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19년     03월    08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파인이엠텍
대 표 이 사 : 홍 성 천
본 점 소 재 지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덕천로 38

(전   화) 031-463-8981

(홈페이지) http://www.fineemtech.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수석 (성  명) 이 강평

(전  화) 031-463-8981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6기 정기)


주주님의 깊은 관심과 성원에 감사드립니다.
당사는 상법 제363조와 당사 정관 제21조 규정에 의거하여 제 6기 정기주주총회를 다음과 같이 개최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일시 : 2019년 03월 27일 (수요일) 오전 10시

2. 장소 : 경기도 안양시 만안구 덕천로 38, 3층 파인테크닉스 대회의실

3. 회의 목적 사항
  가. 보고사항 : 감사보고 및 영업보고
  나. 부의안건
       제 1 호 의안 : 제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정관변경의 건.(전자증권제도 시행에 따른 개정)
       제 3 호 의안 : 김정일 감사 재선임의 건.
       제 4 호 의안:  이사보수한도(15억원) 승인의 건.
       제 5 호 의안:  감사보수한도(0.5억원)승인의 건.

4.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금번 우리회사의 주주총회에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 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주주총회에 참석하시어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대리인에게 위임하여 의결권을 간접 행사하실 수 있습니다.

5.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 사항기재,인감날인(법인),서명(개인), 대리인 신분증

6.경영참고사항
상법 제 542 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은 당사에 비치하였고, 금융감독원과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조회가 가능하오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A
(출석률: %)
B
(출석률: %)
C
(출석률: %)
D
(출석률: %)
찬 반 여 부
- - - - - - -

*당사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당사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지 않습니다.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 - - - - -

*당사는 사외이사를 선임하고 있지 않습니다.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주)파인테크닉스(주주) 고정자산매입외 2018 1.3 0.64%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태양광발전과 연계된 에너지저장장치(ESS)를 제조, 설치하는 ESS사업부와 휴대폰 보호케이스, 액정보호필름 등 모바일 생활용품을 제조하는 액세서리 사업부 및 병원용 살균소독제를 주 제품으로 의약품 사업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개요

 

(가) ESS 사업부

에너지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는 저장이 불가능한 교류전력을 직류로 전화하여 잉여 전력을 저장매체에 저장하며, 수요가 발생할 때 방전하여 전력계통 운영에서 발생하는 에너지손실을 최소화하여 비효율을 개선하는데 활용되는 장치입니다.

국내 전력수급의 문제점은 최종에너지로 소비되는 전력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력은 여타 에너지와 달리 발전을 통해 생산되는 에너지원이며, 저장이 불가능한 특징을 가집니다. 따라서 늘어나는 전력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전원을 구성하는 원자력, 유연탄, 천연가스 등 의 안정적 공급 외에도 발전설비의 확충이 요구됩니다.

그러나 발전설비의 무한정 확대는 환경문제와 입지 갈등 등에 제약을 받고 있으며, 더불어 자원의 효율적 사용 측면에서도 바람직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전력수요 단계에서, 버려지는 전기의 효율적 활용에 대해 집중하게 되었으며 에너지저장장치의 도입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재생에너지 연계용 ESS는 날씨와 입지 등에 따라 변동성이 큰 태양광발전소나 풍력발전에 연결하여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발전소를 추가로 건설한 효과가 있으며, 공장, 빌딩 등 대규모 사업장에 설치하면 피크 전력을 감소시킴으로서 전기의 효율적인 사용과 함께 전기요금 절감을 동시에 이끌어 낼 수 있어 최근 철강과 화학 등 에너지 다소비 업종에서 도입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ESS의 도입은 환경과 부족한 전력 확보를 위하여 지속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나) 액세서리 사업부

 

일반적으로 모바일 액세서리라 함은 스마트폰 이용자가 스마트폰을 꾸미거나 보호하기위하여 혹은 부가 기능을 사용할 목적으로 구매하여 스마트폰과 함께 휴대하여 사용하는 전용 액세서리를 말합니다. 우리가 흔히 사용하는 스마트폰을 보호하는 케이스나 액정 보호필름, 휴대용 외장 배터리, 충전 케이블, 거치대 등이 이에 해당됩니다.

 

최근 모바일 액세서리 동향은 단순히 보호의 기능을 넘어서서 앱과 연동이 되는 앱세서리(App-cessory)로 발전하고 있으며, 최근 다수의 업체들이 케이스와 앱이 연동된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액세서리가 이제 단순한 보호기능을 넘어서서 기능성의 제품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기능성 제품에 대한 니즈만큼이나 중요한 모바일 액세서리의 니즈는 바로 액세서리를 통해 자신의 개성을 살리고 싶어하는 소비자 니즈이며 시장을 성장시키는 원동력이 됩니다. 스마트폰 사용자들은 액세서리를 통하여 자신의 정체성의 표현을 하고, 타인과의 차별성을 두고 싶어 합니다. 과거 피처폰의 경우 휴대폰의 종류와 디자인의 컨셉이 다양했지만, 스마트폰 시장이 확대되면서 디자인에 대한 차별성이 피처폰 대비 현저히 낮아졌습니다. 즉, 이러한 상황과 개인의 생활에 있어 필수품이 된 휴대폰에 자신만의 개성을 나타내고 싶은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소비자들의 모바일 액세서리 구매 수요는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액세서리 시장은 소비자의 소비성향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전하고 있습니다.

