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2020년 07월 24일 |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20년 07월 02일
3. 정정사항
항 목 | 정정사유 | 정 정 전 | 정 정 후 |
---|---|---|---|
1, 일시 | 일정 변경에 따른 정정 | 2020년 7월 17일 | 2020년 8월 10일 |
주주총회소집공고
2020 년 07 월 24 일 | ||
회 사 명 : | (주)한류AI센터 | |
대 표 이 사 : | 김대곤 | |
본 점 소 재 지 : | 서울시 성동구 왕십리로58, 서울숲포휴 10층 | |
(전 화)02-3497-8900 | ||
(홈페이지)http://www.hanryu-ai.com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대표이사 | (성 명)김 대 곤 |
(전 화)02-3497-89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기 임시주주총회) |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 상법 시행령 제34조 1항에 의거한 벤처기업특례로 인해 당사에 현재 재직중인 사외이사는 없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감사 | 1 | 200,000 | 39,600 | 39,600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정보보호산업 현황
가) 정보보호산업의 정의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32조에 따르면 정보보호산업이란 암호, 인증, 인식, 감시 등의 보안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보안기술 및 보안제품을 활용하여 재난·재해·범죄 등에 대응하거나 관련 장비·시설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모든 서비스 제공과 관련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나) 정보보호산업의 성장
정보보호산업은 '창과 방패'처럼, 진화하는 보안위협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R&D가 필요한 분야이며, 보안위협의 대응과 우수한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암호, 인증, 인식,감시 등의 보안 분야 학문 외에 인문학, 공학 등 다양한 연구 및 인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정보보호산업은 최근 IoT, 모바일, 핀테크, 클라우드 등 신규 기술 환경과 신기술 관련 보안위협의 등장, 랜섬웨어, 소프트웨어 취약성 공격, 조직화, 고도화 공격 증가 등 기존 보안 공격의 고도화로 인하여 정보보호산업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보안사고 발생시 개인.사회.국가 등 전 영역에 영향을 주는 등 파급력이 매우 크고 최근 전 산업의 IT화로 대부분의 산업에 보안기술 적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중요성을 인식 못하지만 사고 발생시에는 높은 수준의 품질을 요구하게 됩니다.
기술적 보안이슈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보안기술 향상에 동반하여 공격 수단도 고도화되고 있어 기술적 보안 강화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하므로 보안 강화를 위해서 조직과 개인의 보안 인식 제고와 더불어 체계적인 보안 관리를 위한 체계 개발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는 향후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기존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부터 융합보안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IoT(사물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보보호산업은 성장발전 가능성이 높은 신성장 산업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중심의 정보보안과 CCTV.저장장치.무인경비서비스 등의 물리보안, 타 산업 군에 보안기술이 적용되는 활용분야(융합보안)로 구분됩니다.
국내 정보보호산업 규모는 2017년 9.5조원(정보보안: 2.7조원, 물리보안: 6.8조원)으로 연평균 11.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지능화된 보안 위협 및 자동차ㆍ안전 등 타 분야의 신규 보안이슈의 확대로 시장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표 3-9] 정보보호산업 매출추이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정보보안 | 물리보안 | 합계 |
2012년 | 1,577,587 | 4,662,041 | 6,239,628 |
2013년 | 1,631,113 | 5,469,092 | 7,100,205 |
2014년 | 1,735,865 | 5,519,452 | 7,255,317 |
2015년 | 2,108,659 | 6,110,086 | 8,218,745 |
2016년 | 2,454,024 | 6,588,787 | 9,042,811 |
2017년 | 2,744,940 | 6,840,822 | 9,585,762 |
2018년 | 3,003,044 | 7,086,480 | 10,089,524 |
2019년 | 3,277,687 | 7,279,550 | 10,557,237 |
CAGR('12-'19)(%) | 11.3 | 7.2 | 8.3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정보보호산업 매출추이
정보보호산업 매출액은 2012년 6,239,628백만원에서 연평균 8.3%씩 성장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정보보안 매출액은 2012년 1,577,587백만원에서 연평균 11.3%씩 성장하고 있으며, 정보보호산업매출액이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법.제도 정비, 최근 보안사고 증가로 인한 경각심 고조, 정부 및 기업의 보안 투자 강화, 해외 진출 노력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 정보보호산업 내 정보보안 분류
정보보호산업은 정보보안산업과 물리보안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정보보안산업의 제품 및 서비스의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소분류 |
세부항목 |
---|---|---|
정보보안제품 |
네트워크 보안 |
웹방화벽 네트워크(시스템)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IPS) DDoS차단 시스템 통합보안시스템(UTM) 가상사설망(VPN) 네트워크접근제어(NAC) 무선 네트워크 보안 망분리(가상화) |
시스템보안 |
시스템접근통제(PC방화벽 포함) Anti 멀웨어 스팸차단 S/W 보안운영체제(Secure OS) APT대응 모바일 보안 |
|
정보유출 방지 |
DB보안(접근통제) DB암호 보안 USB 디지털저작권관리(DRM) 데이터유출방지(DLP) 단말 DLP |
|
암호/인증 |
보안스마트카드 H/W토큰(HSM) 일회용비밀번호(OTP) 공개키기반구조(PKI) 통합접근관리(EAM) 싱글사인온(SSO) 통합계정관리(IM/IAM) |
|
보안관리 |
기업보안관리(ESM) 위협관리시스템(TMS) 패치관리시스템(PMS) 자산관리시스템(RMS) 로그 관리/분석 툴 취약점 분석 툴 디지털 포렌직 툴 |
|
기타제품 |
기타 |
|
정보보안서비스 |
보안컨설팅 |
인증(ISO/G-ISMS) 안전진단/기반보호 진단 및 모의해킹 개인정보보호컨설팅 종합보안컨설팅 정보감사 |
유지보수 |
유지관리 |
|
보안관제 |
원격관제서비스 파견관제서비스 |
|
교육/훈련 |
교육 ·훈련서비스 |
|
인증서비스 |
공인 ·사설 인증서비스 |
나. 회사의 현황
가.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1) 영업개황
최근 급속도로 진전되는 정보화에 의해 정보의 접근성이 용이해지고 경쟁력이 높아지면서, 각종 해킹툴이나 바이러스에 의한 정보훼손 및 정보유출 위험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이를 방지하기 위한 정보보안솔루션을 개발하고 공급하는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1995년 10월 설립 초기부터 90년대 후반까지는 미국 블루스톤社의 사파이어웹 및 Brio社의 OLAP툴을 국내에 처음 소개하면서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그 이후 2001년 초부터 PC보안 솔루션인 SafePC Enterprise를 국내 최초로 출시하면서 통합PC보안시장을 선도하였으며, 2000년대 후반에는 국내 대표적인 B2B전용 내부정보유출방지 솔루션을 개발하여 정보유출방지(DLP: Data Loss Prevention) 시장의 선두주자로 시장에 진입하여 지속적인 성장을 시현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사업부문은 크게 EDR보안 사업부,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서비스 사업부로 나누고 있으며, EDR보안 사업부는 전체 산업군을 대상으로 하는 PC보안솔루션(SafePC Enterprise), 보안USB관리솔루션(SafeUSB+), 개인정보보호솔루션(SafePrivacy), 네트워크접근제어솔루션(SafeNAC)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2017년 4월 6일 (주)시큐플러스와의 소규모 합병을 통하여, (주)시큐플러스의 주 사업인 보안 관제 포털 솔루션(SOC Plus), 이상징후탐지시스템(ADS Plus)을 추가적으로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네트워크보안 사업부는 美 Fortinet社의 국내 판매 Agent로써 '포티게이트(UTM)' 통합보안장비를 국내에 납품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사업부는 웹/모바일 비즈니스 서비스를 위한 SI(System Integration) 또는 SM(System Management)관련 용역으로 특정제품이 아닌 프로젝트 별 고객의 니즈에 맞춰 용역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회사의 제품은 신제품(NEP)인증, 굿 소프트웨어(GS) 인증, CC(국제공통평가기준)등 다양한 인증과 조달청 등록, 신 SW대상, ISO 27001/BS 10012 인증획득 등 공신력 있는 여러 기관에서 제품의 기술 및 품질을 인정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기술력 및 고객의 신뢰를 바탕으로 23년 동안 총 1,500여개의 고객에게 동사의 제품 및 서비스를 제공한 Reference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주요 매출처는 사업부문에 따라 매출군도 다양한 업종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EDR보안 사업부의 주요 매출처는 수요처의 업종에 따라 공공, 금융, 일반산업으로 분류됩니다. 연간 다양한 매출처와 프로젝트가 진행되므로 특정 매출처에 대한 의존도는 높지 않으며 다양한 매출처로부터 안정적인 매출을 창출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또한 금융업과 공공부문을 중심으로 매출처가 구성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보안 사업부도 EDR보안 사업부와 마찬가지로 특정 매출처의 매출 비중은 높지 않으며 다양한 매출처로부터 매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서비스 사업부는 동사의 설립초기부터 삼성전자를 위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오랜 업력에서 쌓인 신뢰 및 업무적 노하우, 인프라를 바탕으로 삼성계열사 등, 매출처를 다변화하고 있습니다.
(2) 사업의 구분
가) EDR보안 사업부
1) 주요제품 및 서비스 개요
① SafePC Enterprise
SafePC는 초기 PC 보안 솔루션으로 개발이 시작되어 2001년 개발이 완료되면서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이를 통해서 다양한 기술 개발상과 벤처 우수 기업으로 선정되는 등 닉스테크가 성장하고 회사의 제품이 Safe시리즈로 브랜드화 되는데에 기여한 주요 제품입니다. 동 제품은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서 신규기술 및 기능이 추가되어 업그레이드 되고 있으며, 현재는 Endpoint 보안 솔루션의 통합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품이미지 |
제품 설명 |
||
---|---|---|---|
|
SafePC Enterprise는 크게 3가지의 대표적이 기능을 분류할 수 있다. “기밀 정보 모니터링 및 강제 암호화”, “내용기반 On/Off-line 실시간 유출 차단“, ”PC 오남용 방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분류 |
내용 |
---|---|
기밀 정보 모니터링 및 강제 암호화 |
- 관리자의 키워드/패턴 및 보안 정책을 통하여 기밀 정보 검색 및 로그 정보 모니터링 제공 - 보안 정책에 따른 기밀 정보 문서 강제 암호화 제공 |
내용기반 On/Off-line 실시간 유출 차단 |
- On/Off-line을 통한 정보 유출 시도 시 실시간 기밀 정보 검색을 통한 차단 기술 제공 - On/Off-line의 보안 정책을 통한 사용자/그룹별 차단 방식 제공 |
PC 오남용 방지 |
- 네트워크 통제 (URL 차단, 웜차단, 방화벽 기능) - 특정 프로그램 실행 차단, 자체 프로그램 보호 - 특정 패치 관리 및 SW와 HW의 자산 관리 기능 |
SafePC Enterprise의 주요 기능 설명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기능명 |
기능 설명 |
---|---|---|
기밀 정보 모니터링 및 강제 |
키워드/패턴 정책 |
중요 파일 및 개인정보를 구별하기 위한 키워드/패턴 정책 설정 |
검색 기술 |
키워드/ 패턴에 해당하는 파일을 검색하여 인덱싱을 제공 |
|
파일 암호화 / 완전 삭제 |
검색에 의해 검출된 파일에 대하여 보안 서비스로 암호화 및 완전 삭제를 제공 |
|
내용기반 On/Off-line 실시간 유출 차단 |
실시간 유출 차단 |
중요 파일이 온/오프라인로 전송 및 복사하려는 경우 실시간 검색을 통해서 중요 문서에 대하여 차단 기술 제공 |
온/오프라인 통제 |
네트워크 유출 경로를 통한 정보 유출 및 저장 장치와 통신 포트에 대하여 정책으로 통제를 제공 |
|
PC 오남용 방지 |
방화벽 기술 |
에이전트를 통해서 PC의 네트워크 및 포트 통제 제공 |
URL 차단 기술 |
정책을 통해 비 업무용 URL 접근 통제 |
|
웜 차단 기술 |
웜으로 인한 대량의 패킷 발생을 차단함 |
|
프로그램 통제 기술 |
특정한 프로그램의 실행 및 악성 코드 삭제 기능 제공 |
|
제어판 통제 기술 |
PC의 제어판 기능 설정 및 변경에 대하여 통제 제공 |
|
패치 관리 기술 |
운영 체제의 패치에 대한 관리 제공 |
|
출력물 보안 기술 |
출력물에 대한 워커마킹 및 울력 로그 분석을 통한 통계 제공 |
|
자체 프로그램 보호 |
자체 보호를 통해서 외부의 공격으로부터 프로그램의 안전한 실행 |
|
하드웨어 관리 |
장치의 탈/부착을 통해서 등록되어 있는 하드웨어 목록 관리 |
|
소프트웨어 관리 |
소프트웨어 목록을 통해서 설치에 따른 라이센스 관리 제공 |
② SafeUSB+
제품이미지 |
제품 설명 |
||
---|---|---|---|
|
보안 USB는 국정원의 보조기억매체관리에 대한 지침을 준수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발되어 판매되는 제품으로, 2007년 생산되어 현재까지 공공기관 등에 판매되어 오고 있으며, 금융권의 경우 망분리 및 내부 정보를 분실하더라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방안으로 판매가 되고 있습니다. |
보안 USB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기능명 |
기능 설명 |
인증 |
사용자 및 |
사용자의 패스워드 설정을 통해서 디바이스 인증 |
보안 USB |
배포 |
관리자는 사용자들에게 보안 USB 하드웨어를 배포 |
등록 |
사용자들은 해당 보안 USB 등록하여 사용 신청 |
|
회수 |
사용 중인 보안 USB를 사용하지 못하도록 관리자가 설정 가능 |
|
외부 정책 |
인증 잠김 |
사용자의 패스워드 틀린 경우의 수로 잠김 |
외부 사용 기간 |
외부에서 보안 USB를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을 설정 |
|
외부 복사 차단 |
외부 PC에서 읽기 / 쓰기에 대한 통제 제공 |
|
분실 및 도난 |
파일 암호화 |
파일 저장시 자동 암호화로 인해 분실시 임의 파일 확인 불가능 |
완전 파기 |
회수 및 잠김 기능을 이용하여 불법 사용자의 접근을차단하고 보안 USB에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 모두 |
③ SafePrivacy
제품이미지 |
제품 설명 |
||
---|---|---|---|
|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은 개인정보보호법의 준수를 위하여 개인정보에 대한 파일을 검색하고 모니터링하며 검출된 파일에 대하여 암호화 및 완전 삭제 그리고 외부 유출에 대하여 차단을 제공합니다. |
SafePrivacy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기능명 |
기능 설명 |
---|---|---|
개인정보 검색 |
패턴, 키워드 등록 |
개인정보 검색에 해당되는 패턴 및 키워드를 관리자가등록 |
등급 정책 |
개인정보 매체에 대한 통제 정책 적용 |
|
개인정보파일 보호 |
정책적 암호화 |
개인정보 파일을 정책적으로 암호화 격리 제공 |
정책적 완전 삭제 |
검출된 개인정보 파일 완전 삭제 |
|
사용자 암호화 |
검출된 개인정보 파일 리스트를 사용자가 보고 선택적암호화 |
|
사용자 완전 삭제 |
개인정보 파일 리스트에서 사용자가 선택하여 삭제 |
|
개인정보유출 통제 |
매체 통제 |
매체를 통한 개인정보 파일 유출 차단 |
네트워크 통제 |
네트워크를 통해서 첨부파일로 유출되는 개인정보 |
|
출력물 통제 |
개인정보파일 출력에 따른 내용 차단 및 허용 |
|
개인정보 |
개인정보 출력 |
개인정보 출력 차단 시 결재자의 승인을 통해서 |
개인정보 반출 |
개인정보 파일 외부 전송시 결재자 승인을 통해서 |
④ Safe NAC
제품이미지 |
제품 설명 |
||
---|---|---|---|
|
NAC는 비인가 단말 및 사용자에 대한 내부 네트워크 접근통제 및 내/외부 보안위협으로부터 네트워크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
SafeNAC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기능명 |
기능 설명 |
---|---|---|
인증 및 접근제어 |
비인가 단말/사용자 네트워크 접근차단 |
비인가 단말 및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사전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 |
사용자 인증 |
ID/PW, MAC, SSO연동, 지문, 보안토근, 인증서 등 다양한 인증요소에 의한 개별 또는 병행 인증기능 |
|
유무선 인증 |
802.1X 및 none-802.1X 환경의 유무선 통합 |
|
접근제어 |
단말단 ACL(Access Control List)에 의한 네트워크 접근제어 |
|
차단, 격리 |
정책위반 시 네트워크로부터 차단 또는 격리함으로 내부 네트워크 자산을 보호 |
|
정책 관리 |
3rd party |
3rd party 솔루션 연동을 통해 기 운영 환경과의 |
Windows 보안 |
Windows 방화벽, MS update설정, 화면보호기, |
|
Host 기반 IPS |
유해트래픽의 위협으로부터 네트워크단이 아닌 |
|
무선 네트워크 우회 검사 |
와이브로, 테더링, 핫스팟, 블루투스, Soft AP 등 무선 우회를 통한 네트워크 접속의 탐지 및 차단 기술 |
|
시스템 관리 |
IP 관리 |
자체 DHCP 서비스를 통한 IP 관리 기능 제공 |
이중화 기술 |
자체 HA(High Availability) 기술을 이용한 이중화 |
|
모니터링 |
서버 및 서비스 동작 상태를 Dashboard 형태로 제공 |
|
중간 관리자 |
중간 관리자를 통한 일부 권한 위임 및 관리 기능 |
|
업데이트 |
긴급패치 및 일반패치 기능 제공 |
2) 경기변동과의 관계
정보보호제품은 각 기능 및 목적이 특수하기 때문에 구입 대상과 판매 대상이 한정적이며 각 제품에 대한 시장이 일정하게 존재하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경기가 좋거나 나쁘거나 어느 정도 제품의 시장이 존재하나 법령과 보안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제품의 판매율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과거 개인정보 유출 사건, 금융 보안 사건으로 인해 개인정보보호 솔루션과 망분리 솔루션 및 PC보안 통제 솔루션의 판매가 증가하였으며, 정부의 개인정보보호 규제 강화 및 망분리 정책 등 정책적 지원으로 정보보안 솔루션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보안 솔루션은 경기의 변동과의 관계는 낮은 편이며, 오히려 보안에 대한 법령 및 국가 정책, 정보보안관련 사고에 따라 제품의 각광을 받을 수 있는 기회가 존재합니다.
