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 정 신 고 (보고)


2016년 01월 28일



1. 정정대상 공시서류 : 주주총회소집공고


2. 정정대상 공시서류의 최초제출일 : 2015.12.14


3. 정정사유 : 회의 목적사항 확정과 일정 및 장소 변경

4. 정정사항

항  목 정 정 전 정 정 후

1. 일    시:

2016년 01월 22일(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016년 02월 12일(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서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616, 삼성1동 주민센터 7층 대강당 서울시 강남구 도곡로77길 23, 대치4 문화센터 5층 대강당
3. 회의 목적 사항 □ 정관의 변경
□ 이사의 선임
□ 정관의 변경
□ 이사의 선임



주주총회소집공고


 2015년     12월     14일


회   사   명 : 주식회사 핫텍
대 표 이 사 : 박재희
본 점 소 재 지 :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443, 12층(삼성동, 애플트리타워)

(전   화) 02)733-5180

(홈페이지) http://www.hot-tech.co.kr


작 성  책 임 자 : (직  책) 이사 (성  명) 허성희

(전  화) 02)733-5185



주주총회 소집공고

(제35기 임시)


주주님께

제35기 임시주주총회 소집통지서


주주님의 건승과 댁내의 평안을 기원합니다.

우리 회사는 상법 제363조와 정관 제21조에 의거 제35기 임시주주총회를 아래와 같이 소집공고하오니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한편, 상법 제542조의4 및 동법 시행령 제31조에 따라 주주총회 소집에 있어 의결권 있는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1 이하의 주식을 가진 주주님에 대해서는 해당 전자적 방법의 공고로 갈음합니다.

-  아        래  -


1. 일    시: 2016년 02월 12일(금요일) 오전 09시 00분


2. 장    소: 서울시 강남구 도곡로77길 23, 대치4 문화센터 5층 대강당


3. 회의 목적 사항

① 보고사항: 감사보고

② 부의안건

제1호의안: 정관의 일부 변경에 관한 건[하단 참조]
 제2호의안: 이사의 선임에 관한 건[하단 참조]

4. 실질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우리 회사의 이번 임시주주총회에서는 한국예탁결제원이 주주님들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주주님께서는 한국예탁결제원에 의결권행사에 관한 의사표시를 하실 필요가 없으며, 종전과 같이 주주총회에 참석하여 의결권을 직접 행사하시거나 또는 위임장에 의거 의결권을 간접 행사할 수 있습니다.

주주총회 참석시 준비물
직접행사 신분증
간접행사 위임장(주주와 대리인의 인적사항 기재, 인감도장 날인), 인감증명서, 대리인의 신분증


5. 서면에 의한 의결권의 행사

① 우리 회사는 상법 제368조의3 및 정관 제26조에 따라 주주님께서 총회에 출석하지 아니하고 서면에 의하여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습니다.

② 서면으로 의결권을 행사하려는 주주께서는 회사가 첨부한 서면에 찬반의 의사를 표기하여 주주총회의 1일전까지 회사에 도달할 수 있도록 송부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③ 의사표시 서면제출처 : (우편번호 06158) 서울시 강남구 테헤란로 443, 12층(삼성동, 애플트리타워) ㈜핫텍 주주총회 담당자 앞


4.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제③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우리 회사의 본점 및 지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인 국민은행 증권대행부에 갖추어 두었으며,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공시하여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6년  01월  28일

주식회사 핫텍 대표이사 박재희  (직인생략)


