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 2021년 10월 26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1년 10월 14일
3. 정정사항
|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 Ⅲ.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 직원 퇴사로 인한 부여대상 및 부여수량 감소 | 주1) | 주2) | 
| Ⅲ. 경영참고사항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 직원 퇴사로 인한 부여대상 및 부여수량 감소 | 주3) | 주4) | 
주1)
|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 김승록 | 등기임원 | 전무이사 | 보통주 | 4,580 주 | 
| 배혁순 | 등기임원 | 상무이사 | 보통주 | 3,940 주 | 
| 김광섭 외 6명 | 미등기임원 | 임원 | 보통주 | 25,820 주 | 
| 김OO 외 150명 | 직원 | 직원 | 보통주 | 227,080 주 | 
| 총(160)명 | - | - | 보통주 | 총(261,420)주 | 
주2)
|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 김승록 | 등기임원 | 전무이사 | 보통주 | 4,580 주 | 
| 배혁순 | 등기임원 | 상무이사 | 보통주 | 3,940 주 | 
| 김광섭 외 6명 | 미등기임원 | 임원 | 보통주 | 25,820 주 | 
| 김OO 외 149명 | 직원 | 직원 | 보통주 | 226,280 주 | 
| 총(159)명 | - | - | 보통주 | 총(260,620)주 | 
주3)
| 구 분 | 내 용 | 비 고 | 
|---|---|---|
| 부여방법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시점에 신주발행교부방식, 자기주식교부방식,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방법 중 행사 시 회사가 정하는 방식 |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 261,420주 |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을 준용하여 임시주주총회 전일(2021년 10월 28일)을 기산일로 하여 3가지 가격의 산술평균가격 (과거 2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과거 1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과거 1주일간 거래량가중산술평균 가격) 2. 행사기간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3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3년 내 | - | 
| 기타 조건의 개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 체결을 위한 일체의 권한은 법령 및 정관의 범위 내에서 대표이사가 행사함 | - | 
주4)
| 구 분 | 내 용 | 비 고 | 
|---|---|---|
| 부여방법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시점에 신주발행교부방식, 자기주식교부방식,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방법 중 행사 시 회사가 정하는 방식 |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 260,620주 |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을 준용하여 임시주주총회 전일(2021년 10월 28일)을 기산일로 하여 3가지 가격의 산술평균가격 (과거 2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과거 1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과거 1주일간 거래량가중산술평균 가격) 2. 행사기간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3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3년 내 | - | 
| 기타 조건의 개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 체결을 위한 일체의 권한은 법령 및 정관의 범위 내에서 대표이사가 행사함 | - | 
주주총회소집공고
| 2021 년 10 월 14 일 |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엠로 | |
| 대 표 이 사 : | 송 재 민 |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당산로41길 11, E동 5층(당산로4가, 당산SK V1센터) | |
| (전 화) 02 - 785 - 9848 | ||
| (홈페이지)http://www.emro.co.kr |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부사장 | (성 명) 김재엽 | 
| (전 화) 02 - 785 - 9848 | ||
주주총회 소집공고
| (제22기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대한민국 상법 제354조 및 당사 정관 제20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2021년 10월 29일(금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로41길 11, 당산 SK V1센터 지식산업센터 E동 지하
              1층 한국에너지기술인협회 대회의실
3. 회의 목적사항: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1-1호 의안: 사외의사 박민수 선임의 건
제2호 의안: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제3호 의안: 정관 일부 변경의 건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14조 제5항 단서규정에 의거하여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 하시거나 또는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할 수 있습니다.
5. 주주총회 참석 준비물
  - 직접행사: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등)
  - 대리행사: 주주총회 참석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6. 기타 안내사항
   -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해 주주총회 참석 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해주시기 바라며, 미착용시 총회장 출입이 제한 될 수 있습니다.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 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절취선---------------------------------
                                              주주총회 위임장
| 주 주 명 | |
| 주민(사업)등록번호 | |
| 주 소 | |
| 주 식 수 | 주 | 
본인은 주식회사 엠로의 주주로서 아래 수임인을 대리인으로 하여 아래의 권한을 위임합니다.
                                       -          아       래         -
위임내용: 2021년 10월 29일 개최되는 주식회사 엠로의 임시주주총회에서 본인을 대리하여 참석, 의결권을 행사하는 권한
수임인 성             명:
           주민등록번호:
           주             소:
                                                                                       2021년      월      일
                                                                                위 임 인:                   (인)
                                                                                수 임 인:                   (인)
※첨부: 위임인의 인감증명서 1부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김학훈 (출석률: 100%) | |||
| 찬 반 여 부 | |||
| 1 | 2021-03-31 | 1.관계회사 (주)인포와이즈와 거래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 2 | 2021-04-22 | 1.코스닥시장 상장 추진의 건 | 찬성 | 
| 3 | 2021-06-24 | 1.산업운영자금대출 기한연장 | 찬성 | 
| 4 | 2021-06-30 | 1. 코스닥시장 이전 상장을 위한 구주매출 2. 코스닥시장 이전 상장을 위한 신주발행 및 구주매출의 건 | 찬성 | 
| 5 | 2021-07-01 | 1. 관계회사 (주)인포와이즈와 거래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 6 | 2021-08-09 | 1. 코넥스시장 상장폐지 및 코스닥시장 상장 결의의 건 | 찬성 | 
| 7 | 2021-08-20 | 1. 관계회사 (주)인포와이즈와 거래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 8 | 2021-09-01 | 1. 관계회사 (주)인포와이즈와 거래 승인에 관한 건 | 찬성 | 
| 9 | 2021-09-16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 10 | 2021-09-17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 11 | 2021-10-12 |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사외이사 | 1 | 1,000 | 12 | 12 | - | 
