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19  년   6  월   26  일


회   사   명 : 에스케이바이오랜드(주)
대 표 이 사 : 이  근  식
본 점 소 재 지 :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송정리 2길 59

(전   화) 041-550-7700

(홈페이지) http://www.skbioland.com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대표이사 (성   명) 이 근 식

(전   화) 041-550-7700



주주총회 소집공고

(임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하심을 기원합니다.

상법 제 363조 및 당사 정관 제19조의 규정에 의하여 2019년 임시주주총회를 다음과같이 개최하오니 참석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다   음 -

 

1. 일 시 : 2019년 7월 16일 (화요일) 오전 10시

 

2. 장 소 : 충남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송정리 2길 59
              (SK바이오랜드 천안 본사  본관 2층)


3. 보고사항 : ① 감사보고

 

4. 회의 목적사항

   제1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1-1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임규한) 선임의 건
       1-2호 의안 기타비상무이사 (이찬호) 선임의 건
    제2호 의안 : 사외이사가 아닌 감사위원회 위원 (임규한) 선임의 건
     

5.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 4 제3항에 의거하여 경영참고사항을 정보통신망에 게재하고,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에 비치하오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6.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당사의 임시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대리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임시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대리인에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 당사는 주주총회 참석주주님을 위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윤석원
(출석률: 100%)
김진웅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19.2.7 제1호의안 : 제24기 (2018년)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 이사 및 주요주주와의 거래 승인의 건
찬성 찬성
2 2019.2.7 제1호 의안 : 제24기(2018년) 현금배당에 대한 승인의 건 찬성 찬성
3 2019.3.11 제1호 의안 : 제24기 정기주주총회소집 결의의 건 찬성 찬성
4 2019.3.22 제1호 의안 : 바이오메디컬 사업 신규사업 투자 승인의 건 찬성 찬성
5 2019.5.28. 제1호 의안 : 주식명의개서정지 기준일 설정의 건
제2호 의안 : SK바이오랜드 임시주주총회 개최 및 부의안건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임원배상책임보험 가입의 건
찬성 찬성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감사위원회 감사위원장 윤석원
감사위원 김진웅
감사위원 정상억
2019.3.11 보고사항 1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제1호 의안 :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평가보고서 작성의 건
보고사항 2 : 외부감사인의 2018 회계연도 감사결과 보고의 건
가결
감사위원장 윤석원
감사위원 김진웅
감사위원 정상억
2019.3.11 제1호 의안 : 감사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감사위원장 윤석원
감사위원 김진웅
감사위원 정상억
2019.5.28 제1호 의안 : 감사보고서 승인의 건 가결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2,500,000,000 25,000,000 12,500,000 -

주1) 상기 주총승인금액은 사내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에 대한 승인 금액임.
주2)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지급액은 2019년 1월부터 5월까지 지급한 금액을 기준으로 산정함.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화장품 소재 산업
국 화장품 산업은 1900년대부터 시작하여 100년이 넘는 긴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화장품소재 산업의 경우 전방 산업과는 달리 그 역사가 상대적으로 짧습니다. 당사는 수입에만 의존해 오던 고부가가치 천연활성 소재의 국산화를 목적으로 1995년 설립되었습니다. 창립 이후 천연화장품 소재 시장을 선도하는 Leading Company로서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통해 눈부신 성과를 창출해 왔으며 명실상부 국내 최대 천연물 소재 기업으로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국내 화장품 산업의 성장과 함께 그 소재산업 또한 눈부신 성장을 이루어 왔습니다. 산업성장과 함께 다양한 경쟁자들이 출현하였고 새로운 경쟁구도가 형성되어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당사는 선도기업이 갖는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여 경쟁상황에 대처하고 있으며 소재 다변화, 신규 Pipeline 창출 등의 지속경영가능 활동들을 통해 꾸준히 매출 신장을 기록해 왔으며 그 결과 업계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습니다. 또한 Global Market에서도 다양한 제품 Portfolio와 우수한 기술력을 보유한 당사의 가치를 인정받고 있어 세계 시장에서의 경쟁력이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최근 웰빙(well-being), 웰에이징(well-aging), 안티에이징(anti-aging) 및 감성소비와 같은 새로운 소비트렌드에 부합하여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며 특히 국내 화장품 시장은 경기침체로 다수의 소비재 시장이 어려움을 겪었음에도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이는 화장품이 일반 소비재에서 필수 소비재로 자리바꿈하였고, 소비자들의 가치 소비가 확대됨에 따른 것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국내를 넘어 새로운 수출 주력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정부의 다양한 정책이 추진되고 이에 원료 산업 또한 높은 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지속성장산업으로 손꼽히고 있습니다.

