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2021년10월 22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분기보고서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1년 05월 17일


3. 정정사항

항  목 정정사유 정 정 전 정 정 후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타법인출자 현황
(주)판틸로고스 당기순손익 (-)부호 기재 누락 주1) 주1)



주1) 정정 전

타법인출자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천원, 주, %)
법인명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취득(처분) 평가
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총자산 당기
순손익
수량 금액
Eutilogics, Inc. 2018년 04월 06일 사업관련 31,974 3,150,880 100 2,133,106 - - - 3,150,880 100 2,133,106 1,826,327 -102,846
(주)판틸로고스 2020년 08월 2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8,933 25
(주)유틸론 2020년 12월 3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9,022 -5
(주)렉소티 2020년 12월 3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9,022 -5
합 계 - 100 2,433,106 - - - - 100 2,433,106 2,123,304 -102,831


주1) 정정 후

타법인출자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천원, 주, %)
법인명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취득(처분) 평가
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총자산 당기
순손익
수량 금액
Eutilogics, Inc. 2018년 04월 06일 사업관련 31,974 3,150,880 100 2,133,106 - - - 3,150,880 100 2,133,106 1,826,327 -102,846
(주)판틸로고스 2020년 08월 2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8,933 -25
(주)유틸론 2020년 12월 3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9,022 -5
(주)렉소티 2020년 12월 3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9,022 -5
합 계 - 100 2,433,106 - - - - 100 2,433,106 2,123,304 -102,881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이미지: 대표이사확인서명(2021.10.22)

대표이사확인서명(2021.10.22)



분 기 보 고 서


                                   (제 7 기)

사업연도 2021년 01월 01일 부터
2021년 03월 31일 까지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귀중 2021 년   5 월  17 일


제출대상법인 유형 : 주권상장법인


면제사유발생 : 해당사항 없음


회      사      명 : 주식회사 유틸렉스 (Eutilex Co.,Ltd.)


대   표    이   사 : 권병세, 최수영


본  점  소  재  지 :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 408호

(전  화) 02-2071-3321

(홈페이지) http://www.eutilex.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경영지원실장   (성  명) KWON EDWIN EUJOONG

(전  화) 02-2071-3321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이미지: 대표이사 등의 확인

대표이사 등의 확인


I.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주권상장법인이 사업보고서, 분기ㆍ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한함)


(단위 : 천원)
상호 설립일 주소 주요사업 최근사업연도말
자산총액
지배관계 근거 주요종속
회사 여부
Eutilogics Inc. 2017.10.02 9920 Pacific Heights Blvd. Suite 150
San Diego CA, USA
면역항암제 연구 및 개발 1,853,241 지분 50% 초과보유 미해당
(주)판틸로고스 2020.08.18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 405호 면역항암제 연구 및 개발 98,908 지분 50% 초과보유 미해당
(주)렉소티 2020.12.30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 304호 면역항암제 연구 및 개발 100,000 지분 50% 초과보유 미해당
(주)유틸론 2020.12.30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 305호 면역항암제 연구 및 개발 100,000 지분 50% 초과보유 미해당


1-1. 연결대상회사의 변동내용

구 분 자회사 사 유
신규
연결
- -
- -
연결
제외
- -
- -


2.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당사의 명칭은 '주식회사 유틸렉스'라고 표기합니다. 또한 영문으로는 'Eutilex.Co.,Ltd.' 로 표기합니다.

3. 설립일자

당사는 2015년 2월 27일에 설립되었습니다.

4. 본사의 주소, 전화번호, 홈페이지 주소

구분 내용
본점소재지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 408호(가산동, 에이스한솔타워)
전화번호 02-2071-3310
홈페이지 www.eutilex.com


5. 중소기업 해당 여부

당사는 본 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중소기업기본법 제2조 및 동법 시행령 제3조에 의한 중소기업에 해당합니다.

6. 대한민국에 대리인이 있는 경우에는 이름(대표자), 주소 및 연락처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7. 주요 사업의 내용(주요제품 및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및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에 관한 간략한 설명

당사는 지난 2015년에 설립되어 면역항암 세포치료제와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사업을 동시에 영위하고 있습니다. 면역항암 세포치료제는 제품별로 임상실험을 진행중이며 면역항암 항체치료제는 제품별로 비임상 및 기초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제품별 자세항 사항은 동 공시서류의 "Ⅱ. 사업의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목적사업 비고

- 면역학 및 생명공학 방식을 이용한 신약 연구 및 개발업

- 개발한 신기술의 사용권 대여 및 양도업

- 신기술 및 신약개발 제품 제조업

- 신기술 및 신약개발 제품 판매업

- 신기술 및 신약의 임상시험

- 의약품, 의약부외품, 화공약품, 수의약품, 농예약품의 제조 및 판매업

- 의료용구, 위생용품의 제조 및 매매업

-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

- 의약품 가공 수탁, 제조시설 및 기구 임대업

- 동물용 의약품 및 기능성 사료의 제조 및 판매업

- 기능성 식품의 개발, 제조 및 판매업

- 암, 자가면역질환 등 난치성질환의 조기진단 및 완화의료 사업

- 환자 맞춤형 치료사업

- 각호에 관련된 무역업 및 무역대리업

- 각호에 관련된 수입품의 판매업 및 위탁업

- 항암제, 면역제재, 세포치료제 제조업

- 항암제, 면역제재, 세포치료제 판매 및 무역업

- 암의 포괄적 치료소 (Eutilex Center for Integrative Cancer Therapy)
설립 및 운영사업

- 항암제 및 암치료기술 개발사업

- 실험동물 위탁 생산 또는 계통유지 및 판매

- 비임상 위탁 실험 사업

- 위 각호에 관련된 부대사업 일체

당사 정관
제2조(목적)


8. 공시서류작성기준일 현재 계열회사의 총수, 주요계열회사의 명칭 및 상장여부

당사의 계열회사는 미국소재의 Eutilogics, Inc.(비상장) 및 국내소재의 (주)판틸로고스, (주)유틸론, (주) 렉소티 총 4개사 입니다.

9.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회사의 주권상장(또는 등록ㆍ지정)여부 및 특례상장에 관한 사항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여부
주권상장
(또는 등록ㆍ지정)일자
특례상장 등
여부
특례상장 등
적용법규
코스닥시장 상장 2018년 12월 24일 기술성장기업의 코스닥시장 상장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조제31항제1호 세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기술력과 성장성이 인정되는 중소기업



2. 회사의 연혁



당사의 설립 이후 중요한 연혁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시

연혁

2015.02

㈜유틸렉스 설립(한명희 대표이사 취임, 납입자본금 : 20백만원)

2015.07

95억 유상증자

2015.08

기업부설연구소 인정

2015.08

벤처기업확인(연구개발기업)

2016.01

대표이사 권병세 취임

2016.02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 과제 이전 완료

2016.03

국립암센터 기술 이전 완료

2016.08,09

210억 유상 증자

2016.09

본사 이전(성의회관 → 가산동 대륭테크노타운 17차)

2016.10

국제공동과제 이전 (국립암센터 → 유틸렉스)

2016.10

주관사 계약 (NH투자증권)

2016.10

국립암센터 공동연구협약

2017.04

GMP 제조소 완공

2017.09

중국 화해 제약과 L/O 및 투자 계약 체결

2017.11

333억 유상증자 (중국 절강화해 제약)

2018.04

사업화연계 특허기술평가지원 사업 선정(기술보증기금)

2018.06

IP-R&D 전략지원 사업 참여기업 선정(한국특허전략개발원)

2018.09 EBViNT Cell 임상2상 시험 승인
2018.12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

2019.03

삼성바이오로직스 CDO 계약 체결

2019.07 4-1BB 타켓의 항체치료제 (EU101) 의 호주 특허 취득
2019.10 HAR-NDS 미국 및 중국특허 취득
2019.10 최수영 사장 영입
2019.12 T세포 치료제 미국 특허 취득
2020.02 T세포 치료제 EBViNT Cell 임상 2상 재개
2020.03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미국 특허 출원
2020.04 진스크립 CDMO 계약 체결
2020.05 전환사채권 발행
2020.06 제훈성 연구소장 영입
2020.08 EU101 FDA Pre IND 신청 완료
2020.09 EU101 면역항암제CFDA 임상 승인
2020.10 코로나19 치료제(ACE2 단백질) 중기부 과제 선정
2020.12 본사 이전(가산동 대륭17차→에이스한솔타워)
2020.12 EU102 FDA IND 신청
2021.01 EU101 FDA IND 승인
2021.01 EU103 미국 특허 취득
2021.02 EU101 MFDS IND 신청


가. 회사의 본점소재지 및 그 변경

일자 주소
2015.02.27 서울특별시 서초구 반포대로 222. 1310호(반포동, 가톨릭대학교 성의교정 성의회관)
2016.09.09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25, 1401호(가산동, 대륭테크노타운17차)
2020.12.30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 408호 (가산동, 에이스한솔타워)


나.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대표이사를 포함한 1/3이상 변동) ?

일자 변동사항
2016.01.22 한명희 대표이사 사임
권병세 대표이사 취임, 한명희 기타비상무이사 취임, 김재은 사내이사 취임
2016.10.31 김재은 사내이사 사임
2016.12.29 한명희 기타비상무이사 사임
박형순 사내이사 취임, 이진수 사외이사 취임, 이국희 감사 취임
2018.02.05 He Bin 기타비상무이사 취임
2018.03.30 이진수 사외이사 사임
권병세 대표이사 중임, 박장우 사외이사 취임
2018.06.15 박형순 사내이사 사임
한정훈 사내이사 취임, 이국희 감사 중임
2019.02.14 한명희 기타비상무이사 취임
조용상 사외이사 취임
2020.03.27 한정훈 사내이사, 박장우 사외이사 사임
최수영 사내이사, 박장우 사외이사 선임
2021.03.30 조용상 사외이사 사임, He Bin 기타비상무이사 중임
임종영 사외이사 취임, 이국희 감사 중임
권병세 공동대표이사 중임


다. 최대주주의 변동

당사는 설립이후 현재까지 최대주주의 변동은 없습니다.

라. 상호의 변경

당사의 설립이후 현재까지 상호의 변경은 없습니다.

마. 회사가 화의, 회사정리절차 그밖에 이에 준하는 절차를 밟은 적이 있거나 현재 진행중인 경우 그 내용과 결과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회사가 합병등을 한 경우 그 내용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회사의 업종 또는 주된 사업의 변화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그 밖에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내용

당사의 최근 사업연도 및 당기의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은다음과 같습니다.

일시

연혁

2017.04

GMP 제조소 완공

2017.09

중국 화해 제약과 L/O 및 투자 계약 체결

2017.11

333억 유상증자 (중국 절강화해 제약)

2018.04

사업화연계 특허기술평가지원 사업 선정(기술보증기금)

2018.06

IP-R&D 전략지원 사업 참여기업 선정(한국특허전략개발원)

2018.09 EBViNT Cell 임상2상 시험 승인
2018.12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

2019.03

삼성바이오로직스 CDO 계약 체결

2019.04 울산대병원 난치성질환 치료제 공동 연구개발
2019.10 최수영 사장 영입
2020.02 T세포 치료제 EBViNT Cell 임상 2상 재개
2020.03 코로나 바이러스 치료제 미국 특허 출원
2020.04 진스크립 CDMO 계약 체결
2020.05 전환사채권 발행
2020.06 제훈성 연구소장 영입
2020.08 EU101 FDA Pre IND 신청 완료
2020.09 EU101 면역항암제CFDA 임상 승인
2020.10 코로나19 치료제(ACE2 단백질) 중기부 과제 선정
2020.12 본사 이전(가산동 대륭17차→에이스한솔타워)
2020.12 EU102 FDA IND 신청
2021.01 EU101 FDA IND 승인
2021.01 EU103 미국 특허 취득
2021.02 EU101 MFDS IND 신청




3. 자본금 변동사항


증자(감자)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주)
주식발행
(감소)일자
발행(감소)
형태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주식의 종류 수량 주당
액면가액
주당발행
(감소)가액
비고
2015년 02월 27일 유상증자(주주배정) 보통주 40,000 500 500 설립
2015년 06월 18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보통주 13,333 500 16,000 3자배정
2015년 06월 19일 무상증자 보통주 413,317 500 500 -
2015년 07월 01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보통주 89,123 500 107,150 3자배정
2016년 08월 25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보통주 47,473 500 197,920 3자배정
2016년 09월 22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보통주 58,594 500 197,920 3자배정
2016년 12월 29일 무상증자 보통주 4,632,880 500 500 -
2017년 11월 09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보통주 1,221,858 500 27,250 3자배정
2018년 12월 19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보통주 747,000 500 50,000 3자배정
2019년 03월 13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6,677 500 12,750 -
2019년 11월 19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5,000 500 14,025 -
2020년 01월 03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65,596 500 10,625 -
2020년 01월 03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3,250 500 12,750 -
2020년 01월 10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6,677 500 12,750 -
2020년 02월 03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8,896 500 10,625 -
2020년 02월 03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000 500 12,750 -
2020년 04월 03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6,060 500 31,500 -
2020년 06월 17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0,000 500 14,025 -
2020년 06월 17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9,500 500 31,500 -
2020년 07월 20일 무상증자 보통주 7,460,234 500 500 -
2020년 07월 24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5,589 500 7,012 -
2020년 08월 20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000 500 7,012 -
2020년 09월 24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000 500 7,012 -
2020년 09월 24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4,000 500 6,375 -
2020년 09월 24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7,820 500 15,750 -
2020년 10월 16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8,000 500 10,500 -
2020년 10월 16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13,060 500 15,750 -
2021년 10월 31일 유상증자(제3자배정) 우선주 641,021 500 31,200 -
2020년 11월 20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1,530 500 7,012 -
2020년 11월 20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6,000 500 15,750 -
2020년 11월 20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000 500 15,750 -
2021년 01월 04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33,448 500 5,312 -
2021년 01월 04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000 500 7,012 -
2021년 01월 07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8,500 500 6,375 -
2021년 01월 29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6,680 500 5,312 -
2021년 01월 29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5,000 500 6,375 -
2021년 04월 05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6,672 500 5,312 -
2021년 04월 05일 주식매수선택권행사 보통주 29,500 500 15,750 -



미상환 전환사채 발행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주)
종류\구분 회차 발행일 만기일 권면(전자등록)총액 전환대상
주식의 종류
전환청구가능기간 전환조건 미상환사채 비고
전환비율
(%)
전환가액 권면(전자등록)총액 전환가능주식수
무기명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1회차 2020.05.04 2025.05.04 29,000,000,000 보통주 2021년 05월 04일 ~2025년 04월 04일 100 32,668 29,000,000,000 884,092 -
합 계 - - - 29,000,000,000 - - 100 32,668 29,000,000,000 884,092 -






4. 주식의 총수 등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보통주 우선주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197,000,000 3,000,000 200,000,000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15,157,095 641,021 15,798,116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 - - -

1. 감자 - - - -
2. 이익소각 - - -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4. 기타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15,157,095 641,021 15,798,116 -
Ⅴ. 자기주식수 - - - -
Ⅵ. 유통주식수 (Ⅳ-Ⅴ) 15,157,095 641,021 15,798,116 -





5. 의결권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주식수 비고
발행주식총수(A) 보통주 15,157,095 -
우선주 641,021 -
의결권없는 주식수(B) 보통주 - -
우선주 641,021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보통주 - -
우선주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
(F = A - B - C - D + E)
보통주 15,157,095 -
우선주 - -



6. 배당에 관한 사항 등


당사의 정관상 배당에 관한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신주배당 기산일

제10조의 3 (신주의 배당기산일)

당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및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영업년도의 직전 영업년도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이익금의 처분

제53조(이익금의 처분)

회사는 매사업연도의 처분전 이익잉여금을 다음과 같이 처분한다.

1. 이익준비금

2. 기타의 법정준비금

3. 배당금

4. 임의적립금

5. 기타의 이익잉여금처분액

이익배당

제54조(이익배당)

① 이익배당은 금전 또는 금전 외의 재산으로 할 수 있다.

② 이익의 배당을 주식으로 하는 경우 회사가 종류주식을 발행한 때에는 각각 그와 같은 종류의 주식으로 할 수 있다.

③ 제1항의 배당은 매결산기말 현재의 주주명부에 기재된 주주 또는 등록된 질권자에게 지급한다.

분기배당

제55조(분기배당)

① 회사는 이사회의 결의로 사업연도 개시일부터 3월·6월 및 9월의 말일(이하 “분기배당 기준일”이라 한다)의 주주에게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12에 따라 분기배당을 할 수 있다.

② 제1항의 이사회 결의는 분기배당 기준일 이후 45일 내에 하여야 한다.

③ 분기배당은 직전결산기의 대차대조표상의 순자산액에서 다음 각호의 금액을 공제한 액을 한도로 한다.

1. 직전결산기의 자본금의 액

2. 직전결산기까지 적립된 자본준비금과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3. 직전결산기의 정기주주총회에서 이익배당하기로 정한 금액

4. 직전결산기까지 정관의 규정 또는 주주총회의 결의에 의하여 특정목적을 위해 적립한 임의준비금

5. 상법 시행령 제19조에서 정한 미실현이익

6. 분기배당에 따라 당해 결산기에 적립하여야 할 이익준비금의 합계액

④ 사업연도 개시일 이후 분기배당 기준일 이전에 신주를 발행한 경우(준비금의 자본전입, 주식배당, 전환사채의 전환청구, 신주인수권부사채의 신주인수권 행사에 의한 경우를 포함한다)에는 분기배당에 관해서는 당해 신주는 직전사업연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다만, 분기배당 기준일 후에 발행된 신주에 대하여는 최근 분기배당 기준일 직후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⑤ 제9조2의 종류주식에 대한 분기배당은 보통주식과 동일한 배당률을 적용한다.


주요배당지표

구   분 주식의 종류 당기 전기 전전기
제7기 1분기 제6기 제5기
주당액면가액(원) 500 500 500
(연결)당기순이익(백만원) -9,472 -28,768 -17,131
(별도)당기순이익(백만원) -9,370 -28,644 -17,120
(연결)주당순이익(원) -625 -1,929 -1,175
현금배당금총액(백만원) - - -
주식배당금총액(백만원) - - -
(연결)현금배당성향(%) - - -
현금배당수익률(%) - - - -
- - - -
주식배당수익률(%) - - - -
- - - -
주당 현금배당금(원) - - - -
- - - -
주당 주식배당(주) - - - -
- - - -





7. 정관에 관한 사항


정관 변경 이력

정관변경일 해당주총명 주요변경사항 변경이유
2021년 03월 31일 제6기 정기주주총회 - 제8조: 의무등록 대상이 아닌 주식등에 대해서는 전자등록을 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함.
- 제15조: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전환하는 경우 이자의 지급에 관한 내용 삭제.
- 제45조: 감사선임에 관한 조문 정비. 전자투표 도입 시 감사선임의 주주총회 결의요건 완화에 관한 내용 반영. 감사 선임 또는 해임 시 의결권 제한에 관한 내용 반영.
- 제 51조: 정기주주총회 개최시기의 유연성을 확보를 위한 조문 정비.
-
2020년 03월 27일 제5기 정기주주총회

- 전자등록에 따른 문구 정비 및 신설

- 명의개서 대리인 조항 내용변경

- 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성명 등 신고 조항 삭제

-



II. 사업의 내용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내용의 이해를 돕기 위해 아래와 같이 주요 용어에 대하여 간략한 설명을 기재합니다.

[용어정리]

용어

해설

비임상시험

사람의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시험물질의 성질이나 안전성에 관한 각종 자료를 얻기 위해 실험실과 같은 조건에서 동물·식물·미생물과 물리적·화학적 매체 또는 이들의 구성 성분으로 이뤄진 것을 사용해 실시하는 시험

임상 1상시험

전임상시험(동물을 상대로한 실험)을 거친 신약을 사람에서 처음으로 평가하는 과정. 비교적 제한된 수의 대상자(약 20-80명)에게 투여되며 약의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건강한 성인이 대상이나, 항암제의 경우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함

임상 2상시험

신약의 유효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제한된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 약리효과를 확인하고 적정용량의 범위 및 용법을 평가

연구자주도임상시험

스폰서(제약사)의 임상시험이 아닌, 연구자가 주도하여 임상시험을 진행하는 연구로 연구자가 임상시험을 계획 및 설계하고, 또한 자료기록, 이상반응, 중대한 이상반응을 보고하고 의약품 관리 모니터링 점검 등을 책임지는 임상시험

조건부허가

해당 환자에 신속한 치료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상 임상 자료만으로 시판허가하는 제도 (단 시판 후 3상 자료 및 사용성적 조사 등이 조건임)

공동자극분자(Co-stimulatory)

T 세포가 완전히 활성화 되기 위해 2개의 시그날을 필요로 하는데 첫번째 시그날은 T세포의 수용체인 TCR이 MHC-peptide와 결합하는 것이고 두번째 시그날인 co-stimulatory 시그날은 특정항원과 무관하며 APC와 T 세포에서 발현되는 Co-stimulatory 분자들 간에 결합

4-1BB

공동자극 수용체의 한 종류로 T 세포를 활성화함

CD8+ T 세포

CD8+ T 세포는 세포독성물질을 분비하여 바이러스, 감염세포나 종양세포등을 죽일 수 있는 적응면역을 담당하는 세포임. 세포 표면에 CD8 단백질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CD8 T 세포라 불림.

GMP(Good Manufacturing Practice) 시설

품질이 고도화된 우수식품·의약품을 제조하기 위한 여러 요건을 구체화한 것으로 원료의 입고에서부터 출고에 이르기까지 품질관리의 전반에 지켜야 할 규범을 따라 설계된 생산 시설

EBV (Epstein-barr virus)

EBV는 human herpesvirus 4로서 성인의 90% 이상에 감염되어 있고 림프 세포 증식 질환 (Post-transplant lymphoproliferative disorder), 호치킨림프종 (Hodgkin’s lymphoma), 비호치킨림프종 (Non-Hodgkin’s lymphoma- Diffuse large B cell lymphoma), 결절외 NK/T림프종 (Extranodal NK/T cell lymphoma), 버킷림프종 (Burkitt lymphoma), 비인두암 (Nasopharyngeal cancer), 위암종 (10% gastric cancer)과 같은 종양들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져 있음.

hTERT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

텔로머라아제역전사효소 (hTERT,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는 염색체 (chromosome)의 말단에 텔로미어 반복서열 (telomere repeat)인 TTAGGG 핵산을 첨가하여 텔로미어 (telomere)의 길이를 유지하는 핵산중합효소 (ribonucleoprotein polymerase)입니다. 이 단백질은 대부분의 체세포 (postnatal somatic cell)에서 낮은 수준으로 발현되어 점진적인 telomere의 길이 감소를 유도함으로써 세포 노화를 유발하여 세포의 수명을 결정하게 됨. 정상 세포의 경우 일부 줄기세포를 제외하고는 거의 검출되지 않지만, 암세포들은 텔로머라아제역전사효소를 과별현하여 죽지 않고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음.

WT1(Wilms’ tumor gene 1)

WT1은 어린이의 신장암 (renal neoplasm)과 관련된 유전자로 처음 분리되었으며 전사인자 (zinc finger transcription factor)를 포함하고 있고 세포의 증식과 분화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 초기의 연구들은 WT1 유전자가 tumor-suppressor gene (종양 억제 유전자)인 것으로 보고하였지만 최근의 연구 결과들은 WT1이 발암 유전자로 다양한 악성 종양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주며 혈액암과 더불어 다양한 고형암에서도 높게 발현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음.

EBViNT Cell

EBViNT Cell (앱비앤티셀)은 EBV LMP2a (EBV 바이러스 잠복세포막단백질)에 대한 자가 유래 CD8+ T 세포로 EBV 감염성 질환 (EBV 양성 종양 및 EBV 림프 세포 증식 질환)의 치료를 위한 면역 세포 치료제임.

TERTiNT Cell

TERTiNT Cell (터티앤티셀)은 hTERT에 대한 자가 유래 CD8+ T 세포로 hTERT 양성, 대부분의 고형암 치료를 위한 면역 세포 치료제임.

WTiNT Cell

WTiNT Cell (위티앤티셀)은 WT-1에 대한 자가 유래 CD8+ T 세포로 WT-1 양성, 대부분의 고형암 치료를 위한 면역 세포 치료제임.

CAR-T 세포치료제

T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 (TCR) 대신 암항원을 인식할 수 항체를 도입하여, 항체가 암항원을 인식하면 T세포가 증식하여 암세포를 죽이도록 고안한 유전자 재조합 T 세포치료제임.

APC(Antigen Presenting Cell, 항원제시세포)

외부 단백질 항원을 세포 내에서 처리하여 T 세포에게 제시함으로써 T 세포가 외부 항원에 대응하도록 도와주는 세포

TCR(T cell receptor)

T세포의 표면에 존재하는 수용체로서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MHC)이라는 단백질의 도움을 받아 숙주세포 표면에 제시된 항원 조각에만 결합함.

MHC(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주조직 적합성 복합체는 인체 내 모든 조직세포의 표면에 표현되며 자기 및 비자기의 인지, 항원자극에 대한 면역반응, 세포성면역과 체액성면역의 조절, 그리고 질병에 대한 감수성에 관여함.

사이토카인폭풍 (Cytokine Release Syndrome)

인체의 면역체계가 과도한 반응을 일으켜 면역계의 세포들이 서로 통신하기 위해 분비하는 여러 단백질 분자인 사이토카인을 과다하게 분비하는 현상으로 인체를 공격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유도할 수 있음.

암항원

암항원은 암세포에서 발현 (표면 혹은 분비)되어 면역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물질로, 암세포에 의해서만 제시되는 종양특이항원 (tumor-specific antigen)과 암세포에서 높은 비율로 발현되는 종양연관항원 (tumor-associated antigen)이 있음.

MHC/peptide multimer

암항원 peptides은 암세포 혹은 항원제시세포의 MHC (주조직적합복합체)에 의해 제시되며, 이를 항원 특이적 T 세포가 인지하게 됨. 따라서 암항원 peptide와 MHC (주조직적합복합체)의 결합체인 MHC/peptide multimer를 이용하면 암항원을 인지하는 T 세포를 분석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음.

암항원 유래 peptide

암항원 유래 peptide는 암세포 혹은 항원제시세포의 MHC (주조직적합복합체)에 의해 제시된 암항원의 작은 단백질 조각.

수지상 세포

수지상세포 (Dendritic cell)는 포유류의 면역계를 구성하는 면역세포임. 그들의 주 기능은 병원균을 포함한 항원을 처리하여 면역계의 다른 세포를 위해 표면에 표시하는 것임. 수지상세포는 항원전달세포로 기능을 함.

CD4 T 세포

CD4 T 세포는 다른 백혈구의 분화 및 활성화를 조절함으로써 체액성 면역을 촉진하는 세포로, 세포 표면에 CD4 단백질을 가지고 있는 특징 때문에 CD4 T 세포라 불림. 세부 기능에 따라 Th1, Th2, Th17, Tfh, Treg 등으로 분류됨.

NK 세포

NK 세포 (NK cell, Natural killer cell)는 선천면역을 담당하는 중요한 세포로, 바이러스 감염세포, 종양세포 등의 비정상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세포임.

세포 독성 (cytotoxicity)

특정 세포가 자기 외의 다른 세포를 죽일 수 있는 능력

activation-induced cell death (AICD)

T 세포가 반복적 혹은 과도하게 활성화되었을 때 자가 반응으로 사멸에 이르는 현상

anti-4-1BB mAb (monoclonal antibody, 단클론 항체)

4-1BB에 결합하는 단클론 항체.

단클론 항체: 한종류의 항원에 결합하는 단 한 종류의 항체.

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는 혈액에 포함된 백혈구 중 핵이 하나로 구성된 세포로, 말초혈액단핵구라 불림. T 세포, B 세포, NK 세포, monocyte 등이 포함됨.

EBV LMP2a

EBV LMP2a는 EBV 바이러스 구성 세포막단백질로서, EBV 감염성 질환 (EBV 양성 종양 및 EBV 림프 세포 증식 질환)의 면역치료를 위한 항원으로 주로 사용됨.

입양 면역세포치료제

입양 면역세포치료제 (Adoptive cell therapy)는 환자의 치료를 위해 환자 자신 혹은 타인의 면역세포를 체외에서 배양 및 조작한 후 환자에게 투여하는 치료제임.

암발생률

정상인과 비교하여 암으로 진단 받는 환자의 비율

암사망률

암 환자 중 그 질병으로 인해 사망하는 환자의 비율

암유병률

전체 인구 중 암 질환을 현재 지니고 있는 환자의 비율

면역원성

면역 반응을 유도하는 항원의 능력 혹은 세기

MHC I (Major histocompatibility complex I)

사람의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I 타입으로 HLA-A, B, C 항원 타입으로 존재하며 세포 독성 CD8+ T세포 림프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거부반응이나, 바이러스 감염 등에서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결합 친화도

단일분자 간 결합 상호 작용의 세기를 말하며, 분자 간 (예를 들어 항원-항체 간) 상호작용 세기의 강도를 표현하는 정량화된 수치임

off-target 결합력

결합을 의도한 물질 (항원 등)이 아닌 다르거나 상반되는 물질에 대한 결합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부작용에 기여할 가능성이 있음.

파아지표면발현기술 (phage display)

대장균에 기생하는 바이러스의 일종인 M13 파아지를 유전자 조작 후 이를 이용하여 단백질을 바이러스 표면에 발현하는 기술로써, 항체 신약개발의 주요기술로 활용되고 있음.

효모표면발현시스템 (yeast display)

유전자 조작 및 형질전환을 통해 효모 표면에 단백질을 발현하는 기술로써, 항체 신약개발의 주요 기술로 활용되고 있음.

ELISA

효소결합면역흡착검사 (Enzyme-linked immunosotbent assay)라고 하며, 항체 또는 항원에 효소를 표지하여 효소의 활성을 측정하여 항원-항체 결합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임.

바이오 패닝

파아지 표면발현기술을 이용한 항체 라이브러리 (다양한 항체들이 모인 집합체)로부터 항원에 특이적으로 결합하는 항체를 선별하는 일련의 과정을 말함.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

유동적으로 흐르는 세포들을 측정하여 세포의 분류 또는 생체지표 탐지 등에 이용하는 장비로써, 면역학, 종양학, 병리학, 분자생물학, 단백질 공학 등의 분야에 응용되고 있음.

레트로

유전자로서 RNA를 보유하고 있는 바이러스의 한 유형으로 이 RNA를 숙주 세포의 DNA에 끼워넣기 위한 역전사 효소를 가지고 있음. 세포에 유전정보를 끼워 넣을 수 있는 특성 때문에 유전자전달 매개체로 널리 이용됨.

렌티바이러스

레트로바이러스 일종으로 레트로바이러스는 분열하는 세포만 감염시키는반면 렌티바이러스는 분열하지 않는 세포도 감염시켜 유전자 전달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는 범위가 넓음.

바이러스 벡터

유전 물질의 인위적 운반자로써 바이러스를 이용하는 경우임.

세포주

정상적인 세포와 달리 지속적으로 배양 가능한 상태의 세포임. 한 종류의 단백질을 특징적으로 발현하거나 유전적으로 조작된 세포로, 단 한 개의 세포에서 유래하며 그 형질이 계속 유지되고 복제될 수 있는 세포 군집. 모든 세포의 유전적 성질이 동일함.

CD19 항원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B 세포 표지 단백질의 한 종류임.

CD20 항원

세포 표면에 존재하는 B 세포 표지 단백질의 한 종류임.

B 세포

면역계를 담당하는 백혈구의 일종으로 외부 항원에 대응하는 항체를 생산하는 세포

MVR (malignancy variant receptor, 악성변이 수용체)

악성 암종에만 나타나는 단백질이라는 의미로 악성변이 수용체라 명명함.

HLA-DR

사람의 주조직적합성 복합체 (MHC) II 타입라고 알려진 유전자에 의해 생성되는 당단백질 분자중의 하나로 보조 CD4+ T세포 림프구와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비자기 항원을 인지시켜 세포성 면역을 야기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함.  

EBV LCL(EB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Lymphoblastoid Cell Line 세포)

혈액에서 분리된 말초혈액단핵세포 (감염 대상은 B 림프구)에 Epstein-Barr virus(EBV)를 감염시켜 형질 전환한 세포주로서 인체유전학, 약물유전학, 면역학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영역에서 유용하게 활용되어지는 생물자원임.

4-1BB 신호전달 도메인

4-1BB는 세포 외 부분, 막 통과 부분, 세포 내 부분으로 나뉘는 세포막 통과 수용체로 이 중 외부 자극을 세포 내로 보내 주는 기능을 하는, 세포 안쪽에 위치하는 부분

종양미세환경

종양은 정상 조직과 다른 세포 환경 변화를 유도함. 정상 조직과 다르게 혈관 또는 임파선이 발달하거나 산소 전달이 원활하지 않는 등 종양에 특이적인 세포 수준의 미세 환경을 말함.

수용체의 주요 활성 인자 (라이간드, ligand)

수용체에 결합하여 자극을 전달할 수 있는 세포 밖에 존재하는 단백질 혹은 물질

AITR (CD357, Activation-Inducible TNFR family Receptor, TNFRSF18)

T 세포 수용체의 하나로 T 세포 활성화 또는 조절 T 세포를 억제하는 기능을 가짐

세포 독성 T 세포 (cytotoxic T cell, Tc cell)

면역 세포의 일종으로 외부 항원 또는 변이 단백질을 가진 세포를 제거, 사멸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가진 T 세포

도움 T 세포 (helper T cell, TH cell)

B 세포에 의한 항체 생성이나 살생 T 세포의 활성화를 돕는 T 세포.

면역 체크포인트 (Immune Checkpoint)

면역계를 조절하는 인자

CTLA-4

면역 작용 억제 인자의 하나로 항체 의약품 Yervoy에 의해 억제될 경우 면역 활성을 유도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냄

PD-1

면역 작용 억제 인자의 하나로 항체 의약품 Keytruda에 의해 억제될 경우 면역 활성을 유도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냄

PD-L1

면역 작용 억제 인자의 하나로 항체 의약품 Tecetriq에 의해 억제될 경우 면역 활성을 유도하여 항암 효과를 나타냄

면역 활성 촉진제 (Agonistic Checkpoint)

면역 작용 억제 인자와 별개로 면역 활성을 증가시켜 항암 효과를 증진시킴.

OX40 (CD134)

TNF 수용체 계열의 하나로 공동 자극 신호를 T 세포 내로 전달함

라이간드 결합

수용체에 결합하는 단백질 또는 물질을 라이간드라하며 이 라이간드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현상을 지칭

항 종양 인자

종양을 억제시키는 능력을 지닌 인자

TH1

T 세포의 활성화를 돕는 T 세포.

CRO(Contract Research Organization, 임상시험수탁기관)

제약회사가 신약개발을 위해 임상시험 연구를 아웃소싱하는 기관으로 신약개발 단계에서 제약사의 의뢰를 받아 임상시험 진행의 설계, 컨설팅, 모니터링, 데이터관리, 허가대행 등의 업무를 대행하는 업체

CMO(Contract Manufacturing Organizations, 위탁생산공장)

제조업체의 의뢰를 받아 제품을 생산해 주는 위탁생산 전문 공장

IND(Investigational New Drug, 임상시험계획)

임상시험용신약으로 임상시험에서 시험되는 신약

CDC (Complement-Dependent Cytotoxicity)

혈장에 존재하는 보체라는 단백질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 반응으로 외부 병원체 또는 변이 세포의 막을 파괴하여 세포사를 유도하는 현상  

ADCC (Antibody-Dependent Cell-mediated Cytotoxicity)

혈장에 존재하는 항체에 의해 유도되는 면역 반응으로 외부 병원체 또는 변이 세포에 결합한 항체를 매개로 세포사를 유도하는 현상  

autologous dendritic 세포 (DCs)

자가 유래 수지상 세포


1. 사업의 개요

가. 회사의 현황

(1) 회사 사업의 요약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유틸렉스 T 세포치료제의 임상과 CAR-T세포치료제 및 면역항암 항체치료제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Immunology와 Oncology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보유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의 조기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구분

보유 파이프라인

수익모델

개발현황

국내

미국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

EBViNT

임상직접 개발을 통한

제품 매출 발생

임상2상 진행중

글로벌 임상 진행 예정

WTiNT

임상1상 진행중

TERTiNT

IIT(*) 진행중

NYESOiNT

IIT(*) 진행 예정

CAR-T세포치료제

MVR CAR-T

비임상 및 임상개발을 통한

제품매출 발생

비임상 진행중

GPC3 CAR-T

항체치료제

EU101

임상 1상 후 라이선스 아웃

EU103

EU102

비임상 단계에서 라이선스 아웃

EU505

*IIT(Investigator Initiated Trials) : 연구자주도임상시험


당사는 새로운 면역치료제를 개발하고 상용화를 촉진함으로써 암, 자가면역질환 같은 난치성 질환을 부작용 없이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2015년 2월 설립된 바이오 벤처입니다. 당사의 대표이사인 권병세 대표와 연구진이 수십년간 진행해온 인체 면역계 연구를 바탕으로 당사는 기존 항암제가 가지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킨 차세대 면역 기반 항암제인 T 세포 치료제, 면역 조절 항체 치료제, CAR T 세포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들 모두 플랫폼 기술로서 다양한 치료제 파이프라인 구성이 가능합니다.

당사의 T세포 체료제는 보유 파이프라인 중 NK/T 림프종 적응증으로 식약처에서 임상 2a상 승인을 2018년 9월에 받았으며 나머지 파이프라인은 임상 1상 또는 연구자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세포 치료제는 조건부 허가를 받을 수 있는 치료제로 임상 2상 결과로 식약처 승인을 받은 후 바로 시판이 가능합니다.

현재 IND 승인을 받은 임상 2a상은 NK/T 림프종을 대상으로 임상디자인을 하였으나 현재 진행중인 임상 1상 및 연구자 임상에서 폐암, 유방암 등 다양한 암종에 항암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 된 바 있어, NK/T 림프종을 필두로 다른 암종에 대한 치료제도 출시될 수 있는 가능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이외에 면역조절 항체치료제와 CAR-T 세포 치료제는 비임상을 위한 시험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가) T 세포치료제

당사는 자가유래 소량의 혈액(50ml)을 이용한 암항원에 특이적인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의 임상을 국내 다양한 암종의 말기암 환자를 대상으로 진행하고 있으며 미국 임상을 위한 사전 IND 준비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CAR-T 세포치료제

CAR-T세포치료제의 경우 기존의 CAR-T세포치료제가 가진 부작용을 극복할 수 있는 자체기술을 바탕으로 비임상시험 진행중에 있습니다. 자체 CAR-T세포치료제 생산시설을 구축완료 하였으며 국내 임상 및 조기상용화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다) 항체치료제

당사의 면역항암 항체치료제는 다양한 면역관문 타겟을 바탕으로 비임상 연구 및 기초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으며 비임상 또는 임상 초기 단계에서 다국적제약사에 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2) 주요제품의 개요

(가) 유틸렉스T세포치료제

1) 작용기전

■  당사 핵심 기술: 간단하고 실용적인 암항원 특이적 T 세포 제조 공정 플랫폼 기술


면역계를 구성하는 다양한 면역 세포 중T 세포는 항원에 대한 특이성을 가진 세포로 하나의T 세포는 하나의 항원을 인식하는TCR (T cell receptor)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외래 항원에 대응하기 위해 많은 종류의T 세포가 면역계에 존재해야만 합니다. 조합 가능한TCR의 종류는 약10^15 (일천 조)개 이며 성인 한 명의 몸 속에는2.5×10^7(2천 오백만)종류의 T 세포가 약10^12(일 조)개 존재합니다. 따라서 암항원 특이적T 세포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약2,500만 종류의T 세포 중 몇 종류만을 분리할 수 있는 고도의 분리 기술이 필요합니다.

이미지: [인간 t 세포 수용체 (tcr) 유전자의 다양성]

[인간 t 세포 수용체 (tcr) 유전자의 다양성]


당사는 이러한 고도의 분리 기술로써 “4-1BB 기반 암항원 특이적 T 세포 제조공정 플랫폼”을 개발하였으며 이 기술을 바탕으로 당사의 T세포치료제의 특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높은 제조 성공률

제조 전 암환자 선별검사를 통한 높은 제조성공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타 회사 세포치료제의 경우 사전 선별검사 과정이 없어 세포치료제의 제조 실패가능성이 존재합니다.

② 높은 암항원 특이성

4-1BB 기반으로 암항원 특이적인 CD8+ T 세포를 고순도를 분리 및 대량 증식한 세포치료제입니다. 타 항암 세포치료제에 포함되어 있는 종양 미반응성 T 세포 및 항암면역 억제 세포를 포함하지 않습니다.

③ 적응증 확장성

본 기술은 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면역 세포에 어떤 암항원 peptide를 첨가하는지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암을 치료할 수 있는 암항원 특이적 T 세포를 분리 및 증식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암항원 특이적 T 세포 치료제의 제조가 가능한 플랫폼 기술로 다양한 종양 항원들이 4-1BB+ CD8+ T 세포 치료제 생산에 사용될 수 있습니다.

④ 제조공정의 단순화, 표준화, 규격화

타사 항암세포치료제 대비 쉽고 효율적인 제조공정으로 개선하였으며 이를 통해 모든 공정이 SOP(Standard Operating Procedure, 제조절차서)를 통해 생산될 수 있도록 표준화 작업을 완료하였습니다. 또한 생산하는 모든 T세포치료제가 각 95%이상의 순도를 보일만큼 동일한 품질의 세포치료제로서 제품의 규격화를 완성하였습니다. 따라서 본 기술은 자가 유래 항암 T 세포 치료제의 근본적 문제점이던 제조 공정 및 제품의 규격화를 이루어 냈으며 항암 T 세포 치료제의 제품화 및 실용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고도의 기술입니다.


⑤ 짧은 제조공정으로 생산 비용의 경제성 확보

또한 단축된 제조 공정 기간으로 유전자세포치료제 (CAR T)와 유사할 정도로 제조공정 기간이 짧다는 강점이 있습니다. 타사 세포치료제의 경우 짧게는 3주 길게는 10주 이상 소요 되는데에 반해 당사의 T세포치료제는 3주내에 생산 생산 가능합니다. 이러한 간소화된 공정을 바탕으로 유전자세포치료제 (CAR T)와 비교시 수분의 1 비용으로 생산 가능하여 생산 비용의 경제성도 확보하였습니다

⑥ 낮은 부작용, 탁월한 항암 효능.

현재까지 수행된 임상시험 (앱비앤티셀, 위티앤티셀, 터티앤티셀)에서 세포치료제 관련 주목할만한 부작용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표준치료에 실패한 말기암환자에서 탁훨한 항암 효능 확인. 단계별 임상으로 효력은 더욱 극대화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결국 유틸렉스의T 세포 치료제 기술은 타 경쟁사의 최대 과제인 제조 공정의 표준화와 규격화를 이루어 냈으며 여러 종류의 항원을 추가 또는 변경함으로써 종양의 변이, 시장의 어떠한 변화에도 효율적이고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완벽한 의미의 플랫폼 기술입니다


2) 제조공정

이미지: [4-1BB를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T세포 분리 및 대량 배양]

[4-1BB를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T세포 분리 및 대량 배양]


당사가 개발한 ‘4-1BB를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T 세포 분리/대량 배양 방법’은 1) 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면역 세포를 분리한 후, 2) 표적 암항원에서 유래하는 peptide들을 첨가하여 배양함으로써, 3) 암항원 특이적CD8 T 세포가 4-1BB를 발현하도록 유도하고, 4) anti-4-1BB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며, 5) 이후 시험관 내에서 대량 배양하여 암환자에게 투여하는 기술로써 4-1BB를 이용한 암항원 특이적 T 세포 분리/대량 배양 방법에 대한 플랫폼 기술입니다

이미지: [4-1BB를 통한 신호전달 효과]

[4-1BB를 통한 신호전달 효과]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분리된 PBMC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 말초혈액단핵구) 중 peptide에 특이적으로 활성화된CD8 T 세포만을 분리하여 대량 배양함으로써 필요한 수준의 숫자로 증식시킨 세포를 환자에게 다시 투여하는 “항원 특이적 CD8 T 세포를 이용한 면역 세포 치료법”을 개발하였습니다.

