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 자 설 명 서


2013 년   06 월   03 일
 
SK 주식회사

SK 주식회사 제259회 무보증사채

제259-1회 무보증사채 금100,000,000,000원
제259-2회 무보증사채 금100,000,000,000원

1.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일 :

2013년 06월 03일
2. 모집가액  :

제259-1회 금1,000억원
제259-2회 금1,000억원

3. 청약기간  :

2013년 06월 03일
4. 납입기일 :

2013년 06월 03일
5. 증권신고서 및 투자설명서의 열람장소

 가. 증권신고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나. 일괄신고 추가서류 :

해당사항 없음
 다. 투자설명서 : 전자문서 : 금융위(금감원) 전자공시시스템 →  http://dart.fss.or.kr

서면문서 : SK(주) :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우리투자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4
               SK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10
               대우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4-3
               미래에셋증권(주) : 서울시 중구 수하동 67
               삼성증권(주) : 서울시 중구 태평로2가 250
               한국투자증권(주)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1
6. 안정조작 또는 시장조성에 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이 투자설명서에 대한 증권신고의 효력발생은 정부가 증권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이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며, 이 투자설명서의 기재사항은 청약일 전에 정정될 수 있음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 대표이사 등의 확인 】

이미지: 대표이사확인서명(투자설명서)_SK259

대표이사확인서명(투자설명서)_SK259


【 본    문 】

요약정보


1. 핵심투자위험


구 분 내 용
사업위험 당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 경영실적이 주요 자회사들의 실적과 연동되며, 당사의 주 수익원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수익과 상표권(브랜드) 사용 수익입니다.

SK이노베이션㈜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18조 1,082억원, 영업이익 6,959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 가량 감소하였으며, 경기침체로 인한 기유 수요 부진으로 SK루브리컨츠㈜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2.8% 감소하는 등 자회사의 실적악화로 SK이노베이션㈜의 2013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하였습니다. 향후 국제 유가와 정유 및 석유화학업황에 따라 동사 이익규모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영업수익 4조 1,126억원, 영업이익 4,106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수익은 3.6% 증가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영업이익은 17.8% 하락하였습니다. 향후 스마트폰 시장 및 LTE 시장을 중심으로 경쟁강도 강화가 지속됨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는 플랫폼 사업의 분리를 통하여 사업 전문성을 제고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플랫폼사업부문을 분할한 바 있습니다.

SK텔레콤㈜는 미래성장 기반 확보와 글로벌 사업기회 발굴 등을 위해 SK하이닉스㈜(구 ㈜하이닉스반도체) 지분 21.05%를 취득하였습니다. SK하이닉스㈜가 영위하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2010년 이후 새로운 IT 기기의 등장과 디지털 기기의 모바일화, 스마트화로 DRAM 수요가 점차 확대될 전망이며, 선두업체를 중심으로 메모리 신성장의 기회가 더욱 증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반도체 산업은 업황의 부침이 큰 편이며 산업내 경쟁 또한 심한 편이라 이에 따라 동사 현금흐름의 변동성 또한 커질수 있습니다.

SK네트웍스㈜는 스마트폰 판매증가로 인한 IM의 매출증가와 석유제품의 국내 판매 등으로 인한 E&C의 수익증가 등에 따라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6조 4,274억원, 영업이익 24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기존 사업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동사가 추진하는 신규 사업의 성과에 따라 수익성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SK브랜드의 소유주로서 SK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와 개별적으로 브랜드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브랜드 사용료(상표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사용료 산정은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자회사의 실적 변동은 브랜드 사용료의 증감을 통해서도 당사의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회사위험 당사는 2007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인적분할 방식에 의해 지주회사인 당사와 사업회사인 구 SK에너지㈜(現 SK이노베이션㈜)로 분할되었으며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하여 사업회사인 구 SK에너지㈜(現 SK이노베이션㈜)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는 분할 전 회사채무에 대하여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는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3사(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에도 해당됩니다.

당사는 2013년 1분기 누적(연결기준) 매출액 29조 5,786억원과 영업이익 1조 664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매출액의 대부분은 자회사의 매출액을 연결기준으로 환산한 실적이며 현금유입의 대부분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수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수익성은 계열사의 경영성과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수 있으며 특히, SK텔레콤㈜과 SK이노베이션㈜, SK E&S㈜ 3개사에 의한 배당수익 기여도가 높기 때문에 해당 계열사의 경영성과가 당사의 실질 현금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당사의 부채비율은 2013년 1분기말 현재 35.8%(별도기준) 수준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 절대규모는 약 2.9조원(별도기준)으로 적지 않은 수준이나 만기가 장기적으로 분산되어 상환부담이 크지 않으며 자회사의 우수한 실적과 수익성을 감안하면 재무안정성은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당사는 2011년 08월 01일자로 자회사인 SK E&S㈜와 케이파워㈜의 합병을 실시하였습니다. 존속법인인 SK E&S㈜가 소멸법인인 케이파워㈜의 지분 전량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으로 한 자회사간 합병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당사는 2011년 04월 01일부로 생명과학(Life Science)사업부문을 분할하여 SK바이오팜㈜를 자회사로 설립하였습니다. 분할후 SK바이오팜㈜의 지분전량을 당사가 보유하게 됨에 따라 분할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입니다.

당사는 다양한 목적으로 자회사의 증자에 참여하거나 자회사 지분을 매입/매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보유 자회사 지분 포트폴리오가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신고일 현재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 수표 등이 없으며 중요한 소송사건에 계류된 사항도 없습니다. 다만, 당사의 자회사 중 일부는 담보목적으로 제공한 어음,수표 및 토지 등의 우발채무가 있거나 중요한 소송사건 등이 계류 중에 있습니다. 현재 동 소송사건 등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소송사건의 결과는 당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주요 관계사의 경영성과나 평판이 악화될 경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신고일 현재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이 보통주의 31.88%(자사주 불포함)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지분변동 등의 사유로 지배구조의 변화나 경영권 위협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기타 투자위험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13년 05월 29일이고 상장예정일은 2013년 06월 03일입니다. 본 사채는 한국거래소의 채권상장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상장심사를 통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채권시장에 상존하는 여러 변수들과 변동성에 의해상장 이후 수급불균형 등의 이유로 환금성이 훼손될 수 있으니 투자자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사채는 예금자보호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며, 금융기관 등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책임은 당사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시어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기타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3년 1월 31일 당사의 대표이사인 최태원 회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에 관하여 1심 법원으로부터 유죄를 선고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는 최종 확정판결이 아니며, 본 판결의 결과가 당사 및 당사의 계열회사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것으로 판단되나, 동 판결을 이유로 한 시장의 부정적 평가 여부 등에 대하여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회차 : 259-1 (단위 : 원, 주)
채무증권 명칭 무보증사채 모집(매출)방법 공모
권면총액 100,000,000,000 모집(매출)총액 100,000,000,000
발행가액 100,000,000,000 권면이자율 3.07
발행수익률 3.07 상환기일 2016년 06월 03일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주)한국외환은행
영업부
(사채)관리회사 한국증권금융
신용등급
(신용평가기관)
한국신용평가(주) AA+ / 한국기업평가(주) AA+
/ NICE신용평가(주) AA+
인수인 증권의
종류
인수수량 인수금액 인수대가 인수방법
대표 우리투자증권 - 4,000,000 4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인수 에스케이증권 - 3,000,000 3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인수 대우증권 - 1,000,000 1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인수 미래에셋증권 - 1,000,000 1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인수 삼성증권 - 1,000,000 1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청약기일 납입기일 청약공고일 배정공고일 배정기준일
2013년 06월 03일 2013년 06월 03일 - - -
자금의 사용목적
구   분 금   액
차환자금 100,000,000,000
발행제비용 494,800,000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사용
지역
사용
국가
원화 교환
예정 여부
인수기관명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보증기관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행사대상증권 -
보증금액 - 권리행사비율 -
담보 제공의
경우
담보의 종류 - 권리행사가격 -
담보금액 - 권리행사기간 -
매출인에 관한 사항
보유자 회사와의
관계
매출전
보유증권수
매출증권수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주요사항보고서】 -
【기 타】 ▶ 본 사채는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를 등록발행하며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본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등록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의 등록이 말소된 때에는 채권자, 질권자 및 이해관계자가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있음.
▶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등록필증을 인수단이 수령하여 교부하거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09조 제5항에 의한 일괄등록 청구가 있는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이 작성, 비치하는 예탁자계좌부상에 그 수량만큼 기재함으로써 교부에 갈음함.


회차 : 259-2 (단위 : 원, 주)
채무증권 명칭 무보증사채 모집(매출)방법 공모
권면총액 100,000,000,000 모집(매출)총액 100,000,000,000
발행가액 100,000,000,000 권면이자율 3.34
발행수익률 3.34 상환기일 2020년 06월 03일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주)한국외환은행
영업부
(사채)관리회사 한국증권금융
신용등급
(신용평가기관)
한국신용평가(주) AA+ / 한국기업평가(주) AA+
/ NICE신용평가(주) AA+
인수인 증권의
종류
인수수량 인수금액 인수대가 인수방법
대표 우리투자증권 - 5,000,000 5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인수 에스케이증권 - 4,000,000 4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인수 한국투자증권 - 1,000,000 10,000,000,000 인수금액의 0.30% 총액인수
청약기일 납입기일 청약공고일 배정공고일 배정기준일
2013년 06월 03일 2013년 06월 03일 - - -
자금의 사용목적
구   분 금   액
차환자금 100,000,000,000
발행제비용 450,000,000

【국내발행 외화채권】

표시통화 표시통화기준
발행규모
사용
지역
사용
국가
원화 교환
예정 여부
인수기관명
- - - - - -
보증을
받은 경우
보증기관 - 지분증권과
연계된 경우
행사대상증권 -
보증금액 - 권리행사비율 -
담보 제공의
경우
담보의 종류 - 권리행사가격 -
담보금액 - 권리행사기간 -
매출인에 관한 사항
보유자 회사와의
관계
매출전
보유증권수
매출증권수 매출후
보유증권수
- - - - -
【주요사항보고서】 -
【기 타】 ▶ 본 사채는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를 등록발행하며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본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등록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의 등록이 말소된 때에는 채권자, 질권자 및 이해관계자가 사채권발행을 청구할 수 있음.
▶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등록필증을 인수단이 수령하여 교부하거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09조 제5항에 의한 일괄등록 청구가 있는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이 작성, 비치하는 예탁자계좌부상에 그 수량만큼 기재함으로써 교부에 갈음함.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1. 공모개요


[회  차 : 259-1] (단위 : 원)
항    목 내    용
사 채 종 목 무보증사채
구       분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권 면 총 액 100,000,000,000
할 인 율(%) 0.00
발행수익율(%) 3.07
모집 또는 매출가액 각 사채권면금액의 100%로 한다.
모집 또는 매출총액 100,000,000,000
각 사채의 금액 공사채등록법령에 의한 등록발행으로 실물은 발행하지 아니한다.
이자율 연리이자율(%) 3.07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이자지급 방법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며 매3개월마다 연이율의
1/4씩 분할 후급한다. 이자지급기일이 은행휴업일인 경우 익영업일을 이자지급일로 하고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자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사채 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사채의 연리이자율을 적용한다.
이자지급 기한 2013년 09월 03일, 2013년 12월 03일, 2014년 03월 03일, 2014년 06월 03일,
2014년 09월 03일, 2014년 12월 03일, 2015년 03월 03일, 2015년 06월 03일,
2015년 09월 03일, 2015년 12월 03일, 2016년 03월 03일, 2016년 06월 03일.
신용평가 등급 평가회사명 한국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NICE신용평가(주)
평가일자 2013년 05월 16일 / 2013년 05월 16일 / 2013년 05월 16일
평가결과등급 AA+ / AA+ / AA+
대표주관회사 우리투자증권(주)
상환방법
및 기한
상 환 방 법 사채의 원금은 2016년 06월 03일에 일시 상환한다. 원금상환기일이 은행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익영업일을 원금상환일로 한다. 원금상환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원금상환일 다음날부터 실제 원금상환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 소재지가 서울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사채 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사채의 연리이자율을 적용한다.
상 환 기 한 2016년 06월 03일
납 입 기 일 2013년 06월 03일
등 록 기 관 한국예탁결제원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회 사 명 (주)한국외환은행 영업부
회사고유번호 00158909
기 타 사 항 ▶ 본 사채는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를 등록발행하며,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본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등록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의 등록이 말소된 때에는 채권자, 질권자 및 이해관계자가 사채권 발행을 청구할 수 있음.
▶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등록필증을 수령하여 교부하거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309조 제5항에 의한 일괄등록 청구가 있는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이 작성, 비치하는 예탁자계좌부상에 그 수량만큼 기재함으로써 교부에 갈음함.


[회  차 : 259-2] (단위 : 원)
항    목 내    용
사 채 종 목 무보증사채
구       분 무기명식 이권부 무보증사채
권 면 총 액 100,000,000,000
할 인 율(%) 0.00
발행수익율(%) 3.34
모집 또는 매출가액 각 사채권면금액의 100%로 한다.
모집 또는 매출총액 100,000,000,000
각 사채의 금액 공사채등록법령에 의한 등록발행으로 실물은 발행하지 아니한다.
이자율 연리이자율(%) 3.34
변동금리부
사채이자율
-
이자지급 방법
및 기한
이자지급 방법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계산하며 매3개월마다 연이율의
1/4씩 분할 후급한다. 이자지급기일이 은행휴업일인 경우 익영업일을 이자지급일로 하고 이자지급기일 이후의 이자는 계산하지 아니한다. 이자지급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이자지급일 다음날부터 실제지급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소재지가 서울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사채 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사채의 연리이자율을 적용한다.
이자지급 기한 2013년 09월 03일, 2013년 12월 03일, 2014년 03월 03일, 2014년 06월 03일,
2014년 09월 03일, 2014년 12월 03일, 2015년 03월 03일, 2015년 06월 03일,
2015년 09월 03일, 2015년 12월 03일, 2016년 03월 03일, 2016년 06월 03일,
2016년 09월 03일, 2016년 12월 03일, 2017년 03월 03일, 2017년 06월 03일,
2017년 09월 03일, 2017년 12월 03일, 2018년 03월 03일, 2018년 06월 03일,
2018년 09월 03일, 2018년 12월 03일, 2019년 03월 03일, 2019년 06월 03일,
2019년 09월 03일, 2019년 12월 03일, 2020년 03월 03일, 2020년 06월 03일.
신용평가 등급 평가회사명 한국신용평가(주) / 한국기업평가(주) / NICE신용평가(주)
평가일자 2013년 05월 16일 / 2013년 05월 16일 / 2013년 05월 16일
평가결과등급 AA+ / AA+ / AA+
대표주관회사 우리투자증권(주)
상환방법
및 기한
상 환 방 법 사채의 원금은 2020년 06월 03일에 일시 상환한다. 원금상환기일이 은행 휴업일에 해당할 경우 익영업일을 원금상환일로 한다. 원금상환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원금상환일 다음날부터 실제 원금상환일까지의 경과기간에 대하여 본점 소재지가 서울인 시중은행의 연체대출이율 중 최고이율을 적용한 연체이자를 지급한다. 연체대출 최고이율이 본사채 이자율을 하회하는 경우에는 본사채의 연리이자율을 적용한다.
상 환 기 한 2020년 06월 03일
납 입 기 일 2013년 06월 03일
등 록 기 관 한국예탁결제원
원리금
지급대행기관
회 사 명 (주)한국외환은행 영업부
회사고유번호 00158909
기 타 사 항 ▶ 본 사채는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를 등록발행하며,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함.
▶ 본사채는 실물발행이 아닌 등록발행이므로 인수수량의 기재가 불가능하나, 이해상의 편의를 위해 10,000원을 수량의 1단위로 기재함.
▶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사채의 등록이 말소된 때에는 채권자, 질권자 및 이해관계자가 사채권 발행을 청구할 수 있음.
▶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등록필증을 수령하여 교부하거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제309조 제5항에 의한 일괄등록 청구가 있는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이 작성, 비치하는 예탁자계좌부상에 그 수량만큼 기재함으로써 교부에 갈음함.



2. 공모방법


해당사항 없음


3. 공모가격 결정방법


2013년 05월 23일 09시부터 16시까지 금융투자협회 Freebond 시스템을 통해 진행된 수요예측결과 등을 고려하여 당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본 사채에 적용할 이자율을 다음과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제259-1회 :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권면금액에 대하여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3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수익률'에 0.29%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제259-2회 : 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사채의 권면금액에 대하여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5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수익률'에 0.44%p.를 가산한 이자율로 합니다.

가. 공모가격 결정방법 및 절차

구 분 내  용
공모가격 최종결정 - 발행회사:  대표이사, CFO, 재무팀 임원 등
- 대표주관회사: IB사업부 대표, Coverage본부장, 인수부장 및 팀장 등
공모가격 결정 협의절차 수요예측 결과 및 금융시장의 상황 등을 감안한 후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발행수익률을 결정할 예정입니다.
수요예측결과 반영여부 수요예측 참여물량 중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를 집계하고,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시장상황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합의를 통해 발행수익률을 결정합니다.


나.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기준 절차 및 배정방법

구 분 주요내용
공모희망금리
산정방식
대표주관회사는 SK(주)의 제259-1회 및 제259-2회 무보증사채 발행에 있어 최근 민간채권평가 3사(한국자산평가, KIS채권평가, NICE피앤아이(구.NICE채권평가))에서 제공하는 동일 신용등급 회사채 등급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이하 '등급민평금리'라고 한다.) 및 SK(주) 회사채 민평 수익률의 산술평균(이하 '개별민평금리'라고 한다.), 최근 한국금융투자협회에서 고시하는 특정 잔존기간 수익률의 국고채권의 최종호가수익률(이하 '국고채금리'라고 한다.), 최근 비교대상 기업의 원화 무보증사채 발행금리, 당사의 기발행채권 유통금리, 채권시장 동향 등을 고려하여 공모희망금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제259-1회: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3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 수익률'에 0.14%p. ~ 0.29%p.를 가산한 이자율

제259-2회: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5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 수익률'에 0.29%p. ~ 0.44%p.를 가산한 이자율

공모희망금리 밴드 산정 근거는 아래 (주1)을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와 대표주관회사가 제시하는 공모희망금리밴드는 금리를 확정 또는 보장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단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해야 하며,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음을 주지하시기 바랍니다.
수요예측
참가신청
관련사항
수요예측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진행하며, 수요예측 프로그램은 "한국금융투자협회"의 "FreeBond"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단,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수요예측 방법을 결정합니다. 수요예측 신청시 신청수량의 범위, 수량 및 가격단위는 아래와 같습니다.

① 최저 신청수량: 10억원
② 최고 신청수량: 본 사채 발행예정금액
③ 수량단위: 10억원
④ 가격단위: 1bp
※ 수요예측 FAX 접수처: 우리투자증권 채권Syndication팀
    Tel. 02-750-5686, Fax. 0505-083-3799
배정대상
및 기준
수요예측결과를 반영하여 금리 결정 및 배정하는 과정에서 유효수요 결정, 금리 결정, 배정대상 및 기준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지침에 근거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며, 필요시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결정합니다.

※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제6조(공모채권 배정)
① 금융투자회사는 수요예측시 과도하게 낮은 금리에 참여한 자를 합리적 사유 없이 우대 배정하여서는 아니 된다.
② 금융투자회사는 금리를 제시하지 않은 수요예측 참여자에 대하여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배정하여야 한다.
③ 금융투자회사는 수요예측 참여여부, 참여시기, 참여금액, 참여자의 성향 및 투자행태 등을 감안하여 공모채권 배정에 있어 가중치를 달리할 수 있으며, 수요예측에 참여한 자에 대하여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은 청약자에 비해 우대하여 배정하여야 한다.
④ 금융투자회사는 공모채권의 배정에 관한 합리적인 기준을 마련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제6조(공모채권 배정) 제3항에 따라 대표주관회사는 공모채권을 배정함에 있어 수요예측에 참여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를 우대하여 배정합니다.

본 사채의 배정에 관한 세부사항은 본 증권신고서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 가. 수요예측, 배정 및 청약 방법 - 3. 배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대표주관회사는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내부기준에 따라 합리적으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판단기준, 산정 근거 및 결과와 확정 금액 및 확정 이자율을 2013년 05월 28일 정정신고서를 통해 공시할 예정입니다.
금리미제시분 및
공모희망금리
범위 밖 신청분의
처리방안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낮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배정하거나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유효수요(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참여물량)"의 범주에 포함되지 않아 배정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주1) 공모희망금리 산정 근거

대표주관회사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SK(주)의 제259-1회 및 제259-2회 무보증사채의 공모희망 금리를 결정하였습니다.
 
가. 민간채권평가회사의 평가금리, 신용 스프레드 및 채권시장 동향


국고채권, 발행회사가 속한 신용등급인 AA+ 무보증회사채, 발행회사인 SK(주)의 최근 1개월간의 민간채권평가회사 3사의 평균 평가금리 및 스프레드 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한편, 만기는 본사채의 발행만기인 3년 만기 및 7년 만기를 기준으로 검토하였습니다.
 

[SK(주) 민간채권평가회사 3사 평균 평가금리]
(2013년 05월 21일 기준)
구  분 한국자산평가(주) KIS채권평가(주) NICE피앤아이(주) 평균
SK(주) 3년 만기 2.89 2.88 2.87 2.88
SK(주) 7년 만기 3.13 3.11 3.10 3.11
자료: 본드웹


[민간채권평가회사 3사 평균 평가금리 및 스프레드 추이]
1) 3년 만기 채권 (단위 : %)
일 자 등급민평금리 개별민평금리 국고채금리 Credit Spread
등급민평금리
- 국고채금리
개별민평금리
- 국고채금리
2013-04-22 2.88 2.86 2.62 0.26 0.24
2013-04-23 2.86 2.84 2.60 0.26 0.24
2013-04-24 2.86 2.84 2.60 0.26 0.24
2013-04-25 2.83 2.81 2.56 0.27 0.25
2013-04-26 2.79 2.78 2.52 0.27 0.26
2013-04-29 2.79 2.78 2.52 0.27 0.26
2013-04-30 2.77 2.75 2.49 0.28 0.26
2013-05-02 2.73 2.71 2.45 0.28 0.26
2013-05-03 2.75 2.74 2.47 0.28 0.27
2013-05-06 2.84 2.83 2.56 0.28 0.27
2013-05-07 2.81 2.80 2.53 0.28 0.27
2013-05-08 2.84 2.82 2.55 0.29 0.27
2013-05-09 2.83 2.82 2.54 0.29 0.28
2013-05-10 2.84 2.83 2.55 0.29 0.28
2013-05-13 2.86 2.85 2.57 0.29 0.28
2013-05-14 2.85 2.83 2.56 0.29 0.27
2013-05-15 2.85 2.84 2.56 0.29 0.28
2013-05-16 2.86 2.85 2.57 0.29 0.28
2013-05-20 2.89 2.88 2.60 0.29 0.28
2013-05-21 2.89 2.88 2.60 0.29 0.28
자료: 본드웹
주1) 국고채권 금리는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3년 만기 '최종호가 수익률' 기준
주2) 등급민평 및 개별민평은 민간채권평가회사3사(한국자산평가(주), KIS채권평가(주), NICE피앤아이(주))에서 제공하는 평가금리의 산술평균(소수점 셋째자리 이하 절사) 기준


[3년 만기 평가금리 및 스프레드 추이]
(단위: %)
이미지: 3년 만기 금리 추이

3년 만기 금리 추이


이미지: 3년 만기 스프레드 추이

3년 만기 스프레드 추이

자료: 본드웹


2) 7년 만기 채권 (단위 : %)
일 자 등급민평금리 개별민평금리 국고채금리 Credit Spread
등급민평금리
- 국고채금리
개별민평금리
- 국고채금리
2013-04-22 3.10 3.08 2.69 0.41 0.39
2013-04-23 3.08 3.06 2.67 0.41 0.39
2013-04-24 3.08 3.06 2.67 0.41 0.39
2013-04-25 3.04 3.03 2.63 0.41 0.40
2013-04-26 3.02 3.00 2.59 0.43 0.41
2013-04-29 3.02 3.00 2.59 0.43 0.41
2013-04-30 2.99 2.98 2.55 0.44 0.43
2013-05-02 2.95 2.94 2.51 0.44 0.43
2013-05-03 2.96 2.95 2.53 0.43 0.42
2013-05-06 3.03 3.02 2.62 0.41 0.40
2013-05-07 3.01 3.00 2.60 0.41 0.40
2013-05-08 3.03 3.01 2.62 0.41 0.39
2013-05-09 3.05 3.03 2.62 0.43 0.41
2013-05-10 3.07 3.05 2.64 0.43 0.41
2013-05-13 3.09 3.07 2.66 0.43 0.41
2013-05-14 3.08 3.06 2.64 0.44 0.42
2013-05-15 3.09 3.07 2.65 0.44 0.42
2013-05-16 3.10 3.08 2.65 0.45 0.43
2013-05-20 3.13 3.11 2.69 0.44 0.42
2013-05-21 3.13 3.11 2.69 0.44 0.42
자료: 본드웹
주1) 국고채권 금리는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5년 만기 '최종호가 수익률' 기준
주2) 등급민평 및 개별민평은 민간채권평가회사3사(한국자산평가(주), KIS채권평가(주), NICE피앤아이(주))에서 제공하는 평가금리의 산술평균(소수점 셋째자리 이하 절사) 기준


[7년 만기 평가금리 및 스프레드 추이]
(단위: %)
이미지: 7년 만기 금리 추이

7년 만기 금리 추이


이미지: 7년 만기 스프레드 추이

7년 만기 스프레드 추이

자료: 본드웹


국내 채권시장은 2013년 연초 경기저점 인식과 주요국의 새로운 정부 출범에 따른 경기 부양 기대로 일시적인 금리 반등이 있었으나, 경기회복 속도가 더딘 가운데 유럽의 재정 위기 우려가 재차 커지고 기준금리 인하 기대심리로 역사적으로 가장 낮은 수준의 국고채 금리와 Credit Spread를 보여왔습니다.

2013년 04월 11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를 6개월째 동결하였습니다. 추경예산을 편성하는 등 새정부 출범 이후 경기부양책과 공조를 맞추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선반영되어있던 채권금리는 기준금리 동결 직후 가파르게 상승하였다가 이후 기준금리 인하 기대로 재차 하락하였습니다.

이후 2013년 05월 09일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7개월만에 기준금리를 0.25% 인하하였습니다. 하반기 경기회복 전망을 유지하면서 정책공조를 통해 추경효과를 극대화하는 한편, 최근 글로벌 통화완화 기조가 재차 강화되어 원화절상 압력이 커짐에 따라 금리 인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마침 국내 물가상승률이 낮은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추가 금리 인하가 가능하였습니다.

국고채 금리 등 시장금리는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이미 선반영되어 있어 기준금리 인하에도 불구하고 전일 대비 변동이 없었으며, 이후 오히려 만기별로 소폭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반기 경기 회복 가능성이 점차 부각됨과 동시에  추가 금리 인하 기대가 약화됨에 따른 금리 상승 압력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동일등급 회사채의 최근 발행사례 검토

[비교 대상 기업 무보증사채 발행 개요]
(단위: %, 억원)
발행일 발행사 신용등급 만기 발행금리 전일 등급민평 전일 국고채금리 등급민평 스프레드 국고채 스프레드
만기 3년
2013-02-07 SK에너지 AA+ 3년 2.97 2.97 2.72 0.00 0.25
2013-04-15 이마트 AA+ 3년 2.85 2.92 2.67 (-)0.07 0.18
2013-04-25 삼성에버랜드 AA+ 3년 2.83 2.86 2.61 (-)0.03 0.22
2013-05-06 SK에너지 AA+ 3년 2.73 2.75 2,47 (-)0.02 0.26
만기 7년
2013-02-07 SK에너지 AA+ 7년 3.25 2.85 2.85 (-)0.05 0.40
2013-02-22 GS칼텍스 AA+ 7년 3.19 2.79 2.79 (-)0.05 0.40
2013-02-26 SK이엔에스 AA+ 7년 3.18 2.80 2.80 (-)0.07 0.38
2013-04-29 포스코에너지 AA+ 7년 2.95 3.02 2.58 (-)0.07 0.37
2013-05-06 SK에너지 AA+ 7년 2.93 2.96 2.53 (-)0.03 0.40
2013-05-08 GS칼텍스 AA+ 7년 3.01 3.01 2.61 0.00 0.40
주) 국고채 대비 스프레드: 발행일 전일 금융투자협회에서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국고채권의 '최종호가 수익률' 대비 발행 금리의 차이, 7년 만기 채권은 국고채 5년 금리와 비교함


최근 회사채 발행사례 중 AA+ 등급의 발행사례는 위와 같습니다. 발행 전일 국고채금리 대비 만기 3년의 경우 0.18%~0.25% 수준으로 발행이 이루어졌으며, 만기 7년은 0.37%~0.40% 수준으로 발행되었습니다. 동 발행금리 수준은 해당 등급(AA+) 전일 민평금리 대비 3년물은 0.00%~0.07% 차감, 7년물은 0.00%~0.07% 차감한 금리 수준으로 모두 등급민평금리 수준 이하에서 발행되었습니다.
 
다. 최근 SK(주) 회사채 유통금리 현황

최근 3달간 SK(주) 회사채의 평균 유통금리는 개별민평금리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는 수준으로 거래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고채권 대비 상대적 고금리를 제공하는 우량 회사채에 대한 수요 및 대규모기업집단으로서 업계 선두권의 우량 자회사들로부터 안정적인 배당금 수익을 창출하고 있는 당사 채권에 대한 시장참가자들의 수요로 인하여 지속적으로 유통되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래 표는 최근 3개월간 당사가 발행한 채권의 종목별 유통금리를 나타낸 것으로, 평균(유통)금리-민평금리 값은 동 기간 동안 평균 -0.29bp 수준으로 개별민평금리 수준에서 거래되었습니다.

[최근 3개월간 SK(주) 회사채 유통금리]
(단위: %, bp)
종목명 거래일 민평 최고 최저 평균 평균-민평 잔존일 만기일
SK253-1 2013-05-20 2.723 2.74 2.74 2.74 1.7 00.10.15 2014-04-04
SK256-1 2013-05-14 2.79 2.775 2.775 2.775 -1.5 02.00.15 2015-05-29
SK244-3 2013-05-14 2.733 2.72 2.72 2.72 -1.3 00.10.05 2014-03-19
SK255-2 2013-04-30 2.8 2.8 2.8 2.8 0 03.07.15 2016-12-15
SK255-1 2013-04-24 2.81 2.83 2.83 2.83 2 01.07.21 2014-12-15
SK250-1 2013-04-18 2.713 2.76 2.61 2.71 -0.3 00.01.15 2013-06-03
SK256-1 2013-04-17 2.813 2.8 2.8 2.8 -1.3 02.01.12 2015-05-29
SK256-1 2013-04-10 2.7 2.69 2.69 2.69 -1 02.01.19 2015-05-29
SK244-3 2013-04-10 2.623 2.61 2.61 2.61 -1.3 00.11.09 2014-03-19
SK250-1 2013-04-08 2.583 2.6 2.55 2.583 0 00.01.25 2013-06-03
SK258-2 2013-03-26 3.06 3.05 3.05 3.05 -1 06.06.24 2019-10-19
SK251-2 2013-03-25 2.773 2.79 2.79 2.79 1.7 02.05.12 2015-09-06
SK254-2 2013-03-22 2.84 2.84 2.84 2.84 0 03.05.04 2016-08-26
SK250-1 2013-03-21 2.7 2.71 2.7 2.702 0.2 00.02.13 2013-06-03
SK250-1 2013-03-20 2.707 2.7 2.68 2.69 -1.7 00.02.14 2013-06-03
SK252-2 2013-02-28 2.833 2.85 2.85 2.85 1.7 02.09.14 2015-12-14
SK253-1 2013-02-21 2.803 2.775 2.775 2.775 -2.8 01.01.11 2014-04-04
자료: 본드웹


라. 종합 결론

금번 SK(주) 제259-1회 및 제259-2회 무보증사채의 공모희망금리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의 1) 민간채권평가회사 3사의 국고금리 대비 AA+등급 민평 및 SK(주) 개별 민평 스프레드, 2) 최근 동일등급 회사채 발행 내역, 3) SK(주) 회사채 유통금리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였습니다.

최근 한달간 3년, 7년 국고채 금리 및 3년, 7년의 AA+등급민평, SK(주) 개별민평은 2013년 04월 11일 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 직후 비교적 큰 폭으로 상승한 후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으며 최근 신용 스프레드가 소폭 확대되고 있습니다.

후 단기간에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높지 않고 소폭이지만, 신용스프레드가 상승하는 점, 동일신용등급 내 최근 회사채 발행이 등급민평금리수준 이하에서 결정된 점을 감안하여 SK(주)의 등급민평금리(AA+)를 기준으로 하여 공모희망금리 상단을 결정하였습니다. 신고서 제출일 현재 AA+등급민평금리는 국고채 금리 대비 3년 만기는 29bp, 7년 만기는 44bp 높은 수준이며, SK(주) 개별민평금리는 국고채 금리 대비 3년 만기는 28bp, 7년 만기는 42bp 높은 수준입니다.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는 상기 사항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SK(주)의 제259-1회및 제259-2회 무보증사채의 발행에 있어 공모희망금리를 아래와 같이 결정하였습니다.
 
- 제259-1회 무보증사채: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3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 수익률'에 0.14%p. ~ 0.29%p.를 가산한 이자율
 
 - 제259-2회 무보증사채: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5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 수익률'에 0.29%p. ~ 0.44%p.를 가산한 이자율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는 합리적으로 판단하여 공모희망금리밴드를 제시하였으나 금리를 확정 또는 보장하는 것이 아니므로, 투자 결정을 위한 판단 및 수요예측 및 청약 시 참고 사항으로 활용해야 하며, 상기 공모희망금리는 수요예측에 따른 "유효수요"와 차이가 있습니다. 수요예측 후 유효수요 및 금리는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 및 대표주관회사의 수요예측지침에 의거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며, 필요시 발행회사와 협의합니다. 수요예측결과를 반영한 정정공시는 2013년 05월 28일에 공시할 예정입니다.



다. 수요예측 결과

(1) 수요예측 참여내역

(1) 수요예측 참여내역

[회차: 259-1] (단위: 건, 억원)
구분 참여건수 참여수량 단순경쟁률
기관투자자 10 1,500 1.50:1


[회차: 259-2] (단위: 건, 억원)
구분 참여건수 참여수량 단순경쟁률
기관투자자 5 1,100 1.10:1


(2) 수요예측 신청 가격 분포

[회차: 259-1] (단위: 건, 억원)
가격분포
(스프레드)
참여건수 신청수량 비율
(수량기준)
누적수량 누적비율 유효수요
+0.26%p. 1 300 20.00% 300 20.00% 포함
+0.27%p. 2 300 20.00% 600 40.00% 포함
+0.28%p. 2 300 20.00% 900 60.00% 포함
+0.29%p. 5 600 40.00% 1,500 100.00% 포함
합계 10 1,500 100.00% 1,500 100.00% -


[회차: 259-2] (단위: 건, 억원)
가격분포
(스프레드)
참여건수 신청수량 비율
(수량기준)
누적수량 누적비율 유효수요
+0.42%p. 2 200 18.18% 200 18.18% 포함
+0.43%p. 2 600 54.55% 800 72.73% 포함
+0.44%p. 1 300 27.27% 1,100 100.00% 포함
합계 5 1,100 100.00% 1,100 100.00% -


(3) 수요예측 상세 분포 현황

[회차: 259-1] (단위: 억원)
수요예측 참여자 국고채권 3년 대비 스프레드(%p.) 합계
+0.26 +0.27 +0.28 +0.29
A사 300 - - - 300
B사 - 100 - - 100
C사 - - 200 - 200
D사 - - 100 - 100
E사 - - - 100 100
F사 - - - 100 100
G사 - - - 100 100
H사 - - - 200 200
I사 - 200 - 100 300
합계 300 300 300 600 1,500


[회차: 259-2] (단위: 억원)
수요예측 참여자 국고채권 5년 대비 스프레드(%p.) 합계
+0.42 +0.43 +0.44
A사 100 - - 100
B사 100 - - 100
C사 - 100 - 100
D사 - 500 - 500
E사 - - 300 300
합계 200 600 300 1,100


(4) 유효수요의 범위, 산정근거 및 최종 발행금리 결정의 반영 내용

[제259-1회]

구  분 내  용
공모희망 금리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3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 수익률'에 0.14%p.~ 0.29%p.를 가산한 이자율
유효수요의 정의 유효수요(Effetive Demand)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유효수요의 범위 2013년 05월 23일 실시된 수요예측에 참여한 물량 중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3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영업일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수익률"에 0.14%p.를 가산한 이자율로부터 0.29%p.를 가산한 이자율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물량
유효수요 산정 근거 본 채권의 유효수요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대표주관회사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발행회사 및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하였습니다.

1) 2013년 05월 22일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공모희망금리 범위는 1)민간채권평가회사 3사의 국고금리 대비 AA+등급 민평금리 및 국고금리 대비 SK(주)의 개별 민평금리, 2)최근 동일등급 회사채 발행 사례, 3)SK(주) 회사채의 유통금리, 4)최근 채권시장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산정하였습니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 사채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주1) 공모희망금리 산정근거]를 참고)

2) 2013년 05월 23일 실시된 수요예측 실시 결과 상기 1)에서 산정한 공모 희망 금리 범위 내 수요예측 참여 물량은 1,500억원으로 당초 발행예정가액 1,000억원의 150% 수준입니다.

3) 전체 수요예측 참여투자자가 10개 기관, 전체 수요예측 참여 금액이 1,500억원(150% 수준) 수준이며, 수요예측 참여 누적 물량의 100%인 1,500억원이 공모희망금리 상단인 +0.29%p.에 포함되었습니다.

4)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의 협의 후 기존 공모 희망 금리와 수요예측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공모 희망 금리 범위 이내인 0.26%p. ~ 0.29%p.를 유효수요로 결정하였습니다.
최종 발행금리 결정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의 반영 내용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결정은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3.07%로 결정하였습니다.


[제259-2회]

구  분 내  용
공모희망 금리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특정 잔존기간수익률'의 5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 수익률'에 0.29%p.~ 0.44%p.를 가산한 이자율
유효수요의 정의 유효수요(Effetive Demand)란, 공모금리 결정 시, 과도하게 높거나 낮은 금리로 참여한 물량을 제외한 물량
유효수요의 범위 2013년 05월 23일 실시된 수요예측에 참여한 물량 중 "한국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하는 5년 만기 국고채권의 청약일 전 영업일 최종 발표하는 "최종호가수익률"에 0.42%p.를 가산한 이자율로부터 0.44%p.를 가산한 이자율로 수요예측에 참여한 물량
유효수요 산정 근거 본 채권의 유효수요는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대표주관회사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발행회사 및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결정하였습니다.

1) 2013년 05월 22일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기재된 공모희망금리 범위는 1)민간채권평가회사 3사의 국고금리 대비 AA+등급 민평금리 및 국고금리 대비 SK(주)의 개별 민평금리, 2)최근 동일등급 회사채 발행 사례, 3)SK(주) 회사채의 유통금리, 4)최근 채권시장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협의하여 산정하였습니다.(보다 자세한 내용은 본 사채 증권신고서의 [제1부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사항 - Ⅰ. 모집 또는 매출에 관한 일반사항 - 3. 공모가격 결정방법 - (주1) 공모희망금리 산정근거]를 참고)

2) 2013년 05월 23일 실시된 수요예측 실시 결과 상기 1)에서 산정한 공모 희망 금리 범위 내 수요예측 참여 물량은 1,100억원으로 당초 발행예정가액 1,000억원의 110% 수준입니다.

3) 전체 수요예측 참여투자자가 5개 기관, 전체 수요예측 참여 금액이 1,100억원(110% 수준) 수준이며, 수요예측 참여 누적 물량의 100%인 1,100억원이 공모희망금리 상단인 +0.44%p.에 포함되었습니다.

4) 대표주관회사와 발행회사의 협의 후 기존 공모 희망 금리와 수요예측 결과를 최대한 반영하여 기존 공모 희망 금리 범위 내에 수요예측에 참여한 1,100억원을  유효수요로 결정하였습니다.
최종 발행금리 결정에 대한 수요예측 결과의 반영 내용 본 사채의 최종 발행금리결정은 앞서 산정한 유효수요의 범위 내에서 낮은 금리부터 누적도수로 계산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가 최종 협의하여 사채발행일로부터 원금상환기일 전일까지 3.34%로 결정하였습니다.



4. 모집 또는 매출절차 등에 관한 사항


가. 수요예측

(1) "대표주관회사"는 "증권인수업무에 관한 규정" 제2조, 제7호 및 제12조에 따라 수요예측을 실시하여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발행금액 및 발행금리를 결정한다.
(2) 수요예측은 금융투자협회의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진행하며, 수요예측은 "한국금융투자협회"의 "Freebond"프로그램을 이용한 접수 방법으로 진행한다. 단, 불가피한 상황이 발생한 경우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는 협의하여 수요예측 방법을 결정한다.
(3) 수요예측 기간: 2013년 05월 23일 09시부터 16시까지

(4) 수요예측 결과는 "대표주관회사"가 3년간 보관한다.
(5) 수요예측 결과는 "발행회사"와 "대표주관회사"만 공유한다. 단, 수요예측을 통해 본 사채의 발행금리와 발행금액이 결정되는 즉시 "대표주관회사"는 "인수회사"에게 이를 통지해야 하며, 수요예측 실시 후 발행조건 확정에 따라 제출하는 정정신고서에기업공시서식 작성기준에 따라 수요예측 결과를 공시한다. 또한, 법원, 금융위원회 등 정부기관(준 정부기관 포함)으로부터 자료 등의 제출을 요구 받는 경우, 즉시 "발행회사"에 통지하고 법률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의 자료만을 제공한다.
(6) 수요예측에 따른 배정은 "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에 따라 "대표주관회사"가 "발행회사"와 협의하여 결정한다.
(7) 수요예측에 따른 배정 후, "대표주관회사"는 배정결과를 FAX 또는 전자우편의 형태로 배정 받을 투자자에게 송부한다.
(8)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자의 관리 : "대표주관회사"는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행위 예방을 위한 사전 고지를 통해 실수요 기재를 유도하며, 불성실 수요예측 참여행위가 발생한 경우 관련사항을 지체없이 "한국금융투자협회"에 제출한다.


나. 청약

(1) 일정
가. 청약일 : 2013년 06월 03일
나. 청약공고기간 : 증권신고서 수리일 이후부터 청약개시일까지
다. 청약서 제출기한: 2013년 06월 03일 09시부터 12시까지
라. 청약금 납입: 2013년 06월 03일 16시까지
(2) 청약대상 : 수요예측에 참여하여 우선배정 받은 기관투자자(이하 인수규정 제2조 제8호에 의한 기관투자자로 한다. 이하 같다.) 또는 전문투자자만 청약할 수 있다. 단, 수요예측을 통해 배정된 금액의 총 합계가 "발행회사"의 최종 발행금액에 미달하는 경우 기관투자자, 전문투자자 및 일반투자자("본 사채"의 청약자 중, 기관투자자 및 전문투자자를 제외한 투자자를 말한다. 이하 같다.)도 청약에 참여할 수 있다.
(3) "본 사채"에 투자하고자 하는 투자자(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9조 제5항에 규정된 전문투자자 및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시행령 제132조에 따라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자 제외)는 청약 전 "투자설명서"를 교부받아야 한다.
가. 교부장소 : "인수단" 본점
나. 교부방법 : "본 사채"의 "투자설명서"는 상기의 교부장소에서 인쇄된 문서의 방법 또는 전자문서의 방법으로 교부한다.

다. 교부일시 : 2013년 06월 03일

라. 기타사항 :
① "본 사채" 청약에 참여하고자 하는 투자자는 청약전 반드시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은 후 청약서에 서명하여야 하며, "투자설명서"를 교부 받지 않고자 할 경우, "투자설명서"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등으로 표시하여야 한다.

② "투자설명서" 교부를 받지 않거나, 수령거부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등으로 표시하지 않을 경우 "본 사채"의 청약에 참여할 수 없다.
(4) 청약제한 : 청약자는 1인 1건에 한하여 청약할 수 있으며, "금융실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법률"의 규정에 의한 실명확인이 된 계좌를 통하여 청약을 하거나 별도로 실명확인을 하여야 한다. 이중청약이 있는 경우 그 전부를 청약하지 아니한 것으로 본다.
(5) 청약의 방법

가. 청약자는 소정의 청약서에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후 기명날인 또는 서명하여 청약증거금과 함께 2013년 06월 03일 12시까지 청약취급처에 청약한다.
나. 청약서를 송부한 청약자는 청약일 당일 16시까지 청약금을 납부한다.
다. 각 "인수단"은 고객에게 청약받은 청약금 중 배정받은 "본 사채"의 권면총액에 해당하는 금액을 납입처에 납입하고, 미배정된 고객의 청약금은 청약당일 17시까지 고객에게 반환한다.
(6) 청약단위: 권면금액은 일만원 단위로 하되, 최저청약금액은 10억원으로 하며, 10억원 이상은 10억원 단위로 한다. 또한, 청약자 1인당 '본 사채'에 청약하는 청약총액은 '본 사채'의 권면총액을 초과하지 못한다.
(7) 청약취급처 : "인수단" 본점
(8) 청약 증거금 : 사채발행가액의 100%에 해당하는 금액으로 하고, 청약금은 "본 사채"의 납입금으로 대체 충당하며, 청약증거금에 대하여는 이자를 지급하지 아니한다.
(9) 사채금 납입일 : 2013년 06월 03일
(10) "본 사채"의 발행일 : 2013년 06월 03일

(11) "본 사채"의 납입을 맡을 기관 : (주)한국외환은행 영업부

(12) 등록기관 : "본 사채"의 등록기관은 한국예탁결제원으로 하며, 등록필증은 한국예탁결제원에서 정한 양식으로 한다.

(13) 등록청구 : 각 "인수단"은 총액인수한 채권에 대하여 납입기일에 등록청구서와 인감표 2매(각 2매)를 작성하여 등록기관에 청구하거나,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309조 제5항에 의한 일괄등록 청구분에 대하여 "발행회사"로 하여금 일괄등록 청구내역을 한국예탁결제원에 통보할 수 있도록 일괄등록 신청내역을 "발행회사"에 통보하여야 한다. 단, 일괄등록 청구내용의 통보와 관련한 사항은 본 인수계약서 제16조 2항에 따라 "대표주관회사"에게 위임한다.


다. 배정

(1) 수요예측에 참여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이하 "수요예측 참여자"로 한다. 이하 같다.)가 수요예측 결과에 따라 배정된 금액을 청약하는 경우에는 그 청약금의 100%를 우선배정한다.
(2) "수요예측 참여자"의 총 청약금이 발행금액총액에 미달된 경우에 한하여 발행금액 총액에서 "수요예측 참여자"의 최종 청약금을 공제한 잔액을 청약일 당일 12시까지 청약 접수한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와 일반투자자에게 배정할 수 있다. 단, 청약자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그 배정받는 자 등을 결정할 수 있으며, 필요 시 "인수단"과 협의하여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채권의 배정은 금융투자협회「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및 "대표주관회사"의 내부 지침에 근거하여 "대표주관회사"가 결정하되, 수요예측 결과에 따른 "유효수요"의 범위를 반영하여 합리적으로 결정하며,「무보증사채 수요예측 모범규준」6조에 따라, 본 채권 수요예측에 참여한 투자자에 대해서는 수요예측에 참여하지 않은 청약자에 비해 우대하여 배정한다.
(3) (2)호에 따라 "수요예측 참여자"의 총 청약금이 발행금액 총액에 미달되는 경우 다음 각 호의 방법으로 배정한다.
①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 청약금에 비례하여 안분배정한다.
② 일반투자자: 전문투자자 및 기관투자자 배정 후 잔액이 발생한 경우, 그 잔액에 대하여 다음 각 호의 방법으로 배정한다.
㉠ 총 청약건수가 모집총액을 최저청약단위(10억원)로 나눈 건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추첨에 의하여 최저청약단위을 배정한다.
㉡ 총 청약건수가 모집총액을 최저청약단위로 나눈 건수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청약자의 청약금액에 관계없이 최저청약단위를 우선배정하고, 최저청약단위를 초과하는 청약분에 대하여는 그 초과 청약금액에 비례하여 최저청약단위로 안분배정한다.
③ 상기 ①, ②의 방법으로 배정한 후 잔액이 발생한 경우, 그 잔액에 대하여는 최초 인수예정 비율대로 "인수단"이 인수하되, 최종 인수금액은 "인수단"이 협의하여 결정한다. "인수단"은 각 "인수단"별 인수금액을 "본 사채"의 납입일 당일에 "본 사채"의 납입을 맡을 은행에 납입한다.

(4) 상기 (1)~(3)의 방법으로 배정한 결과에도 불구하고 청약 종료일 16시까지 납부된 청약금이 "본 사채"의 권면 총액에 미달하는 경우, 각 "인수단"의 인수비율에 따라 자기 책임 하에 처리하기로 한다. 단, 각 "인수단"의 최종 인수금액은 인수단 간 협의에 의하여 정할 수 있다.
(5) "본 사채"의 "인수단"은 "대표주관회사"가 납입일 당일  SK(주) 제259-1회 및 제259-2회 무보증사채를 수요예측 및 청약의 결과를 반영하여 배정된 내역에 따라 배정할 것을 위임한다. "대표주관회사"는 선량한 관리자의주의의무로 이를 수행한다.

※ 관련법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9조 (그 밖의 용어의 정의)
⑤ 이 법에서 “전문투자자”란 금융투자상품에 관한 전문성 구비 여부, 소유자산규모 등에 비추어 투자에 따른 위험감수능력이 있는 투자자로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전문투자자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가 일반투자자와 같은 대우를 받겠다는 의사를 금융투자업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는 경우 금융투자업자는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에 동의하여야 하며, 금융투자업자가 동의한 경우에는 해당 투자자는 일반투자자로 본다.<개정 2009.2.3>

1. 국가
2. 한국은행
3.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융기관
4. 주권상장법인. 다만, 금융투자업자와 장외파생상품 거래를 하는 경우에는 전문투자자와 같은 대우를 받겠다는 의사를 금융투자업자에게 서면으로 통지하는 경우에 한한다.
5.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


제124조 (정당한 투자설명서의 사용)
①누구든지 증권신고의 효력이 발생한 증권을 취득하고자 하는 자(전문투자자,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를 제외한다)에게 제123조에 적합한 투자설명서를 미리 교부하지 아니하면 그 증권을 취득하게 하거나 매도하여서는 아니 된다. 이 경우 투자설명서가 제436조에 따른 전자문서의 방법에 따르는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때에 이를 교부한 것으로 본다.

1. 전자문서에 의하여 투자설명서를 받는 것을 전자문서를 받을 자(이하 “전자문서수신자”라 한다)가 동의할 것
2. 전자문서수신자가 전자문서를 받을 전자전달매체의 종류와 장소를 지정할 것
3. 전자문서수신자가 그 전자문서를 받은 사실이 확인될 것
4. 전자문서의 내용이 서면에 의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동일할 것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1조 (증권의 모집·매출)
① 법 제9조제7항 및 제9항에 따라 50인을 산출하는 경우에는 청약의 권유를 하는 날 이전 6개월 이내에 해당 증권과 같은 종류의 증권에 대하여 모집이나 매출에 의하지 아니하고 청약의 권유를 받은 자를 합산하되,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는 제외한다.<개정 2009.10.1, 2010.12.7>

1.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전문가
가. 제10조제1항제1호부터 제4호까지의 자
나. 제10조제3항제12호ㆍ제13호에 해당하는 자 중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다. 「공인회계사법」에 따른 회계법인
라.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른 신용평가회사(이하 "신용평가회사"라 한다)
마. 발행인에게 회계, 자문 등의 용역을 제공하고 있는 공인회계사ㆍ감정인ㆍ변호사ㆍ변리사ㆍ세무사 등 공인된 자격증을 가지고 있는 자
바. 그 밖에 발행인의 재무상황이나 사업내용 등을 잘 알 수 있는 전문가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2.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연고자
가. 발행인의 최대주주(법 제9조제1항제1호에 따른 최대주주를 말한다. 이하 같다)와 발행주식총수의 100분의 5 이상을 소유한 주주
나. 발행인의 임원(「상법」 제401조의2제1항 각 호의 자를 포함한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 및 「근로복지기본법」에 따른 우리사주조합원
다. 발행인의 계열회사와 그 임원
라. 발행인이 주권비상장법인(주권을 모집하거나 매출한 실적이 있는 법인은 제외한다)인 경우에는 그 주주
마. 외국 법령에 따라 설립된 외국 기업인 발행인이 종업원의 복지증진을 위한 주식매수제도 등에 따라 국내 계열회사의 임직원에게 해당 외국 기업의 주식을 매각하는 경우에는 그 국내 계열회사의 임직원
바. 발행인이 설립 중인 회사인 경우에는 그 발기인
사. 그 밖에 발행인의 재무상황이나 사업내용 등을 잘 알 수 있는 연고자로서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자


제132조 (투자설명서의 교부가 면제되는 자)
법 제12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전단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개정 2009.7.1>

1. 제11조제1항제1호다목부터 바목까지 및 같은 항 제2호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
2. 투자설명서를 받기를 거부한다는 의사를 서면, 전화ㆍ전신ㆍ모사전송, 전자우편 및 이와 비슷한 전자통신, 그 밖에 금융위원회가 정하여 고시하는 방법으로 표시한 자
3. 이미 취득한 것과 같은 집합투자증권을 계속하여 추가로 취득하려는 자. 다만, 해당 집합투자증권의 투자설명서의 내용이 직전에 교부한 투자설명서의 내용과 같은 경우만 해당한다.



라. 상장신청예정일
(1) 상장신청예정일 : 2013년 05월 29일
(2) 상  장  예 정 일 : 2013년 06월 03일


마. 사채권교부예정일

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에 사채의 권리내용을 등록하고 사채권은 발행하지 않음.


바. 사채권 교부장소

사채권을 발행하지 않으므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등록필증을 수령하여 인수기관이 교부하거나,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309조 제5항에 의한 일괄등록 청구가 있는 경우 한국예탁결제원이 작성, 비치하는 예탁자계좌부상에 그 수량만큼 기재함으로써 교부에 갈음함.


5. 인수 등에 관한 사항


가. 사채의 인수

<제259-1회> (단위 : 원)
인수인 주  소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인수조건
명칭 고유번호 인수금액 수수료율
우리투자증권㈜ 00120182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4 40,000,000,000 0.30% 총액인수
SK증권㈜ 00131850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10 30,000,000,000 0.30% 총액인수
대우증권㈜ 00111722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34-3 10,000,000,000 0.30% 총액인수
미래에셋증권㈜ 00311030 서울시 중구 태평로2가 250 10,000,000,000 0.30% 총액인수
삼성증권㈜ 00104856 서울시 중구 태평로2가 250 10,000,000,000 0.30% 총액인수


<제259-2회> (단위 : 원)
인수인 주  소 인수금액 및 수수료율 인수조건
명칭 고유번호 인수금액 수수료율
우리투자증권㈜ 00120182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4 50,000,000,000 0.30% 총액인수
SK증권㈜ 00131850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3-10 40,000,000,000 0.30% 총액인수
한국투자증권㈜ 00160144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7-1 10,000,000,000 0.30% 총액인수


나. 사채의 관리계약

<제259-1회> (단위 : 원)
사채관리회사 주  소 관리금액 및 수수료율 관리조건
명칭 고유번호 관리금액 수수료율(정액)
한국증권금융 00159643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100,000,000,000 2,500,000 -


<제259-2회> (단위 : 원)
사채관리회사 주  소 관리금액 및 수수료율 관리조건
명칭 고유번호 관리금액 수수료율(정액)
한국증권금융 00159643 서울시 영등포구 국제금융로8길 10 100,000,000,000 2,500,000 -


Ⅱ. 증권의 주요 권리내용


1. 일반적인 사항

(단위 : 원, %)
회  차 금  액 만 기 일 연리이자율 옵션관련사항
SK(주) 제259-1회 100,000,000,000 2016년 06월 03일 3.07 -
SK(주) 제259-2회 100,000,000,000 2020년 06월 03일 3.34 -


1) 당사가 발행하는 제259-1회 및 제259-2회 무보증사채는 무기명식 이권부 공모사채로서, Call-Option이나 Put-Option 등의 조기상환권이 부여되어 있지 않습니다.

2) 주식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환청구권도 부여되어 있지 않으며, 공사채등록법에 의거 한국예탁결제원을 등록기관으로 하여 등록발행하므로 사채권을 발행하지 아니합니다.

2. 사채관리에 관한 사항

1) 당사가 본 사채의 발행과 관련하여 2013년 05월 22일 한국증권금융과 체결한 사채관리계약과 관련하여 재무비율 등의 유지, 담보권설정 등의 제한, 자산의 처분제한 등의 의무조항을 위반한 경우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사채관리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에 따라 당사에 대해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당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습니다.

2) 기한이익 상실사유
본 사채의 기한이익 상실은 "사채관리계약서" 상의 기한의 이익 상실사유에 따르며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회사"는 SK㈜를 지칭하며, "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을 지칭합니다.

사채관리계약서 제1-2조(사채의 발행조건)

제1-2조(사채의 발행조건)
가. 기한의 이익 상실

(1) 기한의 이익의 즉시 상실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발행회사"는 즉시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하며, 이 사실을 공고하고 자신이 알고 있는 사채권자 및 "관리회사"에게 이를 통지하여야 한다.

(가) "발행회사"("발행회사"의 청산인이나 "발행회사"의 이사를 포함)가 파산 또는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한 경우
(나) "발행회사"("발행회사"의 청산인이나 "발행회사"의 이사를 포함) 이외의 제3자가 "발행회사"에 대한 파산 또는 회생절차개시의 신청을 하고 "발행회사"가 이에 동의("발행회사" 또는 그 대표자가 법원의 심문에서 동의 의사를 표명한 경우 포함)하거나 위 제3자에 의한 해당 신청이 있은 후 10일 이내에 그 신청이 취하 되거나 법원의 기각 결정이 내려지지 아니한 경우. 이 경우 "발행회사"의 동의가 있는 경우에는 그 동의 의사가 법원에 제출된 시점(심문시 동의 의사 표명이 있는 경우에는 해당 심문 종결시)을, 기타의 경우에는 제3자에 의한 신청일로부터 10일이 도과된 때를 각 그 기준으로 하되 후자의 경우 그 기간 도과 전에 법원에 의한 파산이나 회생 관련 보전처분이나 절차중지명령 또는 회생절차개시결정이나 파산선고가 내려지면 그 때를 기준으로 한다.
(다) "발행회사"에게 존립기간의 만료 등 정관으로 정한 해산사유의 발생, 법원의 해산명령 또는 해산판결, 주주총회의 해산결의가 있는 경우
(라) "발행회사"가 휴업 또는 폐업하는 경우(단, 노동쟁의로 인한 일시 휴업은 제외한다.)
(마) "발행회사"에게 어음교환소의 거래정지처분이 있는 때 및 채무불이행명부등재 신청이 있는 때 등 "발행회사"가 지급불능 또는 지급정지의 상태에 이른 것으로 인정되는 경우
(바) "본 사채"의 만기가 도래하였음에도 "발행회사"가 그 정해진 원리금 지급 의무를 해태하는 경우
(사) "발행회사"가 "본 사채" 이외의 사채에 관하여 기한의 이익을 상실한 경우
(아) "발행회사"가 기업구조조정촉진법에 따라 부실징후기업으로 인정되거나 금융기관에 의한 경영관리 기타 이와 유사한 사적 절차 등이 개시된 경우(법률의 제정 또는 개정 등으로 인하여 이와 유사한 절차가 개시된 경우를 포함한다)
(자) "발행회사"의 부채총액이 자산총액을 초과하여 채권금융기관이 원금 상환기일 연장, 원리금 감면, 대출금의 출자전환 기타 이에 준하는 방법으로 채권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경우
(2) "기한의 이익 상실 선언"에 의한 기한의 이익 상실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본 사채"의 사채권자 및 "관리회사"는 사채권자 집회의 결의에 따라 "발행회사"에 대한 서면통지를 함으로써 "발행회사"가 "본 사채"에 대한 기한의 이익을 상실함을 선언할 수 있다. 단, (가)의 사유에 의거하여 사채권자 집회에서 기한의 이익 상실을 선언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발행회사"에 대하여 일정한 기간 내에 그 변제를 하여야 한다는 뜻과 그 기간 내에 변제를 하지 아니할 때에는 사채의 총액에 관하여 기한의 이익을 잃는다는 뜻을 통지하여야 하되 그 기간은 2월 이상이어야 한다.
(가) 원금의 일부를 상환하여야 할 의무 또는 기한이 도래한 이자지급의무를 불이행하여, 통지한 변제유예기간 내에 변제하지 못한 경우

(나) "본 사채"에 의한 채무를 제외한 "발행회사"의 채무 중 원금 금오백억원 이상의 채무에 대하여, 만기에 지급이 해태된 경우 또는 의무불이행으로 인하여 기한의 이익이 상실된 경우 또는 당해 채무에 관한 의무 불이행으로 관련 담보가 실행된 경우

(다) "발행회사"의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부분에 압류명령이 결정된 경우 또는 임의경매가 개시된 경우

(라) "발행회사"가 제2-2조 제1항, 제2-3조, 제2-4조 제1항 및 제2항, 제2-5조의 의무를 위반한 경우. 본 의무 위반의 판단 기준은 당해 발행회사의 분기, 반기 또는 회계연도 전체에 대한 각 보고서 기재를 기준으로 하되 그보다 더 최근의 일시에 의한 발행회사 서류를 따를 때 그 위반이 인정되는 경우 그에 의할 수 있다.

(마) "발행회사"의 재산의 전부 또는 중요부분에 대하여 가압류, 가처분이 선고되고, 90일 이내에 취소되지 않은 경우

(바) "발행회사"가 제2-2조 제1항,제2-3조,제2-4조 제1항 및 제2항, 제2-5조의 의무를 제외한 본계약상의 의무의 이행 또는 준수를 해태한 경우로서, 그 치유가 불가능한 경우, 또는 치유가 가능하다 하더라도 "관리회사"나 사채권자가 사채권자집회의 결의를 얻은 경우, 혹은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 1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발행회사"에게 이러한 해태의 치유를 구하는 통지를 한 후 90일이 경과하여도 당해 해태가 치유되지 아니한 경우

(3) 사채권자가 (2)에 따라 기한이익상실선언을 한 경우 및 (2)의 (바)에 따라 해태의 치유를 구하는 청구를 하는 경우에는 즉시 "관리회사"에게도 통지하여야 한다.

(4) (1) 및 (2)에 따라 기한이익이 상실되면 "발행회사"는 원금전액과 기한이익이 상실된 날까지 발생한 이자 중 미지급액을 즉시 변제하여야 한다.

나. "기한의 이익 상실에 대한 원인사유의 불발생 간주"
(1) 사채권자는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요건을 충족할 경우 "발행회사" 및 "관리회사"에게 서면으로 통지함으로써 기 발생한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를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단, 가. (2) (가)의 경우에(가)에 정해진 방법에 의하여서만 이를 행할 수 있다.
(가) 사채권자집회의 결의가 있는 경우
(나)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2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가 있는 경우
(2) (1)에 따른 "기한의 이익 상실에 대한 원인 사유 불발생 간주"는 다른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 또는 새로 발생하는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다. 기한의 이익 상실의 취소
사채권자는 다음의 요건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를 얻어 "발행회사" 및 "관리회사"에게 서면으로통지함으로써 기한의 이익 상실을 취소할 수 있다.
(가) 기한의 이익 상실로 인하여 지급기일이 도래한 것으로 간주되는 원리금 지급 채무를 제외하고, 모든 "기한이익상실사유" 또는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가 치유되거나 불발생한 것으로 간주될 것
(나) ㉠ 지급기일이 경과한 이자 및 이에 대한 제2-1조 제3항의 연체이자(기한의 이익 상실선언으로 인하여 지급하여야 할 이자는 제외한다.)와 ㉡ "기한이익상실사유" 또는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의 발생과 관련하여 "관리회사"가 지출하였거나 지출할 비용의 상환을 하기에 충분한 금액을 "관리회사"에게 지급하거나 예치할 것

라. 기한의 이익 상실과 관련된 기타 구제 방법
"관리회사"는 사채권자집회의 결의를 얻어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조치로써 가. (2)에 의한 기한의 이익 상실 선언에 갈음하거나 이와 병행할 수 있다. 단, 가. (2) (가)의 사유에 의한 경우에는 다음 중 어느 하나의 조치를 요구함에 있어서 2월 이상의 기간을 부여하여야 한다.
(가) "본 사채"에 대한 보증 또는 담보의 요구
(나) 기타 "본 사채"의 원리금 지급 및 본계약상의 의무의 이행을 강제하기에 필요하거나 적절한 조치


3) 사채관리회사와의 계약사항
본 사채의 사채관리회사와의 관련사항은 "사채관리계약서" 상의 제4절 사채관리회사를 따르며 다음과 같습니다.

"발행회사"는 SK㈜를 지칭하며, "관리회사"는 한국증권금융을 지칭합니다.
사채관리계약서 제4-1조(사채관리회사의 권한)
 
제 4-1 조 (사채관리회사의 권한)
① "관리회사"는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단, 제1-2조 제11호 나목 (1)의 각 요건 중 어느 하나를 충족하는 경우로써 이에 근거한 사채권자의 서면에 의한 지시가 있는 경우 "관리회사"는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야 한다. 다만, 동 단서에 따른 지시에 의해 "관리회사"가 해당 행위를 하여야 하는 경우라 할지라도, "발행회사"의 잔존 자산이나 자산의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할 때 소송의 실익이 없거나 투입되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배당가능성이 없다는 점을 "관리회사"가 독립적인 회계 또는 법률자문을 통하여 혹은 기타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소명할 수 있는 경우, "관리회사"는 해당 요청을 하는 사채권자들에게, 다음 각 호 행위 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선급이나 그 지급의 이행보증, 기타 소요 비용 충당에 필요한 합리적 보상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실현시까지 "관리회사"는 상기 지시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원금 및 이자의 지급의 청구, 이를 위한 소제기 및 강제집행의 신청
2. 원금 및 이자의 지급청구권을 보전하기 위한 가압류·가처분 등의 신청
3. 다른 채권자에 의하여 개시된 강제집행절차에서의 배당요구 및 배당이의
4. 파산,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
5. 파산, 회생절차 개시의 신청에 관한 재판에 대한 즉시항고
6. 파산, 회생절차에서의 채권의 신고, 채권확정의 소제기, 채권신고에 대한 이의, 정리계획안의 인가결정에 대한 이의
7. "발행회사"가 다른 사채권자에 대하여 한 변제, 화해 기타의 행위가 현저하게 불공정한 때에는 그 행위의 취소를 청구하는 소제기 및 기타 채권자취소권의 행사
8. 사채권자집회의 소집 및 사채권자집회 결의사항의 집행(사채권자집회결의로써 따로 집행자를 정한 경우는 제외)
9. 사채권자집회에서의 의견진술
10. 기타 사채권자집회결의에 따라 위임된 사항
② 제1항의 행위 외에도 "관리회사"는 "본 사채"의 원리금을 지급받거나 채권을 보전하기 위하여 필요한 재판상 혹은 재판외의 행위를 할 수 있다.
③ "관리회사"는 다음 각 호의 사항에 대해서는 사채권자 집회의 유효한 결의가 있는 경우 이에 따라 재판상 혹은 재판외의 행위로서 이를 행할 수 있다.
1. "본 사채"의 발행조건의 사채권자에게 불이익한 변경 : "본 사채" 원리금지급채무액의 감액, 기한의 연장 등
2. 사채권자의 이해에 중대한 관계가 있는 사항: "발행회사"의 본계약 위반에 대한 책임의 면제 등
④ 본 조에 따른 행위를 함에 있어서 "관리회사"가 지출하는 모든
비용은 이를 "발행회사"의 부담으로 한다.
⑤ 전 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관리회사"는 "발행회사"로부터 "본 사채"의 원리금 변제로서 지급받거나 집행, 파산, 회생절차 등을 통해 배당받은 금원에서 자신이 지출한 전항의 비용을 최우선적으로 충당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회사"의 비용으로 충당된 한도에서 사채권자들은 "발행회사"로부터 "본 사채"에 대해 유효한 원리금의 지급을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보며 해당 금액에 대하여 사채권자는 여전히 "발행회사"에 대한 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보유한다. 만일, 제1항 본문 후단에 따른 "관리회사"의 비용 선급 등 요청에 따라 해당 비용을 선급하거나 대지급한 사채권자가 있는 경우 그 실제 지급된 금액의 범위에서 본 항에 의한 "관리회사"의 비용 우선 충당 권리는 해당 금원을 선급 또는 대지급한 사채권자들에게 그 실제 지출한 금액의 비율에 따라 안분비례 하여 귀속한다.
⑥ "발행회사" 또는 사채권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 "관리회사"는 본 조의 조치와 관련하여 지출한 비용의 명세를 서면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⑦ 본 조에 의한 행위에 따라 "발행회사"로부터 지급 받는 금원이 있거나 집행, 파산, 회생절차 등을 통해 배당 받은 금원이 있는 경우, "관리회사"는 이로부터 제5항에 따라 우선 충당할 권리가 있는 비용에 이를 충당하고(만일 대지급한 사채권자가 있는 경우에는 그 증빙을 받아 해당 사채권자에게 그 대지급한 금원을 지급한다) 나머지 금원은 이를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서 보관한다.
⑧ "관리회사"는 제7항에 따라 보관하게 되는 금원(이하 이 조에서 "보관금원")이 발생하는 경우, 즉시 사채권자들로 하여금 자신의 사채에 기한 권리를 신고하도록 공고 하여야한다. 이 경우 권리의 신고기간은 1개월 이상이어야 한다. 만일, "발행회사"가 지급한 금원이나 집행, 파산 또는 회생 등의 절차에 의해 배당 받은 금원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에 해당하고 장래 추가적인 지급이나 배당이 있는 경우 그 실제 지급이나 배당을 수령한 즉시 "관리회사"는 이를 공고 하여야 한다.
⑨ 전항 기재 권리 신고기간 종료시 "관리회사"는 신고된 각 사채권자에 대해, 제7항의 보관금원을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에 따라 안분비례 하여 사채 권면이나 사채권자임을 특정할 수 있는 등록필증 원본과의 교환으로써 해당 금원을 지급한다. 만일, "발행회사"가 지급한 금원이나 집행, 파산 또는 회생 등의 절차에 의해 배당 받은 금원이 전부가 아니라 일부에 해당하고 장래 추가적인 지급이나 배당이 예정 되어 있거나 합리적으로 예상되는 경우 "관리회사"는 교부받은 사채권이나 등록필증에 지급하는 금액을 기재하거나 이 뜻을 기재한 별도 서면을 첩부하고 기명날인하여 이를 해당 사채권자에게 반환하며, 해당 사채를 보유하는 사채권자가 차회에 추가적인 지급을 받고자 하는 경우 반드시 이와 같이 "관리회사"가 기재한 지급의 뜻이 기재되거나 그와 같은 뜻이 기재된 문서가 첩부된 사채권이나 등록필증을 다시 "관리회사"에게 교부하여야 한다.
⑩ 사채 미상환 잔액을 산정함에 있어 "관리회사"가 사채권자가 제공한 등록필증이나 사채권을 신뢰하여 이를 기초로 보관금원을 분배한 경우 "관리회사"는 이에 대해 과실이 있지 아니하다.
⑪ 신고기간 종료시까지 해당 사채권자가 권리를 신고하지 아니하거나 권리신고를 하고도 이후 사채권이나 등록필증을 교부하고 지급을 신청하지 아니한 경우 해당 사채권자에게 지급될 금원은 이를 공탁할 수 있다.
⑫ 보관금원에 대해 보관기간 동안의 이자는 발생하지 아니하며 "관리회사"는 이를 지급할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한다.


사채관리계약서 제4-2조(사채관리회사의 조사권한 및 발행회사의 협력의무)
 
제 4-2 조 (사채관리회사의 조사권한 및 발행회사의 협력의무)  
① "관리회사"는 다음 각 호의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발행회사"의 업무 및 재산상황에 대하여 정보 및 자료의 제공요구, 실사 등 조사를 할 수 있고, "발행회사"는 이에 성실히 협력하여야 한다.
1. "발행회사"가 "본 계약"을 위반하였거나 위반하였다는 합리적 의심이 있는 경우
2. 기타 "본 사채"의 원리금지급에 관하여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합리적으로 판단되는 사유가 발생하는 경우
②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과반수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가 제1항 각 호 소정의 사유를 소명하여 "관리회사"에게 서면으로 요구하는 경우 "관리회사"는 제1항 의 조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관리회사"가 "발행회사"의 잔존 자산이나 자산의 집행가능성 등을 고려하여 조사나 실사의 실익이 없거나 투입되는 비용을 충당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배당가능성이 없거나 사채권자의 소명 내용이 합리적인 근거를 결하였음을 독립적인 회계 또는 법률자문 결과, 기타 객관적인 자료를 근거로 소명하는 경우 "관리회사"는 사채권자집회에서의 결의 또는 해당 요청을 하는 사채권자에게, 해당 조치 수행에 필요한 비용의 선급이나 그 지급의 이행보증 기타 소요 비용 충당에 필요한 합리적 보장을 제공할 것을 요청할 수 있고 그 실현시까지 상기 지시에 응하지 아니할 수 있다.
③ 제2항에 따른 사채권자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관리회사"가 조사를 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2항의 규정 여하에 불구하고, 사채권자집회의 결의, 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3분의2 이상을 보유한 사채권자의 동의를 얻어 사채권자는 직접 또는 제3자를 지정하여 제1항의 조사를 할 수 있다.
④ 제1항 내지 제3항의 규정에 의한 "관리회사"의 자료제공요구 등에 따른 비용은 "발행회사"가 부담한다. 다만, 해당 조사나 자료요구 및 실사 등은 합리적인 범위에 의한 것이어야 하며 이를 초과할 경우의 비용에 대하여는 "발행회사"가 이를 부담하지 아니한다.
⑤ "발행회사"의 거절, 방해, 비협조 혹은 자료 미제공 등으로 인한 조사나 실사 미진행시 "관리회사"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한다.
⑥ 본 조의 자료제공요구나 조사, 실사 등과 관련하여 "발행회사"가 상기 제1항 각 호 소정의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증빙하거나 자료 등을 공개하지 아니할 법규적인 의무가 있음을 증빙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 없이 자료제공, 조사 혹은 실사에 대한 협조를 거절하거나, 이를 방해한 경우 이는 "발행회사"의 본 계약상의 의무위반을 구성한다.


사채관리계약서 제 4-3 조 (사채관리회사의 공고의무)
 
제 4-3 조 (사채관리회사의 공고의무)  
① "발행회사"의 원리금지급의무 불이행이 발생하여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관리회사"는 이를 알게 된 때로부터 7일 이내에 그 뜻을 공고하여야 한다.
② 제1-2조 제11호 가목 (1)에 따라 "발행회사"에 대하여 기한이익이 상실된 경우에는 "관리회사"는 이를 즉시 공고하여야 한다. 다만, 발생한 사정의 성격상 외부에서 별도의 확인조사를 행하지 아니하거나 "발행회사"의 자발적 통지나 협조가 없이는 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없거나 그 확인이 현저히 곤란한 사정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하며 이 경우 "관리회사"가 이를 알게된 때 즉시 그 뜻을 공고하여야 한다.
③ 제1-2조 제11호 가목 (2)에 따라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가 발생하여 계속되고 있는 경우에는, "관리회사"는 이를 알게 된 때로부터 7일 이내에 그 뜻을 공고하여야 한다.
④ "관리회사"는 "발행회사"에게 본계약 제1-2조 제11호 라목에 따라 조치를 요구한 경우에는 조치요구일로부터 30일 이내에 그 내용을 공고하여야 한다.
⑤ 제3항과 제4항의 경우에 "관리회사"가 공고를 하지 않는 것이 사채권자의 최선의 이익이라고 합리적으로 판단한 때에는 공고를 유보할 수 있다.


사채관리계약서 제 4-4 조 (사채관리회사의 의무 및 책임)
 
제 4-4 조 (사채관리회사의 의무 및 책임)
① "발행회사"가 "관리회사"에게 제공하는 보고서, 서류, 통지를 신뢰함에 대하여 "관리회사"에게 과실이 있지 아니하다. 다만, "관리회사"가 그 내용상 오류를 알고 있었던 경우이거나 중과실로 이를 알지 못한 경우에는 그렇지 아니 하며, 본계약에 따라 "발행회사"가 "관리회사"에게 제출한 보고서, 서류, 통지 기재 자체로서 "기한이익상실사유" 또는 "기한이익상실 원인사유"의 발생이나 기타 "발행회사"의 본계약 위반이 명백한 경우에는, 실제로 "관리회사"가 위의 사유 또는 위반을 알았는가를 불문하고 그러한 보고서, 서류, 통지 수령일의 익일로부터 7일이 경과하면 이를 알고 있는 것으로 간주한다.
② "관리회사"는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본계약상의 권한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여야 한다.  
③ "관리회사"는 제1항의 규정과 관련하여 고의 또는 중과실로 인하여 발생하는 손해에 대하여 배상책임을 진다.


사채관리계약서 제 4-5 조 (사채관리회사의 보수 및 사무처리비용)
 
제 4-5 조 (사채관리회사의 보수 및 사무처리비용)  
① "발행회사"는 사채관리수수료로서 금오백만원 (\5,000,000)을 "본 사채"의 납입일 이후 최초 영업일에 "관리회사"에게 일시지급한다.
② "본 사채"의 상환에 관한 "관리회사"의 사무처리비용은 "발행회사"가 부담하며, "관리회사"는 동 비용의 선급을 "발행회사"에게 청구할 수 있다.
③ "관리회사"가 제2항의 비용을 대지급한 때에는 "발행회사"가 그 지급한 금액에 대하여 제1-2조 제8호의 연체이자율을 적용한 이자를 "관리회사"에게 지급한다.
④ "관리회사"는 상환받은 금액에서 사채권자에 우선하여 제2항의 사무처리비용의 변제를 받을 수 있다. 이 경우 "관리회사"가 비용을 변제받은 한도에서 사채권자들은 "발행회사"로부터 "본 사채"에 대해 유효한 원리금의 지급을 받지 아니한 것으로 보며 해당 금액에 대하여 사채권자는 여전히 "발행회사"에 대한 사채권자로서의 권리를 보유한다.


사채관리계약서 제 4-6 조 (사채관리회사의 사임)
 
제 4-6 조 (사채관리회사의 사임)
① "관리회사"는 "본 계약"의 체결 이후 금융투자협회의 "증권인수업무등에관한규정" 제13조 제1항의 이익충돌사유가 발생한 경우에는 그 사유의 발생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사임하여야 한다. "관리회사"가 사임하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각 사채권자는 법원에 "관리회사"의 해임과 사무승계자의 선임을 청구할 수 있다. 다만, 새로운 사채관리회사가 선임되기까지 "관리회사"의 사임은 효력을 갖지 못하고 "관리회사"는 그 의무를 계속하여야 하며, 이와 관련하여 "관리회사"는 자신의 책임으로 이익 상충 및 정보교류차단을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고, 그 위반시 이에 따른 책임을 부담한다. 만일, 새로운 사채관리회사의 선임에 따라 추가 되는 비용이 있는 경우 이는 "관리회사"의 부담으로 한다.
② 사채관리회사가 존재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발행회사"와 사채권자집회의 일치로써 그 사무의 승계자를 정할 수 있다. 이 경우 합리적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사채관리회사의 보수 및 사무처리비용 기타 계약상의 의무에 있어서 "발행회사"가 부당하게 종전에 비하여 불리하게 되어서는 아니된다.
③ "관리회사"가 사임 또는 해임된 때로부터 30일 이내에 사무승계자가 선임되지 아니한 경우에는 단독 또는 공동으로 "본 사채의 미상환잔액"의 10분의 1 이상을 보유하는 사채권자는 법원에 사무승계자의 선임을 청구할 수 있다.
④ "관리회사"는 "발행회사"와 사채권자집회의 동의를 얻어서 사임할 수 있으며, 부득이한 사유가있는 경우에 법원의 허가를 얻어 사임할 수 있다.
⑤ "관리회사"의 사임이나 해임은 사무승계자가 선임되어 취임할 때에 효력이 발생하고, 사무승계자는 본계약상 규정된 모든 권한과 의무를 가진다.


4) 사채관리회사인 한국증권금융은 선량한 관리자의 주의로써 사채관리계약상의권한을 행사하고 의무를 이행하여야 합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동 증권신고서에 첨부된 사채관리계약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Ⅲ. 투자위험요소


1. 사업위험


당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 경영실적이 주요 자회사들의 실적과 연동되며, 당사의 주 수익원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수익과 상표권(브랜드) 사용 수익입니다.


당사는 2007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인적분할 방식에 의해 투자사업부문 및 생명과학사업(Life Science) 부문을 영위하고, 석유, 화학, 윤활유, 석유개발 등 주요 제조사업부문을 사업회사(신설법인)인 구 SK에너지㈜ (現 SK이노베이션㈜)로 포괄이전하였으며, 이에 따라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하였습니다. 생명과학사업부문 또한 2011년 04월 01일 자로 SK바이오팜㈜으로 분사하여 당사의 자회사로 편입되었습니다.

지주회사(持株會社)란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정부에서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구조조정 촉진을 위하여 1999년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 개정을 통해 이를 허용하였습니다. 지주회사 체제는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독립경영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주주가치 향상에 기여합니다.

당사의 주요 수입원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수익이며, 이외에 상표권(브랜드)사용 수익 등 안정적인 수익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는 자회사들의 실적에 연동되므로, 자회사들의 경영실적에 따라 당사의 경영실적은 밀접한 영향을 받습니다.

당사는 SK이노베이션㈜ 등 9개 자회사를 두고 있으며, 자회사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자회사명 지분율* 장부가액 영위업종 비고
SK이노베이션(주) 33.4%
3,944,657 지주사업 및 원유/화학 관련 사업 상장
SK텔레콤(주) 25.2% 3,091,125 정보통신사업 상장
SK네트웍스(주) 39.1% 1,165,759 무역, 에너지판매 상장
SKC(주) 42.5% 254,632 합성수지 등 제조 상장
SK건설(주) 40.0% 485,171 토목/건설 비상장
SK해운(주) 83.1% 607,643 해상운송 비상장
SK E&S(주) 94.1% 1,026,307 가스사 소유 및 복합화력발전 비상장
SK바이오팜(주) 100.0% 228,702 생명과학연구 비상장
SK임업(주) 100.0% 60,200 조림사업, 조경사업, 복합임업사업 비상장
* 상기지분율은 2013. 03. 31 보통주 기준임.


위와 같은 자회사의 실적을 바탕으로 당사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29조 5,786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였습니다. 매출액 중 대부분은 자회사의 매출액이 연결재무제표에 인식된 것으로 동 기간 당사의 별도기준 영업수익은 8,376억원입니다. 이 중 자회사로부터의 배당금 수익이 7,763억원, 상표권사용수익이 534억원으로 전체 영업수익의 99%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영업성과는 자회사의 실적과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변동하게 되며, 자회사의 주된 사업영역인 에너지, 석유화학, 정보통신, 물류서비스 산업 등의 산업동향에 영향을 받습니다. 아래는 주요 자회사의 사업 개황 및 투자위험요소입니다.

※ 주요 자회사의 사업 개황 및 투자위험요소

가. SK이노베이션㈜ (구 SK에너지㈜)

SK이노베이션㈜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18조 1,082억원, 영업이익 6,959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3.9% 가량 감소하였으며, 경기침체로 인한 기유 수요 부진으로 SK루브리컨츠㈜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2.8% 감소하는 등 자회사의 실적악화로 SK이노베이션㈜의 2013년 1분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7% 감소하였습니다. 향후 국제 유가와 정유 및 석유화학업황에 따라 동사 이익규모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18조 1,08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9% 가량 감소한 수치이며 주요 자회사인 SK루브리컨츠(주)의 윤활유 부문 수익성이 악화된 영향입니다. 경기침체에 따른 기유 수요 부진과 마진율 악화로 SK루브리컨츠㈜의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92.8% 감소하여 SK이노베이션㈜의 2013년 1분기(연결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5.7% 감소하였습니다.

석유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SK에너지㈜는 2012년에 비해 정제마진이 다소 회복세를 보임에 따라 2013년 1분기(연결기준) 3,919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전년 동기 3,659억원 대비 약 7.1% 증가하였습니다. 석유사업은 석유, 아스팔트 등 기존 사업 모델 개선을 통한 수익성 개선을 위해 전략적 투자 및 타사와의 협력을 추진 중이며, 독립경영체제 하에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R&D에 투자하고 새로운 사업 모델을 찾는 노력을 지속함으로써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Global Player로 나아가기 위해 힘쓰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세계 경기 위축에 따른 미국, 유럽 등 선진국 수요의 축소 양상으로 정제마진 약화 가능성이 있으며 주요 국가 신용 위험 증가 등에 따른 국제유가 변동이 향후 당사 실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화학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SK종합화학㈜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2,436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전년 동기 1,908억원 대비 약 27.7% 증가하였습니다. 화학 사업은 향후 중국 정부의 긴축 완화 조치에 따라 역내 석유화학 제품가격 및 Spread의 점진적 회복세가 기대되며, 지속적인 R&D로 ACO(Advanced Catalytic Olefin)기술 등 기반사업의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소재 개발을 통한 신성장 Option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타사와의 협력을 통해 전략적 제휴관계를 강화함으로써 독자생존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다만, 화학산업은 경기등락에 따른 업황의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동사의 사업성과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윤활유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SK루브리컨츠㈜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77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하였으며, 전년 동기 1,059억원 대비 약 92.8% 감소하였습니다. 기유(基油, 엔진오일용) 수요 부진에 따른 마진약세가 지속되고 경기침체에 따른 기유 및 윤활유 수요가 감소하였으며, 원가부담에 따른 수익률 저하와 재고증가에 따른 위탁저유비의 증가로 영업이익이 하락하였습니다. 동사는 기존 시장에서의 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중국 등 글로벌 역량을 강화하여 생산능력을 점진적으로 증대시켜 Group III 기유의 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있으며, 향후 중국, 인도의 차량 증가,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의 산업화와 남미 시장의 경기회복 등 신흥개발국에서의 수요 증가와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 증가가 전망됩니다. 다만, SK루브리컨츠㈜는 윤활기유 및 윤활유 사업의 단일 업종만을 영위하고 있어 동 산업 업황의 변화에 수익성이 직결되므로 업황 급변에 따른 위험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향후 세계적인 증설의 영향으로 기유 공급능력이 확대되어 중장기적으로 고급 기유의 타이트한 수급 상황이 다소 변동될 가능성도 존재하고 있습니다.

석유개발사업은 광권 취득 후, 석유부존 가능성 및 매장량을 추정/확인하는 탐사단계와 개발 계획 수립 및 생산 시설 건설을 하는 개발단계, 저류층과 생산시설의 관리를 통해 최적의 생산 구조와 수익 극대화를 도모하는 생산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단계마다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작업이며, 지하의 부존 자원을 발굴/생산해 내는 산업의 특성상 불확실성이 크며 이를 기술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와 경제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입니다.

2013년 03월말 기준 당사는 16개국 24개 광구 및 4개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중 생산광구는 6개국 8개 광구입니다. 당사는 생산광구와 LNG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2013년 1분기에 누적 매출액 2,479억원, 누적 영업이익 1,232억원의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2013년 1분기 누적 당사의 지분 원유 분배물량은 총 5백만 석유환산배럴이며, 일산 약 5만 5천 석유환산배럴을 분배 받았습니다.

탐사 활동의 경우, 카작 잠빌 광구의 탐사정 2공 시추가 연중 예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존 생산광구인 페루 88광구와 베트남 15-1광구에서도 각각 탐사정 2공, 4공의 시추계획 등 추가적인 수익 및 매장량 증대를 위한 작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다만, 광구의 가치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 유가와 환율 추이는 동 사업부문의 수익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구 SK에너지㈜는 2011년 1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단순ㆍ물적분할방식으로 SK이노베이션㈜(존속회사), SK에너지㈜(신설회사), SK종합화학㈜(신설회사)의 3개 회사로 분할되었습니다. 분할 방법은 존속회사가 영위하던 사업 중 석유사업(단, 토양정화사업을 포함) 및 화학사업(단, 현재 화학사업에 속하는 LiBS 사업은 존속회사에 잔존)을 분할하여 각각 신설회사를 설립하고, 존속회사가 각 신설회사 발행주식의 총수를 취득하는 단순ㆍ물적분할의 방식입니다. 분할 시 신설회사로 일부 자산과 부채가 이전되었으며 상법 제530조의9 제1항에 의거 존속회사와 각 신설회사는 모두 존속회사의 분할 전의 채무에 관하여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번 분할의 결과로 구 SK에너지㈜는 중간사업지주회사인 SK이노베이션㈜가 사업자회사인 SK에너지㈜ (석유사업), SK종합화학㈜ (화학사업), SK루브리컨츠㈜ (윤활유사업)의 지분율을 100% 소유하는 형태로 변모하였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SK이노베이션㈜의 공시내용(2010.10.26 주요사항보고서(분할(분할합병)결정) 및 2011.01.07 합병등종료보고서)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회사분할내용>

구분 회사명 사업
존속회사 SK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신설회사에 이전되는 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LiBS 사업 포함)
신설회사 SK에너지 주식회사 석유사업(울산CLX 중 석유사업, 인천CLX 및 토양정화사업 포함)
SK종합화학 주식회사 화학사업(울산CLX 중 화학사업 포함)


또한, SK에너지㈜는 2013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단순ㆍ인적분할의 방법으로 SK에너지㈜(분할되는 회사), SK인천석유화학㈜(가칭, 신설회사),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주식회사(가칭, 신설회사)의 3개 회사로 분할될 예정입니다. 분할되는 회사의 상호는 별도 이사회의 승인 등의 절차를 거친 후 분할계획서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에서, 신설회사의 상호는 분할계획서 승인을 위한 임시주주총회 또는 신설회사 창립총회에서 각각 변경될 수 있습니다. 상법 제530조의3 제1항 및 제2항에 의거 주주총회의 특별결의에 의해 분할하며, 동법 제530조의9 제1항에 의거 분할되는 회사와 신설회사는 모두 분할되는 회사의 분할 전의 채무에 관하여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SK에너지㈜의 공시내용(2013.05.20 주요사항보고서(분할(분할합병)결정)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회사분할내용>

구분 회사명 사업
분할되는 회사 SK에너지 주식회사 신설회사에 이전되는 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
신설회사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주식회사(가칭) 원유/석유화학제품 수출/수입 및 수출/수입 관련 지원업무, SKEI 등 해외 자회사 및 지점 등의 투자Vehicle을 통한 트레이딩 사업 및 이와 관련한 일체의 사업(이하 "트레이딩 사업")
SK인천석유화학주식회사(가칭) 인천 서구 원창동 인천CLX 소재 고정장치, 토지, 건축물, 구축물 및 건설중인 자산을 통하여 영위하거나 영위하고 있는 사업 일체(이하 "인천CLX사업")


※ SK이노베이션㈜ 요약 연결재무제표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유동자산] 18,660,416 17,885,166 19,886,932 15,495,703
ㆍ당좌자산 11,760,377 10,988,266 12,309,703 9,049,087
ㆍ재고자산 6,900,019 6,758,732 7,481,837 5,862,558
ㆍ기타비유동자산 20 138,168 95,392 584,059
[비유동자산] 16,570,568 15,945,914 15,139,949 13,910,021
ㆍ투자자산 2,447,399 2,246,170 2,394,141 1,768,336
ㆍ유형자산 12,615,983 12,204,160 11,376,914 10,850,021
ㆍ무형자산 1,386,022 1,363,916 1,205,573 1,138,286
ㆍ기타비유동자산 121,164 131,667 163,322 153,378
자산총계 35,230,984 33,831,080 35,026,881 29,405,724
[유동부채] 13,187,847 12,024,818 14,305,452 11,744,822
[비유동부채] 5,516,647 5,458,238 5,889,819 6,109,135
부채총계 18,704,494 17,483,056 20,195,271 17,853,957
[자본금] 468,570 468,570 468,570 468,570
[연결자본잉여금] 5,757,013 5,757,017 5,741,387 5,878,164
[연결이익잉여금] 9,068,943 9,114,823 8,202,693 5,265,931
[기타연결자본조정] 223,887 30,932 164,625 (161,184)
[비지배지분] 1,008,077 976,683 254,335 100,286
자본총계 16,526,490 16,348,025 14,831,610 11,551,767
매출액 18,108,158 73,330,011 68,371,155 53,722,461
영업이익 695,868 1,699,364 2,959,483 2,251,976
당기순이익 272,171 1,182,352 3,175,844 1,149,182
지배회사지분순이익 257,668 1,185,432 3,169,008 1,138,752
연결총포괄순이익 470,068 955,920 3,342,118 1,146,003
지배기업소유주지분주당이익 2,764원 12,720원 34,004원 12,241원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50 50 54 58


나. SK텔레콤㈜

SK텔레콤㈜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영업수익 4조 1,126억원, 영업이익 4,106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수익은 3.6% 증가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영업이익은 17.8% 하락하였습니다. 향후 스마트폰 시장 및 LTE 시장을 중심으로 경쟁강도 강화가 지속됨에 따라 당사의 수익성도 변동될 수 있습니다.


SK텔레콤㈜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영업수익 4조 1,126억원, 영업이익 4,106억원을 달성했습니다. 전년 동기 대비 영업수익은 3.6% 증가로 소폭 상승하였으나, 무제한 요금제 출시 등 요금 경쟁과 LTE 가입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 비용 증가, LTE 투자 지출 증가 등의 영향으로 인해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7.8% 하락하였습니다. 위성 DMB 사업 등 중단사업의 손익 반영 후 분기연결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5.2% 증가하였습니다. 동사는 치열한 경쟁과 급격한 경영환경의 변화 속에서도 지속적인 스마트폰 보급확대와 LTE 가입자 비중 증가에 따라 경쟁력을 강화해 가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최초 LTE 시험개통 등 무선인터넷 시장에서 리더십을 유지하면서 글로벌 플랫폼 사업자로 성장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사업영역을 구체화해 나가는 등 새로운 성장을 본격적으로 준비하고 있습니다.

2013년 1분기말 기준 이동전화 가입자 수는 시장 보급율의 포화와 치열한 경쟁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6.8만 명 증가한 2,703만 명을 확보하였습니다.후 통신산업의 새로운 성장에 기반이 될 스마트폰 가입자는 LTE 가입자 933만 명을 포함하여 전분기 대비 67만명 증가한 1,665만 명을 기록하며 시장 1위 사업자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습니다. 또한 2011년 7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한 LTE 네트워크를 통해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구현, HD 영상 통화를 포함한 HD Voice 제공, All-IP 기반 차세대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조인T 상용화 등 데이터 서비스의 질적인 수준을 한 단계 높였으며, PETA 솔루션과 멀티 캐리어 솔루션 도입 등을 통한 네트워크 품질 개선에도 매진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여나가고 있습니다. 다만 스마트폰 가입자 수 증가에 따른 ARPU 증대 기대감에도 불구하고, 이동통신 기본료 인하, 무료 통화, 문자메시지 어플리케이션 출시 등으로 인해 수익성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2008년 5월 자회사로 편입된 SK브로드밴드㈜의 유선사업 역량은 컨버전스 시장환경에서 유무선 복합 상품을 통해 신규 고객과 상품을 확보하는 한편 기존 고객의 서비스 만족도도 향상시키고 있습니다. 다만, 유무선 대체 및 사업자간 경쟁심화, 전반적인 성장성 둔화 등의 영향으로 유무선 통합에 따른 시너지는 다소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 SK텔레콤㈜ 요약연결재무제표

(단위 : 백만원)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유동자산] 5,081,678 5,294,421 6,117,479 6,653,992
ㆍ현금및현금성자산 1,124,348 920,125 1,650,794 659,405
ㆍ매출채권 2,223,429 1,954,920 1,823,170 1,949,397
ㆍ미수금 697,239 582,098 908,836 2,531,847
ㆍ기타의유동자산 1,036,662 1,837,277 1,734,679 1,513,343
[비유동자산] 20,327,165 20,301,139 18,248,557 16,478,397
ㆍ장기투자자산 990,700 953,713 1,537,945 1,680,582
ㆍ관계기업투자 4,817,238 4,632,477 1,384,605 1,204,692
ㆍ유형자산 9,577,989 9,712,719 9,030,998 8,153,413
ㆍ무형자산 2,653,778 2,689,658 2,995,803 1,884,956
ㆍ영업권 1,736,161 1,744,483 1,749,933 1,736,649
ㆍ기타의비유동자산 551,297 568,089 1,549,272 1,818,106
자산총계 25,408,843 25,595,560 24,366,036 23,132,389
[유동부채] 6,287,108 6,174,895 6,673,590 6,202,170
[비유동부채] 6,754,034 6,565,882 4,959,738 4,522,219
부채총계 13,041,143 12,740,777 11,633,327 10,724,390
[지배기업소유주에 귀속되는 자본] 11,585,121 11,854,778 11,661,881 11,329,991
ㆍ자본금 44,639 44,639 44,639 44,639
ㆍ기타불입자본 (351,978) (288,883) (285,347) (78,953)
ㆍ이익잉여금 11,890,283 12,124,658 11,642,525 10,721,249
ㆍ기타자본구성요소 2,176 (25,636) 260,064 643,055
[비지배지분] 782,579 1,000,005 1,070,828 1,078,008
자본총계 12,367,700 12,854,782 12,732,709 12,407,999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29개 32개 31개 32개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영업수익 4,112,637 16,300,479 15,926,469 15,489,374
영업이익 410,633 1,760,171 2,295,613 2,555,782
법인세비용차감전계속영업이익 427,906 1,550,887 2,240,690 2,373,224
연결당기순이익 345,934 1,115,663 1,582,073 1,766,835
ㆍ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354,155 1,151,705 1,612,889 1,841,613
ㆍ비지배지분 (8,220) (36,042) (30,816) (74,778)
기본주당순이익(원) 5,081 16,525 22,848 25,598
희석주당순이익(원) 5,081 16,141 22,223 24,942



SK텔레콤㈜는 플랫폼 사업의 분리를 통하여 사업 전문성을 제고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플랫폼사업부문을 분할한 바 있습니다.


동사는 플랫폼 사업의 분리를 통하여 사업 전문성을 제고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주주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2011년 7월 19일 이사회결의 및 2011년 8월 31일자 주주총회의 승인에 의거 플랫폼사업부문을 분할하여 2011년 10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SK플래닛 주식회사를 설립하였고, 2011년 10월 5일자로 분할등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회사분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분할방법 단순 물적분할
분할회사 SK텔레콤주식회사 (분할존속회사)
SK플래닛주식회사 (분할신설회사)
분할기일 2011년 10월 1일


한편, 분할 전후의 요약 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분할 전
(2011.09.30)
분할 후(2011.12.31)
SK텔레콤 주식회사 SK텔레콤 주식회사 SK 플래닛 주식회사
총자산 19,400,114 24,366,036 1,677,730
총부채 7,673,828 11,633,327 423,903
총자본 11,726,286 12,732,709 1,253,827


2011년 10월 1일자로 동사에서 분할되어 공식 출범한 SK플래닛㈜는 'HUG' the planet의 슬로건 하에 Human, Unique, Global을 핵심 가치로 삼아 'Global Platform Innovator' 라는 비전을 향해 힘찬 발걸음을 시작하였습니다. 지난 2년간 놀라운 성장세를 보여온 T store는 가입자 1천만명을 돌파하였고 이는 그간 다양한 개발자 지원 정책과 ecosystem 구축에 노력해 온 결과로서, 가입자 base 확대에 따라 앞으로도 개발자 등 비즈니스 파트너와의 상생 협력의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하고있습니다. T store는 중국/대만 진출에 이어 일본 시장 진출 등 글로벌 시장 진출 또한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한편, 분할 후 SK플래닛㈜의 지분전량을 동사가 보유하게 됨에 따라 동 분할이 동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인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SK플래닛은 '12년 1분기 Mobile communication 및 social 영역으로의 진출을 위해 '틱톡' 서비스 제공업체인 매드스마트 지분 100%를 인수하였으며, 양사가 보유한 ICT역량을 결합하여 Platform Business 경쟁력 향상과 신속한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2013년 6월 1일을 합병기일로 하여 무증자방식에 의하여 1:0의 합병비율에 따라 합병할 예정입니다. 자세한 사항은 2013년 04월 23일 공시된 '회사합병 결정(종속회사의 주요경영사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obile SNS는 아직 초기 단계의 시장으로 신규사업 기회가 많을 것으로 예측되며 향후 시장 전체의 성장성도 클 것으로 기대되는 영역입니다. 향후 SK플래닛이 보유한 플랫폼 서비스 노우하우와 '틱톡'이란 SNS 및 social 서비스의 장점을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국내외에서 시너지를 창출해 나갈 계획입니다.


SK텔레콤㈜는 미래성장 기반 확보와 글로벌 사업기회 발굴 등을 위해 SK하이닉스㈜(구 ㈜하이닉스반도체) 지분 21.05%를 취득하였습니다. SK하이닉스㈜가 영위하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2010년 이후 새로운 IT 기기의 등장과 디지털 기기의 모바일화, 스마트화로 DRAM 수요가 점차 확대될 전망이며, 선두업체를 중심으로 메모리 신성장의 기회가 더욱 증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반도체 산업은 업황의 부침이 큰 편이며 산업내 경쟁 또한 심한 편이라 이에 따라 동사 현금흐름의 변동성 또한 커질수 있습니다.


동사는 2011년 11월 14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미래성장 기반 확보와 글로벌 사업기회 발굴 등을 위해 2012년 2월 14일자로 SK하이닉스㈜(구 ㈜하이닉스반도체) 주식 146,100,000주(취득가액 3,374,726백만원)를 취득하였습니다. 주식의 취득방법은 전액 현금취득(구주매수 및 신주인수)이며, 주식취득 후 동사의 SK하이닉스㈜에 대한 지분율은 21.05%입니다.

SK하이닉스㈜가 영위하는 메모리 반도체 산업은 2007년 이후 공급 과잉에 따른 판매 가격의 급격한 하락과 2008년 미국 신용위기에 따른 세계 경제 침체의 영향으로 2009년까지 다소 저조한 성장세를 보이기도 하였지만, 2010년 이후 새로운 IT 기기의 등장과 디지털 기기의 모바일화, 스마트화로 DRAM 수요는 PC에서 모바일 영역으로, NAND 수요는 모바일에서 PC영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하지만 공정 미세화의 기술은 한계에 다다르고 있으며, 생산 및 연구 개발을 위한 투자 비용은 급증하고 고객들의 요구 성능과 품질 수준은 점점 더 다양화, 고도화 되고 있어 선두업체와 후발업체와의 기술 및 원가경쟁력 격차가 점차 확대됨과 동시에 공급은 제한적인 성장을 보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선두업체를 중심으로 메모리 신성장의 기회가 더욱 증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SK하이닉스㈜ 인수를 시작으로 이종사업과의 융합이 빠르게 시작되고 있는 ICT산업에서 사업 다각화를 준비하고, 이동통신사업 포트폴리오에 변화를 줌으로써 미래 성장 기반을 확보하려는 전략으로 통신과 IT간 시너지가 예상됩니다. 다만, SK하이닉스㈜가 영위하고 있는 반도체 산업은 업황의 부침이 큰 편이며 산업내 경쟁 또한 심한 편이라 이에 따라 동사 현금흐름의 변동성 또한 커질수 있습니다.

SK하이닉스㈜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2조 7,811억원을 기록하여 전년 동기 대비 16.4% 증가하였으며, 영업이익은 3,170억원으로 전년 동기 영업손실 2,635억원에서 흑자전환하였습니다. PC용 D램 가격 상승과 중국 모바일 기기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출하며 매출액이 크게 증가하였습니다. 향후 당사 및 시장 1위 사업자인 삼성전자(주)의 투자지출 규모 감소로 인한 고정비 절감으로 인한 수익성 개선이 기대되고 있으나, D램 가격 변동에 따른 매출액 변동 및 환율 변동에 따라 당사 수익성의 변동성 또한 커질 수 있습니다.

※ SK하이닉스㈜ 요약연결재무제표

(단위: 백만원)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유동자산] 5,700,143 5,313,573 4,936,850 5,416,086
ㆍ현금및현금성자산 741,111 658,387 1,243,788 1,253,226
ㆍ단기금융상품 1,186,823 1,126,229 632,139 948,476
ㆍ매출채권 1,796,652 1,719,521 1,540,925 1,604,952
ㆍ재고자산 1,585,533 1,509,331 1,183,608 1,281,519
ㆍ기타 390,024 300,105 336,390 327,913
[비유동자산] 13,358,071 13,335,120 12,301,298 11,996,031
ㆍ관계기업 및 조인트벤처투자 111,395 104,100 103,613 98,163
ㆍ매도가능금융자산 53,626 44,297 47,492 57,044
ㆍ유형자산 11,598,526 11,586,192 10,899,308 10,590,580
ㆍ무형자산 1,017,329 983,630 707,648 603,653
ㆍ기타 577,195 616,901 543,237 646,591
자산총계 19,058,214 18,648,693 17,238,148 17,412,117
[유동부채] 4,455,681 4,441,180 4,817,286 5,349,559
[비유동부채] 4,558,987 4,468,071 4,545,591 4,154,982
부채총계 9,014,668 8,909,251 9,362,877 9,504,541
[지배기업 소유주지분] 10,044,028 9,740,156 7,875,742 7,905,923
ㆍ자본금 3,488,467 3,488,419 2,978,498 2,969,023
ㆍ자본잉여금 3,054,075 3,053,874 1,229,052 1,193,100
ㆍ기타포괄손익누계액 9,642 Δ115,402 107,107 Δ23,261
ㆍ기타자본항목 - - 5,762 5,762
ㆍ이익잉여금 3,491,844 3,313,265 3,555,323 3,761,299
[비지배지분] △482 Δ714 Δ471 1,653
자본총계 10,043,546 9,739,442 7,875,271 7,907,576
매출액 2,781,147 10,162,210 10,395,811 12,106,090
영업이익 316,951 Δ227,349 369,095 2,965,983
연결총당기순이익 178,713 Δ158,795 Δ55,971 2,597,575
지배기업의 소유주지분 178,595 Δ158,886 Δ56,641 2,620,962
비지배지분 118 91 670 Δ23,387
기본주당순이익 257원 Δ233원 Δ96원 4,440원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20개사 20개사 21개사 23개사
[Δ는 부(-)의 수치임]
※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었습니다.
※ 2013년 1분기의 연결재무상태표에 해당하는 부분은 2013년 3월 31일 기준이며, 연결포괄손익계산서에 해당하는 부분은 2013년 3월 31일까지의 누계 기준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다. SK네트웍스㈜

SK네트웍스㈜는 스마트폰 판매증가로 인한 IM의 매출증가와 석유제품의 국내 판매 등으로 인한 E&C의 수익증가 등에 따라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6조 4,274억원, 영업이익 24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기존 사업은 안정적인 흐름을 보여주고 있는 가운데 동사가 추진하는 신규 사업의 성과에 따라 수익성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SK네트웍스㈜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6조 4,274억원, 영업이익 242억원을 시현하였습니다. 경기 부진과 상품가격 하락, 중동 철강 수출 악화 등의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액이 3.2% 감소하였으며,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52.1% 감소하였습니다. 동사의 매출액, 영업손익의 비중이 10% 이상인 사업부문의 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
구  분 매출액 비율(%) 영업이익 비율(%) 자산 비율(%)
IM 1,795,116 27.93% 14,246 58.83% 1,517,825 14.24%
E&C 2,719,585 42.31% 4,569 18.87% 1,963,768 18.42%
T&I 1,653,706 25.73% 41 0.17% 2,392,926 22.45%
패션 132,256 2.06% 4,328 17.87% 348,948 3.27%
Customer 23,350 0.36% -3,796 -15.68% 369,682 3.47%
워커힐 95,838 1.49% -159 -0.66% 885,802 8.31%
기  타 7,543 0.12% 4,988 20.60% 3,179,936 29.83%
합  계 6,427,393 100.00% 24,217 100.00% 10,658,886 100.00%
※ 2013년 1분기 누적 연결기준 실적임


IM(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arketing)은 국내 단말기 도/소매, 단말기 해외 수출 등의 통신유통 사업을 수행하고 , IT 인프라 시스템 장비 공급, Device AS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기존 단말기 도/소매는 휴대폰 뿐만 아니라 다양한 Mobile Device, 솔루션, 시스템 장비 등 정보통신기기 관련 제품을 가장 효율적으로 유통 시킬 수 있도록 본원적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12년 이동통신 단말기유통시장은 스마트폰 중심 시장에서 3G 및 LTE 서비스 경쟁 활성화 등의 긍정적 요인이 있으나, 이동통신사업자의 효율적 마케팅 비용 집행, 정부 규제로 인한 단말유통 시장 위축 가능성이 상존함에 따라 동사의 실적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E&C(Energy & Car)는 전국적인 판매망을 바탕으로 석유제품을 판매하고 있습니다.주력 상품인 석유제품(휘발유, 등유, 경유, 중질유)과 LPG를 전국 약 3,172개주유소(당사 고정N/W 498개소 포함: 소유 258개소 + 임차 240개소)와 68개 충전소를 통해 공급하고 있으며, 윤활유, 아스팔트 및 벙커링(선박 연료)등의 판매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Speedmate는 '99년 정비사업을 Launching하여 전국732개(투자형가맹 373개소, 일반가맹 359개소)의 정비 N/W을 구축하였으며, 이후 ERS(긴급출동 견인서비스, 전국 협력업체 330개소)사업과 렌터카 사업(렌탈 지점 17개소)에 진출하였고, '11년부터는 자회사인 ㈜스피드모터스를 통해 ㈜한국지엠이 국내에 유통하는 전 차량을 충청, 호남 지역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국내 석유제품 판매시장은 4개의 주요 정유사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가 석유에너지 판매를 통해 산업재 뿐만 아니라 소비재 공급을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 정유사의 국내시장 점유율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습니다. 다만, 제품의 특성상 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상품으로 경기변동 요인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여타 산업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으나, 유류 세금인상 및 경제의 저성장 국면 진입으로 과거에 비해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유가/환율 등 외부 환경변수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세계적인 경제침체 등이 지속될 경우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정비사업을 근간으로 출발한 Speedmate는 긴급출동 견인서비스(ERS)와 렌터카 사업 등에 이르기까지 고객의 Car-life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고, 2011년 GM의 충청/호남 지역 판권을 확보함으로써 신차 판매 사업도 강화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Car Business 전반을 아우르는 Business Portfolio를 확립해 가고 있습니다. 다만, 소비자 측면에서는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차량교체주기가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나, 이와 더불어 차량에 대한 인식이 소유에서 사용으로 변화하면서 향후 장기렌탈 시장에 기회요인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기술 측면에서는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차량의 상용 및 대중화 가속화와 부품의 내구성 증가 등의 요인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됩니다.

T&I(Trading & Investment)는 에너지, 화학, 철강 등 고부가가치 상품을 중심으로 Global Major 공급자와의 전략적 Partnership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보하고 있으며, 철강 및 화학 분야의 Value Chain 확대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해외 광물자원 개발 사업은 석탄 및 철광석 중심으로 재편하여 선택과 집중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종합상사업은 과거 매출액 위주의 외형 성장 및 소속 계열사의 수출 대행의 역할을 지양하고 신규사업을 통한 외형성장 및 수익창출력 제고를 위하여 금속, 자원 개발 등 제품시장으로 사업구조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석유, 가스, 광물 등의 자원개발을 위하여 주로 지분취득 형태로 사업참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에너지 자원 확보를 위한 정부의 협력도 이어지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동 부문의 사업비중 확대가 이루어질 전망입니다. 그러나 해외자원개발 사업은 막대한 초기 투자자금이 수반되는 장기투자인 관계로 국제 원유가 및 원자재 가격 하락 등으로 인해 재무구조 및 수익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최근 미국과 유럽의 경기회복 지연가능성에 따른 원자재 가격상승으로 인한 수출상품 제조원가, 수출단가, 수출채산성, 자금사정 등 사업과 관련된 조건 악화 우려가 있습니다.

패션사업은 세련된 감성의 수입 브랜드와 디자인 경쟁력이 있는 Own Brand를 전개중인 패션 사업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풍요로운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에서 패션 브랜드의 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려 하고 있습니다. 경기에 민감한 패션 산업의 특성상 최근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소비심리가 위축되어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었으나 고가의 프레스티지 브랜드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신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중국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디자인 역량 및 브랜드 경쟁력을 제고하면서 영업 수익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축적된 브랜드 Management 역량 및 마케팅 노하우, 한층 업그레이드 된 디자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오즈세컨의 성공적 전개를 바탕으로 뉴욕 Market에도 진출하였으며, 중국에서 Hanni Y 도 본격적으로 매장 확대를 진행하며 Global Business의 역량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패션 시장에서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 국내 여성복 No.1 Company인 한섬의 6개 자체브랜드(Time, Mine, System, SJSJ, SYSTEM Homme, Time Homme) 중국 독점 유통 사업권을 획득하였고, '12년 1월 SYSTEM, SJSJ, SYSTEM Homme 3개 브랜드의 사업전개를 시작하였습니다.

Customer는 Prestige고객 중심의 부동산 상품 및 당사 보유자산을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부동산 사업, 그리고 와인 펀드, 글로벌 유통, Custody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와인 사업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풍요로운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 수준의 선진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며 향후 세계 제 2위 소비 시장으로 급부상이 예상되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규 사업 기회 모색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부동산 개발 사업은 동사가 보유한 150만㎡의 토지와 2조 9천억원의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회사의 자산 가치 극대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으며, 국내 명품 주거상품 개발을 시작으로 신개념의 Prestige 주거 문화를 창조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축적된 개발 역량과 확보된 R&C를 기반으로 Trend에 부응한 다양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전개해 나갈 예정이며, 동 사업 관련주요 자회사로는 SK핀크스가 있습니다. 와인 사업은 200여 개 와인 생산자, 네고시앙 및 영국의 대형 Merchant와의 긴밀한 네트워크 등 자체적으로 확보한 고급 와인에 대한 교섭력 및 구매력을 바탕으로 '07년 Wine Fund 상품을 국내 최초로 개발, 운용 대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런던, 홍콩, 중국 등 현지 법인과 고도화된 Sourcing 및 Trading 역량, Global 옥션 참여 등을 통해 축적한 Asia 시장內 Reputation을 바탕으로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중국을 중심으로 Fine Wine 유통사업을 강화하는 등 Wine 관련 새로운 상품과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 제공하고 있습니다.