 

(다) 의약품 사업부

 

의료기관 내 감염관리 예방을 위한 제품과 프로세스를 개발하고 공급하는 종합적인 감염관리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을 지향하고 있습니다. 감염관리서비스를 위한 제품은 의약품, 의약외품 그리고 의료기 항목에 속하는 제품이며, 프로세스는 의료기관의 감염사고 예방을 위한 절차와 관리에 대한 체계적인 시스템입니다.

 

감염관리 제품은 멸균, 높은 수준 소독, 중간 수준 소독, 낮은 수준 소독으로 구분하여 각 단계에 맞는 제품을 사용하도록 보건복지부 지침에서 정하고 있으며, 당사의 제품은 이 지침에 따른 각 의료기관이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순차적으로 연구개발 및 제조, 판매를 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의 개황

 

(가) ESS 사업부

당사는 세계 각국은 안정적 전력수급과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환경문제 및 사회적 비용 증가에 대응하는 하나의 방안으로 ESS의 도입이 활성화될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또한 파인그룹인 파인테크닉스의 LED 사업의 고객이 ESS 사업의 고객임을 착안하여 국내 최고의 ESS 솔루션 전문기업 도약을 목표로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ESS 사업부를 책임지고 있는 홍지태 본부장은 대기업에서 임원으로 있으면서 ESS와 유사한 기술인 전기구동장치 사업, 무인로봇차량사업, 전기차용 배터리 사업, ESS 사업을 기획하고 추진하였습니다. 현재 파인이엠텍으로 옮겨 대기업에서의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ESS 사업부를 만들고 신사업으로 확대하고 있습니다.

 

국내 ESS 시장은 해외보다 다소 늦은 2000년부터 시작되었지만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정책 및 제도 덕분에 2015년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해외의 어떤 시장보다도 성장성이 좋은 편입니다.

 

파인이엠텍은 독자적인 제품과 배터리, PCS, EMS 업체들과의 긴밀한 협력으로 고객들에게 최적의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동형 ESS, EHP 연계 ESS 및 태양광용 올인원시스템은 자체 브랜드로 출시할 예정이며 대규모 ESS 및 태양광사업은 자체 EPC 및 주관사로서 역할을 수행할 계획입니다.

공급하는 배터리와 PCS, EMS는 특정기업을 차별하지 않고 해당 프로젝트에 가장 적합한 제품을 선정하고 공급하고 있으며 배터리기업과 PCS 업체들과는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올해부터는 정부의 REC 5.0 정책에 힘입어 여러개의 프로젝트를 수주했고 현재 진행 중입니다. 배터리와 PCS 수배전방 전체를 하나로 판매하는 올인원시스템이 올해 상반기에만 30대가 판매되었으며 내년에는 1,000대 이상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국내 소형태양광 시장에서 압도적인 성과가 기대됩니다.

 

또한 한전과 세계최초로 공동개발한 주상변압기 교체용 이동형 ESS 차량은 2017년 개발을 완료하고 2018년 시험평가를 통하여 8월에 최종 평가를 완료할 예정입니다. 2019년부터 양산 예정이며 국내에만 4,000억원대 이상의 매출을 예상하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매출에 대한 기대가 매우 큽니다.

 

(나) 액세서리 사업부

 

당사는 스마트폰이 휴대폰 시장을 완전히 재편할 것으로 판단하여 사업다각화를 위해 기존 제조 및 금형 기술을 기반으로 스마트폰 액세서리사업 영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생산은 기존 내부 설비를 활용하면서 액세서리를 제조한 경험이 풍부한 사출 및 후가공 업체들을 섭외하였습니다. 이에 당사가 개발한 금형을 바탕으로 설계 제작, 금형을 제공하고 제품을 전량 하청생산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습니다.

 

다양한 CASE 모델을 개발하여 주요 고객사인 ㈜애니모드(현 ㈜알머스)와 협력사 등록으로 CASE 사업에 본격적으로 진출하게 되었고, 초기에는 단순 OEM 생산으로 제조 기술력 확보 및 CAPA를 확보하였습니다. 이후 꾸준한 CASE 개발 노력으로 Thin PC CASE (0.65t)를 개발에 성공하여 다양한 모델을 수주하였고 매출 규모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현재 스마트폰의 급속한 확산으로 전 세계적으로 모바일 액세서리에 대한 시장 수요가 급증하면서 시장 규모 역시 커지고 있습니다.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은 북미, 중남미, 서유럽, 일본을 제외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APEJ), 일본 및 기타 주요 지역에서 2015년부터 2025년 사이에 6.9%의 연평균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발맞추어 꾸준한 제품 개발을 통해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을 주도할 기업으로 성장할 계획입니다.

