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1년 08월 25일 | ||
회 사 명 : | 주식회사 미래엔에듀파트너 | |
대 표 이 사 : | 최용섭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용산구 한남대로11길 12, 6층 (한남동, 고뫄스빌딩) | |
(전 화) 02-6337-5500 | ||
(홈페이지)http://www.edupartner.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경영기획실장 | (성 명) 윤경일 |
(전 화) 02-6337-5443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임시주주총회)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18조에 의하여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신문공고 또는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 공고 시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제20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당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1년 09월 09일 (목)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대로11길 12, 6층 (한남동, 고뫄스빌딩) 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1-1호 의안 : 사내이사 윤경일 선임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 (주주와 대리인 인적사항 기재, 위임인의 인감
날인), 주주 인감증명서, 대리인 신분증
7. 기타사항
- 임시주주총회에서 의결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주주님께서 임시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최근 코로나19에 따른 국가적인 비상상황이 지속되고 있어 주주님 건강상 안위를 위하여 의결권 위임제도를 활용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주주총회 입장 시 발열검사가 시행되며, 의심증상이 있으신 주주님은 입장이 제한될 수 있음을 사전 안내드립니다.
2021년 08월 25일
주식회사 미래엔에듀파트너
대표이사 최용섭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A (출석률: %) |
B (출석률: %) |
C (출석률: %) |
D (출석률: %) |
|||
찬 반 여 부 | ||||||
- |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매출 | (주)미래엔 (최대주주 본인) |
2020.12.01~ 현재 |
1.05 | 2.41 |
매출 | (주)미래엔 (최대주주 본인) |
2020.12.23~ 현재 |
0.9 | 2.07 |
매출 | (주)미래엔 (최대주주 본인) |
2020.09.01~ 2020.11.30 |
0.46 | 1.06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주)미래엔 (최대주주 본인) |
매출 | 2020.09~현재 | 2.44 | 5.60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시장형성 배경 (정책/법률적 배경)
“방과후 학교”란 학교에서 방과후에 시행되는 교육활동의 총칭이며「초·중등교육법」제23조에 근거하여 교육과정 외에 학생의 특기·적성 신장, 보충·심화 학습, 신체·정서 돌봄 등이 이루어지는 교육활동을 말합니다. 국내 교육시장 내 방과후 교육사업은 1996년 「초·중등교육법」에서 “방과후학교”라는 개념의 교육 활동을 규정하고 특히 1996년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정보화 조기 구축을 위한 컴퓨터 교육 민간참여 시책 시행을 계기로 시장의 형성이 가속화 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특히 2007년 참여 정부가 발표한 「방과후학교 활성화 방안, 2007.07.23. 교육문화비서관실」지침은 각급 학교별 운영 전문성 및 과목의 다양성, 그리고 강사 육성을 촉진 하는 계기가 되었으며 2008년 교육과학기술부가 발표한「학교자율화 추진 계획, 2008.04.15」은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권을 각급 학교에 자유롭게 부여함으로써 민간 교육 프로그램의 활발한 참여가 가능하게 된 계기로 작용 하였습니다. 사교육 경감 정책의 기조와 부합하는 일련의 방과후 학교 활성화 정책 시행을 통해 방과후 학교 학생 참여율은 해마다 꾸준히 증가 하고 있습니다.
(2) 방과후 학교 운영 현황
정부 및 교육청의 꾸준한 활성화 과정을 통해 초·중등 각급 학교의 방과후학교 운영 비율은 100%에 가까운 비율을 보이고 있으며 학생수 비율역시 48.6% 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2019년 4월을 기준으로 초등학생의 경우 57.1%, 중학생 28.5%, 수능 대비 방과후 특강이 형성 되어 있는 고등학교의 경우 50.5%의 높은 참여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방과후학교 운영학교 및 참여학생 현황
구 분 |
초 |
중 |
고 |
계 |
과년도현황 |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
운영학교수(교) |
6,247 |
3,118 |
2,323 |
11,688 |
11,746 |
11,791 |
11,775 |
11,740 |
11,686 |
비율(%) |
99.8 |
96.2 |
98.5 |
98.6 |
99.2 |
99.6 |
99.7 |
99.9 |
99.9 |
참여학생수(천명) |
1,567 |
370 |
711 |
2,648 |
2,934 |
3,371 |
3,648 |
4,070 |
4,469 |
비율(%) |
57.1 |
28.5 |
50.5 |
48.6 |
52.6 |
58.9 |
62.1 |
66.9 |
71.2 |
*교육부 조사 자료(2019년 4월)
교육부는 방과후 학교 운영의 목표를 학교 교육 기능 보완 및 확대로 보고 사교육비 경감 및 돌봄기능 확대 등을 주요 운영 목적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교과 및 예체능 등 관련 사교육의 수요를 학교로 흡수하여 점진적인 공교육의 순기능을 꾀하고자 하는 것이 교육부의 운영 방향인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학급별 방과후 교실 프로그램별 운영 수치는 사교육 소비 형태와 유사한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예체능 중심으로 방과후 교육 활동이 집중되는 초등부에서는 교과 운영 비율이 22.5%의 수치를 보이고 있으며 입시 대비 교육 수요가 커지는 중등의 경우 46.0% 고등부의 경우 84.5%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방과후 교실 프로그램별 운영 현황
구 분 |
초 |
중 |
고 |
계 |
과년도현황 |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
교과 |
수(개) 비율(%) |
43,468 |
20,105 |
83,843 |
147,416 |
167,907 |
210,488 |
238,916 |
255,079 |
294,396 |
22.5 |
46.0 |
84.5 |
43.8 |
46.1 |
50.0 |
52.7 |
53.6 |
54.7 |
||
특기 적성 |
수(개) 비율(%) |
150,083 |
23,560 |
15,328 |
188,971 |
196,192 |
210,487 |
214,475 |
220,611 |
243,712 |
77.5 |
54.0 |
15.5 |
56.2 |
53.9 |
50.0 |
47.3 |
46.4 |
45.3 |
||
계 |
수(개) |
193,551 |
43,665 |
99,171 |
336,387 |
364,099 |
420,975 |
453,391 |
475,690 |
538,108 |
*교육부 조사 자료(2019년 4월)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 강좌수는 약 20만 강좌수로 해당 연령대의 교육 수요 특성상 일부 교과에 집중되기 보다는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분산된 운영 형태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국어(6.4%), 수학(10.3%), 과학(8.4%) 및 영어(9.9%) 프로그램에 대한 비중이 높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사교육 영역내에 수요가 큰 과목에 대한 방과후 교육의 대체 효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아래 [표 3]의 내용별 프로그램 운영 현황은 개설 강좌수의 통계 수치이며 강좌별 참여 인원수가 반영되어 있지 않아 시장 내 수강료의 규모와 다를 수 있습니다.