3) 제품의 Life-Cycle
제품의 라이프 사이클은 기술 도입, 성장, 성숙 그리고 쇠퇴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신규버전 출시에 따른 업그레이드와 기능 개선 및 신규 기능 추가에 따른 업그레이드에 의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창출되고 있습니다.
제품군 |
동사제품 |
라이프사이클 위치 |
비고 |
---|---|---|---|
PC보안 |
SafePC Enterprise |
성숙기 |
- 시장이 거의 고정되어 있음 - 성숙기에서 차별화를 위해서 새로운 기술 개발 필요 - One Agent라는 차별성 제시로 시장의 재도약기 |
보안USB |
SafeUSB+ |
성숙기 |
- 시장이 공공에서 금융으로 이동 중 - 재도약이 필요한 시점에서 SafePC Enterprise와 통합 기능 추가 - 고객사에 추가 판매 개척 가능 |
개인 정보보호 |
Safe |
성장기 |
- 개인정보보호 시행으로 빠른 제품 판매 - 가트너에서도 기술에 대한 기대치가 높음 - 경쟁사와 차별화를 위해서 One Agent라는 통합 솔루션 제시 - 통합을 통해 SafePC 고객에게 추가 판매 가능 |
NAC |
SafeNAC |
성숙기 |
- 시장이 무선 네트워크 접근제어로 이동 중 - 모바일 디바이스 인증 기술 개발 - 경쟁사와 차별화를 위해서 One Agent라는 통합 솔루션 제시 |
나)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1) 주요제품 및 서비스 개요
① Fortinet社의 Fortigate
Fortigate는 수많은 수상 경력을 자랑하고 있으며, ICSA로부터 5개의 분야(방화벽, 안티바이러스, IPSec VPN, IPS, 안티스팸)에 걸쳐 인증을 획득한 유일한 솔루션이며 전세계 100,000만의 고객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2004년 Fortinet社의 국내 공급자 계약을 체결하고 네트워크보안 솔루션 제품인 Fortigate를 국내 기업 및 금융권에 공급하고 있습니다.
UTM이란, 방화벽, VPN, Anti-Virus, IDS, IPS, Anti-Spam, Spyware, SSL VPN, QoS 등의 여러 보안기능을 단일의 장비에서 통합적으로 수행하는 장비를 뜻합니다. Fortigate는 유일하게도 모든 기능을 내재하고 있어, 따라서 별도의 모듈 구입이 필요 없는 고속의 ASIC기반의 High Performance UTM장비로써 네트워크보안 시장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주요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기능 |
|
---|---|
1. Firewall - Stateful Inspection 방화벽 - NAT, PAT, Transparent(bridge) mode 지원 - Virtual Domain 기능(NAT/Transparent mode) - DHCP relay, WINS 지원 |
2. SSL VPN - 무료(모델별 최대 사용 가능한 user 제한) - 기본 인증(Local, AD, RADIUS, LDAP)에 추가로 ForiToken을 통한 OTP 인증 기능 - 간단하게 웹브라우저로도 사용 (web mode) |
3. VPN - PPTP, IPSec, SSL, L2TP 지원 - DES, 3DES, AES 암호화 지원 - SHA-1, MD5 인증 옵션 |
4. Anti Virus - ASIC 기반의 바이러스 차단(고성능) - 신속한 패턴 업데이트와 자동 Push 기능 - HTTP/FTP/IMAP/POP3/SMTP |
5. IPS - 5000 종류 이상의 공격 패턴 차단 - 실시간 침입 차단 패턴 자동 업데이트 - 사용자정의 공격 패턴 입력 및 차 - 서비스별 또는 IP별로 개별 정책 적용 가능 - DOS/DDOS, SCAN, Flood, ICMP 공격 차단 |
6. Anti-Spam - IP주소 검사 - 실시간 Black List 및 Open Relay DB 를 참조하여 차단 - DOS/DDOS, SCAN, Flood, ICMP 공격 차단 - Email 주소 검사, 금지 단어 검사 |
7. Web Filtering - URL 또는 단어로 차단 가능 - JAVA, Cookies, Active X 차단 가능 - 30만개 이상의 website 블랙리스트 제공 - 유해(비업무)사이트 차단 |
8. QoS( Traffic Shaping) - 어플리케이션, IP별, 그룹 별 대역폭을 할당하고 제어 - Que의 정렬, 우선순위 설정 등의 관리 |
9. WAN 최적화 기능 - 데이터 전송 속도 가속 |
10. DLP(정보유출차단) 기능 - 패턴매칭과 정규식표현 이용 정보유출 차단 |
11. IM / P2P / Application 제어 - AOL-IM, Yahoo, MSN, ICQ, Gnutella, BitTorrent, Skype, eDonkey, KaZaa 등에 적용 - 로그인 파일전송 음성채팅 비 표준 port로 통신을 차단 - 1,000개 이상의 어플리케이션 제어 기능 |
2) 경기변동과의 관계
보안산업은 지식정보보안산업과 물리보안산업으로 구분되는데 보안 산업 전체는 기본적 안전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산업이므로 경기변동의 영향을 비교적 적게 받는 것이 특징입니다. 1999년 이후에는 국내외 경기의 불확실성 증대, 내수경기 위축 등 어려운 시장환경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습니다. 그 중 지식정보보안산업 분야의 네트워크보안산업은 IT 산업의 근간이 되는 네트워크 영역의 보안을 책임지는 산업 영역으로 현재 BcN, 유/무선통신, 스마트그리드 등 다양한 보안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인터넷 인프라에 비해 정보보안 인프라가 취약하여, 보안사고의 위험이잠재하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침입차단시스템(Firewall)을 시작과 닷컴 열풍으로 1990년 말부터 보안1세대 기업들은 네트워크보안 제품으로 IDS, IPS등을 거쳐 현재는 UTM, 차세대 방화벽 등 다기능의 제품과 Content Awareness 등과 같은 내용기반 탐지, 차단 기능의 제품들이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매출의 규모는 전체 보안산업의 약 20%에 해당되며 다른 보안산업에 비해 안정적인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보안산업은 신규 네트워크 및 기존 네트워크의 업그레이드가 필수적 요소로 제공되는 산업입니다. 그만큼 타 보안사업에 비해 가장 경기변동과 영향이 적고 특히 최근 발생하고 있는 DDoS, 좀비PC(APT) 등의 중요기관 IT서비스 운영을 저해하는 각종 공격 등 최신 보안위협의 최전방에서 지속적인 기술발전 및 신기술 창조로 최적의 방안과 인프라를 제공하여 가장 안정적인 성장률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3) 제품의 Life-Cycle
네트워크보안 제품은 급속한 기술발전(CPU 성능 발전) 및 최고의 성능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각 제품의 라이프사이클(Life Cycle)이 짧으며, 새로운 시장이 지속적으로 창출되도록 업그레이드를 통한 지속적인 유지보수가 필요한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시장에서 요구되는 performance, latency 등을 고려하여 각 제품별로 짧게는 2~3년, 길게는 5년의 End of life를 발표합니다.
다) 서비스 사업부
1) 주요제품 및 서비스 개요
서비스사업부는 웹/모바일 비즈니스 서비스를 위한 SI(System Integration) 또는 SM(System Management)관련 용역으로 특정 제품이 아니며 프로젝트마다 고객의 니즈에 맞게 용역의 성격이 달라지므로 정형화된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2) 경기변동과의 관계
SI산업은 경기 민감도가 높은 산업입니다. 이는 기업들의 전산 관련 투자가 경기변동에 크게 영향을 받는 가운데 SI기업들의 실적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 경기하강 국면에서는 SI투자가 광고선전비 등 기업의 마케팅 비용과 함께 비용절감을 위한 첫번째 고려대상이 되는 등 선행적인 성격이 강하며, 경기상승 국면에서는 후행적인 성격이 강하는 경향을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내 및 세계경제는 저성장 기조를 이어가고 있으며, 경기둔화가 장기화될 경우 SI시장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다만, 당사의 경우 SI사업 이후 운영 및유지보수 업무를 연계하여 차별성을 확보하고 운영 및 유지보수를 통해 새로운 아이템을 발굴하여 다시 신규SI사업을 수행하는 순환형(Cycle)사업관리 방식으로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있습니다.
3) 기술변화에 따른 영향
IT서비스시장의 특징은 신속한 기술변화, 업계표준의 끊임없는 진화, 고객의 요구사항 및 수요형태의 다변화,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의 지속적인 출현 등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SI업체들의 성장성 및 수익성은 이러한 시장의 특성 및 고객의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예측하고 효율적인 솔루션을 적시에 개발, 구현하는 능력에 달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장의 변화와 고객의 수요를 제대로 예상하지 못하거나 대응하지 못하는 기업들은 경쟁업체가 제공하는 서비스와 솔루션으로 인해 동사의 서비스나 솔루션이 경쟁력이저하되거나 노후화될 수 있습니다. 또한 시장수요에 맞춰 당사가 제공하는 서비스 및솔루션을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신규 기술직의 영입 혹은 추가적인 자본지출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SI업체들은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많은 협력업체와의 공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협력업체의 개발능력 및 생존능력이 프로젝트를 실행함에 있어서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우수한 협력업체의 선정 및 관리능력도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SI업체들이 주요 협력업체들이 이러한 빠른 기술의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영업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라) 계절적 요인
당사의 매출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정보보안산업의 고객 대부분이 1년 단위로 정보보안관련 예산을 편성하고, 이를 회계연도가 끝나기 전에 집중적으로 집행하기 때문에 월별 매출이 연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제품 납품과 동시에 검수확인이 이루어져 매출인식이 가능한 하드웨어 납품 프로젝트와 달리,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는 제품 개발이 완료된 이후 검수확인이 가능하기 때문에 프로젝트가 상반기에 시작되어도 매출인식은 하반기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월별매출액을 비교해보면 12월에 편중된 매출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나. 사업 구조
(1) 제품의 생산, 판매방식
1) 제품 생산 방식
당사의 제품은 소프트웨어이며 당사 기술연구소에서 제품 개발을 진행한 후 품질팀에서 검증 테스트를 진행하고. 영업본부를 통해 고객사에 납품되는 프로세스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패키지솔루션의 개발은 당사의 기술연구소에서 기획-설계-개발-품질검사의 과정을거쳐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구축은 다음과 같이 진행됩니다.
① 제품 구축 프로세스
- 제품 납품 방법 : 최초 발주→납품→검수→완료 프로세스로 진행
![]() |
제품 구축 프로세스 |
② 유지보수 프로세스
당사는 통상적으로 1년 무상보상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이후에 대한 유지보수는 유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유지보수 프로세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A. 계약사항에 준하여 정기적 점검 시행 고객사별 다를 수 있으며 1년을 기준으로
월 1회 또는 분기 1회 방문하여 점검 시행
B. 개선 기능에 대해 적용하여 추가 발생 할 수 있는 장애사항에 대해 예방을 진행
[기술지원 장애대응 프로세스]
![]() |
기술지원 장애대응 프로세스 |
③ 교육
당사는 고객이 요청 시 유지보수 기간 중 담당자 변경 및 시스템 안정적 운영을 위한관리자 교육을 유지보수 기간 내에 1회 지원합니다.
A. 교육의 필요성
->안정적 보안시스템 관리 및 운영
->사용자로부터 접수 된 사항에 대한 간단한 장애 및 문의 건 대응
B. 교육내용
-> 기 구축된 시스템 사용 및 운영방법
-> 고객사에 적용 된 기능에 대한 상세 기능 시현
-> 관리자 매뉴얼 및 사용자 매뉴얼 갱신
2) 판매 방식
당사는 총판 또는 리셀러를 두지 않고 직판으로 제조, 판매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판매방식은 ① 직접 판매 ②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 ③ SI 업체를 통한 판매 방식이 있습니다.
① 직접 판매
일반적으로 기업으로 납품하는 경우 고객으로부터 RFP(request for proposal)를 받아 제안서를 제출하고 기술 및 가격을 심사받게 됩니다. BMT(Benchmark Test, 성능시험) 및 POC(Proof of Concept, 개념증명)를 통한 기술경쟁과 가격경쟁을 통해 최종으로 납품사가 결정되는 형태입니다.
②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
공공기관 납품에 한한 판매 방식으로 조달청과 SW 3자 단가계약 체결 후 나라장터에 등록하여 모든 공공기관의 입찰에 참가할 수 있습니다.
◆ 제3자 단가계약이란? 수요기관에서 공통적으로 필요로 하는 수요물자를 제조·구매 및 가공 등의 계약을 할 때 미리 단가만을 정하여 계약체결하고, 각 수요기관에서 계약상대자에게 직접 납품요구 하여 구매하는 제도
◆ 제3자단가계약 물품 납품요구 및 처리절차
- 제3자를 위한 단가계약 체결(나라장터 종합쇼핑몰에 상품등록)
- 수요기관에서 분할납품요구(나라장터를 통해 전산으로 요구)
- 계약이행(계약업체는 수요기관에 해당 물품 납품)
- 수요기관의 물품 인수 후 나라장터를 통해 수요 기관에 검사/검수를 요청
- 검사 및 검수(수요기관에서 물품납품 및 영수증을 나라장터를 통해 발급)
- 계약업체는 나라장터를 통해 전자적으로 대금청구
- 계약업체에 대금지급(종결)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 절차 Flow]
![]() |
조달청 나라장터 등록절차 flow |
출처: 나라장터 (http://www.g2b.go.kr)
③ SI 업체를 통한 판매
SI서비스는 “컨설팅→시스템 분석 및 설계→시스템 통합 및 구축→운영 및 사후관리”등 일련의 서비스들이 결합된 종합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프로젝트마다 형태 및 구성이 상이합니다. 따라서 SI서비스 전체 업무를 일괄적으로 제공하는 종합 IT서비스 사업자라 하더라도 대개 전문 SW업체나 컨설팅회사, 하드웨어 Vendor, 소프트웨어 Vendor, 용역하도급업체 등과 협력관계를 맺고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러한 업무프로세스의 특성으로 인해 개별 SI기업 간의 수평적 경쟁관계와 더불어 각 프로젝트 수행시 원청업체(1차 수주기업)와 하청업체(2~3차 수주기업)들 간의 수직적 협력관계가 공존하는 특성을 보이고 있습니다. 따라서 하청업체에 대한 관리능력, 하청업체의 기술력, 인적자원, 업무수행능력 등 요인은 SI업체들의 수익 및 업무수행능력 등에 대해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SI 업체 사업 내용
- 공공기관, 기업, 금융 등 전산분야의 정보시스템에 관한 기획에서부터 컨설팅, 개발, 구축 및 운영까지 Total IT 서비스 제공
- 사용자의 업무환경에 맞는 솔루션을 구현 →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경영성과 창출에 기여 → 최종적으로 업무의 질 향상
[서비스 구조]
![]() |
서비스구조 |
(2) 원재료 수급상황
당사는 직접 개발한 소프트웨어의 공급 및 설치, 시스템 통합(SI), 용역개발 및 기타유지보수를 주요 사업으로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경우 EDR보안 사업에서 주로 원재료 매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그 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제품명 |
원재료명 |
---|---|---|
원재료 |
Safe PC Enterprise |
Secuprint |
H/W장비(방화벽,바이로봇,DRM등) |
||
H/W소모품(외장형하드,케이블 등) |
||
Safe USB |
USB |
|
Safe NAC |
NAC |
|
H/W장비(방화벽,바이로봇,DRM 등) |
(3) 외주생산에 관한 사항
1) 외주생산의 이유
당사는 사업구조 상 당사가 개발하거나 위탁 판매하는 소프트웨어의 라이선스 제공,솔루션 납품, 용역개발 및 기타유지보수가 주요 사업이므로 별도의 생산설비 시설은 없습니다. 당사는 매출이익을 고려했을 때 자체 개발 인력 투입 대비 효율성이 낮은 경우, 필요한 기술이 당사의 비 핵심 기술로 외주 생산을 맡기는 것이 효율적인 경우,프로젝트별 업체상주 또는 근접지역 거주 개발인력이 필요한 경우 외주 생산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외주용역은 연구개발에 필요한 연구개발 위탁용역과 SI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외주용역으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연구개발의 경우 보안제품 개발 중 추가적인 소스 개발 시 외부인력이 필요하고, SI프로젝트의 경우 일시적으로 솔루션 개발용역이 필요함에 따라 동사의 핵심인력이 주축이 되고 외부 개발자를 영입하여 팀을 구성하고, 업체에서 상주하거나 근접지역에서 출퇴근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고있습니다.
(4) 판매경로 등
가) 판매조직
|
1) EDR보안(정보보안)사업부
EDR보안 사업은 단말 보안 솔루션에 대하여 개발, 판매, 기술지원을 합니다. 이를 위해 기술 연구소, 기술 지원, 영업으로 3개의 부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부서 |
역할 |
인원 |
---|---|---|
기술 연구소 |
- 단말 보안 솔루션의 개발 및 연구 진행 - 기술 발전 트렌드를 통해서 새로운 기술 개발 -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제공 |
5명 |
기술 지원 센터 |
- 고객사 구축 및 유지 보수 - 고객사 제품에 대한 운영 지원 (교육, 기술 이전 등) - 고객사 운영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 |
11명 |
영업부/전략기획 |
- 판매 및 전시회 운영 - 제품 제안 및 시장 동향 조사 |
9명 |
EDR보안 사업의 제품은 SafePC Enterprise, SafeUSB, SafePrivacy, SafeNAC입니다. 이 중 SafePC Enterprise는 One Agent를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가지고 있어 4개의 제품을 통합하여 기능 및 관리를 제공합니다. 그리고 새로운 사업인 보안 관제 포털 솔루션(SOC Plus), 이상징후탐지시스템(ADS Plus)을 추가적을 추가적으로 제공합니다.