서면의결권행사통지서

이미지: 20160212 서면에의한의결권행사안내문

20160212 서면에의한의결권행사안내문


I.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과 보수에 관한 사항


1.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가. 이사회 출석률 및 이사회 의안에 대한 찬반여부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사외이사 등의 성명
박상준
(출석률: 4%)
유지훈
(출석률: 0%)
조연구
(출석률: 35%)
찬 반 여 부
1 2015-01-15 유상증자 배정자 변경의 건 - - 참석
2 2015-01-16 금전대여의 건 - - 참석
3 2015-01-19 유상증자 일정 변경의 건 - - 불참
4 2015-01-20 자문보수 지급의 건 - - 불참
5 2015-01-20 지분 인수를 위한 실사보증금 지급의 건 - - 불참
6 2015-01-22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 - 불참
7 2015-01-23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 - 불참
8 2015-01-28 파주 부동산 취득의 건 - - 불참
9 2015-01-30 정기주주총회 소집의 건 - - 불참
10 2015-02-05 금전대여의 건 - - 참석
11 2015-02-11 BW행사에 따른 신주발행의 건 - - 불참
12 2015-02-16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 - 불참
13 2015-02-26 유상증자 일정 변경의 건 - - 불참
14 2015-02-27 타법인출자증권 행사의 건 - - 불참
15 2015-02-27 제34기 개별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 불참
16 2015-02-27 제34기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의 건 - - 불참
17 2015-03-06 금전대여의 건 - - 불참
18 2015-03-10 금전대여의 건 - - 불참
19 2015-03-12 유상증자 일정 변경의 건 - - 불참
20 2015-03-13 정기주주총회 안건 확정의 건 - - 불참
21 2015-03-13 타법인주식 처분의 건 - - 불참
22 2015-03-16 정기주주총회 일정 및 안건 변경의 건 - - 불참
23 2015-03-23 제34기 개별 및 연결재무제표 승인의 건 - - 불참
24 2015-03-25 금전대여의 건 - - 불참
25 2015-03-31 본점소재지 변경의 건 불참 불참 불참
26 2015-03-31 대표이사 선임의 건 불참 불참 불참
27 2015-03-31 금전대여의 건 불참 불참 불참
28 2015-04-03 전환사채권 발행의 건 불참 불참 불참
29 2015-04-06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0 2015-04-08 금전대여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1 2015-04-08 유상증자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2 2015-04-17 금전대여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3 2015-04-22 금전대여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4 2015-04-23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5 2015-04-23 채권인수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6 2015-04-23 전환사채권 발행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7 2015-04-24 유상증자 배정자 및 일정 변경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8 2015-04-30 자문수수료 지급의 건 불참 불참 불참
39 2015-05-12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참석 불참 불참
40 2015-05-26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1 2015-06-02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2 2015-06-18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3 2015-06-18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4 2015-07-09 전환사채권 발행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5 2015-07-13 전환사채권 발행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6 2015-07-13 종속법인 채무보증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7 2015-07-16 전환사채의 권리양도 불참 불참 참석
48 2015-07-17 자문수수료 지급의 건 불참 불참 불참
49 2015-07-20 유상증자의 건 불참 불참 불참
50 2015-07-31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불참 불참 불참
51 2015-08-04 타법인출자증권 인수의 건 불참 불참 불참
52 2015-08-21 제35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불참 불참 불참
53 2015-09-01 금전대여의 건 - 불참 불참
54 2015-09-21 제35기 임시주주총회 부의안건 변경의 건 - 불참 불참
55 2015-10-06 공동대표이사 규정폐지 및 대표이사 선임의 건 - 불참 참석
56 2015-10-15 단기차입의 건 - 불참 참석
57 2015-10-15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 불참 참석
58 2015-10-23 단기차입의 건 - 불참 참석
59 2015-10-23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 불참 참석
60 2015-10-26 유상증자의 건 - 불참 참석
61 2015-10-26 자문수수료 지급의 건 - 불참 참석
62 2015-10-29 금전대여의 건 - 불참 참석
63 2015-10-29 단기차입의 건 - 불참 참석
64 2015-10-29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 불참 참석
65 2015-11-03 시설외 투자 계약의 건 - 불참 참석
66 2015-11-05 금전대여의 건 - 불참 참석
67 2015-11-13 제35기 임시주주총회 소집의 건 - 불참 참석
68 2015-11-24 유상증자(제3자배정) 납입일 및 배정대상자 변경의 건 - 불참 참석
69 2015-11-25 타법인주식 취득의 건 - 불참 참석
70 2015-11-30 금전대여의 건 - 불참 참석
71 2015-12-01 금전대여의 건 - 불참 참석
72 2015-12-14 제35기 임시주주총회의 목적사항 확정의 건 - 불참 참석
73 2015-12-14 타법인 주식 처분의 건 - 불참 참석
74 2015-12-21 타법인 주식 처분방법 및 처분주식수 변경의 건 - 불참 참석
75 2015-12-21 단기차입금 상환의 건 - 불참 참석
76 2015-12-21 금전대여의 건 - 불참 참석
77 2015-12-22 유상증자(제3자배정) 납입일 변경의 건 - 불참 참석
78 2015-12-28 제35기 임시주주총회의 목적사항과 일정 및 장소 변경의 건 - 불참 참석
79 2015-12-31 타법인 주식 취득의 건 - 불참 참석

* 사외이사 박상준 2015년 8월 31일 사임.

나. 이사회내 위원회에서의 사외이사 등의 활동내역


당사는 현재 별도의 위원회를 설치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위원회명 구성원 활 동 내 역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여부
- - - - -


2. 사외이사 등의 보수현황


주총승인금액은 전기(제34기) 정기주주총회에서 승인 받은 전체 이사의 보수 한도이며, 해당 사외이사 등을 대상으로 지급한 보수현황입니다.

(단위 : 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비 고
사외이사 2 1,600,000,000 0 0 -


II.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역에 관한 사항


1. 단일 거래규모가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억원)
거래종류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2. 해당 사업연도중에 특정인과 해당 거래를 포함한 거래총액이 일정규모이상인 거래

- 해당사항 없음

(단위 : 억원)
거래상대방
(회사와의 관계)
거래종류 거래기간 거래금액 비율(%)
- - - - -


III. 경영참고사항


상법 제542조의4 제③항에 의한 경영참고사항은 회사의 본점 및 지점과 명의개서대행회사인 ㈜국민은행에 갖추어 두었으며, 금융위원회, 한국거래소에 전자 공시하여 비치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한편, 세부사항은 금융감독원 및 한국거래소가 운용하는 전자공시시스템을 통하여 기공시된 2015년 11월 13일자 분기보고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지배회사 핫텍: 상품권 유통사업]

산업의 특성

상품권은 발행사의 현금유동성을 개선하고, 매출촉진 및 홍보 등의 부가수익을 발생시 키는 수단으로써 국내시장에 정착하였습니다. 초기 백화점·제화상품권 위주에서정유 문화상품권 등 특화된 다양한 형태의 상품권이 발권되면서 성장을 거듭한 상품권은 '받고 싶은 선물 1위'라는 건전한 선물 문화 및 재테크 수단으로 활용되어 민간소비경 제에 주도적 역할을 하는 '제3의 화폐'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과정

상품권은 1961년 상품권법 제정으로 국내에 처음 도입 되었습니다. 1975년 12월 사 재기 등 과소비 억제, 건전한 소비풍토 조성, 인플레이션 우려를 이유로 상품권 발행이 전면 금지되었다가 1990년 도서상품권 발행, 1993년 엑스포 선불카드 발행 등 부분적인 상품권 발행이 허용되었으며, 1994년 상품권법 개정 법률 시행으로 상품권 발행이 다시 전면 허용 되었고, IMF 이후인 1999년 2월에 행정규제완화와 기업 자율활동 활성화 목적으로 상품권법이 폐지 되면서 상품권 발행은 완전 자율화 되었습니다.