방과후교실 프로그램별 운영 현황
구분 |
교과프로그램 |
특기적성프로그램 |
계 |
||||||||||||
국어 관련 |
수학 관련 |
사회 관련 |
과학 관련 |
영어 관련 |
제2 외국어 |
기타* |
음악 관련 |
미술 관련 |
체육 관련 |
컴퓨터 관련 |
독서논술 관련 |
기타 |
|||
프로그램 수 (개) |
초 |
2,126 |
11,336 |
1,469 |
11,477 |
12,643 |
2,758 |
1,659 |
29,135 |
21,662 |
31,360 |
23,399 |
5,134 |
39,393 |
193,551 |
중 |
2,943 |
5,242 |
2,014 |
2,594 |
5,317 |
1,027 |
968 |
7,000 |
2,210 |
8,887 |
1,390 |
563 |
3,510 |
43,665 |
|
고 |
16,329 |
18,007 |
12,348 |
14,324 |
15,497 |
990 |
6,348 |
2,311 |
1,605 |
4,482 |
1,684 |
945 |
4,301 |
99,171 |
|
계 |
21,398 |
34,585 |
15,831 |
28,395 |
33,457 |
4,775 |
8,975 |
38,446 |
25,477 |
44,729 |
26,473 |
6,642 |
47,204 |
336,387 |
|
비율(%) |
6.4 |
10.3 |
4.7 |
8.4 |
9.9 |
1.4 |
2.7 |
11.4 |
7.6 |
13.3 |
7.9 |
2.0 |
14.0 |
100 |
|
과년도 현황율 (%) |
2018 |
6.9 |
11.1 |
4.9 |
8.6 |
10.4 |
1.4 |
2.6 |
11.1 |
7.3 |
12.8 |
7.2 |
1.9 |
13.5 |
100 |
2017 |
7.6 |
11.9 |
5.2 |
8.6 |
12.9 |
1.4 |
2.5 |
10.6 |
6.4 |
12.3 |
6.1 |
2.0 |
12.6 |
100 |
|
2016 |
8.4 |
12.6 |
6.1 |
8.8 |
13.2 |
1.2 |
2.6 |
10.0 |
6.1 |
11.8 |
5.5 |
2.1 |
12.0 |
100 |
|
2015 |
8.6 |
12.8 |
6.1 |
8.5 |
13.8 |
1.2 |
2.6 |
9.5 |
5.9 |
12.2 |
5.3 |
2.2 |
11.2 |
100 |
|
2014 |
9.4 |
14.1 |
6.5 |
9.0 |
14.6 |
1.2 |
|
8.9 |
5.7 |
12.0 |
5.2 |
2.5 |
11.0 |
100 |
|
2013 |
10.2 |
14.5 |
7.0 |
9.2 |
14.7 |
1.0 |
11.1 |
8.2 |
5.5 |
5.0 |
2.8 |
10.7 |
100 |
*교육부 조사 자료(2019년 4월)
(3) 방과후 학교 운영 형태
2008년 학교자율화 정책에 의해 방과후학교 운영 역시 많은 부분이 학교의 자율적 원칙에 의해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만 각 교육청별 시행 정책에 의해 민간 업체의 위탁 운영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우와 교재 및 강사 파견은 외부 구입 및 파견이 가능하되 학교가 직접 운영해야 하는 형태로 나뉠 수 있습니다. 학교가 직접 운영하는 경우 학교 자체의 방과후학교 소위원회 및 학교 운영위원회를 통해 구체적인 운영방식 및 강사모집 등을 진행합니다. 민간 업체를 통해 위탁 하는 경우 교육부에서 권고하는 방과후 교육 프로그램 위탁 운영절차를 통해 위탁 사업자를 선정하여 진행 하는 형태로 진행됩니다.