※ 당사는 정기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를 포함한 이사의 총 보수한도를 승인하였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단위 : 억원) |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단위 : 억원) |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기업을 대상으로 구매SCM 솔루션을 개발하여 공급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구매SCM 프로세스 자동화를 공급하는데 그치지 않고 기업들이 구매SCM을 통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 혁신을 이룰 수 있도록 구매 효율화 진단 및 전략 컨설팅부터 최종 시스템 구축까지 기업 내에서 진행되는 구매SCM 관련 전 분야에 대한 Total 솔루션을 공급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기업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하고 기업들의 의 구매 성과 창출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0년 설립 이후 국내 구매SCM 시장에서 20여년 동안 구매SCM 분야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2016년부터는 Industry 4.0 기반 혁신 솔루션을 꾸준히 출시하였으며 현재 HTML5 글로벌 웹 표준 플랫폼을 근간으로 인공지능, 머신러닝, 클라우드, 데이터 분석엔진, 고성능 검색엔진을 포함한 디지털 신기술을 내재화하여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삼성, LG, 포스코, 현대차, SK, KT, 한화그룹 등 여러 대기업 계열사뿐만 아니라 서울의료원, 한국전력공사, 한국수력원자력,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공기업에도 시스템을 구축하였습니다. 최근에는 구매SCM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하여 LG디스플레이, 빅히트엔터테인먼트, 코웨이, SK넥실리스 등 많은 기업에 도입시킨 사례가 있으며, 최근 특허를 받은 인공지능 기술을 바탕으로 기준정보 표준화 및 중복 방지 솔루션과 비용 분석 솔루션을 출시하여 LG화학, GS칼텍스, 한화건설, 풀무원, 현대자동차 등에 디지털 혁신을 선도한 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구매SCM을 넘어 SCM 전 영역에 걸쳐서 디지털 혁신을 선도하는B2B 전문 솔루션회사로 지속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또한 당사의 종속회사인 인포와이즈는 기준정보 관리 컨설팅 및 솔루션 구축 전문기업입니다. 데이터 컨설팅, 데이터 표준화, 데이터 관리 시스템 구축 및 데이터 유지관리 서비스까지의 데이터 전반에 대한 최적의 솔루션 및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당사 연결실체의 사업 내용] | 
| 회사명 | 사업내용 | 관계 | 비고 | 
| (주)엠로 | 소프트웨어 제조 및 판매 | - | - | 
| (주)인포와이즈 | 소프트웨어 제조 및 판매 컨설팅 | 종속회사 | - |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소프트웨어의 개요
소프트웨어(Software, 이하 SW)란 하드웨어를 작동시키는 운영체계로서 각종 시스템·서비스·네트워크(센서)와 융합함으로써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4차 산업혁명 시대 국가 경쟁력의 핵심 요소입니다. 사전적으로는 SW 산업 진흥법 1장 2조에서 SW를 ‘컴퓨터, 통신, 자동화 등의 장비와 그 주변장치에 대하여 명령, 제어, 입력, 처리, 저장, 출력 등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게 하는 지시·명령 (음성이나 영상정보 등을 포함한다)의 집합과 이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된 기술서나 그 밖의 관련 자료’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SW의 사전적 의미는 4차 산업혁명과 더불어 확장된 개념과 다양한 범위를 포괄하는 실체적 의미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는 소프트파워를 통한 사물의 지능화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서는 제품, 서비스, 기업에 내재화된 SW융합의 구현이 필요하기 때문에 SW의 역할과 중요성은 더욱 확장되고 있습니다. SW는 인간의 창조적 지식·기술을 컴퓨터·시스템을 통해서 구현하여 삶의 질과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핵심기술로 기기-서비스-사람을 연결하는 산업의 성장엔진으로써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산업의 고도화 및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사물인터넷 등 미래 기술의 발전으로 인한 다양한 융·복합 현상의 매개체로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사업은 크게 패키지SW와 IT서비스로 구분됩니다. 패키지SW는 판매, 리스, 대여 또는 서비스 형태로의 제공을 목적으로 상용화된 SW 프로그램을 의미합니다. SW 업체들의 패키지 SW 매출은 통상 SW 라이선스 사용으로 얻는 수익과 SW 사용을 위해 필요한 서비스 비용도 포함합니다. 패키지SW는 제공하는 SW에 따라 구분되는데, OS 또는 시스템 운용 및 관리 SW를 제공하는 시스템 인프라 SW와 응용 SW 개발 지원 및 DBMS 관리, 미들웨어 SW 등을 제공하는 개발용 SW, 다양한 산업과 비즈니스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는 응용 SW로 구분됩니다. 또한, IT서비스는 기업 정보 시스템(Information System)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 정보 시스템의 도입부터 운영 및 관리까지 포괄하는 컨설팅, 구축, 아웃소싱, 지원, 교육 등의 서비스 전반을 포함하며, HW나 SW, 네트워크 장비 등의 IT 제품을 제외한 순수 서비스만 해당됩니다. IT서비스는 크게 IT컨설팅이나 주문형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컨설팅/SI/NI(Consulting/SI/NI), IT 관련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아웃소싱(Outsourcing), 지원 및 교육 (Support and Training)의 3개 부문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 SW 사업의 분류 ] | 
| 구분 | 기능 분야 | |
| 패키지SW | 시스템 인프라 SW | - OS를 포함한 시스템 운용 및 관리를 지원하는 SW 영역으로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관련 제품과 보안 영역 포함 | 
| 애플리케이션 개발/배포 SW (개발용 SW) | - 애플리케이션(응용 SW) 개발을 지원하며, 데이터를 다룰 수 있는 DBMS 영역을 포함 - 응용 SW와 인프라의 연계를 지원하는 다양한 미들웨어 및 통합 플랫폼 SW도 포함 | |
| 애플리케이션 (응용 SW) | - 다양한 산업과 비즈니스에서 프로세스를 자동화하고, 생산성을 높이거나 교육을 지원할 수 있는 프로그램 포함 | |
| IT서비스 | 프로젝트 기반 컨설팅/SI/NI | - IT컨설팅, 시스템 통합, 네트워크 컨설팅 및 통합, 주문형 애플리케이션 개발 | 
| 아웃소싱 | - IT아웃소싱, 애플리캐이션 관리, 네트워크 및 데스크톱 아웃소싱, 호스팅된 애플리케이션 관리, 호스팅 인프라 서비스 | |
| 지원 및 교육 | - HW설치 및 지원, SW 배포 및 지원, IT 교육/훈련 | |
출처 : 2019년 SW산업연간보고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응용SW는 다양한 산업과 비즈니스에 적용하여 업무 효율과 생산성을 높이는 SW 전체를 의미하며 대표적으로는 ERP, CRM, 엔지니어링SW, SCM 등이 있습니다. ERP는 기업내 생산, 물류, 재무, 회계 등 경영활동 전반에 대한 전사적 관리 및 통합시스템이며, CRM은 기업이 고객과 관련된 자료를 통합ㆍ분석하여 고객 중심 자원 극대화 및 마케팅 활동을 계획ㆍ지원하는 시스템입니다. 엔지니어링SW는 가상의 공간에서 제품을 만들고 구동하여 제품의 성능을 사전에 검증ㆍ예측하는 SW입니다. 마지막으로 SCM은 구매, 생산, 유통 등 공급에 관한 영역을 관리하는 시스템입니다. 
| [ 주요 응용 SW ] | 
| 구 분 | 개 념 | 
| ERP |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기업 내 생산, 물류, 재무, 회계, 영업과 재고 등 경영활동 프로세스들을 통합적으로 연계해 관리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시스템 또는 전사적 통합시스템을 말합니다. | 
| CRM |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은 기업이 고객과 관련된 내·외부 자료를 분석·통합해 고객 중심 자원을 극대화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특성에 맞게 마케팅 활동을 계획, 지원, 평가하는 과정입니다. | 
| 엔지니어링 SW | 엔지니어링SW는 컴퓨터를 활용한 가상의 공간에서 제품을 제작하고, 구동하는 등 실제와 동일한 조건에서 테스트를 통해 제품을 만들어 보지 않고 제품의 성능을 검증·예측하는 공학 소프트웨어다. | 
| SCM |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원재료의 생산 및 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를 말합니다. | 
(나)  SCM 산업의 발전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고객의 요구사항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충족시키기 위해 공급사슬의 운영을 계획, 실행, 제어하는 프로세스로 원자재, 재공·재고, 완제품의 원산지에서 소비자로 이르는 모든 운송과정과, 중간과정으로서의 저장 활동을 광범위하게 포함하고 있습니다. SCM이 크게 성장할 수 있었던 이유는 1990년대부터 2010년대 중반 IT 인프라의 성장과 관련성이 높습니다. 특히 인터넷, 서버 및 PC의 대중화를 통한 기업 간 정보의 유통과 처리속도 향상은 SCM의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인터넷의 발전으로 전 세계로부터 각 회사의 유통정보, 물동정보를 교환할 수 있게 되면서 부서 간/기업 간 협업이 잦아지고 업무당사자들 사이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되었습니다. 또한, 복잡한 알고리즘을 빠르게 계산할 수 있게 되어 이를 통해 수요예측도 과학적으로 할 수 있게 되었고 최적화 연산을 통해 생산계획도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되었으며 생산계획에 맞춰 부품 수급계획도 신속하게 수립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모든 것이 효율적인 프로세스와 함께 IT 인프라 성장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 21세기 기업들의 경쟁은 개별 기업 간의 경쟁이 아닌, Value Chain과 Value Chain 간의 경쟁으로 변화하고 있어 SCM의 중요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 부가가치의 60~70%가 Supply Chain에서 발생되고 매출의 10~14%가 SCM 비용으로 SCM의 수준은 기업의 핵심역량 잣대로 인식되고 있어 많은 유수 기업들은 협력사와의 협업을 통한 SCM 발전으로 Value Chain 전반의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COVID-19 이슈 장기화, 디지털 혁신 요구 강화, 플랫폼 산업 활성화에 따른 외부적 요인으로 인하여, SCM은 단순한 중재자 역할을 넘어 가치 창출자 및 데이터 기반의 혁신을 이끄는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역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 대중화되고 있는 인공지능,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Internet of Things) 등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비약적으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핵심 심기술들은 SCM 영역을 클라우드의 장점을 모두 접목한 클라우드 기반의 SCM 아웃소싱인 SCMaaS(Supply Chain Management as a Service), Deep Learning 기반 손쉽고 정확한 수요예측과 같은 모습으로 변모시키고 있습니다.