상품권 시장은 1999년 1조 5천억원에서 2000년 3조원, 2003년 5조 5천억원으로 성장 하였으며, 현재 약 10조원의 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자료 : 한국경제 신문 2003.03월) 백화점 제화 상품권 이외에도 정유·문화·외식 상품권 등 다양한 형태의 상품권이 발권되고, 소비자의 상품권 재테크 소비문화 증대로 시장규모는 점진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상품권 발행의 자율화로 많은 기업에서 상품권이 마케팅 수단으로 자유롭게 활용되고 있으나 그에 따른 통계는 관리되지 않고 있어 2003년 이후 상품권 산업 매출규모는 공식적인 통계자료가 없으며, 1만원권 이하 상품권 발행은 인지세를 부담하지 않아 기존 상품권의 유통량 추정 및 신규 상품권의 발행량을 통해 전체 상품권 산업규모 추정만 가능합니다.

③ 경기변동의 특성

상품권의 사용 목적은 크게 선물(기업 고객관리 포함) 및 재테크 소비적 측면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호경기에는 기업의 상품권 마케팅 활용 확대 및 소비자의 선물구매 증대를 기대할 수 있고, 불경기에는 기업의 매출촉진을 위한 상품권 할인 발권 확대 및 소비자의 재테크 소비 증대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④ 경쟁요소

상품권 발행시장은 진입 장벽이 거의 없는 완전 경쟁시장이며, 상품권 이용의 편의성 및  발행 기업의 신뢰도에 따라 소비자 선호도가 결정되기 때문에 기업 인지도 및 할인율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합니다.

상품권 할인 유통시장은 지역별 상권에 따라 세분화 되어 있으며, 운영자금도 소규모로 영세하게 분화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유통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자금력과 유통노하우, 인지도가 필요하며 이를 높이기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 되어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최근에는 소규모 유통업자의 진입으로 인하여 시장의 경쟁이 심 화되어 있는 편입니다.

⑤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상품권법은 1999년 2월 폐지되어 여신전문금융업법에 흡수 되었습니다. 상품권 발행은 1만원권 초과시 인지세가 부과되며, 법령에 제한이 없어 일정 기준만 갖추면 어떤 업체든 제한 없이 상품권 발행이 가능합니다.

⑥ 시장점유율

국내 오프라인(Off-Line) 상품권 할인 유통시장의 대표적인 업체는 ㈜티켓나라입니다. ㈜티켓나라는 동종업계 최대 유통량을 고수하고 있고, 상품권 할인 유통시장에서브랜드 인지도가 높아 규모의 경쟁에서도 우위를 점하고 있습니다. 타업체는 영세하게 운영되고 있어 주요 경쟁회사는 없습니다. ㈜티켓나라는 당사의 100% 자회사입니다.

⑦ 시장의 특성

상품권 할인 유통시장의 주요목표시장은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이며, 주고객은 개인, 기 업체 및 도매업자입니다. 백화점 상품권의 거래 비중이 높은 편으로 성수기는 연말연 시, 구정, 추석, 백화점 및 제화업체의 세일기간 등이고, 비수기는 7월~8월로 장마철 및 휴가시즌에 매출이 다소 둔화됩니다.

⑧ 수요자의 특성

수요자의 상품권 활용은 선물 및 재테크에 목적을 두고 있으며 소비자 구매시 할인율의 정도에 따라 구매수요 변동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부가적으로 깨끗하고 신뢰적 인지도와 이미지의 업체에 대한 선호도가 높습니다.



[지배회사 핫텍: 화품 유통사업]

① 개요
당사는 미국의 트랜스더멀코퍼레이션(Transdermal Corporation : TDC)이 개발한 고분자물질 피부전달기술(DDS : Drug Delivery  System)을 기반으로 생산된 의약품 및 화장품을 상품기획하여 시장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본 DDS기술의 특징은 고분자물질을 10~20Nano 크기의 나노입자 형성이 가능해 피부침투 효율을 극대화하여 피부의 진피층까지 침투시키며, 상온에서 안정적으로 장기간 고분자물질 나노셀을 유지시켜주는 세계 최초의 상업화된 기술입니다.


② 산업의 성장과정

바이오산업은 신약개발을 위한 연구에서부터 원료 및 완제의약품 생산과 판매 등 모든 과정을 포괄하는 첨단 부가가치 산업으로 기술 집약도가 높고, 신제품 개발 여부에 따라 엄청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미래 성장산업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신물질을 개발하고 임상실험을 통한, 즉 많은 시간과 자금을 소비하여 신약을 개발하였지만 최근에는 손쉽게 제형을 변화시킴으로서 신약 개발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제형변형시장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동일한 물질로 다양한 투여 방법을 통해 다양한 제품 구성 및 물질의 특성에 맞는 유효성분 전달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동일한 원물질로 특허기간을 연장할 수도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TDC의 개발 완료 제품 중 보튤리늄 톡신 타입 A는 고분자 물질이기 때문에 효능을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주사로 시술을 받아야 하는데 이를 바르는 형태로 만들 경우, 주사에 대한 거부감이 있는 사람도 통증 없이 손쉽게 시술을 받을 수 있어 잠재적으로 시장이 확대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형변형시장은 의료 및 미용시장에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합니다.

