | ||
- | 현재기준 | ||||
신설사업부문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백만원) | - | ||||
주요사업 | - | ||||
8. 합병일정 | 주주총회예정일자 | - | |||
구주권제출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채권자이의 제출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합병기일 | - | ||||
합병등기예정일자 | -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9. 주식매수청구권 사항 | - | ||||
10.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8-10-15 | ||||
- 사외이사참석여부 | 참석(명) | 3 | |||
불참(명) | 0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11.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상기 합병상대회사의 최근사업년도 재무내용은 2017년 12월 31일 기준 IFRS에 따라 작성되었음(B/S항목은 해당사업년도 말, P/L항목은 해당사업년도 평균 서울외국환중개 매매기준율을 적용하여 환산한 금액임) - 본건 합병은 소재지법 관련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른 short form merger 방식이므로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으며, 합병승인은 이사회 승인으로 갈음 함 - 본 건은 100% 소유관계의 모/자회사간의 합병으로서, 회사의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없음 - 향후 합병일정은 이사회결의일로부터 약1주일 이내 미국 증권거래위원회(이하 "SEC")에 주주 공시용 문서(Schedule 13E-3)를 제출 후 약 6-8주간의 협의를 거쳐 주주 공시용 문서에 대한 SEC 승인을 받은 후 최종 주주 공시용 문서를 주주들에게 송달. 주주들에게 송달일로터 20일 도과 후 케이만 당국에 합병계획서를 제출 및 등록함으로 합병의 효력 발생(합병 완료). 합병 완료 후 HQCL은 관련 행정절차를 거쳐 미국 증권거래소(NASDAQ)에서 상장 폐지될 예정 - 위 합병일정은 소재지법 관계 법령상의 인허가, 승인 및 관계기관의 요구, 협의과정, 경제 상황의 급격한 변동, 경영 상태의 중대한 변경, 기타 해당 계약을 변경할 필요성이 발생한 경우, 합병 당사자의 상호 합의에 의하여 변경될 수 있음 - 아래 종속회사 및 지배회사의 연결 자산총액은 2017년 12월 31일 기준임 |
|||||
※ 관련공시 | 2018-08-03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
※ 관련 공시법규 | 자본시장법 |
[종속회사에 관한 사항]
종속회사명 | Hanwha Q CELLS Co., Ltd. | 영문 | Hanwha Q CELLS Co., Ltd. |
- 대표자 | 김희철 | ||
- 주요사업 | 태양광 셀, 모듈 제조 및 태양광 다운스트림 | ||
- 주요종속회사 여부 | 해당 | ||
종속회사의 자산총액(원) | 2,424,149,640,000 | ||
지배회사의 연결 자산총액(원) | 13,649,487,899,740 | ||
지배회사의 연결 자산총액 대비(%) | 17.8 |
② M&A 및 수직계열화 - ㉢ 한화큐셀 및 한화첨단소재 간 영업양수도
한화첨단소재(주)는 2018년 11월 1일자로, 태양광 사업의일원화 목적으로 Hanwha Q CELLS Co., Ltd.의 100% 자회사인 한화큐셀(주)의 태양전지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판매 사업을 양수하기로 결정하고, 이러한 내용을 2018년 10월 24일 공시하였습니다. 공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18년 10월 24일 태양전지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판매사업 양수 공시] |
기업집단명 | 한화 | 회사명 | 한화큐셀(주) | 공시일자 | 2018.10.24 | 관련법규 | 공정거래법 11조의2 |
(단위 : 백만원) |
1. 영업양수자 |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
2. 양도하고자 하는 영업부문의 상세 내역 |
가. 양도일자 | 2018년 11월 1일 | ||
나. 양도목적물 | 태양전지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판매 사업 | |||
다. 양도가액 | 25,993 | |||
3. 양도 목적 | 태양광 사업의 일원화 | |||
4. 양도에 따른 영향 | 태양광 사업의 일원화된 의사결정 체계 하에서 급변하는 태양광 시장 환경에 신속히 대응함으로써 경영효율성 향상 |
|||
5. 이사회 의결일 | 2018년 10월 24일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 | ||
불참(명) | - | |||
- 감사(감사위원) 참석여부 | 불참석 | |||
6. 기타 | - 상기 양도일자는 거래종결예정일이며, 양도일자 및 양도가액 등은 양수도 당사자간의 계약 및 합의에 의해 변경될 수 있음. ※ 한화큐셀㈜는 나스닥 상장사인 Hanwha Q CELLS Co., Ltd의 100% 자회사로 본사는 서울에 위치하며, 말레이시아 공장 등에서 제조한 상품을 글로벌 법인에 판매하는 중계무역을 주된 사업으로 함. |
|||
※ 관련공시일 | - |
(출처 : 2018년 10월 24일 한화큐셀(주) "특수관계인에 대한 영업양도" 금감원 공시) |
② M&A 및 수직계열화 - ㉣ 한화첨단소재의 한화큐셀코리아 합병
또한, 당사는 당사의 자회사인 한화첨단소재(주)와 태양광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한화큐셀코리아(주)를 합병하여 구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를 탄생시키는 합병 또한 추진하였습니다. 당사의 계열사인 한화첨단소재(주)와 한화큐셀코리아(주)는 2018년 1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합병을 진행하였으며, 합병 방식은 한화첨단소재(주)가 한화큐셀코리아(주)의 주주에게 합병 대가로 합병 교부금을 지급하는 방식입니다. 합병의 구조 및 공시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한화첨단소재(주) 와 한화큐셀코리아(주) 합병 구조도] |
![]()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합병_20181119_증권신고서_2 |
한화첨단소재주식회사와 한화큐셀코리아주식회사의 합병 공시
|
한화첨단소재(주)는 본 합병과 관련하여 합병 교부금 지급 및 신규사업 투자를 위하여 9월 11일자로 5,028억원의 유상증자를 실시하였으며, 한화첨단소재의 모회사인 舊 한화케미칼(주)로부터 출자를 완료하였습니다. 유상증자 대금 중 4,395억원은 합병 교부금으로 지급되었으며, 나머지 633억원은 합병법인의 신규사업 투자를 위해 사용될 계획입니다.
한화첨단소재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유상증자 공시
|
해당 합병으로 한화큐셀코리아(주)와 셀/모듈 제조 등 동일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당사의 자회사간 시너지를 통해 매출 및 수익 확대되는 등 당사의 주력 사업인 태양광부문의 사업 역량이 확대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② M&A 및 수직계열화 - ㉤ 한화솔루션의 舊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흡수합병
당사는 2019년 7월 30일 자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존속법인)와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신설법인)로 인적분할을 결의하였고, 이후 당사는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분할신설법인과의 합병을 추진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인적 분할 절차 및 흡수합병 절차는 종료되었습니다. 분할기일은 2019년 9월 1일이었으며 합병기일은 2020년 1월 1일이었습니다.
[당사와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합병 구조도] |
![]() |
분할,합병에 따른 지분구조 변동_증권신고서 |
[당사 제시, 한국기업평가] |
해당 인적분할로 신설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사업회사, 플라스틱 가공 및 태양광 사업부문)와 한화글로벌에셋(지분보유회사, 투자주식 등 관리사업부문)으로 분할되며,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의 차입금은 전액 분할 신설회사로 이전되었습니다. 또한 당사와 신설법인의 해당 합병을 통해 한화그룹은 석유화학, 소재, 태양광 사업을 단일 법인으로 통합하여 운영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경영관리 효율성 제고 및 사업 간 시너지 확보 측면에서 긍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2019년 9월 5일 당사의 합병의 구조 및 공시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2019년 09월 05일 회사합병 결정 공시] |
|
당사가 과거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는 점을 고려할 때, 연결기준에서는 해당 분할·합병으로 인한 사업 및 재무안정성의 변화는 미미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해당 합병을 통해 석유화학, 태양광, 소재사업을 단일법인으로 통합함으로써 업황 변동에 대한 대응 능력이 제고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전·후방 통합을 통한 거래처의 요구에 대한 유연한 대응 및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 고부가 소재사업 육성을 통한 사업기반 확장 등 사업안정성 측면에서의 긍정적인 합병 효과가 예상됩니다.
당사는 위에서 살펴본 당사 자회사 한화솔라홀딩스의 자회사인 한화솔라원과 한화큐셀의 통합, 이후의 한화솔라홀딩스와 한화큐셀의 합병 및 한화큐셀의 나스닥 상장 폐지, 2018년 1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는 한화첨단소재와 한화큐셀코리아의 합병으로 인한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의 탄생 및 당사의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의 흡수합병 등 태양광 사업부문의 수직계열화와 효율성 및 시너지 증대를 위해 활발한 재편과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태양광부문은 이러한 노력으로 원료인 폴리실리콘부터 잉곳, 웨이퍼를 제외한 미드스트림인 셀, 모듈 그리고 발전사업인 다운스트림까지 수직계열화를 완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원자재의 내부 수급 및 소진으로 원가를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습니다.
이후, 2018년부터 2019년 폴리실리콘의 중국발 공급과잉으로 인해 폴리실리콘 가격이 급락하면서 당사의 폴리실리콘 사업 관련한 실적이 악화되었고 당사 태양광부문은 2020년 2월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태양광사업의 미드스트림인 셀, 모듈 그리고 다운스트림인 발전사업을 위주로 태양광부문 관련 사업을 재편한 상황입니다. 다만, 당사의 경우, 2021년 11월 노르웨이의 REC Silicon ASA의 16.67% 지분취득(2022년 1월 19일 예정)을 통해 폴리실리콘의 직접 생산방식이 아닌 태양광 산업의 원료부문의 포트폴리오를 일정부문 추가하는 방식으로 태양광부문의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음은 당사가 2022년 01월 14일에 (정정)공시한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관련 공시입니다.
[2022년 01월 14일 (정정)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공시] |
. 발행회사 | 회사명 | REC Silicon ASA | ||
국적 | 노르웨이 | 대표자 | James A. May II | |
자본금(원) | 58,316,800,000 | 회사와 관계 | - | |
발행주식총수(주) | 372,412,658 | 주요사업 | 태양광 제조업 | |
2. 취득내역 | 취득주식수(주) | 70,104,276 | ||
취득금액(원) | 189,943,563,352 | |||
자기자본(원) | 5,967,715,490,499 | |||
자기자본대비(%) | 3.18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취득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 소유주식수(주) | 70,104,276 | ||
지분비율(%) | 16.67 | |||
4. 취득방법 | 현금 취득 | |||
5. 취득목적 | 미국 내 태양광 제조 Value Chain (폴리실리콘) 원료 공급 안정성 확보 | |||
6. 취득예정일자 | 2022-01-19 |
|||
7. 자산양수의 주요사항보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원) | 15,137,319,821,657 | 취득가액/자산총액(%) | 1.25 | |
8. 우회상장 해당 여부 | 아니오 | |||
-향후 6월이내 제3자배정 증자 등 계획 | 해당없음 | |||
9. 발행회사(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없음 | |||
10.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1-11-18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6 | ||
불참(명)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 | |||
1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12.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계약내용 | - | |||
13.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1) 상기 "2.취득내역"의 "취득금액"은 2021년 11월 18일 서울외국환중개 고시 매매기준율(0.114 NOK/USD)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2) 취득금액은 NOK 1,402,085,520 이며, 실제 납입일 환율에 따라 환차손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상기 "6.취득예정일자"는 노르웨이 시간 기준이며, 시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4) 지분투자를 통해 당사는 REC Silicon ASA의 현 최대주주인 Aker Horizons Holding AS와 동일한 보통주 지분을 확보하게 될 예정입니다. 5) 본 건 투자로 당사는 REC Silicon ASA에서 이사 1인에 대한 지명권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6) 투자재원은 현재 보유중인 가용자금을 활용하여 투자예정입니다. |
|||
※관련공시 | - |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단위 : 원)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
당해년도 | 371,443,200,000 | 307,251,200,000 | 64,192,000,000 | 58,316,800,000 | 132,844,800,000 | -50,809,600,000 | 적정 | KPMG |
전년도 | 336,456,680,000 | 335,530,440,000 | 926,240,000 | 50,248,520,000 | 185,479,560,000 | -147,040,600,000 | 적정 | KPMG |
전전년도 | 399,497,130,000 | 280,195,860,000 | 119,301,270,000 | 453,165,930,000 | 247,323,720,000 | -381,942,960,000 | 적정 | KPMG |
한편, 당사는 발전사업인 다운스트림 강화와 글로벌 개발사업확대 차원에서 2021년 10월 프랑스 재생에너지 전문 개발 업체인 RES프랑스 지분 100%를 9,878억원에 인수 완료하였습니다. 당사는 해당 인수를 통해 그린에너지 부문 유럽 시장 진출에 있어서 프랑스를 사업 거점으로 삼고 종합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서 지위 구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10GW(기가와트)의 전세계 재생에너지 사업권이 약 15GW로 늘어나는 사업규모 확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이후, 당사는 유럽 신재생에너지 사업 재편 목적으로 당사가 보유한 RES프랑스 지분 100%를 당사 100%자회사 독일 현지법인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Hanwha EU ENERGY Solutions SE')에 현물출자해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인수할 예정으로 신주 취득 예정시기는 2022년 1월 24일입니다. RES프랑스 지분 100%(313만 3,565주)에 대한 처분금액은 1조 42억원입니다. 해당 사업 재편으로 유럽 지역 사업에 대한 사업 관리 효율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RES프랑스 지분 인수 및 유럽 지역 사업 재편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파.경영효율성과 시너지증대를 위한 M&A추진 및 지분투자 관련 위험] 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 자께서는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상기 기재한 사항과 같이 당사는 합병, 지분투자, 사업재편 등의 방식을 통해 당사 실적에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태양광 사업부문의 수직계열화와 효율성 및 시너지 증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가 2020년 태양광 산업의 밸류체인 중 일부인 폴리실리콘 사업을 철수한 것처럼 원자재 가격 변동이나, 수급 환경의 불안정성 등 예상치 못한 변수 등으로 인해 태양광부문 사업환경의 변화가 있을 수 있으며 당사가 추진하고 있는 태양광 사업부문의 수직계열화 및 효율성, 시너지 제고 측면에 제약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께서는 태양광 산업의 업황 변동과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태양광 부문에 대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경영효율성과 시너지증대를 위한 M&A추진 및 지분투자 관련 위험]
파. 당사는 주력사업 집중을 위한 전략 수립 차원에서 M&A 추진 및 지분 투자에 관한여 타당성을 내부적으로 검토해오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한화화인케미칼(구, KPX화인케미칼)주식회사 지분인수 및 흡수합병, 드림파마 지분매각, 한화종합화학(주)((구)삼성종합화학) 지분인수, 한화엘앤씨 지분 90% 매각 및 울산 CA공장 매각 등 그룹 내 경영효율성과 시너지증대를 위한 노력을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2020년 1월 1일부로 과거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또한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더불어, 전자소재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추가성장동력 확보 목적으로 2021년 8월 (주)더블유오에스 100% 지분 인수를 완료하였습니다. 그리고 그린에너지 부문 유럽 시장 진출을 위해 2021년 10월 RES프랑스 100% 지분 인수를 완료한 후 신재생에너지 사업 재편 목적으로 RES프랑스 지분 100%를 당사 100% 자회사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에 현물출자하여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2022년 1월 24일 취득할 예정에 있습니다. 해당 사항 외에 美 뉴에이치밋츠 투자, 美 랜시움테크놀로지 투자, REC실리콘 투자, 삼성전기(주) 통신모듈 일부사업 인수(예정) 등이 실행되었습니다. 이러한 M&A추진 및 지분투자등의 기대효과가 예상에 미치지 못할 경우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주)드림파마 인적분할 후 매각
당사는 사업부문 중 기타부문에 해당하는 (주)드림파마의 제약부문 매각 계약을 2014년 8월 5일 근화제약과 체결한 바 있습니다. 인적분할 후 분할신설법인인 (주)드림파마의 발행주식 총수인 193,147주를 근화제약이 모두 인수하는조건으로 매각금액은 1,913.6억원이며 2014년 12월 19일 매각이 완료되었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4.08.05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처분결정, 2014.12.19 (정정)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처분결정 공시 참고]
(주)한화베이시스는 (주)드림파마의 분할로 인한 존속법인으로서 사업내용이 부동산임대에 국한되어 있는 소규모 기업으로서, 별도법인으로 존재함으로 인한 실익이 없어 합병을 통해 업무중복과 법인유지 업무, 비용 등을 제거함으로써 경영상 효율을 제고하였습니다. 당사는 제약사업부문의 매각 이후 제약사업 진행계획이 없으며 이후 2014년 11월 20일 舊 한화케미칼(주)와 (주)한화베이시스의 합병계약 이사회 결의를 완료하고 2014년 12월 29일 무증자 방식으로 소규모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4.10.15 회사합병결정 공시 참고]
(2) 한화화인케미칼(주)의 흡수합병
당사는 CA사업 수직계열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 및 여수 산단 내 여유부지(5 만평) 확보를 통한 신사업 진출의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2014년 10월 한화화인케미칼(구, KPX화인케미칼)주식회사 50.71% 지분을 420억원에 매입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4.08.13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공시 참고] 또한, 당사는 사업다각화, 영업현금흐름확대, 통합운영에 따른 시너지 효과 등 경영효율성 증대 및 경쟁력 강화를 위해 2015년 12월 11일 이사회결의에 의해 종속기업 한화화인케미칼(주)의 흡수합병을 결의하였으며, 2016년 02월 29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한화화인케미칼(주)를 흡수합병 하였습니다. 합병 당시 당사는 피합병회사의 지분 48.54%(최대주주)를 보유하고 있었기 때문에 합병비율을 1:0.3826384로 하였으며, 본 합병으로 인하여 2,869,788주의 신주를 발행하였습니다. 이는 합병 당시 당사의 발행주식총수인 163,063,308주의 약 1.76%이므로 상법 제527조의 3(소규모합병)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해당되며, 피합병회사는 상법 제527조의 2(간이합병)이나 상법 제527조의 3(소규모합병)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해당되지 않았습니다. 본 합병은 상법 제527조의 3 소규모합병 요건을 충족시켜 진행되었으며, 상법 제527조의 3에 따른 소규모합병이므로 합병회사의 주주에 대해서는 주식매수청구권이 부여되지 않았습니다. 또한 상법 527조의 5의 규정에 따라 채권자 보호절차를 진행하였으며 채권자 이의제출기간(2016년 1월 26일~2016년 2월 26일) 동안 합병대상법인에 대한 채권자의 이의 제출은 없었습니다. 피합병회사인 한화화인케미칼 주식회사가 합병기일 현재 보유하고 있는 부채에 대한 일체의 권리의무는 합병회사인 舊 한화케미칼 주식회사가 승계하였습니다. 본 합병으로 합병회사 최대주주는 합병 전과 변경은 없으며, 당사는 존속법인으로 계속 남아있게 되고 한화화인케미칼 주식회사는 해산하였습니다. 본 합병은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간 합병이므로 우회상장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합병 이후 당사는 TDI부문의 수익 증대를 위해 3공장 조기가동, 신규거래선 확보, 공정 효율화 등의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그 결과 원가 절감 등으로 비용구조가 개선되었으며, 국제 TDI 가격 변동에 맞추어 적절히 대응하면서 합병 이전 대비 경쟁력이 강화되었습니다.
합병후 존속회사 | 상 호 | 舊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 |
대표이사 | 김창범 | |
법인구분 |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
합병후 소멸회사 | 상 호 | 한화화인케미칼 주식회사 |
소재지 | 전남 여수시 여수산단2로 46-47(월하동) | |
대표이사 | 현광헌 | |
법인구분 |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
(3) 한화첨단소재(주) 건재사업부문 분할 매각
종속회사인 한화첨단소재(주)(구, 한화엘앤씨(주))는 외부 환경에 민감하고 기술 변화의 속도가 빨라 일정 규모 이상의 선제적 투자가 필요한 소재 부문에 집중하기 위하여 2014년 07월 물적분할로 건재사업부문을 매각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4.04.30 회사분할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2014.05.16 (정정)회사분할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2013년 건재사업부문의 매출액은 7,198억원(연결 실체의 약 9.1%), 자산은 3,103억원(연결 실체의 약 2.4%)으로 연결 재무제표 상 비중은 크지 않지만, 이러한 중단영업과 관련하여 2014년도 영업활동으로 창출되는 현금흐름은 약 468억원 가량 감소한 바 있습니다.
(4) 컴파운드 사업부문 M&A
한화첨단소재(주)는 컴파운드 사업부문 일원화를 통한 효율성을 제고시키기 위하여 컴파운드 사업부문을 분할, 당사의 연결종속회사인 에이치컴파운드(주)에 합병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2015년 03월 10일 합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5년 04월 30일 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5.03.11 회사분할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 공시 참고] 그 결과 한화첨단소재(주)의 자본금은 2014년 기준 4,024억원에서 350억원으로 감소하였고, 향후 컴파운드 사업부문과 관련된 매출액 및 관련 손익이 축소되었으나, 한화첨단소재(주)와 에이치컴파운드(주)의 지분을 당사가 100% 보유한다는 점에서 당사 연결손익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판단됩니다.
(5) 한화종합화학(주)((구)삼성종합화학) 지분인수
당사를 포함한 한화그룹내 舊 한화케미칼(주), 한화에너지(주)는 2015년 4월 삼성전자 등 삼성계열사가 보유한 삼성종합화학 지분 57.62%를 인수하고 사명을 한화종합화학으로 변경(삼성토탈은 한화토탈로 변경)하였으며, (주)한화는 2015년 6월 삼성테크윈 지분 34%(삼성탈레스 지분 50% 포함)를 인수하고 사명을 변경(한화테크윈, 한화탈레스)하였습니다. 당사와 한화에너지(주)의 삼성종합화학 지분 인수는 2015년 04월 30일에 진행되었으며, 한화종합화학(주)에 대한 총 인수대금은 1조 309억원으로, 이 중 당사는 당사분 총 4,941.3억원의 인수대금 납부를 2017년 05월 02일 자로 완료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5.04.30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처분결정공시 참고]
[삼성종합화학(주), 삼성테크윈(주) 지분 인수 개요] |
(단위: 억원, %) |
구 분 | 취득회사 | 취득 지분율 | 취득금액 |
---|---|---|---|
삼성종합화학(주) | 舊 한화케미칼(주) | 27.62% | 4,941억원 |
삼성종합화학(주) | 한화에너지(주) | 30.00% | 5,368억원 |
삼성테크윈(주) | (주)한화 | 32.4% | 8,232억원 |
합 계 | - | - | 18,541억원 |
주) 舊 한화케미칼(주), 한화에너지(주)는 2015년 04월 30일 공시 자료 기준이며, (주)한화 자료는 2014년 11월 26일 및 2015년 6월 29일 정정공시 자료 기준으로, 삼성종합화학의 감자 내역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인수대금 정산 스케쥴] |
(단위: 억원, %) |
구 분 | (구)삼성테크윈 | (구)삼성종합화학 | 총 계 |
---|---|---|---|
인수금액 | 8,232억원 | 10,309억원 | 18,541억원 |
2015년 인수절차 종결시 | 4,116억원 | 4,348억원 | 8,464억원 |
이후 1년내 | 4,116억원 |
2,981억원 | 7,197억원 |
이후 2년내 | - | 2,980억원 | 2,980억원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舊 삼성종합화학(주)는 PTA((Purified Terephthalic Acid, 고순도 테레프탈산)제품 판매 등 석유화학부문을 영위하는 기업으로 한화그룹은 동 인수를 통하여 기존 유틸리티 공급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기반 확보 및 종합에너지 회사로 에너지 관련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편 2015년 12월 한화종합화학(주)가 계열회사 한화테크윈(주)로부터 자사주 12,970,930주를 4,418억원에 취득한 바 있습니다. 이후 한화종합화학(주)이 한화테크윈(주)로부터 취득한 자기주식을 소각함에 따라 당사의 지분율이 27.62%에서 36.05%로 변경되었습니다. 한화종합화학(주)는 최근 사업연도에서 견조한 매출과 이익을 기록하고 있지만, 원자재 가격의 상승, 주요 시장의 침체 및 높은 실적 변동성 등으로 인하여 매출 및 수익성에 예상치 못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지분법손익 또는 손상차손 인식으로 인한 수익성 악화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한편 2021년 6월 23일 삼성그룹(삼성물산,삼성SDI)이 보유한 한화종합화학(주)지분24.1% (삼성물산 0.05%, 삼성SDI 4.05%)에 대하여 당사(약11.6%, 4,730억원)와 한화에너지(약 12.5%, 5,138억원)가 약 1조원(9,868억원)에 취득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당사는 취득대금과 이자를 포함하여 1차는 거래종결일인 2021년 7월 30일에 1,917억원을 지급하였고, 2차는 거래종결일로부터 1년 후 1,438억원, 3차는 2년 후 1,438억원 지급 예정입니다. 당사는 금번 지분 취득을 통해서 한화임팩트(주) (구, 한화종합화학(주)) 지분율 47.93%를 보유하게되었고 미래가치 제고 및 주주간 계약종료에 해당 지분취득의 목적이 있습니다. 다음은 추가지분 취득 관련 당사의 2021년 6월 23일 타법인 주식및 출자증권취득결정 관련 공시입니다.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2022.01.10)] |
발행회사 | 회사명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
국적 | 대한민국 | 대표자 | 박흥권, 박승덕 | |
자본금(원) | 554,713,830,000 | 회사와 관계 | 계열회사 | |
발행주식총수(주) | 42,500,410 | 주요사업 | 석유화학제품 및 관련제품 제조 판매업 등 | |
2. 취득내역 | 취득주식수(주) | 4,910,062 | ||
취득금액(원) | 473,005,431,345 | |||
자기자본(원) | 5,967,715,490,499 | |||
자기자본대비(%) | 7.93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취득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 소유주식수(주) | 20,229,494 | ||
지분비율(%) | 47.60 | |||
4. 취득방법 | 현금 취득 | |||
5. 취득목적 | 추가 지분 취득을 통한 미래가치 제고 및 주주간계약 종료 | |||
6. 취득예정일자 | 2021-07-30 | |||
7. 자산양수의 주요사항보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원) | 15,137,319,821,657 | 취득가액/자산총액(%) | 3.12 | |
8. 우회상장 해당 여부 | 아니오 | |||
-향후 6월이내 제3자배정 증자 등 계획 | 해당없음 | |||
9. 발행회사(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없음 | |||
10.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1-06-23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6 | ||
불참(명)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 | |||
1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12.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계약내용 | - | |||
13.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1) 상기 총자산 및 자기자본은 2020년 사업연도말 기준입니다. 2) 대금지급 방법은 삼성물산(주)에 1차 지급금 159,513,678,857원, 2차 지급금 119,635,259,143원, 3차 지급금 119,635,259,143원으로 총 398,784,197,143원 지급 예정입니다. 삼성SDI(주)에 1차 지급금 32,213,805,712원, 2차 지급금 24,160,354,284원, 3차 지급금 24,160,354,283원으로 총 80,534,514,279원 지급 예정입니다. 양사 총 합계 지급예정금액은 479,318,711,422원 입니다. * 1차 지급금은 거래종결일(2021. 7. 30. 예정)에, 2차 지급금은 거래종결일로부터 1년이 경과한 날에, 3차 지급금은 거래종결일로부터 2년이 경과한 날에 지급될 예정이며, 2차 및 3차 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양수하는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할 예정입니다. ** 상기 지급금은 매매대금과 이자(2차 지급금: 1.5%, 3차 지급금: 3%)를 합산한 금액입니다. 3) 본 주식 취득의 거래종결이 이루어지면 당사, 한화에너지(주), 삼성물산(주), 삼성SDI(주) 간의 2015.4.30.자 주주간계약은 효력을 상실하게 됩니다. |
|||
※관련공시 | 2015-04-30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단위 : 원)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
당해년도 | 3,767,864,171,458 | 373,964,789,971 | 3,393,899,381,487 | 554,713,830,000 | 1,195,020,002,289 | 228,853,752,266 | 적정 | 삼정회계법인 |
전년도 | 3,566,568,486,442 | 305,424,361,606 | 3,261,144,124,836 | 554,713,830,000 | 1,636,209,731,071 | 245,581,410,804 | 적정 | 삼정회계법인 |
전전년도 | 3,503,179,261,402 | 486,549,661,983 | 3,016,629,599,419 | 554,713,830,000 | 1,900,218,581,376 | 440,367,626,138 | 적정 | 삼정 |
(출처 : 타법인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2022.01.10)) |
상기와 같은 지분 취득 및 추가 지분취득으로 인하여 당사는 석유화학부문 내에서 올레핀 외에 방향족 부문(PX, SM)과 합섬원료(TPA), 석유제품 등으로의 제품 다변화가 제고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한화임팩트(주) (구, 한화종합화학(주))이 보유한 혼소발전 및 수소충전소 등 수소 사업을 확대에 따른 한화그룹의 미래가치 제고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NCC 업체인 한화토탈과의 수직적 연계를 통하여 제품믹스가 보다 다양해져 사업기반이 강화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만, 한화에너지(주)는 정부의 통제 강도가 높은 집단에너지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점 등이 고려되어 한화그룹 내 비금융계열사 중 가장 높은 신용등급을 부여받았으나, 금번 지분 취득과 관련하여 한화그룹 차원의 자금조달원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화그룹 내 계열사와의 재무적 연계성이 강화된 것으로 판단할 만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향후 그룹 차원에서 실질적인 시너지 효과가 어떤 식으로 발현될 것인지와 그룹 화학 계열의 핵심인 당사에 실질적으로 어떤 이익을 가져올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6) 울산 CA공장 매각
당사는 2016년 05월 25일 주력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재편의 일환으로 울산 CA(가성소다, 염소) 공장을 (주)유니드에 842억원에 매각할 것을 결정하였습니다. 국내 CA시장은 지난 수년간 중국의 설비 증설, 미국·중동의 저가제품 수출물량 증가 등으로 과잉공급 상태가 지속되었습니다. 이에 당사는 CA 공급과잉 해소 및 화성부문 고부가제품의 연구개발을 위한 PVC테크센터(연구개발담당 조직) 등을 두고 원가 절감을 위한 TFT을 운영하는 등 경쟁력을 확보하고 수익성을 강화하고자 하였습니다. 당사는 동 매각 건에 대해 "기업활력제고를 위한 특별법" 일명 원샷법의 승인심사를 요청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사업재편 대상자 승인을 득하였습니다. 원샷법의 적용에 따라 사업재편 자금지원과 함께 양도차익에 대한 법인세를 4년간 유예받는 등의 혜택을 받게 되었으며, 정부연구·개발( R&D) 사업 등에서 가점을 받게 되었습니다. (주)유니드는 인수설비를 가성칼륨 공장으로 개조할 계획을 갖고 인수하였으며, 당사는 가성칼륨의 부산물 염소를 공급받아 PVC의 원료로 활용함으로서 사업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유형자산 처분결정(자율공시) 2016.05.25] |
1. 처분물건 구분 | 토지 및 건물 | |
- 처분물건명 | 울산광역시 남구 상개동 601-01 및 남구 부곡동 493 소재 토지 및 건물, 기계장치 등 유형자산 | |
2. 처분내역 | 처분금액(원) | 84,220,000,000 |
자산총액(원) | 13,852,619,722,836 | |
자산총액대비(%) | 0.61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거래상대 | (주)유니드 | |
4. 처분목적 | 주력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사업 재편 | |
5. 처분예정일자 | 2016-11-01 | |
6.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6-05-25 |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4 |
불참(명) | 1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참석 | |
7.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상기 "2. 처분내역"의 처분금액(원)은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자산양수도 계약금액임 - 상기 "5. 처분예정일자"는 소유권 이전일임 |
||
※ 관련공시 | 2016-02-25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
이외에도, 구 한화폴리드리머(주)는 사업부문의 전문화 및 핵심사업에 집중 투자를 위하여 2015년 01월 필름시트 사업부문 및 코팅막재 사업부문을 희성전자에 매각하였으며, 한화넥스트(주)에 주식 전량을 양도하여 컴파운드사업부 등을 영위하도록 하였습니다. 한편, 당사가 99.98%의 지분율을 가지고 있었던 한화넥스트(주)와 100%의 지분율을 가지고 있었던 한화컴파운드(주)는 2015년 7월 17일에 합병을 결의 하였습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시스템(DART) 2015.07.17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주식의 취득 공시 참고] 컴파운드 사업을 영위하는 한화넥스트(주)와 한화컴파운드(주)는 합병을 통해 경영효율성을 제고하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여 시장 요구를 폭넓게 수용함으로써 통합 법인의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7) 舊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흡수합병
또한 당사는 사업 부문 중 태양광 사업 부문에 속하는 100% 지분을 보유하고 있던 舊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본 합병의 합병계약일은 2019년 9월 20일이며, 합병기일은 2020년 1월 1일입니다. 합병을 통해 당사는 존속회사로 계속 남아있고 소멸회사인 분할 신설회사 舊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는 합병 후 해산하게 되며 본 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본 합병 완료후 당사의 주주 변경은 없습니다. 본 합병을 통해 당사의 주식회사의 경영, 재무, 영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나, 완전자회사 합병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회사합병 결정([정정]주요사항보고서) 2019.11.14] |
1. 합병방법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가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함 ※ 당사가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는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1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분할대상사업부문을 인적분할의 방식으로 분할하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가칭, 이하"분할신설회사")를 설립하고, 분할회사는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가칭, 이하"분할존속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존속하기로 함. 위 분할신설회사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하는 결정임. |
|||||
- 합병형태 | 소규모합병 | |||||
2. 합병목적 |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 |||||
3. 합병의 중요영향 및 효과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는 분할신설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의 발행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진행하므로 본 합병이 존속회사인 한화케미칼 주식회사의 경영, 재무, 영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나, 완전자회사 합병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및 사업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
|||||
4. 합병비율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분할신설회사") = 1.0000000 : 0.0000000 |
|||||
5. 합병비율 산출근거 | 존속회사인 한화케미칼 주식회사는 소멸회사인 분할신설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의 주식100%를 소유하고 있으며, 본 합병시 존속회사는 소멸회사의 주식에 대해 신주를 발행하지 않으므로 합병비율은1.0000000 : 0.0000000으로 산정함 | |||||
6. 외부평가에 관한 사항 | 외부평가 여부 | 미해당 | ||||
- 근거 및 사유 |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176조의5 제7항 제2호 나목 단서에 의하여 다른 회사의 발행주식 총수를 소유하고 있는 회사가 그 다른 회사를 합병하면서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경우에는 합병가액의 적정성에 대한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를 받을 의무가 없는 바, 본 합병은 이에 해당하므로 위 규정에 따라 외부평가기관의 평가를 거치지 아니하였음 | |||||
외부평가기관의 명칭 | - | |||||
외부평가 기간 | - | |||||
외부평가 의견 | - | |||||
7. 합병신주의 종류와 수(주) | 보통주식 | - | ||||
종류주식 | - | |||||
8. 합병상대회사 | 회사명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가칭, 분할신설회사) | ||||
주요사업 | 플라스틱 가공제품의 생산·판매 및 태양광 모듈공급 및 태양광 에너지 관련 프로젝트 개발 등 사업 | |||||
회사와의 관계 | 자회사 | |||||
최근 사업연도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2,553,803,077,432 | 자본금 | 25,734,385,000 | ||
부채총계 | 2,165,997,432,542 | 매출액 | 197,951,304,922 | |||
자본총계 | 387,805,644,890 | 당기순이익 | -6,126,390,599 | |||
- 외부감사 여부 | 기관명 | - | 감사의견 | - | ||
9. 신설합병회사 | 회사명 | - | ||||
설립시 재무내용(원) | 자산총계 | - | 부채총계 | - | ||
자본총계 | - | 자본금 | - | |||
- | 현재기준 | |||||
신설사업부문 최근 사업연도 매출액(원) | - | |||||
주요사업 | - | |||||
재상장신청 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0. 합병일정 | 합병계약일 | 2019년 09월 20일 | ||||
주주확정기준일 | 2019년 09월 20일 | |||||
주주명부 폐쇄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합병반대의사통지 접수기간 | 시작일 | 2019년 09월 20일 | ||||
종료일 | 2019년 10월 04일 | |||||
주주총회예정일자 | - | |||||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구주권제출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매매거래 정지예정기간 | 시작일 | - | ||||
종료일 | - | |||||
채권자이의 제출기간 | 시작일 | 2019년 11월 14일 | ||||
종료일 | 2019년 12월 13일 | |||||
합병기일 | 2020년 01월 01일 | |||||
종료보고 총회일 | 2020년 01월 02일 | |||||
합병등기예정일자 | 2020년 01월 03일 | |||||
신주권교부예정일 | - | |||||
신주의 상장예정일 | - | |||||
11. 우회상장 해당 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2. 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사항없음 | |||||
13. 주식매수청구권에 관한 사항 | 행사요건 | 본 합병은 소규모합병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바 상법 제527조의3 제5항에 의하여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아니함 | ||||
매수예정가격 | - | |||||
행사절차, 방법, 기간, 장소 | - | |||||
지급예정시기, 지급방법 | - | |||||
주식매수청구권 제한 관련 내용 | - | |||||
계약에 미치는 효력 | - | |||||
14.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19년 07월 30일 | |||||
- 사외이사참석여부 | 참석(명) | 4 | ||||
불참(명) | 1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 참석여부 | - | |||||
15.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 계약내용 | - | |||||
16. 증권신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 제출을 면제받은 경우 그 사유 | 신주발행 없음 |
(8) (주)더블유오에스 지분 인수
당사는 올레드(OLED) 패널 제조에 필수적 기술을 보유한 (주)더블유오에스 지분 100%를 인수하기로 2021년 7월 결정하였고 2021년 8월 지분 100%를 600억원에 인수 완료하였습니다. (주)더블유오에스는 (주)웨이브일렉트로닉스가 2021년 4월 올레드 사업부문을 물적분할하여 설립한 회사로 당사는 해당 인수를 통해 화학 및 전자 소재 고부가가치화를 위한 추가 성장동력 확보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주)더블유오에스는 올레드 패널 제조 공정에 필요한 핵심 부품이 파인메탈마스크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모바일 전자 소재 사업을 진행하면서 축적한 생산 역량을 활용하여 파인메탈마스크 양산 체재를 구축하고 관련 투자를 지속적으로 진행할 예정입니다.
(9) RES프랑스 지분 인수
당사는 2021년 10월 프랑스 재생에너지 전문 개발 업체인 RES프랑스 지분 100%를 9,878억원에 인수 완료하였습니다. RES프랑스는 태양광과 육상, 해상, 풍력, 에너지저장장치(ESS)재생 에너지 사업개발, 건설관리를 하는 회사로 최근 5년 프랑스 정부의 재생 에너지 프로젝트 수주 물량 기준 10위 안에 드는 사업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그린필드형 사업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회사입니다. 당사는 해당 인수를 통해 그린에너지 부문 유럽 시장 진출에 있어서 프랑스를 사업 거점으로 삼고 종합 에너지 솔루션 기업으로서 지위 구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10GW(기가와트)의 전세계 재생에너지 사업권이 약 15GW로 늘어나는 사업규모 확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RES프랑스 지분 취득 관련 당사 공시입니다.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정정) 2021.10.28] |
. 발행회사 | 회사명 | RES Mediterranee | ||
국적 | 프랑스 | 대표자 | Ivor CATTO | |
자본금(원) | 53,074,682,413 | 회사와 관계 | - | |
발행주식총수(주) | 4,234,945,681 | 주요사업 | 풍력, 태양광 발전소 개발업 | |
2. 취득내역 | 취득주식수(주) | 4,234,945,681 | ||
취득금액(원) | 987,750,717,476 | |||
자기자본(원) | 5,967,715,490,499 | |||
자기자본대비(%) | 16.55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취득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 소유주식수(주) | 4,234,945,681 | ||
지분비율(%) | 100 | |||
4. 취득방법 | 현금 취득 | |||
5. 취득목적 | 유럽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 확장 | |||
6. 취득예정일자 | 2021-10-28 | |||
7. 자산양수의 주요사항보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원) | 15,137,319,821,657 | 취득가액/자산총액(%) | 6.53 | |
8. 우회상장 해당 여부 | 아니오 | |||
-향후 6월이내 제3자배정 증자 등 계획 | 해당없음 | |||
9. 발행회사(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없음 | |||
10.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1-08-09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5 | ||
불참(명) | 1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참석 | |||
1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12.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예 | |||
-계약내용 | (i) 발행회사 주식 취득을 내용으로 하는 Sale and Purchase Agreement를 체결하기 전에 프랑스 법상 요구되는 발행회사 Works Council 협의 절차를 진행하되, (ii) Works Council 의견 수령 절차가 완료된 후 매도인이 풋옵션을 행사하면, (iii) 매수인(신고회사)은 풋옵션 계약에 첨부된 Sale and Purchase Agreement를 체결할 의무(즉, 발행회사 주식을 매수할 의무)를 부담하는 내용 | |||
13.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1) 상기 "2.취득내역"의 "취득금액"은 2021년 10월 28일 서울외국환중개 고시 매매기준율(1355.05 KRW/EUR)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Sale and Purchase Agreement상, 상기 "취득금액"은 EUR 727,395,712이고, 동 금액은 풋옵션 계약 체결 당시인 2021년 8월 9일 이후 변동이 없습니다. 다만, 이후 환율 변동에 따라 본 정정공시 시점에서 원화 환산금액의 변경이 발생하였고, 아래 2)항에 설명되어 있는 조정사항이 반영되어 최종적으로 원화 기준 987,750,717,476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2) 상기 "2.취득내역"의 "취득금액(거래 매매대금)"은 2020. 11. 1. 이후의 이자(Interest Amount) EUR 6,981,587을 가산하고, 회사 누출금액(Leakage) EUR 4,388,191 및 EUR 720,000와 소정의 세금(Accrued Tax Liabilities) EUR 328,688을 차감한 금액, 즉 EUR 728,940,421으로 최종 확정되었습니다. 이를 2021년 10월 28일 서울외국환중개 고시 매매기준율 (1355.05 KRW/EUR)로 환산하면 987,750,717,476원입니다. 3) 상기 "12.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와 관련하여, 이와 같은 풋옵션 계약 체결은 "프랑스법상 Works Council 의견 수령 절차를 완료하기 전에는 Sale and Purchase Agreement를 체결하여서는 안된다"는 제약에 따른 것으로, 프랑스 인수합병 거래에 있어서 일반적인 관행입니다. 4) 발행회사 주식 취득 거래에 부수하여, Sale and Purchase Agreement에 따라, 매수인(신고회사)은 발행회사 및/또는 그 종속회사들의 제반 계약상 의무에 관하여 매도인이 해당 채권자를 위하여 발급한 Bond/LC/모회사보증(최대 금액 특정이 가능한 약 33백만 EUR 상당 및 발행회사 및/또는 그 종속회사들의 주식발행소유현황, 권리능력, 노무, 세금 등 진술보장위반 책임 포함 기타 우발채무에 대한 보증이 포함됨)을, 매도인으로부터 인수하거나 이를 매수인(신고회사)이 신규 발급하는 Bond/LC/모회사보증으로 대체할 것입니다. 이들 인수 및 대체는 한국은행의 신고수리를 완료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5) 매도인은 Works Council 의견 수령 절차를 완료하고 2021년 9월 21일 풋옵션을 행사하였고, 이에 따라 매수인(신고회사)과 매도인은 2021년 9월 28일자로 Sale and Purchase Agreement를 체결하였습니다. 6) 상기 "6. 취득예정일자"와 관련하여, 본건 거래에 대한 거래 매매대금 지급 및 주식 취득을 2021. 10. 28.에 완료하였습니다. |
|||
※관련공시 | - |
[발행회사의 요약 재무상황](단위 : 원)
구분 | 자산총계 | 부채총계 | 자본총계 | 자본금 | 매출액 | 당기순이익 | 감사의견 | 외부감사인 |
---|---|---|---|---|---|---|---|---|
당해년도 | 88,341,270,625 | 56,357,593,214 | 31,983,677,411 | 53,074,682,413 | 796,663,706 | -1,877,824,225 | 적정 | Deloitte |
전년도 | 89,497,087,624 | 55,635,585,988 | 33,861,501,636 | 53,074,682,413 | 1,085,937,070 | -1,845,206,816 | 적정 | Deloitte |
전전년도 | 89,293,868,065 | 53,587,159,613 | 35,706,708,452 | 53,074,682,413 | 2,002,537,607 | -1,789,811,017 | 적정 | Deloitte |
한편, 당사는 유럽 신재생에너지 사업 재편 목적으로 당사가 보유한 RES프랑스 지분 100%를 당사 100%자회사 독일 현지법인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Hanwha EU ENERGY Solutions SE')에 현물출자해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인수할 예정으로 신주 취득 예정시기는 2022년 1월 24일입니다. RES프랑스 지분 100%(313만 3,565주)에 대한 처분금액은 1조 42억원입니다. 해당 사업 재편으로 유럽 지역 사업에 대한 사업 관리 효율성 제고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당사 공시사항입니다.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2021.12.21] |
발행회사 | 회사명 | Hanwha EU ENERGY Solutions SE | ||
국적 | 독일 | 대표자 | 민구 | |
자본금(원) | 161,008,800 | 회사와 관계 | 계열회사 | |
발행주식총수(주) | 120,000 | 주요사업 | 유럽 Renewable Energy 사업 운영 | |
2. 취득내역 | 취득주식수(주) | 10,000,000 | ||
취득금액(원) | 1,004,263,091,765 | |||
자기자본(원) | 5,967,715,490,499 | |||
자기자본대비(%) | 16.83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취득후 소유주식수 및 지분비율 | 소유주식수(주) | 10,120,000 | ||
지분비율(%) | 100 | |||
4. 취득방법 | 현물 출자 |
|||
5. 취득목적 | 유럽 에너지 발전자산의 관리 효율성 제고 |
|||
6. 취득예정일자 | 2022-01-24 | |||
7. 자산양수의 주요사항보고서 제출대상 여부 | 아니오 | |||
-최근 사업연도말 자산총액(원) | 15,137,319,821,657 | 취득가액/자산총액(%) | 6.63 | |
8. 우회상장 해당 여부 | 아니오 | |||
-향후 6월이내 제3자배정 증자 등 계획 | 해당없음 | |||
9. 발행회사(타법인)의 우회상장 요건 충족여부 | 해당없음 | |||
10. 이사회결의일(결정일) | 2021-12-21 | |||
-사외이사 참석여부 | 참석(명) | 6 | ||
불참(명) | - | |||
-감사(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참석여부 | - | |||
11. 공정거래위원회 신고대상 여부 | 미해당 | |||
12. 풋옵션 등 계약 체결여부 | 아니오 | |||
-계약내용 | -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RES Mediterranee (이하 “프랑스 현지법인”) 발행주식 전부를 Hanwha EU ENERGY Solutions SE (이하 "독일 현지법인")에 현물출자하여,독일 현지법인이 발행하는 신주 [10,000,000]주를 당사가 인수할 예정입니다. | |||
13.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1) 당사의 상기 자기자본 및 자산총액은 연결재무제표 기준입니다. 2) 상기 "2.취득내역"의 "취득금액"은 2021년 12월 21일 서울외국환중개 고시 매매기준율(1,341.74 KRW/EUR)을 적용하여 환산한 금액입니다. 당사와 독일 현지법인 사이에 체결 예정인 Contribution Agreement상, 상기 "취득금액"은 EUR 748,478,164입니다. 3) 상기 "4.취득방법"의 "현물 출자"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프랑스 현지법인의 발행주식 전부에 해당합니다. 4) 상기 "6. 취득예정일자"와 관련하여, 당사와 독일 현지법인 사이에 체결 예정인 Contribution Agreement 에 따라 변경 가능성이 있습니다. 5) 하기 발행회사(Hanwha EU ENERGY Solutions SE)의 요약 재무상황은 발행회사가 2021년 3월 3일 신규 설립된 법인이므로 생략하였습니다. |
|||
※관련공시 | - |
(10) 美 뉴에이지밋츠 투자
당사는 친환경 성장을 이끌 미래 유망산업으로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에 소재한 배양육 업체인 뉴에이지밋츠에 투자하였습니다. 뉴에이지밋츠는 2,500만달러(약 300억원)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2021년 9월에 진행하였고 당사가 해당 투자 유치에 참여하였습니다. 배양육은 동물세포에서 줄기세포를 채취해 만든 인공고기로 환경문제와 식량 부족, 동물 윤리가 사회적 이슈로 떠오른 상황에서 대안으로 떠오른 방안입니다. 당사는 금번 투자를 통해 친환경분야 신사업 확장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11) 美 랜시움 테크놀리지(Lancium Technologies·랜시움) 투자
당사는 2021년 11월, 미국 텍사스 휴스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전력관리 전문기업인 스타트업에 1억달러(약 1,200억)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랜시움은 향후 미국 텍사스 북서부 애빌린시에 데이터센터를 조성한 뒤 태양광과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최적 가격으로 제공할 예정이며, 클라우드 서비스, 핀테크, 가상 화폐 채굴 등 전력 소모가 많은 고성능 컴퓨팅(High Performance Computing) 장비를 운영하는 IT 업체들이 랜시움의 주요 고객입니다. 당사는 랜시움의 전력 관리 노하우를 활용하여, 친환경 에너지 사업 다각화에 나설 예정으로 향후 데이터센터에 친환경에너지로 생산한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새로운 사업모델을 구축할 예정입니다.
(12) 삼성전기(주) 통신모듈 사업 일부 인수
당사는 2021년 12월 30일 삼성전기(주) 통신모듈 일부 사업 인수에 대한 계약체결을 마치고 2022년 3월말까지 인수를 위한 최종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당사가 인수하는 통신모듈 사업 대상은 와이파이 및 5G mmWave 유기기판 안테나 모듈분야로 당사는 기존 스마트폰에 통신모듈을 공급하는 것을 넘어 모듈기슬을 활용해 빠르게 성장하는 무선이어폰, 가상현실 및 증강현실 기기 시장도 다각도로 검토할 예정입니다. 해당 인수를 통해 통신 모듈 설계 제조역량의 흡수와 당사 글로벌 네트워크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상기 합병 및 지배구조개편, M&A, 지분투자 외에 당사는 최근 태양광 사업부문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태양광 사업을 영위하는 자회사 등에 대하여 활발한 통합 및 조정 작업을 펼쳐왔고 2021년 11월 폴리실리콘 제조업체 REC실리콘에 대해 16.67%에 대해 해당하는 지분투자를 실행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타.태양광사업 M&A 및 수직계열화 관련 위험]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을 하였습니다. 해당 내용은 본 신고서 [lll.투자위험요소 - 2.회사위험 - 차.(주)한화갤러리아 흡수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관련 사항]에 상세히 서술하였으니 투자시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이처럼 계열사 통합 및 구조조정 등으로 비용절감, 경영효율화 및 시너지효과 창출 등을 추구하였습니다. 그러나 통합 및 구조조정의 시너지가 기대에 미치지 못할 경우 당사의 연결종속회사로서 당사의 재무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상기 지분투자 및 ,M&A 외에 향후 미래 성장을 위한 선택과 집중 전략에 의한 매각 또는 매수 M&A 및 지분 투자 시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당사 내부의 신중한 검토와 외부 전문가의 조언 등 객관적인 타당성을 검토한 후에 시행할 예정입니다. 이에 따라, 관련된 뉴스 등이 보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주가가 하락하는 등 당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니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주)한화의 당사 소유 지분변동 가능성]
하. (주)한화의 연결대상 종속회사인 한화건설은 2014년 06월 상환전환우선주(RCPS) 1,913,800주(4,000억원) 및 2016년 4월 701,800주 (약 2,000억원)을 발행하였습니다.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한화는 2014년 반기 중 (주)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발행과 관련하여 우선주의 투자자인 레콘(주)와 주주 간 계약을 2014년 6월 25일에 체결하였고, 2014년 10월 8일에 본 계약의 담보로 당사(舊 한화케미칼(주))의 주식 24,131,776주를 제공하였습니다. 이후 만기를 연장하면서, 담보로 제공된 당사의 주식은 10,900,832주로 줄어들긴 했으나, 이에 따라 만약 당사 최대 주주인 (주)한화가 정산일에 한화건설(주)의 상환전환우선주 투자자 레콘(주)에게 정산금액 지급이행을 하지 않을 경우, 미지급금액에 따라 당사의 주식 최대 10,900,832주를 양도했어야 하고 이에 따른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이 변동될 위험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 6월 26일 기존 계약의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계약의 만기를 2023년 6월 26일로 연장하면서 계약 조건을 일부 변경하였고, 그 결과 당사의 주식 10,900,832주는 더이상 담보로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되어 지분율 변동에 대한 위험은 제거되었습니다. 상기 계약에 따른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 변동에 대한 위험은 제거되었으나, 향후에도 다양한 계약 및 거래 구조를 통해 당사의 주식이 담보로 설정될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한화그룹의 비금융계열의 주력계열사로서 계열의 높은 경영통제, 계열 순환출자구조상의 핵심역할 등 높은 수준의 지배적 긴밀성을 갖고 있으며, 석유화학, 태양광 사업에서의 위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당사의 주식에 대한 근질권 설정이 발생하더라도 당사 주식 매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향후 이러한 거래를 통한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 변동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는바,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의 최대 주주인 (주)한화는 2014년 반기 중 ㈜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RCPS)의 발행과 관련하여 우선주의 투자자인 레콘㈜와 주주 간 계약을 2014년 6월 25일에 체결하였습니다. 동 계약으로 인하여 (주)한화는 보유한 한화생명보험㈜ 주식 51,244,795주를 정산이행 담보로 제공하였으며, 주주 간 계약상 2014년 12월 31일까지 1회에 한하여 담보를 (주)한화 보유주식으로 변경할 수 있었습니다. (주)한화는 이를 행사하여 담보를 변경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주)한화는 2014년 10월 8일에 기존에 담보로 제공하였던 한화생명보험㈜의 주식을 대신하여 舊 한화케미칼㈜의 주식 59,545,978주(보통주 기준 지분율 36.51%) 중 24,131,776주(보통주 기준 지분율 14.69%)를 담보로 제공하였습니다.
이후 2017년 6월 26일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상환금액 중 일부를 상환 후 기 체결내역을 변경하였습니다. (주)한화는 기존에 담보로 제공하였던 舊 한화케미칼의 주식 10,900,832주만을 담보로 잡고 동 RCPS의 만기일을 2020년 6월 26일로 변경하였습니다.
[주주간 계약]
구 분 | 내 역 |
---|---|
정산 | 당사와 투자자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부에 대해 2020년 6월 26일에 상환전환우선주의 순매도 금액에서 최초 발행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현금으로 정산함. 정산금액이 (+)인 경우에는 투자자가 지배회사에게, 정산금액이 (-)인 경우에는 지배회사가 투자자에게 지급함. |
조기정산 | 투자자는 다음과 같은 사유 발생시 정산일 전에도 지배회사에 정산을 청구할 수 있으며 정산금액의 산정방식은 상기와 동일함. - ㈜한화건설이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하여 정한 배당금을 레콘㈜에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 ㈜한화건설에 대해 회생, 파산, 워크아웃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절차 개시시 - ㈜한화건설의 신용등급이BBB- 등급이하로 강등된 경우 |
매수청구권 | 지배회사는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정산일까지 매월25일 상환전환우선주 발행가액에 행사시점에 따른 일정 수수료율을 가산한 금액으로 매수청구할 수 있음(단, 정산 절차 개시 이후에는 행사 불가). |
담보 | 지배회사가 보유한 舊 한화케미칼㈜ 주식 10,900,832주를 정산이행담보로 제공함. |
(출처 : (주)한화 2018년 사업보고서) |
(주)한화건설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상세 내역]
구 분 | 내 역 |
---|---|
발행목적 |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 |
발행주식종류 | 비누적적 비참가적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1,435,406주(발행주식 1,913,800주 중 478,394주 기 상환) |
주당 발행가액 | 209,000원 |
의결권 | 의결권 없음. |
배당율 | 2017년 ~ 2020년 각각 3.17%, 8.23%, 3.73% 및 0%, 2021년 이후 우선배당은 법령이 허용하는 방식이나 절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상환권 | ① 상환: ㈜한화건설은 배당가능이익이 존재함을 전제로 우선주의 일부 혹은 전부를 상환통지할 수 있음(2020년 3월 24일 통지, 2020년 6월 26일 상환). ② 만기이후상환: ㈜한화건설은 배당가능이익이 존재함을 전제로 매년 우선주의 일부 혹은 전부를 상환할 수 있음 |
전환권 | ① 전환권: 우선주 주주 및 발행회사 보유 ② 전환: 2017년 7월 7일부터 2024년 6월 26일까지 매월 26일 행사 ③ 전환비율: 우선주 1주 당 보통주 5주 |
(출처 : (주)한화 2018년 사업보고서) |
[담보제공 내역]
1. 제목 | ㈜한화건설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관련 주주간 계약 변경 체결 |
2. 주요내용 | 당사는 종속회사인 ㈜한화건설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를 인수한 주주 레콘 주식회사(이하 "투자자")와 아래와 같이 주주간 계약을 변경 체결키로 함 1. ㈜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 발행 개요 - 발행 규모: 2014년 6월 25일 399,984,200,000원을 제3자배정방식으로 발행하였고, 2017년 6월 26일 ㈜한화건설이 투자자에게 99,984,346,000원을 상환하여 299,999,854,000원 잔여 예정임 - 발행 가액: 209,000원/주(외부평가기관의 평가가액을 기준으로 ㈜한화건설의 이사회에서 결정) - 전환 비율: 우선주 1주당 보통주 5주(우선주 발행 이후 전환 이전에 합병, 무상증자, 주식분할, 주식병합 시 그에 따라 조정) - 배당 조건: 2017년 3.17%, 2018년 8.23%, 2019년 3.73%, 2020년 0.00%(비누적적, 비참가적)이며, 2021년 이후 우선배당은 법령이 허용하는 방식이나 절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주주간 계약(변경) 개요 - 당사와 투자자는 상환전환우선주(이하 "우선주")를 대상으로 한 정산 및 당사의 Call Option(매수청구권) 행사, 담보 제공에 관한 계약을 체결함 - 계약 기간: 계약일로부터 3년 간 (2017년 6월 26일~2020년 6월 26일) - 수수료: 투자자는 당사의 정산의무 부담 및 근질권 대상주식 담보제공 등에 대한 대가로서 당사에게 3년 간 54억원의 수수료를 지급함 3. 주식의 양도 - 투자자는 당사의 서면동의 없이는 우선주를 제3자에게 양도하지 못함 - 단, 투자자가 전환권을 행사하여 전환된 보통주 및 정산, 조기정산에 따른 우선주의 매각은 예외임 4. 정산 가. 정산일 -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부에 대하여 2020년 6월 26일에 정산금액을 해당 지급의 주체가 현금 지급함 - 정산금액이 양(+)인 경우에는 투자자가 당사에게, 정산금액이 음(-)인 경우에는 당사가 투자자에게 지급함 나. 정산금액 - 우선주의 순매도금액에서 발행가액(인수금액) 총액을 차감한 금액 5. 조기정산 - 투자자는 일정한 사유 발생 시 정산일 전에도 당사에 대하여 정산을 청구할 수 있음 - 정산금액의 산정 방식은 상기와 동일함 6. 당사의 Call Option 가. 행사 시점 - 일반 Call Option: 당사는 2017년 6월 26일 이후 2020년 6월 26일까지 매월 25일에 우선주 및 ㈜한화건설이 전환권을 행사하여 전환된 보통주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매수 청구할 수 있음 - 정산 Call Option: 조기정산기준일에서 11일 경과일로부터 20일 동안에 정산대상 우선주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매수 청구할 수 있음 나. 행사 금액 - 정산 Call Option은 정산대상 우선주의 발행가액에 매수청구권 행사 시점에 따라 일정 수준의 가산금을 더한 금액으로 매수 청구할 수 있음 7. 담보 가. 주식 근질권의 설정 - 당사는 정산금액이 음(-)인 경우 투자자에게 지급하여야 할 정산대금 지급의무의 이행을 담보하기 위하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한화케미칼㈜ 보통주식 (이하 "근질권대상주식", 근질권대상주식의 수량은 질권설정일 전일부터 직전 3개월간의 종가 산술평균을 기준으로 300,000,000,000원에 상당하도록 산정)에 대하여 투자자를 위한 1순위 근질권을 설정함 나. 정산의무 이행 방법 - 우선주 매각 후에도 정산대금이 음(-)인 경우 근질권 대상주식을 매각하여 정산대금을 확보함 - 근질권 대상주식 매각 후에도 이행되지 아니한 정산대금이 남아 있는 경우 투자자는 당사의 일반재산에 대해 추급할 수 있음 다. 조기정산의무 이행 방법 - 조기정산 시에도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정산대금을 확보하여 조기정산일에 정산대금 지급의무가 이행되도록 함 |
3. 결정(확인)일자 | 2017-05-30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 |
※ 관련공시 | 2014-06-25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2014-10-08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
(출처 : (주)한화 2017년 5월 30일 기타주요경영사항 공시) |
한편 레콘㈜는 동 우선주의 처분권 및 부수담보권을 기초로 하여 2014년 06월 26일 자산유동화대출을 실행하였으며, 2017년 5월 26일 만기를 3년 연장하였습니다.
[자산유동화 대출 내역]
구분 | 내용 |
---|---|
기초자산 | ㈜한화건설 상환전환우선주 처분권 및 부수담보권 |
대출일 | 2017년 06월 26일 |
만기일 | 대출일로부터 3년(2020년 06월 26일) |
원금상환 | 만기일시상환. 다만 ㈜한화건설이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해 조기상환권을 행사하거나 지배회사가 조기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해당 가액으로 대출원금을 조기상환함. |
유동화구조 | 레콘㈜가 자산유동화대출 형태로 자금조달후 ㈜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에 투자, ㈜한화건설이 레콘㈜에 지급하는 우선주 배당금을 기반으로 대출 원리금을 상환함. |
대출금액 | 최초 400,000백만원, 신고서 제출일 현재 300,000백만원 |
금리 | 5.00% |
(출처 : (주)한화 2018년 사업보고서) |
당사는 2020년 06월 26일 상기 계약의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주)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의 발행과 관련하여 우선주의 투자자인 레콘(주)와 맺은 주주간 계약을 아래와 같이 변경 체결하였습니다. 특히 계약의 만기를 2023년 6월 26일로 한차례 더 연장 하였으나, (주)한화가 기존에 정산이행담보로 제공했던 당사의 주식 10,900,832주는 더이상 근질권 설정을 하지 않기로 결정되어, 담보로 제공하지 않는 것으로 계약이 변경 체결되었습니다. 따라서 신고서 제출일 현재 기존에 담보로 제공되었던 당사의 주식 10,900,832주는 더이상 담보로 제공되지 않고 있습니다. 계약과 관련한 공시 및 제반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2020년 5월 15일 (주)한화의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1. 제목 | ㈜한화건설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RCPS) 관련 주주간 계약 변경 체결 |
2. 주요내용 | 당사는 종속회사인 ㈜한화건설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를 인수한 주주 레콘 주식회사(이하 "투자자")와 아래와 같이 주주간 계약을 변경 체결키로 함 1. ㈜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 발행 개요 - 발행 규모: 2014년 6월 25일 399,984,200,000원을 제3자배정방식으로 발행하였고, 2017년 6월 26일 ㈜한화건설이 투자자에게 99,984,346,000원을 상환하여 잔여 금액이 299,999,854,000원이며, 2020년 6월 26일 ㈜한화건설이 투자자에게 99,999,812,000원을 상환하여 200,000,042,000원 잔여 예정임 - 발행 가액: 209,000원/주(외부평가기관의 평가가액을 기준으로 ㈜한화건설의 이사회에서 결정) - 전환 비율: 우선주 1주당 보통주 5주(우선주 발행 이후 전환 이전에 합병, 무상증자, 주식분할, 주식병합 시 그에 따라 조정) - 배당 조건: 2020년 3.55%, 2021년 4.70%, 2022년 4.65%, 2023년 0.00%(비누적적, 비참가적)이며, 2024년 이후 우선배당은 법령이 허용하는 방식이나 절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2. 주주간 계약(변경) 개요 - 당사와 투자자는 상환전환우선주(이하 "우선주")를 대상으로 한 정산 및 당사의 Call Option(매수청구권) 행사에 관한 계약을 체결함 - 계약 기간: 계약일로부터 3년 간 (2020년 6월 26일~2023년 6월 26일) - 수수료: 투자자는 당사의 정산의무 부담에 대한 대가 로서 당사에게 3년 간 36억원의 수수료를 지급함 3. 주식의 양도 - 투자자는 당사의 서면동의 없이는 우선주를 제3자에게 양도하지 못함 - 단, 투자자가 전환권을 행사하여 전환된 보통주 및 정산, 조기정산에 따른 우선주의 매각은 예외임 4. 정산 가. 정산일 -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부에 대하여 2023년 6월 26일에 정산금액을 해당 지급의 주체가 현금 지급함 - 정산금액이 양(+)인 경우에는 투자자가 당사에게, 정산금액이 음(-)인 경우에는 당사가 투자자에게 지급함 나. 정산금액 - 우선주의 순매도금액에서 발행가액(인수금액) 총액을 차감한 금액 5. 조기정산 - 투자자는 일정한 사유 발생 시 정산일 전에도 당사에 대하여 정산을 청구할 수 있음 - 정산금액의 산정 방식은 상기와 동일함 6. 당사의 Call Option 가. 행사 시점 - 일반 Call Option: 당사는 2020년 6월 26일 이후 2023년 6월 26일까지 매월 25일에 우선주 및 ㈜한화건설이 전환권을 행사하여 전환된 보통주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매수 청구할 수 있음 - 정산 Call Option: 조기정산기준일에서 11일 경과일로부터 20일 동안에 정산대상 우선주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해 매수 청구할 수 있음 나. 행사 금액 - 정산 Call Option은 정산대상 우선주의 발행가액에 매수청구권 행사 시점에 따라 일정 수준의 가산금을 더한 금액으로 매수 청구할 수 있음 7. 담보 - 당사 제공 주식 근질권 설정 제외로 해당 항목 삭제 |
3. 결정(확인)일자 | 2020-05-15 |
4.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 |
※ 관련공시 | 2014-06-25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2014-10-08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2017-05-30 기타 경영사항(자율공시) |
(출처 :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주)한화 2020년 5월 15일 기타경영사항(자율공시) |
[주주간 계약]
구 분 | 내 역 |
---|---|
정산 | 지배회사와 투자자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부에 대해 2023년 6월 26일에 상환전환우선주의 순매도 금액에서 최초 발행금액을 차감한 금액을 현금으로 정산함. 정산금액이 (+)인 경우에는 투자자가 당사에게, 정산금액이 (-)인 경우에는 당사가 투자자에게 지급함. |
조기정산 | 투자자는 다음과 같은 사유 발생시 정산일 전에도 지배회사에 정산을 청구할 수 있으며 정산금액의 산정방식은 상기와 동일함. - ㈜한화건설이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하여 정한 배당금을 레콘㈜에 지급하지 못하는 경우 - ㈜한화건설에 대해 회생, 파산, 워크아웃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절차 개시시 - ㈜한화건설의 신용등급이 BBB0 등급 이하로 강등된 경우 |
매수청구권 | 지배회사는 투자자가 보유하고 있는 상환전환우선주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정산일까지 매월 25일 상환전환우선주 발행가액에 행사시점에 따른 일정 수수료율을 가산한 금액으로 매수청구할 수 있음(단, 정산 절차 개시 이후에는 행사 불가). |
(출처 : (주)한화 2021년 1분기 분기보고서) |
[(주)한화건설이 발행한 상환전환우선주의 내역]
구 분 | 내 역 |
---|---|
발행목적 | 유동성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 |
발행주식종류 | 비누적적 비참가적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956,938주(발행주식 1,913,800주 중 956,862주 기 상환) |
주당 발행가액 | 209,000원 |
의결권 | 의결권 없음. |
배당율 | 2020년 ~ 2023년 각각 3.55%, 4.70%, 4.65% 및 0%, 2024년 이후 우선배당은 법령이 허용하는 방식이나 절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상환권 | ① 상환: ㈜한화건설은 배당가능이익이 존재함을 전제로 우선주의 일부 혹은 전부를 상환통지할 수 있음(2023년 3월 23일 통지, 2023년 6월 26일 상환). ② 만기이후상환: ㈜한화건설은 배당가능이익이 존재함을 전제로 매년 우선주의 일부 혹은 전부를 상환할 수 있음. |
전환권 | ① 전환권: 우선주 주주 및 발행회사 보유 ② 전환: 2020년 7월 4일부터 2024년 6월 26일까지 매월 26일 행사 ③ 전환비율: 우선주 1주 당 보통주 5주 |
(출처 : (주)한화 2021년 1분기 분기보고서) |
[자산유동화대출]
구 분 | 내 용 |
---|---|
기초자산 | ㈜한화건설 상환전환우선주 처분권 및 부수담보권 |
대출일 | 2020년 6월 26일 |
만기일 | 대출일로부터 3년(2023년 6월 26일) |
원금상환 | 만기일시상환. 다만 ㈜한화건설이 상환전환우선주에 대해 조기상환권을 행사하거나 지배회사가 조기매수청구권을 행사하는 경우 해당 가액으로 대출원금을 조기상환함. |
유동화구조 | 레콘㈜가 자산유동화대출 형태로 자금조달후 ㈜한화건설의 상환전환우선주에 투자, ㈜한화건설이 레콘㈜에 지급하는 우선주 배당금을 기반으로 대출 원리금을 상환함. |
대출금액 | 200,000백만원 |
금리 | 3.50% |
(출처 : (주)한화 2021년 1분기 분기보고서) |
계약이 변경되기 전 기존에는 만약에 당사 최대 주주인 (주)한화가 정산일에 한화건설(주)의 상환전환우선주 투자자 레콘(주)에게 정산금액 지급이행을 하지 않을 경우, 미지급금액에 따라 당사의 주식 최대 10,900,832주를 양도했어야 합니다. 이에 따라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이 변동될 위험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2020년 6월 26일 기존 계약의 만기가 도래함에 따라, 계약의 만기를 2023년 6월 26일로 연장하면서 계약 조건을 일부 변경하였고, 그 결과 당사의 주식 10,900,832주는 더이상 담보로 제공하지 않기로 결정되어 지분율 변동에 대한 위험은 제거되었습니다.
상기 계약에 따른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 변동에 대한 위험은 제거되었으나, 향후에도 다양한 계약 및 거래 구조를 통해 당사의 주식이 담보로 설정될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당사는 한화그룹의 비금융계열의 주력계열사로서 계열의 높은 경영통제, 계열 순환출자구조상의 핵심역할 등 높은 수준의 지배적 긴밀성을 갖고 있으며, 석유화학, 태양광 사업에서의 위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경우, 당사의 주식에 대한 근질권 설정이 발생하더라도 당사 주식 매각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판단됩니다. 그러나 향후 이러한 거래를 통한 (주)한화의 당사에 대한 지분율 변동가능성이 발생할 수 있는바,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유가증권불성실공시법인지정 예고 관련 위험]
거. 당사는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정정사실이 발생(2019년 3월 15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연공시(2021년 12월 31일)하였습니다.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3조에 따라 당사는 2022년 1월 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유가증권시장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받았으며, 당사는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4조에 의거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고('22.01.13限) 이의를 신청한 상황입니다. 향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여부, 부과벌점 및 공시위반제재금의 부과 여부가 결정됩니다. (다만, ①이의신청이 없고, ②위반의 동기가 고의·중과실이 아니고, ③위반의 중요성이 중대한 위반이 아니며, ④과거 1년간 공시의무 위반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음) 당사는 추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여부 등 그 구체적인 결과가 확정되는 대로 재공시할예정입니다. 한편, 당사에게 부과된 부과벌점이 10점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지정일 당일 1일간 매매거래정지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는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정정사실이 발생(2019년 3월 15일)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지연공시(2021년 12월 31일)하였습니다.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3조에 따라 당사는 2022년 1월 4일 한국거래소로부터 유가증권시장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받았으며, 당사는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4조에 의거하여 이의를 신청할 수 있고('22.01.13限) 이의를 신청한 상황입니다. 다음은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 정정사실이 발생에 따른 지연공시사항 및 이와 관련한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입니다.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2022.01.04)] |
1. 회사명 | 한화솔루션(주) | |
2. 불성실공시 유형 | 공시불이행 | |
3. 불성실공시 내용 |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 정정사실 발생('19.3.15) 후 지연공시('21.12.31) | |
4. 예고일자 | 2022-01-04 | |
5. 최근 1년간 부과누계벌점 | - | |
6. 근거 |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제33조 | |
7. 공시위반관리종목 여부 | 미해당 | |
8.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제34조의 규정에 의거 당해 법인은 상기 예고 내용에 대하여 이의를 신청('22.01.13限)할 수 있고, - 유가증권시장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여부, 부과벌점 및 공시위반제재금의 부과 여부가 결정됨(다만, ①이의신청이 없고, ②위반의 동기가 고의·중과실이 아니고, ③위반의 중요성이 중대한 위반이 아니며, ④과거 1년간 공시의무 위반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음) - 추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여부 등 그 구체적인 결과가 확정되는 대로 재공시하겠음 * 부과벌점이 10점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지정일 당일 1일간 매매거래정지됨 |
|
※관련공시 | 2021-12-31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
[(정정)단일판매·공급계약 체결(2021.12.31)] |
정정일자 | 2021-12-31 |
1. 정정관련 공시서류 |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 | |
2. 정정관련 공시서류제출일 | 2017-03-06 | |
3. 정정사유 | 계약금액 변경 | |
4. 정정사항 | ||
정정항목 | 정정전 | 정정후 |
2. 계약내역 - 계약금액(원) | 325,000,000,000 | 82,548,014,644 |
5. 계약기간 - 종료일 | 2021-12-31 | 2019-02-28 |
9.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상기 2.'최근 매출액'은 당사 2016년말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에 의해 변경 가능함. - 상기 2.'계약금액'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었으며, 환율 1,160원/$ 기준 금액임(억미만 절사). - 상기 2.'계약금액'은 향후 폴리실리콘 가격 및 환율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상기 5.'시작일'은 양사 간 최종 공급계약 협의에 따라 2017년 2월 1일 공급분부터 소급 적용하는 것으로 협의함. |
- 상기 2.'최근 매출액'은 당사 2016년말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에 의해 변경 가능함. - 상기 2.'계약금액'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었으며, 환율 1,160원/$ 기준 금액임(억미만 절사). - 상기 2.'계약금액'은 향후 폴리실리콘 가격 및 환율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상기 5.'시작일'은 양사 간 최종 공급계약 협의에 따라 2017년 2월 1일 공급분부터 소급 적용하는 것으로 협의함. - 당사는 웅진에너지와 2017년 3월 6일 체결한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에 대해 2019년 2월 28일자로 해지하는 것에 합의 하였고, 해지일자는 합의서 날인 기준 2019년 3월 15일임. |
- |
단일판매ㆍ공급계약 체결
1. 판매ㆍ공급계약 구분 | 상품공급 | |
- 체결계약명 | 폴리실리콘 장기 공급계약 | |
2. 계약내역 | 계약금액(원) | 82,548,014,644 |
최근매출액(원) | 9,258,832,683,954 | |
매출액대비(%) | 0.89 | |
대규모법인여부 | 해당 | |
3. 계약상대 |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 |
- 회사와의 관계 | - | |
4. 판매ㆍ공급지역 | 국내(대전) | |
5. 계약기간 | 시작일 | 2017-02-01 |
종료일 | 2019-02-28 | |
6. 주요 계약조건 | - | |
7. 계약(수주)일자 | 2017-03-06 | |
8. 공시유보 관련내용 | 유보사유 | - |
유보기한 | - | |
9. 기타 투자판단과 관련한 중요사항 | ||
- 상기 2.'최근 매출액'은 당사 2016년말 연결재무제표 기준으로 외부감사인의 감사에 의해 변경 가능함. - 상기 2.'계약금액'은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었으며, 환율 1,160원/$ 기준 금액임(억미만 절사). - 상기 2.'계약금액'은 향후 폴리실리콘 가격 및 환율변동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상기 5.'시작일'은 양사 간 최종 공급계약 협의에 따라 2017년 2월 1일 공급분부터 소급 적용하는 것으로 협의함. - 당사는 웅진에너지와 2017년 3월 6일 체결한 폴리실리콘 공급 계약에 대해 2019년 2월 28일자로 해지하는 것에 합의 하였고, 해지일자는 합의서 날인 기준 2019년 3월 15일임. |
||
※ 관련공시 | 2017-03-06 단일판매ㆍ공급계약체결 |
[관련 유가증권시장공시규정] |
제33조(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 등) ① 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주권상장법인이 제29조부터 제31조까지에 해당된 경우에는 해당 법인에 대하여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예고한다. <개정 2005.12.23, 2008.9.12, 2009.1.28, 2013.2.22> ②거래소가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불성실공시법인으로 지정예고한 경우에는 공시매체 등에 그 사실을 게재하고, 당해 법인에게 통보한다. 제34조(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에 대한 이의신청) ① 제33조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통보받은 당해 법인이 그 지정예고 내용에 대하여 이의가 있는 때에는 그 통보받은 날부터 7일 이내에 거래소에 이의를 신청할 수 있다. <개정 2013.2.22> ② 거래소는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제1항의 이의신청기간종료일부터 10일이내에 제89조에 따른 유가증권시장상장·공시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의 심의를 거쳐 심의일부터 3일이내에 해당 유가증권시장 주권상장법인에 대한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여부, 부과벌점, 제35조의2에 따른 공시위반제재금의 부과 여부 및 제38조의2에 따른 공시책임자·공시담당자의 교체요구 여부 등을 결정하여야 한다. 다만, 위반의 내용 등을 감안하여 위원회의 심의가 필요하지 않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아니할 수 있다. <개정 2009.1.28, 2010.6.23, 2015.7.22> ③ 삭제<2009.1.28> ④ 제33조제2항에 따라 불성실공시법인 지정예고를 통보받은 유가증권시장주권상장법인은 제2항에 따른 위원회에 출석하여 해당 사안의 경위 등에 대하여 진술할 수 있다. <신설 2005.12.23, 2009.1.28> ⑤유가증권시장주권상장법인은 제2항에 따른 결정에 대하여는 다시 이의를 신청할 수 없다. <개정 2005.12.23, 2009.1.28> ⑥제1항의 규정에 의한 이의신청과 관련하여 필요한 사항은 세칙으로 정한다. |
향후,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상장공시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여부, 부과벌점 및 공시위반제재금의 부과 여부가 결정됩니다. (다만, ①이의신청이 없고, ②위반의 동기가 고의·중과실이 아니고, ③위반의 중요성이 중대한 위반이 아니며, ④과거 1년간 공시의무 위반사실이 없는 경우에는 상장공시위원회 심의를 생략할 수 있음) 당사는 추후 불성실공시법인 지정 여부 등 그 구체적인 결과가 확정되는 대로 재공시할예정입니다. 한편, 당사에게 부과된 부과벌점이 10점 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지정일 당일 1일간 매매거래정지되오니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3. 기타위험
[원리금상환 불이행 관련 위험]
가. 본 사채는 금융기관 등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은 한화솔루션 주식회사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
원금상환일과 이자지급일에 원금상환이나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아니한 때에는 해당 원금 및 이자에 대하여, 각 해당 지급기일 익일부터 실제 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서울특별시에 본점을 두고 있는 시중은행의 연체대출 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하여 연체이자를 지급합니다. 단, 동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 사채 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 사채 이자율을 적용합니다.
당사가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사채관리회사와 맺은 사채관리계약과 관련하여 담보권설정 등의 제한, 자산의 처분제한 등의 의무조항을 위반한 경우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사채관리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당사에 대해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당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환금성 제약 가능성]
나. 금번 발행되는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는 채권상장요건을 충족하고 있어 환금성 위험은 높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시장 상황에 따라 매매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으며, 평가손실이 발생될 경우에는 환금성에 제약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본 사채의 상장예정일은 2022년 01월 24일로, 본 사채는 한국거래소의 채무증권의 신규상장심사요건(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제88조)을 충족하고 있습니다. 상세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요 건 | 요건 충족내역 |
---|---|---|
발행회사 | 자본금이 5억원 이상일 것 | 충족 |
모집 또는 매출 | 해당 채무증권이 모집 또는 매출되었을 것 | 충족 |
발행총액 | 해당 채무증권의 발행총액이 3억원 이상일 것 | 충족 |
미상환액면총액 | 해당 채무증권의 미상환총액이 3억원 이상일 것 | 충족 |
본 사채는 한국거래소의 채무증권의 신규상장심사요건을 충족하고 있는 바, 한국거래소의 상장심사를 무난하게 통과할 것으로 판단합니다. 하지만 급격한 채권시장의 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상장 이후 채권에 대한 매도량과 매수량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환금성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전자등록 발행에 관한 사항]
다. 본 사채는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의 권리 내용을 전자등록하고 사채권은 발행하지 아니합니다. 본 사채에 대하여는 실물채권을 발행하거나 등록필증을 교부하지 아니합니다. |
[공모일정 변경 가능성]
라. 본 증권신고서상의 공모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가 발생할 경우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본 사채의 상장신청은 수요예측 결과를 반영한 정정공시 이후 진행할 예정이며, 상장예정일은 2022년 01월 24일입니다. 본 신고서상의 공모일정은 확정된 것이 아니며 금융감독원 공시심사과정에서 정정사유가 발생할 경우 변경될 수 있습니다. 또한, 본 신고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0조 제1항 규정에 의해 효력이 발생하며, 제120조 제3항에 규정된 바와 같이 이 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하는 효력을 가지지 아니합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기타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기한의 이익 상실 선언 가능성]
마. 당사가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사채관리회사와 맺은 사채관리계약과 관련하여 재무비율 등의 유지, 담보권설정 등의 제한, 자산의 처분제한 등의 의무조항을 위반한 경우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주관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당사에 대해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당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사채관리회사와 맺은 사채관리계약과 관련하여 재무비율 등의 유지, 담보권설정 등의 제한, 자산의 처분제한 등의 의무조항을 위반한 경우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사채관리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당사에 대해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당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이와는 별개로 당사가 파산 또는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하거나 존립기간 만료 등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 법원의 해산명령 또는 해산 판결, 주주총회의 해산결의 등 기한의 이익의 즉시 상실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당사는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즉시 상실하게 될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기한의 이익이 상실되는 경우 투자자여러분께서는 사채권자집회를 통해 본 사채에 대한 보증 또는 담보를 요구하거나 원리금 지급의무의 이행을 강제하기에 필요하거나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본 사채가 기한의 이익을 상실할 수 있다는 점을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 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효력발생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하지 아니함]
바.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120조 제3항에 의거 이 신고서의 효력의발생은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하는 효력을 가지지 아니합니다. |
[신용평가]
사. 본 사채는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로부터 각각 AA-등급(안정적)을 받은 바 있습니다. |
당사는 증권 인수업무에 관한 규정 제11조에 의거, 당사가 발행할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 공모사채에 대하여 회사채 신용등급 결정을 위해 2개 신용평가 전문기관으로부터 동 사채의 신용등급을 AA-등급으로 받았습니다. 신용평가의 결과 및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화솔루션(주) 제279-1회 및 제279-2회 회사채 신용평가 현황]
신평사 | 신용등급 | 등급의 정의 | Outlook |
---|---|---|---|
NICE신용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아 투자위험도가 매우 낮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안정적(Stable) |
한국기업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 안정적(Stable) |
신용평가회사의 등급평정과 관련된 상세내용은 첨부된 신용평가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경제상황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
아. 당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상황에 대한 경영자의 현재까지의 평가를 반영하고 있으나 그 실제결과는 현재시점에서의 평가와는 상당히 다를 수 있는 만큼,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본 증권신고서는 향후 사건에 대한 당사 경영진의 현재 시점에서의 예상을 담은 미래예측진술을 포함하고 있으며 미래예측진술은 실제로는 상이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특정 요인 및 불확실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상기에 기술된 투자위험요소 외에도 전반적으로 불안정한 경제 상황 등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당사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제상황에 대한 경영자의 현재까지의 평가를 반영하고 있으나 그 실제결과는 현재 시점에서의 평가와는 상당히 다를 수 있는 만큼,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여 투자에 임하시기 바랍니다.
[ESG채권 관련 사항]
자. 금번 발행되는 본 사채 중 제279-1회 무보증 사채 는 환경적 가치 창출 목적의 ESG채권(녹색채권)으로, 단기적인 영업실적 또는 재무성과 제고를 위하여 발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제279-1회 무보증 사채를 통해 조달되는 자금이 당초 계획(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과 다르게 집행되거나 기대한 환경적 가치(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 및 발전량 증가를 통한 환경 개선효과)를 달성하지 못할 경우, 제279-1회 무보증 사채의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 등록 취소 또는 당사의 평판 악화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편,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의 제279-1회 무보증 사채에 대한 ESG 금융상품 평가 결과(NICE신용평가(주)- 그린1등급, 한국기업평가(주) - G1등급)와 ESG채권 관리체계에 대한 평가결과(준거기준에 부합)는 당사의 신용등급 상환능력이 고려되지 않은 것입니다. 투자자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금번 제279-1회 무보증 사채는 당사 ESG사업 중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 을위한 목적의 녹색채권으로, 단기적인 영업실적 또는 재무성과 제고를 위하여 발행되는 것이 아닙니다.
또한, 제279-1회 무보증 사채를 통해 조달되는 자금이 당초계획(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과 다르게 집행되거나 기대한 환경적 가치(태양광 발전 효율 향상 및 발전량 증가를 통한 환경 개선효과)를 달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제279-1회 사채의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 등록 취소 또는 당사의 평판 악화 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한편, 제279-1회 무보증 사채 는 국제자본시장협회(ICMA)의 녹색채권원칙(Green Bond Principles) 및 금융위 및 환경부 등이 제정한 녹색채권가이드라인을 준수하여 발행됩니다. NICE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로부터 당사의 녹색채권 관리체계(Framework)가 ICMA의 녹색채권원칙과 금융위 및 환경부 등이 제정한 녹색채권가이드라인에 부합한다는 인증(Verification)평가를 받았으며 본 사채에 대한 ESG 금융상품 평가 결과 NICE신용평가(주)로부터 그린1등급을 한국기업평가(주)로부터 G1등급을 획득하였습니다. NICE신용평가(주)로부터 획득한 그린1등급 및 한국기업평가(주)로부터 획득한 G1등급의 정의는 다음과 같으며, 구체적인 평가내용은 기타공시첨부서류로 첨부한 ESG인증평가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제279-1회] |
평가기관 | 등급 | 정의 |
---|---|---|
NICE신용평가(주) | 그린1 | 녹색채권 프로젝트의 분류체계상 적합성, 자금의 용도, 사업의 평가 및 선정절차, 자금의 관리, 사후보고 및 외 부공시 등에 있어서 [매우 우량]한 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
한국기업평가(주) | G1 | 채권의 발행대금이 적격 프로젝트에 사용되는 비중이 높고, 프로젝트 평가 및 선정 절차, 조달자금의 관리체계 및 공시수준이 매우 우수 |
다만, 동 평가 결과는 당사의 녹색채권 관리체계에 대한 것이며, 당사의 신용등급 및 상환능력이 고려되지 않은 것으로서 원리금 상환을 보장한다는 의미가 아니므로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특별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사채 중 제279-1회 무보증 사채는 발행 직후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SRI)채권 전용 세그먼트에 등록될 예정이며, 당사는 제279-1회 무보증 사채 발행을 통해 조달한 자금의 집행이 완료될 때까지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 운영지침에 따라 매년 당사 홈페이지 및 한국거래소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를 통해 조달자금의 사용내역, 미사용 금액의 사용예정시기, ESG개선 효과 등을 공시할 예정이오니 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투자의사 결정에 전자공시 참조]
차.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 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상기 사업위험, 회사위험 및 기타위험을 고려하시어 투자자 제위의 현명한 판단을 바랍니다.
IV.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금번 한화솔루션㈜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의 공동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주), KB증권(주) 및 NH투자증권(주)(이하 "주관회사"라 함)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119조 제1항 및 제125조에 따라 본 공모에 따른 평가의견을 기재합니다. 본 장에 기재된 분석의견은 "공동대표주관회사"가 기업실사과정을 통해 발행회사인 한화솔루션㈜로 부터 제공받은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한 합리적, 주관적 판단일 뿐이므로, 이로 인해 "공동대표주관회사"가 투자자에게 본건 공모에의 투자 여부에 관한 경영 또는 재무상의 조언 또는 자문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이러한 분석의견의 제시로 인하여 예비투자설명서, 투자설명서 또는 증권신고서 기재 내용의 진실성, 정확성에 관하여 원칙적으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상의 책임을 부담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공동대표주관회사"가 상당한 주의 의무를 하지 아니하여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예비투자설명서 및 간이투자설명서 포함)의 "공동대표주관회사"의 분석의견의 기재사항 중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함으로써 증권의 취득자가 손해를 입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5조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가능성도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기업실사 참여기관, 기타 전문가 등이 상당한 주의 의무를 하지 아니하여 본인의 평가의견 기재 등과 관련하여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예비투자설명서 및 간이투자설명서 포함)의 기재사항(일정한 경우 첨부서류 포함)의 중요사항에 관하여 거짓의 기재 또는 표시가 있거나 중요사항이 기재 또는 표시되지 아니함으로써 증권의 취득자가 손해를 입은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5조에 따라 손해배상책임을 부담할 가능성이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본 평가의견에 기재된 "공동대표주관회사"의 분석의견 중에는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여러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최초에 예측했던 것과 다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
1. 분석기관
구 분 | 회 사 명 | 고 유 번 호 |
---|---|---|
공동대표주관회사 | 한국투자증권(주) | 00160144 |
공동대표주관회사 | KB증권(주) | 00164876 |
공동대표주관회사 | NH투자증권(주) | 00120182 |
2. 분석의 개요
"공동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주), KB증권 및 NH투자증권(주)는『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제71조 및 동법 시행령 제68조에 의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다수인을 상대로 한 모집ㆍ매출 등에 관여하는 인수회사로서, 발행인이 제출하는 증권신고서 등에 허위의 기재나 중요한 사항의 누락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인수 또는 모집ㆍ매출의 주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 적절한 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이 제정한 『금융투자회사의 기업실사(Due Diligence) 모범규준』(이하 '모범규준'이라 한다)의 내용을 내부 규정에 반영하여 2012년 2월 1일부터 제출되는 지분증권, 채무증권 증권신고서를 대상(자산유동화증권 등 제외)으로 기업실사를 의무적으로 수행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범규준' 제3조 제5항에 따르면 금융투자회사의 이사회나 리스크관리위원회의 의사결정을 거쳐 '모범규준'의 내용(실사수준)을 생략하거나 강화 또는 완화 적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였는 바,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채무증권의 인수 또는 모집ㆍ매출의 주선업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채권의 특성 및 발행회사의 일정요건 충족여부 등에 따라 회사 내부의 의사결정을 거쳐 기업실사 수준을 완화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본 채무증권은 "공동대표주관회사" 내부 지침 상의 기업실사 수준 완화대상기업 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며, 이에 동사의 우량한 재무구조 및 실적 등을 고려하여 내부적으로 마련한 기업실사 방법 및 절차에 따라 기업실사 업무를 수행하였습니다.
<금융투자회사의 기업실사 모범규준> |
---|
제3조(적용범위 등) ① 이 규준은 법 제119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증권신고서 및 법 제122조의 규정에 의한 정정신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적용하며, 영업의 실체가 있는 발행회사가 제출하는 지분증권, 채무증권 증권신고서를 대상으로 하고 자산유동화증권 등은 적용대상에서 제외된다. ② 이 규준은 주간회사가 업무수행 중 참고해야 할 기본적인 지침으로 발행회사의 재무 및 영업 현황, 사업 환경, 투자위험, 인수 형태 등을 감안하여 강화하거나 완화하는 등 탄력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③ 기업공개의 경우 기업공개 실사절차의 특성을 감안하여 이 규준의 내용중 한국거래소의 상장심사지침 등에서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는 내용과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생략하거나 완화할 수 있다. ④ 채무증권의 경우 i)보증유무, 상환조건(만기, 옵션유무), 특약 등 해당 사채의 특성, ii)법 제119조제2항에서 규정하고 있는 일괄신고서에 의한 발행인지 여부, iii)발행회사가 시행령 제121조제6항의 요건을 충족하고 있는지 여부, iv)해당 사채권에 대한 신용평가등급(외부 및 내부) 등을 감안하여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이 규준을 완화할 수 있다. ⑤ 제2항 내지 제4항에 따라 이 규준을 생략하거나 강화 또는 완화하는 경우에는 이사회나 리스크관리위원회(이하 '리스크관리위원회 등')의 의사결정을 거쳐야 한다. |
3. 기업실사 일정 및 주요 내용
일시 | 장소 | 참여자 | 기업실사내용 및 확인자료 | |
---|---|---|---|---|
발행회사 | 평가회사 | |||
2021년 12월 29일 | 한화솔루션 (본사) |
한화솔루션 | 한국투자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
- 초도방문 - 이사회의사록 검토 - 회사채 발행개요 및 일정 협의 - 기업실사 관련 절차 안내 |
2021년 12월 31일 ~ 2022년 01월 03일 |
유선 및 이메일 | - 최근 공시 및 언론 확인 등을 통한 발행회사 및 해당 산업 조사 - 상법 및 기타 관련 규정, 정관 검토 - 발행시장 상황, 자금조달규모 적정성, 공모가액 희망 할인율 |
||
2022년 01월 04일 | 한화솔루션 (본사) |
- 현장실사를 통한 Due-Diligence Checklist 세부사항 점검 - 기존사업 및 신규사업에 대한 세부사항 검토 질의응답 - 주요 재무적 이슈 및 기타 회사채발행 진행에 대한 질의 응답 |
||
2022년 01월 05일 ~ 2022년 01월 11일 |
유선 및 이메일 | - 실사 요청자료 목록 및 Check List 확인 - 현장실사시 수령 자료 분석 및 검토 - 기업실사보고서 작성 및 추가 질의사항 검토 - 기업실사 및 증권신고서 관련 세부사항 질의 및 응답 - 기업실사보고서 작성 - 실사 내용 및 증권신고서 기재사항 확인 |
||
한화솔루션 (본사) |
- 인수계약서 체결 - 증권신고서 기재사항 검토 - 증권신고서 첨부서류 등 검토 |
4. 기업실사 참여자
[공동대표주관회사 및 외부전문가] |
소속기관 | 부서 | 성명 | 직책 | 실사업무분장 | 주요경력 |
---|---|---|---|---|---|
한국투자증권(주) | 인수영업2부 | 남상진 | 이사 | 기업실사 총괄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한국투자증권(주) | 인수영업2부 | 김관호 | 팀장 | 기업실사 책임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한국투자증권(주) | 인수영업2부 | 김서현 | 대리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한국투자증권(주) | 인수영업2부 | 정원대 | 주임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NH투자증권(주) | Heavy Industry부 | 김민규 | 부장 | 기업실사 총괄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NH투자증권(주) | Heavy Industry부 | 김재영 | 과장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NH투자증권(주) | Heavy Industry부 | 조주형 | 주임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KB증권(주) | 기업금융1부 | 김영동 | 이사 | 기업실사 총괄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KB증권(주) | 기업금융1부 | 김지훈 | 차장 | 기업실사 책임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KB증권(주) | 기업금융1부 | 변지승 | 대리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KB증권(주) | 기업금융1부 | 윤동환 | 주임 |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 2021년 12월 29일 ~ 2022년 01월 12일 |
[발행회사] |
소속기관 | 부서 | 성명 | 직책 | 실사업무분장 |
---|---|---|---|---|
한화솔루션(주) | 금융팀 | 한민형 | 팀장 | 기업실사 총괄 |
한화솔루션(주) | 금융팀 | 윤영철 | 차장 | 기업실사 책임 |
한화솔루션(주) | 금융팀 | 이정용 | 과장 | 기업실사 자료 제공 |
한화솔루션(주) | 금융팀 | 정현석 | 과장 | 기업실사 자료 제공 |
한화솔루션(주) | 금융팀 | 전웅 | 대리 | 기업실사 자료 제공 |
5. 기업실사 세부항목 및 점검 결과
항 목 | 세부 확인사항 |
---|---|
1. 모집 또는 매출증권에 관한 일반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 |
2. 증권의 주요 권리 내용 | 기업실사 보고서 (주2) |
3. 투자위험요소 | 기업실사 보고서 (주3) |
4. 자금의 사용목적 | 기업실사 보고서 (주4) |
5. 경영능력 및 투명성 | 기업실사 보고서 (주5) |
6. 회사의 개요 | 기업실사 보고서 (주6) |
7. 사업의 내용 | 기업실사 보고서 (주7) |
8. 재무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8) |
9. 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 기업실사 보고서 (주9) |
10. 회사의 기관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0) |
11. 주주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1) |
12.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2) |
13.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등 | 기업실사 보고서 (주13) |
14. 기타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 기업실사 보고서 (주14) |
※ 상기 기업실사항목의 상세내역은 증권신고서에 첨부된 [기업실사보고서] 첨부 문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6. 종합 의견
가. 동사는 여수ㆍ울산석유화학단지 내 생산설비를 보유하고 폴리에틸렌(PE) 및 폴리염화비닐(PVC) 등 합성수지와 염소ㆍ가성소다 등을 주력제품으로 생산ㆍ판매하는 석유화학기업으로 한화 그룹의 핵심 계열사입니다. 특히, 2014년 12월 동사는 한화솔라원에 한화큐셀을 통합하였고, 2015년 동사의 100% 자회사 한화솔라홀딩스의 자회사인 한화솔라원과 미국 나스닥 상장법인 한화큐셀을 통합하였으며, 이후 2019년 01월 16일 통합된 한화큐셀은 이후 한화솔라홀딩스와 합병 완료하였으며, 한화큐셀을 나스닥에서 상장폐지하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2018년 11월 1일을 합병기일로 동사의 100% 자회사인 한화첨단소재를 한화큐셀코리아와 합병하여 통합법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를 탄생시켰고, 추가로 동사의 종속회사였던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는 2019년 09월 01일을 기준으로 인적분할의 방식으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분할신설회사") 및 한화글로벌에셋("분할존속회사")로 분할되었으며, 이후 2020년 01월 01일을 합병기일로 동사에 흡수합병 되었습니다. 동사를 포함한 한화그룹은 한화종합화학(舊 삼성종합화학) 인수를 통하여 기존 유틸리티 공급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기반 확보 및 종합에너지 회사로 에너지 관련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는 2021년 04월 01일에는 100% 자회사인 유통부문의 한화갤러리아와 흡수합병 기타부문의 한화도시개발과 분할합병을 완료하였습니다. 금번 합병으로 자원의 효율적인 배분과 의사결정 구조 단순화로 동사의 경영 효율성을 높이고, 사업영업 시너지를 통해 신규사업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나. 동사는 주력 사업인 케미칼, 태양광을 비롯하여 다각화된 사업기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케미칼부문에선 합성수지, 중간원료 등 다운스트림 중심의 석유화학 제품을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PE(Polyethylene) 중 주력인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폴리에틸렌)제품에서 국내 최대의 생산능력을 보유 중이며, 염소 및 가성소다(NaOH)를 주력품목으로 생산하는 C/A(Chlor-Alkali)사업은 지역 독점적입니다. 태양광부문에선 글로벌 셀·모듈 시장 내 중상위권의 지위를 유지 중이며, 케미칼부문에서 염소(Cl2)→EDC(Ethylene Dichloride)→VCM(Vinyl Chloride Monomer)→PVC 로 이어지는 중간원료 자급구조를 보유함으로써 원가경쟁력이 우수하고, 주 원료인 에틸렌을 관계사인 여천 NCC로부터 안정적으로 조달받고 있는 등 관계사 기반 수직계열화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태양광 부문 내 수직계열화를 구축하고 있고, 첨단소재부문은 양호한 기술력을 토대로 현대·기아차 등 고정거래기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유통부문은 고가품 소비층을 확보하여 일정 수준의 접객능력을 유지하는 등 전반적인 사업이 안정적입니다.
다. 동사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글로벌에셋㈜ (舊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등 다수의 주력 계열사 지분을 보유하며 (주)한화와 더불어 그룹의 실질적인 모회사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라. 동사는 동사와 연결대상 종속회사에 포함된 회사들이 영위하는사업부문을 원료부문, 태양광부문, 가공부문, 유통부문, 기타부문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업부문별 주요 회사 및 매출비중] |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영위사업 | 관련회사 | 매출비중 |
---|---|---|---|
원료부문 | 석유화학산업 (PO, PVC, CA, TDI 등 석유화학제품)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
40.49% |
가공부문 | 경량복합소재(자동차부품 등),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의 플라스틱 가공사업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한화컴파운드(주) 등 |
7.12% |
유통부문 | 백화점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3.79% |
태양광부문 | 태양광 산업 | 한화솔루션(주) 태양광 부문, Hanwha Q CELLS Co., Ltd |
46.13% |
기타부문 | 부동산 개발사업 등 | (주)한화도시개발 등 |
2.47% |
주) 연결조정 전(조정 -25,866억원) 총액기준 |
출처 : 동사 2021년 3분기보고서 |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동사의 태양광부문 매출이 동사 매출의 46.1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원료부문이 40.49%로 두번째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원료부문 및 태양광부문의 매출이 동사 전체 매출의 86.62%에 이르는 만큼, 동사는 원료부문의 석유화학사업 및 태양광부문의 태양광사업의 실적에 큰 영향을 받습니다. 그 밖에 동사의 가공부문이 매출의 7.12%, 유통부문이 매출의 3.79%, 기타부문이 매출의2.47%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마.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태양광 부문의 매출액의 경우, 2021년 2분기 발전사업 매각관련 매출액 증가 등으로 전년 동기 대비 유사한 실적을 유지하였으나 태양광 원부자재(웨이퍼, EVA Sheet, 유리 등) 가격 강세와 해상 운임비 급등으로 영업손익의 경우, 적자상태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유통부문의 경우, 코로나 19에도 불구하고 명품 수요의 확대와 프리미엄 전략에 힘입어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16.2%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전환되었습니다. 가공부문역시 자동차산업에 사용되는 경량복합소재 및 완성차 시장 등 전방산업의 경기 호조로 인해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면서 매출이 전년동기 대비 20.0% 가량 증가하였고 영업손익 역시 전년동기 대비 흑자 전환되었습니다. 원료부문의 경우, 중국 석탄가격 상승과 미국 허리케인 등에 따른 공급 부족으로 PVC 국제가격이 상승했고, 가성소다 역시 중국업체 전력난의로 국제 가격이 상승하면서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의 경우, 전년동기 대비 54.8% 증가하였고 영업이익의 경우 159.1% 증가하면서 큰 폭의 수익성 개선이 발생하였습니다. 이처럼 전체 사업부문의 매출액 신장과 가공 부문과 유통 부문의 흑자전환 및 원료 부문의 큰 폭의 영업이익 시현 등에 기반한 영업이익의 증가로 동사의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매출 및 수익성은 전년 동기 대비 개선되었습니다.