이미지: [맞춤형 플랫폼 기술로서 유틸렉스 T 세포 치료제]

[맞춤형 플랫폼 기술로서 유틸렉스 T 세포 치료제]


즉 T 세포에 제시되는 항원에 따라 종양 특이적 T 세포, 변형된 형태의 신항원 작용 T 세포, 자가 면역 질환 특이적 T 세포, 다발성 경화증에 특이적인 T 세포 등을 가변적으로 생산할 수 있고 부작용은 거의 보이지 않는 세계 수준의 맞춤형 혁신 기술입니다.

3) 보유파이프라인

개발 초기 핵심 기술 개발 및 확립을 위한 T 세포 제조 공정의 타당성과 가능성 확인 과정으로 당사가 개발한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다양한 암항원을 선별하고(Epitope screening) 이들에 대한 암항원 특이적인 CD8+T 세포 치료제가 생산될 수 있는지를 실제 각 암종별 다양한 암환자들의 혈액을 이용하여 시험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의 플랫폼 기술을 이용한 암종별, 암항원 특이적인 CD8+T 세포 치료제 생산을 위한 제조 공정을 확립하였으며 생산된 암항원 특이적인 CD8+T 세포의 품질 시험 및 항암 효력 시험 등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미지: [암종별 암환자 혈액을 이용한 암항원 선별 검사, T 세포 치료제 제조 가능]

[암종별 암환자 혈액을 이용한 암항원 선별 검사, T 세포 치료제 제조 가능]


상기 표는 당사의 플랫폼 기술을 이용하여 각 암종별 암항원에 대한 항원 특이적인 CD8+T 세포 치료제 생산 가능성을 시험한 결과 요약입니다. 표 3와 같이 각 암종별로 항암T 세포 치료제 생산이 가능한 환자가 40%에서 81%로 사전 선별됩니다. 즉 선별된 이들 암환자들은 모두 당사 항암 T 세포 치료제의 치료 대상자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유틸렉스는 각 암종별 다양한 암항원에 대한 T 세포 치료제를 개발하였으며 현재 다수의 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 CAR-T 세포 치료제

1) 작용기전

이미지: [CAR-T 세포 치료제 개요]

[CAR-T 세포 치료제 개요]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 세포 치료제는 환자에서 채취한 T 세포에 암항원을 타겟으로 하는CAR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을 높이도록 유전자를 재조합한 T 세포 치료제입니다. 현재 FDA 승인된 2종의 CAR-T 세포치료제는 모두 혈액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특히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에 83%의 높은 임상효능을 나타내고 있으나, 고형암에서의 임상효능의 경우 부작용 및 치료효능 저하 등의 문제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유틸렉스의 CAR T 세포 치료제는 암조직 내 침투, 종양 생장에 필요한 혈관 확장의 방해, 종양 미세 환경 특이적 면역 억제 세포 및 물질의 제어 등 부가적 기능을 도입한 CAR T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형암 치료에도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차세대 CAR T 세포 치료제입니다.

당사가 보유한 CAR-T세포치료제 파이프라인의 특장점은 아래와 같습니다.
 

①    HLA-DR 타겟으로 개발, 암세포만 선택적으로 공격


CD19(기 출시된 CAR-T Target)은 정상세포 및 암세포, 모두 동일한 비율로 분포하지만 당사의 타겟인 HLA-DR은 정상B세포가 악성B세포로 변화하면서 발현량이 증가합니다. 즉, 암세포에 HLA-DR이 다량 발현하는데 당사의 MVR CAR-T는 HLA-DR이 증가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하게 됩니다.


②    낮은 결합력으로 정상세포와 결합하지 않아 부작용 감소


MVR CAR-T가 정상B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것은 낮은 CAR 결합력 때문인데, 보통은 암세포 사멸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CD19 CAR-T의 경우 높은 CAR 결합력으로 인해 CD19을 발현하는 정상B세포도 공격하여 부작용 발생하게 됩니다. MVR CAR-T는 결합력이 다른 CAR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HLA-DR이 낮게 발현된 정상B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HLA-DR이 과발현된 암세포만 사멸 가능하며 이는 혈액암 동물모델에서 증명되었습니다.

③    단순한 제조공정으로 가격 경쟁력 보유


또한 제조공정 단순하여 가격 경쟁력 보유하고 있습니다. CAR T 세포 치료제를 생산하는 공정에 있어서도 킴리아 및 에스카타 모두 2번의 형질전환 과정을 거쳐 CAR T 세포 치료제를 제작하는데 반해 MVR CAR T 세포의 경우 1번만 형질전환을 하여도 배양 완료 후 높은 CAR 발현율 확인하였습니다. 가격 경쟁력에서 우위를 선점 기대하고 있습니다.


④    암세포 살상능 향상


마지막으로 당사의 CAR-T 치료제는 암세포의 살상능을 향상시켰습니다. 기존 CAR T 세포 치료제에서 사용하고 있는 세포 내 신호전달을 위한 4-1BB 도메인 대신 4-1BB에 대한 깊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개량된 4-1BB 신호전달 도메인(기존보다 메모리 기능 향상)을 도입함으로써 암세포 살상능을 향상시켰습니다.


2) 제조공정

CAR-T 세포의 제조과정은 크게 아래의 3가지 과정으로 진행됩니다.

첫 번째 단계는 T 세포 수용체대신 이용되는 항암세포에 특이적인 항체 선별 및 최적화입니다. 일반적인 항체 치료제에서는 항원-항체간 결합력을 높여 효능을 향상시키지만 CAR T 세포 치료제에서는 정상 세포에 결합하여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결합 친화도를 조절해야 합니다. 따라서 단순히 결합 친화도를 높이는 것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 결합 친화도를 감소시키거나 off-target 결합력을 낮추는 등의 고급 항체 결합력 엔지니어링 기술을 필요로 합니다.

두 번째 단계는 최적화된 항체를 재조합한 CAR 유전자를 T 세포 내로 도입하는 과정입니다. CAR T 세포 치료제는 T 세포의 낮은 유전자 도입 효율로 인해 레트로나 렌티바이러스 등과 같은 바이러스 벡터를 이용합니다. 유틸렉스에서는 CAR 유전자를 전달하기 위한 높은 역가의 렌티바이러스 생산 시스템을 확립하였고, T 세포로 도입 효율을 증강시키기 위해서 여러가지 T 세포 활성화법 그리고 렌티바이러스 감염법 등을 테스트하여 CAR 유전자를 가진 렌티바이러스를 T 세포 내로 도입하는 방법을 최적화하였습니다.  

세 번째 단계는 CAR 유전자가 도입된 T 세포 (CAR T 세포)를 증식 배양하는 단계입니다. 효능이 좋은 CAR T 세포를 제조하기 위하여 여러가지 사이토카인 및, 배지 등을 테스트하였으며 현재 세포 배양 방법 및 공정이 확립되어있습니다.

3) 보유파이프라인

① MVR CAR-T

당사가 오랜 기간에 걸쳐 개발한 MVR 항체는 HLA-DR을 인식합니다.  CD19가 정상세포와 암세포에 모두 동일한 비율로 분포하는 것과 달리, HLA-DR은 정상B세포가 악성B세포로 변화하면서 발현량이 증가합니다. 즉, 암세포에서 많은 HLA-DR이 발현되는데 이 연구팀의 기술인 MVR CAR-T는 HLA-DR이 증가된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합니다.

MVR CAR-T가 정상B세포를 공격하지 않는 요인 중 하나는 바로 낮은 CAR 결합력입니다. 보통은 CAR 결합력이 높아야 암세포 사멸에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CD19 CAR-T의 경우 높은 CAR 결합력으로 인해 CD19을 발현하는 정상B세포도 공격하여 부작용을 일으킵니다. MVR CAR-T는 결합력이 다른 CAR와 비교하여 낮기 때문에 HLA-DR이 낮게 발현된 정상B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HLA-DR이 과발현된 암세포만 사멸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② 고형암 타겟 CAR T

고형암을 타겟하는 CAR T의 경우 두 가지의 접근을 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는 암세포에 존재하는 하나의 암항원을 표적하는 것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동시에 두 개의 암항원을 표적하는 것이고, 또다른 접근은 CAR-T가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하게 함으로써 암항원을 타겟할 뿐만 아니라 암주위의 환경을 암세포에게 불리하게 바꾸어 암세포 살상능을 증가시키는 것입니다. 당사의 고형암 타겟 CAR-T세포치료제는 1) 경쟁사 대비 우수한 고형암 타겟 항체 확보, (2) 월등한 세포 살상능을 보이는 본사 독자적 4-1BB 신호전달 도메인 도입, (3) 제 4세대 CAR T 세포 치료제 벡터를 이용한 종양미세환경 극복에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다) 면역항암 항체치료제(Costim 플랫폼)

1) 작용 기전

유틸렉스는 다수의 면역 항체 치료제를 보유하고 있으며 주력 항암 항체로서 EU101과 EU102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EU101과 EU102의 타겟인 T 세포 공동자극 수용체 4-1BB (CD137, TNFRSF9)와 AITR (CD357, Activation-Inducible TNFR family Receptor, TNFRSF18)은 각각 1989년과 1999년 권병세 박사에 의해 처음 보고되었고 이후 수십 년간의 연구를 통해 200편 이상의 최우수 연구 논문들을 출판하는 등 유틸렉스 연구진은 꾸준히 4-1BB와 AITR의 세포 내에서의 미세한 신호 전달 기작과 면역 항암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확인, 증명하였습니다.

T 세포 공동자극 수용체(Costimulatory Receptor)인 4-1BB와 AITR은 T 세포의 세포 독성 활성화, 면역 기억 강화, 생존 능력 강화에 핵심적 역할을 담당하며 이는 종양 면역학적 관점에서 종양 미세 환경을 자가 면역계가 활성화되는 항종양 환경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최적의 후보입니다. 실제로 4-1BB와 AITR을 자극하는 항체 치료제는 여러 동물 실험에서 탁월한 항암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면역 세포에 작용하는 면역 항암제와 달리 화학 항암제나 표적 항암제는 암세포를 타겟으로 하는 치료제입니다. 종양은 유전적으로 변이를 일으켜 무한 증식하는 암세포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끝임 없이 변이를 일으켜 표적 항암제가 작용하는 분자 자체를 상실할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환자에게는 항암제가 더 이상 역할을 할 수 없는 내성이 발생하고 이후로는 마땅한 치료법을 찾을 수 없게 됩니다. 면역계는 변이 그 자체를 표적으로 삼기 때문에 이러한 항암제 내성을 극복할 수 있는, 실질적으로 유일한 대안입니다.

인체의 면역계는 암 항원에 대한 항체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직접적으로 공격할 수도 있지만 암을 제거할 수 있는 세포 독성 T 세포 (cytotoxic T cell, Tc cell) 혹은 다른 면역 세포의 활성화를 이끄는 도움 T 세포 (helper T cell, TH cell)의 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항암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은 두 종류가 있는데 1) 세포 독성 T 세포의 활성화를 막는 inhibitory receptor (억제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 (Immune Checkpoint Blockade) 2) 세포 독성 T 세포의 활성화를 돕는 co-stimulatory receptor (공동자극 수용체) 자극하는 것입니다.

이미지: [T세포의 활성화수용체와 억제수용체]

[T세포의 활성화수용체와 억제수용체]


T 세포는 기본적으로 면역 활성이 과도하게 유도되는 것을 막기 위해 면역 체크포인트 (Immune checkpoint)라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암세포는 이를 역이용하여 면역 세포로부터의 공격을 회피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대표적인 예로 PD-1을 들 수 있는데T 세포의 공격에 의해 암세포는 PD-L1의 발현을 증가시키게 되고 이는 T 세포에 있는 PD-1에 자극을 주어 면역 체크포인트(Immune Checkpoint)를 활성화시킴으로써 T 세포의 활성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와 같은 면역 체크포인트에 관여하는 다양한 인자 (즉 CTLA-4, PD-1, PD-L1)의 발현 정도는 항암 치료의 예후 마커로도 사용되며 이러한 인자들의 작용을 억제하여 T 세포가 효과적으로 암세포를 공격하게 하는 키트루다, 여보이, 옵디보와 같은 다양한 항암 약물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원래 환자가 가진 세포 자체 중 anticancer activity를 가진 T 세포가 적거나 Immune checkpoint로 인한 불활성화에 기인한 종양이 아니라면 단독 투여 시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두 번째로 면역 활성 촉진제(Agonistic Checkpoint)가 있습니다. 종양 미세 환경 내에서 종양 특이적T 세포가 활성화가 되면 4-1BB (CD137), OX40 (CD134), AITR (CD357) 등의 공동자극 분자를 발현하고 이를 자극해주면 T 세포의 증식 및 세포 독성의 활성화를 유도하게 됩니다.

이미지: [Agonistic checkpoint의 작용 원리]

[Agonistic checkpoint의 작용 원리]

자료 : CrownBio

결국 활성화된 자가 면역계는 암세포만을 선택적으로 선별하여 제거함으로써 암환자의 생존율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습니다. EU101과 EU102는 면역 활성을 촉진하는 항체로 종양을 제어할 수 있는 첨단의 치료제입니다.

현재 유틸렉스 연구진은 4-1BB와 AITR의 면역학 연구 분야에서 세계 수준의 최전선에 위치하고 있으며 그 항암 치료제 연구에서도 초일류의 연구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우수한 항체 치료제 하나는 화학 항암제 보다 월등히 적은 부작용과 우월한 치료 효과로 의료 시장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할 수 있습니다. 항체 치료제의 하나인 Humira (Adalimumab, anti-TNF-a antibody)의 2016년 매출은 16조 원이 넘었습니다. 그만큼 항체 치료제는 단 하나의 분자가 고도의 부가 가치를 가질 수 있습니다. 더 나아가 T 세포를 활성화시켜 면역 항암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EU101과 EU102는 항암 시장에서의 전망과 가치를 뛰어 넘어 치료법을 찾을 수 없는 말기 암 환자에게 새로운 희망을 불러 일으키고 궁극적으로는 인류의 행복에 이바지할 것입니다.

(2) 보유 파이프라인

① EU101

EU101은 인간 T 세포 4-1BB에 결합하는 항체입니다. 즉 4-1BB 신호를 인위적으로 개시하게 하는 항체 치료제입니다. EU101에 의해 자극된 4-1BB 신호는 면역계 T 세포를 활성화시키는데 이러한 자가 면역계를 이용한 형태의 항암 치료는 기존 항암제를 이용한 치료와는 근본적으로 다릅니다. 기존 약제는 분열이 빠른 정상 세포에게도 손상을 가하므로 환자에게 부작용과 고통을 안겨주며 혈관이 미치지 않는 종양 조직의 깊은 곳까지 전달 (infiltration)되기 어렵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에 반해 면역 치료제는 인체 유래인 항체를 사용한 치료이므로 기존 화학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하며 면역 세포를 조절하여 종양 내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조직 내 깊숙한 곳에 숨어있는 종양까지도 신속, 정확하게 제거, 치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활성화된 T 세포는 이미 경험한 암항원 즉 종양에 대한 기억 능력으로 동일 종양의 재발 또한 억제할 수 있습니다.

EU101은 라이간드 접합 부위 또는 복합 수용체 활성화 부위의 구조를 인식하여 결합하므로 이미 알려진4-1BBL의 항암력을 모방하거나, 더 나아가 자신의 면역체계를 활성화하여 종양세포를 제거하는 항암 면역 치료제의 최적 후보 중 하나입니다. 실제로 여러 다양한 동물 실험에서 4-1BB에 대한 항체는 단독 요법으로 여러 암종, 즉 육종(sarcoma), 신경교종(glioma), 신장암, 피부암 등에서 큰 치료 효과를 보여줄 뿐 아니라 다른 항암제와 병용 치료 시 그 항암력이 향상됨을 보여 주었습니다. 예를 들면 많은 암에 유효성을 나타내지만 신장 독성의 부작용을 가지는 cisplatin의 경우 4-1BB에 대한 단클론 항체와 병용하였을 때 부작용을 줄이는 동시에 항암 효과가 증진되었고 CTLA-4 항체 또는 거의 모든 암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hTERT (human telomerase reverse transcriptase)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과 혼합 치료를 하였을 경우 항암 효과가 큰 폭으로 향상된 동물 실험 결과가 보고되어 있습니다.

② EU102

인간 면역체계에서는 두 가지의 자극으로 T 세포의 활성화 단계가 진행됩니다. 하나는 항원에 의한 TCR (T cell receptor) 복합체 자극이고 또 하나는 공동자극 신호 전달에 의한 자극입니다. 두 자극에 의해 T 세포가 활성화 단계로 진행되면 면역계가 활성화되고 항암 반응 및 항 바이러스, 항 박테리아 반응 등이 나타나게 됩니다. T 세포의 표면에 발현하는 TCR 복합체가 항원을 접하면 공동자극 분자가 세포 표면에서 발현하게 되고 이는 항원 제시 세포에서 발현하는 라이간드와 결합하여 공동자극 신호를 전달하게 됩니다. 신호를 받은T 세포는 활성화되어 사이토카인 분비를 촉진하거나 세포 증식 및 항원 특이성을 지닌 T 세포로 분화하게 됩니다. AITR은 T 세포 중에서도 CD4+T 세포에 주로 반응성을 가지는 공동자극 분자로서 CD4+T 세포 표면에 있는 TCR 복합체의 항원 자극에 의해 그 발현이 증가하며 공동자극 신호 전달에 의해 CD4+T 세포를 항 종양 인자 IFN-g를 분비하는 TH1 세포로의 분화를 유도합니다. AITR은 Naive 및 비활성화 단계 (resting stage)에서는 발현하지 않지만 항원의 자극으로 T 세포가 초기 활성화되면 발현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미지: [T 세포에서 AITR-AITRL의 작용 기전]

[T 세포에서 AITR-AITRL의 작용 기전]


하지만 조절 T 세포, Treg에서는 활성화에 관계 없이 높은 수준으로 그 발현이 관찰 됩니다. 결국 AITR을 통한 신호 전달은 TH1 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IFN-g의 분비량도 증가시키게 됩니다.

한편 CD4+T 세포는 그 성질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세포 보조 인자 사이토카인의 영향에 의해 다양한 면역 세포로 분화할 수 있는 분화 유연성(plasticity)을 가지고 있는데 여러 도움T 세포(TH1, TH2, TH9, TH17)와 조절T 세포(Treg)로의 분화가 그것입니다.

이미지: [CD4+ T 세포의 분화 유연성]

[CD4+ T 세포의 분화 유연성]


③ EU103

EU103는 M2 macrophage기능을 차단함으로써 킬러T세포의 활성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를 억제하는 M1 Macrophage 세포로 변환함으로써 인체면역계의 항암능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강력한 항암항체치료제입니다. 종양 미세환경에서의 면역억제 환경을 개선하기 위한 전략으로, 면역학적으로 ‘cold tumor’에서 미리 존재하는 T 세포 반응이 없기 때문에 immune checkpoint 차단제를 사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습니다. 이에 종양 주변에 존재하는 M2 macrophages를 M1 macrophage로 전환시켜 면역반응을 유도할 수 있고 이는 종양 미세환경의 면역억제 환경을 개선할 수 있음. 또한 킬러 T 세포의 종양 침투를 도와 ‘Hot tumor’ 로 환경을 바꿀 수 있습니다. 활성화된 T세포는 이미 경험한 암항원(종양)에 대한 기억 능력이 있어 동일 종양의 재발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다른 면역 항암 항체치료제와 병용이 가능하며, 기존의 화학/표적 항암제와도 병용이 가능합니다. 인체 유래인 항체를 사용한 치료로 기존 화학 항암제의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암종에 적용이 가능합니다


나. 산업의 현황

(1) 산업의 현황 및 개요

미국국립암연구소에 따르면 거의 40%에 이르는 남성과 여성이 생애 중 한번은 암 진단을 받게 됩니다. 암 치료의 방법은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지난 수십 년간 큰 진전을 보였지만 여전히 암은 인류에게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있습니다.

1세대 화학 항암제와 2세대 표적 항암제는 여러 종양에서 효과를 보였지만 암세포의 특징인 가변성 때문에 악성 종양, 전이암, 재발암 등의 치료에는 한계를 보였습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환자 자신의 면역계를 이용한 면역 치료법이 제시되었고 최근 몇 년 간 개발된 면역 치료제는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놀라운 항암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면역 항암제는 암세포 자체를 표적으로 삼는 약제가 아니라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면역 세포를 조절하여 종양을 제거하는 치료제입니다. 그러므로 기존 항암제의 독성으로 인한 부작용이 없으며 종양 타입에 따른 제한도 없고 이론적으로 면역 기억에 의해 암의 재발 가능성 또한 낮출 수 있습니다.

가) 항암제시장 최신 경향

암은 환경의 변화, 인구 고령화 및 생활 양식의 변화 등으로 인해 사망률이 매년 지속해서 증가하는 질병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5대 사망 원인 중 하나이며 국내 사망 원인의 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Top 10 global causes of deaths 2016]

[Top 10 global causes of deaths 2016]

자료 : WHO. The top 10 causes of death; Accessed June 01, 2017

암의 치료는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약물 요법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약물 요법의 경우 1세대 화학 항암제 (chemotherapy)를 시작으로 2세대 표적 항암제 (targeted drugs therapy)가 개발되어 암 치료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습니다. 1940년대 후반부터 사용된 화학 항암제는 암세포의 세포 분열이 매우 빠르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분열이 빠른 세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암세포만이 아닌 증식이 빠른 정상 세포까지 공격함으로써 치료의 부작용을 나타냅니다. 2000년대 들어 사용된 표적 항암제는 암세포에만 존재하는 특정 표적 단백질을 공격한다는 이점이 있지만 표적 대상이 제한적이어서 같은 암종이라도 특정 환자가 표적 인자를 발현하지 않으면 치료에 이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암세포가 유전자 변이를 일으켜 표적 단백질이 변형이 되면 표적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약물의 효과를 급속히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기존 항암제의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으로 암을 치료하려는 노력으로 다양한 접근 방식을 이용한 차세대 치료제가 활발히 개발되고 있으며 이중 제3세대 항암 치료제로 일컬어지는 면역 항암제의 개발 진행이 가장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사이언스지는 이미 2013년 '올해의 혁신 연구' (breakthrough of the year)로 면역 항암제를 선정했으며 표적 항암제로부터 면역 항암제로 항암제 분야의 패러다임 전환이 이뤄지고 있음을 알렸습니다.

이미지: [세대별 항암제 구분]

[세대별 항암제 구분]


나) 면역항암제 특성과 전망

미국립보건원(NIH)이 운영하는 임상정보사이트  ClinicalTrials.gov에 따르면 2010년 FDA 승인을 받은 전립선암 면역 치료 백신 Sipuleucel-T (Provenge)의 개발 이후로 현재까지 20건이 넘는 면역 치료제가 FDA로부터 승인을 받았고 1,100여건이 넘는 임상 시험이 진행 중입니다. 면역 항암제는 환자의 면역체계를 이용하여 암세포를 제거하는 방식으로써 기존의 항암제 내성으로부터 자유로우며 부작용이 월등히 적습니다.

인체는 병원체(바이러스, 독소 등)와 내부의 해로운 변화(암세포 돌연변이)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는 방어 체계를 갖추고 있습니다. 이를 면역계(immune system)라고 하는데 크게 선천성 면역계(innate immune system)와 적응성 면역계(adaptive immune system)로 나누어 집니다.  선천성 면역계는 보편적 병원체를 인지하여 신속히 반응, 제거하는 반면 적응성 면역 반응은T 세포 또는 B 세포가 관여하여 다양한 침입자에 대한 반응 확대가 가능합니다. 이 중 T 세포는 암세포를 공격, 파괴하는 면역 반응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개발되고 있는 대부분의 면역 항암제가T 세포의 활성화를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조절하여 항 종양 효과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면역 항암제의 T 세포 활성화 전략]

[면역 항암제의 T 세포 활성화 전략]

그림 설명 : 유틸렉스 기술 기반 분자 또는 세포는 푸른색으로 표시
Treg: regulatory T cell 또는 조절 T 세포
MDSC: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 (골수 유래 억제세포)
TAM: Tumor-Associated Macrophages(종양 주변 대식세포)
IDO: Indoleamine-pyrrole 2,3-dioxygenase(종양 세포에서 발견되는 단백질 효소)


Evaluate Pharma의 연간 보고서인 ‘World Preview 2017’에 따르면 항암제 시장은 2016년부터 2022년까지 연평균 12.7%의 성장률을 보이며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항암제 시장은 그 어떤 치료제 보다도 미래에 대한 성장성이 밝은 시장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런 고속성장의 주요 배경으로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항암제의 등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GBI Research에 따르면 면역항암제는 2015년 18조원 시장규모에서 2022년 86조원 수준으로 연평균 23.9%의 성장율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면역항암제 시장이 이렇게 폭발적인 성장이 가능한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탁월한 효능 : 면역항암제는 기존에 출시된 화학항암제나 표적항암제와 비교하였을 때 그 효능이 월등합니다. 특히 기존의 화학항암제나 표적항암제로 효력을 발휘하지 못한 암에서 그 효력을 발휘합니다. 화학항암제는 암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하지 않아 정상세포도 죽기 때문에 부작용이 심하며 표적 치료제는 타깃에 작용하지만 암세포가 살기 위해 타깃을 바꾸면서 내성이 생긴다는 문제가 있습니다. 반면 면역항암제는 면역세포가 적을 구별할 수 있도록 훈련해 적만 찾기 때문에 특이성이 높습니다. 특이성이 높아지면 효과 역시 뛰어나다고 말씀드릴 수 있는데 이는 암세포와 관련된 면역세포에 작용할 확률이 높기 때문입니다.

■  안전성 : 면역항암제는 몸속의 면역체계가 암세포를 공격하는 성질을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존의 2세대 항암제들이 가지고 있던 소화불량, 구토, 백혈구 감소증, 탈모 등의 부작용도 거의 나타나지 않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확장성 : 특정 암에만 발현되는 표적물질을 타겟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들이나 일반 화학항암제들은 치료제 별 허가 가능한 적응증 수가  최대 2~3개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면역항암제의 타겟인 체내의 면역세포들은 모든 암을 대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적응증 추가를 통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암종의 치료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당사의 면역항암제는 기본적으로 모든 암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합니다. 머크의 키트루다, BMS의 옵디보 등이 출시 이후 지속적으로 적응증을 늘려 각각 7~8개의 적응증에서 처방하고 있습니다.


(2) 경기변동과의 관계

잘 알려져 있다시피 제약산업은 다른 산업군과 비교하여 경기변동에 따른 영향을 적게 받습니다. 질병이 발병하였을 때 필수적으로 처방하는 전문의약품은 일반의약품에 비해 더욱 경기변동과 상관없이 시장이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왔습니다. 더욱이 당사의 파이프라인들이 속해 있는 항암제 산업의 경우 대체할 수 있는 산업이 없기 때문에 향후에도 경기변동과는 크게 상관관계가 없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3)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

일반적으로 바이오제품은 특허기간 동안 성장이 지속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현재 판매되고 있는 바이오제품의 기능이나 약효를 개선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제품을 개발하기 어렵다는 점, 허가 승인 및 규제 충족 기간이 길다는 점, 기존 제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다는 점 등 때문에 경쟁제품의 시장진입이 어렵습니다. 또한, 유전자 재조합 항암 바이러스와 같은 고도하게 복잡한 바이오 의약품은 항체와 같은 단백질 의약품보다 그 제조 및 품질관리가 현저히 어려우므로, 그 제품의 성격 및 개발에 부수되는 노하우와 같은 장벽이 더욱 강하게 작용합니다.

그러나 다른 한편으로는 개발 초기에 특허를 신청하고 그 후 상품화시키는데 5∼10년이 소요되기 때문에 실제 시장진입하고 왕성하게 판매할 수 있는 시기는 10년 정도 소요됩니다. 또한, 오늘날 기술의 보편화로 글로벌 경쟁자의 등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독점적인 바이오 신기술 제품이 시장에 진입한 후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기간은 10년 정도로 추정됩니다.

다. 시장의 현황

(1) 시장의 특성

가) 제약 및 신약개발 시장의 특성

1) 고부가가치 산업

세계 제약시장의 규모는 2016년 기준으로 약1조1,000억 달러(1,234조7,500억 원) 규모로, 우리나라 의 주력산업이라고 할 수 있는 메모리·반도체산업의 글로벌 시장 규모인3,200억 달러에 비해 3배 이상 큽니다. 일반적으로 제약 업계에서 단일 제품으로 연매출1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면 그 제품을 블록버스터 약품이라고 합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개발하는데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지만 개발 후 제품화하였을 때 얻는 이익은 매우 높은 수준입니다. 블록버스터 의약품은 대부분'신약'이라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블록버스터 의약품이라고 할 수 있는 화이자(pfizer)의'리피토(Lipitor)'는2006년 단일 제품으로137억 달러의 매출을 기록하였고, 2015년 글로벌 의약품 매출액1위인 애브비(abbvie)의'휴미라(humira)'는141억 달러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2015년 현대자동차가 글로벌 시장에서 가장 많이 판매한 차량인 아반떼[2015년 기준, 아반떼의 전세계 시장 판매량은 81만 1,759대로 아반떼의 1대의 가격을 대략 1,500만 원으로 놓고 계산한 매출액은 108억 달러 수준]의 매출액보다 높은 수치입니다. 이러한 이유로 수 많은 기업들이 블록버스터 신약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 개발에 많은 인력과 자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글로벌 제약 시장규모와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제적 가치]

[글로벌 제약 시장규모와 블록버스터 신약의 경제적 가치]

자료 : 한국바이오경제연구센터

2) 높은 연구개발 비용 및 개발 실패 리스크에 따른 높은 진입장벽

하나의 블록버스터급 신약이 출시되었을 때 해당 회사와 시장에 대한 파급력이 엄청나기 때문에 글로벌 빅파마들은 지속적으로 연구개발에 대한 투자를 증가시키는 추세입니다. 2015년 기준으로 로슈는 매출액의 16.8%(9조 723억원)를, 화이자는 16.8%(8조3,670억원), 노바티스는 16,7%(10조 453억원)을 연구개발에 쏟아 붓고 있으며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규모도 점진적으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200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미지: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 규모 추이]

[글로벌 신약 연구개발 규모 추이]

자료 : Evaluate Pharma, "World Preview 2016, Outlook to 2022"

그러나 신약이 출시되기 까지는 높은 비용과 임상 실패에 대한 리스크가 존재합니다. 신약을 개발하는 데는 오랜 시간과 천문학적인 비용이 소요되는데 스위스계 제약기업인 로슈 (Roche)는 하나의 신약이 개발되는데 평균적으로 10억 스위스 프랑 (1조 1,667억원), 700만 874시간의 연구, 6587건의 실험, 423명의 연구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게다가 막대한 자금을 투자한다고 하여도 블록버스터급 신약이 출시될지는 미지수입니다. 실제로 하나의 후보 물질이 신약으로 개발되어 시판으로 이어질 확률은10,000분의1 정도로 낮은 편이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therapeutic development process]

[therapeutic development process]

자료 : 팜뉴스

실패에 대한 리스크가 크지만 성공시에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기 때문에 리스크를 감안하고도 높은 비용을 투자해야 하는 신약개발의 특수성 때문에 제약 및 신약 개발산업은 높은 진입장벽이 견고하게 존재합니다.

3) 정부 규제

당사가 속한 의약품시장은 정부의 규제에 특히나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 산업입니다. 의약품은 인간의 생명을 다루는 제품이기 때문에 각 국가들은 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적절한 규정을 마련하여 의약품의 허가를 결정하며 우리나라같이 국가적인 의료보험이 존재하여 일부 약가를 국가가 부담하는 경우 더욱 많은 부분에서 정부의 규제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정부의 수많은 규정 중 의약품에 한해서는 다음과 같은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이미지: [의약품 관련 정부 규정]

[의약품 관련 정부 규정]

자료 : 회사 내부자료

정부의 정책에 따라 의약품 규제들이 늘어날 수도 있고 완화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규제의 변화는 바이오 제약 산업의 흐름을 변화시킬 만큼의 큰 영향을 끼칩니다. 이렇듯 의약품 산업은 정부의 정책 방향의 변화에 굉장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편입니다.


나) 항암치료제 시장의 특성

1) 환자 중심 개인맞춤화된 시장으로 변화하면서 성장

전세계적으로 수명이 길어지면서 암발생률이 늘어나고, 이로 인한 암치료제에 대한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수요의 증가로 신약이 매년 지속해서 나오고, 효과가 우월한 신약 출시 시 기존 약제들에서 신약으로 대체율이 높아, 항암제시장 전체 매출은 신약들의 매출 성장과 함께 매해 10%이상씩 성장하고 있습니다. 성장하는 속도만큼 많은 신약후보물질들이 나오고 있어 그만큼 경쟁도 치열하고, 기존약보다 더 나은 효과를 가진 차세대 약물들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경쟁이 치열해질수록 더 효과높은 약제 개발을 위해 더 많은 연구개발비용이 필요하고, 이는 제약사들의 연구개발비용에 부담감 증가로 이어집니다. 따라서 많은 제약사들이 블록버스터 개발보다는 암의 발생기전이 밝혀진 소수 환자들 대상 효과가 높은 약제를 개발하여 빠르게 시장에 진입하여 일정 부분의 환자들 대상 시장점유율을 일정하게 유지해갈 수 있도록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과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간유전체 정보가 밝혀지며, 암의 다양성이 밝혀지면서 환자 개인별 치료효과를 높이고자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약제 역시 한 암 질환 내에서도 모든 환자 대상이 아닌 비슷한 특성을 가진 일부 환자 그룹 대상으로 개발되고 있습니다.


2) 일반의약품 대비 고가인 항암제, 희귀암일수록 더 고가

효과에 근거한 가격 책정이 이뤄지기에 치료효과가 높아짐에 따라 새로운 항암제의 약가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항암제의 경우 일반 의약품과 비교했을 때 생산 및 영업비용 대비 환자당 매출액이 매우 높은 약물입니다. 환자수 대비 매출액이 높아 그만큼 개발 후 이익도 높은 분야입니다. 약가 설정 시 효과에 대비한 적정 가격을 측정하게 되는데, 기존 약제보다 효과가 월등히 우월하거나, 해당 암종에 효과를 입증한 첫 치료제이거나, 혁신적 신약인 경우 혹은 희귀의약품인 경우 다른 약제들보다 높은 가격의 프리미엄을 보장받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현재 시판되고 있는 키트루다의 경우, 한달 치료가격이 13,000 달러로 한화로 약 1,500만원 정도입니다. 1년 치료시 환자는 1억 8천만원의 약제비용을 부담하게 되며, 암이 재발하지 않는한 지속해서 치료받아야 합니다.


이미지: [면역관문억제제의 미국 내 치료비용]

[면역관문억제제의 미국 내 치료비용]

자료: IQVIA, Reuters

항암제는 연구개발에 대한 비용이 많이 들고, 우월한 효과가 있는 경우 시장 내 인정이 되고 있기에 대상 환자수가 적을수록 약가가 비싼 편입니다. 현재 가장 고가로 대표적인 CAR-T 치료제인 노바티스의 킴리아(tisagenlecleucel)는 급성 림프구성 백혈병 환자를 위한 1회 치료 비용이 475,000 달러로 한화로 약 5억 3천만원을 넘는 금액입니다.

희귀의약품의 가격 특수성에 대해 설명을 덧붙이자면, 대표적인 례로 유럽 내 1,200 명만 발생하는 가계성 지단백지질가수분해효소결핍증에 적응증을 가진 글라이베라(Glybera)는 1년 치료비용이 120만 달러로 한화로 약 13억 5천만원에 해당합니다.  또한 전세계 8,000여명에게 발생하는 혈액 희귀질환인 발작성 야간 혈색소뇨증에 적응증을 가진 솔리리스(Eculizumab)는 1년 치료비용이 70만 달러로 한화로 약 8억에 해당하는 가격으로 판매되고 있습니다.

유틸렉스가 현재 임상을 진행하고 있는 NK/T세포 림프종의 상위 개념의 림프종인 말초T 세포 림프종에 적응증을 가지고 있는 플로틴(Pralatrexate)은 효과가 6주밖에 지속되지 못하고, 생명 연장의 효과를 보여주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32만 달러에 한화로 약 4억 정도에 환자들이 치료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2020년까지 발병률이 적은 암종에서 50% 이상의 항암제 매출이 발생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신약개발의 어려움

항암제는 신약개발 성공확률 및 개발비용 측면 등에서 타 약물대비 개발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우선, 신약이 임상 1상을 진입한 뒤 시판승인에 이를 확률을 보면 평균적으로는 10%의 성공확률을 보입니다. 그 중 혈액질환의 경우 26.1%, 내분비질환의 경우 13% 수준인데 반해 항암제는 5.1% 수준으로 전체 분야에서 가장 낮은 성공확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이미지: [치료 영역별 1상 임상에서 허가까지 받을 성공률]

[치료 영역별 1상 임상에서 허가까지 받을 성공률]

자료: Bio & Amplion 제공 Bio industry analysis

임상의 성공률이 낮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 치료영역별 신약 개발현황을 보면 항암제가 전체 신약의 32.6%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치료 영역별 신약 개발 현황]

[치료 영역별 신약 개발 현황]

자료: Pharmacoprojects®, January 2017

신약개발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이렇게 많은 약들이 개발되고 있는 이유는 아직까지 암정복이 이뤄지지 않았고 끊임없는 미충족된 수요가 생겨나기 때문입니다. 더불어 투자비용 대비 수익 비율이 높은 분야로도 여겨지고 있습니다. American Medical Association의 2016년 12월부터 2017년 3월에 시행한 항암제 연구개발비용 및 수익 조사에 따르면, 항암제의 평균 연구개발기간은 7.3년으로 전체 연구개발비용은 6억 4,800만 달러인 한화로 7,300억원이었습니다. 허가 후 4년 내에 평균 수익이 16억 달러, 한화로 약 2조로 조사되었습니다.  

4) 규제환경

국내 항암제의 임상시험은 고혈압, 당뇨 등 만성질환 및 다른 질환과의 임상시험과 차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인 신약개발의 과정에서는 신약물질을 발굴하고 동물실험을 통해 약물의 효능과 안전성을 테스트하는 비임상 단계 후 인간을 대상으로 1상 임상부터 3상 임상까지 안전성, 유효성, 범용화 가능성을 시험합니다. 그러나 항암제 임상시험의 경우 질환의 심각성 및 사망까지의 기간 등을 감안하여 시험을 해야 하기 때문에 비임상 이후 1상 임상부터 표준항암제에 대해 반응하지 않는 말기 암환자들을 대상으로 항암신약을 투여하고, 약물의 최대내약용량(Maximum Tolerated Dose)를 확인, 약물의 독성 및 항암효과를 시험합니다.    

표준치료에 실패한 말기 암환자를 대상으로 항암신약을 투여하여야 하기 때문에 임상 1상부터 환자 리크루트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또한 말기암 환자들은 짧게는 3개월의 시한부를 받기 때문에 임상이 완료되기 전에 사망하는 등 임상시험 진행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2상 임상은 1상 임상 결과를 바탕으로 항암신약이 타겟을 하고 있는 적응증을 가진 암환자를 대상으로 유효성 및 안전성을 시험하고 항암제에 대한 암세포의 반응률을 평가합니다. 최근 기존에 치료제가 없던 분야의 신약이라면, 2상 임상 완료 후 상황의 심각성 및 사망 가능성 등을 고려해 조건부 품목허가를 받아 제품을 출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혁신적인 신약인 경우에는 1/2 상을 동시에 진행하고 조건부 허가를 받고 출시하는 제품도 늘어나고 있습니다.  

Molecule

Indication

Trial

Approval Trial Phases

abemaciclib

breast cancer

(monotherapy)

MONARCH I

Phase 2

breast cancer (with fulvestrant)

MONARCH 3

Phase 3

acalabrutinib

mantle cell lymphoma

ACE-LY-004 MCL

Phase 2

brigatinib

non-small cell lung cancer

ALTA

Phase 2

copanlisib

relapsed follicular lymphoma

CHRONOS-1

Phase 2

enasidenib

acute myeloid leukemia

AG221-C-001

Phase 1/2

midostaurin

acute myeloid leukemia

NCT00651261

Phase 3

systemic mastocytosis

CPKC412D2201

Phase 2

neratinib

HER2+breast cancer

ExteNET

Phase 3

niraparib

ovarian cancer

NOVA

Phase 3

ribociclib

breast cancer

MONALEESA-2

Phase 3

durvalumab

urothelial carcinoma

Study 1108

Phase 1/2

avelumab

Merkle cell carcinoma

JAVELIN Merkel 200

Phase 2

inotuzumab ozogamicin

B-cell precursor ALL

INO-VATE ALL

Phase 3

axicabtagene ciloeucel

large B-cell lymphoma

ZUMA-1

Phase 1/2

tisagenlecleucel

B-cell precursor ALL

ELIANA

Phase 2

[2017년 미국FDA 허가 받은 항암제 및 근거 임상 요약 ]

자료 : Global Oncology Trends 2018 - IQVIA

최근 바이오산업의 부흥을 위해 규제를 완화하는 등의 정부의 방침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정부 차원에서도, 업계에서도 신속허가, 즉 조건부 허가 의약품에 대한 관심은 매우 높은 편입니다. 이는 국내에 국한되지 않는 전세계적인 추세이기 때문에 임상 2상만으로도 판매승인이 이루어지는 사례들이 점차 늘어 갈 것으로 전망합니다.

(2)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전세계 항암제 시장 규모 및 전망

1) 2016년 937억 달러 규모, 매년 12.7% 수준의 성장예상

이미지: [글로벌 항암제 시장전망]

[글로벌 항암제 시장전망]

자료 : EvaluatePharma ‘World Preview 2017’

Evaluate Pharma의World Preview 2017에 따르면 글로벌 제약 시장 규모는2016년 기준 8,030억 달러로 형성되어 있으며 연평균 5.4% (’16-’22년) 성장하여2022년에는1조1,010억 달러 규모로 확장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2016년 전체 처방약 시장 중 항암제의 시장 점유율이 11.7%, 937억 달러로 1위를 차지 하고 있으며 2022년에는 5.8pp 증가한 17.50%의 비중과 1922억 달러의 매출을 올릴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증가는 다른 질환 별 시장과 비교해도 월등한 수치임을 알 수 있습니다. 특히2016년부터2020년까지는 연평균12.7%의 성장률을 보이며 고속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어 항암제 시장은 그 어떠한 치료제 보다도 미래에 대한 성장성이 밝은 시장이라고 판단됩니다. 이런 이유로 당사를 포함한 전세계적으로 많은 제약 회사와 바이오 회사들이 암정복을 위한 치료제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나) 면역 항암제 시장 규모 및 전망

이렇게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항암제 시장의 주요 배경으로는 차세대 항암제인 면역 항암제의 등장을 꼽을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면역 항암제는 인체의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암세포를 제거하는 암 치료법입니다. 환자의 몸 속 면역체계를 활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적용 가능한 환자도 많습니다 예를 들면 간암 환자의 경우 면역 세포가 인체의 다른 세포는 공격하지 않고 간 내부에 침투한 종양만을 선택적으로 공격해 제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새로운 항암제의 등장으로 최근 암치료는 기존 화학/표적 항암제에서 면역 항암제로 이른바 ‘패러다임 시프트’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1) 면역항암제 분류

면역 항암제는 크게 항암 면역-항체 치료제, 항암T 세포 치료제, 항암 바이러스 치료제, 항암 백신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항암T 세포 치료제는 작년8월과11월 출시한CAR T 제품들 외에는 시장에 출시된 제품이 없으며 현재 기준 면역 항암제 시장은 대부분 항암 면역-항체 치료제가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FDA 승인 면역치료제]

[FDA 승인 면역치료제]

자료 : 국가암정보센터, SK증권, FDA

면역 항암제 분야의 항체 치료제는 환자의 체내에서 작용하는 기전에 따라 다시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 현재 출시되어 있는 항체 치료제인 여보이, 옵디보, 키트루다 등은 모두T 세포 억제 수용체를 차단하는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Immune checkpoint blockade)이며 현재EU101과 EU102와 같이T 세포 활성화를 자극하는Agonistic checkpoint는 아직 출시된 제품이 없습니다. Agonistic checkpoint는 현재 출시 되어있는 제품과 기전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에 병용 처방이 가능하므로 이들 파이프라인을 확보하기 위해 글로벌 빅 파마들은 각고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  2015년 169억달러 규모, 매년 23.9% 수준의 성장예상

이미지: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전망]

[글로벌 면역항암제 시장전망]

자료 : Evaluate pharma "World Preview 2016, Outlook to 2022", GBI 리서치

면역 항암제 시장은2015년 169억 달러에서2022년까지 연평균23.9 %의 성장율로 758억 달러로 성장하여 전체 항암제 시장 중 약40%에 이르는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GBI 리서치는 전망했습니다.