 

(다) 의약품 사업부

 

의약품사업부는 영업조직을 운영하고 있지 않으며, 지역 별, 거래처 별 판매 대리점을 두어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감염관리 제품을 사용하는 의료기관은 대학병원 등 상급의료기관과 의원급 등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신제품에 대한 반응은 상급의료기관이 느리고, 의원급이 빠른 반응을 보이는 소독제 제품의 시장특성과 다품종 소량구매의 특성을 반영하여 초기 영업조직 없이 대리점 영업조직 형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선별적으로 전문성을 갖춘 대리점 선정과 영업담당자에 대한 감염관리 지식과 제품 영업교육을 통하여 안정적인 판매가 지속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국내 지정 대리점은 3개사로 주요 행정권 권역으로 구분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주요 제품 및 기술

 

(가) ESS 사업부

1) 태양광용 ESS 소형(100KW급 올인원 ESS)

All-In-One ESS는 ESS를 위한 제품요소와 설치시공에 필요한 배터리, PCS, 수배전반을 1.2m 높이 이하의 외함에 담은 제품으로 100kW 태양광발전소에 특화된 제품입니다. 또한, 세계적인 외함과 냉각장치 전문기업인 리탈사와 협업해 옥외형 판넬, 일체형 냉각, DC 버스바를 적용했습니다.

2018년 세계태양에너지 엑스포에서 소개한 파인에엠텍의 올인원 ESS

파인이엠텍의 All-In-One ESS는 높이가 1.2m 이하로 태양광 패널 하부에 설치가 가능해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 없습니다. 높이가 낮아 별도 장비 없이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며, 그늘에 위치해 직사광선 노출 최소화로 냉난방 비용 절감이 가능합니다. 또한, 배터리 외함의 모듈화 설계로 용량 증감이 용이하고, 부하 및 사용율 분석을 통한 최적용량 분석이 반영돼 경제성을 확보했다는 장점을 갖고 있습니다.

 

파인이엠텍은 국내 대표적인 100kW 사이트를 대상으로 ESS 최적용량을 분석한 결과를 적용해 태양광 발전량, 배터리 이용율, 투자비 및 수익성을 고려하여 PCS 80kW, 배터리 205kWh를 최적 솔루션으로 제품화하였습니다.

   

2) 태양광용 ESS 중/대형

파인이엠텍은 소형 태양광용 ESS와 함께 중대형 ESS 사업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2018년 상반기에만 5개의 대형 ESS를 수주하여 설치 완료하였습니다.

지속적인 기술개발과 원가절감을 통하여 고객 수주가 확대될 것으로 확신하고 있습니다.

 

3)이동형 ESS

파인이엠텍은 이동형 에너지저장장치(ESS)를 활용한 변압기 무정전 교체장치를 2017 빛가람 국제전력기술 엑스포(BIXPO 2017)에서 최초로 공개하였습니다.

이 제품은 변압기 교체 시 위험한 특고압(22.9kV) 활선 공사의 대체 공법 개발과 복잡한 작업공정을 간소화한 장치입니다. 활선 공사로 인한 인명 사고를 방지하고, 평균 작업시간을 줄여 공사비용 절감이 가능하다. 작업시간은 40분, 공사비용은 200만원 가량 줄일 수 있다는 게 한전의 분석이다. 이동형 ESS 600대를 도입할 경우 연간 최대 약 2900억원의 비용 절감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활선 공사는 정전을 최소화하기 위해 전기가 흐르는 상황에서 작업을 하는 공법입니다. 정전 작업보다 비용이 더 소요되고 위험하지만 지난 25년간 유지해왔습니다.

이동형 ESS는 한마디로 ESS를 설치한 5t 트럭입니다. 차량에 배터리를 탑재한 만큼 최적의 효율을 낼 수 있도록 자주포나 전차에 적용하는 충격방지 기술을 도입했고, 온도제어센서로 온도와 습도를 알맞게 조절합니다. 현재 개발한 제품의 배터리 용량은 585kWh지만 현장에 맞게 용량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동형 ESS는 변압기 교체뿐 아니라 긴급 전력 복구시 비상전원공급이나 피크절감, 비상 전기차 충전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이동형 ESS 한 대로 아이오닉 일렉트릭 차량 20대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4) EHP ESS

시스템에어컨과 연계한 ESS 시스템으로 개발완료한 상태입니다. 올해 말부터 양산 예정입니다.

 

   

(나) 액세서리 사업부

 

핸드폰 액세서리로는 PC(Polycarbonate)로 만든 HARD CASE, TPU(Thermoplastic Poly Urethane)로 만든 JELLY CASE, 핸드폰 커버가 부착되어 있는 FLIP CASE, PC 사출물에 가죽이 부착되어 있는 FASHION CASE, 핸드폰 충전기, 케이블 등의 제품군이 있습니다.

 


(다) 의약품 사업부

   

1). 디터점스울트라액 (차아염소산나트륨 0.14%)

디터점스울트라액은 당사의 특허 받은 제조방법을 통하여 제조되는 의약품입니다. 사용 용도는 의료기구의 화학적 멸균 및 살균소독으로 높은 수준 소독제로 허가 받은 제품입니다. 사용 범위는 미생물 또는 유기물에 의하여 고도로 오염된 기구 또는 피하조직, 점막에 직접 적용한 기구의 화학적 멸균 소독을 위한 제품으로 대상 기구는 내시경류, 렌즈장착기구류, 마취장치류, 인공호흡장치류, 인공투석장치류, 메스 카테터 등의 외과수술용 기구, 산과 비뇨기과용 기구, 치과용기구 또는 그 보조기구, 주사관 체온계 또는 가열멸균할 수 없는 고무 플라스틱제 기구류 등이 있습니다.