③ 경기변동의 특성

화장품 시장은 소비재 산업으로서 고객의 주목을 받기 위한 차별적인 신상품 개발과 마케팅, 유통경로 확보 등이 중요합니다. 또한, 상품의 가치증대를 위해 디자인, 포장, 광고 등 이미지 제고를 위한 투자가 필요하며, 다품종 소량 판매로 인한 물류기반 확보가 필요합니다. 패션 트랜드에 민감한 여성들이 주요 고객인 산업 특성으로 인해 상품의 수명주기가 짧고, 계절적 수요 변동과 개인별 선호 차이로 인해 상품의 종류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여성들 뿐만 아니라 남성 화장품 소비 또한 확대되면서 젊은 남성층의 화장품 관여도가 높아졌으며, 남성 상품의 유형도 다양화되었습니다.  의약품, 화장품은 경기방어적 성격을 지니고 있습니다.


④ 경쟁요소
피부침투기술(DDS; drug delivery system)은 고분자 물질을 나노화하여 인지질막으로 캡슐화 한 후 피부속 원하는 부위까지 성분의 변형 및 손실 없이 침투 시킬 수 있는 기술로, 현재 상용화된 유일한 기술입니다. 그러나 새로운 기술은 언제든지 출현될 수 있습니다.
 
⑤ 시장점유율
현재까지의 국내 제형변경시장의 규모는 정부차원의 공식적인 통계 자료가 없습니다. 하지만 당사가 판매할 기능성 화장품 및 의약품의 경우 국내시장의 시장규모는 각 약 2조원, 약 14조원이나, 현재 당사의 매출액이 저조하여 현 시점에서 시장점유율을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종속회사 JUNE SKY LLC: 건설 기계 임대 및 용역사업]

① 산업의 특성
자원을 개발,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몽골기업에 장비를 임대해 주는 사업입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중국, 인도 등 신흥국들의 수요 증가 및 글로벌 경기침체 이후 각국의 경기부양책에 따른 원자재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자원가격의 상승세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또한 국제적 환경규제 강화 및 저탄소 녹색성장기조에 맞춰 Biomass발전, 산업조림사업 등 친환경사업에 대한 관심도 선진국을 중심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따라서 자원개발에 필요한 장비 수요 증가는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③ 경기변동의 특성
자원개발사업은 환율, 자원가격 등 세계 경기변동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으며, 자원가격 상승 등 호황시에는 더욱 성장하겠지만 자원가격 하락 등 경기침체기에는 수요 감소 등으로 다소 정체기에 접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회사는 자원개발에 필요한 장비를 임대해 주는 업을 주업으로 하고 있어 비교적 경기변동 사이
클을 100% 추종하지 않습니다.



[종속회사 이노그리드: Cloudit™ 솔루션 유통 사업
]

① 개요

클라우딩 컴퓨팅은 컴퓨팅,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네트워크와 같은 IT자원들은 인터넷(네트워크)을 통해 필요한 만큼 빌려 쓰고 사용한 만큼 비용을 지불하는 서비스로, 네트워크를 통해 물리적/가상 공유 자원을 주문형(on-demand)형태로 제공하고 사용량을 측정하여 요금을 부과하는 서비스 모델을 의미합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은 컴퓨팅 자원이나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인프라 서비스(IaaS), 사용자가 컴퓨팅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플랫폼이나 솔루션을 제공하는 플랫폼서비스(PaaS), 소프트웨어적 응용서비스를 제공하는(SaaS)로 분류됩니다.

② 산업의 성장성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고성장하고 있으며, 해외 각국 정부에서는 몇 년 전부터 민간 클라우드를 도입하여 활용하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해 클라우드산업발전법 통과를 계기로,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클라우드는 전세계적으로 연평균 22.3%, 국내시장은 연평균 29.1%성장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전세계 클라우드시장>                           <국내 클라우드 시장>

이미지: 클라우드시장전망

클라우드시장전망


가트너(2013)는 글로벌 클라우드 시장 규모가 '12년 1,250억 달러에서' 16년 2,000억 달러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KT경제경영연구소는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2017년 3조 3천억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정부는 G-클라우드 구축으로 정부통합전산센터의 정보자원을 클라우드로 단계적 전환을 추진하여 2017년까지 60% 전환하고, IT운영비를 40%절감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미래부 크라우드 산업 육성 계획(2014)에 따라 공공 부문의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률을 2017년 20%까지 확대하고자 합니다.


③ 경기변동의 특성

기존의 IT인프라 비즈니스는 1회성으로 매출이 발생하며, 경기 변동이나 매년 비즈니스 상황에 따라 큰 매출 변동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은 기본적으로 사용량이나 기간에 대해 비용을 청구하는 서비스 산업으로, IT 서비스의 특성 상 급격한 매출 변화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공공 IT 시장의 경우 경기 변동에 의한 영향 보다는 정부의 IT투자 계획이나 공공기관의 대형 프로젝트 발주 여부에 영향을 받기도 합니다. IT 서비스 산업은 타 산업에 비해 계절적 변동 요인에 따른 민감도가 매우 낮은 편입니다. 다만, 고객 예산의 집행 및 투자가 주로 하반기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이런 경향이 업계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합니다.

④ 경쟁요소


클라우드산업은 IT산업에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자리잡고 있기에 국내외 주요 업체가국내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아마존을 필두로 MS, IBM 등 글로벌 클라우드컴퓨팅 업체가 국내 영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해외업체의 시장 참여에 대한 국내 업체의 적극적인 대응(서비스 경쟁력 강화, 신규 서비스 출시 등)으로국내 클라우드컴퓨팅 산업의 잠재수요가 표면화될 전망입니다.


2014년 초 한국법인 CEO를 교체한 아마존은 자사의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인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ㆍAWS)'에 필요한 인력을 채용하며 국내 영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MS와 IBM도 다수의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를 선보이며 국내 사업 확장을 꾀하고 있습니다. 이들 대부분이 국내시장에 자체적인 '인터넷 데이터센터'(Internet Data CenterㆍIDC)를 설치하겠다는 의사를 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한국사업에 대한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요 해외업체들이 한국 사업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네가지로 분석되는데 그 이유는 다음 네 가지로 분석됩니다.