① SCMaaS(Supply Chain Management as a Service)
   SCM은 상당히 어려운 분야이고, 오랫동안 훈련된 전문인력이 필요한 분야였습니다. SCM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기업의 전략과 경영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고, 기업의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설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또한 시간을 투자하여 기업의 문화를 바꿔야 성과가 드러나는 분야이며, 외부 기업과 상호협력 프로세스를 하나씩 준비해야 하는 분야입니다. 즉, SCM 구축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상당 수준의 투자를 꽤 오랫동안 지속해야만 했습니다. 이런 특성으로 인하여 대기업 외에는 투자가 쉽지 않았던 분야입니다. 또한, 설사 투자를 했더라도 투자를 지속하지 못하여 결국에는 성공하지 못한 사례도 다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SCM에 클라우드의 장점을 모두 접목하여 클라우드 기반의 SCM 아웃소싱인 SCMaaS(Supply Chain Management as a Service)의 확산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서비스를 받기 위한 비용이 기존보다 현저히 줄고 별도의 IT 자원과 전문인력 확보 없이도 SCM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필요한 시점에만 활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CMaaS의 장점이 부각되며, 대기업 중심의 SCM 적용을 벗어나서 중소ㆍ중견기업도 이전보다 낮은 비용으로 전문화된 SCM 서비스를 누리고 있습니다.
 
② 손쉽고 정확한 수요예측(Deep Learning, Data Analytics)
  SCM에서 가장 중요한 활동 중 하나가 수요예측입니다. 수요예측을 정확히 해낼 수 있으면 더 정확한 목표 및 경영계획을 수립할 수 있고, 시장의 반응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으며, 목표와 시장 반응과의 차이를 바탕으로 마케팅 계획을 수립할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이 효율적으로 매출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공급망을 관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그 동안 기업의 SCM 담당자는 수요예측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시장을 더 정확히 이해하기 위하여 과학적인 방법을 활용하고자 하였습니다. 과거에는 주로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최근 급격히 주목 받고 있는 Data Analytics나 Deep Learning 같은 분야는 더 정확한 수요 예측값을 제시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고 있고 자동화된 수요예측 운영의 가능성도 동시에 높여주고 있습니다. 
(다) 구매 SCM 솔루션 시장의 특성
① 경제성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구매 SCM 역할 변화
1차 산업혁명 시기만 하더라도 옷, 신발, 자동차, 시계 등 제조업의 가치창출의 원동력은 지역 거점 기반 상점 모델이었습니다. 다시 말하면 ‘Economy of Value Shop’이였습니다. 장인들이 생산에 직접 참여했으며 신뢰와 명성, 고객의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핵심 요소였습니다. 이 시기의 구매 SCM은 단순한 중재자 역할을 하게 됩니다. 
전기 에너지의 대중화와 헨리 포드의 대량 생산체제로 유발된 2차 산업 혁명 이후에는 ‘Economy of Scale’이 가치 창출의 원동력인 비즈니스 모델이 시작됩니다. 생산 과정을 일관되게 연결함으로써, 비용 절감과 생산 속도의 획기적 발전이 이뤄진 것입니다. 이후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등의 등장으로 글로벌 표준을 주도함으로써 기업의 가치 창출을 시작한 ‘Economy of Scope’ 비즈니스 모델이 주류를 이룹니다. 이 시기에 구매 SCM은 부품 조달을 원활히 하는 역할에 머물거나 비용의 통제자 역할을 수행하게 됩니다.
1990년도 중반부터는 ICT의 눈부신 발전과 함께 이루어진 글로벌 통합 인프라(통신, 교통, 인터넷 등)를 기반으로 3차 산업 혁명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며, 글로벌 Network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기업이 경제성을 창출하는 시대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이 시기부터 SCM의 중요성이 급격히 부각하며, 글로벌 대기업들을 중심으로 구매 SCM 솔루션을 대규모로 도입하기 시작합니다. 이 시기에 구매 SCM은 가치 창출자로써 역할을 본격적으로 부여받게 되며 기업 경영 전반에 더욱 중요한 핵심 경쟁 요소로 등장하게 됩니다. 
4차 산업 혁명 시기에 대거 출현한 신기술들, AI, IoT, Cloud 등은 모두가 데이터에 관련된 기술들로써, 구매 SCM 영역에 새로운 역할을 부여 하게 됩니다. AI 기술의 발달로 엄청난 양의 데이터에 대한 분석이 매우 용이해졌으며,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현상에 대한 통찰력이 몰라보게 향상되고 데이터에 기반한 정교한 의사 결정과 프로세스 자동화가 가능해졌습니다. IoT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기계들이 더 많은 데이터를 생성하게 되었으며, 데이터를 통한 기계와 기계간, 기계와 사람간의 소통이 더욱 활발해졌습니다. 클라우드는 엄청난 컴퓨팅 파워의 공유를 통하여 누구라도 빅데이터 및 다양하고 복잡한 알고리즘에 쉽게 접근하고 분석할 수 있는 인프라를 제공하여 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기술의 등장과 더불어 구매 SCM은 데이터 기반 혁신의 리더로 역할을 부여받게 됩니다.
| [경제성 패러다임의 변화] | 
|  | 
| 경제성 패러다임의 변화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 [구매 부문의 역할 진화 방향] | 
|  | 
| 구매 부문의 역할 진화 방향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② 가치 창출자 역할의 구매 SCM
네트워크 경제시대에서는 개별 기업 간의 경쟁이 아닌,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네트워크 간의 경쟁으로 경쟁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 [21세기 기업 경쟁의 형태] | 
|  | 
| 21세기 기업 경쟁의 형태 | 
출처: 당사 내부자료
이에 따라 개별 기업의 경쟁력을 위해 협력업체와 생산업체 그리고 고객에 이르기까지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들, 즉 기업생태계의 구성요소들 간 IT 솔루션을 이용한 실시간 정보공유를 통해 시장이나 수요자들의 요구에 기민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SCM의 중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 [SCM의 필요성] | 
|  | 
| scm의 필요성 | 
출처: 당사 내부자료
③ 데이터 기반 혁신 리더로써의 구매 SCM
현재 기업의 지속가능 경영에 공급 시장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미치는 영향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특히 COVID-19 이후 공급망의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더욱 커졌으며 공급망 불확실성에 대응하기 위하여 구매 SCM이 데이터 기반으로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처방을 도출해야 하는 것이 어느 때 보다 중요해졌습니다. 구매 SCM이 공급망 건전성의 확보를 위하여 혁신을 이끌어야하는 상황입니다.
기업들은 구매 SCM 솔루션을 기반으로 구매 및 관련 빅데이터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관점의 분석을 실행하고 단순 현황 파악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현황에 대한 원인 분석과 해결책 처방을 제시하며 공급망 관리 방향성 제시, 후속 업무 신속 연계, 선제적 리스크 관리, 업무 자동화 등의 전략적 의사 결정들을 데이터 기반으로 정확하고 신속하게 해야 합니다.