디터점스울트라액의 특징은 높은 수준 소독제의 소독 시간이 최소 5분 이상인 반면에 1분으로 짧아 경쟁 제품에 비해 생산성이 5배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결핵균도 30초에 사멸하여 의료기관 내 감염성이 높은 환자의 방문에도 감염확산의 방지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입니다.

피부자극, 경구 독성이 없어 사용자가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장점이 있는 제품입니다.

 

2). 디터점스오피에이액 0.55% (오토프탈알데하이드)

디터점스오피에이액은 OPA성분의 미국 J&J사의 싸이덱스오피에이액의 제너릭 제품입니다. 사용 용도는 의료기구의 소독이며 대표적인 대상기구는 내시경류 의료기구입니다.

당사는 내시경 소독제 중 가장 선호되는 OPA, PAA 성분의 제품을 연구개발하고 있으며, OPA 성분의 디터텀스오피에이액을 2017년 12월 판매허가를 득하고 2018년부터 대한위대장내시경학회 공동구매 품목으로 선정되어 학회 회원 대상으로 홍보를 하고 있습니다.

OPA성분의 소독제는 국내에서 가장 선호되는 내시경 소독제로 그 사용량이 점차 늘어나고 있으며, 디터점스오피에이액은 안정된 품질과 합리적인 가격으로 의료기관에서 가격대비 성능이 우수한 제품으로 인정받아 그 사용량이 빠르게 증대하고 있습니다.

 

3). 디터점스 케어자임

디터점스 케어자임은 낮은 수준의 소독제의 의약외품입니다. 사용 용도는 의료기구의 세정 및 사전소독이며, 주로 의료기구 사용 후 기구에 묻은 혈액, 체액 등 유기물을 제거하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디터점스 케어자임은 4급 암모늄 성분의 벤잘코늄염화물에 4가지 복합효소를 첨가하여 효능을 강화한 효소 세정제입니다.

의료기관에서 의료기구 사전소독 세정 시 기본적으로 사용하는 제품으로 대한감염관리간호사회에서는 의약외품의 효소 세정제로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디터점스 케어자임은 적합한 의약외품 효소 세정제입니다.

 

4). 디터점스 살균소독티슈

디터점스 살균소독티슈는 낮은 수준의 소독에 사용하는 의약외품입니다. 사용 용도는 표면, 손 및 피부 등을 닦아낼 때 사용합니다. 의약외품의 소독티슈는 가격적인 부담으로 인하여 의료기관에서의 사용량이 제한적이었으며, 디터점스 살균소독티슈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하여 당사 제품을 선택하는 의료기관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디터점스 살균소독티슈의 특징은 엠보싱 디자인으로 더 효과적으로 넓은 표면을 닦을 수 있으며, 경쟁품 대비 20% 이상 크며 원터치 캡으로 포장되어 있어 사용과 관리가 편리한 제품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경쟁현황

 

(가) ESS 사업부

 

1) 소형 ESS

 

일본은 경산성 주관의 ESS 보조금 등에 힘입어 초기 시장이 형성되었고, 30여개 소형 ESS 업체가 참여하여 경쟁 중입니다. Nichicon, Panasonic, Tabuchi 등이 있습니다.

호주는 태양광 주택이 백만호 이상 보급되면서 ESS의 필요성이 증대된 지역입니다. AllGrid Energy, Zen Energy, Solar 360 등이 있습니다.

미국의 소형 ESS는 Tesla의 파워월(Powerwall) 등장 이후 여러 업체들에서

콤팩트하고도, 가격 경쟁력을 지닌 제품들의 출시가 증대되고 있습니다. Enphase, Simpliphi Power, Tesla, Adara Power, Orison Energy 등이 있습니다.

독일은 계통에 연결된 신재생발전원이 증가하면서 계통을 안정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동시에 전기값이 가장 비싼 국가 중 하나로 지붕형

태양광을 설치한 가정에서 ESS를 통한 경제성 확보가 가능합니다. Bosch, BMZ, SMA 등이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수출을 위한 소형 ESS 개발 및 생산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LG화학, 삼성SDI, 코캄이 있습니다.

 

2) 중대형 ESS

 

미국은 유틸리티 및 대규모 신재생발전원과 연계하여 ESS 업체들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SunEdison, SunPower, Tesla Motors, Advanced Microgrid Solutions, Stem, AES Energy Storage, Greensmith, Coda Energy, Green Charge Networks, Nextera Energy Resources 등이 있습니다.