첫째, 정부의 적극적인 산업 육성정책,

둘째, 저성장 경제환경에서 나타나는 기업들의 IT인프라 효율화와 수요 확대

셋째, 우수한 유무선 네트워크 인프라 대비 낮은 클라우드컴퓨팅 보급

넷째, 중국ㆍ일본 지역 인터넷 데이터 센터와의 연계 영업이 가능한 지형적 특성


주요 해외업체의 이런 움직임은 한국 클라우드컴퓨팅 산업 성장의 도화선으로 작용할 전망으로, 실제로 해외업체의 사업 확장에 대응하기 위해 국내 주요 통신사, 인터넷 포털사업자를 비롯해 수많은 중소형 소프트웨어 업체가 클라우드컴퓨팅 서비스를구성, 솔루션을 내놓으며 사업진행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해외업체의 시장 진입과 국내 업체의 대응으로 경쟁이 불가피하겠지만 국내외 업체 모두 산업성장의 수혜를 입을 것으로 보입니다.(참조: 노컷뉴스 2014년 3월 18일 성장세 눈에 띄는 클라우드컴퓨팅)


당사는 IDC인수를 통해 공공 퍼블릭 클라우드 시장을 적극 공력할 계획이며, 커스터마이징 및 기술자원의 강점을 적극 활용하여 고객을 확보하고, 빅데이터 솔루션/ 서비스 모델을 런칭하는 등 신규사업을 적극 전개할 계획입니다. 또한 당사는 아마존웹서비스의 컨설팅파트너로써 클라우드 전문 파트너로서의 지위확보 및 안정적인 매출 및 이익을 실현하고자 합니다.


⑤ 관련법령 및 정부의 규제

정부는 2009년 '클라우드 컴퓨팅 활성화 종합계획'을 시작으로 클라우드 산업시장을 2조5000억 규모로 키우고, 세계 시장의 10%를 점유하는 것을 목표로 2010년부터 다양한 클라우드 산업 활성화 정책을 추진 중이며, 1년여전 클라우드 발전법을 이미 입법 예고하였습니다.


구체적으로 기업에 재정 및 세제상 지원, 관련 중소기업에 대한 컨설팅 및 기술지원, 국가 기관에 클라우드 도입 권고, 공고기관이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할 수 있는 근거 마련, 인력 양성, IDC구축 등 클라우드 업계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내용입니다.


2014년 1월 정부는 클라우드 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하였고, 2015년 3월 클라우드 발전법이 국회에서 통과되어 2015년 9월부터 시행됩니다.


수요 측면에서는 공공부문이 선도적 역할을 수행하고, 공급 측면에서는 중소기업 지원을 강화할 계획입니다. 또한 기술.재정지원은 물론 공공사업 참여를 적극 장려해 중소기업의 영업 환경을 개선하고, 2017년까지 공공기관의 15%이상이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⑥ 시장점유율  

현재 당사의 시장점유율을 추정할 수는 없습니다.


참고로, 이노그리드는 2013년 21억원의 매출을 달성하였으며, 범정부 클라우드 테스트베드, 효성ITX 교육 클라우드 인프라, 교과부 스마트교육 플랫폼, KCC정보통신클라우드 인프라, LG화학 공정관리시스템 클라우드 인프라 구축 등 다수의 공공기관 및 기업에 납품한 실적이 있습니다.



[종속회사 스포라이브: 게임 소프트웨어 제작, 운영]

산업의 특성

게임 산업은 기존의 제조업과는 달리 초기 원자재와 장비투자 비용이 적고 인력에 의한 제작으로 이뤄지는 콘텐츠 산업입니다. 우리나라의 게임 산업은 세계5위권 수준, 약10조 규모의 큰 시장이며 콘텐츠 산업 중 수출1위로서 국가 경제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과거의 비디오/아케이드 게임, 최근의PC/온라인 게임에 이어 스마트폰의 보급과 함께 모바일 게임 분야까지 총5가지의 게임 세부 산업이 있으며, 점점 대중적이며 일상 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습니다.

② 산업의 성장과정
전세계 게임 산업은 2012년부터 연평균 5.7%씩 증가하여 2016년에는 약1,400억달러 시장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플랫폼 중 아케이드, PC, 비디오게임은 성장이 정체하거나 하락하고 당사가 제공할 서비스가 속한 온라인과 모바일 게임은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내 게임 시장은 2012년부터 2016년까지 성장이 정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당사가 출시 예정인 게임은 온라인, 모바일 게임 내 웹보드 게임으로 분류됩니다. 주로 고스톱과 포커류의 게임이 포함되며, 2014년 10월부터 모바일 웹보드 게임의 게임 내 아이템 판매가 허용되며 크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 세계 게임시장 현황 및 전망(2012~2016)
                                                                                               (단위: 백만 달러)

플랫폼

구분 

2012

2013

2014(E)

2015(E)

2016(E)

