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20 년    3 월    9 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유투바이오
대 표 이 사 : 김진태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송파구 거마로 65 (마천동)

(전   화)1577-1338

(홈페이지)http://u2bio.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이사 (성  명)김지원

(전  화)02-910-2118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1기 정기 주주총회)


주식회사 유투바이오 주주 귀하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17조에 의거하여 제11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고자 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이하의 주식을 소유한 소액주주에 대해서는 상법 제542조의 4 및 당사 정관 제17조에 의거 본 공고로 소집 통지를 갈음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20년 3월 24일(화) 오전 9시

2. 장 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거마로 65, B1층 당사 대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가. 보고 사항 : ① 감사보고 ② 영업보고

나. 부의 안건

제 1 호 의안 : 제 11 기(2019.01.01~2019.12.31)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    제2-1호 의안 : 사내이사 진혁성 선임의 건
    -    제2-2호 의안 : 사내이사 박장호 선임의 건

제 3 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한도금액 8억원)

제 4 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한도금액 1억원)

 

4. 경영참고사항 비치

- 상법 제542조의 4의 3항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당사 본점과 명의개서대행기관(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비치하였으며, 금융위원회 및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 이번 당사 정기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들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통지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6.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또는 여권)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 주주총회시 참석 주주님들께 별도의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널리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20년  3월  9일

                                  서울시 송파구 거마로 65 (마천동)

                                              주식회사 유투바이오

                                        대표이사 김 진 태 (직인생략)




[별첨1] 주주총회 참석장


주주총회 참석장

본인은 주식회사 유투바이오 제 11 기 정기주주총회에 주주로서 참석합니다.

(주주총회참석자는 다음 사항을 기재하여 주주총회일에 제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실 질 주 주  참 석 자

성     명

                             ( 인 )

법인:사업자등록번호 개인:생년월일


주     소


보유주식수

                    주



참석 구분

주주직접참석 (         )

대리인 참석  (         )

대리참석자

와의 관계


※ 아래 사항은 대리참석 위임시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대리 참석자 위임장)

본인은 주식회사 유투바이오 제11기 정기주주총회에 주주로서 대리참석자를 아래와 같이 지정하여 본인을 대신하여 주주총회 결의 및 기타 사항에 대하여 전권을 위임합니다.


2020 년    3월     일


주주                 ( 인 )


대  리  참  석  자

성     명

                               (인)

법인:사업자등록번호 개인:생년월일


주     소


관     계


※ 지참물

1) 본  인 : 주총참석장, 신분증

2) 대리인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기재, 인감날인), 대리인 신분증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기타 비상무이사
박영수
(출석률: 33 %)
찬 반 여 부
1 2019.03.08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
2 2019.04.12 제7회 무기명식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 발행의 건 불참
3 2020.01.14 지점 주소 변경의 건 (지점 개설의 건) 불참
4 2020.03.04 제11기 정기주주총회 소집에 관한 건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가) 고부가 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산업


바이오산업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지식산업 중 하나입니다.  바이오 산업 분야 중신약개발을 담당하는 제약업과 분석장비, 설비 등을 제조하는 의료장비 제조업 등의 산업은 일반적으로 개발에 따르는 시간과 투입되는 자본의 규모가 매우 크고 제품화에 소요되는 기간이 길기 때문에 일반 벤처나 중소기업에서 감당하기 어렵지만, 분자진단검사 산업의 경우 기술 개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과 짧은 개발기간이 소요되어 사업의 안정성이 높은 편입니다. 또한 당사의 건강검진 소프트웨어 산업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국가시행의 검진뿐 아니라, 개인이나 기업이 선택적으로 받게 되는 종합검진의 증가(국가시행 검진대비 17.9%)로 인하여, 건강검진을 시행하는 의료기관으로 하여금, 경쟁력과 차별화의 욕구에 따라 IT기술과의 접목, 의료기관 맞춤형 S/W공급을 요구하는 지식산업 중의 하나 입니다.