워커힐은 총 4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쉐라톤호텔사업부문(객실, 식음료 등), W호텔사업부문(객실, 식음료 등), DFS사업부문(면세상품 판매 등), F&D사업부문(코엑스 컨벤션, 골프장 클럽하우스, 인천공항 환승호텔, 외식업 등)으로 분류됩니다. 호텔의 영업실적은 비즈니스 및 관광 등 외래관광객 수의 변화에 큰 영향을 받고 있으며, 외래관광객 수는 수출입 관련 산업경기, 소득변화, 환율, 국제적 이벤트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면세사업부문은 호텔업과 마찬가지로 주로 외국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환율 변동이나 세계적인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국내외 경기 상황에 따라 내국인 출국객의 수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외부사업부문은 체감 경기 및 경제 분위기에 영향을 받으며 골프장 클럽하우스의 경우 계절적(여름, 겨울) 요인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한편, 동사는 2012년 09월 25일 이사회 결의을 통하여 동사가 보유하고 있던 SK증권 주식 전량(72,684,750주)을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하였다고 공시하였습니다. 이는 공정거래법 제8조의 2에 따른 공정거래위원회 시정명령 이행에 따른 것으로, 2012년 12월 26일 금융위원회의 대주주 변경승인안 통과에 따라 SK C&C에 10.0%, SK증권 우리사주조합에 7.7%를 매각하였으며, 2013년 01월 16일 잔여 5% 지분을 블록딜로 매각하여 전체 보유지분의 매각을 완료하였습니다.

※ SK네트웍스㈜ 요약연결재무제표

(단위 : 백만원 )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유동자산] 5,145,028 5,098,455 5,203,188 4,015,214
ㆍ당좌자산 3,321,129 3,549,702 3,561,182 2,835,781
ㆍ재고자산 1,682,898 1,432,551 1,331,635 1,101,505
ㆍ기타 유동 141,001 116,201 310,371 77,928
[비유동자산] 5,513,858 5,528,619 5,906,576 5,647,155
ㆍ매도가능금융자산 239,285 208,060 286,667 158,919
ㆍ관계기업투자 1,086,396 1,208,576 1,449,291 1,361,478
ㆍ유형자산 3,592,336 3,578,846 3,631,774 3,523,628
ㆍ무형자산 161,988 161,558 152,474 112,637
ㆍ투자부동산 60,857 63,195 99,332 134,093
ㆍ기타비유동자산 372,997 308,383 287,038 356,400
자산총계 10,658,886 10,627,073 11,109,763 9,662,369
[유동부채] 5,904,870 5,660,560 5,652,401 4,606,590
[비유동부채] 1,806,355 1,900,139 2,183,968 1,890,713
부채총계 7,711,225 7,560,699 7,836,369 6,497,303
[자본금] 648,654 648,654 648,654 648,654
[연결자본잉여금] 875,124 877,343 879,842 895,177
[연결기타자본항목] Δ26,331 Δ123,058 47,846 52,263
[연결이익잉여금] 1,448,471 1,660,932 1,654,883 1,550,326
[비지배지분] 1,743 2,503 42,169 18,644
자본총계 2,947,661 3,066,375 3,273,395 3,165,065
[매출액] 6,427,393 27,935,503 27,535,571 24,161,464
[영업이익] 24,217 251,560 360,140 264,746
[당기순이익] Δ176,462 11,944 141,755 180,436
ㆍ지배기업 소유주지분 Δ172,938 48,104 145,781 181,277
ㆍ비지배지분 Δ3,524 Δ36,160 Δ4,027 Δ841
주당순이익 Δ697 194 587 727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39 38 31 22

(지배회사 포함) (지배회사 포함) (지배회사 포함) (지배회사 포함)
[Δ는 부(-)의 수치임]


라. SKC㈜
SKC㈜는 화학사업, 필름사업, 정보통신사업 및 기타사업(산업용 가스, 반도체 부문품, 태양광 잉곳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화학사업의 주요 제품으로는 PO(Propylene Oxide), PG(Propylene Glycol), Polyol(PPG ; Polypropylene  Glycol) 및 SM(StyreneMonomer)이 있으며, 필름사업의 주요 제품으로는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 정보통신사업의 주요 제품으로 광중계기가 있습니다.

PO제품은 무색의 휘발성 액체로서 폴리우레탄의 원료가 되는 PPG 제조용으로 50%이상이 소비되며, 나머지는 PG, PGE(Polypropylene Glycol Ether), 계면활성제 및 난연제의 제조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즉 PO는 원료인 프로필렌(Propylene)에서 다운스트림인 PG, PPG, PGE까지 설비집약화가 강해 자가소비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으며, PPG의 최종 수요처인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PG제품은 무색무취 투명한 흡습성의 액체로 PO로부터 제조되며 폴리에스터수지, 계면활성제, 가소제, 용제, 부동액, 냉각액, 냉동기용 2차냉매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PPG는 주원료인 PO로부터 만들어지는 무색의 휘발성이 없는 액체로서 폴리우레탄수지, 계면활성제 및 알키드수지 등의 원료로 사용되는 제품입니다. 또한 PPG는 신발 의료 등의 부문에 사용되는 Mold Foam, 단열 및 방음효과가 우수해 냉장고 자동차 및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Rigid Foam, 신발/메트리스 등에 사용되는 Slab Foam 및 방수바닥제/페인트 등에 사용되는 CASE(Coating Adhesive Sealant Elastomer)로 구분됩니다.

PET필름은 원재료인 PET Resin(TPA와 EG의 중축합을 통해 생산됨)으로부터 생산되며, 주요 사용처는 국내의 경우 포장용(스넥/커피 포장용, 용기 뚜껑용, 비스켓/소스 포장용, 냉동식품 포장용 등), 전기절연용, 디스플레이용, 태양광용을 포함한 산업용(Condenser, Motor 및 전선 절연용, 전화카드, 신용카드 등), 그래픽용(제도용, 마이크로필름, X-Ray필름, 즉석 카메라 필름 등)으로 포장용 및 산업용 수요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통신기기 및 방송기기의 주요 원재료로는 수동회로부품(예 : 저항기, 콘덴서, 인덕터,발진기 등), 기구적전자회로부품(커넥터, 동축커넥터, 릴레이, 스위치 등), 전원회로부품(트랜스, 방열기, 서미스터 등), 반도체부품(IC류,FET/MMIC 트랜지스터 등),   RF FILTER(세라믹, 캐비티, SAW등)및 기구물 등이 있는데 이들 원재료의 대부분은안정적인 가격 및 납기로 국내 수급이 가능하며 일부 반도체부품의 경우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환율변동의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습니다.

화학사업 및 필름사업의 특성상 세계경기변동 등의 외부환경에 대한 높은 민감도를 가지고 있으며 주요 제품들은 자동차, 조선, 건설, 전자제품, 식품산업, LCD 등 거의 모든산업의 원재료로 사용되기 때문에 이들 전방 수요산업 업황은 화학 및 필름업체들의 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석유화학 산업의 경우 거시적인 경기 변동에 의해 동사의 경영 실적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동사의 경우 계열사를 통한 수직계열화 체제를 구축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대량 판매처(Captive User)를 확보하고 있습니다.

또한, PO, PG제품의 국내 유일의 생산자로 양호한 시장지위를 보유하고 있고 최근 포장용보다 진입장벽이 높은 광학용 등 부가가치가 높은 필름생산에 주력하고 있는 필름사업 역시 국내 최초의 PET 필름 생산 회사로서 생산능력 기준 우수한 시장지위를 확보하고 있어 동사의 전반적인 사업안정성은 양호한 편입니다.

동사가 2013년 05월 07일 공시한 '연결재무제표기준 영업(잠정)실적'을 보면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은 5,60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8.5% 감소하였으며, 영업이익은 23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4.0% 감소하였으나, 당기순이익은 5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흑자전환하였습니다. 향후 동사의 영업실적은 글로벌 경기 추이, 주요 제품 및 주요 원재료의 가격 동향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마. SK건설㈜
SK건설㈜는 1962년 2월 21일에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현재는 국내외에서 건축, 토목 및 플랜트엔지니어링 사업등을 영위하고 있는 종합건설회사입니다. 동사의 사업부문은 총 3개이며 Infra 사업부문, 건축주택 사업부문, 플랜트 사업부문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사업부문별 매출 추이]
(단위: 억원)
구분 '10년 '11년 '12년 '13년 1분기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Infra 11,368 24.4% 10,505 16.43% 10,457 12.01% 182,431 11.20%
건축주택 11,025 23.7% 11,106 17.37% 10,376 15.80% 197,718 13.00%
플랜트 23,810 51.2% 42,104 65.84% 54,177 71.67% 1,138,220 74.84%
기타 323 0.7% 230 0.36% 358 0.52% 2,392 0.16%
합계 46,526 100.0% 63,945 100.00% 75,368 100.00% 1,520,761 100.00%
※ 기타는 상품매출과 임대수입을 말함


Infra공사는 도로, 항만, 국토개발사업 등 사회간접자본(SOC)의 건설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발주자 또한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사전에 승인된 공공예산에 의해 집행하게 되므로 발주 시기, 물량 등이 국가의 거시경제 정책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동사의 Infra사업부문은 2009년 해외 진출을 시작한 이후 점차 해외사업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해외시장은 중동과 아시아 지역의 Emerging Market에서 인프라 건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 건설사의 해외진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되며, 동사는 지하공간기술 등 상품경쟁력을 바탕으로 동남아와 중동 등지에서 지하철, 터널 등 공사를 지속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건축주택공사는 재개발/재건축, 오피스텔, 주상복합, 아파트 등 주요 Product가 민간수요에 의존하므로 가계의 자금 조달 여력, 부동산 시장상황, 부동산 관련 조세 정책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동사의 건축주택사업은 침체된 국내외 건설경기 속에서도 양질의 Project 수주 및 상품, 가격 경쟁력 제고로 해외사업, 재개발 사업 등 환경변화의 영향이 적은 안정적인 Portfolio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특히, 동사의 특화전략인 친환경 건축은 미국 그린빌딩위원회(USGBC)로부터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인 LEED(Leadership in Energy and Environmental Design)의 최고등급인 플래티넘등급을 받는 등 세계적으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UAE, 사우디에서 친환경 건축 프로젝트를 수주하는 등 해외 Project에도 활발히 진출하고 있습니다.

플랜트는 정유, 석유화학 플랜트 및 가스 플랜트 등의 주요 발주처인 산유국의 국영석유회사(NOC) 발주 물량이 대부분으로 향후 유가전망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발전플랜트는 주요 Product를 정부, 공기업에서 발주되므로 정부의 전력수요 예측에 따라 민감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화공플랜트는 기존의 쿠웨이트, 태국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UAE, 사우디아라비아, 에콰도르 등으로 진출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 최대 플랜트공사인 JAC Project의 PF에 성공하였으며, 중동 최대의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Wasit Gas Project의 3개 Package 및 Jazan Refinery&Terminal Project 등을 수행해 나가며 해외 건설의 강자로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America 지역에서는 에콰도르 RDP FEED와 ERP Project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등 중남미 지역의 신규 시장 확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발전플랜트는 약 1조원 규모의 터키 화력발전소, 약 7천억원 규모의 Panama PACO Project 수주를 통하여 해외 진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Portfolio 다각화를 추진하며 관계사와의 전략적 협업으로 국내 및 해외 IPP 사업진출, 신규시장 개척 등의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SK E&S 등 그룹 내 주요 관계사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의 오성복합화력 Project, 또 자체적인 또 수주 및 사업규모 확대와 더불어 자체적 EPC Service 기능을 갖추고 국내시장에서는 여수화력 2호기 등 국내 주요 Project에서는 3개월 공기단축을 통한 발주처 Incentive 수령 등을 Operation 역량 측면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기록하였으며, 신고리 원자력 Project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과 현대제철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고로 완공 실적으로 바탕으로 신울진 원자력 발전소와 오성 복합화력 발전소 및 영흥화력발전소 건설 Project를 수주하여 플랜트 사업의 새로운 Portfolio를 확보하였습니다.

u-사업은 4세대 LTE 무선망을 비롯한 유무선망 사업 및 O&M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기존 수행중인 F1 국제 자동차경주장 특수전자설비 구축공사, 국방 광대역 통합망 민간투자사업, 성남판교 u-City 구축사업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지하철 7호선 열차무선시스템 구축사업을 추가로 수주하며 유무선망 EPC 능력을 토대로 한 다양한 융복합 사업의 국내 Top-Tier Smart Infrastructure Builder로서의 입지를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해외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Plant IT Project를 수주하는 등 해외 지역에서도 확고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침체된 국내외 건설경기로 인해 동사는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 1조 5,2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5.0%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건설산업은 수주산업이기 때문에 타 산업의 경제활동 수준 및 기업의 설비투자, 가계의 주택구매 등에 의한 일반적인 경기에 상당히 민감하게 반응하는 경기후행산업으로 전반적인 산업구조 및 산업활동의 변동과 경제성장의 추세에 영향을 많이 받고 있습니다. 특히 긴축적인 금융정책과 글로벌 경기 침체에 따른 국내외 경기 불확실성으로 건설산업의 업황이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바. SK해운㈜
SK해운㈜는 당사의 자회사 중 원유, LNG, LPG, 석유제품, 철광석 등 자원수송 분야를 전문으로 하는 선사로서 해운업 이외에도 해상급유업(Bunkering)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3년 1분기말 현재 해운업부문과 벙커링사업부문의 매출비중은 각각 약 58.2%와 약 41.6%입니다.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장소로 수송하는 서비스산업이며, 선박확보에 대규모 자금이 투하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입니다. 타 산업 대비하여 연료비 등의 변동비보다는 용선료, 선원비 등 고정비 구성비가 높아 매출을 확보하기 위해 운임의 과당경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해운업은 특히 국내상품의 해외로의 수출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물류산업으로써 그 중요성은 타 산업에 비해 크다 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천연자원을 전량 국외로부터 수입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국가 전략적인 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동사의 사업부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 업 무 분 주요 재화 및 용역 주요 고객 정보
해운업 원유, LNG, 곡물 등을 운송 SK에너지, 한국가스공사, SK가스,
한국전력공사, 현대제철 등
벙커링사업 어선들에 선박연료를 공급하는 양상급유 Japan Tuna Fisheries.
Global Prosperity Fishery Co.,LTD. 등
기타사업 창고보관, 선박관리 등 기타 매출 (주)파인드컨테이너 등


해운업부문의 경우 원유, 나프타, 가솔린, LNG, LPG 등을 주요 운송화물로 하는 탱커/가스 영업부문이 주력 사업군이며, 벌크선 영업이 그 나머지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해상급유(Bunkering) 매출은 유가변화에 따라 변동되고 있으나 비교적 안정적인 매출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경험과 네트워크를 바탕으로 세계시장에서 상당한 시장점유율을 가진 최대의 사업자로 자리매김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2013년 1분기말(연결기준) 매출액은 6,474억원으로 물동량 감소 흐름으로 인해 전년 동기 6,862억원 대비 5.6% 감소하였고, 영업손실은 200억원으로 전년 동기의 영업이익 105억원에서 적자반전하였습니다.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해운업 운임과 벙커링 상품가격의 하락으로 연료유 가격의 하락에도 불구하고 전년 동기 대비 적자 전환(-305억원)하였습니다. 조선업 및 해운업의 업황이 좋지 않고 전방에 있는 산업들 역시 세계경기침체로 인해 둔화된모습을 보여주고 있어 업황을 지속적으로 지켜봐야 할 것입니다.

다만, 동사의 경우,타 국내선사와는 달리 탱커선 및 가스선 부문 매출 비중이 높은데 동 부문 매출의대부분이 원가보상방식에 의한 장기운송계약의 비율이 매우 높고, 거래처도 SK에너지㈜, SK가스㈜, 한국가스공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사업기반은 상대적으로 안정화되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에도 장기운송계약 중심의 사업구조,계열사 등 안정적 화주 확보를 기반으로 비교적 양호한 영업실적을 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나, 일부 선종의 경우 해운업황 둔화에 노출되어 있으며 해운업황이 세계경제동향, 유가, 환율 등 외부 변수에 의해 크게 변동되는 특성은 여전히 존재합니다.

동사는 당사의 벙커링사업을 SK B&T Pte.Ltd.에 양도하는 목적으로 2012년 8월 24일 이사회 결의를 하였습니다. 이는 사업 포트폴리오의 선택과 집중을 통한 경영 효율성 극대화를 목적으로 하며, 100% 해외자회사인 SK B&T Pte.Ltd.로 영업양도하는 사항이므로 영업양도와 관련하여 재무적인 영향은 없으며, 향후 추가적인 영업효율성 제고가 기대 됩니다. 아울러 벙커링 사업은 글로벌 시장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하고 사업단일화를 통한 역량의 집중 및 경영효율성 향상이 기대 됩니다. 해당 벙커링 영업 양도는 상법 제374조에 따른 영업양도회사의 영업 "중요한 일부"의 양도에 해당합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사가 2012년 08월 24일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주요사항보고서(중요한영업양수도결정)'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사. SK E&S㈜
SK E&S㈜는 7개의 도시가스사업 자회사와 2개 발전회사, 2개 집단에너지회사 그리고 3개의 해외 출자회사를 가지고 있는 중간지주회사이며 지주사업 외에도 2011년 8월 1일에 계열사인 케이파워㈜를 합병하면서 케이파워㈜가 영위하던 전력 발전사업을 이어서 영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사의 매출은 크게 배당금수익과 제품 및 용역매출으로 나눌수 있습니다.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도시가스 부문 매출액 비중은 87%, 발전 부문 매출액 비중은 13%로 구성되어 있는데 수익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도시가스 수익은 자회사들이 자재 등을 공동구매하여 판매하는 상품매출, 기타 서비스 지원으로 인한 용역매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또한 합병으로 인해 1개의 발전소를 자체적으로 운영하면서 발생되는 발전수익(제품매출)이 실적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종속기업 업종 소재지 결산월 지분율
강원도시가스㈜ 도시가스 한국 12월 100.0%
영남에너지서비스㈜ 도시가스 한국 12월 100.0%
코원에너지서비스㈜ 도시가스 한국 12월 99.8%
㈜부산도시가스(*1) 도시가스 한국 12월 40.0%
전북에너지서비스㈜ 도시가스 한국 12월 100.0%
전남도시가스㈜ 도시가스 한국 12월 100.0%
충청에너지서비스㈜ 도시가스 한국 12월 100.0%
평택에너지서비스㈜ 전력생산 한국 12월 100.0%
피엠피㈜ 전력생산 한국 12월 100.0%
위례에너지서비스㈜ 집단에너지 한국 12월 71.0%
하남에너지서비스㈜(*2) 집단에너지 한국 12월 100.0%
SK E&S Hong Kong Co., Ltd.(*3) 도시가스 홍콩 12월 100.0%
SK LNG Trading Pte., Ltd. LNG도매 싱가포르 12월 100.0%
SK E&S Australia Pty Ltd. 자원개발 호주 12월 100.0%
(*1) ㈜부산도시가스에 대한 소유지분율이 과반수 미만이나 기타 주주의 소유지분율분포 및 과거 주주총회 참석율을 고려할 때 의사결정과정에서 과반수의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으므로 종속기업으로 분류하였습니다.
(*2) 종속기업인 코원에너지서비스㈜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3) 종속기업인 ㈜부산도시가스가 보유한 지분 50%를 포함하였습니다


동사의 자회사들이 영위하는 도시가스사업은 전기ㆍ수도와 같이 국민생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공익사업으로서 막대한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쟁과 공급설비의 중복투자 방지 및 안전공급을 위하여 일정한 지역을 공급권역으로 허가하여 지역독점을 인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동사의 자회사들은 해당 영업지역 내에서의 독점적인 지위와 낮은 사업위험을 바탕으로 성장과 투자가 가능한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또한 동사가 영위하는 전력사업은 산업활동과 국민생활에 필수불가결한 국가기간산업으로, 전력수요는 국내의 경제성장률, 국민소득, 계절적인 요인 및 정부의 장기 전력수급 계획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산업성장 및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력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발전사업을 영위하던 합병 전 케이파워(주)는 정부의 전력사업 민자유치계획에 따라 발전사업에 참여할 목적으로 1997년 12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1월 19일 회사명을 에스케이전력주식회사에서 케이파워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동사가 운영하는 광양LNG복합화력발전소는 발전설비용량 537MW급 2기로서 각각 2006년 2월 13일 및 2006년 5월 15일에 준공되어 상업운전을 시작하였으며, 동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실적은 사업자회사들의 실적과 발전사업의 실적에 따라 결정되고 있으며 2013년 1분기(연결기준) 매출액과 영업이익은 각각 2조 206억원, 1,990억원을 기록하였습니다. 동사의 주된 현금 유입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과 전력 제품 판매를 통해 이루어지고 연결 매출액 및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은 자회사의 실적에 연동되는 부분이 적지 않기 때문에 발전사업의 실적과 더불어 자회사의 산업동향 및 이에 따른 실적 또한 동사의 실적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동사는 2012년 07월 18일 이사회 의결을 통해 동사의 종속기업인 평택에너지서비스(주)의 유상증자에 참여하였습니다. 신주발행으로 결정된 주식수는 보통주 3,100,000주이며 동사가 인수하여 평택에너지서비스(주)에 대한 동사의 지분비율이 상환우선주(총 7,000,000주)를 포함하여 계산한 경우 2.54% 증가한 77.29%로 변동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사가 2012년 07월 24일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특수관계인에대한출자'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동사는 2012년 08월 07일 이사회를 통해 동사의 종속기업 코원에너지서비스(주)의 잔여지분 17.76%(1,722,358주)에 대한 공개매수를 결의하였습니다. 공개매수의 목적은 공개매수대상회사인 코원에너지서비스(주)의 상장폐지이며, 공개매수대상회사의 최대주주인 동사가 공개매수자 입니다. 이는 코원에너지서비스(주)의 상장지위에 따른 각종 규제와 공시의무에 따른 비용부담을 제거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경영활동을 영위할 예정입니다. 지난 공개매수기간인 2012년 08월 09일 ~ 08월 28일을 통해 1,573,898주 매수하였으며, 최근 2012년 09월 26일까지 장내매수하여 코원에너지서비스(주)의 주식 중 총 9,612,259주를 매수하였습니다. 동사의 상장폐지 요청으로 코원에너지서비스(주)는 2012년 09월 10일 의사회결의를 통해 상장폐지를 결정하였으며, 2012년 10월 23일 한국거래소에 자진상장폐지 신청서를 제출하였습니다. 2012년 11월 06일 ~ 11월 14일의 정리매매기간을 거쳐 2012년 11월 15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상장폐지되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동사가 2012년 08월 08일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특수관계인으로부터주식의취득' 및 코원에너지서비스(주)의 공시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 SK바이오팜㈜
SK바이오팜㈜는 2011년 04월 01일 당사의 생명과학사업부문이 분할되어 신설된 회사로 의약중간체의 제조, 신약의 연구개발 등을 주된 사업으로 하고 있습니다. 동사가 영위하고 있는 생명과학(Life Science)산업은 기술집약적 연구개발투자형의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국민보건 및 생명에 관계되는 제품을 생산하는 정밀화학분야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고부가가치성과 성장성을 미리 인식한 요 다국적 제약기업들에 의해 세계 시장이 주도되고 있는 가운데, 100여년의 역사를 가진 국내에서도 기존 제약 회사 이외의 여러 기업들이 생명과학산업을 차세대 사업분야로 집중 육성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제약산업은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하여 1990년대 이후 꾸준한 성장세를 보여왔습니다. 그러나, 한미 FTA협상 타결로 인해 다국적 제약사들의 오리지널 의약품 특허가 강화돼 국내사의 복제약 개발 및 신제품 출시가 어려워지고 이에 따른 수익성 저하는 연구개발 투자 저하를 가져와 국내 제약 업계가 곤경에 빠질 것이라는 우려가 있습니다. 자체 개발능력이 취약한 국내 제약회사들은 신제품 출시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상되고 비윤리적 영업관행 방지로 인해 연구개발력/제품력이 취약한 가운데 비윤리적 영업관행에 의존하여 영업을 했던 일부 중하위권 제약사들은 점차 영업실적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반면, GMP/GLP, 제네릭 의약품의 상호인정이 이루어질 경우 중장기적으로 상위권 제약사들의 수출실적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아시아 의약품 시장의 선두권에 있는 국내 생명과학 시장은 한미 FTA, 약제비 적정화방안 등 사업환경변화에 따라 각 기업들의 경영환경의 급격한 변화가 예상되고 이에 따른 M&A 또한 한층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국내 의약품 시장의 한층 격화된 경쟁에서 뒤쳐질 경우 시장에서 도태되어 동사의 영업 및 수익성이 변동될 수 있으니 투자자께서는 이 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신약개발사업의 경우 생명과학 기술을 신약개발 과정에 도입함으로써 약효는 증진되고 부작용 및 독성은 최소화시킨 차세대 신약 개발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독자적으로개발한 간질치료제 YKP509(카리스바메이트)는 1999년 미국 존슨앤드존슨사와 라이센싱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연속/고압 촉매공정기술을 기반으로 의약중간체를 생산/판매하고 있는 CMS사업은 고지혈증, AIDS치료제의 중간체 등 의약품 원료 생산기술 개발에 높은 성과를 올리고 있습니다. 특히, 차별적인 기술력과 서비스 품질을 기반으로 세계적인 경쟁력을 인정받아 생산하는 40여 종의 제품 대부분을 세계 10대 제약회사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자. SK임업㈜
SK임업 주식회사는 2009년 5월 1일 SK건설(주)의 현물출자를 통하여 설립된 법인으로 조림사업 및 조경사업과 복합임업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2012년 06월 29일 SK건설(주)가 보유하고 있던 동사의 주식 4,000,000주(지분율 100%)를 당사에 전액 매각하였습니다. 취득금액은 602억원이며 당사의 친환경사업 강화와동사의 성장 Biz기회 창출로 기업가치 증대를 위하여 취득하였습니다.


당사는 SK브랜드의 소유주로서 SK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와 개별적으로 브랜드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브랜드 사용료(상표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사용료 산정은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 자회사의 실적 변동은 브랜드 사용료의 증감을 통해서도 당사의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SK브랜드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수행해 나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2009년 1월 1일부터는 SK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와 개별적으로 브랜드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사용상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상표권(브랜드) 사용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사용료(상표권)는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당사가 2013년 3월 31일까지 인식한 브랜드 사용료 수익은 534억원입니다. 따라서 자회사의 실적 변동에 따라 당사의 수익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회사위험


당사는 2007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인적분할 방식에 의해 지주회사인 당사와 사업회사인 구 SK에너지㈜(現 SK이노베이션㈜)로 분할되었으며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하여 사업회사인 구 SK에너지㈜(現 SK이노베이션㈜)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이는 분할 전 회사채무에 대하여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는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 3사(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에도 해당됩니다.


당사는 2007년 7월 1일을 분할기일로 인적분할 방식에 의해 지주회사인 당사와 사업회사인 구 SK에너지㈜로 분할되었으며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하여 사업회사인 구 SK에너지㈜(現 SK이노베이션㈜)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한편 구 SK에너지㈜는 2009년 10월 01일에 단순ㆍ물적분할 방식으로 SK루브리컨츠㈜를 분할ㆍ신설하였으며, 이후 2011년 01월 01일에 단순ㆍ물적분할방식으로 SK이노베이션㈜(존속회사), SK에너지㈜(신설회사), SK종합화학㈜(신설회사)의 3개 회사 체제로 출범하였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해서는 당사와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및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와 연대하여 변제할책임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사항은 당사가 2007년 8월 1일에 제출한 분할종료보고서와 SK이노베이션㈜의 공시내용(2010. 10. 26 주요사항보고서(분할(분할합병)결정) 및 2011.01.07 합병등종료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2013년 1분기 누적(연결기준) 매출액 29조 5,786억원과 영업이익 1조 664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매출액의 대부분은 자회사의 매출액을 연결기준으로 환산한 실적이며 현금유입의 대부분은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수익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의 수익성은 계열사의 경영성과에 따라 변동성이 커질수 있으며 특히, SK텔레콤㈜과 SK이노베이션㈜, SK E&S㈜ 3개사에 의한 배당수익 기여도가 높기 때문에 해당 계열사의 경영성과가 당사의 실질 현금흐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당사는 자회사들의 양호한 실적을 바탕으로 2013년 1분기 누적(연결기준) 매출액 29조 5,786억원과 영업이익 1조 664억원을 달성하였습니다. 전년 동기 매출액(30조 7,153억원) 대비 3.7% 소폭 하락하였으며, 전년 동기 영업이익(1조 5,971억원) 대비 33.2% 하락하였습니다. 위 실적의 대부분은 자회사의 실적를 연결기준으로 환산한 수치로, 글로벌 경기 위축 우려 속에서도 주요 자회사들의 매출 및 영업이익의 양호한 실적 유지에 따라 당사의 연결기준 실적 역시 긍정적인 수준을 유지하였습니다.

당사의 2013년 1분기(별도기준) 배당금 수익은 7,763억원으로 영업수익 8,376억원의 약 92.7%를 차지하고 있으며 현금유입의 대부분도 자회사로부터의 배당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의 2013년 1분기(별도기준) 영업이익은 8,022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70.8% 증가하였습니다. 당사는 실질적인 지배력을 통해 자회사의 사업성과에 기반한 상당 수준의 배당금 유입을 지속시키고 있습니다. 특히 SK텔레콤㈜, SK이노베이션㈜는 매년 대규모의 순이익을 실현하면서 비교적 고배당 성향을 유지하고 있어, 당사의 배당수익의 안정성을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현금흐름의 안정성이 높은 SK E&S㈜도 높은 평균배당률을 유지하고 있고 케이파워㈜ 합병으로 더 큰 시너지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2009년부터 징수하기 시작한 브랜드사용료는 2013년 1분기 기준 534억원을 인식하고 있으며 자회사의 매출성장에 따라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와 같이 당사가 사업 성격이 다른 안정적인 자회사 포트폴리오군을 보유하고 있음을 감안할 때, 향후에도 풍부하고 안정적인 현금흐름은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다만, SK텔레콤㈜과 SK이노베이션㈜ 그리고 SK E&S㈜ 등 3개사에 의한 배당수익 기여도가 높은 상황이므로 당사의 현금흐름 또한 주요 계열사의 실적에 따라 변동되는 불확실성이 존재합니다.

한편, 당사는 2011년 국제회계기준(K-IFRS) 도입에 따라 별도기준 재무제표에서 지분법이익이 계상되지 않는 반면 배당금 수익이 영업수익으로 계상됩니다. 2011년 배당수익 인식액은 5,778억원, 2012년 배당수익 인식액은 4,910억원이며, 2013년 1분기 배당수익 인식액은 7,763억원 입니다.


당사의 부채비율은 2013년 1분기말 현재 35.8%(별도기준) 수준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차입금의 절대규모는 약 2.9조원(별도기준)으로 적지 않은 수준이나 만기가 장기적으로 분산되어 상환부담이 크지 않으며 자회사의 우수한 실적과 수익성을 감안하면 재무안정성은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지주회사는 독점규제 및 금융거래에 관한 법률 제8조 '지주회사의 행위제한 등'에 의해 부채비율을 200% 이내로 유지해야 합니다. 당사는 2013년 1분기말 기준 부채비율 35.8%(별도기준) 수준을 유지하고 있고, 차입금의 만기는 장기적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대부분 사채로 구성되어 있어 상환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차입금의 절대규모가 약 2.9조원(별도기준) 규모로 매출액 대비 다소 큰 편이지만, SK이노베이션㈜ 등 자회사에서의 안정적인 현금 유입과 자회사 지분가치, 그리고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의 신인도를 감안할 때 재무안정성은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차입금 현황(별도기준)>

(단위: 백만원)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말 2010년말
부채총계 3,105,262 3,467,972 3,508,354 3,249,211
  총차입금 2,943,086 3,392,096 3,388,765 3,154,791
     단기차입금 30,000 230,000 250,000 100,000
     유동성사채 599,367 599,447 677,655 668,953
     사채 2,313,719 2,562,649 2,461,110 2,385,838
자본총계 8,679,469 8,028,641 7,732,551 7,387,590
부채비율 35.8% 43.2% 45.4% 44.0%



당사는 2011년 08월 01일자로 자회사인 SK E&S㈜와 케이파워㈜의 합병을 실시하였습니다. 존속법인인 SK E&S㈜가 소멸법인인 케이파워㈜의 지분 전량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으로 한 자회사간 합병이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


SK E&S㈜는 1999년 01월 13일자로 SK그룹내 가스회사들의 소유,운영,개발 및 합병 등을 목적으로 설립된 중간지주회사로 대한도시가스, 부산도시가스, 영남에너지서비스, 평택에너지서비스 등 8개의 국내 도시가스회사와 1개의 발전 자회사를 두고있습니다. 케이파워㈜와의 합병전 당사의 동사 지분율은 67.5%였으며 나머지 32.5%는 계열회사인 SK C&C㈜가 보유하였습니다.

케이파워㈜는 발전사업을 주요 사업목적으로 1997년 12월 08일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1월 19일 회사명을 SK전력에서 케이파워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한편, 2010년 04월 15일자로 동사 지분의 35%를 보유한 Korea Energy Investment Holdings B.V.가 보유지분 전부를 3,720억원에 당사로 양도함에 따라 동사에 대한 지분율은65%에서 100%로 확대되었습니다.

한편, 당사는 2011년 08월 01일자로 SK E&S㈜와 케이파워㈜의 합병을 실시하였습니다. 방식은 SK E&S㈜가 케이파워㈜의 지분 전량을 흡수합병하는 방식으로 SK E&S㈜는 존속하고 케이파워㈜는 해산합니다. 합병비율은 1(SK E&S㈜):0.6250784(케이파워㈜)이며 합병가액 산정은 상속세 및 증여세법에 따라 평가하였습니다. 합병전 당사는 SK E&S㈜의 지분 62.5%, 케이파워㈜의 지분 100%를 소유하고 있었으나합병 후 케이파워의 지분은 소멸되고 SK E&S㈜의 지분율이 94.13%로 증가하였습니다. 이번 합병으로 그룹내 도시가스회사들의 지주회사인 SK E&S㈜가 종합에너지서비스사업 지주회사로의 시너지를 창출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본 합병 건은 자회사간 합병이었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습니다.합병 주요일정은 아래 표와 같이 진행되었으며 자세한 내용은 SK E&S㈜와 케이파워㈜가 2011년 06월 21일에 공시한 주요사항보고서(합병결정)의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합병 주요일정>

구                 분 에스케이이엔에스(주)
(존속법인)
케이파워(주)
(소멸법인)
이사회 결의 2011년 06월 20일 2011년 06월 20일
합병계약체결
합병 승인 주주총회 개최 2011년 06월 21일 2011년 06월 21일
반대주주 주식매수 청구시작
채권자 이의제출 공고 및 최고/ 구주권 제출 공고 2011년 06월 22일 2011년 06월 22일
주식매수청구권 행사 만료 2011년 07월 11일 2011년 07월 11일
채권자 이의제출 만료/ 구주권 제출기간 만료 2011년 07월 22일 2011년 07월 22일
합병기일 2011년 08월 01일 2011년 08월 01일
합병보고 이사회 2011년 08월 03일 -
합병등기일 2011년 08월 04일 -
주권교부일 2011년 08월 04일 -



당사는 2011년 04월 01일부로 생명과학(Life Science)사업부문을 분할하여 SK바이오팜㈜를 자회사로 설립하였습니다. 분할후 SK바이오팜㈜의 지분전량을 당사가 보유하게 됨에 따라 분할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 입니다.


당사는 1993년 신약 연구개발 분야에 진출한 이래 생명과학(Life Science)사업을 활발히 전개하고 있으며, 석유 및 화학사업에서 쌓아 온 역량을 기반으로 생명과학사업을 차세대 성장을 이끌어 갈 핵심 사업으로 선정하여 적극 육성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의 일환으로, 2006년에 생명과학사업의 지속적 발전 기반을 구축하고 관련 사업의 통합을 통한 Synergy 제고 및 사업 추진 가속화를 위하여 신약개발사업과 CMS(Custom Manufacturing Service)사업을 통합하여 생명과학사업부문을 신설하였으며, 2007년 지주회사 체제 전환에 따라 지주회사인 당사의 사업부문으로 편입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2011년 02월 18일, 이사회 결의를 통해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생명과학사업부문을 분할하여 신설회사인 SK바이오팜㈜를 설립하기로 결정하였으며, 2011년 3월 11일 개최된 제49차 정기주주총회에서 생명과학사업 분할계획서를 의결하였습니다. 분할방법은 신설회사 발행주식의 총수를 취득하는 단순ㆍ물적분할의 방법이며, 분할기일은 2011년 4월 1일입니다. 신설법인인 SK바이오팜㈜는 2011년 04월 01일 기준으로 총자산 2,719억원, 자본총계 2,287억원의 재무구조를 보유하게 되었습니다.

당사가 자체사업으로 영위 중이던 생명과학사업부문은 당사의 영업수익에서 5% 미만의 비중으로 사업 및 재무위험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한 수준입니다. 또한 분할 이후 SK바이오팜㈜의 지분 전량을 당사가 보유하게 됨에 따라 분할법인의 수익이 연결매출 및 배당 등의 형태로 당사에 귀속되었으며 당시 시점에서의 분할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립적이었습니다. 다만 동사의 성과에 따라 당사의 손익에 작은 영향을 미칠수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상법 제530조의9 제1항에 의거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하여 SK바이오팜㈜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당사가 2011년 02월 18일 제출한 주요사항보고서(분할(분할합병)결정)과 2011년 04월 05일 제출한 합병 등종료보고서의 공시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분할 전후 요약 재무구조>

[2011년 4월 1일 기준] (단위:백만원)
구 분 분할 전 분할 후
분할되는 회사 신설회사
SK㈜ SK바이오팜㈜
자산


I.유동자산 408,366 207,973 200,393
1.당좌자산 390,684 207,973 182,711
2.재고자산 17,682 0 17,682
II.비유동자산 10,537,744 10,695,027 71,460
1.투자자산 10,371,554 10,587,359 12,938
2.유형자산 106,913 49,279 57,634
3.무형자산 25,322 24,438 884
4.기타 비유동자산 33,955 33,951 4
자산총계 10,946,110 10,903,000 271,853
부채


I.유동부채 840,901 800,306 40,595
II.비유동부채 2,298,917 2,296,402 2,515
부채총계 3,139,818 3,096,708 43,110
자본


I.자본금 238,609 238,609 20,000
II.자본잉여금 6,059,008 6,059,008 208,743
III.자본조정 -417,892 -417,892 0
IV.기타포괄손익누계액 0 0 0
V.이익잉여금 1,926,567 1,926,567 0
자본총계 7,806,292 7,806,292 228,743
부채와 자본총계 10,946,110 10,903,000 271,853



당사는 다양한 목적으로 자회사의 증자에 참여하거나 자회사 지분을 매입/매각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당사 보유 자회사 지분 포트폴리오가 일부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당사는 공정거래법상 금지되어 있는 지주사의 사업자회사간 지분 소유 해소를 목적으로 2010년 중 SK네트웍스㈜가 보유한 SK해운㈜ 주식 10,897,999주를 전량 매입하는 한편, SKC㈜가 보유한 SK해운㈜ 주식 6,250,000주를 총액 261억원에 취득하여 증자전 기준으로 SK해운㈜ 주식의99.99%를 보유하였습니다.

한편, 당사는 SK해운㈜의 사업역량 강화를 위해 2010년 11월 25일자 이사회 결의를통해 동사의 유상증자에 참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본 건은 제3자배정 유상증자 방식으로 당사와 투자자인 HPEIK V SGPS LDA社는 각각 42,264,150주와 21,132,075주를 배정받았습니다. 당사의 취득 총액은 2,240억원이며 취득 후 지분율은 종전99.99%에서 83.1%로 하락하였지만 여전히 지분율이 높은 수준이라 경영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은 극히 낮습니다.

또한, 당사는 2010년 12월 27일 이사회 결의를 거쳐 동년 12월 29일자로 계열회사인SK케미칼㈜에 SK가스㈜ 주식 3,928,537주를 1,841억원에 전량 처분하였습니다.  이는 투자 포트폴리오 조정을 통한 기업가치 제고 차원에 의해 결정된 것으로 이로써SK가스㈜는 당사의 자회사에서 탈퇴하였습니다.

2011년에는 투자이익 증대를 위해 당사의 자회사인 SK건설㈜의 주주배정 유상증자에 참여하여 약 800억원을 투자하였습니다. 출자일은 2011년 10월 27일이며 당사가출자한 주식수는 1,334,020주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SK건설㈜가 2011년 9월 26일에 금감위에 신고한 투자설명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당사는 2011년 10월 31일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2,700억원을 한도로 SK텔레콤㈜의 주식을 장내취득키로 결정하였습니다. 이는 자회사의 안정적 지분확보를 통한 기업가치 증대를 위해 결정한 사항이며 취득예정일은 이사회 결의 후 3개월 이내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사가 2011년 10월 31일에 금감위에 신고한 '타법인주식 및출자증권 취득 결정' 공시를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2012년 06월 29일 SK건설(주)가 보유하고 있던 SK임업 주식회사의 주식 4,000,000주(지분율 100%)를 전량 매수하였습니다. 취득금액은 602억원이며 당사의 친환경사업 강화와 동사의 성장 Biz기회 창출로 기업가치 증대를 위하여 취득하였습니다. SK임업 주식회사는 2009년 5월 1일 SK건설(주)의 현물출자를 통하여 설립된 법인으로 조림사업 및 조경사업과 복합임업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당사가 2012년 06월 27일 DART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한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주식의 취득' 내용을 참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신고일 현재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 수표 등이 없으며 중요한 소송사건에 계류된 사항도 없습니다. 다만, 당사의 자회사 중 일부는 담보목적으로 제공한 어음,수표 및 토지 등의 우발채무가 있거나 중요한 소송사건 등이 계류 중에 있습니다. 현재 동 소송사건 등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소송사건의 결과는 당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당사는 2013년 1분기말 기준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 수표 등이 없으며 중요한 소송사건에 계류된 사항도 없습니다. 다만, SK해운의 선박 소유주에게 계약이행에 대한 채무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계약이행보증금액은 약 5,527억원입니다. 그 외 HPEIK V SGPS LDA는 Put Option 행사조건으로 2010년 중 SK해운(주)가 실시한 유상증자에 21,132,075주(주당 발행가액: 5,300원) 참여하였으며, HPEIK V SGPS LDA가 Put Option을 행사할 경우 SK해운(주) 및 당사는 Put Option 행사에 응해야 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구 분 내 역
행사요건 증자 후 6년내 SK해운(주) IPO(기업공개) 미실시 등
행사가격 투자금액에 연 6% 복리이자 가산
행사시 인수 의무 1순위: SK해운(주), 2순위: SK(주)

당사는 Put Option에 대한 공정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초자산의 현재가치 및 변동성, Option 행사요건의 충족 가능성 등을 고려하였습니다. 당사는 당분기말 현재 Option 행사요건의 충족 가능성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없어 Put Option의 공정가치를 평가하지 아니하였습니다.

당사는 2007년 7월 1일자로 상법 제 530조의 3 제 1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석유, 화학 등 주요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SK이노베이션(주)를 설립하였으며, 동법 제 530조의 9 제 1항에 의거하여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하여 분할신설법인인 SK이노베이션(주)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동 보증과 관련하여 2013년 1분기말 현재 당사가 인식한 금융보증부채는 3,771백만원입니다.

당사는 종속기업인 SK해운(주)를 위하여 계약이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3년 3월 31일 현재 계약이행보증금액은 552,719백만원(전기말 563,936백만원)이며, 예상선박가액을 차감한 우발부채금액은 영("0")원입니다.

당사의 자회사 중 일부는 담보목적으로 제공한 어음, 수표 및 토지 등의 우발채무를 보유하고 있거나, 중요한 소송사건 등이 계류중에 있습니다. 현재 동 소송사건 등의 승패는 예측할 수 없으며, 이러한 소송사건의 결과는 당사의 재무상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 증권신고서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IX.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3. 우발채무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당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 주요 관계사의 경영성과나 평판이 악화될 경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SK그룹은 대규모기업집단으로서 정유 및 석유화학사업과 정보통신사업을 기반으로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 계열 관계사의 경영성과나 평판이 악화될 경우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2013년 03월 31일 기준 계열 관계사의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SK계열사 현황>

업종 상장사 비상장사
지주회사(1) SK㈜ -
에너지ㆍ화학
(29)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SKC㈜,
SK가스㈜,
㈜부산도시가스
SK E&S㈜,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대한송유관공사,
SK모바일에너지㈜, 충청에너지서비스㈜, 영남에너지서비스㈜,
전북에너지서비스㈜, 전남도시가스㈜, 강원도시가스㈜, 평택에너지서비스㈜,
SK사이텍㈜, SK유화㈜, SKC에어가스㈜, 코원에너지서비스㈜, 아미파워㈜,
SK더블유㈜,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 울산아로마틱스㈜,
김천에너지㈜, 피엠피㈜, 위례에너지서비스㈜, 하남에너지서비스㈜
정보통신/
전기전자
(24)
SK텔레콤㈜,
㈜로엔엔터테인먼트,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C&C㈜,
SK하이닉스㈜,
㈜실리콘화일,
SKC솔믹스㈜
SK텔레시스㈜, SK텔링크㈜, 인포섹㈜, ㈜커머스플래닛, SK하이스텍㈜,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 서비스에이스㈜, 서비스탑㈜, 네트웍오앤에스㈜,
SKC라이팅㈜, ㈜에이앤티에스, 엘씨앤씨㈜, SK플래닛㈜, ㈜매드스마트,
비젠㈜, 피에스앤마케팅㈜
건설/물류/서비스
(21)
SK네트웍스㈜ SK건설㈜, SK해운㈜, 행복나래㈜, SK디앤디㈜, 엠앤서비스㈜, SK에스엠㈜
에프앤유신용정보㈜, SK네트웍스서비스㈜, 리얼베스트㈜, 엔카네트워크㈜,
내트럭㈜, 앤츠개발㈜, SK신텍㈜, 스피드모터스㈜, SK하이이엔지㈜,
엠케이에스개런티(유), SK임업㈜, 대전맑은물㈜, 광주맑은물㈜, SK핀크스㈜
금융(1) SK증권㈜ -
기타(5) ㈜유비케어 SK바이오팜㈜, SK와이번스㈜, 제주유나이티드FC㈜, SK컨티넨탈이모션코리아㈜
(*) 사명 변경 : 코원에너지서비스㈜ (舊 대한도시가스㈜), 울산아로마틱스㈜ (舊 아로케미㈜),
                      행복나래㈜ (舊 엠알오코리아㈜), 비젠㈜ (舊 텔스크㈜),
                      SK하이스텍㈜ (舊 ㈜하이스텍), SK하이이엔지㈜ (舊 ㈜하이닉스엔지니어링)



신고일 현재 최대주주와 그 특수관계인이 보통주의 31.88%(자사주 불포함)를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급격한 지분변동 등의 사유로 지배구조의 변화나 경영권 위협이 발생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1)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 주식 소유현황(자사주 불포함)

[2013년 03월 31일 현재]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SK C&C(주) 최대주주 보통주 14,944,432 31.82 14,944,432 31.82 -
최태원 특수관계인 보통주 10,000 0.02 10,000 0.02 -
노소영 특수관계인 보통주 19,054 0.04 19,054 0.04 -
최신원 특수관계인 보통주 500 0.00 500 0.00 -
김영태 특수관계인 보통주 2,398 0.01 0 0 -
보통주 14,976,384 31.89 14,973,986 31.88 -
기타 0 0 0 0 -
최대주주명 : SK C&C(주) 특수관계인의 수 : 3


2) 대주주에 관한 사항

SK C&C㈜는 1991년 4월 설립되어 공공 및 금융부문 등을 대상으로 컨설팅, 시스템통합 및 IT Out Sourcing 서비스 등 종합 IT 서비스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2009년 11월 11일 한국거래소에 상장되었으며 NICE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로부터 IT서비스 업계 최초로 'AA' 의 회사채 신용등급을 획득 하였습니다.


국내 최대규모의 통합 데이타센터를 운영하는 한편 선진 Service Level Agreement 체계를 적용하며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컨설팅/SI 사업 역시 산업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고객/서비스별 IT 컨설팅, Mobile 관련 특화솔루션 개발/적용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에서 축적된 기술력과 Solution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Global Business를 추진하고 있으며, Cloud Computing 등의 신기술 기반의 서비스 사업모델 강화 및 ICT Convergence 영역에서의 신규 사업 기회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동사의 재무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 SK C&C㈜ 요약연결재무제표

(단위: 백만원)
구 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유동자산] 1,140,083 1,194,051 973,077 1,427,540
ㆍ현금및현금성자산 388,509 441,007 208,459 648,777
ㆍ매출채권및기타채권 443,677 512,984 542,016 467,974
ㆍ기타금융자산 214,426 157,217 185,212 271,391
ㆍ재고자산 64,853 58,232 1,047 2,537
ㆍ기타유동자산 28,618 24,611 34,914 36,861
ㆍ매각예정비유동자산 - - 1,429 -
[비유동자산] 4,007,361 3,927,925 3,648,189 3,029,526
ㆍ관계기업투자 3,106,266 3,030,471 2,866,266 2,619,067
ㆍ유형자산 408,612 399,959 367,228 339,536
ㆍ무형자산 118,198 119,235 74,041 42,708
ㆍ기타채권 23,689 23,498 18,836 13,221
ㆍ매도가능금융자산 347,821 351,780 321,491 7,872
ㆍ기타금융자산 2,775 2,982 327 7,122
자산총계 5,147,444 5,121,976 4,621,266 4,457,066
[유동부채] 921,617 1,191,942 980,781 1,466,695
[비유동부채] 1,929,441 1,693,131 1,383,112 1,189,296
부채총계 2,851,058 2,885,073 2,363,893 2,655,991
[자본금] 10,000 10,000 10,000 10,000
[연결기타자본항목] △440,664 △440,664 △229,919 △229,919
[연결기타포괄손익누계액] △60,323 △90,444 16,180 △37,339
[연결이익잉여금] 2,787,000 2,757,662 2,461,112 2,058,333
지배기업소유주지분 2,296,013 2,236,554 2,257,373 1,801,075
비지배지분 373 349 - -
자본총계 2,296,386 2,236,903 2,257,373 1,801,075
연결에 포함된 회사수 13개 13개 6개 5개
[△는 음(-)의 수치임]


(단위: 백만원)
구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영업수익 507,829 2,241,803 1,701,764 1,526,535
영업이익 38,901 200,727 175,732 161,599
관계기업투자손익 69,706 318,705 512,228 315,856
당기순이익 95,010 356,182 438,250 324,694
지배회사지분순이익 94,986 356,117 438,250 324,694
비지배주주지분순이익 24 65 - -
총포괄이익 116,359 237,881 489,548 237,249
기본주당순이익(원) 2,088 7,642 9,226 6,526
※ 비교표시된 2010년 연결재무정보는 K-IFRS를 적용하여 작성된 것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를 받지 않았습니다.



3. 기타위험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13년 05월 29일이고 상장예정일은 2013년 06월 03일입니다. 본 사채는 한국거래소의 채권상장요건을 충족하고 있으므로 상장심사를 통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그러나 채권시장에 상존하는 여러 변수들과 변동성에 의해상장 이후 수급불균형 등의 이유로 환금성이 훼손될 수 있으니 투자자들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사채는 한국거래소의 채권상장요건을 충족하고 있어 상장심사를 통과할 것으로 판단되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요   건 요건충족내역
발행회사 자본금이 5억원 이상일 것
(보증사채권 및 담보부사채권, 자산유동화채권 제외)
충족
모집 또는 매출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하여 발행되었을 것 충족
발행총액 발행액면총액이 3억원 이상일 것
(보증사채권 및 담보부사채권은 5천만원 이상)
충족
미상환액면총액 당해 채무증권의 미상환액면총액이 3억원 이상일 것
(보증사채권 및 담보부사채권은 5천만원 이상)
충족
통일규격채권 당해 채무증권이 통일규격채권일 것
(등록채권 제외)
등록채권


본 사채의 상장신청예정일은 2013년 05월 29일이고, 상장예정일은 2013년 06월 03일이며, 상기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사채는 한국거래소의 채무증권상장요건을 충족하고 있는 바, 한국거래소의 상장심사를 무난하게 통과할 것으로 사료되는 바, 환금성 위험은 미약한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최근 급변하고 있는 채권시장의 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또한, 상장 이후 채권에 대한 매도량과 매수량 사이에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환금성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므로 투자자들께서는 이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사채는 공사채등록법령에 의거 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등록부에 사채의 권리 내용을 등록하고 사채권은 발행하지 않습니다.


본사채는 예금자보호법의 적용대상이 아니며, 금융기관 등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 책임은 당사에게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들께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시어 투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및 감사보고서 등 기타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사오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투자의사를 결정하시는데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3년 1월 31일 당사의 대표이사인 최태원 회장은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 혐의에 관하여 1심 법원으로부터 유죄를 선고 받았습니다. 그러나 이는 최종 확정판결이 아니며, 본 판결의 결과가 당사 및 당사의 계열회사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 아니할 것으로 판단되나, 동 판결을 이유로 한 시장의 부정적 평가 여부 등에 대하여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서울중앙지방법원의 당사 대표이사 등에 대한 1심 판결 결과>

2012년 1월 5일 검찰은 당사의 대표이사인 최태원 회장과, 최재원 수석부회장에 대하여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횡령·배임 혐의로 최태원 회장은 불구속기소하고, 최재원 수석부회장은 구속기소하였습니다. 2013년 1월 31일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1부는 최태원 회장이 SK텔레콤과 SKC&C로 하여금 펀드 출자금을 선지급하게 한 후 펀드로부터 465억원을 전달받아 일시사용한 혐의에 대하여 최태원 회장에게는 징역 4년을, 최재원 수석부회장에게는 무죄를 선고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는 아직 최종 확정판결이 아니므로 횡령 혐의에 대한 사실 여부는 확정된 것이 아니며, 본 혐의와 관련하여 당사자는 항소 등의 절차를 통해 적극적으로 대응할 예정입니다. 또한 위 1심 판결의 결과가 당사 및 당사의 계열회사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동 판결을 이유로 한 시장의 부정적 평가 여부 등에 대하여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Ⅳ. 인수인의 의견(분석기관의 평가의견)


1. 분석기관

구       분 증  권  회  사
회 사 명 고 유 번 호
대표주관회사 우리투자증권(주) 00120182



2. 분석의 개요

대표주관회사인 우리투자증권(주)는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71조 및 동법시행령 제68조 5항에 의거 공정한 거래질서 확립과 투자자 보호를 위해 다수인을 상대로 한 모집ㆍ매출 등에 관여하는 주관회사로서, 발행인이 제출하는 신고서 등에 허위의 기재나 중요한 사항의 누락을 방지하는데 필요한 적절한 주의를 기울였습니다.

대표주관회사인 우리투자증권(주)는 금융감독원의 "금융투자회사의 기업실사(Due Diligence) 모범규준"에 의거하여 인수 또는 모집·매출의 주선업무를 함에 있어 적절한 주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각 사가 제정한 내부 지침에 따라 기업실사를 수행하였습니다.

본 장에 기재된 분석의견은 인수인이자 대표주관회사인 우리투자증권(주)이 기업실사 과정을 통해 발행회사인 SK(주)로부터 제공받은 정보 및 자료에 기초한 합리적, 주관적 판단일 뿐이므로, 이로 인해 주관회사가 투자자에게 본 무보증사채 공모 투자여부에 관한 경영 및 재무상의 조언 또는 자문을 제공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본 평가의견에 기재된 내용 중에는 예측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며, 예측정보에 대한 실제 결과는 여러 가지 요소들의 영향에 따라 최초 예측치와는 다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분석의견의 상세한 내용은 동 증권신고서에 첨부되어 있는 기업실사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 기업실사 이행상황

(1) 기업실사 참여자

<발행회사 >

성  명 직  책 부   서 담당업무
김진원 PL 재무팀 실사 총괄
윤종열 PL 재무팀 실사자료 작성 및 제공


<대표주관회사>

소속기관 부서 성명 직책 실사업무분장 주요경력
우리투자증권(주) 인수2부 한성원 그룹장 실사책임자 기업금융업무 21년
우리투자증권(주) 인수2부 이재호 팀장 실사총괄 기업금융업무 8년
우리투자증권(주) 인수2부 홍국일 부장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기업금융업무 6년
우리투자증권(주) 인수2부 이창용 차장 기업실사 및 서류작성 기업금융업무 4년


(2) 기업실사 일정 및 실사 내용

일자 기업 실사 내용
2013. 05. 15 * 발행회사 초도 방문
  - 발행회사의 무보증 회사채 발행 의사 확인
  - 자금조달 금액 등 발행회사 의견 청취
  - 공시 및 뉴스 내용 등을 통한 발행회사 및 소속산업 사전 조사
  - 무보증 회사채 발행 일정 및 실사 협의
  - 실사 사전요청자료 송부
2013.05.16
~
2013.05.20
* 발행회사 방문
* Due-diligence checklist에 따라 실사
  1) 사업위험관련 실사
   - 영위 중인 사업 및 신규 사업에 대한 세부사항 등 체크
   - 유사업종 자료 검토
  2) 회사위험관련 실사
   - 재무관련 위험 및 우발채무 등의 위험요소 등 체크
  3) 기타위험관련 실사
   - 기타 회사 제공 내역 및 각종 장부 검토
   - 소송관련 내역 등의 확인
   - 각 부서 주요 담당자 인터뷰
   - 향후 사업추진계획 검토
   - 회사채 발행 배경과 자금사용 계획 파악
   - 동사 공시서류 검토
   - 동사로부터 수령한 자료 검증(정관, 내부자료 등)
   - 내부통제시스템 확인
2013.05.21 * 실사 추가 내역 문의 및 확인
* 기업실사보고서 및 증권신고서 작성 정리
* 실사이행결과보고서 자료 정리
* 회사채 발행 관련 제반 계약서 최종 확인


(3) 실사 세부내용 및 검토자료 내역
- 동 증권신고서의 첨부되어 있는 기업실사 보고서 참조


4. 종합의견

가. SK㈜는 1962년 대한석유공사로 설립되어 1980년 정부의 민영화 방침에 따라 ㈜선경(현 SK네트웍스㈜)이 주식과 경영권을 인수하여 1982년 ㈜유공으로, 1998년에 현재의 사명인 SK㈜로 변경하였고, 1984년에 상장한 회사로 2007년 7월 SK인천정유㈜, 대한송유관공사㈜ 등의 투자주식과 석유, 화학, 윤활유, 석유개발 등 주요 제조사업부문 등을 인적분할하여 SK에너지㈜ (現 SK이노베이션㈜)로 포괄이전하면서 SK그룹의 지주회사로 전환되었습니다.

나. 동사는 2012년 3월말 기준 8개의 사업자회사(SK이노베이션㈜,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C㈜, SK해운㈜, SK E&S㈜, SK건설㈜, SK바이오팜㈜)를 두고 있었으며, 2012년 6월 29일 SK건설(주)가 보유하고 있던 SK임업(주)의 지분을 인수하여 신고서 제출일 현재 9개의 사업자회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 자회사 중 일부는 관련 업종의 계열사 지분을 소유하는 중간지주회사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다.

다. SK그룹의 지주회사인 동사의 실질적인 수익원은 'SK' 브랜드의 사용대가인 상표권 사용수익과 배당금수익 등으로, 주로 자회사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동사는 지주회사로서 자회사로부터의 현금유입규모를 조절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으나, 동사의 주요 수익원은 계열사의 실적변동에 영향을 받는 구조입니다. 주요 자회사인 SK이노베이션(주), SK텔레콤(주) 등은 해당업계 내에서 1위의 시장지위를 영위하는 등 업종내 지위가 안정적이며, 수익성과 현금창출력 또한 우수하므로 향후에도 지속적인 현금흐름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기타 자회사들의 경우에도 SK계열사의 지원하에 비교적 양호한 수익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라. 2010년까지 동사의 배당금 수입은 년간 4,000억원 내외로 유지되어 왔으나, 舊, 케이파워의 실적 호조와 보유 지분율 확대 등으로 2011년 배당수익 인식액은 5,778억원으로 크게 확대되었으며, 2012년 배당수익 인식액은 4,910억원, 2013년 1분기 배당수익 인식액은 7,663억원으로 향후에도 견조한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외에 브랜드 사용료 수익까지 고려한다면 총 자금유입 규모는 판관비, 금융비용 등 총 자금지출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자회사 지분투자로 인한 외부차입이 발생하고 있으나 지분확대에 따른 배당금 증가분은 늘어난 이자비용에 상응하고 있어 현금흐름에 큰 부담을 주고 있지는 않습니다.

마. 2013년 1분기말 기준 부채비율은 35.8%(별도 기준)수준으로 안정적인 재무구조를 유지하고 있으며 지분투자이외의 경상적인 현금흐름 상, 외부차입의 필요성이 없는 가운데, 차입금 만기도래시점이 장기적으로 분산되어 있어 상환부담이 크지 않은 상황입니다. 또한, 차입금의 절대규모가 약 2.9조원(별도기준) 규모로 매출액 대비 다소 큰 편이지만, SK이노베이션㈜ 등 자회사에서의 안정적인 현금 유입과 자회사 지분가치, 그리고 SK그룹의 지주회사로서의 신인도를 감안할 때 재무안정성은 우수한 수준으로 판단됩니다.

바. 금번 발행되는 제259회 무보증사채와 관련하여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에서 평정한 회사채 신용등급은 AA+입니다. 본 사채는 금융기관 등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 상환은 발행회사인 SK㈜가 전적으로 책임을 집니다.


우량한 사업자회사 지분 및 이로부터 기대되는 배당수익, SK그룹 전체의 높은 대외적 신인도 등과 같은 동사의 경영여건을 고려해 볼 때, 금번 발행되는 동사의 제259회 무보증사채의 원리금 상환은 무난할 것으로 사료되나, 투자자께서는 투자 시에 상기 검토결과는 물론, 동 증권신고서 및 예비투자설명서에 기재된 동사의 전반에 걸친현황 및 동사의 산업 및 영업상의 위험요소, 재무상황 및 관계회사 등과 관련된 제반 위험요소 등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본 대표주관회사인 우리투자증권(주) 및 인수회사는 본 사채의 원리금 상환과 관련하여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으니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13. 05. 22
                                                                                      우리투자증권 주식회사
                                                                                           대표이사  황  성  호

Ⅴ. 자금의 사용목적


1. 모집 또는 매출에 의한 자금조달 내역

가. 자금조달금액

[제259-1회] (단위 : 원)
구    분 금    액
모집 또는 매출총액(1) 100,000,000,000
발   행   제   비   용(2) 494,800,000
순 수 입 금 [ (1)-(2) ] 99,505,200,000


[제259-2회] (단위 : 원)
구    분 금    액
모집 또는 매출총액(1) 100,000,000,000
발   행   제   비   용(2) 450,000,000
순 수 입 금 [ (1)-(2) ] 99,550,000,000


나. 발행제비용의 내역

[제259-1회] (단위 : 원)
구    분 금    액 계산근거
인 수 수 수 료 300,000,000 발행액면총액 ×0.30%
발 행 분 담 금 70,000,000 총발행가액 ×0.07%
사 채 관 리 수 수 료 2,500,000 정액
신용평가수수료 120,000,000 한신평 / 한기평 / NICE
기  타  비  용 1,500,000 상장수수료
300,000 채권연부과금
500,000 등록채권발행비
합    계 494,800,000 -

* 발행제비용은 회사 자체보유자금으로 지출할 예정입니다.

[제259-2회] (단위 : 원)
구    분 금    액 계산근거
인 수 수 수 료 300,000,000 발행액면총액 ×0.30%
발 행 분 담 금 70,000,000 총발행가액 ×0.07%
사 채 관 리 수 수 료 2,500,000 정액
신용평가수수료 75,000,000 한신평 / 한기평 / NICE
기  타  비  용 1,500,000 상장수수료
500,000 채권연부과금
500,000 등록채권발행비
합    계 450,000,000 -

* 발행제비용은 회사 자체보유자금으로 지출할 예정입니다.


2. 자금의 사용목적

[제259-1회] (단위 : 원)
운영자금 차환자금 기타자금
- 100,000,000,000 - 100,000,000,000


[제259-2회] (단위 : 원)
운영자금 차환자금 기타자금
- 100,000,000,000 - 100,000,000,000


<자금의 세부 사용 내역>
금번 제259-1회 및 제259-2회 발행 총액은 금2,000억원이며 전액 차환자금으로 사용될 예정입니다. 세부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차환자금]

(단위: 원)
용 도 만기 이자율 상환금액
제250-1회 무보증사채 차환 2013.06.03 4.37% 100,000,000,000
제251-1회 무보증사채 차환 2013.09.06 4.30% 100,000,000,000
합                               계 200,000,000,000


Ⅵ. 그 밖에 투자자보호를 위해 필요한 사항


1. 이자보상배율


(단위 : 백만원)
항  목 2013년 1분기 2012년 1분기 2012년 2011년 2010년
영업이익(A) 802,180 469,706 550,983 576,045 329,981
이자비용(B) 37,852 42,509 157,457 156,590 157,557
이자보상배율(A/B) 21.19배 11.05배 3.50배 3.68배 2.09배
* 이자보상비율은 기업의 이자부담 능력을 판단하는 지표로, 이자보상비율이 1배가 넘으면 회사가 이자비용을 부담하고도 수익이 난다는 의미이고, 1배 미만일 경우에는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이익으로 이자비용조차 지불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K-IFRS 개별기준으로 작성된 재무제표 수치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당사의 경우 영업이익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배당금이 1분기에 계상되므로, 영업이익이 상반기에 쏠리는 경향이 있어 각년도 1분기 이자보상비율이 연말기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미상환 사채의 현황

[2013.05.21 기준] (단위 : 천원)
종  류 연이자율 만기일 보증기관 금   액
250-1회 4.37% 2013.06.03 무보증 100,000,000
251-1회 4.30% 2013.09.06 무보증 100,000,000
252-1회 3.88% 2013.12.14 무보증 50,000,000
246-2회 6.08% 2014.02.27 무보증 150,000,000
244-3회 5.00% 2014.03.19 무보증 100,000,000
253-1회 4.29% 2014.04.04 무보증 110,000,000
245-2회 5.00% 2014.04.09 무보증 70,000,000
247-2회 5.34% 2014.06.04 무보증 100,000,000
248-2회 5.59% 2014.07.31 무보증 150,000,000
254-1회 4.08% 2014.08.26 무보증 50,000,000
255-1회 3.89% 2014.12.15 무보증 50,000,000
249-2회 5.47% 2015.02.01 무보증 100,000,000
256-1회 3.65% 2015.05.29 무보증 50,000,000
250-2회 4.96% 2015.06.03 무보증 150,000,000
251-2회 4.58% 2015.09.06 무보증 150,000,000
252-2회 4.52% 2015.12.14 무보증 150,000,000
253-2회 4.51% 2016.04.04 무보증 140,000,000
254-2회 4.11% 2016.08.26 무보증 200,000,000
255-2회 4.05% 2016.12.15 무보증 200,000,000
256-2회 3.78% 2017.05.29 무보증 200,000,000
257-1회 3.21% 2017.08.27 무보증 150,000,000
258-1회 3.21% 2017.10.19 무보증 100,000,000
257-2회 3.36% 2019.08.27 무보증 100,000,000
258-2회 3.35% 2019.10.19 무보증 100,000,000
소    계 2,820,000,000



3. 신용평가회사의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가. 신용평가회사

신용평가회사명 고유번호 평 가 일 회  차 등  급
한국신용평가㈜ 00299631 2013년 05월 16일 제259-1회, 제259-2회 AA+
한국기업평가㈜ 00156956 2013년 05월 16일 제259-1회, 제259-2회 AA+
NICE신용평가㈜ 00648466 2013년 05월 16일 제259-1회, 제259-2회 AA+


나. 평가의 개요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는 독자적인 평가방법으로 채권의 상환능력과 안정성을 분석하여 신용평가를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상기 회사의 신용등급이 투자를 권유하거나 발행예정 회사채의 원리금 상환을 보증하는 것은 아닙니다. 발행예정 회사채는 만기상환시까지 매년 1회 이상의 정기평가와 중대한 환경변화에 따른 수시평가에 의하여 지속적으로 평가될 것이며, 이에 따라 기평가등급이 변경될 수 있음을 투자자께서는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다. 평가의 결과

회사명 평정등급 등급의 정의 전망(Outlook)
한국신용평가 AA+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 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Stable
한국기업평가 AA+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지만, AAA등급에 비하여 다소 낮은 요소가 있다. Stable
NICE신용평가 AA+ 원리금 지급확실성이 매우 높아 투자위험도가 매우 낮지만 AAA등급에 비해 다소 열등한 요소가 있음. Stable



4. 정기평가 공시에 관한 사항

가. 평가시기

SK㈜는 한국신용평가㈜,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로 하여금 본사채 만기상환일까지 발행회사의 매 사업년도 정기주주총회 종료 후 본 사채에 대하여 정기평가를 실시하게 하고 동 평가등급 및 의견을 공시하게 합니다.

나. 공시방법

상기의 정기평가등급 및 의견은 해당 신용평가사의 홈페이지에 공시됩니다.
한국신용평가㈜ : www.kisrating.com
한국기업평가㈜ : www.rating.co.kr
NICE신용평가㈜ : www.nicerating.com


5.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본 사채는 공사채 등록법에 의거 등록기관인 한국예탁결제원의 등록부에 사채의 권리내용을 등록하고 사채권은 발행하지 아니하며, 등록자에게는 등록필증이 교부됩니다. 단, 사채의 등록이 말소된 때에는 채권자, 질권자 및 이해관계자가 사채권의 발행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나. 자본시장과금융투자업에관한법률 제120조 제3항에 의거 이 신고서의 효력 발생은 신고서의 기재사항이 진실 또는 정확하다는 것을 인정하거나 정부가 본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하는 효력을 가지지 아니합니다.

다. 본 사채는 금융기관이 보증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지급은 SK㈜가 전적으로 책임을 지며 정부가 증권의 가치를 보증 또는 승인한 것이 아니므로 원리금상환 불이행에 따른 투자위험은 투자자에게 귀속됩니다.

라. 현재까지의 재무상황 중 자본잠식 등의 수익성 악화사실이나 재고자산 급증 등의안정성 악화사실, 부도/연체/대지급 등 신용상태 악화사실이 없으며, 기타 투자자가 투자의사를 결정함에 유의하여야 할 중요한 사항으로써 신고서에 기재되어 있지 아니한 것이 없습니다.

마. 금융감독원 전자공시 홈페이지(http://dart.fss.or.kr)에는 당사의 사업보고서, 분기보고서, 반기보고서 연결감사보고서 등 정기공시사항과 수시공시사항 등이 전자공시되어 있으니 투자에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제2부 발행인에 관한 사항


Ⅰ. 회사의 개요


1. 회사의 개요


당사는 2011년 1분기부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K-IFRS)을 도입하였습니다. 연결회사의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으로의 전환일은 2010년 1월 1일이며,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채택일은 2011년 1월 1일입니다. 연결회사는 2010년 1월 1일의 개시 재무상태표를 작성하였으며, 연결재무제표 보고일은 2013년 3월 31일입니다.

이미지: 연결구조도 ('13년 1분기말)

연결구조도 ('13년 1분기말)


▣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 (2013년도 1분기말 기준)

1. 연결대상 종속회사 개황(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 주권상장법인이 사업보고서, 분기ㆍ반기보고서를 제출하는 경우에 한함)


(단위 : 백만원)
상호 설립일 주소 주요사업 직전사업연도말
자산총액
지배관계 근거 주요종속
회사 여부
SK이노베이션㈜ 2007-07-01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액체연료 및 관련 제품 도매업 15,303,735 실질지배력 해당
내트럭㈜ 2005-05-06 서울시 중구 장교동 1 운송 및 유류판매 91,301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제주유나이티드에프씨㈜ 2008-09-08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강정동 3355-5 경기단체후원업 15,65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루브리컨츠㈜ 2009-10-01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윤활유판매 1,927,14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에너지㈜ 2011-01-01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원유정제처리업 18,871,85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종합화학㈜ 2011-01-01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화학제품 제조/판매 5,061,451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 2010-09-10 울산시 남구 여천동 744-4 윤활기유 제조 및 판매 317,51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Global Chemical International Trading (Shanghai)   Co., Ltd. 2002-06-11 Shanghai, China 폴리머판매 244,70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Energy Lubricants (Tianjin) Co., Ltd. 2003-03-17 Tianjin Port Free Trade Zone, China 윤활유판매 113,83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Global Chemical (China) Holding Co., Ltd. 2004-10-10 Beijing, China 지주회사 140,785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Ningbo SK Baoying Asphalt Storage Co., Ltd. 2004-12-27 Zhejiang, China 제조업 14,89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Beijing) Road Science & Tech. Co., Ltd. 2005-07-19 Beijing, China 도로관련 기술 연구개발,서비스제공   2,97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Hefei SK Baoying Asphalt Co., Ltd. 2006-03-29 Hefei City, Anhui Province, China 제조물류업   8,69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Rizhao SK Asphalt Co., Ltd. 2006-11-20 Rizhao, Shandong Province, China 제조물류업   6,76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Chongqing SK Asphalt Co., Ltd. 2007-03-28 Chongqing, China 아스팔트제조판매 14,69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Golden Tide Plastics(Yantai) Co., Ltd. 2007-04-09 Shandong Province, China PE-RT제품 생산 및 판매   4,15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nergy Road Investment Co., Ltd. 2007-09-03 Cayman Islands 투자 35,76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nergy Road Investment (HK) Co., Ltd. 2007-09-28 Hong Kong 투자 57,389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hanxi SK Guolin Asphalt Co., Ltd. 2007-10-10 Xian, China 아스팔트제조판매 11,10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handong SK Hightech Oil Co., Ltd. 2008-01-31 Jinan City, China 주유소운영 13,64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hanxi SK Zhenhua Asphalt Co., Ltd. 2008-10-16 Shanxi Province, China 아스팔트제조판매   3,07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Global Chemical (Guangzhou) International Trading Co., Ltd. 2010-01-13 Guangzhou, China 화학제품 판매 16,46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Lubricants Japan Co., Ltd. 2009-08-19 Tokyo, Japan 윤활유판매 49,02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1990-09-01 Singapore 석유류제품무역 3,811,814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E&P Asia Ltd. 2005-04-12 F.T. Labuan, Malaysia 석유개발         - 의결권 과반수 보유 -
PT.Patra SK 2007-02-19 Kuningan-Jakarta Selaten, Indonesia 제조업 278,69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Global Chemical Singapore Pte., Ltd. 2010-12-15 Singapore 석유화학제품 도매 83,790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International Investment Singapore Pte., Ltd. 2010-01-04 Singapore 석유정제업 177,04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Lubricants & Oils India Private Limited 2011-04-26 India 윤활유판매   1,42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Innovation Insurance (Bermuda), Ltd. 1996-09-24 Bermuda 보험 66,21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Lubricants Americas, Inc. 1997-06-13 Houston, TX, USA 윤활유판매 176,45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USA, Inc. 2001-08-21 Fort Lee, NJ, USA 경영자문 18,38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Global Chemical Americas, Inc. 2009-09-09 Houston, TX, USA 화학제품 판매 39,28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nergy Europe, Ltd. 2001-01-10 London, United Kingdom 무역 203,605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Lubricants Europe B.V. 2009-08-19 Amsterdam, The Netherlands 윤활유판매 232,081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SOL LUBE BASE OILS S.A. 2012-04-10 Paseo de la Castellana, 278-280 28046 Madrid, Spain 윤할기유 제조 61,759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Australia (Togara) Pty., Ltd. 2000-07-01 Sydney, NSW, Australia 자원 개발         -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에스케이모바일에너지㈜ 2005-11-15 충남 천안시 성거읍 천흥리 460 리튬전지제조 12,15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유화㈜ 2005-12-01 울산 남구 황성동 600 화학제품 제조업 194,08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E&P Company(구.SK Innovation Americas, Inc.) 2010-12-23 Houston, TX, USA 서비스   3,33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Moche Energy Company, LLC. 2010-12-11 Lima, Peru 광구운영   7,87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nergy Americas, Inc. 2010-12-10 Torrance, CA, USA 무역업 30,63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Ningbo SK Performance Rubber Co., Ltd. 2012-12-20 Ningbo, China 화학제품 제조업 21,57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nergy Hong Kong Co., Ltd. 2010-11-30 Hong Kong 투자회사   7,40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Terminal B.V. Amsterdam 2010-01-15 Amsterdam, The Netherlands 투자회사 38,36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Bergaya International Pte., Ltd. 2010-03-11 Singapore 컨설팅 12,44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Shanghai Asphalt Co., Ltd. 2010-07-14 Shanghai, China 아스팔트 판매 16,62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hanghai Huayou International Freight Forwarding Co., Ltd. 2010-07-29 Shanghai, China 국제화물 운송대리   3,79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Beijing SK Magellan Capital Advisors Co. Ltd. (SK마젤란) 2011-11-10 SK Tower, No.6 Jia, Jianguomenwai Avenue, Beijing, China 투자자문업     51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Global Chemical Investment Hong Kong Ltd. 2012-06-21 Admiralty Centre Tower 1, 18 Harcourt Road, Admiralty, Hong Kong 투자 20,38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텔레콤㈜ 1984-03-29 서울시 중구 을지로2가 11 통신업 22,249,502 실질지배력 해당
SK텔링크㈜ 1998-04-09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5가 267 통신업 241,97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커뮤니케이션즈㈜ 1996-09-19 서울시 서대문구 미근동 257 온라인정보제공업 265,819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로엔엔터테인먼트 1982-07-07 서울시 서초구 방배3동 1026-28 음반제조판매업 173,079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스톤브릿지영상컨텐츠투자조합 2005-09-30 서울 강남구 역삼동 662-9 에프앤에프 빌딩 2층 투자조합 10,96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커머스플래닛 1997-07-01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2동 370-1 전자상거래업 34,00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브로드밴드㈜ 1997-09-26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5가 267 통신업 3,057,164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케이넷문화컨텐츠투자조합 2008-11-24 서울시 서초구 서초동 1575-3 영한빌딩 11층 투자조합 43,77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화이텍포커스투자조합 2호 2008-12-12 서울시 강남구 삼성1동 170-8 삼성빌딩 14층 투자조합 22,54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오픈이노베이션펀드 2008-12-22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0 투자조합 43,39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피에스앤마케팅㈜ 2009-04-03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5가 267 통신기기판매업 317,61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서비스에이스㈜ 2010-07-01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258 고객센터 관리 서비스업 48,95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서비스탑㈜ 2010-07-01 대전시 서구 탄방동 594 고객센터 관리 서비스업 43,33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네트웍오앤에스㈜ 2010-07-01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 기지국 유지 보수 165,81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비엔씨피㈜ 2009-12-07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371-50 에이스하이엔드타워 3차 18층 소프트웨어개발 24,00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Telecom China(Holding) Co., Ltd. 2007-07-12 Beijing, China 지주회사 35,23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Y Property Management Limited 2007-06-20 British Virgin Islands 투자 773,41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China Real Estate Co., Limited 2009-03-19 Hong Kong. 투자 181,18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애사개(중국)문화창의산업발전유한공사 2008-06-01 Hong Kong. 서비스업   7,57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Industrial Development China Co., Ltd. 2009-09-30 Hong Kong. 투자 317,49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hanghai SKY Real Estate Development Co.,Ltd.(Expo) 2011-09-20 Shanghai, China 부동산 투자 90,83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henzhen E-eye High Tech Co., Ltd. 2000-04-01 Shenzhen, China 제조업 18,91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T Vietnam Pte., Ltd. 2000-04-05 Singapore 통신업 38,33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T Americas Inc. 1995-12-29 Sunnyvale, CA, USA 정보수집컨설팅 36,37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YTK Investment Ltd. 2010-07-01 Cayman Islands 투자 64,03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Atlas Investment, Ltd. 2011-06-24 Cayman Island 투자 51,065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Technology Innovation Partners LP. 2011-06-24 USA 투자 151,74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Telecom China Fund I L.P. 2008-07-03 Amsterdam, The Netherlands 투자   3,45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플래닛㈜ 2011-10-01 서울 중구 을지로2가 11 통신업 1,632,414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매드스마트 2011-03-21 서울시 강남구 선릉로 523 유림빌딩 2층 Mobile Instant Messaging ,  SNS 서비스   1,59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Planet Japan 2012-03-14 Tyoko, 150-0031, Japan Sakuragaoka-cho, Shibuya-ku, NES Bldg, N5F, 22-14 Digital Contents 소싱 및 제공       4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PLANET GLOBAL PTE.LTD. 2012-08-04 4 Shenton Way #14-02 SGX Centre2 Singapore 068807 Digital Contents 소싱 및 제공     63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P America LLC. 2012-03-12 Delaware 19801 ,USA 1209 Ornage Street, in the Cit c/o Corporation Trust Center Digital Contents 소싱 및 제공   6,66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Global Healthcare Business Group Limited 2012-09-14 Room 1806-1808, 18/F, Tower 2, Admiralty Centre, 18 Harcourt Road, Admiralty, Hong Kong 투자회사 (SPC) 25,78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네트웍스㈜ 1956-03-24 서울시 중구 을지로 2가 199-15 무역및유통 9,854,995 실질지배력 해당
SK네트웍스서비스㈜ 2007-07-10 서울시 중구 서소문동 21-1 통신장비수리업 84,49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핀크스 1994-12-23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안덕면 골프장 운영 186,91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화이텍차세대유통조합 2010-10-06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투자조합 10,09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스피드모터스㈜ 2011-09-05 대전광역시 중구 오류동 187-1 자동차 딜러 35,43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엘씨앤씨 주식회사 2010-07-01 서울시 중구 을지로 2가 198번지 OPUS11빌딩 4층 소형가전, 음향기기 50,415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한국 사모 보르도 파인 와인특별자산 투자신탁 1호 2008-02-28 대한민국 와인펀드 56,363 실질지배력 해당
유진 베스트블렌딩 사모 특별자산투자신탁 1호 2008-03-13 대한민국 와인펀드 15,855 실질지배력 -
유진 베스트블렌딩 사모 특별자산투자신탁 2호 2008-03-13 대한민국 와인펀드 16,807 실질지배력 -
SKN (China) Holdings Co., Ltd. 2005-09-19 Shenyang City, China 지주회사 154,63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henyang SK Networks Energy Co., Ltd. 2005-07-07 Shenyang, China 석유류도소매 38,69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Shanghai) Marketing Co., Ltd. 2005-09-20 Shanghai, China 의류업 31,32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hanghai Launch-SK Automobile Service Co., Ltd. 2005-09-19 Shanghai, China 자동차경정비   4,01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GZ Free Zone) Co., Ltd. 2003-05-12 Guangzhou China 무역업 13,04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 (Shanghai) Co., Ltd. 2003-11-24 Shanghai, China 무역업 287,11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Dandong SK Networks Real Estate Co., Ltd. 2005-12-08 DanDong, China 부동산개발 60,604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Dandong SK Networks Energy Co., Ltd. 2006-11-11 DanDong, China 제조판매 40,96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POSK(Pinghu)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2006-12-22 Guangdong, China 철강제품가공판매업 89,35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henyang SK Bus Terminal Co., Ltd. 2006-08-14 Shenyang, China 차량터미널사업 74,84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Networks Hong Kong Limited 2008-07-22 Hong Kong 무역 122,62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Dandong SK Networks Logistics Co., Ltd. 2007-11-22 DanDong, China 유통물류업 20,46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Liaoning Construction Co., Ltd. 2009-06-24 Shenyang, China 건설업 24,98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Guangzhou) METAL CO., LTD 2007-04-08 Guangzhou, China 철강제품가공 및 판매업 45,92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RENT-A-CAR(SHENYANG)CO., LTD 2006-07-01 Shenyang, China 자동차 대여 18,04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RENT-A-CAR(BEIJING) CO., LTD 2005-11-01 Beijing, China 자동차 대여 21,31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 Japan Co., Ltd. 2008-07-24 Tokyo, Japan 무역 41,63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PT.SK Networks Inni Joa Plantation 2005-02-17 Jakarta, Indonesia 천연고무 생산및 가공 26,60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Obzee New York Inc. 2001-04-11 New York, USA 무역   5,56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 Deutschland GmbH 1976-06-18 Frankfurt, Germany 무역 26,25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Daiyang SK Networks SAN. VE TIC.Ltd.STI 2007-02-27 Corlu, Turkey 철강제품가공판매업 112,30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Wine Networks, Ltd. 2010-02-17 London, United Kingdom 와인판매업 22,84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Steel Australia Pty., Ltd. 2005-11-23 NSW, Australia 철강제품가공판매업 30,67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 Resources Australia Pty., Ltd. 1999-11-01 Syndney, Australia 광업 241,76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Auto Service Hong Kong Limited 2011-03-21 99 Queen’s Road Central, Hong Kong 자동차 임대업 30,93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Xiamen)Steel Processing Center Co.,Ltd 2010-12-08  Xiamen, China 광전,가전,자동차용 철판 가공 29,81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A FOOTWEAR & SPORTINGS LIMITED 2011-12-01 Unit 6312, 63/F, The Center 99 Queen's Road Central, HongKong 소매유통 13,20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SHANGHAI)SPORTS RETAILING CO.,LTD 2012-01-01 Shanghai, China 신발판매업 10,18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Networks (Dandong) Ascon Construction Co., Ltd. 2010-09-07 DanDong, China 건축재료 제조업 10,51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Rent-A-Car (Qingdao)Co., Ltd. 2006-05-01 Qingdao, China 자동차 대여   9,13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C㈜ 1973-07-16 경기 수원시 장안구 정자동 633 석유화학제조 2,533,920 실질지배력 해당
에스케이텔레시스㈜ 1973-07-16 서울시 중구 을지로 2가 통신장비제조 230,717 실질지배력 해당
SKC에어가스(주) 2007-02-13 울산광역시 남구 용잠동 619 제조업 121,810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C솔믹스㈜ 2007-06-25 경기도 평택시 장당동 624 반도체판매 322,87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C라이팅㈜ 1986-10-11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27-20 남부빌딩 3층 전자부품 제조업 33,47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olmics JAPAN Co., Ltd. 2001-11-01 Kangwaken, Japan 반도체 부품 유통업   4,99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C, Inc. 1995-07-09 Covington, U.S.A 제조업 344,37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C Europe GmbH 1987-05-08 Frankfurt, Germany 판매업 12,42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C Europolyurethan sp.z.o.o 2010-05-28 Dzierzoniow, Poland 제조업 10,63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에스케이더블유㈜ 2010-05-20 충북 진천군 이월면 노원리 1157 필름 제조업   8,99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C (Jiangsu) High tech Plastics 2011-08-26 Nantong City, Jiangsu Province, China 필름 제조업 102,85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olmics Taiwan Co., Ltd. 2011-07-01 Taiwan 반도체 부품 유통업   3,22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해운㈜ 1982-06-29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가 267 해운 4,160,935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Shipping Hongkong Ltd. 2007-10-15 Hong Kong 해운   3,08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Shipping Singapore Pte., Ltd. 1994-09-01 Singapore 해운 358,451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B&T PTE. LTD. 2012-08-21 9 Raffles Place #53-03 Republic Plaza Singapore 048619 유류도매 220,08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CRYSTAL SHIPHOLDING S.A. 2009-07-28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PROMISE SHIPHOLDING SA 2004-01-01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ETERNITY SHIPPING OVERSEAS S.A. 2010-11-12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39,095 특수목적법인 -
CONCORD SHIPHOLDING S.A. 2010-05-25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HARMONY SHIPHOLDING S.A. 2010-05-25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DVENTURE SHIPHOLDING S.A. 2010-05-25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MBITION SHIPHOLDING S.A. 2010-05-25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MBER SHIPHOLDING S.A. 2010-05-19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CORAL SHIPHOLDING INTERNATIONAL S.A. 2010-05-19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ZH-A SHIPHOLDING S.A. 2010-12-02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ZH-B SHIPHOLDING S.A. 2010-12-02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FAITH SHIPHOLDING GROUP S.A. 2010-11-17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PAEGI SHIPHOLDING S.A. 2011-02-11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23,136 특수목적법인 -
BRAVE SHIPHOLDING GROUP S.A. 2011-10-01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HOPE SHIPHOLDING S.A. 2011-10-01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PEFC SHIPHOLDING S.A, 2011-10-01 53rd E Street, Urbanizacion Marbella, MMG Tower, 16th floor, Panama,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CHAMPION SHIPHOLDING S.A. 2001-07-30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GLOBAL SHIPHOLDING S.A. 2001-07-30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VISION SHIPHOLDING S.A. 2001-07-30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MAJESTY SHIPHOLDING S.A. 2006-07-19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GALAXY SHIPHOLDING GROUP S.A. 2006-07-19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COMMANDER SHIPHOLDING S.A. 2007-02-07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UNIVERSE SHIPHOLDING GROUP S.A. 2006-10-23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MERCURY SHIPHOLDING GROUP S.A 2006-11-22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POLLO SHIPHOLDING S.A. 2006-11-12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JUPITER SHIPHOLDING GROUP S.A. 2006-11-22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NEPTUNE SHIPHOLDING GROUP S.A. 2006-11-22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LLIANCE SHIPHOLDING S.A. 2006-11-17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DVANCE SHIPHOLDING S.A. 2006-11-17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OPTIMA LEASING S.A. 1997-10-07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STELLAR SHIPHOLDING S.A. 2006-11-17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OMNIA ENTERPRIES S.A. 1996-08-2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CELESTE MARITIME S.A. 1996-08-26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HARVEST SHIPHOLDING S.A. 2002-09-23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FRONTIER SHIPHOLDING S.A. 2006-09-13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KOMIPOA SHIPHOLDING S.A. 2004-11-09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PMB SHIPHOLDING S.A. 2011-09-05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PMA SHIPHOLDING COMPANY S.A. 2011-08-22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PEFD SHIPHOLDING S.A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52,484 특수목적법인 해당
VLGC 3 SHIPHOLDING S.A.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23,778 특수목적법인 -
EMERALD SHIPPING S.A.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OCEAN MARINE HOLDINGS CO., LTD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SKY MARINE HOLDINGS CO., LTD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STAR MARINE HOLDINGS CO., LTD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CE MARINE HOLDINGS CO., LTD 2011-10-01 Marshall Island 해운         - 특수목적법인 -
ATLANTIC MARINE HOLDINGS CO., LTD 2011-10-01 Marshall Island 해운         - 특수목적법인 -
VALOR SHIPPING GROUP S.A.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PASSION SHIPHOLDINGS S.A.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FIDELITY SHIPHOLDINGS S.A. 2011-10-0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DAVID A SHIPHOLDING S.A. 2012-05-1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DAVID B SHIPHOLDING S.A. 2012-05-1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HDGS A SHIPHOLDING S.A 2013-01-2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HDGS B SHIPHOLDING S.A 2013-01-2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HDGS C SHIPHOLDING S.A 2013-01-21 Republic of Panama 해운         - 특수목적법인 -
SK Shipping Europe Plc. 1999-07-12 5th Floor, 24 Cornhill, London, EC 3V 3ND U.K 해운 225,07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에스엠㈜ 2011-06-15 부산시 동구 범일동 830-30 LIG부산빌딩 14층 선박관리업   8,34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S㈜ 1996-06-04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지주회사 2,688,011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강원도시가스㈜ 1984-02-21 강원 춘천시 후평동 311-8 도시가스 88,77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영남에너지서비스㈜ 1986-03-20 포항시 북구 창포동 586 도시가스 430,369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코원에너지서비스㈜(구. 대한도시가스㈜) 1978-07-07 서울시 강남구 대치동 27-1 도시가스 1,094,000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부산도시가스 1981-03-04 부산시 수영구 남천동 545 도시가스 759,034 실질지배력 해당
전북에너지서비스㈜ 1990-02-17 전북 익산시 팔봉동 837 도시가스 130,92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전남도시가스㈜ 1983-10-17 전남 순천시 조례동 1603-9 도시가스 89,615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충청에너지서비스㈜ 1987-08-25 충북 청주시 흥덕구 송절동 419-1 도시가스 291,070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평택에너지서비스㈜ 2008-05-15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255-5 발전업 668,757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피엠피주식회사 2011-06-21 서울특별시 종로구 관훈동 192-18 건물, 토목엔지니어링서비스   7,08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위례에너지서비스 2012-07-27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88, 한국화장품 건물 2층 도시가스 18,88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S Hong Kong Co., Ltd. 2007-11-20 Hong Kong 도시가스 27,54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LNG Trading Pte., Ltd. 2011-03-18 Singapore 액화천연가스 도매   1,45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E&S Australia Pty Ltd. 2012-05-31 Level 39 BankWest Tower, 108 St Georges Terrace, PERTH WA 6000 자원개발   9,242 의결권 과반수 보유 -
하남에너지서비스㈜ 2012-11-22 경기도 하남시 덕풍동로 111 집단에너지사업       4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건설㈜ 1962-02-21 서울시 중구 순화동 66번지 건설업 4,870,809 실질지배력 해당
리얼베스트㈜ 2007-11-12 부산광역시 동래구 온천동 161-1번지에 부동산임대및공급 29,71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엠케이에스개런티(유) 2007-10-24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94-27 부동산개발   2,19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서수원개발㈜ 2005-09-27 경기 수원시 권선구 평동 4-11 부동산개발사업 및 공급업 78,183 특수목적법인 해당
SK건설남경유한공사 2005-03-07 Nanjing, China 건설업   9,00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EC(Thai), Ltd. 1992-12-10 Bangkok, Thailand 건설업   7,28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Thai Woo Ree Engineering Company Ltd. 2004-11-29 Rayong, Thailand 건설업 71,250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E&C JURONG Investment Singapore Pte., Ltd. 2010-12-07 Singapore 석유정제업 133,023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E&C Betek Corporation 1999-01-04 Irvine, CA, USA 부동산개발및건설업 45,20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Mesa Verde RE Ventures, LLC. 2008-08-01 Irvine, CA, USA 부동산개발 33,686 의결권 과반수 보유 -
N-Compass Development, LLC 2012-10-05 Houston, TX 77077, USA EPC Marketing     64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EC Consultores Ecquador, S.A. 2009-04-13 Oficina 1102, Ecuador 건설업 34,75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에스케이디앤디㈜ 2004-04-27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 194-27 태화빌딩 10, 11F 부동산개발 288,578 실질지배력 해당
SKEC Anadolu EC Ltd. 2011-03-08 CANKAYA/ANKARA, Turkey 종합건설, 엔지니어링엄 38,57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바이오팜㈜ 2011-04-01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 99 의약 및 생명과학 199,561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Life Science, Inc. 2002-08-01 Fair Lawn, NJ, USA 생명과학 37,05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엠앤서비스㈜ 2000-02-10 서울시 구로구 구로동 182-13 온라인정보제공업 48,493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사개기업관리유한공사 2011-04-01 Beijing, China 부동산관리 66,51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GI Management 2009-06-19 Cayman Islands 투자 11,89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Technology Innovation Company 2010-09-13 Cayman Islands 연구개발업 151,74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화이텍섹터투자조합4호 2008-12-22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60 투자조합 46,20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캔들미디어 (구, 프리지엠) 1999-02-05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8-5 일반 영화 및 비디오물 제작업 29,661 실질지배력 -
더컨텐츠콤㈜ 2010-10-08 서울시 강남구 청담동 68-5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18,311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China Company, Ltd. 2000-04-28 Hong Kong. 컨설팅 및 투자 400,138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중국)기업관리유한공사 2001-08-01 Beijing, China 컨설팅 22,92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사개물업관리(북경)유한공사 2007-07-11 Beijing, China 부동산관리 12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Mtek Limited 2011-03-29 Hong Kong. 반도체 칩 생산;판매 17,937 의결권 과반수 보유 -
Pinghu Antai Liquid Chemical Tank Terminal Co., Ltd. 2011-10-01 Pyeongho, China 화학제품 저장   4,98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Premier Property Management Ltd. 2007-06-27 12 Harcourt Road, Central, Hong Kong 투자 51,706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China Commerce Limited 2011-12-15 18Harcourt Road,Admiralty,HongKong. 투자 11,80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행복나래 주식회사(구, 엠알오코리아㈜) 2000-07-05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1동 686-44 도소매서비스 38,490 의결권 과반수 보유 -
다트컴퍼니㈜ 2011-03-11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629 식음료 유통프랜차이즈업 19,60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에이치엘씨(유) 2001-11-15 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629 중식프렌차이즈사업   6,89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Zhejiang Elite Cobalt & Nickel Material Co., Ltd 2011-10-01 Hangzhou Bay, Zhejiang Province, China 양극전구체 제조업 18,56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 MENA Investment B.V. 2012-02-01 Barentszplein 4E 1013NJ Amsterdam, the Netherlands 투자 41,84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K임업㈜ 2009-04-30 서울시 종로구 관훈동 197-28 조림및조경사업 71,322 의결권 과반수 보유 해당
SK Latin Americas Investment S.A. 2012-02-01 Calle Ayala 66, 1 Izq, Madrid 28001, Spain 투자 41,869 의결권 과반수 보유 -
Gemini Partners Pte. Ltd 2010-08-03 Ocean Financial Center, Singapore 컨설팅 28,468 의결권 과반수 보유 -
Solaris Partners Pte. Ltd 2010-08-03 Ocean Financial Center, Singapore 컨설팅 14,934 의결권 과반수 보유 -
Magna Partners Pte. Ltd 2010-12-15 50 Raffles Place, #15-05/06, Singapore 투자   1,735 의결권 과반수 보유 -

(*) 주요종속회사 해당 근거 : 직전사업연도 자산총액 500억원 이상

가. 회사의 법적ㆍ상업적 명칭 : SK(주)

나. 설립일자 : 1962년 10월 13일

다. 본사의 주소 등
 (1)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99
  (2) 전화번호 : 02-2121-0114
  (3) 홈페이지 : http://www.sk.co.kr

라. 회사가 영위하는 목적사업

목  적  사  업
○  자회사의 주식 또는 지분을 취득·소유함으로써 자회사의 제반 사업내용을 지배·경영지도·정리·육성하는 지주사업
○  건설업과 부동산 매매 및 임대업
○  광고대행업을 포함한 광고사업
○  국내외 자원의 탐사, 채취, 개발사업
○  정보통신사업 및 뉴미디어사업과 관련된 연구, 기술개발, 수출, 수입, 제조, 유통사업
○  정보처리 내지 정보통신기술을 이용한 정보의 조사용역, 생산, 판매, 유통, 컨설팅, 교육, 수출사업 및 이에 필요한 소재,     기기설비의 제공
○  도ㆍ소매업, 통신판매업을 포함한 각종 판매 유통사업
○  수출입대행업, 무역대리업을 포함한 수출입사업
○  의약 및 생명과학 관련 사업
○  시장조사, 경영자문 및 컨설팅업
○  브랜드, 상표권 등의 지적재산권의 관리 및 라이센스업
○  신기술사업 관련 투자, 관리, 운영사업 및 창업지원사업
○  운송, 보관, 하역 및 이와 관련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물류관련 사업
○  자회사 등과 상품 또는 용역의 공동개발ㆍ판매 및 설비ㆍ전산시스템의 공동활용 등을 위한 사무지원 사업
○  환경관련 사업
○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지식ㆍ정보 등 무형자산의 판매 및 용역사업
○  전 각호의 목적달성에 부수 또는 수반되거나 직접, 간접으로 회사에 유익한 기타 투자 및 부대사업


마. 주요 자회사가 영위하는 주요 목적사업

회 사 명 주요  목적사업
SK이노베이션(주) 지주사업 및 원유/화학 관련 사업
SK텔레콤(주) 정보통신사업
SK네트웍스(주) 수출입업, 상품 종합 도매업
SKC(주) 마그네틱 및 광학 매체 제조업
SK건설(주) 기타 토목시설물 건설업
SK해운(주) 해상 운송 사업, 선박대여 및 용선사업
SK E&S(주) 종합에너지서비스사업 (도시가스사의 지주회사) 및 LNG 복합화력 발전사업
SK바이오팜(주) 의약 및 생명과학 관련 연구, 개발, 생산, 매매, 투자사업
SK임업(주) 조림사업, 조경사업, 복합임업사업


바. 계열회사의 총수, 주요계열회사의 명칭 및 상장여부
(1) 기업집단의 명칭 : SK계열

(2) 기업집단에 소속된 회사 (2013. 3. 31일 기준 계열사 : 81개사)

업종 상장사 비상장사
지주회사(1) SK㈜ -
에너지ㆍ화학
(29)
SK이노베이션㈜,
SK케미칼㈜,
SKC㈜,
SK가스㈜,
㈜부산도시가스
SK E&S㈜,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대한송유관공사,
SK모바일에너지㈜,
충청에너지서비스㈜, 영남에너지서비스㈜,
전북에너지서비스㈜, 전남도시가스㈜, 강원도시가스㈜, 평택에너지서비스㈜,

SK사이텍㈜,
SK유화㈜, SKC에어가스㈜, 코원에너지서비스㈜, 아미파워㈜,
SK더블유㈜,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 울산아로마틱스㈜,
김천에너지㈜, 피엠피㈜, 위례에너지서비스㈜, 하남에너지서비스㈜
정보통신/
전기전자
(24)
SK텔레콤㈜,
㈜로엔엔터테인먼트,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C&C㈜,
SK하이닉스㈜,
㈜실리콘화일,
SKC솔믹스㈜

SK텔레시스㈜, SK텔링크㈜, 인포섹㈜, ㈜커머스플래닛, SK하이스텍㈜,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 서비스에이스㈜, 서비스탑㈜, 네트웍오앤에스㈜,
SKC라이팅㈜,
㈜에이앤티에스, 엘씨앤씨㈜, SK플래닛㈜, ㈜매드스마트,
비젠㈜, 피에스앤마케팅㈜
건설/물류/서비스
(21)
SK네트웍스㈜ SK건설㈜, SK해운㈜, 행복나래㈜, SK디앤디㈜, 엠앤서비스㈜, SK에스엠㈜
에프앤유신용정보㈜, SK네트웍스서비스㈜, 리얼베스트㈜, 엔카네트워크㈜,
내트럭㈜, 앤츠개발㈜, SK신텍㈜, 스피드모터스㈜, SK하이이엔지㈜,
엠케이에스개런티(유),
SK임업㈜, 대전맑은물㈜, 광주맑은물㈜, SK핀크스㈜
금융(1) SK증권㈜ -
기타(5) ㈜유비케어
SK바이오팜㈜, SK와이번스㈜, 제주유나이티드FC㈜, SK컨티넨탈이모션코리아㈜

(*) 사명 변경 : 코원에너지서비스㈜ (舊 대한도시가스㈜), 울산아로마틱스㈜ (舊 아로케미㈜),
                     행복나래㈜ (舊 엠알오코리아㈜), 비젠㈜ (舊 텔스크㈜),
                     SK하이스텍㈜ (舊 ㈜하이스텍), SK하이이엔지㈜ (舊 ㈜하이닉스엔지니어링)

사. 신용평가에 관한 사항
 (1) 최근 3년간 신용등급

평가일 평가대상
유가증권 등
평가대상 유가증권의
신용등급
평가회사
(신용평가등급범위)
평가구분
2009.02.18.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09.05.25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09.05.25 CP
(기업어음)
A1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09.07.21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0.02.01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0.05.25 CP
(기업어음)
A1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0.06.03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0.09.06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0.12.14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1.03.24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1.06.24 CP
(기업어음)
A1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1.08.17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1.12.07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한신정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2.05.15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2.05.15 CP
(기업어음)
A1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2.08.14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2.10.09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2013.05.16 회사채 AA+ 한국기업평가
NICE신용평가
한국신용평가
본평정


【국내 신용등급 체계 및 등급정의】

구분 등급 등급 정의
회사채 AAA 원리금 지급능력이 최상급임
AA+/AA/AA- 원리금 지급능력이 매우 우수하지만,AAA의 채권보다는 다소 열위임
A+/A/A- 원리금 지급능력은 우수하지만,상위등급보다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른 영향을 받기 쉬운 면이 있음
BBB+/BBB/BBB- 원리금 지급능력은 양호하지만,상위등급에 비해서 경제여건 및 환경악화에 따른 장래 원리금의 지급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음.
BB+/BB/BB- 원리금 지급능력이 당장은 문제되지 않으나,장래 안전에 대해서는 단언할 수 없는 투기적인 요소를 내포하고 있음
B+/B/B- 원리금 지급능력이 결핍되어 투기적이며,불황시에 이자지급이 확실하지 않음
CCC 원리금 지급에 관하여 현재에도 불안요소가 있으며,채무불이행의 위험이 커
매우 투기적임
CC 상위등급에 비하여 불안요소가 더욱 큼
C 채무불이행의 위험성이 높고,원리금 상환능력이 없음
D 상환 불능상태임
CP A1 적기상환능력이 최상이며,상환능력의 안정성 또한 최상임
A2 적기상환능력이 우수하나,그 안정성은 A1에 비해 다소 열위임
A3 적기상환능력이 양호하며,그 안정성도 양호하나 A2에 비해 열위임
B 적기상환능력은 적정시되나,단기적 여건변화에 따라 그 안정성에 투기적인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C 적기상환능력 및 안정성에 투기적인 요소가 큼
D 상환 불능상태임



2. 회사의 연혁


가. SK(주) : 설립 이후 변동상황

일  자 설 립 경 과   및   설 립 이 후   변 동 사 항
1962.10.13 - SK 주식회사 설립 (설립시 명칭 : 대한석유공사)
1963.11.13 - 미국 걸프사가 당사 주식 25% 인수
1970.02.28 - 정부보유주식(75%)을 한국산업은행에 현물출자
1970.06.19 - 미국 걸프사가 한국산업은행 소유 당사 주식 25% 추가인수 및 경영권 인수
1976.07.30 - 대한석유지주 주식회사가 한국산업은행 소유 당사 주식 50% 인수
- 대한석유지주 주식회사 주식 일부를 일반에게 공개
1980.08.19 - 대한석유지주 주식회사가 걸프사 소유주식 50% 인수
1980.12.23 - (주)선경이 대한석유지주 주식회사 소유 당사 주식 50% 및 경영권 인수
1982.07.01 - 주식회사 유공으로 상호 변경
1983.05.21 - 영등포구 여의도동 26-4 유공빌딩을 신축하고 본사 이전
   * 본점소재지 :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26-4 번지
1984.11.12 - 한국증권거래소에 주식 상장
1985.05.07 - 당사가 대한석유지주 주식회사를 흡수합병
1998.03.27 - 에스케이주식회사로 상호 변경 (SK 그룹 CI로 사명 변경)
1999.11.26 - 서울시 종로구 서린동에 본사 신축으로 본점소재지 변경
  * 본점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서린동 99 번지
2001.01.29 - SK글로벌의 지분 처분으로 SK C&C로 최대주주 변경
2007.07.01 - SK주식회사(존속회사)와 SK에너지(신설회사)로 인적분할
2011.04.01 - Life Science 사업부문의 물적 분할 : SK바이오팜주식회사(신설회사)
2012.06.29 - SK임업(주) 주식 100% 취득

※ SK에너지(주)는 2011.1.1일부로 SK이노베이션(주)로 사명이 변경되었습니다.

나. 주요 자회사 연혁

회사명 일 자 회사의 연혁
SK이노베이션
2007. 7 SK주식회사(존속회사)와 SK에너지주식회사(신설회사)로 인적분할
2008. 2 SK인천정유(주) 흡수합병 완료
2009.10 SK에너지(존속회사)와 SK루브리컨츠(신설회사)로 물적분할
2011. 1 SK이노베이션(존속회사 사명변경)과 SK에너지(신설회사) 및 SK종합화학 (신설회사)으로 물적분할
2011. 2 석탄, 광물 사업 영업양도
2013. 5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인 SK에너지의 트레이딩사업부문 및 인천CLX부문 인적분할 이사회 결의
SK텔레콤
2008. 3 SK 브로드밴드(구: 하나로텔레콤(주)) 주식 추가 취득, 경영권 인수
2009. 5 SK브로드밴드(주)의 유상증자 참여
2009. 9 SK네트웍스(주)의 전용회선사업 및 관련 부대사업 양수
2010. 2 하나카드(주) 주식 취득
2011.10 플랫폼사업부문을 분할하여 SK플래닛(주)로 물적분할
2012. 2 SK하이닉스(구: 하이닉스반도체(주)) 주식 취득
SK네트웍스
2008. 3 (주)오브제 흡수합병
2009. 7 영업양도 결정 (SK텔레콤에 전기통신회선설비임대사업 및 이와 관련한 부대사업의 양도)
2009.12 (주)워커힐 흡수합병
2010. 3 종합휴양업 및 체육시설 운영업 등 회사의 목적사업 추가
2011. 2 석탄, 광물 사업 영업양수
SKC
2008. 1 (주)솔믹스 경영권 인수
2008. 3 태양전지 및 기타 관련사업 등 회사의 목적사업 추가
2010. 3 ㈜섬레이코퍼레이션 경영권 인수
2011. 8 SKC라이팅 설립 (당기말 현재 지분율 65.0%)
2011. 9 SKC(Jiansu) High Tech Plastics 설립
2012. 7 조인트벤처회사 설립(SKC MNT 주식회사, 지분율 49.0%)
SK건설
2009. 7 최대주주 변경 : SK 케미칼(주) → SK(주)
2009. 4 SK임업(주) 분사
2011.10 유상증자(주주배정 1,679억, 제3자배정 321억) 실시
2012. 6 SK임업(주) 매각
SK해운
2007.10 홍콩 현지법인 설립 (SK Shipping Hongkong Limited)
2010.12 유상증자(제3자 배정) 실시
2011. 6 에스케이에스엠 주식회사 설립
2012. 8 에스케이비앤티 설립(SK B&T PTE. LTD)
SK E&S
2008. 9 김천산업단지 집단에너지 사업허가 획득
2009. 5 주주 일부 변경, 맥쿼리社, SK C&C에 지분 매각 (변동 후 지분율 : SK주식회사 68%, SK C&C 32%)
2011. 8 케이파워(주) 합병

다. 경영진의 중요한 변동 (대표이사를 포함한 1/3 이상 변동)
[제51차 주주총회 (2013.03.22) 전후 변동 현황]  

구 분 변동전 변동후 비 고
사내 이사 회장/대표이사 최태원 회장/대표이사 최태원 -
사장/대표이사 김영태 - - 대표이사 사임
- - 사장/대표이사 조대식 신규선임
사외 이사 권오룡 권오룡 -
남상덕 남상덕 재선임
박세훈 박세훈 재선임


라. 경영활동과 관련된 중요한 사항의 발생

일 자 비 고
2009.02.27 제246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000억원 이자율 5.43%  / 5년물 1,500억원 이자율 6.08%)
2009.06.04 제247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500억원 이자율 4.68% /  5년물 1,000억원 이자율 5.34%)
2009.06.26 SK건설(주) 지분(34.1%) 취득 결정 (※ 보통주 기준 40.0%)
(취득일 : 2009년 7월 31일)
2009.07.31 제248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000억원 이자율 5.20% /  5년물 1,500억원 이자율 5.59%)
2010.02.01 제249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500억원 이자율 5.08% /  5년물 1,000억원 이자율 5.47%)
2010.02.12 케이파워(주) 지분(35.0%) 취득 결정
(취득일 : 2010년 4월 15일)
2010.06.03 제250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000억원 이자율 4.37% /  5년물 1,500억원 이자율 4.96%)
2010.06.30 SK해운(주) 지분(17.7%) 취득 결정
(취득일 : 2010년 6월 30일)
2010.09.06 제251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000억원 이자율 4.30% /  5년물 1,500억원 이자율 4.58%)
2010.09.30 SK해운(주) 지분(10.2%) 취득 결정
(취득일 : 2010년 9월 30일)
2010.11.25 SK해운(주) 유상증자 참여 결정
(취득일 : 2010년 12월 14일)
2010.12.14 제252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500억원 이자율 3.88% /  5년물 1,500억원 이자율 4.52%)
2010.12.27 SK가스(주) 지분(45.5%) 처분 결정
(처분일 : 2010년 12월 29일)
2011.04.01 Life Science 사업부문 물적분할 [신설회사 : SK바이오팜주식회사]
(주주총회 의결일 : 2011년 3월 11일)
2011.04.04 제253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1,100억원 이자율 4.29% /  5년물 1,400억원 이자율 4.51%)
2011.08.26 제254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500억원 이자율 4.08% /  5년물 2,000억원 이자율 4.11%)
2011.09.28 SK건설(주) 유상증자 참여 결정
(출자일 : 2011년 10월 27일 / 출자금액 : 800억원)
2011.10.31 SK텔레콤(주) 지분(2%) 취득 결정
(취득일 : 2011.11.4~2011.12.19, 장내매수 / 매입금액 : 2,431억)
2011.12.15 제255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500억원 이자율 3.89% /  5년물 2,000억원 이자율 4.05%)
2012.05.29 제256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3년물 500억원 이자율 3.65% / 5년물 2,000억원 이자율 3.78%)
2012.06.26 SK임업(주) 지분(100%) 취득 결정
(취득일 : 2012년 6월 29일, 취득가액 : 602억)
2012.08.27 제257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5년물 1,500억원 이자율 3.21% / 7년물 1,000억원 이자율 3.36%)
2012.10.19 제258회 무보증공모사채 발행
(5년물 1,000억원 이
자율 3.21% / 7년물 1,000억원 이자율 3.35%)
2012.11.21 SK China Company Limited 유상증자 참여 결정
(출자일 : 2012년 11월 23일 / 출자금액 : USD 183,941,171)



3. 자본금 변동사항


증자(감자)현황 : 해당사항 없음

(기준일 : 2013년 03월 31일 ) (단위 : 원, 주)
주식발행
(감소)일자
발행(감소)
형태
발행(감소)한 주식의 내용
주식의 종류 수량 주당
액면가액
주당발행
(감소)가액
비고
- - - - - - -



4. 주식의 총수 등


주식의 총수 현황

(기준일 : 2013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비고
보통주 우선주 합계
Ⅰ. 발행할 주식의 총수 - - 400,000,000 -
Ⅱ. 현재까지 발행한 주식의 총수 138,335,307 2,008,346 140,343,653 -
Ⅲ. 현재까지 감소한 주식의 총수 91,373,495 1,498,426 92,871,921 -

1. 감자 91,373,495 1,248,426 92,621,921 -
2. 이익소각 - 250,000 250,000 -
3. 상환주식의 상환 - - - -
4. 기타 - - - -
Ⅳ. 발행주식의 총수 (Ⅱ-Ⅲ) 46,961,812 509,920 47,471,732 -
Ⅴ. 자기주식수 6,484,246 404 6,484,650 -
Ⅵ. 유통주식수 (Ⅳ-Ⅴ) 40,477,566 509,516 40,987,082 -



5. 의결권 현황


(기준일 : 2013년 03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식의 종류 주식수 비고
발행주식총수(A) 보통주 46,961,812 -
우선주 509,920 -
의결권없는 주식수(B) 보통주 6,484,246 상법 369조 제2항 자기주식
우선주 509,920 -
정관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배제된 주식수(C) 보통주 - -
우선주 - -
기타 법률에 의하여
의결권 행사가 제한된 주식수(D)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이 부활된 주식수(E) 보통주 - -
우선주 - -
의결권을 행사할 수 있는 주식수
(F = A - B - C - D + E)
보통주 40,477,566 -
우선주 - -



6. 배당에 관한 사항


최근 3사업연도 배당에 관한 사항

구   분 주식의 종류 제51기 제50기 제49기
주당액면가액 (원) 5,000 5,000 5,000
당기순이익 (백만원) 376,301 426,553 162,101
주당순이익 (원) 9,264
10,513
3,986
현금배당금총액 (백만원) 102,493 79,950 79,950
주식배당금총액 (백만원) - - -
현금배당성향 (%) 27.2 18.7 49.3
현금배당수익률 (%) 보통주 1.5 1.5 1.4
우선주 5.1 4.2 3.7
주식배당수익률 (%) 보통주 - - -
우선주 - - -
주당 현금배당금 (원) 보통주 2,500 1,950 1,950
우선주 2,550 2,000 2,000
주당 주식배당 (주) 보통주 - - -
우선주 - - -

※ 개별재무제표 기준으로 작성됨

Ⅱ. 사업의 내용


I. SK주식회사

1. 업계의 현황

지주회사(持株會社, Holding Company)란 주식의 소유를 통하여 국내회사의 사업내용을 지배하는 것을 주된 사업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지주회사 제도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이하 '공정거래법')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1986년 공정거래법 개정시 지주회사 설립 및 전환을 금지시켰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구조조정과정을 촉진한다는 취지하에 1999년 공정거래법을 개정하여 지주회사를 허용하였습니다.

