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1년 3월 12일


회   사   명 :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대 표 이 사 : 김준규
본 점 소 재 지 : 대구광역시 달서구 성서공단로25길 16(갈산동)

(전   화) 053-582-3577

(홈페이지) http://www.ms-mc.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김준규

(전  화) 053-582-3577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20기 정기)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정관 제21조에 의하여 2021년 제20기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홈페이지 공고시 상법 제542조의4 및 정관 제21조에 의거하여 발행주식총수의 1% 이하 소유주주에 대하여는 이 공고로 소집통지에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1년 03월 29일 (월) 오전 9시

2. 장    소 :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세천리 1692-1번지              
                 명성티엔에스(주) 2공장 1층 회의실

 

3. 회의의 목적사항

   가. 보고사항

       1) 감사보고

       2) 영업보고

       3)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4)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보고

   나.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제20기(2020년 1월 1일~2020년 12월 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44조 (감사의 선임) 변경]

       제3호 의안 : 감사 선임의 건 [감사 김정배 신규 선임]

       제4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전자투표 및 전자위임장 권유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는 상법 제368조의 4에 따른 전자투표제도와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60조 제5호에 따른 전자위임장권유제도를 이번 주주총회에서 활용하기로 결의하였고, 이 두 제도의 관리업무를 미래에셋대우에 위탁하였습니다. 주주님들께서는 아래에서 정한 방법에 따라 주주총회에 참석하지 아니하고 전자투표 방식으로 의결권을 행사하거나, 전자위임장을 수여하실 수 있습니다.


가.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인터넷주소 (PC, 모바일)
    : https://v.miraeassetdaewoo.com  
      QR코드 :

이미지: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인터넷주소 Q/R코드]

[전자투표/전자위임장 관리시스템 인터넷주소 Q/R코드]

나. 전자투표 행사 / 전자위임장 수여 기간 : 2020년 03월 17일 ~ 2021년 03월 28일

- 기간 중 24시간 시스템 접속 가능 (단, 마지막 날은 오후 5시까지만 가능)

다. 행사방법 : 시스템에 본인인증을 통해 주주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 의결권 행사 또는 전자위임장 수여

- 본인 인증 방법은 공동인증서, 통신사(PASS)를 통해 주주 본인을 확인 후 의안별로 의결권 행사

라. 수정동의안 처리

주주총회에서 상정된 의안에 관하여 수정동의가 제출되는 경우 전자투표는 기권으로 처리


6. 주주총회 참석 및 의결권 행사,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법인 주주의 경우 법인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 위 사항을 충족하지 못할 경우에는 주주총회 입장이 불가하오니,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7.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에 관한 사항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는 주주총회 개최 1주전까지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당사 홈페이지(http://www.ms-mc.co.kr)에 게재할 예정이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8.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VID-19)에 관한 안내

- 코로나19 감염 및 전파 예방을 위해 방역관리 지침에 따라 주주총회장에 열화상 카메라를 비치할 예정이며, 당일 발열 또는 기침 증세가 있는 주주님은 주주총회장 출입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또한, 마스크 미착용 주주님께서도 출입이 제한될 수 있으니, 주주총회장 입장 시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전자투표와 의결권 대리행사 제도를 적극 활용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립니다.

 

9. 기타사항

- 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주주 여러분의 깊은 이해와 협조를 당부 드립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조광희
(출석률: 75%)
김경민
(출석률: 100%)
조종연
(출석률: 19%)
찬 반 여 부
1 2020.01.14. 국내(서울)사무소 설립의건 찬성 - -
2 2020.01.21. 20기 임시주주총회 세부안건 결의 건 찬성 - -
3 2020.01.29. MOU체결의 건
- ㈜제낙스와의  기술이전 관련
불참 - -
4 2020.02.10. 결산이사회의 건
- 2019년 별도 재무제표
찬성 - -
5 2020.02.18 대표이사변경의건 - 찬성 불참
6 2020.02.18. CB 및 BW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불참
7 2020.02.24.. 결산이사회(2019년도, 연결)의 건
-2019년 별도 재무제표(연결)
- 찬성 불참
8 2020.02.26. 내부회계운영실태평가보고(19년도)의 건 - 찬성 불참
9 2020.02.27. 기술공동사용 계약체결의 건
- ㈜제낙스와의  기술공동사용 계약 체결
- 찬성 불참
10 2020.03.09. 제19회 정기주주총회개최의 건
-제19회 정기주주총회 개최일정 및 안건
- 찬성 찬성
11 2020.03.19. 자사주 매입의 건 - 찬성 불참
12 2020.03.27. CB 및 BW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불참
13 2020.04.24. 산업은행 운영자금대출(단기한도)
- 기존 대출 기간연장
- 찬성 찬성
14 2020.04.27. CB 및 BW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불참
15 2020.05.11. 우리은행 차입의 건
- 기업시설일반자금 신규대출전환
- 찬성 찬성
16 2020.05.13. 2020년 1분기 결산재무제표(연결,별도)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17 2020.05.27. 기술공동사용계약의 2차 정액실시료 지급일정 변경의 건 - 찬성 불참
18 2020.06.29. CB 및 BW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불참
19 2020.07.22. 대표이사선임의 건
- 각자 대표선임
- 찬성 찬성
20 2020.07.23. 유상증자결정의 건
- 제3자배정 유상증자결정
- 찬성 불참
21 2020.07.31. 종속회사 해산의 건
- 일본법인 해산
- 찬성 불참
22 2020.08.05. CB 및 BW 발행금액 및 발행대상자 변경의 건 - 찬성 불참
23 2020.08.11. CB 및 BW 청약일자 및 발행단가 변경의건 - 찬성 불참
24 2020.08.13. 2020년 반기 결산재무제표 승인의 건 - 찬성 찬성
25 2020.08.18. CB 및 BW 납입일 연기의 건 - 찬성 찬성
26 2020.08.24 SW구입의 건 - 찬성 불참
27 2020.08.24. 기술공동사용료 잔금지급일 연기의 건
- ㈜제낙스와의  기술공동사용 계약
- 찬성 불참
28 2020.09.18. 우리은행 차입의 건
- 기타(하자)외화지급보증 신규 신청
- 찬성 불참
29 2020.10.14. 자기주식 처분의 건
- 자기주식중 일부 처분
- 찬성 불참
30 2020.10.19. 산업은행 대출연장의 건
- 대출 만기 연장
- 찬성 불참
31 2020.10.23. 연구용 유기물질구매의 건 - 찬성 불참
32 2020.10.23. 유상증자 결의의 건 - 찬성 불참
33 2020.10.27. 단기대여금약정체결의 건 - 찬성 불참
34 2020.11.02. 외화지급보증 신규 신청의 건
-하자보증용
- 찬성 불참
35 2020.11.09. 3분기 결산이사회의 건 - 찬성 불참
36 2020.11.27. 기술공동사용계약의 지급일정 변경의 건
- ㈜제낙스와의  기술공동사용 계약
- 찬성 불참
37 2020.11.30. 액티바 연구소 설립의 건 - 찬성 불참
38 2020.12.11. 일반공모 유상증자 결의의 건
- 일정 변경
- 찬성 불참
39 2020.12.22. 설비판매계약 체결 승인의 건 - 찬성 불참
40 2020.12.28. 기술공동사용계약의 지급일정 변경의 건
- ㈜제낙스와의  기술공동사용 계약
- 찬성 불참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3 1,000,000,000 35,163,990 11,721,330 (주1)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금액임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2차 전지

