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주총회소집공고
2018년 3월 8일 | ||
회 사 명 : | (주)아티스 | |
대 표 이 사 : | 최무형 | |
본 점 소 재 지 : | 경기도 평택시 통미로 23, 1층(합정동) | |
(전 화)031-420-4900 | ||
(홈페이지)http://www.arthis.co.kr | ||
작 성 책 임 자 : | (직 책)고문 | (성 명)최종형 |
(전 화)031-420-4900 | ||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10기 정기) |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 정관 및 상법에 의하여 정기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소액주주에 대한 소집통지는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하여 이 공고로 갈음하오니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 래 -
1. 일 시 : 2018년 3월 26일(월) 오전 8시 30분
2. 장 소 :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시민대로401 대륭테크노타운15차 4층 소회의실
3. 회의목적사항
《보고 사항》 제10기 영업보고 및 감사보고
《부의 안건》
제1호 의안 : 제10기(2017년1월1일~2017년12월31일)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3호 의안 : 감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4. 경영참고사항 비치
상법 제542조의 4에 의거 경영참고사항을 우리 회사의 본점,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 및 한국예탁결제원 증권대행팀에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 직접행사 : 주총참석장, 신분증
- 대리행사 : 주총참석장,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날인), 대리인의 신분증
6. 기타사항
당사는 금번 정기주주총회 시 참석 주주님들을 위한 기념품을 지급하지 아니하오니 이점 양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8년 3월 8일
주식회사 아 티 스 대표이사 최 무 형[직인생략]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사외이사 등의 성명 | ||
---|---|---|---|---|---|
박상철 (출석률:47%) |
남성우 (출석률:53%) |
김영균 (출석률:33%) |
|||
찬 반 여 부 | |||||
1 | 2017.01.13 | 재고소진 방안 논의 및 전자투표 도입 관련 협의 | 찬성 | 찬성 | - |
2 | 2017.01.20 | 회사의 사업구조 개편과 자금 조달 문제에 대한 협의 | 협의 | 협의 | - |
3 | 2017.01.31 | 자본 확충 방안 협의 및 외감 제출 재무제표 1차 검토 | 협의 | - | - |
4 | 2017.02.06 | 사업부별 영업 보고 검토 및 자본 확충 방안 협의 등 | 협의 | 협의 | - |
5 | 2017.02.13 | 내부결산 확정을 위한 사전 검토 및 논의 등 | 협의 | 협의 | - |
6 | 2017.02.20 | 내부결산 확정 및 자본 확충 방안 협의 등 | 찬성 | 찬성 | - |
7 | 2017.02.28 | 외부감사 경과 논의 및 자본 확충 방안 협의 등 | - | 찬성 | |
8 | 2017.03.07 | 제9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 찬성 | 찬성 | |
9 | 2017.05.24 | 자본확충방안 논의-유상증자(제3자배정) 결정의 건 | - | - | - |
10 | 2017.05.25 | 자본확충방안 논의-소액공모 유상증자(제3자배정) 결정의 건 | - | - | - |
11 | 2017.05.29 | 제3자배정 유상증자 관련의 건 - 청약일 및 납입일 변경 | - | - | - |
12 | 2017.06.26 | 제3자배정 유상증자 관련의 건 - 청약일 및 납입일 확정 | - | - | - |
13 | 2017.07.28 |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의 건 | - | - | - |
14 | 2017.09.01 | 임시주주총회 소집 결의 안건 확정의 건 | - | - | - |
15 | 2017.09.18 | 대표이사 선임의 건 | - | - | 찬성 |
16 | 2018.02.19 | 제10기 내부결산 확정의 건 | - | 찬성 | - |
17 | 2018.03.08 | 제10기 정기주주총회 소집결의의 건 | - | 찬성 | - |
※2017.09.18 사외이사 박상철 사임(일신상의 사유로 임기만료 전 퇴임)
2017.09.18 사외이사 김영균 선임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위원회명 | 구성원 | 활 동 내 역 | ||
---|---|---|---|---|
개최일자 | 의안내용 | 가결여부 | ||
- | - | -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단위 : 원) |
구 분 | 인원수 | 주총승인금액 | 지급총액 | 1인당 평균 지급액 |
비 고 |
---|---|---|---|---|---|
사외이사 | 2 | 200,000,000 | - | - | 무보수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종류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단위 : 억원) |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
거래종류 | 거래기간 | 거래금액 | 비율(%) |
---|---|---|---|---|
- | - | - | - | - |
III. 경영참고사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사업의 개요
<신발 사업>
1) 신발산업의 특성
신발 산업은 브랜드이미지, 디자인 및 가격경쟁력에 따라 매출과 부가가치가 좌우되는 소비자 지향 중심의 특성을 가진 산업입니다. 또한 패션소비재 상품이기 때문에 경기변동과 유행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고가브랜드의 소비트랜드 변화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하고 계절, 행사, 시즌별로도 매출 변동의 폭이 큰 산업입니다.