3) 면역항암제의 확장성

이러한 고성장을 전망하는 배경으로 현재 출시된 면역 체크포인트 억제제들이 지속적으로 적응증을 추가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특정 암에만 발현되는 표적 물질을 타겟으로 하는 표적 치료제들이나 일반 화학 항암제와는 달리 체내의 면역 세포는 모든 암을 대상으로 작용을 하기 때문에 면역 항암제는 적응증 추가를 통해 하나의 제품으로 다양한 암종의 치료제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주요 면역 항암제의 적응증 확장 현황]

[주요 면역 항암제의 적응증 확장 현황]

자료 : FDA

4) 면역세포치료제의 혁신성

면역세포치료제도 면역항체치료제와 다양한 암종으로 확장될 수 있는 혁신적 치료제입니다. 최초의 면역세포치료제인 킴리아는 2017년 8월에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ALL)에서 FDA허가를 받았습니다. 킴리아는 기존의 약제들에서는 볼 수 없었던 2차 이상의 재발성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자나 불응성 급성림프모구성백혈병 환자에서 83%의 완전관해 (Complete Response)를 보였습니다. 기존치료제들은 이러한 환자들에게 아주 미비한 반응률을 보이고 있어서 면역세포치료제의 혁신성 즉 기존치료제로는 효력을 보이지 못한 환자들에게 획기적인 효력을 보임으로써 급속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킴리아 이후의 면역세포치료제인 예스카르타가 2017년 10월에 거대비만성비호치킨림프종 (Diffused Large B cell lymphoma, DLBCL) 환자에 71%의 반응률로 FDA 허가를 받았습니다. 다시 킴리아가 이 거대비만성비호치킨림프종 (Diffused Large B cell lymphoma, DLBCL)에 2018년 5월에FDA 허가를 받았습니다. 이러한 혁신성 때문에 면역세포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는 회사인 카이트(Kite)을 대형제약사인 길리아드(Gilead)가 2017년에 약 13조에 매수하였으며, 주노(Juno)을 셀진(Celgene)이 2017년에 약 10조에 매수를 하였습니다.


(3) 시장 경쟁 현황

가) 경쟁 상황

1) 항암제 시장 경쟁 형태 및 전망 : 상위 매출 10개 회사가 80%의 점유율 차지

2016년 기준 글로벌 항암제 시장은 상위 매출 10개의 회사가 80%에 이르는 전세계 점유율을 보유 하고 있을 정도로 진입 장벽이 높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Evaluate Pharma에 따르면 이러한 상위 회사 매출 집중도는 바이오시밀러의 성장과 면역 항암제와 같이 새로운 항암 신약의 등장으로 2022년도에 67.60%로 다소 낮아질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그 중 눈여겨볼 경쟁 구도의 변화는 2016년 압도적 1위를 자랑하는 로슈의 점유율 하락과 10위권 밖에 있던 머크의 등장입니다.  2016년도 전세계 항암제 시장의 점유율 28.20%를 보유하고 있는 로슈의 경우 2022년에도 1위를 지킬 것으로 예상되지만 로슈 매출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Avastin, Herceptin 및Rituxan의 바이오시밀러 등장으로 인해 그 점유율은 14.5%로 큰 폭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또한 2016년 10위 밖에 있던 머크가2014년 출시된 면역 항암제Keytruda의 매출 성장에 힘입어 2022년까지 연평균 34% 성장하여8위에 자리잡을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이미지: [top 10 companies & total worldwide oncology sales (2016-2022)]

[top 10 companies & total worldwide oncology sales (2016-2022)]

자료 : EvaluatePharma, WP2017

나) 경쟁업체 현황

1) 주요 경쟁업체 비교 현황

현재 면역항암 세포치료제 부문과 CAR-T 세포치료제 부문에서 당사와 동일한 기술을 보유한 경쟁 업체는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도 없습니다. 다만 비슷한 면역항암치료제를 연구개발 하는 회사는 아래와 같습니다. 면역항암항체치료제의 경우 당사 이외에 글로벌 빅파마에서 동일 타겟으로 연구개발을 진행하는 중이나 당사의 권병세 대표이사가 최초로 발견한 타겟인 만큼 깊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동물실험에서 경쟁업체의 연구 결과보다 더 높은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 기술별 경쟁업체 현황

경쟁업체

적응증

(세포 치료제) Cell Medica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호지킨림프종, PTLD

NK/T 림프종

(세포 치료제) Atara Bio

PTLD

(세포 치료제) 보령바이젠셀

NK/T 림프종, 1차 완전관해 유지요법

(CAR-T 세포치료제) 노바티스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CAR-T 세포치료제) 길리어드

미만성거대B세포림프종

(4-1BB antibody) Pfizer

Advanced cancer

(4-1BB antibody) BMS

Melanoma

(AITR antibody) Merck

advanced solid cancer

(AITR antibody) Novartis

Advanced malignancies, lymphoma

(AITR antibody) Agenus

Advanced or meta cancer

(AITR antibody) GITR Inc.

Malignant melanoma, solid cancer

(AITR antibody) GITR Inc.

Advanced Solid Tumors

(AITR antibody) BMS

Advanced Solid Tumors


2) 시장 점유율

당사 기술이 속한 면역항암제 시장은 2010년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프로벤지(면역항암 세포치료제)가 출시되며 그 막을 열기 시작하였고 2014년 옵디보(체크포인트억제제)와 키트루다(체크포인트억제제)가 연달아 출시하며 출시 3년만에 각각 4조원(37억 달러), 1.5조원(14억달러)의 매출액을 달성하는 등 폭발적인 성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현재까지도 BMS와 MSD가 압도적인 시장점유율을 보유하고 있으며 작년 출시된 CAR-T세포 치료제의 매출 추이가 향후 시장 점유율 변화에 높은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합니다.

기술(제품)

최근사업연도(D)

D-1년

회사명

점유율

회사명

점유율

면역항암제

(2018~2019)

자료 : 각 사 공시

BMS

(옵디보/

여보이)

60%

BMS

(옵디보/

여보이)

56.1%

MSD

(키트루다)

35.5%

MSD

(키트루다)

34.5%

로슈

(티센트릭)

5.5%

로슈

(티센트릭)

4.6%

Total Market size(면역조절제 제외)

152억 달러
(18조5천억원)

128억 달러

(15조6천억원)

항암제

(2018~2019)

자료 : Evaluate Pharma

로슈

28.5%

로슈

28.2%

세엘진

12.6%

세엘진

10.8%

존슨앤존슨

5.6%

존슨앤존슨

5.3%

Total Market

size

942억 달러
(115조)

937억 달러

(100조원)

자료 : 각 사 공시 및 Evaluate Pharma.


2.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백만원)

품 목

생산(판매)

개 시 일

주요상표

2020년
매출액

(비율)

제 품  설 명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

임상 2상시험 종료 및 조건부 허가 승인 후 판매가 개시될 예정임

현재 임상시험 단계로 상표명 미정, 추후 판매용 의약품 명칭 부여 예정

해당사항 없음

(0%)

환자의 면역세포 중 암세포를 살해 할 수 있는 T세포만을 분리하여 증식 및 배양 후 환자에게 투약하는 면역 항암 T세포 치료제

CAR-T세포치료제

임상 종료 및 허가 승인 후 판매가 개시될 예정임

현재 개발단계로 상표명 미정

해당사항 없음

(0%)

키메릭 항원 수용체 T 세포를 조작해 암을 공격하도록 만든 면역 항암 유전자 조작 세포 치료제

면역항암 항체치료제주1)

-

현재 개발 단계로 상표명 미정

396

(96.88%)

지식기반 표적선정 플랫폼 기술로 개발된 면역항암 항체치료제로 비임상 단계에서 기술이전 하는 것을 사업모델로 함

주1) 항체치료제의 매출액은 2017년 절강화해제약과 체결한 기술이전 계약금 매월 인식하고 있으며, 총 3년에 걸쳐 매출 반영 예정 입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 및  임상 2상을 진행하는 회사로 제품이 없어 제품의 가격변동 추이를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당사가 국내 및 글로벌 임상시험을 성공적으로 종료하고 시판승인을 받아 판매가 개시될 경우,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의 판매 가격은 국가별, 암종별 상황을 고려하고 보험적용 여부 등을 반영하여 책정될 예정이며 각 국가의 규제 당국으로부터 승인 또는 협의를 거쳐 확정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3. 매입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신약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회사로 생산 및 판매중인 제품이 없어 원재료 등의 매입 현황이 없습니다. 다만, 당사는 세포치료제 임상 및 항체치료제 임상을 위하여 원재료를 매입하고 있으며 매입현황은 가. 매입 현황에 기술하였습니다.


가. 매입 현황

(단위 : 백만원)
매입유형 품  목 구 분 2018년
(제4기)
2019년
(제5기)
2020년
(제6기)
세포치료제 원재료
매입현황
단백질 18종 국 내 16 21 26
합성배양액 RPMI1640(CTL) 국 내 12 15 16
인간형 무혈청 배양액 ALys505N-0 국 내 13 13 15
컬쳐 튜브 14ml P.P tube 국 내 23 30 35
원재료 합계 합 계 64 79 92
항체치료제 원재료
매입현황
세포배양배지
(Expi293 expression medium)
국 내 8 10 19
실험용 시약 kit
(ExpiFectamine_293 Transfection kit)
국 내 18 21 30
원재료 합계 합 계 26 31 49
합 계 90 110 141


나. 원재료의 제품별 비중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신약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회사로 생산 및 판매중인 제품이 없어 원재료 재품별 비중 현황이 없습니다.


다.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신약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회사로 생산 및 판매중인 제품이 없어 원재료 가격변동 추이가 없습니다.


라. 주요 매입처에 관한 사항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신약후보물질을 개발 중인 회사로 생산 및 판매중인 제품이 없어 주요 매입처에 관한 사항이 없습니다.


4. 생산 및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당사는 가산동에 세포치료제 생산 GMP를 보유하고 있으며 지난 2017년 6월 완공되어 현재 식약처로부터 임상 2a상을 위한 인증을 완료하였습니다. 당사의 GMP는 연간 최대 600batch를 생산할 수 있으며 현재는 임상시험을 위한 시료생산을 준비 중으로 생산 실적 또는 보유 재고가 없습니다. 국내에서 동사의 세포치료제가 판매가 개시되면 해당 GMP에서 생산할 계획입니다

.

나.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단위 : 백만원)

공장별

자산별

소재지

기초

가액

2018년
(제4기)
2019년
(제5기)
2020년
(제6기)

본사

토지

서울

2,085

2,085

5,245 5,252

건물

서울

6,072

5,918

14,851 14,704

기계

장치

유세포분리기

서울

-

383

453 177

유세포분리기

서울

-

383

453 177

IVC Rack

서울

-

350

380 169

인큐베이터

서울

-

335

337 184

FACS Celesta

서울

-

223

236 488

Cell Sorter

서울

-

220

223 650

Auto Clave

서울

-

169

172 140
Prodigy 서울 - - - 499
방사선조사기 서울 - - - 180
Tyto 서울 - - - 710

기타

서울

940

1,291

1,500 2,288

합계

940

3,741

4,146 5,662

시설장치

동물실험실

서울

-

533

443 303

GMP

서울

-

2,162

2,000 1,536

기타

서울

2

1

3 196

합계

2

2,696

2,446 2,035


다. 설비의 신설/매입계획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

능력

총소요

자  금

지출액

지   출   예   정

착  공

예정일

'18 연도

'19 연도

'20 연도

'21연도이후

토지

10,000 m2(3천평규모)

4,500

- 

- 

- 

- 

4,500

미정

건물

 

10,500

- 

- 

- 

- 

10,500

미정

기계장치

GMP, 연구소,

동물실험실 추가 장비

3,770

820

250

900

900

900

- 

18,770

820

250

900

900

15,900

- 


5.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개요

(단위 : 백만원)

판매방법 및

판매경로

구 분

판매방법

판매경로

내수(96%),

수출(4%)

학회 및 컨퍼런스, 논문 등을 이용한 마케팅 및 직접영업을 통한 고객 확보

직접판매(100%)

주요
품목

매출
원가 등



품 목

매출액

매출원가

원가율

매출비중

'19년

기술료 수익

408 - - 97%

장비 임대

13 - - 3%

합계

421 - - 100%
'20년

기술료 수익

2,019 - - 98%

장비 임대

18 - - 2%

합계

2,036 - - 100%
'21년
1분기

기술료 수익

17 - - 74%

장비 임대

6 - - 26%

합계

23 - - 100%


나.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USD)

매출유형

2018연도

(제4기)

2019연도

(제5기)

2020연도

(제6기)

2020연도
1분기

(제6기)

금액

금액

금액

금액

기술료 수익주)

수 출

396

($348,335)

408
($348,335)

2,019
($1,722,222)

17
($15,000)

소 계

396
($348,335)

396
($348,335)
2,019
($1,722,222)
17
($15,000)

장비 임대

내 수

6

13

18 6

소 계

6

13

18 6

합     계

수 출

396

($348,335)

396
($348,335)
2,019
($1,722,222)
17
($15,000)

내 수

6

13

18 6

합 계

402

421 2,036 23


다. 매출원가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신약개발 과정에 있어 제품이나 상품의 매출 및 관련 매출원가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라.  판매 경로 등

(1) 판매조직

당사는 본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주력 개발품목인 자가 유래 암항원 특이적 T세포 치료제 임상 2a상을 진행하고 있으며 기술 수출 매출 및 장비 대여 서비스 매출을 제외한 제품 매출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본 신고서 제출일 현재 직접적인 판매조직은 아직 갖추고 있지 않습니다.


(2) 판매경로

당사는 세포치료제 출시 전 지역별 대형 제약사와 판권 계약을 통해 영업망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계약은 적응증 별로 진행할 예정이며 출시 2년전까지 판권 계약을 완결할 계획입니다.


(3) 판매전략

당사의 경우 T세포치료제가 상용화 되면 해당 판권계약을 글로벌 파트너사와 체결하여 판매를 진행할 예정이고 CAR-T세포치료제나 항체치료제는 라이선스 아웃을 추진하여 매출을 증대시킬 예정입니다. 이와 관련하여 당사는 아래와 같이 지속적으로 잠재 파트너를 모색하고자 합니다.

■ 사업개발팀 역량 활용

당사는 기술이전 전담부서인 사업개발부를 운영하고 있으며, 사업개발부에서 기술이전 업무를 총괄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사업개발부는 외부 기술이전 컨설팅사 관리 및 공동 업무, 국내외 기술이전 대상 업체 파트너링 및 계약을 포함한 모든 기술 이전 프로세스 진행 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 대외 컨퍼런스 참여

당사는 Bio Europe, Bio Europe spring, Bio Conference, Bio Investor Forum, J.P. Morgan Healthcare Conference 등 국제 포럼에 참석하여 다국적 제약사와 기술 이전에 대한 논의를 매년 활발히 논의 중이며 특히 2019년에는 AACR 를  통해 유틸렉스 기술을 적극적으로 홍보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의 우수한 기술력에 관심을 보이는 다양한 다국적 대형 제약사들로부터 비즈니스 협력 제안을 받아오고 있으며 CDA를 맺어 당사가 보유한 파이프라인들의 개발 및 글로벌 진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 컨설팅 기관 활용

당사는 범부처신약개발사업단의 글로벌라이선스 지원사업의 지원을 받아 보유 파이프라인의 라이선스아웃을 위한 글로벌 컨설팅 회사의  컨설팅을 받고 있으며  이 외에도 조기 기술이전을 위해 각 지역별 네트워크를 가진 현지 컨설팅 회사를 활용하여잠재 파트너사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6. 수주에 관한 사항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7.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유동성위험 및 위험관리

유동성 위험이란 당사가 일시적인 자금부족으로 정해진 결제시점에서 결제의무를 이행하지 못함으로써 거래 상대방의 자금조달계획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는 위험을 의미합니다. 당사는 보유현금 대비 차입금의 규모가 작아 재무안정성이 양호합니다.

또한 당사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조정을 통해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채권을 예상된 시기에 회수하지 못하거나, 채무를 약정된 만기보다 빠른 시일에 지급해야할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충분한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적절히 약정된 신용한도금액으로부터의 자금 여력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현재 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5년 이하
합 계
미지급금 450,359 - - 450,359
미지급비용 1,230,134 - - 1,230,134
전환사채 15,571,359 - - 15,571,359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5,608,978 2,088,828 1,544,011 9,241,817
리스부채 113,371 48,372 9,636 171,379
합 계 41,429,235 2,137,200 1,553,647 45,120,082


<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5년 이하
합 계
미지급금 725,749 - - 725,749
미지급비용 1,800,940 - - 1,800,940
전환사채 14,997,983 - - 14,997,98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5,151,064 93,480 4,189,382 9,433,926
리스부채 121,156 72,156 14,967 208,279
합 계 41,251,926 165,636 4,204,349 45,621,911




나.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시장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을 뜻하며,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의 10bp 변동시 회사의 세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원).

(단위: 천원)

지 수

세전 이익에 대한 영향

당분기 전 기

상승 시

(61,678) (91,000)

하락 시

61,678 91,000


다. 기타위험 및 위험관리

상기 언급된 위험들 이외에 대한 자세한 사항은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 III. 재무에 관한사항 -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8.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9. 경영상의 주요 계약

가. 라이센스아웃(License-out) 계약

현재 당사가 체결 중인 라이선스아웃(License-out) 계약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선스아웃 계약 총괄표]
(단위 : 백만원)

품목

계약

상대방

대상지역

계약

체결일

계약

종료일

총 계약

금액

수취

금액

진행

단계

EU101

절강

화해

제약

중국

(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2017.09.01

특허만료일 또는 최초 상용화 후 10년 중 늦게 도래한 날

850만불

100만불

임상
1상

합  계

850만불

100만불


-



(1) 품목 : EU101

① 계약상대방

절강화해제약(중국)

② 계약내용

EU101과 관련한 리서치, 개발, 상용화, 판매 등의 독점권 부여

③ 대상지역

중국(중국, 대만, 홍콩, 마카오)

④ 계약기간

계약체결일 : 2017.09.01

계약종료일 : 특허만료일

⑤ 총 계약금액

9,659백만원(850만불, 1$/1136.3원), 로열티는 별도

⑥ 수취금액

<반환의무 없는 금액>

계약금(Upfront Payment) : 1,136백만원(100만불, 1$/1136.3원)


<반환의무 발생가능 금액>

해당사항 없음

⑦ 계약조건

계약금(Upfront Payment) : 1,136백만원(100만불, 1$/1136.3원)

- 수취조건 : 계약체결 시

마일스톤(Milestone) : 8,522백만원(750만불, 1$/1136.3원)

- 수취조건 : 각 임상단계 성공, 판매 승인, 적응증 추가 등

⑧ 회계처리방법

계약금 수취액 1,136백만원(100만불, 1$/1136.3원)은 36개월 동안 분할하여 수익 인식

⑨ 대상기술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EU101(4-1BB antibody therapy)

⑩ 개발 진행경과

<거래상대방>

MCB(Master Cell Bank, 마스터 세포은행) 개발을 위한 연구 진행중

<회사>

RCB(Research Cell Bank, 연구용 세포은행) 개발완료

⑪ 기타사항

-


나. 라이센스 인(License-in) 계약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가 체결 중인 라이센스인(License-in) 계약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라이센스인 계약 총괄표]
품목 계약상대방 대상지역 계약체결일 계약종료일 총계약금액 지급금액 진행단계
전용실시권
(면역세포치료제)
국립암센터 전세계 2016.03.22 특허 만료일 주1) 주1) 임상진행중
주1) 계약 세부내용의 경우 영업기밀에 해당되므로 이에 계약 세부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1) 품목: 면역세포치료제 전용실시권

계약상대방 국립암센터 (대한민국)
계약내용 면역세포치료제 특허 전용실시권
대상지역 전세계
계약기간

계약체결일:2016.03.22

계약종료일:특허 만료일

총계약금액 주1)
지급금액 주1)
계약조건 주1)
회계처리방법 계약금은 상용화 전으로 상용화 후 경상연구개발비로 회계처리
마일스톤은 지급수수료로 회계처리
대상기술 면역세포치료제
개발진행경과 국내 임상 진행중
기타사항 -

주1) 계약 세부내용의 경우 영업기밀에 해당되므로 이에 계약 세부 내용을 기재하지 않았습니다.



10. 연구개발 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면역항암제 연구개발을 영위하고 있는 회사로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보유 파이프라인의 상용화를 위해 유틸렉스 T세포치료제의 임상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CAR-T세포치료제,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연구개발 담당조직

(1) 연구개발 조직 개요

신약연구개발을 위한 조직을 세개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연구소"는 세포치료제와 항체치료제 연구 및 CAR-T를 포함한 기초연구 전반을 진행하며 연구관리, 동물실험 등 업무도 담당합니다. "신약개발본부"는 인허가, 품질 및 제조 등 신약의 완성을 위한 업무와 본사 GMP와 공동연구를 진행중인 국립암센터(NCC) GMP로 구성되어 있으며, 신약 생산을 담당하며 생산공정 개선을 위한 연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임상시험검체분석실 및 임상개발실"은 임상디자인 및 임상시험에 제반되는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연구소 조직도

연구소 조직도


(2) 연구개발 인력현황*

(단위: 명)

구분

2020년
(제6기)

2019년
(제5기)

2018년
(제4기)

2017년
(제3기)

기초

41 25

20

16

증가

8 16

6

8

감소

- -

1

4

기말

49 41

25

20


[연구개발인력 구성]

(단위: 명)

학력

박사

석사

학사

합계

인원수

14

24 11 49

주) 임원을 제외한 인원입니다.(박사급 2명 : 한정훈 부사장, 김영호 상무)

(3) 핵심 연구인력 및 연구실적

구분

성명/직급

근무기간

최종학위

주요 학력 및 경력, 주요연구실적

업무분야

1 제훈성
연구소장
(부사장)
20.06 ~
`87.02 / `89.02 서울대학교 공업화학 학사/석사
`98.02 Stanford University 화학공학 석사
`02.02 University of California 화학공학 박사
 ~ `12.01 LG 생명과학 바이오 1연구소장 (연구위원)
 ~ `16.01 LG 생명과학 기술연구원 백신연구소장 (상무)
 ~`20.03LG 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백신센터장 (상무)
 `20.06 ~  現(주)유틸렉스 연구소장
기술총괄
(CTO)

2

김영호

전무

'16.02~현재

박사

'11.06~'16.02 국립암센터 세포치료제생산실 실장

'08.03~'11.05 국립암센터 면역세포치료과 연구원

'02.09~'08.02 면역제어연구센터 연구원

'01.04~'02.08 ㈜이뮤노믹스 연구보조

'03.03~'07.12 울산대학교 대학원 면역.의생물학 박사

'95.03~'02.12 울산대학교 분자미생물학 학사

'18. 앱비앤티셀 안정성 시험 및 2상 IND filing

'17. T세포치료제 단축 제조공정개발, 확립 및 GMP 공정이식

'16~'17. GMP 시설 구축 및 밸리데이션 완료

'13~'18. 항암 T 세포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

       (국제공동과제/산업통상자원부)

'13. 자가유래 항암 T 세포치료제의 개발 및 이행성연구

   (기관고유사업/국립암센터)

'11. '12, '14. (임상시험승인신청 3건 완료)

T 세포치료제 임상시험 진행 (1건 완료, 2건 진행 중)

의약품등 제조(수입)관리자, GCP/IRB, 임상시험종사자, 방사선작업종사자 수료

'12. 생명과학연구자과정 우등상 (국립암센터)

'10. 4-1BB에 의한 자가반응 CD4+ T 세포의 선택적

  제거기작 (공공수탁연구사업/한국과학재단)

'09. 우수연구자상 (국립암센터)

'05. 최우수포스터상 (대한면역학회)

'99~'07. 면역조절에 의한 난치성 질환 치료법

       (우수과학 연구센터/과학기술부)


[논문 및 특허]  

재직 중

1) 특허 등록 1건, 출원 2건, 출원 준비 1건 진행 중

- 2018. T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호주 등록, 중국 등록)

- 2018. 고순도의 항원 특이적 T 세포의 분리 및 증식 방법 (특허 출원 준비 중)

- 2018. Anti-human 4-1BB antibodies and uses thereof (PCT, 미국 출원)

- 2017.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ing b-cell lymphoma cells and use thereof (미국 출원)

2) 연구 논문 7건

재직 전

1) 특허 등록 2건

2) 연구 논문 26건 및 학술발표 31건

의약품제조실, 신약연구실 총괄

3

김영철

연구위원

'18.07~현재

박사

'10.10~'18.06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의과대학 유전학과 조교수

'08.08-'10.10 Univ. of Chicago,

            NorthShore Research Institute 수석연구원

'05.08-'08.07 Northwestern Univ.,

            ENH Research Institute 책임연구원

'04.01~'05.07 Northwestern University  

            의과대학 유전체학 박사후 연구원

'93.01~'03.05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전산학 박사

'90.09~'92.12 Illinois Institute of Technology 전산학 석사

'82.03~'84.02 연세대학교 대학원 생물학 석사

'77.03~'82.02 연세대학교 생물학 학사


[논문 및 특허]

'15.07~'18.06 Identifying promoter mutations using exome sequencing (American Cancer Society)

'13.09~'15.08 Genetic basis of breast cancer resistance in BRCA1+ carriers (NIH National Cancer Institute)

'11.07~'14.06 Tumor micro-environment (NIH National Cancer Institute)

'11.01~'13.12 Follicular lymphoma research initiative clinical studies (Lymphoma Research Foundation)

'09.07~'12.06 Comprehensive identification of fusion transcripts in leukemia (NIH)

'09.09~'10.08 Identifying structural variations in breast cancer cells using ditag genome scanning (NorthShore University HealthSystem)

'07.01~'09.12 Genomic study of familial DCIS and invasive breast cancer to discover susceptibility genes (Susan G. Komen for Cure)

'05.01~'06.12 Identifying genomic changes in CLL using digital karyotyping (Mazza Foundation)

'04.01~'08.12 Functional genomics program (Daniel F. and Ada L. Rice Foundation)

'04.01~'07.12 Identification of novel genes in the human genome (NIH)

유전체분석

및 타겟발굴

4

이중원

이사

'15.10~현재

박사

'15.04~'15.10 국립암센터 리서치(면역연구과) 초빙연구원

'09.03~'15.03 The Scripps Research Institute (TSRI).

            Staff Scientist

'07.03~'09.01 이화여자대학교 박사 후 연구원

'06.07~'07.02 한국원자력연구원 박사 후 연구원

'02.08~'06.07 고려대학교 세포, 발생, 생리학 박사

'96.08~'98.07 고려대학교 유전학 석사

'90.03~'96.06 고려대학교 생물학 학사


EU101 안정성, 안정성, 작용 기작 규명

EU101 중국 Huahai에 기술이전 성공. 10개 적응증

     총액 3550만 달러 + 로열티

EU102 물성 개선 및 기술 이전 추진

EU103 humanization 성공

유틸렉스 항체 플렛폼 IgG1/2 fusion Fc (Ig1/2Fs-Fc) 개발

리보좀에서 단백질 aggregates 생성 기작 규명


[논문 및 특허]

재직 중

-연구 논문 1편; PNAS 주저자 2016년

-특허 2건

재직 전

-연구 논문 14편

항암 항체 신약 개발, 자가면역질환 항체 신약개발 및

이중항체 개발

5

이승주

책임연구원

'15.10~현재

박사

'08.03~'15.10 국립암센터 과제연구원

'09.04~'10.10 해외파견(원숭이실험 통한 면역학실험)

'05.07~'07.07 ㈜이뮤노믹스 연구보조

'06.03~'15.02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면역·의생물학

'01.03~'06.02 울산대학교 생명공학과 학사


[논문 및 특허]

항암 항체 신약, 항 EU102 항체 (범부처신약개발사업)

항암 항체 신약, 항 EU101 항체 개발

자가면역질환 신약, 항 EU104 항체 개발

면역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암 치료용 항체 후보 물질 발굴

(국립암센터)

제 3 순환계, HAR-NDS system에서의 성체줄기세포 발견

(국립암센터)

[논문 및 특허]

재직 중

- '16. HAR-NDS 유래 성체줄기세포, 그 분리방법 및 용도 (등록, 10-1626118).

- '18. Anti-human 4-1BB antibodies and uses thereof (PCT, 미국 출원)

- '18. IFN-GAMMA-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irtica) antibody and use thereof (출원).

- 그외 특허 출원 6건.

재직 전

- '13. 4-1BB signal stimulates the activation, expansion, and effector functions of γδ T cells in mice and humans. (제 1저자).

- '14. Adult stem cells from the hyaluronic acid-rich node and duct system differentiate into neuronal cells and repair brain injury. (제 1저자).

- '15. Authentic GITR Signaling Fails To Induce Tumor Regression unless Foxp3+ Regulatory T Cells Are Depleted. (공동저자).

- 그외 연구논문 3편

- '12. 신규한 Th1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

(등록, 10-1549637)

- '12. 신규한 Th2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

(등록, 10-1566539)

- '12. 신규한 Th17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

(등록, 10-1566538)

- 그외 특허 출원 6건, 등록 6건.

항암 항체 신약 개발,
자가면역질환 항체 신약개발 및

이중항체 개발

6

김혜정

책임연구원

'18.06~현재

박사

'17.06~'17.10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연구교수

'14.06~'17.05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리서치펠로우

'12.04~'14.05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박사 후 연구원

'07.03~'12.02 울산대학교 생명과학부 면역학 박사

'05.03~'07.02 울산대학교 생명과학 석사

'01.03~'05.02 울산대학교 미생물 유전공학 학사


-'12.02 RCAI International Summer Program 2012/초청강연

-'13.08 울산대학교병원 생의과학연구소 Basic Research Training Course 강의

-'13.06~2014.05 무균염증 증폭 수렴점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15.06~216.05 감염에서 CD137과 CD137L 양방신호에 대한 연구 (한국연구재단)


[논문]

- IL-33 Enhances Host Tolerance to Candida albicans Kidney Infections through Induction of IL-13 Production by CD4+ T Cells. J Immunol. 194(10):4871-9.

-Inhibition of kidney ischemia-reperfusion injury through local infusion of a TLR2 blocker. J Immunol Methods. 407:146-50.

- TLR2 signaling in tubular epithelial cells regulates NK cell recruitment in kidney ischemia-reperfusion injury. J Immunol. 191(5):2657-64.

- Reverse signaling through the costimulatory ligand CD137L in epithelial cells is essential for natural killer cell-mediated acute tissue inflammation. PNAS. 109(1): E13-22 외 논문 11건


[특허]

-CD137 또는 CD137 리간드 저해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신장 허혈 재관류 손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등록)

항암 항체 신약 개발,
자가면역질환 항체 신약개발 및

이중항체 개발

7

이승현

책임연구원

'17.02~현재

박사

'10.08~'16.12 삼성전자 종합기술원 (차장급), 바이오연구소

'06.09~'10.08. 아주대 박사 (항체공학)

'04.09~'06.08. 아주대 석사 (단백질공학)

'98.03~'04.08. 아주대 학사 (생명공학)


- CAR-T 세포치료제 적용 항체 개발

- 면역분자 표적의 인간화항체 개발

- AITR 표적 항체 (EU102)의 열안정성 개량

- 환자유래세포 표적 항체 선별기술 개발 (삼성종합기술원)

- 준-자동화 항체 선별기술 개발 (삼성종합기술원)

- 이중특이항체 개발 (삼성종합기술원)

- 항 cMet 항체 개발 (삼성종합기술원)


[논문]

- '16, Oncogene, Novel strategy for a bispecific antibody: induction of dual target internalization and degradation, (공동제1저자).

- '14, Oncogene, Cbl-independent degradation of Met: ways to avoid agonism of bivalent Met-targeting antibody, (공동저자).

- '10, Molecular Immunology, Humanization of an agonistic anti-death receptor 4 single chain variable fragment antibody and avidity-mediated enhancement of its cell death-inducing activity, (제1저자).

- 이 외 10편에 대한 주저자 또는 공동저자


[특허]

- '18, PCT출원 PCT/IB2018/000201, IFN-Gamma-Inducible-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 (IRTCA) antibody and uses thereof.

- '17, 미국출원 62/591510, Suppression of EBV-induced LCLs using CAR T cells redirected against HLA-DR.

재직 전

- '17, 미국등록 9,808,507, Anti-c-met/anti-ang2 bispecific antibody.

- '17, 미국등록 9,650,443, Fusion protein comprising anti-c-Met antibody and VEGF-binding fragment.

- '16, 미국등록 9,499,622, Anti-EGFR/anti-HER2 bispecific antibodies with anti-EGFR DARPins.

항체발굴 및

최적화항체 개발

8

윤선옥

수석연구원

'16.03~현재

박사

'14.05~'15.11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연구교수

'06.07~'13.12 Ochsner Clinic Foundation Staff Scientist

'02.05~'06.06 Ochsner Clinic Foundation Post-Doc

'99.03~'02.03 생명공학연구소 항체공학실 연수생

'93.03~'02.02 부산대학교 학사/석사/박사


- MVR 및 EGFRvIII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 Neo-antigen에 대한 T 세포 치료제 개발

- 41BB와 암항원을 타겟으로 하는 이중항체 개발

재직 전

- 이종이식 면역거부 반응 방지를 위한 항체 개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 Tumor microenvironment and B cell lymphomas (Ochsner Clinic Foundation, NIH grant P20RR021970)

- 항-TAG-72 인간화 항체 개발 (생명공학연구소)


[논문]

재직 중

- '18, J Immunol., Myeloid-Derived Suppressor Cells Mediate Inflammation Resolution in Humans and Mice with Autoimmune Uveoretinitis (공저자)

- '17, Oncotarget., Mesenchymal stromal cells promote B-cell lymphoma in lacrimal glands by inducing immunosuppressive microenvironment (공저자)

- '17, Oncotarget., Rapamycin regulates macrophage activation by inhibiting NLRP3 inflammasome-p38 MAPK-NFκB pathways in autophagy- and p62-dependent manners (공저자)

- '14, Apoptosis., Secretase Inhibitors enhance Vincristine-induced apoptosis in T-ALL in a NOTCH-independent manner (교신저자)

- '14, FEBS Open Bio., CD9 may contribute to the survival of human germinal center B cells by facilitating the interaction with follicular dendritic cells (교신저자)

- '14, Cell Cycle., GSI promotes vincristine-induced apoptosis by enhancing multi-polar spindle formation (교신저자)

- '13, BBRC., CD9 is a novel marker for plasma cell precursors in human germinal centers (교신저자)

- '10, AJP., Downregulation of CD9 expression and its correlation to tumor progression in B lymphomas (주저자)

- '10, JLB., IL-21 and IL-10 have redundant roles but differential capacities at different stages of plasma cell generation from human germinal center B cells (주저자)

- '09, J Immunol., Notch ligands expressed by follicular dendritic cells protect germinal center B cells from apoptosis (주저자)

- '06, J Immunol., Construction, affinity maturation, and biological characterization of an anti-tumor-associated glycoprotein-72 humanized antibody (주저자)

-이외 13편에 대한 공동저자


[특허]

- '12. Humanized anti-TAG-72 monoclonal antibodies (등록/US8119132B2), PCT 출원

Neo-antigen T 세포 치료제,
CAR T 세포 치료제 개발 및
이중항체 개발

9

김광희

책임연구원

'17.01~현재

박사

'16.07~'17.01 유영제약 과장

'14.06~'16.06 MD Anderson Cancer Center Postdoctoral

            Fellow (Melanoma Medical Oncology)

'13.03~'14.05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Postdoctoral Fellow

'08.09~'13.02 고려대학교 분자세포발생생물학 박사

'06.03~'07.08 삼육대학교 생화학 석사

'00.03~'06.02 삼육대학교 생명과학 학사


- '17~'18 항암 T 세포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산업통상자원부)

- CAR-T 세포치료제 공정 개발

- TCR-like Ab CAR-T 세포치료제 개발

- 수지상세포를 이용한 HPV specific T 세포 치료제 개발

- Neo-antigen specific T 세포치료제 개발

- GBM 타겟 CAR-T 세포치료제 개발 (유영제약)

- CD8 T cell 및 regulatory T cell (Treg) 의 공동배양에 있어서 IL-21이 미치는 영향 및 기전 연구 (MD Anderson Cancer Center)

- NK 세포치료제 개발 (고려대학교)


[논문]

- '17, Cancer Immunology Research, SLC45A2: A Melanoma Antigen with High Tumor Selectivity and Reduced Potential for Autoimmune Toxicity. (공동저자)

- '14, Cancer Research, API5 confers tumoral immune escape through FGF2-dependent cell survival pathway. (공동저자)

- '13, Cancer Research, Ex vivo expansion of highly cytotoxic human NK cells by cocultivation with irradiated tumor cells for adoptive immunotherapy. (공동저자)

- '12, Nano letters, Single step isolation and activation of primary CD3+ T lymphocytes using alcohol-dispersed electrospun magnetic nanofibers. (제1저자)

- '12,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Ethanol-dispersed polymer Nanofibers as a highly selective cell isolation and release platform for CD4+ T lymphocytes. (제1저자)

- '09, Phytomedicine, Hypoglycemic and hypolipidemic effects of processed Aloe vera gel in a mouse model of non-insulin-dependent diabetes mellitus. (제1저자)

- 이외 15편에 대한 공동 저자


[특허]

- '16. 특이적 결합분자생분해성 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등록, 10-1588070)

- '16. 특이적 결합분자-자성 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 (등록, 10-1616704)

- '16.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를 이용한 세포활성화 방법 (등록, 10-1616705)

- '16. B 세포 분리를 위한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그를 이용한 분리 방법 (등록, 10-1637895)

- '15. 표적 특이적 리간드가 결합된 생체적합성 고분자 나노섬유 스캐폴드를 이용한 표적 세포의 분리 및 배양 방법. (등록, 10-1490881)

- '14. 면역세포가 탑재된 항암면역치료용 스캐폴드 (등록, 10-1409856)

- '12, 저준위 방사선을 이용한 패혈증 및 패혈증성 쇼크 치료 방법. (등록, 10-1187319)

- '12, 특이적 결합분자-나노섬유 복합체 및 이의 제조방법. (등록, 10-1146263)

CAR-T 세포

치료제 개발

Neo-antigen specific T세포 개발

10

이한나

책임연구원

'17.02~현재

박사

'14.10~'17.01 올릭스주식회사 과장/팀장

'10.04~'14.03 오사카대학교 예방환경의학 박사

'07.09~'09.08 부산대학교 제약학 석사

'04.03~'07.08 부산대학교 분자생물학 학사


- Bispecific antibody 개발

- Neo-antigen 특이적 T 세포 치료제 개발

- Nanoparticle을 이용한 CAR-T 치료제 개발

-노인성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 (올릭스주식회사)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제 개발 (올릭스주식회사)


[논문]

- Zinc-finger antiviral protein mediates retinoic acid inducible gene I-like receptor-independent antiviral response to murine leukemia virus. (제 1저자, Proc Natl Acad Sci U S A. 2013)

- N-terminal GNBP homology domain of Gram-negative binding protein 3 functions as a beta-1,3-glucan binding motif in Tenebrio molitor. (제 1저자, BMB Rep. 2009)

- 이 외 6편의 공동저자


[특허]

- Treatment of angiogenesis-associated diseases using rna complexes that target angpt2 and pdgfb (WO2017134526A1 출원 2017.02.01)

- TREATMENT OF ATOPIC DERMATITIS AND ASTHMA USING RNA COMPLEXES THAT TARGET IL4Ra, TRPA1, OR F2RL1 (US20170218376A1, 출원 2017.02.01)




다. 연구개발 비용

최근 3개년 연구개발비용은 2018년 56억원, 2019년 98억원, 2020년 182억원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1년 1분기말 현재 68억원으로 전년 동기(33억) 대비해서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연구개발비용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개발비용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21년 1분기
(제7기)
2020년
(제6기)
2019년
(제5기)
2018년
(제4기)
비고
비용의
성격별
분류

인건비 949 3,551 3,025 2,490 (주1)
퇴직급여 75 278 287 233 -
연구재료비 1,157 5,972 3,124 1,667 (주2)
과제용역비 4,135 6,501 2,135 496 (주3)
감가상각비 380 1,173 742 602 -
기타 95 744 279 22 (주4)
연구개발비용 합계 6,791 18,219 9,802 5,585 -
회계
처리
내역
판매비와 관리비 6,791 18,219 9,802 5,585 -
제조원가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회계처리금액 소계 6,791 18,219 9,802 5,585 -
정부보조금 - -

-
연구개발비용 합계 6,791 18,219 9,802 5,585 -
매출액 23 2,036 409 402 -
연구개발비용/매출액 29,983% 895% 2,397% 1,389% -
(주1) 인건비는 연구인력에 대한 급여, 상여를 포함한 금액입니다.
(주2) 연구재료비는 실험에 사용되는 재료비 및 연구수수료 입니다.
(주3) 과제용역비는 회사에서 외부에 지급한 공동연구개발비, 위탁용역비 등 입니다.
(주4) 기타는 연구활동에 사용된 비용 입니다.


라. 연구개발 실적 및 진행현황

(1) 연구개발 진행 현황 및 향후계획

증권신고일 제출일 현재 당사가 연구개발 진행 중인 프로젝트별 현황은 다음과같습니다. 하기의 모든 파이프라인은 바이오신약에 해당됩니다.

구분 품목

보유 파이프 라인

적응증 연구
시작일
주1)
현재진행단계 현황
단계(국가) 승인일
바이오신약

T 세포 치료제

EBViNT

혈액암 2011 임상 1/2상(국내) 2018 임상 1/2상 진행중

TERTiNT

고형암 2014 연구자임상 2014 연구자임상 진행중

WTiNT

고형암 2013 임상 1상(국내) 2013 임상 1상 진행중
NYESOiNT 고형암 2015 연구자임상 준비중 - 연구자임상 준비중

CAR-T세포치료제

MVR CAR-T

혈액암 2015 비임상 진행 - 비임상 진행중
고형암 CAR-T 고형암 2015 비임상 진행 - 비임상 진행중
항체치료제

EU101

모든암 2015

임상 1/2상
(미국/중국)

2020 임상 1/2상 진행중

EU102

모든암 2015 비임상 진행 - 비임상 진행중

EU103

모든암 2015 비임상 진행 - 비임상 진행중

EU505

모든암 2015 비임상 진행 - 비임상 진행중

주1)  임상을 진행한 경우 임상 시험 승인일을 연구시작일로 작성하였고 그 외 파이프라인들은 권병세 대표가 연구원 시절부터 연구 및 개발해온 기술로 연구시작일을 특정하기 어려워 당사의 설립년도인 2015년을 연구시작일로 기재함.

(가) 유틸렉스 T 세포치료제

구분 자가유래 암항원 T세포치료제(유틸렉스 T세포치료제)
적응증 다양한 고형암
작용기전 1) 암환자의 혈액으로부터 면역 세포를 분리한 후2) 표적 암항원에서 유래하는 peptide들을 첨가하여 배양함으로써3) 암항원 특이적 CD8 T 세포가 4-1BB를 발현하도록 유도한 후4) anti-4-1BB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이들 세포를 선택적으로 분리하며5) 이후 시험관 내에서 대량 배양하여 암환자에게 투여  5) 투여된 암항원 특이적 T세포가 암세포를 살해하는 기전입니다.
제품의 특성 기존 세포 치료제가 갖추지 못했던 T 세포 제조 공정의 표준화와 제품의 규격화를 이루어 냈으며 표준 치료에 실패한 말기암 환자 대상 임상 시험에서 부작용은 거의 보이지 않은 반면 뛰어난 항암 치료 효과를 보여주었습니다
진행경과 임상 1/2상,  임상 1상, 다수의 연구자 임상 진행중
향후계획 미국 FDA 임상 진행
경쟁제품 현재 출시된 경쟁 T세포치료제는 없습니다.
관련논문 등 4-1BB-based isolation and expansion of CD8+ T cells specific for self-tumor and non-self-tumor antigens for adoptive T-cell therapy. J Immunother. 2014. 37:225-36.
Phase I Clinical Trial of 4-1BB-based Adoptive T-Cell Therapy for Epstein-Barr Virus (EBV)-positive Tumors. J Immunother. 2016 Apr;39(3):140-8.
Cancer immunotherapy using tumor antigen-reactive T cells. Immunotherapy. 2018 Mar;10(3):235-
시장규모 세포치료제 시장 규모는 줄기세포치료제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T 세포 치료제의 경우 현재 출시된 제품이 없어 시장규모 파악이 어렵습니다. 당사의 T 세포 치료제는 면역항암제 계열에 속하므로 다음과 같이 항암제 및 면역항암제 시장 규모로 갈음하고자 합니다.
제약시장은 다양한 산업 중에서도 매우 성장속도가 높은 산업에 속하며 타 산업 대비 높은 기대수익률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2016년 기준으로 전체 제약시장 중에서 항암제의 시장 점유율은 11.7%, 937억 달러 수준으로 전체 제약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차지 하고 있으며, 그 규모가 연평균 성장률12.7%로 증가하여 2022년에는 전체 제약시장에서의 비중이5.8p 증가한17.50%, 매출은 약 1,922억 달러 수준일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면역 항암제 시장은 2015년 169억 달러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23.9 %의 성장율로 758억 달러로 성장하여 전체 항암제 시장 중 약 40%에 이르는 비중을 차지할 것으로 GBI 리서치는 전망했습니다.