![]() |
방과후교육프로그램위탁운영절차 |
위탁 운영의 경우 운영 가이드 라인을 학교가 공고 하고 희망 업체들의 경쟁 입찰 및 학교 운영위원회의 선정을 통해 학교장이 최종 결정하는 방식으로 위탁 운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전문 시설 등의 투자가 수반되는 방과후 컴퓨터 교실 및 원어민 강사 등의 채용 및 관리가 필요하여 학교가 직접 운영하기 어려운 영어교실의 경우가 민간 업체 위탁의 대표적인 형태라 볼 수 있습니다.
![]() |
위탁운영 업무 프로세스 |
학급별 민간 위탁 운영 비중은 초등학교가 32.0%, 중학교 6.8%, 고등학교 1.9%로 초등학교의 민간위탁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초등학교의 민간 위탁 비중이 높은 것은 방과후 컴퓨터 교실 민간 위탁 운영 등 교육부의 기존의 민간 위탁 정책 시행에 따른 기본적인 위탁 운영교 발생 및 영어교실 및 수학교실 등 사교육 대체 효과가 높은 민간 프로그램의 활성화 등에 기인 한 것으로 보입니다. 반면에 중등의 경우 교과목 중심으로 특정 개인 강사를 학교가 직접 섭외하여 입시 대비 특강 및 보충 학습 등을 운영하는 형태가 보편적이기 때문에 민간 업체의 B2G형 전문 프로그램 의 위탁 비율이 낮은 것으로 분석 되고 있습니다.
방과후교실 프로그램별 운영 현황
구분 |
초 |
중 |
고 |
계 |
과년도현황 |
|||||
2018 |
2017 |
2016 |
2015 |
2014 |
||||||
학교수 |
1,999 |
212 |
44 |
2,255 |
2,557 |
2,933 |
3,406 |
2,918 |
3,352 |
|
비율(%) |
32.0 |
6.8 |
1.9 |
19.3 |
21.8 |
24.9 |
28.9 |
24.9 |
28.7 |
|
프로 그램 수 |
영리기관 (%) |
26,438 |
1,094 |
119 |
27,651 |
26,408 |
27,162 |
28,676 |
21,494 |
20,835 |
7.9 |
0.3 |
0.0 |
8.2 |
7.3 |
6.5 |
6.3 |
4.5 |
45.3 |
||
비영리기관 (%) |
14,294 |
815 |
187 |
15,296 |
17,076 |
20,555 |
22,398 |
23,972 |
25,191 |
|
4.2 |
0.2 |
0.1 |
4.5 |
4.7 |
4.9 |
4.9 |
5.0 |
54.7 |
||
소계 (%) |
40,732 |
1,909 |
306 |
42,947 |
43,484 |
47,717 |
51,074 |
45,466 |
46,026 |
|
12.1 |
0.6 |
0.1 |
12.8 |
11.9 |
11.3 |
11.3 |
9.6 |
8.6 |
주1) 비율(%) : 방과후학교 운영학교 중 위탁 프로그램 운영학교 비율
*교육부 조사 자료(2019년 4월)
(4) 방과후학교 시장 특성
입시 대비 교과 보충 수업이라는 명확한 수요자 니즈가 형성돼있는 중/고등학교와 달리 초등학교 방과후 학교는 초등 연령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수강 과목의 다양성을 추구 하고 있으며 그런 특성에 기인하여 자연스레 민간 교육업체 위탁 및 강사 등에 의존하여 운영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부 교재 및 특강 강사 등을 초빙하여 해결하는 중고등 시장의 경우 대형 출판사의 학교 판매 전문 교재 총판(‘교판’)에서 교재를 공급하기 때문에 방과후교육 시장의 범주 보다는 참고서 위주의 출판 시장의 범주로 분류 될 수 있습니다.
초등 시장의 경우 민간위탁 컴퓨터 교실과 같이 보다 본격적이고 다양한 형태의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일부 지역 교육청의 경우 사회적 기업 및 비영리 단체 등에 위탁을 하여 방과후 프로그램의 운영 효율성을 기하는 사례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교재와 교구 그리고 강사 교육 및 파견 등을 서비스로 하는 다수의 프로그램 업체들이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초등 방과후학교 시장의 경우 민간 위탁 계약을 통해 교재/교구 및 수강료 매출까지 발생시키는 경우와 교육 프로그램 고유의 경쟁력으로 학교 직접 판매 및 운영 기관/단체에 공급하는 콘텐츠 판매(Contents Provider) 형태의 시장 역시 활발하게 형성 되어 있습니다.