국내 기업으로서는 효성, LS산전, 삼성SDI, LG화학, LGCNS, 데스틴파워 등이 있습니다

 

(나) 액세서리 사업부

 

모바일 액세서리 업종은 수많은 경쟁자들이 존재하는 시장이라는 것과 프리미엄 시장과 저가 시장으로 구분된다는 특징을 지니고 있습니다. 프리미엄 시장은 슈피겐코리아, 제누스, 밸킨 등 고객들에게 어느정도 인지도를 확보하고 있는 브랜드들이 참여하고 있는 시장으로서 기존에는 소수 업체가 과점해왔으나 최근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직접 액세서리 제조 및 판매에 뛰어들면서 과거보다 업체간 경쟁이 보다 심화되고 있습니다. 현재 당사가 경쟁하고 있는 국내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의 시장 참여자들은 대부분 저가 제품에 타겟팅하는 영세업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액세서리 산업이 플라스틱 사출기술을 기반으로 성장했던 초기에는 금형에 대한 투자가 수반되어야만 했기에 영세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기가 수월하지 않았으나, 2011년 하반기부터 가죽(다이어리)케이스의 수요가 생기기 시작하고 시장이 재편되면서 기존에 가죽지갑을 만들던 영세한 제조업체들 다수가 액세서리 사업에 뛰어들게 되었습니다. 가죽제조 기술을 보유하고 있던 일부 업체들은 중국에서 플라스틱 사출물을 들여와 가죽과 결합하여 판매하게 되었고, 이러한 제품 제조 방식으로 영세 제조업체들과 수입상들 또한 사업에 뛰어들게 되면서 더 극심한 무한경쟁체제에 돌입하게 되었습니다.

 

이미 선도업체들에 의하여 이루어진 견고한 브랜드 인지도 구축 및 제품 판매 유통경로 선점 등이 후발업체들의 시장 진출을 제한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후발업체들은 주로 기술력과 디자인능력 등을 바탕으로 시장에 진입을 시도하지만, 스마트폰 액세서리 시장에서 생존하기 위하여는 시장의 빠른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수요예측, 타이밍 포착, 마케팅 역량 기반의 영업전략 및 유통전략과 이에 대한 구체적인 구상을 바탕으로 가격책정 등이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면에서 역량이 부족한 후발업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당사가 영위하고 있는 스마트폰 액세서리 시장에 대하여 국내외의 공신력 있는 기관이 발표한 시장점유율과 관련된 자료는 현재 존재하지 아니합니다. 또한 상기 기술한 바와 같이 모바일 액세서리 시장은 수많은 시장참여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당사와 같이 자체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일부 업체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세업체들로 정확한 업체 수 및 업체명 등조차도 파악되지 않아 구체적인 시장점유율 등 직접적인 경쟁 관련 수치를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현재 국내에 있는 주요 핸드폰 액세서리 제조 경쟁업체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경쟁사 현황】

회사명

국가

특징

유아이엘

대한민국

키버튼, 금속부품 등 휴대폰 부품을 전문 개발, 생산하는 기업으로서 본사 및 해외법인에서 스마트폰 및 피처폰 관련부품을 생산중. 휴대폰 액세서리의 매출비중은 약 20%

이랜텍

대한민국

휴대용 기기의 Battery Pack, 휴대폰용 Case, 무선공유기, 3D TV용 안경, PCM, 기타 SET OEM 제품 등을 생산, 베트남 및 인도법인에서 휴대폰용 Case를 생산하고 있음. 전체 매출에서 휴대폰용 case의 비중은 약 39.0%

슈피겐코리아

대한민국

모바일 및 IT, 생활용품 관련 애프터마켓(After market)시장에서 B2C(기업과 소비자 간의 거래)를 중심으로 사업을 영위. 주요 제품은 모바일 보호 케이스, 액정보호필름이며, 이외 디지털 주변기기 등 다양한 제품을 생산 판매하고 있음. 휴대폰 케이스의 매출비중은 약 74%

 

(다) 의약품 사업부

 

당사의 의약품사업부는 높은 수준의 소독, 중간 수준의 소독, 낮은 수준의 소독에 해당되는 제품을 연구개발 생산 및 판매하고 있으며, 이 영역의 경쟁업체는 의약품, 의약외품 제조회사입니다.

높은 수준의 소독제의 대표적인 제품으로 내시경 소독제를 예로 들 수 있으며, 2017년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내시경 소독세척행위수가를 지급하는 안이 시행되면서 내시경 검사 후 소독행위에 대한 관리가 더 강화되고 있으며, 질적 향상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당사의 디터점스오피에이액, J&J의 싸이덱스오피에이액, 퍼슨의 오피덱스, 휴온스메디케어의 스코테린 등이 있습니다. 국내 높은 수준 소독제는 내시경 소독뿐만 아니라 의료기관 내에서 수술실, 중환자실, 심도자실 등 준위험기구의 소독에 사용하고 있습니다.

