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0  년  07 월  16 일


회   사   명 : (주)휴벡셀
대 표 이 사 : 박정민, 허성규 (각자대표)
본 점 소 재 지 :

(전   화) 031-776-3690

(홈페이지)http://www.huvexel.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이재봉

(전  화) 031-776-3690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5기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542조4와 정관 제21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

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0년 7월 31일 오전 9시 00분

 

2. 장 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사기막골로 124, 101~105호(상대원동, 에스케이엔

테크노파크 메가센터동) 2층 회의실

3. 전 화: 031-776-3690

4. 홈페이지 : http://www.huvexel.com

 

 

5. 회의 목적 사항

가. 의안건

1) 제1호 의안 : 정관 개정의 건

2) 제2호 의안 : 주식매수선택권 부여의 건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주주총회에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 315조 ②항에 의

거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행사 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

이 주주총회에 참석 또는 서면으로 의결권을 직접적으로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

임하여 의결권을 간접적으로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7. 서면에 의한 의결권 행사

상법 제368조의3 및 당사 정관 제29조2에 의거 주주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

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하고자 하시

는 분께서는 별첨의 ‘ 서면투표에 의한 의결권 행사서’ 의 안내사항을 참조하시어

투표용지에 의사를 표시하여 주주총회일 전일까지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8.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의 본사와 한국예탁결제원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 또는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

시기 바랍니다.

 

9. 주주총회 참석 시 준비물

가. 직접행사

임시주주총회 참석장, 본인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중 1개 지참)

나. 대리행사

- 수임인 지참물 : 임시주주총회 참석장, 위임장, 수임인의 신분증

- 위임장에 기재할 사항

① 위임인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법인인 경우 사업자등록번호)

② 수임인의 성명, 주소, 주민등록번호, 의결권을 위임한다는 내용

③ 위임인의 날인

※ 임시주주총회 참석장에 날인된 인영과 동일한 인영이어야 함

※ 임시주주총회 기념품은 회사경비 절감을 위하여 지급하지 않습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
(출석률: %)
B
(출석률: %)
C
(출석률: %)
D
(출석률: %)
찬 반 여 부







주)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 사외이사가 선임되어 있지 않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주) 당사는 이사회내 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주) 당사는 작성기준일 현재 사외이사가 선임되어 있지 않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정의

의료기기산업은 의료기기를 이용해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하는 보건의료산업의 한 분야입니다. 의료기기란 사람 또는 동물에게 단독 또는 조합하여 사용되는 기구.기계.장치.재료 또는 이와 유사한 제품으로서 질병의 진단 및 치료 또는 예방의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 대체 또는 변형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등을 말합니다.

 

또한 의료기기법 제2조에서는 구체적으로 의료기기를 다음의 제품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 상해 또는 장애를 진단.치료.경감 또는 보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 구조 또는 기능의 검사.대체 또는 변형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 임신을 조절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제품


그리고 국제조화 추진기구(GHTF : Global Harmonization Task Force)에서는 의료기기를 기계, 기기, 기구, 기계장치, 이식, 진단시약 또는 눈금측정기, 소프트웨어, 재료 또는 기타 유사 또는 관련 물품이 단독 또는 조합으로 사용되며, 다음의 목적을 위해 인간에게 사용하도록 제조자가 의도한 것으로 정의하였습니다.

 

구분

목적 내용

1

질병의 진단, 예방, 감시, 치료 또는 완화

2

부상에 대한 진단, 감시, 치료, 완화 또는 보상

3

해부 또는 생리적 과정의 조사, 대체 또는 변경

4

생명 지원 또는 유지, 수태조절(피임)

5

의료기기의 소독

6

인체로부터 추출된 표본의 시험과 시험에 의해 의료목적을 위한 정보를 제공

 

의료기기의 분류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분류기준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진단 및 계측기기, 수술 및 치료기기, 의료용품 및 치료재료, 치과용 의료기기로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합니다.

유형

주요내용

주요제품

진단 및 계측기기

초음파CT, MRI 등과 같이 질병.상해를 진단하거나, 심전도, 혈압계, 환자감시장치 등과 같이 생체신호를 측정하거나, 혈당측정기, 원심분리기 등과 같이 혈액 및 체액 등을 검사하는 기계장치


이미지: 계측기기

계측기기


수술 및 치료기기

전기수술기,레이저수술기,마취기,내시경 등과 같이 질병을 처치 및 치료하거나, 저주파 자극기, 온열치료기 등과 같이 가정에서 치료하는 기계장치


이미지: 내시경

내시경


의료용품 및 치료재료

인공관절 및 인공유방 등과 같이 인체 내부의 기능을 대체하는 재료, 스텐트, 심장판막 등과 같이 질병의 치료 및 처치에 사용하는 치료재료, 봉합사, 주사기 등과 같이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소모품(의료용품) 등


이미지: 경추고정장치

경추고정장치


치과용 의료기기

치과용 CT, 치과용 X-ray 등 치과에서 질병.상해를 진단하거나, 레진, 임플란트 등 질병을 처치 및 치료하는 재료와 치과용 기계장치


이미지: 치과용기기

치과용기기


 

또한 의료기기의 각 품목은 해당의료기기가 인체에 미치는 '잠재적 위해성'을 바탕으로 4개 등급으로 분류되며,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잠재적 위해성에 대한 판단기준 ]

1) 의료기기의 인체 삽입여부

2) 인체내 삽입/이식기간

3) 의약품이나 에너지를 환자에게 전달하는지 여부

4) 환자에게 국소적 또는 전신적인 생물학적 영향을 미치는지 여부

5) 체내(구강내를 제외한다)에서의 화학적 변화유무

 

(2) 산업의 특징

의료기기 산업은 전 세계적인 경제성장, 고령화,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에 따라 지속적인 고성장이 전망되는 고부가가치 유망산업이며, 질병의 조기진단 및 치료기술 발전을 선도하여 국민 보건향상 및 의료비 지출 감소에 기여를 할 뿐만 아니라, 전후방 산업연관효과, 다품종 소량생산, 지속적인 사용자 교육과 사후 서비스 요구 등의 특성에 따른 높은 고용 창출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보건산업 중 아이디어 비중이 높아 개발비 및 기간면에서 유리하고, IT등국 내 기반기술이 우수하며, 기업의 도전의욕도 높은 분야입니다.

본 산업의 특성으로는 기술적 측면에서는 의학과 전기, 전자, 재료, 광학 그리고 바이오 기술 등이 융합 및 응용되는 학제간 지식산업이라는 점이며, 시장적 측면으로는 수요자가 제품을 선택할 때, 가격보다 안전성을 고려하여 보수적 시장 분위기로 검증된 유명제품을 선호하는 경향이 강하고, 제도적 측면에서는 국가간 상이한 표준 및 인증제도로 인해 비관세 장벽이 존재하며, 높은 연구개발 및 임상시험 비용 등으로 글로벌 기업이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의료기기 선진국들은 1992년 GHTF(Global Harmonization Task Force, 국제표준화기구) 구성 등을 통하여 국제적으로 활발하게 자국의 의료기기 산업의 이익을 위해 국제기준 제정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제품개발을 통한 경쟁력 강화로 세계시장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OECD 국가들은 IT·BT·NT 등 신기술간의 융합분야를 미래에 중점 추진해야 할 고부가가치 첨단 기술로 인식하여 육성 전략의 수립과 더불어 본격적인 제품 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각국의 과학기술 우선 지원 분야는 국가 혁신전략에 의해 집중 지원되고 있는데, 미국의 경우, 이미 나노테크놀로지의 지원을 늘렸으며, 유럽은 나노기술, 바이오, 생명과학 분야와 보건의학 분야를 필두로 미래 첨단기술력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IT산업에서 세계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디지털시대 및 정보 혁명의 도래는 의료 기기 산업에도 강점으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하고 있으며, 의료기기 강국으로 진입하기 위해 의료기기 안전관리제도의 선진화, 시험검사 기관의 국제수준화, GMP 제도운영의 질적 성장 및 의료기기 임상시험 인프라 구축 등 기반을 조속히 조성하기 위해 노력함과 동시에 허가제도 개선 등 산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과 의료기기 사후관리를 강화하여 내수시장에서의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함께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의료기기 산업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습니다.