(5) 방과후학교 전체 시장 규모
교육부에 따르면 2019년 전체 방과후 학교 시장 규모는 9,250억원으로 집계 됩니다. 2019년 4월 기준 초/중/고 전체 참여인원이 약 265만명에 달하는 큰 규모의 수요자가 존재하고 있으나 수강료의 경우 3만원 ~ 5만원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교재비는 월 1만원 내외로 형성되어 있어 사교육 시장 대비 규모가 다소 작은 것이 특징 입니다. 방과후 학교의 운영 기조가 저렴한 수강료를 통한 사교육 수요 흡수이기에 각 지역 교육청에서는 수강료에 대한 규제를 통해 일정 수준 유지 하고 있습니다. 특히 방과후 컴퓨터 교실 및 영어교실 등과 같은 민간 위탁 과정의 경우 최저 수강료 등을 주요 입찰 경쟁 요소로 부각하여 자연스럽게 저렴한 수강료를 유도하고 있으며 기타 특기 적성의 경우 3만원대의 수강료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교육부에서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방과후 학교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선택하여 수강 할 수 있는 자유수강권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2019년의 경우 연간 약 1,582억원의 예산을 지원하였으며 이는 전체 방과후 시장 규모의 16% 비중에 해당되는 규모입니다. 교육부는 자유수강권 부여를 통한 차상위계층 지원예산을 해마다 꾸준히 지원하고있습니다. 이는 참여 학생 증가에 도움을 줌으로써 방과후학교 시장 성장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6) 대체 시장 현황
방과후 학교 시장은 근본적으로 학원 등의 사교육 시장의 대체재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교육 수요자들 입장에서 방과후 학교는 학교 정규 수업 이후 즉시 교육 서비스를 이용 할 수 있는 편의성 및 저렴한 교육비를 통해 사교육 대비 강점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초등학교의 경우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함으로써 방과후 시간 관리의 기능 즉, 보육의 역할을 해소 시켜 준다는 점이 학원 등의 사교육 서비스 대비 강점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교육부에서 발표한 ‘2019년 사교육비 조사결과’에 의하면 국내 사교육비 총액은 21조원으로 2009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다 완만한 흐름이 나타나는 것으로 집계 되었는데, 이는 동기간 대조적으로 증가세를 지속하고 있는 방과 후 학교 참여율과 뚜렷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습니다.
(7)경쟁 현황
민간 위탁 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는 방과후 컴퓨터 교실 및 영어교실을 중심으로 전국에는 약 200개 이상의 사업체가 방과후 위탁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사업자들 그룹은 크게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 됩니다. 자체 영업조직과 콘텐츠를 보유하고 전국 단위의 영업을 진행하는 중대형급 전국 사업자와 지역 거점을 중심으로 자기 지역 내의 학교를 중심으로 위탁 및 교재 판매를 중심으로 영업을 진행하는 소규모 사업자로 구분되어 있습니다. 중대형급 전국 사업자의 경우 방과후 컴퓨터 교실 사업을 기반으로 구축된 사업 역량을 활용하여 자연스레 방과후학교 과목을 확장하고 있으며, 각 지역의 소규모 사업자들과 경쟁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
현재까지 방과후학교 시장은 소규모 사업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다소 분화된 시장(fragmented market) 특성이 있는 것으로 보이나, 전국적으로 수익성이 검증된 학교를 중심으로 업체들 간의 경쟁이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메이저 업체들은 학교수 증가 등의 규모 위주의 성장 보다는 수강생 창출이 가능한 우량 학교 중심의 영업, 영어 등과 같은 신규 과목에 대한 직영사업의 확장을 동시에 꾀하고 있으며, 직영 사업이 어려운 지역의 경우 지역 사업자를 대상으로 한 CP(Content Provider)형태의 교재 판매 영업을 중심으로 사업을 전개 하고 있습니다.
(8) 자원의 조달 상황
방과후학교 사업은 본질적으로 수업운영과 같은 일반적인 교육 사업의 특성과 동일하기 때문에 무엇보다 교재 및 강사를 핵심 자원으로 볼 수 있습니다. 최근 사교육 시장에서 개발된 다양한 On-Off 콘텐츠 및 교구가 방과후 시장으로 활발하게 유입되고 있어 방과후학교 에서의 콘텐츠 수준은 양적인 면과 동시에 질적 측면에서도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최근에는 영어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방과후 전용 교재를 표방하는 전문 제품들도 다양하게 등장하고 있습니다. 강사 인력 집단 역시 방과후학교의 전반적인 활성화와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해 왔습니다. 교육부 자료에 의하면 2009년 69,000명 수준이었던 강사 인력이 2013년 약 13만명 까지 성장하다가 2019년도에는 11만 4천명으로 전문인력으로의 조정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전문적인 교사 육성을 위한 각종 단체의 자격증 및 교육 과정 역시 동반 활성화 되는 추세입니다.
(9) 향후 전망
교육부 2019년 집계자료에 의하면 방과후 학교의 시행율은 이미 100% 수준이며 학생 참여율도 60%에 육박하여 이미 높은 수준의 양적 성장을 달성 하였습니다. 교육부의 방과후학교 운영 목표는 ‘사교육비 경감’ 및 ‘돌봄기능 확대’라는 두가지 측면이 핵심입니다.