[동사의 연결기준 매출 및 수익성] |
(단위 : 백만원)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매출액 | 7,762,130 | 6,633,215 | 9,195,008 | 9,457,390 | 9,046,042 |
매출총이익 | 1,686,930 | 1,466,426 | 1,925,893 | 1,850,114 | 1,587,480 |
영업이익 | 654,082 | 528,803 | 594,183 | 459,151 | 354,346 |
당(분)기순이익 | 801,391 | 401,004 | 301,722 | -248,865 | 160,445 |
매출총이익률 | 21.7% | 22.1% | 20.94% | 19.56% | 17.55% |
영업이익률 | 8.4% | 8.0% | 6.46% | 4.85% | 3.92% |
당기순이익률 | 10.3% | 6.0% | 3.28% | -2.63% | 1.77% |
출처 : 동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및 2021년 3분기보고서 |
바. 다만 저수익 사업부문 자산에 대한 손상차손 반영이 대부분 완료된 점, 면세점 철수 등 유통 사업부문의 자체적인 구조조정이 마무리된 점 등을 감안할 때, 대규모 비경상적 비용 부담이 향후 지속적으로 발생할 가능성은 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동사는 2018년 11월 한화큐셀코리아의 연결대상 편입효과로 인해 2019년은 매출액 9조 4,574억원, 영업이익 4,592억원으로 각각 전년 대비 4.55%, 29.58% 증가하였으나, 유형자산 손상차손 등 비경상적 비용의 발생으로 인해 2,489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바 있습니다. 당기순손실과 관련하여, 2019년 중 원료(3,012억원, 폴리실리콘 사업관련 유형자산 손상차손), 태양광(1,178억원, 매출채권 충당금 설정 등), 가공(745억원, 해외법인 손상차손), 유통(675억원, 면세점 손상차손 등) 사업부문에서 총 5,610억원의 대규모 비경상적 비용부담이 발생하였습니다. 동사의 매출은 석유화학 및 태양광 산업 업황, 관계사 합병 등 사업 조정에 따라 변동성이 내재되어 있으나, 다각화된 사업구조 및 핵심사업들의 우수한 경쟁력을 바탕으로 2020년 기준으로 9조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하고 있으며 중기적으로도 이러한 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1년 3분기의 경우 수익성 개선에 힘입어 전년동기 대비 총자산증가율 및 영업이익증가율은 각각 17.44% 및 23.69%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요 성장성지표(연결)] |
(단위 : %)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
성장성지표 | 총자산증가율 | 17.44 | -0.78 | -3.47 | 2.95 | 11.59 |
매출액증가율 | 17.02 | -5.93 | -2.77 | 4.55 | -3.17 | |
영업이익증가율 | 23.69 | 51.8 | 29.41 | 29.58 | -53.15 |
출처 : 동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및 2021년 3분기보고서, KISLINE |
사. 동사의 총자본회전율은 2018년 0.63회에서 2021년 3분기 0.63회로 지속적으로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2021년 3분기 기준 재고자산 회전율 및 매출채권 회전율은각각 6.08회 및 6.07회를 기록하였으며 최근 3년간 약 5~7회 내외 수준으로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는것으로 미루어 보아, 영업활동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주요 활동성지표(연결)] |
(단위 : 회) |
구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
활동성지표 | 총자본회전율 | 0.63 | 0.57 | 0.60 | 0.61 | 0.63 |
재고자산회전율 | 6.08 | 5.71 | 6.32 | 6.42 | 6.93 | |
매출채권회전율 | 6.07 | 5.19 | 5.47 | 5.26 | 5.09 |
출처 : 동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및 2021년 3분기보고서, KISLINE |
아. 동사의 2021년 3월말 기준의 부채비율 및 차입금 의존도는 연결기준 각각 114.02%, 29.90% 및 별도기준 각각 82.80%, 32.39%를 기록하였으며, 2020년 3분기 대비 2021년 3분기 두 지표 모두 소폭 감소하며 안정성이 개선된 모습으로 판단됩니다. 이는, 2021년 영업활동현금흐름 폭이 개선되며 설비 투자 등에 소요되는 자금을 자체충당함에 따른 차입금 감소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연결 기준 부채비율 및 차입금의존도 추이]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자산총계 | 17,777,756 | 15,559,355 | 15,137,320 | 15,681,129 | 15,231,475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1 | 1,307,253 | 1,199,837 | 1,084,516 | 1,024,121 |
부채총계 | 9,471,076 | 9,441,648 | 9,169,604 | 9,875,282 | 9,004,379 |
차입금 | 5,314,832 | 6,224,057 | 5,688,574 | 6,368,573 | 5,888,542 |
유동성차입금 | 2,377,087 | 3,208,083 | 2,971,926 | 3,384,514 | 2,893,481 |
비유동성차입금 | 2,937,745 | 3,015,974 | 2,716,648 | 2,984,059 | 2,995,061 |
순차입금 | 3,485,611 | 4,916,804 | 4,488,737 | 5,284,057 | 4,864,421 |
자본총계 | 8,306,680 | 6,117,707 | 5,967,715 | 5,805,847 | 6,227,096 |
부채비율 | 114.02% | 154.33% | 153.65% | 170.09% | 144.60% |
차입금의존도 | 29.90% | 40.00% | 37.58% | 40.61% | 38.66% |
유동성차입금 CCR | 76.95% | 40.75% | 40.37% | 32.04% | 35.39% |
주1) 차입금의존도 : 총차입금/자산총계 |
(출처 : 동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및 2021년 3분기보고서) |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당사의 1년 내 만기가 도래하는 유동성 차입금은 1조 9,148억원으로 2020년말 2조 5,761억원 대비 6,613억원 감소하였습니다. 단기차입금에는 매출채권담보대출이 포함되어 있어 이에 대한 상환부담은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며, 연결기준으로 유동성 차입금의 95.53%에 해당하는 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을 보유한 가운데 만기도래 회사채의 무난한 차환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로 인한 단기차입금 상환 부담은 비교적 낮은편입니다. 또한, 2021년 3분기 연결 기준 보유 유동성(현금및현금성자산 1조 8,292억원,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조 7,417억원, 기타금융자산 2,538억원) 등은 유동성 경색 시 활용 가능하므로 재무안정성에 관한 부담은 없다고 판단됩니다.
[동사 차입금의 구성내역] |
(단위: 백만원)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금융기관차입금 | 1,914,790 | 1,338,700 | 2,576,102 | 1,164,824 | 2,675,257 | 1,654,012 | 2,238,679 | 1,872,227 |
사채 | 462,297 | 1,599,045 | 395,824 | 1,551,824 | 709,256 | 1,330,047 | 654,802 | 1,122,835 |
합 계 | 2,377,087 | 2,937,745 | 2,971,926 | 2,716,648 | 3,384,514 | 2,984,059 | 2,893,481 | 2,995,061 |
주) 연결기준 |
출처 : 동사 각 사업연도 사업보고서 및 2021년 3분기보고서 |
자. 동사의 차입금 만기구조, 영업현금흐름 창출능력, 한화그룹 핵심계열회사로서의위상, 추가적인 담보여력 및 여신한도, 유형자산의 담보가치 등의 제반사항을 고려하였을 때 금번 발행되는 동사의 제279회 무보증사채의 원리금 상환은 무난할 것으로 사료되나, 글로벌 원자재 가격의 상승, 주요 시장의 침체 및 높은 실적 변동성 등으로 인하여 동사의 매출 및 수익성에 예상치 못한 변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업환경의 악화 등이 발생하게 되면 차입금이 단기간에 급증하여 이로 인해 본 무보증사채의상환에 대한 확실성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차. 금번 발행과 관련하여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에서 평정한 동사의 회사채 평정등급은 AA-(Stable)등급입니다. 동사의 신용등급은 NICE신용평가(주)로부터 회사채 신용등급이 기존 A+(Stable)에서 2017년 5월 15일 A+(Positive)로, 2018년 11월 16일 AA-(Stable)로 상향 조정되었으며, 한국기업평가(주)로부터 회사채 신용등급이 기존 A+(Stable)에서 2017년 9월 11일 A+(Positive)로, 2018년 05월 09일 AA-(Stable)로 상향조정되었습니다. 이후, 2020년 04월 01일 NICE신용평가(주), 2020년 04월 03일 한국기업평가(주) 로부터 회사채 신용등급이 AA-(Negative) 로 등급전망이 조정되었으며, 2021년 04월 07일 한국기업평가(주) 및 2021년 04월 08일 NICE신용평가(주)로 부터 AA-(Negative)에서 AA-(Stable)로 등급전망이 상향되었습니다. 단기간내 동사의 신용등급이 하락할 가능성은 높지 않으나 주요 산업의 급격한업황 악화 및 투자 관련 자금조달 부담시 추후 변동 될 수 있습니다. 신용등급의 하락은 자금조달비용 증가 및 자금조달 여건악화에 따른 유동성위험과 밀접한 연관을 가지므로 향후 동사에 대한 추가적인 신용등급 평가 결과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카. 공동대표주관회사인 한국투자증권(주), KB증권 및 NH투자증권(주)는 한화솔루션(주)가 제출한 자료와 동사가 객관적으로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다고 믿어지는 자료를 중심으로 실사를 수행하였으며, 객관적인 입장에서 공정을 기하기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다 하였습니다. 공동대표주관회사는 상기 실사를 통해 제공받는 자료들로부터 도출된 결과나 오류, 누락 등에 대하여 책임지지 않으며, 인간적 또는 기계적, 기타 그 외의 다른 요인에 의한 오류발생 가능성으로 인해 본 평가 내용에 대해 명시적으로 혹은 묵시적으로도 증명이나 서명 또는 보증 및 단언을 할 수 없습니다.
타.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상기 검토결과는 물론 동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에 기재된 회사 전반의 현황 및 재무상의 위험, 산업 및 영업상의 위험요인 등을 감안하시어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동사가 현재 알고 있지 못하거나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동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에 기재하지 않은 사항이라 하더라도 회사의 운영에 중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으므로, 투자자께서는 동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에 기재된 정보에만 의존하여 투자판단을 해서는 안되며, 독자적이고도 세밀한 판단에 의해 투자결정을 하시기 바랍니다.
2022. 01. 11 |
공동대표주관회사 KB증권 주식회사 |
대표이사 김 성 현 |
공동대표주관회사 한국투자증권 주식회사 |
대표이사 정 일 문 |
공동대표주관회사 NH투자증권 주식회사 |
대표이사 정 영 채 |
V.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 금액
[회 차 : 279-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275,000,000,000 |
발행제비용(2) | 892,380,000 |
순수입금[(1)-(2)] | 274,107,620,000 |
주) 상기 발행제비용은 회사의 자체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회 차 : 279-2]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
모집 또는 매출총액(1) | 105,000,000,000 |
발행제비용(2) | 351,111,600 |
순수입금[(1)-(2)] | 104,648,888,400 |
주) 상기 발행제비용은 회사의 자체자금으로 충당할 예정입니다. |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회 차 : 279-1]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192,500,000 | 발행가액 × 0.07% |
대표주관수수료 | 27,500,000 |
발행가액 × 0.01% |
인수수수료 | 550,000,000 | 인수총액 × 0.20% |
사채관리수수료 | 3,000,000 | 정액지급 |
신용평가수수료 | 98,500,000 | 신용평가사별 수수료(VAT 별도) |
ESG평가수수료 | 20,000,000 | 신용평가사별 수수료 |
상장수수료 | - | ESG 채권 면제 |
상장연부과금 | - | ESG 채권 면제 |
등록비용 | 500,000 | 발행액 × 0.001% (최대 50만원) |
원리금지급대행수수료 | 360,000 | 건당 3만원 X 12회 |
표준코드발급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합 계 | 892,380,000 | - |
주1) 세부내역 |
- 발행분담금 : 금융기관분담금 징수등에 관한 규정 제5조 |
- 대표주관수수료: 발행사와 대표주관사 협의 |
- 인수수수료: 발행사와 인수단 협의 |
- 사채관리수수료: 발행사와 사채관리회사 협의 |
- 신용평가수수료 : 각 신용평가사별 수수료 |
- 상장수수료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
- 상장연부과금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
- 등록비용 : 채권등록업무규정 |
- 표준코드발급수수료 : 표준코드 발급 건당 2만원(한국거래소) |
주2) 금번 당사가 발행하는 제279-1회 무보증사채는 녹색채권이므로, 한국거래소의 녹색채권 등 사회책임투자채권 발행 및 상장 활성화를 위한 상장수수료 및 연부과금 면제 정책에 따라 상장수수료 및 상장연부과금이 면제될 예정입니다. |
[회 차 : 279-2] |
(단위 : 원) |
구 분 | 금 액 | 계산근거 |
---|---|---|
발행분담금 | 73,500,000 | 발행가액 × 0.07% |
대표주관수수료 | 10,500,000 |
발행가액 × 0.01% |
인수수수료 | 210,000,000 | 인수총액 × 0.20% |
사채관리수수료 | 3,000,000 | 정액지급 |
신용평가수수료 | 51,000,000 | 신용평가사별 수수료(VAT 별도) |
상장수수료 | 1,500,000 | 발행금액 1,000억원 이상 ~ 2,000억원 미만 |
상장연부과금 | 491,600 | 상장기간 1년당 100,000원 (최대 50만원) |
등록비용 | 500,000 | 발행액 × 0.001% (최대 50만원) |
원리금지급대행수수료 | 600,000 | 건당 3만원 X 20회 |
표준코드발급수수료 | 20,000 | 건당 2만원 |
합 계 | 351,111,600 |
- |
주) 세부내역 |
- 발행분담금 : 금융기관분담금 징수등에 관한 규정 제5조 |
- 대표주관수수료: 발행사와 대표주관사 협의 |
- 인수수수료: 발행사와 인수단 협의 |
- 사채관리수수료: 발행사와 사채관리회사 협의 |
- 신용평가수수료 : 각 신용평가사별 수수료 |
- 상장수수료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
- 상장연부과금 :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 및 시행세칙 |
- 등록비용 : 채권등록업무규정 |
- 표준코드발급수수료 : 표준코드 발급 건당 2만원(한국거래소) |
2. 자금의 사용목적
가. 자금의 사용목적
회차 : | 279-1 | (기준일 : | 2022년 01월 17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275,000,000,000 | - | - | - | - | - | 275,000,000,000 | 녹색채권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
주2) 본 제279-1회 무보증사채는 녹색채권입니다. |
회차 : | 279-2 | (기준일 : | 2022년 01월 17일 | ) | (단위 : 원) |
시설자금 | 영업양수 자금 |
운영자금 | 채무상환 자금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기타 | 계 | 비고 |
---|---|---|---|---|---|---|---|
- | - | - | 105,000,000,000 |
- | - | 105,000,000,000 |
- |
주1) 발행제비용은 당사 보유 자체자금으로 조달할 예정입니다. |
나.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
1) 제 279-1회
금번 당사가 발행하는 제279-1회 무보증사채는 ESG채권(녹색채권)으로 채권 발행을 통해 조달하는 발행 총액 2,750억원을 당사가 추진하는 ESG사업 중 큐셀부문 진천공장 고효율 라인 전환투자 시설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시설자금]
(단위 : 억원, %) |
프로젝트명 | 프로젝트 주요 내용 | 구분 | 2022년 | 2023년 | 합계 |
---|---|---|---|---|---|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 | 기존 생산라인 개조를 통해 대형화 웨이퍼 도입 및 TOPCon 기술을 적용한 고효율 셀/모듈 생산라인으로 전환 | 셀 | 1,310 | 472 | 1,782 |
모듈 | 514 | 540 | 1,054 | ||
합계 | 1,824 | 1,012 | 2,836 |
주1) 본 사채 발행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사용시까지 은행예금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통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
주2) 부족자금은 당사의 자체자금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
※ 본 제279-1회 무보증사채로 조달하는 금액은 2,750억원으로, 전액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시설) 프로젝트에 자금이 투입될 계획입니다.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프로젝트에는 제279-1회 무보증사채로 조달하는2,750억원을 포함하여 총 2,836억원의 자금이 2022년부터 2023년까지 투입될 계획이며, 해당 시설 투자를 통해 태양광 발전 효율을 높여주고, 발전량을 증가시키는 환경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또한 동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 프로젝트는 나이스신용평가(주) 및 한국기업평가(주) 외부평가 결과 ICMA의 GBP상 신재생에너지(Renewable Energy) 에 해당하는 것으로 평가받았으며, 그 외 분류체계 범주 및 적격 여부는 기타 공시첨부서류 형태로 본 증권신고서상에 포함, 공시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금번 당사가 발행하는 제279-1회 무보증 공모사채는 국제자본시장협회(International Capital Markets Association, 이하 'ICMA')에서 제정한 '녹색채권 원칙'(Greend Bond Principles, 이하 'GBP') 및 환경부에서 수립한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에 정의 및 규정된 방법론을 준수하여 발행되는 'Green Bond'(녹색채권)입니다. 녹색채권은 발행사인 당사가 자발적으로 조달자금의 사용목적을 상기 방법론 상 규정된 녹색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 및 차환에 사용하겠음을 확약하는 채권입니다.
당사는 ICMA의 'GBP' 및 환경부의 '녹색채권 가이드라인' 의 권고 사항을 준수하기 위한 당사의 녹색채권 관리체계에 대해 한국기업평가 및 NICE신용평가로부터 검증보고서를 획득하였습니다. 투자자 여러분에게 안내해 드리기 위하여 본 녹색채권에 대한 '검증의견서'와 당사의 녹색채권 관리체계를 기타 공시첨부서류 형태로 본 증권신고서상에 포함, 공시하였으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제 279-2회
금번 제279-2회 무보증사채 발행 총액 1,050억원은 채무상환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채무상환자금]
(단위 : 억원, %) |
차입처 | 차입금액 | 이자율(%) | 만기일 | 비고 |
---|---|---|---|---|
국민은행 | 1,000 | 2.34 | 2022.03.25 | - |
산업은행 | 1,000 | 1.72 外 | 2022.02.17 | - |
합 계 | 2,000 | - | - | - |
주1) 본 사채 발행으로 조달하는 자금은 사용시까지 은행예금 등 안정성이 높은 금융상품을 통해 운용할 예정입니다. |
주2) 부족자금은 당사의 자체자금을 활용할 예정입니다. |
VI. 그 밖에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1. 이자보상배율
이자보상배율은 기업의 이자부담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로, 이자보상배율이 1배가 넘으면 회사가 이자비용을 부담하고도 수익이 난다는 의미이고, 1배 미만일 경우에는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지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2021년 3분기 연결기준 5.8배, 별도기준 7.3배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최근 3년간 연결 기준 이자보상배율] |
(단위 : 억원, 배)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영업이익 (A) | 6,541 | 5,288 | 5,942 | 4,592 | 3,543 |
금융비용 (B) | 1,122 | 1,655 | 2,053 | 2,245 | 1,622 |
이자보상배율 (A/B) | 5.8 | 3.2 | 2.9 | 2.0 | 2.2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연결기준) |
[최근 3년간 별도 기준 이자보상배율] |
(단위 : 억원, 배) |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2018년 |
---|---|---|---|---|---|
영업이익 (A) | 4,586 | 3,643 | 4,250 | 2,147 | 3,537 |
금융비용 (B) | 624 | 772 | 956 | 463 | 431 |
이자보상배율 (A/B) | 7.3 | 4.7 | 4.4 | 4.6 | 8.2 |
(출처 : 당사 분기 및 사업보고서, 별도기준) |
2. 미상환사채의 현황
1) 미상환 사채 내역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종 목 | 발행일자 | 권면총액 | 발행방법 | 이자율 | 보증 또는 수탁 기관 | 만기일 | 비 고 |
---|---|---|---|---|---|---|---|
제254-2회 공모사채 | 2018.11.29 | 90,000 | 공모 | 2.50% | 한국증권금융 | 2023.11.29 | - |
제255회 공모사채 | 2019.01.31 | 150,000 | 공모 | 2.31% | 한국증권금융 | 2024.01.31 | - |
제256회 사모사채 | 2019.04.04 | 240,000 | 사모 | 3ML+1.15 | WOORI Bank HK |
2022.04.04 | 외화사모사채 |
제257회 사모사채 | 2019.10.11 | 60,000 | 사모 | 3ML+1.55 | NH Inveswtment & Securities (H.K) Limited. | 2022.10.11 | 외화사모사채 |
제258회 사모사채 | 2019.10.11 | 60,000 | 사모 | 3ML+1.45 | Shinhan Investment Asia Limited. | 2022.10.11 | 외화사모사채 |
제259회 사모사채 | 2019.10.11 | 60,000 | 사모 | 3ML+1.49 | KEB Hana Global Finance Limited. | 2022.10.11 | 외화사모사채 |
제260-1회 공모사채 | 2019.10.24 | 110,000 | 공모 | 1.79% | 한국증권금융 | 2022.10.24 | - |
제260-2회 공모사채 | 2019.10.24 | 80,000 | 공모 | 1.98% | 한국증권금융 | 2024.10.24 | - |
제260-3회 공모사채 | 2019.10.24 | 60,000 | 공모 | 2.28% | 한국증권금융 | 2026.10.24 | - |
제269-1회 공모사채 | 2020.01.22 | 140,000 | 공모 | 1.83% | 한국증권금융 | 2023.01.20 | - |
제269-2회 공모사채 | 2020.01.22 | 140,000 | 공모 | 2.04% | 한국증권금융 | 2025.01.22 | - |
제270회 공모사채 | 2020.04.21 | 210,000 | 공모 | 2.38% | 한국증권금융 | 2023.04.21 | - |
제271회 사모사채 | 2020.06.30 | 40,000 | 사모 | 2.63% | 우리은행 | 2023.06.30 | - |
제 273회 사모사채 (舊) ㈜한화갤러리아 |
2019.07.19 | 36,000 | 사모 | 3ML+0.95% | 하나은행 | 2022.07.19 | 외화사모사채 |
제 274회 공모사채 | 2021.04.19 | 188,210 | 공모 | 3.00% | CGIF(Credit Guarantee Investment Facility) | 2024.04.19 | 외화공모사채 |
제275-1회 공모사채(녹색채권) | 2021.06.17 | 70,000 | 공모 | 1.70% | 한국증권금융 | 2024.06.17 | - |
제275-2회 공모사채(녹색채권) | 2021.06.17 | 30,000 | 공모 | 2.06% | 한국증권금융 | 2026.06.17 | - |
제276회 사모사채 | 2021.10.07 | 135,936 | 사모 | 3ML+1.20 | Shinhan Investment Asia Limited. | 2026.10.07 | 외화사모사채 |
제277회 사모사채 | 2021.11.23 | 120,000 | 사모 | 3ML+1.04 | KDB Asia Limited | 2024.11.23 | 외화사모사채 |
제278회 사모사채 | 2021.12.29 | 84,000 | 사모 | 3ML+0.81 | KEB Hana Global Finance Limited |
2024.12.30 | 외화사모사채 |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회사채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10,000 | 440,000 | 488,210 | 140,000 | 90,000 | - | - | 1,268,210 |
사모 | 456,000 | 40,000 | 204,000 | - | 135,936 | - | - | 835,936 | |
합계 | 566,000 | 480,000 | 692,210 | 140,000 | 225,936 | - | - | 2,104,146 |
※ 별도기준 당사의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2,104,146백만원 입니다.
회사채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10,000 | 440,000 | 531,067 | 140,000 | 90,000 | - | - | 1,311,067 |
사모 | 456,000 | 120,000 | 204,000 | - | 135,936 | - | - | 915,936 | |
합계 | 566,000 | 560,000 | 735,067 | 140,000 | 225,936 | - | - | 2,227,003 |
※ 연결기준 당사의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2,227,003백만원 입니다.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3. 신용평가회사의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가. 신용평가회사
신용평가회사명 | 고유번호 | 평 가 일 | 회 차 | 등 급(Outlook) |
---|---|---|---|---|
한국기업평가(주) | 00156956 | 2022년 01월 11일 |
제279-1회, 제279-2회 | AA-(안정적) |
NICE신용평가(주) | 00158316 | 2022년 01월 07일 |
제279-1회, 제279-2회 | AA-(안정적) |
나. 정기평가 공시에 관한 사항
당사는 증권 인수업무 등에 관한 규정 제11조에 의거, 당사가 발행할 제279-1회 및 제279-2회 무보증사채에 대하여 2개 평가회사에서 평가 받은 신용등급을 사용하였습니다.
2개 신용평가회사의 회사채 평정은 회사채원리금이 약정대로 상환될 확실성의 정도를 전문성과 공정성을 갖춘 신용평가기관의 신용등급으로 평정, 공시함으로써 일반투자자에게 정확한 투자정보를 제공하는 업무입니다.
또한 이 업무는 회사채의 발행 및 유통에 기여하고자 하는 것으로 특정 회사채에 대한 투자를 추천하거나 회사채의 원리금 상환을 보증하는 것이 아니며, 해당 회사채의 만기전이라도 발행기업의 사업여건 변화에 따라 회사채 원리금의 적기상환 확실성에 영향이 있을 경우, 일반투자자 보호와 회사채의 원활한 유통을 위하여 즉시 신용평가등급을 변경 공시하고 있습니다.
다. 평가의 결과
신용평가사 | 신용등급 | 등급의 정의 | Outlook | 주요 평가근거 |
---|---|---|---|---|
NICE신용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안정적 (Stable) | - 석유화학, 태양광, 가공, 유통 등 다각화된 사업구조 - 핵심사업인 석유화학, 태양광부문의 우수한 경쟁지위 - 적극적 투자활동에 따른 대규모 자금소요 지속 - 실적개선 및 유상증자에 따른 재무안정성 개선 - 보유 지분가치 등을 감안한 우수한 재무적 융통성 |
한국기업평가(주) | AA- |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 안정적 (Stable) | - 우수한 시장지위, 수직계열화 등을 고려할 때 사업안정성이 매우 우수 - 영업현금창출 확대, 커버리지 개선 등을 감안할 때 재무안정성이 우수 - 견조한 영업현금창출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 우수한 재무안정성 유지 전망 |
라. 정기평가 공시에 관한 사항
(1) 평가시기
당사는 한국기업평가(주) 및 NICE신용평가(주)로 하여금 만기상환일까지 당사의 매 사업년도 결산후 본 사채에 대하여 정기평가를 실시하게 하고, 동 평가등급 및 의견을 공시하게 합니다.
(2) 공시방법
한국기업평가(주) 및 NICE신용평가(주)는 상기 정기평가에 대한 내용을 각 신용평가회사의 홈페이지에 게시하여 공시합니다.
한국기업평가(주) : http://www.rating.co.kr
NICE신용평가(주) : http://www.nicerating.co.kr
4.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본 사채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에 의거 전자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등록부에 사채의 권리 내용을 등록하여 등록발행 합니다.
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20조 제3항에 의거 본 증권신고서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이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또한 이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본 사채는 금융기관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지급은 한화솔루션 주식회사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본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내용은 신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발생된 것으로 본 신고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에 자산, 부채, 현금흐름 또는 손익상황에 중대한 변동을 가져오거나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항은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자가 투자의사를 결정함에 있어 유의하셔야 할 사항이 본 증권신고서상에 누락되어 있지 않습니다.
5. ESG채권에 관한 사항
항 목 |
내 용 |
|||||||||
회 차 |
제279-1회 |
|||||||||
ESG채권 종류 |
녹색채권 |
|||||||||
준거기준 |
- 국제자본시장협회(International Capital Market Association)의 녹색채권원칙(Green Bond Principles, GBP), 사회적채권원칙(Social Bond Principle,SBP),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 SBG) - 환경부 녹색채권가이드라인 |
|||||||||
㈜한화솔루션 ESG채권 관리체계 |
자금용도 |
- 당사는 제279-1회 녹색채권으로 조성된 재원을 국제자본시장협회(International Capital Market Association)의 녹색채권원칙(Green Bond Principles, GBP), 사회적채권원칙(Social Bond Principle,SBP),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ustainability Bond Guidelines, SBG) 및 환경부 녹색채권가이드라인 부합하면서 당사의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을 위해 사용할 예정임
- 제279-1회 무보증 사채를 통해 조달된 자금은 상기 태양광 셀/모듈 생산라인 전환 프로젝트의 시설자금으로 사용할 예정 |
||||||||
사업 평가 및 선정 절차 |
당사는 ESG관련 업무를 위한 별도의 전담 부서(ESG사무국)가 조직되어 있으며, 채권발행과 관련하여 아래의 절차를 갖추고 있음 - 발행주관부서(금융팀)는 한화솔루션 각 부문별 투자관리부서의 자금소요 계획을 검토하여 ESG채권 가이드라인 내 발행 여부를 검토 - ESG사무국은 발행주관부서에서 제출한 ESG 채권발행의 필요성, 적격성 등을 검토(환경, 사회적 영향 및 효과에 대한 검토 포함) 후 발행 승인 - 발행주관부서(금융팀)에서 ESG채권 발행 - 발행주관부서는 ESG채권 발행 결과 및 향후 자금 사용 계획에 대해 ESG위원회에 보고 |
|||||||||
조달자금 |
- 별도 ESG계좌 또는 일반계좌를 통해 관리 및 운용 - 일반 계좌 관리 시, 별도의 문서화된 대장 또는 장부의 작성을 통하여 관리할 방침 - 발행자금의 배분대상사업에 적절하게 배분하여 집행한 후에는 발행주관부서(금융팀)에서 사내 투자관리 시스템등을 활용하여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할 방침 - 미사용 발행 자금에 대해서는 내부 자금운영관리규정 등에 의거하여 MMDA,MWW 등 안정성 있는 금융상품으로 운용 - 자회사 및 타기업 등에 투자 및 출자 용도로 ESG채권 발행시, 해당기업으로부터 자금사용 내역에 관하여 수취하고, 해당 자금이 적격 프로젝트에 사용되는지 모니터링 및 관리를 수행할 방침 |
|||||||||
사후보고 |
- 당사는 ESG위원회 보고 절차를 거쳐 ESG채권 발행자금의 사용내역 및 효과성을 포함한 투자자 안내문을 연간단위로 당사 홈페이지(http://hanwhasolutions.com/ko/)및 한국거래소의 사회책임투자채권 홈페이지(http://sribond.krx.co.kr)를 통해 제공할 예정 - 투자자 안내문은 발행자금 사용 완료 시까지 발행일로부터 매 1년마다 제공되며, 다음의 정보를 포함할 예정 ㄱ.ESG채권 발행자금이 지원된 사업 관련 정보 ㄴ.ESG채권 발행자금 사용금액 및 미사용금액 총계 ㄷ.ESG채권 지원 사업의 환경 및 사회적 개선 기여도 예상 및 실적 수치 |
|||||||||
외부평가 |
외부평가 |
NICE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
평가유형 |
인증 |
|||||||||
평가결과 |
- NICE신용평가(주)는 본 제279-1회 무보증 사채에 대한 ESG금융상품 평가결과 그린 1등급을 부여하고, 당사의 녹색채권 관리체계가 ICMA의 녹색채권원칙(GBP) 사회적채권원칙(SBP), 지속가능채권 가이드라인(SBG) 및 대한민국 환경부의 녹색채권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 것으로 평가 |
주) 제279-1회 녹색채권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은 기타공시첨부서류로 첨부한 '한화솔루션(주) 녹색채권 관리체계’및 외부평가보고서('ESG인증평가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가.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요약)
(단위 : 사) |
구분 | 연결대상회사수 | 주요 종속회사수 |
|||
---|---|---|---|---|---|
기초 | 증가 | 감소 | 기말 | ||
상장 | - | - | - | - | - |
비상장 | 217 | 29 | 15 | 231 | 28 |
합계 | 217 | 29 | 15 | 231 | 28 |
2)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 자회사 | 사 유 |
---|---|---|
신규 연결 |
(주)에이치테크노밸리 | 신규 설립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신규 설립 | |
AZOR POWER SL | 신규 취득 | |
Espardell Directorship, SL | 신규 취득 |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신규 설립 | |
Johnson City Solar, LLC | 신규 설립 | |
Johnson City Storage, LLC | 신규 설립 | |
Plateau Solar, LLC | 신규 설립 | |
Plateau Storage, LLC | 신규 설립 | |
Purvis Solar, LLC | 신규 설립 | |
Purvis Storage, LLC | 신규 설립 | |
South Cheyenne Solar, LLC | 신규 설립 | |
NUN SUN POWER S.L. | 신규 취득 | |
ISIS SUN POWER S.L. | 신규 취득 | |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 신규 취득 | |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 신규 취득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 신규 취득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 신규 취득 | |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신규 취득 | |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신규 설립 | |
주식회사 더블유오에스 | 신규 취득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 신규 설립 | |
HSHC NAM INV LLC | 신규 설립 | |
HSHC LIBRA INV LLC | 신규 설립 | |
HANWHA Q CELLS US O&M LLC | 신규 설립 | |
Hanwha Cimarron LLC | 신규 취득 | |
Cabrero Solar SPA | 신규 취득 | |
Centauro Solar Spa | 신규 취득 | |
Draco Solar SPA | 신규 취득 | |
연결 제외 |
Hanwha Q CELLS Australia Holdings Pty Ltd | 청산 |
Hanwha Q CELLS Solar Technology Australia Pty Ltd | 청산 | |
Nantong Hanwha Import & Export Co., Ltd. | 청산 | |
Hanwha Q CELLS Canada, Inc | 청산 | |
㈜한화갤러리아 | 합병 | |
BT Coniglio Solar, LLC | 매각 | |
Agenor Hive SL | 매각 | |
SPP Wytwarzanie 18 sp. z o.o. | 매각 | |
SPP Wytwarzanie 31 sp. z o.o. | 매각 | |
SPP Wytwarzanie 33 sp. z o.o. | 매각 | |
Sunwolt Sp. z o.o. | 매각 | |
Elektrownia OZE 3 Sp. z o.o. | 매각 | |
QSUN 23 Sp. z o.o. | 매각 | |
QSUN 26 z.o.o. | 매각 | |
㈜아산테크노밸리 | 청산 |
나.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한화솔루션주식회사"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HANWHA SOLUTIONS CORPORATION"으로 표기합니다. 단, 약식으로 표기할 경우에는 "한화솔루션(주)" 또는 "HSC"라고 표기합니다.
다. 설립일자
당사는 1965년 8월 설립된 한국화성공업을 전신으로 하여 1974년 4월 한양화학지주(주)를 설립하였으며 1974년 6월 한국거래소 유가증권 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라.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 주소: 서울시 중구 청계천로 86
- 전화번호: 02-729-2700
- 홈페이지: http://www.hanwhasolutions.com
마. 중소기업 등 해당 여부
중소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벤처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
중견기업 해당 여부 | 미해당 |
바. 주요 사업의 내용 등
당사는 연결기준으로 석유화학사업과 태양광사업, 플라스틱제품 제조업, 소매업, 부동산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1) 연결회사의 각 사업부문 별 주요 사업의 내용
[케미칼 부문]
석유화학 사업은 관계기업인 YNCC로부터 에틸렌을 경쟁력 있는 가격에 구매하여 PE에서 PVC 및 CA, TDI에 이르기까지 일관된 생산체계를 구축한 종합화학 기업이며, 유기화학과 무기화학 산업의 균형을 이루고 있습니다. 2019년부터 고부가 점접착제 원료인 수첨석유수지를 상업생산 진출하였고 절연체 XLPE, 고굴절 렌즈 등에 사용되는 고순도 XDI, 친환경 가소제 등 특화 제품생산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큐셀부문]
태양광 사업에서는 모듈&시스템, 다운스트림, 에너지 리테일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태양광 발전에 필요한 태양전지(셀, 모듈)를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태양광 모듈은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전력의 효율적 관리에 대한 수요 증가로 매년 시장이 지속 성장하고 있는 사업이며, 이를 위한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수요도 확대되고 있어 동 사업에도 진출하였습니다.
2012년 독일 큐셀 인수 후 본격적으로 다운스트림 사업에 진출하였으며, EPC 수주/건설사업 위주의 사업 전개를 통해 2019년 말까지 전 세계적으로 2GW의 시공 실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만, EPC 사업의 risk 대비 낮은 수익성을 해소하고 회사의 중장기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해, 2019년부터는 단순 EPC 시공에서 탈피하여 태양광발전소 개발부터 시공, 매각까지 다운스트림 전 영역을 아우르는 투자개발형 사업으로의 전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리테일 사업은 고객에게 분산 발전원을 활용하여 태양광 에너지를 경제적,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솔루션 큐셀 부문이 보유한 제품(태양광 패널, ESS) 및 판매 역량을 활용하여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첨단소재 부문]
플라스틱 제조업은 자동차부품소재, 산업용소재를 주요 제품으로 하는 경량복합소재부문과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고기능성소재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공기업입니다. 경량복합소재의 다양화와 성형 기술 개발을 통해 사업 및 아이템을 확대하고 있으며, 시장 트렌드를 선도할 수 있는 코팅 기술 고도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 가능한 발전과 모빌리티 시장 패러다임 변화에 맞추어 전기차 배터리 하우징, 배터리 센싱 부품, 그리고 수소차용 연료탱크 사업을 지속 추진하고 있습니다.
[갤러리아 부문]
백화점업은 내수산업으로서 수출입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낮습니다. 또한, 의류와 잡화를 주력 상품으로 판매하는 백화점 특성상 경기변동등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경기변동등에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 고급화 전략 및 VIP마케팅과 차별화를 통한 지역 1번지 백화점으로서의 확고한 지위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도시개발 부문]
부동산 개발사업은 장기간과 대규모 자금이 투입되는 사업으로 그동안 6개의 국내 최고의 대규모 첨단산업단지 개발을 추진하여 산업단지 개발 선도기업위상을 확립하였고 지역발전을 위한 일자리 창출 및 경제 발전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현재 진행중인 산업단지 개발사업 및 사업 다각화를 통해 경쟁력 강화와 개발사업 선도기업 위상을 더욱 견고히하고 있습니다.
2) 연결회사의 각 사업부문 별 손익 내역
(단위:억원) |
구 분 | 제48기 3분기 | 제47기 3분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매출액(A) | 41,905 | 7,372 | 3,919 | 47,736 | 2,555 | -25,866 | 77,621 | 27,078 | 6,142 | 3,372 | 46,919 | 7,554 | -24,733 | 66,332 |
부문간 내부매출액(B) | 2,980 | 609 | 235 | 21,951 | 91 | -25,866 | - | 2,132 | 677 | 222 | 21,520 | 182 | -24,733 | - |
외부매출액(A-B) | 38,925 | 6,763 | 3,684 | 25,785 | 2,464 | - | 77,621 | 24,946 | 5,465 | 3,150 | 25,399 | 7,372 | - | 66,332 |
구 분 | 제47기 | 제46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매출액(A) | 36,103 | 8,477 | 4,861 | 65,380 | 9,884 | -32,755 | 91,950 | 37,938 | 9,774 | 6,312 | 61,503 | 10,515 | -31,468 | 94,574 |
부문간 내부매출액(B) | 2,838 | 958 | 334 | 28,357 | 268 | -32,755 | - | 3,133 | 1,693 | 376 | 25,951 | 315 | -31,468 | - |
외부매출액(A-B) | 33,265 | 7,519 | 4,527 | 37,023 | 9,616 | - | 91,950 | 34,805 | 8,081 | 5,936 | 35,552 | 10,200 | - | 94,574 |
3)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등
회사 별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사업에 대한 사업부문별 상세한 내용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대한 설명은 'Ⅱ. 사업의 내용' 항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업부문 | 소재지 | 주요 사업 | 회사명 | 주요제품 및 서비스 명칭 |
주요제품 및 서비스 매출 |
주요제품 및 서비스 거래처 |
---|---|---|---|---|---|---|
유통 | 국내 | 백화점 및 도소매 | 한화솔루션㈜ 갤러리아부문 | 의류 잡화, 식음료, 임대매출 등 |
명품관, 광교, 센터시티, 진주, 고메이494한남 등 오프라인판매 및 e-커머스팀등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판매 | 개별 소비자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의류 잡화, 식음료, 임대매출 등 |
백화점에서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판매와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판매 등 | 개별 소비자 | |||
원료 및 가공 | 국내 | 석유화학원료 | 한화솔루션㈜케미칼부문 | 화학물질 및 제품 등 |
PE, CA, PVC 등 | 한국바스프주식회사, HANWHA CHEMICAL (SHANGHAI) CO., LTD 등 |
석유화학가공 | 한화컴파운드㈜ | 플라스틱 제조업 | 자동차부품/ 산업용 소재 |
- |
||
한화솔루션(주)첨단소재부문 | 자동차부품소재, 산업용소재 |
GMT EVA Sheet FCCL 등 |
비에이치, 현대에너지 아이아, 현대모비스 등 |
|||
지주회사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 | - | - | ||
해외 | 석유화학원료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화학물질 및 제품 등 |
PVC 등 | - | |
자동차부품 | Hanwha AZDEL, Inc. | 자동차부품 소재 | LWRT | 현대기아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자동차부품 | GMT, LWRT 등 | 현대기아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자동차부품 | GMT, LWRT, PMC 등 |
현대기아 |
|||
기타 | 국내 | 부동산 | ㈜한화도시개발 | 부동산 개발 및 공급 | 산업단지 개발 및 용지 분양 | - |
한화글로벌에셋㈜ |
부동산 개발 및 공급 | 도시개발 사업공사 | - | |||
해외 | 부동산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 | - | - | |
태양광 | 국내 | 태양광 관련 제품, 태양광 발전 등 |
한화솔루션(주)큐셀부문 |
태양광 제품 |
셀, 모듈 |
계열사 |
해외 | Hanwha Q CELLS Co., Ltd. | - | - | -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태양광 제품 | 모듈 | 계열사 및 개별소비자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태양광 제품 |
셀, 모듈 |
계열사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 | - | - | |||
Hanwha Q CELLS Gmbh | 태양광 제품 |
모듈, 위탁 R&D |
계열사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태양광 제품 |
모듈 |
계열사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 | - | - |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 - | - | - | |||
기타 | 해외 | 지주회사 | Hanwha Holdings(USA), Inc.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 | - | - | |||
무역 | Hanwha International LLC. | - | - | - | ||
베어링 | Universal Bearings LLC. | - | - | - |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는 회사채 및 기업어음 발행 등을 위하여 신용평가 전문기관으로부터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기업평가(주), NICE신용평가(주)로부터 각각 2022년 01월회사채등급 AA-등급을 받았으며, 위 평가사로부터 2021년 11월 및 12월에 기업어음등급 A1등급으로 평가 받은 바 있습니다.
[ 회사채 ]
○ 공시대상기간 동안의 신용등급 내역
평가일 | 평가대상 유가증권등 |
평가대상 유가 증권의 신용등급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평가구분 |
2022.01.07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21.06.04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21.04.08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20.04.01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20.01.08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9.10.11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9.06.17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19.01.18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8.11.16 | 회사채 | A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8.04.05 | 회사채 | A+ | NICE신용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17.09.11 | 회사채 | 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7.05.15 | 회사채 | A+ | NICE신용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17.01.20 | 회사채 | A+ | NICE신용평가(주) (AAA~D) | 본평정 |
※ NICE신용평가(주)의 채권평가 신용등급 정의
등급 | 정 의 |
A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최고수준으로 투자위험도가 극히 낮으며, 현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가능한 장래의 어떠한 환경변화에도 영향을 받지않을 만큼 안정적임.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아 투자위험도가 매우 낮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있음. |
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높아 투자위험도가 낮은 수준이지만 장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BB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은 인정되지만 장래 환경 변화로 지급확실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음. |
BB | 원리금 지급확실성에 당면 문제는 없지만 장래의 안정성 면에서는 투기적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부족하여 투기적이며, 장래의 안정성에 대해서는 현단계에서 단언할 수 없음. |
C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매우 투기적임. |
C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 상위 등급에 비해 불안요소가 더욱 많음. |
C |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극히 높고 현단계에서는 장래 회복될 가능성이 없을 것으로 판단됨. |
D | 원금 또는 이자가 지급불능 상태에 있음. |
- 위 등급중 AA등급부터 CCC등급까지는 등급내의 상대적인 우열에 따라 +, - 기호가 첨부됨.
○ 공시대상기간 동안의 신용등급 내역
평가일 | 평가대상 유가증권등 |
평가대상 유가증권의 신용등급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평가구분 |
2022.01.11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21.06.04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21.04.07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20.04.03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20.01.09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9.10.11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9.05.31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19.01.18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8.11.14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8.05.09 | 회사채 | A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17.09.11 | 회사채 | 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2017.05.10 | 회사채 | 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정기평정 |
2017.01.20 | 회사채 | A+ | 한국기업평가(주) (AAA~D) | 본평정 |
※ 한국기업평가(주)의 채권평가 신용등급 정의
등급 | 정 의 |
A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최고 수준임. |
A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지만, AAA 등급에 비하여 다소 낮은 요소가 있음. |
A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높지만, 장래의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BBB |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있지만, 장래의 환경변화에 따라 저하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음. |
BB | 원리금 지급능력에 당면문제는 없으나, 장래의 안정성면에서는 투기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B | 원리금 지급능력이 부족하여 투기적임. |
CCC | 원리금의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위험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CC | 원리금의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음. |
C | 원리금의 채무불이행이 발생할 가능성이 지극히 높음. |
D |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
- 상기 등급 중 AA부터 B까지는 당해 등급내에서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 또는 - 부호를 부여할 수 있음.
- 상기 등급 중 AAA에서 BBB까지는 적기상환능력이 인정되는 등급이며, BB이하 등급은 환경변화에 따라 적기상환능력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투기적 등급으로 분류됨.
[ 기업어음 ]
○ 공시대상기간 동안의 신용등급 내역
평가일 | 평가대상 유가증권등 |
평가대상 유가 증권의 신용등급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평가구분 |
2021.12.09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21.04.08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본평정 |
2020.11.30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20.04.01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본평정 |
2019.10.11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19.06.17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본평정 |
2018.11.16 | 기업어음 | A1 | NICE신용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18.06.15 | 기업어음 | A2+ | NICE신용평가(주) (A1~D) | 본평정 |
2017.12.22 | 기업어음 | A2+ | NICE신용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17.05.19 | 기업어음 | A2+ | NICE신용평가(주) (A1~D) | 본평정 |
※ NICE신용평가(주)의 기업어음 신용등급 정의
등급 | 정 의 |
A1 | 적기상환능력이 최고수준으로 투자위험도가 극히 낮으며, 현 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장래의 어떠한 환경 변화에도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안정적임. |
A2 | 적기상환능력이 우수하여 투자위험도가 매우 낮지만 A1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A3 | 적기상환능력이 양호하며, 투자위험도는 낮은 수준이지만 장래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B | 적기상환능력은 인정되지만 투기적 요소가 내재되어 있음. |
C | 적기상환능력이 의문시 됨. |
D | 지급불능 상태에 있음. |
- 위 등급중 A2등급부터 B등급까지는 등급내의 상대적인 우열에 따라 +, - 기호가 첨부됨.
○ 공시대상기간 동안의 신용등급 내역
평가일 | 평가대상 유가증권등 |
평가대상 유가 증권의 신용등급 |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
평가구분 |
2021.11.30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21.04.07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본평정 |
2020.12.18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20.04.03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본평정 |
2019.10.11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19.05.31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본평정 |
2018.11.14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18.05.09 | 기업어음 | A1 | 한국기업평가(주) (A1~D) | 본평정 |
2017.09.11 | 기업어음 | A2+ | 한국기업평가(주) (A1~D) | 정기평정 |
2017.06.27 | 기업어음 | A2+ | 한국기업평가(주) (A1~D) | 본평정 |
※ 한국기업평가(주)의 기업어음 신용등급 정의
등급 | 정 의 |
A1 | 적기상환능력이 최고 수준이며, 그 안정성은 현단계에서 합리적으로 예측 가능한 장래의 환경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을 만큼 높음. |
A2 | 적기상환능력이 우수하지만, 그 안정성은 A1등급에 비하여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
A3 | 적기상환능력이 양호하지만, 그 안정성은 급격한 환경변화에 따라 다소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 |
B | 최소한의 적기상환능력은 인정되나, 그 안정성은 환경변화로 저하될 가능성이 있어 투기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 |
C | 적기상환능력 및 그 안정성이 매우 가변적이어서 투기적인 요소가 강함. |
D |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
- 상기 등급 중 A2부터 B까지는 당해 등급내에서의 상대적 위치에 따라 + 또는 - 부호를 부여할 수 있음.
- 상기 등급 중 A1에서 A3까지는 적기상환능력이 인정되는 등급이며 B이하 등급은 환경변화에 따라 적기상환능력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 투기적 등급으로 분류됨.
아. 회사의 주권상장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여부 |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
특례상장 등 여부 |
특례상장 등 적용법규 |
---|---|---|---|
유가증권시장 | 1974년 06월 19일 | - | - |
2. 회사의 연혁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당사의 본점은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에 소재하며, 공시대상기간 동안 변경된 바 없습니다.
나. 경영진 및 감사의 중요한 변동
공시작성기준일 기준 대표이사는 이구영, 류두형, 김동관, 김은수 각자 대표이사이며, 최근 5사업연도의 대표이사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종류 | 선임 | 임기만료 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2015년 03월 20일 | 정기주총 | 대표이사 김창범 | - | 대표이사 방한홍 |
2019년 10월 01일 | - | 대표이사 이구영 | - | 대표이사 김창범 |
2020년 01월 02일 | 정기주총 | 대표이사 김희철 대표이사 류두형 |
- | - |
2020년 10월 05일 | - | 대표이사 김동관 | - | - |
2021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 | 대표이사 이구영 | - |
2021년 04월 01일 | - | 대표이사 김은수 | - | - |
2021년 08월 31일 | - | - | - | 대표이사 김희철 |
공시작성기준일 기준 김사위원은 최만규, 박지형, 이한주 사외이사이며, 최근 5사업연도의 감사위원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감사의 주요한 변동
변동일자 | 주총명 | 선임 | 임기만료 또는 해임 |
|
---|---|---|---|---|
신규 | 재선임 | |||
2015년 03월 20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김영학 사외이사 이시우 |
사외이사 한동석 | - |
2017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김문순 | - | 사외이사 김영학 |
2018년 03월 27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최만규 사외이사 이광민 |
사외이사 김문순 | 사외이사 한동석 사외이사 이시우 |
2020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김재정 사외이사 박지형 |
사외이사 최만규 | 사외이사 김문순 사외이사 이광민 |
2021년 03월 24일 | 정기주총 |
사외이사 이한주 | - | 사외이사 김재정 |
다.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동안 최대주주가 변동된 바 없습니다.
최대주주 관련 자세한 내용은 'VII. 주주에 관한 사항' 항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라. 상호의 변경
변경일자 | 변경 전 상호 | 변경 후 상호 | 비고 |
2018년 7월 | (주)경기화성바이오밸리 | (주)에이치밸리 | - |
2018년 11월 |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
합병 |
2019년 1월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Hanwha Q CELLS Co., Ltd | 합병 |
2019년 4월 | Elektrownia Fotowoltaiczna Wronow Sp. z o.o. | QSUN 20 Sp. z o.o. | - |
2019년 8월 | 한화큐셀(주) | 에이치에스아이(주) | - |
2019년 9월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 한화글로벌에셋(주) | - |
2020년 1월 | 한화케미칼(주) | 한화솔루션(주) | 합병 |
마. 화의, 회사정리절차 등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합병 등에 관한 사항
회사명 | 일자 | 내용 |
---|---|---|
한화솔루션(주) (구 한화케미칼(주)) |
2018.11.01 | 한화첨단소재(주)와 한화큐셀코리아(주) 흡수합병 |
2020.01.01 | 한화케미칼(주)-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흡수합병 | |
2021.04.01 | 한화솔루션(주)-한화갤러리아 및 한화도시개발 자산개발 사업부문 흡수합병 |
|
한화글로벌에셋(주) (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
2018.11.01 | 한화큐셀코리아(주) 흡수합병 |
2019.09.01 | 인적분할로 분할신설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설립 (존속회사 사명은 한화글로벌에셋으로 변경) |
- 2018년 11월 1일 한화첨단소재(주)와 한화큐셀코리아(주) 흡수합병
사업영역 확대 및 연관 사업간 시너지효과의 극대화, 기업 가치를 제고하기 위하여
한화첨단소재(주)와 한화큐셀코리아(주)는 흡수합병(합병비율 : 한화첨단소재(주) : 한화큐셀코리아(주) = 1 : 0.5796339)하였습니다.
- 2020년 1월 1일 한화케미칼(주)-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흡수합병
당사가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는 분할대상사업부문을 인적분할의 방식으로 분할하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가칭, 이하"분할신설회사")를 설립하고, 분할회사는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가칭, 이하"분할존속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존속하기로 함. 위 분할신설회사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흡수합병 하고 한화솔루션(주)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2021년 4월 1일 한화솔루션(주)-(주)한화갤러리아 합병 및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당사는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한화갤러리아는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되는바, ㈜한화갤러리아는 본건 합병으로 인하여 소멸하며, 한화솔루션㈜는 본건 합병 후 존속합니다. 분할합병을 통해 ㈜한화도시개발은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하는바, 이를 통해 ㈜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게 됩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회사 | 일자 | 구분 | 내용 |
한화솔루션(주) | 2020년 01월 02일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의 합병에 따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영위하는 사업을 추가함 | ㆍ부동산 개발, 분양, 매매, 운영, 관리 및 임대업 ㆍ전기, 통신, 전자소재 관련 기술 및 제품의 제조, 가공, 판매, 수출입업 ㆍ태양전지 원재료, 태양전지(모듈, 셀 포함) 및 이를 이용한 응용제품의 개발, 제조, 판매 및 수출입업ㆍ에너지저장시스템(ESS) 및 관련 부품, 소재, 장치, 소프트웨어의 개발, 제조, 판매, 임대, 조달, 운영 및 수출입업 ㆍ 태양광 발전설비 및 시스템 개발, 제조, 임대, 판매 및 추출입업 ㆍ국내 및 해외 태양광 발전소 개발, 매매, 설계, 공사, 임대, 조달, 공사 및 운영업 ㆍ신재생에너지, 가스 등 에너지의 개발, 생산, 수송, 분배, 공급, 매매, 중개 및 에너지 효율화 사업, 기타 이와 관련되는 국내 및 해외사업 ㆍ발전, 송선, 변전, 배전 및 전력망 안정화 사업을 포함한 국내 및 해외 전력사업 ㆍ국내 및 해외 신재생에너지 사업 관련 자문(금융자문 포함), 투자 및 출연 ㆍ소방공사업 ㆍ통신공사업 ㆍ전기설계업 ㆍ건설업(통신공사, 전기공사, 실내건축공사, 소방공사, 건축토목공사 등) ㆍ전기 소방 감리업 ㆍ환경컨설팅업 ㆍ일반자문업 ㆍ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 정보 등 무형 자산의 판매 및 용역사업 ㆍ시장조사, 경영자문 및 컨설팅업 ㆍ유통업 ㆍ벤처투자 관련사업 ㆍ초경량 복합재료 CNG 탱크, 수소탱크 제작 및 판매 ㆍ스포츠단 운영 및 그 부대사업 ㆍ전 각호에 부대되는 사업(연구, 기술개발, 용역, 구매대행 및 제품의 내수, 수출입업 등 포함) |
2021년 04월 01일 |
2021. 4. 1. 한화갤러리아 및 한화도시개발과의 합병 이 당사가 피합병회사가 영위 중인 사업을 계속적으로 영위하기 위해 정관 사업목적을 확장하는 취지임 |
ㆍ백화점 및 도·소매업 ㆍ 식품생산업(절임식품 제조업, 조미료 제조업, 식품가공업) ㆍ 공중목욕탕 운영업(실내 수영장) ㆍ 신용카드업 ㆍ 예식장 운영업 ㆍ운송알선업 ㆍ 주차장 운영업 ㆍ 식품첨가물 제조업 ㆍ 농, 수, 축산물 가공업 ㆍ 의류, 농수축산물, 음식료품, 가구, 잡화, 기타 각종 상품의 제조가공, 도소매, 중개 및 위탁판매업 ㆍ 임대, 배달, 광고, 출판, 교육 등 용역서비스업 ㆍ 의료용구 및 위생용품 판매업 ㆍ 문화사업 및 예술품 중개업 ㆍ 신용정보 및 그 외 정보제공에 관한 사업 ㆍ 정보처리 및 정보통신 서비스업 ㆍ 정보컨텐츠 제공업 ㆍ 이벤트 기타 오락문화사업 ㆍ 식당체인업 ㆍ 통신판매업 ㆍ 백화점 경영자문용역업 ㆍ 백화점 위탁운영업 ㆍ 전자금융업 ㆍ 환전업 ㆍ 담배소매업 ㆍ 부동산 개발·분양·매매·임대·운영 및 관리사업 ㆍ 산업입지법, 택지개발촉진법, 도시개발법, 민간임대주택법, 민간투자법 등 부동산 개발 관련 법령 및 기타 법령상 허용된 일체 개발·투자·관리 및 부대사업 ㆍ 공동주택건설, 분양업 및 공동주택 관리업 ㆍ 임대주택업 ㆍ 토목·건축·기계에 관한 설계·시공·감리·용역업 ㆍ 종합관광단지 휴양지 개발·운영사업 ㆍ 조경공사업 ㆍ 임야개간 및 개발, 토석채취, 가공판매 및 조림사업 ㆍ 부동산컨설팅, 분양 기획 및 대행업 |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자본금 변동사항
가. 자본금 변동추이
(단위 : 백만원, 주) |
종류 | 구분 | 48기 3분기 | 47기 (2020년말) |
46기 (2019년말) |
---|---|---|---|---|
보통주 | 발행주식총수 | 191,278,497 | 159,864,497 | 161,479,290 |
액면금액 | 5,000 | 5,000 | 5,000 | |
자본금 | 972,621,970,000 | 815,551,970,000 | 815,551,970,000 | |
우선주 | 발행주식총수 | 1,123,737 | 1,123,737 | 1,123,737 |
액면금액 | 5,000 | 5,000 | 5,000 | |
자본금 | 5,618,685,000 | 5,618,685,000 | 5,618,685,000 | |
기타 | 발행주식총수 | - | - | - |
액면금액 | - | - | - | |
자본금 | - | - | - | |
합계 | 자본금 | 978,240,655,000 | 821,170,655,000 | 821,170,655,000 |
4. 주식의 총수 등
가.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비고 | |||
---|---|---|---|---|---|
보통주 | 우선주 | 합계 | |||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300,000,000 |
- |
300,000,000 |
- |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
198,223,359 |
2,507,272 |
200,730,631 |
- |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6,944,862 |
1,383,535 |
8,328,397 |
- | |
1. 감자 |
3,698,965 |
1,383,535 |
5,082,500 |
- | |
2. 이익소각 |
3,245,897 |
- |
3,245,897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 - | - | |
4. 기타 | - | - | -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
191,278,497 |
1,123,737 |
192,402,234 |
- | |
Ⅴ. 자기주식수 |
698,117 |
- | 698,117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
190,580,380 |
1,123,737 |
191,704,117 |
- |
※ 제47기 정기주주총회 시 배당금을 지급하지 않음에 따라 정관에 의거하여 우선주의 의결권이 부활되었습니다.
나. 자기주식 취득 및 처분 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주) |
취득방법 | 주식의 종류 | 기초수량 | 변동 수량 | 기말수량 | 비고 | ||||
---|---|---|---|---|---|---|---|---|---|
취득(+) | 처분(-) | 소각(-) | |||||||
배당 가능 이익 범위 이내 취득 |
직접 취득 |
장내 직접 취득 |
보통주 | - | 2,314,793 | 1,883 | 1,614,793 | 698,117 | - |
우선주 | - | - | - | - | - | - | |||
장외 직접 취득 |
보통주 | - | - |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 - | |||
공개매수 | 보통주 | - | - |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 - | |||
소계(a) | 보통주 | - | 2,314,793 | 1,883 | 1,614,793 | 698,117 | - | ||
우선주 | - | - | - | - | - | - | |||
신탁 계약에 의한 취득 |
수탁자 보유물량 | 보통주 | - | - |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 - | |||
현물보유물량 | 보통주 | - | - |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 - | |||
소계(b) | 보통주 | - | - |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 - | |||
기타 취득(c) | 보통주 | - | - | - | - | - | - | ||
우선주 | - | - | - | - | - | - | |||
총 계(a+b+c) | 보통주 | - | 2,314,793 | 1,883 | 1,614,793 | 698,117 | - | ||
우선주 | - | - | - | - | - | - |
다. 보통주외 주식에 관한 사항
보통주 외 주식은 우선주(구형) 1,123,737주가 있으며 비참가적, 비누적적이며 현금 배당에 있어서만 보통주보다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년 1%를 추가 배당합니다.
-종류주식(명칭) 발행 현황
(단위 : 원) |
발행일자 | - | |||
주당 발행가액(액면가액) | - | 5,000 | ||
발행총액(발행주식수) | 27,981,319,289 | 2,507,272 | ||
현재 잔액(현재 주식수) | - | 1,123,737 | ||
주식의 내용 |
이익배당에 관한 사항 | 현금배당에 있어서만 보통주보다 액면금액을 기준으로 하여 년1%를 추가 배당 | ||
잔여재산분배에 관한 사항 | - | |||
상환에 관한 사항 |
상환조건 | - | ||
상환방법 | - | |||
상환기간 | - | |||
주당 상환가액 | - | |||
1년 이내 상환 예정인 경우 |
- | |||
전환에 관한 사항 |
전환조건 (전환비율 변동여부 포함) |
- | ||
전환청구기간 | -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 |
- | |||
전환으로 발행할 주식수 |
- | |||
의결권에 관한 사항 | 배당을 하지 못하는 경우 의결권 부활 | |||
기타 투자 판단에 참고할 사항 (주주간 약정 및 재무약정 사항 등) |
1. [발행일자] [주당 발행가액] : 하기의 우선주 발행 및 전환 내역 참고 2. [현재잔액] : 하기의 우선주 발행 및 전환 내역의 발행 총액 및 액면총액 참고 |
- 우선주 발행 및 전환 내역
(단위 : 주, 원) |
일 자 | 원 인 | 종류 | 수량 | 주당 액면가액 | 주당 발행가액 | 액면총액 | 발행총액 |
89.10.26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151 | 5,000 | 19,800 | 755,000 | 2,989,800 |
89.10.31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111,490 | 5,000 | 19,800 | 557,450,000 | 2,207,502,000 |
89.11.25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15,655 | 5,000 | 19,800 | 78,275,000 | 309,969,000 |
89.12.30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364,067 | 5,000 | 19,800 | 1,820,335,000 | 7,208,526,600 |
90.02.05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505 | 5,000 | 19,800 | 2,525,000 | 9,999,000 |
90.04.07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1,161 | 5,000 | 19,800 | 5,805,000 | 22,987,800 |
90.06.30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50 | 5,000 | 19,800 | 250,000 | 990,000 |
91.09.30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997,307 | 5,000 | 10,027 | 4,986,535,000 | 9,999,997,289 |
94.11.29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599,880 | 5,000 | 8,335 | 2,999,400,000 | 4,999,999,800 |
95.01.28 | 전환사채전환 | 우선주 | 283,332 | 5,000 | 9,000 | 1,416,660,000 | 2,549,988,000 |
99.04.02 | 무 상 증 자 | 우선주 | 356,040 | 5,000 | 5,000 | 1,780,200,000 | 1,780,200,000 |
03.05.07 | 자기주식소각 | 우선주 | -1,249,861 | 5,000 | - | - | - |
03.05.07 | 자기주식소각 | 우선주 | -133,674 | 5,000 | - | - | - |
04.04.02 | 보통주 전환 | 우선주 | -222,366 | 5,000 | - | - | - |
※ 2004.04.02일을 기준일로 보통주로 전환된 222,366 우선주의 총수는 보통주 발행주식수에 포함되었으므로, 우선주 총 발행 주식수에서 제외하였습니다.
5. 정관에 관한 사항
가. 사업보고서에 첨부된 정관의 최근 개정일: 2021.03.24
- 당사가 지난 2021.03.17.에 공시한 사업보고서에 첨부된 정관의 최근 개정일은
2020.03.24.이며, 공시서류 제출일 현재, 정관의 최근 개정일은 2021.03.24.입니다.
나. 정관 변경 안건이 정기주주총회 안건에 포함되었는지 여부
- 제47기 정기주주총회(2021.03.24. 개최) 안건에는 아래와 같이 '정관 변경 이력'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원안대로 승인되었습니다.
다.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 해당주총명 | 주요변경사항 | 변경이유 |
---|---|---|---|
2018년 03월 27일 | 2018년 정기주주총회 | - | - |
2019년 03월 26일 | 2019년 정기주주총회 | 제9조(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이하 ‘전자증권법’) 시행 (2016.3.22. 공포, 2019.9.16. 시행) |
- | - | 제11조(명의개서대리인)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이하 ‘전자증권법’) 시행 (2016.3.22. 공포, 2019.9.16. 시행) |
- | - | 제12조< 삭 제>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이하 ‘전자증권법’) 시행 (2016.3.22. 공포, 2019.9.16. 시행) |
- | - | 제15조의2(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이하 ‘전자증권법’) 시행 (2016.3.22. 공포, 2019.9.16. 시행) |
- | - | 제16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규정) |
「주식ㆍ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이하 ‘전자증권법’) 시행 (2016.3.22. 공포, 2019.9.16. 시행) |
- | - | 제41조의2(감사위원회의 구성) | 상장회사 표준정관 개정에 따른 당사 정관 반영 |
- | - | 제41 조의3(감사위원회의 직무)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개정 (2018.11.01. 시행) |
- | - | 제43 조의2(외부감사인의 선임) |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개정 (2018.11.01. 시행) |
2020년 01월 02일 | 2020년 임시주주총회 | 제1조(상호) | 舊)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흡수합병으로 인한 상호 변경 |
- | - | 제2조(목적) | 舊)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흡수합병으로 인한 사업목적 추가 |
- | - | 제4조(공고방법) | 상호 변경에 따른 회사 인터넷 홈페이지 변경 |
2021년 03월 24일 | 2021년 정기주주총회 |
제2조(목적) |
한화갤러리아 및 한화도시개발 흡수합병으로 인한 사업목적 추가 |
- | - |
제11조(명의개서대리인) |
전자등록제도 도입에 따른 증권에 대한 명의개서대행업무가 사라진 점을 반영 |
- | - |
제12조(주주명부 작성·비치) |
전자증권법령에 따라 회사가 전자등록기관에 주식소유자 명세를 요청할 수 있는 근거 마련 |
- | - |
제14조의2(전환사채의 발행) |
기존 표준정관이 반영되지 않았던 부분을 수정 |
- | - |
제15조의2(사채 및 신주인수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
전자등록이 의무화되지 않은 사채에 대하여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는 근거 신설 |
- | - |
제29조(이사의 수) |
이사의 수 상향 및 양성평등한 이사회 구성을 의무화한 자본시장법 반영 |
- | - |
제35조(이사의 회사에 대한 책임감경) |
현재 당사는 감사 대신 감사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음 이와 별도로 감사는 선임되지 않고 있음을 고려하여 ‘감사’라는 표현 삭제 |
- | - |
제37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
이사들에게 이사회 안건 등을 사전 검토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부여하기 위해 소집 통보 기준 변경 |
- | - |
제41조의2(감사위원회의 구성) |
개정상법 제542조의12 반영 |
※ '정관변경일'은 주주총회에서 정관이 승인된 날짜입니다. |
II. 사업의 내용
○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가. 연결회사의 부문별 내역
당사와 종속기업은 연결실체를 사업부문별로 사업의 특성에 따라 원료부문(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등), 가공부문(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등), 유통부문(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 태양광부문(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Hanwha Q CELLS Co.,Ltd 등), 기타부문((주)한화도시개발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나. 연결회사의 부문별손익 내역
(단위 : 억원) |
구 분 | 제48기 3분기 | 제47기 3분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매출액(A) | 41,905 | 7,372 | 3,919 | 47,736 | 2,555 | -25,866 | 77,621 | 27,078 | 6,142 | 3,372 | 46,919 | 7,554 | -24,733 | 66,332 |
부문간 내부매출액(B) | 2,980 | 609 | 235 | 21,951 | 91 | -25,866 | - | 2,132 | 677 | 222 | 21,520 | 182 | -24,733 | - |
외부매출액(A-B) | 38,925 | 6,763 | 3,684 | 25,785 | 2,464 | - | 77,621 | 24,946 | 5,465 | 3,150 | 25,399 | 7,372 | - | 66,332 |
구 분 | 제48기 3분기 | 제47기 3분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영업이익(A) | 8,142 | 129 | 202 | -2,335 | -143 | 546 | 6,541 | 3,143 | -67 | -76 | 1,881 | 306 | 101 | 5,288 |
연결조정(B) | +4 | -12 | +9 | +583 | -38 | -546 | - | +9 | +19 | - | +47 | +26 | -101 | - |
연결 조정 후 영업이익 (A+B) |
8,146 | 117 | 211 | -1,752 | -181 | - | 6,541 | 3,152 | -48 | -76 | 1,928 | 332 | - | 5,288 |
구 분 | 제47기 | 제46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매출액(A) | 36,103 | 8,477 | 4,861 | 65,380 | 9,884 | -32,755 | 91,950 | 37,938 | 9,774 | 6,312 | 61,503 | 10,515 | -31,468 | 94,574 |
부문간 내부매출액(B) | 2,838 | 958 | 334 | 28,357 | 268 | -32,755 | - | 3,133 | 1,693 | 376 | 25,951 | 315 | -31,468 | - |
외부매출액(A-B) | 33,265 | 7,519 | 4,527 | 37,023 | 9,616 | - | 91,950 | 34,805 | 8,081 | 5,936 | 35,552 | 10,200 | - | 94,574 |
구 분 | 제47기 | 제46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영업이익(A) | 3,794 | -124 | 28 | 1,722 | 270 | 252 | 5,942 | 2,558 | -307 | 76 | 2,235 | 400 | -370 | 4,592 |
영업이익 연결조정(B) | +18 | +48 | - | +182 | +4 | -252 | - | +26 | +9 | - | -425 | +20 | +370 | - |
연결조정 후 영업이익 (A+B) |
3,812 | -76 | 28 | 1,904 | 274 | - | 5,942 | 2,584 | -298 | 76 | 1,810 | 420 | - | 4,592 |
다. 연결회사의 부문별 자산 및 부채
구 분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원료 | 가공 | 유통 | 태양광 | 기타 | 조정 | 합계 | |
부문별 자산 | 51,293 | 23,989 | 20,153 | 133,521 | 40,003 | -91,181 | 177,778 | 42,338 | 14,933 | 22,452 | 103,200 | 35,925 | -67,475 | 151,373 |
부문별 부채 | 14,631 | 5,935 | 10,154 | 43,596 | 39,077 | -18,682 | 94,711 | 11,093 | 4,911 | 15,261 | 35,750 | 36,482 | -11,801 | 91,696 |
※ 제 48기 3분기 및 제 47기 3분기, 제 47기는 한화솔루션(주)의 현금 및 차입금의 영업부문별 구분이 제한되어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1. 사업의 개요
가. 사업부문별 현황
1) 원료부문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등
[PO사업부]
PE제품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계속되고 있는 언택트 수요와 미국발 공급차질 여파로1분기까지 강세를 보였고, 2분기는 언택트 수요 지속에 따른 필름 및 연포장 등 전방 사업의 수요 호조에도 불구하고 국내외PE 신증설 물량 출현과 원료가 상승으로 약보합세를 보였습니다. 3분기에는 계절적 성수기와 더불어 중국 전력난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시장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1년 4분기에도EVA를 중심으로 산업별 수요 증가는 기대되지만, 신증설 물량 확대 및feedstock 수요 회복에 따른 원료가 상승으로 제품가는 범용을 기준으로 약세가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PO사업부문은 특화 제품(EVA, W&C)에 대한 생산 및 판매 비율을 확대하고, 기존 제품군의 탈 범용화, (초)고부가 제품 판매 증대 등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 개발과 고기능성 소재 제품 개발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한 사업구조로 개편하는 업무를 보다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PO사업부는 유가 변동이나 원료가 변화 같은 대외 시황 변화에도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PVC사업부]
PVC 제품은 '20년 코로나사태 이후 주요 글로벌 시장의 락다운 여파로 상반기 급격한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을 겪었으나 하반기 인도의 irrigation(관개시스템) 수요 회복과 미국, 유럽의 주택건설 수요 증가로 V자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 특히 9월 미국 PVC maker들의 허리케인 피해로 장기간 Force Majeure 선언을 함으로써 공급이 타이트해지면서 국제가는 상승 반전에 성공하였습니다. '21년 상반기는 중국 춘절 이후 수요 회복과 주요 PVC 업체들의 정기보수 집중, 미국 텍사스 한파로 공급 타이트가 지속되었으나, 북미 PVC 업체들의 가동이 정상화되어 공급 타이트가 완화되었고, 코로나 델타변이가 주요 변수로 작용하여 인도 및 일부 지역의 수요가 정상화되지 못해 보합세로 전환하였습니다. 그러나 3분기 이후 미국 허리케인 영향과 중국 Dual control 정책 강화로 PVC생산 감소하여 공급불안 심화되었고, 글로벌 선복 이슈로 수급 불안정성 증가하여 PVC 가격이 다시 상승하였습니다. 4분기는 중국 석탄&전력 부족 이슈, 유럽 천연가스 부족, 중국 전력, 탄소 규제 등으로 인한 PVC 가격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PVC 가격 혼조세를 예상합니다. 중장기 Global PVC 수요는 인도/중국/미국 등 핵심 시장의 견조한 수요 증가와, 환경 이슈에 따른 중국 카바이드 공법 PVC증설의 둔화 등 수급 상황에 따라 '20년 ~ '24년 4~5% 수준의 안정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PVC사업부는 범용 제품의 증산 및 Capa확대, 제품포트폴리오 최적화 등 기존 사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한 일회용품 수요 증가와 실내 활동 증가에 따른 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Paste/CPVC/Eco-DEHCH 등 고부가 제품의 생산능력 및 판매를 확대하여 수익성을 극대화 중이며, 미래성장을 이어갈 신규사업을 지속 검토하여 안정적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사업구조 구축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CA사업부]
CA 제품은 북미 허리케인 IDA 영향에 따른 Westlake, OXY, Olin 메이저 CA 3社의 생산 감소로 가성소다 및 Vinyl의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가성소다 제품은 중국 에너지 소비 이중 통제 정책에 따른 공급 축소 및 주요 Global Trader 측의 계약 이행을 위한 Short-covering Spot 구매 지속되며 연말 국제가 Peak 예상됩니다.
EDC와 VCM역시 북미산 아시아 역내 공급 제한 및 중국 에너지 이슈로 수급 Tight한 가운데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EDC 국제가 역대 최고가를 갱신하는 등 가격 초강세 지속 중입니다.
CA사업부는 급격한 시황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원가 절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 확장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과 더불어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한 수익 구조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TDI 사업부]
TDI 제품은 COVID-19 Pandemic 상황 개선에 따른 Lock-down 해제 및 재택근무 확대 등 뉴노멀 정착 영향으로 가구용 Foam 업종을 중심으로 수요 회복 중으로 판단됩니다. 금년 3분기는 중국 전력난 심화 및 Global 물류 제한에 따른 공급 차질과 더불어 백신 접종률 증가를 통한 주요 국가의 일상 회복 움직임에 따른 수요 증가로 시황 개선 중 입니다. 향후 Global 경기 회복에 따라 TDI 시황은 지속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폴리올 수급 불안에 따른 수요처의 원가부담, 선복문제 지속 및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일부 불확실성이 수요를 일정 부분 제한하는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고부가 Specialty Isocyanate 제품인 XDI의 조기 시장 진입 및 수출지역 다변화를 통해 사업경쟁력 제고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당사 주요제품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으며 주요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은 추정이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품목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LDPE(EVA 포함) |
43% |
39% |
40% |
PVC |
49% |
49% |
49% |
가성소다 |
52% |
52% |
52% |
TDI |
48% |
47% |
48% |
※ 상기 내용은 당사 추정치 입니다.
2) 태양광 부문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Hanwha Q CELLS USA, Inc.,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Hanwha Q CELLS Australia Holdings Pty. Ltd., Hanwha Q CELLS Co., Ltd., Hanwha Q CELLS GmbH,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Hanwha Q CELLS(Qidong) Co., Ltd., Hanwha Q CELLS America Inc., Hanwha Q CELLS(Nantong) Co., Ltd.,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등
※ 舊 한화케미칼(주)은 한화첨단소재(주)의 유상 증자에 참여하였으며 (공시일자 2018년 9월 11일), 한화첨단소재(주)는 해당 대금의 일부를 한화큐셀코리아(주)를 흡수 합병하는 데 합병교부금으로 지급하였습니다 (합병등기일 2018년 11월 1일). 당시 합병으로 한화큐셀코리아(주)는 소멸하였으며, 존속 법인인 한화첨단소재(주)는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로 사명변경 하였습니다.
※ 2019년 1월 16일, Hanwha Q CELLS Co., Ltd.(한화큐셀)은 나스닥 거래소에서 상장 폐지를 완료하며 Hanwha Solar Holdings Co., Ltd.(한화솔라홀딩스)에 의해 흡수 합병되었습니다. 상장 폐지 목적은 한화큐셀의 나스닥 상장 유지 필요성 감소에 따른 태양광 사업 경영 효율성 제고였습니다. 존속 법인 한화솔라홀딩스는 Hanwha Q CELLS Co., Ltd.(한화큐셀)로 사명변경 하였습니다.
한화큐셀(Hanwha Q CELLS Co., Ltd.) 및 한화글로벌에셋(주)은 각각 한화솔루션(주)의 태양광 자회사이며, 양사 합하여 2020년 말 Nameplate Capacity 기준 셀 9.6GW와 모듈 11.3GW의 생산규모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2020년 1월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를 위해 舊 한화케미칼은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분할신설법인)를 흡수합병하고 한화솔루션(주)으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2015년2월 구 한화솔라원(Hanwha SolarOne Co., Ltd.)과 한화큐셀인베스트먼트(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가 통합하여 자체 셀 생산규모 기준 업계 최고 수준의 통합법인인 한화큐셀(Hanwha Q CELLS Co., Ltd.)이 출범되었습니다. 한화큐셀의 자회사로는 태양광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Hanwha Q CELLS(Qidong) Co., Ltd.,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및 지역별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거점(Hanwha Q CELLS America Inc., Hanwha Q CELLS GmbH.,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등)인 종속 회사들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독일에 위치한 Hanwha Q CELLS GmbH는 유럽 지역 등 모듈 판매 및 다운스트림 사업 외에도 Q CELLS 태양광 제품 기술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탄소 배출량은 2019년 고점 도달 후 2020년 하락하나 코로나 후 경기 회복에따라 2027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이후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연 -0.7%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loombergNEF에 따르면, 지구 기온 2도 상승을 막기 위해 약 10배에 해당하는 연 -6% 하락추이를 보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저탄소 에너지원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BloombergNEF, New Energy Outlook 2020) 신재생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OECD 국가 뿐 아니라 신흥시장의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의 태양광 발전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와 모듈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Wood Mackenzie의 2020년 4분기 시장 전망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태양광 시장은 2020년 코로나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22% 상승하여 134GW수요를 기록하였고, 각국의 저탄소 정책에 기반하여 태양광 수요는 매년 5%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여 25년에는 187GW의 수요가 예상됩니다. 또한, 2050년 글로벌태양광 설치량은 7.6TW에 도달하여 글로벌 에너지 믹스 중 2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19년~2050년 중 태양광 산업향 신규 투자 규모는 약 U$4.2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대표적인 글로벌 신성장 산업 중 하나인 태양광 산업은 글로벌 금융환경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아직까지 정부 보조금과 같은 산업 육성 정책 영향을 받는 특성 상, 세계 경기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다양한 시장 변화 속에서도 태양광 모듈 제조사는 Tier-1업체 중심의 지속적인 기술력 향상 및 생산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모듈 출력 증가와 생산원가 절감, 발전소 시스템 설치 총원가 절감 등으로 기존 에너지원 대비 태양광 에너지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태양광 산업은 Sun Belt 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정부의 보조금 지원 없이도, 기존 에너지원 대비 경제성 및 경쟁력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파리 기후 협약 등 기후 및 환경에 대한 친환경 에너지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매크로 환경아래, 규모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제조원가 경쟁력 보유 업체, 그리고 조직 운영 효율성 확보여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과 자회사인 한화글로벌에셋(주)를 통해 태양광 사업의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은 舊 독일 Q CELLS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노하우, 브랜드 이미지 등으로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겅쟁사 대비 높은 수준의 출력 및 성능을 자랑하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므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말레이시아, 한국, 미국 등 다각화된 생산 거점을 보유 함으로써, 미국 반덤핑 관세 부과 등 급변하는 정부 정책 및 시장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합니다.
3) 가공부문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한화글로벌에셋㈜, Hanwha Azdel Inc.,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등
□ 경량복합소재 : 자동차산업의 경우 연비규제에 따른 차량 경량화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감성품질 증대, 부품 고급화 및 전자화의 일환으로 NVH(소음,진동) 소재와 전열/전기전도성 소재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향후 빠른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초경량/고강도 부품소재에 특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당사 가공부문은 다양한 경량화 부품소재들을 국내뿐 아니라 해외 현지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산업용소재는 친환경/고품질/고물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당사 가공부문은 건축/전자/자동차 등 다양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고객이 원하는 기초소재를 개발하여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 기능소재 : 전자소재의 주타겟인 휴대폰 시장은 국내 휴대폰기업이 프리미엄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보급형 스마트폰, 태블릿PC를 꾸준히 출시하며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성장세속에 중대형기기(노트북, 컨버터블 PC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전자소재 사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태양광 시장은 미국 및 영국 그리고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몇 년간 급부상한 중국 시장은 최근 발표된 중국의 Distributed Power system 시장에 대한 지원책에 의해 판매량 증대가 기대되며,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시장 확대로 태양광소재 산업은 지속적 확대 및 성장이 예상됩니다.
4) 유통부문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
(산업의 특성)
백화점은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품질 상품을 현대화된 편리한 쇼핑시설에서 차별화된 최고의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며, 첨단 유행을 선도하고 패션 트랜드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유통산업입니다.
또한, 백화점은 단순히 상품만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공연, 전시, 극장, 문화강좌 등과 같은 문화의 제공까지 다채로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 생활문화의 전당으로서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백화점 산업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20년 전년 동기간 대비 -9.9%의 역신장을 기록하였으나, '21년(3분기 누계)은 명품, 홈리빙 등을 중심으로 한 소비심리 회복에 힘입어 전년 동기간 대비 21.2% 성장했습니다.[통계청 소매업태별 판매액(추정) 기준]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 디자인 및 스타일 중심 소비 확산, 경험중심 쇼핑패턴 증가 등 트렌드 변화는 백화점 영역의 소비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에 백화점 업계는 프리미엄 브랜드 유치, 체험형 테넌트 확대, 자사의 강점과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컨텐츠/인프라를 보다 차별화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 증대를 위해 지점 리뉴얼 및 매장면적을 확대하고, 쇼핑공간을 개선 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습니다. 더불어 온라인 강화, 유통채널 다변화 등 쇼핑 트렌드 변화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백화점 업계는 안정적 수요확보와 외형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백화점 업태는 실물경기, 경제변동에 따른 가계소득 상황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백화점이 취급하는 패션의류 및 잡화 등의 상품군은 소비자 취향에 따라 구매 변동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변동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고객에 대한 Target Marketing활동을 집중적으로 진행하며, 고객의 수요에 부합하는 퀄리티 있는 브랜드 도입과 상품 아이템 다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새로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온라인몰 등 채널 다변화를 통해 사업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경쟁요소)
백화점은 출점 시 적정한 입지확보와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며, 이와 더불어 인지도 있는 브랜드 유치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온라인 쇼핑의 성장으로 온/오프라인 유통업태 간 경쟁관계는 심화되고 있으며, 상품/서비스 수준이 높지 않은 지방 중소형 백화점 경우 상대적으로 영향도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응하여 백화점 업계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객의 쇼핑 니즈 충족을 위한 명품 브랜드 확대, 테넌트 유치에 집중하고, 경험 만족도 증대를 위한 다양한 문화 마케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정고객 확보 및 유지를 위해 타업계와 차별화된 Target Marketing 및 접객 서비스 강화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시장점유율(%) |
8.2 |
8.0 |
6.1 |
※ 자료출처: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상의 백화점 경상판매액 기준
※ 매출은 총매출 기준으로 재계산함(수수료 매장 및 임대 매장 매출 포함)
(회사의 경쟁력)
갤러리아는 대외 변동성에 대응하여 사업구조 개편과 강도 높은 비용 축소 등 내실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MD 및 고객경험 차별화를 통한 안정적인 고객 유지 및 확보에 중점을 두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명품관은 전면적인 MD재구성과 선도브랜드 유치를 통해 독보적인 MD차별화를 보다 강화하고, 다년간 축적된 프리미엄 역량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컨텐츠 전개를 통해 변화된 모습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명품관 이외 사업장은 상권내 견실한 성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패션변화에 발맞춘 브랜드 보강, 트렌드에 부합하는 F&B/Tenant 도입 등 고객경험 만족에 집중하여 상권내 입지를 보다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경쟁력 확대를 위해 '95년에 오픈한 수원 지점은 '19년12월 영업종료하고 '20년3월에 경기 남부 핵심 상권인 광교 지역으로 Shifting하여 신규점을 오픈하였으며, 서울 한남동 최고급 주거시설 內 F&B 및 Lifestyle 콘텐츠 기반의 도심형 복합 플랫폼인 Gourmet494를 오픈하여 갤러리아만의 차별화된 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권 최고 수준의 MD, 콘텐츠, 차별화된 고객 시설을 구현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정부청사 및 시청 등 공공기관과 모든 금융기관, 대규모 아파트가 밀집한 대전 둔산 신도시의 중심에 위치하여 확고한 입지를 구축하고 있으며, CENTER(백화점동)과 WEST(주차동)의 리노베이션과 지속적인 명품 브랜드의 입점을 통하여 중부권 최고의 고품격 백화점 위상을 확립하였습니다. 또한, 차별화된 서비스와 다양한 마케팅 활동은 당사의 이미지를 개선하고 성장과 발전의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경쟁업체 대비 제한적인 점포망과 규모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우수한 입지적 강점과 고급 백화점이라는 브랜드 인지도를 통해 사업적 기반을 차별화하고 있습니다.
5) 건설업 부문
- (주)한화도시개발, (주)서산테크노밸리, (주)에이치밸리, (주)김해테크노밸리, (주)경기용인테크노밸리, (주)안성테크노밸리, (주)제이용인테크노밸리, (주)서오창테크노밸리, (주)에이치테크노밸리, (주)울산복합도시개발 등
도시개발 부문은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주)한화도시개발, (주)서산테크노밸리, (주)에이치밸리, (주)김해테크노밸리, (주)경기용인테크노밸리, (주)안성테크노밸리, (주)제이용인테크노밸리, (주)서오창테크노밸리, (주)에이치테크노밸리, (주)울산복합도시개발을 자회사로 가지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
부동산 개발사업은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사업으로 대규모 자금과 광범위한 분야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며 사업추진 프로세스상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부지매입비용을 비롯하여 공사비용, 마케팅 비용 등이 요구됩니다. 개발사업은 시기와 전략이 중요한데 분양률은 경기변동과 정부정책 등 외부적인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분양시점을 정하는 것이 사업성패의 핵심요소로 작용합니다.
(회사의 경쟁력)
도시개발 부문은 부동산개발 사업에 도전하여 독자적인 이념으로 계획적인 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는 디벨로퍼로 토지를 개발하여 분양하는 것을 주업으로 하며, 각 지역 개발사업에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신규사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20년 1분기에 (주)제이용인테크노밸리를 설립하였고 3분기 (주)서오창테크노밸리, 21년 1분기에 (주)에이치테크노밸리, 21년 3분기에 (주)울산복합도시개발을 설립 하였습니다.
부동산업을 하는 자회사는 개발 사업 성공 노하우를 보유한 우수인력을 통해 뛰어난 사업성 검토 및 사업 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민간기업의 장점인 신속한 의사결정과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통해 부동산 경기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단지 계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사업 리스크 관리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서비스
가. 주요 제품, 서비스 등의 매출 현황
각 사업부문별 매출액이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억원) |
부문 | 회사명 | 용도 | 품목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매출액 | 비율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화학물질 및 제품 등 |
LDPE 등 | 12,067 | 11.66% | 12,505 | 10.03% |
12,703 |
10.08% |
가성소다, PVC 등 | 20,900 | 20.20% | 19,694 | 15.79% |
21,075 |
16.72% | |||
임대료 등 | 26 | 0.03% | 43 | 0.03% |
256 |
0.20%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등 | - | 8,912 | 8.61% | 3,861 | 3.10% | 3,904 | 3.10%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플라스틱제품 등 |
자동차 부품, |
1,575 | 1.52% | 2,075 | 1.66% | 2,620 | 2.08% |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 |
1,967 | 1.90% | 2,161 | 1.73% | 2,326 | 1.85%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등 |
- | 3,830 | 3.70% | 4,241 | 3.40% | 4,828 | 3.83% | ||
유통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소매업 제품 등 | 의류 잡화, 식음료 등 | 2,390 | 2.31% | 3,475 | 2.79% | 4,723 | 3.75% |
임대 매출 등 | 1,476 | 1.43% | 1,304 | 1.05% | 1,440 | 1.14% | |||
(주)한화비앤비 | - | 53 | 0.05% | 82 | 0.07% | 149 | 0.12%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태양광 제품 등 | 셀, 모듈 등 | 13,588 | 13.13% | 20,695 | 16.60% | 21,278 | 16.88% |
Hanwha Q CELLS Co., Ltd. | 셀, 모듈 등 | 13,201 | 12.76% | 20,602 | 16.52% | 16,840 | 13.36% | ||
Hanwha Q CELLS GmbH 등 |
- | 20,947 | 20.24% | 24,083 | 19.31% | 23,385 | 18.55% | ||
기타 | (주)한화도시개발 등 | - | - | 2,555 | 2.46% | 9,884 | 7.92% | 10,515 | 8.34% |
연결 조정 | -25,866 | - | -32,755 | - | -31,468 | - | |||
합계 | 77,621 | 100.00% | 91,950 | 100.00% | 94,574 | 100.00% |
나. 주요 제품, 서비스 등의 가격 변동 현황
연결회사의 주요 생산제품별 가격변동 추이는 다음과 같습니다.
부문 | 회사명 | 품 목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비고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LDPE(천원/톤) | 1,592 | 1,361 | 1,453 | 국제가격의 평균가격으로 산출 |
PVC(천원/톤) | 1,485 | 1,139 | 1,152 | |||
가성소다(천원/톤) | 389 | 522 | 576 | |||
제조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셀(원/W) |
92.6 |
184 |
- |
해당 년도의 월 평균가격을 |
모듈(원/W) |
382.6 |
372 |
390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GMT(원/Kg) |
2,741 | 2,749 | 2,795 | 해당 년도의 월 평균가격을 산술 평균하여 산출 |
FCCL 내수(원/SQM) | 6,614 | 6,943 | 6,571 | |||
FCCL 수출(원/SQM) | 7,315 | 8,011 | 7,997 | |||
EVA Sheet(원/m) | 1,789 | 1,286 | 1,235 |
3. 원재료 및 생산설비
가. 주요 원재료
각 사업부문의 주요 원재료에 관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부문 | 해당 회사 | 주요 원재료 | ||||||
---|---|---|---|---|---|---|---|---|
원재료명 | 가격변동추이 | 주요 매입처 | 주요 매입처와 회사의 특수관계 여부 |
공급시장 독과점 정도 및 공급의 안정성 관련 특이사항 |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에 틸 렌 (USD/톤) |
1,070 | 753 | 898 | 여천NCC | 합작회사 | 공급업체 국내 2개사(YNCC, SK), 해외 4~5개사(Sumitomo 등 매년 상이) |
프로필렌 (USD/톤) |
1,022 |
797 | 882 | 여천NCC | 합작회사 | 공급업체 2개사 (YNCC, 대한유화)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PP (천원/MT) |
1,291 | 1,090 | 1,230 | 폴리미래(주) | - | 공급업체 4개사(폴리미래,SK종합화학,한화토탈,롯데케미칼) |
PVC |
1,547 | 1,119 | 1,095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 부문 | 자소 | 공급업체 1개사(한화솔루션(주) 케미칼 부문) | ||
EVA Resin |
2,659 | 1,632 | 1,744 | 한화토탈 | 계열회사 | 공급업체 2개사(한화솔루션(주) 케미칼 부문, 한화토탈) | ||
원자재 |
한화솔루션(주) |
웨 이 퍼 |
0.677 |
0.398 |
0.448 |
Zhonghuan |
연간 계약 |
중국 공급업체 Tier 1 2개사 (Zhonghuan, LONGi) 중국 공급업체 Tier 2 5개사 (Huantai, JYT, Hongyuan, Gaojing, Yuze) 중국 외 CFP 공급업체 3개사 (Norsun, AUO, 웅진) |
외 부 셀 |
0.140 |
0.115 |
0.144 |
Aiko |
매월 협의 (필요 시 구매) |
중국 공급업체 Tier 1 2개사 (Aiko, Tongwei) 중국 공급업체 Tier 2 2개사 (Runergy, DMEGC) |
나.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
각 사업부문의 주요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생산능력, 생산실적, 가동률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생산능력, 생산실적
(단위 : 톤) |
사업부문 | 해당 회사 | 주요 제품/서비스 | 생산능력 | 생산실적 | 산출근거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LDPE 등 |
892,000 |
238,709 |
생산능력은 년 330일(8,000시간)을 기준으로, 표준생산능력을 참고하여 산출 |
PVC 등 |
1,183,000 |
861,868 |
|||
가성소다 등 | 3,667,000 | 2,617,335 | |||
TDI 등 | 513,800 | 310,862 | |||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 PVC 등 | 370,000 | 260,501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자동차 부품, 산업용 소재,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건축자재 등 | 119,322 | 58,335 |
평균가동시간 330일(7,920시간) 기준 제품 생산능력 기준(상품, 임가공 등 외주생산분 제외) |
제조 |
한화솔루션㈜ |
태양광모듈 |
3,889 |
812 |
생산능력은 연간 운영가능일수 기반, 사업계획 KPI 달성 기준으로 산출 |
2) 가동률
2021년 3분기 현재 사업부문별 사업소의 가동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시간) |
사업부문 | 해당 회사 | 품목 | 사업소 | 가동가능시간 | 실제가동시간 | 평균가동률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LDPE, 가성소다, PVC, TDI 등 | 여수 | 1,505 | 1,487 | 98.8% |
울산 | 6,458 | 5,961 | 92.3% | |||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 PVC | 중국 | 6,149 | 6,156 | 100.0%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자동차소재,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 세종, 음성,부산 | 5,940 | 4,450 | 75% |
제조 |
한화솔루션㈜ |
태양광모듈 |
한국공장 |
2,017 | 1,934 |
95.9% |
다. 생산(영업) 설비 등
1) 주요 생산(영업) 설비의 현황
각 사업부문의 생산과 영업에 중요한 물적 재산의 내용, 소재지는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회사명 | 국내/ 해외 |
명칭 | 기능 | 소재지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국내 | 본사 | 석유화학 제품 판매 | 서울 중구 청계천로 86, 22층 |
여수 공장 |
EVA, LDPE, LLDPE, VCM, EDC, ECH, PVC, HDPE, 가성소다, |
전남 여수시 여수산단3로 117(월하동) | |||
LDPE, LLDPE 등 | 전남 여수시 여수산단2로 220-10(화치동) | ||||
옥탄올 등 | 전남 여수시 여수산단로 349-31(월하동) | ||||
TDI | 전남 여수시 여수산단2로 46-47(월하동) | ||||
울산 공장 | EVA, LDPE, VCM 등 | 울산 남구 상개로 141(상개동) | |||
PVC, PASTE 등 | 울산 남구 산업로 440번길 22(여천동) | ||||
가소제, MA, PA 등 | 울산 남구 용연로 230번길 22(황성동) | ||||
중앙연구소 | 제품 연구개발 | 대전 유성구 가정로 76(신성동) | |||
해외 | 법인 | 화합물 제조, 석유화학/태양광 제품 판매 등 |
5개소(중국 닝보/상해, 태국, 말레이시아, 인도) | ||
지사 |
해외시장 조사 및 본사 판매활동 등 지원 |
3개소(중국 상해/북경/광주) | |||
합작법인 |
EVA, LDPE등 |
3개소(사우디아라비아 쥬베일/리야드/하일)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국내 | 서울본사 | 자동차소재,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판매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25층 |
세종사업장 | GMT, LWRT, EPP, SMC, LFT, FCCL, 자동차 내장재, PMC 생산 |
세종 부강면 금호안골길 79-20(금호리) | |||
음성사업장 | EVA 시트, Back 시트 생산 | 충북 음성군 금왕읍 대금로 1329(내송리) | |||
부산사업장 | 고압탱크 | 부산 강서구 화전산단 3로 32 C동 | |||
연구소 | 제품 연구개발 | 세종 연서면 공단로 155(부동리) | |||
한화글로벌에셋(주) | 국내 | 세종 본사 | 지주회사 | 세종 부강면 금호안골길 79-20(금호리) | |
진해사업장 | 부동산 업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충장로 608, 1층(풍호동) | |||
해외 | 법인 | GMT, LWRT, EPP, LFT 생산/판매 | 8개소(미국 앨라배마/버지니아, 멕시코, 체코, 독일, 중국 북경/상해/충칭) |
||
공장 | GMT, LWRT, EPP 생산 | 2개소(미국 노스캐롤라이나/미시건) | |||
한화컴파운드(주) | 국내 | 여수 공장 | COMPOUND 제품 생산 | 전남 여수시 삼동로 93(월하동) | |
대전 R&D팀 |
제품 연구개발 |
대전 유성구 가정로 76(신성동) |
|||
유통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
국내 |
명품관 WEST |
백화점 |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 343(압구정동 ) |
명품관 EAST |
백화점 |
서울 강남구 압구정로 407(압구정동) |
|||
광교 |
백화점 |
경기 수원시 영통구 광교중앙로 124(하동, 갤러리아 광교) |
|||
센터시티 |
백화점 |
충남 천안시 서북구 공원로 227(불당동) |
|||
진주 | 백화점 | 경남 진주시 진주대로 1095(평안동) | |||
고메이494 한남 |
종합소매업 |
서울 용산구 한남대로 91(한남동) |
|||
(주)한화갤러리아 |
국내 |
본점(타임월드점) | 백화점 | 대전 서구 대덕대로 211(둔산동) | |
공동사업장 |
공동사업장 |
충남 서산시 성연면 왕정리 |
|||
메종 갤러리아 |
VIP라운지 |
대전시 유성구 대덕대로 576 (도룡동)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국내 |
서울사업장 |
태양광 모듈 및 발전소 판매 |
서울 중구 청계천로 86, 23층 |
공장 | 태양광 셀/모듈 생산 | 충북 진천군 이월면 산수산단2로 202 | |||
공장 | 태양광 모듈 생산 | 충북 음성군 금왕읍 대금로 1329, 2층 | |||
한화글로벌에셋(주) |
해외 | 법인 | 태양광 발전소 시공 등 | 미국(California 州) | |
공장 | 태양광 모듈 생산 | 미국(Georgia 州) | |||
Hanwha Q CELLS Co., Ltd. |
국내 |
본사 |
태양광 모듈 및 발전소 판매 |
서울 중구 청계천로 86, 23층 |
|
해외 |
법인 |
태양광 모듈 및 발전소 판매 |
14개소 중국, 독일, 호주, 프랑스, 칠레, 터키 등 |
||
연구소 |
태양광 셀 및 모듈 기술 연구 |
독일 (Thalheim) |
|||
공장 |
태양광 셀 및 모듈 생산 |
2개소 말레이시아 (Cyberjaya), 중국 (Qidong) |
|||
기타 | 한화도시개발 |
국내 |
서산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충남 서산시 성연면 왕정리 일원 |
에이치밸리 |
산업단지 개발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청원리 일원 |
|||
김해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경남 김해시 진례면 고모리, 담안리 일원 |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면 덕성리 일원 |
|||
안성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경기도 안성시 덕성면 추곡리 일원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이동읍 덕성리/묵리 일원 | |||
서오창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용두리 일원 |
|||
에이치테크노밸리 | 산업단지 개발 | 경기도 화성시 양감면 요당리 일원 | |||
울산복합도시개발 | 산업단지 개발 | 울산광역시 울주군 삼남읍 신화리 일원 |
2) 유형자산의 변동내역
당분기 및 전분기의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구분 | 당분기 | 전분기 | ||||
---|---|---|---|---|---|---|
토지 | 기타 | 합계 | 토지 | 기타 | 합계 | |
기초장부가액 | 1,691,586 | 4,724,899 | 6,416,485 | 1,738,544 | 4,855,489 | 6,594,033 |
취득 | 83 | 575,510 | 575,593 | - | 628,358 | 628,358 |
처분 | (588) | (8,779) | (9,367) | (10,295) | (5,723) | (16,018) |
감가상각비 | - | (422,489) | (422,489) | - | (382,026) | (382,026) |
손상차손 | - | (275) | (275) | (3,787) | (3,936) | (7,723) |
연결범위변동 | 1,964 | 3,526 | 5,490 | - | (21,763) | (21,763) |
기타(주1) | (104,491) | 55,559 | (48,932) | (53,114) | (268,566) | (321,680) |
기말장부가액 | 1,588,554 | 4,927,951 | 6,516,505 | 1,671,348 | 4,801,833 | 6,473,181 |
취득원가 | 1,588,953 | 10,279,823 | 11,868,776 | 1,671,348 | 10,189,822 | 11,861,170 |
감가상각누계액 | - | (5,010,864) | (5,010,864) | - | (4,708,267) | (4,708,267) |
손상차손누계액 | (399) | (339,512) | (339,911) | - | (678,597) | (678,597) |
정부보조금 | - | (1,496) | (1,496) | - | (1,125) | (1,125) |
(주1) 기타금액은 환율변동에 의한 증감액 및 대체 증감액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라. 설비 투자현황 및 계획
2021년 3분기 현재 생산과 영업에 중요한 설비 등에 대한 투자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
사업부문 | 해당회사 | 투자명 | 투자목적 | 내용 | 기간 | 총 소요자금 | 기 지출금액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합성가스 신규사업 |
OA 향후 증설 수요 충족 및 TDI 원가경쟁력 개선 |
CO 17만톤, H2 3만톤 증설 |
18.8월~21.8월 | 1,700 | 1,658 |
고순도 크레졸 신규사업 |
자체개발기술로 CA제품과 NCC유분을 활용하여 헬스케어 및 정밀화학 제품 원료분야로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
사업 포트폴리오 확장 | 21.1월~23.6월 | 1,707 | 48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GMT Pilot Line 구축 |
Resin / Fiber 다양화 소재 개발 및 IXI 생산 병행 |
Pilot Line 구축 |
21.04월~21.12월 |
16.6 |
4.8 |
다목적 와인딩 설비 구축 |
열경화성 토우프레그 기술 개발 | 연구개발 설비 구축 | 21.06월~22.06월 | 13.9 | 3.7 | ||
셀 |
한화솔루션㈜ |
LDSE&Oxidation 공정 적용 |
셀 신규 공정 적용을 통한 효율(출력) 향상 |
신규 공정 추가 |
20.1월~22.12월 |
364.0 |
282.5 |
셀 |
진천 셀 대형화 wafer size 적용 |
대형 wafer(M6&M10) size 생산을 통한 시장 대응 |
생산 라인 개조 |
21.1월~22.1월 |
649.8 |
159.3 |
|
셀 |
TOPCon Pilot Line 구축 |
셀 신 기술(TOPCon process) 적용을 위한 Pilot Line 구축 |
Pilot Line 구축 |
21.4월~22.3월 |
640.6 |
548.6 |
|
모듈 |
진천 모듈 대형화 wafer size 적용 |
대형 wafer(M6&M10) size 생산을 통한 시장 대응 |
생산 라인 개조 |
21.4월~22.3월 |
500.3 |
456.6 |
|
모듈 |
음성 모듈 대형화 wafer size 적용 |
대형 wafer(M6&M10) size 생산을 통한 시장 대응 |
생산 라인 개조 |
21.1월~21.12월 |
424.4 |
388.7 |
4. 매출 및 수주상황
가. 매출실적
1) 매출유형별 실적
(단위 : 백만원) |
부문 | 회사명 | 매출유형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등 |
제품 | 3,758,123 | 3,511,065 | 3,691,016 |
상품 | 423,963 | 90,162 | 91,361 | ||
기타 | 8,392 | 9,025 | 11,393 | ||
합계 | 4,190,478 | 3,610,252 | 3,793,770 | ||
가공 | 한화글로벌에셋(주),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등 |
제품 | 594,261 | 576,134 | 633,153 |
상품 | 137,214 | 263,861 | 334,143 | ||
기타 | 5,700 | 7,712 | 10,070 | ||
합계 | 737,175 | 847,707 | 977,366 | ||
유통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등 |
제품 | 4,784 | 7,345 | 13,437 |
상품 | 251,425 | 344,267 | 497,316 | ||
기타 | 135,702 | 134,488 | 120,488 | ||
합계 | 391,911 | 486,100 | 631,241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Hanwha Q CELLS Co., Ltd. 등 |
제품 | 3,240,648 | 4,600,235 | 4,165,915 |
상품 | 1,160,780 | 1,443,290 | 1,590,975 | ||
기타 | 372,216 | 494,499 | 393,452 | ||
합계 | 4,773,644 | 6,538,024 | 6,150,342 | ||
기타 | (주)한화도시개발 등 |
제품 | 53,324 | 322,304 | 371,039 |
상품 | 189,712 | 465,093 | 535,869 | ||
기타 | 12,416 | 200,980 | 144,586 | ||
합계 | 255,452 | 988,377 | 1,051,494 | ||
연결조정 | 제품 | (2,166,820) | (2,685,551) | (2,569,020) | |
상품 | (329,846) | (466,388) | (446,238) | ||
기타 | (89,864) | (123,513) | (131,565) | ||
합계 | (2,586,530) | (3,275,452) | (3,146,823) | ||
합 계 | 제품 | 5,484,320 | 6,331,532 | 6,305,540 | |
상품 | 1,833,248 | 2,140,285 | 2,603,426 | ||
기타 | 444,562 | 723,191 | 548,424 | ||
합계 | 7,762,130 | 9,195,008 | 9,457,390 |
2) 주요 수출기업의 매출실적
2019년~2021년 주요 수출기업의 수출/내수 매출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 해당 회사 | 품목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PE, CA, PVC 등 | 수출 |
1,867,130 |
1,715,708 | 1,768,190 |
내수 |
1,432,149 |
1,508,465 | 1,614,107 | |||
합계 |
3,299,279 |
3,224,173 | 3,382,297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자동차 부품, 산업용 소재,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 |
수출 |
175,562 |
169,230 | 198,425 |
내수 |
178,607 |
254,376 | 362,618 | |||
합계 |
354,169 |
423,606 | 561,043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셀/모듈 태양광 제품 등 | 수출 |
870,979 |
1,424,060 |
1,376,457 |
내수 |
487,870 |
645,478 |
751,127 |
|||
합계 |
1,358,849 |
2,069,538 |
2,127,584 |
|||
유통 | (주)한화갤러리아 |
상품매출(의류, 잡화, 화장품, 주류 등) |
수출 |
- |
- | - |
내수 |
282,839 |
344,204 |
352,638 |
|||
합계 |
282,839 |
344,204 |
352,638 |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상품매출(의류, 잡화, 화장품, 주류 등) |
수출 |
- |
- | - | |
내수 |
104,068 |
133,730 | 263,711 | |||
합계 |
104,068 |
133,730 | 263,711 |
3) 판매경로 등
제품 또는 서비스의 판매경로와 방법, 전략, 주요매출처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해당회사 | 제품ㆍ서비스의 명칭 | 시장구분 | 판매경로(비중) | 판매방법(비중) | 주요 매출처(비중) | 판매전략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LDPE, LLDPE, ECH, PVC, HDPE, 가성소다, 염소 등 |
내수 |
직판(70%) 대리점(30%) |
- | 한국바스프주식회사(3%) 등 | 고부가가치 및 특화제품 개발을 통한 수익성 극대화 고객서비스 강화, 제품경쟁력 제고와 고객위주의 판촉 강화 안정적 공급을 통한 내수시장 확대, 수출시장 다변화 및 고정고객 관리 강화 |
수출 |
직수출(62%) 로컬수출(38%) |
- | HANWHA CHEMICAL (SHANGHAI) CO., LTD(3%) 등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GMT, LWRT, EPP, SMC, LFT, FCCL, EVA 시트, Back 시트 등 |
내수 | 직판(96%) 대리점(4%) |
일반매출(100%) | 비에이치(9%) 현대에너지(5%) 세영우드(4%) 현대모비스(4%) |
고객사들의 부품 표준화 및 글로벌 소싱 요구에 능동적 으로 대응 |
수출 | 관계회사(52%) 직판(48%) |
일반매출(99%) 위탁매출(1%)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19%) HANWHA Q CELLS USA(13%)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9%) SAMSUNG ELECTRO-MECHANICS VIETNAM(4%)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3%) |
||||
유통 |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
의류, 잡화, 임대수수료, 입장료 外 |
내수 |
명품관, 광교, 센터시티, 진주 |
현금매출, 카드매출, 상품권매출 등 |
개별 소비자 |
- 명품 및 우수상품 지속발굴 - 합리적인 가격정책 - 세련되고 우수한 판매시설, 고품격 최상의 서비스 제공 - VIP 및 고정고객에게 차별화 된 서비스 제공 - 인터넷 쇼핑몰 강화 - 프리미엄 시장 內 독보적 위상 강화 |
(주)한화갤러리아 타임월드 |
상품매출 (의류, 잡화, 화장품, 주류 등) |
내수 |
- 백화점에서 이루어지는 오프라인 판매와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온라인 판매 등 |
현금매출, 카드매출, 상품권매출 등 |
개별 소비자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태양광 모듈, 셀, ESS, 태양광발전소 건설 등 |
내수 |
직판(100%) |
- |
(10%) 합천수상태양광 주식회사 (6%) ㈜테스코 에너지 |
- |
수출 |
관계회사(99%) 직판(1%) |
- |
(44%) Hanwha Q CELLS America Inc. (23%) Hanwha Q CELLS GmbH (15%) HANWHA Q CELLS USA, INC. 등 |
- | |||
기타 | 한화솔루션(주)도시개발부문 등 |
산업단지 |
내수 |
직판(100%) |
분양계약(100%) |
유한화학 외 다수 업체 |
- 대기업 유치 활동 집중 및 수도권 소재 기업 대상 분양 활동 강화 |
나. 수주상황
연결회사는 판매규모를 예측하여 계획, 생산하고 있으며, 매출 발생 이전에 판매대상이나 수량이 특정하게 결정되지 않고 시장의 수요, 공급 상황에 따라 수시 결정되고 있습니다.