(나) 기술 파급효과가 큰 첨단산업

미국, 일본, 유럽 등 각국 정부는 바이오산업을 21세기 핵심 첨단산업으로 지정하여 지원을 강화하며, 국가경쟁력 강화를 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의료IT기술은 자체적인 기술과 함께 응용제품이나 EMR과 PACS 등의 의료기관 소프트웨어와의 협업경쟁력 등 새로운 산업의 창출을 견인할 뿐 아니라, 그 파생되는 기술과 콘텐츠를 통해 기업간의 거래로 국한 되어왔던 의료정보화 시장에서 수요자중심의 일반인에게 맞춤형 Healthcare 서비스를 제공 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발굴 할 수 있는 첨단 산업입니다.


(다) 산업화가 용이한 산업

분자진단 사업은 기존제품보다 기능 및 임상적 가치를 향상시키는 제품이 점진적으로 개발되어 제약 및 바이오의약품 산업보다 상용화가 빠르며, 개발에 따르는 비용과시간이 제약 및 바이오 의약품 산업 분야보다 용이한 산업입니다. 또한 당사의 의료IT솔루션, 특히 건강검진소프트웨어의 경우 신제품의 지속적인 출시가 매출증진에 중요한 요소로 작용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는 신제품출시라는 기존 소프트웨어의 경쟁력과 달리, 건강검진을 받고자하는 수검자에게 건강검진의 편리성을 더해 줄 수 있는 IT솔루션과의 Digital Convergence가 가능한 산업으로서 자사의 기술뿐 아니라 유사 IT솔루션과의 결합과 협업을 통해 S/W의 기능을 확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산업입니다.

(라) 국민건강 증진 및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산업

의료산업은 '진단'과 '치료'라는 두 축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과거에는 진단보다는 치료가 의료산업에서 더 주목을 받아 왔지만 조기에 정확하고 효과적으로 치료받고자 하는 욕구와 함께 치료이전의 단계, 즉 예방의 단계를 통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추구하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 개인이 편리하고 효과적인 건강검진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건강검진소프트웨어의 기술적 변화가 필요하며, 이는 국민건강의 증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주게 되며 삶의 질 향상에 직접적으로 기여하는 산업영역으로서 제품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하겠습니다. 이를 위해서 선진 글로벌 기업들은 조기진단과 맞춤형 치료를 위한 진단이 가능한 분자진단기술 개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치료보다는 예방이나 최적의 치료를 위한 진단의 필요성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의 확산과 의료비용의 절감 및 의료서비스의 효율성 제고측면에서 의료산업계에서 분자진단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하겠습니다.

(마) 신성장동력융합산업

당사의 의료IT분야는 IT와 BT기술의 진화 과정에서 필연적으로 파생된 기술적 융합으로 정보통신과 보건의료를 연결해 언제 어디서나 개인의 진단결과와 건강검진의 기록들을 확인하여 개인차원의 고도화된 질병 예방활동을 실시할 수 있는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며, IT기술을 활용해 기존 의료서비스 및 의료기기 수준을 높이거나, 새로운 기술 및 산업을 창출해 삶의 질을 높이는 신기술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체외진단(IVD)

체외진단(IVD : In vitro Diagnostics) 시장은 경제상황이나 산업의 많은 어려움 속에서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IMS Health, IMS Health Market Prognosis(2013)'에 따르면 체외진단 시장의 성장률은 7.3%로 제약시장 성장률 5.3%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IVD 시장은 기술변화 주기가 빠르게 변화하는 분야로 프로스트앤설리번 한국 지사가 발표한 '세계 체외진단(IVD : In Vitro Diagnostics) 시장 분석 보고서(Analysis of the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2014))'에 따르면, 2013년 해당 시장 수익은 472억 7천만 달러에서 2017년에는 626억 3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국내는 공식적인 체외진단 통계자료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다만 세계 체외진단 시장규모에 근거하여 국내 체외진단 시장규모를 추정해 보면, 체외진단 검사 시장은 주로중·대형 병원과 녹십자, SCL, 삼광, 이원, 네오딘과 기타 소형 커머셜랩이 차지하고있습니다. 기기의 경우 일부 국산 제품이 이용되고 있지만 대부분 외국산 의료기기를이용하는 실정입니다. 또한 국산기기는 소변검사, 일부 Rapid test 등으로 국한되어 국내 체외 진단기기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국내 체외진단 시장은 아직 정확한자료가 없지만 전세계 체외진단 시장의 약 1% 비중을 형성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국내에 체외진단 기업은 약 80여곳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대부분이 한가지 분야의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고 약 20%가 두 가지 이상 분야의 진단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그리고 분자진단은 약 60%의 기업들이 제품을출시하고 있고, 면역진단은 약 35%, 자가혈당측정진단은 약 30%의 기업들이 관련 제품을 출시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현재 국내 시장은 규모가 작고 개발 역사가 짧지만, 각 산업의 발전과 융합의 발달로 기술수준은 세계최고 수준에 올라있는 업체들이 일부 있습니다. 이런 기업들은 기술수준도 세계적이고 가격도 저렴하지만 국내시장이 작은데다 국내 의료진들이 기존 해외업체 제품을 주로 사용하여 국내시장 대신 해외시장을 진출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습니다.