선행학습 금지법 시행 이후 방과후학교에서 다룰 수 있는 범위가 축소되어 사교육비 총액과 1인당 사교육비 모두 상승하는 추세에 있었습니다. 하지만 2019년 3월 13일 공교육정상화법(선행학습금지법) 일부 개정을 통해 2018년 3월부터 금지되었던 초등학교 1~2학년 영어 방과후학교도 법률 공포 후 다시 운영할 수 있게 되어 전체 방과후교육 시장에 양적 성장동력으로 작용할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서울시 교육청 등은 방과후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을 향상하기 위한 민간 교육 프로그램 도입 절차를 포함한 운영 지침 ‘방과후학교 길라잡이’를 각급 학교에 공급 하는 등 민간 기업의 위탁 운영 및 프로그램 활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습니다. 그러한 방과후 프로그램의 전문성 추구는 최근 확대하고 있는 돌봄 교실 정책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 여력으로 작용 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초등학교의 방과후 학습시장 중 민간 기업에게 투자와 운영이 가능한 민간 참여 컴퓨터 교실 사업과 원어민 영어 교실을 주요 사업으로 하고 해당 사업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컴퓨터 교재 및 영어 교재를 자체적으로 개발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가 보유한 콘텐츠들은 동종 업종의 기업이나 사업자에게도 관련 콘텐츠를 공급하는 교재 공급 사업을 함께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유아 시장 진입으로 수직적 사업 역역 확장 시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적 기회 발굴을 위해 유치원 및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하는 누리과정 및 유치원 방과후 과정에 대한 ON-OFF 디지털 콘텐츠의 개발을 완료하고 있으며 본격 영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국 단위의 영업적 역량을 기반으로 자체 콘텐츠 개발 혹은 제휴를 통해 수평적 사업 영역 확장의 기회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과학 콘텐츠 경우 외부 제휴를 통해 독점적 유통 계약 체결하였으며 전국적 영업을 개시하여 현재 사업 정착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나) 목표시장의 세분화 및 특징
공교육기관인 초등학교의 방과후 교실은 1. 주지교과 영역(영어, 수학, 역사 등), 2. 정보기술 영역(컴퓨터, 로봇, 과학 등), 3. 예체능 영역(농구, 회화, 피아노 등), 4. 취미활동 영역(붓글씨, 종이접기 등) 으로 구분하고 이중 당사는 현재 1. 주지교과영역과 2. 정보기술영역의 시장에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공교육 현장인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사업 활동의 특성상 경쟁 입찰에서의 우위 전략과 방과후학교 사업자로 선정된 이후 강사 경쟁력 강화 및 최종 고객에 해당하는 학생 및 학부모에 대한 학습서비스 경쟁력 강화 전략을 중심으로 사업이 운용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주지교과영역에서 자회사인 (주)점프에듀를 통해 2013년 영어 과목 진입하여 주요 사업자로써 입지를 구축하였습니다. 향후에도 수학, 역사, 과학, 논술 등의 과목으로 확대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보기술 영역에서는 기존의 컴퓨터 활용 중심의 커리큐럼을 소프트웨어 응용 중심으로 세분화하여 2015년 스크레치 등 코딩 프로그램 과정을 신규로 도입하였습니다. 소프트웨어 과목을 정규 교과목으로 편입할 정부의 정책 등을 비추어볼 때 충분히 시장 경쟁우위를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등학교내 방과후 교실에서의 과목 추가와 같은 수평적 확장뿐 아니라 유아영역으로의 수직적인 확장을 “스마트 킨더”라는 브랜드로 온-오프에서 활용 가능한 콘텐츠를 개발 완료하여 본격 영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도서형태의 유치원용 교재와 결합하여 디지털 프로그램을 태블릿PC 등과 함께 공급하는 제품으로 현재 해당 콘텐츠(교재, 어플리케이션)와 더블어 테블릿PC와 전자칠판을 연계하여 구동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솔루션은 개발을 완료한상태 입니다.
(다) 사업부문별 현황
(1) 방과후 컴퓨터 교실
(a) 사업 개요
1996년부터 교육인적자원부의 교육정보화 기반 조기 구축을 위한 "민간참여에 의한 컴퓨터 보급 및 교육운영" 시책에 의거하여 시작된 방과후 컴퓨터 교육 사업은 2013년 말 현재 전국 6천여개 초등학교의 약 30%인 1,800여 곳이 컴퓨터 교육을 특기적성교육으로 지정, 교육 업체에 위탁해 IT 관련 교육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위탁 운영 절차는 앞서 살펴본 표#6.[위탁운영 업무 프로세스]와 유사하며 컴퓨터 등 교육용 기자재를 운영 업체가 학교측에 기부하고 36개월에서 48개월 까지 위탁 운영권을 부여 받아 수강료 매출을 통해 투자 자금 및 수익을 환수하는 방식입니다. 이는『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의한 민간투자사업 방식의 하나로서 사회기반시설의 준공(Build)과 동시에 당해시설의 소유권이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귀속(Transfer)되며 사업시행자에게 일정기간의 시설관리운영권(Operate)을 인정하는 방식으로 시행되는 BTO (Build - Transfer - Operate) 민간투자 방식과 매우 유사합니다.
(b) 시장 규모 및 업체 현황
국내 초등학교 방과후 컴퓨터 교실 전체 연간 시장 규모는 약 1,200억원으로 추산 됩니다. 방과후 컴퓨터 교실 사업자는 총 130여개 사업자로 파악되고 있으며 교육부의 집계 자료에 의하면 민간위탁 형태로 사업자를 모집하는 초등학교수는 전국적으로 약 1,600개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사업자 현황은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방과후 사업자의 특성과 동일하게 4개의 메이저급 전국사업자와 대다수의 지역 군소 업체로 시장이 분산되어 있습니다.