1) IT, BT, NT 등 융복합 기술집약적 산업

의료기기는 IT, BT, NT 등 다양한 기술이 융합 응용되어 복잡하고 다양화되어 가는 특성이 있으며 의학은 물론 기계, 재료 화학, 바이오 등 다학제적 학문이 집약되는 대표적인 융합기술 산업으로서 연구개발 자금 및 기술개발이 취약한 개도국은 개발비 부담 및 시장 확보의 어려움 등 산업발전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2) 다품종 소량생산 산업

의료기기의 종류는 수천종의 품목군 아래 수십만종의 제품이 있으며 한 품목의 생산량도 10만 대를 넘는 품목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지속적인 투자와 개발이 필요한 산업입니다.

3) 엄격한 규제 산업

의료기기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보건에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국민의 건강증진 및 건강권 확보 등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제품 전 사이클에 대한 안전성과 효과에 대한 유효성이 확보되어야 하기에 다양한 제도적 규제가 적용되는 산업이며, 미국의 FDA, 유럽의 CE 등 국가간 품질 규격을 통한 규제가 이루어져 규격 획득을 하기 위해 긴 시간 투자와 막대한 비용의 투입을 필요로 하는 국내외적으로 진입 장벽이 높은 산업입니다.

국내의 경우 연구 및 시제품 개발 이후 임상시험, 허가, 보험등재의 단계를 거쳐 시장에 출시됩니다. 시장진입까지 행정적으로 품목허가(80일), 신의료기술평가(270일), 요양급여결정신청(150일)을 진행하며 최소 1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되어 진입장벽으로 작용합니다.

[의료기기 개발 이후 국내시장진입 승인 단계]

구분

주요내용

담당기관

품목허가

임상시험

IRB(임상시험위원회), 식약처가 관리감독 기관 : 허가받지 않는 제품에 대해서는 반드시 식약처 승인 필요

식품의약품

안전처

기술문서심사

STED(국제기술문서양식) 적용

: 14년부터 식약처에서 단계적으로 적용 예정

GMP

제조품목 : ISO13485준수, 필요 시 멸균공정시스템 구축

수입품목 : 타국가에서 인증 받은 경우, 해당국의 Inspection 실시

임상시험 진행을 위해 임상시험용 GMO 필요

보험등재

신의료 기술평가

기존행위가 없는 경우에는 반드시 신청하여 의료기술의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 평가

신의료기기의 경우, 인허가를 획득하여도 신의료기술평가 승인 전에는 해당 제품을 활용한 의료기술 사용 불가

보건의료연구원

(NECA)

요양급여 신청

국내 의료기관에서 판매하기 위하여 등재

행위수가에 포함되는(장비, 일부재료)를 제외한 치료재료는 심평원에 별도 가격 산정 필요

건강보험심사

평가원

자료: 2014년 의료기기산업분석,한국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산업은 국민의 생명과 연관된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안전성이 가장 중요합니다. 의료기기는 직.간접적으로 인체에 접촉되기 때문에 안전성, 유효성 등이 무엇보다 중요한 요소이고 규제당국에서도 집중적인 관리대상이기도 합니다. 이로 인해 세계 각국은 의료기기에 대해 자국에 맞는 규격과 품질에 관한 표준, 각종 인허가제도를 마련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안전성, 유효성 등에 대한 객관적, 과학적, 의학적 자료 없이는 인허가가 어렵기 때문에 시장출시가 어려운 규제산업이며 간단한 소형기구에서부터 첨단 수술용 로봇까지 의약품과 마찬가지로 엄격한 임상실험과 허가 등 규제사항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4) 폐쇄적 전문기술 산업

 

전문성을 가진 병원이 주요 수요처로서 유명제품을 계속 사용하는 보수적인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인지도와 브랜드 파워가 매우 중요한 산업으로 신규 및 후발 기업들의 시장 진입이 어려운 시장입니다. 또한 정부의 의료급여 제도를 기반으로 하는 폐쇄적 개방 시장으로 가격변동률이나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는 낮은 편입니다. 그러나 의료기기는 제품의 수명주기가 긴 반면 차별화된 신기술, 신제품을 개발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업계의 리더들인 다국적기업들이 이미 사업화된 제품과 향후 전략 사업들에 대해 특허를 포함한 지적재산권을 가지고 신규 진입자들을 강력하게 통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존 시장에서 이러한 특허들을 피해 차별화된 제품을 출시하기가 매우 어려워 후발주자들이 신제품을 출시하더라도 기존 제품과 경쟁하기가 매우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들은 앞선 자본력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기술 개발을 주도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그동안의 축적된 기술을 앞세워 저가의 고품질 제품을 개발하여 새로운 의료기기의 선두주자로 도약하고 습니다. 우리나라도 장기간에 걸친 민간 및 정부 주도의 기술 개발에 많은 노력을 경주해 왔으며, 보건복지부, 미래창조과학부, 산업자원부등 관계기관 합동으로 의료기기산업을 미래성장 주력산업으로 육성을 위한 ‘의료기기산업중장기발전계획’ 을 발표(2014년 3월)하였고, 그에 따른 비전을 ‘2020년 세계 7대의료기기 강국진입’으로 설정하는 등 세계시장을 확보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은 산업으로 선정하여 지속적인 투자를 계획하고 있습니다.

 

5) 경기 변동에 따른 영향

 

의료기기 산업은 타 산업의 비하여 경기변동에 따른 민감도가 적은 편입니다. 대부분의 의료기기가 병원 등에서 사용되기 위해서는 법에 따라 각종 시험 및 인허가를 받는데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쉽게 대체품목이시장에 나오기엔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다른 산업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산업입니다. 단 의료기기의 구매는 국가 예산, 의료보험체계 등에 의하여 시기적인 변동요인은 발생할 소지가 있습니다. 또한 근래의 고령친화 산업은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에 따른 노인병원의 증가,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실시 등이 급여시장 규모를 이끌며 전반적인 의료기기 산업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의료기기 전체 업종에서 바라볼 때는 타 산업에 비하여 경기변동의 민감도가 적은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6) 제품의 라이프사이클

 

인체에 삽입되는 임플란트는 일정 기간 또는 반영구, 영구적으로 사용을 목적으로 제품을 개발합니다. 이에 시술 목적에 따른 기준에 적합한 제품을 개발하고 있으며, 당사의 주요 제품이 시용되는 신경외과, 정형외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10년의 수명을 요하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제품 개발, 제작하고 있습니다. 제품의 특성상 티타늄, PEEK 등 인체에 적합한 소재를 기반으로 사용자에 대한 안전성 및 내구성에 맞춰 설계 및 제작을 하고 병원 특성상 한 제품을 가급적 오래 사용하고자 하는 경향이 있어 그에 맞춘 제품 개발, 생산을 하고 있습니다.