| [구매 SCM 솔루션 Data Intelligence] | 
|  | 
| 구매 scm 솔루션 data intelligence | 
출처: 당사 내부 자료
2)산업의 성장성
(가) 세계 패키지 SW 시장
세계 패키지SW 시장 중 당사가 속한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2018년 2,880억 달러로 전체 패키지SW 시장의 53.1%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9~2023년 연평균 성장률은 8.3%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디지털 전환의 핵심인 AI, 빅데이터, 클라우드, IoT 등 신 SW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외형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단위: 억 달러) | 
|  | 
| 세계 패키지 sw시장 규모 및 추이_1 | 
|  | 
| 세계 패키지 sw시장 규모 및 추이_2 | 
출처 : 2019년 SW산업연간보고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나) 국내 패키지 SW 시장
국내 패키지SW 시장 중 당사가 속한 애플리케이션 시장은 2018년 2조 79억 원으로 전체 패키지SW 시장의 41.0%를 차지하고 있으며, 2019~2023년 연평균 성장률은 5.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패키지 SW 시장은 특정 산업에 편중되지 않고 모든 산업에서 패키지 SW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성장성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 [국내 패키지SW 시장 규모 및 추이] | 
| (단위: 억 원) | 
|  | 
| 국내 패키지 sw 시장 규모 및 추이_1 | 
|  | 
| 국내 패키지 sw 시장 규모 및 추이_2 | 
출처 : 2019년 SW산업연간보고서,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
(다)세계 SCM 시장
SCM 시장은 패키지SW 시장에서 ERP, 엔지니어링SW, 콘텐츠SW와 달리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경기침체로 인해 원가관리를 통한 재무성과의 개선, 기업 경영의 효율화를 위한 필요성, 규모의 경제효과 극대화, IT 기반 물류 혁신, 공급망의 민첩성 및 가시성 확보 등을 통해 불황기에도 기업가치를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의 일환으로 SCM이 부각되면서 SCM 시장이 성장하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모바일, 머신러닝, IoT 등과 같은 신기술과 결합된 SCM 솔루션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신기술 결합 제품의 출시도 SCM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입니다. 세계 SCM 시장은 2018년 기준 75.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3년까지 연평균 2.7%의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86.5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글로벌 SCM 시장 규모 및 전망] | 
| (단위: 백만달러)] | 
|  | 
| 글로벌 scm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Supply chain management software market size worldwide 2018-2023 (2020.01)
(라) 국내 SCM 시장
  국내 SCM시장의 경우 기업들의 공급망 속도, 효율, 가시성 향상, 수요-공급 변동에 따른 리스크 감소, 공급망 통찰력 확보를 위한 SCM 도입과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그룹 차원의 ERP 및 SCM 통합 및 고도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있어 국내 패키지SW 시장이나 해외 SCM 시장에 비해 높은 성장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CM 고도화는 기업들에게 SCM의 효율화와 회사-협력사 간 다양한 정보 공유를 위한 협업 인프라 구축,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및 수요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솔루션이 요구되면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으로 국내 SCM 시장은 2020년 9,400만달러 규모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9.7% 성장하여 1.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현재 국내 1000대 기업 기준으로 구매 업무 전반에 대해 시스템 기반으로 수행하고 있는 기업은 아직도 많지 않다고 파악되어 당사의 잠재 시장은 현재 SCM시장 규모보다 크다고 보이며 시장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 [국내SCM 시장 규모 및 전망] | 
| (단위: 백만 달러) | 
| 구분 | 18년 | 19년 | 20년(E) | 23년(E) | 27년(E) | CAGR | 
| 규모 | 76.7 | 84.4 | 94.0 | 127.0 | 180.1 | 9.7% | 
| 증가율 | 11.3% | 10.0% | 11.4% | 35.1% | 41.8% | 
출처 : Reports and Data, Procure-to-pay Software Market(2020)
(마) 세계 클라우드 시장
최근 동사가 속해있는 서비스형 소프트웨어(SaaS) 같은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모델이 시장에 확산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로 인한 비대면 업무가 활성화되면서 직접 대면하거나 회사 및 SITE에 있지 않아도 인터넷으로 접속하여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 기반 SW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기업들이 클라우드 관련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클라우드에 대한 기업의 관심과 투자 계획 등으로 SCM 시장에서도 클라우드에 대한 수요가 클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특히, 자체 IT인프라 구축에 부담을 느끼는 중소ㆍ중견기업 시장에서 서비스 도입 수요가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이는 클라우드 기반의 SCM이 기존의 on-premise 기반의 SCM 대비 서비스를 받기 위한 비용이 기존보다 현저히 줄고 별도의 IT 자원과 전문인력 확보 없이도 SCM 체계를 구축할 수 있으며 필요한 시점에만 활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 [글로벌 SaaS형 SCM의 시장 규모] | 
|  | 
| 글로벌 SaaS형 SCM의 시장 규모 | 
 출처 : Statista, Supply chain management(SCM) software as a service(SaaS) market size worldwide from 2016 to 2023, Accessed Mar. 20 (2020)
 
(바) 국내 클라우드 시장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은 동사가 속해있는 SaaS 위주로 지속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시장은 2018년 1조 7,456억원 규모에서 연 평균 18.0% 성장하여 2022년 3조 3,858억원을 기록할 전망이며, 2018년 전체 시장의 44.6%를 차지하는 SaaS 관련 클라우드 시장은 2018년 7,787억원에서 연평균 18.7% 성장하여 2022년 1조 1,475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시장의 46.5%를 차지할 전망입니다.
| [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전망 ] | 
| (단위 : 백만원) | 
| 구 분 | 2018 | 2019 | 2020(E) | 2021(E) | 2022(E) | 
| BPaaS | 174,207 | 196,530 | 220,103 | 244,684 | 271,235 | 
| PaaS | 215,457 | 258,237 | 302,048 | 347,941 | 392,554 | 
| SaaS | 778,711 | 962,156 | 1,167,356 | 1,366,834 | 1,574,564 | 
| IaaS | 577,251 | 696,982 | 828,838 | 979,971 | 1,147,494 | 
| 총계 | 1,745,626 | 2,113,905 | 2,518,345 | 2,939,430 | 3,385,847 | 
출처 : Gartner 2019.04
3)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구매 SCM의 역할이 가치 창출자 및 데이터 기반 혁신 리더로 확대됨으로 당사의 사업은 경기 변동에는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있습니다. 기업 간의 경쟁 구도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공급망까지 포괄하는 기업 네트워크 간의 경쟁으로 변화하였고, 치열한 경영환경 속에서 원가 경쟁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오히려 경제 침체기에 구매 SCM 솔루션을 도입하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이후 비대면 업무 환경의 필요성이 급부상하며, 협력업체들과 협업과 접촉이 많을 수 밖에 없는 구매 SCM 영역은 경기 변동과는 무관하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다만, 고객들이 주로 1분기에는 투자 사업을 준비하는 경우들이 많아 당사의 경우 1분기 매출이 다른 분기 대비 소폭 낮은 경향을 나타내는 계절성 요인은 존재합니다. 당사는 주로 이 시기에 내부 역량 강화를 통해 제품의 컨텐츠 업그레이드 및 다양한 신기술 접목을 시도하고 있으며 2분기~ 4분기까지는 유사한 수준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특히 COVID-19 대유행이 시작된 2020년은 보편적인 Annual Cycle 외에도 시장 Trend가 민감하게 반영되어 1분기 이후 괄목할 만한 매출 신장을 일으켰습니다. 금년에도 기본적인 Annual Cycle은 적용될 것으로 예상하고 COVID-19 및 구매/SCM 분야의 Digital 화 기조에 힘입어 유의미한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합니다. 