5. 위험관리 및 파생거래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연결회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 (환위험, 이자율위험 등),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1) 시장위험
1) 환위험
환위험은 미래 예상거래 및 인식된 자산ㆍ부채가 기능통화 외의 통화로 표시될 때 발생하고 있으며 환포지션이 발생하는 주요 외화로는 USD, EUR, JPY, CNY 등이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연결대상 회사별로 사업의 성격 및 환율 변동위험 대처수단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회사별 환위험 관리 정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환위험 관리 모델을 이용하여 환위험 노출에 대한 최대 손실 규모가 허용범위 이내가 되도록 관리하고 있으며 환위험 노출을 주기적으로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외환 포지션에 대해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
USD | (5,647,448) | 5,647,448 | (4,871,487) | 4,871,487 |
EUR | 1,890,692 | (1,890,692) | 1,692,253 | (1,692,253) |
JPY | 168,171 | (168,171) | 190,738 | (190,738) |
CNY | 80,336 | (80,336) | 132,253 | (132,253) |
합 계 | (3,508,249) | 3,508,249 | (2,856,243) | 2,856,243 |
상기 민감도분석은 당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결이 확정된 헤지효과가 발생하는 파생상품거래로 인한 환율변동효과도 고려되었습니다.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이자율위험관리의 목표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불확실성과 순이자비용의 최소화를 추구함으로써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데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상승 (하락)할 경우 당분기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은 25,098백만원(전분기: 26,148백만원) 감소(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 분석은 이자율 이외의 다른 변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전기 연차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적용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였습니다.
(2) 신용위험
연결회사는 금융상품의 당사자 중 일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상대방에게 재무손실을 입힐 신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고객과 거래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신규 고객과 계약시 재무정보와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제공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신용거래한도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으로 인한 최대 노출금액은 금융기관에 예치된 현금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지분상품 제외)의 장부금액 및 최대보증금액과 동일합니다.
(3) 유동성위험
연결회사는 미사용 차입금한도 (연결검토보고서 주석 32 참조)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고 영업 자금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유동성에 대한 예측을 항시 모니터링하여 차입금 한도나 약정을 위반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있습니다. 유동성에 대한 예측 시에는 연결회사의 자금조달 계획, 약정 준수, 연결회사 내부의 목표재무비율 및 통화에 대한 제한과 같은 외부 법규나 법률 요구사항이 있는 경우 그러한 요구사항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 ||||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차입금(주1) |
2,455,309,480 | 2,691,606,173 | 364,975,247 | 5,511,890,900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956,608,677 | 180,432,575 | - |
2,137,041,252 |
기타금융부채(주2) |
197,070,951 | 313,223,490 | 401,198,954 | 911,493,395 |
합 계 | 4,608,989,108 | 3,185,262,238 | 766,174,201 | 8,560,425,547 |
(주1) 이자비용의 예상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2)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 현금흐름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② 전기말
(단위: 천원) | ||||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차입금(주1) |
3,108,935,957 | 2,261,956,272 | 555,420,794 | 5,926,313,023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556,391,780 | 14,511 | - | 1,556,406,291 |
기타금융부채(주2) |
195,520,809 | 216,160,957 | 196,023,411 | 607,705,177 |
합 계 | 4,860,848,546 | 2,478,131,740 | 751,444,205 | 8,090,424,491 |
(주1) 이자비용의 예상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2)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 현금흐름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은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 ||||
---|---|---|---|---|
구 분 | 1년 이하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파생상품부채(주1) | (7,484,132) | (12,497,941) | (1,696,119) | (21,678,192) |
(주1)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자산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예상 현금흐름을 유동성위험 분석에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예상순현금유출입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② 전기말
(단위: 천원) | ||||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파생상품부채(주1) | 4,680,706 | 32,561,495 | 22,816,027 | 60,058,228 |
(주1)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자산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예상 현금흐름을 유동성위험 분석에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예상순현금유출입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3) 상기 금융부채 이외에 연결실체는 특수관계자 및 임직원을 위하여 금융보증계약 등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증을 제공받은 특수관계자 및 임직원이 지급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1년 이내에 추가적인 지급의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관련 유동성 위험의 최대금액은 52,242백만원(전기: 87,395백만원)입니다(연결검토보고서 주석 32.(4) 및 주석 33.(6) 참조).
나.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2021년 3분기 말 현재 회사가 보유 또는 의무를 부담하고 있는 파생상품(신용파생상품을 포함, 기타 타법인 주식 또는 출자증권 등의 취득과 관련하여 체결한 풋옵션(Put Option), 콜옵션(Call Option), 풋백옵션(Put Back Option)등 계약 및 그 계약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통화선도거래
당사는 2021년 3분기말 현재 외화 매출채권의 환리스크를 회피하기 위하여 41건의 통화선도 매도거래 계약과 10건의 통화선도 매수거래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통화선도 매도거래의 계약 내용은 만기일에 회사가 약정한 외화금액을 거래상대방(금융기관)에 인도하고, 계약시점의 선도환율로 환산한 원화금액을 거래상대방(금융기관)으로부터 인도받는 거래이며, 통화선도 매수거래의 계약 내용은 만기일에 계약시점의 선도환율로 환산한 원화금액을 거래상대방(금융기관)에 인도하고, 회사가 약정한 외화금액을 거래상대방(금융기관)으로부터 인도받는 거래입니다.
2021년 3분기말 현재 통화선도 거래 계약의 세부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KRW, USD, EUR, JPY, AUD, CAD) |
구분 | 거래은행 | 계약체결일 | 만기일 | 통화 | 계약금액 | 평가금액(KRW) (자산 / 부채) |
약정환율(KRW) |
통화선도 (외화매수) |
하나은행 | 2020-12-21 | 2021-12-20 | EUR | 15,000,000.00 | 339,921,155 | 1,355.46 |
우리은행 | 2021-09-30 | 2021-10-29 | EUR | 20,000,000.00 | -34,466,499 | 1,377.25 | |
산업은행 | 2021-09-23 | 2021-10-12 | EUR | 20,000,000.00 | -178,542,955 | 1,383.72 | |
우리은행 | 2021-09-28 | 2021-10-29 | EUR | 20,000,000.00 | -185,376,153 | 1,384.80 | |
우리은행 | 2021-09-29 | 2021-10-29 | EUR | 20,000,000.00 | -199,167,897 | 1,385.49 | |
산업은행 | 2021-09-16 | 2021-10-12 | EUR | 33,000,000.00 | -263,580,869 | 1,382.78 | |
산업은행 | 2021-09-15 | 2021-10-12 | EUR | 33,000,000.00 | -327,590,583 | 1,384.72 | |
산업은행 | 2021-09-14 | 2021-10-12 | EUR | 33,000,000.00 | -381,701,887 | 1,386.36 | |
산업은행 | 2021-09-17 | 2021-10-12 | EUR | 33,000,000.00 | -411,727,062 | 1,387.27 | |
산업은행 | 2021-09-13 | 2021-10-12 | EUR | 34,000,000.00 | -466,356,864 | 1,388.51 | |
합계 | EUR | 261,000,000.00 | - | - | |||
통화선도 (외화매도) |
SC은행 | 2021-05-20 | 2021-10-05 | CAD | 2,219,251.67 | 9,405,548 | 932.80 |
SC은행 | 2021-05-25 | 2021-10-19 | USD | 5,490,417.36 | -346,889,742 | 1,122.00 | |
SC은행 | 2021-06-08 | 2021-10-08 | EUR | 5,764,419.10 | -95,814,959 | 1,357.86 | |
SC은행 | 2021-06-18 | 2021-10-22 | USD | 5,000,000.00 | -267,720,209 | 1,131.70 | |
SC은행 | 2021-06-28 | 2021-11-08 | USD | 3,436,906.64 | -188,582,669 | 1,130.70 | |
SC은행 | 2021-06-28 | 2021-11-15 | USD | 5,097,170.50 | -280,277,630 | 1,130.70 | |
SC은행 | 2021-07-01 | 2021-11-26 | USD | 10,000,000.00 | -548,608,271 | 1,131.01 | |
SC은행 | 2021-08-26 | 2021-10-14 | AUD | 2,193,564.32 | -5,521,413 | 848.00 | |
SC은행 | 2021-08-26 | 2021-10-29 | AUD | 1,613,675.52 | -4,508,281 | 848.00 | |
SC은행 | 2021-09-16 | 2021-10-27 | CNY | 13,791,595.69 | -19,496,811 | 181.48 | |
국민은행 | 2021-05-24 | 2021-10-12 | USD | 7,264,054.82 | -426,477,146 | 1,126.34 | |
국민은행 | 2021-07-01 | 2021-12-17 | USD | 10,000,000.00 | -531,744,563 | 1,133.00 | |
국민은행 | 2021-07-08 | 2021-12-22 | USD | 8,000,000.00 | -339,775,828 | 1,143.75 | |
국민은행 | 2021-07-08 | 2021-10-25 | CAD | 875,176.50 | -14,317,564 | 912.50 | |
국민은행 | 2021-07-08 | 2021-10-05 | CAD | 232,072.50 | -3,490,018 | 913.53 | |
국민은행 | 2021-07-09 | 2021-12-24 | USD | 8,000,000.00 | -315,502,342 | 1,146.80 | |
국민은행 | 2021-07-14 | 2021-12-13 | USD | 8,000,000.00 | -278,632,911 | 1,151.34 | |
국민은행 | 2021-07-16 | 2021-12-10 | USD | 8,000,000.00 | -344,741,275 | 1,143.04 | |
국민은행 | 2021-07-16 | 2021-11-15 | CAD | 733,092.00 | -16,157,671 | 907.15 | |
국민은행 | 2021-07-16 | 2021-10-12 | AUD | 3,626,585.82 | -8,870,576 | 848.02 | |
국민은행 | 2021-07-19 | 2021-12-31 | USD | 10,000,000.00 | -401,291,556 | 1,146.14 | |
국민은행 | 2021-07-21 | 2022-01-05 | USD | 10,000,000.00 | -325,182,794 | 1,153.78 | |
국민은행 | 2021-07-22 | 2022-01-12 | USD | 10,000,000.00 | -344,774,141 | 1,151.91 | |
국민은행 | 2021-07-26 | 2022-01-26 | USD | 10,000,000.00 | -312,246,114 | 1,155.35 | |
국민은행 | 2021-07-27 | 2022-01-24 | USD | 10,000,000.00 | -351,415,877 | 1,151.40 | |
국민은행 | 2021-07-29 | 2021-11-26 | EUR | 6,297,923.50 | -76,856,119 | 1,364.70 | |
국민은행 | 2021-07-29 | 2021-12-03 | EUR | 4,526,985.10 | -55,824,355 | 1,364.90 | |
국민은행 | 2021-08-03 | 2022-02-04 | USD | 12,000,000.00 | -385,047,009 | 1,154.60 | |
국민은행 | 2021-08-06 | 2022-02-18 | USD | 12,000,000.00 | -506,618,817 | 1,144.62 | |
국민은행 | 2021-08-11 | 2022-02-23 | USD | 10,000,000.00 | -306,955,842 | 1,156.23 | |
국민은행 | 2021-08-31 | 2021-11-25 | AUD | 15,880,294.08 | -25,018,026 | 849.70 | |
국민은행 | 2021-09-30 | 2021-11-05 | JPY | 406,334,738 | 597,474 | 10.5918 | |
신한은행 | 2021-07-02 | 2021-12-28 | USD | 7,000,000.00 | -359,593,451 | 1,134.94 | |
신한은행 | 2021-08-26 | 2021-10-01 | JPY | 285,870,516 | 6,541,848 | 10.6050 | |
우리은행 | 2021-07-23 | 2022-01-19 | USD | 10,000,000.00 | -349,579,578 | 1,151.50 | |
우리은행 | 2021-07-28 | 2022-01-28 | USD | 10,000,000.00 | -280,411,742 | 1,158.55 | |
우리은행 | 2021-08-05 | 2021-11-19 | EUR | 9,660,381.50 | -196,540,189 | 1,356.17 | |
우리은행 | 2021-08-26 | 2021-10-18 | JPY | 288,863,482 | 7,342,083 | 10.6107 | |
우리은행 | 2021-08-27 | 2021-10-06 | CNY | 13,195,258.77 | -36,018,290 | 180.30 | |
하나은행 | 2021-06-01 | 2021-10-29 | USD | 7,000,000.00 | -553,588,269 | 1,106.32 | |
하나은행 | 2021-07-05 | 2021-12-15 | USD | 7,000,000.00 | -381,402,269 | 1,131.65 | |
합계 | USD | 203,288,549.32 | - | - | |||
EUR | 26,249,709.20 | - | - | ||||
JPY | 981,068,736.00 | - | - | ||||
CNY | 26,986,854.46 | - | - | ||||
AUD | 23,314,119.74 | - | - | ||||
CAD | 4,059,592.67 | - | - |
파생상품의 공정가액은 월말 거래은행이 제공한 평가내역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2021년 3분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한 통화선도계약의 공정가치인 통화선도자산은 363,808천원이며, 통화선도부채는 11,734,005천원입니다. 통화선도거래에 따른 2021년 3분기말 누계 평가이익은 14,481천원이며, 누계 평가손실은 11,289,845천원입니다. 또한 통화선도거래에 따른 2021년 3분기말 누계 거래이익은 845,722천원이며, 누계 거래손실은 17,533,506천원입니다. 상기 금액 중 통화선도거래에 따른 평가이익은 손익계산서의 영업외수익 항목 중 파생상품평가이익 계정에 반영되어 있고, 통화선도거래에 따른 평가손실은 손익계산서의 영업외비용 항목 중 파생상품평가손실 계정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통화선도거래이익은 손익계산서의 영업외수익 항목 중 파생상품거래이익 계정에 반영되어 있고, 통화선도거래손실은 손익계산서의 영업외비용 항목 중 파생상품거래손실 계정에 반영되어 있습니다.
2) 통화옵션거래
2021년 3분기말 현재 당사는 체결된 통화옵션계약이 없습니다.
통화옵션거래에 따른 2021년 3분기말 누계 거래이익 및 누계 거래손실 역시 없습니다.
3) 통화스왑거래
2021년 3분기말 현재 당사는 외화차입금에 대한 환변동 리스크 회피 및 헤지효과 극대화를 위하여 11건의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통화스왑의 계약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1) 총 계약금액 2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1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34%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21.00에 총계약금액 2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신한은행 | 2018.09.20 | 2021.10.04 | USD 20,000,000 | 3M LIBOR+1.15% | 2.34% | 1,121.00 | \1,224,214 | - |
(2) 총 계약금액 3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1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34%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21.00에 총계약금액 3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산업은행 | 2018.09.20 | 2021.10.04 | USD 30,000,000 | 3M LIBOR+1.15% | 2.34% | 1,121.00 | \1,836,507 | - |
(3) 총 계약금액 53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0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20%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19.77에 총계약금액 53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산업은행 | 2018.12.28 | 2021.12.21 | USD 53,000,000 | 3M LIBOR+1.05% | 2.20% | 1,119.77 | \3,384,964 | - |
(4) 총 계약금액 12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1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26%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30.11에 총계약금액 12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우리은행 | 2019.03.22 | 2022.04.04 | USD 120,000,000 | 3M LIBOR+1.15% | 2.26% | 1,130.11 | \5,985,912 |
- |
(5) 총 계약금액 8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1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26%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30.11에 총계약금액 8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산업은행 | 2019.03.22 | 2022.04.04 | USD 80,000,000 | 3M LIBOR+1.15% | 2.26% | 1,130.11 | \3,985,730 |
- |
(6) 총 계약금액 5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0.9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1.35%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97.00에 총계약금액 5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하나은행 | 2019.10.04 | 2022.10.11 | USD 50,000,000 | 3M LIBOR+0.95% | 1.35% | 1,197.00 | - | \499,018 |
(7) 총 계약금액 5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0.9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1.35%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97.00에 총계약금액 5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신한은행 | 2019.10.04 | 2022.10.11 | USD 50,000,000 | 3M LIBOR+0.95% | 1.35% | 1,197.00 | - | \505,008 |
(8) 총 계약금액 5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00%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1.46%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205.00에 총계약금액 5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농협은행 | 2019.10.02 | 2022.10.11 | USD 50,000,000 | 3M LIBOR+1.00% | 1.46% | 1,205.00 | - | \945,788 |
(9) 총 계약금액 20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1.44%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07%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82.49에 총계약금액 20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산업은행 | 2019.12.02 | 2026.12.09 | USD 200,000,000 | 3M LIBOR+1.44% | 2.07% | 1,182.49 | \1,696 ,119 |
- |
(10) 총 계약금액 30백만불에 대해 매 분기 미화 3M LIBOR+0.95%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2.13%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153.10에 총계약금액 30백만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달러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하나은행 | 2019.07.19 | 2022.07.19 | USD 30,000,000 | 3M LIBOR+0.95% | 3.68% | 1,153.10 | \900,564 | - |
(11) 총 계약금액 CNY 10억위안에 대해 매 분기 CNY 3.00% 이자 수취 및 계약환율 적용한 원화 0.62% 이자를 지급함. 계약 만기일에 계약환율인 171.99에 총계약금액 CNY 10억위안을 매수하는 구조입니다.
(단위: 천원, 위안) |
거래은행 | 계약실행일 | 계약만기일 | 계약원금 | 위안화수취 이자율 |
원화지급 이자율 |
계약 환율 | 통화스왑자산 | 통화스왑부채 |
---|---|---|---|---|---|---|---|---|
SC은행 | 2021.04.19 | 2024.04.19 | CNY 1,000,000,000.00 | 3.00% | 0.62% | 171.99 | \13,832,146 | - |
통화스왑거래의 공정가액은 월말 거래은행이 제공한 평가내역을 이용하고 있습니다.2021년 3분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한 상기 11건의 통화스왑계약의 공정가치인 통화스왑자산은 32,846,156천원, 통화스왑부채는 1,949,814천원 입니다. 통화스왑거래에 따른 2021년 3분기말 누계 평가이익은 87,925,164천원입니다. 통화스왑거래에 따른 2021년 3분기말 누계 거래이익은 4,158,378천원, 누계 거래손실은 4,293,201천원 입니다.
4) 이자율스왑거래
2021년 3분기말 현재 당사는 이자율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총 1건의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거래은행 | 계약체결일 | 계약만기일 | 매입 | 매도 | ||
---|---|---|---|---|---|---|---|
변동이자율 | 금액 | 고정이자율 | 금액 | ||||
이자율스왑 | 하나은행 | 2020.02.28 | 2023.02.28 | 91일 CD+1.00% | 20,000,000 | 2.13% | 20,000,000 |
6. 주요계약 및 연구개발활동
가.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1) 특수관계인과의 수익증권 거래
- 거래상대방 : 한화자산운용
- 거래일자 : 2018.04 ~ 2025.04(예정)
- 거래금액 : 미화 7.5백만불에 해당하는 원화
- 거래목적 : 수익률 제고
- 이사회 의결일 : 2018.03.27
2) 채무보증계약: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 보증수혜자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및 HANWHA KALYON
SOLAR TECHNOLOGY PRODUCTION (HKSTP)
- 회사와의 관계: 계열회사 및 관계회사
- 채권자 : 한국수출입은행 및 한국무역보험공사
- 총 보증금액 : 287,599,200,000원
- 이사회결의일 : 2018.03.27
3)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처분결정
- 거래상대방 : 웅진에너지 주식회사
- 거래일자 : 2018.06.20
- 거래금액 : 8,470,000,000원
- 거래목적 : 투자금 회수
- 이사회 의결일 : 2018.06.20
4)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 거래상대방 : 舊 한화첨단소재 주식회사
- 거래일자 : 2018.09.11
- 거래금액 : 502,776,000,000원
- 취득방법 : 유상증자 참여
- 거래목적 : 태양광 산업 신성장 동력으로 집중 육성
- 이사회 의결일 : 2018-09-11
5) 종속회사의 합병결정
- 합병대상회사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Hanwha Q CELLS Co., Ltd.
- 주요사업 : 태양광 셀, 모듈 제조 및 태양광 다운스트림
- 회사와의관계: 계열회사
- 합병비율 :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Hanwha Q CELLS Co., Ltd.= 1:0
- 합병방법 : 흡수합병 (Short Form Merger)
- 종속회사 이사회 의결일 : 2018-10-15
- 합병일: 2019-01-16
- 합병목적 : Hanwha Q CELLS Co., Ltd.의 나스닥 상장 유지 필요성 감소 및
태양광 사업 경영 효율성 제고를 위한 합병
6) 종속회사의 해외증권시장주권 상장폐지 결정
- 상장폐지회사: Hanwha Q CELLS Co., Ltd.
- 상장폐지주식수: 261,097,950주 (보통주)
- 상장거래소: 미국 증권거래소 (NASDAQ)
- 종속회사 이사회 의결일 : 2018-10-15
- 상장폐지일: 2019-01-28
- 상장폐지사유: 상장유지 비용 증가 및 업무 비효율성 등으로 인한 나스닥
상장유지 필요성 감소
7)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내역
- 출자법인: Hanwha Solar Holdings Co., Ltd.
- 회사와의 관계: 계열회사 (소유지분 100%)
- 취득주식수: 588,889 주
- 출자금액: 60,070,211,334원 (공시 기준)
- 취득후 지분율: 100%
- 이사회 의결일 : 2018년 10월 16일
- 출자일: 2018년 12월 21일
- 출자목적: Hanwha Solar Holdings Co., Ltd.의 Hanwha Q CELLS Co., Ltd.
잔여주식(약 6%) 매수 (2019-01-14)
8) 합병계약
- 합병 방법: 한화케미칼㈜이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분할신설법인)를 흡수합병
- 흡수합병 목적: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 합병비율: 무증자 합병 (한화케미칼㈜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 1:0)
-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2019년 7월 30일
- 합병기일: 2020년 1월 1일
9) 합병계약
- 합병 방법: 한화솔루션㈜이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
- 흡수합병 목적: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 합병비율: 무증자 합병 (한화솔루션㈜ : ㈜한화갤러리아 = 1:0)
-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2020년 12월 08일
- 합병기일: 2021년 4월 1일
10) 합병계약
- 합병 방법: 한화솔루션㈜이 ㈜한화도시개발(분할신설법인)을 흡수합병
- 흡수합병 목적: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 합병비율: 무증자 합병 (한화솔루션㈜ : ㈜한화도시개발 = 1:0)
-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2020년 12월 08일
- 합병기일: 2021년 4월 1일
11) 회사합병 결정
- 합병대상 : ㈜한화갤러리아, ㈜한화도시개발
- 합병계약일 : 2020년 12월 22일
- 합병기일 : 2021년 04월 01일
- 합병목적 :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 이사회 의결일 : 2020년 12월 08일
12) 유상증자 결정
- 신주 상장 예정일 : 2021년 03월 18일
- 신주의 종류와 수 : 보통주 31,414,000주
- 확정발행가 : 42,850원
- 자금조달 목적 : 시설자금, 운영자금, 타법인 증권 취득자금
- 이사회 의결일 : 2020년 12월 21일
13)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 발행회사 : 한화종합화학 주식회사
- 거래상대방 : 삼성물산㈜, 삼성SDI㈜
- 거래예정일자 : 2021년 07월 30일
- 거래금액 : 473,005,431,345원
- 취득방법 : 현금 취득
- 거래목적 : 추가 지분 취득을 통한 미래가치 제고 및 주주간계약 종료
- 이사회 의결일 : 2021년 06월 23일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1) 채무보증계약: 타인에 대한 채무보증 결정
- 보증수혜자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회사와의 관계: 종속회사
- 채권자 : Standard Chartered Bank Malaysia Berhad
- 총 보증금액 : 166,026,000,000원
- 이사회결의일 : 2020년 08월 11일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한화글로벌에셋]
1) 합병 계약
- 합병 방법: 한화첨단소재(주)가 한화큐셀코리아(주)를 흡수합병
- 흡수합병 목적: 사업영역 확대 및 연관 사업간 시너지효과 극대화 통한 기업가치 제고
- 흡수합병비율 : 주식수를 고려한 주식가치 비율
한화첨단소재(주) : 한화큐셀코리아(주) = 1 : 0.5796339
-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2018년 09월 11일
- 흡수합병기일: 2018년 11월 01일
2) 영업양수도 계약
- 영업양수 방법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가 한화큐셀(주)의 자산을 영업양수
- 양수 목적물 : 한화큐셀(주)의 태양전지 및 태양광 발전 시스템 판매사업
- 영업양수 목적 : 태양광 사업의 일원화
- 이사회 결의일 : 2018년 10월 24일
- 양수일자 : 2018년 11월 01일
3) 영업양수도 계약
- 방법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가 태광후지킨(주)의 고압탱크사업을 영업양수
- 목적물 : 태광후지킨(주)의 고압탱크사업 부분 (수소, CNG)
- 영업양수 목적 : 자동차 경량복합소재 사업의 고수익/고성장 사업으로 재편
-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 2019년 10월 15일
- 양수일자 : 2019년 10월 17일
4) 인수 계약
- 인수 대상: (주)더블유오에스
- 인수 방법: 한화솔루션(주)이 (주)더블유오에스 지분 100% 인수
- 인수 목적: 신규 전자사업 영역확대 및 기업가치 제고
- 인수 금액: 60,000,000,000원
- 이사회 결의일: 2021년 07월 29일
- 인수 일자(계약 체결일자): 2021년 07월 29일
[한화솔루션(주) 갤러리아부문,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1) 수원컨벤션센터 지원시설 개발용지 매입
(주)한화갤러리아는 2017년 7월 중 신규 백화점 설립을 위해 (주)한화건설과 함께 경기도시공사로부터 수원컨벤션센터 지원시설 개발용지를 총 190,700백만원에 매입하는 약정을 체결하였으며, 개발용지에 대한 회사의 지분률은 39.85%입니다.
2) 수원사업장 매각
㈜한화갤러리아는 2019년 9월 30일 수원갤러리아역세권 복합개발피에프브이 주식회사에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의 토지 및 건물을 총 1,000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단위:백만원]
구분 |
일자 |
금액 |
계약금(5%) |
2019년 9월 30일 |
5,000 |
잔금(95%) |
2020년 03월 31일 |
95,000 |
합계 |
- |
100,000 |
3) 주식 교환 계약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2019년 11월 26일 (주)한화갤러리아와 주식의 포괄적 교환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20년 3월 3일 주식교환의 결과 (주)한화갤러리아의 완전 자회사가 되었습니다.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완전자회사 편입은 경영상의 효율성을 증대하고 사업적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 하여 기업가치를 제고하기 위함입니다.
주식교환 전ㆍ후의 최대주주 지분변동
구분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교환 전 |
교환 후 |
|
최대주주 |
㈜한화갤러리아 |
㈜한화갤러리아 |
최대주주 소유주식수 |
5,126,816주 |
6,000,131주 |
최대주주 지분율 |
85.45% |
100% |
※ 주식교환 완료 이후, 2020년 8월 27일 신주인수권 행사(78천원)로 보통주 2주가 발행되어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자본금이 변동되었습니다. 공시서류 작성 기준일 현재,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총 발행 주식수는 6,000,133주이며 (주)한화갤러리아의 지분율은 99.99%입니다.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의 최대주주인 (주)한화갤러리아는 한화솔루션(주)에 2021년 4월 1일자로 흡수 합병됨에 따라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한화솔루션(주)의 자회사가 되었습니다.
4) 센터시티 Sale&Lease Back 계약
㈜한화갤러리아는 2020년 2월 4일 ㈜코람코가치부가형부동산제2의3호위탁관리자부동산투자회사에 충남 천안시 서북구 불당동의 토지, 건물, 부속설비를 3,000억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장은 2월 28일 매각을 완료하였으며, 해당사업장의 매각과 동시에 장기 임차(Sale&Lease Back)하므로 해당 사업장의 백화점 영업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5) 한화솔루션㈜와의 합병계약
㈜한화갤러리아는 2020년 12월 22일 사업영역 확대 및 경영효율성 증대를 위해 한화솔루션㈜와의 합병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합병예정일은 2021년 4월 1일이며, 한화솔루션㈜는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합니다. ㈜한화갤러리아는 한화솔루션㈜의 사업부문으로 존속하므로, ㈜한화갤러리아가 영위하는 사업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6) 광교 Sale&Lease Back 계약
㈜한화갤러리아는 2021년 3월 12일 ㈜코람코가치부가형부동산제3의2호위탁관리자부동산투자회사에 경기 수원시 영통구 하동의 토지, 건물, 부속설비를 6,535억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해당 사업장은 3월 30일 매각을 완료하였으며, 해당사업장의 매각과 동시에 장기 임차(Sale&Lease Back)하므로 해당 사업장의 백화점 영업에는 영향이 없습니다.
7) 63면세점 전대차 계약
계약일자 | 계약기간 | 계약내용 | 상 대 방 | 계약조건 | 비 고 |
21.03.25 | 21.04.01 ~25.12.27 |
63면세점 2~3층 전대차 계약 |
(주)한화갤러리아 | 전대보증금 1,584백만원 월전대료 및 관리비 260백만원 |
-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는 2019년 9월 면세사업 종료 이후, 63면세점 공실의 경제적 효익 제고를 위해 (주)한화갤러리아와 전대차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한화솔루션(주) 도시개발부문]
1) 한화솔루션(주)와의 분할합병계약
(주)한화도시개발은 2020년 12월 22일 경영효율성 증대 및 사업전문성 강화를 위해 한화솔루션(주)와의 분할합병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합병예정일은 2021년 4월 1일이며, (주)한화도시개발은 영위사업을 부동산 관련 개발 사업부문과 관리 사업 부문으로 인적분할하고 분할된 사업부문은 한화솔루션(주)에 흡수합병하며 (주)한화도시개발은 부동산 관련 개발 사업 추진을 위해 존속 하였습니다.
나. 연구개발활동
1)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 케미칼부문은 대전광역시 유성구와 성남시 분당구에 각각 기업부설 연구소인 한화솔루션(주) 중앙연구소와 판교연구소를 설립하여 운영, 첨단소재부문은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에 연구소를 운영, 큐셀부문은 독일 작센안할트주 비터펠트볼펜시에 기술혁신본부인 탈하임 R&D센터를 운영 중이며,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한 판교 미래연구소와 함께 차세대 태양광 셀 기술 및 소재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 충청북도 음성군, 중국 장쑤성 치둥시, 말레이시아 셀렝고르주 사이버자야 공장 내 R&D 센터와 개발팀을 두고, 탈하임 R&D센터와 협력 하에 태양광 셀/모듈 성능 및 품질 관리, 에너지 솔루션 신기술 및 신제품 연구개발 등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각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한 연구개발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2) 주요 연구개발 담당조직
부문 | 해당 회사 | 연구개발 담당조직 | 역할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중앙연구소 |
ㅇ 폴리에틸렌 물성 향상 및 중합 촉매 연구 ㅇ 폴리에틸렌 및 공중합체 생산 공정 고도화 ㅇ 친환경가소제 제조 및 품질개선 연구 ㅇChlorinated PVC 중합 및 가공 연구 ㅇ 석유화학 공정용 신촉매 개발 ㅇ DCPD 수첨 석유수지 제조기술 개발 및 상업화 연구 ㅇXDI 등 specialty isocyanate 개발 및 응용 연구 ㅇ 생분해성 폴리머 등 친환경 플라스틱 제조 기술 연구 ㅇ 폐플라스틱 원료화 기술 연구 ㅇ바이오 플라스틱 원료 제조 기술 연구 ㅇ고부가 탄소소재 기술 연구 ㅇ 수전해 기술 연구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연구소 |
ㅇ고기능 / 고강성 복합소재 및 Application개발 ㅇ고속전송용 회로소재 개발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탈하임 R&D센터 |
ㅇ차세대 태양광 소재 연구 ㅇ태양광 셀/모듈 성능 및 품질 관리 |
판교 미래연구소 |
ㅇ차세대 태양광 소재 연구 |
||
한국 셀/모듈 R&D |
ㅇ태양광 셀/모듈 성능 및 품질 관리 |
3) 연구개발 비용
당사의 최근 3년간 연구개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 |
과 목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비 고 |
연구개발비용 계 |
98,520 |
124,876 | 53,135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1.9% | 2.2% | 1.5% | - |
※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한화갤러리아와 ㈜한화도시개발의 분할사업부를 합병하여 제48기 반기부터 전체 연구개발 비용을 합산하였습니다.
4) 주요 연구개발 실적
최근 3년간 연구개발 실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해당 회사 | 연구개발 실적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제 48기 3분기] - 친환경 가소제 SP-750 상업화 완료 - 기계적 물성과 가공성이 우수한 LLDPE용 메탈로센 촉매 기술 개발 완료 및 상업화 완료 - 가공성 개선 난방관용 폴리에틸렌 개발 진행 중 - Specialty isocyanate XDI 상업화 진행 중 - 친환경 저탄소 Cresol 제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진행 중 - 고효율 저탄소 PVC 정제기술 개발 및 상업화 추진 중 - 산업용 CPVC 컴파운드 개발 중 - AI 기반의 수전해 시스템 운용 모델 개발 중. - 500kV HVDC XLPE 개발 중 - Acetate 용제 용해성 우수한 PVC Copolymer 개발 중 - 생분해성 폴리머 및 플라스틱 재활용기술 개발 중 - 고효율/장수명의 수소생산 전해기술개발 중 - 엔지니어 플라스틱 PEKK 제조 기술 개발 중(국책과제 선정) -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제조 기술 개발 중 - 석유 피치계 다공성 소재 개발 중(국책과제 선정) - 폐플라스틱을 활용한 나프타 대체 원료 기술 개발 중(국책과제 선정) - 고순도 가스 분리용 탄소분자체 및 시스템 제조기술 개발(국책과제 선정) [제 47기] - DCPD 수첨 석유수지 상업화 완료 - PVC 반응기 대형화 상업화 완료 - 그라비이 잉크 바인더용 Hydroxyl Acryl TP 상업화 완료 - 생수 Bottle Cap용 HDPE 상업화 완료 - 가공성 개선 난방관용 폴리에틸렌 개발 진행 중 - 친환경 가소제 SP-750 상업화 진행 중 - Specialty isocyanate XDI 상업화 진행 중 - 친환경 저탄소 Cresol 제조 기술 개발 및 상용화 진행 중 - 고효율 저탄소 PVC 정제기술 개발 및 상업화 추진 중 - 스크린코팅용 벽지용 PSR 개발 완료 - AI 기반의 수전해 시스템 운용 모델 개발 중. - 500kV HVDC XLPE 개발 중 - Acetate 용제 용해성 우수한 PVC Copolymer 개발 중 - 생분해성폴리머 및 플라스틱 재활용기술 개발 중 - 고효율/장수명의 수소생산 전해기술개발 중 [제 46기] - 친환경 가소제 DEHCH-W 개발 및 상업화 완료 - Specialty isocyanate XDI 상업화 진행 중 - Hydroxyl Acryl TP 상업화 진행 중 - DCPD 수첨 석유수지 상업화 진행 중 - 스크린코팅용 벽지용 PSR 개발 중 - PVC 반응기 대형화 상업화 진행 중 - 온수용/산업용 CPVC 콤파운드 개발 완료 - 500kV HVDC XLPE 개발 중 - 고효율 증류 기술 개발 및 이를 이용한 TDA 공정 고도화 - 전산난류해석을 이용한 TDI 반응기 최적화 - 벽지용 신규 PSR 개발 중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
||||||||
태양광 | 한화솔루션(주) 큐셀 부문 |
[제 48기 3분기] - 고효율 n-type 태양전지 및 모듈 기술 개발 및 파일럿 양산 라인 안정화 - 차세대 페로브스카이트-실리콘 탠덤 태양전지(Perovskite-Silicon Tandem cell) 및 모듈 기술 개발 - M10 대형 사이즈 wafer를 이용한 주택/산업용 모듈 개발 - 스마트 모듈 (DC/DC Power Optimizer + Monitoring + Rapid Shutdown) 개발
- 미국 시장향 AC 모듈 개발 (Micro-Inverter 적용) - TUV Rheinland 의 신규 태양광 모듈 품질 검사 (QCPV, Quality Controlled PV) 최초 획득 - N-type 태양전지 기술 효율 24% 이상 달성 (독일 R&D 파일럿) [제 46기] - Bifacial (양면형) 셀 및 모듈 기술 개발 - 다결정 (multi-crystalline) 모듈 세계 최고 효율 20.4% 달성 |
7. 기타 참고사항
가.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 2021년 현재 사업과 관련한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건) |
사업부문 | 해당회사 | 특허 | 실용신안 | 디자인 | 합계 | |
---|---|---|---|---|---|---|
국내 | 해외 | |||||
원료 |
한화솔루션(주) |
547 | 492 | - | - | 1,039 |
가공 |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362 | 16 | 11 | 17 | 406 |
- 사업부문별 주요 지적재산권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업부문 |
해당회사 |
지적재산권의 |
취득일 |
지적재산권의 |
근거법령 및 |
비고 |
원료 |
한화솔루션(주) |
특허 |
2021.08.23 |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의 제조방법 |
특허법 제88조 |
과도한 가교반응을 억제시켜 연속중합 시 우수한 분자량 및 좁은 분자량 분포를 갖는 디사이클로펜타디엔계 수지를 제조하는 기술임 |
2021.09.06 |
수소화 반응용 촉매 및 이의 제조방법 |
황을 조촉매로 포함함으로써, 방향족 그룹을 포함하는 불포화 탄화수소 화합물의 수소첨 가 반응시 올레핀과 방향족의 상대적 수소화 속도를 변화시켜 올레핀을 선택적으로 수소화하는 수소화 반응용촉매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임 |
||||
2021.10.05 |
폴리아마이드를 이용한 경량 샌드위치 강판 및 이의 제조방법 |
파우더 형태의 장쇄 폴리아마이드를 사용함으로써, 미세 기공이 균일하게 분포되고 안정성이 높은 다공성 플라스틱 중간층을 형성할 수 있고, 가공 시 소요시간을 단축시켜 제조공정이 보다 간편한 폴리아마이드를 이용한 경량 샌드위치 강판을 제조하는 기술임 |
||||
가공 |
한화솔루션(주) |
특허 |
2021.08.27 |
난연성 및 충격 흡수성 복합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용 하부 보호 커버 |
특허법 제88조 |
본 발명은 난연성 및 충격 흡수성 복합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케 이스용 하부 보호 커버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충격 에너지의 흡수 성능이 우수 하며, 난연성이 개선된 복합 소재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차 배터리 케이스용 하부 보호 커 버에 관한 기술임. |
나. 법률, 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케미칼 부문]
석유화학산업은 화학물질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화학물질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한편, 화학물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사고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한 ‘화학물질관리법’과, 이러한 화학물질의 등록ㆍ신고 및 유해성ㆍ위해성에 관한 심사ㆍ평가, 유해화학물질 지정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화학물질에 대한 정보를 생산ㆍ활용하도록 규율하는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에 관한 법률’ 등의 적용을 받습니다. 또한 최근에 제정되어 사업장에서 인체에 해로운 제조물을 취급하면서 안전의무를 위반하여 인명피해를 발생하게 한 사업주, 경영책임자, 공무원 및 법인의 처벌 등을 규정하는 ‘중대재해 처벌 등에 관한 법률’ 등의 규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첨단소재 부문]
첨단소재 사업은 경량복합소재부문과 기능소재 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공업(제조업)에 해당하여, 공정한 하도급거래질서를 확립하여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가 대등한 지위에서 상호보완하며 균형 있게 발전할 수 있도록 규율하고 있는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습니다. 또 산업 안전 및 보건에 관한 기준을 확립하고 그 책임의 소재를 명확하게 하여 산업재해를 예방하고 쾌적한 작업환경을 조성함으로써 노무제공자의 안전 및 보건을 유지, 증진함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안전보건법’ 등의 적용을 받습니다.
[큐셀부문]
태양광 에너지 관련 사업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건설산업기본법", "하도급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전기사업법", "전기공사업법" 등의 규제를 받습니다.
[갤러리아 부문]
백화점은 소비자가 사용하는 상품을 다수의 사업자로부터 납품받아 판매하는 대규모유통업자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공정한 거래질서를 확립하고 대규모유통업자와 납품업자 또는 매장임차인이 대등한 지위에서 상호 보완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규율하는 ‘대규모유통업에서의 거래 공정화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습니다. 또 최근 전자상거래를 통하여도 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는 바, 전자상거래 및 통신판매 등에 의한 재화 또는 용역의 공정한 거래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소비자의 권익을 보호하고 시장의 신뢰도를 높이고자 제정된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 보호에 관한 법률’의 규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습니다. 그 밖에 사업 특성에 따라 다양한 법률 및 규정의 규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다. 환경 관련 정부규제의 준수 및 환경개선에 관한 사항
당사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ISO 14001 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여 환경오염 및 온실가스 저감 활동을 펼치는 한편, 지역사회 공헌 및 환경보전을 위해 미세먼지 저감 자발적 협약 참여, 1사1산1하천 환경정화활동 등의 각종 지역사회 정화활동, 행복홀씨 입양사업, 해피선샤인 캠페인 및 한화 태양의 숲 조성 등의 태양광 나눔 활동,백화점 사업장내 태양광 발전설비 설치, 매장 조명을 고효율 LED조명으로 교체, 전기차 충전소 설치, 지구촌 전등끄기 캠페인 등 다양한 지역상생활동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1) 제조공정의 환경영향 최소화
제조공정에서의 환경영향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오염물질 관리 사내기준을 법정 배출허용 기준농도 대비 30-50% 이내로 설정하여 관리하고 있으며, 오염물질 및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예방을 위한 모니터링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환경/온실가스 영향성 저감을 위해 매년 감축목표 및 투자과제를 수립하여 이행 중에 있으며, 매년 외부심사를 통해 온실가스 및 환경성과를 검증 및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개선 성과로는 대기/수질오염 방지시설 효율개선 투자, 에너지 사용량 저감을 위한 투자, 폐기물 발생량 저감 활동 등이 있습니다.
(2) 제조공정 환경안전 현황
구 분 |
한화솔루션 |
|
환경 |
대외인증 |
ISO 14001 |
관련법 |
o 환경법규 : 물환경보전법, 대기환경보전법, 하수도법, 폐기물관리법, 화학물질관리법, 화학물질의 등록 및 평가 등에 관한 법률, 생활화학제품 및 살생물제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토양환경보전법, 악취방지법, 소음진동관리법, 먹는 물 관리법,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 |
|
o 준수여부 : 위반에 따른 행정조치, 손배상 및 환경복구비용 발생사항 없음 |
라. 사업부문별 시장여건 및 영업의 개황 등
1) 케미칼부문
가) 산업의 특성(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산업의 특성)
석유화학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가 소요되는 기술집약형 장치산업이자, 일반 생활용품부터 전기, 건설 산업 등에 직접 및 간접적으로 원료를 제공하는 기초 소재 산업입니다. 아울러 제조원가의 60~80%를 원료비(납사, 에틸렌)가 차지하는 유가변동에 매우 민감한 산업이며, 세계 경기 및 수급상황에 따라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기순환형 산업입니다.
(산업의 성장성)
석유화학산업은 세계 경기 및 수급 상황에 따라 호황과 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경기 순환형 산업으로 점진적으로 성장하는 세계 경제와 더불어 향후에도 성장이 기대되고 있는 사업입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석유화학산업은 건설, 자동차 등의 기간산업뿐만 아니라 의류 등의 생활용품의 주요 원료로 사용되고 있어 경기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국제유가 및 국내, 세계 경기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에틸렌을 원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유가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나, 타 석유화학 제품보다는 원유가 차지하는 비율이 적어 유가 변동에 따른 직접적인 영향은 덜 받고 있으며, 일정 물량을 수출하기 때문에 환율 변동에도 어느 정도 영향을 받습니다. 최근에는 중국 및 아시아 시장의 경제 성장, 중동의 신규 Plant 건설 등에 의해 시장 상황의 변화가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국내외 시장여건)
당사에서 생산하는 주요 제품의 국내외 시장여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PE제품은 코로나19 유행 이후 계속되고 있는 언택트 수요와 미국발 공급차질 여파로1분기까지 강세를 보였고, 2분기는 언택트 수요 지속에 따른 필름 및 연포장 등 전방 사업의 수요 호조에도 불구하고 국내외PE 신증설 물량 출현과 원료가 상승으로 약보합세를 보였습니다. 3분기에는 계절적 성수기와 더불어 중국 전력난에 따른 수급 불균형으로 시장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1년 4분기에도EVA를 중심으로 산업별 수요 증가는 기대되지만, 신증설 물량 확대 및feedstock 수요 회복에 따른 원료가 상승으로 제품가는 범용을 기준으로 약세가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PO사업부문은 특화 제품(EVA, W&C)에 대한 생산 및 판매 비율을 확대하고, 기존 제품군의 탈 범용화, (초)고부가 제품 판매 증대 등 다양한 활동들을 통해 수익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친환경 제품 개발과 고기능성 소재 제품 개발을 통한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안정적인 수익창출이 가능한 사업구조로 개편하는 업무를 보다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PO사업부는 유가 변동이나 원료가 변화 같은 대외 시황 변화에도 지속가능하고 안정적인 수익 구조를 구축해 나갈 예정입니다.
PVC 제품은 '20년 코로나사태 이후 주요 글로벌 시장의 락다운 여파로 상반기 급격한 수요 감소와 가격 하락을 겪었으나 하반기 인도의 irrigation(관개시스템) 수요 회복과 미국, 유럽의 주택건설 수요 증가로 V자 반등에 성공하였습니다. 특히 9월 미국 PVC maker들의 허리케인 피해로 장기간 Force Majeure 선언을 함으로써 공급이 타이트해지면서 국제가는 상승 반전에 성공하였습니다. '21년 상반기는 중국 춘절 이후 수요 회복과 주요 PVC 업체들의 정기보수 집중, 미국 텍사스 한파로 공급 타이트가 지속되었으나, 북미 PVC 업체들의 가동이 정상화되어 공급 타이트가 완화되었고, 코로나 델타변이가 주요 변수로 작용하여 인도 및 일부 지역의 수요가 정상화되지 못해 보합세로 전환하였습니다. 그러나 3분기 이후 미국 허리케인 영향과 중국 Dual control 정책 강화로 PVC생산 감소하여 공급불안 심화되었고, 글로벌 선복 이슈로 수급 불안정성 증가하여 PVC 가격이 다시 상승하였습니다. 4분기는 중국 석탄&전력 부족 이슈, 유럽 천연가스 부족, 중국 전력, 탄소 규제 등으로 인한 PVC 가격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PVC 가격 혼조세를 예상합니다. 중장기 Global PVC 수요는 인도/중국/미국 등 핵심 시장의 견조한 수요 증가와, 환경 이슈에 따른 중국 카바이드 공법 PVC증설의 둔화 등 수급 상황에 따라 '20년 ~ '24년 4~5% 수준의 안정적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PVC사업부는 범용 제품의 증산 및 Capa확대, 제품포트폴리오 최적화 등 기존 사업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가운데, 코로나로 인한 일회용품 수요 증가와 실내 활동 증가에 따른 친환경 제품 수요 증가에 대응하여 Paste/CPVC/Eco-DEHCH 등 고부가 제품의 생산능력 및 판매를 확대하여 수익성을 극대화 중이며, 미래성장을 이어갈 신규사업을 지속 검토하여 안정적 수익 창출이 가능한 사업구조 구축을 추진해 나가겠습니다.
CA 제품은 북미 허리케인 IDA 영향에 따른 Westlake, OXY, Olin 메이저 CA 3社의 생산 감소로 가성소다 및 Vinyl의 동반 강세를 보였습니다. 가성소다 제품은 중국 에너지 소비 이중 통제 정책에 따른 공급 축소 및 주요 Global Trader 측의 계약 이행을 위한 Short-covering Spot 구매 지속되며 연말 국제가 Peak 예상됩니다.
EDC와 VCM역시 북미산 아시아 역내 공급 제한 및 중국 에너지 이슈로 수급 Tight한 가운데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EDC 국제가 역대 최고가를 갱신하는 등 가격 초강세 지속 중입니다.
CA사업부는 급격한 시황 변동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원가 절감을 위한 다양한 활동을 지속 추진하고 있으며, 사업 확장을 통한 규모의
경제 실현과 더불어 경쟁력 있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을 통한 수익 구조 혁신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TDI 제품은 COVID-19 Pandemic 상황 개선에 따른 Lock-down 해제 및 재택근무 확대 등 뉴노멀 정착 영향으로 가구용 Foam 업종을 중심으로 수요 회복 중으로 판단됩니다. 금년 3분기는 중국 전력난 심화 및 Global 물류 제한에 따른 공급 차질과 더불어 백신 접종률 증가를 통한 주요 국가의 일상 회복 움직임에 따른 수요 증가로 시황 개선 중 입니다. 향후 Global 경기 회복에 따라 TDI 시황은 지속 개선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폴리올 수급 불안에 따른 수요처의 원가부담, 선복문제 지속 및 변이 바이러스 확산 등 일부 불확실성이 수요를 일정 부분 제한하는 어려움이 예상되지만, 고부가 Specialty Isocyanate 제품인 XDI의 조기 시장 진입 및 수출지역 다변화를 통해 사업경쟁력 제고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당사 주요제품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다음과 같으며 주요 경쟁사의 시장 점유율은 추정이 곤란하여 기재를 생략합니다.
품목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
LDPE(EVA 포함) | 43% | 39% | 40% |
PVC | 49% | 49% | 49% |
가성소다 | 52% | 52% | 52% |
TDI | 48% | 47% | 48% |
※ 상기 내용은 당사 추정치 입니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제품의 품질, 가격 및 원가경쟁력, 적기공급 가능여부, 기술지원 서비스, 물류시설 확보를 통한 공급의 안정성 등의 요인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당사에서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원가 절감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다) 경쟁요인 및 회사의 강점ㆍ단점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는 석유화학 산업의 특성상 Vinyl Chain의 수직계열화 생산 설비의 보유는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의 강점입니다. 아울러 오랜 기간 축적된 생산공정 운영상의 노하우와 운전경험, 그리고 지속적인 거래를 통해 형성된 고객과의 유대관계 역시 한화솔루션(주)의 자산이라 할 수 있습니다.
안정적인 원료 공급이 가능하도록 수직 계열화를 구축하여 우수한 원가 경쟁력을 확보한 상황에 안주하지 않고, 지속적인 생산성 향상 및 원가 혁신 활동을 통해 사업의 경쟁력을 더욱 강화하고 있습니다. 한편 물류 설비가 갖추어진 부두는 수심이 깊어 경쟁국인 일본, 중국에 비하여 보다 큰 규모의 선박의 입ㆍ출항이 가능하여 단위 원료/제품 운송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주요 제품의 저장능력 확충을 통해 물류 경쟁력의 면에서 앞서 있습니다.
2) 큐셀 부문
가) 산업의 특성(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2015년2월 구 한화솔라원(Hanwha SolarOne Co., Ltd.)과 한화큐셀인베스트먼트(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가 통합하여 자체 셀 생산규모 기준 업계 최고 수준의 통합법인인 한화큐셀(Hanwha Q CELLS Co., Ltd.)이 출범되었습니다. 한화큐셀의 자회사로는 태양광 관련 제품을 제조/판매(Hanwha Q CELLS(Qidong) Co., Ltd.,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및 지역별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거점(Hanwha Q CELLS America Inc., Hanwha Q CELLS GmbH.,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등)인 종속 회사들이 있습니다. 이 가운데 독일에 위치한 Hanwha Q CELLS GmbH는 유럽 지역 등 모듈 판매 및 다운스트림 사업 외에도 Q CELLS 태양광 제품 기술 연구소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탄소 배출량은 2019년 고점 도달 후 2020년 하락하나 코로나 후 경기 회복에따라 2027년까지 증가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이후 2050년까지 탄소 배출량은 연 -0.7% 하락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loombergNEF에 따르면, 지구 기온 2도 상승을 막기 위해 약 10배에 해당하는 연 -6% 하락추이를 보여야 하며, 이를 위해 저탄소 에너지원 비중을 확대할 필요가 있습니다. (BloombergNEF, New Energy Outlook 2020) 신재생 에너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OECD 국가 뿐 아니라 신흥시장의 신재생 에너지원으로의 태양광 발전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이에 따라 태양전지와 모듈에 대한 수요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Wood Mackenzie의 2020년 4분기 시장 전망 자료에 따르면 글로벌 태양광 시장은 2020년 코로나 영향에도 불구하고 전년 대비 +22% 상승하여 134GW수요를 기록하였고, 각국의 저탄소 정책에 기반하여 태양광 수요는 매년 5%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여 25년에는 187GW의 수요가 예상됩니다. 또한, 2050년 글로벌태양광 설치량은 7.6TW에 도달하여 글로벌 에너지 믹스 중 22%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2019년~2050년 중 태양광 산업향 신규 투자 규모는 약 U$4.2조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대표적인 글로벌 신성장 산업 중 하나인 태양광 산업은 글로벌 금융환경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아직까지 정부 보조금과 같은 산업 육성 정책 영향을 받는 특성 상, 세계 경기 상황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나)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국내외 시장여건)
2017년 비교적 안정세를 보인 모듈 단가는 2018년 5월 31일 발표된 중국 정부의 보조금 삭감 정책에 따라 급락하였습니다. 이러한 시장 변화 속에서도 태양광 모듈 제조사는 Tier-1업체 중심의 지속적인 기술력 향상 및 생산 프로세스 개선을 통한 모듈 출력 증가와 생산원가 절감, 발전소 시스템 설치 총원가 절감 등으로 기존 에너지원 대비 태양광 에너지의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높이고 있습니다.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태양광 산업은 Sun Belt 지역 국가를 중심으로 정부의 보조금 지원 없이도, 기존 에너지원 대비 경제성 및 경쟁력이 크게 개선되고 있으며, 파리 기후 협약 등 기후 및 환경에 대한 친환경 에너지 육성 정책에 힘입어, 중장기적으로 성장이 예상됩니다. 이러한 긍정적인 매크로 환경아래, 규모와 기술력을 기반으로 한 제조원가 경쟁력 보유 업체, 그리고 조직 운영 효율성 확보여부가 중요한 경쟁력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 경쟁요인 및 회사의 강점ㆍ단점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과 자회사인 한화글로벌에셋(주)를 통해 태양광 사업의 경영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합니다.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은 舊 독일 Q CELLS의 차별화된 기술력과 노하우, 브랜드 이미지 등으로 유럽, 미국 등 주요 시장에서의 판매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으며, 겅쟁사 대비 높은 수준의 출력 및 성능을 자랑하는 제품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므로 급변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말레이시아, 한국, 미국 등 다각화된 생산 거점을 보유 함으로써, 미국 반덤핑 관세 부과 등 급변하는 정부 정책 및 시장 변동에 탄력적으로 대응 가능합니다.
3) 첨단소재 부문
가) 산업의 특성(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산업의 특성)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 부문은 자동차부품소재, 산업용소재를 주요 제품으로 하는 경량복합소재부문과 전자소재, 태양광소재 등을 주요 제품으로 하는 기능소재부문으로 구성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공기업입니다. 플라스틱 가공산업은 PP, PVC, EVA 등을 주원료로 사용하며 안료, 안정제, 가소제 등의 첨가제를 특수배합 후 Calender나 압출기, Press 등의 설비를 이용하여 관련 소재와 부품 등을 제조하는 산업입니다.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 부문은 자동차산업의 경량화 요구에 따른 경량화소재 및 강화 플라스틱 신소재, 건축/자동차/전자 부품소재의 가공원료, 급성장하고 있는 모바일 스마트기기 시장에 부합하는 스마트기기 기초 소재, 신재생에너지로 급성장하고 있는 태양광 관련 소재를 제조하는 기업으로 자동차, 휴대폰 및 태양광 산업 등 전방산업의 경기 상황에 영향을 많이 받는 특징이 있습니다.
(산업 현황)
□ 경량복합소재 : 자동차산업의 경우 연비규제에 따른 차량 경량화 요구가 증가되고 있으며 감성품질 증대, 부품 고급화 및 전자화의 일환으로 NVH(소음,진동) 소재와 전열/전기전도성 소재의 적용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친환경자동차 시장의 향후 빠른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초경량/고강도 부품소재에 특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있는 당사 가공부문은 다양한 경량화 부품소재들을 국내뿐 아니라 해외 현지 생산체계를 구축하여 생산/판매하고 있습니다. 산업용소재는 친환경/고품질/고물성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당사 가공부문은 건축/전자/자동차 등 다양한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축적된 기술을 토대로 고객이 원하는 기초소재를 개발하여 고객에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 기능소재 : 전자소재의 주타겟인 휴대폰 시장은 국내 휴대폰기업이 프리미엄 스마트폰뿐만 아니라 보급형 스마트폰, 태블릿PC를 꾸준히 출시하며 세계시장 점유율을 높이고 있습니다. 또한, 스마트기기의 성장세속에 중대형기기(노트북, 컨버터블 PC 등)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므로 전자소재 사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태양광 시장은 미국 및 영국 그리고 일본 시장을 중심으로 꾸준한 상승세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지난 몇 년간 급부상한 중국 시장은 최근 발표된 중국의 Distributed Power system 시장에 대한 지원책에 의해 판매량 증대가 기대되며, 이러한 태양광 에너지시장 확대로 태양광소재 산업은 지속적 확대 및 성장이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등 가공부문 소재사업의 수요는 개별 산업수요의 변동에 따라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경량복합소재는 자동차 설계 시 적용 여부가 결정되며, 신규 모델 출고 후 자동차 판매량에 따라 결정됩니다. 전자소재는 휴대폰 설계 시 적용된 품목이 시장에서 얼마나 판매되는가에 따라 변동됩니다. 태양광소재 또한 신규 모듈 개발 시 적용 여부가 결정되며, 신제품 출시 후 모듈의 판매량에 따라 변동됩니다.
나)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경쟁상황)
사업부문 |
주요제품 |
경쟁업체 |
경쟁력결정요인 |
당사 강점 |
---|---|---|---|---|
경량복합소재 |
GMT |
해외업체 |
경량화 |
경량화 |
고기능성소재 |
FCCL |
이녹스 |
품질 |
품질 |
EVA Sheet |
해외업체 |
품질 |
품질 Technical Service |
(시장점유율 추이)
제품명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GMT |
70%(세계1위) | 70%(세계1위) | 70%(세계1위) |
FCCL |
42%(국내2위) | 42%(국내2위) | 41%(국내2위) |
EVA Sheet |
6%(세계 5위) | 6%(세계 5위) | 6%(세계 5위) |
- 상기 내용은 회사 추정치입니다.
다) 경쟁요인 및 회사의 강점ㆍ단점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등 가공부문의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제품의 품질, 경량화, 가격경쟁력, Technical Service 등의 요인이 있으며, 이를 위해
당사에서는 고부가가치 제품 개발, 원가 절감 등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4) 갤러리아 부문
가) 산업의 특성(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산업의 특성)
백화점은 높은 전문성을 바탕으로 고품질 상품을 현대화된 편리한 쇼핑시설에서 차별화된 최고의 서비스와 함께 제공하며, 첨단 유행을 선도하고 패션 트랜드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유통산업입니다.
또한, 백화점은 단순히 상품만 판매하는 곳이 아니라 공연, 전시, 극장, 문화강좌 등과 같은 문화의 제공까지 다채로운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 생활문화의 전당으로서 지역사회 문화 발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백화점 산업은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20년 전년 동기간 대비 -9.9%의 역신장을 기록하였으나, '21년(3분기 누계)은 명품, 홈리빙 등을 중심으로 한 소비심리 회복에 힘입어 전년 동기간 대비 21.2% 성장했습니다.[통계청 소매업태별 판매액(추정) 기준]
전반적인 생활수준 향상, 디자인 및 스타일 중심 소비 확산, 경험중심 쇼핑패턴 증가 등 트렌드 변화는 백화점 영역의 소비 수요 증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이에 백화점 업계는 프리미엄 브랜드 유치, 체험형 테넌트 확대, 자사의 강점과 아이덴티티를 고려한 컨텐츠/인프라를 보다 차별화하는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출 증대를 위해 지점 리뉴얼 및 매장면적을 확대하고, 쇼핑공간을 개선 하는 등 인프라 확충에 힘쓰고 있습니다. 더불어 온라인 강화, 유통채널 다변화 등 쇼핑 트렌드 변화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고 있습니다.
앞으로 백화점 업계는 안정적 수요확보와 외형확대를 통해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백화점 업태는 실물경기, 경제변동에 따른 가계소득 상황과 밀접한 연관관계를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백화점이 취급하는 패션의류 및 잡화 등의 상품군은 소비자 취향에 따라 구매 변동성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변동성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고정고객에 대한 Target Marketing활동을 집중적으로 진행하며, 고객의 수요에 부합하는 퀄리티 있는 브랜드 도입과 상품 아이템 다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합리적 소비를 원하는 새로운 소비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온라인몰, 면세사업 등 채널 다변화를 통해 사업의 변동성을 보완하고 있습니다.
나)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경쟁요소)
백화점은 출점 시 적정한 입지확보와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며, 이와 더불어 인지도 있는 브랜드 유치가 요구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만, 온라인 쇼핑의 성장으로 온/오프라인 유통업태 간 경쟁관계는 심화되고 있으며, 상품/서비스 수준이 높지 않은 지방 중소형 백화점 경우 상대적으로 영향도가 커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대응하여 백화점 업계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고객의 쇼핑 니즈 충족을 위한 명품 브랜드 확대, 맛집 유치에 집중하고, 경험 만족도 증대를 위한 다양한 문화 마케팅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정고객 확보 및 유지를 위해 타업계와 차별화된 Target Marketing 및 접객 서비스 강화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구 분 |
2021년 3분기 |
2020년 |
2019년 |
---|---|---|---|
시장점유율(%) |
8.2 |
8.0 |
6.1 |
※ 자료출처: 국가통계포털(http://kosis.kr)상의 백화점 경상판매액 기준
※ 매출은 총매출 기준으로 재계산함(수수료 매장 및 임대 매장 매출 포함)
다) 경쟁요인 및 회사의 강점ㆍ단점
(회사의 경쟁력)
갤러리아는 대외 변동성에 대응하여 사업구조 개편과 강도 높은 비용 축소 등 내실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MD 및 고객경험 차별화를 통한 안정적인 고객 유지 및 확보에 중점을 두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명품관은 전면적인 MD재구성과 선도브랜드 유치를 통해 독보적인 MD차별화를 보다 강화하고, 다년간 축적된 프리미엄 역량을 기반으로 한 마케팅 컨텐츠 전개를 통해 변화된 모습을 선보이고 있습니다.
명품관 이외 사업장은 상권내 견실한 성장을 진행하고 있으며, 패션변화에 발맞춘 브랜드 보강, 트렌드에 부합하는 F&B/Tenant 도입 등 고객경험 만족에 집중하여 상권내 입지를 보다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경쟁력 확대를 위해 '95년에 오픈한 수원 지점은 '19년12월 영업종료하고 '20년3월에 경기 남부 핵심 상권인 광교 지역으로 Shifting하여 신규점을 오픈하였으며, 서울 한남동 최고급 주거시설 內 F&B 및 Lifestyle 콘텐츠 기반의 도심형 복합 플랫폼인 Gourmet494를 오픈하여 갤러리아만의 차별화된 프리미엄 콘텐츠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상권 최고 수준의 MD, 콘텐츠, 차별화된 고객 시설을 구현하는데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백화점(타임월드)은 안정적 수요 증가로 업황 대비 양호한 실적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명품 확대, 프리미엄 식품관 오픈, 업계 최초 백화점 외부 VIP공간인 메종갤러리아를 오픈하였으며, 외관 리뉴얼 및 영업면적 확대 고객 서비스 케어 강화 등 다방면의 업그레이드를 통해 독보적인 입지를 다져나갈 계획입니다.
5) 도시개발 부문
가) 산업의 특성(산업의 특성, 성장성, 경기변동의 특성, 계절성)
한화도시개발은 부동산 개발사업에서 ㈜서산테크노밸리, (주)에이치밸리, ㈜김해테크노밸리, ㈜경기용인테크노밸리, ㈜안성테크노밸리, ㈜제이용인테크노밸리, ㈜서오창테크노밸리, ㈜울산복합도시개발을 자회사로 가지고 있습니다.
미주지역에는 부동산 개발 및 분양 사업(Hanwha America Development LLC), 석유
화학제품 수입/판매, 원부자재 및 기자재 공급(Hanwha International LLC), 자동차
트랜스미션 부품인 Needle Roller Bearings 생산 및 판매(Universal Bearings LLC),
미국 내 법인 통합관리 및 신규사업 발굴(Hanwha Holdings (USA), Inc.) 등을 담당하는 종속회사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산업의 특성)
부동산 개발사업은 장기간을 필요로 하는 사업으로 대규모 자금과 광범위한 분야의 전문지식을 필요로 하며 사업추진 프로세스상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부지매입비용을 비롯하여 공사비용, 마케팅 비용 등이 요구됩니다. 개발사업은 시기와 전략이 중요한데 분양률은 경기변동과 정부정책 등 외부적인 환경변화에 민감하게 작용하므로 이러한 외부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적정한 분양시점을 정하는 것이 사업성패의 핵심요소로 작용합니다.
나) 국내외 시장여건(시장의 안정성, 경쟁상황, 시장점유율 추이)
한화도시개발은 부동산개발 사업에 도전하여 독자적인 이념으로 계획적인 공간 조성을 목표로 하는 디벨로퍼로 토지를 개발하여 분양하는 것을 주업으로 하며, 각 지역 개발사업에 주요 주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신규사업을 지속적으로 검토하고 있으며 20년 1분기에 ㈜제이용인테크노밸리를 설립하였고 3분기 ㈜서오창테크노밸리, 21년 1분기 ㈜에이치테크노밸리, 21년 3분기 ㈜울산복합도시개발을 설립 하였습니다.
부동산업을 하는 자회사는 개발 사업 성공 노하우를 보유한 우수인력을 통해 뛰어난 사업성 검토 및 사업 관리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민간기업의 장점인 신속한 의사결정과 효율적인 조직 운영을 통해 부동산 경기 상황을 고려한 맞춤형 단지 계획 및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사업 리스크 관리를 통해 수익성을 개선하고 있습니다.
다) 경쟁요인 및 회사의 강점ㆍ단점
도시개발 부문이 부동산개발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소로는 산업단지의 입지, 개발기간, 접근성, 분양가격 등의 요인이 있으며,
그동안의 산업단지 개발 사업의 축적된 역량과 인적 네트워크로 최적 입지선정, 최단기간 인허가, 경쟁력 있는 분양 정책을 통하여 개발사업 선도기업의 위치를 지키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마. 신규사업의 내용과 전망
전세계는 환경오염문제, 화석연료의 고갈 및 에너지 수급 불안 등이 심각해지며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친환경적이며 거의 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자원인 수소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수소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수소산업은 경제적 산업적 파급효과가 매우 큰 미래 신산업분야로 성장하여 향후 수소 경제 규모는 빠르게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우리나라 역시 수소경제 선도국으로의 입지를 확보하고 수소에너지를 활용하기 위한 본격적인 노력을 경주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당사는 수소경제 활성화를 위해 재생에너지(태양광, 풍력) 기반 그린수소 생산 및 공급, 수소 활용 발전 등 관련 내부 보유 역량을 활용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수소사업 추진을 통해 중장기 성장동력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수소 생산 관련해서는 정부 및 지자체 주도의 그린수소 생산단지 구축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국내 수소발전 실증사업 시설투자 예정이고, 수전해 등 수소생산 설비투자에 투자할 계획입니다. 수소실증 사업은 강원도 등 국내 지자체와 협력 하에 신재생 에너지 발전에서 발생하는 전기 및 잉여전기를 활용하여 당사가 연구개발 중인 수전해조 기술을 통해 수소 생산 설비를 구축 및 운영하는 사업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수소실증 사업을 통해 신재생 에너지를 수소로 전환하는 P2G(Power to Gas) 수전해 기술을 테스트할 수 있는 기반 시설을 마련하고 운영 데이터를 수집해 그린수소 생산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며,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저렴한 해외에도 진출할 계획입니다.
한국을 비롯한 일본, 유럽 등 각국은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발표하고, 수소차 생산, 수소 충전소를 비롯한 인프라 구축, 수소 유통체계 확립 등 적극적인 정책 수립 및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첨단소재부문은 수소 저장/운송 및 활용에 사용되는 저장용기 시장이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하여 이와 관련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당사는 2011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하였습니다. 연결회사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의 전환일은 2010년 1월 1일이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채택일은 2011년 1월 1일입니다. 연결회사는 2010년 1월 1일의 개시재무상태표를 작성하였으며, 연결재무제표 보고일은 2021년 9월 30일입니다.
가. 요약연결재무정보
(1) 요약 연결 재무상태표
(단위 : 원) |
구 분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 제 46 기 |
---|---|---|---|
(2021년 9월말) | (2020년 12월말) | (2019년 12월말) | |
[유동자산] | 6,139,055,956,228 | 4,958,364,766,066 | 5,322,649,532,271 |
ㆍ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0,694,668 | 1,199,836,790,880 | 1,084,516,315,974 |
ㆍ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2,919,929,609 | 1,060,993,533 |
ㆍ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 |
1,064,182 |
ㆍ기타금융자산 | 253,759,273,247 | 192,784,578,657 | 492,890,177,292 |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741,657,064,984 | 1,457,525,668,928 | 1,572,845,944,066 |
ㆍ기타유동자산 | 268,126,626,701 | 327,677,928,124 | 370,437,703,835 |
ㆍ재고자산 | 1,975,207,481,806 | 1,431,588,395,266 | 1,479,891,972,739 |
ㆍ당기법인세자산 | 8,011,211,206 | 10,521,341,035 | 23,271,407,595 |
ㆍ매각예정자산 | 63,073,603,616 | 335,510,133,567 | 297,733,953,055 |
[비유동자산] | 11,638,699,929,825 | 10,178,955,055,591 | 10,358,479,336,070 |
ㆍ당기손익-공정가치 금융자산 | 32,357,051,749 | 1,858,487,368 | 2,129,289,279 |
ㆍ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66,375,258,946 | 48,540,950,633 | 46,597,216,094 |
ㆍ기타금융자산 | 201,720,645,838 | 62,138,708,939 | 75,725,406,631 |
ㆍ장기성매출채권및기타채권 | 5,174,199,167 | 3,837,386,475 | 4,627,445,087 |
ㆍ관계기업등투자자산 | 3,479,168,810,738 | 2,685,163,548,446 | 2,720,816,814,027 |
ㆍ투자부동산 | 251,995,305,510 | 142,186,820,436 | 158,043,036,401 |
ㆍ유형자산 | 6,516,504,717,007 | 6,416,485,418,350 | 6,594,032,988,421 |
ㆍ무형자산 | 566,253,271,786 | 413,850,869,155 | 421,170,486,775 |
ㆍ사용권자산 | 431,449,978,047 | 309,714,378,120 | 246,989,787,735 |
ㆍ기타비유동자산 | 31,841,611,947 | 16,286,043,155 | 15,965,006,023 |
ㆍ이연법인세자산 | 55,859,079,090 | 78,892,444,514 | 72,381,859,597 |
자산총계 | 17,777,755,886,053 | 15,137,319,821,657 | 15,681,128,868,341 |
[유동부채] | 4,931,586,657,793 | 5,251,125,587,174 | 5,831,012,387,511 |
[비유동부채] | 4,539,489,062,050 | 3,918,478,743,984 | 4,044,269,270,901 |
부채총계 | 9,471,075,719,843 | 9,169,604,331,158 | 9,875,281,658,412 |
[지배기업주주지분] | 8,263,008,994,080 | 5,929,092,229,255 | 5,728,168,956,539 |
ㆍ자본금 | 978,240,655,000 | 821,170,655,000 | 821,170,655,000 |
ㆍ연결자본잉여금 | 1,982,578,484,465 | 798,470,151,101 | 804,503,695,100 |
ㆍ연결자본조정 | (24,189,777,705) | (10,328,159,475) | (2,917,998,641) |
ㆍ연결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3,561,454,242 | (110,009,596,397) | (70,522,771,893) |
ㆍ연결이익잉여금 | 5,182,818,178,078 | 4,429,789,179,026 | 4,175,935,376,973 |
[비지배주주지분] | 43,671,172,130 | 38,623,261,244 | 77,678,253,390 |
자본총계 | 8,306,680,166,210 | 5,967,715,490,499 | 5,805,847,209,929 |
(2) 요약 연결 손익계산서
(단위 : 원) |
구 분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 제 46 기 |
---|---|---|---|
(2021년 1월 1일 ~ 2021년 9월 30일) |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
|
매출액 | 7,762,129,678,014 | 9,195,008,128,360 | 9,457,389,997,298 |
영업이익 | 654,081,627,085 | 594,183,118,076 | 459,151,320,504 |
계속영업이익 | 801,391,309,451 | 339,574,259,921 | 90,197,404,125 |
당기순이익 | 801,391,309,451 | 301,722,374,169 | (248,864,999,187)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803,136,668,755 | 309,076,634,095 | (237,622,602,401) |
비지배지분 | (1,745,359,304) | (7,354,259,926) | (11,242,396,786) |
주당순이익 | 4,362원 | 1,919원 | (1,459원) |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 232 | 218 | 184 |
나. 부문별 연결재무정보
(1) 사업부문별 연결재무정보
(가) 사업부문별 연결재무현황
(단위 : 억원) |
구 분 | 제 48기 3분기 | 제 47 기 | 제 46 기 |
---|---|---|---|
원료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38,925 | 33,265 | 34,805 |
부문간내부매출액 | 2,980 | 2,838 | 3,133 |
계 | 41,905 | 36,103 | 37,938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8,142 | 3,794 | 2,558 |
3. 연결조정 전 자산 | 51,293 | 42,338 | 86,291 |
가공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6,763 | 7,519 | 8,081 |
부문간내부매출액 | 609 | 958 | 1,693 |
계 | 7,372 | 8,477 | 9,774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129 | (124) | (307) |
3. 연결조정 전 자산 | 23,989 | 14,933 | 14,029 |
유통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3,684 | 4,527 | 5,936 |
부문간내부매출액 | 235 | 334 | 376 |
계 | 3,919 | 4,861 | 6,312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202 | 28 | 76 |
3. 연결조정 전 자산 | 20,153 | 22,452 | 23,719 |
태양광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25,785 | 37,023 | 35,552 |
부문간내부매출액 | 21,951 | 28,357 | 25,951 |
계 | 47,736 | 65,380 | 61,503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2,335) | 1,722 | 2,235 |
3. 연결조정 전 자산 | 133,521 | 103,200 | 87,699 |
기타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2,464 | 9,616 | 10,200 |
부문간내부매출액 | 91 | 268 | 315 |
계 | 2,555 | 9,884 | 10,515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143) | 270 | 400 |
3. 연결조정 전 자산 | 40,003 | 35,925 | 12,995 |
※ 제 48기 3분기 및 제 47기는 한화솔루션(주)의 현금 및 차입금의 영업부문별 구분이 제한되어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나) 영업손익의 조정
(단위 : 억원) |
계정과목 | 단순합산액 | 연결조정 | 연결조정 후 금액 |
---|---|---|---|
매출액 | 103,487 | (25,866) | 77,621 |
매출원가 | 86,216 | (25,464) | 60,752 |
매출총이익 | 17,271 | (402) | 16,869 |
판매관리비 | 11,276 | (948) | 10,328 |
영업이익 | 5,995 | 546 | 6,541 |
(2) 지역별 재무 정보
(가) 지역의 구분
- 지역의 구분은 해외영업에 관한 사항이 적절히 나타날 수 있도록 지리적 근접도, 경제활동의 유사성, 영업활동의 상호관련성 등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이 구분함
(나) 공시대상 지역부문
지역별 구분 |
국 가 | 연결대상법인 | 비 고 |
---|---|---|---|
본 국 | 한국 | 한화솔루션(주), 한화글로벌에셋(주),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한화컴파운드(주), (주)한화도시개발, (주)서산테크노밸리, (주)김해테크노밸리,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 (주)에이치밸리, (주)한화비앤비, 에이치에스아이(주), (주)경기용인테크노밸리, (주)안성테크노밸리, 영암테크노태양광(주), 영암해오름태양광(주), 하이패스태양광㈜, 해사랑태양광㈜, 해맞이태양광발전㈜, 해오름태양광 발전소(주), (주)제이용인테크노밸리, (주)서오창테크노밸리, (주)에이치테크노밸리, 영암큐파워솔라팜1호(주), 고흥큐파워솔라팜1호(주), (주)더블유오에스 |
당사 포함 |
해 외 | 미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Hanwha International Corp,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Hanwha Holdings (USA), INC, Hanwha International LLC, Hanwha Machinery America Inc, Universal Bearings LLC, Hanwha Parcel O LLC, Hanwha Village Market, LLC, Hanwha Azdel Inc, Hanwha Q CELLS America Inc., Hanwha West Properties LLC, Hanwha PVPLUS LLC, HANWHA TECHM USA LLC, Hanwha Property USA LLC, Hanwha Q CELLS America Project Holdings.,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Hanwha Q CELLS EPC USA, LLC, Hanwha Q CELLS USA Corp., Hanwha Q CELLS USA, INC.,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HQC Maywood, LLC,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HSEA HVES, LLC, HSESM American Union LLC, HSESM PlanadaES LLC, HSESM LeGrandUHS LLC,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Solar Monkey 1, LLC, Solar Monkey 2, LLC, Rippey Solar Holdings, LLC, Coniglio Solar Holdings, LLC, Kellam Solar Holdings, LLC, HQC Solar Holdings 1, LLC, HAMC Holdings Corp., Growing Energy Labs, Inc., Kellam Solar Class B, LLC, CONIGLIO SOLAR CLASS B, LLC, Johnson City Solar, LLC, Johnson City Storage, LLC, Plateau Solar, LLC, Plateau Storage, LLC, Purvis Solar, LLC, Purvis Storage, LLC, South Cheyenne Solar, LLC,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HSHC NAM INV LLC, HSHC LIBRA INV LLC, HANWHA Q CELLS US O&M LLC, Hanwha Cimarron LLC |
- |
중국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Hanwha Chemical (Ningbo) Co.,Ltd.,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Hanwha Q CELLS(Qidong) Co., Ltd.,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Hanwha SolarOne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 Ltd., Hanwha Q CELLS (Nantong)Co., Ltd., Hanwha SolarOne Power Generation (Wuxi) Co., Ltd., Hanwha SolarOne (Laiyang) Co., Ltd., Hanwha SolarOne (Rugao) Co., Ltd.,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Hanwha Solarone(beipiao)Co.,Ltd. | ||
태국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
인도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체코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캐나다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
홍콩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독일 | Hanwha SolarOne GmbH, Hanwha Q CELLS GmbH,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KMPT Solarpark Verwaltung GmbH, SFH Solarpark GmbH. | ||
호주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
영국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Hanwha Q CELLS Co., Ltd.,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WSE Bradley Road Ltd,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
프랑스 | Hanwha Q CELLS France SAS | ||
폴란드 | Silesian Sun Energy Sp. z o.o., PV Jagodne Sp. z.o.o. | ||
말레이시아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HANWHA Q CELLS SOLAR POWER SDN. BHD. | ||
터키 | Hanwha Q CELLS Turkey, Aslan Gunes Enerjisi A.S., Hiprom Enerji Yatirlmlari A.S., Sema Enerji Uretim Ltd. Sti., Alkin Enerji Uretim Ltd. Sti., Kartal Enerji Uretim Ltd. Sti.,Mutlak Enerji Uretim Ltd. Sti., Elcin Enerji Uretim Ltd. Sti., Fnt Gida Turizm Ic Ve Dis Ticaret Sanayi Ltd. Sti., Meva Muhendislik Bilisim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San.Ve Dis Tic. Ltd. Sti., Serimer Optik Medikal Kirtasiye Temizlik Insaat Ithalat Ihra cat Sanayi Tic. Ltd. Sti., Marel Bilisim Muhendislik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GidaSan. Ve Dis Tic. Ltd. Sti., Fior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Toprakkale Altyapi ve Malzeme Hizmetleri A.S., Ulu Gunes Enerjisi AnonimSirketi,Moravia Enerji Sanayi ve Ticaret Ltd. Sti., Uno Enerji A.S.,Aceka 2 Gunes Enerjisi A.S., Aceka 3 Gunes Enerjisi A.S., Bilgidar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Buselik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Buselik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Dimetoka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Dimetoka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Isfahan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Onan 2 Gunes Enerji Uretim A.S., Onan 3 Gunes Enerji Uretim A.S. | ||
칠레 | Hanwha Q Cells Chile SpA, Hanwha Q CELLS Til Til Uno SPA, PV Vallenar Uno SpA, Avenir el Divisadero SpA, Cabrero Solar SPA, Centauro Solar Spa, Draco Solar SPA |
||
멕시코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Hanwha Q CELLS Servicios Comerciales, S DE RL DE CV., HQ MEX, LLC., HQ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HQ MEXICO Solar I S DE RL DE CV., HQ MEXICO Solar II S DE RL DE CV | ||
페루 | Hanwha Q CELLS Peru S.A.C | ||
브라질 | Q CELLS DO BRASIL CONSULTORIA EMPRESARIAL LTDA | ||
포르투갈 | INCOGNITWORLD, LDA., Malhada Green S.A, QSUN PORTUGAL 1,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2,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3,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4,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5,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6,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7,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2,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3,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4,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5, UNIPESSOAL LDA, MALHADA GREEN 2, UNIPESSOAL LDA | ||
스페인 | Guadajoz Hive SL, Don Rodrigo Hive SL, Las Coronadas Hive SL, ARBECA SOLAR SLU, REUS SOLAR SLU, VECIANA SOLAR SLU, CASTELLDANS SOLAR SLU, CASTELLNOU SOLAR SLU, GREEN RIC ENERGY, S.L., SILVER RIC ENERGY, S.L., REAL ENERGY POWER, S.L., GALAXY ENERGY, S.L., LASTRAFI POWER, S.L., HESTIA SUN, S.L., CAPRICORNIO ENERGY, S.L., SPRING POWER, S.L., GALGO POWER, S.L., LEBREL POWER, S.L., PODENCO POWER, S.L., SACRAMETO DIRECTORSHIP, S.L., ALDGATE EAST INVESTMENTS, SL, ALFAZ DIRECTORSHIP, SL, ALQUIZAR INVESTMENTS, SL, ANNAPURNA SERVICIOS EMPRESARIALES, SL, BENIF INVESTMENTS, SL, BURETE DIRECTORSHIP, SL, CABUYA CORPORATE SERVICES, SL, CANARY WHARF INVESTMENTS, SL, CANNING TOWN INVESTMENTS, SL, COMBA DIRECTORSHIP, SL, CONVENT GARDEN INVESTMENTS, SL, DICKSON SERVICIOS EMPRESARIALES, SL, EMPER INVESTMENTS, SL, ENDINO SERVICIOS EMPRESARIALES, SL, GARDAYA INVESTMENTS, SL, KADOK CORPORATE SERVICES, SL, KAMPALA CORPORATE SERVICES, SL, MONTALBAN DIRECTORSHIP, SL, NEPAL SERVICIOS EMPRESARIALES, SL, OTERO DIRECTORSHIP, SL, BOLERO ENERGY, S.L., DIONISIO SUN, S.L., VALS ENERGY POWER, S.L., CAMPANA ENERGY, S.L., PALOMA POWER, S.L., CLAVE DE SOL ENERGY, S.L.U, IRON POWER ENERGY, S.L.U, LINE ENERGY, S.L.U, RIMA ENERGY, S.L.U, GAVILAN POWER, S.L.U, GERIFALTE POWER, S.L.U, HARRIER POWER, S.L.U, AZOR POWER SL, Espardell Directorship, SL, NUN SUN POWER S.L., ISIS SUN POWER S.L.,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
계 | 21 개국 | 232개 법인 |
- |
(다) 지역부문별 현황
지역별구분 | 주요 영업현황 | 주요 제품 |
---|---|---|
본 국 | 화학제품 제조업/유통업 등 | PE, PVC, PVC 바닥재/창호 등 |
미주/유럽 | 무역업/화학/태양광제품 제조업 등 | 자동차부품/태양광제품 등 |
아시아 | 화학/태양광제품 제조업 | 자동차부품/태양광제품 등 |
계 | 232개 법인 | - |
(라) 지역별 재무현황
(단위 : 억원) |
구 분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 제 46 기 |
---|---|---|---|
한국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43,076 | 47,614 | 52,095 |
지역간 내부매출액 | 12,403 | 17,880 | 17,562 |
계 | 55,479 | 65,494 | 69,657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4,715 | 4,274 | 3,557 |
3. 연결조정 전 자산 | 160,764 | 140,082 | 144,885 |
해외 | - | - | - |
1. 매출액 | - | - | - |
외부매출액 | 34,545 | 44,336 | 42,479 |
지역간 내부매출액 | 13,463 | 14,875 | 13,906 |
계 | 48,008 | 59,211 | 56,385 |
2. 연결조정 전 영업손익 | 1,280 | 1,416 | 1,405 |
3. 연결조정 전 자산 | 108,195 | 78,766 | 79,848 |
제 48기 3분기 및 제 47기는 한화솔루션(주)의 현금 및 차입금의 영업부문별 구분이 제한되어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마) 영업손익의 조정
- 상기 (1) 사업부문별 연결재무정보의 (나) 영업손익의 조정과 같습니다.
다. 요약재무정보
(1) 요약 재무상태표
(단위 :원) |
구 분 | 제 48기 3분기 | 제 47기 | 제 46기 |
---|---|---|---|
- | (2021년 9월말) | (2020년 12월말) | (2019년 12월말) |
[유동자산] | 3,239,870,043,481 | 2,092,799,425,548 | 1,286,347,193,507 |
ㆍ현금및현금성자산 | 787,391,076,548 | 361,473,751,271 | 405,278,228,896 |
ㆍ기타금융자산 | 58,951,625,956 | 42,013,357,132 | 84,283,477,497 |
ㆍ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2,919,929,609 | 1,060,993,533 |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482,170,945,957 | 1,053,748,619,033 | 408,985,996,621 |
ㆍ기타유동자산 | 121,294,939,874 | 155,638,570,436 | 40,738,018,824 |
ㆍ재고자산 | 782,683,705,143 | 477,005,198,067 | 333,843,001,323 |
ㆍ당기법인세자산 | - | - | 12,157,476,813 |
ㆍ매각예정자산 | 7,377,750,003 | - | - |
[비유동자산] | 10,961,927,385,535 | 8,533,615,206,754 | 6,958,249,950,087 |
ㆍ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6,859,897,677 | 1,749,000 | - |
ㆍ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1,267,314,958 | 11,248,924,897 | 11,262,161,781 |
ㆍ기타비유동금융자산 | 86,811,415,885 | 32,727,136,848 | 35,946,704,071 |
ㆍ장기성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5,880,954,372 | 14,011,851,948 | 11,224,303,658 |
ㆍ관계기업등투자자산 | 5,584,195,934,826 | 4,553,433,983,751 | 4,489,322,831,692 |
ㆍ투자부동산 | 91,555,491,956 | 72,570,205,323 | 84,420,791,807 |
ㆍ유형자산 | 4,628,258,337,055 | 3,615,067,760,664 | 2,216,297,158,035 |
ㆍ무형자산 | 119,285,905,513 | 116,182,356,736 | 43,481,691,174 |
ㆍ사용권자산 | 369,235,482,323 | 109,094,836,064 | 66,294,307,869 |
ㆍ기타비유동자산 | 28,576,650,970 | 568,778,928 | - |
ㆍ이연법인세자산 | - | 8,707,622,595 | - |
자산총계 | 14,201,797,429,016 | 10,626,414,632,302 | 8,244,597,143,594 |
[유동부채] | 3,169,407,291,533 | 2,408,747,376,467 | 1,440,102,687,354 |
[비유동부채] | 3,263,355,827,901 | 2,493,445,749,309 | 1,788,823,371,986 |
부채총계 | 6,432,763,119,434 | 4,902,193,125,776 | 3,228,926,059,340 |
[자본금] | 978,240,655,000 | 821,170,655,000 | 821,170,655,000 |
[자본잉여금] | 1,900,184,317,054 | 762,796,518,589 | 720,760,529,607 |
[자본조정] | (30,570,231,429) | (7,409,222,370) |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932,109,404) | (1,911,586,744) | (1,931,867,501) |
[이익잉여금] | 4,923,111,678,361 | 4,149,575,142,051 | 3,475,671,767,148 |
자본총계 | 7,769,034,309,582 | 5,724,221,506,526 | 5,015,671,084,254 |
[종속 ·관계 ·공동기업 투자주식의 평가방법] |
원가법 | 원가법 | 원가법 |
(2) 요약 손익계산서
(단위 :원) |
구 분 | 제 48기 3분기 | 제 47기 | 제 46기 |
---|---|---|---|
- | (2021년 1월 1일 ~ 2021년 9월 30일) |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
매출액 | 5,206,996,409,917 | 5,717,317,071,646 | 3,382,297,483,283 |
영업이익 | 458,586,877,192 | 425,003,745,287 | 214,748,704,634 |
계속영업손익 | 506,464,108,498 | 751,707,926,739 | 272,259,932,857 |
당기순손익 | 506,464,108,498 | 713,856,040,987 | (66,802,470,455) |
주당순이익 | 2,750원 | 4,432원 | (410원) |
2. 연결재무제표
가. 연결 재무상태표
연결 재무상태표 |
제 48 기 3분기말 2021.09.30 현재 |
제 47 기말 2020.12.31 현재 |
(단위 : 원) |
제 48 기 3분기말 |
제 47 기말 |
|
---|---|---|
자산 |
||
유동자산 |
6,139,055,956,228 |
4,958,364,766,066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0,694,668 |
1,199,836,790,88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919,929,609 |
|
기타금융자산 |
253,759,273,247 |
192,784,578,657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741,657,064,984 |
1,457,525,668,928 |
기타유동자산 |
268,126,626,701 |
327,677,928,124 |
재고자산 |
1,975,207,481,806 |
1,431,588,395,266 |
당기법인세자산 |
8,011,211,206 |
10,521,341,035 |
매각예정자산 |
63,073,603,616 |
335,510,133,567 |
비유동자산 |
11,638,699,929,825 |
10,178,955,055,59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2,357,051,749 |
1,858,487,36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66,375,258,946 |
48,540,950,633 |
기타금융자산 |
201,720,645,838 |
62,138,708,939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5,174,199,167 |
3,837,386,475 |
관계기업등투자자산 |
3,479,168,810,738 |
2,685,163,548,446 |
투자부동산 |
251,995,305,510 |
142,186,820,436 |
유형자산 |
6,516,504,717,007 |
6,416,485,418,350 |
무형자산 |
566,253,271,786 |
413,850,869,155 |
사용권자산 |
431,449,978,047 |
309,714,378,120 |
기타비유동자산 |
31,841,611,947 |
16,286,043,155 |
이연법인세자산 |
55,859,079,090 |
78,892,444,514 |
자산총계 |
17,777,755,886,053 |
15,137,319,821,657 |
부채 |
||
유동부채 |
4,931,586,657,793 |
5,251,125,587,174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955,646,972,056 |
1,556,391,779,523 |
차입금 |
2,377,086,563,021 |
2,971,925,504,640 |
기타금융부채 |
217,404,022,925 |
222,157,508,868 |
충당부채 |
44,554,539,540 |
51,059,261,569 |
기타유동부채 |
291,753,705,509 |
302,576,039,534 |
당기법인세부채 |
45,140,854,742 |
147,015,493,040 |
비유동부채 |
4,539,489,062,050 |
3,918,478,743,984 |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78,211,793,450 |
14,510,678 |
장기차입금 |
2,937,745,219,629 |
2,716,648,021,647 |
기타금융부채 |
523,669,920,183 |
379,992,170,696 |
순확정급여부채 |
480,011,076,822 |
446,565,139,356 |
장기종업원급여부채 |
30,634,562,662 |
27,893,225,306 |
충당부채 |
118,138,006,852 |
106,857,639,088 |
기타비유동부채 |
6,208,164,658 |
6,381,504,979 |
이연법인세부채 |
264,870,317,794 |
234,126,532,234 |
부채총계 |
9,471,075,719,843 |
9,169,604,331,158 |
자본 |
||
지배기업 주주지분 |
8,263,008,994,080 |
5,929,092,229,255 |
자본금 |
978,240,655,000 |
821,170,655,000 |
자본잉여금 |
1,982,578,484,465 |
798,470,151,101 |
자본조정 |
(24,189,777,705) |
(10,328,159,475)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43,561,454,242 |
(110,009,596,397) |
이익잉여금 |
5,182,818,178,078 |
4,429,789,179,026 |
비지배지분 |
43,671,172,130 |
38,623,261,244 |
자본총계 |
8,306,680,166,210 |
5,967,715,490,499 |
자본과부채총계 |
17,777,755,886,053 |
15,137,319,821,657 |
나.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
제 4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제 47 기 3분기 2020.01.01 부터 2020.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3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액 |
2,580,336,222,064 |
7,762,129,678,014 |
2,428,432,157,957 |
6,633,214,676,184 |
매출원가 |
2,063,603,691,356 |
6,075,199,326,028 |
1,875,477,331,914 |
5,166,788,291,050 |
매출총이익 |
516,732,530,708 |
1,686,930,351,986 |
552,954,826,043 |
1,466,426,385,134 |
판매비와관리비 |
338,360,409,265 |
1,032,848,724,901 |
319,797,358,779 |
937,623,773,720 |
영업이익 |
178,372,121,443 |
654,081,627,085 |
233,157,467,264 |
528,802,611,414 |
영업외손익 |
70,184,568,149 |
421,369,791,390 |
32,116,835,011 |
(1,072,038,022) |
기타수익 |
192,037,651,916 |
567,542,545,806 |
73,246,420,320 |
350,717,758,274 |
기타비용 |
(176,673,284,369) |
(333,760,792,418) |
(88,607,837,187) |
(330,099,564,349) |
금융수익 |
4,462,224,873 |
15,605,879,822 |
4,413,723,065 |
16,732,895,856 |
금융비용 |
(36,709,812,349) |
(112,201,079,985) |
(50,105,371,874) |
(165,490,299,730) |
관계기업등에 대한 지분법손익 |
87,067,788,078 |
284,183,238,165 |
93,169,900,687 |
127,067,171,927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248,556,689,592 |
1,075,451,418,475 |
265,274,302,275 |
527,730,573,392 |
법인세비용 |
55,114,986,290 |
274,060,109,024 |
57,022,638,542 |
93,171,585,672 |
계속영업이익 |
193,441,703,302 |
801,391,309,451 |
208,251,663,733 |
434,558,987,720 |
중단영업손실 |
(18,575,308,659) |
(33,554,778,374) |
||
분기순이익 |
193,441,703,302 |
801,391,309,451 |
189,676,355,074 |
401,004,209,346 |
기타포괄손익 |
70,284,210,703 |
209,713,093,710 |
(126,249,762,334) |
(4,111,833,755)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
39,527,709,138 |
78,337,176,750 |
(18,935,794,774) |
9,829,100,804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채무상품)평가손익 |
(17,915,017) |
997,096,836 |
12,890,430 |
(3,328,805) |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
467,216,850 |
155,748,525 |
372,702,357 |
(683,361,361) |
해외사업환산손익 |
104,284,268,414 |
144,011,183,758 |
15,267,446,332 |
26,948,389,755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
(71,105,362,405) |
(29,814,964,982) |
(124,911,149,951) |
(31,144,080,117) |
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자산(지분상품)평가손익 |
(2,871,706,277) |
16,026,852,823 |
1,944,143,272 |
(9,058,554,031) |
총포괄손익 |
263,725,914,005 |
1,011,104,403,161 |
63,426,592,740 |
396,892,375,591 |
분기순이익의 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193,750,455,726 |
803,136,668,755 |
190,561,326,497 |
403,422,291,206 |
비지배지분 |
(308,752,424) |
(1,745,359,304) |
(884,971,423) |
(2,418,081,860) |
총포괄손익의 귀속 |
||||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
261,432,466,017 |
1,007,374,243,725 |
65,538,784,371 |
401,421,537,973 |
비지배지분 |
2,293,447,988 |
3,730,159,436 |
(2,112,191,631) |
(4,529,162,382) |
지배기업 지분에 대한 계속영업주당순손익 |
||||
보통주 기본 및 희석주당순손익 |
1,011 |
4,362 |
1,300 |
2,711 |
우선주 기본 및 희석주당순손익 |
994 |
4,399 |
1,311 |
2,748 |
지배기업 지분에 대한 중단영업주당순손익 |
||||
보통주 기본 및 희석주당순손익 |
(115) |
(208) |
||
우선주 기본 및 희석주당순손익 |
(115) |
(208) |
다. 연결 자본변동표
연결 자본변동표 |
제 4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제 47 기 3분기 2020.01.01 부터 2020.09.30 까지 |
(단위 : 원) |
자본 |
|||||||||||
---|---|---|---|---|---|---|---|---|---|---|---|
자본금 |
연결자본잉여금 |
연결자본조정 |
연결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연결이익잉여금 |
비지배지분 |
자본 합계 |
|||||
2020.01.01 (기초자본) |
821,170,655,000 |
804,503,695,100 |
(2,917,998,641) |
(70,522,771,893) |
4,175,935,376,973 |
77,678,253,390 |
5,805,847,209,929 |
||||
자본의 변동 |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
403,422,291,206 |
(2,418,081,860) |
401,004,209,346 |
||||||
기타포괄손익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채무상품)평가손익 |
(1,859,277) |
(1,469,528) |
(3,328,805) |
||||||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
9,830,371,816 |
(1,271,012) |
9,829,100,804 |
||||||||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
(683,430,390) |
69,029 |
(683,361,361) |
||||||||
해외사업환산손익 |
27,637,818,260 |
(689,428,505) |
26,948,389,755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자산(지분상품)평가손익 |
(7,639,573,525) |
(1,418,980,506) |
(9,058,554,031) |
|||||||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
(31,144,080,117) |
(31,144,080,117)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서 이익잉여금으로 대체 |
|||||||||||
소유주와의 거래 |
현금배당 |
(32,576,792,250) |
(32,576,792,250) |
||||||||
유상증자 |
|||||||||||
자기주식 취득 |
(28,997,745,820) |
(28,997,745,820) |
|||||||||
자기주식 처분 |
|||||||||||
자기주식 소각 |
21,580,364,530 |
(21,580,364,530) |
|||||||||
연결범위 변동 |
종속기업 취득 |
1,759,437,429 |
1,759,437,429 |
||||||||
지배력을 상실하지 않는 종속기업에 대한 소유지분 변동 |
종속기업 지분율 변동 |
(16,530,878,989) |
(16,350,697,192) |
(32,881,576,181) |
|||||||
주식기준보상 |
4,862,390,742 |
4,862,390,742 |
|||||||||
기타 |
2,538,859,560 |
(938,464) |
231,323,151 |
32,649,083 |
2,801,893,330 |
||||||
2020.09.30 (기말자본) |
821,170,655,000 |
795,374,066,413 |
(10,336,318,395) |
(72,523,525,126) |
4,525,431,834,550 |
58,590,480,328 |
6,117,707,192,770 |
||||
2021.01.01 (기초자본) |
821,170,655,000 |
798,470,151,101 |
(10,328,159,475) |
(110,009,596,397) |
4,429,789,179,026 |
38,623,261,244 |
5,967,715,490,499 |
||||
자본의 변동 |
총포괄손익 |
당기순이익 |
803,136,668,755 |
(1,745,359,304) |
801,391,309,451 |
||||||
기타포괄손익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채무상품)평가손익 |
997,096,831 |
5 |
997,096,836 |
||||||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
78,337,180,236 |
(3,486) |
78,337,176,750 |
||||||||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
155,748,525 |
155,748,525 |
|||||||||
해외사업환산손익 |
138,535,669,253 |
5,475,514,505 |
144,011,183,758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공정가치측정지정금융자산(지분상품)평가손익 |
16,026,845,107 |
7,716 |
16,026,852,823 |
|||||||
관계기업 등의 기타포괄손익에 대한 지분해당액 |
(29,814,964,982) |
(29,814,964,982) |
|||||||||
기타포괄손익누계액에서 이익잉여금으로 대체 |
49,298,712,539 |
(49,298,712,539) |
|||||||||
소유주와의 거래 |
현금배당 |
||||||||||
유상증자 |
157,070,000,000 |
1,181,597,430,096 |
1,338,667,430,096 |
||||||||
자기주식 취득 |
(13,772,288,760) |
(13,772,288,760) |
|||||||||
자기주식 처분 |
9,841,636 |
6,452,964 |
16,294,600 |
||||||||
자기주식 소각 |
|||||||||||
연결범위 변동 |
종속기업 취득 |
1,322,391,624 |
1,322,391,624 |
||||||||
지배력을 상실하지 않는 종속기업에 대한 소유지분 변동 |
종속기업 지분율 변동 |
(540,897,593) |
19,542,737 |
(521,354,856) |
|||||||
주식기준보상 |
7,296,418,746 |
7,296,418,746 |
|||||||||
기타 |
(4,254,459,521) |
(95,782,434) |
34,763,130 |
(808,957,164) |
(24,182,911) |
(5,148,618,900) |
|||||
2021.09.30 (기말자본) |
978,240,655,000 |
1,982,578,484,465 |
(24,189,777,705) |
143,561,454,242 |
5,182,818,178,078 |
43,671,172,130 |
8,306,680,166,210 |
라. 연결 현금흐름표
연결 현금흐름표 |
제 4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제 47 기 3분기 2020.01.01 부터 2020.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3분기 |
|
---|---|---|
영업활동현금흐름 |
392,072,436,449 |
478,986,032,388 |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 |
731,999,326,417 |
520,383,117,188 |
법인세 납부 |
(339,926,889,968) |
(41,397,084,800) |
투자활동현금흐름 |
(359,175,445,839) |
221,329,153,382 |
이자 수취 |
18,677,855,641 |
21,266,794,308 |
배당금 수취 |
193,786,199,971 |
175,978,842,018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처분 |
2,234,704,210 |
980,000 |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
115,654,541,769 |
951,864,204,143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의 처분 |
214,060,174,315 |
23,548,476,615 |
종속기업의 처분 |
1,041,570 |
(2,141,876,861) |
정부보조금의 수령 |
470,176,551 |
195,757,550 |
투자부동산의 처분 |
15,556,916,960 |
|
유형자산의 처분 |
25,417,950,044 |
16,550,215,936 |
무형자산의 처분 |
1,586,905,880 |
14,454,940,696 |
매각예정자산의 처분 |
653,453,881,020 |
399,379,436,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의 취득 |
(2,292,350,000) |
|
기타금융자산의 증가 |
(302,885,728,039) |
(702,435,601,743)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의 취득 |
(545,733,182,521) |
(9,015,959,404) |
투자부동산의 취득 |
(11,345,114,179) |
(3,530,862) |
유형자산의 취득 |
(591,821,589,343) |
(669,176,642,743) |
무형자산의 취득 |
(2,020,781,541) |
(7,714,285,933) |
종속회사의 취득 |
(128,420,131,187) |
(6,979,513,298) |
재무활동현금흐름 |
551,555,778,019 |
(482,219,471,014) |
차입금의 차입 |
2,433,916,334,330 |
3,604,267,732,009 |
기타금융부채의 증가 |
1,004,561,695 |
996,140,937 |
유상증자 |
1,338,667,430,096 |
|
비지배지분의 증감 |
(16,167,686,412) |
|
차입금의 상환 |
(3,036,228,530,347) |
(3,795,764,426,856) |
기타금융부채의 감소 |
(5,589,632,652) |
(2,344,400,000) |
이자 지급 |
(103,032,016,431) |
(165,506,698,632) |
배당금 지급 |
(32,576,792,250) |
|
리스료 지급 |
(63,410,079,912) |
(46,125,593,990) |
자기주식의 취득 |
(13,772,288,760) |
(28,997,745,82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584,452,768,629 |
218,095,714,756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1,199,836,790,880 |
1,084,516,315,974 |
환율변동효과 |
44,931,135,159 |
4,641,443,393 |
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0,694,668 |
1,307,253,474,123 |
기말 재무상태표상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0,694,668 |
1,307,253,474,123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1. 일반사항
한화솔루션주식회사(이하 "회사"라 함)는 1974년 4월 27일에 설립되어, 가성소다, PVC, LLDPE 등의 합성수지 및 기타 석유화학제품의 제조 및 판매와 플라스틱 가공사업 및 태양광 모듈 공급 등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및 백화점 및 기타 부동산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중구 장교동에 본사를, 울산광역시및 전라남도 여수시 석유화학공업단지 내, 충청북도 음성 및 진천, 세종특별자치시에제조설비를 두고 있습니다.