 

7) 대체시장

 

일반적으로 의료기기 산업은 인체에 직접적으로 사용되는 안전성이 중요한 산업이기에 개발단계에서부터 R&D 비용과 시간이 많이 투여되며 개발 후에도 국내외 관련법에 따라 각종 시험 및 인허가를 받는데 오랜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쉽게 대체시장이 형성되기에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국제적으로도 안전성 및 위험성관리를 중시하는 추세로 다른 산업에 비하여 비교적 안정적인 성장을 할 수 있는 산업입니다.

 

8) 경쟁 상황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개발은 장기간의 개발과정과 개발 이후 사용성 평가 등 제품화과정에서의 시간적, 금전적 부담으로 진입장벽이 높다고 분석되고 있습니다. 특히 후발업체나 개발도상국에서는 기술력 확보, 개발 투자비의 여력과 시장특성상 후발주자로서의 마케팅등과 시장 규모의 협소성 때문에 채산성이 떨어져 선진국에서 기술이전을 기피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그리고 일반 운동기기 및 전자용품보다는 훨씬 높은 안정성 관리가 요구되며 각 국마다 FDA, CE 등의 안전규격을 통하여 의료기기를 규제하고 있으며 그 규격 을 획득하는데 장시간이 소요되고, 특히 치료기기의 경우 임상시험 등을 포함한 기간이 3년~ 7년 정도가 소요되어 신규업체의 침투가 매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9) 자원 조달 상황

 

의료기기에 사용되는 원소재는 생체적합성 특수 소재로 동일한 성분의 소재라하더라도 의료용 소재는 생처적합성 테스트를 거친 소재만을 사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그러하다보니 의료용 소재 수급은 한정이 되어 있으며, 또한 원자재의 제조국에 따라 특성과 가격에도 차이가 있습니다. 이에 동사에서는 주재료로 사용되는 티타늄의 경우 미국의 Carpenter사의 한국 공급원인 코덴트티엠에스주식회사 및 주식회사 티엔에스코리아에서 우수한 품질의 원소재와 성적서를 받고 있으며, PEEK는 INVIBIO LTD와 독일의 EVONIK 사에서 수입한 재료를 사업초기부터 공급받고 있으며 제품생산 이전인 개발단계부터 주재료의 품질 등의 논의를 통해 끈끈한 유대 관계로 안정적인 공급을 받고 있습니다.

 

10) 관련 법령 및 정부 규제

 

의료기기산업은 사람의 생명과 건강을 담보로 하는 기기 업종으로 세계 각국정부의 엄격한 통제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통제는 국가별로 법률에 의하여 통제되고 있으며, 각 나라의 특성에 적합한 서로 상이한 규정으로 통제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인증의 경우 일반 공산품 및 의료기기 CE 인증을 받아야 하지만, 의료기기의 경우 MDD (Medical Device Directive)라는 의료용구 지침에 해당하는 엄격한 규정을 받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의 경우 미국식품의약품 안정청(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에 FDA 510(K)를 통하여 의료용구가 미국에 이미 합법적으로 판매되고 있는 용구와 충분히 동등한지를 판단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의하여 등급별 품목허가 및 시스템인증(GMP)을 받아야만 국내 판매가 가능합니다. 이러한 규제는 국민의 안전 보호라는 취지 이외에 자국 시장보호를 위해 시장진입 장벽의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동일한 제품일지라도 판매되는 국가별 인증을 받아야 하므로 인증을 받기 위해서는 시간적, 비용적인 문제, 해당 규격의 품질시스템의 확보 및 유지 등 많은 제약 조건을 가지게 됩니다. 동사는 현재 ISO13485, CE, 등급별 GMP등 관련 규격에 따른 품질 체계를 구축하여 체계적인 품질 시스템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하여 신제품의 출시에서도 보다 빠르고 적극적인 대응이 가능하여 조기 매출 확대가 가능합니다.

 

                                    [대한민국 관련규제 현황]

단계

관련법규

관련기관

제조업허가

- 의료기기법 및 동 시행령

식약처

품목허가

- 의료기기 허가, 신고, 심사 등에 관한 규정

식약처

품질적합심사(KGMP)

-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식약처

품질관리심사기관

제품생산 및 판매

- 의료기기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

- 의료기기 부작용 등 안전성 정보관리에 관한 규정

식약처


                                        [국가별 관련규제현황]

국가명

규제기관

관련법규

품질시스템

유럽

National Competent Authority

MDD 93/42/EEC as amended by MDD 2007/47/EC

ISO 13485

미국

FDA

FD&C Act(Federal food, drug& cosmetic Act) CFR(The Code of Federal Regulations)

QSR

멕시코

COFEPRIS

Ley General de Salud(보건일반법)

Reglamento de Insumos para la Salud

(보건용 제품, 소재에 관한 규칙)

ISO 13485

브라질

ANVISA

Law No, 6360.decree

No 79,094/972.RDC-185

ISO 13485

중국

CFDA

의료기기 감독관리조례중국국령

ISO 13485

일본

PMDA

Pharmaceutical and Medica Device Law(PMDL)

ISO 13485

 

(3) 시장 현황 및 전망

 

1) 세계 시장


이미지: 세계의료기기시장규모

세계의료기기시장규모


□ 세계 의료기기 시장 전망
 ○ 2015년 세계 의료기기 시장 규모는 4,158억 달러로 2014년 대비 5.7% 성장할 것으로 추정되며, 매년 꾸준히 시장 규모가 성장하여 2020년까지 연평균 6.4%, 시장은 5,679억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미지: 지역별 세계 의료기기시장규모

지역별 세계 의료기기시장규모


○ 지역별 세계 의료기기 시장 전망으로는, 아시아-태평양 국가의 시장(CAGR : 8.4%)이 크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또한, 향후 서부-중앙아메리카의 의료기기 시장(CAGR : 6.8%)이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
 
 


2017년 미국의 시장규모는 1,549억 달러로 세계시장의 43.5%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위 20개 국가가 전체의 88.9%를 차지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독일 이 259억 달러(7.3%), 일본 255억 달러(7.2%), 중국 214억 달러(6.0%), 프랑스 146억 달러(4.1%) 등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정형외과용 제품군별 시장 규모]

                                                                                            (단위 : 백만불)

 

2017(E)

2018(E)

2019(E)

2020(E)

2021(E)

Joint Reconstruction devices

$18,142

$18,805

$19,498

$20,234

$21,002

Spine devices

$9,088

$9,297

$9,530

$9,768

$10,031

Trauma fixation devices

$6,893

$7,182

$7,505

$7,843

$8,212

Arthroscopy /

Soft Tissue Repair

$5,290

$5,587

$5,905

$6,242

$6,604

Orthobiologics

$5,095

$5,247

$5,405

$5,578

$5,756

Others

$5,250

$5,303

$5,356

$5,409

$5,463

Total

$49,757

$51,421

$53,198

$55,073

$57,069

Change

3.3%

3.3%

3.5%

3.5%

3.6%

(자료 : “The Orthopedic industry annual report“, publised in May, 2017 by Orthoworld.)