시장의 경쟁 구조 상 메이저 전국 사업자들과 지역별 군소 업체와의 입찰 경쟁은 불가피 하며 전국 사업자라 할지라도 지역별 입찰 조건 및 경쟁 조건에 따라 항상 경쟁 우위를 행사 할 수 없다는 것이 방과후 컴퓨터 교실 시장의 특성이기도 합니다.
각 사업자들은 수익 극대화를 위해 크게 세가지 경쟁력 확보를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첫째 우량 학교 확보를 위한 입찰 전략 강화, 둘째 투자 품목 및 교재 등의 원가 우위 확보, 마지막으로 양질의 커리큘럼 개발 및 강사역량 강화를 통한 수강생 극대화입니다. 특히 교육 사업의 특성 상 동일 조건의 학교 내에서도 학교 특성에 따른 커리큘럼 개발 및 수강생 모집 전략 운용에 따른 성과의 차등화가 가능하므로 각 업체들의 경우 강사 교육 강화 및 우수 강사 유지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제작 및 스크래치와 같은 코딩 교육 등을 강좌에 도입하여 최근 IT교육 트랜드에 민감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c) 향후 전망
교육부는 2016년 관계부처와 공동으로 '소프트웨어교육 활성화 기본 계획'을 수립하여 2019년 초등학교 소프트웨어교육이 의무화 되었습니다.
이는 기존 방과후 컴퓨터 교실의 활성화 동력이 OS 및 OA 교육 중심이었다면, 향후 초등 IT교육이 단순 컴퓨터 직능 교육을 뛰어 넘어 SW 중심사회에 걸맞는 창의적 인재 육성을 위한 교육으로 확대 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IT 정규 교육의 활성화 정책은 교과 보충 교육 및 다양한 특기 적성 연계 프로그램의 파생을 통해 자연스레 방과후 IT 교육의 새로운 기회 영역으로 성장 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래부 발표에 의하면 초등학교 방과후 프로그램의 다양한 지원을 주요 정책 내용으로 포함 하고 있어 국가 공인 IT 자격증과 같은 기존 사례처럼 관련 프로그래밍 자격증 시행 및 특강 프로그램 등의 파생을 통해 다양한 활성화 기회를 기대 할 수 있을 것으로 업계에서는 전망 하고 있습니다.
미래부 'SW인재저변 확충' 사업 내용 (미래부 보도자료)
구분 |
주요내용 |
초·중등 SW교육 |
초·중등학교 교육과정에 SW교육이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교육부, 학계, 산업계와 공동으로 TF 구성·운영 |
SW교육기관 지원 |
(SW마이스터고)창의적 SW인재 조기육성을 위해 산업계의 수요와 직접 연계된 맞춤형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지원 (SW평생교육원)일반인도 쉽게 컴퓨터 언어 등을 배울 수 있도록 SW평생교육 실시 |
초·중등 SW기초역량 강화지원 |
(SW교육 시험학교)전국 초·중·고에 SW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범학교를 지정. 학교 교육과정 재편성 및 학교 내 다양한 프로그램(방과후학교, 창의적체험활동, 자유학기제, 정보과목 선택 등)을 활용하여 SW교육의 선도모델을 발굴·육성하도록 지원 |
대국민 SW교육 |
(SW창의갬프 운영)방학 중 SW를 체험할 수 있도록 지역별 체험캠프 운영 |
(2) 방과후 영어 교실
(a) 사업 개요
방과후 영어교실은 2008년 학교자율화 정책 시행에 따라 방과후학교 내 민간 참여가 가능한 과목이 컴퓨터 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으로 확대 되면서 초등학생들의 폭발적인 영어 사교육 수요의 대체 효과에 힘입어 가장 빠른 속도로 성장했습니다. 현재 영어교실의 기본 운영 형태는 내국인 교사가 원어민 교사와 함께 수업을 진행하는 코티칭 프로그램이 가장 보편적으로 각광 받고 있으며 원어민 수급이 어려운 지방권 및 자체 운영 학교의 경우 내국인 교사 1인 수업 모델로 운영되기도 합니다. 최근 다양한 전문 ELT(English Learning Teaching)교재의 수급이 활성화 됨에 따라 방과후 영어교실 프로그램은 초등 저학년 기초프로그램(파닉스)부터 리딩 및 원어민 회화 프로그램까지 어학원 수준의 전문성으로 상향되고 있습니다. 영어교실 업체들은 최근 이머전(외국어를 따로 가르치지 않고 일반 교과목 내용을 해당 외국어로 가르치는 언어교육방법) 및 다양한 온라인 통합형 교재 등 차별화된 프로그램 도입으로 영어교실의 전문성 강화를 주도 하고 있으며 지역 내 초등 대상 어학원의 수요를 자연스레 흡수 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과거 <보습학원 및 어학원> 중심으로 편재 된 국내 영어교육 시장의 사업 구조를 <방과후 영어교실 및 입시대비 어학원>의 양분화로 영어 시장 구조의 재편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b) 시장규모 및 업체 현황
방과후 영어교실은 수업 운영의 전문성이 중시되는 영어 교육의 특성 상 방과후 컴퓨터교실 다음으로 민간 위탁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상황입니다.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2014년 현재 전국에 약 200개 위탁 업체가 초등학교의 영어 교실 위탁 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전국의 약 1,700개 학교가 민간 업체 위탁을 통해 영어교실 운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서울시의 경우 전국 운영교의 35% 인 590여개 학교가 영어교실을 운영하고 있어 가장 활성화된 시장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교육부의 수강생 수 추산에 따른 영어교실 전체 시장규모는 약 4,000억원 이상으로 추정 됩니다.
