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1 년 5 월 13 일 | ||
회 사 명 : | 한국전력공사 | |
대 표 이 사 : | 김 종 갑 | |
본 점 소 재 지 : |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빛가람동 120번지) | |
(전 화) 061-345-3114 | ||
(홈페이지)https://www.kepco.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 재무처장 | (성 명) 박 주 수 |
(전 화) 061-345-4263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1 임시) |
[주주님 여러분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회사 정관 제18조에 의하여 제61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라오며,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소액주주님에 대한 소집통지는 본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 시 : 2021년 5월 28일(금) 10시
2. 장 소 : 전라남도 나주시 전력로 55 한국전력공사 본사 비전홀(2층)
3. 회의 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 : 감사보고
나. 의결 사항
○ 제 1호 의안 : 사장 선임의 건
- 후보에 관한 사항
후보자 | 주된직업 | 생년월일 | 구 분 | 임기 | 추천인 |
정승일 | 전) 공무원 | 1965. 7. 27 | 신규선임 | 3년 | 임원추천위원회 |
○ 제 2호 의안 : 상임이사(1인) 선임의 건
- 후보에 관한 사항
후보자 | 주된직업 | 생년월일 | 구 분 | 임기 |
추천인 |
박헌규 | 한국전력 본부장 | 1962. 12. 16 | 신규선임 | 2년 | 사장 |
○ 제 3호 의안 : 비상임감사위원(1인) 선임의 건
- 후보에 관한 사항
후보자 | 주된직업 | 생년월일 | 구 분 | 임기 |
추천인 |
박효성 | 전) 공무원 | 1958. 6. 18 | 신규선임 | 2년 | 임원추천위원회 |
4. 전자투표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4 제1항에 따른 전자투표제를 활용하기로 결의하였으며 주주님께서는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의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 : 한국예탁결제원 전자투표 시스템
인터넷 주소 : 「https://evote.ksd.or.kr」
모바일 주소 : 「https://evote.ksd.or.kr/m」
나. '전자투표 가능회사' 조회(한국전력 선택) 및 의안별 의결권 행사
다. 전자투표 행사기간 : 2021년 5월 18일(09시) ~ 2021년 5월 27일(17시)
(기간 중 24시간 이용 가능)
라. 수정동의안 처리 :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마. 주주확인용 인증서의 종류 : 코스콤 증권거래용 인증서, 금융결제원 개인용도
제한용 인증서 등
5. 실질주주 의결권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거나 전자투표로 의결권을 직접행사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행사 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주주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께서는 주주확인을 위하여 신분증(외국인인 경우 투자등록증, 법인은 사업자등록증)을 필히 지참하시기 바랍니다.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2021년 5월 13일
한 국 전 력 공 사 사 장 김 종 갑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 차 |
의 안 내 용 |
비상임이사 |
|||||||
김좌관 |
양봉렬 |
정연길 |
노금선 |
최승국 |
박종배 |
성시헌 |
방수란 |
||
출석률 |
출석률 (75.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
출석률 (100%) |
출석률 (50.0%) |
출석률 (100%) |
||
찬 반 여 부 |
|||||||||
제 1차 '21.1.15 |
2021년 한국전력공사 안전기본계획(안)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비상임이사 후보자 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 구성 및 심사기준(안)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해외자원개발사업 관련 펀드 해산 보고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
제2차 '21.2.9 |
사장 후보자 추천을 위한 임원추천위원회 구성 및 심사기준(안)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제3차 '21.2.19 |
제 60기 정기주총 소집(안)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2020년도 연결, 별도재무제표 및 부속서류(안)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
기관장 성과 협약(안)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
2021년 이사 보수한도(안)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
2020 회계연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 보고사항 | ||||||||
2020 회계연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보고 | 보고사항 | ||||||||
2020년도 연간 감사결과 보고 | 보고사항 | ||||||||
제4차 '21.3.5 |
2020 회계연도 이익잉여금 처분계산서(안)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임시주주총회 소집을 위한 주주명부 폐쇄(안)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