2차전지는 적용 소재에 따라 납축전지(LEAD-ACID), 리튬이온전지(LITHIUM-ION)등으로 분류되며 리튬이온전지는 스마트폰, 노트북, 전기차, ESS(ENERGY STORAGE SYSTEM, 전기저장장치)등의 용도로 적용됩니다.

리튬이온전지는 1991년 SONY에 의하여 원통형으로 상업생산이 시작되었으며, 그 이후 1996년 각형, 1999년 파우치형 등이 차례로 개발되었으며 현재는 전지의 형태보다 소재 분야에 연구가 집중되고 있습니다. IT기기 보급이 늘면서 높은 온도에도 안정성이 높고 가벼운 리튬폴리머전지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나, 에너지 밀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물질 특성상 낮은 온도에서는 성능이 떨어져 전기 자동차용 배터리로는 리튬이온전지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2차전지 산업의 발전으로 전지 가격이 낮아지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빨라지고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90KWH의 대용량 전력 저장 설비가 늘어나게 되며 공짜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수요 역시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지 가격 하락은 화석연료 소비량 감소를 야기하게 되는 각 산업 간 상승작용으로 이어집니다.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주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글로벌 2차 전지시장에서 리튬이온전지가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 성장 속도가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현재 리튬이온전지의 주 수요처는 스마트폰, 노트북, 태블릿PC 등을 포함한 IT APPLICATION입니다. 이들 제품들이 소형화, 경량화되고 성능화되는 과정에서 리튬이온전지 채택률이 확대되고 출하량이 증가했기 때문이며, 전체 리튬이온전지 출하에서 소형 비중은 80%를 초과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러나 스마트폰, 노트북 등은 침투율이 각 77%, 52% 수준으로 이미 그 산업이 성장기에 접어든 것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결국 리튬이온전지의 성장 동력은 중대형 사이즈의, 크게는 전기차와 ESS(에너지저장장치)부분이 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2021년에는 대략 1,000만대를 넘어설 것으로 전망됩니다. 휴대전화의 약 7,000배, 노트북의 약 700배 용량의 2차전지를 탑재하는 전기자동차의 확산은 2차전지 시장을 폭발적으로 성장시킬 것으로 기대됩니다.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IT기기에 리튬 2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전기차(EV)에 사용되는 2차전지의 수요 IT용 2차전지 규모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2차전지의 경우에는 전력저장장치(ESS)에서도 연평균 25%의 성장이 기대되며,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에서 리튬이온전지 생산설비 규모로는 중국-한국-일본의 순서로, 전세계 리튬이온전지의 대부분을 아시아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중 2차전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는 설비 규모로는 중국이 1위이나 출하량 기준으로는 PANASONIC. 닛산과 NEC의 합작 법인인 AESC등의 일본업체가 선두권으로 국내기업인 LG화학과 필옵틱스 노칭기의 주요매출처인 삼성SDI는 각 세계3위와 5위의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세계 분리막 시장은 일본 아사히카세이(39%), SK이노베이션(19%), 도레이(14%)의 3강 구도를 형성하고 있습니다. 설비 기준으론 아사히카세이가 연간 4억1천만㎡, SK이노베이션이 연간 2억1천만㎡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지: 세계 분리막 시장점유율 현황

세계 분리막 시장점유율 현황


출처: SK이노베이션, 키움증권 리서치

(나) 디스플레이

과거 스마트폰 개발 이전에는 디스플레이 산업 전체적으로 주요 수요제품들의 빠른 세대교체에 맞춰 사이클이 바뀌는 방식이 지속되었다면, 스마트폰 개발 이후에는 이를 포함 각종 고화질 디스플레이 제품들에 대한 수요 증가가 전체적인 패널 수요증가를 이끌었습니다. 최근 중국을 위주로 대대적인 투자를 통해 그에 대응하는 공급 역시 급격히 증가하여 경쟁이 점점 심화되고 사이클 주기가 짧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 제조업은 전통적으로 신규투자 → 공급과잉 → 가격하락 → 수요확대 → 공급부족 → 설비투자의 라이프사이클을 보여왔으며, 이에 따라 TFT-LCD, OLED 패널생산업체들의 신규 설비투자 시기에 장비업체들의 수주와 매출 증대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여 왔습니다. 동사 설비의 주요 납품처는 TFT-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생산업체이고 이 업체들의 가장 큰 수요처는 TV 및 PC시장입니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설비제조업체들 역시 이들 전방시장의 경기변동에 가장 큰 영향을 받으며 패널생산업체들의 설비 투자에서 최종 양산단계까지 최소 1.5~2년의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수요탄력적인 시장은 아닙니다. 모바일 제품의 급속한 성장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 시장도 함께 성장해왔으나 패널제조업체들의 설비 투자 시기에 장비 수요가 몰리면서 호황과 불황의 주기적인 반복이라는 경기 순환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주력제품의 세대교체로 인해 대규모 투자가 주기적으로 발생하며 고정 비용이 높고 생산 리드타임이 길다는 점은 패널 공급의 가격탄력성을 낮게 만드는 주요인입니다. 각 사이클의 주기는 2년에서 3년으로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나 대체적으로 호황기는 1~2년, 불황기는 약 1년 정도의 지속기간을 보여 왔습니다.