지주회사 설립은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주주가치를 높이고, 독립적인 자율경영 및 합리적인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책임 경영체제를 정착시키며, 사업부문별 특성에 적합한 의사결정 체제 확립과 경영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성장잠재력을 확보하고경영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회사의 현황

당사는 지주회사로2013년 3월 31일 기준으로 SK이노베이션(주), SK텔레콤(주), SK네트웍스(주), SKC(주), SK건설(주), SK해운(주), SK E&S(주), SK바이오팜(주), SK임업(주)을 보유하여 총 9개 자회사를 두고 있습니다.

가. 자회사 현황


(단위 : 백만원)
자회사명 지분율* 장부가액 영위업종 비고
SK이노베이션(주) 33.4%
3,944,657 지주사업 및 원유/화학 관련 사업 상장
SK텔레콤(주) 25.2% 3,091,125 정보통신사업 상장
SK네트웍스(주) 39.1% 1,165,759 무역, 에너지판매 상장
SKC(주) 42.5% 254,632 합성수지 등 제조 상장
SK건설(주) 40.0% 485,171 토목/건설 비상장
SK해운(주) 83.1% 607,643 해상운송 비상장
SK E&S(주) 94.1% 1,026,307 가스사 소유 및 복합화력발전 비상장
SK바이오팜(주) 100.0% 228,702 생명과학연구 비상장
SK임업(주) 100.0% 60,200 조림사업, 조경사업, 복합임업사업 비상장

(*) 상기지분율은 2013. 3. 31 보통주 기준임.

당사는 주권상장법인으로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제161조에 의하여 주요사항을 신고하여야 하며, 동시에 지주회사로서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제8조에 따라, 자회사의 주요경영사항에 대하여도 신고하여야 합니다.
신고대상 자회사의 범위는 2012년말 재무상태표상 가액 기준으로 지주회사가 소유하고 있는 자회사 주식의 장부가액이 자산총액의 1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자회사로 SK이노베이션(주), SK텔레콤(주), SK네트웍스(주)  3개사입니다.

나. 브랜드 사용계약
SK(주)는 SK브랜드의 소유주로서 브랜드의 가치 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2009년 1월 1일부터는 SK 브랜드를 사용하는회사와 개별적으로 브랜드 사용계약을 체결하여 사용상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함과 동시에 브랜드 사용료를 수취하고 있습니다. 브랜드 사용료는 브랜드를 사용하는 회사의 매출액을 기준으로 산정되며, 당사가 2013년 3월 31일까지 인식한 브랜드 사용료 수익은 534억원입니다.

II. SK이노베이션

1. 업계의 현황


지주회사(持株會社, Holding Company)란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한 회사이며      단순히 주식을 소유하는 것만이 아니라, 법적기준 이상의 해당회사의 주식(의결권)을보유함으로써 그 회사에 대하여 실질적인 지배권을 취득하는 것을 사업의 목적으로 하는 회사입니다. 지주회사는 크게 순수지주회사와 사업지주회사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순수지주회사는 어떠한 사업활동도 하지 않고, 다른 회사의 주식을 소유함으로써 그 회사를 지배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며 지배하는 자회사들로부터 받는 배당금을 주된 수입원으로 합니다. 사업지주회사는 직접 어떠한 사업활동을 함과 동시에 다른 회사를 지배하기 위하여 주식을 소유하는 회사입니다.


우리나라의 지주회사제도는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관한법률(이하 '공정거래법')에 규정되어 있습니다. 정부에서는 1986년 공정거래법 개정시 순수지주회사 설립 및 전환을 금지시켰으나, 1997년 외환위기 이후 기업들의 구조조정과정을 촉진한다는 취지하에 1999년 공정거래법을 개정하여 지주회사를 허용하였습니다.


지주회사 설립은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제고하고 경영의 효율성을 강화함으로써 주주가치를 높이고, 독립적인 자율경영 및 합리적인 성과평가 시스템 구축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책임 경영체제를 정착시키며, 사업부문별 특성에 적합한 의사결정 체제 확립과 경영 자원의 효율적 배분을 통해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여 성장잠재력을 확보하고 경영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2. 사업의 개요


가. 사업의 현황
당사는 직접 어떠한 사업활동을 함과 동시에 다른 회사를 지배하기 위하여 주식을
소유하는 사업 지주회사로서 당분기 말 당사 및 주요 종속 회사의 사업 부문별 현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주요 회사 사업 내용
석유개발 및
기타 사업
- SK이노베이션
- SK Innovation Insurance (Bermuda), Ltd.

석유개발사업,
정보전자소재사업,
사업지주회사, 투자회사 등
석유사업

- SK에너지
-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 SK Energy Europe, Ltd.

- SK Energy Road Investment(HK)

- 내트럭

석유제품 제조/판매
원유/석유제품 등 Trading
사업, 투자사업 등
화학사업

- SK종합화학
- SK Global Chemical Singapore
- SK Global Chemical International
   Trading (Shanghai) Co., Ltd.
- SK유화

- SK Global Chemical (China) Holding Co., Ltd.

- SK International Investment Singapore Pte.,Ltd.

화학제품 제조/판매
윤활유사업

- SK루브리컨츠
- PT. Patra SK
- SK Lubricants Europe B.V.
- SK Lubricants Americas, Inc.

- SK Energy Lubricants (Tianjin) Co.,Ltd.
- SK Lubricants Japan Co., Ltd.

-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주)

윤활기유 제조 및 판매
윤활유 제조 및 판매 등


나. 사업 부문별 주요 재무 정보

(기준일 : 2013.3.31 ) (단위 : 백만원)
구  분 매출액(사외) 영업손익 유형 및 무형자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석유개발 및
기타 사업
310,811 1.72% 60,347 8.67% 2,794,464 19.96%
석유 사업 13,884,350 76.67% 384,034 55.19% 8,024,432 57.30%
화학 사업 3,284,562 18.14% 243,826 35.04% 2,185,138 15.61%
윤활유 사업 628,435 3.47% 7,661 1.10% 997,970 7.13%
18,108,158 100.00% 695,868 100.00% 14,002,004 100.00%

<사업 부문별 현황>

■ 석유개발 및 기타 사업
*대상회사
- SK이노베이션
- SK Innovation Insurance (Bermuda), Ltd.

1. 사업의 내용
당사의 주요 영위 사업인 석유개발 사업의 특성, 국내외 시장 여건 및 영업의 개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가. 사업의 개요

(1) 산업의 특성 등

석유개발사업은 1859년 미국 펜실베니아에서 최초로 유정 굴착에 성공한 후,          1870년 존 록펠러가 Standard Oil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 1900년대 초중반, 이란, 사우디 등지에서 대규모 유전이 발견되면서, 1960년 사우디, 이란, 이라크,    쿠웨이트, 베네수엘라 등 5개국을 주축으로 석유수출국 기구(OPEC)가 출범하였습니다. 2005년 이후 고유가 행진을 이어가다, 2008년 7월 사상 최고가 (Dubai 기준    140.7$/bbl)를 기록하였습니다. 그러나 2008년 미국의 서브 프라임 모기지로 시작된 전세계적 금융위기로 인해 같은 해 12월에는 Dubai 기준 36.5$/bbl으로 급락하였습니다. 이후 국제 유가는 주로 전세계적인 경기 동향 및 석유 수출국가들의 정치/경제적인 불안 요인에 따라 변동성이 커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석유개발 산업은 광권 취득 후, 석유부존 가능성 및 매장량을 추정/확인하는 탐사단계와 개발 계획 수립 및 생산 시설 건설을 하는 개발단계, 저류층과 생산시설의 관리를 통해 최적의 생산 구조와 수익 극대화를 도모하는 생산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각 단계마다 고도의 기술력이 요구되는 작업이며, 지하의 부존 자원을 발굴/생산해 내는 산업의 특성상 불확실성이 크며 이를 기술력으로 극복하는 것이 사업의 성패와 경제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는 산업입니다.


2013년 3월말 현재 당사는 16개국 24개 광구 및 4개 LNG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으며, 이중 생산광구는 6개국 8개 광구입니다. 당사는 생산광구와 LNG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운영하여 2013년도 1분기에 누적 매출액 2,479억원, 누적 영업이익 1,232억원의 실적을 달성하였습니다. 2013년 1분기 누적 당사의 지분 원유 분배물량은 총 5백만 석유환산배럴이며, 일산 약 5만 5천 석유환산배럴을 분배 받았습니다.


탐사 활동의 경우, 카작 잠빌 광구의 탐사정 2공 시추가 연중 예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기존 생산광구인 페루 88광구와 베트남 15-1광구에서도 각각 탐사정 2공, 4공의 시추계획 등 추가적인 수익 및 매장량 증대를 위한 작업도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2) 국내외 시장 여건

2008년 전세계적 금융위기의 여파로 유가의 급등락 현상이 있었고, 이 후 2009년까지 많은 석유기업들의 투자계획이 줄줄이 취소/보류되는 사태가 이어졌습니다. 또한 많은 석유개발 기업이 유동성 확보를 위해 비핵심 자산을 매각하였으며, 반대로    자산가격의 하락을 성장과 도약을 위한 기회로 삼아 석유/가스 기업 및 자산 매입   활동에 나선 기업들도 많았습니다.


2010년에는 미국 멕시코만의 심해 유정이 폭발하여 원유가 유출되는 사고가 있어 일부 기업들의 탐사, 개발 사업이 중단 또는 중요한 차질을 빚었습니다. 또한 중동/북아프리카 (MENA) 지역의 민주화 시위가 확산 되어 정세가 불안해 짐에 따라 석유 공급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었습니다.


하지만 2010년과 2011년을 거치며 석유개발사업 투자는 사상최고치를 기록하는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심해와 비전통 석유 가스 분야의 투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의 주요 원인으로는 우선 i) 전세계적인 경기부양책의 효과가 있으며, ii) 유가 100불 시대로의 진입 및 기술의 진보로 인한 투자경제성의 변화, iii) MENA 지역의 정정 불안으로 인해 안전한 투자환경 선호 현상 및 iv) 동일본 대지진 및 원전 사태로 인한 석유가스 에너지의 의존도 강화 현상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석유개발사업에 참여하는 기업의 형태는 크게 세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풍부한 자금력 및 자원보유국으로서 독점권을 가진 국영석유회사와 국영석유회사의 출현 이전부터 석유산업을 지배하며 석유산업의 전 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초대형 글로벌      Major 회사들 및 특정 분야나 특정지역의 경쟁우위를 가진 독립계 석유 회사들이며, 이들이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는 시장입니다. 당사 30년의 역사와 예멘 마리브,       베트남, 페루 등에서의 성공적인 사례를 기반으로 국제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파트너로서의 위상을 드높이고 있습니다.


(3) 영업의 개황 등
당사의 석유개발사업은 '11년 성공적인 브라질 법인 매각을 통해 예멘, 베트남에 이은 성공 사례를 창출하였으며, 향후 석유개발사업의 확장 및 성장을 위한 유동성을 확보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공경험과 유동성을 기반으로 최적의 포트폴리오 구성 및 경쟁력 있는 자산과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한 M&A 및 생산광구 매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유망 지역을 중심으로 활발한 탐사 및 신규 광구 확보를 지속적으로 수행하여 탐사-개발-생산에 이르는 E&P 사업 전단계에 걸친 포트폴리오 업그레이드를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기존 생산광구의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고, 광구 내 추가 매장량의 발굴 및 회수를 위해 활발한 개발활동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수입원을 유지/확대 하고, 예멘LNG사업과 페루LNG 사업에서의 안정적인 LNG 생산/판매를 차질 없이 수행해 나갈 것입니다. 나아가 휴스턴 E&P Technical Center를 중심으로 석유개발 국내외  E&P 전문인력을 확보/양성하여 콜롬비아와 페루에서의 운영권자로서의 성공적인           Operation 경험을 축적하는 데에 주력할 예정입니다. 또한 M&A/생산 자산 매입을  통해  확보할 Operation 자산의 운영 및 기술력을 활용하여 기술경쟁력 강화를 지속 추진해 나갈 계획입니다.

(4) 석유개발 및 기타 사업 주요 종속회사의 개황
- SK Innovation Insurance (Bermuda), Ltd.
주요 종속 회사인 SK Innovation Insurance (Bermuda), Ltd.는 회사 위험에 대한 담보 제공 능력 극대화를 통해 회사의 총위험 관리비용 절감에 기여하기 위하여 1996년 Bermuda에 설립되었습니다. 현재는 모기업인 SKI 및 계열/자회사의 위험만을 인수하는 보험 자회사로서 재산종합보험(Non-Marine Package), 중소형재산보험        (Master Insurance Program) 등을 인수하고 있습니다.

나.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I. 회사의 개요 - 사. 향후 추진하려는 신규사업 부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 주요 제품, 서비스 등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및 가격변동 추이
▶ 해당사항 없음

3. 주요 재료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및 가격변동추이
▶ 해당사항 없음


4.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 생산설비의 현황

(1) 생산설비의 현황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공시지가)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356,952.80 5,771 - - - 5,771 4,433
청주/증평 등 자가보유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 185,400.10 41,075 - - - 41,075 31,223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731,806.76 133,216 2,675 - - 135,891 60,340
합 계 1,274,159.66 180,062 2,675 - - 182,737 95,996

주) 2012.12 취득분 토지(소재지: 충청남도 서산시 지곡면 무장리 1691번지, 취득금액: 43,160백만원)는 지번 신규 생성에 따라 2013년 현재 공시지가 자료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공시지가 산정시 제외함

[자산항목 : 건물]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11,413 - - -  62 11,352
청주/증평 등 자가보유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 139,579 45 - - 722 138,902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236,529 2,944 - 553 - 1,379 237,540
합 계 387,521 2,989 - 553 - 2,163 387,794

주) 당분기말 장부가액은 지방세 과세시가표준과 중요한 금액적 차이가 없으므로 시가의 기재를 생략함

[자산항목 : 구축물]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 - - - -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6,863 7 - -137 6,734
합 계 6,863 7 - -137 6,734


[자산항목 : 탱크]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 - -             - -
청주/증평 등 자가보유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 645 - - - 9 636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464 - - - 5 459
합 계 1,109 - - - 14 1,095


[자산항목 : 기계장치]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 - -      -   -
청주/증평 등 자가보유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 488,744 - 1,568 - - 14,730 472,446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240,022 1,461 - 2,184 - 6,391 232,906
합 계 728,766 - 107 - 2,184 -  21,121 705,352


[자산항목 : 차량]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16,224 - - - 611 15,613
청주/증평 등 자가보유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 94 - - -  5 89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136 198 - 16 -  14 304
합 계 16,454 198 - 16 - 630 16,006


[자산항목 : 기타유형자산]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기타 자가보유 서울 종로구 서린동 등 2,182 - - -  233 1,950
청주/증평 등 자가보유 충북 청주시 봉명동 등 1,213 - - -  65 1,148
대덕/서산/울산 등 자가보유 대전 대덕구 원촌동 등 86,262 7,310 -  1,386 - 7,305 84,881
합 계 89,657 7,310 - 1,386 - 7,603 87,979

* 생산설비의 현황 자료는 SK 이노베이션 별도재무제표 기준임
** 토지 및 건물을 제외한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판단이 어렵고, 이의 금액적 중요성이 크지 않아 시가의 기재를 생략함

(2)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① 진행중인 투자 및 향후 투자 계획

(단위 : 억원)
투자
목적
투자 내용 투자기간 총 소요 자금
지출금액
향후 기대 효과
신/증설 TAC/FCCL/LIBS 상업라인 신/증설 및 Battery  
서산공장 투자
2003년 ~ 12,453 10,049 제품 생산량 증대를 통한 판매 확대


5. 매출에 관한 사 (석유개발 및 기타 사업)

(단위 : 백만원)
회사 구분 매출 유형 품 목 제7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6기 1분기
(2012년 1분기)
제5기 1분기
 (2011년 1분기)
금액 금액 금액
석유개발 및
기타사업
기타  기타 수출 291,611 290,535          313,813
내수 119,791 930,796          177,057
해외법인 3,140 4,684             3,719
합계 414,542  1,226,015          494,589
연결조정 (103,731)     (933,631) (170,859)
합계 310,811 292,384     323,730


6.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시장 위험

당사의 주요 금융부채는 차입금, 사채,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당사는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및 미수금 등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입니다. 당사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정책을 정비하고 그 운용이 정책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1) 이자율 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당사는 변동이자부 장기차입금 등과 관련된 시장이자율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경영진은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여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 변동위험을 관리하고 있으며,이외의시장이자율 변동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환위험

환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입니다. 당사는 해외영업활동 등으로 인한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는 내부적으로 원화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특히 외화차입금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 및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당사의 통화별 주요 외화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화폐단위 당분기 전기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융자산 USD 404,277 449,890      365,351       391,064
JPY 311,778 3,679              499,944 6,237
합  계
453,569
          397,301
외화금융부채 USD 706,002 786,717              657,426     704,031
JPY 447,609 5,225                12,002 150
합  계
791,942
 704,181


당분기와 전분기 중
각 외화에 대한 원화환율이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파생상품으로 인한 효과 고려)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당분기 전기
10% 상승 10% 하락 10% 상승 10% 하락
법인세차감전순이익의 증가(감소) 22,268 (22,268) 55,790 (55,790)


(3) 기타 가격위험

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이며, 당사의 매도가능금융자산중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지분상품은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당사의 경영진은 당분기말 현재 해당 지분상품의 가격변동이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시 당사에 재무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1) 매출채권 및 수취채권

당사는 신용거래를 희망하는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신용검증절차를 수행한 후에 신용상태가 건전한 거래상대방과의 거래만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손위험에 대한 당사의 노출정도가 중요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는 등 매출채권 및 수취채권 잔액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매출채권중 주요 5대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과 금액은 각각     28.3% 및 27,817백만원입니다. 당사의 대손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해당 채권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당사는 매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 고객 채권에 대한 손상여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소액 다수채권의 경우 유사한 신용위험의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의 집합에 포함하여 집합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손상은 과거에 발생한 손실자료에 근거하여 산정되고 있습니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회수기간경과에 따른 매출채권 및 기타채권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당기말



(단위:백만원)
구  분 정상채권 만기 경과후 채권 손상채권 합 계
3개월 이하 3개월~6개월 6개월 초과
매출채권 147,624 231 967 10,888 3,889 163,599
기타채권(*) 289,586 202 706 5,348  32 295,874
합  계 437,210 433 1,673 16,236 3,921 459,473
(*) 미수금, 미수수익, 장기대여금 및 장ㆍ단기보증금으로 구성됨


② 전기말



(단위:백만원)
구  분 정상채권 만기 경과후 채권 손상채권 합 계
3개월 이하 3개월~6개월 6개월 초과
매출채권 127,744 1,886 214 10,073 3,595 143,512
기타채권(*) 328,534 - - - 28 328,562
합  계 456,278 1,886 214 10,073 3,623 472,074
(*) 미수금, 미수수익, 장기대여금 및 장ㆍ단기보증금으로 구성됨


한편, 당사는 매 보고기간말 현재 주요 고객 채권에 대한 손상여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소액 다수채권의 경우 유사한 신용위험의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의 집합에 포함하여 집합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손상은 과거에 발생한 손실자료에 근거하여 산정되고 있습니다.


(2) 기타금융자산

장ㆍ단기금융상품 등으로 구성되는 기타금융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의 부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당사의 신용위험 노출정도는 최대 해당 금융상품의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당사의 경영진은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이 당사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3)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당분기 및 전기말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차감전
장부금액
손상누계액 장부금액
(최대노출액)
차감전
장부금액
손상누계액 장부금액
(최대노출액)
대여금및수취채권 464,109 (10,808) 453,301 1,279,985 (3,921) 1,276,064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35,992 - 35,992 19,393 - 19,393
매도가능금융자산 169,167 - 169,167 188,742 - 188,742
합  계 669,268 (10,808) 658,460 1,488,120 (3,921) 1,484,199


다.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도록 당사가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당사는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점검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은행차입금 및 사채 등을 사용하여 자금조달의 연속성과 유연성간의 조화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재무제표에 반영된 사채 및 차입금의 장부금액을 기준으로 만기가 1년 이내인 사채 및 차입금의 비율은 69.4%입니다. 그러나 당분기말 현재 차입금의 규모 및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현금및현금성자산을 고려하면 자금조달에 대한 위험은 적절히 통제가능한 수준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7. 파생상품 및 풋백옵션 등 거래 현황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1) 통화 이자율 스왑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기말 현재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목적 파생상품 종류 계약내용
위험회피 통화이자율
 스왑 거래
원금교환 및 일정기간동안 고정이자금액과 변동 이자
금액을 교환하는 거래


당사는 환율과 이자율 변동에 따른 외화 부채의 공정가액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2008년에는 한국산업은행 등 11개 은행과 통화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만료된 계약을 제외한 잔존 계약을 당기말 현재의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16,599백만원의 평가이익을 당기손익으로 처리하였습니다.

                                                                                                                                  (단위: 천원)

계약처 계약금액
 (단위:천)
만기일 수취이자율 지급이자율 위험회피
 대상자산
파생상품
평가손익
한국산업은행 등 $450,000 2013.6.19 7% 6.69% 해외사채 16,598,785
합계 $450,000



16,598,785


(2) 생상품 계약에 따른 손익내역
당기 중 파생상품 계약으로 인한 손익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평가이익 평가손실 거래이익 거래손실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기타포괄손익항목)
통화선도 - (1,283) 38 (111)
합계 - (1,283) 38 (111)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손익항목)
통화 이자율 스왑 16,599 - - -
합계 16,599 - - -


나. 리스크 관리에 관한 사항

당사는 환율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Position으로부터 발생 가능한 손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환위험 관리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감내 가능한 환위험 수준을 정의하여 환율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하도록 관리하며, 설정된 환위험 허용한도를 벗어나는 과도한 외화 Position에 대해서는 Hedge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8.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계약 상대방 항  목 내   용
SK네트웍스(주) 계약의 목적 및 내용 Tech-based 사업 위주의 New Growth 추진 및 투자재원 확보를 위한 석탄/광물 사업 양도
계약의 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2011.2.1(영업양도일)
계약금액 및 대금수수방법 등 2,366억원
SK C&C 계약의 목적 및 내용 재무구조 개선을 통한 성장투자재원 확보를 위한
엔카네트워크(주)의 지분 처분
계약의 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2012.01.02 (거래일자)
계약금액 및 대금수수방법 등 654.5억원, 주식 장외처분
SK텔레콤 계약의 목적 및 내용 핵심 사업 집중 및 성장 투자 재원 마련을 위한
SK마케팅앤컴퍼니의 지분
계약의 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2013.01.11 (거래일자)
계약금액 및 대금수수방법 등 1904억원, 주식 장외처분
SK텔레콤 계약의 목적 및 내용 중국 사업 성장을 위한 거점확보를 위한 SKY Property
지분 취득
계약의 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2013.01.11 (거래일자)
계약금액 및 대금수수방법 등 1903.9억원, 주식 장외취득


9.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2013.3.31)

R&D
▶ 에너지연구소
▶ 윤활유연구소
▶ 화학연구소
▶ 첨단소재연구소
▶ 촉매ㆍ공정연구소
▶ Battery연구소
▶ Optimization & Analytic실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7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6기 1분기
(2012년 1분기)
연구개발비용 계 41,122 32,878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0.23% 0.17%

주) 위의 수치는 SK이노베이션 연결 기준임

나. 연구개발

1) 고성능 윤활기유 제조 공정/촉매 기술

SK이노베이션은 고유의 초고점도지수(VHVI, Very High Viscosity Index)의 윤활기유 공정기술을 개발하여 상업화에 성공하였습니다. 이 기술로 생산된 프리미엄 윤활기유 YUBASETM (API Group III 기유)와 이를 원료로 제조한 21세기형 윤활유 ZICTM를 생산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윤활기유 탈왁스(De-wax) 촉매를 독자 개발함으로써 고급 윤활기유 생산을 위한 촉매/공정 전 기술을 모두 갖추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YUBASE 윤활기유 생산기술은 현재 울산CLX의 3개 LBO 공장에 적용하고 있이며, 인도네시아와 스페인에 있는 공장에도 적용하였습니다. 또한 합성기유 및 중질기유, 납센기유 등 다양한 종류의 윤활기유 제조기술을 개발로 윤활기유 제품의 스펙트럼을 다양화 하고 있습니다.


2) 중대형 배터리  

중대형 배터리는 미래형 전기자동차 및 에너지 저장 시스템에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에너지 효율화 기반기술입니다. SK이노베이션은 고유의 전극 및 분리막 제조기술 및 공정최적화 기술을 기반으로 최고의 에너지성능과 출력성능을 보유한 배터리를 개발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자동차 메이저 업체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고객 요구에 부합하는 다양한 성능의 자동차용 배터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독일 다임러 그룹의 미쓰비시 후소(Mitsubishi Fuso) 하이브리드 트럭 및 메르세데스 벤츠(Mercedes-Benz) 전기 슈퍼카, 현대기아차그룹의 배터리 공급업체로 선정되었으며, 국내 최초의 전기자동차인 블루온, 최초 상용전기자동차인 레이에 배터리를 탑재하였습니다. 이와 함께, 제주도 스마트그리드 실증단지에 국내 최대규모의 풍력발전용 전력저장시스템을 개발/설치하였으며, SK이노베이션 고유의 가정용 에너지저장시스템을 개발하였습니다.


3) 차세대 태양전지

기존 실리콘 기반의 태양전지보다 성능이 우수하고 경제성이 높은 CIGS형 박막 태양전지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박막 태양전지는 건축물과 차량 등에 적용하거나 이동형 전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편리한 에너지원으로 기대됩니다. 국내외 협업을 통하여 개발 속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4) 청정 석탄에너지

석탄은 원유나 천연가스에 비하여 매장량이 풍부하고 세계 각 지역에 고루 분포하고 있어, 한국과 같은 저자원 국가들이 활용하기 쉬운 우수한 에너지자원입니다. 또한 석탄을 환경 친화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과 열량이 낮아 활용도가 적은 저급석탄을 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하면 석탄을 석유를 대체하는 미래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수 있어 세계 각국에서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저급석탄을 합성가스로 전환하는 혁신적인 석탄가스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석탄가스화 시험공정을 개발하여 시운전에 성공하였으며, 전처리공정 등 상용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5) 고성능 폴리에틸렌, NexleneTM

SK이노베이션은 국내 최초로 고성능 폴리올레핀 제조 기술을 개발에 성공했습니다. Single-site 촉매와 Dual function 공정 등 생산공정 전반에 대하여 독자적인 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세계 최고 성능의 폴리올레핀인 NexleneTM 을 개발하였습니다. NexleneTM 은 내충격성과 가공성, 열봉합성, 위생성 등이 뛰어나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으며, 기존 일반 폴리에틸렌을 대체하여 세계 고분자 시장을 재편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현재 상용화 기술을 완성하고 생산공장을 건설하고 있습니다.


6) 이산화탄소 플라스틱, GreenPolTM

GreenPolTM은 SK이노베이션이 개발한 이산화탄소를 원료로 생산하는 친환경 플라스틱 신소재입니다. GreenPolTM은 원료의 40% 이상이 이산화탄소로 이루어져 있어 이산화탄소를 전환하여 새로운 소재로 사용하는 유망한 CCU (Carbon              Conversion & Utilization) 기술입니다. SK이노베이션의 GreenPolTM은 투명성과 차단성이 우수하여 포장용 필름, 식품 포장재 용도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연소할 때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아 건축용 내장재 및 차량/가구의 완충재로 사용할 때 안전합니다. 뿐만 아니라 생분해 성능이 우수하여 환경오염을 방지하는 신소재 입니다.    현재 생산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용도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7) 연성회로기판 소재 (FCCL: Flexible Copper Clad Laminate)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등장과 전자기기의 경박단소화 추세에 따라 이의 내부에 사용되는 회로기판은 박막화, 고집적화, 굴곡성능이 좋은 고기능성 소재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러한 필요에 맞추어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의 핵심소재인 FCCL을 생산하는 신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세계 최초의 폴리이미드 적외선연속경화기술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양산공정을 개발하였습니다. SK이노베이션의 FCCL은 치수안정성과 내굴곡성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능을 가지고 있으며, 양면제품, 후막제품, 박막제품 등 다양한 용도의 맞춤형 제품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8) 광학필름 (TAC: Tri-Acetyl Cellulose)

SK이노베이션은LCD/LED Display용 편광판의 주요 소재인TAC 필름의 독자 개발에 성공하였으며, TAC 필름의 사업화를 통하여 세계적으로 일본 업체가 독과점하고 있는 시장을 재편하고 국내Display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기술개발을 완료하고 이를 적용한 생산공장을 완공하였으며, 시운전을 마치고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에 진입하였습니다. 또한 일반 편광자 보호필름과 함께, 광보상 필름, 반사방지 필름 등 다양한 용도의 제품을 개발하여 고객의 수요를 만족시키고 있습니다.

10. 기타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지적재산권 관련
당사는 R&D활동의 지적 재산화에 집중하여 2013년 1분기까지 총 900건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 중 중요한 특허권과 관련한 상세 내역은 아래 표와 같습니다.
표 1. 2013년 1분기 중요 특허권 내역

종류 취득일 내용 근거법령 취득 소요
 인력/기간
상용화 여부
 및 매출기여도
석유화학 2002.03.04 석유화학 공정에 사용되는 촉매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특허로 6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4명/2년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아스팔트 2000.07.05 아스팔트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특허로 5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6명/2년 상용화 단계, 타사
로열티 수익 확보
윤활유 2008.05.16 윤활기유의 제조 방법에 관한 특허로 14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4명/2년 상용화 단계
분리막 2008.02.19 이차전지용 분리막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특허로 11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8명/3년 상용화 단계
FCCL 2009.11.06 연성 금속박 적층체에 관한 특허로 13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5명/2년 상용화 단계
배터리 2011.07.04 리튬 이차 전지에 관한 특허로 14년간 배타적 사용권 보유 특허법 4명/3년 상용화 단계

*배타적 사용권 보유 기간은 2013년을 기준으로 잔여 기간을 나타냄.

당사는 상기 중요 특허권 외에도 다수의 특허권을 취득하여 보유 중이며, 이들은 대부분 정유 공정, 윤활유, 폴리머, 첨단 소재, 배터리 등에 관한 특허로써 자사의 주력사업 제품에 쓰이거나 향후 자사 핵심 기능으로 활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외에 태양전지, 새로운 촉매 관련 특허들은 자사의 신 사업 진출 시 사업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나. 법률/규정 등에 의한 규제사항
회사와 자회사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루브리컨츠 주식회사는 2013년 1분기말 현재 공정거래법 상 「상호출자ㆍ채무보증제한기업집단」에 지정되어 있어서, 계열회사간 상호출자 및 채무보증이 금지되는 등 관련규정에 따른 규제를 적용 받고 있습니다. SK에너지 주식회사는「석유및석유대체연료사업법」개정에 따라 2009년 5월   1일부로 정유사별/제품별 가격공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다. 환경관련 규제사항
(1)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정부규제의 준수 여부
당사는 영위하는 사업과 관련하여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에 대한 정부 규제를 준수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Ⅹ.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10. 녹색경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환경개선설비에 대한 자본 지출 계획 여부
▶ 해당사항 없음

■ 석유 사업부문
* 대상 회사
- SK에너지
-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 SK Energy Europe, Ltd.
- SK Energy Road Investment(HK)
-
내트럭

1.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등
① 석유사업의 특성
석유사업은 기본적으로 원유수입→제품생산→수송/저유→제품판매의 Value Chain으로 구성되어 있어 석유제품 원가 중 원유가 차지하는 비중이 가장 높습니다. 우리나라는 원유를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특성상 중동 산유국 등의 원유수출 정책 및 환율의 영향에 민감합니다. 수입과정은 산유국에서 원유를 선적한 후 유조선으로 수송하여 정제설비가 있는 지역의 원유저장탱크에 하역/저장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석유사업의 유통구조는 크게 도매와 소매로 구분되며, 도매는 직매처, 주유소 및 중간판매업자 등에게 판매하는 것을 말하며, 소매는 주유소(또는 충전소)가 일반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것을 말합니다.

② 석유 제품 소비 동향과 수요전망
▷ 2012년 석유제품 소비는 전년대비 +3.3% 상승함. 차량등록대수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수송용 수요는 전년대비 증가한 반면, 보일러등유 폐지 및 도시가스 보급 등 他연료 전환에 따른 난방용 소비 감소로 비수송용 수요는 전년 대비 감소하였습니다.

▷  유종별 소비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 배럴, %)

구분 전체 휘발유 등유 경유 BC유 납사 LPG 기타
2008
(누적)
760,641 62,937 27,657 134,514 66,675 311,366 101,881 55,606
(100) (8.27) (3.64) (17.68) (8.77) (40.94) (13.39) (7.31)
2009
(누적)
778,480 65,872 25,989 132,307 66,065 322,622 106,319 59,303
(100) (8.46) (3.34) (17.00) (8.49) (41.43) (13.66) (7.62)
2010
(누적)
794,278 68,931 29,353 134,646 61,902 331,819 105,176 62,450
(100) (8.68) (3.70) (16.95) (7.79) (41.78) (13.24) (7.86)
2011
(누적)
801,305 69,574 25,412 133,962 51,378 355,200 99,183 66,593
(100) (8.68) (3.17) (16.72) (6.41) (44.34) (12.38) (8.31)
2012
(누적)
827,448 71,759 22,009 136,618 51,642 384,607 95,377 65,435
(100) (8.67) (2.66) (16.51) (6.24) (46.48) (11.53) (7.91)
※ 출처 : 에너지경제연구원 / (  )안은 소비비율


▷ 국내 연간 경제성장률 감소 및 Global 경기 둔화 우려에 따라 내수 석유 수요는 전년대비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13년 1분기말 내수 석유 수요는 아래와 같습니다.

휘발유 등유 경유 중질유 항공유 LPG 아스팔트
13년 1분기(MB/D) 196.1 59.9 373.5 74.9 107.4 194.1 54.4 1,060.3
전년동기대비(%) +2.8   △13.7 +2.2   △23.9 +5.3   △2.7 △4.4 △2.0  


③ 석유 의존도 추이

구분 ’04 ’05 ’06 ’07 ’08 ’09 ’10 ’11 ’12
의존도(%) 45.7 44.5 43.6 44.6 41.6 42.2 39.8 38.1 39.6

※ 출처 :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2012년 12월)


④ 지역별 원유도입 비중
(단위: 천 배럴, %)

구분 ’06 ’07 ’08 ’09 ’10 ’11 ’12
중동 730,478 704,020 746,458 705,363 713,647 807,626 805,971
(82.2) (80.7) (86.4) (84.5) (81.8) (87.1) (85.1)
아시아 112,242 131,272 108,483 116,379 152,354 108,402 88,190
(12.6) (15.0) (12.5) (13.9) (17.5) (11.7) (9.3)
아프리카 40,878 35,556 9,933 11,607 4,592 2,772 9,233
(4.6) (4.1) (1.1) (1.4) (0.5) (0.3) (1.0)
미주 등 4,831 1,690 0 1,734 1,831 8,461 43,899
(0.6) (0.2) (0.0) (0.2) (0.2) (0.9) (4.6)
합계 888,429 872,538 864,874 835,083 872,424 927,261 947,293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 출처 :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2012년 12월)


(2) 국내외 시장여건
① 국내
사업자 및 경쟁상황
당사는 국내 4사 정유사(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중 주유소 시장 점유율 1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2013년 2월말 기준으로 당사는 국내에 총 4,259개의 주유소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단위 : 개 소, %)

구분 SK   GS S-Oil 현대 기타 합계
주유소 4,259 (33.3) 3,092(24.2) 1,960(15.3) 2,333(18.3) 1,137(8.9) 12,781(100)

※ 출처: 한국주유소협회(2013년 2월 영업소 수 기준)

한편, 내수시장 판매량 기준, 당사 점유율 및 경쟁사 점유율 변동추이는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구  분 SK GS칼텍스 S-OIL 인천정유 현대오일뱅크 기타
2005년 32.4 27.4 13.7 5.7 13.7 7.1
2006년 32.0 28.1 13.3 5.6 13.7 7.3
2007년   32.7 28.6 12.0 6.4 12.7 7.6
2008년 35.3 30.0 12.1 - 14.2 8.4
2009년 33.6 30.2 12.5 - 14.0 9.7
2010년 33.6 30.3 13.0 - 13.7 9.4
2011년 33.1 28.2 14.3 - 14.0 10.4
2012년 32.3 27.0 15.9 - 14.4 10.4
2013년(~3월) 29.1 25.1 15.0 - 14.1 16.7

1) 점유율은 내수시장 판매량 기준 : 미군납/국제벙커링 판매량 제외

2) 기타 : 가스사(SK가스, E1) + 석유 수입사

3) 08년 : SK 인천정유 점유율은 SK에 포함

출처: 한국석유공사 석유정보시스템(2013년 3월 누적기준)


② 국내 시장 현황

▷  석유산업은 공급자 (정유사)를 중심으로 수직계열화가 일반적이나, ‘09. 5. 1일부 동종업 간 수평거래가 허용되었습니다.

- 정유사/수입사→대리점→주유소(일반판매소)가 일반적이며, 정유사/수입사→ 주유소간 직거래도 가능합니다.

- ’09. 5. 1일부 동종업간 수평거래 허용으로 대리점↔대리점, 주유소↔주유소, 일반판매소↔일반판매소 거래도 가능합니다.

▷  90년대 중반 이후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 유가를 자유화하고, 석유산업에 대한 외국인 투자가 자유화 되었습니다.

- 석유류 가격은 1997년 1월 이후 자유화 되었습니다.

- 석유수출입업 자유화(1997)로 석유수입사 출현 하였습니다.

- 석유정제업, 석유판매업에 대한 진입규제 폐지, 대외 개방 되었습니다.

▷  다만, 유통질서 확립과 소비자 보호 차원에서 최소한의 범위 내에서 규제 되고 있습니다.(긴급 사태 시 최고가격 고시 등 조정명령권 보유)


③ 석유산업 자유화 주요일정

▷  가격자유화 : 1997년 1월부터 완전 자유화 (종전 : 정부고시)

- 정유업체, 수입업체, 유통업체가 자율책정

- 전국 및 지역간 가격 경쟁 촉진

▷  석유수출입 자유화 : 1997년 1월부터 완전 자유화 (종전 : 정부고시)

- 쌍용 (2000. 10), 삼성물산(2001. 3)등 대기업 계열 수입업체 변경 등록

- 수입사 공급비중 : 0.1% (1998) → 1% (2008)

▷  주유소 설립 자유화 : 1991년부터 단계적으로 실시

- 1995년 11월 주유소 거리제한제도 폐지

- 1997년 1월 등록제 전환

- 전국 주유소 수 : 8,266(1995)→10,163(1998)→10,955(2000)→11,382(2005) →11,827(2006) →12,139(2007) →12,498(2008) →12,779(2009) →13,078(2010) →13,080(2011) →13,290(2012) →13,173(2013.2.)

▷  석유산업 대외개방

- 1998년 5월 석유판매업 진입자유화

- 1998년 10월 정유산업 대외 개방


④ 석유류제품 가격결정방식

▷  제도 변천경위

- 1993년 말까지는 정부가 국내 석유제품 판매가격을 결정고시

- 1994년 1월 ~ 1996년 12월 기간 중 유가연동제 실시

- 1997년 1월 1일 국내유가 전면자유화

▷  국내 석유류 제품가격 결정방식

- 국제시장 제품가격 및 환율변동 등에 따른 제반 요인 및 시장경쟁 요인을 감안하여 정유사 및 석유 수입사가 자율적으로 결정


⑤ 정부의 석유시장 관련 주요 정책

▷  비상시 대응능력 제고를 위한 석유비축 강화

▷  원유의 안정적, 경제적 공급 기반 확보

- 적정 수준의 장기도입 비율을 유지하고, 유럽, 아프리카 등으로부터의 도입선 다변화 시책을 지속 추진

- 세계4위의 석유수입국으로서 세계 석유시장에서 역할 확대

 * IEA 가입 등 국제석유시장 안정화를 위한 국제협력에 참여

 * 고위급 인사 중동 방문 등을 통한 산유국과의 유대 강화

▷  원유관세의 인상

- 2009년 2월부터 2%, 3월부터 3%로 원유 관세 인상

▷  석유제품관세의 인상

- 2009년 2월부터 2%, 3월부터 3%로 석유제품 관세 인상

▷  해외 유전개발의 확대

- 지원제도 개선 및 자금지원 확대로 해외자원개발 활성화 추진

▷  주유소 등 석유판매업에 있어서의 공급자에 관한 부당한 표시·광고행위의 유형 및 기준 고시

- 2008년 9월 1일부로 「주유소 등 석유판매업에 있어서의 공급자에 관한 부당한 표시·광고행위의 유형 및 기준 고시」가 폐지되었으나,
 「부당한 표시·광고행위의 유형 및 기준 고시」 개정을 통해 혼합판매 주유소의 적정한 표시의무를 규정

※ 참고로 공정위는 보도자료 배포 시 「석유제품판매 표시광고고시」, 「표시·광고에 관한 일반고시」로 각각 약칭을 사용

▷  국내 석유시장 경쟁 활성화를 위한 가격공개 실시

- 2008년 4월 오피넷(www.opinet.co.kr)개설 및 정유사, 주유소 판매가격 공개

- 2009년 5월 정유사 판매가격 공개

▷  석유제품시장 경쟁촉진 및 유통구조개선 대책 추진 (2012.4월)

- 알뜰주유소 확대

- 전자상거래 제도 운영으로 수입 석유제품에 Incentive 지원 중

- 주유소 혼합판매 활성화 추진


⑥ 원유가격 변동추이
[두바이원유 가격 변동추이]
(단위: $ / 배럴)

구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평균
2005년 38.0 39.9 45.9 47.2 45.4 51.1 52.8 56.6 56.5 54.0 51.4 53.2 49.3
2006년 58.4 57.6 57.8 64.1 65.0 65.2 69.2 68.8 59.8 56.4 56.7 58.7 61.5
2007년 51.7 55.8 58.8 64.0 64.6 65.8 69.5 67.4 73.4 77.1 86.9 85.6 68.4
2008년 87.4 90.0 96.8 103.4 119.5 127.8 131.3 112.9 95.9 67.4 49.8 40.5 93.6
2009년 44.1 43.1 45.6 50.1 57.9 69.4 64.8 71.3 67.6 73.1 77.7 75.4 61.7
2010년 76.7 73.5 77.3 83.6 76.8 74.0 72.5 74.1 75.1 80.2 83.7 89.1 78.0
2011 년 92.5 100.2 108.7 116.0 108.4 107.8 110.0 105.0 106.3 104.0 109.0 106.4 106.2
2012 년 109.8 116.2 122.5 117.3 107.3 94.4 99.1 108.6 111.2 108.9 107.3 106.3 109.1
2013 년 107.9 111.1 105.6









※ Platts 고시가격 기준

(3) 영업의 개황

1964년 역사적인 석유류 제품의 국내 첫 생산을 개시한 SK에너지는 기존 SK에너지 (현 SK이노베이션)의 사업분할 후 석유사업부문의 사명을 이어받아 2011년 새로운 SK에너지로 출발하게 되었으며, Total Energy Provider를 지향합니다.


당사는 울산 Complex 및 인천 Complex를 운영 중이며 국내 최대 규모인 하루 111만배럴의 원유 처리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휘발유, 등경유, 벙커씨유 등 각종 석유류 제품을 생산ㆍ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국내 유일 Multi Refinery 운영을 통한 Synergy 극대화와 Operation Excelle-ncy, 기술 차별화를 통해 국내 정유업계 1위의 자리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또한  Trading 사업 강화, 글로벌 시장 허브 구축 등의 지속적인 사업구조 개선을 통해 한 단계 발전한 에너지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애쓰고 있습니다. 지속적인 혁신과 고객만족경영을 통해 글로벌 시장의 Major Company로 성장하겠습니다.


■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SK Energy International은 안정적 원유조달 및 석유제품 판·구매를 위하여 1990년 아시아 석유 시장의 Hub인 싱가폴에서 영업을 개시하였으며, 주요 사업으로는 국내에서 소요되는 원유 및 석유제품 등의 조달 및 국내 생산 석유 제품 수출과 현지에서의 Trading 및 Bunkering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SK Energy Europe, Ltd.
SKEE는 본사에 투입되는 중동 및 서 아프리카산 원유 Sourcing 역할을 하고 있으며, 원유선 3척, 제품선 1척을 장기 용선하여 주로 중동~극동 아시아 구간에서 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SK에너지로부터 석유제품을 Sourcing 하여 유럽에서 마케팅을 하고 있으며,  네덜란드 로테르담에서 Bunkering Business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 SK Energy Road Investment(HK) Co., Ltd
SK Energy Road Investment (HK) Co., Ltd은 사업의 중국 투자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2007년 설립된 법인으로써, 중국 내 각 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현재 12개의 As-phalt 자회사 또는 관계회사를 투자 및 운영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 중국 뿐 아니라 동남아 시장 등 Global Market의 전진기지로의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 내트럭
내트럭 주식회사는 화물차 전용휴게소 사업과 유류판매 및 운송관련 물류지원 부대사업 등을 운영하는 화물운송서비스 전문기업입니다. 당사는 핵심고객인 화물자동차운전자의 needs에 맞는 total service를 제공하여 당사에 대한 화물운전자의 loyalty를 증대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요소수, 엑슬란, 캐피탈 등 각종 제휴를 통한 신규 사업을 추진 중이며, 타타대우와 상용차판매 제휴를 맺고 있습니다.
당사는 광양, 인천, 당진, 부산, 제주, 김천, 울산, 부산신항, 남대전, 순천, 옥천, 부산용당 12개소에 화물차휴게소를 운영 중이며, '13년도에 여수에 개업할 예정입니다.


나. 사업부문별 재무정보

(1)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o 사업부문 구분의 방법  
    - 매출액, 영업손익, 자산규모에 따른 분류


(기준일: 2013.3.31)

(단위 : 백만원)
구  분 매출액 (외부) 영업손익 유형 및 무형자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석유사업 23,908,384 99.8% 390,554 99.5% 7,983,395 99.5%
기타사업 39,496 0.2% 1,840 0.5% 41,037 0.5%
소계 23,947,880 100.0% 392,394 100.0% 8,024,432 100.0%
(연결조정) (10,063,530)
(8,360)
-
연결 합계 13,884,350
384,034
8,024,432


2. 주요 제품 등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 매출액 (비율)
석유사업 제품 무연휘발유 자동차용 엔크린 2,801,131 11.7%
등유 난방 및 취사용 100등유 328,665 1.4%
경유 난방 및 자동차용 파워디젤 9,154,194 38.2%
B-C 연료유   2,687,405 11.2%
기타 기타 납사 등
8,936,989 37.3%
기타사업 기타 기타  
39,496 0.2%
합    계

23,947,880 100.0%
(연결 조정)

(10,063,530)
연결 합계

13,884,350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배럴)
구  분 제3기
(2013년 1분기)
제2기
(2012년)
제1기
(2011년)
무연휘발유 139,592 141,890 134,107
등유 153,807 156,809 149,075
경유 142,044 147,909 141,187
B-C 122,144 136,861 107,825


(1) 산출기준
각 제품의 매출금액을 매출량으로 나누어 산출한 단순평균 가격

(2) 주요가격변동원인
o석유제품: 국제 평균 원유가가 전년 대비 하락하여 석유제품 국내외 판매복합
                  단가가 소폭 하락함.

3. 주요 재료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입액 비율 비고(매입처) 회사와의 관계
원재료 원유 원유정제 10,126,089 82.8% KPC-KUWAIT 등
기타 원재료 GU사업 등 22,100 0.2%

소계   10,148,189 83.0%

반제품 납사 석유제품생산/
사외매출
476,591 3.9%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등 종속회사
기타 반제품 석유제품 생산 686,525 5.6%

소계
1,163,116 9.5%

제  품 석유 제품 판매용 856,999 7.0% MITSUI OIL 등
화학 제품 54,995 0.5% SK GLOBAL CHEMICAL CO LTD 등 계열회사
기타 제품 3,652 0.0%

소계
915,646 7.5%

합계

12,226,951 100.0%

- 당사의 주요 원재료는 원유 등이며, KPC-KUWAIT 등 전세계 각처의 다양한 공급망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원유 수급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품 목 제 3기
(2013년 1분기)
제 2기
(2012년)
제 1기
(2011년)
원유 $111.29/bbl $111.87/bbl $106.71/bbl


(1) 산출기준

- 총 매입금액을 매입량으로 나누어 산출한 단순 평균 가격
 

(2) 주요 가격 변동 원인
- 원유 :
글로벌 경기전망에 따른 기대와 우려 속에 유가는 등락을 거듭중 입니다.

4.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천배럴)
사업부문 품목 사업소 2013년 1분기 2012년 연간 2011년 연간
석유사업 석유류 울산CLX 71,980 296,210 292,670
인천CLX 24,750 100,650 88,825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① 산출기준 : 최대생산능력기준



(단위 : 천배럴/일)
구분 공정명 표준생산능력
울산 CLX 제1상압증류시설 60
제2상압증류시설 110
제3상압증류시설 170
제4상압증류시설 240
제5상압증류시설 260
No. 1 RFCC 57
No. 2 RFCC 70
HOU 45
인천 CLX 제1상압증류시설 75
제2상압증류시설 200


② 산출방법



(단위 : 석유 천배럴, 화학 톤)
사업부문 최대생산능력(일) 1분기 가동가능일수 1분기 생산능력 비고
울산 CLX 840 86 71,980  -
인천
 CLX
석유 275 90 24,750  -
화학 2,849 90 256,438  -


③ 당해 사업연도 평균가동시간

사업부문 일 가동시간 월 평균 가동일수 1분기 가동일수 1분기 가동시간
울산 CLX 24 28.6 85.7 2,057
인천
 CLX
석유 24 30.0 90.0 2,160
화학 24   30.0 90.0 2,160

※ 가동일수: 가동가능일수중 임시 보수 및 기타 사유로 인한shut down 발생기간을 제외한 실 가동일수

나. 당해 분기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천배럴)
사업
부문
품 목 사업소 제3기
(2013년 1분기)
제2기
(2012년 1분기)
제1기
(2011년 1분기)
수량 수량 수량
석유
사업
Gasoline 울산/인천CLX 13,050 13,393 11,664
Naphtha 울산/인천CLX 19,976 15,668 15,526
Kerosene 울산/인천CLX 2,455 2,578 4,082
Diesel 울산/인천CLX 30,249 27,761 28,132
Bunker-C 울산/인천CLX 3,199 5,853 8,397
Asphalt 울산/인천CLX 3,480 1,851 2,705
LPG 울산/인천CLX 2,078 1,827 1,976
항공유 울산/인천CLX 10,738 9,490 7,520
기타유 울산/인천CLX 2,182 2,994 163
소 계 87,407 81,415 80,165


(2) 가동률

사업부문 1분기 가동가능시간 1분기 실제가동시간 1분기 평균가동률
울산 CLX 2,057 1,974 96.00%
인천
 CLX
석유 2,160 1,063 49.23%
화학 2,160 2,213 102.45%


다.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 현황

< 자산항목 : 토 지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공시지가)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4,529,485.17 1,335,607 12,446 12,446 1,335,607 643,863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1,629,868.40 1,228,383 - - 1,228,383 682,652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1,104,867.25 886,600 3,264 3,267 886,597 599,042
합 계     7,264,220.82 3,450,589 15,710 15,713 3,450,586 1,925,557

* 울산 C/tml공장부지 준공에 따른 면적 증가부분은 개별공시지가 미확정으로 '12.4분기 면적으로 작성함

< 자산항목 : 건 물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130,746 812 - 961 130,597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38,237 - 3 273 37,961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101,458 1,616 1,011 675 101,389  
합 계     - 270,441 2,429 1,013 1,909 269,947 -


< 자산항목 : 구축물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141,091 - 706 3,060 137,325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72,367 3,372 - 1,148 74,592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79,339 856 1,001 1,093 78,102  
합 계     - 292,798 4,228 1,707 5,301 90,018 -


< 자산항목 : 탱크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121,806 394 166 2,385 119,649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10,940 - - 183 10,757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35,842 117 - 856 35,104  
합 계     - 168,588 511 166 3,423 165,509 -


< 자산항목 : 기계장치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2,724,200 63,571 9,637 50,839 2,727,296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239,692 - - 5,053 234,639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73,679 78,722 78,538 2,160 71,704  
합 계       3,037,571 142,293 88,175 58,052 3,033,638 -


< 자산항목 : 차량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2,866 13 1 235 2,644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482 - - 48 434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3,288 - - 152 3,136  
합 계     - 6,636 13 1 435 6,214 -


< 자산항목 : 송유관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7,873 - - 181 7,692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6,831 - - 233 6,598  
합 계     - 14,704 - - 414 14,290 -


< 자산항목 : 선박 >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1,627 - - 39 1,588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3 - - - 3  
합 계     - 1,630 - - 39 1,591 -


< 자산항목 : 기타유형자산>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   고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고사동 등   28,449 3,853 - 3,381 28,921  
인천 CLX " 인천광역시 서구   11,567 - - 1,368 10,199  
판매저유시설 등 " 서울 등   17,799 1,402 - 1,815 17,386  
합 계     - 57,815 5,255 - 6,565 56,505 -


(2) 설비의 신설 또는 매입계획
① 진행중인 투자



(단위 : 억원)
투자
목적
투자 내용 투자기간 총 소요자금 기 지출금액 향후 기대 효과
증설 No.1/2 RFCC Revamp 2011~2014 2,943 407 Gasoline, Propylene 등 제품 증산 및 설비경쟁력 증대
증설 인천CLX Value-up 2012~2014 16,215 1,888 PX(파라자일렌) 공정 신설 및 관련설비 증설투자를 통한 인천 CLX 수익성 증대
증설 고부가 석유제품
 증산
2012~2015 1,691 72 기유원료 및 DSL 등 증산


② 향후 투자계획

현재 기 승인되어 미 진행 중인 설비투자 사업 없음.


5.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
부문
매출
유형
품 목 제3기(2013년 1분기) 제2기(2012년 1분기) 제1기(2011년 1분기)
금액 금액 금액
석유 제품 무연
휘발유
수 출 955,382 981,008 659,599
내 수 850,879 963,782 833,544
해외판매 994,870 950,868 710,416
합 계 2,801,131 2,895,658 2,203,559
등유 수 출 51,837 50,151 40,886
내 수 276,828 350,508 485,837
해외판매 - - -
합 계 328,665 400,659 526,723
경유 수출 2,927,795 2,662,538 2,281,860
내수 1,464,663 1,742,236 1,663,131
해외판매 4,761,736 4,212,835 2,619,212
합계 9,154,194 8,617,609 6,564,203
B-C 수출 346,108 494,114 352,242
내수 390,626 762,820 1,061,848
해외판매 1,950,671 1,603,107 1,706,345
합계 2,687,405 2,860,041 3,120,435
기타 수출 2,575,613 2,324,279 1,807,800
내수 3,076,156 3,200,123 2,879,954
해외판매 2,567,944 8,420,599 3,841,590
합계 8,219,713 13,945,001 8,529,344
용역
수출 676 662 647
내수 31,499 30,650 38,699
해외판매 25,107 29,708 21,494
합계 57,282 61,020 60,840
기타
수출 300 829 2,979
내수 3,744 102,127 2,824
해외판매 655,950 692,370 371,121
합계 659,994 795,326 376,924
소계 수출 6,857,711 6,513,581 5,146,013
내수 6,094,395 7,152,246 6,965,838
해외판매 10,956,278 15,909,487 9,270,178
합계 23,908,384 29,575,314 21,382,029
기타 기타 기타 수출 - -  15,706
내수 39,496 31,948 184,005
해외판매 - - -
합계 39,496 31,948 199,711
합 계 수출 6,857,711 6,513,581 5,161,719
내수 6,133,891 7,184,194 7,149,843
해외판매 10,956,278 15,909,487 9,270,178
합계 23,947,880 29,607,262 21,581,740
(연결조정) (10,063,530) (11,418,974) (9,339,551)
연결 합계 13,884,350 14,379,736 12,242,189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소매]

당사 - SKN - 직영주유소

당사 - SKN - 자영주유소

당사 - 자영대리점 - 자영주유소

당사 - 자영대리점 - 중소산업체


[가스]

당사 - 자영충전소


[직매]

당사 - 대형 거래처 (한전/항공사/군납/수협/철도청/해경청/해운조합 등)

당사 - 중소산업체

당사 - 내국적 외항선

(2) 주요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경로 내수 수출
대리점 직매 기타
비중 21.33% 23.30% 2.43% 52.95%


(3) 주요 매출처와 매출처별 비중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등이며, 이들에 대한 당사의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액 대비 약 70.99% 수준입니다.

주요 매출처 비중
SK Energy International Pte Ltd 38.37%
SK종합화학(주) 21.05%
SK네트웍스(주) 11.57%


(4) 판매방법 및 조건

구분 대금결제방법 대금회수조건 비고
석유사업 - 내수 : 현금,어음,수표
 - 수출 : LC/TT/DA
인도 후 15 ∼ 60 일 결제 부대비용은 계약시 협의에 따라 부담


(5) 판매전략

구분 주요 판매전략
석유사업 - No.1 Brand Power 유지를 위한 최적 Network 구축 및 운영 효율 제고
: 전략적 Network (주유소, 충전소) 개발/구출, 조직/인력
 
- Network Value up을 통한 개별 주유소의 경쟁력 강화
: 타 Retail Brand 제휴를 통한 주유소 수익원 다변화 및 Up-Sell 추진
 
-고속도로 복합휴게소 및 화물차 휴게소 유치를 통한 High Volume N/W 구축
 
- Brand Loyalty 및 선호도 제고
    : 주유소 VI (Visual Identity) 체계적 관리
    : 엔크린보너스 카드 등 멤버쉽 프로그램을 활용한 마케팅 프로그램 차별화
: B2B PRM 활성화를 통한 법인 고객 가치 및 만족도 제고
 
 - CS경영 강화를 통한 고객만족도 제고
    : SK 고객행복센터 운영 및 품질관리를 위한 지역별 기술지원센터 운영


6. 수주상황

(기준일: 2013.3.31)

(단위 : 천배럴, 백만원)
품 목 수주일자 납 기 수주총액 기납품액 수주잔고
수량 금액 수량 금액 수량 금액
한전 2013.01.01 2013.03.31 1,122 145,900 1,122 145,900 - -
한국군 2013.01.01 2013.03.31 189 27,763 189 27,763 - -
철도공사 2013.01.01 2013.03.31 307 45,115 307 45,115 - -
항공 2013.01.01 2013.03.31 3,421 485,911 3,421 485,911 - -
미군납 2013.01.01 2013.03.31 123 22,782 123 22,782 - -
해경청 2013.01.01 2013.03.31 73 10,764 73 10,764 - -
지역난방공사 2013.01.01 2013.03.31 219 28,143 219 28,143

합  계 5,454 766,378 5,454 766,378 - -


7.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위험관리
유가와 함께 석유 사업의 가장 중요한 외생변수 중 하나인 환율은 원유도입 및 매출에 영향을 주며, 원유를 전량 해외에서 달러로 도입하여 내수판매 및 수출을 하는 사업 구조에 따라 외화부채가 외화자산을 초과하여 순 외화부채의 환산 손익 발생 위험에도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율 변동에 따른 Risk를 축소하기 위하여 당사 외환관리 규정에 따라 영업과영업외손익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을 VaR(Value at Risk)를 활용하여 적정수준 초과 분에 대해 선물환, 통화스왑 등의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헷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환위험 관리를 위해 재무실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환위험관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주관부서인 자금팀에서 주기적으로 외환차손익 현황, 파생상품 계약 현황 및 헷지 계획 등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나.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입니다.시장위험은 이자율위험, 환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1)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의 주요 금융부채인 사채 및 장기차입금은 모두 고정금리부로서 시장이자율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지 아니합니다. 연결기업의 경영진은 상기 외 금융상품과 관련하여 시장이자율 변동이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환위험
환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해외영업활동 등으로 인한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특히 매입채무 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분기 및 전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통화별 주요 외화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위:백만US$, 백만원).

구    분 화폐단위 당분기 전  기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융자산 US$ 2,665 2,964,250 6,352 7,162,915
외화금융부채 US$ 4,997 5,557,427 9,245 10,473,037


한편, 당분기 및 전기말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US$의 환율이 5% 변동할 경우 분기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백만원).

구    분 당분기 전 기
5% 상승 5% 하락 5% 상승 5% 하락
분기/당기순이익의 변동 (98,281) 98,281 (106,217) 106,217


그러나 외화금융자산 및 부채에 미치는 환위험은 대부분 영업이익에 미치는 외환변동성과 상쇄될 수 있는 바, 환위험은 적절히 통제되고 있습니다.

(3) 기타 가격위험
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이며, 연결기업의 매도가능증권 중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지분상품은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연결기업의 경영진은 당분기말 현재 해당 지분상품의 가격변동이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8. 파생상품 등에 관한 사항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1) Commodity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항공유 확정가격 공급계약의 시장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파생상품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BBL, 백만원)
거래구분 대상자산 거래처 만기일 물량 공정가치 자산 부채
석유제품스왑 Kero 등 Baclays 등 2013. 4~2015. 1 568 609 1,210 601
원유스왑 I.Bnt 등 Baclays 등 2013. 4~2015. 2 1,173 4,222 4,968 746
유종간 스왑스프레드 Kero/I.Bnt 등 Baclays 등 2013. 4~2013. 7 194 (321) 6 327
합    계


1,935 4,510 6,184 1,674


당기말 현재 당사는 원유의 예상 매입 및 제품의 예상 매출에 대한 현금흐름의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파생상품을 이용하고 있으며 그 세부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BBL, 백만원)
거래구분 대상자산 거래처 만기일 물량 공정가치 자산 부채
석유제품스왑 HSFO380 등 Baclays 등 2013. 4~2013. 9 1,485 1,971 3,033 1,062
합    계


1,485 1,971 3,033 1,062


기말 현재 당사는 석유제품 및 원유의 시장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석유제품스왑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그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BBL, 백만원)
거래구분 대상자산 거래처 만기일 물량 공정가치 자산 부채
석유제품스왑 HSFO380 등 Barclays등 2013. 4~2013. 9 3,650 (1,567) 15,516 17,083
월물간 스왑스프레드 DUB 등 ICE-JPMOGAN 등 2013. 4~2013.12 21,077 (10,885) 34,331 45,216
유종간 스왑스프레드 FO180/DUBAI  등 J ARON 등 2013. 4~2013. 5 5,645 (1) 24 25
합    계       30,372 (12,453) 49,871 62,324


(2) 통화선도 및 통화스왑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목적 파생상품 종류 계약내용
위험회피 통화 선도 거래 일정기간 후 발생할 외화현금흐름을 약정된 환율로 교환하는 거래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은 매입채무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그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백만US$, 백만원).

거래처 만기일 약정환율 계약금액 공정가치 자 산 부 채
Deutsche 2013. 4~2013.12 1,118.61 135 18 225 207
SC제일 2013. 4~2013.12 1,118.47 135 (23) 205 228
합  계

270 (5) 430 435


당분기중 파생상품계약으로 인한 손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백만원).

구    분 당기 손익 기타포괄이익
평가이익 평가손실 거래이익 거래손실 평가이익 평가손실
공정가치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석유제품스왑 7,107 - 1,684 31 - -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석유제품스왑 - - - - 15,223 584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
석유제품스왑 18,292 33,616 95,996 85,127 - -
통화선도 430 435 3,304 5,406 - -
소계 18,722 34,051 99,300 90,533 - -
합계 25,829 34,051 100,984 90,564 - -


9.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계약 내용 계 약 상 대 방 계 약  기 간 계 약 목 적
접촉개질 공정 UOP Inc. U.S.A. 자동갱신 공정Licensor
유황수소가스배출저감공정 TPA 자동갱신 공정Licensor
폐황산 재생공정 Monsanto Envior-Chem 자동갱신 공정Licensor
제2중질유 분해공정 UOP Inc. U.S.A. 자동갱신 공정Licensor
제2중질유 탈황공정 Chevron Research Co. 자동갱신 공정Licensor

■ 화학 사업 부문

* 대상 회사
- SK종합화학
- SK유화
- SK Global Chemical (China) Holding Co., Ltd.
- SK Global Chemical International Trading (Shanghai) Co., Ltd.
- SK Global Chemical Singapore Pte., Ltd.
- SK International Investment Singapore Pte., Ltd.

1. 사업의 개요


가.  사업의 현황

(1) 기초유화사업

(가) 산업의 특성 등

1) 산업의 특성

기초유화사업은 나프타(Naphtha)등을 원료로 하여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제품과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제품을 생산하는 기초 소재사업으로, 이를 원료로 합성수지, 합성고무, 합성섬유 등의 화학제품을 생산하게 됩니다.

대규모 설비투자가 소요되는 장치산업으로 초기 투자 비용이 크고, 규모의 경제가 작용하며, 기술선점 효과가 높아 진입장벽이 높은 반면 원유에서 생산되는 나프타를 원료로 기초 소재를 생산하는 산업의 특성상 유가변동에 민감하며, 세계 경제 및 수급조건에 따라 호·불황이 주기적으로 반복되는 산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기초유화사업은 석유화학공업이 제 2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7~1971)의 핵심산업으로 추진되어 울산석유화학단지, 여수석유화학단지를 건설하며 성장세를 이어갔습니다.
1990년 신규 설비투자 자유화 정책이 발효되어 경쟁적인 설비확장으로 국내 공급과잉이 발생하여 경쟁이 심화되고, 수출 주도형 산업으로 전환하게 되었습니다.
2000년대 들어 2003년~2007년 중국 등의 견실한 수요성장 등에 힘입어 석유화학산업은 장기간 호황 국면을 유지하였으나 2008년 하반기 세계 경기침체로 인한 수요위축으로 시황이 급격하게 악화되었습니다. 2009년 이후 중국 경기부양책의 영향, 중동 신·증설 Project 완공지연으로 인한 공급차질 등으로 석유화학산업 시황이 회복되었으나, 최근 유로존 재정위기, 글로벌 경기회복 지연 등으로 시장변동성이 확대되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기초유화사업은 대규모 설비투자가 요구되는 장치산업으로 경기상황과 수요/공급 영향에 따른 경기 Cycle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나) 영업의  개황 등

1) 경쟁요소

기초유화사업은 기초유분의 특성상 운반/저장 등에 어려움이 있으며, 나프타 분해 시설을 중심으로 계열공장이 단지화되는 전형적인 콤비나트형 산업입니다. 따라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대규모 설비투자가 요구되어 타 산업에 비해 진입장벽이 높은 특성을 가집니다.

2) 당사의 경쟁 우위 요소
당사의 기초유화사업은 울산 석유화학단지 내에 위치하고 있어 주요 원재료인 납사를 안정적으로 공급받고 있으며 완제품의 단지 내 업체 장기공급 비중이 높아 안정적인 사업 영위가 가능합니다.

(2) 화학소재사업

(가) 산업의 특성 등

1) 산업의 특성

화학소재사업은 에틸렌, 프로필렌, 벤젠, 자일렌 등의 기초 유분을 원료로 하여 합성수지, 합성고무, 1,4BDO 등의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사업으로 자동차, 전자, 건설, 제약, 의류소재 등 주력산업에 원·부자재를 공급하는 핵심 기간산업입니다.

산업의 특성상 유가변동 및 관련산업 경기변동에 따른 수익성 변화가 민감한 구조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화학소재사업은 기초유화단지를 모체로 관련 계열공장들이 수직계열화, 단지화되면서 울산, 여수, 대산 등 3대 석유화학단지 내에 다수의 화학제품 생산 업체가 유기적으로 연계되면서 성장해 왔습니다.

내수업종으로 출발한 화학제품 업체들은 수출 주도형 산업으로 전환하게 되었으며, 따라서 화학소재사업의 성장성은 곧 전세계 경기 성장과 관련이 깊습니다. 특히 중국의 수요가 많아 중국 경제 성장과 밀접하며, 최근에는 신흥 성장시장(남미, 동남아시아, 인도 등)으로의 사업 영역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화학소재사업은 자동차, 전자, 건설, 제약, 의류소재 등의 전방산업에 화학 제품을 공급하는 사업으로 전방산업의 경기변동에 민감합니다.

(나) 영업의  개황 등

1) 경쟁요소

범용제품 위주의 석유화학 제품에서는 가격이 가장 중요한 경쟁 요소이며,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규모의 경제 실현 및 공정개선, 효율화를 통한 원가절감 등의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고부가가치 위주의 신제품 개발과 차별화에 주력하면서 제품 개발기술 및 생산기술이 중요한 경쟁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2) 회사의 경쟁 우위 요소
당사의 화학 소재 사업은 국내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중국, 동남아시아, 중동 및 중남미 등에 판매거점을 확보하여 Global 역량을 제고하고 사업영역 다각화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용제 제품과 고부가 폴리머 제품을 생산하고 있으며 Nexlene 등 차별화된 기술역량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나. 회사의 현황

(1) 영업개황 및 사업부문의 구분

(가) 당사의 영업개황

SK종합화학은 2011년 모회사인 SK이노베이션의 사업 분할을 통해 'SK종합화학'이라는 사명으로 새롭게 출발한 화학 전문 기업입니다.

당사는 세계적인 종합화학기업으로 성장하기 위해 'The Innovative Chemical Company, Creating Values with Technology & Solutions’Vision 아래 구성원 모두가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종속 회사의 영업개황

1) SK유화
 -
SK유화는 Fiber, 필름, PET Bottle Resin, Engineering Plastic, 접착제 등의 원료가 되는 PTA/DMT를 제조·판매하고 있습니다. 연간 PTA 52만톤, DMT 8만톤의 생산규모를 갖추고 국내외에 공급하여 제품의 우수성으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2013년 1분기 총 13.3만톤의 제품을 판매하였으며, 향후 수출 다변화 등을 통해 매출 증대 및 수익 창출에 노력할 것입니다.

2) SK Global Chemical (China) Holding Co., Ltd.
- SK Global Chemical (China) Holding은 중국내 석유화학, 에너지 등의 투자와 중국내 투자회사 관리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3) SK Global Chemical International Trading (Shanghai) Co., Ltd.
- SK Global Chemical International Trading (Shanghai) Co., Ltd.는 중국내 직접 내수 판매를 위하여 2002년도에 설립하여 당사 마케팅 역량을 바탕으로 자체 Sourcing 및 신규 고객 개발/ 취급제품 확대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4) SK Global Chemical Singapore Pte., Ltd.
- SK Global Chemical Singapore는 동남아시아 지역 화학 제품 Trading 및 도매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5) SK International Investment Singapore Pte., Ltd.
-  SK International Investment Singapore는 싱가폴 내 석유화학회사인 JAC          (Jurong Aromatics Corporation Pte., Ltd.)에 투자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다)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o 사업부문 구분의 방법  
   - 매출액, 영업손익, 자산규모에 따른 분류

(단위 : 백만원)
구분 매출액 영업손익 유무형 자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기초유화사업 3,819,250 81.22% 244,053 98.59% 1,435,866 73.07%
화학소재사업 882,926 18.78% 3,500 1.41% 529,205 26.93%
4,702,176 100.00% 247,553 100.00% 1,965,071 100.00%
연결조정 (1,417,614) - (3,727) - 220,067 -
연결합계 3,284,562 - 243,826   - 2,185,138  -


(2) 시장점유율
-  요 제품에 대한 당사 점유율 및 경쟁사 점유율 현황

(단위 : 천톤/년)
제품명 국내 총 생산능력 당사 생산능력 비율
Ethylene 8,280 860 10.39%
Para Xylene 5,820 830 14.26%
LLDPE 1,036 180 17.37%
HDPE 2,575 210 8.16%
Poly Propylene 4,240 390 9.2%

* 한국석유화학공업협회 자료(2012년 6월 기준)임

(3) 시장의 특성


1972년 국내 최초로 연산 10만 톤 규모의 나프타 분해시설을 가동함으로써 국내 석유화학공업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SK종합화학㈜은 끊임없는 시설 투자와 연구개발, 기술 축적을 통해 국내 석유화학 산업의 발전을 주도한 선도기업으로서 확고한 위치를 지켜오고 있습니다.


SK종합화학㈜은 미래 수익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해 기존의 범용성 사업 외에, 특수용제 중심의 기능성 화학제품과 고부가가치 복합수지 제품 사업을 강화하고 있으며, 인터넷 사이트(www.skchem.com)를 통해 전자상거래의 기초를 마련하고 최신 정보를 고객과 공유하는 한편, 온라인 주문에서 출하 현황까지 조회할 수 있는 One-Stop 서비스를 지향, 고객에게 더욱 가까이 다가가고 있습니다.

Basic Chemical 사업부 중 에틸렌, 프로필렌, 부타디엔 등의 기초유분과 중간유도품을 생산하고 있는 올레핀사업의 주요 목표시장은 합성수지 및 합성고무 등의 중간제품 생산업체들입니다. 올레핀사업부는 급변하는 국내외 시장환경 하에서도 2013년 1분기 44.1만 톤의 제품을 국내 및 해외에 안정적으로 공급하였습니다. 우수한 신기술을 통해 원가 절감 및 규모 경쟁력 확보를 지속 추구함으로써 Globalization을 강화하고 고객에게 더욱 큰 가치를 전하겠습니다.


Basic Chemical 사업부 중 아로마틱 사업은 미국, 유럽, 중동 등 세계 시장에서 자유로운 무역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세계 주요 경제지표 및 원료, 제품 등의 국제가격과연계되어 매우 민감하게 변화하는 역동적인 사업분야 입니다.  2013년 1분기 77만톤의 벤젠, 톨루엔, 자일렌, 파라자일렌, 스타일렌모노머 등을 안정적으로 시장에 공급하여 업계 국내 1위의 지위를 공고히 하였습니다.


국내 최초의 용제공급자로 출발한 Performance Chemicals사업부는, 2013년 1분기 34만톤의 제품을 판매하였으며, 현재 환경 친화적 용제를 포함한 약 90종의 다양한 제품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지난 30여 년간 구축한 Marketing Network, Product Knowledge, Application Know-how 등 다양한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신제품 개발, 중국 JV공장 설립, 신흥성장시장(동남아) 등으로의 Biz 영역확대를 통해 PCs 사업의 제2의 도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LLDPE·HDPE·PP 및 EPDM 전문생산기업으로서의 체계를 구축한 Polymer & Rubber 사업부는 2013년 1분기 21.5만 톤의 제품을 판매하였습니다. 자동차·전자·통신 소재는 물론 치약 튜브·문구용품·저장용기 등 생활 용품 대부분의 분야에 원료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Nexlene, Green Pol 등 Tech-based Globalization 가속화를 통해 고부가 시장 진입 및 신규 제품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중국 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네트워크 구축 및 강화에 힘 쓰고 있습니다. 또한 내후성, 내열성 및 내오존성이 우수하여 주로 자동차 부품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고부가가치 합성고무인 EPDM을 생산하고 있으며, 자동차 및 산업용 고무부품 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에 따라 EPDM의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습니다.

SK유화는 Fiber, 필름, PET Bottle Resin, Engineering Plastic, 접착제 등의 원료가 되는 PTA/DMT를 제조ㆍ판매하고 있습니다. 연간 PTA 52만톤, DMT 8만톤의 생산규모를 갖추고 국내외에 공급하여 제품의 우수성으로 호평을 받고 있습니다. 2013년 1분기 13.3만톤의 제품을 판매하였으며, 향후 수출 다변화 등을 통해 매출 증대 및 수익 창출에 노력할 것입니다.


SK종합화학㈜는 세계 수준의 원가 경쟁력과 품질 우위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내수기반 확충과 수출시장의 다변화를 추구하는 한편, 고객중심경영을 실천하여 고객이 원하는 최고의 상품과 기술을 제공하겠습니다.


2. 주요 제품 및 원재료 등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출액 비율
기초유화사업 제 품 에틸렌 합성수지,고무원료 139,832 2.98%
파라자일렌 합섬원료, 용제 925,529 19.68%
스틸렌모노머 합성수지, 합성고무원료 229,084 4.87%
기타 Raffinate 등 2,510,801 53.40%
기 타 기타  - 14,004 0.30%
화학소재사업 제 품 합성수지 용기, 필름, 자동차부품 415,807 8.84%
PTA 합성섬유 원료 155,761 3.31%
기타 용제 등 310,768 6.61%
기 타 기타  - 590 0.01%
조정전 매출 합계 4,702,176 100.00%
연결조정 (1,417,614)
조정후 매출 합계 3,284,562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단위 : 원/톤)
구  분 제3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2기
(2012년)
제1기
(2011년)
에틸렌 1,607,264 1,646,137 1,579,900
파라자일렌 1,784,267 1,699,461 1,710,992
스티렌모노머 1,845,861 1,622,233 1,549,077
합성수지(PE/PP) 1,694,073 1,684,782 1,740,616


다.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 용도 매입액 비율 비고(매입처)
원재료 납사 에틸렌제조 등 2,035,036 70% SK에너지 등
기타 원재료 화학제품 생산 185,966 7%  -
소계 2,221,002 77%  -
반제품 펜탄 화학제품 생산 32,785 1%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기타 반제품 화학제품 생산 65,503 2%  -
소계 98,288 3%  -
제품 기초유화제품 판매용 549,342 19% SK에너지 등
화학소재제품 판매용 39,923 1% SK에너지 등
소계 589,265 20%  -
합   계 2,908,555 100%  -

주) 중계무역 매입 6,455억원은 포함하지 않음


라. 원재료 공급 시장의 독과점 정도
- 일반적으로 납사시장의 경우, 수입 원유를 국내 정유사에서 생산한 제품을 도입하    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중동 및 인도 지역의 정유사를 통해 수입함
 - 수입납사의 경우, 장기계약 및 Spot 거래를 통해 공급 받게 되며, 제품의 가격차이    가 발생할 경우, 역외 거래(Arbitrage, 주로 유럽산)가 가능한 특성이 있음


마.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 추이


품 목 제3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2기
(2012년)
제1기
(2011년)
납 사 \1,055/KG \1,078/KG \1,046/KG


(1) 산출기준

  - 공시대상기간 동안의 총 매입금액을 매입량으로 나누어 산출한 단순 평균 가격
   

(2) 주요 가격변동원인
제3기 1분기 중, 2월 중순까지는 유가 상승 및 중국 경기 회복 기대에 따른 제품수요 증가 영향으로 상승세, 2월 하순부터 인도, 유럽 등으로부터의 공급 증가와 제품 Margin 감소로 하락세를 각각 시현함.

3.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천톤)
사업부문 품 목 사업소 제3기 1분기
(2013년 1분기)
기초유화사업 화학제품 울산Complex 1,482
화학소재사업 화학제품 울산Complex 348

* 생산능력은 연 최대생산능력 (정기보수 반영) Gross 생산 물량 기준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가)  산출방법 등

o 산출기준: 최대생산능력 기준  

구   분 공  정   명 최대생산능력 비  고
기초유화
사업
올레핀계열 -  에틸렌 860,000 톤/년
-  프로필렌 980,000 톤/년
-  부타디엔 130,000 톤/년
-  MTBE 178,000 톤/년
-  부텐-1 44,000 톤/년
아로마틱 계열 -  BTX 3,003,000 톤/년
-  스티렌모노머 370,000 톤/년
-  파라자일렌 830,000 톤/년
-  올소자일렌 230,000 톤/년
-  싸이클로헥산 160,000 톤/년
화학소재
사업
폴리머 계열 -  PE 390,000 톤/년
-  PP 390,000 톤/년
-  EPDM 32,000 톤/년
기타 -  PTA 520,000 톤/년
-  DMT 80,000 톤/년

* Reformer에서 나오는 BTX만 반영, Cracker에서 생산되는 BTX제외
* 프로필렌 수치는 SK에너지의 생산능력을 포함한 수치


o 산출방법

구  분 최대생산능력
 (톤/일) ①
제3기 1분기 누적 가동가능일수
(일) ②
제3기 1분기 누적 생산능력(천톤)*
 ① ×② / 1000
비  고
기초유화사업 17,274 85.8 1,482 -
화학소재사업 3,868 90.0 348 -

*  생산능력 = 최대생산능력 × 가동가능일수(정기 보수기간 일수 제외)


(나) 평균가동시간(누적)

사업부문 일평균가동시간
 (시간)
월평균가동일수
 (일)
누적가동일수
 (일)
누적가동시간
 (시간)
기초유화사업 24 26.8 80.4 1,930
화학소재사업 24 29.8 89.4 2,146

* 가동일수: 가동가능일수 중 임시 보수 및 기타 사유로 인한 Shut down 발생기간을 제외한 실 가동일수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천톤)
사업부문 품목 사업소 제3기
(2013년)
1분기
제2기
(2012년)
1분기
제1기
(2011년)
1분기
수량 수량 수량
기초유화사업 Ethylene 울산CLX 203 219 218
기타(BTX 등) 울산CLX 1,014 1,008 1000
소계 1,217 1,227 1,218
화학소재사업 Polymer(PE/PP) 울산CLX 191 195 190
기타(EPDM 등) 울산CLX 180 202 202
소계 371 397 392
합       계 1,588 1,624 1,610


(2) 당해 가동률(누적)

사업부문 가동가능시간 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기초유화사업 2,059 1,930 93.73%
화학소재사업 2,160 2,146 99.35%


다.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 설비의 현황

< 자산항목 : 토 지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공시지가)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378,428 7,592 - - 386,020 201,395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186,335 - - - 186,335 88,428
합   계     564,763 7,592 - - 572,355 289,823


< 자산항목 : 건 물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공시지가)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49,765 962 - 405 50,322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38,498 500 - 455 38,543
합   계

88,263 1,462 - 860 88,865

주1) 당분기말 장부가액은 지방세과세시가표준과 중요한 금액적 차이가 없으므로 시가의 기재를 생략함

< 자산항목 : 구축물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24,689 34 - 547 24,176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33,950 45 - 1,004 32,991  
합   계     58,639 79 - 1,551 57,167  


< 자산항목 : 탱크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25,685 74 - 687 25,072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4,250 - - 97 4,153  
합   계     29,935 74 - 784 29,225  


< 자산항목 : 기계장치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695,322 61,614 843 14,737 741,356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261,706 3,263 - 7,337 257,632  
합   계     957,028 64,877 843 22,074 998,988  


< 자산항목 : 차량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991 - 1 80 910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956 - 1 64 891  
합   계     1,947 - 2 144 1,801  


< 자산항목 : 송유관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3,170 250 - 56 3,364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29 - - 3 26  
합   계     3,199 250 - 59 3,390  


< 자산항목 : 기타유형자산 >                                                        
 (단위: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기초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기초유화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25,019 4,977 20 2,064 27,912  
화학소재사업 자가소유 울산시 고사동 등 1,795 6 - 435 1,366  
합   계     26,814 4,983 20 2,499 29,278  

*토지 및 건물을 제외한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판단이 어렵고, 이의 금액적 중요성이 크지 않아 기재를 생략함

(2) 설비의 신설계획 등

(가) 진행중인 투자


(단위: 억원)
사업
부문
구분 투자
기간
투자 대상 자산 투자 내용 투 자 효 과 총투
자액

 지출액
향후
투자액
비고
화학
소재
사업
신설 2011
 ~2013
Nexlene 1st Commercial Plant 년산 23만톤 규모의 m-PE 생산설비 건설(울산) 고수익/고성장의 m-PE
(*) 시장에 진출
3,680 1,210 2,470 -
기초
유화
사업
신설 2011
 ~2014
New PX(울산) 일본 JX社와 5:5 JV로 울산에 연 100만톤 생산 규모의 PX 생산설비 건설 일본 JX와의 JV로 파라자일렌(PX) 생산설비 건설/운영을 통한 TX유분의 고부가 가치화 2,397 2,199 198 Project 총 투자비 9,590억원 중 SK 납입 자본금 2,397억원임
합 계 6,077 3,409 2,668 -

(*) m-PE : 메탈로센(metallocene) 폴리에틸렌의 약자로 기존 폴리에틸렌 대비 투명성, 위생성, 내충격성, 가공성 등이 우수한 고품질, 고부가 제품

(나) 향후 투자계획
- 미정


4.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
부문
매출
유형
품 목 제3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2기 1분기
(2012년 1분기)
제1기 1분기
(2011년 1분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기초유화
사업
제품 에틸렌 수출 79,798 57% 76,493 53% 89,269 41%
내수 60,034 43% 66,726 47% 68,947 32%
해외판매 - 0% - 0% 58,484 27%
합계 139,832 100% 143,219 100% 216,700 100%
파라
자일렌
수출 590,155 64% 537,573 66% 791,812 88%
내수 130,689 14% 126,700 15% 104,895 12%
해외판매 204,685 22% 152,956 19% - 0%
합계 925,529 100% 817,229 100% 896,707 100%
스틸렌
모노머
수출 158,995 69% 186,977 72% 335,352 88%
내수 40,358 18% 27,912 11% 45,630 12%
해외판매 29,731 13% 44,149 17% - 0%
합계 229,084 100% 259,038 100% 380,982 100%
기타 수출 1,184,321 47% 1,251,414 45% 1,080,059 42%
내수 1,124,129 45% 1,191,298 43% 1,046,848 41%
해외판매 202,351 8% 347,096 12% 451,463 17%
합계 2,510,801 100% 2,789,808 100% 2,578,370 100%
기타 기타 수출 6,641 47% 17,264 73% 48,847 90%
내수 2,867 21% - 0% 5,410 10%
해외판매 4,496 32% 6,460 27% - 0%
합계 14,004 100% 23,724 100% 54,257 100%
소계 수출 2,019,910 53% 2,069,721 51% 2,345,339 57%
내수 1,358,077 35% 1,412,636 35% 1,271,730 31%
해외판매 441,263 12% 550,661 14% 509,947 12%
합계 3,819,250 100% 4,033,018 100% 4,127,016 100%
화학소재
사업
제품 합성
수지
수출 195,372 47% 234,021 49% 284,784 64%
내수 153,607 37% 160,082 33% 156,952 36%
해외판매 66,828 16% 87,308 18% - 0%
합계 415,807 100% 481,411 100% 441,736 100%
PTA 수출 90,785 58% 117,483 66% 95,532 58%
내수 53,748 35% 44,014 25% 69,975 42%
해외판매 11,228 7% 16,429 9% - 0%
합계 155,761 100% 177,926 100% 165,507 100%
기타 수출 137,371 44% 170,545 44% 234,448 46%
내수 173,397 56% 193,163 50% 212,922 42%
해외판매 - 0% 20,945 5% 60,573 12%
합계 310,768 100% 384,653 100% 507,943 100%
기타 기타 수출 106 18% 322 2% 65 13%
내수 404 68% 578 3% 454 87%
해외판매 80 14% 15,853 95% - 0%
합계 590 100% 16,753 100% 519 100%
소계 수출 423,634 48% 522,373 49% 614,829 55%
내수 381,156 43% 397,836 38% 440,303 40%
해외판매 78,136 9% 140,535 13% 60,573 5%
합계 882,926 100% 1,060,744 100% 1,115,705 100%
합계 수출 2,443,544 52% 2,592,093 51% 2,960,168 56%
내수 1,739,233 37% 1,810,472 36% 1,712,033 33%
해외판매 519,399 11% 691,196 14% 570,520 11%
합계 4,702,176 100% 5,093,761 100% 5,242,721 100%
연결조정 (1,417,614)   (1,652,309)   (1,351,365)  
조정후 매출 합계 3,284,562   3,441,452   3,891,356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주요 판매경로

(가) 기초유화사업
[직판, 관계회사]
당사 - 파이프라인 - 수요자
당사 - 탱크로리 - 수요자

[수출]
당사 - 선박 - 수요자

(나) 화학소재사업
[직판]
당사 - 수요자

[대리점/도매상]
당사 - 대리점, 지역하치장 - 수요자
당사 - 영업소 - 수요자  

[수출]
당사 - 선박 - 수요자

(2) 주요 판매경로별 매출액 비중


(단위: %)
구분 내수 수출 기타(중계 등)
관계회사 직판 기타
기초유화사업 올레핀제품 31 49 - 20
아로마틱 제품 35 28 - 37
화학소재사업 PCs
제품
62 18 3 17 -
폴리머 제품
42 5 52 1
EPDM
46
53 1
PTA/
DMT
22 23 - 55 -


(3) 주요 매출처와 매출처별 비중

제3기 1분기 누계기준 당사의 주요 매출처는 SK에너지(주), SK네트웍스(주), 롯데케미칼㈜, Murubeni Coporation, SKC(주) 등 입니다.  당사 주요 5대 매출처에 대한 매출 비중은 전체 매출의 약 33.7% 수준입니다.

주요 매출처 비중
SK에너지 18.4%
SK네트웍스 6.8%
롯데케미칼(주) 3.1%
Marubeni Corporation 3.0%
㈜SKC 2.4%


(4) 판매방법 및 조건

구  분 대금결제방법 대금회수조건 비  고
기초유화사업 - 내수 : 현금 , 어음
- 수출 : LC/TT/DA/DP
월마감 10~40일 등 -  
화학소재사업 - 내수 : 현금 , 어음
- 수출 : LC/TT/DA/DP
월마감 30~60일 등 -  


(5) 판매전략

구분 주요 판매전략
기초유화
사업

【올레핀/아로마틱】

  - 내수판매시장 안정공급 

  - 원가경쟁우위 확보 

  - 대체원료 확보  

  - 중국시장 개발(아로마틱) 

  - Trading 이익 제고

화학소재
사업
【폴리머】
   - 고부가가치 중심의 Sales Mix 개선  
   - 품질경쟁우위 확보
   - 신제품/신시장 개발/확대
   - 원가경쟁우위 확보
【PCs 제품】
   - 신제품/신시장 개발/확대
   - 해외 현지 생산/판매체제 구축
   - 기존제품의 가치창출 극대화
      : 고수익/성장 제품 판매량 증대
      : 잠재시장 판매량 증대  

【EPDM】

  - 내수 시장 확대 및 고객 고정화

  - 중국 등 성장지역, 유럽 지역 수출 시장 개발/확대

  - Customer Value 극대화 

  - 품질 경쟁력 및 원가 경쟁력 우위 확보

【PTA/ DMT】
   - 안정적 수익모델 구축
   - 수출다변화
   - 원가경쟁력 우위 확보


5.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위험관리

당사는 해외 수출 사업구조에 따라 외화자산이 외화부채를 초과하여 순 외화자산의 환산손익 발생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환율 변동에 따른 Risk를 축소하기 위하여 당사 외환관리 규정에 따라 영업과영업외 손익에서 발생하는 환위험을 VaR(Value at Risk)를 활용하여 적정수준 초과 분에 대해 선물환, 통화스왑 등의 파생상품을 이용하여 헷지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환위험 관리를 위해 재무실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환위험 관리위원회를 운영하고 있으며, 주관부서인 자금팀에서 주기적으로 외환차손익 현황, 파생상품 계약 현황 및 헷지 계획 등을 보고하고 있습니다.

나. 시장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이며,  원유 및 석유제품 가격변동위험, 이자율위험, 환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네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1) 원유 및 석유제품가격 변동위험
원유 및 석유제품가격 변동위험은 주요 원재료인 납사와 생산물인 기초유화제품 및 화학소재제품의 국제시장 가격변동에 따라 연결실체의 손익 및 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해당 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고 안정적인 수준의 마진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정가액 공급계약을 체결하거나 파생상품계약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제가격의변동에 따라 해당 파생상품의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은 영업이익의 변동성과와 상쇄될 수 있는 바, 원유 및 석유제품가격 변동위험은 적절히 통제되고 있습니다.

(2)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변동이자부 장기차입금등과 관련된 시장이자율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여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 변동위험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외의 시장이자율 변동이 연결실체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3) 환위험

환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해외영업활동 등으로 인한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내부적으로 외화 대비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특히 외화매출채권 및 차입금 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 등을 체결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기말 현재 SK종합화학의 외화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US$, 천JPY, 천EUR, 천CNY, 천AED, 천SGD, 천GBP, 천원)
구    분 화폐
단위
제3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2기
(2012년)
제1기
(2011년)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융자산 US$ 1,103,448,431 1,228,474,702 870,388 933,407,976 1,361,076 1,569,168,238
JPY 1,186,851,468 14,006,390 1,545 2,187,799 1,522 2,273,608
EUR 1,165,385 1,660,918 2,204,156 27,496,843 506,002 7,514,936
CNY 355,002,350 63,527,670 493 84,783 535 97,715
기타 88,939 26,929 - - - -
합  계   1,307,696,609
963,177,401
1,579,054,497
외화금융부채 US$ 790,059,959 882,560,077 617,520 664,982,273 1,186,350 1,369,594,274
EUR 267,600 381,386 15 21,854 954,862 1,426,660
JPY 802,970,373 9,476,094 1,825,175 22,769,054 743,467 11,041,670
CNY 5,849,127 1,046,701



합  계   893,464,258
687,773,181
1,382,062,604


한편,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 5% 변동할 경우 SK종합화학의 분기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5% 증가 5% 감소 5% 증가 5% 감소
연결분기순손익의 변동 15,717,148 (15,717,148) 10,575,522 (10,575,522)


(4) 기타 가격위험

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이며, 연결실체의 매도가능금융자산 중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지분상품은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당분기말 현재 해당 지분상품의 가격변동이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영향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시 연결실체에 재무손실이 발생할 위험입니다.

(1) 대여금 및 수취채권

SK종합화학은 신용거래를 희망하는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신용검증절차를 수행한 후에 신용상태가 건전한 거래상대방과의 거래만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손위험에 대한 연결실체의 노출정도가 중요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는 등 대여금 및 수취채권 잔액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SK종합화학의 매출채권 중 주요 5대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과 금액은 각각 23.3% 및 350,760백만원입니다. 연결실체의 대손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해당채권의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매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주요 고객 채권에 대한 손상여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소액다수채권의 경우 유사한 신용위험의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의 집합에 포함하여 집합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손상은 과거에 발생한 손실자료에 근거하여 산정되고 있습니다.

장ㆍ단기금융상품 등으로 구성되는 기타금융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의 부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연결실체의 신용위험 노출정도는 최대 해당 금융상품의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이 연결실체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당분기 및 전기말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차감전
장부금액
손상누계액 기말장부금액
(최대노출액)
차감전
장부금액
손상누계액 기말장부금액
(최대노출액)
대여금 및 수취채권 1,609,655,365 (3,443,173) 1,606,212,192 1,322,248,123 (3,443,173) 1,318,804,950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1,671,848 - 1,671,848 2,773,418 - 2,773,418
매도가능금융자산 58,673,063 - 58,673,063 57,409,839 - 57,409,839
합    계 1,670,000,276 (3,443,173) 1,666,557,103 1,382,431,380 (3,443,173) 1,378,988,207


라.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도록 연결실체가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점검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은행차입금 및 사채 등을 사용하여 자금조달의 연속성과 유연성간의 조화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의 연결재무제표에 반영된 사채 및 차입금의 장부금액을 기준으로 만기가 1년 이내인 사채 및 차입금의 비율은 45.4%(전기말: 41.9%)입니다. 연결실체는 자금조달 집중위험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6. 파상품 등에 관한 사항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1)  Commodity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이 화학제품 및 Naphtha의 시장가격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보유중인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MT, 천원)
거래구분 대상자산 거래처 만기일 물량 공정가치 자산 부채
화학원료스왑 (J)Naph JP Morgan 외 2013.4~2013.5 110,000MT 234,130 700,111 (465,981)
화학제품스왑 PX Macquarie 2013.7~12 15,000 MT 403,025 403,025 -
화학제품선물 Heating Oil 삼성선물 2013.4 1,340 MT 73,318 73,318 -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은 대두유의 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대두유 선물 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그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거래구분 거래처 만기일 계약금액 선물가 공정가치
상품선물 삼성선물 2013.4 US$260,488 50.1 c/lb 209,821


(2) 이자율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목적 파생상품 종류 계약내용
위험회피 이자율 스왑 거래 일정기간동안 고정이자금액과 변동이자금액을 교환하는 거래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은 The Bank of Tokyo-Mitsubishi UFJ와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고 있으며, 그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US$, 천원)
거래처 계약금액 계약일 만기일 수취
이자율
지급
이자율
위험회피
대상자산
파생상품
평가손익(누적)
The Bank of Tokyo-Mitsubishi UFJ US$200,000 2010.12.03 2013.11.29 Libor(3M)+150bp 2.7% 외화사채 (1,450,018)


연결기업은 동 이자율스왑계약에 대해 현금흐름 위험회피 회계를 적용하고 있으며, 이를 당분기말 현재의 공정가액으로 평가하여 1,450,018천원의 평가손을 반영하였습니다.

(3) 통화 이자율 스왑 파생상품 체결 현황

- 해당사항 없음


(4) 통화선도 및 통화스왑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파생상품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목적 파생상품 종류 계약내용
위험회피 통화선도 거래 일정기간 후 발생할 외화현금흐름을 약정된 환율로 교환하는 거래


연결기업이 미래 매출에 대해 현금흐름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고 있는 통화선도 계약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US$, 천원)
거래처 만기일 약정환율(\/$) 계약금액 공정가치 자산 부채
외환은행 2013.4~12 1,095.5 46,090 (1,088,996) - (1,088,996)
HSBC 2013.4~6 1,111.5 28,000 (89,810) - (89,810)
2013.4~12 1,096.0 107,410 (2,870,277) - (2,870,277)
CITI 2013.4~6 1,113.6 56,000 (30,638) - (30,638)
SC 2013.4~12 1,089.7 46,270 (1,329,196) - (1,329,196)
부산은행 2013.4~12 1,092.2 5,389 (88,127) - (88,127)


당분기말 현재 선물환 계약을 통해 보유중인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US$, 천원)
거래처 만기일 약정환율
(¥/$, \/$)
계약금액 공정가치 자산 부채
외환은행
동경지점
2013.04.02 92.75 (¥/$) 282 4,966 - (1,000)
2013.04.15 96.08 (¥/$) 386 (8,377)
2013.04.16 94.83 (¥/$) 250 (1,741)
2013.04.22 94.89 (¥/$) 110 (844)
2013.05.29 92.58 (¥/$) 255 4,996
외환은행 등 2013.04.01 1,114.9 (\/$) 100,000 275,138 275,138 -
Deutsche 2013.04.01 1,115.8 (\/$) 50,000 186,240 186,240 -
JP Morgan 등 2013.04.08 1,113.9 (\/$) 60,000 76,458 76,458 -
CITI 2013.04.08 1,112.9 (\/$) 20,000 8,696 8,696 -
BOA 2013.04.08 1,113.2 (\/$) 30,000 22,179 22,179 -


당분기중 파생상품 보유로 인한 평가손익 및 거래손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평가이익(주1) 평가손실(주2) 거래이익 거래손실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 적용 파생상품 (기타포괄손익항목)
화학원료스왑 - - - -
  이자율스왑 377,990 - - -
통화선도 - (5,497,044) 201,260 421,964  
상품선물 - (1,152,265) - -
합계 377,990 (6,649,309) - -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 (손익항목)
  화학원료스왑 1,176,454 465,981 7,348,755 4,508,128
이자율스왑 - - - 479,316
  통화선도 568,711 1,000 9,026,594 16,282,369
상품선물 - - - -
합계 1,745,165 466,981 16,576,609 21,691,777

(주1) 파생상품평가이익에 대한 법인세효과 (-)91,474천원이 포함됨
(주2) 파생상품평가손실에 대한 법인세효과 298,236천원이 포함됨


나. 풋옵션, 콜옵션, 풋백옵션 등의 계약에 대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다. 리스크 관리에 관한 사항

당 연결기업은 환율변동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Position으로부터 발생 가능한 손실을 관리하기 위하여 환위험 관리정책을 수립하여 실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감내 가능한 환위험 수준을 정의하여 환율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최소화 하도록 관리하며, 설정된 환위험 허용한도를 벗어나는 과도한 외화 Position에 대해서는 Hedge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7.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계약 내용 계 약 상 대 방 계 약  기 간 계 약 목 적
제1파라자일렌 제조공정 UOP Inc. U.S.A. 1989. 5. ~ 계약종료시 공정Licensor
제2파라자일렌 제조공정 UOP Inc. U.S.A. 1995. 6. ~ 계약종료시 공정Licensor
싸이클로헥산 제조공정 IFP 1988. 4. ~ 계약종료시 공정Licensor
메트로필란 제조기술 Celegen Corp. 계약발효일로부터 10년 공정Licensor
영업양수도 계약 현대EP(주) 2007.4.30(양도계약일) 특수폴리머사업 영업 양도 및 현대EP출자를 통한 공동경영


■ 윤활유 사업부문

* 대상 회사
- SK루브리컨츠
- SK Lubricants Americas, Inc.
- SK Lubricants Europe B.V.
- SK Energy Lubricants (tianjin) Co.,Ltd.
- PT. Patra SK
- 유베이스매뉴펙처링아시아(주)
- SK Lubricants Japan Co., Ltd.

1. 계의 현황

당사가 제조하여 판매하는 제품은 기유와 윤활유로 나눌 수 있으며, 이 중 기유는 원유에서 여러 정제 공정을 거쳐 제조된 유분을 의미하고 마찰을 감소시키는 윤활제로서의 기능을 가진 물질입니다. 여기에 성능을 더욱 강화하거나 보완하기 위해 각종 화학 첨가제를 배합하여 윤활유 제품을 만들고 있습니다. 기유의 투입율은 적게는   65%에서 100% 까지 다양합니다.

기유 제품은 API (American Petroleum Institute) 분류 기준에 따라 Group I, II, III,  IV, V의 5가지 그룹으로 구분되며 당사의 주요 제품은 Group III입니다.
최근 기유에서의 친환경 제품 및 연비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며, 그에 비해 제한적인 공급의 영향으로 친환경 고품질 제품에 대한 수요가 점차 늘어나고 있습니다. 이처럼 수요 대비 제한적인 공급의 영향으로, 당사의 주력 제품인 Group III는 성장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윤활유 수요는 안정적인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으나 고급 제품에 대한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중국, 인도의 차량 증가, 아프리카 및 중동 지역의 산업화와 남미 시장의 경기회복으로 인해 Emerging market의 수요가 시장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2. 사업의 개요

가. 사업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및 국내외 시장여건
윤활유 완제품의 주요 원재료인 윤활기유(Base Oil)는 원유 정제과정 중 고도화설비인 Hydrocracker에서 생산되는 UCO(Unconverted Oil:미전환유)를 추가 공정(감압증류, 촉매)을 통해 생산되고 있기 때문에 대규모 시설투자가 가능한 정유회사 이외에는 시장 진입이 어려운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윤활기유 시장은 품질 및 성상에 따라 시장을 세분화 할 수 있으며, 그룹별로 상이한 수요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제품의 성능 및 사용수명이 열위한 윤활기유   (GROUP I)의 수요는 성장성이 둔화되면서 향후 시장규모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나 고급기유(GR
OUP II/ III 등) 장은 환경규제와 수요 성향의 변화에 힘입어 높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국내 윤활기유 시장은 정제설비와 고도화설비를 갖추고 있는 3개 정유사가 참여 중으로 국내시장은 공급초과 시장이 형성되면서 대부분 생산 제품은 기타 아시아 지역, 미주 및 유럽 등지로 수출되고 있습니다.

국내 윤활유 시장은 윤활유공업협회 정회원 등록업체만 18개, 비등록 업체 포함 약 200여개 이상의 기업이 참여하고 있어 완전경쟁시장으로 볼 수 있습니다. 주요 업체로는 SK루브리컨츠, GS칼텍스, 극동유화, 미창석유공업, 동남석유공업, 한국발보린, 장암칼스, 에쓰오일토탈윤활유(STLC) 등 이 있습니다.
해외 윤활유 완제품 시장의 경우 Shell, ExxonMobil, BP, Chevron, Total,
PetroChina, Sinopec, Fuchs, Ashland(Valvoline) 등 다수의 메이저 정유 회사들이 윤활유 시장을점유하고 있으며, 각 지역마다Local 윤활유업체들도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국내업체의 해외시장 신규 진출 및 경쟁은 쉽지 않습니다.


(2) 당사의 시장 경쟁력 및 대응
당사는 증가하는 YUBASE 수요에 부응하기 위하여 성장 동력 확보 및 Global        Marketing Platform 강화에 집중적인 노력을 기울임으로써 회사의 성장                Fundamental을 확고히 다지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노력의 일환으로 고급기유 공급확대를 위하여 2010년 6월 다국적 에너지기업 Repsol과 함께 Group III 윤활기유 공장 건설 주요 합의사항에 대한 계약(HOA)을 체결했으며, 2011년 11월에 Joint Venture Agreement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현재 당사의 기유시장 점유율은 40% 내외로 추정되며, 앞으로도 선제적 투자 및 Capacity 확보를 통해 기유 Market Leader로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윤활유 사업의 대표 브랜드 ZIC는 브랜드 파워조사 14년 연속 1위, 대한민국녹색경영대상을 수상하는 등, 국내업계 No.1 윤활유 브랜드로서 자리 잡았습니다. 또한 미국석유협회(API)와 국제윤활유표준화위원회(ILSAC) 등 세계 양대 품질 평가기관으로부터 최상위 등급 인증을 받아, 우수한 품질을 세계적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또한 해외 각지의 수출국 특성에 맞는 Marketing 전략을 수립 및 추진함으로써,      Emerging Market에서의 성장 기회를 이용하여 수익 최대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급 윤활유 수요 증가에 부응하기 위해 국내 에너지 업계 최초로 해외에 독자 윤활유 공장을 건설(중국 천진 지역)하고, 철저한 현지화 전략을 통하여 Global 브랜드로 거듭나기 위해 적극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뿐 아니라 러시아, 동서남아 판매 물량 증대 및 OEM 확대를 통하여 마케팅 네트워크를 공고히 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매출액은 기유 및 윤활유 완제품에서 발생하고 있으며, 추가 사업 구분은 하지 않습니다. 기유의 원재료인 UCO는 당사의 관계사인 SK에너지로부터 상당 부분을 공급받고 있으며, 기타 해외 업체로부터 일부 조달하고 있습니다.

나. 사업 부문별 주요 재무 정보

(기준일 : 2013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구  분 매출액 영업손익 유형 및 무형자산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기유사업 960,940 86% -4,401 -57% 858,278 86%
윤활유 사업 157,453 14% 12,057 157% 138,667 14%
소계 1,118,393   7,656   996,945  
(연결조정) (489,958)   (5)    1,025  
연결 합계 628,435   7,661   997,970  


다. 주요 종속회사의 현황
- SK Lubricants Americas, Inc.는 미주지역의 윤활유/기유 판매를 목적으로 '97년 6월에 SK E&P Company(자본금 24백만원)란 이름으로 설립되었으며, '09년 10월 타 사업부분을 분사시키고 윤활유 전문 기업으로 전환하면서 지금의 SK Lubricants Americas, Inc.로 법인명을 변경하였습니다.
- SK Lubricants Europe B.V.는 유럽지역의 윤활유/기유 판매를 목적으로 '09년   10월 암스테르담에 설립되어 영업을 시작했으며, '12년말 기준 매출액 643,692백만원을 기록하며 당사의 종속법인 중 가장 큰 매출액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SK Energy Lubricants (Tianjin) Co.,Ltd.는 중국에서의 윤활유/기유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03년 3월 천진에 설립(자본금 USD 25만)되었으며, 이후 5차례의 자본금 증자를 통해 자본금 60,236백만, 순이익 7,066백만('12년말 기준)을 기록하였고 2012년 4월부터 자체윤활유공장을 가동하는 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PT. Patra SK는 윤활기유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07년 2월 인도네시아에 설립되어 '08년 5월부터 본격적인 윤활기유 생산 및 판매를 개시하였습니다. 또한제품    Portfolio 최적화, 고부가제품 판매 증진 등을 목적으로 투자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주)는 윤활기유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10년 9월에 울산에서 설립된 후
'12년 5월부터 산업생산을 시작하였습니다.
- SKSOL LUBE BASE OILS S.A 는 윤활기유의 제조 및 판매를 목적으로 2012년 4월 스페인에서 설립되었으며, 현재 스페인 Cartagena 현지에서 기유 공장건설이 진행 중입니다. 2014년 하반기 완공될 예정입니다.

라.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 해당사항 없음


3. 주요 제품 및 원재료 등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기준일 : 2013. 3. 31) (단위 : 백만원)
품   목 수출 구분 매출액 비율
기 유 내수 56,880 8.35%
수출 94,468 13.87%
해외법인 398,360 58.49%
소계 549,708 80.71%
완제품 내수 69,794 10.25%
수출 29,272 4.30%
해외법인 32,344 4.75%
소계 131,410 19.29%
합 계 내수 126,674 18.60%
수출 123,740 18.17%
해외법인 430,704 63.23%
소계 681,118 100.00%
연결조정 52,683
연결합계 628,435


나.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기준일 : 2013. 3. 31) (단위 : 백만원)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 용도 매입액 비율
원재료 UCO(*) 기유생산 363,778 79.60%
기타원재료 윤활유/기유  생산 등 54,207 11.86%
소계 417,985 91.46%
반제품 기타 반제품 윤활유제조 등 154 0.03%
소계 154 0.03%
제품 기유제품(**) 판매용 38,571 8.44%
윤활유제품 등 판매용 280 0.06%
소계 38,851 8.50%
합계 456,990 100.00%

* Patra SK 매입액 추가
** Patra SK로부터 제품 매입액 제외

다. 주요 매입처

거래처 품목 특수관계 여부
SK에너지(주) UCO 해당
현대오일뱅크 비해당
Repsol Petroleo 비해당
Infineum Singapore 기타원재료
 (윤활유 첨가제 등)
비해당
Afton Chemical Asia Pacific 비해당

※ 산업의 특성 상 국내에서는 정제설비와 고도화설비를 갖추고 있는 3개 정유회사가 독과점을 형성하고 있으며, 당사는 윤활기유의 주요원료인 미전환유(UCO)를 계열 내 정유사인 SK에너지(주)로 부터 상당부분 공급받고 있습니다. 또한 원재료인 미전환유(UCO)의 안정적인 매입을 위하여 Repsol Petroleo와 합작 공장 설립을 추진하는 등 안정적인 원재료 매입을 위하여 노력하고 있습니다.

4.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기유/윤활유: 배럴,그리스:톤)
품 목 사업소 제5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4기
 (2012년)
제3기
(2011년)
기유 울산CLX 3,465,000 11,879,900 9,054,059
윤활유 울산CLX 457,500 1,867,500 1,837,500
그리스 울산CLX 1,190 4,856 6,370

* 생산능력 = 최대생산능력 ×정기보수 기간을 제외한 가동 가능일 수

(2) 생산능력의 산출 방법 및 근거

① 표준 생산(처리)능력*

구   분 공  정   명 표준생산능력* 비고
울산 CLX 기유 NO.1 LBO 12,300 배럴/일
NO.2 LBO 12,500 배럴/일
NO.3 LBO 26,000 배럴/일
윤활유 완제품 윤활유 공정 7,500 배럴/일
그리스 공정 20 톤/일


②  가동일수 및 가동시간

구분 일 가동시간 월평균
가동일수
누적
가동일수
누적
가동시간
 울산 CLX 기유 NO.1 LBO 24 - 0.0 0
NO.2 LBO 24   30 90.0 2,160
NO.3 LBO 24      30 90.0 2,160
윤활유 및 그리스 16     20 61.0 976

* 일 가동시간 : 가동일 기준
* 가동일수 : 가동가능 일수 중 임시 보수 및 기타 사유로 인한 Shut Down 발생기간을
                  제외한 실제 가동 일수

③ 생산 능력 산출방법

                            (단위:기유/윤활유: 배럴,그리스:톤)
구  분 일 표준 생산능력
누적
가동일수
생산능력
① ×②
울산
CLX
기유 NO.1 LBO 12,300 0.0 0
NO.2 LBO 12,500 90.0 1,125,000
NO.3 LBO 26,000 90.0 2,340,000
윤활유 7,500 61.0 457,500
그리스 20 61.0 1,190

* 가동가능 일수 : 정기보수 기간을 제외한 일 수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 배럴), 백만원)
품 목 사업소 제 5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 4기 1분기
(2012년 1분기)
제 3기 1분기
(2011년 1분기)
수량 수량 수량
기유 울산CLX 2,025,814 1,884,889 1,953,896
윤활유 울산CLX 326,237 346,905 336,151
그리스 울산CLX 5,755 5,032 6,367,
소 계 2,357,806 2,229,501 2,296,414


(2) 당해년도의 가동률

구분 누적
가동가능시간 ①
누적
실제가동시간②
평균가동률
② ÷①
울산
CLX
기유 NO.1 LBO 0 0 0%
NO.2 LBO 2,160 2,160 100%
NO.3 LBO 2,160 2,160 100%
윤활유 및 그리스 976 976 100%


다.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
생산설비의 현황은 별도재무제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종속회사 중 중요한생산설비를 보유하고 있는 Patra SK의 관련설비가 추가로 포함되어 있습니다.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시가
(공시지가)
증가 감소
본사 자가보유 서귀포시 안덕면 334 202 - - - 202 124
울산 CLX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192,360 73,887 - - - 73,887 35,249
합   계 769,493 74,089 - - - 74,089 35,373


[자산항목 : 건물]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본사 자가보유 중국 베이징 지사 371 2,986 - - 16 2,970
울산 CLX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17,033 2,477 300 - 40 2,737
합   계 19,826 5,463 300 - 56 5,706
해외법인   PT.Patra SK   5,944 - - -113 6,057

주1) 공시 서류 작성 기준일 2013.3.31일 환율 1,112.1원/US$
주2) 당기 상각액이 차감되어 보여지는 것은 기말환율차이에 기인함

[자산항목 : 구축물]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10,004 17 - 195 9,826
합   계   10,004 17 - 195 9,826
해외법인   PT.Patra SK   6,290 - - -124 6,414

주1) 공시 서류 작성 기준일 2013.3.31일 환율 1,112.1원/US$

[자산항목 : 탱크]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9,684 - - 144 9,540
물류센터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등   46 - - 1 45
합   계   9,730 - - 145 9,585
해외법인   PT.Patra SK   21,671 - - -427 22,098

주1) 공시 서류 작성 기준일 2013.3.31일 환율 1,112.1원/US$
주2) 당기 상각액이 차감되어 보여지는 것은 기말환율차이에 기인함

[자산항목 : 기계장치]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98,646 670 263 2,447 96,605
물류센터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등   616 - - 81 535
합   계   99,262 670 263 2,528 97,140
해외법인   PT.Patra SK   132,779 - - -2,448 135,227

주1) 공시 서류 작성 기준일 2013.3.31일 환율 1,112.1원/US$
주2) 당기 상각액이 차감되어 보여지는 것은 기말환율차이에 기인함

[자산항목 : 차량운반구]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울산 CLX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271 - - 15 256
합   계   271 - - 15 256


[자산항목 : 기타자산]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형태 소재지 구분
(㎡)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당기
장부가액
증가 감소
울산 CLX 자가보유 울산시 남구 고사동 등   14,302 - - 548 13,754
물류센터 성남시 분당구 석운동 등   166 - - 7 159
합   계   14,468 - - 555 13,913
해외법인   PT.Patra SK   936     33 903

주1) 공시 서류 작성 기준일 2013.3.31일 환율 1,112.1원/US$
주2) 건설 중인 자산 포함
* 토지 및 건물을 제외한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판단이 어렵고, 이의 금액적 중요성이 크지 않아 기재를 생략합니다.