2021년 9월 30일로 종료하는 회계기간에 대한 연결재무제표는 회사와 회사의 종속기업(이하 "연결실체"), 연결실체의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 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회사는 1974년 6월 19일에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 2010년 3월 19일에 상호를 한화석유화학주식회사에서 한화케미칼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전기 중 회사는 상법 527조의 3에 따라 종속기업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 2020년 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합병을 완료한 뒤, 사명을 한화솔루션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당분기 중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한화도시개발의 분할사업부를 합병하였습니다.
(1) 종속기업의 현황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명 | 소재국 | 결산월 | 업종 | 지분율 | ||
---|---|---|---|---|---|---|
당분기말 | 전기말 | |||||
한화솔루션㈜ 직접보유 | ||||||
㈜경기용인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업 | 75.00% | 75.00% | |
㈜김해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업 | 80.00% | 80.00% | |
㈜서산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 개발 및 분양 | 65.00% | 65.00% | |
㈜서오창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업 | 73.00% | 73.00% | |
㈜아산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업 | - | 100.00% | |
㈜안성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산업단지 개발 | 75.00% | 75.00% | |
㈜에이치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 신축판매 및 매매 | 51.00% | 51.00% | |
㈜에이치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업 | 80.00% | -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주1)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업 | 70.00% | 70.00%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주1) |
대한민국 | 12월 | 백화점 | 99.99% | 99.99% | |
㈜한화비앤비(주1) | 대한민국 | 12월 | 요식업 | 100.00% | 100.00% | |
㈜더블유오에스 | 대한민국 | 12월 | 제조업 | 100.00% | - |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중 국 | 12월 | 무역업 | 100.00% | 100.00% |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대한민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한화컴파운드㈜ | 대한민국 | 12월 | 포장재의 제조 및 판매 | 100.00% | 100.00% | |
한화글로벌에셋㈜ |
대한민국 | 12월 | 지주회사 외 | 100.00% | 100.00% |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한화도시개발 | 대한민국 | 12월 | 부동산 신축판매 및 매매외 | 100.00% | 100.00% | |
㈜한화갤러리아 | 대한민국 | 12월 | 백화점 및 도,소매업 | - | 100.00% | |
HAMC Holdings Corp.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12월 | 무역업 | 100.00% | 100.00%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인 도 | 3월 | 무역업 | 99.99% | 99.99% | |
Hanwha Chemical (Thailand) Co., Ltd. | 태 국 | 12월 | 화합물 제조 | 99.99% | 99.99%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중 국 | 12월 | 화합물 제조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Co., Ltd. |
영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 |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영 국 | 12월 | 투자자문업 | 100.00% | 100.00% | |
Hanwha International Corp. 군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주2) |
미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주2) | 미 국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주2)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주2) | 멕시코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AZDEL, Inc.(주2) | 미 국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Holdings(USA), Inc.(주2)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80.00% | 80.00% | |
Hanwha International LLC(주2) | 미 국 | 12월 | 무역업 | 100.00% | 100.00% | |
Hanwha Machinery Americas, Inc.(주2) | 미 국 | 12월 | 공작기계 판매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Parcel O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Property USA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및 관리 | 100.00% | 100.00% | |
Hanwha PVPLUS LLC(주2) | 미 국 | 12월 | 자산유동화 관련 업무 | 100.00% | 100.00%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주2) | 미 국 | 12월 | 자원 개발 | 80.00% | 80.00% | |
HANWHA TECHM USA LLC(주2) | 미 국 | 12월 | 자동차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Village Market,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West Properties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100.00% | 100.00% | |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주2) | 미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주2) | 미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Universal Bearings LLC(주2) | 미 국 | 12월 | 베어링제조업 | 100.00% | 100.00% | |
HAMC Holdings Corp. 군 | ||||||
Hanwha Cimarron LLC | 미 국 | 12월 | 제조업 | 100.00% | -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군 |
||||||
HSHC NAM INV LLC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 | |
HSHC LIBRA INV LLC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 | |
Hanwha Q CELLS Co., Ltd. 군 | ||||||
Agenor Hive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ALDGATE EAST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ALFAZ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ALQUIZAR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ANNAPURNA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Avenir el Divisadero SpA | 칠 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ARBECA SOLA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AZOR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 | |
BENIF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BOLERO ENERGY,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BURETE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Cabrero Solar SPA | 칠 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 | |
CABUYA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CAMPANA ENERGY,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CANARY WHARF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CANNING TOWN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CAPRICORNIO ENERGY,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CASTELLDANS SOLA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CASTELLNOU SOLA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Centauro Solar SPA | 칠 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 | |
CLAVE DE SOL ENERGY,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COMBA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CONVENT GARDEN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DICKSON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DIONISIO SUN,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Don Rodrigo Hive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 | |
Draco Solar SPA | 칠 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 | |
Elektrownia OZE 3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EMPER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ENDINO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Espardell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 | |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 | |
GALAXY ENERGY,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GALGO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GARDAYA INVESTMENT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GAVILAN POWE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GERIFALTE POWE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GREEN RIC ENERGY,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Growing Energy Labs, Inc. | 미 국 | 12월 | 에너지 관리 시스템 | 100.00% | 100.00% | |
Guadajoz Hive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Nantong)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제조 및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주2) |
중 국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제조 및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미 국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America Project Holding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프로젝트 투자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호 주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캐나다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Chile SpA | 칠 레 | 12월 |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 및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France SAS | 프랑스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Gmbh | 독 일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홍 콩 | 12월 | 투자 및 국제 조달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영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제조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Peru S.A.C | 페 루 | 12월 | 태양광 사업 | 99.99% | 99.99% | |
HANWHA Q CELLS SOLAR POWER SDN. BHD. | 말레이시아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Til Til Uno SPA | 칠 레 | 12월 | 태양광 시스템 건설 및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Turkey | 터 키 | 12월 |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 및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Solar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시설 건설 | 100.00% | 100.00% | |
Hanwha Solarone(beipiao)Co.,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SolarOne (Laiyang)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SolarOne (Rugao)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SolarOne GmbH | 독 일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100.00% | 100.00% |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 영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SolarOne Power Generation (Wuxi)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ARRIER POWE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ESTIA SUN,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QC PORTUGAL HOLDINGS,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INCOGNITWORLD,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INCOGNITWORLD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INCOGNITWORLD 3,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INCOGNITWORLD 4,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INCOGNITWORLD 5,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IRON POWER ENERGY,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ISIS SUN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 | |
KADOK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KAMPALA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KMPT Solarpark Verwaltung GmbH | 독 일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Las Coronadas Hive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LASTRAFI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LEBREL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LINE ENERGY,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Malhada Green S.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MALHADA GREEN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MONTALBAN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Nantong Hanwha Import & Export Co., Ltd. | 중 국 | 12월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 | 100.00% | |
NEPAL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NUN SUN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 | |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 | |
OTERO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70.00% | 70.00% | |
PALOMA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PODENCO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PV Jagodne Sp. z.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PV Vallenar Uno SpA | 칠 레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Q CELLS DO BRASIL CONSULTORIA EMPRESARIAL LTDA | 브라질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QSUN 23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QSUN 26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QSUN PORTUGAL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QSUN PORTUGAL 3,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QSUN PORTUGAL 4,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QSUN PORTUGAL 5,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QSUN PORTUGAL 6,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QSUN PORTUGAL 7,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REAL ENERGY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REUS SOLA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RIMA ENERGY,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SACRAMENTO DIRECTORSHIP,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SFH Solarpark GmbH | 독 일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Silesian Sun Energy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SILVER RIC ENERGY,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SPRING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SPP Wytwarzanie 18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SPP Wytwarzanie 31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SPP Wytwarzanie 33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Sunwolt Sp. z o.o. | 폴란드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 | 100.00% | |
VALS ENERGY POWER, S.L.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VECIANA SOLAR SLU | 스페인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WSE Bradley Road Ltd | 영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에이치에스아이㈜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한화글로벌에셋㈜ 군 | ||||||
BT Coniglio Solar,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 | 100.00% |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Coniglio Solar Holding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100.00%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주2) | 미 국 | 12월 | 태양광 사업 | 100.00% | 100.00% | |
HQC Solar Holdings 1,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주2) | 미 국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중 국 | 12월 | 자동차부품소재 제조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 Ltd. | 중 국 | 12월 | 자동차부품소재 제조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체 코 | 12월 | 자동차부품소재 제조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독 일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주2)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주2) |
멕시코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중 국 | 12월 | 자동차부품소재 제조 | 100.00% | 100.00%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100.00% | 100.00% | |
Hanwha AZDEL, Inc.(주2) | 미 국 | 12월 | 자동차 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Holdings(USA), Inc.(주2) | 미 국 | 12월 | 지주회사 | 80.00% | 80.00% | |
Hanwha International LLC(주2) | 미 국 | 12월 | 무역업 | 100.00% | 100.00% | |
Hanwha Machinery Americas, Inc.(주2) | 미 국 | 12월 | 공작기계 판매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Parcel O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Property USA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및 관리 | 100.00% | 100.00% | |
Hanwha PVPLUS LLC(주2) | 미 국 | 12월 | 자산유동화 관련 업무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관련 통합솔루션 제공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Australia Holdings Pty Ltd | 호 주 | 12월 | 태양광 발전 | - | 100.00% | |
Hanwha Q CELLS Canada, Inc | 캐나다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모듈 건설 및 판매 | - | 100.00%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Servicios Comerciales, S DE RL DE CV | 멕시코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Solar Technology Australia Pty Ltd. | 호 주 | 12월 | 태양광 발전 | - | 100.00% | |
HANWHA Q CELLS US O&M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개발 | 100.00% | - | |
Hanwha Q CELLS USA Corp.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관련 통합솔루션 제공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USA, INC. | 미 국 | 12월 | 태양광 개발 | 100.00% | 100.00%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주2) | 미 국 | 12월 | 자원 개발 | 80.00% | 80.00% | |
HANWHA TECHM USA LLC(주2) | 미 국 | 12월 | 자동차부품 제조업 | 100.00% | 100.00% | |
Hanwha Village Market,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West Properties LLC(주2) | 미 국 | 12월 | 부동산 개발 사업 | 100.00% | 100.00% | |
HQ MEX, LLC | 멕시코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Q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 멕시코 | 12월 | 태양광 에너지 관련 통합솔루션 제공 | 100.00% | 100.00% | |
HQ MEXICO Solar I S DE RL DE CV | 멕시코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Q MEXICO Solar II S DE RL DE CV | 멕시코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QC Maywood,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주2) | 미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주2) | 미 국 | 12월 | 태양광 발전업 |
100.00% | 100.00% | |
HSEA HVE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SESM American Union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SESM LeGrandUH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SESM PlanadaE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Johnson City Solar,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Johnson City Storage,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Kellam Solar Class B,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100.00% | |
Kellam Solar Holding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100.00% | |
Plateau Solar,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Plateau Storage,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Purvis Solar,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Purvis Storage,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Rippey Solar Holdings,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100.00% | |
Solar Monkey 1,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Solar Monkey 2,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South Cheyenne Solar, LLC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100.00% | - | |
Universal Bearings LLC(주2) |
미 국 | 12월 | 베어링제조업 | 100.00% | 100.00% | |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발전사업 | 100.00% | - |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
대한민국 | 12월 | 전기자재 | 100.00% | - |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하이패스태양광㈜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해맞이태양광발전㈜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대한민국 | 12월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100.00% | |
Hanwha Q CELLS Turkey 군 | ||||||
Aslan Gunes Enerjisi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Hiprom Enerji Yatirlmlari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Sema Enerji Uretim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Alkin Enerji Uretim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Kartal Enerji Uretim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Mutlak Enerji Uretim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Elcin Enerji Uretim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Fnt Gida Turizm Ic Ve Dis Ticaret Sanayi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Meva Muhendislik Bilisim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San.Ve Dis Tic.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Serimer Optik Medikal Kirtasiye Temizlik Insaat Ithalat Ihra cat Sanayi Tic.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Marel Bilisim Muhendislik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Gida San. Ve Dis Tic.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Fior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Toprakkale Altyapi ve Malzeme Hizmetleri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Ulu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Moravia Enerji Sanayi ve Ticaret Ltd. S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Uno Enerji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Aceka 2 Gunes Enerjisi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Aceka 3 Gunes Enerjisi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Bilgidar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Buselik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Buselik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Dimetoka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Dimetoka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Isfahan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Onan 2 Gunes Enerji Uretim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
Onan 3 Gunes Enerji Uretim A.S.(주3) | 터 키 | 12월 | 태양광 사업 | - | - |
(주1) | 당분기 중 회사가 ㈜한화도시개발 및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함에 따라, 해당군 종속기업에서 한화솔루션㈜ 직접보유 종속기업으로 변경되었습니다. |
(주2) | 두 개 이상의 중간지배기업이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재된 지분율은 지배력을 모두 합산한 유효지분율입니다. |
(주3) | 연결실체가 소유하고 있는 지분은 없으나, 관련 활동에 대한 힘, 변동이익에 노출되는 정도 및 연결실체의 변동이익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힘을 사용하는 능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연결실체가 지배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
(2) 연결대상범위의 변동
당분기 중 연결재무제표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분기 중 신규로 연결범위에 포함된 기업
구분 | 기업명 | 사유 |
---|---|---|
한화솔루션㈜ 직접보유 | ||
㈜에이치테크노밸리 |
신규 설립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 ||
㈜더블유오에스 |
신규 취득 | |
Hanwha Q CELLS Co., Ltd. 군 | ||
AZOR POWER SL | 신규 취득 | |
Cabrero Solar SPA |
||
Centauro Solar SPA | ||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
||
Draco Solar SPA | ||
Espardell Directorship, SL |
||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 ||
ISIS SUN POWER S.L. |
||
NUN SUN POWER S.L. | ||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
한화글로벌에셋㈜ 군 | ||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
신규 설립 |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
HANWHA Q CELLS US O&M LLC |
||
Johnson City Solar, LLC | ||
Johnson City Storage, LLC | ||
Plateau Solar, LLC | ||
Plateau Storage, LLC | ||
Purvis Solar, LLC | ||
Purvis Storage, LLC | ||
South Cheyenne Solar, LLC |
||
HAMC Holdings Corp. 군 |
||
Hanwha Cimarron LLC |
신규 취득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군 |
||
HSHC NAM INV LLC | 신규 설립 | |
HSHC LIBRA INV LLC |
2) 당분기 중 연결범위에서 제외된 기업
구분 | 기업명 | 사유 |
---|---|---|
한화솔루션㈜ 직접보유 | ||
㈜아산테크노밸리 |
청산 | |
㈜한화갤러리아 | 합병 소멸 | |
Hanwha Q CELLS Co., Ltd. 군 | ||
Nantong Hanwha Import & Export Co., Ltd. |
청산 | |
Agenor Hive SL |
투자지분 매각 | |
Elektrownia OZE 3 Sp. z o.o. |
||
QSUN 23 Sp. z o.o. | ||
QSUN 26 Sp. z o.o. | ||
SPP Wytwarzanie 18 sp. z o.o. | ||
SPP Wytwarzanie 31 sp. z o.o. | ||
SPP Wytwarzanie 33 sp. z o.o. | ||
Sunwolt Sp. z o.o. | ||
한화글로벌에셋㈜ 군 | ||
BT Coniglio Solar, LLC |
관계기업에 매각 | |
Hanwha Q CELLS Australia Holdings Pty Ltd | 청산 | |
Hanwha Q CELLS Canada, Inc |
||
Hanwha Q CELLS Solar Technology Australia Pty Ltd. |
2.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연결실체의 분기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연결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연결실체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추정과 판단
1)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분기연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연결실체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0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한편, 2020년도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인하여 전 세계는 어려운 경제상황 및 사태 장기화에 대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일부사업부문 또한 사업위험에 대한 익스포저를 검토하였으나, 당분기말 현재 재무실적이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칠 위험은 식별되지 않았습니다. 연결실체는 기존 차입금의 약정사항을 충족할 수 있도록 충분한 자금여력을 보유하고 있으며, 영업활동과 지속적인 투자를 뒷받침할 충분한 운전자본 및 자금조달약정을 통한 미사용 자금한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2) 공정가치 측정
연결실체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연결실체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ㆍ수준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ㆍ수준2: 수준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ㆍ수준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연결실체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주석 5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유의적인 회계정책
분기연결재무제표에 적용된 회계정책은 직전 연차연결재무제표에 적용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회계기준이 있으나, 그 기준들은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4. 재무위험관리
(1) 자본위험관리
연결실체는 부채와 자본 잔액의 최적화를 통하여 주주이익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계속기업으로서 지속될 수 있도록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전략은 전기말과 변동이 없습니다.
(2) 금융위험관리
1) 금융위험요소
연결실체의 재무부문은 영업을 관리하고 국내외 금융시장의 접근을 조직하며, 각 위험의 범위와 규모를 분석한 내부위험보고서를 통하여 연결실체의 영업과 관련한 금융위험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들은 시장위험(외환위험 및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기말 이후 연결실체의 금융위험관리목적과 위험관리정책의 변화는 없습니다.
2) 시장위험
가. 외환위험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외환 포지션에 대해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
USD | (5,647,448) | 5,647,448 | (4,871,487) | 4,871,487 |
EUR | 1,890,692 | (1,890,692) | 1,692,253 | (1,692,253) |
JPY | 168,171 | (168,171) | 190,738 | (190,738) |
CNY | 80,336 | (80,336) | 132,253 | (132,253) |
합 계 | (3,508,249) | 3,508,249 | (2,856,243) | 2,856,243 |
상기 민감도분석은 당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결이 확정된 헤지효과가 발생하는 파생상품거래로 인한 환율변동효과도 고려되었습니다.
나. 이자율위험
당분기말 현재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상승 (하락)할 경우 당분기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은 25,098백만원(전분기: 26,148백만원) 감소(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 분석은 이자율 이외의 다른 변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고 전기 연차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적용한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였습니다.
3) 신용위험
신용위험으로 인한 최대 노출금액은 금융기관에 예치된 현금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지분상품 제외)의 장부금액 및 최대보증금액과 동일합니다.
4) 유동성위험
가. 비파생상품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
차입금(주1) |
2,455,309,480 | 2,691,606,173 | 364,975,247 | 5,511,890,900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956,608,677 | 180,432,575 | - |
2,137,041,252 |
기타금융부채(주2) |
197,070,951 | 313,223,490 | 401,198,954 | 911,493,395 |
합 계 | 4,608,989,108 | 3,185,262,238 | 766,174,201 | 8,560,425,547 |
(주1) |
이자비용의 예상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현금흐름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
차입금(주1) |
3,108,935,957 | 2,261,956,272 | 555,420,794 | 5,926,313,023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556,391,780 | 14,511 | - | 1,556,406,291 |
기타금융부채(주2) |
195,520,809 | 216,160,957 | 196,023,411 | 607,705,177 |
합 계 | 4,860,848,546 | 2,478,131,740 | 751,444,205 | 8,090,424,491 |
(주1) |
이자비용의 예상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현금흐름은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나. 파생상품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은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
파생상품부채(주1) | (7,484,132) | (12,497,941) | (1,696,119) | (21,678,192) |
(주1) |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자산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예상 현금흐름을 유동성위험 분석에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예상순현금유출입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
파생상품부채(주1) | 4,680,706 | 32,561,495 | 22,816,027 | 60,058,228 |
(주1) |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자산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예상 현금흐름을 유동성위험 분석에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예상순현금유출입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
다. 상기 금융부채 이외에 연결실체는 특수관계자 및 임직원을 위하여 금융보증계약 등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증을 제공받은 특수관계자 및 임직원이 지급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1년 이내에 추가적인 지급의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관련 유동성 위험의 최대금액은 52,242백만원(전기말: 87,395백만원)입니다(주석 32.(4) 및 주석 33.(6) 참조).
5. 공정가치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보유한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주1) | 장부금액 | 공정가치(주1) |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0,695 | 1,829,220,695 | 1,199,836,791 | 1,199,836,79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2,357,052 | 32,357,052 | 4,778,417 | 4,778,41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66,375,259 | 66,375,259 | 48,540,951 | 48,540,95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746,831,264 | 1,746,831,264 | 1,461,363,055 | 1,461,363,055 |
기타금융자산 | ||||
파생상품자산 | 35,789,086 | 35,789,086 | 13,106,624 | 13,106,624 |
기타 | 419,690,833 | 419,690,833 | 241,816,664 | 241,816,664 |
합 계 | 4,130,264,189 | 4,130,264,189 | 2,969,442,502 | 2,969,442,502 |
금융부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133,858,765 | 2,133,858,765 | 1,556,406,291 | 1,556,406,291 |
차입금 | 5,314,831,783 | 5,319,183,592 | 5,688,573,526 | 5,684,824,126 |
기타금융부채 | ||||
파생상품부채 | 14,110,894 | 14,110,894 | 73,164,853 | 73,164,853 |
기타 | 726,963,049 | 726,963,049 | 528,984,827 | 528,984,827 |
합 계 | 8,189,764,491 | 8,194,116,300 | 7,847,129,497 | 7,843,380,097 |
(주1) |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은 매출채권및기타채권 및 비상장주식 등에 대하여는 취득원가를 공정가치로 측정하였습니다. |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
수준 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 |
수준 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반복적인 측정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928,375 | - | 29,428,677 | 32,357,052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54,955,709 | - | 11,419,550 | 66,375,259 |
파생상품자산 | - | 35,789,086 | - | 35,789,086 |
파생상품부채 | - | 14,110,894 | - | 14,110,894 |
매입채무및기타채무(조건부대가) | - | - | 38,272,418 | 38,272,418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반복적인 측정치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 | 4,778,417 | 4,778,41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7,152,065 | - | 11,388,886 | 48,540,951 |
파생상품자산 | - | 13,106,624 | - | 13,106,624 |
파생상품부채 | - | 73,164,853 | - | 73,164,853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라고 판단되는 매출채권및기타채권에 대해서는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공시하지 않았습니다.
(3)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 공정가치측정치에 사용된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파생상품(통화선도, 통화스왑, 이자율스왑)
통화선도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측정대상 통화선도의 잔존기간과 일치하는 기간에 대한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에서 공시된 선도환율에 기초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통화선도의 잔존기간과 일치하는 기간의 선도환율이 시장에서 공시되지 않는다면, 시장에서 공시된 각 기간별 선도환율에 보간법을 적용하여 통화선도의 잔존기간과 유사한 기간의 선도환율을 추정하여 통화선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였습니다. 선도환율이공시되지 않는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의 경우, 거래 금융기관으로부터 수령한 평가서를 기초로 현재가치를 측정하였습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되는 투입변수는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선도환율 등을 통해 도출되므로, 연결실체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측정치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상 수준 2로 분류하였습니다.
- 비상장주식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미래현금흐름을추정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및 업종의 상황 등에 기초한 매출액 증가율, 세전 영업이익률, 할인율 등에 대한 가정이나 추정과 같이 관측가능한 시장가격이나 비율에 근거하지 않은 가정이 일부 사용됩니다.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하기 위하여 사용된 할인율은 유사한 상장기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상기에서 언급된 주요 가정과 추정이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측정치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상 수준 3으로 분류하였습니다.
-조건부대가
조건부대가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및 업종의 상황 등에 기초한 조건부대가의 실현가능성, 할인율 등에 대한 가정이나 추정과 같이 관측가능한 시장가격이나 비율에 근거하지 않은 가정이 일부 사용됩니다.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하기 위하여 사용된 할인율은 연결실체의 신용등급과 기간계수를 고려한 회사채 이자율입니다. 연결실체는 상기에서 언급된 주요 가정과 추정이 조건부대가의 공정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조건부대가의 공정가치측정치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상 수준 3으로 분류하였습니다.
6. 범주별 금융상품
(1)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자산의 범주별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1,829,220,695 | - | 1,829,220,695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8,828,727 | 1,732,828,338 | - | 1,741,657,065 |
기타금융자산 | 18,744,648 | - | 234,114,061 | 900,564 | 253,759,273 |
비유동성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2,357,052 | - | - | - | 32,357,052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66,375,259 | - | - | 66,375,259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 | 5,174,199 | - | 5,174,199 |
기타금융자산 | 16,143,874 | - | 185,576,772 | - | 201,720,646 |
합 계 | 67,245,574 | 75,203,986 | 3,986,914,065 | 900,564 |
4,130,264,189 |
(주1) |
범주별 금융자산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1,199,836,791 | - | 1,199,836,791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919,930 | - | - | - | 2,919,93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3,530,241 |
1,453,995,428 | - | 1,457,525,669 |
기타금융자산 | 12,954,637 | - | 179,677,955 | 151,987 | 192,784,579 |
비유동성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858,487 | - | - | - | 1,858,487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48,540,951 | - | - | 48,540,95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 | 3,837,386 | - | 3,837,386 |
기타금융자산 | - | - | 62,138,709 | - | 62,138,709 |
합 계 | 17,733,054 | 52,071,192 | 2,899,486,269 | 151,987 | 2,969,442,502 |
(주1) |
범주별 금융자산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범주별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955,646,972 | - | 1,955,646,972 |
차입금 | - | 2,365,252,617 | 11,833,946 | 2,377,086,563 |
기타금융부채 | 12,161,080 | 205,224,617 | 18,326 | 217,404,023 |
비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38,272,418 |
139,939,375 | - | 178,211,793 |
차입금 | - | 2,937,745,220 | - | 2,937,745,220 |
기타금융부채 | 1,949,814 | 521,720,106 | - | 523,669,920 |
합 계 | 52,383,312 | 8,125,528,907 | 11,852,272 | 8,189,764,491 |
(주1) |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양도거래 관련 금융부채, 금융보증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556,391,780 | - | 1,556,391,780 |
차입금 | - | 2,959,246,632 | 12,678,872 | 2,971,925,504 |
기타금융부채 | 17,730,273 | 203,280,910 | 1,146,326 | 222,157,509 |
비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4,511 | - | 14,511 |
차입금 | - | 2,716,648,022 | - | 2,716,648,022 |
기타금융부채 | 52,043,375 | 325,556,249 | 2,392,547 | 379,992,171 |
합 계 | 69,773,648 | 7,761,138,104 | 16,217,745 | 7,847,129,497 |
(주1) |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양도거래 관련 금융부채, 금융보증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금융상품 손익을 범주별로 구분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 | 합 계 |
---|---|---|---|---|---|---|
이자수익 | - | - | 14,489,534 | - | - | 14,489,534 |
외환차익 | 553 | - | 89,224,820 | 4,697,325 | - | 93,922,698 |
외화환산이익 | 71,119 | - | 52,527,090 | 183,857 | - | 52,782,066 |
이자비용 | (62,280) |
- | - | (112,002,217) | (136,583) | (112,201,080) |
외환차손 | (318,763) | - | (7,409,148) | (67,548,714) | - | (75,276,625) |
외화환산손실 | (144,224) | - | (417,853) | (142,082,328) | - | (142,644,405) |
대손상각비 | - | - | (4,933,439) | - | - | (4,933,439) |
기타대손상각비 | - | - | (5,578) | - | - | (5,578) |
손실충당금환입 | - | - | 14,170 | - | - | 14,17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03,290) |
- | - | - | - | (503,29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이익 |
53,468 | - | - | - | - | 53,46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15,225) | - | - | - | - | (15,225)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실 | - | (57,646) | - | - | - | (57,646) |
매출채권처분손실 | - | (343,313) | (1,537) | - | - | (344,850) |
파생상품평가이익 | 100,429,883 | - | - | - | 2,730,000 | 103,159,883 |
파생상품거래이익 | 9,101,339 | - | - | - | - | 9,101,339 |
파생상품평가손실 | (11,780,408) | - | - | - | - | (11,780,408) |
파생상품거래손실 | (30,806,510) | - | - | - | - | (30,806,510) |
배당금수익 | 237,524 | 878,822 | - | - | - | 1,116,346 |
소계: 세전순손익 | 66,263,186 | 477,863 | 143,488,059 | (316,752,077) | 2,593,417 | (103,929,552)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17,821,863 | - | - | - | 17,821,863 |
파생상품평가손익 |
- | - | - | - | 476,844 | 476,844 |
합계: 세전순포괄손익 | 66,263,186 | 18,299,726 | 143,488,059 | (316,752,077) | 3,070,261 | (85,630,845)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 | 합 계 |
---|---|---|---|---|---|---|
이자수익 | 48,950 | - | 15,804,144 | - | - | 15,853,094 |
외환차익 | 152,650 | - | 115,783,829 | 18,155,773 | - | 134,092,252 |
외화환산이익 | 507,865 | - | 90,507,461 | 8,663,745 | - | 99,679,071 |
이자비용 | - | - | - | (165,345,994) | (144,306) | (165,490,300) |
외환차손 | (729,076) | - | (61,917,322) | (56,990,034) | - | (119,636,432) |
외화환산손실 | (33,379) | - | (36,226,861) | (87,433,841) | - | (123,694,081) |
대손상각비 | - | - | 2,965,982 | - | - | 2,965,982 |
기타대손상각비 | - | - | (5,498,770) | - | - | (5,498,77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12,298 | - | - | - | - | 12,29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이익 |
61,832 | - | - | - | - | 61,83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539,963) | - | - | - | - | (539,963) |
매출채권처분손실 | - | (461,616) | - | - | - | (461,616) |
파생상품평가이익 | 14,397,104 | - | - | - | 942,000 | 15,339,104 |
파생상품거래이익 | 16,482,943 | - | - | - | - | 16,482,943 |
파생상품평가손실 | (18,917,437) | - | - | - | - | (18,917,437) |
파생상품거래손실 | (18,497,972) | - | - | - | (774,000) | (19,271,972) |
배당금수익 | - | 879,802 | - | - | - | 879,802 |
소계: 세전순손익 | (7,054,185) | 418,186 | 121,418,463 | (282,950,351) | 23,694 | (168,144,193)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11,936,701) | - | - | - | (11,936,701) |
파생상품평가손익 |
- | - | - | - | (876,100) |
(876,100) |
합계: 세전순포괄손익 | (7,054,185) |
(11,518,515) | 121,418,463 | (282,950,351) |
(852,406) | (180,956,994) |
7. 금융자산의 양도
연결실체는 전체가 제거되지 않는 형태의 금융자산 양도 거래가 존재하며, 관련부채의 거래상대방은 양도자산에 대한 소구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양도된 금융자산은 전액 매출채권이며 이와 관련된 부채는 단기차입금으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양도된 매출채권 및 관련 부채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모두 11,834백만원(전기말: 12,679백만원)이며 순포지션은 영(0)입니다.
8.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매출채권 | 1,798,968,583 | 3,828,151 | 1,593,948,707 | 526,543 |
손실충당금 | (176,915,745) | - |
(160,578,881) | - |
현재가치할인차금 | (9,684) | (60,344) | (9,684) | (67,584) |
소 계 | 1,622,043,154 | 3,767,807 | 1,433,360,142 | 458,959 |
미수금 | 120,412,146 | 3,258,939 | 25,377,960 | 4,829,484 |
손실충당금 | (798,235) | (1,430,246) | (1,212,433) | (1,007,046) |
현재가치할인차금 | - |
(422,301) | - | (444,011) |
소 계 | 119,613,911 | 1,406,392 | 24,165,527 | 3,378,427 |
합 계 | 1,741,657,065 | 5,174,199 | 1,457,525,669 | 3,837,386 |
(2) 신용위험 및 손실충당금
1) 당분기 및 전분기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비손상채권 | 손상채권 | 계 |
---|---|---|---|
기초 | 145,314,694 | 17,483,666 | 162,798,360 |
제각 | (55,984) | 244 | (55,740) |
채권의 증가 또는 회수로 인한 증감 | 5,230,995 | (306,147) | 4,924,848 |
환율변동효과 | 11,288,327 | 188,431 | 11,476,758 |
분기말(주1) |
161,778,032 | 17,366,194 | 179,144,226 |
(주1) | 당분기말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실무적 간편법에 따라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하였습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비손상채권 | 손상채권 | 계 |
---|---|---|---|
기초 | 142,992,112 | 21,537,041 | 164,529,153 |
제각 | - | (528) | (528) |
채권의 증가 또는 회수로 인한 증감 | (3,633,950) | 535,757 | (3,098,193) |
환율변동효과 | 5,809,792 | (402,524) | 5,407,268 |
분기말(주1) |
145,167,954 | 21,669,746 | 166,837,700 |
(주1) | 전분기말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실무적 간편법에 따라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하였습니다. |
2) 당분기와 전분기 중 손상과 관련하여 대손상각비 등으로 당기손익에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손상차손 | ||
- 손실충당금의 변동 | 4,924,848 |
(3,098,193) |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과 관련하여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석 32 참조).
9. 기타금융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자산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장단기금융상품 |
218,816,728 | 8,040,985 | 170,025,248 | 6,578,801 |
대여금 | 5,113,258 | 14,806,697 | 3,361,926 | 9,368,973 |
보증금 | 5,833,426 | 162,729,090 | 5,121,579 | 46,190,935 |
미수수익 | 4,350,649 | - |
1,169,202 | - |
파생상품자산 | 19,645,212 | 16,143,874 | 13,106,624 | - |
합 계 | 253,759,273 | 201,720,646 | 192,784,579 | 62,138,709 |
(2) 파생상품
연결실체는 외화매출채권 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 및 통화스왑계약 등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이와 관련된 파생상품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자 산 | 부 채 | 자 산 | 부 채 | |
매매목적 | ||||
통화선도 | 2,255,330 | 11,734,005 | 12,442,245 | 1,643,695 |
통화스왑 | 32,466,033 | 2,198,492 | 512,392 | 65,944,665 |
이자율스왑 | 167,159 | - | - | 2,185,289 |
기타파생상품 | - | 178,397 | - | - |
소 계 | 34,888,522 | 14,110,894 | 12,954,637 | 69,773,649 |
현금흐름위험회피목적 | ||||
통화스왑 |
900,564 | - | 151,987 | 2,287,602 |
이자율스왑 | - | - | - | 1,103,602 |
소 계 | 900,564 |
- | 151,987 | 3,391,204 |
합 계 | 35,789,086 | 14,110,894 | 13,106,624 | 73,164,853 |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과 관련하여 기타금융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2 참조).
10. 기타자산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자산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선급금 | 234,634,270 | 4,260,321 | 315,041,584 | - |
손실충당금 | (116,824,998) | - |
(106,567,785) | - |
선급비용 | 49,694,088 | 3,990,563 | 33,283,560 | 2,676,009 |
배출권 | 952,606 | - | 4,441,305 | - |
환불자산(주1) |
50,657 | - | 54,727 | - |
계약자산 |
5,629,519 | - | 16,736,006 | - |
선급공사원가 | 3,548,971 | - | 2,050,264 | - |
선급부가세 등 | 90,441,514 | 23,590,728 | 62,638,267 | 13,610,034 |
합 계 | 268,126,627 | 31,841,612 | 327,677,928 | 16,286,043 |
(주1) |
기업회계기준 제1115호 적용으로 고객이 반품권을 행사하면 연결실체가 고객으로부터 제품을 회수할권리인 반환재고회수권 관련 환불자산이 포함되어 있습니다(주석 22.(2) 참조). |
11. 재고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
상품 | 320,575,785 | (4,302,229) | 316,273,556 | 171,217,900 | (4,142,304) | 167,075,596 |
제품 | 811,798,473 | (28,482,545) | 783,315,928 | 575,642,899 | (10,807,940) | 564,834,959 |
반제품 | 62,304,630 | (1,878,210) | 60,426,420 | 31,553,172 | (769,758) | 30,783,414 |
재공품 | 218,298,348 | - | 218,298,348 | 267,874,000 | - | 267,874,000 |
원재료 | 320,827,949 | (11,366,685) | 309,461,264 | 214,152,703 | (12,452,509) | 201,700,194 |
저장품 | 75,105,365 | - | 75,105,365 | 82,178,189 | - | 82,178,189 |
미착품 | 212,326,601 | - | 212,326,601 | 117,142,043 | - | 117,142,043 |
합 계 | 2,021,237,151 | (46,029,669) | 1,975,207,482 | 1,459,760,906 | (28,172,511) | 1,431,588,395 |
(2) 당분기 중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인식한 평가손실은 46,030백만원(전분기: 18,965백만원)으로 요약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에 포함되었습니다.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과 관련하여 재고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2참조).
(4) 차입원가의 자본화에 적용한 자본화이자율은 4.57%~5.30%이며, 재고자산으로 자본화된 차입원가는 367백만원입니다.
12.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지분증권 | ||
상장주식 | 2,928,375 | - |
비상장주식 등 | 29,080,411 | 4,778,417 |
채무상품 |
348,266 | - |
소 계 | 32,357,052 | 4,778,41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주1) |
||
지분증권 | ||
상장주식 | 54,955,709 | 37,152,065 |
비상장주식 | 11,419,550 | 11,388,886 |
소 계 | 66,375,259 | 48,540,951 |
합 계 | 98,732,311 | 53,319,368 |
(주1) |
연결실체는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전략적 투자목적으로 보유하는 지분상품에 대해 최초적용일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항목으로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권을 적용하였습니다. |
13. 관계기업등투자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의 현황은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전기말 공시된 내용과 중요한 차이가 없습니다.
기업명 | 소재국 | 결산월 | 업 종 | 지분율 | |
---|---|---|---|---|---|
당분기말 | 전기말 | ||||
관계기업 | |||||
㈜스마일벤처스(주1, 2, 3) |
대한민국 | 12월 | 도소매업 | 17.81% | 21.89% |
㈜에이치투(주1, 2, 3) |
대한민국 | 12월 | ESS 제조 및 판매 | 15.11% | 19.71% |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주4) | 대한민국 | 12월 | 펀드 | 22.49% |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주5) |
대한민국 | 12월 | 석유화학계 기초화학물질 제조업 |
47.93% | 36.05% |
한화투자증권㈜(주6) | 대한민국 | 12월 | 증권중개업 | 0.11% | 17.56%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1) |
대한민국 | 12월 | 음식숙박업 | 47.96% | 48.78% |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주4, 7) |
미 국 | 12월 | 태양광개발 | 67.20% | - |
Simply Foods Inc.(주2, 8) |
미 국 | 12월 | 배양육사업 | 15.59% | - |
Lancium Technologies Corporation(주2, 8) |
캐나다 | 12월 | 전력 소프트웨어 개발 | 12.74% | - |
공동기업 | |||||
㈜울산복합도시개발(주4) |
대한민국 | 12월 | 도시개발 사업 및 분양사업 | 45.00% | - |
Q&G PV Solutions GmbH(주4) | 독 일 | 12월 | 태양광개발 | 50.00% | - |
(주1) | 당분기 중 불균등 유상증자에 의하여 연결실체의 지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
(주2) |
연결실체가 이사회 선임 권한 등을 보유하고 있어 유의적인 영향력을 보유하고 있다고 판단, 관계기업등투자자산으로분류하였습니다. |
(주3) | 의결권부 우선주를 고려한 유효지분율을 표시하였습니다. |
(주4) | 당분기 중 신규 설립하였습니다. |
(주5) | 당분기 중 잔여지분을 추가 인수하였습니다. |
(주6) | 당분기 중 전체 보통주를 매각함으로써 유의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없다고 판단, 관계기업등투자자산에서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재분류하였습니다. |
(주7) | 파트너쉽 계약상 연결실체가 다른 주주와 공동으로 경영상 주요 의사 결정을 행사하므로 종속회사가 아닌 관계기업등투자자산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주8) | 당분기 중 신규 취득하였습니다.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관계기업등투자자산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 분 기 | 전 분 기 |
---|---|---|
기초 | 2,685,163,548 | 2,720,816,814 |
취득 | 839,733,266 | 8,921,084 |
처분 | (261,836,236) | (21,167,451) |
지분법손익 | 284,183,238 | 127,067,172 |
지분법자본변동 | 155,334,026 | (23,369,291) |
배당금수취 | (192,672,152) | (174,365,495) |
기타(주1) | (30,736,879) | (4,730,502) |
분기말 | 3,479,168,811 | 2,633,172,331 |
(주1) |
관계기업에 대한 지분율 변동, 환율변동효과 등으로 인한 변동입니다. |
14. 투자부동산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투자부동산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구축물 | 합 계 |
---|---|---|---|---|
기초 | 85,286,851 | 56,018,841 | 881,128 | 142,186,820 |
취득 | - |
11,345,114 | - | 11,345,114 |
대체 | 105,870,636 | - | - | 105,870,636 |
감가상각 | - |
(1,541,721) | (66,985) | (1,608,706) |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 |
(7,377,750) | - | - | (7,377,750) |
환율변동효과 | 616,580 | 912,462 | 50,150 | 1,579,192 |
분기말 | 184,396,317 | 66,734,696 | 864,293 | 251,995,306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구축물 | 합 계 |
---|---|---|---|---|
기초 | 92,687,823 | 63,038,212 | 2,317,001 | 158,043,036 |
취득 | - | 3,531 | - | 3,531 |
대체 | 522,008 | 30,243 | - | 552,251 |
처분 | (7,224,429) | (4,664,648) | (1,202,264) | (13,091,341) |
감가상각 | - | (1,658,844) | (174,956) | (1,833,800) |
환율변동효과 | 99,900 | 89,654 | 10,383 | 199,937 |
분기말 | 86,085,302 | 56,838,148 | 950,164 | 143,873,614 |
(2) 당분기말 현재 투자부동산 공정가치와 장부금액과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15. 유형자산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기구비품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계 | 합 계 |
---|---|---|---|---|---|---|---|---|---|---|
기초 | 1,691,586,372 | 1,197,957,940 | 240,179,560 | 2,692,911,799 | 7,961,285 | 92,639,846 | 248,880 | 492,410,874 | 588,862 | 6,416,485,418 |
연결범위변동 | 1,963,586 | 1,871,571 | 457,718 | 760,478 | 23,133 | 278,056 | - | 135,702 | - | 5,490,244 |
취득 | 82,519 | 31,263,348 | 52,100 | 13,234,286 | 130,175 | 3,965,529 | - | 523,309,585 | 3,555,140 | 575,592,682 |
대체 | (104,973,071) | 97,618,975 | 62,621,061 | 350,233,116 | (205,615) | 38,480,468 | 89,742 | (562,957,206) | (3,347,012) | (122,439,542) |
처분 | (587,685) | (4,414,582) | (176,306) | (3,023,399) | (30,323) | (1,134,008) | - | - | - | (9,366,303) |
감가상각 | - | (56,692,348) | (13,999,165) | (322,583,327) | (2,963,797) | (26,189,461) | (61,350) | - | - | (422,489,448) |
손상차손 |
- | - | - | (274,779) | - | - | - | - | - | (274,779) |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 | - | (28,570,152) | - | - | - | - | - | (13,794,089) | - | (42,364,241) |
환율변동효과 | 482,051 | 23,193,403 | 1,941,877 | 74,462,972 | 76,192 | 2,332,211 | 15,722 | 13,365,957 | 301 | 115,870,686 |
분기말 | 1,588,553,772 | 1,262,228,155 | 291,076,845 | 2,805,721,146 | 4,991,050 | 110,372,641 | 292,994 | 452,470,823 | 797,291 | 6,516,504,717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기구비품 | 기타유형자산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계 | 합 계 |
---|---|---|---|---|---|---|---|---|---|---|
기초 | 1,738,543,777 | 1,123,997,525 | 222,099,714 | 2,534,971,019 | 10,784,697 | 87,066,456 | 18,364,905 | 857,910,346 | 294,549 | 6,594,032,988 |
연결범위변동 | - | - | - | (3,193,915) | - | (630) | (18,568,398) | - | - | (21,762,943) |
취득 | - | 80,678,904 | 416,378 | 13,355,325 | 264,043 | 7,767,768 | - | 519,205,765 | 6,669,378 | 628,357,561 |
대체 | 31,024,276 | 291,761,584 | 36,016,793 | 476,562,906 | 209,904 | 27,847,118 | 586,832 | (867,342,306) | (6,051,832) | (9,384,725) |
처분 | (10,294,799) | (870,231) | - | (3,968,996) | (84,380) | (640,397) | (125,874) | (33,198) | - | (16,017,875) |
감가상각 | - | (51,571,967) | (12,841,485) | (289,792,851) | (2,927,418) | (24,649,454) | (243,312) | - | - | (382,026,487) |
손상차손 |
(3,786,519) | (332,870) | (441,759) | (3,172,461) | - | 11,136 | - | - | - | (7,722,473) |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 | (84,051,807) | (252,128,667) | (2,854,586) | - | - | - | (494,002) | - | - | (339,529,062) |
환율변동효과 | (86,674) | 4,578,535 | 409,584 | 16,945,561 | 29,684 | 88,799 | 669,845 | 4,598,291 | - | 27,233,625 |
분기말 | 1,671,348,254 | 1,196,112,813 | 242,804,639 | 2,741,706,588 | 8,276,530 | 97,490,796 | 189,996 | 514,338,898 | 912,095 | 6,473,180,609 |
(2) 차입원가의 자본화에 적용한 자본화이자율은 1.86%~2.03% (전분기: 2.40%~3.27%)이며, 유형자산으로 자본화된 차입원가는 4,489백만원 (전분기: 5,971백만원)입니다.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과 관련하여 토지, 건물, 구축물, 기계장치 등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2 참조).
16. 무형자산
(1) 당분기 및 전분기 무형자산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영업권(주1) | 산업재산권 | 개발비 | 회원권 | 탐사권/개발권 | 배출권 | 기타무형자산 | 합 계 |
---|---|---|---|---|---|---|---|---|
기초 | 293,079,750 | 13,065,614 | 33,191,948 | 36,409,915 | - | - | 38,103,642 | 413,850,869 |
연결범위변동 | 55,640,124 | 4,601 | 5,811,656 | - | - | - | 77,012,045 | 138,468,426 |
취득 | - | 967,246 | - | - | 104,875 | 214,233 | 352,419 | 1,638,773 |
대체 | - | 661,670 | - | 319,648 | - | 4,262,246 | 12,113,901 | 17,357,465 |
처분 | - | (357) | - | (303,595) | - | (147,529) | (265,321) | (716,802) |
상각 | - | (1,422,660) | (9,922,799) | (135,316) | - | - | (11,135,040) | (22,615,815) |
환율변동효과 | 16,661,047 | 333,274 | 249,817 | 7,615 | 1,634 | - | 1,016,969 | 18,270,356 |
분기말 | 365,380,921 | 13,609,388 | 29,330,622 | 36,298,267 | 106,509 | 4,328,950 | 117,198,615 | 566,253,272 |
(주1) |
당분기말 현재 영업권의 취득원가와 손상차손누계액은 각각 415,301백만원(전기말: 341,563백만원)과 49,920백만원 (전기말: 48,483백만원)입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영업권 | 산업재산권 | 개발비 | 회원권 | 기타무형자산 | 합 계 |
---|---|---|---|---|---|---|
기초 | 273,116,784 | 12,748,493 | 46,569,603 | 45,013,026 | 43,722,581 | 421,170,487 |
연결범위변동 | (1,909,531) | - | - | - | - | (1,909,531) |
취득 | - | 914,691 | - | 1,240,678 | 4,547,134 | 6,702,503 |
대체 | - | 647,624 | - | 1,711,850 | 10,864,074 | 13,223,548 |
처분 | - | - | - | (9,822,243) | (4,097,129) | (13,919,372) |
상각 | - | (1,246,561) | (10,035,787) | (71,029) | (11,499,140) | (22,852,517) |
손상차손 |
- | (185,470) | - | - | 674,614 | 489,144 |
환율변동효과 | 9,737,057 | 580,332 | 14,395 | (505) | 398,698 | 10,729,977 |
기타(주1) |
(16,112,557) | - | - | - | - | (16,112,557) |
분기말 | 264,831,753 | 13,459,109 | 36,548,211 | 38,071,777 | 44,610,832 | 397,521,682 |
(주1) | 연결실체는 전분기 중 전전기 편입 사업부의 후속측정을 통해 영업권을 조정하였습니다. |
(2) 온실가스 배출권
연결실체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권 및 배출부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 온실가스 배출권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에서 무상으로 할당받은 배출권과 배출절감활동으로 발생한 잉여 배출권으로 구성됩니다. 무상할당 배출권은 영(0)으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잉여배출권은 할당량 대비 배출량이 적은 경우 그 차이분을 배출권 자산으로 인식합니다.
연결실체는 관련 제도에서 규정한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보유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을 무형자산으로 분류하여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보고기간 말부터 1년 이내에 정부에 제출할 부분은 유동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에 제출ㆍ매각하거나, 제출ㆍ매각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더 이상 미래경제적 효익이 예상되지 않을 때 제거합니다.
2) 배출부채
배출부채는 정부에 배출권을 제출해야 하는 현재의무로서, 보유한 배출권의 장부금액과 초과 배출량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는 데 소요될 예상지출을 합산하여 측정합니다. 배출부채는 배출권을 정부에 제출할 때 제거합니다.
3) 3차 계획기간(2021년~2025년)에 대한 무상할당 배출권 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톤(tCO2-eq)) |
구 분 |
2021년도분 |
2022년도분 |
2023년도분 |
2024년도분 |
2025년도분 |
합계 |
무상할당 배출권 |
2,584,299 | 2,584,299 | 2,584,299 | 2,560,095 | 2,560,095 |
12,873,087 |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배출권 증감내용 및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배출권
(단위: 톤(tCO2-eq),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기초 |
198,329 | 4,441,305 | 4,381 | 99,548 |
증가 |
146,676 | 4,476,479 | 417,299 | 9,261,982 |
감소(주1) |
(147,558) | (3,636,228) | (133,000) | (3,710,700) |
기말(주2) |
197,447 | 5,281,556 | 288,680 | 5,650,830 |
(주1) |
당분기 중 배출권거래제 제 2기분 잉여 무상할당배출권 55천톤을 탄소배출권 시장에 판매하였습니다.(전분기 133천톤 판매). |
(주2) | 당분기말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탄소배출권 952,606천원을 포함한 금액이며, 전분기말에는 전액 유동자산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 배출부채
(단위: 톤(tCO2-eq),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기초 |
- | - | 42,665 | 1,710,883 |
증가 |
154,677 | 2,444,139 | - | - |
감소 |
(154,677) | (2,444,139) | (42,665) | (1,710,883) |
기말 |
- | - | - | - |
(3)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과 관련하여 무형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2참조).
17. 리스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사용권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기구비품 | 기타 | 합 계 |
---|---|---|---|---|---|---|---|---|
기초 | 39,580,726 | 231,155,649 | 8,768,990 | 20,367,304 | 5,729,931 | 105,456 | 4,006,322 | 309,714,378 |
연결범위변동 | 9,404 | - | - | - | - | - | - | 9,404 |
증가 | 391,995 | 227,654,695 | 185,300 | - | 5,399,515 | 54,221 | 293,168 | 233,978,894 |
감소 | (16,557) | (75,600,075) | 61,213 | - | (717,049) | (867) | (73,879) | (76,347,214) |
감가상각 |
(981,705) | (27,707,680) | (2,098,889) | (2,538,639) | (3,529,925) | (38,037) | (2,083,496) | (38,978,371) |
손상차손환입 | - |
9,313,123 | - | - | - | - | - | 9,313,123 |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 | (10,832,348) | - | - | - | - | - | - | (10,832,348) |
환율변동효과 | 2,508,177 | 600,499 | 3,783 | 1,692,965 | (193,839) | 10,122 | (29,595) | 4,592,112 |
분기말 | 30,659,692 | 365,416,211 | 6,920,397 | 19,521,630 | 6,688,633 | 130,895 | 2,112,520 | 431,449,978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구기구비품 | 기타 | 합 계 |
---|---|---|---|---|---|---|---|---|
기초 | 39,476,091 | 160,069,040 | 11,271,366 | 25,258,654 | 5,214,001 | 153,353 | 5,547,283 | 246,989,788 |
증가 | 410,227 | 196,607,487 | 642,765 | - | 2,863,114 | 13,914 | 271,421 | 200,808,928 |
감소 | (10,871) | (87,588,122) | (637,840) | - | (666,998) | (14,588) | - | (88,918,419) |
감가상각 |
(1,117,531) | (22,853,511) | (2,436,018) | (2,700,280) | (3,090,080) | (31,407) | (1,734,803) | (33,963,630) |
환율변동효과 | 1,271,243 | 266,235 | 2,207 | 403,288 | 28,808 | 2,802 | (14,196) | 1,960,387 |
분기말 | 40,029,159 | 246,501,129 | 8,842,480 | 22,961,662 | 4,348,845 | 124,074 | 4,069,705 | 326,877,054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 감가상각비 |
38,978,371 | 33,963,630 |
리스부채 이자비용 |
17,475,938 | 11,783,935 |
단기리스 관련 비용 |
926,098 | 873,322 |
소액자산리스 관련 비용 |
1,449,433 | 1,452,711 |
리스부채 측정치에 포함되지 않은 변동리스료 관련 비용 | 7,057,866 | 7,068,724 |
사용권자산의 전대리스에서 생기는 수익 | 1,231,192 | 223,602 |
당분기 중 리스로 인한 총 현금유출 금액은 72,843백만원(전분기: 55,233백만원)입니다.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기 간 | 당분기말 | 전기말 |
---|---|---|
1년 이내 | 83,299,920 | 59,377,255 |
1년 초과 5년 이내 | 273,203,905 | 196,638,642 |
5년 초과 | 408,776,547 | 190,655,987 |
소 계 |
765,280,372 | 446,671,884 |
차감: 현재가치 조정금액 |
(197,173,905) | (90,841,695) |
리스부채의 현재가치 | 568,106,467 |
355,830,189 |
(4)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유동부채 |
78,827,259 | 55,258,979 |
비유동부채 |
489,279,208 | 300,571,210 |
합 계 |
568,106,467 | 355,830,189 |
18. 매각예정자산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매각예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투자부동산 | 7,377,750 | - | |
유형자산 | 토지 | - | 80,661,667 |
건물 | 29,912,426 | 251,583,357 | |
건설중인자산 | 14,442,158 | - | |
사용권자산 | 11,341,270 | - | |
기타 | - | 3,265,110 | |
합 계 | 63,073,604 | 335,510,134 |
19.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매입채무 | 1,260,189,410 | - |
1,202,096,499 | - |
미지급금 |
695,457,562 | 178,211,793 | 354,295,281 | 14,511 |
합 계 | 1,955,646,972 | 178,211,793 | 1,556,391,780 | 14,511 |
20. 차입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차입금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금융기관차입금 | 1,914,789,696 | 1,338,700,497 | 2,576,101,716 | 1,164,824,115 |
사 채 |
462,296,867 | 1,599,044,723 | 395,823,788 | 1,551,823,907 |
합 계 | 2,377,086,563 | 2,937,745,220 | 2,971,925,504 | 2,716,648,022 |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기관차입금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차입처 | 당분기말 | 전기말 |
---|---|---|---|
원화차입금 | 한국산업은행 외 | 1,699,610,833 | 1,832,311,770 |
외화차입금 | 한국수출입은행 외 | 1,539,145,414 | 1,895,935,189 |
당좌차월 | 신한은행 외 | 2,900,000 | - |
매출채권담보대출(주1) | 우리은행 외 | 11,833,946 | 12,678,872 |
소 계 | 3,253,490,193 | 3,740,925,831 | |
차 감: 유동항목 |
(1,914,789,696) | (2,576,101,716) | |
합 계 | 1,338,700,497 | 1,164,824,115 |
(주1) |
연결실체는 은행과의 매출채권 팩토링 계약을 통해 매출채권을 할인하고 이를 담보부 차입으로 회계처리하였습니다. 대출약정 상 매출거래처의 부도가 발생하는 경우,연결실체가 해당금액을 지급할 의무가 있습니다 (주석 7 참조). |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사채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발행회사 | 구 분 | 만기일 | 이자율(%) | 당분기말 | 전기말 |
---|---|---|---|---|---|
㈜한화갤러리아 | 68회 사모사채 | - | - | - | 30,000,000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23회 신주인수권부사채 |
- | - | - | 50,000,000 |
한화솔루션㈜ | 246-2회 공모사채 | - | - | - | 50,000,000 |
한화솔루션㈜ | 252회 FRN | - | - | - | 32,640,000 |
한화솔루션㈜ | 253회 FRN | 2021.10.04 | 3ML+1.15 | 59,245,000 | 54,400,000 |
한화솔루션㈜ | 254-1회 공모사채 | 2021.11.29 | 2.31 | 60,000,000 | 60,000,000 |
한화솔루션㈜ | 254-2회 공모사채 | 2023.11.29 | 2.50 | 90,000,000 | 90,000,000 |
한화솔루션㈜ | 255회 공모사채 | 2024.01.31 | 2.31 | 150,000,000 | 150,000,000 |
한화솔루션㈜ | 256회 FRN | 2022.04.04 | 3ML+1.15 | 236,980,000 | 217,600,000 |
한화솔루션㈜ | 257회 FRN | 2022.10.11 | 3ML+0.95 | 59,245,000 | 54,400,000 |
한화솔루션㈜ | 258회 FRN | 2022.10.11 | 3ML+0.95 | 59,245,000 | 54,400,000 |
한화솔루션㈜ | 259회 FRN | 2022.10.11 | 3ML+1.00 | 59,245,000 | 54,400,000 |
한화솔루션㈜ | 260-1회 공모사채 | 2022.10.24 | 1.79 | 110,000,000 | 110,000,000 |
한화솔루션㈜ | 260-2회 공모사채 | 2024.10.24 | 1.98 | 80,000,000 | 80,000,000 |
한화솔루션㈜ | 260-3회 공모사채 | 2026.10.24 | 2.28 | 60,000,000 | 60,000,000 |
한화솔루션㈜ |
267회 FRN | - | - | - | 32,640,000 |
한화솔루션㈜ |
268회 FRN | - | - | - | 32,640,000 |
한화솔루션㈜ | 269-1회 공모사채 | 2023.01.20 | 1.83 | 140,000,000 | 140,000,000 |
한화솔루션㈜ | 269-2회 공모사채 | 2025.01.22 | 2.04 | 140,000,000 | 140,000,000 |
한화솔루션㈜ | 270회 공모사채 | 2023.04.21 | 2.38 | 210,000,000 | 210,000,000 |
한화솔루션㈜ | 271회 사모사채 | 2023.06.30 | 2.63 | 40,000,000 | 40,000,000 |
한화솔루션㈜(구, ㈜한화갤러리아)(주1) |
272회 사모사채 |
- | - | - |
32,640,000 |
한화솔루션㈜(구, ㈜한화갤러리아)(주1) |
273회 사모사채 |
2022.07.19 | 3ML+0.95 | 35,547,000 | 32,640,000 |
한화솔루션㈜ | 그린본드 | 2024.04.19 | 3.00 | 183,030,000 | - |
한화솔루션㈜ | 275-1회(녹) 공모사채 |
2024.06.17 | 1.70 | 70,000,000 | - |
한화솔루션㈜ | 275-2회(녹) 공모사채 |
2026.06.17 | 2.06 | 30,000,000 | - |
Hanwha Q CELLS Co., Ltd. |
FRN | 2022.01.10 | 3ML+1.65 | 47,414,779 | 43,454,622 |
Hanwha Q CELLS Co., Ltd. |
FRN | 2021.10.08 | 3ML+1.50 | 23,661,411 |
21,718,625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1회 사모사채 | 2023.06.16 | 1.70 | 79,990,739 | 80,001,485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1회 공모사채 | 2024.08.30 | 3.05 | 42,132,770 | - |
소 계 | 2,065,736,699 |
1,953,574,732 | |||
가 산: 사채상환할증금 | - | 755,150 |
|||
차 감: 사채할인발행차금 | (4,395,109) |
(6,682,187) | |||
차 감: 유동성대체 | (462,296,867) | (395,823,788) | |||
합 계 | 1,599,044,723 | 1,551,823,907 |
(주1) |
전기말 ㈜한화갤러리아의 사채 내역이며, 당분기 중 한화솔루션㈜가 인수하였습니다. |
21. 기타금융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부채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파생상품부채(주1) |
12,161,080 | 1,949,814 | 18,728,931 | 54,435,922 |
리스부채 | 78,827,259 | 489,279,208 | 55,258,979 | 300,571,210 |
보증금 | 10,966,097 | 1,750,106 | 13,714,446 | 1,624,377 |
미지급비용 | 115,431,261 | 30,690,792 | 134,307,485 | 23,360,662 |
금융보증부채(주2) |
18,326 | - |
147,668 | - |
합 계 | 217,404,023 | 523,669,920 | 222,157,509 | 379,992,171 |
(주1) |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주석 9.(2) 참조). |
(주2) |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특수관계자에게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3 참조). |
22. 기타부채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부채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예수금 | 12,251,860 | - | 11,618,007 | - |
예수부가세 | 30,605,564 | - | 23,889,955 | - |
환불부채 | 1,021,578 | - | 766,998 | - |
계약부채 |
247,874,704 | 6,208,165 | 266,301,080 | 6,381,505 |
합 계 | 291,753,706 | 6,208,165 | 302,576,040 | 6,381,505 |
(2)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등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과 관련하여 인식하고 있는 계약자산과 계약부채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환불자산 | ||
반환재고회수권 | 50,657 | 54,727 |
합 계 | 50,657 | 54,727 |
환불부채 | ||
환불부채 |
1,021,578 | 766,998 |
합 계 | 1,021,578 | 766,998 |
계약자산 | ||
미청구공사 | 5,629,519 | 16,736,006 |
합 계 | 5,629,519 | 16,736,006 |
계약원가 | ||
선급공사원가 | 3,548,971 | 2,050,264 |
합 계 | 3,548,971 | 2,050,264 |
계약부채 | ||
고객충성제도 | 22,852,217 | 21,657,888 |
초과청구공사 |
16,785,889 | 23,725,692 |
선수금 | 201,272,597 | 208,489,179 |
선수수익 | 13,172,166 | 18,809,826 |
합 계 | 254,082,869 | 272,682,585 |
2) 당분기 중 태양광발전소 건설 관련 계약의 추정총계약수익 및 원가가 변동되었고,이에 따라 당분기와 미래기간의 손익,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추정총계약 수익의 변동 |
추정총계약 원가의 변동 |
당기손익에 미치는 영향 |
미래손익에 미치는 영향 |
계약자산 변동 | 계약부채 변동 |
---|---|---|---|---|---|---|
태양광발전소 건설 | 25,212 | (1,130,513) | 1,154,087 | 1,639 | 1,163,849 | (9,762) |
23. 순확정급여부채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산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615,324,508 | 583,397,134 |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135,313,431) | (136,831,995) |
순확정급여부채 | 480,011,077 | 446,565,139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근무원가 | 42,336,227 | 41,365,753 |
순이자원가 | 9,817,758 | 9,001,663 |
합 계 | 52,153,985 | 50,367,416 |
(3) 당분기 중 퇴직급여 442백만원 (전분기: 500백만원)이 유형자산의 건설중인자산으로 계상되었습니다.
24. 충당부채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충당부채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하자보수 충당부채 |
복구충당부채 | 소송충당부채 | 판매보증 충당부채 |
기타충당부채 | 합 계 |
---|---|---|---|---|---|---|
기초 | 1,523,610 | 2,108,400 | 2,444,000 | 136,229,845 | 15,611,046 | 157,916,901 |
설정 | 308,930 | - | - | 14,954,588 | 34,516 | 15,298,034 |
사용 | (31,026) | - | - | (4,278,741) | (8,018,000) | (12,327,767) |
환입 | (330,428) | - | - | (346,727) | (2,245,710) | (2,922,865) |
환율변동효과 등 | 14,896 | - | - | 4,294,571 | 418,776 | 4,728,243 |
분기말 | 1,485,982 | 2,108,400 | 2,444,000 | 150,853,536 | 5,800,628 | 162,692,546 |
유동성 | - | - | 2,444,000 | 38,659,154 | 3,451,385 | 44,554,539 |
비유동성 | 1,485,982 | 2,108,400 | - | 112,194,382 | 2,349,243 | 118,138,007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하자보수 충당부채 |
복구충당부채 | 소송충당부채 | 판매보증 충당부채 |
배출부채(주1) | 기타충당부채 | 합 계 |
---|---|---|---|---|---|---|---|
기초 | 1,491,543 | 2,019,841 |
- | 124,033,307 | 1,710,883 |
22,274,270 |
151,529,844 |
연결범위변동 | - | (994,165) | - | - | - | - | (994,165) |
설정 | 113,168 | - | 2,444,000 | 12,678,799 | (10,972,865) | 1,518,181 | 5,781,283 |
사용 | (56,823) | - | - | (4,618,327) | - | - | (4,675,150) |
환입 | (114,134) | - | - | - | - | (6,360,351) | (6,474,485) |
대체 | - | - | - | - | 9,261,982 | - | 9,261,982 |
환율변동효과 등 | 4,026 | 35,377 | - | 4,211,514 | - | - | 4,250,917 |
분기말 | 1,437,780 | 1,061,053 | 2,444,000 | 136,305,293 | - | 17,432,100 | 158,680,226 |
유동성 | - | - | 2,444,000 | 37,727,777 | - | 17,432,100 | 57,603,877 |
비유동성 | 1,437,780 | 1,061,053 | - | 98,577,516 | - | - | 101,076,349 |
25. 판매비와관리비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급여 | 78,645,327 | 231,427,304 | 81,224,658 | 227,133,535 |
퇴직급여 | 6,144,474 | 21,075,966 | 6,268,529 | 19,456,744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324,241 | 934,482 | 307,074 | 930,976 |
명예퇴직급여 | 7,271 | 80,069 | 315,632 | 437,958 |
복리후생비 | 13,897,408 | 43,193,630 | 15,615,347 | 49,331,158 |
임차료 | 3,070,656 | 11,643,631 | 2,796,379 | 10,343,158 |
리스료 | 1,792,518 | 5,600,510 | 1,798,231 | 5,613,246 |
접대비 | 2,139,313 | 5,427,168 | 2,051,232 | 5,585,175 |
투자부동산감가상각비 | 368,756 | 1,106,267 | 393,517 | 1,232,843 |
유형자산감가상각비 |
19,997,543 | 56,710,939 | 18,537,703 | 52,020,767 |
무형자산상각비 | 2,722,396 | 7,457,881 | 2,701,177 | 7,093,854 |
사용권자산상각비 | 11,503,138 | 32,255,322 | 9,216,643 | 27,247,073 |
세금과공과 | 1,429,018 | 40,220,096 | (4,225,433) | 23,826,701 |
광고선전비 | 9,728,318 | 31,125,232 | 9,017,877 | 29,046,200 |
대손상각비(환입) |
1,866,170 | 4,933,439 | 135,929 | (2,965,982) |
여비교통비 | 2,292,206 | 5,463,269 | 1,344,978 | 5,457,964 |
해외지사출장비 |
43,177 | 113,179 | 11,449 | 82,153 |
회의비 | 420,727 | 1,234,647 | 415,090 | 1,256,316 |
통신비 | 1,276,354 | 3,892,297 | 1,301,125 | 3,909,448 |
소모품비 | 1,316,923 | 3,893,650 | 1,351,123 | 5,502,498 |
도서인쇄비 | 342,065 | 1,122,284 | 177,135 | 996,613 |
외주용역비 | 21,563,581 | 57,115,040 | 20,545,654 | 50,328,545 |
운반비 | 50,118,024 | 149,460,864 | 40,029,544 | 107,863,895 |
보관비 | 11,371,221 | 31,812,540 | 12,464,909 | 36,037,808 |
견본포장비 | 1,708,001 | 4,962,950 | 1,980,141 | 5,754,432 |
수도광열비 | 5,270,345 | 12,897,467 | 5,279,273 | 11,961,927 |
판매수수료 | 4,926,009 | 14,210,349 | 1,454,429 | 8,990,546 |
수출비 | 17,581,033 | 46,333,361 | 17,830,388 | 45,827,868 |
수선비 | 2,666,081 | 7,621,346 | 2,205,218 | 7,160,451 |
보험료 | 4,087,283 | 12,584,328 | 3,942,973 | 11,252,927 |
지급수수료 | 30,834,220 | 98,968,273 | 33,924,285 | 89,354,445 |
연구비 | 11,807,353 | 34,975,312 | 14,290,107 | 40,810,899 |
경상개발비 | 9,419,042 | 29,243,971 | 7,761,256 | 23,830,506 |
시장개척비 | 559,887 | 1,868,965 | 574,218 | 2,352,190 |
판매보증비 | 5,647,727 | 15,524,651 | 4,359,310 | 13,113,260 |
교육훈련비 | 1,400,303 | 3,469,662 | 643,786 | 2,630,346 |
제품취급수수료 | 161,480 | 564,627 | 167,367 | 518,490 |
기타 | (89,180) | 2,323,757 | 1,589,106 | 6,296,841 |
합 계 | 338,360,409 | 1,032,848,725 | 319,797,359 | 937,623,774 |
26.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비용을 성격별로 분류한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제품, 반제품 및 재공품의 변동 | (149,927,471) | (198,548,324) | 9,485,990 | (192,489,802) |
상품판매 | 189,979,507 | 532,866,326 | 218,759,078 | 528,798,257 |
원재료와 소모품의 사용액 | 1,339,653,436 | 4,226,033,033 | 1,222,039,886 | 3,622,277,847 |
종업원급여(주1) |
212,636,424 | 655,487,929 | 238,361,984 | 643,655,643 |
복리후생비 | 33,257,569 | 106,589,057 | 40,459,163 | 113,460,583 |
임차료 | 6,817,177 | 17,998,636 | 6,031,511 | 19,144,841 |
리스료 | 2,007,819 | 9,433,396 | 3,005,297 | 9,448,141 |
투자부동산감가상각비 | 538,966 | 1,608,706 | 592,897 | 1,833,800 |
유형자산감가상각비 |
134,528,050 | 422,489,448 | 135,970,800 | 382,026,487 |
무형자산상각비 | 7,798,214 | 22,615,815 | 7,601,803 | 22,852,517 |
사용권자산상각비 |
13,763,601 | 38,978,371 | 11,814,246 | 33,963,630 |
운송보관비 | 66,116,713 | 190,827,231 | 51,668,216 | 146,085,365 |
수도광열비 | 24,934,591 | 88,353,329 | 45,056,780 | 114,529,586 |
외주용역비 | 260,117,821 | 484,607,756 | 120,466,959 | 330,650,996 |
수출비 | 17,869,554 | 46,409,996 | 17,877,372 | 46,295,365 |
세금과공과 | 10,251,435 | 53,889,950 | 75,661 | 32,119,417 |
기타비용 | 231,620,695 | 408,407,396 | 66,007,048 | 249,759,392 |
합 계(주2) |
2,401,964,101 | 7,108,048,051 | 2,195,274,691 | 6,104,412,065 |
(주1) |
종업원급여는 급여와 퇴직급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연결포괄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한 금액입니다. |
27.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수익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외환차익 | 37,800,797 | 93,922,698 | 33,920,071 | 134,092,252 |
외화환산이익 | 28,916,896 | 52,782,066 | 28,159,876 | 99,679,071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처분이익 |
47,992,837 | 48,479,186 | 903,980 | 2,461,098 |
파생상품평가이익 | 48,018,319 | 103,159,883 | (7,681,071) | 15,339,104 |
파생상품거래이익 | 4,773,204 | 9,101,339 | 6,437,815 | 16,482,943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이익 |
(898,664) | (503,290) | - | 12,29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이익 |
53,468 | 53,468 | - | 61,832 |
투자부동산처분이익 | - | - | - | 65,705 |
유형자산처분이익 | 11,197,613 | 23,247,904 | 2,585,012 | 4,492,608 |
무형자산처분이익 | - | - | 408,119 | 1,129,457 |
무형자산손상차손환입 |
- | - | 9,899 | 674,614 |
사용권자산손상차손환입 | 9,313,123 | 9,313,123 | - | - |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 - | 206,211,666 | (124,992) | 55,026,716 |
손실충당금환입 | 307 | 14,170 | - | - |
기타손실충당금환입 | (22,246) | - | - | - |
임대료수입 | 67,357 | 177,820 | 42,096 | 129,032 |
기타 | 4,824,641 | 21,582,513 | 8,585,615 | 21,071,028 |
합 계 | 192,037,652 | 567,542,546 | 73,246,420 | 350,717,758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비용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외환차손 | 26,271,090 | 75,276,625 | 25,909,697 | 119,636,432 |
외화환산손실 | 74,592,293 | 142,644,405 | 20,151,677 | 123,694,081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처분손실 |
47,866,426 | 48,005,426 | 20,867,224 | 21,065,071 |
파생상품평가손실 | 10,112,454 | 11,780,408 | 8,593,825 | 18,917,437 |
파생상품거래손실 | 7,862,893 | 30,806,510 | 6,371,797 | 19,271,97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평가손실 |
- |
15,225 | (60,032) | 539,963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손실 |
- |
57,646 | - | - |
매출채권처분손실 |
123,092 | 344,850 | 139,537 | 461,616 |
투자부동산처분손실 | - | - | - | 37,671 |
유형자산처분손실 | 3,372,481 | 7,335,646 | 1,341,306 | 2,421,673 |
유형자산손상차손 | - | 274,779 | 83,656 | 3,767,917 |
무형자산처분손실 | 357 | 3,659 | 110,029 | 208,189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 | 5,320 | 5,320 |
기타대손상각비 | (16,621) | 5,578 | (110,786) | 5,498,770 |
재고자산폐기손실 | 97,888 | 487,293 | 423,983 | 590,210 |
지급수수료 |
1,630,116 | 6,253,922 | 1,345,677 | 3,156,781 |
기부금 | 1,466,312 | 3,623,281 | 2,014,609 | 4,278,402 |
매각예정자산손상차손 | - | - | 653,187 | 653,187 |
기타 | 3,294,503 | 6,845,539 | 767,131 | 5,894,872 |
합 계 | 176,673,284 | 333,760,792 | 88,607,837 | 330,099,564 |
28. 금융수익과 금융비용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수익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금융수익 | ||||
이자수익 | 4,446,576 | 14,489,534 | 4,413,723 | 15,853,094 |
배당금수익 | 15,649 | 1,116,346 | - | 879,802 |
합 계 | 4,462,225 | 15,605,880 | 4,413,723 | 16,732,896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비용의 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금융비용 | ||||
이자비용 | 36,709,812 | 112,201,080 | 50,105,372 | 165,490,300 |
29.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및 당기손익 이외로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수익)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당분기 법인세비용의 평균유효세율은 25.48%(전분기: 17.32%)입니다.
30. 주당손익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보통주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의 계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계속영업분기순손익 |
193,441,703 | 801,391,309 | 208,251,664 | 434,558,988 |
지배주주지분 계속영업분기순손익 |
193,750,456 | 803,136,669 | 209,136,635 | 436,977,070 |
계속영업순손익 중 지배기업 보통주 해당분 |
192,633,451 | 798,193,266 | 207,661,737 | 433,889,017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90,579,274주 |
183,005,754주 | 159,464,497주 |
160,075,873주 |
계속영업 기본보통주당이익 |
1,011원 | 4,362원 | 1,300원 | 2,711원 |
(2) 전분기 중 보통주 중단영업기본주당손실의 계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분기 | |
---|---|---|
3개월 | 누 적 | |
중단영업분기순손익 |
(18,575,309) | (33,554,778) |
지배주주지분 중단영업분기순손익 |
(18,575,309) | (33,554,778) |
중단영업순손익 중 지배기업 보통주 해당분 |
(18,445,619) | (33,320,865)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59,464,497주 | 160,075,873주 |
중단영업 기본보통주당손실 |
(-)115원 | (-)208원 |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우선주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의 계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주1) | 전분기(주1) | ||
---|---|---|---|---|
3개월 | 누 적 | 3개월 | 누 적 | |
계속영업분기순손익 |
193,441,703 | 801,391,309 | 208,251,664 | 434,558,988 |
지배주주지분 계속영업분기순손익 |
193,750,456 | 803,136,669 | 209,136,635 | 436,977,070 |
계속영업순손익 중 지배기업 우선주 해당분 |
1,117,005 | 4,943,403 | 1,474,898 | 3,088,053 |
가중평균유통우선주식수 | 1,123,737주 | 1,123,737주 | 1,123,737주 | 1,123,737주 |
계속영업 기본우선주당이익 |
994원 | 4,399원 | 1,311원 | 2,748원 |
(주1) | 1997년 개정 이전의 구 상법에 따라 발행된 우선주로서, 동 우선주는 배당 지급이나 잔여재산 분배시 일반보통주와 지급순위가 동일하여 보통주의 정의를 충족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주당손익을 계산하였습니다. |
(4) 전분기 중 우선주 중단영업기본주당손실의 계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분기(주1) | |
---|---|---|
3개월 | 누 적 | |
중단영업분기순손익 |
(18,575,309) | (33,554,778) |
지배주주지분 중단영업분기순손익 |
(18,575,309) | (33,554,778) |
중단영업순손익 중 지배기업 우선주 해당분 |
(129,690) | (233,913) |
가중평균유통우선주식수 | 1,123,737주 | 1,123,737주 |
중단영업 기본우선주당손실 |
(-)115원 | (-)208원 |
(주1) | 1997년 개정 이전의 구 상법에 따라 발행된 우선주로서, 동 우선주는 배당 지급이나 잔여재산 분배시 일반보통주와 지급순위가 동일하여 보통주의 정의를 충족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주당손익을 계산하였습니다. |
(5)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잠재적보통주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주1) |
451,917주 | 246,197주 |
(주1) |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의 반희석효과로 인하여 희석주당이익은 기본주당이익과 동일합니다. |
31. 배당금
2020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기간에 대하여 지급한 배당은 없었습니다.
32.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금융기관과 약정한 차입한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USD, EUR, CNY, MYR, CZK, THB, MXN) |
약정내용 | 통 화 | 한도금액 |
---|---|---|
당좌차월 | KRW | 15,500,000 |
THB |
30,000,000 | |
CZK | 127,475,000 | |
수입관련 Usance | USD | 344,700,000 |
수출관련 D/A,D/P,Local 및 무역어음 등 | USD | 50,000,000 |
THB |
70,000,000 | |
기타차입한도 | KRW | 1,599,370,500 |
USD | 1,864,897,388 | |
EUR | 240,000,000 | |
CNY | 2,561,000,000 | |
MYR | 795,150,623 | |
CZK | 356,930,000 | |
THB |
90,000,000 | |
MXN | 112,867,163 | |
합 계 | KRW | 1,614,870,500 |
USD | 2,259,597,388 | |
EUR | 240,000,000 | |
CNY | 2,561,000,000 | |
MYR | 795,150,623 | |
CZK | 484,405,000 | |
THB |
190,000,000 | |
MXN |
112,867,163 |
(2)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연결실체가 담보로 제공한 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담보제공자산 | 담보설정금액 | 담보권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6,996,682 | 중소기업은행 등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325,813,544 | 한국산업은행 등 |
기타금융자산 | 120,350,594 | 신한은행 등 |
재고자산 | 52,451,249 | 한국산업은행 등 |
유형자산 | 1,514,101,497 | 한국산업은행 등 |
무형자산 | 27,373,913 | KEB 하나은행 등 |
종속기업투자주식 | 81,419,000 | 한국산업은행 등 |
(3)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증내역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서울보증보험㈜ 등으로부터 태양광발전소 건설 이행보증 및 하자보수 등에 대한 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4) 타인에게 제공한 보증 내역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한국수력원자력 등 회사에 대하여 태양광발전소 건설 이행 보증 및 하자보수 등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임직원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 받은 금액에 대하여 지급보증(대출보증액: 34,592백만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특수관계자를 위하여 지급보증 및 담보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33 참조).
(5)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원고로서 계류 중인 소송사건은 32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171,003백만원이며, 피고로서 계류 중인 소송사건은 32건으로 소송가액은 총 65,534백만원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소송의 전망은 예측할 수 없습니다.
(6) 연결실체는 2021년 7월 30일 삼성물산㈜, 삼성SDI㈜로부터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의 지분을 인수하였습니다. 지분 인수대금 및 이자 약 4,793억원 중 약 1,917억원은 1차 지급 완료하였으며, 2023년 7월까지 2차 및 3차 지급금 약 2,876억원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2차 및 3차 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양수하는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하였습니다.
(7) 연결실체는 2021년 8월 19일 웨이브일렉트로닉스㈜로부터 ㈜더블유오에스 지분을 100% 인수하여 지배력을 획득하였습니다. 이전 대가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400억원의 조건부대가(Earn-out)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주 및 매출액 목표 달성 시 2022년~2025년까지 최대 400억원을 분할지급할 예정입니다.
(8)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Bayerische Motoren Werke AG(이하 "BMW") 및 그 계열사에게 BMW와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실체의 계약상의 의무 불이행에 대하여 BMW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한 손해배상을 보증하고 있습니다. 보증기간은 보증서 제출일로부터 BMW와의 마지막 프로젝트 계약 상 마지막 주문시점에서 15년까지이며, 보증금액은 무제한입니다.
(9)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Mercedes Benz AG에게 상업상거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연결실체의 계약상의 공급불이행에 따른 손해배상을 EUR 30,000,000을 한도로 보증하고 있습니다.
(10)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Hanwha Q CELLS America Inc.과 NextEra Constructors, LLC.와 체결된 모듈판매계약 총 2건에 대해 USD 11,183,172 및 USD 207,366,000의 이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Hanwha Q CELLS USA Corp이 RBC Kellam Holding Co, LLC와 체결한 태양광발전소 건설계약 USD 27,028,000 관련하여서도 이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Hanwha Q CELLS EPC USA, LLC와 Oberon Solar1A, LLC와 체결된 태양광발전소 건설계약 USD 154,184,632 중 USD 30,836,926의 이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서오창테크노벨리의 선순위 PF 약정에 대한 자금보충약정으로 72,000백만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1)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Hanwha Q CELLS Turkey의 18개 종속기업 매수자 Zia Guclu와 체결한 지분 매각 계약에 대하여 USD 68,577,030의 지분 소유권 등에 대한 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3. 특수관계자
(1)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특수관계자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회 사 명 | |
---|---|---|
지배기업 | ㈜한화 | |
관계기업/공동기업 | 국내 | ㈜스마일벤처스 ㈜에이치투 ㈜울산복합도시개발 ㈜한화이글스 ㈜한화저축은행 여천NCC㈜ 이글스에너지㈜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한화역사㈜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해외 | Burdur Enerji A.S.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Crystal Solar Inc. GRANSOLAR ATOTONILCO, S.A. DE C.V. GRANSOLAR OCOTLAN, S.A. DE C.V.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HSP TW TE, LLC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JV Cooke Solar, LLC Kellam Tax Equity Partnership, LLC Lakeshore East Retail LLC Lancium Technologies Corporation Luxbon Solar S.A. Parcel O LLC Q&G PV Solutions GmbH Simply Foods Inc. SwitchDin Pty Limited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주1) | 국내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에스아이티 ㈜에스아이티테크 ㈜에이치피앤디 ㈜여수씨월드 ㈜일산씨월드 ㈜캐스 ㈜한화63시티 ㈜한화건설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더테이스터블 주식회사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에이치솔루션㈜ 에코이앤오㈜ 제주해양과학관 캐롯손해보험 티지솔라넷㈜ 한화디펜스㈜ 한화라이프랩㈜ (구, 한화라이프에셋㈜) 한화생명금융서비스㈜ 한화생명보험㈜ 한화손해보험㈜ 한화손해사정㈜ 한화시스템㈜ 한화에너지㈜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자산운용㈜ 한화정밀기계㈜ 한화테크윈㈜ 한화토탈㈜ 한화투자증권㈜ 한화파워시스템㈜ 해나라태양광㈜ 등 |
해외 | 174 PG Torreon, S. de R.L. de C.V. Alfabeta En. San. ve Tic. A.S. Altinord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Bahcesaray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BT1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Cento En. San. ve Tic. Ltd. Sti. Gunesim En. San. ve Tic. Ltd. Sti. HANWHA AERO ENGINES.,LTD Hanwha Aerospace USA Hanwha Asset Management (USA) Ltd. Hanwha Energy Australia Pty. Ltd. Hanwha Energy Corporation Japan Hanwha Energy Corporation Singapore Pte. Ltd.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Hanwha Europe GmbH Hanwha General Chemical AU Pty Ltd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HANWHA MINING SERVICE USA INC. Hanwha Power Systems Americas, Inc. Hanwha Power Systems (Shanghai) Co.,LTD Hanwha Q CELLS Japan Co.,Ltd. Hanwha Solar Power USA Corp. HANWHA TECHWIN AMERICA, INC.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HQC Tatanka Wi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Jindera Solar Farm Pty. Ltd. Lamda En. San. ve Tic. A.S. Mec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NHS Agri-Service Pty Ltd NHS Holdings Pty Ltd Raggio En. San. ve Tic. Ltd. Sti. Razin GES Elektrik Sanayi ve Ticaret A.S. Razin Gunes Enerjisi Sanayi ve Ticaret A.S. Razin Elektrik Uretim Sanayi ve Ticaret A.S. Razin En. San. ve Tic. A.S. Tessa En. San. ve Tic. Ltd. Sti. Vizi En. San. ve Tic. Ltd. Sti. 등 |
(주1) | 동 회사 등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24호 문단9에서 정의하는 특수관계자에는 해당하지 않으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24호 문단10에서 규정하는 실질관계에 따른 특수관계자라는 증권선물위원회의 의결사항에 따라 특수관계자로 분류되는 회사 등입니다.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을 포함한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회사명 | 매 출 | 매 입 | 고정자산 취득 |
---|---|---|---|
지배기업: ㈜한화 |
114,783,189 | 31,435,881 | 51,999,098 |
관계기업 | |||
㈜한화저축은행 | 4,690 | - | - |
이글스에너지㈜ |
52,968 | - | - |
한화역사㈜ |
20,375 | 426,038 | - |
한화이글스㈜ | 8,342 | 1,203,845 |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5,465,338 | 25,218,199 |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615,441 | 10,144,916 | 24,000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주1) |
23,552 | 168,652,036 | - |
공동기업 | |||
여천NCC㈜(주2) |
20,872,816 | 1,208,012,062 |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7,619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174 Power Global O&M, LLC | - | 447,167 | -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 630 | - | - |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 2,161 | - | - |
㈜에스아이티 |
27,557 | - | - |
㈜에스아이티테크 | 5,765 | - | - |
㈜에이치피앤디 | 770 | - | - |
㈜여수씨월드 | 82 | - | - |
㈜일산씨월드 |
47 | - | - |
㈜한화63시티 | 47,609 | 47,035 | - |
㈜한화건설 | 1,017,703 | - | 57,540,932 |
㈜한화에스테이트 |
139,804 | 13,885,404 | 55,300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3,150 | 607 | - |
더테이스터블 주식회사 | 3,130 | 13,994 |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91,431 | - | - |
에이치솔루션㈜ | 210 | - | - |
에코이앤오㈜ | 9,393 | 298,688 | - |
제주해양과학관 |
21 | - | - |
캐롯손해보험 |
14,131 | 751,486 | - |
푸디스찬음관리(상해)유한공사 | - | 764,169 | - |
플라자 디앤씨㈜ |
27 | - | - |
한화디펜스㈜ | 900,094 | - | - |
한화라이프랩㈜ (구, 한화라이프에셋㈜) |
5,716 |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78,464 | - | - |
한화생명보험㈜(주3) |
4,383,726 | 16,895,262 | - |
한화손해보험㈜ |
1,819,277 | 11,715,483 | 263 |
한화손해사정㈜ |
208 | - | - |
한화시스템㈜ |
2,478,530 | 37,514,819 | 14,086,779 |
한화에너지㈜ | 461,177 | 118,484,879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573,943 | - | - |
한화자산운용㈜ | 34,894 | - | - |
한화정밀기계㈜ | 186,659 | 4,822,396 | 438,446 |
한화테크윈㈜ |
235,863 | - | - |
한화토탈㈜ | 7,675,580 | 89,643,032 | - |
한화투자증권㈜ |
460,826 | 220,465 | - |
한화파워시스템㈜ |
98,429 | 169,904 | - |
Alfabeta En. San. ve Tic. A.S. | 11,572 | - | - |
Altinord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11,177 | - | - |
Bahcesaray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11,177 | - | - |
BT1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45,416 | - | - |
Cento En. San. ve Tic. Ltd. Sti. | 23,145 | - | - |
Gunesim En. San. ve Tic. Ltd. Sti. | 11,572 | - | - |
Hanwha Aerospace USA |
29,207 | - | - |
Hanwha Asset Management (USA) Ltd. |
2,672 | - | - |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 686,212 | - | - |
Hanwha Europe GmbH | 87,628,701 | 254,328 | - |
Hanwha General Chemical AU Pty Ltd | 7,727 | - | - |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1,521,350 | 314,684 | - |
Hanwha Power Systems Americas, Inc. |
13,581 | - | - |
Hanwha Q CELLS Japan Co.,Ltd. | 135,757,061 | 133,970,356 | - |
Hanwha Solar Power USA Corp. |
12,213 | - | - |
HANWHA TECHWIN AMERICA, INC. | 133,615 | - |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36,942 | 112,160 | - |
Lamda En. San. ve Tic. A.S. | 11,211 | - | - |
Mec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11,354 | - | - |
NHS Agri-Service Pty Ltd | 6,181 | - | - |
NHS Holdings Pty Ltd |
1,545 | - | - |
Raggio En. San. ve Tic. Ltd. Sti. | 11,572 | - | - |
Razin GES Elektrik Sanayi ve Ticaret A.S. | 14,321 | - | - |
Razin Gunes Enerjisi Sanayi ve Ticaret A.S. | 21,517 | - | - |
Razin Elektrik Uretim Sanayi ve Ticaret A.S. |
56,978 | - | - |
Razin En. San. ve Tic. A.S. | 22,964 | - | - |
Tessa En. San. ve Tic. Ltd. Sti. | 23,145 | - | - |
Vizi En. San. ve Tic. Ltd. Sti. | 11,572 | - | - |
합 계 | 389,897,037 | 1,875,419,295 | 124,144,818 |
(주1) | 당분기 중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21,318백만원입니다. |
(주2) | 당분기 중 여천NCC㈜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170,000백만원입니다. |
(주3) | 당분기 중 한화생명보험㈜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456백만원입니다. 상기 외 당분기 중 HSP TW TE, LLC로부터 223백만원, Lakeshore East Retail LLC로부터 1,131백만원을 수령하였습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회사명 | 매 출 | 고정자산 처분 | 매 입 | 고정자산 취득 |
---|---|---|---|---|
지배기업: ㈜한화(주1) |
116,848,186 | - | 27,953,707 | 72,516,258 |
관계기업 | ||||
㈜한화저축은행 | 5,040 | - | - | - |
이글스에너지㈜ |
198,404 | - | - | - |
한화역사㈜(주2) |
22,557 | - | 732,463 | - |
한화이글스㈜ | 3,500 | - | 996,030 |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3,923,192 | - | 18,953,481 | - |
한화투자증권㈜ |
305,532 | - | 14,250 |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705,123 | - | 5,578,406 | 489,000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주3) |
- | - | 97,284,827 | - |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 | 3,867 | -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주4) |
14,562,626 | - | 874,741,433 |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284,228 | -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174 PG Torreon, S. de R.L. de C.V. | 2,089,893 | - | 11,162 | -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 2,670 | - | - | - |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 7,285 | - | - | - |
㈜원오원글로벌 | 1,050 | - | 211,175 | - |
㈜에스아이티 |
16,959 | - | - | 2,700 |
㈜에스아이티테크 | 4,830 | - | - | - |
㈜에이치피앤디 | 45,951 | - | - | - |
㈜여수씨월드 | 63 | - | 18,337 | - |
㈜일산씨월드 |
59 | - | 6,665 | - |
㈜지텐션 | 770 | - | - | - |
㈜캐스 |
1,950 | - | - | - |
㈜한화63시티 | 47,491 | - | 49,390 | - |
㈜한화건설 | 1,186,130 | - | 3,397,400 | 186,482,082 |
㈜한화에스테이트 |
103,017 | - | 23,860,104 | 13,295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1,750 | - | - | - |
에이치솔루션㈜ | 210 | - | - | - |
에코이앤오㈜ | 9,991 | - | 232,690 | - |
제주해양과학관 |
5 | - | 16,922 | - |
캐롯손해보험 |
7,840 | - | 583,485 | - |
티지솔라넷㈜ |
67,750 | - | - | - |
푸디스찬음관리(상해)유한공사 | - | - | 2,660,927 | - |
플라자 디앤씨㈜ |
33 | - | 1,680 | - |
한화디펜스㈜ | 484,603 | - | - | - |
한화라이프랩㈜ (구, 한화라이프에셋㈜) |
1,969 | - | - | - |
한화생명보험㈜(주5) |
3,355,232 | - | 17,446,476 | - |
한화손해보험㈜ |
1,264,819 | - | 9,975,134 | - |
한화손해사정㈜ |
1,214 | - | - | - |
한화시스템㈜ |
4,475,108 | - | 33,422,567 | 8,194,431 |
한화에너지㈜ | 6,979,742 | - | 116,637,636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385,803 | - | - | - |
한화자산운용㈜ | 40,430 | - | - | - |
한화정밀기계㈜ | 72,730 | - | 1,900,758 | 270,700 |
한화테크윈㈜ |
163,120 | - | - | - |
한화토탈㈜ | 6,966,992 | 675,000 | 45,958,376 | - |
한화파워시스템㈜ |
30,821 | - | 63,832 | 82,284 |
Alfabeta En. San. ve Tic. A.S. | 18,651 | - | - | - |
Altinord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16,174 | - | - | - |
Bahcesaray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18,107 | - | - | - |
BT1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73,195 | - | - | - |
Cento En. San. ve Tic. Ltd. Sti. | 37,301 | - | - | - |
Gunesim En. San. ve Tic. Ltd. Sti. | 19,294 | - | - | - |
HANWHA AERO ENGINES.,LTD |
483,556 | - | - | - |
Hanwha Aerospace USA |
6,417 | - | - | - |
Hanwha Asset Management (USA) Ltd. |
10,249 | - | - | - |
Hanwha Canada Development Inc. | 67,681 | - | 160,723 | - |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 82,595,480 | - | 32,974 | - |
Hanwha Europe GmbH | 74,837,486 | - | 493,275 | - |
Hanwha General Chemical AU Pty Ltd | 7,305 | - | - | - |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1,117,097 | - | 159,644 | - |
Hanwha Power Systems Americas, Inc. |
2,674 | - | - | - |
Hanwha Q CELLS Japan Co.,Ltd. | 189,629,321 | - | 107,466,776 | - |
Hanwha Solar Power USA Corp. |
12,966 | - | - | - |
HANWHA TECHWIN AMERICA, INC. | 176,607 | - | - |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34,562 | - | 404,169 | - |
Lamda En. San. ve Tic. A.S. | 18,068 | - | - | - |
Mec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18,166 | - | - | - |
NHS Agri-Service Pty Ltd | 5,844 | - | - | - |
NHS Holdings Pty Ltd |
1,461 | - | - | - |
Raggio En. San. ve Tic. Ltd. Sti. | 18,651 | - | - | - |
Razin GES Elektrik Sanayi ve Ticaret A.S. | 37,010 | - | - | - |
Razin Gunes Enerjisi Sanayi ve Ticaret A.S. | 34,679 | - | - | - |
Razin Elektrik Uretim Sanayi ve Ticaret A.S. |
91,829 | - | - | - |
Razin En. San. ve Tic. A.S. | 46,335 | - | - | - |
S&P World Networks DMCC | 2,634,116 | - | - | - |
Sol Caltivante II S.A. | 45,722 | - | - | - |
Sol Caltivante III S.A. | 137,167 | - | - | - |
Sol Caltivante IV S.A. | 45,722 | - | - | - |
Sol Caltivante VI S.A. | 137,167 | - | - | - |
Tessa En. San. ve Tic. Ltd. Sti. | 37,301 | - | - | - |
Vizi En. San. ve Tic. Ltd. Sti. | 18,651 | - | - | - |
합 계 | 518,172,547 | 675,000 | 1,391,426,874 | 268,050,750 |
(주1) | 전분기 중 ㈜한화에 지급한 배당금은 11,909백만원입니다. |
(주2) | 전분기 중 한화역사㈜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1,582백만원입니다. |
(주3) | 전분기 중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7,539백만원입니다. |
(주4) | 전분기 중 여천NCC㈜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165,000백만원입니다. |
(주5) | 전분기 중 한화생명보험㈜로부터 수령한 배당금은 456백만원입니다. 상기 외 전분기 중 HSP TW TE, LLC로부터 244백만원을 수령하였습니다. |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을 포함한 특수관계자와의 채권채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매출채권 | 대여금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 | |
지배기업: ㈜한화 | 7,353,375 | - | 5,790,909 | 9,500,206 | 5,392,589 |
관계기업 | |||||
이글스에너지㈜ |
51,131 | - | 66,000 | - | - |
한화역사㈜ |
105,741 | - | 560,000 | - | 128,359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2,111,553 | - | 107,713 | 3,314,601 | 157,189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55,442 | - | 33,028,237 | 20,319 | 2,184,041 |
Crystal Solar Inc.(주1) |
- | 1,866,931 | 329,066 | - |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 | - | 1,842,649 | 32,160,123 | - |
Luxbon Solar S.A. |
- | - | 3,257,972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2,559,783 | - | 114,565 | 296,929,339 | 8,708,939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주2) |
- | 15,941,122 | 447,185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한화건설 | 100,796 | - | - | - | 3,910,097 |
㈜한화63시티 | 19,630 | - | - | - | 337 |
더테이스터블 주식회사 | 3,895 | - | - | 4,391 | 1,699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30,375 | - | 1,006 | - | - |
한화디펜스㈜ | - | - | 40,439 | - | - |
한화라이프랩㈜ (구, 한화라이프에셋㈜) |
306 | - | - |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4,603 | - | - | - | - |
한화생명보험㈜ | 744,744 | - | 91,596,130 | - | 239,672 |
한화손해보험㈜ | 49,536 | - | 261,524 | 187 | 489,460 |
한화시스템㈜ | 5,353 | - | - | 365,224 | 7,383,251 |
한화에너지㈜ | 50,351 | - | 7,708 | 13,627,888 | 17,23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62,733 | - | 61,467 | - | 19,256 |
한화자산운용㈜ | 1,623 | - | - | - | - |
한화정밀기계㈜ | 3,400 | - | - | 2,629,114 | 530,614 |
한화토탈㈜ | 1,605,035 | - | 824,113 | 11,744,138 | 154,044 |
한화투자증권㈜ | 32,270 | - | - | - | 25,764 |
한화파워시스템㈜ |
- | - | - | - | 41,360 |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
2,665 | - | - | - | - |
Hanwha Europe GmbH | 26,810,064 | - | - | 3,644 | 1,372 |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88,134 | - | - | - | - |
Hanwha Power Systems (Shanghai) Co.,LTD | - | - | - | 30,712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29,576,067 | - | 4,398,685 | 6,770,851 | 1,306,507 |
Hanwha Solar Power USA Corp. | 2,844 | - | - | - | - |
HANWHA TECHWIN AMERICA, INC. | 14,041 | - | - | - |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 | 2,372,442 | - | - | - |
HQC Tatanka Wi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1,394,482 | - | - | - | - |
합 계 | 72,939,972 | 20,180,495 | 142,735,368 | 377,100,737 | 30,691,780 |
(주1) | Crystal Solar Inc.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당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주2)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당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회사명 | 채 권 | 채 무 | |||
---|---|---|---|---|---|
매출채권 | 대여금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 | |
지배기업: ㈜한화 | 7,715,754 | - | 2,971,683 | 6,682,204 | 24,228,034 |
관계기업 | |||||
㈜한화이글스 | - | - | 209,178 | - | - |
이글스에너지㈜ | - | - | 53,000 | - | - |
한화역사㈜ |
38,630 | - | 1,120,000 | - | 46,183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1,301,730 | - | 1,100,826 | 2,090,269 | 123,752 |
한화투자증권㈜ | 60,258 | - | 18 | - | 18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291,494 | - | 32,736,632 | 46,812 | 449,324 |
Crystal Solar Inc.(주1) |
- | 1,866,931 | 319,293 | - |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 | - | 1,691,869 | 29,202,595 | - |
JV Cooke Solar, LLC | 33,434,978 | - | - | - | - |
Kellam Tax Equity Partnership, LLC | 74,839,127 | - | - | - | - |
Luxbon Solar S.A. |
- | - | 3,172,464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3,502,533 | - | 286,530 | 165,678,829 | 10,140,428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주2) |
- | 15,941,122 | 630,300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원오원글로벌 | - | - | - | - | 3,932 |
㈜에스아이티 | 1,800 | - | - | - | - |
㈜한화금융에셋 | 74 | - | - | - | - |
㈜한화건설 | 50,849 | - | 2,216 | 125,387 | 8,084,276 |
㈜한화에스테이트 |
4,628 | - | - | - | 2,519,967 |
㈜한화63시티 | 36,111 | - | - | - | 223 |
에코이앤오㈜ |
156 | - | - | - | - |
푸디스찬음관리(상해)유한공사 | - | - | - | - | 36,286 |
한화디펜스㈜ | 1,054,709 | - | 5,177 | - | - |
한화라이프랩㈜ (구, 한화라이프에셋㈜) |
705 | - | - | - | - |
한화생명보험㈜ | 44,674 | - | 101,049,733 | - | 118,737 |
한화손해보험㈜ | 159,264 | - | 261,524 | 75 | 32,981 |
한화시스템㈜ | 1,187,371 | - | - | 658,649 | 5,780,875 |
한화에너지㈜ | 54,319 | - | 11,302 | 17,144,595 | 102,306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240,343 | - | 12,572 | - | - |
한화자산운용㈜ | 991 | - | - | - | - |
한화정밀기계㈜ | 21,166 | - | - | 3,098,410 | 42,350 |
한화테크윈㈜ | 47,688 | - | - | - | - |
한화토탈㈜ | 2,043,686 | - | - | 9,329,561 | 366 |
한화파워시스템㈜ |
27,720 | - | - | 163,680 | 86,803 |
HANWHA AERO ENGINES.,LTD | 430,770 | - | - | - | 422,938 |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
5,737,252 | - | 1,900 | - | - |
Hanwha Europe GmbH | 10,280,132 | - | - | - | 1,729 |
Hanwha General Chemical AU Pty Ltd |
- | - | 920 | - | - |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11,882 | - | - | - | - |
HANWHA MINING SERVICE USA INC. | 3,264 | - | - | - | - |
Hanwha Power Systems (Shanghai) Co.,LTD | - | - | - | 28,016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22,015,290 | - | 31,573 | 9,485,733 | 418,324 |
HANWHA TECHWIN AMERICA, INC. | 4,896 | - | - | - |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1,469 | 2,187,592 | - | 13,883 | - |
HQC Tatanka Wi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1,280,768 | - | - | - | - |
NHS Agri-Service Pty Ltd |
- | - | 736 | - | - |
NHS Holdings Pty Ltd | - | - | 184 | - | - |
합 계 | 165,926,481 | 19,995,645 | 145,669,630 | 243,748,698 | 52,639,832 |
(주1) | Crystal Solar Inc.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주2)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을 포함한 특수관계자에 대한 대여금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회사명 | 기 초 | 증 가 | 감 소 | 기 타(주1) | 기 말 |
---|---|---|---|---|---|
관계기업 | |||||
Crystal Solar Inc. |
1,866,931 | - | - | - | 1,866,931 |
공동기업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941,122 | - | - | - | 15,941,122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2,187,592 | - | - | 184,850 | 2,372,442 |
합 계 | 19,995,645 | - | - | 184,850 | 20,180,495 |
(주1) | 대여금 이자로 인한 미수수익 증가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회사명 | 기 초 | 증 가 | 감 소 | 기 타(주1) | 기 말 |
---|---|---|---|---|---|
관계기업 | |||||
Alterpower Digos Solar, Inc. | 16,080,592 | 5,529,820 | - | (4,023) | 21,606,389 |
Crystal Solar Inc. |
1,866,931 |
- | - | - | 1,866,931 |
Luxbon Solar S.A. | 12,199,397 |
- | - | 676,903 | 12,876,300 |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 | 14,424,381 |
- | (5,557,440) | 3,867 | 8,870,808 |
공동기업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6,624,074 |
- | - | 482,645 | 17,106,719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2,323,431 |
- | - | 36,487 | 2,359,918 |
합 계 | 63,518,806 | 5,529,820 | (5,557,440) | 1,195,879 | 64,687,065 |
(주1) | 대여금 이자로 인한 미수수익 증가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5)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를 포함한 특수관계자 등과의 지분거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분 | 거래내역 | 회사명 | 금 액 |
---|---|---|---|
공동기업 | 증자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9,334,557 |
관계기업 | 증자 |
Kellam Tax Equity Partnership, LLC | 53,294,825 |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 116,781,711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지분 매각 | 한화자산운용㈜ | 214,617,234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분 | 거래내역 | 회사명 | 금 액 |
---|---|---|---|
관계기업 | 증자 |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 | 4,956,734 |
(6)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지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 |
피 보 증 인 | 통 화 | 지급보증액 | 지급보증용도 | |
---|---|---|---|---|
한도액 | 실행액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USD | 5,600,000 | 5,600,000 | 금융기관차입 |
Burdur Enerji A.S. | USD | 9,296,000 | 5,066,506 | 금융기관차입 |
합 계 | USD | 14,896,000 | 10,666,506 |
(7)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특수관계자를 위하여 제공하고 있는 담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피 보 증 인 | 담보제공자산 | 담보제공액 | 제공처 |
---|---|---|---|
이글스에너지㈜ | 관계기업투자주식 | 21,300,500 | 칸서스신에너지사모특별자산투자신탁 1호 |
(8)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이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JPY,천원) |
법인명 | 계약대상자 | 통화 | 금액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Marubeni Corporation | USD | 131,000,000 |
NTT Facilities Inc. | JPY | 4,610,000,000 | |
Itochu Corporation | USD | 2,526,518 | |
JGC Corporation | JPY | 131,348,708 | |
GK Rokunohe Solar Park | JPY | 296,000,000 | |
Nippon Renewable Energy K.K. | JPY | 2,111,360,000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Oberon Solar 1B, LLC | USD | 7,593,219 |
Hanwha Q CELLS USA Corp. |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주1) |
USD | 68,973,431 |
한화역사㈜ | 국가철도공단 | KRW | 3,202,968 |
합 계 | USD | 210,093,168 | |
JPY | 7,148,708,708 | ||
KRW | 3,202,968 |
(주1) |
연결실체는 해당 이행보증과 같은 프로젝트에 대한 동시보증의 성격으로 BT Coniglio Solar LLC의 전력가격 차액 결제 거래대금 지급에 대한 지급보증을 USD 65백만 한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 보증한도의 합은 USD 72백만을 초과하지 않습니다. |
(9)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연결실체가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비용으로 반영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단기급여(주1) | 27,246,130 | 28,309,496 |
퇴직급여 | 5,712,840 | 5,172,856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18,005 | 13,579 |
합 계 | 32,976,975 | 33,495,931 |
(주1) | 주식기준 보상제도와 관련된 보상비용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주석 38 참조). |
(10)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를 포함한 특수관계자 등에 대한 리스부채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기 초 | 증 감 | 기 말 |
---|---|---|---|---|
지배기업 | ㈜한화 | 18,443,320 | (1,332,925) | 17,110,395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
한화역사㈜ | 207,868 | 4,471 | 212,339 |
대규모기업집단 계열회사 등 |
한화생명보험㈜ | 109,420,622 | (9,543,722) | 99,876,900 |
한화손해보험㈜ | 380,230 | (35,146) | 345,084 | |
한화에너지㈜ | 38,263 | (28,270) | 9,993 | |
합 계 | 128,490,303 | (10,935,592) | 117,554,711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기 초 | 증 감 | 기 말 |
---|---|---|---|---|
지배기업 | ㈜한화 | 12,629,862 | 6,274,777 | 18,904,639 |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 |
한화역사㈜ | 2,329,517 | 149,955 | 2,479,472 |
대규모기업집단 계열회사 등 |
한화생명보험㈜ | 81,591,209 | 32,715,583 | 114,306,792 |
한화손해보험㈜ | 438,565 | (46,910) | 391,655 | |
한화에너지㈜ | - | 47,567 | 47,567 | |
한화토탈㈜ | 2,680 | (2,680) |
- | |
㈜한화건설 | 96,366 | (96,366) |
- | |
합 계 | 97,088,199 | 39,041,926 | 136,130,125 |
34. 현금흐름표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 | 1,075,451,418 | 485,022,105 |
2. 비용(수익)조정사항 |
175,803,464 | 546,229,523 |
퇴직급여(주1) | 51,711,951 | 49,867,60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2,710,184 | 2,459,833 |
투자부동산감가상각비 | 1,608,706 | 1,833,800 |
유형자산감가상각비 |
422,489,448 | 382,026,487 |
무형자산상각비 | 22,615,815 | 22,852,517 |
사용권자산상각비 | 38,978,371 | 33,963,630 |
대손상각비(환입) |
4,919,269 | (3,143,507) |
지급임차료 | 81,727 | 200,624 |
충당부채환입액 | (14,227,023) | (693,203) |
파생상품평가이익 | (103,159,883) | (15,339,104) |
외화환산이익 | (52,782,066) | (99,679,071)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처분이익 | (48,479,186) | (2,461,09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03,290 | (12,29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이익 |
(53,468) | (61,832) |
투자부동산처분이익 | - | (65,705) |
유형자산처분이익 | (23,247,904) | (5,776,729) |
무형자산처분이익 | - | (1,129,457) |
무형자산손상차손환입 | - | (674,614) |
사용권자산손상차손환입 | (9,313,123) | - |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
(206,211,666) | (55,026,716) |
외화환산손실 | 142,644,405 | 123,695,241 |
매출채권처분손실 | 344,850 | 481,934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실 |
57,646 | -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처분손실 | 48,005,426 | 21,065,07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15,225 | 539,963 |
파생상품평가손실 | 11,780,408 | 18,917,437 |
투자부동산처분손실 | - |
37,671 |
유형자산처분손실 | 7,335,646 | 2,567,702 |
유형자산손상차손 | 274,779 | 7,722,473 |
무형자산처분손실 | 3,659 | 208,189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185,470 |
매각예정자산손상차손 |
- | 653,187 |
기타대손상각비 |
5,578 | 5,498,770 |
재고자산폐기손실 | 1,603,530 | 3,300,109 |
재고자산평가손실 | 46,029,669 | 18,964,990 |
이자수익 | (14,489,534) | (15,861,704) |
배당금수익 | (1,116,346) | (879,802) |
이자비용 | 112,201,080 | 166,255,333 |
지분법손익 | (284,183,238) | (127,067,172) |
기타손익 | 17,146,239 | 10,803,496 |
3. 영업활동 자산부채의 변동 | (519,255,556) | (510,868,511) |
매출채권 | (71,247,312) | 91,347,144 |
기타채권 | (91,609,018) | 17,823,948 |
재고자산 | (551,086,897) | (181,487,831) |
기타금융자산 | (17,554,823) | (2,269,773) |
기타유동자산 |
54,537,448 | 97,312,954 |
기타비유동자산 | 20,606,597 | 1,032,359 |
매입채무 | (58,832,234) | (95,906,363) |
기타채무 | 233,205,959 | (41,555,910) |
기타금융부채 | (10,148,318) | (20,679,901) |
기타유동부채 | (17,281,446) | (354,289,707) |
기타비유동부채 | (488,348) | (170,272) |
퇴직금의 지급 | (25,368,625) | (25,236,707) |
사외적립자산 | 5,604,223 | 5,638,27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부채 | (165,891) | (540,609) |
충당부채 | (12,327,766) | (4,675,150) |
금융보증계약부채 | 1,195,724 | - |
파생상품의 결제 | 21,705,171 | 2,789,029 |
4.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 | 731,999,326 | 520,383,117 |
(주1) | 당분기 발생액 52,154백만원(전분기: 50,368백만원)에서 유형자산의 건설중인자산으로 대체된 442백만원(전분기: 500백만원)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
35. 부문정보
연결실체는 전략적인 영업단위인 4개의 보고부문을 가지고 있습니다. 전략적 영업단위들은 서로 다른 생산품과 용역을 제공하며 각 영업 단위별로 요구되는 기술과 마케팅 전략이 다르므로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최고영업의사결정자는 각 전략적인 영업단위들에 대한 내부 보고자료를 최소한 분기 단위로 검토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보고부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원료: PE, PVC, CA 등의 제조 판매
② 가공: 자동차부품 등의 제조 판매
③ 유통: 백화점과 도소매업 등
④ 태양광: 모듈 등의 태양광 관련제품 제조 판매
⑤ 기타: 기타 제조 판매업, 부동산업 등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각 부문별 손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원 료 | 가 공 | 유 통 | 태양광 | 기 타 | 소 계 | 연결조정 | 합 계 |
---|---|---|---|---|---|---|---|---|
부문별 수익 |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 | 3,892,464,664 | 676,282,291 | 368,445,121 | 2,578,481,257 | 246,456,345 | 7,762,129,678 | - | 7,762,129,678 |
부문간 수익 |
298,013,201 | 60,892,949 | 23,466,018 | 2,195,162,905 | 8,995,665 | 2,586,530,738 | (2,586,530,738) | - |
합 계 | 4,190,477,865 | 737,175,240 | 391,911,139 | 4,773,644,162 | 255,452,010 | 10,348,660,416 | (2,586,530,738) | 7,762,129,678 |
부문별 영업손익(주1) |
814,223,090 | 12,882,257 | 20,245,746 | (233,522,891) | (14,371,882) | 599,456,320 | 54,625,307 | 654,081,627 |
부문별 분기순손익 | 749,944,167 | 100,118,784 | 182,419,079 | (136,973,443) | 111,611,867 | 1,007,120,454 | (205,729,145) | 801,391,309 |
(주1) | 부문별 영업손익의 총 합계는 요약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과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부문간 거래에 대한 미인식 손익 효과로 인한 것이며, 연결조정으로 제거되었습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원 료 | 가 공 | 유 통 | 태양광 | 기 타 | 소 계 | 연결조정 | 합 계 |
---|---|---|---|---|---|---|---|---|
부문별 수익 | ||||||||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 | 2,494,576,349 | 546,528,007 | 314,953,183 | 2,539,932,643 | 737,224,494 | 6,633,214,676 |
- | 6,633,214,676 |
부문간 수익 |
213,178,129 | 67,674,528 | 22,221,094 | 2,151,980,759 | 18,237,468 | 2,473,291,978 | (2,473,291,978) | - |
합 계 | 2,707,754,478 | 614,202,535 | 337,174,277 | 4,691,913,402 | 755,461,962 | 9,106,506,654 | (2,473,291,978) | 6,633,214,676 |
부문별 영업손익(주1) |
314,274,806 | (6,679,608) | (7,645,698) | 188,142,140 | 30,645,874 | 518,737,514 | 10,065,097 | 528,802,611 |
부문별 분기순손익 | 716,006,886 | (30,393,068) | 19,872,522 | 88,129,728 | 14,258,225 | 807,874,293 | (406,870,084) | 401,004,209 |
(주1) | 부문별 영업손익의 총 합계는 요약연결포괄손익계산서의 영업이익과 차이가 있습니다. 이는 부문간 거래에 대한 미인식 손익 효과로 인한 것이며, 연결조정으로 제거되었습니다. |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각 부문별 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원 료 | 가 공 | 유 통 | 태양광 | 기 타(주1) | 소 계 | 연결조정 | 합 계 |
---|---|---|---|---|---|---|---|---|
부문별 자산 | ||||||||
유동자산 |
1,391,785,983 | 704,842,815 | 290,469,530 | 4,262,868,105 | 1,052,388,818 | 7,702,355,251 | (1,563,299,295) | 6,139,055,956 |
관계기업등투자자산 | 809,235,486 | 1,046,033,439 | 170,156,325 | 6,030,985,450 | 2,637,130,760 | 10,693,541,460 | (7,214,372,649) | 3,479,168,811 |
기타비유동자산 | 2,928,265,207 | 647,993,792 | 1,554,716,787 | 3,058,245,449 | 310,741,465 | 8,499,962,700 | (340,431,581) | 8,159,531,119 |
합 계 | 5,129,286,676 | 2,398,870,046 | 2,015,342,642 | 13,352,099,004 | 4,000,261,043 | 26,895,859,411 | (9,118,103,525) | 17,777,755,886 |
부문별 부채 | ||||||||
유동부채 | 879,074,840 | 422,820,366 | 487,226,002 | 3,125,386,068 | 1,675,234,190 | 6,589,741,466 | (1,658,154,808) | 4,931,586,658 |
비유동부채 | 584,024,978 | 170,705,397 | 528,174,445 | 1,234,165,932 | 2,232,446,318 | 4,749,517,070 | (210,028,008) | 4,539,489,062 |
합 계 | 1,463,099,818 | 593,525,763 | 1,015,400,447 | 4,359,552,000 | 3,907,680,508 | 11,339,258,536 | (1,868,182,816) | 9,471,075,720 |
(주1) | 한화솔루션㈜의 현금 및 차입금은 영업부문별 구분이 제한되어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원 료 | 가 공 | 유 통 | 태양광 | 기 타(주1) | 소 계 | 연결조정 | 합 계 |
---|---|---|---|---|---|---|---|---|
부문별 자산 | ||||||||
유동자산 |
973,169,046 | 371,516,198 | 659,245,742 | 3,267,664,546 | 817,429,736 | 6,089,025,268 | (1,130,660,502) | 4,958,364,766 |
관계기업등투자자산 | 516,584,070 | 521,378,300 | 178,620,467 | 4,423,576,595 | 2,424,071,418 | 8,064,230,850 | (5,379,067,302) | 2,685,163,548 |
기타비유동자산 | 2,744,037,809 | 600,382,587 | 1,407,333,716 | 2,628,737,392 | 351,025,002 | 7,731,516,506 | (237,724,998) | 7,493,791,508 |
합 계 | 4,233,790,925 | 1,493,277,085 | 2,245,199,925 | 10,319,978,533 | 3,592,526,156 | 21,884,772,624 | (6,747,452,802) | 15,137,319,822 |
부문별 부채 | ||||||||
유동부채 | 674,284,173 | 376,058,041 | 1,047,193,709 | 2,646,450,641 | 1,620,130,104 | 6,364,116,668 | (1,112,991,081) | 5,251,125,587 |
비유동부채 | 434,967,517 | 115,021,351 | 478,934,819 | 928,584,931 | 2,028,078,252 | 3,985,586,870 | (67,108,126) | 3,918,478,744 |
합 계 | 1,109,251,690 | 491,079,392 | 1,526,128,528 | 3,575,035,572 | 3,648,208,356 | 10,349,703,538 | (1,180,099,207) | 9,169,604,331 |
(주1) | 한화솔루션㈜의 현금 및 차입금은 영업부문별 구분이 제한되어 '기타'로 분류하였습니다. |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연결실체가 소재한 지역별 매출액과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지역별 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지역별 매출액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국 내 | 4,307,667,713 | 3,551,110,195 |
해 외 | ||
중 국 | 1,690,836,290 | 1,559,202,702 |
독 일 | 684,511,310 | 611,298,094 |
기 타 | 1,079,114,365 | 911,603,685 |
소 계 | 3,454,461,965 | 3,082,104,481 |
합 계 | 7,762,129,678 | 6,633,214,676 |
2) 지역별 비유동자산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국 내 | 8,815,748,944 | 8,021,616,401 |
해 외 | ||
중 국 | 1,086,434,664 | 803,081,135 |
독 일 | 210,093,830 | 212,767,049 |
기 타 | 1,164,936,257 | 946,222,493 |
소 계 | 2,461,464,751 | 1,962,070,677 |
합 계(주1) | 11,277,213,695 | 9,983,687,078 |
(주1) | 비유동자산 중 금융자산 및 이연법인세자산을 제외한 금액입니다. |
36. 수익
연결실체는 한 시점에 재화와 용역을 이전 하거나 혹은 기간에 걸쳐 보고부문별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각 부문의 구분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8호에 따른 보고부문별 수익공시 정보와 일관됩니다(주석 35.(1) 참조).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한 시점에 인식하는 수익 | ||
원 료 | 3,889,870,171 | 2,491,184,090 |
가 공 | 672,607,680 | 546,406,956 |
유 통 | 362,839,597 | 314,953,183 |
태양광 | 2,497,782,861 | 2,364,967,737 |
기 타 | 246,456,345 | 736,672,475 |
소 계 | 7,669,556,654 | 6,454,184,441 |
기간에 걸쳐 인식하는 수익 | ||
원 료 | 2,594,493 | 3,392,259 |
가 공 | 3,674,611 | 121,051 |
유 통 | 5,605,524 | - |
태양광 | 80,698,396 | 174,964,906 |
기 타 | - |
552,019 |
소 계 | 92,573,024 | 179,030,235 |
합 계 | 7,762,129,678 | 6,633,214,676 |
37. 중단영업
(1) 폴리실리콘사업부 철수 결정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 지속 및 경쟁사 대비 열위한 원가구조로 원가경쟁력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는 바, 폴리실리콘 사업부를 철수하기로 2020년 2월 20일자 이사회에서 결정하였습니다.
