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0년 05월 12일 | ||
회 사 명 : | 아이엠이연이 주식회사 | |
대 표 이 사 : | 정현욱 | |
본 점 소 재 지 : |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4산단6길 77 | |
(전 화) 041-620-1500 | ||
(홈페이지)http://www.younyi.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이사 | (성 명) 임 평 수 |
(전 화)041-620-15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임시) |
주주님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 19 조에 의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개최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0년 05월 27일(수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4산단6길 77
3. 회의 목적 사항
가. 부의안건
제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총 5명)
제1-1호 의안: Lim Kean Hwa 사내이사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1-2호 의안: Li Zhengyi 사내이사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1-3호 의안: Qu Weinan 사내이사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1-4호 의안: 박재홍 사내이사 선임의 건 (신규선임)
제1-5호 의안: 심재부 사내이사 선임의 건(신규선임)
제2호 의안 : 김대영 감사 선임의 건(신규선임)
4. 경영참고사항비치
상법 제542조의4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인터넷 홈페이지에 게재하고 본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회사의 이번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신분증
- 대리행사 :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7. 기타사항
- 상법 제542조의4 및 당사 정관 제21조에 의거하여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이하 소유주주에 대한 통지는 전자공고시스템에 공고함으로써 서면에 의한 소집통지를 갈음합니다.
- 참석 주주님들에 대해 별도의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년 05월 12일
충남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4산단6길 77 (☏041-620-1500)
아이엠이연이 주식회사
대표이사 정 현 욱 (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사외이사의 성명 | 사외이사의 성명 |
---|---|---|---|---|---|
라오칭 (출석률 : 46%) |
박성엽 (출석률 : 69%) |
||||
찬반여부 | 찬반여부 | ||||
1 | 2020.01.14 | 한국수출입은행 수출성장자금 연장의 건(금액 40억원) | 가결 | - | - |
2 | 2020.02.19 | 2019년 상.하반기 대표이사 및 내부회계관리자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의 건 | 가결 | - | 찬성 |
3 | 2020.02.19 | 2019년 상.하반기 감사의 내부회계관리제도 평가보고의 건 | 가결 | - | 찬성 |
4 | 2020.02.20 | 신한은행 원화지급보증 연장의 건(금액 20억원) | 가결 | - | 찬성 |
5 | 2020.02.28 | 제17기 연결재무제표 및 별도재무제표 승인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6 | 2020.03.05 | 산업은행 운영자금대출 연장의 건(금액 50억원) | 가결 | - | 찬성 |
7 | 2020.03.06 | 1.주주총회소집 결의의 건 2. 전자투표제도 도입의 건 |
가결 | 찬성 | - |
8 | 2020.03.06 | 2019년결산 현금배당결정의 건 | 가결 | 찬성 | - |
9 | 2020.03.13 | 자기주식취득결정의 건 (기명식보통주 360,000주) |
가결 | - | 찬성 |
10 | 2020.03.20 | 대여금결정의 건 (채무자: 아이디어뮤직엔터테인먼트코리아 대여금액: 10억원) |
가결 | - | 찬성 |
11 | 2020.04.14 | Lim Kean Hwa 경영지배인 선임의 건 심재부 제조사업부 부사장 선임의 건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12 | 2020.04.27 | 김현구님의 대표이사 및 이사직 사임 접수 및 관련 변경수속 진행의 건 | 가결 | 찬성 | - |
13 | 2020.05.11 | 2020년 5월 27일 임시주주총회 부의 안건 추가의 건 (김대영 감사 신규 선임의 건) | 가결 | 찬성 | 찬성 |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천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5,000,000 |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해당없음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해당없음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제조사업부문]
(1)산업의 개요
당사가 영위하는 EMS(Electronic Manufacturing Services)란 OEM(Original Equipment Manufacturer)의 설계에 따라 자신의 생산설비를 이용하여 전자제품 제조 및 납품에 관한 서비스를 일괄 제공하는 제조전문 서비스산업을 말합니다.