제6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 변경(안) | 찬성 | 불참 | 찬성 | 찬성 | 찬성 | 찬성 | 불참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 감사위원회
- 구성원 : 노금선 감사위원장(사외), 최영호 상임감사위원(사내),
정연길 비상임감사위원(퇴임)
회차 | 개최일자 | 의 안 내 용 | 의결현황 (가결여부) |
노금선 |
정연길 사외이사 |
최영호 상임감사 |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출석률 (100%) |
||||
1차 |
2021.01.15 |
연결회사 외부감사인 선임 승인(안) 외부감사인의 연결회사 비감사용역 사전 승인(안) 2021년도 연간 감사계획(안) 2021년 연간 감사교육계획 보고 외부감사인의 연간 독립성 보고 |
원안가결 원안가결 원안가결 원안접수 원안접수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2차 |
2021.02.19 |
2020회계연도 재무제표 및 부속명세서(안), 영업보고서(안) 2020회계연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020회계연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보고 2020회계연도 외부감사인 기말 재무제표 감사 진행사항 보고 2020년도 연간 감사결과 보고 |
원안가결 원안접수 원안접수 원안접수 원안접수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3차 | 2021.03.12 | 정기주주총회 의안 조사결과 정기주주총회 감사보고서 2020회계연도 외부감사인 감사결과 보고 |
원안가결 원안가결 원안접수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
4차 | 2021.04.16 | 연결회사 외부감사인 선임 승인(안) 외부감사인의 연결회사 비감사용역 사전 승인(안)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제출 2020회계연도 연차보고서(form-20) 내용보고 2020회계연도 美 회계감사기준에 따른 외부감사 관련사항 보고 |
원안가결 원안가결 원안접수 원안접수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찬성 찬성 찬성 찬성 |
5차 | 2021.04.28 | 임시주주총회 의안에 대한 조사결과 | 원안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 감사위원회 소속하에 감사부서를 두고 있으며, 감사부서는 자체감사를 실시하여 관련
규정에 따라 행정상조치 등 필요한 조치를 요구하였으며, 사업소 자체 감사기구에서도
사업소에 대한 자체감사를 시행하고 있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8 | 240,000 | 80,000 | 10,000 | '21.1 ~ 4월 |
※ 주총승인금액은 비상임이사 정원에 대한 연간 금액임
※ 인원수,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등은 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을 따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해당사항 없음)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해당사항 없음)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전력산업의 특성
전력산업은 국민의 일상생활과 산업활동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에너지인 전력을 공급하는주요한 국가기간산업으로 대규모 자본투자가 이루어지는 장치산업이며 발전ㆍ송변전ㆍ배전이 수직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네트워크 산업입니다.
(가) 국가ㆍ지리적 특성
○ 에너지의 대부분을 해외에 의존하고 있어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 필요
○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있어 인접국과 전력유통 곤란
○ 전원과 부하지역 이원화로 중남부지역에서 수도권으로 장거리 송전
(나) 기술적 특성
○ 전기는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재화
○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예비전력 확보가 필수적
○ 송배전 부문은 망(Network) 사업으로 '자연독점' 요소가 강함
(다) 일반적 특성
○ 수요ㆍ공급의 비탄력성으로 시장 경제원리 작동에 한계
○ 수요측면 : 비대체성의 필수 공공재로서 소비자의 수요조절 능력 미약
○ 공급측면 : 설비건설에 장기간이 소요되어 수요변화에 즉각 대응 곤란
○ 총자산 중 비유동자산의 비중이 약 93%를 점유하는 장치산업
- 초기에 대규모 투자가 소요되고 투자비 회수에 장기간 소요
- 고품질의 설비, 기자재 조달, 시공 및 유지보수가 전력사업에 필수
(2) 전력산업의 성장성
전력산업은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 소득증가, 기온변화, 주요 제조업 경기 등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최근 전력판매량 실적 및 증가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억kWh, %)
구 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0년 | 2021년 1분기 |
---|---|---|---|---|---|
전력판매량(*) | 5,132 | 5,313 | 5,205 | 5,093 | 1,370 |
전년동기대비증가율 | 2.3 | 3.5 | -1.1 | -2.2 | 2.5 |
※ 검침기준이며 양수동력 판매량 제외한 실적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우리나라 전역 24,733천호의 고객에게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으며, 2021년도 1분기 전력판매량(양수동력 제외)은 137,018GWh로서 계약종별별 구성비를 보면 산업용이 52.5%, 일반용이 22.8%, 주택용이 14.6%, 기타부문이 10.1%를 점유하였습니다.