기타사항 -


(나) CAR-T 세포 치료제

구분 CAR-T세포치료제
적응증 혈액암 및 고형암
작용기전 Chimeric antigen receptor (CAR) T 세포 치료제는 환자에서 채취한T 세포에 암항원을 타겟으로 하는 CAR 유전자를 도입하여 암세포에 대한 사멸 능력을 높이도록 유전자를 재조합한T 세포 치료제 입니다
제품의 특성 기존 출시된 CAR T 세포 치료제는 모든B 세포에서 발현하는CD19을 표적으로 삼으므로 정상 세포도 제거하는 단점이 있었으나 유틸렉스가 개발한MVR CAR T 세포 치료제는 악성B 세포 림프종만을 선택적으로 제거함으로써 림프종 치료의 특이성을 상승시켰습니다. 기존 치료제가 혈액암에만 한정하여 고형암에 대한 치료 효과는 보이지 못한 반면 유틸렉스의CAR T 세포 치료제는 암조직 내 침투, 종양 생장에 필요한 혈관 확장의 방해, 종양 미세 환경 특이적 면역 억제 세포 및 물질의 제어 등 부가적 기능을 도입한 CAR T 시스템을 적용하여 고형암 치료에도 강점을 가질 수 있는 차세대CAR T 세포 치료제입니다
진행경과 비임상 시험 진행중
향후계획 임상 시험을 위한 IND filing 준비
경쟁제품 노바티스의 킴리아, 길리어드의 예스카타
관련논문 등 Desensitized chimeric antigen receptor T cells selectively recognize target cells with enhanced antigen expression. Nat Commun. 2018 Feb 1;9(1):468
Chimeric antigen receptor T-cell therapy for cancer: a basic research-oriented perspective. 2018. Immunotherapy.10(3):221-234
시장규모 CAR-T 세포 치료제는 2017년 노바티스 킴리아가 최초 출시되었고 뒤이어 길리어드의 예스카타가 출시되었습니다. Coherent Market Insights, CAR T Cell Therapy Market(2017.2) 에 따르면 글로벌 CAR-T 세포 치료제 시장은 2017년 7,200만달러 규모를 형성, 향후 11년간(’17년~’28년) 연평균 성장률 53.9%로 꾸준히 성장하여 2028년에는 83억달러 규모로 확대될 전망 됩니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서 발간한 보고서 "글로벌 CAR-T Cell 치료제 시장현황 및 전망"에 따르면 CAR-T Cell 치료제 시장은 글로벌 CAR-T 세포 치료제 시장 점유율의 약 절반을 차지하는 주요 3개 업체(Novartis International AG, Juno Therapeutics, Kite Pharma Inc)와 함께 향후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며, 제조부터 유통 및 최종 사용자인 병원에 이르기까지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수익을 창출할 전망입니다.
기타사항 -


(다) 면역 항암 항체치료제

구분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적응증 다양한 암종
작용기전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수용체를 자극하여 암세포를 살해하는 기전입니다.
제품의 특성 당사의 항체치료제의 주요 파이프라인인 EU101과 EU102는 종양 세포를 인식하여 제거할 수 있는 T 세포의 특정 수용체를 자극하여 활성을 이끌어 냄으로써 종양을 치료하는 항체 치료제입니다. 선별된 표적, 즉T 세포 공동자극 분자 (co-stimulatory receptor) 4-1BB 또는 AITR의 세포 신호를 조절하여 인체 면역계의 항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 이론적으로 모든 종류의 혈액암 및 고형암을 치료할 수 있으며 기존의 면역 억제 차단 항체 치료제인 키트루다, 옵디보 등과 병용 치료 또한 기대 되는 혁신적 항체 치료제입니다
진행경과 비임상진행중
향후계획 비임상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술수출 예정
경쟁제품 머크의 키트루다, BMS의 옵디보 등
관련논문 등

EU101 관련 논문

- 4-1BB Is Expressed on CD45RAhiROhi Transitional T Cell in Humans. 1996. CELLULAR IMMUNOLOGY 169, 91~98

- Molecular cloning of agonistic and antagonistic monoclonal antibodies against human 4-1BB. 2002. European Journal of Immunogenetics. 29, 449~452

시장규모

항체치료제 시장은 암과 류마티스관절염 등의 질환에서 표적 치료를 기반으로 치료제 시장으로 그 의미가 광범위하여 출시된 면역항암 항체치료제(옵디보, 키트루다) 매출 추이와 및 면역항암제 시장을 바탕으로 시장규모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면역항암 항체치료제 중 가장 큰 매출액을 보이고 있는 옵디보는 2014 년 흑색종으로 FDA 승인 이후 2015 년에는 폐암과 신장암으로 추가 승인이 나면서 2017 년 매출액 49억 4,800만 달러를 기록, BMS 품목별 매출액 중 가장 높은 판매액을 기록하였습니다. 키트루다 역시 흑색종으로 2014년 FDA 승인된 이후 2015년 비소세포 폐암 적응증을 추가하고 흑색종 1차 치료제로 추가 승인이 나면서 2017년에는 38억 900만 달러로 매년 큰 폭의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이렇든 면역항암 항체치료제를 포함한 면역항암제 시장은 2015년 169억 달러에서 2022년까지 연평균 23.9 %의 성장율로 758억 달러로 성장하여 전체 항암제 시장 중 2015년 20% 수준에서 2022년엔 약 40%에 이르는 비중으로 증가 할 것으로 GBI 리서치는 전망했습니다.

기타사항 -


(2) 연구개발 완료 실적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연구개발이 완료되어 상용화된 제품이 없습니다.

(3) 기타 연구개발 실적

당사의 과거 수행한 정부출연과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연구과제명

주관부서

연구기간

정부출연금

관련제품

비고

항암 항체 신약,

항 AITR 항체

범부처 신약개발 사업단
주)

'15.02∼'17.06

약 11억

(전체사업비 : 15.8억)

EU102

종료

항암 T 세포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

산업통상자원부

'13.11~'18.10

정부출연금 45억원

(전체사업비 : 60억)

T세포치료제

2018년
10월31일
종료

면역 항암 항체 EU101의 개발 및 임상시험

보건복지부 및 국립암센터

'18.09~임상2상초기시험 완료 후 24개월

연구기간동안 소요되는 비용의 70%

(전체사업비 : 50억이상)

EU101

진행중

주) 신약개발 분야를 지원해 온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가 부처 간 R&D 경계를 초월한 범부처 전주기 국가 R&D사업

11.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지적 재산권 보유 현황

(1) 유틸렉스의 T 세포 치료제 특허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1

자가암항원 특이적 CD8+T세포의분리 및 증식방법

2014-03-12

한국

2015-03-11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2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1

PCT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3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5-03-12

미국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4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09-12

유럽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5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02-02

중국

2018-07-20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6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CD8 T

2016-08-12

홍콩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7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09-12

일본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8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09-12

캐나다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9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tumo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6-09-09

호주

2018-04-19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10

METHOD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SELF TUMOR ANTIGEN SPECIFIC CD8+ T CELLS

2016-10-03

인도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11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7-08-30

미국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12

Methods for isolating and Proliferating Autologous cancer antigen-specific CD8+ T Cells

2018-03-26

미국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13

4-1BBL 펜타머 단백질을 이용한 항원 특이적 CD8+T 세포의 분리 및 증식 방법

2008-07-25

한국

2012-01-22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14

4-1BB리간드(4-1BBL)오중합체 및 이의 용도

2010-01-29

한국

2012-06-07

유틸렉스

15 자가암항원 특이적 CD8+T세포의분리 및 증식방법 2014-03-12 한국 2015-03-11 국립암센타/유틸렉스(전용권자)


(2) CAR T 세포 치료제 특허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16

B 세포 림프종 세포를 특이적으로 인지하는 단일클론항체 및 이의 용도

2014-03-05

한국

2016-03-16

유틸렉스

17

MONOCLONAL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B-CELL LYMPHOMA CELLS AND USE THEREOF

2015-03-04

PCT



유틸렉스

18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es B cell lymphoma and use thereof

2015-03-05

미국

2018-01-09

유틸렉스

19

Monoclonal antibody which specifically recognizing b-cell lymphoma cells and use thereof

2017-12-01

미국



유틸렉스

20

Suppression of EBV-induced LCLs using CAR T cells redirected against HLA-DR

2017-02-21

미국



유틸렉스

21

Suppression of EBV-induced LCLs using CAR T cells redirected against HLA-DR

2017-11-28

미국



유틸렉스

22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2018-02-21

PCT



유틸렉스


(3) 다양한 항체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23

신규한 Th1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그의 용도

2012-08-13

한국

2015-08-27

유틸렉스

24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an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2013-04-12

미국

2016-02-09

유틸렉스

25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and Use Thereof

2015-06-15

미국



유틸렉스

26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 cell and Use Thereof

2018-01-09

미국



유틸렉스

27

신규한 Th2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그의 용도

2012-08-13

한국

2015-10-30

유틸렉스

28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an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a method for converting T cell to type 2 helper T cell using the same

2013-04-12

미국

2016-02-09

유틸렉스

29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Use Thereof

2015-06-15

미국



유틸렉스

30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2 Cell and Use Thereof

2018-01-09

미국



유틸렉스

31

신규한 Th17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그의 용도

2012-08-13

한국

2015-10-30

유틸렉스

32

Monoclonal antibody specifically recognizing an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2013-04-12

미국

2016-04-12

유틸렉스

33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and Use Thereof

2016-02-25

미국



유틸렉스

34

Novel Epitope for switching to Th17 cell and Use Thereof

2017-11-16

미국



유틸렉스

35

Anti-human 4-1BB antibody and its use with improved affinity

2017-01-06

미국



유틸렉스

36

Anti-human 4-1BB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8-01-05

PCT



유틸렉스

37

Anti-human 4-1BB antibodies and uses thereof

2018-01-05

미국



유틸렉스

38

IFN-GAMMA-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IRTICA) ANTIBODY AND USE THEREOF

2017-02-10

미국



유틸렉스

39

IFN-GAMMA-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irtica) antibody and use thereof

2018-02-09

PCT



유틸렉스



(4) 기타 보유 특허 포트폴리오

발명의 명칭

출원일

출원국

등록일

권리자

40

HAR-NDS 유래 조혈줄기세포, 그 분리방법 및 용도

2014-04-29

한국

2016-09-20

유틸렉스

41

HAR-NDS 유래 성체줄기세포, 그 분리방법 및 용도

2014-04-29

한국

2016-05-25

유틸렉스

42

HAR-NDS-DERIVED STEM CELLS, METHOD FOR SEPARATING SAME, AND USE THEREOF

2015-04-28

PCT

-

유틸렉스

43

HAR-NDS-DERIVED STEM CELLS, METHOD FOR SEPARATING SAME, AND USE THEREOF

2015-10-29

미국

-

유틸렉스

44

HAR-NDS-derived stem cells, method for separating same, and use thereof

2016-10-31

중국

-

유틸렉스

45

HAR-NDS-derived stem cells, method for separating same, and use thereof

2017-04-10

홍콩

-

유틸렉스


나.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정부규제 준수

당사는 법령에 따라 환경분야 규제사항(대기, 수질, 폐기물, 위험물 외 기타)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분야별 법규 검토서를 발췌, 공유하여 문서 관리화 하고 있으며, 상시적으로 법규개정사항 및 변경사항을 등록관리하여 전체적인 환경관련 법규사항에 대처하고 있습니다.




III. 재무에 관한 사항

1. 요약재무정보


- 요약연결재무정보
주식회사 유틸렉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구분 2021년 1분기
 (제7기)
2020년
 (제6기)
2019년
 (제5기)
[유동자산] 60,286,123,453 69,207,709,483 44,573,560,093
현금및현금성자산 28,799,385,185 30,700,014,416 6,801,287,759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2,966 5,229,666 34,970,850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2,541 37,514,063,588 35,764,831,801
기타유동자산 332,482,761 988,401,813 1,972,469,683
[비유동자산] 36,435,079,013 36,328,962,438 31,436,447,500
유형자산 32,320,266,644 32,254,801,791 28,352,909,821
무형자산 1,800,673,066 1,698,156,387 1,853,997,281
사용권자산 164,135,115 198,163,782 195,305,944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131 985,210,893 1,034,234,454
기타비유동자산 1,163,963,057 1,192,629,585  
자산총계 96,721,202,466 105,536,671,921 76,010,007,593
[유동부채] 40,919,040,549 41,206,338,560 2,688,676,846
[비유동부채] 5,870,756,582 5,815,427,445 10,493,706,614
부채총계 46,789,797,131 47,021,766,005 13,182,383,460
지배기업소유주지분 49,931,405,335 58,514,905,916 62,827,624,133
[자본금] 7,899,058,000 7,849,744,000 3,652,627,500
[주식발행초과금] 121,983,102,916 120,753,253,662 98,730,836,967
[결손금] (84,161,040,211) (74,688,606,882) (45,920,365,918)
[기타자본항목] 4,210,284,630 4,600,515,136 6,364,525,584
자본총계 49,931,405,335 58,514,905,916 62,827,624,133


2021년 1월 1일 ~
 2021년 3월 31일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영업수익 22,651,500 2,036,292,000 408,878,000
영업비용 9,017,809,818 26,924,506,519 18,744,262,553
영업손실 8,995,158,318 24,888,214,519 18,335,384,55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9,472,433,329 28,768,240,964 17,131,242,044
당기순손실 9,472,433,329 28,768,240,964 17,131,242,044
기본주당손실 625 1,929 1,175
희석주당손실 625 1,929 1,175



- 요약별도재무정보
주식회사 유틸렉스                                                                              (단위 : 원)

구분 2021년 1분기
 (제7기)
2020년
 (제6기)
2019년
 (제5기)
[유동자산] 58,162,819,221 67,257,507,429 44,566,934,559
현금및현금성자산 26,719,908,610 28,748,143,489 6,794,662,225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1,766 5,229,666 34,970,850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2,541 37,516,010,588 35,764,831,801
기타유동자산 288,656,304 988,123,686 1,972,469,683
[비유동자산] 38,868,185,013 38,762,068,438 31,468,421,500
종속기업투자 2,433,106,000 2,433,106,000 31,974,000
유형자산 32,320,266,644 32,254,801,791 28,352,909,821
무형자산 1,800,673,066 1,698,156,387 1,853,997,281
사용권자산 164,135,115 198,163,782 195,305,944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131 985,210,893 1,034,234,454
기타비유동자산 1,163,963,057 1,192,629,585  
자산총계 97,031,004,234 106,019,575,867 76,035,356,059
[유동부채] 40,918,550,877 41,406,085,796 2,688,676,846
[비유동부채] 5,870,756,582 5,815,427,445 10,493,706,614
부채총계 46,789,307,459 47,221,513,241 13,182,383,460
[자본금] 7,899,058,000 7,849,744,000 3,652,627,500
[주식발행초과금] 121,983,102,916 120,753,253,662 98,730,836,967
[결손금] (83,906,593,402) (74,536,990,905) (45,892,871,882)
[기타자본항목] 4,266,129,261 4,732,055,869 6,362,380,014
자본총계 50,241,696,775 58,798,062,626 62,852,972,599


2021년 1월 1일 ~
 2021년 3월 31일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영업수익 22,651,500 2,036,292,000 408,878,000
영업비용 8,915,022,107 26,787,597,589 18,733,043,195
영업손실 8,892,370,607 24,751,305,589 18,324,165,19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9,369,602,497 28,644,119,023 17,120,022,686
당기순손실 9,369,602,497 28,644,119,023 17,120,022,686
기본주당손실 619 1,920 1,175
희석주당손실 619 1,920 1,175


2. 연결재무제표

연결 재무상태표

제 7 기 1분기말 2021.03.31 현재

제 6 기말          2020.12.31 현재

(단위 : 원)

 

제 7 기 1분기말

제 6 기말

자산

   

 유동자산

60,286,123,453

69,207,709,483

  현금및현금성자산

28,799,385,185

30,700,014,416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2,966

5,229,666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2,541

37,514,063,588

  기타유동자산

332,482,761

988,401,813

 비유동자산

36,435,079,013

36,328,962,438

  유형자산

32,320,266,644

32,254,801,791

  무형자산

1,800,673,066

1,698,156,387

  사용권자산

164,135,115

198,163,782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131

985,210,893

  기타비유동자산

1,163,963,057

1,192,629,585

 자산총계

96,721,202,466

105,536,671,921

부채

   

 유동부채

40,919,040,549

41,206,338,560

  기타단기금융부채

1,680,493,377

2,526,689,234

  유동성장기차입금

5,000,000,000

5,000,000,000

  유동성리스부채

106,007,038

118,012,318

  기타유동부채

106,147,381

108,620,421

  전환사채

15,571,358,915

14,997,982,749

  파생상품부채

18,455,033,838

18,455,033,838

 비유동부채

5,870,756,582

5,815,427,445

  장기차입금

4,100,000,000

4,10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1,714,833,021

1,638,150,841

  리스부채

55,923,561

77,276,604

 부채총계

46,789,797,131

47,021,766,005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49,931,405,335

58,514,905,916

  자본금

7,899,058,000

7,849,744,000

   보통주자본금

7,578,547,500

7,529,233,500

   우선주자본금

320,510,500

320,510,500

  주식발행초과금

121,983,102,916

120,753,253,662

  결손금

(84,161,040,211)

(74,688,606,882)

  기타자본항목

4,210,284,630

4,600,515,136

 비지배지분

   

 자본총계

49,931,405,335

58,514,905,916

자본과부채총계

96,721,202,466

105,536,671,921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7 기 1분기 2021.01.01 부터 2021.03.31 까지

제 6 기 1분기 2020.01.01 부터 2020.03.31 까지

(단위 : 원)

 

제 7 기 1분기

제 6 기 1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영업수익

22,651,500

22,651,500

95,889,000

95,889,000

영업비용

9,017,809,818

9,017,809,818

5,390,242,523

5,390,242,523

영업이익(손실)

(8,995,158,318)

(8,995,158,318)

(5,294,353,523)

(5,294,353,523)

기타수익

6,510

6,510

1,902,901

1,902,901

기타비용

44,572,652

44,572,652

2,141,190

2,141,190

금융수익

233,393,201

233,393,201

117,171,205

117,171,205

금융비용

666,102,070

666,102,070

75,946,275

75,946,27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9,472,433,329)

(9,472,433,329)

(5,253,366,882)

(5,253,366,882)

당기순이익(손실)

(9,472,433,329)

(9,472,433,329)

(5,253,366,882)

(5,253,366,882)

기타포괄손익

75,696,102

75,696,102

99,812,346

99,812,34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항목

75,696,102

75,696,102

99,812,346

99,812,346

  해외사업환산손익

75,696,102

75,696,102

99,812,346

99,812,346

총포괄손익

(9,396,737,227)

(9,396,737,227)

(5,153,554,536)

(5,153,554,536)

총 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9,396,737,227)

(9,396,737,227)

(5,153,554,536)

(5,153,554,536)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625)

(625)

(708)

(708)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625)

(625)

(708)

(708)





연결 자본변동표

제 7 기 1분기 2021.01.01 부터 2021.03.31 까지

제 6 기 1분기 2020.01.01 부터 2020.03.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자본  합계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결손금

기타자본항목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합계

2020.01.01 (기초자본)

3,652,627,500

98,730,836,967

(45,920,365,918)

6,364,525,584

62,827,624,133

62,827,624,133

당기순이익(손실)

   

(5,253,366,882)

 

(5,253,366,882)

(5,253,366,882)

해외사업환산손익

     

99,812,346

99,812,346

99,812,346

주식선택권의 부여

     

455,393,620

455,393,620

455,393,620

주식선택권의 행사

59,709,500

1,303,144,030

   

1,362,853,530

1,362,853,530

2020.03.31 (기말자본)

3,712,337,000

100,033,980,997

(51,173,732,800)

6,919,731,550

59,492,316,747

59,492,316,747

2021.01.01 (기초자본)

7,849,744,000

120,753,253,662

(74,688,606,882)

4,600,515,136

58,514,905,916

58,514,905,916

당기순이익(손실)

   

(9,567,571,441)

 

(9,567,571,441)

(9,472,433,329)

해외사업환산손익

     

75,696,102

75,696,102

75,696,102

주식선택권의 부여

     

248,462,710

248,462,710

248,462,710

주식선택권의 행사

49,314,000

1,229,849,254

 

714,389,318

564,773,936

564,773,936

2021.03.31 (기말자본)

7,899,058,000

121,983,102,916

(84,256,178,323)

4,210,284,630

49,836,267,223

49,931,405,335


연결 현금흐름표

제 7 기 1분기 2021.01.01 부터 2021.03.31 까지

제 6 기 1분기 2020.01.01 부터 2020.03.31 까지

(단위 : 원)

 

제 7 기 1분기

제 6 기 1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

(8,232,688,438)

(6,572,774,156)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8,283,338,885)

(6,575,867,341)

 당기순이익(손실)

(9,472,433,329)

(5,253,366,882)

 조정

1,575,915,579

1,068,415,012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386,821,135)

(2,390,915,471)

 이자의 수취

144,497,348

114,557,395

 이자의 지급

(43,771,714)

(64,734,700)

 법인세납부(환급)

(50,075,187)

(46,729,510)

투자활동현금흐름

5,663,892,360

2,397,763,625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7,212,984,488

49,166,675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처분

10,715,828,649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6,497,155,839

 

 단기대여금의 감소

 

50,000,000

 기계장치의 처분

 

(833,325)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1,549,092,128)

2,348,596,950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취득

(5,009,846,277)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5,751,824,065)

 

 단기금융상품의 순증감

 

2,769,072,740

 차량운반구의 취득

 

(1,000)

 기계장치의 취득

(514,415,892)

(130,644,090)

 비품의 취득

(16,283,260)

(6,440,000)

 시설장치의 취득

(53,000,000)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42,162,377)

(281,400,000)

 소프트웨어의 취득

(90,000,000)

(1,990,700)

 장기선급금의 증가

(71,560,257)

 

재무활동현금흐름

530,144,936

1,328,224,53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564,773,936

1,362,853,530

 주식선택권의 행사

564,773,936

1,362,853,53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

(34,629,000)

(34,629,000)

 리스부채의 상환

(34,629,000)

(34,629,000)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2,038,651,142)

(2,846,786,001)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30,700,014,416

6,801,287,759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38,021,911

100,466,594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8,799,385,185

4,054,968,352



3. 연결재무제표 주석



제 7 기 1분기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제 6 기 1분기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유틸렉스와 그 종속기업

1. 회사의 개요


(1) 지배기업의 개요

지배기업인 주식회사 유틸렉스(이하"지배기업")는 2015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 12월 24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지배기업은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에 위치하고 있으, 지배기업과 그 종속기업 (이하 "연결실체")는 암 질병과 관련한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을 통한 신약 제품 제조및 판매를 주요사업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지배기업의 자본금은 7,899백만원이며, 지배기업의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소유주식수(주)(*1) 지분율(%)
권병세 2,827,984 17.90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2,411,579 15.26
한명희 1,287,968 8.15
권형중 503,984 3.19
권유중 503,984 3.19
권명중 503,984 3.19
기 타(*2) 7,758,633 49.12
합 계 15,798,116 100.00

(*1) 연결실체는 2020년 7월 20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보통주 7,460,234주를 무상증자하였습니다 (주석 19 참조).
(*2) 2020년 10월 30일을 납입기일로 하여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 641,021주를 발행하였습니다.


(2) 종속기업 현황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업명 업 종 소재지 결산월 지분율
당분기말 전기말
Eutilogics, Inc.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미 국 12월 100% 100%
(주)판틸로고스(*)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대한민국 12월 100% 100%
(주)유틸론(*)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대한민국 12월 100% 100%
(주)렉소티(*)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대한민국 12월 100% 100%

(*) 전기 중 지분 100%를 취득하여 종속기업에 포함되었습니다.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대상 종속기업의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기업명 자 산 부 채 매출액 당분기순손실
Eutilogics, Inc. 1,826,327 490 - 102,846
(주)판틸로고스 98,933 - - (25)
(주)유틸론 99,022 - - 5
(주)렉소티 99,022 - - 5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기업명 자 산 부 채 매출액 전기순손실
Eutilogics, Inc. 1,853,241 253 - 121,083
(주)판틸로고스 98,908 - - 1,092
(주)유틸론 100,000 974 - 974
(주)렉소티 100,000 974 - 974

2. 연결재무제표 작성기준

분기연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분기연결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 도입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1) 측정기준

연결실체의 연결재무제표는 아래에서 열거하고 있는 재무상태표의 주요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파생상품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상품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확정급여부채

(2)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연결실체는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기능통화)이며 연결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표시통화인 원화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3)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1) 경영진의 판단

연결재무제표에 인식된 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계정책의 적용과 관련된 주요한 경영진의 판단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석사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3: 수익인식시기
② 주석
12: 리스기간

2) 공정가치 측정

연결실체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을 요구하고 있는 바, 연결실체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 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유의적인 평가 문제를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연결실체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공시가격
-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관측가능한 투입변수
-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연결실체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주석 5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유의적인 회계정책

결실체가 연결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유의적인 회계정책은 아래 기술되어 있으 며, 연결실체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을 제외하고는 당분기 및비교표시된 전분기의 연결재무제표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1) 연결실체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연결실체가 2021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사업의 정의

개정된 사업의 정의에서는, 취득한 활동과 자산의 집합을 사업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산출물의 창출에 함께 유의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투입물과 실질적인과정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였고 원가 감소에 따른 경제적 효익은 제외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취득한 총자산의 대부분의 공정가치가 식별가능한 단일 자산 또는 자산집합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취득한 활동과 자산의 집합은 사업이 아닌, 자산 또는 자산의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선택적 집중테스트가 추가되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 중요성의 정의

'중요성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기준서 제1001호와 제1008호를 명확해진 정의에 따라 개정하였습니다. 중요성 판단 시 중요한 정보의 누락이나 왜곡표시 뿐만 아니라 중요하지 않은 정보로 인한 영향과 연결실체가 공시할 정보를 결정할 때 정보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039호 '금융상품: 인식과 측정',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이자율지표 개혁

개정 기준서에서는 이자율지표 개혁 움직임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동안 위험회피회계 적용과 관련하여 미래 전망 분석 시 예외규정을 적용토록 하고 있습니다.예외규정에서는 기존 이자율지표를 준거로 하는 예상현금흐름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지,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 사이의 경제적 관계가 있는지, 양자간에 높은 위험회피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할 때,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이 준거로 하고 있는 이자율지표는 이자율지표 개혁의 영향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④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개정된 개념체계에서는 측정, 표시와 공시에 대한 개념, 제거에 대해 지침을 추가하였으며, 자산과 부채의 정의와 인식하기 위한 원칙을 개선하였습니다. 또한 신중성, 수탁책임, 측정의 불확실성 등에 대하여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20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기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연결실체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관련 임차료 면제ㆍ할인ㆍ유예에 대한 실무적 간편법

실무적 간편법으로, 리스이용자는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rent concession)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을 한 리스이용자
는 임차료 할인 등으로 인한 리스료 변동을 그러한 변동이 리스변경이 아닐 경우에 이 기준서가 규정하는 방식과 일관되게 회계처리하여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0년 6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039호 '금융상품: 인식과 측정',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제1104호 '보험계약', 제1116호 '리스’개정 - 대체 지표 이자율 확정

개정 기준서에서는 시장 전반의 이자율지표 개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발생가능한 회계처리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상품 관련하여 경제적 실질이 변경되지 않는 특정 요건 충족 시 금융상품 재측정에 따른 손익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 이자율지표 예외규정 적용을 종료하면서 관련 위험회피관계 문서를 수정하더라도 특정 요건 충족 시 위험회피회계를 유지하도록 하였습니다.
- 이자율지표 개혁이 금융상품 및 위험관리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재무제표 이용자가이해할 수 있도록 공시사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특정 요건을 충족한 이자율지표 개혁에 따른 리스변경의 경우 새로운 대체 지표 이자율을 반영한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하여 재무제표 작성자 부담을 완화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1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기준서에서는 사업결합 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를 인식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 개념체계 상 자산과 부채 정의를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동 조건에서 참조하는 개념체계를 전면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로 대체하였습니다.

개정 기준서에서는 인식원칙의 예외사항을 추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와 제2121호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 해당 기준서를 적용할 수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 기준서에서는 유형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재화의 매각금액과 관련 원가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

개정 기준서에서는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는 계약에 직접 관련되는 원가(증분원가 + 직접 관련 그 밖의 원가 배분액)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기준서에서는 채무자가 보고기간말에 채무관련 계약사항(약정사항)을 준수한다면, 채무자에게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 연기 가능성과 경영진의 기대는 부채의 유동성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부채는 현금 이전, 재화나 용역 제공 및 기업 자신의 지분상품 이전을 통해 결제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⑦ 기업회계기준서 연차개선(2018-2020)

동 연차개선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및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에 대한 일부 개정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기준서에서는 면제규정(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의 자산ㆍ부채 측정)의 적용범위에 자산부채뿐 아니라 누적환산차이도 포함하도록 개정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개정 기준서에서는 차입자와 대여자간에 지급하거나 받은 수수료(차입자와 대여자가서로를 대신하여 지급하거나 받은 수수료 포함)만 새로운 조건에 따른 금융부채 현금흐름에 포함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기준서에서는 리스개량 변제액 회계처리에 대해 혼란을 줄 수 있는 내용을 삭제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개정 기준서에서는 생물자산 등의 공정가치 측정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의 공정가치 측정 원칙과 일관되게 해당 자산에 대한 세금 관련 현금흐름도 측정 시 포함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연결실체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연결기준

종속기업은 연결실체의 지배를 받고 있는 기업이며, 연결실체는 피투자자에 대한 관여로 변동이익에 노출되거나 변동이익에 대한 권리가 있고 피투자자에 대하여 자신의 힘으로 그러한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있을 때 피투자자를 지배합니다. 연결실체가 다른 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평가할 때는 다른 당사자가 보유한 잠재적 의결권 뿐만 아니라 자신이 보유한 잠재적 의결권도 고려하고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는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자산,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및 현금흐름을 같은 항목별로 합산하고, 지배기업의 각 종속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장부금액과 각 종속기업의 자본 중 지배기업지분을 상계(제거)하며, 연결실체 내 기업간의 거래와 관련된 연결실체 내의 자산과 부채, 자본, 수익, 비용 및 현금흐름을 모두 제거하여 작성되고 있으며, 종속기업의 수익과 비용은 연결실체가 종속기업에 대해 지배력을 획득하는 시점부터 지배력을 상실하기 전까지 연결재무제표에 포함되고 있습니다.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 사용되는 지배기업과 종속기업의 재무제표는 동일한 보고기간 종료일을 가집니다. 지배기업의 보고기간 종료일과 종속기업의 보고기간 종료일이 다른 경우, 종속기업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의 재무정보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지배기업의 재무제표와 동일한 보고기간 종료일의 추가적인 재무정보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다만, 종속기업이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지배기업은 종속기업의 재무제표일과 연결재무제표일 사이에 발생한 유의적인거래나 사건의 영향을 조정한 종속기업의 가장 최근의 재무제표를 사용하여 종속기업의 재무정보를 연결하며, 어떠한 경우라도 종속기업의 재무제표일과 연결재무제표일의 차이는 3개월을 초과하지 않고 있으며, 보고기간의 길이 그리고 재무제표일의 차이는 매 기간마다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연결재무제표 작성시 연결실체를 구성하는 기업이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와 사건에 대하여 연결재무제표에서 채택한 회계정책과 다른 회계정책을 사용한 경우에는 연결실체의 회계정책과 일치하도록 그 재무제표를 적절히 수정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비지배지분은 연결재무상태표에서 자본에 포함하되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과는 구분하여 별도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당기순손익과 기타포괄손익의 각 구성요소는 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며, 비지배지분이 부(-)의 잔액이 되더라도 총포괄손익은 지배기업의 소유주와 비지배지분에 귀속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기업의 소유지분이 변동한 결과로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대한지배력을 상실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자본거래(즉, 소유주로서의 자격을 행사하는 소유주와의 거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지배기업이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한 경우 연결재무상태표에서 종전의 종속기업에 대한 자산과 부채를 제거하고, 종전의 종속기업에 대한 잔존 투자는 지배력을상실한 때의 공정가치로 인식하며, 그러한 투자 및 종전의 종속기업과 주고 받을 금액에 대해서는 관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후속적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종전의 지배지분에 귀속되는 지배력 상실 관련 손익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4) 사업결합


연결실체는 사업결합에 대하여 취득법을 적용하여 취득일 현재 영업권과 분리하여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 인수 부채 및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를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취득 관련 원가는 원가가 발생하고 용역을 제공받은 기간에 비용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취득일에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요소가 현재의 지분이며 청산시 보유자에게 기업 순자산의 비례적 몫에 대하여 권리를 부여하고 있는 경우 공정가치 혹은피취득자의 식별가능한 순자산에 대해 인식한 금액 중 현재의 지분상품의 비례적 몫 중 하나의 방법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그 밖의 모든 비지배지분 요소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 측정기준을 달리 요구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일부 자산과 부채는 공정가치가 아닌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인식하고 측정하며 이에 영향을 받는 자산과 부채로는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에서 발생하는 이연법인세 자산이나 부채(기업회계기준서 제1012호 법인세), 피취득자의 종업원급여약정과 관련된 자산 및 부채(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급여), 피취득자의 주식기준보상거래와 관련된 또는 피취득자의 주식기준보상을 취득자 자신의 주식기준보상으로 대체하는 경우와 관련된 부채 또는 지분상품(기업회계기준서 제1102호 주식기준보상) 및 매각예정자산으로 분류된 취득 비유동자산 또는 처분자산집단(기업회계기준서 제1105호 매각예정비유동자산과 중단영업) 등이 있습니다.


취득자가 피취득자에 대한 교환으로 이전한 대가에는 조건부 대가 약정으로 인한 자산이나 부채를 모두 포함하며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취득일 이후 측정기간 동안의 조정이 아닌 조건부 대가의 공정가치 변동과 관련하여 자본으로 분류된 조건부 대가는 재측정하지 않으며 그 후속 정산은 자본 내에서 회계처리하고, 그 밖의 조건부 대가의 경우 보고일에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 및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결합의 경우 연결실체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취득일의 공정가치의 합계금액이 취득일의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의 순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금액을 영업권으로 인식하며, 미달하는 경우 모든 취득 자산과인수 부채를 정확하게 식별하였는지에 대해 재검토하고 염가매수차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결합에서, 연결실체는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대한 지분을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 그 결과 차손익이 있다면 당기손익 또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이전의 보고기간에 연결실체가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가치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금액에 대해 연결실체가 이전에 보유하던지분을 직접 처분한다면 적용하였을 동일한 근거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사업결합에 대한 최초 회계처리가 사업결합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까지 완료되지 못한다면, 연결실체는 회계처리가 완료되지 못한 항목의 잠정 금액을 연결재무제표에 보고하고, 측정기간 동안에 취득일 현재 존재하던 사실과 상황에 대하여 새롭게 입수
한 정보가 있는 경우 연결실체는 취득일에 이미 알았더라면 취득일에 인식한 금액의 측정에 영향을 주었을 그 정보를 반영하기 위하여 취득일에 인식한 잠정금액을 소급하여 조정하고 있으며, 식별가능한 자산(부채)으로 인식한 잠정 금액의 증가(감소)를 영업권의 감소(증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5) 공동약정

연결실체는 둘 이상의 당사자들이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공동약정에 대하여 약정의구조와 법적 형식, 약정 당사자들에 의해 합의된 계약상 조건 등 권리와 의무를 고려하여, 약정의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들이 약정의 자산에 대한 권리와 부채에 대한 의무를 갖는 공동약정은 공동영업으로, 약정의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들이 약정의 순자산에 대한 권리를 갖는 공동약정은 공동기업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공동영업에 대해서는 특정 자산, 부채, 수익 및 비용에 적용가능한 관련 IFRS에 따라약정에 대한 자신의 지분과 관련된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고 측정(그리고 관련 수익과비용을 인식)하며, 공동기업에 대해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8호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에 따라 지분법을 사용하여 그 투자자산을 인식하고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6)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


연결실체는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에 대하여 매각예정으로 분류되는 경우 등을 제외하고는 지분법을 적용하여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은 연결실체가 유의적인 영향력을 보유하는 기업으로, 연결실체가 유의적인영향력을 보유하는지를 평가할 때에는, 다른 기업이 보유한 잠재적 의결권을 포함하여 현재 행사할 수 있거나 전환할 수 있는 잠재적 의결권의 존재와 영향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분법은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를 최초에 원가로 인식하고, 취득시점 이후 발생한 피투자자의 순자산 변동액 중 연결실체의 몫을 해당 투자자산에 가감하여 보고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당기순손익에는 피투자자의 당기순손익 중 투자자의 몫에 해당하는 금액을 포함하고 있으며, 연결실체의 기타포괄손익에는 피투자자의 기타포괄손익 중 투자자의 몫에 해당하는 금액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투자자산을 취득한 시점에 투자자산의 원가와 피투자자의 식별가능한 자산과 부채의순공정가치 중 연결실체의 몫에 해당하는 금액과의 차이 중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관련된 영업권은 해당 투자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고 영업권의 상각은 수행하지 않고 있으며, 피투자자의 식별가능한 자산과 부채의 순공정가치 중 기업의 몫이 투자자산의 원가를 초과하는 부분은 투자자산을 취득한 회계기간의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당기순손익 중 연결실체의 몫을 결정할 때 수익에 포함하고, 취득한 후 발생하는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당기순손익 중 연결실체의 몫을 적절히 조정하는 회계처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와 그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 사이의 '상향'거래나 '하향'거래에서 발생한 손익에 대하여 연결실체는 그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지분과 무관한 손익까지만 인식하고 있습니다.


지분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 재무제표의 보고기간 종료일이 연결실체 재무제표의 보고기간 종료일과 다른 경우에는 연결실체 재무제표의 보고기간 종료일과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 재무제표의 보고기간 종료일 사이에 발생한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의 영향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 경우 연결실체의 보고기간종료일과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보고기간 종료일 간의 차이는 3개월 이내이며, 보고기간의 길이 그리고 보고기간 종료일의 차이는 매 기간마다 동일하게 적용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와 사건에 대하여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이 유사한 상황에서 발생한 동일한 거래와 사건에 대하여 연결실체의 회계정책과 다른 회계정책을 사용한 경우, 연결실체가 지분법을 적용하기 위하여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재무제표를 사용할 때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회계정책을 연결실체의 회계정책과 일관되도록 처리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손실 중 연결실체의 지분이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투자지분과 같거나 초과하는 경우, 연결실체는 해당 투자지분 이상의 손실에 대하여 인식을 중지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지분은 지분법을 사용하여 결정되는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의 장부금액과 실질적으로 기업의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를 구성하는 장기투자지분 항목을 합한 금액이며, 연결실체의 지분이 '영(0)'으로 감소된 이후 추가 손실분에 대하여연결실체는 법적의무 또는 의제의무가 있거나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을 대신하여 지급하여야 하는 경우, 그 금액까지만 손실과 부채로 인식하고 있으며, 만약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이 추후에 이익을 보고할 경우 연결실체는 자신의 지분에 해당하는 이익의 인식을 재개하되, 인식하지 못한 손실을 초과한 금액만을 이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순투자자산에 대하여 추가적인 손상차손을 인식할 필요가 있는지 결정하기 위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28호 '관계기업과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순투자 장부금액의 일부를 구성하는 영업권은 분리하여 인식하지 않으므로 별도의 손상검사를하지 않고 있으며, 그 대신에 순투자자산이 손상될 수도 있는 징후가 나타날 때마다 순투자자산의 전체 장부금액을 단일 자산으로서 회수가능액(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큰 금액)과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인식된 손상차손은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순투자 장부금액의 일부를 구성하는 어떠한 자산(영업권 포함)에도 배분하지 않고 있으며, 이 손상차손의 모든 환입은 이러한 순투자자산의 회수가능액이 후속적으로 증가하는 만큼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투자가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의 정의를 충족하지 못하게 된 시점부터 지분법의 사용을 중단하고 있습니다. 피투자기업이 종속기업이 되는 경우 그 투자를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과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에 따라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종전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잔여 보유 지분이 금융자산인 경우, 잔여 보유 지분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잔여 보유 지분의 공정가치와 관계기업이나 공동기업에 대한 지분의 일부 처분으로 발생한 대가의 공정가치와 지분법을 중단한 시점의 투자자산의 장부금액과의 차이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지분법의 사용을 중단한 경우, 그 투자와 관련하여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모든 금액에 대하여 연결실체는 피투자자가 관련 자산이나 부채를 직접 처분한 경우의 회계처리와 동일한 기준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7) 외화환산

1) 외화거래

기능통화로 외화거래를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에 거래일의 외화와 기능통화 사이의 현물환율을 외화금액에 적용하여 기록하며, 보고기간말 화폐성 외화항목은 마감환율로 환산하며,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화폐성항목의 결제시점에 생기는 외환차이와 화폐성항목의 환산에 사용한 환율이 회계기간 중 최초로 인식한 시점이
나 전기의 재무제표 환산시점의 환율과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외환차이는 그 외환차이가 생기는 회계기간의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는 외환차이(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위험회피 중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 및 현금흐름위험회피수단의 요건을 갖춘 화폐성항목에 대한 외환차이 중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 등)는 기타포괄손익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해외사업장으로부터 수취하거나 해외사업장에 지급할 화폐성항목 중에서 예측할 수 있는 미래에 결제할 계획이 없고 결제될 가능성이 낮은 항목은 실질적으로 그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의 일부인 화폐성항목에서 생기는 외환차이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관련 순투자의 처분시점에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고 있습니다.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그 손익에 포함된환율변동효과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2) 해외사업장의 환산

서로 다른 기능통화(초인플레이션 경제의 통화가 아님)를 사용하는 개별기업으로 구성되는 연결실체는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기 위하여 각 개별기업의 경영성과와 재무상태를 연결실체의 표시통화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해외사업장의 재무상태표의 자
산과 부채는 해당 보고기간말의 마감환율로 환산하며,포괄손익계산서의 수익과 비용은 해당기간의 평균환율로 환산하고, 환산에서 생기는외환차이의 누계액은 해외사업장이 처분될 때까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지분을 전부 소유하고 있지는 않지만 연결실체에 포함되는 해외사업장과 관련된 외환차이 중 비지배지분으로 인해 발생하는 외환차이의 누계액은 연결재무상태표의 비지배지분으로 배분하여 인식하고 있습니다.

해외사업장의 취득으로 생기는 영업권과 자산ㆍ부채의 장부금액에 대한 공정가치 조정액은 해외사업장의 기능통화로 표시하고 마감환율로 환산하고 있으며, 해외사업장을 처분하는 경우에는 기타포괄손익과 별도의 자본항목으로 인식한 해외사업장 관련외환차이의 누계액은 해외사업장의 처분손익을 인식하는 시점에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고 있습니다.