EMS는 제품의 디자인(설계) 및 부품납품업체 결정권을 가지지 않는 점에서 자신의 디자인(설계)으로 제품을 제조하는 ODM과 구분 됩니다. ODM은 주문자인 OEM이 요구하는 성능을 가지는 제품을 제작기준에 따라 자신이 디자인을 하고 스스로 부품업체를 선정해 제조하지만, EMS는 OEM의 기술자들이 설계한 도면과 AVL (Approved Vendor List), BOM (Bill of Materials)을 넘겨받아 그에 따라 제조해 납품을 하게 됩니다. 그리고 자신이 제조한 제품에 대한 IP(산업재산권)을 보유하지 않는다는 점이 ODM과 EMS의 가장 큰 차이점 입니다. EMS는 제조 뿐만 아니라 납품 및 사후서비스 시설을 보유하면서 Supply-Chain 전반에 관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제조에 한정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CEM(Contract Electronics Manufacturing: 계약생산업체)과 구분 됩니다.
(2) 성장성
EMS는 의료기기, 방위산업과 컴퓨터, 휴대폰, 네트워크장비, 반도체장비등 전자통신분야에서 주로 수요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EMS산업의 성장요인은 치열한 가격경쟁하에서 자체적인 제조활동으로는 수익을 확대하기 어렵다는 OEM기업들의 인식이 확산되고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영효율 을 제고 하려는 전략이 대두됨은 물론 EMS기업들이 오랜 경험에 의한 제조와 품질관리능력 향상이라는 기반이 견고해지면서 EMS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해 오고 있습니다. 이러한 OEM 기업의 탈 제조바람은 해외는 물론 우리나라에서도 점차 확대되고 있는 상황으로 삼성전자ㆍLG전자등 국내의 유수기업들 역시 생산라인 확충을 통한 생산능력의 증대보다는 자신들은 R&Dㆍ디자인ㆍ마케팅에 사업의 초점을 맞추고 제조는 EMS기업에 위탁하는 경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EMS을 통한 제조는 공장의 해외진출시에도 동일하게 적용되어 중국, 동남아 진출시 EMS기업들과의 동반 진출이 일반적인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경향은 더욱 확대 될 것으로 전망되며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따라 전문 EMS 산업은 더욱 성장 할 것으로 보여 집니다.
(3) 경쟁요소
EMS사업에 요구되는 기본적인 경쟁력은 '안정적인 품질과 저렴한 원가, 신속한 납기의 대응력' 입니다. 부수적으로는 고객이 요구하는 제품을 제조할 수 있는 '제품이해력과 생산능력' 및 '축적된 경험과 노하우'는 물론 '풍부한 자금력과 정확한 미래예측을 통한 적기투자의 대응력' 등이 우수해야 합니다.
따라서 원가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저렴한 인건비와 대량소비처를 찾아 EMS기업들의 해외동반 진출이 늘어나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원가경쟁력이 생존의 중요한요소로 볼수 있습니다.
(4) 산업 RISK
IT산업이 지속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는 점과 OEM 기업들의 효율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한 OUT-SOURCING의 확대추세를 고려해 볼때 EMS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므로 본원적인 위험요소는 적다고 보여집니다. 부수적인 위험요소로는 OEM들의 가격경쟁에 따른 단가인하 압력, 생산성 향상과 신제품개발에 대응하기 위한 설비투자비가 많이 소요되는 점이 있으나 신규업체 진입시 약 200억원 이상의 시설투자비와 원자재 구매비가 소요되고 신규업체 등록시 까다로운 심사절차를 요구하고 있기 때문에 강한 파트너쉽을 형성하고 있는 선두기업으로서는 경쟁업체의 신규진입에 따른 위험은 크지 않다고 볼수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EMS용 원자재 공급선은 다변화 되어있어 수요자 지배력이 높고, 대량구매에 따른 가격협상력을 가질 수 있으며, 원자재의 대부분이 OEM의 유ㆍ무상사급 형태로 조달 되어 신규업체 및 자재개발은 물론 가격협상, 품질관리를 지원함으로서 관리비용이 적은편 입니다.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EMS사업은 특별히 정부의 직접적인 규제를 받지 않으며 EMS 산업에만 적용되는 법령은 없습니다.