1-1) 국내·외 신발시장 특성
국내 시장은 시장의 양극화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저가시장과 고가시장으로 양분되고 있습니다. 저가시장에서는 중국이나 동남아 국가에서 생산되는 신발과의 가격 경쟁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며, 고가시장에서는 브랜드 인지도에서 낮은 경쟁력 때문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에 당사는 틈새시장 공략 및 브랜드 마케팅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최근에는 세계 개도국과 후진국의 많은 나라들이 경제적 향상을 꾀함에 따라, 개발도상국 시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과거 미국시장의 성공이 곧 세계시장의 재패를 의미하였다면 최근에는 동남아시아, 남미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이들 신흥시장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국내에서는 특수 기능성 신발시장의 성장세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특히 런닝화, 등산화, 스키화 등 전문화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어, 스포츠, 레져 관련 특정 분야에 적합한 전문제품의 수요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신체안전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특수소재를 채용한 특수기능화와 건강 및 웰빙에 대한 관심이 높아감에 따라 건강증진과 질병예방용 등의 특수 기능성 제품수요도 확대 추세에 있습니다. 또한, 패션과 디자인의 중요성이 증대되며 과거의 구매요인이었던 착화감(가볍고, 편안함)에서 벗어나 Life Style을 선도할 수 있는 기능성 신발 및 디자인 능력이 핵심 경쟁요인으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1-2) 기술적 특성
최근의 신발 산업은 IT, BT, NT, 인체공학 등 기타분야와의 융합현상이 발생, 신발생산에도 단순한 가공공정을 넘어 첨단과학 기술이 여러 방면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신발에 여러 가지 첨단 과학기술을 도입함으로써 인체건강을 고려한 설계, 생산이 진행되어 고부가가치 제품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1-3) 생산 특성
불과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생산 거점이 한국, 대만, 중국 중심에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로 이동하고 있었지만 최근 들어서는 중국 등지에서 반제품을 수입하고, 국내에서 조립하여 완성품을 생산하는 형태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신발생산 기지는 제품 특성상 생산비용의 절감이 필수적이라 한국, 대만, 중국 등 지역의 생산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낮은 저개발 국가로 이전하는 추세가 확산되었지만 품질관리 문제로 인하여 완성품 생산은 국내에서 행해지는 경우가 증가되고 있습니다. 또한, 과거에는 원가 절감을 위해 소품종 다량생산을 꾀하였지만, 최근에는 고객취향에 맞추기 위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생산구조가 변화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친환경 개념이 도입되어 신발산업의 생산에 환경관련 기술이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신발 제조 시 발생하는 폐유, 카본 등 오염물질 감소 및 제거를 위한 친환경 제조공정 개발 등 친환경 소재의 제조공정 개발 및 생산라인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2) 국내 신발 산업 현황
국내 신발 산업은 국내 업체들의 경쟁력 약화로 중국 등지로부터의 수입은 확대되는 반면 수출은 감소하고 있고 국내 신발 업체 수 및 종업원 수와 생산액 및 부가가치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더 나아가 국내 신발 판매 및 소비 패턴의 변화와 함께 내수 감소세는 더욱 두드러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2017 업태별 추이 변동을 보면 평균 가동율은 시즌별로 차이는 있으나 큰 성장세는 보이고 있지 않으며 생산실적 및 내수판매, 수출실적 모두 SBHI 100 이하에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신발산업의 전반적인 하락을 가늠할 수 있습니다.
(단위 : % )
업종 | 업태 | 항목 | 2017.01 | 2017.02 | 2017.03 | 2017.04 | 2017.05 | 2017.06 | 2017.07 | 2017.08 | 2017.09 | 2017.10 | 2017.11 | 2017.12 |
제조업 | 가죽가방 및 신발 | 평균 가동율 | 66.3 | 67.1 | 69 | 69.4 | 70.4 | 67.0 | 63.7 | 67.2 | 69.5 | 69.4 | 67.8 | 67.5 |
제조업 | 가죽가방 및 신발 | 생산실적(SBHI) | 69.8 | 73.1 | 84.6 | 83.4 | 74.9 | 80.8 | 73.8 | 69.5 | 93.1 | 80.0 | 80.8 | 86.9 |
제조업 | 가죽가방 및 신발 | 내수판매(SBHI) | 67.3 | 63.4 | 76.1 | 76.3 | 67.6 | 78.6 | 71.1 | 65.3 | 88.6 | 78.9 | 70.8 | 84.0 |
제조업 | 가죽가방 및 신발 | 수출실적(SBHI) | 87.7 | 92.1 | 84.6 | 81.6 | 90.5 | 94.1 | 72.6 | 88.3 | 93.8 | 89.1 | 85.8 | 85.6 |
(출처 : KOSIS)
※ SBHI : 중소기업 건강도지수란 중소제조업의 경기전반을 예측하는 지수로 지수가 100을 나타내면 미래의 경기가 현재와 비슷할 것이라고 100이상은 경기상승, 100이하는 경기하강을 전망하는 업체가 많은 것을 의미한다.