3) 해외사업장의 처분 또는 일부 처분

해외사업장을 처분하는 경우(해외사업장에 대한 연결실체의 전체지분의 처분뿐만 아니라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종속기업에 대한 지배력을 상실하는 경우,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관계기업에 대한 중대한 영향력을 상실하는 경우 및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공동지배기업에 대한 공동지배력을 상실하는 경우를 포함)에는 기타포괄손익과 별도의자본항목으로 인식한 해외사업장관련 외환차이의 누계액은 해외사업장의 처분손익을 인식하는 시점에 자본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고 있으며,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종속기업의 처분시 비지배지분에 귀속되는 그 해외사업장과 관련된 외환차이의 누계액은 제거하지만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는 않고 있습니다.

해외사업장을 포함한 종속기업을 일부 처분시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된 외환차이의 누계액 중 비례적 지분을 그 해외사업장의 비지배지분으로 재귀속시키고 있으며, 이 외의 경우에는 해외사업장을 일부 처분한 때에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된 외환차이의 누계액 중 비례적 지분만을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고 있습니다.

(8) 현금및현금성자산

연결실체는 보유현금과 요구불예금,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다만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하고 있으며, 금융회사의 요구에 따라 즉시 상환하여야 하는 당좌차월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요소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9) 금융상품

1)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상품의 계약 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이나 매도는 매매일 또는 결제일에 인식하고 있습니다.금융상품의 최초 인식시점에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의 특성에 따라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으며, 당기손익-공정가치금융자산이 아닌 경우 당해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금융자산을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하는 경우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지정이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하거나, 그에 따른 평가손익 등을 인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인식과 측정상의 불일치를 제거하거나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으로부터 획득한 배당금과 이자수익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채무증권 중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 및 매도 사업모형으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이나 단기간 내 매도할 목적이 아닌 지분증권 중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상품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최초인식 후에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배당수익 및 손익으로 직접 인식되는 화폐성자산에 대한 외환차이를 제외하고는 자본의 기타포괄손익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누적손익은 해당 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만,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에서 발생한 누적평가손익은 처분시 해당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외화로 표시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공정가치는 해당 외화로 측정되며 보고기간 말 현재 환율로 환산합니다. 공정가치 변동분 중 상각후원가의 변동으로 인한 환산차이에서 발생한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기타 변동은 자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 평가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은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최초 인식 후에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이자수익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인식합니다.

(라) 금융자산의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고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할 때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않고 이전하지도 아니한 경우, 연결실체가 금융자산을 통제하고 있지도 않다면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금융자산을 계속 통제하고 있다면 그 양도자산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계속하여 인식하고, 관련 부채를 함께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금융자산(채무상품)의 기대신용손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제외한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상품은 매 보고기간 말에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손실충당금의 측정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구분하여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이나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구 분

손실충당금

Stage 1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경우(*)

12개월 기대신용손실: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내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2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 경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3

신용이 손상된 경우

(*) 보고기간 말 신용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음

최초 인식 시점에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에 대하여 최초 인식 후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누적변동분만을 손실충당금으로 계상합니다.

한편, 매출채권, 계약자산, 리스채권 등에 대해서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는 간편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대신용손실은 일정 범위의 발생 가능한 결과를 확률가중한 값으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반영하고, 보고기간 말에 과거사건, 현재 상황과 미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예측에 대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반영해 측정합니다.

3) 금융부채

금융부채는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연결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부채의 최초 인식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또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해당 금융부채의 발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비용은 최초 측정시 공정가치에 차감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발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는 다음의 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최초인식 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의 경우, 양도자산을 상각후원가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상각후원가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며, 양도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독립적으로 측정된 공정가치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보증부채(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 제외)와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하기로 한 약정은 기대신용손실모형에 따른 손실충당금과 최초 인식금액에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다) 금융부채의 제거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는 소멸한 경우(즉,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연결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고 있습니다. 기존 차입자와 대여자가 실질적으로 다른 조건으로 채무상품을 교환하거나 기존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 최초의 금융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금융부채를 인식하고 있으며,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

연결실체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 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상계하고 연결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5) 부채와 자본의 분류

채무상품과 지분상품은 계약의 실질 및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 또는 자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최초 인식시 계약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이후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있습니다.

(가) 내재파생상품

① 금융자산이 주계약인 복합계약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금융자산은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하여 분류를 결정하고 내재파생상품을 분리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때에도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② 그 밖의 복합계약(복합계약이 금융자산이 아닌 주계약을 포함하는 경우)

내재파생상품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이 주계약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고, 내재파생상품과 동일한 조건을 가진 별도의 금융상품 등이 파생상품의 정의를 충족하며 복합계약의 공정가치 변동이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아니하는경우 주계약과 분리하여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나) 위험회피회계

연결실체는 특정위험으로 인해 인식된 자산이나 부채 또는 미인식된 확정계약의 전체 또는 일부의 공정가치 변동에 대한 위험회피의 경우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며, 특정위험으로 인해 인식된 자산이나 부채 또는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예상거래의 현금흐름 변동에 대한 위험회피의 경우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기 위하여 연결실체는 위험회피관계, 위험관리목적, 위험회피전략, 회피대상위험 및 위험회피효과 평가방법 등을 문서화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효과는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나 현금흐름의 변동이 위험회피대상항목의 공정가치나 현금흐름의 변동위험을 상쇄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다) 공정가치위험회피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고,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충족한 파생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공정가치 변동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 위험회피대상항목이 지분상품이며, 공정가치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하기로 선택한 경우에는 위험회피수단의 손익 및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는 위험회피수단이 소멸, 매각, 행사 또는 종료되거나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의 적용조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을 경우 중단됩니다.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장부금액 조정액은 위험회피회계가 중단된 날부터 상각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라) 현금흐름위험회피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고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충족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분 중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하며, 위험회피에 비효과적인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는 위험회피수단이 소멸, 매각, 행사 또는 종료되거나,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을 경우 중단됩니다.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중단하는 경우에 위험회피대상의 미래 현금흐름이 여전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 누계액은 미래 현금흐름이 생길 때까지 또는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이 차손이며 그 차손의 전부나 일부가 미래기간에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까지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에 남겨두고 있습니다. 다만, 위험회피대상의미래현금흐름이 더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 누계액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마) 해외사업장순투자의 위험회피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위험회피의 경우,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위험회피에 비효과적인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에 효과적이어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부분은 향후 그 해외사업장을 처분하거나 그 해외사업장의 일부를 처분하는 시점에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에 따라 재분류조정으로 기타포괄손익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10)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고 최초 인식 이후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원가는 관세 및 환급불가능한 취득 관련 세금을 가산하고 매입할인과 리베이트 등을 차감한 구입가격,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와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데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감가상각방법을 적용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건 물 40년
기계장치 8년
차량운반구 7년
비 품 5년
시설장치 8년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을 통하여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제거하고 있으며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1) 무형자산

연결실체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최초 인식 후에 무형자산은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1) 개별취득

개별 취득하는 무형자산의 원가는 구입가격(매입할인과 리베이트를 차감하고 수입관세와 환급받을 수 없는 제세금을 포함)과 자산을 의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2) 영업권

사업결합과 관련하여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 및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결합의 경우 연결실체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취득일의 공정가치의 합계금액이 취득일의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의 순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금액을 영업권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사업결합으로 취득하는 영업권과 분리하여 인식하는 무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4)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연구(또는 내부 프로젝트의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무형자산을 사용하거나 판매하기 위해 그 자산을 완성할 수 있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무형자산을 완성하여 사용하거나 판매하려는 기업의 의도, 무형자산을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 무형자산이 미래경제적효익을 창출하는 방법, 무형자산의 개발을 완료하고 그것을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재정적 자원 등의 입수가능성,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무형자산 관련 지출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을 모두 제시할 수 있는 경우에만 개발활동(또는 내부 프로젝트의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무형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는 무형자산의 인식기준을 최초로 충족시킨 이후에 발생한 지출금액의 합으로 하며 그 자산의 창출, 제조 및 경영자가 의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게 준비하는 데 필요한 직접 관련된 모든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5) 내용연수 및 상각

내용연
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경우 상각대상금액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내용연수동안 정액법으로 배분하고 있습니다. 상각대상금액은 잔존가치를 차감하여 결정하고 있으며, 잔존가치는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제 3자가 자산을 구입하기로 한 약정이 있거나, 무형자산의 활성시장이 있어 잔존가치를 그 활성시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활성시장이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0)으로 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아니하며, 매 보고기간말 혹은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이라는 평가를 계속하여 정당화하는지를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여 적절하지 않은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상각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특허권 7년
상표권 7년
개발비 7년
소프트웨어 5년
기타의무형자산 7년


6) 무형자산의 제거

무형자산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으로부터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연결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며 무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이나 손실은 순매각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하고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2) 정부보조금

연결실체는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의 준수와 보조금 수취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정부보조금을 인식하고 있으며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의 정부대여금의 효익은 정부보조금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수익관련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원가와 대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기준에 따라 정부보조금을 수익으로 인식하며, 자산관련 정부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결정할 때 차감하여 표시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비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미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에 대한 보전 또는 향후의 관련원가 없이 연결실체에 제공되는 즉각적인 금융지원으로 수취하는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을 수취할 권리가 발생하는 기간에 수익으로 인식하며,
화폐성자산을 정부보조금으로 수취하는 경우 비화폐성자산의 공정가치를 평가하여 보조금과 자산 모두를 그 공정가치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상환의무가 발생하게 된 정부보조금은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3) 리스

리스는 리스제공자가 대가와 교환하여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일정기간 동안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는 계약입니다. 연결실체는 계약의 약정시점에, 계약 자체가 리스인지, 계약이 리스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합니다.

리스이용자 및 리스제공자는 리스계약이나 리스를 포함하는 계약에서 계약의 각 리스요소를 리스가 아닌 요소(이하 '비리스요소'라고 함)와 분리하여 리스로 회계처리합니다. 다만, 연결실체는 리스이용자로서의 회계처리에서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비리스요소를 리스요소와 분리하지 않고 각 리스요소와 관련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연결실체는 리스개시일에 기초자산을 사용할 권리를 나타내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료를 지급할 의무를 나타내는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다만 연결실체는 단기리스와 소액기초자산리스에 대하여 리스이용자의 인식, 측정 및 표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예외규정을 선택하였습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에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 감가상각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며,    그 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지급한 리스료를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과 리스기간의 변경,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의 행사여부 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 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연결재무상태표에 '유동성리스부채' 또는 '리스부채'로 분류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와 소액자산리스의 경우 예외 규정을 선택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14)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하고,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로서 최선의 추정치를 구할 때에는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으며 할인율은 부채의 고유한 위험과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세전 이율이며 이 할인율에 반영되는 위험에는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고려된 위험은 반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현재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 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충분하고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미래사건을 감안하여 충당부채 금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자산의 예상처분이익은 충당부채를 측정하는 데 고려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연결실체가 의무를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 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 자산으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 충당부채 금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며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최초인식과 관련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5) 전환사채

연결실체가 발행한 전환사채는 계약의 실질에 따라 금융부채와 자본으로 각각 분류하고 있습니다. 최초인식시점에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는 계약상 정해진 미래현금흐름을 당해 금융상품과 동일한 조건 및 유사한 신용상태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현금흐름을 제공하지만 전환권이 없는 채무상품에 적용되는 그 시점의 시장이자율로할인한 현재가치로 추정하고 전환권의 행사로 인하여 소멸되거나 만기까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자본요소인 전환권의 장부금액은 전환사채 전체의 공정가치에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법인세효과를 반영한 금액으로 결정하고 이후 재측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전환사채의 발행과 관련된 거래원가는 배분된 발행금액에 비례하여 금융부채와 자본에 배분하고 있습니다.

(16) 주식기준보상

주식기준보상거래에서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은 그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날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로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경우에는그에 상응한 자본의 증가를 인식하고,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로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한 부채의 증가를 인식하고 있으며, 주식기준보상거래에서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이 자산의 인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연결실체가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대가로 자신의 지분상품(주식 또는 주식선택권 등)을 부여하는 주식기준보상거래 혹은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지만 이를 제공한 자에게 주식기준보상거래를 결제할 의무가 없는 주식기준보상거래에 대하여,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과 그에 상응하는 자본의 증가를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로 직접 측정하며,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다면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과 그에 상응하는 자본의 증가는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에 기초하여 간접 측정하고 있습니다. 특정기간의 용역을 제공하여야 부여된 지분상품이 가득되는 경우 지분상품의 대가에 해당하는 용역을 미래 가득기간에 제공받는 것으로 보아 당해 용역은 가득기간에 배분하여 인식하며 그에 상응하여 자본의 증가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시장조건이 아닌 가득조건은 거래금액 측정시 포함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을 조정할 때 고려하여 부여한 지분상품의 대가로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에 대해 인식하는 금액이 궁극적으로 가득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후속적인 정보에 비추어 볼 때 미래에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이 직전 추정치와 다르다면 당해 추정치를 변경하여 가득일에는 궁극적으로 가득된 지분상품의 수량과 일치하도록 당해 추정치를 변경하고 있습니다. 목표주가와 같은 시장조건은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를 추정할 때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정된 가득조건(시장조건 제외)이 충족되지 않아 지분상품이 가득되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분상품을 부여한 당시의 조건을 변경하는지, 부여한 지분상품을 취소하거나 중도청산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공받는 근무용역은 최소한 지분상품의 부여일 당시의 공정가치에 따라 인식하고 있으며 주식기준보상약정의 총공정가치를 증가시키거나 종업원에게 유리하게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조건변경의 효과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부여한 지분상품이 가득기간 중에 취소되거나 중도청산되는 경우에는 취소나 중도청산으로 인해 부여한 지분상품이 일찍 가득된 것으로 보아 취소나 중도청산이 없다면 잔여가득기간에 제공받을 용역에 대해 인식될 금액을 즉시 인식하며, 취소나 중도청산시 종업원 등에게 지급하는 금액은 자기지분상품의 재매입으로 보아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연결실체가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대가로 지배기업 또는 연결실체 내 다른 기업의 지분상품(주식 또는 주식선택권 등)의 가격(또는 가치)에 기초한 금액만큼 현금이나 그 밖의 자산을 지급해야 하는 부채를 재화나 용역의 공급자에게 부담하는 주식기준보상거래에 대하여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과 그 대가로 부담하는 부채를 부채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부채가 결제될 때까지 매 보고기간말과 결제일에 부채의 공정가치를 재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종업원에게서 제공받는 근무용역과 그 대가로 부담하는 부채는 근무용역을 제공받는 기간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17) 수익

수익은 주로 연결실체의 통상적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재화의 판매에 대하여 받았거나 받을 대가의 공정가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익은 부가가치세, 반품, 판매장려금 및 가격 할인액을 차감한 순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고객과의 모든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 ⑤ 수행의무 이행 시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수행의무의 식별

연결실체는 고객과의 계약에서 ① 신약 개발 관련 용역의 제공 ② 기타 용역의 제공 등과 같이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식별하여 수익을 식별합니다.


2)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연결실체는 재화나 용역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재화나 용역이 고객에게 통제가 이전되어 수행의무를 이행한 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3)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

연결실체가 고객과의 계약에 따라 제공하는 용역계약은 해당 용역에 대한 통제를 기간에 걸쳐 이전하므로 기간에 걸쳐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것이고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합니다. 연결실체는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고객이 기업의 수행에서 제공하는 효익을 동시에 얻고 소비하는지, 기업이 수행하여 만들어지거나 가치가 높아지는 대로 고객이 통제하는 자산을 기업이 만들거나 그 자산 가치를 높이는지, 기업이 수행하여 만든 자산이 기업 자체에는 대체 용도가 없고 지금까지 수행을 완료한 부분에 대해 집행 가능한 지급청구권이 기업에 있는지 등을 검토합니다.


연결실체는 고객과의 계약에서 신약개발과 관련하여 지적재산권을 제공하고 라이선스 기간 동안 라이센스 수수료를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8)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단기종업원급여는 임금, 사회보장분담금,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유급연차휴가 또는 유급병가 등과 같은 단기유급휴가,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지급될 이익분배금과 상여금 및 현직종업원을 위한 비화폐성급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이 회계기간에 근무용역을 제공한 때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단기종업원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을 이미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후 미지급비용으로 인식하며, 이미 지급한 금액이 해당 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 초과액 때문에 미래 지급액이 감소하거나 현금이 환급되는 만큼을 선급비용으로 인식하며,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 따라 해당 급여를 자산의 원가에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퇴직급여 - 확정급여제도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 이외의 모든 퇴직급여제도로서,
순확정급여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관련 확정급여채무를 직접 결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외적립자산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이며,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적인 보험계리법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급여가 지급될 통화로 표시되고 관련 확정급여부채의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우량회사채 시장수익률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원가 중 근무원가와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순이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되는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부의 순확정급여부채순확정급여자산은 제도로부터 환급받거나 제도에 대한 미래기여금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경제적효익의 현재가치의 합계를 한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가 급여를 과거근무용역에 귀속시키는 확정급여제도를 새로 도입하거나 기존의 확정급여제도에서 과거근무용역에 대하여 지급해야 하는 급여를 변경하는 경우발생하는 과거근무원가는 제도개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채의 변동금액으로
측정하고 즉시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해고급여

해고급여에 대한 부채와 비용은 연결실체가 해고급여의 제안을 더 이상 철회할 수 없을 때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의 적용범위에 포함되고 해고급여의 지급을 수반하는 구조조정에 대한 원가를 인식할 때 중 이른 날에인식합니다.


(19) 자산손상

재고자산,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하는 계약자산과 계약을 체결하거나 이행하기 위해 든 원가에서 생기는 자산, 이연법인세자산, 종업원급여에서 생기는 자산, 금융자산,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투자부동산,매각예정비유동자산 등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손상은 아래의 방법으로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 및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에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장부금액과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그 외의 자산은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개별 자산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며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은 자산 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더 많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며, 손상차손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손상검사 목적상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은 사업결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의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각 현금창출단위에 취득일로부터 배분되고 있습니다. 영업권이 배분된 현금창출단위에 대해서는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영업권을 포함한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과 회수가능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은 우선 현금창출단위에 배분된 영업권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다른 자산에 각각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영업권을 제외한 자산에 대해 과거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징후가 있는 경우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 없으며, 손상차손환입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환입은 현금창출단위를 구성하는 자산들(영업권 제외)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며, 영업권에 대해 인식한 손상차손은 후속기간에 환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20) 주당이익

연결실체는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특정 회계기간의 당기순손익을 그 기간에 유통된 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있으며,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금액은 지배기업에 귀속되는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 각각의 금액에서 자본으로 분류된 우선주에 대한 세후 우선주 배당금, 우선주 상환시 발생한 차액 및 유사한 효과를 조정한 금액입니다.

희석주당이익은 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지배기업의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4. 재무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연결실체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이자율위험, 외환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위험관리는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연결실체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기타장ㆍ단기금융자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 미지급비용, 미지급금, 전환사채, 파생상품부채, 차입금 및 리스부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1)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을 뜻하며,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분기 및 전기 중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의 10bp 변동시 연결실체의 세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지 수

세전 이익에 대한 영향

당분기 전 기

상승 시

(61,678) (91,000)

하락 시

61,678 91,000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연결실체의 통상적인 거래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하며 고객 또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상 의무사항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연결실체는 주기적으로 고객과 거래상대방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및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재무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고객과 거래상대방 각각에 대한 신용한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현금및현금성자산, 각종 예금 등과 같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연결실체는 신용도가 높은 금융기관들에 대해서만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보유한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담보물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연결실체의 신용위험 최대노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
28,799,385 30,700,014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3 5,230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3 37,514,064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 985,211
합 계   60,939,681 69,204,519


다. 유동성위험


연결실체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조정을 통해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채권을 예상된 시기에 회수하지 못하거나, 채무를 약정된 만기보다 빠른 시일에 지급해야할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충분한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적절히 약정된 신용한도금액으로부터의 자금 여력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5년 이하
합 계
미지급금 450,359 - - 450,359
미지급비용 1,230,134 - - 1,230,134
전환사채 15,571,359 - - 15,571,359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5,608,978 2,088,828 1,544,011 9,241,817
리스부채 113,371 48,372 9,636 171,379
합 계 41,429,235 2,137,200 1,553,647 45,120,082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5년 이하
합 계
미지급금 725,749 - - 725,749
미지급비용 1,800,940 - - 1,800,940
전환사채 14,997,983 - - 14,997,98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5,151,064 93,480 4,189,382 9,433,926
리스부채 121,156 72,156 14,967 208,279
합 계 41,251,926 165,636 4,204,349 45,621,911

라. 환위험

연결실체의 기능통화인 원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판매, 구매 및 차입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USD, EUR 등 입니다.

① 환위험에 대한 노출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환위험에 대한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USD EUR USD EUR
현금및현금성자산 2,952 - 3,069 -
미지급금 - - (8) -
미지급비용 - (70) (14) (70)
순노출 2,952 (70) 3,047 (70)


당분기 및 전기에 적용된 환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구 분 평균환율 기말환율
당분기 전기 당분기말 전기말
USD          1,114.05          1,180.05          1,133.50          1,088.00
EUR          1,342.62          1,345.99          1,328.29          1,338.24

② 민감도 분석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원화의 USD, EUR 대비 환율이 높았다면, 연결실체의 자본과 손익은 증가(감소)하였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분석은 연결실체가 각기말에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정도의 변동을 가정한 것입니다. 또한, 민감도 분석시에는 이자율과 같은 다른 변수는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전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나,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환율변동의 정도는 다릅니다. 구체적인 자본 및 손익의 변동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변동상황 자 본 손 익 변동상황 자 본 손 익
USD 5% 상승 148 148 5% 상승 152 152
EUR 5% 상승 (4) (4) 5% 상승 (4) (4)


(2) 자본위험관리


연결실체의 자본관리목적은 건전한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데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채(A) 46,789,797 47,021,766
자본(B) 49,931,405 58,514,906
부채비율(A/B) 93.71% 80.36%

5. 범주별 금융상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28,799,385 - 30,700,014 -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3 - 5,230 -
기타단기금융자산 23,541,931 7,278,911 29,503,493 8,010,570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 - 985,211 -
합 계 53,660,770 7,278,911 61,193,948 8,010,570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범주별 금융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미지급금 450,359 - 725,749 -
미지급비용 1,230,134 - 1,800,940 -
유동성장기차입금 5,000,000 - 5,000,000 -
유동성리스부채 106,007 - 118,012 -
장기차입금 4,100,000 - 4,100,000 -
전환사채 15,571,359 - 14,997,983 -
파생상품부채 - 18,455,034 - 18,455,034
리스부채 55,924 - 77,277 -
합 계 26,513,783 18,455,034 26,819,961 18,455,034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 및 공정가치

성격 및 특성에 기초한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에 따른 장부금액과 공정가치 및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은 공정가치의 관측가능한 정도에 따라 수준 1, 2 또는 3으로 분류합니다.

구 분 내 용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수준 2 수준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에서 도출된 금액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한 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투입변수를 포함한 가치평가기법에서 도출된 금액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당분기말 현재
연결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부채의 공정가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장부금액 공정가치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 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7,278,911 - 7,278,911 - 7,278,911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18,455,034
합 계 25,733,945 - 7,278,911 18,455,034 25,733,945


한편, 당분기 중 수준 1과 수준 2간의 유의적인 이동은 없습니다.


(4)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 3으로 분류된 부채의 당분기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파생상품부채
기 초 18,455,034
취 득 -
파생상품평가손실 -
당기말 18,455,034

(5) 당분기말 현재 수준 3으로 분류된 주요 금융상품에 대하여 사용된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액단위: 천원)
수 준 구 분 공정가치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주가변동성(%) 무위험이자율(%)
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7,278,911 운용사
고시기준가
- -
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이항모형 42.63 1.21


(6)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자산:
 
 
이자수익 145,328 145,328 74,069 74,069
외화환산이익 62,326 62,326 654 65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이자수익 - - 41,422 41,42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19,292 19,292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5,619) (5,619) - -
합 계 221,327 221,327 116,145 116,145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이자비용 (618,419) (618,419) (66,904) (66,904)
외화환산이익 697 697 593 593
외화환산손실 (2) (2) (79) (79)
외환차익 5,751 5,751 433 433
외환차손 (42,063) (42,063) (8,964) (8,964)
합 계 (654,036) (654,036) (74,921) (74,921)

6. 현금및현금성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보통예금 4,706,241 12,516,943
현금성단기금융상품 24,093,144 18,183,072
합 계 28,799,385 30,700,015


(2) 당분기말 현재 사용이 제한되어 있거나, 담보로 제공된 예금은 없습니다.




7. 기타금융자산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기타단기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23,312,161 29,018,143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7,278,911 8,010,570
단기대여금 229,770 485,350
합 계 30,820,842 37,514,063
기타장기금융자산:    
장기대여금 772,500 772,500
임차보증금 174,147 173,317
기타보증금 39,394 39,394
합 계 986,041 985,211

8. 기타자산

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자산 및 기타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기타유동자산:    
 선급비용 52,562 25,894
 선급금 65,456 60,360
 부가세대급금 - 737,759
 당기법인세자산 214,464 164,389
합 계 332,482 988,402
기타비유동자산:    
 장기선급금 1,163,963 1,192,630
합 계 1,163,963 1,192,630

9. 유형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취득원가 정부보조금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 지 5,250,126 - - 5,250,126
건 물 15,415,757 - (849,604) 14,566,153
기계장치 10,213,893 (60,075) (2,877,747) 7,276,071
차량운반구 1 - - 1
비 품 1,594,162 - (1,152,634) 441,528
시설장치 4,991,301 - (1,494,359) 3,496,942
건설중인자산 1,289,445 - - 1,289,445
합 계 38,754,685 (60,075) (6,374,344) 32,320,266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취득원가 정부보조금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 지 5,250,126 - - 5,250,126
건 물 15,415,757 - (753,255) 14,662,502
기계장치 9,333,369 (62,100) (2,601,221) 6,670,048
차량운반구 1 - - 1
비 품 1,583,932 - (1,074,128) 509,804
시설장치 4,938,301 - (1,338,863) 3,599,438
건설중인자산 1,562,883 - - 1,562,883
합 계 38,084,369 (62,100) (5,767,467) 32,254,802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초 취득 처분/폐기 감가상각 대체 당분기말
토 지 5,250,126 - - - - 5,250,126
건 물 14,662,502 - - (96,348) - 14,566,154
기계장치 6,670,048 961,524 (44,255) (311,245) - 7,276,072
차량운반구 1 - - - - 1
비 품 509,804 10,230 - (78,506) - 441,528
시설장치 3,599,438 53,000 - (155,496) - 3,496,942
건설중인자산 1,562,883 42,162 - - (315,600) 1,289,445
합 계 32,254,802 1,066,916 (44,255) (641,595) (315,600) 32,320,268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전기초 취득 처분/폐기 감가상각 대체 전분기말
토 지 5,245,033 - - - - 5,245,033
건 물 14,851,657 - - (42,465) - 14,809,192
기계장치 5,184,676 205,392 833 (213,158) - 5,177,743
차량운반구 - 1 - - - 1
비 품 635,459 - - (70,960) - 564,499
시설장치 2,436,085 (116,900) - (104,302) 116,900 2,331,783
건설중인자산 - 596,900 - - (596,900) -
합 계 28,352,910 685,393 833 (430,885) (480,000) 28,128,251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담보로 제공된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말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계정과목 차입금액 담보권자
토 지 5,250,126 10,920,000 장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차입금
9,100,000 신한은행
건 물 14,566,153
합 계 19,816,279 10,920,000
9,100,000


전기말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계정과목 차입금액 담보권자
토 지 5,250,126 10,920,000 장기차입금 9,100,000 신한은행
건 물 14,662,502
합 계 19,912,628 10,920,000
9,100,000



10. 정부보조금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정부기관 등 체결과 관련하여 수령한 정부보조금의 증감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기계장치 현금및현금성자산 기계장치
기 초 - 62,100 - -
수령액 81,026 - 159,600 -
자산취득 - - (64,800) 64,800
비용상계 (81,026) (2,025) (94,800) (2,700)
기 말 - 60,075 - 62,100

11. 무형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무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취득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특허권 1,773,678 (715,886) 1,057,792 1,673,451 (646,840) 1,026,611
상표권 34,108 (8,286) 25,822 34,108 (7,075) 27,033
개발비 560,000 (60,000) 500,000 500,000 - 500,000
소프트웨어 306,481 (132,738) 173,743 216,481 (117,414) 99,067
기타의무형자산 60,000 (16,685) 43,315 60,000 (14,555) 45,445
합 계 2,734,267 (933,595) 1,800,672 2,484,040 (785,884) 1,698,156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초 취득(처분) 상 각 당분기말
특허권 1,026,611 100,227 (69,045) 1,057,793
상표권 27,033 - (1,211) 25,822
개발비 500,000 - - 500,000
소프트웨어 99,067 90,000 (15,324) 173,743
기타의무형자산 45,445 - (2,130) 43,315
합 계 1,698,156 190,227 (87,710) 1,800,673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전분기초 취득(처분) 상 각 전분기말
특허권 1,186,595 20,000 (57,414) 1,149,181
상표권 14,981 4,375 (760) 18,596
개발비 553,965 - (2,130) 551,835
소프트웨어 98,456 1,991 (8,883) 91,564
합 계 1,853,997 26,366 (69,187) 1,811,176


전기 중 개발비로 분류되어 있던 무형자산을 기타의무형자산으로 재분류하였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경상연구개발비(판매비와관리비)는 각각 6,792백만원 및 3,260백만원 입니다.


(4) 연결실체는 2016년 중 국립암센터로부터 면역세포치료제 관련 특허에 대한 기술이전계약(전용실시권)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500백만원에 취득하였으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개발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향후 동 기술에 대한 임상 진행경과에 따라 마일스톤 지급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동 기술에 의하여 제조 및 판매된 제품의 총매출액의 1.5%를 경상실시료로 지급하는 약정을체결하고 있습니다.

12. 리 스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초자산 유형별 사용권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동산 113,986 139,454
차량운반구 50,149 58,709
합 계 164,135 198,163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와 관련하여 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부동산 25,468 25,456
차량운반구 8,561 8,469
소 계 34,029 33,925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1,271 2,169
단기리스료 - -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 9,747 8,354
합 계 45,047 44,448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34,629천원 및 34,629천원입니다.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1년 이내 106,007 118,012
1년 초과 5년 이내 55,924 77,277
5년 초과 - -
합 계 161,931 195,289

(4)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유 동 106,007 118,012
비유동 55,924 77,277
합 계 161,931 195,289



13. 장기차입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장기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차입처 만 기 이자율(%) 금 액
당분기말 당분기말 전기말
일반대출 신한은행 2021-07-05 2.26 5,000,000 5,000,000
특별온렌딩대출 2023-12-15 1.68 4,100,000 4,100,000
합 계 9,100,000 9,100,000
유동성대체 (5,000,000) (5,000,000)
장부금액 4,100,000 4,100,000


(2) 당기말 현재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토지 및 건물(설정금액: 10,920백만원)액(설정금액: 5,902백만원)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 대표이사가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 9,18,29 참조).

14. 전환사채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전환사채 및 전환권대가에서 발생하는 파생상품부채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발행금액 29,000,000 29,000,000
전환권조정 (13,428,641) (14,002,017)
전환사채 15,571,359 14,997,98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18,455,034


(2) 당분기말 현재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발행일 만기일 표면이자율 당분기말
제1회 전환사채 2020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 15,571,359


(3) 연결실체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발행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제1회 전환사채
사채의 명칭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액면금액 29,000,000,000원
발행금액 29,000,000,000원
이자지급조건 연 0%
보장수익률 연 0%
상환방법 전환되지 않거나 조기상환되지 않을 경우 만기일에 액면가액의 100%를 일시상환
전환시 발행할 주식의
종류 및 주식수(*)
보통주 884,092주(액면가액 500원) (* 조정전 442,052주)
전환청구기간 2021년 5월 4일부터 2025년 5월 4일
전환가격(*) 32,668원 (* 조정전 65,603원)
사채권자에 의한
조기상환청구권
사채권자는 전환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2년 5월 4일 부터  2025년 2월 4일까지 매 분기에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그 권면금액 및  이에 대하여 조기상환 청구 금액을 만기 전 조기상환 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단,조기상환지급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연결실체는 2020년 7월 20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보통주 7,460,234주를 무상증자 결정하고, 2020년 10월 20일 전환우선주 641,167주를 발행하여 전환가능 주식수 및 전환가격 조정을 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전기 중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으며, 당분기말 현재 동 전환사채의 전환권대가로 인한 파생상품부채는 18,455백만원입니다.



15. 기타단기금융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단기금융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미지급금 450,359 725,749
미지급비용 1,230,134 1,800,940
합 계 1,680,493 2,526,689



16. 기타유동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선수금 995 995
예수금 105,153 107,626
합 계 106,148 108,621

17. 순확정급여부채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1,714,833 1,638,151
사외적립자산 - -
순확정급여부채 1,714,833 1,638,151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순확정급여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 기 전 기
기초금액 1,638,151 1,202,791
당기근무원가 113,655 121,648
이자원가 9,811 6,298
급여지급액 (46,783) -
보고기간말 금액 1,714,834 1,330,737


(3) 한편, 연결실체의 퇴직급여는 전액 판매비와관리비에 계상되어 있습니다.


18. 우발채무와 약정사항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신용한도약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금융기관 약정내역 당분기말 전기말
신한은행
일반대출 5,000,000 5,000,000
특별온렌딩대출 4,100,000 4,100,000
합 계 9,100,000 9,100,000


상기 약정과 관련하여 토지 및 건물(설정금액: 10,920백만원)액   (설정금액: 5,902백만원)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주석9 참조), 대표이사가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13, 29 참조).

19. 자본금 및 주식발행초과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정관에 의하여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20,000,000주(1주의 금액: 500원)이며, 연결실체가 발행한 보통주식수는 각각        15,157,095주 및 15,058,467주입니다. 한편, 전기 중 발행한 우선주식수는 641,021주입니다.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행주식수 및 납입자본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천원)
구 분 주식수(주)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2020.01.01 (전기초) 7,305,255 3,652,628 - 98,730,837
주식선택권의 행사(2020.01.03) 78,846 39,423 - 825,955
주식선택권의 행사(2020.01.10) 26,677 13,339 - 326,330
주식선택권의 행사(2020.02.03) 13,896 6,948 - 150,859
2020.03.31 (전분기말) 7,424,674 3,712,337 - 100,033,981
2021.01.01 (당기초) 15,699,488 7,529,234 320,511 120,753,254
주식선택권의 행사(2021.01.04) 38,448 19,224 - 462,124
주식선택권의 행사(2021.01.07) 28,500 14,250 - 366,210
주식선택권의 행사(2021.01.29) 31,680 15,840 - 401,515
2021.03.31 (당분기말) 15,798,116 7,578,548 320,511 121,983,103

(*) 연결실체는 2020년 10월 30일을 납입기일로 하여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           641,021주(자본금 320,511천원)를 발행하였습니다

(3) 지배기업의 정관에 의하면, 지배기업은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및 교환사채의 액면총액이 각각 500억원, 300억원,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및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주석 14 참조).



20. 기타자본항목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자본항목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주식선택권 3,961,559 4,427,486
기타자본잉여금 247,400 247,400
주식선택권소멸이익 35,031 35,031
기타포괄손익누계액(보험수리적이익) 22,139 22,139
기타포괄손익누계액(해외사업환산손익) (55,845) (131,541)
합 계 4,210,284 4,600,515


(2) 연결실체는 주주총회 및 이사회 결의에 의거해서 연결실체의 임직원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1차 3-1차 3-2차
권리부여일 2016.5.26 2017.06.09 2017.06.09
부여수량(*1) 88,856주 50,000주 57,119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또는
차액결제보상(*2)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5,312원 7,012원 7,012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3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주식공개상장일로부터 6년
(최초 1년 50%, 향후 2년간 각각 25%)
2019.06.10 ~ 2024.06.09
(최초1년 50%, 이후 50%)
2020.06.10 ~ 2024.06.09
(최초1년 50%, 이후 50%)

구 분 4-1차 4-2차 5-2차
권리부여일 2017.10.12 2017.10.12 2018.03.30
부여수량(*1) 18,000주 35,000주 54,120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10,500원 7,012원 15,750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3년 근무용역제공 2년8개월 근무용역제공 2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2020.10.13 ~ 2024.10.12
(최초1년 50%, 이후 50%)
2020.06.10~2024.06.09
(최초 도래시 100%)
2020.03.30~2025.03.29
(최초1년 50%, 이후 50%)


구 분 5-3차 6-1차 6-2차
권리부여일 2018.03.30 2018.06.15 2018.06.15
부여수량(*1) 69,000주 63,880주 252,042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15,750원 15,750원 15,750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3년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3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2021.03.30~2025.03.29
(최초1년 50%, 이후 50%)
2020.06.15~2025.06.14
(최초1년 50%, 이후 50%)
2021.06.15~2025.06.14
(최초1년 50%, 이후 50%)


구 분 8차 9차 10차
권리부여일 2020.03.26 2020.03.27 2021.03.31
부여수량(*1) 60,000주 69,200주 66,200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28,300원 28,780원 43,720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3년 근무용역제공 3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2022.03.26~2027.03.25
(최초1년 50%, 이후 50%)
2023.03.27~2027.03.26
(최초1년 30%, 차년 누적 60%, 이후 40%)
2024.03.31~2028.03.30
(최초1년 30%, 차년 누적 60%, 이후 40%)


(*1) 연결실체는 주식선택권 부여계약서에 의거 주식선택권의 희석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상증자 등이 발생한 경우 권리부여일의 행사가격 및 행사수량 등을 조정하였습니다. 또한 퇴사 등으로 인한 주식선택권 부여 취소 및 조건변경으로 인한 부여수량의 변동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2) 연결실체의 선택에 의하여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주식선택권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기초 부여수량 923,845 698,478
신규 부여 66,200 -
행 사 (98,628) (26,677)
기타 조정(*) (11,600) (11,000)
기말 부여수량 879,817 660,801
기말 행사가능수량 275,476 74,492

(*) 무상증자 및 퇴사 등으로 인한 행사수량 변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 연결실체는 부여한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했으며, 보상원가를 산정하기 위한 제반 가정 및 변수는 다음과같습니다.

구 분 1차 3-1차 3-2차 4-1차
권리부여일의 기준주가(*) 12,370원 12,370원 12,370원 13,625원

주가변동성

33.59% 19.41% 19.41% 17.42%

무위험수익률

1.58% 2.06% 2.06% 2.29%


구 분 4-2차 5-2차 5-3차 6-1차
권리부여일의 기준주가(*) 13,625원 12,370원 12,370원 13,645원

주가변동성

17.42% 39.00% 39.00% 40.60%

무위험수익률

2.29% 2.55% 2.55% 2.60%


구 분 6-2차 8차 9차 10차
권리부여일의 기준주가(*) 13,645원 30,000원 30,650원 41,150원

주가변동성

40.60% 24.05% 23.95% 51.60%

무위험수익률

2.60% 1.52% 1.48% 1.88%

(*) 무상증자로 인한 조정효과가 반영되었습니다.

(5)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상기 주식선택권과 관련하여 주식보상비용(판매비와관리비)으로인식한 금액은 248백만원 및 455백만원입니다.


(6) 당분기말 현재 유효한 주식선택권의 가중평균잔여만기는 4.52년(전기말: 4.57년)이며, 가중평균행사가격은 17,109원(전기말: 14,316원)입니다.



21. 결손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결손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미처리결손금 84,161,040 74,688,607


22. 주당순손익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기본주당순손익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구 분 당분기 전분기
당기순손실 9,472,433,329 5,253,366,88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5,144,057 7,415,264
기본주당순손실 625 708


(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구 분 기 간 유통주식수(주) 일 수 배 수 적 수
기초 2021.01.01 ~ 2021.03.31 15,058,467 90 1 1,355,262,030
주식선택권의 행사 2021.01.04 ~ 2021.03.31 38,448 87 1 3,344,976
2021.01.07 ~ 2021.03.31 28,500 84 1 2,394,000
2021.01.29 ~ 2021.03.31 31,680 62 1 1,964,160
합 계 1,362,965,166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5,144,057


② 전분기

구 분 기 간 유통주식수(주) 일 수 배 수 적 수
기초(*) 2020.01.01 ~ 2020.03.31 7,305,255 91 2 664,778,205
주식선택권의 행사 2020.01.03 ~ 2020.03.31 78,846 89 2 7,017,294
2020.01.10 ~ 2020.03.31 26,677 82 2 2,187,514
2020.02.03 ~ 2020.03.31 13,896 58 2 805,968
합 계 674,788,981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7,415,264

(*) 전기 중 발생한 무상증자의 효과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3)
분기 및 전분기의 희석주당순손실은 반희석효과로 기본주당순손실과 일치합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당분기 희석주당순손익 계산시 반희석효과로 인해 고려하지 않았으나 잠재적으로 미래에 기본주당순손익을 희석할 수 있는 주식선택권 및 전환사채를 보유하고있습니다 (주석 20 참조).


23. 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영업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라이센스 수수료(*) 16,652 16,652 94,692 94,692
기타매출 6,000 6,000 1,197 1,197
합 계 22,652 22,652 95,889 95,889
한 시점에 인식 22,652 22,652 1,197 1,197
기간에 걸쳐 인식 - - 94,692 94,692
합 계 22,652 22,652 95,889 95,889

(*) 연결실체는 2017년 중국 제약회사인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 Ltd.과 연결실체의 특허 신약물질인 EU101의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계약시점에 라이센스 수수료 USD 1,000,000를 수령하였으며, 연결실체는 동 계약에 의하여 용역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에 걸쳐 이연하여 수익을인식하고 있습니다.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수익의 지역별 매출정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국 내 6,000 1,197
중 국 16,652 94,692
합 계 22,652 95,889



24. 영업비용

분기 및 전분기의 영업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급 여 795,181 795,181 724,204 724,204
퇴직급여 48,156 48,156 47,129 47,129
감가상각비 364,379 364,379 251,652 251,652
무형자산상각비 18,665 18,665 11,773 11,773
복리후생비 170,581 170,581 139,247 139,247
여비교통비 5,903 5,903 35,986 35,986
경상연구개발비 6,791,626 6,791,626 3,259,997 3,259,997
주식보상비 248,463 248,463 455,394 455,394
세금과공과 23,484 23,484 11,419 11,419
지급임차료 9,747 9,747 8,354 8,354
보험료 4,609 4,609 3,392 3,392
지급수수료 333,163 333,163 252,665 252,665
수도광열비 58,864 58,864 52,174 52,174
기 타 144,991 144,991 136,859 136,859
합 계 9,017,812 9,017,812 5,390,245 5,390,245

25. 비용의 성격별 분류

분기 및 전분기 중 비용의 성격별 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재료 매입액 1,157,431 1,157,431 700,726 700,726
급 여 1,798,238 1,798,238 1,617,697 1,617,697
퇴직급여 166,227 166,227 157,689 157,689
복리후생비 170,581 170,581 139,247 139,247
감가상각비 675,625 675,625 465,644 465,644
무형자산상각비 87,710 87,710 69,187 69,187
여비교통비 5,903 5,903 35,986 35,986
세금과공과 23,484 23,484 11,419 11,419
소모품비 37,063 37,063 17,792 17,792
지급임차료 9,747 9,747 8,354 8,354
지급수수료 333,163 333,163 252,665 252,665
주식보상비용 248,463 248,463 455,394 455,394
위탁연구비 4,134,796 4,134,796 1,294,279 1,294,279
기 타 169,379 169,379 164,166 164,166
합 계 9,017,810 9,017,810 5,390,245 5,390,245


26.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기타수익 : - - - -
잡이익 7 7 1,903 1,903
합 계 7 7 1,903 1,903
기타비용 : - - - -
유형자산폐기손실 44,255 44,255 - -
잡손실 317 317 2,141 2,141
합 계 44,572 44,572 2,141 2,141


27.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금융수익 : - - - -
이자수익 145,328 145,328 115,491 115,49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19,292 19,292 - -
외환차익 5,751 5,751 433 433
외화환산이익 63,022 63,022 1,247 1,247
합 계 233,393 233,393 117,171 117,171
금융비용 : - - - -
이자비용 618,419 618,419 66,904 66,90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5,619 5,619 - -
외환차손 42,063 42,063 8,964 8,964
외화환산손실 3 3 79 79
합 계 666,104 666,104 75,947 75,947


28. 영업활동 현금흐름

당분기 및 전분기의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중 조정 내역 및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현금항목의 조정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퇴직급여 123,465 127,945
감가상각비 675,625 465,643
무형자산감가상각비 87,710 69,187
주식보상비용 248,463 455,394
이자비용 618,419 66,904
외화환산손실 2 79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5,619 -
유형자산폐기손실 44,255 -
이자수익 (145,328) (115,491)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19,292) -
외화환산이익 (63,022) (1,247)
합   계 1,575,916 1,068,414

(2)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660) 17,367
단기대여금의 감소 255,580 -
미수금의 감소(증가) (327,523) (197,151)
선급금의 감소(증가) (5,097) (48,287)
선급비용의 증가 (26,668) (1,428,900)
부가세대급금의 증가 737,759 545,044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400,845) (4,270)
미지급비용의 증가 (570,112) (29,785)
예수금의 증가(감소) (2,473) (105,928)
선수금의 증가(감소) - (1,139,006)
퇴직금의 지급 (46,783) -
합 계 (386,822) (2,390,916)


(3) 연결실체의 현금흐름표는 간접법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당분기 및 전분기의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주요한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유형자산의 취득관련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125,455 (212,259)
주식선택권의 행사 714,389 -
리스부채 유동성 대체 (12,005) -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재무활동현금흐름에서 생기는 부채의 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기초 비현금흐름 당분기말
리스부채의 증가 상 각
전환사채 29,000,000 - 573,376 29,573,376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4,100,000 - - 4,100,000
리스부채 77,277 (34,629) 1,271 43,918
합 계 4,177,277 (34,629) 1,271 4,143,918


②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전기초 재무현금흐름 비현금흐름 전기말
상 각
장기차입금 9,100,000 - - 9,100,000
리스부채 190,915 (34,629) 2,169 158,455
합 계 9,290,915 (34,629) 2,169 9,258,455

29. 특수관계자 거래

(1)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종속기업 Eutilogics, Inc. Eutilogics, Inc.
주식회사 판틸로고스 -
주식회사 유틸론 -
주식회사 렉소티 -
기타특수관계자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
기타특수관계자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구 분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당분기 전분기
기타특수관계자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라이센스
수수료
16,652 94,692


(3)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채권 및 채무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구 분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당분기말 전분기말
기타특수관계자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매출채권 - -
선수금 - 157,820
기타특수관계자 임원 대여금 300,000 350,000


(4) 당분기 중 연결실체의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구 분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전기말 증 가 감 소 당분기말
종속기업 Eutilogics, Inc. 자본금 출자   2,133,046              -              -   2,133,046
(주) 판틸로고스 자본금 출자      100,000              -              -     100,000
(주) 유틸론 자본금 출자               -      100,000              -     100,000
(주) 렉소티 자본금 출자               -      100,000               -     100,000
기타특수관계자 임원 대여금 대여      300,000              -               -      300,000
합 계   2,533,046     200,000              -   2,733,046


(5) 연결실체는 당분기말 현재 장기차입금 9,100백만원에 대하여 대표이사의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13,18 참조).