정형외과용 기구 세계시장 규모는 2017년 약 500억달러로 추정되고 있으며, 연 평균 3% 이상의 연평균 성장률을 보여 2021년에는 57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그 중 척추 시술 기기 시장은 2.5%씩 성장하여 약 100억불 (11조원)이상의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세계 척추수술 관련기기 시장규모(2010~2020)]                                                                                                                    (단위 : 백만달러, %)

이미지: global spine surgery market analysis 2010~2020, published in 2011 by medmarket diligence

global spine surgery market analysis 2010~2020, published in 2011 by medmarket diligence


향후 세계 척추 시장은 척추 임플란트 및 골이식재(Orthobiologic) 등을 포함하여 작년 약170억불을 초과했으며, 2020년까지 약 230억불까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미세침습이라는 시술 방법의 도입에 따른 기존의 흉요추 융합술이 지속적으로 성장이 예상되며, 인공디스크의 시장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2018년 정형외과 의료기기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Depuy Synthes가 가장 높은 17%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음으로 Zimmer Biomet (14%), Stryker (14%), Smith&Nephew (7%), Medtronic (6%)의 순으로 상위7개 기업이 전체 시장의 65%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 2017년~2018년 정형외과 의료기기 시장 경쟁 추이 ]

                                                                                    (단위 : 백만달러)

이미지: 자료  “the orthopedic industry annual report“, publised in may, 2019 by orthoworld

자료  “the orthopedic industry annual report“, publised in may, 2019 by orthoworld


               [ 2018년 정형외과 의료기기 시장 시장점유율 ]

이미지: the orthopedic industry annual report“, publised in may, 2019 by orthoworld

the orthopedic industry annual report“, publised in may, 2019 by orthoworld



세계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2010년 317억 달러에서 2016년 482억 달러 규모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연평균 3%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전체 의료기기 시장에서 11.9%를 차지하고 있으며, 안과용 의료기기 (12.3%)에 이어 두 번째로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2010년 약 3조 9,027억원에서 연평균 6.2%의 성장률을 보이며, 2016년 약 5조 8천억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시장의약 1.4%를 차지하는 수치이며, 우리나라의 경우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2060년에 전체 인구의 40.1%를 차지할 것이라는 통계청 전망에 따라, 향후 국내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동사가 주력으로 생산, 판매하는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중에서 척추 임플란트 제품이 속한 척추 시술 관련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2007년부터 2020년까지 연평균 4.7% 성장률을 보이며, 230억 달러의 시장을 형성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2) 국내 시장

 

우리나라의 2017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6조2천억원으로 전년(5조8천억원) 대비 5.52% 성장하였습니다. 생산액은 2017년 기준 5조 8천억원이며, 전년 대비 3.93% 성장하였으며, 2011년부터 연평균 8.36%로 지속적으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수출의 경우, 같은 기간 동안 연평균 8.5%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으며, 2017년 기준 수출 금액은 3조 5800억원로 전년 대비 5.62% 증가하였습니다. 2017년 의료기기 수입 금액은 3조 9천억원으로 2016년 대비 8.06% 이상 증가하였습니다.

의료기기 생산금액은 매년 높은 성장률을 보이며 해당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생산, 수출 및 수입 금액이 고르게 상승하고 있어 국내 의료기기 시장의 성장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특히 국내 의료기기 시장의 수입의존도는 2011년 64.9%에서 2016년 62.3%로 지속적으로 낮아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국내 제조업체의 시장 만족도가 높아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됩니다.

                      [국내 의료기기 시장규모(2012~2017)]

 

이미지: 국내의료기기시장현황(식품의약품통계)

국내의료기기시장현황(식품의약품통계)

                                                                                         

3) 시장의 변화와 그 요인

① 소재의 변화

2010년 이후, 정형외과 임플란트의 디자인적 차별성은 사라지기 시작하였습니다. 모든 제조사들은 이미 알려진 최선의 디자인을 적용하기 시작하였고, 바야흐로 가격경쟁의 시대로 접어들게 되었습니다. 정형외과 임플란트 시장의 리더들 (Medtronic, J&J Depuy, Zimmer, Stryker, Biomet)은 제품의 다양성과 오랜 시간 구축된 고객의 신뢰를 제외하고는 차별성을 잃게 되었고, 상대적으로 소규모의 회사들과 가격으로 경쟁하기는 어려운 상황을 맞게 되면서 혁신적 생체소재의 개발에 몰두하게 되었습니다. 1980년대 이전에 개발된 신소재들이 이후 여러 측면에서 개량되어 왔으나 결국 혁신적 신소재를 갖는 회사만이 이 시장을 주도하게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이미지: 자료 의료용생체재료 연구동향  2010

자료 의료용생체재료 연구동향  2010


② 고령화 사회 확산에 따른 의료기기 수요 증가

 

의약품의 발달, 식생활개선, 건강관리기법의 발달과 더불어 인구의 노령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65세 이상의 노인 비중이 14% 이상이면 고령 사회, 20% 이상이면 초고령 사회라고 합니다. 일본은 2005년 이미 초고령 사회로 진입했고, 한국은 향후 2026년, 중국은 2035년 진입이 예상됩니다.

 


③ 척추 질환 환자의 증가

 

이미지: 20대 척추질환자수

20대 척추질환자수


스마트폰 사용 증가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증상과 질환으로는 목디스크, 안구건조증, 손목터널증후군이 있으며, 특히 목디스크 증상 및 질환을 갖는 환자의 수는 해마다 약 10% 씩 증가를 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른 경후용 고정 장치 및 경추 인공 디스크 등의 시장도 함께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따르면, 고령화 인구의 증가로 인해 2014년 기준 50대 환자가 272만명(21.6%)으로 가장 많았고, 40대(17.0%), 60대(16.3%), 70대(13.8%)가 뒤를 이었다. 50대 이상 환자는 전체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또한, 이러한 환자 가운데 척추수술은 70대(24.7%)가 가장 많이 받았으며 주로 디스크탈출증에 실시하는 감압술(약 6만6천건·42.5%)과 관련 수술이 많았습니다.


이미지: 연령대별 남녀 척추질환 환자 수(2017년)

연령대별 남녀 척추질환 환자 수(2017년)


④ UDI 제도 도입

 

의료기기 사고로부터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국가차원의 관리·감독 체계를 구축하는 움직임이 활발해졌습니다. 지난 2010년 발암물질이 들어있어 전 세계적으로 물의를 일으켰던 프랑스제 유방보형물 사건에서와 같은 의료기기 부작용 등의 사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려는 것으로, 미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에서는 인체에 이식하는 등의 고위험군 의료기기를 중심으로 그 유통이력을 추적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2008년 10월, 국가 간 의료기기 규제조화 단체인 GHTF(Global Harmonization Task Force)는 미국, EU 및 일본을 중심으로 의료기기 이력추적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작업반(Work Group)을 결성했습니다. 작업반에서는 리콜 등의 상황 발생 시 효과적으로 제품을 회수해 판매·시술 후에도 환자의 안전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했으며, 이 과정에서 의료기기 이력추적을 위한 기본 개념인 ‘UDI(Unique Device Identification, 의료기기 고유식별)’가 수립되었습니다.
  UDI란 의료기기를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는 체계를 말하는 것으로, 크게 3가지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는 의료기기 고유식별코드(Identifier)이고, 둘째는 해당 식별코드를 기계가 읽을 수 있도록 만든 바코드(BarCode)이며, 마지막으로 의료기기 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Database)이다. 이러한 세 가지 구성요소를 합하여 UDI 시스템이라고 말합니다. 미국은 지난 2013년 9월 전 세계 최초로 UDI 규정을 제정, 이를 의무화했기 때문에 미국에 직접 수출하거나, 또는 미국에 유통되는 의료기기를 위탁생산하는 기업은 UDI 시스템 구축방안을 검토해야 합니다. 동사의 주요 제품 또한 2015년 9월부터 적용되어 2016년 9월부터는 미국 수출 전 사전에 미국 FDA에서 관장하는 UDI Database에 등록을 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동사는 미국의 UDI 대행 업체와 계약을 통해 사전 준비를 맞췄으며 현재 UDI 제도의 의거하여 수출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점차 UDI 제도는 유럽 및 아시아까지 적용될 예정으로 모든 의료기기 기업들은 이를 위해 막대한 제조 설비 변경 등의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동사는 이미 이러한 규제에 대비 해왔으며 전제품에 UDI 적용이 가능하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회사의 성장 과정