12-'16 CAGR
비디오게임

매출액

44,315

43,517

46,789

48,738

50,686

5.20%

성장률

-9.4%

-2.5%

7.5%

4.2%

4.0%

온라인게임

매출액

21,083

23,430

26,235

30,571

35,108

14.40%

성장률

14.8%

10.5%

12.0%

16.5%

14.8%

모바일게임

매출액

13,968

18,377

20,838

22,262

23,439

8.40%

성장률

31.3%

30.5%

13.4%

6.8%

5.3%

아케이드게임

매출액

25,307

24,438

23,850

23,561

23,272

-1.60%

성장률

-8.4%

-7.5%

-2.4%

-1.2%

-1.2%

PC게임

매출액

7,077

7,253

7,269

7,231

7,174

-0.40%

성장률

4.9%

0.7%

0.2%

-0.5%

-0.8%

합계

매출액

111,750

117,016

124,982

132,363

139,680

6.10%

성장률

-0.4%

3.1%

6.8%

5.9%

5.5%

* 2014 대한민국 게임백서(한국콘텐츠진흥원)

◇ 국내 게임시장 현황 및 전망(2012~2016)
                                                                                                     (단위: 억 원)

2012

2013

2014(E)

2015(E)

2016(E)

12-'16 CAGR

게임 전체

매출액

97,525

97,198

95,427

97,259

97,467

0.0%

성장률

10.8%

-0.3%

-1.8%

1.9%

0.2%

* 2014 대한민국 게임백서(한국콘텐츠진흥원)

③ 경기변동의 특성
 게임은 영화, 공연, 레저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한 비용으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수단입니다. 게다가 최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게임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낮아져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게임을 즐기게 되었습니다. 경기가 좋을 때에는 게임 이용자의 지출 규모가 커지고, 불황일 때에는 다른 여가 산업으로부터 이용자가 유입되는 구조로, 게임 산업은 경기변동에 큰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볼 수 있습니다.

④ 경쟁요소

게임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경쟁요소는 이용자가 만족할 게임을 개발할 수 있는 역량입니다. 이를 확보하기 위한 것은 대부분 인력과 자본입니다. 그 외에 스포라이브가 제공하는 라이브스포츠 시뮬레이션베팅 게임에서는 중계권, 안정적으로 이용자에게 방송이 전달되게 해주는 서비스망, 이용자들에게 재미를 줄 수 있는 게임 요소의 다양성이 있습니다. 당사는 베타테스트를 통하여 안정적인 게임 서비스 제공을 위해 노력할 것이고, 상용화 이후에도 이용자들의 재미를 지속적으로 줄 수 있는 다양한 스포츠 종목 중계권의 확보, 게임 옵션의 추가 등의 개발을 통해 건전한 레저 문화를 선도하는 종합 스포츠 포털로 나아갈 계획입니다.

⑤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게임 산업 및 당사와 관련된 주요 법령으로는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 '콘텐츠산업진흥법', '문화산업진흥기본법' 등이 있습니다. 정부의 게임 산업에 대한 규제는 게임물관리위원회로부터 게임에 대한 등급심의를 진행하고 있으며 그 기준은 선정성, 폭력성, 범죄 및 약물, 부적절한 언어, 사행행위 등 모사가 있습니다. 당사는 그 중 사행성에 대해서 청소년이용불가 등급 판정을 받았습니다.


또한 2014년 2월 23일부터 '게임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의 별표 2 '게임물 관련사업자 준수사항 (제 17조 관련) 제8호'의 이른바 웹보드 게임 규제안이 시행되고 있습니다. 당사는 1개월 한도 30만원, 1회 베팅한도 3만원, 1일 10만원 초과 손실 시 24시간 게임 접속 차단, 랜덤 매칭 원칙, 자동 베팅 금지, 분기별 1회 본인인증 시행의 내용을 담은 웹보드 게임 규제안을 준수하여 건전한 게임 사업을 영위해 나갈 것입니다.


⑥ 시장점유율

국내의 라이브스포츠 시뮬레이션베팅 게임이라는 장르는 스포라이브가 최초로 진입하였습니다. 따라서 현재 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시장점유율은 추산할 수 없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연결실체는 수익을 창출하는 재화와 용역의 성격, 시장 및 판매방법의 특징, 사업부문 구분의 계속성 등을 고려하여 경영의 다각화 실태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상품권 유통사업, 장품 유통사업, Cloudit™ 솔루션 유통사업, 건설 기계 임대 및 용역사업, 게임 소프트웨어 제작, 운영사업으로 세분하였습니다.

구분 상호 보유지분
(2015.06.30 기준)
주요사업의 내용
지배회사 ㈜핫텍 - 상품권 할인 유통(영등포지점)
화장품 유통
종속회사 ㈜티켓나라 100.00% 상품권 할인 유통
June Sky LLC 100.00% 건설 기계 임대 및 용역
㈜알트비이십일 100.00% June Sky를 100%보유한 ㈜핫텍의 자회사임.
㈜이노그리드 78.86% 클라우드 컴퓨팅 솔루션 개발 및 유통사업
스포라이브 64.40% 게임 소프트웨어 제작, 운영



[상품권 유통사업]
국내 경제 성장은 둔화되고 있습니다. 국내·외적으로 저금리와 저유가 등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되고 있지만 본격적인 회복국면으로 해석하기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상품권 유통시장은 대형마트. 백화점의 매출과 연동성이 높습니다.
특히 국내 유통시장은 대형마트 영업규제(의무휴업, 신규진출 제한)의 여파로 매출 감소가 지속되는 가운데, 세월호 사건 및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영향으로 소비가 급격히 감소되어 대형마트, 백화점 매출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어 상품권 영업활동에 긍정적이지는 않습니다.

경기가 풀리고 있는 지표가 하나둘씩 나타나고 있으나 올해 상품권 시장도 국내 소비가 증가세로 돌아설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에 올해 상품권 경영환경도우호적이지는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내수 경기가 좋아지면 상품권의 수요도 함께 증가하는 한편, 경기가 어려울수록 액면가에서 할인된 상품권을 구매하여 재화 등을 구매함으로써 가치의 증대를 누릴 수 있어 경기가 어려울 때도 수요는 크게 감소하지 않습니다.