방과후 영어교실 시장에도 역시 지역 거점의 영업 기반으로 성장 해온 방과후학교 시장 특성 상 지역별 소규모 군소 업체들이 대다수 형성되어 있습니다. 전국적으로 약 200개 업체가 위탁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나 15개교 이상을 운영하는 업체는 30여개에 불과 해 지역의 영세 군소업체들이 다수 포진 되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영어교실의 경우 방과후 컴퓨터 교실과 달리 전국단위 보다는 권역 내에서의 업체간 경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자체 개발 교재를 보유한 전문 업체들의 경우 서울을 중심으로 직영 영어교실을 확대하는 한편 전국적으로는 전문 프로그램 공급 사업을 확대하고 있으며 지역 업체들의 경우 자기 거점 지역을 중심으로 직영 영업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에는 정상 어학원등 어학원 전문 교육 업체들이 학원 시장의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방과후 영어교실 시장에 진입 하는 등 업체들의 전문성 및 프로그램 차별화 경쟁 또한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c) 향후 전망
2019년 3월 14일 제367회 국회(임시회) 본회의에서 공교육정상화법, 학교보건법이 의결되었습니다. 이번 일부 개정을 통해 2018년 3월부터 금지되었던 초등학교 1~2학년 영어 방과후학교도 법률 공포 후 확대운영 예정에 있습니다. 이로써 공교육에서 학생 및 학부모의 수요를 반영한 놀이 활동 중심의 영어 방과후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방과후 영어교실 운영은 공교육을 통한 교육기회 보장 및 사교육비 부담 완화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즉 국내 공교육 내에서의 보완 기능을 인정 하는 긍정적인 계기로 업계에서는 분석하고 있습니다.
방과후 영어교실은 정부 정책과의 합치성, 프로그램 수준의 평균 상향화를 통한 질적 성장, 그리고 영어교육에 대한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이어 갈 것으로 전망 됩니다.
(3) 방과후 전체 위탁
(a) 사업 개요
방과후학교 전체위탁은 2008년 학교자율화 정책 시행에 따라 방과후학교 내 민간참여가 가능한 과목이 컴퓨터뿐만 아니라 모든 과목으로 확대 되면서 방과후 영어에 이어 전체 과목을 업체에 위탁하여 운영하는 학교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 방과후학교의 기본 운영 형태는 보편적으로 크게 교과영역, 예체능영역, 특기적성영역으로 나누어 총 100여 개의 세부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고, 각 학교의 규모와 시설, 실정에 따라 20~35개 정도의 프로그램을 선별하여 운영 중입니다. 각 프로그램은 강좌별 전문성을 가진 강사를 위탁업체가 채용, 해당 학교에 파견하여 운영하고 있고, 학교 별 방과후학교 코디네이터를 파견하여 해당 학교의 행정/회계 업무에 대한 실무 업무를 담당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사교육 대비 저렴한 수강료로 인하여 지역 내 초등 대상 교과/예체능/특기적성 학원의 수요를 자연스럽게 흡수하고 있습니다.
(b) 시장규모 및 업체 현황
2019학년도 현재 서울시교육청 관내 603개 초등학교 중 257개 교에서 방과후학교 전체 과목을 업체위탁으로 운영 중입니다. 또한, 단독 과목으로 위탁하여 운영하던 방과후 컴퓨터교실과 영어교실이 점차 전체위탁에 포함되어 운영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또한, 현재 서울시교육청 관내의 257개 초등학교에서 전체방과후 위탁운영 사업을 하고 있는 업체는 35개로 분석되나, 이 중 유의한 매출을 이루고 있는 업체는 10여 개로 추산됩니다.
(c) 향후 전망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운영이 전체 개인위탁(또는 일부 업체위탁)에서 전체 업체위탁으로 바뀌는 추세는 향후에도 계속 될 전망입니다. 또한,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개정안’이 의결되면서 그 동안 제한되었던 초등학교 1·2학년 방과후 영어교실 운영이 2019학년도부터 가능해 지면서, 자체 영어교육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는 전체방과후 운영 사업체의 위탁업체 선정 가능성이 높아지고, 이에 따른 매출 상승 효과 또한 기대되고 있습니다.
(4) 영어 교재 사업
(a) 산업 개황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국내 교육시장은 현재 36조원 이상의 규모를 형성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2019년 교육비자료에 의하면 초, 중, 고등학교의 사교육비는 21조원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영어교육 시장은 시장내에서 가장 큰 비중인 15조원 이상의 규모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그 중 초, 중, 고등학교의 영어 사교육비는 6.4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영어교육산업의 경우 각 분야별로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들이 치열한 경쟁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특히 영어 콘텐츠 공급시장의 경우에는 ELT(English Learning Teaching), Phonics, 문법, 읽기 등 그 분야가 다양하고 콘텐츠를 도서형태로 생산하는 업체의 수가 많기 때문에 다수의 업체들에 의해 완전 경쟁의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터넷망 및 모바일 디바이스의 보급 등에 따른 IT 인프라의 확산을 바탕으로 온라인 교재 및 다양한 형태의 이러닝 프로그램을 출시함으로써 전통적인 교재의 한계를 극복하는 콘텐츠의 차별화 전략이 경쟁의 흐름으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영어 교육 시장은 출산율 하락에 따른 수요층 감소 등으로 다소 정체 분위기였으나 방과후 영어교육 활성화 및 사교육에 대한 꾸준한 수요 기반을 바탕으로 초중등 대상 영어 수업 교재(ELT) 시장의 경우 수요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 됩니다.