2)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네트워크보안 사업은 영업 및 제품에 대한 기술지원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서 |
역할 |
인원 |
---|---|---|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
- 판매 및 전시회 운영 - 제품 제안 및 구축 - 제품에 대한 운영 지원 (교육 등) |
3명 |
3) 서비스사업부
서비스사업은 단일 부서에서 SI 및 SM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부서 |
역할 |
인원 |
---|---|---|
서비스사업부 |
- 판매 및 유지보수 - SI 및 SM 진행 - 제품에 대한 지속적인 기술 제공 |
10명 |
나) 판매경로
제품은 판매조직에서 직판, 비즈니스 파트너, 협력사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비즈니스 파트너는 당사 제품에 대한 재판매 계약을 맺은 업체로 영업 및 기술을 협력하는 업체입니다. 비즈니스 파트너는 전국을 관리적인 측면과 효율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크게 중부권(수도권, 강원도), 서부권(충남북, 전남북), 동부권(경남북, 제주도)으로 구분하여 각 권역별로 파트너들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각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업체들 중에서 당사 솔루션을 이해하고 기술협력이 가능한 업체를 발탁하여 파트너 관계를 맺고 함께 사업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지역 파트너사와 공동마케팅, 시장 정보공유 등을 통해 고객을 발굴하고 제품 판매를 활성화하며, 신시장을 개척하고 있습니다. 지역에 있는 기존 고객에게는 기술 지원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추가 영업을 통해 신제품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제품 판매는 비즈니스 파트너뿐만이 아니라 SI(System Integration)업체, 솔루션 유통업체 등 다양한 영업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형 SI업체와는 큰 규모의 사업위주로 협력을 하고 있으며, 솔루션 유통업체들과는 중소규모의 기업, 제2금융권, 지자체 등을 위주로 활발한 영업 협력을 하고 있습니다.
[제품별 판매 경로]
판매경로 |
품목 |
금융 |
기업 |
공공 |
---|---|---|---|---|
직판 |
EDR보안 네트워크보안 서비스(SI/SM) |
-은행 -보험/증권 |
-그룹사 -대기업 |
-공공기관 -국방 |
비즈니스파트너 |
-보험/증권 -저축은행 |
-중소제조업체 |
-공공기관 -지자체 |
|
SI업체 |
-은행 -대형사업위주 |
-SI업체 해당사 |
-공공기관 -대형사업위주 |
|
솔루션유통업체 |
-보험/증권 -저축은행 |
-중소제조업체 |
-지자체 |
다) 판매전략등
1) 영업전략
① EDR보안 사업부
당사의 영업 전략을 다음과 같이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습니다.
구분 |
내용 |
---|---|
기존 고객사 |
- 기존 고객사 대상으로는 각각의 솔루션 도입 업체에 통합 One Agent를 제안하여 추가 제품 구매 및 업그레이드 제시 - 추가 제품 구매 및 업그레이드 시 가격 경쟁력 제공 - 기존 고객을 지키고 고객의 제품 충성도를 높이는 전략 |
신규 고객사 |
- 법령에 따른 제품 구매 제안 - 다양한 기능 및 통합 제품 기능 제공으로 인한 장점 제안 - 하나의 솔루션이 아닌 통합 솔루션을 제안하여 도입 단가를 |
진입 장벽 및 충성도 높이기 |
- 제품의 판매 후 사후 관리를 통한 제품의 충성도를 높이는 방안 - 보안에 대한 제품 교육을 통해서 지속적인 제품에 대한 - 고객의 요구 사항 수용을 통한 타 벤더 솔루션 진입 장벽을 |
브랜드 이미지 구축 |
- 단말 보안 솔루션의 전문 브랜드 이미지 구축 - 기업의 전시회 홍보를 통해서 보안 전문 브랜드 이미지 강화 - 신제품 런칭을 통한 끊임없는 도약의 브랜드 이미지 구축 |
②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구분 |
FortiGate 영업전략 |
---|---|
현 상황 |
2000년대 초반에 설립한 Fortinet의 전략적인 상품군인 FortiGate는 UTM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하면서 근 10년 이상 가장 가파르게 성장한 보안 네트워크보안 사업부는 2004년 Distributor로서 계약을 체결하고 MSSP, Enterprise 및 금융권에 제품을 공급하여 왔으며, 주력상품으로 뛰어난 기술력및 영업력을 보유하고 있음. |
접근방법 |
전통적인 방화벽시장 : Network보안의 가장 기본이 되는 네트워크방화벽 All-in-one : 제품의 concept인 한 장비에서 보안기능을 다 cover할 수 있는UTM으로서 중소기업에 최적화 ATP대응 :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보안환경에 맞게 발빠른 대응으로 방화벽기능뿐만 아닌 신규 기능을 추가하여 최근 이슈화되고 있는 ATP시장에 |
③ 서비스 사업부
기술력과 업무 노하우를 기반으로 시스템 개발 및 운영을 통해 삼성전자(반도체), SK하이닉스 등의 제조 분야와 금융, 공공 분야에서 지속적인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삼성SDS, SK C&C, 현대정보기술 등과 같은 SI 전문 대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도
꾸준하게 유지하면서 경쟁력을 키워 왔습니다.
그 외 고객사에 대해서는 고객사의 사업 동향 파악을 통해 접근하면서도 새로운
기술력을 기반으로 고객사에서 필요로 하는 업무를 먼저 제안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타 SI 회사와의 차별화를 강조하고 있습니다.
2) 판매 전략
① 대기업 SI업체를 통한 영업 및 마케팅활동 강화
당사는 삼성SDS, LGCNS, IBM, ORACLE, SK C&C, 사이베이스, 쌍용정보통신
등과 함께 영업 및 마케팅을 공동으로 지원할 예정이며, 각종 전시회 주체, 정기적인 기술교육 협력사간 정보공유를 통해 매출을 극대화하고자 합니다.
② 지방총판 발굴 및 타 보안업체와의 연동
성장가능성 있는 Reseller를 발굴, Reseller 육성정책을 새롭게 정비할 계획이며,
대기업SI업체(LGCNS, 대림정보통신)와의 공조 및 산업별 전문 협력업체를 발굴할 예정입니다. 현재 전국 협력업체으로 엘아이텍, 신한시스템즈, 지엔콤, 티아이에스에스, 티아이에스, 이스트, 인텍시스템 등을 두고 있습니다.
③ CC인증 획득
2009년 6월부터 공공기관에 제품을 판매하려면 CC인증을 획득해야 합니다. 당사는2009년에 국내 업체중 최초로 보안USB(SafeUSB+) CC인증을 획득하였으며, SafePC Enterprise, SafeNAC까지 추가로 인증을 획득하였습니다. 경쟁사 대비 가장 먼저 인증을 획득하여 시장을 발빠르게 선점할 예정입니다.
④ 신규 전략적 제휴사 확보 통한 솔루션 시장 본격적 진입으로 매출 증가 예상
방화벽 정책 분석 관리, 통합 관리 솔루션, 선제적 위험 및 보안관리 솔루션을 개발하는 파이어몬 사와 Big Data 분석솔루션으로 포춘100대 기업 선정 (나스닥상장, 매출 5천억원) 최대 라이센스(400개)를 보유한 스플렁크사의 제품 스플렁크의 도입으로 매출성장이 극대화될것으로 기대됩니다.
다. 시장 현황
(1) 정보보호산업 현황
가) 정보보호산업의 정의
정보통신산업진흥법 제32조에 따르면 정보보호산업이란 암호, 인증, 인식, 감시 등의 보안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제조 또는 판매하거나, 보안기술 및 보안제품을 활용하여 재난·재해·범죄 등에 대응하거나 관련 장비·시설을 안전하게 운영하기 위한 모든 서비스 제공과 관련되는 산업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나) 정보보호산업의 성장
정보보호산업은 '창과 방패'처럼, 진화하는 보안위협에 대응하여 지속적인 R&D가 필요한 분야이며, 보안위협의 대응과 우수한 제품 개발을 위해서는 암호, 인증, 인식,감시 등의 보안 분야 학문 외에 인문학, 공학 등 다양한 연구 및 인재가 필요한 분야입니다.
정보보호산업은 최근 IoT, 모바일, 핀테크, 클라우드 등 신규 기술 환경과 신기술 관련 보안위협의 등장, 랜섬웨어, 소프트웨어 취약성 공격, 조직화, 고도화 공격 증가 등 기존 보안 공격의 고도화로 인하여 정보보호산업의 중요성이 고조되고 있습니다.
보안사고 발생시 개인.사회.국가 등 전 영역에 영향을 주는 등 파급력이 매우 크고 최근 전 산업의 IT화로 대부분의 산업에 보안기술 적용이 요구되고 있으며, 평상시에는 중요성을 인식 못하지만 사고 발생시에는 높은 수준의 품질을 요구하게 됩니다.
기술적 보안이슈는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으며 보안기술 향상에 동반하여 공격 수단도 고도화되고 있어 기술적 보안 강화에는 분명 한계가 존재하므로 보안 강화를 위해서 조직과 개인의 보안 인식 제고와 더불어 체계적인 보안 관리를 위한 체계 개발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 정보보호산업 시장 규모는 향후 해마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기존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부터 융합보안과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IoT(사물인터넷)의 등장으로 인한 보안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정보보호산업은 성장발전 가능성이 높은 신성장 산업으로, 시스템 네트워크 보안 중심의 정보보안과 CCTV.저장장치.무인경비서비스 등의 물리보안, 타 산업 군에 보안기술이 적용되는 활용분야(융합보안)로 구분됩니다.
국내 정보보호산업 규모는 2017년 9.5조원(정보보안: 2.7조원, 물리보안: 6.8조원)으로 연평균 11.0%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지능화된 보안 위협 및 자동차ㆍ안전 등 타 분야의 신규 보안이슈의 확대로 시장은 더 커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표 3-9] 정보보호산업 매출추이 (단위 : 백만원 ,%)
구분 | 정보보안 | 물리보안 | 합계 |
2012년 | 1,577,587 | 4,662,041 | 6,239,628 |
2013년 | 1,631,113 | 5,469,092 | 7,100,205 |
2014년 | 1,735,865 | 5,519,452 | 7,255,317 |
2015년 | 2,108,659 | 6,110,086 | 8,218,745 |
2016년 | 2,454,024 | 6,588,787 | 9,042,811 |
2017년 | 2,744,940 | 6,840,822 | 9,585,762 |
2018년 | 3,003,044 | 7,086,480 | 10,089,524 |
2019년 | 3,277,687 | 7,279,550 | 10,557,237 |
CAGR('12-'19)(%) | 11.3 | 7.2 | 8.3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정보보호산업 매출추이
정보보호산업 매출액은 2012년 6,239,628백만원에서 연평균 8.3%씩 성장하는 등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중에서 정보보안 매출액은 2012년 1,577,587백만원에서 연평균 11.3%씩 성장하고 있으며, 정보보호산업매출액이 성장을 지속하고 있는 것은 정부의 법.제도 정비, 최근 보안사고 증가로 인한 경각심 고조, 정부 및 기업의 보안 투자 강화, 해외 진출 노력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다) 정보보호산업 내 정보보안 분류
정보보호산업은 정보보안산업과 물리보안산업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그 중 정보보안산업의 제품 및 서비스의 분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
소분류 |
세부항목 |
---|---|---|
정보보안제품 |
네트워크 보안 |
웹방화벽 네트워크(시스템)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IPS) DDoS차단 시스템 통합보안시스템(UTM) 가상사설망(VPN) 네트워크접근제어(NAC) 무선 네트워크 보안 망분리(가상화) |
시스템보안 |
시스템접근통제(PC방화벽 포함) Anti 멀웨어 스팸차단 S/W 보안운영체제(Secure OS) APT대응 모바일 보안 |
|
정보유출 방지 |
DB보안(접근통제) DB암호 보안 USB 디지털저작권관리(DRM) 데이터유출방지(DLP) 단말 DLP |
|
암호/인증 |
보안스마트카드 H/W토큰(HSM) 일회용비밀번호(OTP) 공개키기반구조(PKI) 통합접근관리(EAM) 싱글사인온(SSO) 통합계정관리(IM/IAM) |
|
보안관리 |
기업보안관리(ESM) 위협관리시스템(TMS) 패치관리시스템(PMS) 자산관리시스템(RMS) 로그 관리/분석 툴 취약점 분석 툴 디지털 포렌직 툴 |
|
기타제품 |
기타 |
|
정보보안서비스 |
보안컨설팅 |
인증(ISO/G-ISMS) 안전진단/기반보호 진단 및 모의해킹 개인정보보호컨설팅 종합보안컨설팅 정보감사 |
유지보수 |
유지관리 |
|
보안관제 |
원격관제서비스 파견관제서비스 |
|
교육/훈련 |
교육 ·훈련서비스 |
|
인증서비스 |
공인 ·사설 인증서비스 |
(2) 시장의 특성
가) 주요 목표시장
1) 정보유출방지 시스템개발 시장
① PC 보안(단말 DLP) 및 보안 USB 시장 현황과 전망 (엔드포인트보안 사업부)
컨텐츠/정보유출 방지 보안 제품으로는 PC보안(단말 DLP) 및 보안 USB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보유출방지 시스템개발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제품군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율 |
---|---|---|---|---|---|
정보유출방지보안 합계 |
410,154 | 466,983 | 426,128 | 456,251 | 8.06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정보보안 제품 부문에서는 최근 각종 사이버보안 사고 발생 등에 따라 암호/인증, 네트워크보안 제품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당사의 PC보안 솔루션은 현재 시장에서 성장기 및 성숙기를 맞아 고객사에 제안 및 판매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후 쇠퇴기에 대비하여 여러 가지 방안으로 기술 연구소가 신기술 개발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 중 하나의 재도약 방안으로 One Agent 통합입니다. One Agent 통합이라는 것은 단말 보안 솔루션 4개(PC보안, 개인정보보호, 보안USB, 출력물 보안)가 하나의 에이전트로 설치되어 운영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현재 One Agent 플랫폼은 SafePC 4.0에 적용되고 있으며, One Agent 통합 솔루션의 완전한 제품화는 2016년 초에 SafePC 5.0버전으로 출시하였습니다.
|
단일 솔루션 |
One Agent 솔루션 |
---|---|---|
설치 / 삭제 |
4개의 솔루션 에이전트를 4번 설치하고 삭제 시에도 각 4번을 해야 합니다. |
1번의 설치와 1번의 삭제로 동일 기능 제공 |
PC 리소스 |
각 솔루션의 중복된 기능 동작시 사용자 리소스를 많이 사용합니다. |
통합된 리소스 관리를 통해서 최소로 리소스를 사용합니다. |
프로그램 충돌 |
3개의 솔루션의 각각의 설치 시 프로그램 충돌 및 설치된 프로그램 충돌 발생시 각 솔루션 마다 패치 필요(최소 3회) |
적어도 3개의 솔루션 충돌은 없으며 설치된 프로그램 충돌시에도 패치 1회로 처리 가능 |
비용 |
3개의 솔루션 유지보수 비용 및 업체 간 협업의 어려움 |
1개 회사가 유지보수 및 통합으로 비용 절감 |
이와 같이 One Agent의 장점을 살려 각 경쟁사와 차별성을 제공하며, 새로운 도약에 대한 발판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또한 IT 분야의 변화에 따른 신기술 개발로 클라우드 서비스 기술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에 있으며, 기존 제품에 대해서도 경쟁력을 위한 새로운 기술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 네트워크보안 시장
① 네트워크 접근제어(NAC) 시장현황
네트워크 보안에는 네트워크 접근제어(NAC)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개발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제품군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
네트워크보안 시스템개발 | 653,597 | 729,393 | 771,656 | 8.47%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네트워크 접근제어의 기술은 현재 IP관리 솔루션을 포함하는 보안 솔루션 제품으로 이동하였습니다. 최근에는 무선에 대한 네트워크 통제 및 무선 디바이스 인증 통제에 대한 요구사항이 발생하고 있으며, 네트워크의 환경의 변화에 따른 통제 기술에 대한 개발이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향후 NAC 시장에 대한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네트워크 환경을 지원하는 에이전트 기능 및 내부 네트워크 환경에 영향을 적게 주는 솔루션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보입니다.
② 네트워크 통합보안시스템(UTM) 시장현황
네트워크 보안 제품에는 네트워크통합보안시스템(UTM)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국내 UTM 시장은 KT/LG데이콤의 인터넷 회선과의 결합 임대/관제 서비스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Global Vendor인 Fortinet이 ISP 결합 모델의 주사업자로 활약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중견/ 중소기업시장을 중심으로 Market Share 를 확대해 왔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개발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제품군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
네트워크보안 시스템개발 | 653,597 | 729,393 | 771,656 | 8.47%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3) SI 서비스 시장
금융위기로 기업들의 IT투자가 위축되었던 2009년 이후 IT서비스시장은 과거와 같은 큰 폭의 성장을 보여주지는 못하였으나, 2011년까지 생산액 기준으로 연평균 5% 내외의 성장세를 시현하였습니다. 2013년에도 IT서비스 생산액 규모는 31.4조원 내외(KEA 집계를 바탕)로 전년 대비 12.8% 가량의 증가가 이루어졌습니다. SI산업은 2000년대 초 기업의 전산시스템 보편화 이후 신규 수요의 증가세가 둔화되면서 성숙기로 접어들었지만, 시스템 구축(SI) 이후 유지보수(SM)로 전환되는 프로젝트가 증가하여 시장의 성장을 뒷받침하고 있습니다.
SI산업의 특성이 시스템 기획, 개발, 구축, 운영, 유지보수의 순환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닉스테크는 프로젝트 완료 후 운영 및 유지보수 사업수행에 집중하여 업무의 확장, 두터운 고객층 확보, 사업 규모의 증대 등의 결과를 이루어냈으며 이를 지속할 수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관련 규제 및 정책
1) 정보보호산업 관련 규제 및 정책
정보보호산업에 대한 관련 규제는 다양한 법령 및 시행령에서 언급하고 있으며, 사이버보안 관련 정부의 법.제도의 정비, 여러 차례의 사이버 보안사고로 인한 경각심 고조, 정부 및 기업의 보안 투자 강화, 해외 진출 등 정책적으로는 보안 사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및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규제로 인해 신규 개인정보보호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으며, 정보보호 표준에 따른 각종 인증 제공으로 인해 각 기업의 보안에 대한 강화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곳 보안 제품의 판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음의 법규 및 시행령은 현재 PC 보안 제품 및 NAC의 도입을 활성화 하고 있습니다.