 

동사는 시계 정밀 가공 기술을 기반으로 의료기기 OEM으로 시작하여, 유수 국산 정형외과 의료기기 제조사와의 신제품 개발 참여를 통해 얻은 경험을 통해 독자적인 제품을 개발, 제조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2010년부터 본격적인 해외 진출과 2011년 미국 법인 설립 등을 통해 끊임없이 노력한 결과 2015년 수출 3백만불을 달성하게 되었습니다. 현재는 주력인 척추 임플란트 뿐만 아니라 예방과 재활, 바이오 분야에도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으며, KIST 및 유수 기관들과 함께 신제품 개발도 추진 중에 있으며, 미국 현지에도 연구소를 설립하여 글로벌한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어 향후 글로벌 척추 전문 의료기기 제조사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구분

생산 및 판매활동 개요

영업상 주요 전략

설립기

(2006년 ~ 2009년)

생산 공장 설립

의료기기 제조업 인허가

의료기기 OEM

기업 부설 연구소 설립

초기 1개 제품 CE 유럽 인증 획득

사업의 시작 단계

제품의 연구 개발 단계

성장기

(2010년 ~ 2015년)

수출 유망 중소기업 인증

6개 신제품 출시, CE 인증 획득

2개 제품 미국 FDA 인증 획득

4개 제품 중국 CFDA 인증 획득

공장 확장 및 생산 설비 확대

미국 법인 설립

수출 3백만불 탑 수상

인공 디스크 개발 착수

3D 프린터를 이용한 제품 개발 착수

바이오 연구 개발 시설 확보

국내 총판 계약 및 거래처 확대

유럽 및 중동, 남아공 등 수출을 통해 14개국 거래처 확보

척추 임플란트 품목 다양성 확보

신제품 연구 및 국책 연구 과제 수행을 통한 제품 개발

FDA 현장 실사 통과 등 제품 인증을 통한 품질의 우수성 증명

미국 GPO, VA Hospital, Advocate Hospital 등 현지 매출 3백만불 달성

우수 의료진과 척추 질환에 필요한 다양한 제품 개발 및 연구 활동을 통한 신시장 진출

상장신청기

(2016년 ~ 2019)

미국 현지 연구소 설립

미국 6종(IVA Cages 5종, HUVEX 등)의 제품 인증 완료

유럽 HUVEX 및 FIXPINO 1회용 멸균 제품 등록 진행 중

미국 신규 (Titanium cage 5종 및 MIS 1종) 추가 등록 진행 중

판매 제품의 다양화

미국 현지 연구소를 통한 글로벌 제품 개발

미국 및 해외 신제품 출시 등으로 수출 시장 확대 및 매출 확대

재도약
 (2020 ~

미국 판매 채널 다각화
 미국 이외의 해외 거점화
 중국 시장 확대

미국 OEM 비지니스 확대
 중동, 유럽 거점 선정하여 거점 중심의 영업 확대
 중국 시장의 이분화를 통한 매출 증대

 

(2) 주요 제품

 

동사는 정형외과와 신경외과에서 주로 사용되는 척추 임플란트, 척추 수술용 기구를 제조, 판매하는 의료기기 전문 기업입니다. 그 중에서 척추의 퇴행, 협착, 외부충격, 또는 종양으로 인한 척추 불안정성을 치료하기 위한 수술과 선천적, 후천적 척추 기형 및 측만증의 척추 질환치료를 목적으로 한 척추 유합술에 사용 되어지는 척추 임플란트 제품을 주요 제품으로 제조, 판매 및 수출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제품은 인간의 몸속에 시술되는 제품으로 인간의 생명 및 국민보건증진에 중점을 두고 개발된 제품으로 차별화된 디자인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 안전성 확보 측면에서도 판매되고 있는 제품들의 대부분이 미국 FDA 승인 및 유럽 CE 인증 ISO 13485, GMP 인증 등이 된 제품들이고 동사의 품질 시스템은 미국 FDA의 품질감사 (GMP) 실사를 받았다는 것은 품질 및 생산에 있어 신뢰성이 있다는 것이고 경쟁사들과 크게 차별화가 되는 점입니다.

현재 동사는 경추 및 요추 질환 시술에 이용되는 임플란트를 주력으로 제조, 판매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한국기계연구원과 함께 3D프린터를 개발하여 생체흡수성소재를 이용한 신경외과 및 정형외과 시술용 제품을 개발하여 2016년 11월 국내 인허가를 완료하여 2017년 1분기에 출시하였습니다. 또한, 향후 3D 프린터를 이용한 다양한 제품들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또한 Type2 Anodyzing 기술을 특허 받아 선직국에서만 하던 코팅기술을 국내에서 처음 도입을 하는 동시에 2019년부터 미국 출하 제품에 적용을 할예정이며 별도의 코팅 기술로 외주 용역 사업도 가능할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본 코팅기술을 적용한 3D Metel Printing을  이용하여 척추용 임플란트 제작이 가능 하며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기에 그 적용 범위도 넓어 시장 전망이 밝다고 보고 있습니다.


   

이미지: type2 anodyzing

type2 anodyzing

                                   


이미지: 3d metel printing

3d metel printing



이미지: anodyzing 3d printed

anodyzing 3d printed


이러한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제품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기존의 신경외과 및 정형외과용 골고정용 임플란트를 대체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또한, 고령화 인구 증가 및 PC, 스마트폰 사용 증가에 따른 척추 질환의 증가에 따라 척추 질환의 예방과 재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동사는 향후 척추 임플란트의 제품 다양성 확보와 예방과 재활 분야의 사업부문까지 확장하고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이에 현재 국내 최초로 인공디스크를 개발하고 있으며, 또한, 국내 유수 연구기관과 신경재생 의료기기를 개발 중에 있어 국내 최초의 기술 및 제품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이미지: 품목별 인증수량

품목별 인증수량



                                [ 부위별 제품별 세부 내역 ]

척추 부위

구분

휴벡셀

제품명

제품 설명

경추

Plate system

Rex ACP

2014년 출시로 주요 매출 제품으로 거북이목 등 목디스크 시술용 임플란트

Fortis

2세대 디자인으로 업그레이드된 제품

Hana Plate

2세대 디자인으로 cage와 함께 사용하는 제품

Cage

IVA Cage - ACDF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

AEON-C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로 케이지 자체에 플레이트와 구성이 되어 스크류로 추가 고정 가능