 

편광필름시장은 과거 일본(후지, 코니카)등 선도기업에서 탈피하여 국내 대기업(삼성SDI)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계 편광필름은 수분을 통과시키는 정도인 투습도에서 기존 TAC(Tri Acetyl Cellulose)계 편광필름보다 60배 가량 월등한 성능을 확보 32~55인치 TV에 적용 중이며 모니터 등 타 기종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편광필름관련 설비 중 오토클레이브의 주 매출처는 코스닥 상장사인 예스티 입니다. 예스티는 당사의 설비에 추가 가공 및 타사 설비와 함께 라인을 구성하여 삼성디스플레이 등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휴대폰 액정필름 라인의 대부분을 당사의 오토클레이브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4년부터 베트남 박닌성에 모바일용 OLED 패널 조립공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2017년 25억 달러를 추가로 투자하여 공장을 증설하였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의 베트남 공장 누적 투자액은 65억달러에 달하며 월 2,500만대분의 스마트폰용 OLED 모듈 생산이 가능한 설비를 구비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2016년 매출 26조원에서 2017년 매출 34조원으로 성장하였습니다. 이에 당사도 2017년 8월 3,600평 규모의 본사 신규공장을 준공하여 조립라인을 확대하였습니다.

세계편광필름 주력시장은 중국이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 업계에 따르면 세계 편광필름시장 규모는 2014년 3억1,200만㎡에서 2020년 4억2,500만㎡로 연평균 6% 성장이 예상되고 이 가운데 중국 시장성장률이 연평균 16%에 달합니다. 실제 BOE, CSOT, CEC-판다 등 중국 기업의 LCD점유율은 생산면적 기준 2014년 12.8%에서 2017년 26.8%로 증가하였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는 당사의 편광필름 연신기 매출처인 중국 써니폴과 2018년 12월 4호기, 2018년 5호기 설비판매를 협의 중에 있으며, 공격적인 설비투자를 계획하고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9년부터 중국내 신규 업체와 지속적인 기술협의 및 장비사양협의를 통해 2021년에 신규 수주의 가능성을 한층 높게 마케팅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2차전지


세계 리튬 2차전지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었으며, 2010년 글로벌 재정위기 등의 영향으로 성장성이 둔화되었으나, 최근 전기자동차 및 ESS시장에 대한 기업들의 투자계획 및 정부지원정책 등이 활발하게 발표되면서 제2의 도약의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점차 2차전지에 대한 수요가 다양해지고, 응용분야로의 파급효과가 높아짐에 따라 공급량은 향후 비약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미지: 리튬 이차전지 성장서

리튬 이차전지 성장서

출처: SNE Research

2차전지 산업의 발전으로 전지 가격이 낮아지면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빨라지고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 자연스럽게 90KWH의 대용량 전력 저장 설비가 늘어나게 되며 공짜로 전력을 저장하기 위한 태양광 발전 수요 역시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전지 가격 하락은 화석연료 소비량 감소를 야기하게 되는 각 산업 간 상승작용으로 이어집니다.

2차 전지는 높은 에너지 밀도, 긴 수명주기 등의 장점을 바탕으로 글로벌2차 전지시장에서 리튬이온전지가 가장 주목받고 있으며, 실제 성장 속도가 가장 가파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미지: 2030년 글로벌 리튬이온 2차전지(LIB) 시장 수요량

2030년 글로벌 리튬이온 2차전지(LIB) 시장 수요량

이미지: 이차전지 분리막 시장 수요 전망

이차전지 분리막 시장 수요 전망


* 2차전지 분리막 세계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백만 달러,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CAGR

세계시장

1,910

2,380

2,980

3,618

4,392

5,332

21.4%

출처: 2차전지 산업분석, SNE리서치, 야노경제연구소, IBK투자증권(2018)

 

* 2차전지 분리막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단위: 억 원, %)

구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2022년

2023년

CAGR

국내시장

8,512

10,640

13,300

16,625

20,781

25,977

25.0%

출처: 2차전지 산업분석, SNE리서치, 야노경제연구소, IBK투자증권(2018)

 

현재까지는 대부분의 IT기기에 리튬 2차전지가 사용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전기차(EV)에 사용되는 2차전지의 수요 IT용 2차전지 규모를 상회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또한 2차전지의 경우에는 전력저장장치(ESS)에서도 연평균 25%의 성장이 기대되며,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수요가 창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전세계에서 리튬이온전지 생산설비 규모로는 중국-한국-일본의 순서로, 전세계 리튬이온전지의 대부분을 아시아에서 생산하고 있습니다. 이중 2차전지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되는 전기자동차는 설비 규모로는 중국이 1위이나 출하량 기준으로는 PANASONIC. 닛산과 NEC의 합작 법인인 AESC등의 일본업체가 선두권으로 국내기업인 LG화학과 필옵틱스 노칭기의 주요매출처인 삼성SDI는 각 세계3위와 5위의 위치를 점하고 있습니다.