3) 국내 신발 소비 현황
하기 통계자료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2년부터 2015년까지 가계소비지출은 소폭 증가해왔으나 2016년에는 감소했으며 2016년 신발항목 가계수지추이 역시 22,057로 전년도와 (22,541) 비교해서 감소한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가계 전반적인 소비가 많이 위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 KOSIS)
![]() |
가계수지현황 |
4) 국내 신발 산업 동향 및 전망
① 해외 OEM 생산으로 인한 국내 생산 기반 약화
국내 신발 제조업체들은 OEM 방식에 의한 생산 형태로 성장하였으나 근래에는 브랜드를 가진 업체들과 유통업체들이 중국 및 동남아 등지로 생산기지를 변경함에 따라 국내 생산 기반은 약화되고 있습니다.
② 유통채널의 변화
하기 대한상공회의소 자료에 따르면 인터넷 및 홈쇼핑 유통채널이 강세를 보이고 있으나 전반적인 소비 침체로 인해 정체기로 보여집니다. 인터넷은 2016년 1분기 104에서 2분기 110으로 호조세가 이어져서 하반기에도 최저가 마케팅, 해외 역직구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으로 고성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으나 하반기에는 소비침체로 인해 소폭 감소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2017년 1분기, 2분기를 살펴보아도 2016년 동 시즌 대비 전 유통채널에서 감소 전망을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점포 판매보다는 인터넷 및 홈쇼핑 등 온라인 판매에 대한 수요가 더 크게 나타나는 소비패턴이 두드러지는 현 상황에서 기존 업체들도 신규점포 출점 계획을 미루거나 기존 점포를 축소하는 추세여서 성장동력을 찾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이러한 부진은 기존 도·소매 점포 판매에 주력해 온 당사 영업 환경 및 수익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출처 : 대한상공회의소)
업태 | '15년 | '16년 | '17년 |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1/4 | 2/4 | 3/4 | 4/4 | |
종합 | 99 | 100 | 96 | 96 | 96 | 98 | 96 | 92 | 89 | 90 | 91 | 95 |
인터넷쇼핑몰 | 108 | 106 | 108 | 108 | 104 | 111 | 110 | 105 | 108 | 105 | 100 | 105 |
백화점 | 101 | 104 | 90 | 91 | 95 | 98 | 94 | 94 | 89 | 90 | 91 | 91 |
대형마트 | 96 | 98 | 96 | 93 | 96 | 96 | 92 | 81 | 79 | 82 | 85 | 85 |
홈쇼핑 | 118 | 96 | 87 | 119 | 104 | 89 | 97 | 121 | 104 | 104 | 102 | 156 |
편의점 | 88 | 95 | 96 | 87 | 84 | 85 | 88 | 83 | 80 | 82 | 87 | 83 |
슈퍼마켓 | 88 | 94 | 99 | 90 | 91 | 94 | 92 | 89 | 85 | 88 | 93 | 92 |
③ 가격 및 브랜드를 우선하는 양극화 된 소비 패턴
가격 경쟁력을 갖춘 저가 상품과 대형 브랜드의 고가상품에 대한 양극화 된 소비 트랜드는 국내에서 생산된 완제품을 매입해서 판매하는 당사의 수익 창출에 부정적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을 매입해 판매하기 때문에 가격 경쟁력 확보에 어려움이 있고, 토탈패션을 표방하는 대형 스포츠 브랜드 업체들에 비해 브랜드 인지도가 약해 향후 수익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④ 신발에 대한 인식의 다변화
시대의 흐름에 따라 신발에 대한 인식도 점차 다변화 되고 있습니다. 단순한 생필품이 아닌 건강 및 질병 예방을 위한 기능성 목적물 또는 패션 아이템으로의 소비 인식은 신발 사업 전반에 걸친 변화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이에 따라 특판 사업팀을 구성하여 안전화 및 군납 사업을 추진중에 있습니다.
<바이오에너지 사업>
1) 바이오에너지 산업 배경
1997년 기후변화협약 총회에서 채택된 교토 의정서가 2005년 공식 발효 되었고, EU에서 시작된 탄소시장이 북미와 아시아로 확대 되고 있습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2008년부터 2012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수준에서 평균 5.2% 감축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며, 2005년 EU 25개국의 11,963개 기업을 대상으로 탄소배출 할당량을 지정하고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 되었습니다. 2013년에는 10개의 세계 탄소 시장이 운영됐고, 중국이 심천을 중심으로, 미국과 일본 또한 지자체 중심으로 운영 중에 있습니다. 브라질, 칠레 등과 함께 한국은 2015년 탄소시장(탄소배출거래소)을 설립했습니다.