(나) 분자진단(Molecular Diagnostics)

분자진단이란 병원균 및 병원체의 DNA, RNA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2012년 시장규모는 50억달러 규모로 전체 체외진단(IVD) 시장의 11%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2017년 90.7억달러로 연평균 12.6%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되며, 감염병 진단에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성장단계에 있는 국가들인 중국, 인도, 한국 등에서 임상시험 및 분석 수요가 증가하면서 해당제품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며, 진단의 정확도가 높은 반면 고비용의 단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Top 3 기업의 시장점유율은 51.2%이지만, Roche Diagnostics가 전체시장의 25.2%로 높은 시장점유를 보이고 있습니다. 분자진단 시장은 IVD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제품의 변화를 보이고 있는 시장입니다.
국내 분자진단 시장은 도입단계 수준으로 아직까지 활성화되어 있지 않은데다 다수의 바이오 기업들이 경쟁하고 있는 상황이며, 2013년부터 모든 분자진단 제품들이 식약청의 허가를 받아야 판매가 가능한 상황이기 때문에 식약청의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 기업들은 정리되고 시장 진입장벽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국내 분자진단 시장은 2012년 577억원의 시장규모로 추정되고 연평균 성장률은 13%를 보이며, 2017년에는 1,000억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분자진단 기술은 분자진단 기술과 관련한 업체간의 업무협약, 신기술개발, 해외진출 사업 등을 통해 해외기술과 경쟁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다) 의료IT (Healthcare IT) 융합기술

2015년 시장 성장세는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며 전년 대비 약 8.1%의 성장률을 보이며 49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신축 건물 조성과 보강된 제조 설비에 따라 시장규모가 약 8~9%의 높은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의 의료IT 융합기술 시장은 고령화, IT 융합기술 보급 등의 영향으로 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저출산·고령화 진행으로 만성질환 및 건강관리서비스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의료비 상승 등의 국가의 경제적·사회적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유-헬스시장이 도입되면서 환자의 진료비 절감 및 삶의 질 향상, 의사·의료기관의 의료서비스질 향상, 공공보건사업의 효율성 증대 등의 긍정적 효과가 나타날 것이라 전망됩니다. 국내 유-헬스 시장은 2014년 3조원 규모에서 2020년까지 14조원으로 연평균 12.5%의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통합 소프트웨어 솔루션 개발을 지향하고 소프트웨어 공학기술 적용 의무화 등 선진프로젝트 관리방식을 도입하고 있어 융합산업으로서의 신성장동력 산업으로 크게 부상할 것이라는 전망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체외진단산업은 경기변동 영향을 적게 받는 안정적인 산업입니다. 경기불황 속에도 다수의 업체들이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체외진단기술의 정밀화와 편리성, 다기능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면서 새로운 체외진단산업에 대한 꾸준한 수요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또한 의료분야의 기술발전과 더불어 고가의 치료방법이 사용되면서 의료비도 크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인구고령화와 만성질환 증가로 인한 의료비 상승의 상황과 지속적인 시장 확대가 예상되는 중국, 인도를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의 체외진단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4) 경쟁요소

체외진단산업을 대체할 시장은 현재까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됩니다. 오히려 고비용, 장기간이 소요되는 제약 및 바이오산업과의 연계를 통한 상호보완적인 관계로써 체외진단산업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분자진단은 중합효소연쇄반응, 염기서열분석, 마이크로어레이드의 기술을 활용하여 매우 폭넓은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질병 및 감염의 단순 진단은 물론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의 조기진단 및 예방, 개인 맞춤형 치료 및 의약품 개발에 큰 기여를 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영위하는 사업의 주요 경쟁기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대분류