당사는 구매력강화를 위한 기존 유통망을 토대로 온라인 상품권 신규시장 진출 등을 꾀하여 이를 극복할 계획입니다.

◇ 사업부문별 재무제표

기준일: 2015년 9월 30일                                                                                           (단위 : 천원)
종속기업명 자산 부채 매출액 당기순손익
㈜티켓나라 1,862,158 692,404 69,861,381 (234,893)


[화장품 유통사업]

회사의 매출액 증대 및 사업영역을 확대하기 위하여 2013년 3월 29일 제32기 정기주주총회에서 가결된 목적사업을 화장품제약사업부로 신설하고 주식회사 트랜스더멀아시아와 국내 독점판매권 계약을 체결하여 화장품 유통 및 판매를 시작하였습니다.


회사는 화장품 유통판매에 있어 홈쇼핑을 비롯한 전국 유통망을 가진 에스테틱, 방문판매, 온라인숍 등과 제휴를 통해 제품을 판매할 계획었으나, 국내 경기 침체에 따른 판매부진과 홍보·마케팅 비용부담 등으로 지속적인 실적 개선과 외형 성장세는 기대와는 달리 개선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습니다.

이로 인한 판매부진 여파로 상품 재고에 대한 부담이 가중되었으며, 트랜스더멀아시아와 미니멈개런티 계약조건을 이행하지 못하는 등 당사는 이러한 문제들에 대해 거듭된 논의를 통해 해결책을 찾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지속적으로 화장품사업을 영위하였을시 회사의 커다란 손해가 예상되어 회사의 손해액을 최소화하여 판매사업 독점권과 최소 구매약정권리·의무를 해소하고자 재고물품 전체를 트랜스더멀아시아에게 매각하는 것에 합의하였습니다.

한편, 회사는 매매금액 1,213백만원에
트랜스더멀아시아의 주식을 취득하는 출자전환계약을 2015년 6월 18일에 체결하였습니다.

[건설 기계 임대 및 용역사업]

◇ 사업부문별 재무제표
비이십일은 JUNE SKY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기준일: 2015년 9월 30일                                                                                           (단위 : 천원)
종속기업명 자산 부채 매출액 당기순손익
㈜알트비이십일 1,455,434 1,361,073 - (13,437)
JUNE SKY LLC 126,508 1,232,438 - (172,629)


[Cloudit™ 솔루션 유통사업]

종속회사 ㈜이노그리드는 2015년 9월 클라우드산업발전법 시행에 따라 공공부문의 수주확대를 기대되고 있습니다.


회사는 공공부문 수주를 위해 IDC인수를 추진중에 있으며, 현재 회사가 영위하고 있는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 프라이빗 클라우드솔루션 AWS매니지드 사업을 기반으로 AWS기반 글로벌 빅데이터 서비스와 민간IDC 수탁사업 등 관련사업으로 시장을 확대하고자 합니다.

이미지: business model

business model


AWS컨설팅 사업에서는 AWS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에게 재판매 및 구축, 운영에 대한 매니지드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루터와 제휴하여 AWS서비스 기반으로 빅데이터 서비스를 SaaS 형태로 제공하고자 합니다.

이미지: aws 기반 사업

aws 기반 사업


이노그리드는 현재 공공 부문 수주확대에 대비해 IDC인수를 추진중에 있으며, 2015년 9월 17일 클라우드발전법 시행을 앞두고, 이노그리드의 국산 클라우드기술과 공공시장 진출을 통한 사업전략, 그리고 제휴사들을 통한 클라우드 생태계 구축방안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 사업부문별 재무제표

기준일: 2015년 9월 30일                                                                                           (단위 : 천원)
종속기업명 자산 부채 매출액 당기순손익
(주)이노그리드 3,930,408 3,943,147 1,575,265 (1,285,048)


[게임 소프트웨어 제작, 운영사업]
종속회사 ㈜스포라이브는 국내 최초로 게임물관리위원회로부터 정식 게임물 승인을 받은 라이브 스포츠시뮬레이션 베팅게임입니다. 프로스포츠 경기를 실시간 중계로 보며 앞으로 발생할 이벤트에 대해서 예측하는 게임으로 스포츠경기 시청의 재미를 더해 줄 혁신적인 게임입니다.

스포라이브 게임은 EPL 등의 스포츠 경기 실시간 중계(미방영 경기 포함)를 보면서 예측 적중 게임을 할 수 있는 신개념 라이브 게임으로, 향후 가공 분석한 스포츠 데이터(DB) 및 축구게임 엔진을 활용해 스포츠와 연관된 미니게임도 즐길 수 있습니다.

2015년 4월 지배회사 ㈜핫텍이 ㈜스포라이브의 경영권을 확보한 후 개발인력을 확충하고, 자금을 추가 투입하여 게임개발에 집중하였습니다.

한편, 스포라이브는 지난 2015년 8월 8일 EPL 시즌 개막경기에 맞추어 인터넷을 통한 실시간 고화질 송출과 함께 스포라이브 게임 베타테스트 서비스를 시작하고, 이어진 9일 경기에서는 최대 4,000명이 접속하였으며 경기 종료까지 동시접속자 2,000명 이상을 기록하였습니다.

스포라이브의 이번 베타테스트를 통해 쌓은 경험으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해 9월 중순 공식 오픈 시에는 공격적인 홍보와 함께 보다 완성도 높은 게임을 선보일 것이며 8월 말 모바일 버전 서비스가 시작되면 향후 다양한 광고 프로모션과 제휴로 발전하고자 합니다.