(2) 전분기의 중단영업손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전분기 |
---|---|
매출액 | 3,599,880 |
매출원가 | (32,796,215) |
판매비와관리비 | (522,473) |
기타수익(비용) | (12,989,66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42,708,468) |
법인세수익 | 9,153,690 |
중단영업손실 | (33,554,778) |
(3) 전분기의 중단영업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전분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460,098)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66,101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1,091,308 |
순 현금흐름 | (2,689) |
38. 주식기준보상
당분기에 연결실체는 전무이상과 상무이하 임원에게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164,815주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주가연동현금보상을 부여하였습니다. 당분기 중 인식된 보상비용은 14,553백만원입니다.
주식선택권의 공정가치는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의 경우 부여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주가연동현금보상의 경우 매 보고기간말 종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매년 부여되는 주식기준보상은 전무이상 임원의 경우, 부여일이 속한 회계연도의 6개월이상 근무용역을 제공하면 전부 가득되며, 상무이하 임원의 경우, 연말에 성과급 개념으로 12월 31 일자로 부여받고 일시에 가득됩니다. 주식기준보상의 지급 효력 발생은 부여일 이후 5년~10년 입니다.
39. 보고기간 후 사건
(1) RES Mediterranee 지분 취득
연결실체는 유럽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 확장을 목적으로 프랑스의 RES Mediterranee 지분 100%를 987,751백만원에 취득하였습니다.(취득일: 2021년 10월 28일)
(2) 특수관계인에 대한 출자
연결실체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유상증자(출자금액: 28,779백만원)에 참여하기로 이사회 의결하였습니다(출자 예정일: 2021년 11월 25일)
또한, 연결실체는 Hanwha Q CELLS Co., Ltd.의 유상증자(출자금액: 59,260백만원)에 참여하였습니다(출자일: 2021년 11월 8일).
(3) ㈜한화저축은행 지분 추가 취득
연결실체는 투자가치 극대화를 목적으로, 보고기간 후인 2021년 10월 1일자로 ㈜한화건설, 한화호텔앤드리조트㈜, 한화테크엠㈜가 보유한 ㈜한화저축은행의 보통주 39,395,349주 전체를 매수하였습니다. 지분 추가 취득 후 ㈜한화저축은행에 대한 연결실체의 지분율은 36.05%에서 100%로 증가하였으며, 총 취득금액은 117,516백만원입니다.
4. 재무제표
가. 재무상태표
재무상태표 |
제 48 기 3분기말 2021.09.30 현재 |
제 47 기말 2020.12.31 현재 |
(단위 : 원) |
제 48 기 3분기말 |
제 47 기말 |
|
---|---|---|
자산 |
||
유동자산 |
3,239,870,043,481 |
2,092,799,425,548 |
현금및현금성자산 |
787,391,076,548 |
361,473,751,271 |
기타금융자산 |
58,951,625,956 |
42,013,357,13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919,929,609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482,170,945,957 |
1,053,748,619,033 |
기타유동자산 |
121,294,939,874 |
155,638,570,436 |
재고자산 |
782,683,705,143 |
477,005,198,067 |
매각예정자산 |
7,377,750,003 |
|
비유동자산 |
10,961,927,385,535 |
8,533,615,206,75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6,859,897,677 |
1,749,0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1,267,314,958 |
11,248,924,897 |
기타금융자산 |
86,811,415,885 |
32,727,136,848 |
장기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5,880,954,372 |
14,011,851,948 |
관계기업등투자자산 |
5,584,195,934,826 |
4,553,433,983,751 |
투자부동산 |
91,555,491,956 |
72,570,205,323 |
유형자산 |
4,628,258,337,055 |
3,615,067,760,664 |
무형자산 |
119,285,905,513 |
116,182,356,736 |
사용권자산 |
369,235,482,323 |
109,094,836,064 |
기타비유동자산 |
28,576,650,970 |
568,778,928 |
이연법인세자산 |
8,707,622,595 |
|
자산총계 |
14,201,797,429,016 |
10,626,414,632,302 |
부채 |
||
유동부채 |
3,169,407,291,533 |
2,408,747,376,467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311,436,514,965 |
756,013,641,257 |
차입금 |
1,506,061,229,234 |
1,304,495,052,669 |
기타금융부채 |
175,095,270,863 |
172,103,406,424 |
충당부채 |
4,590,707,765 |
13,825,094,249 |
기타유동부채 |
74,785,939,265 |
10,079,764,833 |
계약부채 |
65,029,360,601 |
47,278,973,520 |
당기법인세부채 |
32,408,268,840 |
104,951,443,515 |
비유동부채 |
3,263,355,827,901 |
2,493,445,749,309 |
장기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78,046,841,117 |
|
장기차입금 |
1,968,246,301,390 |
1,923,696,225,665 |
기타금융부채 |
524,140,604,329 |
156,254,648,301 |
순확정급여부채 |
449,711,434,072 |
359,621,677,858 |
장기종업원급여부채 |
28,137,674,543 |
20,917,812,997 |
충당부채 |
67,151,679,484 |
32,428,374,151 |
기타비유동부채 |
343,878,147 |
527,010,337 |
이연법인세부채 |
47,577,414,819 |
|
부채총계 |
6,432,763,119,434 |
4,902,193,125,776 |
자본 |
||
자본금 |
978,240,655,000 |
821,170,655,000 |
자본잉여금 |
1,900,184,317,054 |
762,796,518,589 |
자본조정 |
(30,570,231,429) |
(7,409,222,370)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1,932,109,404) |
(1,911,586,744) |
이익잉여금 |
4,923,111,678,361 |
4,149,575,142,051 |
자본총계 |
7,769,034,309,582 |
5,724,221,506,526 |
자본과부채총계 |
14,201,797,429,016 |
10,626,414,632,302 |
나. 포괄손익계산서
포괄손익계산서 |
제 4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제 47 기 3분기 2020.01.01 부터 2020.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3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매출액 |
1,755,725,939,258 |
5,206,996,409,917 |
1,452,330,477,906 |
4,248,236,476,130 |
매출원가 |
1,444,720,474,616 |
4,149,329,251,420 |
1,138,814,132,897 |
3,462,548,893,023 |
매출총이익 |
311,005,464,642 |
1,057,667,158,497 |
313,516,345,009 |
785,687,583,107 |
판매비와관리비 |
210,707,706,913 |
599,080,281,305 |
138,686,680,441 |
421,415,686,715 |
영업이익 |
100,297,757,729 |
458,586,877,192 |
174,829,664,568 |
364,271,896,392 |
영업외손익 |
28,580,775,015 |
184,015,274,954 |
386,237,354,451 |
486,288,842,633 |
기타수익 |
100,610,087,250 |
203,104,073,358 |
23,570,733,370 |
138,815,946,252 |
기타비용 |
(95,792,283,980) |
(184,832,889,065) |
(12,666,700,958) |
(146,000,471,409) |
금융수익 |
46,668,806,846 |
228,124,734,819 |
397,242,296,278 |
570,637,900,304 |
금융비용 |
(22,905,835,101) |
(62,380,644,158) |
(21,908,974,239) |
(77,164,532,514)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128,878,532,744 |
642,602,152,146 |
561,067,019,019 |
850,560,739,025 |
법인세비용 |
30,316,128,389 |
136,138,043,648 |
45,316,160,070 |
100,026,675,389 |
계속영업이익 |
98,562,404,355 |
506,464,108,498 |
515,750,858,949 |
750,534,063,636 |
중단영업손실 |
(18,575,308,659) |
(33,554,778,374) |
||
분기순이익 |
98,562,404,355 |
506,464,108,498 |
497,175,550,290 |
716,979,285,262 |
기타포괄손익 |
477,491,927 |
801,860,344 |
(5,095,020) |
2,853,683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평가손익 |
10,275,621 |
18,218,423 |
(5,095,020) |
2,853,683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
||||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
467,216,306 |
783,641,921 |
||
총포괄손익 |
99,039,896,282 |
507,265,968,842 |
497,170,455,270 |
716,982,138,945 |
지배기업 지분에 대한 계속영업주당순손익 |
||||
보통주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 (단위 : 원) |
514 |
2,750 |
3,212 |
4,656 |
우선주 기본 및 희석주당이익 (단위 : 원) |
500 |
2,788 |
3,215 |
4,693 |
중단영업주당손실 (단위 : 원) |
||||
보통주 기본 및 희석주당손실 (단위 : 원) |
(116) |
(208) |
||
우선주 기본 및 희석주당손실 (단위 : 원) |
(115) |
(208) |
다.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
제 4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제 47 기 3분기 2020.01.01 부터 2020.09.30 까지 |
(단위 : 원) |
자본 |
|||||||||
---|---|---|---|---|---|---|---|---|---|
자본금 |
자본잉여금 |
자본조정 |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이익잉여금 |
자본 합계 |
||||
2020.01.01 (기초자본) |
821,170,655,000 |
720,760,529,607 |
(1,931,867,501) |
3,475,671,767,148 |
5,015,671,084,254 |
||||
자본의 변동 |
당기순이익 |
716,979,285,262 |
716,979,285,262 |
||||||
기타포괄이익(손실)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평가손익 |
2,853,683 |
2,853,683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
||||||||
소유주와의 거래 |
유상증자 |
||||||||
연차배당 |
(32,576,792,250) |
(32,576,792,250) |
|||||||
사업결합으로 인한 효과 |
34,309,275,655 |
13,247,091,987 |
47,556,367,642 |
||||||
자기주식 취득 |
(28,997,745,820) |
(28,997,745,820) |
|||||||
자기주식 처분 |
|||||||||
자기주식 소각 |
21,580,364,530 |
(21,580,364,530) |
|||||||
주식기준보상 |
4,862,390,742 |
4,862,390,742 |
|||||||
기타자본변동 |
|||||||||
2020.09.30 (기말자본) |
821,170,655,000 |
759,932,196,004 |
(7,417,381,290) |
(1,929,013,818) |
4,151,740,987,617 |
5,723,497,443,513 |
|||
2021.01.01 (기초자본) |
821,170,655,000 |
762,796,518,589 |
(7,409,222,370) |
(1,911,586,744) |
4,149,575,142,051 |
5,724,221,506,526 |
|||
자본의 변동 |
당기순이익 |
506,464,108,498 |
506,464,108,498 |
||||||
기타포괄이익(손실)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평가손익 |
18,218,423 |
18,218,423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포괄손익 |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평가손익 |
783,641,921 |
783,641,921 |
||||||
소유주와의 거래 |
유상증자 |
157,070,000,000 |
1,181,597,430,096 |
1,338,667,430,096 |
|||||
연차배당 |
|||||||||
사업결합으로 인한 효과 |
(51,515,892,013) |
(9,395,173,263) |
(822,383,004) |
267,846,621,846 |
206,113,173,566 |
||||
자기주식 취득 |
(13,772,288,760) |
(13,772,288,760) |
|||||||
자기주식 처분 |
9,841,636 |
6,452,964 |
16,294,600 |
||||||
자기주식 소각 |
|||||||||
주식기준보상 |
7,296,418,746 |
7,296,418,746 |
|||||||
기타자본변동 |
(774,194,034) |
(774,194,034) |
|||||||
2021.09.30 (기말자본) |
978,240,655,000 |
1,900,184,317,054 |
(30,570,231,429) |
(1,932,109,404) |
4,923,111,678,361 |
7,769,034,309,582 |
라.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
제 48 기 3분기 2021.01.01 부터 2021.09.30 까지 |
제 47 기 3분기 2020.01.01 부터 2020.09.30 까지 |
(단위 : 원)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3분기 |
|
---|---|---|
영업활동현금흐름 |
168,610,364,826 |
513,915,647,813 |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
460,577,946,704 |
518,094,975,446 |
법인세 납부 |
(291,967,581,878) |
(4,179,327,633) |
투자활동현금흐름 |
(846,233,888,175) |
93,541,690,139 |
이자 수취 |
6,724,423,470 |
4,284,330,468 |
배당금 수취 |
220,204,033,217 |
566,356,096,900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
2,234,704,210 |
|
기타금융자산의 감소 |
35,426,655,745 |
104,824,796,172 |
유형자산의 처분 |
16,405,799,087 |
14,610,074,177 |
투자부동산의 처분 |
15,556,916,960 |
|
무형자산의 처분 |
1,153,981,000 |
11,655,911,183 |
관계기업등투자주식의 처분 |
1,664,991,894 |
|
매각예정자산의 처분 |
34,536,000 |
|
정부보조금의 수령 |
470,176,551 |
|
사업결합으로 인한 증가 |
360,524,908,678 |
6,809,040,413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
(2,292,350,000) |
|
기타금융자산의 증가 |
(50,163,854,926) |
(55,654,179,290) |
유형자산의 취득 |
(334,626,657,687) |
(312,192,098,726) |
투자부동산의 취득 |
(3,530,862) |
|
무형자산의 취득 |
(1,200,436,339) |
(2,453,189,290)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의 취득 |
(1,102,760,263,075) |
(260,286,713,966) |
정부보조금의 반환 |
(300,000) |
|
재무활동현금흐름 |
1,094,027,983,875 |
(516,050,244,474) |
차입금의 차입 |
1,479,274,975,567 |
2,215,188,857,864 |
유상증자 |
1,338,667,430,096 |
|
기타금융부채의 증가 |
366,819,883 |
146,410,137 |
차입금의 상환 |
(1,638,878,663,901) |
(2,578,447,757,466) |
이자 지급 |
(26,597,617,502) |
(75,204,802,945) |
기타금융부채의 감소 |
(207,926,901) |
(40,500,000) |
리스 지급 |
(44,824,744,607) |
(16,117,913,994) |
배당금 지급 |
(32,576,792,250) |
|
자기주식의 취득 |
(13,772,288,760) |
(28,997,745,820) |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 |
416,404,460,526 |
91,407,093,478 |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361,473,751,271 |
405,278,228,896 |
환율변동효과 |
9,512,864,751 |
(4,460,728,797) |
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787,391,076,548 |
492,224,593,577 |
5. 재무제표 주석
1. 일반 사항
한화솔루션주식회사(이하 "회사"라 함)는 1974년 4월 27일에 설립되어, 가성소다, PVC, LLDPE 등의 합성수지 및 기타 석유화학제품의 제조 및 판매와 플라스틱 가공사업 및 태양광 모듈 공급 등 태양광 발전 관련 사업 및 백화점 및 기타 부동산 개발 등을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으며, 서울특별시 중구 장교동에 본사를, 울산광역시및 전라남도 여수시 석유화학공업단지내, 충청북도 음성 및 진천, 세종특별자치시에 제조설비를 두고 있습니다.
회사는 1974년 6월 19일에 주식을 한국거래소에 상장하였으며, 2010년 3월 19일에 상호를 한화석유화학주식회사에서 한화케미칼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회사는 상법 527조의 3에 따라 종속기업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 2020년 1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합병을 완료한 뒤, 사명을 한화솔루션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한화도시개발의 분할사업부를 합병하였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자본금(우선주자본금 포함)은 978,241백만원이며, 주요 주주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수 단위: 주) |
주 주 | 보통주 | 우선주 | ||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보유주식수 | 지분율 | |
㈜한화 | 69,460,211 | 36.31% | - | - |
자기주식(주1) | 699,212 | 0.37% | - | - |
기타 | 121,119,074 | 63.32% | 1,123,737 | 100.00% |
합 계(주2) |
191,278,497 | 100.00% | 1,123,737 | 100.00% |
(주1) | 당분기에 300,000주를 취득하였고, 348주를 임직원 포상금으로 지급하였습니다. |
(주2) | 당분기에 31,414,000주를 유상증자하였습니다. |
2.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회사의 분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지배기업, 관계기업의 투자자 또는 공동기업의 참여자가 투자자산을 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 직접적인 지분투자에 근거한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2) 추정과 판단
1) 경영진의 판단 및 가정과 추정의 불확실성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은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분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회사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20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한편, 2020년도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으로 인하여 전 세계는 어려운 경제상황 및 사태 장기화에 대한 불확실성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일부 사업부문 또한 글로벌경제위축으로 인한 수익성 감소가 예상되나, 회사가 당기에 계획한 자금조달은 예정대로 원활히 진행되고 있어 유동성 확보에는 어려움이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전반적인 경제상황의 어려움이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칠 영향은 현재로서는 측정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한 영향은 재무제표에 반영되어 있지 않습니다.
2) 공정가치 측정
회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회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ㆍ수준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ㆍ수준2: 수준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
ㆍ수준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회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주석 5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유의적인 회계정책
당분기 중 사업결합으로 인하여 편입된 유통부문(백화점업) 등에 적용된 아래의 회계정책을 제외하고는 분기재무제표에 적용된 회계정책은 직전 연차재무제표에 적용한 회계정책과 동일합니다.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되는 새로운 회계기준이 있으나, 그 기준들은 회사의 재무제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습니다.
(1) 재고자산
재고자산은 취득원가와 순실현가능가치 중 낮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단위원가는 미착품은 개별법, 유통부문(백화점업)의 상품은 매출가격환원법, 그 외 재고자산은 평균법에 따라 결정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의 취득원가는 매입원가, 전환원가 및 재고자산을 이용가능한 상태로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타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순실현가능가치는 정상적인 영업과정의 예상판매가격에서 예상되는 추가완성원가와 판매비용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매출원가는 재고자산 판매에 따른 수익을 인식하는 기간에 재고자산의 장부금액으로인식하며, 재고자산을 순실현가능가치로 감액한 평가손실과 모든 감모손실은 감액이나 감모가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또한 재고자산의 순실현가능가치의 상승으로 인한 재고자산평가손실의 환입은 환입이 발생한 기간의 비용으로 인식된 재고자산의 매출원가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 수익인식-고객충성제도
회사는 받은 대가의 일부를 고객충성제도로 배분합니다. 이 배분액은 상대적 개별 판매가격에 따라 측정됩니다. 고객충성제도로 배분된 금액은 이연되며 포인트가 사용되거나 소멸될 때 수익으로 인식합니다. 이연된 수익은 기타부채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 파생상품
1) 파생상품과 위험회피 회계
회사는 외국환과 이자율 익스포저를 위험회피하기 위해 파생금융상품을 보유합니다.
파생상품은 최초 인식 시에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최초 인식 이후에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그 변동은 일반적으로 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현재 보유하고 있는 변동금리부 외화사채(FRN)의 환율과 이자율의 변동으로인한 미래현금흐름의 변동성을 위험회피하기 위해 특정 파생상품을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합니다.
위험회피의 개시시점에, 회사는 위험회피를 수행하는 위험관리의 목적과 전략을 문서화 합니다. 회사는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의 현금흐름의 변동이 서로 상쇄되는 것이 기대되는지를 포함하여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사이의 경제적 관계를 문서화 합니다.
위험회피는 이자율지표 개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회사는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 사이의 경제적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이자율지표가 이자율지표 개혁의 결과로 변동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회사는 이전에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로 지정되었으나,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가 중단된 예상거래가 여전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지를 결정하기 위해 위험회피로 지정된 이자율지표의 현금흐름이 이자율지표 개혁의 결과로 변경되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회사는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 사이의 아래에 기술된 경제적 관계를 평가하여 이 정책의 적용을 중단할 것입니다.
- 위험회피대상항목 또는 위험회피수단에 이자율지표 개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이자율지표를 기초로 하는 각각의 대상항목 또는 수단의 현금흐름의 시기와 금액에 대하여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때
- 위험회피 관계가 중단되는 때
회사는 위험회피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커야 한다는 요구사항에 대하여 이자율지표 개혁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이자율지표를 기초로 하는 위험회피대상항목의 미래 현금흐름의 시기와 금액에 대하여 더 이상 나타나지 않을 때 또는 위험회피관계가 중단되는 때에 이 정책의 적용을 중단할 것입니다.
2)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이 현금흐름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면,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의 효과적인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위험회피적립금으로 누적합니다.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의 효과적인 부분은 위험회피의 개시시점부터, 현재가치를 기초로 결정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공정가치 누적변동액을 한도로 합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의 비효과적인 부분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현금흐름위험회피관계에서 위험회피수단으로 환율 및 이자율의 공정가치변동을 지정합니다. 환율과 이자율의 공정가치 변동은 위험회피원가로서 별도로 회계처리하고, 자본의 위험회피의 원가에 인식합니다.
위험회피대상 예상거래에 대해서는 위험회피적립금 누계액과 위험회피의 원가는 동일한 기간 또는 위험회피대상 예상 미래현금흐름이 당기손익에 영향을 주는 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위험회피가 더 이상 위험회피회계의 요건을 충족하지 않거나, 위험회피수단이 매각, 소멸, 종료 또는 행사된 경우에는 위험회피회계를 전진적으로 중단합니다.
위험회피대상 미래현금흐름이 더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 누계액과 위험회피의 원가는 당기손익으로 즉시 재분류합니다.
4. 재무위험관리
(1) 자본위험관리
회사는 부채와 자본 잔액의 최적화를 통하여 주주이익을 극대화시키는 동시에 계속기업으로서 지속될 수 있도록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전반적인 전략은 전기말과 변동이 없습니다.
(2) 금융위험관리
1) 금융위험요소
회사의 재무부문은 영업을 관리하고 국내외 금융시장의 접근을 조직하며, 각 위험의 범위와 규모를 분석한 내부위험보고서를 통하여 회사의 영업과 관련한 금융위험을 감시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들은 시장위험(외환위험 및 이자율위험), 신용위험, 유동성위험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전기말 이후 회사의 금융위험관리목적과 위험관리정책의 변화는 없습니다.
2) 시장위험
가. 외환위험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외환 포지션에 대해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주요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환율 1% 상승 | 환율 1% 하락 | |
USD | (268,088) | 268,088 | 1,157,043 | (1,157,043) |
EUR | 195,158 | (195,158) | 276,475 | (276,475) |
JPY | 56,949 | (56,949) | 21,515 | (21,515) |
CNY | 80,335 | (80,335) | 82,538 | (82,538) |
기타 | 347,040 | (347,040) | 349,677 | (349,677) |
합 계 | 411,394 | (411,394) | 1,887,248 | (1,887,248) |
상기 민감도분석은 당분기말 현재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된 화폐성 자산 및 부채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체결이 확정된 헷지효과가 발생하는 파생상품거래로 인한 환율변동효과도 고려되었습니다.
나. 이자율위험
당분기말 현재 다른 변수가 일정하고 변동금리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율이 1% 상승 (하락)할 경우, 당분기의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익은 6,872백만원(전분기: 4,411백만원) 감소(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동 분석은 이자율 이외의 다른 변수가 일정하다고 가정하였으며, 체결이 확정된 헷지효과가 발생하는 파생상품거래로 인한 이자율변동효과도 고려되었습니다.
3) 신용위험
회사는 금융상품의 당사자 중 일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아 상대방에게 재무손실을 입힐 신용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회사의 경영진은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신용도가 일정수준 이상인 고객과 거래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신규 고객과 계약시 재무정보와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제공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고객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신용거래한도를 결정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으로 인한 최대 노출금액은 금융기관에 예치된 현금및현금성자산,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을 포함한 모든 금융자산(지분상품 제외)의 장부금액 및 최대보증금액과 동일합니다.
4) 유동성위험
가.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가 보유한 비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
차입금(주1) | 1,553,471,546 | 1,897,755,657 | 126,901,993 | 3,578,129,196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312,398,220 | 180,267,622 | - |
1,492,665,842 |
기타금융부채(주2) | 145,459,254 | 276,156,659 | 388,497,834 | 810,113,747 |
합 계 | 3,011,329,020 | 2,354,179,938 | 515,399,827 | 5,880,908,785 |
(주1) | 이자비용의 예상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 현금흐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이후 | 합 계 |
---|---|---|---|---|
차입금(주1) | 1,360,267,241 | 1,718,425,612 | 282,959,012 | 3,361,651,865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756,013,641 | - | - | 756,013,641 |
기타금융부채(주2) | 102,152,217 | 72,479,363 | 44,012,742 | 218,644,322 |
합 계 | 2,218,433,099 | 1,790,904,975 | 326,971,754 | 4,336,309,828 |
(주1) | 이자비용의 예상 현금흐름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미지급이자 및 금융보증부채의 예상 현금흐름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나. 파생상품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회사가 보유한 파생금융부채의 만기별 예상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
파생상품부채(주1) | (5,947,694) | (11,977,500) | (1,696,119) | (19,621,313) |
(주1) |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자산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예상 현금흐름을 유동성위험 분석에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예상순현금유출입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1년 이내 | 1년 ~ 5년 | 5년 초과 | 합 계 |
---|---|---|---|---|
파생상품부채(주1) | (4,627,559) | 29,227,349 | 22,816,027 | 47,415,817 |
(주1) |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자산으로 평가되었더라도 예상 현금흐름을 유동성위험 분석에 포함하고 있으며, 체결금액이 확정되지 않은 총액결제 파생상품은 예상순현금유출입액으로 반영하였습니다. |
다. 상기 금융부채 이외에 회사는 특수관계자 및 임직원을 위하여 금융보증계약 및 자금보충약정 등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보증을 제공받은 특수관계자가 지급의무를 이행하지 못할 경우 1년 이내에 추가적인 지급의무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관련 유동성위험의 최대금액은 2,204,021백만원(전기말: 1,966,979백만원)입니다(주석 28 및 주석 29 참조).
5. 공정가치
(1)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금융상품의 종류별 장부금액 및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장부금액 | 공정가치(주1) | 장부금액 | 공정가치(주1) | |
금융자산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87,391,077 | 787,391,077 | 361,473,751 | 361,473,751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6,859,898 | 26,859,898 | 2,921,679 | 2,921,679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11,267,315 | 11,267,315 | 11,248,925 | 11,248,925 |
파생금융상품 | 33,305,132 | 33,305,132 | 12,954,637 | 12,954,637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498,051,900 | 1,498,051,900 | 1,067,760,471 | 1,067,760,471 |
기타금융자산 | 112,457,910 | 112,457,910 | 61,785,857 | 61,785,857 |
합 계 | 2,469,333,232 | 2,469,333,232 | 1,518,145,320 | 1,518,145,320 |
금융부채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489,483,356 | 1,489,483,356 | 756,013,641 | 756,013,641 |
차입금 | 3,474,307,531 | 3,478,456,186 | 3,228,191,278 | 3,219,551,668 |
파생금융상품 | 13,683,819 | 13,683,819 | 60,370,454 | 60,370,454 |
기타금융부채 | 685,552,056 | 685,552,056 | 267,987,600 | 267,987,600 |
합 계 | 5,663,026,762 | 5,667,175,417 | 4,312,562,973 | 4,303,923,363 |
(주1) |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은 매출채권및기타채권 및 비상장주식 등에 대하여는 취득원가를 공정가치로 측정하였습니다. |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
수준 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 |
수준 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과 부채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 | - | 11,267,315 | 11,267,315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 | - | 26,859,898 | 26,859,898 |
파생상품자산 | - | 33,305,132 | - | 33,305,132 |
파생상품부채 | - | 13,683,819 | - | 13,683,819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조건부대가) |
- | - | 38,272,418 | 38,272,418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 계 |
---|---|---|---|---|
반복적인 공정가치 측정치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 | - | 11,248,925 | 11,248,925 |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 |
- | - | 2,921,679 | 2,921,679 |
파생상품자산 | - | 12,954,637 | - | 12,954,637 |
파생상품부채 | - | 60,370,454 | - | 60,370,454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라고 판단되는 매출채권및기타채권에 대해서는 공정가치 서열체계를 공시하지 않았습니다.
(3) 수준 2와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금융상품 공정가치측정치에 사용된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 파생상품(통화선도, 통화스왑, 이자율스왑)
통화선도의 공정가치는 원칙적으로 측정대상 통화선도의 잔존기간과 일치하는 기간에 대한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에서 공시된 선도환율에 기초하여 측정하였습니다. 통화선도의 잔존기간과 일치하는 기간의 선도환율이 시장에서 공시되지 않는다면, 시장에서 공시된 각 기간별 선도환율에 보간법을 적용하여 통화선도의 잔존기간과 유사한 기간의 선도환율을 추정하여 통화선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였습니다. 선도환율이 공시되지 않는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의 경우, 거래 금융기관으로부터수령한 평가서를 기초로 현재가치를 측정하였습니다.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측정에 사용되는 투입변수는 보고기간말 현재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선도환율 등을 통해 도출되므로, 회사는 파생상품의 공정가치측정치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상 수준 2로 분류하였습니다.
- 비상장주식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미래현금흐름을추정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및 업종의 상황 등에 기초한 매출액 증가율, 세전 영업이익률, 할인율 등에 대한 가정이나 추정과 같이 관측가능한 시장가격이나 비율에 근거하지 않은 가정이 일부 사용됩니다.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하기 위하여 사용된 할인율은 유사한 상장기업의 자료를 활용하여 자본자산가격결정모형(CAPM)을 적용하여 산정하였습니다. 회사는 상기에서 언급된 주요 가정과 추정이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비상장주식의 공정가치측정치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상 수준 3으로 분류하였습니다.
- 조건부대가
조건부대가의 공정가치는 현금흐름할인모형을 사용하여 측정하며, 미래현금흐름을 추정하기 위하여 사업계획 및 업종의 상황 등에 기초한 조건부대가의 실현가능성, 할인율 등에 대한 가정이나 추정과 같이 관측가능한 시장가격이나 비율에 근거하지 않은 가정이 일부 사용됩니다. 미래현금흐름을 할인하기 위하여 사용된 할인율은 당사의 신용등급과 기간계수를 고려한 회사채 이자율입니다. 회사는 상기에서 언급된 주요 가정과 추정이 조건부대가의 공정가치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인 것으로 판단하여 조건부대가의 공정가치측정치를 공정가치 서열체계상 수준 3으로 분류하였습니다.
6. 범주별 금융상품
(1)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자산의 범주별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787,391,077 | - | 787,391,077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8,828,727 | 1,473,342,219 | - | 1,482,170,946 |
기타금융자산 | 16,781,135 | - | 41,269,927 | 900,564 | 58,951,626 |
비유동성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6,859,898 |
- | - | - | 26,859,898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11,267,315 | - | - | 11,267,315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 | 15,880,954 | - | 15,880,954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15,623,433 | - | 71,187,983 | - | 86,811,416 |
합 계 | 59,264,466 | 20,096,042 | 2,389,072,160 | 900,564 |
2,469,333,232 |
(주1) | 범주별 금융자산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합 계 |
---|---|---|---|---|
유동성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361,473,751 | 361,473,75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3,530,241 | 1,050,218,378 | 1,053,748,619 |
기타금융자산 | 12,954,637 | - | 29,058,720 | 42,013,357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2,919,930 | - | - | 2,919,930 |
비유동성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1,749 | - | - | 1,749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 | 11,248,925 | - | 11,248,925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 | 14,011,852 | 14,011,852 |
기타비유동금융자산 | - | - | 32,727,137 | 32,727,137 |
합 계 | 15,876,316 | 14,779,166 | 1,487,489,838 | 1,518,145,320 |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범주별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311,436,515 | - | 1,311,436,515 |
차입금 | - | 1,506,061,229 | - | 1,506,061,229 |
기타금융부채 | 11,734,005 | 151,509,687 | 11,851,579 | 175,095,271 |
비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38,272,418 |
139,774,423 | - |
178,046,841 |
장기차입금 | - | 1,968,246,301 | - | 1,968,246,301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1,949,814 | 474,703,535 | 47,487,255 | 524,140,604 |
합 계 | 51,956,237 | 5,551,731,690 | 59,338,834 | 5,663,026,761 |
(주1) |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금융보증부채(주석 19 참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주1) | 합 계 |
---|---|---|---|---|
유동성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756,013,641 | - | 756,013,641 |
차입금 | - | 1,304,495,053 | - | 1,304,495,053 |
기타금융부채 | 8,327,079 | 106,953,934 | 56,822,393 | 172,103,406 |
비유동성 | ||||
장기차입금 | - | 1,923,696,225 | - | 1,923,696,225 |
기타비유동금융부채 | 52,043,375 | 104,169,512 | 41,761 | 156,254,648 |
합 계 | 60,370,454 | 4,195,328,365 | 56,864,154 | 4,312,562,973 |
(주1) | 금융보증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주석 19 참조). |
(2)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금융상품 손익을 범주별로 구분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
기 타 | 합 계 |
---|---|---|---|---|---|---|
대손상각비 | - |
- |
(4,767,953) | - |
- |
(4,767,953) |
기타대손상각비 | - |
- |
(5,578) | - |
- |
(5,578) |
외환차익 | - |
- |
46,593,757 | 3,695,203 | - |
50,288,960 |
외화환산이익 | - |
- |
27,872,864 | 173,476 | - |
28,046,340 |
파생상품평가이익 | 88,136,915 | - |
- |
- |
- |
88,136,915 |
파생상품거래이익 | 5,397,270 | - |
- |
- |
- |
5,397,270 |
외환차손 | - |
- |
(6,579,543) | (33,025,979) | - |
(39,605,522) |
외화환산손실 | - |
- |
(377,137) | (99,059,923) | - |
(99,437,060) |
금융상품평가이익 | 274,828 | - |
- |
- |
- |
274,828 |
금융상품평가손실 | (15,225) | - |
- |
- |
- |
(15,225) |
파생상품평가손실 | (11,289,845) | - |
- |
- |
- |
(11,289,845) |
파생상품거래손실 | (22,585,595) | - |
- |
- |
- |
(22,585,595) |
이자수익(비용) | (62,280) | - |
7,920,702 | (62,318,365) | - |
(54,459,943) |
금융상품처분이익 | 53,468 | - |
- |
- |
- |
53,468 |
금융상품처분손실 | - |
(400,959) | - | - |
- |
(400,959) |
금융보증계약부채환입 | - |
- |
- |
- |
9,472,609 | 9,472,609 |
배당금수익 | 237,524 | 421,297 | - |
- |
- | 658,821 |
소계: 세전순손익 | 60,147,060 | 20,338 | 70,657,112 | (190,535,588) | 9,472,609 | (50,238,469)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25,129 | - |
- |
- | 25,129 |
파생상품평가손익 | - |
- | - |
- |
1,000,901 | 1,000,901 |
소계: 세전기타포괄손익 | - |
25,129 | - |
- |
1,000,901 | 1,026,030 |
합계: 세전순포괄손익 | 60,147,060 | 45,467 | 70,657,112 | (190,535,588) | 10,473,510 | (49,212,439)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 금융부채 |
기 타 | 합 계 |
---|---|---|---|---|---|---|
대손상각비 | - | - | (1,632,548) | - | - | (1,632,548) |
기타대손상각비 | - | - | 42,812 | - | - | 42,812 |
외환차익 | - | - | 67,466,093 | 15,988,563 | - | 83,454,656 |
외화환산이익 | - | - | 4,330,718 | 6,014,820 | - | 10,345,538 |
파생상품평가이익 | 9,200,105 | - | - | - | - | 9,200,105 |
파생상품거래이익 | 11,922,118 | - | - | - | - | 11,922,118 |
외환차손 | - | - | (40,893,699) | (23,352,154) | - | (64,245,853) |
외화환산손실 | - | - | (18,117,140) | (13,286,800) | - | (31,403,940) |
금융상품평가이익 | 1,894 | - | - | - | - | 1,894 |
금융상품평가손실 | (486,398) | - | - | - | - | (486,398) |
파생상품평가손실 | (6,971,247) | - | - | - | - | (6,971,247) |
파생상품거래손실 | (16,300,190) | - | - | - | - | (16,300,190) |
이자수익(비용) | - | - | 4,281,803 | (77,164,532) | - | (72,882,729) |
배당금수익 | - | 421,297 | - | - | - | 421,297 |
금융상품처분손실 |
- | (461,617) | - | - | - | (461,617) |
금융보증계약부채환입 | - | - | - | - | 8,695,607 | 8,695,607 |
소계: 세전순손익 | (2,633,718) | (40,320) | 15,478,039 | (91,800,103) | 8,695,607 | (70,300,495)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3,936 | - | - | - | 3,936 |
소계: 세전기타포괄손익 | - | 3,936 | - | - | - | 3,936 |
합계: 세전순포괄손익 | (2,633,718) | (36,384) | 15,478,039 | (91,800,103) | 8,695,607 | (70,296,559) |
7. 매출채권및기타채권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매출채권 | 1,419,291,437 | 3,828,151 | 1,046,948,614 | 526,543 |
차감: 현재가치할인차금 | (9,685) | (60,344) | (9,684) | (67,584) |
손실충당금 | (24,729,289) | - |
(15,001,523) | - |
소 계 | 1,394,552,463 | 3,767,807 | 1,031,937,407 | 458,959 |
미수금 | 88,182,145 | 13,965,694 | 22,286,426 | 13,996,904 |
차감: 현재가치할인차금 | - |
(422,301) | - | (444,011) |
손실충당금 | (563,662) | (1,430,246) | (475,214) | - |
소 계 | 87,618,483 | 12,113,147 | 21,811,212 | 13,552,893 |
합 계 | 1,482,170,946 | 15,880,954 | 1,053,748,619 | 14,011,852 |
(2) 신용위험 및 손실충당금
당분기 및 전분기의 손실충당금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비손상채권 | 손상채권 | 계 |
---|---|---|---|
기초 | 2,578,105 | 12,898,632 | 15,476,737 |
사업결합 | 4,800,016 | 1,512,823 | 6,312,839 |
채권의 증감에 따른 변동 | 5,065,508 | (291,977) | 4,773,531 |
회수 | 160,090 | - |
160,090 |
분기말(주1) |
12,603,719 | 14,119,478 | 26,723,197 |
(주1) | 당분기말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실무적 간편법에 따라 전체기간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하였습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비손상채권 | 손상채권 | 계 |
---|---|---|---|
기초 | 611,942 | 950,444 | 1,562,386 |
사업결합 | 1,087,989 | 12,199,826 | 13,287,815 |
제각 | - | (528) | (528) |
회수 | (263,057) | (577,205) | (840,262) |
채권의 증감에 따른 변동 | 1,143,376 | 1,105,231 | 2,248,607 |
분기말(주1) | 2,580,250 | 13,677,768 | 16,258,018 |
(주1) | 전분기말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손실충당금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실무적 간편법에 따라 전체기간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하였습니다. |
(3) 매출채권의 양도
1) 거래상대방이 양도자산에 대한 소구권을 보유하는 경우 전체가 제거되지 않는 형태로 이루어지며 양도되는 금융자산과 관련된 부채는 단기차입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양도되었으나 전체가 제거되지 않은 금융자산은 없습니다.
2) 당분기말 현재 전체가 제거된 양도 금융자산에 대한 지속적 관여는 없습니다.
8. 재고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재고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취득원가 | 평가충당금 | 장부금액 | |
상 품 | 51,983,681 | (2,648,138) | 49,335,543 | 6,329,181 | (222,761) | 6,106,420 |
제 품 | 524,815,752 | (23,146,149) | 501,669,603 | 303,025,468 | (5,833,792) | 297,191,676 |
재공품 | 2,622,062 | - |
2,622,062 | 1,033,787 | - | 1,033,787 |
원재료 | 150,038,452 | (2,880,358) | 147,158,094 | 92,501,367 | (1,964,282) | 90,537,085 |
저장품 | 43,007,827 | - |
43,007,827 | 54,180,465 | - | 54,180,465 |
미착품 | 38,890,576 | - |
38,890,576 | 27,955,765 | - | 27,955,765 |
합 계 | 811,358,350 | (28,674,645) | 782,683,705 | 485,026,033 | (8,020,835) | 477,005,198 |
(2) 당분기 중 재고자산과 관련하여 인식한 평가손실은 17,574백만원(전분기: 7,634백만원 환입)으로 포괄손익계산서의 매출원가에 포함되었습니다.
9. 파생상품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자 산 | 부 채 | 자 산 | 부 채 | |
유동성파생상품 | ||||
통화선도 | 363,808 | 11,734,005 | 12,442,245 | 1,085,030 |
통화스왑 | 17,317,891 | - |
512,392 | 6,861,056 |
이자율스왑 | - |
- |
- | 380,993 |
소 계 | 17,681,699 | 11,734,005 | 12,954,637 | 8,327,079 |
비유동성파생상품 | ||||
통화스왑 | 15,528,265 | 1,949,814 | - | 51,941,274 |
이자율스왑 | 95,168 | - |
- | 102,101 |
소 계 | 15,623,433 | 1,949,814 | - | 52,043,375 |
합 계 | 33,305,132 | 13,683,819 | 12,954,637 | 60,370,454 |
10. 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비상장주식(주1) | 11,267,315 | 11,248,925 |
(주1) |
회사는 단기매매항목이 아닌 전략적 투자목적으로 보유하는 지분상품에 대해 최초적용일에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항목으로 지정하는 취소불가능한 선택권을 적용하였습니다. |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지분상품 | 24,373,776 | 2,919,930 |
수익증권 | 2,137,855 | 1,749 |
채무상품 | 348,267 | - |
합 계 | 26,859,898 | 2,921,679 |
(3) 활성거래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거나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은 비상장주식에 대하여는 취득원가를 공정가치로 측정하였습니다.
(4)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11,248,925 | 11,262,162 |
사업결합 | - |
6,739 |
취득 | 2,292,350 | - |
자본으로 분류된 평가손익 | 25,129 | 3,936 |
처분 | (2,292,350) | - |
기타 | (6,739) | - |
분기말 | 11,267,315 | 11,272,837 |
11. 관계기업등투자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관계기업등투자자산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기 업 | 소재국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지분율 | 장부금액 | 지분율 | 장부금액 | ||
종속기업 | |||||
㈜한화갤러리아 (주1) |
국내 | - | - | 100.00% | 499,034,692 |
㈜한화도시개발 (주2) |
국내 | 100.00% | 98,374,528 | 100.00% | 209,771,145 |
한화컴파운드㈜ | 국내 | 100.00% | 57,850,875 | 100.00% | 57,850,875 |
한화글로벌에셋㈜ (주3) |
국내 | 100.00% | 1,000,114,865 | 100.00% | 735,620,349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국내 | 100.00% | 95,014,350 | 100.00% | 95,014,350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중국 | 100.00% | 3,209,559 | 100.00% | 3,209,559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인도 | 99.99% | 168,991 | 99.99% | 168,991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100.00% | 3,314,400 | 100.00% | 3,314,400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중국 | 100.00% | 262,048,271 | 100.00% | 262,048,271 |
Hanwha Chemical (Thailand) Co., Ltd. | 태국 | 99.99% | 24,907,971 | 99.99% | 24,907,971 |
Hanwha International Corp. | 미국 | 100.00% | 55,314,190 | 100.00% | 55,314,190 |
Hanwha Q CELLS Co., Ltd. (주4) |
영국 | 100.00% | 1,770,023,089 | 100.00% | 1,442,597,607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주5) |
국내 | 100.00% | 3,805,000 | 100.00% | 2,305,000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영국 | 100.00% | 3,571,026 | 100.00% | 3,571,026 |
HAMC Holdings Corp. (주8) |
미국 | 100.00% | 69,639,912 | 100.00% | 11,515,389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주9) |
미국 | 100.00% | 134,780,000 | - | - |
㈜더블유오에스 (주10) |
국내 | 100.00% | 101,962,772 | -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주6) |
국내 | 99.99% | 163,275,050 | - | - |
㈜한화비앤비 (주6) |
국내 | 100.00% | 4,933,849 | - | - |
㈜아산테크노밸리 (주7)(주11) |
국내 | - | - | - | -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75.00% | 6,149,392 | - | - |
㈜김해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80.00% | 2,454,720 | - | - |
㈜서산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65.00% | 7,920,713 | - | - |
㈜에이치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80.00% | 3,536,226 | - |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70.00% | 3,011,908 | - | - |
㈜서오창테크노밸리 (주7)(주12) |
국내 |
73.00% | - | - | - |
㈜안성테크노밸리 (주7) |
국내 |
75.00% | - | - | - |
㈜에이치밸리 (주7) |
국내 |
51.00% | - | - | - |
관계기업 | |||||
㈜한화이글스 | 국내 | 40.00% | - | 40.00%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 (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주13) |
국내 | 47.93% | 1,021,440,817 |
36.05% | 535,477,300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주14) |
국내 | 47.88% | 241,577,469 | 48.70% | 241,577,469 |
Crystal Solar Inc. | 미국 | 29.09% | - | 29.09% | - |
㈜스마일벤처스 (주6)(주15) |
국내 | 17.81% | 1,947,426 | - | - |
한화역사㈜ (주7) |
국내 | 40.01% | 64,713,166 | - | - |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주16) |
국내 | 22.49% | 2,250,000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국내 | 50.00% | 370,135,400 | 50.00% | 370,135,400 |
㈜울산복합도시개발 (주17) |
국내 | 45.00% | 6,750,000 | - | - |
합 계 | 5,584,195,935 | 4,553,433,984 |
(주1) |
회사는 2021년 4월 1일자로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였습니다. |
(주2) |
회사는 2021년 4월 1일자로 ㈜한화도시개발을 분할 후 합병하였습니다. |
(주3) | 회사는 당분기에 한화글로벌에셋㈜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264,49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4) | 회사는 당분기에 Hanwha Q CELLS Co., Ltd.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327,42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5) | 회사는 당분기에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1,500백만원을 출자하였으며, 동 종속기업에 대한 출자주식 전체를 피투자회사의 차입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하였습니다(주석 28 참조). |
(주6) | 회사는 당분기에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면서, ㈜한화갤러리아의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들을 취득하였습니다. |
(주7) | 회사는 당분기에 ㈜한화도시개발을 분할 후 합병하면서, ㈜한화도시개발의 관계기업 및 종속기업들을 취득하였습니다. |
(주8) | 회사는 당분기에 HAMC Holdings Corp.에 58,12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9) | 회사는 당분기에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에 134,78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10) | 회사는 당분기에 ㈜더블유오에스에 101,963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11) | 회사는 당분기에 ㈜아산테크노밸리 1,666백만원을 청산하였습니다. |
(주12) | 회사는 당분기에 ㈜서오창테크노밸리의 PF대출약정에 대하여 동 종속기업에 대한 출자주식 전체를 피투자회사의 차입금에 대한 담보로 제공하였습니다(주석 28 참조). |
(주13) | 회사는 당분기에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의 주식 485,963백만원을 추가 취득하였습니다. 취득대가는 분할지급하며, 잔여 미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하였습니다(주석 28 참조). |
(주14) | 합병 신주 배정에 따른 발행주식수 증가로 지분율이 변동하였습니다. |
(주15) | 유상증자에 따른 발행주식수 증가로 지분율이 변동하였습니다. 의결권부 우선주를 고려한 유효지분율을 표시하였습니다. |
(주16) | 회사는 당분기에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에 2,25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17) | 회사는 당분기에 ㈜울산복합도시개발에 6,75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관계기업등투자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장부금액 | 4,553,433,984 | 4,489,322,832 |
사업결합 | (350,823,240) | (349,662,996) |
취득 |
1,383,250,810 | 260,286,714 |
처분 | (1,665,619) | - |
분기말장부금액 |
5,584,195,935 |
4,399,946,550 |
12. 투자부동산
당분기 및 전분기의 투자부동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합 계 |
---|---|---|---|
기초 | 37,993,837 | 34,576,368 | 72,570,205 |
사업결합 | 15,128,340 | 3,549,781 | 18,678,121 |
감가상각 | - | (915,884) | (915,884) |
대체 | 8,600,800 | - | 8,600,800 |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 | (7,377,750) | - | (7,377,750) |
분기말 | 54,345,227 | 37,210,265 | 91,555,492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 지 | 건 물 | 구축물 | 합 계 |
기초 | 43,430,421 | 39,682,903 | 1,307,468 | 84,420,792 |
사업결합 | 1,265,837 | 776,739 | - | 2,042,576 |
대체 | 522,008 | 33,774 | - | 555,782 |
처분 | (7,224,429) | (4,664,648) | (1,202,264) | (13,091,341) |
감가상각 | - | (965,260) | (105,204) | (1,070,464) |
분기말 | 37,993,837 | 34,863,508 | - | 72,857,345 |
13. 유형자산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기구비품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기 | 기타의 유형자산 |
합 계 |
---|---|---|---|---|---|---|---|---|---|---|
기초 | 758,475,018 | 589,797,521 | 206,928,371 | 1,680,832,208 | 6,331,086 | 39,102,348 | 333,012,347 | 588,862 | - | 3,615,067,761 |
사업결합 | 752,298,184 | 170,687,211 | 7,600,425 | - | 316,624 | 20,192,867 | 827,755 | - | 18,922 | 951,941,988 |
취득 | 82,520 | 8,213,231 | 35,300 | - | - | 617,861 | 305,992,470 | 3,555,140 | - | 318,496,522 |
처분 | (566,654) | (2,248,070) | (176,306) | (1,382,671) | - | (562,069) | - | - | - | (4,935,770) |
감가상각 | - | (28,788,524) | (12,450,736) | (176,167,474) | (2,617,800) | (15,385,931) | - | - | - | (235,410,465) |
대체 | (8,392,521) | 56,549,539 | 61,560,214 | 304,154,115 | 125,647 | 23,170,959 | (450,716,232) | (3,353,420) | - | (16,901,699) |
분기말 | 1,501,896,547 | 794,210,908 | 263,497,268 | 1,807,436,178 | 4,155,557 | 67,136,035 | 189,116,340 | 790,582 | 18,922 | 4,628,258,337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기계장치 | 차량운반구 | 공기구비품 | 건설중인자산 | 미착기기 | 합 계 |
---|---|---|---|---|---|---|---|---|---|
기초 | 627,892,359 | 190,516,081 | 148,044,288 | 907,990,486 | 7,084,378 | 14,596,346 | 319,884,575 | 288,645 | 2,216,297,158 |
사업결합 | 113,528,085 | 403,400,760 | 38,953,547 | 625,497,116 | 1,652,411 | 23,619,486 | 80,787,110 | 5,904 | 1,287,444,419 |
취득 | - | - | - | - | - | - | 279,286,395 | 6,669,379 | 285,955,774 |
처분 | (10,108,585) | (426,042) |
- | (2,849,788) |
- | (371,690) |
- | - | (13,756,105) |
감가상각 | - | (13,937,117) |
(11,193,793) |
(163,246,402) |
(2,456,619) |
(11,678,445) |
- | - | (202,512,376) |
대체 | 31,024,276 | 14,897,230 | 33,226,826 | 305,096,497 | 137,670 | 11,543,814 | (400,114,666) |
(6,051,833) |
(10,240,186) |
손상 | (3,786,519) |
(332,870) |
(441,759) |
(3,172,461) |
- | (181) |
- | - | (7,733,790) |
분기말 | 758,549,616 | 594,118,042 | 208,589,109 | 1,669,315,448 | 6,417,840 | 37,709,330 | 279,843,414 | 912,095 | 3,555,454,894 |
(2) 차입원가의 자본화에 적용한 자본화이자율은 2.03%(전분기: 2.40%)이며, 유형자산으로 자본화한 차입원가는 4,270백만원(전분기: 4,597백만원)입니다.
(3) 당분기말 현재 금융기관차입금과 관련해 토지 등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 담보설정금액은 1,104,099백만원(전기말: 1,021,045백만원)입니다.
14. 무형자산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영업권 | 산업재산권 | 개발비 | 회원권 | 배출권 | 기타의 무형자산 |
합 계 |
---|---|---|---|---|---|---|---|
기초 | 35,018,051 | 2,017,687 | 32,866,684 | 22,296,145 | - |
23,983,790 | 116,182,357 |
사업결합 | - | 31,411 | - |
11,902,970 | - |
95,495 | 12,029,876 |
취득 | - |
604,195 | - |
- |
214,233 | - |
818,428 |
처분 | - |
(357) | - |
(133,302) | (147,529) | - | (281,188) |
상각 | - |
(285,743) | (9,698,550) | (135,069) | - |
(8,553,930) | (18,673,292) |
대체 | - |
226,799 | - |
122,640 | 4,262,246 | 4,598,040 | 9,209,725 |
분기말 | 35,018,051 | 2,593,992 | 23,168,134 | 34,053,384 | 4,328,950 | 20,123,395 | 119,285,906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영업권 | 산업재산권 | 개발비 | 회원권 | 배출권 | 기타의 무형자산 |
합 계 |
---|---|---|---|---|---|---|---|
기초 | 18,510,215 | 1,544,838 | - | 20,337,010 | 99,548 | 2,990,080 | 43,481,691 |
사업결합 | 18,207,836 | 458,507 | 46,178,739 | 7,992,759 | - | 26,806,457 | 99,644,298 |
취득 | - | 206,642 | - | 1,234,764 | - | - | 1,441,406 |
처분 | - | - | - | (7,247,720) |
(4,096,400) |
- | (11,344,120) |
감소 | (1,700,000) | - | - | - | - | - | (1,700,000) |
상각 | - | (241,952) |
(9,984,041) |
(70,766) |
- | (7,611,479) |
(17,908,238) |
대체 | - | 31,662 | - | 1,737,400 | 3,996,852 | 2,185,569 | 7,951,483 |
손상 | - | (185,470) |
- | - | - | - | (185,470) |
분기말 | 35,018,051 | 1,814,227 | 36,194,698 | 23,983,447 | - | 24,370,627 | 121,381,050 |
(2) 온실가스 배출권
회사는 「온실가스 배출권의 할당 및 거래에 관한 법률」에 따라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권 및 배출부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 온실가스 배출권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에서 무상으로 할당받은 배출권과 배출절감활동으로 발생한 잉여 배출권으로 구성됩니다. 무상할당 배출권은 영(0)으로 측정하여 인식하고, 잉여배출권은 할당량 대비 배출량이 적은 경우 그 차이분을 배출권 자산으로 인식합니다.
회사는 관련 제도에서 규정한 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보유하는 온실가스 배출권을 무형자산으로 분류하여 원가에서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보고기간 말부터 1년 이내에 정부에 제출할 부분은 유동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온실가스 배출권은 정부에 제출ㆍ매각하거나, 제출ㆍ매각에 사용할 수 없게 되어 더 이상 미래경제적 효익이 예상되지 않을 때 제거합니다.
2) 배출부채
배출부채는 정부에 배출권을 제출해야 하는 현재의무로서, 보유한 배출권의 장부금액과 초과 배출량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는 데 소요될 예상지출을 합산하여 측정합니다. 배출부채는 배출권을 정부에 제출할 때 제거합니다.
3) 3차 계획기간(2021년~2025년)에 대한 무상할당 배출권 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톤(tCO2-eq)) |
구 분 |
2021년도분 |
2022년도분 |
2023년도분 |
2024년도분 |
2025년도분 |
합계 |
무상할당 배출권 |
2,584,299 | 2,584,299 | 2,584,299 | 2,560,095 | 2,560,095 |
12,873,087 |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배출권 증감내용 및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배출권
(단위: 톤(tCO2-eq),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수량 | 금액(주2) | 수량 | 금액(주3) | |
기초 |
198,329 | 4,441,305 | 4,381 | 99,548 |
증가 |
146,676 | 4,476,479 | 417,299 | 9,261,982 |
감소(주1) |
(147,558) | (3,636,228) | (133,000) | (3,710,700) |
분기말 |
197,447 | 5,281,556 | 288,680 | 5,650,830 |
(주1) |
당분기 중 배출권거래제 제 2기분 잉여 무상할당배출권 55천톤을 탄소배출권 시장에 판매하였습니다. (전분기 133천톤 판매) |
(주2) |
유동자산으로 분류되는 탄소배출권 952,606천원을 포함한 금액입니다. |
(주3) |
전액 유동자산으로 분류되었습니다. |
② 배출부채
(단위: 톤(tCO2-eq),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기초 |
- | - | 42,665 | 1,710,883 |
증가 |
154,677 | 2,444,139 | - | - |
감소 |
(154,677) | (2,444,139) | (42,665) | (1,710,883) |
분기말 | - | - | - | - |
15. 리스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사용권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차량운반구 | 기타 | 합 계 |
---|---|---|---|---|---|---|
기초 | 166,072 | 96,221,886 | 8,708,240 | 2,052,389 | 1,946,249 | 109,094,836 |
사업결합 | - | 245,815,806 | - |
2,493,920 | - |
248,309,726 |
증가 | 121,194 | 53,186,853 | 280,753 | 3,587,882 | 216,765 | 57,393,447 |
감소 | (10,080) | (14,761,609) | (34,241) | (715,374) | (73,879) | (15,595,183) |
감가상각 | (111,869) | (23,847,259) | (2,066,361) | (2,222,119) | (1,719,736) | (29,967,344) |
분기말 | 165,317 | 356,615,677 | 6,888,391 | 5,196,698 | 369,399 | 369,235,482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토지 | 건물 | 구축물 | 차량운반구 | 기타 | 합 계 |
---|---|---|---|---|---|---|
기초 | 15,028 | 50,313,309 | 11,150,063 | 985,319 | 3,830,589 | 66,294,308 |
사업결합 | - | 53,246,310 | - | 1,157,180 | - | 54,403,490 |
증가 | 198,649 | 91,496,059 | 361,064 | 1,884,744 | 271,421 | 94,211,937 |
감소 | (10,871) | (86,519,263) | (637,840) | (375,337) | - | (87,543,311) |
감가상각 |
(78,924) | (10,040,318) | (2,110,524) | (1,269,138) | (1,668,880) | (15,167,784) |
분기말 |
123,882 | 98,496,097 | 8,762,763 | 2,382,768 | 2,433,130 | 112,198,640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 | 전분기 |
---|---|---|
사용권자산 감가상각비 |
29,967,344 | 15,167,784 |
리스부채 이자비용 |
14,669,682 | 2,481,007 |
단기리스 관련 비용 |
843,529 | 360,303 |
소액자산리스 관련 비용 |
1,433,019 | 1,120,932 |
리스부채 측정치에 포함되지 않은 변동리스료 관련 비용 | 6,588,633 | 5,695,425 |
사용권자산의 전대리스에서 생기는 수익 | 1,231,192 | - |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로 인한 총 현금유출 금액은 53,690백만원 및 23,357백만원입니다.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1년 이내 |
72,565,814 | 19,751,649 |
1년 초과 5년 이내 |
262,120,058 | 61,116,541 |
5년 초과 |
378,272,813 | 41,598,660 |
소 계 |
712,958,685 | 122,466,850 |
차감: 현재가치 조정금액 |
(192,944,200) | (14,060,961) |
리스부채의 현재가치 | 520,014,485 | 108,405,889 |
(4)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유동성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유동부채 |
69,571,478 | 18,013,008 |
비유동부채 |
450,443,007 | 90,392,881 |
합 계 |
520,014,485 | 108,405,889 |
16. 매각예정자산
당분기말 현재 매각예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말 |
---|---|
토지 | 7,377,750 |
당분기 중 도시개발부문의 보유 토지 일부가 2021년 5월 11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되었습니다. 회사는 자회사인 ㈜안성테크노밸리의 산업단지 승인 고시('21. 4.)에 따라 사업구역 내 회사 보유 토지의 소유권 이전을 결정하였고, ㈜안성테크노밸리가 관리기본계획 승인고시('21. 9.)절차를 완료함에 따라 소유권 이전을 예정하고 있습니다.
17. 매입채무및기타채무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매입채무 | 917,537,350 | - |
582,796,966 | - |
미지급금 | 394,646,531 | 180,267,622 | 173,216,675 | - |
차감: 현재가치할인차금 | (747,366) | (2,220,781) | - |
- |
합 계 | 1,311,436,515 | 178,046,841 | 756,013,641 | - |
18. 차입금 및 사채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차입금 및 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금융기관차입금(주1) | 1,114,840,552 | 491,142,900 | 1,042,499,005 | 527,565,334 |
사채 | 391,772,000 | 1,480,765,000 | 262,320,000 | 1,400,800,000 |
차감:사채할인발행차금 | (551,323) | (3,661,599) | (323,952) | (4,669,109) |
합 계 | 1,506,061,229 | 1,968,246,301 | 1,304,495,053 | 1,923,696,225 |
(주1) |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동 금융기관차입금과 관련하여 토지, 건물 등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 담보설정금액은 1,104,099백만원 입니다. |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기관차입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차입처 | 이자율(%) | 당분기말 | 전기말 |
---|---|---|---|---|
원화차입금 | 한국산업은행 외 | 0.90 ~ 3.50 | 1,038,990,248 | 1,243,965,334 |
외화차입금 | 한국산업은행 외 | 0.34 ~ 1.56 |
566,993,204 | 326,099,005 |
합 계 | 1,605,983,452 | 1,570,064,339 |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만 기 | 이자율(%) | 당분기말 | 전기말 |
---|---|---|---|---|
246-2회 공모사채 | - | - | - | 50,000,000 |
252회 FRN |
- | - | - | 32,640,000 |
253회 FRN |
2021.10.04 | 3ML+1.15 | 59,245,000 | 54,400,000 |
254-1회 공모사채 | 2021.11.29 | 2.31 | 60,000,000 | 60,000,000 |
254-2회 공모사채 | 2023.11.29 | 2.50 | 90,000,000 | 90,000,000 |
255회 공모사채 | 2024.01.31 | 2.31 | 150,000,000 | 150,000,000 |
256회 FRN |
2022.04.04 | 3ML+1.15 | 236,980,000 | 217,600,000 |
257회 FRN |
2022.10.11 | 3ML+0.95 | 59,245,000 | 54,400,000 |
258회 FRN |
2022.10.11 | 3ML+0.95 | 59,245,000 | 54,400,000 |
259회 FRN |
2022.10.11 | 3ML+1.00 | 59,245,000 | 54,400,000 |
260-1회 공모사채 | 2022.10.24 | 1.79 | 110,000,000 | 110,000,000 |
260-2회 공모사채 | 2024.10.24 | 1.98 | 80,000,000 | 80,000,000 |
260-3회 공모사채 | 2026.10.24 | 2.28 | 60,000,000 | 60,000,000 |
267회 FRN |
- | - | - | 32,640,000 |
268회 FRN |
- | - | - | 32,640,000 |
269-1회 공모사채 | 2023.01.20 | 1.83 | 140,000,000 | 140,000,000 |
269-2회 공모사채 | 2025.01.22 | 2.04 | 140,000,000 | 140,000,000 |
270회 공모사채 | 2023.04.21 | 2.38 | 210,000,000 | 210,000,000 |
271회 사모사채 |
2023.06.30 | 2.63 | 40,000,000 | 40,000,000 |
273회 사모사채 | 2022.07.19 | 3ML+0.95 | 35,547,000 | - |
275-1회(녹) (공모) | 2024.06.17 | 1.70 | 70,000,000 | - |
275-2회(녹) (공모) | 2026.06.17 | 2.06 | 30,000,000 | - |
그린본드 | 2024.04.19 | 3.00 | 183,030,000 | - |
소 계 | 1,872,537,000 | 1,663,120,000 | ||
사채할인발행차금 | (4,212,922) | (4,993,061) | ||
차 감: 유동성사채 | (391,220,677) | (261,996,048) | ||
합 계 | 1,477,103,401 | 1,396,130,891 |
상기 사채는 발행일 이후 일시상환하도록 되어 있고, 이자지급조건은 3개월 선급 혹은 후급, 6개월 후급조건입니다. 해당 사채할인발행차금은 동 사채의 상환기간에 걸쳐 유효이자율법으로 상각하고 이를 금융비용에 가산하여 처리하고 있습니다. 한편, 상기 사채는 약정에 따라 사채의 원리금 지급의무 이행이 완료될 때까지 부채비율 300% 혹은 400% 이하 유지, 담보권설정 제한 등의 제약이 있습니다. 만일 사채이행상황 미이행시 즉시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며, 이 사실을 공고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사채권자" 및 "사채관리회사"에게 이를 통지하여야 합니다.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차입금 및 사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기초 | 3,228,191,278 | 2,352,786,341 |
사업결합 | 318,843,379 | 1,494,016,364 |
사채의 발행 | 269,766,936 | 527,868,488 |
사채의 상환 | (181,925,000) | (558,000,000) |
금융기관차입금의 차입 | 1,209,508,040 | 1,687,320,369 |
금융기관차입금의 상환 | (1,456,953,664) | (2,020,447,757) |
기타(주1) | 86,876,562 | 16,558,799 |
분기말 | 3,474,307,531 | 3,500,102,604 |
(주1) | 환율변동으로 인한 외화차입금의 환산효과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19. 기타금융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
유동성 | 비유동성 | 유동성 | 비유동성 | |
리스부채 | 72,565,814 | 640,392,871 | 19,751,649 | 102,715,201 |
차감: 현재가치할인차금 | (2,994,336) | (189,949,864) | (1,738,641) | (12,322,320) |
미지급비용 | 72,626,611 | 23,254,810 | 80,206,480 | 13,627,280 |
임대보증금 | 9,313,766 | 1,006,812 | 8,736,072 | 149,624 |
차감: 현재가치할인차금 | (2,168) | (1,094) | (1,626) | (273) |
파생상품부채 | 11,734,005 | 1,949,814 | 8,327,079 | 52,043,375 |
금융보증부채(주1) | 11,851,579 | 47,487,255 | 56,822,393 | 41,761 |
합 계 | 175,095,271 | 524,140,604 | 172,103,406 | 156,254,648 |
(주1) |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특수관계자에게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29 참조). 당분기 중 금융보증부채를 평가할 때 적용된 추정기법이나 중요한 가정의 변경은 없습니다. |
20. 충당부채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충당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소송충당부채 | 하자보수충당부채 | 판매보증충당부채 | 기타 | 합 계 |
---|---|---|---|---|---|
기초 | 2,444,000 | 1,193,591 | 31,234,783 | 11,381,094 | 46,253,468 |
사업결합 | - |
- |
- |
6,527,861 | 6,527,861 |
전입 | - |
308,930 | 29,008,706 | 34,516 | 29,352,152 |
환입 | - |
(330,428) | - |
(1,250,902) | (1,581,330) |
사용 | - |
(2,000) | (789,764) | (8,018,000) | (8,809,764) |
분기말 | 2,444,000 | 1,170,093 | 59,453,725 | 8,674,569 | 71,742,387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 분 | 배출부채 | 소송충당부채 | 하자보수충당부채 | 판매보증충당부채 | 기타 | 합 계 |
---|---|---|---|---|---|---|
기초 | 1,710,882 | - | - | - | 22,271,704 | 23,982,586 |
사업결합 | - | - | 1,135,093 | 22,669,264 | - | 23,804,357 |
전입 | (10,972,865) | 2,444,000 | 113,168 | 6,013,900 | 1,518,181 | (883,616) |
환입 | - | - | (114,134) | - | (6,357,785) | (6,471,919) |
사용 | - | - | (4,000) | (155,486) | - | (159,486) |
대체 | 9,261,983 | - | - | - | - | 9,261,983 |
분기말 | - | 2,444,000 | 1,130,127 | 28,527,678 | 17,432,100 | 49,533,905 |
21. 순확정급여부채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 567,975,333 | 479,412,843 |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 | (118,263,899) | (119,791,165) |
순확정급여부채 | 449,711,434 | 359,621,678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당기손익으로 인식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당기근무원가 | 38,921,592 | 34,459,529 |
순이자원가 | 8,950,082 | 7,305,347 |
합 계(주1) | 47,871,674 | 41,764,876 |
(주1) |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각각 442백만원 및 500백만원이 유형자산의 건설중인자산으로 계상되었습니다. |
22. 판매비와관리비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판매비와관리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단기종업원급여 | 39,769,087 | 112,070,952 | 30,427,267 | 78,306,625 |
퇴직급여 | 5,695,043 | 15,147,664 | 3,552,069 | 10,763,135 |
복리후생비 | 6,357,829 | 17,728,137 | 5,463,089 | 17,861,882 |
여비와교통비 | 1,268,610 | 3,103,450 | 604,784 | 3,018,105 |
광고선전비 | 7,350,709 | 18,231,258 | 3,096,423 | 8,166,747 |
외주용역비 | 38,533,613 | 92,794,541 | 16,907,149 | 43,445,234 |
연구비 | 23,607,886 | 72,423,749 | 23,232,063 | 69,734,568 |
경상개발비 | 8,612,329 | 26,096,635 | 6,459,919 | 19,574,782 |
교육훈련비 | 1,220,042 | 3,100,010 | 518,506 | 2,168,288 |
시장개발비 | 519,614 | 1,743,736 | 514,553 | 1,977,667 |
임차료 | 1,278,708 | 3,840,745 | 346,548 | 1,363,339 |
리스료 | 1,735,215 | 5,449,028 | 1,732,799 | 5,408,926 |
운송보관비 | 22,242,998 | 66,399,020 | 22,940,721 | 67,082,828 |
수출품판매비 | 10,348,348 | 26,990,489 | 10,420,266 | 27,308,889 |
판매수수료 | 3,172,036 | 9,180,127 | 2,950,459 | 9,490,343 |
감가상각비 | 24,168,218 | 55,354,601 | 7,332,778 | 22,245,679 |
무형자산상각비 | 1,448,468 | 4,262,470 | 1,248,059 | 3,440,352 |
대손상각비(환입) | 1,238,726 | 4,767,953 | (105,226) | 1,632,548 |
기타판매관리비용 | 12,140,228 | 60,395,716 | 1,044,455 | 28,425,750 |
합 계 | 210,707,707 | 599,080,281 | 138,686,681 | 421,415,687 |
23. 기타수익과 기타비용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외환차익 | 23,519,824 | 50,288,960 | 17,407,789 | 83,454,656 |
외화환산이익 | 16,445,742 | 28,046,340 | (2,985,559) | 10,345,538 |
파생상품평가이익 | 46,369,599 | 88,136,915 | (9,630,398) | 9,200,105 |
파생상품거래이익 | 2,177,019 | 5,397,270 | 6,048,611 | 11,922,11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이익 |
36,216 | 274,828 | - | 1,89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처분이익 |
53,468 | 53,468 | - |
- |
유형자산처분이익 | 6,031,195 | 14,501,028 | 2,477,040 | 3,840,688 |
투자부동산처분이익 | - |
- |
- | 65,705 |
무형자산처분이익 | - |
- |
385,700 | 894,329 |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 - |
- |
- | 8,887 |
수입수수료 | - |
16,015 | - | - |
기타대손충당금환입 | (22,246) | - |
- | - |
금융보증계약부채환입 | 2,903,455 | 9,472,609 | 3,273,308 | 8,695,607 |
잡이익 | 3,095,815 | 6,916,640 | 6,594,242 | 10,386,419 |
합 계 | 100,610,087 | 203,104,073 | 23,570,733 | 138,815,946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외환차손 | 15,165,024 | 39,605,522 | 15,372,370 | 64,245,853 |
외화환산손실 | 58,724,544 | 99,437,060 | (14,039,520) | 31,403,940 |
파생상품평가손실 | 9,621,891 | 11,289,845 | 3,471,475 | 6,971,247 |
파생상품거래손실 | 7,690,121 | 22,585,595 | 6,011,753 | 16,300,19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실 |
- |
15,225 | 35,280 | 486,398 |
재고자산폐기손실 | 97,888 | 487,293 | 423,983 | 590,210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처분손실 |
- |
57,646 | - | - |
매출채권처분손실 | 123,091 | 343,313 | 139,538 | 461,617 |
유형자산처분손실 | 1,717,812 | 3,085,346 | 798,205 | 1,448,125 |
투자부동산처분손실 | - |
- |
- | 37,671 |
무형자산처분손실 | 357 | 3,659 | 110,029 | 196,837 |
유형자산손상차손 | - |
- |
83,664 | 3,779,234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 |
5,320 | 5,320 |
관계기업투자주식처분손실 | 627 | 627 | - | - |
기타대손상각비(환입) | (16,621) | 5,578 | (110,786) | (42,812) |
지급수수료 | 617,383 | 2,580,535 | 221,930 | 717,149 |
보증채무인수손실 | - |
- |
- | 14,795,660 |
기부금 | 1,168,278 | 3,005,050 | 1,240,876 | 3,133,310 |
잡손실 | 881,889 | 2,330,595 | (1,097,416) | 1,466,535 |
기타비용 | - |
- |
- | 3,987 |
합 계 | 95,792,284 | 184,832,889 | 12,666,701 | 146,000,471 |
24. 금융수익과 금융비용
(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이자수익 | 2,772,946 | 7,920,702 | 1,242,296 | 4,281,803 |
배당금수익 | 43,895,861 | 220,204,033 | 396,000,000 | 566,356,097 |
합 계 | 46,668,807 | 228,124,735 | 397,242,296 | 570,637,900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이자비용 | 22,905,835 | 62,380,644 | 21,908,975 | 77,164,533 |
25. 비용의 성격별 분류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비용을 성격별로 분류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제품, 반제품 및 재공품의 변동 | (31,699,948) | (206,066,201) | (43,569,084) | (16,042,599) |
상품판매 | 185,697,170 | 638,981,757 | 153,499,655 | 482,111,366 |
원재료와 소모품의 사용액 | 964,860,231 | 2,935,037,702 | 812,246,538 | 2,340,064,480 |
종업원급여(주1) | 149,894,329 | 427,633,235 | 120,942,434 | 345,600,172 |
복리후생비 | 22,673,783 | 66,085,497 | 18,380,507 | 56,276,920 |
임차료 | 2,946,308 | 7,070,456 | 721,020 | 3,343,341 |
리스료 | 2,852,382 | 8,865,181 | 2,406,548 | 7,209,060 |
감가상각비(주2) | 96,858,528 | 266,293,693 | 74,857,511 | 218,223,522 |
무형자산상각비 | 6,261,587 | 18,673,292 | 6,099,358 | 17,908,238 |
운송보관비 | 24,252,418 | 73,107,920 | 25,321,451 | 74,213,000 |
유틸리티비용 | 21,027,551 | 53,445,458 | 17,562,080 | 48,521,841 |
외주용역비 | 93,293,399 | 237,229,738 | 50,063,063 | 138,751,587 |
수출품판매비 | 10,349,321 | 27,041,830 | 10,405,789 | 27,314,876 |
세금과공과 | 5,207,495 | 38,434,547 | (2,862,700) | 10,862,474 |
기타비용 | 100,953,627 | 156,575,428 | 31,426,644 | 129,606,302 |
합 계(주3) | 1,655,428,181 | 4,748,409,533 | 1,277,500,814 | 3,883,964,580 |
(주1) | 종업원급여는 급여, 퇴직급여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주2) | 투자부동산과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
(주3) | 포괄손익계산서상 매출원가, 판매비와관리비를 합한 금액입니다. |
26. 법인세비용
법인세비용은 당기법인세비용에서 과거기간 당기법인세에 대하여 당기에 인식한 조정사항, 일시적차이의 발생과 소멸로 인한 이연법인세비용(수익) 및 당기손익 이외로인식되는 항목과 관련된 법인세비용(수익)을 조정하여 산출하였습니다. 당분기 법인세비용의 평균유효세율은 21.19%(전분기 : 11.76%)입니다.
27. 주당이익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보통주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의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계속영업분기순이익 | 98,562,404 | 506,464,108 | 515,750,859 | 750,534,064 |
계속영업순손익 중 보통주 해당분 | 98,000,073 | 503,331,290 | 512,138,433 | 745,260,177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90,579,274주 | 183,005,754주 | 159,464,497주 | 160,075,873주 |
계속영업 기본주당이익 | 514원 | 2,750원 | 3,212원 | 4,656원 |
(2) 전분기의 보통주 중단영업기본주당손실의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분기 | |
---|---|---|
3개월 | 누적 | |
중단영업분기순손실 | (18,575,309) | (33,554,778) |
중단영업순손익 중 보통주 해당분 | (18,445,619) |
(33,320,865) |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 159,464,497주 | 160,075,873주 |
중단영업 기본주당손실 | (-)116원 | (-)208원 |
(3) 당분기 및 전분기의 우선주 계속영업기본주당이익의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주1) | 전분기(주1) |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계속영업분기순이익 | 98,562,404 | 506,464,108 | 515,750,859 | 750,534,064 |
계속영업순손익 중 우선주 해당분 | 562,332 | 3,132,819 | 3,612,426 | 5,273,887 |
가중평균유통우선주식수 | 1,123,737주 | 1,123,737주 | 1,123,737주 | 1,123,737주 |
계속영업 기본주당이익 | 500원 | 2,788원 | 3,215원 | 4,693원 |
(주1) | 1997년 개정 이전의 구 상법에 따라 발행된 우선주로서, 동 우선주는 배당 지급이나 잔여재산 분배시 일반보통주와 지급순위가 동일하여 보통주의 정의를 충족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주당이익을 계산하였습니다. |
(4) 전분기의 우선주 중단영업기본주당손실의 계산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전분기(주1) | |
---|---|---|
3개월 | 누적 | |
중단영업분기순손실 | (18,575,309) | (33,554,778) |
중단영업순손익 중 우선주 해당분 | (129,689) | (233,913) |
가중평균유통우선주식수 | 1,123,737주 | 1,123,737주 |
중단영업 기본주당손실 | (-)115원 | (-)208원 |
(주1) | 1997년 개정 이전의 구 상법에 따라 발행된 우선주로서, 동 우선주는 배당 지급이나 잔여재산 분배시 일반보통주와 지급순위가 동일하여 보통주의 정의를 충족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기본주당이익을 계산하였습니다. |
(5)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잠재적보통주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 분 | 당분기말 | 전분기말 |
---|---|---|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주1) |
451,917주 | 246,197주 |
(주1) |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의 반희석효과로 인하여 희석주당이익은 기본주당이익과 동일합니다. |
28.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금융기관과 약정한 차입한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USD, EUR) |
구 분 | 통 화 | 한도금액 |
---|---|---|
당좌차월 | KRW | 6,000,000 |
수입관련 Usance | USD | 343,700,000 |
수출관련 D/A, D/P, Local 및 무역어음 등 | USD | 50,000,000 |
기 타 | KRW | 1,409,000,000 |
USD | 500,650,000 | |
EUR | 115,000,000 | |
합 계 | KRW | 1,415,000,000 |
USD | 894,350,000 | |
EUR | 115,000,000 |
(2)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회사가 담보로 제공한 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담보제공자산 | 담보설정금액 | 담보권자 |
---|---|---|
유형자산 | 1,104,099,370 |
한국산업은행 등 |
종속기업투자주식 | 73,548,000 |
기업은행, 한마음새마을금고 등 |
(3) 타인으로부터 제공받은 보증내역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서울보증보험㈜ 등으로부터 태양광발전소 건설 이행보증 및 하자보수 등에 대한 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4) 타인에게 제공한 보증내역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한국수력원자력 등 회사에 대하여 태양광발전소 건설 이행 보증 및 하자보수 등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Bayerische Motoren Werke AG(이하 "BMW") 및 그 계열사에게 BMW와 거래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회사 및 종속기업의 계약상의 의무 불이행에 대하여 BMW에 발생할 수 있는 손실에 대한 손해배상을 보증하고 있습니다. 보증기간은 보증서 제출일로부터 BMW와의 마지막 프로젝트 계약 상 마지막 주문시점에서 15년까지이며, 보증금액은 무제한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임직원이 금융기관으로부터 대출 받은 금액에 대하여 지급보증(대출보증액: 34,592백만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특수관계자를 위하여 금융보증계약 및 자금보충약정 등을 체결하고 있습니다(주석 29 참조).
(5) 진행 중인 소송사건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당사가 피소된 12건(관련금액 6,704백만원)과 당사가 원고로서 계류중인 12건(관련금액 1,892백만원)이 있습니다. 당사는 동 소송사건의 결과가 재무제표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상기 계류중인 소송사건의 결과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6) 주식 매매계약서상의 약정사항
회사는 2021년 7월 30일 삼성물산㈜, 삼성SDI㈜로부터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의 지분을 인수하였습니다. 지분 인수 대금 및 이자 약 4,793억원 중 약 1,917억원은 1차 지급 완료하였으며, 2023년 7월까지 2차 및 3차 지급금 약2,876억원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2차 및 3차 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양수하는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하였습니다.
(7) 조건부대가
당사는 2021년 8월 19일 웨이브일렉트로닉스㈜로부터 ㈜더블유오에스 지분을 100% 인수하여 지배력을 획득하였습니다. 이전 대가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400억원의조건부대가(Earn-out)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주 및 매출액 목표 달성 시 2022년~2025년까지 최대 400억원을 분할지급할 예정입니다.