Pedicle screw

개발 중

경추용 스크류 시스템

2020년 하반기 FDA 인허가 완료 예정

Artificial Disc

개발 중

국내 최초 인공 디스크 개발 중

흉요추

PLIF cage

IVA Cage PLIF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로 PEEK 재질

IVA Cage PLIF Ti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로 티타늄 재질

ALIF cage

IVA Cage ALIF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 FDA 인증

IVA Cage ALIF Ti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 FDA 인증

TLIF cage

IVA Cage TLIF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 FDA  인증

DLIF cage

IVA Cage DLIF

2세대 디자인으로 신형 모델, FDA 인증

Expandable Cage

개발 중

2020년 하반기 내 FDA 인허가 완료 예정

Plate System

Balteum Lumbar Plate

2020년 상반기 내 FDA 인허가 완료 예정

Pedicle Screw

Fixpine

국내 및 중동, 중국 주력 품목

Rexious

미국 수출 주력 품목

MIS screw

Rexious Triple G type

미국 FDA 인증 제품

Flexible Rod

DynaRod

국내 및 중동, 러시아 출시됨

Joint Screw

FaSet Screw

Facet joint 고정 시스템,

미국 FDA 인증 제품

Unity SIJ screw

천추관절 고정 시스템

미국 FDA 인증 제품

Interspinous fixation device

Fixpino

미국 FDA 인증 진행 중

HUVEX 

미국 FDA 인증

예방/

재활

Kyphoplasty

Spili

중국 CFDA 인증 제품

Pain management

Navidian

중국 CFDA 인증 재연장 중

Ravo

중국 CFDA 인증 제품

I-spineduo

국내 전문 병원 위주 판매

Nucleoplasty

Ispinecore

국내 전문 병원 위주 판매

 

 

(3) 영업 현황

 

1) 국내 영업 현황

 

척추임플란트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것으로 예상되는데, 노령층의 확대는 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이어지며 퇴행성 질환은 상당수 척추 관련 질환을 수반하기 때문이다. 척추에 큰 무리를 주는 요인 중 하나인 비만도 꾸준히 늘고 있어 시장성장을 부추기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에 의하면, 글로벌 척추임플란트 시장은 2013년 107억달러에서 2020년 157억달러로 연간  5.7%씩 늘어날 전망이며, 국내시장도 2013년 7,800만달러에서 2020년 1억2,300만달러로 연간 6.6%확대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미지: 척추임플란트국내시장현황

척추임플란트국내시장현황


 글로벌 축추임플란트 시장은 상위 4개사가 과반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으며, 국내도 이와 비슷하다. 현재 한국 기업들은 20%내외의 국내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고, 꾸준히 시장점유율을 늘려나가는 동시에 기술개발을 통해 해외 진출을 시도하고 있다.

 

                                  [ 국내 제품 경쟁력 비교 ]

척추 부위

구분

휴벡셀

(당사)

L사

M사

U사

경추

Plate system

Rex ACP

1종

X

2종

Fortis

Hana Plate

Cage

IVA Cage

1종

X

2종

AEON-C

Pedicle screw

개발중

1종

X

1종

Artificial Disc

개발중

X

X

X

흉요추

Cages

IVA Cage PLIF

2종

2종

2종

IVA Cage TLIF

IVA Cage ALIF

1종

1종

1종

IVA Cage DLIF

Expandable Cage

개발중

X

1종

X

Plate

Balteum Lumbar Plate

X

X

X

Pedicle Screw

Fixpine

1종

2종

3종

Rexious

MIS screw

Rexious Triple G type

1종

1종

1종

Flexible Rod

DynaRod

X

1종

X

Facet fixation

FaSet Screw System

X

X

X

SI joint

Unity SIJ screw system

X

X

X

Interspinous fixation device

Fixpino

X

1종

X

HUVEX

Others

Kyphoplasty

Spili

X

X

X

Pain management

Navidian

X

X

X

Ravo

I-spineduo

Nucleoplasty

Ispinecore

X

X

1종


동사는 지속적인 투자와 유수 기관 및 의료진과의 개발을 통해 다양한 제품 확보로 국내 유일의 척추 전문 의료기기 제조회사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2) 해외 진출 현황

 

2009년부터 유럽에 진출하여 2018년 상반기 현재 기준 17개국에 수출을 하고 있으며, 2015년도에는 수출 3백만불 탑 수상과 이에 대한 업적을 인정 받아 동사의 대표이사가 산업통상부장관 표창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2019년 이란 제재 및 중국 인허가 갱신과 신제품 출시 지연으로 매출은 2018년 대비 하락하였으나, 신제품 출시 및 인허가 갱신 등을 통해 매출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2015년

2016년

2017년

2018년

2019년

수출 국가 수

17개국

17개국

17개국

17개국

10개국

수출액

4,554

4,466

4,809

4,828

2,700

 

                           

이미지: 수출진행국가현황

수출진행국가현황


 또한, 전세계 시장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미국에 2011년 현지 법인을 설립하여 적극적인 영업 활동으로 2014년 GPO(미국 병원 업무 및 구매 대행 기업) 중 4위인 HPG (HealthTrust Purchasing Group)과 공급 계약을 체결을 시작으로 미국 일리노이주에서 가장 큰 Advocate Hospital (13개 병원 소유)와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6년 말 신제품 5종과 2016년 3월 1종 등 최근 6종의 신제품을 FDA 승인을 완료하여 출시하였기에 본격적인 GPO 공략과 시장 확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신제품 출시에 따라 최근 2017년 4월에는 시카고 주변의 중소 GPO인 Presence Health (11개 병원)과 AdventistHealth (81개 병원 네트워크)과의 계약 및 2017년 FDA 1건, 2018년 6건 승인으로 2019년에는 2018년대비 미국 현지의 매출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2016년 미국 현지에 연구소를 설립하여 현지에서 우수 의료진과의 개발 및 자문을 통하여 글로벌 규격의 제품들을 개발할 수 있는 여건을 형성했으며,더욱이, 글로벌 기업과 가격 경쟁이 아닌 품질 경쟁을 위하여 오송첨단의료기기지원센터와 티타늄 합금의 Type2 양극산화 표면 개질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여 당사의 모든 임플란트의 주요 원자재인 티타늄에 대한 강도 및 골융합율을 올려 글로벌 기업들과 품질로도 경쟁을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 표면 개질 기술은 국내 유일이며 최초로 모든 티타늄 제품에 적용할 수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 동사 제품의 품질 경쟁력을 올려줄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 경영상의 주요계약

 

1. 우리들바이오(주)와의 공동개발 계약 체결

동사는 지난 3월 2017년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우리들병원 네트워트의 간납업체인 우리들바이오(주)와 우리들병원에 필요한 척추 임플란트를 공동으로 개발하기로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2017년 말 출시 예정으로 향후 우리들병원 네트워크를 통한 매출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2. 미국 중소 GPO와의 계약 체결

지난 4월 미국 내 중소 규모 GPO인 '애드벤티스헬스(Adventis Health)', '프레젠스헬스 (Presence Health)' 등과 잇따른 공급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미국 시카고에 위치한 프레젠스헬스는 일리노이주 11개 병원과 27개 장기요양병원 등 150여 개 이상의 지점을 둔 헬스 서비스 기업이며, 애드벤티스헬스 역시 일리노이주내 80개 병원을 고객사로 확보하고 있는 중견 GPO으로 향후 미국 매출 증가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3. 티타늄 합금 Type2 표면 개질 기술 이전 계약

동사는 오송첨단의기기개발지원센터(바이오소재 연구팀)과 지난 6월 티타늄 합금에 대한 Type2 표면개질 기술 이전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하반기 기술 이전과 함께 2018년부터는 미국으로 수출하는 전제품에 적용할 예정입니다. 본 기술은 국내 유일이며 최초로 티타늄 합금 발색 기술로 세계 10대 기업들만 적용하는 신기술로서 앞으로 미국 내에서 가격경쟁력 뿐만아니라 품질 경쟁력도 높여 매출 신장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향후 매출액의 변동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인정되는 사항

 

(1) 고령화 및 PC/스마트폰 사용에 따른 질환 증가

 

세계 의료기기 시장 동향에서 기술된 바와 같이 2015년 기준 세계 의료기기 시장규모는 3,243억 달러이며, 이는 2014년 대비 3.7% 감소한 수준이나, 2016년 이후 연평균 6.4% 성장하여 2020년에는 4,358억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머징 마켓의 급성장에 따른 의료 서비스 수요 증가로 세계 의료기기 시장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4년 정부는 의료기기산업 중장기 발전계획(2014~2018)을 확정해 발표하며, 2020년까지 세계 7대 의료기기산업 강국으로의 도약 의지를 표명하고, 보건산업을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는 2020년까지 의료기기 수출액 13조 5,000억 원, 세계시장 점유율 3.8%, 고용 인력 13만 명을 달성한다는 목표를 수립하였습니다.