(2)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가) 주요 진행 중인 투자

(단위 : 억원)
구분 투자기간 투자대상자산 투자효과 총투자액 기투자액 향후투자액
신설 2010~2013 울산 No.3 LBO 등 Group III 기유시장에서의 지위 강화 및 LBO Spectrum 확대 5,987 5,098
(559)
889
신설 2011~2013 Cartagena LBO 유럽시장 내 Group III 기유 생산기지 확보 2,400 471
(157)
1,929
신설 2013~2015 GroupII 윤활기유 UCO 생산
투자
윤활기유의 중요한 원료인 UCO의 안정적 조달 가능 2,800 7
(7)
2,893

* 현재까지 누적지출금액이며, 괄호( ) 안의 숫자는 '13년 3월말 기준 당해년도 투자지출금액임

(나) 향후 주요 투자계획

- 해당사항 없음.

5.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매출
유형
품목 제 5기 1분기
(2013년 1분기)
제 4기 1분기
(2012년 1분기)
제 3기 1분기
(2011년 1분기)
금액 금액 금액
제품 기유 내수 56,880 84,870 52,019
수출 94,468 70,766 329,409
해외법인 398,360 482,816 420,601
합계 549,708 638,452 802,029
완제품 내수 69,794 75,389 94,153
수출 29,272 13,922 38,698
해외법인 32,344 60,997 35,602
합계 131,410 150,308 168,453
합 계 내수 126,674 160,259 146,172
수출 123,740 84,688 368,107
해외법인 430,704 543,813 456,203
합계 681,118 788,760 970,482
연결조정 (52,683)           (68,059) (359,335)
연결합계 628,435 720,701 611,147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경로 및 판매경로별 매출액
생산 (공장) --> 판매법인 --> 소비자
생산 (공장) --> 대리점    --> 소비자
생산 (공장) -------------> 소비자 (OEM)

(단위 :백만원, %)
유형 판매경로 금액 비중
국내 대리점 54,450 7.99%
직매 72,224 10.60%
해외 수출 554,444 81.40%

* 해외법인에 대한 매출은 수출로 반영함.

(2) 주요 매출처 및 판매경로

거래자 품목 특수관계자 여부 비중
SK Lubricants
Europe B.V.
기유 해당 21.96%
SK Lubricants
Americas, Inc.
기유 해당 20.10%
SK Lubricants
Japan Co., Ltd
기유 해당 9.73%


(3) 판매조직

(가) 영업조직 및 인원구성

구분 인원구성비
기유마케팅1팀 8명 (12%)
기유마케팅2팀 9명 (14%)
윤활유기술마케팅팀 7명 (11%)
윤활유마케팅1팀 12명 (18%)
윤활유마케팅2팀 12명 (18%)
해외법인 및 지사 18명 (27%)
합계 66명 (100%)


(4) 판매방법 및 조건

판 매 방 법 대 금 회 수 조 건
내         수 현 금, 어 음 결 제
Local, 직접수출 현 금, 신 용 장 결 제


(5) 판매전략

판매 전략 내용
Brand/ 차별화 경쟁 - 경쟁사 제품 대비 경쟁력 강화
- Yubase를 활용한 고가 제품에 대한 배합식 포트폴리오 강화
- 중저가 배합식 개발로 시장 확대
고객 Royalty 강화
Program 수행
- 주요 메이저 고객들과의 별도의 특별 Program 운용
- 고객과의 윤활유 완제품 사업 협력, 원재료 Sourcing, JV, 공동배합식 개발, 운영 및 Logistics 공유 등을 통하여 고객과의 Alliance 강화
제품 Portfolio 강화 - 제품 Portfolio 강화: 500N (Group II) 등 제품 포트폴리오 강화
- 강점있는 엔진유 뿐만 아니라 산업유와 선박유 부문에서도 경쟁력 제고
중국 등 해외시장
Marketing 강화
- 중국 등 해외 시장 Marketing 강화
- 중국시장 기유 판매조직 신설 예정
- 중남미, 러시아/동유럽 시장 확대 추진


6.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위험 관리


연결기업의 주요 금융부채는 차입금, 사채,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로 구성되어 있으 며, 이러한 금융부채는 영업활동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기 위하여 발생하였습니다. 또한, 연결기업은 영업활동에서 발생하는 매출채권 및 미수금 등과 같은 다양한 금융자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의 금융자산 및 금융부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주요 위험은 시장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의 주요 경영진은 아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각 위험별 관리정책을 정비하고 그 운용이 정책에 부합하는지 확인하고 있습니다.

나. 시장 위험
시장위험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입니다.시장위험은 이자율위험, 환위험 및 기타 가격위험의 세가지 유형으로 구성됩니다. 한편, 다음의 민감도 분석은 당분기말 및 전기말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1) 이자율위험
이자율위험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변동이자부 외화사채등과 관련된 시장이자율의 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기업의 경영진은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여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변동이자부 외화사채의 미래현금흐름 변동위험을 관리하고 있으며, 이외의 시장이자율 변동이 연결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2) 환위험

환위험은 환율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해외영업활동 등으로 인한 환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내부적으로 원화 환율 변동에 대한 환위험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특히 외화매출채권등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계약을 체결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현재 연결실체의 통화별 주요 외화금융자산ㆍ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천외화)
구    분 화폐단위 당분기 전기말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액 원화금액
외화금융자산 US$ 1,187 1,320,379 470,826 504,371,057
JPY 4,146 48,967 5,002,469 62,421,862
EUR 4,332 6,173,967 17,795 25,220,725
IDR 401,768,596 45,962,327 462,608,134 51,240,905
기타 118 198,283 - -
외화금융부채 US$ 32,676 36,339,082 620,818 665,304,903
JPY 831 9,802 3,734,379 46,601,240
EUR 156 222,494 435 614,169
IDR 131,557,114 15,050,134 156,825,860 17,370,856
기타 - 139 - -


한편, 당분기 및 전분기 중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각 외화에 대한 원화의 환율이5% 변동할 경우 분기순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5% 상승 5% 하락 5% 상승 5% 하락
분기순이익의 변동 78,914 (78,914) (6,540) 6,540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 전분기
5% 상승 5% 하락 5% 상승 5% 하락
분기순이익의 변동 78,914 (78,914) (6,540) 6,540


그러나 외화금융자산 및 부채에 미치는 환위험은 대부분 영업이익에 미치는 외환변동성과 상쇄될 수 있는 바, 환위험은 적절히 통제되고 있습니다.

③ 원유 및 석유제품가격 변동위험
원유 및 석유제품가격 변동위험은 주요 원재료인 UCO와 생산물인 윤활기유 및 윤활유의 국제시장 가격변동에 따라 연결실체의 손익 및 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입니다. 연결실체는 해당 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고 안정적인 수준의 마진을 확보하기 위하여고정가액 공급계약을 체결하거나 파생상품계약을 이용하고 있으며, 국제가격의변동에 따라 해당 파생상품의 보고기간 종료일 현재 공정가치가 변동될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파생상품의 공정가치 변동은 영업이익의 변동성과와 상쇄될 수 있는 바, 원유 및 석유제품가격 변동위험은 적절히 통제되고 있습니다.

④ 기타 가격위험

기타 가격위험은 이자율위험이나 환위험 이외의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될 위험이며, 연결실체의 매도가능증권중 활성시장에서 거래되는 지분상품은 가격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연결실체의 경영진은 당분기말 현재 해당지분상품의 가격변동이 기타포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지 않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다.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이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시 연결기업에 재무손실이 발생될 위험입니다.

(1)대여금 및 수취채권
연결기업은 신용거래를 희망하는 거래상대방에 대하여 신용검증절차를 수행한 후에 신용상태가 건전한 거래상대방과의 거래만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손위험에 대한 연결기업의 노출정도가 중요하지 않은 수준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신용도를 재평가하는 등 대여금 및 수취채권 잔액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매출채권 중 주요 5대 고객이 차지하는 비중과 금액은 각각 29.2%, 90,761백만원 및 27.0%, 71,377백만원입니다. 연결기업의 대손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해당 채권의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연결기업은 매 회계연도말 현재 주요 고객 채권에 대한 손상여부를 개별적으로 분석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소액 다수채권의 경우 유사한 신용위험의 특성을 가진 금융자산의 집합에 포함하여 집합적으로 손상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 손상은 과거에 발생한 손실자료에 근거하여 산정되고 있습니다.

장ㆍ단기금융상품등으로 구성되는 기타금융자산으로부터 발생하는 신용위험은 거래상대방의 부도 등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이러한 경우 연결기업의 신용위험 노출정도는 최대 해당 금융상품의 장부금액과 동일한 금액이 될 것입니다. 한편, 연결기업의 경영진은 신용등급이 우수한 금융기관과 거래하고 있으므로 금융기관으로부터의 신용위험이 연결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습니다.

(2)
신용위험에 대한 노출
당분기 및 전기말 현재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 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분기말 전기말
차감전
장부금액
손상누계액 기말장부금액
(최대노출액)
차감전
장부금액
손상누계액 기말장부금액
(최대노출액)
대여금및수취채권 395,806,930 (2,017,905) 393,789,025 334,212,679 (2,082,684) 332,129,995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20,072 - 20,072 3,389,611 - 3,389,611
매도가능금융자산 16,825,091 - 16,825,091 16,818,369 - 16,818,369
합   계 412,652,093 (2,017,905) 410,634,188 354,420,659 (2,082,684) 352,337,975


라. 유동성위험
유동성위험은 만기까지 모든 금융계약상의 약정사항들을 이행할 수 있도록 연결기업이 자금을 조달하지 못할 위험입니다. 연결기업은 유동성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단기 및 중장기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유동성 전략 및 계획을 점검하여 자금부족에 따른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연결기업은 당좌차월, 은행차입금 및 사채등을 사용하여 자금조달의 연속성과 유연성간의 조화를 유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연결기업의 연결재무제표에 반영된 사채 및 차입금의 장부금액을 기준으로 만기가 1년 이내인 사채 및 차입금의 비율은 44.1%입니다. 연결기업은 자금조달 집중위험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 낮은 것으로 판단하였습니다.

7. 파생금융상품


연결기업은 외화매출채권에 대한 환율변동 위험, 변동이자부 외화사채에 대한 이자율 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 및 이자율스왑의 파생상품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가. 파생상품 평가내역
당분기와 전기말 현재 위험회피수단으로 지정되지 않은 파생상품의 평가후 자산ㆍ부채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   분 당기말 전기말
자  산 부  채 자  산 부  채
통화선도 20,072 750,961 3,389,611 -
이자율스왑 - 396,007 - 548,455
합    계 20,072 1,146,968 3,389,611 548,455


당기중 파생상품계약으로 인한 손익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당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기 손익
평가이익 평가손실 거래이익 거래손실
통화선도 20,072 (766,269) 2,082,562 (1,096,841)
이자율스왑 152,448 - - (193,789)
합    계 172,520 (766,269) 2,082,562 (1,290,630)
(전분기) (단위: 천원)
구 분 당기 손익
평가이익 평가손실 거래이익 거래손실
통화선도 14,102,749 1,958,787 6,590,551 426,331
이자율스왑 9,757 364,525 - 114,718
합    계 14,112,506 2,323,312 6,590,551 541,049


나. 파생상품체결 현황
(1) 당기말 현재 연결기업은 다음과 같이 이자율 스왑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달러)
거래처 계약금액 계약일 만기일 수취이자율 지급이자율 위험회피대상자산
HSBC US$500,000 2010.10.08 2013.09.16 Libor(3M)+230bp 3.19% 외화사채
Credit-Agricole US$200,000 2010.10.08 2013.09.16 Libor(3M)+230bp 3.19% 외화사채
DBS US$300,000 2010.10.08 2013.09.16 Libor(3M)+230bp 3.19% 외화사채
Deutsche US$200,000 2010.10.08 2013.09.16 Libor(3M)+230bp 3.19% 외화사채


(2) 당기말 현재 연결기업은 다음과 같이 통화선도를 체결하고 있습니다.

(단위: 천달러, 천엔, 천원)
거래처 만기일 약정환율 매도통화 금액 공정가치 자산 부채
국민은행 2013.06.17 1,097.35 USD US$   10,000 -192,452 - -192,452
HSBC 2013.04.29
~2013.05.15
1,113.12
~1,114.05
USD US$   21,000 -15,592 - -15,592
하나은행 2013.05.30
~2013.07.30
1,092.22
~1,095.22
USD US$   12,000 -281,519 - -281,519
Credit-Agricole 2013.04.15 1,092.2 USD US$    1,000 -19,411 - -19,411
도이치은행 2013.06.17
~2013.08.16
1,115.71
~1,118.49
USD US$   19,000 -19,370 - -19,370
신한은행 2013.06.27 1,096.60 USD US$   10,000 -206,251 - -206,251
JP Mogan 2013.08.29
~2013.09.16
1,118.49
~1,119.11
USD US$   24,000 -16,365 - -16,365
Credit-Agricole 2013.04.15
~2013.04.29
11.817
~11.828
JPY JPY    717,000 20,072 20,072 -


8.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계약 상대방 항목 내용
JX Nippon Oil & Energy  Corporation 계약의 목적 및 내용 유베이스매뉴팩처링아시아㈜에 대한 공동운영
계약의 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2012.9.28 ~ 2032.12.31.
계약금액 및 대금수수방법 등 -
주식회사 한유엘엔에스 계약의 목적 및 내용 주식 양수도 계약(주식회사 지코스 지분 100%)
계약의 체결시기 및 계약 기간 2012.9.28
계약금액 및 대금수수방법 등 127억원


III. SK텔레콤

연결회사의 각 부분은 독립된 서비스 및 상품을 제공하는 법률적 실체에 의해 구분되어 있으며 (1)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의 무선통신사업, (2)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등을 포함한 유선통신사업과 (3) 플랫폼 서비스, 인터넷포털 서비스, 음원 서비스 등의 기타사업으로 구별하고 있습니다.


1. 사업의 개요

[요약]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사업의 내용

사업구분 회사명 주요 사업 내용
무선
통신
사업
SK 텔레콤㈜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음성/데이터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
피에스앤마케팅㈜ 유/무선 통신상품을 판매하는 도/소매 및 온라인 유통채널 운용
네트웍오앤에스㈜ 기지국과 전송/전력시설 운용 등 통신용 네트워크 품질 관리 서비스를 제공
유선
통신
사업
SK브로드밴드㈜ 초고속인터넷, TV, 전화, 기업데이터, 기타 유선통신 기반ICT 서비스 제공 및 콘텐츠 전송시스템 관리
VOD를 포함한 채널 관리, 모바일IPTV 서비스 등의 미디어사업을 영위
SK텔링크㈜ 선 국제전화 00700, 국제전화 선불카드, 인터넷전화사업, MVNO(이동통신재판매) 사업을 영위
기타
사업
SK플래닛(주) 11번가, 티스토어, 티맵, 호핀 등 애플리케이션, 커머스, 뉴미디어 등 분야의 플랫폼 사업을 영위
SK커뮤니케이션즈㈜ 종합 포털 네이트, 소셜네트워킹 서비스 싸이월드, 인스턴트 메신저 네이트온 운영을 통해 인터넷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
㈜로엔엔터테인먼트 음반의 기획, 제작 및 판매와 온라인 음원 서비스를 주요 사업으로 하고 있으며, 국내 1위 mp3 포털 멜론 서비스를 운용
YTK Investment Ltd. 미래성장 동력 확보를 위한 사업기회 및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수한 투자회사 펀드에 전략적 투자자로서 참여하기 위해  
설립한 종속회사

Atlas Investment


[무선통신사업]
가. 산업의 특성
2013년 1분기말 현재 국내 이동전화 가입자는 총인구 대비 100% 보급율을 넘어선 성숙기에 진입한 상황입니다. 그러나, 한국의 이동통신 시장은 네트워크의 기술과 고사양의 LTE 및 3G 스마트폰 단말기의 확산을 바탕으로 첨단 멀티미디어 서비스, 모바일 커머스, 텔레매틱스, New media 등 data 네트워크에 기반한 컨버전스 서비스를 통해 질적 성장을 거듭하고 있습니다. '10년 10월말 상용화된  WCDMA  HSPA+ 및 '11년 7월 도입된 LTE 네트워크를 통해 생산성 향상에 직접 기여할 수 있는 기업용 Connected workforce등의 B2B 사업 성장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나. 성장성

(단위 : 천명)
구 분 '13년 1분기말 '12년말 '11년말 '10년말 '09년말
이동전화가입자수 SKT 27,030 26,961 26,553 25,705 24,270
KT/LGU+ 26,806 26,663 25,954 25,062 23,675
53,836 53,624 52,507 50,767 47,944

* 방송통신위원회 Homepage 발표 및 각 회사 실적발표 자료에 근거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경기변동 및 계절과 직접적인 연관이 없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여건
  (1) 시장의 안정성 등 특성
이동통신시장은 이동통신 수요가 존재하는 대한민국 전국민을 대상으로 하고, 영업지역은 전국토를 대부분 포함하며, 성별/연령/소득수준에 상관없이 고른 사용자 계층을 대상으로 합니다. 스마트폰 확산 및 무선인터넷 활성화에 따라 데이터 관련 매출이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Solution을 개발/판매하여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B2B 사업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습니다. 통신사업은 방송통신위원회 위원장의 인·허가 사업입니다.

  (2) 경쟁상황
이동통신의 경쟁 요인은 브랜드 경쟁력, 상품/서비스 경쟁력, 판매 경쟁력의 크게   세 가지 요소로 구분됩니다. 브랜드 경쟁력은 고객이 기업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가치에 대해 총체적으로 체감하는 무형의 인식우위 및 로열티를 총칭합니다. 아울러 서비스 실체 외에 기업의 제반활동 및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형성한 이미지도 반영됩니다. 상품/서비스 경쟁력은 이동통신 서비스의 본원적인 속성인 통화 품질 및 서비스 커버리지, 다양한 요금제,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다양성 및 접속 품질, 단말기 기능및 가격, CS수준 등이 있습니다. 그리고 컨버전스 환경에서 고객의 니즈에 부합하는신규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을 포함합니다. 판매 경쟁력은 새롭고 다양한 마케팅 기법, 대리점
및 지점 등의 유통망 경쟁력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3) SK텔레콤 시장점유율

                                                                                                        (단위 : %)

구 분 2013년 1분기말 2012년말 2011년말 2010년말 2009년말
이동전화 50.2 50.3 50.6 50.6 50.6

* 방송통신위원회 Homepage 발표 및 각 회사 실적발표 자료에 근거

마. 영업개황 및 경쟁력

강력한 사업구조 변화를 추구하며 통신사업자를 넘어 종합 ICT 사업자로의 변신을 추구하고 있는 SK텔레콤은 치열한 시장경쟁과 요금인하 등의 악화된 경영 환경 속에서도 견조한 가입자 성장과 상품/서비스 확장을 지속하였습니. 결과 2013년 1분기 결기준 매출 4조 1천1백억원, 영업이익 4천1백억원을 기록하였습니. 2013년 1분기 별도기준 도 3조1천1백억원, 업이익 4천2백억원의 견조한 실적을 기록하였습니다.  

가입자는 시장 보급율의 포화와 치열한 경쟁의 영향으로 전분기 대비 6.8만 명 증가한 2,703만 명을 확보하였습니다.후 통신산업의 새로운 성장에 기반이 될 스마트폰 가입자는 LTE 가입자 933만 명을 포함하여 전분기 대비 67만명 증가한 1,665만 명을 기록하며 시장 1위 사업자의 지위를 더욱 공고히 하였습니다. 또한 2011년 7월 상용서비스를 개시한 LTE 네트워크를 통해 고화질 영상 스트리밍 구현, HD 영상 통화를 포함한 HD Voice 제공, All-IP 기반 차세대 통합 커뮤니케이션 서비스 조인T 상용화 등 데이터 서비스의 질적인 수준을 한 단계 높였으며, PETA 솔루션과 멀티 캐리어 솔루션 도입 등을 통한 네트워크 품질 개선에도 매진하여 고객만족도를 높여나가고 있습니다.


항상 고객 가치 향상에 전념해 온 SK텔레콤은 방송통신위원회 품질평가에서 경쟁사 대비 우월한 네트웍 품질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국내 3대 고객만족도 지수에서 모두 1위를 수상하는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국가고객만족지수(NCSI) 16년 연속 1위, 한국산업고객만족도(KCSI) 평가 15년 연속 1위, 한국서비스품질지수(KS_SQI)에서는 13년 연속 1위를 달성하는 등 본원적인 서비스 경쟁력에서 독보적인 우위를 지켜가고 있습니다.

연결대상주요종속회사 SK텔링크는 국제전화 등 통신 영역에서 축적한 기술, 노하우를 바탕으로 2012년 MVNO(이동통신재판매)사업에 진출하여 합리적인 요금과 우수한 품질로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하는 '7Mobile'을 칭하였습니다.
저비용 유통채널을 적극 발굴하고 低ARPU 고객 중심의 Marketing을 통하여 스마트폰의 높은 요금제가 부담스러운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틈새시장을 확보하는 전략을 추구하면서 기존 유통망을 중심으로 사업기반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MVNO(Mobile Virtual Network Operator)는 통신망이나 주파수를 보유하지 않고, 기존 이동통신사업자(MNO)의 설비 및 서비스를 도매로 제공받아 독립적인 브랜드와 요금체계를 갖고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업입니다.

한편, 기지국 운용부터 이와 관련한 전송/전력시설 운용 등의 업무를 담당하는 주요종속회사인 네트웍오앤에스를 통해 당사의 유무선 통신 고객에게 최고 품질의 상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상의 네트워크 품질은 기존 B2C 시장 뿐만 아니라 모바일 오피스 등 B2B 시장의 확대와 나아가 데이터 기반의 라이프스타일 변화를 위한 핵심 경쟁력으로서, 본격적인 LTE 시대 개화와 함께 네트워크 운용 경쟁력은 그 중요성을 더해갈 것입니다.
또한 유통 경쟁력 강화를 위해 당사의 유무선 상품을 판매하는 도/소매 및 온라인 유통채널을 운용하는 피에스앤마케팅을 주요종속회사로 두어 고객의 라이프스타일에 맞는 통신서비스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유선통신사업]
 가. 산업의 특성
내 통신산업은 유무선 통신 기업간 합병을 통해 그룹 단위의 시장 경쟁구도가 정착된 가운데, 컨버전스 시대의 주도권 선점을 위해 망내/외 무제한 요금제 출시등 요금인하를 통한 서비스경쟁 국면으로 접어 들었습니다. 또한, 스마트폰, 태블릿PC 등 이동성이 강화된 디바이스의 출현과 더불어 롱텀에볼루션 (LTE) 서비스가 빠르게 보급되고 하반기에 LTE-Advanced 서비스 출시 예정 등 본격적인 무선인터넷 시대를 열었습니다. 유선통신 산업은 유무선 결합상품 가입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실시간 IPTV 및 모바일 IPTV가입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기업시장의경우 모바일 오피스, 클라우드 컴퓨팅 등과 같은 신규 ICT 서비스가 상용화되며 시장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한편, 스마트폰 활성화에 따른 데이터 트래픽 증가로 이를 원활하게 처리하기 위한 유선 네트워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IPTV 산업은 출범 이후 4년 만에 누적 가입자가 670만명을 돌파하며 유료방송시장에서 영향력을 빠르게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이와 함께 스마트폰,태블릿PC와 같은 모바일 디바이스의 확산으로 모바일 IPTV 및 N스크린 서비스 등 산업 내 다양한 형태의 신규 서비스가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연도별 유선통신 분야 가입자 추이>

(단위 : 명)
구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초고속인터넷 18,333,000 18,254,460 17,859,522
시내전화 18,306,000 18,458,511 18,632,501
IPTV(실시간) 6,799,000 6,310,499 3,591,000

주)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www.kcc.go.kr) 및 각사 실적발표 자료

다. 경기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초고속인터넷, 시내전화 서비스는 사업자간 차별화 감소로 경쟁 완화 국면에 접어들어 상대적으로 일반 경기변동의 영향이 미미한 성숙된 시장입니다. IPTV 서비스 또한 방송을 제공하는 필수재 성격이 있으므로 경기변동에 비탄력적이고, 가입자 기반 모델의 사업인 점도 경기변동에 크게 민감하지 않은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소득탄력성이 낮은 통신서비스의 특성으로 전체적인 통신서비스시장은 경기 침체에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반면, 20
12년말 지상파 아날로그 방송 종료에 따른 아날로그 케이블 가입자의 디지털 방송전환 가속화와 구글, 애플 등 글로벌 ICT 사업자의 TV시장 진입, 스마트TV 출시 등으로 인한 시장규모 확대와 관심도 증가는 기회요인으로 작용합니다. 또한 독점으로 제공하는 키즈채널 신설, MLB 실시간 중계 컨텐츠 확보 등 인기채널을 확하는 한편, N스크린을 통한 모바일 IPTV 서비스 제공 및 서비스 지원단말 확대로 TV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라. 시장점유율 추이

(단위 : %)
구분 2013년 1분기 2012년 2011년
초고속인터넷(SKT 재판매 포함) 24.2 24.1 23.5
시내전화(인터넷전화 포함) 16.6 16.5 14.6
IPTV(실시간) 22.6 22.2 19.3

주) 자료 : 방송통신위원회(www.kcc.go.kr) 및 각사 실적발표 자료

마. 경쟁요소

사업구분 경쟁특성 경쟁회사 진입난이도 경쟁요인
초고속인터넷 과점 KT, LG유플러스 등 방송통신위원회 허가 필요
(전기통신사업법)
품질, 가격, 속도
전화 KT, LG유플러스 등 방송통신위원회 허가 필요
(전기통신사업법)
품질, 가격
TV KT, LG유플러스, 디지털케이블 등 방송통신위원회 허가 필요
(인터넷멀티미디어방송사업법)
품질, 가격, 콘텐츠


바. 영업개황 및 경쟁력
유선통신사업에서는 1999년 세계최초로 ADSL 서비스를 상용화한 SK브로드밴드의우수한 기술력과 품질을 바탕으로 유무선 결합 등 상품 경쟁력을 제고하여 초고속인터넷, 전화, IPTV 등 전 사업 부문에서 가입자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B2B사업을 중장기 성장의 핵심 축으로 Positioning하여 ICT 기반의 신규 성장사업 발굴을 통해 매출 성장세를 이어가는 등 B2B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SK텔링크는 저렴한 요금, 적극적인 마케팅과 최적의 통화품질로 국제전화 시장의 변화를 선도해 온 기간통신사업자입니다. 1998년 국제전화 00700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선발 사업자들이 장악하고 있던 국제전화 시장의 틈새에서 휴대폰 국제전화라는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였으며, 지난 2003년에는 국제전화 부문의 기간사업자로 선정되어 휴대폰은 물론 유선전화까지 서비스 영역을 확대하였습니다. 향후에도 국제전화, 인터넷전화, 시내부가서비스, 법인전용상품 등 기존 통신사업 부문의 역량을 더욱 강화해 나가는 동시에 지속적인 성장엔진 확보를 위한 새로운 수익 기반 창출을 적극 모색해 나감으로써 고객들이 더 큰 가치를 얻을 수 있는 진화된 형태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Creating New Value for a New Tomorrow!"라는 비전을 실현해 가고자 합니다.

[기타사업]
가. 산업의 특성

국내 스마트폰 보급대수가 3,000만대를 넘어서는 등 다양한 Mobile Device의 확산으로 강력한 플랫폼을 가진 사업자가 ICT 시장의 주인공으로 부상하고 있으며, 다양한 Data의 양적, 질적 팽창으로 인해 Big Data 기반의 플랫폼 구축을 통한 차별적 경쟁력 강화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플랫폼이란 다양한 고객그룹들 간의 거래를 촉진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중개 수단(Intermediary)으로서, 가입자와 이용자를 끊임없이 모여들게 하고 일정한 lock-in효과를 갖도록 하는 Ecosystem 형성이 중요합니다. 플랫폼은 기술적인 운영표준(iOS, Android OS), 가입자 기반 서비스 체계(Facebook, Twitter), 시장(Amazon, T store) 등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며, 최근 '개방성'을 바탕으로 Global 확장이 가속화되면서 그 형태와 규모가 진화/확대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생활 전 영역에 걸쳐 구매행동 및 인식 패턴 정보를 분석할 수 있는 DB를 보유하고, 이를 활용하여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Big Data 기반의 플랫폼 구축이 미래 핵심 경쟁 요소로 부각되고 있습니다.

플랫폼 사업은 다양한 인접서비스와의 연계성 및 Global시장으로의 확장 측면에서 아주 높은 성장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애플은 혁신적 디자인의 단말기와 더불어 '앱스토어'라는 플랫폼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최고의 스마트폰 제조업체로 도약하였습니다. 또한 Google은 수백만의 3rd Party를 광고 플랫폼인 애드센스로 끌어당김으로써 롱테일 광고라는 새로운 Ecosystem을 조성하였고, 모바일 시장에서도 안드로이드 OS를 기반으로 플랫폼 경쟁력을 확보하면서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나. 성장성

스마트폰/Tablet PC의 확산 및 네트워크 인프라의 대용량/고속화로 모바일 인터넷의 시대가 열릴 것이며, 이에 따라 다양한 Content와 서비스를 중개하는 Application & Content Marketplace, N-screen 서비스 등 '플랫폼 사업'의 역할 및 가치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4G LTE로의 네트워크 진화에 따라 개인 방송 등 대용량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클라우드 기반 N-screen 서비스, 고화질 위치기반 서비스 등 다양한 플랫폼 사업의 기회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초기에 가입자 및 Traffic 등 Power 기반의 Critical Mass 확보 후, 광고와 커머스 연계를 통해 수익을 실현하는 플랫폼 사업의 속성을 고려할 때, 광고/커머스 시장의 최근 성장 추세는 플랫폼 사업자에게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또한 다양한 Data를 수집하고 활용하는 Big Data 기반의 플랫폼을 구축하고, Digital Contents와 커머스를 핵심 축으로 연계하여 고객 Benefit을 어우르는 미래형 통합 플랫폼의 중요성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경기 변동의 특성 및 계절성

이동통신이 시장성숙기에 도달하면서 관련 컨텐츠/서비스 매출이 경기변동에 상관없이 안정적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컨텐츠 및 커머스 상품 판매가 일부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나, LTE 등의 무선 네트워크의 고도화 Mobile Device/스마트폰의 빠른 확산, 온라인/모바일 커머스의 급성장으로 관련 플랫폼 시장이 급성장 중에 있어 경기변동 영향은 미미하다 판단됩니다. 또한 계절적 요인과는 직접적 관련이 없습니다.

라. 국내외 시장 여건

① Application Marketplace

Apple의 App Store를 시작으로 본격화된 Application Marketplace의 성장은 플랫폼 사업에 새로운 수익 창출 기회를 제공하고 있으며, 플랫폼 사업자간 경쟁 패러다임도 개별 사업자간 경쟁에서 Application 개발자 Pool 등 3rd Party를 포함하는 Ecosystem간 경쟁으로 바뀌고 있습니다.
 

② 커머스 시장

인터넷 쇼핑 인구의 추가 성장 잠재력, Offline 사업자의 Online BM 강화 등에 힘입어 Online 커머스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국내 광고 시장은 '12년 9.8조원에서 '15년 11.7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모바일 광고는 스마트폰의 확산 및 지역 기반 광고와의 결합 등을 통해 '15년에 1조원 규모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③ 미디어 컨텐츠 시장

개인이 소유한 단말 대수 증가, 네트워크 속도 향상 등의 영향으로 User는 음악/영상파일을 PC나 MP3 player, 스마트폰, Tablet PC가 아닌 클라우드 서버에 저장해 언제 어디서나 접속해서 감상할 수 있는 N screen 시대로 접어들었습니다. 또한 SNS를통해 친구 또는 비슷한 관심사를 갖고 있는 User로부터의 음악 추천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Social 및 개인화 기반의 디지털 미디어 컨텐츠 유통 모델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온라인/모바일 동영상 시장의 급성장이 예상되고 있고, 이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다양한 사업자들이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인터넷 포털업체들은 검색, SNS, 커뮤니티, 메일, 뉴스, 컨텐츠 등 동종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나, 업체별 핵심 경쟁력을 기반으로 각 서비스 영역에서 경쟁 우위에 있는 소수 업체가 시장을 선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 포털 시장은 진입장벽이낮아 신규업체들의 시장 진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경쟁력 있는 해외 유수업체들의 서비스 또한 이용자들의 접근이 용이하여 무한 경쟁상황에 놓여있습니다.

시장점유율
국내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시장에서 당사의 싸이월드 서비스는 2013년 3월 누적가입자수 2천6백여 만명, 월간 순이용자수 1천3백여 만명, 페이지뷰 5억을기록하고 있습니다. 국내 인스턴트 메신저 시장에서 당사의 네이트온 서비스는 2013년 3월 월간 로그인 순이용자 기준 8백여 만명이 이용하여 시장점유율 73.6%로 1위를 기록하였습니다. 국내 검색 시장에서 당사의 검색포털 네이트는 2013년 3월 기준 통합검색 시장점유율 1.8%를 기록하고 있습니다.(출처 : 코리안클릭, 내부자료)


마. 영업 개황 및 경쟁력

Digital Content Marketplace(T store, hoppin 등)와 커머스 영역(11번가, Smart Wallet 등), LBS 영역(T map) 등에서 Open & Collaboration 중심의 플랫폼 사업 영위를 통해 Ecosystem을 지속 확장하면서 궁극적으로 기업 가치를 제고하고자 합니다.


① DCM(Digital Content Marketplace)

'09년 9월에 론칭한 T store는 '13년 3월 기준 가입자 수 1,981만명, 누적 다운로드 12.4억건 등으로 국내 No.1 Application Store로서의 지위를 확고히 하고 있으며, 대상 단말 확대, 컨텐츠 강화, 개인오퍼링 강화 및 검색 고도화 등 Personalized Gateway & Mobile Play Ground로 진화하여 범글로벌서비스플랫폼으로 성장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N스크린 서비스(스마트폰, 태블릿, PC 등을 넘나들며 다양한 동영상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VOD 서비스) Hoppin은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과 안정화를 통해 '12년 10월 기준 가입자가 300만명을 돌파함으로써 Mobile VOD  시장에서 Leading Service 입지를 마련하였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한국 IT 인프라 환경에서 뉴미디어 상품의 성공모델로 다져 글로벌 히트상품으로 자리매김하도록 노력할 것입니다.

커머스 (오픈마켓)
Open Marketplace인 11번가는 G마켓과 옥션의 양자구도가 고착된 Online 커머스 시장에 뒤늦게 진입했음에도('08년 론칭), 고객에 대한 신뢰 형성 및 효과적 마케팅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성장한 결과, 국내 e-Commerce 시장을 선도하고 있으며, 모바일 Commerce 시장에도 진출하여 Leading Company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며 급속히 성장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추가 성장을 위해 11번가 사업 노하우 기반의 해외 협력 사업 등을 추진하여 '13년 3월 현지 파트너인 터키 도우쉬 그룹과 함께 터키에 최적화된 오픈마켓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론칭하였습니다.
OK캐쉬백은 마일리지 기반의 Loyalty Marketing 프로그램으로서 '99년 런칭한 이후 Global Top-Tier 서비스로 성장하였습니다. 포인트를 통합해 고객 혜택을 증대시키고, 이를 통해 구축된 Marketing 플랫폼을 활용하여 제휴사의 Marketing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현재 3,600만명의 회원을 확보하여 높은 브랜드 인지도를 유지하고 있으며 향후 시장 환경 및 고객 Needs에 따라 지속적으로 서비스를 발전시켜 마일리지 시장에서의 선도적 입지를 굳건히 할 예정입니다.


LBS(Location Based Service)
T map은 지도, 주변정보, 실시간 교통정보 및 Navigation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가입자수가 1,695만명('13.3월말 기준) 이르는 등 국내 최고 수준 위치기반 서비스 플랫폼의 지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차량용 인포테인먼트 플랫폼을 적용하여 상용차 업체에 차량 장착 솔루션을 제공하는 등 LBS 플랫폼 기반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지역 정보와 광고를 연계하는 LBS 기반 Local Content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핵심자산인 Map, POI 등의 API Open을 통한 확장형 서비스 창출 유도, 대상 단말의 확대 및 지역 기반의 생활형 New LBS 서비스 개발 등으로 T map 플랫폼을 계속 발전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④ Media 플랫폼

Media 플랫폼 사업은 '11년 1월 전용단말 기반의 hoppin(다양한 단말로 Content 감상이 가능한 N-screen 미디어 서비스) 출시를 시작으로 hoppin 전용 스마트폰 외 일반 스마트폰, Tablet 등으로 확장을 추진하였습니다. 2013년 3월말 현재 hoppin 서비스 가입자수는 373만명을 달성하였습니다.
향후 스마트TV, 스마트폰 시장 급성장에 따른 N-screen 통합 Application/서비스 확산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 현행 hoppin 서비스를 다양한 N-screen 서비스를 중개하는 Media 플랫폼으로 진화/발전시킬 것이며, 국내에서 축적한 Media 플랫폼의 경쟁력을 토대로 단계적으로 해외시장에 진출하여 Global Media 플랫폼의 위상도 갖춰 나갈 것입니다.


음원사업
멜론 서비스는 지속적 매출 상승을 기록하며, 5년 연속 디지털 음원 유통시장 내 브랜드 인지도1위, 시장점유율1위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3년 현재 멜론은 국내에 출시된 주요 스마트폰 및 태블릿PC의 OS를 모두 지원합니다. 모바일 어플의 사용성 개선, 신규 출시되는 디바이스 대응, 지속적인 서비스 개선과 이의 안정적 운영 등 모바일 환경에 빠르고 유연하게 대응하고 있습니다. PC에서도 주요 5대 브라우저(익스플로러, 크롬, 사파리 등) 모두 지원하는 등 다양한 기기와 OS에서 멜론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하여, 언제 어디서든 고객이 멜론을 이용할 수 있는 멀티 디바이스 환경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멜론은 권리사들의 권리를 존중하며 음악 시장의 성장을 견인하는 market leader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음원 사용료 징수규정 개정에 따른 음원시장의 변화 속에서도, 멜론은 다양한 고객 니즈에 부합하는 새로운 형태의 상품 및 서비스의 제공, 다양한 업체와의 제휴 등을 통해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을 지속적으로 창출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멜론은 전문적인 음악 정보 및 음원 컨텐츠 제공을 통해 고객의 컨텐츠 이용 니즈 충족 및 음악 전문 브랜드 위상을 강화하고, 다양하고 차별화된 마케팅 프로모션 활동을 통해 가입자 기반을 지속적으로 증대시켜 나갈 계획입니다.

- 온라인 음원 서비스(멜론)  시장점유율

구분 멜론 엠넷닷컴 벅스 올레뮤직 소리바다
UV(Unique Visitor, 명) 5,438,208 6,329,583 1,617,091 1,081,264 807,971
PV(PageView, 건) 26,795 31,108 12,864 8,575 8,139
TTS(Total Time Spent, 천 분) 3,200,291 389,437 492,285 413,279 234,588

* 출처 : 코리안클릭, 2013년1 ~ 3월Total PC/Mobile (WEB+APP) 이용 기준
* TTS : 해당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이용자들로부터 발생된 총 체류       시간

위성DMB 사업
위성 DMB 사업에서는 방송과 통신이 융합된 신개념 멀티미디어 이동방송인 위성DMB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2004년 한별위성 발사 등 내부 사업준비를 완료하여, 2004년 12월 30일에 정부로부터 위성이동멀티미디어방송국 허가를 획득하였습니다. 2005년 5월 본방송을 시작한 위성DMB는 전국적으로 서비스 권역을 확대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여 왔습니다. 그러나 시장 환경변화로 인한 위성DMB 가입자 감소와 고정비 부담이 지속됨에 따라 2012년 8월 23일 이사회 결의에 의거 방송사업부문에 대한 사업을 중단하였습니다.

2. 주요제품, 서비스 등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주요 회사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연결 매출액(비율)
무선
통신
사업
SK텔레콤, 피에스앤마케팅㈜, 서비스에이스㈜, 서비스탑㈜, 네트웍오앤에스㈜ 서비스 이동전화,
무선데이터,
정보통신사업 등
이동전화 T 등 3,265,014(79.4%)
유선
통신
사업
SK브로드밴드㈜, SK텔링크㈜ 서비스 전화, 초고속인터넷, 데이터 및 통신망 임대서비스 유선전화,
인터넷방송
B tv, 00700
국제전화 등
580,628(14.1%)
기타 SK플래닛(주), 커머스플래닛㈜,SK커뮤니케이션즈㈜, ㈜로엔엔터테인먼트, YTK Investment Ltd., Atlas Investment 서비스 인터넷포탈서비스, 게임제작 인터넷, 플랫폼 Nate, 11번가, T store, T map, 멜론, Cyworld 등 266,995(6.5%)
합 계 4,112,637(100%)


[무선통신사업]
 가.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과거 일반요금제를 기준으로 할 때, 이동전화의 기본료는 월 13,000원이며 10초당 통화료는 20원(낮 시간대 기준)이고, 표준요금제의 경우 기본료는 월 12,000원이며 10초당 통화료는 18원이었습니다. '13년 1분기말 현재 당사 표준요금제 기본료는 월 11,000원이고 1초당 통화료는 1.8원입니다.

[유선통신사업]
 가.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의 주요 제품 등의 현황
가정 및 기업 고객을 대상으로 초고속인터넷, TV, 전화, 기업데이터, 기타 서비스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누적 기준으로 각 부문의 매출 비중은 초고속인터넷, TV 서비스가 50.0%, 전화 서비스가 24.1%, 기업데이터 서비스가 25.2%,기타 서비스 등이 0.7%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 추이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인 SK브로드밴드의 서비스별 가격변동 요인은 장기계약에 따른 기본료 및 모뎀임대료 할인, 모뎀 등 장비 단가의 하락 및 사업자간 상호 경쟁 등에 의한 것입니다.

[기타사업]

가. 연결대상 주요 종속회사의 주요 제품 등의 현황

사업부문 매출유형 구체적 용도 주요상표등
Platform 서비스 정보통신, 뉴미디어, 광고, 통신판매, 전자금융 등 T store, 11번가, T map, Hoppin,
OCB 등
음악사업 콘텐츠 온라인음원서비스 등 MelOn 등


사업부문 매출유형 구체적 용도 주요상표등
디스플레이 광고 서비스 온라인광고 네이트, 싸이월드, 네이트온
검색 광고 서비스 온라인광고 네이트, 싸이월드, 네이트온
컨텐츠 외 기타 서비스 유료컨텐츠판매 및 용역제공 네이트, 싸이월드, 네이트온
기타 영업수익 기타 - -


3. 생산 및 설비
[무선통신사업]
- 이동통신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 개, 백만원)
사업부문 품 목 제30기 1분기 제29기 제28기
회선보유능력 금액 회선보유능력 금액 회선보유능력 금액
정보통신 이동전화통신설비(망) 35,010,000 4,030,945 35,240,000 16,119,739 35,500,000 16,812,483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가) 산출방법 등 : 이동전화 매출액 × {시설(회선)보유능력/회선보유수량}
     (나) 평균가동시간 : 연중 계속 가동

나. 생산실적

(단위 : 개, 백만원)
사업부문 품 목 제30기 1분기 제29기 제28기
회선보유수량* 금액* 회선보유수량 금액 회선보유수량 금액
정보통신 이동전화통신설비(망) 27,029,539 3,112,099 26,961,045
12,332,719
  26,552,716 12,575,129

* 회선보유수량 및 금액은 MVNO가입자수 포함입니다.

다.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1) 진행중인 투자

(단위 : 억원)
사업부문 구분 투자기간 투자대상 자산 투자효과 연간 총투자예정액 기투자액 향후투자예정액 비고
네트웍,공통 증설 / 신설 2013 네트웍, 시스템 등 용량 증설 및 품질향상/시스템 개선 21,000 3,507 - -
합 계 - 21,000 3,507 - -


(2) 향후 투자계획

(단위 : 억원)
사업부문 예상투자총액 연도별 예상투자액 투자효과 비고
자산형태 금 액 제30기 제31기 제32기
네트웍,공통 네트웍,시스템 등 21,000 21,000 미정 미정 기존 서비스 고도화 및 신규서비스 제공 -
합 계 21,000 21,000 미정 미정 기존 서비스 고도화 및 신규서비스 제공 -


[유선통신사업]
 다.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1) 진행중인 투자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인 SK브로드밴드는 당분기에 사업별 매체고도화에 따른 서비스 경쟁력 강화를 위해 가입자망 및 기간망 투자를 강화하였고, 기업사업 네트워크 인프라 확대와 IPTV사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셋톱박스 투자 등 총 365억원을 집행하였습니다. 2013년에는 B2B 전용 백본망 및 네트워크 인프라 투자확대를 통해 기업사업의 중장기 성장기반 확대 등 다양한 외부환경을 고려해적으로 투자를 집행할 계획입니다.

<진행 중인 투자 현황>

(단위 : 억원)
사업부문 구분 대상
기간
투자
대상자산
투자효과 총투자액 기투자액
(당분기누적)
향후
투자액
초고속인터넷 신설/
증설
2013
1분기
기간망
및 가입자망
시설/기타
가입자망 및
장비확보
365 88 미정
전화 11
TV 21
기업데이터 전용회선 및 통합
정보시스템 등
184
기타 망 포설 및
 소요면적 확보
61
합계 365


라. 생산설비의 현황 등

  (1) 생산설비의 현황

지역 사업장 소재지
국내
14개 사업장
SK 텔레콤 본사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2가 11번지
SK 텔레콤 수도권마케팅본부/수도권네트웍본부 서울특별시 중구 남대문로5가 그린빌딩 267
SK 텔레콤 부산마케팅본부/부산네트웍본부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암2동  52 - 6
SK 텔레콤 대구마케팅본부 대구광역시 서구 삼덕동 2가 187-11번지
SK 텔레콤 대구네트웍본부 대구광역시 서구 원대 2가 76번지
SK 텔레콤 중부마케팅본부/중부네트웍본부 대전광역시 서구 탄방동 595 외
SK 텔레콤 서부마케팅본부/서부네트웍본부 광주광역시 광산구 우산동  1584 - 2
SK브로드밴드(주) 서울 중구 남대문로 5가 267 SK 남산빌딩
SK텔링크(주) 서울 중구 남대문로5가 267 SK남산그린빌딩
SK커뮤니케이션즈(주) 서울 서대문구 미근동 257 임광빌딩 신관
(주)로엔엔터테인먼트 서울 강남구 삼성동 168-23 정석빌딩
피에스앤마케팅(주) 서울 중구 남대문로5가 267번지 남산그린빌딩
네트웍오앤에스(주) 서울 영등포구 양평동4가 2 이레빌딩
SK플래닛(주) 서울특별시 중구 을지로2가 11번지
해외
 2개 사업장
YTK Investment Ltd. The Cayman Islands
Atlas Investment The Cayman Islands

*상기 사업장은 SK텔레콤의 주요 사업장 및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의 본사
    사업장입니다.

당사의 시설 및 설비는 토지, 건물 및 구축물, 기계장치, 건설중인자산 등이 있으며, 2013년 1분기말 현재 장부가액은 9조 5,780억원이며,상세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토  지 건물및구축물 기계장치 건설중인
자산
기타
기초장부가액 704,908      1,249,856 6,316,192 804,552 637,210 9,712,718
취득 -            13 33,398 62,260 307,831 403,502
처분 -5 -96 -5,297 -273 -714 -6,385
감가상각 - -19,983 -479,297 - -31,281 -530,561
대체증감 220 7,715 312,192 -83,802 -262,036 -25,711
손상차손 - - - - - -
연결범위변동 1,786 4,909 7,481 5,221 5,028 24,425
기말장부가액 706,909 1,242,414 6,184,669 787,958 656,038 9,577,988

※ 주요 유형자산에 대한 객관적인 시가판단이 어려움(기재 생략)
※ 상기 시설 및 설비현황은 연결 기준임

4. 매출

가.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제30기 1분기 제29기 제28기
무선통신 용역 이동전화 수 출 97 14,202 1,331
내 수 3,264,917 13,204,702 13,074,936
합 계 3,265,014 13,218,904 13,076,267
유선통신 용역 유선전화, 기업데이터, 초고속인터넷, TV 수 출 6,240 29,883 28,070
내 수 574,388 2,163,978 2,103,879
합 계 580,628 2,193,861 2,131,949
기타 서비스 디스플레이 및 검색광고, 컨텐츠 수 출 753 4,698 12,036
내 수 266,242 883,016 706,217
합 계 266,995 887,714 718,253
합 계 수 출 7,090 48,783 41,437
내 수 4,105,547 16,251,696 15,885,032
합 계 4,112,637 16,300,479 15,926,469


(단위 : 백만원)
구    분 무선통신사업 유선통신사업 기타사업 소  계 부문간내부거래 연결후금액
총 영업수익 3,551,807 714,873 435,747 4,702,427 -589,790 4,112,637
내부 영업수익 286,793 134,245 168,752 589,790 -589,790 0
외부 영업수익 3,265,014 580,628 266,995 4,112,637 0 4,112,637
영업이익(손실) 423,524 7,914 -20,805 410,633 0 410,633
총 자산 22,878,131 3,123,480 3,037,280 29,038,891 -3,630,049 25,408,843
총 부채 10,607,539 1,897,378 856,846 13,361,763 -320,620 13,041,143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무선통신사업]
- 이동통신

 (1) 판매조직 및 판매경로                                                        (2013. 3. 31)

이미지: 유통조직도

유통조직도


  (2) 판매방법 및 조건
o 위탁대리점을 통해 이동전화 서비스(음성 및 무선 데이터 상품)와 유선상품 (초고 속인터넷, 인터넷전화, 일반전화) 고객을 유치하고 있습니다.

 
(3) 판매전략

ㅇ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효과적·효율적 대응을 통해 당사 매출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중입니다.
ㅇ 고객만족경영의 중요성이 증대함에 따라 기본적 판매기능과 함께 고객 만족도     향상을 위한 CE를 통해 차별화된 고객중심형 위탁대리점 및 직영망을 확대 중입니다.
ㅇ 무선데이터 관련 상품 등 신상품 출시 확대에 따라 대리점등 영업접점의 교육 강화, 고객체험과 상품 Portfolio 강화, 이업종과의 Convergence, 전문매장 운영 등 판매 실적 증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유선통신사업]
초고속인터넷상품, 전화, TV 등 서비스 이용요금은 전액 현금조건(지로, 은행자동납부, 신용카드납부 등)으로 하고 있으며, 요금은 가입비용(가입설치비, 초기 1회 부과), 장비임대료(장비를 임대하여 사용할 경우 서비스 유형 및 가입 약정기간에 따라 월정액 부과), 장비판매료(장비를 구매하여 사용할 경우 서비스 유형 및 가입 약정기간에 따라 일시불 또는 월 할부금 부과), 월 이용료(인터넷 및 전화 서비스, B tv 서비스는 가입 약정기간 및 가입 유형에 따라 월정액 부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판매 전략 측면에서 지속적인 유통망 구조 변화와 Sales Quality 관리 노력을 통해 비용대비 영업 효율성을 높여가고 있으며, 온가족할인, 온가족무료, 온가족프리 등 다양한 결합 요금제와 다양한 번들 상품을 통해 새로운 고객 가치를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초고속인터넷과 번들 상품 중심의 판매 전략을 유지하면서 향후 출시되는 신상품들과의 연계를 준비하며 시장의 변화에 적극 대응할 것입니다. 그리고 유무선 통합 경쟁력 강화를 위한 결합상품 및 유통망과 고객센터와의 연계를 통해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아울러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가고 있습니다

국제전화사업과 관련해서는 시장 및 고객의 통신수요와 서비스 특성에 맞게 마케팅 조직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표 서비스인 국제전화는 시장점유율과 수익성을 유지 강화하고 있으며, 법인상품은 고객별로 사내 영업사원이 담당함으로써 지속적인 고객중심 성장기반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부가가치 신규서비스 발굴을 통해 고객 만족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기타사업]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주요 판매는 기본적으로 T store 및 hoppin 등을 통하여 이용자가 직접 어플리케이션(App.) 및 Contents를 다운로드하거나, 11번가 쇼핑몰을 통하여 Open Market place를 제공하는 형태로 이루어집니다.
판매전략은 어플리케이션(App.)과 Contents의 다양화, 신규 서비스의 지속적인 개발을 통하여 이용자 가치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포털 서비스에 대한 판매는 기본적으로 사이트인 네이트 및 싸이월드(www.nate.com & www.cyworld.com)등을 통하여 이용자가 직접 디지털 아이템을 구입하거나 광고를 신청하는 형태이며,  광고대행사를 통한 판매가 이루어질 경우에는 별도의 대행수수료를 지급합니다. 판매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지속적인 마케팅과 이벤트를 통한 수요자층 저변확대 ② 신규서비스를 통한 서비스질의 개선 및 다양화 ③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영업관리 등입니다.  

음악사업의 판매는 로엔엔터테인먼트의 판매 조직 중 온라인 음원 판매 및 오프라인 제품,상품의 도소매상 판매의 경우 마케팅팀이 담당하고, 온라인 음원서비스는 멜론사업부가 담당하고 있습니다

5.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환율변동위험
연결실체는 글로벌 영업 및 장부통화와 다른 수입과 지출로 인해 외화 환포지션이 발생하며, 환포지션이 발생하는 주요 외화로는 USD, JPY, EUR 등이 있습니다. 연결실체는 연결대상회사별로 사업의 성격 및 환율 변동위험 대처수단의 유무 등을 고려하여 회사별 헷지정책을 선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외화로 표시된 채권과 채무관리 시스템을 통하여 환노출 위험을 주기적으로 평가, 관리 및 보고하고 있습니다. 외환위험은 미래예상거래 및 인식된 자산ㆍ부채가 기능통화 외의 통화로 표시될 때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화폐성 외화자산 및 외화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원화단위: 천원, 외화단위: 외화1단위)
통 화 자  산 부  채
현지통화 원화환산 현지통화 원화환산
USD 112,301,934 124,890,981 2,179,212,647 2,423,502,385
EUR 37,062,315 52,821,582 14,878,793 21,205,405
JPY 102,257,351 1,206,770 10,600,000 125,094
AUD - - 297,700,091 344,763,498
CHF - - 298,235,693 349,233,997
SGD - - 64,663,277 57,956,402
기타 10,749,100 2,001,189 13,402,773 2,513,441
합  계
180,920,522
3,199,300,222


또한, 연결실체는 외화사채 및 차입금의 환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주석 20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통화스왑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각 외화에 대한 기능통화의 환율 10% 변동시 환율변동이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통화 10% 상승시 10% 하락시
USD (37,204,077) 37,204,077
EUR 3,161,618 (3,161,618)
JPY 108,168 (108,168)
기타 (51,225) 51,225
합  계 (33,985,516) 33,985,516


(나) 주가변동위험  
연결실체는 유동성관리 및 영업상의 필요 등으로 상장 및 비상장주식을 포함하는 지분증권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 현재 공정가치로 평가하는 매도가능지분상품은 715,525,524천입니다.

(다) 이자율위험  
연결실체의 이자부 자산은 대부분 고정이자율로 확정되어 있어, 연결실체의 수익 및 영업현금흐름은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독립적입니다. 연결실체의 이자율 위험은 사채 및 차입금에서 비롯됩니다.


이에 따라 연결실체는 이자율 위험에 대해 다양한 방법의 분석을 수행하고 있습니다.연결실체는 이자율 변동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재융자, 기존 차입금의 갱신, 대체적인 융자 및 위험회피 등 다양한 방법을 검토하여 연결실체 입장에서 가장 유리한 자금조달 방안에 대한 의사결정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결실체의 이자율 위험은 변동금리부 차입금 계약 등으로부터 발생합니다. 당분기말 현재 변동이자부사채 및 차입금은 각각 669,913,200천원, 111,210,000천원이며 연결실체는 변동금리부사채 및 차입금의 이자율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일부 변동금리부 사채 및 차입금에 대하여 주석
21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이자율스왑계약을체결하고 있습니다. 한편, 다른 모든 변수가 일정하고 이자율이 1% 상승(하락)할 경우, 이자율스왑계약을 체결하지 않은 변동이자부 차입금에 대한 이자비용으로 인하여 당분기말 현재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은 변동하지 않습니다.


나. 리스크 관리 조직 및 수행업무
[SK텔레콤]
전략기획부문 재무관리실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리스크 관리전략의 수립 및 실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
당사의 경영기획실에서 리스크 관리 전략의 수립 및 실행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SK텔링크]
외화의 대규모 유입이나 지급이 경상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며, 국제전화 관련 국제착신매출과 해외발신정산료는 사업자 간 분기,반기 또는 연간 단위의 정산기간 종료시 채권채무를 상계하고 차액을 정산하는 구조입니다. 상대사업자별로 상이하나평균적으로 차액을 지급하는 규모가 좀 더 크며,  외화의 지급을 외화 유입시기와 맞춰 결제하는 매칭(Matching) 기법 등으로 환율변동의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내부통제시스템과 여타 규정에 의해 투기적 외환거래 등은 금지되고 있으며, 실수요와 공급에 따른 외환거래만을 하고 있습니다. 공시일 현재 환위험관리 주관부서인 재무관리팀을 중심으로 외환거래, 환포지션 및 위험측정, 환율추이 점검 업무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SK플래닛]
자금관리총괄부서인 재무팀이 환위험 관리 및 금융시장 동향 점검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실수요에 따른 외환거래를 원칙으로 하고, 환위험에 대한 회피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통화선도거래 등을 통해 환위험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SK커뮤니케이션즈]
외화표시 자산 및 부채의 환율변동에 의한 리스크를 최소화하여 재무구조의 건전성 및 예측 가능 경영을 통한 경영의 안정성 실현을 목표로 환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니다. 이에 외환리스크관리규정에 의거하여 CFO 산하의 재무팀에서 환리스크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로엔엔터테인먼트]
영업부문의 견조한 성장에 따라 기업활동에 필요한 자금을 자체 영업현금흐름을 통해 조달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사업보고서 제출일 현재 외부 차입금이 없으며, 당사가 보유한 이자부 자산은 고정이자율로 운용되고 있어, 시장이자율의 변동으로 인한 금리 위험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환위험에는 노출되어 있지 않으며, 기타 위험의 경우 내부통제시스템 운영 주무부서인 재무팀을 중심으로 주기적인 점검 및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6. 파생상품거래 현황
(1)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적용 통화스왑 거래
연결실체는 2006년 10월 10일자로 차입한 변동금리부 외화장기차입금(총 차입액 USD 100,000,000)의 환율변동위험 및 이자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이자율스왑계약을 Credit Agricole Corporate & Investment Bank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이자율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손실 2,801,976천원(법인세효과 394,411천원 및 외화장기차입금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손실 16,410,000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07년 7월 20일자로 발행한 해외무보증사채(액면금액 USD400,000,000)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스왑계약을 Morgan Stanley 은행 등 6개은행과 체결하고 있으며, 2010년 5월 12일부터 해당 계약에 대하여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동 미결제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연결실체는 당분기말 현재 위험회피개시 시점 이후에 발생한 누적평가손실 37,356,177천원(법인세효과 11,926,379천원 및 위험회피개시 시점 이후 해외무보증사채의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이익 12,482,866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한편, 동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위험회피회계 적용 이전에 발생한 통화스왑평가이익 129,806,021천원은 기간손익으로 반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11년 12월 15일자로 차입한 변동금리외화사채(액면금액 USD 250,000,000)의 환율변동위험 및 이자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이자율스왑계약을 DBS 등 2개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이자율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이익 5,767,267천원(법인세효과 1,841,265천원 및 변동금리외화사채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이익 11,490,369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11년 12월 15일자로 차입한 변동금리외화사채(액면금액 SGD 65,000,000)의 환율변동위험 및 이자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이자율스왑계약을 United Overseas Bank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이자율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손실 173,584천원(법인세효과 55,418천원 및 변동금리외화사채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손실 790,783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12년 6월 12일자로 차입한 고정금리외화사채(액면금액 CHF 300,000,000)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스왑계약을 Citibank 등 6개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손실 8,912,311천원(법인세효과 2,845,354천원 및 고정금리외화사채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이익 12,176,111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12년 11월 1일자로 차입한 고정금리외화사채(액면금액 USD 700,000,000)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스왑계약을 Barclays 등 10개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손실 12,029,202천원(법인세효과 3,840,458천원 및 고정금리외화사채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이익 14,883,146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13년 1월 17일자로 차입한 고정금리외화사채(액면금액 AUD 300,000,000)의 환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스왑계약을 BNP Paribas 등 4개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이익 306,569천원(법인세효과 97,875천원 및 고정금리외화사채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손실 11,702,591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2013년 3월 7일자로 차입한 변동금리외화사채(액면금액 USD 300,000,000)의 환율변동위험 및 이자율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 통화이자율스왑계약을 DBS 은행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미결제 통화스왑계약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누적평가손실 4,077,035천원(법인세효과 1,301,639천원 및 고정금리외화사채의 당분기말 환산시 발생한 누적외화환산이익 8,506,124천원 제외)을 기타포괄손익누계액으로 계상하였습니다.

(2) 상기 파생금융상품의 당분기말 공정가치는 재무제표상 유동자산, 비유동자산 및 비유동부채에 파생금융자산 및 파생금융부채의 계정으로 계상되어 있으며 그 내역은다음과 같습니다.  

(원화단위: 천원, 외화단위: 외화1단위)
구  분 위험회피 대상항목 계약기간 공정가치
현금흐름위험
회피회계적용
매매목적
회계적용
합 계
통화스왑
(유동자산)
변동금리부 외화장기차입금
 (차입액 USD 100,000,000)
2006.10.10~2013.10.10 13,213,611 - 13,213,611
통화스왑
(비유동자산)
해외무보증사채
 (액면금액 USD 400,000,000)
2007.07.20~2027.07.20 68,040,599 - 68,040,599
변동금리부 외화사채
 (액면금액 SGD 65,000,000)
2011.12.15~2014.12.12 561,781 - 561,781
변동금리부 외화사채
 (액면금액 AUD 300,000,000)
2013. 1.17 ~2017.11.17 12,107,035 - 12,107,035
변동금리부 외화사채
 (액면금액 USD 300,000,000)
2013. 3. 7 ~2020. 3. 7 3,127,450 - 3,127,450
전환권옵션
(유동자산)
전환사채(매도가능증권)(*)
(액면금액 50,000,000천원)
2009.09.01~2014.08.31 - 463,759 463,759
전환권옵션
(비유동자산)
- 225,385 225,385
파생금융자산 합계 97,050,476 689,144 97,739,620
통화스왑
(비유동부채)
변동금리부 외화사채
 (액면금액 USD 250,000,000)
2011.12.15~2014.12.12 3,881,838 - 3,881,838
고정금리부 외화사채
 (액면금액 CHF 300,000,000)
2012.06.12~2017.06.12 23,933,776 - 23,933,776
고정금리부 외화사채
 (액면금액 USD 700,000,000)
2012.11.01~2018.05.01 986,514 - 986,514
파생금융부채 합계 28,802,128 - 28,802,128

(*) 종속기업 SK커뮤니케이션즈(주)가 보유중인 전환사채 전환권의 공정가치 689,144천원을 파생금융자산으로 계상하였습니다.


7.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SK텔레콤]

구분 거래처명 계약시작일 계약완료일 건명 계약금액(억원)
용역 에스케이플래닛주식회사 2013/02/25 2013/12/31 '스마트세이프'및 '폰세이프40'상품 콘텐츠 구매 206
용역 에스케이플래닛주식회사 2013/02/25 2013/03/31 2012년 ATL광고제작 단가계약(SK M&C) 58
부동산 개인 2013/01/01 2013/05/15 지역중심국사 토지 매입(총 23건) 150
소      계 414


[SK브로드밴드]
통신
역무의 사업특성상 통신관로의 공동이용 및 통신사업자 간의 상호접속 등을 위하여 통신설비사용에 관한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주요한 계약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계약상대방 계약의 목적
및 내용
계약체결시기
및 계약기간
비  고
기간통신사업자
 (KT, LGU+ 등)
통신사업자간 상호접속 - 통신사업자간 상호접속에 관한 계약
한국전력공사 전기 설비 제공 및 이용 2012.12~2013.12 전주 등 설비 사용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통신관로 제공 및 이용 2009.01~2012.12
(재계약 진행중)
도시철도 공사 통신관로 임차 (서비스지역 확대)
부산교통공사 통신관로 제공 및 이용 2009.07~2013.07 부산 지하철 통신관로 임차 (서비스지역 확대)
서울메트로 통신관로 제공 및 이용 2010.05~2013.05 지하철 공사 통신관로 임차 (서비스지역 확대)
광주도시철도공사 통신관로 제공 및 이용 2010.09~2012.12
(재계약 진행중)
광주도시철도 통신관로 임차 (기업회선 개통용)


[SK플래닛]

계약 상대방 계약 목적 및 내용 계약기간 계약금액 등
에스케이커뮤니케이션즈(주) Nate.com 웹사이트의 쇼핑 영역에 대한 운영권 2011.7.1~2013.12.31 NATE 쇼핑 매출액 등에 따라 변동


[SK커뮤니케이션즈]

계약 상대방 계약 목적 및 내용 계약기간 계약금액 등
(주)다음커뮤니케이션 클릭당과금(CPC) 검색광고대행 연장 계약 체결 - 클릭당과금 체계로 가변적임
SK건설(주) 판교 신사옥 건축 시공계약체결 실착공일로부터 23개월 시공계약 금액은 619억원임
SK플래닛(주) nate.com 웹사이트의 쇼핑 영역에 대한 운영권(영업권, 광고사업권 등) 위탁 2011년 7월 1일
~2013년 12월 31일
2011년 7월 1일~2011년 12월 31일까지 Minimum Guarantee 금액은 184억원이며, 2012년 1월 1일~2013년 12월 31일까지는 전년도 NATE 쇼핑 매출액등 경영환경을 고려하여 이사회의 승인을 받아 결정함
(주)다음커뮤니케이션 검색 광고 관련 비즈니스 제휴 및 서비스 제휴 계약 체결 - 발생 수익은 일정비율에 따라 배분

※ 다음커뮤니케이션과의 계약 중 계약기간은 양사 협의에 의하여 비공개하기로 하였습니다.
※ 2013년 2월 1일자 이사회 결의에 따라 보유중인 토지 및 건설중인 자산(판교 신축사옥)을 모회사인 SK플래닛(주)에 총 749억원에 매각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한편, 상기 매각대가는 경기도청 심의결과에 따라 변동될수도 있습니다.


8.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SK텔레콤]      

SK텔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은 사장 직속의 ICT기술원과 미래기술원입니다. ICT기술원 산하에는 Network기술원, 융합기술원, IT기술원이 13개 팀으로 구성되어 있고, 미래기술원 산하에는 성장기술원과 헬쓰케어그룹이 6개 팀으로 편제되어 통신기술을 넘어 ICT융합 시대의 성장을 견인할 연구개발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
SK브로드밴드의 연구개발을 담당하는 조직은 Network부문 Network기획본부 내 Network기획팀과 뉴미디어기술본부 내 시스템개발팀이며, 연구개발의 기본방침은 기존 서비스의 품질 향상, 효율적인 관리기술 개발 및 신규 서비스 모델 발굴, 핵심 선행 기술 연구 및 신기술 선행 검증시험, NGN(Next Generation Network), BcN 망진화 관련 기반 기술, IPTV 서비스의 품질 향상, 유무선 통합 및 방송ㆍ통신 융합 기반 기술 등의 확보입니다.

[SK플래닛]

CTO 산하 26개팀, 1개 TF(기술기획팀, IT팀, Global기술팀, SQE팀, Data Analytics팀, Data Infrastructure팀, 검색기술개발팀, 자연어처리팀, Image Processing팀, Platform Software 개발1팀, Platform Software 개발2팀, Platform Software 개발3팀, 인프라기술팀, 인프라엔지니어링팀, Authoring Tool TF, LBS기술개발팀, OCB기술개발팀, Commerce 기술개발팀, Store 기술개발팀, 미디어기술개발1팀, 미디어기술개발2팀, Open Shopping 기술개발팀, New Product 기술개발팀, Mobile Software개발1팀, Mobile Software개발2팀, Tag 기술개발팀, QA팀)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Open platform 확보 및 Aasset 간 Synergy 확보, Big data platform/analytics 및 미디어 핵심기술 개발, 국내/해외 사업 지원 및 핵심기술 Sourcing, 중장기 R&D 전략 수립 및 대외 개발자 ecosystem 구축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SK커뮤니케이션즈]
플랫폼개발본부 산하 6개팀(기술기획팀, 기반기술팀, IT플랫폼개발팀, 검색플랫폼개발팀, 메신저플랫폼개발팀, 플랫폼컴포넌트개발팀) 및 각 서비스별 개발팀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당사의 기술표준화작업, 업무 인프라프레임워크 개발ㆍ운영 지원 프로젝트 및업무 관리 시스템 개발ㆍ운영 지원(ITS/Wiki), Machine Learning, Data Mining 응용 기술 개발, Context Awar (엔진) 기술 개발, Collaborative Filtering (엔진) 기술 개발 (Personalization 기술), Content Based Image Retrieval 기술 개발 등 활발한 연구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비용(연결 기준)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30기 1분기 제29기 제28기 비 고
원  재  료  비 5 42    45 -
인    건    비 28,222 59,050 48,656 -
감 가 상 각 비 41,332 163,295 149,850 -
위 탁 용 역 비 5,024 62,399 40,257 -
기            타 10,836 61,546 57,118 -
연구개발비용 계 85,419 346,332 295,927 -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81,597 304,557     289,979 -
개발비(무형자산) 3,822 41,775        5,948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2.08% 2.12% 1.85% -


나. 연구개발 실적

회사명 부문 연구과제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SK
텔레콤
N/W기술원 차별화 솔루션 확보 및 Value Expansion 기술 개발 o 세계 최초 모바일 스마트 노드 개발
o 4배 빠른 IEEE 802.11ac 규격의 기가 와이파이 상용화
o Femto Mobility 향상 기술 개발
o LTE-A CA(Carrier Aggregation) 상용망 시연
o 초소형 MSPP (Multi Service Provisioning Platform) 전송장비 상용화
IT기술원 실시간 신 과금 시스템 개발 o 월 400억건 과금 데이터 처리 가능, 향후 최대 월 2천억건 까지 확장할 수 있는 과금 시스템 기반 구축
o 스마트폰 보급 이전에 비해 100배 이상 증가한 데이터 호의 과금을 안정적 처리할 수 있는 기반 마련
o 실시간 로밍 과금 및 안내 SMS 서비스를 연중 중단 없이 제공 가능
통합형 스마트 청구서 서비스 플랫폼 개발 o 대외기관 대상의 스마트폰 기반 청구/수납 대행 사업을 위한 플랫폼 제공
o 이동통신 스마트 청구서에 재산세 등을 통합 청구하여 스마트폰에서 고지서의 열람, 수납이 가능함
o 지방자치단체 세금, 교통 범칙금, 전기 사용료, 가스 사용료 등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고지서 제작비, 우편 발송비 절감 가능
Cloud 기반 Easy Storage 개발 o 아마존 S3(Simple,Storage,Service)API와 호환되는 고성능 Global Cloud Storage Service
o 국내외 고객들에게 시간, 장소, Device에 제약 받지 않는 Storage 사용 환경 제공
MVNO 시스템 개발 o VNO 사업자에 대한 독립적 영업 관리 시스템(고객관리, 서비스 개통/변경/해지, 과금/청구/수납 등) 제공
o UVO(기아차 Telemetics 서비스) 등 제휴 서비스에 대한 영업 관리 시스템 제공
Health Management 플랫폼 개발 o 생체 정보를 수집/분석하여 건강 관리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Healthcare 플랫폼 제공
기업용 SNS 솔루션 개발 o Social Network의 개념을 기업 업무에 적용하여, 구성원간 소통을 활성화 하고 지식의 유통 속도를 향상시켜 기업의 업무 혁신을 리딩하는 솔루션 개발
o 내부 전문가를 쉽게 식별하여 조직의 문제 해결 능력 향상, 수평적 소통으로 조직문화 혁신 및 직원간 유대감/소속감 강화
실내위치 기반 서비스 플랫폼 개발 o 스마트폰의 실내외 위치를 기반으로 위치/업무처리 순서/이용 안내 등을 제공하는 B2B 솔루션 개발
o 실내 위치정보 수집을 위한 Bluetooth 센서 기반 위치 측정 기술, 디지털 Indoor Map 뷰어 및 Navigation 기능 개발
Smart Device Traffic 분석 시스템 개발 o Smart Device에서 발생하는 주요 Web/App 이용 패턴을 분석하여, 신규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
모바일 보안 솔루션(SSM) 개발 o Smart Device(스마트폰, 태블릿 등) 보안 솔루션으로 분실/도난, 정보유출, 디바이스 해킹 등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다양한 디바이스 보안 기능을 제공하는 솔루션 개발
o 최초로 ‘국가정보원 보안적합성 검사’ 통과하여 보안 기능 및 안정성 검증 완료
Mobility 기술 기반 Smart work 솔루션 개발 o 의사결정 속도 향상, 사용자 편의성 증대 등을 통해 업무 혁신 목적의 Smart Device(스마트폰, 태블릿 등)를 통한 실시간 실적 분석 및 영업 정책 수립/배포 가능 솔루션 개발
o Smart Device에 최적화된 UI/UX 구현, 정보보호 요건 준수 및 보안 취약점 보완
통화매출 누수 방지를 위한 Revenue Assurance 시스템 개발 o HD Voice, RCS 등 Data 중심 신규 서비스에 대한 과금 누수 검증/과금 이상 징후 검출 자동화 시스템 구축
o 과금 Audit 강화를 통한 과금 정합성 및 대고객 신뢰도 확보
Cloud 기반 Auto Scaling 기술 개발 o Cloud 서버 상품 사용 고객이 본인의 Cloud 자원 성능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능 구현 및 임계치 도달 시 자동 Alarm 기능개발
o Cloud 사용 고객이 임계치 실시간 모니터링 및 부족 시 쉽게 기 할당된 VM(Virtual Machine)의 CPU/Memory를 추가할 수 있는 기술 개발
성장기술원 Human-to-machine Interface 핵심기술 개발 o 음성 인식 기술, 언어 처리 기술을 개발 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지능형 음성 UX 개발
Big Data 핵심 기술 개발 o Big Data 처리, 분석의 기술을 개발하여 B2B 마케팅 Intelligence 서비스 등 개발
국방 보안/감시 및 Biz Intelligence 핵심기술 및 솔루션 개발 o 영상 개선 및 인식/인지 관련 기술을 개발하여  B2G, B2B 솔루션 등 확보
헬쓰케어그룹 진단기기 성능 고도화 o 면역 진단기기 및 분자 진단기기 기술을 개발 및 성능 고도화를 통한 제품 경쟁력 향상
Bioinformatics 기술 개발 o Bioinformatics 기술을 활용하여 특정 암 조기진단, 약물 유전체 검사 기술 등 개발


회사명 주요 연구과제 연구기간 연구기관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SK브로드밴드 지능망 LBS GW 고도화 2011.01~2011.06 SK브로드밴드
유엔젤
지능망 LBS GW 고도화를 통해 신규 서비스 개발 및 운용환경 등 개선
유선지능망/개방형 서비스 개발 2011.01~2011.06 SK브로드밴드
유엔젤
헤리트
1566 ARS 신규서비스, 국제전화통화요금서비스,  뮤직링 서비스 개선 등 6종 개발
ATM폰 개발 2011.02~2011.07 SK브로드밴드
다산네트웍스
유니데이타
홈 ATM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특화 인터넷전화 단말개발
국제전화 사업용
 망관리시스템 추가 개발
2011.04~2011.09 SK브로드밴드
다임즈
국제 Transit 사업용 SSW C4 망관리 기능 개발
대용량 G-PON OLT 기능 개선 2011.05~2011.10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대규모 단독주택 FTTH 가입자 대용량 OLT 수용시 장애 최소화를 위한 Switch 이중화
유선 인프라 SSW 서비스 고도화 2011.05~2011.11 SK브로드밴드
제너
집전화 플러스 호처리, 부가서비스 안내방송 기능 개선
NG-PON 개발(Phase1 : 10G/2.5G) 2011.05~2011.11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차세대 인터넷 가입자망 기술인 NG-PON 표준화 참여 및 10G NG-PON 시스템 개발을 통한 1Gbps 인터넷 서비스 제공 기반 마련
2Pair Ethernet 전송 기술 개발 2011.05~2011.11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UTP Cat.5 2Pair 케이블 활용, 고속 데이터 전송가능한 CO 및 CPE 장비 개발
유선 기업용 메시징 서비스 개발 2011.05~2011.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기업용 대량발송이 스마트폰에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개발
지능망 신규/부가 서비스 개발 2011.05~2011.12 SK브로드밴드
유엔젤
유무선 융합서비스 기반 확보 및 매출 증대를 위한 유선 지능망 시스템 고도화 개발
국제전화 Fraud 시스템 기능 개선 2011.06~2011.10 SK브로드밴드
다임즈
UKey 2.0 연동 기능 개발 및 기존 국제전화 Fraud 차단 시스템 기능 개선
B2B VoIP 단말군 관리시스템 개발 2011.06~2011.12 SK브로드밴드
다임즈
B2B VoIP 설비군 관리 규격 고도화 및 기업 단말군 관리
Outdoor형 AP 2단계 2011.07~2011.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Convergence AP에서 Multicasting 제공 기능 개발
2011년 TNMS 고도화 개발 2011.08~2011.10 SK브로드밴드
다임즈
장비 연동 상태 감시 및 2010년 도입 전송장비 추가 수용
통합 EWS 개발 2011.10~2011.11 SK브로드밴드
다임즈
실시간 경보 연동 및 통계 기능 개발
Hybrid AP 및 비즈광랜용 AP
 관리 기능 개발
2011.10~2011.12 SK브로드밴드
SK C&C
Hybrid AP 장애 종합 감시 기능 개발
국가정보통신 C그룹 품질관리
 2단계 개발
2011.11~2011.12 SK브로드밴드
다임즈
SLA 서비스 정보 제공을 위한 연동 기능 개발
2011년 SWMS 추가 기능 개발 2011.11~2011.12 SK브로드밴드
이지엠소프트
비즈광랜용 다포트공유기 관리 및 원격제어 기능 개발
2011년 e-DNMS 학교망 관리
 추가 개발
2011.12~2011.12 SK브로드밴드
다임즈
신규 도입 장비(화웨이) 망관리시스템과 연동 구현
통합 EWS 2단계 개발 2011.12~2012.06 SK브로드밴드
다임즈
전매체 확대 연동(전송, 교환, 정보) - UNMS, DNMS, e-DNMS 추가 연동
지능망 신규/부가 서비스 개발 2012.02~2012.09 SK브로드밴드
유엔젤
전국대표번호 서비스 부가 기능 개발 등 8건
DAPS(DDoS 자동차단시스템)
 고도화 개발
2012.03~2012.06 SK브로드밴드
SHI&C
DDoS 자동차단 경과시간 단축, 중복공격 유발고객 대상 찾아가는 서비스 시행
2012년 UNMS 추가 기능 개발 2012.04~2012.09 SK브로드밴드
다임즈
오과금 분석툴 개발을 통한 음성매출 증대, 프로토콜툴 개발을 통한 B2B 서비스 경쟁력 강화
지능망 SIP 호처리 기능 개선 개발 2012.05~2012.09 SK브로드밴드
유엔젤
SIP STACK re-invite 2개 동시 처리 개발
기존 전력/동축/전화선을 활용한
 댁내 전송 기술 개발
2012.06~2012.09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댁내 배선 불만 감소 및 고객 CE 제고, 인빌딩 Small Cell 구축 시 구내 배선 구축용으로 활용
M-CMU  
(Multi-Cable Modem Unit)  
2012.06~2012.10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HFC 커버리지내 구내 LAN케이블이 포설된 소형 공동주택 (다세대, 빌라 등) 서비스를 위한 소형 HFC-Ethernet변환 장치 개발
500M급 2Pair Ethernet 2012.06~2012.10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기시설 Cat.5 2Pair 케이블을 활용하여 300~500Mbps급 전송 기술 개발
B2B 용 PSTN 전송시스템 개발   2012.06~2012.10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155M 광 전송기능과 PSTN 서비스 기능(전화, Fax, 카드결제 등)이 결합된 SMB 사업에 최적화된 용량의 저가형 Compact 장비  
PC Client환경의 Open API 개발   2012.06~2012.11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3rd party 솔루션 사업자에게 유선 전화 부가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lient-Server 기반 OpenAPI 기능 개발
기업용 MRS(Messaging Relay Solution)개발   2012.06~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재판매고객사(호 집중사업자(ex)대리운전)의 대량 메시징 트래픽 수용을 위한 기업용 릴레이 솔루션개발
PSTN 대개체  
시스템 개발  
2012.06~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Legacy PSTN회선을 IMS망에 수용하기 위한 시스템 및 PSTN 부가서비스를 Seamless하게 제공하기 위한 응용서버 개발  
B2B 단말 관리
고도화
2012.06~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PSTN, VoIP 품질관리를 위한 호발생기 기반 계측기능 및계측용 단말개발
Downloadable FMC App. 개발   2012.06~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단말에 탑재 및 경쟁사 대응이 용이하도록 Downloadable App.형태로 Android 및 iOS FMC Client 개발 (現 제조사가 Embedded )  
NG-PON
상용시스템  
2012.06~2012.11 SK브로드밴드
SK텔레콤
FPGA 기반 Phase1 장비(시범 서비스용)를 기반으로, 장비 수용 용량 증대 및 가격 경쟁력을 확보한 10G급 광 가입자망 상용 장비 개발  
SWMS B2B서비스 지원 기능 개발 2012.06~2012.09 SK브로드밴드
SKC&C
B2B용 Dualband 기가AP 관리를 통한 고객 CE 제고 및 운용 효율화
Ukey 가입자망 장비배분시스템 2012.06~2012.10 SK브로드밴드 가입자망 장비 배분시스템 시스템화 구축으로 지역NW본부 업무 생산성 제고
2012년 e-ROBOT 기능개선 개발 2012.08~2012.12 SK브로드밴드
프로투정보통신
- 다중포트 제공고객의 MRTG 합산 제공, UKey 장비 구성정보 변경시 자동연동 기능 구현, Web 브라우저 최적화 (신규 explorer 반영), 회선관리 강화 - 유키연동 및 장비등록 완료여부 현황통계 개발
FOMS 장애처리성능개선 1차 개발 2012.08~2012.10 SK브로드밴드
프롬투정보통신
(1) 장애처리 성능개선을 위한 분배 프로세스 증설
     (1->20개)
(2) 장애DB처리 서버 증설(1대->2대)로 부하분산
(3) Hash Q 도입으로 처리속도 개선 및 동일장애의
추가발생 오류 방지 (4) DB처리부와 분배부전송처리부병렬처리로 병목현상 제거
RMS 장애처리성능개선 개발 2012.08~2012.10 SK브로드밴드
프롬투정보통신
다발고장(장애폭주)로 인한 장애처리 구조개선
프로세스 및 타 시스템 연동시 병목현상 개선
운용자 수동해제 요청시 Delay 현상 및 Timeout 현상 개선, 장애이벤트 병렬처리 구조 도입
2012년 OST(운용통계시스템)
추가 개발
2012.8~2012.10 SK브로드밴드
모비젠
지표 현행화 및 보완, 신규지표 추가개발
통계 재생성 및 성능 개선
선로공사 설계정산 관리시스템 2012.09~2012.12 SK브로드밴드
SKC&C
오프라인 관리되던 공사설계 자동화 시스템
설계오류방지 및 신뢰성 있는 DB추출 가능
통합EWS 개발 2012.10~2012.11 SK브로드밴드
다임즈
실시간 경보 연동 및 통계 기능 및Ukey 장비구성정보,
장애, 작업정보 연동, 경보 확인/마감 및 마감 제외 필터
기능 개발
FOMS 장애처리성능개선 1차 개발 2012.08~2012.10 SK브로드밴드
프롬투정보통신
(1) 장애처리 성능개선을 위한 분배 프로세스 증설
    (1->20개)
(2) 장애DB처리 서버 증설(1대->2대)로 부하분산
(3) Hash Q 도입으로 처리속도 개선 및 동일장애의 추가발생 오류 방지 (4) DB처리부와 분배부전송처리부 병렬처리로 병목현상 제거
RMS 장애처리성능개선 개발 2012.08~2012.10 SK브로드밴드
프롬투정보통신
다발고장(장애폭주)로 인한 장애처리 구조개선
프로세스 및 타 시스템 연동시 병목현상 개선
운용자 수동해제 요청시 Delay 현상 및 Timeout 현상
개선 장애이벤트 병렬처리 구조 도입
2012년 OST(운용통계시스템) 추가 개발 2012.8~2012.10 SK브로드밴드
모비젠
지표 현행화 및 보완, 신규지표 추가개발
통계 재생성 및 성능 개선
'12년 FOMS 신규장비추가개발 2012.10~2012.12 SK브로드밴드
프로투정보통신
G-PON OLT : 연동되는 ONT, ONU에 대한 개통, 성능
수집, 장애관리, 가입자 관리
G-PON ONT : 개통, 장애관리
FOMS 장애처리성능개선 2차 개발 2012.10~2012.12 SK브로드밴드
프롬투정보통신
장애처리 DB성능개선을 위한 수집부 기능추가 프로세스개선 (2000건/분->3500건/분) 128PON 셀장애 관리 기능 개발
IPTV통합관리시스템&iSQMS 고도화개발 2012.11~2012.12 SK브로드밴드
SHI&C
IPTV End-to-End 망감시기능 체계 확립
STB 서비스 상태 통합 모니터링 기능 개발
SKT/SKB GIS 통합시스템 개발 2011.03~2012.07 SK브로드밴드
SKNS, 웨이버스
양사 선로관리시스템 통합구축 개발
BS-Manager 고도화 2012.09~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시스
NW 안정화에 따른 BS 활동 활성화로 NW 효율화 강화
FACT 고도화 개발 2012.10~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시스
NW장비의 안정적인 관리를 통한 품질향상 및 서비스
고도화에 기여
PADS(악성코드 차단시스템) 개발 2012.4~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시스
망 내부에서 발생하는 디도스 공격 등 이상트래픽을 방어하는 시스템으로 이상패킷을 탐지해 자동으로 차단하고 제어함으로써 고객 서비스와 네트워크 장비의 보호에기여
PODS 시스템 개발건   2012.09~2012.12 SK브로드밴드
SK텔레시스
포트일치화 필요성 증가로 포트 불일치고객 찾아가는 서비스 연동 가능 및 유사 역할 시스템 통합
선로공사 설계정산 관리시스템   2012.09~2012.12 SK브로드밴드
 SKC&C  
오프라인 관리되던 공사설계 자동화 시스템 설계오류방지 및 신뢰성 있는 DB추출 가능  
시리즈물 HD/SD 통합 개발 2011.02~2011.04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HD/SD 통합으로 사용자 내비게이션 및 서비스 접근 효율성 증대
삼성 STB 부가서비스 RTSP 개발 2011.03~2011.05 브로드밴드미디어
인프라웨어
부가서비스 내 RTSP 프로토콜 기능 적용을 통한 삼성 STB flash memory 부하 감소
유무선 통합 마케팅 시스템
(U.Key 2.0) SMS 연동 개발
2011.03~2011.06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기반의 과금/빌링 구현(관리자 화면 포함)
유무선 통합 마케팅 시스템
(U.Key 2.0) ESS 연동 개발
2011.03~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청약/개통
유무선 통합 마케팅 시스템
(U.Key 2.0) EAI 연동 개발
2011.03~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모코엠시스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온스크린 청약/개통
유무선 통합 마케팅 시스템
(U.Key 2.0) DB Migration 연동 개발
2011.03~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위즈베이스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체계로 데이터 마이그레이션 및
통합 DB 최적화
유무선 통합 마케팅 시스템
(U.Key 2.0) IPTV 검색시스템 연동 개발
2011.04~2011.06 브로드밴드미디어
쓰리웨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기반의 개인화 검색 구현
어플 통합 관리 시스템 개발
(Eco 업그레이드 시스템)
2011.05~2011.08 브로드밴드미디어
에어코드
플랫폼별 부가서비스 업데이트 제약 사항 제거
Eco System Application 기능 개발 2011.05~2011.08 브로드밴드미디어
오픈오브젝트
부가서비스 관리 효율화 및 다양한 형태의 부가서비스 탑재 가능
B2B 방송플랫폼 종로구청 CUG
구축을 위한 자막연동시스템 개발
2011.06~2011.07 브로드밴드미디어
주인네트
실시간 자막 연동형 SOAP API 개발을 통한 부가서비스 확대
기여
Open TV UI Template 개발 2011.06~2011.07 브로드밴드미디어
디플럭스
오픈형 플랫폼 구축에 UI 템플릿으로 사용
U.Key 2.0 연동광고팝업시스템 개발 2011.06~2011.08 브로드밴드미디어
다트미디어
U.Key 연동 캠페인 광고 시스템 구축
U.Key 2.0 연동 미디어
내부시스템을 위한 ESGW 고도화
2011.07~2011.09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정보 기반 웹과 STB 연동한
양방향 서비스 구현
U.Key 2.0 연동 미디어
내부시스템을 위한 PSS 고도화
2011.07~2011.09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표준주소 체계 연동한 지상파 권역
구분
U.Key 2.0 연동 미디어 내부시스템을 위한 고객정보관리 시스템 개발 2011.07~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VOC 상담화면 구현
양방향 다국어 자막서비스
영어 형태소 분석 모듈 개발
2011.07~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쓰리웨어
영어 형태소 분석 검색엔진과 영어사전의 도입을 통해 영업자막과 연계된 영어사전 뜻풀이 기능 제공
양방향 다국어 자막서비스 다국어 자막 Application 및 폰트 고도화 2011.07~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오픈오브젝트
영어 형태소 분석 검색엔진과 영어사전의 도입을 통해 영업자막과 연계된 영어사전 뜻풀이 기능 제공
B2B 방송플랫폼 상용 고도화 2011.08~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주인네트
방송플랫폼 고도화를 통한 B2B 고객 확대 및 서비스 안정성에
기여
코너별 시청 코너추출 고도화 2011.08~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쿠도커뮤니케이션
코너의 start/end time 생성/가공
코너별 시청 코너추출
Application 개발
2011.08~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오픈오브젝트
코너 그룹 정보를 STB에서 UI로 표현 가능
코너별 시청 CMS XPG 개발 2011.08~2011.10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Contents ID 그룹 생성/관리
고객정보관리 시스템(UMS)
추가 개발
2011.10~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표준주소 데이터 연동/관리
2011년 광고 시스템 고도화 2011.10~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다트미디어
광고 신상품 개발 및 성능 고도화
유무선 통합 마케팅 시스템
(U.Key 2.0) 연동 팝업 광고시스템 추가 개발
2011.10~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인크로스
U.Key 연동 캠페인 팝업 시스템 구축
어플 통합 관리 시스템 관리자
페이지 고도화
2011.10~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에어코드
플랫폼별 부가서비스 업데이트 제약 사항 제거
스마트폰 결제 및 관리자 화면
추가 개발
2011.10~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유라클
SKT U.Key 유무선 가입자 기반의 스마트폰 결제 구현
(관리자 화면 포함)
STB S/W 업그레이드 고도화 개발 2011.12~2011.12 브로드밴드미디어
비티비솔루션
운용 서비스 효율화, 고객의 안정적인 패치 운용,
IPTV 가입자 증가에 따른 성능 확장
삼성 STB iSQMS 2.0
업그레이드 개발
2012.05~2012.07 브로드밴드미디어
인크로스
삼성전자
주인네트
캐스트스테이션
VOC 사전 방어 및 사후 신속 조치 가능
효율적 H/E, Network, STB 감시를 통한 OPEX 절감 효과
어플 통합 관리 시스템 기능
고도화 개발 완료
2012.07~2012.09 브로드밴드미디어
에어코드
부가서비스 배포 기능 고도화
부가서비스 업데이트 제약사항 제거


회사명 부문 연구과제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SK플래닛 Platform
기술원
Open platform 개발 o Open platform의 Concept을 구체화 및 Framework 구축
o Core and Common Components 개발 추진
서비스 platform 개발 o T store global platform 개발
o T cloud LTE platform개발
o NFC 기반 smart wallet 서비스 platform 개발
o hoppin 서비스 platform 개발
o Open Shopping 기술개발
기타 o 검색기술 개발
o OCB 관련 기술 개발
o 신규 사업 개발


회사명 연구과제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SK커뮤니케이션즈 뉴스 기사 태그 추천 문맥분석 엔진을 통한 뉴스 기사의 핵심 태그 키워드 추출 및 검색 유도
QR코드 생성 시스템 공감 QR코드 생성 기술 서비스 제공
SONIC 서비스 확장 적용 개발 글로벌 싸이에 적용, Mashup 및 소셜서비스 확대 적용 가능
통합에디터 기능 개선 개발 싸이블로그 개편 및 IE 상위버전 지원 작업
싸이스타 모바일 앱 개발 싸이월드를 이용하는 스타들의 미니홈피를 이용
통합 Web 에디터 웹 브라우저 상에서 다양한 형태의 게시물을 작성할 수 있는 편집 기능 제공
PHP Framework PHP 기반의 웹서비스 개발시에 보다 효율적이고 통합된 개발환경을 제공
통합 검색어 철자교정기 사용자가 철자 오류가 있는 검색어를 입력시, 오류를 교정하여 검색어로 추천
Log기반 어뷰징 모니터링 Log 분석을 통한 어뷰징 패턴 파악 및 차단
개인정보영향평가시스템 개인정보영향평가 프로세스 시스템화
악성 코드 유포 대응 시스템 악성 코드 유포 차단
모바일 음악 검색 모바일 단말에서 음악 컨텐츠 기반 검색
싸이월드 음악사용자 관계망 형성 사용자의 음악 관련 행위를 기반으로 유사도를 계산하여 비슷한 성향을 갖는 다른 사용자 추천 및 추천 근거를 제공
어플리케이션 취약점 자동 점검시스템 취약점 점검 프로세스 자동화
국어사전 철자 교정기 국어사전 검색시 사용자가 입력하는 빈번한 오탈자 검색어를 교정해주는 기술 연구. 한국어의 특성에 맞는 통계기반의 자연어 처리 기술 연구
일본어 발음 검색 음역변환 기술 연구. 사용자가 한글로 일본어 발음을 입력한 경우, 해당 일본어 검색어로 자동 변환하여 검색결과 제시
IP보안 시스템 해킹을 통한 비정상 로그인 차단
카테고리 자동 분류기 개별 문서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문서의 지정된 카테고리에 따라 분류함
서비스 어뷰징 대응 시스템 서비스 어뷰징 시도 차단
영어 발음 검색 음역변환 기술 연구. 사용자가 한글로 영문 발음을 입력한 경우, 해당 영문 검색어로 자동 변환하여 검색결과 제시
텍스트 문맥 기반 뉴스 이슈 클러스터링 문맥 기반 클러스터링 기술을 이용하여 유사 기사들을 군집화
관련 동영상 추천 서비스 네이트 판 동영상 컨텐츠의 텍스트 정보(제목, 테그, 본문)를 분석하여 유사도가 높은 관련 동영상을 추천함
네이트판 관련글 추천 서비스 네이트 판에서 컨텐츠의 텍스트 정보를 추출하여 기존 문서와 문맥 유사도가 높은 판의 관련글을 자동으로 추천함
이상패턴시스템 비정상 로그인 탐지/차단
보안위험 관리시스템 보안 위험 관리 시스템화
유사컨텐츠 검출 해당 문서와 중복인 블로그나 카페 문서를 실시간으로 검색
웹해킹 대응시스템 웹해킹 공격 차단
개인화 스킨 클러스터링 유사한 특성을 갖는 스킨을 군집화 및 순위화하여 사용자별 추천 제공
영어사전 철자 교정기 영어사전 검색시에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의 철자의 오탈자를 교정해주는 통계 기반의 처리 기술
싸이월드 블로그-자동 태크 추천 서비스 사용자가 작성한 포스트의 문맥 정보를 분석하여 관련성이 높은 기존 문서의 키워드를 해당 글의 태그로 자동으로 추천함
싸이월드 추천글 서비스 사용자가 작성한 싸이 블로그의 문맥 정보를 분석하여 문맥 유사도가 높은 포스트를 자동으로 추천함
티켓을 이용한 개인 정보해킹방지 회원 가입 웹 서비스 해킹 방지, 특허출원(2008.11) 티켓을 이용한 개인정보해킹방지 기법
이미지 내용 기반 색상 검색/분류 이미지 컨텐츠의 클러스터링을 통한 색상 추출 및 분류를 통한 아이템, 이미지의 분류 및 추천
미니홈피 스킨 키워드 추천 개인별 행위의 빈도가 높은 스킨의 키워드를 추출하여 각 사용자에게 제공
미니홈피 스킨-메뉴 효과 이중 추천 이종의 연관도 계산 엔진을 사용하여 전체 스킨에 대한 연관 메뉴효과를 추천
개인화 음악 추천 개인별 행위를 토대로 각 사용자가 관심을 가질 음악 리스트 추천 및 추천 이유를 제공하는 기술
곡/아티스트/앨범의 팬 랭킹 서비스 사용자의 행위를 누적 및 순위화하여 각 곡/아티스트/앨범에 대한 사용자 랭킹을 제공
연관 곡/아티스트/앨범 추천 사용자 행위를 기반으로 각각의 곡/아티스트/앨범과 연관된 아이템을 제공
이글루스 관련글 추천 엔진 이글루스 사용자가 작성중인 개별 포스트의 문맥 분석을 통해서 기존에 존재하는 포스트와 문맥 유사도가 높은 포스트를 자동으로 추천


9.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SK텔레콤]  

가. 상표관리 정책
당사는 SK텔레콤 기업 브랜드 및 T 등 상품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나가고 있습니다. 전사 브랜드 최고 심의기구인 '브랜드관리위원회'를 상시 운영하여 주요 브랜드에 대한 의사결정을 시행하고 있으며, 브랜드 사용 신청부터 각종 로고 다운로드 등 브랜드 관리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인트라넷 시스템 'Brandnet' 을 운영하는 등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활동을 펼쳐가고 있습니다.

나. 사업과 관련된 지적재산권
당사는 국내 등록특허 4,810건, 미국 등록특허 276건, 중국 등록특허 178건(이상 타사와의 공동소유 특허 포함)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타 국가에 등록된 다수 특허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등록상표 825건(표장 기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주요 상표로는 도안화된 알파벳 'T'가 있습니다. 도안화된 알파벳 'T'는 국내 상표법에 따라 전 류(총 45개 류)에 등록되어 있고 현재 당사의 대표브랜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
초고속인터넷 및 전화, IPTV 서비스 제공 등과 관련해 329건의 국내 특허를 보유하고 있으며, 또한 당사의 서비스 및 브랜드와 관련된 상표, 서비스표 등을 다수 보유하고 있습니다.

[SK플래닛]
2013년 3월 31일 재 국내에서 등록 특허권 2,104건, 등록 디자인권 91건, 등록 상표권 1,066건, 저작권 1건 등(이상 타사와의 공동 소유 포함)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또한 국내 뿐만 아니라 미국 등록 특허 24건, 중국 등록 특허 35건, 일본 등록 특허 8건, 유럽 등록 특허 15건(이상 타사와의 공동소유 특허 포함) 및 해외 등록 상표권 130건 기타 국가에도 다수의 지적재산권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SK커뮤니케이션즈]
2013년 3월 31일 현재 회사가 국내에서 보유하고 있는 지적재산권 중 산업재산권으로 등록특허권 66건, 등록디자인권 26건, 등록상표권 700건의 권리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다. 관련 법률 및 규정 등
당사는 이동통신 서비스와 관련하여 기본적으로 정보통신망 이용촉진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의 적용을 받는 정보통신서비스제공자 및 전기통신사업법의 적용을 받는 전기통신사업자에 해당하고, 이를 성실히 준수하기 위해 모든 노력을 다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위 법령 이외에도 여러 가지 법률의 적용을 받고 있는데, 온라인서비스제공자로서 저작권법, 수사기관 등에서 요청하는 이용자의 통신 사실확인자료 제공과 관련된 통신비밀보호법, 청소년에 대한 유해매체물(광고, 게시물 등)의 접근 및 이용을 제한과 관련된 청소년보호법, 컨텐츠 제공업체 등 제휴사들과의 계약 체결 시 불공정 계약을 체결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모바일 서비스를 통한 위치 정보 사용 서비스와 관련되는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용 등에 관한 법률 등을 그 예로 들 수 있습니다.
당사는 이용자의 권리 보호 및 편리하고 안전한 이동통신 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최선의 노력을 아끼지 않고 있습니다.

라. 사업과 관련한 환경물질의 배출 또는 환경보호와 관련된 사항
 당사는 직접적으로 제품을 제조하지 않기 때문에 대기오염물질을 배출하거나 유해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이 없습니다.


IV. SK네트웍스

1. 사업의 개요

가. 사업의 요약 및 재무현황
SK네트웍스(주)는 1953년 4월 8일 창립하여 직물 분야로 출발한 후, 국내외 네트워크 거점, 우량 거래선, 물류능력 등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 유통사업, 휴대폰 중심의 정보통신 유통사업, Trading 및 자원개발사업, 자동차 경정비 및 신차 판매 등의 Car-Life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패션, 부동산, 와인, 호텔 등의 사업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단위: 백만원]

2013년 1분기 T&I IM E&C B2C 워커힐 기타
매출액 1,653,706 1,795,116 2,719,585 155,606 95,838 7,543 6,427,393
영업이익 41 14,246 4,569 532 (159) 4,988 24,217
자산 2,392,926 1,517,825 1,963,768 718,629 885,802 3,179,936 10,658,886
부채 2,650,293 1,000,135 575,413 675,021 464,820 2,345,543 7,711,225


나. 사업의 현황

◎ IM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Marketing , 이하 "IM")

- IM은 휴대폰, 노트북, 태블릿 PC 등 ICT Device의 도/소매 유통을 중심으로 대고객 서비스 사업 및 Device 수출, IT시스템 장비 유통 등 다양한 이동통신 관련 유통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최근 ICT Device의 오픈 유통을 시작으로 차세대 유통사업에도 참여 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 및 성장성
  이동통신 서비스 보급률은 '04~'11년까지 누적평균성장률(CAGR) 약 5.2%의 성장을 거듭하여 초고속인터넷 서비스와 함께 기간통신서비스 전반을 주도해 왔습니다. 또한 지속적인 기술발전과 Convergence Trend에 힘입어 WCDMA, HSDPA, WiBro, LTE 등의 신규서비스가 확산되었습니다.
   이러한 이동통신 서비스 시장의 성장과 발전에 따라 이동통신 단말기 시장도 스마트폰, LTE Phone 등 고기능 복합 단말기 및 터치스크린 등 디자인, UI 특화 단말기들이 지속적으로 출시되며 성장세를 이어왔습니다.
'13년 1분기 국내 이동통신 총 가입자수는 약 5,380만명으로. '12년 이후 이동통신 가입자 증가수 21만명, 보급률105.6%로 LTE시장의 성장과 함께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최근 정부의 정부의 MVNO 도입 등 통신 유통 경쟁 확대와  스마트폰 가격 인하 압력으로 소비자 통신비 부담 완화 정책 기조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이통사의 DATA ARPU 증대 노력과 사용자들의 SNS Needs 증대 및 활성화로 Smartphone 중심의 시장이 활성화 되고 있습니다. ('13년 1분기 스마트폰 판매비중 92.8%)


< 이동통신서비스 가입자 추이 >

                                                                                                          (단위 : 명)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1Q
전체 45,606,975 47,944,222 50,767,241 52,506,793 53,624,427 53,835,235
SKT 23,032,045 24,223,187 25,705,049 26,552,716 26,961,045 27,029,539
KT 14,365,233 14,977,122 16,040,527 16,563,158 16,501,639 16,442,523
LGU+ 8,209,697 8,645,954 9,021,665 9,390,919 10,161,743 10,363,173
보급율(%) 93.8% 98.2% 100.5% 103.4% 105.3% 105.6%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 연도별 가입자 증가 추이 >

                                                                                                        (단위 : 명)

구분 2008년 2009년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1Q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2,109,443 2,337,238 2,823,019 1,739,552 1,117,634 210,808

* 출처: 미래창조과학부


(2) 경기변동의 특성

이동통신시장은 LTE 등 기술발전에 따른 사업자의 신규서비스 출시, 제조사의 고기능 복합 단말기의 지속 개발 등에 따라 신규 수요가 창출됩니다. 또한 보조금 규제 일몰, 의무약정제 등 정부의 정책 역시 시장 활성화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계절 및 경기 변동으로 인한 영향은 타 산업 대비 미미한 수준입니다.
 

(3) 국내시장 환경변화

  '12년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시장은 스마트폰 중심으로 개편되며 3G 및 LTE 서비스 경쟁 활성화 등 긍정적 요인이 있었으나, 이동통신사업자의 효율적 마케팅 비용 집행, 정부 규제로 인한 단말유통 시장 위축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습니다.
국내기업의 IT투자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신규 설비 투자 뿐만 아니라, 클라우드서비스, IT 인프라 아웃소싱, 가상화 등 On-Demand형 비즈니스 모델이나 비용절감분야에서 성장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4)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사업은 MVNO 도입 활성화 지속추진, 가입비 폐지등의 정책변화와 그에 연동된 이동통신사업자의 정책에 따라 간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IM)

□  엘씨앤씨(주) (LCNC)
2010년 출범하여 최신 Digital Device를 가장 빠르게 체험하고 구입할 수 있는 차세대 유통 매장 '컨시어지(CONCIERG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컨시어지는 현재 50여 개 매장을 기반으로 애플 공인 프리미엄 매장과 휴대용 디지털 제품 전문 매장의 두 가지 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며 지속적인 매장 확대와 ICT Device를 기반으로 한 오픈 유통 확대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LCNC)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10.07 LCNC 법인 설립
2010.09 Apple Korea Reseller 계약
2010.12 노원 APR 1호 매장 Open
2011.04 대학로 NCD 1호 매장 Open
2011.10 Apple Corner in Line 도입 (전세계 최초 적용)
2011.11 SK 그룹 편입
2011.12 롯데백화점 입점 (31개점 동시 Open)
2012.03 월 매출 100억 돌파



□ SK네트웍스 서비스(주) (SKNS)
- 2007년 출범하여 전국 36개 직영 센터를 통해 SK 텔레콤 고객 대상의 휴대폰 등 ICT Device AS 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Network 사업에 있어서는 SK텔레콤 / SK브로드밴드 망 운용·유지보수 및 Network 공사 수주 등으로 사업 영역을 확장하고, ICT 장비 유통 사업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또한 Mobile Game과 같은 신규사업을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SKNS)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07. 07   SK네트웍스서비스 출범  
2008. 04   SK네트웍스 Network사업부 이관(SK텔레콤/SK브로드밴드 망 운용·유지보수사업)
2009. 08   ISO9001 인증서 획득  
2010. 10   2010 한국재무경영대상 소기업 부문 최우수상 수상  
2010. 11   국방망 유지보수사업 Launching  
2011. 01   ICT장비유통사업 Launching  
2012. 01   LED, Safe Mate 사업 Launching  
2012. 01   고용창출 100대 우수기업 선정  
2012. 04   정보통신 시공능력평가 27위  
2012. 11   SK네트웍스인터넷 흡수합병



◎ E&C  (Energy & Car, 이하 "E&C ")

- Energy & Car 총괄에서는 전국 약 3,172개 주유소(당사 고정N/W 498개소 포함: 소유 258개소 + 임차 240개소)에 주력 상품인 석유제품(휘발유, 등유, 경유, 중질유)과 68개 충전소에 LPG를 공급하고 있으며, 또한 윤활유, 아스팔트 및 벙커링(선박 연료)등의 판매사업도 영위하고 있습니다.

또한 Speedmate는 '99년 정비사업을 Launching하여 전국732개(투자형가맹 373개소, 일반가맹 359개소)의 정비 N/W을 구축하였으며, 이후 ERS(긴급출동 견인서비스, 전국 협력업체 330개소)사업과 렌터카 사업(렌탈 지점 17개소)에 진출하였고, '11년부터는 자회사인 ㈜스피드모터스를 통해 ㈜한국지엠이 국내에 유통하는 전 차량을 충청, 호남 지역에서 판매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

 (가) Energy 사업

국내 석유산업은 1970년대 고도 성장과 맞물려 근대 산업사회의 근간이 되어 왔습니다. 수력, 원자력, 태양에너지 등 대체 에너지가 개발되고 있어 석유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는 과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타 에너지원에 비해서는 의존도가 높습니다. 석유제품 판매사업은 주유소를 비롯한 판매망을 전국적으로 갖추는데 대규모의 투자와 시간이 소요되며, 고객의 접근 편의성, 인적 서비스의 고품질화, 경쟁 우위의 판촉 등 고도의 마케팅 기법이 요구되는 산업입니다. 또한 국민경제 운영의 필수적인 에너지 배분기능을 담당하는 국가 기간산업이자, 국가 비상시에는 필수 전략물자의 보급 기능을 갖고 있는 중요한 산업입니다.


(나) Car 사업

국내 Car Maker 시장은 소수 Domestic Player 중심의 독과점 형태로 오랜 기간 지속되어 오고 있으나, 국민소득의 지속적 증가, 美/EU FTA 체결, 엔트리급 수입차 판매 증가 등으로 인해 소수 Player의 독과점 현상은 다소 해소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소비자 측면에서는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인한 소비심리 위축으로 차량교체주기가 길어질 것으로 예상되며, 이와 더불어 차량에 대한 인식이 소유에서 사용으로 전환되면서, 향후 렌터카 시장에 기회요인이 있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또한 기술 측면에서 하이브리드차, 전기자동차 등 친환경 차량의 상용화 및 대중화, 부품의 내구성 증가 등의 요인이 시장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Energy 사업

초기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던 국내 석유산업은 대부분 외국정유회사에 의해 운영되었으나, 1960년대 국내 정유사들이 등장하면서 현재 4개의 주요 정유사 (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가 석유에너지 판매를 통해 산업재 뿐만 아니라 소비재 공급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국내 석유유통시장은 경제규모의 성장에 따른 산업용 및 차량용 연료 소비 증가의 영향으로 1991년 이후 양호한 신장세를 보여왔습니다. 1997년 외환위기로 인한 석유제품 수요가 큰 폭으로 감소한 이후 국내 경기 침체, 고유가 및 대체에너지로의 수요 전환 등의 영향으로 소비 증가가 둔화되는 추세를 보였으나, 차량 등록대수의 꾸준한 증가의 "+"요인과 유류가격 인상, 경제위기에 따른 개인의 수입감소에 따른 "-" 요인이 상존하고 경제상황에 따라 석유류제품의 소비증감이 변동되고 있습니다.


(나) Car 사업

Car After Market 중 당사가 영위중인 사업들의 시장 규모는 '12년 기준 약 8.2조원으로 추산되며, 향후 소득 증가에 따른 자동차 등록대수 증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 Car After Market 주요 사업별 규모 추정 ('12년 기준)

                                                                           (단위 : 조)

구분 정비 렌터카 ERS*
규모 5.3 2.5 0.4

* ERS : Emergency Road Service

 

(3) 경기변동의 특성

 (가) Energy 사업

제품의 특성상 생활에 기본적으로 필요한 상품으로 경기변동 요인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여타 산업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낮으나, 경제의 저성장 국면 진입에 따른 Smart Customer의 등장 등으로 과거에 비해 경기변동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진 상황입니다. 특히, 최근에는 외부 환경변수에 의한 유가/환율 등의 불확실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세계적인 경제침체 등이 지속될 경우 수요 감소에 대한 우려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나) Car 사업

제품의 특성상 경기변동 요인이 수요에 미치는 영향이 크며, 최근에는 경기침체로 인한 신차판매 증가율의 둔화로 인해 Car After Market 전반에 걸친 수요 감소 우려가 상존하고 있습니다.


(4)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가) Energy 사업

국내 석유제품 판매시장은 국내·외 경기침체 및 고객의 가격 민감도 증대, 정부의 시장 자율화 및 환경규제 강화 정책 시행, 난방용 등유 및 산업용 중질유의 수요 감소 등으로 업체간 경쟁이 심화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에는 하이브리드카 개발 등 대체에너지 및 녹생성장에 대한 이슈가 본격화됨에 따라 기존 석유에너지원의 위상에 대한 고객 인식 변화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고객의 가격민감도 증대 및 정부의 시장경쟁 유도 정책 등으로 유통업체간 가격 경쟁이 더욱 심화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경제침체에 따른 시장의 불안정성 또한 증대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경쟁환경 하에서 Network 복합화, Membership 등을 통해 당사만의 차별화된 경쟁우위 및 고객 고정화를 실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나) Car 사업

Speedmate는 '99년 정비사업 중심으로 Launching 이후 긴급출동서비스(ERS)와 부품유통 및 렌터카 사업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고객의Car-Life영역으로 서비스를 확장해왔으며, '11년에는 스피드모터스 설립을 통해 신차판매 사업을 개시함으로써 Car Business 전반을 아우르는 Business Portfolio를 확립해 가고 있습니다.