29. 특수관계자
(1) 당분기말 현재 회사의 특수관계자 등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회 사 명 | |
---|---|---|
지배기업 | ㈜한화 | |
종속기업 | 국내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김해테크노밸리 ㈜서산테크노밸리 ㈜서오창테크노밸리 ㈜안성테크노밸리 ㈜에이치밸리 ㈜제이용인테크노밸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한화도시개발 ㈜한화비앤비 에이치에스아이㈜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하이패스태양광㈜ 한화글로벌에셋㈜ (주4) 한화컴파운드㈜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해맞이태양광발전㈜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주3) ㈜에이치테크노밸리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더블유오에스 (주6) |
해외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Aceka 2 Gunes Enerjisi A.S. Aceka 3 Gunes Enerjisi A.S. Alkin Enerji Uretim Ltd. Sti. ARBECA SOLAR SLU Aslan Gunes Enerjisi A.S. Avenir el Divisadero SpA Bilgidar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Buselik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Buselik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CASTELLDANS SOLAR SLU CASTELLNOU SOLAR SLU Dimetoka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Dimetoka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Don Rodrigo Hive SL Elcin Enerji Uretim Ltd. Sti. Fior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 Fnt Gida Turizm Ic Ve Dis Ticaret Sanayi Ltd. Sti.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Guadajoz Hive SL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 Ltd.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Hanwha AZDEL, Inc.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Hanwha Chemical (Thailand) Co., Ltd.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Hanwha Holdings (USA), Inc. Hanwha International Corp. Hanwha International LLC Hanwha Machinery Americas, Inc. Hanwha Parcel O LLC Hanwha Property USA LLC Hanwha PVPLUS LLC Hanwha Q CELLS (Nantong) Co., Ltd.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Hanwha Q CELLS America Inc. Hanwha Q CELLS America Project Holdings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Hanwha Q CELLS Canada, Corp. Hanwha Q CELLS Chile SpA Hanwha Q CELLS Co., Ltd. (주2) Hanwha Q CELLS EPC USA, LLC Hanwha Q CELLS France SAS Hanwha Q CELLS GmbH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Hanwha Q CELLS Peru S.A.C Hanwha Q CELLS Servicios Comerciales, S DE RL DE CV HANWHA Q CELLS SOLAR POWER SDN. BHD.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Hanwha Q CELLS Til Til Uno SPA Hanwha Q CELLS Turkey Hanwha Q CELLS USA Corp. Hanwha Q CELLS USA, INC.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Hanwha Solar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 Ltd. Hanwha SolarOne (Laiyang) Co., Ltd Hanwha SolarOne (Rugao) Co., Ltd Hanwha SolarOne GmbH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Hanwha SolarOne Power Generation (Wuxi) Co., Ltd. Hanwha Solarone(beipiao)Co.,Ltd HANWHA TECHM USA LLC Hanwha Village Market, LLC Hanwha West Properties LLC Hiprom Enerji Yatirlmlari A.S. HQ MEX, LLC HQ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HQ MEXICO Solar I S DE RL DE CV HQ MEXICO Solar II S DE RL DE CV HQC Maywood, LLC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HSEA HVES, LLC HSESM American Union LLC HSESM LeGrandUHS LLC HSESM PlanadaES LLC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INCOGNITWORLD, LDA. Isfahan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Kartal Enerji Uretim Ltd. Sti. KMPT Solarpark Verwaltung GmbH Las Coronadas Hive SL Malhada Green S.A Marel Bilisim Muhendislik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GidaSan. Ve Dis Tic. Ltd. Sti. Meva Muhendislik Bilisim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San.Ve Dis Tic. Ltd. Sti. Moravia Enerji Sanayi ve Ticaret Ltd. Sti. Mutlak Enerji Uretim Ltd. Sti. Onan 2 Gunes Enerji Uretim A.S. Onan 3 Gunes Enerji Uretim A.S. PV Jagodne Sp. z.o.o. PV Vallenar Uno SpA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Q CELLS DO BRASIL CONSULTORIA EMPRESARIAL LTDA HQC PORTUGAL HOLDINGS, LDA QSUN PORTUGAL 2,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3,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4,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5,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6, UNIPESSOAL LDA QSUN PORTUGAL 7, UNIPESSOAL LDA REUS SOLAR SLU SACRAMETO DIRECTORSHIP, S.L. Sema Enerji Uretim Ltd. Sti. Serimer Optik Medikal Kirtasiye Temizlik Insaat Ithalat Ihracat Sanayi Tic. Ltd. Sti. SFH Solarpark GmbH Silesian Sun Energy Sp. z o.o. Solar Monkey 1, LLC Solar Monkey 2, LLC Toprakkale Altyapi ve Malzeme Hizmetleri A.S. Ulu Gunes Enerjisi AnonimSirketi Universal Bearings LLC Uno Enerji A.S. VECIANA SOLAR SLU WSE Bradley Road Ltd Rippey Solar Holdings, LLC Coniglio Solar Holdings, LLC Kellam Solar Holdings, LLC HQC Solar Holdings 1, LLC GREEN RIC ENERGY, S.L. SILVER RIC ENERGY, S.L. REAL ENERGY POWER, S.L. GALAXY ENERGY, S.L. LASTRAFI POWER, S.L. HESTIA SUN, S.L. CAPRICORNIO ENERGY, S.L. SPRING POWER, S.L. GALGO POWER, S.L. LEBREL POWER, S.L. PODENCO POWER, S.L. Kellam Solar Class B, LLC HAMC Holdings Corp. (주5) Growing Energy Labs, Inc. INCOGNITWORLD 2,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3,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4, UNIPESSOAL LDA INCOGNITWORLD 5, UNIPESSOAL LDA MALHADA GREEN 2, UNIPESSOAL LDA BOLERO ENERGY, S.L. DIONISIO SUN, S.L. VALS ENERGY POWER, S.L. CAMPANA ENERGY, S.L. PALOMA POWER, S.L. CLAVE DE SOL ENERGY, S.L.U IRON POWER ENERGY, S.L.U LINE ENERGY, S.L.U RIMA ENERGY, S.L.U GAVILAN POWER, S.L.U GERIFALTE POWER, S.L.U HARRIER POWER, S.L.U ALDGATE EAST INVESTMENTS, SL ALFAZ DIRECTORSHIP, SL ALQUIZAR INVESTMENTS, SL ANNAPURNA SERVICIOS EMPRESARIALES, SL BENIF INVESTMENTS, SL BURETE DIRECTORSHIP, SL CABUYA CORPORATE SERVICES, SL CANARY WHARF INVESTMENTS, SL CANNING TOWN INVESTMENTS, SL COMBA DIRECTORSHIP, SL CONVENT GARDEN INVESTMENTS, SL DICKSON SERVICIOS EMPRESARIALES, SL EMPER INVESTMENTS, SL ENDINO SERVICIOS EMPRESARIALES, SL GARDAYA INVESTMENTS, SL KADOK CORPORATE SERVICES, SL KAMPALA CORPORATE SERVICES, SL MONTALBAN DIRECTORSHIP, SL NEPAL SERVICIOS EMPRESARIALES, SL OTERO DIRECTORSHIP, SL AZOR POWER SL Espardell Directorship, SL CONIGLIO SOLAR CLASS B, LLC Johnson City Solar, LLC Johnson City Storage, LLC Plateau Solar, LLC Plateau Storage, LLC Purvis Solar, LLC Purvis Storage, LLC South Cheyenne Solar, LLC NUN SUN POWER S.L. ISIS SUN POWER S.L.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주7) HSHC NAM INV LLC HSHC LIBRA INV LLC HANWHA Q CELLS US O&M LLC Hanwha Cimarron LLC Cabrero Solar SPA Centauro Solar Spa Draco Solar SPA |
|
관계기업/공동기업 | 국내 |
㈜스마일벤처스 ㈜한화이글스 ㈜한화저축은행 여천 NCC㈜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에이치투 한화역사㈜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한화호텔앤드리조트㈜ ㈜울산복합도시개발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
해외 |
Burdur Enerji A.S. Crystal Solar Inc. GRANSOLAR ATOTONILCO, S.A. DE C.V. GRANSOLAR OCOTLAN, S.A. DE C.V.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HSP TW TE, LLC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Lakeshore East Retail LLC Luxbon Solar S.A. Parcel O LLC SwitchDin Pty Limited Kellam Tax Equity Partnership, LLC JV Cooke Solar, LLC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Q&G PV Solutions GmbH Simply Foods Inc. Lancium Technologies Corporation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주1) | 국내 |
한화토탈 주식회사 ㈜한화건설 한화생명보험㈜ 한화손해보험㈜ 에이치솔루션 주식회사 한화에너지㈜ ㈜한화63시티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디펜스주식회사 등 |
해외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Hanwha Europe GmbH Hanwha Impact Partners INC. 등 |
(주1) | 동 회사 등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24호 문단 9에서 정의하는 특수관계자에는 해당하지 않으나,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24호 문단 10에서 규정하는 실질관계에 따른 특수관계자라는 증권선물위원회의 의결사항에 따라 특수관계자로 분류되는 회사 등입니다. |
(주2) | 회사는 당분기 중 Hanwha Q CELLS Co., Ltd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327,42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3) | 회사는 당분기 중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1,50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4) | 회사는 당분기 중 한화글로벌에셋㈜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264,49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5) | 회사는 당분기 중 HAMC Holdings Corp.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58,125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6) | 회사는 당분기 중 ㈜더블유오에스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4,50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주7) | 회사는 당분기 중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117,170백만원을 출자하였습니다. |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의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회 사 명 | 매출 | 매입 | 고정자산 취득 |
---|---|---|---|
지배기업 | |||
㈜한화 | 61,842,227 | 16,466,700 | 24,607,520 |
종속기업 | |||
㈜서오창테크노밸리 | 103,783 | - | - |
㈜안성테크노밸리 | 89,944 | - | - |
㈜에이치테크노밸리 | 16,364 | - | - |
㈜한화갤러리아 (주3) |
284,066 | 135,128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14,086,041 | 1,747,287 | -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108,919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87,300 | - | - |
㈜한화비앤비 | 127,186 | 191,799 | - |
하이패스태양광㈜ | 108,910 | - | - |
한화컴파운드㈜ | 62,042,898 | 9,234,952 | -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100,284,589 | 1,448,358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13,016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131,539 | - |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94,888 | - | - |
Growing Energy Labs, Inc. | - | 5,196,539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17,843,503 | 4,728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4,577,889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1,609,482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34,918,954 | 139,333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827,337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98,491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3,928,039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5,624,104 | 38 | - |
Hanwha AZDEL, Inc. | 584,333 | 9,073 |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주1)(주5) |
14,378,520 | -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722,609 | -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주4) |
- | 32,415 | - |
Hanwha Holdings(USA), Inc. | - | 192,392 | - |
Hanwha International LLC. | 77,467,778 | 1,843,374 |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4,864,670 | 68,606,170 | 37,160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407,324,011 | - |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278,395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23,074,836 | 11,755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17,775,525 | - | - |
Hanwha Q CELLS Gmbh | 203,409,750 | 40,934,791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6,329,750 | 402,547,732 | - |
Hanwha Q CELLS Turkey | 34,040,068 | - | - |
Hanwha Q CELLS USA, INC. | 182,342,189 | 173,825 | - |
공동기업 | |||
여천 NCC㈜ (주2) | 20,853,231 | 1,208,001,452 |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7,619 | - | - |
관계기업 | |||
㈜한화이글스 | 3,360 | 958,700 | - |
㈜한화저축은행 | 4,690 | - | -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52,968 | - | - |
한화역사㈜ | 18,360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5,438,524 | 25,218,199 |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471,240 | 8,923,219 | 24,000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23,552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 630 | - | - |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 280 | - | - |
㈜에스아이티 | 24,557 | - | - |
㈜에스아이티테크 | 5,455 | - | - |
㈜여수씨월드 | 58 | - | - |
㈜일산씨월드 | 37 | - | - |
㈜한화63시티 | 47,609 | 45,680 | - |
㈜한화건설 | 779,009 | - | 56,196,932 |
㈜한화에스테이트 (주6) |
131,531 | 8,760,370 | 55,300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3,150 | - | - |
더테이스터블㈜ | 3,130 | 13,994 | - |
아쿠아플라넷㈜ | 91,431 | - | - |
에이치솔루션 주식회사 | 210 | - | - |
에코이앤오㈜ | 8,400 | - | - |
제주해양과학관 | 13 | - | - |
㈜에이치피앤디 | 770 | - | - |
캐롯손해보험㈜ | 13,743 | 485,215 | - |
플라자 디앤씨㈜ | 9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567,093 | - | - |
한화라이프랩㈜ | 3,568 |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78,464 | - | - |
한화생명보험㈜ | 4,252,062 | 9,762,167 | - |
한화손해보험㈜ | 1,706,907 | 10,747,235 | 263 |
한화시스템㈜ | 403,192 | 28,895,529 | 13,720,624 |
한화에너지㈜ | 447,073 | 118,484,879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215,676 | - | - |
한화자산운용㈜ | 23,124 | - | - |
한화정밀기계㈜ | 85,802 | 60,100 | 438,446 |
한화테크윈㈜ | 165,470 | - | - |
한화토탈 주식회사 | 4,324,964 | 79,140,690 | - |
한화투자증권㈜ | 363,590 | 220,225 | - |
한화파워시스템㈜ | 31,462 | 169,904 | - |
Hanwha Europe GmbH | 86,568,303 | 238,184 | - |
Hanwha Impact Partners INC. | - | 314,684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80,076,859 | 32,460,629 | - |
합 계 | 1,489,166,469 | 2,082,540,053 | 95,080,245 |
(주1) | 당분기 중 Hanwha Chemical(Ningbo) Co., Ltd.와의 원재료 구매대행계약에 따른 총거래금액은 18,898백만원입니다. |
(주2) |
여천NCC㈜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170,00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3) |
㈜한화갤러리아와 합병 이전 1분기에 이뤄진 거래 금액입니다. |
(주4)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5,665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5)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43,88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6) | ㈜한화에스테이트의 합병 이전 ('21.07.01) 이뤄진 거래 금액입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회 사 명 | 매출 | 고정자산 처분 | 매입 | 고정자산 취득 |
---|---|---|---|---|
지배기업 | ||||
㈜한화 | 67,087,620 | - | 16,757,634 | 48,539,511 |
종속기업 | ||||
㈜한화갤러리아 (주1) | 124,176 | - | 357,381 | -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142,276 | -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203,414 | - | - | - |
하이패스태양광㈜ | 108,790 | - | - | - |
㈜한화비앤비 | - | - | 103,540 | - |
한화컴파운드㈜ | 62,329,103 | - | 10,591,791 | - |
Hanwha International LLC | 41,584,266 | - | 2,703,228 | -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72,589,511 | - | 1,325,625 | - |
Hanwha Chemical(Ningbo) Co.,Ltd.(주2) | 17,324,081 | - | - | - |
Hanwha Q CELLS GmbH | 128,407,761 | - | 37,591,748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 | 920,611 | -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주3) | - | - | 22,188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12,541 | -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128,983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19,762,493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6,196,403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2,351,897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28,267,501 | - | 5,042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1,549,404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104,434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2,727,187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6,275,575 | - | 4,493 | - |
Hanwha AZDEL, Inc. | 144,180 | - | - | - |
Hanwha Holdings(USA), Inc. | - | - | 111,963 |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3,910,002 | - | 3,032,843 |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486,292,227 | - | 15,923 |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316,370,355 | -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40,340,166 | - | -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9,644,780 | -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8,458,613 | - | 320,064,130 | - |
Hanwha Q CELLS Turkey |
39,765,128 | -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주4) | 14,441,889 | - | 874,728,654 |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284,228 | - | - | - |
관계기업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 - | 4,129,961 | - |
㈜한화이글스 | - | - | 740,880 | -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198,404 | - | - | - |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 | 3,867 | -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3,890,226 | - | 18,953,481 | - |
한화투자증권㈜ | - | - | 13,535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한화토탈 주식회사 | 3,370,750 | 675,000 | 35,009,920 | - |
㈜한화건설 | 193,091 | - | 3,244,675 | 89,225,792 |
한화생명보험㈜ | 1,483,876 | - | 9,000,289 | - |
한화손해보험㈜ | 17,445 | - | 8,112,192 | - |
한화시스템㈜ | 2,968,215 | - | 18,359,355 | 4,847,019 |
한화에너지㈜ | 6,976,515 | - | 116,637,636 | - |
HANWHA AERO ENGINES.,LTD | 483,556 | - | - | - |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 | - | 159,644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97,209,547 | - | 36,495,119 | - |
Hanwha Europe GMBH | 74,167,132 | - | 479,927 | - |
S&P World Networks DMCC | 2,634,116 | - | - | - |
㈜한화에스테이트 | - | - | 7,222,220 | 13,295 |
㈜한화63시티 | - | - | 43,101 |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420,982 | -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215,150 | - | - | - |
한화파워시스템㈜ | - | - | 63,832 | 82,284 |
한화정밀기계㈜ | - | - | 41,200 | 270,700 |
캐롯손해보험 | - | - | 513,224 | - |
티지솔라넷㈜ | 67,750 | - | - | - |
㈜에스아이티 | - | - | - | 2,700 |
합 계 | 1,571,229,606 | 675,000 | 1,527,556,985 | 142,981,301 |
(주1) | 전분기 중 ㈜한화갤러리아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396,00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2) | 전분기 중 Hanwha Chemical(Ningbo) Co., Ltd.와의 원재료 구매대행계약에 따른 총거래금액은 35,395백만원입니다. |
(주3) | 전분기 중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4,935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주4) | 전분기 중 여천NCC㈜로부터 수령한 배당금 165,000백만원은 금융수익으로 인식하였습니다. |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와의 채권채무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말) | (단위: 천원) |
회사명 | 채권 | 채무 | |||
---|---|---|---|---|---|
매출채권 | 대여금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 | |
지배기업 | |||||
㈜한화 | 4,848,755 | - | 5,790,909 | 67,823 | 3,210,170 |
종속기업 | |||||
㈜서오창테크노밸리 | - | 5,001,534 | - | - | - |
㈜안성테크노밸리 | 2,022,900 | 6,700,973 | 359,245 | -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480,103 | - | 3,818,785 | - | 10,709,959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 | - | 59,300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 | - | 26,700 | - | - |
㈜한화비앤비 | - | - | 315 | - | 197,385 |
하이패스태양광㈜ | 42,857 | - | - | - | - |
한화컴파운드㈜ | 7,323,749 | - | - | 2,177,731 | 573,821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12,794,241 | - | - | -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5,652 | - | -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49,716 | - | 220 | - |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 | - | 39,939 | - | - |
Growing Energy Labs, Inc. | - | - | - | - | 56,726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2,822,649 | - | 1,414,302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972,908 | - | 546,240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392,855 | - | 153,109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6,474,519 | - | 1,199,336 | - | 15,023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213,645 | - | -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597,583 | - | 456,147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1,221,518 | - | 179,799 | - | - |
Hanwha AZDEL, Inc. | - | - | 295,609 | - |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5,221,138 | - | 1,117,065 | -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 | - | - | 55,792 |
Hanwha International LLC. | 31,494,250 | - | 88,868 | - | 143,626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4,915,850 | - | 236,980 | 18,988,503 |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229,129,414 | - | - | - |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136,532 | - | - | - | - |
Hanwha Q CELLS USA Corp. | - | 654,657 |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36,792,700 | - | - | -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11,482,678 | - | - | - | - |
Hanwha Q CELLS Co., Ltd. | - | - | 473,960 | - | - |
Hanwha Q CELLS Gmbh | 131,140,285 | - | 1,217,342 | - | 12,981,602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 | - | 401,700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2,366,227 | - | 10,836,090 | 197,526,770 | - |
Hanwha Q CELLS Turkey | 18,713,069 | - | - | - | - |
Hanwha Q CELLS USA, INC. | 73,392,673 | - | 296,225 | 177,908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2,559,783 | - | 114,565 | 296,929,339 | 8,707,445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주1) | - | 15,941,122 | 447,185 | - |
- |
관계기업 |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51,131 | - | 66,000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2,109,592 | - | 107,713 | 3,314,601 | 157,189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48,216 | - | 31,000,274 | - | 2,054,464 |
Crystal Solar Inc. (주2) |
- | 1,866,931 | 329,066 | - |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 | - | 1,842,649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한화63시티 | 19,630 | - | - | - | 322 |
㈜한화건설 | 92,503 | - | - | - | 3,910,097 |
더테이스터블㈜ | 3,895 | - | - | 4,391 | 1,699 |
아쿠아플라넷㈜ | 30,375 | - | 1,006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 | - | 40,439 | - | - |
한화라이프랩㈜ | 306 | - | - | - |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 4,603 | - | - | - | - |
한화생명보험㈜ | 744,744 | - | 85,550,139 | - | 239,672 |
한화손해보험㈜ | 47,670 | - | 119,064 | 187 | 489,460 |
한화시스템㈜ | 211 | - | - | 34,100 | 6,834,559 |
한화에너지㈜ | 48,730 | - | 7,708 | 13,627,888 | 17,230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62,733 | - | 61,467 | - | 19,256 |
한화자산운용㈜ | 303 | - | - | - | - |
한화정밀기계㈜ | 3,400 | - | - | - | 530,614 |
한화토탈 주식회사 | 1,143,601 | - | - | 11,537,746 | 154,044 |
한화투자증권㈜ | 32,270 | - | - | - | 25,764 |
한화파워시스템㈜ | - | - | - | - | 41,360 |
Hanwha Europe GmbH | 26,810,064 | - | - | - | 1,372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14,952,816 | - | 4,398,685 | 2,589,320 | 1,306,507 |
합 계 | 633,915,042 | 29,510,560 | 153,748,802 | 546,976,307 | 52,435,158 |
(주1)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당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주2) |
Crystal Solar Inc.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당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전기말) | (단위: 천원) |
회사명 | 채권 | 채무 | |||
---|---|---|---|---|---|
매출채권 | 대여금 | 기타채권 | 매입채무 | 기타채무 | |
지배기업 | |||||
㈜한화 | 4,611,335 | - | 2,007,562 | 57,952 | 12,472,125 |
종속기업 | |||||
㈜한화갤러리아 | 4,950 | - | 2,219 | - | 10,778 |
영암테크노태양광 주식회사 |
- | - | 155,000 | - | - |
영암해오름태양광 주식회사 |
- | - | 91,000 | - | - |
㈜한화비앤비 | - | - | - | - | 4,268 |
한화컴파운드㈜ | 7,365,343 | - | - | 2,457,771 | 472,527 |
Hanwha International LLC | 8,983,490 | - | - | - | 25,833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10,120,249 | - | - | - | - |
Hanwha Chemical(Ningbo) Co.,Ltd. | - | - | 1,647,340 | - | - |
Hanwha Q CELLS GmbH | 41,947,110 | - | 253,843 | - | 12,911,041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 | - | - | - | 95,133 |
해맞이태양광발전㈜ | 19,294 | - | - | - |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 | - | 220 | - |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 |
- | - | 27,127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6,851,534 | - | 1,825,783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1,219,035 | - | 348,343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747,908 | - | 117,633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7,834,929 | - | 1,535,521 | - | 23,945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 | - | 884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371,715 | - | 476,725 | -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1,382,144 | - | 302,405 | - | - |
Hanwha AZDEL, Inc. | - | - | 1,758 | - |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5,373,584 | - | 1,505,792 | - | 34,045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262,582,325 | - | - | - |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117,535,922 | - | - | - |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32,056,580 | - | - | -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9,222,786 | - | - | - | - |
Hanwha Q CELLS Co., Ltd. | - | - | 1,398,229 | - |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 | - | 803,400 | - |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5,156,575 | - | 10,753,820 | 148,758,991 | - |
Hanwha Q CELLS Turkey | 11,118,197 | - | - | - |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 - | 190,400 | - | - |
공동기업 | |||||
여천NCC㈜ | 2,752,907 | - | 286,530 | 165,678,829 | 10,139,651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주2) | - | 15,941,122 | 630,300 | - | - |
관계기업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 - | 21,310,062 | - | 130,465 |
International Polymer Company | - | - | 1,691,869 | - | - |
Crystal Solar Inc.(주1) | - | 1,866,931 | 329,066 | - | - |
㈜한화이글스 | - | - | 167,028 | - | - |
한화임팩트주식회사(구, 한화종합화학주식회사) |
1,296,916 | - | 1,100,826 | 2,090,269 | 123,752 |
이글스에너지 주식회사 | - | - | 53,000 | - | -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
한화토탈 주식회사 | 973,672 | - | - | 7,702,893 | - |
㈜한화건설 | 4,950 | - | 2,219 | 125,387 | 8,084,185 |
한화생명보험㈜ | - | - | 93,332,649 | - | 9,157 |
한화손해보험㈜ | - | - | 80,936 | 75 | 32,981 |
한화시스템㈜ |
404,786 | - | - | 139,480 | 4,083,443 |
한화에너지㈜ | 54,143 | - | 11,302 | 17,144,595 | 102,306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5,801,904 | - | 31,573 | 2,307,923 | 418,324 |
Hanwha Europe GmbH | 10,222,976 | - | - | - | - |
㈜한화에스테이트 | - | - | - | - | 795,953 |
㈜한화63시티 | - | - | - | - | 223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28,049 | - | 12,572 | - | - |
한화디펜스주식회사 | 11,549 | - | 5,177 | - | - |
한화파워시스템㈜ |
- | - | - | 163,680 | 86,803 |
HANWHA AERO ENGINES.,LTD | 430,770 | - | - | - | 422,938 |
한화정밀기계㈜ | - | - | - | - | 42,350 |
합 계 | 556,487,627 | 17,808,053 | 142,490,113 | 346,627,845 | 50,522,226 |
(주1) |
Crystal Solar Inc.에 지급한 대여금 등에 대하여 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주2)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에 지급한 대여금에 대하여 전기말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에 대한 대여금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 (단위: 천원) |
구분 | 회사명 | 기초잔액 | 사업결합효과 | 증가 | 감소 | 기타(주1) | 기말잔액 |
---|---|---|---|---|---|---|---|
종속기업 | ㈜서오창테크노밸리 | - | 1,600,736 | 3,400,000 | - | 798 | 5,001,534 |
㈜안성테크노밸리 | - | 2,500,723 | 4,200,000 | - | 250 | 6,700,973 | |
공동기업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5,941,122 | - | - | - | - | 15,941,122 |
관계기업 | Crystal Solar Inc. | 1,866,931 | - | - | - | - | 1,866,931 |
합계 | 17,808,053 | 4,101,459 | 7,600,000 | - | 1,048 | 29,510,560 |
(주1) |
대여금 이자로 인한 미수수익 증가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전분기) | (단위: 천원) |
구분 | 회사명 | 기초잔액 | 증가 | 감소 | 기타(주1) | 기말잔액 |
---|---|---|---|---|---|---|
공동기업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16,624,074 | - | - | 482,645 | 17,106,719 |
관계기업 | Crystal Solar Inc. | 1,866,931 | - | - | - | 1,866,931 |
Saudi Specialized Products Company |
14,424,381 | - | (5,557,440) | 3,867 | 8,870,808 | |
합계 | 32,915,386 | - | (5,557,440) | 486,512 | 27,844,458 |
(주1) |
대여금 이자로 인한 미수수익 증가액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5)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 등과의 지분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회사명 | 현금출자 | |
---|---|---|---|
당분기 | 전분기 | ||
종속기업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 1,500,000 | 1,700,000 |
Hanwha Q CELLS Co., Ltd. | 327,425,482 | 140,483,700 | |
한화글로벌에셋㈜ | 264,494,516 | 114,531,988 | |
HAMC Holdings Corp. | 58,124,523 | - | |
㈜더블유오에스 | 4,500,000 | -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 117,170,000 | - |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 | 3,571,026 |
(6)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지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차입금 및 사채에 대한 지급보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EUR,CNY,MYR,천원) |
피 보 증 인 | 통 화 | 보증한도 | 보증잔액 | 지급보증용도 |
---|---|---|---|---|
Hanwha International LLC | USD | 43,000,000 | 43,000,000 | 차입지급보증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USD | 5,600,000 | 5,6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USD | 90,000,000 | 90,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Q CELLS USA Corp. | USD | 110,500,000 | 80,5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USD | 186,800,000 | 140,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Q CELLS Co., Ltd. | USD | 60,000,000 | 60,000,000 | 차입지급보증 |
USD | 60,000,000 | 60,000,000 | 사채보증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KRW | 80,340,000 | 80,000,000 | 사채보증 |
Hanwha Q CELLS USA, INC. | USD | 50,000,000 | 20,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USD | 270,000,000 | 137,000,000 | 차입지급보증 |
MYR | 972,000,000 | 972,000,000 | 차입지급보증 | |
Hanwha Q CELLS GmbH | USD | 16,000,000 | 8,044,349 | 차입지급보증 |
EUR | 185,000,000 | 141,455,333 | 차입지급보증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 | USD | 6,741,264 | 6,741,264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CNY | 144,100,000 | 105,500,000 | 차입지급보증 |
USD | 3,500,000 | 3,500,000 | 차입지급보증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Ltd. | CNY | 42,000,000 | -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qing Co.,Ltd. | CNY | 26,400,000 | -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USD | 20,000,000 | 20,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USD | 79,000,000 | 79,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zdel Inc. | USD | 18,000,000 | 11,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USD | 5,000,000 | 4,000,000 | 차입지급보증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EUR | 25,200,000 | 19,000,000 | 차입지급보증 |
합 계 | USD | 1,024,141,264 | 768,385,613 | |
MYR | 972,000,000 | 972,000,000 | ||
CNY | 212,500,000 | 105,500,000 | ||
EUR | 210,200,000 | 160,455,333 | ||
KRW | 80,340,000 | 80,000,000 |
2) 이외에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BT Coniglio Solar LLC의 전력가격 차액 결제 거래대금 지급에 대한 지급보증을 USD 65백만 한도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단, Hanwha Q CELLS USA Corp.과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가 체결한 이행보증과 동일 프로젝트에 대한 동시보증의 성격을 가지며, 두 보증한도의 합은 USD 72백만을 초과하지 않습니다(주석 29 (8) 참조).
(7)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연대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 |
피 보 증 인 | 통 화 | 보증한도 | 보증잔액 | 보증용도 |
---|---|---|---|---|
Hanwha Q CELLS USA, INC. | USD | 85,833,333 | 85,833,333 | 차입지급보증 |
HQC Maywood, LLC | USD | 9,124,378 | 9,124,378 | 리스료지급보증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USD | 9,330,166 | 9,330,166 | 리스료지급보증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USD | 30,836,926 | 30,836,926 | 이행보증 |
합 계 | USD | 135,124,803 | 135,124,803 |
(8) 이행보증 및 자금보충약정
1)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이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JPY,천원) |
법인명 | 계약대상자 | 통화 | 금액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Marubeni Corporation | USD | 131,000,000 |
NTT Facilities Inc. | JPY | 4,610,000,000 | |
Itochu Corporation | USD | 2,526,518 | |
JGC Corporation | JPY | 131,348,708 | |
GK Rokunohe Solar Park | JPY | 296,000,000 | |
Nippon Renewable Energy K.K. | JPY | 2,111,360,000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NextEra Energy Constructors, LLC. | USD | 218,549,172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Oberon Solar 1B, LLC | USD | 7,593,219 |
Hanwha Q CELLS USA Corp. | RBC Kellam Holding Co, LLC | USD | 27,028,000 |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주1) |
USD | 68,973,431 | |
한화역사㈜ | 국가철도공단 | KRW | 3,202,968 |
합 계 | USD | 455,670,340 | |
JPY | 7,148,708,708 | ||
KRW | 3,202,968 |
(주1) |
BT Coniglio Solar, LLC와 체결한 지급보증과 동일 프로젝트에 대한 동시 보증의 성격을 가지며, 두 보증한도의 합은 USD 72백만을 초과하지 않습니다(주석 29 (6) 참조). |
2)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하고 있는 자금보충약정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법인명 | 계약대상자 | 통화 | 금액 |
㈜한화도시개발 | ㈜서오창테크노밸리 | KRW | 72,000,000 |
(9)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특수관계자인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와 ㈜서오창테크노밸리의 차입금을 위하여 해당 피투자회사의 주식 전부를 금융기관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10) 당분기말 현재 회사는 하이패스태양광㈜ 등 특수관계자에게 업무위수탁용역을 통하여 시스템총합효율보장, 책임운영보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11)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회사가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비용으로 반영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단기급여 (주1) |
24,729,441 | 20,280,750 |
퇴직급여 | 5,204,741 | 3,967,120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16,316 | 11,794 |
(주1) | 주식기준보상은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주식기준보상은 주석 36 참조). |
(12) 당분기 중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를 포함한 특수관계자 등에 대한 리스부채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회사명 | 기초 | 사업결합효과 | 증감 | 분기말잔액 |
---|---|---|---|---|---|
지배기업 | ㈜한화 | 18,443,320 | - | (1,332,925) | 17,110,395 |
종속기업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
- | 16,931,625 | 16,931,625 |
대규모기업집단계열회사 등 | 한화생명보험㈜ | 75,680,087 | 8,517,703 | (5,816,987) | 78,380,803 |
한화손해보험㈜ | - | 368,662 | (23,578) | 345,084 | |
한화에너지㈜ | 38,263 | - | (28,270) | 9,993 | |
합 계 | 94,161,670 | 8,886,365 | 9,729,865 | 112,777,900 |
30. 배당금
2020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기간에 대하여 지급한 배당은 없었습니다.
31.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 | 전분기 |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 642,602,152 | 807,852,271 |
비용(수익) 조정사항: | 189,290,326 | (179,321,189) |
금융수익 | (228,124,735) | (570,646,510) |
금융비용 | 62,380,644 | 77,929,566 |
재고자산평가손실(환입) | 17,573,619 | (7,634,317)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15,225 | 486,398 |
감가상각비 | 266,293,693 | 218,750,624 |
무형자산상각비 | 18,673,292 | 17,908,238 |
퇴직급여(주1) | 47,429,641 | 41,265,06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 | 2,416,864 | 1,924,046 |
탄소배출권비용전입(환입) | (4,262,247) | (10,972,865) |
충당부채전입 | 5,430,876 | 3,617,330 |
금융보증계약부채환입 | (9,472,609) | (8,695,607) |
외화환산손실 | 99,437,060 | 31,405,100 |
대손상각비 | 4,767,953 | 1,455,024 |
기타대손상각비 |
5,578 | - |
재고자산폐기손실 | 1,544,548 | 3,300,109 |
매출채권처분손실 | 343,313 | 481,934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실 |
57,646 | - |
파생상품평가손실 | 11,289,845 | 6,971,247 |
관계기업등투자자산처분손실 | 627 | - |
유형자산처분손실 | 3,085,345 | 1,594,154 |
투자부동산처분손실 | - | 37,671 |
무형자산처분손실 | 3,659 | 196,837 |
유형자산손상차손 | - | 7,741,074 |
유형자산손상차손환입 | - | (7,285) |
무형자산손상차손 | - | 185,470 |
외화환산이익 | (28,046,340) | (10,345,538) |
파생상품평가이익 | (88,136,915) | (9,200,105)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274,828) | (1,894)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이익 |
(53,468) | - |
유형자산처분이익 | (14,501,029) | (5,124,809) |
투자부동산처분이익 | - | (65,705) |
무형자산처분이익 | - | (894,329) |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 - | (8,886) |
기타대손충당금환입 | - | (42,812) |
기타손익 |
21,413,069 | 29,069,583 |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371,314,531) | (110,436,107) |
매출채권 | (157,739,298) | (89,323,599) |
기타채권 | (56,258,161) | 11,525,796 |
재고자산 | (295,994,785) | 88,709,901 |
기타자산 | 23,656,192 | 31,611,742 |
기타금융자산 | (17,595,446) | (563,125) |
매입채무 | 175,765,518 | (70,802,116) |
기타채무 | 23,237,550 | (34,830,377) |
충당부채 | (8,809,764) | (159,485) |
기타금융부채 | (33,532,806) | (16,162,618) |
기타부채 | (26,189,020) | (19,954,468) |
기타장기종업원급여의 지급 | (67,823) | (68,785) |
퇴직금의 지급 | (21,234,971) | (20,230,674) |
사외적립자산 | 5,490,969 | 5,433,629 |
파생상품의 결제 | 17,188,325 | 4,378,072 |
금융보증계약부채 | 768,989 | - |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 | 460,577,947 | 518,094,975 |
(주1) | 당분기 발생액 47,872백만원(전분기: 41,765백만원)에서 유형자산의 건설중인자산으로 대체된 442백만원(전분기: 500백만원)을 차감한 금액입니다. |
32. 수익
회사는 아래의 범주와 같이 재화의 유형 및 판매 지역에 따라 한 시점 혹은 기간에 걸쳐 재화를 이전함으로써 수익을 얻고 있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당분기 | 전분기 | |||
3개월 | 누적 | 3개월 | 누적 | ||
한 시점에 인식하는 수익 | |||||
제품 |
내수 |
612,412,666 | 1,848,496,795 | 561,093,929 | 1,546,976,147 |
수출 |
845,982,742 | 2,504,776,150 | 721,059,021 | 2,157,302,486 | |
상품 |
내수 |
109,889,475 | 268,635,483 | 37,450,137 | 124,290,854 |
수출 |
92,683,997 | 398,256,159 | 122,103,427 | 372,953,928 | |
기타매출 |
44,966,634 | 91,744,688 | 7,184,577 | 20,016,517 | |
소 계 |
1,705,935,514 | 5,111,909,275 | 1,448,891,091 | 4,221,539,932 | |
기간에 걸쳐 인식하는 수익 |
|||||
공사매출 |
39,310,292 | 71,178,794 | 1,657,490 | 20,922,826 | |
기타매출 |
10,480,133 | 23,908,341 | 1,781,897 | 5,773,718 | |
소 계 |
49,790,425 | 95,087,135 | 3,439,387 | 26,696,544 | |
합 계 |
1,755,725,939 | 5,206,996,410 | 1,452,330,478 | 4,248,236,476 |
33. 중단영업
(1) 폴리실리콘사업부 철수 결정
폴리실리콘 가격 하락 지속 및 경쟁사 대비 열위한 원가구조로 원가경쟁력 확보가 어려울 것으로 예상하는 바, 폴리실리콘 사업부를 철수하기로 2020년 2월 20일자 이사회에서 결정하였습니다.
(2) 전분기의 중단영업손익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전분기 |
---|---|
매출액 | 3,599,880 |
매출원가 | (32,796,215) |
판매비와관리비 | (522,473) |
기타수익(비용) | (12,989,660) |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
(42,708,468) |
법인세수익 | 9,153,690 |
중단영업손실 | (33,554,778) |
(3) 전분기의 중단영업에서 발생한 현금흐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분 | 전분기 |
---|---|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460,098) |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366,101 |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21,091,308 |
순 현금흐름 | (2,689) |
34. 사업결합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하여 100% 자회사인 ㈜한화갤러리아와 ㈜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대상부문(기존 ㈜한화도시개발 사업부문 중,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을 합병하였습니다.
회사는 취득한 자산과 인수한 부채를 최상위지배기업의 연결재무제표상 장부금액으로 인식하고, 제거한 투자주식과 장부금액의 차이를 자본으로 인식하였습니다.
(1) 사업결합에 대한 개요
구분 | 합병법인 | 피합병법인 | 피합병법인 |
---|---|---|---|
회사명 |
한화솔루션㈜ |
㈜한화갤러리아 |
㈜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대상부문 |
상장구분 |
유가증권시장 상장법인 |
비상장법인 |
비상장법인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63로 50 | 충청남도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 62번길 16 |
합병기일 |
2021년 04월 01일 |
(2) 사업결합을 통해 취득일에 인수한 자산과 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금 액 |
---|---|
취득 혹은 인수한 자산의 장부금액 | |
유동자산 |
590,240,956 |
현금및현금성자산 |
360,524,909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90,503,513 |
재고자산 |
25,690,968 |
기타자산 |
13,521,566 |
비유동자산 |
1,538,026,914 |
관계기업투자주식 |
259,608,069 |
유형자산 |
951,941,988 |
무형자산 |
12,029,877 |
기타자산 |
314,446,980 |
취득 혹은 인수한 부채의 장부금액 | |
유동부채 |
687,294,372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44,949,700 |
차입금 |
183,285,775 |
기타부채 |
259,058,897 |
비유동부채 |
624,429,015 |
차입금 |
135,557,604 |
충당부채 |
6,527,861 |
종업원급여부채 |
63,373,197 |
이연법인세부채 |
55,776,130 |
기타부채 |
363,194,223 |
식별 가능한 순자산 공정가치 합계(주1) |
816,544,483 |
(주1) | 주식발행이 없는 소규모 합병으로써 인수 자산부채는 현금성자산을 제외하고는 현금 유입 및 유출이 없는 비현금 거래에 해당합니다. |
35. 건설계약
(1) 당분기 중 건설계약 잔액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기초잔액 | 증감액 | 공사수익인식 | 환율변동효과 | 기말잔액 |
---|---|---|---|---|---|
국내 태양광발전소 건설 | 14,442,550 | 102,425,157 | (51,423,787) | - | 65,443,920 |
해외 태양광발전소 건설 | 53,047,468 | 21,717,029 | (19,755,006) | (364,670) | 54,644,821 |
합 계 | 67,490,018 | 124,142,186 | (71,178,793) | (364,670) | 120,088,741 |
(2) 당분기말 현재 진행 중인 건설계약공사와 관련하여 인식한 공사손익 등의 내역은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누적계약수익 | 누적계약원가 | 누적손익 | 선수금 |
국내 태양광발전소 건설 | 49,147,203 | 46,249,506 | 2,897,697 | - |
해외 태양광발전소 건설 | 36,964,996 | 35,524,599 | 1,440,397 | - |
합 계 | 86,112,199 | 81,774,105 | 4,338,094 | - |
(3) 당분기말 현재 건설계약공사와 관련된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당분기말 | ||
---|---|---|---|
미청구공사(주1) | 초과청구공사(주2) | 공사선수금(주3) | |
국내 태양광발전소 건설 | 71,934 | 8,024,330 | 782,000 |
해외 태양광발전소 건설 | - | 4,098,659 | 3,880,900 |
합 계 | 71,934 | 12,122,989 | 4,662,900 |
(주1) | 재무상태표 상 전액 기타자산으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
(주2) | 재무상태표 상 전액 계약부채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
(주3) | 재무상태표 상 전액 계약부채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
(4) 당분기 중 태양광발전소 건설 관련 계약의 추정총계약수익 및 원가가 변동되었고,이에 따라 당분기와 미래기간의 손익, 계약자산 및 계약부채에 영향을 미치는 금액은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 추정총계약 수익의 변동 |
추정총계약 원가의 변동 |
당기 손익에 미치는 영향 |
미래 손익에 미치는 영향 |
계약자산 (미청구공사)변동 |
계약부채 (초과청구공사)변동 |
---|---|---|---|---|---|---|
국내 태양광발전소 건설 | 25,212 | (1,130,513) | 1,154,087 | 1,639 | 1,163,849 | (9,762) |
당분기 중 신규로 체결한 계약은 제외하였으며, 해당 변경은 모두 회계추정의 변경입니다.
36. 주식기준보상
당분기에 회사는 전무 이상과 상무 이하 임원에게 양도제한조건부주식(RSU) 164,815주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주가연동현금보상을 부여하였습니다. 당분기 중 인식된 보상비용은 14,162백만원입니다.
주식선택권의 공정가치는 양도제한조건부주식의 경우 부여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주가연동현금보상의 경우 매 보고기간말 종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매년 부여되는 주식기준보상은 전무 이상 임원의 경우, 부여일이 속한 회계연도의 6개월이상 근무용역을 제공하면 전부 가득되며, 상무 이하 임원의 경우, 연말에 성과급 개념으로 12월 31 일자로 부여받고 일시에 가득됩니다. 주식기준보상의 지급 효력 발생은 부여일 이후 5년~10년 입니다.
37. 보고기간 후 사건
(1) RES Mediterranee 지분 취득
회사는 유럽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 확장을 목적으로 프랑스의 RES Mediterranee 지분 100%를 987,751백만원에 취득하였습니다.(취득일: 2021년 10월 28일)
(2) 특수관계인에 대한 출자
회사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유상증자(출자금액: 28,779백만원)에 참여하기로 이사회 의결하였습니다(출자 예정일: 2021년 11월 25일).
또한, 회사는 Hanwha Q CELLS Co., Ltd.의 유상증자(출자금액: 59,260백만원)에 참여하였습니다(출자일: 2021년 11월 8일).
6. 배당에 관한 사항
가. 배당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
당사는 정관에 의거 이사회 및 주주총회 결의를 통하여 배당을 실시하고 있으며 배당가능이익 범위 내에서 회사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투자 및 주주가치 제고, 경영환경 등을 고려하여 배당율을 결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정관 제45조 및 제46조에서 이익배당에 관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
제 45 조(이익배당)
① 이익의 배당은 금전과 주식 및 기타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수종의 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주주총회의 결의로 그와 다른 종류의 주식으로도 할 수 있다.
③ 제 1항의 배당은 매 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제 46 조(배당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
① 배당금의 지급청구권은 5년간 이를 행사하지 아니하면 소멸시효가 완성한다.
② 제1항의 시효의 완성으로 인한 배당금은 회사에 귀속한다.
나. 주요배당지표
주요배당지표
구 분 | 주식의 종류 | 당기 | 전기 | 전전기 |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
주당액면가액(원) | 5,000 | 5,000 | 5,000 | |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 803,137 | 309,077 | -237,623 | |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 506,464 | 713,856 | -66,802 | |
(연결)주당순이익(원) | 4,362 | 1,919 | -1,459 | |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32,577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 |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 | -13.7 | |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1.1 |
우선주 | - | - | 2 | |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 | - |
우선주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보통주 | - | - | 200 |
우선주 | - | - | 250 | |
주당 주식배당(주) | 보통주 | - | - | - |
우선주 | - | - | - |
다. 과거 배당 이력
(단위: 회, %) |
연속 배당횟수 | 평균 배당수익률 | ||
---|---|---|---|
분기(중간)배당 | 결산배당 | 최근 3년간 | 최근 5년간 |
- | - | 0.7 | 0.9 |
※ 최근사업연도(2020년, 제47기)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분기(중간)배당은 실시하지 않고 있으며, 결산배당은 2003년(제30기)부터 2019년(제46기)까지 17회 연속 결산배당을 하였으나, 2020년(제47기)는 결산배당을 하지 않았습니다.
라. 이익참가부사채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습니다
7.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에 관한 사항
7-1. 증권의 발행을 통한 자금조달 실적
[지분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1) 증자(감자)현황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원, 주) |
주식발행 (감소)일자 |
발행(감소) 형태 |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 ||||
---|---|---|---|---|---|---|
종류 | 수량 | 주당 액면가액 |
주당발행 (감소)가액 |
비고 | ||
2016년 02월 29일 | - | 보통주 | 2,869,788 | 5,000 | - | 한화화인케미칼 합병에 따른 주식 발행 |
2018년 05월 02일 | 무상감자 | 보통주 | 1,698,965 | 5,000 | - | 자기주식 소각 |
2021년 03월 18일 | 유상증자(주주배정) | 보통주 | 31,414,000 | 5,000 | - | 유상증자 |
- 2016년 2월 29일 한화화인케미칼과 합병으로 인해 신주를 발행하였습니다. |
- 2018년 5월 2일을 기준으로 감자(소각)를 완료 하였습니다. |
- 2021년 3월 5일 주금 납입이 완료 되었고, 2021년 3월 18일 신주가 상장 되었습니다. |
2) 채무증권 발행실적
[채무증권의 발행 등과 관련된 사항] |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
발행회사 | 증권종류 | 발행방법 | 발행일자 | 권면(전자등록)총액 | 이자율 | 평가등급 (평가기관) |
만기일 | 상환 여부 |
주관회사 |
---|---|---|---|---|---|---|---|---|---|
한화솔루션 舊) 한화갤러리아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1월 05일 | 20,000 | 2.10 | A2-(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1월 22일 | 상환 | 우리종금 |
한화솔루션 舊) 한화갤러리아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1월 05일 | 10,000 | 2.06 | A2-(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2월 05일 | 상환 | 롯데캐피탈 |
한화솔루션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1월 26일 | 20,000 | 0.90 | A1(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4월 26일 | 상환 | 기업유동성지원기구 |
한화솔루션 舊) 한화갤러리아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3월 12일 | 10,000 | 2.08 | A2-(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3월 26일 | 상환 | 롯데캐피탈 |
한화솔루션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3월 22일 | 25,000 | 0.90 | A1(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6월 22일 | 상환 | 기업유동성지원기구 |
한화솔루션 舊) 한화갤러리아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3월 29일 | 20,000 | 2.10 | A2-(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3월 31일 | 상환 | 우리종금 |
한화솔루션 | 회사채 | 공모 | 2021년 04월 19일 | 188,210 | 3.00 | - | 2024년 04월 19일 | 미상환 | SC증권 |
한화솔루션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4월 26일 | 20,000 | 0.90 | A1(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7월 26일 | 상환 | 기업유동성지원기구 |
한화솔루션 | 회사채 (녹색채권) |
공모 | 2021년 06월 17일 | 70,000 | 1.704 | AA-(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4년 06월 17일 | 미상환 | 신한금융투자,키움증권 |
한화솔루션 | 회사채 (녹색채권) |
공모 | 2021년 06월 17일 | 30,000 | 2.055 | AA-(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6년 06월 17일 | 미상환 | 신한금융투자,키움증권 |
한화솔루션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6월 22일 | 25,000 | 0.90 | A1(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09월 17일 | 상환 | 기업유동성지원기구 |
한화솔루션 | 기업어음증권 | - | 2021년 07월 26일 | 20,000 | 0.90 | A1(한국기업평가/NICE신용평가) | 2021년 10월 26일 | 상환 | 기업유동성지원기구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회사채 | 공모 | 2021년 09월 01일 | 42,857 | 3.05 | - | 2024년 08월 30일 | 미상환 | CIMB Investment Bank Berhad |
한화솔루션 | 회사채 | 사모 | 2021년 10월 07일 | 135,936 | 3M Euribor+1.20% | - | 2026년 10월 07일 | 미상환 | Shinhan Investment Asia Limited |
한화솔루션 | 회사채 | 사모 | 2021년 11월 23일 | 120,000 | 3M Libor+1.04% | - | 2024년 11월 23일 | 미상환 | KDB Asia Limited |
한화솔루션 | 회사채 | 사모 | 2021년 12월 29일 | 84,000 | 3M Libor+0.81% | - | 2024년 12월 30일 | 미상환 | KEB Hana Global Finance Ltd. NH Investment & Securities (H.K.) Ltd |
합 계 | - | - | - | 841,003 | - | - | - | - | - |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 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0일 이하 | 10일초과 30일이하 |
30일초과 90일이하 |
90일초과 180일이하 |
180일초과 1년이하 |
합 계 | 발행 한도 | 잔여 한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전자단기사채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회사채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10,000 | 440,000 | 488,210 | 140,000 | 90,000 | - | - | 1,268,210 |
사모 | 456,000 | 40,000 | 204,000 | - | 135,936 | - | - | 835,936 | |
합계 | 566,000 | 480,000 | 692,210 | 140,000 | 225,936 | - | - | 2,104,146 |
※ 별도기준 당사의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2,104,146백만원 입니다.
회사채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110,000 | 440,000 | 531,067 | 140,000 | 90,000 | - | - | 1,311,067 |
사모 | 456,000 | 120,000 | 204,000 | - | 135,936 | - | - | 915,936 | |
합계 | 566,000 | 560,000 | 735,067 | 140,000 | 225,936 | - | - | 2,227,003 |
※ 연결기준 당사의 회사채 미상환 잔액은 2,227,003백만원 입니다.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15년이하 |
15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별도)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별도기준 당사의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연결)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잔여만기 | 1년 이하 | 1년초과 2년이하 |
2년초과 3년이하 |
3년초과 4년이하 |
4년초과 5년이하 |
5년초과 10년이하 |
10년초과 20년이하 |
20년초과 30년이하 |
30년초과 | 합 계 | |
---|---|---|---|---|---|---|---|---|---|---|---|
미상환 잔액 | 공모 | - | - | - | - | - | - | - | - | - | - |
사모 | - | - | - | - | - | - | - | - | - | - | |
합계 | - | - | - | - | - | - | - | - | - | - |
※ 연결기준 당사의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은 없습니다.
사채관리계약 주요내용 및 충족여부 등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
한화솔루션(주) 제254-1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18년 11월 29일 | 2021년 11월 29일 | 60,000,000,000 | 2018년 11월 19일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54-2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18년 11월 29일 | 2023년 11월 29일 | 90,000,000,000 | 2018년 11월 19일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4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55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19.01.31 | 2024.01.31 | 150,000,000,000 | 2019.01.21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60-1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19.10.24 | 2022.10.24 | 110,000,000,000 | 2019.10.14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60-2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19.10.24 | 2024.10.24 | 80,000,000,000 | 2019.10.14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60-3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19.10.24 | 2026.10.24 | 60,000,000,000 | 2019.10.14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69-1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20.01.22 | 2023.01.20 | 140,000,000,000 | 2020.01.10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69-2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20.01.22 | 2025.01.22 | 140,000,000,000 | 2020.01.10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70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20.04.21 | 2023.04.21 | 210,000,000,000 | 2020.04.08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75-1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21.06.17 | 2024.06.17 | 70,000,000,000 | 2021.06.07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작성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원, %) |
채권명 | 발행일 | 만기일 | 발행액 | 사채관리 계약체결일 |
사채관리회사 |
한화솔루션(주) 제275-2회 무기명식 무보증 이권부 공모사채 |
2021.06.17 | 2026.06.17 | 30,000,000,000 | 2021.06.07 | 한국증권금융(주) |
(이행현황기준일 : | 2021년 06월 30일 | ) |
재무비율 유지현황 | 계약내용 | 부채비율 (별도재무제표 기준)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80.65%) | |
담보권설정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지급보증 또는 담보권 설정 채무합계액이 최근보고서상 "자기자본" (별도재무제표 기준) 의 300% 이하 유지 |
이행현황 | 이행 (45.02%) | |
자산처분 제한현황 | 계약내용 | 하나의 회계년도에 자산총액의 70% (별도재무제표 기준) 이상의 자산을 매매, 양도, 임대 기타 처분 할 수 없다. |
이행현황 | 이행 (0.0216%) | |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 | 계약내용 |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한화"유지 |
이행현황 | 이행 (한화유지) | |
이행상황보고서 제출현황 | 이행현황 | 이행 (2021.09.08) |
* 이행현황기준일은 이행현황 판단 시 적용한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확인 및 의견표시)이 표명된 가장 최근의 재무제표의 작성기준일이며, 지배구조변경 제한현황은 공시서류작성기준일임.
7-2. 증권의 발행을 통해 조달된 자금의 사용실적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백만원) |
구 분 | 회차 | 납입일 | 증권신고서 등의 자금사용 계획 |
실제 자금사용 내역 |
차이발생 사유 등 | ||
---|---|---|---|---|---|---|---|
사용용도 | 조달금액 | 내용 | 금액 | ||||
공모사채 | 제255회 | 2019년 01월 31일 | 채무상환자금 및 시설자금 | 150,000 | 제246-1회 상환 및 시설자금 | 150,000 | - |
공모사채 | 제260-1회 | 2019년 10월 24일 | 채무상환자금및 운영자금 | 110,000 | 제248회, 제249회 회사채 상환, 에틸렌 및 기타물품대금 |
110,000 | - |
공모사채 | 제260-2회 | 2019년 10월 24일 | 채무상환자금및 운영자금 | 80,000 | 제248회, 제249회 회사채 상환, 에틸렌 및 기타물품대금 |
80,000 | - |
공모사채 | 제260-3회 | 2019년 10월 24일 | 채무상환자금및 운영자금 | 60,000 | 제248회, 제249회 회사채 상환, 에틸렌 및 기타물품대금 |
60,000 | - |
공모사채 | 제269-1회 | 2020년 01월 22일 | 채무상환자금 | 140,000 | 제243-2회, 제250회, 제261회, 제266회 회사채 및 금융기관차입금 상환 |
140,000 | - |
공모사채 | 제269-2회 | 2020년 01월 22일 | 채무상환자금 | 140,000 | 제243-2회, 제250회, 제261회, 제266회 회사채 및 금융기관차입금 상환 |
140,000 | - |
공모사채 | 제270회 | 2020년 04월 21일 | 채무상환자금및 운영자금 | 210,000 | 제251회, 제262회,제264회, 제265회 회사채 상환, 에틸렌 및 기타물품대금 |
210,000 | - |
유상증자 | - | 2021년 03월 05일 | 시설자금 | 635,601 | 태양광 고효율 제품 개발 및 생산, 수소 생산, 저장 및 유통 |
466,266 | 투자 집행시기 도래 시 사용예정 |
유상증자 | - | 2021년 03월 05일 | 운영자금 | 300,015 | 태양광 분산형 발전 기반 에너지 사업 | 117,170 | 투자 집행시기 도래 시 사용예정 |
유상증자 | - | 2021년 03월 05일 | 타법인증권 취득자금 | 410,474 | 태양광 발전사업 관련 자산취득 등 | 410,474 | - |
공모사채 | 제274회 | 2021년 04월 19일 | 채무상환자금 및 운영자금 | 171,070 | 태양광사업 관련 운영자금 및 차입금 상환 | 171,070 | - |
공모사채 (녹색채권) |
제275-1회 | 2021년 06월 17일 | 채무상환자금 | 70,000 | 금융기관차입금 상환 | 70,000 | - |
공모사채 (녹색채권) |
제275-2회 | 2021년 06월 17일 | 채무상환자금 | 30,000 | 금융기관차입금 상환 | 5,000 | 분할상환기일 도래 시 사용예정 |
주) 2021년 06월 17일 발행된 제275-1회 및 제275-2회 회사채는 ESG채권(녹색채권)으로, 큐셀부문 공장 증축으로 소요된 차입금 등의 채무를 상환하기 위한 목적으로 발행되었으며, 당초 계획대로 셀부문 공장 증축으로 소요된 차입금 등의 채무를 상환에 사용 중에 있습니다. 본 ESG채권의 구체적인 자금사용내역은 당사의 홈페이지 및 한국거래소의 사회책임투자채권 전용 세그먼트에 게시될 ESG채권 사후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8.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1) (연결)재무제표 재작성에 관한 사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2) 합병, 분할, 자산양수도, 영업양수도에 관한 사항
- 최근 3사업연도 내 별도재무제표 기준 주요한 합병 내역은 본문의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_3. 제재현황 등 그 밖의 사항_ 다. 합병 등의 사후정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자산 유동화와 관련한 자산매각의 회계처리 및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
- 우발채무 등에 관한 사항은『III. 재무에 관한 사항_3. 연결재무제표 주석_
32.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기타 재무제표 이용에 유의하여야 할 사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손실충당금 설정현황
1)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계정과목 | 채권 총액 | 손실충당금 | 손실충당금 설정률 |
---|---|---|---|---|
제48기 3분기 |
매출채권 | 1,802,797 | 176,916 | 9.81% |
미수금 | 123,671 | 2,228 | 1.80% | |
선급금 | 234,633 | 116,825 | 49.79% | |
미수수익 | 6,915 | 2,564 | 37.08% | |
합 계 | 2,168,016 | 298,533 | 13.77% | |
제47기 |
매출채권 | 1,594,475 | 160,579 | 10.07% |
미수금 | 30,207 | 2,219 | 7.35% | |
선급금 | 315,042 | 106,568 | 33.83% | |
미수수익 | 3,733 | 2,564 | 68.68% | |
합 계 | 1,943,457 | 271,930 | 13.99% | |
제46기 | 매출채권 | 1,657,953 | 152,908 | 9.22% |
미수금 | 84,580 | 11,621 | 13.74% | |
선급금 | 267,072 | 105,789 | 39.61% | |
미수수익 | 4,952 | - | 0.00% | |
합 계 | 2,014,557 | 270,318 | 13.42% |
2) 대손충당금 변동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제48기 3분기 | 제47기 | 제46기 |
---|---|---|---|
1. 기초 손실충당금 잔액합계 | 271,930 | 270,318 | 276,115 |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 (21,685) | (1,761) | 35,085 |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 (10,246) | (576) | 44,711 |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 | - |
③ 기타증감액 | (11,439) | (1,185) | (9,626) |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 4,919 | (149) | 29,288 |
4. 기말 손실충당금 잔액합계 | 298,534 | 271,930 | 270,318 |
3) 매출채권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당사는 당분기말 현재 매출채권과 기타채권 잔액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의 실무적 간편법에 따라 전체기간기대신용손실로 측정하였습니다.
4) 당해 사업연도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 잔액 현황
(단위 :백만원) |
구 분 | 6월 이하 | 6월 초과 1년 이하 |
1년 초과 3년 이하 |
3년 초과 | 계 | |
---|---|---|---|---|---|---|
금 액 | 일반 | 1,612,119 | 5,422 | 105,538 | 65,853 | 1,788,932 |
특수관계자 | 78,941 | 19,839 | 18,847 | 19,909 | 137,536 | |
계 | 1,691,060 | 25,261 | 124,385 | 85,762 | 1,926,468 | |
구성비율 | 87.8% | 1.3% | 6.5% | 4.5% | 100.0% |
※상기의 매출채권 잔액은 미수금을 포함한 금액임.
5) 장기매출채권 현황
( 단위 : 억원 ) |
구 분 | 금 액 | 비 고 |
---|---|---|
장기매출채권 | 38 | - |
대손충당금 | - | - |
다. 재고자산 현황 등
1)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가) 재고자산의 보유 및 실사내역 등(연결기준)
(1) 최근 3사업연도의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 계정과목 | 제 48 기 3분기 | 제 47 기 | 제 46 기 |
---|---|---|---|---|
원 료 | 상 품 | 8,223 | 1,325 | 2,770 |
제 품 | 330,651 | 214,802 | 234,723 | |
재공품 | - | - | - | |
원재료 | 90,488 | 47,362 | 48,733 | |
저장품 | 43,450 | 53,313 | 50,757 | |
미착품 | 11,730 | 11,090 | 20,293 | |
소 계 | 484,542 | 327,892 | 357,276 | |
가 공 | 상 품 | 15,548 | 15,575 | 32,744 |
제 품 | 57,226 | 42,748 | 50,568 | |
재공품 | - | - | - | |
원재료 | 70,134 | 37,733 | 50,142 | |
저장품 | 11,226 | 1,330 | 1,276 | |
미착품 | 15,133 | 13,537 | 11,783 | |
소 계 | 169,267 | 110,923 | 146,513 | |
유 통 | 상 품 | 29,465 | 28,206 | 24,951 |
제 품 | - | - | - | |
재공품 | - | - | - | |
원재료 | 37 | 43 | 75 | |
저장품 | 85 | 91 | 102 | |
미착품 | - | - | - | |
소 계 | 29,587 | 28,340 | 25,128 | |
태양광 | 상 품 | 248,504 | 123,774 | 119,831 |
제 품 | 451,122 | 344,725 | 317,609 | |
재공품 | 110,184 | 223,814 | 61,656 | |
원재료 | 145,353 | 104,247 | 134,804 | |
저장품 | 18,972 | 17,605 | 16,210 | |
미착품 | 154,617 | 85,159 | 138,843 | |
소 계 | 1,128,752 | 899,324 | 788,953 | |
기 타 | 상 품 | 16,168 | 12,858 | 37,083 |
제 품 | 4,599 | 17,565 | 22,323 | |
재공품 | 51,069 | 14,487 | 142,494 | |
원재료 | 5,986 | 20,151 | 23,813 | |
저장품 | 1,604 | 10,128 | 9,902 | |
미착품 | 30,847 | 7,356 | 4,972 | |
합 계 | 110,273 | 82,545 | 240,587 | |
연결조정 | 상 품 | (1,634) | (14,662) | (18,996) |
제 품 | 144 | (24,222) | (43,509) | |
재공품 | 57,045 | 29,573 | (958) | |
원재료 | (2,537) | (7,836) | (14,743) | |
저장품 | (232) | (289) | (359) | |
미착품 | - | - | - | |
합 계 | 52,786 | (17,436) | (78,565) | |
합 계 | 상 품 | 316,274 | 167,076 | 198,383 |
제 품 | 843,742 | 595,618 | 581,714 | |
재공품 | 218,298 | 267,874 | 203,192 | |
원재료 | 309,461 | 201,700 | 242,824 | |
저장품 | 75,105 | 82,178 | 77,888 | |
미착품 | 212,327 | 117,142 | 175,891 | |
합 계 | 1,975,207 | 1,431,588 | 1,479,892 | |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합계÷기말자산총계×100] |
11.1% | 9.5% | 9.4% | |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
4.8회 | 5.0회 | 5.2회 |
2) 재고자산의 실사내용
(가) 실사일자
- 12월 중으로 매년 1회 재고자산 실사 실시
- 재고조사 시점과 기말시점의 재고자산 변동내역은 해당 기간 전체 재고의 입출고 내역의 확인을 통해 재무상태표일기준 재고자산의 실재성을 확인합니다.
(나) 재고실사시 전문가의 참여 또는 감사인의 입회여부 등
- 외부감사인이 재고실사에 입회ㆍ확인하고 일부 항목에 대해 표본추출하여
그 실재성 및 완전성을 확인합니다.
3) 장기체화재고
재고자산의 시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저가법을 사용하여 재고 자산의 재무상태표가액을 결정하고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재고자산에 대한
평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계정과목 | 취득원가 | 보유금액 | 당기평가손실 | 기말잔액 | 비 고 |
---|---|---|---|---|---|
제 품 | 874,103 | 874,103 | 30,361 | 843,742 | - |
원 재 료 | 320,828 | 320,828 | 11,367 | 309,461 | - |
상 품 | 320,576 | 320,576 | 4,302 | 316,274 | - |
합 계 | 1,515,507 | 1,515,507 | 46,030 | 1,469,477 | - |
라. 수주계약 현황
당분기말 현재 당사 연결재무제표 및 별도재무제표의 진행 중인 계약과 관련하여 매출액 대비 5% 이상 수주계약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마. 공정가치평가 내역
1) 공정가치
(가) 금융상품 종류별 공정가치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장부금액과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장부금액 | 공정가치 | |
금융자산 | - | - | -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1,829,220,695 | 1,829,220,695 | 1,199,836,791 | 1,199,836,791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2,357,052 | 32,357,052 | 4,778,417 | 4,778,41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주1) | 66,375,259 | 66,375,259 | 48,540,951 | 48,540,95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1,746,831,264 | 1,746,831,264 | 1,461,363,055 | 1,461,363,055 |
기타금융자산 | - | - | - | - |
파생상품자산 | 35,789,086 | 35,789,086 | 13,106,624 | 13,106,624 |
기타 | 419,690,833 | 419,690,833 | 241,816,664 | 241,816,664 |
합 계 | 4,130,264,189 | 4,130,264,189 | 2,969,442,502 | 2,969,442,502 |
금융부채 | -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2,133,858,765 | 2,133,858,765 | 1,556,406,291 | 1,556,406,291 |
차입금 | 5,314,831,783 | 5,319,183,592 | 5,688,573,526 | 5,684,824,126 |
기타금융부채 | - | - | - | - |
파생상품부채 | 14,110,894 | 14,110,894 | 73,164,853 | 73,164,853 |
기타 | 726,963,049 | 726,963,049 | 528,984,827 | 528,984,827 |
합 계 | 8,189,764,491 | 8,194,116,300 | 7,847,129,497 | 7,843,380,097 |
(주1) | 활성거래시장이 존재하지 않아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거나 공정가치와 취득원가의 차이가 중요하지 않은 비상장주식에 대하여는 취득원가를 공정가치로 측정하였습니다. |
(2) 공정가치 서열체계
공정가치로 측정되거나 공정가치가 공시되는 자산과 부채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 따라 구분되며 정의된 수준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 투입변수의 유의성 |
---|---|
수준 1 |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 직접적으로(예: 가격) 또는 간접적으로(예: 가격에서 도출되어) 관측가능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단, 수준 1에 포함된 공시가격은 제외함 |
수준 3 | 관측가능한 시장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투입변수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
(3)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금융상품의 수준별 공정가치
구 분 | (단위:천원) | |||||||
---|---|---|---|---|---|---|---|---|
당분기말 | 전기말 |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계 | 수준 1 | 수준 2 | 수준 3 | 합계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928,375 | - | 29,428,677 | 32,357,052 | - | - | 4,778,417 | 4,778,417 |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54,955,709 | - | 11,419,550 | 66,375,259 | 37,152,065 | - | 11,388,886 | 48,540,951 |
파생상품자산 | - | 35,789,086 | - | 35,789,086 | - |
13,106,624 | - |
13,106,624 |
금융자산합계 | 57,884,084 | 35,789,086 |
40,848,227 | 134,521,397 | 37,152,065 |
13,106,624 | 16,167,303 | 66,425,992 |
파생상품부채 | - | 14,110,894 | - | 14,110,894 | - |
73,164,853 | - |
73,164,853 |
금융부채합계 | - | 14,110,894 | - | 14,110,894 | - |
73,164,853 | - |
73,164,853 |
2) 범주별 금융상품
(가) 금융상품 범주별 장부금액
(1) 당분기말
① 금융상품자산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기 타(주1) | 합 계 |
유동성 | - | - | - | -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1,829,220,695 | - | 1,829,220,695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8,828,727 | 1,732,828,338 | - | 1,741,657,065 |
기타금융자산 | 18,744,648 | - | 234,114,061 | 900,564 | 253,759,273 |
비유동성 | - | - | - | -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32,357,052 | - | - | - | 32,357,052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66,375,259 | - | - | 66,375,259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 | 5,174,199 | - | 5,174,199 |
기타금융자산 | 16,143,874 | - | 185,576,772 | - | 201,720,646 |
합 계 | 67,245,574 | 75,203,986 | 3,986,914,065 | 900,564 |
4,130,264,189 |
(주1) 범주별 금융자산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② 금융상품부채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주1) | 합 계 |
유동성 | -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955,646,972 | - | 1,955,646,972 |
차입금 | - | 2,365,252,617 | 11,833,946 | 2,377,086,563 |
기타금융부채 | 12,161,080 | 205,224,617 | 18,326 | 217,404,023 |
비유동성 | -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38,272,418 |
139,939,375 | - | 178,211,793 |
차입금 | - | 2,937,745,220 | - | 2,937,745,220 |
기타금융부채 | 1,949,814 | 521,720,106 | - | 523,669,920 |
합 계 | 52,383,312 | 8,125,528,907 | 11,852,272 | 8,189,764,491 |
(주1)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양도거래관련 금융부채, 금융보증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전기말
① 금융상품자산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기 타(주1) | 합 계 |
유동성 | - | - | - | - | - |
현금및현금성자산 | - | - | 1,199,836,791 | - | 1,199,836,791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2,919,930 | - | - | - | 2,919,930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3,530,241 |
1,453,995,428 | - | 1,457,525,669 |
기타금융자산 | 12,954,637 | - | 179,677,955 | 151,987 | 192,784,579 |
비유동성 | - | - | - | - | -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1,858,487 | - | - | - | 1,858,487 |
기타포괄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 | 48,540,951 | - | - | 48,540,951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 | - | 3,837,386 | - | 3,837,386 |
기타금융자산 | - | - | 62,138,709 | - | 62,138,709 |
합 계 | 17,733,054 | 52,071,192 | 2,899,486,269 | 151,987 | 2,969,442,502 |
(주1) 범주별 금융자산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② 금융상품부채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타(주1) | 합 계 |
유동성 | -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556,391,780 | - | 1,556,391,780 |
차입금 | - | 2,959,246,632 | 12,678,872 | 2,971,925,504 |
기타금융부채 | 17,730,273 | 203,280,910 | 1,146,326 | 222,157,509 |
비유동성 | - | - | - |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 | 14,511 | - | 14,511 |
차입금 | - | 2,716,648,022 | - | 2,716,648,022 |
기타금융부채 | 52,043,375 | 325,556,249 | 2,392,547 | 379,992,171 |
합 계 | 69,773,648 | 7,761,138,104 | 16,217,745 | 7,847,129,497 |
(주1) 범주별 금융부채의 적용을 받지 않는 위험회피목적 파생상품, 제거요건을 충족하지 않은 양도거래 관련 금융부채, 금융보증부채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나)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
(1) 당분기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 |
기타포괄-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 기 타 | 합 계 |
이자수익 | - | - | 14,489,534 | - | - | 14,489,534 |
외환차익 | 553 | - | 89,224,820 | 4,697,325 | - | 93,922,698 |
외화환산이익 | 71,119 | - | 52,527,090 | 183,857 | - | 52,782,066 |
이자비용 | (62,280) |
- | - | (112,002,217) | (136,583) | (112,201,080) |
외환차손 | (318,763) | - | (7,409,148) | (67,548,714) | - | (75,276,625) |
외화환산손실 | (144,224) | - | (417,853) | (142,082,328) | - | (142,644,405) |
대손상각비 | - | - | (4,933,439) | - | - | (4,933,439) |
기타대손상각비 | - | - | (5,578) | - | - | (5,578) |
손실충당금환입 | - | - | 14,170 | - | - | 14,17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503,290) |
- | - | - | - | (503,29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이익 |
53,468 | - | - | - | - | 53,46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15,225) | - | - | - | - | (15,225)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처분손실 | - | (57,646) | - | - | - | (57,646) |
매출채권처분손실 | - | (343,313) | (1,537) | - | - | (344,850) |
파생상품평가이익 | 100,429,883 | - | - | - | 2,730,000 | 103,159,883 |
파생상품거래이익 | 9,101,339 | - | - | - | - | 9,101,339 |
파생상품평가손실 | (11,780,408) | - | - | - | - | (11,780,408) |
파생상품거래손실 | (30,806,510) | - | - | - | - | (30,806,510) |
배당금수익 | 237,524 | 878,822 | - | - | - | 1,116,346 |
소계: 세전순손익 | 66,263,186 | 477,863 | 143,488,059 | (316,752,077) | 2,593,417 | (103,929,552)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17,821,863 | - | - | - | 17,821,863 |
파생상품평가손익 | - | - | - | - | 476,844 | 476,844 |
합계: 세전순포괄손익 | 66,263,186 | 18,299,726 | 143,488,059 | (316,752,077) | 3,070,261 | (85,630,845) |
(2) 전분기
(단위: 천원) | ||||||
---|---|---|---|---|---|---|
구 분 | 당기손익-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기타포괄- 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자산 |
상각후원가 측정금융부채 |
기 타 | 합 계 |
이자수익 | 48,950 | - | 15,804,144 | - | - | 15,853,094 |
외환차익 | 152,650 | - | 115,783,829 | 18,155,773 | - | 134,092,252 |
외화환산이익 | 507,865 | - | 90,507,461 | 8,663,745 | - | 99,679,071 |
이자비용 | - | - | - | (165,345,994) | (144,306) | (165,490,300) |
외환차손 | (729,076) | - | (61,917,322) | (56,990,034) | - | (119,636,432) |
외화환산손실 | (33,379) | - | (36,226,861) | (87,433,841) | - | (123,694,081) |
대손상각비 | - | - | 2,965,982 | - | - | 2,965,982 |
기타대손상각비 | - | - | (5,498,770) | - | - | (5,498,77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 12,298 | - | - | - | - | 12,298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처분이익 |
61,832 | - | - | - | - | 61,832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 (539,963) | - | - | - | - | (539,963) |
매출채권처분손실 | - | (461,616) | - | - | - | (461,616) |
파생상품평가이익 | 14,397,104 | - | - | - | 942,000 | 15,339,104 |
파생상품거래이익 | 16,482,943 | - | - | - | - | 16,482,943 |
파생상품평가손실 | (18,917,437) | - | - | - | - | (18,917,437) |
파생상품거래손실 | (18,497,972) | - | - | - | (774,000) | (19,271,972) |
배당금수익 | - | 879,802 | - | - | - | 879,802 |
소계: 세전순손익 | (7,054,185) | 418,186 | 121,418,463 | (282,950,351) | 23,694 | (168,144,193) |
기타포괄손익 | ||||||
기타포괄-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평가손익 |
- | (11,936,701) | - | - | - | (11,936,701) |
파생상품평가손익 | - | - | - | - | (876,100) |
(876,100) |
합계: 세전순포괄손익 | (7,054,185) |
(11,518,515) | 121,418,463 |
(282,950,351) |
(852,406) | (180,956,994) |
IV. 회계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외부감사에 관한 사항
가.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
사업연도 | 감사인 | 감사의견 | 강조사항 등 | 핵심감사사항 |
---|---|---|---|---|
제48기 3분기(당분기) | 삼정회계법인 | - | 해당사항 없음 |
Hanwha Q CELLS Co.Ltd.의 종속기업투자주식 손상검토(별도) 및 영업권 손상 검토(연결) |
제47기(전기) | 안진회계법인 | 적정 | 해당사항 없음 | Hanwha Q CELLS Co., Ltd. 관련 종속기업투자주식(별도) 및 영업권(연결) 손상 검토 |
제46기(전전기) | 안진회계법인 | 적정 | 해당사항 없음 | 폴리실리콘 현금창출단위 손상평가 |
※ 감사의견은 별도ㆍ연결 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의견입니다.
나. 감사용역 체결현황
(단위 : 천원, 시간) |
사업연도 | 감사인 | 내 용 | 감사계약내역 | 실제수행내역 | ||
---|---|---|---|---|---|---|
보수 | 시간 | 보수 | 시간 | |||
제48기 3분기(당분기) | 삼정회계법인 | 분.반기,별도,연결 재무제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
2,040,000 | 21,900 | 1,224,000 | 11,458 |
제47기(전기) | 안진회계법인 | 분.반기,별도,연결 재무제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
1,750,000 | 19,450 | 1,814,608 | 21,781 |
제46기(전전기) | 안진회계법인 | 분.반기,별도,연결 재무제표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
1,400,000 | 15,560 | 1,478,421 | 18,126 |
다.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
(단위 : 천원) |
사업연도 | 계약체결일 | 용역내용 | 용역수행기간 | 용역보수 | 비고 |
---|---|---|---|---|---|
제48기 3분기 (당분기) |
2020.12.07 2021.05.12 |
시스템 유지보수 20년도 귀속BEPS 보고서 및 이전가격 검토용역 |
2021.01.01 ~ 2021.12.31 2021.05.12 ~ 2021.12.31 |
24,000 220,000 |
삼정회계법인 |
제47기(전기) | 2020.04.02 | 임직원 종합소득세 신고대리용역 | 2020.04.02 ~ 2020.12.31 | 9,528 | 안진회계법인 |
제46기(전전기) | - | - | - | - | 안진회계법인 |
라. 내부감사기구가 회계감사인과 논의한 결과
구분 | 일자 | 참석자 | 방식 | 주요 논의 내용 |
---|---|---|---|---|
1 | 2021년 02월 17일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3인 |
대면회의 |
중간감사 및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 업무 수행결과 |
2 | 2021년 02월 18일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3인 감사인: 업무수행이사 외 1인 |
대면회의 | 핵심감사사항 등 중점 감사사항 기타 입증감사 진행상황 결과보고 |
3 | 2021년 03월 15일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3인 감사인: 업무수행이사 외 1인 |
서면보고 | 감사종료단계 필수 커뮤니케이션 사항 |
4 | 2021년 05월 11일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3인 감사인: 업무수행이사 외 1인 |
대면회의 | 2021년 회계감사 수행계획 분기재무제표에 대한 검토업무 수행결과 |
5 | 2021년 7월 29일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3인 감사인: 업무수행이사 외 1인 |
대면회의 | 반기검토 결과보고 및 기말감사 계획 합병기초잔액 검토 결과보고 감사 중점 분야 소개_감독당국 중점확인 분야 |
6 | 2021년 10월 28일 | 감사위원회: 감사위원 2인 감사인: 업무수행이사 외 2인 |
대면회의 |
3분기 검토 경과보고, 그룹감사 계획, |
마. 회계감사인의 변경에 관한 사항
구분 | 2019년 | 2020년 | 2021년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EY | Rodl & Partner | Rodl & Partner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KPMG | JaHwa | JaHwa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 | Tuerner Audit | Tuerner Audit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 - | EY China |
Rippey Solar Holdings, LLC | - | - | Warren Averett |
Coniglio Solar Holdings, LLC | - | - | Warren Averett |
Kellam Solar Holdings, LLC | - | - | Warren Averett |
H-Flats Solar Holdings, LLC | - | - | Warren Averett |
Kellam Solar Class B, LLC | - | - | Warren Averett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 | - | Warren Averett |
Johnson City Solar, LLC | - | - | Warren Averett |
Johnson City Storage, LLC | - | - | Warren Averett |
Plateau Solar, LLC | - | - | Warren Averett |
Plateau Storage, LLC | - | - | Warren Averett |
Purvis Solar, LLC | - | - | Warren Averett |
Purvis Storage, LLC | - | - | Warren Averett |
South Cheyenne Solar, LLC | - | - | Warren Averett |
Lancium Technologies Corporation | - | - | Marcum LLP |
(주)한화갤러리아 (주1) |
삼정회계법인 | 삼일회계법인 |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한영회계법인 | 삼일회계법인 | 삼일회계법인 |
한화컴파운드(주) | 삼정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대주회계법인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주) | 안진회계법인 | 안진회계법인 | 삼정회계법인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 | - | 우덕회계법인 |
하이패스태양광 ㈜ | 삼우회계법인 | 삼우회계법인 | 우덕회계법인 |
(주)에이치테크노밸리 | - | - | 이촌회계법인 |
(주)제이용인테크노밸리 | - | 이촌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주)경기용인테크노밸리 | 한영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주)서오창테크노밸리 | - | 이촌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주)서산테크노밸리 | 한영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주)아산테크노밸리 | 성문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 |
(주)김해테크노밸리 | 한영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주)에이치밸리 | 한영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이촌회계법인 |
(주)울산복합도시개발 | - | - | 회계법인정연 |
(주1) (주)한화갤러리아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흡수합병 되었습니다.
2. 내부통제에 관한 사항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V.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가. 이사회 구성 개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의 이사회는 4명의 사내이사 및 6명의 사외이사 등 총 10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내에는 감사위원회,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내부거래위원회 등 3개의 위원회가 있습니다. 각 이사의 주요 이력 및 담당 업무는『Ⅷ.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
이사의 수 | 사외이사 수 | 사외이사 변동현황 | ||
---|---|---|---|---|
선임 | 해임 | 중도퇴임 | ||
10 | 6 | - | - | - |
※ 작성기준일 현재(2022.01.11) 기준
나. 중요 의결사항 등
이사회의 중요 의결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등의 성명 | ||||||||||||
최만규 | 김재정 | 서정호 | 박지형 | 이한주 | Amanda Bush |
시마 사토시 |
김창범 | 이구영 | 김희철 | 류두형 | 김동관 | 김은수 |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
100% | 100% | 100% | 100% | 100% | 80% | 8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1 | 2021.02.18 | 제47기 별도·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선임전 |
배당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47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전자투표제도 채택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정관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 후보자 추천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감사위원회 위원 사외이사 후보자 추천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 보수 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임원보수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RSU 금액 부여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임직원 보상을 위한 자사주 매입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약정 대표이사 위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자의 유상증자 참여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대표이사의 타사 이사 겸직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갤러리아㈜와 한화도시개발㈜ 자산개발 사업부문 흡수합병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합병으로 인한 사업장 신설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종합건설면허 취득 기준 자본액 보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SMC사업장 폐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안전보건 계획 보고 및 승인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솔루션 2021년 경영계획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채택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2 | 2021.03.24 | 이사회 의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임기만료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임기만료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이사회 내 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2/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미등기임원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없음 | 찬성 | ||||
ESG 경영 강화를 위한 임직원 행동강령 및 권고사항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질산 유도품 사업 추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미국 M社 지분투자 협상참여를 위한 주요투자조건 제출(안)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2020년 준법지원활동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0년 4분기 차입금 운영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3 | 2021.04.01 | ㈜한화갤러리아 합병 종료보고 및 공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도시개발 분할합병 종료보고 및 공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빌딩 임대차 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학원재단 기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문화재단 기부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없음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없음 | ||||
해외법인 이행보증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큐셀 한국 공장 M10 생산라인 투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증부 글로벌 그린본드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약정 만기연장 일괄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글로벌에셋 유상증자 참여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Hanwha Q CELLS Co., Ltd 유상증자 참여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미국 M社 지분투자 협상참여를 위한 주요투자조건 일부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4 | 2021.05.11 | 제48기 1분기 별도·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회 내 ESG 위원회 신설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3/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사업장 재산종합보험 연장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유 토지 매매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자회사 신용보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임원보수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지배인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새만금 300MW 수상태양광 EPC사업 대표사 책임준공확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해외법인에 대한 보증 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21년 1분기 현지법인 지급보증 변동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1년 1분기 차입금 운영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외부감사인의 비감사 용역 승인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2021.06.23 | 주식매매계약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6 | 2021.07.29 | 이사회 및 위원회 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ESG 위원회 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4/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재산종합보험 갱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POE 상업화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계약서 및 서비스 계약서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임원 직제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OLED 공정용 소재 제조 업체 인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글로벌에셋 증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 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L社 지분인수 투자를 위한 주식매매계약 체결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유상증자 참여(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미국 N社 지분투자 계획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한화종합화학㈜ 주식매매계약 체결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1년 2분기 경영실적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1년 2분기 차입금 운영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1년 2분기 현지법인 지급보증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유럽 사업 투자 검토 안건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2021.08.09 | RES 프랑스 인수 관련 계약 체결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증부 그린본드 사모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8 | 2021.10.28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사임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유상증자 참여(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Hanwha Q CELLS Co., Ltd 유상증자 참여(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회 규정 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21년 3분기 경영실적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1년 3분기 차입금 운영 보고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21년 3분기 현지법인 지급보증내역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큐셀 부문 한국공장 투자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미국 Finless Foods社 지분투자계획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명품 이커머스 관련 온라인 신규 사업 진행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보고: 태양광/풍력 개발회사(RES France) SPA 체결완료및 거래종결 보고의 건 | - | - | - | - | - | - | - | - | - | - | - | |||||
9 | 2021.11.18 | REC Silicon ASA 지분 투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임원의 타사 임원 겸직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없음 | 찬성 | |||||
10 | 2021.12.21 | 기업지배구조헌장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리스크관리규정 제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유 토지 처분계획 변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대표이사의 타 회사 임원 겸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없음 |
찬성 | 찬성 | |||||
'22년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 갱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제공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에 대한 보증약정 대표이사 위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Hanwha EU ENERGY Solutions SE 현물 출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회사채 발행 관련 대표이사 위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차입한도약정 대표이사 위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외화표시 보증부 FRN 발행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2년 1/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CA6 증설사업 투자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과의 보험거래 계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승인의 건 (1)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이사 등과 회사 간의 거래 승인의 건 (2)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의결권없음 | 찬성 |
다. 이사회내 위원회
위원회명 | 구성 | 성명 |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 비 고 |
---|---|---|---|---|
내부거래위원회 (위원장: 서정호) |
사외이사 4인 | 서정호 최만규 박지형 이한주 |
-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조의8 제2항에 따라 단일 혹은 연간 총 거래규모가 50억원 이상이거나 자본총계 혹은 자본금 중 큰 금액의 100분의 5 이상인 내부거래 승인 |
- |
ESG위원회 (위원장: 박지형) |
사외이사 4인 | 박지형 서정호 최만규 이한주 |
1. ESG 주요 정책 및 이슈 심의 및 의결 2. 회사의 ESG 활동 중장기 정책 수립 3. ESG 정책활동 검토 및 실행계획 심의 4. ESG 활동 관련 규정의 제정 및 개정 5. ESG 활동에 대한 정기/수시 평가 |
-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위원장: 박지형) |
사외이사 4인 | 박지형 최만규 서정호 이한주 |
- 사외이사 후보 추천을 위해 설치 권한: 주주총회에 사외이사 후보 추천 |
- |
※ 이사회내 위원회 구성원은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2021.9.30) 기준
라. 이사회내의 위원회 활동내역
-내부거래위원회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등의 성명 | ||||||
최만규 | 이한주 | 서정호 | 박지형 | 김재정 | 김창범 | 이구영 |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
내부거래 위원회 |
김창범 이구영 최만규 김재정 서정호 박지형 |
2021.02.18 | 특수관계자의 유상증자 참여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선임 전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서정호 최만규 박지형 이한주 |
2021.03.24 | '21년 2/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임기 만료 |
임기 만료 |
임기 만료 |
|
2021.04.01 | 한화빌딩 임대차 계약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글로벌에셋 유상증자 참여(안)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1.05.11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3/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사업장 재산종합보험 연장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유 토지 매매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자회사 신용보강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1.07.29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4/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1년 4/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POE 상업화 기술 개발을 위한 공동개발 계약서 및 서비스 계약서 체결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한화글로벌에셋 증자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1.08.09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1.10.28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유상증자 참여(안) | 가결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
2021.12.21 | 보유 토지 처분계획 변경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2년 브랜드 라이선스 계약 갱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22년 1/4분기 계열금융회사와의 거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특수관계인과의 보험거래 계약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계열회사와의 상품 용역거래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ESG위원회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등의 성명 | |||
박지형 | 최만규 | 서정호 | 이한주 |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
100% | 100% | 100% | 100% | |||||
ESG위원회 | 박지형 최만규 서정호 이한주 |
2021.05.11 | ESG위원회 위원장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2021.07.29 | 보고: ESG 경영 추진 현황 보고의 건 | - | - | - | - | - | ||
2021.10.28 | 보고: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보고의 건 | - | - | - | - | - | ||
보고: 2050 탄소중립 달성 방안 보고의 건 | - | - | - | - |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등의 성명 | |||
최만규 | 김재정 | 서정호 | 박지형 |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
100% | 100% | 100% | 100% |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 최만규 김재정 서정호 박지형 |
2021.02.18 | 사외이사후보 추천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마.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 10명에 대한 각각의 추천인 및 선임배경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 이 사 | 추천인 | 선임배경 | 활동분야 | 회사와의거래 | 최대주주등과의 관계 | 재직기간 | 임기만료일 | 연임 횟수 |
---|---|---|---|---|---|---|---|---|---|
사내 이사 |
이구영 | 이사회 | 당사의 케미칼부문 경영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케미칼부문 | - | 계열회사 임원 | 2019.03.26~ | 2023.03.23 | 1 |
류두형 | 이사회 | 당사의 첨단소재부문 경영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첨단소재부문 | - | 계열회사 임원 | 2020.01.02~ | 2022.03.23 | - | |
김동관 | 이사회 | 당사의 중장기 사업전략 수립을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전략부문 | - | 최대주주의 임원 | 2020.03.24~ | 2022.03.23 | - | |
김은수 | 이사회 | 당사의 갤러리아부문 경영 총괄 및 대외적 업무를 안정적으로 수행하기 위함 | 갤러리아부문 | - | 계열회사의 임원 | 2021.03.24~ | 2023.03.23 | - | |
사외 이사 |
최만규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
재무 회계 분야의 전문가 | 경영자문 | - | 해당사항 없음 | 2018.03.27~ | 2022.03.23 | 1 |
Amanda Bush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
석유화학 및 에너지 M&A 자문 | 경영자문 | - | 해당사항 없음 | 2020.03.24~ | 2022.03.23 | - | |
시마사토시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
신사업 전략 수립 자문 | 경영자문 | - | 해당사항 없음 | 2020.03.24~ | 2022.03.23 | - | |
서정호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
법률 분야의 전문가 | 경영자문 | - | 해당사항 없음 | 2020.03.24~ | 2022.03.23 | - | |
박지형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
경제 전반에 대한 자문 | 경영자문 | - | 해당사항 없음 | 2020.03.24~ | 2022.03.23 | - | |
이한주 | 사외이사 후보 추천 위원회 |
글로벌 비즈니스 자문 | 경영자문 |
클라우드 구축 용역 계약 ('20.6 ~ '21.3, 3.3억원) |
해당사항 없음 | 2021.03.24~ | 2023.03.23 | - |
※ 관계법령과 정관 및 이사회 규정에 따라 회사의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하기 위하여설치된 당사의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상법 제542조의8에 의거하여 사외이사가 총 위원의 과반수가 되도록 구성하여야 하며 당사는 전원 사외이사 4인(박지형, 최만규, 서정호, 이한주)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바. 사외이사의 전문성
당사는 별도의 이사회 지원조직이 사외이사의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이사회 및 위원회 개최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별도의 설명회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기타 사내 주요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당사 경영활동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기 위해 필요시 경영현장을 직접 시찰하고 현황보고를 받고 있습니다.
사. 사외이사 지원조직
공시작성기준일 당사는 이사회 담당 부서(경영기획팀) 직원 4명(팀장 1명, 과장 3명, 평균 14년)을 통하여 이사회의 원활한 활동을 지원 하고 이사(사외이사 포함)에 대한 경영정보 등의 제공,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 및 직무수행에 필요한 요청사항에 대한 지원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사외이사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2021년 03월 25일 | 한화솔루션 | 최만규, 서정호, 박지형, 이한주 |
- | 1. 케미칼 사업부(PO, CA, PVC, TDI) 소개 2. 큐셀 사업부(모듈, 시스템, GES, DES) 소개 3. 첨단소재(탱크사업팀) 소개 - 교육시간: 총 2시간 40분 - 강사: 팀장급 이상 사내 임직원 9명 |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가. 감사위원회
당사는 관계법령에 의거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사외이사 3인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감사위원회의 주요업무 및 권한은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내역은 다음와 같습니다.
① 위원회는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한다.
② 위원회는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업무와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③ 위원회는 그 직무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자회사에 대하여
영업의 보고를 요구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회사가 지체없이 보고를 하지 아니할
때 또는 보고의 내용을 확인할 필요가 있을 때에는 자회사의 업무와 재산
상태를 조사할 수 있다.
④ 위원회는 외부감사인을 선임한다.
⑤ 위원회는 회의의 목적사항과 소집의 이유를 기재한 서면을 이사회에 제출
하여 임시총회의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⑥ 위원회는 이사가 주주총회에 제출할 의안 및 서류를 조사하여 법령 또는
정관에 위반하거나 현저하게 부당한 사항이 있는 지 그 여부에 관하여
주주총회에 그 의견을 진술하여야 한다.
⑦ 위원회는 제1항 내지 제6항 외에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과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1) 감사위원회 위원의 인적사항 및 사외이사 여부
성 명 | 주요경력 | 재임기간 | 사외이사 여부 | 회계 및 재무전문가 여부 (상법 제542조 11) | 회계 및 재무전문가 확인요건 경력 (상법시행령 제37조) |
타회사 등기임원 겸직현황 |
최초 선임일 |
임기 만료일 |
연임여부 (연임횟수) |
비고 |
최만규 |
신일고등학교 우리은행 여신지원본부장 부행장 (09~11) SKC코오롱PI(주) 사외이사(17~20) |
3년 | 사외이사 | 회계 및 재무전문가 |
상장회사에서 회계,재무분야 관련 임원으로 5년 이상, 임직원으로 10년이상 경력 보유 |
- | 2018.03.27 | 2022.03.23 | 1회 | - |
박지형 |
서울대 경제학 런던정경대 경제학(석사) 위스콘신대 경제학(박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05~) |
1년 | 사외이사 | - | - | - | 2020.03.24 | 2022.03.23 | - | - |
이한주 | 시카고대 생물학 (美)호스트웨이 북미 총괄 수석 부사장(98~14) 베스핀글로벌 대표이사(15~) |
6개월 | 사외이사 | - | - | - | 2021.03.24 | 2023.03.23 | - | - |
감사위원 현황
성명 | 사외이사 여부 |
경력 | 회계ㆍ재무전문가 관련 | ||
---|---|---|---|---|---|
해당 여부 | 전문가 유형 | 관련 경력 | |||
최만규 | 예 |
신일고등학교 우리은행 여신지원본부장 부행장 (09~11) SKC코오롱PI(주) 사외이사(17~20) |
예 | ※ 최만규 감사위원은 우리은행 부행장을 역임하는 등 상법 시행령 제37조 제2항 제4호에서 정하고 있는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에 해당 |
- |
박지형 | 예 |
서울대 경제학 런던정경대 경제학(석사) 위스콘신대 경제학(박사) 서울대 경제학부 교수(05~) |
- | - | - |
이한주 | 예 | 시카고대 생물학 (美)호스트웨이 북미 총괄 수석 부사장(98~14) 베스핀글로벌 대표이사(15~) |
- | - | - |
2) 감사위원회 위원의 독립성
당사는 상법 제542조의11, 제542조의12 등의 관련규정에 의거하여 감사위원회를 설치하였으며 주주총회에서 이사를 선임한 후 선임된 이사 중에서 감사위원을 선임하였습니다.
당사는 감사위원회의 원활한 감사업무를 위하여 위원회는 언제든지 이사에 대하여 영업에 관한 보고를 요구하거나 회사의 재산상태를 조사할 수 있고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계임직원 및 외부감사인을 회의에 참석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에는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요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선출기준의 주요내용 | 선출기준의 충족여부 | 관련 법령 등 |
- 3명 이상의 이사로 구성 | 충족(3명) | 상법 제415조의2 제2항 |
- 사외이사가 위원의 3분의 2 이상 | 충족(전원 사외이사) | |
- 위원 중 1명 이상은 회계 또는 재무전문가 | 충족(최만규) | 상법 제542조의11 제2항 |
- 감사위원회의 위원장은 사외이사 | 충족(최만규) | |
- 그밖의 결격요건(최대주주의 특수관계자 등) | 충족(해당사항 없음) | 상법 제542조의11 제3항 |
3) 감사위원회의 활동
위원회명 | 구성원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이사 등의 성명 | |||
최만규 | 김재정 | 박지형 | 이한주 |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출석률 | |||||
100% | 100% | 100% | 100% | |||||
감사위원회 | 최만규 김재정 박지형 |
2021.02.17 | 보고: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 - | - | - | 선임 전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채택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2021.02.18 | 제47기 별도연결재무제표 심의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47기 주주총회 의안 및 제출서류 검토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최만규 박지형 이한주 |
2021.05.11 | 제48기 1분기 별도·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임기 만료 |
찬성 | 찬성 | |
외부감사인의 비감사 용역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보고: '21년도 한화솔루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계획 보고의 건 | - | - | - | - | ||||
2021.07.29 | 보고: ’21년 2분기 경영실적 보고 | - | - | - | - | |||
2021.10.28 | '21년 3분기 경영실적 보고 | - | - | - | - | |||
내부회계 구축 및 1차 평가 결과 보고 (갤러리아/도시개발) | - | - | - | - | ||||
2021.12.21 | '21년도 한화솔루션㈜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계획(안) 보고의 건 | - | - | - | - |
4) 교육실시계획
감사위원회 위원의 역할과 책임을 명확히 인지할 수 있도록 주기적인 내외부 교육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내부회계관리제도 및 최신 관련 법령 개정사항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당사의 사업 현황,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내부통제에 관한 점검 결과 등을 주기적으로 제공하여 실효성 있는 교육을 시행합니다.
5) 감사위원회 교육실시 현황
교육일자 | 교육실시주체 | 참석 감사위원 | 불참시 사유 | 주요 교육내용 |
---|---|---|---|---|
2021년 02월 17일 |
삼정회계법인 |
3/3 |
- |
감사전략과 내부회계관리제도 |
2021년 04월 22일 |
ACF 감사위원회 포럼 |
3/3 |
- |
코로나 시대와 ESG : 변혁의 시대,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ESG 관련 보고와 감사(위원회)의 역할 |
2021년 05월 11일 |
삼정회계법인 |
3/3 |
- |
연간감사 일정 및 중점 분야 소개 |
2021년 07월 15일 |
ACF 감사위원회 포럼 |
3/3 | - | 2019-2020 내부회계관리제도 감사현황과 시사점 및 감사위원회의 유의사항 |
6)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감사위원회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경영기획팀 | 4 | 팀장 1명, 과장 3명 (평균 14년) |
이사회/위원회 등 거버넌스 업무 |
나. 준법지원인 등
1) 준법지원인의 인적사항
성명 |
출생년월 |
약력 |
비고 |
김태형 | 1972.12 |
서울대학교 경영학과 사법시험 45회 합격 사법연수원35기 수료 |
큐셀부문 법무실장 |
2) 준법지원인의 주요경력
- 법무경력 : 변호사
3) 준법지원인 등의 주요 활동내역 및 그 처리결과
2020. 1. 6.부터 전 부서를 대상으로 2019년 하반기(2019.7.1.~2019.12.31.) 중 민사 및 상사 관련 법령, 공정거래법 등의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을 시행한 후, 2020. 3. 2019년 상ㆍ하반기 준법통제기준 준수 점검에 대한 유효성 평가를 진행하였습니다.
당사는 2020. 3. 13. 법무법인 세종으로부터 당사의 준법통제기준 및 관련 체제는 2019년도 말 현재 평가기준에 부합하며, 적정하고 실효적으로 운용되고 있다는 평가의견을 받은 뒤 이상의 사항을 2020. 5. 12. 이사회에 보고하였습니다.
2020. 8. 13.부터 전 부서를 대상으로 2020년 상반기(2020.1.1.~2020.6.30.) 중 민사 및 상사 관련 법령, 공정거래법 준수 여부에 대한 점검을 시행하였습니다. 2020년 하반기(2020.7.1.~2020.12.31.)에 대한 점검은 2021. 1.경 시행하여 그 결과를 포함한 2020년 상ㆍ하반기 전체 준법지원활동과 그에 대한 법무법인 유효성 평가 의견을 2021. 3. 24. 이사회에 보고 하였습니다.
4) 준법지원인 지원조직 현황
부서(팀)명 | 직원수(명) | 직위(근속연수) | 주요 활동내역 |
---|---|---|---|
큐셀부문 법무실 |
12 |
- |
소송 수행, 법률 자문, 계약서 검토 등 |
3. 주주총회 등에 관한 사항
가. 투표제도 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투표제도 종류 | 집중투표제 | 서면투표제 | 전자투표제 |
---|---|---|---|
도입여부 | 배제 | 도입 | 도입 |
실시여부 | 미실시 | 실시 | 실시 |
나. 의결권 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식의 종류 | 주식수 | 비고 |
---|---|---|---|
발행주식총수(A) |
보통주 |
191,278,497 | - |
우선주 |
1,123,737 |
- | |
의결권없는 주식수(B) |
보통주 |
698,117 | - |
우선주 |
1,123,737 |
- |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
보통주 |
- | - |
우선주 |
- | -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
보통주 |
- | - |
우선주 |
1,123,737 | -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 (F = A - B - C - D + E) |
보통주 |
190,580,380 | - |
우선주 | 1,123,737 | - |
다. 주식사무
당사 정관상 주식의 발행, 배정 관련 내용 및 주식사무 관련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정관상 |
제10조(주식의 발행 및 배정) ① 회사가 이사회의 결의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방식에 의한다. 1. 주주에게 그가 가진 주식 수에 따라서 신주를 배정하기 위하여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2. 발행주식 총수의 100분의 3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신기술의 도입, 재무구조의 개선 등 회사의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제1호 외의 방법으로 특정한 자(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신주를 배정하기 위하여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3.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호 외의 방법으로 불특정 다수인(회사의 주주를 포함한다)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고 이에 따라 청약을 한 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② 제1항 제3호의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방식으로 신주를 배정하여야 한다. 1.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자의 유형을 분류하지 아니하고 불특정 다수의 청약자에게 신주를 배정하는 방식 2. 관계 법령에 따라 우리사주조합원에 대하여 신주를 배정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까지 포함하여 불특정 다수인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3. 주주에 대하여 우선적으로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청약되지 아니한 주식이 있는 경우 이를 불특정 다수인에게 신주를 배정받을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4. 투자매매업자 또는 투자중개업자가 인수인 또는 주선인으로서 마련한 수요 예측 등 관계 법규에서 정하는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특정한 유형의 자에게 신주인수의 청약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방식 ③ 제1항 제2호 및 제3호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상법 제416조 제1호, 제2호, 제2호의2, 제3호 및 제4호에서 정하는 사항을 그 납입기일의 2주 전까지 주주에게 통지하거나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9에 따라 주요사항보고서를 금융위원회 및 거래소에 공시함으로써 그 통지 및 공고를 갈음할 수 있다. ④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에는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⑤ 회사는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그 기일까지 신주인수의 청약을 하지 아니하거나 그 가액을 납입하지 아니한 주식이 발생하는 경우에 그 처리방법은 발행가액의 적정성 등 관련 법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이사회 결의로 정한다. ⑥ 회사는 신주를 배정하면서 발생하는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⑦ 회사는 제1항 제1호에 따라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에는 주주에게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여야 한다. |
||
결 산 일 |
12월 31 일 |
정기주주총회 |
매 사업년도 종료 후 3개월 이내 |
주주명부폐쇄시기 |
1월1일부터 1월31일까지 |
||
주권의 종류 |
- | ||
명의개서대리인 |
KEB하나은행증권대행부 (02-368-5800) |
||
주주의 특전 |
없음 |
공고게재신문 |
경향신문 |
*주1) 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라 주권의 종류에 관한 내용은 정관에서 삭제되었으며
아래와 같이 변경되었음
당사 정관 제9조(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 회사는 주권 및 신주인수권증서를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및 신주인수권증서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라.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당사는 최근 3년간 주주총회를 4회 개최하였으며, 각 주주총회에서 결의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총일자 |
안 건 |
결 의 내 용 |
---|---|---|
2019.03.26 | 1. 제4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1. 사내이사 이구영 선임의 건 3-2. 사내이사 박승덕 선임의 건 3-3. 사외이사 김재정 선임의 건 4.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2020.01.02 | 1. 정관 일부 변경의 건 2-1. 사내이사 김희철 선임의 건 2-2. 사내이사 류두형 선임의 건 |
가결 |
2020.03.24 | 1. 제4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1. 사내이사 김창범 선임의 건 2-2. 사내이사 김동관 선임의 건 2-3. 사외이사 최만규 선임의 건 2-4. 사외이사 시마사토시 선임의 건 2-5. 사외이사 Amanda Bush 선임의 건 2-6. 사외이사 서정호 선임의 건 2-7. 사외이사 박지형 선임의 건 3-1. 감사위원회 위원 최만규 선임의 건 3-2. 감사위원회 위원 김재정 선임의 건 3-3. 감사위원회 위원 박지형 선임의 건 4.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2021.03.24 | 1. 제4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정관 일부 변경의 건 3-1. 사내이사 이구영 선임의 건 3-2. 사내이사 김은수 선임의 건 4. 감사위원이 되는 이사 이한주 선임의 건 5.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가결 |
VI. 주주에 관한 사항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주, %) |
성 명 | 관 계 | 주식의 종류 |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 비고 | |||
---|---|---|---|---|---|---|---|
기 초 | 기 말 | ||||||
주식수 | 지분율 | 주식수 | 지분율 | ||||
(주)한화 | 최대주주 | 보통주 | 59,545,978 | 37.25 | 69,460,211 | 36.31 | - |
북일학원 | 특수관계 | 보통주 | 250,521 | 0.16 | 289,726 | 0.15 | - |
김창범 | 등기임원 | 보통주 | 15,000 | 0.01 | 0 | 0.01 | 사임 |
이구영 | 등기임원 | 보통주 | 9,010 | 0.01 | 10,509 | 0.01 | - |
류두형 | 등기임원 | 보통주 | 1,605 | 0 | 1,870 | 0 | - |
김재정 | 등기임원 | 보통주 | 480 | 0 | 0 | 0 | 퇴임 |
계 | 보통주 | 59,829,654 | 37.42 | 69,762,316 | 36.47 | - | |
우선주 | - | - | - | - | - |
※ 기초 지분율은 보통주(159,864,497주), 기말 지분율은 보통주(191,278,497주) 기준 입니다.
나. 최대주주에 관한 사항
명 칭 | 출자자수(명) | 대표이사 | 최대주주 | ||||
---|---|---|---|---|---|---|---|
성명 | 주식의 종류 |
지분(%) | 성명 | 주식의 종류 |
지분(%) | ||
(주)한화 | 51,443 | 금춘수 | 보통주 | 0.04 | 김승연 | 보통주 | 22.65 |
우선주 | 0.09 | 우선주 | 6.40 | ||||
합계 | 0.05 | 합계 | 18.84 | ||||
옥경석 | 보통주 | 0.01 | - | - | - | ||
우선주 | 0.00 | - | - | - | |||
합계 | 0.01 | - | - | - | |||
김승모 | 보통주 | 0.01 | - | - | - | ||
우선주 | 0.00 | - | - | - | |||
합계 | 0.01 | - | - | - | |||
김맹윤 | 보통주 | 0.01 | - | - | - | ||
우선주 | 0.00 | - | - | - | |||
합계 | 0.01 | - | - | - |
※ 상기 출자자수는 최근 주주명부 폐쇄일인 2020년 12월 31일 및 의결권 있는 주식
기준입니다.
※ 우선주는 제1우선주와 제3우선주를 포함하며, 의결권이 없습니다.