지원 법령 |
내용 |
지원 제품군 |
---|---|---|
산업기술의 유출 방지 및 |
산업 기술에 대한 유츨 방지 및 보호에대한 계획을 수립 운영하여야 한다. |
DLP |
개인 정보의 기술적/관리적 보호조치 기준 고시 |
개인 정파일 보호 및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솔루션 도입 기준 |
프라이버시, DLP |
신용 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시행령 |
개인 금융 정보에 대하여 수집 및 활용, 삭제 등에 대한 처리 방안 제안 |
DLP |
개인정보보호법 |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일반 법률로 개인정보파일에 대한 관리 및 운영에 대한 법규 |
프라이버시, DLP |
금융 기관 개인정보보호 |
금융 기관에서 지켜야 할 개인정보보호 방안에 대한 가이드라인 제공 |
프라이버시, DLP |
국정원 망분리 지침 |
망분리에 따른 네트워크 혼용 방지를 위한 NAC 도입 가이드 |
DLP, 보안 USB, NAC |
국정원 “보조기억매체에 |
보안 USB 지침 |
보안 USB |
2) SI 산업 관련 규제 및 정책
2012년 5월 국회에서는 대기업 계열 SI업체의 공공부문 발주 사업에 대한 참여를 제한하는 소프트웨어산업 진흥법 개정안을 통과시켰습니다. 이는 중소SW사업자의 사업참여 기회 확대와 동반성장 환경 조성을 위하여 2011년 10월 지식경제부에서 발표한 ‘공생발전형 SW생태계 구축전략’의 일환으로 도입된 것입니다. 이에 따라 2013년부터 국가안보와 관련된 일부 사업(국방, 외교, 치안, 전력 등)을 제외한 공공부문발주 SW사업에 대하여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인 대기업의 참여가 전면적으로 제한됩니다.
국내 시장의 특성상 주요 SI업체들이 대부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에 해당하고 있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동 조치로 국내 SI산업의 구조적인 변화가 초래될 것이라는 견해가 지배적입니다. 조달청 및 시장조사기관 등에 따르면 삼성SDS, LG CNS, SK C&C의 Big 3 업체가 기존의 사업금액 하한 이상의 사업을 대부분 수주하는 등 전체 발주 규모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어, 예외사업을 고려하더라도 동 조치로 인해 대기업 계열 SI업체들의 매출에 일정 부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입니다.
매출 성장에 제한을 받게 된 대기업 계열 업체와 달리 중소SW기업들은 사업기반을 확충할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공공기관에서도 이들의 프로젝트 관리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프로젝트관리조직(PMO)을 운영하는 등 시장 구조 재편에 힘쓰고 있습니다.
다) 수요 변동요인
'사. 향후 매출액의 변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인정되는 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시장 규모 및 전망
가) 정보유출 방지보안 시장 (EDR보안 사업)
1) 정보유출 방지보안 시장 규모 및 전망
당사의 EDR보안 사업분야는 네트워크 접근제어 솔루션을 제외하고는 콘텐츠/정보유출 방지보안 시장에 해당합니다 .
[정보유출방지 시스템개발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제품군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율 |
---|---|---|---|---|---|
정보유출방지보안 합계 |
410,154 | 466,983 | 426,128 | 456,251 | 8.06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최근 개인정보보호 사고 발생 등에 따라 콘텐츠/정보유출 방지보안 제품의 수요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2) 주요 제품별 시장 규모
① PC보안(단말 DLP)
PC보안 제품은 보안 시장의 분류상 정보보안 제품군의 콘텐츠/정보유출 방지 보안 솔루션에 속해 있습니다. 또한 현재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의 독립된 시장이 조사되지 않는 관계로 내부정보 유출 방지의 시장에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정보보안시스템 개발및 공급 업종별 매출 비중] (단위 : %) |
||||
---|---|---|---|---|
구분 |
공공 |
금융 |
일반기업 |
합계 |
비중 |
38.5 | 20.8 | 40.7 |
100 |
출처 :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2019 국내지식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
② 보안USB
보안 USB는 국내의 국정원의 안전한 보조기억매체 지침을 통해서 제품을 개발 공공기관에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초기 개발 시부터 공공기관이라는 시장이 존재하기 때문에 많은 중소기업 업체들이 이를 개발하여 판매하였습니다. 현재 시장은 보안 USB의 신규 고객 보다는 기존 고객의 보안 USB를 추가 구매를 통한 시장 확대 및 금융권의 새로운 보안 정책에 따른 보안 USB 도입이 추진되면서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보안USB 제품은 보안 시장의 분류상 정보보안 제품군의 콘텐츠/정보유출방지 보안 솔루션에 속해 있습니다.
[정보보안시스템 개발및 공급 업종별 매출 비중] (단위 : %) |
||||
---|---|---|---|---|
구분 |
공공 |
금융 |
일반기업 |
합계 |
비중 |
38.5 | 20.8 | 40.7 |
100 |
출처 :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2019 국내지식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
③ 네트워크 접근제어(NAC)
네트워크 접근제어 솔루션은 네트워크보안 시장에 속해 있으며, 네트워크 보안 제품군으로는 웹 방화벽을 비롯하여 약 9개의 제품군이 포함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네트워크 접근 제어는 비인가 단말기 차단에 중심을 두면서 공공 및 금융권의 네트워크 접근 통제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네트워크 접근제어 업종별 매출 비중] (단위 : %) |
||||
---|---|---|---|---|
구분 |
공공 |
금융 |
일반기업 |
합계 |
비중 |
38.5 | 20.8 | 40.7 |
100 |
출처 : 지식정보보안산업협회, 2019 국내지식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
주) 네트워크 접근제어 업종별 매출현황은 정보보안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에 통합되어있어 통합된 업종별 매출현황을 기재하였습니다.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개발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
제품군 |
2017년 |
2018년 |
2019년 |
증감률(%) |
---|---|---|---|---|
네트워크보안 시스템개발 | 653,597 | 729,393 | 771,656 | 8.47% |
출처 :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주) 네트워크 접근제어의 매출현황은 정보보안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에 통합되어
있어 통합된 매출현황을 기재하였습니다.
3) 대체시장의 현황
보안 제품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각자의 고유 제품으로 대체 시장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보안 영역을 넓혀서 보안 제품을 추가적으로 만들고 이를 통합하여 새로운 제품이 만들어지거나 다른 기술과 접목하여 새로운 시장을 창출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DRM 업체가 매체제어 기술을 개발하여 문서가 유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서비스는 개발 가능합니다. 다만, 기존의 DLP 영역의 다양한 기능을 만족시키기에는어려움이 존재하고 또한 문서 보안 기술에 대한 노하우가 매체제어 기술의 노하우를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기존 업체에 비해 성능이 떨어져 경쟁력이 없어지게 됩니다. 같은 DRM 업체 간의 경쟁 시에는 차별성으로 가져 갈 수는 있으나, 특정 보안제품에 대한 대체 제품은 없습니다.
나) 네트워크보안 시장
1) 네트워크보안 시장규모 및 전망
스마트폰의 소비화 경향과 스마트폰, iPAD, 노트북, 그리고 기타 모바일 장치, 커넥티드 디바이스 급증에 따라 기업들의 본사, 지사, 원격사무실, 데이터 센터에 대한 보안 염려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이에 네트워크보안의 시장 성장성 또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세계 네트워크 보안 어플라이언스와 소프트웨어 시장성장 추이] (단위 : 십억달러) |
||
|
||
출처: Infonetics |
[네트워크 보안 매출현황] (단위 : 백만원) |
|||||
---|---|---|---|---|---|
2015 | 2016년 | 2017년 | 2018 | 2019 | 증감율 |
506,370 | 570,215 | 653,597 | 729,393 | 771,656 | 8.47% |
출처: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
주) 네트워크 보안매출 매출현황은 정보보안 시스템 개발 및 공급에 통합되어 있어 통합된 매출현황을 기재하였습니다.
2) 주요 제품별 시장 규모
정보보호진흥원-KISA 기준에 따르면 네트워크보안 시장의 상세 제품 목록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습니다. 웹 방화벽, 네트워크(시스템) 방화벽, 침입방지시스템(IPS), DDoS 차단 시스템, 통합보안시스템(UTM), 가상사설망(VPN), 네트워크접근제어(NAC), 무선 네트워크 보안, 망분리입니다.
한류에이아이센터가 제공하는 Fortigate는 네트워크보안 시장내 분류 중에서 통합보안시스템(UTM)에 해당되며, 동사 자체개발 제품인 SafeNAC는 네크워크 접근제어 시장에 포함됩니다.
네트워크 보안시장은 무선네트워크보안을 제외하고는 시장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연평균 8.47%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국내 제품별 네트워크 보안시장 매출현황] (단위 : 백만원) |
|||||
---|---|---|---|---|---|
2015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 | 증감율 |
506,370 | 570,215 | 653,597 | 729,393 | 771,656 | 8.47% |
출처: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2019 국내정보보안산업 실태조사, 2020.02 |
3) 대체시장의 현황
네트워크보안시장의 제품군을 구분한다면, 네트워크 장비에서 일부 지원하는 제품군과 전문보안전문 제품군으로 나눌 수 있다. 예를 들어, 라우터 및 백본스위치에서 packet filtering 수준의 간단한 firewall 기능을 제공하는 경우가 그러합니다. 따라서, 네트워크보안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전문 제품들은 다른 제품군이 대체할 수 없으며 특히 UTM과 같이 다기능의 전문 기술들이 축약된 제품군은 대체되기 힘든 상황입니다.
다) SI 서비스 시장 규모
1) 국내 SI 서비스 시장규모
2012년 상반기 글로벌 경기 회복 지연이 국내 경기 여건의 악화로 연결되는 가운데 IT 서비스 시장은 일부 대형 사업들이 상반기에 발주되면서 당초 예상보다 성장 둔화폭은 완화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2012년 상반기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전년 대비 4.3%의 성장률로 66.1억달러의 시장 규모를 기록하였습니다. 컨설팅 및 시스템 통합 서비스 부문이 전년도의 대기 수요를 기반으로 제 2금융권 및 일부 은행권, 그리고 예산 조기 집행이 추진된 공공 부문에서 대형 사업들이 상반기에 발주되면서 그나마 성장세를 유지하였습니다. 아웃소싱 시장의 경우에도 신규 물량 보다는 기존 고객사로부터 비교적 안정적인 수요가 유지되면서 상대적인 성장세를 유지하였습니다.
그러나, 경기 침체 양상이 좀 더 장기화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 가운데,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성장률이 감소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한편, IT서비스 산업 모델 자체의 변화 기조 속에 전통적인 IT업체가 아닌 비즈니스 컨설팅 업체와 통신 서비스사업자 등 다양한 시장 참여자들이 IT서비스 시장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공공과 금융 부문에서의 법개정 및 규제 강화 작업이 지속적으로 추진되면서 SI 및 아웃소싱에서 관련 규제에 따른 시장 변화 움직임이 가시화되는 모습을나타내고 있습니다.
[국내 IT서비스 시장 규모 및 추이, 2010-2019] (단위 : 억달러) |
||
|
||
(출처: IDC) |
국내 IT서비스 시장은 2014년부터 연평균 2.0% 씩 성장하여 2019년에는 82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세계 IT서비스 시장과 비교해도 상대적으로 낮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국내 IT 시장의 저성장 기조가 고착화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하지만, 한국IDC에 따르면 국내 IT서비스 산업은 모델 자체의 변환 추세 속에서 국내 시장은 경쟁구도와 수요의 성격, 서비스 제공 방법 등 여러가지 측면에서 변화의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장 자체의 변화속에서 전통적인 수요가 점차 감소하고 절대적인 사업의 규모도 축소되고 있긴 하지만, 이와 함께 전통적인 IT서비스 수요와 융합IT, 클라우드, 모바일 등의 신규 모델에 대한 수요가 공존하는 상황이며 시장 참여자들은 더욱 신속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
2) 국내 SI 제품별 시장 규모
SI산업 또는 IT산업에서 개발 산출물인 SW제품별로 나누는 기준은 보통 다음과 같은 3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는 패키지 SW, IT서비스, 임베디드 SW 등의 3개 분야로 독립형(패키지 SW), 중간재(임베디드 SW), 서비스형(IT서비스)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SW산업은 지식집약적 고부가가치산업으로 유비쿼터스와 스마트 시대의 도래, 산업간 융.복합화 추세와 더불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산업간, 기기간 융합을 통한 디지털 융합 생태계로의 진전으로 기존 제품들과 SW와의 융합이 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부문별 국내 SW 시장 규모는 경기둔화로 인한 기업들의 IT투자 축소·지연으로 전반적인 低성장 기조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나, 패키지SW 성장세가 IT서비스 및 임베디드SW의 성장세를 초과하여, 향후 국내 SW 시장 성장을 주도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라. 경쟁 현황
(1) 경쟁 상황 및 주요 경쟁업체 현황
가) 콘텐츠/정보유출방지 보안 시장 (엔드포인트 보안 사업부)
2018년 국내 정보보호산업 실태조사에 따르면 정보보안 관련 기업체는 비상장 416개사(89.7%) 코스닥상장사 39개사(8.4%), 유가증권시장 기업이 3개(0.6%), 코넥스상장사 6개사(1.3%)로 전체 464개사로 조사되고 있으며,이 중 69.4% 이상은 자본금 10억원 미만으로 영세업체가 많고, 벤처기업과 일반기업의 비중은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제품군 경쟁상황 |
콘텐츠/정보유출 방지 |
네트워크 접근 제어 |
|||
---|---|---|---|---|---|
PC 보안 |
보안 USB |
개인정보보호 |
NAC |
||
타사와 경쟁형태 |
경쟁시장 |
경쟁시장 |
경쟁시장 |
경쟁시장 |
|
주요 경쟁업체의 수 |
4 |
3 |
4 |
2 |
|
진입의 난이도 |
높음 |
낮음 |
높음 |
높음 |
|
타사와 경쟁수단 |
기능 |
기능 |
기능 |
기능 |
|
- 타사 대비 다양한 기능 및 One Agent 통합 기능 제시 |
- 인증 특화 기술 보유(802.1X기술) |
||||
시장의 동향 |
-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은 현재 각광을 받고 있음. - PC 보안 업체는 DLP 솔루션으로 이동 중 |
- 무선 네트워크 통제 기술 제공 |
|||
닉스테크 |
경쟁력 강화 |
- One Agent 통합 제품 판매 - 새로운 매체 차단을 위한 패치 제공 |
|||
인력 강화 |
- 구축 및 유지 보수를 위한 인력 운영 - 기술 연구소의 전문 인력 보유(고급, 중급 기술자 보유) |
||||
품질 관리 |
- 제품에 대한 품질 관리 - CC인증 및 GS 인증을 통한 제품 신뢰성 확보 |
||||
출처 : 한류에이아이센터 |
현재 한류에이아이센터는 경쟁업체 중 최초로 정보보안솔루션을 통합한 One Agent를 개발하여 플랫폼을 제품에 반영하고 있으며, 2016년 초에 SafePC 5.0를 출시하여 통합 솔루션의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동사는 기존 경쟁업체들이 단품으로 판매하던 것을 유일하게 통합된 플랫폼으로 제공함에 따라 시장경쟁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PC 보안의 제품군은 각 제품별 경쟁사가 존재하지만 주로 경쟁하는 업체를 중심으로 매출 현황 및 경쟁 상황을 조사하였습니다. 경쟁사의 매출금액은 총 매출액으로써 각 경쟁사별 다수의 제품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고려해야 합니다.
경쟁사 |
매출 현황 |
경쟁 제품군 |
비고(내용 출처) |
---|---|---|---|
킹스정보통신 |
27억원 |
PC 보안 |
우수중소기업보고서 |
세이퍼존 |
57억원 |
PC 보안 및 |
우수중소기업보고서 |
소만사 |
299억원 |
프라이버시 |
우수중소기업보고서 (중소기업현황정보시스템) |
지니언스 |
213억원 |
NAC 제품 |
우수중소기업보고서 |
넷맨 |
60억원 |
NAC 제품 |
우수중소기업보고서 |
나)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UTM제품은 Firewall을 기반으로 개발한 제품이므로 기존 Firewall 및 Firewall 기반 VPN 개발업체의 제품 모두 경쟁제품이 될 수 있습니다. Fortinet의 UTM 제품인 Fortigate는 국외의 경우 가격대비 기능/성능이 뛰어나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에서도 SMB용(중소업체) 장비 임대서비스로 UTM시장을 장악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UTM 경쟁구도에서 저가 출혈경쟁이 아니고 국내제품 대비 높은 비교 우위점을 가지고 경쟁하고 있습니다.
다) SI 서비스 사업부
대부분의 SI 사업은 공개 입찰 형태로 진행되는데, 사업별로 다양한 회사가 입찰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다수의 회사들이 경쟁회사라 할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업무 특성상 보안을 중요하게 여기기 때문에 닉스테크와 같이 특정 업무에 대해 운영 및 유지보수를 맡고 있는 회사가 수주할 기회가 많이 주어집니다. 한류에이아이센터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제안 및 컨설팅을 통해 이러한 기회를 사업화하기 때문에 특정 회사와의 경쟁이 아닌 업무 및 기술의 전문성이 있다는 것이 큰 경쟁력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SI는 시스템 통합이라는 사전적 의미에서 알 수 있듯이, 수요자의 요구에 의하여 컨설팅, 시스템 설계, 시스템 요소의 개발, 시험 및 설치, 그리고 유지보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총괄하는 형태의 IT서비스를 말합니다. 초창기 국내 SI업체들은 글로벌 업체로부터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수입하여 유통하거나 유지보수를 수행하는형태로 사업을 시작하였으며, 경쟁력 있는 기술은 보유하지 못한 상태에 머물러 있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SI산업은 자체적으로 개발한 상품을 통한 사업의 다변화를 이루지 못한 채 공공, 금융, 통신 등 제한된 수요처의 IT투자계획에 전적으로 의존하게 되었습니다.
기술력의 부재로 대외시장에서 해외업체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국내 SI업체들은 주로 대기업 전산실을 모태로 하는 그룹계열 SI업체를 중심으로 계열사에 대한 영업에 집중하였으며, 그 결과 이를 중심으로 한 대내시장(Captive market) 위주의 매출이 주를 이루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업체들로 하여금 안정적 고객기반과 함께 우수한 수익성을 시현하도록 하는 한편, 창출된 현금흐름을 기반으로 R&D를 통한 자체기술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한 그룹의 계열사 신설 및 사업 확장에서 파생된 다양한 프로젝트는 업무경험의 축적을 통해 이후 대외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 이밖에도 그룹 오너들의 직접적인 정보 운영에 대한 의지와 보안 문제, 그룹의 운영효율성 등과 같은 요소가 작용하면서 대내시장 의존적인 사업구조는 국내 그룹계열 SI업체들에게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대내시장 위주의 사업구조로 말미암아 금융, 통신을 제외한 민간부문은 대부분 그룹계열 SI업체에 의해 독점되었습니다. 이러한 진입장벽은 그룹계열 SI업체와 계열사 간의 관계특화성 (Relationship specificity)과 기존 계약업체를 다른 업체로 변경하는데 소요되는 전환비용 (Switching cost)으로 인한 Lock-in 효과로 보다 공고해져 현재까지 지속되고 있으며, 이는 그룹계열 SI업체가 타 업체 대비 양호한 수익구조와 함께 영업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요인이 되고 있습니다.