4) 국내외 시장 여건 및 경쟁환경
국내외 소프트웨어 시장은 IT기술의 발달로 ICT융합이 스마트융합환경으로 변화하고, ICT 생태계도 하드웨어 중심에서 플랫폼과 콘텐츠로 이동하면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이 더욱 확대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패키지SW 시장규모는 2019년 전년 대비 5.7% 성장한 5조 2,000억 원으로 추산되며, 향후 4년간 (2019~2023년) 연평균 6.2% 성장하면서 6조 6,000억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패키지 SW 시장의 성장률이 높은 이유는 코로나 19 팬더믹으로 인해 영상회의, 기업용 메신저와 같은 협업 솔루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클라우드 기반의 애플리케이션 도입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당사가 공급하는 SCM 관련 응용 SW도 국내외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 됩니다. 경기침체로 원가관리를 통한 재무성과를 높이고, 기업 경영의 효율화를 위해 필요성이 부각되고, 특히, 규모의 경제효과 극대화, IT 기반 물류 혁신, 공급망의 민첩성 및 가시성 확보 등을 통해 기업 역량을 극대화함으로써 수요증가를 기대하기 어려운 불황기에도 기업가치를 높이는 핵심적인 역할의 일환으로 SCM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또한, 클라우드, 모바일, 머신러닝, IoT 등과 같은 신기술과 결합된 SCM 솔루션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는데, 이러한 신기술 결합 제품의 출시도 SCM 성장에 긍정적인 요인 입니다. 세계 SCM 시장은 2018년 기준 75.6억 달러를 기록하였으며, 2023년 까지 연평균 2.7%의 성장세를 보이며 2023년에는 86.5억 달러 규모가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 [ 국내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 전망 ] | 
| (단위 : 백만 달러) | 
|  | 
| 글로벌 scm 시장 규모 및 전망 | 
출처 : Supply chain management software market size worldwide 2018-2023 (2020.01)
국내 SCM시장의 경우 공급망 속도ㆍ효율ㆍ가시성 향상, 수요-공급 변동에 따른 리스크 감소, 공급망 통찰력 확보를 위한 SCM 도입으로 인하여 국내 패키지SW 시장이나 해외 SCM 시장에 비해 높은 성장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ERP의 확장 개념으로서 SCM 통합 및 고도화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대기업을 중심으로 그룹 차원의 ERP 및 SCM 통합 및 고도화 사업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이는, 기업들에게 SCM 효율화와 회사-협력사 간 SCM 기반 다양한 정보 공유를 위한 협업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는 한편, 급변하는 비즈니스 환경 및 수요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공급을 최적화할 수 있는 민첩하고 고도화된 SCM이 요구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시장 환경으로 국내 SCM 시장은 2020년 9,400만달러 규모에서 2027년까지 연평균 9.7% 성장하여 1.8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당사의 영위 시장의 잠재 시장은 현재 시장 규모보다 크다고 파악되며, 시장 성장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국내SCM 시장 규모 및 전망] | 
| (단위: 백만 달러) | 
| 구분 | 18년 | 19년 | 20년(E) | 23년(E) | 27년(E) | CAGR | 
| 규모 | 76.7 | 84.4 | 94.0 | 127.0 | 180.1 | 9.7% | 
| 증가율 | 11.3% | 10.0% | 11.4% | 35.1% | 41.8% | 
출처 : Reports and Data, Procure-to-pay Software Market(2020)
특히 당사 주요 제품인 구매SCM 솔루션은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한 한국판 뉴딜정책, 등의 국가 정책에 따른 수혜와 IT 역량이 경쟁력의 요소가 되면서 높은 성장이 예상되는 시장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또한 COVID-19 이후 언택트 환경으로 기업 업무가 급속히 변화함으로 인하여, 협력사와의 협업이 필수인 구매 SCM 업무 시스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구매 SCM 시장의 경우 해외 SCM 업체들이 가격, 유지보수, 국내 환경에 맞는 최적화 등에서 국내업체들에 비해 열위하면서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SCM 시장은 국내 업체들 위주로 시장 경쟁이 진행되고 있으며 SAP만이 국내 시장에 진출하여 경쟁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제품의 기능 Coverage 및 프로세스 정합도 측면에서 타사의 단순한 기능에 비해 사용자 편의성 측면에서 우수한 기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후관리 용이성의 측면에서 동사는 예민한 구매 시스템의 특성 상 장애에 대한 즉각 대응이 가능한 업체입니다. 뿐만 아니라 동사는 다양한 산업군의 선도 기업과의 프로젝트를 바탕으로 축적된 노하우를 내재화 하였으며 이러한 과정들을 바탕으로 한 안정적인 B2B 고객 네트워크까지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구매 SCM 분야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삼성그룹, 현대차 그룹, LG 그룹, SK 그룹, 포스코 그룹 등의 유수의 대기업들을 고객으로 확보하고 한전, 한수원, 인천국제 공항공사, 도로 공사 등 대표적 공기업들에게도 솔루션을 제공하며 구매 SCM 시장에서의 지위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경제성과 효율성을 확보한 구매 SCM 클라우드 서비스를 출시하여 중견 및 중소 기업으로도 시장을 적극적으로 확대 하고 있습니다. 
5) 경쟁우위 요소
(가) 제품 경쟁력
동사의 솔루션은 자동차, 전자, 철강, 화학, 유통, 금융, 공공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다수의 프로젝트 수행 성공으로 얻은 Best Practice를 내재화한 검증된 웹 표준 패키지 솔루션입니다. 삼성, 현대자동차, LG, SK, 포스코, 아모레퍼시픽, 한국전력공사 등 유수의 대기업 및 공공기관들이 사용하고 있고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의 솔루션은 구매의 全 업무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End to End 통합 솔루션으로 국내외에서 선도적인 지위를 유지하고 있는 기업들과 비교한 결과 기능 Coverage 및 프로세스 정합도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그리고 시스템 납품 이후에도 고객사 맞춤형 체계적인 사후관리 서비스를 제공하여 고품질 시스템을 제공합니다. 대내/외적으로 사용되는 예민한 SCM의 특성 상 장애에 대한 즉각 대응이 중요하기 때문에 TCS본부를 조직하여 고객사에 시스템 납품 이후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술 서비스 및 시스템 운영 효율성 확보를 위한 기능 개선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동사의 경쟁력이 높다고 판단됩니다. 또한, 동사는 매출처의 요구사항에 따라 Customizing 및 Add-on 개발이 가능한 반면 경쟁업체들은 일반적인 국내 구매 조달 프로세스와는 상이한 부분이 존재하는데 해당 품목 특성에 따른 예외적인 적용이 불가능하다는 점도 동사의 장점입니다. 동사는 구매SCM솔루션의 기본적인 기능 외에도 사용자 별 Workplace 제공을 통한 개인 별 Work Status 조회, 개발 편의를 위한 업 무 표준 공통 기능 제공, 시스템 로그 관리, 사용자 권한관리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차별화된 제품 경쟁력] | 
|  | 
| 제품 경쟁력 | 
출처 : 동사 내부자료
(나) TCS(Technical Customer Supports) 경쟁력
당사는 TCS본부를 조직하여 고객사에 시스템 납품 이후 안정적 운영을 위한 기술 서비스 및 시스템 운영 효율성 확보를 위한 기능 개선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TCS본부는 TCS라이선스팀, TCS운영팀, OSS운영팀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TCS라이선스팀은 각종 납품 시스템에 대한 기술을 대응하고, TCS운영팀은 비상주 운영 시스템의 운영 업무를 진행하며, OSS운영팀은 On-Site 시스템 운영을 대응 및 시스템 관리 업무를 진행합니다.
| [기술 및 운영 서비스 개요] | 
|  | 
| 기술 및 운영 서비스 개요 | 
 출처 : 당사 내부자료
 당사의 TCS본부는 다양한 고객사 시스템 구축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전문인력으로 구성하여 고객사의 요구사항에 적극적인 대처를 통해 시스템 운영 최적화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각종 납품 시스템에 대한 기술 대응을 TCS라이선스팀이 전담하여 시스템 사용자 또는 운영자들의 기술 문의 시 결함 및 오류 등에 대한 즉각 대응 및 가이드 제공을 통해 고객 만족도 및 시스템 품질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TCS운영팀, OSS운영팀을 통해 구축 시스템에 대한 운영 업무를 전담하여 원활한 시스템 사용을 위해 기능 개선 및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비상주 형태로 운영 업무를 진행하기도 하고 필요 시 상주 형태로도 운영 업무를 진행하여 매출처의 상황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운영하는 JIRA라는 기술서비스 전용 사이트를 통해 시스템 오류에 대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오류 접수 시 즉각적으로 담당자를 배정하고 이력관리를 통해 해당 오류에 대한 처리 진행 현황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한국 본사에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타사 대비 빠른 대응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경쟁사인 해외업체의 경우, 미국 본사에서 클라우드 서비스를 총괄관리하고 있으며 인터페이스나 커스터마이징을 물론 운영 관련 문의사항에 대해서도 최대 2주까지 소요되어 대응 Leadtime이 긴 편인데 반하여 당사는 문의나 요청사항이 발생한 즉시 대응이 가능합니다. 또한, 당사는 솔루션을 자체 기술로 개발하였기 때문에 기술 지원이 용이하고, 다수의 Reference Site를 보유함으로써 타사 대비 운영에 대한 높은 안정성이 검증되었습니다.
(다) 가격 경쟁력
당사는 유연한 가격 정책으로 가격 경쟁력도 매우 우수합니다. 라이선스 매출의 경우는 고객 매출 및 사용자 수에 따라 가격의 유연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모듈별 부분 판매도 가능하므로 꼭 필요한 기능만 선별적으로 판매하여 고객들의 비용 부담을 완화시키는 가격 정책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용역 매출의 경우도 최고의 전문가들을 보유하고 있고 지속적인 교육을 통하여 필요 역량을 업데이트 함으로써 최소의 용역 비용으로 최대의 가치를 창출함으로써 매우 높은 고객 만족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기술료의 경우 해외 솔루션 회사들은 라이선스 비용의 25% 정도를 청구하고 있지만, 당사는 18%를 청구함으로 고객들의 비용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사용료의 경우 해외 솔루션 회사들 대비 평균 60% 정도의 비용을 제시하고 구축 기간도 50% 정도 단축하여 최고의 가격 경쟁력을 기반으로 빠르게 시장을 확장하고 있습니다.