(2) 시장점유율
한국전력공사는 구역전기사업자 판매지역을 제외하고 국내 전역에 소비되는 전력량의 대부분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 전력수요 변동요인 : 경제성장률, 기온변화, 유효일수, 제조업 업종별 경기 등
○ 전기요금 : 적정원가 및 적정투자보수를 보장하는 수준에서 산정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 며,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의 인가를 받아 시행함
※ 관련법령 : 전기사업법, 물가안정에 관한 법률 등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해외 원자력발전사업
원자력발전은 낮은 탄소 배출량, 연료 수급 안정 등 많은 경제적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신흥 경제국들은 증가하는 에너지수요와 세계적 저탄소 정책에 부응하기 위해 신규원전을도입할 것으로 전망 됩니다.
한전이 지난 2009년 12월 수주한 UAE원전 1호기는 2020년 3월 연료장전 이후 출력상승시험과 성능보증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2021년 4월 상업운전을 개시하였습니다. 한전은 장기적인운영파트너로서 동 사업에 UAE원자력공사와 합작투자자로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UAE와의 원전협력은 설계, 건설, 운영, 핵연료, 정비 등 원전 전 주기에 걸쳐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UAE원전의 성공적인 이행경험을 바탕으로 정부, 국내 원전산업계 역량을 총 결집하여 제2 원전 수주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또한, UAE 및 미국과의 전략적 협력을 통해 수주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
한전은 종합 에너지기업의 강점을 적극 활용하고 발주처 관심사항에 부흥하는 맞춤형 수주 활동 전개를 통해 제2의 원전 수주가 이루어지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 해외 석탄화력발전사업
한전은 남아공에서 남아공 에너지부가 국제경쟁입찰로 발주한 630MW급 타바메시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사업의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 되었습니다('16.10). 그러나 환경소송, 석탄화력 사업여건 악화 등을 감안하여, 남아공의 코로나 상황이 완화된 이후에 발주처와 사업 중단을 협의할 예정입니다.
한전은 인도네시아에서 현지 석유화학 에너지기업인 Barito Pacific사와 '19년 5월 자바9,10호기 석탄화력발전(2,000MW) 사업공동개발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한전의 참여 이전인
'18년 12월에 인니전력공사와 사업법인간 전력판매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년 6월 한전-Barito간 지분인수계약을 체결하고(한전 15%, Barito Pacific 34%, 인도네시아 발전공기업 Indonesia Power 51% 지분소유), '20년 10월 금융종결 및 착공, '25년 2월 종합 준공 예정입니다. 발전소는 25년간 운영하며 생산된 전력은 전력판매계약을 통해 인니전력공사에 전량 판매될 예정입니다.
한전은 '19년 12월 베트남 붕앙2 석탄화력 발전소(1,200MW) 건설 및 운영사업과 관련하여 미쓰비시상사, 츄고쿠전력과의 공동개발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20년 10월에는 사업법인의 지주회사 지분 40%를 인수하였으며, '21년 상반기 금융종결 및 착공, '25년 상반기 종합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발전소 운영으로 생산된 전력은 전력판매계약을 통해 25년간 베트남전력공사(EVN)에 전량 판매될 예정입니다.
한전은 베트남에서 일본 마루베니상사, 토호쿠전력과 컨소시엄(한전 50%, 마루베니 40%,토호쿠전력 10% 지분소유)을 구성하여 '13년 3월 응이손2석탄화력건설 ·운영사업(1,200MW)을 수주하였습니다. 이후 베트남측 사업관계기관과 장기간의 협상을 거쳐 '17년 11월 발주처인 베트남산업통상부(MOIT)와 BOT계약 및 정부보증계약, 베트남전력공사(EVN)와 25년간 전력판매계약, 응이손경제구역청(NSEZ)과 부지임차계약을 체결하였으며, '18년 4월 한국수출입은행, 일본국제협력은행 등과 금융계약을 체결하고, 두산중공업과 EPC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18년 7월 착공하여 '22년 7월 종합 준공 예정입니다.