[시장점유율]

【국내 화장품 원료 시장 점유율】                                                   ( 단위 : 억원 )



2016년 2015년 2014년 2013년 2012년 연평균증감율
1 화장품 전체시장(주1) 98,783 90,254 84,607 80,300 74,275 7.4%
2
화장품원료 전체시장(주2) 7,903 7,220 6,769 6,424 5,942
3
천연화장품 원료시장
(주3)
1,581 1,444 1,354 1,285 1,188
4 화장품원료 전체시장 중
당사점유율(주4)
6.9% 6.6% 6.6% 6.3% 6.9% -
천연화장품 원료시장 중
당사점유율(주5)
34.9% 33.0% 33.0% 31.3% 34.6% -

(주1) 한국보건산업진흥원,"2017년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2017년 12월
(주2) 화장품원료 전체시장의 비중은 화장품 전체 시장 대비 평균 8%로 당사 추정
        자료임.
(주3) 천연화장품 원료시장의 비중은 화장품원료 전체시장에서 계면활성제, 오일,
        알콜료 등의 비중을 제외한  20%로 당사 추정자료임.
(주4) 화장품원료 전체시장중 당사 매출액을 감안하여 적용한 당사 추정 자료임.
(주5) 천연화장품 원료시장 중 당사 매출액을 감안하여 적용한 당사 추정 자료임.

[시장의 특성]

① 소재산업의 특성상 판매대상이 일반개인소비자가 아닌 최종제품 제조회사와의 B2B 거래가 일반적으로 판매경로, 판매방법이 단순합니다.
② 화장품이 필수소비재로 자리메김함에 따라 신규시장이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꾸준한 연구개발의 결과인 신제품, 신기술을 이용하여 시장선점 경쟁이 치열합니다.

[천연활성 소재 시장확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물성 원료 사용과 화학물질에 대한 환경오염 등의  불안 요소들로 인해 각종 규제들이 강화됨에 따라 당사의 주력제품인 천연 소재시장이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화장품법 제정에 따른 기능성 원료시장 확대]
2000년 7월 화장품법이 제정됨에 따라 2001년부터 본격적인 기능성 화장품(항노화, 자외선차단, 미백, 아토피) 생산판매가 이루어졌고 최근 5년간 17.9%로 꾸준한 성장을 하고 있습니다.
※ 기능성화장품 생산 실적(연도): 2조 5,638억원('13년)→ 2조 9,744억원('14년)→ 3조 8,559억원('15년) → 4조 4,439억원('16년) → 4조 8,558억원('17년)

이에 따라 앞으로도 기능성 화장품에 사용되는 주기능원료의 양이 지속적으로 확대될 전망입니다. '17년 5월부터 기능성화장품 범위 확대(3종→10종)로 의약외품에서 화장품으로 전환되었고 다양한 기능성 소재가 추가 등재되고 있으며  국가 정책 또한 산업의 성장을 위한 방향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2) 건강기능식품 산업

건강기능식품이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ㆍ가공한 식품" 으로 정의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을 말합니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인구 고령화가 진행되고 '건강한 노화'와  '삶의 질(Quality of Life)' 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국내ㆍ외 건강기능식품 시장은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산업은 질병예방을 통한 국민 의료비 절감과 건강증진으로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는 고부가가치 미래핵심 동력산업이며 세계 보건산업정책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질병의 치료에서 질병예방으로, 일반식품의 개발은 고부가가치 기능성식품으로 바뀌어가고 있습니다.

SK바이오랜드는 반세기의 발효 및 Enzyme생산기술을 기반으로 미생물에 의한 바이오폴리머 소재, 발효 및 효소 소재 개발과 추출ㆍ정제 생산기술을 기반으로 천연물 유래 기능성 식품소재 개발 등의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바이오폴리머 소재인 히알루론산은 1990년 초에 화장품 소재로써 국내 최초로 개발하여 대량생산 도입한 이후, 지속적 연구개발을 통하여 2004년에 천연첨가물의 "한시적기준규격" 인정을 득하였으며, 2010년에는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원료 인증(피부 보습에 도움)을 받아 현재까지 국내외에 건기식 원료 사업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7년 '자외선에 인한 피부손상으로부터 피부 건강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으로 추가 개별인정형 인증에 성공하여 히알루론산의 기능성 확대 및 사업 확대에 기여하였습니다.