요인 |
대내 시장 |
대외 시장 |
---|---|---|
1.기존 경쟁강도 |
낮음 : 독과점적 시장 |
높음 : 시장참여자 다수, 제품차별화어려움, 시장규모의 완만한 성장 |
2.진입장벽 |
높음 : 관계특화성, 높은 전환비용, 보안문제와 오너의 의지 |
낮음 : 적은 초기 투입 자본, 설립시 신고 |
3.공급자 교섭력 |
비교적 높음 : 거래 규모를 통한 우위 |
비교적 낮음 |
4.구매자 교섭력 |
비교적 높음 : 계열사 내 위상 및 계열사의 수익성에 따라 유동적 |
낮음 : 제품 차별화 어려움 |
5.대체재의 위협 |
낮음 |
낮음 |
일반적으로 대내시장을 제외하고 볼 경우, 국내 SI산업은 시장참여자 수가 과다하여사실상 완전경쟁에 가까운 경쟁구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허가제가 아닌 신고제로 인하여 신규 설립 시 제도적 진입장벽이 전무하며 업종특성상 대규모 초기 시설투자가 불필요하여 자본적 진입장벽 또한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소프트웨어산업 연간보고서 2013」에 의하면 국내 IT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수는 전년대비 4.1% 증가한 6,950개에 달하며 최근 5년 연속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결국 완전경쟁시장에 가까워 다수의 기업들이 신규고객 확보를 위해 과다경쟁을 일삼아 채산성이 저조한 수준입니다.
90년대 후반부터 급격하게 진행된 기업 및 공공기관의 전산화와 함께 수많은 SI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였으나, 글로벌 기업 제품에 대한 의존과 제품 차별화의 어려움은 결국 공급자 및 구매자에 대한 교섭력 저하를 불러왔습니다. 이는 업체간의 가격 경쟁과 수익성 악화로 귀결되었으며, 이러한 양상은 대기업 계열사들이 대내시장에서 확보한 수익성을 기반으로 저가 수주경쟁에 뛰어들면서 더욱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에 주요 거래처가 대외시장에 집중된 중소형 업체들은 대형 업체 대비 저조한 수익성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하였습니다.
한편 대외시장에는 금융, 통신부문과 함께 공공부문이 하나의 축으로 존재하고 있는데, 동 부문은 주로 조달청을 통한 경쟁입찰의 형식으로 이루어지며 관련 법률 및 규제의 영향을 받기 쉬운 특성이 있습니다. 공공부문은 2000년대 이후 정부 및 공공기관의 IT인프라 구축 수요가 증가하면서 빠르게 성장하였으나, 정부의 최저가입찰제 등의 영향으로 그 수익성은 높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에 재무여력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하고 있는 대기업 계열 업체들이 수익성보다 레퍼런스 확보를 목적으로 입찰에 참여하고 있어, 대형 업체를 중심으로 한 일종의 컨소시엄 형태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상위기업들을 필두로 수익성이 검증된 물량을 선별적으로 수주하고 있으며 중위권 이하의 기업들의 경우 소프트웨어 진행법의 개정으로 대기업의 입찰제한으로 공공부문에서의 경쟁여건이 개선됨에 따라 시장 내 수익성이 소폭 개선되는 흐름을 보일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2) 비교우위 사항
가) 엔드포인트보안 사업부
당사는 다음과 같은 시장 경쟁력을 확보하여 시장에서 지속적인 우위 요소들을 지켜 나가며 성장할 것입니다.
한류에이아이센터 |
우위 |
경쟁사 |
경쟁우위요소 |
---|---|---|---|
기술력 |
열위 |
국외 제품 |
- 국외 제품과 기술력을 동일하게 유지 하려고 연구 개발 중 |
우위 |
국내 제품 |
- 매체 제어 기술에 대한 노하우 보유 - 신 기술 개발 및 클라우드 환경 보안 기술 연구 중 |
|
가격경쟁력 |
우위 |
국외 제품 |
- One Agent 및 리눅스 서버를 통한 비용 절감의 경쟁력 확보 |
우위 |
국내 제품 |
||
기술지원 서비스 |
우위 |
국외 제품 |
- 표준화 되어 있어 별도의 기술 지원이 없음 |
우위 |
국내 제품 |
- 기술 지원 센터를 통한 제품에 대한 전문 인력 보유 - 기술 연구소를 통한 제품의 패치 제공 |
|
영업력 |
우위 |
국내 영업 |
- 영업 및 파트너사를 통한 판매망 구축 |
출처 : 한류에이아이센터 |
시장은 새로운 기업의 네트워크 환경 및 신규 매체의 등장으로 인해 보안 제품의 기술력에 대하여 높은 요구 사항이 고객사로부터 나오고 있으며 이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기술 개발을 진행할 수 있는 내부의 역량을 보유하고 있어야 합니다. 닉스테크는 이를 대비하여 지속적인 신기술을 개발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정부의 경쟁 및 기술에 대한 선점 우위를 지킬 수 있을 것입니다.
나)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당사는 1996년 CyberGuard社의 Network Firewall로 보안1세대의 포문을 열었습니다. 현대자동차, 포스코, 삼성계열사 등 굵직한 대기업뿐만 아니라 SMB 고객까지 2000년대 초반까지 100여개 이상의 고객수를 보유하고 있었고 2004년 Fortinet社의 Fortigate로 제품변경을 한 이후 현재 700여개 이상의 고객수로 성장하였습니다.
당사는 13년이 넘는 네트워크보안의 스킬과 경험으로 높은 수준의 기술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고객수와 매출수도 크게 늘어 현 국내 Fortinet社 파트너 중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습니다. 현 닉스테크 네트워크보안 사업부의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구분 |
경쟁력 |
---|---|
보유고객 측면 |
- SMB 임대고객과 대기업, 금융기관, 공공기관 등 닉스테크의 Fortigate 제품을 사용하는 고객수가 700여 고객이 넘음 - 보유 고객대상 및 fortigate 병행판매 가능 |
기술력 측면 |
- 보안 1세대부터 축적된 네트워크보안 경험과 지식, 인력 보유 - 컨설팅, 구축스킬, 유지보수 신속성 등 분야에서 타 파트너사와의 차별성 보유 |
취급제품 측면 |
- Fortinet 社는 UTM/차세대방화벽 뿐 만 아니라 DDoS, web-Firewall, L4 Switch, Secure Siwtch 등 다수의 네트워크보안 제품을 보유 - 현 국내/외 Market share 1위이며 가격대 성능비 최고의 제품으로 평가 |
다) 서비스사업부
서비스사업부는 SI(System Integration)를 통한 기반으로서 시스템 기획, 개발, 구축, 운영, 유지보수를 수행하는 조직이기 때문에 부서가 추구하는 수행 방식은 기술적 전문성, 고객과의 친화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다른 SI 회사와의 차별점이 있다면, SI 사업 이후 운영 및 유지보수 업무를 연계해서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였고, 안정적인 운영 및 유지보수를 통해 새로운 아이템을 발굴하여 다시 신규 SI 사업을 수행하는 순환형(Cycle) 사업관리 방식으로 업무의 확장, 두터운 고객층 확보, 사업 규모의 증대 등의 결과를 이루어냈습니다.
서비스사업부의 영업 전략은 신규 고객사 유치와 기존 고객사 유지 관리입니다. 신규 고객사 확보를 위해 다양한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하고 EDR 보안 사업부와 네트워크 보안 사업부의 고객사 활용, 서비스사업부의 기존 고객사에 대해서는 업무 시스템에 대한 노하우를 바탕으로 업무 컨설팅 및 사업 제안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고있습니다.
SI 사업 특성상 대부분의 사업이 대형 SI 회사를 기반으로 진행되는데, 동사는 대형 SI 회사를 통한 사업과 고객과 직접 계약을 통한 사업 두 가지를 모두 병행하고 있습니다.
대형 SI 회사와의 협력 관계를 통해 사업의 아이템의 다양성을 추구하여 새로운 고객 확보라는 장점을 활용하고 있고, 기술력과 노하우 기반으로 고객사와 직판계약을 통해서 이익률을 높이고 있습니다.
최근에 모바일 사업 확장을 위해 다양한 고객층을 넓히고 있습니다. 또한 신기술 대응 및 직원들의 기술력 향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컨퍼런스 및 기술 세미나 등의 참여를 통해 주기적으로 기술 동향을 파악 및 새로운 기술력 확보를 합니다. 확보된 기술력을 직원에게 전파 교육을 위해 사업부 내에 “기술 및 업무 능력 향상” 과정을 만들어 지속적으로 직원들의 기술력 향상을 꾀하고 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기술컨설팅 및 업무 노하우를 활용해서 고객에게 제안을 하는 등의 기술 영업으로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마. 주요 제품 등 관련 각종 산업표준
가) EDR보안 사업부
보안 제품의 기능에 대한 표준은 존재하지 않지만 어떠한 기능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고객사의 요구 사항이 존재하고 고객의 요구사항을 만족시키면 됩니다.
지적재산권 등
지적재산권 등
번호 |
구분 |
내용 |
권리자 |
출원 |
등록및기한 |
적용제품 |
주무관청 |
---|---|---|---|---|---|---|---|
1 | 특허권 | 하드웨어 매체 접근 제어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하드웨어 매체접근 제어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05 | 2007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2 | 특허권 | 내부정보 관리 방법 및 내부 정보 관리 시스템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07 | 2007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3 | 특허권 | IEEE802.x 기반의 네트워크 보안 시스템 및 네트워크 보안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07 | 2009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4 | 특허권 | 해시 테이블을 이용한 프로그램 차단 방법 및 장치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08 | 2010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5 | 특허권 | 보안 이동형 저장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09 | 2012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6 | 특허권 | 호스트 장치의 정보유출 차단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09 | 2012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7 | 특허권 | 컴퓨터의 보안관리 시스템 및 보안관리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0 | 2012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8 | 특허권 | 에이전트 프로그램의 에이알피를 이용한 통신 방법, 네트워크 엑세스 컨트롤 방법 및 네트워크 시스템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1 | 2012 | SafePC Enterprise | 특허청 |
9 | 특허권 | 내용 기반 검색을 통한 파일 관리 장치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1 | 2013 | Safe Privacy | 특허청 |
10 | 특허권 | 로컬프락시를 이용한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2 | 2014 | Safe Privacy | 특허청 |
11 | 특허권 | 에이전트와 네트워크 장치의 연동을 통한 정보 유출 방지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2 | 2014 | Safe Privacy | 특허청 |
12 | 특허권 | DLP 성능 향상을 위한 분산 인덱싱 시스템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3 | 2014 | Safe Privacy | 특허청 |
13 | 특허권 | SVM을 이용한 DLP 트레이싱 대상 파일 분류에 관한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3 | 2014 | Safe Privacy | 특허청 |
14 | 특허권 | 파일태깅을 이용한 파일 유출방지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3 | 2015 | Safe Privacy | 특허청 |
15 | 특허권 | 가상 802.1X 기반 네트워크 접근제어 장치 및 네트워크접근제어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4 | 2016 | SAFENAC | 특허청 |
16 | 특허권 | 클라이언트 단말을 이용한 원격 가상 머신의 제어 시스템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4 | 2016 | 신제품 | 특허청 |
17 | 특허권 | 데이터유출방지를 위해 심층패킷 검사와 심층 컨텐츠검사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4 | 2016 | 신제품 | 특허청 |
18 | 특허권 | 사이트 접속 차단 방법 및 장치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5 | 2016 | 신제품 | 특허청 |
19 | 특허권 | 파일반출 결재 장치 및 파일 반출 결재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4 | 2016 | SafePC Enterprise,Safe Privacy | 특허청 |
20 | 특허권 | 랜섬웨어를 포함한 멀웨어 제어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6 | 진행 | 신제품 | 특허청 |
21 | 특허권 | 비정상 트래픽 탐지 장치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5 | 권리이전 | - | 특허청 |
22 | 특허권 | 악성 코드에 의해 삽입된 동적 연결 라이브러리 검출 장치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5 | 권리이전 | - | 특허청 |
23 | 특허권 | 프로세스 행위 예측 기법을 이용한 비정형 악성코드 탐지방법 및 그 시스템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5 | 권리이전 | - | 특허청 |
24 | 특허권 | 아이피 충돌을 제어하는 시스템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6 | 2017 | SAFENAC | 특허청 |
25 | 특허권 |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을 보안하는 보안 브로커 시스템 및 그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7 | 진행 | 신제품 | 특허청 |
26 | 특허권 |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의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보안 시스템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7 | 진행 | 신제품 | 특허청 |
27 | 특허권 | 외부저장장치에 저장되는 파일을 안전하게 공유하는 보안 브로커 시스템 및 그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7 | 진행 | 신제품 | 특허청 |
28 | 특허권 | 텍스트마이닝 기반 보안 이벤트 자동검증 시스템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7 | 진행 | ADS, SOC Plus | 특허청 |
29 | 특허권 | 자동 개인 아이피 주소 할당 대역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한류에이아이센터 (구.바이오닉스진) |
2018 | 2019 | 신제품 | 특허청 |
나) 네트워크보안 사업부
해당사항 없습니다.
다) 서비스 사업부
해당사항 없습니다.
바. 주요 제품 등 관련 소비자 불만사항 등
당사는 설립일부터 현재까지 제공한 제품에 대해서 고객들로부터 불만사항이 제기된 사례가 없었으며, 이와 관련된 당사 부담의 비용 발생이나 소송 등은 제기된 사례가 없습니다.
당사는 제품 납품 후에도 사후 지원으로서 지속적으로 고객과의 소통을 유지하며 제품 사용 교육 및 PC보안 관련 전문적인 컨설팅 서비스를 진행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정기적인 세미나를 통해 제품의 업데이트에 대해 고객과 정기적으로 공유할 뿐 아니라 기술지원 및 영업팀은 고객과의 접점에서 신속하고 안정적인 서비스를 진행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제품은 온라인으로도 언제든지 문의가 가능하며, 담당 엔지니어와 바로 연결되어 신속하고 정확한 문제 해결에 최적화된 시스템을 갖추고 있습니다. 각 고객사마다 전담 엔지니어 배치하고, 고객사의 장애 발생 시 언제든지 지원할 수 있는 24시간 대처 체제를 갖추고 있습니다.
사. 향후 매출액의 변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인정되는 사항
당사는 보안 소프트웨어개발 업체로서, 타사에 원재료로 공급을 하는 형태가 아니며제품개발에 수일의 시간이 경과되어야 하며 매출군도 다양한 업종에 분포되어 있습니다. 매출처에 예산집행이 하반기에 몰려있는 경우가 다수라서 주로 4/4분기에 매출이 집중적으로 발생하고 있습니다.
(1) 보안 사고에 따른 국가, 기업들의 보안의식 고취
최근에 연이은 보안사고로 국가 기관과 기업들의 보안의식이 고취되어 보안 솔루션 도입 증가가 예상됩니다. 그동안 기업들이 보안 솔루션에 대하여 기본적인 투자는 하였다고 인식을 하고 있었으나, 새로운 보안위협이 계속 등장하고 그 피해규모가 커짐에 따라 보안관련 예산과 인력, 투자 등을 더욱 확대해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부분들이 장기적으로 보안소프트웨어 매출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2) 정부의 규제 및 관련법 제정
보안 소프트웨어는 정부의 규제와 관련법령의 제정에 따라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정보보안산업 활성화 방안 등 정부의 정보보안시장 활성화에 대한 의지표명과 '개인정보보호법' 및 금융회사의 정보통신 수단 등 전산 장비 이용 관련 내부 통제 법규' 시행 등에 따라 시장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 됩니다.
특히 2014년 개인정보보호보법, 정보통신망법, 금융거래법 등 개정을 통해 개인정보보호법 및 금융감독원 감독규정 등 법률적 기준이 보다 세분화됨에 따라 서버 내의 행위 통제 및 감사 요구 사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금융권의 경우 개인정보보호의 기술적 조치(개인정보암호화, 망분리 등)를 의무적으로 취해야 함에 따라 은행을 포함한, 카드사, 보험사, 저축은행을 모두 포함한 개인정보보호시장의 폭발적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그동안 미도입한 공공기관, 대학교, 중소 서비스 업체 등으로 도입이 확대되어 매출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IT 기술발전에 따른 플랫폼의 변화
과거 PC기반의 OS에서만 사용하던 SW들이 이제는 각종 스마트폰과 태블릿 PC등의 보급으로 사용 플랫폼이 확대되었고, 최근에는 이러한 여러 플랫폼에서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도록 클라우드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렇게 사용기반이 확대되고 클라우드 서비스와 같이 타인에게 본인의 콘텐츠 저장 관리를 맡기고, 타인과 공유하게 되면 보안사고와 콘텐츠 유출 경로는 더욱 다양화되고 보안의 위협은 확대됩니다. 이러한 IT기술발전에 따른 환경변화로 지속적인 보안제품의 업그레이드와 신제품 개발이 요구되어 장기적으로 관련 시장이 확대되어 매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됩니다.
자. 주요 제품 등에 관한 사항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품목 | 수주 일자 |
납기 | 수주총액 | 기납품액 | 수주잔고 |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SafePC제품군 | 2019.01 | 2020.03 |
- |
715 |
- |
504 |
- |
211 |
Fortigate제품군 | 2019.01 | 2020.03 |
- |
- |
- |
- |
- |
- |
유지보수/임대 | 2019.01 | 2020.03 |
- |
806 |
- |
546 |
- |
260 |
E-biz 용역군 | 2019.01 | 2020.03 |
- |
941 |
- |
750 |
- |
191 |
기타 | 2019.01 | 2020.03 |
- |
- |
- |
- |
- |
- |
합 계 |
- |
2,462 |
- |
1,800 |
- |
662 |
주1) 정보보안제품은 고객사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과 통합제품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개발되는 제품이기에 수량 기재보다는 USER와 관련이 있습니다.