2) 바이오에너지 산업 전망
REC 가격이 거래 첫해인 2012년 68원/KW에서 2013년 138원/KW으로 마감되어 3배나 상승했으며 2014년도 전 년 대비 50% 이상 상승 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제6차 국가 전력 수급계획의 핵심인 석탄화력발전소 1,000MW 이상 12기 건설과 GCF를 유치한 한국은 OECD 회원국 중 온실가스 배출 증가량 1위, 감축 이행율 하위권입니다. 그러나 정부 유량을 늘리기 위한 수단이 그리 많지 않은 상황에서 지구온난화 방지를 위한 국제적 공조를 포기하지 않기 위해 REC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 할 것으로 예측 됩니다. 이에 따라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조기에 확대하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으며 여기에 발 맞춰 바이오 에너지사업이 활성화 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더불어 목재펠릿 시장이 향후 긍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 REC Renewable Energy Certificate
신재생에너지 의무량은 발전사가 직접 신재생에너지 발전소를 건설하거나, 연료를 대체 할 수 있으며, 다른 발전 사업자에게서 발전량에 대한 공급인증서를 구입 할 수 있습니다. 이때 통용하는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가 REC 이고, REC는 매매 단위이기도 한데 1REC는 1000KW입니다.
![]() |
바이오에너지 사업 전망 |
3) 목재펠릿의 정의
목재펠릿(WOOD PELLET) : “목재펠릿”이란 유해물질에 의해 오염되지 않은 목재를 압축 성형하여 생산하는 작은 원통 모양의 표준화된 목질계 고체바이오연료를 말합니다. (국립산림과학원고시, 제2013-5호)
4) 목재펠릿 사업 현황 및 전망
목재펠릿은 벌목과 조림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무한재생, 재생청정,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목재펠릿을 발전용 연료로 연소 시 발전회사는 REC (신재생에너지생산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어 국내 14개 발전사의 RPS(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할당량)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 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팀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산업에서 연료비 절감 대안으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4-1) 목재펠릿 수요처
2012년 2%를 시작으로 매년 0.5%를 추가하여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해 발전하도록 강제된 RPS 대상 회사는 한국전력 5개 발전 자회사 및 지역난방공사, 수자원공사, 포스코파워, K-파워, GS EPS, GS 파워 메이야율촌, 현대대산 등 14개 발전회사들입니다. 또한 원가절감을 위해 난방/스팀이 필요한 전국의 공장에서 목재펠릿의 수요가 급격히 증가 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 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발전 설비 용량이 500MW 이상인 13개 기업은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 반드시 신재생에너지를 사용하여 발전해야 하고 그 비율은 연차적으로 증가하도록 되어 있는데 2012년에는 총 발전량의 2.0%이고 해마다 0.5%씩 증가해서, 2020년에는 전기 생산량의 10%를 신재생에너지로 채우도록 의무화 한 것이 RPS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 제도 이다.
4-2) 고형연료제품 제조·수입 및 사용현황
2016년 고형연료제품 제조·및 수입실적은 전년대비 큰 폭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하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2016년 말 기준 국내 고형연료제품 제조·수입 실적은 약 3,312,685톤으로 전년대비 약 60% 증가했습니다. 발전소 등의 RPS 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화가 강화·안정화됨에 따른 폐목재에 대한 수요 증가가 주요 요인으로 판단됩니다.
(* 데이타 출처 : 한국환경공단 폐자원에너지처 2017.2 보고서)
(단위 : 톤) |
|||||||
구 분 |
제조량 |
SRF |
Bio-SRF |
||||
소계 |
성형 |
비성형 |
소계 |
성형 |
비성형 |
||
2015년 |
1,626,716 |
927,155 |
357,625 |
569,530 |
699,561 |
570 |
698,991 |
2016년 |
1,922,890 |
1,057,843 |
386,484 |
671,359 |
865,047 |
- |
865,047 |
구 분 |
수입품목(톤) |
|||
소계 |
폐목재 |
팜껍질 |
캐슈넛껍질 |
|
2015년 |
449,296 |
177,017 |
255,300 |
16,979 |
2016년 |
1,389,795 |
1,016,776 |
338,169 |
34,850 |
* 국내 수입항 반입 기준 |
고형연료제품의 사용실적은 약 3,358,560톤으로 전년대비 약 65.4%증가했습니다. 공공 민간 분야에서 고르게 사용량이 증가했으며 특히 Bio-SRF 사용량이 증가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처럼 사용량이 상승한 것은 탄소시장이 점차 확대됨에따라 대체에너지인 바이오에너지원에 대한 수요가 그만큼 늘어난 것이라는 긍정적인 전망을 해볼 수 있습니다.