스포라이브는 현재 나다테크의 지분인수 및 퍼블리싱계약을 통해 페이스북 소셜 카지노게임인 'SLOTICA'를 북미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현재 slot game 7개를 서비스중에 있습니다.


스포라이브는 라이브스포츠 시뮬레이션 베팅게임을 동남아/ 중국 등에 수출하기 위해 추진중에 있으며, 농구와 축구 등으로 게임 분야를 넓히고자 준비중이며, 향후 포털 사용자 및 스포츠 관련 웹사이트 운영사를 대상으로 스포츠 컨텐츠 유통 및 관련 게임 대상의 스포츠 포털 플랫폼 사업자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포라이브 게임은 무료 회원가입 이후 이용할 수 있으며, 게임 이용자가 게임에 필요한 유료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결제수단은 신용카드, 휴대폰 결제, 계좌이체, 무통장입금 등을 상용화 이후 이용하도록 할 계획입니다.


◇ 사업부문별 재무제표

기준일: 2015년 9월 30일                                                                                           (단위 : 천원)
종속기업명 자산 부채 매출액 당기순손익
(주)스포라이브 13,106,588 10,866,876 46,752 (5,373,681)

* 상기 당기순손익은 회계년도 개시일부터 해당 기준일까지의 총액으로 간주취득일 기준부터의 당기순손실은 1,521,533천원임.


2. 주주총회 목적사항별 기재사항

□ 정관의 변경


가. 집중투표 배제를 위한 정관의 변경 또는 그 배제된 정관의 변경

* 회사는 2인 이상의 이사를 선임하는 경우 상법 제382조의 2에서 규정하는 집중투표제는 적용하지 아니합니다.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해당사항 없음


나. 그 외의 정관변경에 관한 건

<제안설명> 상법 제434조의 규정에 따라 정관을 다음과 같이 변경하고자 합니다.

변경전 내용 변경후 내용 변경의 목적

제2조(목적)

1. ~ 26. (생 략)

27.  농축수산물 가공 판매업

28. ~ 39. (생 략)

40.  통신판매업

41. ~ 67. (생략)

68. 게임기 개발, 제조, 판매, 유통업

69. 온라인게임 개발, 판매, 운영, 유지보수업

70. 데이터베이스 및 온라인 정보제공, 임대, 판매업

71. 위 각호에 관련된 일체의 부대사업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신설>


제2조(목적)

1. ~ 26. (현행과 같음)

27.  농축수산물 가공업 및 판매업

28. ~ 39. (현행과 같음)

40.  방문판매업 및 통신판매업

41. ~ 67. (현행과 같음)

<삭 제>

<삭 제>

<삭제>

<삭제>

68. 소비자 여신, 기업 여신 금융업

69. 친환경 미생물제의 제조 및 유통

70. 미생물 토양 개량제의 제조 및 유통

71. 친환경 유기영양제제의 제조 및 유통

72. 기타 친환경 농자재의 제조 및 유통

73. 연구용역 사업

74. 축산 사료첨가제의 제조 및 유통

75. 환경정화용 생물제제의 제조 및 유통

76. 전자기기 도소매, 무역업, 수출입업

77. 전자기기 전자상거래업

78. 농축산물 도소매업

79. 농축산물 수출입업

80. 냉동, 냉장, 보통 창고 보관 및 창고업

81. 비료 및 질소화합물 제조업
82.  과실 및 채소 절임식품 제조업

83. 과실 및 채소 도매업

84. 친환경 유기농자재 생산, 가공, 판매사업

85. 위 각호에 관련된 일체의 부대사업

부칙<2016.02.12> 이 정관은 2016년 02월 12일부터 시행한다.

사업목적 명확화

사업영역확대


























시행일


※ 기타 참고사항: 당해 정보는 제35기 임시주주총회 승인결과에 따라 일부 수정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함에 있어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이사의 선임


<제안설명> 상법 제542조의5의 규정에 따라 다음의 후보자를 이사로 선임하고자 합니다.

가. 후보자의 성명ㆍ생년월일ㆍ추천인ㆍ최대주주와의 관계ㆍ사외이사후보자 여부

후보자성명 생년월일 사외이사
후보자여부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주호현

1965.08.07

사내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이규덕

1968.09.10

사내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김민규

1978.12.16

사외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신규철

1973.08.15

사외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이근부

1973.03.06

사외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박인서

1975.08.26

사외이사

해당없음

이사회

총 (  6  ) 명

* 사외이사 후보자는 상법 제542조의8 ②항 및 ③항이 정하는 결격사유에 미해당함.

나. 후보자의 주된직업ㆍ약력ㆍ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후보자성명 주된직업 약력 해당법인과의
최근3년간 거래내역

주호현

現 ㈜캐스팃 대표이사

한양대학교사범대학 교육학과 졸업

前 씨제이㈜ 홍보실 부장

-

이규덕

-

서강대학교 경영대학원 수료

前 ㈜에이나인 대표이사

-

김민규

現 모든국제특허법률사무소 변리사

서울대학교 재료공학부 졸업

前 특허법인 태평양 변리사

-

신규철

現 우덕회계법인 공인회계사

現 ㈜금성테크 사외이사

홍익대학교 경영학과 졸업

前 한영회계법인 공인회계사

前 회계법인 새시대 공인회계사

-

이근부

現 ㈜지서클 대표이사

강릉대학교 사학과 졸업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수료

前 ㈜누리미디어 프로젝트관리 부장

-

박인서

現 ㈜에이비씨써클 대표이사

충북대학교 대학원 졸업(박사과정)

前 고려바이오㈜ 부설생물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 기타 참고사항: 당해 정보는 제35기 임시주주총회 승인결과에 따라 일부 수정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함에 있어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