주2) SI사업은 용을을 통한 시스템 기획, 개발, 구축, 운영, 유지보수로 이루어지므로 수량기재에 해당사항 없습니다.
(1) 매출내역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매출 유형 |
부 문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
(제6기 1분기) | (제5기) | (제4기) | (제3기) |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수량 | 금액 | |||
네트워크보안제품 | Fortigate | 수 출 | - |
- |
- |
- |
- | - | - | - |
내 수 | - |
2 |
- |
1,424 |
- | 2,740 | - | 3,371 | ||
소 계 | - |
2 |
- |
1,424 |
- | 2,740 | - | 3,371 | ||
정보보안 제품 | SafePC | 수 출 | - |
9 |
- |
5 |
- | 54 | - | 61 |
내 수 | - |
496 |
- |
3,810 |
- | 4,328 | - | 7,123 | ||
소 계 | - |
505 |
- |
3,815 |
- | 4,382 | - | 7,183 | ||
보안제품 | 유지보수 | 수 출 | - |
10 |
- |
30 |
- | 49 | - | - |
내 수 | - |
533 |
- |
2,973 |
- | 3,191 | - | 2,672 | ||
소 계 | - |
543 |
- |
3,003 |
- | 3,240 | - | 2,672 | ||
BI솔루션 | Hyperion | 수 출 | - |
- |
- |
- |
- | - | - | - |
내 수 | - |
16 |
- |
56 |
- | 124 | - | 148 | ||
소 계 | - |
16 |
- |
56 |
- | 124 | - | 148 | ||
SI사업 | 프로젝트 | 수 출 | - |
- |
- |
- |
- | 50 | - | 82 |
내 수 | - |
734 |
- |
2,600 |
- | 2,582 | - | 1,315 | ||
소 계 | - |
734 |
- |
2,600 |
- | 2,631 | - | 1,398 | ||
SI/SM | 유지보수 | 수 출 | - |
- |
- |
- |
- | - | - | - |
내 수 | - |
- |
- |
140 |
- | 188 | - | 137 | ||
소 계 | - |
- |
- |
140 |
- | 188 | - | 137 | ||
기타 | 기타 | 수 출 |
- |
- |
- | - | - | - | ||
내 수 |
- |
400 |
- | - | - | - | ||||
소 계 |
- |
400 |
- | - | - | - | ||||
합 계 | - |
1,800 |
- |
11,438 |
- | 13,305 | - | 14,909 |
주1) 정보보안제품은 고객사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과 통합제품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개발되는 제품이기에 수량 기재보다는 USER와 관련이 있습니다.
주2) SI사업은 용을을 통한 시스템 기획, 개발, 구축, 운영, 유지보수로 이루어지므로 수량기재에 해당사항 없습니다.
주3) 당분기말(제6기) 및 전기(제5기),전전기(제4기) 매출은 종전 기준서인 K-IFRS 1115호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2) 매출비율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구분 | 생산(판매) 개 시 일 |
주요상표 | 2020년 당분기 | 제품설명 | |
EDR 사업부 |
2001.02.01 | SAFE PC Enterprise |
260 |
14.44% |
PC보안솔루션 |
SAFE USB+ |
236 |
13.11% |
USB보안솔루션 |
||
SAFE Privacy |
4 |
0.22% |
개인정보보호솔루션 |
||
Anyclick NAC |
5 |
0.28% |
네트워크접근제어솔루션 |
||
유지보수 |
488 |
27.11% |
|
||
DI사업부 | 2017.04.06 | ADS외 |
0 |
0% |
이상징후 탐지 및 대응솔루션 |
서비스사업부 | 1995.10.19 | 용역 |
750 |
41.67% |
하기 참조 |
네트워크보안사업부 | 2004.03.01 | FortiGate |
57 |
3.17% |
UTM솔루션 |
합 계 |
1,800 |
100.00% |
|
(3) 매입내역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백만원, %) |
사업부문 | 매입유형 | 품 목 | 구체적용도 | 2019년 | 비율 |
정보보안사업 | 내수 | 보안 USB 및 HW 자비등 설치서버 외 | 내부정보유출방지솔루션 SafePC 는 조직 내 주요 업무 환경인 데스크톱에 대한 통합 관리를 제공하는 기반 인프라로 내부정보 유출로 인한 기업 핵 심가치의 손실을 미연에 방지하고 PC보안, 패치관리, 자산관리, 자동설치툴, 내부정보유출방지 등 조직 내 IT 인프라 관리 요구사항을 통합적으로 해결합니다.Safe USB+는국정원보안지침을 준수한 제품으로 사용자의 식별인증 기능, 지정데이터 암/복호화 기능, 저장된 자료의 임의 복제방지 기능, 분실시 데이터의 보호를 위한 삭제기능을 지원합니다. |
131 |
9.62% |
내수 | Fortigate | Fortigate는 현재 만연하고 있는 Contents 기반의 공격, 예를들면 바이러스나 웜에 감염된 웹트래픽이나 메일 트래픽과 침입을 네트워크 속도 저하 없이 차단 합니다. Fortigate는 전통적인 방화벽, VPN, 침입탐지/차단과 대역폭 제어, Spam Mail 차단 기능을 제공함으로서 효율적이고 쉽게 완벽한 네트워크 보안을 구축 할 수 있습니다. |
0 |
0.00% |
|
내수 | 외주용역 |
694 |
50.95% |
||
웹서비스사업 | 수입 | Sun Java Enterprise System | 엔터프라이즈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배치 및 운영과정에서 요구되어지는 뛰어난 성능, 탁월한 확장성, 그리고 신뢰할 수 있는 안정성 및 보안 기능 등을 제공합니다. |
- |
- |
내수 | Hyperion | 기업의 기존 정보시스템에 들어있는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영자, 분석가, 개발자 및 일반직원들에게 제공합니다. |
- |
- |
|
내수 | 기타 | 외주용역 |
537 |
39.43% |
|
합 계 |
1,362 |
100.00% |
(4) 원재료 가격변동추이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원) |
사업연도 / 품 목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도 | |
USB |
국내 |
20,400 | 22,200 | 26,000 | 29,500 |
Secuprint |
국내 |
3,000,000 |
3,000,000 |
3,000,000 | 3,000,000 |
NAC |
국내 |
5,582,630 | 5,000,000 | 5,000,000 | 5,000,000 |
주1) 매입 수량과 장비 사양에 따라 원재료 매입가격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평균가격으로 산정하였습니다.
(5) 수출 현황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원, U$) |
품 목 | 국가 | 금액(원화) | 금액(외화) |
SafePC | 베트남 | 19,392,830 | 16,318.96 |
차. 생산 및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1) 생산능력 및 생산실적
당사는 연구 개발 활동을 바탕으로 한 인적자원을 활용한 사업을 주로 영위하고 있어 설비에 따른 생산능력, 생산실적 및 가동률의 산정이 불가합니다. 따라서 아래에는 생산의 기반이 되는 유형자산의 내역을 기술합니다.
(2) 생산설비에 관한 사항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원) |
구 분 | 임대자산 | 차량운반구 | 집기비품 | 시설장치 | 합 계 |
---|---|---|---|---|---|
기초 | 56,376,711 | 42,228,683 | 191,719,691 | 36,232,886 | 326,557,971 |
취득 | - | - | 4,472,726 | - | 4,472,726 |
처분 및 폐기 | - | - | - | - | |
감가상각 | (16,517,956) | (4,524,504) | (6,322,382) | (16,604,685) | (43,969,527) |
연결범위의 변동 | - | - | (136,304,198) | - | (136,304,198) |
분기말 | 39,858,755 | 37,704,179 | 53,565,837 | 19,628,201 | 150,756,972 |
(3) 제품별 생산공정도
정보보안제품은 고객사의 요구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과 통합제품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으로 개발되는 제품이기에 획일화된 생산 공정이 없습니다.
(4) 외주생산에 관한 사항
1) 외주생산의 이유
연구소 신사업 개발에 따른 '메신저 Demon Version A Android Application등'개발 진행시 외부의 기술을 필요로 하여 진행하게 되었습니다.
2) 주요 외주처에 관한 사항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원, %) |
사업년도 | 외주내용 | 외주금액 | 외주비중 |
---|---|---|---|
2018년도 | 보안USB 자동화 스크립트 업데이트 외 | 10,634,554 | 100% |
2017년도 | SAFEPROCESS 관리기능 개발외 | 189,987,651 | 100% |
2016년도 | SAFEPROCESS 관리기능 개발외 | 574,844,434 | 100% |
카.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1) 금융위험관리
연결실체는 여러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환위험, 공정가치이자율위험, 현금흐름이자율위험 및 가격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과 같은 다양한 재무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전반적인 위험관리정책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전기말 이후 연결실체의 금융위험관리목적과 위험관리정책의 변화는 없습니다.
1) 외환위험
연결실체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 특히 주로 미국달러화 와 관련된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인식된 자산과 부채, 해외사업장에 대한 순투자와 관련하여 발생하고 있습니다.
경영진은 연결실체 내의 회사들이 각각의 기능통화에 대한 외환위험을 관리하도록 하는 정책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위험관리 정책은 향후 12개월간 각각의 주요 외화별로 예상되는 현금흐름에서 발생하는 환율변동위험을 일부 회피하는 것입니다.
당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 10% 변동 시 연결실체의 세후 이익 및 자본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 | 전기 | ||
---|---|---|---|---|
10% 상승 | 10% 하락 | 10% 상승 | 10% 하락 | |
USD | 3,937,547 | (3,937,547) | 1,839,441 | (1,839,441) |
한편, 연결실체가 보유하고 있는 외화자산부채의 환율 변동이 공정가치 또는 미래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아니합니다.
2)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당반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변동이자율로 발행한 차입금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이자율 변동으로 인하여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에 미치는 영향은 없습니다.
3)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계약상대방이 계약상의 의무를 불이행하여 연결실체에 재무적 손실을 미칠 위험을 의미합니다.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을 포함한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 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과 은행 및 금융기관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은행 및 금융기관의 경우,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은 제한적입니다. 일반거래처의 경우 고객의 재무상태, 과거 경험 등 기타 요소들을 고려하여 신용을 평가하게 됩니다. 연결실체는 거래상대방에대한 개별적인 위험 한도 관리정책은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한편, 신용위험에 노출된 금융자산은 장부금액이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를 가장 잘 나타내는 경우에 해당하여 상기 공시에서 제외하였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연결실체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현금및현금성자산 | 750,349,067 | 2,109,987,151 |
매출채권 | 705,291,712 | 1,342,690,474 |
단기기타채권 | 2,137,827,134 | 9,856,161,637 |
장기금융상품 | - | 44,000,000 |
당기손익-공정가치측정금융자산 | 3,749,027,056 | 15,097,697,225 |
장기기타채권 | 416,119,000 | 458,869,920 |
합 계 | 7,758,613,969 | 28,909,406,407 |
4) 유동성위험
연결실체는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현금유출예산과 실제현금유출액을 지속적으로 분석 검토하여 금융부채와 금융자산의 만기구조를 대응시키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영업활동현금흐름과 금융자산의 현금유입으로 금융부채를 상환가능하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의 부채비율, 순차입금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원) |
구 분 | 당분기말 | 전기말 |
---|---|---|
부채 총계 | 22,419,151,855 | 51,959,489,729 |
차감: 현금및현금성자산 | (750,349,067) | (2,109,987,151) |
순부채(A) | 21,668,802,788 | 49,849,502,578 |
자본 | (3,033,628,289) | 2,728,811,522 |
총자본(B) | 18,635,174,499 | 52,578,314,100 |
자본조달비율 (A/B) | 116.3% | 94.8% |
타. 연구개발비용
(1) 연구개발비용
(2020년 03월 31일 기준) | (단위 : 원) |
과 목 | 제 6(당분)기 | 제 5(전)기 | 제 4(전전)기 | |
---|---|---|---|---|
원 재 료 비 | - | - | - | |
인 건 비 | 935,863,397 | 674,433,53 | 1,477,172,270 | |
감 가 상 각 비 | 53,189,716 | 60,795,210 | 80,324,077 | |
위 탁 용 역 비 | 29,868,529 | 28,508,222 | 10,634,554 | |
기 타 | - | - | 89,851,482 | |
연구개발비용계 | 1,018,921,642 | 763,736,967 | 1,657,982,383 | |
회계처리 | 판매비와관리비 | 1,018,921,642 | 763,736,967 | 1,570,528,262 |
제 조 경 비 | - | - | - | |
개발비(무형자산) | - | - | 87,454,121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
12.52% | 6.92% | 12.46% |
(2) 연구개발실적
1) 정부출연 연구과제 수행실적
①연구과제 |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하에서 내부 가상화 영역에서 발생하는 해킹 공격을 분석, 탐지, 차단하기 위한 가상 네트워크 침입 대응기술 개발 (2012.06.01 ~ 2015.05.30) |
연구기관 |
주최기관: 지식경제부 주관기관: 한국 인터넷 진흥원 , 참여기관: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의 IPS/IDS 시스템이 각 단일 Machine 에 각각 설치되어야 하는 단점, 그로인하여 통합관제나 관리해야할 대상이 많아진 점 등등 추가 리소스가 많이 투입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Cloud 환경에서는 Hypervisor 에서 VM 이 사용하는 Resource 등의 Monitoring 이 쉽기 때문에 각 서비스 장비에 Agent 나 IDS/IPS 를 설치하지 않아도 해당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음. 또한, Cloud 의 무한한 확장성을 Cloud ESM 으로 통합관제/통합관리 하여 리소스 감소의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연구결과> Hypervisor 에서 VM 의 네트워크 사용 정보, VM 내부의 정보를 수집하여 VM 이 어떤 작업을 하는지 모니터링하고 Hypervisor Level 에서 IPS/IDS 기능을 수행합니다. Hypervisor 에서 수행할 IPS 기능은 첫번째, Host 기반 IPS로 Host 내부의 루트킷 탐지나 악성코드를 탐지해내는 기능이고, 두번째, 네트워크 기반 IPS 로 Host 로 들어가고 나오는 네트워크 패킷을 확인하여 DDoS, TCP Flooding 등의 공격을 탐지하는 기능이고, 세번째, Firewall을 이용하여 네트워크를 원천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기능입니다. <기대효과> - Hypervisor 구조를 파악하고, Cloud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제어에 대한 기술 확보 -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업체에게 Agentless 의 보안서비스 제공 - 통합관제 시스템 기술 확보 |
제품화 |
- 클라우드 보안서비스를 관제 API 개발 - 클라우드 통합관제 시스템과 연동하여 클라우드 상태 모니터링 |
|
|
②연구과제 |
개인정보보호를 위한 80Mbps 검색속도를 제공하는 중소기업용 네트워크 정보 유출방지 소프트웨어 개발 (2012.03.01 ~ 2014.02.28) |
연구기관 |
주최기관: 한국방송통신전파진흥원, 주관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개인정보보호 기술 개발 내용으로는 개인정보 식별, 보호, 폐기까지의 일괄된 절차를 제공해야 하며, 특히 개인정보가 유출 되는 것을 탐지 및 차단 기술이 필요함 또한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은 출력물을 통한 개인정보의 유출을 통제하고 알림을 제공하며, 감사 로그에 대하여 법령이 정한 기간까지 안전하게 보관해야 함 <연구결과> 네트워크 정보 유출방지 소프트웨어 개발 내용으로는 로컬에서 동작하는 에이전트형 프록시로 모든 Out-bound 트래픽에 대한 감시 및 통제를 수행 또한 개발 대상 소프트웨어는 프로토콜 분석을 통해서 패킷 내 개인정보 검색을 수행 하는데 있어 80Mbps의 개인정보 검색 속도를 보장함 비정형 데이터 검색 기술 개발 내용으로는 bmp, jpeg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에 존재하는 개인정보를 추출하고 통제를 제공 <기대효과> 네트워크 DLP 기능을 제공하는 Endpoint DLP 소프트웨어 - 80Mbps 검색 속도를 가지는 중소기업 구입 가능한 소프트웨어 - 이미지 파일의 개인정보 추출 및 인덱싱 기술 특허 - 네트워크 프로토콜 분석을 통한 차단 기술 확보 |
제품화 |
SafePC 제품에 개인정보 네트워크 유출을 차단하는 기능 탑재 및 성능 향상 (기본 대비 두 배 향상) |
③연구과제 |
클라우드컴퓨팅환경하에서 정보보안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SecaaS(Security as a Service) 프레임워크 원천기술 개발과 이를 이용한 1Gbps급 모바일 정보유출방지서비스구축 (2013.05.01 ~ 2018.04.30) |
연구기관 |
주체: 지식경제부, 주관기관: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모바일 DLP : MDM(Mobile Device Management) 기술개발, 모바일 내 중요정보를 SecaaS 클라우드로 복사, 모바일에서 트래픽을 SecaaS (Security As A Service) Cloud로 강제 우회 기술 개발 SecaaS 클라우드 플랫폼 : 복사된 중요정보 내 기밀정보 탐지, 강제우회된 트래픽에서 중요파일 추출하여 복사된 중요정보와 매치시켜 실시간 기밀정보 탐지, 차단기술 개발, 클라우드 서비스 가입자 관리기술 개발 |
제품화 |
MDM 기능을 포함한 클라우드 기반의 모바일DLP로 기업/기관 내BYOD 환경에서의 모바일 단말에 대한 정보유출 방지 솔루션 제품화(모바일 단말의 리소스 점유 최소화에 강점) |
④연구과제 |
Security Analytics 기반의 이기종 보안솔루션 위협 분석 및 대응 기술 개발(2017.04.01~2019.12.31) |
연구기관 |
주체:미래창조과학부, 주관기관: ㈜윈스, 참여기관: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이글루시큐리티,소만사,지란지교시큐리티,세인트리큐리티,㈜시큐아이,국민대학교 산학협력단,고려대학교 세종산학협력단,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연구목표> 이기종 보안솔루션들의 효과적인 사이버위협 탐지ㆍ대응을 위한 Security Analytics 기반의 사이버위협정보를 분석ㆍ공유하는 KOSIGN(Korea Open Security Intelligence Global Network) 서비스 기술 개발 <기대효과> - 보안사고 대응 기술 고도화 및 표준화된 대응체계 구축으로 보안산업 활성화 - KOSIGN 전체 솔루션 및 요소기술(CIT/MSI/보안센서)를 통한 국내 중소보안제품 경쟁력 향상으로 신규시장 창출 및 해외 보안 시장 진출 기여/선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 - 해당 과제개발 이후 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시장으로 확장해 나갈 수 있다는 점에서 시장 확대 효과도 클 것으로 예상 |