(단위 : 톤) |
|||||
구 분 |
사용량 |
SRF |
Bio-SRF |
||
소계 |
공공 |
민간 |
민간 |
||
2015년 |
2,030,609 |
861,648 |
165,061 |
696,587 |
1,168,961 |
2016년 |
3,358,560 |
1,005,677 |
206,315 |
799,362 |
2,352,883 |
(단위 : 톤) |
|||||||
구 분 |
계 |
SRF |
Bio-SRF |
||||
소계 |
성형 |
비성형 |
소계 |
성형 |
비성형 |
||
2015년 |
2,030,609 |
861,647 |
331,451 |
530,196 |
1,168,962 |
264,543 |
904,419 |
2016년 |
3,358,560 |
1,005,677 |
376,035 |
629,642 |
2,352,883 |
1,071,245 |
1,281,638 |
당사는 매출 증대와 수익 창출을 위한 신규 사업의 일환으로 2013년 말부터 해외에서 목재펠릿을 수입하여 한국전력 등지로 판매하는 바이오에너지 사업(이하 목재(펠릿)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축적된 목재 사업 부문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목재사업부문을 확대해 나가고자 구상중에 있으며 해외 목재 공장들과의 합작사업을 통해 목재 수입 프로세스를 안정화 시키고 국내시장 선점 기업으로서의 경쟁력을 앞세워 매출 증대와 수익 확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영업개황
당사는 2008년 03월 12일에 설립되어 2008년 코스피시장 상장을 승인받고 2008년 04월 02일자로 한국거래소 유가증권시장에 상장되어 코스피 시장에서 매매가 개시되었습니다. 당사는 신발 제조 및 판매 등을 목적으로 하는 회사로 ARTIS, CHAMPION, SPECS, WANGJA, NEOSPEC 등의 브랜드를 갖고 신발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다양한 상품의 개발과 고정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기획, 마케팅은 당사가 전담하지만, 디자인 일부와 생산은 외주 협력업체를 통하여 전개하고 있습니다.
신발 사업부문의 영업은 군, 관납, 실 수요를 담당하는 본사 특판 영업팀과 4개의 영업소가 있으며, 영업점과 특약점을 관리하는 영업팀이 있는데 이러한 영업망을 통해 2천여 개의 재래시장 유통점을 관리하는 등 다각적으로 유통망을 확보하여 영업활동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폭 넓은 수요자 개발을 통한 매출 증대를 위해서 특판영업부문의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수년간 계속된 국내경기 침체로 인하여 신발 판매가 부진함에 따라 그동안 신발 재고가 누적되어 왔고 과도한 신발 재고는 당사의 수익성을 해치는 주요 요인이 되었습니다. 따라서 그동안 장기재고 소진에 심혈을 기울여왔고 그 결과 2016년 말 기준으로 장기 재고 대부분이 처리되었습니다. 2017년부터는 적정 재고 관리를 하고 있는 한편 업무 재편과 경비절감을 통해 신발 부문의 수익성도 점차 개선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에서 유명 브랜드로 인정받고 있는 CHAMPION 브랜드를 앞세워 해외 시장 개척도 구상 중에 있습니다.
당사는 매출 증대와 수익 창출을 위한 신규 사업의 일환으로 2013년 말부터 해외에서 목재펠릿을 수입하여 한국전력 등지로 판매하는 목재(펠릿)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그리고 현재까지 축적된 목재 사업 부문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목재사업부문을 확대해 나가고자 구상중에 있으며 유상증자 등으로 확충한 운영자금으로 해외 목재 공장들과의 합작사업을 통해 목재 수입 프로세스를 안정화 시키고 국내시장 선점 기업으로서의 경쟁력을 앞세워 매출 증대와 수익 확충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의 주력 사업인 신발사업의 안정화를 위해 전자상거래의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위와 같이 당사는 당분간은 기존 사업 부문을 안정화 시키는데 주력하고 기존 사업들이 안정화 되면 현재 구상중인 신규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나)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공시대상 사업부문 | 주요제품 | 비고 |
신발 사업 | 캐릭터아동화, 쥬니어화, 성인화, 안전화, 군화, 방한화 | - |
바이오에너지 사업 | Wood Pellet, 톱밥 | - |
(2) 시장점유율
당사는 월드컵 브랜드와 함께 국내 브랜드 시장점유율 상위권을 유지하고 있으나 해외 브랜드의 강세 및 경쟁력있는 캐릭터 선점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 말미암아 국내 시장 점유율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당사는 안전화 및 군화 등의 생산 및 유통을 통해 특수화 시장에서의 시장 점유율을 높여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목재펠릿은 벌목과 조림을 순차적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무한재생, 재생청정, 탄소중립 에너지원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목재펠릿을 발전용 연료로 연소 시 발전회사는 REC (신재생에너지생산 인증서)를 획득할 수 있어 국내 14개 발전사의 RPS(신재생에너지공급 의무할당량) 목표 달성에 크게 기여 하고 있습니다. 또한 스팀을 필요로 하는 모든 산업에서 연료비 절감 대안으로 수요가 급격히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 |
우드펠릿 |
전 세계적으로 바이오에너지의 의무공급량이 아래와 같이 예상되는 바 목재펠릿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되며 현재는 당사의 국내 시장 점유율은 미비한 상태이나 향후 발전소 입찰 및 산업용 납품량의 확대를 통해 점유율을 높여갈 것으로 전망됩니다.