 

세계 분리막 시장은 일본 아사히카세이(39%), SK이노베이션(19%), 도레이(14%)의3강 구도를형성하고 있습니다. 설비 기준으론 아사히카세이가 연간4억1천만㎡, SK이노베이션이 연간2억1천만㎡의 생산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지: 세계 분리막 시장3강 구도

세계 분리막 시장3강 구도


분리막시장 점유율


이미지: 이차전지 원가 및 점유율표

이차전지 원가 및 점유율표


(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은 2018년부터 2025년까지 연 평균 1.0% 성장과 OLED는 LCD를 대체하면서 연평균 10.6% 성장성을 보일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주요 수요처인 TV, 스마트폰 시장이 성숙기에 진입하고 신규 수요 창출이 부진하여 디스플레이산업의 성장률은 둔화될 전망입니다. 그러나 TV출하량은 연간 2억대, 스마트폰 출하량은 연간 15억대 내외 수준에서 정체되었으나 대형 패널 선호로 면적 기준 수요는 증가할 전망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 산업전망

디스플레이 산업전망


OLED가 디스플레이산업 성장을 견인하면서 디스플레이산업에서 OLED 비중은 2018년 21% 2025년 39%로 확대될 전망입니다.OLED 패널의 주 수요처는 스마트폰과 TV이며 자동차 등의 수요는 성장성은 높으나 2025년까지 스마트폰과 TV를 대체하기에는 시장규모가 작을 것으로 예상합니다.스마트폰에 OLED를 탑재하는 주요 기업은 애플과 삼성전자이며 애플은 2021년 이후 출시되는 전모델에 OLED를 탑재할 것으로 예상되어 스마트폰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특히 중국기업 스마트폰은 중저가 제품 중심이며 LCD 대비 높은 가격 등으로 인해 OLED 탑재율 증가속도는 2019년 18%, 2020년 21%(CLSA)로 더니나 가격하락시 탑재율은 변동될 수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OLED TV용 패널은 2020년도 기준 OLED TV 생산기업이 16개로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TV를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OLED 출하량 전망

OLED 출하량 전망


특히 중국은 디스플레이 수요 둔화에도 산업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하여 공격적인 투자로 생산능력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중국내 LCD기업은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10.5세도 LCD 공장을 건설중이며 2018년~2025년에 5개 공장이 가동될 전망입니다. 또한 OLED 분야에도 중국은 LCD 경쟁력이 제고되자 OLED 지원으로 정책방향을 변경하여 중소형 OLED 생산능력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시장조사기관 IHS는 2021년 중국의 플렉서블 OLED 생산능력이 삼성디스플레이의 생산능력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중국 기업의 생산능력

중국 기업의 생산능력


LCD와 중소형 OLED는 공급과잉에 직면하여 패널 가격이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중국의 LCD 생산능력 확대로 공급과잉은 2021년까지 지속되어 패널가격이 약세를 보일 전망이며 특히 한국, 대만기업의 노후 생산라인 폐쇄, 기존 생산라인 OLED 전환 등으로 인해 2021년부터 하락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또 플렉서블 OLED는 스마트폰 출하량 정체, 초고가 스마트폰 출하량 증가율 둔화 등으로 수요 성장 속도보다 생산능력 증가 속도가 빨라 가격하락을 예상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1) 2차전지

2차전지 분리막 생산설비 라인은 국내에서 당사가 유일하게 제조하는 업체입니다. 분리막 생산설비의 일부분인 분리막 코팅기는 국내에서 소수업체가 생산하고 있지만 대부분 당사의 제품을 구매하여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그 중 피엔티, 씨아이에스에서는 당사의 2차전지 코터 및 건조기를 2015년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구매하고 있어 당사설비의 가격경쟁력과 납기, 품질의 우수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현재 FULL LINE 설비는 일본과 독일의 업체가 경쟁사이지만 가격경쟁력 및 총 생산기일(납기)의 측면에서 월등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일본업체는 당사의 가격에 비해 30% 가량 높으며, 독일 업체는 당사보다 60% 가량 높은 가격에 판매하고 있어 당사의 가격경쟁력이 월등합니다.

일본 업체는 2020년까지 생산능력이 FULL CAPACITY로 더 이상 신규 설비발주의 접수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중국시장은 정부의 대폭적인 지원 하에 신규 분리막 생산업체가 급속도로 설립되고 있어 추가적인 설비발주를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분리막 제조 연신설비

분리막 제조 연신설비


2)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용 생산설비 중 오토클레이브의 경우 당사 이외에도 국내 소수업체가 생산하고 있지만 최소생산기일, 단기간 납품의 시스템은 당사가 독보적입니다. 삼성디스플레이 휴대폰 디스플레이 생산설비에 사용되는 오토클레이브의 대부분을 당사의 설비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autoclave 설비

autoclave 설비


국내에서 편광필름생산설비를 PART UNIT으로 생산하는 업체는 일부 있으나 생산라인 전체를 제작하는 업체는 당사가 유일합니다. 당사 생산물량은 전량 수출하고 있으며, 설비제품의 진입장벽이 높은 편에 속합니다. 2014년 최초 편광필름생산 라인을 수주하여 2016년2월 1대 납품하였습니다. 가격, 납품일자에 있어서 일본 업체 대비 우월한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추가 수주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편광필름을 생산하는 업체는 LG화학, 삼성SDI가 있으며, 해당 업체의 생산설비는 일본에서 수입해서 설치운용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편광 필름 연신 설리라인

편광 필름 연신 설리라인


3) 시장에서 경쟁력을 좌우하는 요인 및 회사의 경쟁상의 강점

리튬이온전지 분리막의 생산설비는 기술적, 경험적인 진입장벽이 높아 부분적인 설비생산 경험으로는 전체 생산라인 설비를 생산할 수 없습니다. 해외 바이어들도 생산해서 공급 운영해본 경험이 있고 검증된 회사를 우선순위로 계약하고 있습니다. 전공정 설계부터 전공정의 기술력과 노하우가 필요하기 때문에 당사가 다년간의 경험으로 경쟁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현재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분리막설비는 PP, PE분리막설비 위주로 구축되어 있고 차세대용 분리막설비는 전무한 상황에서 당사는 PI분리막설비의 핵심 유닛인 PI추출기, 온습도조절장치를 수주 생산 중에 있고 시장을 선도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기존 분리막설비에 후가공(코팅)을 하여 안전성과 효율이 개선된 분리막의 생산을 위하여 자체개발된 PVDF 코팅기를 생산판매하여 후가공설비 시장을 선도해나가고 있습니다.

 

삼성디스플레이에 납품되는 오토클레이브는 가격과 생산공기가 타사의 추종을 불허하는 제품으로 삼성디스플레이 TFT LCD공정의 대부분을 당사의 설비가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타사가 만들 수는 있지만 가격과 생산공기는 따라올 수 없을 것이라 자부합니다.