○ 해외 가스복합 발전사업
한전은 자회사인 동서발전과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참여한 미국 괌 우쿠두(前 데데도, 사업명변경) 가스복합 입찰사업에서 '19년 11월 괌 전력청(Guam Power Authority)과 전력판매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현재 현지 인허가를 추진중에 있습니다. 컨소시엄의 지분비율은 각각 한전 60%, 동서발전 40%이고, 괌에 198MW급 가스복합발전소를 건설한 후 25년간 운영하며, 생산전력은 전력판매계약을 통해 25년간 괌 전력청에 전량 판매 예정입니다.
한전은 말레이시아 풀라우인다 가스복합 발전소(1,200MW) 건설 및 운영사업과 관련하여 '20년 1월 현지 정부로부터 최종 사업승인을 획득하였습니다. '20년 4월에는 사업법인의 25% 지분을 인수하는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컨소시엄의 지분비율은 한전 25%, WorldwideHolding BHD(Selangor州 산하 개발공사의 100% 자회사) 75% 입니다. '20년 8월에는 말레이시아전력공사(TNB)와 21년간 전력판매계약을 체결하여, '24년 상업운전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사업은 한전 최초의 말레이시아 IPP 사업 진출로서, 수도 쿠알라룸푸르 지역에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예정입니다.
○ 해외 송배전개발사업
한전은 캄보디아, 미얀마, 도미니카공화국, 자메이카 등 아시아, 미주, 아프리카, 중앙아시아 11개국에서 17개의 EPC, 컨설팅, 에너지 신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뛰어난 기술력과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송배전 및 에너지신사업 분야 확대를 위한 수주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2020년에는 도미니카공화국, 동티모르 등 4개국에서 3,962만 달러 규모의 EPC 및기술자문 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 해외 신재생발전사업
'16년 한전은 미국 60MW +에너지저장장치(ESS) 32MW/32MWh 괌 망길라오 태양광 입찰사업에 참여하여, '17년 6월 최종 낙찰자로 선정되었습니다. 괌 망길라오 태양광사업은 '16년 일본 치토세 태양광 및 에너지저장장치 발전사업을 잇는 두번째 신재생 융복합 해외사업이며, 최초로 국제경쟁입찰을 통해 미국시장에 진출한 태양광 및 에너지저장장치 발전사업입니다. 한전은 '18년 8월 발주처인 괌 전력청과 장기 전력판매계약(PPA)을 체결하고'20년 5월 착공하였으며, '21년 12월 준공 예정입니다. 향후 25년간 생산된 전력은 괌 전력청에 전량 판매 예정입니다.
'19년 한전은 멕시코 Horus, Tastiota, El Mayo 지역 태양광 발전사업 일괄입찰(합계 294MW규모)에 참여하였으며, '19년 7월 최종 낙찰자로 선정되었습니다. 동 사업 관련 멕시코 전력거래소와 장기전력판매계약(PPA)을 체결하였으며, 그 중 Horus 지역은 '19년 9월 착공하여 '21년 7월에 준공 예정입니다. 멕시코 태양광 사업은 한전 최초로 중남미 지역에서 시행하는 태양광 사업이며 한전이 추진해온 신재생 개발사업 중 최대 규모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 스마트그리드 사업
스마트그리드 확산사업은 9개 기관으로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서울, 나주 등 12개 지자체 아파트와 상가 14.5만호를 대상으로 AMI설비를 구축('16.3~'19.5)하여 전력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25.12). 저탄소 미래도시를 구축하는 한편 시흥시 스마트시티 국가전력 프로젝트('18.10~'22.12)의 에너지 분야와 세종시 스마트시티 에너지플랫폼 실증 연구과제('19.5~'22.4) 주관기관으로 참여하여 정부 스마트시티 조성사업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울시 마곡지구의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하여 서울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24억원 규모의 에너지 데이터 통합플랫폼 구축 및 에너지관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사업('20.12~'21.12)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재생에너지 3020 및 수소경제 활성화 등 정부의 에너지 전환정책에 부응하고자 P2G기반 KEPCO MG 프로젝트('19.5~'22.4)를 추진해나가고 있습니다. 울산시와 협력하여 울산테크노산업단지에 Site를 구축, P2G 기반 에너지(전기·가스·열) 통합운영, MG간 전력거래기술개발 및 실증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지역별 특성에 맞는 에너지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에너지전환을 주도하고 정부의 에너지신산업 정책에 적극 부응해 나가겠습니다. '18년 국제스마트그리드대회(ISGAN : International Smart Grid Action Network 및 GSGF : Global Smart Grid Federation)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여 기술력을 인정받은 한전의 에너지관리시스템 K-BEMS(KEPCO 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를 '14년부터 한전 구리지사를 시작으로 '20년까지 전사 129개 사옥에 성공적으로 구축을 완료함으로써 건물 에너지 사용 절감 모델의 표준을 제시하였습니다.