또한, 유산균 등 식용미생물을 활용한 천연물발효기술과 효소를 활용한 생물전환기술을 이용하여 발효홍삼, 발효마늘, 발효녹용, 효소식품 등 바이오식품소재의 개발 및 사업화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히, 발효기법의 신규물질의 개발을 위해 천연물발효기술을 기반으로 차별화되고 경쟁력 있는 소재 개발을 위해 5건의 소재 [발효마늘(간기능(혈중콜레스테롤) 개선), 발효우슬등추출복합물(관절건강개선), 콩발아배아(여성갱년기개선), 발효율피(체지방개선), 홍도라지(면역증강)] 개발 국비지원을 받아 식약처의 건강기능식품 개별인정형 원료 인증을 목표로 고려대학교 등과 산학연협력을 진행하고 있으며, 2016년 9월에는 유산균발효마늘추출물을 식약처로부터 개별인정형소재로 인정받아 현재 판매중입니다.

또한 난용성의 천연추출물인 이소플라본, 홍경천추출물, 밀크씨슬추출물, 은행잎추출물 등을 자사특화 기술로 수용화하여 생체흡수율과 효능을 증대시킴과 아울러 풍미를 개선하여, 음료, 젤리 제형 등 다양한 제형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개발을 완료하였으며, 이와 같이 차별화된 수용성 소재를 토대로 완제품ODM 사업을 준비 중입니다. 향후 완제품ODM 사업을 통하여 비약적 경영성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시장현황]                                                                                    (단위 : 억원)

구분 2013년 2014
2015
2016
2017
국내 판매 실적

14,820

16,310

18,230

21,260

22,374


내수

14,066

15,640

17,326

20,175

21,297

수출

754

670

904

1,084

1,077

수입

3,854

4,396

4,968

5,863

5,750

국내시장규모

17,920

20,036

22,294

26,039

27,047

전년대비 성장률(%)

5.2

11.8

11.3

16.8

3.9

(주1) 식품의약품안전처"건강기능식품 생산실적" 2018년8월.

(3) 바이오 의료소재 산업(Bio-Medical products)
조직재생 바이오 의료소재 산업은 바이오 의약/의료기기 산업의 한 부분으로, 바이오소재, 생명공학, 융합 바이오 기술의 영역에서 환자의 치료 및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의료 산업에 속합니다.

SK바이오랜드에서 연구개발 생산하는 조직재생 제품들은 각종 사고, 질병, 노화로 인해 손상된 피부조직의 재생치료, 치과 및 정형외과 신경외과 영역의 손상된 연조직이나 뼈의 재생 또는 재건하는 바이오의료 완제품들입니다.


[Wound care 제품 및 글로벌 현황]

Wound care 제품의 국내시장은 2013년 생산 및 수출입 원가기준으로 약 889억으로 추정되며, 최근 5년간 연평균 19.7%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출처:  KHIDI 2014년, 보건산업브리프). 글로벌시장은 2016년 기준117억불이며, 연평균 8.7%의 높은 성장률로서 2024년에는 221억불에 이를 것으로 예측되며(출처: DATA BRIDGE, Global Advanced Wound Care Market, 2017), 특히 인공피부 및 피부대체재 시장은 2014년7.5억불에서 2024년에 37.5억불로 급격히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치과재료 및 정형외과 재생분야]

전 세계 치과용 골이식재 시장은 2016년 4억 1,630만 달러에서 연평균 성장률 9.8%로 증가하여, 2021년에는 6억 6430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2016년 기준으로 이종골 38.4%로 가장 높은 점유율을 나타내었습니다.

글로벌 생체소재 시장은 2015년 626억 달러에서 2020년까지 1,301억 달러로 연평균 16%의 성장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Biomaterials Market by Type of Material & Application-Global Forecast to 2020, Market and markets, 2015)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한 재생의학]

최근 재생의료가 새로운 기술적 접근을 활용한 미래의학으로서 각광받고 있습니다. 특히, 줄기세포를 활용한 재생의료 기술은 손상된 조직과 기능의 회복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습니다. 줄기세포는 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와 신체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으며, 손상된 조직이 회복될 수 있는 환경을 스스로 구현합니다.