세부분류

정의

주요 기업

체외진단검사 서비스

의료기관

체외진단 서비스

중-대형 병원, 종합병원

체외진단검사

수탁전문기관

체외진단 서비스

녹십자의료재단, 이원의료재단, 삼광의료재단, SCL, 씨젠의료제단, 랩지노믹스

임상시험수탁

임상시험 전문 수탁기관

퀀타일즈트랜스내셔널코리아, 드림씨아이에스등 국내 20여곳

의료IT 융복합 기술

의료IT기업

의료IT관련 전문기업

아름누리, 다인소프트, 비트컴퓨터, 중외정보통신 등

당사는 체외진단검사 서비스 및 의료IT 활용한 제품을 공급하며, 수탁전문기관 및 의료IT기업과 경쟁하고 있습니다



(가) 병/의원 진단 서비스 제공

당사는 전국 23개 영업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판매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특히 병/의원에 맞춤형 서비스 제공과 IT융복합 서비스는 당사의 중요한 영업전략이 마케팅 수단입니다. 당사의 멀티플렉스 유전자 진단방법은 각종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 균주의 특성 target 유전인자 부위를 토대로 특정 질환을 일으키는 균주를 검색할 수 있어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고전적 방법인 현미경적 방법이라던가, 배양 식별법, 염색법 등에서 생기는 시간, 비용, 진단의 오류를 과감히 줄일 수 있는 최신 기술로서 세계각국은 이를 실용화하고 있으며 유수 기업들의 상용화 키트가 조만간 국내 시장을 잠식할 우려가 있는 바, 이에 대한 대응책으로서 국가적으로도 시급히 요청되는 진단 기술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또한 멀티플렉스 PCR을 통한 정확한 진단과 동시에 효과적인 항균제를 사전에 투여함으로서 해당 질환의 적절한 예방은 물론 항생제 내성 균주의 확산을 억제하는 다양한 효과들을 통해 국민 의료보건사업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나) 병/의원 건강검진 Total Solution 특화 영업


당사는 Smart Check, U2check, U2gateway와 같은 건강검진 소프트웨어와 연동서비스로 타사와 비교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기업 제휴를 통해 기업 건강관리 솔루션을 자체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좀 더 효율화된 건강검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는 당사의 주요 영업 전략이기도 합니다.


(다) Lab2Gene 서비스

당사는 일반진단검사 및 분자진단검사를 검사 의뢰인에 대해 상세 분석하여, 결과를 병-의원에 통보해 주는 BT(Bio Technology) service와 BT service 과정에서 산출된 결과들을 병-의원 내에 setting되어 있는 환자 의료 기록 프로그램인 EMR(Electronic Medical Records)을 함께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Lab2Gene’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Lab2Gene’ 서비스는 당사가 자체 구축한 서비스로 타사와 비교되는 영업전략이기도 합니다.


(라) Total Premier Healthcare Service


당사는 위와 같은 능력을 활용해 의료기관 및 일반인에게 DATA에 근거한 ‘Total Premier Healthcare Service’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는 의뢰인의 질환에 대한 소인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질병을 예방하는 예방학적 측면에서 종합적인 Healthcare의 원인적 접근이 가능한 기술이며, 이러한 BT분야의 기술력과 실시간 검사결과 전송 및 개인의 Healthcare 유효 Data의 추출과 분석이 가능한 IT분야의 기술력의 통합을 통해 정확하고 즉시적인 질환의심군의 검사결과를 활용한 의료서비스를 가능하게 함으로서 U-Healthcare 환경을 보다 한단계 앞당기는 당사만의 특화된 기술력입니다.


(5)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국내에서는 수명 증가에 따른 환자수 증가로 인해 의료기기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치료에 국한하지 않고 조기진단 예방 수요가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체외진단산업은 질병을 진단·치료·경감·처치 또는 예방을 주목적으로 사용되어 인간의 생명과 관련된 산업의 특성상 다른 산업에 비해 엄격한 규제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정부는 체외진단시약 생산 및 제조, 임상시험 등 안전규제, 유통 및 판매 등 안전성, 유효성 확보, 지적재산권 보장 등을 규제하고 있으며 이로인해 인허가 측면에서는 국가간 인증 허가제도가 상이하여 국제 교역에서 비관세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의료IT분야도 스마트 헬스케어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지만 법제도적 한계에 직면하여 제품 상용화가 쉽지 않은 상황입니다. 하지만 정부, 산업계 및 학계의 다양한 노력으로 시장 접근 절차는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습니다. 아울러 그 동안 의약품으로 분류돼 어려움이 많았던 체외진단 시약이 모두 기기와 함께 의료기기로 분류됨에 따라서 국내 IVD산업에 긍정적 효과가 기대됩니다.  