편광필름 생산설비는 전체 라인을 생산할 수 있는 기술력과 노하우를 가진 업체는 당사가 국내에서 유일하며, 생산경험과 운영경험이 풍부하여 검증된 설비입니다. 해외 구매처는 기계 한대당 2백억원 내외의 고가의 설비를 구입함에 있어 검증된 설비가 최우선이며 가격경쟁력까지 갖춘 당사의 전체 라인 설비를 매우 관심 있게 보고 있습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명성티엔에스(주) 사업부분 개요]

사업부문

사업내용

2차전지

소형, EV용, 및 ESS 용 중, 대형 2차전지의 핵심소재인 분리막 을 생산하는 장비인 분리막 연신설비, 코팅기, 추출기, 건조기 장비

디스플레이

LCD, OLED 에 사용되는 TAC필름 및 PVA필름을 이용하여 편광필름을 제조하는 설비와 LCD 또는 OLED 제조공정에서 유리와 필름, 유리와 유리 사이에 남아있는 기포를 압력을 가하여 제거하는 장비


(2) 시장점유율


당사는 국내외에서 일본 및 독일 업체와 경쟁을 하고 있으며 산업의 특성상 시장점유율을 파악하기가 어렵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2차전지

2차전지는 한 번 쓰고 버리는 일차전지(일반 건전지)와 달리 충전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전지를 말합니다. 2차전지는 외부의 전기 에너지를 화학 에너지 형태로 바꾸어 저장해 두었다가 필요할 때 전기를 꺼내 사용할 수 있는 장치로서 이온상태로 존재하는 리튬이온(Li+)이 방전시에는 양극에서 음극으로, 충전시에는 음극에서 양극으로 이동하면서 전기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2차전지는 크게 양극활물질, 음극활물질, 분리막, 전해질 등 4가지 핵심소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2차전지의 핵심 소재 중 하나인 분리막을 제조하는 설비를 제조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차전지 분리막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입자 크기의 미세한 구멍들이 뚫려있어 이 구멍을 통해 리튬이온이 양극, 음극을 이동하며 전기를 발생시킵니다. 휴대폰의 배터리 수명이 점점 줄어드는 것은 전해질 잔유물로 분리막 구멍이 하나 둘씩 막혀 전기발생이 감소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리튬이차전지 폴리올핀계열 분리막의 와관 및 sem 이미지

리튬이차전지 폴리올핀계열 분리막의 와관 및 sem 이미지


2차전지는 산업자체가 독립적으로 수요를 창출하기 보다는 주로 휴대폰, 노트북 PC, 캠코더 등 Mobile IT 산업과 전기자동차 산업의 성장에 종속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 스마트폰, 태블릿PC, 디지털카메라, 전동공구, 하이브리드자동차 등 새로운 Mobile IT기기의 출현과 대용량 저장장치(ESS)의 수요증가 연료전지 시장 확대로 향후 시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입니다.

 

2000년을 전후해서 휴대정보 단말기의 급격한 수요 증가는 당시 독점적인 지위를 누리던 일본 업체들의 호황을 이끌었으나, 최근에는 우리나라와 중국 등 신규 2차전지 업체의 시장진입으로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었으며, 규모의 경제를 이룰 수 있는 중대형 업체 위주로 업계가 재편될 것이라는 전망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이미지: 리튬이차전지 구조모식도

리튬이차전지 구조모식도

출처: SNE Research

(나)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display)란, 다양한 정보를 인간이 볼 수 있도록 화면으로 구현해주는 영상표시장치를 통칭하며, 디스플레이 기술은 디스플레이 개념을 적용하여 단순한 문자로부터 그래픽, 동영상 등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정보들을 시각적으로 전달해 주는 기술을 말합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이러한 디스플레이 및 관련 부품/소재, 패널, 디스플레이 제조에 필요한 설비 및 장비의 생산에 관련한 일체의 비즈니스 활동을 지칭하는 것으로 LCD, PDP, LED, AMOLED등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산한 후 세트업체(TV, 데스크탑PC, 노트북, 휴대폰 제조/판매)에 납품하는 대표적인 장치 산업입니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크게 CRT(Cathode Ray Tube, 음극선관/브라운관)와 FPD(Flat Panel Display,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분되며, CRT는 1970~1990년대 초반까지의 흑백 및 컬러 TV에 활용되었던 디스플레이 장치입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TV와 컴퓨터 모니터에서 널리 활용되고 있는 디스플레이는 FPD에 해당합니다. 현재 산업은 평판 디스플레이 이후로 플렉서블 및 3D 디스플레이 산업으로 계속 진화 중이며, 지금까지는 경량화/소형화/고해상도 발현 등에 기술개발 초점이 맞추어 졌다면, 향후에는 형태의 자유도를 높여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구조 변형이 가능하도록 만든다는 것이 산업의 기술 진화 방향입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장비/부품소재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은 대표적인 장치산업입니다. 패널 원가의 약 70%를 부품소재가 차지하며, 주요 부품으로는 백라이트(36.3%), 컬러 필터(Color Filter, 19.1%), 편광판(10.2%), 유리 기판 (8.4%) 등이 있습니다. 특히 설비 투자비용의 70%가 장비 구매 비용에 들어가며 제품 수율의 90% 이상이 장비 성능에 좌우되는 특성도 있기 때문에 기술세대와 제품 아키텍처 변화에 따른 장비업체의 대응력 여부가 중요한 요소입니다. 또한 패널업체들이 원재료를 공급받아 가공, 조립하는 시스템 산업인 동시에 노트북, 모니터, TV, 핸드폰 등 전방산업에 공급하는 부품산업입니다. 따라서 전방산업과 후방산업의 영향을 크게 받기 때문에 전후방 연관 산업의 네트워크 구축이 매우 중요합니다. 패널은 전방산업인 TV, 모니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멀티미디어제품 등의 성장(시장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후방산업인 패널 생산 장비의 주요 부품과 소재는 조달능력(생산성, 공급망)과 기술력이 경쟁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의 전방산업이 경기 상황에 민감한 IT제품 등이기 때문에 경기상황에 따라 디스플레이 산업의 생산규모와 수익성이 민감하게 변동한다는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이미지: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 전후방 연관 사업

디스플레이의 종류 및 전후방 연관 사업

출처 : 산업연구원

디스플레이 패널은 TV 원가의 50~60%를 차지하는 부품이므로 세트업체 입장에서는 최종 제품의 생산원가를 좌우하는 중요한 부품입니다. 디스플레이 패널은 기술 및 자본 집약적인 특성과 규모의 경제를 통한 대량생산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높은 진입장벽을 가지고 있어 디스플레이 제조업체 간의 경쟁이 치열합니다.