(3) 시장의 특성
신발시장은 판매시장 뿐만 아니라 생산지역에서도 다극화 현상이 나타나며 한국, 대만, 중국 중심에서 베트남 등 동남아시아로 생산거점이 이동하고 있습니다. 신발생산 기지는 제품 특성상 생산비용의 절감이 필수적으로 한국, 대만, 중국 등 지역의 생산비용이 상승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낮은 저개발 국가로 이전하는 추세가 확산되는 중입니다. 또한, 과거 소품종 다량생산 구조에서 고객취향 다변화에 맞추어 다품종 소량생산으로 생산구조가 변화하며 고객 수요대응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신발산업의 특성상 산업간 연계성에 따른 파급효과가 강조되며 이에 다른 산업 고객의 니즈 변화가 제품생산의 중요 요소로 등장하였습니다. 레저, 스포츠, 의료, 극한산업 등 기타 신발산업 수요의 동향에 따라 신발생산 구조가 변화하고 있으며, 수평적 산산(産産) 공동연구 또는 타 산업 종사자 니즈 지향형 제품을 생산하는 추세입니다. 최근에는 다른 산업과 마찬가지로 친환경 개념이 도입되며 신발산업의 생산에 환경관련 기술이 중요한 요인으로 등장하여, 신발 제조 시 발생하는 폐유, 카본 등 오염물질 감소 및 제거를 위한 친환경 제조공정 개발 등 친환경 소재의 제조공정 개발 및 생산라인 구축이 가속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중가 시장의 경우 글로벌 고가브랜드 및 국내 저가브랜드 등에게 시장점유율이 점차 잠식되고 있는 상황이며 저가의 경우 국내 저가 시장내 행텐, 월드컵등과의 완전경쟁 형태이고, 경쟁요인에는 브랜드 이미지, 상품력, 마케팅, 유통망, 가격 등이 있습니다.
시장진입은 규모의 경제, 제품 차별화, 유통망 등의 경쟁체제에 있어 신규업체 진입이 고가 시장보다 유리하다고 판단됩니다. 아동화 매출 비중이 점차 감소함에 따라 시장 점유율이 점차 하락하는 추세이며 특히주력품목이 캐릭터화의 경우 강력한 캐릭터의 부재 및 고가 브랜드로의 수요층 이동으로 인하여 과거 대비 매출이 줄어들고 있는 상황입니다.
(4)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현재 진행 중인 신규사업은 없습니다.
(5) 조직도
대표이사 | ||||
관리팀 | 특판사업팀 | 상품팀 | 영업기획팀 | 영업팀 |
-회계,자금 -총무,인사 -IR,법무 -물류센타 |
-방위산업청 -기업특판 |
-상품디자인 -구매 -생산 |
-영업기획 -전산 -할인점 |
-서울영업소 -중부영업소 -부산영업소 -호남영업소 -영업점(4) -특약점(9) |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재무제표의 승인
가. 해당 사업연도의 영업상황의 개요
상기 Ⅲ. 경영참고사항 중 1. 사업의 개요 참고
나. 해당 사업연도의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ㆍ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ㆍ자본변동표ㆍ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ㆍ현금흐름표
※ 아래의 재무제표는 외부감사인의 감사가 종료되기 이전의 재무제표이므로 외부감사인의 감사 결과 및 정기주주총회 승인과정에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외부감사인의 감사의견을 포함한 최종 재무제표 및 주석사항은 향후 전자공시시스템(http://dart.fss.or.kr)에 공시 예정인 당사의 감사보고서 공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대 차 대 조 표(재 무 상 태 표)>
제 10 기 2017년 12월 31일 현재 |
제 09 기 2016년 12월 31일 현재 |
회사명 : 주식회사 아티스 (단위 : 원 ) |
과 목 | 제 10(당) 기 | 제 9(전) 기 | ||
자 산 | ||||
Ⅰ. 유동자산 | 13,317,824,220 | 12,237,668,916 | ||
현금및현금성자산 | 251,268,025 | 435,285,986 | ||
단기금융상품 | 4,309,147,888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 | 2,224,325,718 | 3,899,562,690 | ||
재고자산 | 1,066,436,209 | 2,879,655,245 | ||
기타유동자산 | 5,466,646,380 | 5,023,164,995 | ||
Ⅱ. 비유동자산 | 71,713,004 | 137,894,015 | ||
장기금융예치금 | 2,000,000 | 2,500,000 | ||
유형자산 | 61,065,004 | 124,846,003 | ||
무형자산 | - | 1,900,012 | ||
기타비유동자산 | 8,648,000 | 8,648,000 | ||
자 산 총 계 | 13,389,537,224 | 12,375,562,931 | ||
부 채 | ||||
Ⅰ. 유동부채 | 1,317,297,328 | 5,869,282,845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 | 1,197,853,113 | 3,570,735,569 | ||
단기차입금 | 40,000,000 | 1,388,920,798 | ||
전환사채 | - | 864,395,586 | ||
기타유동부채 | 79,444,215 | 45,230,892 | ||
Ⅱ. 비유동부채 | 747,839,144 | 754,834,403 | ||
장기차입금 | 317,876,680 | 317,876,680 | ||
퇴직급여부채 | 113,466,584 | 111,537,894 | ||
기타비유동부채 | 316,495,880 | 325,419,829 | ||