 


이미지: 세계와 한국의 기대수명 추이

세계와 한국의 기대수명 추이


이와 더불어 올해 통계청에서 발표한 자료를 보면, 2015년 한국 인구 중 65세 이상의 고령인구는 13.1%이며, 2060년에는 40.1%로 27.0%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또한 기대 수명은 2010~2013년 81.3세로 1970~1974년 62.7세에 비해 18.6세(29.7%) 증가하였으며, 세계에서 14번째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처럼 인구 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기대 수명의 연장으로 인한 정형외과용 의료기기 시장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와 같은 의료기기 시장에 발맞춰 동사에서는 국내 최초로 인공디스크를 2018년도 출시를 목표로 개발하고 있으며, 미국 현지 연구소를 통해 지속적인 제품 개발로 향후 2020년에는 세계 일류 기업에 견줄 수 있는 다양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예정입니다. 또한, 척추 질환의 예방과 재활 분야에 대해 KIST 등 유수 기관들과의 연구 개발을 통해 저주파 및 초음파를 이용한 개인용 재활 치료기기를 출시할 예정에 있습니다.

 

인구고령화 및 PC 사용의 증가로 인해 척추 질환 등에 대한 예방과 재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에 동사에서는 척추 임플란트의 다양한 제품 구성뿐만 아니라 예방과 재활 치료기기, 생체적합성 소재를 이용한 제품 등 지속적인 개발과 투자로 향후 글로벌 척추 전문 의료기기 회사로 도약할 수 있을 것이라 보고 있습니다.

 

또한, 고령화 인구 증가에 따라 건강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100세 인생을 설계하고 준비할 정도로 건강한 수명 연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미지: 건강수명의중요성

건강수명의중요성


(2) 미국 의료수요 확장 따른 의료기기 시장 성장

 

Obamacare (Afforadable Care Act)는 저소득층, 이민자의 의료 보장을 늘리기 위해 2013년 발의되었습니다. 발의 당시 미국 정부 (CBO)는 무보험자가 2014년 5,700만명 수준 에서 2023년 3,100만명으로 약 2,500만명 감소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하지만, 2015년 2 월 실제 실시한 조사에서는 이미 2,200만명 이상이 의료가입 혜택을 본 것으로 나타나 커버리지의 빠른 증가가 확인되었습니다.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무보험자 비율감소와 더불어 의료 혜택 지원 증가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접근성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확대되었다는 것입니다. Medicaid 및 Medicare 가입자 수를 합친 7,600만명의 미국인들이 새 정책에 따라 당뇨, 자궁경부암, 백신, 콜레스테롤 관리 등의 무료 예방 서비스 (Preventive Care) 혜택을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단순 치료를 넘어선 웰빙영역까지의 의료접근성 확대 혜택은 의료 수요 증가와 더불어 진단 기기의 수요 확대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따라서 동사는 현지화 전략의 일환으로 미국 현지 연구소에서 미국 현지의 의료진과 연구 기관들과 함께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계획입니다.

2020년 미국 의료기기 시장은 CAGR 14%로 1,740억달러까지 성장할 전망입니다.

                                 

 

이미지: [미국 의료 기기시장 전망]

[미국 의료 기기시장 전망]


미국의 환자 인구 통계가 그러한 절차에 대한 꾸준한 수요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며, 최근 몇 년 동안 새로운 침략적 혁신이 전통적인 척추 시장을 점차적으로 잠식함에 따라 성장이 둔화되었습니다. VCF 부문은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할 것이며 계속해서 새로운 기술에 의해 주도 될 것입니다.

척추 융합 시장의 가장 큰 제한 요소는 최소 침습 수술 및 모션 보존 기술을 포함한 경쟁 기술의 성장입니다. 요추 인공 디스크 (LAD)는 상환 부족과 바람직하지 않은 임상 결과로 인해 이전에 예상했던대로 흉 요추 고정 장치를 식인하는 데 성공하지 못했지만, 경추용 인공 디스크 (CAD)는 크게 성장했습니다. 새로운 장치가 포함 된 유리한 임상 결과가 등장함에 따라 이들 장치에 대한 유리한 상환 정책이 예상됩니다. 인터 바디(Cage) 기기 시장의 주요 동인 중 하나는 노령화 베이비 붐 세대로 구성된 대상 인구의 증가입니다. 척추 융합술의 대부분은60 세 이상의 개인에 대해 시행 됩니다.이 연령대는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구 통계입니다.


[휴벡셀 FDA 인허가 제품]



부위

품목군

제품명

FDA 허가

경추

Plate

Rex ACP Plate System

K121862

02/28/2013

Fortis ACP Plate System

K173099

11/30/2017

Hana ACP Plate System

K173099

11/30/2017

Cage

IVA Cage - ACDF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ACDF Titanium

K173080

10/31/2017

AEON-C cervical cage

K191477

11/13/2019

흉요추

Pedicle screw

Rexious spinal system

K111362

07/21/2011

Rexious spinal system MIS

K173131

12/08/2017

Rexious Hook system

K113324

03/28/2012

Cage

IVA Cage - PLIF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TLIF banana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TLIF bullet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ALIF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DLIF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PLIF Titanium

K173080

10/31/2017

IVA Cage - TLIF banana Titanium

K173080

10/31/2017

IVA Cage - TLIF bullet Titanium

K173080

10/31/2017

IVA Cage - ALIF Titanium

K173080

10/31/2017

IVA Cage - DLIF Titanium

K173080

10/31/2017

Other screw

FaSet Screw system

K180729

06/28/2018

Unity SIJ screw system

K173201

04/26/2018

Interspinous fixation system

HUVEX interspinous fixation system

K162849

02/16/2017


이미지: spinal implants market value by segment,u.s

spinal implants market value by segment,u.s


더우기, 최소 침습 척추 수술 시장 (MIS)은 많은 사람들에게 정형 외과 업계에서 가장 흥미롭고 논쟁의 여지가 있는 분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이 시장은 전통적으로 정형 외과 시장의 일부 였지만, 빠른 성장과 큰 시장 규모로 인해 많은 제조업체들은 척추를 전통적인 정형 외과와 분리 된 핵심 사업 부문으로 보고 있습니다. MIS 장치 시장의 최대 제한 요소는 절차의 복잡성과이를 마스터하는 데 필요한 기술입니다. 특히, 경피적 기술 및 견인기 기술은 전통적인 개방 수술 방법보다 마스터하기가 훨씬 더 어렵다고 여겨진다. 이전 세대의 의사와 외과 의사는 절차를 마스터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특히 MIS로 전환하는 것을 꺼려합니다. 하지만, MIS 척추 장치 시장의 주요 동인 중 하나는 노령화 베이비 붐 세대로 구성된 대상 인구의 증가입니다. 대부분의 절차는 일반적으로 60 세 이상의 환자로 이 연령대는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인구 통계 집단입니다.