 

디스플레이 산업은 R&D와 생산설비 등 대규모 고정 비용이 소요되는 산업으로, 한 제품이 개발되어 생산 및 판매에 이르기까지는 대규모 투자가 요구되는 장치산업입니다. 또한 초기 생산비용은 고가이나, 생산량이 확대될수록 평균생산비용이 감소하는 규모의 경제가 적용되는 산업입니다. 그러므로 규모 있는 선제 및 적기 투자를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가 시장 선점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며, 일례로 국내 삼성 및 LG그룹이 1997~1998년 IMF 외환위기 속에서도 4세대 라인 투자를 대대적으로 단행하여 2009년 호황기의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최근에는 역으로 시장의 주력 제품의 교체 속도가 점차 빨라져서 투자시기를 놓칠 경우 막대한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고 투자에서 생산까지 일정한 시차가 존재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맞는 전략적인 투자 시점 선택이 매우 중요한 특성이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가) 초고압 살균장치

당사는 삼진식품 및 한국섬유기계연구원과 함께 수산식품 생산공정용 초고압 살균장치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식품산업용 압력용기는 당사에서 기존에 제조, 판매하고 있던 디스플레이용 압력용기(Auto Clave)와 압력기술이 유사하기 때문에 당사 보유기술을 응용하여 식품산업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위한 연구개발 중에 있습니다.

수산식품 생산공정용 초고압 살균장치 개발로 수산물의 맛, 향, 및 영양성분에 변화를 주지 않으면서 유해 미생물을 사멸시켜 유통기한 연장 및 품질향상을 시키기 위한100L-700MPa급 초고압 살균장치를 개발하여 상품화 하고자 합니다. 적용 수산식품으로 어묵을 선정하여 초고압력 처리 공정을 통해 유해미생물 사멸효과 및 수분, 색상, 조직도 등 관능적 요소의 향상과 유통기한 연장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나) 고내열성 분리막코팅 자동화장비

당사는 대구테크노파크와 함께 고내열성 분리막코팅 자동화장비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기존 당사에서 제조, 판매하고 있던 코팅설비의 성능을 개선한 설비로 개발 성공시 경쟁사 대비 기술적 우위를 점할 수 있습니다.

분리막 내열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으로 세라믹 코팅이 일반화되어 있으며 국내에서는 LG화학 배터리와 SK이노베이션이 세라믹 코팅 분리막을 제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계, 폴리이미드(Polyimide)계 등 내열성이 우수한 고분자를 선정하여 코팅 용액을 제조한 후 미세다공 분리막 기재에 코팅함으로서 뛰어난 내열특성과 통기성의 분리막을 제조하는 방식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동사에서 개발 중인 코팅설비는 PVdF를 이용한 코팅설비로 우수한 성능의 분리막을 생산할 수 있는 설비입니다.

(다) CR BINDER 소재 및 장비개발

사업의 다각화와 생산중인 설비와 연동하여 우월한 경쟁력확보와 수익구조의 개선을 위하여 분리막코팅의 후가공소재인 CR BINDER 소재를 개발하였으며 이와 관련 장비도 개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향후 3-4년후 분리막설비시장의 경쟁력강화와 지속적인 시장선점을 위하여 현재 일본의 Shin-Etsu Chemical Co., Ltd 에서 생산하여 리튬밧데리생산업체에 독점공급하고 있는 CR BINDER 소재를 자체 개발하였고 이를 양산중인 PVDF분리막 코팅설비의 후가공소재로 접목하여 설비판매의 우위를 점할 계획이며, 부가적으로 CR BINDER 소재 수익창출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분리막의 고효율을 위하여는 필름이 얇을수록 좋으나 그에 따른 후가공처리가 보완되어야 합니다. 종전의 PVDF를 NMP용매에 녹여서 후가공처리하는 방식보다 더욱 얇은 분리막을 생산하기 위하여 물에 녹는 바인더 소재를 개발하고, 가격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국산화를 하였습니다.

기존의 PVDF 분리막코팅기를 좀더 업그레이드 하여 보다 얇은 분리막필름의 후가공처리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증대되는 고품질의 분리막을 생산할 수 있는 장비와 소재개발하여 향후의 분리막장비 및 후가공시장을 선점할 계획입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의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아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회계감사 및 검토가 완료되기 이전 재무제표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결과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 등이 포함된 감사보고서는 추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제출 예정으로 상세 내용은 감사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20 기 2020. 12. 31 현재
제 19 기 2019. 12. 31 현재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0(당) 기말 제 19(전) 기말
자          산



Ⅰ. 유동자산
31,935,439,375
38,207,439,387
 현금및현금성자산 2,840,234,350
3,450,840,920
 매출채권및기타유동채권 10,165,781,939
11,354,382,837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
575,050,159
 계약자산 2,724,973,008
4,645,484,443
 기타유동자산 2,663,527,580
414,778,259
 기타유동금융자산 635,200,044
2,277,787,157
 재고자산 12,905,722,454
15,489,115,612
Ⅱ. 비유동자산
29,792,990,489
28,048,764,478
 투자부동산 2,845,970,614
2,863,812,891
 기타비유동금융자산 317,542,720
75,603,400
 종속기업투자주식 -
-
 기타비유동자산 1,000,000,000
-
 유형자산 23,068,311,705
22,863,317,764
 무형자산 402,582,679
712,021,539
 이연법인세자산 2,158,582,771
1,534,008,884
자산총계
61,728,429,864
66,256,203,865
부          채