더 나아가 빌딩, 공장, 대학교를 대상으로 K-BEMS 기반 에너지효율화 사업을 추진하여 총140개소를 구축하였습니다. 특히, 국내 우수 중소기업과 협력하여 도미니카공화국 PUCMM대학에 진행한 K-BEMS 해외수출 시범사업('20.2)을 성공적으로 완료함으로서 중소기업동반 K-BEMS 플랫폼 해외 진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스마트빌딩 사업의 실증을 위해 한전 영종지사에에너지효율화와 신재생에너지를 결합한 KEPCO 에너지자립형 스마트빌딩 사업을 준공하였습니다. 그린뉴딜 사업의 일환으로 산업단지 입주기업의 에너지관리 인프라를 구축하는것은 물론 코스타리카, 베트남 등 해외 실증사업도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
한전은 전기차 보급 확산에 기여하기 위해 '09년 전기차 충전인프라 구축 사업을 시작한 이후, '16년부터 본격적으로 국민생활과 밀접한 쇼핑몰 연계 공용, 거주지 연계 아파트용 충전소 등 다양한 모델의 충전소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17년에는 충전인프라 구축과 함께 충전서비스 유료화 및 충전인프라 개방으로 충전사업자 육성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현재 공용, 아파트용 충전소 구축사업을 활발하게 진행하여 '21년 1분기 현재 공용 충전기 2,292기, 아파트용 충전기 6,750기를 구축하였습니다. 또한 '25년 공용 급속충전기 4,500기 구축을 목표로 전기차 보급기반 구축 및 저변확대를 위한 융복합 서비스 개발에 노력하고 있습니다.
○ 에너지신산업펀드 투자 사업
한전은 '16년 에너지신산업 육성 및 선순환 생태계 조성을 목적으로 전력 벤처창업 및 신산업 육성, 국내 및 해외진출 프로젝트 육성 등을 위한 5천억원 규모의 에너지신산업펀드를 조성하였습니다. '21년 1분기 현재 31개 중소·벤처기업에 약 919억 원이 투자되었으며, 에너지신산업 분야 9개 대규모 프로젝트에도 1,738억 원이 투자되었습니다. 일반기업에서 금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던 에너지신산업 분야 대규모 프로젝트 및 벤처, 중소, 중견기업 육성에 필요한 사업자금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 국내 신재생에너지
한전은 친환경 에너지에 투자를 확대하여 전북서남권 해상풍력, 제주한림 해상풍력, 밀양희망빛 태양광, 학교·공공부지 태양광 사업 등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을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 최초 공공주도 대규모 해상풍력 사업인 전북서남권 해상풍력 실증사업(60MW)을 성공리에 추진하여 본격 상업운전을 시작하였습니다. 제주한림 해상풍력(100MW) 사업은 풍력단지 건설(EPC) 계약 체결을 완료하고 REC 계약, 운영(O&M) 계약 등 주요 계약 체결 절차를 진행 중에 있으며, 주민 참여형 밀양 희망빛 태양광 사업은 25개소 발전소를 최종 준공하여 상업운전 중에 있습니다. 또한, 교육복지와 신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해 추진 중인 학교 태양광 사업은 전국 학교와 지자체·공공기관 유휴부지를 활용하여 총 11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설비를 구축 중에 있습니다.