 

(5)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가) Energy 사업

석유산업 자유화 및 개방화 방침에 따라 각종 시장규제조치가 폐지되었고, 추가로 주유소 거리제한 철폐('95.11.), 석유제품 최고 판매가격고시제도 폐지('97.1.), 수출입업/석유판매업 자유화('97.11.), 석유판매업 신규참입 자유화('98.5.), 석유정제업 신규참입 자유화('98.8) 등의 조치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정부는 석유제품 유통 경쟁여건 조성을 위하여 상표표시고시를 폐지('08.9.1)하였으며, '09.5월부터 동종 판매업간 수평거래 허용, '11년에는 지경부 주관 알뜰주유소 도입,'12년에는 전자상거래제도 도입을 통한수입사 M/S확대를 유도하는 등 석유제품시장의 경쟁을 촉발하고 유통구조를 개선하는 정책을 강화해나가고 있습니다.


  (나) Car 사업

각국 정부의 자동차 관련 법규는 지속적으로 선진화 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친환경 정책의 강화로 자원 재활용의 확대가 강조되고 연비 기준이 강화되었습니다. 또한, 동반성장을 위한 중기상생 협력이 강조되고 있습니다.



◎ T&I (Trading & Investment, 이하 "T&I")

- T&I 는 화학, 철강, 자원 등 고부가가치 상품을 중심으로 Global Major 공급자와의 전략적 Partnership을 통해 안정적인 수익구조를 확보하고 있으며, 철강 및 화학 분야의 Value Chain 확대를 통한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특히, 미래 성장 동력 발굴을 위한 해외 광물자원 개발 사업은 석탄 및 철광석 중심으로 재편하여 선택과 집중 전략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1) 산업의 특성

한국의 종합상사는 과거 매출액 위주의 외형 성장 및 소속 계열사의 수출 대행 역할을 지양하고, 안정적 수익구조 확보를 위한 다양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핵심역량을 보유한 중점 사업에 집중, 일반 중계무역에서 벗어난 종합상사의 핵심역량 즉, 조직력(Organizing), 자금조달능력(Financing), 정보처리능력(Information Processing)을 활용한 기능 고도화/복합화 및 자원개발을 포함한 신규사업 진출을 꾸준히 시도하여 경쟁력 강화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주요 석유회사 및 화학회사로 구성된 화학 사업의 경우 대규모 다국적 기업으로서 장기 계약 선호 및 거래가격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철강업체 및 제조업체로 구성된 철강 사업의 경우에는 거래가격에 민감한 특성을 보입니다. 이외 기타사업의 경우 장기공급 거래 중심의 제조업체, 중간도매상 등으로 구성되며, 가격변동에 민감한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 '13년 1분기 한국 수출입 현황

2013년 1분기 수출은 통관일수 감소에도 불구, 4분기 만에 전년 동기 대비 플러스 증가율(0.5%)을 기록하고 3월 일평균 수출금액이 2011년 9월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면서 수출 회복세의 문턱에 진입한 것으로 보인다.

< 2013년 1분기 수출입 실적 >

                                                                                         (단위: USD 억불, %)

구분 '12년 1분기 '13년 1분기 전년 동기 대비
증감액 증감율
수 출 1,348 1,355 7 0.5
수 입 1,337 1,297 -40 -3.0
무역수지 12 58 46

                                                                                           [출처: 한국무역협회 Trade Brief 3호]


(수출) IT제품 수출호조 및 신흥국으로의 수출 확대로 1분기 소폭 증가하였습니다.

- 품목별: 철강, 선박, 자동차등의 수출은 감소한 반면, IT 제품에 대한 글로벌 수요증가에 힘입어 무선통신기기, 반도체, 액정디바이스등 IT 주력품목의 수출은 증가 하였습니다..

- 지역별: ASEAN, 중국 등 對 신흥국 수출은 크게 증가 하였으나, EU, 일본, 미국등 선진시장으로의 수출은 감소 하였습니다..


(수입) 원자재, 자본재 수입이 소폭 감소한 가운데, 소비재 수입이 크게 감소하였습니다.

- 품목별: 석유제품 및 가스의 수입은 증가하였으나, 원유, 철강 등은 감소하였습니다.


(3) 경기 변동의 특성

상사는 사업의 특성상 국내 경기는 물론 선진국 및 신흥국의 경제 성장, 달러, 엔화 등 국제 환율 추이 및 국제 원자재 가격 동향에 따라 사업 실적에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자원은 석탄, 비철 사업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석탄, 비철 등 자원개발사업은 광구/광산 투자, 생산물 판매 및 Trading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사업으로 자원가격 등 경기변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습니다.


(4) 시장의 여건

2012년 하반기 미국 재정절벽과 그리스 추가 구제 금융신청의 우려로 나타난 국제 원자재 가격의 하향 안정세가 2013년에도 이어질 전망입니다. 이처럼 미국의 재정절벽 문제와 유로존의 재정위기 해결 난항이 우려되지만, 미국 오바마 대통령이 재당선에 성공함에 따라 보다 안정적인 경기부양 정책으로 그 여파가 크지 않고 유로존 또한 마이너스 성장을 벗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의 신흥국은 내수시장 강화 및 투자 확대로 세계경제성장을 견인 할 것으로 보여 집니다. 전체적으로 세계경제의 완만한 회복세에 따라 2012년 3%에 머물렀던 세계 교역량 또한 4%대로 증가할 전망입니다.


※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T&I)

회사명 지분율 소재국 사업 내용
SK Networks Resources Australia Pty., Ltd. 100% 호주 호주內 석탄 광구 개발 및 무역
POSK (Pinghu)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80% 중국 중국內 철강제품 가공, 내수유통 및 수출입
SK Networks(Shanghai) Co.,Ltd 100% 중국 중국內 철강/화학/자원 내수유통 및 수출입
DAIYANG SK NETWORKS METAL SAN.VE TIC.LTD.STI 51% 터키 Stainless 냉연재 생산, 내수 유통 및 수출입

 

□ SK Networks Resources Australia Pty., Ltd.

1990년에 현지법인을 설립하였으며, 2012년 12월 현재 5개의 석탄 프로젝트(생산 4개, 탐사 1개)를 보유하고 있고, 이를 통해 국내의 안정적 에너지 수급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석탄 외 1개 금속광물 탐사 프로젝트를 추진 중에 있으며, 그 외, 호주 상장사인 Cockatoo Coal Ltd와 Callabonna Resources Ltd 지분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SK Networks Resources Australia Pty., Ltd.)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08 Toomba West 금속광물 탐사권 취득
2009 Cockatoo Coal 지분 추가 인수  
Cockatoo Coal Marketing Co. 투자
Callabonna Uranium Ltd. (현 Callabonna Resources Ltd.) 지분 인수
2011.2 SK이노베이션의 석탄·광물사업부(현지법인, 자산, 인력 등 일체)를 SK네트웍스가 인수 및 현지법인 명 SKNRA로 변경


나. 상호의 변경

일 자 변 경 전 변 경 후 비 고
2011.2 SK Energy Australia Pty Ltd SK Networks Resources Australia Pty Ltd  -


다. 합병, 분할(합병), 포괄적 주식교환ㆍ이전, 중요한 영업의 양수ㆍ도 등

일 자 내  용 비 고
2009 Cockatoo Coal 지분 추가 인수  
Cockatoo Coal Marketing Co. 투자
Callabonna Uranium Ltd. (현 Callabonna Resources Ltd.) 지분 인수
-
2011.2 SK네트웍스로 흡수 합병 됨 -
2012.11 Taroborah North Coal PJT 탐사권 매각 -



□ POSK (Pinghu)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중국 화동지역의 LCD등 고급가전 수요급증에 따른 강재 사용량 증대로 가전제품에 들어가는 철강제품 판매 확대를 위한 프로세싱 센터(가전용)를 '07년 설립하였습니다.   '08년 4월 흑자 전환했으며, 현재 법인 체계 안정 및 문화 정착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 Supplier와 Customer의  SCM Network 확보 및 수익  기반 공고화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POSK (Pinghu)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07.02 착공
2007.10 준공
2008.01 ISO9001:2000 인증서 획득
2008.04 영업이익 흑자 전환
2012.08 누적 경상이익 흑자전환



□ SK Networks(Shanghai) Co.,Ltd

중국 상하이시에 2003년 11월에 설립, 중국 내수 유통 및 수출 Biz 중심으로 근본적 수익력 확보함. 중국 내에 설립한 Coil Center들과의 Co-Work를 통해 Sourcing 및 Marketing에서 시너지를 창출하고 중국 내 Market 장악력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SK Networks(Shanghai) Co.,Ltd)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07 HYSCO 수출협의 체결 및 본격 철강제품 Biz. 진입
2008 중국내 철강 내수유통 공급선 및 대리업무 확대
2011.01 사강/안강/포두강철 대리상 철강 Biz. 본격 진입
2012.01 중국내 화학제품 및 철광석/석탄 Trading 통한 Biz.영역 확대


나. 합병, 분할(합병), 포괄적 주식교환ㆍ이전, 중요한 영업의 양수ㆍ도 등

일 자 내  용 비 고
2011.08 SK Networks (ZHANGJIAGANG) METAL Products CO., Ltd. 지분 100%인수 -



□ DAIYANG SK NETWORKS METAL SAN.VE TIC.LTD.STI

터키 이스탄불로부터 서쪽으로 100Km (자유무역지역내 / EUROPEAN FREE ZONE) 위치한 Stainless 냉연제 생산 기지로  '07년 2월에 설립되었습니다. '07년 11월 제1공장 완공으로 본격적인 생산을 시작하였고 그 후 제 2공장 완공하여 생산 Capacity를 지속 확대해 나아가고 있으며 제품 마케팅은 터키를 포함한 유럽 지역에 집중되어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DAIYANG SK NETWORKS METAL SAN.VE TIC.LTD.STI)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07.02 회사 설립
2007.11 제1공장 완공
2008.8 ~2009.1 SKN지분 취득 25%
2010.06 SKN지분 추가취득 5%
2010.11 제2공장 완공
2011.03 SKN지분 추가 취득 21%


나. 합병, 분할(합병), 포괄적 주식교환ㆍ이전, 중요한 영업의 양수ㆍ도 등

일 자 내  용 비 고
2008.8 ~2009.1 DAIYANG SK NETWORKS METAL SAN.VE TIC.LTD.STI
지분 25% 인수
-
2010.06 지분 5% 추가 인수 -
2011.03 지분 21% 추가 인수 -



패션 (Fashion 관련사업, 이하 "패션")

- 패션사업은 세련된 감성의 수입 브랜드와 디자인 경쟁력 있는 Own Brand를 전개중인 패션 사업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풍요로운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에서 패션 브랜드의 확장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1) 산업의 특성

국내 패션산업은 과거 의복으로서의 기본적인 기능을 중심으로 노동집약적 산업으로 성장하였으나, 국가 경제 발전의 가속화에 따른 소비자 소득 수준 향상에 따라 점차 소비자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수단으로서의 기능이 부각되며 창의성을 강조하는 고부가가치의 기술 중심 산업으로 발전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을 반영하며 감성에 호소하는 브랜드 위주의 사업으로 발전하며 점차 글로벌화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08년 글로벌 금융 위기 이후 경기 침체 영향으로 최근에는 소비 패턴 변화하여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습니다. 럭셔리 브랜드를 선호하는 부유층과 브랜드보다는 가격을 중시하는 실속파 유형으로 나뉘는 소비자들에 따라 경기에 민감한 패션산업 역시 점차 럭셔리/프레스티지 브랜드와 중저가 브랜드로 양분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1년 4분기 이후, 경제의 불확실성이 증대됨에 따라 소비심리가 크게 위축되어 성장세가 둔화되었습니다. 경기에 민감한 패션 산업의 특성 상 거시경제의 흐름에 따른 영향력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다만, 고가의 프레스티지 브랜드들은 경기 변화에 따른 영향이 비교적 크지 않아 백화점을 중심으로 지속적인 신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뿐만 아니라 최근 국내 의류 업체들은 급격히 성장하는 중국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의 성장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패션산업은 기본적인 재화의 특성 상 글로벌/국가 경제 및 경기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 악화 시 가장 우선적으로 영향을 받는 산업이 패션산업입니다. 다만, 고가의 하이엔드 소비자 층에서의 경기 민감도는 매우 낮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또한 패션산업은 날씨에도 매우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계절적 수요를 기반으로 사전 예측 발주하는 산업의 특성상 예측과 다른 날씨가 나타날 경우 전체 판매에 큰 영향을 주는 바, 각 업체들은 사전 수요 및 경기, 날씨 등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4)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패션 사업은 정상급 수입 브랜드인 Tommy Hilfiger, DKNY를 국내에서 성공적으로 전개하며 국내 패션 사업의 Major Player로서의 입지를 확보한 이후, 국내 대표 디자이너 브랜드인 오브제와 오즈세컨, 모던한 감성의 Club Monaco, 뉴욕 감성의 고급 디자이너 브랜드 Elie Tahari 와 Calvin Klein 등 경쟁력 있는 브랜드를 지속적으로 확보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2013년 2월에는 Prestige 감성의 악세서리 브랜드인 rouge&lounge(루즈앤라운지)를 런칭하여 브랜드 Portfolio를 한층 강화하였습니다.

나아가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축적된 브랜드 Management 역량 및 마케팅 노하우, 한층 업그레이드 된 디자인 경쟁력을 바탕으로 최근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중국 시장에서 오즈세컨의 성공적 전개를 바탕으로 뉴욕 Market에도 진출하는 등 Global Business의 Volume을 확대해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중국 패션 시장에서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 국내 여성복 No.1 Company인 한섬의 6개 자체브랜드(Time, Mine, System, SJSJ, SYSTEM Homme, Time Homme) 중국 독점 유통 사업권을 획득하였고, '12년 1월 SYSTEM, SJSJ, SYSTEM Homme 3개 브랜드의 사업전개를 시작하였습니다.



Customer (Customer관련 사업, 이하 "Customer)

-
Customer는 Prestige고객 중심의 부동산 상품 및 당사 보유자산을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부동산 사업, 그리고 와인 펀드, 글로벌 유통, Custody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와인 사업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풍요로운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 수준의 선진화가 빠르게 진행 중이며 향후 세계 제 2위 소비 시장으로 급 부상이 예상되는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규 사업 기회 모색을 통해 지속적인 성장 모멘텀을 확보하고자 합니다.

(1) 산업의 특성

(가) 부동산개발산업

부동산 개발 산업은 투입 자본의 규모가 크고 공사 수행에 장기간이 소요됨에 따라 금리나 자본 가용성 등 금융 환경의 변화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국내 부동산 산업의 최근 특징으로는 시공 능력에 중점을 두던 과거와는 달리 브랜드 및 디자인이 수요를 결정하는 주요한 요인으로 부상하였고, 소득과 소비 패턴의 변화에 따라 고급 수요와 중저가 수요가 양분되는 양극화 현상이 두드러진다는 점을 들 수 있습니다. 더불어 국내외 경기전망이 불안정하고 장기적으로 인구가 감소 추세를 나타냄에 따라 시장상황을 정확히 반영한 희소성 있는 부동산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나) 와인사업

세계 Wine 산업은 전체 재고 규모 기준 180조 원의 시장으로 이 중 34%인 61조원이 병당 출고가 $50 이상인 Fine Wine 시장으로 추산됩니다.

Fine Wine 시장은 생산자인 Winery와 중간 유통망인 네고시앙/머천트, 최종소비자로 크게 나뉘어집니다. Fine Wine 시장의 18%는 투자 등급 Wine으로, 11조 원의 시장 중 8조 원 가량의 재고는 중간 유통망인 프랑스 네고시앙과 영국 등의 머천트가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프랑스 보르도 와인의 경우 네고시앙과 머천트가 샤토에서 나오는 물량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으며, 우리 나라와 같은 제 3국으로의 수출도 이들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부동산개발사업

부동산 경기는 전반적으로 여전히 소강 상태를 보이고 있으며, '주택공급 기반강화', '건설경기 보완 대책', '세제개편', '전세시장 안정화 대책' 등 다양한 정부의 지원 정책이 제시되고 있지만 당분간 시장의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구매능력이 있는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부동산 Trend 변화에 대한 요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바, 단순 투자를 목적으로 한 부동산 시장의 규모는 지속적으로 감소할 것이고 소비자 Needs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새로운 Paradigm의 부동산 상품에 대한 수요는 높아질 것입니다.

따라서 국내외 경기 상승 국면 본격 진입 시, 고소득층을 위한 휴양형 주거상품 및 Biz Hotel/ Residence 사업 등이 유망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나) 와인사업

세계 Wine 시장은 매년 10% 대의 높은 성장세를 보여 왔습니다. '08년 말 글로벌 금융 위기를 기점으로 '09년 성장세가 잠시 주춤하였고, 중국 시장 수요의 폭발적 증가를 배경으로 한 '10년 Wine 先導 시장(엉프리메)의 호황을 바탕으로 회복 되었으나, '11년 재차 발생한 유럽發 금융 위기로 인해 '11년 하반기 시장 하락 이후 정체되었으며, '13년부터 점차 수요 증가에 따른 회복세가 지속될 움직임을 보이고 있습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가) 부동산개발사업

주택을 비롯한 부동산개발산업은 수주 기반 산업이자 대표적 경기 의존형 산업으로서 경제 여건에 따라 호황과 불황이 반복되는 특성이 강합니다. 또한 국가의 국토 개발 및 금융 정책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산업입니다.


(나) 와인사업

Wine 소비의 증감은 경기 변동에 밀접하게 연관된 편입니다. 여름은 전통적으로 Wine 시장의 비수기이며, 연말 연시, 명절 등에 수요가 늘어나는 등 Seasonal Effect가 높은 편입니다.


(4)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가) 부동산개발사업

부동산 사업은 SK 네트웍스가 보유한 150만㎡의 토지와 2조 9천 억원의 부동산을 효율적으로 개발하여 회사의 자산 가치 극대화를 추진하기 위하여 시작되었습니다. 서울 여의도 주유소 부지를 36층 규모의 High-end 오피스텔로 개발한  "에스트레뉴(S-Trenue)"와 경기도 화성 소재 물류센터 부지에 주상복합 "에스케이 뷰(SK View)"를 성공적으로 분양하는 등, 국내 명품 주거상품 개발을 시작으로 신개념의 Prestige 주거 문화를 창조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축적된 개발 역량과 확보된 R&C를 기반으로 Trend에 부응한 다양한 부동산 개발 사업을 전개해 나갈 것 입니다.

동 사업 관련 주요 자회사로는 SK핀크스가 있습니다.


(나) 와인사업

Fine Wine의 거래는 기본적으로 완전 경쟁 시장으로 고단가 저마진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구매 이력이나 현지 사업자(네고시앙 등)와의 관계에 따라 구매 경쟁력이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프랑스 1등급 와인의 先導 시장(엉프리메)의 경우, 구매 이력이 가장 중요한 시장 참여의 기준이 됩니다. .

당사의 Wine 사업은 200여개 와인 생산자, 네고시앙 및 영국의 대형 Merchant와의 긴밀한 네트워크 등 자체적으로 확보한 고급 와인에 대한 교섭력 및 구매력을 바탕으로 '07년 Wine Fund 상품을 국내 최초로 개발, 운용 대행하고 있으며, 런던 현지 법인의 고도화된 Sourcing 및 Trading 역량을 바탕으로 Fine Wine 유통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5) 관련 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가) 부동산개발사업

부동산 개발 산업은 국토/도시 개발 계획, 총부채상환비율(DTI) 등 금융 규제, 종합부동산세와 같은 세금제도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Customer)

법인명 지분율 소재국 사업내용
SK핀크스 100.0% 대한민국 골프, 리조트


□ SK핀크스

- 2010년 9월 골프장과 호텔이 결합된 제주 핀크스 리조트 인수를 통해 SK핀크스를 출범하였습니다. SK핀크스의 골프코스는 세계 100대 골프코스 중 한국 최초로 72위에 선정되기도 하였으며 한국 10대 골프코스에 두 차례나('03년, '05년) 1위로 선정되기도 하였습니다. SK핀크스는 기존의 리조트 및 Residence 사업을 영위하는데 그치지 않고 리조트 내 미개발 부지의 개발을 통해 고급 주택/휴양 레저 개발 사업의 Hub 역할을 수행할 것입니다.


- 회사의 연혁 (SK핀크스)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내             용
2010. 9. 1 SK핀크스㈜ 설립
대표이사 김세대 취임
2012. 1. 16   대표이사 조용선 취임



◎ 워커힐

워커힐사업은 총 4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부문의 생산제품 및 제품 판매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 할 수 있습니다.


ㆍ쉐라톤호텔사업부문 : 객실, 식음료 등

ㆍW호텔사업부문 : 객실, 식음료 등

ㆍDFS사업부문 : 면세상품 판매 등

ㆍF&D사업부문 : 코엑스 컨벤션, 골프장 클럽하우스, 인천공항 환승호텔, 외식업 등


(1) 산업의 특성

(가) 호텔사업부문 (쉐라톤 호텔, W 호텔 사업부문)

국제화 시대의 도래로 인한 국제적 교류 확대와 경제성장으로 인한 소득의 증가로 인해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며 부가가치가 높은 산업으로 고도의 서비스 능력을 필요로 하며 고용효과 또한 높은 산업입니다. 관광호텔업은 사업특성상 운전자금 부담은 미미하나, 설립시 대규모 선투자가 필요한 일반적인 특성 이외에도 설비 진부화 방지 및 성숙기 시장에서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설비의 고급화/대규모화 추세 등에 따라 지속적인 투자지출 부담이 내재되어 있습니다. 이에 따라 투자와 투하자본 회수간의 적절한 대응을 가능케 하는 자본조달구조가 원활한 자금 수급과 수익성 개선에 주요 관건으로 작용합니다. 한편 관광호텔업의 경쟁지위는 입지, 서비스의 질 및 브랜드 인지도 등에 의해 좌우되며 특히, 객실부분의 경우, 사업특성상 일일 수급동향 분석을 통한 적절한 판매요금산정 등 마케팅 관리가 경쟁력 확보의 주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나) DFS사업부문

DFS(Duty Free Shop)는 외국 관광객 및 내국인 해외출국자를 대상으로 외국의
 유명 브랜드 상품 및 토산품을 면세로 판매하는 사업입니다. 명품 브랜드를 선호하는 일본 관광객, 중국인 관광객 및 내국인 해외 출국자가 주 고객층입니다.


(다) F&D사업부문

F&D(Food&Development)사업은 Coex catering, 골프장 클럽하우스, 인천공항 환승호텔, 외식업 등 호텔 외부에 위치하여 호텔의 이미지를 기반으로 숙박 및 식음료를 판매하는 사업입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가) 호텔사업부문 (쉐라톤 호텔, W 호텔 사업부문)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 여가 선용, 레저 활동에 대한 관심 및 활용도 증가와 더불어 외국인 입국자수의 증가 등에 따라 관광호텔업계의 지속적인 성장세가 전망됩니다. 또한 면세점이나 외부사업과 같은 부대사업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진적으로 확대되어 외형성장 및 부가가치를 제고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나) DFS사업부문

DFS (면세점) 산업의 성장은 외국인 관광객, 특히 중국인 관광객 수의 큰 폭 증가로 인해 지속적인 성장세를 유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다) F&D사업부문

국민들의 삶의 질 향상으로 최근 국내 외식 산업의 외형 성장은 두드러지며, 이는 향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가) 호텔사업부문(쉐라톤 호텔, W 호텔 사업부문)

일반적으로 호텔산업의 경기는 국내 관광산업의 동향과 비교적 밀접한 관련성이 있으나, 특급호텔의 경우는 객실수입과 부대시설 수입의 수요기반이 차별적입니다. 객실수입은 주로 외국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환율변동이나 세계적인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으며, 부대시설수입은 주로 내국인에 의하여 이루어지므로 국내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나) DFS사업부문

호텔업과 마찬가지로 면세수입은 주로 외국인에 의하여 이루어 지므로 환율 변동이나 세계적인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또한 국내외 경기 상황에 따라 내국인 출국객 또한 영향을 받습니다.


(다) F&D사업부문

체감 경기 및 경제 분위기에 영향을 받으며 골프장 클럽하우스의 경우 계절적(여름, 겨울) 요인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4) 회사의 경쟁우위요소

(가) 호텔사업부문 (쉐라톤 호텔, W 호텔 사업부문)

2004년 개관한 W호텔 객실판매율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에 있으며, 운영 효율성을 나타내는 RevPar(판매가능객실당 객실수입) 지표가 업계 상위권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쉐라톤 호텔의 경우 카지노와 연계된 객실 및 식음료 매출에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국제행사 및 기업행사 등 MICE(Meeting, Incentives, Convention, Exhibition) 산업 고객 중심의 연회 및 객실 매출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향후 식음료 업장 Reformation을 통해 안정적인 식음료 매출 성장에도 Focus 할 예정입니다. 또한 가격 차별화 등 두 호텔의 차별적 운영을 바탕으로 한 매출 기반 확대가 예상되어 객실 매출은 중장기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나) DFS사업부문

호텔 및 카지노 등의 호텔 인프라와의 연계 매출, 시계브랜드의 다양화 및 중국인 선호 브랜드 입점 등에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다) F&D사업부문

호텔 식음료 부문의 차별화된 서비스와 맛을 바탕으로 호텔 외부의 골프장 클럽하우스, 인천공항 환승호텔 및 레스토랑을 운영, 수익성을 증대시키고 안정적 성장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 기타 연결대상 주요종속회사 (경영지원부문, 중국 HQ 등)

법인명 지분율 소재국 사업내용
SKN (China) Holdings Co.,Ltd. 100.0% 중국 투자업
Shenyang SK Bus Terminal Co.,Ltd. 70.0% 중국 운수업
Dandong SK Networks Real Estate Co., Ltd 100.0% 중국 부동산업
SK Networks HongKong.,Ltd 100.0% 홍콩 무역업


□ SKN (China) Holdings Co.,Ltd.

중국투자유한공사는 기존에 해외 진출이 활성화되었던 T&I를 제외한 타 CIC 사업들의 중국시장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지주회사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현재 중국투자유한공사의 자회사 소속 법인들이 수행하고 있는 주요 사업은 세련된 감성의 브랜드와 디자인을 활용 중국 Prestige 고객을 대상으로 전개하고 있는 패션 사업, 신개념 주거상품 및 당사 보유자산을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부동산 사업, 그리고 동북3성 內 거점 확보를 위해 시민 편의시설인 버스터미널과 상가/Office 임대를 운영중인 객운참 사업, 보세물류센터를 운영하는 물류사업, 5개의 현지법인, 4개의 Ascon 공장을 운영하고 있는 에너지유통 사업, 자동차 경정비사업,기업형 Biz Model로 차별화된 한식요리를 고객에 제공하는 외식사업을 통해 고객에게 더욱 풍요로운 가치와 라이프 스타일을 제안하고 있습니다.

이들 사업에 대한 중국투자유한공사의 역할은 실제 사업법인 설립절차 지원, 법인의 설립 및 운영자금조달 지원, 사업 추진을 위한 전문인력 제공 등의 산하법인 Supporting 업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중국 사업의 자기완결적 수행을 위해 기획전략 측면에서는 중국 Biz. 통합관점 전략 수립/수행, HR 측면에서는 독자적 HR 시스템 구축 및 우수인재양성 프로그램 운영, RM 측면에서는 Risk 사전 Monitoring 및 자체 Auditing, CR 측면에서는 China 內 SK 브랜드 관리 시행, 그리고 마지막으로는 신규사업 발굴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중국투자유한공사는 위와 같이 중국 내 지주회사로서의 역할 수행을 통해 SK네트웍스의 China 內 사업들을 더욱 성장시키고 신규사업을 발굴해 내는데 지속적으로 힘쓰고 있습니다.


- 회사의 연혁 (SKN (China) Holdings Co.,Ltd.)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변동내용 변경전 변경후 비고
2008. 03. 03 등록자본 USD 9,034만 USD 12,544만 -
2008. 03. 03 동사변경 동사장: 이금복
동  사: 박신호/강신웅/
강대성/손기원
동사장: 조기행
동  사: 박신호/이응상/
        강대성/손기원
-
2008. 07. 31 회사명칭 愛思客(중국)투자유한공사 愛思開實嶪(중국)투자유한공사 -
2008. 07. 31 등록자본 USD 12,544만 USD 17,498만 -
2009. 02. 16 등록자본 USD 17,498만 USD 19,740만
2009. 03. 13 동사변경 동사장: 조기행
동  사: 박신호/이응상/
        강대성/손기원
동사장: 조기행
동  사: 박신호/백승한/
        강대성/이동구

2010. 07. 08 동사/감사
변경
동사장: 조기행
동  사: 박신호/백승한/
        강대성/이동구
감  사: 無
동사장: 백승한
동  사: 강대성/이한균/라성웅
 
감  사: 김동근
-
2011. 06. 01 동사변경 동사장: 백승한
동 사: 강대성/이한균/라성웅
감  사: 김동근
동사장: 장종현
동  사: 이명영/이한균/손기원
감  사: 김동근
-
2011. 06. 01 회사주소 심양시 화평구 화평북대가 69호 총통빌딩 A좌 18층 심양시 화평구 승리남가 61호 -
2012. 04. 16 동사변경 동사장: 장종현
동 사: 이명영/이한균/손기원
감  사: 김동근
동사장: 전현수
동  사: 김성재/이한균/손기원
감  사: 김동근


나. 상호의 변경

일 자 변 경 전 변 경 후 비 고
2008. 07. 31 愛思客(중국)투자유한공사 愛思開實嶪(중국)투자유한공사 -



□ Shenyang SK Bus Terminal Co.,Ltd.
중국 요녕성 심양시에 건설된 '객운참'은 외자기업이 Major 지분을 보유한 중국 내 최초의 '복합터미널' 건설/운영사업으로, 심양시 중심지역 연면적 72,600제곱미터(㎡) 규모(24F)의 Bus Terminal/ 상가/Office 등의 복합시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0년 10월 정식 Open된 Bus Terminal은 SK네트웍스의 중국 현지 사업 기반 확보 측면에서 Global 역량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입니다.

- 회사의 연혁 (Shenyang SK Bus Terminal Co.,Ltd.)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변동내용 변경전 변경후
2008. 05. 31 동사/감사 동 사 장: 박신호
부동사장: 張安秋
동    사: 손기원/이해원/
          서덕영/정해준/
          韓閔榕
감    사: 안준필/周中平/隋學利
동 사 장: 박신호
부동사장: 康魁文
동    사: 손기원/김홍수/
          이대용/정해준/
          韓閔榕
감    사: 김동근/周中平/隋學利
2008. 07. 18 경영범위
추가
버스객운참(도로여객운송업무 불포함) 버스객운참(도로여객운송업무 불포함);자기소유 부동산임대,물업관리;화물운송대리(국제업무 불포함)
2010. 01. 20 경영범위
추가
버스객운참(도로여객운송업무 불포함);자기소유 부동산임대,물업관리;화물운송대리(국제업
무 불포함)
버스객운참(도로여객운송업무 불포함);자기소유 부동산임대,물업관리;화물운송대리(국제업무 불포함);화물하역,포장 및 관련 정보처리서비스와 관련 컨설팅업무;주차장관리;창고저장 서비스 (위험화물,금지품 불포함)
2010. 01. 20 동사/감사 동 사 장: 박신호
부동사장: 康魁文
동    사: 손기원/김홍수/
          이대용/정해준/
          韓閔榕
감    사: 김동근/周中平/隋學利
동 사 장: 박신호
부동사장: 王作發
동    사: 손기원/김홍수/
          이대용/정해준/
          韓閔榕
감    사: 김동근/周中平/隋學利
2010. 04. 07 동사/감사 동 사 장: 박신호
부동사장: 王作發
동    사: 손기원/김홍수/
          이대용/정해준/
          韓閔榕
감    사: 김동근/周中平/隋學利
동 사 장: 손기원
부동사장: 王作發
동    사: 강신혁/김동근/
          정해준/유윤종/
          韓閔榕
감    사: 왕현준/周中平/隋學利
2011. 06. 20 회사주소 심양시 화평구 승리남가 15호 심양시 화평구 승리남가 63호
2011. 11 .17 동사/감사 동 사 장: 손기원
부동사장: 王作發
동    사: 강신혁/김동근/
          정해준/유윤종/
          韓閔榕
감    사: 왕현준/周中平/隋學利
동 사 장: 이한균
부동사장: 趙捷
동    사: 추상용/김동근/
          안대룡/민병욱/
          王衛東
감    사: 주우개/田志文/?慶超
2012. 05. 15 등록자본
(심양지주 투자금액 및 지분율)
2억 RMB
(1.4억 RMB, 70%)
2.4억
(1.8억 RMB, 75%)
2012.05.30 동사 동 사 장: 이한균
부동사장: 趙捷
동    사: 추상용/김동근/
          안대룡/민병욱/
          王衛東
감    사: 주우개/田志文/?慶超
동 사 장: 이한균
부동사장: 趙捷
동    사: 추상용/김동근/
          안대룡/유윤종/
          王衛東
감    사: 주우개/田志文/?慶超



□ Dandong SK Networks Real Estate Co., Ltd..


단동부동산법인은 '05. 12월 중국투자유한공사 100% 지분투자를 통해 설립하였고,

'07~'12년 여강국제 Project (압록강변 주상복합APT/오피스 건설 및 분양사업 _ 연면적 약 7만㎡) 추진을 통해 부동산사업 현지 성장기반을 확보하였습니다.

또한, 연속하여 '11년 신성 Ⅰ Project (단동 신도시 주상복합APT/오피스 건설 및 분양사업

_ 연면적 약 13만㎡) 를 착공하였으며 '13년 준공을 거쳐 '14~'15년경 분양 완료할 계획입니다.

향후 중국의 경제발전과 도시화 확대 추세를 감안하여 신규 Project 을 지속 발굴, 확장해 나가고자 합니다.


- 회사의 연혁

가. 주된 변동 상황

일  자 변동내용 변경전 변경후
2006. 09. 27 등록자본 USD 1,400만 USD 1,750만
2010. 03. 25 동사변경 동사장:박신호
동사  :손기원
동사  :김홍수
동사  :류인진
동사장:손기원
동사  :정해준
동사  :김동근
동사  :유윤종
2010. 03. 26 법정대표자 박신호 손기원
2011. 05. 11 법정대표자 손기원 전현수
2011. 05. 11 동사변경 동사장:손기원
동사  :정해준
동사  :유윤종
동사  :김동근
동사장:전현수
동사  :정해준
동사  :유윤종
동사  :이대용
2011. 05. 11 감사선임 - 김동근
2012. 04. 16 법정대표자 전현수 홍종국
2012. 04. 16 동사변경 동사장:전현수
동사  :정해준
동사  :유윤종
동사  :이대용
동사장:홍종국
동사  :정해준
동사  :유윤종
동사  :안준필
2013. 04. 15 동사변경 동사장:홍종국
동사  :정해준
동사  :유윤종
동사  :안준필
동사장:홍종국
동사  :한욱생
동사  :윤후상
동사  :안준필


□ SK Networks HongKong.,Ltd.
홍콩법인은 Global 금융 Network 확보 목적 아래 본사의 사업 및 금융 지원, 신규성장동력 발굴 등을 위해 2008년에 설립되었습니다. 아시아의 금융 허브인 홍콩의 지역적 이점을 활용하여 국제금융 Outpost로써의 정보 제공 및 조달 기능 수행, 회사의 주요 Trading 대상인 에너지, 화학 및 철강제품의 3국간 거래 연계를 통한 거래 확대 및 금융비 절감, 이외 회사에서 신규 성장동력으로 추진 중인 Wine 사업의 핵심 거점으로 현지 Deal Sourcing 판매, Wine Fund 운용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다. 주요 제품, 서비스 등
(1) 주요제품의 내용
- 당사는 1953년 4월 8일 창립, 직물 분야로 출발하여 국내외 네트워크 거점, 우량 거래선, 물류능력 등 경쟁우위를 바탕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마케팅 전문기업으로서 정보통신사업, 무역업, 석유제품을 중심으로 한 에너지유통사업 및 패션사업, 호텔업 등 최종고객을 기반으로 하는 사업 등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 사업부문별 주요 제품

IM 휴대폰 등 정보통신기기
E&C

일반석유제품(휘발유, 등유, 경유, 중질유)
특수석유제품(LPG, 윤활유, 아스팔트, 벙커링)
차량 정비/부품, ERS, 렌터카

T&I 철강, 에너지, 화학 상품의 국내외 무역(Trading)
패션 의류, 액세서리(핸드백, 지갑 등)
CUSTOMER 부동산개발 등 기타 용역
워커힐 호텔 객실, 빌라, 식음료, 연회행사, 면세품 판매, 골프장 클럽하우스,
인천공항 환승호텔, 레스토랑 등


(2)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 사업부문의 구분 방법
    : 매출액, 영업손익에 따라 전체 비중이 10% 이상인 사업부문  

                                                                                              [단위: 백만원, %]

구  분 매출액 비율(%) 영업이익 비율(%) 자산 비율(%)
IM 1,795,116 27.93% 14,246 58.83% 1,517,825 14.24%
E&C 2,719,585 42.31% 4,569 18.87% 1,963,768 18.42%
T&I 1,653,706 25.73% 41 0.17% 2,392,926 22.45%
패션 132,256 2.06% 4,328 17.87% 348,948 3.27%
Customer 23,350 0.36% -3,796 -15.68% 369,682 3.47%
워커힐 95,838 1.49% -159 -0.66% 885,802 8.31%
기  타 7,543 0.12% 4,988 20.60% 3,179,936 29.83%
합  계 6,427,393 100.00% 24,217 100.00% 10,658,886 100.00%

※ 2013년 1분기 누적 연결기준 실적임


(3) 시장점유율 등

(가) E&C - Energy 사업: 업체별 유류 내수 판매 점유율 추이

                                                                                                    [단위 :  %]

구분 '09년 '10년 '11년 '12년 '13.2월
SK
(SKN)
37.6
(25.2)
36.1
(23.4)
35.3
(22.4)
32.9
(20.7)
30.1
(19.1)
GS 칼텍스 28.4 28.2 26.9 24.7 23.8
S-Oil 14.2 15.0 15.4 16.8 17.7
현대오일뱅크 18.4 18.7 20.0 21.2 20.9
기타 1.4 2.0 2.4 4.4 7.5
합계 100 100 100 100 100

※ 점유율은 국내 소매시장 기준임(일반유,누계실적)

- Car 사업: 주요 사업별 시장점유율 현황 ('12년 추정)

구분 정비 렌터카 ERS
M/S 8% 5% 18%

* 상기 M/S는 전체 시장규모 대비 당사 매출액을 기준으로 추정한 것임.

* 자회사 스피드모터스의 점유율 제외

* ERS : Emergency Road Service

 (나) T&I : 국내 상사 수출 누적 실적
                                                                                          [단위 : USD백만]

구분 '12년 1분기 '13년 1분기 전년동기대비 증감율
대우인터내셔널 2,105 1,977 △128 △6.1%
현대종합상사 1,201 790 △411 △34.2%
효성 1,165 965 △200 △17.2%
삼성물산 899 1,261 362 40.3%
SK네트웍스 550 478 △72 △13.1%
GS글로벌 436 322 △114 △26.1%
LG상사 361 330 △31 △8.6%
6,717 6,123 △594 △8.8%

* 출처: 무역협회 무역통계자료(www.kita.net), 관세청 통관기준 확정치 기준임

(4)조직도

이미지: 조직도_2013_1q

조직도_2013_1q


2. 매출에 관한 사항

가. 주요 상품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사업부문 품 목 매출액(비율) 매출총이익(비율) 비 고
IM IT 시스템, 이동통신 단말기 등 1,803,069
(26.31%)
118,985
(27.57%)
-
E&C 석유류 제품, 차량경정비 등 2,720,004
(39.69%)
107,001
(24.80%)
-
T&I 철강, 화학, 에너지 2,067,025
(30.16%)
52,616
(12.19%)
-
패션 의류 판매 등 135,423
(1.98%)
89,249
(20.68%)
-
Customer 부동산, 와인판매 등 23,824
(0.35%)
2,230
(0.52%)
-
워커힐 호텔, 면세점 등 95,840
(1.40%)
55,099
(12.77%)
-
기타 - 7,582
(0.11%)
6,326
(1.47%)
-
총합계 - 6,852,767
(100.00%)
431,506
(100.00%)
-
내부거래 - △425,373 △3,960 -
순합계 - 6,427,393 427,546 -

※ 2013년 1분기 누적 연결기준 실적임

나. 매출형태별 실적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61기 1분기 제 60기 1분기 제60기
매출액 비 율 매출액 비 율 매출액 비 율
수 출 상품매출 1,292,984 20.1% 1,272,255 19.2% 5,165,532 18.50%
제품매출 32,056 0.5% 53,032 0.8% 206,895 0.70%
용역매출 - 0.0% - 0.0% 0 0.00%
기 타 - 0.0% - 0.0% 0 0.00%
소 계 1,325,041 20.6% 1,325,287 20.0% 5,372,427 19.20%
내 수 상품매출 4,737,871 73.7% 4,921,830 74.2% 20,870,943 74.70%
제품매출 44,906 0.7% 120,150 1.8% 393,223 1.40%
용역매출 301,570 4.7% 242,472 3.7% 1,239,886 4.40%
기 타 18,006 0.3% 26,900 0.4% 59,024 0.30%
소 계 5,102,353 79.4% 5,311,352 80.0% 22,563,076 80.80%
합 계 6,427,393 100.0% 6,636,639 100.0% 27,935,503 100.00%

※ 2013년 1분기 누적 연결기준 실적임

다.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1) 판매조직

 (가) 판매의 초기단계와 사후관리를 담당하는 해외 20여 개 이상의 해외 지사 및
       사무소
  (나) 판매과정을 진행하고 판매물품의 매입 등 물량 공급을 수행하는 본사 조직
       : 효율적인 판매 업무수행을 위하여 상품별로 운영
       (화학, 에너지, 철강, 의류, 통신판매, 컴퓨터시스템, 차량 및 가정용 연료 등)
  (다) 국내 최종소비자에 대한 판매 및 여신 회수 등 사후관리를 담당하는 국내 지사
         및  영업소

(2) 판매경로
부문별 판매경로는 다음과 같음  

부문 판매경로
IM Maker→SK네트웍스→대리점 또는 최종고객
 SK네트웍스 → 기업고객 또는 최종고객
E&C SK에너지→SK네트웍스→Dealer (대리점/주유소) or 최종고객
 Supplier(Maker)→SK네트웍스→End User (or Dealer)
T&I Supplier(Maker)→SK네트웍스→Dealer( or End User)
패션 Supplier(Maker)→SK네트웍스→End User (or Dealer)
 SK네트웍스(Maker)→End User (or Dealer)
Customer SK네트웍스(Developer)→End User (or Dealer)

* E&C컴퍼니는 정유사인 SK에너지㈜로부터 해당 석유류 제품을 공급받아
    대리점(도매)  또는  최종소비자(소매)에게 판매하고 있음.

(3) 판매방법 및 조건

구분 판매 방법 판매 조건
국내도매 국내시장 도매업자에게 위탁판매 및 방문판매 현금 결제 또는 단기간 여신 제공
국내소매 직영매장 및  매장 입점을 통한 직접 판매
수출 L/C 수취 후 상품 국내구매, 완제품 자체구입 또는
 임가공 형태 물품 공급받아 수출 및 대행수출
은행간 결제계약에 근거하여 L/C(at sight,usance등),
D/A, D/P, T/T결제
수입 L/C개설 후 통관 및 내수 판매
제3국간 거래 제3국에서 물품을 공급받아 수출


(4) 판매전략

각기의 판매활동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전략을 근간으로 하여 이루어짐

(가) 시장 구조에 관한 지식, 수급동향, 거래선에 대한 지식 및 동향정보, 가격동향
      정보 등 다양한 정보와 지식을 집약하여 신속히 확산함.
 (나) 국내외 정보를 바탕으로 한 고객 및 시장의 변화를 포착함.
 (다) 거래선과의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관계 형성에 노력함.
 (라) 가장 유리한 판매경로를 선택하고, 판매망을 부단히 정비·강화하여 수익력
      강화에 주력함.
 (마) 정확한 수요예측과 생산 계획의 조정으로 적정 재고를 유지
 (바) 적절한 가격 정책의 유지와 거래선의 이윤확보를 위해 노력
 (사) 종합적인 Marketing 활동 체제를 강화
 (아) 고객 DB,  e-SCM 추진 및 On-Line Marketplace 확보


3. 주요 제품, 서비스, 원재료 등

가. 취급품목별 수출(매출) 내역

(1) 상품매출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 분 제61기 1분기 제60기 1분기 제60기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중화학제품
(철강/화학/석유제품등)
수 출 1,282,742 21.3% 1,267,630 20.5% 5,132,316 19.7%
매 출 2,960,483 49.1% 3,327,475 53.7% 13,513,962 51.9%
패션의류 수 출 591 0.0% 540 0.0% 3,426 0.0%
매 출 111,682 1.9% 99,382 1.6% 409,514 1.6%
일반상품 외
(정보통신 상품 등)
수 출 9,651 0.2% 4,085 0.1% 29,790 0.1%
매 출 1,665,706 27.6% 1,494,973 24.1% 6,947,467 26.7%
합 계 6,030,856 100.0% 6,194,085 100.0% 26,036,475 100.0%


(2) 제품매출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 분 제61기 1분기 제60기 1분기 제60기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중화학제품
(철강/화학/석유제품등)
수 출 32,056 41.7% 53,032 30.6% 206,895 34.5%
매 출 25,005 32.5% 90,210 52.1% 268,331 44.7%
패션의류 수 출 - 0.0% - 0.0% 0 0.0%
매 출 19,901 25.9% 29,940 17.3% 124,892 20.8%
일반상품 외
(정보통신 상품 등)
수 출 - 0.0% - 0.0% 0 0.0%
매 출 - 0.0% - 0.0% 0 0.0%
합 계 76,962 100.0% 173,182 100.0% 600,118 100.0%


(3) 용역수익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 분 제61기 1분기 제60기 1분기 제60기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중화학제품
(철강/화학/석유제품등)
수 출 - 0.00% - 0.0% - -
매 출 61,684 20.5% 47,265 19.5% 242,980 19.6%
패션의류 수 출 - 0.0% - 0.0% - -
매 출 2 0.0% 4 0.0% 231 0.0%
일반상품 외 수 출 - 0.0% - 0.0% - -
매 출 239,883 79.5% 195,203 80.5% 996,675 80.4%
합 계 301,570 100.0% 242,472 100.0% 1,239,886 100.0%


(4) 기타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 분 제61기 1분기 제60기 1분기 제60기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중화학제품
(철강/화학/석유제품등)
수 출 - 0.0% - 0.0% - -
매 출 11,321 62.9% 19,573 72.8% 34,010 57.6%
패션의류 수 출 - 0.0% - 0.0% - -
매 출 79 0.4% 38 0.1% 174 0.3%
일반상품 외 수 출 - 0.0% - 0.0% - -
매 출 6,607 36.7% 7,289 27.1% 24,840 42.1%
합 계 18,006 100.0% 26,900 100.0% 59,024 100.0%


나. 취급품목별 원재료  매입 등 내역

(단위 : 백만원)
품 목 구 분 제61기 1분기 제60기 1분기 제60기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금액 구성비
중화학제품
(철강/화학/석유제품등)
매입등 4,214,287 70.2% 4,596,012 74.8% 18,576,024 71.7%
패션의류 매입등 43,006 0.7% 44,811 0.7% 184,447 0.7%
일반상품 외 매입등 1,742,555 29.0% 1,504,825 24.5% 7,163,022 27.6%
합 계 5,999,848 100.0% 6,145,648 100.0% 25,923,493 100.0%

4. 영업설비 등의 현황

가. 영업용 설비 현황

(1) 국내

( 기준일: 2013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구 분 소재지 토 지 건 물 합 계 비고
본사 서울     34,012   9,222     43,234 소유
워커힐 서울    444,597 289,106    733,703 소유
영업소 강원     34,971   4,148     39,119 소유
경기    484,991  57,527    542,518 소유
경남     54,388   6,451     60,839 소유
경북     23,547   2,793     26,340 소유
광주     16,340   1,938     18,278 소유
대구     49,654   5,890     55,544 소유
대전     62,408   7,402     69,810 소유
부산     84,580  10,032     94,613 소유
서울    783,213  92,900    876,113 소유
울산     33,249   3,944     37,193 소유
인천    174,870  20,742    195,612 소유
전남      9,326   1,106     10,432 소유
전북     28,954   3,434     32,388 소유
제주        970     115      1,085 소유
충남     28,445   3,374     31,819 소유
충북     24,018   2,849     26,867 소유
강원 4,941㎡ 3,096㎡ 8,037㎡ 임차
경기 58,749㎡ 11,949㎡ 70,698㎡ 임차
경남 3,946㎡ 3,149㎡ 7,095㎡ 임차
경북 7,754㎡ 2,857㎡ 10,612㎡ 임차
광주 7,357㎡ 3,192㎡ 10,549㎡ 임차
대구 11,949㎡ 5,177㎡ 17,126㎡ 임차
대전 2,999㎡ 1,898㎡ 4,897㎡ 임차
부산 6,112㎡ 1,318㎡ 7,431㎡ 임차
서울 62,897㎡ 58,901㎡ 121,798㎡ 임차
울산 3,346㎡ 1,887㎡ 5,234㎡ 임차
인천 3,236㎡ 13,845㎡ 17,081㎡ 임차
전남 2,489㎡ 567㎡ 3,056㎡ 임차
전북 75㎡ 457㎡ 532㎡ 임차
제주 1,917㎡ 754㎡ 2,671㎡ 임차
충남 14,194㎡ 1,831㎡ 16,025㎡ 임차
충북 9,838㎡ 2,230㎡ 12,068㎡ 임차
합계 (소유)      2,372,533     522,974      2,895,506  -
합계 (임차)    201,800㎡ 113,109㎡    314,908㎡  -

※ 소유의 경우 장부가를, 임차의 경우 면적을 기재함.

(2) 해외
(가) 사무소

( 기준일: 2013년 3월 31일 )                                                                                  ( 단위 : 백만원, 명 )
소재지 토 지 건 물 합 계 종업원수 비 고
U.A.E -       115.20㎡       115.20㎡        2 임 차
이란 -       250.00㎡           250.00㎡           2 임 차
사우디아라비아 -       206.00㎡       206.00㎡            - 임 차
중국 -    674.31㎡ 674.31㎡           2 임 차
타이페이 -       298.18㎡       298.18㎡           2 임 차
인도 -       136.80㎡       136.80㎡           1 임 차
베트남 -       126.00㎡       126.00㎡           1 임 차
말레이지아 -       116.00㎡       116.00㎡           1 임 차
체코 -         27.00㎡         27.00㎡            - 임 차
합계 -  1,949.49㎡  1,949.49㎡          11 임 차

※ 현지 채용인을 제외한 정규직 인원 기준임.
※ 소유의 경우 장부가를, 임차의 경우 면적을 기재함.


(나) 현지법인

( 기준일: 2013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명 )
구분 소재지 토지 건물 합계 종업원수 비고
SK Networks Japan Co., Ltd. 일본  -       137.00㎡       137.00㎡          1 임차
SK Networks Deutschland GmbH 독일  -       286.80㎡        286.80㎡          1 임차
SK Steel Australia Pty. Ltd. 호주          3,726         6,056          9,781          2 소유
SK  Networks (Shanghai) Co., Ltd. 중국 -     1,179.53㎡     1,179.53㎡         14 임차
SK (GZ Free Zone) Co., Ltd. 중국  -       287.23㎡           287.23㎡            1 임차
SK Networks (ZHANGJIAGANG) METAL Products CO., Ltd. 중국  -       320.00㎡           320.00㎡             - 임차
POSK (Pinghu)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중국          3,465         4,469          7,934          2 소유
Ningbo SK Zhenbang Chemical Co., Ltd. 중국   43,382.00㎡   21,301.00㎡       64,683.00㎡            1 임차
DAIYANG-SK Networks Metal SANAYI VE TiCARET Ltd. Sti 터키          3,779       28,750         32,529          2 소유
SK Networks Middle East FZE U.A.E  -         26.46㎡            26.46㎡            1 임차
PT SK Networks Indonesia 인도네시아  -       192.33㎡           192.33㎡             - 임차
Plantation BHQ 인도네시아     2,480.00㎡     1,117.00㎡         3,597.00㎡            2 임차
SK Networks (XIAMEN)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중국         914.26     6,146.93       7,061.19          2 소유
SK (Guangzhou) Metal Co., Ltd. 중국       1,701.64     5,693.65       7,395.29          1 소유
Shenyang SK Networks Energy Co., Ltd 중국 9,233.45㎡ 929.90㎡ 10,163.35㎡ 2 출양
SK (LiaoNing) Construction Co.,Ltd. 중국 19,348.00㎡ 529.93㎡ 19,877.93㎡ 0 출양
SK networks CO., LTD. Beijing Office 중국  - 120.19㎡ 120.19㎡ 2 임차
SK Networks (Shanghai) Marketing Co., Ltd 중국  - 1280.00㎡ 1280.00㎡ 5 임차
SK Networks(China)Holdings Co., Ltd 중국  - 1,060.00㎡ 1,060.00㎡ 2 임차
SK networks Shenyang Office 중국  - 142.00㎡ 142.00㎡ 4 임차
Dandong SK Networks Real Estate Co.,Ltd 중국 62,534.00㎡ 457.40㎡ 62,991.40㎡ 1 출양/임차
Shenyang SK Networks Bus Terminal Co., Ltd 중국 16,571.20㎡ 69,078.49㎡ 85,649.69㎡   출양/임차
Dandong SK Networks Energy Co., Ltd 중국 236,681.00㎡ 1,907.12㎡ 238,588.12㎡   출양
SK Networks (Dandong) Ascon Construction Co., Ltd 중국 19,100.00㎡ 1,313.28㎡ 20,413.28㎡   출양/임차
Dandong SK networks Logistics Co., Ltd 중국 124,493.50㎡ 14,882.00㎡ 139,375.50㎡ 0 출양/임차
SK NETWORKS HONG KONG LIMITED 중국  - 349.32㎡ 349.32㎡ 2 임차
Obzee New York, Inc 미국  - 1020.23㎡ 1,020.23㎡ 1 임차
Wine Networks 영국 - 266.12㎡ 266.12㎡ 1 임차
SK Networks Fine Wine Internation Ltd. 중국  - 262.75㎡ 262.75㎡ 1 임차
SK (beijing) auto rental Co., Ltd 중국  - 230.40㎡ 230.40㎡ 0 임차
SK (shenyang) auto rental Co., Ltd 중국  - 97.00㎡ 97.00㎡ 1 임차
SK (qingdao) auto rental Co., Ltd 중국  - 279.30㎡ 279.30㎡ 0 임차
Guangzhou SK auto rental Co.,Ltd 중국  - 100.00㎡ 100.00㎡ 0 임차
Shenyang ZINZEE F&B Co.,Ltd 중국  - 1,853.00㎡ 1,853.00㎡ 2 임차
합 계 -     13,585.19   51,115.70     64,700.89 54 소유
533,823.15㎡   121,005.78㎡   654,828.93㎡ 임차

※ 종업원 수는 현지 채용인을 제외한 정규직 인원 기준임.
※ 소유의 경우 장부가를, 출양/임차의 경우 면적을 기재함.

5.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시장위험이란 시장가격의 변동으로 인하여 금융상품의 공정가치나 미래현금흐름이 변동할 위험을 의미합니다. 시장가격 관리의 목적은 수익은 최적화하는 반면 수용가능 한 한계 이내로 시장위험 노출을 관리 및 통제하는 것입니다.

가. 환율 변동의 위험과 관리

당사는 해외 영업활동을 수행함에 따라 기능통화인 원화와 다른 외화 수입, 지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는 환포지션의 주요 통화로는 미국 달러, 유로이며, 기타의 통화로는 일본 엔, 호주달러, 영국 파운드 등이 있습니다.
당사는 이러한 환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사내선물환제도를 활용하여 영업활동 및 투자활동에서 발생 가능한 환위험을 최대한 헷지하고 있습니다.
사내선물환제도의 근간이 되는 환위험 관리지침에는 환위험관리 기본원칙, 관리주체, 책임과 권한, 보고체계, 사내선물환 제도, 내부통제 등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사내선물환 시스템을 통한 Exposure 축소 등으로 외환위험을 축소하고, 잔여 Exposure에 대해서는 선물환 등 파생상품을 통해 헷지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투기적 목적의 외환관리는 엄격히 금하고 있습니다.

나. 이자율 변동의 위험과 관리
이자율 위험은 미래 시장 이자율 변동에 따라 예금 또는 차입금 등에서 발생하는 이자수익 및 이자비용이 변동될 위험으로서 이는 주로 변동 금리부조건의 차입금과 예금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당사 국제금융팀은 고정금리부 차입/예금, 고금리 차입금 감축, 예금상품 다양화를 통한 효율적 포트폴리오 구성, 장/단기 차입구조 개선, 국내외 금리동향 수시 모니터링 실시 및 대응방안 수립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이자율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6. 파생상품 등에 관한 사항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사는 환율변동에 따른 환리스크 Hedge 목적으로 외환은행 등과 통화선도, 통화스왑 및 이자율스왑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① 통화선도 : 환율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미래 채권회수일 및 채무지급일에 특정환율에 의해고정된 원화 및 외화를 주고 원화 및 외화를 수취하는 계약
② 통화스왑 : 환율 및 이자율(Libor연동) 변동으로 인한 현금흐름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미래 이자지급일 및 스왑계약종료일에 고정금리 원화이자 및 원화원금을 지급하고 변동금리(Libor연동)로 외화이자 및 외화원금을 수취하는 계약
③ 이자율스왑 : 변동금리부 차입금 및 사채에 대한 현금흐름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계약

대금수수는 국내은행간 이체에 의하고, 당기누적 기간 중 통화선도거래 등에서 발생한 거래이익 및 거래손실은 각각 38,141백만원 및 30,908만원며, 이는 각각 파생상품거래이익 및 파생상품거래손실로 계상되어 있습니다.

나. 2013년 3월 31일 현재 연결실체가 체결한 파생상품 계약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외화단위: 각 천, 원화단위: 백만원)

통화 매입 통화 매도 계약환율 계약건수
AED 547 USD 149 3.67 1
AUD 374 386 1.04 2
CHF 2,505 2,640 0.95 9
EUR 18,184 23,740 1.32 132
GBP 733 1,117 1.52 5
HKD 89 11 7.76 1
JPY 1,922,205 22,190 87.18 31
KRW 17,520 15,000 1,168.00 1
USD 730 AED 2,681 3.67 1
22,707 AUD 22,433 1.02 34
25,001 EUR 19,124 1.31 50
6,142 GBP 4,024 1.52 21
14,920 JPY 1,295,616 91.93 3
972,000 KRW 1,120,024 1,150.80 53


다. 당기의 파생상품별 평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파생상품 종류 평가이익(손실) 비 고
구 분 당분기 전분기
통화선도 평가이익 42,699 25,220 당기손익
평가손실 (16,373) (26,634)
통화스왑 평가이익 5,183 - 당기손익
평가손실 - (2,447)
평가손실 26 (1,068) 기타포괄손익
이자율스왑 평가이익 644 565 기타포괄손익



라. 풋옵션, 콜옵션, 풋백옵션 등의 계약내용

(1) Northern Copper Industrial Co.,Ltd

<매도선택권의 보유>

중국 북방동업고분유한공사(이하 “북방동업”이라 함)와 한국 SK 네트웍스주식회사(이하 “SKN”이라 함)는 SKN이 기존 북방동업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사항에 관하여 2007년 3월 29일에 <유상증자 계약서> <합자 계약서>를 체결하였으며, 합자회사가 설립일로부터 5년 이내에 중국 또는 기타 국가에서 상장하지 못하는 경우, SKN은 주당 RMB 4.83원으로 중조산집단에 주식을 매도할 수 있는 매도선택권을 보유함. (증조산집단과 약정한 풋옵션 행사가를 RMB7.38로 변경하는 보충협약서를 체결하였으나 중국 상무부 비준을 득하지

않은 상태임)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중조산집단&

SKN

(광물공사

지분 포함 45%, 당사 39%)


2013년
4. 11 이후
풋옵션
 내용
 참조


(1)합자회사가 설립 일부터 5년 이내에 중국 또는 기타 국가 에서 상장하지 못하는 경우, SKN은 주당 RMB 4.83원의 가격으로 중조산집단에매도할 권리가 있음.

(2) 양도 주식비율은 SKN이 정한다. 단, 45%를 초과하지 않으며, SKN의 사유로 인하여 합자주식회사가 상장하지 못하는 경우는 예외로 함.

(3) 위의 규정에 따라, SKN이 주식양도의 통지를 발송할 경우, 중조산집단은 동 통지를 받은 날로부터 60일 이내에 SKN과 주식양도계약을 체결하여야 함.

(4) 단, SKN이 주식양도의 통지를 발송한 날부터 60일 이내에 주식양도계약을 체결하지 못할 경우, 갑은 다음날부터 30일 이내에 주식양도대금의 40%을 지급하고, 6개월 내에 나머지 60%을 지급하여야 함.  중조산집단이 상기 규정에 따라 SKN에게 주식양도대금을 지급하지 않을 경우, 연기된 30일부터 일당 당기 미지급금액의 0.02%를 위약금으로 SKN에게 지급하여야 함.

-


(2) Novoko B.V.

<매도선택권의 보유>
SKN은 카작 소재 Junayd社와  Joint Venture Agreement을 체결하면서 Subinskoe가 Subsoil Use Contract(광업권)을 체결할 권리가 주어진 날로 부터 24개월이내 Subsoil Use Contract을 체결하지 못할 경우 SKN이 소유한 Novoko B.V.의 지분 90% 전부를 Junayd에게 매도할 수 있는 권리를 체결 함. 또한 Junayd의 주주인 Fintex는 이에 해당하는 보증서를 SKN에게 제출함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SKN 90%

Junayd 10%

2013년
5월 23일


풋옵션

내용

참조


(1)풋옵션행사 조건

    SKN의 과실을 제외하고 Shubinskoe가 'Subsoil Use Contract을 체결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날’로부터 24개월(당초 '8개월’이었으나 후에 '24개월’로 수정함) 이내 MINT와 Subsoil Use Contact을 체결하지 못하는 경우

(2) 풋옵션 행사가격은 U$6,670,000

(3) SKN은 Junayd에게 풋옵션 행사를 위한 서면공지 후 Junayd는 3개월 이내 SKN이 지정한 계좌에 송금해야 함

(4) Subinskoe와 MINT 간에 Subsoil Use Contact 체결 이후 SKN은 Put Option을 행사할 수 없음.

'Subinskoe가 Subsoil Use Contract을 체결할 수 있는 권리가 주어진 날 :
 '11년5월23일


(3) Keregetas LLP

<매도선택권의 보유>

SKN은 카작 소재 CNRG社과 공동으로 동사가 보유한 몰리브덴/동광산 PJT의 광권을 양사가 공동 설립한 Keregetas LLP로 이전하고, 지분 10%를 인수하고 정밀 탐사 진행 중이며, Keregetas LLP 등록 자본의 최대 39%까지 추가로 지분 매입할 수 있는 매수선택권을 보유하고 있으나, 1차 탐사 결과에 대한 당사 판단 기준, 몰리브덴/동 매장 가능성이 낮아 당사의 추가 지분인수 의향 없음을 CNRG측에 旣통보 함.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CNRG (58.5%)
 
 개인 (31.5%)
   -CNRG경영진
 
 SKN (10%)
카작정부의
 상업적
 매장량
 승인 이후
콜옵션
 내용
 참조

(1)SKN은 KeregetasLLP 등록 자본의 최대 39%까지 추가로 지분

   매입할 수 있는 Option이 있음.

(2) Option의 유효기간 (카작 정부의 상업적 매장량 승인 이후 6개월 이내)
Keregetas LLP 주주들은 SKN의 추가 지분 매입량 및 금액을 명시, 서면 제출
자료를 득한 후 10 영업일 내,  카작 정부에 승인 요청해야 함.

(3) 추가 지분 인수 금액은 CNRG와 SKN의 추가 지분 인수에 대한 공정한 시장 가격 및 Keregetas LLP 자산의 시장 가치를 고려한 독립된 전문 기관의 서면 의견을 바탕으로 한 계약에 의해 결정.

제3투자자 영입으로 1년간추가 탐사가 진행될 예정임


(4) 브라질 철광석 기업 MMX 투자

<동반매도권의 보유>
 MMX Mneracaoe Metalicos (이하 “MMX”이라 함)와 한국 SK 네트웍스주식회사(이하 “SKN”이라 함)는 SKN이 기존 MMX의 유상증자에 참여하는 사항에 관하여 2010년 9월 30일에 <Master Agreement> < Share Subscription Agreement>등을 체결하였으며,  EBX Shareholders가 MMX 지배주주로 있는 한, EBX Shareholders가 보유 지분을 매각하는 경우 SKN도 동등비율로 동반매각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동반매도권
 (Piggyback
 Rights)
지배주주인
  EBX Group의
  보유지분
  매각시
EBX 그룹이
MMX의
지배주주로
있는 한
(1) EBX 그룹이 지배 주주로 있는 한 EBX그룹이 보유지분 매각하는 경우, SKN도 동등비율로 동반매각 할 수 있는 권리
※ EBX 그룹 :  Batista(개인)과 Centennial Asset Mining Fund LLC(Batista등이
                     소유하고 있는 fund)를 말함

-


(5) Cockatoo Coal

<Call Option>
 당사가 COK에 대한 지급보증을 제공하면서, 제공 대가 중 하나로 COK 보통주에 대한 Call Option을 수취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POSCO 2013년
4월 16일
'14년
10월 15일까지
(1) Call Option 행사 시 COK 보통주매입
    - 행사가격: 주당 A$0.125
    - 행사규모: Call Option 150M 개
    - 행사기준: Call Option 1개 당 COK 보통주1주
-


(6) SA FOOTWEAR & SPORTINGS LIMITED (홍콩 Footwear 법인)

<매도선택권의 보유>

SKN은 한국 소재 주식회사 메이슨인터내쇼날(이하 메이슨)과 공동으로 홍콩 소재 SPC인 SA FOOTWEAR & SPORTINGS LIMITED (이하 HK Footwear법인)를 설립하였으며, 개별 전체 지분의 77.8%, 22.2%를 취득하였음. IPO요건이 충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IPO가 실현되지 않으면 상대방의 보유 주식을 SKN에 전량 매도 가능한 매도선택권을 부여하였음. 추가 지분 인수 금액은 해외 4대 회계법인 중 1개사의 평가를 바탕으로 한 계약에 의해 결정됨.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SKN
 (77.8%)

메이슨
(22.2%)

기업공개 가능여부가 확정되는 날로부터
 1년 이내
  -

(1) HK Footwear법인은 홍콩 증시 상장 목적으로 설립한 SPC임.

(2) SKN과 상대방이 기업공개가 가능할 것으로 서면 합의 한 날,
     또는 외부전문기관의 판단에 일임한 경우 외부전문기간의
     판단 결과가 계약당사자에게 서면으로 통보된 날을 기준으로
     상대방은 1년 이내 1회에 한하여 풋옵션을 행사 할 수 있음.

(3) 추가 지분 인수 금액은 해외 4대 회계법인 중 1개를 선정,
     절대가치평가법/상대가치평가법을통하여 옵션행사대상
     주식의 주당 가치를 평가하게 함. 풋옵션을 행사하는 시점
     상대방 주주가 특수관계인의 지위에 있는 경우 상증법에서
     정한 평가를 적용함.

-

<동반매각청구권의 부여>

SKN은 한국 소재 주식회사 메이슨인터내쇼날(이하 메이슨)과 공동으로 홍콩 소재 SPC인 SA FOOTWEAR & SPORTINGS LIMITED (이하 HK Footwear법인)를 설립하였으며, 개별 전체 지분의 77.8%, 22.2%를 취득하였음. 계약상대방은 지분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는 양도제한기간(기업공개일 또는 회사 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날 중 먼저 도래한 날까지)을 가지고 있음. 양도제한기간 이후 SKN이 경영권 유지 지분을 초과하는 지분을 제3자에게 매도하는 경우 상대방의 보유 주식을 공동으로 매각해줄 것을 청구할 수 있는 동반매각청구권을 부여하였음.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SKN
 (77.8%)


메이슨
 (22.2%)

양도제한기간 이후 SKN이 경영권유지지분을 초과하는 지분을 제3자에게 매도하는 시점 우선매수권행사기간내(20일)

(1) SKN과 상대방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양도할 수 없는 양도
    제한기간(기업공개일 또는 회사 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날
    중 먼저 도래한날까지)을 가지고 있음.

(2) 양도제한기간 이후 SKN이 경영권 유지 지분을 초과하는
    지분을 제3자에게 매도하는 경우, SKN은 상대방에 양도
    통지서를 발송해야 하며 상대방은 이후 20일 내 우선매수권을
    행사 가능함.

(3) 상대방이 우선매수권을 행사하지 않으면 상대방은
     동반매각청구권을 행사할 수 있음.

-

<우선매수권의 보유 및 부여>

SKN은 한국 소재 주식회사 메이슨인터내쇼날(이하 메이슨)과 공동으로 홍콩 소재 SPC인 SA FOOTWEAR & SPORTINGS LIMITED (이하 HK Footwear법인)를 설립하였으며, 개별 전체 지분의 77.8%, 22.2%를 취득하였음. 계약당사자들은 지분을 제3자에게 양도할 수 없는 양도제한기간(기업공개일 또는 회사 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날 중 먼저 도래한 날까지)을 가지고 있음. 계약 당사자들은 양도제한기간 이후 일방이 보유 지분을 제3자에게 매도하는 경우 상대방은 해당 지분을 우선 매입할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보유/부여하였음.

주요주주 옵션행사
가능시작일
행사기간 풋옵션 내용 비고

SKN
 (77.8%)


메이슨
 (22.2%)

양도제한기간 이후 보유 지분을 제3자에게 매도하는 시점 우선매수권행사기간내(20일)

(1) SKN과 상대방은 보유하고 있는 지분을 양도할 수 없는 양도
    제한기간(기업공개일 또는 회사 설립일로부터 5년이 경과한 날
    중 먼저 도래한 날까지)을 가지고 있음.
(2)SKN은 1항에  불구하고, 경영권유지지분을 제외한 지분은상대방의      동의 없이 양도가능하며 이에 따른 우선매수권및동반매각청구권에      관한 규정은 적용되지 않음.

(3) 양도제한기간 이후 일방이 보유 지분을 제 3자에게 양도하는
     경우 상대방은 양도통지서 수령 후 20일 내 우선매수권을
     행사 가능함.

-


(7) 기타

<우선매수권>
당사 또는 상대방 주주가 아래 회사에 대한 주식(지분)을 양도하고자 할 경우, 상호간의 해당 주식(지분)을 우선 매수할 수 있는 권리를 보유함  
업체명
Ningbo SK Zhenbang Chemical Co., Ltd. Korean Boleo Corporation
POSK (Pinghu) Steel Processing Center Co., Ltd. 써클원컨설팅
SA FOOTWEAR & SPORTINGS LIMITED 베넥스섹터투자조합4호
Shanghai Launch-SK Automobile Service Co., Ltd.



7.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

- 최대주주등으로부터의 부동산 임차 계약

계약당사자 임대인 : SK에너지㈜
임차인 : SK네트웍스㈜
목적물

주유소 137개소, 충전소 6개소, 기타 1개

- SK에너지 소유 144개소

계약기간

2012.12.22 ~ 2013.12.21  

임차보증금  -
월 임차료 1,264백만원



8.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 명칭 : SK C&C ㈜

    - SI  (System Integration)조직
       SM  (System Management)조직
       VAN (Value Added Network)조직
     - 운영현황 : 에너지, 화학, 통신, 유통, 금융, 건설 등 여러분야별 정보통신
       사업을 수행
     - 인원구성 : 60명
- 명칭 : SRK Australia
     - 운영현황 : 자원개발 관련 Consulting( 탐사, Resources Modeling, Project
          Investigation 등)
     - 인원구성 : 10명 내외


(2)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61기 1분기 제60기 제59기 비 고
원  재  료  비 - - - -
인    건    비 - - - -
감 가 상 각 비 - - - -
위 탁 용 역 비 2,767 10,020 14,965 -
기            타 - - - -
연구개발비용 계 2,767 10,020 14,965 -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 - - -
제조경비 - - - -
개발비(무형자산) 2,767 10,020 14,965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0.043% 0.036% 0.054% -


나. 연구개발 실적

주요 연구 과제 연구 기간 연구결과 및 기대효과
ERS 관제센터 Renewal 2010.09.27 ~ 2011.04.26 시스템 구축을 통한 서비스 차별화, 원가경쟁력 확보, 성장기반 마련                                          
단동 휴양소 예약 시스템 구축 2010.12.29 ~ 2011.02.28 단동 행복 연수원 Open에 따른 교육장 및 연수원 예약관리 시스템구축
Global RM 모니터링 시스템구축 2010.11.15 ~ 2011.02.28 당사의 Global 사업 확대에 따라 다양한 Biz / Sys.의 해외투자사 증가하는 바,
 본사 통합 관리 가능한 RM 모니터링 Sys.을 구축하여 Global RM 수행수준을 제고하고자 함
Wine 웹사이트 구축(쇼핑몰) 2010.12.01 ~ 2011.02.28 대고객 Website 디자인 및 기능 개선을 통한 Marketing R&C 고도화 및 고객서비스 개선
Wine 쇼핑몰 안정화 2011.06.01 ~ 2011.10.31
통합 Web POS 시스템 1단계 2010.12.15 ~ 2011.10.15 Biz.간 Cross-Selling 및 점포 단위 CRM 등 통합 마케팅을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 개발
통합 Web POS 시스템 1단계(ERP) 2010.12.15 ~ 2011.10.15
통합 Web POS 시스템 구축 2차 2011.08.01 ~ 2011.10.15
신용카드형 멤버십구축 2010.12.30 ~ 2011.02.28 주유/정비 중심의 Benefit 외 고객의 Total Car-life Coverage 확대를 위한 Benefit 제공으로 Customer Value 증대
E&C 모바일앱 개발 2011.02.16 ~ 2011.07.31 정비 이용 고객을 위한 편의기능 탑재 및 Fun 요소 도입 ->기대효과 : 고정 고객 증대 및 매장 운영 효율화
Mobile App.전용 Game개발 2011.02.01 ~ 2011.04.15
IFRS 도입 대비 IT Infra 안정화 2011.01.21 ~ 2011.03.20 11년 IFRS 결산을 위해 회계시스템(GMAS) IT Infra 안정화시킴
통신유통 Retail 사업시스템 고도화 2011.02.01 ~ 2011.07.31 11년 사업부 Biz. 추진 방향성이 반영된 사업체계 개선 및 수행력 강화
셀프 ODT 추가개발 2011.01.01 ~ 2011.02.28 멤버쉽 고객 신규 유치 및 재가입 유도 / Cross-Selling 유도(엔진오일 교환 유무 Display)
통합그룹웨어구축 2011.02.18 ~ 2011.08.31 Collaboration Portal, 전자결재, e-HR 등 그룹웨어 全 영역에 대한 기능 고도화 추진 / 통합 계정 관리를 통한 본사/자회사/해외 구성원의 공동사용 기반 확보
자회사 그룹웨어 I/F 구축 2011.02.18 ~ 2011.08.31
통합그룹웨어 SSO 라이선스 공급 2011.06.07 ~ 2011.08.31
Netok 추가 기능 구축 2011.09.16 ~ 2011.12.21
Netok 시스템 추가 개선 2011.10.04 ~ 2011.10.31
NW사업시스템구축(TIMS개선) 2011.03.10 ~ 2011.05.31 시스템 Biz의 운영/ 관리형태 변화에 따른 영업시스템 개선
Self 주유기 통신 Infra 개선 2011.03.28 ~ 2011.08.26 Self 주유기에 대하여 원격 제어를 통한 다양한 crm 활동 가능
 - 현재 주유기내 설치되어 있는 산업용 PC에 Off-Line 으로 고객과의 Comm.을 위한 멤버쉽 Service 등 자료를 Upgrade 하여 활용 하고 있음 -> Flexibillty 저하
멤버십 시스템 구축(CRM고도화) 2011.03.09 ~ 2011.11.08 E&C 핵심 자산인 다수의 현장 NW에서의 멤버십 고객 획득 영역에만 Focus된 CRM 활동을 고객 유지/사용 유도/ 우수 및 교차 고객화 등
 고객 관리 영역으로 확대하기 위한 기반 시스템
현장 CRM 구축 2011.06.15 ~ 2011.12.31 전 현장 구성원이 고객의 전체 Car-Life 정보를 조회하고 현장 CRM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신규 구축
통합 Call Center 구축 2011.08.22 ~ 2012.03.21 CS 수준 제고 및 CRM 채널로서의 기능 강화를 위한 Call Center 시스템화
전사 DBM /CRM 구축 2011.04.18 ~ 2011.11.17 DW, OLAP, 캠페인, 마이닝 등의 영역에 대하여 시스템 도입과 버전 업그레이드, 사용자 요구사항을 반영한 기능 개선을 수행함
전사 DBM /CRM 구축 2차 2011.09.05 ~ 2011.11.04
전사 DBM /CRM 구축_전사 CRM 채널 개발 2011.10.01 ~ 2011.12.30
HAM 고객등급 세분화 용역 2011.11.21 ~ 2011.12.30
트레이딩메신저 업그레이드 구축 2011.04.15 ~ 2011.08.31 지사 Global Staff 참여 지원을 통한 현지 다양한 정보 확보 / 운영 Burden 제거를 통한 업무 효율성 제고 / 컴퍼니 일체감 형성 및 사업별 이해도 제고
법인특판몰 구축 2011.05.02 ~ 2011.09.15 "ICT Commerce 전문 특판 Platform" 형태로 쇼핑몰 구축
Family Mart 회계처리 프로세스 구축 2011.05.16 ~ 2011.07.31 SKN과 FamilyMart 마감기간 차이로 전산시스템 개발을 통해 기간내 마감시행
wine 사업시스템 구축 2011.05.11 ~ 2011.12.09 고객주문시스템, 창고시스템, 회계시스템 등 전후방 연관시스템과의 유기적 Interface 체계 구축을 통한 Operation Excellency 확보
중고차 Biz Model 고도화 2011.04.15 ~ 2011.11.30 중고차시장의 고객가치를 극대화하고 N/W 기반의 중고차 Biz.의 한계를 극복하여 빠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Biz. Model의 방향성을 설정
유선상품 관리체계 구축 2011.07.18 ~ 2011.09.30 U.key 2.0 유선 data I/F를 통한 업무효율성 제고 & 영업 Data 신뢰성 제고 / U.key 2.0 오픈 후 "유선상품 관리체계" 부분에 대한 안정적인 운영 지원 可
통신유통 Ukey IF 고도화 연장 프로젝트 2011.07.18 ~ 2011.08.31 U.key I/F 고도화 Project 지연 Open 시 계약 종료되는 개발 인력의 이탈 최소화로  Open 후 Contingency 발생 시 혼란 최소화
단동 연수원 예약시스템 개선 프로젝트 2011.08.08 ~ 2011.09.07 단동 행복 연수원의 SK그룹사 공동 이용을 합의 함에 따라, 당사전용의 예약시스템을 SK아카데미와 SK China 에서 접근 할 수 있도록 개방.
이마켓 거래처관리 개발 2011.08.01 ~ 2011.08.31 석유시장에서 점유율 제고 등 경영목표 달성을 위하여 특성시장 [다수계열거래처, 신규주유소,무타폴주유소,운수,RB추진 주유소]에 대한 체계적 관리
CP 운영체계 변경에 따른 시스템 개선 2011.09.15 ~ 2011.11.15 CP Daily 운영에 따른 가격체계 재정비- SP 및 거래조건 운영의 기준을 추가적으로 수립하여 합리적이고 고객중심적인 가격운영 체계 구축
CEO Bulletin 개편 2011.08.31 ~ 2011.10.31 PRIDE 운동 Bottom-up 활성화를 위한 구성원 중심 多對多 소통채널로서의 역할 강화
패션 소셜미디어 마케팅 campaign수행 2011.02.08 ~ 2011.02.22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Pilot 마케팅 추진하여 캠페인 성공 CASE 확보 및 전사 활용 가능성 검토
TCMS 보험대차 제휴 개발 2011.06.27 ~ 2011.12.15 렌터카 사업 新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보험대차 운영 시스템 개발
SokSok CIC 이야기 개편 2011.11.14 ~ 2011.12.31 CIC 뉴스/활동 등록 게시판 개발, CIC장과의 1:1 비공개 소통채널 신설, 홍보배너 기능 개선 등
 CIC별 니즈를 반영한 소통채널을 구축하고 SokSok 기능개선을 통한 소통 활성화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구축 2011.11.28 ~ 2012.02.10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DB화, 회계시스템 연동 전표 자동생성, 전자결재 연동 구현하여 매입 전자세금계산서 관리 프로세스 개선 및 자동화
Tablet PC 用 전자결재 시스템 구축 2011.12.15 ~ 2012.02.29 Tablet PC 용 전자결재 시스템을 구축하여 Smart Work 기반 추진
셀프 주유기 신용승인 Process 변경 개발 2012.03.01 ~ 2012.08.31 위탁 Self S/S의 신용카드 결재 Process를 개선하여 여신 관련 Legal issue 선제대응하고 승인 과정의 단순화(기존 3회 승인 ⇒ 1회 승인)를 통해 고객편의 증대
新 TMS 구축 2012.02.13 ~ 2013.03.31 T&I Biz. 운영 System(TMS:Trading Management System)의 노후화에 따라 운영 효율 제고 및 부문 To-Be 달성 지원을 위한 시스템 재구축
부품유통사업 System 개발 2012.03.19 ~ 2012.05.18 대리점 Backorder 프로세스, 불량품 AS 프로세스, Core 매입/매출 Process 등 실무 프로세스 시스템 반영을 통한 재고 관리 및 Sourcing 경쟁력 개선
통신유통 소매점 CRM 구축 2012.03.21 ~ 2012.08.31 단순 판매점 Marketing 수준을 넘어 관계마케팅 도입을 통해 판매점 영업활성화 및 향후 Franchise 化 기반 구축
SK 웹표준화에 따른 SKN전사 웹사이트 개편 2012.04.02 ~ 2012.07.31 당사 홈페이지는 2004년 제작된 Interface를 기반으로 운영중이며, 노후화된 디자인 낙후된 UI로 인해, 정보 접근 및 변경내용 수정이 어려움.
 또한 회사 주요 이슈들을 적시 반영키 어려운 구조로, 내/외부 고객들의 지속적인 개편 Needs 제기 되어 왔음.
 이에 웹접근성을 높이고 웹표준 준수 웹사이트 구축하여 조직변경, 사업진입&철수 등에 쉽게 대응 가능
유통사업 판매영업관리 시스템 구축 2012.04.16 ~ 2012.10.31 신유통사업의 원활한 운영 및 활성화를 위한 적합한 시스템을 도입 및 활용하여 미래 성장동력의 원천으로서의 기반 구축
 - 적시적 영업정보 및 경영관리 기능 제공 : Daily 판매/수익/재고 Data 및 관리 point별 report 제공
 - 업무처리 상호 Comm. 시스템 적용 : 현장 활용 용이한 별도의 Comm. 채널 구현
 - 상품 발주, 재고 배정 및 관리 고도화 : 다수의 매장과 상품군 관리 및 영업 효율성 증대
렌터카 사업시스템 재구축 2012.04.02 ~ 2013.02.28 사업규모 확대 및 상품/채널 다양화에 따라 기존 운영System Upgrade Needs 부각되고 기존 업무 Process 혁신에 따른 Smart Work 환경 구축 및 고객/현장 중심 업무체계 구축 필요
 - 사업 확장(사업규모 및 상품/채널 변화)에 따른 System 지원 강화
 - 對 고객 Communication 강화(현장 중심, 밀착형 서비스)
 - 차량별 DB 고도화에 따른 경영분석 기능 강화
렌터카 사업시스템 재구축 (2단계 추가개발) 2012.09.01 ~ 2013.02.28
USD 외화거래 Trading System 개발 2012.05.02 ~ 2012.07.31 USD 외화거래 ERP 대응 Process 구축을 통한 환율변동에 따른 손익의 변동성 Headging하고 USD 거래 채권조회/수금/결제 System 구축으로 수기처리 최소화를 통한 RM 수준 제고함
부품유통 대리점 관리시스템 구축 2012.05.02 ~ 2012.10.31 대리점이 서로의 재고 정보를 공유하여 장기 재고 발생을 최소화하고 대리점의 개별 Sourcing 품목에 대한 유통정보 확보를 통한 시장수요 적시 대응함
 System을 통한 거래 편의성 제고를 통해 거래선의 고정화, 경쟁자 진입장벽 형성하고  통합 재고정보 기반의 손보사 제휴를 강화함
에코폰 회수 프로세스 개발 2012.04.02 ~ 2012.06.30 사업자의 T eco폰 회수 Process 개발을 통하여 회수/분류/재고관리의 용역 업무를 수행하고 향후 추가 BM을 개발하고자 함.
 - T eco폰 모델/등급/구성품 등 세부 정보 실시간 파악
 - 실시간 재고 정보를 사업자에게 제공하여 신뢰감 조성
 - 향후 추진 예정인 당사의 매입 후 판매 Process 확장
에코폰 회수 프로세스 추가 개선 2012.09.24 ~ 2012.11.30
구매시스템 고도화 2012.04.01 ~ 2012.11.30 그룹차원의 통합구매를 통한 효율화 기회발굴을 위해 통합 구매Infra개발하고 그룹 관계사 구매업무의 표준화 및 시너지 창출함
SokSok BI 경영제안 게시판 추가 2012.05.07 ~ 2012.06.11 구성원의 역량이 Biz. Model로 이어지기 위한 Channel의 구축하여 Biz. Idea에 대한 구성원의 자발적 논의 유도하고 사업화가 가능한 다양한 Biz. Idea의 Pool 확보함
DSM 관리 시스템 구축 2012.05.14 ~ 2012.09.14 DSM 사업 확대에 대응하기 위한 전용 관리 시스템 구축하여 DSM 조직 확대에 유연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하고 영업 현황 정보 적시 활용을 통한 판매 실적 향상함
DSM MA 조직관리 구축 2012.09.24 ~ 2013.01.15
고객만족 지원 시스템 구축 2012.05.24 ~ 2012.11.30 기존 사업別 상담인력 교육/관리 → 통합 Call Center System 활용으로 상담원 효율성 증대하고 고객별 Single View 제공하여 신속/정확한 통합 상담을 통한
 1차 Contact 해결 능력 제고함. 이를 기반으로 고객 Needs 조기 발굴 및 고객 특성별 분석을 통한 충성 고객化
스피드메이트 직영점의 본부 투자형 가맹전환을 위한 시스템 개발 2012.06.13 ~ 2012.09.30 직영점 운영에 따른 자동차관리법상 법적 이슈 및 사회 전반의 대·중소기업 상생 이슈를 해소하고 가맹 전환을 통한 자율적 책임 경영환경 구축 및 CS 개선함
PVO(퇴충금) 구축 프로젝트 2012.07.09 ~ 2012.09.30 現 HR 회계 System(PEBS) 구축 및 운영을 담당하는 외부 사업자 부재로 System 관리 및 보수 불가에 따라 신규 시스템 도입
외환 신고 System 개발 2012.08.01 ~ 2012.09.21 해외 투자 회사 증가 및 외환 조사 등 Histroy 관리 / 외환 신고 누락 방지를 통한 Management Risk 최소화
멤버쉽 신규 상품 추가 개선 개발 2012.07.02 ~ 2012.10.31 멤버쉽 기반의 본격적인 Biz. 별 특화된 Contents 개발 및 고객 Platform 개발
유선상품 관리체계 & U.Key I/F 고도화 2012.09.01 ~ 2012.11.30 SKT U.Key 2.0 오픈에 따른 당사 영업시스템 유/무선 Data I/F 대선 및 유선상품 관리체계 정착을 위한 추가적인 업무 Process 정비
TCS 개정 정통망법 대응 시스템 개선 2012.08.30 ~ 2012.10.05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 개정(12.8.18)에 따른 주민등록번호 대체수단(CI) 도입
LCNC 통합 프로세스 구축 2012.09.26 ~ 2013.02.28 자회사 LCNC 운영시스템 매입/매출 Data 및 회계 I/F 통합
LCNC 포인트 시스템구축 2012.10.29 ~ 2013.02.28 고객관리 및 포인트 시스템 개발->보안이슈 해결을 위한 신규 개발 진행
유통사업 판매영업관리 시스템 구축 추가 개발 2012.11.01 ~ 2013.01.31 사업특성 반영한 물류 지원 시스템 개발 -> 일련번호 관리 및 온라인 사업지원등
패션캐쥬얼 정보시스템 재구축1차(패션BHQ정보시스템) 2012.11.08 ~ 2012.12.07 빠른 시장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경쟁력 강화
패션캐쥬얼 정보시스템 재구축2차(패션BHQ정보시스템) 2012.11.12 ~ 2013.09.13 업무 Process의 표준화 및 가시성 확보/ Global 사업 확장을 지원하는 사업 기반 확보/의사결정 지표 제공 및 실시간 업무·영업지원
패션캐쥬얼 POS 시스템 구축(패션BHQ정보시스템) 2012.12.03 ~ 2013.09.13 Biz. 지원시스템(現. e-focus) 재구축 및 판매 현장의 POS 통합 구축
Rouge&Lounge 온라인 쇼핑몰 1차 Brand Website 구축 2012.11.19 ~ 2013.01.31 쇼핑몰 및 SNS(Facebook, Blog) 가능한 확장성 있는 website로 진행 / 신규 브랜드의 온라인 홍보 진행
ERS LBS 시스템 개선 2012.11.28 ~ 2013.01.25 LBS(Location Based Service) Platform 재개발 / 방통위 권고에 따른 이동통신 3사 Interface 추가 개발
비용집행 프로세스 개선 2013.03.11 ~ 2013.05.10 주요 비용계정(광고, 교육훈련비 등)에 대한 사전 시행 품의와 비용 집행간 Check를 통한 관리 강화
IT Outsourcing 운영시스템 개발 2013.03.11 ~ 2013.05.31 사업부서別 IT 비용 배부 결과 소명 요청 증가에 따라 시스템을 통한 투명성 확보 및 업무자동화(직접 조회)필요
문서보안/NAC 솔루션 업그레이드구축(전사 PC표준 OS Upgrade) 2013.03.15 ~ 2013.07.31 OS 변경에 따라 Win 7에 최적화에 맞춰 문서보안 및 NAC(네트워크인증) 신규버전 Customizing
OS Upgrade를 위한 정보시스템 개선 2013.03.18 ~ 2013.06.14 당사 표준 OS로 변경에 따른 ( Win XP → Win 7 ) 기존 사업別/전사 정보시스템 호환성 확보를 위한 Customizing
자동차 부품 수출시스템 구축 2013.03.18 ~ 2013.05.31 국가별 바이어별 거래형태 및 가격수준 분석 DB 축적



9.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브랜드관리 정책
 당사는 SK네트웍스 기업 브랜드 및 스피드메이트, 오브제, 오즈세컨 등 상품 브랜드의  가치제고 및 육성, 보호 활동을 종합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전사 브랜드 최고 관리기구인 브랜드관리위원회의 상시 운영을 통해 주요 사안에 대한 협의/심의/조정을 추진하며, 정기적인 브랜드 검수와 규정에 따른 브랜드 개발 등으로 전략적이고 체계적인 브랜드 관리 활동을 펼쳐가고 있습니다


나. 사업과 관련된 중요한 지적재산권 관리
당사는 스피드메이트, 오브제, 오즈세컨 등의 상품 브랜드의 국내외 상표권 및 관련  
지적재산권을 소유하고 있습니다.  
각 상표권은 사업을 수행함에 있어 국내는 물론 해당 국가에서 10년간 독점적, 배타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갱신을 통해 반영구적인 사용이 가능토록 지속 관리합니다.


V. SKC

1. 사업의 개요
당사는 수익을 창출하는 재화와 용역의 성격, 제품 및 제조공정의 특징, 시장의 특징
등을 고려하여 경영의 다각화 실태를 적절히 반영할 수 있도록 화학사업, 필름사업, 정보통신사업, 기타로 나누어 사업보고서를 기재하였습니다. 당사 및 종속회사의   사업부문별 현황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회사 주요 재화 및 용역 사업내용
필름사업 SKC, SKC Inc., SKW,
SKC(Jiangsu) High Tech Plastics,
SKC Europe GmbH,
PET 필름 등 PET 필름 등의 제조 및 판매
화학사업 SKC, SKC Europe pu sp.zo.o POD 등 POD 등의 제조 및 판매
정보통신사업 SK텔레시스 중계기 등 광중계기 등의 제조 및 판매
기타 SKC 솔믹스, SKC 솔믹스 Japan,
SKC 솔믹스 Taiwan, SKC 에어가스,
SKC 라이팅
산업용 가스,
반도체 부문품
태양광 잉곳 등
알루미나 등의 제조 및 판매


. 사업부문별 현황
(1) 필름사업
(가) 산업의 특성
PET필름 시장은 관련 산업의 성장 및 생활수준 향상에 힘입어 그동안  전세계적으로연간 약 6~7% 성장을 지속해 왔고, 산업재로서의 특성상 비교적 안정된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전통적 PET Film 용도인 포장용, Display 시장은 물론이고 친화경 제품인 열수축,  태양광 용도의 제품을 개발하여 시장을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향후 Green Energy  용도의 제품으로 시장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나)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변동보다 경제수준 및 관련 산업의 발전 정도에 따른 영향이 큽니다.

(다) 경쟁요소 및 시장점유율
일본계 업체들이 Major group을 형성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한국업체가 경쟁하고 있으며, 인도 및 중국의 다수 후발업체들이 시장에 참여 하고 있습니다.
중간재로 사용되는 산업재의 특성상 관련 산업의 요구 및 특성에 맞는 필름을 공급 해야 하며 이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기술 및 품질이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고부가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광학용 필름의 경우는 이러한 요소가 더욱 중요합니다. 다만 일반 포장/산업용 분야에서 범용품의 경우는 가격 및 서비스와 같은 품질 이외의 요소가 공급여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의 하나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당사의 필름사업은 최근 몇 년간 생산설비규모기준으로 세계 4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주요 제품 중 광학용 필름의 세계시장점유율은 2011년 26%에서 2012년 28%로 약 2% 정도 증가한 것으로 당사는 추정하고 있습니다. 이외 제품의 시장     점유율에 대해서는 정확한 통계 수치와 주요 경쟁사별 시장점유율 추이 추정의       객관성 및 정확성이 결여되어 생략하였습니다.

(라) 현황 및 전망

당사 필름사업은 국내 최초의 PET Film 생산 회사로서의 기술적 우위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지속적인 연구개발과 신규 용도 개발로 국내 PET Film 시장을 리드해오고 있습니다.  

당사 필름사업은 2012년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한 전방 산업인 Display, 태양광 시장의부진에도 불구하고 안정적 성장을 달성하였으며, 특히 광학용 필름에서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기존의 26%에서 28%로 확대하였습니다. 이러한 성과는 그 동안 추진해온 품질경영의 안정적 정착(국가 품질상 수상)과 Customer/Product Portfolio 고도화의 성공적 달성을 통해 가능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12년 10월 년 4만톤의 PET필름과 년 20만톤 규모의 PET칩을 생산할 수 있는 진천공장을 준공함으로써 또 한 번의 성장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고 2013년에는중국 南通에 열수축, Display용 생산 설비 증설을 완료할 예정으로 성장하는 중국    LCD, 친환경 포장용 시장에 적극 대처할 계획입니다. 이로써 국내뿐 아니라 미국과 중국에 생산거점 확보를 마무리하게 되며 당사 필름사업 구성원들은 지금까지 이루었던 성과와 자신감을 바탕으로 새롭게 시작하는 신규 증설 호기의 성공적 가동을 위해 단결된 의지와 행동으로 최선을 다 할 것입니다.

2013년도 세계 경기 침체 등 외부환경이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는 한해 이지만, 그 간필름사업이 준비한 주요 실천 과제인 Portfolio 혁신에 의한 사업경쟁력 강화, 세계 최고 품질 달성, 원가 경쟁력 강화를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를 유지해 나갈 것이며 2013년 사업목표를 달성할 것입니다.


(2) 화학 사업
(가) 산업의 특성
세계적으로 PO(Propylene Oxide)는 폴리우레탄의 원료인 PPG(Polypropylene       Glycol, Polyol)에 약 60% 가량이 소비되고 다음으로 PG(Propylene Glycol)가  전체 수요의 20%를 차지하며 나머지는 PGE(Propylene Glycol Ether), 계면활성제,       난연재 등의 제조에 사용됩니다. PO의 주요제법으로는 Chlorohydrin Process와    Peroxidation Process 등이 있습니다.
국내 시장은 PO의 경우 수입에 의존하였으나, 1991년 SKC가 국내 최초로 생산     설비를 갖추면서 내수 생산기반이 확보되었으며, PPG는 KPX케미칼, SKC,          금호석유화학, BASF에서 생산, 판매하고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세계PO시장은 1990년대 이후 연평균 4~5%의 꾸준한 성장세가 지속되고 있습니다.현재 세계 수요의 약 80%가 미국, 서유럽, 일본 등에 집중되어 있으며,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의 수요가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PO 사용량의 60%를 차지하는 PPG의 최종 수요처인 자동차, 조선, 건설 등 주요   산업의 경기 변동에 영향을 받습니다.


(라) 경쟁요소 및 시장점유율

세계 시장에서 PO 생산기술을 보유한 업체가 많지 않으며 신규 기술개발 역시 PO생산업체 위주로 이루어져 과점시장 형태를 띄고 있으며, 대단위 투자비가 필요하여  신규 시장 진입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PG의 경우 국제규격을 만족할 경우 품질에  따른 별도의 경쟁요인은 존재하지 않으나, PPG의 경우 물성 등 다양한 품질 특성에 따라 경쟁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PO와 PG의 국내 유일 생산자 역할을 하였으며, 수년간 약 70% 수준의 국내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PPG의 경우 2012년 29% 수준의 시장점유율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다만, 상기 수치는 당사의 내부적 추정으로 객관적인 지표가 아님을 알려드립니다.


(마) 현황 및 전망

화학사업부문은 다년간 축적된 운전 Know-how와 원가 경쟁력을 바탕으로 폴리우레탄(PU) 산업의 기초원료인 프로필렌옥사이드(PO), 프로필렌글리콜(PG), 폴리프로필렌글리콜(PPG) 등을 생산하여 국내외 관련산업에 안정적으로 공급함으로써 국내   PU산업의 든든한 초석 역할을 성실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PO, PG 제품에 있어서는 국내 유일의 생산업체로서, 지속적인 시설확충 및 해외시장 개발을 통해 PO연관 제품의 국내 수요를 충족 시킴은 물론 세계 60여 국가에 수출하고 있으며, 기술 개발을 통한 PPG 제품 다양화와 더불어 중국, 유럽, 미국을 포함한 국내외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수행하여 사업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또한, World Best 화학공장 실현을 목표로 지속적인 OI(Operational Improvement)활동으로 원가 절감을 추진하고, 꾸준한 R&D 투자 증대를 통한 고부가 제품 개발로 수익성을 제고하며, 고객 요구에 맞춘 다양한 신제품 개발 및 기술지원을 통하여 고객 만족을 실현해가고 있습니다.

아울러, 강화되는 환경규제에 대비하기 위하여 환경에 대한 투자를 지속적으로 해 나갈 뿐만 아니라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기 위해서 전사적인 차원에서 조직적으로 사회공헌활동을 전개함으로써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친환경 기업 및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기업의 입지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2012년 미국, 유럽, 중국 등 글로벌 경기의 전반적인 침체 속에서도 화학 사업부문은글로벌 판매역량 확대, 전사적 원가절감 등을 통해 사업의 안정적 성장을 지속적으로실현하였습니다.

2013년에도 고부가 제품 판매비중 확대, 비용구조 개선 등 본원적 경쟁력 확대를 추진하며, PO Downstream 사업, 화학관련 신사업 분야로의 성장을 지속적으로 시도할 것입니다.


(바) 자원조달상의 특성
PO의 경우 원료인 Propylene에서 Downstream 부문인 PPG, PG, Glycol Ether    까지의 설비 집약화가 여타 제품에 비해 강해 자가소비에 집중되는 형태입니다.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지역의 PO 부족 물량은 역내 및 역외의 활발한 교역으로충당하고 있습니다.

(사)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2005년 2월 16일 교토의정서가 발효되면서 온실가스 감축의무 1차 대상국에서     제외된 우리나라도 2013년 이후에는 온실가스 감축 참여가 예상됩니다.

(3) 정보통신 사업
(가) 산업의 특성
통신 산업은 가장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는 산업으로서 전세계적으로 통신서비스   시장은 10% 내외의 성장을 하고 있으며, 유선서비스보다는 무선서비스를 중심으로 지속적인 성장을 해왔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순차적으로 국제전화사업, 시외전화사업, PCS, 무선데이타통신 등에 신규사업자를 선정하는 등 무한경쟁에 힘입어 1990년부터 2006년까지 연평균 약 16%의 증가율로 성장해왔습니다. 이동통신 서비스시장은 1997년 PCS사업자가 시장에 진입하면서 휴대전화가 일반대중에게 급속히    확산되었고 시장규모 또한 급격히 확대되었습니다. 그러나, 시장이 성숙기에 들어선 2000년대 이후 세계적인 경기침체, 주가하락, 과당경쟁 등으로 어려움을 겪어왔습니다. 하지만 2010년 이동통신 전체 가입자는 5천만명을 돌파하여 국민 1인당 1휴대전화 시대가 열렸으며 특히 스마트폰과 태블릿PC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1인 多모바일기기 시대가 열리면서 이동통신 시장의 새로운 성장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최근의 통신산업은 급격한 기술발전과 서비스 이용자의 수요변화 등으로 인하여 통신과 방송융합, 유무선 통합 등 컨버전스 환경으로 전환하고 있습니다. 통신과방송 융합을 목표로 하는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휴대인터넷(WiBro) 등의 신규서비스 등과 국내이동통신 사업자들간의 3G서비스(WCDMA) 및 3.5G서비스(HSDPA), 그리고 최근 4G서비스(LTE)의 공격적인 서비스망 확대 등으로 통신시장이 급격히 변화되고 있고,  또한 유무선통신사업자간의 인수 및 합병과 신성장 서비스 진출 등으로 통신방송융합, 유무선 통합 등의 컨버전스 환경으로 전환이 되고 있기 때문에 시장이성숙기에 접어든 지금도 통신장비 업체에게는 새로운 신성장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동통신기술은 일반적으로 제1세대인 아날로그방식, 2세대인 디지털방식, 멀티미디어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3세대 기술인 WCDMA, 그리고 보다 빠르고 고속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4세대(LTE) 기술로 구분될 수 있습니다. 현재 시장의 주요 흐름은 CDMA 방식의 1x EV-DO, GSM방식의 WCDMA의 출시 이후 제3세대(3G) 기술로 이어졌고 현재는 제4세대(LTE)기술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 일본, 미국 유럽 등의 선진 이동통신 시장에서는 제3세대 기술 이후 보다 빠른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HSDPA/HSUPA 등 3.5세대(3.5G) 기술을 거쳐 제4세대(LTE) 이동통신 기술이 주요 기술로 자리잡는 중에 있습니다.

(나) 산업의 성장성
국내 정보통신산업은 2000년에 들어 23.2%의 눈부신 고도 성장을 이루었으나 2001년 이후 세계적인 경기침체, 고유가가 지속됨에 따라 국내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이동통신사업자의 과당경쟁과 투자감소 및 WCDMA 등 차세대서비스의 상용화가 지연되면서 관련 업체들도 성장의 침체국면에 접어들었습니다. 이동통신 사업자의CDMA 시설투자가 일단락 되면서 중계기 수요는 급속히 감소하였으며, 통합망구축과 업그레이드, 이동통신사업자간의 합병에 따른 통합형중계기의 수요증가, 번호이동성제도의 시행에 따른 일시적인 시장규모의 확대가 있었으나 대부분 일회적인 성격의 것으로 시장규모를 확대시키지는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급격한 통신기술의 발전과 이용자의 수요변화 및 통신 사업자간의 신규 서비스 선점 경쟁 등에 힘입어 3G 비동기식 WCDMA/HSDPA 및 동기식(EVDO 리비전A ),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휴대인터넷(WiBro) 등 차세대 서비스를 위한 장비투자가 본격화됨과 동시에 정부차원의 'IT839'전략 등의 지원과 정책이 이어지면서 통신장비시장에 새로운 전환점이 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무선통신사업자들의 인수합병, 신성장 서비스 시장 진출 등으로 통신 사업자간의 신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 지면서 이로 인한 통신방송융합, 유무선통합등의 컨버전스 환경으로 전환되고 있고, 지속적인 사업자간의 경쟁 및 새로운 돌파구 모색을 위한 인한 신기술, 신서비스 개발의 가속화로 IPTV, 인터넷전화(VoIP)등과 같은 TPS/QPS(Triple/Quadruple Play Service)등의 결합서비스로 확장되고 있습니다.

(다) 경기변동의 특성
통신기기 및 방송기기 시장은 성숙기에 접어든 시장으로서 시장포화에 따른 성장이둔화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기술의 발전과 이에 따른 새로운 수요를 위한 통신사업자의 신규서비스 및 음영지역 해소와 통화품질개선 등을 위한 통신장비 수요가 꾸준히발생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무선 통신 사업자간의 합병에 따른 통신방송융합, 유무선통합등의 다양한 서비스는 포화 상태인 통신시장에 새로운 기회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내외 경기가 계속 침체될 경우에는 통신 사업자의 투자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고 당사의 영업활동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습니다.

(라) 경쟁요소
통신기기 및 방송기기는 고도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요구하기 때문에 관련 분야에대한 전문 기술 및 Know-how, 그리고 고가의 시험 측정 장비가 부족한 업체는 신규진입이 용이하지 않습니다. 또한 고도의 신뢰성 및 안정성이 요구되기 때문에 품질이중요한 경쟁요소로 작용하는 특성을 갖고 있습니다.대부분의 이동통신사업자들은 투자계획에 따라 중계기부문의 투자가 단기간에 집중되는 투자특성으로 인하여 안정적인 생산능력과 기술개발능력, A/S능력을 갖춘 소수의 업체를 선정하여 자사모델의 독점공급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마) 자원조달상의 특성
통신기기 및 방송기기의 주요 원재료로는 수동회로부품(예 : 저항기, 콘덴서, 인덕터,발진기 등), 기구적전자회로부품(커넥터, 동축커넥터, 릴레이, 스위치 등), 전원회로부품(트랜스, 방열기, 서미스터 등), 반도체부품(IC류,FET/MMIC 트랜지스터 등),   RF FILTER(세라믹, 캐비티, SAW등)및 기구물 등이 있는데 이들 원재료의 대부분은안정적인 가격 및 납기로 국내 수급이 가능하며 일부 반도체부품의 경우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서 환율변동의 영향을 받는 특성이 있습니다.
수입의존도가 높았던 원자재 및 부품의 수급에 있어서 국내기술에 대한 Quality가  향상됨에 따라 주요부품에 대한 국산화 비율이 점차 증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핵심 칩셋과 RF 부품에서는 미국, 일본 등 해외 선진업체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상태이며 소형 고급 제품일수록 이러한 경향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바) 관련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우리나라는 전기통신기본법 제33조와 전파법 제46조 및 제57조에 의거, 정보통신기기인증규칙 제3조에서 정하고 있는 정보통신기기를 제조, 수입 또는 판매하기 위해서는 형식승인, 형식검정 또는 등록을 받도록 강제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세계각국은 안전, 보건, 환경, 소비자보호 등 공공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강제적인 기술규제를 정의하고 이를 준수하도록 요구하고 있는데, WTO 회원국간에 상호인정약정서 (MRA:Mutural Recognition Arrangement)를 체결하여 상대국 적합성 평가기관이 발행한 시험성적서 또는 인증서, 마크 등을 상호인정하는 제도가 시행되고 있습니다.정부는 IT산업 육성,지원을 위하여 조세감면, 자금 지원 등 포괄적인 지원을 하고 있으며, 신제품, 신기술 개발, 시설투자 등에 대한 다양한 정책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2004년 5월 정보통신부에서 IT 839 전략을 발표하여 새로운 정보통신 서비스를 도입, 활성화하여 네트워크 인프라에 대한 투자를 유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첨단 기기와 단말기, 소프트웨어 및 콘텐츠 산업이 시너지 효과를 이루면서 동반 성장할 수 있는 IT산업 기반을 마련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한편, 국내에서는 2002년 7월부터 제품의 결함으로 소비자에게 피해를 준 경우, 제조업체가 금전적인 손해를 소비자에게 배상토록 하는 제조물책임(PL)법이 시행되어 산업전반에 걸친 기업들의 철저한품질관리활동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4) 기타사업 (산업용 가스)
(가) 사업의 개요
공기 중 질소, 산소, 아르곤을 분리/압축(Air seperation unit)하여 산업용 가스를    생산하고 있으며, 생산된 기체 제품(산소, 질소)은 지하 배관을 통해 수요처에 직접 공급하고, 액체 제품은  Tank Lory 차량을 통해 거래처에 공급합니다. 2011년부터 신규 판매처 확보가 가속화 되어 향후 높은 매출 성장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나) 수급 동향 및 성장성
2009년 금융위기로 수요가 정체되었으나 2010년 이후 조선, 철강 산업이 점차       회복 되고 있으며 반도체, 태양광, LED 등의 시장 호황에 힘입어 전자용 가스 시장이성장 중이고, 울산 지역의 기체시장 중 기체산소는 S-OIL, SK에너지 및 제련        회사들의 신규 및 기존 수요 증가하고 있습니다. 액체 시장 역시, 조선/철강업의     회복으로 약 10% 정도의 성장이 예상되며, 태양광 및 LED 의 수요 증가로 아르곤 판매 증대가 예상됩니다.
향후 SK Hynix를 통한 반도체 시장의 진입 및 중부지역의 중·대규모 수요처를 위한On-Site(수요처 공장 내 가스생산 Plant)를 신규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 경쟁현황(주요 경쟁업체 및 시장점유율)
역내 주요 경쟁사는 대성산업가스 및 APK(Air Product Korea)입니다. 시장            점유율에 대한 정확한 통계 수치와 주요 경쟁사별 시장점유율 추이 추정의 객관성 및정확성이 결여되어 생략하였습니다.

(5) 기타 사업 (파인세라믹스)
(가) 산업의 특성
신소재라 함은 금속계, 무기계, 유기계의 소재를 단독 또는 그들을 2개 또는 3개를 조합시킨 것에 새로운 단위공정, 더욱 필요하면 새로운 상품화기술을 조합시킴으로써 사회의 강한 요청과 수요에 대응하는 새로운 물성적 가치(성능·기능)와 사회적 가치(용도)를 가지게 한 것으로 신소재의 분류는 크게 (1)고성능·기능성고분자재료,(2)비금속무기재료, (3)신금속재료, (4)복합재료 등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여기서   비금속무기재료 중 하나인 파인세라믹스(Fine Ceramics)는 2차세계대전 후 급진전한 공업의 발달에 따라 일어난 여러 가지 새로운 특성을 갖는 재료로써 전통적 요업체보다뛰어난 내구성, 기계적성질, 특수한 전기적 특성 및 화학적내구성을 갖는 세라믹스를말하며 금속이나 고분자재료에 비하여 여러가지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데, 좋은 기계적 특성(강도, 경도, 인성 등), 높은 내열특성(내화도, 절연성 등), 특이한 전자적 특성(유전성, 절연성, 반도성, 압전성 등), 자기적성질(강자성, 반강자성, 상자성 등), 광학적특성(투광성, 흡광성 등), 화학적특성(내식성, 성분다양성 등), 내방사성 및 안정성 등을 들수 있습니다.
반면 금속이나 고분자재료에 비하여 취성(brittleness)을 갖고 있어서 깨지기 쉬우며 또한 성형이 어려운 단점을 갖고 있어 이들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요구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파인세라믹스의 응용분야는 여러분야가있으나 크게 구조재료(Engineering Ceramics), 전자재료(Electro Ceramics) 및 생체재료(Bio Ceramics)의 3종류로 구분됩니다. 구조재료는 내열성, 내마모성 그리고 고강도를 이용하며, 전자재료는 세라믹스가 갖는 특이한 전자기적 성질을 이용한 것이며, 생체재료는 생물, 화학적 특성을 이용합니다.
이러한 세라믹스는 일반적으로 원료성분이 지구상에 풍부하게 분포되어 있어 잠재력이 매우 크며, 에너지 대체 또는 절약에 있어서 획기적인 파급효과를 전 산업체에 미칠수 있는 새로운 재료로 잠재가치와 성장성이 무한한 차세대 기술혁신사업으로 평가 받고 있습니다. 앞으로 세라믹스시장은 파인세라믹스시대에서 나노세라믹스시대로 로드맵이 진행될 전망이며 이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국내외 파인세라믹스시장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미지: 국내외 파인세라믹스 시장

국내외 파인세라믹스 시장


표적 주력산업인 반도체 산업의 경우, 최근 웨이퍼의 대구경화 및 반도체칩의    고집적화 등을 통한 저가격화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높은 수율 및    초고집적 반도체 공정을 개발하기 위한 실리콘 웨이퍼의 대구경화(450mm) 및       고순도화의 진행이 가속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반도체 공정에  적용되고 있는고온용 부품들 역시 대구경화/초고순도화의 요구수준에 맞도록 그   이상의 순도를 갖는 초고순도 제품들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내 반도체 부품 기술과 시장은 아직 요구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등 국내  원천기술의 확보 및 관련 기술개발에  많은 제약을 받고 있는 실정입니다. 하지만,  국내 부품소재업체들의 지속적인 연구기술개발을 통한 투자로 점차 국산화 진행율이높아지
으며사에서도 실리콘 대구경 단결정 성장 및 LCD제조설비용 대형구조세라믹 등 적극적인 연구개발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초고순도화를 목표로,        알루미나의 경우 99.8%이상의 순도로 사용하고 있으며, 기타 고가의 소재로만      사용되었던 Y2O3, AlN, SiC등도 신기술개발 및 초고순도화에 집중적으로               육성함로써 국내 세라믹산업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습니다.