(6)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경영진은 연결실체 활동의 계획, 운영, 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등기 이사 및 감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분기와 전분기 중 연결실체의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비용으로 반영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급 여 273,955 273,955 326,692 326,692
퇴직급여 14,837 14,837 22,504 22,504
주식보상비 52,272 52,272 118,448 118,448
합 계 341,064 341,064 467,644 467,644



32. 영업부문

(1) 연결실체의 영업부문은 5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소재지 내 용
(주)유틸렉스 대한민국 생물학적 제재 제조업
Eutilogics, Inc. 미 국 생물학적 제재 제조업
(주)판틸로고스 대한민국 생물학적 제재 제조업
(주)유틸론 대한민국 생물학적 제재 제조업
(주)렉소티 대한민국 생물학적 제재 제조업

(2) 당분기 및 전분기의 영업부문의 당기손익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매출액 영업손실 당분기순손실
(주)유틸렉스 22,652 8,892,371 9,464,741
Eutilogics, Inc. - 102,779 102,846
(주)판틸로고스 - - (25)
(주)유틸론 - 5 5
(주)렉소티 - 5 5


②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매출액 영업손실 전분기순손실
(주)유틸렉스 95,889 5,288,281 5,251,600
Eutilogics, Inc. - 6,073 1,767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영업부문의 자산 및 부채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자 산 부 채 자 산 부 채
(주)유틸렉스 97,031,004 46,789,307 106,019,576 47,221,513
Eutilogics, Inc. 1,826,327 490 1,853,241 253
(주)판틸로고스 98,933 - 98,908 -
(주)유틸론 99,022 - 100,000 974
(주)렉소티 99,022 - 100,000 974

(4) 연결실체 전체 수익의 10% 이상을 차지하는 외부고객으로부터의 수익금액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고객명 금 액 영업부문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16,652 (주) 유틸렉스


(5)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연결실체의 지역별 부문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매출액 영업손실 당기순손실 매출액 영업손실 전기순손실
국 내 22,652 8,892,381 9,369,587 95,889 5,288,281 5,251,600
미 국. - 102,779 102,846 - 6,073 1,767





4. 재무제표

재무상태표

제 7 기 1분기말 2021.03.31 현재

제 6 기말          2020.12.31 현재

(단위 : 원)

 

제 7 기 1분기말

제 6 기말

자산

   

 유동자산

58,162,819,221

67,257,507,429

  현금및현금성자산

26,719,908,610

28,748,143,489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1,766

5,229,666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2,541

37,516,010,588

  기타유동자산

288,656,304

988,123,686

 비유동자산

38,868,185,013

38,762,068,438

  종속기업투자

2,433,106,000

2,433,106,000

  유형자산

32,320,266,644

32,254,801,791

  무형자산

1,800,673,066

1,698,156,387

  사용권자산

164,135,115

198,163,782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131

985,210,893

  기타비유동자산

1,163,963,057

1,192,629,585

 자산총계

97,031,004,234

106,019,575,867

부채

   

 유동부채

40,918,550,877

41,406,085,796

  기타단기금융부채

1,680,003,705

2,726,436,470

  유동성장기차입금

5,000,000,000

5,000,000,000

  유동성리스부채

106,007,038

118,012,318

  기타유동부채

106,147,381

108,620,421

  전환사채

15,571,358,915

14,997,982,749

  파생상품부채

18,455,033,838

18,455,033,838

 비유동부채

5,870,756,582

5,815,427,445

  장기차입금

4,100,000,000

4,100,000,000

  순확정급여부채

1,714,833,021

1,638,150,841

  리스부채

55,923,561

77,276,604

 부채총계

46,789,307,459

47,221,513,241

자본

   

 자본금

7,899,058,000

7,849,744,000

  보통주자본금

7,578,547,500

7,529,233,500

  우선주자본금

320,510,500

320,510,500

 주식발행초과금

121,983,102,916

120,753,253,662

 결손금

(83,906,593,402)

(74,536,990,905)

 기타자본항목

4,266,129,261

4,732,055,869

 자본총계

50,241,696,775

58,798,062,626

자본과부채총계

97,031,004,234

106,019,575,867


포괄손익계산서

제 7 기 1분기 2021.01.01 부터 2021.03.31 까지

제 6 기 1분기 2020.01.01 부터 2020.03.31 까지

(단위 : 원)

 

제 7 기 1분기

제 6 기 1분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영업수익

22,651,500

22,651,500

95,889,000

95,889,000

영업비용

8,915,022,107

8,915,022,107

5,384,169,906

5,384,169,906

영업이익(손실)

(8,892,370,607)

(8,892,370,607)

(5,288,280,906)

(5,288,280,906)

기타수익

6,510

6,510

1,902,901

1,902,901

기타비용

44,282,999

44,282,999

2,141,190

2,141,190

금융수익

233,146,669

233,146,669

112,865,138

112,865,138

금융비용

666,102,070

666,102,070

75,946,275

75,946,27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9,369,602,497)

(9,369,602,497)

(5,251,600,332)

(5,251,600,332)

당기순이익(손실)

(9,369,602,497)

(9,369,602,497)

(5,251,600,332)

(5,251,600,332)

기타포괄손익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총포괄손익

(9,369,602,497)

(9,369,602,497)

(5,251,600,332)

(5,251,600,332)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619)

(619)

(708)

(708)

 희석주당이익(손실) (단위 : 원)

(619)

(619)

(708)

(708)





자본변동표

제 7 기 1분기 2021.01.01 부터 2021.03.31 까지

제 6 기 1분기 2020.01.01 부터 2020.03.31 까지

(단위 : 원)

 

자본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결손금

기타자본항목

자본  합계

2020.01.01 (기초자본)

3,652,627,500

98,730,836,967

(45,892,871,882)

6,362,380,014

62,852,972,599

당기순이익(손실)

   

(5,251,600,332)

 

(5,251,600,332)

주식선택권의 부여

     

455,393,620

455,393,620

주식선택권의 행사

59,709,500

1,303,144,030

   

1,362,853,530

2020.03.31 (기말자본)

3,712,337,000

100,033,980,997

(51,144,472,214)

6,817,773,634

59,419,619,417

2021.01.01 (기초자본)

7,849,744,000

120,753,253,662

(74,536,990,905)

4,732,055,869

58,798,062,626

당기순이익(손실)

   

(9,464,740,609)

 

(9,369,602,497)

주식선택권의 부여

     

248,462,710

248,462,710

주식선택권의 행사

49,314,000

1,229,849,254

 

(714,389,318)

564,773,936

2021.03.31 (기말자본)

7,899,058,000

121,983,102,916

(84,001,731,514)

4,266,129,261

50,241,696,775


현금흐름표

제 7 기 1분기 2021.01.01 부터 2021.03.31 까지

제 6 기 1분기 2020.01.01 부터 2020.03.31 까지

(단위 : 원)

 

제 7 기 1분기

제 6 기 1분기

영업활동현금흐름

(8,084,597,984)

(6,571,007,606)

 영업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8,162,422,696)

(6,569,794,724)

 당기순이익(손실)

(9,369,602,497)

(5,251,600,332)

 조정

1,576,162,111

1,072,721,079

 영업활동으로인한자산ㆍ부채의변동

(368,982,310)

(2,390,915,471)

 이자의 수취

144,250,816

110,251,328

 이자의 지급

(43,771,714)

(64,734,700)

 법인세납부(환급)

(22,654,390)

(46,729,510)

투자활동현금흐름

5,463,892,360

296,631,625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17,212,984,488

49,166,675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처분

10,715,828,649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처분

6,497,155,839

 

 단기대여금의 감소

 

50,000,000

 기계장치의 처분

 

(833,325)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1,749,092,128)

247,464,950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의 취득

(5,009,846,277)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취득

(5,751,824,065)

 

 단기금융상품의 순증감

 

2,769,072,740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

(200,000,000)

(2,101,132,000)

 차량운반구의 취득

 

(1,000)

 기계장치의 취득

(514,415,892)

(130,644,090)

 비품의 취득

(16,283,260)

(6,440,000)

 시설장치의 취득

(53,000,000)

 

 건설중인자산의 취득

(42,162,377)

(281,400,000)

 소프트웨어의 취득

(90,000,000)

(1,990,700)

 장기선급금의 증가

(71,560,257)

 

재무활동현금흐름

530,144,936

1,328,224,53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564,773,936

1,362,853,530

 주식선택권의 행사

564,773,936

1,362,853,53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

(34,629,000)

(34,629,000)

 리스부채의 상환

(34,629,000)

(34,629,000)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2,090,560,688)

(4,946,151,451)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28,748,143,489

6,794,662,225

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62,325,809

654,248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6,719,908,610

1,849,165,022



5. 재무제표 주석



제 7 기 1분 2021년 1월 1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제 6 기 1분기 2020년 1월 1일부터 2020년 3월 31일까지

주식회사 유틸렉스


1. 회사의 개요


주식회사 유틸렉스(이하 "당사")는 2015년 2월에 설립되었으며, 2018년 12월 24일자로 코스닥시장에 주식을 상장하였습니다. 당사는 서울특별시 금천구 가산디지털1로 58에 위치하고 있으, 암 질병과 관련한 신약 연구 및 기술개발을 통한 신약 제품 제조 및 판매를 주요 사업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자본금은 7,899백만원이며, 주요 주주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주명 소유주식수(주) 지분율(%)
권병세 2,827,984 17.90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2,411,579 15.26
한명희 1,287,968 8.15
권형중 503,984 3.19
권유중 503,984 3.19
권명중 503,984 3.19
기 타(*) 7,758,633 49.12
합   계 15,798,116 100.00

(*) 2020년 10월 30일을 납입기일로 하여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 641,021주를 발행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2020년 7월 20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보통주 7,460,234주를 무상증자하였습니다 (주석20 참조).

2. 재무제표 작성기준


분기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분기재무제표는 보고기간말 현재 유효하거나 조기 도입한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1) 측정기준

당사의 재무제표는 아래에서 열거하고 있는 재무상태표의 주요항목을 제외하고는 역사적원가를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파생상품
-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상품

-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사외적립자산의 공정가치를 차감한 확정급여부채

(2) 기능통화와 표시통화


당사는 재무제표에 포함되는 항목들을 영업활동이 이루어지는 주된 경제환경의 통화(기능통화)이며 재무제표 작성을 위한 표시통화인 원화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3)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보고기간 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 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추정치와 추정에 대한 기본 가정은 지속적으로 검토되고 있으며, 회계추정의 변경은 추정이 변경된 기간과 미래 영향을 받을 기간 동안 인식되고 있습니다.


1) 경영진의 판단

재무제표에 인식된 금액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회계정책의 적용과 관련된 주요한 경영진의 판단에 대한 정보는 다음의 주석사항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24: 수익인식시기
② 주석
12: 리스기간

2) 공정가치 측정

당사의 회계정책과 공시사항은 다수의 금융 및 비금융자산과 부채에 대해 공정가치 측정을 요구하고 있는 바, 당사는 공정가치평가 정책과 절차를 수립하고 있습니다. 동 정책과 절차에는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수준 3으로 분류되는 공정가치를 포함한모든 유의적인 공정가치 측정의 검토를 책임지는 평가부서의 운영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결과는 재무담당임원에게 직접 보고되고 있습니다.

평가부서는 정기적으로 관측가능하지 않은 유의적인 투입변수와 평가 조정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측정에서 중개인 가격이나 평가기관과 같은 제3자 정보를 사용하는 경우, 평가부서에서 제3자로부터 입수한 정보에 근거한 평가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 수준별 분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해당 기준서의 요구사항을 충족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의적인 평가 문제를 감사위원회에 보고하고 있습니다.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는 경우, 당사는 최대한 시장에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는 다음과 같이 가치평가기법에 사용된 투입변수에 기초하여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분류됩니다.

-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 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 수준 2. 수준 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관측가능한 투입변수
-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자산이나 부채의 공정가치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여러 투입변수가 공정가치 서열체계 내에서 다른 수준으로 분류되는 경우, 당사는 측정치 전체에 유의적인 공정가치 서열체계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투입변수와 동일한 수준으로 공정가치 측정치 전체를 분류하고 있으며, 변동이 발생한 보고기간 말에 공정가치 서열체계의 수준간 이동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 측정 시 사용된 가정의 자세한 정보는 주석 5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3. 유의적인 회계정책

(1)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

당사가 재무제표 작성에 적용한 유의적인 회계정책은 아래 기술되어 있으며, 당사가 채택한 제ㆍ개정 기준서의 적용으로 인한 변경을 제외하고는 당분기 및 비교표시된 전분기의 재무제표는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여 작성되었습니다.

당사가 2021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기간부터 적용한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 사업의 정의

개정된 사업의 정의에서는, 취득한 활동과 자산의 집합을 사업으로 판단하기 위해서는 산출물의 창출에 함께 유의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투입물과 실질적인과정을 반드시 포함하도록 하였고 원가 감소에 따른 경제적 효익은 제외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취득한 총자산의 대부분의 공정가치가 식별가능한 단일 자산 또는 자산집합에 집중되어 있는 경우, 취득한 활동과 자산의 집합은 사업이 아닌, 자산 또는 자산의 집합으로 결정할 수 있는 선택적 집중테스트가 추가되었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제1008호 '회계정책, 회계추정의 변경 및 오류' 개정 - 중요성의 정의

'중요성의 정의'를 명확히 하고 기준서 제1001호와 제1008호를 명확해진 정의에 따라 개정하였습니다. 중요성 판단 시 중요한 정보의 누락이나 왜곡표시뿐만 아니라 중요하지 않은 정보로 인한 영향과 당사가 공시할 정보를 결정할 때 정보이용자의 특성을 고려하도록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039호 '금융상품: 인식과 측정',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개정 - 이자율지표 개혁

개정 기준서에서는 이자율지표 개혁 움직임으로 인한 불확실성이 존재하는 동안 위험회피회계 적용과 관련하여 미래 전망 분석 시 예외규정을 적용토록 하고 있습니다.예외규정에서는 기존 이자율지표를 준거로 하는 예상현금흐름의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지,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 사이의 경제적 관계가 있는지, 양자간에 높은 위험회피효과가 있는지를 평가할 때, 위험회피대상항목과 위험회피수단이 준거로 하고 있는 이자율지표는 이자율지표 개혁의 영향으로 바뀌지 않는다고 가정합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④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

개정된 개념체계에서는 측정, 표시와 공시에 대한 개념, 제거에 대해 지침을 추가하였으며, 자산과 부채의 정의와 인식하기 위한 원칙을 개선하였습니다. 또한 신중성, 수탁책임, 측정의 불확실성 등에 대하여 명확히 하였습니다.
해당 기준서의 개정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유의적인 영향은 없습니다.


(2) 제정ㆍ공표되었으나 아직 시행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보고기간말 현재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20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기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당사가 조기 적용하지 아니한 제ㆍ개정 기업회계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관련 임차료 면제ㆍ할인ㆍ유예에 대한 실무적 간편법

실무적 간편법으로, 리스이용자는 코로나19의 직접적인 결과로 발생한 임차료 할인 등(rent concession)이 리스변경에 해당하는지 평가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선택을 한 리스이용자는 임차료 할인 등으로 인한 리스료 변동을 그러한 변동이 리스변경이 아닐 경우에 이 기준서가 규정하는 방식과 일관되게 회계처리하여야 합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0년 6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제1039호 '금융상품: 인식과 측정', 제1107호 '금융상품: 공시', 제1104호 '보험계약', 제1116호 '리스’개정 - 대체 지표 이자율 확정

개정 기준서에서는 시장 전반의 이자율지표 개혁에 따라 다음과 같이 발생가능한 회계처리를 명확히 하였습니다.
-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는 금융상품 관련하여 경제적 실질이 변경되지 않는 특정 요건 충족 시 금융상품 재측정에 따른 손익을 인식하지 않도록 하였습니다.
- 이자율지표 예외규정 적용을 종료하면서 관련 위험회피관계 문서를 수정하더라도 특정 요건 충족 시 위험회피회계 유지하도록 하였습니다.
- 이자율지표 개혁이 금융상품 및 위험관리전략에 미치는 영향을 재무제표 이용자가이해할 수 있도록 공시사항을 추가하였습니다.
- 특정 요건을 충족한 이자율지표 개혁에 따른 리스변경의 경우 새로운 대체 지표 이자율을 반영한 할인율을 적용하도록 하여 재무제표 작성자 부담을 완화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1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03호 '사업결합'

개정 기준서에서는 사업결합 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를 인식하기 위한 조건 중 하나로 개념체계 상 자산과 부채 정의를 충족할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동 조건에서 참조하는 개념체계를 전면 개정된 재무보고를 위한 개념체계로 대체하였습니다.

개정 기준서에서는 인식 원칙의 예외사항을 추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와제2121호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부채 및 우발부채에 대해 해당 기준서를 적용할 수있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16호 '유형자산'

개정기준서에서는 유형자산을 의도한 방식으로 사용하기 전에 생산된 재화의 매각금액과 관련 원가를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도록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

개정 기준서에서는 손실부담계약을 식별할 때, 계약이행원가는 계약에 직접 관련되는 원가(증분원가 + 직접 관련 그 밖의 원가 배분액)임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기준서에서는 채무자가 보고기간말에 채무관련 계약사항(약정사항)을 준수한다면, 채무자에게 부채의 결제를 연기할 권리가 있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또한, 부채의 결제 연기 가능성과 경영진의 기대는 부채의 유동성 분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부채는 현금 이전, 재화나 용역 제공 및 기업 자신의 지분상품 이전을 통해 결제됨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3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⑦ 기업회계기준서 연차개선(2018-2020)

동 연차개선은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및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에 대한 일부 개정사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1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의 최초채택'
개정 기준서에서는 면제규정(최초채택기업인 종속기업의 자산ㆍ부채 측정)의 적용범위에 자산부채뿐 아니라 누적환산차이도 포함하도록 개정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09호 '금융상품'

개정 기준서에서는 차입자와 대여자간에 지급하거나 받은 수수료(차입자와 대여자가서로를 대신하여 지급하거나 받은 수수료 포함)만 새로운 조건에 따른 금융부채 현금흐름에 포함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116호 '리스'

개정 기준서에서는 리스개량 변제액 회계처리에 대해 혼란을 줄 수 있는 내용을 삭제하였습니다.

- 기업회계기준서 제1041호 '농림어업'

개정 기준서에서는 생물자산 등의 공정가치 측정시, 기업회계기준서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의 공정가치 측정 원칙과 일관되게 해당 자산에 대한 세금 관련 현금흐름도 측정 시 포함한다는 것을 명확히 하였습니다.

동 개정사항은 2022년 1월 1일 이후 개시되는 회계연도부터 적용될 예정이며, 조기 적용이 허용됩니다. 당사는 상기 개정기준서의 적용이 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적이지 아니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별도재무제표에서 종속기업, 관계기업 및 공동기업에 대한 투자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별도재무제표입니다. 당사는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에 대한 투자자산에 대하여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에 따른 원가법을 선택하여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한편, 종속기업 및 관계기업으로부터 수취하는 배당금은 배당을 받을 권리가 확정되는 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외화환산

기능통화로 외화거래를 최초로 인식하는 경우에 거래일의 외화와 기능통화 사이의 현물환율을 외화금액에 적용하여 기록하며, 보고기간말 화폐성 외화항목은 마감환율로 환산하며, 역사적원가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거래일의 환율로 환산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는 비화폐성 외화항목은 공정가치가 결정된 날의 환율로 환산하고 있습니다.

화폐성항목의 결제시점에 생기는 외환차이와 화폐성항목의 환산에 사용한 환율이 회계기간 중 최초로 인식한 시점이나 전기의 재무제표 환산시점의 환율과 다르기 때문에 생기는 외환차이는 그 외환차이가 생기는 회계기간의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는 외환차이 등은 기타포괄손익으로 보고하고 있습니다.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 그 손익에 포함된환율변동효과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비화폐성항목에서 생긴 손익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는 경우에는 그 손익에 포함된 환율변동효과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5) 현금및현금성자산

당사는 보유현금과 요구불예금, 유동성이 매우 높은 단기 투자자산으로서 확정된 금액의 현금으로 전환이 용이하고 가치변동의 위험이 경미한 자산을 현금및현금성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지분상품은 현금성자산에서 제외하고 있으며 다만 상환일이 정해져 있고 취득일로부터 상환일까지의 기간이 단기인 우선주와 같이 실질적인 현금성자산인 경우에는 현금성자산에 포함하고 있으며, 금융회사의 요구에 따라 즉시 상환하여야 하는 당좌차월은 현금및현금성자산의 구성요소에 포함하고 있습니다.

(6) 금융상품

1) 금융자산

금융자산은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자산의 정형화된 매입이나 매도는 매매일 또는 결제일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상품의 최초 인식시점에 사업모형과 금융자산의 계약상 현금흐름의 특성에 따라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은 최초 인식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으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이 아닌 경우 당해 금융자산의 취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는 최초 인식하는 공정가치에 가산하여 측정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금융자산을 단기매매목적으로 보유하고 있거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하는 경우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또는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자산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또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지정이 서로 다른 기준에 따라 자산이나 부채를 측정하거나, 그에 따른 평가손익 등을 인식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인식과 측정상의 불일치를 제거하거나 상당히 감소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당기손익-공정가치 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 변동으로 인한 평가손익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으로부터 획득한 배당금과 이자수익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나)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채무증권 중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 및 매도 사업모형으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만으로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검토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이나 단기간 내 매도할 목적이 아닌 지분증권 중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상품은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은 최초인식 후에 공정가치로 측정합니다. 공정가치의 변동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유효이자율법에 따른 이자수익, 배당수익 및 손익으로 직접 인식되는 화폐성자산에 대한 외환차이를 제외하고는 자본의 기타포괄손익항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처분하는 경우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누적손익은 해당 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다만,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으로 지정한 지분증권에서 발생한 누적평가손익은 처분시 해당기간의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외화로 표시된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의 공정가치는 해당 외화로 측정되며 보고기간 말 현재 환율로 환산합니다. 공정가치 변동분 중 상각후원가의 변동으로 인한 환산차이에서 발생한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기타 변동은 자본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사업모형이 현금흐름 수취로 분류되고 계약상 현금흐름 특성 평가를 만족하는 금융자산은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으로 분류합니다. 최초 인식 후에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이자수익은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인식합니다.

(라) 금융자산의 제거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계약상 권리가 소멸하거나, 금융자산의 현금흐름에 대한 권리를 양도하고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이전할 때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있습니다. 만약, 금융자산의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의 대부분을 보유하지도 않고 이전하지도 아니한 경우, 당사가 금융자산을 통제하고 있지도 않다면 금융자산을 제거하고, 금융자산을 계속 통제하고 있다면 그 양도자산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관여하는 정도까지 계속하여 인식하고, 관련 부채를 함께 인식하고 있습니다.
 
2) 금융자산(채무상품)의 기대신용손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을 제외한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및 기타포괄손익-공정가치측정채무상품은 매 보고기간 말에 기대신용손실을 평가하고 있습니다. 손실충당금의 측정방식은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결정됩니다. 금융자산의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의 유의적인 증가 여부에 따라 아래 표와 같이 3단계로구분하여 12개월 기대신용손실이나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인식합니다.

구 분

손실충당금

Stage 1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경우(*)

12개월 기대신용손실: 보고기간 말 이후 12개월 내에 발생 가능한 금융상품의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2

최초 인식 후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한경우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 기대존속기간에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채무불이행 사건으로 인한 기대신용손실

Stage 3

신용이 손상된 경우

(*) 보고기간 말 신용위험이 낮은 경우에는 신용위험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최초 인식 시점에 신용이 손상된 금융자산에 대하여 최초 인식 후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의 누적변동분만을 손실충당금으로 계상합니다.

한편, 매출채권, 계약자산, 리스채권 등에 대해서는 전체기간 기대신용손실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손실충당금을 측정하는 간편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대신용손실은 일정 범위의 발생 가능한 결과를 확률가중한 값으로, 화폐의 시간가치를 반영하고, 보고기간 말에 과거 사건, 현재 상황과 미래 경제적 상황에 대한 예측에 대한 과도한 원가나 노력 없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를 반영해 측정합니다.

3) 금융부채

금융부채는 금융상품의 계약당사자가 되는 때에만 재무상태표에 인식하고 있으며, 금융부채의 최초 인식시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 또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해당 금융부채의 발생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비용은 최초 측정시 공정가치에 차감하고 있습니다.

(가)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부채는 최초 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발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나)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부채로 분류되지 않는 금융부채는 다음의 금융부채를 제외하고는 최초인식 후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의 경우, 양도자산을 상각후원가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상각후원가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며, 양도자산을 공정가치로 측정한다면 양도자산과 관련부채의 순장부금액이 양도자가 보유하는 권리와 부담하는 의무의 독립적으로 측정된 공정가치가 되도록 관련부채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금융보증부채(금융자산의 양도가 제거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지속적관여접근법이 적용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금융부채 제외)와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로 대출하기로 한 약정은 기대신용손실모형에 따른 손실충당금과 최초인식금액에서 이익누계액을 차감한 금액 중 큰 금액으로 측정됩니다.

(다) 금융부채의 제거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는 소멸한 경우(즉, 계약상 의무가 이행, 취소 또는 만료된 경우)에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고 있습니다. 기존 차입자와 대여자가 실질적으로 다른 조건으로 채무상품을 교환하거나 기존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조건이 실질적으로 변경된 경우 최초의 금융부채를 제거하고 새로운 금융부채를 인식하고 있으며, 소멸하거나 제3자에게 양도한 금융부채(또는 금융부채의 일부)의 장부금액과 지급한 대가의 차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4)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

당사는 인식한 자산과 부채에 대해 법적으로 집행가능한 상계권리를 현재 보유하고 있으면서 순액으로 결제하거나 자산을 실현하는 동시에 부채를 결제할 의도를 가지고 있는 경우에 금융자산과 금융부채를 상계하고 재무상태표에 순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5) 부채와 자본의 분류

채무상품과 지분상품은 계약의 실질 및 금융부채와 지분상품의 정의에 따라 금융부채 또는 자본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6) 파생상품

파생상품은 최초 인식시 계약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이후 공정가치로 재측정하고있습니다.

(가) 내재파생상품

① 금융자산이 주계약인 복합계약

내재파생상품을 포함하는 금융자산은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하여 분류를 결정하고 내재파생상품을 분리하여 인식하지 않습니다. 계약상 현금흐름이 원금과 이자로만 구성되어 있는지를 판단할 때에도 해당 복합계약 전체를 고려합니다.  

② 그 밖의 복합계약(복합계약이 금융자산이 아닌 주계약을 포함하는 경우)

내재파생상품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이 주계약의 경제적 특성 및 위험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 않고, 내재파생상품과 동일한 조건을 가진 별도의 금융상품 등이 파생상품의 정의를 충족하며 복합계약의 공정가치 변동이 당기손익으로 인식되지 아니하는경우 주계약과 분리하여 별도의 파생상품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나) 위험회피회계

당사는 특정위험으로 인해 인식된 자산이나 부채 또는 미인식된 확정계약의 전체 또는 일부의 공정가치 변동에 대한 위험회피의 경우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며특정위험으로 인해 인식된 자산이나 부채 또는 발생가능성이 매우 높은 예상거래의 현금흐름 변동에 대한 위험회피의 경우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기 위해 당사는 위험회피관계, 위험관리목적, 위험회피전략, 회피대상위험 및 위험회피효과 평가방법 등을 문서화하고 있습니다. 위험회피효과는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나 현금흐름의 변동이 위험회피대상항목의 공정가치나 현금흐름의 변동위험을 상쇄하는 효과를 의미합니다.


(다) 공정가치위험회피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고,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충족한 파생금융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공정가치 변동도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단, 위험회피대상항목이 지분상품이며, 공정가치의 변동을 기타포괄손익으로 표시하기로 선택한 경우에는 위험회피수단의 손익 및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손익을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는 위험회피수단이 소멸, 매각, 행사 또는 종료되거나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의 적용조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을 경우 중단됩니다. 회피대상위험으로 인한 위험회피대상항목의 장부금액 조정액은 위험회피회계가 중단된 날부터 상각하여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라) 현금흐름위험회피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고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충족한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분 중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처리하며, 위험회피에 비효과적인 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는 위험회피수단이 소멸, 매각, 행사 또는 종료되거나,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의 적용요건을 더 이상 충족하지 않을 경우 중단됩니다.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중단하는 경우에 위험회피대상의 미래 현금흐름이 여전히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 누계액은 미래 현금흐름이 생길 때까지 또는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이 차손이며 그 차손의 전부나 일부가 미래기간에 회복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까지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에 남겨두고 있습니다. 다만, 위험회피대상의미래현금흐름이 더 이상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경우에는 현금흐름위험회피적립금 누계액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합니다.

(마) 해외사업장순투자의 위험회피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 위험회피의 경우,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부분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며, 위험회피에 비효과적인부분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위험회피에 효과적이어서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한 부분은 향후 그 해외사업장을 처분하거나 그 해외사업장의 일부를 처분하는 시점에 기업회계기준서 제1021호 '환율변동효과'에 따라 재분류조정으로 기타포괄손익에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합니다.


(7) 유형자산

유형자산은 최초 인식시점에 원가로 측정하고 최초 인식 이후 취득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표시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원가는 관세 및 환급불가능한 취득 관련 세금을 가산하고 매입할인과 리베이트 등을 차감한 구입가격,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자산을 가동하는 데 필요한 장소와 상태에 이르게 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와 자산을 해체, 제거하거나 부지를 복구하는 데 소요될 것으로 최초에 추정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후속원가는 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유입될 가능성이 높으며,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에 포함하거나 적절한 경우 별도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일상적인 수선ㆍ유지와 관련하여 발생하는 원가는 발생시점에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 중 토지에 대해서는 감가상각을 하지 않으며, 토지를 제외한 유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감가상각방법을 적용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건 물 40년
기계장치 8년
차량운반구 7년
비 품 5년
시설장치 8년

유형자산을 구성하는 일부의 원가가 당해 유형자산의 전체원가에 비교하여 유의적이라면 해당 유형자산을 감가상각할 때 그 부분은 별도로 구분하여 감가상각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감가상각방법, 잔존가치 및 내용연수는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유형자산의 장부금액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을 통하여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제거하고 있으며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익은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8) 무형자산

당사는 자산에서 발생하는 미래경제적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자산의 원가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경우에 무형자산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최초 인식 후에 무형자산은 원가에서 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한 금액을 장부금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1) 개별취득

개별 취득하는 무형자산의 원가는 구입가격(매입할인과 리베이트를 차감하고 수입관세와 환급받을 수 없는 제세금을 포함)과 자산을 의도한 목적에 사용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직접 관련되는 원가로 구성되고 있습니다.

2) 영업권

사업결합과 관련하여 이전대가, 피취득자에 대한 비지배지분의 금액 및 단계적으로 이루어지는 사업결합의 경우 당사가 이전에 보유하고 있던 피취득자에 대한 지분의 취득일의 공정가치의 합계금액이 취득일의 식별가능한 취득 자산과 인수 부채의 순액을 초과하는 경우 그 초과금액을 영업권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사업결합으로 인한 취득

사업결합으로 취득하는 영업권과 분리하여 인식하는 무형자산의 취득원가는 취득일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4)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

연구(또는 내부 프로젝트의 연구단계)에서 발생한 지출은 발생시점에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무형자산을 사용하거나 판매하기 위해 그 자산을 완성할 수 있는 기술적 실현가능성, 무형자산을 완성하여 사용하거나 판매하려는 기업의 의도, 무형자산을 사용하거나 판매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 무형자산이 미래경제적효익을 창출하는 방법, 무형자산의 개발을 완료하고 그것을 판매하거나 사용하는 데 필요한 기술적, 재정적 자원 등의 입수가능성, 개발과정에서 발생한 무형자산 관련 지출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을 모두 제시할 수 있는 경우에만 개발활동(또는 내부 프로젝트의 개발단계)에서 발생한 무형자산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무형자산의 원가는 무형자산의 인식기준을 최초로 충족시킨 이후에 발생한 지출금액의 합으로 하며 그 자산의 창출, 제조 및 경영진이 의도하는 방식으로 운영될 수 있게 준비하는 데 필요한 직접 관련된 모든 원가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내부적으로 창출한 영업권은 자산으로 인식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5) 내용연수 및 상각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경우 상각대상금액은 자산이 사용가능한 때부터 내용연수
동안 정액법으로 배분하고 있습니다. 상각대상금액은 잔존가치를 차감하여 결정하고 있으며,  잔존가치는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제 3자가 자산을 구입하기로 한 약정이 있거나, 무형자산의 활성시장이 있어 잔존가치를 그 활성시장에 기초하여 결정할 수 있고 그러한 활성시장이 내용연수 종료 시점에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를 제외하고는 영(0)으로 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유한한 무형자산의 상각기간과 상각방법은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고 있으며 이를 변경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은 상각하지 아니하며, 매 보고기간말 혹은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 회수가능액과 장부금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의 내용연수가 비한정이라는 평가를 계속하여 정당화하는지를 매 보고기간말에 재검토하여 적절하지 않은 경우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무형자산은 아래의 내용연수와 상각방법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과 목 추정 내용연수
특허권 7년
상표권 7년
개발비 7년
소프트웨어 5년
기타의무형자산 7년


6) 무형자산의 제거

무형자산은 처분하는 때, 사용이나 처분으로부터 미래경제적효익이 기대되지 않을 때 재무상태표에서 제거하며 무형자산의 제거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익이나 손실은 순매각가액과 장부금액의 차이로 결정하고 자산을 제거할 때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9) 정부보조금

당사는 정부보조금에 부수되는 조건의 준수와 보조금 수취에 대한 합리적인 확신이 있을 경우에만 정부보조금을 인식하고 있으며 시장이자율보다 낮은 이자율의 정부대여금의 효익은 정부보조금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수익관련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으로 보전하려 하는 관련원가와 대응시키기 위해 필요한 기간에 걸쳐 체계적인 기준에 따라 정부보조금을 수익으로 인식하며, 자산관련 정부보조금은 자산의 장부금액을 결정할 때 차감표시하고 감가상각자산의 내용연수에 걸쳐 감가상각비를 감소시키는 방식으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이미 발생한 비용이나 손실에 대한 보전 또는 향후의 관련원가 없이 당사에 제공되는즉각적인 금융지원으로 수취하는 정부보조금은 정부보조금을 수취할 권리가 발생하는 기간에 수익으로 인식하며, 화폐성자산을 정부보조금으로 수취하는 경우 비화폐성자산의 공정가치를 평가하여 보조금과 자산 모두를 그 공정가치로 회계처리하고있습니다.

상환의무가 발생하게 된 정부보조금은 회계추정의 변경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습니다.

(10) 리스

리스는 리스제공자가 대가와 교환하여 식별되는 자산의 사용 통제권을 일정기간 동안 리스이용자에게 이전하는 계약입니다. 당사는 계약의 약정시점에, 계약 자체가 리스인지, 계약이 리스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합니다.

리스이용자 및 리스제공자는 리스계약이나 리스를 포함하는 계약에서 계약의 각 리스요소를 리스가 아닌 요소(이하 '비리스요소'라고 함)와 분리하여 리스로 회계처리합니다. 다만, 당사는 리스이용자로서의 회계처리에서 실무적 간편법을 적용하여 비리스요소를 리스요소와 분리하지 않고 각 리스요소와 관련 비리스요소를 하나의 리스요소로 회계처리합니다.


당사는 리스개시일에 기초자산을 사용할 권리를 나타내는 사용권자산과 리스료를 지급할 의무를 나타내는 리스부채를 인식합니다. 다만 당사는 단기리스와 소액기초자산리스에 대하여 리스이용자의 인식, 측정 및 표시 규정을 적용하지 않는 예외규정을선택하였습니다.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에 원가로 측정하고, 후속적으로 원가에서 감가상각누계액과 손상차손누계액을 차감하고, 리스부채의 재측정에 따른 조정을 반영하여 측정합니다. 또한 사용권자산은 리스개시일부터 사용권자산의 내용연수 종료일과 리스기간종료일 중 이른 날까지 감가상각합니다.

리스부채는 리스개시일 현재 지급되지 않은 리스료의 현재가치로 측정됩니다.       리스의 내재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있는 경우에는 그 이자율로 리스료를 할인하며,그 이자율을 쉽게 산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리스이용자의 증분차입이자율을 사용합니다. 리스부채는 후속적으로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만큼 증가하고, 지급한 리스료를 반영하여 감소합니다.
 
잔존가치보증에 따라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금액의 변동, 지수나 요율(이율)의 변동 및 리스기간의 변경, 매수선택권이나 연장선택권의 행사여부 평가의 변동에 따라 미래 리스료가 변경되는 경우에 리스부채를 재측정합니다. 리스부채는 재무상태표에'유동성리스부채' 또는 '리스부채'로 분류합니다.

단기리스(리스개시일에 리스기간이 12개월 이하인 리스)와 소액자산리스의 경우 예외 규정을 선택하여 리스료를 리스기간에 걸쳐 정액기준으로 비용을 인식합니다.


(11) 충당부채

충당부채는 과거사건의 결과로 현재의무가 존재하고, 당해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높으며 당해 의무의 이행에 소요되는 금액을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있는 경우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현재의무를 보고기간말에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에 대한 최선의 추정치로서 최선의 추정치를 구할 때에는 관련된 사건과 상황에 대한 불가피한 위험과 불확실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화폐의 시간가치 효과가 중요한 경우 충당부채는 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예상되는 지출액의 현재가치로 평가하고 있으며 할인율은 부채의 고유한 위험과 화폐의 시간가치에 대한 현행 시장의 평가를 반영한 세전 이율이며 이 할인율에 반영되는 위험에는 미래 현금흐름을 추정할 때 고려된 위험은 반영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현재의무를 이행하기 위하여 소요되는 지출 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미래사건이 발생할 것이라는 충분하고 객관적인 증거가 있는 경우에는 그러한 미래사건을 감안하여 충당부채 금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자산의 예상처분이익은 충당부채를 측정하는 데 고려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를 결제하기 위하여 필요한 지출액의 일부 또는 전부를 제 3자가 변제할 것이 예상되는 경우 당사가 의무를 이행한다면 변제를 받을 것이 거의 확실하게 되는 때에 한하여 변제금액을 인식하고 별도의 자산으로 회계처리하고 있으며 자산으로 인식하는 금액은 관련 충당부채 금액을 초과할 수 없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충당부채의 잔액을 검토하고, 보고기간말 현재 최선의 추정치를 반영하여 조정하며 의무이행을 위하여 경제적효익을 갖는 자원이 유출될 가능성이 더 이상 높지 아니한 경우에는 관련 충당부채를 환입하고 있습니다. 충당부채는 최초인식과 관련있는 지출에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12) 전환사채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는 계약의 실질에 따라 금융부채와 자본으로 각각 분류하고 있습니다. 최초인식시점에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는 계약상 정해진 미래현금흐름을 당해 금융상품과 동일한 조건 및 유사한 신용상태를 가지며 실질적으로 동일한 현금흐름을 제공하지만 전환권이 없는 채무상품에 적용되는 그 시점의 시장이자율로 할인한 현재가치로 추정하고 전환권의 행사로 인하여 소멸되거나 만기까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며, 자본요소인 전환권의 장부금액은 전환사채 전체의 공정가치에서 금융부채의 공정가치를 차감하여 법인세효과를 반영한 금액으로 결정하고 이후 재측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전환사채의 발행과 관련된 거래원가는 배분된 발행금액에 비례하여 금융부채와 자본에 배분하고 있습니다.

(13) 주식기준보상

주식기준보상거래에서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은 그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날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로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경우에는그에 상응한 자본의 증가를 인식하고,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로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한 부채의 증가를 인식하고 있으며, 주식기준보상거래에서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이 자산의 인식요건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 주식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당사가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대가로 자신의 지분상품(주식 또는 주식선택권 등)을부여하는 주식기준보상거래 혹은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지만 이를 제공한 자에게 주식기준보상거래를 결제할 의무가 없는 주식기준보상거래에 대하여, 제공받는 재화나용역과 그에 상응하는 자본의 증가를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로 직접 측정하며,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추정할 수 없다면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과 그에 상응하는 자본의 증가는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에 기초하여 간접 측정하고 있습니다. 특정기간의 용역을 제공하여야 부여된 지분상품이 가득되는 경우 지분상품의 대가에 해당하는 용역을 미래 가득기간에 제공받는 것으로 보아 당해 용역은 가득기간에 배분하여 인식하며 그에 상응하여 자본의 증가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시장조건이 아닌 가득조건은 거래금액 측정시 포함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을 조정할 때 고려하여 부여한 지분상품의 대가로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에 대해 인식하는 금액이 궁극적으로 가득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후속적인 정보에 비추어 볼 때 미래에 가득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분상품의 수량이 직전 추정치와 다르다면 당해 추정치를 변경하여 가득일에는 궁극적으로 가득된 지분상품의 수량과 일치하도록 당해 추정치를 변경하고 있습니다. 목표주가와 같은 시장조건은 부여한 지분상품의 공정가치를 추정할 때 고려하고 있습니다.

지정된 가득조건(시장조건 제외)이 충족되지 않아 지분상품이 가득되지 못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지분상품을 부여한 당시의 조건을 변경하는지, 부여한 지분상품을 취소하거나 중도청산하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제공받는 근무용역은 최소한 지분상품의 부여일 당시의 공정가치에 따라 인식하고 있으며 주식기준보상약정의 총공정가치를 증가시키거나 종업원에게 유리하게 조건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추가로 조건변경의 효과를 인식하고 있습니다.