제품화 |
침해 지표 및 이상행위 지표를 통해서 단말 보안 업그레이드 신규 기능 제공 EDR 솔루션의 이상행위 탐지 기능 및 대응 기능 제품화 제공 |
⑤연구과제 |
IoT Network를 위한 20G급 Hot Metering 솔루션 개발 (2015.08.01 ~ 2017.07.31) |
연구기관 |
주최기관: 중소기업청, 주관기관: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참여기관: 엑사비스 주식회사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IoT네트워크가 인터넷에 연결되어 지능형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IoT네트워크가 기존의 상용망인 인터넷망에 접속됨으로서 유발되는 트래픽량이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이에 따라 정확한 과금을 위한 사용량 측정, 사용량 데이터 집계, 서비스요금 산정, 그리고 과금등을 수행하는 Metering기술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같은 미터링을 위해서는 패킷을 캡춰하고 분석하고, 이를 빅데이터에 저장하여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므로 이를 위해 20GB급 성능을 가진 IP4/IP6용 패킷캡춰시스템인 Probe를 개발하고, 분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시간 과금시스템을 구현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Network Processor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기반의 다계층 네트워크정보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기존의 하드웨어 방식에서 제공되는 처리 속도를 보장하면서 소프트웨어에 의한 유연하고 적용성있는 패킷캡춰 및 미터링분석 Probe를 개발하였고, 데이터 처리를 위해 빅데이터시스템을 적용함으로서 대규모 분산 IoT Network에 대한 Metering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함. <기대효과> - 현재의 네트워크 상황을 고려한 IPV4뿐만 아니라 미래의시장을고려한 IPV6기반의 IoT 네트워킹 대응능력 확보로 응용제품들의 개발이 가능해짐 - 데이터 분산 처리를 위해 오픈소스기반의 하둡시스템 및 검색시스템을 융합한 기술을 확보함으로써 비용부담없이 기존 제품 또는 신규 제품에 빅데이터 시스템을 적용하기가 용이해짐 |
제품화 |
- 자사 빅데이터 처리 제품에 기능 보완 |
2) 자체 연구과제 수행실적
①연구과제 |
파일 태깅을 통한 개인정보 포함 파일 네트워크 유출 차단 시스템 개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 네트워크 DLP 기능은 네트워크 드라이버에서 전체 파일경로를 알지 못하는 관계로 나가는 파일패킷을 재조합한 뒤 해당 파일을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네트워크 지연과 세션유지를 위해 대용량 파일 내용 검색이 불가능하였음. 이에 파일에 개인정보 검출결과에 따른 파일 유출 허용/차단 여부를 파일에 태깅하여 위 문제점을 해결 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음 <연구결과> - 주요 파일 포맷(doc/x, xls/x, ppt/s, hwp, pdf 등 )에 대한 내용 변경 없는 파일 태깅 알고리즘 구현 - 태깅이 되면 파일 내용이 변경되어 태깅을 사용할 수 없는 파일 포맷의 경우 (ex : txt, xml) 100byte 추출을 통한 내용 기반 파일 유출 제어 기능 구현 - 파일에 태그된 서명 값을 네트워크 드라이버 또는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를 통해 빠르게 검출 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 구현 - 파이 태그를 사용자가 임으로 변경 할 수 없도록 하는 변조 방지 기능의 구현 <기대효과> - 태깅 확인을 통한 즉각 적인 허용/차단 여부 판단으로 사용 리소스 감소 및 네트워크 실시간 사용성 보장 - 패킷이 나가지 않으면 세션을 끊어버리는 프로토콜에 대해서도 대용량 파일에 대한 네트워크 DLP 기능 제공 - 네트워크 및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 기술력 고도화 |
제품화 |
본사 DLP 제품인 SafePrivacy1.0, 2.0에 해당 기술 탐재 및 기능 고도화 |
|
|
②연구과제 |
스마트 학습 알고리즘 등을 이용한 파일 변경 추적 시스템의 성능 향상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의 내부정보 유출 방지 솔루션은 사용 단말에서의 파일 생성, 변경을 지속적으로 추적, 감시하여 텍스트 추출 및 개인정보 검색을 함. 하지만 많은 프로세스들이 캐시, 로그 및 DB 변경을 하여 파일 생성/변경이 초당 수십 회 일어나 파일 추적 기능이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여 주어 솔루션 및 전체 시스템의 성능 저하를 초래함. 종래에 특정 경로나 특정 확장자를 검출 대상에서 제외하여 이를 해결하였으나 이는 심각한 보안 위협을 초래함. 이에 본 연구과제에서는 기계학습, 기타 방법 등을 통한 능동적 변경 파일 추적 기능을 연구하였음 <연구결과> 기계 학습 및 개발자 테스트를 통해 로그 및 DB 관련 프로세스들의 파일 변경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에 의해 개인정보 입력 가능성이 있는 프로세스와 단순 로깅 및 DB 변경만을 유발하는 프로세스들의 자동적 분류 기능 제공 특히 동일 프로세스가 유발하는 로깅 및 DB 변경으로 인한 파일 변경과 사용자 입력으로 인한 파일 변경을 구별하여 검색엔진 사용 리소스가 감소 <기대효과> 추적 대상 파일의 감소로 인한 DLP 솔루션 사용 리소스 감소. |
제품화 |
본사 DLP 제품인 SafePrivacy 2.0에 해당 기술 탑재. 우리금융그룹, 한화증권, 제주도청 등 수십 개 사이트에서 해당 기술이 사용된 제품 사용 |
|
|
③연구과제 |
로컬 Transparent http/https 프록시를 이용한 정보 유출 방지 시스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의 DLP 소프트웨어 들은 Endpoint에서 네트워크를 통해 유출되는 데이터를 감시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파일에 엑세스하는 순간 주요 정보 포함 여부를 판단하거나 네트워크 드라이버 레벨에서 트래픽을 감시하여 패킷 내의 주요 정보 유무를 판단해야 함. 첫 번째 방법만을 사용하는 경우 이메일 본문, 블로그 게시글, 메신저 대화 등을 통해 유출되는 내용은 통제가 불가능하면 두 번째 방법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드라이버 레벨에서 패킷을 재조합하며 이는 드라이버 특성상 대용량 파일이나 본문 처리는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함. 위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네트워크 DLP 기능을 소프트웨어로 에뮬레이션 하여 PC 내부의 로컬 프록시 형태로 구현하여 위 단점을 극복한 네트워크 DLP 기능 구현을 연구하였음. <연구결과> LSP, TDI, IM 레벨에서 외부로 전송되는 패킷을 내부 로컬 프록시로 Redirect 한 후 프로토콜별로 에뮬레이션 하여 기존의 DLP 제품에서 불가능하였던 웹 본문, 메신저 대화내용 등에 대한 DLP 기능 구현. 특히 ssl 프로토콜 에뮬레이션을 통해 암호화된 형태로 네트워크 드라이버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던 데이터의 제어도 가능하게 되었음. 현재 http, https, SMTP, 네이트온 메신저, 클라우드 스토리지 에이전트에 대한 DLP를 지원 <기대효과> 웹본문, 메신저 대화내용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 차단 기능 제공 SSL 에뮬레이션을 통한 암호화된 파일 유출 차단 기능 제공 |
제품화 |
본사 DLP 제품인 SafePrivacy 2.0에 해당 기술 탑재. 우리금융그룹, 한화증권, 제주도청 등 수십개 사이트에서 해당 기술이 사용된 제품 사용 |
|
|
④연구과제 |
제조사 독립적인 스마트 디바이스 식별 및 능동적인 스마트 폰 제어를 통한 효율적인 차단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에는 다양한 스마트 폰 OS 및 제조사에 따라 디바이스를 식별하는 방법이 통일되지 않아 시스템에 장착 후 해당 장치의 이름을 얻어와 그 이름으로 차단하는 방식을 사용했었습니다. 이러한 방식을 사용하여 장치를 차단하는 경우 하드웨어 출시마다 해당 제품의 장치 이름을 일일이 등록해야 하는 관리의 어려움이 존재 했습니다. 또한 미 입력 장비는 차단을 하지 못하는 보안 이슈가 존재 했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표준 기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연구 결과> 본 연구를 USB Implementers Forum에서 제정한 표준 spec을 기준으로 USB에 연결 시 연결되는 device type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을 도출 하게 되었습니다. Windows 상에는 해당 내용이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이나 Setup API를 통해 구현되게 되어 있으며 이를 심층 분석하여 정교하게 장치 구분을 가져오는 방법을 도출 할 수 있었습니다. <기대 효과> USB를 통해 연결하는 device 중 자동으로 스마트 폰을 식별하여 PC 보안 정책 중 스마트 폰 차단 정책이 적용될 경우 자동 차단하여 보안성 향상할 수 있게 되었으며 Windows Management Instrumentation 기법의 사용을 회사 기술력의 일환으로 가지게 되었습니다. |
제품화 |
본사 매체 통제 제품인 SAFE PC 4.0 에 해당 기능 탑재. 금융, 공공, 일반 기업에 납품 됨 |
|
|
⑤연구과제 |
파일 시스템 드라이버의 파일 유형 분류 기능을 통한 네트워크 DLP 성능 향상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File Filter 드라이버는 프로세스들이 파일에 접근할 때 단순한 open file 위한 접근인지 파일 전송을 위한 접근인지 구별하지 못 합니다. 특히 file open dialog에서 파일 리스트를 표시할 때 에도 IO가 일어납니다. 이 때문에 네트워크 사용 프로세스를 감시하는 사용되는 리소스가 적지 않습니다. 이에 본 과제에서는 파일 목록 표시등 개인정보 외부 유출 가능성이 없는 open file 이벤트와 그렇지 않은 이벤트를 구별하여 서록 구별하여 DLP 성능 향상을 연구하였습니다. <연구결과> 윈도우 File Open Dialog를 후킹하여 단순 목록 표시를 위한 open file 이벤트 구별 및 선택 파일의 전체 경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었음. 프로세스 가운데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프로세스에 대한 식별 방법 Windows OS 가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로그 파일들에 대한 식별 방법 <기대효과> File Open Dialog에서 목록을 표시하기 위해 발생되는 IO는 무시하게 되므로 시스템 성능 저하 감소. 같은 내용의 파일 중 어떤 파일이 open 되었는지 파일 전체 경로 정보를 통해 확인 가능하므로 경로 오탐 문제 해결 |
제품화 |
본사 DLP 제품인 SafePrivacy 2.0에 해당 기술 탑재. 우리금융그룹, 한화증권, 제주도청 등 수십개 사이트에서 해당 기술이 사용된 제품 사용 |
|
|
⑥연구과제 |
모바일 환경 변화에 따른 NAC 제품 스마트 기기 지원 및 IP 관리 기능 고도화 (2013.2.1 ~ 2013.12.31)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 자사제품 Anyclick NAC 제품에 성능을 향상시키고, 기능을 추가하여 Anyclick NAC 의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고도화 과제. 무선 1x 인증 프로토콜을 추가 지원하고, 프로토콜에 기능을 추가하고자 하는 요구가 발생 하였습니다. PC 에서 휴대용 단말기로 접속방식이 변해가면서 휴대용 단말기에서 1x 접속을 지원하도록 하는 고객 요구 사항이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이동성이 늘어남에 따라 유동 IP 관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게 되었습니다. <연구결과> - 유동 IP(DHCP) 사용 환경에서 단말 추적성을 강화하는 passive finger print 기법을 사용한 OS 식별 기능 추가 - 표준 프로토콜을 표준의 범위 내에서 변형하여 사용자에게 추가 메시지를 전달 할 수 있는 메커니즘 고안 - 다양한 모바일 단말기에 사용될 접속용 앱 개발 <결과> - 인증 프로토콜 안정화 - EAP?GTC 방식 안정화 - Android Tablet PC / 휴대용 단말기용 앱 개발 및 상용화 가능하므로 경로 오탐 문제 해결 사용자 요구사항을 충족할 수 있는 제품을 통한 NAC 매출 증대 - 프로토콜에 대한 이해, 추가 프로토콜 지원 등으로 제품의 기능 향상 - 모바일 앱을 개발할 수 있는 기술력 확보 |
제품화 |
안드로이드에서 구동되는 무선 인증 APP. OS 탐지 가능한 DHCP 소프트웨어 |
⑦연구과제 |
랜섬웨어에 의한 악의적 파일 암호화 방지 시스템 개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시스템의 정보를 변조하고 유출하는 기존의 악성 코드들과는 달리, 사용자의 파일이나 부트 정보, 파티션 정보 등을 사용자 동의없이 암호화 하고 그 해제에 대한 대가로 금품을 요구하는 유형의 악성 코드(랜섬웨어)가 등장하여 많은 피해자가 발생하는 점이 사회 문제화하고 있음. 이에 무작위 암호화 행위를 감지하여 랜섬웨어의 악성 행위를 사전에 차단하는 1단계 기능과 함께, 감시 범위를 벗어나는 강제 암호화 행위에 대응하기 위한 백업 기능을 추가로 제공하여, 랜섬웨어에 의한 악성 암호화에 원천 대응하는 연구를 진행하였음. <연구결과> 지정 가능한 주요 파일 포맷들에 대한 임계치 이상의 비정상 쓰기 접근을 차단함. MBR, GPT에 대한 비인가 쓰기 접근을 차단함. 인스턴트 백업 기능으로 파일 변조에 2차 대응함. <기대효과> 파일, MBR, GPT 등에 대해 사용자의 동의 없이 무작위로 암호화하는 행위를 방지하는 기능과 인스턴트 백업을 이용한 원본 파일 복원 기능으로 랜섬웨어에 대응함. |
제품화 |
SafeProcess라는 제품명으로 상용화 완료. |
⑧연구과제 |
맥OS 대상의 PC보안 플랫폼 확대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기존의 PC보안 대상 플랫폼은 대부분의 업무 환경에서 사용 중인 Windows 기반 PC가 주류인 상황이지만, 맥OS 기반 장비를 주력 업무 환경으로 사용하는 사용자가 늘어나는 추세임. 아직까지는 대부분의 작업자가 Windows를 사용하지만, 업무 특성상 맥을 동시에 사용하거나 전용으로 사용하는 작업자들이 늘어나고 있기 때문에, Windows 기반 플랫폼에 제공하는 PC보안 기능을 맥 장비에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늘어나는 상황임. <연구결과> 맥 OSX에서의 파일 시스템 제어 기능, 무선랜 제어 기능, 주변 기기 제어 기능 등을 통해서 데이터 유출을 통제하는 매체 제어 기능 완료. 특히 스마트폰 사용이 일반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테더링을 통한 자료 유출이나 스마트폰으로의 파일 전송 등을 맥 장비에서도 통제할 수 있으므로 업무의 편의성을 보장하면서 보안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맥OS 기반의 장비 사용자도 PC보안 제어 가능함. |
제품화 |
기존 PC보안 제품인 SafePC에 SafePC for MAC 제품을 추가함. |
⑨연구과제 |
화이트리스트 기반의 프로세스 실행 통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이상 행위 분석이나 악성 코드 판별 기법을 통한 보안 행위는 실시간으로 실행을 통제하거나 신종 악성 패턴에 빠르게 대응해야 하는 요구 사항에는 단점을 노출함. 악성 코드로 분류되는 프로세스들이 기하급수로 늘어나서 악성 코드 리스트를 빠르게 업데이트하고 이를 판별에 사용하는 방식도 만만하지 않은 일. 이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고자 화이트리스트 기반의 프로세스 제어를 통한 보안 유지 방안을 연구함. 기존 업무 영역에서 사용 중인 안전한 프로세스를 목록화하여 실행 통제의 판단 근거로 삼는 방식이어서 개념은 간단하지만, 업무 도메인 별로 화이트 목록을 유지, 관리하는데 필요한 안전하고 편리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도 중요함. <연구결과> 업무 도메인 별로 일정 기간 시뮬레이션 모드를 운영하며 도메인에 맞는 화이트리스트를 수집하는 수단을 제공함. 본격 통제 모드에서의 신청, 삭제에 관한 표준 절차를 제공함. 향후에는 프로세스의 악성 여부를 자동 판단해 주는 샌드박스 기반의 악성 코드 판별 기능을 추가하여 화이트리스트 관리를 자동화하는 방안도 예정함. <기대효과> 사전에 허용한 프로세스만 실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변종 악성 코드에 대한 실시간 방어 능력을 강화할 수 있음. |
제품화 |
SafePC 제품의 추가 기능으로 제공하고 있음. |
⑩연구과제 |
VDI 환경에서의 제품 대응력 강화 연구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망분리의 방법론으로 VDI 환경 도입이 일반화되는 환경을 맞이하여, 기존 PC보안, 개인정보보안, USB보안 제품들이 VDI 환경에서도 원활하게 동작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중요 과제로 부상함. 기존 업무 환경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Windows 환경을 VDI 기반에서 서비스하면 내부 시스템 코드에 많은 간섭이 작용하여 기존 보안 제품들이 VDI 환경을 새로운 플랫폼처럼 인지하는 경향이 강함. 실제로 기존 서비스 플랫폼에서는 정상 동작하는 보안 기능이 VDI 환경에서는 이상 동작을 보이는 경우가 다수 발생하여 VDI 환경에 제품을 대응하는 연구 개발이 시급해짐. <연구 결과> 국내 VDI 시장을 점유하고 있는 시트릭스와 VMWare 제품 환경에서 SafePC, SafePrivacy, SafeUSB 제품이 정상 동작하도록 제품을 지속적으로 수정한 결과, 기업 고객들의 VDI 환경에서의 자사 제품 사용 욕구를 다 만족 시킴. <기대 효과> PC보안, 개인정보보안, USB보안 제품이 VDI 환경(시트릭스, VMWare 제품)에서 정상 동작함. VDI 환경에서의 개선 작업이 기존 제품에서 순기능으로 작용하여 기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킴. |
제품화 |
VDI 지원은 SafePC, SafePrivacy, SafeUSB 제품의 표준 사양임. |
⑪연구과제 |
BYOD 환경에서의 자료 유출 통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개인이 소유한 패드,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 장비를 업무에 이용하는 추세가 급증하는 시대에, 기존 업무 환경에서의 자료 유출 통제 기능만으로는 전사적인 보안을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응하여 모바일 장비에서의 자료 유출도 통제 대상에 넣어야 하는 요구 사항을 맞이함. 단, 대상이 되는 모바일 장비들은 개인 장비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존 솔루션들과 같이 회사 업무 전용의 모바일 장비인 것처럼 제어하면 사용자들이 많이 불편해지므로, 개인 사용에도 불편함이 없도록 만들어야 하는 점도 중요함. 또한, 안드로이드와 iOS 환경을 동시에 제어하는 제품이어야 함. <연구결과> 업무 도메인에서 중요 파일을 모바일 서비스 용도로 등록하면, 이후에 모바일 장비에서 그 파일에 접근할 때, 사용자 인증, 개인정보검색 등을 실시간으로 실행하고 이상이 없거나 권한이 맞는 사용자에게 열람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개발함. 원본 파일을 모바일 장비로 전송해서 열람하는 방식이 아니고 서버에서 렌더링한 HTML 화면을 전송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원본 유출 가능성이 없음. 다중 플랫폼으로 확장 가능한 앱 플랫폼을 채택하여 안드로이드, iOS 뿐만 아니라 PC 환경도 지원 가능함. 서버 서비스 플랫폼은 AWS에 구축하였고, 향후 on-premise 환경도 지원 가능함. <기대효과> 기존 PC보안 제품의 지원 영역을 모바일 환경으로 확장함. 원본 파일을 전송해서 모바일 장비에서 직접 렌더링하는 방식이 아니고 원본의 프레젠테이션만 전송하는 방식이므로 모바일 장비를 이용한 원본 유출 가능성 없음. |
제품화 |
AWS 기반의 안드로이드, iOS 지원 환경 개발 완료. |
⑫연구과제 |
IP 관리 및 통제 장비 개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다양한 IP 기반 자원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 IP, MAC 뿐만 아니라 스위치의 위치정보, 운영하는 네트워크 서비스, 로그인한 사용자 정보 등의 정보를 수집하여 정책에 따라 관리하고 통제하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시장의 요구에 대응. 각 서브넷 별로 정보를 수집하는 센서 장비와 중앙 정보를 취합 관리하는 중앙 서버가 필요하며, 이를 통하여 IP 관련 자원을 모니터링 하거나 통제할 수 있는 기반을 고객들에게 제공해야 함.