(나) 시장점유율
반도체·LCD소자업체들의 설비 기술개발 및 신규라인 증설등에 따라 시장의 규모 여부가 형성되어짐으로 이에 대한 시장현황 변동성있어 공식화된 시장 정보가 아직없는 상태입니다.
또한 제품특성상 소모성 Parts품이기 때문에 소자업체들로부터의 정확한 교체      주기를 알수 없으며, 장비별, 공정별 정보를 파악하기 어려운 실정입니다.
국내외 동종업체들과 가격 차이가 존재하고, 세부적으로 범위를 좁혀서 파악         하기에는 다소 제약이 따릅니다.


(다) 시장의 특성
2011년 상반기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반도체 재료업체들의 설비투자 축소 및업체간 치킨게임 등으로 시장환경은 다소 위축되었으나, 감산 및 재고소진, 스마트폰과 테블릿PC의 수요 증가로 하반기부터 회복세를 찾아가고 있습니다. 반도체·LCD공정특성상 미세공정화를 통한 고집적화·고효율화를 시현함으로써  기존 설비효율을 확대하기 위한 지속적인 기술개발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6) 기타 사업 (태양광 잉곳 등)
(가) 산업의 특성
지금 세계는 온실가스의 저감, 에너지 소비량의 증가, 에너지 공급 Risk의 증가에   따라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필요성이 그 어느때 보다 크게 부각되고 있는 시기입니다.태양광 사업 분야는 기연료를 대체할 수 있는 신재생에너지 중 설치 시      환경에 큰 피해를 주지 않는 이유로 신재생에너지 사업분야 중 가장 각광 받고 있는 분야입니다. 또한 무한한 에너지 원을 바탕으로 매 해 광변환율을 상승시킨           제품들이 업체별로 지속적으로 출시되고 있어 향후 5년이내 기존 화석 연료 발전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가장 유력한 신재쟁에너지원으로 주목 받고 있습니다.  
태양광 산업 분야는 밸류 체인상 최상에 있는 폴리실리콘 사업 분야, 잉곳/웨이퍼   사업 분야, 태양전지 사업 분야, 모듈 사업 분야 및 최하단에 있는 설치 사업분야까지크게 5개의 사업분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당사는 이중 업스트림에 속하는 잉곳/웨이퍼 사업에 진출해 있습니다.

이미지: Value chain

Value chain


(나) 태양광 산업의 성장성

태양광 시장은 최근 유럽 發 재정위기 및 보조금 삭감으로 일시적인 소강상태를 보일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지난 해 설치 시장의 규모가 최대 38GW로 예상되고 있어 전년대비 약 20%의 성장이 예상됩니다.  

유럽 국가들의 태양광 보조금 삭감 및 중국산 저가 제품의 공급이 시장 가격을 파괴하여 정상적인 제품 가격을 형성하기는 어려운 시장이었으나 유럽의 대체 시장으로서의 미국, 일본, 중국의 성장이 기대를 상회하여 전년 대비 시장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중국산 제품에 대한 미국, 유럽의 Anti-dumping 이슈는 대만, 한국, 일본 등의 업체에게 호재로 작용하여 향후 가격 상승 및 시장 점유율의 상승 등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그러나 최근 국내 일부 업체를 통하여 볼 수 있듯 자금 기반이 취약한 업체들의 구조조정은 계속하여 진행되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앞으로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안정적인 자본, 원가 경쟁력 그리고 판매 시장의 3 요소를 갖추지 못한 업체들은 시장 퇴출의 작업이 지속될 것이며 향후 수 년 내 업체 구조조정이 마무리 되면 다시 안정적인 이익을 창출하는 이상적인 시장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미국 정부의 중국산 패널 관세 부과 내용]

                                                                                                         (단위: %)

구분 AD Final Adjusted CVD Final Total Final
Suntech 7.78 15.97 23.75
Trina Solar 21.19 14.78 35.97
Separate Rate 15.42 15.24 30.66
Countrywide Rate 239.42 15.24 254.66


[전세계 PV 설치량]

이미지: 전세계 PV 설치전망

전세계 PV 설치전망


(다) 경기 변동의 특성
태양광 산업의 경기 변동은 크게 정부 지원 정책, 화석 연료 대비 발전단가의 경쟁력확보 그리고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의식 변화에 따라 지속 성장 혹은 하락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먼저 정부 지원정책의 중요성으로, 독일을 선두에 세운 유럽시장은 기후 변화에     대한 위기의식을 일찍이 인식하여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국가적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이러한 지원에 힘입어 2000년 대 초반 독일 시장은 기존 태양광 설치  최강국이었던 일본을 앞지를 수 있었습니다. 현재 유럽발 재정위기 및 보조금 인하  정책으로 시장이 일시 소강상태를 보이고 있으나 태양광 시장에 있어 유럽의 위치는 당분간 변함없이 없을 것이며 보조금 인하에도 불구하고 각국 정부의 지원정책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다음으로 태양광 설비를 이용한 발전 단가의 경쟁력 확보를 들 수 있습니다. 현재   태양광 설비를 이용한 KW당 발전단가는 기존 화석 연료 대비 수배이상의 차이가   나고 있는 상황 입니다. 이렇게 태양광 발전 비용이 비싼 이유는 무엇보다 기존      에너지원 대비 대중화되지 못한 설비를 투자하여야 하며, 이 설비 비용 역시           아직까지는 매우 비싼 편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태양광 발전은 해마다 발전단가를 인하하고 있으며 최근 급격한 가격하락의 영향으로 화석에너지 대비 발전단가는    점점 더 경쟁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태리 일부 지역을 비롯하여 이미 그리드 패리티를 달성한 지역이 속속 나오고     있으며 태양광 제품의 단가 하락의 영향으로 기존의 예측보다 훨씬 이른 시일 내에 그리드 패리티가 달성될 것으로 전문가 들은 예측하고 있습니다.  

(라) 경쟁요소
태양광 산업 분야는 업스트림에서 다운 스트림으로 갈수록 영업 이익이 하락하는   독특한 구조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는 상대적으로 많은 기술력이 필요하는            업스트림의 진입 장벽 및 차별화된 품질에 따른 고가 정책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업스트림 상의 고가 유지 정책은 빠른 Grid parity를 가로 막고 있는  제일의 요소라 하여도 과언이 아닐 수 있습니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낮은  마진을 유지하여야 하는 다운 스트림 업체의 경우, 지속적인 R&D를 통한 수율 및  품질 향상,대규모 투자를 통한 원가절감 많이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수 있는          방법이며 실제로 국내를 비롯 해외 태양광 관련 업체들은 막대한 자금을 동원하여  수직 계열화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태양광 업체의 경쟁요소는 크게 원자재 수급 가격과 생산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결정질 웨이퍼 제품의 특성상 다량의 고순도 폴리실리콘을      얼마나 싸게 안정적으로 공급받을 수 있는지에 따라 생산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현재 폴리 실리콘의 공급 과잉에 따라 폴리실리콘 수급의 안정성보다는 업체별 생산성 즉, 같은 원재료의 투입을 통해 얼마나 빨리, 많이 생산할 수 있는지 여부가 타 업체 대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는 곧 세계 태양광 제품의 과반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산 제품 대비 얼마나           경쟁력을 확보 할 수 있느냐는 문제와 직결되고 있습니다. 이에 국내 업체를 비롯한  전세계 웨이퍼 생산 업체들은 생산 효율 및 cost 절감을 위해 지속적인 R&D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최근 법정 관리, 파산 및 사업 매각 등 시장 퇴출 수순을 밟고 있는 유럽 업체들 역시 한때 시장 선점을 통한 마켓 확보 및 우위의 기술력으로 세계 시장을 주름        잡았으나, 중국의 저비용에 힘입은 저가 제품의 출시와 함께 기존 시장을 빼앗기게 되었으며 급기야 파산 및 사업 철수의 상태에 놓이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저비용의 제조 경쟁력 확보와 함께 최근 나타나는 또 다른 특징은 재무적 안정성을 들 수 있습니다. 태양광 사업을 주력사업으로 펼치며 다른 사업 영역을 확보하고 있지 못한 업체들은 최근 태양광 사업에서 발생하는 재정적 부담을 받아 줄 자금 원천이 없기    때문에 시장에서의 퇴출이 더 빨리 진행되고 있습니다.

현재 태양광 시장의 추세는 태양광 사업 분야 외에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 분야를 확보하고 있는 대기업 위주로 개편되고 있으며 얼마나 안정적으로 자금을 확보 할 수 있느냐가 생존의 필수 요건이 되고 있습니다.

(마) 시장점유율 등
당사 조사에 따르면 국내 웨이퍼 생산 능력은 약 3.3GW 이며 전세계 웨이퍼 생산   규모는 약 40GW 이상이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이중 국내 단결정 시장은 약 2GW, 전세계 단결정 시장 규모는 13GW로 SKC솔믹스의 시장 점유율은 각각 7.5%, 1.2%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바) 시장의 특성
태양광 시장 중 잉곳/웨이퍼 시장의 경우, 태양광 시장 발전 초기 대규모 프로젝트 진행에 따라 빠른 웨이퍼 수급이 필수였으며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진입이 용이한 다결정 웨이퍼가 시장 지배적이었으며 현재도 그 절대적 수치가 앞서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다결정 제품에 대한 효율 한계점의 부각, 고효율 제품에 대한 소비자 인식의 전환에 따라 단결정 웨이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향후 수년 내에 다결정과 동등한 수준의 시장을 형성하게 될 것으로 예측 됩니다.
또한 고효율 및 고사양 제품에 대한 고객 수요의 증가에 따라 N-Type 및 Full          Square 제품을 생산하는 업체들이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는 상황 입니다. SKC솔믹스는 축적된 잉곳 성장기술을 바탕으로 N-Type 및 면적을 일부 증가시킨 특수 사향의 제품 생산을 통해 고객의 요구에 부흥하고 신규시장 진입을 위한 기술력 확보에 만전을 기하고 있습으며 최근 보조금 삭감으로 그 규모가 줄고 있는 유럽 시장을 대체할 시장으로 일본, 중국,미국 시장이 부각되고 있으며 당사는 사업 초기부터 지속적    유대관계를 바탕으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일본 시장에 판매를 집중하고 있습니다. 또한 고품질, 합리적 가격을 바탕으로 대체 시장으로서의 중국, 미국 시장으로의 진출을 위한 작업을 지속해나가고 있습니다.

2. 회사의 현황
가. 공시대상 사업부문의 구분
(1)  사업부문별 요약 재무현황

당기 및 전기의 부문 매출액 등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 당기 1분기

(단위:천원)
구  분 필름 화학 정보통신 기타 연결조정 합  계
총매출액 256,993,848 227,915,076 65,337,138 52,997,149 (43,088,590) 560,154,621
영업이익 17,108,017 14,570,325 (4,546,251) (4,022,459) 655,916 23,765,548


(나) 전기 1분기

(단위:천원)
구  분 필름 화학 정보통신 기타 연결조정 합  계
총매출액 245,003,705 295,113,930 43,096,799 43,346,449 (28,173,886) 598,386,997
영업이익 6,969,412 29,976,143 (11,285,216) (1,624,320) 1,405,145 25,441,164


3. 주요 제품 및 서비스 등
가. 주요 제품등의 현황
                                                                                                   (단위 : 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 등 매출액(비율)
필름 제품 PET FILM 등 광학용,
포장용, 산업용 등
Skyrol 수출 139,889,144,501 25.0%
내수 117,104,703,336 20.9%
합계 256,993,847,837 45.9%
화학 제품

용역
POD 등 윤활제, 자동차,
화장품,가전제품, 단열재 등
SUPER-A
GREEN
-
수출 95,772,755,950 17.1%
내수 132,142,320,285 23.6%
합계 227,915,076,235 40.7%
정보통신 제품
 및
용역
통신장비 등 중계기 외 - 수출 - -
내수 65,337,137,741 11.7%
합계 65,337,137,741 11.7%
기타 제품 산업용가스
반도체 부품
기타 - 수출 16,505,909,619 2.9%
내수 36,491,239,499 6.5%
합계 52,997,149,118 9.5%
연결조정 - - - - 수출 △38,484,988,023 △6.9%
내수 △4,603,601,495 △0.8%
합계 △43,088,589,518 △7.7%
합    계 - 수출 213,682,822,047 38.1%
내수 346,471,799,366 61.9%
합계 560,154,621,413 100.0%

                                                                                              [△는 부( - )의 수치임]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kg)
품 목 품 목 구 분 제41기 1분기 제40기 연간 제39기 연간
필름 PET FILM 내 수 4,551 4,583 4,845
수 출 4,460 4,964 5.506
화학 POD(*) 내 수 2,070 2,163 2,241
수 출
기타 산업용 가스(기체)
(단위 : 원/kg)
내 수 49 47 42
수 출
산업용 가스(액체)
(단위 : 원/NM3)
내 수 160 155 133
수 출
Solar Wafer
(단위 : $/pcs)
내수 1.22 1.39 2.74
수출
* POD는 PO 및 PO 유도체인 PG, PPG 등을 의미합니다.


4. 주요 원재료
가. 주요 원재료 매입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매입유형 품   목 구체적용도 매입액 비고(주요매입처)
필름 원재료 DMT PET FILM 제조 3,978 SK유화
TPA 48,238 삼남석유화학,삼성석유화학
EG 20,118 SABIC,롯데케미칼
화학 원재료 프로필렌 PO제조 73,011
기타 원재료 Al2O3 Al2O3 Powder소결 및 Si,
Al2O3, AlN
등의 원재료
 - 수입
Si 2,602
SiC  -
기타 30
Al2O3 176 국내
Si 39
SiC 34
기타 778
Poly Si Ingot/Wafer의 원재료 - 수입
Poly Si - 국내

* 정보통신 사업은 외주 임가공 형태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자체 원재료 매입 현황이 없습니다.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 : 원/kg)
품 목 품 목 제41기 1분기 제40기 연간 제39기 연간
필름 DMT 1,626 1,598 1,527
TPA 1,267 1,196 1,352
EG 1,211 1,165 1,260
화학 프로필렌   1,530      1,597 1,637
기타 Ceramic powder 5,344 6,174 6,931
CIP powder - 15,330 11,297
SiC powder 10,525 13,793 10,539
Poly Si - 34,474 76,130

* 정보통신 사업은 외주 임가공 형태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자체 원재료 매입 현황이 없습니다.

5. 생산현황
가. 생산능력

사업부문 품 목 사업소 제41기 1분기 제40기 연간 제39기 연간
필    름 PET FILM(ton) SKC 38,787 141,726 139,090
PET FILM(천lb) SKC Inc. 30,113 120,450 120,450
화    학 POD(M/T) SKC 137,000 555,000 510,000
기타 산업용가스(ton) SKC
에어가스
190,524 762,100 762,100
Al2O3(백만원) SKC
솔믹스
6,850 31,866 38,250
Si(백만원) 4,396 41,482 39,913
SiC(백만원) 11,287 12,222 11,598
Solar Wafer(MW) 112.0 131.5 120.0

* 정보통신 사업은 외주 임가공 형태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자체 생산현황이 없습니다.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은 현재 PET Film 라인을 신설하고있어, 생산 활동이 없습니다.

나.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지배회사 : SKC]
생산능력의 산출기준은 최대생산능력이며, 산출방법으로는 1일평균 가동시간 ×
 월평균가동일수×시간당 최대생산량×3개월
을 적용하였으며, 각 적용요소는
 아래와 같습니다.

품     목 1일 평균 가동시간(Hr) 월평균 가동일수(일) 시간당 최고 생산량
PET FILM 22.4 29.2 19,767 Kg
POD 24.0 30.0 63,426 Kg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생산능력 산출기준은 최대생산능력이며, 산출방법으로는 시간당 최대 생산량×
 24시간×가동일수 입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생산능력 산출기준은 최대생산능력이며, 산출방법으로는 시간당 최대 생산량×
  24시간×가동일수(각제품 합산 질량으로 생산능력 산정) 입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 Inc.]
생산능력 산출기준은 최대생산능력이며, 산출방법으로는 시간당 최대 생산량×
 24시간×가동일수 입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 (Jiangsu) High Tech Plastics]
- 해당사항 없음

다. 생산실적

(단위 : ton,  M/T)
사업부문 품 목 사업소 제41기 1분기 제40기 연간 제39기 연간
필   름 PET FILM(ton) SKC 30,689 109,645 109,186
PET FILM(백만 lbs) SKC Inc. 24.5 92.9 91.8
화   학 POD(M/T) SKC 103,000 527,000 498,000
기타 산업용가스(ton) SKC
에어가스
138,204 473,422 473,422
Al2O3(백만원) SKC
솔믹스
4,026 20,891         21,908
Si(백만원) 1,618 35,743        25,453
SiC(백만원) 11,287 9,151         7,992
Solar Wafer(MW) 23.1 77.6 56.0

* 정보통신 사업은 외주 임가공 형태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자체 생산현황이 없습니다.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은 현재 PET Film 라인을 신설하고있어, 생산 활동이 없습니다.

라. 당기의 가동률

(단위 : hr, %)
사업부문 사업소 품목 당기가동가능시간 당기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필름 SKC PET FILM 1,956 1,548 79.2%
SKC Inc. PET FILM 1,789 1,592 89.0%
화학 SKC POD 2,160 1,671 77.4%
기타 SKC 에어가스 산업용가스 4,320 4,049 93.7%
SKC
솔믹스
Al2O3 25,920 15,811 61.0%
Si 36,720 26,072 71.0%
SiC 8,640 2,544 29.4%
Solar Wafer 19,440 16,898 87.0%

* 정보통신 사업은 외주 임가공 형태로 생산을 진행하고 있어 자체 생산현황이 없습니다.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은 현재 PET Film 라인을 신설하고있어, 생산 활동이 없습니다.

6. 생산설비의 현황 등
가. 생산설비의 현황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공시지가)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340,145 0 0 0 340,145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3,788 0 0 0 3,788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0 0 0 0 0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28,362 0 0 0 28,362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0 0 0 0 0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5,000 0 0 0 5,000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0 0 0 0 0 -
SKC Inc 미국 7,717 345 0 0 8,062 -
SKC Europe
GmbH
독일 0 0 0 0 0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1,432 0 (29) 0 1,403 -
소계 386,444 345 (29) 0 386,760 -


[자산항목 : 건물]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115,440 3,339 (400) (1,723) 116,656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28,003 0 0 (186) 27,817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2,163 0 0 (21) 2,142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46,770 304 (0) (715) 46,359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0 0 0 0 0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3,108 0 0 (20) 3,088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1,567 103 0 (14) 1,657 -
SKC Inc 미국 121,471 4,621 (48) (1,076) 124,967 -
SKC Europe
GmbH
독일 0 0 0 0 0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1,570 0 (32) (14) 1,525 -
소계 320,094 8,367 (480) (3,769) 324,211 -


[자산항목 : 구축물]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32,108 949 0 (577) 32,480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0 0 0 0 0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82 39 0 (2) 119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5,834 0 0 (232) 5,602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15 0 0 (0) 15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73 0 0 (1) 72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0 0 0 0 0 -
SKC Inc 미국 7,855 299 0 (73) 8,081 -
SKC Europe
GmbH
독일 0 0 0 0 0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849 0 (17) (8) 824 -
소계 46,817 1,287 (17) (894) 47,192 -


[자산항목 : 기계장치]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681,994 90,836 (1,785) (13,636) 757,408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0 0 0 0 0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48,614 31 0 (771) 47,874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122,106 591 (38) (3,239) 119,421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5,509 0 0 (67) 5,442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677 0 0 (23) 653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0 0 0 0 0 -
SKC Inc 미국 94,186 3,549 0 (2,276) 95,460 -
SKC Europe
GmbH
독일 0 0 0 0 0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2,417 0 (49) (42) 2,326 -
소계 955,502 95,007 (1,871) (20,054) 1,028,584 -


[자산항목 : 차량운반구]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841 0 (0) (69) 772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67 0 0 (10) 57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105 58 (32) (12) 119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104 0 (0) (13) 91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26 0 0 (2) 24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61 0 0 (4) 57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0 0 0 0 0 -
SKC Inc 미국 394 14 0 (38) 371 -
SKC Europe
GmbH
독일 32 0 0 0 32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19 0 (0) (1) 18 -
소계 1,649 72 (32) (148) 1,541 -


[자산항목 : 공기구비품]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6,560 52 (7) (541) 6,063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5,010 577 0 (682) 4,904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74 21 0 (8) 87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1,899 53 (1) (190) 1,762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175 16 0 (12) 179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1,285 78 0 (84) 1,278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231 9 0 (11) 229 -
SKC Inc 미국 46 2 0 (2) 45 -
SKC Europe
GmbH
독일 13 1 0 0 13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77 0 (1) (6) 69 -
소계 15,369 808 (9) (1,537) 14,631 -


[자산항목 : 기타유형자산]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
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11,203 0 0 (206) 10,998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0 0 0 0 0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22,998 280 0 (133) 23,146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0 0 0 0 0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15 4 0 (1) 18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0 0 0 0 0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0 0 0 0 0 -
SKC Inc 미국 0 0 0 0 0 -
SKC Europe
GmbH
독일 0 0 0 0 0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0 0 0 0 0 -
소계 34,216 284 0 (339) 34,161 -


[자산항목 : 건설중인자산] (단위 : 백만원)
회사 소재지 기초
장부가액
당기증감 당기상각 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SKC 경기도 수원 196,549 32,179 (95,201) 0 133,527 -
SK텔레시스㈜ 서울 중구 0 0 0 0 0 -
SKC에어가스㈜ 울산 남구 35,533 18,417 (732) 0 53,218 -
SKC솔믹스㈜ 경기도 평택 2,218 2,304 (2,743) 0 1,779 -
에스케이더블유㈜ 충북 진천 0 0 0 0 0 -
SKC라이팅㈜ 경기도 성남 0 132 (13) 0 119 -
SKC High Tech
Plastics
중국 60,101 13,683 (198) 0 73,586 -
SKC Inc 미국 31,476 8,814 0 0 40,290 -
SKC Europe
GmbH
독일 0 0 0 0 0 -
SKC Europe pu
Sp.z o.o
폴란드 0 0 0 0 0 -
소계 325,877 75,529 (98,887) 0 302,519 -


나. 설비의 신설ㆍ매입 계획 등
[지배회사 : SKC]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당사는 산업가스사업 설비의 증설 등을 하고 있습니다. 본 설비를 토대로 생산능력이증가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현재 주요 투자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투자계획 투자 진행 상황
- ASU Plant 증설
- 투자금액 : 약 600억원
- 투자기간 : 2011년 7월~2013년 10월
- 당분기말 기준 536억원 건설중인 자산으로 인식


[주요종속회사 : SKC Inc.]
당사는 EVA사업 설비의 신설로 2012년 3분기까지 총 US$37.5백만불을 투자하였습니다. 상기 투자를 통해 신규 EVA Sheet생산 능력이 추가되었으며 2개 Line 중 1개 Line은 EVA와 병행 생산이 가능한 신규 제품 생산을 위해 추가 개조 작업이 2013년 상반기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현재 당사가 진행하고 있는 주요 투자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주요 투자계획 투자 진행 상황
- EVA Sheet 신규 투자(2개 Line)
  (연산 13,000천lbs 규모)
- 투자금액 : US$40백만불
- 투자기간 : 2010년 3월~2012년 9월
- 2010년 3월부터 부지정지 및 제반시설공사가 진행됐으며
   1개 Line은 2012년 9월에 완공되었으나 1개 Line은
   EVA와 신규 제품의 병행생산을 위해 개조 작업이 2013년
   상반기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
당사는 필름사업을 영위하는 중국내 현지법인으로, 2013년내에 PET Film 2개 라인을 신설할 계획입니다.


7. 매출에 관한 사항

(단위 : 원 )
사업
부문
매출
유형
품 목 제41기 1분기 제40기 제39기
필 름 제품 PET FILM 등 수 출 139,889,144,501 518,835,199,121 635,874,793,581
내 수 117,104,703,336 405,609,516,429 354,054,138,567
합 계 256,993,847,837 924,444,715,550 989,928,932,148
화 학 제품 POD
수 출 95,772,755,950 484,081,559,264 432,134,953,834
내 수 132,142,320,285 614,586,708,785 590,992,614,531
합 계 227,915,076,235 1,098,668,268,049 1,023,127,568,365
정보통신 제품 중계기 등 수 출 - 589,850,675     3,660,489,238
내 수 65,337,137,741 494,305,905,564 419,758,164,679
합 계 65,337,137,741 494,895,756,239 423,418,653,917
기타 제품 산업용 가스 등 수 출 16,505,909,619 107,957,033,074 53,198,793,314
내 수 36,491,239,499 127,835,449,452 102,326,232,952
합 계 52,997,149,118    235,792,482,526 155,525,026,266
연결조정 수 출 △38,484,988,023 △107,440,592,571 △108,406,789,466
내 수 △4,603,601,495 △17,189,708,709 △10,067,755,953
합 계 △43,088,589,518 △124,630,301,280 △118,474,545,419
합   계 수 출 213,682,822,047 1,004,023,049,563 1,016,462,240,501
내 수 346,471,799,366 1,625,147,871,521 1,457,063,394,776
합 계 560,154,621,413 2,629,170,921,084 2,473,525,635,277


8.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지배회사 : SKC]
가. 판매조직

사 업 부 문 단 위 조 직 비   고
필     름 신규필름 사업본부 -
PET필름 사업 본부 -
화     학 PO/PG 사업본부 -
PU 사업본부 -
전자재료 사업본부 -


나. 판매경로
당사의 판매경로는 직접판매 및 대리점 등을 통한 내수 판매와 LOCAL L/C 및 직접수출을 통한 수출판매로 구분됩니다. 당사의 지역별 매출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기 1분기 전기 1분기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국내 247,377,992 59.31% 251,575,972 55.46%
해외 169,709,464 40.69% 202,024,695 44.54%
 미주 31,594,617 7.58% 20,360,213 4.49%
 유럽 12,615,947 3.02% 8,349,162 1.84%
 일본/아시아 등 125,498,900 30.09% 173,315,320 38.21%
합   계 417,087,456 100.00% 453,600,667 100.00%


다. 판매방법 및 조건

당사의 판매방법은 주문에 따른 납품, 국내 대리점 판매, 대형소매상 판매 등으로   구분됩니다.

라. 판매전략
(1) 내수 : 대리점체제구축 및 직판체제를 동시에 구축하여, 전국시장을 석권하고
              있습니다.
(2) 수출 : 세계시장을 무대로 주요시장에 대하여 현지법인의 마케팅을 활용하고
               기타 지역에 있어서는 대리점 체계를 구축하여, 세계적인 판매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가. 판매 조직

사 업 부 문 단 위 조 직 인 원 수 비 고
통신장비 초고속망사업팀 11 -
전송망사업팀 6 -
엔지니어링팀 9 -
ACC망사업팀 15 -
B2B사업팀 11 -
사업개발팀 11 -
솔루션사업팀 8 -
합      계 71 -


나. 판매 경로
당사의 판매 경로는 직접 판매를 통한 내수 판매와 L/C 및 직접 수출을 통한 수출   판매로 구분됩니다.

다. 판매 방법 및 조건
당사의 판매 방법은 주문에 따른 납품, 전자상거래 판매 등으로 구분됩니다.

라. 판매 전략
(1) 내수 : 직접 판매 체제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2) 수출 : 미주 지역은 현지법인을 마케팅활동에 활용하고, 기타 지역은 현지사무소
              등을 활용하여 판매망을 형성하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가. 판매조직

이미지: 영업조직도

영업조직도


나. 판매경로

사업 부문 매출 유형 품 목 구분 판매경로
파인세라믹스 부문 제품 매출 Al2O3, Si,
SiC, 기타
수 출 당사 →해외 현지법인 → Buyer
내 수 당사 → Buyer
세정 매출 세정품 수 출 당사 →해외 현지법인 → Buyer
내 수 당사 → Buyer
태양광 부문 제품 매출 Solar 수 출 당사 → Buyer
내 수 당사 → Buyer


다. 판매방법 및 조건
(1) 파인세라믹스 부문
당사의 영업부서가 직접 매출처와 접촉하여 판매하는 방법으로 각 매출처 마다 결제조건은 다르나, 통상 현금결제, 전자어음 및 구매카드입니다.

(2) 태양광 부문
당사의 영업부서가 직접 매출처와 접촉하여 판매하는 방법으로 결제 방식은 현금,   T/T in advance 및 L/C open등의 방식입니다.

라. 판매전략
(1) 파인세라믹스 부문

(가) 국내영업
 현재까지 주요한 과제가 되었던 것처럼 반도체용 파인세라믹스 제품에 있어서       아직까지도 국산화가 되어지지 못한 제품들은 많습니다. 이는 신소재 산업이         빈약하여 소재자체를 생산하지 못하는 국내실정과 새로운 소재에 대한 정밀          가공기술의 부족으로 기인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결국 신소재산업에 있어서    국산화의 문제는 신소재의 발굴과 정밀가공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당사는 이러한 신소재의 발굴과 정밀가공기술의 개발을 통하여 반도체용    파인세라믹스 국내시장에 있어서 기존의 해외업체가 점하고 있는 시장을 제품       국산화하는 데에 최선을 다하는 것이 최대 판매전략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나) 해외영업
당사는 국제부품가격이 국내부품가격보다는 높게 형성되고 있다는 것과 국내시장에서 반도체생산을 선도하는 기업과의 거래를 통한 품질에 대한 자신감을 기반으로    1999년부터 해외시장개척을 진행시켜왔으며, 초기 단계 해외수출의 경우에는 주로 해외Agency를 통해 이루어지고 왔으나 현재는 대부분 해외현지법인을 통하여       수출을 하고 있으며 사실상 해외영업이 실현되고 있는 시점은 2001년 상반기부터 입니다. 당사의 해외영업부는 그 동안 누적된 해외영업노하우를 바탕으로 일본, 미국, 대만 등에서 적극적인 시장창출 및 시장공략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여서 직접마케팅이 중요한 판매전략입니다. 이와 맥을 함께 하여 2001년 9월 10일에는 일본요코하마시에 자회사인 SOLMICS JAPAN을 설립하였고, 2002년 10월 7일에는미국 텍사스 오스틴에  SNT USA를 설립하였으며, 2006년 2월 13일 중국상하이에 SOLMICS    SHANGHAI를, 2007년 11월 5일 대만에 SOLMICS TAIWAN을 설립하여 한층 강화된해외영업진출을 꾀하고 있습니다.


(2) 태양광 부문
(가) 국내영업
세계 태양광 시장 대비하여 국내 시장의 규모는 매우 미약한 수준으로 국내 대부분의경쟁사들 역시 국내 시장 보다는 해외 시장에 영업초점을 맞추고 있는 실정입니다.
자사 조사에 따르면 국내 단결정 태양전지 생산능력 대비 웨이퍼 충족율은 97%에  육박하고 있어 단결정 웨이퍼 수급의 어려움은 없는 상태로 보이고 있습니다.
다만, 최근 국내 반도체 및 LCD 등의 산업에 기반한 대기업 및 고효율 제품 생산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일부 셀업체들의 시장 진입에 따라 국내 시장에서의 웨이퍼  공급이 해외 시장 진출을 위한 테스트 배드의 성격으로 변해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당사의 단결정 웨이퍼 제품은 고객사들의 제품 인증 단계부터 엄격한 공정 관리를  통한 고품질 제품 생산으로 그 지명도가 상승하고 있습니다.
국내 경쟁사 현황은 웅진 에너지, 넥솔론, LG 실트론 등의 업체로 당사 대비 큰 생산 규모 및  빠른 시장 진입을 통해 국내 시장에서의 점유율이 상당히 높은 상황입니다. 이에 당사에서는 상기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고품질의 프라임 제품 생산 및        지속적인 원가절감에 대한 노력을 통해 고품질태양전지생산을 위한 고객사의 요구에고품질 저가격의 웨이퍼 공급을 목표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나) 해외영업
당사는 궁극적으로 해외 시장에 대한 지속적인 매출 확대를 위해 적극적인 마케팅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자사 조사에 따르면 해외 단결정 태양전지 생산능력 대비 웨이퍼 공급량은 54%      수준으로 당사와 같이 상대적 후발 진입 업체에게 있어서는 많은 기회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단기적으로는 해외 시장 진출의 교두보로 일본, 중국, 대만 등 상대적으로 진입이 용이한 아시아 시장에 대한 마케팅 활동에 주력하고 있으며 향후 이러한     교두보를 바탕으로  미국, 중국, 대만, 일본에 소재하고 있는 당사의 지사 그리고    독일, 인도 등 모기업 지사와의 적극적인 공동 마케팅 활동을 통해 비아시아          지역에서의 시장 점유율 확대 전략도 한 층 강화해 나갈 계획에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가 . 판매조직
당사의 판매는 영업팀이 전담 하고 있으며 구성원의 수는 9명입니다.

나. 판매경로
당사의 판매경로는 직접판매 및 충전소를 통한 매출이 있으며 전량 내수입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 Inc.]

가. 판매 조직

사 업 부 문 단위조직 인원수 비 고
필름 Film Sales Team 18  -
화학 Chemical Sales Team 3  -


나. 판매 경로

내수 : 미국내 End Customer

수출 : End Customer


다. 판매전략

(1) 내수 : 미주 내 Captive User에 대한 공략 강화

(2) 수출 : Local 법인이 있는 경우 -  Local 법인의 마케팅 활용에 집중
              기타 지역의 경우 - 대리점 및 직판 체계 구축


[주요종속회사 : SKC (Jiangsu) High Tech Plastics]
- 해당사항 없음

9. 수주상황

[지배회사 : SKC]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 파인세라믹스 부문
전자부품(반도체 및 LCD) 업계의 특성상 년간 단위의 발주량을 주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제품을 수요하는 업체는 제품을 공급하는 업체의 기술력, 품질관리능력, 경영관리능력, 재무적인능력 등 회사의 전반적인 사항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평가하여 거래업체로 지정하는 동시에 정기적으로 공급업체의 종합적인 능력을      확인하면서 기본거래 계약만을 체결한 후 수시로 발주물량을 부여합니다.
당사도 삼성전자, SK Hynix, LG디스플레이 등과 기본거래계약서만을 체결한 후 수시로 수주물량을 받고 있습니다.

. 태양광 부문
최근 태양광 산업의 수급불균형 및 태양광 발전설비 투자에  따른 보조금 축소       등으로 인해 일정기간 이상의 공급계약에서 단기 주문방식으로 수주 방식이           변화하였습니다. 당사도 거래처별로 수시로 수주물량을 받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 Inc.]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 (Jiangsu) High Tech Plastics]
- 해당사항 없음

10.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지배회사 : SKC]
가. 시장위험 요소
당사의 매출 총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3년 1분기 기준 38.1%에            해당되고 일반적으로 외화자산이 외화부채보다 많으므로 그 차액 만큼 환율변동에 순노출 되어 있는 상태입니다.

나. 위험관리 및 위험관리조직
당사는 외화관리규정을 제정하였고, 이에 의거한 환위험 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대내적으로 Matching, Lead & Lag 등의 기법을, 대외적으로는 단기선물환  계약을 Hedge 목적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주요 관리조직 세부사항은 아래와 같습니다.

관리조직 담당인원 주요활동
금융팀 3명 F/X, Hedge, 보험 등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가. 시장 위험 요소
당사의 매출 총액에서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미미한 수준이고 원자재 등에  대한 수입 비중이 많아 주로 외화부채에 대한 환율변동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나. 위험 관리
당사는 자체적으로 선물환 계약을 통해 환위험 관리를 하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당사는 경영 활동으로 인하여 시장위험(환위험, 가격위험 및 이자율 위험), 신용위험 및 유동성 위험과 같은 다양한 금융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사 의 전반적인 위험관리프로그램은 금융시장의 예측불가능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재무성과에 잠재적으로 불리할 수 있는 효과를 최소화하는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가. 시장위험

(1) 외환위험
결회사는 국제적으로 영업활동을 영위하고 있어 외환위험에 노출되어 었으며, 특히 주로 달러화 및 일본엔화 환율변동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기능통화 이외의 외화로 표시한 화폐성 자산 및부채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미화불 등)

구분 통화 당분기말(검토받지 아니함) 전기말(검토받음)
외화금액 원화환산금액 외화금액 원화환산금액
<외화자산>
현금및현금성자산 USD 941,059 1,046,552    
JPY        
EUR        
매출채권 USD 7,155,814 7,957,980 7,518,703 8,053,283
JPY 62,684,880 739,763 26,768,900 333,942
    9,744,295   8,387,225
<외화부채>
매입채무 USD 321,110 357,106 473,886 507,580
EUR        
JPY 1,140,500 13,459 18,918,800 236,012
미지급금 USD        
JPY 96,020,901 1,133,171 74,714,176 932,059
CNY        
EUR 23,337 33,260 23,350 33,070
    1,536,996   1,708,721


환율의 변동은 외화환산손익을 통해 연결회사의 당기손익에 영향을 미칩니다. 당기 및
전기 중 각 통화별 원화환율 10% 변동시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검토받지 아니함) 전분기말(검토받지 아니함)
10% 상승시 10% 하락시 10% 상승시 10% 하락시
USD 864,743 (864,743) 719,283 (719,283)
JPY (40,687) 40,687 (304,383) 304,383
EUR (3,326) 3,326 6,584 (6,584)
합계 820,730 (820,730) 421,484 (421,484)



(2) 가격위험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는 가격위험에 노출된 금융자산 또는 금융부채를 보유하고 있지 않습니다.

(3) 이자율위험
연결회사는 고정이자율과 변동이자율로 자금을 차입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차입금일부에 대해 이자율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변동이자율위험에 노출된 차입금의 장부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검토받지 아니함) 전기말(검토받음)
차입금 115,535,440 111,107,500


이자율이 1% 변동 시 이자율 변동이 당분기말 및 전분기말 세전손익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당분기말(검토받지 아니함) 전분기말(검토받지 아니함)
1% 상승시 1% 하락시 1% 상승시 1% 하락시
이자비용 (297,654) 297,654 (303,125) 303,125


나. 신용위험
신용위험은 연결회사 차원에서 관리되고 있습니다. 신용위험은 보유하고 있는 수취채권 및 확정계약을 포함한 도소매 거래처에 대한 신용위험뿐 아니라 현금및현금성자산 과 은행 및 금융기관 예치금으로부터 발생하고 있습니다. 당분기말과 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신용위험에 대한 최대노출정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구분 당분기말
(검토받지 아니함)
전기말
(검토받음)
현금및현금성자산(주1) 9,356,413 6,475,418
매출채권 15,458,910 16,559,603
기타수취채권 1,016,469 2,153,496
합계 25,831,792 25,188,517

(주1) 재무상태표의 "현금및현금성자산"과의 차액은 연결회사가 직접 보유하고 있는 현금입니다.


연결회사는 신용위험을 관리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과 절차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수취채권과 관련하여 회사는 신규 거래처와 계약시 공개된 재무정보와 신용평가기관에 의하여 제공된 정보 등을 이용하여 거래처의 신용도를 평가하고 이를 근거로 신용거래한도를 결정하고 있으며, 일부 수취채권에 대해서 담보 또는 지급보증을 제공받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회사는 주기적으로 거래처의 신용도를 평가하여 거래처의 여신한도 및 담보 수준을 재조정하고 있으며, 회수가 지연되는 채권 등에 대해서는 월 단위로 회수지연 현황 및 회수대책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당분기 중 신용한도를 초과한 건은 없었으며 경영진은 상기 거래처로부터 의무불이행으로 인한 손실을 예상하고 있지 아니합니다


다. 유동성위험

연결회사의 재무관리부문은 향후 현금흐름을 예측하여 자금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 자금관리계획에는 단기적인 계획 뿐만 아니라 중장기적인 계획을 포함하며 영업자금 수요를 예측하고 이에 따른 자금 조달 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활동이 수행됩니다. 연결회사의 경영진은 현재 영업활동현금흐름이 충분하며 추가적인 차입능력을 보유하고 있어서 연결회사가 보유한 금융부채를 향후 상환가능하다고 판단하고있습니다.

당분기 및 전기말 현재 금융부채에 대한 만기분석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분 계약상 현금흐름 1년미만 1-2년 2-5년 5년이상
<당분기> (검토받지 아니함)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6,493,639 15,100,499 983,393 409,747 -
차입금 및 사채 239,564,042 158,771,200 23,398,759 53,817,955 3,576,128
합계 256,057,681 173,871,699 24,382,152 54,227,702 3,576,128
<전기말> (검토받음)
매입채무 및 기타채무 17,296,716   15,657,728    983,393 655,595 -  
차입금 및 사채   235,722,309 151,575,361 23,474,628 56,498,388  4,173,932
합계 253,019,025 167,233,089 24,458,021 57,153,983 4,173,932


라. 자본위험관리

연결회사의 자본관리 목적은 계속기업으로서 주주 및 이해당사자들에게 이익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보존하고 자본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최적 자본구조를 유지하는 것입니다.

자본구조를 유지 또는 조정하기 위하여 회사는 주주에게 지급되는 배당을 조정하고, 주주들에게 자본을 반환하며, 부채감소를 위한 신주 발행 및 자산 매각 등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산업 내의 타사와 마찬가지로 회사는 자본조달비율에 기초하여 자본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자본조달비율은 순부채를 총자본으로 나누어 산출하고 있습니다. 순부채는 총차입금에서 현금및현금성자산을 차감한 금액이며, 총자본은 재무상태표의 "자본"에 순부채를 가산한 금액입니다.


연결회사의 당분기말 전기말 현재 자본조달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당분기말
(검토받지 아니함)
전기말
(검토받음)
총차입금(A)(주1) 224,882,449 220,407,557
현금및현금성자산(B) 9,371,139 6,488,428
순부채(A-B=C) 215,511,310 213,919,129
자본총계(D) 69,241,092 76,390,483
총자본(C+D=E) 284,752,402 290,309,612
자본조달비율(C/E)(주2) 75.68% 73.69%
(주1) 총차입금은 차입금 및 사채 등 이자부부채만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주2) 태양광 사업부문에 대한 투자자금이 차입금을 통해 조달되어 순차입금 비율이 증가하였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가. 시장위험 요소
당사의 매출액 중 대손발생의 위험이 있습니다.


나. 위험관리
사는 거래처 별로 신용보험 등의 방법을 활용하여, 대손 위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 Inc.]
가. 시장위험 요소
미국 현지 생산법인으로 외환위험은 없으나, 대손 발생 위험 및 유동성 위험이 존재합니다.

나. 위험관리
당사의 매출처중 업체별로 신용보험등과 같은 방법으로 대손 위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적정 유동성의 유지를 위하여 주기적인 자금수지 예측, 필요 현금수준 추정 및 수입, 지출 관리 등을 통하여 적정 유동성을 유지, 관리하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 (Jiangsu) High Tech Plastics]
- 해당사항 없음


11. 파생상품 등에 관한 사항

[지배회사 : SKC]
가. 파생상품계약 체결 현황
당사는 Hedge 목적으로 통화선도거래를 하고있으며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거래구분 거래처 계약일 만기일 매도금액 매입금액
USD(SELL)
 /KRW(BUY)
외환은행 2013-01-29 2013-04-30 $2,000,000.00 \2,179,600,000
외환은행 2013-03-11 2013-04-11 $1,000,000.00 \1,100,450,000
외환은행 2013-03-11 2013-05-13 $2,000,000.00 \2,200,900,000
외환은행 2013-03-11 2013-06-11 $2,000,000.00 \2,200,900,000
외환은행 2013-03-14 2013-04-30 $1,000,000.00 \1,110,450,000
외환은행 2013-03-14 2013-05-31 $1,000,000.00 \1,110,450,000
외환은행 2013-03-18 2013-06-18 $1,000,000.00 \1,119,750,000
소 계 $10,000,000.00 \11,022,500,000
JPY(SELL)
 /KRW(BUY)
외환은행 2013-01-17 2013-04-15 ¥100,000,000 \1,198,810,000
소 계 ¥100,000,000 \1,198,810,000


나. 파생상품 평가 손익
공시대상 기간동안 당사가 체결한 통화선도와 관련한 평가손익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거 래 목 적 파생상품 종류 금    액
매매목적 등 통화선도 거래(USD SELL) (126,102)
매매목적 등 통화선도 거래(JPY SELL) 17,738
합   계 (108,364)


[주요 종속회사 : SK텔레시스]
가. 파생상품 계약 현황
당사는 Hedge 목적으로 통화선도거래를 하고 있으며, 통화선도거래계약 체결내용과통화선도거래로 발생한 평가손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USD, HKD, 천원)

구분 약정금액 계약일 만기일 약정환율 평가손익
매입 USD 35,881 2012-12-14~
 2013-03-25  
2013-05-07~
2013-05-13  
1,089.5~
1,113.0  
9,394
매도 HKD 8,438,015 2013-02-20   2013-05-20 138.8 (37,718)
매도 USD 921,613 2013-02-20~
2013-03-27  
2013-04-30~
2013-05-20  
1,081.4~
1,108.1  
(17,973)


[주요종속회사 : SKC 솔믹스]

가. 파생상품계약 현황
(1) 선물환 계약

   - 약정기관: ㈜하나은행 평택지점

   - 약정목적: 통화 선물환 거래를 통한 외화 자산부채 환율변동위험 회피

   - 손실한도: 미화 이백만불(USD2,000,000)

   - 약정기간: 약정기관과 체결한 선물환 계약 만기 또는 청산시까지
    - 담      보 : 신용


(2) 선물환계약  체결내역
  - 계약일 2013.01.23 / 만기일 2013.04.15  / 금액 JPY 36,000,000  / 미정산
   - 계약일 2013.02.21 / 만기일 2013.05.15  / 금액 JPY 35,000,000  / 미
정산


나. 풋백옵션 등의 계약 현황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가. 파생상품 계약 체결현황
현금흐름 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함에 따라 현금흐름 변동위험에 노출되는 예상
최장기간은 2015년 5월 6일 까지 입니다.

당기 파생상품 평가손익의 내역은 아래와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구분 위험회피목적
평가이익 평가손실 기타포괄손익
이자율 스왑 - - -273


[주요종속회사 : SKC Inc.]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s]
-해당사항 없음

12. 경영상의 주요계약
[지배회사 : SKC]

계 약 처 계 약 내 용 계약만료일
Lyondell Chemical Company PO/SM License 도입계약 2015년 12월 31일
Bayer Polyol License 도입계약 2015년 12월 31일
Degussa AG, UHDE GmbH HPPO 제조기술의 도입 -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계약처 계약내용 계약만료일
SK에너지 GO2,GN2 외 공급계약 2013월 02월(자동연장)
SKC GO2,GN2 외 공급계약 2015월 03월(자동연장)
KP 케미칼 GO2,GN2 외 공급계약 -


[주요종속회사 : SKC Inc.]

계약명 투자 진행 상황
투자협정 계약 o 일시 : 1996년 8월 17일
o 계약 상대방 : Newton County Industrial Development Authority (이하 “IDA”)
o 계약 내용
  현금 US$500,000 & US$6,600,000 상당의 토지수증 및 기타 Incentives를
  받는 조건으로 회사는 폴리에스터 필름 제조 및  저장시설 건설시 최고
  US$220,000,000 투자  
o 계약 조건
   - 시설에 대한 법적 소유권을 IDA에게 부여함으로써 회사가 10년간 그 자산에       대한 재산세 산출시 유리한 양도세율과 부과세율을 적용 받도록 하였습니다.
   - 회사는 그 기간동안 전반적인 시행 및 건설관리를 수행하며 계약 종료 시
     $1에 전체 재산을 취득할 법적 권리를 가지고 있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s]
-해당사항 없음

13. 연구개발활동
[지배회사 : SKC]

당사의 연구개발 담당조직은 수원, 울산지역에 첨단기술중앙연구소를 설치,          운영 하고 있으며 관련 연구개발담당 직원수는 203명입니다.
당사는 PET Film을 국내 최초 자체 기술로 개발한 자부심을 바탕으로 현재 생산    능력기준으로 Global 4대 Maker로서의 규모에 걸맞는 수준의 연구개발을 해오고   있습니다. 이의 결과로 자기용, 포장용, 절연용, 콘덴서용 등 산업전반에 사용 되는 많은 제품들을 개발하였습니다.
과거 1999년에는 열수축필름을 개발하여 판매하기 시작함으로써 해외 경쟁사       제품의 독점체제를 붕괴시킨 실적을 갖고 있으며, 신소재인 PEN필름, PTT필름을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시장 진입을 완료 하였습니다. 2008년말에는 태양전지의 핵심소재로 사용되는 불소필름과 EVA시트를 동시에 개발하였으며, 이후에도 지속적인 핵심 사업 강화와 신성장동력 확보를 위한 R&D 역량 강화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가. 연구개발비용
2009년 이후 첨단소재 분야에 대한 연구개발에 매진하고 있으며, 2013년 1분기 당사가 연구 및 개발활동에 지출하고 있는 연구개발비용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41기 1분기 제40기 제39기
원  재  료  비 481 3,345 2,252
인    건    비 5,310 22,452 18,433
감 가 상 각 비 910 3,307 2,205
위 탁 용 역 비 1,869 6,288 6,451
기            타 524 3,115 4,204
연구개발비용 계 9,094 38,507 33,545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7,369 30,165 29,052
제조경비 19 86 61
개발비(무형자산) 1,706 8,257 4,432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2.18% 2.19% 1.99%


나.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당사가 보유한 지적재산권은 총 145건이며,  연간 주요 현황은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 등록건수 등록 내역 요약
2008 21건 MY-135777-A 고경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폴리우레탄 탄성체 제조용 外 20건
2009 22건 10-0904144 생분해성 이축연신 적층필름 外 21건
2010 21건 10-0981129 열수축성 폴리에스터계 필름 外 20건
2011 30건 10-1098836 공정성이 우수한 친환경성 적외선 차단 필름 外 29건
2012 41건 1991636 전기변색 소자용 프루시안 블루 코팅막의 제조방법 外 40건
2013 10건 10-1220226 열수축성 폴리에스터 필름 外 9건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당사는 회사 설립 이래 중계기(광/RF) 및 WiBro, LTE 펨토셀을 지속적으로 개발하여 상용화 하였습니다. 당사의 연구 개발 담당 조직은 판교 연구소에 있으며 관련 개발담당 직원수는  46명 입니다.
당사가 연구 및 개발활동에 지출하고 있는 연구개발 비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과             목 제17기 1분기 제16기 연간 제15기 연간
원  재  료   비 12 635 457
인     건     비 759 3,296 12,364
감 가 상 각 비 179 977 3,181
위 탁 용 역 비 13 898 5,718
기             타 378 2,019 8,372
연구개발비용 계 1,341 7,798 30,092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1,341 7,798 30,092
제조원가 등 - - -
개발비(무형자산) - -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2.05% 1.58%. 7.11%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 연구개발비용

(단위 : 천원)
과       목 제19기 1분기 제18기 제17기 비 고
원  재  료  비 - 305,411 2,177,455 -
인    건    비 190,037 1,090,381 1,163,677 -
감 가 상 각 비 184,957 632,310 430,850 -
위 탁 용 역 비 - - - -
기            타 257,204 2,059,951 1,046,940 분석료
연구개발비용계 632,198 4,088,053 4,818,922 -
회계처리 판매비와관리비 174,200 1,215,272 387,865 -
제  조  경  비 457,998 2,266,920 1,677,261 -
개발비(무형자산) - 605,861 2,753,796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2.26% 3.80% 4.73% -


나. 연구개발 실적

연구기관 연구과제 연구
기간
연구결과 향후기대효과
당사
부설
연구소
Cold
Spray
코팅
- -반도체, LCD 용 세라믹 제품 코팅의 성공
-코팅에 사용되는 핵심 부품 제조
-수지재의 코팅방법 및 이를 이용  하여 제조 된 도전성 입자  또는 강 자성체 입자가 코팅  된 수지재 연구완료
-반도체 제조설비의 코팅층 형성 연구완료
-자동차 부품의 적용 성공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콜드  
 스프레이 장치 특허취득
1. 세라믹 Cold Spray 코팅 성공
2. 코팅제품의 수명 연장
3. 이전의 코팅방식 대체효과가 클것으로 보임
4. 다양한 산업에 적용가능


다.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일자 특허 내용 해당국가
2006. 04. 07. 무소결질화알루미늄정전척 및 이의 제조방법(제10-0571158호) 대한민국
2006. 07. 10. 건식 트위저 세정장치(제10-0601780호) 대한민국
2006. 10. 09. 수지재 코팅방법(제10-0634052호) 대한민국
2007. 02. 08. 반도체 제조설비의 코팅층 형성방법(제10-0682740호) 대한민국
2007. 11. 07.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장치(제10-0776194호) 대한민국
2007. 11. 08.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장치(제10-0776537호) 대한민국
2008. 02. 01. 내마모성 금속기지 복합체 코팅층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제-10-0802328호) 대한민국
2008. 02. 01. 금속기지 복합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 및 벌크(제-10-0802329호) 대한민국
2009. 04. 03.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장치(1700638호) 유럽
2009. 09. 16.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장치(ZL200510083138.3호) 중국
2009. 11. 24.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장치(7621466호) 미국
2010. 01. 06. 내마모성 금속기지 복합체 코팅층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ZL200680011456.1) 중국
2010. 01. 20. 다공성 코팅부재 및 저온분사법을 이용한 이의 제조방법(2005000387호) 중국
2010. 05. 19. 금속기지 복합체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 및 벌크(ZL200680012369.8) 중국
2011. 07. 01. 내마모성 금속기지 복합체 코팅층 형성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코팅층(4772860) 일본
2011. 08. 01. 반응소결 탄화규소 소결체 접합체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반응소결 탄화규소 접합체(제10-1054863호) 대한민국
2011.12. 29. 유리기판을 갖는 디스플레이 제조용 리프트 장치(제10-1102954호) 대한민국
2012. 02. 21. 반응소결 탄화규소 소결체 접합용 접합제 및 이를 이용한 접합방법(제10-1121001호) 대한민국
2012. 05. 11 콜드스프레이용 노즐 및 이를 이용한 콜드스프레이 장치(4989859) 일본
2012.11.12 반도체 기판용 롤러 부싱(제30-0668577호) 대한민국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 Inc]

가. 연구개발 활동의 개요

(1) 연구개발 담당조직

당사는 T&D 및 Q/A 팀 운영을 통하여, 현지에서 생산하고 있는 PET필름의           가공분야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2) 연구개발비용

당사는 별도의 연구개발비 항목을 구분 하고 있지 않습니다.


나. 연구개발 실적

당사는 현지적응기술, 제품의 고객 특별 요구사항 적용 등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어, 별도 출원된 특허 등은 없습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s]
-해당사항 없음


VI. SK건설

1. 사업의 개요

[지배회사 내용: SK건설]

SK건설은 3개의 사업부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사업부문의 생산제품 및 제품 판매 유형에 따라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습니다.

ㆍ인프라 사업부문

  : 국내 및 해외 도로/교량, 철도, 지하철, 터널, 지하공간, 항만, 환경/상하수도/댐,
     산업단지/택지조성 등

ㆍ건축주택 사업부문

  : 오피스, 오피스텔, 아파트, 관공서, 상업시설 시공 등

ㆍ플랜트 사업부문

  : Oil, Gas & Petrochemical 플랜트, 석탄/복합화력 발전플랜트, 원자력 발전소,         산업설비 및 신재생 에너지 플랜트, 유무선 통신망 등 EPC


1) 인프라 사업부문

(산업의 특성) 인프라공사는 정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으로부터 발주되는 도로, 항만, 국토개발사업 등 사회간접자본(SOC)의 건설이 대부분을 차지합니다. 이에 따라 사전에 승인된 공공예산에 의해 집행되므로 발주 시기, 물량 등이 국가의 거시경제 정책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국가경제가 발전하기 위하여 사회간접자본의 확보는 필수입니다. 정부는 사회간접자본 시설을 확충함과 동시에 고용 창출을 통하여 경제위기를 극복하려 노력 중이며, 최근에는 고속철도 건설 사업, 지역균형개발 및 수처리 사업 등 새로운 수요가 계속 생겨나고 있으므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공공사업 발주는 정부의 경기조절 수단으로 사용되는 측면이 강하기 때문에 경기호황 시점에서 물량이 감소하고, 경기불황 시점에서 물량이 증가합니다. 이에 비해 수익성 확보가 중요한 민자사업의 경우에는 경기호황 시점에서 물량이 증가하고 경기불황 시점에서 물량이 감소합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국내시장은 SOC분야 정부 예산의 감소에 따라, 신규 발주 물량도 다소 감소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만, 철도/수자원/환경기초시설 시장은 당분간 비슷한 규모를 유지할 전망됩니다. 또한, 정부 및 자치단체의 단독 발주 형태에서 민간 자본이 참여하는 형태의 민자사업의 비중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해외시장은 중동과 아시아 지역의 Emerging Market에서 인프라 건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국내 건설사의 해외진출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경쟁우위요소) 인프라사업부문은 2009년 해외 진출을 시작한 이후 점차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지하공간기술 등 상품경쟁력을 바탕으로 동남아와 중동 등지에서 지하철, 터널 등 공사를 지속 수행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2) 건축주택사업부문

(산업의 특성) 건축주택공사는 재개발/재건축, 오피스텔, 주상복합, 아파트 등 주요 Product가 민간수요에 의존하므로 가계의 자금 조달 여력, 부동산 시장상황, 부동산 관련 조세 정책 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최근 주택보급률의 상승으로 과거와 같은 주택시장의 급격한 성장은 어려울 것으로 예상되지만 경제가 발전할수록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신규 건축수요 및 기존 건축물의 재건축 수요, 친환경 건축에 대한 수요는 증대하고 있습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경제가 호황일 때는 가계 및 기업의 주거/상가/업무용 건축수요가 증가하지만 경제가 불황일 때는 금융비용 부담의 증가 등으로 인해 건축수요가 감소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국내 주택시장은 일부 Up-turn 전망은 있으나, 여전히 아파트 수요가 살아나지 않고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이 상승하여 거래량이 위축되고 있습니다. 국내건축시장에서도 기존에 추진하던 개발사업이 중단/지연되는 등 2008년 금융위기에서 비롯된 부동산 시장의 침체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해외시장에서는 UAE, 사우디 등 중동국가와 베트남, 싱가폴, 중국 등에서 최근 국내업체의 수주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경쟁우위요소) 당사의 건축주택사업은 침체된 국내외 건설경기 속에서도 양질의 Project 수주 및 상품, 가격경쟁력 제고로 해외사업, 재개발 사업 등 환경변화의 영향이 적은 안정적인 Portfolio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서비스 면적을 활용하여 고객 Needs를 공간 설계에 반영한 '셀프디자인 존' 개념을 도입하여 기존 아파트보다 10m2~17m2 정도의 면적을 더 제공함으로써 고객만족도를 높이고 있습니다. 2010년 사우디에 이어 2011년에도 UAE에서 건축 Project를 수주하는 등 해외사업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가고 있습니다.


3) 플랜트부문

(산업의 특성) 화공플랜트는 산유국 국영석유회사(NOC)로부터 발주되는 정유, 석유화학,  및 가스플랜트 등이 대부분이며, 이는 향후 유가전망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발전플랜트는 정부 및 공기업으로부터 발주되는 석탄, 복합화력 및 원자력 발전 플랜트로 발주처의 향후 전력수요 예측에 영향을 받습니다. u-사업은 주로 기지국과 망구축 사업으로 이동통신 사업자와 인터넷 사업자의 설비투자 수요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습니다.


(산업의 성장성) 산업이 발전할수록 에너지원인 원유 및 전력 수요는 증가합니다. 따라서, 산유국정유 플랜트 및 국내 석유화학 플랜트에 대한 발주 및 발전설비와 산업설비의 발주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u-사업은 중동 및 아시아의 개발국을 중심으로 IT 인프라의 수요 증가에 따른 시장확대가 예측됩니다.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 상승 국면에서는 소득수준 증가에 따른 소비 및 투자 지출이 증가하여,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설비 발주가 증가하지만, 경기 하강 국면에서는 대규모 투자를 집행하기 어려우므로 발주가 감소하는 양상입니다.


(국내외 시장여건) 화공플랜트는 지속적인 경기침체에도 불구하고 최근의 경기회복에 대한 기대감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으로 중동 등 산유국 중심의 정유 플랜트와 가스 플랜트 발주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발전플랜트는 수출증가에 따른 제조업 가동률 사상최고 수준 기록 등의 설비투자 확대압력으로 국내 발주가 크게 증가하고 있습니다. 또한, 신흥국을 중심으로 한 전력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 수주도 급증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경쟁우위요소) 화공플랜트는 기존의 쿠웨이트, 태국 중심의 포트폴리오에서 벗어나 UAE, 사우디아라비아, 에콰도르 등으로 진출 지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특히 싱가포르 최대 플랜트공사인 JAC Project의 PF에 성공하였으며, 중동 최대의 시장인 사우디아라비아에서 Wasit Gas Project의 3개 Package 및 Jazan Refinery&Terminal Project 등을 수행해 나가며 해외 건설의 강자로서 괄목할 만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또한 America 지역에서는 에콰도르 RDP FEED와 ERP Project를 원활하게 수행하는 등 중남미 지역의 신규 시장 확장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발전플랜트는 약 1조원 규모의 터키 화력발전소, 약 7천억원 규모의 Panama PACO Project 수주를 통하여 해외 진출 기반을 마련하였습니다. 또한, Portfolio 다각화를 추진하며 관계사와의 전략적 협업으로 국내 및 해외 IPP 사업진출, 신규시장 개척 등의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SK E&S 등 그룹 내 주요 관계사와의 협력을 통해 국내의 오성복합화력 Project, 또 자체적인 또 수주 및 사업규모 확대와 더불어 자체적 EPC Service 기능을 갖추고 국내시장에서는 여수화력 2호기 등 국내 주요 Project에서는 3개월 공기단축을 통한 발주처 Incentive 수령 등을 Operation 역량 측면에서도 탁월한 성과를 기록하였으며, 신고리 원자력 Project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경험과 현대제철에서 국내 최대 규모의 고로 완공 실적으로 바탕으로 신울진 원자력 발전소와 오성 복합화력 발전소 및 영흥화력발전소 건설 Project를 수주하여 플랜트 사업의 새로운 Portfolio를 확보하였습니다.


u-사업은 4세대 LTE 무선망을 비롯한 유무선망 사업 및 O&M 사업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기존 수행중인 F1 국제 자동차경주장 특수전자설비 구축공사, 국방 광대역 통합망 민간투자사업, 성남판교 u-City 구축사업 등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습니다. 특히 지하철 7호선 열차무선시스템 구축사업을 추가로 수주하며 유무선망 EPC 능력을 토대로 한 다양한 융복합 사업의 국내 Top-Tier Smart Infrastructure Builder로서의 입지를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등 중동 지역에서 해외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Plant IT Project를 수주하는 등 해외 지역에서도 확고한 기반을 다지고 있습니다.


[종속회사내용]

1) SK E&C BETEK CORPORATION
   종속기업인 SK E&C BETEK CORPORATION (이하 "BETEK")은 부동산개발 및 건설업을 주목적사업으로 미국에서 설립된 회사로서 지배기업은 2004년도에 처음  BETEK에 대한 지분을 취득하였으며, 수차의 유상증자를 거쳐 2013년 3월 31일 현재 납입자본금은 US$56,050,000이며 총 주식수는 5,605주입니다.

2) SK D&D(주)
   종속기업 SK D&D(주)는 실내건축공사 및 부동산개발 등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4년 4월 27일에 설립되었으며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수차의 유상증자를 거쳐      2013년 3월 31일 현재 7,420백만원입니다.

3) 리얼베스트(주)
   종속기업 리얼베스트(주)는 부동산 임대 및 공급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7년 11월12일에 설립된 부동산자산관리회사로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2013년 3월 31일 현재 50,000백만원입니다.

4) SKEC (THAI) LTD.

 종속기업 SKEC (THAI) LTD.는 1992년 12월 10일에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태국 방콕에 소재하고 있으며 2013년 3월 31일 현재 납입자본금은 THB    
5,000,000입니다.


5) SK남경(유)
   종속기업 SK남경(유)은 2005년 3월 7일에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중국 남경에 소재하고 있으며 2013년 3월 31일 현재 납입자본금은 RMB76,661,084입니다.

6) 엠케이에스개런티(유)
   종속기업 엠케이에스개런티(유)는 부동산 취득 및 개발 공급업을 영위할 목적으로 2005년 5월 25일 설립되었으며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2013년 3월 31일 현재 10백만원입니다.


7) SKEC Consultores Ecuador, S.A
  종속기업 SKEC Consultores Ecuador, S.A는 2009년 4월 13일에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에콰도르 키토에 소재하고 있으며 2013년 3월 31일 현재 납입자본금은 US$100,000입니다

8) Thai Woo Ree Engineering Co., Ltd
  종속기업 Thai Woo Ree Engineering Co., Ltd(이하 "Thai Woo Ree")는 2004년 11월 29일에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태국 라용에 소재하고 있으며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2013년 3월 31일 현재 THB158,518,600입니다.

9) SK E&C Jurong Investment Pte Ltd
    종속기업 SK E&C Jurong Investment Pte Ltd(이하 "SKEC Jurong Investment")는 2010년 12월 7일에 아로마틱 플랜트의 건설 및 운영사업에 대한 투자를 목적으로설립된 회사로 싱가포르에 소재하고 있으며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2013년 3월 31일 현재 US$75,712,523입니다.

10) 서수원개발(주)
   종속기업 서수원개발(주)는 부동산개발사업 및 공급업을  목적으로 2005년 9월 27일에 설립되었으며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2013년 3월 31일 현재 5,000백만원입니다.

11) SKEC Anadolu LLC
  종속기업 SKEC Anadolu LLC는 2011년 3월 8일에 건설업을 목적으로 설립된 회사로 터키 앙카라에 소재하고 있으며 종속기업의 납입자본금은 2013년 3월 31일 현재 YTL500,000입니다.

2. 주요 제품, 서비스에 관한 사항

회사는 도로, 고속철도, 지하저장공간 등의 사회간접자본(SOC) 건설의 인프라사업과 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 등의 건축사업 및 산업설비, 발전시설, 정유/석유화학, 무선기지국, 유선망 구축 등의 플랜트사업과 국내/해외에서의 부동산 개발사업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종속회사등을 통해 부동산임대, 투자부동산의 매각 등의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각 제품별(공종별) 매출액 및 총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사업의 내용 주요회사 제 52기 1분기 비율 제 51기 비율 제 50기 비율
용역수익 건축주택, 토목,화공
및 플랜트, 조경건설
SK건설,
타이우리 등
1,590,114 99.6% 7,837,363 99.3% 6,468,096 94.9%
제품매출 주택시설 건축 판매,
오피스 신축 판매
SKD&D 241 0.0% 1,213 0.0% 271,519 4.0%
상품매출 Built-in 가전 등

SK건설,
SKD&D

2,499 0.2% 25,816 0.3% 57,496 0.8%
부동산
임대수익
오피스, 주택
임대 사업
SK건설,
리얼베스트 등
4,090 0.2% 30,180 0.4% 18,803 0.3%
합     계 1,596,944 100.0% 7,894,572 100.0% 6,815,914 100.0%


3.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지배회사내용: SK건설]


당사가 구입하는 주요 자재는 시황성 자재인 레미콘, 이형철근으로, 주요 거래업체는 유진기업, 삼표, 동국제강, 현대체철 등입니다.

레미콘의 단가는 '12년 2분기 단가인상 이후 동결사항이며, 13년 2분기 소폭 가격 인상될 것으로 전망됩니다. 이형철근의 경우, '13년 1분기 단가 동결로 2분기 보합 또는 소폭 가격 하락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단위 : 원]

구분 구체적 용도 단  가 비고
52기 1분기 51 기 50 기
레미콘 일반자재 59,900 59,900 56,200 ㎡당
이형철근 일반자재 750,000 800,000 772,000 Ton당


[종속회사내용]

1)  Thai Woo Ree

                                                                                                   [단위 : THB]

ITEM SPEC(2012.3Q) UNIT
Concrete
(Unit Price)
210 KSC 280 KSC 320 KSC 350 KSC 650 KSC THB/m3
1,529.00 1,634.00 1,785.00 2,332.00 2,139.00
Re Bar
(Unit Price)
DB 10 DB 12 DB 16 DB 20,25,28 - THB/Kg.
23.00 22.20 22.00 22.00 -
Steel Material
(Unit Price)
Heavy Medium Light - - THB/Kg.
31.10 29.50 29.00 - -


4.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지배회사내용 : SK건설]

가. 생산설비 현황 등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소유 소재지 구분 기초 당기 당기상각 기말 비고
형태 (㎡,수량) 장부가액 증가 감소 장부가액
등기 용인시 양지리 6,541 4,629 - - - 4,629 -
등기 군산시 연도리 9,917 83 - - - 83 -
등기 부산시 송정동 1,346 285 - - - 285 -
등기 이천시 단천리 1,306,703 24,745 - - - 24,745 -
등기 화성시 음양리 500,268 94,657 - - - 94,657 -
등기 오산시 벌음동 114,155 33,091 - - - 33,091 -
등기 울주군 진하리 606 180 - - - 180 -
등기 부산시 초량동 4,266 - - - - - -
등기 하동군 갈사리 16,364 69 - - - 69 -
등기 종로구 관훈동 145 886 - - - 886 -
등기 군산시 연도리 86,479 486 - - - 486 -
등기 기장군 석산리 41 15 - - - 15 -
등기 중구 명동1가 1,681 - - - - - -
등기 강남구 개포동 2,771 32,563 - - - 32,563 -
등기 울진군 나곡리 42 126 - - - 126 -
등기 서귀포시 상천리 697 832 - - - 832 -
합 계 2,052,022 192,647 - - - 192,647 -


. 영업용 부동산의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소재지 면적(㎡) 취득가액 장부가액 공시지가 비고
토 지 광주시 서구 풍암동 산95-71        330          159         159         159 용지
당산동 4가 80번지    15,764 30,401     30,401    30,401
소 계 16,094 30,560 30,506 30,560 -


[종속현황내용]

(1) 리얼베스트

가. 생산설비 현황 등

[ 자산항목 : 토지 ]

(단위 : 백만원 )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
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부산시 온천1동 SK 허브 올리브 29.21 242 - - - 4,560 -
자가 부산시 온천1동 SK 허브 스카이 938.18 4,929 - 369 - 4,802 -
합 계 - 5,171 - 369 - - -


[ 자산항목 : 건물 및 부속설비 ]

(단위 : 백만원 )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
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부산시 온천1동 SK 허브 올리브 419.95 801 - - 5 796 -
자가 부산시 온천1동 SK 허브 스카이 14,311.84 21,317 - 1,592 113 19,612 -
합 계 - 22,118 - 1,592 118 20,408 -


(2) 에스케이디앤디㈜

가. 생산설비 현황 등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구분 소재지 면적(㎡) 취득가액 장부가액 공시지가 비고
용지 전남 영암군 시종면 신흥리 716-3외 7,944 123 123  - -
용지 전북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 산 178외 25,190 429 429  - -
소 계 33,134 552 552 - -


[ 자산항목 : 건물 및 부속설비 ]

(단위 : 백만원)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
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전남 영암군 시종면 신흥리 716-3외 - 3,841 - - 87 3,754 -
전북 남원시 보절면 진기리 산 178외 -  2,110 - -  48 2,062 -
합 계 - 5,951 - - 135 5,816 -


나. 영업용 부동산의 현황

(단위 : 백만원 )
구 분 소재지 면적(㎡) 취득가액 장부가액 공시지가 비고
용지 서울시 강동구 길동
415-13외1필지
1,395 17,670 3,270 5,624 -
용지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4가 80외7필지
15,764 28,133 28,934 20,460 50% 지분
용지 종로 수송동 51-8외 3,306 79,974 79,983 - -
소 계 20,464 125,777 112,187 26,084 -


(3) 서수원개발

가. 생산설비 현황 등

[ 자산항목 : 토지 ]

(단위 : 백만원)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수원시 권선구 평동 1-1 외 89필지 91,864 65,006 - - 65,006 -
합 계 91,864 65,006 - - 65,006 -


[ 자산항목 : 건물 및 부속설비 ]

(단위 : 백만원)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
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수원시 권선구 평동 4-11 40,537 1,405  - - 37 1,368 -
합 계  40,537 1,405  - - 37 1,368 -


(4) Thai Woo Ree

가. 생산설비 현황 등

[ 자산항목 : 토지 ]

(단위 : 1,000THB)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
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태국 - 68,545 - - - 68,545 -
합 계 - 68,545 - - - 68,545 -


[ 자산항목 : 건물 및 부속설비 ]

(단위 : 1,000THB)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수량)
기초
장부가액
당기 당기상각 당기말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자가 태국 - 213,644 - - 3,159 210,485 -
합 계 - 213,644 - - 3,159 210,485 -


다. 투자계획
해당사항 없음.


5.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 실적

연결실체의 매출은 서비스를 기준으로 용역수입, 제품매출, 상품매출, 부동산임대수입으로 구분됩니다.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회사명 매출유형 제 52기 1분기 제 51기 제 50기
용역수익 SK건설,
SKD&D 등
건축주택, 토목, 화공 및 산업 플랜트,
조경건설 등
수출 764,289 4,414,884 2,936,442
내수 825,825 3,422,479 3,531,654
합계 1,590,114 7,837,363 6,468,096
제품매출 남원사랑
발전소 등
전력 등 수출 -   - 12,872
내수 241 1,213 258,647
합계 241 1,213 271,519
상품매출 SK건설,
SKD&D
Plus Option 등 수출 - - -
내수 2,499  25,816 57,496
합계 2,499  25,816 57,496
부동산
임대수익
SK건설,
리얼베스트
오피스, 주택 임대
사업 등
수출 - - -
내수 4,090  30,180 18,803
합계 4,090  30,180 18,803
합   계   수출 764,288 4,414,884 2,949,314
내수 832,655   3,479,688 3,866,600
합계 1,596,944  7,894,572 6,815,914


나. 지배회사 수주전략

(1) 인프라사업부문

국내 공공공사는 수주경쟁이 심화되는 가운데 정부의 최저가 낙찰제 확대, 턴키 입찰에서의 가격요소 반영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는 실정이며, Cost 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노력과 설계/시공 기술력 강화로 이에 대응하고 있습니다. 해외시장에서는 당사가 보유하고 있는 우수한 터널시공 실적과 지하공간 개발 기술을 활용하여 지하철과 지하 원유/가스 비축 기지 수주에 집중하고 터널 및 수력발전 등 BOT방식으로 안정적인 수익원을 확보할 수 있는 사업을 확대하기 위해 Target Country를 선정하여 집중관리하고 있습니다.
 

(2) 건축주택사업부문

시장환경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매출촉진 정책으로 미분양 물량을 해소하고 현장원가율 개선 및 판관비 절감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또한 안정적 성장과 Risk 관리를 위해 수도권 및 지방 주요 도시의 도정사업 위주로 사업 Portfolio를 재편하고 있습니다.
 

(3) 플랜트사업부문

국내시장에서는 기존 화공플랜트 중심의 사업구조를 다변화하기 위해 발전시장 진출을 확대하고 있으며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국내 및 해외에서 대형화력발전, 복합화력발전 및 원자력 발전소를 수주하였습니다. 해외에서는 금융위기 시기에 미루어져 왔던 대형 Project 발주 증가 추세에 맞추어 지역별 Marketing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사업형태의 다각화, 지역 다각화 등 노력을 통한 Portfolio 안정성을 추구하는 한편, 성공적인 수행경험을 바탕으로 Group Synergy와 연계한 Global IPP 사업자로서의 기반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또한 수주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도와 미국에서 Engineering Center와 중국, 인도, 미국, 독일에서 Global Procurement Office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6. 수주에 관한 사항

가. 지배회사내용

(단위 : 백만 원)
구 분 발주처 공사명 계약일 완공예정일 기본도급액 완성공사액 계약잔액
관   급
(국내)
한국수력원자력(주) 신울진원자력 1,2호기 주설비공사 2010-04-30 2017-04-30 362,745 93,232 269,512
재단법인 미래한국재단 판교역 SK HUB 오피스텔 신축공사 2012-07-03 2014-10-30 123,869 14,824 109,045
조달청 거제-마산3 국도건설공사 2013-02-25 2014-02-19 108,401 1,200 107,201
한국철도시설공단 울산~포항 복선전철 제1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2013-01-25 2013-12-26 131,359 25,163 106,196
한국서부발전(주) 태안화력 9,10호기 기전공사 2013-03-27 2016-12-31 92,826 4 92,822
조달청 김제시 관내 국도대체우회도로(흥사-연정)건설공사 2013-02-25 2015-02-27 84,626 15,062 69,564
조달청 한림-생림간 도로 건설공사(대안) 2013-03-27 2014-03-26 83,036 14,610 68,426
부산항만공사 부산항 신항 서컨테이너터미널(2-5단계) 축조공사 2013-02-27 2013-12-23 75,600 14,154 61,446
한국철도시설공단 경부고속철도 제10-3A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2009-02-12 2014-08-11 106,707 47,860 58,847
한국도로공사
함양성산건설사업단
고속국도 제12호선 담양-성산간 확장공사(제12공구) 2013-01-11 2013-12-13 113,548 57,423 56,125
한국철도시설공단 대구선 동대구~영천 복선전철화 제1공구 노반 신설공사 2013-01-31 2013-12-10 67,205 11,247 55,958
한국토지주택공사 고양원흥 A6블럭 아파트 건설공사 3공구 2011-11-22 2013-11-05 127,349 75,136 52,213
세계속의경기도 오포-포곡간(2차) 도로확포장공사 2011-11-14 2015-10-23 55,259 5,063 50,196
조달청 팽성-오성 도로건설공사 2012-02-13 2014-12-18 72,643 25,506 47,137
한국수자원공사 시화멀티테크노밸리 제5공구 2013-02-06 2013-12-02 129,631 85,572 44,059
조달청 서울지하철 9호선 3단계 918공구 건설공사 2013-01-28 2014-01-20 66,645 27,007 39,638
한국가스공사 삼척생산기지 2단계1차 #5~7저장탱크 및 부대설비공사 2010-11-01 2015-12-31 52,571 13,464 39,107
국방시설본부 평택 여단 병영 시설공사 2012-10-15 2013-08-13 76,339 39,190 37,149
조달청 포항영일만항 남방파제 축조공사 2013-03-22 2013-06-19 36,197 - 36,197
조달청 애월항 2단계 개발사업 2013-04-04 2014-01-28 47,391 11,536 35,855
한국철도시설공단 수도권고속철도(수서-평택) 제8공구 노반신설 기타공사 2012-01-03 2014-12-20 47,197 13,269 33,928
한국도로공사
안동영덕건설사업단
고속국도 제30호선 상주-영덕간 건설공사 제17공구 2013-01-11 2013-12-13 65,029 31,546 33,483
기타 - - - 4,845,391 3,672,484 1,172,907
소계 - - - 6,971,565 4,294,554 2,677,011
민   간
(국내)
피엠피 주식회사 장문 천연가스 발전소 2011-06-01 2015-06-30 900,000 3,873 896,127
스마트레일(주) 부전~마산 복선전철 민간투자사업 2012-01-01 2017-12-31 335,917 7,398 328,519
코원에너지서비스(주) 하남 CHP PROJECT 2012-05-01 2014-10-31 300,000 - 300,000
울산 아로마틱스 주식회사 NEW PX PROJECT(IBL) 2012-06-20 2014-05-31 329,800 46,981 282,819
가재울뉴타운제4구역
주택재개발정비사업조합
가재울뉴타운4구역 주택재개발 2013-05-01 2015-12-31 271,176 - 271,176
미극동지구공병단구매과 평택미군기지 부지조성 및 공용기반시설 건설공사 2008-12-24 2013-11-26 491,618 288,465 203,15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시티 시흥 배곧 SK VIEW 신축공사 2012-11-15 2015-07-15 204,419 7,577 196,842
울산 아로마틱스 주식회사 NEW PX PROJECT(OBL) 2012-06-20 2014-05-31 192,200 64,038 128,162
서서울고속도로주식회사 광명-서울간 고속도로 민간투자사업 2009-10-01 2014-10-31 126,240 - 126,240
에스케이텔레콤(주) 2013년 기지국 시설공사(수도권) 2013-01-01 2013-12-31 114,037 4,882 109,155
에스케이케미칼(주) 판교 SK 가스 사옥 신축공사 2012-09-04 2014-09-30 117,300 10,308 106,992
이테크건설 GE3 PROJECT 2011-11-01 2014-06-30 144,000 40,273 103,727
SK에너지 V-PJT OBL 2012-06-30 2014-07-31 151,273 49,785 101,488
SK종합 화학 Nexlene Project 2011-07-01 2013-12-31 205,000 111,628 93,372
에스케이씨앤씨(주) 판교 SK C&C IT Complex 2012-06-01 2014-06-30 110,000 19,608 90,392
SK 이노베이션 LiBS#8,9 Project 2012-06-01 2014-03-31 100,000 28,566 71,434
(주)에코맥스 수원 SK Sky VIEW 2012-09-17 2013-05-31 692,505 627,965 64,541
SK네트웍스 (주) 대치동 SKN 신사옥 2011-11-25 2014-01-31 88,625 30,018 58,607
SK에너지 NO.1 FCC Revamp Project 2011-09-01 2014-08-31 66,270 15,228 51,042
기타 - - - 9,663,272 3,602,281 6,060,991
소계 - - - 14,603,652 4,958,874 9,644,778
국내 소계 - - - 21,575,217 9,253,428 12,321,789
해   외 Saudi Aramco_Jazan JZR & TP (OOK) 2012-12-01 2017-02-28 834,477 15,783 818,694
PNPC 라오스 Xe-Pian Xe-Namnoy 수력발전 프로젝트 2012-08-09 2018-03-31 756,228 7,794 748,434
Saudi Aramco Wasit PJT(Package No.1-OOK) 2011-02-12 2014-03-31 949,669 407,860 541,809
IRPC PUBLIC COMPANY
LIMITED
UHV Project 2012-10-01 2015-08-31 461,083 9,323 451,760
ATAS 터키 이스탄불 도로 프로젝트 (Turnkey EPC) 2012-12-01 2017-03-31 434,527 8,699 425,828
Saudi Aramco_Jazan JZR & TP (IK) 2012-12-01 2017-02-28 413,237 149 413,088
Kuwait Oil Company (KOC) Elevated Substations in SEK 2012-10-04 2016-11-18 380,650 4,739 375,911
ARAMCO Wasit PJT(Package No.1-IK) 2011-02-12 2014-03-31 465,489 98,394 367,095
Minera Panama S.A PACO CFPP Project OS 2012-01-01 2016-02-01 333,874 2,340 331,534
Takreer RRE Project 2009-12-14 2014-02-13 2,435,994 2,152,288 283,705
SPPA Transmission Cable Tunnel Contract EW2 2012-09-01 2016-11-30 278,552 5,635 272,917
MINERA PANAMA S.A PACO Coal Fired Power Plant Project 2011-07-14 2016-01-15 417,855 147,086 270,769
ENERJISA ENERJI
URETIM A.S.
Tufanbeyli TP Project 2010-01-04 2015-04-14 648,602 407,845 240,757
SPPA Transmission Cable Tunnel Contract NS2 2012-09-01 2018-04-30 222,334 6,681 215,653
JURONG AROMATICS
COMPLEX
JAC Project 2011-05-13 2014-05-12 409,390 203,214 206,177
Saudi Aramco Wasit PJT(Package No.3-IK) 2011-02-12 2014-03-31 325,797 175,791 150,006
Saudi Aramco Wasit PJT(Package No.3-OOK) 2011-02-12 2014-03-31 346,888 228,672 118,215
JURONG AROMATICS
COMPLEX
JAC Project 2011-05-13 2014-05-12 666,993 558,740 108,253
Yanbu Aramco Sinopec
RefiningC
YERP Project(IK) 2010-08-01 2014-05-01 260,547 163,182 97,365
ADNOC Ruwais Housing Complex PJT 2011-08-08 2013-11-10 185,808 92,860 92,948
해외 기타 - - - 6,950,612 4,766,618 2,183,994
해외 소계 - - - 18,178,605 9,463,693 8,714,912
합      계 - - 39,753,822 18,717,121 21,036,701


나.종속회사내용

구분 발주처 공사명 계약일 완공예정일 기본도급액 완성공사액 계약잔액
SK D&D
 (단위:백만원)
농협/이지스자산운용 울산비즈니스호텔 12.11.14 영업개시일 1,110 999 111
㈜무궁화신탁 용산QV 12.11.30 13.03.31 16,290 15,910 379
SK건설 수원SKYVIEW 11.08.08 13.05.31 8,397 7,751 646
sk건설 수원SKYVIEW 12.03.07 13.05.31 9,595 8,502 1,093
Royal new castle 몽골 로얄크라운빌라 12.08.27 13.05.31 757 8 749
㈜한섬피앤디 SOUTH CAPE OWNER'S CLUB 12.12.06 13.12.31 1,371 - 1,371
영암에프원태양광발전㈜ 영암F1태양광발전소 건설공사 12.05.24 13.06.30 49,946 48,193 1,753
대구태양광발전 대구하수처리장 태양광발전 13.04.02 13.06.30 15,103 4,293 10,810
소         계 - - 102,567 85,656 16,911
Thai Woo Ree
Engineering
Company Ltd.
(단위:1,000USD)
Bangkok Synthetics Co., Ltd. BST NB Latex Project 10.12.01 12.10.01 58,416 58,416 -
Thai Oil Public Emission Improvement and PSA-3 12.08.01 13.06.01 10,543 4,863 5,680
The Bangchak Petroleum Public Co., Ltd. Environmental Improvement Project(TGTU) 12.02.01 13.08.01 29,495 26,838 2,657
International Thermal Technology S.p.A Heater for West Qurna II IRAG Project 12.06.01 13.03.01 2,217 2,217 -
International Thermal Technology S.p.A Hot Oil heatere Fab for Brazil 12.06.01 13.03.01 1,689 1,689 -
SK Engineering & Construction Co., Ltd. JAC C#1 Project 11.11.01 14.01.01 28,571 19,499 9,072
International Thermal Technology S.p.A JAC HEATER FABRICATION 11.05.01 12.09.01 16,727 16,727 -
PTT Public Litd. OCS 4 PROJECT 11.01.01 13.06.01 70,551 69,151 1,400
PTT Public Litd. PTT Kaoboya Spherical Tank 12.10.01 14.06.01 12,993 203 12,790
PTT Public Litd. PTT WHRS for GSP5 12.11.01 14.12.01 18,168 357 17,811
International Thermal Technology S.p.A Sabah Ammonia Urea Malaysia Project 12.06.01 13.03.01 1,840 1,496 344
PTT Public Litd. Saiyok Compressor Station 4 Project 12.06.01 14.07.01 28,854 8,588 20,266
Sak Chaisidhi Co., Ltd. SAKC Expansion 12.12.01 14.02.01 3,067 44 3,023
Hyundai Engineering (Thailand) Co., Ltd. SK-V Package#2 Project 12.11.01 13.07.01 1,162 445 717
Others Others - - 14,025 12,833 1,192
소        계 - - 298,318 223,366 74,952


7.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가. 환리스크 관리 목적

당사는 경영활동에 따른 외환 및 외화표시자산, 부채의 적정한 관리를 통해 재무적 건전성을 증진함을 목적으로 환리스크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특히 당사는 장기간에 걸친 사업에서 현금흐름이 발생하므로 환율변동에 따른 수익잠식위험이 크기 때문에 이를 최소화 하는 것이 환리스크 관리의 주 목적입니다.


나. 위험관리방식

당사는 효율적인 환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대내적으로 발주처로부터의 수령통화와 구매결제통화를 일치시켜 환익스포저를 줄이는 것을 우선으로 하고 최소의 비용으로 환리스크를 헤지 하기 위해 대외적으로 통화선도를 이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외환관리규정 제정 및 환리스크 관리를 위한 주관부서를 두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외환관리규정) 당사는 환리스크 관리를 위한 외환거래원칙을 사규로 명문화 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그 주요 내용은 ① 헤지를 위한 거래가 아닌 투기거래를 원칙적으로 금지하며, ② 외환 수취 및 지불을 일치시키는 것을 최우선으로 하되 잔여분에 대해 금융기관의 헤지 상품을 활용하여 환위험을 경감하며, ③ 환관리를 효율적이며 안전하게 하기 위해 권한 및 기능에 따라 조직을 나누어 운영 하는 것입니다.


(위험관리조직) 당사는 환위험 관리조직을 환위험 관리위원회, Front Office 및 Back Office로 나누어 운영하고 있습니다. 환위험 관리위원회는 효과적인 환위험 관리업무의 수행과 외환 운영에 대한 정책 결정을 위한 기구로서 매 분기마다 정기 회의를 개최하여 ① 환위험 관리 실적 검토, ② 외환시장 상황 진단, ③ 환위험 관리 한도 설정, ④ 환위험 관리 계획을 수립하여 심의, 의결합니다. 환위험 관리 주관부서는 ① 현물, 선물 및 환위험 헤지 거래 등의 외환 거래, ② 프로젝트 별 환위험 헤지 전략 수립 및 실행, ③ 외환시장 동향 파악 및 환율 동향 분석 등의 업무를 수행합니다. 또한 RM부서는 환위험 관리 주관부서의 헤지 거래 및 전사 환리스크 운영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는 업무를 수행합니다.


(계약을 통한 환익스포져 축소) 우선적으로 환변동에 따른 손실 또는 이익을 발주처가 보상 또는 회수함으로써 계약시점 환율로 발주처가 환율을 고정해주는 환 보전 계약 및 원가 투입 통화와 기성청구 통화를 일치시키는 다중 통화 계약을 맺음으로써 환리스크를 계약시점부터 헤지 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습니다. 발주처와의 환 보전 계약 및 다중통화 계약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자재 구매업체와의 계약을 기성청구통화로 전환시켜 환익스포져를 최소화 합니다.


(환헤지 상품) 당사는 입찰기간 동안의 환율 변동에 따른 잠재적인 환리스크 및 계약 시점과 기성 수취 시점의 차이로 인한 환리스크를 관리하고자 통화선도 거래를 이용하여 환리스크를 관리하고 있습니다.


다. 환관리관련 추진사항

현재 당사는 상기의 환위험 관리 현황에서와 같이 규정 및 조직, 환리스크 헤지 방법을 완비하고 보다 향상된 환리스크 관리를 위하여 조직 및 프로세스 개선 작업을 완료하였고 이후 전문가 영입 및 전산화 시스템 도입으로 보완작업을 마무리 하였습니다.


8. 파생상품거래 현황

[지배회사내용 : SK건설]

가. 파생상품 계약현황

당사는 환율 변동에 따른 위험을 회피할 목적으로 통화선도를 체결하고 있습니다.

당기 말 현재 파생상품 계약현황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Mil. Unit)

거래 구분 계약일 만기일 금액
통화선도 공정가액
위험회피
2011.08~
2013.03
2013.04~
2016.01
EUR 142
KWD 23
CAD 26
SGD 64
USD 812
현금흐름위험회피 2012.07~
2013.03
2013.04~
2014.09
EUR 43
KWD 46
USD 188
매매목적 2012.11~
2013.02
2013.04~
2014.09
KRW 19,697
SGD 7
USD 105


나. 파생상품 계약으로 발생한 손익 현황

                                                                                                   (단위: 백만원)

거래 구분 파생상품
거래손익
파생상품
평가손익
확정계약
평가손익
기타포괄손익
통화선도 공정가액
헤지회계
26,508 (62,765) 37,636 -
현금흐름
위험회피
(402) 4,418 - (8,249)
매매목적 519 (3,247) - -
합계 26,626 (61,593) 37,636 (8,249)


[종속회사내용]

종속회사별 세부 파생상품 계약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에스케이디앤디㈜  

                                                                                             (단위:1,000UNIT)

거래 구분 계약일 만기일 금액
통화선도 현금흐름위험회피 2012.11.20 2013.11.20 USD 2,000


9. 경영상의 주요계약
해당사항 없음.

10. 연구개발활동

가. 연구개발활동의 개요

당사는 기술 기반의 신성장 동력 창출을 위하여 C&D(Connect & Development) 최고의사결정기구인 R&BD(Research & Business Development)위원회를 중심으로 기술기반의 신규사업개발을 가속화 하고 있습니다. R&BD위원회는 Biz. Unit 융합을 통한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를 확보하여 Technology에 강한 회사 Brand를 창출하기 위하여, 국가 신성장 동력 전략에 맞춰 Green Energy, Environment, Water, City 분야에서 사업전략과 연계된 기술전략을 수립하고 기술에 기반한 신규사업 창출을 위한 R&BD과제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관계사간 협력을 바탕으로 Value chain 완성을 통한 시너지 효과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으며, 신규시장 진입을 위하여 글로벌 선도업체와 파트너쉽 구축 및 기술교류를 적극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업수주 및 현장지원을 위하여 사업부문의 기술본부를 중심으로 현장밀착형 연구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기술본부에서는 기술역량 강화, 현장 Issue지원, 차세대 상품개발을 목표로 각 부문의 사업특성에 적합한 연구개발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나. 연구개발 담당조직

기술개발활동의 전략적 중요 안건에 대해 의사결정 위주로 운영되는R&BD위원회와 산하에 R&BD 과제발굴/실행/사업화를 책임 수행하는 4개의 소위원회(화공, 발전, 인프라, 건축)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다. 연구개발비용

(단위 : 백만원)
과       목 제52기 1분기 제51기 제50기 비 고
원  재  료  비 - - - -
인    건    비 - - - -
감 가 상 각 비 - - - -
위 탁 용 역 비 - - - -
기            타 12,014 58,033 49,877 -
연구개발비용 계 12,014 58,033 49,877 -
회계처리 판매비와 관리비 831 2,786 3,826 -
제조경비 11,100 49,550 37,437 -
개발비(무형자산) 83 5,697 8,614 -
연구개발비 / 매출액 비율
[연구개발비용계÷당기매출액×100]
0.79% 0.77% 0.78% -


라. 연구개발실적

부문 과제명 수행기간 기대효과
화공
플랜트
Green Coal Process 개발 '09.03 ~ '12.12 차세대 상품 개발
저급탄 석탄가스화 기술 개발 '11.07 ~ '14.06 기술역량 강화
ATA공정 Licensor Package 개발 '11.09 ~ '12.06 사업제안 지원
인프라 압축공기 지하저장발전(CAES) '09.07 ~ 차세대 상품 개발
TBM핵심설계부품 개발 '10.12 ~ '15.06 기술역량 강화
THM해석코드개발 국제협력프로젝트 '12.04 ~ '14.03 차세대 상품 개발
항만 리모델링 기반구축 연구 '06.08 ~ '11.07 기술역량 강화
건축
주택
건물에너지리모델링 핵심 기술 개발 '10.01 ~ '11.01 기술 사업화
슬림형 이중외피 커튼월 개발 '11.04 ~ '12.06 차세대 상품 개발


11.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가. 상표관리정책

당사는 인간과 자연, 첨단기술이 조화를 이루는 공간창출을 위해 2000년에 아파트 브랜드 'SK VIEW'를 런칭하여 지속적으로 브랜드를 구축하여 왔습니다.

SK VIEW는 대한민국 주거서비스 대상, Good Design Award, 고객만족경영대상, 한국건축문화대상, 한국색채대상 등 수많은 상을 수상하여 브랜드 입지를 굳건히 해 오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SK그룹의 일원으로서 'SK' 브랜드를 공유하고 있으며 'SK Engineering & Construction'의 기업명으로 전세계에서 수주 활동을 펼치고 기업이미지 광고를 통해 'SK' 브랜드를 적극 홍보하고 있습니다. 향후에도 SK VIEW 브랜드 이미지 광고 등을 통해서 우수한 아파트 기술력, 전문성 및 건설분야의 선두적인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해외에서의 기업 및 브랜드 마케팅도 진행할 계획입니다.

'SK HUB'는 주상복합, 오피스텔의 브랜드로 HUB가 가지고 있는 공간 속의 중심이라는 개념에서 출발하여, 거주자의 생활과 비즈니스에서 중심축의 역할을 제공해 주는 다기능의 효율적인 주거 공간을 의미합니다.


나. 고객관리정책
(1) 부가서비스 (VITAMIN SERVICE)
a. 서비스 개요
고객만족서비스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SK건설의 비타민 서비스란 'SK건설 분양 계약자 뿐만 아니라 입주민들의 주거환경에 다양하고 값진 영양소를 공급해 보다 건강하고 활력 넘치는 삶을 영위할 수 있게 도와주는 생활 서비스'입니다. SK VIEW 아파트 고객 뿐만 아니라 주상복합, 고급빌라 고객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b. 서비스 철학

SK건설은 업무 외적으로 고객센터 주거환경개선 봉사단이 활동 중입니다. 봉사단원들은 지역 NGO단체와 협력해 2006년 4월 이후 매월 4회씩 소년소녀 가장 및 결손가정 등 저소득층 주거환경 개선을 통해 '행복나눔'의 기업가치를 확산시키고 있습니다. 건설업 종사자로서 주위의 불우이웃이나 소외된 이웃에게 일회성 위문활동을 넘어서 수혜자들의 삶에 지속적이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시작됐습니다. 2013년 3월까지 전국적으로 약 310여개 가정 및 복지시설이 나눔의 혜택을 받았습니다. 이러한 나눔의 가치는 고객을 위한 서비스로 연결되었습니다. 그것이 바로 VITAMIN SERVICE입니다.

SK건설의 VITAMIN SERVICE의 출발은 '나눔의 가치'를 서비스와 연결지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고자 하는데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보다 좋은 혜택을 나눠줄 수 없을까 고민하던 끝에 탄생시킨 SK건설만의 서비스 브랜드이며, 나눔으로써 행복을 극대화하려는 서비스 철학이 담겨 있습니다.


c. 서비스 특징

타 건설사에서도 서비스 브랜드가 이미 전개되고 있지만 서비스의 출발이 고객에게 의무적인 것을 제공하는 것이 아닌, 고객과 소통하고 기존에 회사가 누리고 있는 '혜택'을 고객과 더불어 나눈다는 것에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d. 서비스 체계

VITAMIN SERVICE에는 입주 클린 서비스 및 공간별 전문 청결 서비스, 행복라운지 입주지원 서비스, 전자책 도서관 운영 등이 있으며, 매년 새로운 아이템을 발굴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2) 하자보수 처리 프로세스

a. 고객 통합 DB를 기반으로 한 고객관리 시스템 구축

고객 대응력 강화, 고객 만족도 제고 및 고객관계 개선, 상품 특성별 고객 Life Cycle에 맞는 Target Marketing 수행을 목표로 홈페이지 회원 및 모델하우스 방문한 가망고객, 계약고객, 입주 또는 세입 고객 등의 기본 정보와 마케팅 활동정보 등 분석을 통해 고객통합 DB를 구축하였습니다. 고객 Needs를 기반으로 한 아파트 상품기획, 모델하우스 가망고객 방문 증대와 계약율(청약율) 증대 등의 분양 마케팅, 그리고 입주관리 및 AS활동 모니터링으로 고객만족도 강화를 위해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다. 지적재산권 보유 현황

종류 특허명 취득일 근거 법령 취득소요
인력/기간
발파공법 분착식 다단 발파공법 (SUPEX-cut)   1997.08.11 특허법 4인, 3년
발파공법 전자뇌관과 비전기뇌관을 조합한 발파시스템 및 발파방법 2007.01.02 특허법 2인, 2년
발파공법 전자뇌관의 최적초시 결정을 통한저진동 저소음 발파패턴설계방법 2007.01.02 특허법 2인, 2년
발파공법 진동 및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전자뇌관 다단 시차 영역분할 설계방법 2007.06.22 특허법 2인, 2년
발파공법 경사공과 평행공의 제발효과를 이용한 장공 심발패턴 설계방법 2011.07.04 특허법 3인 3년
지하공간
시뮬레이션
지질조건을 고려한 터널 및 지하공간시공시뮬레이션 시스템 및 방법 2011.07.04 특허법 2인, 4.5년
지하공간설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하저장고의 배치시스템 및 그의 최적화 운영방법 2011.12.13 특허법 4인, 1년
지하공간시공 무선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한 터널 막장 선행침하측정시스템 2010.02.24 특허법 1인, 2년
지하공간설계 에너지 절감을 위한 지하저장고의 배치시스템과
상기 배수 시스템의 레이아웃을 이용한 최소 냉동용량 산정방법
2012.08.23 특허법 4인, 1년
지하확장공법 마이크로 파일을 이용한 개량형 언더피닝 공법 2011.09.28 특허법 3인, 2년
지하확장공법 마이크로 파일 및 트러스를 이용한기초구조 및
주위 구조물과 인접한 곳에서 이의 시공방법
2011.10.06 특허법 3인, 6개월
지하확장공법 이중관 마이크로파일과 동조화 잭업시스템을 이용한
기존 건축물 부상 및 지하확장 가설공법
2011.11.01 특허법 3인, 6개월
교량가설 가설벤트 승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철거 또는 신설방법 2012.02.20 특허법 10인, 6개월
오탁방지막 선박형 승강식 오탁방지장치 2010.05.17 특허법 2인, 6개월
신형식케이슨 태극 요철형 케이슨을 이용한 방파제 시공방법 2010.09.13 특허법 2인, 6개월
토양복원 유류성분 및 이의 대사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 및 이의 용도 및 분리방법 2008.03.20 특허법 2인, 1년
토양복원 토양 증기 추출 시스템의 최적설계법 2004.01.30 특허법 2인, 2.5년
하수고도
처리공법
생물여과재를 이용한 폐하수 생물여과처리장치와 방법 1995.3.10 특허법 2인, 36개월
하수고도처리공법 부상식 여과재를 이용한 연속운전 폐하수 생물여과 처리장치 1997.12.30 특허법 2인, 36개월
지하수 정화 연속사용 가능 자성덴드리머(MNP-Dendrimer)를 이용한 중금속 오염지하수 정화기술 2012.10.10 환기법 5인, 12개월
리모델링공법 삼각트러스 형태 전이프레임을 활용한 중저층 건축물 리모델링
기초 공법(BTFM : Balanced Transfer remodeling Foundation Method)
2013.01.09 건기법 4인, 44개월


라. 환경관련 규제사항 및 당사 준수 내용

당사는 지구 환경 보전의 중요성과 그 가치를 인식하며, 자연과 인간과 공간을 친환경화하여 지속가능한 사회 발전에 기여하기 위해 환경경영을 실천하고 있습니다. 1997년 10월 국제 환경경영표준규격인 ISO 14001에 대한 인증을 획득하여 유지하고 있습니다. 특히 2008년부터 환경경영위원회를 발족(7월)하고 환경경영전담조직을 신설하여, 분기 단위로 환경경영위원회를 운영하는 등 환경경영을 체계적으로 추진하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충실히 이행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건설회사로서 정부로부터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 폐기물관리법, 대기환경보전법, 소음진동관리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관한 법률, 지하수법, 하수도법 등의 환경관련 법규 규제를 받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환경법규를 준수하고 잠재된 환경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착공시부터 준공시까지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현장 환경관리 강화의 일환으로 자체 모니터링시스템을 통해 발견된 지적 사항에 대해서는 신속하게 개선 조치하고 있습니다. 또한 시공 과정에서의 온실가스 저감목표를 수립하고 배출량을 조사 분석하며 온실가스 등 환경유해물질 발생을 최소화하는 활동을 실행할 뿐만 아니라, 건설 구조물의 설계-구매-시공-해체의 전 과정에서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절감 등을 위한 녹색 기술과 녹색 상품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국내 최고 수준의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획득하고 국외에서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을 취득하는 등 경영 전반에 걸쳐 가시적 성과를 창출하고 있습니다.

마. 정부 또는 지자체의 법률 또는 규정이 당사의 영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해당사항 없음

VII. SK해운

1. 회사의 사업내용

주  요  목  적  사  업 비       고
- 해상운송사업, 선박대여 및 용선사업, 선박 매매업
- 창고 보관업, 육상 운송업, 해운대리점업
- 해운중개업
- 해외자원 개발사업
- 석유류판매업
- 수출입업, 보세장치장업
- 하역업, 복합운송 주선업
- 선원 선박 관리업, 항만부대사업
- 물적유통사업, 상적유통사업
- 부동산임대업, 중장비임대업
- 조경업, 조림업
- 위 각호에 부대하는 일체의 사업



2. 사업의 개요

가. 업계의 현황

(1) 해운업의 특성

해운업은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원하는 시간에 필요한 장소로 수송하는 서비스산업이며, 선박확보에 대규모 자금이 투하되는 자본집약적 산업입니다. 해운업은 특히 국내상품의 해외로의 수출을 위하여 필수불가결한 물류산업으로써 그 중요성은 타 산업에 비해 크다 할 수 있습니다. 나아가 천연자원을 전량 국외로부터 수입해야 하는 상황을 고려해 볼 때 국가 전략적인 사업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970년대 이후 수출위주의 경제정책 및 경제성장에 따른 원자재의 도입이 요구됨에 따라 해운업은 급속한 발전을 이루어 왔습니다. 1980년대 이후 세계의 경기회복과 국가간 무역장벽이 허물어 짐에 따라 교역량은 증가하고 더불어 해운산업의 중요성도 부각이 되어 왔습니다. 각 선사들은 선대의 확충과 선박의 대형화를 통하여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여 왔습니다. 1990년대 이후 원자재 가격의 하향 안정화와 선진경제의 장기호황 등의 영향으로 해상물동량은 지속적으로 증대 하였으며, 이후 China Effect와 서아프리카 및 중남미의 신규 유전개발 등 개도국의 부상에 따른 해운업 Paradigm의 변화도 있었습니다. 2010년대 이후는 해운업 호황에 따른 선박공급 과잉 등의 문제도 있었으나, 향후 세계경제 회복 및 신규 자원개발 등에 의해 해상운송의 비중은 더욱더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3) 경기변동의 특성

해운경기는 세계경제, 계절적 요인, 유가 등에 의한 변동이 심한 산업입니다. 원유를 수송하는 원유선을 비롯한 탱커선은 계절적인 요인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지구의 북반구가 겨울인 시기에 유류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조선 시황 역시 상승하게 됩니다. 이러한 계절적인 요인과 함께 중동지역의 정치적인 요소들에 의해서도 많은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한편, 벌크선은 세계의 기후에 따른 곡물 등의 수요와 산업발전에 따른 원자재의 생산 및 수요의 증감에 따라 시황이 급변하기도 합니다. 물론 해상수송의 도구인 선박의 건조, 폐선 등의 수급에 의한 영향도 중요한 요인으로 간주되어야 합니다.

(4) 경쟁요소

해운업은 국내외 선사를 가릴 것 없이 완전경쟁에 노출된 산업입니다. 이러한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고객에게 안전하고 지속적인 서비스를 제공하여야 합니다. 또한 선박건조와 관련한 금융경쟁력을 바탕으로 비용절감을 통한 가격경쟁력의 유지가 필요합니다.

(5) 자원조달의 특성

해운업에 있어서 주된 원재료는 선박연료로써 국내외 정유회사 및 Trader들을 통해 공급받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경쟁력있는 연료를 구매하기 위하여 다양한 거래처와 거래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원유선, LNG선 등 고가의 선박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효율적으로 운항 및 유지관리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인력이 필요합니다
.


나. 사업부문별 정보

(1) 회사의 사업부문

당사는 운영하는 영업의 형태에 따라 사업부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사업별 부문정보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 업 부 문 주요 재화 및 용역 주요 고객 정보
해운업 원유, LNG, 석탄, 곡물 등을 운송 SK에너지, 한국가스공사, SK가스,
한국전력공사, 포스코 등
벙커링 어선들에 선박연료를 공급하는 양상급유 Japan Tuna Fisheries,
Global Prosperity Fishery Co.,LTD. 등
기타사업 창고보관, 선박관리 등 기타 매출 (주)파인드컨테이너 등


(2) 사업별 부문의 재무현황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사업별 부문의 재무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구     분 해운업부문 벙커링부문 기타사업부문 합 계
1. 매출액 376,762 269,449 1,228 647,439
2. 영업이익 -27,150 8,996 -1,880 -20,034
3. 유형자산(*)



    선박 3,429,102 51,340 - 3,480,442
   (감가상각비) (29,049) (497) - (29,546)

(*) 사업부문별 유형자산 금액에 공통부문 금액은 포함되지 아니 하였습니다.

다. 주요 제품(서비스) 현황

(1) 제품(서비스) 현황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세부내용 매출액 비율
해운업 용역 등 운임 등 원유,LNG,석탄,곡물 등 수송 376,762 58.2
벙커링 재화 등 유류판매 등 양상급유 등 판매 269,449 41.6
기타사업 용역 등 기타 선박관리 등 1,228 0.2
합     계


647,439 100.0


(2) 주요 제품(서비스)의 가격 추이

(단위 : USD/MT)
품    목 제32기 1분기 제31기 제30기
해운업(운임) 15.55 15.67 15.68
벙커링(상품) 1,058.25 1,067.80 1,025.76


* 제품(서비스) 가격 산출 기준
- 해운업 : 총 운임수익 ÷ 운송량

- 벙커링 : 총 MGO매각대 ÷ 판매량

(3) 주요 제품(서비스) 가격변동 원인

① 해상물동량 및 선복의 수급상태에 의한 해운시장의 운임변동
② 국제유가, 금리 등의 변동
③ 보험료, 물가상승에 따른 변동

라.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1) 주요 원재료의 현황

(단위 :백만원 )
사업부문 가격변동 주요 매입처 회사와의관계 공급시장 독점성
해운업 시장가격 Chemoil Corporation 외
관계없음 독점성없음(공급안정)
벙커링 시장가격 Winson Oil Int'l
관계없음 독점성없음(공급안정)

해운업부문의 원재료는 선박에서 사용되는 선박연료이며, 벙커링부문의 원재료는 어선에 공급되는 선박연료입니다. 이들에 대한 원재료 공급처는 전세계적으로 분포되어 있어 안정적인 수급이 가능하며, 가격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에 따라 변동됩니다.

(2)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 추이

(단위 : USD/MT)
품    목 제32기 1분기 제31기 제30기
연료유 640.44 671.33 651.65

* Platts 발표 연도별 선박용 연료유 평균가격임.(Singapore FO380cst)


마. 생산 및 설비

(1)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 산출근거

가) 생산능력

(단위 : 천DWT)
사업부문 제32기 1분기 제31기 제30기
척수 CAPACITY 척수 CAPACITY 척수 CAPACITY
해운업 46 7,715 43 6,901 35 5,343
벙커링 5 31 5 31 5 31
합   계(*) 51 7,746 48 6,932 40 5,374

* 상기 선박의 척수는 당사 사선보유선대의 척수를 의미함.


나) 생산능력 산출근거

당사는 운임수익을 창출하는 선박을 생산의 주체로 보고 있으며, 생산능력은 해운업의 운임수익과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해운업 부문의 생산능력은 각 선박의 1항차 운항시 수송가능한 용량의 총합에 따라 계산되었습니다.


(2) 생산실적 및 가동률

가) 생산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품 목 사업소 제32기 1분기 제31기 제30기
해운업 운임등 탱커, 가스선, 벌크선 376,762 1,645,850 1,549,013
벙커링 유류판매등 탱커 269,449 862,124 893,975
기타사업 기타 - 1,228 7,323 1,849
합 계 647,439 2,515,297 2,444,837


나) 가동률

(단위 : 일, %)
사업부문 당분기가동가능시간 당분기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해운업 90 90 100%
벙커링 90 90 100%

*선박의 특성상 선원의 교대승선으로 연중 무휴 운항함.
 (선박 점검,수리로 인하여 운항하지 못한 기간이 있으나 극히 미약함)

(3) 생산설비 현황

[자산항목 : 토지]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표시통화로 인한 변동 장부가액 공시지가
증가 감소
본사등 자가 서울등 - 26,920 - - - 1,030 27,950 13,380
합 계 26,920 - - - 1,030 27,950 13,380


[자산항목 : 건물]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표시통화로 인한 변동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본사등 자가 거제 등 - 1,955 - - 17 74 2,012 -
합 계 1,955 - - 17 74 2,012 -


[자산항목 : 구축물]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표시통화로
 인한 변동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본사등 자가 거제 등 - 33 - - 3 1 31 -
합 계 33 - - 3 1 31 -


[자산항목 : 선박]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표시통화로
 인한 변동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본사등 연불
매입
서울 등 - 2,690,710 300,903 - 29,546 110,057 3,072,124 -
합 계 2,690,710 300,903 - 29,546 110,057 3,072,124 -


[자산항목 : 차량운반구]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표시통화로 인한 변동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본사등 자가 서울 등 - 509 83 82 47 14 477 -
합 계 509 83 82 47 14 477 -


[자산항목 : 기타의유형자산] (단위 : 백만원)
사업소 소유
형태
소재지 구분 기초장부가액 증감 상각 표시통화로 인한 변동 장부가액 비고
증가 감소
본사등 자가 서울 등 - 1,493 210 - 124 29 1,608 -
합 계 1,493 210 - 124 29 1,608 -

가) 생산설비의 현황  


나) 생산설비의 신설(매입) 계획 등


선    종 선박척수 천DWT 예상인수일
Tanker 3 960 2013년 내
Gas 3 74 2013년 내
합  계 6 1,034


바. 매출에 관한 사항

(1) 매출실적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 목 제32기 1분기 제31기 제30기
해운업 해상운송 수 출           371,696         1,631,698 1,526,349
내 수              5,066            14,152 22,664
합 계           376,762         1,645,850 1,549,013
벙커링 양상급유 수 출           269,449           862,124 893,975
내 수                   -                   - -
합 계           269,449           862,124 893,975
기타사업 용역 외 수 출              1,093              3,003 -
내 수                135              4,320 1,849
합 계              1,228              7,323 1,849
합 계 수 출           642,238         2,496,825 2,420,324
내 수              5,201            18,472 24,513
합 계           647,439         2,515,297 2,444,837


(2)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등

가) 판매조직 및 판매 경로

조직은 4개 영업본부와 4개 법인로 구성되어 있으며, 판매는 거래처와 직접연락 또는 중개인(Broker)을 통해 이루어지며, 국내외의 구분이 없습니다.


나) 판매방법

매출은 장기운송계약 및 SPOT계약, 선박 대선, 상품 판매, 선박관리 등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다) 판매전략


① 국제규격에 적합한 선형의 선박을 투입함으로 화주에 Trading Flexibility 제공
② 선사간 전략적 제휴 및 전세계 Network의 유지, 개발, 확장을 통한 영업력 강화를 추진
③ PMS (Planned and Preventive Maintenance System)를 통한 예방정비로 선대의 안정적 운항을 도모

라) 주요 매출처

아래의 "사. 수주현황"을 참고

사. 수주현황

당사는 당분기말 현재, 한국남부발전(주), 한국동서발전(주), 한국중부발전(주), 현대글로비스 등과 장기운송계약이 체결 되어있으며, 1994년부터 한국가스공사의 LNG 장기도입물량 수송을 위한 사업자로 선정되어 운송계약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계열사인 SK에너지, SK가스 및 SK네트웍스와 화물운송계약을 이행하고 있습니다.

아. 시장위험과 위험관리

(1) 해운업 시황에 따른 위험과 관리

해운업은 세계경제, 계절적 요인, 유가 등에 의한 변동이 심한 산업입니다.