(4) 회사 조직도


이미지: 조직도

조직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Ⅲ.경영참고사항의 1.사업의 개요 참조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

                                               

연 결 재 무 상 태 표
제6기 2018년 12월 31일 현재
제5기 2017년 12월 31일 현재

주식회사 파인이엠텍((구,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6(당) 기말 제5(전) 기말
자       산



유동자산
11,352,846,896
15,557,761,349
 현금및현금성자산 1,302,641,445
4,495,002,487
 단기금융상품 716,000,000
1,482,000,764
 매출채권및기타채권 5,209,091,697
6,069,430,951
 재고자산 3,179,482,269
3,447,358,731
 당기법인세자산 12,221,324
23,276,220
 기타금융자산 19,709,739
3,600,000
 기타유동자산 913,700,422
37,092,196
비유동자산
13,886,030,264
4,187,058,900
  매도가능금융자산 91,500,000
4,000,000
  이연법인세자산 924,407,089
913,914,300
  유형자산 10,875,896,586
3,218,043,237
  무형자산 1,525,670,952
10,279,929
  기타금융자산 461,942,486
40,821,435
  기타비유동자산 6,613,150
-
자 산 총 계
25,238,877,159
19,744,820,249
부       채



유동부채
7,156,726,291
6,791,434,608
  매입채무및기타채무 2,570,718,886
5,387,069,464
  차입금 3,487,050,000
532,780,000
  당기법인세부채 -
72,078,454
  기타유동부채 1,098,957,405
799,506,690
비유동부채
7,316,986,541
146,271,020
  기타채무 -
20,285,245
  차입금 7,111,986,541
-
  순확정급여부채 -
86,974,650
  충당부채 180,000,000
39,011,125
  기타비유동부채 25,000,000
-
부 채 총 계
14,473,712,832
6,937,705,628
자본



자본금 1,812,111,000
1,705,268,000
기타불입자본 7,471,645,184
6,783,288,854
이익잉여금 1,608,797,784
4,447,077,435
기타자본구성요소 (129,302,830)
(136,306,825)
비지배지분 1,913,188
7,787,158
자 본 총 계
10,765,164,327
12,807,114,622
부 채 및 자 본 총 계
25,238,877,159
19,744,820,249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연 결 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6기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제5기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인이엠텍((구,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6(당) 기 제5(전) 기
계속사업



 매출
21,992,625,864
17,378,234,282
 매출원가
18,742,660,588
14,974,118,765
 매출총이익
3,249,965,276
2,404,115,516
 판매비와관리비
3,415,259,763
1,693,511,773
 영업이익(손실)
(165,294,487)
710,603,744
 기타손익
(41,218,861)
77,808,740
  금융이익 49,847,233
88,032,637
  금융원가 392,346,382
53,027,724
  기타영업외이익 389,205,996
218,898,688
  기타영업외비용 87,925,708
176,094,861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이익(손실)
(206,513,349)
788,412,484
법인세비용
20,242,883
(91,928,924)
계속사업이익
(226,756,231)
880,341,409
중단사업이익
(2,535,025,808)
(394,517,133)
당기순이익
(2,761,782,039)
485,824,276
기타포괄손익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82,442,329) (75,367,586) 94,915,057 52,547,048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105,695,293)
121,685,971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않는 항목의 법인세 23,252,964
(26,770,914)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될수 있는 항목 7,074,743
(42,368,009) -
 해외사업장환산외환차이 7,074,743
(42,368,009)
당기계속사업총포괄이익(손실)
(302,123,817)
932,888,457
당기중단사업총포괄이익(손실)
(2,535,025,808)
(394,517,133)
당기총포괄이익
(2,837,149,625)
538,371,324
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의 소유주



 비지배지분
(2,755,837,322)
492,174,098
당기총포괄이익(손실)의 귀속
(5,944,717)
(6,349,822)
 지배기업의 소유주



 비지배지분
(2,831,275,656)
539,027,695
 
(5,873,969)
(656,371)
 



주당이익(단위: 원)



    보통주계속사업계기본(희석)주당반기순이익
(63)
258
    보통주중단사업계기본(희석)주당반기순이익
(699)
(116)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연 결 자 본 변 동 표
제6기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제5기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인이엠텍((구,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자 본 금 기타불입자본 이익잉여금 기타자본
구성요소
지배기업의
소유주 귀속
비지배지분 총   계
주식발행
초과금
합병차익 주식결제형
종업원급여
자기주식
2017.01.01 1,705,268,000 6,631,767,328 - 151,393,094 (1,560) 3,859,988,278 (94,595,186) 12,253,819,954 14,793,350 12,268,613,304
당기총포괄이익(손실)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492,174,098 - 492,174,098 (6,349,822) 485,824,276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 94,915,059 - 94,915,059 - 94,915,059
해외사업환산손익 - - - - - - (41,711,639) (41,711,639) (656,371) (42,368,010)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인식 - - - 129,992 - - - 129,992 - 129,992
2017.12.31 1,705,268,000 6,631,767,328 - 151,523,086 (1,560) 4,447,077,435 (136,306,825) 12,799,327,464 7,787,157 12,807,114,621
2017.12.31 1,705,268,000 6,631,767,328 - 151,523,086 (1,560) 4,447,077,435 (136,306,825) 12,799,327,464 7,787,157 12,807,114,621
합병 106,843,000
683,795,200



790,638,200 - 790,638,200
당기총포괄이익(손실)








-
당기순이익(손실) - -
- - (2,755,837,322) - (2,755,837,322) (5,944,717) (2,761,782,039)
확정급여제도의 재측정요소 - -
- - (82,442,329) - (82,442,329) - (82,442,329)
해외사업환산손익 - -
- - - 7,003,995 7,003,995 70,748 7,074,743
주식기준보상거래의 인식 - -
4,561,130 - - - 4,561,130 - 4,561,130
2018.12.31 1,812,111,000 6,631,767,328 683,795,200 156,084,216 (1,560) 1,608,797,784 (129,302,830) 10,763,251,138 1,913,188 10,765,164,327
별첨 주석은 본 연결재무제표의 일부입니다.