또한, 그간 마땅한 의학적 수단이 없었던 퇴행성 및 난치성 질병, 심한 외상에 대한 완치(Cure)도 가능케 합니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들에서 줄기세포가 미래유망기술로 인식되고 정책 지원을 받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이는 재생의료시장을 새롭게 개척할 블루칩으로서 성장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SK바이오랜드는 기존의 바이오의료 제품 사업을 확장하는 데 있어, 이러한 줄기세포를 새로운 모멘텀으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4) 천연물 원료의약품 산업(APIs)
원료의약품은 의약품제조에 사용되는 의약품의 원료들의 총칭으로 완제품 제조사에서 의약품 제제를 위해 사용되는 주원료를 의미합니다. 원료의약품은 약효성분에 따라 주성분(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와 보조성분(Inactive Pharmaceutical Ingredients)로 분류되고 있으며 당사에서는 소화위장개선에 도움을 주는 Eupatilin(애엽추출물) 등의 주성분 원료의약품을 생산하여 완제 의약품 생산 업체로 공급하고 있습니다.

원료의약품 산업은 인간의 생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품을 생산하는 산업으로 제품의 개발 제조 유통 판매 등 전과정에 걸쳐 매우 엄격히 관리되고 있으며 그 기준을 맞추기 위한 설비투자, 기술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설비에 대한 고도화 및 기술 집약도가 높은 산업으로 신규 기술 확보 및 신제품 개발에 따라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입니다. 따라 당사에서는 신규제품 개발을 위해 완제 의약품제조사와 지속적인 협력을 이어가고 있으며 신약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사업 경쟁력 확보뿐만 아니라 국가 보건산업 발전에도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화장품 소재 사업
-신규 화장품 소재 확보 및 Bio-Cellulose 마스크팩 개발
①화장품 소재 개발 및 확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동물성 원료 사용의 불안 요소 및 화학원료에 대한 환경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천연소재는 그 대체재로 각광 받고 있어 시장의 성장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또 국내 화장품법의 재정에 따라 다양한 천연소재들의 기능성원료 인정이 이루어 지고 있어 신규 천연소재 확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 동남아시아 등 신규시장의 성장에 맞춰 천연 기능성 소재에 대한 니즈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SK바이오랜드는 시장의 성장과 기능성 소재에 대한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천연소재의 발굴을 위한 연구개발을 진행하고 있으며 차세대 Big Item 개발을 위해 모든 R&D 인프라를집중하고 있습니다.

Arbutin(합성미백제), Hyaluronic Acid(천연보습제), 유용성 감초(천연미백제) 등과 같은 대표 소재들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추가 기능을 접목하여 Advanced 제품들을 개발하여 꾸준히 시장에 선보이고 있습니다. 나아가 천연물의 전통적인 가공형태에서 벗어난 새로운 개념의 융복합을 통한 신규소재 확보를 위해 구성원들의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바이오셀룰로스(Bio-Cellulose) 마스크팩
당사의 핵심역량 중 하나인 발효기술을 통해 개발된 바이오셀룰로스는 바이오 멤브레인의 일종으로 콤부차 유래 특허 균주의 활용 및 바이오컨버전스 공정을 거쳐 마스크팩의 핵심 소재인 시트(Sheet)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미생물 발효 바이오셀룰로스 마스크팩은 기존의1세대 부직포, 2세대 하이드로겔 마스크팩보다 밀착력, 착용감, 보습력, 활동성, 쿨링감, 저자극 등 모든 기능성 지표에서 우수성이 확인된 제3세대 마스크팩입니다. 또한 정교한 기술과 까다로운 공정 조건으로 생산되어 화상치료, 심장 판막 대체 등의 의료기기 영역으로의 활용이 가능한 고부가가치 소재입니다.

[SK바이오랜드 바이오셀룰로스 생산능력]
                                                                                             
     (2018년 기준)

구분 Capa. 생산공장 비고
바이오셀룰로스
(Bio-Cellulose)
2,250만장 오창, 안산 -
5,000만장 해문공장(중국) -


기존 마스크팩 시장에서 바이오셀룰로스는 기능적으로 탁월한 신규 소재로서 향후 성장 잠재력이 클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SK바이오랜드는 바이오셀룰로스의 생산력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수율 개선 작업을 수행함과 동시에 생산량 증대를 위한 설비증설을 진행하였습니다.