보건복지부는 국경을 넘어선 글로벌 의료서비스 시장 확대 추세에 따라 2012년 10월 31일 "2020년 글로벌 의료서비스 허브화를 위한 글로벌 헬스케어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으며, 이러한 목표로 국가 주도의 활성화 방안이 추진되고 있습니다. 국경을 넘어선 의료서비스 시장의 확대추세와 함께 차세대 성장 산업으로써 주목 받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환자와 의사간 원격의료가 허용되지 않고 있으나, 1990년대 초부터 정부시범사업 형태로 원격의료시범사업이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정부에서는 의료IT산업을 미래 고부가가치 신성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2013년 병-의원을 중심으로 의사와 환자간의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의료법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바 있으며, 이러한 지원책의 영향으로 급격한 시장팽창이 도래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본 보고서 제출일 현재까지 주요 매출사업으로 일반진단검사 서비스 및 분자진단검사 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으며 급변하는 의료 환경에서 주목받는 의료IT 융복합 기술을 활용한 의료IT서비스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모유 분석 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주요 사업분야]

사업분야

세부사업

사업내용

제품명

비고

체외진단

(IVD)

서비스

일반진단검사

질병감염 여부 등을 판정할 목적으로 혈액, 뇨(Urine), 타액(saliva) 등 인체에서 유래하는 시료를 검체로 하여 검체 중의 특정 지표물질을 검출하거나 측정하는 검사 기법과 그 결과의 해석에 대해 다루는 분야

1. 면역혈청학

2. 생화학

3. 혈액학검사

4. 바이러스

5. 뇨 및 미생물

6. 특수화학(비타민, 약물 등)

7. 병리학

-

분자진단검사

유전자 증폭기술인 PCR 등을 이용해 유전자를 직접 검사하는 것으로, 바이러스나 세균에 감염된 사람의 타액, 혈액 등에서 병원체의 유전자 정보를 담고 있는 DNA, RNA를 추출한 후 증폭하여 질병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이처럼 질병의 조기 진단을 통한 예방과 효율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분야

1. 감염확인

2. 유전자 검사

3. 약물 유전학 검사

연구개발

서비스(CRO)

아웃소싱의 개념으로 개발단계에서 고객의 의뢰를 받아 임상시험 진행의 설계, 컨설팅, 모니터링, 데이터링, 허가대행 등의 업무를 수행

1. 질병관련 유전자 분석

2. 제품성능 평가



IT솔루션

B2B(의료기관용) &

B2C(일반인용)

IT솔루션

의원중심의

건강검진 S/W

의원중심의 소규모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리포트와 청구 중심의 소프트웨어

유투첵(U2Check)

전문검진센터

건강검진 S/W

전문검진센터중심의 대규모 건강검진을 실시하는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Realtime 수검자 관리가 가능한 지능형 소프트웨어

스마트첵(Smart Check)

진단장비와 EMR의 연동 솔루션

의료기관에서 사용하는 진단장비(혈액학검사, 생화학검사, 면역혈청학검사, 뇨검사, 전해질검사)와 EMR과의 연동을 목적으로 개발된 진단장비 연동 솔루션