연 결 현 금 흐 름 표
제6기 2018년 1월 1일부터 2018년 12월 31일까지
제5기 2017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주식회사 파인이엠텍((구, 주식회사 에프엠에스)와 그 종속기업 (단위 : 원)
과                        목 제6(당) 기 제5(전) 기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4,714,699,552)
(1,451,155,997)
 당기순이익 (2,761,782,039)
485,824,276
 법인세비용(수익) 20,242,883
(91,928,925)
 금융이익 (49,776,338)
(102,466,776)
 금융원가 314,816,682
67,461,863
 외환환산이익 (65,439,739)
(257,748)
 유형자산처분이익 (181,546,765)
(908,091)
재고자산평가손실 -
77,952,454
 재고자산폐기손실 297,095,216
-
 투자주식감액손실 -
-
 판매보증비 (39,011,125)
(1,415,833)
 기타수수료수익 (569,863)
-
 금융보증비 569,863
-
 대손상각비 577,508,952
(11,333,093)
 잡손실 5,000
41,212,420
 감가상각비 537,145,359
264,229,087
 무형자산상각비 47,499,008
133,181,938
 유형자산처분손실 38,093,167
1,054,289
 외화환산손실 2,305,423
52,463,093
 주식보상비용 4,561,130
129,992
 퇴직급여 753,720,927
244,863,612
 운전자본 변동 (3,941,346,505)
(2,599,271,242)
   매출채권의감소(증가) (9,630,305)
(1,052,119,297)
   기타채권의감소 615,366,456
(1,334,683,139)
   재고자산의감소 14,501,993
(1,395,592,808)
   기타자산의감소(증가) (826,504,956)
27,830,805
   매입채무의증가(감소) (310,453,928)
(1,985,462,807)
   기타채무의증가(감소) (2,427,086,161)
3,278,932,715
   퇴직금의 지급 (1,775,839,969)
(36,644,757)
   사외적립자산의 불입 778,300,365
(101,531,954)
영업활동으로 발생한 현금 (268,790,787)
(11,947,313)
   이자수익의수취 65,640,018
90,344,720
   이자비용의지급 (345,747,821)
(67,461,863)
   법인세의납부 11,317,016
(34,830,170)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1,806,518,587)
788,647,963
 단기금융상품의증가 (723,742,224)
(231,892,873)
 단기금융상품의감소 1,489,742,988
465,892,109
 장단기대여금의증가 -
-
 장단기대여금의감소 -
-
 유무형자산의취득 (1,780,837,510)
72,107,686
 유무형자산의처분 558,987,534
481,341,041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취득 (87,500,000)


 종속기업취득순현금유출 (1,311,184,980)
-
 기타금융자산의취득 (2,690,500,000)
(4,006,000,000)
 기타금융자산의처분 2,335,308,285
4,007,200,000
 기타금융부채의증가 -
-
 사업결합으로인한현금유입 403,207,320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3,321,782,354
-
 단기차입금의 차입 3,300,000,000
-
 단기차입금의 상환 (1,214,346,434)
-
 장기차입금의 증가 5,940,747,840
-
 장기차입금의 감소 (4,704,619,052)
-
현금및현금성자산의증가(감소)
(3,199,435,785)
(662,508,034)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4,495,002,487
5,157,510,521
외화표시현금및현금성자산의환율변동효과
7,074,743
-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302,641,445
4,495,002,487



이 익 잉 여 금 처 분 계 산 서
==========================
6(당)
2018년  1월   1일
부터 5(전)
2017년  1월   1일
부터
2018년 12월 31일
까지 2017년 12월 31일
까지
처분예정일 2019년   3월 27일
처분확정일 2018년   3월 29일

(단위: 천원)

과          목 제 6(당)기 제 5(전)기
Ⅰ. 미처분이익잉여금
1,267,236
4,254,096
 1. 전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4,254,096
4,294,254
 2. 당기순이익(손실) (2,904,416)
(135,074)
 3. 순확정급여부채의 재측정요소 (82,442)
94,916
Ⅱ.이익잉여금 처분액
- - -
Ⅲ.차기이월미처분이익잉여금
1,267,236
4,254,096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구   분 전   기 당   기
이사의 수(사외이사수) 3( - ) 3( - )
보수총액 내지 최고한도액 7억 15억


□ 감사의 보수 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구   분 전   기 당   기
감사의 수 1 1
보수총액 내지 최고한도액 0.5억 0.5억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 - -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8조(주식의 종류)
회사의 주권은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및 10,000주권의 8종류로 한다.