2. 최대주주 변동현황
(1) 최대주주의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개요
※ 공시대상기간 중 세부내역의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변동일자 | 구분 | 성명 | 변동사유 | 변동전 | 변동후 | 비고 | ||
---|---|---|---|---|---|---|---|---|
주식의 종류 |
지분(%) | 주식의 종류 |
지분(%) | |||||
2019.01.07 | 대표이사 | 김연철 | 장내매수 | 보통주 | 0.01 | 보통주 | 0.01 | - |
우선주 | 0.02 | 우선주 | 0.02 | |||||
합계 | 0.01 | 합계 | 0.01 | |||||
2019.01.14 | 대표이사 | 옥경석 | 장내매수 | 보통주 | 0 | 보통주 | 0.01 | - |
우선주 | 0 | 우선주 | 0 | |||||
합계 | 0 | 합계 | 0.01 | |||||
2019.02.12 | 대표이사 | 이민석 | 장내매수 | 보통주 | 0.01 | 보통주 | 0.01 | - |
우선주 | 0 | 우선주 | 0 | |||||
합계 | 0.01 | 합계 | 0.01 | |||||
2019.03.27 | 대표이사 | 금춘수 | 신규선임 | 보통주 | - | 보통주 | 0.03 | 변동 후 대표이사 : 금춘수, 김연철, 이민석, 옥경석 |
우선주 | - | 우선주 | 0.04 | |||||
합계 | - | 합계 | 0.03 | |||||
2019.09.20 | 대표이사 | 이민석 | 장내매수 | 보통주 | 0.01 | 보통주 | 0.01 | - |
우선주 | 0 | 우선주 | 0 | |||||
합계 | 0.01 | 합계 | 0.01 | |||||
2019.09.22 | 대표이사 | 김연철 | 임원퇴임 | 보통주 | 0.01 | 보통주 | - | 변동 후 대표이사 : 금춘수, 이민석, 옥경석 |
우선주 | 0.02 | 우선주 | - | |||||
합계 | 0.01 | 합계 | - | |||||
2020.03.03. | 대표이사 | 금춘수 | 장내매수 | 보통주 | 0.03 | 보통주 | 0.04 | - |
우선주 | 0.04 | 우선주 | 0.09 | |||||
합계 | 0.03 | 합계 | 0.05 | |||||
2020.03.18 | 대표이사 | 옥경석 | 장내매수 | 보통주 | 0.01 | 보통주 | 0.01 | - |
우선주 | 0 | 우선주 | 0 | |||||
합계 | 0.01 | 합계 | 0.01 | |||||
2020.09.07 | 대표이사 | 이민석 | 장내매수 | 보통주 | 0.01 | 보통주 | 0.01 | - |
우선주 | 0 | 우선주 | 0 | |||||
합계 | 0.01 | 합계 | 0.01 | |||||
2020.10.31 | 대표이사 | 이민석 | 임원퇴임 | 보통주 | 0.01 | 보통주 | - | 변동 후 대표이사 : 금춘수, 옥경석 |
우선주 | 0 | 우선주 | - | |||||
합계 | 0.01 | 합계 | - | |||||
2021.03.29 | 대표이사 | 김승모 | 신규선임 | 보통주 | - | 보통주 | 0.01 | 변동 후 대표이사 : 금춘수, 옥경석, 김승모, 김맹윤 |
우선주 | - | 우선주 | 0 | |||||
합계 | - | 합계 | 0.01 | |||||
2021.03.29 | 대표이사 | 김맹윤 | 신규선임 | 보통주 | - | 보통주 | 0.01 | 변동 후 대표이사 : 금춘수, 옥경석, 김승모, 김맹윤 |
우선주 | - | 우선주 | 0 | |||||
합계 | - | 합계 | 0.01 |
(2) 최대주주(법인 또는 단체)의 최근 결산기 재무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 내용 |
---|---|
자산총계 | 191,178,338 |
부채총계 | 172,671,140 |
자본총계 | 18,507,198 |
매출액 | 50,926,451 |
영업이익 | 1,582,045 |
당기순이익 | 740,501 |
※ (주)한화 2020년(말) 연결재무제표 기준
(3) 사업현황 등 회사 경영 안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요 내용
당사의 최대주주인 (주)한화(영문명 HANWHA CORPORATION)는 1952년 10월 28일 설립하였으며,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장교동, 한화빌딩)에 본사를 두고 있습니다.동사는 산업용 화약 및 방산 사업, 기계 제조, 무역 등 자체사업을 영위하면서 국내외 여러 종속회사를 통하여 화약제조업, 도소매업, 화학제조업, 건설업, 레저서비스업, 태양광사업, 금융업 및 기타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대주주에 대한 보다 자세한 사항은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된 (주)한화의 정기공시(사업보고서, 분ㆍ반기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3. 주식의 분포
가. 주식 소유현황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주) |
구분 | 주주명 | 소유주식수 | 지분율(%) | 비고 |
---|---|---|---|---|
5% 이상 주주 | (주)한화 | 69,460,211 | 36.23 | - |
국민연금 | 15,067,904 | 7.83 | - | |
우리사주조합 | 6,143,396 | 3.20 | - |
※ 지분율은 의결권이 없는 자기주식 제외, 의결권이 부활된 우선주를 포함한 지분율입니다.
※ 국민연금공단 소유 주식수는 국민연금공단이 2021년 9월 2일에 공시한 주식등의
대량보유상황보고서(보고서 작성 기준일: 2021년 8월 3일) 내용을 기준으로 작성 하였습니다.
나.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구 분 | 주주 | 소유주식 | 비 고 | ||||
---|---|---|---|---|---|---|---|
소액 주주수 |
전체 주주수 |
비율 (%) |
소액 주식수 |
총발행 주식수 |
비율 (%) |
||
소액주주 | 371,254 | 371,259 |
99.99 |
107,573,783 | 192,402,234 | 55.91 | - |
4. 주가 및 주식거래실적
○ 당사 주식의 최근 6개월간 주가는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시장: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일일종가기준) (단위 : 원, 주) |
종 류 | '21년 4월 | '21년 5월 | '21년 6월 | '21년 7월 | '21년 8월 | '21년 9월 | ||
---|---|---|---|---|---|---|---|---|
보통주 | 주가 | 최 고 | 50,900 | 47,250 | 46,900 | 44,500 | 40,750 | 44,800 |
최 저 | 46,050 | 43,900 | 43,500 | 39,100 | 36,050 | 38,900 | ||
평 균 | 48,836 | 45,316 | 45,261 | 42,886 | 38,964 | 41,963 | ||
거래량 | 최고(일) | 3,902,161 | 2,338,039 | 3,465,057 | 4,277,582 | 2,639,447 | 4,357,267 | |
최저(일) | 933,632 | 745,090 | 701,493 | 451,794 | 621,151 | 766,080 | ||
월 간 | 39,638,793 | 23,408,189 | 36,595,510 | 23,878,897 | 25,727,887 | 33,821,810 | ||
우선주 | 주가 | 최 고 | 61,700 | 58,000 | 57,000 | 54,400 | 49,550 | 49,050 |
최 저 | 55,600 | 53,900 | 54,700 | 49,050 | 43,950 | 45,600 | ||
평 균 | 58,695 | 55,089 | 55,873 | 52,198 | 47,405 | 47,258 | ||
거래량 | 최고(일) | 34,700 | 92,907 | 104,670 | 14,326 | 81,100 | 12,854 | |
최저(일) | 6,135 | 4,410 | 3,349 | 2,514 | 2,339 | 1,450 | ||
월 간 | 279,537 | 263,810 | 273,168 | 126,949 | 196,169 | 91,237 |
V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가. 임원 현황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당사의 등기임원은 10명, 미등기임원은 122명으로 총 132명입니다
(기준일 : | 2022년 01월 11일 | ) | (단위 : 주) |
성명 | 성별 | 출생년월 | 직위 | 등기임원 여부 |
상근 여부 |
담당 업무 |
주요경력 | 소유주식수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재직기간 | 임기 만료일 |
|
의결권 있는 주식 |
의결권 없는 주식 |
|||||||||||
이구영 | 남 | 1964년 04월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큐셀 부문 총괄 | 연세대 정치외교학 한화케미칼 사업총괄 |
10,509 | - | - | 1년 4개월 | 2023년 03월 23일 |
류두형 | 남 | 1965년 07월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총괄 | 서울대 경영학 한화에너지 대표이사 |
1,870 | - | - | 2년 3개월 | 2022년 03월 23일 |
김동관 | 남 | 1983년 10월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전략부문 총괄 | Harvard Univ.정치학 한화큐샐앤드첨단소재 CCO |
- | - | - | 1년 3개월 | 2022년 03월 23일 |
김은수 | 남 | 1962년 07월 | 대표이사 | 사내이사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총괄 | University of Colorado 국제경제학 석사 한화갤러리아 대표이사 |
- | - | - | 11개월 | 2023년 03월 23일 |
Amanda Bush | 여 | 1977년 12월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 Univ. of Texas School of Law (J.D.) 現 St. Augustine Capital Partners Partner |
- | - | - | 1년 9개월 | 2022년 03월 23일 |
박지형 | 남 | 1968년 01월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감사위원) | 위스콘신대 경제학 박사 서울대 경제학과 교수 |
- | - | - | 1년 9개월 | 2022년 03월 23일 |
서정호 | 남 | 1969년 08월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 서울대 경영학 법무법인 위즈 변호사 |
- | - | - | 1년 9개월 | 2022년 03월 23일 |
시마사토시 | 남 | 1958년 04월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 | 前 소프트뱅크 손정의 사장실장 現 일본 타마대학 객원교수 |
- | - | - | 1년 9개월 | 2022년 03월 23일 |
이한주 | 남 | 1972년 01월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감사위원) | 시카고대 생물학 베스핀글로벌㈜ 대표이사 |
- | - | - | 9개월 | 2023년 03월 23일 |
최만규 | 남 | 1955년 10월 | 이사 | 사외이사 | 비상근 | 사외이사(감사위원) | 건국대 농업경제학과 우리은행 중국법인장 |
- | - | - | 3년 9개월 | 2022년 03월 23일 |
김승연 | 남 | 1952년 02월 | 회장 | 미등기 | 상근 | 회장 | 드폴대 대학원 국제정치학 석사 ㈜한화 대표이사 |
- | - | - | 9개월 | - |
김창범 | 남 | 1955년 09월 | 부회장 | 미등기 | 상근 | 부회장 | 고려대 통계학 한화L&C 대표이사 |
17,496 | - | - | 7년 1개월 | - |
김신연 | 남 | 1952년 10월 | 총괄사장 | 미등기 | 상근 | 커뮤니케이션 위원회 | Oklahoma City Univ. MBA 한화이글스 대표이사 |
- | - | - | 3년 9개월 | - |
남이현 | 남 | 1964년 03월 | 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사장 | 서울대 공업화학 한화종합화학 신사업추진실장 |
- | - | - | 5개월 | - |
유성주 | 남 | 1966년 09월 | 사장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제조본부장 | 서강대 화학공학 한화큐셀 한국공장장 |
- | - | - | 5개월 | - |
황정욱 | 남 | 1965년 04월 | 사장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미래전략사업부장 | 인하대 전자공학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개발실(부사장) |
384 | - | - | 9개월 | - |
권기영 | 남 | 1964년 02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울산총괄임원 | 고려대 화학공학 PO생산담당 |
4,209 | - | - | 6년 | - |
금종한 | 남 | 1964년 12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인사전략실장 | University of Washington MBA 한화첨단소재 경영기획부문장 |
- | - | - | 2년 | - |
김인성 | 남 | 1966년 09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도시개발사업부장 | 서울대 건축학 도시개발 부문 부문사업부장 |
- | - | - | 10개월 | - |
김재형 | 남 | 1969년 01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중앙연구소장 | 연세대 화학공학 박사 SABIC Staff Scientist |
- | - | - | 2년 | - |
남정운 | 남 | 1967년 01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PVC사업부장 | 서울대학교 MBA 한화토탈 수지사업부장 |
6,740 | - | - | 3년 2개월 | - |
박승덕 | 남 | 1970년 08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전략총괄임원 | 포항공대 화학공학 석사 한화종합화학 대표이사 |
- | - | - | 4개월 | - |
박용범 | 남 | 1965년 07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영업본부장 | 단국대 농학 한화갤러리아 상품본부장 |
182 | - | - | 1년 1개월 | - |
신동진 | 남 | 1967년 06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부문장 | 단국대 회계학 큐셀 부문 한국사업부장 |
- | - | - | 1년 2개월 | - |
신용인 | 남 | 1966년 08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재무실장 | 서울대학교 국제경제학 ㈜한화 지원부문 재무기획파트장 |
3,010 | - | - | 2년 | - |
정훈택 | 남 | 1960년 03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수소기술연구센터장 | KAIST 무기재료박사 LANL 수석연구원 |
- | - | - | 1년 | - |
안인수 | 남 | 1967년 12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여수1공장장 | 부산대 화학공학 TDI공장장 |
4,811 | - | - | 3년 | - |
이길섭 | 남 | 1968년 10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미래전략기획부문장 | 부산대 화학공학 한화솔루션 첨단소재 부문 미주총괄 |
1,436 | - | - | 4개월 | - |
임재환 | 남 | 1965년 07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큐셀에너지사업부장 | 국민대 행정학 큐셀 부문 한국사업부 GES부문장 |
- | - | - | 1년 | - |
장세영 | 여 | 1974년 09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NxMD 사업실장 | KAIST 재료공학 박사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HW개발그룹장 |
2,300 | - | - | 9개월 | - |
차문환 | 남 | 1967년 01월 | 부사장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사업지원부문장 | Stanford Univ. MBA 한화케미칼 CA사업부장 |
7,683 | - | - | 3년 3개월 | - |
강대철 | 남 | 1965년 08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미래전략사업부 신사업담당 | 인하대 전자공학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VE그룹장(상무) |
- | - | - | 5개월 | - |
김기홍 | 남 | 1971년 1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커뮤니케이션실장 |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경영학 조선일보 기자 |
1,009 | - | - | 2년 | - |
김문수 | 남 | 1971년 05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금융담당임원 |
고려대 법학 (주)한화 금융실장 |
- | - | - | 2년 | - |
김병만 | 남 | 1970년 06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에너지2담당임원 |
UPENN MBA 대림산업 플랜트본부 기획담당 |
- | - | - | 2개월 | - |
김성기 | 남 | 1972년 11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연구소장 | University of Toronto 화학공학(박) 모멘티브 R&D 총괄 |
- | - | - | 2년 3개월 | - |
김은식 | 남 | 1973년 1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장 | 서울대 무기재료공학 석사 한화큐셀 중국공장장 |
2,682 | - | - | 5개월 | - |
김재두 | 남 | 1968년 11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경영지원부문장 | 서강대 경영학 한화큐셀 구매, 물류 부문장 |
- | - | - | 4년 1개월 | - |
김진옥 | 남 | 1967년 0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여수2공장장 | 서울대 화학공학 환경안전실장 |
3,966 | - | - | 5년 | - |
김태원 | 남 | 1977년 1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상품본부장 | 서울대 법학 갤러리아 부문 명품관 사업장장 |
1,108 | - | - | 4개월 | - |
남종훈 | 남 | 1974년 03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컴플라이언스실장 | 연세대 법학 대통령 법무비서관실 행정관 |
- | - | - | 2년 | - |
문경원 | 남 | 1967년 11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PO사업부장 | 연세대 화학 전략기획실장 |
6,579 | - | - | 4년 | - |
박상욱 | 남 | 1966년 08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 셀담당 | 부산대 전기공학 한화큐셀 한국공장 생산지원부문장 |
5,976 | - | - | 2년 1개월 | - |
반춘장 | 남 | 1967년 11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A&E 사업부장 | 연세대 경제학 한화무역 전략투자사업부장 |
809 | - | - | 2개월 | - |
배준연 | 남 | 1972년 07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전략기획실장 | 요코하마 시립대 경영학 박사 한화갤러리아 전략실장 |
658 | - | - | 1년 1개월 | - |
서창석 | 남 | 1968년 08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CA사업부장 | 서울대학교 공업화학 석사 한화토탈 기획담당임원 |
2,681 | - | - | 3년 | - |
신호우 | 남 | 1969년 10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수소사업추진실장 |
서울대 화학공학 석사 한화종합화학 경영지원실장 |
1,224 | - | - | 4개월 | - |
심재성 | 남 | 1970년 08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 기술담당 | 연세대 화학공학 케미칼 부문 기술부문장 |
276 | - | - | 4년 1개월 | - |
안무용 | 남 | 1965년 04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지원부문장 | 서강대 경영학 커뮤니케이션 담당 |
3,498 | - | - | 5년 | - |
양기원 | 남 | 1970년 05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전략기획실장 | 중앙대학교 화학공학 한화토탈 기술기획팀장 |
3,498 | - | - | 2년 | - |
여성진 | 남 | 1970년 09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사업지원실장 | 고려대 토목공학 한화건설 토목환경담당 |
- | - | - | 5개월 | - |
원재식 | 남 | 1970년 11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TDI사업부장 | 서강대 경제학 연질영업팀장 |
9 | - | - | 4년 | - |
유재열 | 남 | 1969년 11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M&S사업부장 | 한양대 행정학 한화큐셀 EPC팀장 |
5,248 | - | - | 2개월 | - |
이기수 | 남 | 1966년 06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여수 공무담당 | 한양대 기계공학 여수 정비팀장 |
1,249 | - | - | 5년 | - |
이현진 | 남 | 1971년 0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메종갤러리아사업부장 | 한국외대 법학 갤러리아 부문 영업본부장 |
- | - | - | 10개월 | - |
임원배 | 남 | 1967년 0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 지원부문장 | 충남대 경영학 석사 한화큐셀 한국공장 인사팀장 |
23,328 | - | - | 5년 2개월 | - |
장상무 | 남 | 1971년 10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환경안전실장 | 서울대 농화학 여수 VCM생산팀장 |
2,684 | - | - | 5년 | - |
장재규 | 남 | 1967년 10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제품기술연구센터장 | 경북대 고분자공학 석사 연구기획팀장 |
4,000 | - | - | 3년 | - |
정광교 | 남 | 1968년 0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여수 지원담당 | 고려대 교육학 석사 인사기획팀장 |
1,391 | - | - | 6년 | - |
조병남 | 남 | 1968년 1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N-1 TFT장 | 충북대 화학공학 폴리실리콘사업부장 |
3,106 | - | - | 2년 | - |
주재순 | 남 | 1969년 08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HR부문장 | 한국외대 행정학 인사기획팀장 |
10 | - | - | 4년 | - |
최문성 | 남 | 1970년 02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구매전략실장 | 서울대 MBA 큐셀 부문 구매물류부문장 |
5,029 | - | - | 2개월 | - |
홍정권 | 남 | 1974년 06월 | 전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시스템R&D/운영부문장 | 서울대 화학공학 한화큐셀 한국공장 모듈담당 |
4,089 | - | - | 2년 1개월 | - |
강석림 | 남 | 1968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TDI공장장 | 서울대 화학공학 여수 OA생산팀장 |
359 | - | - | 3년 | - |
강신호 | 남 | 1977년 9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명품관 사업장장 | 숭실대 독어독문학 갤러리아 부문 명품관 사업장 영업2팀장 |
- | - | - | 4개월 | - |
강윤구 | 남 | 1972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국제금융팀장 | 서강대 경영학 금융팀장 |
- | - | - | 1년 | - |
공시영 | 남 | 1974년 07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지원부문장 | 고려대 정치외교학 한화케미칼 사업전략실 인사파트장 |
- | - | - | 2년 | - |
구경하 | 남 | 1974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부문 NxMD 사업실 | 성균관대 기계공학 박사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수석 |
- | - | - | 9개월 | - |
권영철 | 남 | 1970년 05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사업개발실장 | 서강대 화학공학 폴리실리콘 기획팀장 |
35 | - | - | 1년 | - |
권용주 | 남 | 1974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사업지원실장 | 성균관대 중어중문학 한화큐셀 글로벌PM/마케팅팀장 |
- | - | - | 3년 1개월 | - |
기일 | 남 | 1968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큐셀에너지 기술수행담당 | 인하대 토목공학 도시개발 부문 기술수행담당 |
- | - | - | 10개월 | - |
김규찬 | 남 | 1971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광교 사업장장 | 건국대 축산학 갤러리아 부문 프리미엄라이프스타일사업부장 |
- | - | - | 2년 1개월 | - |
김봉수 | 남 | 1972년 1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 셀생산담당 | 인하대 물리학 한화큐셀 셀공정팀장 |
- | - | - | 2개월 | - |
김운회 | 남 | 1972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기후변화대응실장 | 포항공대 화학공학 케미칼 부문 여수 PVC생산팀장 |
2,331 | - | - | 3년 | - |
김재송 | 남 | 1967년 1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PVC테크센터장 | KAIST 화학공학 석사 PVC테크센터 수석연구원 |
- | - | - | 5년 | - |
김태형 | 남 | 1972년 04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법무1담당임원 | 서울대 경영학 큐셀 부문 법무실장 |
220 | - | - | 1년 | - |
김형무 | 남 | 1972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PO기획팀장 | 한양대학교 화학공학 울산 PE생산팀장 |
10 | - | - | 2개월 | - |
김현석 | 남 | 1971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StrongLite사업부문장 | 부산대 고분자공학 한화첨단소재 복합소재 생산기술팀장 |
- | - | - | 1년 | - |
류상용 | 남 | 1973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전략기획실 신사업TFT장 | 성균관대 통계학 한화갤러리아 F&B혁신실장 |
- | - | - | 3년 1개월 | - |
박영수 | 남 | 1972년 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상품본부 패션부문 L.MD팀장 | 동국대 정치외교학 한화갤러리아 명품관 사업장 영업2팀장 |
- | - | - | 4개월 | - |
박재호 | 남 | 1972년 1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큐셀에너지 사업담당 | 고려대학교 법학 큐셀 부문 한국사업부 GES부문 GES담당 |
- | - | - | 1년 | - |
박정필 | 남 | 1971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시스템개발센터장 | 고베대 전기전자공학 큐셀 부문 시스템 R&D/운영부문 |
130 | - | - | 8개월 | - |
박종걸 | 남 | 1969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여수 환경안전1팀장 | 전남대 화학공학 여수 CA생산2팀장 |
- | - | - | 1년 | - |
박진희 | 여 | 1972년 07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Food Tech 담당임원 | 서울대 식품공학 박사 CJ제일제당 바이오사업부문 |
- | - | - | 5개월 | - |
방원배 | 남 | 1970년 10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센터시티 사업장장 | 인하대 섬유공학 갤러리아 부문 글로벌패션사업부장 |
- | - | - | 5년 1개월 | - |
변성준 | 남 | 1970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PVC글로벌영업팀장 | 연세대학교 경영학 IR팀장 |
200 | 2개월 | |||
서승권 | 남 | 1968년 1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울산 환경안전1팀장 | 부산대 화학공학 경영진단팀 |
1,679 | - | - | 4년 | - |
서신원 | 남 | 1970년 04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구매1담당임원 | 인하대학교 금속공학 한화큐셀 구매팀장 |
2개월 | ||||
손명수 | 남 | 1971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인사전략담당임원 | 한양대 신문방송학 삼성물산 상사부문 인사팀 |
- | - | - | 9개월 | - |
손인완 | 남 | 1969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미래기술연구센터장 | London Business School Sloan 연구기획팀장 |
- | - | - | 2년 | - |
신동환 | 남 | 1971년 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탱크사업팀장 | 중앙대 경영학 한화첨단소재 사업개발팀장 |
- | - | - | 2개월 | - |
신승현 | 남 | 1979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시스템운영실장 | 서울대 MBA 한화큐셀 시스템사업기획팀 |
136 | - | - | 2개월 | - |
신주훈 | 남 | 1974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기초소재담당임원 | 한국외대 무역학 두산 지주부문 CFP담당 상무 |
- | - | - | 1년 | - |
안귀룡 | 남 | 1972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연구지원실장 |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 한화솔루션 연구기획팀장 |
1200 | - | - | 2개월 | - |
안규찬 | 남 | 1969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품질관리팀장 | 고려대 농화학 한화첨단소재 품질관리팀장 |
- | - | - | 1년 | - |
안성진 | 남 | 1978년 1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에너지담당임원 | 연세대 신소재공학 삼성SDI 중앙연구소 |
- | - | - | 9개월 | - |
안태건 | 남 | 1972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도시개발사업부 산단개발담당 | 고려대 통계학 도시개발 부문 산단개발담당 |
- | - | - | 10개월 | - |
양상철 | 남 | 1971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경영기획팀장 | 서울대 국제경제학 투자사관리팀장 |
13 | - | - | 1년 | - |
오명일 | 남 | 1975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회계담당임원 | 고려대학교 경영학 한화솔루션 재무회계팀장 |
- | - | 2개월 | - | |
우성욱 | 남 | 1970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상품본부 패션부문장 | 중앙대 경영학 한화갤러리아 상품본부 L.MD팀장 |
- | - | - | 3년 1개월 | - |
윤종호 | 남 | 1970년 1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제조기획실장 | University of Wisconsin 산업공학 석사 삼성디스플레이 모듈팀 공정기술그룹 파트장 |
166 | - | - | 2년 1개월 | - |
윤주환 | 남 | 1972년 07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MLPE개발팀장 | KAIST 재료공학 큐셀 부문 시스템 R&D/운영부문 |
- | - | - | 8개월 | - |
윤지호 | 남 | 1972년 05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경영지원실장 | 경희대 사학 한화갤러리아 인력개발팀장 |
- | - | - | 1년 1개월 | - |
이경석 | 남 | 1967년 05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잉곳/웨이퍼팀장 | 부산대 물리학 석사 에스테크 R&D이사 |
609 | - | - | 3년 11개월 | - |
이근영 | 남 | 1981년 08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e커머스 TF장 | MIT MBA 쿠팡 Product Discovery and Search Team |
- | - | - | 2개월 | - |
이동영 | 남 | 1971년 09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NxMD 사업실 |
서울대 전기과 삼성전자 Architect |
- | - | - | 4개월 | - |
이동주 | 남 | 1968년 1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울산1공장장 | 경북대학교 화학공학 울산 PVC생산2팀장 |
- | - | - | 3년 | - |
이동훈 | 남 | 1971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인사이트 부문 도시개발사업부 자산개발담당 | 대구대 관광경영학 도시개발 부문 자산개발담당 |
- | - | - | 10개월 | - |
이림 | 남 | 1974년 5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영업본부 디자인기획팀 | 홍익대 목조형학 갤러리아 부문 영업본부 디자인기획팀 |
- | - | - | 4개월 | - |
이상신 | 남 | 1970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ERP혁신팀장 | 서울시립대 경영학 석사 큐셀 부문 Digital Planning팀장 |
213 | - | - | 2개월 | - |
이석찬 | 남 | 1970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기술담당임원 | 영남대학교 공업화학 기술개발팀장 |
- | - | - | 2년 | - |
이승윤 | 남 | 1975년 1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상품전략실장 | 서울대 재료공학 한화큐셀 모듈PM팀장 |
500 | - | - | 2개월 | - |
이유스티노 | 남 | 1969년 04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울산2공장장 | 부산대 화학공학 닝보유한공사 생산팀장 |
693 | - | - | 4년 | - |
이정수 | 남 | 1966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상품본부 PB전력화TFT장 | 고려대 유전공학 한화갤러리아 상품본부 F&B부문장 |
- | - | - | 4년 1개월 | - |
이준우 | 남 | 1979년 05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에너지1담당임원 | 서울대 전기공학 한화큐셀 CYB공장장 |
- | - | - | 1년 1개월 | - |
임병헌 | 남 | 1969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글로벌패션사업부장 | 경희대 무역학 한화솔루션 갤러리아 부문 센터시티 사업장장 |
1,200 | - | - | 3년 1개월 | - |
정두영 | 남 | 1976년 07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PSR/가소제영업팀장 | 울산대학교 MBA 닝보유한공사 영업팀장 |
2개월 | ||||
정만교 | 남 | 1969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울산 지원담당임원 | 연세대학교 행정학 구매팀장 |
116 | - | - | 3년 | - |
정병균 | 남 | 1963년 01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 모듈담당 | 한양대 전기공학 한화큐셀 한국공장 모듈생산팀장 |
1,163 | - | - | 2년 7개월 | - |
정후상 | 남 | 1970년 0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DT전략실장 | 서울대 산업공학 박사 LG CNS 팀장 |
- | - | - | 4개월 | - |
조경회 | 남 | 1971년 10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기획부문장 | 서강대 정치외교학 한화첨단소재 기획조정팀장 |
- | - | - | 1년 | - |
조용우 | 남 | 1979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에너지1담당임원 | Northwestern University_Kellogg MBA 한화그룹 경영기획실 |
- | - | - | 2개월 | - |
주성진 | 남 | 1970년 09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Digital Security팀장 | 포항공과대학교 LG CNS 보안사업담당 전문위원 |
- | - | - | 2개월 | - |
차원윤 | 남 | 1968년 09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상품본부 F&B부문장 | 중앙대 경영학 석사 한화갤러리아 F&B혁신실장 |
- | - | - | 2년 1개월 | - |
최대연 | 남 | 1968년 03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큐셀 부문 한국공장 운영담당 | 영남대 건축공학 한화큐셀 칠레법인장 |
300 | - | - | 2년 | - |
최명환 | 남 | 1967년 07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세종 음성사업장장 | 충남대 무역학 한화첨단소재 지원부문장 |
- | - | - | 4년 | - |
최승용 | 남 | 1967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SuperLite사업부문장 | 충북대 재료공학 한화첨단소재 SuperLite영업팀장 |
1,156 | - | - | 2년 | - |
한기도 | 남 | 1967년 09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케미칼 부문 공정기술연구센터장 | 연세대 화학공학 전지재료연구센터 |
1,304 | - | - | 4년 | - |
한상윤 | 남 | 1974년 07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전략부문 IR팀장 | 연세대학교 중어중문 S&P 기업 신용평가 담당 |
- | - | - | 2개월 | - |
한승희 | 남 | 1973년 05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PO국내영업팀장 | 한양대학교 경영학 PO글로벌영업팀장 |
- | - | - | 2개월 | - |
홍철기 | 남 | 1972년 06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갤러리아 부문 영업본부 마케팅부문장 | 한양대 신문방송학 한화갤러리아 진주사업장장 |
- | - | - | 1년 1개월 | - |
황택훈 | 남 | 1969년 12월 | 상무 | 미등기 | 상근 | 첨단소재 부문 합성소재사업부문장 | 인하대 고분자공학 한화첨단소재 태양광소재사업팀장 |
- | - | - | 2개월 | - |
※ 당사는 임원의 범위에 상무를 포함하였으며, 업무집행지시자가 아닌 임원은 임원의 범위에 포함하지 않았습니다.
※ 당사의 등기임원은 이사로 구성되며 임기는 2년으로 임기만료일은 선임 후 2년째 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 종결시까지입니다.
※ 당사의 비등기임원은 1년 단위로 고용계약을 갱신하여 체결하므로, 임기 만료일은 별도 표기하지 않습니다.
※ 공시기간 이후 임원 변동 사항
구분 | 직위 | 성명 | 생년월 | 성별 | 담당업무 | 사유 |
신규선임 | 상무 | 변성준 | 1970년 3월 | 남 | 케미칼 부문 PVC글로벌영업팀장 | 신규선임 |
상무 | 한승희 | 1973년 5월 | 남 | 케미칼 부문 PO국내영업팀장 | ||
상무 | 안귀룡 | 1972년 3월 | 남 | 케미칼 부문 연구지원실장 | ||
상무 | 김형무 | 1972년 8월 | 남 | 케미칼 부문 PO기획팀장 | ||
상무 | 오명일 | 1975년 1월 | 남 | 전략부문 회계담당 | ||
상무 | 조용우 | 1979년 6월 | 남 | 전략부문 에너지담당 | ||
상무 | 한상윤 | 1974년 7월 | 남 | 전략부문 IR팀장 | ||
상무 | 정두영 | 1973년 5월 | 남 | PSR/가소제영업팀장 | ||
상무 | 주성진 | 1970년 09월 | 남 | 전략부문 Digital Security팀장 | ||
상무 | 서신원 | 1970년 04월 | 남 | 전략부문 구매1담당임원 | ||
상무 | 김병만 | 1970년 06월 | 남 | 전략부문 에너지2담당임원 | ||
상무 | 김봉수 | 1972년 11월 | 남 | 큐셀 부문 제조본주 셀담당 셀공정팀장 | ||
상무 | 신승현 | 1979년 6월 | 남 | 큐셀 부문 시스템R&D운영부문 시스템운영실장 | ||
상무 | 이승윤 | 1975년 11월 | 남 | 큐셀 부문 사업지원부문 모듈PM팀장 | ||
상무 | 강신호 | 1977년 9월 | 남 | 갤러리아 부문 명품관 사업장장 | ||
상무 | 박영수 | 1972년 3월 | 남 | 갤러리아 부문 상품본부 패션부문 L.MD팀장 | ||
상무 | 이림 | 1974년 5월 | 남 | 갤러리아 부문 영업본부 디자인기획팀 | ||
상무 | 황택훈 | 1969년 12월 | 남 | 첨단소재 부문 합성소재사업부문장 | ||
상무 | 신동환 | 1971년 8월 | 남 | 첨단소재 부문 미주총괄 탱크사업팀장 | ||
상무 | 최대연 | 1968년 03월 | 남 | 큐셀 부문 한국공장 운영담당 | 계열사 전입 | |
퇴임 | 부사장 | 서정표 | 1966년 10월 | 남 | 큐셀 부문 경영관리부문장 | 계열사 전출 |
전무 | 전연보 | 1966년 04월 | 남 | 전략부문 회계담당임원 | ||
상무 | 서신원 | 1970년 4월 | 남 | 큐셀 부문 구매물류부문 구매팀장 | ||
상무 | 윤여진 | 1978년 04월 | 남 | 前 큐셀 부문 경영관리부문 기획담당 | ||
상무 | 이태휘 | 1979년 11월 | 남 | 前 큐셀 부문 투자금융실장 | ||
상무 | 임상일 | 1970년 10월 | 남 | 케미칼 부문 PO기획팀장 | ||
부사장 | 이상욱 | 1961년 09월 | 남 | 케미칼 부문 중앙연구소장 | 임기 종료 | |
전무 | 김성용 | 1965년 02월 | 남 | 케미칼 부문 TDI사업부장 | ||
전무 | 박정훈 | 1966년 07월 | 남 | 한화갤러리아 영업본부장 | ||
전무 | 임호상 | 1964년 01월 | 남 | 케미칼 부문 환경안전 고도화 TFT장 | ||
상무 | 김년규 | 1964년 09월 | 남 | 케미칼 부문 여수 PE생산1팀장 | ||
상무 | 이재호 | 1963년 04월 | 남 | 케미칼 부문 PO테크센터장 | ||
상무 | 김성철 | 1969년 07월 | 남 | 첨단소재 부문 Nikola 대응 TFT장 | ||
상무 | 김종남 | 1971년 03월 | 남 | 첨단소재 부문 운영혁신부문장 |
나.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천원) |
직원 | 소속 외 근로자 |
비고 | |||||||||||
---|---|---|---|---|---|---|---|---|---|---|---|---|---|
사업부문 | 성별 | 직 원 수 | 평 균 근속연수 |
연간급여 총 액 |
1인평균 급여액 |
남 | 여 | 계 | |||||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
기간제 근로자 |
합 계 |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전체 | (단시간 근로자) |
||||||||||
케미칼부문 | 남 | 2,247 | - | 47 | - | 2,294 | 15.3 | 198,939,451 | 86,722 | 1,771 | 696 | 2,467 | - |
케미칼부문 | 여 | 289 | 3 | 28 | - | 320 | 7.9 | 13,591,824 | 42,474 | - | |||
큐셀부문 | 남 | 2,898 | - | 9 | 27 | 2,934 | 3.9 | 129,512,628 | 44,142 | - | |||
큐셀부문 | 여 | 232 | - | 5 | 8 | 245 | 4.2 | 10,285,100 | 41,980 | - | |||
첨단소재부문 | 남 | 590 | - | 24 | - | 614 | 16.2 | 33,806,140 | 55,059 | - | |||
첨단소재부문 | 여 | 63 | - | 1 | - | 64 | 8.9 | 1,966,558 | 30,727 | - | |||
갤러리아부문 | 남 | 458 | - | 10 | - | 468 | 15.7 | 26,391,950 | 56,393 | - | |||
갤러리아부문 | 여 | 428 | 6 | 33 | 4 | 471 | 12.4 | 14,853,136 | 31,535 | - | |||
도시개발부문 | 남 | 50 | - | 2 | - | 52 | 14.6 | 2,846,473 | 54,740 | - | |||
도시개발부문 | 여 | 4 | - | - | - | 4 | 10.8 | 95,513 | 23,878 | - | |||
합 계 | 7,259 | 9 | 159 | 39 | 7,466 | 10.0 | 432,288,773 | 57,901 | - |
다.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연간급여 총액 | 1인평균 급여액 | 비고 |
---|---|---|---|---|
미등기임원 | 115 | 21,389,275 | 185,994 | - |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
1.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주주총회 승인금액 | 비고 |
---|---|---|---|
이사보수한도액 | 11 | 9,000 | -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백만원)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10 | 3,508 | 351 | - |
2-2. 유형별
(단위 : 백만원) |
구 분 | 인원수 | 보수총액 | 1인당 평균보수액 |
비고 |
---|---|---|---|---|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4 | 3,160 | 790 | -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
3 | 184 | 61 | - |
감사위원회 위원 | 3 | 163 | 54 | - |
감사 | 10 | 3,508 | 351 | - |
※인원수는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기준입니다. (8/31자 김희철 이사 사임)
※이사 재직기간의 보수만 포함하였습니다.
※1인당 평균보수액은 보수총액을 작성기준일 현재 인원수로 나누어 계산하였습니다.
3. 이사ㆍ감사의 개인별 보수현황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0조에 따라 분기보고서의 본 항목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4. 보수지급금액 5억원 이상 중 상위 5명의 개인별 보수현황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0조에 따라 분기보고서의 본 항목은 기재하지 않습니다.
VIII.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1. 계열회사 현황(요약)
당사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상 한화그룹에 속한 계열회사입니다.
2021년 9월말 기준 한화그룹은 당사를 포함한 국내 85개, 해외 471개 계열회사가 소속되어 있습니다.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사) |
기업집단의 명칭 | 계열회사의 수 | ||
---|---|---|---|
상장 | 비상장 | 계 | |
한화 | 7 | 78 | 85 |
2. 계통도
[국내사 - 1]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한화 | 한화솔루션㈜ | 한화글로벌에셋㈜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한화건설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한화컴파운드㈜ | 한화테크엠㈜ | 한화역사㈜ |
㈜한화 | 6.40% | 36.10% | 49.78% | 96.77% | 100.00% | |||||
한화솔루션㈜ | 0.36% | 100.00% | 47.88% | 99.99% | 100.00% | 40.01% | ||||
한화글로벌에셋㈜ | 8.30% | |||||||||
㈜한화건설 | 1.67%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0.17% | 100.00% | 18.94%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5.17%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11.57% | 36.46% | 100.00% | 99.50% | 96.77% | 99.99% | 100.00% | 100.00% | 100.00% | 67.25% |
[국내사 - 2]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한화투자증권㈜ | 한화자산운용㈜ | ㈜한화비앤비 |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 ㈜서산테크노밸리 | 한화생명보험㈜ | 한화손해보험㈜ | ㈜한화63시티 | ㈜제주해양과학관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한화 | 18.15% | |||||||||
한화솔루션㈜ | 100.00% | 65.00% | 70.00% | |||||||
한화글로벌에셋㈜ | 0.11% | 100.00% | ||||||||
㈜한화건설 | 25.09% | 4.90% | 5.00%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1.75%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0.06%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85.00% | |||||||||
한화생명보험㈜ | 100.00% | 13.49% | 51.36% | 100.00%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0.58% | |||||||||
한화자산운용㈜ | 45.07%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45.82% | 100.00% | 100.00% | 100.00% | 65.00% | 58.48% | 51.36% | 100.00% | 89.90% | 75.00% |
[국내사 - 3]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영월천평풍력㈜ | 한화라이프랩㈜ | 한화손해사정㈜ | ㈜한화이글스 | 에코이앤오㈜ | 한화에너지㈜ | ㈜한화저축은행 | 하이패스태양광㈜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김해테크노밸리 |
㈜한화 | 40.00% | |||||||||
한화솔루션㈜ | 40.00% | 100.00% | 80.00% | |||||||
한화글로벌에셋㈜ | 36.05% | 100.00% | ||||||||
㈜한화건설 | 100.00% | 100.00% | 38.14%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10.00%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6.16%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100.00% | 100.00%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9.65% | |||||||||
에이치솔루션㈜ | 100.00%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9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80.00% |
[국내사 - 4]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한화도시개발 | ㈜에이치밸리 | 농업회사법인그린투모로우㈜ | ㈜여수씨월드 | ㈜일산씨월드 | 해맞이태양광발전(주) | 영암테크노태양광㈜ | 영암해오름태양광㈜ | 해사랑태양광㈜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한화 | ||||||||||
한화솔루션㈜ | 100.00% | 51.00% | ||||||||
한화글로벌에셋㈜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
㈜한화건설 | 49.00% | 46.00%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90.00%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100.00% | 53.11%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100.00%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90.00% | 100.00% | 99.11%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국내사 - 5]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대전역세권개발피에프브이 | 에이치에스아이㈜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한화시스템㈜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한화토탈㈜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에스아이티 | ㈜에스아이티테크 | ㈜캐스 |
㈜한화 | 33.95% | |||||||||
한화솔루션㈜ | 47.93% | 75.00%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50.00% | 5.00% | ||||||||
한화역사(주) | 8.00%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2.00%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12.80% | |||||||||
한화에너지㈜ | 52.07% | 100.00% | ||||||||
㈜에스아이티 | 100.00%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0.04% | 46.73% | 100.00% | |||||||
한화시스템㈜ | 1.02%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50.00%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100.00%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60.00% | 100.00% | 33.99% | 60.55% | 100.00% | 50.00% | 80.00% | 100.00% | 100.00% | 100.00% |
[국내사 - 6]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주)에이치테크노밸리 | ㈜에이치피앤디 | 양주에코텍㈜ | 한화솔라파워㈜ | 한화디펜스㈜ | 한화파워시스템㈜ | 한화정밀기계㈜ |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 해돋이태양광㈜ |
㈜한화 | ||||||||||
한화솔루션㈜ | 80.00%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100.00% | 95.00% | 29.00%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5.00%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00.00% | 2.00%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00.00% | 100.00% | 100.00%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100.00% | 40.00% | ||||||||
한화솔라파워㈜ | 100.00%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29.00% | |||||||||
계열사 계 | 100.00% | 8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국내사 - 7]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해나라태양광㈜ | 티지솔라넷㈜ | 한마을태양광㈜ | 한화솔라파워글로벌㈜ | 한으뜸태양광㈜ | 석문호수상태양광㈜ | 대산그린에너지㈜ | 한화테크윈㈜ | ㈜서오창테크노밸리 | 해모둠태양광㈜ |
㈜한화 | ||||||||||
한화솔루션㈜ | 73.00%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5.00%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
한화에너지㈜ | 49.00%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00.00%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100.00% | 100.00% | ||||||||
한화솔라파워㈜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51.00%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49.00% | 100.00% | 78.00% | 51.00% |
[국내사 - 8]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한화임팩트글로벌㈜ (구, 한화종합화학글로벌㈜)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 캐롯손해보험(주) | 더테이스터블㈜ | (주)안성테크노밸리 | 해오름태양광발전소(주) | 천장산풍력㈜ | ㈜하나트러스트제5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한화생명금융서비스(주) |
㈜한화 | ||||||||||
한화솔루션㈜ | 75.00% | 100.00% | ||||||||
한화글로벌에셋㈜ | 100.00% | |||||||||
㈜한화건설 | 5.00% | 100.00%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00.00% | 50.00%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100.00% | |||||||||
한화손해보험㈜ | 56.60% | |||||||||
한화투자증권㈜ | 100.00%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100.00%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56.60% | 100.00% | 80.00% | 100.00% | 100.00% | 50.00% | 100.00% |
[국내사 - 9]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 파워시스템즈엠에프지코리아(유) (구, 안살도에너지아코리아(유)) | (주)울산복합도시개발 | ㈜투게더한라시그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한화 | ||||
한화솔루션㈜ | 45.00%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
한화역사(주) | ||||
에코이앤오㈜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손해보험㈜ | ||||
한화투자증권㈜ | 00.0%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에이치솔루션㈜ | ||||
한화에너지㈜ | ||||
㈜에스아이티 | ||||
㈜한화도시개발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시스템㈜ | ||||
한화디펜스㈜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한화솔라파워㈜ | ||||
Hanwha Q CELLS Co., Ltd. | ||||
에이치글로벌파트너스(유) | ||||
한화역사㈜ | ||||
H FOUNDATION PTE. LTD. | 100.00% | |||
Hanwha H2 Energy USA Corp | 100.00%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45.00% | 00.0% |
*㈜투게더한라시그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3분기말기준 지분율 0%, 공정위 계열제외 신고 수리 전
[해외사 - 1]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Hanwha Hong Kong Co., Ltd. | Hanwha Europe GmbH | PT. Hanwha Mining Services Indonesia | HAMC Holdings Corp.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Hanwha Mining Services Australia Pty., Ltd | World corporation |
㈜한화 | 100.00% | 100.00% | 99.87% | 100.00% | 100.00% | 100.00% | ||
한화솔루션㈜ | 100.00%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00.00% | |||||||
GK Summit Apollo Eleven | ||||||||
HHR Development B GK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0.13%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
Hanwha AZDEL, Inc.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해외사 - 2]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Hanwha Saudi Contracting Co., Ltd.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 Hanwha International Corp.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한화 | ||||||||
한화솔루션㈜ | 100.00% | 99.99% | 100.00% | 100.00% | 100.00%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100.00% | 100.00% | ||||||
㈜한화건설 | 95.25%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GK Summit Apollo Eleven | ||||||||
HHR Development B GK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4.75%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
Hanwha AZDEL, Inc.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99.99%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해외사 - 3]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Hanwha Q CELLS Co., Ltd. |
㈜한화 | ||||||||
한화솔루션㈜ | 100.00%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100.00% | 100.00% | 20.28% | 100.00% | 100.00% | |||
㈜한화건설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GK Summit Apollo Eleven | ||||||||
HHR Development B GK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1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6.62% | |||||||
Hanwha AZDEL, Inc. | 73.10%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100.00%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해외사 - 4]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Hanwha Holdings(USA), Inc.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PT. Hanwha Life Insurance Indonesia | 한화투자관리유한공사 | Hanwha Asset Management (USA) Ltd. | AI Alliance LLC | Pinetree Securities Corporation | Hanwha Development USA Inc. |
㈜한화 | 0.58% | |||||||
한화솔루션㈜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9.28% | |||||||
㈜한화건설 | 100.00%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GK Summit Apollo Eleven | ||||||||
HHR Development B GK | ||||||||
한화생명보험㈜ | 100.00% | 99.61% | ||||||
한화투자증권㈜ | 98.78% | |||||||
한화자산운용㈜ | 100.00% | 100.00% | 33.33% | |||||
한화테크엠㈜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19.42%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22.69%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29.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19.01%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
Hanwha AZDEL, Inc.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33.33% | 98.78% | 100.00% |
[해외사 - 5]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GK Summit Apollo Eleven | HHR Development B GK | H Properties TMK | Premium Hirafu Properties TMK | Pinetree Securities Pte. Ltd.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HANWHA INTERNATIONAL VIETNAM | Hanwha Financial Technology Company Limited |
㈜한화 | 50.00% | 24.95% | 100.00% | |||||
한화솔루션㈜ | 100.00%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50.00% | 100.00% | 24.95% | 24.95% | ||||
GK Summit Apollo Eleven | 50.11% | |||||||
HHR Development B GK | 25.05%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투자증권㈜ | 100.00%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100.00%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
Hanwha AZDEL, Inc.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계열사 계 | 100.00% | 100.00% | 100.00% | 50.00% | 100.00% | 100.00% | 100.00% | 100.00% |
[해외사 - 6]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Hanwha Solar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 Ltd.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Hanwha Solarone(beipiao)Co.,Ltd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 HSHC NAM INV LLC | HSHC LIBRA INV LLC |
㈜한화 | ||||||||
한화솔루션㈜ | 100%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GK Summit Apollo Eleven | ||||||||
HHR Development B GK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
Hanwha AZDEL, Inc.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51.00%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49.00%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100% | 100%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100% | 100%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 100% | 100% | ||||||
계열사 계 | 100.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100% |
[해외사 - 7]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
Hanwha Cimarron LLC |
㈜한화 | |
한화솔루션㈜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
한화글로벌에셋㈜ | |
㈜한화건설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
GK Summit Apollo Eleven | |
HHR Development B GK | |
한화생명보험㈜ | |
한화투자증권㈜ | |
한화자산운용㈜ | |
한화테크엠㈜ |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
Hanwha Hong Kong Co., Ltd. |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
Hanwha International Corp.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
Hanwha Holdings(USA), Inc. | |
Hanwha International LLC.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
Hanwha AZDEL, Inc.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
Hanwha Q CELLS Co., Ltd.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
에이치솔루션㈜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 |
HAMC Holdings Corp. | 100.00% |
계열사 계 | 100.00% |
※ 지분율은 보통주와 우선주를 합한 비율입니다.
※ 해외 계열사 중 하기 해당 법인은 계통도에서 기재를 생략하였습니다.
- 타 계열회사에 종속관계가 명확하여 계열관계의 형성이나 유지를 나타냄에
있어 생략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법인
생 략 된 법 인 명 | 지역 | 비 고 |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 미국 | 한화에너지㈜ 자회사 및 손자회사 |
SIT (Xi'an) Industrial AutomationSystem Co., Ltd | 중국 | |
SIT TECH CO.,LTD | 미국 | |
SIT TECH VINA COMPANY LIMITED | 베트남 | |
Hanwha Energy Solar, Inc. | 미국 | |
174 Power Global Properties, LLC | 미국 | |
174 MEX, LLC | 미국 | |
174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 멕시코 | |
174 PG Torreon, S. de R.L. de C.V. | 멕시코 | |
174 PG Solar III, S. de R.L. de C.V. | 미국 | |
174 Power Global Mexico O&M, S. de R.L. de C.V. | 멕시코 | |
Techren Holdco, LLC | 미국 | |
Techren Solar LLC | 미국 | |
Intermountain Holdco, LLC | 미국 | |
Intermountain Solar Plant, LLC | 미국 | |
Oberon Solar LLC | 미국 | |
Oberon Solar IB, LLC | 미국 | |
FCHQC Development, LLC | 미국 | |
Ho`Ohana Solar I, LLC | 미국 | |
174 Power Global O&M, LLC | 미국 | |
174 Power Global EPC, LLC | 미국 | |
174 Power Global Retail Texas, LLC | 미국 | |
174 Power Global Retail, LLC | 미국 | |
174 Power Global, LLC | 미국 | |
Hyperion Solar LLC | 미국 | |
Virginia Summerduck LLC | 미국 | |
HEC Guam A, LLC | 미국 | |
HEC Guam Member A, LLC | 미국 | |
HEC Guam Partnership A, LLC | 미국 | |
Eureka PV Solar, LLC | 미국 | |
Star Range Solar, LLC | 미국 | |
Iris del Sol, LLC | 미국 | |
Hanwha Energy Corporation Singapore Pte. Ltd. | 싱가폴 | |
Hanwha Energy Corporation Europe S.L.U | 스페인 | |
TRI ENERGY GLOBAL PTE. LTD. | 싱가폴 | |
Hanwha Q CELLS (Thailand) Co., Ltd | 태국 | |
Hanwha Bannerton HoldCo Pty. Ltd. | 멕시코 | |
Gregadoo Solar Farm Pty. Ltd. | 호주 | |
Jindera Solar Farm Pty. Ltd. | 호주 | |
Hanwha Energy Australia Pty. Ltd. | 호주 | |
Nectr Distributed Energy Pty Ltd | 호주 | |
Primo Gunes Enerjisi A.S. | 터키 | |
Shannonbridge Power Limited | 아일랜드 | |
Lumcloon Power Limited | 아일랜드 | |
Hanwha Energy Corporation Vietnam Co., Ltd | 베트남 | |
Raggio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
Razin Elk. Urt. San. ve Tic. A.S. | 터키 | |
Razin En. San. ve Tic. A.S. | 터키 | |
Razin GES Elektrik Sanayi ve Ticaret A.S. | 터키 | |
Razin Gunes Enerjisi Sanayi ve Ticaret A.S. | 터키 | |
Tessa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
Vizi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
Alfabeta En. San. ve Tic. A.S. | 터키 | |
Altinord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
Bahcesaray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
BT1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
Cento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
Gunesim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
Lamda En. San. ve Tic. A.S. | 터키 | |
Mec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
Hanwha Energy Corporation Japan | 일본 | |
HW SOLAR POWER 1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 G.K. | 일본 | |
HW SOLAR POWER 4 G.K. | 일본 | |
HW SOLAR POWER 5 G.K. | 일본 | |
HW SOLAR POWER 7 G.K. | 일본 | |
HW SOLAR POWER 9 G.K. | 일본 | |
HW SOLAR POWER 10 G.K. | 일본 | |
HW SOLAR POWER 12 G.K. | 일본 | |
HW SOLAR POWER 13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1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3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4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5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6 G.K. | 일본 | |
HW SOLAR POWER 27 G.K. | 일본 | |
Daiichi Q Solar G.K | 일본 | |
Daini Q Solar G.K. | 일본 | |
Daisan Q Solar G.K. | 일본 | |
Daiyon Q Solar G.K. | 일본 | |
Q Solar A G.K. | 일본 | |
Q Solar B G.K. | 일본 | |
IZU MEGA SOLAR PARK | 일본 | |
Kenashiyama SOLAR PARK | 일본 | |
합동회사 SDK1호 | 일본 | |
Boulder Solar III | 미국 | |
Boulder Solar IV | 미국 | |
Hanwha Energy Retail Australia Pty Ltd | 호주 | |
Skysol Holdco, LLC | 미국 | |
Imeson Solar Farm, LLC | 미국 | |
174 Power Global Northeast, LLC | 미국 | |
KN CAM LAM SOLAR JOINT STOCK COMPANY | 베트남 | |
CAM LAM SOLAR JOINT STOCK COMPANY | 베트남 | |
174 POWER GLOBAL FUND MANAGEMENT, LLC | 미국 | |
CDG BNS 136, LLC | 미국 | |
CDG MRP 136, LLC | 미국 | |
CDG BNS Commerce, LLC | 미국 | |
CDG BNS Innovo Queens, LLC | 미국 | |
OBERON SOLAR II, LLC | 미국 | |
OBERON SOLAR III, LLC | 미국 | |
OBERON SOLAR V, LLC | 미국 | |
SHANNON SOLAR, LLC | 미국 | |
SHANNON SOLAR II, LLC | 미국 | |
SHANNON SOLAR III, LLC | 미국 | |
SHANNON SOLAR IV, LLC | 미국 | |
SHANNON SOLAR V, LLC | 미국 | |
SHANNON SOLAR VI, LLC | 미국 | |
ROGGEN FLATS SOLAR, LLC | 미국 | |
Central Plains Solar, LLC | 미국 | |
Eastern Plains Solar, LLC | 미국 | |
Atlas Solar, LLC | 미국 | |
Hanwha Energy Guam Utilities Service, LLC | 미국 | |
Hanwha Energy Corporation Ireland Limited | 아일랜드 | |
Hanwha Energy Retail Spain S.L.U | 스페인 | |
Taurus Solar, LLC | 미국 | |
Cedar Ridge Solar, LLC | 미국 | |
HECI Helios 1 S.R.L. | 이탈리아 | |
Kupehau Solar, LLC | 미국 | |
Willow Creek Solar, LLC | 미국 | |
Hanwha BCGE O&M Limited Liability Company | 베트남 | |
AP Solar 5, LLC | 미국 | |
CDG Liberty Distributors, LLC | 미국 | |
CDG Forest Mall, LLC | 미국 | |
Copper Valley Solar, LLC | 미국 | |
Harlem River ESS, LLC | 미국 | |
East River ESS, LLC | 미국 | |
Triton Storage, LLC | 미국 | |
Kidds Store, LLC | 미국 | |
Oberon Solar IB Holdco, LLC | 미국 | |
Maurice Solar, LLC | 미국 | |
Hanwha Energy Retail Investment Spain S.L.U | 스페인 | |
Bonanza Peak Solar, LLC | 미국 | |
Linden Solar, LLC | 미국 | |
Kidds Store II, LLC | 미국 | |
Caltagirone S.r.l. | 이탈리아 | |
Gravina S.r.l. | 이탈리아 | |
Abbot Solar, LLC | 미국 | |
Brainum Solar, LLC | 미국 | |
Atlas Solar II, LLC | 미국 | |
Atlas Solar III, LLC | 미국 | |
Atlas Solar IV, LLC | 미국 | |
Atlas Solar V, LLC | 미국 | |
BHS Solar, LLC | 미국 | |
WPL10 Solar, LLC | 미국 | |
WPL4 Solar, LLC | 미국 | |
Grand Lake Solar, LLC | 미국 | |
Grand Lake Solar II, LLC | 미국 | |
BNS Willow, LLC | 미국 | |
Carco Solar, LLC | 미국 | |
Fairview Solar, LLC | 미국 | |
Hanwha 174 PG JV Holdings, LLC | 미국 | |
Black Hollow Sun, LLC | 미국 | |
TC Colorado Solar, LLC | 미국 | |
CLEAN SPC 2, SL, S.L.U. | 미국 | |
동관한화토탈공정소료 유한공사 | 중국 | 한화토탈(주)의 자회사 |
한화토탈화공무역(상해) 유한공사 | 중국 | |
Hanwha Solar Power USA Corp. | 미국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자회사 및 손자회사 |
HSP TW, LLC | 미국 | |
HSP TW TE, LLC | 미국 | |
HQC Tatanka Wi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미국 | |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미국 | |
Green Nikola Holdings LLC | 미국 | |
Hanwha H2 Energy USA Corp | 미국 | |
NHS Holdings Pty Ltd | 호주 | |
NHS Estate Pty Ltd. | 호주 | |
NHS Agri-Service Pty Ltd. | 호주 | |
Hanwha General Chemical AU Pty Ltd | 호주 | |
Hanwha General Chemical SG PL | 싱가폴 | |
HGC GTL INV LLC | 미국 | |
HGC NEXT INV LLC | 미국 | |
Hanwha General Chemical SPN, S.L.U | 스페인 | |
Dehesa NHS Holdings S.L.U | 스페인 | |
NHS Tierra Agropecuaria, S.L.U | 스페인 | |
HGC Midstream INV LLC | 미국 | |
Gulf Coast Infrastructure Management LLC | 미국 | |
SAV Neutron, LLC | 미국 | |
PSM Holding USA Corporation (구, Ansaldo Energia Holdings USA Corporation) | 미국 | |
Thomassen Energy B.V. (구, Ansaldo Thomassen B.V.) | 네덜란드 | |
H2 IP UK Limited | 영국 | |
Power Systems Mfg. Brazil LTDA. (구, Ansaldo Servicos De Energia Brasil LTDA.) | 브라질 | |
Ansaldo Energia Messico S. De R.L. De C.V. | 멕시코 | |
Power Systems Mfg., LLC | 미국 | |
Power Systems Mfg. Japan K.K.(구, Power Systems Manufactoring Japan K.K.) | 일본 | |
Hanwha Systems Vietnam Co., Ltd | 베트남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 연결군의 자회사 |
H FOUNDATION PTE. LTD. | 싱가폴 | |
Hanwha Systems USA Corporation | 미국 | |
HANWHA PHASOR LTD. | 영국 | |
HANWHA DEFENSE AUSTRALIA PTY LTD | 호주 | |
HANWHA DEFENSE USA,INC. | 미국 | |
HANWHA TECHWIN AMERICA, INC. | 미국 | |
한화테크윈(천진)유한공사 | 중국 | |
한화상업설비(상해)유한공사 | 중국 | |
Hanwha Techwin Europe Limited | 영국 | |
Techwin Engineering Center | 일본 | |
TAWASUL AL-EZDIHAR Co., Ltd | 이라크 | |
Hanwha Techwin Middle East FZE | 아랍에미레이트 | |
Hanwha Techwin Security Vietnam | 베트남 | |
HANWHA TECHWIN AUTOMATION VIETNAM CO,.LTD | 베트남 | |
HANWHA AERO ENGINES.,LTD | 베트남 | |
DUCLO, INC. | 미국 |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미국 | |
Hanwha Power Systems Americas, Inc. | 미국 | |
Hanwha Power Systems (Shanghai) Co.,LTD | 중국 | |
Hanwha Power Systems Service Middle East LLC | 아랍에미레이트 | |
한화기계(소주)유한공사 | 중국 | |
HANWHA POWER SYSTEMS VIETNAM COMPANY LIMITED | 베트남 | |
Hanwha Aerospace USA | 미국 | |
EDAC Technologies Intermediate Company | 미국 | |
Hanwha Aerospace USA LLC | 미국 | |
EBTEC Corporation | 미국 | |
APEX Machine Tool Company, Inc. | 미국 | |
Gros-lte Industries Inc. | 미국 | |
EDAC ND, Inc | 미국 | |
HSESM American Union LLC | 미국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의 자회사 및 손자회사 |
HSESM PlanadaES LLC | 미국 | |
HSESM LeGrandUHS LLC | 미국 | |
Hanwha Q CELLS USA Corp. | 미국 | |
HANWHA Q CELLS US O&M LLC | 미국 | |
HQ MEX, LLC | 미국 |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미국 | |
Johnson City Solar, LLC | 미국 | |
Johnson City Storage, LLC | 미국 | |
Plateau Solar, LLC | 미국 | |
Plateau Storage, LLC | 미국 | |
Purvis Solar, LLC | 미국 | |
Purvis Storage, LLC | 미국 | |
South Cheyenne Solar, LLC | 미국 | |
HQ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 멕시코 | |
HQ MEXICO Solar I S DE RL DE CV | 멕시코 | |
HQ MEXICO Solar II S DE RL DE CV | 멕시코 | |
HSEA HVES, LLC | 미국 |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미국 | |
Solar Monkey 1, LLC | 미국 | |
Solar Monkey 2, LLC | 미국 | |
HQC Maywood, LLC | 미국 | |
Hanwha Q CELLS Servicios Comerciales, S DE RL DE CV | 멕시코 |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미국 | |
Hanwha Q CELLS USA, INC. | 미국 | |
Rippey Solar Holdings, LLC | 미국 | |
Coniglio Solar Holdings, LLC | 미국 | |
Kellam Solar Holdings, LLC | 미국 | |
HQC Solar Holdings 1, LLC | 미국 | |
Kellam Solar Class B, LLC | 미국 | |
Acropark Golf Corp. | 일본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의 자회사 |
Hanwha Solar Power Kitsuki G.K. | 일본 | |
HW SOLAR POWER 3 G.K. | 일본 | |
HW SOLAR POWER 6 G.K. | 일본 | |
HW SOLAR POWER 8 G.K. | 일본 | |
LENEX Holdings., LLC.(구. HW SOLAR POWER 14 G.K.) | 일본 | |
LENEX Electric Power G.K. | 일본 | |
LENEX Co.,Ltd. | 일본 | |
GENIE ENERGY GK | 일본 |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 영국 | Hanwha Q CELLS Co., Ltd 의 자회사 및 손자회사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홍콩 | |
Hanwha SolarOne (Laiyang) Co., Ltd | 중국 | |
Hanwha SolarOne (Rugao) Co., Ltd | 중국 | |
Hanwha SolarOne GmbH | 독일 | |
Hanwha Q CELLS(Nantong) Co., Ltd. | 중국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미국 | |
Growing Energy Labs, Inc. | 미국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캐나다 | |
Hanwha Q CELLS America Project Holdings | 미국 | |
Hanwha SolarOne Power Generation (Wuxi) Co., Ltd. | 중국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영국 |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호주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
HANWHA Q CELLS SOLAR POWER SDN. BHD. | 말레이시아 | |
Hanwha Q CELLS Gmbh | 독일 | |
HQC PORTUGAL HOLDINGS, LDA | 포르투갈 | |
QSUN PORTUGAL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QSUN PORTUGAL 3,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QSUN PORTUGAL 4,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QSUN PORTUGAL 5,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QSUN PORTUGAL 6,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QSUN PORTUGAL 7,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INCOGNITWORLD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INCOGNITWORLD 3,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INCOGNITWORLD 4,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INCOGNITWORLD 5,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MALHADA GREEN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
ALDGATE EAST INVESTMENTS, SL | 스페인 | |
ALFAZ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ALQUIZAR INVESTMENTS, SL | 스페인 | |
ANNAPURNA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
BENIF INVESTMENTS, SL | 스페인 | |
BURETE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CABUYA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
CANARY WHARF INVESTMENTS, SL | 스페인 | |
CANNING TOWN INVESTMENTS, SL | 스페인 | |
COMBA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CONVENT GARDEN INVESTMENTS, SL | 스페인 | |
DICKSON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
EMPER INVESTMENTS, SL | 스페인 | |
ENDINO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
GARDAYA INVESTMENTS, SL | 스페인 | |
KADOK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
KAMPALA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
MONTALBAN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NEPAL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
OTERO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CLAVE DE SOL ENERGY, S.L.U | 스페인 | |
IRON POWER ENERGY, S.L.U | 스페인 | |
LINE ENERGY, S.L.U | 스페인 | |
RIMA ENERGY, S.L.U | 스페인 | |
GAVILAN POWER, S.L.U | 스페인 | |
GERIFALTE POWER, S.L.U | 스페인 | |
HARRIER POWER, S.L.U | 스페인 | |
CAMPANA ENERGY, S.L. | 스페인 | |
PALOMA POWER, S.L. | 스페인 | |
DIONISIO SUN, S.L. | 스페인 | |
VALS ENERGY POWER, S.L. | 스페인 | |
BOLERO ENERGY, S.L. | 스페인 | |
SACRAMENTO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GREEN RIC ENERGY, S.L. | 스페인 | |
SILVER RIC ENERGY, S.L. | 스페인 | |
REAL ENERGY POWER, S.L. | 스페인 | |
GALAXY ENERGY, S.L. | 스페인 | |
LASTRAFI POWER, S.L. | 스페인 | |
HESTIA SUN, S.L. | 스페인 | |
CAPRICORNIO ENERGY, S.L. | 스페인 | |
SPRING POWER, S.L. | 스페인 | |
Malhada Green S.A | 포르투갈 | |
ARBECA SOLAR SLU | 스페인 | |
REUS SOLAR SLU | 스페인 | |
CASTELLNOU SOLAR SLU | 스페인 | |
VECIANA SOLAR SLU | 스페인 | |
CASTELLDANS SOLAR SLU | 스페인 | |
Las Coronadas Hive SL | 스페인 | |
Guadajoz Hive SL | 스페인 | |
Don Rodrigo Hive SL | 스페인 | |
GALGO POWER, S.L. | 스페인 | |
LEBREL POWER, S.L. | 스페인 | |
PODENCO POWER, S.L. | 스페인 | |
AZOR POWER SL | 스페인 | |
Espardell Directorship, SL | 스페인 | |
NUN SUN POWER S.L. | 스페인 | |
ISIS SUN POWER S.L. | 스페인 | |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 스페인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 스페인 | |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
Hanwha Q CELLS Turkey | 터키 | |
Aslan Gunes Enerjisi A.s. | 터키 | |
Hiprom Enerji Yatirimlari A.s. | 터키 | |
Sema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
Alkin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
Kartal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
Mutlak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
Elcin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
Fnt Gida Turizm Ic Ve Dis Ticaret Sanayi Ltd. sti. | 터키 | |
Meva Muhendislik Bilisim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San. Ve Dis Tic. Ltd. sti. | 터키 | |
Serimer Optik Medikal Kirtasiye Temizlik Insaat Ithalat Ihracat Sanayi Tic. Ltd. sti. | 터키 | |
Marel Bilisim Muhendislik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Gida San. Ve Dis Tic. Ltd. sti. | 터키 | |
Fior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 | 터키 | |
Toprakkale Altyapi ve Malzeme Hizmetleri A.s. | 터키 | |
Ulu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 | 터키 | |
Moravia Enerji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
Uno Enerji A.s. | 터키 | |
Aceka 2 Gunes Enerjisi A.S. | 터키 | |
Aceka 3 Gunes Enerjisi A.S. | 터키 | |
Bilgidar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
Buselik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
Buselik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
Dimetoka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
Dimetoka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
Isfahan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
Onan 2 Gunes Enerji Uretim A.S. | 터키 | |
Onan 3 Gunes Enerji Uretim A.S. | 터키 | |
WSE Bradley Road Ltd | 영국 | |
Hanwha Q CELLS France SAS | 프랑스 | |
Hanwha Q CELLS Chile SpA | 칠레 | |
Cabrero Solar SPA | 칠레 | |
Centauro Solar SPA | 칠레 | |
Draco Solar SPA | 칠레 | |
Hanwha Q CELLS Peru S.A.C | 페루 | |
Hanwha Q CELLS Til Til Uno SPA | 칠레 | |
PV Vallenar Uno SpA | 칠레 | |
Avenir el Divisadero SpA | 칠레 | |
SFH Solarpark GmbH | 독일 | |
KMPT Solarpark Verwaltung GmbH | 독일 | |
Q CELLS DO BRASIL CONSULTORIA EMPRESARIAL LTDA | 브라질 | |
Silesian Sun Energy Sp. z o.o. | 폴란드 | |
PV Jagodne Sp. z.o.o. | 폴란드 | |
INCOGNITWORLD, LDA. | 포르투갈 | |
HANWHA TECHM USA LLC | 미국 | Hanwha Holdings(USA), Inc. 의 자회사 및 손자회사 |
Hanwha International LLC. | 미국 | |
Hanwha Parcel O LLC | 미국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미국 | |
Universal Bearings LLC. | 미국 | |
Hanwha PVPLUS LLC | 미국 | |
Hanwha Machinery Americas, Inc. | 미국 | |
Hanwha AZDEL, Inc. | 미국 | |
Hanwha Village Market, LLC | 미국 | |
Hanwha Property USA LLC | 미국 | |
Hanwha West Properties LLC | 미국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미국 |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미국 | |
H-Global Partners Japan | 미국 | 에이치솔루션 주식회사의 자회사 |
H&D Company Pte. Ltd. | 싱가포르 | |
한화국제무역(상해)유한공사 | 중국 | 기타 소규모 법인 (직전사업연도 자산 100억원 미만 등 계열회사간의 관계의 형성이나 유지를 위하여 중요한 역할을 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법인) |
Hanwha International (S) Pte Ltd. | 싱가폴 | |
Hanwha Resources (Canada) Ltd. | 캐나다 | |
HANWHA INTERNATIONAL INDIA PVT., LT | 인도 | |
Hanwha International Peru S.A.C. | 페루 | |
Hanwha Mining Services Chile SpA | 칠레 | |
Hanwha Techm Hungary Zrt. | 헝가리 | |
Tecsol Srl | 이탈리아 | |
Maxxsol 01 srl | 이탈리아 | |
HMS AUSTRALIA PROPERTY HOLDINGS PTY LTD | 호주 | |
HMS AUSTRALIA OPERATIONS PTY LTD | 호주 | |
LDE HOLDINGS PTY LTD | 호주 | |
LDE Corporation PTY LTD | 호주 | |
EMBR PTY LTD | 호주 | |
HANWHA MINING SERVICE USA INC. | 미국 | |
PT. Bara Bumi International | 인도네시아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인도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미국 | |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 | 미국 | |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미국 | |
HANWHA ASSET MANAGEMENT PTE. LTD. | 싱가폴 | |
LLP Zharyk Zol Company 2007 | 카자흐스탄 |
3. 회사와 계열회사간 임원 겸직 현황
이사명 |
당사 직위 | 겸직 회사명 | 직위 |
김동관 | 전략 부문 대표이사 |
(주)한화 | 전략부문장 |
한화에어로스페이스(주) | 이사 | ||
㈜쎄트렉아이 |
이사(비상근) |
||
김은수 |
갤러리아 부문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대표이사 |
4. 타법인출자 현황(요약)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
출자 목적 |
출자회사수 | 총 출자금액 | |||||
---|---|---|---|---|---|---|---|
상장 | 비상장 | 계 | 기초 장부 가액 |
증가(감소) | 기말 장부 가액 |
||
취득 (처분) |
평가 손익 |
||||||
경영참여 | - | 21 | 21 | 4,103,579 | 1,020,263 | - | 5,123,842 |
일반투자 | - | 8 | 8 | 446,282 | 1,500 | - | 447,782 |
단순투자 | - | 5 | 5 | 14,773 | 9,000 | 25 | 23,798 |
계 | - | 34 | 34 | 4,564,634 | 1,030,763 | 25 | 5,595,422 |
IX. 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등
가. 가지급금 및 대여금
2022년 1월 11일 현재 당사는 당사의 원활한 사업수행 및 수익성 확보를 목적으로 아래 해외 현지법인 및 종속회사에게 394억원 (USD 13,970천불, KRW 24,200백만원) 상당의 대여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2022.01.11]
(단위 : 백만원, 천미불) |
성 명 (법인명) |
관 계 | 거 래 내 역 | 목적 | 기간 | 이사회 승인 | |||
---|---|---|---|---|---|---|---|---|
기초 | 증가 | 감소 | 당기말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8,160 ($7,500) |
- | - | 8,160 ($7,500) |
운영자금 | 2012.07.16 ~ 2021.12.31 | 2012.07.11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2,359 ($2,168) |
- | - | 2,359 ($2,168) |
운영자금 | 2012.12.26 ~ 2021.12.31 | 2012.12.12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3,231 ($2,970) |
- | - | 3,231 ($2,970) |
운영자금 | 2017.03.23 ~ 2021.12.31 |
2017.02.23 |
Crystal Solar Inc. | 관계기업 | 1,494 ($1,332) |
- | - | 1,494 ($1,332) |
운영자금 | 2016.10.21 ~ 2018.12.31 |
2016.10.14 |
㈜서오창테크노벨리 | 종속회사 | |
5,000 | - | 5,000 | 운영자금 | 2020.12.29 ~ 2024.12.29 |
2020.11.27 |
㈜안성테크노벨리 | 종속회사 | |
19,200 | - | 19,200 | 운영자금 | 2021.03.30 ~ 2024.12.30 |
2021.03.29 |
※ 당사는 상기 대여금 제공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 이사회규정의 개정(2021.10.28)에 의거, 현재 당사는 대여금액이 최근 별도재무제표상 자기자본의 2.5% 이상일 경우 이사회 의결후 진행되며, 2.5% 미만일 경우 그 결정 및 승인을 대표이사가 위임받아 처리하고 있습니다.
※ Crystal Solar Inc.에 지급 대여금에 대하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으며 일부 회수하였습니다.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에 지급한 대여금에 대하여 현재 전액 손실충당금이 설정되어 있습니다.
나. 채무보증내역
증권신고서 제출 전일 현재 당사는 당사의 원활한 사업수행 및 수익성 확보를 목적으로 아래 해외 현지법인의 차입금에 대해 17,829억원 (KRW 80,340백만원, USD 943,841천불, MYR 967,000천링기트, EUR 210,200천유로, CNY 42,000천위안) 상당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2022. 1. 11] (단위 : 백만원, 천위안,천미불, 천링기트, 천유로) |
성 명 (법인명) |
관 계 | 거 래 내 역 | 채권자 | 채무내용 | 보증기간 | 이사회승인 | |||
---|---|---|---|---|---|---|---|---|---|
기초 | 증가 | 감소 | 당기말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9,600 ($8,000) |
9,600 ($8,000) |
우리은행 뉴 욕 |
무역금융 | 2021.04.02 ~ 2022.04.01 | 2021.02.18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산업은행 뉴 욕 |
무역금융 및 단기차입 |
2021.02.05 ~ 2022.02.04 | 2020.01.02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03 ~ 2022.03.03 | 2021.02.18 | ||
Hanwha International LL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
|
18,000 ($15,000) |
국민은행 뉴 욕 |
무역금융 및 단기차입 |
2021.08.20~2022.08.19 | 2021.02.18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종속기업 | |
54,000 ($45,000) |
54,000 ($45,000) |
SC은행 중 국 |
장기차입 | 2021.06.03 ~ 2023.06.02 | 2021.02.18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종속기업 | |
54,000 ($45,000) |
54,000 ($45,000) |
하나은행 중 국 |
장기차입 | 2021.06.03 ~ 2024.06.02 | 2021.02.18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관계기업 | 9,400 ($7,833) |
|
6,040 ($5,033) |
3,360 ($2,800) |
SIDF | 장기차입 | 2012.07.19 ~ 2022.03.19 | 2011.09.19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관계기업 | 5,640 ($4,700) |
3,624 ($3,020) |
2,016 ($1,680) |
SIDF | 장기차입 | 2013.10.02 ~ 2022.03.19 | 2011.09.19 | |
International Polymers Company | 관계기업 | 3,760 ($3,133) |
2,416 ($2,013) |
1,344 ($1,120) |
SIDF | 장기차입 | 2014.05.06 ~ 2022.03.19 | 2011.09.19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3,040 ($2,533) |
|
3,040 ($2,533) |
0 $0 |
SIDF | 장기차입 | 2014.04.09 ~ 2021.06.30 | 2013.05.13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2,372 ($1,977) |
2,372 ($1,977) |
0 $0 |
SIDF | 장기차입 | 2014.12.18 ~ 2021.06.30 | 2013.05.13 | |
Gulf Advanced Cables Insulation Company | 공동기업 | 668 ($557) |
668 ($557) |
0 $0 |
SIDF | 장기차입 | 2015.04.02 ~ 2021.06.30 | 2013.05.13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종속기업 | 48,000 ($40,000) |
48,000 ($40,000) |
산업은행 | 장기차입 | 2019.09.20 ~ 2022.09.19 | 2019.09.10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종속기업 | 60,000 ($50,000) |
60,000 ($50,000) |
SC은행 싱 가 폴 |
단기차입 | 2021.04.23 ~ 2022.04.23 | 2021.02.18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종속기업 | 56,160 ($46,800) |
56,160 ($46,800) |
SC은행 중 국 |
단기차입 | 2021.04.23 ~ 2022.04.23 | 2021.02.18 |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종속기업 | 60,000 ($50,000) |
60,000 ($50,00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20.06.29 ~ 2022.06.29 | 2020.05.12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
24,000 ($20,000) |
우리은행 홍 콩 |
단기차입 | 2021.04.13 ~ 2022.04.12 | 2021.02.1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96,000 ($80,000) |
96,000 ($80,000) |
0 $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18.04.20 ~ 2021.04.20 | 2018.04.10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96,000 ($80,000) |
96,000 ($80,000) |
0 $0 |
산업은행 | 장기차입 | 2018.04.24 ~ 2021.04.24 | 2018.04.10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0 $0 |
중국광대은행 | 장기차입 | 2019.01.10 ~ 2022.01.10 | 2019.01.0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0 $0 |
하나은행 | 장기차입 | 2019.01.10 ~ 2022.01.10 | 2019.01.0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48,000 ($40,000) |
48,000 ($40,000) |
0 $0 |
뉴스타큐셀 케이맨 |
사모사채 | 2019.01.10 ~ 2022.01.10 | 2019.01.08 | |
Hanwha Q CELLS Co., Ltd.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0 $0 |
KB증권 | 사모사채 | 2019.04.08 ~ 2021.10.08 | 2019.03.26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종속기업 | 80,340 | 80,340 | 하나은행 | 사모사채 | 2020.06.17~ 2023.06.17 | 2020.05.12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12,600 ($10,500) |
|
12,600 ($10,500) |
수출입은행 | 단기차입 | 2021.09.23 ~ 2022.09.23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5.11 ~ 2022.05.11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12,000 ($10,000) |
|
12,000 ($10,000) |
Bank of Hope | 단기차입 | 2021.07.09 ~ 2022.07.09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60,000 ($50,000) |
60,000 ($50,000) |
0 $0 |
SC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08.24 ~ 2021.08.23 | 2020.08.11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
60,000 ($50,000) |
|
60,000 ($50,000) |
국민은행 뉴 욕 |
장기차입 | 2021.08.05 ~ 2024.08.05 | 2021.02.18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우리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8.26 ~ 2022.08.25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In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Woori America Bank |
단기차입 | 2021.05.10 ~ 2022.05.10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In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Hana Bank New York Agency |
단기차입 | 2021.05.10 ~ 2022.05.10 | 2021.02.18 | ||
Hanwha Q CELLS USA Inc. | 종속기업 | 24,000 ($20,000) |
24,000 ($20,00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8.27 ~ 2022.08.26 | 2021.02.18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234,854 (MYR 822,000) |
1,429 (MYR 5,000) |
233,425 (MYR 817,000) |
말레이시아 정부 |
장기차입 | 2012.11.16 ~ 2031.12.01 | 2012.08.14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108,000 ($90,000) |
108,000 ($90,00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20.11.27 ~ 2022.11.28 | 2020.11.10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48,000 ($40,000) |
|
48,000 ($40,000) |
중국농업은행 서 울 |
장기차입 | 2021.09.27 ~ 2023.09.26 | 2021.02.18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168,000 ($140,000) |
168,000 ($140,000) |
SC은행 말레이시아 |
단기차입 | 2021.09.07 ~ 2022.09.06 | 2021.02.18 | ||
Hanwha Q CELL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
42,857 (MYR 150,000) |
42,857 (MYR 150,000) |
CIMB Investment Bank Berhad | Bond | 2021.09.01 ~ 2024.08.30 | 2021.02.18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종속기업 | |
24,000 ($20,000) |
|
24,000 ($20,000) |
Citibank Berhad | 무역금융 | 2021.11.29~ 2022.11.28 | 2021.02.18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19,200 ($16,000) |
3,840 ($3,200) |
23,040 ($19,200) |
우리은행 런 던 |
무역금융 및 단기차입 |
2021.10.22 ~ 2022.10.21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33,984 (EUR 25,000) |
33,984 (EUR 25,000) |
국민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11.12 ~ 2022.11.12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40,781 (EUR 30,000) |
40,781 (EUR 30,000) |
SC은행 독 일 |
Bond | 2021.05.04 ~ 2022.05.04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
40,781 (EUR 30,000) |
40,781 (EUR 30,000) |
Commerz 독 일 |
Bond | 2021.05.17 ~ 2024.05.16 | 2021.02.18 | |
Hanwha Q CELLS GmbH | 종속기업 | |
135,936 (EUR 100,000) |
135,936 (EUR 100,000) |
수출입은행 | 장기차입 | 2021.05.14 ~ 2023.05.14 | 2021.02.18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종속기업 | 8,090 ($6,741) |
8,090 ($6,741) |
하나은행 L A |
단기차입 | 2021.08.08 ~ 2022.08.08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9,298 (CNY 49,400) |
9,298 (CNY 49,400) |
0 CNY 0 |
우리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5.20~ 2021.11.2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6,211 (CNY 33,000) |
6,211 (CNY 33,000) |
0 CNY 0 |
국민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6.16 ~ 2021.11.2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5,082 (CNY 27,000) |
5,082 (CNY 27,000) |
0 CNY 0 |
산업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6.28 ~ 2021.11.2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4,200 ($3,500) |
4,200 ($3,500) |
0 $0 |
수출입은행 | 단기차입 | 2021.07.03 ~ 2021.11.26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종속기업 | 6,776 (CNY 36,000) |
6,776 (CNY 36,000) |
0 CNY 0 |
하나은행 상 해 |
단기차입 | 2021.08.23 ~ 2022.11.25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6,832 (CNY 36,300) |
6,832 (CNY 36,300) |
0 CNY 0 |
국민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0.09.18 ~2021.08.23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7,227 (CNY 38,400) |
7,227 (CNY 38,400) |
0 CNY 0 |
우리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1.02.26 ~ 2021.08.23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7,905 (CNY 42,000) |
7,905 (CNY 42,000) |
신한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1.03.21 ~ 2022.03.20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6,776 (CNY 36,000) |
6,776 (CNY 36,000) |
0 CNY 0 |
하나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0.08.12 ~ 2021.08.11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종속기업 | 6,023 (CNY 32,000) |
6,023 (CNY 32,000) |
0 CNY 0 |
산업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0.12.25 ~ 2021.08.26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종속기업 | 4,969 (CNY 26,400) |
4,969 (CNY 26,400) |
0 CNY 0 |
우리은행 중 경 |
단기차입 | 2020.12.09 ~2021.12.09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종속기업 | 3,105 (CNY 16,500) |
3,105 (CNY 16,500) |
0 CNY 0 |
국민은행 북 경 |
단기차입 | 2021.03.26 ~ 2021.09.01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종속기업 | 2,259 (CNY 12,000) |
2,259 (CNY 12,000) |
0 CNY 0 |
산업은행 광 저 우 |
단기차입 | 2020.10.30 ~ 2021.08.31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우리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1.05 ~ 2022.11.0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1.11 ~ 2022.11.11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1.05 ~ 2022.11.0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신한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5.21 ~ 2022.05.20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21,600 ($18,000) |
21,600 ($18,000) |
수출입은행 | 단기차입 | 2021.06.22 ~ 2022.06.22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8,400 ($7,000) |
8,400 ($7,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6.28 ~ 2022.06.28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8,000 ($15,000) |
18,000 ($15,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05 ~ 2022.03.04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19 ~ 2022.03.19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6,000 ($5,000) |
1,200 ($1,000) |
4,800 ($4,000) |
우리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26 ~ 2022.03.25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8.06 ~ 2022.08.05 | 2021.02.18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3,600 ($3,000) |
3,600 ($3,00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10.10 ~ 2022.10.10 | 2021.02.18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8,400 ($7,000) |
8,400 ($7,000) |
0 $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11.06 ~ 2021.07.20 | 2020.01.02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국민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3.19 ~ 2022.03.18 | 2021.02.18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14,400 ($12,000) |
14,400 ($12,000) |
0 $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05.07 ~ 2021.05.07 | 2020.01.02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4,800 ($4,000) |
4,800 ($4,000) |
0 $0 |
하나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0.05.07 ~ 2021.05.07 | 2020.01.02 | |
Hanwha Azdel, Inc. | 종속기업 | 12,000 ($10,000) |
12,000 ($10,000) |
산업은행 뉴 욕 |
단기차입 | 2021.06.18 ~ 2022.06.17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종속기업 | 6,000 ($5,000) |
6,000 ($5,000) |
신한은행 멕 시 코 |
장기차입 | 2020.04.13 ~ 2022.04.12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8,156 (EUR 6,000) |
8,156 (EUR 6,000) |
0 EUR 0 |
국민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03.31 ~ 2021.06.02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10,875 (EUR 8,000) |
10,875 (EUR 8,000) |
0 EUR 0 |
산업은행 | 단기차입 | 2020.04.28 ~ 2021.04.28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8,156 (EUR 6,000) |
8,156 (EUR 6,000) |
0 EUR 0 |
우리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0.11.20 ~ 2021.05.20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3,262 (EUR 2,400) |
3,262 (EUR 2,400) |
0 EUR 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0.06.09 ~ 2021.06.02 | 2020.01.02 | |
Hanwha AdvancedMaterials Germany GmbH | 종속기업 | 6,797 (EUR 5,000) |
6,797 (EUR 5,000) |
0 EUR 0 |
하나은행 독 일 |
단기차입 | 2020.09.15 ~ 2021.06.02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2,719 (EUR 2,000) |
2,719 (EUR 2,000) |
국민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12.09 ~ 2022.12.09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10,195 (EUR 7,500) |
10,195 (EUR 7,500) |
0 EUR 0 |
산업은행 | 단기차입 | 2020.05.14 ~ 2021.04.23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3,262 (EUR 2,400) |
3,262 (EUR 2,40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1.06.18 ~ 2022.06.18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6,525 (EUR 4,800) |
6,525 (EUR 4,80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1.06.18 ~ 2022.06.18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14,953 (EUR 11,000) |
14,953 (EUR 11,000) |
하나은행 독 일 |
단기차입 | 2021.06.14 ~ 2022.06.13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6,797 (EUR 5,000) |
6,797 (EUR 5,000) |
Raiffeisen Bank |
단기차입 | 2021.06.30 ~ 2022.08.31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8,156 (EUR 6,000) |
8,156 (EUR 6,000) |
0 EUR 0 |
우리은행 런 던 |
단기차입 | 2021.07.29 ~ 2021.09.07 | 2021.02.18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4,894 (EUR 3,600) |
4,894 (EUR 3,600) |
0 EUR 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0.11.30 ~ 2021.09.02 | 2020.01.02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종속기업 | 14,681 (EUR 10,800) |
|
14,681 (EUR 10,800) |
0 EUR 0 |
신한은행 유 럽 |
단기차입 | 2020.11.30 ~ 2021.09.02 | 2020.01.02 |
합계 | 1,890,996 $1,133,275 CNY 385,000 MYR 822,000 EUR 105,500 |
456,194 $163,200 CNY 0 MYR 150,000 EUR 160,000 |
564,317 $352,633 CNY 343,000 MYR 5,000 EUR 55,300 |
1,782,873 $943,841 CNY 42,000 MYR 967,000 EUR 210,200 |
- | - | - | - |
※ 당사는 상기 지급보증 제공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 당사는 20년 1월 2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의 합병 이후 한화큐셀앤드첨단
소재㈜가 제공한 지급보증을 승계하였으며 한화글로벌에셋㈜가 제공한 지급보증
에 대한 연대보증 또한 승계하였습니다.
※적용환율 :\/USD = 1,200.00, \/CNY = 188.21, \/MYR= 285.71, \/EUR= 1,359.36
※ 당사는 채무보증 이외 Hanwha Q CELLS USA Corp에 지급보증이 존재합니다.
법인 | 구분 | 보증기간 | 보증금액 | 비고 | |
---|---|---|---|---|---|
현지통화 (천미불) |
원화 (억원) |
||||
Hanwha Q CELLS USA Corp |
종속기업 | 2021.08.09~2036.08.09 | $65,000 | 780 | Hanwha Q CELLS USA Corp의 손회사인 BT Coniglio Solar LLC의 전력가격 차액 결재 거래 대금 지급에 대한 지급보증을 제공 |
※적용환율 :\/USD = 1,200.00, \/CNY = 188.21, \/MYR= 285.71, \/EUR= 1,359.36
다. 이행보증, 납세보증 등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당사는 당사의 원활한 사업수행 및 수익성 확보를 목적으로 해외 현지법인의 계약에 대해 총 8,407억원 (USD 537,896천불, JPY 7,148,709천엔, EUR 33,488천유로, KRW 752억원) 상당의 이행보증 및 자금보충 약정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 2022. 01. 11]
단위 : 백만원, 천미불, 천엔, 천유로) |
구분 | 회사명 | 관 계 | 금액 | 이사회 승인 | 금액 | 원화환산 |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와 마루베니 간의 체결되는 Sale and Purchase Contract 상의 Hanwha Q CELLS Japan Co., Ltd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3.02.19. 체결)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Marubeni Corporation |
계열회사 | US$131,000 | 2012.12.12 | 131,000,000 | 1,572.0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와 NTT-F 간의 체결되는 물품구입기본계약서 상의 Hanwha Q CELLS Japan Co., Ltd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3.06.17. 체결)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NTT Facilities Inc. |
계열회사 | JPY 4,610,000 | 2013.05.13 | 4,610,000,000 | 480.1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와 Itochu Corporation간의 체결되는 모듈공급계약 상의 Hanwha Q CELLS Japan Co., Ltd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6.12.01. 체결)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Itochu Corporation |
계열회사 | US$2,527 | 2016.03.25 | 2,526,518 | 30.3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와 JGC Corporation간의 체결되는 모듈공급계약 상의 Hanwha Q CELLS Japan Co., Ltd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7.08.04. 체결)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JGC Corporation |
계열회사 | JPY 131,349 | 2016.03.25 | 131,348,708 | 13.7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와 GK Rokunohe Solar Park 간의 체결되는 모듈공급계약 상의 Hanwha Q CELLS Japan Co., Ltd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7.12.26. 체결)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GK Rokunohe Solar Park |
계열회사 | JPY 296,000 | 2016.03.25 | 296,000,000 | 30.8 |
Hanwha Q CELLS Japan Co., Ltd와 Nippon Renewable Energy K.K. 간의 체결되는 모듈공급계약 상의 Hanwha Q CELLS Japan Co., Ltd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8.01.10. 체결)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Nippon Renewable Energy K.K. |
계열회사 | JPY 2,111,360 | 2016.03.25 | 2,111,360,000 | 219.9 |
Hanwha Q CELLS America Inc.와 NextEra Energy Constructors와 체결되는 모듈공급계약상의 Hanwha Q CELLS America Inc.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9.08.19. 체결) | Hanwha Q CELLS America Inc. NextEra Energy Constructors, LLC |
종속기업 | US$11,183 | 2019.08.07 | 11,183,172 | 134.2 |
Hanwha Q CELLS EPC USA, LLC.와 Oberon Solar 1B, LLC와 체결되는 태양광발전소 건설계약의Hanwha Q CELLS EPC USA, LLC.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0.02.19. 체결) | Hanwha Q CELLS EPC USA, LLC. Oberon Solar 1B, LLC |
종속기업 | US$7,593 | 2020.01.02 | 7,593,219 | 91.1 |
Hanwha Q CELLS America Inc.와 NextEra Energy Constructors와 체결되는 모듈공급계약상의 Hanwha Q CELLS America Inc.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0.10.05. 체결) | Hanwha Q CELLS America Inc. NextEra Energy Constructors LLC. |
종속기업 | US$207,366 | 2020.08.11 | 207,366,000 | 2,488.4 |
Hanwha Q CELLS USA Corp.와 RBC Kellam Holding Co, LLC와 체결되는 발전소프로젝트매각계약상의 Hanwha Q CELLS USA Corp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0.11.13. 체결) | Hanwha Q CELLS USA Corp. RBC Kellam Holding Co, LLC |
종속기업 | US$27,028 | 2020.01.02 | 27,028,000 | 324.3 |
Hanwha Q CELLS USA Corp.와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와 체결되는 SPC 계약상의 Hanwha Q CELLS USA Corp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1.06.10. 체결) | Hanwha Q CELLS USA Corp.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 |
종속기업 | US$68,973 | 2021.05.11 | 68,973,431 | 827.7 |
Hanwha Q CELLS EPC USA, LLC와 Grizzly Ridge Solar, LLC.와 체결되는 프로젝트 도급계약상의 Hanwha Q CELLS EPC USA, LLC.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1.12.17. 체결) | Hanwha Q CELLS EPC USA, LLC. Grizzly Ridge Solar, LLC |
종속기업 | US$82,226 | 82,225,908 | 986.7 | |
한화도시개발㈜와 한화역사㈜간의 체결되는 점용료 납부 계약상의 한화도시개발㈜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 한화도시개발㈜ 한화역사㈜ |
계열회사 | \32 | - | 3,202,968,480 | 32.0 |
한화도시개발㈜와 ㈜서오창테크노벨리 간의 체결되는 선순위 PF 약정에 대한 자급보충약정 | 한화도시개발㈜ ㈜서오창테크노벨리 |
계열회사 | \720 | 2021.05.11 | 72,000,000,000 | 720.0 |
RES Mediterranee와 ORIT Holdings Limited와 체결되는 CEPE Cerisou 프로젝트 SPA계약상의 RES SAS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0.10.28. 체결) | RES Mediterranee ORIT Holdings Limited |
종속기업 | EUR 16,824 | - | 16,823,800 | 228.7 |
RES Mediterranee와 Elios Energy 3 France SAS와 체결되는 CEPE Berceronne 프로젝트 SPA계약상의 RES SAS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0.10.28. 체결) | RES Mediterranee Elios Energy 3 France SAS |
종속기업 | EUR 6,012 | - | 6,011,553 | 81.7 |
RES Mediterranee와 The Renewables Infrastructure group(France)와 체결되는 Rosieres 프로젝트 SPA계약상의 RES SAS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8.06.04. 체결) | RES Mediterranee The Renewables Infrastructure Group (France) |
종속기업 | EUR 5,483 | - | 5,483,444 | 74.5 |
RES Mediterranee와 CPES Mas d’en Ramis와 체결되는 SPA계약상의 RES SAS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1.06.30. 체결) | RES Mediterranee CPES Mas d’en Ramis |
종속기업 | EUR 2,501 | - | 2,500,667 | 34.0 |
RES Mediterranee와 CPES La Brede와 체결되는 SPA계약상의 RES SAS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21.06.30. 체결) | RES Mediterranee CPES La Brede |
종속기업 | EUR 2,309 | - | 2,308,745 | 31.4 |
RES Mediterranee와 RTE와 체결되는 Coulomb Storage Project 계약상의 RES SAS가 이행하지 않은 의무, 책임 등을 보증 (2019.12.11. 체결) | RES Mediterranee RTE |
종속기업 | EUR 360 | - | 360,000 | 4.9 |
※ 당사는 상기 이행보증에 대해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 당사는 20년 1월 2일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와의 합병 이후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가 제공한 이행보증을 승계하였으며 한화글로벌에셋㈜가 제공한 이행보증에 대한 연대보증 또한 승계하였습니다.
※ 현재 당사는 BMW 및 그 계열사에게 당사(해외계열사 포함)와의 현재 및 미래 잠재적 발주합의에 의해 발생하는 계약상의 채무 불이행 시 손해배상을 보증하고 있습니다.
※ Hanwha Q CELLS USA Corp과 Coniglio Tax Equity Partnership, LLC와 체결한 이행보증과 BT Coniglio Solar LLC와 체결한 지급보증은 같은 프로젝트에 대한 동시 보증의 성격을 가지며, 두 보증한도의 합은 계약 체결시 Tax Equity 투자금과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는 이익의 합(U$72백만)을 넘기지 않습니다.
※ 당사는 21년 10월 28일 RES Mediterranee 인수 후 RES Mediterranee법인이 제공한 이행보증을 승계하였습니다.
※적용환율 :\/USD = 1,200.00, \/JPY=10.4144
2. 대주주와의 자산(영업)양수도 등
가.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 내역
1)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내역
- 출자법인: 한화글로벌에셋(주)
- 회사와의 관계: 계열회사 (소유지분 100%)
- 취득주식수: 보통주 1,132,623주
- 출자금액: 72,797,000,000원 (공시 기준)
- 취득후 지분율: 100%
- 의사회 의결일: 2021년 04월 01일
- 출자일: 2021년 04월 05일
- 출자목적: 자회사 유상증자 참여 목적
2)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내역
- 출자법인: Hanwha Q CELLS Co., Ltd.