MIS Interbody fusion 시장은 OLIF 및 LLIF 장치로, 이전의 PLIF 및 TLIF 방식과는 달리, 비스듬한 측면 요추 접근과 측면 요추 접근 방법으로 후부 및 천공 요추보다 더 많이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부문별로 긍정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휴벡셀 MIS 제품]

품목군

제품명

FDA 허가

MIS

Rexious spinal system MIS

K173131

12/08/2017

IVA Cage - TLIF banana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TLIF bullet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DLIF PEEK

K162220

11/21/2016

IVA Cage - TLIF banana Titanium

K173080

10/31/2017

IVA Cage - TLIF bullet Titanium

K173080

10/31/2017

IVA Cage - DLIF Titanium

K173080

10/31/2017

FaSet Screw system

K180729

06/28/2018

Unity SIJ screw system

K173201

04/26/2018

HUVEX interspinous fixation system

K162849

02/16/2017


미국과 유럽 지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부문은 척추 내시경 부문입니다. 이것은 내시경 및 내시경 계측 판매의 결과였습니다. 척추 내시경은 다양한 절차에 대한 MIS 접근을 허용하는 시각화 기기입니다. 이 내시경은 척수 관에 직접 시각화하여 척추 공간의 신경 압박, 염증, 흉터 또는 이상에 대한 조사를 용이하게합니다.  최근 디지털 이미징 기술의 발전으로 척추 내시경과 함께 HD 카메라가 사용되었습니다. 이 시장은 전체 CAGR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휴벡셀에서도 기존 제품의 개선 및 내시경과 연계된 제품을 개발 중에 있습니다.


이미지: minimally invasiver spine surgery device market, u.s

minimally invasiver spine surgery device market, u.s

                             


6. 판매에 관한 사항

 

가. 판매조직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구분

인원

업무 내역

대표이사

1명

사업 총괄

부사장

1명

신규 사업 추진

국내 영업

1명

국내 영업 총괄

해외 영업

1명

국내 및 미국을 제외한 전세계 영업

영업 지원

2명

국내 대리점 관리

국내/해외 수주 발주 및 출하 관리

미국 법인

10명

미국 현지 영업 및 인허가 등

관리 - 3명, 기술 영업 및 연구 개발 - 5명, 영업 ? 2명,


나. 판매경로

                                                                                 (단위 : 백만원, 천$)

매출유형

품목

구분

판매경로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제품

척추 임플란트

수출

미국법인 및 해외 대리점

1,493,083,032

73.26%

1,207,298,015

국내

국내 대리점

738,132,672

20.02%

상품

기타상품

수출

미국 법인

3,142,020

0.09%

국내

국내 대리점

11,799,348

0.32

기타

OEM

국내

국내 대리점

232,761,120

6.31%

합계

3,686,216,207

100%

주) 2019년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다. 판매전략

지역

구분

세부 전략

국내

가격

생산성 향상을 통한 가격 경쟁력 확보

판매 경로

고객별 대리점 확대 및 직거래 병원 확보

대형 전문 병원과의 공동 개발을 통한 제품 확보 및 거래처 확보

제품

척추 임플란트뿐만 아니라 카테타류 제품으로 확대

해외

가격

가격 경쟁력 유지

판매 경로

국가별 인허가 확대 및 중국 시장 판로 개척

국가별 주요 고객(의사)와의 유대 관계 확대를 통한 충성 고객화

제품

척추 임플란트를 주력으로 제품을 다양화를 통해 매출 확대 및 신규 국가 진출

미국

가격

Major 업체 대비 가격 경쟁력이 있기 때문에 공격적인 영업이 가능

판매 경로

다양한 제품의 확보 후 GPO 적극 공략

주변 대형 병원 그룹 직거래 유통망 확보

Private Labeling 등을 통한 대형 거래처 확보

제품

미국 현지 연구소를 통한 제품 개발 및 글로벌화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4조 (공고방법)

당회사의공고는회사의인터넷홈페이지(http://www.diomedical.com)에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또는그밖의부득이한사유로회사의인터넷홈페이지공고를할수없을때에는서울시내에서발행하는매일경제신문(일보)에게재한다.

제4조 (공고방법)

당회사의공고는회사의인터넷홈페이지(http://www.huvexel.com)에게재한다. 다만, 전산장애또는그밖의부득이한사유로회사의인터넷홈페이지공고를할수없을때에는서울시내에서발행하는매일경제신문(일보)에게재한다.

홈페이지주소수정

제18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 또는 주주우선공모의 방법으로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신주인수권부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액면총액이200억원을초과하지않는범위내에서사업상중요한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위하여그상대방에게신주인수권부사채를발행하는경우.

제18조 (전환사채의 발행)

① 회사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이사회의 결의로 주주외의 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할 수 있다.

1.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일반공모 또는 주주우선공모의 방법으로 발행하는 경우.

2. 사채의 액면총액이 200억원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긴급한 자금 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또는 기관투자자에게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경우.

3. 사채의액면총액이200억원을초과하지않는범위내에서사업상중요한기술도입, 연구개발, 생산·판매·자본제휴를위하여그상대방에게전환사채를발행하는경우

오기수정
(신설)

부칙 <2020. [  ]. [  ]. 개정>

이정관은2020년[  ]월[  ]일부터시행한다.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가.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하여야 할 필요성의 요지

회사의 경영목표 및 비전달성을 위한 임원의 적극적인 참여 및 협조

나. 주식매수선택권을 부여받을 자의 성명

성명 직위 직책 교부할 주식
주식의종류 주식수
허성규 사장 대표이사 기병식 보통주 100,000
윤승현 - 미국법인장 기병식 보통주 30,000
황성필 부사장 신규사업/IR 기병식 보통주 70,000
김환 부사장 경영전략본부장 기병식 보통주 50,000
황병엽 상무 재무담당임원 기병식 보통주 45,000
서정원 이사 생산담당임원 기병식 보통주 35,000
이재봉 이사 경영관리부장 기병식 보통주 35,000
총( 7 )명


총(  365,000 )주



다.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방법, 그 행사에 따라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그 행사가격, 행사기간 및 기타 조건의 개요

구  분 내  용 비  고
부여방법 신주교부
교부할 주식의 종류 및 수 기명식 보통주 365,000주
행사가격 및 행사기간 1) 행사가격 : 결의일 전일 기준 2개월, 1개월, 1주일 거래량 가중평균종가의 산술평균 가액
2)    행사기간 : 2023년 8월 1일 ~ 2028년 7월 31일

기타 조건의 개요 - 기타 세부사항은 주식매수선택권과 관련된 제반 법규, 당사 정관, 계약서 등에 정하는 바에 따름. -



라.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및 최근년도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의 요약


- 최근일 현재 잔여주식매수선택권의 내역

총발행
주식수
부여가능
주식의 범위
부여가능
주식의 종류
부여가능
주식수
잔여
주식수
4,114,429 발행주식 총수의 15% 기명식 보통주 616,987 616,987


- 최근 2사업연도와 해당사업연도의 주식매수선택권의 부여, 행사 및 실효내역

사업년도 부여일 부여인원 주식의
종류
부여
주식수
행사
주식수
실효
주식수
잔여
주식수
- - - - - - - -

총(     )명
총(     )주 총(     )주 총(     )주 총(     )주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