(라) 다양한 업종의 Best Practice가 반영된 제품 경쟁력
당사는 제조, 건설, 서비스, 공공, 금융, 의료 등 다양한 산업군에 존재하는 선도 기업들과 1,000여개의 구매 SCM 솔루션 구축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제품 경쟁력을 검증 받고 축적된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산업 별로 사업 내용에 따라 특화 프로세스/기능이 많이 존재하는데, 당사는 이에 대한 특화 사항을 솔루션에 반영하여 Best Practice를 내재화 하는데 성공하였으며 고객 대응 시 이전에 갖춘 노하우와 Best Practice를 적극적으로 발휘하여 고객사의 업무 수준을 향상시키고 만족을 극대화하고 있습니다. 타 경쟁사들은 특정 산업군에만 적용될 수 있는 솔루션을 보유하고 있어 산업별 특화기능들이 당사 대비 부족하며 이는 당사의 시장 경쟁력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 산업별 주요 고객사 및 특징 ] | 
| 산업군 | 주요 고객사 | 산업 특징 | 
| 전자 / 반도체/ 전기 | 삼성전자/삼성전기/삼성SDI LG전자/LG디스플레이/LG이노텍 SK하이닉스 등 | ■ 기술과 제품 트렌드의 빠른 변화에 따른 타 산업 대비 짧은 라이프사이클 보유 ■ 기술/제품 개발의 중요도가 높으므로 원활한 개발 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기능 구현 니즈 高 | 
| 자동차 | 현대자동차/현대모비스/현대위아 만도/한온시스템 한국타이어/금호타이어 등 | ■ 완성차 조립으로부터 세부 부품 제조까지 Supply Chain 전반의 수직 계열화 ■ 전략적 원가 관리 및 Supply Chain 전반의 가시성을 강화하는 측면의 시스템 구현 | 
| 화학 / 정유 | LG화학/SK케미칼/한화케미칼 에스오일/GS칼텍스 SK에너지/한화에너지 등 | ■ 제품 생산 특성에 따라 대형 Plant 및 장치에 대한 중요도 高 ■ 대형 Plant를 수리/유지보수 가능한 설비 및 공사 등과 관련된 구매 빈도 高 | 
| 건설 / 철강 / 기계 | 삼성엔지니어링/물산(건설) 포스코/현대제철 한화건설/SK건설 등 | ■ 주로 EPC를 공급하는 기업으로서, 프로젝트 수주를 통한 제품 공급/운영 ■ 프로젝트 기반의 구매 운영 프로세스를 시스템화 한 특화 서비스 제공 | 
| 서비스 / 소비재 / 기타 | 삼성SDS/현대오토에버/포스코ICT SK텔레콤/LGU+ 삼성웰스토리/한화호텔&리조트 등 | ■ IT/통신 및 각종 서비스 제공을 주요 사업으로 운영 ■ 표준 구매프로세스 기반 다양한 구매유형을 포괄하는 시스템 기능 제공 | 
| 의료 / 공공 /금융 | 연세의료원/서울의료원 한국전력공사/한국수력원자력 현대카드/캐피탈/커머셜 등 | ■ 국가 법령/조항/규칙 등을 기반으로 하는 각종 사업 운영 ■ 국가조달법을 준수하고 다양한 구매유형을 포괄하는 시스템 기능 제공 | 
(마)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이하 "DX") 기술 역량 보유
최근 코로나19로 인해 산업 전반에 걸쳐서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되고 있어 이에 신속히 적응해 나가느냐 여부가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고 있습니다. 컨설팅그룹 BCG 조사에 따르면 80% 이상의 기업이 디지털 혁신 가속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고, 그 결과 디지털 혁신에 성공한 기업 즉, 디지털 리더 기업은 추격 기업에 비해 1.8배 높은 수익성과 2배 이상의 주식 가치 성장을 보인다고 합니다. 이처럼 이제는 IT(Information Technology)시대에서 DX(Digital Transformation) 시대로 가고 있습니다. DX는 디지털 데이터를 생성하고 분석하여 통찰력을 제시하는 기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DX 기술은 데이터 수집을 위한 사물인터넷(IoT), 데이터 저장을 위한 클라우드 컴퓨팅, 데이터 분석을 위한 딥 러닝과 기계학습 등을 골자로 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DX 기술 역량인 AI, 머신러닝, 블록체인, RPA, Cloud 등과 같은 기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구매 솔루션 개발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DX 기술 역량을 가진 인력을 다수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에도 추가적으로 확보해나갈 예정입니다. 엠로의 DX 기술 역량 보유 인력은 기술에 대한 역량뿐만 아니라 구매에 대한 전문지식을 함양하고 있기 때문에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수 있고 기업의 디지털 혁신을 선도할 수 있습니다.
| [DX관련 인력 현황] | 
| 영역 | 상세 | 인원 | 
| 자연어처리 솔루션 | 품목마스터 관리 | 8명 | 
| 전표 자동 분류 | ||
| Text분류/유사도분석 | ||
| AI OCR솔루션 | 이미지 문서OCR 및 데이터 자동 분류 | 3명 | 
| 수요예측 솔루션 | ML 기반 수요예측 | 5명 | 
| UI/UX | Webcomponent /Polymer | 20명 | 
| RPA | Selenium | 5명 | 
| Blockchain | Hyperledger | 5명 | 
| Cloud | e-Procurement플랫폼, 전자서명/계약 플랫폼 | 12명 | 
| 합계 | 58명 | |
당사는 이러한 DX 기술과 인력을 바탕으로 대기업 계열사에 DT와 연관된 다양한 프로젝트를 진행 완료하거나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프로젝트는 단순히 과거의 구매 SCM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추가적인 사업 영역으로의 확장성 또한 존재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매출 발생에도 긍정적이라고 판단됩니다. 아래는 당사가 진행하고 있는 DX 관련 프로젝트입니다. 
 
| [DX 기술 프로젝트] | 
| 주요기술요소 | 연도 | 사이트/기업명 | 수행 업무 | 
| AI/머신러닝 | 2020년 | ㈜포스코 | 설비자재 재고 최적화 | 
| 2020년 | 에쓰오일 | 저유소 출하예측 | |
| 2021년 | 대상㈜ | AI기반 수요예측 | |
| AI/자연어  | 2018년 | LG화학 | 구매 Spend 분석 | 
| 2019년 | GS칼텍스 | 기준정비 자동화 | |
| 2020년 | 가천대학교 | 기준정보 자동관리 | |
| 2020년 | ㈜한화건설 | 내역정비 AI적용 | |
| 2020년 | 한화케미칼 | 구매시스템 및 기준정보 자동화 | |
| 2021년 | LG화학 | ML기반 ERP 전표 데이터 분류 | |
| 2021년 | 풀무원 | AI 기반 간접비 자동 분류 및 Spend 분석 | |
| 2021년 | 현대자동차 | AI 기반 중복 품목 진단 | |
| Cloud AWS | 2017년 | LG디스플레이 | Public Cloud 서비스 | 
| 2019년 | 삼성물산 상사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19년 | 한성자동차㈜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19년 | ABL생명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19년 | 코웨이㈜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20년 | ㈜메디톡스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20년 | CJ올리브영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20년 | 롯데카드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20년 | SK넥실리스 | Public Cloud 서비스 | |
| 2021년 | ㈜빅히트 | Public Cloud 서비스 | |
| DW/BI/통계 분석 | 2018년 | POSCO ICT | 구매 EIS 시스템 구축 | 
| 2021년 | LG화학 | DI기반 Dashboard 구축 |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기업의 공급망 경쟁력 강화'에 중점을 두고 지난 2000년 설립되었습니다. 당사의 사업 목표는 SCM 혁신의 방법론과 최신 SW 솔루션 기술로 기업의 SCM 선진화와 발전을 이끄는 것으로 2003년 자체 개발 제품인 SMARTsuite 솔루션을 출시하며 사업을 본격화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2005년 5월 송재민 대표이사 취임 후 2006년부터 성장기에 들어서며 지속적인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당사는 대기업 시장을 공략하여 시장 지배력을 키우는 사업 전략으로 SAP, Oracle, Ariba, JDA 등 글로벌 SW 기업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며 월등한 시장 지위를 차지하게 되었으며, 특히, 삼성, 현대자동차, LG, SK, 포스코, 두산, 아모레퍼시픽, 한국전력 등 유수의 대기업들이 엠로의 솔루션을 채택해 사용하고 있는 등 시장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러한 성장 저력은 사업 역량뿐만 아니라 자동차, 전자, 철강, 화학, 유통, 금융, 공공 등 다양한 산업에서 다수의 프로젝트 수행 성공에서 얻은 검증된 솔루션 제품, 고객의 요구 부응과 시장의 트랜트를 이끌어 가는 기술력에 있습니다.