그 결과, 2016년에는 안산공장의 발효설비를 활용하여 1,500만장의 원지 생산이 가능한 추가 설비를 도입하였고, 2018년에는 중국 해문공장의 2차 부지를 활용하여 연 산 5천만장 규모의 생산시설을 완공하였습니다. 현재는 시생산 및 안정화 단계를 거쳐One-stop 공정으로 바이오셀룰로스 마스크팩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생산효율화 시스템 구축 및 전문인력의 보강을 통해 경쟁력있는 OEM/ODM 서비스 제공과 활발한 온·오프라인 마케팅을 전개하며 고객접점 확대 및 인지도 제고를 위한 활동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생산효율화 시스템을 구축하여 품질, 가격 및 서비스 측면에서 시장 경쟁력을 더욱 높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특히, 중국 해문 마스크팩 공장은 현재 연산 5천만장의 Capa.를 보유한 바이오셀룰로스 마스크팩 전용 생산공장으로 3년내에 연산 1억장 수준까지 생산력을 확장할 예정에 있습니다. 중국 해문 마스크팩 공장은 현지 생산/판매전략을 통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하고 중국Local 및 Global 기업을 대상으로 바이오셀룰로스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전방기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것 입니다.

또한, 미생물 유래 바이오셀룰로스 마스크 시트 최초로 세계적 수준의 친환경 섬유인증(OEKO-TEX Class I)을 받았습니다. OEKO-TEX 인증은 유해물질을 사용하지 않은 제품에 한해 받을 수 있는 친환경 섬유인증으로써, 영유아용 속옷에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피부에 매우 안전한 제품이라는 의미를 갖습니다. 이로써 바이오셀룰로스 시트는 기능성 뿐만 아니라 안전성까지 확보된 프리미엄 마스크 시트임을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기존 화장품 영역을 넘어 코스메슈티컬, 의료 영역으로의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제형기술 개발
제형기술이란 특정한 소재를 사용하기 용이한 형태로 만들어 주는 기술을 의미하여 화장품산업에서는 흔히 에멀젼(Emulsion) 기술을 지칭합니다.

특정 제형기술을 통해 피부 투습력을 강화시켜 흡수성을 높일 수 있는 것처럼 제형화를 통한 효능증대가 가능하며, 불안정한 물질을 안정화 시켜주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기술이 제형기술입니다.

SK바이오랜드는 소재의 특성에 맞춰 접목이 가능한 다양한 제형기술 확보를 위해 국내외 유수한 대학들 및 기술특화 기업들과의 공동연구개발을 진행해 왔으며 그 성과를 통해 신규 제품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제형기술은 제품의 효능을 높여줄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편의를 제고 할 수 있도록 하여 높은 부가가치 실현이 가능합니다.

-수출확대

[수출전망]

SK바이오랜드는 1995년 설립 이래 수입에 의존하던 화장품/식품 원료시장에서 많은 원료의 국산화를 이룬 성과를 바탕으로, 1997년부터 지속적인 해외마케팅을 통한 해외시장으로의 수출에 역점을 두었습니다. 그 결과, L’Oreal, LVMH, P&G, C’Dior, Shiseido 등 유수의 글로벌회사를 포함한 세계시장에서 주요한 원료 공급사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SK바이오랜드는 2014년 당해 회계연도 기준 처음으로 미화 1,070만불의 수출실적을 달성하였으며, 2017년에는 미화 1,800만불을 달성하였습니다.

SK바이오랜드는 지속적인 해외 전시회 참가 및 각국 디스트리뷰터와의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다양한 마케팅 활동을 강화하고 있으며, 신규 시장 진출 및 신제품 론칭으로 지속적인 해외 매출의 성장세를 이어 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세계 최대 성장 시장인 중국시장에서는 중국 내 여러 사업여건 위축으로 인해 더딘 성장을 이어나가고 있으나, SK그룹의 글로벌 역량 공유 및 당사 중국법인과 중국 현지 디스트리뷰터를 활용한 판매 루트 다각화 등을 통해 성장 가속화를 이루기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나고야의정서에 대한 기회요인]
국산 생물 유전자원의 개발로 나고야 의정서를 적용해 시행되고 있는 유전자원법 등 국내외 생물자원 정책 변화를 기회로 삼아 세계가 주목하는 천연물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주공장 준공 이후 제주 특산물의 사업화에 주목하고 있으며, 제주특산물을 세계에 널리 알리고 지속적인 연구개발로 글로벌 화장품 천연원료로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나고야 의정서 및 고객 대응 최적화를 위해 중국 현지 공장에 연구소를 설치 운영하고 있으며, 중국 내 대학교와 공동연구를 통한 네트워크 형성 및 MOU 등을 통해 천연물 원료 시장 선점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히알루론산 수요증가]