Ⅰ. 유동부채
27,942,507,591
25,743,128,061
 매입채무및기타유동채무 2,482,782,653
3,206,398,527
 기타유동부채 218,655,660
504,847,323
 계약부채 3,761,581,153
7,477,388,800
 단기차입금 19,400,000,000
4,450,000,000
 유동리스부채 258,196,666
-
 유동성장기차입금 500,000,000
10,000,000,000
 파생상품부채 1,189,558,212
-
 유동충당부채 131,733,247
104,493,411
Ⅱ. 비유동부채
3,662,406,120
2,262,922,207
 장기차입금 -
500,000,000
 전환사채 1,296,367,757
-
 신주인수권부사채 1,296,367,757
-
 비유동금융부채 38,000,000
40,000,000
 기타비유동채무 137,204,630
-
 리스부채 149,153,176
-
 확정급여채무 605,444,794
1,399,279,201
 비유동충당부채 139,868,006
323,643,006
부채총계
31,604,913,711
28,006,050,268
자          본



Ⅰ. 자본금
3,220,404,500
3,185,000,000
Ⅱ. 자본잉여금
27,043,769,292
25,961,060,020
Ⅲ. 자본조정
(1,811,778,745)
(60,000,000)
Ⅳ. 기타포괄손익누계액
-
28,321,974
Ⅴ. 이익잉여금
1,671,121,106
9,135,771,603
자본총계
30,123,516,153
38,250,153,597
부채와자본총계
61,728,429,864
66,256,203,865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20 기 2020. 12. 31 현재
제 19 기 2019. 12. 31 현재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0(당) 기 제 19(전) 기
Ⅰ. 매출액
17,660,753,041
34,866,416,537
Ⅱ. 매출원가
18,120,258,022
28,095,857,622
Ⅲ. 매출총이익(손실)
(459,504,981)
6,770,558,915
Ⅳ. 판매비와관리비
7,833,381,670
5,869,559,192
Ⅴ. 영업이익
(8,292,886,651)
900,999,723
Ⅵ. 영업외손익
527,542,363
(166,797,266)
 금융수익 1,373,045,655
75,290,930
 기타수익 526,207,624
587,903,831
 금융비용 829,737,185
475,429,654
 기타비용 541,973,731
354,562,373
Ⅷ. 계속영업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7,765,344,288)
734,202,457
Ⅸ. 계속영업법인세비용
(624,104,467)
220,033,614
X. 계속영업순이익
(7,141,239,821)
514,168,843
XI. 중단영업순이익(손실)
(201,726,559)
(9,835,769)
XII. 당기순이익(손실)
(7,342,966,380)
504,333,074
XIII. 포괄손익
(93,362,143)
4,857,849
 1.재분류되지 않는 포괄손익
(121,684,117)
(7,041,552)
   확정급여 재측정요소 (156,005,279)
(9,027,632)
   관련 법인세 34,321,162
1,986,080
 2. 후속적으로 재분류될 수 있는 포괄손익
28,321,974
11,899,401
   해외사업환산손익 28,321,974

11,899,401
XⅣ. 총포괄손익
(7,436,328,523)
509,190,923
XⅤ. 주당손익
(1,188)
79
   계속영업주당이익(손실) (1,155)
81
   중단영업주당이익(손실) (33)
(2)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20 기 2020. 12. 31 현재
제 19 기 2019. 12. 31 현재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자본조정 기타포괄손익누계 이익잉여금 총계
Ⅰ. 2019.1.1 (기초자본) 3,185,000,000 25,961,060,020 (60,000,000) 16,422,573 8,638,480,081 37,740,962,674
Ⅱ.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 504,333,074 504,333,074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7,041,552) (7,041,552)
해외사업환산손익 - - - 11,899,401 - 11,899,401
. 2019.12.31 (기말자본) 3,185,000,000 25,961,060,020 (60,000,000) 28,321,974 9,135,771,603 38,250,153,597
Ⅰ. 2020.1.1 (기초자본) 3,185,000,000 25,961,060,020 (60,000,000) 28,321,974 9,135,771,603 38,250,153,597
Ⅱ. 총포괄손익
당기순이익 - - - - (7,342,966,380) (7,342,966,380)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121,684,117) (121,684,117)
Ⅲ. 자본에 직접 반영된 소유주와의 거래 등
자기주식취득 - - (1,996,112,170) - - (1,996,112,170)
자기주식의처분 - 120,019,813 244,333,425 - - 364,353,238
종속기업의 해산 - - - (28,321,974) - (28,321,974)
유상증자 35,404,500 962,689,459 - - - 998,093,959
Ⅳ. 2020.12.31 (기말자본) 3,220,404,500 27,043,769,292 (1,811,778,745) - 1,671,121,106 30,123,516,153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20 기 2020. 12. 31 현재
제 19 기 2019. 12. 31 현재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0(당) 기 제 19(전) 기
Ⅰ. 영업활동현금흐름
(11,372,574,495)
1,507,097,928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 (11,346,627,324)
904,851,718
   (1) 당기순이익 (7,342,966,380)
504,333,074
   (2) 손익조정항목 2,099,163,939
2,913,404,390
   (3) 자산ㆍ부채증감 (6,102,824,883)
(2,512,885,746)
 2. 이자수취 7,754,265
1,906,264
 3. 법인세납부액 (33,701,436)
600,339,946
Ⅱ. 투자활동현금흐름
1,855,476,860
(1,850,745,928)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134,801,478
257,634,230
   단기대여금의 감소 1,300,525,726
257,634,23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감소 438,070,867
-
   단기금융상품의 감소 727,061,387