원유를 수송하는 원유선을 비롯한 탱커선은 세계경제, 계절적 요인, 유가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지구의 북반구가 겨울인 시기에 유류 소비가 증가하면서 유조선 시황 역시 상승하게 됩니다. 한편, 벌크선은 세계의 기후에 따른 곡물 등의 수요 및 산업발전에 따른 원자재의 생산 및 수요의 증감에 따라 시황이 급변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해상수송의 도구인 선박의 건조, 폐선 등의 수급에 의한 영향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이러한 해운업이 가지는 고유의 위험을 제거하기 위해 당사는 많은 부분에 대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해운업 시황에 대한 세계 유수기관의 예측정보를 분석하는 등 지속적인 해운업 시황 조사(Research)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한 다양한 영업전략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이와 동시에 회사 설립 이후 지금까지 축적된 노하우와 현장 경험을 바탕으로 장기운송계약과 Spot 영업의 적절한 Portfolio를 구성하고 있으며, 기존 고객과의 긴밀하고 신뢰성있는 Relationship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새로운 거래선 개발을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 금리에 따른 위험과 관리

해운회사의 가장 큰 비용은 자본비로 표현되는 선박구매대금입니다. 국적취득조건부로 선박을 사용하고 있는 국적선사는 대부분 LIBOR로 표시되는 기준금리의 변동에 따라 지출하게 되는 비용이 크게 변동하게 됩니다. 따라서 자본집약적인 해운업은  국제금리의 변동에 민감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사의 외화부채는 대부분 선박금융 관련 장기미지급금으로 LIBOR 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이 존재합니다.

당사는 금리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내부지침에 따른 관련부서간 협의 및 합의를 통하여 금리 관련 파생상품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즉, 필요한 경우, LIBOR + Spread로 되어 있는 변동금리를 고정금리로 Fix 시켜놓는 금리 Swap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장기화물운송계약을 통해 이러한 금리변동의 위험을 줄이고 있습니다.

(3) 유가변동에 따른 위험과 관리

유가는 선박운항비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금융위기 이후 전세계적인 경제회복세, 중동지역에서의 정치불안정, 전쟁 등 국제적인 수요, 공급상의 문제에 따라 유가의 변동폭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제유가의 변동성이 높아진 영향으로 해운회사들의 유가변동 Risk 관리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당사는 상기의 유가변동에 따른 위험을 벙커스왑거래를 통해서 Hedge하고 있습니다. 다만, Spot 영업의 경우 유가변동시 운임이 함께 변동하여 유가변동에 따른 위험을 상쇄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으므로 유가변동에 따른 위험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당사가 유가변동에 노출된 위험은 상당히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으며, 유가변동에 따른 위험은 현재 내부위험관리정책에 의거하여 효과적으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4)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과 관리

해운업은 수익과 비용의 대부분이 미화(USD)로 발생하고 있어 미화를 기능통화로 하여 회계처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미화 이외의 이종통화거래의 경우 환율의 변동에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당사는 환위험 관리 사규에 근거하여 거래환율변동 위험에 대비하고 있습니다. 미화 이외의 통화 입출금과 관련된 환율변동에 따른 위험은 내부지침에 근거하여 환율변동을 예측하여 외환 Exposure 관리를 수행하고 있으며, 거래담당자와 사후정산담당자의 구분, 거래내역의 Database화 및 즉시 보고체계를 통하여 내부통제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자. 파생상품거래 현황

(1) 파생상품 현황

당사는 벙커가격의 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벙커선물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당분기에 발생한 거래이익은 449백만원, 거래손실은 50백만원입니다.

당사는 선박의 임차와 관련하여 체결된 선박임차료의 가격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해BI(The Balti
c Index)지수 등을 사용한 운임선도거래계약을 체결하였으며, 당분기에 발생한 래이익은 46백만원, 거래손실은 49백만원입니다.

당사는 예금, 차입금 및 제반 비용 중 원화로 거래되는 금액 엔화 부채의 환율 변동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선도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통화선도계약에 대하여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자본으로 인식한 손익금액은 위험회피대상 예상거래가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에 손익계산서 상 금융원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분기에 발생한 거래손실은 7백만원입니다.

당사는 원화 장기부채의 환율 및 이자율변동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통화스왑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통화스왑계약에 대하여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자본으로 인식한 손익금액은 위험회피대상 예상거래가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에 손익계산서 상 금융원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변동금리부외화장기미지급금의 이자율변동으로 인한 위험을 회피하기 위하여 외화장기미지급금 일부에 대하여 부담하고 있는 변동금리이자를 고정금리이자로 교환하는 스왑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당사는 위험회피에 효과적인 이자율스왑계약에 대하여 현금흐름위험회피회계를 적용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자본으로 인식한 손익금액은 위험회피대상 예상거래가 손익계산서에 영향을 미치는 기간의 손익계산서에 금융원가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당분기말 현재 파생상품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자     산 부     채 비     고
당기손익인식 파생상품


 통화선도 - 370
 운임선도 64 -
 벙커선물 1,046 94
 통화스왑 2,979 301
소    계 4,089 765
현금흐름위험회피 파생상품


 통화선도 6 -
 이자율스왑 - 9,650
 통화스왑 6,516 13,183
소    계 6,522 22,833
합    계 10,611 23,598


차. 그 밖에 투자의사결정에 필요한 사항
해당사항 없음.


VIII. SK E&S

1. 사업의개요

[지배회사 사항]

가. 발전사업


(1) 산업의 특성


○ 국가ㆍ지리적 특성

- 에너지원의 97%를 해외에 의존

- 전력계통이 고립되어 있어 인접국과 계통연계 및 전력융통 곤란

- 전원과부하의 지역편재로 지방에서 수도권으로 장거리 송전

○ 기술적 특성

- 전기는 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이루어져 저장이 불가능한 재화

-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적정수준의 예비설비 보유가 필수적

○ 전력 수송을 위한 계통망(送配電網) 구축이 필수

- 송배전망 부문은 발전과 달리 자연 독점성이 강하게 존재

○ 일반적 특성

- 초기에 대규모 투자가 소요되고, 투자비 회수에 장기간 소요

- 국가의 안정적인 전력공급에 기여


(2) 산업의 성장성


 전력산업은 제조업 등 국가 경제성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과 범용성으로 인해 전력소비는 지속적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1인당 전력소비량은 '80년 875kWh/년에서 '12년 9,197kWh/년으로 약 10배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전력수요 증가에 따라 공급설비는 '80년 9,391MW에서 '12년 81,806MW으로 약 9배 증가하였습니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상 전력수급전망을 보면 전력소비량은 '13년~'27년 기간에 연평균 3.4%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13년: 485,428GWh → '27년: 771,007GWh). 설비예비율은 '12년 2.6%를 기록하였고 '13년은 제 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기준 7.4%가 '14년 이후로는 16~31% 수준으로 안정적인 수급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또한 '13년~'27년까지 발전설비 건설에 총 70조원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


(3) 전력산업구조개편


 정부는 한국전력공사 중심의 비효율적 독점체제인 전력산업에 경쟁을 도입하여 전력공급의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99년 1월에 "전력산업구조개편 기본계획을 수립하였습니다. 발전부문 경쟁도입을 위해 한전 발전부문을 한국수력원자력을 비롯한 6개자회사로 분할('01.4월)하고, 전력거래소를 통한 시간대별경쟁입찰방식으로 전력을 판매하는 변동비 반영시장 (CBP, Cost-Based Pool)을 도입하였습니다. 이후 양방향 전력시장 도입을 통해 본격적인 경쟁체제가 추진되었으나, 노사정위원회 공공특위의 '배전분할 중단' 권고에 따라 잠정 중단되어 현재까지 이르고 있습니다.


(4) 업계의 현황


 전력산업은 산업활동과 국민생활에 필수불가결한 국가기간산업으로 산업성장 및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전력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2013년 3월말 현재 국내주요 민자발전사업자는 포스코에너지, GS EPS,에스케이이엔에스,  GS파워, 엠피씨율촌전력, 엠피씨대산전력 등이 있습니다.


(5) 회사의 현황


① 영업개황

  발전사업을 영위하던 합병 전 케이파워(주)는 정부의 전력사업 민자유치계획에 따라 발전사업에 참여할 목적으로 1997년 12월 8일에 설립되었으며, 2004년 1월 19일 회사명을 에스케이전력주식회사에서 케이파워주식회사로 변경하였습니다. 케이파워(주)는 1998년 3월 산업자원부(현 지식경제부)로부터 전력수급계약에 대한 인가와 대구지역 민자발전사업자 허가를 득하여 대구지역에 LNG복합화력발전소의 건설을 추진하여 왔으나 당초 입지선정 사유인 대구지역 저전압현상이 해소되고 발전소 준공 후 전력시장에 생산전력을 안정적으로 판매하기 위하여 회사의 사업부지를 대구에서 광양으로 이전하는 사업부지변경을 결정하고 2001년 11월 산업자원부의 사업부지 변경허가 및 2002년 10월 전라남도청의 광양국가산업단지 개발계획 변경허가를 득하였습니다. 당사가 운영하는 광양천연가스발전소는 발전설비용량 537MW급 2기로서 각각 2006년 2월 13일 및 2006년 5월 15일에 준공되어 상업운전을 시작하였으며, 동 발전소에서 생산한 전력을 한국전력거래소가 운영하는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② 시장점유율 등
  2013년 3월말 기준 국내 전체 발전설비의 약 1.2%
  [출처: 전력거래소]
 
 ③ 시장의 특성

 우리나라의 전력시장 중 발전부문은 변동비 반영시장(CBP, Cost-Based Pool)으로 다수의 발전회사가 발전변동비에 기초한 경쟁을 통하여 전력시장에 전력을 공급하는 형태입니다. 한편, 송배전 및 판매부문은 한전의 독점체제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전은 전력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으로 전력을 구입하여 이를 수용가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④ 중요한 신규사업(신제품 개발, 신시장 개척 등)의 내용 및 전망

 당사는 정부의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의 일환인 RPS(신재생에너지 의무공급제도) 시행에 대응하기 위하여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 진출을 시작하였으며,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사업은 풍력과 태양광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


나. LNG사업

(1) 산업의 특성

 액화천연가스는 수송상의 제약으로 인하여 지역별로(아시아/유럽/미주) 분할된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규모 초기투자 비용이 소요되는 특성으로 인하여 장기계약 위주의 경직된 형태를 띠고 있습니다.


 국내의 액화천연가스 산업은 정부정책에 따라 도매부문과 소매부문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도매부분은 중앙정부의 지휘·감독 하에 한국가스공사가, 소매부문은 시·도지사의 지휘·감독 하에 지역 별 도시가스사업자가 독점적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습니다.


 최근 독점체제하의 도매부문에 시장경쟁체제 도입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자가소비용 발전사업자에 한해 직도입이 허용됨으로써 민간사업자의 진출이 가능해졌습니다. 민간직도입은 발전용 및 산업용 신규수요를 보유하고 일정규모 이상의 저장설비를 갖춘 사업자에 한해 가능하며, 직도입한 물량은 한국가스공사의 주배관망을 통해 수요처로 공급됩니다.


(2) 산업의 성장성


 국내 천연가스산업 판매량은 '06년 23,500천톤에서 '11년 33,570천톤으로 연간 약7.4%, 발전용 수요는 '06년 9,543천톤에서 '11년 15,315천톤으로 연간 약9.9% 성장하였습니다. 한편, 제10차 장기천연가스 수급계획에 의하면 국내 총판매량은 '09년 25,917천톤에서 '24년 34,115천톤으로 연간 약1.8%, 발전용 수요는 '09년 10,407천톤에서 '24년 12,345천톤으로 연간 약1.1%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3) 업계의 현황


 국내 천연가스 도매사업은 실질적으로 한국가스공사가 96.6%의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독점체제이며, 민간사 최초로 SK E&S(1.7%)와 포스코(1.7%)가 자가소비용으로 액화천연가스를 직도입하여 시장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향후 '15년 이후     GS 칼텍스와 한국전력의 발전자회사 중부발전이 시장에 진입할 예정입니다.


(4) 가스산업구조개편


 정부는 가스산업의 선진화를 위하여 '98년 7월 가스공사를 3개 자회사로 분할·매각하는 내용을 담은 가스공사 민영화 계획을 발표하였으나, 이후 가스공사 노조의 반대로 가스산업 구조개편 및 가스공사 민영화 논의는 사실상 중단되었습니다.  '03년 이후 단계적 시장개방 확대를 위한 자가소비용 액화천연가스 직수입을 허용하는 방향으로 가스산업 선진화 기본방향이 수정된 후, '12년 현재 민간직도입사의 가스저장설비 규제 완화 등을 골자로 한 도시가스사업법 시행령 개정이 정부에 의해 추진 중에 있습니다.


(5) 회사의 현황


① 영업개황

  당사는 현재 설비용량 537MW급 2기로 구성된 당사의 광양천연가스발전소에 연료를 직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가 도입하는 액화천연가스는 장기계약 물량과 현물시장 물량으로 구분되며 장기계약 물량은 인도네시아로부터 연간 50~60만톤 수준이며, 추가적으로 국내 전력수급에 따라 연간 약10~20만톤 규모의 현물 물량을 도입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수입한 액화천연가스는 당사가 포스코로부터 임차 중인 저장설비에 저장 후 발전소 가동을 위해 기화되어 발전소로 송출됩니다



  당사는 당사가 추진 중인 신규 천연가스발전소에 천연가스를 공급하기 위해 3자 구매 및 가스전 투자를 통한 자체 물량을 확보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사업환경 구축을 위하여 신규 액화천연가스 저장기지 건설을 추진 중입니다.


[종속회사 사항]

가. 도시가스 업계의 현황


(1) 산업의 특성


  도시가스산업은 전기, 수도와 같이 국민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에너지를 공급하는 사업으로서 막대한 설비투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쟁과 공급설비의 중복투자 방지 및 안정적인 공급을 위하여 일정한 지역을 공급권역으로 허가하여, 허가된 지역별로 단일회사가 도시가스를 판매하고 있습니다.

  1964년 울산정유공장 가동과 함께 생산된 LP가스가 가정연료로 사용되기 시작한 이래 1972년 서울시영 도시가스사업소가 발족, 동부 이촌동APT단지 6,000세대에 국내 최초로 도시가스 공급이 시작되었습니다.


(2) 산업의 성장성

  1981년 4월 심각한 석유파동 이후 에너지 공급안정을 위한 에너지원의 다변화와 국민소득 증대에 따른 도시가구의 연료 선진화를 목표로 1986년 10월말 부터 국내에 도입되기 시작한 LNG(액화천연가스)는 그 사용의 편리성, 안정성, 청정성 및 적합성 등으로 인하여 그 소비가 매년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의 청정연료 사용 의무화 대상지역 및 대상시설의 지속적인 확충으로 향후에도 꾸준한 성장이 예상됩니다. 2013년 3월말 현재 전국에 33개의 도시가스 사업자가 있으며, 2013년 1분기 전국 도시가스 총공급량은 9,043,707천㎥로 전년동기대비 약 0.8%가 증가하였습니다. (한국가스공사 공시기준, 도시가스협회 환산 자료활용 LNG 1ton=도시가스 1,237㎥)


<전국 도시가스회사 현황>

LNG권역(30개사)
서울 인천 경기 대전 충북 대구 광주 부산 울산
코  원(80)
예스코(83)
서  울(83)
강  남(85)
대  륜(86)
삼천리(83)
인  천(84)
삼천리(83)
예스코(83)
코  원(80)
서  울(83)
대  륜(86)
인  천(84)
충남(87) 충북
ES(89)
참빛
충북(95)
대구(84) 해양(83) 부산(82) 경동(84)
충남 전북 경북 전남 경남 강원
충남(87)중부(93)서해(97) 전북(84)군산(91)전북ES
(92)
대구(84)영남
ES(88)
경북(95)서라벌
(96)
해양(83)
목포(84)
전남(85)대화(88)
경남(84)
경동(84)
GSE(00)
강원(84)
참빛원주(89)


LPG권역(4개사)
강 원 경 북 제 주
참빛영동(96)
참    빛(95)
경북(95) 제주(05)

※ 한국도시가스협회 도시가스사업 통계월보(2012. 12월) 참조

   주)괄호안은 도시가스 공급개시연도임.


(3) 경기변동의 특성

 경기변동 영향은 낮은 편이며, 기온과 매우 큰 상관관계가 있어 계절적인 편차가 심합니다. 따라서 난방용 수요가 많은 11월부터 3월까지의 기간에 공급이 집중됩니다.


(4) 경쟁요소

 도시가스 공급은 정부시책에 의해 전국 주요도시를 중심으로 1개 업체만 참여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수도권 지역의 경우 7개 도시가스회사에 대한 지역적 공급독점권이 인정되고 있습니다. 지방의 경우에도 각 시·도별로 1~4개 업체가 지역을 분할하여 독점공급하고 있습니다.


(5) 관계법령 또는 정부의 규제 등

 도시가스 보급확대를 위하여 저금리의 정부정책자금 지원을 받고 있으며, 시설투자 및 도시가스 안전관리에 만전을 기하도록 도시가스사업법에 의해 안정적인 공급의무를 부여하고 있습니다.


(6) 기타

 천연가스를 도매사업자인 한국가스공사가 인도네시아 등 해외에서 전량 수입하고 있으며, 각 도시가스사는 한국가스공사로부터 배관을 통하여 공급받고 있습니다. 또한 초기 설비투자비용이 많이 소요되므로 투자비의 일부를 수요자에게 부담시키는 공사부담금 제도가 있습니다.

나. 집단에너지 업계의 현황

 집단에너지사업은 에너지효율을 개선하고 온실가스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측면에서 기후변화협약의 정부간 기구(IPCC)에서도 발전사업자들이 새로운 발전소를 건설할 때 가능하면 열병합 발전소를 건설하도록 권유하고 있으며, 기존 설비의 경우에도 발전배열을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것을 권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럽연합(EU)의 집행위원회는 1998년 5월에 전력생산에서 차지하는 열병합발전소의 비율을 1996년의 8%에서 2010년까지 18%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열병합발전전략(Co-generation Strategy)'을 승인하였습니다. 또한, 국제에너지기구(IEA)는 2050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현재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는 방안으로 원자력과 열병합발전의 역할을 강조하였고, 2007년 G8(선진8개국) 정상회담에서는 열병합발전소의 비율을 획기적으로 증가시키자는 선언문을 채택하였습니다. 그리고, 유럽의 전력시장의 개방은 에너지시스템의 최적화를 촉진시켜 열병합발전소 운영을 통한 전력생산과 지역난방의 통합운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협약 및 고유가 시대를 맞아 집단에너지사업의 중요성이 부각되어 집단에너지 확대보급을 위한 정부정책이 적극적으로 수립 및 추진되고 있습니다. 정부의 기후변화 제4차 종합대책(2007.12)은 2012년까지 총 31개 사업장에 열병합발전을 통한 에너지공급으로 약 2.5백만톤의 이산화탄소를 감축할 계획을 수립하였고, 정부의 제4차 에너지이용합리화기본계획(2008.12)은 폐열·여열등을 활용하여 난방서비스를 제공하는 집단에너지를 2017년까지 153만세대 추가 확대하여 312만세대에 공급하고, 하절기 전력피크부하 감소를 위한 지역냉방사업을 추진하여 '15년까지 5만세대를 보급할 계획을 마련하였습니다.


 특히 우리나라의 수도권은 인구가 밀집되어 있으며, 기타 산업활동 밀도가 높아 전력수요가 꾸준히 증가함에 따라 신규발전소의 건설이 필요하나, 건축법 및 지자체 조례에 따라 열병합발전소 건설만 허용하는 추세이므로 이와 연계된 지역난방공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최근 도시가스 사업자, 건설회사 및 발전회사들이 사업다각화 측면에서 지역난방사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신규 사업자들의 적극적인 사업참여에 따라 신규 지역난방 시장은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2011년 말 기준, 총 주택의 14.5%인 215만 가구에 지역난방을 공급 중으로, 이중 56% 정도를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공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민간 사업자의 시장 참여가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대형사업자들이 거점중심으로 사업을 확장하는 추세입니다. 당사도 위례·하남 인근 수도권 동부권을 거점으로 집단에너지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다. 신규사업 등의 내용 및 전망

(1) 오성복합화력발전사업: 평택에너지서비스(주)


    전력산업은 경제성장 및 소득증가와 관계가 있으며, 사용의 편리성과 가격안정으로 전력소비는 지속적 증가추세에 있습니다. 당사가 추진하고 있는 전력사업은 환경친화적인 LNG를 연료로 사용하며, CO2 저감 및 안정성 측면에서 더욱 각광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당사는 2008년 LNG 발전사업을 위해 5월 평택에너지서비스㈜를 설립하였으며, 2008년 6월 경기도 평택시에 833MW 규모의 발전소 사업에 대한 사업권을 획득하였습니다. 2009년 사업부지 확보 및 전원개발실시계획 등 관련 인허가 획득을 완료하고 2010년 상반기 Project Financing 및 기기, 연료 계약을 성공적으로 체결하였습니다. 2010년 10월 본격적인 건설에 착수하였으며, 2013년 3월 상업운전을 성공적으로 개시하였습니다(2013.3.22). 또한 당사는 제 5차 및 제 6차 장기전력수급기본계획에 수도권 입지의 발전소 3기의 건설을 반영하였으며, 향후 적기 완공을 통해 국가 전력 수급에 기여할 전망입니다.


구  분 내  용
프로젝트명 SK 오성 833MW LNG 복합화력발전 사업
사 업 주 체 평택에너지서비스 주식회사
주         주 SK E&S 주식회사
회 사 위 치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 안화리 일원
사 업 방 식 복합화력발전설비를 건설하고 생산된 전기는 전력시장에 열은 지정된 지역에 공급하여 수익을 창출함.
설 비 용 량 복합화력발전설비(CHP)
 - 가스터빈 : 183MW ×3기
 - 스팀터빈 : 284MW ×1기
 - Gross 효율 : 52.50%/ Net 효율 : 51.28%
 지역난방설비(DH)
 - 열전용보일러(HOB) : 34.4 Gcal/h×1기
 - 축열조 : 20,000㎥×1기
 - 지역난방순환 설비(열배관, 펌프 설비 등)
공 사 기 간 2010.05.20 ~ 2013.03.21(약 34개월)
투   자   비 총 7,117억원
 - 발전부분 공사비 : 4,832억원
 - 지역난방설비 : 721억원
    단, 운영기간 열배관공사 공사비 약 276억원(불변가 기준)은 포함하지 않음.
 - 토지비 : 205억원
 - 기타 : 1,359억원
특 이 사 항 1. 집단에너지사업을 위해 '10.12월 평택 소사벌지구 등의 사업권을 두산건설이 설립한 평택크린에너지(주)로 부터 인수하였음.
 * 사업대상지구: 경기도 평택 소사벌 지구, 용죽지구, 동삭1지구, 모산영신지구, 영신지구, 현촌지구
 2. 집단에너지사업과 관련 소사벌지구내 수용가에게는  발전소 및 연계배관 준공전까지 임시열원(이동식보일러)을 활용하여 열을 공급할 계획임('12년 5월 개시)


(2) 집단에너지사업


  당사는 현재까지 총 7개의 집단에너지사업권 (약 20만 세대)을 확보하여 안정적인 열공급과 국가 에너지 효율향상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향후 업계 No.1 민간사업자로 도약하기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종속회사인 코원에너지서비스의 2009년 2월 강일1지구 10,800세대에 지역난방 공급을 시작으로, 당사는 2012년, 집단에너지 전문회사인 하남에너지서비스와 위례에너지서비스를 설립하여 수도권 동부권지역에 LNG 연료를 이용한 지역난방 집단에너지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고 있습니다. 하남에너지서비스는 2013년 1월 하남 집단에너지사업의 Project Financing을 성공적으로 완료했으며, 발전소 준공 이후에는 열과 전기를 함께 생산하여 안정적인 지역난방 공급 및 수도권 전력 수급 안정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당사의 종속회사인 전북에너지서비스는 1993년부터 유연탄 열병합발전 설비를 통해 전북 익산산업단지 내 산업체 및 인근 배산 장신지구(약 1만 세대)에 증기와 열을 공급하고 있으며, 평택에너지서비스는 2011년 8월, 평택 소사벌 지구에 열공급을 시작하여 인근 약 4만 세대에 안정적인 지역난방을 공급할 계획입니다. 당사와 코오롱글로벌이 합작 설립한 김천에너지가 추진 중인 경북 김천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도 2013년 하반기 준공 예정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이 기대됩니다.

(3) 해외 도시가스사업 및 기술기반사업

 당사는 기 보유한 도시가스 사업 역량과 경험을 이용하여 중국 등 고성장 지역의 도시가스 사업기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중국 도시가스 시장은 연평균 10% 이상의 성장을 보이고 있으며,  중국 정부의 천연가스 보급 확대 정책에 힘입어 향후에도 연평균 8% 이상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가스 및 전력분야와 연관된 기술기반사업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습니다. 에너지 효율화,    CO2 저감 등 에너지 관련 기술기반 사업을 통해 당사의 사업 분야에서 시너지를 창출할 계획입니다.

2. 매출에 관한 사항

가. 매출현황
                                                                                                 (단위 : 억원, %)

사업 부문 주요 사업 제 15 기 1분기 제 14 기 1분기
매출액 비율 매출액 비율
도시가스 도시가스,열병합등 17,545 87 16,903             83
발전부문 전력 등 2,659 13 3,385             17
기타 기타 2 0 6 0
20,206 100 20,294 100

주1) 당사와 연결종속회사의 매출은 전액 내수에서 발생합니다.

나. 판매경로 및 판매방법

[도시가스]

(1) 판매경로

 도시가스: 천연가스생산지→ 한국가스공사 수입(평택 및 인천인수기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배관을 통해 천연가스 구입→ 지구 및 지역정압기를 통해 공급압력을 조절하여 당사 공급권역의  수용가에게 배관을 통해 판매

(2) 판매방법 및 조건

구      분 판매조건 가 격 정 책
도시가스 현금 / 신용카드 정부고시단가적용


(3) 판매전략
   도시가스 보급확대는 신규배관의 적극적인 투자로 수요개발을 극대화 시킴으로서 달성되기 때문에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배관투자 기준을 수립하여 미공급 지역의 가스공급을 확대시키고(경기도 지역 등), 다양한 홍보매체의 개발 및 시행을 통해 잠재수요를 개발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또한 용도별로 개발전략을 수립하여 단독 및 연립주택의 난방겸용전환 및 중앙난방아파트의 개별난방을 추진하고 있으며, 주택용 냉방수요에 대해서도 영업활동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산업용의 경우 타연료로 사용중인 대용량 수요처의 도시가스 전환을 위한 다각적인 마케팅전략을 수립하여 시행함으로 판매량의 극대화를 도모하고 있습니다.

[발전부문]

(1) 판매경로  
  당사가 생산한 전력은 한국전력거래소를 통해 전력시장에 판매하고 있습니다.

(2) 판매방법  
  전력시장운영규칙에 따라 거래전일에 거래당일의 시간대별 공급가능용량을 한국전력거래소에 입찰하고, 거래당일 한국전력거래소가 입찰한 발전기의 변동비에 따라 가동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급전지시를 내리면 이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며 전력은 생산과 동시에 판매됩니다.

(3) 판매전략  
  원료비 절감 및 설비성능 유지관리를 통해 변동비를 최소화하여 급전순위 및 수익성 경쟁력을 확보하고 아울러 적정재고 관리를 통하여 공급예비력 확보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3. 주요 제품, 서비스 등

[도시가스]

가. 주요 제품, 서비스 등의 내용  
   우리나라의 천연가스 산업은 도매부문과 소매부문으로 이원화되어 있으며, 도매부문은 한국가스공사가, 소매부문은 지역별 도시가스회사가 사업을 담당합니다.  도매사업자인 한국가스공사가 운영하는 주배관을 통하여 일반 도시가스사와 대량 수요처인 한전 발전자회사 및 민자발전사에 천연가스를 공급하고, 소매사업자인 각 도시가스회사는 공급받은 천연가스를 권역별로 운영 되는 배관을 통하여 소비자에게 공급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종속회사인 도시가스사는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천연가스를 인도받아 전국에 도시가스를 공급하고 있습니다.
 
 나. 주요 제품, 서비스 등의 가격변동추이
   당사의 종속회사인 도시가스사들이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인도받는 도매요금은 지식경제부의 가격정책에 따라 원가를 반영하여 책정되며, 소매요금은 가스공사의 도매요금과 지자체에서 승인한 공급비용을 더하여 책정됩니다. 도시가스 원료비의 경우, 1998년 8월부터 유가 및 환율의 변동폭을 반영하여 3개월 단위로 연동제를 실시하여 前분기 3개월 LNG도입 원료비가 기준 원료비 대비 ±3%를 초과하면 가격이 조정되도록 시행하다가, 2002년 1월 1일부로 조정주기를 2개월로 단축하여 적용하였으나, 2008년 3월부터 국제유가 및 환율급등으로 서민물가 안정을 위해 연동제가 유보되고 있습니다. 이후 요금조정 요인을 반영하기 위해 '08.11월, '09.6월, '10.9월, '10.11월, '11.1월, '11.5월, '11.10월, '12.6월, ’13.2월에 요금이 각각 조정되었습니다.

[발전부문]

가. 주요 제품 등의 현황                                                                     (단위: 억원)

사업부문 매출유형 품목 구체적용도 주요상표등 매출액(비율)
제15기 1분기 제14기 1분기 제13기 1분기
발전부문 발전 전력 산업/가정용 - 2,659   3,385 2,641


나. 주요 제품 등의 가격변동추이                                                            (단위:원)

품목 제15기 1분기 제14기 제13기
전력 150/kwh 163/kwh 127/kwh

* 전력량요금 ÷순발전량

4. 주요 원재료에 관한 사항

[도시가스]
  당사의 주요 사업인 도시가스 공급에 필요한 모든 물량은 한국가스공사로부터 구입하고 있습니다. 거래처인 한국가스공사는 국내에서 유일한 도입ㆍ도매 회사로서 당사를 포함한 국내의 모든 도시가스 사업자는 한국가스공사로부터 천연가스를 구입하고 있습니다. 한국가스공사로부터 구입하는 천연가스 도매요금은 환율과 유가를 고려하여 ±3% 초과시 2개월마다 재산정하고 있습니다. 최근 3개년간 천연가스 도매요금의 주요 변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원/㎥)

구 분 '10.09.01 '10.11.01 '11.01.01 '11.05.01 '11.10.10 '12.06.30 '13.02.22
도매요금 692.42 656.31 691.19 726.65 768.06 808.36 845.55

※ ’13. 02. 22 도매요금은 KOGAS 3월 공시열량(43.54MJ/N㎥)을 고려하여 환산한 금액입니다. (열량기준 도매요금 19.42원/MJ)

※ 위 표의 요금은 용도별 도매요금의 평균요금입니다.


[발전부문]

가. 주요 원재료 등의 현황                                                              (단위 : 백만원)

품목 매입처 매입처와의 특수한 관계 여부 공급시장의
독과점 정도
공급의
안정성
매입액 (비율)
제15기 1분기 제14기 제13기
LNG Tangguh PSC 등 없음 경쟁 안정 46,973
(100%)
289,316
(85%)
347,022
(89%)
SK LNG Trading Pte. Ltd. 있음 경쟁 안정 - 51,868
(15%)
42,505
(11%)
합  계 46,973
(100%)
341,184
(100%)
389,527
(100%)


나. 주요 원재료 등의 가격변동 추이                                                     (단위: 원)

품목 제15기 1분기 제14기 제13기
LNG 6,913/GJ 7,297/GJ 7,376/GJ


5. 생산 및 설비에 관한 사항

가. 생산능력 및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생산능력                                                                                     (단위: GWh)

사업부문 품목 사업소 제15기 1분기 제14기 제13기
발전부문 전력 광양발전소 2,266 9,214 9,189


(2) 생산능력의 산출근거
  1) 산출기준
     이용률 100% 기준 [설계기준, ISO condition(*), 복합싸이클 운전시 Base Load에서 송전단 출력 기준]
     (*) ISO condition:
     - 대기온도: 15℃
     - 대기압력: 1,013mbar
     - 상대습도: 60%
 2) 산출방법
    1,049MW (GT4대+ST2대 용량) * 24시간 * 역일
 
나. 생산실적 및 가동률
 
 (1) 생산실적                                                                                    (단위: GWh)

사업부문 품목 사업소 제15기 1분기 제14기 제13기
발전부문 전력 광양발전소 1,450 6,427 6,440


(2) 당해 사업연도의 가동률
 
 [2013년 3월말 기준]                                                                        (단위: 시간)

사업소(사업부문) 가동가능시간 실제가동시간 평균가동률
광양발전소 4,320.00 3078.80 71.27%

(주) 평균가동률 = (당기실제가동시간 ÷ 당기가동가능시간) ×100
 ※ 당기가동가능시간 : 24시간 × 역일


도시가스 부문은 생산을 통한 도시가스 공급이 아닌 전량 한국가스공사로부터 매입하여 배관을 통해 공급하는 판매구조를 가지고 있어 별도의 생산시설이 없습니다.

다. 시설 및 설비현황

[자산항목 : 유형자산] (단위: 천원)
구분 2013.1.1 취득 처분 대체 감가상각 순외환차이 2013.3.31
토지 342,141,032 8,467 (36,121) 57,376 - - 342,170,754
건물 66,525,116 15,590 - 16,235,555 (792,936) - 81,983,325
구축물 98,970,080 5,200 - 28,788,447 (1,776,504) - 125,987,223
기계장치 404,712,182 524,636 - 504,312,351 (8,496,675) - 901,052,494
차량운반구 3,703,395 975,193 (134,689) 71,223 (396,371) - 4,218,751
공기구와비품 21,134,481 839,653 (64,518) 27,600 (2,165,049) - 19,772,167
배관 824,351,976 1,423,274 (10,036) 14,803,305 (17,475,414) - 823,093,105
기타의유형자산 578,903 1,809 - - (33,504) 4,229 551,437
건설중인자산 617,820,244 75,821,820 - (505,462,063) - - 188,180,001
합계 2,379,937,409 79,615,642 (245,364) 58,833,794 (31,136,453) 4,229 2,487,009,257

※상기 시설 및 설비현황은 연결기준입니다.

Ⅲ. 재무에 관한 사항


※ 제49기 연결 및 별도 재무정보는 K-IFRS를 적용하여 작성된 것이며, 외부감사인의 감사(검토)를 받지 아니한 것입니다.


1. 요약연결재무정보(K-IFRS)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52기 1분기 제51기 제50기 제49기
[비유동자산] 55,761,036 55,099,406 50,654,961 46,824,956
 관계기업및조인트벤처투자 7,542,104 7,472,442 4,109,018 3,283,029
 유형자산 33,872,128 33,319,762 31,013,142 28,717,328
 무형자산 8,461,401 8,522,942 8,610,558 7,458,378
 기타의비유동자산 5,885,403 5,784,260 6,922,243 7,366,221
[유동자산] 36,444,739 35,545,741 41,758,952 36,839,135
 현금및현금성자산 8,574,810 7,145,923 9,372,372 6,739,389
 재고자산 9,549,553 9,167,873 9,656,388 8,368,752
 기타의유동자산 18,320,376 19,231,945 22,730,192 21,730,994
자산총계 92,205,775 90,645,147 92,413,913 83,664,091
[지배기업소유주지분] 11,579,067 11,351,641 10,750,582 8,995,378
 자본금 238,609 238,609 238,609 238,609
 주식발행초과금 2,793,927 2,793,927 2,793,927 2,793,927
 자기주식 (417,892) (417,892) (417,892) (417,892)
 이익잉여금 5,996,626 5,906,100 4,951,133 3,384,281
 기타자본항목 2,967,797 2,830,897 3,184,805 2,996,453
[비지배지분] 23,642,277 24,063,948 23,271,899 21,155,944
자본총계 35,221,344 35,415,589 34,022,481 30,151,322
[비유동부채] 25,079,510 23,898,521 22,784,738 22,343,329
[유동부채] 31,904,921 31,331,037 35,606,694 31,169,440
부채총계 56,984,431 55,229,558 58,391,432 53,512,769
매출액 29,578,642 119,677,705 110,574,050 90,533,382
영업이익 1,066,434 4,597,132 6,420,730 6,094,471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520,688 4,029,398 7,395,733 4,490,700
연결계속영업이익 354,312 2,788,435 5,246,866 3,333,395
연결총당기순이익 354,312 2,630,822 5,103,133 3,193,712
지배회사지분순이익 199,269 1,048,893 1,673,082 924,934
연결에 포함된 회사 수 250 250 238 206
당분기말 연결에 포함된 회사 수는 250개사임.
    직전사업년도말 대비 주요 변동 내역은 신규 포함 7개사, 제외 7개사
입니다.
※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검토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 연결재무정보 이용상의 유의점

○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연결실체의 분기연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연결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 연차연결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연결실체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연결실체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12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 유의적인 회계정책

연결실체는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2012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할 때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계정책의 변경사항은 2013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연차연결재무제표에도 반영될 것입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2013년 1월 1일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사항을 적용하여, 기타포괄손익항목을 성격별로 분류하고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재분류되지 않는 항목"과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때에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의 집단으로 묶어 표시하고 있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의 제정사항을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서는 지배력 원칙을 정의하고 연결재무제표에서 연결되는 기업들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로 지배력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은 지배기업 또는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에 의해 지배되는 기업입니다. 지배기업 또는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은 종속기업에 대한 관여로 변동이익에 노출되거나 변동이익에 대한권리가 있고 종속기업에 대하여 자신의 힘으로 그러한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있을 때 종속기업을 지배합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의 제정사항을적용하고 있으며, 이 기준서는 공동약정을 두가지 유형, 즉 공동영업과 공동기업으로분류합니다. 공동영업은 약정의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들이 약정의 자산에 대한 권리와 부채에 대한 의무를 갖는 공동약정이며, 공동기업은 약정의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공동기업참여자)들이 약정의 순자산에 대한 권리를 갖는 공동약정입니다. 공동영업자는 특정 자산, 부채, 수익 및 비용에 적용가능한 관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약정에 대한 자신의 지분과 관련된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고 측정하며, 공동기업 참여자는 지분법을 사용하여 그 투자자산을 인식하고 회계처리합니다.

④ 기업회계기준서 제1112호 '타 기업에 대한 지분의 공시'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2호 '타 기업에 대한 지분의 공시'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종속기업, 공동약정, 관계기업 및 비연결구조화기업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을 동 기준서로 통합하였습니다. 이 기준서는 재무제표이용자들이 타기업에 대한 지분의 성격과 타 기업의 지분과 관련된 위험 및 그러한 지분이 연결실체의 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연결실체에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⑤ 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 급여' 개정
2013년 1월 1일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 급여' 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 이자율 등의 변동에 따른 퇴직급여 부채의 증감액(보험수리적손익)을 개정전 기준서에는 당기인식하거나 이연하여 인식할 수 있었으나개정된 기준서에서는 당기인식(기타포괄손익)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적립자산에 우량회사채수익률을 적용하여 순이자수익(비용)을 인식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
다.

⑥ 기업회계기준서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 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여러 개의 기준서에 분산되어 있던 공정가치 측정에 관한 규정을 동 기준서로 통합하고 공정가치 측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2) 회계정책 변경의 영향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의 경과규정에 따라 연결실체는 기준서의 최초적용일인 2013년 1월 1일 현재로 피투자자에 대한 지배력을 평가하였으며, 기준서의 적용에 따른 종속기업의 변동은 없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2012년 12월 31일 이후 최초로 종료하는 회계연도부터 연결실체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사항을 적용하여, 매출에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를 차감한 영업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표시 개정이 연결실체의 포괄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와 같으며, 연결실체는 동 회계정책의 변경을 소급하여 비교표시되는 전분기 포괄손익계산서를 재작성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계  정 제 51(전) 기 1분기
개정전 영업이익
1,685,549
차이내역

 중단영업 비교수정
4,565
 기타영업외수익
(226,579)
    배당금수익 25,807
    임대료수익 15,322
    유형자산처분이익 2,680
    무형자산처분이익 174
    단기매매금융자산처분이익 284
    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이익 9,609
    종속기업투자처분이익 66,006
    매각예정자산처분이익 8,863
    기타투자자산처분이익 61
    기타 97,773
 기타영업외비용
133,601
    유형자산처분손실 5,211
    무형자산처분손실 677
    매도가능금융자산처분손실 4,243
    기타투자자산처분손실 162
    유형자산손상차손 3,433
    관계기업투자손상차손 40,383
    매출채권처분손실 3,253
    기부금 37,115
    기타 39,124
영업이익
1,597,136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 제정

당기 중 연결실체는 상기 기준서의 개정에 따라 공동지배기업으로 분류되어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으로 회계처리하였던 울산아로마틱스 주식회사에 대한 투자금액을 공동약정에 따른 자산, 부채, 수익 및 비용 중 연결실체의 몫을 인식하는 회계처리로 변경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동 회계정책의 변경에 따른 공동기업투자의 분류 변경을 소급하여 적용하였으며, 비교 표시된 요약연결재무상태표는 이러한 소급적용에따른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재작성되었습니다. 이러한 회계정책 변경으로 인하여 전기말에 공동기업으로 분류되었던 울산아로마틱스 주식회사의 투자주식금액 119,888백만원은 건설중인자산으로 계정재분류되었습니다.


(3) 미적용 제ㆍ개정 기준서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1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연결실체가 조기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적용시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당분기말 현재로 추정할 수 없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32호 '금융상품: 표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의 요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적용지침을 추가하여 기준서를 개정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14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의무적용됩니다.

※ 기타 계정과목별 중요 회계정책 및 재무제표 작성기준은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검토보고서 주석 참조

3. 요약별도재무정보(K-IFRS)

(단위 : 백만원)
구 분 제52기 1분기 제51기 제50기 제49기
[비유동자산] 11,347,522 11,348,363 11,055,903 10,496,327
종속기업투자 11,178,421 11,178,421 10,900,477 10,329,331
유형자산 31,433 31,232 29,192 84,984
무형자산 25,850 25,850 25,809 24,230
기타비유동자산 111,818 112,860 100,425 57,782
[유동자산] 437,209 148,250 185,002 140,474
현금및현금성자산 128,156 135,482 128,450 93,626
재고자산 - - - 25,754
기타유동자산 309,053 12,768 56,552 21,094
자산총계 11,784,731 11,496,613 11,240,905 10,636,801
[자본금] 238,609 238,609 238,609 238,609
[주식발행초과금] 2,793,927 2,793,927 2,793,927 2,793,927
[자기주식] (417,892) (417,892) (417,892) (417,892)
[이익잉여금] 2,799,744 2,148,916 1,852,826 1,507,865
[기타자본항목] 3,265,081 3,265,081 3,265,081 3,265,081
자본총계 8,679,469 8,028,641 7,732,551 7,387,590
[비유동부채] 2,328,325 2,580,841 2,475,968 2,397,272
[유동부채] 776,937 887,131 1,032,386 851,939
부채총계 3,105,262 3,467,972 3,508,354 3,249,211
영업수익 837,576 733,204 765,123 580,382
영업이익 802,180 550,983 576,045 360,229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 764,402 404,132 424,077 174,265
당기순이익 753,299 376,301 426,553 162,101
기타포괄손익 22 (261) (1,642) (62)
총포괄이익 753,321 376,040 424,911 162,039
기본주당순이익 18,602원 9,264원 10,513원 3,986원
※ 재무제표에 대한 주석은 재무제표에 대한 검토보고서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4. 별도재무정보 이용상의 유의점

○ 재무제표 작성기준

(1) 회계기준의 적용

당사의 분기재무제표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작성되는 요약중간재무제표입니다. 동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작성되었으며연차재무제표에서 요구되는 정보에 비하여 적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선별적 주석에는 직전 연차보고기간말 후 발생한 당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의 변동을 이해하는 데 유의적인 거래나 사건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재무제표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27호 '별도재무제표'에 따른 별도재무제표로서 지배기업, 관계기업의 투자자 또는 공동지배기업의 참여자가 투자자산을 피투자자의 보고된 성과와 순자산에 근거하지 않고 직접적인 지분투자에 근거한 회계처리로 표시한 재무제표입니다.

(2) 추정과 판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서는 중간재무제표를 작성함에 있어서 회계정책의 적용이나,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자산, 부채 및 수익, 비용의 보고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사항에 대하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의 사용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중간보고기간말 현재 경영진의 최선의 판단을 기준으로 한 추정치와 가정이 실제 환경과 다를 경우 이러한 추정치와 실제 결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분기재무제표에서 사용된 당사의 회계정책의 적용과 추정금액에 대한 경영진의 판단은 2012년 12월 31일로 종료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와 동일한 회계정책과 추정의 근거를 사용하였습니다.

○ 유의적인 회계정책

당사는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사항을 제외하고는, 2012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를 작성할 때에 적용한 것과 동일한 회계정책을 적용하고 있습니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계정책의 변경사항은 2013년 12월 31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연차재무제표에도 반영될 것입니다.

(1) 회계정책의 변경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2013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사항을 적용하여, 기타포괄손익항목을 성격별로 분류하고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항목"과 "특정 조건을 충족하는 때에 후속적으로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는 항목"의 집단으로 묶어 표시하고 있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의 제정사항을적용하고 있습니다. 이 기준서는 지배력 원칙을 정의하고 연결재무제표에서 연결되는 기업들을 결정하기 위한 근거로 지배력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종속기업은 지배기업 또는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에 의해 지배되는 기업입니다. 지배기업 또는 지배기업의 종속기업은 종속기업에 대한 관여로 변동이익에 노출되거나 변동이익에 대한 권리가 있고 종속기업에 대하여 자신의 힘으로 그러한 이익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이 있을 때 종속기업을 지배합니다.

③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의 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이 기준서는 공동약정을 두가지 유형, 즉 공동영업과 공동기업으로분류합니다. 공동영업은 약정의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들이 약정의 자산에 대한 권리와 부채에 대한 의무를 갖는 공동약정이며, 공동기업은 약정의 공동지배력을 보유하는 당사자(공동기업참여자)들이 약정의 순자산에 대한 권리를 갖는 공동약정입니다. 공동영업자는 특정 자산, 부채, 수익 및 비용에 적용가능한 관련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에 따라 약정에 대한 자신의 지분과 관련된 자산과 부채를 인식하고 측정하며, 공동기업 참여자는 지분법을 사용하여 그 투자자산을 인식하고 회계처리합니다.

④ 기업회계기준서 제1112호 '타 기업에 대한 지분의 공시'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2호 '타 기업에 대한 지분의 공시'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종속기업, 공동약정, 관계기업 및 비연결구조화기업에 대한 공시 요구사항을 동 기준서로 통합하였습니다. 이 기준서는 재무제표이용자들이 타기업에 대한 지분의 성격과 타 기업의 지분과 관련된 위험 및 그러한 지분이 당사의 재무상태, 재무성과 및 현금흐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정보를 당사에게 공시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다.

⑤ 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 급여' 개정
2013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19호 '종업원 급여' 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임금상승률, 이자율 등의 변동에 따른 퇴직급여 부채의 증감액(보험수리적손익)을 개정전 기준서에는 당기인식하거나 이연하여 인식할 수 있었으나 개정된 기준서에서는 당기인식(기타포괄손익)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사외적립자산에 우량회사채수익률을 적용하여 순이자수익(비용)을 인식하도록 요구하고 있습니
다.

⑥ 기업회계기준서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 제정
2013년 1월 1일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3호 '공정가치 측정' 제정사항을 적용하고 있으며, 여러 개의 기준서에 분산되어 있던 공정가치 측정에 관한 규정을 동 기준서로 통합하고 공정가치 측정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2) 회계정책 변경의 영향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 '연결재무제표' 제정
기업회계기준서 제1110호의 경과규정에 따라 당사는 기준서의 최초적용일인 2013년 1월 1일 현재로 피투자자에 대한 지배력을 평가하였으며, 기준서의 적용에 따른 종속기업의 변동은 없습니다.


②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 개정
2012년 12월 31일 이후 최초로 종료하는 회계연도부터 당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사항을 적용하여, 영업수익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한 영업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재무제표 표시 개정이 당사의 포괄손익계산서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와 같으며, 당사는 동 회계정책의 변경을 소급하여 비교표시되는 전분기 포괄손익계산서를 재작성하였습니다.

(단위: 백만원)
계  정 제 51(전) 기 1분기
개정전 영업이익
463,588
차이내역

 기타영업외수익
(1,386)
   금융보증부채환입 1,385
   기타 1
 기타영업외비용
7,504
   기부금 7,106
   기타 398
영업이익   469,706


(3) 미적용 제ㆍ개정 기준서
제정ㆍ공표되었으나 2013년 1월 1일 이후 시작하는 회계연도에 시행일이 도래하지 아니하였고, 당사가 조기적용하지 않은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는 다음과 같습니다. 다음의 제ㆍ개정 기준서 및 해석서 적용시 분기재무제표에 미치는 영향은 당분기말 현재로 추정할 수 없습니다.

① 기업회계기준서 제1032호 '금융상품: 표시'
금융자산과 금융부채의 상계의 요건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적용지침을 추가하여 기준서를 개정하였습니다. 동 기준서는 2014년 1월 1일 이후 개시하는 회계연도부터 의무적용됩니다.


※ 기타 계정과목별 중요 회계정책 및 재무제표 작성기준은 재무제표에 대한        검토보고서 주석 참조

5. 합병ㆍ분할 등 주요 사항

▣ SK바이오팜(주) 분할

당사는 2011년 3월 11일 제49차 정기주주총회에서 Life Science 사업부문의
분할계획서를 의결하였으며, 2011년 4월 1일 분할을 완료하였습니다.

1. 분할기일 : 2011년 4월 1일

2. 주요 내용 및 분할 전후 요약 재무구조
SK 주식회사(이하 "분할되는 회사" 또는 "존속회사"라 한다)는 상법 제530조의2 내지제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아래와 같이 물적분할의 방식으로 분할하여 새로운 회사(이하 "분할신설법인" 또는 "신설회사"라 한다)를 설립하기로 한다.

가. 분할의 목적
(1) 신설회사는 분할대상 사업부문에 적합한 경영시스템을 확립하여 해당 사업부문의 전문성을 강화하고 경영효율성을 제고하며, 성장동력 확보를 통한 경쟁력과 전문
성을 강화하여 기업가치를 증대한다.
(2) 분할되는 회사는 분할대상 사업부문의 가치증대 및 사업포트폴리오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환경변화에 대한 전략적 대응능력을 제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기업가치의 향상을 추구한다.

나. 분할의 방법
(1)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분할되는 회사가 영위하는 사업 중 Life Science 사업부문(이하 "분할대상부문"이라 한다)을 분할하여 신설회사를 설립하고, 분할되는 회사가 신설회사 발행주식의 총수를 취득하는 단순ㆍ물적분할의 방법으로 분할하며, 분할 후 기존의 분할되는 회사는 존속한다.
(2) 분할기일은 2011년 4월 1일로 한다.

다. 분할의 내용

구  분 회사명 사업부문
분할되는 회사 SK 주식회사 신설회사에 이전되는 사업을 제외한 모든 사업
신설회사 SK바이오팜 주식회사 Life Science사업부문


라. 분할 전후 요약 재무구조 (2011년 4월 1일 기준)  

      (단위 : 백만원)
구 분 분할 전 분할 후
분할되는 회사
SK㈜
신설회사
SK바이오팜㈜
자산        
I.유동자산   408,365 207,972 200,393
1.당좌자산   390,683 207,972 182,711
2.재고자산   17,682 0 17,682
II.비유동자산 10,537,744 10,694,986 71,460
1.투자자산   10,371,554 10,587,318 12,938
2.유형자산   106,913 49,279 57,634
3.무형자산   25,322 24,438 884
4.기타 비유동자산 33,955 33,951 4
자산총계   10,946,109 10,902,958 271,853
부채      
I.유동부채   836,089 795,453 40,636
II.비유동부채 2,303,728 2,301,213 2,515
부채총계   3,139,817 3,096,666 43,151
자본        
I.자본금   238,609 238,609 20,000
II.자본잉여금 6,059,008 6,059,008 208,702
III.자본조정   △417,892 △417,892 0
IV.기타포괄손익누계액 0 0 0
V.이익잉여금   1,926,567 1,926,567 0
자본총계   7,806,292 7,806,292 228,702
부채와 자본총계   10,946,109 10,902,958 271,853


3. 관련 공시사항
- 주요사항보고서 [분할(분할합병) 결정] - 2011.2.18
- 합병등종료보고서 [분할] - 2011.4.5

▣ SK임업(주) 주식 취득

당사는 2012년 6월 29일 SK건설(주)의 100% 자회사인 SK임업(주) 주식을 취득하였습니다.

1. 취득목적
 - 그룹 친환경사업 강화, SK임업 성장 및 Biz.기회 창출로 기업가치 증대

2. 취득내역
 - 취득 주식수(주) : 4,000,000 주
 - 취득금액 : 60,200 백만원
 - 취득후 소유주식수(주) / 취득후 지분율 (%) : 4,000,000주 / 100 %
 - 지분양수도일 : 2012년 6월 29일

3. SK임업 최근사업연도(2011년말 기준) 요약재무 내용
 - 자산총계 : 68,237 백만원
 - 부채총계 : 7,585 백만원
 - 자본총계 : 60,652 백만원
 - 자 본 금  : 20,000 백만원

4. 관련 공시사항
 -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주식의 취득 (2012.6.27)
 - 지주회사의 자회사 편입 (2012.6.29)

▣ SK China Company Limited

당사는 2012년 11월 23일 SK China Company Limited 유상증자에 참여하였습니다.
1. 취득목적
 - Global Portfolio 확대 및 기업가치 제고

2. 취득내역
 - 취득 주식수(주) : 4,285,675 주
 - 취득금액 : USD 183,941천
 - 취득후 소유주식수(주) / 취득후 지분율 (%) : 4,805,175주 / 64.2 %
 - 취득일 : 2012년 11월 23일

3. SK China Company Limited 최근사업연도(2011년말 기준) 요약재무 내용
 - 자산총계 : 280,383 백만원
 - 부채총계 : 58,987 백만원
 - 자본총계 : 221,396 백만원
 - 자 본 금  : 11
3,929 백만원

4. 관련 공시사항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2012.11.21)


Ⅳ. 감사인의 감사의견 등


1. 연결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공인회계사)의 감사의견 등

가. 연결감사인

제52기 1분기 제51기 연간 제50기 연간
삼정회계법인 삼정회계법인 삼정회계법인


나. 당해 사업연도의 분기감사(또는 검토)절차 요약

검토대상 재무제표

본인은 별첨된 SK주식회사와 그 종속기업의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를 검토하였습니다. 동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는 2013년 3월 31일 현재의 요약 연결재무상태표,  2013년과 2012년 3월 31일로 종료하는 3개월 보고기간의 요약 연결포괄손익계산 서, 요약 연결자본변동표 및 요약 연결현금흐름표, 그리고 유의적 회계정책과 기타의서술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013년 3월 31일 현재 자산(내부거래 제거 전)의 66.3% 및 2013년과 2012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보고기간 총매출액(내부거래 제거전)의 84.6%와 70.4%를 차지하고 있는 종속기업 SK이노베이션(주) 외 119개사와 관계기업 SK하이닉스(주)(전분기 : SK이노베이션(주) 외 101개사와 관계기업 SK하이닉스(주))의 재무제표에 대해서는 타감사인이 실시한 검토결과를 활용하였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경영자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이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공정하게 표시할 책임이 있으며, 부정이나 오류에 의한 중요한 왜곡표시가 없는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를 작성하는데 필요하다고 결정한 내부통제에 대해서도 책임이 있습니다.

감사인의 책임

본인의 책임은 상기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이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대하여 검토결과를 보고하는데 있습니다.

본인은 한국의 분ㆍ반기재무제표 검토준칙에 따라 검토를 실시하였습니다. 검토는 주로 회사의 재무 및 회계담당자에 대한 질문과 분석적 절차, 기타의 검토절차에 의해 수행됩니다. 또한 검토는 회계감사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감사보다 그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절차로는 감사인이 감사에서 파악되었을 모든 유의적인 문제를 알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본인은 감사의견을 표명하지 아니합니다.

검토의견

본인의 검토와 타감사인의 검토보고서를 기초로 한 본인의 검토결과 상기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지 않은 사항이 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강조사항
다음은 요약분기연결재무제표 검토보고서 이용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판단되는 사항입니다.

(1)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연차보고부터 연결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사항을 적용하여 매출에서 매출원가
및 판매비와관리비를 차감한 영업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연결회사는 동 회계정책의 변경을 적용하였으며, 비교 표시된 2012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3개월 보고기간의 요약 연결포괄손익계산서를 재작성하였습니다.

(2)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의 제정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당기부터 연결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111호 '공동약정'의 제정사항을 적용하여, 공동약정의 지분에 대한 회계정책을 변경하였습니다. 공동지배기업으로 분류되어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으로 회계처리하였던 울산아로마틱스 주식회사에 대한 투자금액을 공동약정에 따른 자산, 부채, 수익 및 비용 중 연결실체의 몫을 인식하는 회계처리로 변경하였습니다. 연결실체는 동 회계정책의 변경에 따른 공동기업투자의 분류 변경을 소급하여 적용하였으며, 비교 표시된 요약 연결재무상태표는 이러한 소급적용에 따른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재작성되었습니다. 이러한 회계정책 변경으로 인하여 전기말에 공동기업으로 분류되었던 울산아로마틱스 주식회사의 투자주식금액 119,888백만원은 건설중인자산으로 계정재분류되었습니다.

(3) 중단영업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5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연결회사는 전기에 증권사업, 위성DMB사업 등을 중단하였습니다. 연결회사는 동 사업부문 등의 중단으로 인한 손익을 중단영업손익으로 표시하였으며, 해당 회계적 효과를 반영하여 비교표시된 2012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3개월 보고기간의 요약 연결포괄손익계산서 및 요약 연결현금흐름표를 재작성하였습니다.

기타사항
본인은 2012년 12월 31일 현재의 연결재무상태표, 동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연결포괄손익계산서, 연결현금흐름표 및 연결자본변동표(이 검토보고서에는 첨부되지 않음)를 회계감사기준에 따라 감사하였고, 2013년 3월 13일의 감사보고서에서 적정의견을 표명하였습니다. 비교표시목적으로 첨부한 2012년 12월 31일 현재의 연결재무상태표는 요약 분기연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3에서 설명하고 있는 회계정책의 변경효과를 제외하고는 위의 감사받은 연결재무상태표와 중요성의 관점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다. 연결감사 의견

사 업 연 도 감사(또는 검토)의견 지적사항 등 요약
제52기 1분기 - 해당사항 없음
제51기 적정 해당사항 없음
제50기 적정 해당사항 없음


라. 특기사항 요약

사 업 연 도 특 기 사 항
제52기 1분기 해당사항 없음
제51기 해당사항 없음
제50기 해당사항 없음

2. 개별재무제표에 대한 감사인(공인회계사)의 감사의견 등

가. 감사인

제52기 1분기 제51기 연간 제50기 연간
삼정회계법인 삼정회계법인 삼정회계법인


나. 당해 사업연도의 분기감사(또는 검토)절차 요약

검토대상 재무제표

본인은 별첨된 SK주식회사의 요약 분기재무제표를 검토하였습니다. 동 요약 분기재무제표는 2013년 3월 31일 현재의 요약 재무상태표, 2013년과 2012년 3월 31일로 종료하는 3개월 보고기간의 요약 포괄손익계산서, 요약 자본변동표 및 요약 현금흐름표, 그리고 유의적 회계정책과 기타의 서술정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재무제표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경영자는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이 요약 분기재무제표를 작성하고 공정하게 표시할 책임이 있으며, 부정이나 오류에 의한 중요한 왜곡표시가 없는 요약 분기재무제표를 작성하는데 필요하다고 결정한 내부통제에 대해서도 책임이 있습니다.

감사인의 책임

본인의 책임은 상기 요약 분기재무제표에 대하여 검토를 실시하고 이를 근거로 이 요약 분기재무제표에 대하여 검토결과를 보고하는데 있습니다.
 

본인은 한국의 분ㆍ반기재무제표 검토준칙에 따라 검토를 실시하였습니다. 검토는 주로 회사의 재무 및 회계담당자에 대한 질문과 분석적 절차, 기타의 검토절차에 의해 수행됩니다. 또한 검토는 회계감사기준에 따라 수행되는 감사보다 그 범위가 제한적이므로 이러한 절차로는 감사인이 감사에서 파악되었을 모든 유의적인 문제를 알게 될 것이라는 확신을 얻을 수 없습니다. 따라서 본인은 감사의견을 표명하지 아니합니다.

검토의견

본인의 검토결과 상기 요약 분기재무제표가 한국채택국제회계기준 제1034호 '중간재무보고'에 따라 중요성의 관점에서 공정하게 표시하지 않은 사항이 발견되지 아니하였습니다.

강조사항
요약 분기재무제표 검토보고서 이용의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참고가 될 것이라고 판단되는 사항으로서 요약 분기재무제표에 대한 주석 3에서 설명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기 연차보고부터 회사는 기업회계기준서 제1001호 '재무제표 표시'의 개정사항을 적용하여, 영업수익에서 영업비용을 차감한 영업이익을 포괄손익계산서에서 구분하여 표시하고 있습니다. 회사는 동 회계정책의 변경을 적용하였으며, 비교 표시된 2012년 3월 31일로 종료되는 3개월 보고기간의 요약 포괄손익계산서를 재작성하였습니다.

기타사항
본인은 2012년 12월 31일 현재의 재무상태표, 동일로 종료하는 회계연도의 포괄손익계산서, 현금흐름표 및 자본변동표(이 검토보고서에는 첨부되지 않음)를 회계감사기준에 따라 감사하였고, 2013년 3월 13일의 감사보고서에서 적정의견을 표명하였습니다. 비교표시목적으로 첨부한 2012년 12월 31일 현재의 재무상태표는 위의 감사받은 재무상태표와 중요성의 관점에서 차이가 없습니다.

다. 감사 의견

사 업 연 도 감사(또는 검토)의견 지적사항 등 요약
제52기 1분기 - 해당사항 없음
제51기 적정 해당사항 없음
제50기 적정 해당사항 없음


라. 특기사항 요약

사 업 연 도 특 기 사 항
제52기 1분기 해당사항 없음
제51기 해당사항 없음
제50기 해당사항 없음


4. 최근 3사업연도의 외부감사인에게 지급한 보수 등에 관한 사항


가. 감사용역계약 체결현황

(단위 : 백만원)
사업연도 감사인 내  용 보수 총소요시간
제52기 1분기 삼정회계법인 분,반기 재무제표 검토
개별, 연결재무제표 감사
680 1,390
제51기 삼정회계법인 분,반기 재무제표 검토
개별, 연결재무제표 감사
630 9,960
제50기 삼정회계법인 분,반기 재무제표 검토
개별, 연결재무제표 감사
630 12,133

(*) 제52기 1분기 보수는 연간 금액임

나. 외부감사인과의 비감사용역계약 체결현황

  - 해당사항 없음


Ⅴ. 이사회 등 회사의 기관 및 계열회사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에 관한 사항


가. 이사회의 구성에 관한 사항

(1) 이사회의 권한 내용

구 분 주요내용
이사회
권한사항
1. 법령(상법, 공정거래법 등) 및 정관에서 이사회 권한으로 정한 사항

2. 회사의 주요의사결정 사항 (이사회규정 제8조)
   - 주주총회, 이사회 및 기타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사항
   - 투자 및 기획관리 사항
   - 회계 및 재무관리 사항
   - 인력 및 조직관리 사항
   - 기타 주요 경영사항


(2) 이사 후보의 인적사항에 관한 주총 전 공시여부 및 주주의 추천여부

구분 주요내용
주총전 공시여부 - 2013년 SK(주) 정기 주주총회에 앞서 이사후보자의 성명ㆍ약력ㆍ추천인 등
  관계법령에서 정하는 사항  [2013. 2. 28 공시]

주주 추천여부 -


(3) 이사진 구성

(2013년 3월 31일 기준)
구분 성 명 주 요 경 력 최대주주와의 관계 추천인
사내이사 최태원 - ㈜유공 상무이사
- SK㈜ 종합기획실장 부사장
- [現]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 [現] SKC&C㈜ 사내이사
- [現]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임원 이사회
조대식 - SK㈜ 사업지원부문장
- SK㈜ 사업지원팀장 겸 자율책임경영지원단장 겸
   LNG사업추진TF장
- SK㈜ 재무팀장 겸 자율책임경영지원단장
- [現] SK텔레콤 기타비상무이사
- [現] SK증권 기타비상무이사
- [現] SK China Company Limited (홍콩법인) Director (이사)
계열사 임원
사외이사 권오룡 - 대통령비서실 행정비서관  
- 행정자치부 제1차관  
-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  
- [現] ㈜스페코 사외이사
- [現]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위원장
없음 사외이사
후보추천
위원회
남상덕 -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국 국장
-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금융비서관
- 한국은행 감사
- [現] 중앙대 경제학과 객원교수
- [現] 금융투자협회 자율규제위원
없음
박세훈 - 동양글로벌 대표이사 부사장
- SK C&C㈜ 사외이사
- 리얼네트웍스 아시아퍼시픽 고문
없음
총 계 5인 (사외이사 3인)


(4) 이사회내의 위원회 구성현황

(2013년 3월 31일 기준)
위원회명 구성 성명 설치목적 및 권한사항
감사위원회 사외이사 3인 남상덕, 박세훈, 권오룡 사외이사 2/3 이상
(상법 제415조의2 충족)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사내이사 1인
사외이사 2인
조대식, 박세훈, 남상덕 사외이사 1/2 초과
(상법 제542조의8 충족)
투명경영위원회 사외이사 3인 권오룡, 남상덕, 박세훈 아래 참조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변경
  -  박세훈, 남상덕, 김영태 → 권오룡, 박세훈, 남상덕, 김영태  [2013.1.24]
  -  권오룡, 박세훈, 남상덕, 김영태 → 박세훈, 남상덕, 조대식  [2013.3.22]

○ 감사위원회 -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참조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① 설치목적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주주총회에서 선임할 사외이사후보를 추천하며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한다.
    ② 권한사항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규정 제6조 제2항)
        1) 사외이사후보의 추천
        2) 이사활동 평가 및 활용 방안 검토
        3) 기타 사외이사후보 추천을 위하여 필요한 사항 및 이사회에서 위임한 사항


○ 투명경영위원회
     ① 설치목적
         투명경영위원회는 계열회사간 내부거래 투명성 및 윤리경영 추진 등에 대한
         검토를 목적으로 한다.
     ② 권한사항 (전문위원회규정 제6조)
         1)『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및 『상법』에서 이사회 승인
             사항으로 정한 특수관계인간 거래
         2) 사회공헌 및 윤리경영 추진 방안
         3) 공정거래자율준수 프로그램의 이행점검

나. 이사회의 운영에 관한 사항
(1) 이사회 운영규정의 주요내용

구  분 주  요  내  용
권한사항 1. 이사회 결의사항 (제8조)
   - 주주총회, 이사회 및 기타 경영지배구조에 관한 사항
   - 투자 및 기획관리 사항
   - 회계 및 재무관리 사항
   - 인력 및 조직관리 사항
   - 기타 주요 경영사항
2. 이사회에 대한 보고사항 (제10조)
운영절차 1. 법령과 정관에서 정한 소집절차 수행 (제5조, 제6조)
2. 토론을 통한 실질적인 심의 진행
3. 안건에 대한 적기 자료 배부
4. 필요시 임직원/외부인사 의견청취 (제9조)
5. 매월 정기 이사회 개최
권한위임사항 1. 이사회 결의 이외의 사항에 대한 대표이사 위임(제10조)
2. 위원회에 대한 위임 (제8조, 제12조)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
이사회는 안건심의와 관련하여 필요할 경우 이사회의 구성원이 아닌 임직원, 외부인사 등을 출석시켜 안건에 대한 설명이나 의견을 청취할 수 있다. (이사회규정 제9조)
※ 사외이사의 업무지원 조직: 법무담당 (담당자 : 이명헌PL ☎ 02-2121-5792)

(2) 이사회의 주요활동 내역

회 차 개최일자 의 안 내 용 가결여부 사외이사의 성명
권오룡
 (출석률: 100%)
남상덕
 (출석률: 100%)
박세훈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13.2.5 [의결안건]
1.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규정 개정
2.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선임
3. 제51기(2012년도) 재무제표 승인
4. 제51기(2012년도) 영업보고서 승인
[보고안건]
1. HC 조직개편/임원인사

가결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2 2013.2.28 [의결안건]
1. 제51차 정기주총 소집 및 부의안건 채택
2. 공정거래 자율준수관리자 선임
3. 준법지원인 선임
[보고안건]
1. '12년 준법지원활동 결과 및 '13년 계획
2. 201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3. CP '12년 운영실적/ '13년 운영계획
4. 이사회 의결사항 집행결과 및 위원회 활동실적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2013.3.22 [의결안건]
1. 대표이사 선임
2. 위원회 위원 선임
3. 2013년 단기경영계획
4. 2013년 회사채 발행 위임
5. 금융계열사와의 2분기 거래한도 설정
[보고안건]
1. 201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결과
2. 2012년 투자회사 경영실적
3. 이사회 의결사항 집행결과 및 위원회 활동실적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4 2013.4.29 [의결안건]
1. SUPEX추구협의회 및 사무국 운영비용에 관한 합의서 체결
2. 2013년 협의회 운영비용 분담 및 정산 관련 대규모 내부거래 승인
3. SK이노베이션(주)와의 부동산 전대차 계약 변경
4. SK C&C(주)와의 부동산 전대차계약 체결
5. IT업무 관련 당사와 SK C&C 및 그 자회사간의 거래 승인
[보고안건]
1. 2013년 1분기 경영실적
2. 이사회 의결사항 집행결과 및 위원회 활동실적

가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이사회에서의 사외이사의 주요활동 내역                            ※ (  )안은 총 사외이사 수

회 차 개최일자 사외이사 참석인원 비 고
1 2013.2.5 3(3) -
2 2013.2.28 3(3) -
3 2013.3.22 3(3) -
4 2013.4.29 3(3) -


(4) 이사회내의 위원회 활동내역

○ 감사위원회
 -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참조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사외이사의 성명
권오룡
(출석률:100%)
박세훈
(출석률:67%)
남상덕
(출석률:67%)
찬 반 여 부
2013.2.25 1. 위원장 선임 (의결)
2. 사외이사 후보 (검토)
가결
-
찬성
-
찬성
-
찬성
-
2013.2.25 1. 사외이사 후보 추천 (의결) 가결 찬성 찬성 불참
2013.2.25 1. 사외이사 후보 추천 (의결) 가결 찬성 불참 찬성

※ 2013.2.25 사외이사 후보 추천 의결시, 재선임 대상 사외이사 (박세훈, 남상덕)는
    본인 추천 안건이 진행된 회차에 불참

▶ 사외이사후보추천위원회 위원 변경
  - 박세훈, 남상덕, 김영태 → 권오룡, 박세훈, 남상덕, 김영태  [2013.1.24]
  - 권오룡, 박세훈, 남상덕, 김영태 → 박세훈, 남상덕, 조대식 [2013.3.22]


○ 투명경영위원회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사외이사의 성명
권오룡
 (출석률: 100%)
남상덕
 (출석률: 100%)
박세훈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2013.2.25 1. CP '12년 운영실적/'13년 운영계획 - - - -
2013.4.29 1. 투명경영위원회 위원장 선입 (의결)
2. 2013년 협의회 운영비용 분담 및 정산 관련 대규모 내부거래 승인 (사전검토)
3. SK이노베이션(주)와의 부동산 전대차 계약 변경 (사전검토)
4. IT업무 관련 당사와 SK C&C(주) 및 그 자회사간의 거래 승인 (사전검토)
가결



찬성



찬성



찬성



※ 사외이사의 출석률은 해당 사업연도중 개최된 위원회 총 횟수에 대한 개인별 참석비



2. 감사제도에 관한 사항


가. 감사기구 관련 사항
(1) 감사위원회(감사) 설치여부, 구성방법 등

설치여부 구성방법 비 고
O 3인(전원 사외이사) 회사의 업무감사 및 회계감사 수행


① 감사위원회의 목적
    감사위원회는 법령 및 정관 또는 이사회규정에 따라 회사의 회계와 업무를 감사
    하고 이사회가 위임한 사항을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② 감사위원회의 권한사항 (감사위원회규정 제6조 제2항)
    1. 임시주주총회의 소집청구
    2. 이사의 위법행위에 대한 유지청구
    3. 이사에 대한 영업보고 요구
    4. 이사와 회사간의 소에 관한 대표
    5. 회사에 현저하게 손해를 미칠 염려가 있는 사실에 관한 이사의 보고 수령
    6. 업무ㆍ재산 상태조사
    7. 직무수행을 위한 자회사에 대한 영업보고 요구
    8. 외부감사인의 선임ㆍ변경ㆍ해임에 대한 승인
    9.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수령 및 평가
   10. 연간 내부 감사계획 및 감사결과 검토
   11. 기타 법령, 정관 또는 이사회규정에서 정한 사항 및 이사회에서 위임 받은 사항


③ 감사위원회의 의무사항 (감사위원회규정 제6조 제3항)
    1. 감사보고서의 작성ㆍ제출
    2. 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에 대한 조사
    3. 전기감사인의 의견진술 청취
    4. 이사의 법령/정관 위반행위 보고
    5.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 보고
    6. 기타 법령, 정관 또는 이사회규정에서 정한 사항

(2) 감사위원회(감사)의 감사업무에 필요한 경영정보접근을 위한 내부장치 마련 여부

 ○ 감사위원회규정 제7조 (관계인의 의견청취)
    ① 위원회는 업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관련 임직원 및 외부감사인을 출석
        하도록 하여 관련자료의 제출 또는 의견 진술을 요청할 수 있다.
    ② 위원회는 필요할 경우 위원회의 결의로써 회사의 비용으로 전문가 등에게
        자문을 구할 수 있다.

(3) 감사위원회(감사)의 인적사항

성  명 주 요 경 력 비 고
남상덕 - 서울대학교 경제학 학사
- 미국 위스콘신대 대학원 공공정책학 석사
- 중앙대학교 정경대학 경제학과 경제학 박사
- 금융감독위원회 감독정책국 국장
- 대통령비서실 경제수석실 금융비서관
- 한국은행 감사
- [現] 중앙대 경제학과 객원교수
- [現] 금융투자협회 자율규제위원
대표위원
권오룡 - 대통령비서실 행정비서관  
- 행정자치부 제1차관  
-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
- [現] ㈜스페코 사외이사
- [現] 지방분권촉진위원회 위원장
-
박세훈 - 서울대 무역학 학사
- 동양글로벌 대표이사 부사장
- SK C&C㈜ 사외이사
- 리얼네트웍스 아시아퍼시픽 고문
-
총 계 3 인 -

나. 감사위원회(감사)의 주요활동내역

회차 개최일자 의안내용 가결
여부
감사위원의 성명
남상덕
 (출석률: 100%)
박세훈
 (출석률: 100%)
권오룡
 (출석률: 100%)
찬 반 여 부
1 2013.2.25 1. 201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보고)



2 2013.3.12 1. 2013년 외부감사인 보수 (의결)
2. 2012년 확정실적 (보고)
3. 2012년 재무제표 외부감사결과 (보고)
4. 201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외부감사인 검토결과 (보고)
5. 2012년 투자회사 경영실적 (보고)
가결




찬성




찬성




찬성




3 2013.3.15 1. 제51차 정기주주총회 의안 및 서류 조사의견 확정 (의결)
2. 2012년 내부감시장치 가동현황 평가의견서 확정 (의결)
3. 2012년 내부회계관리제도 운영실태 평가보고서 확정 (의결)
4. 감사보고서 확정 (의결)
가결
가결
가결
가결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찬성



3. 주주의 의결권 행사에 관한 사항


가. 집중투표제의 채택여부

- 해당사항 없음


나. 서면투표제 또는 전자투표제의 채택여부

- 해당사항 없음

다. 소수주주권의 행사여부
- 해당사항 없음

라. 경영권 경쟁
- 해당사항 없음


4. 계열회사 등의 현황


가. 계열회사의 현황
(1) 기업집단의 개요

    - 명 칭 :  SK계열


(2) 관련법령상의 규제내용 등

  1)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上 상호출자제한 및 채무보증제한기업집단     ○ 지정시기 : 1987년      
     ○ 규제내용 요약      
       - 기업결합의 제한
       - 상호출자의 금지 및 계열사 채무보증 금지 등
       - 대규모내부거래 이사회 결의 및 공시
       - 기업집단 현황 공시 등

   2) "은행법"上 동일인 및 동일차주 신용공여한도 관리 대상 기업집단
     ○ 규제내용 요약
       - 동일인 신용공여한도 : 금융기관 자기자본의 20%
       - 동일차주 신용공여한도 : 금융기관 자기자본의 25%

   3) "은행감독규정"上 주채권은행 선정 대상 기업집단
     ○ 규제내용 요약
       - 주채권은행 지정

(3) 관계회사간 출자현황

[2013년 3월 31일 기준]
(보통주 기준)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SK(주)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텔레콤 SK네트웍스 SKC SK건설 SK해운 SK증권
SK(주)   33.4%     25.2% 39.1% 42.5% 40.0% 83.1%  
SK이노베이션     100.0% 100.0%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SK텔레콤                    
SK케미칼           0.02%   25.4%    
SKC                    
SK건설                    
SK가스                    
SK C&C 31.8%                  10.0%
SK E&S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SK해운                    
SK플래닛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계열사 계 31.8% 33.4% 100.0% 100.0% 25.2% 39.2% 42.5% 65.4% 83.1% 10.0%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SK E&S SK가스 대한송유관 충청에너지서비스 영남에너지서비스 코원에너지서비스 에스케이
 사이텍
SK텔링크 부산도시가스 전남도시가스
SK(주) 94.1%                  
SK이노베이션     41.0%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SK텔레콤               83.5%    
SK케미칼   45.5%         50.0%      
SKC                    
SK건설                    
SK가스                    
SK C&C 5.9%                  
SK E&S       100.0% 100.0% 99.7%     40.0% 100.0%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SK해운                    
SK플래닛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10.0%                
계열사 계 100.0% 55.5% 41.0% 100.0% 100.0% 99.5% 50.0% 83.5% 40.0% 100.0%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강원도시가스 전북에너지서비스 엠앤서비스 SK와이번스 인포섹 행복나래 SK텔레시스 엔카네트워크 에프앤유신용정보 하남에너지
서비스
SK(주)                  
SK이노베이션           42.5%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SK텔레콤       100.0%   42.5%     50.0%
SK케미칼                  
SKC             50.0%    
SK건설                  
SK가스           5.0%      
SK C&C         100.0% 5.0%   100.0%  
SK E&S 100.0% 100.0%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SK해운                  
SK플래닛      100.0%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100.0%
SK신텍









계열사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95.0% 50.0% 100.0% 50.0% 100.0%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SK디앤디 내트럭 로엔
엔터테인먼트
스피드모터스 SK모바일
 에너지
SK유화 SK커뮤니케이션즈 SK플래닛 SKC에어가스 SK네트웍스
 서비스
SK(주)                    
SK이노베이션         100.0%          
SK에너지   100.0%                
SK종합화학           100.0%        
SK네트웍스       100.0%           86.5%
SK텔레콤               100.0%    
SK케미칼                    
SKC                 80.0%  
SK건설 40.4%                  
SK가스                    
SK C&C                    
SK E&S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SK해운                    
SK플래닛     67.6%       64.6%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계열사 계 40.4% 100.0% 67.6% 100.0% 100.0% 100.0% 64.6% 100.0% 80.0% 86.5%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커머스플래닛 리얼베스트 SKC솔믹스 SK브로드밴드 엘씨앤씨 피엠피 PS&마케팅 유비케어 평택에너지서비스 위례에너지서비스
SK(주)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79.6%          
SK텔레콤       50.6%     100.0%    
SK케미칼               44.0%    
SKC     46.3%              
SK건설   100.0%                
SK가스                    
SK C&C                    
SK E&S           100.0%     100.0% 71.0%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SK해운                    
SK플래닛 100.0%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계열사 계 100.0% 100.0% 46.3% 50.6% 79.6% 100.0% 100.0% 44.0% 100.0% 71.0%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제주유나이티드 FC MKS개런티 SK임업 SK루브리컨츠 매드스마트 비젠 SK하이이엔지 SK하이스텍 실리콘화일 아미파워
SK(주)     100.0%  

       
SK이노베이션       100.0%

       
SK에너지 100.0%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SK텔레콤        

       
SK케미칼        

       
SKC        

       
SK건설    
 

       
SK가스        

       
SK C&C        
99.0%        
SK E&S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100.0%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SK해운        

       
SK플래닛         100.0%
       
SK하이닉스        

100.0% 100.0% 27.9% 100.0%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계열사 계 100.0% 100.0% 100.0% 100.0% 100.0% 99.0% 100.0% 100.0% 27.9% 100.0%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SK신텍 대전맑은물 광주맑은물 에스케이더블유 텔레비전미디어코리아 네트웍오앤에스 서비스에이스 서비스탑 SK핀크스 유베이스메뉴팩처링아시아
SK(주)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종합화학                    
SK네트웍스                 100.0%  
SK텔레콤           100.0% 100.0% 100.0%    
SK케미칼 100.0%                  
SKC       65.0%            
SK건설   32.0% 42.0%              
SK가스                    
SK C&C                    
SK E&S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SK루브리컨츠                   100.0%
SK해운                    
SK플래닛         51.0%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계열사 계 100.0% 32.0% 42.0% 65.0% 51.0% 100.0% 100.0% 100.0% 100.0% 100.0%

        \피투자회사
투자회사              
SK에스엠 울산아로마틱스 SK바이오팜 SK하이닉스 SKC라이팅 김천에너지 SK컨티넨탈이모션코리아
SK(주)     100.0%      
SK이노베이션            
SK에너지            
SK종합화학   50.0%        
SK네트웍스            
SK텔레콤       21.1%    
SK케미칼            
SKC         72.2%  
SK건설            
SK가스            
SK C&C            
SK E&S           50.0%
SK커뮤니케이션즈            
SK브로드밴드            
SK D&D            
SK-컨티넨탈이모션





100.0%
SK루브리컨츠            
SK해운 100.0%          
SK플래닛            
SK하이닉스            
코원에너지서비스            
SK신텍






계열사 계 100.0% 50.0% 100.0% 21.1% 72.2% 50.0% 100.0%

(*) 사명 변경 : 코원에너지서비스㈜ (舊 대한도시가스㈜), 울산아로마틱스㈜ (舊 아로케미㈜),
                     행복나래㈜ (舊 엠알오코리아㈜), 비젠㈜ (舊 텔스크㈜),
                     SK하이스텍㈜ (舊 ㈜하이스텍), 에스케이하이이엔지㈜ (舊 ㈜하이닉스엔지니어링)

타법인출자 현황

(기준일 : 2013년 0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주, %)
법인명 최초취득일자 출자
목적
최초취득금액 기초잔액 증가(감소) 기말잔액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취득(처분) 평가
손익
수량 지분율 장부
가액
총자산 당기
순손익
수량 금액
SK이노베이션㈜ (상장) 2007.07.01 경영참가 3,469,305 30,883,788 32.96% 3,944,657 -   -     - 30,883,788 32.96% 3,944,657 15,303,735 953,729
SK텔레콤㈜ (상장) 1994.03.31 경영참가 374,865 20,363,452 25.22% 3,091,125    -      -     - 20,363,452 25.22% 3,091,125 22,249,502 1,242,767
SK네트웍스㈜ (상장) 2003.10.27 경영참가 850,000 97,142,856 39.12% 1,165,759    -   -     - 97,142,856 39.12% 1,165,759 9,854,995 -85,792
SK건설㈜ (비상장) 2009.06.30 경영참가 212 9,456,178 40.02% 485,171    -   -     - 9,456,178 40.02% 485,171 4,870,809 9,033
SK E&S㈜ (비상장) 1999.01.13 경영참가 171,148 39,311,790 94.13% 1,026,307    -   -     - 39,311,790 94.13% 1,026,307 2,688,011   547,902
SK해운㈜ (비상장) 1982.01.28 경영참가 75 103,802,105 83.08% 607,643    -   -     - 103,802,105 83.08% 607,643 4,160,935 -60,822
SKC㈜ (상장) 1987.01.01 경영참가 2,500 15,390,000 42.50% 254,632    -   -     - 15,390,000 42.50% 254,632 2,533,920     80,997
SKY Property Management Limited (비상장) 2008.09.30 경영참가 21,959 1,915 5.00% 22,328    -   -     - 1,915 5.00% 22,328 773,413     10,390
SK GI Management (비상장) 2009.06.19 경영참가 4,037 39,038 100.00% 9,523    -   -     - 39,038 100.00% 9,523 11,898 -357
SK China Company, Ltd (비상장) 2010.07.31 경영참가 1,905 4,805,175 64.20% 235,212     -   -     - 4,805,175 64.20% 235,212 400,138         111
Springvale SK KORES Pty, Ltd (비상장) 2010.08.03 -         - 1 0.00%  -    -   -     - 1 0.00%  - 415,373     18,904
SK바이오팜㈜ (비상장) 2011.04.01 경영참가 228,702 40,000,000 100.00% 228,702    -   -     - 40,000,000 100.00% 228,702 199,561 -33,588
SK Industrial Development China Co., Ltd. (비상장) 2011.11.07 경영참가 29,554 26,054,414 12.50% 29,554    -   -     - 26,054,414 12.50% 29,554 317,497 -10,638
다올랜드칩 사모부동산 투자신탁33호 (비상장) 2011.03.25 - 40,000 40,000,000,000 13.51% 40,000    -   -     - 40,000,000,000 13.51% 40,000 583,495      4,596
SK MENA Investment B.V, (비상장) 2012.02.01 - 5,178 3,518,777 11.54% 5,178    -   -     - 3,518,777 11.54% 5,178 41,844         55
SK Latin Americas Investment S.A (비상장) 2012.04.30 - 5,135 3,401,617 11.54% 5,135    -   -     - 3,401,617 11.54% 5,135 41,869         90
Gemini Partners Pte. Ltd (비상장) 2012.07.27 - 1,575 7,000,000 20.00% 6,108    -   -     - 7,000,000 20.00% 6,108 28,468 -8,542
SK임업㈜ (비상장) 2012.06.29 경영참가 60,200 4,000,000 100.00% 61,387    -   -     - 4,000,000 100.00% 61,387 71,322       800
Prostar Global Natural Resources Fund I L.P. (비상장) 2012.11.08 - 134 - 12.38% 134    - 167     - - 12.38% 301 807 -1,128
Prostar Global Energy Infrastructure Fund I L.P. (비상장) 2012.11.08 - 27,177 - 24.75% 27,177 - -     - - 24.75% 27,177 107,822 -932
합 계 - - 11,245,732 - 167 - - - 11,245,899 60,494,479 2,003,730
주1) 최초취득일자 및 최초취득금액은 지분율에 관계없이 최초 최득시점과 장부가액으로 표시하였습니다.
주2) 지분율은 보통주 및 우선주를 합산하여 산정되었습니다.
주3) '최근사업연도 재무현황' 수치는 2012년 사업연도 말 재무현황 수치입니다.

Ⅵ. 주주에 관한 사항


최대주주 및 특수관계인의 주식소유 현황

(기준일 : 2013년 05월 21일 ) (단위 : 주, %)
성 명 관 계 주식의
종류
소유주식수 및 지분율 비고
기 초 기 말
주식수 지분율 주식수 지분율
SK C&C(주) 최대주주 보통주 14,944,432 31.82 14,944,432 31.82 -
최태원 특수관계인 보통주 10,000 0.02 10,000 0.02 -
노소영 특수관계인 보통주 19,054 0.04 19,054 0.04 -
최신원 특수관계인 보통주 500 0.00 500 0.00 -
김영태 특수관계인 보통주 2,398 0.01 0 0 -
보통주 14,976,384 31.89 14,973,986 31.88 -
기타 0 0 0 0 -
최대주주명 : SK C&C(주) 특수관계인의 수 : 3

※ 특수관계인 변동 : 김영태 (제외)  [2013.3.22 일부]

○ 최대주주 개요

에스케이씨앤씨㈜는 1991년 4월 설립되었으며, 공공/금융/통신 및 제조/서비스 산업의 시스템통합(SI) 및 IT 아웃소싱(Outsourcing) 서비스 등 종합 IT 서비스업을 영위하며  IT서비스 시장의 Leading Player로 자리매김 하고 있습니다.

1998년 국내 최초로 IT 아웃소싱 서비스 체제를 도입하여 자산/구매 통합을 통한 시너지 제고, 통합 데이타센터 구축/운영, SLA(Service Level Agreement) 체계 적용 등을 통해 비용 및 품질 측면에서 고객에게 수준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Outsourcing 시장의 Top Player로 성장했으며, 다양한 산업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글로벌 및 신성장 사업 등 신규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있습니다. 글로벌 사업은 자기완결적 조직을 신설하여 관련역량을 집중시키는 한편, 이를 통해 본사와 글로벌 지역 거점간 더욱 강화된 통합 운영환경을 구축하여, Target 지역인 MENA, CIS, 중국, 동남아, 중남미 등에서 사업성과 창출을 가속화할 것입니다.

m-Commerce 사업은 미국 시장에서의 고객 기반을 더욱 확대하는 동시에, 중국, 동남아, 유럽 등에서 대형 고객을 신규로 발굴할 것입니다. 세계적 수준의 기술력으로 EMV 규격 인증까지 받은 Smart Card 사업도 m-Commerce와의 융합형 모델로 고도화하여 기존 m-Commerce 고객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 시장 진출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습니다. 또한 엔카는 신규 사업모델과 해외사업 확대를 계속 추진해 나갈 것입니다.


- 주요 사업영역

구 분   사업 내용  
IT서비스 시스템통합 및IT 아웃소싱 서비스 등 종합IT 서비스
보안서비스 보안솔루션 공급 및 보안관련 서비스업
콘텐츠 및 기타 게임소프트웨어 콘텐츠 개발을 포함한 기타사업
유통 자동차 매매, 관리, 대여 및 등록대행업


주식 소유현황

(기준일 : 2013년 05월 21일 ) (단위 : 주)
구분 주주명 소유주식수 지분율 비고
5% 이상 주주 SK C&C(주) 14,944,432 31.82 -
국민연금기금 2,393,183 5.10 -
우리사주조합 - - -


소액주주현황

(기준일 : 2012년 12월 31일 ) (단위 : 주)
구 분 주주 보유주식 비 고
주주수 비율 주식수 비율
소액주주 36,791 99.99% 22,635,887 48.20% -


○ 주식사무

정관상
신주인수권의 내용

제 8 조 (신주인수권)

(1) 회사의 주주는 소유주식의 비율에 따라 신주의 배정을 받을 권리가 있다. 다만, 다음 각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신주배정방법 기타 발행사항의 결정은 이사회의 결의에 의한다.

1. 신주인수권자가 그 권리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포기하거나 상실한 경우

2. 신주배정시 단주가 발생한 경우

3.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우리사주조합원」에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4.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로 인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제1항 본문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다음 각호의 경우에는 이사회의 결의로 발행할 주식의 종류와 수, 발행가격 등을 정하여 주주 이외의 자에게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다만, 제1호 내지 제3호에 대한 신주 배정은 각호의 배정비율을 합하여 발행주식총수의 30%를 초과하지 못한다.

1. 신기술 도입, 공동연구개발, 생산 및 마케팅 제휴를 위해 그 제휴회사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2. 외국인투자촉진법에 의한 외국인 투자를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3. 자금조달을 위하여 국내/외 금융기관 등에게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4. 회사의 임원 또는 종업원에게 발행주식총수의 15% 이내에서 신주를 배정하는 경우

5. 관련법령의 규정에 의하여 일반공모방식으로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6. 관련법령의 규정에 따른 주식예탁증서(DR)의 발행을 위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7. 기타 재무구조의 개선 등 경영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사회가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3) 회사가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의 자회사의 주식을 추가로 취득하기 위하여 또는 다른 회사를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상의 자회사로 만들기 위하여 당해 회사의 주식을 취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 및 기타 금전 이외의 재산을 취득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회사는 당해 주식 또는 기타 재산을 현물출자 받기 위하여 당해 주식 또는 기타 재산을 소유한 자에게 이사회 결의에 의하여 신주를 배정할 수 있다.
(4) 회사가 유상증자나 무상증자 또는 주식매수선택권의 행사나 주식배당에 의하여 신주를 발행하는 경우, 신주에 대한 이익의 배당에 관하여는 신주를 발행한 때가 속하는 사업년도의 직전 사업년도 말에 발행된 것으로 본다.
(5) 회사가 유상증자, 무상증자, 주식배당을 하는 경우, 보통주식에 대하여는 보통주식을 종류주식에 대하여는 동일한 조건의 종류주식을 각 소유주식 비율에 따라 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다만, 회사는 필요에 따라 유상증자나 주식배당시 한가지 종류의 주식만을 발행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모든 주주는 그 발행되는 주식에 대하여 배정 또는 배당을 받을 권리를 갖는다.

결 산 일 12월 31일 정기주주총회 매회계연도 종료후 3월 이내
주주명부폐쇄시기 1월 1일부터 1월 31일까지
주권의 종류 1.  5.  10.  50.  100.  500.  1,000.  10,000 주권 (8종)
명의개서대리인 하나은행 증권대행부
주주의 특전 없음 공고게재 당사 홈페이지(www.sk.co.kr)
또는 서울신문

○ 최근 6개월 간의 주가 및 주식 거래 실적

가. 국내증권시장

(단위 :원, 천주)
구분 '12. 10월 '12. 11월 '12. 12월 '13. 1월 '13. 2월 '13. 3월
보통주 주가 최고 156,000 186,500 184,000 188,500 180,500 174,500
최저 146,500 154,000 167,000 170,000 171,500 161,500
평균 150,738 172,318 175,500 178,023 176,105 168,400
거래량 최고 294 552 579 718 170 175
최저 66 92 77 78 57 54
월간 2,712 5,005 3,306 3,926 1,966 2,073
우선주 주가 최고 46,900 50,000 50,500 51,200 50,900 55,000
최저 46,000 46,100 49,500 49,500 50,000 50,000
평균 46,417 48,386 50,086 50,645 50,521 52,595
거래량 최고 5 22 40 3 7 2
최저 0 0 0 0 0 0
월간 6 43 77 7 17 16

※ 최고, 최저 주가는 종가 기준임.

나. 해외증권시장
 - 해당사항 없음

Ⅶ. 임원 및 직원 등에 관한 사항


1. 임원 및 직원의 현황


임원 현황

(기준일 : 2013년 05월 21일 ) (단위 : 주)
성명 출생년월 직위 등기임원
여부
상근
여부
담당
업무
주요경력 소유주식수 재직기간 임기
만료일
보통주 우선주
최태원 1960년 12월 회장 등기임원 상근 대표이사/회장 - 미국 시카고대 경제학 박사수료
- SK이노베이션 대표이사
10,000 - 5년 9개월 -
최재원 1963년 05월 수석부회장 미등기임원 상근 수석부회장 - Harvard 대학원 경영학 석사
- SK E&S 대표이사
- - 4년 1개월 -
김재열 1946년 05월 부회장 미등기임원 상근 동반성장위원회
 위원장
- 고려대학교 철학 박사
-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 - 1년 7개월 -
조대식 1960년 11월 사장 등기임원 상근 대표이사/사장 - Clark University MBA  
- SK㈜ 사업지원부문장
- - 5년 5개월 -
김영태 1955년 11월 위원장 미등기임원 상근 Comm.위원회 위원장 - 서강대 경영학
- SK에너지 울산CLX부문장
2,398 - 3년 3개월 -
권오룡 1952년 06월 사외이사 등기임원 비상근 사외이사 - 오클라호마대 대학원 행정학 석사
- 중앙인사위원회 위원장 (장관급)
- - 4년 1개월 -
남상덕 1951년 01월 사외이사 등기임원 비상근 사외이사 - 중앙대 경제학 박사
- 중앙대 경제학과 객원교수
- - 3년 1개월 -
박세훈 1948년 11월 사외이사 등기임원 비상근 사외이사 - 서울대 무역학
- 동양글로벌 대표이사
- - 5년 9개월 -
장진원 1959년 09월 전문연구
위원
미등기임원 상근 SKMS연구소
 전문연구위원
- 일리노이공과대학원 재무관리 석사
- SK㈜ 재무부문장
- - 5년 9개월 -
조경목 1964년 01월 팀장 미등기임원 상근 재무팀장 - 서울대학교 경영학
- SK텔레콤 재무그룹장
- - 4년 3개월 -
김준 1961년 07월 팀장 미등기임원 상근 Portfolio Management 팀장 - 서울대학원 경영학 석사
- SK네트웍스 S-Movilion본부장
- - 4년 3개월 -
박성하 1965년 01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Portfolio Management팀
임원
- MIT 경영학 석사
- SK텔레콤 사업개발전략본부장
- - 2개월 -
박원철 1967년 08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Investment M&A Advisory팀 임원 - Chicago대 MBA 석사
- SK㈜ Global사업개발팀 임원
- - 2개월 -
이규봉 1966년 01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SKMS담당 임원 - Pennsylvania대 MBA 석사
- SK해운 가스선영업본부장
- - 1년 3개월 -
심우용 1960년 04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재무팀 임원 - 부산대학원 경영학 석사수료
- SK㈜ 재무담당
- - 4년 3개월 -
최영찬 1965년 06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비서실 임원 - 서울대 경영학 석사
- SK텔레콤 기업사업전략본부장
- - 1년 8개월 -
장용호 1964년 04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Portfolio Management 임원 - 서울대 경제학  
- SK㈜ 사업지원1실 팀장
- - 2년 3개월 -
이병래 1969년 05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법무팀 임원
겸 이사회사무국장
- U.C. BERKELEY대 법학 석사
- 법무법인지평지성 변호사
- - 2년 3개월 -
윤익상 1968년 01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재무팀 임원 - Chicago대 MBA
- Barclays Capital(서울), Director
- - 1년 1개월 -
노찬규 1965년 07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Brand담당 임원 - 고려대 영어영문학 학사
- SK㈜ Communicaion팀 팀장
- - 2개월 -
이한영 1966년 05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HR담당 임원 - United Kingdom UMIST 인사관리 석사
- SK㈜ P&C팀 Global HR담당
- - 2개월 -
이성형 1965년 12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재무팀 임원 - 연세대 경영학 학사
- SK㈜ 재무팀 팀장
- - 2개월 -
오종훈 1968년 01월 임원 미등기임원 상근 Portfolio Management팀
임원
- 연세대 법학 학사
- SK㈜ 사업지원팀 팀장
34 - 2개월 -

(주1) 재직기간은 SK(주) 임원으로의 재직기간을 의미하며, 당사가 인적분할한 2007.7.1일 이후 기준임.
(주2) 등기이사의 임기만료일
        - 최태원 대표이사 : 2014년 3월 정기주총까지
        - 권오룡 사외이사 : 2015년 3월 정기주총까지
        - 조대식 대표이사, 박세훈 사외이사, 남상덕 사외이사 : 2016년 3월 정기주총까지

[2013. 3. 31 현재 타사 겸직임명 사항]  
[등기임원 기준]
구 분 겸직현황
성명 직책 회사명 직책 선임시기
최태원 회장 / 대표이사 SK이노베이션(주)
SK C&C(주)
SK하이닉스(주)
대표이사
사내이사
대표이사
2011년 3월
2013년 3월
2012년 2월
조대식 사장 / 대표이사 SK텔레콤(주)
SK증권(주)
SK China Company Limited (홍콩법인)
기타비상무이사
기타비상무이사
Director(이사)
2013년 3월
2010년 5월
2012년 7월
권오룡 사외이사 (주)스페코 사외이사 2011년 3월


직원 현황

(기준일 : 2013년 0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사업부문 성별 직 원 수 평 균
근속연수
연간급여
총 액
1인평균
급여액
비고
정규직 계약직 기 타 합 계
SK(주) 86 2 - 88 10.57 4,170 47 -
SK(주) 30 4 - 34 5.55 914 27 -
합 계 116 6 - 122 9.29 5,085 42 -

※ 연간급여총액은 당분기 급여 총액으로 관할세무서에 제출하는 근로소득지급명세서의 근로소득 기준임



2. 임원의 보수 등


1. 주총승인금액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주총승인금액 비고
등기이사 5 12,000 -


2. 지급금액


(단위 : 백만원)
구 분 인원수 지급총액 1인당 평균 지급액 주식매수선택권의 공정가치 총액 비고
등기이사 2 501 251 - -
사외이사 - - - - -
감사위원회 위원 또는 감사 3 52 17 - -
5 553 111 - -

※ 당사 사외이사 3명은 전원 감사위원회 위원임
※ 지급총액 및 1인당 평균 지급액은 당분기 총액 기준임

Ⅷ.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1. 최대주주등과의 거래내용


가. 대주주 등에 대한 신용공여등의 내역

  - 해당사항 없음

나. 대주주와의 자산양수도

(1) 주식거래

   - 해당사항 없음
(2) 부동산거래
     - 해당사항 없음

다. 대주주와의 영업거래
(1) 장기 공급 계약

계약 계약기간 계약대상 사용료 수취기준 수취시기 비고
SK브랜드
사용계약
2012.1.1 ~
2014.12.31
SK 브랜드를 사용하는 모든 국내 계열사 및 합작법인 - 기본요율 : 직전 사업연도 매출액에서 광고선전비를                  제외한 금액의 0.2%  
- SK 브랜드의 사용 형태에 따라 차등요율 적용
2012.1월부터
월 단위 수취
상세 내역은 2011.10.31일
"기타 주요경영사항" 공시 참조
SK브랜드
사용계약
2012.3.26 ~
2014.12.31
SK 브랜드를 사용하는
 SK하이닉스
- 직전 사업연도 매출액에서 광고선전비를 제외한
   금액의 0.2% (최초 1년간은 0.1% 적용)
계약 후
월 단위 수령
상세 내역은 2012.5.2일 "특수관계인과의내부거래" 공시 참조
부동산임대 2012.6.20 ~
2016.3.28
SK이노베이션
(부동산 전대차 거래)
- 연간 임대료 : 328억, 보증금 총액 : 53억 계약 후
월 단위 수령
상세 내역은 2013.4.29일 "특수관계인으로부터 부동산임대" 공시 참조


라. 대주주와의 기타거래

계약 계약기간 계약대상 금액 산정 기준 지급시기 비고
SUPEX
추구협의회
운영비용 분담
2013.4.29 ~
2014.3.31
SK이노베이션 - SUPEX 추구협의회 비용을 참여사별 매출액
   기준으로 분담
   (간사 회사인 SK이노베이션과 정산)
2012.4월부터
월 단위 정산
상세 내역은 2013.4.29일
"특수관계인과의 내부거래" 공시
 참조


마. 특수관계자와의 거래
타 특수관계자와의 주요거래내역, 채권채무잔액 및 주요 경영진 보상 내역 등은
첨부된 검토보고
"주석 17. 특수관계자" 등을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2. 주주(최대주주 등 제외)ㆍ임원ㆍ직원 및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거래내용

  - 해당사항 없음

Ⅸ. 그 밖에 투자자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사항


1. 주요경영사항신고내용의 진행상황 등


▣ SK China Company Limited


당사는 2012년 11월 23일 SK China Company Limited 유상증자에 참여하였습니다.
1. 취득목적
 - Global Portfolio 확대 및 기업가치 제고

2. 취득내역
 - 취득 주식수(주) : 4,285,675 주
 - 취득금액 : USD 183,941천
 - 취득후 소유주식수(주) / 취득후 지분율 (%) : 4,805,175주 / 64.2 %
 - 취득일 : 2012년 11월 23일

3. SK China Company Limited 요약재무 내용(2011년말 기준)
 - 자산총계 : 280,383 백만원
 - 부채총계 : 58,987 백만원
 - 자본총계 : 221,396 백만원
 - 자 본 금  : 11
3,929 백만원

4. 관련 공시사항
 -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2012.11.21)

▣ SK임업(주) 주식 취득

당사는 2012년 6월 29일 SK건설(주)로부터 SK임업(주) 주식을 취득하였습니다.

1. 취득목적
 - 그룹 친환경사업 강화, SK임업 성장 및 Biz.기회 창출로 기업가치 증대

2. 취득내역
 - 취득 주식수(주) : 4,000,000 주
 - 취득금액 : 60,200 백만원
 - 취득후 소유주식수(주) / 취득후 지분율 (%) : 4,000,000주 / 100 %
 - 지분양수도일 : 2012년 6월 29일

3. SK임업 요약재무 내용 (2011년말 기준)
 - 자산총계 : 68,237 백만원
 - 부채총계 : 7,585 백만원
 - 자본총계 : 60,652 백만원
 - 자 본 금  : 20,000 백만원

4. 관련 공시사항
 - 특수관계인으로부터 주식의 취득 (2012.6.27)
 - 지주회사의 자회사 편입 (2012.6.29)

2. 주주총회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제51차
주주총회
(2013.03.22)
제1호 의안 : 제51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

제2호 의안 : 이사 선임 (3인)
   제2-1호 : 사내이사 선임 (조대식)
   제2-2호 : 사외이사 선임 (박세훈)
   제2-3호 : 사외이사 선임 (남상덕)

제3호 의안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임 (2인)
   제3-1호 : 감사위원 선임 (박세훈)
   제3-2호 : 감사위원 선임 (남상덕)

제4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
1. 원안 가결


2. 이사 선임 (3인) 가결




3.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임 (2인) 가결



4. 이사보수한도 (120억원) 가결
제50차
주주총회
(2012.03.23)
제1호 의안 : 제50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

제2호 의안 : 정관 일부변경  
   
제3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 (권오룡)

제4호 의안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승인 (권오룡)

제5호 의안 : 이사보수한도 승인
1. 원안 가결


2. 정관 일부변경 가결

3. 사외이사 선임 가결

4. 사외이사인 감사위원 선임 가결

5. 이사보수한도 (120억원) 가결

3. 우발채무 등

가. 중요한 소송사건
 - 해당사항 없음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해당사항 없음

다. 채무보증 현황

성명
(법인명)
관계 계약이행보증금액     우발부채금액      (예상선박가액차감) 비고
기초 기말 기초 기말
SK해운 국내계열사 563,936
백만원
552,719
백만원
- - 채권자: SK해운 선박 소유주
채무내용: SK해운의 계약이행에 대한 보증
보증기간: 계약만기시까지

[2013.3.31일 기준]

라. 채무인수약정 현황

 - 해당사항 없음


마. 우발부채


(1) HPEIK V SGPS LDA는 Put Option 행사조건으로 2010년 중 SK해운(주)가 실시한 유상증자에 21,132,075주(주당 발행가액: 5,300원) 참여하였으며, HPEIK V SGPS LDA가 Put Option을 행사할 경우 SK해운(주) 및 당사는 Put Option 행사에 응해야 할 의무를 부담하고 있습니다. 해당 풋옵션의 상세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내 역
행사요건 증자 후 6년내 SK해운(주) IPO(기업공개) 미실시 등
행사가격 투자금액에 연 6% 복리이자 가산
행사시 인수 의무 1순위: SK해운(주), 2순위: SK(주)

당사는 Put Option에 대한 공정가치를 추정하기 위하여 기초자산의 현재가치 및 변동성, Option 행사요건의 충족 가능성 등을 고려하였습니다. 당사는 당분기말 현재 Option 행사요건의 충족 가능성을 합리적으로 추정할 수 없어 Put Option의 공정가치를 평가하지 아니하였습니다.

(2) 당분기말 현재 당사는 하나다올자산운용(구, (주)다올자산운용)의 신탁업자인 농업협동조합중앙회와 본사사옥에 대한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임대차계약에 의하면 임대인인 농업협동조합중앙회는 임대차 계약기간 (2011.3.25~2016.3.24) 만료 전에 동 건물을 매각할 계획이며, 당사는 임대인이 건물 매각시 해당 건물을 공정가액에 매입할 수 있는 우선매수권을 부여받았습니다.

(3) 당사는 2007년 7월 1일자로 상법 제 530조의 3 제 1항에 의거하여 주주총회의 특별결의로 석유, 화학 등 주요 사업부문을 인적분할하여 SK이노베이션(주)를 설립하였으며, 동법 제 530조의 9 제 1항에 의거하여 분할 전의 회사채무에 대하여 분할신설법인인 SK이노베이션(주)와 연대하여 변제할 책임이 있습니다. 동 보증과 관련하여 당분기말 현재 당사가 인식한 금융보증부채는 3,771백만원입니다.

(4) 당사는 종속기업인 SK해운(주)를 위하여 계약이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2013년 3월 31일 현재 계약이행보증금액 552,719백만원(전기말 563,936백만원)이며, 예상선박가액을 차감한 우발부채금액은 영("0")원입니다.