당사는 핵심 제품인 SMARTsuite에 사용자 관점의 유연한 워크플로우를 제공하는 아키텍쳐로 시장 지배력을 더욱 공고히 하였으며, 데이터 기반의 디지털 신기술로서 인공지능 솔루션과 클라우드 서비스를 시장에 안착시켜 더 큰 성장을 만들었습니다. 또한, 당사는 머신러닝 기술을 적용한 품목 데이터 자동 정비, 지출 분석, 수요 예측, 재고 관리 등의 솔루션으로 인공지능 서비스를 확장해 나아가고 있으며, emroCloud를 통해 표준 구매시스템을 클라우드 SaaS로 제공하면서 다양한 산업의 중견, 중소 기업들에게 구매SCM솔루션을 확산하고 있습니다. 향후, 당사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클라우드 서비스에 탑재해 지능형 토탈 서비스를 전 산업영역의 모든 규모의 기업에 제공할 계획입니다. 또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해외 시장 진출은 물론 B2B 거래의 통합 비즈니스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글로벌 SCM SW 기업으로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의 주요 사업은 구매혁신 컨설팅, 맞춤형 솔루션 구축, 클라우드 서비스, 글로벌 웹 표준 Platform/Component로 구성되어 있으며 솔루션 판매에 따른 라이선스 및 기술료 매출과 커스터마이징 용역 및 컨설팅 제공에 대한 용역 매출, 개발 Platform/Component 판매에 따른 상품 매출이 시현되고 있습니다.
|  | 
| 주요 사업 영역 | 
2) 시장점유율
국내 SCM 솔루션 시장은 다른 소프트웨어 분야와 달리 국내 기업이 시장의 주도권을 잡고 있습니다. 국가 정책에 따른 해외기업의 진출 제약이 있는 정보보안 분야를 제외하면, 서버, 스토리지 등 하드웨어는 물론 DB, ERP, CRM 등 소프트웨어까지 국내 기업이 시장 주도권을 가진 분야를 찾기는 쉽지 않습니다. 이는 국내 상황과 다른 사업환경에 대한 프로세스적인 지원 미비, 커스터마이징의 어려움 등으로 외국기업의 진출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입니다. 이에 국내 시장에서 해외 SCM 솔루션 벤더와의 경쟁 강도는 낮은 편입니다.
다만, 최근 해외 ERP 업체를 중심으로 주요 SCM, CRM 기업 등을 인수 합병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으며, 이들 기업은 ERP시스템을 구축한 노하우와 영업력을 바탕으로 SCM, CRM 등 타 분야로의 영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동시에 클라우드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계획을 갖고 있습니다.
국내 SCM시장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경쟁의 강도는 강화될 수 있는 환경이지만 국내 기업의 가격, 산업별 기업별 특성에 맞는 프로세스 지원, 유지보수 등의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국내 SCM 솔루션 기업 중심의 시장경쟁구도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시장의 특성
소프트웨어 산업은 시스템의 노후화에 따라 일정한 교체주기를 가지지만, 일반적으로 경기변동 및 국가 정책에 큰 영향을 받아왔습니다. 경기변동에 따라 IT부문에 대한 투자가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향을 보였으나, 최근에는 소프트웨어 등 IT기술기반이 기업의 중요한 경쟁력의 요소가 되며 IT부문에 대한 투자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특히, 스마트 산업 생태환경을 대변하는 인터넷과 웹이 확장되고, 클라우드 컴퓨팅의 이용이 확대되면서 기업의 정보시스템 및 비즈니스의 생산성과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핵심수단으로 소셜, 클라우드, 모바일의 도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를 통해 기존의 네트워크 서비스, 콘텐츠, 애플리케이션 등 스마트 산업 생태환경의 핵심적인 요소가 소프트웨어를 중심으로 통합되는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신기술 플랫폼이 소프트웨어 시장 성장의 원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블록체인 등 신기술에 대한 수요는 금융/공공부문과 민간부문 내 대기업 계열사를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신기술을 업무에 접목하려는 신규 IT 투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공공부문 또한 정부의 정책적 지원과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으로 활성화 될 전망입니다. 이에 주요 소프트웨어 기업들은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제품, 서비스 라인업을 강화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구매SCM 솔루션 영역을 넘어서, AI기술과 클라우드기술을 SCM 전영역으로 확대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신규솔루션을 론치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연구개발 및 실제 적용을 하고 있는 신규 솔루션은 지능형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전자서명/계약 플렛폼, Risk Management, Emro Business Link입니다.
(가) 지능형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산업 및 제품/서비스에 따른 수요의 변화는 산업 특성/고객 및 상품 특성/기타 외부 요인 등에 의해 여러 가지 형태를 지니므로 수요예측에 있어 해당 요인 반영을 통한 수요패턴 세분화 및 예측 모델의 수립이 필요합니다. 동사의 지능형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솔루션은 수집 Data 분석/전처리, Factor Engineering, 수요 패턴 군집화를 통해 최적 모델 선정 및 수요예측을 실행하고 안전재고 및 발주량/주문시점을 산출하여 자동 발주 연계를 통해 업무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솔루션입니다. 지능형 수요예측 및 재고관리 솔루션 개발은 진행 중에 있으며 현재 대상의 식품사업에 적용하였으며, 식자재사업으로 확대할 예정이며, 홈플러스와 PoC를 통해서 우수성을 인정받아 솔루션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본 솔루션은 대기업을 타겟으로 하고 주로 제조업, 유통업을 위주로 판매할 예정입니다.
(나) 전자서명/계약 플랫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모든 산업과 사회생활 영역에서 비대면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 되고 있으며, 비대면 서비스의 확산으로 스마트워크가 디지털 경제의 핵심 키워드로 부상하였습니다. 당사는 Any User(국내/외 공급사, 국내/외 고객, 임직원, 외부인 등), Any Sign(PKI 기반 공동인증, 해외 전자서명, 간편서명 등), Any Task & Type(근로계약, 보얀서약, 공사/용역 계약, 판매/제휴계약 등)를 기반으로 모든 종류의 계약 및 서명업무를 단일 플랫폼에서 통합 관리하여 비대면 계약/서명 업무를 효율화하고 신뢰성을 제고하는 전자서명/계약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전자서명/계약 플랫폼 서비스는 2021년 초부터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SKE&M, RIST에 실적용하면서 솔루션의 완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본 서비스는 기업 규모와 상관없이 모두 적용될 수 있는 서비스로 대기업, 중견기업, 중소기업을 주 타겟으로 하고 있습니다.