이 외에도 신규사업으로 전남 신안지역에 한전 주도로 전력그룹사, 지자체,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1.5GW 해상풍력단지를 개발 예정이며, 전북서남권 해상풍력 시범사업(400MW)도 정부, 지자체, 지역주민 등과 협의를 거쳐 추진할 예정입니다. 한전은 국내 최대 에너지 공기업으로서 재생에너지 확대의 국가 정책목표 달성과 지역역경제 및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활성화에 지속적으로 기여할 계획입니다.
○ 5대 핵심전략기술 개발
(기준일 : 2021. 3. 31) |
구 분 |
개 발 목 표 |
개 발 성 과* |
공급안전, 고장감소 |
계통 유연성 확보 및 고정밀 계통 감시제어 |
○ 디지털변전소 상호운용성 검증 기술 ○ 고정밀 BMS 개발 및 ESS 운영DB 분석 기술 ○ 그래핀 슈퍼커패시터 모듈 기술 ○ 표준정보모델 기반 ADMS 응용프로그램 인터페이스 개발 ○ IoT 서비스 개발 솔루션 및 영상분석기술 ○ 분해가스 정밀분석 기술 및 진단 알고리즘 |
CAPEX/ OPEX 절감 |
회사 보유자원 효율적 배분 및 고효율 그리도 구현 |
◇ HVDC Mi-PPLP 케이블 부분방전 측정기술 ○ PMU 기반 전력계통 상황인지 기술 ○ 가스터빈 동압센서 건전성평가 기술 ○ 가스터빈 기동용 10MW급 속도제어 및 전력변환 기술 ○ 신재생에너지 출력예측 및 안정도 평가기술 |
친환경/ 안전 |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공급 및 운영체계 확보 |
◇ 2MW급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설계 기술 ◇ 순산소 가압유동층 보일러 설계기술 ○ 맞춤형 분리막 공정 설계기술 ○ PM-NOx 동시처리 촉매필터 기술 ○ 송전설비 진단 드론 자동 비행 제어 및 모니터링 기술 |
신재생/ 신사업 |
핵심역량 활용으로 부가가치 창출 신사업 기반 구축 |
○ 해외수출형 MDMS 데이터 분석 솔루션 ○ 클라우드 기반의 SW 개발 및 AI 분석 플랫폼 |
미개척 도전 |
산업파급 효과가 큰 미개척 기술 개발 |
◇ BIPV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핵심소재 및 공정 설계 기술 ◇ 사이버 공격 정오탐 및 이상탐지 모델링 기술 ○ ESS용 망간 수계 이차전지 설계 기술 |
*) ◇ : 2021년 1분기 성과, ○ : 2020.01.01 이후 누적 성과
○ 중소기업과의 상생협력사업 수행
(기준일 : 2021.3.31) | (단위 : 백만원) |
사업별 추진실적 | 2019년 | 2020년 | 2021년 1분기 |
---|---|---|---|
중소기업 생산제품 구매(공사,용역포함) | 5,406,576 | 5,677,865 | 1,407,263 |
협력연구개발 | 4,015 | 3,835 | 0 |
품질인증 | 12 | 22 | 3 |
마케팅지원 | 2,362 | 700 | 336 |
경영지원 | 3,738 | 3,511 | 89 |
중전기술개발기금(융자지원) | 6,160 | 3,500 | 500 |
합 계 | 5,422,863 | 5,689,433 | 1,408,191 |
(5) 조직도
![]() |
210416 기구표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제1호 의안 : 사장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등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정승일 | 1965. 7. 27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없음 | 임원추천위원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정승일 | 전) 공무원 | '18. 9 ~ '20. 11 |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 없음 |
'18. 1 ~ '18. 9 | 한국가스공사 사장 | |||
'16.10 ~ '16.12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실장 | |||
'16. 3 ~ '16.10 | 산업통상자원부 무역투자실장 | |||
'15. 3 ~ '16. 3 | 산업통상자원부 FTA정책관 | |||
'12. 1 ~ '14. 2 |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산업정책관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정승일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정승일 후보는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에너지자원실장, 에너지산업정책관 근무 경험을 바탕으로 국가 에너지산업 및 전력산업에 대한 높은 이해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가스공사 사장 재직시 재무건전성을 확보하고, 경영 전반의 효율성을 높이는 등 성공적인 공공기관 운영 경험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재직시 탄소중립과 한국형 그린뉴딜 추진을 위한 혁신전략을 수립하는 등, 에너지전환 시대를 이끌수 있는 역량과 다양한 경험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부 고위공무원, 공공기관장을 역임하여 기업 윤리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보유하고 있으며, 대규모 조직을 통솔할 수 있는 자질과 능력을 보유하고 있어 사장으로서 충분한 자격을 갖추고 있음에 따라, 향후 많은 성과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확인서