부여한 지분상품이 가득기간 중에 취소되거나 중도청산되는 경우에는 취소나 중도청산으로 인해 부여한 지분상품이 일찍 가득된 것으로 보아 취소나 중도청산이 없다면 잔여가득기간에 제공받을 용역에 대해 인식될 금액을 즉시 인식하며, 취소나 중도청산시 종업원 등에게 지급하는 금액은 자기지분상품의 재매입으로 보아 자본에서 차감하고 있습니다.

2) 현금결제형 주식기준보상거래

당사가 재화나 용역을 제공받는 대가로 당사의 지분상품(주식 또는 주식선택권 등)의가격(또는 가치)에 기초한 금액만큼 현금이나 그 밖의 자산을 지급해야 하는 부채를 재화나 용역의 공급자에게 부담하는 주식기준보상거래에 대하여 제공받는 재화나 용역과 그 대가로 부담하는 부채를 부채의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부채가 결제될 때까지 매 보고기간말과 결제일에 부채의 공정가치를 재측정하고 공정가치의 변동액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종업원에게서 제공받는 근무용역과 그 대가로 부담하는 부채는 근무용역을 제공받는 기간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14) 수익

수익은 주로 당사의 통상적인 활동에서 발생하는 재화의 판매에 대하여 받았거나 받을 대가의 공정가액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익은 부가가치세, 반품, 판매장려금 및 가격 할인액을 차감한 순액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의 적용범위에 포함되는 고객과의 모든 계약에 5단계 수익인식모형(① 계약 식별 → ② 수행의무 식별 → ③ 거래가격 산정 → ④ 거래가격을 수행의무에 배분 → ⑤ 수행의무 이행 시 수익 인식)을 적용하여 수익을 인식합니다.


1) 수행의무의 식별

당사는 고객과의 계약에서 ① 신약 개발 관련 용역의 제공 ② 기타 용역의 제공 등과같이 구별되는 수행의무를 식별하여 수익을 식별합니다.

2) 한 시점에 이행하는 수행의무

당사는 재화나 용역의 판매에 따른 수익을 재화나 용역이 고객에게 통제가 이전되어 수행의무를 이행한 시점에 인식하고 있습니다.

3) 기간에 걸쳐 이행하는 수행의무

당사가 고객과의 계약에 따라 제공하는 용역계약은 해당 용역에 대한 통제를 기간에 걸쳐 이전하므로 기간에 걸쳐 수행의무를 이행하는 것이고 기간에 걸쳐 수익을 인식합니다. 당사는 재화나 용역에 대한 통제를 기간에 걸쳐 이전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고객이 기업의 수행에서 제공하는 효익을 동시에 얻고 소비하는지, 기업이 수행하여 만들어지거나 가치가 높아지는 대로 고객이 통제하는 자산을 기업이 만들거나 그 자산 가치를 높이는지, 기업이 수행하여 만든 자산이 기업 자체에는 대체 용도가 없고 지금까지 수행을 완료한 부분에 대해 집행 가능한 지급청구권이 기업에 있는지 등을 검토합니다.


당사는 고객과의 계약에서 신약개발과 관련하여 지적재산권을 제공하고 라이선스 기간 동안 라이센스 수수료를 수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15) 종업원급여

1) 단기종업원급여

단기종업원급여는 임금, 사회보장분담금,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결제될 유급연차휴가 또는 유급병가 등과 같은 단기유급휴가, 종업원이 관련 근무용역을 제공하는 회계기간의 말부터 12개월 이내에 지급될 이익분배금과 상여금 및 현직종업원을 위한 비화폐성급여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종업원이 회계기간에 근무용역을 제공한 때 근무용역과 교환하여 지급이 예상되는 단기종업원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을 이미 지급한 금액을 차감한 후 미지급비용으로 인식하며, 이미 지급한 금액이 해당 급여의 할인되지 않은 금액보다 많은 경우에는 그 초과액 때문에 미래 지급액이 감소하거나 현금이 환급되는 만큼을 선급비용으로 인식하며, 다른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서에 따라 해당 급여를 자산의 원가에 포함하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2) 퇴직급여 -
확정급여제도

확정급여제도는 확정기여제도 이외의 모든 퇴직급여제도로서,
순확정급여부채로 인식하는 금액은 보고기간말 현재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에서 관련 확정급여채무를 직접 결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사외적립자산의 보고기간말 현재 공정가치를 차감한 금액이며, 확정급여채무는 매년 독립적인 보험계리법인에 의해 예측단위적립방식에 따라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는 급여가 지급될 통화로 표시되고 관련 확정급여부채의 지급시점과 만기가 유사한
우량회사채 시장수익률로 기대미래현금유출액을 할인하여 산정하고 있습니다.

확정급여원가 중 근무원가와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순이자는 당기손익으로 인식하며,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기타포괄손익에 인식되는 순확정급여부채(자산)의 재측정요소는 후속기간에 당기손익으로 재분류하지 아니하고 있습니다.


부의
순확정급여부채순확정급여자산은 제도로부터 환급받거나 제도에 대한 미래기여금이 절감되는 방식으로 이용가능한 경제적효익의 현재가치의 합계를 한도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급여를 과거근무용역에 귀속시키는 확정급여제도를 새로 도입하거나 기존의 확정급여제도에서 과거근무용역에 대하여 지급해야 하는 급여를 변경하는 경우 발생하는 과거근무원가는 제도개정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부채의 변동금액으로
측정하고 즉시 비용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3) 해고급여

해고급여에 대한 부채와 비용은 당사가 해고급여의 제안을 더 이상 철회할 수 없을 때와 기업회계기준서 제1037호 '충당부채, 우발부채, 우발자산'의 적용범위에 포함되고 해고급여의 지급을 수반하는 구조조정에 대한 원가를 인식할 때 중 이른 날에 인식합니다.

(16) 자산손상

재고자산, 기업회계기준서 제1115호 '고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에 따라 인식하는 계약자산과 계약을 체결하거나 이행하기 위해 든 원가에서 생기는 자산, 이연법인세자산, 종업원급여에서 생기는 자산, 금융자산,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투자부동산,매각예정비유동자산 등을 제외한 모든 자산의 손상은 아래의 방법으로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내용연수가 비한정인 무형자산, 아직 사용할 수 없는 무형자산 및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에 대해서는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에 관계없이 매년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장부금액과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그 외의 자산은 매 보고기간말마다 자산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고 그러한 징후가 있다면 개별 자산별로 회수가능액을 추정하며 개별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할 수 없다면 그 자산이 속하는 현금창출단위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은 자산 또는 현금창출단위의 순공정가치와 사용가치 중 더 많은 금액으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자산의 회수가능액이 장부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자산의 장부금액을 회수가능액으로 감소시키며, 손상차손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있습니다.

손상검사 목적상 사업결합으로 취득한 영업권은 사업결합으로 인한 시너지효과의 혜택을 받게 될 것으로 기대되는 각 현금창출단위에 취득일로부터 배분되고 있습니다. 영업권이 배분된 현금창출단위에 대해서는 매년 그리고 손상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을 때마다 영업권을 포함한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과 회수가능액을 비교하여 손상검사를 하고 있으며 현금창출단위의 장부금액이 회수가능액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손상차손을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은 우선 현금창출단위에 배분된 영업권의 장부금액을 감소시키고 그 다음 현금창출단위에 속하는 다른 자산에 각각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고 있습니다.

매 보고기간말마다 영업권을 제외한 자산에 대해 과거에 인식한 손상차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거나 감소된 것을 시사하는 징후가 있는지를 검토하여 징후가 있는 경우 당해 자산의 회수가능액을 추정하고 있으며 직전 손상차손의 인식시점 이후 회수가능액을 결정하는 데 사용된 추정치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만 환입하고 있습니다. 손상차손환입으로 증가된 장부금액은 과거에 손상차손을 인식하기 전 장부금액의 감가상각 또는 상각 후 잔액을 초과할 수 없으며, 손상차손환입은 즉시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현금창출단위의 손상차손환입은 현금창출단위를 구성하는 자산들(영업권 제외)의 장부금액에 비례하여 배분하며, 영업권에 대해 인식한 손상차손은 후속기간에 환입하지 않고 있습니다.



(17) 주당이익

당사는 기본주당이익과 희석주당이익을 보통주에 귀속되는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에 대하여 계산하고 포괄손익계산서에 표시하고 있습니다.

기본주당이익은 보통주에 귀속되는 특정 회계기간의 당기순손익을 그 기간에 유통된보통주식수를 가중평균한 주식수로 나누어 계산하고 있으며, 보통주에 귀속되는 금액은 계속영업손익과 당기순손익 각각의 금액에서 자본으로 분류된 우선주에 대한 세후우선주배당금, 우선주 상환시 발생한 차액 및 유사한 효과를 조정한 금액입니다.

희석주당이익은 모든 희석효과가 있는 잠재적보통주의 영향을 고려하여 보통주에 귀속되는 당기순손익 및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를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습니다.  


4. 재무위험관리

(1) 재무위험관리요소


당사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이자율위험, 외환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전반적인 위험관리는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재무위험관리의 대상이 되는 당사의 금융자산은 현금및현금성자산, 기타장ㆍ단기금융자산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금융부채는 미지급비용, 미지급금, 전환사채, 파생상품부채, 차입금 및 리스부채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1)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미래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을 뜻하며, 이는 주로 변동금리부 조건의 예금과 차입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분기 및 전기 중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의 10bp 변동시 당사의 세전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지 수

세전 이익에 대한 영향

당분기 전 기

상승 시

(61,678) (91,000)

하락 시

61,678 91,000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당사의 통상적인 거래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하며 고객 또는 거래상대방이 계약조건상 의무사항을 지키지 못하였을 때 발생합니다. 이러한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당사는 주기적으로 고객과 거래상대방의 재무상태와 과거 경험 및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재무신용도를 평가하고 있으며 고객과 거래상대방 각각에 대한 신용한도를 설정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현금및현금성자산, 각종 예금 등과 같은 금융기관과의 거래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위험을 줄이기 위해, 당사는 신용도가 높은 금융기관들에 대해서만 거래를 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보유한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담보물의 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당사의 신용위험 최대노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
26,719,909 28,748,143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2 5,230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3 37,516,011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 985,211
합 계 58,860,205 67,254,595


다. 유동성위험


당사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조정을 통해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채권을 예상된 시기에 회수하지 못하거나, 채무를 약정된 만기보다 빠른 시일에 지급해야할 상황에 대비하기 위하여 충분한 현금성자산을 보유하고 적절히 약정된 신용한도금액으로부터의 자금 여력 등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의 잔존계약만기에 따른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5년 이하
합 계
미지급금 450,359 - - 450,359
미지급비용 1,229,644 - - 1,229,644
전환사채 15,571,359 - - 15,571,359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5,608,978 2,088,828 1,544,011 9,241,817
리스부채 113,371 48,372 9,636 171,379
합 계 41,428,745 2,137,200 1,553,647 45,119,592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1년 이하 1년 초과
 2년 이하
2년 초과
 5년 이하
합 계
미지급금 925,749 - - 925,749
미지급비용 1,800,688 - - 1,800,688
전환사채 14,997,983 - - 14,997,98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장기차입금 5,151,064 93,480 4,189,382 9,433,926
리스부채 121,156 72,156 14,967 208,279
합 계 41,451,674 165,636 4,204,349 45,821,659


라. 환위험

당사의 기능통화인 원화 외의 통화로 표시되는 판매, 구매에 대해 환위험에 노출되어있습니다. 이러한 거래들이 표시되는 주된 통화는 USD, EUR 등 입니다.

① 환위험에 대한 노출

당사의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환위험에 대한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USD EUR USD EUR
현금및현금성자산 1,380 - 1,366 -
미지급금 - - (8) -
미지급비용 (1) (70) (14) (70)
순노출 1,379 (70) 1,344 (70)

당분기 및 전기에 적용된 환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구 분 평균환율 기말환율
당분기 전 기 당분기말 전기말
USD          1,114.05          1,180.05          1,133.50          1,088.00
EUR          1,342.62          1,345.99          1,328.29          1,338.24


② 민감도 분석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원화의 USD, EUR 대비 환율이 높았다면, 당사의 자본과 손익은 증가(감소)하였을 것입니다. 이와 같은 분석은 당사가 각 기말에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정도의 변동을 가정한 것입니다. 또한, 민감도 분석시에는 이자율과 같은 다른 변수는 변동하지 않는다고 가정하였습니다. 전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나, 합리적으로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환율변동의 정도는 다릅니다. 구체적인 자본 및 손익의 변동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변동상황 자 본 손 익 변동상황 자 본 손 익
USD 5% 상승 69 69 5% 상승 67 67
EUR 5% 상승 (4) (4) 5% 상승 (4) (4)

(2) 자본위험관리


당사의 자본관리목적은 건전한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데 있습니다. 당사는 자본관리지표로 부채비율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이 비율은 총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부채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 채(A) 46,789,307 47,221,513
자 본(B) 50,241,697 58,798,063
부채비율(A/B) 93.13% 80.31%



5. 범주별 금융상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범주별 금융상품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
금융자산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26,719,909 - 28,748,143 -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2 - 5,230 -
기타단기금융자산 23,541,931 7,278,911 29,505,440 8,010,570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 - 985,211 -
합 계 51,581,293 7,278,911 59,244,024 8,010,570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2)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범주별 금융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상각후원가 측정 금융부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 금융부채
미지급금 450,359 - 925,749 -
미지급비용 1,229,644 - 1,800,688 -
유동성장기차입금 5,000,000 - 5,000,000 -
유동성리스부채 106,007 - 118,012 -
장기차입금 4,100,000 - 4,100,000 -
전환사채 15,571,359 - 14,997,983 -
파생상품부채 - 18,455,034 - 18,455,034
리스부채 55,924 - 77,277 -
합 계 26,513,293 18,455,034 27,019,709 18,455,034

(*) 장부금액이 공정가치의 합리적인 근사치이므로 공정가치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3)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 및 공정가치

성격 및 특성에 기초한 금융상품의 범주별 분류에 따른 장부금액과 공정가치 및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별 분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은 공정가치의 관측가능한 정도에 따라 수준 1, 2 또는 3으로 분류합니다.

구 분 내 용
수준 1 측정일에 동일한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접근가능한 활성시장의 (조정되지 않은) 공시가격
수준 2 수준1의 공시가격 이외에 자산이나 부채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관측가능한 투입변수에서 도출된 금액
수준 3 자산이나 부채에 대한 관측가능한 자료에 기초하지 않은 투입변수를 포함한 가치평가기법에서 도출된 금액 (관측가능하지 않은 투입변수)

당분기말 현재 재무상태표에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부채의 공정가치 서열체계별 공정가치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장부금액 공정가치
수준 1 수준 2 수준 3 합 계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7,278,911           - 7,278,911           -  7,278,911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18,455,034
합 계 25,733,945            - 7,278,911 18,455,034 25,733,945


한편, 당분기 중 수준 1과 수준 2간의 유의적인 이동은 없습니다.


(4) 공정가치로 측정되는 자산ㆍ부채 중 공정가치 서열체계 수준3 으로 분류된 부채의 당분기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파생상품부채
기 초 18,455,034
취 득 -
파생상품평가손실 -
당기말 18,455,034


(5) 당분기말 현재 수준 3으로 분류된 주요 금융상품에 대하여 사용된 가치평가기법과 투입변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금액단위: 천원)
수 준 구 분 공정가치 가치평가기법 투입변수
주가변동성(%) 무위험이자율(%)
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7,278,911 운용사
고시기준가
- -
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이항모형 42.63 1.21

(6)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금융상품 범주별 순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이자수익 145,081 145,081 69,763 69,763
외화환산이익 62,326 62,326 654 65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이자수익 - - 41,422 41,422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19,292 19,292 -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5,619) (5,619) - -
합 계 221,080 221,080 111,839 111,839
상각후원가측정금융부채:        
이자비용 (618,419) (618,419) (66,904) (66,904)
외화환산이익 697 697 593 593
외화환산손실 (2) (2) (79) (79)
외환차익 5,751 5,751 433 433
외환차손 (42,063) (42,063) (8,964) (8,964)
합 계 (654,036) (654,036) (74,921) (74,921)

6. 현금및현금성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현금및현금성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보통예금 2,626,764 10,565,072
현금성단기금융상품 24,093,143 18,183,072
합 계 26,719,907 28,748,144


(2) 당분기말 현재 사용이 제한되어 있거나, 담보로 제공된 예금은 없습니다.



7. 기타금융자산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금융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기타단기금융자산:    
상각후원가측정금융자산 23,312,161 29,018,143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7,278,911 8,010,570
단기대여금 229,770 487,297
합 계 30,820,842 37,516,010
기타장기금융자산:    
장기대여금 772,500 772,500
임차보증금 174,147 173,317
기타보증금 39,394 39,394
합 계 986,041 985,211

8. 기타자산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자산 및 기타비유동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기타유동자산:    
 선급비용 52,562 25,894
 선급금 49,055 60,086
 부가세대급금 - 737,759
 당기법인세자산 187,039 164,385
합 계 288,656 988,124
기타비유동자산:    
 장기선급금 1,163,963 1,192,630
합 계 1,163,963 1,192,630



9. 유형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취득원가 정부보조금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 지 5,250,126 - - 5,250,126
건 물 15,415,757 - (849,604) 14,566,153
기계장치 10,213,893 (60,075) (2,877,747) 7,276,071
차량운반구 1 - - 1
비 품 1,594,162 - (1,152,634) 441,528
시설장치 4,991,301 - (1,494,359) 3,496,942
건설중인자산 1,289,445 - - 1,289,445
합 계 38,754,685 (60,075) (6,374,344) 32,320,266


② 전기말

(단위: 천원)
구 분 취득원가 정부보조금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토 지 5,250,126 - - 5,250,126
건 물 15,415,757 - (753,255) 14,662,502
기계장치 9,333,369 (62,100) (2,601,221) 6,670,048
차량운반구 1 - - 1
비 품 1,583,932 - (1,074,128) 509,804
시설장치 4,938,301 - (1,338,863) 3,599,438
건설중인자산 1,562,883 - - 1,562,883
합 계 38,084,369 (62,100) (5,767,467) 32,254,802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유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초 취득 처분/폐기 감가상각 대체 당분기말
토 지 5,250,126 - - - - 5,250,126
건 물 14,662,502 - - (96,348) - 14,566,154
기계장치 6,670,048 961,524 (44,255) (311,245) - 7,276,072
차량운반구 1 - - - - 1
비 품 509,804 10,230 - (78,506) - 441,528
시설장치 3,599,438 53,000 - (155,496) - 3,496,942
건설중인자산 1,562,883 42,162 - - (315,600) 1,289,445
합 계 32,254,802 1,066,916 (44,255) (641,595) (315,600) 32,320,268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전기초 취득 처분/폐기 감가상각 대체 전분기말
토 지 5,245,033 - - - - 5,245,033
건 물 14,851,657 - - (42,465) - 14,809,192
기계장치 5,184,676 205,392 833 (213,158) - 5,177,743
차량운반구 - 1 - - - 1
비 품 635,459 - - (70,960) - 564,499
시설장치 2,436,085 (116,900) - (104,302) 116,900 2,331,783
건설중인자산 - 596,900 - - (596,900) -
합 계 28,352,910 685,393 833 (430,885) (480,000) 28,128,251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담보로 제공된 유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말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계정과목 차입금액 담보권자
토 지 5,250,126 10,920,000 장기차입금 및
유동성장기차입금
9,100,000 신한은행
건 물 14,566,153
합 계 19,816,279 10,920,000
9,100,000


전기말

(단위: 천원)

담보제공자산 장부금액 담보설정금액 관련 계정과목 차입금액 담보권자
토 지 5,250,126 10,920,000 장기차입금 9,100,000 신한은행
건 물 14,662,502
합 계 19,912,628 10,920,000
9,100,000



10. 정부보조금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정부기관 등 체결과 관련하여 수령한 정부보조금의 증감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기계장치 현금및현금성자산 기계장치
기 초 - 62,100 - -
수령액 81,026 - 159,600 -
자산취득 - - (64,800) 64,800
비용상계 (81,026) (2,025) (94,800) (2,700)
기 말 - 60,075 - 62,100

11. 무형자산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무형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취득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취득원가 상각누계액 장부금액
특허권 1,773,678 (715,886) 1,057,792 1,673,451 (646,840) 1,026,611
상표권 34,108 (8,286) 25,822 34,108 (7,075) 27,033
개발비 560,000 (60,000) 500,000 500,000 - 500,000
소프트웨어 306,481 (132,738) 173,743 216,481 (117,414) 99,067
기타의무형자산 60,000 (16,685) 43,315 60,000 (14,555) 45,445
합 계 2,734,267 (933,595) 1,800,672 2,484,040 (785,884) 1,698,156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무형자산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초 취득(처분) 상 각 당분기말
특허권 1,026,611 100,227 (69,045) 1,057,793
상표권 27,033 - (1,211) 25,822
개발비 500,000 - - 500,000
소프트웨어 99,067 90,000 (15,324) 173,743
기타의무형자산 45,445 - (2,130) 43,315
합 계 1,698,156 190,227 (87,710) 1,800,673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전분기초 취득(처분) 상 각 전분기말
특허권 1,186,595 20,000 (57,414) 1,149,181
상표권 14,981 4,375 (760) 18,596
개발비 553,965 - (2,130) 551,835
소프트웨어 98,456 1,991 (8,883) 91,564
합 계 1,853,997 26,366 (69,187) 1,811,176


전기 중 개발비로 분류되어 있던 무형자산을 기타의무형자산으로 재분류하였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경상연구개발비(판매비와관리비)는 각각 6,792백만원 및 3,260백만원 입니다.


(4) 당사는 2016년 중 국립암센터로부터 면역세포치료제 관련 특허에 대한 기술이전계약(전용실시권)을 체결하였으며, 이를 500백만원에 취득하였으며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개발비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향후 동 기술에 대한 임상 진행경과에 따라 마일스톤 지급약정을 체결하고 있으며, 동 기술에 의하여 제조 및 판매된 제품의 총매출액의 1.5%를 경상실시료로 지급하는 약정을체결하고 있습니다.



12. 리 스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초자산 유형별 사용권자산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부동산 113,986 139,454
차량운반구 50,149 58,709
합 계 164,135 198,163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와 관련하여 손익으로 인식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사용권자산의 감가상각비    
부동산 25,468 25,456
차량운반구 8,561 8,469
소 계 34,029 33,925
리스부채에 대한 이자비용 1,271 2,169
단기리스료 - -
단기리스가 아닌 소액자산 리스료 9,747 8,354
합 계 45,047 44,448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리스의 총 현금유출은 34,629천원 및 34,629천원입니다.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1년 이내 106,007 118,012
1년 초과 5년 이내 55,924 77,277
5년 초과 - -
합 계 161,931 195,289

(4)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리스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유 동 106,007 118,012
비유동 55,924 77,277
합 계 161,931 195,289



13. 종속기업투자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회사명 주요 사업 소재지 당분기말 전기말
지분율 장부금액 지분율 장부금액
Eutilogics, Inc.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미 국 100% 2,133,106 100% 2,133,106
(주)판틸로고스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대한민국 100% 100,000 100% 100,000
(주)유틸론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대한민국 100% 100,000 100% 100,000
(주)렉소티 신약 연구 및 기술 개발 대한민국 100% 100,000 100% 100,000


(2) 당분기 중 종속기업투자주식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회사명 기 초 취득(처분) 당분기말
Eutilogics, Inc. 2,133,106 - 2,133,106
(주)판틸로고스 100,000 - 100,000
(주)유틸론 100,000 - 100,000
(주)렉소티 100,000 - 100,000
합 계 2,433,106 - 2,433,106

(3)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종속기업에 대한 요약 재무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말

(단위: 천원)
회사명 자 산 부 채 매출액 당기순손실
Eutilogics, Inc. 1,826,327 490 - (102,846)
(주)판틸로고스 98,933 - - 25
(주)유틸론 99,022 - - (5)
(주)렉소티 99,022 - - (5)


② 전기말

(단위: 천원)
회사명 자 산 부 채 매출액 당기순손실
Eutilogics, Inc. 1,853,241 253 - (121,083)
(주)판틸로고스 98,908 - - (1,092)
(주)유틸론 100,000 974 - (974)
(주)렉소티 100,000 974 - (974)



14. 장기차입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장기차입금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차입처 만 기 이자율(%) 금 액
당분기말 당분기말 전기말
일반대출 신한은행 2021-07-05 2.26% 5,000,000 5,000,000
특별온렌딩대출 2023-12-15 1.68% 4,100,000 4,100,000
합 계 9,100,000 9,100,000
유동성대체 (5,000,000) (5,000,000)
장부금액 4,100,000 4,100,000


(2) 당분기말 현재 상기 차입금과 관련하여 토지 및 건물(설정금액: 10,920백만원)액(설정금액: 5,902백만원)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 대표이사가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주 9, 19, 30 참조).

15. 전환사채

(1) 당분기말 전환사채 및 전환권대가에서 발생하는 파생상품부채 등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발행금액 29,000,000 29,000,000
전환권조정 (13,428,641) (14,002,017)
전환사채 15,571,359 14,997,983
파생상품부채 18,455,034 18,455,034


(2) 당분기말 현재 전환사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발행일 만기일 표면이자율 당분기말
제1회 전환사채 2020년 5월 4일 2025년 5월 4일 - 15,571,359


(3) 당사가 발행한 전환사채의 발행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제1회 전환사채
사채의 명칭 제1회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액면금액 29,000,000,000원
발행금액 29,000,000,000원
이자지급조건 연 0%
보장수익율 연 0%
상환방법 전환되지 않거나 조기상환되지 않을 경우 만기일에 액면가액의  100%를 일시상환
전환시 발행할 주식의
종류 및 주식수(*)
보통주 884,092주(액면가액 500원) (* 조정전 442,052주)
전환청구기간 2021년 5월 4일부터 2025년 5월 4일
전환가격(*) 32,668원 (* 조정전 65,603원)
사채권자에 의한
조기상환청구권
사채권자는 전환사채의 발행일로부터 24개월이 되는 날인 2022년 5월 4일 부터 2025년 2월 4일까지 매 분기에 사채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그 권면금액 및 이에 대하여 조기상환 청구 금액을 만기 전 조기상환할 것을 청구할 수 있다. 단, 조기상환지급일이 은행 영업일이 아닌 경우에는 그 다음 영업일에 상환하고 조기상환 지급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 당사는 2020년 7월 20일 이사회결의에 의하여 보통주 7,460,234주를 무상증자 결정하고, 2020년 10월 20일 전환우선주 641,167주를 발행하여 전환가능 주식수 및 전환가격 조정을 하였습니다.

당사는 전기 중 전환사채를 발행하였으며, 당기말 현재 동 전환사채의 전환권대가로 인한 파생상품부채는 18,455백만원입니다.



16. 기타단기금융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단기금융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미지급금 450,359 925,749
미지급비용 1,229,644 1,800,688
합 계 1,680,003 2,726,437



17. 기타유동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유동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선수금 995 995
예수금 105,153 107,626
합 계 106,148 108,621

18. 순확정급여부채

(1) 당기말 및 전기말 현재 순확정급여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확정급여채무의 현재가치 1,714,833 1,638,151
사외적립자산 - -
순확정급여부채 1,714,833 1,638,151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순확정급여부채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기초금액 1,638,151 1,202,791
당기근무원가 113,655 121,648
이자원가 9,811 6,298
급여지급액 (46,783) -
보고기간말 금액 1,714,834 1,330,737


(3) 한편, 당사의 퇴직급여는 전액 판매비와관리비에 계상되어 있습니다.


19. 우발채무와 약정사항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신용한도약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금융기관 약정내역 당분기말 전기말
신한은행
일반대출 5,000,000 5,000,000
특별온렌딩대출 4,100,000 4,100,000
합 계 9,100,000 9,100,000


상기 약정과 관련하여 토지 및 건물(설정금액: 10,920백만원)액   (설정금액: 5,902백만원)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주석 9 참조), 대표이사가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주석 14, 30 참조).

20. 자본금 및 주식발행초과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정관에 의해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20,000,000주  (1주의 금액: 500원)이며, 한편,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가 발행한 보통주식수는 각각 15,157,095주 및 15,058,467주입니다. 전기 중 발행한 우선주식수는 641,021주입니다.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행주식수 및 납입자본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천원)
구 분 주식수 보통주자본금 우선주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2020.01.01 (전기초) 7,305,255 3,652,628 - 98,730,837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2020.01.03) 78,846 39,423 - 825,955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2020.01.10) 26,677 13,339 - 326,330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2020.02.03) 13,896 6,948 - 150,859
2020.03.31 (전분기말) 7,424,674 3,712,337 - 100,033,981
2021.01.01 (당기초) (*) 15,699,488 7,529,234 320,511 120,753,254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2021.01.04) 38,448 19,224 - 462,124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2021.01.07) 28,500 14,250 - 366,210
주식매입선택권의 행사(2021.01.29) 31,680 15,840 - 401,515
2021.03.31 (당분기말) 15,798,116 7,578,548 320,511 121,983,103

(*) 당사는 2020년 10월 30일을 납입기일로 하여 제3자배정 전환우선주 641,021주  (자본금 320,511천원)을 발행하였습니다.


(3) 당사의 정관에 의하면, 당사는 이사회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및 교환사채의 액면총액이 각각 500억원, 300억원, 3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사채 및 교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주석 15 참조).

21. 기타자본항목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기타자본항목의 구성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주식선택권 3,961,559 4,427,486
기타자본잉여금 247,400 247,400
주식선택권소멸이익 35,031 35,031
기타포괄손익누계액(보험수리적이익) 22,139 22,139
합 계 4,266,129 4,732,056


(2) 당사는 주주총회 및 이사회 결의에 의거해서 당사의 임직원에게 주식선택권을 부여했으며,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1차 3-1차 3-2차
권리부여일 2016.5.26 2017.06.09 2017.06.09
부여수량(*1) 88,856주 50,000주 57,119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또는
차액결제보상(*2)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5,312원 7,012원 7,012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3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주식공개상장일로부터 6년
(최초 1년 50%, 향후 2년간 각각 25%)
2019.06.10 ~ 2024.06.09
(최초1년 50%, 이후 50%)
2020.06.10 ~ 2024.06.09
(최초1년 50%, 이후 50%)

구 분 4-1차 4-2차 5-2차
권리부여일 2017.10.12 2017.10.12 2018.03.30
부여수량(*1) 18,000주 35,000주 54,120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10,500원 7,012원 15,750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3년 근무용역제공 2년8개월 근무용역제공 2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2020.10.13 ~ 2024.10.12
(최초1년 50%, 이후 50%)
2020.06.10~2024.06.09
(최초 도래시 100%)
2020.03.30~2025.03.29
(최초1년 50%, 이후 50%)


구 분 5-3차 6-1차 6-2차
권리부여일 2018.03.30 2018.06.15 2018.06.15
부여수량(*1) 69,000주 63,880주 252,042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15,750원 15,750원 15,750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3년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3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2021.03.30~2025.03.29
(최초1년 50%, 이후 50%)
2020.06.15~2025.06.14
(최초1년 50%, 이후 50%)
2021.06.15~2025.06.14
(최초1년 50%, 이후 50%)


구 분 8차 9차 10차
권리부여일 2020.03.26 2020.03.27 2021.03.31
부여수량(*1) 60,000주 69,200주 66,200주
부여방법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보통주 신주발행교부
행사가격(*1) 28,300원 28,780원 43,720원
가득조건 근무용역제공 2년 근무용역제공 3년 근무용역제공 3년
행사기간
(행사가능수량 %)
2022.03.26~2027.03.25
(최초1년 50%, 이후 50%)
2023.03.27~2027.03.26
(최초1년 30%, 차년 누적 60%, 이후 40%)
2024.03.31~2028.03.30
(최초1년 30%, 차년 누적 60%, 이후 40%)


(*1) 당사는 주식선택권 부여계약서에 의거 주식선택권의 희석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무상증자 등이 발생한 경우 권리부여일의 행사가격 및 행사수량 등을 조정하였습니다. 또한 퇴사 등으로 인한 주식선택권 부여 취소 및 조건변경으로 인한 부여수량의 변동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2) 당사의 선택에 의하여 결제방식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3)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주식선택권의 변동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주)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기초 부여수량 923,845 698,478
신규 부여 66,200 -
행 사 (98,628) (26,677)
기타 조정(*) (11,600) (11,000)
기말 부여수량 879,817 660,801
기말 행사가능수량 275,476 74,492

(*) 무상증자 및 퇴사 등으로 인한 행사수량 변동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4) 당사는 부여한 주식선택권의 보상원가를 이항모형을 이용한 공정가치접근법을 적용하여 산정했으며, 보상원가를 산정하기 위한 제반 가정 및 변수는 다음과같습니다.

구 분 1차 3-1차 3-2차 4-1차
권리부여일의 기준주가(*) 12,370원 12,370원 12,370원 13,625원

주가변동성

33.59% 19.41% 19.41% 17.42%

무위험수익률

1.58% 2.06% 2.06% 2.29%


구 분 4-2차 5-2차 5-3차 6-1차
권리부여일의 기준주가(*) 13,625원 12,370원 12,370원 13,645원

주가변동성

17.42% 39.00% 39.00% 40.60%

무위험수익률

2.29% 2.55% 2.55% 2.60%


구 분 6-2차 8차 9차 10차
권리부여일의 기준주가(*) 13,645원 30,000원 30,650원 41,150원

주가변동성

40.60% 24.05% 23.95% 51.60%

무위험수익률

2.60% 1.52% 1.48% 1.88%

(*) 무상증자로 인한 조정효과가 반영되었습니다.

(5)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상기 주식선택권과 관련하여 주식보상비용(판매비와관리비)으로인식한 금액은 248백만원 및 455백만원입니다.


(6) 당분기말 현재 유효한 주식선택권의 가중평균잔여만기는 4.52년(전기말: 4.57년)이며, 가중평균행사가격은 17,109원(전기말: 14,316원)입니다.



22. 결손금

(1)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결손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미처리결손금 83,906,593 74,536,991



23. 주당순손익

(1) 당분기 및 전분기의 기본주당순손익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주)
구 분 당분기 전분기
당기순손실 9,369,602,497 5,251,600,33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5,144,057 7,415,264
기본주당순손실 619 708


(2)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의 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구 분 기 간 유통주식수(주) 일 수 배 수 적 수
기초 2021.01.01 ~ 2021.03.31 15,058,467 90 1 1,355,262,030
주식선택권의 행사 2021.01.04 ~ 2021.03.31 38,448 87 1 3,344,976
2021.01.07 ~ 2021.03.31 28,500 84 1 2,394,000
2021.01.29 ~ 2021.03.31 31,680 62 1 1,964,160
합 계 1,362,965,166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15,144,057


② 전분기

구 분 기 간 유통주식수(주) 일 수 배 수 적 수
기초(*) 2020.01.01 ~ 2020.03.31 7,305,255 91 2 664,778,205
주식선택권의 행사 2020.01.03 ~ 2020.03.31 78,846 89 2 7,017,294
2020.01.10 ~ 2020.03.31 26,677 82 2 2,187,514
2020.02.03 ~ 2020.03.31 13,896 58 2 805,968
합 계 674,788,981
가중평균유통보통주식수 7,415,264

(*) 전기 중 발생한 무상증자의 효과가 반영되어 있습니다.


(3)
분기 및 전분기의 희석주당순손실은 반희석효과로 기본주당순손실과 일치합니다. 한편, 당사는 당분기 희석주당순손익 계산시 반희석효과로 인해 고려하지 않았으나 잠재적으로 미래에 기본주당순손익을 희석할 수 있는 주식선택권 및 전환사채를 보유하고있습니다 (주석 21 참조).


24. 객과의 계약에서 생기는 수익

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영업수익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라이센스 수수료(*) 16,652 16,652 94,692 94,692
기타매출 6,000 6,000 1,197 1,197
합 계 22,652 22,652 95,889 95,889
한 시점에 인식 22,652 22,652 1,197 1,197
기간에 걸쳐 인식 - - 94,692 94,692
합 계 22,652 22,652 95,889 95,889

(*) 당사는 2017년 중국 제약회사인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 Ltd.과 연결실체의 특허 신약물질인 EU101의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계약시점에 라이센스 수수료 USD 1,000,000를 수령하였으며, 당사는 동 계약에 의하여 용역이 제공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에 걸쳐 이연하여 수익을인식하고 있습니다.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발생한 수익의 지역별 매출정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국 내 6,000 1,197
중 국 16,652 94,692
합 계 22,652 95,889



25. 영업비용

분기 및 전분기의 영업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급 여 722,521 722,521 724,204 724,204
퇴직급여 48,156 48,156 47,129 47,129
감가상각비 364,379 364,379 251,652 251,652
무형자산상각비 18,665 18,665 11,773 11,773
복리후생비 164,387 164,387 139,247 139,247
여비교통비 5,903 5,903 35,986 35,986
경상연구개발비 6,791,626 6,791,626 3,259,997 3,259,997
주식보상비 248,463 248,463 455,394 455,394
세금과공과 23,484 23,484 10,957 10,957
지급임차료 9,747 9,747 8,354 8,354
보험료 4,609 4,609 3,392 3,392
지급수수료 309,229 309,229 247,100 247,100
수도광열비 58,864 58,864 52,174 52,174
기 타 144,990 144,990 136,813 136,813
합 계 8,915,023 8,915,023 5,384,172 5,384,172

26. 비용의 성격별 분류

분기 및 전분기 중 비용의 성격별 분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재료 매입액 1,157,431 1,157,431 700,726 700,726
급 여 1,725,577 1,725,577 1,617,697 1,617,697
퇴직급여 166,227 166,227 157,689 157,689
복리후생비 164,387 164,387 139,247 139,247
감가상각비 675,625 675,625 465,644 465,644
무형자산상각비 87,710 87,710 69,187 69,187
여비교통비 5,903 5,903 35,986 35,986
세금과공과 23,484 23,484 10,957 10,957
소모품비 37,063 37,063 17,792 17,792
지급임차료 9,747 9,747 8,354 8,354
지급수수료 309,229 309,229 247,100 247,100
주식보상비용 248,463 248,463 455,394 455,394
위탁연구비 4,134,796 4,134,796 1,294,279 1,294,279
기 타 169,379 169,379 164,120 164,120
합 계 8,915,021 8,915,021 5,384,172 5,384,172

27.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

분기 및 전분기 중 기타수익 및 기타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기타수익 :



잡이익 7 7 1,903 1,903
합 계 7 7 1,903 1,903
기타비용 :



유형자산폐기손실 44,255 44,255 - -
잡손실 28 28 2,141 2,141
합 계 44,283 44,283 2,141 2,141



28.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

당분기 및 전분기 중 금융수익 및 금융비용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금융수익 :



이자수익 145,081 145,081 111,185 111,185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19,292 19,292 - -
외환차익 5,751 5,751 433 433
외화환산이익 63,022 63,022 1,247 1,247
합 계 233,146 233,146 112,865 112,865
금융비용 : - -

이자비용 618,419 618,419 66,904 66,90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5,619 5,619 - -
외환차손 42,063 42,063 8,964 8,964
외화환산손실 3 3 79 79
합 계 666,104 666,104 75,947 75,947


29. 영업활동 현금흐름

당분기 및 전분기의 영업활동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중 조정 내역 및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비현금항목의 조정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퇴직급여 123,465 127,946
감가상각비 675,625 465,644
무형자산상각비 87,710 69,187
주식보상비용 248,463 455,394
이자비용 618,419 66,904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손실 5,619 -
외화환산손실 2 79
유형자산폐기손실 44,255 -
이자수익 (145,081) (111,185)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평가이익 (19,292) -
외화환산이익 (63,022) (1,247)
합   계 1,576,163 1,072,722


(2)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매출채권의 감소(증가) (660) 17,367
단기대여금의 감소 257,527 -
미수금의 감소(증가) (327,522) (197,151)
선급금의 감소(증가) 11,031 (48,287)
선급비용의 증가 (26,668) (1,428,900)
부가세대급금의 증가 737,759 545,044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400,845) (4,270)
미지급비용의 증가 (570,348) (29,785)
예수금의 증가(감소) (2,473) (105,928)
선수금의 증가(감소) - (1,139,006)
퇴직금의 지급 (46,783) -
합 계 (368,982) (2,390,916)


(3) 당사의 현금흐름표는 간접법에 의해 작성되었으며, 당분기 및 전분기의 현금의 유입과 유출이 없는 주요한 거래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유형자산의 취득관련 미지급금의 증가(감소) 125,455 (212,259)
무형자산 취득관련 선급금의 대체 100,227 24,375
종속기업투자주식의 취득관련 미지급금의 증가 (200,000) -
주식선택권의 행사 714,389 -
리스부채 유동성 대체 (12,005) -


(4) 당분기 및 전분기 중 재무활동현금흐름에서 생기는 부채의 조정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기초 비현금흐름 당분기말
리스부채의 증가 상 각
전환사채 29,000,000 - 573,376 29,573,376
파생상품부채 18,455,034 - - 18,455,034
유동성장기차입금 5,000,000 - - 5,000,000
장기차입금 4,100,000 - - 4,100,000
리스부채 77,277 (34,629) 1,271 43,918
합 계 56,632,311 (34,629) 574,647 57,172,328


②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전기초 재무현금흐름 비현금흐름 전분기말
상 각
장기차입금 9,100,000 - - 9,100,000
리스부채 190,915 (34,629) 2,169 158,455
합 계 9,290,915 (34,629) 2,169 9,258,455

30. 특수관계자 거래

(1)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당분기말 전분기말
종속기업 Eutilogics, Inc. Eutilogics, Inc.
주식회사 판틸로고스 -
주식회사 유틸론 -
주식회사 렉소티 -
기타특수관계자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 대표이사 등 주요 경영진
기타특수관계자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2) 당분기 및 전분기 중 특수관계자와 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구 분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당분기 전분기
기타특수관계자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라이센스
수수료
16,652 94,692


(3)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현재 특수관계자의 채권 및 채무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구 분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당분기말 전분기말
기타특수관계자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매출채권 - -
선수금 - 157,820
기타특수관계자 임원 대여금 300,000 350,000


(4) 당분기 중 당사의 특수관계자와의 자금거래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

(단위: 천원)
구 분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전기말 증 가 감 소 당분기말
종속기업 Eutilogics, Inc. 자본금 출자   2,133,046              -              -   2,133,046
(주) 판틸로고스 자본금 출자      100,000              -              -     100,000
(주) 유틸론 자본금 출자               -      100,000              -     100,000
(주) 렉소티 자본금 출자               -      100,000               -     100,000
기타특수관계자 임원 대여금 대여      300,000              -               -      300,000
합 계   2,533,046     200,000              -   2,733,046


(5) 당사는 당분기말 현재 장기차입금 9,100백만원에 대하여 대표이사의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주석 14, 19 참조).

(6)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

주요경영진은 연결실체 활동의 계획, 운영, 통제에 대한 중요한 권한과 책임을 가진 등기 이사 및 감사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분기와 전분기 중 당사의 주요 경영진에 대한 보상을 위해 비용으로 반영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3개월 누 적 3개월 누 적
급 여 257,410 257,410 326,692 326,692
퇴직급여 14,837 14,837 22,504 22,504
주식보상비 52,272 52,272 118,448 118,448
합 계 324,519 324,519 467,644 467,644


6. 기타 재무에 관한 사항


가. 재무제표 재작성 등 유의사항

당사는 제1기(2015년)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도입)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나.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매출채권 및 미수금 등의 채권이 존재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다. 재고자산 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재고자산이 존재하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라. 수주 계약 현황

당사는 해당사항이 없어 기재를 생략합니다.