[엔터사업부문]
(1)산업의 개요
한국 음악산업 업종별, 연도별 매출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분 |
2015 |
2016 |
2017 |
비중(%) |
CAGR(%) |
---|---|---|---|---|---|
음악 제작업 |
1,016,037 |
1,116,954 |
1,233,824 |
20.4% |
10.2% |
음악 및 오디오물 출판업 |
15,878 |
17,247 |
18,530 |
0.3% |
8.0% |
음악 복제 및 배급업 |
118,199 |
119,755 |
175,487 |
2.4% |
21.8% |
음반 도소매업 |
166,872 |
162,332 |
204,881 |
3.4% |
10.8% |
온라인 유통업 |
1,328,025 |
1,445,390 |
1,653,072 |
26.7% |
11.6% |
음악공연업 |
837,567 |
929,940 |
1,015,397 |
16.8% |
10.1% |
노래연습장 운영업 |
1,492,618 |
1,516,622 |
1,503,115 |
30.0% |
0.4% |
합 계 |
4,975,196 |
5,308,240 |
5,804,306 |
100.0% |
8.0% |
2017년 음악산업의 매출액은 5조 8,043억 원으로 전년 대비 9.3% 증가했으며,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연평균 8.0% 증가해 꾸준한 증가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음악 공연업 매출액은 1조 154억 원으로 전년 대비 9.2% 증가, 연평균 10.1% 증가했습니다.
한국 대중음악시장, 특히 그중에서도 아이돌 그룹으로 통칭되는 K-POP 음악의 경우 충성도 높은 팬덤을 구축하고, 이렇게 구축된 팬덤을 중심으로 집중적이고 연속적인 음악, 공연 및 매니지먼트 활동을 수행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였습니다.
과거 중국, 일본 및 동남아시장을 위주로 활동하던 K-POP 아티스트들의 활동 영역이 2016년 이후부터 방탄소년단(BTS), 블랙핑크(Black Pink), 엑소(EXO) 등을 시작으로 미주와 유럽까지 확장되었으며, 해당 지역의 음원차트뿐만 아니라 현지 공연도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K-POP 아티스트가 해외 시장에서 주목받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데에는 글로벌 영상 플랫폼인 유튜브의 영향이 주효하였습니다.
국내 주요 대형 기획사는 각각 1,000만 명 이상의 가입자를 기반으로 억대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뮤직비디오를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튜브 조회 수가 본격적으로 글로벌진출의 주요 지표가 되기 시작한 2016년 이후 공개된 주력 작품의 조회 수 증가가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아시아지역을 넘어 미주와 유럽으로 확대된 K-POP의 인기에 힘입어, 국내 기획사들은 음악제작 과정에 미국과 유럽 등의 프로듀서와의 협업을 통해 K-POP의 세계화에 더욱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지역의 효과적인 진출을 위해 대형 기획사들은 아시아 각국에서 오디션을 개최하고 현지의 재능있는 인재를 발굴하여 그룹의 구성원에 포함시키는 등의 전략을 구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에 힘입어 기존의 거대한 음악시장을 보유한 미국, 유럽 및 일본에서의 수익이 지속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경제개발로인해 문화컨텐츠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아시아지역에서의 K-POP의 위상은 향후에도 안정적인 수익원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성장성
세계 음악산업 (콘서트, 디지털 라디오 등 포함) 규모는 2018년 기준 58.5조원에서 2021년 약 65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장 큰 라이브 콘서트 시장인 미국의 경우, 미국내 전체 음악 시장 중 라이브 공연 관련 시장 비중은 55% (2017년 기준) - 전 세계 라이브 티켓 판매 금액 기준으로 미국은 상위 20개국의 43% 차지하고 있습니다.
세계 콘서트 공연 시장은 2022년에 36조원 규모 수준으로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라이브 콘서트 시장은 관객에게 주는 현장감 및 아티스트, 저작권자의 수익 창출에 긍정적인 측면으로 지속 성장이 예상됩니다.
![]() |
세계 라이브콘서트 시장 전망 |
라이브 콘서트 시장은 광고 기반 무료 음원 서비스 확대에 따라 축소되는아티스트, 저작권자의 이익 감소를 상쇄할 수 있는 대안으로써 라이브 공연 시장은 지속적인 확대가 예상됩니다. 또한, 라이브 공연의 현장감은 다른 상품으로 대체 불가능한바 팬들의 꾸준한 소비가 예상되며 국내의 경우 록 페스티벌, 팝 가수 내한 공연 등을 통해 국내 라이브 공연시장성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전세계 라이브 공연 시장은 2018년 이후 2022년까지 연평균 3.4%성장률을 보이고 있습니다.(자료: GP Analysis, 유진투자증권보고서, PWC 보고서) 국내 주요 엔터테인먼트사들은 K-Pop을 기반으로 국내외 시장에서 지속적으로 성장 예상됩니다.