히알루론산은 피부나 관절 등의 생체에 존재하는 수용성 고분자 물질로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분야의 글로벌 마켓은 고령층 인구가 확대됨에 따라 비단 화장품, 식품뿐 아니라 재생의학과 조직공학(tissue engineering) 등 다양한 분야에서 히알루론산이 사용된 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20년에 108억 달러 규모를 형성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히알루론산의 정제기술과 제조설비 및 특허를 보유하고 화장품, 식품, 의료기기용 제품을 모두 생산하여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일본 등 글로벌 시장에 활발히 수출하고 있어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 건강기능식품 사업
-ODM 사업
SK바이오랜드는 건강기능식품의 핵심 소재를 개발하는 연구개발 전문기업으로, 차별화된 개별인정형 소재 및 수용성 소재 등을 활용하여 건강기능식품 상품을 기획ㆍ개발하여 공급하고 있습니다.

또한, 30년이 넘는 건강기능식품 소재생산 업력을 통해 쌓아온 경험을 바탕으로 보다 높은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점진적인 Value-Chain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당사의 주력사업인 화장품사업과 견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 사업을 추진 중이며, 건강기능식품 사업 성장을 통해 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새로운 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예정입니다.

SK바이오랜드가 보유한 다양한 건강기능식품용 천연소재를 활용한 상품기획 및 ODM 사업을 확대할 계획이며 특히 히알루론산, 홍경천추출물 및 유산균발효마늘추출물과 같은 당사의 개별인정형 소재를 활용한 다양한 제형의 상품을 기획ㆍ생산ㆍ공급함으로써 국내시장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진출을 통해 Global 기업으로 도약해 나갈 계획입니다.

-개별인정형 소재 개발
당사는 발효ㆍ효소전환 기술을 활용한 건강기능식품 소재 생산에 특화된 설비를 통해 다양한 일반식품소재 및 개별인정형 소재를 개발ㆍ생산하고 있습니다.

건강기능식품의 기능성 원료는 식약처장이 고시한 원료(또는 성분)인 "고시형 원료”와 식약처장이 별도로 인정한 원료(또는 성분)인 "개별인정형 원료”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고시형 원료는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등재되어 있는 기능성 원료로서 제조기준, 규격, 최종제품의 요건에 적합할 경우 별도의 인증절차 없이 생산ㆍ판매가 가능한 원료입니다. 개별인정형 원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장이 개별적으로 인정한 기능성 원료를 말하며, 제품의 생산 및 판매를 위해서는 원료의 안전성, 기능성 및 규격의 자료를 심의 받아야 하는 원료를 의미 합니다. 따라서 개별인정형 원료는 고시형 원료와는 달리 그 독점적인 사용 권리를 보장 받은 인정업자만 제조ㆍ판매가 가능합니다.

SK바이오랜드는 히알루론산(피부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으로부터 피부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 홍경천추출물(스트레스로 인한 피로개선에 도움을 줄 수 있음), 유산균발효마늘추출물(간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음)과 같은 개별인정형 소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관절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효우슬추출복합물, 체지방감소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발효율피추출물 등 다양한 소재를 활용한 연구개발을 진행 중이며 개별인정형소재 추가 확보를 위해 연구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3) 바이오 의료소재 사업 (Bio-Medical products)

-Wound care 바이오 의료소재 제품

Wound care 및 피부재생 분야는 2006년부터 의료용 비항원성 콜라겐의 상용화 생산시설 완공 후, 제품으로는 피부의 주 성분인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 등 바이오소재 기반의 창상피복재(AmniSite-BA, CollaDerm, CollaHealPlus), 피부이식술의 실패율을 줄이는 이식용 인공진피(INSUREGRAF) 등을 연구 개발하여 당사의 내부 영업인력 및 의료제품 전문기업과의 협력을 통하여 판매하고 있습니다.
또한 현재의 제품군들을 포함하여 Total wound care management 가 가능하도록, 생체 적합한 합성 고분자재료를 이용한 범용성을 갖는 흉터관리용 실리콘 드레싱, 비강 점막 및 피부 상처에 적용되는 의약품이 함유된 약물 탑재 콜라겐드레싱 등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의 개발을 통해 창상치료 바이오의료 제품 전문 메이커로서 자리매김하도록 사업영역을 확대 개발하고 있습니다.