채무증권 발행실적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
발행회사 증권종류 발행방법 발행일자 권면(전자등록)총액 이자율 평가등급
(평가기관)
만기일 상환
여부
주관회사
(주)유틸렉스 회사채 사모 2020년 05월 04일 29,000,000,000 - - 2025년 05월 04일 미상환 신한금융투자증권
합  계 - - - 29,000,000,000 - - - - -





기업어음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 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사모 - - - - - - - - -
합계 - - - - - - - - -


단기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0일 이하 10일초과
30일이하
30일초과
90일이하
90일초과
180일이하
180일초과
1년이하
합 계 발행 한도 잔여 한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회사채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신종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15년이하
15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사모 - - - - - - - -
합계 - - - - - - - -


조건부자본증권 미상환 잔액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잔여만기 1년 이하 1년초과
2년이하
2년초과
3년이하
3년초과
4년이하
4년초과
5년이하
5년초과
10년이하
10년초과
20년이하
20년초과
30년이하
30년초과 합 계
미상환 잔액 공모 - - - - - - - - - -
사모 - - - - - - - - - -
합계 - - - - - - - - - -



IV. 이사의 경영진단 및 분석의견



1. 예측정보에 대한 주의사항

당사가 동 분기보고서에서 미래에 발생할 것으로 예상 및 예측한 활동, 사건 또는 현상은, 당해 공시서류 작성시점의 사건 및 재무성과에 대하여 당사의 견해를 반영한 것입니다. 동 예측정보는 미래 사업환경과 관련된 다양한 가정에 기초하고 있으며, 동 가정들은 결과적으로 부정확한 것으로 판명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가정들에는 예측정보에서 기재한 예상치와 실제 결과 간에 중요한 차이를 초래할 수 있는위험, 불확실성 및 기타 요인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중요한 차이를 초래할 수 있는 요인에는 당사 내부경영과 관련된 요인과 외부환경에 관한 요인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동 예측정보 작성시점 이후에 발생하는 위험 또는 불확실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예측정보에 기재한 사항을 수정하는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의무는 없습니다. 결론적으로, 동 분기보고서상에 당사가 예상한 결과 또는 사항이 실현되거나 당사가 당초에 예상한 영향이 발생한다는 확신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동 보고서에 기재된 예측정보는 동 보고서 작성시점을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 며, 당사가 이러한 위험요인이나 예측정보를 업데이트할 예정이 없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2. 개요

당사는 동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유틸렉스 T 세포치료제의 임상과 CAR-T세포치료제 및 면역항암 항체치료제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Immunology와 Oncology에 대한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보유하고 있는 파이프라인의 조기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재무상태 및 영업실적

구 분 2021년 1분기
 (제7기)
2020년
 (제6기)
2019년
 (제5기)
[유동자산] 60,286,123,453 69,207,709,483 44,573,560,093
현금및현금성자산 28,799,385,185 30,700,014,416 6,801,287,759
매출채권및수취채권 333,412,966 5,229,666 34,970,850
기타단기금융자산 30,820,842,541 37,514,063,588 35,764,831,801
기타유동자산 332,482,761 988,401,813 1,972,469,683
[비유동자산] 36,435,079,013 36,328,962,438 31,436,447,500
유형자산 32,320,266,644 32,254,801,791 28,352,909,821
무형자산 1,800,673,066 1,698,156,387 1,853,997,281
사용권자산 164,135,115 198,163,782 195,305,944
기타장기금융자산 986,041,131 985,210,893 1,034,234,454
기타비유동자산 1,163,963,057 1,192,629,585  
자산총계 96,721,202,466 105,536,671,921 76,010,007,593
[유동부채] 40,919,040,549 41,206,338,560 2,688,676,846
[비유동부채] 5,870,756,582 5,815,427,445 10,493,706,614
부채총계 46,789,797,131 47,021,766,005 13,182,383,460
지배기업소유주지분 49,931,405,335 58,514,905,916 62,827,624,133
[자본금] 7,899,058,000 7,849,744,000 3,652,627,500
[주식발행초과금] 121,983,102,916 120,753,253,662 98,730,836,967
[결손금] (84,161,040,211) (74,688,606,882) (45,920,365,918)
[기타자본항목] 4,210,284,630 4,600,515,136 6,364,525,584
자본총계 49,931,405,335 58,514,905,916 62,827,624,133
  2021년 1월 1일 ~
 2021년 3월 31일
2020년 1월 1일 ~
 2020년 12월 31일
2019년 1월 1일 ~
 2019년 12월 31일
영업수익 22,651,500 2,036,292,000 408,878,000
영업비용 9,017,809,818 26,924,506,519 18,744,262,553
영업손실 8,995,158,318 24,888,214,519 18,335,384,553
법인세비용차감전순손실 9,472,433,329 28,768,240,964 17,131,242,044
당기순손실 9,472,433,329 28,768,240,964 17,131,242,044
기본주당손실 625 1,929 1,175
희석주당손실 625 1,929 1,175



3. 자금조달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의 차입금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차입처 만 기 이자율(%) 금 액
당분기말 당분기말 전기말
일반대출 신한은행 2021-07-05 2.26% 5,000,000 5,000,000
특별온렌딩대출 2023-12-15 1.68% 4,100,000 4,100,000
합 계 9,100,000 9,100,000



4. 부의거래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 없습니다.


5.기타참고사항

첨부한 분기보고서 및 부속명세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에 특이사항 없습니다


V. 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회계감사인의 명칭 및 감사의견(검토의견 포함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을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감사인 감사의견 강조사항 등 핵심감사사항
제07기(1분기) 삼도회계법인 - - -
제06기(전기) 삼도회계법인 적정 - -
제05기(전전기) 진성회계법인 적정 - -


2. 감사용역 체결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감사인 내 용 감사계약내역 실제수행내역
보수 시간 보수 시간
제07기(1분기) 삼도회계법인 별도 및 연결 외부감사(반기,기말감사),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 - - -
제06기(당기) 삼도회계법인 별도 및 연결 외부감사(반기,기말감사),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58백만원 644 58백만원 980
제05기(전기) 진성회계법인 별도 및 연결 외부감사(반기,기말감사), 내부회계관리제도 검토 45백만원 642 45백만원 642


3. 회계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 계약체결 현황은 다음의 표에 따라 기재한다.

사업연도 계약체결일 용역내용 용역수행기간 용역보수 비고
제07기(당기) - - - - -
- - - - -
제06기(전기) - - - - -
- - - - -
제05기(전전기) - - - - -
- - - - -







VI.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가. 이사회 구성 개요

(1) 이사의 수

당사의 이사회는 등기이사 전원으로 구성하고,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하며, 이사의 직무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분기보고서 작성일 현재 이사회는 대표이사 2인을 포함한 사내이사 2인, 기타비상무이사 2명, 사외이사2인 및 1명의 비상근감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사회 내 별도의 위원회는 구성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이사회의 권한 내용

당사 이사회규정에 의하면 당사의 이사회는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해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 방침 및 업무 집행에 관한 중요 사항을 의결하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는 이사의 직무 집행을 감독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의결사항 등

(1) 이사회의 주요활동내역

연도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비고

2016

1

2016. 01. 22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2

2016. 02. 22

1) 이사 등과 회사 간 거래

가결

 

3

2016. 03. 16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4

2016. 05. 02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5

2016. 05. 26

1) 개념설계컨설팅 계약의 건

가결

 

6

2016. 07. 04

1) 자금 차입의 건

가결

 

7

2016. 08. 03

1) 밸리데이션컨설팅 계약의 건

가결

 

8

2016. 08. 09

1) 신주식 발행의 건

가결

 

9

2016. 08. 30

1) 신주식 발행의 건

가결

 

10

2016. 09. 05

1) 본점 이전의 건

가결

 

11

2016. 10. 12

1) 사업양수도 체결의 건

가결

 

2017

1

2017. 01. 17

1) 명의개서 대리인 선임의 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

 

2

2017. 02. 14

1) 제 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 2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3

2017. 03. 13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4

2017. 05. 10

1) 회사 필수규정 제정의 건
2)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5

2017. 08. 28

1) 정관일부 변경의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건
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6

2017. 08. 31

1) 신주식발행의 건

가결

 

7

2017. 12. 12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 이사회 운영규정 개정의 건
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8

2017. 12. 27

1) 해외법인 인수의 건
2) 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가결

 

2018

1

2018. 02. 14

1) 제 3기 제무재표 승인의 건
2) 제 3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2

2018. 03. 14

1) 해외법인 인수의 건
2)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주1)

3

2018. 03. 30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4

2018. 05. 04

1)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 추진의 건
2)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5 2018. 06. 26 1) 주식매수선택권부여 취소의 건

가결

 

6 2018. 11. 08 1) 코스닥상장을 위한 신주 발행의 건
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신주 발행의 건

가결

 

7 2018. 12. 26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

 

8 2018. 12. 28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2019 1 2019. 01. 24 1) 유형자산 취득의 건 가결

2 2019. 02. 14 1) 제4기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4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3 2019. 03. 11 1) 안건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2) 주식매수선택건 부여 취소의 건
가결

4 2019. 04. 24 1) 공동개발 협약 체결 승인의 건 가결
5 2019. 05. 30 1) 관계회사 특허출원 동의의 건
2) 공동연구개발 협약 추가사항 승인의 건
가결

6 2019. 06.07 1) "해외법인(자회사)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의 건" 승인 취소의 건
2) 공동연구개발 협약 추가사항 변경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7 2019. 06.14 1) 공동연구개발 협약 종료의 건
2) 자회사 대표이사 사임의 건
3) 자회사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8 2019. 07. 05 1) 본사담보대출 기간 연장의 건 가결
9 2019. 07. 15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10 2019.11.13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11 2019. 12. 06 1) 자금 차입의 건
2) 자회사 출자의 건
가결
2020 1 2020. 02. 14 1)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5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2 2020. 03. 12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3 2020. 03. 16 1) 전자투표 도입의 건 가결
4 2020. 03. 26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
5 2020. 03. 27 1) 공동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6 2020. 04. 24 1)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신규 발행의 건 가결
7 2020. 07. 03 1) 준비금 자본전입(무상증자)의 건 가결
8 2020. 08. 18 1) 신규 법인 설립의 건
2) 합작투자계약 체결의 건
3) 임원의 겸직 승인의 건
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9 2020. 10. 22 1) 유상증자(제3자 배정) 결정의 건 가결
10 2020. 12. 30 1) 신규 법인 설립의 건
2) 임원의 겸직 승인의 건
3) 공동연구 협약 체결의 건
4) 공동업무 협약 체결의 건
5) 합자계약 취소에 따른 지분양수의 건
6) 본사이전의 건
가결
11 2021.02.16 1)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6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12 2021.03.31 1) 공동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신규법인 설립의 건
3) 임원의 겸직 승인의 건
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


주1) 제 1호의안인 해외법인 인수건은 2017년 8차 이사회에서 의결한 내용에서 인수 조건이 일부 변경되어 재의결하였습니다.

(2) 이사회에서의 사외이사의 주요활동내역

연도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참석인원

찬성
여부
비고

2017

1

2017. 01. 17

1) 명의개서 대리인 선임의 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1(1)

찬성

2

2017. 02. 14

1) 제 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 2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1(1)

찬성

3

2017. 03. 13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4

2017. 05. 10

1) 회사 필수규정 제정의 건
2)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5

2017. 08. 28

1) 정관일부 변경의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건
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6

2017. 08. 31

1) 신주식발행의 건

1(1)

찬성

7

2017. 12. 12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 이사회 운영규정 개정의 건
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8

2017. 12. 27

1) 해외법인 인수의 건
2) 대표이사 겸직 승인의 건

1(1)

찬성

2018

1

2018. 02. 14

1) 제 3기 제무재표 승인의 건
2) 제 3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1(1)

찬성

2

2018. 03. 14

1) 해외법인 인수의 건
2)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3

2018. 03. 30

1)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1(1)

찬성

4

2018. 05. 04

1)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 상장추진의 건
2)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5 2018.06.26 1) 주식매수선택권부여 취소의 건

1(1)

찬성
6 2018.11.08 1) 코스닥상장을 위한 신주 발행의 건
2) 코스닥시장 상장규정에 따른 신주 발행의 건

1(1)

찬성

7 2018.12.26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1(1)

찬성
8 2018.12.28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1(1)

찬성
2019 1 2019.01.24

1) 유형자산 취득의 건

1(-)

불참


2 2019.02.14

1) 제4기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4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2(2)

찬성


3 2019.03.11

1) 안건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2) 주식매수선택건 부여 취소의 건

2(2)

찬성


4 2019.04.24

1) 공동개발 협약 체결 승인의 건

2(2)

찬성


5 2019.05.30 1) 관계회사 특허출원 동의의 건
2) 공동연구개발 협약 추가사항 승인의 건
2(2) 찬성
6 2019.06.07 1) "해외법인(자회사)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의 건" 승인 취소의 건
2) 공동연구개발 협약 추가사항 변경 승인의 건
2(-) 불참
7 2019.06.14 1) 공동연구개발 협약 종료의 건
2) 자회사 대표이사 사임의 건
3) 자회사 대표이사 선임의 건
2(-) 불참
8 2019.07.15 1) 본사담보대출 기간 연장의 건 2(1) 찬성
9 2019.11.13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1) 찬성
10 2019.11.13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2) 찬성
11 2019. 12. 06 1) 자금 차입의 건
2) 자회사 출자의 건
2(2) 찬성
2020 1 2020. 02. 14 1)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5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1) 찬성
2 2020. 03. 12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2(1) 찬성
3 2020. 03. 16 1) 전자투표 도입의 건 2(1) 찬성
4 2020. 03. 26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2(1) 찬성
5 2020. 03. 27 1) 공동대표이사 선임의 건 2(1) 찬성
6 2020. 04. 24 1)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신규 발행의 건 2(1) 찬성
7 2020. 07. 03 1) 준비금 자본전입(무상증자)의 건 2(2) 찬성
8 2020. 08. 18 1) 신규 법인 설립의 건
2) 합작투자계약 체결의 건
3) 임원의 겸직 승인의 건
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2) 찬성
9 2020. 10. 22 1) 유상증자(제3자 배정) 결정의 건 2(1) 찬성
10 2020. 12. 30 1) 신규 법인 설립의 건
2) 임원의 겸직 승인의 건
3) 공동연구 협약 체결의 건
4) 공동업무 협약 체결의 건
5) 합자계약 취소에 따른 지분양수의 건
6) 본사이전의 건
2(1) 찬성
11 2021.02.16 1)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6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1) 찬성
12 2021.03.31 1) 공동대표이사 선임의 건
2) 신규법인 설립의 건
3) 임원의 겸직 승인의 건
4)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2(1) 찬성


다. 이사회 내의 위원회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이사회 내의 위원회를 구성하고 있지 않습니다.

라. 이사의 독립성

당사의 이사회는 이사회규정에 따라 법령 또는 정관에 정하여진 사항, 주주총회로부터 위임 받은 사항, 회사 경영의 기본방침 및 업무집행에 관한 중요사항을 의결합니다. 이사회는 이사 전원으로 구성하고, 이사회 의장은 이사회 결의로서 선임하며,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당사는 대표이사가 맡습니다.

당사는 회사 경영의 중요한 의사 결정과 업무 집행을 이사회의 심의 및 결정을 통하여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대주주 등의 독단적인 경영과 이로 인한 소액주주의 이익 침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이사회운영규정을 제정하여 성실히 준수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이사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직명 성명 추천인 활동분야 최대주주 또는
주요주주와의 관계
사내이사
(대표이사)
권병세 이사회 경영총괄 최대주주
사내이사
(대표이사)
최수영 이사회 경영총괄 없음
기타비상무이사 He bin 이사회 기타비상무이사 2대 주주(중국 화해제약) 임원
기타비상무이사 한명희 이사회 기타비상무이사 최대주주 배우자
사외이사 박장우 이사회 사외이사 없음
사외이사 임종영 이사회 사외이사 없음


마. 사외이사의 전문성

당사 내 지원조직은 사외이사가 이사회에서 전문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하도록 보조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사외이사는 산업 분야 전문가로서 이사로서 직무 수행에 있어 전문성을 갖추고 있습니다. 또한 이사회 전에 해당 안건 내용을 충분히 검토할 수 있도록 사전에 자료를 제공하고 기타 사내 주요 현안에 대해서도 수시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사외이사 및 그 변동현황


(단위 : 명)
이사의 수 사외이사 수 사외이사 변동현황
선임 해임 중도퇴임
6 2 1 - 1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내역

사외이사 교육 실시여부 사외이사 교육 미실시 사유
미실시 박장우, 임종영 사외이사는 오랜기간 해당분야에 종사한 전문가로 충분한 자격 요건으로 교육을 미실시 하였습니다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가. 감사위원회의 설치여부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감사위원회를 별도로 설치하고 있지 아니하며, 정관에 의거 주주총회 결의에 따라 선임된 감사 1명이 감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나. 감사의 인적사항

성명 주요 경력 결격요건 여부 비고
이국희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지구환경과학/수의학과
-삼성그룹 제일제당 관리과장('77~'83)
-경향신문 기획관리 부장('83~91)
-문화일보 기획조정실장('91~'98)
-국민일보 스포츠투데이 전무이사
넥스트미디어 신문 대표이사('98~'01)
-(주)시그엔 부회장 겸 CFO('01~'04)
-(주)애드클릭 네트웍스 부회장('04~'10)
-(주)유틸렉스 감사('16.12~현재)
해당사항 없음 비상근


다. 감사의 독립성

감사는 이사회에 참석하여 독립적으로 이사의 업무를 감독할 수 있으며, 제반 업무와관련하여 관련 장부 및 관계 서류를 해당부서에 제출을 요구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필요 시 회사로부터 영업에 관한 사항을 보고 받을 수 있으며, 적절한 방법으로 경영정보에 접근할 수 있습니다.

라. 감사의 주요 활동 내용*

연도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비고

2017

2

2017. 02. 14

1) 제 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 2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3

2017. 03. 13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7

2017. 12. 12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2) 이사회 운영규정 개정의 건
3)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2018

1

2018. 02. 14

1) 제 3기 제무재표 승인의 건
2) 제 3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2

2018. 03. 14

1) 해외법인 인수의 건
2)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주1)

3 2018. 12. 28 1)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2019 1

2019. 01. 24

1) 유형자산 취득의 건

가결


2

2019. 02. 14

1) 제4기 연결 및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4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3

2019. 03. 11

1) 안건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2) 주식매수선택건 부여 취소의 건

가결


4

2019. 04. 24

1) 공동개발 협약 체결 승인의 건

가결


5 2019.05.30 관계회사 특허출원 동의의 건
공동연구개발 협약 추가사항 승인의 건
가결
6 2019.06.07 "해외법인(자회사) 제 3자 배정 유상증자의 건" 승인 취소의 건
공동연구개발 협약 추가사항 변경 승인의 건
가결
7 2019.06.14 공동연구개발 협약 종료의 건
유틸로직스 대표이사 사임의 건
유틸로직스 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8 2019.07.05. 1) 본사담보대출 기간 연장의 건 가결
9 2019.07.15.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10 2019.11.13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11 2019. 12. 06 1) 자금 차입의 건
2) 자회사 출자의 건
가결
2020 1 2020. 02. 14 1) 제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2) 제5기 영업보고서 승인의 건
3)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취소의 건
가결
2 2020. 03. 12 1)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가결
3 2020. 03. 26 1)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가결
4 2020. 03. 27 1) 공동대표이사 선임의 건 가결
5 2020. 04. 24 1)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신규 발행의 건 가결

주1) 제 1호의안인 해외법인 인수건은 2017년 8차 이사회에서 의결한 내용에서 인수 조건이 일부 변경되어 재의결하였습니다.


감사 교육 미실시 내역

감사 교육 실시여부 감사 교육 미실시 사유
미실시 이국희 감사는 오랜기간 해당분야에 종사한 전문가로 충분한 자격 요건으로 교육을 미실시 하였습니다.



당사는 감사위원회(감사) 지원조직 현황에 해당사항 없습니다.


당사는 감사위원회(감사) 지원조직 현황에 해당사항 없습니다.



3. 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투표제도

당사는 2021년 3월 30일에 개최한 제6기 정기주주총회에 전자투표제를 시행하였습니다.
당사는 주주총회 소집공고 시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다는 내용을 공고하고 있으며, 매결산기 최종일에 의결권 있는 주식을 소유한 주주는 주주총회에 직접 참석하지 아니 하고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제공하는 전자투표시스템을 통하여 주주총회 10일 전부터 주주총회일 전날까지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한편,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집중투표제 및 서면투표제를 채택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소수주주권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소수주주권이 행사된 경우가 없습니다.

다. 경영권 경쟁

당사는 공시대상기간 중 회사의 경영지배권에 관하여 경쟁이 있었던 경우가 없습니다.

VII. 주주에 관한 사항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권병세 본인 보통주 2,827,984 18.01 2,827,984 17.90 -
한명희 보통주 1,287,968 8.20 1,287,968 8.15 -
권형중 아들 보통주 503,984 3.21 503,984 3.19 -
권유중 아들 보통주 503,984 3.21 503,984 3.19 -
권명중 아들 보통주 503,984 3.21 503,984 3.19 -
보통주 5,627,904 35.85 5,627,904 35.62 -
- - - - - -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및 개요



가. 최대주주의 주요경력


성명
(생년월일)
직책 주요경력 비고
권병세
(1947.12.17)
대표
이사
[주요경력]
-(현)2015.10~현재 ㈜유틸렉스 대표이사
-2009.06~현재 Tulan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교수
-2013.12~2015.10 국립암센터 국제암대학원대학교 석좌교수
-2011.01~2013.12 국립암센터 면역세포치료사업단 단장
-2008.03~2010.12 국립암센터 신치료기술개발사업단 단장
-1999.05~2009.06 Louisiana Stat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교수
-1999.05~2008.02 울산대학교 면역제어연구센터 연구소장
-1998.10~2008.02 울산대학교 화학생명과학부 교수
-1993~1999.05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종신교수
-1988.07~1993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부교수
-1984.12~1988.06 Guthrie Research Institute 분자유전학부 부장
-1981.09~1984.11 Yale University 인간유전학 박사 후 연구원
-1978~1981.6 Georgia Regents University 면역학 이학박사
-1972.3~1974.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석사
-1968.3~1972.2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학사

[주요실적]
재직 중
-2017 LMO안전관리 우수시설 우수상(한국생명공학연구원)
-2015~2017. 항암 항체 신약, 항 AITR항체(범부처 과제)
-2013~2018. 항암 T 세포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국제공동과제/산업통상자원부)

재직 전
-2012. 보건산업기술진흥 유공자 대통령상(보건복지부)
-2010. Award for promotion of Cancer Research (Japan Foundation for promotion of Cancer research)
-2010. 국가 R&D 우수성과 100선 중 10선 선정(교육과학기술부)
-2008~2015.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 및 임상시험(보건복지부)
-2006~2015. 4-1BB에 의한 자가면역 CD4+ T세포 억제 기작(한국연구재단)
-Innovative Research Award (American Arthritis Foundation)
-2006. 올해의 교수상(울산대학교)
-2005. 국가 석학 선정(Star Faculty)
-2005~2010. 면역질환 항체치료제 개발(보건산업진흥원)
-1999~2008. 면역조절에 의한 난치성 질환 치료법(한국연구재단)
-1997 Indiana Univ. 재직시 4-1BB 관련 기술 Bristol-Myers Squibb Co.로 기술이전

[논문 및 특허]
논문 292편(인용횟수 10,411회/공저포함 총 17,528회)

재직 중
-Immune evasion in cancer: Mechanistic basis and therapeutic strategies. Semin Cancer Biol. 35 Suppl: S185-98, 2015.
-Therapeutic potential of anti-CD137 (4-1BB) monoclonal antibodies. Expert Opin Ther Targets.20(3):361-73, 2016
-Phase I Clinical Trial of 4-1BB-based Adoptive T-Cell Therapy for Epstein-Barr Virus (EBV)-positive Tumors. J Immunother. 39(3):140-8, 2016. 외 총 21편

재직 전
- 4-1BB-based isolation and expansion of CD8+ T cells specific for self-tumor and non-self-tumor antigens for adoptive T-cell therapy. J Immunother 37(4):225-36, 2014
- Immunotherapy of Cancer with 4-1BB. Mol Cancer Ther 11:1062-1070, 2012
- 4-1BB-mediated immunotherapy of rheumatoid arthritis. Nature Med 10:1088-1094, 2004
-cDNA sequences of two inducible T cell genes. Proc Natl Acad Sci USA 86:1963-1967, 1989 외 총 271편

특허 출원 (총 109건)
재직 중
-2018. Anti-human 4-1BB antibodies and uses thereof (PCT, 미국 출원)
-2018. IFN-GAMMA-inducible regulatory T cell convertible anti-cancer(irtica) antibody and use thereof (PCT, 미국 출원)
-2018. HLA-DR CAR-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PCT, 미국 출원) 외
재직중 출원 27, 등록 11

재직 전
-2014. 자가암항원특이적 CD8+T세포의분리 및 증식방법(등록)
-2012. 신규한 Th1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등록)
-2012. 신규한 Th2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등록)
-2012. 신규한 Th17 세포 전환용 에피토프 및 이의 용도(등록) 외 출원 및 등록 82건


나. 최대주주의 변동을 초래할 수 있는 특정 거래 유무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최대주주 변동현황

당사는 2015년 설립 이후 최대주주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3. 주식사무

당사 정관상의 신주인수권의 내용과 결산일, 정기주주총회의 시기, 주주명부 폐쇄시기, 주권의 종류, 명의개서대리인의 명칭과 전화번호, 주주의 특전, 공고방법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정관상
신주인수권의내용

제10조(신주인수권)

① 주주는 그가 소유한 주식의 수에 비례하여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② 회사는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 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1.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5조의6에 따라 일반공모증자 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상법 제542조의3에 따른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발행하는 주식총수의 100분의 20 범위 내에서 우리사주조합원에게 주식을 우선배정하는 경우

4. 근로복지기본법 제39조의 규정에 의한 우리사주매수선택권의 행사로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5.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투자자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0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사업상 중요한 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 위하여 그 상대방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주권을 코스닥시장에 상장하기 위하여 신주를 모집하거나 인수인에게 인수하게 하는 경우

③ 제2항 각 호 중 어느 하나의 규정에 의해 신주를 발행할 경우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및 발행가격 등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④ 신주인수권의 포기 또는 상실에 따른 주식과 신주배정에서 발생한 단주에 대한 처리방법은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결산일 12월 31일 정기주주총회 매사업년도 종료후 3월 이내에
주주명부
폐쇄기간
매년 1월 1일 부터 1월 15일 까지
주권의 종류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및10,000주권의 8종류
명의개서대리인
(한국예탁결제원)

제12조(명의개서대리인)

① 회사는 주식의 명의개서대리인을 둔다.

② 명의개서대리인 및 그 영업소와 대행업무의 범위는 이사회의 결의로 정한다.

③ 회사는 주주명부 또는 그 복본을 명의개서대리인의 사무취급장소에 비치하고, 주식의 명의개서, 질권의 등록 또는 말소, 신탁재산의 표시 또는 말소, 주권의 발행, 신고의 접수, 기타 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케 한다.

④ 제3항의 사무취급에 관한 절차는 명의개서대리인의 증권명의개서대행 업무규정에 따른다.

공고방법

제4조 (공고방법)

회사의 공고는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www.eutilex.com)에 한다. 다만, 전산장애 또는 그 밖의 부득이한 사유로 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에 공고를 할 수 없는 때에는 서울특별시에서 발행되는 경향신문에 한다.


4. 주가 및 주식거래 실적

2020년 작성기준일부터 최근 6개월간의 주가와 거래실적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주)
종류 2020년 12월
주가 최고가 55,800
최저가 29,950
평균주가 38,643
일별
거래량
최고거래량 1,803,691
최저거래량 1,952,441
월간거래량 258,727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분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비고
5% 이상 주주 권병세 2,827,984 17.90 -
Zhejiang Huahai Pharmaceutical Co.,LTD. 2,439,716 15.26 -
한명희 1,287,968 8.15 -
우리사주조합 51,084 0.35% -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주 소유주식 비 고
소액
주주수
전체
주주수
비율
(%)
소액
주식수
총발행
주식수
비율
(%)
소액주주 14,582 14,590 99.94 7,389,968 15,798,116 46.77 -




VIII.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 등의 현황


임원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주)
성명 성별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
여부
담당
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최대주주와의
관계
재직기간 임기
만료일
의결권
있는 주식
의결권
없는 주식
권병세 1947년 12월 대표이사 등기임원 상근 회사총괄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졸업('72)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미생물학 석사('74.02)

-Georgia Regents Univ. 면역학 박사('81.6)

-Yale University 인간유전학 PostDr.('84.11)

-Indiana Univ. School of Medicine 종신교수('88~'00)

-울산대학교 화학생명과학부 교수('98.10~'08.02)

-Tulane Univ. School of Medicine 교수('09.6~현재)

-(주)유틸렉스 사내이사('15.02~현재)

-現(주)유틸렉스 대표이사('15.10~현재)

2,827,984 - 본인 2015. 02 ~ 2021년 03월 30일
최수영 1961년 01월 대표이사 등기임원 상근 회사총괄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학사('83.02)
-서울대학교 약학대학 석사('87.02)
-Kyoto University, 화학연구소 박사(92.02)

-종근당 글로벌 사업본부 본부장 (`16.11)
-휴온스 사업개발 본부장(부사장) (`19.06)
-(주)유틸렉스 사장 (`19.10 ~ 20.02)
- 現(주)유틸렉스 대표이사 (20.03 ~ 현재)

- - - 2019. 10 ~ 2023년 03월 27일
제훈성 1964년 10월 부사장 미등기임원 상근 연구소장 - 서울대학교 공업화학 학사/석사 (`87.02/`89.02)
- Stanford University 화학공학 석사 (`98.02)
- University of California 화학공학 박사 (`02.02)
- LG 생명과학 바이오 1연구소장 (연구위원) (`12.01)
 LG 생명과학 기술연구원 백신연구소장 (상무) (`16.01)
- LG 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 백신센터장 (상무) (`20.03)
-  現(주)유틸렉스 연구소장 (`20.06 ~ 현재)
- - - 2020. 06 ~ -
한정훈 1967년 09월 부사장 미등기임원 상근 글로벌
사업실장

-고려대학교 유전공학과 B.S.('92.08)

-미국 뉴저지 주립대 의대 암연구 Ph.D.('98.09)

-하버드대 의대, 다나파버암연구센터 암연구원('98.10~'00.12)

-일라이릴리 한국 항암사업 마케팅부('01.03~'02.07)

-아스트라제네카 한국 항암사업 마케팅부 ('02.07~'05.08)

-비엠에스 아시아태평양 항암사업 마케팅부 총괄('05.08~'10.03)

-베링거인겔하임 아시아태평양 항암사업

 메디칼부 총괄('10.06~'11.02)

-UMT CRO 아시아 부사장('11.03~'13.10)

-먼디파마 아시아태평양, 남미, 중동 항암사업

 메디칼부 총괄('13.11~'15.01)

-테바 아시아태평양 아시아태평양 메디칼부 총괄('15.02~'15.05)

-암젠 아시아태평양 항암사업 메디칼부총괄('16.01~'18.03)

- (주)유틸렉스 연구소장(부사장)('18.03~20.05)
- 現(주)유틸렉스 글로벌사업실잘 (`20.05 ~ 현재)

- - - 2년 3개월 -
최소희 1967년 10월 부사장 미등기임원 상근 특허전략
실장

-서울대학교 화학 B.S.('90)

-위스콘신 매디슨 대학 생화학 Ph.D.('97)

-미네소타대학교 로스쿨 J.D.('03)

-삼성전자 삼성종합기술원(종기원) 수석 변호사('10.06~'13.02)

-K&L Gates 법무 자문위원('13.05~'14.01)

-특허법인 광장리앤고 지적재산권그룹 파트너('14.11~'15.07)

-툴젠 법무자문위원 ('15.11~'16.08)

-지플러스생명과학 부사장/최고법률고문('16.09~'17.03)

-메디키네틱스(주) 부사장('17.03~'17.10)

-現(주)유틸렉스 특허전략실장(부사장)('17.11~현재)

8,916 - - 2년 7개월 -
김영호 1976년 11월 전무 미등기임원 상근 신약개발
실장

-울산대 분자미생물학 학사('95.03~'02.12)

-울산대 면역학, 의생물학 박사('03.03~'07.12)

-면역제어연구센터 연구원('02.09~'08.02)

-국립암센터 세포치료제생산실장('08.03~'16.02)

-現(주)유틸렉스 의약품제조실장/겸)신약연구실장('16.02~현재)

44,309 - - 4년 4개월 -
KWON EDWIN
EUJOONG
1978년 06월 전무 미등기임원 상근 경영기획
실장
-브루클린 법과대학 법학 박사('11.06)
-뉴욕시수석검사('12.01~'16.01)
-글로벌 미국 로펌 변호사('16.02~'19.07)
-하버드 경영 대학원('18.11~'19.04)
- 現(주)유틸렉스 경영기획실장 (19.10 ~ 현재)
503,984 - - 9개월 -
박장우 1949년 03월 사외이사 등기임원 비상근 사외이사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졸업(~'70.02)

-부산/서울남부, 중앙, 고등 등 판사 근무('74.09~'89.08)

-춘천지방법원 부장판사('89.09~'91.02)

-사법연수원 교수('91.02~'93.08)

-서울중앙지방법원 부장판사('93.09~'96.03)

-법무법인 미래 대표변호사('96.03~)

-現(주)유틸렉스 사외이사('18.03~현재)

- - - 2년 3개월 2023년 03월 27일
한명희 1948년 02월 기타비상무
이사
등기임원 비상근 기타비상무
이사
-'04 인디애나 주립대 의대 시니어 연구원
-'08 이뮤노믹스 대표이사
-'10 유셀바이오 대표이사
-'15 유틸렉스 대표이사
1,287,968 - 배우자 1년 8개월 2022년 03월 13일
임종영 1964년 05월 사외이사 등기임원 상근 고문

-서울대 경영학 학사

-한양증권 IB본부장

-하이투자증권 기업금 융본부장
-메리츠증권 기업금융 본부장

- - - 2021.3.31~ 2024년 03월 31일
허빈 1976년 10월 기타비상무
이사
등기임원 비상근 기타비상무
이사

-Jilin Univ. 국제경제학 학사('95~'99)

-Shanghai Univ. 재무학 석사('99~'02)

-절강 화해제약 이사('04.01~'12)

-절강 화해제약 부회장('13~현재)

-(주)유틸렉스 사외이사('18.02~현재)

- - - 2년 4개월 2021년 02월 05일
이국희 1948년 09월 감사 등기임원 비상근 감사

-서울대학교 경영학과/지구환경과학/수의학과

-삼성그룹 제일제당 관리과장('77~'83)

-경향신문 기획관리 부장('83~91)

-문화일보 기획조정실장('91~'98)

-국민일보 스포츠투데이 전무이사

-넥스트미디어 신문 대표이사('98~'01)

-(주)시그엔 부회장 겸 CFO('01~'04)

-(주)애드클릭 네트웍스 부회장('04~'10)

-(주)유틸렉스 감사('16.12~현재)

- - - 3년 6개월 2021년 06월 15일



직원 등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천원)
직원 소속 외
근로자
비고
사업부문 성별 직 원 수 평 균
근속연수
연간급여
총 액
1인평균
급여액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기간제
근로자
합 계
전체 (단시간
근로자)
전체 (단시간
근로자)
사무 14 - - - 14 2.08 740,094 52,864 - - - -
사무 10 - 1 - 11 2.10 524,636 47,694 -
연구 18 - - - 18 2.50 924,739 51,374 -
연구 33 - 1 - 34 2.18 1,050,634 30,901 -
생산 14 - - - 14 2.17 541,294 38,664 -
생산 19 - - - 19 2.35      480,636    25,297 -
합 계 108 0 2 0 110 2.24    4,262,033    38,746 -


미등기임원 보수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연간급여 총액 1인평균 급여액 비고
미등기임원

6

1,016,805

169,467

-



2. 임원의 보수 등

<이사ㆍ감사 전체의 보수현황>

1. 주주총회 승인금액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주총회 승인금액 비고
이사 6 1,500,000 -
감사 1 100,000 -


2. 보수지급금액

2-1. 이사ㆍ감사 전체


(단위 : 천원)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6

               808,625

                134,771

-


2-2. 유형별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보수총액 1인당
평균보수액
비고
등기이사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3

   770,000

   256,667

-

사외이사
(감사위원회 위원 제외)

2

     26,225

     13,113

-

감사위원회 위원

0

0

0

-

감사

1

      12,400

     12,400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및 행사현황>

<표1>


(단위 : 천원)
구 분 인원수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비고
등기이사 1 565,446 -
사외이사 -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 - -
1 565,446 -


<표2>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주)
부여
받은자
관 계 부여일 부여방법 주식의
종류
최초
부여
수량
당기변동수량 총변동수량 기말
미행사수량
행사기간 행사
가격
행사 취소 행사 취소
김영호 미등기임원 2016.05.25 신주교부,자기주식교부,
차액보상 중 택 1
보통주 62,256 - - 31,128 - 31,128 상장일(매매개시일)로부터
1년 이후 ~ 6년까지
5,312
김영호 미등기임원 2017.06.09 신주교부 보통주 21,178 10,589 - 10,589 - 10,589 '20.06.10 ~ '24.06.09 7,012
김영호 미등기임원 2018.06.15 신주교부 보통주 36,566 - - - - 36,566 '21.06.15 ~ '25.06.14 15,750
최소희 미등기임원 2018.03.30 신주교부 보통주 28,240 14,120 - 14,120 - 14,120 '20.03.30 ~ '25.03.29 15,750
최소희 미등기임원 2018.06.15 신주교부 보통주 31,760 15,580 - 15,880 - 15,880 '20.06.15 ~ '25.06.14 15,750
한정훈 등기임원 2018.03.30 신주교부 보통주 80,000 14,000 - 14,000 - 66,000 '20.03.30 ~ '25.03.29 15,750
한정훈 등기임원 2018.06.15 신주교부 보통주 50,000 - - - - 50,000 '20.06.15 ~ '25.06.14 15,750
최수영 등기임원 2020.03.26 신주교부 보통주 60,000 - - - - 60,000 22.03.25 ~ '27.03.24 28,300




IX. 계열회사 등에 관한 사항


1. 계열회사의 현황

가. 계열회사의 현황

(기준일 : 2021년 3월 31일)
구분 대표이사 주주구성
(주)유틸렉스
Eutilogics, Inc. 권병세 100%
(주)판틸로고스 권유중 100%
(주)렉소티 최수영, 유수현 100%
(주)유틸론 최수영 100%


나. 당사 등기임원의 타회사 겸직현황

(기준일 : 2021년 3월 31일)
겸직자 겸직회사
성명 직위 회사명 직위
권병세 공동대표이사 Eutilogics, Inc. 대표이사
최수영 공동대표이사 (주)렉소티 공동대표이사
최수영 공동대표이사 (주)유틸론 대표이사
권유중 전무이사 (주)판틸로고스 대표이사


타법인출자 현황

(기준일 : 2021년 03월 31일 ) (단위 : 천원, 주, %)
법인명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취득(처분) 평가
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총자산 당기
순손익
수량 금액
Eutilogics, Inc. 2018년 04월 06일 사업관련 31,974 3,150,880 100 2,133,106 - - - 3,150,880 100 2,133,106 1,826,327 -102,846
(주)판틸로고스 2020년 08월 2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8,933 -25
(주)유틸론 2020년 12월 3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9,022 -5
(주)렉소티 2020년 12월 30일 사업관련 100,000 200,000 100 100,000 - - - 200,000 100 100,000 99,022 -5
합 계 - 100 2,433,106 - - - - 100 2,433,106 2,123,304 -102,881




X.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1. 대주주등에 대한 신용공여 등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등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3.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4. 대주주 이외의 이해관계자와의 거래

가. 매출 거래 내역

(단위 : 천원)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당분기 전분기
절강화해제약 매출 16,652 94,692

주1) 절강화해제약은 당사의 2대주주이며 절강화해제약의 부회장이 당사의 기타비상무이사로 등기되어 있습니다.
주2) 당사는 2017년 9월 절강화해제약과 당사의 파이프라인인 EU101에 대하여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계약금으로 100만USD를 수취하여 36개월간 분할 인식하였습니다.

나. 채권 및 채무 내역

(단위 : 천원)
특수관계자명 거래내역 당분기말 전분기말
절강화해제약 매출채권 - -
선수금 - 157,820
임원 대여금 300,000 350,000

주1) 당사는 2017년 9월 절강화해제약과 당사의 파이프라인인 EU101에 대하여 기술이전계약을 체결하였으며 계약금으로 100만USD를 수취하여 36개월간 분할 인식하고 있으며, 미인식 금액은 선수금으로 계상하여 매월 매출과 상계하고 있습니다. 또한 동계약건으로 매년 15,000USD의 유지보수료를 매출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주2) 당사는 당사 임원의 주거안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주택마련자금을 대여하였습니다.


XI.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공시사항의 진행, 변경상황 및 주주총회 현황

가. 공시사항의 진행, 변경상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개최일자 구분 안건 가결여부
2015.02.23 창립 정관승인의 건
이사 및 감사 선임의 건
대표이사 선임의 건
본점설치장소 결정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5.06.18 임시 신주발행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5.06.19 임시 준비금의 자본전입으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5.06.26 임시 신주발행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5.07.27 임시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5.10.05 임시 임원 주택자금 대출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6.01.22 임시 이사 선임의 건
정관 변경의 건
이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6.03.31 정기 제1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6.05.25 임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6.12.29 임시 준비금의 자본전임으로 인한 신주발행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 선임의 건
정관 변경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7.03.29 정기 제2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제정의 건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부결(재심의하기로 함)
2017.06.09 임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7.10.12 임시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8.02.05 임시 이사 선임의 건 원안대로 가결
2018.03.30 정기 제3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8.06.15 임시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이사 보선의 건
감사 선임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9.02.14

임시

이사선임의 건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 확정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19.03.31.

정기

제4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20.3.27 정기 제5기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결손금처리계산서 승인의 건
정관변경 승인의 건
이사선임의 건
사내이사 : 최수영
사외이사 : 박장우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감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021.03.30 정기 제6기 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승인의 건
정관변경의 건
이사선임의 건
사내이사 : 권병세
사외이사 : 임종영
기타비상무이사: 허빈
상근감사 이국희 선임의 건
이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감사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원안대로 가결


2. 우발채무 등

가. 중요한 소송사건 등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 수표 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다. 채무보증 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그 밖의 우발채무 등

(1)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회사의 신용한도약정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금융기관 약정내역 당분기말 전기말
신한은행 일반대출 9,100,000 9,100,000

주) 상기 약정과 관련하여 토지 및 건물(설정금액: 10,920백만원)과 화재보험 부보금액(설정금액: 5,902백만원)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으며, 대표이사가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바.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당사는 우발채무 사항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3. 제재현황 등 그 밖의 상황

가. 제재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나. 중소기업 기준검토표

중소기업기본법에 의거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당사는 중소기업에 해당됩니다.

이미지: (유틸렉스)중소기업확인서_2020-1

(유틸렉스)중소기업확인서_2020-1

다. 직접금융 자금의 사용

(1) 공모자금의 사용 내역

당사는 분기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사모자금의 사용 내역

(기준일 : 2020년 12월 31일) (단위 : 백만원)
구분 납입일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내역 차이발생
사유 등
사용용도 조달금액 내용 금액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5.06.18 운영자금 213 운영자금 213 -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5.07.01 운영자금
시설투자
9,550 운영자금
시설투자
9,550 -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6.08.25 운영자금
시설투자
9,396 운영자금
시설투자
9,396 -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6.09.22 운영자금 11,597 운영자금 11,597 -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7.11.09 운영자금 33,296 운영자금 33,296 -
제3자배정
유상증자
2018.12.18 운영자금 37,350 운영자금 37,350 -


라.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마. 법적위험 변동사항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바. 금융회사의 예금자 보호 등에 관한 사항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사. 기업인수목적회사의 요건 충족 여부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아. 기업인수목적회사의 금융투자업의 역할 및 의부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자. 합병등의 사후정보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차. 녹색경영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카. 정부의 인증 및 그 취소에 관한 사항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타. 조건부자본증권의 전환, 채무재조정 사유 등의 변동현황


당사는 분기보고서 제출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파. 보호예수 현황

당사는 최대주주인 권병세 및 특수관계인이 보유하는 주식수에 대하여 코스닥시장상장규정 제21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의무보호예수 1년과 자발적보호예수 2년을 진행하여 최대주주의 책임경영 및 투자자에 대한 신뢰를 제고하였습니다.

(기준일 : 2020년 12월 31일) (단위 : 주)
구분 주주명

주식의 종류

예수주식수

예수일

보호예수
기간

보호예수
사유

총발행주식수

최대주주 등

권병세

보통주

2,779,984

2018.08.01

상장 후
3년

코스닥시장 상장규정 제21조 제1항 제1호

2,827,984
한명희 보통주 1,287,968 1,287,968
권형중 보통주 503,984 503,984
권유중 보통주 503,984 503,984
권명중 보통주 503,984 503,984

주1) 당사 대표이사는 2019년 7,9,10월 48,000주를 장내 매수하여 현재 1,413,992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본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본보고서 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