유투게이트웨이(U2Gateway)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2) 시장점유율


(가) 체외진단 서비스

세계 체외진단(IVD)시장을 비롯해 국내 체외진단(IVD)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국내 시장은 공식적인 통계자료가 존재하지 않으나,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 지사가 발표한 '세계 체외진단(IVD : In Vitro Diagnostics) 시장 분석 보고서(Analysis of the Global In Vitro Diagnostics Market finds the market)'에 따르면, 2014년 해당 시장 수익은 505억 6천만 달러로 2017년에는 626억 3천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IMF에서 발표한 2014년 G20의 GDP 총액 중 국내 GDP 비율 2.42%를 통해 전세계 대비 비율을 약 2%로 판단시, 전세계에서 차지하는 국내 GDP 비율에 따라 국내 시장 규모를 추정해 보면, 2014년 국내 체외진단 시장은 약 1조 1,123억원(환율 1,100원 가정)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2014년을 기준으로 2018년 당사의 시장점유율은 약 1.60%로 추정됩니다. 그 외 분자진단 서비스 및 제품 시장은 시장이 형성되는 시기로 신뢰성 있는 자료가 존재하지 않는 상황입니다.
                                                                                                (단위 : 억원, %)

국내 시장 규모

당사 매출액

점유율

11,123

187

1.68



(나) 의료IT (Healthcare IT)

국내 시장규모는 통계자료로 존재하지 않으나, 보건복지부의 국가시행 검진의 통계자료와 당사의 고객현황을 통해 추정할 수 있습니다. 국내 건강검진 소프트웨어 산업은 아름누리, 다인소프트 등 건강검진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개발하여 판매하는 중소기업과 중외정보기술, 메트로소프트, 엔지테크 등 진료와 청구를 위한 전자의무기록을 개발하는 회사가 건강검진 소프트웨어를 함께 판매하는 중소기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3) 시장의 특성


(가) 체외진단 시장


체외진단 시장은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가 발행하는 '바이오인더스트리' 2015년 3월호에 실린 '글로벌 체외진단 시장현황 및 전망' 자료에 따르면 2013년 시장규모 472억 달러 규모로 파악되며, 연평균 7.3%의 성장세로 2017년 62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경제상황이나 산업불황속에서도 제약시장보다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전세계적인 인구고령화 및 IVD 진단 치료법을 이용하는 인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또한 저렴해지는 IVD검사 가격으로 인해 보다 많은 사람들이 in vitro 진단을 받을 가능성이 있으며, 질환 치료에서 질환 예방(disease prevention) 및 건강보건 증진(health promotion) 차원의 트렌드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나) 의료IT (Healthcare IT)


컴퓨터와 네트워크 기술을 바탕으로 하는 IT기술은 비약적인 발전과 함께 스마트폰 보급 트렌드에 따라 기업간의 정보화뿐 아니라, 개인의 정보화 욕구증진으로 인한 IT기술이 접목되고 있습니다. 의료복지, 특히 예방형 건강검진의 분야도 예외는 아니어서 IT기술을 접목하여 건강검진을 받는 수검자에게 맞춤형 정보제공 등의 욕구가 증가되고 있습니다. 고령화와 개인 건강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면서 의료서비스 시장은 점차 커지고 있으며, 의료기술과 IT기술 발달이 u-Health 시장의 기폭제가 되고 있습니다. 국내 대규모 의료기관이 환자정보와 진료기록 등을 전산화하고 있는 케이스가 크게 증가하고 있는 등 시장의 매력도 또한 높으며, 유비쿼터스 사회 구현이 현실적인 서비스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현재 영위중인 사업 외에 회사가 구체적으로 검토중인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 Ⅲ. 경영참고사항 中 '1. 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 재무상태표

                                               <재 무 상 태 표>

제 11 기 당기 : 2019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제 10 기 전기 : 2018년 1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1(당) 기 제 10(전) 기
자                      산    
Ⅰ. 유동자산 18,986,969,819 15,669,674,979
 현금및현금성자산 2,337,406,422 828,955,770
 단기금융상품 1,500,000,000 -
 매출채권 14,641,084,687 14,356,538,673
 기타금융자산 88,129,373 70,288,192
 기타자산 25,124,598 21,994,371
 재고자산 395,224,739 391,897,973
Ⅱ. 비유동자산 2,989,564,726 2,356,234,414
 매도가능금융자산 - 36,000,000
 유형자산 1,106,789,372 464,712,053
 무형자산 681,728,152 616,266,974
 기타금융자산 255,000,000 215,000,000
 이연법인세자산 946,047,202 1,024,255,387
자     산      총     계 21,976,534,545 18,025,909,393
부                      채    
Ⅰ. 유동부채 7,181,680,482 8,493,676,640
 매입채무 3,026,321,449 2,821,898,255
 기타금융부채 2,247,079,522 2,664,021,714
 단기차입금 700,000,000 1,450,000,000
 장기차입금 1,000,000,000 -
 기타부채 37,558,355 37,765,815
 전환사채 - 1,519,990,856
 리스부채 170,721,156  
Ⅱ. 비유동부채 7,459,433,164 2,052,072,845
 장기차입금 - 1,000,000,000
 기타금융부채 - 7,452,235
 전환사채 5,836,459,316 -
 충당부채 24,390,000 24,390,000
 순확정급여부채 1,361,665,307 1,020,230,610
 리스부채 236,918,541  -
부     채     총     계 14,641,113,646 10,545,749,485
자                     본    
Ⅰ. 자본금 950,255,000 950,255,000
Ⅱ. 자본잉여금 6,707,690,134 6,705,793,134
Ⅲ. 기타포괄손익누계액 (8,655,062) 2,547,727
Ⅳ. 이익잉여금 (313,869,173) (178,435,953)
자    본      총     계 7,335,420,899 7,480,159,908
부  채  및  자  본  총  계 21,976,534,545 18,025,909,393