(3) 경쟁요소
공연기획사업은 경쟁력은 자금력, 대규모 공연 기획 노하우(know-how), 엔터테인먼트사 및 IP(intelligence property)사와의 오랜 교류를 통한 인적 네트워크 등을 들 수 있습니다. 대규모 공연기획의 특성상 IP사에게 계약금 또는 선금으로 엄청난 자금이 투여되어야 하며 이는 공연기획의 일정이 길고 자금회전이 느려 회사가 성장하여 공연규모가 증가할 수록 운전자금의 규모가 커질 수 밖에 없어서 소규모의 회사가 감당할 수 있는 비지니스가 아닙니다.. 또한 대규모 공연기획의 경우 각종 사고 및 다양한 변수가 많아 수년간의 다양한 경험이 없는 회사는 쉽게 공연기획사장에 진입할 수 없는 상당한 진입장벽이 존재함. 또한 IP사, 엔터테인먼트사 등과의 오랜 인적네트워크를 통해 공연 기획으ㅢ 시너지 효과를 누릴 수 있어 기존의 거래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에서 훨씬 더 많은 사업의 기회가 존재합니다.
(4) 산업 RISK
대규모 공연, 콘서트 등의 경우 수 많은 관객이 밀집하는 특성상 다수의 인파가 모일수 없는 사회적 환경(질병, 안전사고, 자연재해 등) 이 조성될 경우 비지니스에 큰 여파를 줄 수 있습니다. 또한 대규모 운전자금이 원활히 회전되지 못 할 경우 매출에 타격이 클 수 있습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공연기획 산업의 경우 엔터테인먼트 등 기획사 등 IP사와의 인적네트워크가 매우 중요하며, 문화산업을 이해하고 대중과의 화합 및 전파 등에 중점을 두고 비지니스를 수행해나가는 역량이 필요합니다.
(6)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국내 공연시장의 경우 공연법(공연에 관한 사항을 정한 법률) 으로 건전한 공연활동의 진흥을 위하여 공연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제조사업부문]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지배기업인 "아이엠이연이 주식회사"는 SMD(Surface Mount Device :표면실장장치)와 SMT( Surface Mount Technology :표면실장기술)를 기반으로 TFT-LCD Monitor & Notebook용 Source PBA, LCD TV용 Control & Source PBA를 주로 생산하여 삼성디스플레이(주)및 SMD(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로 납품하는 EMS 전문업체 입니다.
또한 해외법인으로 중국에 "연이전자 소주 유한공사" 및 "연이전자 천진 유한공사" , 베트남에 '연이전자 비나"가 있으며 LED및 OLED PBA 및 F-PCA 등을 생산하여 납품하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당사의 영업특성은 취급제품의 특성과 고객기업의 특성요인에 의하여 좌우 되므로 여러가지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판단할 가치가 있습니다.
(가) TFT-LCD
최근 판매가격 하락과 가격경쟁력으로 LCD BLU를 채택한 관련제품의 수요는 꾸준히 확대되고 있습니다. 40인치 이상의 LCD 용 Full HD & 3D TV의 판매로 이같은 현상은 계속될 전망입니다. LCD 부분은 중국의 LCD TV수요증가를 기반으로 고객사인 삼성디스플레이의 높은 시장점유율과 판매확대 계획에 의해 고정적인 매출이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나) LED TV
본격 성숙기를 갖는 LED TV의 소비자 수요증대로 인하여 당사가 생산하는 LED 관련 매출이 꾸준히 증가하였습니다. 2012년에는 아날로그 지상파송출 중단,3DTV, 스마트TV및 앞으로 나오는 신규모델들은 LED TV가 주가 됨에 따라 그 시장은 본격적인 성장기에 진입하리라 보여지며 그 성장속도는 가파르게 상승하리라 봅니다. LED TV시장이 커짐에 따라 그 부품을 납품하는 업체들의 수혜가 클것으로 보여지며 당사의 LED관련 매출에 상당히 기여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 OLED
OLED 시장은 예상보다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2009~2011년까지 휴대폰, PMP 중심의 도약기를 거쳐 2012년부터는 태블릿PC,노트북, 30~55인치 대형 TV 중심의 성장기 진입이 전망되며 향후 현재의 전망보다 빠른 성장이 기대됩니다.