![]() |
후보자확인서(정승일) |
<제2호 의안 : 상임이사(1인)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박헌규 | 1962.12.16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없음 | 사장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박헌규 | 한국전력 본부장 |
'19.12 ~ '21. 4 | 상생발전본부장 | 없음 |
'18. 7 ~ '19.12 | 감사실장 | |||
'16.12 ~ '18. 7 | 전력시장처장 | |||
'16. 2 ~ '16.12 | 중앙공무원교육과정 | |||
'15.12 ~ '16. 2 | 남서울본부 강서지사장 | |||
'14.12 ~ '15.12 | 광주전남본부 고흥지사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박헌규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박헌규 후보는 한국전력공사 상생발전본부장, 감사실장, 전력시장처장 등 다양한 부서에 재직하는 동안 탁월한 역량과 업무실적을 보여준 바, 상임이사로 선임하고자 합니다. 박헌규 후보는 전력산업 전반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경험을 겸비한 경영기획 분야의 전문가입니다. 이러한 전문성을 바탕으로 전력거래제도 개선 등 에너지정책 적기 대응, 주요 사업계획 수립, 취약분야 리스크 분석, 에너지밸리 구축 등 에너지 신산업 생태계 조성, 계약절차 및 시스템 개선등의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습니다. 박헌규 후보가 상임이사로 선임된다면, 위와 같은 능력과 경험을 바탕으로 급변하는 전력산업 환경에서 에너지 전환정책의 성공적 수행, 경영효율 제고, 전력그룹사 경영최적화 등을 통하여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확인서
![]() |
후보자확인서(박헌규) |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제3호 의안 : 비상임감사위원(1인) 선임의 건>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감사위원회 위원인 이사 분리선출 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박효성 | 1958. 6. 18 | 해당없음 | 해당없음 | 없음 | 임원추천위원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 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박효성 | 전) 공무원 | '17. 12 ~ '19. 11 | 주 뉴욕 총영사 | 없음 |
'16. 3 ~ '16. 6 | 하버드 케네디스쿨 기업 및 정부연구소 연구위원 |
|||
'14. 4 ~ '15. 12 | 주 루마니아 대사 | |||
'10. 3 ~ '14. 1 | 주 제네바 차석대사 | |||
'09. 3 ~ '10. 2 | 하버드 케네디스쿨 기업 및 정부연구소 선임연구원 |
|||
'07. 8 ~ '09. 2 | 외교부 FTA 교섭국장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박효성 | 없음 | 없음 | 없음 |
라. 후보자에 대한 추천 사유
박효성 후보는 정부 고위 공무원단 출신으로 공공기관 임원으로서의 자질과 윤리경영 역량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양한 해외 주재국 대사 및 책임자로 재직하면서 탁월한 역량과 업무실적을 보여준 바, 감사위원으로 선임하고자 합니다. 박효성 후보가 감사위원으로 선임된다면, 외교부 FTA 교섭국장 재직시 주요국들과의 실물경제 협상을 총괄하면서 보여준 전문성을 바탕으로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확인서
![]() |
후보자 확인서(박효성) |
※ 기타 참고사항
한국전력공사법 제10조에 따라 비상임이사로의 선임은 주주총회의 의결을 거치지 않습니다.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
---|---|
- | - |
*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해당사항 없음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 임시주주총회 개최로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코로나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시고 참석하시기 바라오며, 총회장 입구에서 체온을 측정하여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이 제한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