(b) 주요 업체 현황
전국 단위의 학원 사업을 함께 병행하는 종합 교육 사업자와 별개로 영어 교재 판매 사업을 중심으로 하는 국내 영어 콘텐츠 업체는 아래의 주요 메이저급 5개 업체가 있으며 그 외 50여개 이상의 군소 업체들이 공부방, 보습학원 및 방과후 학교를 대상으로 영어 교재 공급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전문 영어 교재 업체의 경우 가장 수요가 높은 ELT 교재를 중심으로 총판, 서점, 학원 및 대학 등을 대상으로 주요 판매처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각 업체는 국내 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영어 콘텐츠의 범용성을 활용하여 동남아 국가 등 비영어권 국가에 대한 콘텐츠 판매를 적극 시도 하고 있으며 디바이스 공급 확산에 따른 최근 트렌드를 반영, 태블릿PC 및 모바일 OS 기반의 디지털 콘텐츠를 활발하게 출시하는 등 시장 및 사용자 상황에 맞는 콘텐츠 포맷을 다각화 하여 사업적 성장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5) 유아 기관 교육 프로그램 사업
(a) 산업 개황
통계청 자료에 의하면 현재 국내에서 운영 중인 유아기관은 유치원이 약 8,800개, 어린이집이 20,000여개에 달합니다. 이는 영세한 가정형 어린이집 수를 제외한 수치이며 원생수 170만명의 규모를 통해 연간 총 교육 시장 7조원의 규모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기관의 기본 교육비로 지출되는 경비를 제외하고 정규 또는 방과후 시간대에 외부 프로그램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되는 프로그램 판매 시장의 규모는 총 7,400억원 규모로 추산 됩니다. 유아 기관 대상 프로그램은 정규 일과 시간 이후로 방과후에 운영되는 특성화 교육 시간대에 영어, 음악, 미술 등 주요 인기 교과목을 중심으로 활성화 되고 있습니다. 과목별로 시장 규모를 추정해 보면 영어의 경우 업계 추산 2,200억원 이상의 시장으로 가장 큰 규모로 시장이 형성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음악, 미술, 한글, 수리 등이 총 3,500억원대 이상의 시장 규모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2012년 만 5세 유치원 및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누리과정 도입 시행이 발표됨으로써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공통 정규 과정이 누리과정으로 통일되었고 그에 따른 누리과정용 제품 출시가 새로운 업계 트렌드로 형성되고 있습니다. 유아기관 교재 시장은 특별활동 시간의 제한 지침에도 불구하고 향후 무상교육 확대에 따른 기관 내 유아 교육 수요 증가 및 누리과정 활성화에 따른 교재 시장 기회 발생 등을 통해 안정적 성장을 이어 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b) 주요 업체 현황
유아 기관 전문 업체들의 현황은 크게 두가지 유형으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유아 기관 전문 교재·교구 및 관련 용품 납품 등을 함께 유통하는 전통적인 종합 사업자와 영어를 중심으로 한 교재 전문 브랜드 업체들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업계에서는 전국적으로 약 250개 이상의 기관 대상 프로그램 공급 업체들이 존재 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으며 시장 내 경쟁이 가장 활발한 영역인 영어의 경우 60여개 이상의 업체가 유아기관 대상 프로그램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업체들이 40억원 ~ 80억원 수준의 매출 규모로 시장 규모에 비해 절대적인 선도 기업이 없는 매우 분산된 시장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데 이는 대다수의 업체들이 직접 영업 채널을 운용하기 보다 기관과의 네트웍을 형성하고 있는 지역 내 지사를 주요 채널로 활용함으로써 시장 내 독점적 지위 확대가 근본적으로 한계가 있는, 고유의 시장 특성에 기인 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습니다.
(2) 시장점유율
방과후 컴퓨터 교실 및 영어교실을 중심으로 전국에는 약 200개 이상의 사업체가 방과후 위탁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객관적으로 신뢰할만한 시장점유율 정보는 확인할 수 없습니다.
(5) 조직도
- CEO
- 경영기획실(CEO 직속)
- 학교사업본부
- 교육사업본부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윤경일 | 70.10.16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임원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윤경일 | (주)미래엔 에듀케어 사업총괄 이사 |
16.01~현재 11.02~15.12 09.08~10.11 98.01~09.07 1996.02 |
(주)미래엔에듀케어 사업총괄 이사 (주)미래엔 신사업추진실장 좋은책신사고 한솔교육 고려대학교 독어독문 졸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윤경일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해당사항 없음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상기 후보자는 폭넓은 경험과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가로서 기업경영 및 기업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선임을 추천함. |
확인서
![]() |
이사선임 확인서(날인후) |
※ 기타 참고사항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임시주주총회로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감지되는 경우 부득이하게 출입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