OLED부문 세계 최대 시장 점유율을 갖고 있는 삼성디스플레이와 거래유지로 당사의 지속적인 매출기여에 많은 효과를 가져오리라 예상됩니다.
(3) 시장점유율 등
당사는 디스플레이 Panel 제조사에 PBA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로서 전체 TV 시장에 대하여 점유율은 파악하기가 어려움이 있습니다.
따라서 고객사에서 입수한 forecast를 기준으로 한 점유율을 바탕으로 약 평균 24% 정도의 시장점유율 추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당사 주요고객사의 생산기지 이전에 따른 점유율을 파악하기 어려운 바 이에 당기 점유율은 생략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공시작성기준일 현재 해당사항이 없습니다.
(5) 조직도
![]() |
제조사업부문_조직도_200331 |
[엔터사업부문]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당사는 홍콩의 공연기획사인 IME international Limited.(이하 IME)의 지분 51% 인수를 통해 엔터테인먼트 사업으로 신사업 진출하였습니다. IME는 유명연예인의 아시아 투어 공연 운영 등의 사업을 영위하는 아시아 1위 공연기획사입니다. IME는 아시아 선두의 Entertainment 산업화 기업으로 2006년 설립되어 라이브 공연을 주된 사업으로 운영해 왔습니다. 동사는 13년간 발전을 거듭하여 현재는 10여 개 국가 및 지역에 자회사를 설립하여 아시아 태평양 50여 개 주요 도시에 라이브 공연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IME는 Entertainment 산업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현장 관리, 연예인 관리, 팬 관리라는 산업 사슬을 구축 및 완성해 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아시아 엔터테인먼트 사업 확장을 지속적으로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2) 시장의 특성
공연기획의 경우 각 나라마다 정치적 이슈(사드, 무역분쟁) 또는 메르스, 사스 등 다양한 환경적 요인에 따라 실적 변동 가능성이 존재 합니다. 특히 현재 아시아 콘서트의 과반 이상을 차지하는 K-Pop 열풍의 변화 등에 따라 실적 변동 가능성 존재합니다.
IME는 한국, 중화권, 영미권의 유명 연예인의 아시아 투어 공연을 운영하는 아시아 1위 공연기획사로 공연 뿐 아니라 뮤지컬, 팬사인회 등 다양한 문화 공연 사업을 추진하며 국내 한정 단일 소속사들 대비 리스크 분산이 가능하다고 예상되며, 또한, 중국 내 공연의 경우 2016년 사드 이후 한중 사이의 각종 교류와 협력 사업이 영향 받았으나, 최근 국내 뮤지컬 중국 진출, 한국 드라마 시상식에 중국 드라마 출품 등 한한령해제의 움직임이 있기에, 향후 한한령해제에 따른 성장이 기대됩니다.
(3) 시장점유율 등
IME는 아시아 1위 공연기획사로 지속적인 매출 성장세를 이루고 있는 바 지속적인 K-pop 열풍, 중국의 한한령해제 가능성 등에 따라 아시아 시장에서 높은 성장세가 기대됩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IME는 향후 공연기획의 안정적인 매출에 도움을 받고자 한국의 IME코리아라는 자회사 설립을 통해서 연예인매지니먼트 사업에 진출했으며 Dream Note, 이세진, 광속소년단 등 미래의 스타양성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자체적인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을 통한 콘서트티켓 판매, 콘서트 관련 상품 판매 등 팬매니지먼트 사업에도 적극 진출하려고 합니다.