- 포괄손익계산서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 11 기 당기 : 2019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
제 10 기 전기 : 2018년 1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1(당) 기 제 10(전) 기
매출액 18,672,792,021 17,803,206,315
매출원가 16,065,571,654 15,649,744,402
매출총이익 2,607,220,367 2,153,461,913
판매비와관리비 3,428,257,393 3,068,930,929
영업이익 (821,037,026) (915,469,016)
금융수익 1,687,555,913 24,678,268
금융비용 776,845,989 343,103,675
기타수익 24,403,135 8,636,947
기타비용 8,182,022 292,205,465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105,894,011 (1,517,462,941)
법인세비용(수익) 114,094,375 (373,902,753)
당기순이익(손실) (8,200,364) (1,143,560,188)
기타포괄손익 : (138,435,645) (56,037,106)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    
 지분법자본변동 (11,202,789) (4,044,895)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27,232,856) (51,992,211)
총포괄이익(손실) (146,636,009) (1,199,597,294)
주당순이익    
기본주당순이익 (4) (602)



- 미처리결손금계산서(안)

                          <미처리결손금계산서>

제 11 기 당기 : 2019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 까지
제 10 기 전기 : 2018년 1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1(당) 기 제 10(전) 기
Ⅰ.미처분이익잉여금(미처리결손금)
(313,869,173)
(178,435,953)
  1. 전기이월결손금 (178,435,953)
1,017,116,446
  2.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27,232,856)
(51,992,211)
  3. 당기순이익 (8,200,364)
(1,143,560,188)
Ⅱ. 이익잉여금처분액(결손금처리액) -
-
  1.자본잉여금 -
-
Ⅲ.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313,869,173)
(178,435,953)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11 기 당기 : 2019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 까지
제 10 기 전기 : 2018년 1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 까지
(단위 : 원)
과 목 자본금 자본잉여금 기타포괄
손익누계액
이익잉여금 총계
2018.01.01(전기초) 950,255,000 6,705,793,134 6,592,622 1,017,116,446 8,679,757,202
소유주와의 거래         -
전환사채전환         -
총포괄손익:         -
지분법자본변동     (4,044,895)   (4,044,895)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51,992,211) (51,992,211)
당기순이익       (1,143,560,188) (1,143,560,188)
2018.12.31(전기말) 950,255,000 6,705,793,134 2,547,727 (178,435,953) 7,480,159,908
2019.01.01(당기초) 950,255,000 6,705,793,134 2,547,727 (178,435,953) 7,480,159,908
소유주와의 거래         -
전환사채의 발행   1,897,000     1,897,000
전환사채전환         -
총포괄손익:         -
지분법자본변동     (11,202,789)   (11,202,789)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127,232,856) (127,232,856)
당기순이익       (8,200,364) (8,200,364)
2019.12.31(당기말) 950,255,000 6,707,690,134 (8,655,062) (313,869,173) 7,335,420,899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11 기 당기 : 2019년 1월 1일 부터 2019년 12월 31일 까지
제 10 기 전기 : 2018년 1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 까지
(단위 : 원)
과 목 제 11(당) 기 제 10(전) 기
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767,351,469) 470,876,387
영업으로부터 창출된 현금흐름 (666,840,218) 619,874,986
이자의 수취 19,878,470 1,109,003
이자의 지급 (120,389,721) (150,107,602)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2,233,523,779) (389,174,569)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액 - 15,833,330