부 채 총 계 | 2,065,136,472 | 6,624,117,248 | ||
자 본 | ||||
Ⅰ. 자본금 | 11,821,032,500 | 10,014,067,500 | ||
Ⅱ. 자본잉여금 | 30,398,897,727 | 25,230,637,138 | ||
Ⅲ. 이익잉여금(결손금) | (49,954,243,276) | (48,742,004,506) | ||
Ⅳ. 기타자본항목 | 19,058,713,801 | 19,248,745,551 | ||
자 본 총 계 | 11,324,400,752 | 5,751,445,683 | ||
부 채 및 자 본 총 계 | 13,389,537,224 | 12,375,562,931 |
-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손 익 계 산 서(포 괄 손 익 계 산 서)>
제10기 2017년 01월 0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
제09기 2016년 01월 0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
회사명 : 주식회사 아티스 (단위 : 원) |
과 목 | 제 10(당) 기 | 제 9(전) 기 | ||
Ⅰ. 매출액 | 7,076,785,724 | 11,545,262,877 | ||
Ⅱ. 매출원가 | 6,581,911,126 | 9,916,030,535 | ||
Ⅲ. 매출총이익 | 494,874,598 | 1,629,232,342 | ||
판매비와관리비 | 2,026,362,397 | 3,761,067,121 | ||
Ⅳ. 영업이익(손실) | (1,531,487,799) | (2,131,834,779) | ||
기타수익 | 447,428,168 | 128,038,026 | ||
기타비용 | 42,384,553 | 80,530,055 | ||
금융수익 | 47,794,908 | 18,798,203 | ||
금융비용 | 132,303,912 | 190,346,403 | ||
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 (1,210,953,188) | (2,255,875,008) | ||
Ⅵ. 법인세비용 | - | - | ||
Ⅶ. 당기순이익(손실) | (1,210,953,188) | (2,255,875,008) | ||
Ⅷ. 기타포괄손익 | ||||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 | - | - | ||
확정급여채무재측정요소 | (1,285,582) | 17,589,045 | ||
Ⅸ. 당기총포괄이익(손실) | (1,212,238,770) | (2,238,285,963) | ||
Ⅹ. 주당손익 | ||||
기본주당이익(손실) | (55) | (112) | ||
희석주당이익(손실) | (55) | (112) |
-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또는 결손금처리계산서(안)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 결손금처리계산서>
제 10 기 2017년 01월 0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
제 09 기 2016년 01월 0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
회사명 : 주식회사 아티스 (단위 : 원) |
과 목 | 제10기 | 제9기 | ||
미처리결손금 | (49,954,243,276) | (48,742,004,506) | ||
전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8,742,004,506) | (46,503,718,543) | ||
확정급여채무재측정요소 | (1,285,582) | 17,589,045 | ||
당기순이익(손실) | (1,210,953,188) | (2,255,875,008) | ||
결손금처리액 | - | - | ||
차기이월미처리결손금 | (49,954,243,276) | (48,742,004,506) |
- 자본변동표
<자본변동표>
제 10 기 2017년 01월 0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
제 09 기 2016년 01월 0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
회사명 : 주식회사 아티스 (단위 : 원) |
과 목 | 자 본 금 | 자 본 잉여금 |
이익잉여금 | 기타자본항목 | 총 계 |
2016.01.01(전기초) | 10,014,067,500 | 25,230,637,138 | (46,503,718,543) | 19,058,713,801 | 7,799,699,896 |
총포괄손익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2,255,875,008) | - | (2,255,875,008) |
확정급여채무재측정요소 | - | - | 17,589,045 | - | 17,589,045 |
전환사채발행 | - | - | - | 190,031,750 | 190,031,750 |
2016.12.31(전기말) | 10,014,067,500 | 25,230,637,138 | (48,742,004,506) | 19,248,745,551 | 5,751,445,683 |
2017.01.01(당기초) | 10,014,067,500 | 25,230,637,138 | (48,742,004,506) | 19,248,745,551 | 5,751,445,683 |
총포괄손익 : | |||||
당기순이익(손실) | - | - | (1,210,953,188) | - | (1,210,953,188) |
확정급여채무재측정요소 | - | - | (1,285,582) | - | (1,285,582) |