(5) 조직도
![]() |
엔터사업부문_조직도_200331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Lim Kean Hwa | 1974.07.31 | - | - | 이사회 |
Li Zhengyi | 1970.12.01 | - | - | 이사회 |
Qu Weinan | 1987.10.28 | - | - | 이사회 |
박재홍 | 1967.02.28 | - | - | 이사회 |
심재부 | 1959.06.24 | - | - | 이사회 |
총 ( 5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Lim Kean Hwa | iMe 엔터테인먼트 CEO 당사 기타비상무이사 |
1998~2004 2004~현재 2019.12.11~현재 |
MK Production 사장 iMe 엔터테인먼트 CEO 당사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없음 |
Li Zhengyi | iMe 엔터테인먼트 운영부 부사장 당사 기타비상무이사 |
2010~2017 2017~현재 2019.12.11~현재 |
융휘통인터넷서비스유한회사 부사장 iMe 엔터테인먼트 운영부 부사장 당사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없음 |
Qu Weinan | iMe 엔터테인먼트 기획실장 당사 기타비상무이사 |
2015~2016 2016~현재 2019.12.11~현재 |
산방창의수문화유한회사 운영부 부장 iMe 엔터테인먼트 기획실장 당사 기타비상무이사 |
해당없음 |
박재홍 | 코아에프지 주식회사 부사장 블랙힐 유한회사 상무이사 |
2004.11~2006.03 2012.11~2019.12 2006.06~현재 2016.06~현재 |
네프로파트너스 주식회사 이사 주식회사 굿웰스인베스트먼트 상무이사 코아에프지 주식회사 부사장 블랙힐 유한회사 상무이사 |
해당없음 |
심재부 | 당사 제조사업부 부사장 | 1995.09~1998.12 1998.02~2008.11 2008.12~2012.06 2012.07~2014.12 2020.04.14~현재 |
삼성영상사업단 홍보팀장 삼성전자 부장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 상무이사 삼성디스플레이 상무이사 당사 제조사업부 부사장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 -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1. 사내이사 후보자 Lim Kean Hwa 엔터사업에 대한 폭넓은 실무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내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내이사 적임자로 추천함. 2. 사내이사 후보자 Li Zhengyi 엔터사업 및 재무분야에 대한 폭넓은 실무 경험, 노하우,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사내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내이사 적임자로 추천함. 3. 사내이사 후보자 Qu Weinan 엔터사업에 대한 폭넓은 실무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내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내이사 적임자로 추천함. 4. 사내이사 후보자 박재홍 금융분야에 대한 폭넓은 실무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내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내이사 적임자로 추천함. 5. 사내이사 후보자 심재부 전자사업분야에 대한 폭넓은 실무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내이사로서의 역할을 훌륭히 수행하고, 회사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바, 당사의 사내이사 적임자로 추천함. |
확인서
- Lim Kean Hwa
![]() |
확인서_lim kean hwa_서명_200512 |
-Li Zhengyi
![]() |
확인서_li zhengyi_서명_200512 |
- Qu Weinan
![]() |
확인서_qu weinan_서명_200512 |
- 박재홍
![]() |
확인서_박재홍_서명_200512 |
- 심재부
![]() |
확인서_심재부_서명_200512 |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선임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 생년월일 | 최대주주와의 관계 | 추천인 |
---|---|---|---|
김대영 | 1957.11.09 | - | 이사회 |
총 ( 1 ) 명 |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 주된직업 | 세부경력 |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
|
---|---|---|---|---|
기간 | 내용 | |||
김대영 | (주)단목파트너스대부 대표이사 | 1982.09~2015.11 2015.12~2016.04 2017.01~현재 |
한국외환은행 지점장 대아금속공업(주) 컨설턴트 (주)단목파트너스대부 대표이사 |
해당없음 |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 체납사실 여부 |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
---|---|---|---|
- | - | - | - |
- | - | - | - |
해당사항 없음.
라.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감사후보자는 폭넓은 실무 경험과 노하우를 기반으로한 전문성을 토대로 당사 경영전반에 대해 객관적이고 중립적인 시각으로 감사 업무를 수행할 것으로 판단됨. |
확인서
- 김대영
![]() |
확인서_김대영_서명_200512 |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지 아니한 경우>
선임 예정 감사의 수 | - (명) |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19(COVID-19)의 감염 및 전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주주총회 개최시에는 총회장 입구에 설치된 체온계 등으로 총회에 참석하시는 주주님들의 체온을 측정할 수 있으며, 발열이 의심되는 경우 출입을 제한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또한, 질병 예방을 위해 주주총회에 참석시 반드시 마스크 착용을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