-치과재료 및 골 재생분야

치과 영역의 치조골 및 연부조직 재생 치료제품으로, 임플란트 시술에 사용되는 콜라겐 멤브레인(T-Gen/OssGuide, CollaGuide), 콜라겐을 함유한 이종골 이식재(CollaOss plug, CollaOss putty)가 있습니다. 또한, 발치와 등을 포함한 치주 및 구강점막 내 창상의 지혈과 치주조직 재생 촉진을 위한 콜라겐 제품으로 Ateloplug, Atelocare등을 수출 및 국내 판매중입니다.

정형외과 분야에서는 손상된 연골 등을 보충하기 위해 사용하는 콜라겐 멤브레인을 연구개발하여 품목허가를 득하였고, 손상된 건, 인대, 근육과 같은 연조직재건을 위한 주사기 타입의 콜라겐보충재(CureGen)를 판매중입니다. 정형 및 신경외과용 합성골이식재(Polybone, Calpore), 척추 신경외과 시술 및 인공관절 시술에 사용되는 항균 골시멘트(Purament-A) 등을 연구개발하여 판매중입니다.

골 재생 바이오의료 기술로 치과용 골이식재 기술 뿐 아니라, 정형외과 분야의 합성골 및 항균골시멘트 기술을 확보하였으며, 이와 더불어 의료용 콜라겐 및 히알루론산, 생분해성 합성고분자, HydroxyApatite와 같은 무기소재 등이 접목된 치과 및 정형외과용 골/연골대체재 치료기술을 연구개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높은 성장률의 골/연골 대체 재료의 시장진입을 통한 매출증대가 예상됨에 따라 다기능성(3R: Repair, Regeneration, Restoration) 생체재료 기반의 바이오의료 기업으로 지속적인 R&D 성장과 조직재생 바이오의료산업의 최상의 솔루션을 제공하여 환자의 빠른 쾌유와 의료인의 편의성을 도모하여 지속가능한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 판매를 위해 중국, 유럽 등 국가별 인증 보유 및 미주 지역 판매를 위한 FDA 인증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중국진출을 위해 2016년 치과용 콜라겐 멤브레인(T-Gen)은 CFDA 인증을 획득하였으며, 유럽수출을 위한 CE 인증을 보유하고 있어, 글로벌 시장 공략을 위해 역량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 줄기세포 기술을 활용한 재생의료

SK바이오랜드는 줄기세포 기반의 바이오의료사업을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고도화할 중장기 계획을 가지고 비즈니스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할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피부, 뼈, 관절 조직 등의 재생을 위한 제품 군을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즉, Open Innovation 전략을 통하여 연구개발전문 기업 및 우수연구소들과 사업성이 높은 기술의 라이센싱 파이프라인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시장의 수요를 적시에 맞추어, 소비자들이 만족할 수 있는 우수한 제품을 론칭할 것입니다. SK바이오랜드는 줄기세포 재생의료기술을 접목하여 앞으로의 비전을 미래의 산업 트렌드에 부합하는 '재생의료 전문기업'으로 성장하고자 합니다.


(4)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이사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임규한 1973.1.19 기타비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이찬호 1981.3.17 기타비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2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임규한 우리회계법인 상무이사 (前)KPMG 삼정회계법인 Manager
(前)신우회계법인 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이찬호 파라투스인베스트먼트 상무이사 (前)LIG투자증권(주) 애널리스트
(前)인터베스트(주) 투자본부 팀장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 해당사항 없음.


□ 감사위원회 위원의 선임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임규한 1973.1.19 기타비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이사회
총 1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임규한 우리회계법인 상무이사 (前)KPMG 삼정회계법인 Manager
(前)신우회계법인 상무이사
해당사항 없음


※ 기타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


※ 참고사항

해당사항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