   장기금융상품의 감소 50,727,680
-
   유형자산의 처분 74,181,818
-
   무형자산의 처분 500,000,000


   임차보증금의 감소 44,234,000
-
 2.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1,279,324,618)
(2,108,380,158)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의 증가 -
54,339,600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385,000,000
-
   장기금융상품의 증가 -
234,443,469
   장기대여금의 증가 60,000,000
-
   단기대여금의 증가 -
1,689,360,000
   유형자산의 취득 304,423,618
125,242,789
   무형자산의 취득 253,000,000
1,994,300
   임차보증금의 증가 276,901,000
3,000,000
Ⅲ. 재무활동현금흐름
8,947,992,410
366,369,173
 1.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32,246,874,871
13,450,000,000
   단기차입금의 차입 25,650,575,932
13,450,000,000
   자기주식의 처분 398,204,980
-
   전환사채의 발행 2,600,000,000
-
   신주인수권부사채의 발행 2,600,000,000
-
   유상증자 998,093,959
-
 2.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액 (23,298,882,461)
(13,083,630,827)
   단기차입금의 상환 10,700,575,932
10,650,000,000
   유동성장기차입금의 상환 10,000,000,000
2,000,000,000
   임대보증금의 감소 2,000,000
-
   유동리스부채의 상환 168,359,869
-
   자기주식의 취득 1,996,112,170
-
   이자의 지급 431,834,490
433,630,827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증가(감소)(Ⅰ+Ⅱ+Ⅲ)
(569,105,225)
22,721,173
Ⅴ. 기초의 현금및현금성자산
3,450,840,920
3,452,276,708
Ⅵ. 외화현금및현금성자산의 환율변동효과
(13,179,371)
(24,156,961)
Ⅶ.연결실체의 변동으로 인한 현금의 증가
(28,321,974)

Ⅷ. 기말의 현금및현금성자산(Ⅳ+Ⅴ+Ⅵ)
2,840,234,350
3,450,840,920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 20 기 2020. 12. 31 현재
제 19 기 2019. 12. 31 현재
명성티엔에스 주식회사                                                                       (단위 : 원)
과 목 제 20 기 제 19 기
금액 금액
Ⅰ. 미처리이익잉여금
1,671,121,106
9,135,771,603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9,135,771,603
8,638,480,081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등 (121,684,117)
(7,041,552)
 당기순이익(손실) (7,342,966,380)
504,333,074
Ⅱ. 임의적립금등의 이입액



 합계
1,671,121,106
9,135,771,603
Ⅲ. 이익잉여금처분액



Ⅳ 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671,121,106
9,135,771,603

주) 당사는 2020년 3분기 보고서까지 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여 공시하였습니다. 2020년 11월 종속회사(MS JAPAN CO.,LTD)가 정산 완료됨에 따라 전기금액은 연결재무제표로 작성되었으며 당기 금액은 개별재무제표로 작성되었습니다.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44조(감사의 선임)

① 감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한다.

② 감사의 선임을 위한 의안은 이사의 선임을 위한 의안과는 별도로 상정하여 의결하여야 한다.

③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그러나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감사의 선임에는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다만, 소유주식수의 산정에 있어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는 합산한다.

④ (신설)




⑤ (신설)

제44조(감사의 선임·해임)

① 감사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해임한다.

② 감사의 선임 또는 해임을 위한 의안은 이사의 선임 또는 해임을 위한 의안과는 별도로 상정하여 의결하여야 한다.

③ 감사의 선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4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다만, 상법 제368조의4제1항에 따라 전자적 방법으로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도록 한 경우에는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과반수로써 감사의 선임을 결의할 수 있다.








④ 감사의 해임은 출석한 주주의 의결권의 3분의 2 이상의 수로 하되, 발행주식총수의 3분의 1 이상의 수로 하여야 한다.

⑤ 제3항·제4항의 감사의 선임 또는 해임에는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3을 초과하는 수의 주식을 가진 주주(최대주주인 경우에는 그의 특수관계인,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의 계산으로 주식을 보유하는 자, 최대주주 또는 그 특수관계인에게 의결권을 위임한 자가 소유하는 의결권 있는 주식의 수를 합산한다)는 그 초과하는 주식에 관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지 못한다.


- 감사선임에 관한 조문 정비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정관 반영)





- 전자투표 도입시 감사선임의 주주총회 결의 요건 완화에 관한 내용을 반영함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정관 반영)







 





- 감사의 해임에 관한 조문 정비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정관 반영)

- 감사 선임 또는 해임 시 의결권 제한에 관한 내용을 반영함.

(코스닥상장법인 표준정관 반영)

(신설)

부 칙

제1조(시행일)

이 정관은 2021년 3월 29일부터 개정 시행한다.

 

제2조(감사 선임에 관한 적용례)

제44조제3항·제5항의 개정규정(선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이후 선임하는 감사부터 적용한다.

 

제3조(감사 해임에 관한 적용례)

제44조제4항·제5항의 개정규정(해임에 관한 부분에 한한다)은 이 정관 시행 당시 종전 규정에 따라 선임된 감사를 해임하는 경우에도 적용한다.



※ 기타 참고사항

주) 상기 내용은 정기주주총회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정배 1978. 02. 14.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김정배 현, 인덕회계법인 회계사 2005년
2005년
2005년~2015년
2016년~2017년
2017년~2018년

2018년~현재

-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졸
- 한국공인회계사
- EY한영회계법인 감사본부/재무자문본부
- BK투자증권 PEF투자본부

- Alutec Vina(알루코 베트남 법인) Finance Director

- 인덕회계법인 회계사

해당사항 없음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김정배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김정배 후보는 기업 감사 경험이 풍부하며, 감사로서의 결격사유가 존재하지 아니하고, 기타 회사와의 거래관계 등  감사의 독립성이 훼손될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경영진 등의 영향력을 받지않는 독립적인 지위에서 책임감을 갖고 감사로서의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함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감사 김정배)

확인서(감사 김정배)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명)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2)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0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10(3)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542,526,272
최고한도액 1,0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


(전 기)

감사의 수 1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15,000,000
최고한도액 100,000,000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IV.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가. 제출 개요

제출(예정)일 사업보고서 등 통지 등 방식
2021년 03월 19일 1주전 회사 홈페이지 게재


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첨부


(1) 당사는 주주총회 1주 전까지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를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하고, 회사 홈페이지(http://ms-mc.co.kr)에 게재할 예정입니다.

(2) 사업보고서는 향후 주주총회 이후 변경되거나 오기 등이 있는 경우 수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정정보고서를 공시할 예정이오니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총회장 입구에서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당사는 총회 개최 전 총회장 방역을 실시하고 당일 손소독제를 비치하는 등 방역에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총회에 참석하는 주주분들께서는 감염병 예방을 위하여 진행요원의 안내에 적극 협조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