OS 식별을 위한 기반 연구를 통해 에이전트 없이 OS 식별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불법 공유기나 DHCP 서버 탐지 및 차단을 위한 기술력을 확보함. 불법적인 사용자에 대한 ARP 기반 네트워크 격리 기술과 차단 유도 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여 상용화함. 악의적인 단말을 네트워크로 부터 격리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함. 커널기반 네트워크 트래픽에 대한 고속 처리 성과 달성함. <기대효과> 기존 NAC 제품에 경쟁력을 추가함. |
제품화 |
시제품을 완성하였고, 2개 이상의 기업에 적용 완료함. |
⑬연구과제 |
머신러닝 기반 인터넷 콘텐츠 분류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다방면에서 수집된 대용량의 인터넷 콘텐츠 데이터(기사, 블로그, 광고 등)를 식별이 가능한 문서 데이터로 변환하고, 유-의미한 데이터를 자동으로 분류 할 수 있는 분석적 모델 개발의 기틀 마련,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기업 내 IT보안 강화를 위해 본 연구를 진행함 <연구결과> - 수집 된 콘텐츠(HTML) 문서를 파싱(Parsing)/불필요 요소 제거 및 언어의 인코딩 통합 등의 정제과정을 수행함으로써, 필요한 내용으로 구성된 문서화 데이터 생성 - 정제된 데이터에서 가공 및 분석을 위해 콘텐츠 내용 외 카테고리, 작성일 등의 정보를 생성 및 저장 - 형태소 분석 이전, 문서 형태의 텍스트 데이터를 품질/충실도 체크를 통해 분석 불가능 데이터를 제고하고, 문장 단위의 분리, 기호 제거, 형태 통일 등의 정제 작업 수행 - 문서의 텍스트를 단어 사전에 기반한 다양한 플러그인의 기능을 통해 전처리, 형태소 분석, 품사 필터의 과정을 거쳐, 키워드 분석이 가능한, 단어 단위로 조합된 형태의 데이터 생성 - 문서 내 단어들의 조합/연관성 분석 및 빈도/가중치 분석 등을 수행 - 분류 예측 알고리즘(모델)으로 학습과 검증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검증 통계량을 비교하여 최적의 알고리즘 및 분석 과정 도출
- 기존 보안솔루션이 정형 데이터 (웹 사용 로그, 보안 솔루션 로그 등)의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음, 이에 바이오닉스진은 비정형 데이터의 형태인 텍스트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보안 시장에서 차별화 요건을 가지고자 함 - 기업 내 사용자의 메일, 문서 파일 내용 등의 자연어 분석을 통해 기업 내 보안사고를 미연에 방지함 |
제품화 |
본사 이상징후탐지 솔루션인 ADS Plus에 해당 기술 탑재 및 기능 고도화를 통해 텍스트 내의 보안 이상징후를 탐지하고자 함 |
⑭연구과제 |
사용자 행위 로그 생성/업로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End Point 에서 발생하는 사용자 행위 (파일, 프로세스, 레지스트리, 네트워크) 에 대한 로그를 생성, 업로드 하는 기능을 개발 진행함. 생성된 사용자 행위 로그는 실시간으로 ES 에 업로드 후 관리자에 의해 분석 모니터링 되며, 결과를 기준으로 사용자 행위에 대한 차단 Response 를 전달, 적용 가능하게 하는 기능. <연구결과> - MS 에서 제공하는 Sysmon 드라이버 및 모듈 사용 ( 로그 생성 모듈 ) - ES 에서 제공하는 Open Source 모듈인 Winlogbeats 모듈 커스터 마이징 ( 로그 전송 모듈 ) <기대효과> - 구체적인 사용자 행위 로그에 대해 실시간 수집이 가능. - 관리자 입장에서 사용자 행위 로그를 각 entity 별로 분석이 가능. -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사용자 행위가 정상/비정상 행위 인지 판단 가능. 또는 이미 알려진 악성코드의 행위를 판단 가능. - 판단에 따른 사용자 행위 제어의 기준을 만들 수 있음. |
제품화 |
본사 차세대 EDR 솔루션의 사용자 데이터 수집 기능을 탑재하고자 함. |
⑮연구과제 |
End Point 에이전트를 이용한 사용자 행위 제어 (차단/삭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End Point 단에서 User mode, Kernel mode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모듈을 탑재 후, 관리자에 의해 Push 되는 악성행위 정보를 기본으로 사용자 행위를 제어 하는 기능. <연구결과> - IOC, STIX 등 알려진 악성 행위 및 시그니쳐를 Server 에서 End point 로 정책화 하여 전송 하는 기능 개발. - 수집된 사용자 행위 로그를 분석 후 이를 정책화 하여 Server 에서 End ponint 로 정책화 하여 전송 하는 기능 개발. - 프로세스 실시간 차단 기능 ( User mode, Kernel mode ) 개발. - 레지스트리 실시간 접근 차단, 삭제 기능 (User mode, Kernel mode ) 개발. - 네트워크 실시간 접근 차단 기능 ( Kernel mode ) 개발. - 파일 실시간 접근 차단 기능 ( Kernel mode ) 개발. <기대효과> - 사용자 행위에 대한 실시간 차단 기능이 가능. - 특정 사용자에서 발생한 이상 행위에 대한 분석/대응이 가능함으로서 피해 규모 최소화 가능. - 사용자 행위 분석을 통해 알려지지 않은 악성 의심 행위에 대한 대응 가능 ( 악성 행위 분석에 대한 기술력 확보를 전제 ). |
제품화 |
본사 차세대 EDR 솔루션의 대응( Response ) 기능을 위한 에이전트 기능을 탑재하고자 함. |
(16)연구과제 |
EDR 제품 VirusTotal 연동 및 IOC 기반 악성코드 실행 차단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연구개요> - EDR 에이전트에서 수집된 이벤트 로그에서 파일의 HASH, IP, URL, 도메인 등의 정보를 추출하여, VirusTotal 등 외부 평판조회 API와 연동하여 추출된 정보가 악성인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함 - 알려진 악성코드를 차단 혹은 탐지하기 위해 다양한 포맷의IOC 정보를 연동할 수 있도록 함. 최신 IOC 정보 업데이트를 위해 외부 기관 연계 준비. <기대효과> - VirusTotal 등 기 알려진 악성여부를 판별하는 외부 API와 연동을 통해 다양한 백신에서 판별한 악성유무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음. - IOC 정보 연동 통해 알려진 악성코드의 실행 및 확산 방지. 표준 IOC 포맷 연동을 통해 다양한 IOC 배포기관과 연계 가능 |
제품화 |
EDR 제품의 기본 기능으로 제공. 외부 API 연동 및 IOC 데이터는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할 수 있도록 interface제공. |
(17)연구과제 |
Windows 기반 시스템에서 자동 개인 IP 주소 할당(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APIPA)) 대역에 대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구.닉스테크(주))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DHCP를 사용하도록 구성된 Windows 기반 컴퓨터는 DHCP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을 경우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HCP 서버가 없거나 유지 관리를 위해 DHCP 서버를 일시적으로 중지한 네트워크에서 이렇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환경에서는 서브넷 자체에서 네트웍 사용에 대한 접근제어가 안되는 상태이기 때문에 동일 서브넷의 APIPA를 사용하는 PC간 중요 내부 자료의 이동으로 인해 정보 유출이 발생하거나, 웜 등의 악성코드에 감염된 PC로 인해 서브넷 상에 악성코드 감염을 발생시킬 수 있어 이에 대한 효율적인 통제 방안이 필요하게 되었다. 통제에 대한 핵심 방법은 다음과 같다 1.NAC(Network Access Control) 에이전트를 설치하여 통제 대상 단말의 Network 사용을 원천 차단(Segment 내로 packet 전송 원천 차단) 2.NAC 에이전트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 통제 대상 단말의 Network 사용 차단(Segment 내 오고 가는 Packet에 대한 차단) 본 연구의 목적은 에이전트가 설치 되지 않은 위와 같은 환경에서 네트웍을 적절히 통제하면서 NAC 에이전트 설치를 강제화 하여 강력한 네트웍 접근 제어를 실행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 Windows 기반 OS 기반 시스템에서 자동 개인 IP 주소 할당(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APIPA)) 의 매커니즘 분석 - Windows 기반 OS 기반 시스템에서 자동 개인 IP 주소 할당(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APIPA)) 된 단말에 대한 IP 관리 - Windows 기반 OS 기반 시스템에서 자동 개인 IP 주소 할당(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APIPA)) 을 사용중인 단말이 Network 연결 시도 시 현재 NAC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고 인증 상태가 아닌 경우, Network Redirection을 통해 네트웍을 통제하고 인증 유도 - Windows 기반 OS 기반 시스템에서 자동 개인 IP 주소 할당(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APIPA)) 을 사용중인 단말이 Network 연결 시도 시 현재 NAC 에이전트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Network Redirection을 통해 네트웍을 통제하고 에이전트 설치 유도 - NAC 에이전트와 통제 장비간 효율적인 healthcheck가 가능하도록 함 <기대효과> - 현재 시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IP관리 장비들 중, Windows 기반 OS 시스템에서 자동 개인 IP 주소 할당(Automatic Private IP Addressing (APIPA)) 을 사용하고 있는 단말에 대해 Network 통제 기능 자체는 만족시키고 있으나 통제 사유를 사용자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보안성과 편의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우며 궁극적으로 통제와 동시에 NAC 에이전트 설치 강제화 또는 인증 강제화를 할 수 없다 -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는 APIPA 환경에서 Network 통제 및 통제사유를 제공함으로써, 통제와 동시에 NAC 에이전트 설치 강제화 또는 인증 강제화를 유도하여 허가 받지 않은 사용자의 Network 접근에 대한보안성, 편의성, 가용성을 극대화 할 수 있다 |
제품화 |
자사 통제 장비에 해당 기능이 포함되어 있으며 현재 NAC를 요구하는 고객에 납품(사용) 중 |
(18)연구과제 |
모든 자사 제품에 적용 가능한 사용자 정의 대시보드 프레임워크 개발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개요> SOC plus , ADS plus 에서 사용 할 수 있는 화면 배치 , 컨텐츠 표시 방식 , 표시 내용 을 사용자가 임의로 정의 하여 자유롭게 구성 배치 할 수 있는 HTML 5 기술 기반의 표준 브라우저 용 대시보드 의 개발을 수행 합니다 . <연구결과> - 표준 웹 브라우저 용 사용자 정의 대시보드 레이아웃 구성 기능 개발 - 사용자 정의 레이아웃 별 사용자 정의 내용 구성 기능 개발 - SQL 직접 정의 기능 개발 - 기 구성된 컨텐츠 선택 구성 기능 개발 - 계정 권한 별 구성 기능 개발 - 계정 권한 별 구성 저장 기능 개발 - 범용 용도 사용을 위한 다중 DB 연결 기능 개발 - 레이아웃 항목 별 갱신 주기 설정 기능 개발 - ADS 직접 데이터 조회 를 위한 ADS 쿼리 기반 조회 기능 개발
- 동적 대시보드 플랫폼 개발을 통한 시스템 대시보드 구성 기능 개발 - SOC plus 용 사용자 정의 기반 관제 대시보드 기능 개발 - ADS plus 용 사용자 정의 대시보드 기능 개발 - 사용자 정의 레이아웃 구성 기능 개발을 통한 사업 요건 대응 - 통합관제 대시보드 동적 구성 기술 확보 |
제품화 |
- SOC plus 동적 대시보드 적용 - ADS plus 동적 대시보드 적용 - SafeNAC 동적 대시보드 적용 |
(19)연구과제 |
보안 행위 로그 수집을 위한 사용자액션로그(MCI) 연동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연구목표> 내부 사용자의 고객정보 과다 조회 및 유출 등 이상행위에 대한 정보 수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자의 모든 접점과, 기업내부 시스템간 Interface를 통합하는 MCI (Multi Channel Integration)을 연동 다수의 행위로그를 확보하여 보다 정확한 탐지 기술 개발 <연구결과> - Text-Mining 기반 필드 분류 체계 구성 - MCI 전문 인터페이스 분석 및 로그파싱 > 표준전문헤더 + 메시지부 + 본문부 +종료부 구성 > 다양한 유형의 인터페이스 파싱 지원 - 인터페이스 유형별 구분 - 개인정보 항목 식별 (주민번호, 전화번호, IP,계좌번호 등..) - MCI로그 수집 및 개인정보 시나리오 적용 |
제품화 |
ADS PLUS 수집대상에 사용자액션정보 로그인 MCI로그를 추가하고 신규시나리오에 적용 |
(20)연구과제 |
복잡한 조건에 대한 이상행위 탐지를 위한 쿼리 개선 건 |
연구기관 |
(주)한류에이아이센터(구. (주)바이오닉스진) |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
<연구목표> 기존 쿼리의 단순한 And, OR, NOT 조건의 단순 조합에서 다양한 함수 및 외부 DB등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편리하게 연동하고 조인하여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로 구성 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야 함 <연구결과> - 자체 쿼리를 통해 통합검색 및 시나리오 구성이 가능한 - Web Console GUI를 통하여 사용자가 직접 쿼리를 입력 - 스트리밍 쿼리 및 버퍼링 쿼리 지원 - 스트리밍 가능한 커맨드 쿼리 시 데이터 전송 조회가 완료 - 버퍼링 쿼리는 ORDER BY 혹은 GROUP BY 같은 처리는 - 자체 쿼리 구성에 편의성을 위한 다양한 자체 함수 제공 |
제품화 |
연구 결과 내용을 기반으로 통합검색 및 시나리오/매트릭스 탐지 기능이 추가됨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 | -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 변경후 내용 | 변경의 목적 |
---|---|---|
제1호(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한류에이아이센터라 한다. 영문으로는 Hanryu A.I. Center Co.,Ltd.라 표기한다. | 제1호(상호) 이 회사는 주식회사 마이더스AI라 한다. 영문으로는 MidasAI Co.,Ltd.라 표기한다. | 상호의 변경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현옥 | 1977.11.09 | 아니오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서석현 |
1979.11.21 |
아니오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윤상호 |
1965.01.20 |
아니오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서상철 |
1976.07.14 |
아니오 |
해당사항 없음 |
이사회 |
총 ( 4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김현옥 |
이사 |
- 절강대학교 졸업 - (현) (주)에스에이코퍼레이션 회장 - (현) (주)알앤딥 부회장 |
해당사항 없음 |
서석현 |
이사 |
- 전북대학교 졸업 - (현) (주)디파츠 사내이사 - (현) (사)온누리안은행 이사 - (현) (주)금보건설 대표이사 - (현) (주)비룡건설 회장 - (현) (주)마이더스파트너스 회장 |
해당사항 없음 |
윤상호 | 이사 |
- 조선대학교 졸업 - (현) (사)온누리안은행 이사 - (현) (주)마이더스파트너스 호남법인대표 - (현) (주)마이더스파트너스 지앤비 대표 |
해당사항 없음 |
서상철 | 이사 |
- 경기대학교 졸업 - (현) (주)퓨처로봇 대표이사 - (현) (주)에스에이코퍼레이션 대표이사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 - | - | - |
- | - | - | - |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들은 경영에 대한 넓은 이해도와 풍부한 경험, 전문적인 지식들을 바탕으로 회사 성장기반 구축 및 경쟁력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이 되고 경영전반에 적절한 의견제시 및 기업가치 향상을 도모할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추천 |
확인서
![]() |
20200701_확인서(김현옥) |
![]() |
20200701_확인서(서상철) |
![]() |
20200701_확인서(서석현) |
![]() |
20200701_확인서(윤상호)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강창혁 | 1981.01.06 | 없음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강창혁 | 감사 |
- 단국대학교 회계학과 졸업 - 고려대학교 법무대학원 - (전)세무법인 텍스홈앤아웃 파트너 - (현) 태신 세무 회계 사무소 대표 |
해당사항 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 - | - | - |
- | - | - | - |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후보자는 실무 경험이 풍부하며, 회사의 경영활동에 대한 독립적인 감사 및 평가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경영 환경을 촉진할 수 있는 충분한 경험을 갖추고 있음. |
확인서
![]() |
20200701_확인서(깅창혁)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명)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위하여 건물 및 총회장 출입시 안내데스크 통제에 따라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마스크 착용 여부 확인 후 출입이 허용되오니 필히 마스크를 지참하시고 방문해 주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