(다) Risk Management 
당사는 많은 기업들이 구매/SCM 운영 관련하여 공급망 가시성과 건전성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협력사의 다양한 Risk를 사전에 파악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급망 Risk 관리 기능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진행하고자 하는 Risk 관리 솔루션은 최신 Trend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제공되는 기업 Risk 정보를 Hub에 집약하고, 사전에 정의된 분야별 Risk 관리 지표를 바탕으로 Risk를 빠르고 선제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합니다. Risk 관리 지표는 재무/비재무/평판/재해 및 재난/품질 영역으로 나뉘어 구성될 예정이며, Hub에 집약된 Data를 바탕으로 현황을 파악하고 현상이 발생된 원인을 규명하며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예정입니다. Risk 관리 솔루션은 증권신고서 제출일 현재 SK하이닉스와 계약이 체결되었고 구축 과정에서 설계와 개발이 동시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Risk 관리 솔루션 개발을 금년 내 마무리 할 예정이며, 추후 구매 업무 프로세스와의 연결 Point를 발굴하고 선제적인 구매 업무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2단계 추가 개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라) Emro Business Link
Emro Business Link는 플랫폼의 필수 요소인 회원사 간 핵심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엠로만의 데이터와 구매 전문성을 활용한 서비스입니다. 또한, 외부 제휴를 통해 많은 회원사가 필요한 다양한 정보 및 오퍼를 제공하는 플랫폼 서비스입니다. 당사의 고급 정보와 외부 제휴사의 부가 정보를 기반으로 많은 회원사가 필요한 소싱 정보와 오퍼를 제공하는 통합 B2B 플랫폼 서비스를 개발 중입니다. EBL 서비스를 통하여 구매 관련 공급사/품목/카테고리 정보, 신규 엽업 기회, 구매 전문 자료 등의 고급 정보를 검색엔진 기반으로 제공하고, 회원사 간 거래 활성화를 위한 기획전, 컨텐츠 공유 및 원활한 소통을 위한 커뮤니티 환경을 제공합니다. Emro Business Link는 2021년 상반기 서비스 기획 및 외부 제휴를 시작으로 2021년 말 서비스 개발을 시작할 예정입니다. EBL은 국내를 넘어서 해외에도 서비스될 수 있는 강력한 컨텐츠 및 커뮤니티 플랫폼 서비스가 될 것입니다.
5) 조직도
|  | 
| 조직도 (신버전)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 박민수 | 1970.02.11 | 사외이사 | 부 | - | 이사회 | 
| 총 ( 1 ) 명 |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 기간 | 내용 | |||
| 박민수 | 대학교수 | 2012 ~ 현재 2009 ~ 2012 2006 ~ 2009 | 성균관대학교 교수 중앙대학교 조교수 정보통신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박민수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박민수 사외이사 후보자] 1. 전문성 본 후보자는 13년간 대학교에서 경제학 교수로 근무하면서 축적된 전문적 지식을 바탕으 로 이사회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회사의 의사결정과 경영활동이 적법하게 이루어지도 록 기여할 것임. 2. 독립성 본 후보자는 사외이사로서 상법 제382조 제3항 및 제542조의8 제2항에 근거 사외이사 부적격사유에 해당하지 않음을 확인하였으며, 독립적인 지위에서 이사와 경영진의 경영 활동에 대한 객관적인 모니터링과 감시역할을 수행하고 경영진과 대주주로부터 독립적 으로 의사결정할 것임. 3. 책임과 의무에 대한 인식 및 준수 본 후보자는 선관주의와 충실의무, 보고의무, 감시의무, 상호업무집행 감시의무, 겸업금 지의무, 자기거래금지의무, 기업의 법 준수의무 등 상법상 사외이사의 의무를 인지하고 있으며, 이를 엄수할 것임.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 [박민수 사외이사 후보자] 본 후보자는 연구위원 및 대학교수를 역임하면서 다양한 경험과 고도의 전문성을 축적해 왔으며 이사회의 경영 전반의 의사결정이 회사, 주주 및 이해관계자의 이익을 위한 최선 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도록 노력할 수 있는 적임자로 판단하였습니다. 또한, 독립적인 사 외이사의 지위에서 경영진의 직무가 적법하고 건전하며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이에 이사회에서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합니다. | 
확인서
|  | 
| 자료_1.사외이사_확인서(소집공고용) | 
※ 기타 참고사항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 당사는 임직원에 대한 동기부여와 기술인력에 대한 근속을 장려하여 독보적인 기술력을 확보하고 지속적으로 성과를 창출하여 회사의 실질적인 가치를 향상시키기 위해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고자 합니다.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 성명 | 직위 | 직책 | 교부할 주식 | |
|---|---|---|---|---|
| 주식의종류 | 주식수 | |||
| 김승록 | 등기임원 | 전무이사 | 보통주 | 4,580 주 | 
| 배혁순 | 등기임원 | 상무이사 | 보통주 | 3,940 주 | 
| 김광섭 외 6명 | 미등기임원 | 임원 | 보통주 | 25,820 주 | 
| 김OO 외 149명 | 직원 | 직원 | 보통주 | 226,280 주 | 
| 총(159)명 | - | - | 보통주 | 총(260,620)주 |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 구 분 | 내 용 | 비 고 | 
|---|---|---|
| 부여방법 | 주식매수선택권 행사시점에 신주발행교부방식, 자기주식교부방식,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가격과 시가와의 차액을 현금 또는 자기주식으로 교부하는 방법 중 행사 시 회사가 정하는 방식 | - | 
|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 보통주 260,620주 | - | 
|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 1. 행사가격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76조의7 제3항을 준용하여 임시주주총회 전일(2021년 10월 28일)을 기산일로 하여 3가지 가격의 산술평균가격 (과거 2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과거 1개월간 거래량 가중산술평균가격, 과거 1주일간 거래량가중산술평균 가격) 2. 행사기간 주주총회 결의일로부터 3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3년 내 | - | 
| 기타 조건의 개요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계약 체결을 위한 일체의 권한은 법령 및 정관의 범위 내에서 대표이사가 행사함 | -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 총발행 주식수 |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 부여가능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 5,426,060주 | 발행주식 총수의 15% | 보통주 | 813,909 | 633,909 |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 사업년도 | 부여일 | 부여인원 | 주식의 종류 | 부여 주식수 | 행사 주식수 | 실효 주식수 | 잔여 주식수 | 
|---|---|---|---|---|---|---|---|
| 2020년 | 2020.03.26 | 1 | 보통주 | 180,000 | - | - | 180,000 | 
| 계 | 총( 1 )명 | 보통주 | 총(180,000)주 | 총( - )주 | 총( -)주 | 총(180,000)주 | 
※ 기타 참고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 ① 회사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 범위 내에서 회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임·직원 및 [상법 시행령] 제30조 제1항이 정하는 관계회사의 임직원에게 주식매수 선택권을 부여 할 수 있다. 다만, 상법 제 542조의 3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범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식매수선택권은 경영성과 또는 주가지수 등에 연동하는 성과연동형으로 부여할 수 있다. (중략)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 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2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3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2년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 한자는 그 행사기간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 할 수 있다. (후략) | 제10조 (주식매수선택권) ① 회사는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5 범위 내에서 회사의 설립, 경영과 기술혁신 등에 기여하거나 기여할 수 있는 회사의 임·직원 및 [상법 시행령] 제30조 제1항이 정하는 관계회사의 임직원에게 주식매수 선택권을 부여 할 수 있다. 다만, 상법 제 542조의 3 제3항의 규정에 따라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범위 내에서 이사회의 결의로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할 수 있다. 이 경우 주식매수선택권은 경영성과 또는 주가지수 등에 연동하는 성과연동형으로 부여할 수 있다. (중략) ⑦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 받은 자는 제1항의 결의일부터 3년 이상 재임 또는 재직한 날부터 3년 내에 권리를 행사할 수 있다. 다만, 제1항의 결의일로부터 3년내에 사망하거나 정년으로 인한 퇴임 또는 퇴직 기타 본인의 귀책사유가 아닌 사유로 퇴임 또는 퇴직 한자는 그 행사기간동안 주식매수선택권을 행사 할 수 있다. (후략) | - 기간의 변경 | 
| 제36조의 2 (위원회) (신설) | 제36조의 2 (위원회) ① 회사는 이사회 내에 다음의 위원회를 둔다. 1. 내부거래 위원회 ② 위원회의 구성, 권한, 운영 등에 관한 세부사항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위원회에 대해서는 정관에 다른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정관 제36조 내지 제38조의 규정을 준용한다. | - 내부거래 위원회 신설 |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본 주주총회는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습니다.
- 당사의 최근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DART 전자공시 시스템 및 당사 홈페이지를 통해 확인 하실 수 있습니다.
※ 참고사항
|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에 관한 안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