 보증금의 회수 - 10,000,000
 장기대여금의 회수 - 5,833,330
2.투자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2,233,523,779) (405,007,899)
 단기금융상품의 증가 (1,500,000,000) -
 비품취득 (473,010,022) (115,060,172)
 개발비의증가 (228,513,757) (278,047,727)
 보증금의 증가 (40,000,000) (3,900,000)
 단기대여금의 증가 8,000,000 (8,000,000)
Ⅲ.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흐름 4,509,325,900 700,000,000
1.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입액 7,000,000,000 700,000,000
 단기차입금의 증가 - 700,000,000
 전환사채의 발행 7,000,000,000 -
2.재무활동으로인한현금유출액 (2,490,674,100) -
 단기차입금의 상환 (750,000,000) -
 전환사채의 상환 (1,639,090,500) -
 리스료 지급 (101,583,600) -
Ⅳ.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
    (Ⅰ+Ⅱ+Ⅲ)
1,508,450,652 781,701,818
Ⅴ.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828,955,770 47,253,952
Ⅶ.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2,337,406,422 828,955,770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진혁성 1972.03.20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박장호 1970.07.16 사내이사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 2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세부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세부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기간 내용
진혁성 現 (주)유투바이오 Global&BT 사업부장 1998.08 ~ 2010.02 (주)유비케어 제약솔루션사업팀장 해당사항 없음
2010.03 ~ 2014.05 SLI진단검사의원 신규사업기획실장
2014.05 ~ 2019.12 장원의료재단 해외사업부장
2020.01 ~ 현재 (주)유투바이오 Global&BT 사업부장
박장호 現 (주)유투바이오 기획조정실장 1999.03 ~ 2001.02 서울대 자동화시스템공동연구소 연구원 해당사항 없음
2001.08 ~ 2003.10 (주)티아이엠시스템 책임연구원
2003.10 ~ 2012.08 (주)모바일리더 연구소장 (상무이사)
2012.09 ~ 2013.05 (주)유비케어 연구소장
2013.05 ~ 2014.07 인지소프트(주) 영업마케팅팀장
2014.07 ~ 2015.08 (주)모바일리더 연구소장
2016.05 ~ 2017.05 (주)유비케어 신사업실장
2017.06 ~ 현재 (주)유투바이오 기획조정실장


다. 후보자의 체납사실 여부ㆍ부실기업 경영진 여부ㆍ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후보자성명 체납사실 여부 부실기업 경영진 여부 법령상 결격 사유 유무
진혁성 없음 없음 없음
박장호 없음 없음 없음


라. 후보자의 직무수행계획(사외이사 선임의 경우에 한함)

해당사항 없음


마. 후보자에 대한 이사회의 추천 사유


[진혁성 사내이사 후보자]
(주)유비케어 제약솔루션사업 팀장을 역임하였고, 장원의료재단 해외사업부장을 역임하는 등 미래 유망사업을 발굴하고 투자해 왔으며 폭넓은 시각과 경험을 바탕으로 (주)유투바이오의 주요한 의사결정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박장호 사내이사 후보자]
㈜모바일리더 연구소장과 (주)유비케어의 연구소장 및 신사업실장을 역임하였고, 현재까지 (주)유투바이오의 기획조정 실장으로 그 직무에 충실하며 풍부한 경험과 전문성을 기반으로 경영상의 의사결정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기여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

확인서

이미지: 확인서

확인서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5명 (  0 명  )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800,000,000원


(전 기)

이사의 수 (사외이사수) 4명 (  0 명  )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463,340,570원
최고한도액 8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당 기)

감사의 수 1명
보수총액 또는 최고한도액 100,000,0000원


(전 기)

감사의 수 1명
실제 지급된 보수총액 24,000,000원
최고한도액 100,000,000원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 주주총회 개최(예정)일 : 2020년 3월 24일(화) 오전 9시

- 주주총회 집중일 개최 사유
 : 해당사항 없음
   
* 코넥스협회가 발표한 금년도 주주총회 집중일
 : 3/25(수), 3/26(목), 3/27(금), 3/30(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