제8조(주권)
회사의 주권은 1주권, 5주권, 10주권, 50주권, 100주권, 500주권, 1,000주권 및 10,000주권의 8종류로 한다. 다만,「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개정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에는 동 조항은 삭제한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신설>

제 8조의2 (주식 등의 전자등록)

회사는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제2조제1호에 따른 주식 등을 발행하는 경우에는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여야 한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제13조(명의개서대리인)

③ 회사는 주주명부 또는 그 복본을 명의개서대리인의 사무취급장소에 비치하고 주식의 명의개서, 질권의 등록 또는 말소, 신탁재산의 표시 또는 말소, 주권의 발행, 신고의 접수, 기타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하게 한다.

④ 제3항의 사무취급에 관한 절차는 명의개서대리인의 유가증권의 명의개서대행등에 관한 규정에 따른다.



제13조(명의개서대리인)
③ 회사는 주주명부 또는 그 복본을 명의개서대리인의 사무취급장소에 비치하고 주식의 명의개서, 질권의 등록 또는 말소, 신탁재산의 표시 또는 말소, 주권의 발행, 신고의 접수, 기타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하게 한다. 다만,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개정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 주식의 전자등록, 주주명부의 관리, 기타 주식에 관한 사무는 명의개서대리인으로 하여금 취급케 한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제15조(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


제15조(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
④ 제1항에서 제3항은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개정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에는 삭제한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신설>

제15조의2 (주주명부)

회사의 주주명부는 「상법」 제352조의2에 따라 전자문서로 작성할 수 있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신설>

제18조의2(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의 전자등록)

이 회사는 사채권 및 신주인수권증권을 발행하는 대신 전자등록기관의 전자등록계좌부에 사채 및 신주인수권증권에 표시되어야 할 권리를 전자등록한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제19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 규정)

① 제14조(명의개서대리인), 제15조(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의 규정은 사채발행의 경우에 준용한다.


제19조(사채발행에 관한 준용 규정)

① 제14조(명의개서대리인), 제15조(주주 등의 주소, 성명 및 인감 또는 서명 등 신고)의 규정은 사채발행의 경우에 준용한다. 다만, 「주식·사채 등의 전자등록에 관한 법률 시행령」개정에 따라 전자등록계좌부에 주식 등을 전자등록하는 경우에는 제 15조 준용규정은 삭제한다.

전자증권제도 도입 반영

제38조(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대표이사 또는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 이사가 회일 7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③ 제2항의 규정에 의하여 소집권자로 지정되지 않은 다른 이사는 소집권자인 이사에게 이사회 소집을 요구할 수 있다. 소집권자인 이사가 정당한 이유 없이 이사회 소집을 거절하는 경우에는 다른 이사가 이사회를 소집할 수 있다.

④ 이사회의 의장은 제2항 및 제3항의 규정에 의한 이사회의 소집권자로 한다.

⑤ 이사는 3개월에 1회 이상 업무의 집행상황을 이사회에 보고하여야 한다.

제38조 (이사회의 구성과 소집)

① 이사회는 이사로 구성한다.

② 이사회는 각 이사가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이사가 있을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③ 이사회를 소집하는 이사는 이사회 회일 3일전에 각 이사 및 감사에게 통지하여 소집한다. 그러나 이사 및 감사 전원의 동의가 있을 때에는 소집절차를 생략할 수 있다.

④ 이사회 의장은 이사회에서 정한다. 다만, 제2항의 단서에 따라 이사회의 소집권자를 이사회에서 따로 정한 경우에는 그 이사를 의장으로 한다.

상법 390조를 반영하여 소집권자를 특정하기 보다는 법에 따라 유연하게 운영할 수 있도록 수정



이사회 소집을 각 이사가 할 수 있도록 변경됨에 따라 이사회 의장선임방법을 신설

제54조(외부감사인의 선임)

① 회사가 외부감사인을 선임함에 있어서는 「주식회사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규정에 의한 감사인선임위원회 또는 감사의 승인을 얻어야 하고, 그 사실을 외부감사인을 선임한 사업연도 중에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제54조(외부감사인의 선임)

회사는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감사인선임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감사가 선정한 외부감사인을 선임하며 그 사실을 선임한 사업년도 중에 소집되는 정기총회에 보고하거나 주식회사 등의 외부감사에 관한 법률 시행령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주주에게 통지 또는 공고하여야 한다.

개정 외부감사법 제10조에 따라 외부감사인의 선정권 변경 내용을 반영

관련법령의 개정에 따라 정관을 수시로 개정할 필요가 없도록 조문 정리



□ 감사의 선임


<권유시 감사후보자가 예정되어 있는 경우>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김정일 1963.11.03 특수관계인 이사회
총 (   1  ) 명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현재) 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김정일 (주)토바옵텍 대표이사 2005 ~ 현재 (주)토바옵텍 대표이사 없음


※ 기타 참고사항



※ 참고사항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를 주주총회 집중일을 피해 진행하고자 이사진의 참석가능 여부 및 외부감사인의 감사보고서 수령 일정 등을 모두 고려하여 가능한 주주총회 일정을 모두 검토하였으나 검토된 내부 일정이 모두 코넥스협회가 발표한 당해년도 주주총회 집중(예상)일과 겹치게 되어, 불가피하게 주주총회 집중일에 개최하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