전환사채전환 | 266,381,500 | 808,854,412 | - | (190,031,750) | 885,204,162 |
유상증자(5.30) | 259,873,000 | 740,118,304 | - | - | 999,991,304 |
유상증자(6.27) | 1,280,710,500 | 3,619,287,873 | - | - | 4,899,998,373 |
2017.12.31(당기말) | 11,821,032,500 | 30,398,897,727 | (49,954,243,276) | 19,058,713,801 | 11,324,400,752 |
- 현금흐름표
<현금흐름표>
제 10 기 2017년 01월 0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
제 09 기 2016년 01월 01일부터 2016년 12월 31일까지 |
회사명 : 주식회사 아티스 (단위 : 원) |
과 목 | 제 10(당) 기 | 제 9(전) 기 | ||
Ⅰ. 영업활동으로인한 현금흐름 | (426,438,952) | 344,746,815 | ||
1.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 | (413,321,280) | 417,312,982 | ||
(1) 당기순이익 | (1,210,953,188) | (2,255,875,008) | ||
(2) 현금유출없는비용 등 가산 | 441,063,440 | 1,016,562,807 | ||
대손상각비 | 309,861,619 | 882,125,940 | ||
감가상각비 | 46,842,996 | 49,314,491 | ||
무형자산상각비 | 1,900,012 | 2,260,000 | ||
유형자산처분이익 | - | (147,092) | ||
유형자산폐기손실 | 16,938,003 | - | ||
이자비용 | 20,808,576 | 54,427,336 | ||
퇴직급여 | 44,712,234 | 54,600,817 | ||
판매보증비 | - | (26,018,685) | ||
(3) 영업활동으로 인한 자산부채의 변동 | 356,568,468 | 1,656,625,183 | ||
매출채권및기타채권의 감소(증가) | 1,341,720,028 | 600,625,589 | ||
재고자산의 감소(증가) | 1,813,219,036 | 1,023,385,812 | ||
기타유동금융자산과 기타유동비금융자산의 감소(증가) | (443,481,385) | (158,223,217) | ||
기타비유동금융자산의 감소(증가) | - | 24,087,567 | ||
매입채무및기타채무의 증가(감소) | (2,336,109,459) | 219,471,576 | ||
기타유동금융부채와 기타유동비금융부채의 증가(감소) | 34,213,323 | 59,514,308 | ||
기타비유동금융부채의 증가(감소) | (8,923,949) | (37,381,118) | ||
퇴직금지급 | (44,069,126) | (74,855,334) | ||
2. 이자의 수취 | 23,655,325 | 437,125 | ||
3. 이자의 지급 | (36,772,997) | (73,003,292) | ||
4. 법인세 환급(부담)액 | - | - | ||
Ⅱ.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308,647,888) | 8,981,819 | ||
1. 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 | 500,000 | 8,981,819 | ||
단기금융상품의 처분 | 500,000 | - | ||
차량운반구의 처분 | - | 8,981,819 | ||
2. 투자활동으로인한 현금유출 | (4,309,147,888) | - | ||
단기금융상품의 취득 | 4,309,147,888 | - | ||
Ⅲ. 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 4,551,068,879 | (104,224,083) | ||
1. 재무활동으로인한 현금유입 | 6,494,989,677 | 2,388,920,798 | ||
유상증자 | 5,899,989,677 | - | ||
단기차입금증가 | 595,000,000 | 1,388,920,798 | ||
전환사채의 발행 | - | 1,000,000,000 | ||
2. 재무활동으로인한 현금유출 | (1,943,920,798) | (2,493,144,881) | ||
단기차입금의 상환 | 1,943,920,798 | - | ||
장기차입금의 상환 | - | (2,493,144,881) | ||
Ⅳ. 현금및현금성자산의 순증가 | (184,017,961) | 249,504,531 | ||
Ⅴ. 기초 현금및현금성자산 | 435,285,986 | 185,781,435 | ||
Ⅵ. 기말 현금및현금성자산 | 251,268,025 | 435,285,986 |
- 최근 2사업연도의 배당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 이사의 보수한도 승인
가. 이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구 분 | 전 기 | 당 기 |
---|---|---|
이사의 수(사외이사수) | 8 ( 2 ) | 8 ( 2 ) |
보수총액 내지 최고한도액 | 200,000,000 | 20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
□ 감사의 보수 한도 승인
가. 감사의 수ㆍ보수총액 내지 최고 한도액
구 분 | 전 기 | 당 기 |
---|---|---|
감사의 수 | 2 | 2 |
보수총액 내지 최고한도액 | 30,000,000 | 30,000,000 |
※ 기타 참고사항
-
※ 참고사항
-본 내용은 2018년 3월 26일 개최할 정기주주총회에서 결정될 예정이며, 주주총회의 결의 과정 중 변결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