(5) 당분기말 현재 당사의 여신한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약  정 한도액 사용액 금융기관
기업운전기타어음할인 30,000 30,000 (주)하나은행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750,000 - (주)우리은행 외 3
기업운전당좌대출 13,000 - (주)한국외환은행 외 2


4. 제재현황
○ 당사의 일부 임원에 대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1심 판결 결과
  1) 판결 내용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1부는 2013년 1월 31일 당사의 대표이사(회장, 현직)와
    미등기임원 2인(부회장 1인및 부사장 1인, 각 현직)에 대한 1심 판결에서 특정경       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위 회장에 대하여는 징역 4년을,       위 부회장인 미등기임원에 대하여는 무죄를, 위 부사장인 미등기임원에 대하여는     징역 2년6월(집행유예 3년)을 선고하였습니다. 이후 2013년 2월 5일 위 회장과 위    부사장인 미등기임원 및 검찰이 모두 항소하여, 현재 서울고등법원에서 항소심 재    판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2) 위 1심 판결의 결과가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동 재판을 이유로 한 시장의 평가 등에 대하여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     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결산일 이후에 발생한 중요사항
- 해당사항 없음

6.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 해당사항 없음

7. 공모자금 사용내역
- 해당사항 없음

8.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 해당사항 없음


▣ 주요종속회사의 우발채무, 제재현황,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등

[SK이노베이션 및 주요종속회사]


1.
시사항 진행·변경상황

. 기 신고한 주요경영사항의 진행상황

신고일자 제 목 신 고 내 용 신고사항의
진행상황
2008.4.29

투자기간
정정 :
2009.8.10
중질유 분해시설(HCC) 투자 1. 투자금액 : 15,200억원
2. 투자목적 : 석유사업 고도화비율 제고를 통한 수익구조 개선
3. 투자기간 : 2008년 6월~2016년 6월
4. 기타 : 중질유 분해시설(HCC)은 인천 CLX에 지어질 예정이며,
            설비규모는 [감압증류공정(VDU) 7만배럴/일 +
            Hydrocracker(HCK) 4만배럴/일 + Visbreaker(VBU)
            4만배럴/일 및 부대 공정/설비] 임
2012.4.30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투자목적
정정공시로
대체함
2008.5.28 납사 분해공장(NCC)건설
예비합작계약 체결
중국 국영석유회사 SINOPEC과 합작으로 중국 우한시에 있는
연산 80만톤 에틸렌 공장 및 유도품 공장을 건설하기 위한
예비합작계약을 체결 하였음
향후 JV계약 체결 등 구체적인 내용이 확정되는대로 재공시
하겠음
진행중
2011.2.9 고성능 전기 슈퍼카용
배터리 시장 진출
당사는 독일 Daimler 그룹의 Mercedes-Benz의 첫 전기 슈퍼카
모델인 SLS AMG 모델에 리튬이온 배터리를 공급계약을 체결함
이를 통해 당사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분야에서의 기술력 및
양산능력을 입증함

- Mercedes-AMG와 전기차 배터리 공급계약 체결
- SLS AMG E-Cell은 다임러 그룹이 2011년 디트로이트
   모터쇼를 통해 공개한 최첨단 전기 슈퍼카 모델임
- 구체적인 공급 일정 및 수량에 대해서는 추후 협의키로 함
- 친환경 전기자동차 분야에서의 국가 경쟁력 제고와 국내/외
   전기자동차 시장 활성화에 기여
- 유럽시장 공략 및 글로벌 자동차 업체 추가 확보 가능성 확대
진행중
2011.6.30 Nexlene 신규설비증설 1. 투자금액 : 3,680억원
2. 투자목적 : 고수익/고성장의 m-PE 시장에 진출함으로써 Global
Major Player로 도약
3. 투자기간 : 2011년 6월~2013년 9월
진행중
2011.8.05 파라자일렌(PX) 생산설비 건설/운영을 위한 합작사업 추진 1. 사업명
- 파라자일렌(PX) 생산설비 건설/운영 합작사업을 위한 JV 설립
2. 합작 상대방
- 일본 JX Nippon Oil & Energy Coporation (이하 "JX")
3. 사업 내용
- 울산 컴플렉스 내 연간 100만톤 규모의 파라자일렌 생산 공장 건설4. 합작방법
- 당사와 JX간 Joint Venture Agreement
5. 투자금액: 총 9,591억원
- 양사의 투자금액 및 형식은 향후 결정될 예정
진행중
2012.4.30

신규시설투자
(자회사인 SK에너지 주식회사의 주요경영사항신고)

1. 투자구분: 신규시설투자 (투자대상: 인천 공장)
2. 투자내역
    - 투자금액: 16,215 억원
    - 자기자본: 77,850 억원
3. 투자목적
:  인천 CLX 수익성 증대를 위한 PX(파라자일렌) 공정 신설 및
   관련설비 증설투자
4. 투자 기간
: 시작일, 2012-05-01
: 종료일, 2014-06-30
5. 이사회 결의일(결정일): 2012-04-30
6.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

- 이 내용은 과거 인천 CLX 중질유 분해시설(HCC) 투자관련 공시
  (2008.4.29, 2009.8.10)에 대한 시장환경 변화에 따른 투자목적
  정정공시임
- 인천공장 내 컨덴세이트를 주요원료로 연산 130만톤 규모의
   파라자일렌 공정 신설 및 관련설비 증설 투자를 결정함  
- 상기 2의 투자금액 1조 6,215억원 중 2012년 투자 예상금액은
   약 1,600 억원이며, 잔여 투자금액은 2013~2014년에 분할되어        집행될 예정임
- SK에너지는 SK이노베이션 100% 비상장 자회사임

진행중
2012.09.07 (가칭)Ningbo SK Performance Rubber Co., Ltd. 에 대한 채무 보증 결정

1. 채무자: (가칭)Ningbo SK Performance Rubber Co., Ltd. (이하Ningbo SK)
2. 채권자: Sumitomo Chemical Co., Ltd.,
3. 채무 보증기간
-시작일

License Agreement에 대한 보증: Ningbo SK 설립 후 계약 이전 후부터
Supply Agreement에 대한 보증: Ningbo SK설립 이후 계약 체결 시부터

-종료일

License Agreement에 대한 보증: 10년 또는 의무가 종료되는 시점 중 후에 도래하는 시점
Supply Agreement에 대한 보증: Commercial Operation Date로부터10년이 경과하는 시점 또는Supply Agreement상 의무가 종료되는 시점 중 후에 도래하는 시점

4. 채무보증 내역

- Ningbo SK가 아래 계약에 대한 지급을 이행 하지 못하거나, 의무 위반 시, SK종합화학이 이에 대한 지급을 이행 또는 연대책임


가.   License Agreement

- 주요 내용: Royalty 1,400만 US$ 지급(Fixed License Fee, Running Royalty, Technical Assistance Fee 등으로 구성됨), 비밀유지 의무(기술정보 제공 후 25년간) 등


나.   Supply Agreement

- 주요 계약 내용: Ningbo SK가 Sumitomo Chemical에게 처음 5년-5,000톤/년, 다음 5년-3,000톤/년동안 Sumitomo에 완제품을 공급하기로 계약함

-주요 보증 사항: Ningbo SK가 공급하지 못할 시 미공급 물량의90%를 SK종합화학이 대신 공급해야함


*공급해야 하는 완제품의 가격과 미공급시 공급해야하는 물량의 합리적인 산출이 어려워 채무금액, 채무보증금액의 기재를 생략함

진행중


2.주총회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비고
제3차
 정기주주총회
 (2010.3.12)
1. 제3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  
2. 정관 일부 개정  
3. 이사 선임
 3-1. 사외이사 선임 (김영주)
 3-2. 사외이사 선임 (이재환)
 3-3. 사외이사 선임 (최혁)
 3-4. 사외이사 선임 (한인구)  
4.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4-1.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이재환)
 4-2.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최명해)
 4-3.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 (한인구)  
5. 이사보수한도 승인  
1. 원안가결

 2. 원안가결

 3-1. 선임: 김영주
 3-2. 선임: 이재환
 3-3. 선임: 최혁
 3-4. 선임: 한인구
 
 
 4-1. 선임: 이재환
 4-2. 선임: 최명해
 4-3. 선임: 한인구
 5. 보수한도: 150억원

2010년 제1차
임시주주총회
(2010.11.26)
1. 분할계획서 승인 1. 원안가결
제4차
정기주주총회
(2011.3.11)
1. 제4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  
2. 이사 선임  
2-1. 사내이사 선임 (최태원)  
2-2. 기타비상무이사 선임 (김영태)  
3. 이사보수한도 승인
1. 원안가결
 
 
 2-1. 선임: 최태원
 2-2. 선임: 김영태  
 3. 보수한도: 150억원

제5차
정기주주총회
(2012.3.23)
1. 제5기 대차대조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
2. 정관 일부 개정
3. 이사 선임
3-1. 사내이사 선임(구자영)
3-2. 사외이사 선임(이훈규)  
3-3. 사외이사 선임(최명해)
4. 감사위원 선임 (최명해)  
5. 이사보수한도 승인
 
1. 원안가결
 
 2. 원안가결
 
 3-1. 선임: 구자영
 3-2. 선임: 이훈규  
 3-3. 선임: 최명해
 4. 선임: 최명해
 5.보수한도: 150억원

제6차
정기주주총회
(2013.3.22)
1. 제6기 재무제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포함) 승인의 건
2. 이사 선임
2-1. 사내이사 선임(김창근)
2-2. 사외이사 선임(이재환)  
2-3. 사외이사 선임(김영주)
2-4. 사외이사 선임(최혁)
2-5. 사외이사 선임(신언)
3. 감사위원 선임
3-1. 감사위원 선임 (이재환)
3-2. 감사위원 선임 (최혁)
4. 이사보수한도 승인
1. 원안가결

 2-1. 선임: 김창근
 2-2. 선임: 이재환
 2-3. 선임: 김영주
 2-4. 선임: 최혁
 2-5. 선임: 신언

 3-1. 선임: 이재환
 3-2. 선임: 최혁

 4. 보수한도: 150억원  


3. 우발채무 등

가. 중요한 소송 사건


▶ 당기말 당사가 피고로서 계류중인 주요 소송사건은 다음과 같으며, 최종결과는 현재로서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단위: 백만원)
세부내역 제소자 소송가액 비  고
군납관련 손해배상(*) 국방부 165,967 3심 파기환송, 2심 계류중
특허권 침해금지 LG화학 주식회사 150 1심 계류중

(*) 피고는 연결기업 포함 4개 주요 정유사이며 소송가액은 전체 금액입니다.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당기말 현재 연결기업은 차입금 등과 관련하여 액면표시 어음 1매(액면금액: 3,952백만원), 백지어음 83매 및 백지수표 42매를 견질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다. 채무보증 및 담보제공 내역


연결실체는 Peru LNG Project 완공 계약에 따라 Peru LNG S.R.L.에는 USD 140백만의 공급물량 보증, USD 50백만의 인도지급보증 및 USD 6백만의 가격차이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연결실체는 상기 Project Financing 대주들에게 연결실체가 보유한 Peru LNG Company, LLC의 지분 전액 및 Yemen LNG Company,  Ltd.에 대여한 장기대여금 USD 168백만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관계기업인 Korea Consortium Kazakh B.V.의 시추선 건조 차입금과 관련하여 KCK Panama에 USD 34백만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Floating Storage Offloading 계약과 관련하여 Danashe Shipping Inc.에 USD 2백만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페루 BCP은행과의 Bank Guarantee 계약을 통해 페루  Z-46 광구의 탐사사업과 관련하여 Perupetro에 USD 2백만의 의무작업 이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종속기업인 PT. Patra SK의 귀금속 촉매 리스비용 및 촉매리스 계약에 대해 Exxon Mobil Catalyst Technologies LLC에 USD 3백만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으며, PT. Patra SK의 프로젝트 파이낸싱과 관련하여 연결실체가 보유한 투자주식 USD 60백만을 PT. Bank BNP Paribas Indonesia에 담보로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PT. Patra SK가 프로젝트 파이낸싱 대주단인 한국산업은행의 사전승인 없이 자금을 집행하고 결과 손실, 소송 등이 발생하게 경우 연결실체는 한국산업은행에 대하여 USD 153백만의 유형자산을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연결실체는 윤활유배합 공장건설과 관련된 SK Energy Lubricants (Tianjin)   Co., Ltd.의 장기차입금 USD 19백만에 대하여 한국수출입은행 및 한국산업은행에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당분기말 현재 연결실체가 연결실체 외의 특수관계자에게 제공한 지급보증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2013.3.31 기준) (단위 : 백만원)
성명
(법인명)
관계 거래내역 비고
기초 증가 감소 기말
SK해운(*) 국내
계열사
- - - - 채권자: SK해운 선박 소유주
채무내용: SK해운의 용선료 지급보증
보증기간: 용선계약 만기시까지

* SK해운 보증가액은 총계약이행보증가액 285,365백만원에서 SK해운(주)가 보유한  선박의 공정가치가 차감된 잔액임

라. 충당부채 및 금융보증부채


당분기말 및 전기말 현재 연결실체의 충당부채 및 금융보증부채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종     류 당분기말 전기말 비 고
충당부채:


 자원개발 관련 복구충당부채 15,215 15,212 페루 8광구 외
 기타 충당부채 1,070 2,027
소      계 16,285 17,239
금융보증부채 1,133 1,587 KCK Panama 외
합      계 17,418 18,826


마.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

당사의 자회사인 SK에너지와 관련하여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되는 채무증권의 발행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 분 내 용
종 류 누적적, 비참가적 무의결권부 상환전환우선주  
발행주식수 6,666,667주
발행 금액 800,000,040,000원
투자자 신한-스톤브릿지 페트로 사모투자전문회사
우선 배당률 1차년도 5%, 2차년도 5.5%, 3차년도 이후 6.0%
* 회사의 배당 결의 시, 우선 배당
발행 조건 상환권
상환권자: 발행인
상환가능기간: 발행일로부터 3년 이후에서 30년이 되는 날까지
단, 분할, 합병 등 사유 발생시 해당 이사회 결의일 다음날부터 해당 사유 효력 발생일 전일까지  
 
전환권
전환권자: 본건 주식의 주주
전환청구기간: 발행일로부터 3년 이후에서 30년이 되는 날의 전일까지
 * 전환가격 : 주당 120,000원
 * 전환청구기간 경과 시에는 자동으로 보통주 전환
자본인정근거
(한영회계법인)
상환에 대한 권리를 발행회사가 보유하고 있으며, 확정배당이 아님
기 타 부채 분류 시 재무구조 영향
- 부채 비율 : 141% → 166%


4. 제재현황

▶ 당사의 일부 임원에 대한 서울중앙지방법원의 1심 판결결과  

1) 판결내용    

서울중앙지방법원 형사21부는 2013년 1월 31일 1심 판결에서 당사의 대표이사       (회장, 현직)에 대하여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을 위반한 혐의로 징역    4년을 선고하였습니다. 이후 2013년 2월 5일 위 회장과 검찰 쌍방이 항소하여, 현재 서울고등법원에서 항소심 재판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2) 위 1심 판결의 결과가 당사의 재무상태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으로 판단되나, 동 재판을 이유로 한 시장의 평가 등에 대하여는 정확히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투자자 여러분께서는 이 점에 유의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당사가 공시대상기간 중 증권선물위원회(금융감독원장)로부터 통보받은 단기매매차익 환수와 관련된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천원)
차익취득자와
회사의 관계
단기매매
차익
발생사실
통보일
단기매매
차익
통보금액
환수금액 미환수
금액
반환청구여부 반환청구
조치계획
제척기간 공시여부
차익
취득시
작성일
현재
미등기 임원 - 2010.5.14 1,253 1,253 없음 완료 - 2011.4.23 ~2011.8.20 O
미등기 임원 - 2011.9.20 4,954 4,954 없음 완료 - 2012.5.25~2012.11.11 X
합 계 ( 2건 ) 6,207 6,207





당사의 자회사인 SK루브리컨츠와 관련하여 적용된 제재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자 제대대상 내용 사유 및
근거법령
회사의
이행현황
재발방지
회사대책
2013.2.26 SK루브리컨츠(주) 과태료부과
(5천만원)
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규정 제 11조의 2
『대규모내부거래 이사회 의결 및 공시』
유베이스매뉴팩쳐링아시아(주)에 대한 유상증자 참여 공시 누락
과태료 납부 예정(4월   30일 이전) 경영사안 및 공시 법규 관련 Monitoring Process 점검/개선


5. 결산일 이후에 발생한 중요사항

(1) 회사분할 결정

당사의 종속회사인 SK에너지(주)는 2013년 5월 9일자 이사회에서 2013년 7월 1일자로 트레이딩사업부문 및 인천CLX부문을 인적분할의 방식으로 분할하여 각각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 주식회사(가칭)와 SK인천석유화학 주식회사(가칭)를 설립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동 분할계획은 2013년 5월 24일에 개최되는 임시주주총회의 승인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2) 상환전환우선주 상환 결정

당사의 종속회사인 SK에너지(주)는 2013년 5월 9일자 이사회에서 2013년 6월 25일자로 총 6,666,667주의 상환전환우선주를 상환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총 상환가액은 822,794백만원이며 2013년 5월 24일에 개최되는 임시주주총회의 승인을 통해 최종 확정될 예정입니다.


6. 중소기업기준 검토표
▶ 해당사항 없음

7. 직접 금융 자금의 사용
▶ 해당사항 없음

8. 외국지주회사의 자회사 현황
▶ 해당사항 없음

9. 합병 등의 사후 정보
▶ II. 사업의 내용 - 8. 경영상의 주요계약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0. 녹색 경영

가.  정부에 보고하여야 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사항


<SK에너지>
당사는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제5항에 따른 관리업체에 해당하며, 이에 같은 법 제44조에 따라 정부에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사항을 보고합니다.
당사의 201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장명 연간 온실가스배출량(tCO2e) 연간 에너지사용량(TJ)
직접배출(Scope1) 간접배출(Scope2) 총 량 연료사용량 전기사용량 스팀사용량 총 량
본사 250.539 1,227.078 1,477.617 4.930 25.265 - 30.195
SK에너지 울산컴플렉스 6,202,244.418 1,136,048.203 7,338,292.621 67,967.840 16,292.720 - 8,392.277 75,868.283
SK에너지 인천컴플렉스 646,312.602 189,857.070 836,169.672 17,337.692 3,909.118 - 21,246.810
인천물류센터 961.496 1,590.311 2,551.807 14.287 32.744 - 47.031
GU사업(새한) 92.579 5,863.473 5,956.052 1.377 120.728 - 122.105
소량배출사업장 8,667.073 8,297.574 16,964.647 126.113 170.846 - 296.959
합 계 6,858,528.707 1,342,883.709 8,201,412.416 85,452.239 20,551.421 - 8,392.277 97,611.383


<SK종합화학>
2012년도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사업장명 연간 온실가스배출량(tCO2e) 연간 에너지사용량(TJ)
직접배출(Scope1) 간접배출(Scope2) 총 량 연료사용량 전기사용량 스팀사용량 총 량
본사 90.075 447.883 537   1.775 9.222 0 10  
울산CLX 2,467,315.491 1,102,148.736 3,569,464 53,772.824 9,110.009 11,336.956 74,219  
합 계 2,467,405.566 1,102,596.619 3,570,001   53,774.6 9,119.23 11,336.956 74,229  


[SK텔레콤 및 주요종속회사]

1. 공시내용의 진행·변경상황 및 주주총회 현황
가. 공시사항의 진행 및 변경사항

- 해당사항 없음

 나.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비 고
제27기
주주총회
(2011. 3. 11)
제 1 호 의안 : 제2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 3 호 의안 : 임원보수 지급규정 일부 변경의 건
제 4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4-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4-2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4-3호 의안 : 감사위원 선임의  건
가결(현금 배당, 주당 8,400원)
가결(120억원)
가결

가결(하성민,서진우)
가결(엄낙용,정재영,조재호)
가결(정재영,조재호)
-
2011년 1차
임시주주총회
(2011. 8. 31)
제 1 호 의안 : 분할계획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가결(SK플래닛 분할)
가결(김준호)

제28기
주주총회
(2012. 3. 23)
제 1 호 의안 : 제2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3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3-3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 4 호 의안 : 감사위원회위원 선임의  건
제 5 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현금 배당, 주당 8,400원)
가결

가결(김영태)
가결(지동섭)
가결(임현진)
가결(임현진)
가결(120억원)
-
제29기
주주총회
(2013. 3. 22)
제 1 호 의안 : 제29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 2 호 의안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3 호 의안 : 이사 선임의 건    
     제3-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3-2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 4 호 의안 : 감사위원회위원 선임의  건
제 5 호 의안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가결(현금 배당, 주당 8,400원)
가결

가결(조대식)
가결(오대식)
가결(오대식)
가결(120억원)
-


2. 우발채무 등
[SK텔레콤]

 가. 중요한 소송사건
(1) 컬러링 서비스 관련 저작권 사용료 지급 청구 소송
(가) 소송의 내용: 한국음악저작권협회(KOMCA)가 컬러링 서비스의 부가서비스 이용료(월정액 900원)에 대해 저작권 사용료 지급을 청구하며 제기한 소송

(나) 소송 제기일: 2010년 5월 7일

(다) 소송 당사자: 한국음악저작권협회(원고), 당사(피고)

(라) 진행 상황: 2011. 10. 26. 당사 2심 패소, 2011. 11. 8. 당사 상고

(마) 향후 소송 일정 및 회사의 대응 방안: 현재 상고심 진행 중이며 별도 지정된 기일은 없음. 1, 2심 모두 당사가 전부 패소하였고, 경쟁사도 동일한 사건에서 전부 패소하여 승소 가능성이 높지 않지만, 상고심이 법률심인 점을 감안하여 법률행위의 해석에 관한 법리 등 중요 쟁점에 대한 당사 논리를 중점적으로 보강하고 적극적으로 주장하여 대응할 계획임.

(바) 영업 및 재무에 미치는 영향: 소가는 5억7천만 원 정도이고 아직 패소 확정되지 않아 즉각적인 영향은 없으나, 추후 판결이 확정될 경우 연간 단위로 지급해야 할 사용료 금액이 크게 증가할 수 있음.


※ 실제 소송 결과에 따른 당사의 영업 및 재무에 미치는 실제적인 영향은 위 전망과 달라질 수 있음


  . 기타우발채무
-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
(1) 담보제공자산 및 약정사항

지배기업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SK브로드밴드(주)는 건물임대와 관련하여 일산국사 등 회사 소유 건물 중 일부에 대해 152억원의 근저당권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지배기업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피에스앤마케팅(주)는 전기 중 신한은행과 운영자금 400억원에 대한 차입한도 약정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재고자산 520억원을 신한은행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2) 연결실체가 제공한 지급보증
연결실체는 Joint Defense Corporation과 함께 방위사업청의 전술비행선 사업에 참여하고 있으며 Joint Defense Corporation이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선수한 USD 3,897,196에  대하여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
가. 중요한 소송사건

(1) 당분기말 현재 계류 중인 소송사건 중 SK브로드밴드와 주요종속회사가 제소한 소송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소 송 사 건 명 소송개시일 소송가액 현 황
공정위 과징금 재산정 취소청구 2009년 9월 1,810,000 3심 진행중
강남구청 지중화사업 소송 2010년 3월 345,271 3심 진행중
강남구청 행정소송 2010년 4월 703,440 행정소송진행중
골든영외 손해배상 청구 2011년 4월 454,267 1심 진행중
현대건설 손해배상 청구 2010년 12월 561,283 2심 진행중
기타 제소사건   2,000
 계   3,876,261  


(2) 당분기말 현재 계류 중인 소송사건 중 SK브로드밴드와 주요종속회사가 피소당한 중요 소송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소 송 사 건 명 소송개시일 소송가액 현 황
선테크놀로지 외 1 손해배상청구 2011년 10월 1,006,429 2심 진행중
조진만 외 1인 손해배상 청구 2011년 1월 200,000 2심 진행중
해인네트웍스 손해보상청구 2013년 3월 101,000 1심 진행중
온누리(주) 손해배상청구 2011년 12월 101,000 1심 진행중
맥텔레콤 외 5개업체 손해배상 청구 2012년 1월 606,000 1심 진행중
기타 피소사건
      166,584

2,181,013


(
3) 지배기업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SK브로드밴드(주)는 전기 중 개인정보소송사건 (소송가액  24,689,250천원)의 1심 판결에서 일부 패소하여 배상금 5,459,196천원을미지급비용으로 계상하였습니다.

[SK커뮤니케이션즈]
 가. 중요한 소송사건
 
지배기업의 연결대상 종속기업인 SK커뮤니케이션즈(주)의 당기말 현재 계류중인 소송사건의 소송가액은 약 6,131,400천원이며, 보고기간말 현재 소송의 결과는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습니다.

  나. 기 우발채무
당분기 말 현재 SK커뮤니케이션즈(주)가 타인으로부터 받은 주요 지급보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금융기관 보증내용 보증금액(천원)
서울보증보험 선불통화권 지급보증 700,000
서울보증보험 채권가압류 공탁 보증보험 1,068,051
서울보증보험 이행계약 지급보증 514,161


[에스케이플래닛]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 분기말 현재 당사가 피고로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2건(소송가액 1,186백만원)이며당 분기말 현재 소송의 결과를 예측할 수 없으므로 재무제표에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관련된 수정사항이 반영되어 있지 아니합니다.

  나
. 기타우발채무

  - 해당사항없음

3. 제재현황 등 그 밖의 사항

가. 제재현황
[SK텔레콤]
2010년 12월 2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무선데이터서비스의 이용자이익저해 행위 건'에 대한 심결에서 과징금 62억원과 시정명령을 부과받았습니다. 이에 당사는 과징금을 납부하였고, 시정명령에 대한 개선을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2011년 3월 완료하였습니다.

2011년 9월 19일, 방송통신위원회의 '이동전화 보조금 이용자 차별 건'에 대한 심결에서 과징금 68.6억원과 시정명령을 부과받았습니다. 이에 당사는 과징금을 납부하였고, 시정명령에 대한 개선을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2012년 1월 완료하였습니다.

2011년 4월 22일, 당사는 11번가의 상품 정보 제공과 관련하여 전자상거래법 제21조 위반을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태료 5백만원을 부과 받았으며, 이를 납부하였습니다. 당사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의결에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하였으며, 현재 소송절차 진행 중에 있습니다.

2011년 11월 11일, 당사는 중계기 납품에 필요한 특허 기술 이전과 관련하여 공정거래법 제23조 위반을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을 부과 받았습니다. 당사는 시정명령 부과 이전에 위법사항을 모두 자진시정하였습니다.

2012년 3월 14일, 당사는 휴대폰 보조금 지급 관행 및 휴대폰 유통구조와 관련하여 공정거래법 제23조 위반을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징금 219억2,800만원 부과 결정을 받았습니다. 당사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의결에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하였으며, 현재 소송절차 진행중에 있습니다.

한 2012년 2월 6일, 당사는 2011년 11월 9일 접수된 조회공시 답변에 대한 공시불이행과 관련하여 유가증권시장 공시규정 제35조 위반을 이유로 한국거래소로부터 벌점 3점 및 제재금 3백만원을 부과 받았으며 이를 납부하였습니다. 당사는 철저한 사전검토를 시행하는 등 재발방지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2012년 6월 21일, 방송통신위원회의 '위치정보보호법규 위반 행위에 대한 행정처분 등에 관한 건'에 대한 심결에서 시정명령을 부과 받았습니다. 이에 당사는 시정명령에 대한 개선을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2012년 12월 완료하였습니다.

2012년 7월 4일, 당사는 SI분야 시스템 관리 운영의 대가 지급과 관련하여 공정거래법 제23조 위반을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징금 249억 8700만원 부과 결정을 받았습니다. 당사는 공정거래위원회의 의결에 불복하여 행정소송을 제기하였으며, 현재 소송절차 진행 중에 있습니다. 이후, 2012년 9월 12일 의결서 송달을 통하여 2012년 상반기 거래 금액을 포함하여 최종 250억 4,200만 원으로 과징금이 결정되었습니다.

2012년 12월 24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단말기 보조금 지급 관련 이용자 이익 침해행위에 대한 시정조치에 관한 건'에 대한 심결에서 과징금 68.9억원, 신규모집 정지(22일)와 시정명령을 부과받았습니다. 이에 당사는 과징금을 납부하였고, 신규모집 정지 명령을 이행하였습니다('13.1.31~2.21). 시정명령에 대한 개선은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하여 2013년 3월 완료하였습니다.

2013년 1월 11일, 당사는 유통망과의 거래 관계와 관련하여 공정거래법 제23조 위반을 이유로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징금 1억 원 부과 결정을 받았고, 납부 기한인 2013년 5월 10일까지 위 과징금을 납부할 예정입니다.

2013년 3월 14일, 방송통신위원회의 '단말기 보조금 지급 관련 이용자 이익 침해행위에 대한 시정조치에 관한 건'에 대한 심결에서 과징금 31.4억원과 시정명령을 부과받았습니다. 이에 당사는 과징금 납부 및 시정명령 이행 결과에 대한 방송통신위원회 보고를 2013년 4월 완료하였습니다.

회사의 과거 일부 거래 등과 관련하여 회사의 일부 전직임원에 대한 1심 재판에서
전부 무죄가 선고된 바 있으며, 현재 항소심 재판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SK브로드밴드]
(1) 회계규정 위반의 건
- 일자 : 2012년 12월 13일
- 대상자 : SK브로드밴드
- 내용 : 벌금 3,879만원 부과
- 사유 및 근거법령 : 2011년도 영업보고서 회계규정(전기통신사업법 49조 등) 위반
- 회사의 이행현황 : 벌금 납부 완료
- 회사의 대책 : 회계관리시스템 고도화 등 업무처리절차 개선

(2)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의 건
- 일자 : 2012년 5월 18일
- 대상자 : SK브로드밴드
- 내용 :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징금 2억5,300만원 부과
- 사유 및 근거법령 : 초고속인터넷 단품 또는 결합상품(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 또는 IPTV) 가입자 모집 과정에서 경품 및 약관 외 요금감면을 제공하면서 이용자를 부당하게 차별한 행위,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 제1항 제5호 및 동법 시행령 제42조 제1항 위반
- 회사의 이행현황 : 과징금 납부, 금지행위의 중지, 시정명령을 받은 사실의 신문공표, 업무처리절차 개선 등 완료
- 회사의 대책 : 지속적인 유통망 관리, 유통구조 개선 등의 시행을 통한 시장 안정화 노력

(3) 회계규정 위반의 건

- 일자 : 2012년 1월 20일
- 대상자 : SK브로드밴드
- 내용 :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과징금 5,388만원 부과
- 사유 및 근거법령 : 2010년 영업보고서 회계규정(전기통신사업법 제49조 등) 위반
- 회사의 이행현황 : 과징금 납부 완료
- 회사의 대책 : 회계관리시스템 고도화 등 업무처리절차 개선

(4)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의 건
- 일자 : 2011년 11월 23일
- 대상자 : SK브로드밴드
- 내용 :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과징금 3,013만원 부과
- 사유 및 근거법령 : 이용약관과 다르게 사전 심의 없이 060번호를 부여하거나 서비스 이용과정에 요금을 부과하는 등 이용자 이익 침해, 전기통신사업법 위반
- 회사의 이행현황 : 과징금 납부, 금지행위의 중지, 업무처리절차 개선, 결과보고 등 완료
- 회사의 대책 : 업무처리절차 개선

(5)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위반의 건
- 일자 : 2011년 7월 14일(대법원 원심확정일)
- 대상자 : SK브로드밴드, OOO(사건행위 당시 부사장으로 현재 퇴사)
- 내용 : SK브로드밴드 벌금 1,500만원, OOO 벌금 500만원 부과
- 사유 및 근거법령 : 개인정보를 가입자 동의 없이 텔레마케팅업체에 제공, 정보통신망이용촉진및정보보호등에관한법률 제24조 제1항 및 제62조 제1호 위반
- 회사의 이행현황 : 벌금 납부 완료
- 회사의 대책 : 임직원 대상 개인정보 교육 및 업무처리규정 강화

(6) 전기통신사업법 위반의 건
- 일자 : 2011년 2월 21일
- 대상자 : SK브로드밴드
- 내용 :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시정명령 및 과징금 31억9,700만원 부과
- 사유 및 근거법령 : 초고속인터넷 단품 또는 결합상품(초고속인터넷+인터넷전화 또는 IPTV) 가입자 모집 과정에서 경품 및 약관 외 요금감면을 제공하면서 이용자를 부당하게 차별한 행위, 전기통신사업법 제50조 제1항 제5호 및 동법 시행령 제42조 제1항 위반
- 회사의 이행현황 : 과징금 납부, 금지행위의 중지, 시정명령을 받은 사실의 신문공표, 업무처리절차 개선, 이용약관 변경 등 완료
- 회사의 대책 : 지속적인 유통망 관리, 유통구조 개선, 사은품 본사 배송제 및 규모 축소 등의 시행을 통한 시장 안정화 노력

나.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SK텔레콤]
(1) 사채의 발행

당사는 2013년 4월 23일에 고정이자율 3.03%(만기 2023년 4월 23일) 조건의 원화사채 230,000,000천원, 고정이자율 3.22%(만기 2033년 4월 23일) 조건의 원화사채 130,000,000천원을 각각 발행하였습니다.

[에스케이플래닛]
(1) 매드스마트(주) 합병결정
당사는 2013년 4월 22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ICT 역량을 결합하여 플랫폼 Biz의 경쟁력을 향상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SK플래닛(주)를 존속법인으로 하여 매드스마트(주)를 2013년 6월 1일부로 흡수합병 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당사는 매드스마트(주)를 100% 소유하고 있으며 양 합병 당사는 무증자방식에 의하여 1:0의 합병비율에 따라 합병하기로 결의하였습니다.



4. 직접금융 자금의 사용
가.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 해당사항 없음

나.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13.03.31 ) (단위 : 백만원)
구 분 납입일 납입금액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현황 차이발생 사유 등
교환사채발행 2009.04.07 437,673 '04년 5월 발행한 교환사채의 만기도래('09.5.27)에 따른
이의 차환을 목적으로 재발행
차환 및
운영자금
-



5. 합병 등의 사후 정보

가.  플랫폼사업 분할의 건
가) 일자, 상대방 및 계약내용
당사는 2011년 7월 19일 이사회결의 및 2011년 8월 31일자 임시주주총회의 승인에 의거플랫폼사업을 분할하여 2011년 10월 1일을 분할기일로 하여 SK플래닛주식회사를 설립하였고, 2011년 10월 5일자로 분할등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회사분할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내용
분할방법 단순 물적분할
분할회사(상대방) SK텔레콤주식회사 (분할존속회사)
SK플래닛주식회사 (분할신설회사)
분할기일 2011년 10월 1일


나) 분할 일정

구     분 일     자
이사회결의일 2011년 07월 19일
분할 주주총회를 위한 주주확정 기준일   2011년 08월 04일
분할계획서 승인을 위한 주주총회일   2011년 08월 31일
분할기일 2011년 10월 01일
분할보고총회일 또는 창립총회일   2011년 10월 04일
분할등기일   2011년 10월 05일
기타일정 주식명의개서 정지공고일
주주명의개서 정지기간
주주총회 소집공고
주주총회 소집통지서 발송
2011년 07월 20일
2011년 08월 05일~08월 08일
2011년 08월 10일 및 12일
2011년 08월 12일


다) 신주배정 등에 관한 사항
  - 상법 제530조의2 내지 제530조의12의 규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물적분할 방식
     으로 분할하여, SK플래닛(주)의 발행주식 총수는 SK텔레콤(주)에 100% 배정됨

나. SK브로드밴드(주)의 브로드밴드D&M㈜ 흡수합병의 건
가) 일자 : 2012년 9월 26일(합병기일)

나) 상대방
- 명칭 : 브로드밴드디앤엠㈜
- 소재지 :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동 470-9
- 대표이사 : 김기태

다) 계약내용

- 합병의 배경

본 합병의 배경은 브로드밴드디앤엠㈜의 Network 유지보수 등 관련 업무를 네트웍오앤에스㈜로 양도한 후 SK브로드밴드㈜가 잔존법인인 브로드밴드디앤엠㈜를 흡수합병해 당사의 사업경쟁력 강화 및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기 위함입니다.

- 법적 형태

당해 합병은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에 있어서는 상법 제527조의3 규정이 정하는 소규모합병에 해당하며,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디앤엠㈜에 있어서는 상법 제527조의2 규정이 정하는 간이합병에 해당합니다.

- 구체적 내용

SK브로드밴드㈜의 최대주주는 SK텔레콤㈜로서 50.56%를 소유하고 있으며, 브로드밴드디앤엠㈜의 최대주주는 SK브로드밴드㈜로서 100%의 지분을 소유하였습니다. 또한 합병회사와 피합병회사는 합병비율 1:0으로 흡수합병하며, 본 합병으로 인하여SK브로드밴드㈜가 발행할 신주는 없습니다. 본 합병으로 최대주주의 변경은 없으며, SK브로드밴드㈜는 존속회사로 계속 남아있습니다.

- 주요 일정

구분 합병회사
SK브로드밴드㈜
피합병회사
 브로드밴드디앤엠㈜
이사회 결의일 2012.07.26 2012.07.26
합병 계약일 2012.07.30 2012.07.30
소규모합병 공고일 2012.08.10 -
권리주주확정 기준일 2012.08.11 -
합병승인 이사회 결의일 2012.08.23 2012.08.23
합병기일 2012.09.26 2012.09.26
합병보고 총회일(이사회 결의일) 2012.09.27 -
합병종료보고 공고일 2012.09.28 -
합병(소멸)등기일 2012.09.28 2012.09.28
주주명부폐쇄공고
주주명부폐쇄기간
합병반대주주 반대의사 접수기간
채권자 이의제출 공고일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2012.07.27
2012.08.12~2012.08.20
2012.08.11~2012.08.24
2012.08.24
2012.08.25~2012.09.25
-
-
-
2012.08.24
2012.08.25~2012.09.25

주1) 합병승인 주주총회는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와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디앤엠㈜가 각각 소규모합병과 간이합병에 해당되어 이사회 결의로 갈음합니다.

주2)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의 경우 소규모합병에 해당되므로,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아니하며,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디앤엠㈜는 간이합병의 요건 중 피합병법인의 총주주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는 반대주주가 없으므로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주3)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디앤엠㈜는 SK브로드밴드㈜의 동의를 얻어 상법 제527조의2 규정에 따라 간이합병 공고를 생략합니다.

주4) '권리주주확정 기준일'은 '소규모합병에 대한 반대의사 표시를 위한 주주확정  기준일이며, '합병승인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은 합병승인 주주총회에 갈음하는 이사회 승인일입니다.

다. SK브로드밴드(주)의 브로드밴드씨에스㈜ 흡수합병의 건
가) 일자 : 2012년 12월 26일(합병기일)

나) 상대방
- 명칭 : 브로드밴드씨에스㈜
- 소재지 : 서울시 성북구 동선동2가 3-1
- 대표이사 : 최용석

다) 계약내용

- 합병의 배경
본 합병의 배경은 브로드밴드씨에스㈜의 고객상담 서비스 등 관련 업무를 서비스에이스㈜로 양도한 후 SK브로드밴드㈜가 잔존법인인 브로드밴드씨에스㈜를 흡수합병해 당사의 사업경쟁력 강화 및 시너지 창출을 기대하기 위함입니다.

- 법적 형태

당해 합병은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에 있어서는 상법 제527조의3 규정이 정하는 소규모합병에 해당하며,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씨에스㈜에 있어서는 상법 제527조의2 규정이 정하는 간이합병에 해당합니다.

- 구체적 내용

SK브로드밴드㈜의 최대주주는 SK텔레콤㈜로서 50.56%를 소유하고 있으며, 브로드밴드씨에스㈜의 최대주주는 SK브로드밴드㈜로서 100%의 지분을 소유하였습니다. 또한 합병회사와 피합병회사는 합병비율 1:0으로 흡수합병하며, 본 합병으로 인하여SK브로드밴드㈜가 발행할 신주는 없습니다. 본 합병으로 최대주주의 변경은 없으며,SK브로드밴드㈜는 존속회사로 계속 남아있습니다.

- 주요 일정

구분 합병회사
SK브로드밴드㈜
피합병회사
 브로드밴드씨에스㈜
이사회 결의일 2012.10.25 2012.10.25
합병 계약일 2012.10.29 2012.10.29
소규모합병 공고일 2012.11.09 -
권리주주확정 기준일 2012.11.10 -
합병승인 이사회 결의일 2012.11.23 2012.11.23
합병기일 2012.12.26 2012.12.26
합병보고 총회일(이사회 결의일) 2012.12.27 -
합병종료보고 공고일 2012.12.28 -
합병(소멸)등기 예정일 2012.12.28 2012.12.28
주주명부폐쇄공고
주주명부폐쇄기간
합병반대주주 반대의사 접수기간
채권자 이의제출 공고일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2012.10.26
2012.11.11~2012.11.16
2012.11.10~2012.11.23
2012.11.24
2012.11.25~2012.12.24
-
-
-
2012.11.24
2012.11.25~2012.12.24

주1) 합병승인 주주총회는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와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씨에스㈜가 각각 소규모합병과 간이합병에 해당되어 이사회 결의로 갈음합니다.

주2)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의 경우 소규모합병에 해당되므로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아니하며,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씨에스㈜는 간이합병의 요건 중 피합병법인의 총주주의 동의가 있을 경우에는 반대주주가 없으므로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주3)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씨에스㈜는 SK브로드밴드㈜의 동의를 얻어 상법 제527조의2 규정에 따라 간이합병 공고를 생략합니다.

주4) '권리주주확정 기준일'은 '소규모합병에 대한 반대의사 표시를 위한 주주확정  기준일이며, '합병승인을 위한 이사회 결의일'은 합병승인 주주총회에 갈음하는 이사회 승인일입니다.

라. SK브로드밴드(주)의 브로드밴드미디어㈜ 흡수합병의 건
가) 일자 : 2013년 03월 22일(합병기일)

나) 상대방
- 명칭 : 브로드밴드미디어㈜
- 소재지 : 서울시 중구 남대문로 5가 84-11 연세재단 세브란스 빌딩 7층
- 대표이사 : 임진채

다) 계약내용

- 합병의 배경
본 합병의 배경은 성장 비즈니스로 사업성이 입증된 IPTV 사업을 회사의 핵심 Platform 비즈니스로 육성하고 내재화를 통한 효율적인 사업추진을 위해 당사와 브로드밴드미디어㈜ 간 합병을 추진합니다.

- 법적 형태

당해 합병은 합병회사인 SK브로드밴드㈜에 있어서는 상법 제527조의3 규정이 정하는 소규모합병에 해당하며, 피합병회사인 브로드밴드미디어㈜에 있어서는 상법 제527조의2 규정이 정하는 간이합병에 해당합니다.

- 구체적 내용

SK브로드밴드㈜의 최대주주는 SK텔레콤㈜로서 50.56%를 소유하고 있으며, 브로드밴드미디어㈜의 최대주주는 SK브로드밴드㈜로서 100%의 지분을 소유하였습니다. 또한 합병회사와 피합병회사는 합병비율 1:0으로 흡수합병하며, 본 합병으로 인하여SK브로드밴드㈜가 발행할 신주는 없습니다. 본 합병으로 최대주주의 변경은 없으며,SK브로드밴드㈜는 존속회사로 계속 남아있습니다.

- 주요 일정

구분 합병회사
SK브로드밴드㈜
피합병회사
 브로드밴드미디어㈜
이사회 결의일 2013.01.03 2013.01.03
합병 계약일 2013.01.23 2013.01.23
소규모합병 공고일 2013.02.05 -
권리주주확정 기준일 2013.02.05 -
합병승인 이사회 결의일 2013.02.20 2013.02.20
합병기일 2013.03.22 2013.03.22
합병보고 총회일(이사회 결의일) 2013.03.22 -
합병종료보고 공고일 2013.03.23 -
합병(소멸)등기일 2013.03.25 2013.03.25
주주명부폐쇄공고
주주명부폐쇄기간
합병반대주주 반대의사 접수기간
채권자 이의제출 공고일
채권자 이의제출기간
2013.01.05
2013.02.06~2013.02.132013.02.06~2013.02.192013.02.21
2013.02.22~2013.03.21
-
-
-
2013.02.21
2013.02.22~2013.03.21

주1) 합병종료보고 총회는 이사회 결의를 통한 신문 공고로 갈음합니다.

주2) 당해 합병은 각각 소규모합병 및 간이합병으로 주식매수청구권이 인정되지 않습니다.

마. SK플래닛(주)의 SK마케팅앤컴퍼니(주) 합병의 건
SK플래닛(주)는 2012년 12월 21일 이사회 결의에 따라 합병을 통해 미래 플랫폼 경쟁을 선도하기 위한 시너지를 추구하기 위해 SK플래닛(주)를 존속법인으로 하여 SK마케팅앤컴퍼니(주)를 2013년 2월1일부로 흡수 합병하였습니다. 합병비율은 1.2927317:1이며 합병에 따른 신규 발행 주식수는 보통주 12,927,317주입니다.

6.녹색경영
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당사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42조 5항에 따라 2011년에 온실가스·에너지 목표관리제의 관리업체로 지정되었으며, 당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년도 온실가스 배출량(tCO₂eq) 에너지 사용량 (TJ) 비고
2010 567,363 10,946 제3자검증 완료
2011 608,041 11,704
2012 673,742 13,847


나. 녹색인증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제32조 및 동법 시행령 제19조에 따른 당사의 녹색기술 인증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증번호 기술명칭 분류코드
GT-11-00235 AMI 기반 Metering Data 수집을 통해 전력소비 절감을 유도하기 위한 MDMS(Meter Data Management System) 기술 T040903
GT-11-00237 ZigBee 통신을 이용한 양방향 AMI 기술 T040903
GT-12-00204 빌딩내 근무자 출입정보에 따른 조명 자동 점/소등 시스템 T040403


[SK네트웍스 및 주요종속회사]

1. 공시사항의 진행 및 변경사항

기 신고한 주요경영사항의 진행상황

신고일자 제 목 신 고 내 용 신고사항의 진행상황
2010. 03. 12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취득결정
- 회사명 : Harbinger China Dragon Fund, L.P
- 취득금액 : 2,262억원
- 지분비율 : 40%
- 취득목적 : 중국 진출을 위한 투자기회 확보
- 이사회결의일 : 2010.03.12
- 취득금액 한도 내에서 순차적으로 집행될 예정이며, 취득이 완료 되는대로 재공시할 예정임.
2012.04.23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부인) - 제목: SK네트웍스㈜, 호주 석탄개발사 지분인수 추진보도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
- 내용: 당사는 해외 자원개발의 일환으로 호주 코카투(Cockatoo Coal Ltd.)에 대한 투자를 검토하였으나, 내부 심의 결과 추진하기 않기로 결정함.
※ 이 내용은 거래소의 조회요구(2011년 08월 24일 08:35)에 따른 공시사항임
2012.06.20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부인) - 제목: SK네트웍스(주), 웅진코웨이 및 하이마트 인수 추진설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
- 내용: 당사는 웅진코웨이, 하이마트 인수 여부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왔으나, 최종적으로 본입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이 내용은 거래소의 조회요구(2012년 5월 15일 11:28)에 따른 공시사항임
2012. 10. 05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부인) - 제목: SK네트웍스(주), (주)전자랜드 인수 추진 보도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
- 내용: 당사는 전자랜드 인수 추진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왔으나, 최종적으로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이 내용은 거래소의 조회요구(2012년 03월 09일 08:40)에 따른 공시사항임
2012. 11. 02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부인) - 제목: 패션 등 4개사 분사보도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
- 내용: 당사는 패션사업 분사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왔으나, 최종적으로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이 내용은 거래소의 조회요구(2011년 04월 06일 08:55)에 따른 공시사항임
2013.1. 17 [정정] 타법인 주식 및 출자증권 처분결정 - 회사명: SK증권(주)
- 처분주식수: 72,684,750주
- 처분금액: 93,357,562,690원
- 처분예정일: 2013년 1월 21일
- 처분목적: 공정거래법 제 8조의 2에 따른 공정거래위원회의 시정명령 이행
- 이사회결의일: 2012. 09. 25

※  기타 투자판단에 참고할 사항의 기재 정정 (2012. 11. 26)

상기 내용은 2011.10.12 조회공시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임
2013.02.07 조회공시 요구(풍문 또는 보도)에 대한 답변(부인) - 제목: SK네트웍스(주), 보유 부동산 매각설에 대한 조회공시 답변
- 내용: 당사는 현재 신사옥을 건설중에 있으며 이와 관련한 기존 사옥 유동화를 검토해왔으나, 최종적으로 추진하지 않기로 결정하였습니다.
※ 이 내용은 거래소의 조회요구(2012년 07월 9일 17:06)에 따른 공시사항임


2. 주주총회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비 고
제60기
주주총회
(2013.3.22)
제 1호  : 제60기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자본변동표, 현금흐름표,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案) 및 주석 승인의 건

제 2호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 3호  : 이사 선임의 건  
      제 3-1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 (문덕규)  
      제 3-2호 :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김준)    

제 4호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
제59기
주주총회
(2012.3.23)
제1호 : 제59기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포괄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안) 승인의 건

제2 호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 사외 이사 선임의 건(2인)

제4호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2인)

제5호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
제58기
주주총회
(2011.3.11)
제1호 : 제58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 정관일부 변경의 건

제3호 : 이사 선임의 건
     제 3-1호 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2인)  
                             최재원, 이창규(이상 2인)
     제 3-2호 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2인)
                             장병주, 윤남근(이상 2인)    
       
제4호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2인)
            장병주, 윤창현(이상 2인)

제5호: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제59기 보수한도액: 50억원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
제57기
주주총회
(2010.3.12)
제1호 : 제57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
           김세대(이상 1명)
 
제4호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8기 보수한도액 : 45억원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
제56기
주주총회
(2009.3.13)
제1호 : 제56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 정관 일부 변경의 건

제3호 : 이사선임의 건
  - 제3-1호 :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박영호(이상 1명)
  - 제3-2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이영철, 윤창현(이상 2명)

제4호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선임의 건
           이영철(이상 1명)

제5호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7기 보수한도액 : 45억원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
제55기
주주총회
(2008.3.14)
제1호 : 제55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 : 정관 일부 변경의 건(사업목적 추가 등)

제3호 : 이사선임의 건
  - 제3-1호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정만원, 이창규, 조기행, 최상훈
                  (이상 4명)

  - 제3-2호 : 사외이사 선임의 건
                   권승희, 장병주(이상 2명)
     
  - 제3-3호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될 사외이사  선임의 건
                   권승희, 장병주(이상 2명)

제4호 : 이사 보수한도 승인의 건
           제56기 보수한도액 : 45억원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



3. 우발채무 등

가. 중요한 소송사건

▣ 국내 부문 소송현황


● 사업연도 개시일 현재 계속 중인 소송('13. 1. 1 이전에 제기된 소송)


1. 강남구청, 통신설비 이설비용청구 소송 [법무법인 광장]

가. 사건번호 : 2011다104062 (1심 : 2008가합10865, 2심 : 2010나30173)

나. 계류법원 : 대법원

다. 사건명 : 통신설비 이설비용청구

라. 소송물가액 : 359,095,058원

마. 원고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바. 피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사. 소송내용 : 통신설비 이설비용 청구

아. 진행사항 : 1심 본소 패소, 반소 각하('10.1.13), 2심 승소('11.11.2),
피고-상고('11.11. 17)

자. 소송전망 : 승소가능성 높음


2. 김창영 외36인, 분양대금반환등청구 소송 [법무법인 남산]

가. 사건번호 : 2012나31231 ( 1심 : 2009가합24409, 2009가합24935, 2009가합25457,

                   2009가합27385, 2010가합1037, 2010가합10284, 2010가합23822,

                   2010가합25828 )

나. 계류법원 : 서울고등지방법원

다. 사건명 : 분양대금반환 등

라. 소송물가액 : 5,925,460,726원

마. 원고 : 김창영외 36인

바. 피고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사. 소송내용 : 피분양자인 김창영외 36인이 오피스텔 분양계약을 해제하고 기 납입한

분양대금 및 위약금 청구

아. 진행사항 : 당사-1심 승소('12.2.23), 원고-항소('12.3.7), 강제조정 결정('13.2.6)

자. 소송전망 : 승소가능성 높음


3. 강남구청, 통신설비 이설비용부과처분취소 소송 [법무법인 광장]

가. 사건번호 : 2012두15746 (1심 : 2010구합18420, 2심 : 2011누35769 )

나. 계류법원 : 대법원

다. 사건명 : 통신설비이설비용부과처분취소

라. 소송물가액 : 680,000,000원

마. 원고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바. 피고 : 서울특별시 강남구청장

사. 소송내용 : 통신설비 이설비용 부과처분 취소 청구

아. 진행사항 : 1심 승소('11.8.25), 2심 승소('12.5.25), 피고-상고('12. 6. 28)

자. 소송전망 : 승소가능성 높음


4. 공정거래위원회, 과징금 처분 취소 소송 [법무법인 율촌]

가. 사건번호 : 2012두20007 (1심 : 2012누9019)

나. 계류법원 : 대법원

다. 사건명 : 시정명령 등 취소

라. 소송물가액 : 1,000,000,000원

마. 원고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바. 피고 : 공정거래위원회

사. 소송내용 : 공정거래위원회의 SK증권 주식보유 관련 과징금(50.85억원) 처분

             취소 청구

아. 진행사항 : 1심 승소('12.8.10), 피고-상고('12.8.31)

자. 소송전망 : 승소가능성 높음


5. 고청환外 2명, 손해배상 청구 소송 [법무법인 광장]

가. 사건번호 : 2012나88558 (1심 : 2011가합37051)

나. 계류법원 : 서울고등법원

다. 사건명 : 손해배상(기)

라. 소송물가액 : 1,000,000,000원

마. 원고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바. 피고 : 고청환, 대한민국, 강서구

사. 소송내용 : 부동산 담보사기로 인해 당사에게 발생한 손해배상 청구

아. 진행사항 : 1심 승소('12.9.27), 피고-상고('12.10.19)

자. 소송전망 : 예측하기 어려움



● 사업연도 중에 제기된 소송('13. 1. 1 ~ '13. 3. 31)

- 해당사항 없음



● 종료된 소송('13. 1. 1 ~ '13. 3. 31)

- 해당사항 없음



▣ 해외 부문 소송현황


● 사업연도 개시일 현재 계속 중인 소송('13. 1. 1 이전에 제기된 소송)


1. Bloom Lake, 계약이행 청구 중재 [Sidely Austine]

가. 사건번호 : No. 17963/VRO

나. 중재기구 : ICC ( International Chamber of Commerce )

다. 사건명 : Offtake 계약이행 및 손해배상 청구

라. 신청인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마. 피신청인 : The Bloom Lake Iron Ore Mine Limited Partnership

바. 신청내용 : 손해배상 청구 ( USD 20,200,000 )

사. 진행사항 : 중재신청('11.5.25), Hearing Meeting('13.4.23~28)

아. 중재전망 : 예측하기 어려움


2. Bentley Holdings, 어음금 청구소송 [Sidely Austine]

 가. 사건번호 : 2:2012cv08997

 나. 중재기구 : California Central District Court

 다. 사건명 : 어음금 청구소송

 라. 신청인 : SK네트웍스 주식회사

 마. 피신청인 : Bentley Forbes Holdings LLC

바. 신청내용 : 손해배상 청구 ( USD 11,653,922 )

사. 진행사항 : 당사-소 제기('12.10.28), 변론기일(추후지정)

아. 중재전망 : 예측하기 어려움


● 사업연도 중에 제기된 소송('13. 1. 1 ~ '13. 3. 31)

- 해당사항 없음

 

● 종료된 소송('13. 1. 1 ~ '13. 3. 31)

- 해당사항 없음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① 지배회사

[구분: 수표]

(기준일 :2013. 03. 31) (단위 : 매, 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은 행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법 인 7 - 한국광물자원공사 7
기타(개인) - - -


[구분: 어음]

(기준일 : 2013. 03 31 ) (단위 : 매, 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은 행 2     791,612,167 *UBAF SEOUL 2
금융기관(은행제외)  -                                  -  
법 인 4    200,000,000 *한국타이어 1 / 동양석판 1 / SKT 1 /
  한국씨티그룹캐피탈 1
기타(개인) - - -

*상기의 견질로 제공된 어음과 수표 중 UBAF SEOUL 외 1개사에 지급된 총 992백   만원의 어음 3매를 제외하고는 모두 백지어음 및 수표 입니다.

②종속회사

- 해당사항 없음

다. 그 밖의 우발채무 등
- 당기말 현재 연결실체는 와인 관련 사모펀드에 편입되는 와인 실물의 보관 및 관리를대행하고 있으며, 일부 펀드에 대해서는 만기까지 투자자가 회수하는 금액이 원금상당액에 부족할 경우 부족액을 지급하여 주는 약정을 맺고 있습니다. 약정을 맺은펀드의 만기는 2013년~2015년이며, 해당 원금상당액은 모두 109,918백만원입니다.

4. 제재현황 등 그 밖의 사항
 
가. 제재현황
 
- 당사는 2011년 12월 1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공정거래법상 자회사 행위제한 규정 위반에 따라 과징금 50.8억원과 시정명령을 부과받았습니다.

이에 당사는 과징금 납부를 완료하였고, 시정명령 이행방안에 대해서는 검토 중에 있습니다. 앞으로 관련 법령을 위반하지 않도록 사전예방활동 등을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 회사의 과거 일부 거래 등과 관련하여 회사의 일부 임원에 대한  1심 재판에서 전부 무죄가 선고된 바 있으며, 현재 항소심 재판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나.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 해당 사항 없음


5. 녹색경영

가.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
SK네트웍스 워커힐은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 제42조제5항에 따른 관리업체에 해당하며, 이에 같은 법 제44조에 따라 정부에 온실가스 배출량 및 에너지 사용량에 관한 사항을 보고합니다.

년도 온실가스배출량(tCO₂eq) 에너지 사용량 (TJ) 비고
직접배출 간접배출 총량
2012 10,255.345 19,859.805 30,115 607 제3자 검증 완료



[SKC 및 주요종속회사]

1. 공시사항의 진행상황

- 해당사항 없음

2. 주주총회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비 고
제40기
정기주주총회
(2013.03.22)
제1호의안 : 제 40기 결산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 승인의 건        

제3-1호의안 :  기타비상무이사 선임의 건

제3-2호의안 :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4호의안 : 사외이사인 감사위원회 위원 승인의 건    

제5호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원안대로 승인

- 조경목 선임

- 김대순, 이성준 선임

- 서석호, 이성준 선임

- 100억원 승인
-
제39기
정기주주총회
(2012.03.23)
제1호의안 : 제 39기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 정관 일부 변경 승인의 건        

제3호의안 :  사내이사 선임의 건

제4호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원안대로 승인

- 최신원, 박장석 선임

- 100억원 승인
-
제38기
정기주주총회
(2011.03.11)
제1호의안 : 제 38기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 계산서 승인의 건

제2호의안 : 이사선임의 건        


제3호의안 : 감사위원회 위원이 되는 사외이사 선임의 건            
제4호의안 : 이사 보수 한도액 승인의 건    
- 원안대로 승인


- 이해정, 안희준
  서석호 선임

- 신황호 선임

- 80억원 승인
-


3. 우발채무 등
[지배회사 : SKC]

가. 금융기관 등에 매각한 매출채권 중 당분기말 현재 만기가 미도래한 금액은 다음        과 같습니다.

(단위 : 천원)
구분 금액 양도조건
D/A, D/P 35,042,626 담보책임 있음
L/C 12,194,398 담보책임 없음


나. 당분기말 현재 D/A, D/P에 의한 수출환어음의 한도금액US$ 125백만입니다.

다. 회사는 당분기말 현재 하나은행 등과 당좌차월약정(한도: 9,000백만원) 및 상업
     어음할인약정(한도: 35,000백만원)을 맺고 있습니다.


라. 당기 1분기말 현재 당사가 피고로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4건으로 소송가액은       4,369,605천원이며, 동 소송의 최종결과가 당사의 재무제표에 미칠 영향을 현재로서는 예측할 수 없습니다.

마.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해당사항 없음

바. 채무보증 내역

(단위 : 백만원, 천US$, 천EUR)
성명
(법인명)
관계 거 래 내 역 비고
기초 증가 감소 기말 채권자 채무내용 보증기간 비고
SKC Inc 계열
회사
$5,000     $5,000 우리은행NY Term Loan '12.12.05~'13.12.04 -
$5,000     $5,000 한국외환은행NY Term Loan '12.04.20~'13.04.14 -
$5,000     $5,000 한국외환은행NY Term Loan '12.08.09~'13.08.03 -
$30,000     $30,000 중소기업은행NY Term Loan '11.05.10~'13.05.09 -
$35,000     $35,000 국민은행NY 外 Syndi. Loan '11.05.21~'13.05.20 -
$40,000     $40,000 한국산업은행 外 FRN '12.07.26~'15.07.26 -
$30,000     $30,000 한국산업은행 外 Syndi. Loan '12.09.28~'14.09.27 -
$5,000   $5,000 $0 Comerica Term Loan '12.03.27~'13.03.26 -
$5,000     $5,000 Fifth Third Term Loan '12.04.29~'13.04.27 -
$5,000 $5,000 $5,000 $5,000 Fifth Third Term Loan '13.03.09~'14.03.08 -
SKC Europe
GmbH
계열
회사
$2,000 - - $2,000 외환은행 독일 General Loan '13.03.31~'14.03.06 -
SKC Europe
pu sp.zo.o
계열
회사
€2,500 - - €2,500 산업은행 런던 시설자금 '10.08.09~'13.08.08 -
€1,500 - - €1,500 Nordea 운영자금 '11.04.15~'13.08.31 -
SKC Jiangsu 계열
회사
$49,800     $49,800 SMBC(한국) 시설자금 '12.05.18~'18.05.18 -
¥0 ¥60,000   ¥60,000 하나은행 시설자금 '13.02.08~'16.01.29
SKC 하스
디스플레이
필름(유)
특수
관계인
$58,800 - - $58,800 Rohm and Haas 거래보증 '12.07.01 ~ '13.06.30 -
합    계 $275,600 $5,000 $10,000 $270,600 -
€ 4,000 € 0.00 € 0.00 € 4,000
¥0 ¥60,000 ¥0 ¥60,000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가. 금융기관등에 매각한 매출채권중 당기말 현재 만기가 미도래한 금액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천원)

구      분 금      액 양도조건
매출채권 할인 1,848,244 상환청구권 없음


나. 당분기말 현재 금융기관 등과 체결한 주요 약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기준일 : 2013.03.31)                                                                 (원화 단위:천원)

구      분 금융기관명 약정한도액
일반대출 SC은행 외 1 36,000,000
매출채권담보대출 하나은행 10,500,000
일반대출 등 외환은행 16,000,000
수입신용장 신한은행 외 2  USD 23,000,000
담보부장기대출 신한캐피탈 외 1 15,000,000


.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피고로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없습니다.

라.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기준일 : 2013.03.31) (단위:천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SK브로드밴드(주) 1 백지어음 견질어음 제공
SK텔링크(주) 1 백지어음 견질어음 제공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가. 당분기말 현재 회사가 맺고 있는 차입약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US$, 엔화)

금융기관 약정내용 통화 한도액 사용액
㈜신한은행 무역금융한도 KRW 13,860 13,860
운전자금 KRW 8,000 8,000
신용장개설한도 USD 3,400 -
전자방식매출채권담보대출한도 KRW 2,400 330
㈜하나은행 무역금융한도 KRW 6,000 6,000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KRW 8,000 8,000
기업운전일반자금대출 KRW 10,000 10,000
전자방식매출채권담보대출한도 KRW 2,000 -
시설자금 KRW 5,500 5,500
신용장개설한도 USD 5,000 308
㈜우리은행 운전자금 KRW 15,000 13,000
전자방식매출채권담보대출한도 KRW 3,000 1,243
㈜국민은행 운전자금 KRW 20,000 20,000
전자방식매출채권담보대출한도 KRW 1,000 -
㈜한국외환은행 전자방식매출채권담보대출한도 KRW 10,900 4,380
운전자금 KRW 10,000 10,000
농협협동조합중앙회 운전자금 KRW 10,000 10,000
한화저축은행 운전자금 KRW 5,000 5,000
㈜산업은행 운전자금 KRW 10,000 10,000
중소기업은행 시설자금 KRW 4,804 4,804
한국정책금융공사 시설자금 KRW 60,000 60,000
시설자금 KRW 9,300 9,300
Mitsui Sumitomo 운전자금 JPY 100,000 100,000
(주1) 외상채권담보대출의 사용액은 소유에 따른 위험과 보상이 대부분 이전되어 양도거래로 처리되었습니다.


나. 당분기 말 현재 회사의 금융기관에 대한 차입금 및 계약이행 보증 등을 위하여          담보로 제공하고 있는  자산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백만원)

담보권자 담보제공자산 채권최고액 비고
㈜하나은행 유형자산     28,600 장단기차입금 담보
㈜신한은행 유형자산     16,900 장단기차입금 담보
중소기업은행 유형자산      6,460 장단기차입금 담보
한국정책금융공사 유형자산     72,000 장단기차입금 담보
합계   123,960


다.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 Inc.]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 (Jiangsu) High Tech Plastics]
- 해당사항 없음

4.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지배회사 : SKC]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텔레시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솔믹스]
- 사는 2013년 3월 5일 이사회 결의를 통하여 운영자금을 목적으로 무보증 원화표시 공모사채 500억원의 발행을 결정하였으며 발행예정일은 2013년 4월 3일입니다.

[주요종속회사 : SKC에어가스]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 Inc]
- 해당사항 없음

[주요종속회사 : SKC(Jiangsu) High Tech Plastics]
- 해당사항 없음



[SK건설 및 주요종속회사]


1. 우발채무 등

가. 중요한 소송사건

당기말 현재 당사가 분쟁 등으로 인하여 피고로서 계류중인 소송사건은 약 130건으로 소송가액은 약 5,200억 원입니다.

현재 당사가 피고로서 계류중인 주요 소송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사 건 명 원   고 피고 소송가액
(단위: 천원)
소송내용
아산배방 펜타포트 수분양자 분양대금 반환 정희성 외 500 SK건설 외 4 60,835,448 분양시 주변여건 및 시설에 관한 과대광고를 사유로 계약의 취소.해제와 손해배상을 청구함
오륙도 SK View 수분양자
분양대금반환
(상고심, 2심 일부패소)
신동우 외 923 (주)무송종합엔지니어링,
SK건설
12,803,550


나.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ㆍ수표 현황

[어음]

[기준일 : 2013.03.31] [단위 : 백만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은 행 - - -
금융기관(은행제외) 2 - 백지어음
법 인 9 - 백지어음
기타(개인) - - -

[수표]

[기준일 : 2013.03.31] [단위 : 백만원]
제 출 처 매 수 금 액 비 고
은 행 - - -
금융기관(은행제외) - - -
법 인 1 - 백지수표
기타(개인) - - -


다. 채무보증 현황

[지배회사내용 : SK건설]

1) 당사는 국내공사시공과 관련하여 타건설회사에 연대이행보증을 하고 있으며, 당분기말 현재 제공한 이행보증금액은 4,236,483백만 원(전기말 : 4,446,779백만 원)입니다.

2) 보고기간종료일 현재 당사가 건축사업 시행사의 프로젝트파이낸싱 대출을 위하여 제공한 지급보증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시공사가 보증한 PF대출잔액
                                                                                                   (단위: 백만원)

총 PF 대출잔액 유  형 금  액 비  고
914,240 ABS                    - -
ABCP 642,240 -
기타 PF Loan        272,000 -


- 대출잔액기준 상위 PF 현황
당분기말 현재 상기 지급보증 관련 주요 PF대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사업지역 채권
기관종류
대출금액 대출잔액 보증내역 대출기간 유형 비고
인천광역시 은행 등 550,000 550,000 채무보증 2011.10
 ~2015.10
ABCP,
 기타 Loan
용현
경기도 은행 등 159,000 159,000 채무보증 2010.4
 ~2013.4
ABCP,
 기타 Loan
기산
경기도 은행 등 128,000 128,000 채무보증 2012.9
 ~2013.10
ABCP,
 기타 Loan
서수원
합계 - 837,000 837,000 - - - -

* 자기자본 10%미만인 경우는 생략 가능

** 사업지역은 광역지역을 표기

3) 당사는 당기말 현재 시행사에 대한 상기의 지급보증 외에 재개발·재건축조합의 사업비 PF 대출에 대해서는 178,395백만원(대출잔액: 137,227백만원)의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당사는 당기말 현재 수분양자를 위한 중도금대출의 원금보증 한도금액 916,966백만원에 대한 지급보증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4) 당사는 해외현지법인 등에 대하여 THB 31,513 천, KWD 1,178 천 지급보증, THB 200,000 천, KWD 1,000 천 여신한도 보증, SAR 150,000 천, USD 7,380 천 차입금 보증 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종속회사의 내용]

주요 종속회사의 채무보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백만원)

종속회사명 유  형 금  액 비  고
에스케이디앤디㈜ 차입금 지급보증       11,700 시행사에 대한 지급보증


라. 그 밖의 우발채무 등
해당사항 없음

마. 작성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해당사항 없음

바. 직접금융 자금의 사용


1) 공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13.03.31 ) (단위 : 백만원)
구 분 납입일 납입금액 신고서상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현황 차이발생 사유 등
유상증자
(주주배정)
2011.10.27 167,878 Global R&C 확보 투자
개발형 사업 투자 재원
Global R&C 확보 투자
개발형 사업 투자 재원
-


2) 사모자금의 사용내역

(기준일 : 2013.03.31 ) (단위 : 백만원)
구 분 납입일 납입금액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현황 차이발생 사유 등
유상증자
(제3자배정)
2011.10.27 32,122 Global R&C 확보 투자
개발형 사업 투자 재원
Global R&C 확보 투자
개발형 사업 투자 재원
-
전환사채
(기명식 무보증)
2012.01.31 235,000 Global R&C 확보 투자
개발형 사업 투자 재원
Global R&C 확보 투자
개발형 사업 투자 재원
-
유상증자
(제3자배정)
2013.03.18 100,000 기업어음 상환
및 운영자금
기업어음 상환
및 운영자금
-


[SK해운 및 주요종속회사]


1. 공시사항의 진행 및 변경 상황
해당사항 없음.


2. 주주총회 의사록 요약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비 고
제31기
주주총회
(2013.3.29)
재무제표 승인의 건
정관 일부 개정 승인의 건
이사 선임의 건
감사 선임의 건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감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원안대로 승인


3. 중요한 소송사건 등

당사가 당분기말 현재 피고로서 진행중인 소송사건은 총 17건으로, 소송에서 패소하게 될 경우 미래에 지급할 것으로 예상되는 총 금액 2,061백만원을 충당부채로 인식하고 있으며, 재무상태표에 인식하지 않은 우발부채 64,531백만원이 존재합니다. 중요한 소송사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내     용 손해배상청구소송 손해배상청구소송
제 소 자 삼성생명보험 LIG손해보험
제소금액 34,369백만원 1,000백만원
진행경과 1심 패소(2012. 9. 14) 및 이와 관련된 판결금 84억원(이자포함) 지급완료하였으며, 당분기말 현재 2심 진행 중입니다. 당분기말 현재 1심 진행중이며, 동 소송 관련하여 충당부채를 설정하였습니다.


4. 견질 또는 담보용 어음·수표 현황
해당사항 없음

5. 채무보증 현황

                                                                                         (단위 : 백만원, 천U$)

성명
(법인명)
관계 거 래 내 역 채권자 비 고
기 초 증 가 감 소 기 말
SS Ttiton A S.A./
SS Ttiton B S.A.
- $126,203 - $1,884 $124,319 ABN AMRO BANK N.V.(*) 기간: 11.03~24.08
내용: 선박금융에 대한 지급보증
SS Triton B S.A - $1,700 - - $1,700 ABN Amro singapore 기간: 12.11.02~13.11.02
내용: 선박금융에 대한 지급보증

(*) ABN AMRO BANK N.V.에게 제공된 보증은 나용선계약을 통해 운항중인 선박 2척과 관련하여 선주의 금융계약상 의무이행보증입니다.


6. 제재현황
해당사항 없음

7. 작성 기준일 이후 발생한 주요사항
해당사항 없음.

8. 직접금융 자금의 사용

가. 공모자금 자용 내역
해당사항 없음

나. 사모자금 사용내역

(기준일 : 2013년 3월 31일 ) (단위 : 백만원 )
구 분 납입일 납입금액 자금사용 계획 실제 자금사용 현황 차이발생
사유 등
제3자 배정
유상증자
2010.12.14 336,000 회사의 투자재원 확보 및 재무구조 개선 (*) -

(*) 당사는 2010년 12월 14일에  3자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통해 3,360억원의 자금을 조달하였으며, 자금의 사용 현황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위 : 백만원)

구 분 자금사용 내역
납입일 납입금액 비   고
선가납입 2011-01-05             6,440 Zhenghe중공업 건조선박 (ZH1026) 2차 선가 납입
2011-01-10             6,640 삼호중공업 건조선박 (S1145) 2차 선가 납입
2011-01-25             6,440 Zhenghe중공업 건조선박 (ZH1025) 2차 선가 납입
2011-01-28             6,499 삼호중공업 건조선박(S1146) 2차 선가 납입
2011-03-15           24,088 현대중공업 건조선박(H2515) 1차 선가 납입
2011-04-19           12,996 삼호중공업 건조선박 (S1147) 2차 선가 납입
2011-05-27             6,307 Zhenghe중공업 건조선박 (ZH1025) 3차 선가 납입
2011-05-31           12,648 삼호중공업 건조선박(S1148) 2차 선가 납입
2011-07-29           20,637 대련중공업 건조선박(T3000-52) 2차 선가 납입
2011-09-07             2,671 중고선박 매입대금
2011-10-04             6,791 중고선박 매입대금
2011-10-11           13,670 중고선박 매입대금
2011-11-05             5,523 중고선박 매입대금
2011-12-19           11,334 대련중공업 건조선박(T3000-53) 2차 선가 납입
2012-03-12           24,860 현대중공업 건조선박(H2581) 1차 선가 납입
해외법인
 증자
2011-03-14         101,205 SK Shipping Europe Plc. 증자  
2011-12-20           81,865 SK Shipping (S'PORE) Pte. Ltd 증자
                 계         350,614


[SK E&S 및 주요종속회사]

1. 주주총회 현황

주총일자 안 건 결 의 내 용
정기주총
(2012.03.29)
- 2011년 감사보고
 - 2011년 영업보고
 - 2011년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 손익계산서 및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
 - 이사 선임
 - 감사 선임
 - 정관일부 변경의 건
 - 임원퇴직금 지급규정 변경의 건
 - 2012년도 이사 보수한도액 승인
-
 -
 - 원안가결
 - 문덕규, 한치우, 장용호
 - 조경목
 - 개정상법 반영
 -
 - 45억원
임시주총
(2013.02.06)
- 이사 선임 승인의 건 - 유정준
정기주총
(2013.03.22)
- 감사보고
 - 영업보고
 - 외부감사인 선임보고
 - 2012년 재무제표(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제외) 승인의 건
 - 자본준비금 감소의 건
 - 2012년 이익잉여금처분계산서 승인의 건
 - 이사보수한도 승인의 건
 - 임원퇴직금 지급 규정 변경의 건
 - 이사 선임의 건
 - 감사 선임의 건
-
 -
 -
 - 원안가결
 - 원안가결
 - 원안가결
 - 원안가결
 - 원안가결
 - 박영수, 김준
 - 이성형


2. 우발채무와 약정사항


가. 당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제공하거나 제공받은 지급보증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구분 보증처 피보증처 내  역 금   액
제공한 지급보증 에스케이이엔에스㈜ 황강새락천연기유한공사 차입금원리금에대한지급보증(*1) 8,410,650
제공받은 지급보증 서울보증보험 영남에너지서비스㈜ 하자이행보증 및 인허가보증 1,762,635
서울보증보험 충청에너지비스㈜ 하자이행보증 555,000
서울보증보험 ㈜부산도시가스 집단에너지시설관리, 운영 위탁협약 등 1,102,890
서울보증보험 전남도시가스㈜ 하자이행보증 1,695,386
서울보증보험 전북에너지서비스㈜ 하자이행보증 146,967
㈜국민은행 에스케이이엔에스㈜ 포괄외화지급보증(*2) 55,605,000
㈜하나은행 에스케이이엔에스㈜ 계약이행지급보증 1,431,338

(*1) CNY 47,000,000 / 적용환율:  178.95 ('13.3.31, 서울외국환중개소)
(*2) USD 50,000,000 / 적용환율:  1112.10  ('13.3.31, 서울외국환중개소)

나. 당분기말 현재 연결회사의 계류 중인 소송사건 중 중요한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원고 피고 사건내용 소송가액
연결회사가 원고인 사건


 에스케이이엔에스㈜ 종로세무서장 법인세 경정거부처분 취소 10,349,393
 코원에너지서비스㈜ 중소기업은행 외 특정금전신탁금액 청구 10,000,000
연결회사가 피고인 사건


 ㈜대우가스공영 ㈜부산도시가스 공사대금 등 1,514,758
 동원가스기공㈜ ㈜부산도시가스 공사대금 등 801,707
 ㈜경림에너지 ㈜부산도시가스 공사대금 등 989,990
 현대제철㈜ 영남에너지서비스㈜ 손해배상 547,183
 한국토지주택공사 충청에너지비스㈜ 공사대금 등 4,390,259
 ㈜부산이엔지 ㈜부산도시가스 부당이득금 906,532
 ㈜세이이엔지 ㈜부산도시가스 부당이득금 563,930


연결회사는 상기 소송의 향후 결과 및 재무제표에 미칠 영향을 검토보고서일 현재까지 합리적으로 예측할 수 없습니다.

다. 당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체결하고 있는 차입약정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천원 또는 천외화).

회사명 금융기관 약정내역 한도액
에스케이이엔에스㈜ 농협은행㈜ 당좌차월 10,000,000
㈜하나은행 등 일반한도대출 120,000,000
강원도시가스㈜ ㈜한국씨티은행 당좌차월 1,000,000
㈜하나은행 일반한도대출 5,000,000
㈜부산도시가스 ㈜국민은행 일반한도대출 20,000,000
㈜신한은행 일반한도대출 5,000,000
영남에너지서비스㈜ ㈜한국씨티은행 당좌차월 11,000,000
농협은행㈜ 일반한도대출 10,000,000
평택에너지서비스㈜ ㈜한국산업은행 PF약정 742,600,000
충청에너지서비스㈜ 농협은행㈜ 당좌차월 5,000,000
㈜한국씨티은행 당좌차월 2,000,000
㈜하나은행 일반한도대출 2,000,000
전남도시가스㈜ ㈜하나은행 일반한도대출 5,000,000
농협은행㈜ 당좌차월 5,000,000
전북에너지서비스㈜ 농협은행㈜ 당좌차월 10,000,000
㈜국민은행 일반한도대출 10,000,000
㈜하나은행 수입신용장 JPY        70,000
SK LNG Trading Pte., Ltd. 씨티은행 싱가폴 수입금융한도약정 USD       65,000
국민은행 싱가폴 수입금융한도약정 USD       60,000
하남에너지서비스㈜ ㈜우리은행 등 PF약정 616,400,000
합계 1,580,000,000
USD     125,000
JPY        70,000



라. 당분기말 현재 연결회사가 견질로 제공한 어음ㆍ수표의 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

제공자 구분 제공처 매수 제출 목적
에스케이이엔에스㈜ 어음 한국석유공사 3 장기차입금 담보
에스케이이엔에스㈜ 수표 한국석유공사 6 장기차입금 담보
강원도시가스㈜ 수표 한국가스공사 1 천연가스수급계약견질제공


마. 기타 우발부채 및 약정사항

(1) 당분기말 현재 ㈜부산도시가스는 부지활용계획에 따라 ㈜메가마트 등과 임대차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2) ㈜평택에너지서비스는 2010년 6월 21일 한국산업은행을 대출대리은행으로 하여프로젝트 비용을 조달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을 제한하는 조건으로 833MW 천연가스발전사업 Project Financing 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선순위, 중순위, 후순위, 재무출자 등이 약정되었으며, 당분기말 현재 동 Project Financing 계약의 세부내역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위: 천원).

구분 금리 상환방법 인수기관 약정액 인출액 미인출잔액
선순위 대출
Tranch I
건설기간: 6.60 %
운영기간: 6.50 %
최초 인출 후 3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동부화재해상보험㈜ 30,000,000 24,570,000 5,430,000
교보생명보험㈜ 50,000,000 40,950,000 9,050,000
새마을금고중앙회 45,000,000 36,855,000 8,145,000
한화손해보험㈜ 25,000,000 20,475,000 4,525,000
LIG손해보험㈜ 20,000,000 16,380,000 3,620,000
신한생명보험㈜ 20,000,000 16,380,000 3,620,000
흥국생명보험㈜ 20,000,000 16,380,000 3,620,000
알리안츠생명보험㈜ 15,000,000 12,285,000 2,715,000
메리츠화재해상보험㈜ 10,000,000 8,190,000 1,810,000
소계 235,000,000 192,465,000 42,535,000
선순위 대출
Tranch II
회사채수익률
(3년 만기 AA-) 기준
건설기간: +1.55%
운영기간: +1.40%
최초 인출 후 3년 거치
10년 분할 상환
한국산업은행 30,000,000 24,605,000 5,395,000
한국정책금융공사 25,000,000 20,475,000 4,525,000
중소기업은행 25,000,000 20,475,000 4,525,000
㈜우리은행 20,000,000 16,380,000 3,620,000
소계 100,000,000 81,935,000 18,065,000
신용보강
한도대출
Tranche II 변동금리
+ 2.0%
최초 인출 후 3개월
일시상환
한국산업은행 152,600,000 - 152,600,000
소계 152,600,000 - 152,600,000
후순위 대출 최초~5년: 7.90%
6년~10년: 8.40%
11년~만기:8.90%
최초 인출 후 16년
일시상환
산은파워에스오씨제일차 10,000,000 10,000,000 -
동부화재해상보험㈜ 10,000,000 10,000,000 -
현대해상화재보험㈜ 15,000,000 15,000,000 -
소계 35,000,000 35,000,000 -
중순위 대출 7.50% 13년 거치 2년 분할상환 한국인프라자산운용㈜ 35,000,000 35,000,000 -
소계 35,000,000 35,000,000 -
합계 557,600,000 344,400,000 213,200,000


Project Financing 계약의 약정사항과 관련하여 ㈜평택에너지서비스의 금융상품과 유형자산이 담보로 제공되어 있습니다.

지배회사인 에스케이이엔에스 주식회사는 상기 복합발전사업 Project Financing 추진과 관련하여 종속기업인 평택에너지서비스㈜의 관련 차입금 및 이자 등의 상환을담보하기 위하여 보유 중인 평택에너지서비스㈜의 주식 23,820,000주를 담보로 대주단에 제공하였으며, 추가로 주식을 보유할 경우 추가보유분도 담보로 제공할 예정입니다. 지배회사는 평택에너지서비스㈜의 본 사업과 관련하여 대출원리금 상환을 위한 현금흐름 부족분에 대한 자금 보충(30,000,000천원 한도) 약정을 Project Financing 대주단과 체결하고 있으며 지배회사는 평택에너지서비스㈜의 재무적 투자자(투자금액 70,000,000천원)의 후순위 차입금 및 상환우선주의 상환, 배당금 지급 및 본 사업 준공 시까지 산업은행의 신용공여 대출(152,000,000천원 한도)이 실행될 경우 이에 대한 원리금 상당액에 대한 자금 보충 등의 약정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3) 평택에너지서비스㈜는 2010년 중 오성 복합발전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계약과 관련하여 SK건설㈜ 및 코오롱글로벌㈜과 475,600,000천원의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4) 당분기말 현재 지배회사는 종속기업인 SK E&S HONGKONG Co., Ltd.의 관계기업 우한SK-Sino 천연가스집단유한공사가 지배주주에 대한 소송을 통하여 중국 사법당국으로부터 수령한 16,257,653천원을 예수금으로 계상하고 있습니다.

(5) 당분기말 현재 지배회사는 김천산업단지 집단에너지사업 Project Financing 추진과 관련하여 공동기업인 김천에너지㈜의 장래 차입금 184,540,000천원 및 이자 등의상환을 담보하기 위하여, 보유 중인 김천에너지㈜ 발행주식 7,000,000주를 한국산업은행 등 Project Financing 대주단에 담보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배회사는 김천에너지㈜의 본 사업과 관련하여 사업 준공 시까지 사업비가 자기자본예정금과 장기대출약정금의 합계액을 초과하게 되는 경우 출자지분에 따라 초과비용을 부담하여야 하며, 신용공여 대출(한도 9,740,000천원 한도)이 실행될 경우 이의 원리금 상환을 위해 출자자와 연대하여 추가출자를 하여야 합니다. 또한 지배회사는 사업 준공이후에 발생하는 대출 원리금 상환을 위한 현금흐름 부족분에 대한 자금 보충(20,000,000천원한도) 약정을 Project Financing 대주단과 체결하고 있습니다.

(6) 평택에너지서비스㈜는 2011년 중 평택소사벌 택지개발지구, 평택용죽지구, 동삭지구, 모산영신지구, 영신지구의 집단에너지 사업권 획득 및 집단에너지 EPC(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계약과 관련하여 두산건설㈜ 등과 66,300,000천원의 공사도급계약을 체결하였습니다.

(7) 당분기말 현재 지배회사는 인도네시아에 소재한 Tangguh PSC Contractor Parties로부터 2006년 1월부터 2025년 12월까지 연간 50~60만톤의 LNG를 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8) 당분기말 현재 지배회사는 GE International Inc.와 발전소설비에 대한 운영관리계약 및 가스터빈 유지보수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GE International Inc.는 발전소설비의 운영관리 및 가스터빈의 유지보수를 수행하며, 이에 소요되는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발전소설비 운영관리 계약기간은 2004년 6월부터 2013년 5월까지 또는 가스터빈의 계약상 1차 주요점검 만료일(2015년으로 추정) 중 나중에 도래하는날까지이며 가스터빈 유지보수 계약기간은 2004년 6월부터 2031년 2월 또는 가스터빈의 계약상 성능만료일(2026년으로 추정) 중 먼저 도래하는 날까지입니다.

(9) 당분기말 현재 지배회사는 ㈜포스코와 광양만 포스코 부지 내에 있는 LNG 터미널이용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계약기간은 2005년 6월부터 2025년 12월까지이며, 계약에 따라 지배회사는 LNG 하역량을 기준으로 터미널 이용료를 지급하고 있습니다.

(10) 당분기말 현재 지배회사는 ㈜포스코와 광양만 포스코 부지 내에 있는 발전소부지및 철탑 부지 임대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계약기간은 2003년 8월부터 2028년12월까지입니다.

(11) 강원도시가스㈜ 등 7개 종속기업은 한국가스공사와 장기 천연가스 수급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동 계약에 따르면 강원도시가스㈜ 등 7개 종속기업은 한국가스공사와 계약물량을 매 1년마다 정하며, 천연가스의 공급가격은 지식경제부 장관이 승인한 가격에 따라 결정됩니다. ㈜부산도시가스는 상기 계약과 관련하여 천연가스 매입대금을 지급기한까지 지불하지 못하는 등의 사유 발생시 천연가스 매출채권을 한국가스공사에게 양도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있습니다.

(12) 지배회사는 2012년 6월 코노코필립스(ConocoPhillips) 및 산토스(Santos)와 지분매매계약을 체결하고 호주 바로사-깔디따(Barossa-Caldita) 가스전 지분 37.5%를확보하였습니다. 회사는 가스전 지분 37.5%의 매입대가로 USD 310,000,000의 사업비 집행을 약정하였습니다.

3.기타사항
   
회사의 과거 일부 거래 등과 관련하여 회사의 일부 임원에 대한 1심 재판에서 전부 무죄가 선고된 바 있으며, 현재 항소심 재판이 진행 중에 있습니다.

X. 재무제표 등


○ 연결재무제표

(연결재무상태표,연결 포괄손익계산서,연결 자본변동표,연결 현금흐름표)


연결 재무상태표

제 52 기 1분기말 2013.03.31 현재

제 51 기말          2012.12.31 현재

제 50 기말          2011.12.31 현재

(단위 : 백만원)

 

제 52 기 1분기말

제 51 기말

제 50 기말

자산

     

 비유동자산

55,761,036

55,099,406

50,654,961

  유형자산

33,872,128

33,319,762

31,013,142

  무형자산

8,461,401

8,522,942

8,610,558

  투자부동산

620,634

623,368

780,094

  관계기업및조인트벤처투자

7,542,104

7,472,442

4,109,018

  매도가능금융자산

1,791,965

1,798,169

2,636,561

  매출채권및미수금

88,456

45,233

46,502

  기타의비유동자산

3,071,400

2,996,400

2,984,950

  이연법인세자산

312,948

321,090

474,136

 유동자산

36,444,739

35,545,741

41,758,952

  현금및현금성자산

8,574,810

7,145,923

9,372,372

  재고자산

9,549,553

9,167,873

9,656,388

  매출채권및미수금

14,916,370

14,896,930

15,146,017

  매도가능금융자산

184,339

287,578

189,433

  기타의유동자산

3,217,524

4,023,286

7,113,810

  매각예정자산

2,143

24,151

280,932

 자산총계

92,205,775

90,645,147

92,413,913

자본

     

 지배기업소유주지분

11,579,067

11,351,641

10,750,582

  자본금

238,609

238,609

238,609

  주식발행초과금

2,793,927

2,793,927

2,793,927

  자기주식

(417,892)

(417,892)

(417,892)

  이익잉여금

5,996,626

5,906,100

4,951,133

  기타자본항목

2,967,797

2,830,897

3,184,805

 비지배지분

23,642,277

24,063,948

23,271,899

 자본총계

35,221,344

35,415,589

34,022,481

부채

     

 비유동부채

25,079,510

23,898,521

22,784,738

  사채및차입금

19,238,571

17,936,038

16,003,816

  매입채무및미지급금

3,256,618

3,288,809

3,497,961

  충당부채

145,688

177,484

166,121

  퇴직급여채무

363,623

303,014

275,921

  기타의비유동부채

719,948

771,346

1,316,104

  이연법인세부채

1,355,062

1,421,830

1,524,815

 유동부채

31,904,921

31,331,037

35,606,694

  사채및차입금

9,448,880

10,454,825

12,688,608

  매입채무및미지급금

14,718,793

13,705,984

15,146,920

  충당부채

275,003

350,041

804,484

  기타의유동부채

7,462,245

6,816,935

6,751,082

  매각예정부채

0

3,252

215,600

 부채총계

56,984,431

55,229,558

58,391,432

자본과부채총계

92,205,775

90,645,147

92,413,913

연결 포괄손익계산서

제 52 기 1분기 2013.01.01 부터 2013.03.31 까지

제 51 기 1분기 2012.01.01 부터 2012.03.31 까지

제 51 기          2012.01.01 부터 2012.12.31 까지

제 50 기          2011.01.01 부터 2011.12.31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52 기 1분기

제 51 기 1분기

제 51 기

제 50 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매출

29,578,642

29,578,642

30,715,304

30,715,304

119,677,705

110,574,050

매출원가

27,372,627

27,372,627

27,935,318

27,935,318

109,766,377

99,383,129

매출총이익

2,206,015

2,206,015

2,779,986

2,779,986

9,911,328

11,190,921

판매비와관리비

1,139,581

1,139,581

1,182,850

1,182,850

5,314,196

4,770,191

영업이익(손실)

1,066,434

1,066,434

1,597,136

1,597,136

4,597,132

6,420,730

기타이익

95,456

95,456

226,579

226,579

1,057,079

2,848,140

기타손실

322,452

322,452

133,601

133,601

826,741

865,929

지분법손익

92,274

92,274

22,520

22,520

81,909

62,366

금융수익

665,683

665,683

934,148

934,148

3,255,734

3,840,750

금융비용

1,076,707

1,076,707

999,479

999,479

4,135,715

4,910,324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520,688

520,688

1,647,303

1,647,303

4,029,398

7,395,733

계속사업손익법인세비용

166,376

166,376

461,797

461,797

1,240,963

2,148,867

연결계속사업이익(손실)

354,312

354,312

1,185,506

1,185,506

2,788,435

5,246,866

중단사업손익(손실)

0

0

(10,261)

(10,261)

(157,613)

(143,733)

당기순이익

354,312

354,312

1,175,245

1,175,245

2,630,822

5,103,133

연결당기순이익(손실)의 귀속

           

 지배기업소유주지분순이익(손실)

199,269

199,269

459,509

459,509

1,048,893

1,673,082

 비지배지분순이익(손실)

155,043

155,043

715,736

715,736

1,581,929

3,430,051

주당이익

           

 기본주당계속사업이익(단위:원)

4,915

4,915

11,411

11,411

26,694

41,968

 기본주당이익(단위:원)

4,915

4,915

11,346

11,346

25,881

41,308

총포괄손익

523,101

523,101

1,034,096

1,034,096

1,856,084

4,751,829

포괄손익의 귀속

           

 지배기업소유주지분

297,482

297,482

409,056

409,056

781,824

1,554,270

 비지배지분

225,619

225,619

625,040

625,040

1,074,260

3,197,559

기타포괄손익

168,789

168,789

(141,149)

(141,149)

(774,738)

(351,304)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5,260)

(5,260)

(3,975)

(3,975)

(238,664)

(532,007)

 관계기업및조인트벤처투자평가손익

74,718

74,718

(37,774)

(37,774)

(191,975)

144,459

 파생상품평가손익

(186)

(186)

(21,906)

(21,906)

(29,940)

23,907

 해외사업환산손익

106,463

106,463

(37,004)

(37,004)

(239,122)

108,782

 표시통화환산손익

11,060

11,060

(2,516)

(2,516)

(22,947)

3,441

 보험수리적손익

(18,006)

(18,006)

(37,974)

(37,974)

(52,090)

(99,886)

연결 자본변동표

제 52 기 1분기 2013.01.01 부터 2013.03.31 까지

제 51 기 1분기 2012.01.01 부터 2012.03.31 까지

제 51 기          2012.01.01 부터 2012.12.31 까지

제 50 기          2011.01.01 부터 2011.12.31 까지

(단위 : 백만원)

 

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비지배지분

자본  합계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

이익잉여금

기타자본

지배기업의 소유주에게 귀속되는 자본  합계

2011.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3,384,281

2,996,453

8,995,378

21,155,944

30,151,322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1,673,082

0

1,673,082

3,430,051

5,103,133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0

0

0

0

(158,314)

(158,314)

(373,693)

(532,007)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평가손익

0

0

0

0

46,606

46,606

97,853

144,459

파생상품평가손익

0

0

0

0

(6,693)

(6,693)

30,600

23,907

해외사업환산손익

0

0

0

0

35,090

35,090

73,692

108,782

표시통화환산손익

0

0

0

0

2,861

2,861

580

3,441

보험수리적손익

0

0

0

(38,362)

0

(38,362)

(61,524)

(99,886)

총포괄손익

0

0

0

1,634,720

(80,450)

1,554,270

3,197,559

4,751,829

배당금지급

0

0

0

(79,950)

0

(79,950)

0

(79,950)

종속회사의 배당

0

0

0

0

0

0

(660,388)

(660,388)

연결실체 내 자본거래

0

0

0

0

250,216

250,216

(653,723)

(403,507)

연결범위의 변동

0

0

0

0

0

0

191,073

191,073

기타

0

0

0

12,082

18,586

30,668

41,434

72,102

자본 증가(감소) 합계

0

0

0

1,566,852

188,352

1,755,204

2,115,955

3,871,159

2011.12.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4,951,133

3,184,805

10,750,582

23,271,899

34,022,481

2012.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4,951,133

3,184,805

10,750,582

23,271,899

34,022,481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1,048,893

0

1,048,893

1,581,929

2,630,822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0

0

0

0

(50,209)

(50,209)

(188,455)

(238,664)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평가손익

0

0

0

0

(66,275)

(66,275)

(125,700)

(191,975)

파생상품평가손익

0

0

0

0

(12,560)

(12,560)

(17,380)

(29,940)

해외사업환산손익

0

0

0

0

(98,867)

(98,867)

(140,255)

(239,122)

표시통화환산손익

0

0

0

0

(18,654)

(18,654)

(4,293)

(22,947)

보험수리적손익

0

0

0

(20,504)

0

(20,504)

(31,586)

(52,090)

총포괄손익

0

0

0

1,028,389

(246,565)

781,824

1,074,260

1,856,084

배당금지급

0

0

0

(79,950)

0

(79,950)

0

(79,950)

종속회사의 배당

0

0

0

0

0

0

(682,923)

(682,923)

연결실체 내 자본거래

0

0

0

0

(76,433)

(76,433)

722,652

646,219

연결범위의 변동

0

0

0

0

(1,356)

(1,356)

(337,133)

(338,489)

기타

0

0

0

6,528

(29,554)

(23,026)

15,193

(7,833)

자본 증가(감소) 합계

0

0

0

954,967

(353,908)

601,059

792,049

1,393,108

2012.12.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5,906,100

2,830,897

11,351,641

24,063,948

35,415,589

2012.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4,951,133

3,184,805

10,750,582

23,271,899

34,022,481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459,509

0

459,509

715,736

1,175,245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0

0

0

0

(3,874)

(3,874)

(101)

(3,975)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평가손익

0

0

0

0

(13,880)

(13,880)

(23,894)

(37,774)

파생상품평가손익

0

0

0

0

(8,946)

(8,946)

(12,960)

(21,906)

해외사업환산손익

0

0

0

0

(5,094)

(5,094)

(31,910)

(37,004)

표시통화환산손익

0

0

0

0

(2,090)

(2,090)

(426)

(2,516)

보험수리적손익

0

0

0

(16,569)

0

(16,569)

(21,405)

(37,974)

총포괄손익

0

0

0

442,940

(33,884)

409,056

625,040

1,034,096

배당금지급

0

0

0

(79,950)

0

(79,950)

0

(79,950)

종속회사의 배당

0

0

0

0

0

0

(639,269)

(639,269)

연결실체 내 자본거래

0

0

0

0

(108,187)

(108,187)

18,102

(90,085)

연결범위의 변동

0

0

0

0

0

0

(35,178)

(35,178)

기타

0

0

0

8,995

33,389

42,384

(14,364)

28,020

자본 증가(감소) 합계

0

0

0

371,985

(108,682)

263,303

(45,669)

217,634

2012.03.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5,323,118

3,076,123

11,013,885

23,226,230

34,240,115

2013.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5,906,100

2,830,897

11,351,641

24,063,948

35,415,589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199,269

0

199,269

155,043

354,312

매도가능금융자산평가손익

0

0

0

0

(2,780)

(2,780)

(2,480)

(5,260)

관계기업및공동기업투자평가손익

0

0

0

0

44,595

44,595

30,123

74,718

파생상품평가손익

0

0

0

0

232

232

(418)

(186)

해외사업환산손익

0

0

0

0

56,276

56,276

50,187

106,463

표시통화환산손익

0

0

0

0

9,189

9,189

1,871

11,060

보험수리적손익

0

0

0

(9,299)

0

(9,299)

(8,707)

(18,006)

총포괄손익

0

0

0

189,970

107,512

297,482

225,619

523,101

배당금지급

0

0

0

(102,493)

0

(102,493)

0

(102,493)

종속회사의 배당

0

0

0

0

0

0

(676,876)

(676,876)

연결실체 내 자본거래

0

0

0

0

23,295

23,295

67,449

90,744

연결범위의 변동

0

0

0

0

0

0

(8,949)

(8,949)

기타

0

0

0

3,049

6,093

9,142

(28,914)

(19,772)

자본 증가(감소) 합계

0

0

0

90,526

136,900

227,426

(421,671)

(194,245)

2013.03.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5,996,626

2,967,797

11,579,067

23,642,277

35,221,344

연결 현금흐름표

제 52 기 1분기 2013.01.01 부터 2013.03.31 까지

제 51 기 1분기 2012.01.01 부터 2012.03.31 까지

제 51 기          2012.01.01 부터 2012.12.31 까지

제 50 기          2011.01.01 부터 2011.12.31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52 기 1분기

제 51 기 1분기

제 51 기

제 50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1,851,771

1,069,015

5,360,337

9,822,284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2,191,329

1,500,633

7,532,061

12,106,797

 이자수취

65,537

81,600

316,767

371,003

 이자지급

(339,090)

(318,233)

(1,328,467)

(1,344,050)

 배당금수취

26,099

53,185

102,732

74,969

 법인세납부

(92,104)

(248,170)

(1,262,756)

(1,386,435)

투자활동현금흐름

(338,338)

(4,283,500)

(9,430,462)

(5,604,184)

 장단기금융상품의 순증감

1,073,643

447,355

(246,907)

(367,415)

 장단기대여금의 순증감

(31,862)

(51,820)

35,820

(79,848)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처분

29,320

44,077

934,910

350,441

 관계기업및공동기업의 처분

7,384

1,850

55,273

22,799

 유형자산의 처분

25,068

19,006

442,830

214,151

 무형자산의 처분

4,385

4,764

65,630

70,673

 투자부동산의 처분

1,500

3,539

127,906

49,314

 매각예정자산의 처분

17,683

65,451

54,752

2,289,612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취득

(11,878)

(32,837)

(722,473)

(567,554)

 관계기업및공동기업의 취득

(34,943)

(3,175,218)

(3,494,095)

(707,303)

 유형자산의 취득

(1,306,781)

(1,245,783)

(6,280,352)

(5,562,420)

 무형자산의 취득

(108,233)

(120,643)

(471,746)

(919,426)

 투자부동산의 취득

0

(6,749)

(17,792)

(91,955)

 연결범위변동으로 인한 현금의 변동

6,056

62,473

6,784

(296,157)

 기타투자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입액

(9,680)

(298,965)

78,998

(9,096)

재무활동현금흐름

(108,982)

2,454,843

1,879,778

(1,510,185)

 사채및차입금의 증가

4,603,571

6,191,660

12,784,886

9,032,067

 미지급금의 증가

161,227

75,496

394,149

344,965

 연결자본거래로 인한 현금유입액

9,397

42,159

874,120

149,758

 사채및차입금의 감소

(4,682,150)

(3,816,635)

(11,344,516)

(10,134,345)

 미지급금의 감소

(161,575)

0

(92,158)

0

 배당금지급

0

0

(76,771)

(76,771)

 기타재무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출입액

10,955

3,919

104,963

49,466

 연결자본거래로 인한 순현금유출액

(50,407)

(41,756)

(764,895)

(875,325)

중단사업으로 인한 현금흐름

0

(28,870)

25,598

(85,682)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1,404,451

(788,512)

(2,164,749)

2,622,233

외화환산으로 인한 현금 변동

24,436

22,522

(61,700)

10,750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7,145,923

9,372,372

9,372,372

6,739,389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8,574,810

8,606,382

7,145,923

9,372,372

○ 재무제표
(재무상태표,포괄손익계산서,자본변동표,현금흐름표)

재무상태표

제 52 기 1분기말 2013.03.31 현재

제 51 기말          2012.12.31 현재

제 50 기말          2011.12.31 현재

(단위 : 백만원)

 

제 52 기 1분기말

제 51 기말

제 50 기말

자산

     

 비유동자산

11,347,522

11,348,363

11,055,903

  유형자산

31,433

31,232

29,192

  무형자산

25,850

25,850

25,809

  투자부동산

31,122

31,331

32,166

  종속기업투자

11,178,421

11,178,421

10,900,477

  공동기업투자

40,000

40,000

40,000

  매도가능금융자산

27,479

27,311

0

  장기금융상품

9

9

9

  종업원장기대여금

1

1

1

  보증금

8,895

7,958

7,867

  이연법인세자산

4,312

6,250

20,382

 유동자산

437,209

148,250

185,002

  매출채권

1,646

479

3,347

  미수금

304,712

9,391

50,802

  미수수익

746

697

132

  선급금

1,197

1,286

769

  선급비용

250

413

1,000

  금융상품자산

502

502

502

  현금및현금성자산

128,156

135,482

128,450

 자산총계

11,784,731

11,496,613

11,240,905

자본

     

 자본금

238,609

238,609

238,609

 주식발행초과금

2,793,927

2,793,927

2,793,927

 자기주식

(417,892)

(417,892)

(417,892)

 이익잉여금

2,799,744

2,148,916

1,852,826

 기타자본항목

3,265,081

3,265,081

3,265,081

 자본총계

8,679,469

8,028,641

7,732,551

부채

     

 비유동부채

2,328,325

2,580,841

2,475,968

  사채

2,313,719

2,562,649

2,461,110

  장기미지급비용

77

115

93

  퇴직급여채무

7,227

10,606

5,429

  금융보증부채

2,409

2,578

4,339

  임대보증금

4,893

4,893

4,997

 유동부채

776,937

887,131

1,032,386

  단기차입금

30,000

230,000

250,000

  유동성사채

599,367

599,447

677,655

  미지급금

0

0

572

  미지급비용

28,598

54,421

100,902

  미지급배당금

102,624

131

126

  미지급법인세

10,297

1,199

0

  예수금

4,689

434

178

  유동성금융보증부채

1,362

1,499

2,953

 부채총계

3,105,262

3,467,972

3,508,354

자본과부채총계

11,784,731

11,496,613

11,240,905

포괄손익계산서

제 52 기 1분기 2013.01.01 부터 2013.03.31 까지

제 51 기 1분기 2012.01.01 부터 2012.03.31 까지

제 51 기          2012.01.01 부터 2012.12.31 까지

제 50 기          2011.01.01 부터 2011.12.31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52 기 1분기

제 51 기 1분기

제 51 기

제 50 기

3개월

누적

3개월

누적

영업 수익

837,576

837,576

513,356

513,356

733,204

765,123

 배당수익

776,310

776,310

469,355

469,355

490,974

577,768

 상표권사용수익

53,370

53,370

36,009

36,009

210,584

143,001

 제품매출

0

0

0

0

0

6,090

 임대수익

7,891

7,891

7,979

7,979

31,617

31,939

 기타용역수익

5

5

13

13

29

6,325

영업비용

35,396

35,396

43,650

43,650

182,221

189,078

 제품매출원가

0

0

0

0

0

16,485

 판매비와관리비

35,396

35,396

43,650

43,650

182,221

172,593

영업이익(손실)

802,180

802,180

469,706

469,706

550,983

576,045

기타이익

1,487

1,487

1,386

1,386

17,443

7,520

기타손실

2,171

2,171

7,504

7,504

10,359

5,860

금융수익

907

907

880

880

4,236

3,628

금융비용

38,001

38,001

42,594

42,594

158,171

157,256

법인세비용차감전순이익(손실)

764,402

764,402

421,874

421,874

404,132

424,077

법인세비용

11,103

11,103

20,197

20,197

27,831

(2,476)

당기순이익

753,299

753,299

401,677

401,677

376,301

426,553

기타포괄손익

22

22

(222)

(222)

(261)

(1,642)

 당기손익으로 재분류되지 않는 세후기타포괄손익

           

  확정급여제도의 보험수리적손익의 세후기타포괄손익

22

22

(222)

(222)

(261)

(1,642)

총포괄손익

753,321

753,321

401,455

401,455

376,040

424,911

주당이익

           

 기본주당이익(단위:원)

18,602

18,602

9,917

9,917

9,264

10,513

자본변동표

제 52 기 1분기 2013.01.01 부터 2013.03.31 까지

제 51 기 1분기 2012.01.01 부터 2012.03.31 까지

제 51 기          2012.01.01 부터 2012.12.31 까지

제 50 기          2011.01.01 부터 2011.12.31 까지

(단위 : 백만원)

 

자본

자본금

주식발행초과금

자기주식

이익잉여금

기타자본

자본  합계

2011.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1,507,865

3,265,081

7,387,590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426,553

0

426,553

보험수리적손익

0

0

0

(1,642)

0

(1,642)

총포괄손익

0

0

0

424,911

0

424,911

배당금지급

0

0

0

79,950

0

79,950

2011.12.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1,852,826

3,265,081

7,732,551

2012.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1,852,826

3,265,081

7,732,551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376,301

0

376,301

보험수리적손익

0

0

0

(261)

0

(261)

총포괄손익

0

0

0

376,040

0

376,040

배당금지급

0

0

0

79,950

0

79,950

2012.12.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2,148,916

3,265,081

8,028,641

2012.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1,852,826

3,265,081

7,732,551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401,677

0

401,677

보험수리적손익

0

0

0

(222)

0

(222)

총포괄손익

0

0

0

401,455

0

401,455

배당금지급

0

0

0

79,950

0

79,950

2012.03.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2,174,331

3,265,081

8,054,056

2013.01.01 (기초자본)

238,609

2,793,927

(417,892)

2,148,916

3,265,081

8,028,641

자본의 변동

포괄손익

당기순이익

0

0

0

753,299

0

753,299

보험수리적손익

0

0

0

22

0

22

총포괄손익

0

0

0

753,321

0

753,321

배당금지급

0

0

0

102,493

0

102,493

2013.03.31 (기말자본)

238,609

2,793,927

(417,892)

2,799,744

3,265,081

8,679,469

현금흐름표

제 52 기 1분기 2013.01.01 부터 2013.03.31 까지

제 51 기 1분기 2012.01.01 부터 2012.03.31 까지

제 51 기          2012.01.01 부터 2012.12.31 까지

제 50 기          2011.01.01 부터 2011.12.31 까지

(단위 : 백만원)

 

제 52 기 1분기

제 51 기 1분기

제 51 기

제 50 기

영업활동현금흐름

444,301

127,581

398,677

431,365

 영업활동에서 창출된 현금흐름

23,493

(20,073)

69,072

(8,287)

 이자수취

566

380

3,266

2,732

 이자지급

(62,585)

(40,963)

(152,204)

(136,831)

 배당금수취

482,906

188,303

490,974

577,768

 법인세납부

(79)

(66)

(12,431)

(4,017)

투자활동현금흐름

(1,627)

(6,031)

(308,835)

(574,336)

 유형자산의 처분

0

0

96

492

 무형자산의 처분

0

0

0

291

 보증금의 감소

0

0

854

270

 유형자산의 취득

(522)

(205)

(3,440)

(4,741)

 무형자산의 취득

0

(20)

(41)

(2,904)

 매도가능금융자산의 취득

(168)

(5,178)

(27,311)

0

 종속기업투자의 취득

0

0

(277,944)

(353,168)

 분할로 인한 현금유출

0

0

0

(173,720)

 조인트벤처 투자지분의 취득에 따른 기타현금유출

0

0

0

(40,000)

 보증금의 증가

(937)

(522)

(945)

(648)

 임대보증금의 증가

0

(104)

(104)

(210)

 현금의기타유입(유출)

0

(2)

0

2

재무활동현금흐름

(450,000)

(160,000)

(82,810)

177,795

 단기차입금의 증가

250,000

100,000

650,000

772,000

 사채의 발행

0

0

697,140

746,745

 단기차입금의 상환

(450,000)

(160,000)

(670,000)

(591,000)

 유동성사채의 상환

(250,000)

(100,000)

(680,000)

(670,000)

 배당금지급

0

0

(79,950)

(79,950)

현금및현금성자산의순증가(감소)

(7,326)

(38,450)

7,032

34,824

기초현금및현금성자산

135,482

128,450

128,450

93,626

기말현금및현금성자산

128,156

90,000

135,482

128,450

○ 대손충당금 설정현황

가. 계정과목별 대손충당금 설정내역(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구 분 계정과목 채권 총액 대손충당금 대손충당금
설정률
제52기 1분기 매출채권 13,659,864 806,800 5.91%
미수금 2,889,648 161,595 5.59%
미수수익 90,383 1,049 1.16%
대여금 1,295,618 359,892 27.78%
선급금 1,048,784 28,831 2.75%
기 타 239,113 2,096 0.88%
합   계 19,223,410 1,360,263 7.08%
제51기 매출채권 13,335,342 738,801 5.54%
미수금 3,065,142 148,658 4.85%
미수수익 82,055 723 0.88%
대여금 1,238,407 367,304 29.66%
선급금 1,010,039 28,247 2.80%
기 타 242,236 2,576 1.06%
합   계 18,973,222 1,286,309 6.78%
제50기 매출채권 13,256,382    753,160 5.68%
미수금  3,487,156    124,364 3.57%
미수수익      98,431       2,037 2.07%
대여금 1,560,028    339,340 21.75%
선급금  1,129,534     14,184 1.26%
기 타       294,608         179 0.06%
합   계  19,826,139  1,233,265 6.22%

나. 대손충당금 변동현황(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
구     분 제52기 1분기 제51기 제50기
1. 기초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1,286,309 1,233,265 1,004,582
2. 순대손처리액(①-②±③) 11,448 -54,491 -147,487
① 대손처리액(상각채권액) -9,215 -144,511 -79,188
② 상각채권회수액    - -                      -
③ 기타증감액 20,663 90,020 -68,299
3. 대손상각비 계상(환입)액 62,506 107,536 376,170
4. 기말 대손충당금 잔액합계 1,360,263 1,286,309 1,233,265


다. 매출채권관련 대손충당금 설정방침

① 대손충당금 설정 기준
 - 대차대조표일 현재의 매출채권 잔액의 회수가능성에 대한 개별 분석 및 과거의
      대손경험률을 토대로 하여 예상되는 대손추정액을 대손충당금으로 설정하고
      있습니다.
   - 당사 수익 및 매출채권의 대부분이 종속기업들에 대하여 발생하고 있지만
      신용위험이 집중되어 있지는 않습니다.

라. 당 기말 현재 경과기간별 매출채권잔액 현황(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구  분 6월 이하 6월 초과
1년 이하
1년 초과
3년 이하
3년 초과
매출채권 11,693,638 175,038 550,595          562,811 12,982,082
구성비율 90.1% 1.3% 4.2% 4.3% 100.0%

○ 재고자산 현황 등

가. 재고자산의 사업부문별 보유현황(연결기준)

(단위 : 백만원)
회사부문 계정과목 제52기 1분기 제51기 제50기
SK주식회사 1. 제품 - -               -
2. 상품 - -               -
3. 재공품 및 반제품 - -               -
4. 원재료 및 부재료 - -               -
5. 미착품 - -               -
6. 기타 - -               -
소   계 - -               -
SK이노베이션 계열 1. 제품 2,137,631 2,005,510    1,822,554
2. 상품 4,137 17,787        12,989
3. 재공품 및 반제품 742,756 750,166      755,878
4. 원재료 및 부재료 602,669 741,816      652,449
5. 미착품 3,325,974 3,158,674    4,034,592
6. 기타 86,852 84,778      203,375
소   계 6,900,019 6,758,732    7,481,837
SK텔레콤 계열 1. 제품 2,598 2,563         2,823
2. 상품 198,551 228,856      211,901
3. 재공품 및 반제품 34 309            286
4. 원재료 및 부재료 2,253 1,994         2,761
5. 미착품 - -               -
6. 기타 1,679 8,423         1,819
소   계 205,115 242,146      219,590
SK네트웍스 계열 1. 제품 37,398 42,288        60,538
2. 상품 1,411,705 1,137,086    1,019,630
3. 재공품 및 반제품 63,854 65,148        34,117
4. 원재료 및 부재료 48,772 41,851        35,310
5. 미착품 70,677 91,090      151,702
6. 기타 50,492 55,087        30,338
소   계 1,682,898 1,432,551    1,331,635
SKC 계열 1. 제품 137,941 139,823      146,108
2. 상품 32,058 36,452        19,415
3. 재공품 및 반제품 71,255 68,083        45,689
4. 원재료 및 부재료 71,541 72,892        65,807
5. 미착품 9,424 11,225         7,814
6. 기타 17,256 15,807        15,653
소   계 339,474 344,282      300,485
SK해운 계열 1. 제품 - -               -
2. 상품 68,639 52,206        42,161
3. 재공품 및 반제품 - -               -
4. 원재료 및 부재료 - -               -
5. 미착품 - -               -
6. 기타 109,559 98,395        86,749
소   계 178,199 150,601      128,910
SK이엔에스 계열 1. 제품 - -               -
2. 상품 1,104 1,073         1,162
3. 재공품 및 반제품 - -               -
4. 원재료 및 부재료 1,092 9,570        18,691
5. 미착품 - -               -
6. 기타 1,772 1,600         2,086
소   계 3,968 12,244        21,939
SK건설 계열 1. 제품 144,414 148,194        80,841
2. 상품 58,203 52,721        45,244
3. 재공품 및 반제품 7,015 2,192            412
4. 원재료 및 부재료 - -             60
5. 미착품 15,851 2,920         1,381
6. 기타 6,065 4,558        29,452
소   계 231,546 210,585      157,390
기타 1. 제품 6,301 6,159 5,929
2. 상품 -4,641 4,898 4,442
3. 재공품 및 반제품 2,746 2,343 631
4. 원재료 및 부재료 3,978 3,475 3,730
5. 미착품 22 - 257
6. 기타 -73 -142 -388
소   계 8,334 16,733        14,601
합  계 1. 제품 2,466,283 2,344,537    2,118,793
2. 상품 1,769,757 1,531,080    1,356,944
3. 재공품 및 반제품 887,661 888,241      837,013
4. 원재료 및 부재료 730,305 871,599      778,808
5. 미착품 3,421,947 3,263,908    4,195,746
6. 기타 273,601 268,508      369,084
소   계 9,549,553 9,167,873    9,656,388
총자산대비 재고자산 구성비율(%)
[재고자산÷기말자산총계×100]
10.36% 9.65% 10.45%
재고자산회전율(회수)
[연환산 매출원가÷{(기초재고+기말재고)÷2}]
9.52 11.66 8.96

※ 회사부문 중 기타는 기타법인 및 연결조정 등을 포함하였음
※ 연환산 매출원가 산정 시 재고자산과 무관한 용역원가는 제외하였음.

당사의 각 연결대상회사는 재고자산의 정확성을 유지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재고현황을 실측하고 있습니다. 당사의 각 연결대상회사는 내부방침에 따라 최소 연1회 감사인 입회하에 재고자산의 실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각 연결대상회사는 전수조사를 기본으로 실지 재고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 중요성이 낮고 품목수가 많은 항목에대해서는 샘플링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미착품 등 제3자 보관재고와 운송중인 재고에 대해서는 전수로하여 물품보유 확인서 징구 및 표본조사를 병행하고 있습니다.


재무상태표일과 실사일의 실사대상 재고자산 차이는 회계장부에 반영된 일자별 입출고 현황, 수불내역, 기말재고 현황 등을 통하여 확인하였으며, 기말 현재 회사의 실제재고자산과 회계장부 금액은 일치하는 것으로 간주하였습니다.

또한, 재고자산의 시가(제품 및 재공품은 순실현가능가액, 원재료 등은 현행대체원가)가 취득원가보다 하락한 경우에는 시가를 재무상태표상 가액으로 하고 있습니다. 재고자산을 저가기준으로 평가하는 경우 발생하는 평가손실은 해당 재고자산에서 차감하는 형식으로 표시하고 매출원가에 가산하고 있습니다.

○ 기업어음증권(CP) 발행 실적
- 해당사항 없음

○ 기업어음증권(CP) 미상환 잔액
 
- 해당사항 없음

XI. 부속명세서


○ 금융상품의 공정가치와 평가방법 등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단기매매금융자산이나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으로 지정한 금융자산을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은 최초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취득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 손익으로인식하고 있습니다.


만기보유금융자산

만기가 고정되어 있고 지급금액이 확정되었거나 결정 가능한 비파생금융자산으로 연결실체가 만기까지 보유할 적극적인 의도와 능력이 있는 경우 만기보유금융자산으로분류하고 있습니다. 최초 인식 후에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대여금 및 수취채권

지급금액이 확정되었거나 결정 가능하고, 활성시장에서 거래가격이 공시되지 않는 비파생금융자산은 대여금 및 수취채권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최초인식 후에는 유효이자율법을 사용한 상각후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매도가능금융자산

매도가능항목으로 지정되거나 당기손익인식금융자산, 만기보유금융자산, 또는 대여금 및 수취채권으로 분류되지 않은 비파생금융자산을 매도가능금융자산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최초인식후에는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기타포괄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다만, 활성시장에서 공시되는 시장가격이 없고 공정가치를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없는 지분상품 등은 원가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는 단기매매금융부채나 최초 인식시점에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로 지정한 금융부채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는 최초인식 후 공정가치로 측정하며, 공정가치의 변동은 당기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한편, 최초 인식시점에 발행과 관련하여 발생한 거래비용은 발생 즉시 당기 손익으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
당기손익인식금융부채로 분류되지 않은 비파생금융부채는 기타금융부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기타금융부채는 최초 인식시 발행과 직접 관련되는 거래원가를 차감한 공정가치로 측정하고 있습니다. 후속적으로 기타금융부채는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상각후원가로 측정되며, 이자비용은 유효이자율법을 적용하여 인식합니다.

상세 내용은 첨부의 별도 및 연결검토보고서를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 전문가의 확인 】


1. 전문가의 확인

- 해당사항 없음

2. 전문가와의 이해관계

- 해당사항 없음