- 회사와의 관계: 계열회사 (소유지분 100%)
- 취득주식수: 1,689,190주
- 출자금액: 283,375,136,020원 (공시 기준)
- 취득후 지분율: 100%
- 의사회 의결일: 2021년 04월 01일
- 출자일: 2021년 04월 20일
- 출자목적: 고금리 차입금 상환 및 자회사 유상증자 참여 목적
3)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내역
- 출자법인: 한화글로벌에셋㈜
- 회사와의 관계: 계열회사 (소유지분 100%)
- 취득주식수: 보통주 2,982,550주
- 출자금액: 191,697,000,000원 (공시 기준)
- 취득후 지분율: 100%
- 의사회 의결일: 2021년 07월 29일
- 출자일: 2021년 08월 06일
- 출자목적: 자회사 유상증자 참여 목적
나. 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1)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매도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매도대상물 : 한화케미칼(주) 제 254-1, 254-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이사회 결의일 : 2018년 11월 13일
- 매도일자 : 2018년 11월 29일
- 매도금액 : 총 25,000,000,000원
(제 254-1회 무보증공모사채 600억원 중 100억원
제 254-2회 무보증공모사채 900억원 중 150억원)
- 매도목적 : 운영자금 확보
2)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매도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매도대상물 : 한화케미칼(주) 제 255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이사회 결의일 : 2019년 1월 8일
- 매도일자 : 2019년 1월 31일
- 매도금액 : 총 30,000,000,000원
(제 255회 무보증공모사채 1,500억원 중 300억원)
- 매도목적 : 차환자금 및 시설자금 확보
3)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매도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매도대상물 : 한화솔루션(주) 제 260-1회, 제260-3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이사회 결의일 : 2019년 10월 1일
- 매도일자 : 2019년 10월 24일
- 매도금액 : 총 40,000,000,000원
(제 260-1회 무보증공모사채 1,100억원 중 250억원
제 260-3회 무보증공모사채 600억원 중 150억원)
- 매도목적 : 차환자금 및 운영자금 확보
4)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매도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매도대상물 : 한화솔루션(주) 제 269-1회, 제269-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이사회 결의일 : 2020년 01월 02일
- 매도일자 : 2020년 01월 22일
- 매도금액 : 총 45,000,000,000원
(제 269-1회 무보증공모사채 1,400억원 중 250억원
제 269-2회 무보증공모사채 1,400억원 중 200억원)
- 매도목적 : 채무상환자금
5)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매도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매도대상물 : 한화솔루션(주) 제 270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이사회 결의일 : 2020년 03월 24일
- 매도일자 : 2020년 04월 21일
- 매도금액 : 제 270회 무보증공모사채 2,100억원 중 100억원
- 매도목적 : 채무상환자금 및 운영자금
6)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거래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거래목적물 : 원화 MMT
- 이사회 결의일 : 2021년 03월 24일
('21년 2/4분기 한화투자증권과의 거래한도를 의결)
- 거래일자 : 2021년 04월 01일
- 거래금액 : 500억원
- 거래목적 : 안정적 자금운용 및 수익성 제고
7)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매도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매도대상물 : 한화솔루션(주) 제 275-2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 이사회 결의일 : 2021년 03월 24일
('21년 2/4분기 한화투자증권과의 거래한도를 의결)
- 매도일자 : 2021년 06월 17일
- 매도금액 : 제 275-2회 무보증공모사채 300억원 중 100억원
- 매도목적 : 채무상환자금
8) 유가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거래상대방 : 한화투자증권(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거래목적물 : 원화 MMT
- 이사회 결의일 : 2021년 05월 11일
('21년 3/4분기 한화투자증권과의 거래한도를 의결)
- 거래일자 : 2021년 08월 10일
- 거래금액 : 500억원
- 거래목적 : 안정적 자금운용 및 수익성 제고
다. 부동산 매매 등
1) 특수관계인으로부터 부동산임차
- 거래상대방 : 한화생명(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임차목적물 : 건물
- 이사회 결의일 : 2019년 12월 06일
- 임차일자 : 2020년 01월 01일
- 임차기간: 2020년 01월 01일 ~ 2021년 04월 30일
- 거래금액 : 7,787백만원
- 거래목적 : 사무실 임차
2) 특수관계인으로부터 부동산임차
- 거래상대방 : 한화생명(주)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임차목적물 : 건물
- 이사회 결의일 : 2021년 04월 01일
- 임차일자 : 2021년 05월 01일
- 임차기간: 2021년 05월 01일 ~ 2022년 04월 30일
- 거래금액 : 84.1억원
- 거래목적 : 사무실 임차
3) 특수관계인에 대한 부동산 매도
- 거래상대방 : (주)안성테크노밸리
- 회사와의 관계 : 계열회사
- 거래대상 : 토지
- 이사회 결의일 : 2021년 05월 11일
- 매매일자 : 산업단지 관리기본계획 승인이후
- 거래금액 : 11,157백만원
- 거래목적 : 산업단지 개발
라. 기타 자산(영업)양수도 등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당사의 최대주주는 (주)한화이며, 당사의 매출 및 매입거래의 일정 부분은 (주)한화 무역부문과의 거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와 (주)한화와의 거래는 특정한공급계약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시장의 수요, 공급 상황에 따라 수시 결정되고 있으므로, 거래종류에 대해서는 기재를 생략합니다. 당기 중 (주)한화와의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원) |
대주주의 이름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일자 | 거래내용 | 거래금액 |
---|---|---|---|---|
(주)한화 (최대주주) |
- | 2021.01.01 ~ 2021.09.30 |
원재료 구입 및 제품 판매 |
1,029 |
- 상기 거래금액은 당사의 매출금액과 매입금액의 합계액입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가. 신용공여 등
1) 가지급금 및 대여금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2) 담보제공 내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채무보증 내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나. 자산(영업)양수도 등
1) 출자 및 출자지분 처분 내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증권 매수 또는 매도 내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3) 부동산 매매 등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4) 기타 자산(영업)양수도 등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영업거래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X.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내용 진행 및 변경사항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우발부채 등에 관한 사항
가. 중요한 소송사건
[원료부문]: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① 공사대금청구(울산지방법원, 2020가단105004)
구분 |
내용 |
소제기일 |
2020.3.10 |
소송 당사자 |
원고: 주식회사 태극엔터프라이즈, 피고: 한화솔루션(주) |
소송의 내용 |
원고는 공사대금 미지급을 이유로 당사의 공사대금 지급 책임을 주장 |
소송가액(백만원) |
200 |
진행상황 |
'20.3.10 소제기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2020.06.12. 변론기일(법정 408호, 10: 30) 2021.04.16 변론기일(법정 408호 14:30) 2021.05.14. 변론기일(법정 408호 15:10) 2021.07.23. 변론기일(법정 408호 15:30) 변론종결 2021.10.01. 판결선고기일(법정 408호 13:50) 변론재개 2021.11.05. 변론기일(법정 408호 16:30)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함 |
② 손해배상청구(서울중앙지방법원, 2020가합585446)
구분 |
내용 |
소제기일 |
2020.9.29. |
소송 당사자 |
원고: 한화에너지 주식회사, 피고: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소송의 내용 |
원고는 당사의 계약해지를 이유로 당사에 대한 손해배상 책임을 주장 |
소송가액(백만원) |
2,440 |
진행상황 |
’20.9.29. 소제기 ’20.12.24. 원고 측에서 청구금액 확장하는 청구취지 변경 신청서 접수 (201백만 원⇒2,440백만 원) ’21.4.14. 조정불성립 결정 ’21.6.4. 제1회 변론기일 ‘21.8.27. 감정기일 및 제2회 변론기일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1심 계속 중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함 |
[가공부문]: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유통부문]
① 주식교환무효의 소 항소심 (대법원, 2021다287553)
구분 |
내용 |
소제기일 |
1심: ’20.02.19. 항소심: ’20.12.15. |
소송 당사자 |
원고: 강ㅇㅇ 피고: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외 1 |
소송의 내용 |
2019.11.26. 한화솔루션 주식회사(합병 전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와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간 체결된 주식교환계약에 따른 주식의 포괄적 교환이 무효임을 확인 |
소송가액(백만원) |
100 |
진행상황 |
2020.02.19. 소장접수 2020.11.27. 1심 판결선고(피고 승소) 2020.12.15. 원고 항소 2021.05.27. 항소심 1회 변론기일(10:30) 2021.07.01. 항소심 2회 변론기일(14:20) 2021.08.19. 항소심 3회 변론기일(14:20) |
향후 소송일정 및 대응방안 |
법적 절차에 따라 대응 |
향후 소송결과에 따라 회사에 미치는 영향 |
최종결과 및 회사의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을 합리적으로 예측 불가 |
※ 이외에도 다수의 회사 또는 개인과 정상적인 영업과정에서 발생한 소송 등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에 따른 자원의 유출금액 및 시기는 불확실하며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이러한 소송 등의 결과가 연결실체의 재무상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태양광부문]
①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Hanwha Solarone(beipiao) Co., Ltd
연번 |
원고 |
피고 |
소송의 내용 |
소송금액 |
1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모듈공급계약 위반 위약금 청구 등 |
170,088,183 |
2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계약대금 청구 |
63,975,000 |
3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손해배상 청구 |
40,600,000 |
4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Hanwha Solarone(beipiao) Co., Ltd. |
계약대금 청구 |
84,975,000 |
5 |
Hanwha Solarone(beipiao) Co., Ltd. |
Nantong Suzhong Jianshe Co., Ltd. |
손해배상 청구 |
18,727,500 |
6 |
REC SOLAR Pte. Ltd.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특허침해분쟁 |
100,000,000 |
합계 |
② 한화솔루션(주) 큐셀부문 , Hanwha Q CELLS USA Inc.,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연번 |
원고 |
피고 |
소송의 내용 |
소송금액 |
1 |
(주)에스제이이노테크 |
한화솔루션(주) 외 2 |
손해배상 피소 사건 |
3,400 |
2 |
호리코리아㈜ |
한화솔루션㈜ |
채무부존재확인 피소 |
328 |
3 |
(반소) 한화솔루션㈜ |
(반소) 호리코리아㈜ |
대금청구소송 반소 |
357 |
4 |
사단법인 한국화재보험협회 |
한화솔루션(주) 외 3 |
손해배상 피소 사건 |
19 |
5 |
한화솔루션(주) |
윤나리 |
추심금 청구 사건 |
151 |
6 |
동원전기(주) |
한화솔루션㈜ |
청구이의 청구 사건 |
167 |
7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주) |
피고 1: JinkoSolar Holding Co., Ltd., JinkoSolar (U.S.) Inc., Jinko Solar (U.S.) Industries Inc., Jinko Solar Co., Ltd., Zhejiang Jinko Solar Co., Ltd., Jinko Solar Technology Sdn., Bhd. (이상 “Jinko”) |
미국 특허 침해소송 (Delaware 연방지방법원) |
N/A |
8 |
1. 한화솔루션㈜ 2.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피고 1: Jinko Solar Australia Holdings Co. Pty. Ltd. 피고 2: Longi Green Energy Technology Co. Ltd. Longi Solar Australia Pty. Ltd. Longi Solar Technology Co. Ltd. Longi(H.K.) Trading Limited. 피고 3: REC Solar Pte. Ltd. Sol Distribution Pty. Ltd. Baywa R.E. Solar Systems Pty. Ltd. |
호주 특허 침해소송 (시드니 연방법원) |
N/A |
9 |
한화솔루션(주) |
LONGi Netherlands (Trading) BV, LONGi Solar Technologie GmbH, LONGi (H.K.) Trading Limited, Systosolar |
프랑스 특허 침해 소송 |
N/A |
10 |
REC Solar Pte. Ltd. |
1. 한화솔루션(주) 2. Hanwha Q CELLS USA Inc. |
미국 특허 침해소송 (Delaware 연방지방법원) |
N/A |
11 |
Advanced Silicon Group Technologies LLC |
1.한화솔루션 2.Canadian Solar 3.Boviet Solar |
미국 특허 침해소송 (ITC 미국 무역위원회) |
N/A |
12 |
Advanced Silicon Group Technologies LLC |
1.한화솔루션 2.Canadian Solar 3.Boviet Solar |
미국 특허 침해소송 (캘리포니아 연방 지방법원) |
N/A |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현황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원료부문 채무보증에 관한 사항은 「Ⅹ.대주주 등과의 거래내용, 1.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등, 가.채무보증내역」과 「Ⅲ.재무에 관한 사항, 5.재무제표 주석, 29.특수관계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한화글로벌에셋(주)
증권신고서 제출일 전일 기준 한화글로벌에셋은 해외현지법인 등의 원활한 자금조달 및 비용 최소화등을 목적으로 국내외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차입금 등에 대해 112,952백만원의 채무보증을 제공하고있으며 그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USD, 천EUR, 천CNY) |
구 분 | 채무보증 받은 자 | 통 화 | 기초채무보증금액 | 증감 | 기말채무보증금액 | 보증내역 | 채권자 |
---|---|---|---|---|---|---|---|
종속회사 | Hanwha Q CELLS USA, Inc. | USD | 113,333 | -36,667 | 76,667 | 산업은행 뉴욕 외 | |
HQC MAYWOOD LLC | USD | 10,690 | -2,181 | 8,509 | 리스료 지급보증 |
PNC Energy Capital LLC |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USD | 10,298 | -1,347 | 8,951 | PNC Energy Capital LLC | ||
합 계 | USD | 134,321 | -40,194 | 94,127 |
※적용환율 :\/USD = 1,200.00 |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 당분기 해당사항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1) 금융기관 차입약정
(단위 : 천원, 천USD, 천EUR, 천CNY, 천CZK, 천MYR, 천THB, 천MXN) |
약정내용 | 회사 | 통화 | 한도금액 |
당좌차월 | 한화솔루션(주) | KRW | 6,000,000 |
한화컴파운드(주) | KRW | 9,500,000 |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THB | 3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CZK | 127,475 | |
수입관련 Usance | 한화솔루션(주) | USD | 343,700 |
한화컴파운드(주) | USD | 1,000 | |
수출관련 D/A, D/P, Local 및 무역어음 등 | 한화솔루션(주) | USD | 50,000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THB | 70,000 | |
기타 차입한도 | 한화솔루션(주) | KRW | 1,409,000,000 |
USD | 500,650 | ||
EUR | 115,000 |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KRW | 79,500,000 | |
한화컴파운드(주) | KRW | 2,000,000 |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 KRW | 11,724,000 | |
해맞이태양광발전(주) | KRW | 1,121,000 | |
하이패스태양광 ㈜ | KRW | 9,080,500 | |
해사랑태양광 주식회사 | KRW | 6,945,000 |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CNY | 1,960,000 | |
USD | 90,000 |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THB | 90,000 | |
Hanwha Holdings(USA), Inc. | USD | 238,506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USD | 255,500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USD | 6,741 | |
Hanwha Q CELLS Co., Ltd. | CNY | 190,000 | |
USD | 310,000 |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CNY | 190,000 | |
USD | 140,000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USD | 50,000 |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KRW | 80,000,000 | |
Hanwha Q CELLS Gmbh | EUR | 125,000 |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MYR | 795,151 | |
USD | 270,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CNY | 35,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CNY | 22,00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CZK | 356,930 |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MXN | 112,867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CNY | 164,000 | |
USD | 3,500 | ||
합 계 | KRW | 1,614,870,500 | |
USD | 2,259,597 | ||
EUR | 240,000 | ||
CNY | 2,561,000 | ||
MYR | 795,151 | ||
CZK | 484,405 | ||
THB | 190,000 | ||
MXN | 112,867 |
2) 주식 매매계약서상의 약정사항
회사는 2021년 7월 30일 삼성물산㈜, 삼성SDI㈜로부터 한화임팩트㈜(구, 한화종합화학㈜)의 지분을 인수하였습니다. 지분 인수 대금 및 이자 약 4,793억원 중 약 1,917억원은 1차 지급 완료하였으며, 2023년 7월까지 2차 및 3차 지급금 약 2,876억원을 지급할 예정입니다. 2차 및 3차 지급금의 지급 담보를 위해 양수하는 주식 중 일부에 대해 질권을 설정하였습니다.
회사는 2021년 8월 19일 웨이브일렉트로닉스㈜로부터 ㈜더블유오에스 지분을 100% 인수하여 지배력을 획득하였습니다. 이전 대가와 관련하여 추가적으로 400억원의 조건부대가(Earn-out) 조항이 포함되어 있으며 수주 및 매출액 목표 달성 시 2022년~2025년까지 최대 400억원을 분할지급할 예정입니다.
3) 임직원을 위한 지급보증
한화솔루션㈜는 2021년 09월 30일 현재 임직원에 대한 28,826백만원의 대출과 관련하여 차입처에 대해 지급보증(대출보증액: 34,592백만원)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3. 제재 등과 관련된 사항
1) 수사/사법기관의 제재현황
(1). 회사의 제재 현황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주) | 2017.06.23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 회사 | 벌금 부과 | 500만원 | - | - 사유 :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설치 및 조업행위 - 근거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
- 단속 즉시 전남도청으로부터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10기에 대한 허가 취득 | - 향후 사전 허가 취득 및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해 타 사업장과 허가 관련 정보 공유 |
2017.08.24 | 울산지방법원 | 회사 | 약식기소 및 벌금 부과 | 200만원 | - | - 사유: 2017년 1월 25일 울산3공장에서 탱크 내부의 슬러지 반출 작업 중 상부 슬러지 붕괴로 인한 매몰 사고가 발생에 의해 작업자 1명이 사망 - 근거법령: 산업안전보건법, 형법 |
-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를 완료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2017.11.21 | 광주지방법원 | 회사 | 벌금 부과 | 500만원 | - | - 사유: 여수공장에서 2017년5월22일 유기용제 누출사고 및 2017년 5월 30일 고압분리기 화재사고가 발생 - 근거법령: 산업안전보건법 |
-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를 완료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2018.11.15 | 울산지방법원 | 회사 | 벌금 2,000만원 | - | - | - 사유 : 울산2공장 염소누출사고에 따른 약식기소 결정에 따른 벌금 부과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형법,형사소송법 |
- 화학사고 발생시 15분 이내에 신고 - 공정 가동시 안전조치 철저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한화글로벌에셋,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2018.11.9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회사 |
100만원의 벌금 약식명령 |
- | - |
- 사유 : 2017. 11. 1.경 회사 음성사업장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환경부령 기준 이상으로 발생되는 배출시설 2기를 시도지사의 배출시설 설치 허가 받지 아니하고 설치하여 사용함 |
- 벌금 납부완료 |
배출에 대한 도지사 허가받고, 월2회 외부 공인기관에 검사 의뢰함 |
(2) 임/직원의 제재현황
회사 | 일자 | 제재 기관 |
대상자 | 전현직 여부 |
근속 연수 |
조치내용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2017.06.23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
환경안전부장 |
전직 |
28.8개월 |
벌금부과 500만원 |
- 사유 :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설치 및 조업행위 - 근거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
- 단속 즉시 전남도청으로부터 무허가 대기배출시설 10기에 대한 허가 취득 |
- 향후 사전 허가 취득 및 관련 법령 준수를 위해 타 사업장과 허가 관련 정보 공유 |
2018.11.15 |
울산지방법원 |
공장장 |
전직 |
30년 이상 |
벌금 부과 1,000만원 |
- 사유 : 울산2공장 염소누출사고에 따른 약식기소 결정에 따른 벌금 부과 |
- 화학사고 발생시 15분 이내에 신고 - 공정 가동시 안전조치 철저 |
- 산업안전보건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2020.1.20.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
직원 2인 |
현직 |
각 9년 1개월, 8년 5개월 |
벌금 각 700만원 |
- 사유: 대기오염물질 측정대행업체와 공모하여, 측정하지 않고 기록부를 작성하거나, 실제 측정값보다 낮은 기록부를 작성하였고, 이를 유관기관에 제출하여 공무원의 업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혐의 - 근거법령: 환경시험검사법, 형법 |
- 벌금 납부 완료 및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 완료 - 광주지방법원 항소심 계류 중 |
- 환경시험검사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2020.9.1. |
광주지방법원 순천지원 |
직원 |
현직 |
25년 3개월 |
벌금 1,000만원 |
- 사유: 대기오염물질 측정대행업체와 공모하여, 측정하지 않고 기록부를 작성하거나, 실제 측정값보다 낮은 기록부를 작성하였고, 이를 유관기관에 제출하여 공무원의 업무집행을 방해하였다는 혐의 - 근거법령: 환경시험검사법, 형법 |
- 벌금 납부 완료 및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 완료 - 대법원 상고심 계류 중 |
- 환경시험검사법 및 관련 법령 준수 |
|
한화글로벌에셋,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2018.11.9 |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 |
직원 |
전직 |
- |
벌금 부과 100만원 |
- 사유 : 2017. 11. 1.경 회사 음성사업장에서 특정대기유해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환경부령 기준 이상으로 발생되는 배출시설 2기를 시도지사의 배출시설 설치 허가 받지 아니하고 설치하여 사용함 |
- 벌금 납부완료 |
배출에 대한 도지사 허가받고, 월2회 외부 공인기관에 검사 의뢰함 |
2) 행정기관의 제재현황
(1) 회사의 제재 현황
가) 조세당국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2018.02.20 | 국세청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법인세등 총 572억원 부과 |
법인세등 총 572억원 부과 |
- | 국세기본법 제81조의 12 | - 2018년 4월 30일 납부완료 - 카메라사업 비적격분할 과세처분(324.4억원)에 대해서는 2018년 6월 27일 과세처분 취소 심판청구 제기 - 2019년 8월 13일 당사 의견 인용 결정 - 2019년 9월 332.9억원 당사 수취(사건 종결) |
세무 관련 내부교육 및 관리 강화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2021.04.21 | 서울지방국세청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가산세 (법인세) |
- 법인세 963백만원 - 지방소득세 1,342백만원 |
- | - 법인세법 제15,19, 23, 25, 28, 40, 42, 52조 - 부가가치세법 제10, 12조 |
- 가산세 납부완료 (2021.05.31) |
- 시정 조치 및 특별 교육 실시 |
나) 공정거래위원회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주) 케미칼부문 |
2020.12.22 |
공정거래위원회 |
회사 |
-과징금 납부명령 -시정명령 (향후 행위 금지 명령) |
15,687백만원 |
- |
- 사유: 2008년경부터 2019년경까지의 당사와 ㈜한익스프레스 간의 컨테이너 내륙운송, 탱크로리 운송 거래에 대하여 공정거래법 위반(부당지원) -근거법령: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제23조 제1항 제7호 |
-과징금 납부 완료(2021. 3. 5.) |
- 과징금 등 처분 취소 행정소송 제기(2021. 1. 19.) |
㈜한화갤러리아 |
2017.06.21. |
공정거래위원회 |
회사 |
시정명령 및 과징금 |
224백만원 |
- |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
- 과징금 납부 |
공동판촉행사 약정서 체결관련 사내재교육 및 이행여부 사내 점검 실시 |
(주)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2017.06.21 |
공정거래위원회 |
회사 |
시정명령 및 |
224백만원 |
- |
대규모유통업법 위반 |
- 과징금 납부 |
공동판촉행사 약정서 체결관련 사내재교육 및 이행여부 사내 점검 실시 |
다) 관세청: 해당사항 없음
라) 기타
회사명 | 일자 | 제재기관 | 대상자 | 처벌 또는 조치 내용 |
금전적 제재금액 |
횡령/배임 등 금액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솔루션 |
2016.12.21 |
금융위원회 |
회사 |
- 1개월간(2016.12.21~2017.1.20) 증권발행 제한 |
- | - |
- 사유: 피합병법인(주)한화베이시스(舊 (주)드림파마)의 '특수관계자에 대한 '05~'06년 자금대여거래'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2017.04.06 |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환경부, 한국환경공단 |
회사 |
- 1차 경고 및 과태료 |
240만원 |
- |
- 사유 : 환경분야 통합지도점검수검시 도급신고 미이행 적발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
유해화학물질 취급업체 도급신고 이행 및 관리 |
사내 작업하는 모든 협력업체 인원에 대해서 전원 교육실시 |
|
2017.12.08 |
여수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한국환경공단, 영산강유역환경청 환경감시단 |
회사 |
과태료 |
144만원 |
- |
- 사유 :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사업장 정밀점검 수검시 유해화학물질 취급종사자 안전교육 미이수 적발 - 근거법령 : 화학물질관리법 |
- 추가 지적사항 발생치 않도록 관리 |
- 2018년 유해화학물질 취급자 및 종사자 전원 교육 실시 예정 |
|
2018.05.17 |
부산지방노동청 울산지청, |
회사 |
부분작업중지명령, |
- |
- |
- 사유: 2018년 5월 17일 울산2공장 염소 하역시설에서 염소를 하역하던 중 플렉시블 호스를 통해 염소가 누출되어 당사 직원 1명, 협력업체 직원 2명 및 인근 주민 25명이 염소가스를 흡입하는 사고가 발생 - 근거법령: 화학물질관리법, 산업안전보건법 |
- 설비 개선 및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 완료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2019.03.08 |
광주지방고용노동청 전남권 중대산업사고 예방센터 |
회사 |
과태료 |
144만원 |
- |
- 사유 : 안전작업허가 세칙 미준수 외 8건 |
과태료 납부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2019.05.03 |
전라남도 |
회사 |
제1공장 과태료 200만원 제 2공장 과태료 200만원 제3공장 과태료200만원 |
좌동 |
- |
- 사유 : 자가측정결과 거짓 기록 - 근거 법령: 대기환경보전법 |
- 과태료 납부 |
대기환경보전법 등 환경 관련 제반 규정 준수 노력 |
|
2019.05.31 |
전남권 중대산업사고예방센터 |
회사 |
과태료 |
224만원 |
- |
-사유 : 공정안전정보 최신화 누락 외 13건 -근거 법령 : 산업안전보건법 |
- 과태료 납부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2021. 7. 14. |
전라남도 |
회사 |
1차 경고 및 과태료 |
200만원 |
- |
-사유 : 부식·마모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새나가는 배출시설 방치 -근거 법령 : 대기환경보전법 |
-과태료 납부(160만원 사전납부) -지적사항에 대한 개선조치 완료 |
안전환경 제반 규정 준수 |
|
한화글로벌에셋, 한화솔루션(주) 첨단소재부문 |
2016.12.21 |
금융위원회 |
회사 |
-과징금 부과 |
600백만원 |
- |
- 사유: 특수관계자에 대한 '04~'06년 자금대여거래 등 주석 미기재, 증권신고서 거짓 기재 |
- 과징금 납부완료(2017.03.08)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한화갤러리아 |
2016.12.28 |
금융위원회 |
회사 |
-과징금 720백만원 |
좌동 |
- |
- 사유: 특수관계자에 대한 '04~'06년 자금대여거래 등의 주석 미기재, 증권신고서 거짓 기재 |
- 과징금 납부완료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2016. 12.27 |
금융위원회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 과징금 60백만원, 감사인 지정 2년 (2016.12.28) - 과징금 60백만원 부과처분 취소 (2019.04.24) |
60백만원 | - | 제26기('04년)~제28기('06년)까지의 재무제표 상 특수관계자 자금대여거래에 대한 주석 미기재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부칙 제8635호, 舊증권거래법 제206조의 11 제1항,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제16조 2항, 외부감사 및 회계 등에 관한 규정 제55조) |
- 과징금 납부(2017.03.02) - 감사인 지정조치 이행 |
- 금감원 배포(2013년 11월)공시모범사례를 기준으로 주석 사항을 지속 관리해왔으므로 오류 재발 가능성 없음 - 향후에도 특수관계자 거래 관련 주석 공시를 철저하게 관리하여 재발 방지 |
2020. |
평창시청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 과태료 20만원 | 20만원 | - | 숙박업 기존영업주 공중위생교육 미이수 (공중위생관리법 제17조) |
- 과태료 납부 완료 |
- 시정 조치 및 특별 교육 실시 |
|
2020. 08.01 |
국립농산물 품질관리원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 과태료 30만원 | 30만원 | - | 조식뷔페 원산지 미표시 (농수산물의 원산지 표시에 관한 법률 제5조 제1항·제3항·제4항) |
- 과태료 납부 완료 | - 시정 조치 및 특별 교육 실시 | |
2021. 02.16 |
서울지방 고용노동청 |
한화호텔앤드리조트(주) | -과태료:240만원 | 240만원 | - |
산업재해 발생 미 신고 (산업안전보건법 제57조 1항, 제3항 동법 |
- 과태료 납부 완료 |
- 사고 보고 체계 개편 및 교육 실시 |
|
한화투자증권 |
2018.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약식제재금 부과 |
부과: 1백만원 납부: 1백만원 |
- |
프로그램매매 호가표시 위반 |
- 약식제재금 납부 |
- 업무매뉴얼 정비 및 모니터링 강화 - 예방교육 실시 |
2019. 07.09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불성실공시법인지정 제재금 부과 |
부과: 4백만원 납부: 4백만원 |
- |
타법인주식및출자증권취득결정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제33조) |
- 불성실공시법인공시(5영업일) - 제재금 납부 |
- 업무매뉴얼 정비 | |
2020.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약식제재금 부과 |
부과: 1.5백만원 납부: 1.5백만원 |
- |
프로그램매매 호가표시의무 위반 |
- 약식제재금 납부 |
- 재발방지를 위한 자체점검 및 교육실시 - 편람/매뉴얼 업무정의 수정 - 시스템 변경 등 사전제어 |
|
2020. |
한국 |
한화투자증권 |
약식제재금 부과 |
부과: 2백만원 납부: 2백만원 |
- |
미결제약정수량 보유한도 위반 |
- 약식제재금 납부 |
- 재발방지를 위한 자체점검 및 교육실시 - 편람/매뉴얼 업무정의 수정 - 시스템 변경 등 사전제어 |
(2) 임/직원의 제재현황
가) 조세당국: 해당사항 없음
나) 공정거래위원회: 해당사항 없음
다) 관세청: 해당사항 없음
라) 기타
회사 | 일자 | 제재 기관 |
대상자 | 전현직 여부 |
근속 연수 |
조치내용 | 사유 및 근거법령 | 조치에 대한 이행현황 | 재발방지를 위한 대책 |
---|---|---|---|---|---|---|---|---|---|
㈜한화갤러리아 |
2016.12.28 |
금융위원회 |
전 대표이사 |
전직 |
- |
과징금 16백만원 |
- 사유: 특수관계자에 대한 '04~'06년 자금대여거래 등의 주석 미기재, 증권신고서 거짓 기재 |
- 과징금 납부완료 |
- 회계처리 기준 준수 |
(주)한화 저축은행 |
2018. 10.18 |
금융감독원 |
前성남지점장 |
전직 | 18년 3개월 |
주의 |
[사유] 2. 舊 「상호저축은행법 시행령」 제11조의6 4.「상호저축은행업감독업무시행 |
1. 원안대로 처리 2. 감사위원회 '금감원 검사결과 조치요구' 보고 3. 검사결과 조치요구사항 정리 보고서 금감원제출(2018.11.29) |
대출심사 철저 해당 대출상품 신규 중단 |
2019. 01.08 |
금융감독원 |
前준법감시인 |
전직 | 17년 4개월 16년 3개월 |
주의 |
[사유] 2.「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7조 4.「특정 금융거래정보의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8조의2 |
1. 원안대로 처리 2. 감사위원회 '금감원 검사결과 조치요구’보고 3. 검사결과 조치요구사항 정리 보고서 금감원제출(2019.03.27) |
자금세탁 교육 자금세탁방지 관련 전산시스템 개선 |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기타사항
가.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1) RES Mediterranee 지분인수 및 현물출자
회사는 유럽 재생에너지 개발 사업 확장을 목적으로 프랑스의 RES Mediterranee 지분 100%를 EUR 727백만에 인수를 완료 하였습니다. 회사는 유럽 신재생에너지 사업 재편 목적으로 당사가 보유한 RES프랑스 지분 100%를 당사 100%자회사 독일 현지법인인 한화EU에너지솔루션('Hanwha EU ENERGY Solutions SE')에 현물출자해 한화EU에너지솔루션이 발행하는 신주 1,000만주를 인수할 예정으로 신주 취득 예정시기는 2022년 1월 24일입니다. RES프랑스 지분 100%(313만 3,565주)에 대한 처분금액은 1조 42억원입니다.
2) 특수관계인에 대한 출자
회사는 한화호텔앤드리조트㈜의 유상증자(출자금액: 28,779백만원)에 참여하기로 이사회 의결하였습니다. (출자 예정일: 2021년 11월 25일) 또한, 회사는 Hanwha Q CELLS Co., Ltd.의 유상증자(출자금액: 59,260백만원)에 참여하였습니다(출자일: 2021년 11월 8일).
3) 美 랜시움 테크놀리지(Lancium Technologies·랜시움) 투자
회사는 2021년 11월, 미국 텍사스 휴스텀에 위치한 데이터센터 전력관리 전문기업인 스타트업에 1억달러(약 1,200억)를 투자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4)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회사는 미국 내 태양광 제조 Value Chain (폴리실리콘) 원료 공급 안정성 확보 목적으로 2021년 11월 18일 REC Silicon ASA의 16.67% 지분취득을 결정하였고 2022년 1월 19일 지분취득 예정입니다.
5)신규시설 투자 등
회사는 2021년 12월 21일부터 2025년 2월 28일까지 국내외 시장 수요에 대응 목적으로 CA생산설비 증설 목적으로 3,380억원의 신규시설 투자를 실행할 계획입니다.
6) 삼성전기(주) 통신모듈 사업 일부 인수
회사는 2021년 12월 30일 삼성전기(주) 통신모듈 일부 사업 인수에 대한 계약체결을 마치고 2022년 3월말까지 인수를 위한 최종 절차를 마무리할 예정입니다.
나. 합병등의 사후정보
[한화케미칼-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합병을 통해 한화솔루션 출범]
가) 합병기일 : 2020년 1월 1일
나) 합병방법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가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 함
- 존속회사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 소멸회사 :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 (가칭, "분할신설회사")
※ 한화케미칼이 100% 지분을 보유한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는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1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분할대상사업부문을 인적분할의 방식으로 분할하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가칭, 이하"분할신설회사")를 설립하고, 분할회사는 한화글로벌에셋 주식회사(가칭, 이하"분할존속회사")로 상호를 변경하여 존속하기로 함. 위 분할신설회사인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를 흡수합병 함
다) 합병형태 : 소규모 합병
라) 합병목적 :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마) 합병의 중요영향 및 효과
한화케미칼 주식회사는 분할신설회사 한화큐셀앤드첨단소재 주식회사의 발행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진행하므로 본 합병이 존속회사인 한화케미칼 주식회사의 경영, 재무, 영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나, 완전자회사 합병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및 사업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바) 주요일정
구분 |
한화케미칼 주식회사 |
분할신설회사 한화큐셀앤드 |
|
합병이사회 결의일 |
2019.07.30 |
2019.09.05 |
|
주요사항보고서 제출 |
2019.07.30 |
- |
|
합병계약일 |
2019.09.20 |
2019.09.20 |
|
주주확정 기준일 |
2019.09.20 |
- |
|
합병반대의사 통지 접수기간 |
시작일 |
2019.09.20 |
- |
종료일 |
2019.10.04 |
- |
|
합병승인 이사회 |
2019.11.13 |
2019.11.13 |
|
채권자 이의제출 기간 |
시작일 |
2019.11.14 |
2019.11.14 |
종료일 |
2019.12.13 |
2019.12.13 |
|
합병기일 |
2020.01.01 |
2020.01.01 |
|
합병종료보고 이사회 결의일 |
2020.01.02 |
2020.01.02 |
|
합병종료보고 공고일 |
2020.01.02 |
2020.01.02 |
|
합병등기예정일자 |
2020.01.06 |
2020.01.06 |
- 본 합병 완료 후 2020년 1월 2일 임시주주총회를 통해 한화케미칼 주식회사는 한화솔루션 주식회사로 사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본 합병의 전후 매출액 및 영업이익 등 재무사항에 대한 예측치는 별도로 산출하지 않았습니다.
[한화솔루션-한화갤러리아, 도시개발부문(분할법인) 합병]
가) 합병기일 : 2021년 4월 1일
나) 합병방법 : 한화솔루션㈜는 ㈜한화갤러리아를 합병하고 및 ㈜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 함
- 존속회사 : 한화솔루션 주식회사
- 소멸회사 : 주식회사 한화갤러리아
- 분할회사: 주식회사 한화도시개발
※ 분할합병을 통해 ㈜한화도시개발은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 11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자회사 및 피투자회사 지분의 관리 및 투자를 목적으로 하는 사업부문(기존 ㈜한화도시개발 사업부문 중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제외한 나머지 사업부문, 이하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인적 분할하여,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한화솔루션㈜에 흡수합병(이하 “본건 분할합병”)하는바, 이를 통해 ㈜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영위하는 회사로 존속하게 됨
다) 합병형태 : 소규모합병
라) 합병목적 : 경영효율성 제고 및 사업경쟁력 강화
마) 합병의 중요영향 및 효과
한화솔루션(주)은 (주)한화갤러리아와 (주)한화도시개발의 발행주식을 100% 소유하고 있으며, 합병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진행하므로 본건 합병 및 분할합병이 존속회사인 한화솔루션(주)의 경영, 재무, 영업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나, 완전자회사 합병을 통한 경영효율성 증대 및 사업경쟁력 강화가 기대됨
합병으로 (주)한화갤러리아는 소멸하고, 한화솔루션㈜는 ㈜한화갤러리아의 기존 사업을 전부 승계받아 영위하며, 본건 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본건 합병으로 한화솔루션㈜ 주주의 구성 및 지분율 변동은 없음
본건 분할합병으로 ㈜한화도시개발은 울주부동산 관련 사업부문을 지속 영위하는 회사로서 존속하고, 한화솔루션㈜는 분할합병 대상부문을 승계받아 영위하며, 본건 분할합병은 신주를 발행하지 않는 무증자 합병으로 본건 분할합병으로 한화솔루션㈜ 및 ㈜한화도시개발 주주의 구성 및 지분율 변동은 없음
바) 주요일정
구 분 |
한화솔루션 |
(주)한화갤러리아 (소멸회사) |
(주)한화도시개발 (분할회사) |
이사회결의일 |
2020년 12월 08일 | 2020년 12월 08일 | 2020년 12월 08일 |
합병계약체결일 |
2020년 12월 22일 | 2020년 12월 22일 | 2020년 12월 22일 |
주주명부폐쇄 공고일 | - | - | - |
주주명부폐쇄 기준일 | - | - | - |
주주총회를 위한 주주명부폐쇄기간 |
- | - | - |
주주총회 소집통지 공고 | - | - | - |
합병반대주주 사전통지기간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01월 06일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01월 06일 |
2020년 12월 23일 ~ 2021년 01월 06일 |
합병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일 |
- | - | - |
주식매수청구권 행사기간 |
- | - | - |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 2021년 02월 20일 ~ 03월 19일 | 2021년 02월 20일 ~ 03월 19일 | 2021년 02월 20일 ~ 03월 19일 |
합병기일 |
2021년 04월 01일 | 2021년 04월 01일 | 2021년 04월 01일 |
합병종료보고 이사회 결의일 | 2021년 04월 01일 | 2021년 04월 01일 | 2021년 04월 01일 |
합병종료보고 공고일 | 2021년 04월 01일 | 2021년 04월 01일 | 2021년 04월 01일 |
합병등기(예정)일 |
2021년 04월 02일 | 2021년 04월 02일 | 2021년 04월 02일 |
합병신주상장(예정)일 | - | - | - |
다. 녹색경영
1) 녹색기업 지정
당사의 울산 1사업장은 2008년 1월 녹색기업 재지정 심사를 완료하여 2013년 1월까지 녹색기업으로 재지정 되었으며, 2013년 8월 녹색기업 재지정 심사를 완료하여 녹색기업으로 재지정 되었습니다. 이후 2016년 12월 녹색기업재지정 신청 취소하였습니다. (사유 : CA공정 매각에 따른 후속조치로 재지정 심사를 받기 어렵다고 판단함.) 울산 2사업장은 2015년 사고로 인하여, 녹색기업을 낙동강유역환경청에 반납하였습니다.
2)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연도 |
연간 온실가스 |
연간 에너지 |
비고 |
2021년 3분기 |
1,853,942 | 37,753 | 당사는 배출권 대상 관리업체로서 케미칼부문 총 8개 사업장, 큐셀부문 총 5개 사업장, 첨단소재부문 5개 사업장 대상임 |
2020년 | 2,368,358 | 46,260 | |
2019년 | 2,473,510 |
48,397 |
*상기 현황은 법정 제3자 검증 후 정부에 제출한 자료임.
라. 정부의 인증 및 그 취소에 관한 사항
당사 케미칼부문은 가족친화 사회환경 조성촉진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족친화 기업 인증을 여성가족부로부터 2013.12.09에 획득하였으며, 해당 인증의 유효기간은 2018년12월01일 부터 2021년11월30일까지 2년 입니다.
또한, 큐셀부문은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ㆍ이용ㆍ보급 촉진법에 따라 저탄소 태양광모듈 검증 인증을 산업통상자원부 산하 한국에너지공단으로부터 2020.09.16에 획득하였으며, 해당 인증의 유효기간은 2020년 09월 16일 부터 2023년 09월 15일까지 3년 입니다.
마.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채무재조정 사유의 변동현황
- 해당사항 없음
바. 보호예수 현황
보호예수 현황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주) |
주식의 종류 | 예수주식수 | 예수일 | 반환예정일 | 보호예수기간 | 보호예수사유 | 총발행주식수 |
---|---|---|---|---|---|---|
보통주 | 6,143,396 | 2021.03.18 | 2022.03.19 | 1년 | 우리사주의예탁 | 192,402,234 |
XI. 상세표
1. 연결대상 종속회사 현황(상세)
(단위 : 백만원) |
상호 | 설립일 | 주소 | 주요사업 |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
지배관계 근거 | 주요종속 회사 여부 |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2015-06-05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81, 202호(역북동, 용인상공회의소) | 부동산업 | 20,438 | 실질지배력 | - |
㈜김해테크노밸리 | 2009-09-01 | 경상남도 김해시 내외중앙로 55 정우빌딩 5층 | 부동산업 | 13,396 | 실질지배력 | - |
㈜서산테크노밸리 | 2007-02-09 | 충남 서산시 성연면 성연3로 240-72 | 부동산 개발 및 분양 | 12,565 | 실질지배력 | - |
㈜서오창테크노밸리 | 2020-08-04 |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서로 107 906호(강서동) | 부동산업 | 2,309 | 실질지배력 | - |
㈜안성테크노밸리 | 2019-07-16 | 경기도 안성시 아양3로 17, 4층(옥산동, 엘림프라자) | 산업단지 개발 | 4,574 | 실질지배력 | - |
㈜에이치밸리 | 2010-01-22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청원리 817-1 | 부동산신축 판매 및 매매 | 2,708 | 실질지배력 |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2020-02-19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81 202호(역북동) | 부동산업 | 4,930 | 실질지배력 | -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1979-05-30 | 대전광역시 서구 대덕대로 211(둔산동) | 백화점 | 342,476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한화도시개발 | 2009-12-01 | 충남 아산시 둔포면 해위안길62번길 16 | 부동산 신축 판매 및 매매외 | 211,103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한화비앤비 | 2013-12-01 | 서울시 동대문구 왕산로 10(신설동, 교보재단빌딩 5,6층) | 음식, 도매, 소매 | 9,192 | 실질지배력 | - |
영암테크노태양광㈜ | 2013-06-27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나불로 206, 2층 205호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9,351 | 실질지배력 | - |
영암해오름태양광㈜ | 2013-06-27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산수산단2로 202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6,539 | 실질지배력 | - |
에이치에스아이㈜ | 2014-12-19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산수산단2로202 | 태양전지 및 태양광발전시스템 | 17,255 | 실질지배력 | - |
하이패스태양광㈜ | 2012-10-05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86(장교동)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9,859 | 실질지배력 | - |
해맞이태양광발전㈜ | 2012-10-09 | 광주광역시 북구 추암로 93(대촌동) | 태양광 발전사업 | 1,121 | 실질지배력 | - |
해사랑태양광㈜ | 2014-06-23 | 서울특별시 중구 청계천로 86 한화빌딩 9층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0,000 | 실질지배력 | -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 2019-10-21 |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산수산단2로 202 | 태양광 발전업 | 7,285 | 실질지배력 | - |
한화글로벌에셋㈜ | 1999-07-01 | 세종특별자치시 부강면 금호안골길 79-20 | 합성수지가공외 | 669,929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한화컴파운드㈜ | 1962-06-25 | 전라남도 여수시 삼동로 93 (월하동) | COMPOUND 제조 | 76,545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2009-07-13 | 서울 중구 청계천로 86(장교동) 한화빌딩 | 지주회사 | 78,474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2003-04-21 | Rm#2106, New Caohejing International Business Center A, No. 391, Guiping Road, Xuhui District, Shanghai, China 200233 | 무역업 | 35,218 | 실질지배력 | - |
ARBECA SOLAR SLU | 2019-10-10 | CALLE GRAN VIA, NUM. 4 28013 MADRID - (MADRID) | 태양광 사업 | 5 | 실질지배력 | - |
Avenir el Divisadero SpA | 2014-11-18 | Street Enrique Foster # 39. Floor 12, Las Condes, Santiago, Region Metropolitana. Chile | EPC 건설업 | 1,205 | 실질지배력 | - |
CASTELLDANS SOLAR SLU | 2019-10-10 | CALLE GRAN VIA, NUM. 4 28013 MADRID - (MADRID) | 태양광 사업 | 5 | 실질지배력 | - |
CASTELLNOU SOLAR SLU | 2019-10-15 | CALLE GRAN VIA, NUM. 4 28013 MADRID - (MADRID) | 태양광 사업 | 5 | 실질지배력 | - |
Don Rodrigo Hive SL | 2016-09-22 | C/ REYES CATOLICOS 31 2 A, ALICANTE, Spain | 태양광 사업 | 492 | 실질지배력 | -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1, LLC | 2012-09-05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nited States | 태양광 발전 | 15,827 | 실질지배력 | - |
Guadajoz Hive SL | 2017-07-11 | C/ REYES CATOLICOS 31 Esc.2º A, ALICANTE, Spain | 태양광 사업 | 615 | 실질지배력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2005-03-25 | 4400 North Industrial Park, Opelika, AL 36801, USA | 자동차부품제조업 | 181,727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2003-03-17 | No 4. Lixiang Road, Zhongguancun Science Park (East Section), Changping Qu, Beijing, China 10220 | 자동차부품소재 제조 | 23,859 | 실질지배력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 Ltd. | 2015-10-08 | No. 18 Qixia Rd, New North Zone Chongqing, PR China | 자동차부품제조업 | 9,133 | 실질지배력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2007-12-05 | RM 205, Ostravska 494, 739 25 Sviadnov, Czech | 자동차부품소재 제조 | 88,002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2015-04-01 | ndustriestraße 27 92345 Dietfurt Germany | 자동차부품제조업 | 22,859 | 실질지배력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2007-09-01 | 4400 North Park Drive, Opelika, AL 36801, USA | 지주회사 | 43,080 | 실질지배력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2007-08-22 | 4400 North Industrial Park, Opelika, AL 36801, USA | 지주회사 | 148,548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2015-04-01 | Av. Tecnologico 1345, Col. Monterrey Technology Park, Cienega de Flores, Nuevo Leon, Mexico CP 65550 | 자동차부품제조업 | 37,402 | 실질지배력 | -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2005-07-12 | No.1201,Xingrong Road, Jiading Industrial Zone(North), Shanhai, China 201807 | 자동차부품제조업 | 44,534 | 실질지배력 | -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2002-07-01 | 225 N. Columbus Drive, Suite 100,Chicago, IL 60601, USA | 지주회사 | 108,568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AZDEL, Inc. | 1972-11-19 | 2000 Enterprise Drive, Forest, VA 24551,USA | 자동차부품제조업 | 160,099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2008-09-08 | Ningbo, Zhejiang 315812, China | 화합물 제조 | 413,427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Chemical (Thailand) Co., Ltd. | 1989-08-09 | Samutrakarn 10540, Thailand | 화합물 제조 | 37,787 | 실질지배력 | -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2014-07-08 | 105-106, Rectangle 1, D-4 , District Centre Saket, New Delhi 110017 | 무역업 | 714 | 실질지배력 | -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 2013-03-06 | No.2204, Level22 Menara Citibank,165, Jalan Ampang, 50450 Kuala Lumpur | 무역업 | 35,898 | 실질지배력 | - |
Hanwha Holdings(USA), Inc. | 2007-08-22 | 300 FRANK W. BURR BLVD. STE 52, TEANECK, NJ 07666 | 지주회사 | 349,878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International Corp. | 1983-01-21 | 300 FRANK W. BURR BLVD. STE 52, TEANECK, NJ 07666 | 지주회사 | 54,698 | 실질지배력 | - |
Hanwha International LLC | 2007-08-22 | 300 FRANK W. BURR BLVD. STE 52, TEANECK, NJ 07666 | 무역업 | 180,294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Machinery Americas, Inc. | 2003-07-02 | 9750 S. Oakwood Park Dr., Franklin, WI 53132 | 공작기계 판매 사업 | 4,879 | 실질지배력 | - |
Hanwha Parcel O LLC | 2009-06-26 | 225 N.Columbus Dr. Chicago, IL USA | 부동산 개발 사업 | 20,006 | 실질지배력 | - |
Hanwha Property USA LLC | 2014-04-03 | 300 FRANK W. BURR BLVD. STE 52, TEANECK, NJ 07666 | 부동산 개발 및 관리 | 3,528 | 실질지배력 | - |
Hanwha PVPLUS LLC | 2012-06-05 | 300 FRANK W. BURR BLVD. STE 52, TEANECK, NJ 07666 | ESS(Energy Storage System) 투자사업 | 13,755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2007-09-10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관련제품 판매 | 565,393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America Project Holdings | 2016-04-20 | Corporation Trust Center, 1209 Orange Street, in the City of Wilmington, Delaware 19801 | 태양광 프로젝트 투자 | 30,386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2011-05-26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nited States | 태양광 에너지 관련 통합솔루션 제공 | 211,248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2012-10-19 | Suite 1402, 20 Berry Street North Sydney NSW 2060 Australia | 태양광 관련제품 판매 | 57,111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2012-05-08 | 2860 Innovation Drive London, Ontario Canada N6M 0C5 | 태양광 관련 제품 판매 | 20,175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Chile SpA | 2014-04-25 | Miraflores 222, Piso 28, Santiago, Chile | 태양광 발전시스템 건설 및 판매 | 37,213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Co., Ltd. | 2006-05-12 | South Church Street, George Town, Grand Cayman, Cayman Islands | 지주회사 | 2,375,991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Qidong) Co., Ltd. | 2004-08-27 | 888 Linyang Road, Qidong, Jiangsu Province, PRC | 태양광 관련제품 제조 및 판매 | 1,149,713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2015-12-21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nited States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40,956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France SAS | 2015-02-12 | Le Calypso, 25 Rue de la petite Duranne, Aix-en-Provence, France | 태양광 사업 | 1,945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GmbH | 2012-10-12 | Sonnenallee 17-21 06766 Bitterfeld-Wolfen Germany | 태양광 관련제품 판매 | 588,210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2007-05-16 | UNITS 1607-8 16/F CITICORP CENTRE 18 WHITFIELD ROAD CAUSEWAY BAY HK | 투자 및 국제 조달 | 1,135,052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2012-10-12 | 87 Mary Street, George Town, Grand Cayman KY1-9005, Cayman Islands | 지주회사 | 557,534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2012-10-19 | Lot 1, SP 2, Seksyen 2 Selangor Science Park 2, 63300 Cyberjaya, Selangor, Malaysia | 태양광 관련제품 제조 | 614,365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Nantong) Co., Ltd. | 2011-04-15 | 1 Nantong Export Processing Zone, Jiangsu Province, PRC | 태양광 관련 제품 제조 및 판매 | 50,950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Peru S.A.C | 2015-11-03 | Av. Javier Prado Oeste 795, Lima, Peru | 태양광 사업 | 1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Servicios Comerciales, S DE RL DE CV | 2015-06-18 | Luz Savinon 13 PH4 Del Valle, C.P. 03101 Mexico, D.F. MEXICO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91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SOLAR POWER SDN. BHD. | 2013-08-16 | Upper Penthouse, Wisma RKT, No. 2, Jalan Raja Abdullah, Off Jalan Sultan Ismail 50300 Kuala Lumpur | 태양광 관련제품 판매 | 343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2006-03-29 | HaoRan High-tech Building, 1954, Huashan Rd. Shanghai PRC | 태양광 관련제품 판매 | 10,923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Til Til Uno SPA | 2014-09-01 | Enrique Foster 39, Piso 12, Las Condes, Santiago, Chile | 태양광 프로젝트 법인 | 3,574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Turkey | 2014-03-13 | Gn. Ali Riza Gurcan Cad. Merter IS Merkezi No:2 Ofis:48 GUNGOREN ISTANBUL | 태양광 발전시스템 건설 및 판매 | 57,062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USA Corp. | 2000-12-22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관련 통합솔루션 제공 | 484,685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Q CELLS USA, INC. | 2018-05-11 | 300 Nexus Drive, Dalton, GA 30720 | 태양광개발/건설 | 339,585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2008-01-30 | 5201 California Ave, STE 220, Bakersfield, CA 93309 | 자원개발 | 22,508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ar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 Ltd. | 2010-05-25 | 888 Linyang Road, Qidong, Jiangsu Province, PRC | 태양광발전시설 건설 | 9,404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arone(beipiao)Co.,Ltd | 2016-07-25 | Xiguanying town Beipiao City Liaoning province | 태양광 사업 | 3,091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arOne (Laiyang) Co., Ltd. | 2015-09-23 | 270 West Longmen Rd., Laiyang, Shandong Province, PR China | 태양광 사업 | 3,743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arOne (Rugao) Co., Ltd. | 2015-10-12 | 88 Weiwu Rd., Changjiang Town, Rugao of Nantong,Jiangsu Province, PR China | 태양광 사업 | -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arOne GmbH | 2008-01-14 | Sonnenallee 17-21 06766 Bitterfeld-Wolfen Germany | 태양광 관련제품 판매 | 724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 2006-05-17 | Kingston Chambers, Road Town, Tortola, British Virgin Islands | 지주회사 | 845,756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Hanwha SolarOne Power Generation (Wuxi) Co., Ltd. | 2014-11-28 | Room 610, 200 Linghu Road, Wuxi T-Park, Jiangsu, P.R.C. | 태양광 사업 | 4,187 | 실질지배력 | - |
HANWHA TECHM USA LLC | 2013-09-11 | 1500 E Highwood Pontiac, MI 48340 USA | 자동차부품 제조업 | 1,337 | 실질지배력 | - |
Hanwha Village Market, LLC | 2010-01-29 | 225 N.Columbus Dr. Chicago,IL USA | 부동산 개발 사업 | 3,064 | 실질지배력 | - |
Hanwha West Properties LLC | 2012-04-09 | 17871 Park Plaza Drive, Cerritos, CA 90703 USA | 부동산 투자 및 임대 사업 | 9,620 | 실질지배력 | - |
HQC Maywood, LLC | 2013-06-0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2,514 | 실질지배력 | - |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 | 2015-12-11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nited States | 태양광 발전 | 7,181 | 실질지배력 | - |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2015-07-2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발전 | 6,176 | 실질지배력 | - |
HQ MEX, LLC | 2013-03-18 | Luz Savinon 13 PH4, Del Valle, C.P. 03100, Mexico, D.F., MEXICO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 | 실질지배력 | - |
HQ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 2013-06-07 | Luz Savinon 13 PH4, Del Valle, C.P. 03100, Mexico, D.F., MEXICO | 태양광 에너지 관련 통합솔루션 제공 | 9,364 | 실질지배력 | - |
HQ MEXICO Solar I S DE RL DE CV | 2013-11-27 | Luz Savinon 13 PH4, Del Valle, C.P. 03100, Mexico, D.F., MEXICO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7,035 | 실질지배력 | - |
HQ MEXICO Solar II S DE RL DE CV | 2016-02-08 | Luz Savinon 13 PH4, Del Valle, C.P. 03100, Mexico, D.F., MEXICO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2,048 | 실질지배력 | - |
HSEA HVES, LLC | 2012-08-23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70 | 실질지배력 | - |
HSESM American Union LLC | 2011-07-0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292 | 실질지배력 | - |
HSESM PlanadaES LLC | 2011-07-0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137 | 실질지배력 | - |
HSESM LeGrandUHS LLC | 2012-02-0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641 | 실질지배력 | -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2016-07-05 | Chengguan town YuCai road,Huoqiu County | 태양광 사업 | 6,077 | 실질지배력 | - |
INCOGNITWORLD, LDA. | 2016-10-14 | Porto Concelho: Santo Tirso Freguesia: St.Tirso, Couto (S.Cristina e S.Miguel) e Burgaes 4780 132 Santo Tirso | 태양광 사업 | 385 | 실질지배력 | -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2012-08-23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11,631 | 실질지배력 | - |
KMPT Solarpark Verwaltung GmbH | 2015-06-25 | Lorenzweg 5, 12099 Berlin/ Germany | 태양광 사업 | 9 | 실질지배력 | - |
Las Coronadas Hive SL | 2017-05-15 | C/ REYES CATOLICOS 31 2º A, ALICANTE, Spain | 태양광 사업 | 580 | 실질지배력 | - |
Malhada Green S.A | 2019-05-22 | Avenida das Tulipas, nº 6, 5º - Miraflores Office Center Distrito: Lisboa Concelho: Oeiras Freguesia: Alges, Linda-a-Velha e Cruz Quebrada-Dafundo 1495 - 158 Alges | 태양광 사업 | 6,634 | 실질지배력 | - |
PV Jagodne Sp. z.o.o. | 2019-03-04 | ul. SZCZESLIWICKA, nr 54, lok. 345, miejsc. WARSZAWA, kod 02-353, poczta WARSZAWA, kraj POLSKA | 태양광 사업 | 2 | 실질지배력 | - |
PV Vallenar Uno SpA | 2015-01-09 | Street Enrique Foster # 39. Floor 12, Las Condes, Santiago, Region Metropolitana. Chile | 지주회사(SPC) | 2,469 | 실질지배력 | - |
Q CELLS DO BRASIL CONSULTORIA EMPRESARIAL LTDA | 2019-01-15 | AVENIDA DAS NACOES UNIDAS 14261, VILA GERTRUDES, CONJ 2401B E, SAO PAULO 04794-000 | 태양광 사업 | 14 | 실질지배력 | - |
REUS SOLAR SLU | 2019-10-15 | CALLE GRAN VIA, NUM. 4 28013 MADRID - (MADRID) | 태양광 사업 | 5 | 실질지배력 | - |
SFH Solarpark GmbH | 2015-06-26 | Lorenzweg 5, 12099 Berlin/ Germany | 태양광 사업 | 14 | 실질지배력 | - |
Silesian Sun Energy Sp. z o.o. | 2014-07-01 | ul. BUKOWINSKA, nr 22, lok. 211, miejsc. WARSZAWA, kod 02-703, poczta WARSZAWA, kraj POLSK | 태양광 사업 | 160 | 실질지배력 | - |
Solar Monkey 1, LLC | 2009-08-12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452 | 실질지배력 | - |
Solar Monkey 2, LLC | 2009-08-12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에너지 발전사업 | 327 | 실질지배력 | - |
Universal Bearings LLC | 2007-08-22 | '431 N. BIRKEY DR. PO BOX 38, BREMEN, IN 46506 USA | 베어링제조업 | 95,247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VECIANA SOLAR SLU | 2019-10-10 | CALLE GRAN VIA, NUM. 4 28013 MADRID - (MADRID) | 태양광 사업 | 5 | 실질지배력 | - |
WSE Bradley Road Ltd | 2013-05-10 | Barmoor Farm House, Barmoor, Mopeth NE61 6LB, UK | 태양광 사업 | 7,976 | 실질지배력 | - |
Aslan Gunes Enerjisi A.S. | 2015-06-03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39 | 실질지배력 | - |
Hiprom Enerji Yatirlmlari A.S. | 2015-01-08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5,058 | 실질지배력 | - |
Sema Enerji Uretim Ltd. Sti. | 2015-05-05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47 | 실질지배력 | - |
Alkin Enerji Uretim Ltd. Sti. | 2015-05-05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45 | 실질지배력 | - |
Kartal Enerji Uretim Ltd. Sti. | 2015-05-05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40 | 실질지배력 | - |
Mutlak Enerji Uretim Ltd. Sti. | 2015-05-05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42 | 실질지배력 | - |
Elcin Enerji Uretim Ltd. Sti. | 2015-03-04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44 | 실질지배력 | - |
Fnt Gida Turizm Ic Ve Dis Ticaret Sanayi Ltd. Sti. | 2009-01-05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910 | 실질지배력 | - |
Meva Muhendislik Bilisim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San.Ve Dis Tic. Ltd. Sti. | 2010-12-02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826 | 실질지배력 | - |
Serimer Optik Medikal Kirtasiye Temizlik Insaat Ithalat Ihra cat Sanayi Tic. Ltd. Sti. | 2010-03-15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004 | 실질지배력 | - |
Marel Bilisim Muhendislik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Gida San. Ve Dis Tic. Ltd. Sti. | 2015-03-20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954 | 실질지배력 | - |
Fior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 | 2015-12-02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506 | 실질지배력 | - |
Toprakkale Altyapi ve Malzeme Hizmetleri A.S. | 2015-04-29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843 | 실질지배력 | - |
Ulu Gunes Enerjisi AnonimSirketi | 2015-12-02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056 | 실질지배력 | - |
Moravia Enerji Sanayi ve Ticaret Ltd. Sti. | 2015-05-14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2 | 실질지배력 | - |
Uno Enerji A.S. | 2015-11-24 | COBANCESME MAH. SANAYI CAD. Kapi No:44 D Daire No:155 Tel:2124154348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7 | 실질지배력 | - |
Aceka 2 Gunes Enerjisi A.S.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802 | 실질지배력 | - |
Aceka 3 Gunes Enerjisi A.S.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844 | 실질지배력 | - |
Bilgidar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747 | 실질지배력 | - |
Buselik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515 | 실질지배력 | - |
Buselik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751 | 실질지배력 | - |
Dimetoka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1,520 | 실질지배력 | - |
Dimetoka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812 | 실질지배력 | - |
Isfahan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747 | 실질지배력 | - |
Onan 2 Gunes Enerji Uretim A.S.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951 | 실질지배력 | - |
Onan 3 Gunes Enerji Uretim A.S. | 2019-12-12 | COBANCESME MAH. SANAYI CAD. NISH RESIDENCE D BLOK, Kapı No:44 D Daire No:155, BAHCELiEVLER iSTANBUL | 태양광 사업 | 893 | 실질지배력 | - |
CAPRICORNIO ENERGY, S.L. | 2019-11-20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486 | 실질지배력 | - |
GALAXY ENERGY, S.L. | 2019-11-20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430 | 실질지배력 | - |
GREEN RIC ENERGY, S.L. | 2019-02-08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1,041 | 실질지배력 | - |
HESTIA SUN, S.L. | 2019-11-20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1,285 | 실질지배력 | - |
LASTRAFI POWER, S.L. | 2019-11-20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1,526 | 실질지배력 | - |
REAL ENERGY POWER, S.L. | 2019-11-20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594 | 실질지배력 | - |
SILVER RIC ENERGY, S.L. | 2018-09-06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343 | 실질지배력 | - |
SPRING POWER, S.L. | 2018-11-26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ºC | EPC 건설업 | 384 | 실질지배력 | - |
Coniglio Solar Holdings, LLC | 2020-01-23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 태양광개발 | 6,212 | 실질지배력 | - |
HQC Solar Holdings 1, LLC | 2020-03-02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 태양광개발 | 979 | 실질지배력 | - |
Kellam Solar Holdings, LLC | 2020-01-23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 태양광개발 | 93,127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Rippey Solar Holdings, LLC | 2020-01-23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 태양광개발 | 89,889 | 실질지배력 | 해당(자산총액 750억원 이상) |
GALGO POWER, S.L. | 2018-07-11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28046 Madrid - (Madrid) | EPC 건설업 | 465 | 실질지배력 | - |
LEBREL POWER, S.L. | 2018-11-26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28046 Madrid - (Madrid) | EPC 건설업 | 467 | 실질지배력 | - |
PODENCO POWER, S.L. | 2018-09-06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28046 Madrid - (Madrid) | EPC 건설업 | 477 | 실질지배력 | -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2020-04-29 | 4 Devonshire Street, London, England, W1W 5DT | 투자자문업 | 3,101 | 실질지배력 | - |
HQC PORTUGAL HOLDINGS, LDA. | 2020-07-02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8 | 실질지배력 | - |
SACRAMENTO DIRECTORSHIP, S.L. | 2020-02-24 | GRAN VIA 4, 28013 Madrid, Spain | EPC 건설업 | 36,877 | 실질지배력 | - |
QSUN PORTUGAL 2, UNIPESSOAL LDA | 2020-09-01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95 | 실질지배력 | - |
QSUN PORTUGAL 3, UNIPESSOAL LDA | 2020-09-01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05 | 실질지배력 | - |
QSUN PORTUGAL 4, UNIPESSOAL LDA | 2020-09-01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16 | 실질지배력 | - |
QSUN PORTUGAL 5, UNIPESSOAL LDA | 2020-09-01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9 | 실질지배력 | - |
QSUN PORTUGAL 6, UNIPESSOAL LDA | 2020-09-01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9 | 실질지배력 | - |
QSUN PORTUGAL 7, UNIPESSOAL LDA | 2020-09-01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9 | 실질지배력 | - |
Kellam Solar Class B, LLC | 2020-10-14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 태양광개발 | 4,301 | 실질지배력 | - |
INCOGNITWORLD 2, UNIPESSOAL LDA | 2020-12-17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 | 실질지배력 | - |
INCOGNITWORLD 3, UNIPESSOAL LDA | 2020-12-17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 | 실질지배력 | - |
INCOGNITWORLD 4, UNIPESSOAL LDA | 2020-12-17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 | 실질지배력 | - |
INCOGNITWORLD 5, UNIPESSOAL LDA | 2020-12-17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 | 실질지배력 | - |
MALHADA GREEN 2, UNIPESSOAL LDA | 2020-12-17 | Avenida Sousa Cruz, n° 671, Loja 3, 4780-365 Santo Tirso, Portugal | EPC 건설업 | 1 | 실질지배력 | - |
ALDGATE EAST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ALFAZ DIRECTORSHIP,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ALQUIZAR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ANNAPURNA SERVICIOS EMPRESARIAL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BENIF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BURETE DIRECTORSHIP,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CABUYA CORPORATE SERVIC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CANARY WHARF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CANNING TOWN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COMBA DIRECTORSHIP,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CONVENT GARDEN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DICKSON SERVICIOS EMPRESARIAL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EMPER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ENDINO SERVICIOS EMPRESARIAL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GARDAYA INVESTMENT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KADOK CORPORATE SERVIC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KAMPALA CORPORATE SERVIC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MONTALBAN DIRECTORSHIP,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NEPAL SERVICIOS EMPRESARIALES,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OTERO DIRECTORSHIP, SL | 2020-12-04 | Paseo de la Castellana 143, 7ª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HAMC Holdings Corp | 2020-12-08 | 251 Little Falls Drive Wilmington, DE USA 19808 | 지주회사 | 10,982 | 실질지배력 | - |
DIONISIO SUN, S.L. | 2019-01-21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 EPC 건설업 | 396 | 실질지배력 | - |
VALS ENERGY POWER, S.L. | 2018-05-29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 EPC 건설업 | 410 | 실질지배력 | - |
BOLERO ENERGY, S.L. | 2019-11-27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 EPC 건설업 | 421 | 실질지배력 | - |
CAMPANA ENERGY, S.L. | 2019-11-27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28046 Madrid - (Madrid) | EPC 건설업 | 64 | 실질지배력 | - |
PALOMA POWER, S.L. | 2018-07-11 | Passeo de la Castellana, Nº143, 7ºC 28046 Madrid - (Madrid) | EPC 건설업 | 137 | 실질지배력 | - |
Growing Energy Labs, Inc. | 2008-05-13 | 111 New Montgomery St., Suite 500 San Francisco, CA 94105 | 에너지관리시스템 | 1,146 | 실질지배력 | - |
CLAVE DE SOL ENERGY, S.L.U | 2018-10-25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599 | 실질지배력 | - |
IRON POWER ENERGY, S.L.U | 2020-09-06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556 | 실질지배력 | - |
LINE ENERGY, S.L.U | 2018-10-25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584 | 실질지배력 | - |
RIMA ENERGY, S.L.U | 2018-10-25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1,375 | 실질지배력 | - |
GAVILAN POWER, S.L.U | 2019-11-27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1,310 | 실질지배력 | - |
GERIFALTE POWER, S.L.U | 2019-11-27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1,316 | 실질지배력 | - |
HARRIER POWER, S.L.U | 2019-11-27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1,312 | 실질지배력 | - |
㈜에이치테크노밸리 | 2021-03-10 | 경기도 화성시 향남읍 상신하길로 326, 302호(탑스프라자1) | 부동산업 | - | 실질지배력 | -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 2021-02-25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대불주거로 51 | 전기자재 | - | 실질지배력 | - |
Espardell Directorship, SL | 2020-10-20 | Calle Monte esquinza 30, 28010 Madrid, Spain | EPC 건설업 | 3 | 실질지배력 | - |
AZOR POWER SL | 2019-11-15 | Paseo De La Castellana 140 - 7ºc 28046 - Madrid | EPC 건설업 | 1,741 | 실질지배력 | -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2021-05-21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Johnson City Solar,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Johnson City Storage,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Plateau Solar,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Plateau Storage,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Purvis Solar,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Purvis Storage,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South Cheyenne Solar, LLC | 2021-06-17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NUN SUN POWER S.L. | 2019-09-17 | Calle Paseo de la Castellana 140, 7C. Madrid, Spain. | EPC 건설업 | 709 | 실질지배력 | - |
ISIS SUN POWER S.L. | 2019-04-12 | Calle Paseo de la Castellana 91, Madrid, Spain. | EPC 건설업 | 345 | 실질지배력 | - |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 2021-04-06 | El Paseo de la Castellana Nº 143, 7º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 2021-04-07 | El Paseo de la Castellana Nº 143, 7º planta, 28046. Madrid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 2019-06-07 | Sevilla, calle Ciudad de Ronda, numero 8, semisotano | EPC 건설업 | 2 | 실질지배력 | - |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 2019-06-07 | Sevilla, calle Ciudad de Ronda, numero 8, semisotano | EPC 건설업 | 2 | 실질지배력 | - |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2021-04-07 | Calle Monte Esquinza, 30 - BJ IZ, Madrid, 28010 , Madrid | EPC 건설업 | - | 실질지배력 | - |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2021-07-23 | 전라남도 영암군 삼호읍 대불주거로 51 | 태양광 사업 | - | 실질지배력 | - |
주식회사 더블유오에스 | 2021-05-04 | 경기도 평택시 포승읍 평택항로268번길 142 | 디스플레이 부품 제조업 | - | 실질지배력 | -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 2021-04-09 | 251 LITTLE FALLS DRIVE, Wilmington, DE, 19808, USA | 지주회사 | - | 실질지배력 | - |
HSHC NAM INV LLC | 2021-08-20 | 251 LITTLE FALLS DRIVE, Wilmington, DE, 19808, USA | 지주회사 | - | 실질지배력 | - |
HSHC LIBRA INV LLC | 2021-08-30 | 251 LITTLE FALLS DRIVE, Wilmington, DE, 19808, USA | 지주회사 | - | 실질지배력 | - |
HANWHA Q CELLS US O&M LLC | 2021-08-04 | 300 Spectrum Center Drive Suite 1250, Irvine, CA 92618, USA | 태양광 사업 | - | 실질지배력 | - |
Hanwha Cimarron LLC | 2008-07-15 | 4912 MOORES MILL RD, HUNTSVILLE, AL 35811 USA | 수소탱크 제조업 | 1,870 | 실질지배력 | - |
Cabrero Solar SPA | 2018-11-26 | BADAJOZ #130 St Dept. #1501 Las Condes, Santiago, Chile | 태양광 사업 | 60 | 실질지배력 | - |
Centauro Solar Spa | 2018-11-26 | APOQUINDO 5400 21st FL OF. 2101 B- COMUNA LAS CONDES, Chile | 태양광 사업 | 374 | 실질지배력 | - |
Draco Solar SPA | 2020-02-26 | APOQUINDO 5400 21st FL OF. 2101 B- COMUNA LAS CONDES, Chile | 태양광 사업 | 0 |
실질지배력 | - |
2. 계열회사 현황(상세)
1) 국내법인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사) |
상장여부 | 회사수 | 기업명 | 법인등록번호 |
---|---|---|---|
상장 | 7 | ㈜한화 | 110111-0002959 |
한화생명보험㈜ | 110111-0003204 | ||
한화손해보험㈜ | 110111-0006456 | ||
한화솔루션㈜ | 110111-0360935 |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194211-0000480 | ||
한화투자증권㈜ | 110111-0003155 | ||
한화시스템㈜ | 176011-0020640 | ||
비상장 | 78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160111-0003410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134511-0262242 | ||
㈜김해테크노밸리 | 195511-0120447 | ||
농업회사법인그린투모로우㈜ | 134511-0150356 | ||
대산그린에너지㈜ | 161411-0041942 | ||
드림플러스아시아 유한회사 | 134514-0002931 | ||
㈜데이터애널리틱스랩 | 110111-6791192 | ||
㈜에이치피앤디 | 134511-0314225 | ||
㈜서산테크노밸리 | 161411-0017852 | ||
석문호수상태양광㈜ | 165011-0061928 | ||
양주에코텍㈜ | 110111-4483840 | ||
㈜에스아이티 | 134811-0203993 | ||
㈜에스아이티테크 | 134811-0314477 | ||
㈜에이치밸리 | 134811-0187775 | ||
에이치솔루션㈜ | 110111-2204470 | ||
에코이앤오㈜ | 134111-0226874 | ||
㈜여수씨월드 | 110111-4284602 | ||
영암테크노태양광㈜ | 200111-0372890 | ||
영암해오름태양광㈜ | 200111-0372907 | ||
㈜일산씨월드 | 110111-4368901 | ||
㈜캐스 | 171211-0020972 | ||
캐롯손해보험㈜ | 110111-7107728 | ||
티지솔라넷㈜ | 164311-0016887 | ||
하이패스태양광㈜ | 110111-4974336 | ||
한마을태양광㈜ | 110111-6564812 | ||
한으뜸태양광㈜ | 110111-6606903 | ||
㈜한화63시티 | 110111-0425622 | ||
㈜한화건설 | 110111-2558405 | ||
㈜대전역세권개발피에프브이 | 124411-0284620 | ||
㈜한화도시개발 | 110111-4231596 | ||
한화디펜스㈜ | 194211-0273300 | ||
한화라이프랩㈜ | 110111-3199349 | ||
㈜한화비앤비 | 110111-5281988 | ||
한화손해사정㈜ | 110111-3192913 | ||
한화솔라파워㈜ | 110111-6426434 | ||
한화솔라파워글로벌㈜ | 110111-6560745 | ||
한화에너지㈜ | 110111-3807223 | ||
한화역사㈜ | 110111-0544133 | ||
㈜한화이글스 | 160111-0007214 | ||
한화자산운용㈜ | 110111-0571201 | ||
㈜한화저축은행 | 121111-0059436 | ||
한화정밀기계㈜ | 194211-0273326 | ||
한화임팩트㈜ (구, 한화종합화학㈜) | 161411-0001243 | ||
한화임팩트글로벌㈜ (구, 한화종합화학글로벌㈜) | 110111-6773687 | ||
한화글로벌에셋㈜ | 110111-1725930 |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 154311-0050192 | ||
한화컴파운드㈜ | 161511-0001861 | ||
한화케미칼오버시즈홀딩스㈜ | 110111-4137207 | ||
에이치에스아이㈜ | 154511-0061533 | ||
한화테크엠㈜ | 194211-0056095 | ||
한화테크윈㈜ | 131111-0514404 | ||
한화토탈㈜ | 161411-0013066 | ||
한화파워시스템㈜ | 194211-0273318 |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110111-0249709 | ||
해나라태양광㈜ | 110111-6437118 | ||
해돋이태양광㈜ | 110111-6435518 | ||
해사랑태양광㈜ | 110111-5446863 | ||
㈜한화에스테이트서비스 | 110111-7126249 | ||
해맞이태양광발전㈜ | 200111-0352272 | ||
㈜안성테크노밸리 | 134611-0099669 | ||
㈜제주해양과학관 | 110111-4143577 | ||
해모둠태양광㈜ | 161411-0047445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134511-0438918 | ||
천장산풍력㈜ | 110111-0002959 | ||
㈜서울역북부역세권개발 | 124411-0267337 | ||
㈜서오창테크노밸리 | 150111-0292271 | ||
㈜하나트러스트제5호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110111-7468352 | ||
(주)에이치테크노밸리 | 134811-0608325 | ||
영암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205411-0034374 | ||
아쿠아플라넷 주식회사 | 110111-7839529 | ||
한화생명금융서비스(주) | 110111-7837226 | ||
더테이스터블 주식회사 | 110111-7942778 | ||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 110111-7926912 | ||
파워시스템즈엠에프지코리아(유) (구, 안살도에너지아코리아(유)) | 110114-0181252 | ||
영월천평풍력㈜ | 141411-0016527 | ||
(주)울산복합도시개발 | 230111-0355824 | ||
고흥큐파워솔라팜1호 주식회사 | 205411-0035265 | ||
㈜투게더한라시그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 | 110111-7691391 |
*3분기말기준 지분율 0%, 공정위 계열제외 신고 수리 전
2) 해외법인
회 사 명 | 비 고 |
Abbot Solar, LLC | 미국 |
Aceka 2 Gunes Enerjisi A.S. | 터키 |
Aceka 3 Gunes Enerjisi A.S. | 터키 |
Acropark Golf Corp. | 일본 |
AI Alliance LLC | 캐나다 |
ALDGATE EAST INVESTMENTS, SL | 스페인 |
Alfabeta En. San. ve Tic. A.S. | 터키 |
ALFAZ DIRECTORSHIP, SL | 스페인 |
Alkın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ALQUIZAR INVESTMENTS, SL | 스페인 |
Altinord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ANNAPURNA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PSM Holding USA Corporation (구, Ansaldo Energia Holdings USA Corporation) | 미국 |
Ansaldo Energia Messico S. De R.L. De C.V. | 멕시코 |
Power Systems Mfg. Brazil LTDA. (구, Ansaldo Servicos De Energia Brasil LTDA.) | 브라질 |
Thomassen Energy B.V. (구, Ansaldo Thomassen B.V.) | 네덜란드 |
AP Solar 5, LLC | 미국 |
APEX Machine Tool Company, Inc. | 미국 |
ARBECA SOLAR SLU | 스페인 |
Aslan Gunes Enerjisi A.s. | 터키 |
Atlas Solar II, LLC | 미국 |
Atlas Solar III, LLC | 미국 |
Atlas Solar IV, LLC | 미국 |
Atlas Solar V, LLC | 미국 |
Atlas Solar, LLC | 미국 |
Avenir el Divisadero SpA | 칠레 |
AZOR POWER SL | 스페인 |
Bahcesaray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BENIF INVESTMENTS, SL | 스페인 |
BHS Solar, LLC | 미국 |
Bilgidar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Black Hollow Sun, LLC | 미국 |
BNS Willow, LLC | 미국 |
BOLERO ENERGY, S.L. | 스페인 |
Bonanza Peak Solar, LLC | 미국 |
Boulder Solar III | 미국 |
Boulder Solar IV | 미국 |
Brainum Solar, LLC | 미국 |
BT1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BURETE DIRECTORSHIP, SL | 스페인 |
Buselik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Buselik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Cabrero Solar SPA | 칠레 |
CABUYA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Caltagirone S.r.l. | 이탈리아 |
CAM LAM SOLAR JOINT STOCK COMPANY | 베트남 |
CAMPANA ENERGY, S.L. | 스페인 |
CANARY WHARF INVESTMENTS, SL | 스페인 |
CANNING TOWN INVESTMENTS, SL | 스페인 |
CAPRICORNIO ENERGY, S.L. | 스페인 |
Carco Solar, LLC | 미국 |
CASTELLDANS SOLAR SLU | 스페인 |
CASTELLNOU SOLAR SLU | 스페인 |
CDG BNS 136, LLC | 미국 |
CDG BNS Commerce, LLC | 미국 |
CDG Forest Mall, LLC | 미국 |
CDG Innovo Queens, LLC | 미국 |
CDG Liberty Distributors, LLC | 미국 |
CDG MRP 136, LLC | 미국 |
Cedar Ridge Solar, LLC | 미국 |
Centauro Solar Spa | 칠레 |
Cento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Central Plains Solar, LLC | 미국 |
CLAVE DE SOL ENERGY, S.L.U | 스페인 |
CLEAN SPC 2, SL, S.L.U. | 스페인 |
COMBA DIRECTORSHIP, SL | 스페인 |
CONIGLIO SOLAR CLASS B, LLC | 미국 |
Coniglio Solar Holdings, LLC | 미국 |
CONVENT GARDEN INVESTMENTS, SL | 스페인 |
Copper Valley Solar, LLC | 미국 |
Daiichi Q Solar G.K | 일본 |
Daini Q Solar G.K. | 일본 |
Daisan Q Solar G.K. | 일본 |
Daiyon Q Solar G.K. | 일본 |
Dehesa NHS Holdings S.L.U | 스페인 |
DICKSON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Dimetoka 2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Dimetoka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DIONISIO SUN, S.L. | 스페인 |
Don Rodrigo Hive SL | 스페인 |
DONALLY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Draco Solar SPA | 칠레 |
DUCLO, INC. | 미국 |
East River ESS, LLC | 미국 |
Eastern Plains Solar, LLC | 미국 |
EBTEC Corporation | 미국 |
EDAC ND, Inc | 미국 |
EDAC Technologies Intermediate Company | 미국 |
Elcin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EMBR PTY LTD | 호주 |
EMPER INVESTMENTS, SL | 스페인 |
ENDINO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Espardell Directorship, SL | 스페인 |
Eureka PV Solar, LLC | 미국 |
FAIRLEAD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Fairview Solar, LLC | 미국 |
FCHQC Development, LLC | 미국 |
FFNEV DESARROLLORS ESPANA I, SL | 스페인 |
FFNEV DESARROLLORS ESPANA II, SL | 스페인 |
Fior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 | 터키 |
Fnt Gida Turizm Ic Ve Dis Ticaret Sanayi Ltd. sti. | 터키 |
GALAXY ENERGY, S.L. | 스페인 |
GALGO POWER, S.L. | 스페인 |
GARDAYA INVESTMENTS, SL | 스페인 |
Garnet Solar Power Generation 1, LLC | 미국 |
GAVILAN POWER, S.L.U | 스페인 |
GENIE ENERGY GK | 일본 |
GERIFALTE POWER, S.L.U | 스페인 |
GK Summit Apollo Eleven | 일본 |
Grand Lake Solar II, LLC | 미국 |
Grand Lake Solar, LLC | 미국 |
Gravina S.r.l. | 이탈리아 |
Green Nikola Holdings LLC | 미국 |
GREEN RIC ENERGY, S.L. | 스페인 |
Gregadoo Solar Farm Pty. Ltd. | 호주 |
Gros-lte Industries Inc. | 미국 |
Growing Energy Labs, Inc. | 미국 |
Guadajoz Hive SL | 스페인 |
Gulf Coast Infrastructure Management LLC | 미국 |
Gunesim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H FOUNDATION PTE. LTD. | 싱가포르 |
H Properties TMK | 일본 |
H&D Company Pte. Ltd. | 싱가폴 |
H2 IP UK Limited | 영국 |
HAMC Holdings Corp. | 미국 |
Hanwha 174 PG JV Holdings, LLC | 미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America LLC | 미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Beijing Co., Ltd. | 중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Chongqing Co.,Ltd. | 중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Europe, s.r.o. | 체코 |
Hanwha Advanced Materials Germany GmbH | 독일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Inc. | 미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Holdings USA LLC | 미국 |
Hanwha Advanced Materials Mexico S. De R.L. De C.V. | 멕시코 |
Hanwha Advanced Materials Shanghai Co., Ltd. | 중국 |
HANWHA AERO ENGINES.,LTD | 베트남 |
Hanwha Aerospace USA | 미국 |
Hanwha Aerospace USA LLC | 미국 |
Hanwha America Development Inc. | 미국 |
Hanwha Asset Management (USA) Ltd. | 미국 |
HANWHA ASSET MANAGEMENT PTE. LTD. | 싱가폴 |
Hanwha AZDEL, Inc. | 미국 |
Hanwha Bannerton HoldCo Pty. Ltd. | 호주 |
Hanwha BCGE O&M Limited Liability Company | 베트남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중국 |
Hanwha Chemical (Thailand) Co.,Ltd. | 태국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인도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Hanwha Cimarron LLC | 미국 |
Hanwha Defense Australia Pty Ltd | 호주 |
HANWHA DEFENSE USA,INC. | 미국 |
Hanwha Development USA Inc | 미국 |
Hanwha Energy Australia Pty. Ltd. | 호주 |
Hanwha Energy Corporation Europe S.L.U | 스페인 |
Hanwha Energy Corporation Ireland Limited | 아일랜드 |
Hanwha Energy Corporation Japan | 일본 |
Hanwha Energy Corporation Singapore Pte. Ltd. | 싱가폴 |
Hanwha Energy Corporation Vietnam Co., Ltd | 베트남 |
Hanwha Energy Guam Utilities Service, LLC | 미국 |
Hanwha Energy Retail Australia Pty Ltd | 호주 |
Hanwha Energy Retail Investment Spain S.L.U | 스페인 |
Hanwha Energy Retail Spain S.L.U | 스페인 |
Hanwha Energy Solar, Inc. | 미국 |
Hanwha Energy USA Holdings Corporation | 미국 |
Hanwha Europe GmbH | 독일 |
Hanwha Financial Technology Company Limited | 베트남 |
Hanwha General Chemical AU Pty Ltd | 호주 |
Hanwha General Chemical SG PL | 싱가폴 |
Hanwha General Chemical SPN, S.L.U | 스페인 |
Hanwha Impact Partners INC (구. Hanwha General Chemical USA Corp) | 미국 |
Hanwha H2 Energy USA Corp | 미국 |
Hanwha Holdings(USA), Inc. | 미국 |
Hanwha Hong Kong Co., Ltd. | 홍콩 |
Hanwha International (S) Pte Ltd. | 싱가폴 |
Hanwha International Corp. | 미국 |
HANWHA INTERNATIONAL INDIA PVT., LT | 인도 |
Hanwha International LLC. | 미국 |
Hanwha International Peru S.A.C. | 페루 |
HANWHA INTERNATIONAL VIETNAM | 베트남 |
Hanwha Life Insurance Company Limited. ( Vietnam ) | 베트남 |
Hanwha Machinery Americas, Inc. | 미국 |
Hanwha Machinery Corporation | 미국 |
Hanwha Mining Services Australia Pty., Ltd | 호주 |
Hanwha Mining Services Chile SpA | 칠레 |
Hanwha Mining Services USA Inc. | 미국 |
Hanwha Parcel O LLC | 미국 |
HANWHA PHASOR LTD. | 영국 |
Hanwha Power Systems (Shanghai) Co.,LTD | 중국 |
Hanwha Power Systems Americas, Inc. | 미국 |
Hanwha Power Systems Service Middle East LLC | 아랍에미레이트 |
HANWHA POWER SYSTEMS VIETNAM COMPANY LIMITED | 베트남 |
Hanwha Property USA LLC | 미국 |
Hanwha PVPLUS LLC | 미국 |
Hanwha Q CELLS (Thailand) Co., Ltd | 태국 |
Hanwha Q CELLS America Inc. | 미국 |
Hanwha Q CELLS America Project Holdings | 미국 |
Hanwha Q CELLS Americas Holdings. Corp. | 미국 |
Hanwha Q CELLS Australia Pty Ltd. | 호주 |
Hanwha Q CELLS Canada, Corp. | 캐나다 |
Hanwha Q CELLS Chile SpA | 칠레 |
Hanwha Q CELLS Co., Ltd. | 영국 |
Hanwha Q CELLS EPC USA, LLC | 미국 |
Hanwha Q CELLS France SAS | 프랑스 |
Hanwha Q CELLS Gmbh | 독일 |
Hanwha Q CELLS Hong Kong Limited | 홍콩 |
Hanwha Q CELLS Investment Co., Ltd. | 영국 |
Hanwha Q CELLS Japan Co., Ltd. | 일본 |
Hanwha Q CELLS Malaysia Sdn. Bhd. | 말레이시아 |
Hanwha Q CELLS Peru S.A.C | 페루 |
Hanwha Q CELLS Servicios Comerciales, S DE RL DE CV | 멕시코 |
HANWHA Q CELLS SOLAR POWER SDN. BHD. | 말레이시아 |
Hanwha Q CELLS Technology (Shanghai) Co., Ltd. | 중국 |
Hanwha Q CELLS Til Til Uno SPA | 칠레 |
Hanwha Q CELLS Turkey | 터키 |
HANWHA Q CELLS US O&M LLC | 미국 |
Hanwha Q CELLS USA Corp. | 미국 |
Hanwha Q CELLS USA, INC. | 미국 |
Hanwha Q CELLS(Nantong) Co., Ltd. | 중국 |
Hanwha Q CELLS(Qidong) Co., Ltd. | 중국 |
Hanwha Resources (Canada) Ltd. | 캐나다 |
Hanwha Resources (USA) Corporation | 미국 |
Hanwha Saudi Contracting Co., Ltd. | 사우디아라비아 |
Hanwha Solar Electric Power Engineering Co., Ltd. | 중국 |
Hanwha Solar Power Kitsuki G.K. | 일본 |
Hanwha Solar Power USA Corp. | 미국 |
Hanwha SolarOne (Laiyang) Co., Ltd | 중국 |
Hanwha SolarOne (Rugao) Co., Ltd | 중국 |
Hanwha SolarOne GmbH | 독일 |
Hanwha SolarOne Investment Holding Ltd. | 영국 |
Hanwha SolarOne Power Generation (Wuxi) Co., Ltd. | 중국 |
Hanwha Solarone(beipiao)Co.,Ltd | 중국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 미국 |
Hanwha Systems USA Corporation | 미국 |
Hanwha Systems Vietnam Co., Ltd. | 베트남 |
Hanwha Techm Hungary Zrt. | 헝가리 |
HANWHA TECHM USA LLC | 미국 |
HANWHA TECHWIN AMERICA, INC. | 미국 |
Hanwha Techwin Automation Americas, Inc. | 미국 |
HANWHA TECHWIN AUTOMATION VIETNAM CO,.LTD | 베트남 |
Hanwha Techwin Europe Limited | 영국 |
Hanwha Techwin Middle East FZE | 아랍에미레이트 |
Hanwha Techwin Security Vietnam | 베트남 |
Hanwha Village Market, LLC | 미국 |
Hanwha West Properties LLC | 미국 |
Harlem River ESS, LLC | 미국 |
HARRIER POWER, S.L.U | 스페인 |
HEC Guam A, LLC | 미국 |
HEC Guam Member A, LLC | 미국 |
HEC Guam Partnership A, LLC | 미국 |
HECI Helios 1 S.R.L. | 이탈리아 |
HESTIA SUN, S.L. | 스페인 |
HGC GTL INV LLC | 미국 |
HGC Midstream INV LLC | 미국 |
HGC NEXT INV LLC | 미국 |
H-Global Partners Japan | 일본 |
HHR Development B GK | 일본 |
Hiprom Enerji Yatırımları A.s. | 터키 |
HMS AUSTRALIA OPERATIONS PTY LTD | 호주 |
HMS AUSTRALIA PROPERTY HOLDINGS PTY LTD | 호주 |
Ho`Ohana Solar I, LLC | 미국 |
HQ MEX, LLC | 멕시코 |
HQ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 멕시코 |
HQ MEXICO Solar I S DE RL DE CV | 멕시코 |
HQ MEXICO Solar II S DE RL DE CV | 멕시코 |
HQC Maywood, LLC | 미국 |
HQC PORTUGAL HOLDINGS, LDA | 포르투갈 |
HQC Rock River Solar Holdings LLC | 미국 |
HQC Rock River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미국 |
HQC Solar Holdings 1, LLC | 미국 |
HQC Tatanka Wi Solar Power Generation Station, LLC | 미국 |
HSEA HVES, LLC | 미국 |
HSESM American Union LLC | 미국 |
HSESM LeGrandUHS LLC | 미국 |
HSESM PlanadaES LLC | 미국 |
HSHC LIBRA INV LLC | 미국 |
HSHC NAM INV LLC | 미국 |
HSP TW TE, LLC | 미국 |
HSP TW, LLC | 미국 |
Huoqiu Hanrui New Energy Power Generation co. LTD | 중국 |
HW SOLAR POWER 1 G.K. | 일본 |
HW SOLAR POWER 10 G.K. | 일본 |
HW SOLAR POWER 12 G.K. | 일본 |
HW SOLAR POWER 13 G.K. | 일본 |
HW SOLAR POWER 2 G.K. | 일본 |
HW SOLAR POWER 21 G.K. | 일본 |
HW SOLAR POWER 23 G.K. | 일본 |
HW SOLAR POWER 24 G.K. | 일본 |
HW SOLAR POWER 25 G.K. | 일본 |
HW SOLAR POWER 26 G.K. | 일본 |
HW SOLAR POWER 27 G.K. | 일본 |
HW SOLAR POWER 3 G.K. | 일본 |
HW SOLAR POWER 4 G.K. | 일본 |
HW SOLAR POWER 5 G.K. | 일본 |
HW SOLAR POWER 6 G.K. | 일본 |
HW SOLAR POWER 7 G.K. | 일본 |
HW SOLAR POWER 8 G.K. | 일본 |
HW SOLAR POWER 9 G.K. | 일본 |
Hyperion Solar LLC | 미국 |
Imeson Solar Farm, LLC | 미국 |
INCOGNITWORLD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INCOGNITWORLD 3,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INCOGNITWORLD 4,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INCOGNITWORLD 5,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INCOGNITWORLD, LDA. | 포르투갈 |
Intermountain Holdco, LLC | 미국 |
Intermountain Solar Plant, LLC | 미국 |
Iris del Sol, LLC | 미국 |
IRON POWER ENERGY, S.L.U | 스페인 |
Isfahan 3 Gunes Enerjisi Limited Sirketi | 터키 |
ISIS SUN POWER S.L. | 스페인 |
IZU MEGA SOLAR PARK G.K. | 일본 |
Jindera Solar Farm Pty. Ltd. | 호주 |
Johnson City Solar, LLC | 미국 |
Johnson City Storage, LLC | 미국 |
KADOK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Kalaeloa Renewable Energy Park, LLC | 미국 |
KAMPALA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Kartal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Kellam Solar Class B, LLC | 미국 |
Kellam Solar Holdings, LLC | 미국 |
Kenashiyama SOLAR PARK G.K. | 일본 |
Kidds Store II, LLC | 미국 |
Kidds Store, LLC | 미국 |
KMPT Solarpark Verwaltung GmbH | 독일 |
KN CAM LAM SOLAR JOINT STOCK COMPANY | 베트남 |
Kupehau Solar, LLC | 미국 |
Lamda En. San. ve Tic. A.S. | 터키 |
Las Coronadas Hive SL | 스페인 |
LASTRAFI POWER, S.L. | 스페인 |
LDE Corporation PTY LTD | 호주 |
LDE HOLDINGS PTY LTD | 호주 |
LEBREL POWER, S.L. | 스페인 |
LENEX Co.,Ltd. | 일본 |
LENEX Eletric Power G.K. | 일본 |
LENEX Holdings., LLC.(구. HW SOLAR POWER 14 G.K.) | 일본 |
Linden Solar, LLC | 미국 |
LINE ENERGY, S.L.U | 스페인 |
LLP Zharyk Zol Company 2007 | 카자흐스탄 |
Lumcloon Power Limited | 아일랜드 |
MALHADA GREEN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Malhada Green S.A | 포르투갈 |
Marel Bilisim Muhendislik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Gida San. Ve Dis Tic. Ltd. sti. | 터키 |
Maurice Solar, LLC | 미국 |
Maxxsol 01 srl | 이탈리아 |
Meca Enerji IC ve Dis Ticaret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Meva Muhendislik Bilisim Enerji Insaat Iletisim Turizm San. Ve Dis Tic. Ltd. sti. | 터키 |
MONTALBAN DIRECTORSHIP, SL | 스페인 |
Moravia Enerji Sanayi ve Ticaret Ltd. sti. | 터키 |
Mutlak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Nectr Distributed Energy Pty Ltd | 호주 |
NEPAL SERVICIOS EMPRESARIALES, SL | 스페인 |
NHS Agri-Service Pty Ltd. | 호주 |
NHS Estate Pty Ltd. | 호주 |
NHS Holdings Pty Ltd | 호주 |
NHS Tierra Agropecuaria, S.L.U | 스페인 |
NORWOOD CORPORATE SERVICES, S.L. | 스페인 |
NUN SUN POWER S.L. | 스페인 |
Oberon Solar IB Holdco, LLC | 미국 |
Oberon Solar IB, LLC | 미국 |
OBERON SOLAR II, LLC | 미국 |
OBERON SOLAR III, LLC | 미국 |
Oberon Solar LLC | 미국 |
OBERON SOLAR V, LLC | 미국 |
Onan 2 Gunes Enerji Uretim A.S. | 터키 |
Onan 3 Gunes Enerji Uretim A.S. | 터키 |
OTERO DIRECTORSHIP, SL | 스페인 |
PALOMA POWER, S.L. | 스페인 |
Pinetree Securities Corporation | 베트남 |
Pinetree Securities Pte. Ltd. | 싱가포르 |
Plateau Solar, LLC | 미국 |
Plateau Storage, LLC | 미국 |
PODENCO POWER, S.L. | 스페인 |
Power Systems Mfg. Japan K.K.(구, Power Systems Manufactoring Japan K.K.) | 일본 |
Power Systems Mfg., LLC | 미국 |
Premium Hirafu Properties TMK | 일본 |
Primo Gunes Enerjisi A.S. | 터키 |
PT. Bara Bumi International | 인도네시아 |
PT. Hanwha Life Insurance Indonesia | 인도네시아 |
PT. Hanwha Mining Services Indonesia | 인도네시아 |
Purvis Solar, LLC | 미국 |
Purvis Storage, LLC | 미국 |
PV Jagodne Sp. z.o.o. | 폴란드 |
PV Vallenar Uno SpA | 칠레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영국 |
Q CELLS DO BRASIL CONSULTORIA EMPRESARIAL LTDA | 브라질 |
Q Solar A G.K. | 일본 |
Q Solar B G.K. | 일본 |
QSUN PORTUGAL 2,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QSUN PORTUGAL 3,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QSUN PORTUGAL 4,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QSUN PORTUGAL 5,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QSUN PORTUGAL 6,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QSUN PORTUGAL 7, UNIPESSOAL LDA | 포르투갈 |
Raggio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Razin Elk. Urt. San. ve Tic. A.S. | 터키 |
Razin En. San. ve Tic. A.S. | 터키 |
Razin GES Elektrik Sanayi ve Ticaret A.S. | 터키 |
Razin Gunes Enerjisi Sanayi ve Ticaret A.S. | 터키 |
REAL ENERGY POWER, S.L. | 스페인 |
REUS SOLAR SLU | 스페인 |
RIMA ENERGY, S.L.U | 스페인 |
Rippey Solar Holdings, LLC | 미국 |
ROGGEN FLATS SOLAR, LLC | 미국 |
SACRAMENTO DIRECTORSHIP, S.L. | 스페인 |
SAV Neutron, LLC | 미국 |
Sema Enerji Uretim Ltd. sti. | 터키 |
Serimer Optik Medikal Kirtasiye Temizlik Insaat Ithalat Ihracat Sanayi Tic. Ltd. sti. | 터키 |
SFH Solarpark GmbH | 독일 |
SHANNON SOLAR II, LLC | 미국 |
SHANNON SOLAR III, LLC | 미국 |
SHANNON SOLAR IV, LLC | 미국 |
SHANNON SOLAR V, LLC | 미국 |
SHANNON SOLAR VI, LLC | 미국 |
SHANNON SOLAR, LLC | 미국 |
Shannonbridge Power Limited | 아일랜드 |
Silesian Sun Energy Sp. z o.o. | 폴란드 |
SILVER RIC ENERGY, S.L. | 스페인 |
SIT (Xi'an) Industrial AutomationSystem Co., Ltd | 중국 |
SIT TECH CO.,LTD | 미국 |
SIT TECH VINA COMPANY LIMITED | 베트남 |
Skysol Holdco, LLC | 미국 |
Solar Monkey 1, LLC | 미국 |
Solar Monkey 2, LLC | 미국 |
South Cheyenne Solar, LLC | 미국 |
SPRING POWER, S.L. | 스페인 |
Star Range Solar, LLC | 미국 |
Taurus Solar, LLC | 미국 |
TAWASUL AL-EZDIHAR Co., Ltd | 이라크 |
TC Colorado Solar, LLC | 미국 |
Techren Holdco, LLC | 미국 |
Techren Solar LLC | 미국 |
Techwin Engineering Center | 일본 |
Tecsol Srl | 이탈리아 |
Tessa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Toprakkale Altyapi ve Malzeme Hizmetleri A.s. | 터키 |
TRI ENERGY GLOBAL PTE. LTD. | 싱가포르 |
Triton Storage, LLC | 미국 |
Ulu Gunes Enerjisi Anonim sirketi | 터키 |
Universal Bearings LLC. | 미국 |
Uno Enerji A.s. | 터키 |
VALS ENERGY POWER, S.L. | 스페인 |
VECIANA SOLAR SLU | 스페인 |
Virginia Summerduck LLC | 미국 |
Vizi En. San. ve Tic. Ltd. Sti. | 터키 |
Willow Creek Solar, LLC | 미국 |
World corporation | 미국 |
WPL10 Solar, LLC | 미국 |
WPL4 Solar, LLC | 미국 |
WSE Bradley Road Ltd | 영국 |
동관한화토탈공정소료 유한공사 | 중국 |
한화국제무역(상해)유한공사 | 중국 |
한화기계(소주)유한공사 | 중국 |
한화상업설비(상해)유한공사 | 중국 |
한화테크윈(천진)유한공사 | 중국 |
한화토탈화공무역(상해) 유한공사 | 중국 |
한화투자관리유한공사 | 중국 |
한화화학(상해)유한공사 | 중국 |
합동회사 SDK1호 | 일본 |
174 MEX, LLC | 미국 |
174 MEXICO HOLDINGS, S. DE R.L. DE C.V. | 멕시코 |
174 PG Solar III, S. de R.L. de C.V. | 미국 |
174 PG Torreon, S. de R.L. de C.V. | 멕시코 |
174 Power Global EPC,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FUND MANAGEMENT,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Mexico O&M, S. de R.L. de C.V. | 멕시코 |
174 Power Global Northeast,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O&M,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Properties,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Retail Texas,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Retail, LLC | 미국 |
174 Power Global, LLC | 미국 |
계 | 471 |
3. 타법인출자 현황(상세)
(기준일 : | 2021년 09월 30일 | ) | (단위 : 백만원, 천주, %) |
법인명 | 상장 여부 |
최초취득일자 | 출자 목적 |
최초취득금액 | 기초잔액 | 증가(감소) | 기말잔액 |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
|||||||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취득(처분) | 평가 손익 |
수량 | 지분율 | 장부 가액 |
총자산 | 당기 순손익 |
||||||
수량 | 금액 | ||||||||||||||
(주)한화갤러리아 | 비상장 | 1986.10.21 | 경영권 확보 | 18,000 | 22,000 | 100 | 499,035 | -22,000 | -499,035 | - | - | - | - | 1,893,532 | 7,398 |
(주)한화도시개발 | 비상장 | 2009.12.01 | 경영권 확보 | 265,052 | 10,000 | 100 | 209,771 | -5,310 | -111,396 | - | 4,690 | 100 | 98,375 | 203,155 | 10,614 |
한화호텔앤드리조트㈜ | 비상장 | 1989.12.22 | 경영권 확보 | 2,000 | 5,641 | 48.7 | 241,577 | - | - | - | 5,641 | 47.88 | 241,577 | 2,239,138 | -121,554 |
한화글로벌에셋㈜ | 비상장 | 1999.07.01 | 경영권 확보 | 308,603 | 10,768 | 100 | 735,620 | 4,115 | 264,495 | - | 14,883 | 100 | 1,000,115 | 718,237 | -3,026 |
여천NCC㈜ | 비상장 | 1999.12.29 | 경영권 확보 | 300,000 | 10,000 | 50 | 370,135 | - | - | - | 10,000 | 50 | 370,135 | 2,805,738 | 243,347 |
Hanwha International Corp. |
비상장 | 2006.03.03 | 영업 확대 | 24,939 | 4 | 100 | 55,314 | - | - | - | 4 | 100 | 55,314 | 54,698 | -35 |
Hanwha Chemical (Thailand)Co.,Ltd |
비상장 | 2008.02.29 | 영업 확대 | 7,581 | 11,462 | 99.99 | 24,908 | - | - | - | 11,462 | 99.99 | 24,908 | 37,787 | 2,429 |
한화화학(상해) 유한공사 |
비상장 | 2003.05.23 | 영업 확대 | 239 | - | 100 | 3,210 | - | - | - | - | 100 | 3,210 | 35,218 | 4,300 |
Hanwha Chemical (Ningbo) Co., Ltd |
비상장 | 2008.10.06 | 영업 확대 | 6,774 | - | 100 | 262,048 | - | - | - | - | 100 | 262,048 | 413,427 | 57,833 |
한화케미칼 오버시즈홀딩스㈜ |
비상장 | 2009.07.13 | 영업 확대 | 10 | 190 | 100 | 95,014 | - | - | - | 190 | 100 | 95,014 | 78,474 | -1,946 |
Hanwha Q CELLS Co., Ltd. |
비상장 | 2010.09.16 | 경영권 확보 | 429,275 | 11,811 | 100 | 1,442,598 | 1,979 | 327,425 | - | 13,790 | 100 | 1,770,023 | 2,375,991 | -21,026 |
(주)한주 | 비상장 | 1987.03.02 | 투자 수익 | 4 | 84 | 7.45 | 10,906 | - | - | - | 84 | 7.45 | 10,906 | 439,963 | 573,998 |
Hanwha Chemical Malaysia Sdn.Bhd |
비상장 | 2013.03.06 | 영업 확대 | 1,087 | 9,661 | 100 | 3,314 | - | - | - | 9,661 | 100 | 3,314 | 35,898 | 3,894 |
흥국글로벌사모 증권투자신탁1호 |
비상장 | 2013.11.14 | 투자 수익 | 1,554 | - | 2.11 | 296 | - | - | 25 | - | 2.11 | 321 | 15,876 | -222 |
HANWHA CHEMICAL INDIA PRIVATE LIMITED |
비상장 | 2014.07.17 | 영업 확대 | 169 | 100 | 99.99 | 169 | - | - | - | 100 | 99.99 | 169 | 714 | 152 |
한화임팩트 | 비상장 | 2015.04.30 | 경영권 확보 | 534,906 | 15,319 | 36.05 | 535,477 | 5,052 | 485,964 | - | 20,371 | 47.93 | 1,021,441 | 3,258,636 | 99,240 |
한화컴파운드㈜ | 비상장 | 2015.07.17 | 경영권 확보 | 57,851 | 121 | 100 | 57,851 | - | - | - | 121 | 100 | 57,851 | 76,545 | -1,188 |
해오름태양광발전소 주식회사 |
비상장 | 2019.11.27 | 영업 확대 | 2,305 | 231 | 100 | 2,305 | 150 | 1,500 | - | 381 | 100 | 3,805 | 7,285 | -227 |
Q CELLS ASSET MANAGEMENT LIMITED | 비상장 | 2020.04.29 | 투자 수익 | 3,571 | 2300 | 100 | 3,571 | - | - | - | 2,300 | 100 | 3,571 | 3,101 | -362 |
HAMC Holdings Corp. | 비상장 | 2020.12.08 | 경영권 확보 | 69,640 | 0 | 100 | 11,515 | 1 | 58,125 | - | 1 | 100 | 69,640 | 10,982 | - |
주식회사 더블유오에스 | 비상장 | 2021.08.31 | 경영권 확보 | 101,963 | - | - | - | 2,150 | 101,963 | - | 2,150 | 100 | 101,963 | - | - |
한화역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64,713 | - | - | - | 2,621 | 64,713 | - | 2,621 | 40 | 64,713 | 512,567 | 4,724 |
㈜한화갤러리아타임월드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163,275 | - | - | - | 6,000 | 163,275 | - | 6,000 | 100 | 163,275 | 342,476 | 7,036 |
㈜한화비앤비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4,934 | - | - | - | 200 | 4,934 | - | 200 | 100 | 4,934 | 9,192 | -3,213 |
㈜스마일벤처스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1,947 | - | - | - | 250 | 1,947 | - | 250 | 17.81 | 1,947 | 9,729 | -5,180 |
㈜아산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1,666 | - | - | - | - | - | - | - | - | - | 1,666 | 8 |
㈜경기용인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6,149 | - | - | - | 750 | 6,149 | - | 750 | 75 | 6,149 | 20,440 | -1,886 |
㈜김해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2,455 | - | - | - | 1,600 | 2,455 | - | 1,600 | 80 | 2,455 | 13,396 | -471 |
㈜서산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7,921 | - | - | - | 3,900 | 7,921 | - | 3,900 | 65 | 7,921 | 12,607 | 393 |
㈜에이치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3,536 | - | - | - | 800 | 3,536 | - | 800 | 80 | 3,536 | - | - |
㈜제이용인테크노밸리 | 비상장 | 2021.04.01 | 경영권 확보 | 3,012 | - | - | - | 700 | 3,012 | - | 700 | 70 | 3,012 | 4,930 | -76 |
HANWHA SOLUTIONS USA HOLDINGS CORPORATION | 비상장 | 2021.04.09 | 경영권 확보 | 134,780 | - | - | - | 1 | 134,780 | - | 1 | 100 | 134,780 | - | - |
인비저닝클라이밋솔루션 투자조합 |
비상장 | 2021.08.13 | 투자 수익 | 2,250 | - | - | - | 1,500 | 2,250 | - | 1,500 | 22.49 | 2,250 | - | - |
울산복합도시개발 | 비상장 | 2021.07.23 | 투자 수익 | 6,750 | - | - | - | 1,350 | 6,750 | - | 1,350 | 45 | 6,750 | - | - |
합 계 | 109,692 | - | 4,564,634 | 5,809 | 1,030,763 | 25 | 115,501 | - | 5,595,422 | - | - |
(주1)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에는 2020년도 12월말 자료를 반영하였습니다.
(주2)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였습니다.
(주3) 회사는 2021년 4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주)한화도시개발을 분할/합병하였습니다.
(주4) 2021년 4월 1일 합병기일로, (주)한화갤러리아를 흡수/합병하고, (주)한화도시개발을 분리/합병하면서 한화역사/㈜한화타임월드/㈜한화비앤비/㈜스마일벤처스/㈜아산테크노밸리/㈜경기용인테크노밸리/㈜김해테크노밸리/㈜서산테크노밸리/㈜에이치테크노밸리/㈜제이용인테크노밸리 타법인 출자에 신규 반영하였습니다.
(주5) ㈜에이치테크노밸리와 주식회사 더블유오에스는 각각 2021년 3월, 2021년 7월에 설립된 회사입니다.
(주6) 한화호텔앤드리조트㈜와 ㈜스마일벤처스의 불균등 유상증자에 의하여 회사의 지분율이 감소하였습니다.
(주7) 2021년 7월 5일 청산기일로, ㈜아산테크노밸리는 청산되었습니다.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